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

2016 부산대학교

2016 부산대학교
PUSAN NATIONAL UNIVERSITY

학생의 미래가 있는 대학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대학

www.pusan.ac.kr 온라인 브로슈어


PNU 70th
To the Dream
진리 07 연혁 08 총장 인사말 09 비전/발전계획 10 PNU 캠퍼스 12 기구표 13 학생 및 교직원 현황 14 단과대학
자유 28 일반대학원 30 전문대학원 35 특수대학원 38 주요기관 43 국책사업 44 연구기관 46 지원·부속시설 48 병원시설
봉사 50 Global PNU 52 국제 교류기관 54 장학제도 56 캠퍼스맵

Anniversary
04 부산대학교 70년 부산대학교 70년 05 부산대학교 70년 06

최초에서 최고까지 부산대학교 70년


PNU 70th Anniversary

시민 사랑으로 최초의 종합 국립대학 탄생 최고의 국립대학으로 발돋움


해방 직후 어지러웠던 정국 속에서 나라를 다시 일으킬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2016년 개교 70주년을 맞은 부산대학교는 연구 및 교육 역량에서 명실상부한 제1의
열망이 들불처럼 일어났다. 이에 따라 당시 경상남도 학무과장이었던 국립대학으로 발돋움하여 그 전통과 실력을 높이 평가받고 있다. 국내외의 각계각층에서
윤인구 부산대 초대총장의 노력과 지역민들의 기금 헌납 등을 통해 1946년 5월 15일 활약하고 있는 부산대 20만 동문들은 지역사회와 국가의 발전을 책임지고 있으며
국내 최초의 종합 국립대학으로 ‘국립 부산대학’이 출범하였다. 3만 명의 학생과 1,200명의 교수, 750명의 직원들은 모두가 하나 되어
진리·자유·봉사의 전당인 부산대를 나날이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대한민국 산업화와 시대의 양심, 혁신과 성장의 글로벌 대학 및 나눔과 봉사를 통한 미래를 위한 융합과
경제 발전의 거점대학 민주화의 불꽃 친환경 멀티캠퍼스 국제 전문가 양성 사회적 리더 양성 통섭형 엘리트 교육
1960년대 본격적으로 5개년 경제개발계획이 한일협정 비준 반대시위 등으로부터 시작해 현대사의 주요 교육환경 선진화와 연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장기발전계획에 따라 부산대는 부산대는 미국·독일·러시아·영국·일본‧중국 등 전 세계 49개 국가· 효원인은 지역사회기여센터를 통한 봉사활동으로 ‘타인에 대한 부산대는 학문 간의 영역을 허물어 새로움을 만들어내는 융합과 통섭형
시행되면서 동남권을 비롯한 전국 각지 유수의 전환점마다 효원인들은 진리·자유·봉사의 정신으로 당당히 부산·양산·밀양·아미의 4개 캠퍼스로 그 규모를 확대하였다. 지역별로 특화 지역의 408개 대학·기관과 협정을 체결하고 활발한 교류활동을 배려’와 ‘더불어 사는 자세’를 배우고 실천한다. 매년 1,000여 엘리트 교육을 실시하여 창조적 지식인을 양성하고 있으며, BK21 플러
기업에 진출한 부산대의 우수 인재들은 성공적 일어나 불의와 맞서 싸웠다.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부산대 된 멀티캠퍼스는 기초학문에 대한 투자와 융·복합연구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펼치고 있다. 또한 50여 명의 외국인 교수, 연간 1,000여 개의 외국어 명의 대학생 멘토들이 교육기부 활동에 참여하는 등 세상을 스 사업, CK사업, ACE사업 등에서의 탁월한 성과를 통하여 미래사회를
인 경제 발전과 산업화를 이끌었고 21세기를 는 민주화의 양심이자 불꽃이요, 배움과 실천이 함께하는 지 국가 발전을 견인하고 있으며, 캠퍼스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건축물과 강좌, 해외파견, 해외봉사활동 등을 통해 많은 부산대생들이 해외를 아름답게 하는 부산대의 ‘나눔과 봉사’ 정신을 전파하며 마음이 창조하는 대한민국의 싱크탱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맞아 새로운 창조경제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 성의 전당으로 당당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이용 등으로 친환경 캠퍼스로 운영되고 있다. 경험하며 세계의 지성을 이끌어갈 국제 전문가로 성장하고 있다. 따뜻한 사회적 리더로 육성되고 있다.

