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DPHE>

20191734
윤동빈

1. 실험방법 변경사항

기존 온수의 유속 0.5L/min 혹은 1.0L/min 에서 온수 유속이 0.5L/min 으로 정확히


설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어서 온수의 유속을 0.9L/min, 1.3L/min 으로 대체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2. 실험결과 해석
(1) Co-current 50℃, 온수 유량 = 0.9L/min

In Out

Hot(℃) 43.4 37.7

Cold(℃) 18.6 23.9

1) 온수 및 냉수의 평균 온도

43.4+ 37.7
T h= =40.55 ℃ = 313.7K
2
18.6+ 23.9
T c= =21.25℃ = 294.4K
2

2) 교환기 내부 온수 및 냉수의 속도

q h 4 q i 4 ×0.9 L/ min 1m
3
1 min
V h= = 2
= 2
× × =0.0746 m/ s
si π D i π ×( 0.016 m) 1000 L 60 s

qc 4 qo 4 ×1.0 L/min 1m
3
1 min
V c= = 2
= 2
× × =0.0603 m/ s
s o π D o π ×{(0.026 m) − ( 0.018 m ) } 1000 L 60 s
2

3) 냉수 및 온수의 무차원수

물의 몰성표와 안 짐작법을 이용해 무차원수 Re, Pr, Nu 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먼저 구한다.

Density Viscosity Heat capacity Heat conductivity


ρ( kg/m3) μ( kg/m∙ s) C p (kJ /kg ∙ K ) k (W/m∙K)

T h=313.7K 991.9458 0.000647 4.182 0.6313

T c=294.4K 997.9295 0.000973 4.183 0.6006

-온수의 무차원수

ρ h v h Di 991.9458 kg / m3 ×0.0746 m/s ×0.016 m


ℜ h= = =1829.9
μh 0.000647 kg / m∙ s
C p × μh 4.182 kJ /kg ∙ K × 0.000647 kg /m∙ s 1000W ∙ s
Pr h= h
= × =4.286
kh 0.6313W /m∙ K 1 kJ
h Di
Nu h= =0.023 ℜ0.8 Pr 0.3=0.023 ×1829.90.8 × 4.2860.3 =14.497
kh
-냉수의 무차원수
2 2
¿ π (0.026 /2) −π (0.018/2)
HR=area perpendicular ¿ flow = =0.002 m
wetted perimeter 0.018 π +0.026 π
ρ c v c (4 HR) 997.9295 kg /m3 ×0.0603 m/s × 4 × 0.002 m
ℜc = = =494.8
μc 0.000973 kg /m∙ s
C p × μc 4.183 kJ /kg ∙ K × 0.000973 kg/m∙ s 1000 W ∙ s
Pr c = c
= × =6.777
kc 0.6006 W /m∙ K 1 kJ
h Do 0.8 0.4 0.8 0.4
Nu c = =0.023 ℜ Pr =0.023× 494.8 ×6.777 =7.074
kc

4)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kh 0.6313 W /m∙ k 2
hi =Nuh =14.497 × =571.997 W /m ∙ k
Di 0.016 m
kc 0.6006 W /m ∙ k 2
h o=Nu c =7.074 × =236.036 W /m ∙ k
Do 0.018 m

5) 관 내부/외부 총괄열전달계수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xw 0.001m
= =2.494 × 10−6 m2 ∙ K /W
k m 401 W /m ∙ K
D o−Di 0.018 m−0.016 m
D L= = =0.017 m
ln ⁡( D0 / Di) ln ⁡(0.018 m/0.016 m)

-관 내부의 총괄열전달계수

1 1
U i= =
1 x w Di 1 Di 1
+2.494 × 10−6 m2 ∙ K /W ×
0.016 m
+
1
+ ∙ + ∙ 2
0.017 m
hi k m D L ho D o 571.997 W /m ∙k 236.036 W /m

1 1
Uo= =
1 x w Do 1 Do 1 −6 2
+ 2.494 ×10 m ∙ K /W ×
0.018 m
+
1
+ ∙ + ∙ 2
0.017 m 571.997 W /m
h o k m DL hi Di 236.036W /m ∙ k

(2) Counter-current 50℃, 온수 유량 = 0.9L/min

In Out
Hot(℃) 45.2 39.2

Cold(℃) 17.9 24.8

1) 온수 및 냉수의 평균온도

45.2+39.2
T h= =42.2 ℃ = 315.35K
2
17.9+ 24.8
T c= =21.35℃ = 294.5K
2

2) 교환기 내부 온수 및 냉수의 속도

q h 4 q i 4 ×0.9 L/ min 1m
3
1 min
V h= = = × × =0.0746 m/ s
si π D i2 π ×( 0.016 m)2 1000 L 60 s

qc 4 qo 4 ×1.1 L/min 1m
3
1 min
V c= = 2
= 2
× × =0.0663 m/ s
s o π D o π ×{(0.026 m) − ( 0.018 m ) } 1000 L 60 s
2

3) 냉수 및 온수의 무차원수

물의 몰성표와 안 짐작법을 이용해 무차원수 Re, Pr, Nu 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먼저 구한다.

