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2 급수

중단원의 개관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 n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수열 {S«}은 수열 {a«}과 마찬가지로 n이 한


없이 커질 때, 수렴하거나 발산하게 된다. 즉 급수는 수열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적용하여 수렴과 발
산을 판정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급수의 수렴, 발산의 뜻을 알고, 부분합의 극한을 이용하여 그 합을 구하는 방법과 급수
의 기본 성질을 이해하여 급수의 합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에 대하여 알아본다.

중단원의 구성
소단원명 지도 내용

•급수의 뜻
1. 급수의 수렴과 발산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극한값

•등비급수의 뜻과 수렴, 발산
2. 등비급수
•급수의 성질

3. 등비급수의 활용 •등비급수의 활용

중단원 마무리 •중단원 학습 내용에 대한 수준별 평가

새로 나온 용어와 기호

•급수(級數, series) •부분합(部分和, partial sum)


•급수의 합(級數一合, sum of series) •등비급수(等比級數, geometric series)
•;N+' !a«

지도상의 유의점

•수열의 극한과 급수의 극한을 혼동하지 않도록 그 차이점을 강조하여 지도한다.


•등비수열과 등비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공비의 범위를 구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lim a«=0은 급수 ;N+' !a«이 수렴하기 위한 충분조건이 아니라 필요조건임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nڦ

| | | |

|들어가기전에지도방안|

나무가 매년 자라지만 어느 정도 이상은 커지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매년 자란 길이를 모두 더한


값은 일정한 값으로 수렴함을 이해하게 한다.

56 각론
교과서
30~32
|배운내용떠올리기|
등비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
1 다음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구하여라.
는지 확인하게 한다.
⑴ 첫째항이 2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

⑵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2!;인 등비수열

2(2« -1)
⑴ ;K+n !(2_2 )=;K+n ! 2n=
n-1
풀이 =2n+1-2
2-1

1-{;2!;}n
=2-2{;2!;}n =2-{;2!;}
n-1 n-1
⑵ ;K+n ![1_{;2!;} ]=
1-;2!;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는지 2 다음 합을 구하여라.


확인하게 한다.
1 1 1 1
+ + +y+
1¥2 2¥3 3¥4 9¥10
1 1 1 1
풀이 + + +y+
1¥2 2¥3 3¥4 9¥10

={1-;2!;}+{;2!;-;3!;}+{;3!;-;4!;}+y+{;9!;-;1¡0;}

=1-;1¡0;

=;1ª0;

1 급수의 수렴과 발산

● ●
● ● 지도 차시:10차시 ● ●
● ●

소단원 지도 목표
•급수와
` 그 부분합, 급수의 합의 뜻을 알게 한다.
•급수의
` 수렴, 발산의 뜻을 알고, 이를 판별할 수 있게 한다.
•급수의
` 수렴, 발산과 수열의 극한 사이의 관계를 알게 한다.

급수의 수렴과 발산이란 무엇인가?


생각 열기 지도 방안

n일째까지 어떤 식물에 투여한 특정 물질의 전체 양 S«이 n이 한없이 커질 때 어떤 값에 한없이 가까워


지는지 직접 더해보는 과정을 통해 급수의 개념을 이해하게 한다.

Ⅰ. 수열의 극한 57
급수의 뜻

본문 지도 방안

•급수
` ;N+' !a«=a¡+a™+a£+y+a«+y에서 첫째항부터 제 n항까지의 부분합

S«=a¡+a™+a£+y+a«으로 이루어진 수열 {S«}의 수렴, 발산에 따라 급수 N; +' !a«의 수렴, 발산을


정의함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부분합에서는
`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을 이용하여 항들을 적당히 배열하고 묶어서 식을 간단히 할 수 있
으나 급수에서는 항들을 배열하고 무리 짓는 방법에 따라 다른 값을 얻을 수 있으므로 급수에서의‘+’
는 더한다는 연산 기호가 아니고 형식적인 기호임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급수의
` 합은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 S¡, S™, S£, y, S«, y의 극한으로 정의함을 이해하도록 지도
한다.
•급수에서는
` 유한 개의 합에서와 같은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음을 주의하도록 지도한다. 즉 일반적인
급수에서는 항들을 괄호를 묶어서 구할 수 없음을 유의하도록 지도한다.

참고 자료 | 급수 ;N+' !a«의 합

급수 ;N+' !a«이 수렴할 때 수열 {a«}을 몇 개의 항씩 묶어서 얻은 급수도 수렴하며, 이때 두 급수의 합은 같


다. 그러나 이것의 역은 성립하지 않으므로 급수의 합을 구할 때 항들을 괄호로 묶어서 구할 수 없다. 예
를 들어 급수 ;N+' !(-1)n+1=1-1+1-1+1-1+y은 발산하지만 이것으로 부터 얻은 새로운 급수
(1-1)+(1-1)+y, 1+(-1+1)+(-1+1)+y은 각각 0과 1에 각각 수렴한다.
즉 일반적으로 급수에서는 유한개의 합에서와 같은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급수의 부분합을 이용하여 급


수의 수렴, 발산을 판별하고,
문제 1 다음 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여라.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할 수 있 1 1 1 1
⑴ + + +y+ +y
게 한다. 1¥3 2¥4 3¥5 n(n+2)

⑵ ¡ ('ƒn+1-'n)

n=1

1 1 1 1 풀이 ⑴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 { - }
AB B-A A B 1
1 1 1
(단, A+B) S«= + + +y+
1¥3 2¥4 3¥5 n(n+2)
1 1 1 1 1
= {1-;3!;}+ {;2!;-;4!;}+ {;3!;-;5!;}+y+ {;n!;- }
3-1 4-2 5-3 (n+2)-n n+2
1 1
=;2!; {1+;2!;- - }
n+1 n+2
1 1
=;2!; {;2#;- - }
n+1 n+2
1 1
이때 lim = lim =0이므로
n⁄¶ n+1 n ⁄ ¶ n+2
1 1
lim S«= lim ;2!; {;2#;- - }=;2!; {;2#;-0-0}=;4#;
nڦ nڦ n+1 n+2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4#;이다.

58 각론
교과서
32~34
⑵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S«=('2-1)+('3-'2 )+('4-'3 )+y+('ƒn+1-'n)='ƒn+1-1
이때 lim 'ƒn+1=¶이므로 lim S«= lim ('ƒn+1-1)=¶
nڦ nڦ nڦ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극한값

본문 지도 방안

•급수의
` 일반항 a«이 0으로 수렴하더라도 급수가 수렴하지 않는 경우가 있음을 예를 이용하여 이해하도
록 지도한다.
` lim a«=0은 급수 ;N+' !a«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님을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nڦ

한다.
•급수의
` 발산은 그 일반항의 극한이 0이 아님을 보임으로써 판정하도록 한다.

보충 설명 | 급수의 수렴, 발산

급수는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이 수렴할 때 수렴하고,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이 발산할 때 발산한다.

