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실험 결과 보고서

분반 11007 학과 환경공학과 학번 23101612 이름 유영웅

※ 실험 결과 보고서는 이 양식을 바탕으로 수기 또는 typing하여 작성하되, 보고서의 분량 또는 page


는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늘려서 쓰기 바랍니다.

1. 실험 제목

쿨롱의 법칙

2. 실험 목적

평행판 극판에 전압을 걸고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두 판에 작용하는 쿨롱 힘


을 측정한 후 유전률을 구한다.

3. 실험 기구

측정용 베이스 (마이크로미터 부착), Kilovolt DC/AC 전원공급기, 전자저울,


고압연결선, 전극판

4. 원리 및 이론, 실험 방법

1) 원리 및 이론
전하의 크기가 , 이고 거리가 만큼 떨어진 두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
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다음 식으로 주어진다.

   

이 표현식을 Coulomb 법칙이라고 부른다.  는 쿨롱 상수이고 자유 공간
의 유전률 와 다음의 관계에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실제 실험에서 점전하를 만들기 어려우며, 전하량의 조절 및 두 전하 사이
의 거리조절 등에 힘든 점이 많다. 그러나 축전기를 사용할 경우 두 도쳎ㄴ
사이의 전압과 유전체를 이용해 전하량을 조절할 수 있고, 도체판 사이의 거
리 또한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훨씬 쉽게 실험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축전기를 이용해 쿨롱의 힘을 직접 측정해 보기로 한다.
축전기가 대전되면 극판들은 크기가 같고 부호가 반대인 와  의 전하
를 갖게 된다. 이때 축전기의 전하는 극판에 충전된 전하량의 크기인 를
의미한다. 극판들은 도체이기 때문에 각각이 등전위면이다. 그러나 두 극판
사이에는 전위차가 존재한다. 축전기의 전하 와 전위차 ∆ 는 서로 비례
한다.
  ∆
여기서 비례상수  를 전기용량이라 부르며, 극판 사이가 진공인 경우 기
하학적 모양에 따라 크기가 결정된다. 평행판 축전기의 경우 전기용량은 다
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여기서  는 극판의 면적이며 는 극판 사이의 거리이다.
축전기를 대전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일을 해주어야만 한다. 축전기를
대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은 다음과 같다.

 

이 일은 축전기에 전기적 위치에너지로 지정되며,   ∆ 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평행판 축전기의 두 극판 사이에 작용하는 평균 전기력을 라 하면, 축전
기를 대전시키는데 필요한 일은 역학적으로 다음과 같다.
   ・ 

식    와    ・ 으로부터 평균 전기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이 힘이 두 도체판에 모여진 전하들에 의한 쿨롱 힘이 된다.
아래쪽 도체판에 작용하는 총 힘은 아랫방향의 중력  과 윗방향의 전기
력 의 합이다. 아랫방향을 양의 방향으로 잡으면 합력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여기서 은 아래쪽 도체판의 질량이다.
전자저울이 측정하는 “질량”  은 위의 합력을 중력가속도 로 나눈 값이
다. 만약 초기에 아래쪽 도체판을 저울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저울의 “영점”
을 조절하면   으로 놓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질량  은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질량  을 측정함으로써 쿨롱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위의 식을 이용하여 진공의 유전률 를 구한다. (공기의
유전률은 진공의 유전률과 거의 같다.

2) 실험방법

① 먼저, 아래의 “사용시 주의사항”을 필독하도록 한다.


