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2 정적분

중단원 개관

뉴턴은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를 증명함으로써 정적분이 부정적분을 이용하여 간단히 계산될 뿐 아니


라 정적분이 미분의 역연산인 적분으로 의미를 갖게 하였다.
이 단원에서는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인 구분구적법의 계산을 통해 정적분의 뜻을 이해
하고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정적분과 부정적분의 관계를 이해하게 하고 부정적분을 이용
하여 정적분을 계산하는 것에 대하여 알아본다.

중단원의 구성
소단원명 지도 내용
1. 구분구적법 •구분구적법
•정적분
2. 정적분 •적분과 미분의 관계
•미적분의 기본 정리
•정적분의 성질 ⑴
3. 정적분의 성질 •정적분의 성질 ⑵
•정적분과 급수의 합
중단원 마무리 •중단원 학습 내용에 대한 수준별 평가

새로 나온 용어와 기호

•구분구적법(區分求積法, guadrature [mensuration] by parts)


•정적분(定積分, definite integral)
•미적분의 기본 정리(微積分─基本定理,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Ab f(x)dx •[F(x)]bA

지도상의 유의점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정의를 이해하는 것이 그 목적이므로 간단한 도형을 이용하여 그 원리를 충분


히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설명한다.
•구분구적법에 의한 계산에서는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이 합을 구하는 계산에 숙달되도
록 지도한다.
•구분구적법을 이용한 정적분의 정의는 f(x)가 f(x)æ0인 경우뿐만 아니라 임의의 연속함수일 때에
도 성립함을 알도록 지도한다.
•정적분에서 적분변수는 x 대신 다른 문자를 사용해도 관계없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정적분의 계산에서는 적분상수를 쓸 필요가 없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무한급수의 합을 구할 때 모든 무한급수의 합을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
도록 지도한다.

200 각론
교과서
164~166
| | | |

|들어가기전에지도방안|

주어진 도형을 작은 부분으로 분할하여 그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것이 적분의 개념임을 알
도록 한다. 이때 극한의 개념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나 부피를 구하는 방법인 구분구적법의 원리
를 이해하게 한다.

|배운내용떠올리기|
주어진 수열의 합을 구할 수
1 다음 합을 구하여라.
있는지 확인하게 한다.
⑴ 1+2+3+y+n ⑵ 1¤ +2¤ +3¤ +y+n¤

n(n+1)
⑴ 1+2+3+y+n= ¡ k=
n
풀이
k=1 2
n(n+1)(2n+1)
⑵ 1¤ +2¤ +3¤ +y+n¤ = ¡ k¤ =
n

k=1 6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는지 2 다음 부정적분을 구하여라.


확인하게 한다.
⑴ : (x¤ -6x+4)dx ⑵ : (3x-1)(4x+1)dx

풀이 ⑴ : (x¤ -6x+4)dx=;3!; x‹ -3x¤ +4x+C (단, C는 적분상수)

⑵ : (3x-1)(4x+1)dx=: (12x¤ -x-1)dx

⑵ : (3x-1)(4x+1)dx=4x‹ -;2!; x¤ -x+C (단, C는 적분상수)

1 구분구적법

● ●
● ● 지도 차시:7~8차시 ● ●
● ●

소단원의 지도 목표
•구분구적법의 뜻을 이해하게 한다.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간단한 도형의 넓이와 부피를 구할 수 있게 한다.

구분구적법이란 무엇인가?
생각 열기 지도 방안

곡선 내부 및 외부를 둘러싼 정사각형의 개수를 가지고 구한 곡선 도형의 넓이의 어림한 값은 정사각형


의 눈금을 잘게 자를수록 그 곡선 도형의 넓이에 가까워짐을 알게 함으로써 극한을 이용하여 곡선 도형
의 넓이를 구할 수 있음을 생각하게 하고 이것으로부터 자연스럽게 구분구적법의 개념을 알게 한다.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01


구분구적법

본문 지도 방안

•구분구적법은 정적분의 기초가 되는 개념이므로 그 원리를 정확히 아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 계산 과정


이 매우 복잡하므로 비교적 간단한 예를 중심으로 그 원리를 익히는데 초점을 두도록 지도한다.
•다각형은 유한 개의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분할하여 넓이를 구할 수 있지만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
형은 유한 개의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분할하기 쉽지 않으므로 새로운 방법이 필요함을 이해하도
록 지도한다.
•도형의 넓이는 다음 그림의 색칠한 부분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각각 A«, B«이라고 할 때, 두 부분
합 A«과 B«의 극한값이 일치할 때 정의함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y y=x@ y y=x@

1 1

… …
O 1 2 … n-1 1 x O 1 2 … n-1 1 x
nn n nn n

•구분구적법으로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수 있음을 이해하도
록 지도한다.

구간의 왼쪽 끝점에서의 함숫
값을 구한 다음 직사각형의
문제 1 곡선 y=x¤ 과 x축 및 직선 x=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오른쪽 y y=x@

그림을 이용하여 구분구적법으로 구하고, | 예제 1 | 의 결과와 비 1


넓이의 합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교하여 보아라.