그리고 lim a«=0은 급수 ;N+' !a«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nڦ

예를 들어 lim ;n!; 은 1, ;2!;, ;3!;, ;4!;, y, ;n!;, y에서 알 수 있듯이 0으로 수렴하지만
nڦ

;N+' !;n!;=1+;2!;+;3!;+;4!;+;5!;+;6!;+;7!;+;8!;+;9!;+y

>1+;2!;+;4!;+;4!;+;8!;+;8!;+;8!;+;8!;+;1¡6;+y

=1+;2!;+{;4!;+;4!;}+{;8!;+;8!;+;8!;+;8!;}+{;1¡6;+y

=1+;2!;+;2!;+;2!;+;2!;+y

즉 급수 ;N+' ! ;n!;은 발산한다.

lim a«+0이면 급수 ;N+' !a«


nڦ
문제 2 다음 급수가 발산함을 보여라.
이 발산함을 이용하여 주어진
n
⑴ ¡ ⑵ ¡ ("√n¤ +2n-n)
¶ ¶
급수가 발산함을 보일 수 있
게 한다. n=1 3n-2 n=1

n n n 1
풀이 ⑴ ;N+' ! 에서 a«= 이라 하면 lim a«= lim = lim =;3!;
3n-2 3n-2 n⁄¶ n ⁄ ¶ 3n-2 n⁄¶
3-;n@;

n
따라서 lim +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nڦ 3n-2

Ⅰ. 수열의 극한 59
⑵ ;N+' !("√n¤ +2n-n)에서 a«="√n¤ +2n-n이라 하면

("√n¤ +2n-n)("√n¤ +2n+n)


lim a«= lim ("√n¤ +2n-n)= lim
n⁄¶ n⁄¶ n⁄¶ "√n¤ +2n+n
2n 2 2
=lim =lim = =1
nڦ
"√n¤ +2n+n n ⁄ ¶ Æ…1+;n@;+1 1+1

따라서 lim ("√n¤ +2n-n)+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nڦ

조건에 맞는 수열을 찾을 수 lim a«=0이지만 급수 ;N+' !a«은 발산하는 수열 {a«}을 찾아보아라.


nڦ
있게 한다.

풀이 a«='n-'ƒn-1이라 하면
('n-'ƒn-1 )('n+'ƒn-1 )
lim a«= lim ('n-'ƒn-1 )= lim
n⁄¶ n⁄¶ n⁄¶ 'n+'ƒn-1
1
= lim =0
n⁄¶ 'n+'ƒn-1
이다. 이때

;N+' !a«= lim ;K+n !a˚= lim K; +n !('k-'ƒk-1)


nڦ nڦ

= lim {('1-'0 )+('2-'1)+('3-'2 )+y+('n-'ƒn-1)}


nڦ

= lim 'n=¶(발산)
nڦ

따라서 lim a«=0이지만 급수 ;N+' !a«은 발산한다.


nڦ

2 등비급수

● ●
● ● 지도 차시:11차시 ● ●
● ●

소단원 지도 목표
•등비급수의
` 뜻을 이해하게 한다.
•등비급수의
` 수렴, 발산 조건을 이해하고, 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게 한다.
•급수의
` 성질을 이해하게 한다.

등비급수의 합은 어떻게 구할까?


생각 열기 지도 방안

등비급수의 합을 도형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부분합을 직접 계산하는 과정을 통하여 등비급
수의 합이 수렴함을 확인하게 한다.

60 각론
교과서
34~36
등비급수의 뜻과 수렴, 발산

본문 지도 방안

•등비수열과
` 등비급수의 의미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등비수열
` {arn-1}에서는 r=1인 경우 lim arn-1=a이므로 수렴하지만 등비급수 ;N+' !arn-1에서는 r=1
nڦ

인 경우 발산함을 주의하도록 지도한다.


•급수
` ;N+' !rn이 수렴하려면 lim rn=0이어야 하므로 등비수열의 수렴 조건에서 -1<r<1이어야 함을
nڦ

기억하도록 지도한다.

보충 설명 |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비교

등비수열 {r« }의 수렴 조건은 -1<r…1이고,


등비급수 ;N+' !r« 의 수렴 조건은 -1<r<1이다.
이때 등비수열에서는 r=1인 경우 lim r« =1로 수렴하지만, 등비급수에서는
nڦ

lim S«=lim ;K+n !r˚ = lim n=¶가 되어 발산한다.


nڦ nڦ nڦ

등비급수의 수렴, 발산을 판


별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
문제 1 다음 등비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여라.
n
⑴ ¡ {-;2!;}
할 수 있게 한다. ¶
⑵ '3-3+3'3-9+y
n=1

풀이 ⑴ 공비가 -;2!;이고 |-;2!; |<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2!; -;2!;
= =-;3!;
1-{-;2!;} ;2#;

⑵ 공비가 -'3이고 |-'3|æ1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등비급수의 수렴, 발산을 이 다음 등비급수에 대하여 물음에 답하여라.


해하고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1+(4x-1)+(4x-1)¤ +(4x-1)‹ +y
⑴ 등비급수의 공비를 말하여라.
⑵ 등비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풀이 ⑴ 수열 1, 4x-1, (4x-1)¤ , (4x-1)‹ , y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4x-1인 등비수열이다.

따라서 주어진 급수의 공비는 4x-1이다.


⑵ 주어진 급수가 수렴하려면 |4x-1|<1이어야 한다. 즉

-1<4x-1<1, 0<4x<2, 0<x<;2!;

따라서 주어진 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는

0<x<;2!;

Ⅰ. 수열의 극한 61
급수의 성질

본문 지도 방안

•극한값의
` 성질과 마찬가지로 급수의 성질도 수렴하는 두 급수에 대하여 성립함을 주의하도록 지도한다.
•급수의
` 합은 그 급수의 부분합의 수열 {S«}의 극한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급수의 성질은 수열의 극한에
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보충 설명

수렴하는 두 급수 ;N+' !a«과 ;N+' !b«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을 각각 {A«}, {B«}이라고
하면 두 수열 {A«}, {B«}은 모두 수렴하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⑴ ;N+' !(a«+b«)= lim ;K+n !(a˚+b˚)= lim (;K+n !a˚+;K+n !b˚)
nڦ nڦ

= lim (A«+B«)= lim A«+ lim B«


nڦ nڦ nڦ

=;N+' !a«+;N+' !b«

⑵ ;N+' !(a«-b«)= lim ;K+n !(a˚-b˚)= lim (;K+n !a˚-;K+n !b˚)


nڦ nڦ

= lim (A«-B«)= lim A«- lim B«


nڦ nڦ nڦ

=;N+' !a«-;N+' !b«

⑶ ;N+' !ca«= lim ;K+n !ca˚= lim c;K+n !a˚


nڦ nڦ

= lim cA«=c lim A«


nڦ nڦ

=c;N+' !a« (단, c는 상수)

급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급수


의 합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문제 2 다음 급수의 합을 구하여라.

5« +2« 3 5
⑴ ;N+' ! ⑵ ;N+' !{ - }
8« 2« 4«

풀이 ⑴ |;8%;|<1, |;4!;|<1이므로 두 급수 ;N+' !{;8%;}n , ;N+' !{;4!;}n 은 수렴한다. 따라서

5« +2«
;N+' ! =;N+' ![{;8%;}n +{;4!;}n ]=;N+' !{;8%;}n +;N+' !{;4!;}n

;8%; ;4!;
= + =;3%;+;3!;=2
1-;8%; 1-;4!;

⑵ |;2!;|<1, |;4!;|<1이므로 두 급수 ;N+' !3{;2!;}n , ;N+' !5{;4!;}n 은 수렴한다. 따라서

n-1 n-1
3 5
;N+' !{ - }=;N+' ![3{;2!;}n -5{;4!;}n ]=;N+' !;2#; {;2!;} -;N+' !;4%; {;4!;}
2« 4«
;2#; ;4%;
= + =3-;3%;=;3$;
1-;2!; 1-;4!;

62 각론
교과서
37~38

급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 오른쪽 그림은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의 내부를 정사각형 또는 직


1 1
진 급수의 합을 추측할 수 있 8 8 1 1 1
게 한다.
사각형으로 한없이 잘게 나누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을 이용하 1
2
16 16 16
1
1 1 16
여 다음 급수의 합을 추측하여라. 4 4 1
16
2 1
1 1 8
1+2_;2!;+3_;4!;+4_;8!;+y+n_ n-1 +y 4 1
2 1
8
1
2

풀이 주어진 그림의 내부에 포함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중에서

넓이가 1인 사각형은 1개, 넓이가 ;2!;인 사각형은 2개,

넓이가 ;4!;인 사각형은 3개, 넓이가 ;8!;인 사각형은 4개,


1
넓이가 인 사각형은 n개가 있다.
2n-1
이들 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S«이라 하면
1
S«=1+2_;2!;+3_;4!;+4_;8!;+y+n_
2n-1
이때 모든 사각형은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의 내부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그 넓이의 합은 한 변의 길
이가 2인 정사각형의 넓이보다 작다. 즉 S«<2¤ =4이다.
따라서 n이 한없이 커질 때 S«의 값은 증가하므로 급수
1
1+2_;2!;+3_;4!;+4_;8!;+y+n_ +y
2n-1
의 합은 4일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3 등비급수의 활용

● ●
● ● 지도 차시:12~13차시 ● ●
● ●

소단원 지도 목표
•등비급수를
`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등비급수를 활용하여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까?


