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6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 초파리에서 나타난 세 가지 형질에 대하여 교배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유전자형의 자손을


얻었다. 연관된 유전자는 어느 것인가?

RrXxYy × rrxxyy
→ 1RrXxYy :1rrxxyy : 1RrXxyy : 1rrxxYy

① (R과 X), (r과 x)


② (X와 Y), (x와 y)
③ (R과 Y), (r과 y)
④ (R, X와 Y), (r,x와 y)

정답 : ①
해설 :
부모 세대 중 한명이 rrxxyy이므르, 이 개체는 rxy의 배우자만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자손의 유전형에서
rxy를 뺀 나머지는 모두 RrXxYy인 부모 개체로부터 왔다고 볼 수 있다. 자손의 유전형에서 rxy를 빼면 RXY :
rxy : RXy : rxY 이 된다. 그리고 이것의 비율은 1 : 1 : 1 : 1 이다. 항상 R과 X가 같이 유전되고, r과 x가 같이 유
전됨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R과 X는 연관이고, 또한 r과 x가 연관임을 추론할 수 있다. R과 Y의 관계는
RY : ry : Ry : rY = 1 : 1 : 1 : 1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R은 Y에 대하여 독립임을 추론할 수 있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 유전자형이 BbCcDdYy와 BbCCDdYy인 양친으로부터 BbCCddYy의 자손이 나올 확률은


얼마인가? (단, B, C, D, Y 유전자는 각각 독립적으로 유전된다.)


정답 : 

해설 :
Bb × Bb ⇒ BB, Bb, Bb, bb
⇒ 자손 Bb를 얻을 확률은 1/2
Cc × CC ⇒ CC, CC, Cc, Cc
⇒ 자손 CC를 얻을 확률은 1/2
Dd × Dd ⇒ DD, Dd, Dd, dd
⇒ 자손 dd를 얻을 확률은 1/4
Yy × Yy ⇒ YY, Yy, Yy, yy
⇒ 자손 Yy를 얻을 확률은 1/2

    
 × × ×  
    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 어떤 미혼의 여인이 아이를 낳게 되었는데 그 아이의 아버지로부터 양육비를 받기를 원했


다. 그녀의 혈액형은 AB형이었고 아기의 혈액형은 A형이었다. 아버지로 예상되는 사람은 2명
이었다. Jim은 A형이었고, John은 O형이었다. 누가 아버지라 할 수 있나?

① Jim 또는 John
② Jim
③ John
④ 둘 다 아니다.
⑤ 위의 내용으로는 알 수 없다.

정답 : ⑤
해설 :
Jim도 이론적으로 A형의 아기를 낳을 수 있고, John도 이론적으로 A형의 아기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Jim
과 John 중에 누가 아버지인지 알 수 없다. 그런데 문제에서 둘 중 한명이 반드시 아버지라는 조건이 없으
므로 ⑤번을 정답으로 보았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4. 어떤 돼지 품종의 경우, 검은 털색(B대립인자)은 흰 털색(b대립인자)에 대하여 우성으로 작


용한다. 검은 털색을 가진 암컷을 검정교배한 결과, 6마리 모두 검은 털색의 새끼를 얻었다.
만약, 검정교배에 사용된 암컷이 이형접합체(Bb)였다면, 기회적으로 이렇게 나타날 수 있는 확
률은 대략 몇 %나 될까?
① 50%
② 25%
③ 10%
④ 6%
⑤ 1%

정답 : ⑤
해설 :
검은색 털인 암컷의 유전형이 Bb일 때, 이를 bb인 수컷과 검정교배하면 Bb와 bb가 1 : 1의 비율로 나온다.
따라서 검은색 털의 자손이 나올 확률은 1/2이다. 문제에서 자손이 여섯 마리가 연속해서 검은색으로 태어

났으므로, 확률은        이다. 이를 퍼센트로 바꾸면 1%가 제일 근접한 수치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5. Rh-형인 아내와 Rh+형인 남편 사이의 태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정답 2개)


① Rh+형인 태아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② 두 번째 이후의 임신부터는 위험성이 낮아진다.
③ Rh+형인 태아의 적혈구가 태반을 통하여 모체의 혈청 속에 항체를 생성한다.
④ 모체 내의 Rh항체가 태아의 적혈구를 파괴하는 적아세포증을 일으킨다.

정답 : ①, ④
해설 :
① 남편이 Rh+이면 유전형이 Rh+Rh+이거나 Rh+Rh-일 것이다. Rh+Rh+일 때는 모두 Rh+인 태아가 태어나고,
Rh+Rh-일 때는 1/2 확률로 Rh+의 태아가 태어난다. 따라서 이 두 경우를 모두 고려하면 태아가 Rh+일 가
능성이 더 높다.
② 두 번째 이후의 임신부터 태아가 Rh+형인 경우 적아세포증이 발생할 수 있다.
③ 적혈구는 태반을 통해 넘어갈 수 없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6. 노랑초파리의 제 3 침샘 염색체상의 연관된 3개의 유전자인 루비색눈(ca), 조잡한 눈(ro),


그리고 홍색눈(cd)사이에 교차율을 조사하였더니, ca유전자와 ro유전자 사이에는 15%, ro유
전자와 cd유전자 사이에는 22%, 그리고 cd유전자와 ca유전자 사이에는 7%였다. 그 후 선홍
색눈(st)유전자가 동일 염색체 상에서 발견되었는데 ro 유전자와는 30%, cd유전자와는 8%를
나타냈다. 4개의 유전자의 상대적 염색체 지도를 정확하게 작성하고, ca유전자와 st유전자 사
이의 교차율은 얼마인가?

