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8

수와 식의 계산

1. 유리수와 순환소수
2. 식의 계산

롤러코스터는 모터에 의해 일정한 높이까지 올려진 후,


레일 위를 동력 없이 달리도록 만들어진 놀이 기구이다.
롤러코스터가 달릴 때 에너지의 변화는 높이와 속력 등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와 식의 계산은 수학의 기본 기능으로 이후 학습의 기초가 된다.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8 18. 7. 25. 오전 10:56


- 소인수분해, 정수와 유리수,
문자의 사용과 식의 계산(중1)

Ⅰ-1 유리수와 순환소수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 무리수,
 다항식의 곱셈과
Ⅰ-2 지수법칙 인수분해(중3)
단항식의 계산
다항식의 계산

1 다음 분수를 소수로, 소수를 분수로 나타내시오. 초등

⑴ ;1Á0; ⑵ ;1ª0£0; ⑶ 2.61 ⑷ 0.083

2 다음 수를 소인수분해하시오. 중 1

⑴ 50 ⑵ 96 ⑶ 168 ⑷ 400

3 다음을 계산하시오. 중 1

⑴ 4a_(-8) ⑵ ;5@;xÖ;5$;

⑶ 3(2a-5)+(-a+6) ⑷ 5(3x-1)-2(7x+3)

수학 팸플릿 수학 게임 수학 잡지
수학자 포스터 수학 만화 수학 마인드맵

258쪽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9 18. 7. 25. 오전 10:56


유리수와 순환소수

수학 + 음악

기타(Guitar)는 굵기가 서로 다른 6개의 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이다. 기타의


목 부분에는 정확한 음정을 내기 위해 반음 간격마다 음쇠(Fret)가 있다. 어느 한 줄의

길이의 ;4#;, ;3@; 위치에 있는 음쇠에 줄을 닿게 하여 튕기면 음쇠에 줄이 닿지 않을 때의 음

보다 각각 4도, 5도 높은 소리가 난다.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0 18. 7. 25. 오전 10:56


기타의 음쇠의 위치를 나타내는 분수를 이용하여 소수 표현과 분수 표현에 대하여 알아보자.

1
;4#;

;3@;

음쇠의 위치를 나타내는 두 분수 ;4#;, ;3@; 를 소수로 나타내고, 두 소수의 차이점을 말해 보자.

;4#;  ,  ;3@;

 에서 음쇠의 위치를 분수로 표현하는 것과 소수로 표현하는 것 중 다음 각 경우에


대해 어느 것이 더 편리한지 생각해 보자.

•음쇠의 위치 정확하게 나타내기:


•두 수의 대소 비교하기: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를 알아볼까?

▶ 분수를 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예 아니요


▶ 수의 소수 표현과 분수 표현의 장단점을 알 수 있다. 예 아니요

▶ 유리수와 순환소수    ▶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예습과 복습을 열심히 하겠다.


•수업 시간에 집중하겠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겠다.
•모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1 18. 7. 25. 오전 10:56


유리수와 순환소수
•순환소수의 뜻을 안다.

순환소수는 무엇일까?

다음 그림은 정조(1752~1800)의 일생을 나타낸 것이다. 아래 표의 분수를 각각 소수


로 나타내시오.
  
   Æ


출생 세손 사도세자의 왕위  화성 사망
책봉 죽음 즉위 준공

분수 ;2!; ;1Á6; ;1°2;

소수

음의 유리수인 경우에는 유리수는 a, b가 정수이고, b+0일 때, 분수 ;bA;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자연수)
-  로 나타낸다.
분수 ;bA; 는 ;bA;=aÖb이므로 분자를 분모로 나누면 정수 또는 소수가 된다.
(자연수)

위의 개념 열기에서 분수 ;2!;, ;1Á6;, ;1°2; 를 각각 소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1Ö2=0.5

    ;1Á6;=1Ö16=0.0625

    ;1°2;=5Ö12=0.41666y
스테빈
(Stevin, S., 1548~1620) 이때 0.5, 0.0625와 같이 소수점 아래에 0이 아닌 숫자가 유한 번 나타나는
네덜란드의 수학자. 소수를
소수를 유한소수라고 한다. 또 0.41666y과 같이 소수점 아래에 0이 아닌 숫자
발견하고, 소수의 표기법과
계산법을 연구하였다. 가 무한 번 나타나는 소수를 무한소수라고 한다.

괄호 안의
⑴ 0.42는 소수점 아래에 0이 아닌 숫자가 유한 번 나타나므로 유한소수이다.
알맞은 것에
표를 해 보자. ⑵ 0.696969y는 소수점 아래에 0이 아닌 숫자가 무한 번 나타나므로 (유한소수, 무한소수)이다.

12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2 18. 7. 25. 오전 10:56


01 다음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고, 유한소수와 무한소수로 구분하시오.

⑴ ;6%; ⑵ ;8&; ⑶ ;1Á1;

무한소수 중에는
    0.777y,  -1.4585858y,  2.345345345y
와 같이 소수점 아래의 어떤 자리에서부터 일정한 숫자의 배열이 한없이 되풀이
무한소수 중에는 원주 되는 소수가 있다. 이와 같은 무한소수를 순환소수라 하고, 이때 한없이 되풀이
율 p=3.141592653y,
0.1010010001y과 같이
되는 한 부분을 순환마디라고 한다.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
도 있다.
순환소수는 순환마디의 양 끝의 숫자 위에 점을 찍어서 다음과 같이 간단히
나타낸다.

순환소수 순환마디 간단히 나타내기

0.777y 7 0.H7
-1.4585858y 58 -1.4H5H8
2.345345345y 345 2.H34H5

순환소수 -1.4585858y을 -1.45H8H5 또는 -1.4H585H8 등과 같이 나타내지 않는다.

02 다음 표의 빈칸을 알맞게 채우시오.

순환소수 순환마디 간단히 나타내기


⑴ 0.444y 4 0.H4
⑵ 0.384384384y
⑶ 0.72616161y

열린
03 야구 경기에서 8타수 3안타를 친 선수의 타율은 0.375로

나타내고, 반으로 접은 색종이의 넓이는 전체 넓이의 ;2!;

로 나타낸다. 이와 같이 유리수는 경우에 따라 소수로 표


현하는 것이 더 편리하기도 하고, 분수로 표현하는 것이
더 편리하기도 하다. 우리 생활 주변에서 소수 표현 또는
분수 표현이 더 편리한 경우를 찾으시오.

1. 유리수와 순환소수 13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3 18. 7. 25. 오전 10:56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에는 어떤 성질이 있을까?

다음은 유한소수 0.3, 0.57, 0.213을 각각 분수로 나타낸 다음, 분모를 소인수분해한
것이다. 빈칸에 알맞은 수를 쓰고, 분모의 소인수를 말하시오.

1 0.3=;1£0; 2 0.57=;1°0¦0; 3 0.213=;1ª0Á0£0;


3 57 213
= = =
_ ` Û _  `Û  Ü`_  Ü`

모든 유한소수는 분수 위의 개념 열기에서 유한소수 0.3, 0.57, 0.213은 각각 다음과 같이 분모가


로 나타낼 수 있다.
10의 거듭제곱인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0.3=;1£0;,  0.57=;1°0¦0;,  0.213=;1ª0Á0£0;

이때 분모를 각각 소인수분해하면
    10=2_5,  100=2Û`_5Û`,  1000=2Ü`_5Ü`
과 같이 소인수가 2와 5뿐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분수 ;5!;, ;4£0; 은 각각 다음과 같이 분모가 10의 거듭제곱인 분수로 고쳐

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1_2
    ;5!;= =;1ª0;=0.2
5_2
3 3_5Û` 75
    ;4£0;= = = =0.075
2Ü`_5 2Ü`_5_5Û` 10Ü`

초등 이와 같이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 분모의 소인수가 2


분모와 분자의 공약수가 1 또는 5뿐이면 분모, 분자에 2 또는 5의 거듭제곱을 곱하여 분모를 10의 거듭제곱
뿐인 분수를 기약분수라고
한다.
으로 고쳐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분모에 2 또는 5 이외의
소인수가 있는 기약분수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분모를 10의 거듭제곱으로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 분모의 소인수가 2 또는 5뿐이면 그
고칠 수 없으므로 유한소수
로 나타낼 수 없다. 유리수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14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4 18. 7. 25. 오전 10:56


1
빈칸에 ;2Á0;= 분모의 소인수가 와 뿐이다.
알맞은 것을
2Û`_5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써넣어 보자. 분모를 소인수분해

04 다음 분수 중에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모두 찾으시오.

