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미적분학1 12.

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1. 구분구적법 오른쪽 아래 그림에서 정 𝑛각형의 넓이를 𝑆_〖𝑛〗 이라고 하면


𝑆_〖𝑛〗 = ∆OAB  ×   𝑛 = 〖〖1〗〗/〖〖2〗〗  〖¯〖AB〗〗  ×  ℎ_〖𝑛〗
1 구분구적법 ×𝑛
= 〖〖1〗〗/〖〖2〗〗   ℎ_〖n〗 ×   𝑛  ×  ¯〖AB〗
오른쪽 그림과 같은
그런데 정 𝑛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𝑙 _〖𝑛〗 이라고 하면
직사각형의 넓이 𝑆_
𝑛  ¯〖 AB〗 = 𝑙_〖𝑛〗 ∴ 𝑆_〖𝑛〗 = 〖〖1〗〗
〖1〗 과 삼각형의 넓이 /〖〖2〗〗  ℎ_〖𝑛〗  𝑙_〖𝑛〗  
𝑆_〖2〗 는 각각 여기에서
𝑆_〖1〗 = 𝑎𝑏, 𝑆_〖2〗 = 〖〖1〗〗/〖〖2〗〗 𝑎𝑏 𝑛  →  ∞일 때 𝑙_〖𝑛〗   →  2𝜋𝑟 , ℎ  →  𝑟 
라는 것은 이미 알고 있다. 이므로 원의 넓이 𝑆는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은 직사각형과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은 다각 𝑆 = lim┬〖𝑛 → ∞〗 \{𝑆_〖𝑛〗 = lim┬〖𝑛
→ ∞〗 〖 〖〖1〗〗
형의 넓이를 구하는 기본이 된다.
/〖〖2〗〗  ℎ_〖𝑛〗  𝑙_〖𝑛〗
이를테면 오른쪽 그림과 같은 다각형이 주어진 경우 = 〖〖1〗〗/〖〖2〗〗  𝑟  ×  2𝜋𝑟
(ⅰ) 이 다각형을 적당한 삼각형과 사각형 = 〖𝝅𝒓^〖2〗  〗〗
으로 나눈다. 반지름의 길이가 𝑟 인 원의 둘레의 길이가 2𝜋𝑟라는

(ⅱ) 각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것을 이용하였다. 이 역시 내접하는 다각형의 변의 길이의

(ⅲ) 이 값을 더한다. 합으로 근사시켜 구할 수 있다.

는 순서로 다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극한의 개념을 이용하면 입체의 부피도 구활 수

그러나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경우는 삼각형이나 사각 있다. 이를테면 구나 원뿔과 같은 입체를 원기둥 또는 직육면

형만으로 그 도형을 나눌 수 없으므로 위와 같은 방법만으로 체의 합으로 근사시킨 다음, 부피의 합의 극한을 구하면 된다.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없다. 이런 경우 곡선으로 둘러싸인 구분구적법

부분을 다각형으로 근사할 수 있으므로 위의 방법에 극한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면도형의 넓이나 입체도형의
이용하면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부피를 구하는 것을 구분구적법이라고 한다.
이를테면 반지름의 길이가 𝑟 인 원의 넓이가 𝜋𝑟^〖2〗  이라는
(ⅰ) 주어진 도형을 충분히 작은 𝑛개의 기본 도형으로
것도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한 공식이다.
나누어 근사시킨다.
▶ 반지름의 길이가 𝑟인 원의 넓이
(ⅱ) 기본 도형들의 넓이의 합 𝑆_〖𝑛〗 또는 부피의 합 𝑉
오른쪽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𝑟
_〖𝑛〗 을 구한다.
인 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과 정팔각형
(ⅲ) lim┬〖𝑛 → ∞〗 〖𝑆_〖𝑛〗 〗 또는 lim┬〖𝑛 → ∞〗 〖𝑉_〖𝑛〗 〗을
을 그려보면 정팔각형의 넓이가 정사각
구한다.
형의 넓이보다 원의 넓이에 더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원에 내접
하는 정 𝑛각형을 생각하면 그 넓이는 𝑛의 값이 크면 클수록
원의 넓이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𝑛이 무한히 커질 때 원에 내접하는 정 𝑛각형의 넓이
가 원의 넓이에 한없이 가까워진다고 말할 수 있다. 이에 착
안하면 다음과 같이 원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1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기본 문제 12-1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𝑟  이고 높이가 ℎ  인 직원뿔의 부


포물선 𝑦 = 𝑥^〖2〗  과 직선 𝑥 = 1  그리고 𝑥 축으로 둘러싸 피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하여라.
인 도형의 넓이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하여라. 정석연구 먼저 아래 그림 ①과 같이 직원뿔의 높이 ℎ를
정석연구 먼저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이 구간 [0,    1] 을 𝑛 등분 𝑛등분하여 𝑛 − 1개의 직원기둥의 부피의 합을 생각한다.
하여 𝑛개의 직사각현의 넓이의 합을 구한 다음 𝑛  →  ∞를 생
각한다.

이 때 각 직원기둥의 높이는 〖〖ℎ〗〗/〖〖𝑛〗〗 이다. 또, 그림


②(단면도)에서
모법답안
𝑥 :   〖〖ℎ〗〗/〖〖𝑛〗〗 = 𝑟 :  ℎ ∴ ℎ𝑥 = 〖〖ℎ𝑟〗〗/〖〖𝑛〗〗
∴ 𝑥 = 〖〖𝑟〗〗/〖〖𝑛〗〗
같은 방법으로 하면 각각의 직원기둥의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는 위부터
〖〖𝑟〗〗/〖〖𝑛〗〗 , 〖〖2𝑟〗〗/〖〖𝑛〗〗 , 〖〖3𝑟〗〗/〖〖𝑛〗〗 , ⋯,
〖〖(𝑛 − 1)𝑟〗〗/〖〖𝑛〗〗
임을 알 수 있다.
모법답안

유제 12-2 밑면은 한 변의 길이가 𝑎  인 정사각형이고 높


4

이가 ℎ 인 정사각뿔의 부피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하여라.

유제 12-1 곡선 𝑦 = 𝑥^2 과 직선 𝑥 = 2   그리고 𝑥 축으로


2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분구적법으로 구하여라.

기본 문제 12-2

2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2. 정적분의 정의

1 정적분의 정의
구분구적법을 응용하면 연속함
수 𝑦 = 𝑓(𝑥) 의 그래프가 구간 [𝑎
,  𝑏]에서 𝑥 축과 이루는 도형의 넓
이도 구할 수 있다.
곧, 함수 𝑦 = 𝑓(𝑥)가 닫힌 구간
[𝑎,  𝑏] 에서 연속이며 𝑓(𝑥) ≥ 0일
때, 곡선 𝑦 = 𝑓(𝑥) 와 𝑥 축, 두 직
선 𝑥 = 𝑎, 𝑥 = 𝑏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𝑆를 구해 보자.
(ⅰ) 구간 [𝑎,  𝑏]를 𝑛등분하여 양 끝 점과 각 분점의 𝑥 좌표를
𝑥_〖0〗 (= 𝑎), 𝑥_〖1〗 , 𝑥_〖2〗 , ⋯, 𝑥_〖𝑛 − 1〗 , 𝑥_〖𝑛〗 (= 𝑏)
이라 하고, 위의 그림과 같이 수선을 세워 직사각형을 만든
다.
(ⅱ) 이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 𝑆_〖𝑛〗 을 구한다.
각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𝑏 − 𝑎〗〗/〖〖𝑛〗〗 이다. 이것을
𝛥𝑥 라고 하자.
또, 세로의 길이는 각각 𝑓(𝑥_〖1〗 ), 𝑓(𝑥_〖2〗 ), ⋯, 𝑓(𝑥_〖𝑛 − 1〗
), 𝑓(𝑥_〖𝑛〗 )이다.
∴ 𝑆_〖𝑛〗 = 𝑓(𝑥_〖1〗 )𝛥𝑥 + 𝑓(𝑥_〖2〗 )𝛥𝑥 + ⋯ + 𝑓(𝑥_〖𝑛 − 1〗 )𝛥𝑥 +
𝑓(𝑥_〖𝑛〗 )𝛥𝑥
= ∑_〖𝑘 = 1〗^〖𝑛〗 ▒𝑓(𝑥_〖𝑘〗 )𝛥𝑥
(ⅲ) 𝑛  →  ∞일 때 𝑆_〖𝑛〗 의 극한을 생각한다. 곧,
lim┬〖𝑛 → ∞〗 〖𝑆_〖𝑛〗 =
lim┬〖𝑛 → ∞〗 〖∑_〖𝑘 = 1〗^〖𝑛〗
▒𝑓(𝑥_〖𝑘〗 )𝛥𝑥〗〗
이것이 구하는 넓이 𝑆이다.
일반적으로 함수 𝑓(𝑥)가 닫
힌 구간 [𝑎,  𝑏] 에서 연속일

𝑆_〖𝑛〗 = ∑_〖𝑘 = 1〗^〖𝑛〗 ▒𝑓(𝑥_〖𝑘〗 )𝛥𝑥
는 𝑥 축 위쪽에 있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에서 𝑥 축 아래쪽에
있는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뺀 것과 같다. 이것은 𝑓(𝑥) <
0인 구간에서는 𝑓(𝑥_〖𝑘〗 ) < 0이므로 이 구간에서의 𝑓(𝑥_〖𝑘〗 )
𝛥𝑥 는 음수이기 때문이다.
이때, 함수 𝑓(𝑥)가 닫힌 구간 [𝑎,  𝑏]에서 연속이면
lim┬〖𝑛 → ∞〗 〖𝑆_〖𝑛〗 = lim┬〖𝑛 → ∞〗 〖∑_〖𝑘 = 1〗^〖𝑛〗
▒𝑓(𝑥_〖𝑘〗 )𝛥𝑥〗〗
가 존재한다.

3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각각 𝑆_〖1〗 , 𝑆_〖2〗 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𝑆_〖1〗 〗,
정적분의 정의 ∫ _〖𝑏〗^〖𝑐〗 ▒〖𝑓(𝑥)𝑑𝑥 = −𝑆_〖2〗 〗 ,
∫ _〖𝑎〗^〖𝑐〗 ▒〖𝑓(𝑥)𝑑𝑥
= 𝑆_〖1〗
− 𝑆_〖2〗 〗
함수 𝑓(𝑥)가 닫힌 구간 [𝑎,  𝑏]에서 연속이라고 하자.
구간 [𝑎,  𝑏]를 𝑛등분하여 양 끝 점과 각 분점의 𝑥 좌표
2
를 정
𝑥_〖0〗 (= 𝑎), 𝑥_〖1〗 , 𝑥_〖2〗 , ⋯, 𝑥_〖𝑛 − 1〗 , 𝑥_〖𝑛〗 적분
(= 𝑏)

부정
이라 하고 〖〖𝑏 − 𝑎〗〗/〖〖𝑛〗〗 = 𝛥𝑥라고 할 때,
적분
의 관계
함수 𝑓(𝑡)가 구간 [𝑎,  𝑏]에서 연
속이고 𝑓(𝑡) ≥ 0이라고 하자.
lim┬〖𝑛 → ∞〗 〖∑_〖𝑘 = 1〗^
𝑦 = 𝑓(𝑡) 와 𝑡 축, 𝑡 = 𝑎 , 𝑡 = 𝑥 (𝑎 ≤ 𝑥 ≤ 𝑏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𝑥 에 관한 함수이므로 𝑆(𝑥)로 나타낼 수 있다.
이제 𝑆(𝑥)의 순간변화율을 생각해 보자.
〖𝑛〗 ▒𝑓(𝑥_〖𝑘〗 )𝛥𝑥〗 (𝑥_〖𝑘〗 = 𝑎 + 𝑘(𝛥𝑥))
𝑥 의 값이 𝛥𝑥 (> 0)만큼 변할 때 넓이의 변화량 𝛥𝑆는 오른쪽
의 값을 함수 𝑓(𝑥)의 𝑎에서 𝑏까지의 정적분이라 하고,
아래 그림에서 초록 점찍은 부분의 넓이이다.
∫ _〖𝑎〗^〖𝑏〗 ▒〖𝑓(𝑥)𝑑𝑥〗로 나타낸다. 곧,
그런데 𝑦 = 𝑓(𝑡) 가 연속함수이므로 𝛥𝑥 가 충분히 작으면 붉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lim┬〖𝑛 → ∞〗 〖∑_〖𝑘 =
1〗^〖𝑛〗 ▒𝑓(𝑥_〖𝑘〗 )𝛥𝑥〗 은 직사각형의 넓이 𝑓(𝑥)𝛥𝑥 와 𝛥𝑆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또, ∫ _〖𝑎〗^〖𝑏〗 ▒〖𝑓(𝑥)𝑑𝑥〗의 값을 구하는 것을 𝑓(𝑥)를 ∴  lim┬〖𝛥𝑥 → 0〗 〖 〖〖𝛥𝑆〗〗/〖〖𝛥𝑥〗〗 = lim┬〖𝛥𝑥 → 0〗 〖
〖〖𝑓(𝑥)𝛥𝑥〗〗/〖〖𝛥𝑥〗〗 = 𝑓(𝑥)〗〗 ⋯①
𝑎에서 𝑏까지 적분한다고 하며, 𝑎와 𝑏를 각각 정적분의
곧, 𝑆(𝑥)의 도함수는 𝑓(𝑥)이다.
아래끝, 위끝이라고 한다.
그런데 정적분의 정의에서 𝑆(𝑥) = ∫ _〖𝑎〗^〖𝑥〗 ▒〖𝑓(𝑡)𝑑𝑡〗이므
로 다음이 성립한다.
적분과 미분의 관계

1^〖°〗 오른쪽 그림에 𝑓(𝑥)가 구간 [𝑎,  𝑏]에서 연속이면

서와 같은 방법으로 정적분을 구 〖〖𝑑〗〗/〖〖𝑑𝑥〗〗 ∫ _〖𝑎〗^〖𝑥〗 ▒〖𝑓(𝑡)𝑑𝑡 = 𝑓(𝑥)〗 (𝑎


< 𝑥 < 𝑏)
하면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lim┬〖𝑛
→ ∞〗 〖∑_〖𝑘 = 1〗^〖𝑛 − 1〗 ▒𝑓(𝑥_
〖𝑘〗 )𝛥𝑥〗 또, 𝑓(𝑥)의 부정적분 중 하나를 𝐹(𝑥)라고 하면 𝑆(𝑥) 도 𝑓(𝑥)
일반적으로 𝑓(𝑥) 가 연속함수일 의 부정적분이므로 적당한 상수 𝐶 가 있어 𝑆(𝑥) = 𝐹(𝑥) + 𝐶 로
때 나타낼 수 있다.
lim┬〖𝑛 → ∞〗 〖∑_〖𝑘 = 1〗^〖𝑛〗 ▒𝑓(𝑥_〖𝑘〗 )𝛥𝑥 = lim┬〖𝑛 넓이의 정의에서 𝑆(𝑎) = 0이므로 𝐶 = −𝐹(𝑎),
→ ∞〗 〖∑_〖𝑘 = 0〗^〖𝑛 − 1〗 ▒𝑓(𝑥_〖𝑘〗 )𝛥𝑥〗〗
곧 𝑆(𝑥) = 𝐹(𝑥) − 𝐹(𝑎)이다.
가 성립한다.
∴  𝑆(𝑏) = 𝐹(𝑏) − 𝐹(𝑎) 곧, ∫ _〖𝑎〗^〖𝑏〗 ▒〖𝑓(𝑡)𝑑𝑡〗 = 𝐹(𝑏
따라서 정적분은 어떤 방법으로 정의해도 된다. ) − 𝐹(𝑎)
2^〖°〗 앞면에서 𝑓(𝑥) ≥ 0이면 𝑆_〖𝑛〗 ≥ 0이고, 𝑓(𝑥) < 0이면 𝑆 이 관계를 미적분의 기본 정리라고 한다.
_〖𝑛〗 < 0인 것과 마찬가지로 𝑆_〖𝑛〗 의 극한인 정적분에서도 미적분의 기본 정리
같은 뜻을 가진다.
이를테면 𝑦 = 𝑓(𝑥) 의 그래프가 오른쪽 아래 그림과 같고, 𝑥 𝑓(𝑥)가 구간 [𝑎,  𝑏]에서 연속이고 ∫ _〖〗^〖〗 ▒〖𝑓(𝑥)𝑑𝑥 =
𝐹(𝑥) + 𝐶  〗이면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𝐹(𝑥)]_〖𝑎〗^〖𝑏〗 〗 = 𝐹(𝑏
4 ) − 𝐹(𝑎)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𝑑𝑡 이므로
𝐹(−𝑥)는 위끝의 𝑥 의 부호만 바뀐다.
곧 , 𝐹(−𝑥) = ∫ _1^〖 − 𝑥〗 ▒(𝑡^3 − 2)  𝑑𝑡 = ∫ _1^〖 − 𝑥〗 ▒(𝑥^3
− 2)  𝑑𝑥
답 ④
기본 문제 12-3

보 기 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⑴ ∫ _1^3 ▒3𝑥^2 𝑑𝑥 ⑵ ∫ _〖1〗^〖3〗 ▒〖(6𝑥^〖2〗 −


4𝑥 + 3)〗  𝑑𝑥

연 구 다음 미적분의 기본 정리를 이용한다.