생각 열기 지도 방안

순환소수가 등비급수로 나타내어짐을 이해하고, 등비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수 있음을 예를 이용하여 직접 확인하게 한다.

Ⅰ. 수열의 극한 63
등비급수의 활용

본문 지도 방안

•중학교에서
` 배운 순환소수의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본문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도형과
` 관련된 문제는 삼각형의 성질 등과 같은 도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닮음비를 구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닮음비가
` a:b인 두 도형의 넓이의 비는 a¤ :b¤ 이고, 부피의 비는 a‹ :b‹ 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보충 설명 | 순환소수

중학교에서 순환소수를 분수로 표현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배웠다.

x=0.99999y yy ①
10x=9.999999y yy ②
②-①을 하면 9x=9
따라서 x=1이므로 0.999999y=1이다.

그러나 이 결과를 순순히 받아들이거나 이해하기 힘들어 하는 학생들이 있는데, 이는 0.999999y가 끝


없이 진행 중인 과정을 의미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위의 결과에 확신을 가지려면 무한소수가 무한
과정 그 자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무한 과정의 최종 결과(극한)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를 위해‘부분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의 극한’
으로 정의된 급수의 이해가 중요하다. 즉 급수에서
나타나는‘+y’
라는 표현은 더하는 과정이 끝없이 계속되는 중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덧셈의 최종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순환소


수를 분수로 나타낼 수 있게
문제 1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다음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어라.

한다. ⑴ 0.H2H5 ⑵ 1.2H3H4

풀이 ⑴ 0.H2H5=0.252525y이므로
0.H2H5=0.25+0.0025+0.000025+y
25 25
=;1™0∞0;+ + +y yy ①
100¤ 100‹
이때 급수 ①은 첫째항이 ;1™0∞0;이고 공비가 ;10!0;인 등비급수이므로 그 합은

;1™0∞0;
=;9@9%;
1-;10!0;

⑵ 1.2H3H4=1.2343434y이므로
1.2H3H4=1.2+0.034+0.00034+0.0000034+y

=;1!0@;+;10#0$0;+;100#0$00;+;1000#0$000;+y yy ①

64 각론
교과서
38~40
이때 급수 ①은 첫째항이 ;10#0$0;이고 공비가 ;10!0;인 등비급수이므로

;10#0$0;
12_99+34
1.2H3H4=;1!0@;+ =;1!0@;+;9£9¢0;=
990
1-;10!0;

12(100-1)+34 (1200+34)-12
= = =:¡9™9™0™:
990 990
=;4^9!5!;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문제 2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이
어 정사각형을 만들고, 다시 이 정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을 이어 정사
각형을 만든다. 이와 같은 과정을 한없이 반복할 때, 모든 정사각형의 … 2
넓이의 합을 구하여라.

풀이 주어진 그림에서 가장 큰 정사각형부터 크기가 작아지는 순서대로 정사각형들의 넓이를 차례로


a¡, a™, a£, y이라고 하면
a¡=2¤ =4, a™=('2 )¤ =2, a£=1¤ =1, y

따라서 급수 a¡+a™+a£+y은 첫째항이 4이고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이므로 그 합은


4
=8
1-;2!;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문제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줄에 매달린 추가 처음에는 30 cm, 두 번째
는 처음과 반대 방향으로 25 cm, 세 번째는 두 번째와 반대 방향

으로 :¡;6@;∞: cm, y 움직인다. 이와 같이 추가 직전에 움직인 거

리의 ;6%;만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추가 정지할 때까지 한


30`cm
없이 운동한다고 가정할 때, 추가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를
25`cm
구하여라. 125
cm
6

풀이 추가 n번째 움직인 거리를 a« (n은 자연수)이라 하면

a¡=30, a™=25, a£=:!6@:,% y

이므로 수열 {a«}은 첫째항이 30이고 공비가 ;6%;인 등비수열이다.

따라서 추가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급수 ;N+' !a«과 같으므로 그 합은


n-1
30
;N+' !a«=;N+' !30{;6%;} = =180 (cm)
1-;6%;

Ⅰ. 수열의 극한 65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등비 오른쪽 그림은 정사각형과 직각이등변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나무 모양
급수로 나타낸 다음 수렴, 발
산을 조사할 수 있게 한다.
의 그림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한없이 그려 나간다고 할 때, 모
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수렴하는지 발산하는지 토론하여라.

풀이 주어진 그림에서 가장 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1이라 하면 이 정사각형과 한 점에서 만나는 작은 정


1 1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고,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과 한 점에서 만나는 더 작은 정사각
'2 '2
1
형의 한 변의 길이는 { }2 이다.
'2
이때 각 단계의 정사각형의 개수는 1, 2, 4, 8, y이므로 모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1 1 1
1_1¤ +2_{ }2 +4_{ }4 +8_{ }6 +y
'2 '2 '2
=1_1+2_;2!;+2¤ _{;2!;}2 +2‹ _{;2!;}3 +y

=;N+' ![2« —⁄ _ {;2!;}n - 1``]

=;N+' !1=¶

따라서 모든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발산한다.

| 지도 방안 |

부분합과 일반항의 극한값을 이용하여 주어진 급수의 발산을 보일 수 있게 한다.

▶ 희원이의 생각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S¡=1, S™=1-1=0, S£=1-1+1=1, S¢=1-1+1-1=0, y
즉 S«의 값은 1과 0이 교대로 나타나므로 lim S«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nڦ

따라서 급수 1-1+1-1+1-1+y은 발산한다.

▶ 수찬이의 생각
수열 1, -1, 1, -1, y의 일반항을 a«이라 하면
a«=(-1)« —⁄ 이고, lim a«= lim (-1)« —⁄ 의 값은 1과 -1이 교대로 나타나므로 일반항의 극한값은
nڦ nڦ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급수 1-1+1-1+1-1+y은 발산한다.