② 이동지지대의 마이크로미터를 돌려 눈금이 약 15mm가 되도록 조정한다.
③ 디지털 저울 아래에 있는 수평조절 나사를 이용해 저울의 수평을 잡도록
한다.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은 평행이 되어야 한다.)
④ 하부전극을 디지털 저울 위에 올려놓는다.
⑤ 디지털 저울의 Tare 버튼을 눌러 영점 조절을 한다.
⑥ 마이크로미터를 돌려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맞닿는 위치를 읽고 기록
한다. (마이크로미터를 돌려 상부 전극을 하강시키면서 저울의 눈금을 관
찰한다. 저울의 눈금이 변하기 시작하는 위치가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이
맞닿는 위치이다. 이때 전원공급기의 전원은 off상태가 되어야 한다.)
⑦ 마이크로미터를 돌려 맞닿은 위치에서부터 =8mm 떨어지게 한다.
⑧ 디지털 저울의 Tare 버튼을 눌러 다시 한 번 영점 조절을 한다.
⑨ 보호차단막을 닫는다.
⑩ 전원공급기의 전원을 켠다.
⑪ 전압을 1kV부터 8kV까지 서서히 올리면서 저울이 나타내는 값을 읽고
기록한다. (이때, 공기의 유전강도를 참고로 하여, 너무 높은 전압을 걸지
않도록 주의한다.)
⑫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유전률을 계산하고, 실험오차를 구한다.
⑬ 전압조절 다이얼을 최소로 한 후, 전원공급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축전기
를 완전히 방전시킨다.
⑭ 두 전극판의 간격을 변화시키면서 앞의 실험을 반복한다.

※사용시 주의사항
Ÿ 공기의 유전강도는 3kV/mm 이므로 간격에 따라 너무 높은 전압을 가하
지 않도록 주의한다.
Ÿ 저울이 매우 민감하므로 반드시 수평을 먼저 잡아야 한다. 수평이 맞지
않으면 저울의 눈금이 차이가 많이 나고 이것은 오차를 크게 하는 요인
이 된다.
Ÿ 전원에 고압이 흐르고 있으므로 취급 시 주의한다.
Ÿ 극판의 수평이 맞지 않으면 간격이 좁을 때에 전기가 튀므로 주의한다.
5. 실험치 (실험 데이터)
중력가속도       
이론값 :     ×      ∙  

극판의 직경 : 0.15 m , 극판의 면적 : A = 0.0177 ㎡

[실험 1] = 0.008m [실험 2] = 0.010m

     
전위차 kg      kg     
M (g)  △   M (g)  △  
(△V) 변환  
변환
(   ∙  ) (    ∙   )

1000 -0.27 -0.00027  ×   -0.08 -0.00008  ×  

2000 -0.65 -0.00065  ×   -0.33 -0.00033  ×  

3000 -1.21 -0.00121  ×   -0.71 -0.00071  ×  

4000 -2.22 -0.00222  ×   -1.30 -0.00130  ×  

5000 -3.42 -0.00342  ×   -2.02 -0.00202  ×  

6000 -4.87 -0.00487  ×   -2.89 -0.00289  ×  

7000 -6.72 -0.00672  ×   -3.88 -0.00388  ×  

8000 -8.47 -0.00847  ×   -5.10 -0.00510  ×  

평균  ×     ∙   ×     ∙ 

※ 계산한 결과는 유효숫자에 관계없이 소수점 둘째자리까지만 구함.


중력가속도       
이론값 :       ×      ∙  
극판의 직경 : 0.15 m
극판의 면적 : A = 0.0177 ㎡

[실험 1] = 0.012m

  
전위차 kg     
M (g)  △  
(△V) 변환
(    ∙  )

1000 -0.06 -0.00006  ×  

2000 -0.23 -0.00023  ×  

3000 -0.52 -0.00052  ×  

4000 -0.91 -0.00091  ×  

5000 -1.40 -0.00140  ×  

6000 -2.02 -0.00202  ×  

7000 -2.91 -0.00291  ×  

8000 -3.55 -0.00355  ×  

평균  ×    ∙ 


6. 실험 결과, 계산과정
※ 실험 결과를 계산하는 과정이나 오차를 산출하기 위한 분석 및 계산 과정은 가급적이면 상세히 쓰
기 바랍니다.