풀이 각 소구간의 왼쪽 끝점의 좌표는 차례로


1 2 n-1
0, , , y, …
n n n
O 1 2 3 1 x
이고, 이에 대응하는 y의 값은 차례로 … n-1
n n n n
1 ¤ 2 n-1 ¤
0, { } , { }¤ , y, { }
n n n
이다. 따라서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을 S«이라 하면
1 1 1 1 2 1 n-1 ¤
S«= ¥0+ { }¤ + { }¤ +y+ { }
n n n n n n n
1
S«= {1¤ +2¤ +y+(n-1)¤ }
n‹
1 n(n-1)(2n-1)
S«= ¥
n‹ 6
1 1 1
S«= {1- } {2- }
6 n n
여기서 n ⁄¶일 때, S«은 구하는 넓이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즉 도형의 넓이는
1 1 1 1
lim S«= lim
n ڦ n ڦ
{1- } {2- }=
6 n n 3
그러므로 | 예제 1 | 의 결과와 같다.

202 각론
교과서
166~169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도형
의 넓이를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2 곡선 y=x‹ 과 x축 및 직선 x=1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하여라.

풀이 구간` [0, 1] 을 n등분하면 각 소구간의 오른쪽 끝점의 x좌표는 차례로 y y=x#

1 2 3 n-1 n 1
, , , y, , =1
n n n n n
이고, 이에 대응하는 y의 값은 차례로
1 ‹ 2 3 n-1 ‹ n ‹
{ } , { }‹ , { }‹ , y, { } ,{ } …
n n n n n 1
O 1 2 3 … n x
nn n n-1 n
이다. 따라서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을 S«이라 하면 n

1 1 ‹ 1 2 1 3 1 n-1 ‹ 1 n
S«= { } + { }‹ + { }‹ +y+ { } + { }‹
n n n n n n n n n n
1
S«= ¥{1‹ +2‹ +3‹ +y+(n-1)‹ +n‹ }
n›
1 n¤ (n+1)¤ 1 1
S«= ¥ = {1+ }¤
n› 4 4 n
여기서 n ⁄¶일 때, S«은 구하는 넓이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즉 도형의 넓이는
1 1 1
lim S«= lim {1+ }¤ =
n ڦ n ڦ 4 n 4

구분구적법을 이용하여 도형
의 부피를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3 밑면이 한 변의 길이가 a인 정사각형이고 높이가 h인 사각뿔의 부피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하여라.
h
풀이 사각뿔의 높이를 n등분하여 각 분점을 지나고 밑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사각뿔을 잘라 각 단면을 밑면으로 하는 (n-1)개의 각기둥을 만든다. a
h a
이때 각 각기둥의 높이는 모두 이고, 밑면의 한 변의 길이는 위에서부
n
a 2a (n-1)a h
터 차례로 , , y, n
n n n x
따라서 (n-1)개의 각기둥의 부피의 합을 V«이라 하면
h


a h 2a ¤ h (n-1)a ¤ h
V«={ }¤ ¥ +{ } ¥ +y+[ ]¥
n n n n n n
a¤ h a
V«= {1¤ +2¤ +y+(n-1)¤ }
n‹ h
x : a= : h이므로
a¤ h n(n-1)(2n-1) 1 1 n
V«= ¥ =;6!; a¤ h{1- } {2- } a
n‹ 6 n n x=
n
그러므로 사각뿔의 부피는
1 1
lim V«= lim ;6!; a¤ h{1- }{2- }=;3!; a¤ h
n ڦ n ڦ n n

2 정적분

● ●
● ● 지도 차시:9~11차시 ● ●
● ●

소단원의 지도 목표
•정적분의 뜻을 이해하게 한다.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03


정적분이란 무엇인가?
생각 열기 지도 방안

함숫값이 각 직사각형의 세로의 길이이고, x의 구간이 등분되어 있으므로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합의


기호를 이용하여 간단히 나타낼 수 있음을 이해하게 한다.

정적분

본문 지도 방안

•정적분에서 적분변수는 x 대신 다른 문자를 사용해도 관계없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즉

:Ab f(x)dx=:Ab f(t)dt=:Ab f(u)du=:Ab f(h)dh

•구분구적법을 이용한 정적분의 정의는 f(x)가 f(x)æ0인 경우뿐만 아니라 폐구간에서 연속인 임의
의 함수로 일반화될 수 있음을 증명없이 직관적으로 다룬다.
•`f(x)<0인 구간에서의 정적분은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 음의 부호를 붙인 것과 같음을 알도록 지도
한다.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여 정


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1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 값을 구하여라.