정 석 𝑓(𝑥) 가 구간 [𝑎,  𝑏] 에서 연속이고 ∫ _〖〗^〖〗 ▒〖𝑓(𝑥)𝑑𝑥

= 𝐹(𝑥) + 𝐶  〗일 때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𝐹(𝑥)]_〖𝑎〗^〖𝑏〗 〗 = 𝐹(𝑏) − 𝐹(𝑎
)
(1) 먼저 부정적분 ∫ _〖〗^〖〗 ▒〖3𝑥^〖2〗 𝑑𝑥〗를 구한다. 곧, ∫ _〖〗^
〖〗 ▒〖3𝑥^〖2〗 𝑑𝑥 = 𝑥^〖3〗 + 𝐶〗
다음에 𝑥^〖3〗 + 𝐶에 𝑥 = 3을 대입한 값에서 𝑥 = 1을 대입한
값을 뺀다. 긜고 이것을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 계산한다.
∫ _〖1〗^〖3〗 ▒〖〗  3𝑥^〖2〗  𝑑𝑥 = [ 𝑥^〖3〗 + 𝐶 ]_〖1〗^
〖3〗 = (3^〖3〗 + 𝐶) − (1^〖3〗 + 𝐶) = 26
이때, 상수 𝐶 의 값에 관계없이 정적분의 값은 일정하므로 𝐶
를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 것이 보통이다.
∫ _〖1〗^〖3〗 ▒〖〗  3𝑥^〖2〗  𝑑𝑥 = [ 𝑥^〖3〗  ]_〖1〗^〖3〗 = 3^
〖3〗 − 1^〖3〗 = 26
(2) ∫ _〖1〗^〖3〗 ▒〖(6𝑥^〖2〗 − 4𝑥 + 3)𝑑𝑥 = [2𝑥^〖3〗 − 2𝑥^〖2〗 +
3𝑥]_〖1〗^〖3〗 〗
= (2 × 3^〖3〗 − 2 × 3^〖2〗 + 3 × 3) − (2 × 1^
〖3〗 − 2 × 1^〖2〗 + 3 × 1) = 42
∫ _〖〗^〖〗 ▒〖𝑓(𝑥)𝑑𝑥 = 𝐹(𝑥) + 𝐶  〗라고 할 때,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𝐹(𝑥)]_〖𝑎〗^〖𝑏〗 〗 = 𝐹(𝑏) − 𝐹(𝑎),∫ _〖𝑎〗^
〖𝑏〗 ▒〖𝑓(𝑡)𝑑𝑡 = [𝐹(𝑡)]_〖𝑎〗^〖𝑏〗 〗 = 𝐹(𝑏) − 𝐹(𝑎)이므로
정 석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 _〖𝑎〗^〖𝑏〗 ▒〖𝑓(𝑡)𝑑𝑡〗〗
이다. 따라서 적분변수 𝑥 가 다른 변수 𝑡로 바뀌어도 정적분의
값에는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보 기 2 𝐹(𝑥) = ∫ _1^𝑥 ▒(𝑥^3 − 2)  𝑑𝑥일 때, 다음 중 𝐹(−𝑥)


와 같은 것은?
① ∫ _1^𝑥 ▒(−𝑥^3 − 2)  𝑑𝑥 ② ∫ _〖 − 1〗^〖 − 𝑥〗 ▒(𝑥^3
− 2)  𝑑𝑥
③ ∫ _1^〖 − 𝑥〗 ▒(−𝑥^3 − 2)  𝑑𝑥 ④ ∫ _1^〖 − 𝑥〗 ▒(𝑥^3 − 2
)  𝑑𝑥
⑤ −∫ _1^𝑥 ▒(𝑥^3 − 2)  𝑑𝑥
연 구 𝐹(𝑥) = ∫ _1^𝑥 ▒(𝑥^3 − 2)  𝑑𝑥 = ∫ _1^𝑥 ▒(𝑡^3 − 2)  

5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유제 12-3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6

⑴ ∫ _〖 − 1〗^2 ▒(𝑥^3 + 9𝑥^2 − 6𝑥 − 4)  𝑑𝑥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⑵ ∫ _〖 − 1〗^1 ▒𝑥(1 − 𝑥)^2 𝑑𝑥
⑴ ∫ _0^1 ▒(𝑥 − 1)(𝑥^2 + 𝑥 + 1)  𝑑𝑥 ⑶ ∫ _2^3 ▒(𝑦 − 2)(𝑦^2 + 2𝑦 + 4)  𝑑𝑦
⑵ ∫ _〖 − 1〗^2 ▒(𝑡 + 1)(𝑡^2 − 1)  𝑑𝑡

정석연구 먼저 부정적분을 구한 다음
정 석 𝑓(𝑥)가 구간 [ 𝑎,  𝑏 ]에서 연속이고 ∫ ▒  𝑓(𝑥)  𝑑𝑥 =
𝐹(𝑥) + 𝐶 이면
∫ _𝑎^𝑏 ▒𝑓(𝑥)  𝑑𝑥 = [ 𝐹(𝑥) ]_𝑎^𝑏 = 𝐹(𝑏) − 𝐹(𝑎) 기본 문제 12-4
를 이용한다.
또, 일반적으로 [ 𝑎𝑥^3 + 𝑏𝑥^2 + 𝑐𝑥 ]_𝛼^𝛽 의 계산은

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이 두


개 이상일 때는 ①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이를테면 ∫ _2^3 ▒(8𝑥^2 − 6𝑥)  𝑑𝑥는
∫ _2^3 ▒(8𝑥^2 − 6𝑥)  𝑑𝑥 = [ 2𝑥^4 − 3𝑥^2 ]_2^3 = 2(3^4 −
2^4 ) − 3(3^2 − 2^2 ) = 115
와 같이 계산하면 된다.
[ 𝑎𝑥^3 + 𝑏𝑥^2 +
𝑐𝑥 ]_𝛼^𝛽 =
(𝑎𝛽^3 + 𝑏𝛽^2 + 𝑐𝛽) − (𝑎𝛼^3 + 𝑏𝛼^2
+ 𝑐𝛼)
𝑎(𝛽^3 − 𝛼^3 ) + 𝑏(𝛽^2 − 𝛼^2 ) + 𝑐(𝛽 −
𝛼) ⋯ ⋯ ①
모법답안

6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유제 12-4 아래 그림의 점 찍은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


8

아래 그림의 점 찍은 부분의 넓이 S  를 구하여라.

(1)   (2)  

정석연구 구간 [𝑎,  𝑏]에서 곡선 𝑦 = 𝑓(𝑥)와 𝑥 축 사이의 넓이

를 S라고 할 때, S는 다음과 같이 정적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

특히 구간 [𝑎,  𝑏]에서 𝑓(𝑥) < 0인 경우


‘−’를 붙여서 S = −∫ _〖𝑎〗^〖𝑏〗 ▒〖𝑓(𝑥)𝑑𝑥〗
라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모법답안

7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3. 정적분의 계산 2 정적분의 기본 공식


정적분을 계산하는 데 이용되는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다.
1 정적분에 관한 기본 정의 이들은 모두 𝑎, 𝑏, 𝑐의 대소에 관계없이 성립한다.
지금까지 정적분은 정적분의 기본 공식
𝑎 < 𝑏일 때 ∫ _〖𝑎〗^〖𝑏〗 ▒〖𝑓(𝑥)𝑑𝑥〗
⑴ ∫ _〖𝑎〗^〖𝑏〗 ▒〖𝑘𝑓(𝑥)𝑑𝑥〗 = 𝑘∫ _〖𝑎〗^〖𝑏〗 ▒〖𝑓(𝑥)𝑑𝑥〗 (단,
로 정의하였다. 𝑎 = 𝑏, 𝑎 > 𝑏일 때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𝑘는 상수)
정적분에 관한 기본 정의
⑵ ∫ _〖𝑎〗^〖𝑏〗 ▒〖{𝑓(𝑥) ± 𝑔(𝑥)}𝑑𝑥〗 = ∫ _〖𝑎〗^〖𝑏〗 ▒〖𝑓(𝑥)

⑴ ∫ _〖𝑎〗^〖𝑎〗 ▒〖𝑓(𝑥)𝑑𝑥〗 = 0 𝑑𝑥 ± ∫ _〖𝑎〗^〖𝑏〗 ▒〖𝑔(𝑥)𝑑𝑥〗〗


(복부호동순)
⑵ 𝑎 > 𝑏 일 때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 _〖𝑏〗^〖𝑎〗 ▒〖𝑓
(𝑥)𝑑𝑥〗〗 ⑶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 _〖𝑎〗^〖𝑐〗 ▒〖𝑓(𝑥)𝑑𝑥 + ∫ _〖𝑐〗
^〖𝑏〗 ▒〖𝑓(𝑥)𝑑𝑥〗〗〗

이를테면 ⑴, ⑵는 다음 부정적분의 성질에서 쉽게 이해할


∫ _〖0〗^〖0〗 ▒〖𝑓(𝑥)𝑑𝑥〗 = 0 , ∫ _〖1〗^〖1〗 ▒〖𝑓(𝑥)𝑑𝑥〗 = 0 , ∫ _ 수 있다.
〖3〗^〖1〗 ▒〖𝑓(𝑥)𝑑𝑥 = −∫ _〖1〗^〖3〗 ▒〖𝑓(𝑥)𝑑𝑥〗〗 ∫ _〖〗^〖〗 ▒〖𝑘𝑓(𝑥)𝑑𝑥 = 𝑘∫ _〖〗^〖〗 ▒〖𝑓(𝑥)𝑑𝑥〗〗(단, 𝑘  는
이다. 또한 위의 정의에 의하면 𝑎 > 𝑏일 때에도
상수)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 _〖𝑏〗^〖𝑎〗 ▒〖𝑓(𝑥)𝑑𝑥〗〗 = −[𝐹(𝑥)]_
∫ _〖〗^〖〗 ▒〖(𝑓(𝑥) ± 𝑔(𝑥))〗𝑑𝑥 = ∫ _〖〗^〖〗 ▒〖𝑓(𝑥)𝑑𝑥 ±
〖𝑎〗^〖𝑏〗 ⇦ ∫ _〖〗^〖〗 ▒〖𝑓(𝑥)𝑑𝑥 = 𝐹(𝑥) + 𝐶 〗
= −[𝐹(𝑎) − 𝐹(𝑏)] = 𝐹(𝑏) − 𝐹(𝑎) ∫ _〖〗^〖〗 ▒〖𝑔(𝑥)𝑑𝑥〗〗(복부호동순)

가 성립하므로 𝑎, 𝑏의 대소에 관계없이 ⑶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 석 𝑓(𝑥)가 \[𝑎,  𝑏\}에서 연속이고 ∫ _〖〗^〖〗 ▒〖𝑓(𝑥)𝑑𝑥 = 𝐹( 𝑎 < 𝑐 < 𝑏 이고 𝑓(𝑥) ≥ 0 일 때,

𝑥) + 𝐶 〗이면 구간 [𝑎,  𝑏] 에서의 넓이는 두 구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𝐹(𝑥)]_〖𝑎〗^〖𝑏〗 = 𝐹(𝑏) − 𝐹(𝑎 간 [𝑎,  𝑐] , [𝑐,  𝑏] 에서의 넓이의
)〗 합과 같다고 이해하면 된다.
가 항상 성립한다.

보 기2
보 기1
정적분 ∫ _0^1 ▒3𝑥^2 𝑑𝑥 + ∫ _1^3 ▒3𝑥^2 𝑑𝑥의 값을 구하여라.
정적분 ∫ _3^1 ▒(𝑥^2 − 4𝑥 + 3)  𝑑𝑥의 값을 구하여라.

연 구 ∫ _0^1 ▒3𝑥^2 𝑑𝑥 + ∫ _1^3 ▒3𝑥^2 𝑑𝑥 = ∫ _0^3 ▒3𝑥^2


연 구 ∫ ▒  (𝑥^2 − 4𝑥 + 3)  𝑑𝑥 = 〖1〗/〖3〗 𝑥^3 − 2𝑥^2 + 3𝑥 𝑑𝑥 = [ 𝑥^3 ]_0^3 = 3^3 = 27
+ 𝐶 이므로
∫ _3^1 ▒(𝑥^2 − 4𝑥 + 3)  𝑑𝑥 = [ 〖1〗/〖3〗 𝑥^3 − 2𝑥^2 + 3𝑥 ]_3 보 기 3 ∫ _𝑎^𝑏 ▒𝑓(𝑥)  𝑑𝑥 = 𝑝 , ∫ _𝑏^𝑐 ▒𝑓(𝑥)  𝑑𝑥 = 𝑞 , ∫ _𝑎^𝑐
^1
▒𝑓(𝑥 + 4)  𝑑𝑥 = 𝑟일 때, 다음 정적분의 값을 𝑝,  𝑞,  𝑟로 나타내
= 〖1〗/〖3〗 (1^3 − 3^3 ) − 2(1^2 − 3^2 ) +
3(1 − 3) = 〖4〗/〖3〗 어라.
∫ _3^1 ▒(𝑥^2 − 4𝑥 + 3)  𝑑𝑥를 −∫ _1^3 ▒(𝑥^2 − 4𝑥 ⑴ ∫ _𝑏^𝑎 ▒𝑓(𝑥)  𝑑𝑥 ⑵ ∫ _𝑎^𝑐 ▒𝑓(𝑥)  𝑑𝑥
+ 3)  𝑑𝑥 로 변형하여 계산해도 같은 결과를 얻는다. ⑶ ∫ _𝑎^𝑐 ▒{𝑓(𝑥) + 𝑓(𝑥 + 4)}  𝑑𝑥

연 구 ⑴ ∫ _𝑏^𝑎 ▒𝑓(𝑥)  𝑑𝑥 = −∫ _𝑎^𝑏 ▒𝑓(𝑥)  𝑑𝑥 = −𝑝


⑵ ∫ _𝑎^𝑐 ▒𝑓(𝑥)  𝑑𝑥 = ∫ _𝑎^𝑏 ▒𝑓(𝑥)  𝑑𝑥 + ∫ _𝑏^𝑐 ▒𝑓(𝑥)  𝑑𝑥 =
𝑝+𝑞
⑶ ∫ _𝑎^𝑐 ▒{𝑓(𝑥) + 𝑓(𝑥 + 4)}  𝑑𝑥 = ∫ _𝑎^𝑐 ▒𝑓(𝑥)  𝑑𝑥 +∫ _𝑎^𝑐
▒𝑓(𝑥 + 4)  𝑑𝑥
=𝑝+𝑞+𝑟

8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9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기본 문제 12-5

11

다음 정적분의 값을 계산하여라.
9

다음 등식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1)∫ _1^2 ▒(√(𝑥) + 1)^3 𝑑𝑥 − ∫ _1^2 ▒(√(𝑥) − 1)^3 𝑑𝑥
∫ _𝛼^𝛽 ▒𝑎(𝑥 − 𝛼)(𝑥 − 𝛽)  𝑑𝑥 = − 〖𝑎〗/〖6〗 (𝛽 − 𝛼)^3 (단,
( 2 ) ∫ _0^〖 〖1〗/〖2〗 〗 ▒ 〖〖𝑥^3 〗〗/〖〖𝑥 − 1〗〗 𝑑𝑥 + ∫ _〖 〖1〗
𝑎는 상수)
/〖2〗 〗^0 ▒ 〖1〗/〖〖𝑦 − 1〗〗 𝑑𝑦
정석연구 (𝑥 − 𝛼)(𝑥 − 𝛽) 를 전개하여 부정적분을 구한다. 정

적분의 값은 정석연구 피적분함수가 각각 무리함수와 분수함수이므로 부


정 석 [ 𝑎𝑥^〖3〗 + 𝑏𝑥^〖2〗 + 𝑐𝑥 ]_〖𝛼〗^〖𝛽〗 = 𝑎(𝛽^3 − 𝛼^3
정적분을 바로 구할 수는 없다. 이런 경우
) + 𝑏(𝛽^2 − 𝛼^2 ) + 𝑐(𝛽 − 𝛼)
정 석 𝑎,  𝑏가 실수일 때
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이 능률적이다.
모법답안 (ⅰ) ∫ _𝑎^𝑏 ▒𝑓(𝑥)  𝑑𝑥 = ∫ _𝑎^𝑏 ▒𝑓(𝑡)  𝑑𝑡
(ⅱ) ∫ _𝑎^𝑏 ▒𝑓(𝑥)  𝑑𝑥 = −∫ _𝑏^𝑎 ▒𝑓(𝑥)  𝑑𝑥
(ⅲ) ∫ _𝑎^𝑏 ▒𝑓(𝑥)  𝑑𝑥 ± ∫ _𝑎^𝑏 ▒𝑔(𝑥)  𝑑𝑥 = ∫ _𝑎^𝑏 ▒{𝑓(𝑥) ± 𝑔(
𝑥)}  𝑑𝑥
(복부호동순)
를 이용하여 피적분함수를 다항식의 형태로 바꾸어 보아라.
모법답안

유제 12-6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2

(1) ∫ _0^1 ▒(𝑥 + 1)^3 𝑑𝑥 − ∫ _0^1 ▒(𝑥 − 1)^3 𝑑𝑥


(2) ∫ _〖0〗^〖2〗 ▒〖〗 〖〖𝑥^〖3〗 〗〗/〖〖𝑥 − 4〗〗 𝑑𝑥 + ∫ _〖2〗^〖0〗 ▒〖〗
〖〖4𝑦^〖2〗 〗〗/〖〖𝑦 − 4〗〗 𝑑𝑦
유제 12-5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0

기본 문제 12-7
⑴ ∫ _2^3 ▒(𝑥^2 − 5𝑥 + 6)  𝑑𝑥 ⑵ ∫ _0^2 ▒(2𝑥 − 𝑥^2 )  𝑑𝑥
⑶ ∫ _1^3 ▒2(𝑥 − 1)(3 − 𝑥)  𝑑𝑥

기본 문제 12-6

10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유제 12-7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4

13

⑴ ∫ _〖 − 1〗^1 ▒𝑥^3 (1 − 𝑥)^2 𝑑𝑥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⑵ ∫ _〖 − 1〗^〖0〗 ▒〖〗  (𝑥^〖5〗 + 𝑥^〖3〗 )  𝑑𝑥 + ∫ _〖0〗^〖1〗 ▒〖〗  (𝑥^
⑴ ∫ _〖 − 3〗^3 ▒(2𝑥^7 + 5𝑥^5 − 𝑥^3 + 3𝑥^2 + 𝑥 + 2)  𝑑𝑥 〖5〗 + 𝑥^〖3〗 )  𝑑𝑥

⑵ ∫ _〖 − 2〗^0 ▒(4𝑥^7 + 3𝑥^3 + 6𝑥^2 + 2)  𝑑𝑥


−∫ _〖2〗^〖0〗 ▒〖〗  (4𝑥^〖7〗 + 3𝑥^〖3〗 +
6𝑥^〖2〗 + 2)  𝑑𝑥

정석연구 위끝, 아래끝의 절댓값이 같다는 특징을 가진

문제이다. 기본 문제 12-8
(ⅰ) 𝑓(𝑥)가 우함수 곧, 𝑓(−𝑥) = 𝑓(𝑥)일 때에는 아래 왼쪽
그림에서
∫ _〖 − 𝑎〗^𝑎 ▒𝑓(𝑥)  𝑑𝑥 = 𝑆 + 𝑆 = 2𝑆 =
2∫ _0^𝑎 ▒𝑓(𝑥)  𝑑𝑥
(ⅱ) 𝑓(𝑥)가 기함수 곧, 𝑓(−𝑥) = −𝑓(𝑥)일 때에는 아래 오른쪽
그림에서
∫ _〖 − 𝑎〗^𝑎 ▒𝑓(𝑥)  𝑑𝑥 = −𝑆 + 𝑆 = 0

정 석 𝑓(−𝑥) = 𝑓(𝑥) (우함수) ⇨


∫ _〖 − 𝑎〗^𝑎 ▒𝑓(𝑥)  𝑑𝑥 =
2∫ _0^𝑎 ▒𝑓(𝑥)  𝑑𝑥
𝑓(−𝑥) = −𝑓(𝑥) (기함수) ⇨ ∫ _〖 − 𝑎〗^𝑎 ▒𝑓(𝑥)  𝑑𝑥 =
0
모법답안

11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유제 12-8 함수 𝑦 = 𝑓(𝑥)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을 때, 다


16

15

음을 구하여라.