1 33 1
         -;7°2;   ;1ª4Á0;
2Ü`_5 2_3_5Û` 2_7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에는 어떤 성질이 있을까?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 그 기약분수의 분모가 2 또는


5 이외의 소인수를 가지는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 보자.

;7!; 은 분모가 2 또는 5 이 ;7!; 을 소수로 나타내기 위해 오른쪽과 같이 나눗셈


외의 소인수를 가지므로 유
0.1 4 2 8 5 7 y
한소수로 나타낼 수 없다. 을 하면 소수점 아래 각 자리에서 나머지가 3, 2, 6, 4, 7 10
7
5, 1의 순서대로 계속해서 나타난다.
30
이때 1을 7로 나눈 나머지는 나누는 수 7보다 작은 28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적어도 7번째 안에는 같은 수가 20
14
다시 나타난다. 같은 수가 나타나게 되면 그때부터 같
60
은 몫이 되풀이되므로 순환마디가 생기게 된다. 56
40
따라서 분수 ;7!; 은 다음과 같은 순환소수로 나타낼
35
수 있다. 50
49
    ;7!;=0.142857142857142857y 같다. 1
y

=0.H14285H7

이와 같이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 분모에 2 또는 5 이


외의 소인수가 있는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무한소수가 되고, 이 무한소수는
순환소수이다.

1. 유리수와 순환소수 15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5 18. 7. 25. 오전 10:56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기약분수로 나타냈을 때, 분모에 2 또는 5 이외의 소인수가 있


으면 그 유리수는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1
빈칸에 ;1Á4;= 분모에 2 또는 5 이외의 소인수 이 있다.
알맞은 것을
2_7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써넣어 보자. 분모를 소인수분해

05 다음 분수 중에서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있는 것을 모두 찾으시오.

⑴ ;8#; ⑵ :ª7¼: ⑶ -;9%; ⑷ -;7!5@;

06 다음 글의 밑줄 친 분수 중에서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있는 것을 모두 찾으시오.


과학

달의 반지름의 길이는 지구의 반지름의 길이의 약 ;4!;, 태양의 반지름의 길이의

약 ;40!0;이다. 또 달의 질량은 지구의 약 ;8Á1;이고 중력은 지구의 ;6!; 정도이다.

추론

수학 기르기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분수 x의 개수를 구하시오.

추론할 때는
주어진 조건을 분석하 ㈎ x의 분모는 24이다.
㈏ x는 ;8!; 보다 크고 ;2!; 보다 작다.
여 수학적 추측을 한다.

추측한 내용이 참인지


확인한다.
㈐ x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없다.

16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6 18. 7. 25. 오전 10:56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를 이해한다.

순환소수는 어떻게 분수로 나타낼까?

순환소수 0.H7을 x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1 x=0.777y의 양변에 10을 곱하여 오른쪽 빈칸을 채 x=0.777y


우고, x와 10x의 소수점 아래의 부분을 비교하시오. 10x=
2 10x-x의 값을 구하시오.

위의 개념 열기에서 x와 10x의 소수점 아래의 부분은 같다.


따라서 10x-x의 값을 구하면 10x-x=7과 같이 정수가 된다.

이와 같이 어떤 순환소수에 10의 거듭제곱을 적당히 곱하면 그 소수점 아래의


부분이 처음 순환소수의 소수점 아래의 부분과 같아지므로 두 수의 차는 정수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 보자.


순환소수 0.H7을 x라고 하면
    x=0.777y yy`①
    10x=7.777y yy`②
이므로 ②에서 ①을 변끼리 빼면
10x=7.777y
    9x=7,  x=;9&; ->³ x=0.777y
9x=7
따라서 0.H7=;9&; 이다.

01 다음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시오.

⑴ 0.H3 ⑵ 1.H2

1. 유리수와 순환소수 17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7 18. 7. 25. 오전 10:56


순환마디를 이루는 숫자가 2개 이상인 순환소수와 순환마디가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부터 시작되지 않는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 보자.

1 다음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시오.

⑴ 0.H3H5 ⑵ 0.1H2H7

⑴ 0.H3H5를 x라고 하면
   x=0.353535y yy`①
   100x=35.353535y yy`②
②에서 ①을 변끼리 빼면
100x=35.353535y
   99x=35,  x=;9#9%; ->³ x= 0.353535y
99x=35
따라서 0.H3H5=;9#9%;이다.

⑵ 0.1H2H7을 x라고 하면
   x=0.1272727y
   10x=1.272727y yy`①
   1000x=127.272727y yy`②
②에서 ①을 변끼리 빼면
1000x=127.272727y
   990x=126,  x=;9!9@0^;=;5¦5; ->³ 10x= 1.272727y
990x=126
따라서 0.1H2H7=;5¦5;이다.

 답 ⑴ ;9#9%;  ⑵ ;5¦5;

02 다음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시오.

⑴ 0.H4H5 ⑵ 1.H02H4

⑶ -0.9H4 ⑷ 3.2H5H3

18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8 18. 7. 25. 오전 10:56


지금까지 정수가 아닌 유리수를 소수로 나타내면 유한소수 또는 순환소수가

되고, 유한소수와 순환소수는 모두 a, b(b+0)가 정수인 분수 ;bA; 의 꼴로 나타

낼 수 있으므로 유리수임을 알았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수와 소수의 관계
유한소수와 순환소수는 모두 유리수이다.
유한소수
   소수 유리수
순환소수
무한소수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

03 다음과 같은 5장의 카드가 있다. 카드에 적힌 수 중에서 유리수를 모두 찾으시오.

1.H2H4 3.141592y 1.121121112y

3.76 2.323232y

의사소통

수학 기르기 다음 중에서 잘못 말한 학생을 모두 찾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설명할 때는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 현수 다혜
게 전달한다.
모든 순환소수는 모든 기약분수는
수학적 용어를 정확히
무한소수야.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어.
사용해 표현한다.

세민 지훈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는 순환소수 중에는


유리수가 아니야. 유리수가 아닌 것도 있어.

1. 유리수와 순환소수 19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19 18. 7. 25. 오전 10:56


O, X 문제

유한소수 다음 문장이 옳으면 , 옳지 않으면 X를


소수점 아래에 0이 아닌 숫자가 유한 번 나타나는 소수 안에 쓰시오.
0.3, 1.45
1 0.324324324y는 순환소수이고, 순
무한소수
환마디는 24이다. 
소수점 아래에 0이 아닌 숫자가 무한 번 나타나는 소수
0.222y, 0.161161116y
2 순환소수 2.405405405y를 간단히
) 순환소수 나타내면 2.H40H5이다. 
소수점 아래에서 일정한 숫자의 배열이 한없이 되풀이되는 무한소수
0.222y=0.H2,  2.415415415y=2.H41H5,  3.3696969y=3.3H6H9 2
순환마디 순환마디 순환마디 3   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3_5Û`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3 1
;2£0;= 유한소수(0.15) ;1Á2;= 순환소수(0.08H3)
2Û`_5 2Û`_3 1
분모의 소인수가 분모에 2 또는 5 이외의
4 3_5  은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있
2와 5뿐이다. 소인수 3이 있다. 다.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
유한소수와 순환소수는 모두 유리수이다. 5 순환소수는 유리수이다. 

3 다음은 순환소수 0.H2를 분수로 나타내는 과정


이다. 빈칸에 알맞은 수를 쓰시오.
1 다음 분수를 순환소수로 나타내시오.
0.H2를 x라고 하면
⑴ ;1ª1; ⑵ ;1¥5;
   x=0.222y yy`①
   10x= yy`②
이므로 ②에서 ①을 변끼리 빼면

   9x= , x=
9
2 다음에 해당하는 것을 보기에서 모두 찾으시오.
따라서 0.H2= 이다.
보기 9
ㄱ. ;1Á4; ㄴ. ;8¦0;

ㄷ. ;4#4#; ㄹ. ;4!5%;

⑴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⑵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있는 분수

20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20 18. 7. 25. 오전 10:56


Ⅰ - 1. 유리수와 순환소수

정답 및 해설 ▶ 274쪽

21
7 분수
2Ü`_5Û`_a
 을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4 다음 중에서 분수 ;1Á1»0; 를 소수로 바르게 나 있을 때, 한 자리의 자연수 a의 값을 구하시오.