66 각론
교과서
40~42

중단원 마무리

스스로 정리하기

1 수렴

2 0, 발산

a
3 1-r
, 발산

기초 다지기

급수의 수렴, 발산을 판별하 01 다음 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여라.
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할
1 1
⑴ ¡{ ⑵ ¡ ('ƒn+2-'n )
¶ ¶
수 있게 한다. - }
n=1 'n 'ƒn+1 n=1

¶ n¤ +1 n
⑶ ¡ ⑷ ¡ {-;3!;}

n=1 n¤ +2 n=1

풀이 ⑴ 주어진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1 1
S«=;K+n !{ - }
'k 'ƒk+1
1 1 1 1 1 1 1
={1- }+{ - }+{ - }+y+{ - }
'2 '2 '3 '3 '4 'n 'ƒn+1
1
=1-
'ƒn+1
1
이때 lim S«= lim {1- }=1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1이다.
n⁄¶ n⁄¶ 'ƒn+1
⑵ 주어진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S«=;K+n !('ƒk+2-'k )
=('3-1)+('4-'2)+('5-'3)+y+('ƒn+1-'ƒn-1)+('ƒn+2-'n)
='ƒn+1+'ƒn+2-1-'2
이때 lim S«= lim ('ƒn+1+'ƒn+2-1-'2 )=¶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nڦ nڦ

n¤ +1 n¤ +1
⑶ N; +' ! 에서 a«= 이라 하면
n¤ +2 n¤ +2
1
1+14
n¤ +1 n¤
lim a«= lim = lim =1
n⁄¶ n ⁄ ¶ n¤ +2 n⁄¶ 2
1+14

n¤ +1
따라서 lim +0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n⁄¶ n¤ +2
⑷ 공비는 -;3!;이고 |-;3!;|<1이므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3!;
=-;4!;
1-{-;3!;}

Ⅰ. 수열의 극한 67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02 수열 {a«}에 대하여 급수 N; +' !a«이 수렴할 때, lim (3a«-1)의 값을 구하여라.
nڦ
극한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게 한다.
풀이 급수 N; +' !a«이 수렴하므로 lim a«=0이다.
nڦ

따라서 lim (3a«-1)=3 lim a«-1=3_0-1=-1


nڦ nڦ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순환소 03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순환소수 0.H1H5를 분수로 나타내어라.


수를 분수로 나타낼 수 있게
한다. 풀이 0.H1H5=0.151515y이므로
0.H1H5=0.15+0.0015+0.000015+y
15 15
=;1¡0∞0;+ + +y yy ①
100¤ 100‹
이때 급수 ①은 첫째항이 ;1¡0∞0;이고 공비가 ;10!0;인 등비급수이므로 그 합은

;1¡0∞0;
=;9!9%;=;3∞3;
1-;10!0;

기본 익히기

급수의 부분합을 이용하여 급 04 다음 급수의 수렴, 발산을 조사하고, 수렴하면 그 합을 구하여라.


수의 수렴, 발산을 판별하고,
n n+1 1
수렴하고 그 합을 구할 수 있 ⑴ N; +' !{ - } ⑵ N; +' !
게 한다.
n+1 n+2 'ƒ2n+1+'ƒ2n-1

풀이 ⑴ 주어진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k k+1
S«=;K+n !{ - }
k+1 k+2
n n+1
={;2!;-;3@;}+{;3@;-;4#;}+{;4#;-;5$;}+y+{ - }
n+1 n+2
n+1
=;2!;-
n+2

1+;n!;
n+1 n+1
이때 lim = lim =1이므로 lim S«= lim {;2!;- }=;2!;-1=-;2!;
n⁄¶ n+2 n ⁄ ¶ 1+;n@; n⁄¶ n⁄¶ n+2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2!;이다.

1 'ƒ2n+1-'ƒ2n-1
⑵ =
'ƒ2n+1+'ƒ2n-1 ('ƒ 2 n+1+'ƒ 2n-1)('ƒ2n+1-'ƒ2n-1)
'ƒ2n+1-'ƒ2n-1
=
(2n+1)-(2n-1)
'ƒ2n+1-'ƒ2n-1
=
2

68 각론
교과서
42~43

주어진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1
S«=;K+n !
'ƒ2k+1+'ƒ2k-1
'ƒ2k+1-'ƒ2k-1
=;K+n !
2

=;2!; {('3-1)+('5-'3)+('7-'5)+y+('ƒ2n+1-'ƒ2n-1)}

=;2!;('ƒ2n+1-1)

이때 lim 'ƒ2n+1=¶이므로 lim S«= lim ;2!;('ƒ2n+1-1)=¶


nڦ nڦ nڦ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1 1 1
수열의 합과 부분분수를 이용 05 급수 1+
1+2
+
1+2+3
+
1+2+3+4
+y의 합을 구하여라.
하여 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
게 한다.
풀이 주어진 급수의 일반항을 a«이라 하면
1 1 2 1
a«= = = =2{;n!;-
1111
}
1+2+3+y+n n(n+1) n(n+1) n+1
2
따라서
1 1 1
1+ + + +y
1+2 1+2+3 1+2+3+4

=;N+' !a«= lim ;K+n !a˚


nڦ

1
= lim ;K+n !2{;k!;-
nڦ
}
k+1
1
= lim 2[{1-;2!;}+{;2!;-;3!;}+{;3!;-;4!;}+y+{;n!;-
nڦ
}]
n+1
1
= lim 2{1-
nڦ
}=2
n+1

≠˙¸
a« a«+3n
수열 {a«}에 대하여 ¡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06 n=1 n+1
=2일 때, lim
n ⁄ ¶ 2a«-6n
의 값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그 답을 써
극한값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게 한다. 라.
a« a«
풀이 ;N+' ! =2이므로 lim =0이다. 따라서 배점 40 %
n+1 n ⁄ ¶ n+1

112+112
a« 3n
a«+3n n+1 n+1
lim = lim
n ⁄ ¶ 2a«-6n n⁄¶ a« 6n
2_112-112
n+1 n+1
0+3
= =-;6#;=-;2!; 배점 60 %
2_0-6

Ⅰ. 수열의 극한 69
급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구할 07 두 급수 N; +' !a«, N; +' !b«이 수렴하고, N; +' !(a«+b«)=6, N; +' !(a«-b«)=2일 때, 2;N+' !a«+3;N+' !b«의 값
수 있게 한다.
을 구하여라.

풀이 두 급수 N; +' !a«, N; +' !b«이 수렴하므로

N; +' !(a«+b«)=;N+' !a«+;N+' !b«=6 yy ①

N; +' !(a«-b«)=;N+' !a«-;N+' !b«=2 yy ②

①+②를 하면 2;N+' !a«=8에서 N; +' !a«=4

①-②를 하면 2;N+' !b«=4에서 N; +' !b«=2

따라서 2;N+' !a«+3;N+' !b«=2_4+3_2=14

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 08 등비급수 1+(2-'3 )+(2-'3 )¤ +(2-'3 )‹ +y의 합을 구하여라.


게 한다.
풀이 공비는 2-'3이고 |2-'3|<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1 1 '3+1 '3+1
= = =
1-(2-'3) '3-1 ('3-1)('3+1) 2

2¤ « +1
급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급수 09 급수 N; +' ! 의 합을 구하여라.
의 합을 구할 수 있게 한다. 5«

풀이 |;5$;|<1, |;5!;|<1이므로 두 급수 N; +' !{;5$;}n , N; +' !{;5!;}n 은 수렴한다. 따라서

22n+1
;5$; ;5!;
N; +' ! =;N+' ![{;5$;}n +{;5!;}n ]=;N+' !{;5$;}n +;N+' !{;5!;}n = + =4+;4!;=:¡4¶:
5« 1-;5$; 1-;5!;

급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 10 등비수열 {a«}에 대하여 N; +' !a«=1, N; +' !a«¤ =2일 때, a™의 값을 구하여라.
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풀이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a«=arn-1에서 a«¤ =(arn-1)¤ =a¤ (r¤ )n-1
즉 수열 {a«¤ }은 첫째항이 a¤ 이고 공비가 r¤ 인 등비수열이다.