𝑓(𝑥) = 〖{■(𝑥^〖2〗 + 1 &(𝑥 ≤ 1)@ − 𝑥 + 3&(𝑥 ≥ 1))┤〗 일 (1) ∫ _0^3 ▒𝑓(𝑥)𝑑𝑥

때,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2) ∫ _0^3 ▒𝑥𝑓(𝑥)𝑑𝑥

(1) ∫ _〖 − 1〗^1 ▒𝑓(𝑥)𝑑𝑥


(2) ∫ _0^3 ▒𝑓(𝑥)𝑑𝑥
(3) ∫ _〖0〗^〖3〗 ▒〖𝑥〗𝑓(𝑥)𝑑𝑥
기본 문제 12-9

정석연구 적분구간 안에서 함

수가 다를 때에는 적분구간을
나누어서 적분한다. 곧,
정 석 𝑓(𝑥) = 〖{■(  𝑔(𝑥) &(𝑎
≤ 𝑥 ≤ 𝑏)@  ℎ(𝑥) &(𝑏 ≤ 𝑥 ≤ 𝑐))
┤〗
일 때 , ∫ _〖𝑎〗^〖𝑐〗 ▒〖𝑓(𝑥)𝑑𝑥 = ∫ _〖𝑎〗^〖𝑏〗 ▒〖𝑔(𝑥)𝑑𝑥 + ∫ _〖𝑏〗^
〖𝑐〗 ▒〖ℎ(𝑥)𝑑𝑥〗〗〗
이 문제의 경우
(1) 적분구간이
[−1,  1]이므로
𝑓(𝑥) = 𝑥^〖2〗 + 1
(2), (3) 적분구간이
[0,  3]이므로
[0,  1]에서는 𝑓(𝑥) = 𝑥^〖2〗
+ 1,
[1,  3]에서는 𝑓(𝑥) = −𝑥 + 3
을 대입하여 적분하면 된다.
모법답안

12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유제 12-9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18

17

⑴ ∫ _〖 − 1〗^〖2〗 ▒〖〗   (𝑥 + ├| 𝑥 ┤| + 1)  𝑑𝑥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⑵ ∫ _0^3 ▒├| 𝑥^2 − 4 ┤|  
⑴ ∫ _0^1 ▒│ 𝑥 − 1 │  𝑑𝑥 ⑵ ∫ _0^3 ▒│ 𝑥 − 1 │   𝑑𝑥
𝑑𝑥
⑶ ∫ _0^2 ▒│ 𝑥^2 − 𝑥 │  𝑑𝑥

정석연구 적분구간 안에서 절댓값 기호 안의 부호가

양수인가, 음수인가를 판정하여 절댓값 기호를 없앤다.


이를테면 𝑦 = │ 𝑥 │일 때
기본 문제 12-10
(ⅰ) 구간 [ 0,  2 ]에서 │ 𝑥 │ =
𝑥 이므로
∫ _0^2 ▒│ 𝑥 │  𝑑𝑥 =
∫ _0^2 ▒𝑥  𝑑𝑥
(ⅱ) 구간 [ −1,  0 ]에서 │ 𝑥 │ =
−𝑥이므로
∫ _〖 − 1〗^0 ▒│ 𝑥 │  𝑑𝑥 = ∫ _〖 − 1〗^0 ▒(−𝑥)  𝑑𝑥
(ⅲ) 구간 [ −1,  2 ]에서는 𝑥 의 부호가 𝑥 = 0을 경계로 하여
변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적분구간을 [ −1,  0 ]과 [ 0,  2 ]로
나눈다.
∫ _〖 − 1〗^2 ▒│ 𝑥 │  𝑑𝑥 = ∫ _〖 − 1〗^0 ▒│ 𝑥 │  𝑑𝑥
+∫ _0^2 ▒│ 𝑥 │  𝑑𝑥 = ∫ _〖 − 1〗^0 ▒(−𝑥)  𝑑𝑥 +∫ _0^2 ▒𝑥  𝑑𝑥
모법답안

13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유제 12-10 오른쪽 그림은 삼차


20

19

함수 𝑓(𝑥) 의 도함수 𝑦 = 𝑓 ′(𝑥) 의


그래프의 개형이다.

오른쪽 그림은 미분가능한 𝑓(0) = 𝑓(3) = 0일 때, 다음 중


∫ _〖 − 1〗^𝑛 ▒𝑓(𝑥)  𝑑𝑥 의 값이 최대
가 되는 상수𝑛의 값은?
함수 𝑓(𝑥)의 도함수 ①0 ②1 ③2
④3 ⑤4
𝑦 = 𝑓 ′(𝑥)의 그래프의 개형이다.
𝑓(−2) = 𝑓(0) = 0, 𝑓(4) > 0
일 때, 다음 중 가장 큰 값은?
기본 문제 12-11
① ∫ _〖 − 4〗^0 ▒𝑓(𝑥)  𝑑𝑥 ② ∫ _〖 − 3〗^1
정석연구
▒𝑓(𝑥)  𝑑𝑥 주어진 𝑦 = 𝑓 ′(𝑥) 의 그래프로부터
③ ∫ _〖 − 2〗^2 ▒𝑓(𝑥)  𝑑𝑥 𝑦 = 𝑓(𝑥) 의 그
래프의
④ ∫ _〖개형을 ▒𝑓(𝑥)  𝑑𝑥
− 1〗^3유추해 본다. ⑤ ∫ _0^4 ▒𝑓(𝑥)  
𝑑𝑥
정 석 𝑦 = 𝑓(𝑥)의 증감은 ⇨ 𝑓 ′(𝑥)의 부호로 조사한다.
모법답안

14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21

다음 각 물음에 답하여라.
(1) 𝑓(𝑥) = 𝑎𝑥^2 + 𝑏𝑥 + 1이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수 𝑎, 𝑏의 값을 구하여라.
유제 12-12 곡선 𝑦 = 𝑓(𝑥)위의 점 (𝑥,  𝑦)에서의 접선의
23

(i) lim┬𝑥 → 1 〖〖𝑓(𝑥) − 𝑓(1)〗〗/〖〖𝑥 − 1〗〗 = 4 (ii)


기울기는 2𝑥 − 1이다. ∫ _0^2 ▒𝑓(𝑥)𝑑𝑥 = 13일 때,
∫ _0^1 ▒𝑓(𝑥)𝑑𝑥 = 1
(2) 𝑓^〖 ′〗 (𝑥) = 6𝑥 − 𝑎인 함수 𝑓(𝑥)가 다음 두 조건을 ∫ _0^1 ▒𝑓(𝑥)𝑑𝑥의 값을 구하여라.

만족시킬 때, 상수 𝑎의 값과 𝑓(𝑥)을 구하여라.


(i) 𝑓(1) = 0 (ii) ∫ _0^1 ▒𝑓(𝑥)𝑑𝑥 = 0

유제 12-13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하는 이차함수 𝑓(𝑥)를 구


24

유제 12-11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일차함수 𝑓(𝑥)를


22

하여라.
구하여라. 𝑓(0) = 2, ∫ _〖0〗^〖1〗 ▒〖𝑓(𝑥)𝑑𝑥 = 3, ∫ _〖0〗^〖1〗 ▒〖𝑥𝑓(
𝑓(2) = 0,  ∫ _0^1 ▒𝑥𝑓(𝑥)𝑑𝑥 = 〖1〗/〖3〗 𝑥)𝑑𝑥 = 2〗〗

기본 문제 12-12

15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유제 12-14 다음 등식을 만족하는 다항함수 𝑓(𝑥) 를 구하


26

25

여라.
다음 등식을 만족하는 다항함수 𝑓(𝑥)를 구하여라. (1) 𝑓(𝑥) = 4𝑥 + ∫ _0^3 ▒𝑥𝑓^〖 ′〗 (𝑥)𝑑𝑥
(1) 𝑓(𝑥) = 2𝑥 + ∫ _0^2 ▒𝑓(𝑥)𝑑𝑥 (2) 𝑓(𝑥) = 𝑥^〖3〗 − 3𝑥 + ∫ _〖0〗^〖2〗 ▒〖〗𝑓(𝑥)𝑑𝑥
(2) 𝑓(𝑥) = 𝑥^2 − 𝑥 + ∫ _0^1 ▒𝑥𝑓^〖 ′〗 (𝑥)𝑑𝑥

정석연구 이를테면
∫ _〖0〗^〖1〗 ▒〖(3𝑥^〖2〗 + 2𝑥 − 1)𝑑𝑥 = [𝑥^〖3〗 + 𝑥^〖2〗
− 𝑥]_〖0〗^〖1〗 〗  = 1
과 같이 정적분에서 위끝, 아래끝이 상수일 때는 그 정적분의
값도 상수이다.
따라서 (1)과 (2)에서
∫ _〖0〗^〖2〗 ▒〖𝑓(𝑥)𝑑𝑥 = 𝑝 (𝑝는 상수)〗 , ∫ _〖0〗^〖1〗 ▒〖𝑥𝑓′(𝑥)
𝑑𝑥 = 𝑞 (𝑞는 상수)〗
로 놓을 수 있다.
정 석 𝑎,  𝑏가 상수일 때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일정(상수)

16
미적분학1 12.정적분의 계산 기본 정석

12-1 다음은 정적분 ∫ _〖0〗^〖1〗 ▒〖(〖𝑥〗^〖2〗 + 1)〗𝑑𝑥  


27

의 어림값을 구하는 과정의 일부이다.

12-3 수열 {𝑎_𝑛 } 에 대하여 ∑_〖𝑘 = 1〗^〖𝑛〗 ▒𝑎_𝑘 =


29

∫ _〖0〗^〖𝑛〗 ▒〖(4𝑥 + 1)〗𝑑𝑥일 때, 𝑎_〖10〗 은?


① 39 ② 41 ③ 43
④ 45 ⑤ 47

그림 (ⅰ), (ⅱ)와 같이 닫힌 구간 [0,1]을 𝑛 등분하여 얻은 𝑛


개의 직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각각 𝐴,  𝐵 라고 할 때, 𝐴 − 𝐵 ≤
0.15가 되는 자연수 𝑛의 최솟값은?
① 6 ② 7 ③ 8
④ 9 ⑤ 10

12-2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28

⑴ ∫ _〖2 − 〖√(〖〖2〗〗)〗〗^〖2 + 〖√(〖〖2〗〗)〗〗 ▒〖3(〖𝑥〗^〖2〗 − 4𝑥 +


2)〗𝑑𝑥 12-4 자연수 𝑛에 대하여 𝑎_𝑛 = ∫ _〖0〗^〖1〗 ▒〖〖𝑥〗^〖𝑛〗
30

⑵ ∫ _〖0〗^〖1〗 ▒〖(𝑥 + 〖〖1〗〗/〖〖2〗〗 〖𝑥〗^〖2〗 + 〖〖1〗〗/〖〖3〗〗 〖𝑥〗 (1 − 𝑥)〗𝑑𝑥라고 할 때, ∑_〖𝑛 = 1〗^〖∞〗 ▒𝑎_𝑛 의 값은?
^〖3〗 +. . . . . . . . + 〖〖1〗〗/〖〖9〗〗 〖𝑥〗^〖9〗 )〗𝑑𝑥 ① 〖〖1〗〗/〖〖2〗〗 ② 〖〖1〗〗/〖〖3〗〗 ③ 〖〖1〗〗/〖〖4〗〗
⑶ ∫ _〖 − 2〗^〖2〗 ▒〖├|(𝑥 − 1)(𝑥^〖2〗 + 𝑥 + 1)┤|〗𝑑𝑥 ④ 〖〖1〗〗/〖〖5〗〗 ⑤ 〖〖1〗〗/〖〖6〗〗

17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12-7 실수 𝑎,  𝑏중 크지 않은 것을 𝑎 ∧ 𝑏로 나타낼 때,


33

∫ _〖0〗^〖3〗 ▒〖(𝑥 ∧ 𝑥^〖2〗 )〗𝑑𝑥의 값을 구하여라.

12-5 ∫ _〖0〗^〖1〗 ▒〖𝑓(𝑥)〗𝑑𝑥 = ∫ _〖0〗^〖1〗 ▒〖𝑥𝑓(𝑥)〗𝑑𝑥


31

= ∫ _〖0〗^〖1〗 ▒〖〖𝑥〗^〖2〗 𝑓(𝑥)〗𝑑𝑥 = 0이고 ∫ _〖0〗^〖1〗 ▒〖〖𝑥〗^〖3〗


𝑓(𝑥)〗𝑑𝑥 = 1일 때, ∫ _〖0〗^〖1〗 ▒〖〖(𝑥 − 〖〖1〗〗/〖〖2〗〗 )〗^〖3〗 〗𝑓(
𝑥)𝑑𝑥의 값을 구하여라.

12-8 𝑓(𝑥) = ├|│𝑥 − 2│ − 3┤|일 때,


34

∫ _〖0〗^〖8〗 ▒〖〗𝑓(𝑥)𝑑𝑥 − ∫ _〖6〗^〖8〗 ▒〖〗𝑓(𝑥)𝑑𝑥 + ∫ _〖 − 2〗^〖0〗


▒〖〗𝑓(𝑥)𝑑𝑥 의 값을 구하여라.

12-6 𝑎_〖𝑛〗 = ∫ _〖𝑛〗^〖𝑛 + 1〗 ▒〖3𝑡^〖2〗 〗𝑑𝑡 (단, 𝑛 은


32

자연수)일 때,
lim┬〖𝑛 → ∞〗 〖 〖〖1〗〗/〖〖𝑛^〖3〗 〗〗 〗∑_〖𝑘 = 1〗^〖𝑛〗 ▒𝑎_〖𝑘〗 의 값
을 구하여라.

18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12-9 모든 실수 𝑎,  𝑏 에 대하여


35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 _〖 − 𝑏〗^〖 − 𝑎〗 ▒〖𝑓(𝑥)〗𝑑𝑥 = 0  을


만족하는 연속함수 𝑓(𝑥)가 있다. ∫ _〖1〗^〖5〗 ▒〖𝑓(𝑥)〗𝑑𝑥 =
5, ∫ _〖 − 5〗^〖 − 3〗 ▒〖𝑓(𝑥)〗𝑑𝑥 = 10  일 때, ∫ _〖1〗^〖3〗
▒〖𝑓(𝑥)〗𝑑𝑥  의 값을 구하여라. 12-11 연속함수 𝑓(𝑥)가 다음 세 조건을 만족한다.
37

(ⅰ) 모든 실수 𝑥 에 대하여 𝑓(2 + 𝑥) = 𝑓(2 − 𝑥)


(ⅱ) ∫ _〖 − 2〗^〖2〗 ▒〖𝑓(𝑥)𝑑𝑥 = 2𝑘 + 4〗 (ⅲ)
∫ _〖0〗^〖6〗 ▒〖𝑓(𝑥)𝑑𝑥 = 𝑘^〖2〗 〗
∫ _〖0〗^〖4〗 ▒〖𝑓(𝑥)𝑑𝑥〗가 최소가 되는 𝑘의 값을 구하여라.

12-10 0 ≤ 𝑥 ≤ 1에서 𝑦 =
36

𝑓(𝑥)  의 그래프가 오른쪽 그림과


같고, 모든 실수 𝑥 에 대하여
𝑓(−𝑥) = 𝑓(𝑥),   𝑓(𝑥) = 𝑓(𝑥 + 2)
가 성립할 때, ∫ _〖 − 5〗^〖5〗 12-12
38

다음 등식을 만족하는 실수 𝑎의 값을
▒〖𝑓(𝑥)〗𝑑𝑥의 값은? 구하여라.
①3 ②4 ③5 (1) ∫ _〖0〗^〖𝑎〗 ▒〖〗│𝑥^〖2〗 − 1│𝑑𝑥 = 𝑎 (𝑎 ≥ 1)
④6 ⑤7
(2) ∫ _〖0〗^〖1〗 ▒〖│𝑥 − 𝑎│𝑑𝑥〗 = 〖〖5〗〗/〖〖2〗〗  (𝑎 ≥ 0)

19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12-13 𝑥 = 1,  3  에서 12-15 양수 𝑎에 대하여 삼차함수 𝑓(𝑥) = −𝑥(𝑥 +


39 41

극값을 가지는 삼차함수 𝑦 = 𝑎)(𝑥 − 𝑎)가 𝑥 = 𝑏에서 극댓값을 가진다고 하자.


𝑓(𝑥)의 그래프가 오른쪽 ∫ _〖 − 𝑏〗^〖𝑎〗 ▒𝑓(𝑥)𝑑𝑥 = 𝑝,  ∫ _〖𝑏〗^〖𝑎 + 𝑏〗 ▒𝑓(𝑥 − 𝑏)𝑑𝑥 =
그림과 같을 때, ∫ _〖0〗^〖3〗 𝑞일 때, ∫ _〖 − 𝑏〗^〖𝑎〗 ▒├|𝑓(𝑥)┤|𝑑𝑥의 값을 𝑝,  𝑞로 나타내어라.

▒〖〗├|𝑓′(𝑥)┤|𝑑𝑥의 값을
구하여라.

12-16 함수 𝑓(𝑥) = 𝑥^3 의 그래프를 𝑥 축 방향으로


42

𝑎만큼, 𝑦축 방향으로 𝑏만큼 평행이동하였더니 함수 𝑦 =


12-14 삼차함수 𝑓(𝑥) = 𝑥^3 − 3𝑥 − 1이 있다. 구간
40

[−1,  𝑡]에서 ├|𝑓(𝑥)┤|의 최댓값을 𝑔(𝑡)라고 할 때, ∫ _〖 − 1〗^ 𝑔(𝑥)의 그래프와 일치하였다.


𝑔(0) = 0, ∫ _〖𝑎〗^〖3𝑎〗 ▒〖𝑔(𝑥)𝑑𝑥 − ∫ _〖0〗^〖2𝑎〗 ▒〖𝑓(𝑥)𝑑𝑥 =
〖2〗 ▒〖𝑔(𝑡)𝑑𝑡〗의 값을 구하여라. 단, 𝑡 ≥ −1이다.
32〗〗일 때, 양수 𝑎,  𝑏의 값을 구하여라.