Density Viscosity Heat capacity Heat conductivity


3
ρ( kg/m ) μ( kg/m∙ s) C p (kJ /kg ∙ K ) k (W/m∙K)

T h=315.35K 991.2973 0.000628 4.182 0.6335

T c=294.5K 997.9076 0.000971 4.183 0.6008

-온수의 무차원수

ρ h v h Di 991.2973 kg /m3 ×0.0746 m/s ×0.016 m


ℜ h= = =1884.1
μh 0.000628 kg /m∙ s
C p × μh 4.182 kJ /kg ∙ K × 0.000628 kg /m ∙ s 1000W ∙ s
Pr h= h
= × =4.146
kh 0.6335W /m∙ K 1 kJ
h Di 0.8 0.3 0.8 0.3
Nu h= =0.023 ℜ Pr =0.023 ×1884.1 × 4.146 =14.693
kh

-냉수의 무차원수
2 2
¿ π (0.026 / 2) −π (0.018/2)
HR=area perpendicular ¿ flow = =0.002 m
wetted perimeter 0.018 π +0.026 π
ρ c v c (4 HR) 997.9076 kg /m3 ×0.0663 m/s ×4 ×0.002 m
ℜc = = =545.1
μc 0.000971kg /m∙ s
C p × μc 4.183 kJ /kg ∙ K × 0.000971kg /m∙ s 1000 W ∙ s
Pr c = c
= × =6.760
kc 0.6008 W /m ∙ K 1 kJ
h Do 0.8 0.4 0.8 0.4
Nu c = =0.023 ℜ Pr =0.023× 545.1 × 6.760 =7.636
kc

4)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kh 0.6335 W / m ∙ k 2
hi =Nu h =14.693 × =581.751W / m ∙ k
Di 0.016 m
kc 0.6008 W / m ∙ k 2
h o=Nu c =7.636 × =254.873 W /m ∙ k
Do 0.018 m

5) 관 내부/외부 총괄열전달계수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xw 0.001m −6 2
= =2.494 × 10 m ∙ K / W
k m 401 W / m ∙ K
D o−Di 0.018 m−0.016 m
D L= = =0.017 m
ln ⁡( D0 / Di) ln ⁡(0.018 m/0.016 m)

1 1
U i= =
1 x w Di 1 Di 1
+2.494 ×10−6 m2 ∙ K /W ×
0.016 m
+
1
+ ∙ + ∙ 2
0.017 m 254.873 W /m
hi k m D L ho D o 581.751 W /m ∙ k

1 1
Uo= =
1 x w Do 1 D o 1 −6 2
+ 2.494 ×10 m ∙ K /W ×
0.018 m
+
1
+ ∙ + ∙ 2
h o k m DL hi Di 254.873W /m ∙ k 0.017 m 581.751W /m

(3) Co-current 50℃, 온수 유량 = 1.3L/min

In Out

Hot(℃) 45.4 40.0


Cold(℃) 18.5 25.0

1) 온수 및 냉수의 평균 온도

45.4+ 40.0
T h= =42.7℃ = 315.85K
2
18.5+ 25.0
T c= =21.75℃ = 294.9K
2

2) 교환기 내부 온수 및 냉수의 속도

qh 4 qi 4 ×1.3 L/min 1m3 1 min


V h= = = × × =0.1078 m/ s
si π D i π ×( 0.016 m) 1000 L 60 s
2 2

qc 4 qo 4 ×1.0 L/min 1m
3
1 min
V c= = = × × =0.0603 m/s
s o π D o π ×{(0.026 m) − ( 0.018 m) } 1000 L 60 s
2 2 2

3) 냉수 및 온수의 무차원수

물의 몰성표와 안 짐작법을 이용해 무차원수 Re, Pr, Nu 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먼저 구한다.