정답 : 15%
해설 :
유전자 사이의 거리는 교차율에 비례한다.
st ─8cM─ cd ─7cM─ ca ───15cM─── ro 일 것이다.
st와 ca 사이의 교차율은 8+7=15%이다. (여기서는 이중교차를 고려하지 않고 교차율의 단순합으로 계산하
였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7. 유전학자가 콩의 유전현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배 실험을 수행하였다.

키가 크고 검정색 × 키가 크고 흰색

F1 키가 크고 검정색

F2 키가 크고 검정색 300
키가 크고 흰색 2
키가 작고 검정색 0
키가 작고 흰색 78

위의 유전현상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① 키의 유전형질은 대립 유전자이며, 키의 유전현상과 색을 결정하는 형질은 연관되어 유전
된다.
② 키가 큰 성질은 검정색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상위 유전자이다.
③ 검정색과 흰색의 형질은 서로 우열의 관계에 있다.
④ 키가 크고 흰색의 형질이 발현되는 것은 유전적 변이에 의한 유전현상이다.

정답 : ②
해설 :
① 키가 큰 것과 작은 것의 비가 거의 3 : 1이다. 이로부터 키의 유전형질은 대립유전자로 존재하고 분리의
법칙에 의해 3 : 1이 나왔음을 추정할 수 있다. 큰 키인 경우 대부분 검정색을 띠고 키가 작은 경우 항상
흰색을 띠기 때문에, 큰 키와 검정색 형질은 연관되어 유전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② 키가 큰 것과 검정색의 발현은 전혀 다른 표현형으로 키가 큰 것이 검정색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상위
유전자로 보기가 어렵다. 또한 키가 큰 경우에도 흰색의 개체가 존재하므로 키가 큰 것이 검정색의 발현
에 상위 유전자라고 보기 어렵다.
③ 검정색과 흰색의 비가 거의 3 : 1이다. 따라서 이 형질은 서로 우열의 관계에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④ 큰 키의 유전자와 검정색의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크고 흰색인 개체는 생식세포 형성 시
교차에 의해 만들어진 생식세포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유전적 변이에 의한 유전현상으로
볼 수 있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8. 중간 유전을 따르는 2개의 대립유전자 R은 붉은색 꽃을 나타내고 W는 흰색이며, 이형접합


자는 분홍색이다. 이 개체군에서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에 도달했을 때, 붉은색 꽃의 비율이
49%였을 때, 분홍색 꽃이 차지하는 비율은?
① 30%
② 70%
③ 9%
④ 21%
⑤ 42%

정답 : ⑤
해설 :
붉은 꽃 유전자의 비율을 p라 두고, 분홍 꽃 유전자의 비율을 q라고 두면, 붉은 꽃의 비율은 p2이 되고
p2=0.49이다. 따라서 p=0.7이고, q=0.3이 된다. 따라서 이형접합자인 분홍색 꽃의 비율은 2pq이므로,
2pq=2×0.7×0.3=0.42, 즉 42%가 된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9. 토마토에서 키가 큰 것은 작은 것에 대해 우성이고 매끄러운 열매는 잔털이 있는 열매에


대해 우성이다. 두 우성 형질에 대해 homo인 것이 두 열성 형질에 대해 homo인 것과 교배
되었다. F1자손이 다음의 결과를 가지는 것과 시험 교배되었다. 즉, 78개의 키 크고 매끄러운
열매, 82개의 dwarf(난쟁이)이며 잔털이 있는 열매, 22개의 키 크고 잔털이 있는 열매, 18개
의 dwarf(난쟁이)이면서 매끄러운 열매를 가진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자료는 이 유전자가 어
떠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인가?
① 다른 유전자위에 있다.
② Link되어 있지만 교차하지는 않는다.
③ Link되어 10%의 재조합을 보여 준다.
④ Link되어 20%의 재조합을 보여 준다.
⑤ Link되어 40%의 재조합을 보여 준다.

정답 : ④
해설 :
키가 큰 유전자를 T라고 하고, 매끈한 유전자를 R이라고 하자. TTRR × ttrr 교배의 결과 F1에서 TtRr이 만들
어진다. TtRr을 어떤 것과 교배했더니 T_R_ : T_rr : ttR_ : ttrr = 78 : 22 : 18 : 82가 되었다. 이것으로부터 F1의
TtRr은 상인이고, 감수분열 시 교차에 의해서 22와 18개의 경우가 만들어짐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
의 교차율은 22 + 18/78 + 22 + 18 + 82 = 40/200 = 0.2이다. 따라서 20%의 교차율로 인해 이러한 비율의 F2
를 형성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0. 붉은 색을 나타내는 식물과 하얀 색을 나타내는 식물사이의 교배를 수행한 결과 제 1세


대(F1)에서는 중간색을 나타내었다. F1세대끼리의 교배를 한 결과 F2세대에서의 표현형은 5가
지가 나왔다. 이 때 표현형의 비는 1:4:6:4:1이다. 다음 중 틀린 설명은?
① 멘델의 법칙에서 벗어난다.
② 표현형을 결정하는 유전자의 수는 대략 3이다.
③ 대립인자간의 additive effect에 의한 결과이다.
④ 연속변이로 설명할 수 있다.
⑤ 표현형을 결정하는 유전자의 수는 대략 2이다.