20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12-19 다항함수 𝑓(𝑥)가 모든 실수 𝑥 에 대하여


45

𝑓(𝑥) = 3〖𝑥〗^〖2〗 + ∫ _〖0〗^〖1〗 ▒〖(2𝑥 − 1)𝑓(𝑡)𝑑𝑡〗를 만족할


때, ∫ _〖0〗^〖1〗 ▒〖𝑓(𝑥)𝑑𝑥〗 의 값은?
①1 ②2 ③3
12-17 ∫ _〖0〗^〖0.5〗 ▒〖(∑_〖𝑘 = 1〗^〖𝑛〗 ▒𝑘𝑥^〖𝑘 − 1〗
43

④4 ⑤5
)〗𝑑𝑥 ≥ 0.99  를 만족하는 자연수 𝑛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12-20 함수 𝑓(𝑥)가
46

𝑓(𝑥) = 4〖𝑥〗^〖3〗 + 3〖𝑥〗^〖2〗 + 2{∫ _〖0〗^〖1〗 ▒𝑓(𝑥)𝑑𝑥}𝑥


+ ∫ _〖0〗^〖2〗 ▒𝑓(𝑥)𝑑𝑥
를 만족할 때, 정적분 ∫ _〖1〗^〖2〗 ▒𝑓(𝑥)𝑑𝑥의 값을 구하여라.
12-18 lim┬〖𝑛 → ∞〗 〖∫ _〖0〗^〖1〗 ▒〖(∑_〖𝑘 = 1〗^〖𝑛〗 ▒
44

〖〖1〗〗/〖〖𝑘〗〗 〖𝑥〗^〖𝑘〗 )〗〗𝑑𝑥의 값은?


①1 ② 〖〖4〗〗/〖〖3〗〗 ③ 〖〖1〗〗/〖〖2〗〗
④ 〖〖5〗〗/〖〖3〗〗 ⑤2

21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12-23 모든 일차식 𝑔(𝑥)에 대하여 ∫ _〖 − 1〗^〖1〗 ▒〖(


49

〖𝑥〗^〖2〗 + 𝑎𝑥 + 𝑏)𝑔(𝑥)𝑑𝑥〗 = 0이 성립하도록 상수 𝑎,  𝑏의


값을 정하여라.

12-21 다음을 만족하는 다항함수 𝑓(𝑥)를 구하여라.


47

𝑓(𝑥) = 1 + ∫ _〖 − 1〗^〖1〗 ▒〖(𝑥^〖2〗 − 𝑡)〗𝑓(𝑡)𝑑𝑡

12-24 삼차 이하의 모든 다항함수 𝑓(𝑥)에 대하여


50

∫ _〖 − 1〗^〖1〗 ▒𝑓(𝑥)𝑑𝑥
= 𝑓(−〖√(〖〖 〖〖1〗〗/〖〖2〗〗 〗〗)〗)𝑝 + 𝑓(0)𝑞
+ 𝑓(〖√(〖〖 〖〖1〗〗/〖〖2〗〗 〗〗)〗)𝑝
12-22 두 다항식 𝑓(𝑥),  𝑔(𝑥)에 대하여
48

가 성립하는 상수 𝑝,  𝑞의 값을 구하여라.


𝑓(𝑥) = 𝑥 + 1 + ∫ _〖0〗^〖2〗 ▒𝑔(𝑡)𝑑𝑡,   𝑔(𝑥)
= 2𝑥 − 3 + ∫ _〖0〗^〖1〗 ▒𝑓(𝑡)𝑑𝑡
일 때, 𝑓(2)𝑔(2)의 값을 구하여라.

22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12-25 𝑓(𝑓(𝑥)) = ∫ _〖0〗^〖𝑥〗 ▒〖𝑓(𝑡)𝑑𝑡〗 − 〖𝑥〗^〖2〗 +


51

3𝑥 + 3을 만족하는 다항식 𝑓(𝑥)에 대하여 𝑓(1)의 값은?


①3 ②2 ③ 〖1〗
④0 ⑤ −1

23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2𝑛〗〗/〖〖𝑛〗〗
이다.
기본 문제12-1. 정답 〖1〗/〖3〗
1
따라서 𝑛 등분한 소구간의 오른쪽 끝점의 함숫값을 세로의 길
[풀이] 이로 하는 직사각형을 각각 만들고, 이들의 넓이의 합을 〖S〗 _
구간 [  0 ,    1  ] 을 𝑛 등분하면 양 끝 점과 각 분점의 𝑥  좌표는 n 이라고 하면

왼쪽부터 S _〖𝑛〗   = ( 〖〖2〗〗/〖〖𝑛〗〗 )^〖2〗 〖〖2〗〗/〖〖𝑛〗〗


+ ( 〖〖4〗〗/〖〖𝑛〗〗 )^〖2〗 〖〖2〗〗/〖〖𝑛〗〗 + ⋯
0 ,  〖1〗/〖〖𝑛〗〗 ,  〖2〗/〖〖𝑛〗〗 ,  〖3〗/〖〖𝑛〗〗 ,  ⋯ ,  〖𝑛〗/〖〖𝑛〗〗
+ ( 〖〖2𝑛〗〗/〖〖𝑛〗〗 )^〖2〗 〖〖2〗〗/〖〖𝑛〗〗   
⇦ 분점 사이의 거리는 〖〖1〗〗/〖〖𝑛〗〗
= 〖2〗/〖〖𝑛^3 〗〗 {2^2 + 4^2 + ⋯ + (2𝑛)^2 }  
이다. 또, 𝑛 등분한 소구간의 오른쪽 끝 점의 함숫값을 세로의 = 〖〖4𝑛(𝑛 + 1)(2𝑛 + 1)〗〗/〖〖3𝑛^3 〗〗
길이로 하는 직사각형을 각각 만들고, 이들의 넓이의 합을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S〗 _n 이라고 하면 lim┬〖𝑛   →   ∞〗 〖  〖S〗 _n 〗  = lim┬〖n  
S _〖𝑛〗   = ( 〖〖1〗〗/〖〖𝑛〗〗 )^〖2〗 〖〖1〗〗/〖〖𝑛〗〗 →   ∞〗 〖   〖〖4n(n + 1)(2n + 1)〗〗/〖〖3n^3 〗〗 〗 
+ ( 〖〖2〗〗/〖〖𝑛〗〗 )^〖2〗 〖〖1〗〗/〖〖𝑛〗〗 = 〖8〗/〖3〗
+ ( 〖〖3〗〗/〖〖𝑛〗〗 )^〖2〗 〖〖1〗〗/〖〖𝑛〗〗 +   ⋯  기본 문제12-2. 정답 〖1〗/〖3〗 𝜋𝑟^2 ℎ  
3

+ ( 〖〖𝑛〗〗/〖〖𝑛〗〗 )^〖2〗 〖〖1〗〗/〖〖𝑛〗〗    [풀이]


= 〖〖𝑛(𝑛 + 1)(2𝑛 + 1)〗〗/〖〖6𝑛^3 〗〗
직원뿔을 밑면에 평행한 같은 간격의 평면으로 𝑛 개의 부분으
따라서 구하는 넓이를 S  라고 하면
로 나누어 그림 ①과 같이 𝑛 − 1 개의 원기둥을 만들 때, 이
〖S〗 = lim┬〖n   →   ∞〗 〖S〗 _n = lim┬〖n   →   ∞〗 〖   〖〖n(n
+ 1)(2n + 1)〗〗/〖6〗 〗  = 〖2〗/〖6〗 = 〖1〗/〖3〗 들의 부피의 합 〖V〗 _n 이라고 하면
V _〖𝑛〗 = 𝜋 ( 〖〖𝑟〗〗/〖〖𝑛〗〗 )^〖2〗 〖〖ℎ〗〗/〖〖𝑛〗〗
+ 𝜋 ( 〖〖2𝑟〗〗/〖〖𝑛〗〗 )^〖2〗 〖〖ℎ〗〗/〖〖𝑛〗〗 +   ⋯ 
+ 𝜋 { 〖〖(𝑛 − 1)𝑟〗〗/〖〖𝑛〗〗 }^〖2〗 〖〖ℎ〗〗/〖〖𝑛〗〗
오른쪽 그림과 같이 = 𝜋 〖〖𝑟^〖2〗 ℎ〗〗/〖〖𝑛^〖3〗 〗〗  {1^〖2〗 + 2^〖2〗   + ⋯ + (𝑛 −
1)^〖2〗 }   = 𝜋𝑟^〖2〗 ℎ × 〖〖(𝑛 − 1)𝑛(2𝑛 − 1)〗〗/〖〖6𝑛^〖2〗 〗〗
따라서 구하는 부피를 V  라고 하면
V = lim┬〖𝑛   →   ∞〗 〖V _〖𝑛〗 〗  = 𝜋𝑟^〖2〗 ℎ × 〖〖2〗〗
𝑛등분한 소구간의 왼쪽 끝 점의 함숫값을 세로의 길이로
/〖〖6〗〗 = 〖〖1〗〗/〖〖3〗〗 𝜋𝑟^〖2〗 ℎ  
하는 직사각형을 만들고, 이들의 넓이의 합을 𝑆_〖𝑛〗 ′이라고
그림 ①과 달리 직원뿔 밖으로 𝑛  개의 직원기둥을
하면
만들어도 같은 결과를 얻는다.
𝑆_〖𝑛〗 ′ = ( 〖〖1〗〗/〖〖𝑛〗〗 )^〖2〗 〖〖1〗〗/〖〖𝑛〗〗
유제 12-2. 정답 〖1〗/〖3〗 𝑎^2 ℎ  
+ ( 〖〖2〗〗/〖〖𝑛〗〗 )^〖2〗 〖〖1〗〗/〖〖𝑛〗〗 + ⋯
4

+ ( 〖〖𝑛 − 1〗〗/〖〖𝑛〗〗 )^〖2〗 〖〖1〗〗/〖〖𝑛〗〗 [풀이]


= 〖〖(𝑛 − 1)𝑛(2𝑛 − 1)〗〗/〖〖6𝑛^〖3〗 〗〗 ∴  lim┬〖𝑛 →
∞〗 〖𝑆_〖𝑛〗 ′〗 = 〖〖1〗〗/〖〖3〗〗
곧, 𝑆 = lim┬〖𝑛 → ∞〗 〖𝑆_〖𝑛〗 〗 = lim┬〖𝑛 → ∞〗 〖𝑆_〖𝑛〗 ′〗이므로
𝑆 = lim┬〖𝑛 → ∞〗 〖𝑆_〖𝑛〗 〗, 𝑆 = lim┬〖𝑛 → ∞〗 〖𝑆_〖𝑛〗 ′〗 중 어느
한 경우만을 생각하면 된다.
유제 12-1. 정답 〖〖8〗〗/〖〖3〗〗  
정사각뿔을 밑면에 평행한 같은 간격의 평면으로 𝑛 개의 부분
으로 나누어 위의 그림과 같이 𝑛 − 1 개의 사각기둥을 만들고,
이 사각기둥의 부피의 합을 〖V〗 _n 이라고 하면
[풀이] 〖V〗 _n = ( 〖a〗/〖〖n〗〗 )^2 〖h〗/〖〖n〗〗
+ ( 〖〖2a〗〗/〖〖n〗〗 )^2 〖h〗/〖〖n〗〗 +   ⋯ + { 〖〖(n
− 1)a〗〗/〖〖n〗〗 }^2 〖h〗/〖〖n〗〗
  = 〖〖𝑎^〖2〗 ℎ〗〗/〖〖𝑛^〖3〗 〗〗  {1^〖2〗 + 2^〖2〗 + ⋯ + (𝑛 − 1
구간 [  0 ,   2  ]  를 𝑛   등분하면 분점 사이의 거리가 〖2〗/〖〖𝑛〗〗 )^〖2〗 }  
 = 𝑎^〖2〗 ℎ × 〖〖(𝑛 − 1)𝑛(2𝑛 − 1)〗〗/〖〖6𝑛^〖3〗 〗〗   
이므로 양 끝 점과 각 분점의 𝑥 좌표는 왼쪽부터
따라서 구하는 부피는
0 ,  〖2〗/〖〖𝑛〗〗 ,  〖4〗/〖〖𝑛〗〗 ,  〖6〗/〖〖𝑛〗〗 ,  ⋯ , 

24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lim┬〖𝑛   →   ∞〗 〖  V _〖𝑛〗 〗  = lim┬〖𝑛   [풀이]


→   ∞〗 〖  {𝑎^〖2〗 ℎ × 〖〖(𝑛 − 1)𝑛(2𝑛
(좌변)= 𝑎∫ _𝛼^𝛽 ▒{𝑥^2 − (𝛼 + 𝛽)𝑥 + 𝛼𝛽}  𝑑𝑥
− 1)〗〗/〖〖6𝑛^〖2〗 〗〗 }〗  
= 𝑎[ 〖1〗/〖3〗 𝑥^3 − 〖1〗/〖2〗 (𝛼 + 𝛽)𝑥 + 𝛼𝛽𝑥 ]_𝛼^𝛽
= 〖1〗/〖3〗 𝑎^2 ℎ  
= 𝑎{ 〖1〗/〖3〗 (𝛽^3 − 𝛼^3 ) − 〖1〗/〖2〗 (𝛼 + 𝛽)(𝛽^2 − 𝛼^
기본 문제12-3. 정답 ⑴ − 〖3〗/〖4〗
5 ⑵ 〖9〗/〖4〗 2 ) + 𝛼𝛽(𝛽 − 𝛼)}
[풀이] = 〖𝑎〗/〖6〗 (𝛽 − 𝛼){2(𝛽^2 + 𝛼𝛽 + 𝛼^2 ) − 3(𝛼 + 𝛽)^2 +
6𝛼𝛽}
⑴ ∫ _〖〗^〖〗 ▒〖〗  (𝑥 − 1)(𝑥^〖2〗 + 𝑥 + 1)  𝑑𝑥 = ∫ _〖〗^〖〗 ▒〖〗  (𝑥^
= − 〖𝑎〗/〖6〗 (𝛽 − 𝛼)(𝛽^2 − 2𝛼𝛽 + 𝛼^2 ) = − 〖𝑎〗/〖6〗 (𝛽
〖3〗 − 1)  𝑑𝑥 = 〖〖1〗〗/〖〖4〗〗 𝑥^〖4〗 − 𝑥 + 𝐶 − 𝛼)^3
∴   ∫ _〖0〗^〖1〗 ▒〖〗  (𝑥 − 1)(𝑥^〖2〗 + 𝑥 + 1)  𝑑𝑥 = [ 〖1〗/〖4〗 𝑥^4
− 𝑥 ]_0^1 = 〖1〗/〖4〗 − 1 = − 〖3〗/〖4〗
⑵ ∫ _〖〗^〖〗 ▒〖〗  (𝑡 + 1)(𝑡^〖2〗 − 1)  𝑑𝑡
= ∫ _〖〗^〖〗 ▒〖〗  (𝑡^〖3〗 + 𝑡^〖2〗 − 1 − 1)  𝑑𝑡 = 〖〖1〗〗/〖〖4〗〗
𝑡^〖4〗 + 〖〖1〗〗/〖〖3〗〗 𝑡^〖3〗 − 〖〖1〗〗/〖〖2〗〗 𝑡^〖2〗 − 𝑡 + 𝐶
∴   ∫ _〖 − 1〗^〖2〗 ▒〖〗  (𝑡 + 1)(𝑡^〖2〗 − 1)  𝑑𝑡 이등식의 좌변은
= [ 〖1〗/〖4〗 𝑡^4 + 〖1〗/〖3〗 𝑡^3 − 〖1〗/〖2〗 𝑡^2 − 𝑡 ]_〖 − 𝑎(𝑥 − 𝛼)(𝑥 − 𝛽) = 0
1〗^2 의 두 근이
= 〖1〗/〖4〗 (16 − 1) + 〖1〗/〖3〗 (8 + 1) − 〖1〗/〖2〗 (4 − 1
) − (2 + 1) 𝛼(아래끝), 𝛽(위끝)
= 〖9〗/〖4〗 로 되어 있는 특수한 꼴로서 포물선
유제 12-3. 정답 ⑴ 〖〖39〗〗/〖4〗
6 ⑵ − 〖4〗/〖3〗 𝑦 = 𝑎(𝑥 − 𝛼)(𝑥 − 𝛽)
⑶ 〖〖33〗〗/〖4〗 와 𝑥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때 나타나는 꼴이

[풀이] 다.