Density Viscosity Heat capacity Heat conductivity


3
ρ( kg/m ) μ( kg/m∙ s) C p (kJ /kg ∙ K ) k (W/m∙K)

T h=315.85K 991.1009 0.000623 4.182 0.6342

T c=294.9K 997.8200 0.000962 4.183 0.6015

-온수의 무차원수

ρh v h D i 991.1009 kg /m 3 ×0.1078 m/s × 0.016 m


ℜh= = =2743.9
μh 0.000623 kg / m∙ s
C p × μh 4.182 kJ /kg ∙ K × 0.000623 kg /m ∙ s 1000W ∙ s
Pr h= h
= × =4.108
kh 0.6342W /m∙ K 1 kJ
h Di 0.8 0.3 0.8 0.3
Nu h= =0.023 ℜ Pr =0.023 ×2743.9 × 4.108 =19.793
kh

-냉수의 무차원수
2 2
¿ π (0.026 / 2) −π (0.018/2)
HR=area perpendicular ¿ flow = =0.002 m
wetted perimeter 0.018 π +0.026 π
ρ c v c (4 HR) 997.8200 kg /m3 ×0.0603 m/ s × 4 × 0.002 m
ℜc = = =500.4
μc 0.000962kg /m∙ s
C p × μc 4.183 kJ /kg ∙ K × 0.000962kg /m∙ s 1000 W ∙ s
Pr c = c
= × =6.690
kc 0.6015 W /m ∙ K 1 kJ
h Do 0.8 0.4 0.8 0.4
Nu c = =0.023 ℜ Pr =0.023× 500.4 ×6.690 =7.102
kc

4)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kh 0.6342 W / m ∙ k 2
hi =Nuh =19.793 × =784.545 W /m ∙ k
Di 0.016 m
kc 0.6015W /m∙ k 2
h o=Nu c =7.102× =237.325 W / m ∙ k
Do 0.018 m

5) 총괄열전달계수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xw 0.001m −6 2
= =2.494 × 10 m ∙ K / W
k m 401 W / m ∙ K
D o−Di 0.018 m−0.016 m
D L= = =0.017 m
ln ⁡( D0 / Di) ln ⁡(0.018 m/0.016 m)

1 1
U i= =
1 x w Di 1 Di 1 −6 2
+2.494 × 10 m ∙ K /W ×
0.016 m
+
1
+ ∙ + ∙ 2
hi k m D L ho D o 784.545 W /m ∙ k 0.017 m 237.325W /m

1 1
Uo= =
1 x w Do 1 D o 1
+ 2.494 ×10−6 m2 ∙ K /W ×
0.018 m
+
1
+ ∙ + ∙ 2
h o k m DL hi Di 237.325W /m ∙ k 0.017 m 784.545 W /m

(4) Counter-current 50℃, 온수 유량 = 1.3L/min

In Out

Hot(℃) 46.5 41.1

Cold(℃) 17.9 26.6


1) 온수 및 냉수의 평균온도

46.5+ 41.1
T h= =43.8 ℃ = 316.95K
2
17.9+ 26.6
T c= =22.25℃ = 295.4K
2

2) 교환기 내부 온수 및 냉수의 속도

qh 4 qi 4 ×1.5 L/min 1m
3
1 min
V h= = 2
= 2
× × =0.1244 m/s
si π Di π ×( 0.016 m) 1000 L 60 s

qc 4 qo 4 ×1.1 L/min 1 m3 1 min


V c= = 2
= 2
× × =0.0663 m/s
s o π D o π ×{(0.026 m) − ( 0.018 m) } 1000 L 60 s
2

3) 냉수 및 온수의 무차원수

물의 몰성표와 안 짐작법을 이용해 무차원수 Re, Pr, Nu 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먼저 구한다.

Density Viscosity Heat capacity Heat conductivity


3
ρ( kg/m ) μ( kg/m∙ s) C p (kJ /kg ∙ K ) k (W/m∙K)

T h=316.95K 990.6686 0.000610 4.182 0.6357

T c=295.4K 997.7106 0.000951 4.183 0.6024

-온수의 무차원수

ρ h v h Di 990.6686 kg /m3 ×0.1244 m/s × 0.016 m


ℜh= = =3232.5
μh 0.000610 kg / m∙ s
C p × μh 4.182 kJ /kg ∙ K × 0.000610 kg /m ∙ s 1000W ∙ s
Pr h= h
= × =4.013
kh 0.6357W /m∙ K 1 kJ
h Di 0.8 0.3 0.8 0.3
Nu h= =0.023 ℜ Pr =0.023 ×3232.5 × 4.013 =22.408
kh

-냉수의 무차원수
2 2
¿ π (0.026 / 2) −π (0.018/2)
HR=area perpendicular ¿ flow = =0.002 m
wetted perimeter 0.018 π +0.026 π
ρ c v c (4 HR) 997.7106 kg /m3 ×0.0663 m/s ×4 ×0.002 m
ℜc = = =556.5
μc 0.000951kg /m∙ s
C p × μc 4.183 kJ /kg ∙ K × 0.000951kg /m∙ s 1000 W ∙ s
Pr c = c
= × =6.604
kc 0.6024 W /m ∙ K 1 kJ
h Do
Nu c = =0.023 ℜ0.8 Pr 0.4=0.023× 556.50.8 × 6.604 0.4=7.692
kc