타낸 학생을 찾으시오.

찬영 지연

0.H17H2 0.1H7H2
8 다음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시오.

현수 세민 ⑴ 1.H6 ⑵ 0.H40H5
0.H1H7 0.17H2H7 ⑶ -0.H1H3 ⑷ 2.0H4H3

9 다음 보기 중에서 유리수를 모두 찾으시오.

분수 ;1ª3; 를 소수로 나타냈을 때, 다음 물음에


보기
5
ㄱ. :Á3Á: ㄴ. 2.H1H5
답하시오.
ㄷ. -0.47 ㄹ. 0.121231234y
⑴ 순환마디를 구하시오.
⑵ 소수점 아래 100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
시오.

10 분수 ;45{0; 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고, 기

6 분수 ;1£6£8;에 어떤 자연수를 곱하여 유한소수 약분수로 나타내면 ;]^;이다. x가 100보다 크


로 나타내려고 한다. 곱할 수 있는 가장 작은 고 110보다 작은 자연수일 때, x, y의 값을
자연수를 구하시오. 각각 구하시오.

262쪽

1. 유리수와 순환소수 21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21 18. 7. 25. 오전 10:56


문제
보물을 찾으려면 어느 쪽으로 가야 할까? 해결

활동 목표 유리수와 순환소수를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 다음 그림의 유리수와 순환소수에 대한 내용 중에서 옳은 것을 모두 색칠하여 보물이 있는 곳으로 가는


길을 찾아보자.

x=0.H31H8일 때,
순환소수는
0.5는 0.H5보다 작다. 10x-x를 이용하면 x를
유리수가 아니다.
분수로 나타낼 수 있다.

;1¤8;은 순환소수로만
무한소수 중에는 ;1¦5;은 유한소수로
유리수가 아닌 것이 있다.
나타낼 수 있다. 나타낼 수 있다.

0.H3을 수직선 위에
;1°2;는 유한소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5.626262y의
나타낼 수 있다. 순환마디는 562이다.
 ( 

모든 분수는 유한소수로 ;5»0;는 유한소수로 0.121212y는


나타낼 수 있다. 무한소수이다.
나타낼 수 있다.

0.H41H5의 소수점 아래 5번째 모든 무한소수는 0.314는


자리의 숫자는 5이다. 순환소수이다. 유한소수이다.

2 1 의 그림에 유리수와 순환소수에 대한 내용을 바꾸어 새로운 길 찾기 문제를 만들고, 친구들과 함께 그


문제를 풀어 보자.

22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22 18. 7. 25. 오전 10:56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

베◯◯의 어느 소설은 인류의 운명을 놓고 신의 후보들이 벌이는 게임을 흥미롭게 그


리고 있다. 이 소설에는 다음과 같은 대목이 나온다.

“여러 가지 이야기를 들려주는 신비로운 수가 하나 있다. 142857이 바로 그것이다.”

신비의 수 142857의 성질에 대하여 알아보자.

142857에 1, 2, 3, 4, 5, 6을
142857_1=142857    142+857=999
각각 곱하면 6개의 숫자 1, 4, 2,
142857_2=285714    285+714=999
8, 5, 7이 배열 순서만 다르다.
142857_3=428571    428+571=999
또 곱한 결과의 수를 세 자리씩
142857_4=571428    571+428=999
끊고 두 수를 더하면 모두 999가
142857_5=714285    714+285=999
된다.
142857_6=857142    857+142=999

142857의 신비를 푸는 열쇠는 순환소수이다. ;7!; 을 소수로 나타내면 순환소수이고,

순환마디가 바로 142857이다. 따라서 ;7@;, ;7#;, ;7$;, ;7%;, ;7^; 을 각각 소수로 나타내면 모두

순환소수이고, 순환마디가 142857과 배열 순서만 다를 뿐이다.

   ;7!;=0.H14285H7,  ;7@;=0.H28571H4,  ;7#;=0.H42857H1

   ;7$;=0.H57142H8,  ;7%;=0.H71428H5,  ;7^;=0.H85714H2


(참고 자료: Liz Strachan, “Numbers are Forever”)

1. 유리수와 순환소수 23

(교)중2수학(008~023)1단원-1.indd 23 18. 7. 25. 오전 10:57


식의 계산

수학 + 미술

황금사각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변의 길이의 비가 B C

(a+b)`:`a=a`:`b를 만족시키는 직사각형으로 인간이 인


B
식하기에 가장 균형적이고 안정적인 사각형이라고 한다.
이탈리아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 Leonardo da
B C
Vinci, 1452~1519)의 대표적인 그림인 ‘최후의 만찬’과 ‘모
나리자’에서도 황금사각형을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참고 자료: 호리바 요시카즈(임승원 옮김), “무리수의 불가사의”)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24 18. 10. 10. 오후 4:53


황금사각형을 이용하여 식의 계산에 대하여 알아보자.

오른쪽 그림에서 전체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두 가지 방 B C


법을 생각해 보고, 직사각형의 넓이를 나타내 보자.
B

방법 1    
B C
방법 2    

 에서 방법 1과 방법 2로 나타낸 직사각형의 넓이는 서로 같음을 식으로 나타내 보자.

단항식과 다항식의
계산 방법을 알아볼까?

▶ 직사각형의 넓이를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 아니요


▶ 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을 이해할 수 있다. 예 아니요

▶ 지수법칙    ▶ 단항식의 계산    ▶ 다항식의 계산

•예습과 복습을 열심히 하겠다.


•수업 시간에 집중하겠다.
•수학에 대한 자신감을 키우겠다.
•모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25 18. 7. 25. 오전 10:57


지수법칙
•지수법칙을 이해한다.

aµ``_aÇ` 은 어떻게 간단히 할까?

다음 대화를 읽고, 선우의 질문에 답하시오.

그럼 2Û`과 2Ü`의 곱
2Û`과 2Ü`은 2를 각각 2Û`은 두 번, 2Ü`은
몇 번 곱한 것일까? 세 번 곱한 것이지. 2Û`_2Ü`은 2를 몇 번
곱한 것일까?

위의 개념 열기에서 2Û`은 2를 두 번, 2Ü`은 2를 세 번 곱한 것이므로 2Û`_2Ü`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Û`_2Ü`=(2_2)_(2_2_2)
[

(
{
9

2번 3번
=2_2_2_2_2
(
|
{
|
9

5번
=2Þ`

같은 방법으로 aÛ`_aÜ`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Û`_aÜ`=(a_a)_(a_a_a)
[

(
{
9

2번 3번
=a_a_a_a_a
(
|
{
|
9

5번
=aÞ`

중1 이때 aÞ`의 지수 5는 aÛ`_aÜ`의 두 지수 2와 3의 두 지수의 합


지수 합과 같음을 알 수 있다.
2`à` a2_a3=a2+3=a5

26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26 18. 7. 25. 오전 10:57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법칙이 성립한다.

지수법칙 ⑴
a는 aÚ`으로 정한다. m, n이 자연수일 때  aµ``_aÇ`=aµ``±Ç`

빈칸에
⑴ a_aÝ`=aÚ`±Ý`=aÞ`
알맞은 것을
써넣어 보자. ⑵ 5Û`_5Ü`_5Ý`=5  +
_5Ý`=5  +4
=5 

0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aÜ`_aà` ⑵ 2Ü`_2Ý`_2Þ` ⑶ a_aÜ`_aÞ`

밑이 다른 거듭제곱이 있는 곱셈에서는 밑이 같은 거듭제곱끼리 모아서 지수


법칙을 이용하여 간단히 나타낸다.