⑴ :)3 2xdx ⑵ :)2 (-x‹ )dx

3-0 3 3k
풀이 ⑴ Dx= = , x˚=0+kDx= 이고, f(x)=2x로 놓으면 f(x˚)=2x˚이다.
n n n

따라서 :)3 2xdx= lim ¡ f(x˚)Dx= lim ¡ 2x˚¥Dx


n n

n ڦ k=1 n ڦ k=1

3k 3 18 n
따라서 :)3 2xdx= lim ¡ 2¥ ¡k
n
¥ = lim
n ⁄¶ k=1 n n n ⁄¶ n¤ k=1
18 n(n+1) 1
따라서 :)3 2xdx= lim ¥ =9 lim {1+ }=9
n ⁄¶ n¤ 2 n ⁄¶ n
2-0 2 2k
⑵ Dx= = , x˚=0+kDx= 이고, f(x)=-x‹ 으로 놓으면 f(x˚)=-x˚‹ 이다.
n n n

따라서 :)2 (-x‹ )dx= lim ¡ f(x˚)Dx= lim ¡ (-x˚‹ )¥Dx


n n

n ڦ k=1 n ڦ k=1

2k ‹ 2 16 n
따라서 :)2 (-x‹ )dx= lim ¡ -{ } ¡ k‹
n
} ¥ = lim {-
n ⁄¶ k=1 n n n ⁄¶ n› k=1
16 n(n+1) ¤ 2 1
따라서 :)2 (-x‹ )dx= lim {- ] =-4 lim {1+ + }=-4
n ڦ n ڦ
}¥[
n› 2 n n¤

미적분의 기본 정리란 무엇인가?


생각 열기 지도 방안

구간 [0, x] 에서 연속함수 f(x)의 그래프와 x축 사이에 있는 부분의 넓이를 정적분으로 구해보고 다시


미분해 보는 과정을 통하여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추측해 보게 한다.

204 각론
교과서
169~174
적분과 미분의 관계

본문 지도 방안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는 함수 f(x)가 구간` [a, b] 에서 연속이면 함수

S(x)=:A/ f(t)dt는 f(x)의 원시함수 또는 부정적분임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수준별 지도 방안

•하위 수준의 학생에게는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하여 정적분으로 주어진 함수를 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하


여 주어진 함수를 x에 대하
문제 2 다음 함수를 x에 대하여 미분하여라.

⑴ :)/ (2t‹ -t+4)dt ⑵ :_/! (2+5t-t¤ )dt


여 미분할 수 있게 한다.

풀이
d
⑴ :)/ (2t‹ -t+4)dt=2x‹ -x+4
dx
d
⑵ :_/! (2+5t-t¤ )dt=2+5x-x¤
dx

미적분의 기본 정리

본문 지도 방안

•G(x)가 F(x)와 다른 f(x)의 부정적분이면 G(x)=F(x)+C이므로

•[G(x)]bA=[F(x)+C]bA={F(b)+C}-{F(a)+C}=F(b)-F(a)=[F(x)]bA

•가 되어 f(x)의 부정적분 F(x)의 선택에 관계없이 [F(x)]bA의 값은 일정하다.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에서 정적분의 기본 정리를 유도함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정적분의 기본 정리는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하지 않고 부정적분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하는 방
법임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정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할 때 적분상수를 무시해도 됨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미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
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문제 3 다음 정적분을 구하여라.

한다. ⑴ :)2 15x› dx ⑵ :_3@ (3x¤ -8x-1)dx

풀이 ⑴ :)2 15x› dx=[3xfi ]2)=3_2fi =96

⑵ :_3@ (3x¤ -8x-1)dx=[x‹ -4x¤ -x]3_@

⑵ :_3@ (3x¤ -8x-1)dx=(3‹ -4_3¤ -3)-{(-2)‹ -4_(-2)¤ -(-2)}=10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05


미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4 다음 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5 (x› -2x¤ +3)dx ⑵ :!- 2 (4x‹ -2x)dx

풀이 ⑴ :%5 (x› -2x¤ +3)dx=0

⑵ :!- 2 (4x‹ -2x)dx=[x› -x¤ ]-! 2 ={(-2)› -(-2)¤ }-(1› -1¤ )=12

d
dx
:A/ f(t)dt=f(x), 문제 5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 f(t)dt=3x‹ +2x+a를 만족시키는 함수 f(x)와 상수 a의 값을 구하

:Aa f(t)dt=0임을 이용하여 여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 풀이 주어진 식의 양변을 미분하면
게 한다.
d d
:!/ f(t)dt= (3x‹ +2x+a)
dx dx
`f(x)=9x¤ +2
또 주어진 식의 양변에 x=1을 대입하면

:!1 f(t)dt=a+5

따라서 0=a+5에서 a=-5

미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하 n이 자연수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보여라.


여 주어진 식이 성립함을 보
일 수 있게 한다. ⑴ :_aA x¤ « dx=2:)a x¤ « dx

⑵ :_aA x¤ « —⁄ dx=0

1
증명 ⑴ :_aA x¤ « dx=[ x¤ « ±⁄ ]a_A
2n+1
1
⑴ :_aA x¤ « dx= {a¤ « ±⁄ -(-a)¤ « ±⁄ }
2n+1
1 2a¤ « ±⁄
⑴ :_aA x¤ « dx= {a¤ « ±⁄ -(-a¤ « ±⁄ )}=
2n+1 2n+1
1 2a¤ « ±⁄
⑴ 2:)a x¤ « dx=2[ x¤ « ±⁄ ]a)=
2n+1 2n+1

⑴ 따라서 :_aA x¤ « dx=2:)a x¤ « dx이다.