정답 : ②
해설 :
② 불완전 우성(중간유전)은 우성 대립유전자를 몇 개 갖고 있냐에 따라 표현형이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
어 대립유전자가 2개인 경우, AA는 붉은색, Aa는 분홍색, aa는 흰색이 된다. 이렇게 세 가지 표현형이
나오는 것은 우성인자를 2개, 1개, 0개를 가질 때 색소 발현양이 차이가 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
제처럼 5개의 표현형이 나오기 위해서는 우성인자를 4개, 3개, 2개, 1개, 0개 가질 때 가능하다. 따라서
표현형을 결정하는 유전자의 수는 2개일 가능성이 높다. F1이 AaBb일 때, 자가교배(AaBb × AaBb)를 하
면 다음과 같은 5개의 표현형이 나올 수 있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1. RrYyTt × RrYytt 의 교배에서 나올 수 있는 표현형의 비(RYT : RYt : ryT : ryt)로 알


맞은 것은? (단, 유전자 R과 Y는 완전연관 되어 있다.)
① 1:1:1:1
② 3:3:1:1
③ 1:1:3:1
④ 1:1:3:3
⑤ 5:5:1:1

정답 : ②
해설 :
R과 Y가 완전연관 되어있다고 했으므로, R를 고려하지 않고 문제를 풀어 Y와 T만으로 자손의 조합을 만든
다. 그리고 자손 중 Y가 하나라도 있는 경우 R도 같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풀면 된다. 3 : 3 : 1 : 1이
나온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2. AaBb 자가 수정에서 다음과 같은 분리비가 나왔다. 이들의 분리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


은 것은?

㉠ AB : ab = 3:1
㉡ AB : Ab : aB : ab = 2:1:1:0
㉢ AB : Ab : aB : ab = 9:3:3:1
㉣ AB : Ab : aB : ab = 66:9:9:16
㉤ AB : Ab : aB : ab = 6:2:3:1

① ㉠은 A와 B, a와 b의 불완전 연관에 의한 것이다.


② ㉡은 A와 b, a와 B의 완전 연관에 의한 것이다.
③ ㉤은 B가 치사 유전자이기 때문에 나타난 분리비이다.
④ ㉣은 A와 b, a와 B가 연관되고 교차가 일어나서 나타난 분리비이다.
⑤ ㉠과 ㉤은 독립 유전에 의한 것이다.

정답 : ②
해설 :
① ㉠은 A와 B가 완전연관인 경우이다. 옳지 않은 설명이다.
② ㉡은 A와 b가 완전연관인 경우이다. 옳은 설명이다.
③ ㉤에서 B가 치사유전자라면 Ab와 ab는 0이어야 한다. 옳지 않은 설명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3. 녹내장 유전자(t)와 알츠하이머병 유전자(d)는 정상인자(T,D)에 대해 열성으로 유전된다.


유전자형이 같은 부모(TtDd)사이에서 태어나는 자식들의 표현형이 T_D_(정상) : ttdd(녹내장,
알츠하이머병) = 3:1 의 비율로 나타났다. 다음 중 녹내장과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유전현상을
바르게 서술한 것은?
① 유전자 T와 D는 완전 연관되어 있다.
② 부모의 생식세포의 종류는 네 가지이다.
③ 녹내장에 관한 유전은 독립 유전이다.
④ 유전자 T와 D는 각각 다른 염색체에 존재한다.
⑤ 유전자 T와 D는 상동 염색체의 대응부에 존재하는 대립 유전자이다.

정답 : ①
해설 :
① TtDd × TtDd로 교배되었는데 자식의 표현형이 9 : 3 : 3 : 1이 아니고 3 : 1이라는 것은 T와 D가 서로
완전연관이라는 뜻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4. 불임 부부에게 시험관 아기를 출생시키기 위하여 부모의 유전형질 및 염색체를 분석한 결
과가 다음과 같았다.

- 부모의 염색체는 2n=46으로 정상이었다.


- 어머니의 난자는 정상이었으나 아버지의 정자 1개 속에는 X,Y 염색체가 모두 있었다.
- 수정란의 발생은 정상적으로 일어났다.
- 색맹 검사에서 아버지는 정상이고 어머니는 적록색맹이었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아들이 태어났다면 아들의 표현형과 핵형은?


눈의 표현형 핵형
① 색맹 2n=44+X′Y
② 색맹 2n=44+XX′Y
③ 정상 2n=44+XX′Y
④ 정상 2n=44+XY
⑤ 정상 2n=44+XXY

정답 : ③
해설 :
난자의 핵형은 22 + X′이고 정자의 핵형은 22 + XY이다. 따라서 이 둘의 수정에 의한 접합자는 2n = 44 +
X′XY이다. 이 접합자는 X 염색체를 2개 가지고 있으므로, X 염색체 불활성화가 일어날 것이다. X 염색체 불
활성화는 모계 유래이든 부계 유래이든 상관없이 random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눈의 원추세포에서 어느 X
염색체가 불활성화 되느냐에 따라 그 원추세포는 색맹이거나 정상일 수 있다. 하지만 눈에 있는 수많은 원
추세포에서 모두 정상의 X 염색체가 불활성화 되는 것은 확률적으로 희박하므로, 이 부부에서 태어난 아들
의 눈은 정상일 것으로 본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5. 다음은 철수네 집안의 색맹 유전을 조사하여 나타낸 가계도이다. 숙모는 수란관이 폐쇄
되어 난자가 자궁에 착상할 수 없기 때문에 삼촌의 정자와 숙모의 난자를 인공수정 시켜 시험
과 아기를 가지기로 하였다.