1 xÛ`_yÛ`_xÞ`_yÜ` 을 간단히 하시오.

   xÛ`_yÛ`_xÞ`_yÜ`=xÛ`_xÞ`_yÛ`_yÜ`
=xÛ`±Þ`_yÛ`±Ü`
=xà`_yÞ`
=xà`yÞ`

 답 xà`yÞ`

0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3_5Ü`_3Þ`_5Ý` ⑵ a_bÛ`_aÜ`_bÝ` ⑶ xÛ`_yÝ`_x_yÜ`_yÛ`

2. 식의 계산 27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27 18. 7. 25. 오전 10:57


(aµ``)Ç` 은 어떻게 간단히 할까?

(4Ü`)Û`은 4Ü`을 제곱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2 3 3 3+3
    (4 ) =4 _4 =4 =43_2=46

3 2
같은 방법으로 (a )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3 2 3 3 3+3
    (a ) =a _a =a =a3_2=a6

6 3 2
이때 a 의 지수 6은 (a ) 의 두 지수 3과 2의 곱
두 지수의 곱
과 같음을 알 수 있다.
(a3)2=a3_2=a6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법칙이 성립한다.

지수법칙 ⑵

m, n이 자연수일 때  (aµ``)Ç`=aµ``Ç`

빈칸에
⑴ (32)4=32_4=38
알맞은 것을
써넣어 보자. ⑵ (b4)3=b4_ =b 

03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aÛ`)à` ⑵ (2Û`)Þ`_(2Ý`)Û` ⑶ (aÛ`)Û`_(bÞ`)Û`_aÜ`

0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면체 모양인 큐브의 한 모서리의


길이가 aÜ` 일 때, 큐브의 부피를 구하시오.

28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28 18. 7. 25. 오전 10:57


aµ``ÖaÇ` 은 어떻게 간단히 할까?

다음은 2Þ`Ö2Ü`을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낸 것이다. 빈칸에 알맞은 것을 쓰시오.

2_2_2_ _
2Þ`Ö2Ü`= = =2_2=2Û`
2Ü` 2_2_2

위의 개념 열기에서 2Þ`Ö2Ü`을 2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2Þ` 2_2_2_2_2
 2_
 2
    2Þ`Ö2Ü`= = =2_2=2Û`
2Ü` 2_

같은 방법으로 a+0일 때, aÞ`ÖaÜ`, aÜ`ÖaÜ`, aÜ`ÖaÞ`은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


낼 수 있다.
aÞ` a_a_a_a_a
a_a_a
    aÞ`ÖaÜ`= = =a_a=aÛ`
aÜ`
aÜ` a_a_a
aÜ` a_a_a
    aÜ`ÖaÜ`= = =1

aÜ` a_a_a 1 1
aÞ` a_a_a_a_a a_a aÛ`
    aÜ`ÖaÞ`= = = =

즉,
    aÞ`ÖaÜ`=aÞ`ÑÜ`=aÛ` 두 지수의 차
    aÜ`ÖaÜ`=1
a5Öa3=a5-3=a2
1 1
    aÜ`ÖaÞ`= = 1 1
aÞ`ÑÜ` aÛ` a3Öa5= =
a5-3 a2
임을 알 수 있다. 두 지수의 차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법칙이 성립한다.

지수법칙 ⑶

a+0이고, m, n이 자연수일 때
❶ m>n이면  amÖan=am-n
❷ m=n이면  amÖan=1
1
❸ m<n이면  amÖan=
aÇ` ѵ``

2. 식의 계산 29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29 18. 7. 25. 오전 10:57


05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3ß`Ö3Ü` ⑵ aÞ`ÖaÞ` ⑶ xÖxÜ`

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aÞ`)Ü`Ö(aÝ`)Û` ⑵ (aÜ`)Û`_(aÛ`)Û`Ö(aÝ`)Ü`

⑴ (aÞ`)Ü`Ö(aÝ`)Û`=aÚ`Þ`Öa¡`=aÚ`Þ`Ñ¡  
=aà`
⑵ (aÜ`)Û`_(aÛ`)Û`Ö(aÝ`)Ü`=aß`_aÝ`ÖaÚ`Û`=aÚ`â`ÖaÚ`Û`
1 1
= =
aÚ`Û`ÑÚ`â` aÛ`
1
 답 ⑴ aà`  ⑵
aÛ`

06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xÝ`)Ü`Ö(xÛ`)Ü` ⑵ (aÞ`)Ý`_aÛ`Ö(aß`)Ü` ⑶ xÚ`Û`Ö(xÜ`)Ü`Ö(xÞ`)Û`

07 어느 상품의 홍보를 위해 바이럴 마케팅을 하려고


경제 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사람이 3명에게 전자
 바이럴 마케팅 우편을 보내고 그 3명이 각각 서로 다른 3명에게

누리꾼이 전자 우편이나 전달할 때, 6단계에서 전자 우편을 받는 사람 수는


전파 가능한 매체를 이용 2단계에서 전자 우편을 받는 사람 수의 몇 배인지
하여 자발적으로 상품을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구하시오.
홍보하는 방법으로 컴퓨터
바이러스처럼 확산된다고
하여 붙인 이름이다.

1단계 2단계

30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0 18. 7. 25. 오전 10:57


(ab)µ``, {;aB;}``(a+0)은 어떻게 간단히 할까?
µ

(ab)Ü`은 ab를 세제곱한 것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b)Ü`=ab_ab_ab
=a_a_a_b_b_b=aÜ`bÜ` (ab)Ü`=aÜ`bÜ`

같은 방법으로 {;aB;}Ü`(a+0)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B;}Ü`=;aB;_;aB;_;aB;
{;bA;}Ü`= aÜ`
b_b_b bÜ` bÜ`
    = =
a_a_a a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법칙이 성립한다.

지수법칙 ⑷

m이 자연수일 때
m
❷ {;aB;} =
bµ``
❶ (ab)m=ambm (a+0)
aµ``

빈칸에
x  x 
알맞은 것을 ⑴ (-2a)Ü`=(-2)Ü`aÜ`=-8aÜ` ⑵ {;3{;}Ý`= =
써넣어 보자. 3 

08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3a)Ü` ⑵ {-;[@;}Þ`

09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다음을 계산하시오.


50Ü`
⑴ 4Ü`_(0.25)Ü` ⑵
100Ü`

2. 식의 계산 31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1 18. 7. 25. 오전 10:57


3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⑵{ }`
3xÝ` Ü
⑴ (-2xÛ`yÜ`)Þ`
y

⑴ (-2x2y3)5=(-2)5(x2)5(y3)5
=-32x10y15
3xÝ` Ü (3xÝ`)Ü` 3Ü`(xÝ`)Ü`
⑵ { }`= =
y yÜ` yÜ`
27xÚ`Û`
=
yÜ`
27xÚ`Û`
 답 ⑴ -32x10y15  ⑵
yÜ`

10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⑵{ }` ⑶ {- }`
2b ß aÜ` ß
⑴ (4xyÝ`)Ü`
aÛ` bÝ`

문제 해결ㅣ의사소통

수학 기르기 다음은 다혜와 지훈이가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한 것이다. 계산 과정에서 틀린


부분을 각각 찾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문제를 해결하고 설명
할 때는
풀이 계획을 수립하고 다혜 지훈
실행한다.
6 2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
2 ( 6)2
2
3 = 3
게 전달한다. (-2 )4 = -24( 2)4 4
= -16 8 4 2 12

= 3

32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2 18. 7. 25. 오전 10:57


단항식의 계산
•단항식의 곱셈과 나눗셈을 할 수 있다.

단항식의 곱셈은 어떻게 할까?

B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 모양의
할인권 6장으로 이루어진 할인권 모음 C
이 있다. 할인권 한 장의 가로의 길이는 C
a, 세로의 길이는 b라고 할 때, 할인권
모음의 넓이를 구하시오.
B

위의 개념 열기에서 할인권 모음의 넓이는


    (할인권 한 장의 넓이)_6=ab_6=6ab
또는
    (가로의 길이)_(세로의 길이)=3a_2b
이므로
    3a_2b=6ab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중1 이것은 곱셈의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한 것과
•
  곱셈의 교환법칙 같다.
a_b=b_a
•
  곱셈의 결합법칙
    3a_2b=3_a_2_b 계수의 곱
교환법칙
(a_b)_c=a_(b_c) =3_2_a_b
결합법칙 3a_2b=6ab
=(3_2)_(a_b)
=6ab 문자의 곱

이와 같이 단항식의 곱셈에서는 계수는 계수끼리, 문자는 문자끼리 곱하여


계산한다.