4)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kh 0.6357 W /m∙ k 2
hi =Nu h =22.408× =890.298 W /m ∙ k
Di 0.016 m
kc 0.6024 W /m∙ k 2
h o=Nu c =7.692× =257.426 W / m ∙ k
Do 0.018 m

5) 총괄열전달계수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xw 0.001m −6 2
= =2.494 × 10 m ∙ K /W
k m 401 W /m ∙ K
D o−Di 0.018 m−0.016 m
D L= = =0.017 m
ln ⁡( D0 / Di) ln ⁡(0.018 m/0.016 m)

1 1
U i= =
1 x w Di 1 Di 1
+2.494 × 10−6 m2 ∙ K /W ×
0.016 m
+
1
+ ∙ + ∙ 2
0.017 m
hi k m D L ho D o 890.298 W /m ∙ k 257.426 W /m

1 1
Uo= =
1 x D 1 D 1 0.018 m 1
+ ∙
w o
+ ∙
o
+ 2.494 ×10−6 m2 ∙ K /W × +
2
h o k m DL hi Di 257.426W /m ∙ k 0.017 m 890.298 W /m

(5) Co-current 60℃, 온수 유랑 = 1.3L/min

In Out

Hot(℃) 53.3 45.6

Cold(℃) 18.7 27.3

1) 온수 및 냉수의 평균온도
53.3+45.6
T h= =49.45℃ = 322.6K
2
18.7 +27.3
T c= =23.00℃ = 296.15K
2

2) 교환기 내부 온수 및 냉수의 속도

qh 4 qi 4 ×1.1 L/ min 1m
3
1 min
V h= = 2
= 2
× × =0.0912 m/ s
si π D i π ×(0.016 m) 1000 L 60 s

qc 4 qo 4 ×1.0 L/min 1m
3
1 min
V c= = 2
= 2
× × =0.0603 m/ s
s o π D o π ×{(0.026 m) − ( 0.018 m ) } 1000 L 60 s
2

3) 냉수 및 온수의 무차원수

물의 몰성표와 안 짐작법을 이용해 무차원수 Re, Pr, Nu 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먼저 구한다.

Density Viscosity Heat capacity Heat conductivity


ρ( kg/m3) μ( kg/m∙ s) C p (kJ /kg ∙ K ) k (W/m∙K)

T h=322.6K 988.2814 0.000553 4.181 0.6429

T c=296.15K 997.5463 0.000935 4.183 0.6037

-온수의 무차원수

ρh v h Di 988.2814 kg /m3 × 0.0912m/s ×0.016 m


ℜ h= = =2607.8
μh 0.000553 kg /m∙ s
C p × μh 4.181 kJ /kg ∙ K × 0.000553 kg /m ∙ s 1000W ∙ s
Pr h= h
= × =3.596
kh 0.6429W /m∙ K 1 kJ
h Di 0.8 0.3 0.8 0.3
Nu h= =0.023 ℜ Pr =0.023 ×2607.8 × 3.596 =18.260
kh

-냉수의 무차원수
2 2
¿ π (0.026 /2) −π (0.018/2)
HR=area perpendicular ¿ flow = =0.002 m
wetted perimeter 0.018 π +0.026 π
ρ c v c ( 4 HR) 997.5463 kg /m3 ×0.0603 m/s × 4 × 0.002 m
ℜc = = =514.7
μc 0.000935 kg /m∙ s
C p × μc 4.183 kJ / kg ∙ K × 0.000935 kg/m∙ s 1000 W ∙ s
Pr c = c
= × =6.479
kc 0.6037 W /m∙ K 1 kJ
h Do
Nu c = =0.023 ℜ0.8 Pr 0.4=0.023× 514.70.8 ×6.4790.4 =7.171
kc

4)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kh 0.6429 W /m ∙ k 2
hi =Nu h =18.260 × =733.710W /m ∙ k
Di 0.016 m
kc 0.6037W /m∙ k 2
h o=Nu c =7.171× =240.507 W /m ∙k
Do 0.018 m

5) 총괄 열전달계수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xw 0.001m −6 2
= =2.494 × 10 m ∙ K /W
k m 401 W /m ∙ K
D o−Di 0.018 m−0.016 m
D L= = =0.017 m
ln ⁡( D0 / Di) ln ⁡(0.018 m/0.016 m)

1 1
U i= =
1 x w Di 1 Di 1
+2.494 × 10−6 m2 ∙ K /W ×
0.016 m
+
1
+ ∙ + ∙ 2
0.017 m
hi k m D L ho D o 733.710 W /m ∙ k 240.507W /m

1 1
Uo= =
1 x D 1 D 1 0.018 m 1
+ ∙
w o
+ ∙
o
+ 2.494 ×10−6 m2 ∙ K /W × +
2
h o k m DL hi Di 240.507W /m ∙ k 0.017 m 733.710 W /m