1 1
⑵ :_aA x¤ « —⁄ dx=[ x¤ « ]a_A= {a¤ « -(-a)¤ « }
2n 2n
1
⑵ :_aA x¤ « —⁄ dx= (a¤ « -a¤ « )=0
2n

⑴ 따라서 :_aA x¤ « —⁄ dx=0이다.

206 각론
교과서
175~177

3 정적분의 성질

● ●
● ● 지도 차시:12~14차시 ● ●
● ●

소단원의 지도 목표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항함수의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급수의 합을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게 한다.

정적분의 성질은 무엇일까?


생각 열기 지도 방안

함수의 합의 정적분과 함수의 정적분의 합을 직접 구하여 비교해 봄으로써 정적분의 성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정적분의 성질⑴

본문 지도 방안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정적분은 정적분의 기본 정리와 부정적분의 실수배, 합, 차의 공식으로부터 유


도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정적분 공식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다항함수의 정적분의 값을 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정적분의 성질 ⑴을 이용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1 다음 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_1@ (9x¤ -8x+3)dx ⑵ :)2 (2+x)‹ dx+:)2 (2-x)‹ dx

풀이 ⑴ :_1@ (9x¤ -8x+3)dx=9:_1@ x¤ dx-8:_1@ xdx+3:_1@ dx

x‹ x¤
:_1@ (9x¤ -8x+3)dx=9[ ]1_@-8[ ]1_@+3[x]1_@
3 2

:_1@ (9x¤ -8x+3)dx=9 [;3!;-{-;3*;}]-8 {;2!;-2}+{3(1-(-2)}

:_1@ (9x¤ -8x+3)dx=48

⑵ :)2 (2+x)‹ dx+:)2 (2-x)‹ dx=:)2 {(2+x)‹ +(2-x)‹ }dx

:)2 (2+x)‹ dx+:)2 (2-x)‹ dx=:)2 {(8+12x+6x¤ +x‹ )+(8-12x+6x¤ -x‹ )}dx

:)2 (2+x)‹ dx+:)2 (2-x)‹ dx=:)2 (12x¤ +16)dx

:)2 (2+x)‹ dx+:)2 (2-x)‹ dx=[4x‹ +16x]2)

:)2 (2+x)‹ dx+:)2 (2-x)‹ dx=32+32=64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07


정적분의 성질⑵

본문 지도 방안

•정적분의 성질 :Ab f(x)dx+:Bc f(x)dx=:Ac f(x)dx는 세 수 a, b, c의 대소에 관계없이 성립함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절댓값이 있는 함수의 정적분의 값을 구할 때 적분 구간을 나누는 것은 절댓값 기호를 간단히 하기 위
함임을 알고,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절댓값이 있는 정적분의 값을 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정적분의 성질 ⑵를 이용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2 정적분 :)1 (3x¤ -2x+6)dx+:!2 (3x¤ -2x+6)dx를 구하여라.

풀이 :)1 (3x¤ -2x+6)dx+:!2 (3x¤ -2x+6)dx=:)2 (3x¤ -2x+6)dx=[x‹ -x¤ +6x]2)

:)1 (3x¤ -2x+6)dx+:!2 (3x¤ -2x+6)dx=8-4+12=16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양수
인지, 음수이지를 판단하여 적
문제 3 다음 정적분을 구하여라.

⑴ :!5 |x-3|dx ⑵ :_2@ |x¤ -x-2|dx


분 구간을 나누어 적분할 수
있게 한다.

-x+3 (1…x…3)
풀이 ⑴ |x-3|=g 이므로
x-3 (3…x…5)

:!5 |x-3|dx=:!3 (-x+3)dx+:#5 (x-3)dx=[-;2!; x¤ +3x]3!+[;2!; x¤ -3x]5#

:!5 |x-3|dx=[{-;2(; +9}-{-;2!; +3}]+[{;;™2;∞ ;-15}-{;2(;-9}]=4

⑵ x¤ -x-2=(x-2)(x+1)
⁄ x…-1 또는 xæ2일 때, |x¤ -x-2|=x¤ -x-2
¤ -1…x…2일 때, |x¤ -x-2|=-x¤ +x+2
x¤ -x-2 (x…-1 또는 xæ2)
따라서 |x¤ -x-2|=g 이므로
-x¤ +x+2 (-1…x…2)

:_2@ |x¤ -x-2|dx=:_-@ 1 (x¤ -x-2)dx+:_2! (-x¤ +x+2)dx

:_2@ |x¤ -x-2|dx=[;3!; x‹ -;2!; x¤ -2x]-_1@+[-;3!; x‹ +;2!; x¤ +2x]2_!

:_2@ |x¤ -x-2|dx=[{-;3!;-;2!;+2}-{-;3*;-2+4}]+[{-;3*;+2+4}-{;3!;+;2!;-2}]

:_2@ |x¤ -x-2|dx=;;¡3ª;;

정적분과 급수의 합

본문 지도 방안

•정적분의 정의에서 정적분의 값은 극한값이므로 정적분은 극한값을 구하는 하나의 방법임을 이해하도
록 지도한다.