빈칸에
⑴ 4x_(-5y)=4_x_(-5)_y=4_(-5)_x_y=-20xy
알맞은 것을
써넣어 보자. ⑵ (-3xÛ`)_2xy=(-3)_xÛ`_ _x_y=(-3)_ _xÛ`_x_y=  xÜ`y

2. 식의 계산 33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3 18. 7. 25. 오전 10:57


01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5a_3a ⑵ 5xÛ`_6yÜ`

⑶ 3aÜ`_(-abÛ`) ⑷ xy_(-2xÛ`y)Ü`

02 다음 도형의 넓이를 구하시오.

⑴ ⑵
YZœ Bš C›

Y› Z™ B™ Cœ

단항식의 나눗셈은 어떻게 할까?

오른쪽 직육면체의 부피가 21aÛ`b이고, 높이가 7a라고 하면


밑넓이는
    (밑넓이)=(부피)Ö(높이)
이므로 21aÛ`bÖ7a이다.
이때 21aÛ`bÖ7a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21aÛ`b
[방법 1]  21aÛ`bÖ7a= 분수 꼴로 바꾼다.
7a
21 aÛ`b
= _ 계수는 계수끼리, 문자는 문자끼리 계산한다.
7 a
=3_ab=3ab

[방법 2]  21aÛ`bÖ7a=21aÛ`b_;7Áa; 역수를 이용하여 나눗셈을 곱셈으로 고친다.

=21_;7!;_aÛ`b_;a!; 계수는 계수끼리, 문자는 문자끼리 계산한다.

=3_ab=3ab

34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4 18. 7. 25. 오전 10:57


이와 같이 단항식의 나눗셈에서는 분수 꼴로 바꾸어 계산하거나 역수를 이용
하여 나눗셈을 곱셈으로 고쳐서 계산한다.
이때 단항식의 나눗셈에서도 단항식의 곱셈과 마찬가지로 계수는 계수끼리,
문자는 문자끼리 계산한다.

20xÞ` 20
⑴ 20xÞ`Ö5xÛ`= = _ =
5xÛ` xÛ`
빈칸에
알맞은 것을 1 1
써넣어 보자. ⑵ 6xÜ`yÖ18xÛ`yÜ`=6xÜ`y_ =6_;1Á8;_ _ =
18xÛ`yÜ` xÛ`yÜ`

03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56aÚ`â`Ö8aÝ` ⑵ (3xÛ`)Û`Ö(-27xÚ`Ú`)

⑶ 16aà`Ö;3$;aÜ` ⑷ ;7#; xà`yÛ`Ö;4¤9; xyÝ`

04 도형의 넓이가 다음과 같을 때, 빈칸에 알맞은 식을 쓰시오.

⑴ ⑵

Bš C™

Yš Z

넓이 50xà`yá` 넓이 24a¡`bÚ`â`

높이 가로의 길이

2. 식의 계산 35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5 18. 7. 25. 오전 10:57


단항식의 계산에서 곱셈과 나눗셈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나눗셈을 곱셈으로
고쳐서 계산하면 편리하다.

1 (2xÛ`yÜ`)Ý`ÖxÜ`yÛ`_(3xy)Û`을 간단히 하시오.

1
(2xÛ`yÜ`)Ý`ÖxÜ`yÛ`_(3xy)Û`=2Ý`x¡`yÚ`Û`_ _3Û`xÛ`yÛ`
xÜ`yÛ`
1 1
=16_9_x¡`_ _xÛ`_yÚ`Û`_ _yÛ`
xÜ` yÛ`
=144_xà`_yÚ`Û`
=144xà`yÚ`Û`

 답 144xà`yÚ`Û`

05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9aÛ`_4aÜ`Ö6aÝ` ⑵ (-2xyÛ`)Ü`_;3@;xÛ`Ö(-16xÞ`yÜ`)

문제 해결ㅣ의사소통

수학 기르기 다음 그림에서 곱셈 또는 나눗셈을 하여 빈칸에 알맞은 식을 써넣고, 자신의 풀이 방법을


설명하시오.

_(-3xÛ ) Ö9xy
화살표의 방향을 바꾸면 6xy
곱셈을 나눗셈으로,
나눗셈을 곱셈으로 고쳐 _3 _(-x)
서 계산할 수 있어.
_2 Ö2y Ö2

_(-5yÜ`) ÖyÛ`
_;2!;x _(-1) Ö5xyÛ`

36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6 18. 7. 25. 오전 10:57


다항식의 계산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단항식)_(다항식), (다항식)Ö(단항식)과 같은 곱셈과 나눗셈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은 어떻게 할까?

어느 편의점에서 포도 주스는 한 병에 a원, 사과 주스는 한


병에 b원에 판매한다. 현수는 포도 주스 2병과 사과 주스 5
병, 다혜는 포도 주스 3병과 사과 주스 1병을 샀을 때, 다음
표의 빈칸을 알맞게 채우시오.

포도 주스(병) 사과 주스(병) 지불한 금액(원)


a원 b원
현수 2 5
다혜 3 1
합계

위의 개념 열기에서 현수와 다혜가 지불한 금액은 각각


    (2a+5b)원,  (3a+b)원
이므로 두 사람이 지불한 금액의 합은
    {(2a+5b)+(3a+b)}원
이다.

이것은 포도 주스 5병, 사과 주스 6병을 산 것과 같으므로 이때의 금액


(5a+6b)원과 같다.
따라서
    (2a+5b)+(3a+b)=5a+6b
임을 알 수 있다.

중1
한편 위의 두 다항식 2a+5b, 3a+b의 덧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문자가 같고, 차수도 같
은 항을 동류항이라고
    (2a+5b)+(3a+b)=2a+5b+3a+b 괄호를 푼다.
한다. =2a+3a+5b+b 교환법칙을 이용한다.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항의 합으로 이루어진
=(2+3)a+(5+1)b 동류항끼리 모아서 간단히 한다.
식을 다항식이라고 한다. =5a+6b

2. 식의 계산 37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7 18. 7. 25. 오전 10:57


문자가 2개 이상인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은 문자가 1개인 일차식과 마찬가지로
먼저 괄호를 풀고 동류항끼리 모아서 간단히 한다.
이때 뺄셈은 빼는 식의 각 항의 부호를 바꾸어 더한다.

1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2x+3y)+(x-y) ⑵ 2(x-y+1)-(x-4y-2)

⑴ (2x+3y)+(x-y)=2x+3y+x-y
=2x+x+3y-y
=3x+2y
⑵ 2(x-y+1)-(x-4y-2)=2x-2y+2-x+4y+2
=2x-x-2y+4y+2+2
=x+2y+4
 답 ⑴ 3x+2y  ⑵ x+2y+4

01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2(2x-7y)+(3x+6y) ⑵ (-2x+y+3)-4(x-3y-1)

문자 a에 대한 다항식 6aÛ`-3a+5에서 차수가 가장 큰 항은 6aÛ`이고, 이 항의


차수는 2이다.
이와 같이 다항식의 각 항의 차수 중에서 가장 큰 차수가 2인 다항식을 이차
식이라고 한다.

다항식 nÛ`+n+1, m-3mÛ`에서 차수가 가장 큰 항은 각각 nÛ`, -3mÛ`이고, 그 차수는 2이므


로 모두 이차식이다.

02 다음 다항식 중에서 이차식을 모두 찾으시오.

8-xÛ` 2x+y-5 5a+3 -3aÛ`+a-2

38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8 18. 7. 25. 오전 10:57


이차식의 덧셈, 뺄셈도 일차식의 덧셈, 뺄셈과 같은 방법으로 괄호가 있으면
먼저 괄호를 풀고 동류항끼리 모아서 계산한다.