(6) Counter-current 60℃, 온수 유량 = 1.3L/min

In Out

Hot(℃) 53.9 46.7

Cold(℃) 18.6 28.7

1) 온수 및 냉수의 평균온도
53.9+46.7
T h= =50.3 ℃ = 323.45K
2
18.6+ 28.7
T c= =23.65℃ = 296.8K
2

2) 교환기 내부 온수 및 냉수의 속도

q h 4 q i 4 ×1.4 L/ min 1m
3
1 min
V h= = 2
= 2
× × =0.1161 m/ s
si π D i π ×(0.016 m) 1000 L 60 s

qc 4 qo 4 ×1.1 L/min 1m
3
1 min
V c= = 2
= 2
× × =0.0663 m/ s
s o π D o π ×{(0.026 m) − ( 0.018 m ) } 1000 L 60 s
2

3) 냉수 및 온수의 무차원수

물의 몰성표와 안 짐작법을 이용해 무차원수 Re, Pr, Nu 를 구하기 위해 필요한


값들을 먼저 구한다.

Density Viscosity Heat capacity Heat conductivity


ρ( kg/m3) μ( kg/m∙ s) C p (kJ /kg ∙ K ) k (W/m∙K)

T h=323.45K 987.8989 0.000545 4.181 0.6439

T c=296.8K 997.4040 0.000920 4.183 0.6048

-온수의 무차원수

ρ h v h Di 987.8989 kg /m3 ×0.1161 m/s × 0.016 m


ℜ h= = =3367.2
μh 0.000545 kg /m ∙ s
C p × μh 4.181 kJ /kg ∙ K × 0.000545 kg /m ∙ s 1000W ∙ s
Pr h= h
= × =3.539
kh 0.6439W /m∙ K 1 kJ
h Di 0.8 0.3 0.8 0.3
Nu h= =0.023 ℜ Pr =0.023 ×3367.2 ×3.539 =22.295
kh

-냉수의 무차원수
2 2
¿ π (0.026 /2) −π (0.018/2)
HR=area perpendicular ¿ flow = =0.002 m
wetted perimeter 0.018 π +0.026 π
ρ c v c (4 HR) 997.4040 kg /m3 ×0.0663 m/s × 4 × 0.002 m
ℜc = = =575.0
μc 0.000920 kg /m∙ s
C p × μc 4.183 kJ / kg ∙ K × 0.000920 kg/m∙ s 1000 W ∙ s
Pr c = c
= × =6.363
kc 0.6048 W /m ∙ K 1 kJ
h Do
Nu c = =0.023 ℜ0.8 Pr 0.4=0.023× 575.00.8 ×6.3630.4 =7.779
kc

4) 열전달계수 (heat transfer coefficient)

kh 0.6439 W /m ∙ k 2
hi =Nu h =22.295× =897.234 W /m ∙k
Di 0.016 m
kc 0.6048W /m∙ k 2
h o=Nu c =7.779 × =261.374 W / m ∙ k
Do 0.018 m

5) 총괄열전달계수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xw 0.001m −6 2
= =2.494 × 10 m ∙ K /W
k m 401 W /m ∙ K
D o−Di 0.018 m−0.016 m
D L= = =0.017 m
ln ⁡( D0 / Di) ln ⁡(0.018 m/0.016 m)

1 1
U i= =
1 x w Di 1 Di 1
+ 2.494 ×10−6 m2 ∙ K /W ×
0.016 m
+
1
+ ∙ + ∙ 2
0.017 m
hi k m D L ho D o 897.234 W /m ∙ k 261.274 W /m

1 1
Uo= =
1 x D 1 D 1 0.018 m 1
+ ∙
w o
+ ∙
o
+2.494 ×10−6 m2 ∙ K /W × +
2
h o k m DL hi Di 261.274 W /m ∙ k 0.017 m 897.234 W /

50℃, 온수 유량 = 0.9L/min

hi ho Ui Uo
(W /m 2 ∙k ¿ (W /m 2 ∙k ) (W /m 2 ∙k ) (W /m 2 ∙k ¿

Co-current 571.997 236.036 181.2794 161.1344

Counter-current 581.751 254.873 191.9803 170.6490

50℃, 온수 유량 = 1.3L/min
hi ho Ui Uo
2 2 2 2
(W /m ∙k ¿ (W /m ∙k ) (W /m ∙k ) (W /m ∙k ¿

Co-current 784.545 237.325 199.1080 176.9912

Counter-current 890.298 257.426 218.4098 194.1418

60℃, 온수 유량 = 1.3L/min

hi ho Ui Uo
(W /m 2 ∙k ¿ (W /m 2 ∙k ) (W /m 2 ∙k ) (W /m 2 ∙k ¿

Co-current 733.710 240.507 197.5824 175.6288

Counter-current 897.234 261.374 221.2879 196.6994

3. 토의 및 결론

1) LMTD(log mean temperature difference)