208 각론
교과서
178~179
정적분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
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4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1
⑴ lim (1› +2› +3› +y+n› )
n ڦ nfi
2k
⑵ lim ¡ {1+
n
}3 ¥;n!;
n ⁄ ¶ k=1 n
1 1 n
풀이 ⑴ lim (1› +2› +3› +y+n› )= lim ¡ k›
n ڦ nfi n ڦ nfi k=1
k› 1
(1› +2› +3› +y+n› )= lim ¡
n
¥
n ⁄¶ k=1 n› n
k › 1
(1› +2› +3› +y+n› )= lim ¡ {
n

n ڦ k=1 n n
1-0 1 k
이때 Dx= = , x˚=0+kDx= 라 하면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n n n
1 k 1
(1› +2› +3› +y+n› )= lim ¡ { }› ¥ =:)1 x› dx
n
lim
n ڦ nfi n ڦ k=1 n n

(1› +2› +3› +y+n› )=[;5!; xfi ]1)=;5!;

3-1 2 2k
⑵ Dx= = , x˚=1+kDx=1+ 라 하면 정적분의 정의에 의하여
n n n
2k ‹ 1 2k ‹ 2
lim ¡ {1+ } ¥ =;2!; lim ¡ {1+
n n

n ڦ k=1 n n n ڦ k=1 n n

{1+ }‹ ¥ =;2!; :!3 x‹ dx

{1+ }‹ ¥ =;2!; [;4!; x› ]3!

{1+ }‹ ¥ =;2!; {;;•4;¡ ;-;4!;}=10

정적분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구할 수 있게 한다.
(1¤ +2¤ +3¤ +y+n¤ )(1fi +2fi +3fi +y+nfi )
lim
n ⁄¶ (1‹ +2‹ +3‹ +y+n‹ )(1› +2› +3› +y+n› )

(1¤ +2¤ +3‹ +y+n¤ )(1fi +2fi +3fi +y+nfi )


풀이 lim 에서 분모, 분자를 각각 n· 으로 나누면
n ⁄¶ (1‹ +2‹ +3‹ +y+n‹ )(1› +2› +3› +y+n› )

;n!;[{;n!;}¤ +{;n@;}¤ +y+{;nN;}¤ ]_;n!;[{;n!;}fi +{;n@;}fi +y+{;nN;}fi ]


lim 111111111111111111111111113
n ڦ
;n!;[{;n!;}‹ +{;n@;}‹ +y+{;nN;}‹ ]_;n!;[{;n!;}› +{;n@;}› +y+{;nN;}› ]

K; +n !{;nK;}¤ ¥;n!;_;K+n !{;nK;}fi ¥;n!; lim ;K+n !{;nK;}¤ ¥;n!;_ lim ;K+n !{;nK;}fi ¥;n!;
= lim 11111111111 = 111111111111111
n ڦ n ڦ

n ڦ
;K+n !{;nK;}‹ ¥;n!;_;K+n !{;nK;}› ¥;n!; lim ;K+n !{;nK;}‹ ¥;n!;_ lim K; +n !{;nK;}› ¥;n!;
n ڦ n ڦ

:)1 x¤ dx_:)1 xfi dx [;3!; x‹ ]1)_[;6!; xfl ]1)


= 111111112 = 11111111
:)1 x‹ dx_:)1 x› dx [;4!; x› ]1)_[;5!; xfi ]1)

;3!;_;6!;
= 1211 =
10
9
;4!;_;5!;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09


중단원 마무리

스스로 정리하기

2 f(x˚), f(x), F(b)-F(a), (위에서부터) b, a

기초 다지기

미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 01 다음 정적분을 구하여라.


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⑴ :_2! (3x¤ +6x+1)dx ⑵ :)2 x(x-2)(x+2)dx

풀이 ⑴ :_2! (3x¤ +6x+1)dx=[x‹ +3x¤ +x]2_!

⑴ :_2! (3x¤ +6x+1)dx=(8+12+2)-(-1+3-1)=21

⑵ :)2 x(x-2)(x+2)dx=:)2 (x‹ -4x)dx=[;4!; x› -2x¤ ]2)

⑴ :)2 x(x-2)(x+2)dx=4-8=-4

정적분의 성질 ⑴을 이용하여 02 다음 정적분을 구하여라.


정적분을 구할 수 있게 한다.
⑴ :_4! (xfi +x› +1)dx+:_4! (-xfi -x› +1)dx

⑵ :)2 (2x¤ +3)dx-2:)2 (x¤ +x)dx

풀이 ⑴ :_4! (xfi +x› +1)dx+:_4! (-xfi -x› +1)dx=:_4! {xfi +x› +1+(-xfi -x› +1)} dx

⑴ :_4! (xfi +x› +1)dx+:_4! (-xfi -x› +1)dx=:_4! 2 dx=[2x]4_!

⑴ :_4! (xfi +x› +1)dx+:_4! (-xfi -x› +1)dx=8-(-2)=10

⑵ :)2 (2x¤ +3)dx-2:)2 (x¤ +x)dx=:)2 {(2x¤ +3)-2(x¤ +x)} dx

⑴ :)2 (2x¤ +3)dx-2:)2 (x¤ +x)dx=:)2 (-2x+3)dx=[-x¤ +3x]2)

⑴ :)2 (2x¤ +3)dx-2:)2 (x¤ +x)dx=-4+6=2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하 03 다음 함수를 x에 대하여 미분하여라.