2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2xÛ`-5x+3)+(xÛ`+4x+1) ⑵ (2xÛ`+5x+2)-3(xÛ`+2x-2)

⑴ (2xÛ`-5x+3)+(xÛ`+4x+1)
2xÛ`-5x+3
=2xÛ`-5x+3+xÛ`+4x+1
+>³ xÛ`+4x+1
=2xÛ`+xÛ`-5x+4x+3+1 3xÛ`- x+4
=3xÛ`-x+4
⑵ (2xÛ`+5x+2)-3(xÛ`+2x-2)
2xÛ`+5x+2
=2xÛ`+5x+2-3xÛ`-6x+6
->³ 3xÛ`+6x-6
=2xÛ`-3xÛ`+5x-6x+2+6 -xÛ`- x+8
=-xÛ`-x+8
 답 ⑴ 3xÛ`-x+4  ⑵ -xÛ`-x+8

03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xÛ`+2x-5)+(4xÛ`+3x-1) ⑵ (-xÛ`+x+1)+2(2xÛ`-3x+3)

⑶ (xÛ`-5x+6)-(3xÛ`+x-7) ⑷ (5xÛ`-4x+1)-3(xÛ`+x+3)

04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에서 P, Q를 Y™ Y 2


각각 구하시오.
1
Y™ 

Y™ Y

Y™ Y

2. 식의 계산 39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39 18. 7. 25. 오전 10:57


(단항식)_(다항식)은 어떻게 할까?

오른쪽 그림은 가로의 길이가 2x이고, 세로의 길이가 각각 3x, y인 Y

두 직사각형을 이어 붙인 것이다.

1 두 직사각형의 넓이를 각각 구하시오. Y


2 전체 직사각형의 넓이를 (가로의 길이)_(세로의 길이)로
나타내시오.
Z
3 1, 2의 넓이 사이의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시오.

일차식과 수의 곱셈을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과 같이 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셈도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위의 개념 열기에서 전체 직사각형의 넓이 2x(3x+y)를 분배법칙을 이용하
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중1     2x(3x+y)=2x_3x+2x_y 분배법칙


분배법칙 =6xÛ`+2xy
•a(b+c)
=a_b+a_c
=ab+ac
이와 같이 단항식과 다항식의 곱을 분배법칙을
2x(3x+y)=6xÛ`+2xy
•(a+b)c
이용하여 하나의 다항식으로 나타내는 것을 전개한
전개
=a_c+b_c 다고 한다.
=ac+bc

(3x+5y-2)x=3x_x+5y_x+(-2)_x=3xÛ`+5xy-2x

05 다음을 전개하시오.

⑴ x(4x-3y) ⑵ -3a(4a+3b-1)

⑶ (2x-3)x ⑷ (-a-4b+1)(-2b)

40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0 18. 7. 25. 오전 10:57


3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3x(5x-2y)+x(2x+3y+3) ⑵ 2x(4x-y+7)-3(xÛ`+x)

⑴ 3x(5x-2y)+x(2x+3y+3)
=3x_5x+3x_(-2y)+x_2x+x_3y+x_3
=15xÛ`-6xy+2xÛ`+3xy+3x
=17xÛ`-3xy+3x
⑵ 2x(4x-y+7)-3(xÛ`+x)
=2x_4x+2x_(-y)+2x_7-3_xÛ`-3_x
=8xÛ`-2xy+14x-3xÛ`-3x
=5xÛ`-2xy+11x
 답 ⑴ 17xÛ`-3xy+3x  ⑵ 5xÛ`-2xy+11x

06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2x(3x+y)+4y(2x-5y) ⑵ x(3x+y+1)-4x{;4!;x-y+2}

(다항식)Ö(단항식)은 어떻게 할까?

오른쪽 원기둥의 부피가 6xÛ`+2xy이고, 밑넓이가 2x라고 하면


높이는
    (높이)=(부피)Ö(밑넓이)
이므로 (6xÛ`+2xy)Ö2x이다.
이때 (6xÛ`+2xy)Ö2x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6xÛ`+2xy 6xÛ` 2xy


[방법 1] (6xÛ`+2xy)Ö2x= = + =3x+y
2x 2x 2x
1
[방법 2] (6xÛ`+2xy)Ö2x=(6xÛ`+2xy)_
2x
1 1
=6xÛ`_ +2xy_ =3x+y
2x 2x

2. 식의 계산 41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1 18. 7. 25. 오전 10:57


다항식을 단항식으로 나눌 때는 다항식의 각 항을 단항식으로 나누어 계산하거나
나눗셈을 곱셈으로 고쳐서 계산한다.

4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9xÛ`y+6xyÛ`-3xy)Ö(-3xy) ⑵ (5xÛ`+xy)Ö;6!;x

9xÛ`y+6xyÛ`-3xy
⑴ (9xÛ`y+6xyÛ`-3xy)Ö(-3xy)=
-3xy
9xÛ`y 6xyÛ` 3xy
= + -
-3xy -3xy -3xy
=-3x-2y+1

⑵ (5xÛ`+xy)Ö;6!;x=(5xÛ`+xy)_;[^;

=5xÛ`_;[^;+xy_;[^;

=30x+6y
 답 ⑴ -3x-2y+1  ⑵ 30x+6y

07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12yÛ`-4xy+8y)Ö4y ⑵ (2xÛ`y-5xy-3xyÛ`)Ö{-;2!;xy}

문제 해결

수학 기르기 다음 계산 과정에서 틀린 부분을 각각 찾아 바르게 고치시오.

문제를 해결할 때는
4xÛ`yÜ`+6xÜ`y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 ⑴ -(4xÛ`yÜ`+6xÜ`y)Ö2xy=- =-2xyÛ`+3xÛ`
엇인지 파악한다.
2xy
20xyÛ`-35yÛ`
풀이 계획을 수립하고 ⑵ -(20xyÛ`-35yÛ`)Ö5y=- =-4xy+35yÛ`
5y
실행한다.

42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2 18. 7. 25. 오전 10:57


Ⅰ - 2. 식의 계산

정답 및 해설 ▶ 276쪽

O, X 문제

지수법칙 다음 문장이 옳으면 , 옳지 않으면 X를


⑴ am_an=am+n ⑵ (am)n=amn 안에 쓰시오. 소
⑶ m>n이면 amÖan=am-n ⑷ (ab)m=ambm
1 xÛ`_xÜ`을 간단히 하면 xÞ`이다.
m=n이면 amÖan=1 m
bm
{;aB;} =

(a+0)
1 am
m<n이면 amÖan= n-m (a+0)
a
2 aß`ÖaÜ`을 간단히 하면 aÛ`이다.
단항식의 곱셈 단항식의 나눗셈 소인
9aÛ`b 분수 꼴로
2x_3xy=(2_3)_(x_x)_y 9aÛ`bÖ3ab=
3ab 바꾼다.
계수는 문자는 3 2x_;4#;xÜ`을 간단히 하면 ;2#;xÝ`이다.
계수끼리 문자끼리 1 역수를
9aÛ`bÖ3ab=9aÛ`b_
3ab 곱한다.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
(3xÛ`-x+1)+(xÛ`+x-3)=3xÛ`+xÛ`-x+x+1-3 동류항끼리
모아서 계산한다.
4 a(7a-b)를 전개하면 7aÛ`-ab이다.
=4xÛ`-2

(단항식)_(다항식) (다항식)Ö(단항식)
aÛ`+2ab
2a(a+b)=2aÛ`+2ab (aÛ`+2ab)Ö2a=
2a
5 (3a+2b)+(2a-b)를 계산하면
전개 1
(aÛ`+2ab)Ö2a=(aÛ`+2ab)_ 5a+3b이다. 
2a

3 다음 식과 그 식을 간단히 한 결과를 서로 연
결하시오.
1 다음 보기 중에서 옳은 것을 모두 찾으시오.
⑴ ;3@;xÛ`_(-9x) • •㈎ -6xÜ`
보기
ㄱ. a_a=2a ㄴ. 2Ü`Ö2Ü`=1 ⑵ 8xÝ`yÛ`_(-2xyÛ`)Û` • •㈏ 6xyÞ`
ㄹ. {- }`=
aÛ` Û aÝ`
ㄷ. (aÜ`)Ý`=aà`
bÜ` bß` ⑶ (3xyÜ`)Ü`Ö;2(;xÛ`yÝ` • •㈐ 32xß`yß`

4 다음을 계산하시오.
2 다음 식을 간단히 하시오. ⑴ (5a+3b)-(-2a+4b)
⑴ aà`_bÜ`_bÞ`_aÜ` ⑵ (xÛ`-3x+5)+(4xÛ`+9x-6)
⑵ xÛ`Öxà`_yÜ`_y ⑶ (7xÛ`+2x-5)-2(2xÛ`-3x+4)

2. 식의 계산 43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3 18. 7. 25. 오전 10:57


Ⅰ - 2. 식의 계산

9 다음 대화를 읽고, 다항식 A를 구하시오.