이때 등비급수 N; +' !a«이 1로 수렴하므로 그 공비 r는 |r|<1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a
N; +' !a«= =1 yy ①
1-r
마찬가지로 N; +' !a«¤ 이 2로 수렴하므로 그 공비 r¤ 은 |r¤ |<1을 만족시킨다. 따라서

a¤ a¤
N; +' !a«¤ = = =2 yy ②
1-r¤ (1-r)(1+r)

70 각론
교과서
43~44

a
②에 ①을 대입하면 =2 yy ③
1+r

①, ③을 연립하여 풀면 a=;3$;, r=-;3!;이므로 a™=ar=;3$;_{-;3!;}=-;9$;

등비급수의 수렴 조건을 이용 11 다음 등비급수가 수렴하도록 하는 실수 x의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1-2(x¤ -x)+4(x¤ -x)¤ -8(x¤ -x)‹ +y

풀이 주어진 등비급수의 공비는 -2(x¤ -x)이고, 수렴하기 위해서는 -1<(공비)<1을 만족해야 한다. 즉
-1<-2(x¤ -x)<1이어야 한다.
⁄ -1<-2(x¤ -x), 즉 2x¤ -2x-1<0일 때
1—'3
2x¤ -2x-1=0을 풀면 x= 이므로 부등식 2x¤ -2x-1<0의 해는
2
1-'3 1+'3
<x<
2 2
¤ -2(x¤ -x)<1, 즉 2x¤ -2x+1>0

이때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x¤ -2x+1=2{x-;2!;}2 +;2!;>0이 항상 성립하므로 부등식

2x¤ -2x+1>0을 만족하는 해는 실수 전체의 집합이다.


1-'3 1+'3
따라서 ⁄, ¤를 모두 만족하는 x의 값의 범위는 <x< 이다.
2 2

≠˙¸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12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0, 2)에서 직선 x+y=5에 내린 수선 y
해결할 수 있게 한다. x+y=5
의 발을 P¡이라 하고, 점 P¡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점 Q¡에 5

서 직선 x+y=5에 내린 수선의 발을 P™라 하자. 이와 같은 방법
으로 Q™, P£, Q£, P¢, Q¢, y를 정할 때, 급수 ;N+' !P«Q«”의 합을 구 A{0,`2} P™

하는 풀이 과정과 그 답을 써라. …
O Q¡ Q™ Q£ 5 x

풀이 점 (0, 5)를 점 B라 하면 삼각형 AP¡B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y


B x+y=5
P¡Q¡”=;2&; 배점 30 % 5
{
P¡ 23 , 72 }
두 직각이등변삼각형 P¡Q¡P™, P™Q™P£은 서로 닮은 도형이고
A{0,`2} {
P™ 13 7
4 , 4 }
P™Q™”=;2!; P¡Q¡”이므로 닮음비는 2 : 1이다. P£ 33{ 7
8 , 8 }

O Q¡ Q™ Q£ 5 x
즉 P«≠¡Q«≠¡”=;2!; P«Q«”이다. 따라서 배점 40 %

P«Q«”=P¡Q¡”_{;2!;}n - 1 =;2&;_{;2!;}n - 1 =7_{;2!;}n이므로

;2&;
;N+' !P«Q«”=;N+' !7_{;2!;}n = =7 배점 30 %
1-;2!;

Ⅰ. 수열의 극한 71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의 점 P가 원점 O를 출발하여 y
해결할 수 있게 한다. P£ P™
P¡, P™, P£, y으로 움직인다.

OP¡”=3, P¡P™”=;3@; OP¡”, P™P£”=;3@; P¡P™”, y일 때, 점 P«이 한 P¢ P∞

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를 구하여라.


O P¡ x
3

풀이 점 P«의 좌표를 P«(x«, y«)(n은 자연수)이라 하자.


OP¡”=3에서 x¡=3, y¡=0

P¡P™”=;3@; OP¡”=3_;3@;에서 x™=x¡=3, y™=3_;3@;

P™P£”=;3@; P¡P™”=3_{;3@;}2 에서 x£=3-3_{;3@;}2 , y£=y™=3_;3@;

P£P¢”=;3@; P™P£”=3_{;3@;}3 에서 x¢=x£=3-3_{;3@;}2 , y¢=3_;3@;-3_{;3@;}3

P¢P∞”=;3@; P£P¢”=3_{;3@;}4 에서 x∞=3-3_{;3@;}2 +3_{;3@;}4 , y∞=y¢=3_;3@;-3_{;3@;}3

P∞P§”=;3@; P¢P∞”=3_{;3@;}5 에서

x§=x∞=3-3_{;3@;}2 +3_{;3@;}4 , y§=3_;3@;-3_{;3@;}3 +3_{;3@;}5


이와 같은 방법으로 x™«–¡, y™«을 구하면
n-1 k-1
x™«–¡=3-3_{;3@;}2 +3_{;3@;}4 -y+3_{-;9$;} =;K+n !3{-;9$;}
n-1 k-1
y™«=3_;3@;-3_{;3@;}3 +3_{;3@;}5 -y+2_{-;9$;} =;K+n !2{-;9$;}

이때 x™«–¡=x™«, y™«–¡=y™«이므로
k-1
3
lim x«= lim ;K+n !3{-;9$;} = =;1@3&;
nڦ nڦ
1-{-;9$;}
k-1
2
lim y«= lim ;K+n !2{-;9$;} = =;1!3*;
nڦ nڦ
1-{-;9$;}

따라서 점 P«이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는 {;1@3&;, ;1!3*;}이다.

실력 기르기

부분합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 14 자연수 n에 대하여 x에 대한 이차방정식 (4n¤ -1)x¤ -4nx+1=0의 두 근이 a«, b«(a«>b«)
을 구할 수 있게 한다.
일 때, 급수 ;N+' !(a«-b«)의 합을 구하여라.

풀이 이차방정식 (4n¤ -1)x¤ -4nx+1=0의 두 근이 a«, b«(a«>b«)이므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에 의하여

72 각론
교과서
44~45

4n 1
a«+b«= , a«b«=
4n¤ -1 4n¤ -1
4n 4
(a«-b«)¤ =(a«+b«)¤ -4a«b«={ }2 -
4n¤ -1 4n¤ -1
16n¤ -4(4n¤ -1) 4
= =
(4n¤ -1)¤ (4n¤ -1)¤
이때 a«>b«이므로
4 2
a«-b«=æ≠ =
(4n¤ -1)¤ 4n¤ -1
2 1 1
= = -
(2n-1)(2n+1) 2n-1 2n+1
급수 ;N+k ! (a«-b«)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하면

S«=;K+n !(a˚-b˚)

1 1
=;K+n !{ - }
2k-1 2k+1
1 1
={1-;3!;}+{;3!;-;5!;}+{;5!;-;7!;}+y+{ - }
2n-1 2n+1
1
=1-
2n+1
1
즉 lim S«= lim {1-
nڦ nڦ
}=1
2n+1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1이다.

≠˙¸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15 순환소수 0.H20H4의 소수 첫째 자리의 숫자를 a¡, 소수 둘째 자리의 숫자를 a™, 소수 셋째 자리의 숫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자를 a£, y, 소수 n번째 자리의 숫자를 a«이라 할 때, 급수 ;N+' ! 의 합을 구하는 풀이 과정과 그

답을 써라.

풀이 0.H20H4=0.204204204y이므로
a¡=2, a™=0, a£=4, a¢=2, y 배점 20 %

따라서
a« 0 4 2 0 4
;N+' ! =;3@;+ + + + + +y
3« 3¤ 3‹ 3› 3fi 3fl
2 2 4 4 4
={;3@;+ + +y}+{ + + +y}
3› 3‡ 3‹ 3fl 3·

=;N+' !;3@; {;2¡7;}n - 1 +;N+' !;2¢7;{;2¡7;}n - 1

;3@; ;2¢7;
= +
1-;2¡7; 1-;2¡7;

=;2!6*;+;2¢6;=;1!3!; 배점 80 %

Ⅰ. 수열의 극한 73
n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16 수열 {a«}에 대하여 K; +n !a˚=1-{;3!;} 일 때, 급수 N; +' !a™«의 합을 구하여라.
관계를 이용하여 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게 한다.
풀이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이라 하면

S«=;K+n !a˚=1-{;3!;}n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관계에 의하여


a«=S«-S«–¡(næ2)

=1-{;3!;}n -[1-{;3!;}
n-1
]
n-1 n-1
={1-;3!;}{;3!;} =;3@; {;3!;}
n-1
이때 a¡=S¡=1-;3!;=;3@;이므로 a«=;3@; {;3!;} (næ1)
2n-1 n-1
따라서 a™«=;3@; {;3!;} =;9@; {;9!;} 이므로

n-1 ;9@;
N; +' !a™«=;N+' !;9@; {;9!;} = =;4!;
1-;9!;

«˝∞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17 홍은이와 진훈이는 9000원짜리 아이스크림 한 통을 샀다. 홍은이가 먼저 아이스크림 전체의 ;2!;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먹고 진훈이가 남은 아이스크림의 ;2!;을 먹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아이스크림을 먹는 과정을 한

없이 반복한다고 할 때, 먹는 양에 비례하여 아이스크림 값을 낸다면 홍은이와 진훈이는 얼마씩 내


야 하는지 구하여라.