⑴ (준 식)= [ 〖1〗/〖4〗 𝑥^4 + 3𝑥^3 − 3𝑥^2 − 4𝑥 ]_〖 − 1〗^2 = 따라서 공식으로 기억해 두고서 활용하면 편리하다.
〖〖39〗〗/〖4〗 ∫ _𝛼^𝛽 ▒𝑎(𝑥 − 𝛼)(𝑥 − 𝛽)  𝑑𝑥 = − 〖𝑎〗/〖6〗 (𝛽 − 𝛼)^3
⑵ (준 식)= ∫ _〖 − 1〗^1 ▒(𝑥 − 2𝑥^2 + 𝑥^3 )  𝑑𝑥 = [ 〖1〗/〖2〗 𝑥 이를테면 ∫ _1^2 ▒3(𝑥 − 1)(𝑥 − 2)  𝑑𝑥 = − 〖3〗/〖6〗 (2 − 1)^3
^2 − 〖2〗/〖3〗 𝑥^3 + 〖1〗/〖4〗 𝑥^4 ]_〖 − 1〗^1 = − 〖1〗/〖2〗 이다.
= − 〖4〗/〖3〗 유제 12-5. 정답 ⑴ − 〖1〗/〖6〗
10 ⑵ 〖4〗/〖3〗 ⑶ 〖8〗
⑶ (준 식)= ∫ _2^3 ▒(𝑦^3 − 8)  𝑑𝑦 = [ 〖1〗/〖4〗 𝑦^4 − 8𝑦 ]_2^ /〖3〗
3 = 〖〖33〗〗/〖4〗 [풀이]
기본 문제12-4. 정답 (1) 〖〖40〗〗/〖3〗 (2) 〖〖32〗〗
⑴ (준 식)= ∫ _2^3 ▒(𝑥 − 2)(𝑥 − 3)  𝑑𝑥 = − 〖1〗/〖6〗 (3 − 2)^
7

/〖3〗
3 = − 〖1〗/〖6〗
[풀이]
⑵ (준 식)= −∫ _0^2 ▒𝑥(𝑥 − 2)  𝑑𝑥 = 〖1〗/〖6〗 (2 − 0)^3 =
(1)  
S = ∫ _〖 − 1〗^〖3〗 ▒〖(𝑥^2 + 1)〗𝑑𝑥 = [ 〖1〗/〖3〗 𝑥^3 + 𝑥]_〖 − 〖4〗/〖3〗
1〗^3 = 〖1〗/〖3〗 (3^3 + 1) + (3 + 1) = 〖〖40〗〗/〖3〗 ⑶ (준 식)= −2∫ _1^3 ▒(𝑥 − 1)(𝑥 − 3)  𝑑𝑥 = 〖2〗/〖6〗 (3 − 1
(2)   S = −∫ _〖0〗^〖4〗 ▒〖(𝑥^2 − 4𝑥)𝑑𝑥 = −[ 〖1〗/〖3〗 𝑥^3 − )^3 = 〖8〗/〖3〗
2𝑥^2 ]_0^4 〗 다음 공식을 이용하였다.
= −( 〖〖1〗〗/〖〖3〗〗 × 4^〖3〗 − 2 × 4^〖2〗 ) = 〖〖32〗〗
∫ _𝛼^𝛽 ▒𝑎(𝑥 − 𝛼)(𝑥 − 𝛽)  𝑑𝑥 = − 〖𝑎〗/〖6〗 (𝛽 − 𝛼)^3
/〖〖3〗〗
유제 12-4. 정답 (1) 〖1〗/〖6〗 (2) 〖1〗/〖4〗 (3) 〖4〗/〖3〗 기본 문제12-6. 정답 (1) 11 11 (2) 〖〖2〗〗/〖〖3〗〗

[풀이] [풀이]

구하는 넓이를 S라고 하자. (1) (준식)= ∫ _〖1〗^〖2〗 ▒〖{(〖√(〖〖𝑥〗〗)〗 + 1)^〖3〗 − (〖√(〖〖𝑥〗〗)〗
(1)   S = ∫ _〖0〗^〖1〗 ▒〖(−𝑥^2 + 𝑥)〗𝑑𝑥 = [− 〖1〗/〖3〗 𝑥^3 + − 1)^〖3〗 }〗𝑑𝑥
〖1〗/〖2〗 𝑥^2 ]_0^1 = 〖1〗/〖6〗 = ∫ _〖1〗^〖2〗 ▒〖(6𝑥 + 2)〗𝑑𝑥 = [3𝑥^〖2〗 + 2𝑥]_〖1〗^〖2〗
(2)  S = ∫ _〖0〗^〖1〗 ▒〖𝑥^3 〗𝑑𝑥 = [ 〖1〗/〖4〗 𝑥^4 ]_0^1 = 〖1〗 = 3(2^〖2〗 − 1^〖2〗 ) + 2(2 − 1) = 11
(2) (준식)= ∫ _〖0〗^〖 〖〖1〗〗/〖〖2〗〗 〗 ▒〖 〖〖𝑥^〖3〗 〗〗/〖〖𝑥 − 1〗〗 𝑑𝑥
/〖4〗
(3)  S = −∫ _〖1〗^〖3〗 ▒〖(𝑥^2 − 4𝑥 + 3)〗𝑑𝑥 = −[ 〖1〗/〖3〗 + ∫ _〖 〖〖1〗〗/〖〖2〗〗 〗^〖0〗 ▒〖 〖〖1〗〗/〖〖𝑥 − 1〗〗 𝑑𝑥〗〗
𝑥^3 − 2𝑥^2 + 3𝑥]_1^3 = 〖4〗/〖3〗 = ∫ _〖0〗^〖 〖〖1〗〗/〖〖2〗〗 〗 ▒〖 〖〖𝑥^〖3〗 〗〗/〖〖𝑥 − 1〗〗 𝑑𝑥
− ∫ _〖0〗^〖 〖〖1〗〗/〖〖2〗〗 〗 ▒〖 〖〖1〗〗/〖〖𝑥 − 1〗〗 𝑑𝑥〗〗
기본 문제12-5. 정답 풀이참조
= ∫ _〖0〗^〖 〖〖1〗〗/〖〖2〗〗 〗 ▒〖 〖〖𝑥^〖3〗 − 1〗〗/〖〖𝑥 − 1〗〗
9

25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𝑑𝑥〗 = ∫ _〖 − 1〗^1 ▒(𝑥^5 + 𝑥^3 )  𝑑𝑥 − 2∫ _〖 − 1〗^1 ▒𝑥^4


= ∫ _〖0〗^〖 〖〖1〗〗/〖〖2〗〗 〗 ▒〖 〖〖(𝑥 − 1)(𝑥^〖2〗 + 𝑥 + 1 𝑑𝑥
)〗〗/〖〖𝑥 − 1〗〗 〗𝑑𝑥 = ∫ _〖0〗^〖 〖〖1〗〗/〖〖2〗〗 〗 ▒〖(𝑥^〖2〗 + 𝑥 + 1 = 0 − 4∫ _0^1 ▒𝑥^4 𝑑𝑥
)〗𝑑𝑥 = −4 [ 〖1〗/〖5〗 𝑥^5 ]_0^1 = − 〖4〗/〖5〗
= [ 〖〖1〗〗/〖〖3〗〗 𝑥^〖3〗 + 〖〖1〗〗/〖〖2〗〗 𝑥^〖2〗 + 𝑥]_〖0〗 ⑵ (준 식)= ∫ _〖 − 1〗^1 ▒(𝑥^5 + 𝑥^3 )  𝑑𝑥 = 0
^〖 〖〖1〗〗/〖〖2〗〗 〗 = 〖〖1〗〗/〖〖3〗〗 × ( 〖〖1〗〗/〖〖2〗〗 )^〖3〗 + 기본 문제12-8. 정답 (1) 〖〖8〗〗/〖〖3〗〗
15 (2) 〖〖10〗〗/〖〖3〗〗
〖〖1〗〗/〖〖2〗〗 × ( 〖〖1〗〗/〖〖2〗〗 )^〖2〗 + 〖〖1〗〗/〖〖2〗〗 = 〖〖2〗〗
(3) 〖〖17〗〗/〖〖6〗〗
/〖〖3〗〗
[풀이]
부정적분에서는 적분변수가 같으면
( 1 ) ∫ _〖 − 1〗^〖1〗 ▒〖𝑓(𝑥)〗𝑑𝑥 = ∫ _〖 − 1〗^〖1〗 ▒〖(𝑥^〖2〗 + 1
∫ _〖〗^〖〗 ▒〖〗  𝑓(𝑥)  𝑑𝑥 ± ∫ _〖〗^〖〗 ▒〖〗  𝑔(𝑥)  𝑑𝑥
)〗𝑑𝑥 = 2[ 〖〖1〗〗/〖〖3〗〗 𝑥^〖3〗 + 𝑥]_〖0〗^〖1〗 = 〖〖8〗〗/〖〖3〗〗
= ∫ _〖〗^〖〗 ▒〖〗  {𝑓(𝑥) ± 𝑔(𝑥)}  𝑑𝑥
( 2 ) ∫ _〖0〗^〖3〗 ▒〖𝑓(𝑥)〗𝑑𝑥 = ∫ _〖0〗^〖1〗 ▒〖𝑓(𝑥)〗𝑑𝑥 + ∫ _〖1〗^
와 같이 피적분함수를 모아서 계산할 수 있다. 〖3〗 ▒〖𝑓(𝑥)〗𝑑𝑥
정적분에서는 적분변수가 다르더라도 아래끝과 위끝이 각각 = ∫ _〖0〗^〖1〗 ▒〖(𝑥^〖2〗 + 1)〗𝑑𝑥 + ∫ _〖1〗^〖3〗
같으면 ▒〖(−𝑥 + 3)〗𝑑𝑥
= [ 〖〖1〗〗/〖〖3〗〗 𝑥^〖3〗 + 𝑥]_〖0〗^〖1〗 + [− 〖〖1〗〗
∫ _〖𝑎〗^〖𝑏〗 ▒〖𝑓(𝑥)𝑑𝑥 ± ∫ _〖𝑎〗^〖𝑏〗 ▒〖𝑔(𝑡)𝑑𝑡〗〗
/〖〖2〗〗 𝑥^〖2〗 + 3𝑥]_〖1〗^〖3〗 = 〖〖4〗〗/〖〖3〗〗 + 2 = 〖〖10〗〗
= ∫ _〖𝑎〗^〖𝑏〗 ▒〖〗  𝑓(𝑥)  𝑑𝑥 ± ∫ _〖𝑎〗^〖𝑏〗 ▒〖〗  𝑔(𝑥)  𝑑𝑥
/〖〖3〗〗
= ∫ _〖𝑎〗^〖𝑏〗 ▒〖〗  {𝑓(𝑥) ± 𝑔(𝑥)}  𝑑𝑥
(3) ∫ _〖0〗^〖3〗 ▒〖𝑥𝑓(𝑥)〗𝑑𝑥 = ∫ _〖0〗^〖1〗 ▒〖𝑥𝑓(𝑥)〗𝑑𝑥 + ∫ _〖1〗^
와 같이 적분변수를 맞춘 다음 피적분함수를 모아서 계산할 〖3〗 ▒〖𝑥𝑓(𝑥)〗𝑑𝑥
수 있다. = ∫ _〖0〗^〖1〗 ▒〖𝑥(𝑥^〖2〗 + 1)〗𝑑𝑥 + ∫ _〖1〗^〖3〗 ▒〖𝑥
유제 12-6. 정답 (1) 4
12 (2) 〖〖8〗〗/〖〖3〗〗 (−𝑥 + 3)〗𝑑𝑥
[풀이] = [ 〖〖1〗〗/〖〖4〗〗 𝑥^〖4〗 + 〖〖1〗〗/〖〖2〗〗 𝑥^〖2〗 ]_〖0〗
^〖1〗 + [− 〖〖1〗〗/〖〖3〗〗 𝑥^〖3〗 + 〖〖3〗〗/〖〖2〗〗 𝑥^〖2〗 ]_〖1〗^〖3〗
(1) (준식)= ∫ _〖0〗^〖1〗 ▒〖{(𝑥 + 1)^〖3〗 − (𝑥 − 1)^〖3〗 }〗𝑑𝑥
= 〖〖3〗〗/〖〖4〗〗 + 〖〖10〗〗/〖〖3〗〗 = 〖〖49〗〗/〖〖12〗〗
= ∫ _〖0〗^〖1〗 ▒〖(6𝑥^〖2〗 + 2)〗𝑑𝑥 = [2𝑥^〖3〗 + 2𝑥]_〖0〗
유제 12-8. 정답 (1) 2 (2) 〖〖13〗〗/〖〖6〗〗
^〖1〗 = 4
16

[풀이]
(2) (준식)= ∫ _〖0〗^〖2〗 ▒〖〗 〖〖𝑥^〖3〗 〗〗/〖〖𝑥 − 4〗〗 𝑑𝑥 + ∫ _〖2〗^
𝑓(𝑥) = 〖{■(█(                    1                      (𝑥
〖0〗 ▒〖〗 〖〖4𝑥^〖2〗 〗〗/〖〖𝑥 − 4〗〗 𝑑𝑥
≤ 1)@ − 〖〖1〗〗/〖〖2〗〗 𝑥 + 〖〖3〗〗/〖〖2〗〗            (𝑥
= ∫ _〖0〗^〖2〗 ▒〖〗 〖〖𝑥^〖3〗 〗〗/〖〖𝑥 − 4〗〗 𝑑𝑥 − ∫ _〖0〗^〖2〗
≥ 1) ))┤〗
▒〖〗 〖〖4𝑥^〖2〗 〗〗/〖〖𝑥 − 4〗〗 𝑑𝑥
(1) (준 식)= ∫ _〖0〗^〖1〗 ▒〖𝑓(𝑥)〗𝑑𝑥 + ∫ _〖1〗^〖3〗 ▒〖𝑓(𝑥)〗𝑑𝑥
= ∫ _〖0〗^〖2〗 ▒〖〗 〖〖𝑥^〖3〗 − 4𝑥^〖2〗 〗〗/〖〖𝑥 − 4〗〗 𝑑𝑥
= ∫ _〖0〗^〖2〗 ▒〖〗 〖〖𝑥^〖2〗 (𝑥 − 4)〗〗/〖〖𝑥 − 4〗〗 𝑑𝑥 = ∫ _〖0〗^〖1〗 ▒〖1〗𝑑𝑥 + ∫ _〖1〗^〖3〗 ▒〖(− 〖〖1〗〗/〖〖2〗〗 𝑥
= ∫ _〖0〗^〖2〗 ▒〖𝑥^〖2〗 〗𝑑𝑥 = [ 〖〖1〗〗/〖〖3〗〗 𝑥^〖3〗 ]_〖0〗^ + 〖〖3〗〗/〖〖2〗〗 )〗𝑑𝑥
= [𝑥]_〖0〗^〖1〗 + [− 〖〖1〗〗/〖〖4〗〗 𝑥^〖2〗 + 〖〖3〗〗/〖〖2〗〗
〖2〗 = 〖〖8〗〗/〖〖3〗〗
𝑥]_〖2〗^〖3〗 = 1 + 1 = 2
기본 문제12-7. 정답 ⑴ 66 ⑵ 40
(2) (준 식)= ∫ _〖0〗^〖1〗 ▒〖𝑥𝑓(𝑥)〗𝑑𝑥 + ∫ _〖1〗^〖3〗 ▒〖𝑥𝑓(𝑥)〗𝑑𝑥
13

[풀이] = ∫ _〖0〗^〖1〗 ▒〖𝑥〗𝑑𝑥 + ∫ _〖1〗^〖3〗 ▒〖(− 〖〖1〗〗/〖〖2〗〗


⑴ (준 식)= ∫ _〖 − 3〗^3 ▒(2𝑥^7 + 5𝑥^5 − 𝑥^3 + 𝑥)  𝑑𝑥 + ∫ _ 𝑥^〖2〗 + 〖〖3〗〗/〖〖2〗〗 𝑥)〗𝑑𝑥
〖 − 3〗^3 ▒(3𝑥^2 + 2)  𝑑𝑥 = [ 〖〖1〗〗/〖〖2〗〗 𝑥^〖2〗 ]_〖0〗^〖1〗 + [− 〖〖1〗〗/〖〖6〗〗 𝑥
= 0 + 2∫ _0^3 ▒(3𝑥^2 + 2)  𝑑𝑥 ^〖3〗 + 〖〖3〗〗/〖〖4〗〗 𝑥^〖2〗 ]_〖1〗^〖3〗 = 〖〖1〗〗/〖〖2〗〗 + 〖〖5〗〗
= 2[ 𝑥^3 + 2𝑥 ]_0^3 = 66 /〖〖3〗〗 = 〖〖13〗〗/〖〖6〗〗
⑵ (준 식) 기본 문제12-9. 정답 ⑴ 〖1〗/〖2〗
17 ⑵ 〖5〗/〖2〗
= ∫ _〖 − 2〗^0 ▒(4𝑥^7 + 3𝑥^3 + 6𝑥^2 + 2)  𝑑𝑥 +∫ _0^2 ▒( ⑶ 1
4𝑥^7 + 3𝑥^3 + 6𝑥^2 + 2)  𝑑𝑥 [풀이]
= ∫ _〖 − 2〗^2 ▒(4𝑥^7 + 3𝑥^3 + 6𝑥^2 + 2)  𝑑𝑥
⑴ ∫ _0^1 ▒│ 𝑥 − 1 │  𝑑𝑥 = ∫ _〖 − 1〗^0 ▒(−𝑥 + 1)  𝑑𝑥 = [ −
= ∫ _〖 − 2〗^2 ▒(4𝑥^7 + 3𝑥^3 )  𝑑𝑥 + ∫ _〖 − 2〗^2 ▒(6𝑥^2 +
2)  𝑑𝑥 〖1〗/〖2〗 𝑥^2 + 𝑥 ]_0^1 = 〖1〗/〖2〗
= 0 + 2∫ _0^2 ▒(6𝑥^2 + 2)  𝑑𝑥 ⑵ ∫ _0^3 ▒│ 𝑥 − 1 │  𝑑𝑥 = ∫ _0^1 ▒│ 𝑥 − 1 │  𝑑𝑥 + ∫ _1^3 ▒│ 𝑥
= 2[2𝑥^3 + 2𝑥]_0^2 = 40 − 1 │  𝑑𝑥
유제 12-7. 정답 ⑴ − 〖4〗/〖5〗
14 ⑵ 0 = ∫ _0^1 ▒(−𝑥 + 1)  𝑑𝑥 + ∫ _1^3 ▒(𝑥 − 1)  𝑑𝑥
[풀이] = [− 〖1〗/〖2〗 𝑥^2 + 𝑥 ]_0^1 + [ 〖1〗/〖2〗 𝑥^2 − 𝑥 ]_1^3
= 〖1〗/〖2〗 + 2 = 〖5〗/〖2〗
⑴ (준 식)= ∫ _〖 − 1〗^1 ▒(𝑥^5 − 2𝑥^4 + 𝑥^3 )  𝑑𝑥

26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⑶ ∫ _0^2 ▒│ 𝑥^2 − 𝑥 │  𝑑𝑥 = ∫ _0^2 ▒│ 𝑥(𝑥 − 1) │  𝑑𝑥 유제 12-10. 정답 ④


20

= ∫ _0^1 ▒{−𝑥(𝑥 − 1)}  𝑑𝑥 + ∫ _1^2 ▒𝑥(𝑥 − 1)  𝑑𝑥 [풀이]


= [ − 〖1〗/〖3〗 𝑥^3 + 〖1〗/〖2〗 𝑥^2 ]_0^1 + [ 〖1〗/〖3〗 𝑥^3
𝑦 = 𝑓 ′(𝑥)의 그래프로부터 𝑓(𝑥)의 증감을 조사하면
− 〖1〗/〖2〗 𝑥^2 ]_1^2
= 〖1〗/〖6〗 + 〖5〗/〖6〗 = 1
위의 정적분의 값들은 각각 아래 그림의 점찍은
부분의 넓이와 같다.

그런데 𝑓(0) = 𝑓(3) = 0 이므로 𝑦 = 𝑓(𝑥)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와 같다.