여 주어진 함수를 x에 대하
여 미분할 수 있게 한다. ⑴ :!/ (t¤ -3t+2)dt ⑵ :_/# (-t‹ +5t)dt

d
풀이 ⑴ :!/ (t¤ -3t+2)dt=x¤ -3x+2
dx
d
⑵ :_/# (-t‹ +5t)dt=-x‹ +5x
dx

210 각론
교과서
182~183

기본 익히기

f(x)-f(2)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 04 함수 f(x)=:)/ (t¤ -2t+3)dt에 대하여 lim
x ⁄2 x-2
의 값을 구하여라.
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풀이 f(x)=:)/ (t¤ -2t+3)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 -2x-3
f(x)-f(2)
따라서 lim =f'(2)=4-4+3=3
x ⁄2 x-2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함수 05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함수 f(x)가 :@/ f(t)dt=-x¤ +ax+2를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
`f(x)를 구할 수 있게 한다.
하여라. (단, a는 상수)

풀이 :@/ f(t)dt=-x¤ +ax+2 yy ①

①`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2x+a yy ②
①`에 x=2를 대입하면

:@2 f(t)dt=2a-2

즉 2a-2=0에서 a=1
a=1을 ②`에 대입하면 f(x)=-2x+1
따라서 f(2)=-4+1=-3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 06 함수 f(x)=-2x¤ +3x에 대하여


어진 식의 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4 f(x)dx+:_1@ f(x)dx-:@4 f(x)dx

의 값을 구하여라.

•a>b일 때, 풀이 :!4 f(x)dx+:_1@ f(x)dx-:@4 f(x)dx


:Ab f(x)dx=-:Ba f(x)dx
=:_1@ f(x)dx+:!4 f(x)dx+:$2 f(x)dx

=:_2@ f(x)dx

=:_2@ (-2x¤ +3x)dx

=[-;3@; x‹ +;2#; x¤ ]2_@

={-;;¡3§;;+6}-{;;¡3;§ ;+6}=-;;£3™;;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11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양수 07 다음 정적분을 구하여라.
인지, 음수인지를 판단하여
적분 구간을 나누어 적분할 ⑴ :_3! |2x-1|dx ⑵ :)2 |x¤ -x|dx
수 있게 한다.

( -2x+1 {x…;2!;}
풀이 ⑴ |2x-1|={ 이므로
9 2x-1 {xæ;2!;}

⑴ :_3! |2x-1|dx=:
;2!; 3
(-2x+1)dx+: (2x-1)dx
-1 ;2!;

⑴ :_3! |2x-1|dx=[-x¤ +x]


;2!; 3
+[x¤ -x]
-1 ;2!;

⑴ :_3! |2x-1|dx=[{-;4!;+;2!;}-(-1-1)]+[(9-3)-{;4!;-;2!;}]=;;¡2¶;;

⑵ x¤ -x=x(x-1)
⑴ ⁄ x…0 또는 xæ1일 때, |x¤ -x|=x¤ -x
⑴ ¤ 0…x…1일 때, |x¤ -x|=-(x¤ -x)=-x¤ +x
x¤ -x (x…0 또는 xæ1)
⑴ 따라서 |x¤ -x|=g 이므로
-x¤ +x (0…x…1)

⑴ :)2 |x¤ -x|dx=:)1 (-x¤ +x)dx+:!2 (x¤ -x)dx

⑴ :)2 |x¤ -x|dx=[-;3!; x‹ +;2!; x¤ ]1)+[;3!; x‹ -;2!; x¤ ]2!

⑴ :)2 |x¤ -x|dx={-;3!;+;2!;}+[{;3*;-2}-{;3!;-;2!;}]=1

정적분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 08 정적분을 이용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을 구할 수 있게 한다.
3n
lim ;n!;[{2+;n#;}¤ +{2+;n^;}¤ +{2+;n(;}¤ +y+ {2+ }¤ ]
n ڦ n
1 3 6 3n ¤
풀이 lim [{2+ }¤ +{2+ }¤ +y+{2+
n ڦ
}]
n n n n
1 n 3k ¤ 3 1
= lim ¡ {2+ } ¥ = :@5 x¤ dx
n ڦ 3 k=1 n n 3
1 1 1
= [ x‹ ]5@= {;:!3@:;% -;3*; }=13
3 3 3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09 미분가능한 함수 f(x)가 등식


`f(x)를 구할 수 있게 한다.
xf(x)=x‹ +x¤ +:@/ f(t)dt

를 만족시킬 때, f(1)의 값을 구하여라.