새로 태어나는 시험관 아기가 색맹이 될 확률은? (단, 숙모의 색맹에 관한 유전자형은 여동생
과 동일하다.)
① 0
② 1/4
③ 1/2
④ 3/4
⑤ 1

정답 : ③
해설 :
숙모의 유전자는 여동생의 유전자형을 추론하여 알 수 있다. 따라서 X′X이다. 삼촌은 색맹인 남자이기 때문
에 X′Y이다. 이들 부부로부터 태어나는 자녀는 X′X′(색맹), X′Y(색맹), X′X(정상), XY(정상)로 나올 수 있다. 따
라서 이들 부부에서 색맹 아기가 태어날 확률은 1/2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6. 사람의 갈색 눈은 청색 눈에 대하여 우성이다. 갈색 눈의 인자를 B, 청색 눈을 b라고 하


고, 양친의 인자형이 다같이 Bb일 때, 이들 사이에서 나온 남매 중 한 사람은 갈색 눈이고 또
한 사람이 청색 눈을 가질 확률은?
① 1/4
② 1/8
③ 3/8
④ 3/16
⑤ 1/2

정답 : ③
해설 :
Bb × Bb 로부터 BB(갈색), Bb(갈색), Bb(갈색), bb(청색)인 자녀가 태어난다. 자녀가 갈색일 확률은 3/4이고,
청색일 확률은 1/4이다. 3/4 × 1/4은 3/16인데, 이것은 첫째 자녀가 갈색이고 둘째 자녀가 청색일 확률이다.
첫째 자녀가 청색이고 둘째 자녀가 갈색일 경우도 문제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으므로 여기에 2를 곱해야
한다. 따라서 3/16 × 2 = 3/8 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7. A형의 혈액형을 가진 남자와 B형의 여자가 결혼하여 O형의 첫 아이를 낳았다. 둘째 아이
와 셋째 아이 중에 적어도 하나가 O형일 확률은?
① 1/4
② 3/8
③ 9/16
④ 3/16
⑤ 7/16

정답 : ⑤
해설 :
첫째 아이가 O형인 것으로 보아, 부모의 유전형은 각각 AO와 BO이다. 따라서 AB, AO, BO, OO의 자녀가
태어날 수 있다. 둘째 아이와 셋째 아이 중에 적어도 한명이 O형일 확률은 두 명 모두 O형이 아닐 확률을
구하여 1에서 빼주면 된다. 따라서 1 - (3/4 × 3/4) = 7/16 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8. 어떤 생쥐의 경우, BB와 Bb인자형은 검은색이고 bb는 갈색이다. 한편 이와는 다른 염색


체에 위치한 C유전자의 경우, 열성의 동형접합체(cc)가 되면 백화증(albino)이 된다. BbCc의
인자형을 가진 양친 사이에 생긴 자손 중에서 검은색 : 갈색 : 백화증 표현형이 나타날 기대
비율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9:3:4
② 12:3:1
③ 9:6:1
④ 9:0:7

정답 : ①
해설 :
B와 C는 독립적으로 유전되고, cc는 B와 b에 대해서 상위에 있다고 생각하고 풀어야 한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19. 아래 박스는 한 염색체에 있는 3개의 유전자에 대하여 검정교배를 한 결과를 보여준다.


유전인자 A와 가장 가깝게 놓여 있는 유전인자는 어느 것인가?

가. AaBb × aabb → AaBb : Aabb : aaBb : aabb = 4:1:1:4


나. AaCc × aacc → Aacc : AaCc : aacc : aaCc = 6:1:1:6
다. BbCc × bbaa → Bbcc : BbCc : bbcc : bbCc = 8:1:1:8

① B
② C
③ b
④ c

정답 : ④
해설 :
A-B 교차율 = 2/10 = 1/5,
A-c 교차율 = 2/14 = 1/7,
B-c 교차율 = 2/18 = 1/9

교차율이 클수록 두 유전자는 멀리 떨어져 있고, 교차율이 작을수록 두 유전자는 가까이 있다. 따라서 세 유
전자는 A-c-B로 연관되어 있다. 답은 c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0. 초파리의 체색이 회색인 것(B)은 그 대립형질인 검정색(b)에 대해 우성이다. 회색인 초파


리에는 그 유전자형이 동형인(BB)와 이형인 것(Bb)이 있다. 검정색 초파리는 모두 동형(bb)만
이 있다. 개체군 1,000마리 중에서 검정색 초파리 90마리가 있었다. 이형회색(Bb)은 몇 개체
인가?
① 420개체
② 450개체
③ 460개체
④ 490개체
⑤ 520개체

정답 : ①
해설 :
B 유전자의 빈도를 p라 두고, b 유전자의 빈도를 q라고 두면, bb의 개체가 나올 빈도는 q2이 되고, 이것이
90/1000인 것이다. 따라서 q = 3/10이다. p + q = 1이므로, p = 7/10이 된다. Bb 개체의 빈도는 2pq이므로, 2
× 7/10 × 3/10 = 42/100이 된다. 즉, 100마리 중에 42마리가 Bb이므로, 1000마리에서는 420마리가 Bb가 될
것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1. 엄마 아빠가 A형과 B형이고, 누나는 O형, 자신은 A형이다. AB형과 A형 사이에서 태어난
B형 여성과 결혼하여 O형의 여자아이가 태어날 확률은 얼마인가?