유제 12-9. 정답 ⑴ 7
18 ⑵ 〖〖23〗〗/〖3〗
[풀이]
⑴ (준 식)= ∫ _〖 − 1〗^0 ▒(𝑥 − 𝑥 + 1)  𝑑𝑥 + ∫ _0^2 ▒(𝑥 + 𝑥 + 1
)  𝑑𝑥
따라서 𝑛 = 3일 때 ∫ _〖 − 1〗^𝑛 ▒𝑓(𝑥)  𝑑𝑥는 최대이다.
= ∫ _〖 − 1〗^0 ▒1  𝑑𝑥 + ∫ _0^2 ▒(2𝑥 + 1)  𝑑𝑥
= [ 𝑥 ]_〖 − 1〗^0 + [ 𝑥^2 + 𝑥 ]_0^2 𝑛 < −1일 때
=1+6=7 ∫ _〖 − 1〗^𝑛 ▒𝑓(𝑥)  𝑑𝑥 = −∫ _〖𝑛〗^〖 − 1〗 ▒〖〗  𝑓(𝑥)  𝑑𝑥 < 0
⑵ ( 준 식 ) = ∫ _〖0〗^〖2〗 ▒〖〗  {−(𝑥^〖2〗 − 4)}  𝑑𝑥 + ∫ _〖2〗^〖3〗 기본 문제12-11. 정답 (1) 𝑎 = 3,  𝑏 = −2
21

▒〖〗  (𝑥^〖2〗 − 4)  𝑑𝑥 (2) 𝑎 = 4,   𝑓(𝑥) = 3𝑥^〖2〗 − 4𝑥 + 1


= [ − 〖1〗/〖3〗 𝑥^3 + 4𝑥 ]_0^2 + [ 〖1〗/〖3〗 𝑥^3 − 4𝑥 [풀이]
 ]_2^3 (1) 𝑓(𝑥) = 𝑎𝑥^〖2〗 + 𝑏𝑥 + 1  이므로 𝑓′(𝑥) = 2𝑎𝑥 + 𝑏  
= 〖〖16〗〗/〖3〗 + 〖7〗/〖3〗 = 〖〖23〗〗/〖3〗 조건 (i)에서 𝑓′(1) = 4  이므로 2𝑎 + 𝑏 = 4 ⋯

조건 (ii)에서
∫ _〖0〗^〖1〗 ▒〖𝑓(𝑥)𝑑𝑥〗 = ∫ _〖0〗^〖1〗 ▒〖(𝑎𝑥^〖2〗 + 𝑏𝑥 + 1)𝑑𝑥〗
= [ 〖〖1〗〗/〖〖3〗〗 𝑥^〖3〗 + 〖〖1〗〗/〖〖2〗〗 𝑏𝑥^〖2〗
+ 𝑥]_〖0〗^〖1〗
기본 문제12-10. 19 정답 ⑤ = 〖〖1〗〗/〖〖3〗〗 𝑎 + 〖〖1〗〗/〖〖2〗〗 𝑏 + 1 = 1 ∴
[풀이] 2𝑎 + 3𝑏 = 0 ⋯ ②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𝑎 = 3,   𝑏 = −2
𝑓 ′(𝑥) = 0의 해는 𝑥 = −2, −1,  1,  3이고,
(2) 𝑓′(𝑥) = 6𝑥 − 𝑎   이므로 𝑓(𝑥) = 3𝑥^〖2〗 − 𝑎𝑥 + 𝐶   ⋯
𝑥 < −2, −1 < 𝑥 < 1, 1 < 𝑥 < 3일 때, 𝑓 ′(𝑥) > 0 ③
−2 < 𝑥 < −1, 𝑥 > 3일 때, 𝑓 ′(𝑥) < 0 조건 (i)에서 𝑓(1) = 0  이므로 3 − 𝑎 + 𝐶 = 0 ⋯ ④
조건 (ii)에서 ∫ _〖0〗^〖1〗 ▒〖𝑓(𝑥)〗𝑑𝑥 = 0  이므로 ∫ _〖0〗^〖1〗 ▒〖(
이므로 함수 𝑓(𝑥)의 증감표는 아래와 같다.
3𝑥^〖2〗 − 𝑎𝑥 + 𝐶  )〗𝑑𝑥 = 0 
𝑥 ⋯ −2 ⋯ −1 ⋯ 1 ⋯ 3 ⋯ ∴ [𝑥^〖3〗 − 〖〖1〗〗/〖〖2〗〗 𝑎𝑥^〖2〗 + 𝐶𝑥]_〖0〗^〖1〗 = 0   ∴
𝑓 ′(𝑥) + 0 − 0 + 0 + 0 − 1 − 〖〖1〗〗/〖〖2〗〗 𝑎 + 𝐶 = 0 ⋯⑤
𝑓(𝑥) ↗ 극대 ↘ 극소 ↗ ↗ 극대 ↘ ④, ⑤를 연립하여 풀면 𝑎 = 4,  𝐶 = 1
이 값을 ③에 대입하면 𝑓(𝑥) = 3𝑥^〖2〗 − 4𝑥 + 1 
유제 12-11. 정답 𝑓(𝑥) = − 〖〖1〗〗/〖〖2〗〗 𝑥 + 1
22

또, 문제의 조건으로부터 [풀이]


𝑓(−2) = 0, 𝑓(0) = 0, 𝑓(𝑥) = 𝑎𝑥 + 𝑏 ⋯⋯ ①
𝑓(4) > 0 로 놓으면 𝑓(2) = 0  이므로
이므로 𝑦 = 𝑓(𝑥)의 그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𝑓(2) = 2𝑎 + 𝑏 = 0 ⋯⋯ ②
또,
따라서 정적분의 값의 크기를 비교하면
∫ _〖0〗^〖1〗 ▒〖𝑥𝑓(𝑥)〗𝑑𝑥 = ∫ _〖0〗^〖1〗 ▒〖𝑥(𝑎𝑥 + 𝑏)〗𝑑𝑥
∫ _〖 − 4〗^0 ▒𝑓(𝑥)  𝑑𝑥 < ∫ _〖 − 3〗^1 ▒𝑓(𝑥)  𝑑𝑥 < ∫ _〖 − 2〗^2 = [ 〖〖𝑎〗〗/〖〖3〗〗 𝑥^〖3〗 + 〖〖𝑏〗〗/〖〖2〗〗 𝑥^〖2〗 ]_〖0〗^
▒𝑓(𝑥)  𝑑𝑥 〖1〗 = 〖〖𝑎〗〗/〖〖3〗〗 + 〖〖𝑏〗〗/〖〖2〗〗
< ∫ _〖 − 1〗^3 ▒𝑓(𝑥)  𝑑𝑥 < ∫ _0^4 ▒𝑓 이므로 조건에서
(𝑥)  𝑑𝑥 〖〖𝑎〗〗/〖〖3〗〗 + 〖〖𝑏〗〗/〖〖2〗〗 = 〖〖1〗〗/〖〖3〗〗 ⋯⋯

27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③ ②를 ①에 대입하지 않고 ∫ _〖0〗^〖2〗 ▒〖𝑓(𝑥)𝑑𝑥 =


②, ③에서 𝑎 = − 〖〖1〗〗/〖〖2〗〗 ,    𝑏 = 1 𝑝〗에 대입해도 된다.
①에 대입하면 𝑓(𝑥) = − 〖〖1〗〗/〖〖2〗〗 𝑥 + 1 (2) 𝑓(𝑥) = 𝑥^〖2〗 − 𝑥 + ∫ _〖0〗^〖1〗 ▒〖𝑥𝑓′(𝑥)𝑑𝑥〗 ……
유제 12-12. 정답 6
23


[풀이] ∫ _〖0〗^〖1〗 ▒〖𝑥𝑓′(𝑥)𝑑𝑥 = 𝑞〗 (𝑞 는 상수)로 놓으면 𝑓(𝑥) = 𝑥^
𝑓′(𝑥) = 2𝑥 − 1 이므로 〖2〗 − 𝑥 + 𝑞 ……④
이고 𝑓′(𝑥) = 2𝑥 − 1이므로 이를 ③에 대입하면
𝑓(𝑥) = 𝑥^〖2〗 − 𝑥 + 𝐶   ⋯⋯ ①
𝑥^〖2〗 − 𝑥 + 𝑞 = 𝑥^〖2〗 − 𝑥 + ∫ _〖0〗^〖1〗 ▒〖𝑥(2𝑥 − 1)𝑑𝑥〗
따라서
∴  𝑞 = ∫ _〖0〗^〖1〗 ▒〖𝑥(2𝑥 − 1)𝑑𝑥
∫ _〖0〗^〖2〗 ▒〖𝑓(𝑥)〗𝑑𝑥 = ∫ _〖0〗^〖2〗 ▒〖(𝑥^〖2〗 − 𝑥 + 𝐶)〗𝑑𝑥 = [ 〖〖2〗〗/〖〖3〗〗 𝑥^〖3〗
= [ 〖〖1〗〗/〖〖3〗〗 𝑥^〖2〗 − 〖〖1〗〗/〖〖2〗〗 𝑥^ − 〖〖1〗〗/〖〖2〗〗 𝑥^〖2〗 ]_〖0〗^〖1〗 〗 
〖2〗 + 𝐶𝑥]_〖0〗^〖2〗 = 〖〖1〗〗/〖〖6〗〗
= 〖〖2〗〗/〖〖3〗〗 + 2𝐶   이 값을 ④에 대입하면 𝑓(𝑥) = 𝑥^〖2〗 − 𝑥 + 〖〖1〗〗/〖〖6〗〗
조건에서 〖〖2〗〗/〖〖3〗〗 + 2𝐶 = 13 ∴ 𝐶 = 〖〖37〗〗/〖〖6〗〗 유제 12-14. 정답 (1) 𝑓(𝑥) = 4𝑥 + 18
26 (2) 𝑓(𝑥) = 𝑥^〖3〗 −
3𝑥 + 2
①에 대입하면 𝑓(𝑥) = 𝑥^〖2〗 − 𝑥 + 〖〖37〗〗/〖〖6〗〗 [풀이]
∫ _〖0〗^〖1〗 ▒〖𝑓(𝑥)〗𝑑𝑥 (1) ∫ _〖0〗^〖3〗 ▒〖𝑥𝑓^〖 〗 ′(𝑥)〗𝑑𝑥 = 𝑝 (𝑝  는 상수) ⋯⋯
= ∫ _〖0〗^〖1〗 ▒〖(𝑥^〖2〗 − 𝑥 ①
+ 〖〖37〗〗/〖〖6〗〗 )〗𝑑𝑥 이라고 하면 𝑓(𝑥) = 4𝑥 + 𝑝   ⋯⋯ ②
= [ 〖〖1〗〗/〖〖3〗〗 𝑥^〖2〗 − 〖〖1〗〗/〖〖2〗〗 𝑥^ 이때, 𝑓′(𝑥) = 4 이므로 ① 에 대입하면
〖2〗 + 〖〖37〗〗/〖〖6〗〗 𝑥]_〖0〗^〖1〗 ∫ _〖0〗^〖3〗 ▒〖4𝑥 〗𝑑𝑥 = 𝑝 ∴  𝑝 = [2𝑥^〖2〗 ]_〖0〗^
=6 〖3〗 = 18
유제 12-13. 정답 𝑓(𝑥) = 12〖𝑥〗^〖2〗 − 6𝑥 + 2 ② 에 대입하면 𝑓(𝑥) = 4𝑥 + 18
(2) ∫ _〖0〗^〖2〗 ▒〖𝑓(𝑥)〗𝑑𝑥 = 𝑞  (𝑞 는 상수) ⋯⋯ ①
[풀이]
이라고 하면 𝑓(𝑥) = 𝑥^〖3〗 − 3𝑥 + 𝑞   ⋯⋯ ②
𝑓(0) = 2 이므로
② 를 ① 에 대입하면
𝑓(𝑥) = 𝑎𝑥^〖2〗 + 𝑏𝑥 + 2 (𝑎 ≠ 0)로 놓을 수 있다.
∫ _〖0〗^〖2〗 ▒〖(𝑥^〖3〗 − 3𝑥 + 𝑞)〗𝑑𝑥 = 𝑞  
∫ _〖0〗^〖1〗 ▒𝑓(𝑥)𝑑𝑥 = 3에서
∴ [ 〖〖1〗〗/〖〖4〗〗 𝑥^〖2〗 − 〖〖2〗〗/〖〖3〗〗 𝑥^〖2〗 + 𝑞𝑥]_〖0〗^〖2〗
∫ _〖0〗^〖1〗 ▒〖(𝑎𝑥^〖2〗 + 𝑏𝑥 + 2)〗𝑑𝑥
=𝑞
= [ 〖〖𝑎〗〗/〖〖3〗〗 𝑥^〖3〗 + 〖〖𝑏〗〗/〖〖2〗〗 𝑥^〖2〗 ∴ −2 + 2𝑞 = 𝑞 ∴𝑞 = 2
+ 2𝑥]_〖0〗^〖1〗 ②에 대입하면 𝑓(𝑥) = 𝑥^〖3〗 − 3𝑥 + 2
= 〖〖𝑎〗〗/〖〖3〗〗 + 〖〖𝑏〗〗/〖〖2〗〗 + 2 = 3
연습문제 12-1. 정답 ②
……①
∫ _〖0〗^〖1〗 ▒𝑥𝑓(𝑥) = 2에서 [풀이]
∫ _〖0〗^〖1〗 ▒〖(𝑎𝑥^〖3〗 + 𝑏𝑥^〖2〗 + 2𝑥)〗𝑑𝑥 𝑓(𝑥) = 〖𝑥〗^〖2〗 + 1이라고 하면
= [ 〖〖𝑎〗〗/〖〖4〗〗 𝑥^〖4〗 + 〖〖𝑏〗〗/〖〖3〗〗 𝑥^〖3〗 𝐴 = 𝑓( 〖〖1〗〗/〖〖𝑛〗〗 ) 〖〖1〗〗/〖〖𝑛〗〗
+ 𝑥^〖2〗 ]_〖0〗^〖1〗 + 𝑓( 〖〖2〗〗/〖〖𝑛〗〗 ) 〖〖1〗〗/〖〖𝑛〗〗 + ⋯ + 𝑓( 〖〖𝑛
= 〖〖𝑎〗〗/〖〖4〗〗 + 〖〖𝑏〗〗/〖〖3〗〗 + 1 = 2 − 1〗〗/〖〖𝑛〗〗 ) 〖〖1〗〗/〖〖𝑛〗〗 + 𝑓(1) 〖〖1〗〗/〖〖𝑛〗〗
……②
𝐵 = 𝑓(0) 〖〖1〗〗/〖〖𝑛〗〗 + 𝑓( 〖〖1〗〗/〖〖𝑛〗〗 ) 〖〖1〗〗/〖〖𝑛〗〗 + ⋯
①, ②에서 𝑎 = 12,   𝑏 = −6
+ 𝑓( 〖〖𝑛 − 1〗〗/〖〖𝑛〗〗 ) 〖〖1〗〗/〖〖𝑛〗〗
∴ 𝑓(𝑥) = 12〖𝑥〗^〖2〗 − 6𝑥 + 2
∴ 𝐴 − 𝐵 = 𝑓(1) 〖〖1〗〗/〖〖𝑛〗〗 − 𝑓(0) 〖〖1〗〗/〖〖𝑛〗〗
기본 문제12-12. 정답 (1) 𝑓(𝑥) = 2𝑥 − 4 (2) 𝑓(𝑥) = 𝑥^〖2〗
25

= 〖〖2〗〗/〖〖𝑛〗〗 − 〖〖1〗〗/〖〖𝑛〗〗
− 𝑥 + 〖〖1〗〗/〖〖6〗〗 = 〖〖1〗〗/〖〖𝑛〗〗
[풀이] ∴ 〖〖1〗〗/〖〖𝑛〗〗 ≤ 0.15    ∴ 𝑛 ≥ 6.×××
(1) 𝑓(𝑥) = 2𝑥 + ∫ _〖0〗^〖2〗 ▒〖𝑓(𝑥)𝑑𝑥〗 ……① 연습문제 12-2. 정답 (1) −8〖√(〖〖2〗〗)〗 (2) 〖〖9〗〗/〖〖10〗〗
∫ _〖0〗^〖2〗 ▒〖𝑓(𝑥)𝑑𝑥 = 𝑝〗 (𝑝는 상수)로 놓으면 𝑓(𝑥) = 2𝑥 + 𝑝 (3) 〖〖19〗〗/〖〖2〗〗
……②
②를 ①에 대입하면 [풀이]
2𝑥 + 𝑝 = 2𝑥 + ∫ _〖0〗^〖2〗 ▒〖(2𝑥 + 𝑝)𝑑𝑥〗 곧, 𝑝 = ∫ _〖0〗^〖2〗 (1) 〖𝑥〗^〖2〗 − 4𝑥 + 2 = 0 의 두 근이 2 + 〖√(〖〖2〗〗)〗,   2 − 〖√(
▒〖(2𝑥 + 𝑝)𝑑𝑥〗 〖〖2〗〗)〗이므로
∴  𝑝 = [𝑥^〖2〗 + 𝑝𝑥]_〖0〗^〖2〗 ∴  𝑝 = 4 + 2𝑝 (준 식)= − 〖〖3〗〗/〖〖6〗〗 {\(2 + 〖√(〖〖2〗〗)〗 − (2 − 〖√(〖〖2〗〗)〗
∴  𝑝 = −4 )}^〖3〗 = −8〖√(〖〖2〗〗)〗
이 값을 ②에 대입하면 𝑓(𝑥) = 2𝑥 − 4 ( 2 ) ( 준 식 ) = [ 〖〖1〗〗/〖〖2〗〗 𝑥^〖2〗 + 〖〖1〗〗/〖〖2〗〗 × 〖〖1〗〗