풀이 아이스크림 한 통의 양을 1이라 하고, 홍은이가 n번째 먹은 아이스크림의 양을 a«, 진훈이가 n번째 먹은 아


이스크림의 양을 b«이라 하면

a¡=;2!;, b¡=(1-a¡)_;2!;={1-;2!;}_;2!;=;4!;

a™=(1-a¡-b¡)_;2!;={1-;2!;-;4!;}_;2!;=;8!;,

b™=(1-a¡-b¡-a™)_;2!;={1-;2!;-;4!;-;8!;}_;2!;=;1¡6;

, b«={;4!;}n
n-1
a«=;2!; {;4!;}

이때 이와 같은 과정을 한없이 반복하였을 때 홍은이와 진훈이가 먹은 아이스크림의 양은 각각 급수

N; +' !a«, N; +' !b«과 같다. 즉

=;3@;, N; +' !b«=;N+' !{;4!;}n =


n-1 ;2!; ;4!;
N; +' !a«=;N+' !;2!; {;4!;} = =;3!;
1-;4!; 1-;4!;

따라서 두 사람이 먹은 양에 비례하여 아이스크림 값을 낸다면 홍은이는 아이스크림 전체의 ;3@;를 먹었으므로

9000원의 ;3@;인 6000원을 내야 하고, 진훈이는 아이스크림 전체의 ;3!;을 먹었으므로 9000원의 ;3!;인 3000원

을 내야 한다.

74 각론
교과서
45~46

대단원 평가

1¤ +2¤ +3¤ +y+n¤


극한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01 lim
n⁄¶ n‹
의 값은?

✓ ① ;3!; ② ;3@; ③1

④ ;3$; ⑤ ;3%;

K; +n !k¤
1¤ +2¤ +3¤ +y+n¤
풀이 lim = lim
n⁄¶ n‹ n ⁄ ¶ n‹

n(n+1)(2n+1)
= lim
n⁄¶ 6n‹

= lim ;6!; {1+;n!;}{2+;n!;}


nڦ

=;6!;_1_2=;3!;

2« -3« ±⁄
복잡한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02 lim
n⁄¶ 2« ±⁄ +3«
의 값은?
수 있게 한다.

✓ ① -3 ② -2 ③0
④2 ⑤3

{;3@;}n -3
2« -3« ±⁄ 0-3
풀이 lim = lim = =-3
n⁄¶ 2« ±⁄ +3« n⁄¶ 0+1
2{;3@;}n +1

수열의 대소 관계를 이용하여 03 수열 {a«}이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
게 한다.
3n¤ -n…(n+1)¤ a«…3n¤ +n
을 만족시킬 때, lim a«의 값은?
nڦ

①1 ②2 ✓③ 3
④4 ⑤5

풀이 3n¤ -n…(n+1)¤ a«… 3n¤ +n의 각 변을 (n+1)¤ 으로 나누면


3n¤ -n 3n¤ +n
…a«…
(n+1)¤ (n+1)¤

3-;n!; 3+;n!;
3n¤ -n 3n¤ +n
이때 lim = lim =3, lim = lim =3이므로 수열의 극한의
n ⁄ ¶ (n+1)¤ n⁄¶ n ⁄ ¶ (n+1)¤ n⁄¶
{1+;n!;}2 {1+;n!;}2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a«=3


nڦ

Ⅰ. 수열의 극한 75
1 1 1 1
부분합을 이용하여 급수의 합 04 급수
2¤ -1
+
4¤ -1
+
6¤ -1
+y+
(2n)¤ -1
+y의 합은?
을 구할 수 있게 한다.

✓ ① ;2!; ②1 ③ ;2#;

④2 ⑤ ;2%;

1 1 1 1
풀이 = =;2!; { - }이므로 주어진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
(2n)¤ -1 (2n-1)(2n+1) 2n-1 2n+1
을 S«이라 하면
1 1 1
S«= + +y+
2¤ -1 4¤ -1 (2n)¤ -1
1 1
=;2!;[{1-;3!;}+{;3!;-;5!;}+y+{ - }]
2n-1 2n+1
1
=;2!; {1- }
2n+1
1
이때 lim S«= lim ;2!; {1-
nڦ nڦ
}=;2!;
2n+1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2!;이다.

등비급수의 공비를 구한 다음 05 등비급수 ('2+1)+'2+(2'2-2)+y의 합이 p+q'2 일 때, p+q의 값은?


그 합을 구할 수 있게 한다.
(단, p, q는 정수)
①1 ②2 ③3
④4 ✓⑤ 5

풀이 주어진 등비급수의 공비는


'2 '2('2-1) 2-'2
= = =2-'2
'2+1 ('2+1)('2-1) 2-1
이고, |2-'2|<1이므로 주어진 등비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2+1 '2+1 ('2+1)¤ 3+2'2
= = = =3+2'2
1-(2-'2) '2-1 ('2-1)('2+1) 2-1
따라서 p+q'2=3+2'2에서 p=3, q=2이므로 p+q=3+2=5

수열의 수렴 조건을 이용하여 06 모든 항이 양수이고 수렴하는 수열 {a«}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a«≠¡)¤ =3a«+4
를 만족시킬 때, lim a«의 값은?
nڦ

①1 ②2 ③3
✓④ 4 ⑤5

풀이 수열 {a«}이 수렴하므로 lim a«=a(a>0)라 하면 lim a«≠¡=a(a>0)이므로


nڦ nڦ

lim (a«≠¡)¤ =a¤


nڦ

(a«≠¡)¤ =3a«+4에서 lim (a«≠¡)¤ = lim (3a«+4)


nڦ nڦ

a¤ =3a+4, a¤ -3a-4=0, (a-4)(a+1)=0


이때 a>0이므로 a=4

76 각론
교과서
46~47

급수의 수렴 조건을 이용하여 07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에 대하여 a¡=1, N; +' !a«=;4#;일 때, r의 값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① -;4#; ② -;3@; ✓ ③ -;3!;

④ ;3!; ⑤ ;3@;

풀이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은 a¡=1이고 공비는 r이고, 급수 N; +' !a«이 ;4#;으로 수렴하므로

a¡ 1
N; +' !a«= = =;4#;
1-r 1-r

즉 1-r=;3$;에서 r=-;3!;

수열의 수렴 조건을 이용하여 08 수열 {(x¤ -2x)« }이 수렴하도록 하는 정수 x의 값의 합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① -3 ② -1 ③0
✓④ 2 ⑤3

풀이 수열 {(x¤ -2x)« }은 공비가 x¤ -2x인 등비수열이므로 수렴하려면 -1<x¤ -2x…1이어야 한다.