이번 실험에서, 평균 온도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단순 온도의 변화량을 2 로 나눈 값이


아닌, LMTD(log mean temperature difference)를 사용했다. 이 때, LMTD 에 의한 평균
온도 변화량을 식으로 나타내보면,

∆ T 2−∆ T 1
∆ T L=
ln ⁡¿ ¿
위 LMTD 와 위에서 구한 총괄열전달계수를 통해 전달되는 열량을 구할 수 있다.

q T =U A T ∆ ´T L

각 case 당 전달되는 열량을 구해보면,

50℃, 온수 유량 = 0.9L/min, Co-current

∆ T 1= T h ,i−T c ,i = 43.4 – 18.6 = 24.8K, ∆ T 2= T h ,o −T c , o = 37.7 – 23.9 = 13.8K

∆ T 2−∆ T 1
∆ T L=
ln ⁡¿ ¿

q i=U i A i ∆ ´T L =181.2794 W /m ∙ K × 0.0503 m ×18.77 K =171.1515W


2 2

q o=U o A o ∆ ´T L=161.1344 W / m ∙ K × 0.0565 m ×18.77 K =170.8838W


2 2
50℃, 온수 유량 = 0.9L/min, Counter-current

∆ T 1= T h ,i−T c ,i = 45.2 – 17.9 = 27.3K, ∆ T 2= T h ,o −T c , o = 39.2 – 24.8 = 14.4K

∆ T 2−∆ T 1
∆ T L=
ln ⁡¿ ¿

q i=U i A i ∆ ´T L =191.9803W /m2 ∙ K × 0.0503 m2 ×20.17 K=194.7738 W

q o=U o A o ∆ ´T L=170.6490W /m2 ∙ K × 0.0565m 2 ×20.17 K=194.4725 W

50℃, 온수 유량 = 1.3L/min, Co-current

∆ T 1= T h ,i−T c ,i = 45.4 – 18.5 = 26.9K, ∆ T 2= T h ,o −T c , o = 40.0 – 25.0 = 15.0K

∆ T 2−∆ T 1
∆ T L=
ln ⁡¿ ¿

q i=U i A i ∆ ´T L =199.1080 W / m ∙ K × 0.0503 m ×20.35 K=203.8079 W


2 2

q o=U o A o ∆ ´T L=176.9912W / m ∙ K ×0.0565 m × 20.35 K =203.5001W


2 2

50℃, 온수 유량 = 1.3L/min, Counter-current

∆ T 1= T h ,i−T c ,i = 46.5 – 17.9 = 28.6K, ∆ T 2= T h ,o −T c , o = 41.1 – 26.6 = 14.5K

∆ T 2−∆ T 1
∆ T L=
ln ⁡¿ ¿

q i=U i A i ∆ ´T L =218.4098W /m2 ∙ K × 0.0503 m2 ×20.76 K=228.0696W

q o=U o A o ∆ ´T L=194.1418W /m ∙ K × 0.0565m ×20.76 K=227.7167 W


2 2

60℃, 온수 유량 = 1.3L/min, Co-current

∆ T 1= T h ,i−T c ,i = 53.3 – 18.7 = 34.6K, ∆ T 2= T h ,o −T c , o = 45.6 – 27.3 = 18.3K

∆ T 2−∆ T 1
∆ T L=
ln ⁡¿ ¿

q i=U i A i ∆ ´T L =197.5824 W /m ∙ K × 0.0503 m ×25.59 K =254.3235W


2 2

q o=U o A o ∆ ´T L=175.6288W /m ∙ K × 0.0565m ×25.59 K=253.9303 W


2 2

60℃, 온수 유량 = 1.3L/min, Counter-current


∆ T 1= T h ,i−T c ,i = 53.9 – 18.6 = 35.3K, ∆ T 2= T h ,o −T c , o = 46.7 – 28.7 = 18.0K

∆ T 2−∆ T 1
∆ T L=
ln ⁡¿ ¿

q i=U i A i ∆ ´T L =221.2879W /m2 ∙ K × 0.0503 m2 ×33.93 K=377.6674 W

q o=U o A o ∆ ´T L=196.6994 W /m2 ∙ K × 0.0565 m2 ×33.93 K=377.0816W

∆ T L(K) q i(W) q o(W)

50℃ Co- 18.77 171.1515 170.8838


0.9L/min Couner- 20.17 194.7738 194.4725
50℃ Co- 20.35 203.8079 203.5001
1.3L/min Counter- 20.76 228.0696 227.7167
60℃ Co- 2559 254.3235 253.9303
1.3L/min counter 33.93 377.6674 377.0816
2) 오차 원인 분석