28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3〗〗 𝑥^〖3〗 + ⋯ + 〖〖1〗〗/〖〖9〗〗 × 〖〖1〗〗/〖〖10〗〗 𝑥^〖10〗 ]_ ∴ (준 식)= lim┬〖𝑛 → ∞〗 〖 〖〖(𝑛 + 1)^〖3〗 − 1〗〗/〖〖𝑛^〖3〗 〗〗 〗 =
〖0〗^〖1〗 1
= 〖〖1〗〗/〖〖1 × 2〗〗 + 〖〖1〗〗/〖〖2 × 3〗〗 + ⋯ + 〖〖1〗〗 연습문제 12-7. 정답 〖〖13〗〗/〖〖3〗〗
/〖〖9 × 10〗〗
= ( 〖〖1〗〗/〖〖1〗〗 − 〖〖1〗〗/〖〖2〗〗 ) + ( 〖〖1〗〗/〖〖2〗〗 − [풀이]
〖〖1〗〗/〖〖3〗〗 ) + ⋯ + ( 〖〖1〗〗/〖〖9〗〗 − 〖〖1〗〗/〖〖10〗〗 ) = 1 − 0 ≤ 𝑥 ≤ 1일 때 𝑥^〖2〗 ≤ 𝑥,
〖〖1〗〗/〖〖10〗〗 = 〖〖9〗〗/〖〖10〗〗 𝑥 > 1 일 때 〖𝑥〗^〖2〗 > 𝑥이므로
(3) (준 식)= ∫ _〖 − 2〗^〖2〗 ▒〖│𝑥^〖3〗 − 1│〗𝑑𝑥 = ∫ _〖 − 2〗^〖1〗 ∫ _〖0〗^〖3〗 ▒〖(𝑥 ∧ 𝑥^〖2〗 )〗𝑑𝑥
▒〖(−𝑥^〖3〗 + 1)〗𝑑𝑥 + ∫ _〖1〗^〖2〗 ▒〖(𝑥^〖3〗 − 1)〗𝑑𝑥 = ∫ _〖0〗^〖1〗 ▒〖𝑥〗^〖〗 𝑑𝑥 + ∫ _〖1〗^〖3〗 ▒〖〗𝑥𝑑𝑥
= [− 〖〖1〗〗/〖〖4〗〗 𝑥^〖4〗 + 𝑥]_〖 − 2〗^〖1〗 + [ 〖〖1〗〗 = [ 〖〖1〗〗/〖〖3〗〗 𝑥^〖3〗 ]_〖0〗^〖1〗
/〖〖4〗〗 𝑥^〖4〗 − 𝑥]_〖1〗^〖2〗 = 〖〖27〗〗/〖〖4〗〗 + 〖〖11〗〗/〖〖4〗〗 + [ 〖〖1〗〗/〖〖2〗〗 𝑥^〖2〗 ]_〖1〗^〖3〗
= 〖〖19〗〗/〖〖2〗〗 = 〖〖1〗〗/〖〖3〗〗 + 4 = 〖〖13〗〗/〖〖3〗〗
연습문제 12-8. 정답 10
연습문제 12-3. 29
정답 ①
[풀이]
[풀이]
(준 식)
𝑆_𝑛 = ∑_〖𝑘 = 1〗^〖𝑛〗 ▒〖𝑎_𝑘 〗 = ∫ _〖0〗^〖𝑛〗 ▒〖(4𝑥 + 1)〗𝑑𝑥
= ∫ _〖0〗^〖6〗 ▒〖〗𝑓(𝑥)𝑑𝑥 + ∫ _〖 − 2〗^〖0〗 ▒〖〗𝑓(𝑥)𝑑𝑥
= [2〖𝑥〗^〖2〗 + 𝑥]_〖0〗^〖𝑛〗 = 2〖𝑛〗^〖2〗 + 𝑛
이므로 = ∫ _〖 − 2〗^〖6〗 ▒〖〗𝑓(𝑥)𝑑𝑥
= ∫ _〖 − 2〗^〖6〗 ▒〖〗├|│𝑥 − 2│ − 3┤|𝑑𝑥
𝑎_〖10〗 = 𝑆_〖10〗 − 𝑆_〖9〗
= (2 × 10^〖2〗 + 10) − (2 × 9^〖2〗 + 9) = 39
연습문제 12-4. 정답 ①
[풀이]
𝑎_〖𝑛〗 = ∫ _〖0〗^〖1〗 ▒〖(𝑥^〖𝑛〗 − 𝑥^〖𝑛 + 1〗 )〗𝑑𝑥
= [ 〖〖𝑥^〖𝑛 + 1〗 〗〗/〖〖𝑛 + 1〗〗 − 〖〖𝑥^〖𝑛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위의 그림에서 점찍은 부분의 넓이와
+ 2〗 〗〗/〖〖𝑛 + 2〗〗 ]_〖0〗^〖1〗 같으므로
= 〖〖1〗〗/〖〖𝑛 + 1〗〗 − 〖〖1〗〗/〖〖𝑛 + 2〗〗 (준 식)= 〖〖1〗〗/〖〖2〗〗 × 1 × 1 + 〖〖1〗〗/〖〖2〗〗 × 6 × 3 +
∴ ∑_〖𝑛 = 1〗^〖∞〗 ▒〖𝑎_𝑛 〗 = lim┬〖𝑛 → ∞〗 〖∑_〖𝑘 〖〖1〗〗/〖〖2〗〗 × 1 × 1 = 10
= 1〗^〖𝑛〗 ▒〖𝑎_𝑘 〗〗 = lim┬〖𝑛 → ∞〗 ∑_〖𝑘 연습문제 12-9. 정답 −5
= 1〗 ▒_〖𝑛〗 〖( 〖〖1〗〗/〖〖𝑘 + 1〗〗 − 〖〖1〗〗/〖〖𝑘 [풀이]
+ 2〗〗 )〗 조건식에서
= lim┬〖𝑛 → ∞〗 〖( 〖〖1〗〗/〖〖2〗〗 − 〖〖1〗〗/〖〖𝑛 + 2〗〗 )〗 ∫ _〖 − 𝑏〗^〖 − 𝑎〗 ▒〖𝑓(𝑥)𝑑𝑥〗 = ∫ _〖𝑏〗^〖𝑎〗 ▒𝑓(𝑥)𝑑𝑥
= 〖〖1〗〗/〖〖2〗〗 ∴ ∫ _〖 − 5〗^〖 − 3〗 ▒𝑓(𝑥)𝑑𝑥 = ∫ _〖3〗^〖5〗 ▒𝑓(𝑥)𝑑𝑥
연습문제 12-5. 정답 1 ∴ ∫ _〖1〗^〖3〗 ▒𝑓(𝑥)𝑑𝑥
[풀이] = ∫ _〖1〗^〖5〗 ▒𝑓(𝑥)𝑑𝑥 − ∫ _〖3〗^〖5〗 ▒𝑓(𝑥)𝑑𝑥
= 5 − 10 = −5
〖(𝑥 − 〖〖1〗〗/〖〖2〗〗 )〗^〖3〗 = 〖𝑥〗^〖3〗 − 〖〖3〗〗/〖〖2〗〗 〖𝑥〗^〖2〗
+ 〖〖3〗〗/〖〖4〗〗 𝑥 − 〖〖1〗〗/〖〖8〗〗
따라서
(준 식)
= ∫ _〖0〗^〖1〗 ▒〖〖𝑥〗^〖3〗 𝑓(𝑥)𝑑𝑥〗
− 〖〖3〗〗/〖〖2〗〗 ∫ _〖0〗^〖1〗 ▒〖〖𝑥〗^〖2〗 𝑓(𝑥)〗𝑑𝑥
+ 〖〖3〗〗/〖〖4〗〗 ∫ _〖0〗^〖1〗 ▒〖𝑥𝑓(𝑥)〗𝑑𝑥
− 〖〖1〗〗/〖〖8〗〗 ∫ _〖0〗^〖1〗 ▒𝑓(𝑥)𝑑𝑥
= 1 − 〖〖3〗〗/〖〖2〗〗 × 0 + 〖〖3〗〗/〖〖4〗〗 × 0
− 〖〖1〗〗/〖〖8〗〗 × 0 = 1 위의 그림에서 모든 실수 𝑎,  𝑏에 대하여
연습문제 12-6. 정답 1 ∫ _〖𝑎〗^〖𝑏〗 ▒𝑓(𝑥)𝑑𝑐 − ∫ _〖 − 𝑏〗^〖 − 𝑎〗 ▒𝑓(𝑥)𝑑𝑥 = 0 이면 𝑓(𝑥)
[풀이] 는 우함수이고 그래프는 𝑦축에 대하여 대칭임을 알 수 있다
∑_〖𝑘 = 1〗^〖𝑛〗 ▒𝑎_〖𝑘〗 연습문제 12-10. 정답 ③
= ∫ _〖1〗^〖2〗 ▒〖3𝑡^〖2〗 〗𝑑𝑡 [풀이]
+ ∫ _〖2〗^〖3〗 ▒〖3𝑡^〖2〗 〗𝑑𝑡 + ⋯ + ∫ _〖𝑛〗^〖𝑛
𝑓(−𝑥) = 𝑓(𝑥)이므로 그래프는 𝑦축에 대하여 대칭이다.
+ 1〗 ▒〖3𝑡^〖2〗 〗𝑑𝑡
= ∫ _〖1〗^〖𝑛 + 1〗 ▒〖3〖𝑡〗^〖2〗 〗𝑑𝑡 = [〖𝑡〗^〖3〗 ]_〖1〗^〖𝑛 + 1〗 또, 𝑓(𝑥) = 𝑓(𝑥 + 2) 이므로 −1 ≤ 𝑥 ≤ 1 에서의 그래프가 반복
= 〖(𝑛 + 1)〗^〖3〗 − 1

29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되어 나타난다. 0 ≤ 𝑎 ≤ 1일 때
따라서 𝑦 = 𝑓(𝑥)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 _〖0〗^〖1〗 ▒〖│𝑥 − 𝑎│〗𝑑𝑥 = ∫ _〖0〗^〖𝑎〗 ▒(−𝑥 + 𝑎)𝑑𝑥 + ∫ _〖𝑎〗
^〖1〗 ▒〖(𝑥 − 𝑎)〗𝑑𝑥
= [− 〖〖1〗〗/〖〖2〗〗 〖𝑥〗^〖2〗 + 𝑎𝑥]_〖0〗^〖𝑎〗 + [ 〖〖1〗〗/〖〖2〗〗
〖𝑥〗^〖2〗 − 𝑎𝑥]_〖𝑎〗^〖1〗
= 〖〖1〗〗/〖〖2〗〗 𝑎^〖2〗 + ( 〖〖1〗〗/〖〖2〗〗 𝑎^〖2〗 − 𝑎 + 〖〖1〗〗
∴ ∫ _〖 − 5〗^〖5〗 ▒〖𝑓(𝑥)𝑑𝑥〗 = 10∫ _〖0〗^〖1〗 ▒〖𝑓(𝑥)𝑑𝑥〗 /〖〖2〗〗 )
= 10∫ _〖0〗^〖1〗 ▒(−𝑥 + 1)𝑑𝑥 = 5 = 〖𝑎〗^〖2〗 − 𝑎 + 〖〖1〗〗/〖〖2〗〗 = 〖〖5〗〗/〖〖2〗〗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위의 그림에서 점 찍은 부분 ∴ 𝑎 = −1,  2 (부적합)
의 넓이이다. 𝑎 ≥ 1일 때
∴   ∫ _〖 − 5〗^〖5〗 ▒〖𝑓(𝑥)𝑑𝑥 = 5 × ( 〖〖1〗〗/〖〖2〗〗 × 2 × 1)〗 = 5 ∫ _〖0〗^〖1〗 ▒〖〗│𝑥 − 𝑎│𝑑𝑥 = ∫ _〖0〗^〖1〗 ▒〖〗(−𝑥 + 𝑎)𝑑𝑥 = [−
연습문제 12-11. 정답 𝑘 = 1
〖〖1〗〗/〖〖2〗〗 𝑥^〖2〗 + 𝑎𝑥]_〖0〗^〖1〗 = 𝑎 − 〖〖1〗〗/〖〖2〗〗 =
[풀이] 〖〖5〗〗/〖〖2〗〗
𝑓(2 + 𝑥) = 𝑓(2 − 𝑥)이므로 𝑓(𝑥)의 그래프는 직선 𝑥 = 2에 대 ∴ 𝑎 = 3 (적합)
하여 대칭이다. 연습문제 12-13. 정답 8
∴   ∫ _〖2〗^〖6〗 ▒〖𝑓(𝑥)𝑑𝑥 = ∫ _〖 − 2〗^〖2〗 ▒〖𝑓(𝑥)𝑑𝑥〗〗
[풀이]
= 2𝑘 + 4 ……①
또, ∫ _〖0〗^〖6〗 ▒〖𝑓(𝑥)𝑑𝑥 = 𝑘^〖2〗 〗에서 𝑦 = 𝑓(𝑥)의 그래프에서
∫ _〖0〗^〖2〗 ▒〖𝑓(𝑥)𝑑𝑥 + ∫ _〖2〗^〖6〗 ▒〖𝑓(𝑥)𝑑𝑥 = 𝑘^〖2〗 〗〗 0 ≤ 𝑥 ≤ 1일 때 𝑓(𝑥)는 증가하므로 𝑓′(𝑥) ≥ 0
①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1 ≤ 𝑥 ≤ 3일 때 𝑓(𝑥)는 감소하므로 𝑓′(𝑥) ≤ 0
∫ _〖0〗^〖2〗 ▒〖𝑓(𝑥)𝑑𝑥 = 𝑘^〖2〗 − 2𝑘 − 4〗
∴   ∫ _〖0〗^〖4〗 ▒〖𝑓(𝑥)𝑑𝑥 = 2∫ _〖0〗^〖2〗 ▒〖𝑓(𝑥)𝑑𝑥〗〗 따라서
= 2𝑘^〖2〗 − 4𝑘 − 8 (준 식)
= 2(𝑘 − 1)^〖2〗 − 10 = ∫ _〖0〗^〖1〗 ▒〖│𝑓′(𝑥)│〗𝑑𝑥 + ∫ _〖1〗^〖3〗 ▒〖│𝑓′(𝑥)│〗𝑑𝑥
따라서 ∫ _〖0〗^〖4〗 ▒〖𝑓(𝑥)𝑑𝑥〗가 최소일 때 𝑘 = 1 = ∫ _〖0〗^〖1〗 ▒〖〗𝑓′(𝑥)𝑑𝑥
연습문제 12-12. 정답 (1) 𝑎 = 2  (2) 𝑎 = 3
+ ∫ _〖1〗^〖3〗 ▒〖{−𝑓′(𝑥)}〗𝑑𝑥
[풀이] = [𝑓(𝑥)]_〖0〗^〖1〗 − [𝑓(𝑥)]_〖1〗^〖3〗
(1) = {𝑓(1) − 𝑓(0)} − {𝑓(3) − 𝑓(1)}
= 1 − (−3) − (−3 − 1) = 8
연습문제 12-14. 정답 8
[풀이]
𝑓′(𝑥) = 3𝑥^〖2〗 − 3 = 3(𝑥 + 1)(𝑥 − 1)이므로
𝑦 = 𝑓(𝑥),  𝑦 = ├|𝑓(𝑥)┤|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𝑎 ≥ 1이므로
∫ _〖0〗^〖𝑎〗 ▒〖├|𝑥^〖2〗 − 1┤|〗𝑑𝑥 = ∫ _〖0〗^〖1〗 ▒〖(−𝑥^〖2〗 +
1)〗𝑑𝑥 + ∫ _〖1〗^〖𝑎〗 ▒〖〗(𝑥^〖2〗 − 1)𝑑𝑥
= [− 〖〖1〗〗/〖〖3〗〗 〖𝑥〗^〖3〗 + 𝑥]_〖0〗^〖1〗 + [ 〖〖1〗〗/〖〖3〗〗 〖𝑥〗
^〖3〗 − 𝑥]_〖1〗^〖𝑎〗 = 〖〖2〗〗/〖〖3〗〗 + ( 〖〖1〗〗/〖〖3〗〗 〖𝑎〗^〖3〗 − 따라서 −1 ≤ 𝑡 ≤ 2에서
𝑎 + 〖〖2〗〗/〖〖3〗〗 ) 𝑔(𝑡) = 〖{■(    1    &(−1 ≤ 𝑡 < 0)@ − 𝑡^〖3〗 + 3𝑡 + 1 &(0 ≤ 𝑡
= 〖〖1〗〗/〖〖3〗〗 〖𝑎〗^〖3〗 − 𝑎 + 〖〖4〗〗/〖〖3〗〗 = 𝑎 < 1)@    3&(1 ≤ 𝑡 ≤ 2))┤〗
∴ (𝑎 − 2)(〖𝑎〗^〖2〗 + 2𝑎 − 2) = 0 ∴   ∫ _〖 − 1〗^〖2〗 ▒〖𝑔(𝑡)𝑑𝑡
𝑎 ≥ 1일 때 〖𝑎〗^〖2〗 + 2𝑎 − 2 > 0이므로 𝑎 = 2 = ∫ _〖 − 1〗^〖0〗 ▒〖1𝑑𝑡 + ∫ _〖0〗^〖1〗 ▒〖(−𝑡^〖3〗
(2) + 3𝑡 + 1)𝑑𝑡 + ∫ _〖1〗^〖2〗 ▒〖3𝑑𝑡〗〗〗〗
= [𝑡]_〖 − 1〗^〖0〗 + [− 〖〖1〗〗/〖〖4〗〗 𝑡^〖4〗 + 〖〖3〗〗
/〖〖2〗〗 𝑡^〖2〗 + 𝑡]_〖0〗^〖1〗 + [3𝑡]_〖1〗^〖2〗
= 1 + 〖〖9〗〗/〖〖4〗〗 + 3 = 〖〖25〗〗/〖〖4〗〗
연습문제 12-15. 정답 −𝑝 + 2𝑞
[풀이]