⁄ -1<x¤ -2x, 즉 x¤ -2x+1>0일 때
⁄ x¤ -2x+1=(x-1)¤ >0이므로 x+1인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만족한다.
¤ x¤ -2x…1, 즉 x¤ -2x-1…0일 때
⁄ 이차방정식 x¤ -2x-1=0에서 x=1—'2이므로 1-'2…x…1+'2
⁄, ¤에서 1-'2…x<1 또는 1<x…1+'2
따라서 구하는 정수 x의 값은 0, 2이므로 그 합은 2이다.

2S«+3S«≠¡+2a«
급수의 수렴, 발산과 수열의 09 수열 {a«}에 대하여 N; +' !a«=3이고,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할 때, lim
n⁄¶ S«+S«≠¡
극한값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의 값은?

① ;2#; ②2 ✓ ③ ;2%;

④3 ⑤ ;2&;

풀이 급수 N; +' !a«이 3으로 수렴하므로 lim a«=0


nڦ

수열 {a«}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이 S«이므로

lim S«= lim S«≠¡=;N+' !a«=3


nڦ nڦ

2S«+3S«≠¡+2a« lim (2S«+3S«≠¡+2a«) 2_3+3_3+2_0


따라서 lim = n⁄¶ = =:¡6∞:=;2%;
n⁄¶ S«+S«≠¡ lim (S«+S«≠¡) 3+3
nڦ

Ⅰ. 수열의 극한 77
등비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10 등비수열 {a«}에 대하여 N; +' !a«=3, N; +' !a«¤ =;5(;일 때, N; +' !a«‹ 의 값은?
있게 한다.

① ;2#; ✓ ② ;1@9&; ③ ;2@0&;

④ ;7(; ⑤ ;2@2&;

풀이 등비수열 {a«}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등비수열 {a«¤ }의 첫째항은 a¤ , 공비는 r¤ 이다.

두 급수 N; +' !a«, N; +' !a«¤ 이 각각 3, ;5(;으로 수렴하므로 |r|<1, |r¤ |<1

a
N; +' !a«= =3 yy ①
1-r
a¤ a¤
N; +' !a«¤ =
= =;5(; yy ②
1-r¤ (1-r)(1+r)
a
②에 ①을 대입하면 =;5#; yy ③
1+r
①, ③을 연립하여 풀면 a=1, r=;3@;

따라서 수열 {a«‹ }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3@;}3 인 등비수열이므로 급수 N; +' !a«‹ 은 수렴하고, 그 합은
1
=;1@9&;
1-{;3@;}3

a« a«+4« ±⁄ -5« —⁄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극한 11 수열 {a«}에 대하여 lim
n⁄¶ 5«
=2일 때, lim
n ⁄ ¶ 4« +5«
의 값은?
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①1 ② ;5^; ③ ;5&;

④ ;5*; ✓ ⑤ ;5(;

15+4{;5$;}n -;5!;

n+1 n-1 2+0-;5!;
a«+4 -5 5«
풀이 lim = lim = =;5(;
n⁄¶ 4« +5« n⁄¶ 0+1
{;5$;}n +1

수열의 극한에 대한 문제의 12 두 수열 {a«}, {b«}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게 보기
한다.
ㄱ. 두 수열 {a«}, {a«b«}이 모두 수렴하면 수열 {b«}도 수렴한다.
ㄴ. lim (a«+2b«)=6, lim (3a«+5b«)=3이면 lim b«=15이다.
nڦ nڦ nڦ


ㄷ. lim (a«-b«)=0이면 수열 [ ]은 수렴한다.
n⁄¶ a«

①ㄱ ✓② ㄴ ③ㄷ
④ ㄱ, ㄴ ⑤ ㄴ, ㄷ

풀이 ㄱ. a«=0, b«=n으로 놓으면 a«b«=0이므로 lim a«=0, lim a«b«=0이지만 lim b«=¶ (거짓)
nڦ nڦ nڦ

78 각론
교과서
47~48

ㄴ. lim (a«+2b«)=6, lim (3a«+5b«)=3이므로


nڦ nڦ

lim b«= lim {3(a«+2b«)-(3a«+5b«)}=3 lim (a«+2b«)- lim (3a«+5b«)


nڦ nڦ nڦ nڦ

=3_6-3=15 (참)
1 1
ㄷ. a«= , b«=;n!;일 때, lim (a«-b«)= lim { -;n!;}=0이지만
n¤ n⁄¶ n ⁄ ¶ n¤

;n!;
b« b«
lim = lim 1 = lim n=¶이므로 수열 `[ ]은 발산한다. (거짓)
14
n ⁄ ¶ a« n⁄¶ n⁄¶ a«

따라서 옳은 것은 ㄴ뿐이다.

등비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13 a¡=1, a«≠¡=a«+2(n=1, 2, 3, y)로 정의된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


있게 한다.

이라 할 때, lim 의 값은?
n⁄¶ 2n¤ +1

①1 ✓ ② ;2!; ③ ;3!;

④ ;4!; ⑤ ;5!;

풀이 a¡=1, a«≠¡=a«+2이므로 수열 {a«}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이다. 즉


n(a¡+a«) n(1+2n-1)
a«=1+2(n-1)=2n-1이므로 S«= = =n¤
2 2
S« n¤ 1
따라서 lim = lim = lim =;2!;
n⁄¶ 2n¤ +1 n ⁄ ¶ 2n¤ +1 n ⁄ ¶ 1
2+14

등비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문 14 0<a<b<1인 두 실수 a, b에 대하여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a, b인 두 등비급수의 합을 각각


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S¡, S™라 하자. 이차방정식 x¤ -7x+12=0의 두 근이 S¡, S™일 때, 3a+4b의 값은?
①2 ②3 ③4
✓④ 5 ⑤6
1 1
풀이 두 등비급수는 모두 수렴하므로 그 합은 각각 S¡= , S™=
1-a 1-b
1 1
0<a<b<1이므로 0<1-b<1-a<1에서 < , 즉 S¡<S™
1-a 1-b
x¤ -7x+12=0에서 (x-3)(x-4)=0, 즉 x=3 또는 x=4
이때 S¡<S™이므로 S¡=3, S™=4
1 1
즉 a=1- =1-;3!;=;3@;, b=1- =1-;4!;=;4#;
S¡ S™

따라서 3a+4b=3_;3@;+4_;4#;=2+3=5

Ⅰ. 수열의 극한 79
수렴하는 급수에 대한 참, 거 15 수렴하는 두 급수 ;N+' !a«, ;N+' !b«에 대하여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있는 대로 고른 것은?
짓을 판별할 수 있게 한다.
보기

ㄱ.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b«이면 lim a«> lim b«이다.


nڦ nڦ

ㄴ. ;N+' !a«>;N+' !b«이면 lim a«> lim b«이다.


nڦ nڦ

ㄷ.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æb«이면 ;N+' !a«æ;N+' !b«이다.

①ㄱ ②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ㄷ

풀이 ㄱ, ㄴ.두 급수 ;N+' !a«, ;N+' !b«이 모두 수렴하므로 lim a«= lim b«=0 (거짓)
nڦ nڦ

ㄷ.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æb«이므로 S«=;K+n !a˚, T«=;K+n !b˚로 놓으면 S«æT«

이때 두 수열 {S«}, {T«}이 수렴하므로 수열의 극한의 대소 관계에 의하여

lim S«æ lim T«, 즉 ;N+' !a«æ;N+' !b« (참)


nڦ nڦ

따라서 옳은 것은 ㄷ뿐이다.