이상적인 열교환이 일어난다면, 온수와 냉수 사이에서 주고받은 열량이 같아야 하므로,


q i와 q o의 값이 같아야 한다. 이번 실험에서 각 6 번의 경우들마다 q i와 q o의 값이 다른
것을 보아 열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총괄열전달계수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의 값 역시 열교환기의 일정한 값이므로 이상적인
환경을 가정했을 때, 모든 경우에서 같은 값이 나와야 한다. 그러나 각 6 번의 경우에서
U i 와 U o 의 값이 모두 다른 것을 보아 역시 오차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가정에 대한 오류가 있다. 이번 DPHE 실험을


진행하고 결과값을 구할 때, 우리는 유체가 정상상태로 유동하고, 열의 이동은 온수와
냉수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즉 열교환기가 주위와 완벽하게 단열되어있는 상태를
가정했다. 그러나 시간이 충분히 흘러도 냉수와 온수의 온도 및 유량이 미세하게 달라져
완전한 정상상태라고 보기 어려웠다. 또한 실제에서는 열교환기가 주위와 완벽하게
단열되기 어렵다. 따라서 온수와 냉수 사이에서의 열 이동이 아닌, 외부 환경과의 열
교환이 있어 이로 인해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다.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열교환기와 주위 환경 사이의 단열을 더 강화해야 하고, 냉수와 온수의 온도가 변하지
않고 더 평형에 가까워질 수 있게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 온도를 측정해야한다.

무차원수 Re, Pr, Nu 를 구하기 위해 물의 몰성표에서 안 짐작법을 통해 필요한 값들을


구하는 과정에서도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안 짐작법은, 구하는 데이터가
선형으로 분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우리가 안 짐작법을 통해 구한
물의 밀도, 점성도, 열용량, 비열은 온도에 대해서 선형적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안
짐작법을 통해서 정확한 물의 밀도, 점성도, 열용량, 비열의 값을 구할 수 없으므로
잘못된 값을 통해 무차원수를 구해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다.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 fouling 역시 고려할 수 있다. Fouling 이란 세공현상, 흡착층


형성 등 여러 원인들에 의해 막, 즉 열교환기의 표면이 오염되는 현상이다. 이렇게 관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들에 의해 유체의 흐름이 방해를 받아 정상상태를 이루지 못하거나
원하는 유량의 유체의 흐름을 얻지 못한다. 또한 관 내부에 쌓인 오염물질로 인해서 관의
두께가 두꺼워져 대류로 인한 열전달은 줄어들고 전도를 통해 전달되는 열의 양이 커져
기존의 이상적인 상황과 달라질 수 있다. 관 내의 오염물질로 인해 열의 이동이 방해받는
열저항이 생길 수 있는데, 이 때 생기는 열저항을 오염계수 R f 를 통해 계산하여 밑의
식을 통해 총괄열전달계수를 구할 수 있다.

1 1 R f , i ln ⁡( D 0 /D i) R f , o 1
= + + + +
UA hi Ai A i 2 πkL A 0 ho A o

오염계수는 초기 오염물질이 없는 상태에서는 0 이지만, 점차 오염물질이 생성됨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3) 결과 해석 및 실험 고찰

이번 실험에서 우리는 온도에 따라 50℃와 60℃, 유량에 따라 0.9L/min 과 1.3L/min, 열을


교환하는 흐름에 따라 Co-current 와 Counter-current 의 경우로 각각 나누어 실험을
진행했다. 온도, 유량, 유형별 흐름에 따라 실험결과를 해석해보자.

(1) 온도에 따른 비교

유량 및 흐름의 유형은 같고 온도만 다르게 한 50℃, 온수 유량 1.3L/min, Co-current


와 60℃, 온수 유량 1.3L/min, Co-current 의 결과값을 비교해보면,

hi Uo
ho Ui ∆ T L(
( ( q i(W) q o(W)
2 (W /m 2 ∙k ) (W /m 2 ∙k ) 2 K)
W /m ∙k ¿ W /m ∙k ¿

50℃ 784.545 237.325 199.1080 176.9912 171.1515 170.8838 20.35

60℃ 733.710 240.507 197.5824 175.6288 254.3235 253.9303 25.59

온수의 온도가 50℃에서 60℃로 높아짐에 따라 당연하게도 LMTD ∆ T L의 값이 60℃


에서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체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Re 의 값이 증가하게 된다.


Re 값이 증가함에 따라 Nu 의 값 역시 증가하고, 열전달계수는 Nu 의 값에 비례하기
때문에 온도가 높아질수록 열전달계수의 값 역시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위
결과값을 보면, 50℃의 열전달계수가 60℃의 열전달계수보다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50℃에서 온수의 유량은 정확히 1.3L/min 이었지만, 60℃에서의 온수의
유량은 오차가 발생해 1.1L/min 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속이 작게 측정됨에 따라
유속에 비례하는 레이놀즈 수 역시 작아져 이런 오차가 발생했다.

