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2019 일반물리학 II 과제 문제 풀이 (38장)

4. 한쪽으로 긴 창을 폭이    cm 인 단일 슬릿이라고 보고 푼다. 1차 극소 조건은


  cm
 sin  이므로 극소인 각은   sin    sin    
  cm
중앙 극대에 대해 1차 극소의 위치는  tan  mtan   m
(참고) 작은 각 근사( tan ≈ sin ≈ ) 사용하면 답이 0.903 m가 되는데 약 1% 정도의 차이
가 있다. 원칙적으로 작은 각 근사를 쓰면 안되는 경우임.

9. 지상과 망원경 사이의 거리  이 지상의 물체들의 길이보다 아주 크기 때문에 작은 각 근


사를 쓸 수 있다. 망원경이 식별해 낼 수 있는 분해 한계각을 min라 하면 식별할 수 있는 물
체의 크기는  ≈  min이다. 식 38.6을 사용한다.

  ×  m
min         ×  rad
  m
∴ ≈  min   × m ×  rad   m

20. 식 38.9 말뤼스의 법칙을 두 번 사용하면 된다. 처음 편광되지 않은 빛은 전기장의 방향


이 편광판과 이루는 각  가 무작위적이므로 편광판을 통과한 빛의 세기는 식 38.9의 평균값

이 된다. 이 세기를  이라 하면   max cos   max 이다.

이 편광된 빛의 전기장 방향과 두 번째 편광판의 편광축 방향의 사이각 ′   이면 이
 
 
편광판에서 나오는 빛의 세기는 cos ′   max cos    max .

즉 원래 빛 세기의 0.375배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