다항식 A에
5
계산하면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다음을 계산하시오.
;4!;ab를 곱해 -;4!;aÛ`b-abÛ`+3ab
⑴ 5Ü`à`_(0.2)Ü`Þ` 보자. 가 나오네.
14Ý`

7Ý`

xa Ý
{ 2b }`=
x¡`
6 3y 81yÛ`Ý`
일 때, 두 자연수 a, b의 값

을 각각 구하시오.

10 오른쪽 직사각형 ABCD " BC %


7 다음을 만족시키는 식 A를 구하시오. 를 선분 AB와 선분 BC
를 각각 축으로 하여 1회 B
2xyÛ`_AÖ(-3xÛ`yÜ`)=4xÛ`y
전 시킬 때 생기는 두 회
전체의 부피를 각각 P, Q # $

라고 하자. 이때 ;qP; 를 구하시오.

8 보기의 다항식 중에서 다음을 만족시키는 다


항식을 찾으시오.
보기
ㄱ. 3xÛ`-2x+1 ㄴ. 4xÛ`+3
11 오른쪽 직사각형에 B

서 색칠한 삼각형의
ㄷ. -xÛ`-2x-2 ㄹ. xÛ`-9x
넓이를 구하시오. C

⑴ 합이 4xÛ`-11x+1인 두 다항식 C

⑵ 합이 4xÛ`-11x+1인 세 다항식 C

263쪽

44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4 18. 7. 25. 오전 10:57


문제
앨리스는 카드 병사들을 어떻게 구했을까? 해결

활동 목표 단항식과 다항식의 계산을 할 수 있다.

1 다음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이용하여 만든 이야기이다. 이야기에서 앨리스가 카드 병사를 모두 구할


수 있도록 문제를 해결해 보자.

앨리스가 카드 나라에 도착해 보니 하트 여왕과 왕은 커다란 왕관을 쓰고 왕좌에 앉아 있었고, 카드


병사들은 감옥에 갇혀 있었다. 그 카드 병사들은 여왕의 빨간색 장미 정원에 하얀색 장미를 잘못 심어
서 갇히게 되었다. 앨리스는 불쌍한 카드 병사들을 구해 주고 싶었다.
“여왕님, 카드 병사들을 풀어 주세요.”
여왕님은 앨리스에게 서로 같은 다항식이 적힌 카드 병사를 찾으면 그 병사들을 풀어 주겠다고 했다.

20a+10b

9aÚ`ß`bÜ`
-aß`bá` (-aÛ`bÜ`)Ü`

(16aÛ`b+8abÛ`) (-3aß`b)Û`
(4aÛ`-3a-4)
_aÝ`b
aÛ`-7 Ö;5$;ab -3(aÛ`-a+1)

2 단항식과 다항식의 계산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넣어 이야기를 만들어 보자.

이야기를 만들 때는 •단항식과 다항식의 계산이 골


오른쪽 방법을
참고해 보자. 고루 들어가게 할 것
•이야기 속에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부분을 넣을 것

2. 식의 계산 45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5 18. 7. 25. 오전 10:57


1 다음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4 분수
3
 을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
2Ü`_5_x
① ;3@; 를 소수로 나타내면 무한소수이다. 을 때, 한 자리의 자연수 x의 개수를 구하시오.

② ;1!1$; 를 소수로 나타내면 순환소수이다.

③ 0.1232323은 유한소수이다.
④ 0.H13H5의 순환마디는 135이다.
⑤ 3.4333y은 3.H4H3으로 나타낼 수 있다.
5 다음은 순환소수 0.2H2H7 을 분수로 나타내는
과정이다. ①~⑤에 알맞은 수로 옳은 것은?

0.2H2H7을 x라고 하면
   x=0.2272727y
yy`㉠
2 다음 분수 중에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10x= ①

것은?    ②  x=227.272727y yy`㉡


81
① ;1£3£2; ② ;1!5#; ③ ㉡에서 ㉠을 변끼리 빼면
5Û`_7
   ③  x= ④ , x= ⑤  
21
④ ;3@3!; ⑤
2Û`_3Û`_5 따라서 0.2H2H7= ⑤  이다.

① 22.727272y ② 100
③ 990 ④ 205

3 다음은 어느 과자의 영양 성분이다. 1회 제공 ⑤ ;5ª5;


량 60`g에 대한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지방
의 함량을 분수로 나타냈을 때,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있는 영양 성분을 모두 찾으시오.

영양 성분 1회 제공량 60`g 6 다음 보기의 설명 중에서 옳은 것을 모두 찾


1회 제공량당 함량 으시오.
열량 162`kcal 보기
탄수화물 30`g
ㄱ. 유리수는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

당류 3`g
ㄴ. 유한소수는 유리수이다.

단백질 5`g
ㄷ. 순환소수는 유리수이다.

지방 2`g
ㄹ. 무한소수는 순환소수이다.

46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6 18. 7. 25. 오전 10:57


Ⅰ. 수와 식의 계산

정답 및 해설 ▶ 277쪽

7 다음 중에서 식을 간단히 한 결과가 옳은 학


생을 모두 찾으시오.
[11~15 ] 다음 문제의 풀이 과정을 자세히 쓰시오.
현수
(xÜ`)Ü`=xß`
11 두 분수 ;3!0!;, ;30&8;에 어떤 자연수 N을 곱하
세민
xÜ`_xÝ`=xà` 면 모두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다고 할 때,
가장 작은 자연수 N의 값을 구하시오.
지훈
(xÛ`)Ü`ÖxÜ`=xÜ`

다혜
(3xyÛ`)Ü`=3xÜ`yß`

12 다음은 어떤 기약분수를 소수로 나타내고 수


빈이와 준서가 나눈 대화이다. 대화를 읽고,
처음 기약분수를 순환소수로 나타내시오.

8 3Ü`=A라고 할 때, 81Ü`을 A를 사용하여 나타 나는 분자를 그래? 나는


잘못 보고 0.H2H3 분모를 잘못 보고
내면?
으로 나타냈어. 0.1H4로 나타냈어.
① 27A ② 81A ③ AÜ`
④ AÝ` ⑤ AÚ`Û`

9 다음 빈칸에 알맞은 식을 구하시오.

(-24aÛ`bÝ`)Ö6bÜ`_ =8aÛ`bÛ`

13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세 자연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하시오.

{ }`=    { }`=
2 Þ 2Þ` 7Œ` Ý 7`
3Œ` 3Û`â` 5Û` 5º`
10 다음을 계산하시오.

2(xÛ`-x+1)-(3xÛ`+2x-4)

대단원 학습 평가 47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7 18. 7. 25. 오전 10:57


대단원 학습 평가

14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5 다음 직사각형의 넓이가 8xÛ`yÛ`-6xyÝ`이고,

가로의 길이가 ;5@;xy일 때, 세로의 길이를 구


어떤 식에 -2x+3을 더해야 할 것을 잘못
하여 빼었더니 2xÛ`-3x+3이 되었다. 하시오.

⑴ 어떤 식을 구하시오.
Y™ Z™ YZ›

⑵ 바르게 계산한 식을 구하시오.


!YZ

1 
이 단원에서 학습한 내용에 대한 나의 성취 수준을 다음 그림에 점으로 표시하고, 이웃한 점을 선으로 연결해 보자.

유리수와 순환소수

다항식의 계산 순환소수의
분수 표현

단항식의 계산 지수법칙

수학 익힘책 ▶ 262 ~ 263쪽
2 
이 단원을 시작할 때 세운 학습 계획을 잘 실천하였는지 평가해 보고,
이해하기 어려웠던 내용을 적어 보자.

48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8 18. 7. 25. 오전 10:57


천문학 연구원
우주와 여러 천체에 대한
연구를 하는 학문은 천문학이야.
천문학 연구원이 하는 일을
설명해 줄게.