정답 : 

해설 :
누나가 O형이기 때문에, 엄마는 AO, 아빠는 BO임을 추론할 수 있고, 자신은 AO임을 추론할 수 있다. AB형
과 A형 사이에서 태어난 B형의 여성은 BO이다. 따라서 AO × BO가 결혼하면 AB, AO, BO, OO의 자손이 태
어날 수 있다. O형인 OO는 1/4의 확률로 태어나는데, 문제에서 여자인 O형을 물었으므로, 여자일 확률인
1/2을 곱한다. 따라서 1/4 × 1/2 = 1/8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2. 누나가 O형이기 때문에, 엄마는 AO, 아빠는 BO임을 추론할 수 있고, 자신은 AO임을 추론할 수 있다.
AB형과 A형 사이에서 태어난 B형의 여성은 BO이다. 따라서 AO × BO가 결혼하면 AB, AO, BO, OO의 자손
이 태어날 수 있다. O형인 OO는 1/4의 확률로 태어나는데, 문제에서 여자인 O형을 물었으므로, 여자일 확
률인 1/2을 곱한다. 따라서 1/4 × 1/2 = 1/8이다.
22. 다음 개체에서 수컷은 20%, 암컷은 25%의 교차율이 나타날 때, aabb인 자손이 생길 확
률은?(영남대 편입)

① 5%
② 10%
③ 15%
④ 20%
⑤ 60%

정답 : ①
해설 :
aabb의 자손이 생기려면 정자의 유전형이 ab, 난자의 유전형도 ab 여야 한다. 수컷의 경우 교차율이 20%이
므로 AB : Ab : aB : ab의 확률은 4 : 1 : 1
: 4 이다. 따라서 ab 유전형의 정자가 선택될 확률은 4/10이다. 암컷의 경우 교차율이 25%이므로 Ab : AB :
ab : aB = 3 : 1 : 1 : 3 이고, ab 유전형의 난자가 선택될 확률은 1/8 이다. 따라서 aabb의 자손이 생길 확
  
률은  ×     이다.
  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3. 특정 집단에서 남성의 약 10%가 적록색맹일 때, 이 집단의 여성 중 적록색맹 대립유전자


(allele)를 가진 사람의 비율은? (단, 사람들은 색맹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위로 결혼한다고 가
정하자.)
① 0.01
② 0.1
③ 0.11
④ 0.18
⑤ 0.19

정답 : ⑤
해설 :
남성의 유전자는 XY 또는 X′Y가 가능한데, 남성의 10%가 적록색맹이라고 했으므로 XY가 9명 있을 때 X′Y가
1명 있다는 얘기다. 이는 X의 빈도 p가 9/10, X′의 빈도 q가 1/10이 된다. 여성 중 적록색맹 대립유전자를
가진 사람은 XX만 가진 사람의 빈도를 구해서 1에서 빼주면 된다. 따라서 1 - (9/10)2 = 19/100 = 0.19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4. 그림은 유전병을 가지고 있는 어느 집안의 가계도이다.

위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2005학년도 수능)


<보 기>

ㄱ. 남자 A는 보인자이다.
ㄴ. 이 유전병은 정상에 대해 열성이다.
ㄷ. 이 유전병은 X염색체에 연관된 유전자에 의해 나타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정답 : ③
해설 :
ㄱ. 이 유전자는 상염색체에 있고, 열성으로 유전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사람의 유전형을 추론해보면, 1세대
의 여자는 bb이다. 1세대의 남자는 B_인데, 2세대에서 유전병인 자손이 태어났으므로 1세대의 남자는
Bb임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bb × Bb로부터 태어나는 정상의 자손은 모두 Bb이기 때문에, A는 보인
자이다.
ㄴ. 이 유전병은 정상에 대해 열성이다.
ㄷ. 만약 이 유전병이 X 염색체에 있고 열성으로 유전된다고 가정할 경우, 1세대의 유전병 여자는 X′X′이고
정상 남자는 XY이다. 이들 부부로부터 태어나는 모든 남자는 X′Y이기 때문에 모든 남자 자손은 유전병
이어야 하지만, 정상 남자가 있으므로 이 가정은 옳지 않다. 만약 이 유전병이 X 염색체에 있고 우성으
로 유전된다고 가정하면 2세대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부부의 유전병 남자는 X′Y이고 정상 여자는 XX이
어야 한다. 이들로부터 태어나는 자손 중 여성은 모두 X′X이므로 유전병이어야 하는데 정상 여자가 태어
났으므로 이 가정도 옳지 않다. 따라서 이 유전병은 X 염색체 유전이 아니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5. 다음은 사람에게 유전되는 형질A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 A를 나타내는 남녀의 비율은 비슷하다.