부등식의 영역을 이용하여 수 16 n이 자연수일 때, 부등식 yæ-2x+5n을 만족시키는 두 실수 x, y에 대하여 x¤ +y¤ 의 최솟값을
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게

한다. a«이라 하자. 이때 lim 의 값은?
n⁄¶ n¤ +1
①1 ②2 ③ '5
④4 ✓⑤ 5

풀이 x¤ +y¤ =r¤ (r는 양수)로 놓고, 부등식 yæ-2x+5n을 만족하는 영역을 좌표평 y
y=-2x+5n
면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x@+y@=r@
r
이때 x¤ +y¤ =r¤ 의 최솟값은 원과 직선이 접할 때이다. 즉
|-5n| -r O r x
r= ='5n
"√2¤ +1¤
-r
이므로 a«=r¤ =5n¤
a« 5n¤ 5
따라서 lim = lim = lim =5
n⁄¶ n¤ +1 n ⁄ ¶ n¤ +1 n ⁄ ¶ 1+131

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문제를 17 어떤 고무공을 10 m의 높이에서 땅에 떨어뜨리면 그 공은 떨어진 높이의 ;9*;만큼 수직으로 다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튀어 오른다고 한다. 이와 같이 공이 한없이 튀어 오르는 과정을 반복할 때, 공이 움직인 거리는?
① 160 m ✓ ② 170 m ③ 180 m
④ 190 m ⑤ 200 m

풀이 10 m의 높이에서 떨어진 공이 떨어진 높이의 ;9*;만큼 수직으로 다시 튀어 오른 후 다시 떨어지는 과정을 한

없이 반복할 때, 공이 움직인 거리는

80 각론
교과서
48~49

n-1
10+10_;9*;_2+10_{;9*;}2 _2+10_{;9*;}3 _2+y=10+;N+' !;:!9^:); {;9*;}

이때 |;9*;|<1이므로 이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9^:);
10+ =10+160=170 (m)
1-;9*;

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문제를 18 어느 재활용 캔 생산 공장에서는 사용 후 수거된 100개의 캔 중 80 %를 재생산하였고, 재생산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캔은 사용 후 모두 이 공장으로 다시 수거된다고 한다. 이와 같이 캔은 사용 후 모두 수거되고, 수
거된 캔 중 80 %가 다시 재생산되는 과정을 한없이 반복한다고 할 때, 100개의 캔으로부터 재생
산되어 만들어진 캔의 개수의 합은?
① 320 ② 360 ✓ ③ 400
④ 440 ⑤ 480

풀이 사용 후 수거된 캔 중 80 %를 재생산하여 다시 사용하는 과정을 한없이 반복할 때, 재생산되어 만들어진 캔


의 개수는

100_0.8+100_(0.8)¤ +100_(0.8)‹ +y=;N+' !80(0.8)n-1


80
따라서 |0.8|<1이므로 이 급수는 수렴하고, 그 합은 =400
1-0.8

4a«+3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 19 수열 {a«}에 대하여 lim
n ⁄ ¶ a«+2
=3일 때, lim a«의 값을 구하여라.
nڦ
게 한다.

4a«+3
풀이 b«= 으로 놓으면
a«+2
3-2b«
b«(a«+2)=4a«+3, (b«-4)a«=3-2b«, a«=
b«-4
4a«+3
따라서 lim b«= lim =3이므로
n⁄¶ n⁄¶ a«+2
3-2b« 3-2_3
lim a«= lim = =3
n⁄¶ n⁄¶ b«-4 3-4

n-1
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 20 등비급수 N; +' !4 {-;3!;} 의 합을 구하여라.
게 한다.

풀이 주어진 등비급수는 첫째항이 4이고 공비가 -;3!;이므로 그 합은

4
=3
1-{-;3!;}

Ⅰ. 수열의 극한 81
≠˙¸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순환소 21 등비급수를 이용하여 순환소수 0.1H2H7을 분수로 나타내는 풀이 과정과 그 답을 써라.
수를 분수로 나타낼 수 있게
한다. 풀이 0.1H2H7=0.1272727y
=0.1+0.027+0.00027+0.0000027+y

=;1¡0;+;10@0&0;+;100@0&00;+;1000@0&000;+y yy ① 배점 50 %

이때 급수 ①은 첫째항이 ;10@0&0;이고 공비가 ;10!0;인 등비급수이므로

;10@0&0;
0.1H2H7=;1¡0;+ =;1¡0;+;9™9¶0;
1-;10!0;

=;1¡0;+;11#0;=;1¡1¢0;=;5¶5; 배점 50 %

수렴하는 급수의 조건을 이용 22 수열 {a«}에 대하여 급수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a™ a£ a¢
한다. (a¡-1)+{ -1}+{ -1}+{ -1}+y
2 3 4
a«-2n
이 수렴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n⁄¶ a«+3n
a™ a£ a¢ a«
풀이 (a¡-1)+{ -1}+{ -1}+{ -1}+y=;N+' !{ -1}
2 3 4 n
a« a«
이때 주어진 급수가 수렴하므로 lim { -1}=0, 즉 lim =1
nڦ n nڦ n

14-2

a«-2n n 1-2
따라서 lim = lim = =-;4!;
n ⁄ ¶ a«+3n n ⁄ ¶ a«
14+3
1+3
n

≠˙¸

수열의 합과 일반항 사이의 23 수열 {a«}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이 S«=(n+1)¥2« 일 때, lim
n ⁄ ¶ a«+a«≠¡
의 값을 구
관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게 한다. 하는 풀이 과정과 그 답을 써라.

풀이 næ2일 때
a«=S«-S«–¡
=(n+1)¥2« -n¥2« —⁄
={(2n+2)-n}¥2« —⁄
=(n+2)¥2« —⁄ 배점 40 %

따라서
S« (n+1)¥2«
lim = lim
n⁄¶ a«+a«≠¡ n ⁄ ¶ (n+2)¥2« —⁄ +(n+3)¥2«
2(n+1)
= lim
nڦ (n+2)+2(n+3)
2n+2
= lim =;3@; 배점 60 %
nڦ 3n+8

82 각론
교과서
49

부분합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 24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의 합을 S,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이라 할 때,
결할 수 있게 한다.

S-S«<;10¡00;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3
풀이 첫째항이 3, 공비가 ;2!;인 등비급수의 합이 S이므로 S= =6
1-;2!;

3[1-{;2!;}n ]
제 n항까지의 부분합이 S«이므로 S«= =6-6{;2!;}n
1-;2!;

S-S«<;10¡00;에서 6-[6-6{;2!;}n ]=
6
<;10¡00;

n-1
즉2 >3000 yy ①
이때 2⁄ ⁄ =2048, 2⁄ ¤ =4096이므로 ①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범위는
n-1æ12, 즉 næ13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13이다.

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문제를 25 그림과 같이 길이가 1인 3개의 선분으로 만든 도형을 R¡이라 하자. 도형 R¡의 위쪽에 있는 두 선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분의 끝에 도형 R¡을 ;3!;배한 도형을 각각 붙여 만든 도형을 R™라 하자.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형
n-1
R«–¡의 가장 위쪽에 있는 2« —⁄ 개의 선분의 끝에 도형 R¡을 {;3!;} 배한 도형을 각각 붙여 만든 도

형을 R«이라 하자. 도형 R«을 이루는 모든 선분의 길이의 합을 l«이라 할 때, lim l«의 값을 구하


nڦ

여라.


1

R¡ R™ R£ …

풀이 l¡=3

l™=3+2_3_;3!;

l£=3+2_3_;3!;+2¤ _3_{;3!;}2

l¢=3+2_3_;3!;+2¤ _3_{;3!;}2 +2‹ _3_{;3!;}3

=;K+n !3{;3@;}
n-1 k-1
l«=3+2_3_;3!;+2¤ _3_{;3!;}2 +2‹ _3_{;3!;}3 +y+2n-1_3_{;3!;}
k-1 n-1
3
따라서 lim l«= lim ;K+n !3{;3@;} =;N+' !3{;3@;} = =9
nڦ nڦ
1-;3@;

Ⅰ. 수열의 극한 8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