저는 우주와 태양계를 형성하고


있는 태양, 행성, 달, 위성 등에
관심이 많아서 이와 관련된
일을 하고 싶어요.

천문학 연구원이 하는 일은?


천문학 연구원은 천문학에 대한 전문 지식은 물론 수학과 물리학 지식, 우주 공간에서의
공간 지각 능력을 이용하여 우주에 대한 연구를 한다. 우주를 관측하여 우주에서 일어나
는 현상에 대해 물리학적으로 해석하고,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탄생과 진화, 소멸의
원리를 밝혀낸다.

천문학 연구에 수학이 이용되나요?


천문학에서는 지구와 행성 사이의 평균 행성 지구에서 행성까지의 평균 거리(km)

거리, 지구에서 태양과 달까지의 평균 거 수성 92000000 9.2_10à

리 등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수 금성 41000000 4.1_10à


화성 78000000 7.8_10à`
보다 훨씬 큰 수를 나타내고, 계산해야
목성 629000000 6.29_10¡`
할 때가 많다. 이러한 수를 거듭제곱을 토성 1280000000 1.28_10á`
써서 나타내면 지수법칙을 이용하여 간 천왕성 2725000000 2.725_10á`

단하게 계산할 수 있다. 해왕성 4355000000 4.355_10á`

(출처: 채동현·안성민, “쉽게 배우는 천문학”)

꿈! 수학과 만나다 49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49 18. 7. 25. 오전 10:58


수학 + 음악

프랑스의 작곡가 에릭 사티(Erik Satie, 1866~1925)의 연주곡 ‘벡사시옹


(Vexations)’은 단 한 쪽뿐인 악보를 840번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악
보에서 반복되는 마디는 도돌이표(   ,  )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이것은 순환소수에서
순환마디의 양 끝의 숫자 위에 점을 찍어서 반복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7FYBUJP
7FSZ4M
PXMZ
OT

5)&.
&
&SJL4B
UJF

/PUFGS
PNUIF
순환소수 연주하는 방법 QSFQBS B
FPOFTFM VUIPS5P
GCFGPSF
IBOE 
QMBZUIJ
T
JOUIFE NPUJGUJN
FFQFTUT FTJOTV
JMFODF  DD
CZTFSJP FTTJPO JUXPV
VTJNN ME
PCJMJUJFT CFBEWJTBCM
(참고 자  FUP
료: 최정우,
준비물:오선지, 피아노(또는 스마트폰 앱) “사유의
악보”)

❶ 다음과 같이 각 음에 숫자를 대응시킨다.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 미
         

❷ 순환소수를 정하고, 순환마디의 각 숫자에 음을 대응시킨다.


0.H57142H8
❸ 순환소수를
 표현하기 위해 어느 곳에 도돌이표를 그려야 하는지 생각
하고, 도돌이표를 이용하여 악보를 그린다.
❹ ❸에서 그린 악보를 피아노(또는 스마트폰 앱)를 이용하여 연주한다.

50 Ⅰ. 수와 식의 계산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50 18. 7. 25. 오전 10:58


도돌이표를 이용하여 순환소수의 의미를 이해하고 음악을 만들어 보자.

순환소수를 이용하여 음악 만들기

 모둠명:  모둠원:

1  순환소수 0.22H7H3을 오선지에 나타내고, 피아노와 같은 건반 악기 또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연


주해 보자.

2 도돌이표를 이용하여 악보를 그리고, 이 악보를 순환소수와 분수로 각각 나타내 보자.

악보 그리기

순환소수로 나타내기

분수로 나타내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친구의 의견을 잘 듣고 존중하였는가?
동료 평가
활동 과정에서 다양하고 좋은 의견을 많이 냈는가?
활동 과정에서 서로 협력하였는가?

창의•융합 프로젝트 51

(교)중2수학(024~051)1단원-2.indd 51 18. 7. 25. 오전 10:58


(교)중2수학(260~273)익힘책.indd 260 18. 7. 25. 오전 11:12
수와 식의 계산 262

부등식과 연립방정식 264

일차함수 266

도형의 성질 268

도형의 닮음 270

확률 272

(교)중2수학(260~273)익힘책.indd 261 18. 7. 25. 오전 11:12


Ⅰ. 수와 식의 계산 1. 유리수와 순환소수 정답 및 해설 ▶ 305 쪽

1 다음 중에서 순환소수의 표현으로 옳지 않은 5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a의 값을 구하시오.


것은?
① 0.333y=0.H3 ㈎a
 는 2와 5의 공배수이고, 두 자리의 자연

② 1.232323y=1.H2H3 수이다.
a
③ 4.545454y=H4.H5 ㈏ 분수  를 소수로 나타내면 유
2_3Û`_5Ü`
④ 0.213213213=0.H21H3 한소수이다.
⑤ 2.374374374y=2.H37H4

2 분수 ;2@7); 을 소수로 나타내고, 소수점 아래 50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시오. 6 다음 중에서 x=2.1363636y에 대하여 옳


게 설명한 학생을 모두 찾으시오.

x는 무한소수야.
현수
3 카드에 적힌 6개의 분수 중에서 다음에 해당
x는 유리수가 아니야.
하는 것을 모두 찾으시오.
지연

x는 분수로 나타낼 수가 없어.


5 1 5
4 2 15 60 찬영
7 7
6 13 1000x-10x를 이용하면 분수로
26 나타낼 수 있어.
다혜

⑴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
⑵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있는 분수

7
4 분수
2Ü`_x
 을 순환소수로만 나타낼 수 있을
7 순환소수 0.H5H1을 분수로 나타냈을 때, 어떤
때, 한 자리의 자연수 중에서 x가 될 수 있는 자연수 a를 곱하면 자연수가 된다고 한다. a
모든 수들의 합을 구하시오. 가 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를 구하시오.

262 수학 익힘책

(교)중2수학(260~273)익힘책.indd 262 18. 7. 25. 오전 11:12


2. 식의 계산 정답 및 해설 ▶ 305 쪽

1 다음 중에서 식을 간단히 한 결과가 옳으면 4 다음 중에서 계산 결과가 서로 같은 학생을


, 옳지 않으면 ×를 (  ) 안에 쓰시오. 모두 찾으시오.
⑴ xÝ`_xÚ`Ú`=xÚ`Þ`  (   )
찬영 지연
⑵ (xÜ`)Û`=xß`  (   )
x(-4x+1) -5x(-2x-3)
⑶ xÜ`ÖxÞ`=-x (   )
⑷ (xÝ`)Û`_(yÛ`)Ü`=xÚ`Ý` (   )
현수 세민

(4xÜ`-xÛ`)Ö(-x) (2xÜ`+3xÛ`)Ö;[%;

2 다음과 같은 설명이 적힌 상자가 있다. 아래


5 어떤 식에서 xÛ`-2x+4를 빼어야 할 것을 잘
식을 입력하면 출력되는 식을 간단히 나타내
못하여 그 식에 더했더니 5xÛ`-x+10이 되
시오.
었다. 이때 바르게 계산한 식을 구하시오.

들어온 식에 2를 곱한 다음 제곱하여 내보낸다.

입력 출력
6 다음을 계산하시오.
⑴ 2a(-2ab+8b)+7b(-6aÛ`+7a)
⑴ -3aÛ` ⑵ ;[°]; ⑵ 3x(6x-9y)-(4xÜ`-2xÛ`y)Ö(-2x)

7 다음 그림은 부피가 25xÜ`+10xyÛ`인 큰 직육


면체 위에 부피가 30xÜ`-15xyÛ`인 작은 직육
3 다음 보기 중에서 식을 간단히 한 결과가 ;a!;
면체를 올려놓은 것이다. 이때 h를 구하시오.
이 되는 것을 모두 찾으시오.

보기
ㄱ. aÞ`Ö(aÜ`)Û` ㄴ. aÞ`ÖaÜ`_a
I
ㄷ. (-2a)Ü`Ö8aÝ` ㄹ. {-;a#;}Û`_;9A; Y

Y

Ⅰ. 수와 식의 계산 263

(교)중2수학(260~273)익힘책.indd 263 18. 7. 25. 오전 11:12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