You are on page 1of 2

1.

하세도표 만들기
하세도표는 반순서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인데 매우 유용하고 단순화된 반순서관계를
표현하는 수학적 표현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래의 예를 통해서 설명하자.
[예제]
1. 다음 그림은 집합    의 멱집합을 부분집합관계로 하여 도식화한 것이
다.

보시다 시피, 위 그림이 매우 복잡하게 보이기에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활용한 표


현 방법으로 단순화 해보자.
첫째, 모든 루프는 생략한다.
둘째, 추이관계를 표시하는 화살표는 생략한다.
셋째, 모든 화살표는 위로만 향한다고 약속한다.
넷째, 화살표의 머리 부분을 삭제한다.
[문제 1] 집합        를 생각하자. 집합  의 임의의 두 원소    에 대
하여,  가  를 나누면 a b 라고 놓자. 이 관계를 하세도표를 사용하여 표현하자.

[해답]

[문제 2] 집합          를 생각하자.


 의 임의의 두 원소   에 대하여 만약 ‘  가  를 나누면  는  와 관계가 있다’ 라
고 하고    ∈  으로 표현하자. 그 때 이 관계를 표현하는 하세도형을 그려라.

[해답]
R = { (3,3), (3,6), (3,12), (4,4), (4,12), (5,5), (5,10), (6,6), (6,12), (10,10),
(12,12)}이기에 아래 사실을 기반으로 하세도형은 그려진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