30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𝑓(𝑥) = −〖𝑥〗^〖3〗 + 〖𝑎〗^〖2〗 𝑥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 ∫ _〖0〗^〖0.5〗 ▒〖. (∑_〖𝑘 = 1〗^〖𝑛〗 ▒. 𝑘𝑥^〖𝑘 − 1〗 )𝑑𝑥
이므로 극소점의 𝑥좌표는 −𝑏이다 = ∫ _〖0〗^〖0.5〗 ▒〖(1 + 2𝑥 + 3𝑥^〖2〗 + ⋯
+ 𝑛𝑥^〖𝑛 − 1〗 )〗𝑑𝑥〗
= [𝑥 + 𝑥^〖2〗 + 𝑥^〖3〗 + ⋯ + 𝑥^〖𝑛〗 ]_〖0〗^〖0.5〗
= 〖〖1〗〗/〖〖2〗〗 + ( 〖〖1〗〗/〖〖2〗〗 )^〖2〗 + ⋯
+ ( 〖〖1〗〗/〖〖2〗〗 )^〖𝑛〗
= 1 − ( 〖〖1〗〗/〖〖2〗〗 )^〖𝑛〗
따라서 조건식은
−𝑏 ≤ 𝑥 ≤ 0에서 𝑓(𝑥) ≤ 0,
0 ≤ 𝑥 ≤ 𝑎에서 𝑓(𝑥) ≥ 0이므로 1 − ( 〖〖1〗〗/〖〖2〗〗 )^〖𝑛〗 ≥ 0.99    ∴ ( 〖〖1〗〗/〖〖2〗〗 )^〖𝑛〗
∫ _〖 − 𝑏〗^〖𝑎〗 ▒〖│𝑓(𝑥)│〗𝑑𝑥 ≤ 〖〖1〗〗/〖〖100〗〗
= ∫ _〖 − 𝑏〗^〖0〗 ▒{−𝑓(𝑥)}𝑑𝑥 ∴ 2^〖𝑛〗 ≥ 100
+ ∫ _〖0〗^〖𝑎〗 ▒〖𝑓(𝑥)𝑑𝑥〗. . . . . . . . . ① 따라서 자연수 𝑛의 최솟값은 7
한편 𝑦 = 𝑓(𝑥 − 𝑏)의 그래프는 𝑦 = 𝑓(𝑥)의 그래프를 𝑥축 방향 연습문제 12-18. 정답 ①
으로 𝑏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풀이]
∫ _〖0〗^〖𝑎〗 ▒𝑓(𝑥)𝑑𝑥 = ∫ _〖𝑏〗^〖𝑎 + 𝑏〗 ▒〖𝑓(𝑥 − 𝑏)〗𝑑𝑥 = 𝑞
∑_〖𝑘 = 1〗^〖𝑛〗 ▒〖 〖〖1〗〗/〖〖𝑘〗〗 〖𝑥〗^〖𝑘〗 〗 = 𝑥 + 〖〖1〗〗/〖〖2〗〗
∴ ∫ _〖 − 𝑏〗^〖0〗 ▒〖𝑓(𝑥)𝑑𝑥〗
〖𝑥〗^〖2〗 +. . . . + 〖〖1〗〗/〖〖𝑛〗〗 〖𝑥〗^〖𝑛〗 이므로
= ∫ _〖 − 𝑏〗^〖𝑎〗 ▒〖𝑓(𝑥)𝑑𝑥〗
∫ _〖0〗^〖1〗 ▒〖〗(∑_〖𝑘 = 1〗^〖𝑛〗 ▒ 〖〖1〗〗/〖〖𝑘〗〗 𝑥^〖𝑘〗 )𝑑𝑥
− ∫ _〖0〗^〖𝑎〗 ▒𝑓(𝑥)𝑑𝑥 = 𝑝 − 𝑞
= [ 〖〖1〗〗/〖〖2〗〗 𝑥^〖2〗
①에 대입하면
+ 〖〖1〗〗/〖〖2 × 3〗〗 𝑥^〖3〗 + ⋯ + 〖〖1〗〗/〖〖𝑛(𝑛
∫ _〖 − 𝑏〗^〖𝑎〗 ▒〖│𝑓(𝑥)│〗𝑑𝑥 = −(𝑝 − 𝑞) + 𝑞 = −𝑝 + 2𝑞
+ 1)〗〗 𝑥^〖𝑛 + 1〗 ]_〖0〗^〖1〗
연습문제 12-16. 정답 𝑎 = 2,  𝑏 = 8
= 〖〖1〗〗/〖〖1 × 2〗〗 + 〖〖1〗〗/〖〖2 × 3〗〗 + ⋯ +
[풀이]
〖〖1〗〗/〖〖𝑛(𝑛 + 1)〗〗
𝑦 = 𝑥^〖3〗 의 그래프를 𝑥 축 방향으로 𝑎 만큼, 𝑦 축 방향으로 𝑏 = 1 − 〖〖1〗〗/〖〖𝑛 + 1〗〗
만큼 평행이동하면 𝑦 − 𝑏 = (𝑥 − 𝑎)^〖3〗 이므로 ∴ lim┬〖𝑛 → ∞〗 ∫ _〖0〗^〖1〗 ▒〖(∑_〖𝑘
𝑔(𝑥) = (𝑥 − 𝑎)^〖3〗 + 𝑏 = 1〗^〖𝑛〗 ▒ 〖〖1〗〗/〖〖𝑘〗〗 〖𝑥〗^〖𝑘〗 )〗𝑑𝑥 = lim┬〖𝑛
→ ∞〗 〖(1 − 〖〖1〗〗/〖〖𝑛 + 1〗〗 )〗 = 1
𝑔(0) = 0이므로
∫ _〖𝑎〗^〖𝑏〗 ▒〖{𝑓(𝑥) + 𝑔(𝑥)}〗𝑑𝑥 = ∫ _〖𝑎〗^〖𝑏〗 ▒𝑓(𝑥)
−𝑎^〖3〗 + 𝑏 = 0 ∴  𝑏 = 𝑎^〖3〗 ……①
𝑑𝑥 + ∫ _〖𝑎〗^〖𝑏〗 ▒𝑔(𝑥)𝑑𝑥
한편
이므로
∫ _〖𝑎〗^〖3𝑎〗 ▒〖𝑔(𝑥)𝑑𝑥 = ∫ _〖𝑎〗^〖3𝑎〗 ▒〖{(𝑥 − 𝑎)^〖3〗 + 𝑏}𝑑𝑥〗〗 ∫ _〖0〗^〖1〗 ▒(∑_〖𝑘 = 1〗^〖𝑛〗 ▒ 〖〖1〗〗/〖〖𝑘〗〗 〖𝑥〗^〖𝑘〗 )𝑑𝑥
= ∫ _〖0〗^〖2𝑎〗 ▒〖(𝑥^〖3〗 + 𝑏)𝑑𝑥〗 …* = ∑_〖𝑘
이므로 = 1〗^〖𝑛〗 ▒∫ _〖0〗^〖1〗 ▒ 〖〖1〗〗/〖〖𝑘〗〗 〖𝑥〗^〖𝑘〗 𝑑𝑥
∫ _〖𝑎〗^〖3𝑎〗 ▒〖𝑔(𝑥)𝑑𝑥 − ∫ _〖0〗^〖2𝑎〗 ▒〖𝑓(𝑥)𝑑𝑥〗〗 = ∑_〖𝑘
= ∫ _〖0〗^〖2𝑎〗 ▒〖(𝑥^〖3〗 + 𝑏)𝑑𝑥 − ∫ _〖0〗^〖2𝑎〗 ▒〖𝑥^ = 1〗^〖𝑛〗 ▒[ 〖〖〖𝑥〗^〖𝑘 + 1〗 〗〗/〖〖𝑘(𝑘
〖3〗 𝑑𝑥〗〗 + 1)〗〗 ]_〖0〗^〖1〗 = ∑_〖𝑘
= ∫ _〖0〗^〖2𝑎〗 ▒〖𝑏 𝑑𝑥 = [𝑏𝑥]_〖0〗^〖2𝑎〗   = 2𝑎𝑏 = 32〗 = 1〗^〖𝑛〗 ▒ 〖〖1〗〗/〖〖𝑘(𝑘 + 1)〗〗
……② 연습문제 12-19. 정답 ①
∴  𝑎𝑏 = 16
①을 ②에 대입하면 𝑎^〖4〗 = 16 [풀이]

𝑎 > 0이므로 𝑎 = 2 ∴  𝑏 = 8 𝑓(𝑥) = 3〖𝑥〗^〖2〗 + (2𝑥 − 1)∫ _〖0〗^〖1〗 ▒𝑓(𝑡)𝑑𝑡 이므로 ∫ _〖0〗^
〖1〗 ▒𝑓(𝑡)𝑑𝑡 = 𝑎로 놓으면

𝑦 = 𝑓(𝑥 − 𝑎)의 그래프는 𝑓(𝑥) = 3𝑥^〖2〗 + (2𝑥 − 1) × 𝑎 = 3𝑥^〖2〗 + 2𝑎𝑥 − 𝑎


∴ 𝑎 = ∫ _〖0〗^〖1〗 ▒𝑓(𝑡)𝑑𝑡
𝑦 = 𝑓(𝑥)의 그래프를 𝑥 축 방향으로 𝑎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 = ∫ _〖0〗^〖1〗 ▒(3〖𝑡〗^〖2〗 + 2𝑎𝑡 − 𝑎)𝑑𝑡
로 = [〖𝑡〗^〖3〗 + 𝑎〖𝑡〗^〖2〗 − 𝑎𝑡]_〖0〗^〖1〗 = 1
∫ _〖𝑏〗^〖𝑐〗 ▒〖𝑓(𝑥)𝑑𝑥 = ∫ _〖𝑏 + 𝑎〗^〖𝑐 + 𝑎〗 ▒〖𝑓(𝑥 − 𝑎)𝑑𝑥〗〗 ∴ ∫ _〖0〗^〖1〗 ▒𝑓(𝑥)𝑑𝑥 = ∫ _〖0〗^〖1〗 ▒𝑓(𝑡)𝑑𝑡 = 1
연습문제 12-20. 정답 〖〖7〗〗/〖〖2〗〗
가 성립한다. *에서는 이 성질을 이용하였다.
연습문제 12-17. 정답 7 [풀이]

[풀이] ∫ _〖0〗^〖1〗 ▒〖〗𝑓(𝑥)𝑑𝑥 = 𝑎 ……①


∫ _〖0〗^〖2〗 ▒〖〗𝑓(𝑥)𝑑𝑥 = 𝑏 ……②
로 놓으면

31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𝑓(𝑥) = 4〖𝑥〗^〖3〗 + 3〖𝑥〗^〖2〗 + 2𝑎𝑥 + 𝑏 𝑔(𝑥) = 𝑚𝑥 + 𝑛(𝑚 ≠ 0)이라고 하면


이것을 ①, ②에 대입하면 ∫ _〖 − 1〗^〖1〗 ▒〖〗(𝑥^〖2〗 + 𝑎𝑥 + 𝑏)𝑔(𝑥)𝑑𝑥
∫ _〖0〗^〖1〗 ▒(4〖𝑥〗^〖3〗 + 3〖𝑥〗^〖2〗 + 2𝑎𝑥 + 𝑏)𝑑𝑥 = 𝑎 = ∫ _〖 − 1〗^〖1〗 ▒〖〗(𝑥^〖2〗 + 𝑎𝑥 + 𝑏)(𝑚𝑥
∫ _〖0〗^〖2〗 ▒〖(4〖𝑥〗^〖3〗 + 3〖𝑥〗^〖2〗 〗 + 2𝑎𝑥 + 𝑏)\}𝑑𝑥 = 𝑏 + 𝑛)𝑑𝑥
∴ [𝑥^〖4〗 + 𝑥^〖3〗 + 𝑎𝑥^〖2〗 + 𝑏𝑥]_〖0〗^〖1〗 = 𝑚∫ _〖 − 1〗^〖1〗 ▒〖(〖𝑥〗^〖3〗 + 𝑎〖𝑥〗^〖2〗 + 𝑏𝑥)〗𝑑𝑥
= 𝑎,  [𝑥^〖4〗 + 𝑥^〖3〗 + 𝑎𝑥^〖2〗 + 𝑏𝑥]_〖0〗^〖2〗 + 𝑛∫ _〖 − 1〗^〖1〗 ▒(〖𝑥〗^〖2〗 + 𝑎𝑥 + 𝑏)𝑑𝑥
=𝑏 = 2𝑚∫ _〖0〗^〖1〗 ▒〖𝑎〖𝑥〗^〖2〗 𝑑𝑥〗 + 2𝑛∫ _〖0〗^〖1〗 ▒(〖𝑥〗^〖2〗
∴ 2 + 𝑎 + 𝑏 = 𝑎,    24 + 4𝑎 + 2𝑏 = 𝑏 + 𝑏)𝑑𝑥
∴ 𝑎 = − 〖〖11〗〗/〖〖2〗〗 ,   𝑏 = −2 = 〖〖2〗〗/〖〖3〗〗 𝑎𝑚 + 2( 〖〖1〗〗/〖〖3〗〗 + 𝑏) = 0
∴ ∫ _〖1〗^〖2〗 ▒〖𝑓(𝑥)𝑑𝑥〗 모든 𝑚,  𝑛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 _〖0〗^〖2〗 ▒𝑓(𝑥)𝑑𝑥 − ∫ _〖0〗^〖1〗 ▒𝑓(𝑥)𝑑𝑥 〖〖2〗〗/〖〖3〗〗 𝑎 = 0,   2( 〖〖1〗〗/〖〖3〗〗 + 𝑏) = 0
= 𝑏 − 𝑎 = 〖〖7〗〗/〖〖2〗〗 ∴ 𝑎 = 0,   𝑏 = − 〖〖1〗〗/〖〖3〗〗
∫ _〖1〗^〖2〗 ▒〖𝑓(𝑥)𝑑𝑥〗 = ∫ _〖1〗^〖2〗 ▒〖(4〖𝑥〗^〖3〗 + 연습문제 12-24. 정답 𝑞 = 〖〖2〗〗/〖〖3〗〗
3〖𝑥〗^〖2〗 − 11𝑥 − 2)〗𝑑𝑥를 직접 계산해도 된다. [풀이]
연습문제 12-21. 정답 𝑓(𝑥) = 6〖𝑥〗^〖2〗 + 1 𝑓(𝑥) = 𝑎〖𝑥〗^〖3〗 + 𝑏〖𝑥〗^〖2〗 + 𝑐𝑥 + 𝑑라고 하면
[풀이]
(좌변)= ∫ _〖 − 1〗^〖1〗 ▒(𝑎〖𝑥〗^〖3〗 + 𝑏〖𝑥〗^〖2〗 + 𝑐𝑥 + 𝑑)𝑑𝑥 = 2
𝑓(𝑥) = 1 + 〖𝑥〗^〖2〗 ∫ _〖 − 1〗^〖1〗 ▒〖𝑓(𝑡)𝑑𝑡 − ∫ _〖 − 1〗^〖1〗 ▒𝑡𝑓
∫ _〖0〗^〖1〗 ▒(𝑏〖𝑥〗^〖2〗 + 𝑑)𝑑𝑥 = 〖〖2〗〗/〖〖3〗〗 𝑏 + 2𝑑
(𝑡)〗𝑑𝑡에서
( 우변 ) = {𝑓(− 〖〖1〗〗/〖〖〖√(〖〖2〗〗)〗〗〗 ) + 𝑓( 〖〖1〗〗/〖〖〖√(〖〖2〗〗
∫ _〖 − 1〗^〖1〗 ▒𝑓(𝑡)𝑑𝑡 = 𝑎. . . ①
)〗〗〗 )}𝑝 + 𝑓(0)𝑞 = 2( 〖〖1〗〗/〖〖2〗〗 𝑏 + 𝑑)𝑝 + 𝑑𝑞
∫ _〖 − 1〗^〖1〗 ▒𝑡𝑓(𝑡)𝑑𝑡 = 𝑏. . . ② = 𝑏𝑝 + (2𝑝 + 𝑞)𝑑
로 놓으면 ∴ 〖〖2〗〗/〖〖3〗〗 𝑏 + 2𝑑 = 𝑏𝑝 + (2𝑝 + 𝑞)𝑑
𝑓(𝑥) = 𝑎〖𝑥〗^〖2〗 − 𝑏 + 1. . . . ③ 모든 𝑏,  𝑑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③을 ①에 대입하면 −6𝑏 + 6 = 𝑎. . . ④ 𝑝 = 〖〖2〗〗/〖〖3〗〗 ,   2𝑝 + 𝑞 = 2    ∴ 𝑞 = 〖〖2〗〗/〖〖3〗〗
③을 ②에 대입하면 0 = 𝑏 삼차이하의 모든 다항함수 𝑓(𝑥) 에 대하여 성립하
④에 대입하면 𝑎 = 6 므로 𝑓(𝑥) = 1, 𝑓(𝑥) = 〖𝑥〗^〖2〗 등을 대입해도 성립한다.
∴ 𝑓(𝑥) = 6〖𝑥〗^〖2〗 + 1 (ⅰ) 𝑓(𝑥) = 1일 때
(좌변)= ∫ _〖 − 1〗^〖1〗 ▒〖1𝑑𝑥〗 = 2
③에서 𝑓(𝑥)가 우함수이므로 𝑥𝑓(𝑥) 는 기함수이다. (우변)= 1 × 𝑝 + 1 × 𝑞 + 1 × 𝑝
따라서 ∫ _〖 − 1〗^〖1〗 ▒〖𝑡𝑓(𝑡)𝑑𝑡 = 0〗이다. ∴ 2𝑝 + 𝑞 = 2. . . . . . . . ①
이를 이용하여 ⑤를 구할 수도 있다. (ⅱ) 𝑓(𝑥) = 〖𝑥〗^〖2〗 일 때
연습문제 12-22. 정답 𝑓(2)𝑔(2) = 3
(좌변)= ∫ _〖 − 1〗^〖1〗 ▒〖𝑥〗^〖2〗 𝑑𝑥 = 〖〖2〗〗/〖〖3〗〗
[풀이]
(우변) = 〖〖1〗〗/〖〖2〗〗 × 𝑝 + 0 × 𝑞 = 〖〖1〗〗/〖〖2〗〗 × 𝑝
∫ _〖0〗^〖2〗 ▒𝑔(𝑡)𝑑𝑡 = 𝑎. . . . . . . . . ①
∴ 𝑝 = 〖〖2〗〗/〖〖3〗〗
∫ _〖0〗^〖1〗 ▒𝑓(𝑡)𝑑𝑡 = 𝑏. . . . . . . . . ②
①에 대입하면 𝑞 = 〖〖2〗〗/〖〖3〗〗
로 놓으면
연습문제 12-25. 정답 ①
𝑓(𝑥) = 𝑥 + 1 + 𝑎. . . . ③
𝑔(𝑥) = 2𝑥 − 3 + 𝑏. . . . ④ [풀이]
①, ④에서 𝑓(𝑥)를 𝑛차 다항식이라고 하자.
𝑎 = ∫ _〖0〗^〖2〗 ▒〖〗2(2𝑡 − 3 + 𝑏)𝑑𝑡 = 2𝑏 − 2 ……⑤ 𝑛 ≥ 2 이면 𝑓(𝑓(𝑥)) 는 〖𝑛〗^〖2〗 차 다항식이고, ∫ _〖0〗^〖𝑥〗 ▒𝑓(𝑡
②, ③에서 )𝑑𝑡 는 𝑛 + 1차 다항식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𝑏 = ∫ _〖0〗^〖1〗 ▒〖(𝑡 + 1 + 𝑎)〗𝑑𝑡 = 𝑎 + 〖〖3〗〗/〖〖2〗〗 ……
𝑛 = 0이면 좌변은 상수, 우변은 이차식이 되어 성립하지 않는

⑤, ⑥을 연립하여 풀면 다.

𝑎 = −1,   𝑏 = 〖〖1〗〗/〖〖2〗〗 𝑛 = 1이면, 곧 𝑓(𝑥) = 𝑎𝑥 + 𝑏 (𝑎 ≠ 0)라고 하면


∴ 𝑓(𝑥) = 𝑥,   𝑔(𝑥) = 2𝑥 − 〖〖5〗〗/〖〖2〗〗 (좌변)= 𝑓(𝑓(𝑥)) = 𝑎(𝑎𝑥 + 𝑏) + 𝑏 = 〖𝑎〗^〖2〗 𝑥 + 𝑎𝑏 + 𝑏
∴ 𝑓(2) ∙ 𝑔(2) = 3
( 우변 ) = ∫ _〖0〗^〖𝑥〗 ▒〖〗(𝑎𝑡 + 𝑏)𝑑𝑡 − 𝑥^〖2〗 + 3𝑥 + 3 = 〖〖1〗〗
연습문제 12-23. 정답 𝑎 = 0,   𝑏 = − 〖〖1〗〗/〖〖3〗〗
/〖〖2〗〗 𝑎𝑥^〖2〗 + 𝑏𝑥 − 𝑥^〖2〗 + 3𝑥 + 3
[풀이]
= ( 〖〖1〗〗/〖〖2〗〗 𝑎 − 1)〖𝑥〗^〖2〗 + (𝑏 + 3)𝑥 + 3

32
미적분학1 연습 문제 기본 정석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0 = 〖〖1〗〗/〖〖2〗〗 𝑎 − 1,   𝑎^〖2〗 = 𝑏 + 3,   𝑎𝑏 + 𝑏 = 3
∴ 𝑎 = 2,   𝑏 = 1
∴  𝑓(1) = 𝑎 + 𝑏 = 3

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