- 자녀는 A를 나타내지만 부모 모두 A를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단, 이 형질은 멘델의 유전 법칙


을 따른다.) (2007학년도 수능)
<보 기>
ㄱ. A의 유전자는 상염색체에 있다.
ㄴ. A는 열성으로 유전되는 형질이다.
ㄷ. A를 나타내는 여자와 A를 나타내지 않는 남자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
가 A를 나타낼 확률은 50%이하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ㄱ, ㄴ, ㄷ

정답 : ⑤
해설 :
ㄱ,ㄴ.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이 유전자는 상염색체에 존재하고, 열성으로 유전된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다.
옳은 설명이다.
ㄷ. A를 나타내는 여자는 bb이다. A를 나타내지 않는 남자는 BB, Bb, Bb, bb 중에 앞의 세 경우이다. 그런
데 이 세 경우 중에 Bb의 경우만이 bb와 결혼하여 질병을 가진 아이(bb)를 낳을 수 있다. 따라서 정상
남자가 Bb인 확률이 2/3이다. 이때 bb × Bb에 의해 태어나는 아기는 Bb, bb, Bb, bb이다. 따라서 2/4의
확률로 질병의 아기가 태어난다. 그러므로 둘을 곱한 2/3 × 2/4 = 1/3이 질병을 나타내는 여자와 임의
의 정상 남자가 결혼해서 질병의 아기가 태어날 확률이다. 옳은 설명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6. 그림 (가)는 어느 가족의 ABO식 혈액형에 관한 가계도이고, (나)는 사람1과 5의 혈액에서


관찰되는 응집원과 응집소를 나타낸 것이다.

4와 5 사이에서 태어날 수 있는 아이 중에서 2와 같은 ABO식 혈액형의 유전자형을 갖는 딸


이 태어날 확률로 옳은 것은? (단, 2의 ABO식 혈액형의 유전자형은 동형접합이다.) (2009학
년도 수능)

① 


② 


③ 


④ 


⑤ 

정답 : ②
해설 :
1의 혈액으로부터 1은 AA 또는 AO임을 추론할 수 있다. 3이 AB이기 때문에, 2는 적어도 B_ 이어야 한다.
조건에서 2는 동형접합이라고 했으므로 2는 BB이다. 2가 BB기 때문에, 1이 AA라면 4가 태어날 수 없으므로
1은 AO이다. 5번의 혈액으로부터 5번은 AB임을 추론할 수 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번 : AO형, 2번 : BB형, 3번 : AB형,


4번 : BO형, 5번 : AB형

BO와 AB 사이에서 BB 혈액형을 갖는 자손은 1/4인데, 그 중 딸인 경우는 1/2를 곱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  
BB의 딸이 태어날 확률은  ×    이다.
  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7. 표는 콩깍지의 모양이 편평하고 콩깍지의 색깔이 녹색인 완두(AaBb)를 자가 교배하여 얻


은 F1의 표현형, 유전자형, 개수를 나타낸 것이다.

표현형 유전자형 개수
편평하고 녹색 AABB, AaBB, AABb, AaBb 3907
편평하고 황색 AAbb, Aabb 1301
잘록하고 녹색 aaBB, aaBb 1303
잘록하고 황색 aabb 434

완두의 콩깍지 유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는 일어나지 않는다.) (2009학년도 수능)
<보 기>
ㄱ. 유전자 A와 B는 상동 염색체의 같은 자리에 위치한다.
ㄴ. F1에서 잘록하고 녹색인 완두를 자가 교배하면 F2에서 편평하고 녹색
인 완두가 나오지 않는다.
ㄷ. 유전자 a와 b는 하나의 염색체에 존재하여 생식세포 형성시 서로 분
리되지 않고 함께 이동한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정답 : ②
해설 :
ㄱ, ㄷ. 4개의 표현형이 대략 9 : 3 : 3 : 1의 비율을 보인다. 따라서 A와 B는 독립 유전된다고 추론할 수 있
다. 옳지 않은 설명이다.
ㄴ. F1에서 잘록하고 녹색인 완두인 aaBB 또는 aaBb를 자가교배하면 어느 경우라도 aa의 잘록한 표현형을
보인다. 옳은 설명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8. 정상 여자와 정상 남자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A는 적록색맹이며, 2n = 44 + XXY 핵형을


가진다. A와 A의 어머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염색체 수 돌연변이는 1회 일어났으며, 다른 돌연변이는 일어나지 않는다.) (2010학년도
수능)
<보 기>
ㄱ. A는 클라인펠터 증후군을 나타낸다.
ㄴ. A의 어머니는 적록 색맹 보인자이다.
ㄷ. 제 1감수분열에서 성염색체가 비분리된 난자가 정자와 수정되어 A가
태어났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정답 : ③
해설 :
ㄱ. XXY가 클라인펠터 증후군이므로, A는 클라인펠터 증후군을 나타낸다.
ㄴ. 정상 여자는 XX와 X′X가 가능하다. 정상 남자는 XY만 가능하다. 이들 사이에 색맹인 자손이 태어나려면
정상 여자는 X′X 이어야 한다. 따라서 A의 어머니는 보인자이다.
ㄷ. 이 경우는 난자의 제2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나 X′X′을 가지는 난자가 만들어지고, 이것이
Y를 가지는 정자와 수정하여 X′X′Y의 접합자를 형성한 것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29. 표는 유전자형이 EeFfGg인 어떤 동물의 정자 유전자형과 유전자형에 따른 정자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유전자 E,F,G는 연관되어 있으며, 대립유전자 e,f,g에 대해 각각 완전우성이
다. 이 동물에서 정자 형성시, 교차에 의해 생성된 정자의 비율은 36%이다.