이렇게 열전달계수가 50℃보다 60℃에서 더 작게 측정되는 오차가 발생됐음에도


불구하고, 전달된 열량 q 값이 60℃가 더 큰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 T L의
값이 60℃에서 훨씬 더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온수의 온도가 높아져 온도 차이가
커질수록 온수와 냉수 사이의 전달되는 열량이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유량에 따른 비교

온도 및 흐름의 유형은 같고 온도만 다르게 한 50℃, 온수 유량 0.9L/min, Co-current


와 50℃, 온수 유량 1.3L/min, Co-current 의 결과값을 비교해보면,
hi Uo
ho Ui ∆ T L(
( 2 2 ( q i(W) q o(W)
(W /m ∙k ) (W /m ∙k ) K)
W /m2 ∙k ¿ W /m2 ∙k ¿
0.9
571.997 236.036 181.2794 161.1344 171.1515 170.8838 18.77
L/min
1.3
784.545 237.325 199.1080 176.9912 203.8079 203.5001 20.35
L/min

우선, LMTD ∆ T L의 값이 유량이 더 빠른 1.3L/min 에서 더 높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유량이 빠를수록 온수가 빨리 파이프를 빠져나가 더 많은 양의
온수가 공급되어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열전달계수와 총열전달계수, 전달된 열량 모두 유량이 더 빠른 1.3L/min 에서


더 높은 값이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유량이 빠를수록 레이놀즈 수가 더
커지기 때문이다. 레이놀즈 수는 유속에 완전히 비례하므로 유량이 클수록 레이놀즈
수도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Nu 의 값 역시 커져 열전달계수의 값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총괄열전달계수와 ∆ T L의 값이 모두 유속이 빠른 1.3L/min 에서 더 크기
때문에 전달되는 열량의 양이 유량이 빠를수록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3) 흐름의 유형에 따른 비교

온도 및 유량은 같고 흐름의 유형만 다르게 한 50℃, 온수 유량 0.9L/min, Co-current


와 50℃, 온수 유량 0.9L/min, Counter-current 의 결과값을 비교해보면,

hi ho Ui Uo
∆ T L(
( (W /m 2 ∙k (W /m 2 ∙k ( q i(W) q o(W)
K)
W /m2 ∙k ¿ ) ) W /m2 ∙k ¿

Co-
571.997 236.036 181.2794 161.1344 171.1515 170.8838 18.77
current

Counter-
581.751 254.873 191.9803 170.6490 194.7738 194.4725 20.17
current

일반적으로 Counter-current 에서 Co-current 보다 전달되는 열량이 더 커서 더 높은


열효율을 가지고, 대신 Co-current 가 Counter-current 에 비해 열이 전달되는 속도가
더 빠르다. 또한 Counter-current 에서는 열이 전달됨에 따라 냉수의 온도가 온수의
온도보다 더 높아질 수 있지만, Co-current 에서는 냉수의 온도가 온수의 온도보다
더 높아질 수 없다.

먼저 LMTD ∆ T L의 값이 Counter-current 일 때가 Co-current 일 때보다 더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Counter-current 에서 Co-current 일 때보다 더 큰 온도변화가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Counter-current 에서 더 많은 양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다.
H i(℃) H o (℃) C i(℃) C o(℃)

Co-current 43.4 37.7 18.6 23.9

Counter
45.2 39.2 17.9 24.8
-current

위 표에서 온수의 온도변화를 살펴보면, Co-current 의 경우 43.4-37.7=15.7℃이고,


Counter-current 의 경우 45.2-39.2=16℃임을 알 수 있다. Counter-current 의 값이
Co-current 의 값보다 이론과 똑같이 조금 더 크지만,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열교환기의 pipe 의 길이가 큰 온도변화를 관찰할 수 있을 만큼
크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열교환기의 pipe 가 충분한 양의 열이 전달될 만큼 더
길었다면 Counter-current 에서 H o 의 값이 더 작아져 더 큰 온도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본 것처럼 이번 실험에서 Co-current 와 Counter-current 에서 유의미한 온도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 경우별로 구한 Re 의 값이 온도 차이에 의한
물성의 값보다는 유속과 파이프의 길이에 더 큰 영향을 받았으므로, 각 파이프별
흐름에 따른 온도변화 차이로 인한 열전달계수의 차이를 알아보기는 힘들다.

4. 참고문헌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요소실험 DPHE 매뉴얼

J.M.Smith, Introduction to chemical engineering Thermodynamics, 8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James O. Wilkes, Fluid Mechanics for Chemical Engineers, 3rd edition, Pearson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