풀이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xf'(x)=3x¤ +2x+f(x)

212 각론
교과서
183~184

xf'(x)=3x¤ +2x
`f '(x)=3x+2

즉 f(x)=: `f '(x)dx=: (3x+2)dx=;2#; x¤ +2x+C (단, C는 적분상수)

한편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x=2를 대입하면

2f(2)=8+4+:@2 f(t)dt

2f(2)=12+0, 즉 f(2)=6

`f(2)=;2#; ¥2¤ +2¥2+C=6에서 C=-4

따라서 f(x)=;2#; x¤ +2x-4이므로

`f(1)=;2#; +2-4=-;2!;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10 함수 f(x)가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등식


`f(x)를 구할 수 있게 한다.
:!/ (x-t)f(t)dt=x‹ +x¤ -5x+3

을 만족시킬 때, f(2)의 값을 구하여라.

풀이 :!/ (x-t)f(t)dt=x:!/ f(t)dt-:!/ tf(t)dt

이므로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 f(t)dt+xf(x)-x f(x)=3x¤ +2x-5

:!/ f(t)dt=3x¤ +2x-5

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6x+2


따라서 f(2)=6_2+2=14

≠˙¸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상수 11 함수 f(x)=ax‹ +bx+c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수 a, b, c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의 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그 답을 써라.

f(x)
㈎ :)1 f(x)dx=1 ㈏ lim =1
x ⁄1 x-1

풀이 조건 ㈎ :)1 f(x)dx=1에서 :)1 (ax‹ +bx+c)dx=1이므로

[;4A;x› +;2B;x¤ +cx]1)=1

즉`` ;4A;+;2B;+c=1 yy ① 배점 30 %

f(x)
조건 ㈏ lim =1에서 lim (x-1)=0이므로 lim f(x)=0이어야 한다.
x ⁄1 x-1 x ⁄1 x ⁄1

즉 f(1)=0에서 a+b+c=0 yy ② 배점 30 %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13


한편 f(1)=0이므로
f(x) f(x)-f(1)
lim = lim =f'(1)=1
x ⁄1 x-1 x ⁄1 x-1
이때 f'(x)=3ax¤ +b이므로
f'(1)=3a+b=1 yy ③ 배점 30 %

①, ②, ③`을 연립하여 풀면 a=2, b=-5, c=3 배점 10 %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 12 구간 [2, ¶)에서 연속이고 f(x)æ0인 함수 f(x)에 대하여 y y=f{x}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f(2)=4이다. 곡선 y=f(x)와 x축 및 두 직선 x=2, x=t로 둘러
S(t) 4
싸인 도형의 넓이를 S(t)라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t ⁄2 t-2 S{t}

O 2 t x
풀이 S(t)=:@t f(x)dx, S(2)=:@2 f(x)dx=0이므로

S(t) S(t)-S(2)
lim = lim =S'(2)
t ⁄2 t-2 t ⁄2 t-2

이때 S(t)=:@t f(x)dx의 양변을 t에 대하여 미분하면 S'(t)=f(t)

즉 S'(2)=f(2)=4
S(t)
따라서 lim =S'(2)=4
t ⁄2 t-2

창의력

적분과 미분의 관계를 이용하 13 이차항의 계수가 1인 이차함수 f(x)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을 y y=f{x}
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때, 함수 g(x)를

g(x)=:?/ — 2 f(t)dt

로 정의한다. 이때 함수 g(x)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O 2 x

d
풀이 g '(x)= :?/ — 2 f(t)dt= f(x+2)- f(x)
dx
주어진 그래프에서 f(x)=x(x-2)=x¤ -2x이므로 x y 0 y
g '(x)={(x+2)¤ -2(x+2)}-(x¤ -2x)=4x g '(x) - 0 +
이때 g '(x)=0을 만족하는 x의 값은 g(x) ↘ (극소) ↗
4x=0에서 x=0
따라서 함수 g(x)는 x=0일 때 극소이므로 최솟값은

g(0)=:)2 f(t)dt=:)2 (t¤ -2t)dt

g(0)=[;3!; t‹ -t¤ ]2)=;3*;-4=-;3$;

214 각론
교과서
184~185

실력 기르기
창의력
구분구적분을 이용하여 주어
14 함수 f(x)=x¤ 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 구간 [0, 1]을 2n y f{x}=x@
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1
k-1 k
한다. 등분한 후, 닫힌 구간 [ , ]의 길이를 밑변의 길이로 하고
2n 2n
k
f{ }를 높이로 하는 직사각형의 넓이를 S˚라 하자. 이때
2n

lim ¡ (S™˚-S˚)의 값을 구하여라.
n

n ڦ O 1 3 1 x
k=1 …
2n 2n
2 4 2n-1
1 k ¤ 1 2k ¤ k ¤ 3k¤ 2n 2n 2n
풀이 S˚= _{ } 이므로 S™˚-S˚= [{ } -{ } ]=
2n 2n 2n 2n 2n 8n‹
3k¤ 3 n k 1
따라서 lim ¡ (S™˚-S˚)= lim ¡ = lim ¡ { }¤ ¥
n n

n ⁄¶ k=1 n ⁄¶ k=1 8n‹ n ⁄¶ 8 k=1 n n


3 3 1
따라서 (S™˚-S˚)= :)1 x¤ dx= [ x‹ ]1)=;8#;_;3!;=;8!;
8 8 3

x
정적분과 급수의 합을 이용 15 S«(x)=: (1+2t+3t¤ +y+nt« —⁄ )dt일 때, lim S«{;2!;}의 값을 구하여라.
n ڦ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3!;

