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고사 ( 고급화학 ) 2학년

<서답형1(단답형), 서답형2(단답형)> (3) (2)의 가약표현(  )을 기약표현의 합으로 나타내시오. [1.5점]


다음 자료 1, 2, 3, 4를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총 30.0점]
-  =
< 자 료 1 >
궤도함수 에너지가 같지는 않지만 비슷하고, 대칭성이 같을 때도 서로 상
호작용을 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혼성 오비탈을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
다. 그것은 가약표현을 기약표현의 합으로 나타냄으로써 알 수 있다. 이를
테면, 간단한 분자인 CO  의   를 보자. CO  의 점군은 ∞ 점군으
로,  로 치환할 경우      이다.  의 경우  오비탈과 대칭성 (4) 지표표와 (3)의 답을 참고하여 혼성오비탈을 만드는 데 참여하는 오비탈
을 모두 쓰시오. [3.0점]
이 동일하며,  의 경우  와 대칭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 혼성을 이
룬다. 이렇게, MO로 hybrid(혼성 오비탈)를 설명할 수 있다.

*  는   의 대칭성을 가약 표현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테면, CO 


의 한   를 화살표로 표시하면 ← → 의 모양일 것이다. 이를  대
칭시켜도 그대로이므로 이는  에 대해 2이다.

(5) 위 그림에서 축방향에 있는   를 나타내는 화살표 2개(굵은 화살


<  지표표 (이해를 위해 일부만 표시함.) > 표)에 대한 가약표현( , ①~⑥)과 적도방향에 있는   을 나타내는
화살표 3개(가는 화살표)에 대한 가약표현(  , ⑦~⑫)을 구하시오. [3.6
           
 점, 각 0.3점]
1 1 1 1 1 1 1 1

     


 1 1 -1 -1 -1 -1 1 1   ① ② ③ ④ ⑤ ⑥
  ⑦ ⑧ ⑨ ⑩ ⑪ ⑫

(6) (5)의 가약표현을 각각 기약표현의 합으로 나타내시오. [3.0점, 각 1.5


< 자 료 2 >
점]
< PCl  의 지표표 >

     


′ 1 1 1 1 1 1    , 
′  -  
1 1 -1 1 1 -1
′ 2 -1 0 2 -1 0       -  =
″ 1 1 1 -1 -1 -1
″ 1 1 -1 -1 -1 1 
″ 2 -1 0 -2 1 0     
(7) 지표표와 (6)의 답을 참고로 하여 혼성오비탈을 형성할 때 축방향과 적
도방향에서 혼성오비탈 형성에 참여하는 오비탈을 각각 쓰시오. [5.0점,
< PCl  의    표시 > 각 2.5점]

- 축 방향 :
- 적도 방향 :

(1) PCl  의 점군은? [0.8점]

(2) 위 점군의 5개의   에 대한 가약표현(㉠~㉥)을 구하시오. [3.6점,


각 0.6점]

     


 ㉠ ㉡ ㉢ ㉣ ㉤ ㉥

5 7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고사 ( 고급화학 ) 2학년

< 자 료 3 >
< AB  의 지표표 >

    


 1 1 1 1 1     , 
 1 1 1 -1 -1 
 1 -1 1 1 -1   
 1 -1 1 -1 1 
″ 2 0 -2 0 0  ,     

< AB  의 구조와    표시 >

< 자 료 4 >

지표표에서  로 표시된 것은 두 개의 오비탈과 관련되어있다. 이를테면,


   로 표시된 경우 이  에 해당하는 기약표현과 동일한 대칭성을
가진 오비탈은   과  모두이다. 다른 일반적인 기약표현(   등)
과 다른 점은 반드시 두 오비탈이 관여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 에
  가 표시되었다면   이 모두 이 기약표현의 대칭성이 지표하는 오비
탈이지만,  에  가 표시되었다면   가 쌍처럼 포함된다는 점이다.

(1) AB 의 점군은? [1.5점]

(2) 다음 표는 위 점군의 5개의   에 대한 가약표현(ⓐ~ⓘ)에 대한 표


이다. 빈칸을 채우시오. [1.8점, 각 0.2점]

 ⓐ ⓑ ⓒ ⓓ
 ⓔ ⓕ ⓖ ⓗ ⓘ

(3) (2)의 가약표현을 기약표현의 합으로 쓰시오. [1.7점]

-  =

(4) 가능한 혼성 오비탈을 모두 쓰고, 각 혼성오비탈을 만드는 데 참여한 A


의 원자 오비탈 5개를 쓰시오. [4.5점]

6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