유전자형 정자의 비율(%) 유전자형 정자의 비율(%)


EFG 32 eFg ㉠
Efg 6 eFG ㉡
EfG 12 efg 32

이에 대한 설명을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이중 교차는 일어나지


않는다.) (2010학년도 수능)
<보 기>

ㄱ. ㉡은 ㉠의 2배이다.
ㄴ. E와 G사이의 교차율은 F와 G사이의 교차율보다 작다.
ㄷ. 유전자 배열순서는 F-E-G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정답 : ②
해설 :
유전자형이 EeFfGg라고만 나오고 염색체에 상인인지 상반인지를 알려주지 않았지만 EFG와 efg의 유전자형
을 가진 정자가 가장 많이 생성됨으로 보아 유전자형이 EFG/efg임을 알 수 있다. (아직 각 염색체에서 세
유전자의 배치 순서는 모르고, EFG라고 임의로 표현함.) EfG와 eFg는 같은 비율일 것이므로 12%이다. Efg와
eFG는 같은 비율일 것이므로 6%이다.

ㄱ. ㉡은 ㉠의  배가 된다.

     
ㄴ. E-G 사이의 교차율은    이다. F-G 사이의 교차율은    이다. 따라서 E와 G 사이
   
의 교차율은 F와 G 사이의 교차율보다 작다.
       
ㄷ. E-F 사이의 교차율은    이다. 따라서 세 유전자의 배열순서는 E-G-F 이다.
 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0. 다음은 정상인 부모와 어떤 유전병을 앓고 있는 철수(2n=46)에 대한 자료이다.

- 정상 유전자 A와 유전병 유전자 A′는 7번 염색체에 있다.


- 철수 아버지의 유전자형은 AA이고, 철수 어머니는 AA′이다.
- 철수는 7번 염색체 쌍을 모두 어머니로부터, 그 외 나머지 염색체는 아버지와 어머니로
부터 하나씩 받았다.
- 어머니의 난자 중, 난자 ㉠이 수정되어 철수가 태어났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난자 형성 시 비분리


는 1회만 일어나며, 비분리이외의 다른 돌연변이와 교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2011학년도 수
능)
<보 기>
ㄱ. A′는 열성 유전자이다.
ㄴ. 난자 ㉠의 형성 과정 중 제 1감수분열에서 7번 상동염색체가 비분리
되었다.
ㄷ. 철수의 염색체 중 아버지로부터 받은 것은 22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정답 : ③
해설 :
ㄱ. 철수 어머니가 AA′인데 정상인 것으로 보아, A′은 열성 유전자이다.
ㄴ. 철수의 어머니가 AA′인데, 철수가 어머니로부터만 A′A′을 물려받았으므로, 이것은 난자형성 시 제2 감수
분열에서 7번 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난 것을 추론된다.
ㄷ. 철수는 아버지로부터 23개의 염색체 중 7번 염색체를 뺀 22개를 받았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1. 다음은 인구 2000명인 어떤 집단에 대한 자료이다.

- 이 집단은 멘델 집단이며, 남녀의 수는 같다.


- 적록색맹 유전자의 빈도는 남녀에서 서로 동일하다.
- 적록색맹인 여자는 160명이다.
- 영희 어머니는 적록 색맹이고, 영희는 적록 색맹이 아니다.

영희가 이 집단의 임의의 남자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을 때 그 아이가 적록 색맹인 여자 아이


일 확률은? (2011학년도 수능)
① 4.8%
② 8.0%
③ 10.0%
④ 16.0%
⑤ 20.0%

정답 : ③
해설 :
적록색맹을 유발하지 않는 유전자를 가진 X 염색체를 X, 적록색맹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가진 X 염색체를 X′라
고 하자. 적록색맹인 여자는 X′X′이고, 이 집단에서 1000명 중 160명이 존재한다. X 염색체의 빈도를 p, X′ 염
색체의 빈도를 q라고 하면, q2 = 160/1000이며 q = 0.4, p = 0.6가 된다. 영희의 어머니가 적록색맹이므로 영
희의 유전형은 X′X가 된다. 이 집단에 있는 임의의 남자는 XY이거나 X′Y인데, XY 남자의 빈도는 0.6이고 X′Y
남자의 빈도는 0.4이다. X′X의 영희가 임의의 남자와 만나서 적록색맹인 딸을 낳으려면, 임의의 남자는 X′Y이
어야 한다. X′X와 X′Y가 결혼하면 X′X′, X′Y, X′X, XY가 태어나며 이 4명의 자손 중에 적록색맹인 딸은 1명(X′X′)
으로 1/4의 확률로 태어난다. 결국 X′Y의 남자가 선택될 확률 0.4와 적록색맹인 딸이 태어날 확률 1/4을 곱하
면 최종 0.1(10%)의 확률을 구할 수 있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2. 표는 유전자형이 AaBb로 동일한 두 개체의 (P)의 동물을 교배시켜 얻은 자손(F1) 400개
체의 표현형을 조사한 결과이다. 이 두 개체는 동일한 종에 속하며, 대립 유전자 A,B는 대립
유전자 a,b에 대해 각각 완전 우성이다.