한다. x
풀이 S«(x)=: (1+2t+3t¤ +y+nt« —⁄ )dt=[t+t¤ +t‹ +y+t« ]/
;3!; ;3!;

;3!; [1-{;3!;}« ]
- 1211112 =
t(1-t« ) x(1-x« ) x(1-x« )
S«(x)=[ ]/ = -;2!; [1-{;3!;}« ]
1-t ;3!; 1-x 1-;3!; 1-x

따라서 S« {;2!;}=1-{;2!;}« -;2!; [1-{;3!;}« ]이므로

lim S«{;2!;}= lim [1-{;2!;}« -;2!; +;2!; {;3!;}« ]=1-;2!; =;2!;


n ڦ n ڦ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의 범위 16 0…a…1일 때, :)1 x|x-a|dx의 값을 최소로 하는 상수 a의 값을 구하여라.


를 나눠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풀이 :)1 x|x-a|dx=:)a x(a-x)dx+:A1 x(x-a)dx=:)a (-x¤ +ax)dx+:A1 (x¤ -ax)dx

:)1 x|x-a|dx=[-;3!; x‹ +;2!; ax¤ ]a)+[;3!; x‹ -;2!; ax¤ ]1A

:)1 x|x-a|dx={-;3!; a‹ +;2!; a‹ }+[{;3!; -;2!; a}-{;3!; a‹ -;2!; a‹ }]=;3!; a‹ -;2!; a+;3!;

이때 f(a)=;3!; a‹ -;2!; a+;3!; 이라 하면 f '(a)=a¤ -;2!;


'2
a 0 y y 1
'2 2
•a¤ =;2!; 에서 a=—
'2 f'(a)=0에서 a¤ -;2!;=0, a=
2 2 f'(a) - 0 +
이때 0…a…1이므로 '2
따라서 함수 f(a)는 a= 일 때 극소이므로 최솟값은 f(a) ↘ (극소) ↗
a=
'2 2 ;3!; ;6!;
2
'2
f{ }이다.
2

그러므로 :)1 x|x-a| dx의 값을 최소로 하는 상수 a의 값은


'2
이다.
2

Ⅳ. 다항함수의 적분법 215


≠˙¸
구분구적분을 이용하여 문제 17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닫힌 구간 [0, 2]를 n등분하여 양 끝 점을 포함 y
y=Â2x·+·1·
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한 각 분점의 x좌표를 차례로 Qn-1 Qn

Qk …
xº(=0), x¡, x™, y, x«–¡, x«(=2) …
Q™

이라 하고, 직선 x=x˚와 곡선 y='ƒ2x+1이 만나는 점을 Q˚라 하
1 n
자. 이때 lim
n ڦ
¡ OQ˚”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그 답을 써라.
n k=1
(단, O는 원점이다.) O x¡ x™ … xk … xn=2 x
xn-1
풀이 구간` [0, 2]를 n등분하면 각 소구간의 길이는
2k
Dx=;n@;이고, 각 분점의 x좌표는 x˚=kDx=
n
이때 점 Q의 좌표는 (x˚, 'ƒ2x˚+1 )(k=1, 2, 3, y, n) 배점 20 %

OQ˚”="√x˚¤ +('ƒ2x˚+1 )¤
OQ˚”="√x¤ ˚+2x˚+1
OQ˚”="√(x˚+1)¤ =x˚+1 배점 30 %

따라서 구하는 값은
1 n
lim ¡ OQ˚”
n ڦ n k=1
1 n 1 n 2k
= lim ¡ (x˚+1)= lim ¡{ +1}
n ڦ n k=1 n ڦ n k=1 n
2k 2
=;2!; lim ¡ { +1}¥ =;2!;:)2 (x+1)dx
n

n ڦ k=1 n n
=;2!; [;2!;x¤ +x]2)=;2!; (2+2)=2 배점 50 %

«˝∞
정적분을 이용하여 실생활 문 18 용수철을 원래 길이에서 x m만큼 늘리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 f(x) N은 f(x)=kx(k는 상수)이
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고, 이 용수철에 힘 f(x) N을 가하여 원래 길이에서 a m만큼 늘리는 데 필요한 일의 양 W J은

W=:)a f(x)dx이다. 원래 길이가 20 cm인 용수철을 30 cm가 되도록 늘리는 데 40 N의 힘이

필요하다고 할 때, 이 용수철을 원래 길이에서 40 cm만큼 늘리는 데 필요한 일의 양을 구하여라.

풀이 용수철을 원래 상태의 길이에서 10 cm, 즉 0.1 m만큼 늘리는 데 필요한 힘의 크기 f(x) N은 40 N이므로
`f(0.1)=k_0.1=40, k=400
즉 f(x)=400x
따라서 이 용수철을 원래 길이에서 40 cm, 즉 0.4 m만큼 늘리는 데 필요한 일의 양은

:)0 . 4 400xdx=[200x¤ ]0). 4 =200_(0.4)¤ =32(J)

216 각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