[실험 1]
  
     에 따라 계산하였다. 단위   ∙ 
 △  
 × × × 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5.  
  × 
 ×
 × × × 
6.  
  × 
 ×
 × × × 
7.  
  × 
 ×
 × × × 
8.  
  × 
 ×


실험값 : =  ×    ∙ 
 
이론값 : =  ×    ∙ 
이론값 실험값  ×    × 
오차율 =  ×   ×  
이론값  × 

[실험 2]
  
     에 따라 계산하였다. 단위   ∙ 
 △  
 × × × 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5.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7.  
  × 
 ×
 × × × 
8.  
  × 
 ×

 
실험값 : =  ×    ∙ 
 
이론값 : =  ×    ∙ 
이론값 실험값  ×    × 
오차율 =  ×   ×  
이론값  × 

[실험 3]
  
     에 따라 계산하였다. 단위   ∙ 
 △  
 × × × 
1.  
 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5.  
  × 
 ×
 × × × 
6.  
  × 
 ×
 × × × 
7.  
  × 
 ×
 × × × 
8.  
  × 
 ×

 
실험값 : =  ×    ∙ 
 
이론값 : =  ×    ∙ 
이론값 실험값  ×    × 
오차율 =  ×   ×  
이론값  × 

7. 결론
※ 이번 실험을 통해 알게 된 물리적 사실, 결과 산출 및 오차 분석 과정에서의 주안점 등을 자유롭게
서술하기 바랍니다.

이번 실험의 목적은 평행판 극판에 전압을 걸고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두 판


에 작용하는 쿨롱 힘을 측정한 후 유전률을 구하는 것이었다. 상수 의 값
  
을 실험을 통해 직접 설정하는 과정에서      ∆   ∆ 의
  
식이 왜 사용되는지 알게 되었고, 쿨롱의 법칙을 간접적으로 증명하여 이론
시간에 배웠던 쿨롱법칙의 공식에 사용되는 유전률이 어떤 방식으로 도출되
었는지 알게 되었다. 또 쿨롱 힘을 측정하는데 저울을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도 새로 알게 되었다.
오차는 첫 번째 실험에서 약 25%, 두 번째 실험에서 약 0.23%, 세 번째
실험에서는 약 3.5%로 첫 실험에 비해 나머지 두 실험의 오차율이 적게 나
왔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쨰 실험의 오차가 크게 나온 이유를 추측해 보자면
우선 첫 번째 실험은 유일하게 우리가 영점을 제대로 맞추지 못 하고 진행
한 실험이였다. 첫 번째 실험을 할 때 전위차 0에서 약 –0.05g이 나왔고 그
이후에 나온 값에서 0.05g 정도를 빼며 계산을 하였는데 내 생각에는 이 과
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을까 싶다. 이렇게 영점을 맞추지 않았을 때에
는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겠구나 생각하였고 내가 생각한 두 번째 오차
의 원인은 첫 번째 g이 너무 크게 나왔다는 것이다. 2번째 실험과 3번째 실
험과 간격의 차는 얼마 나지 않는 반면에 첫 번째 g이 다른 실험 g보다 확
연하게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나온 까닭이 앞서 말한 영점을 맞추지
못 했기에 생기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그 외에 나머지 실험들의 오차의 원
인으로는 극판 사이의 간격이 사람이 직접 측정하여 조절하기에는 굉장히
작아서 정밀하게 측정되지 않았다. 특히나 전위차가 1000V인 시점에서 실험
값을 보면 이론값과 굉장히 많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전위차
값이 충분히 크지 않아 계산식에서 의미 있게 사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
된다. 또 극판의 직경이 아주 세밀하게 측정되어서 나온 값으로 면적을 정확
하게 측정한 것이 아니라서 오차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측정된다. 오차가
실험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큰 것은 아니었으나, 실험과정에서 발
견된 오차의 원인들을 분석해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 정밀한 측정을 하
거나, 실험 횟수를 더 많이 늘려서 평균치에 사용될 자료들을 더 많이 만들
어 내는 것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저울의 수평과 극판의 평행 여부도
다시 살펴보면 좋을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알게 된 사실들과 기구들의 사용 방법을 토대로 알게 된
정보들과 주의사항들을 다음에 있을 전기관련 실험에서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