표현형 개체수 표현형 개체수


A_B_ 281 aaB_ 19
A_bb 19 aabb 81

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P의 암수 각각


에서 교차는 2가 염색체에서 한 번만 일어나고, 생식 세포 형성 시 교차율은 동일하다.)
(2011학년도 수능)
<보 기>
ㄱ. F1에서 유전자형이 AAbb : aaBB = 1:1이다.
ㄴ. P의 수컷에서 형성된 생식세포 중 유전자형이 aB인 세포의 비율은
10%이다.
ㄷ. P의 수컷에서 형성된 제 2 정모세포 중 A와 b가 연관된 염색체를
가지는 세포의 비율은 20%이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ㄱ, ㄴ
⑤ ㄴ, ㄷ

정답 : ①
해설 :
 p 
이런 문제는 AaBb를 상반으로 두고 aabb 자손의 확률을 p2/4로 두고 풀면 된다.    로부터 p  
  
를 구할 수 있다. p > 0.5이기 때문에, 이는 상인 상태의 p = 0.1인 것으로 정정한다. 이로부터 생식세포는
AB : Ab : aB : ab = 9 : 1 : 1 : 9의 비율로 만들어짐을 추론할 수 있다.

ㄱ. Ab와 aB의 생식세포가 생기는 비율이 같으므로, F1에서 AAbb : aaBB의 비는 1 : 1 이다.
ㄴ. aB인 생식세포의 비율은 1/20 = 5%이다.
ㄷ. 제2 정모세포 중 A와 b가 연관된 염색체를 가지는 세포의 비율은 10%이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3. 다음 그림은 어느 유전병에 대한 가계도(pedigree)이다.

이 가계도에서 나타나는 유전의 형태는?


① 성염색체 열성(sex-linked recessive) 유전
② 성염색체 우성(sex-linked dominant) 유전
③ 상염색체 열성(non sex-linked recessive) 유전
④ 상염색체 우성(non sex-linked dominant) 유전

정답 : ④
해설 :
이 유전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다.
만약 상염색체 열성이었다면, 2세대 첫 번째 부부에서 모든 자녀가 유전병이어야 하는데 정상 남자가 태어
났으므로 상염색체 열성은 아니다. 만약 X 염색체 우성이라면, 1세대 X′Y × XX에서 태어나는 남성은 모두
XY로 정상이어야 하는데 유전병 남자가 태어났으므로 X 염색체 우성은 아니다.
만약 X 염색체 열성이라면, 2세대 첫 번째 부부인 X′X′ × X′Y에서 태어난 남성은 모두 유전병이어야 하는데
정상 남자가 태어났으므로 X 염색체 열성도 아니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4. 코커스패니얼 개에서 털색과 얼룩무늬의 모양은 서로 다른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두 개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 검은색(A)는 붉은색(a)에 대해 우성이고, 단색(B)은 얼룩무늬(b)에 대
해 우성이다. 검은색 얼룩무늬의 암컷 개를 검은색 단색인 수컷 개와 교배하여 자손에게서 검
은색 단색 3 : 검은색 얼룩무늬 3 : 붉은색 단색 1 : 붉은색 얼룩무늬 1의 비율을 얻었다.
부모세대에서 검은색 단색인 수컷 개의 유전형은?

① AABB
② AABb
③ AaBB
④ AaBb

정답 : ④
해설 :
검은색 얼룩무늬 암컷 A_bb와 검은색 단색인 수컷 A_B_ 사이에서 자손의 비율이 A_B_ : A_bb : aaB_ :
aabb = 3 : 3 : 1 : 1이다. 자손에서 aabb가 나온다는 것은 암컷과 수컷에서 ab를 가진 배우자가 만들어졌
다는 뜻이다. 따라서 암컷은 Aabb가 되고 수컷은 AaBb가 된다.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5. 다음 표는 표피 형태가 다르지만 동일 종(species)에 속하는 네 종류의 개구리를 나타낸


다.

유전자형 AA Aa Ab Ac aa ab, ac, bb, bc cc

표피형태

이 표에서 나타난 형질에 대하여 표현형, 유전자형, 대립유전자의 수를 차례대로 배열한 것


은?
① 4, 10, 4
② 4, 4, 10
③ 4, 4, 4
④ 4, 10, 10

정답 : ①
해설 :
표현형 : 표피 형태의 4가지
유전자형 : AA, Aa, Ab, Ac, aa, ab, ac, bb, bc, cc의 10가지
대립유전자 : A, a, b, c의 4가지
Daily test 유전학 문제

36. 표는 3종의 생물에서 체세포 1개에 들어 있는 염색체 수를 나타낸 것이다.

생물 종 염색체 수
사람 46
침팬지 48
감자 48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단, 돌연변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2014 수능 모의)
<보 기>

ㄱ. 침팬지와 감자의 핵형은 동일하다.


ㄴ. 사람에서 염색체 수는 유전자 수와 같다.
ㄷ. 사람의 정자 1개에 들어 있는 상염색체는 22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ㄱ, ㄷ
⑤ ㄴ, ㄷ

정답 : ③
해설 :
ㄱ. 감자와 침팬지는 모두 48개의 염색체를 가지지만, 염색체의 크기나 모양 등이 다르기 때문에 핵형은 서
로 다르다.
ㄴ. 사람의 염색체 1개에는 무수히 많은 유전자가 존재한다.
ㄷ. 정자 속에는 23개의 염색체가 존재하며, 이 중 22개가 상염색체이고 1개는 성염색체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