1962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시행 1979 부마항쟁, 1987 6월 민주항쟁 2006 밀양대 통합, 2009 양산캠퍼스 준공 2013 글로벌 100대 대학 진입을 목표로 하는 2012, 2014 교육부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 2회 수상 2015 ‘잘 가르치는 대학’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선정
VISION 2030 선포 2015 BK21 플러스 사업 31개 사업단, 국립대 최다 선정
2016 소프트웨어중심대학 부산·울산·경남 유일 선정

2015년 30대 그룹 사장단 배출


해외파견 및
전국 7위 부마항쟁에 참가한 부산-양산-밀양-아미 4개 멀티캠퍼스 구축 해외봉사 참여 학생 수 교육 기부 참여
연간 대학생 멘토 수
2015년 BK21 플러스 사업 중간평가

2013~2015년 기업 관점의
산학협력 평가 3년 연속
부산대 학생 수 학생 3만 명, 교수 1,200명 연간 1,000여 명 1,000여 명
국립대 위, 전국
1 2위
최우수 대학 선정
5,000여 명 직원·조교 750명
07 연혁 08 총장 인사말 Vision 09

P NU VIS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PNU History


학생의 미래가 있는 대학
최고의 종합 국립대 부산대 70년의 역사

PNU 70th
유라시아 시대와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대학
통일한국 시대를 준비하는
부산의 명품 글로벌 국립대학으로
• 통섭형 창의적 인재 양성
• 융합연구 선도

도약하겠습니다
• 기부와 나눔의 실현

올해 개교 70주년을 맞은 부산대학교는 1946년 5월 15일 시민의


헌금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종합 국립대학입니다.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를 이끌면서 부산대는 대한민국 70년의


위대한 여정을 함께해 왔습니다. 지역 거점 국립대학의 사명을
다하면서 국민으로부터 사랑을 받아온 올곧고 참다운 대학
2016. 5. 개교 70주년 Beyond the Dream 입니다.
2016. 5. 제20대 총장 전호환 박사 취임 우리 대학의 핵심가치 첫 번째는 바로 학생들의 미래를 책임지는
기술창업대학원 신설 교육입니다. 우리 젊은이들이 어려운 시기에도 가장 위대한 꿈을
창조적 지식공동체 구현
2014. 9.
2010. 9. 상과대학을 경영대학·경제통상대학으로 개편 꿀 수 있는 대학을 만드는 것입니다.
Global Excellence 지향
경제통상대학원 신설
2009. 3. 법학전문대학원 개원
2009. 2. 양산캠퍼스 준공
Anniversary 시대 흐름과 사회 요구가 반영된 교육혁신을 이끌어 가겠습니다.
인공지능의 도래와 함께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드는 변혁의
시대에 우리 부산대는 변화와 개혁을 선도해 갈 것입니다.
2008. 3. 한의학전문대학원 개원
국내 최고의 국립대라는 지금의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지역사회
2006. 3. 밀양대학교 통합 발전을 선도해 온 ‘부산의 Top brand’를 넘어, 유라시아 시대와
1992. 4. (재)부산대학교발전기금 설립 통일한국 시대를 준비하는 부산의 명품 글로벌 국립대학으로
1972. 3.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개교 도약하겠습니다.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으로 더 단단하고 • 창의적 지식인
• 통섭/융합 교육체제 구축
• 글로벌 연구역량 강화
1966. 4. 중앙도서관 개관 깊어지겠습니다. • 개방적 지식인
• 지역 및 국제사회 선도
• 글로벌 전문인
1956. 11. 의과대학 부속병원 개설 70년의 전통과 가치를 바탕으로 ‘학생의 미래, 교수의 긍지, • 행·재정 혁신 및 기반 확충
• 봉사하는 지식인
• 친환경 특화 캠퍼스 구축
1954. 12. 효원 교사(현 부산캠퍼스) 기공 직원의 보람이 공존하는 대학’,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대학’이
1954. 4. 대학원 개설 되겠습니다. 부산대학교의 새로운 100년, 힘찬 도약과 함께해
주십시오.
1953. 11. 초대총장 윤인구 박사 취임 목표연도
1953. 9. 종합대학교 설치 인가 완성기
도약기 2021~2030
1952. 3. 제1회 학위수여식 부산대학교 총장 기반조성기 2017~2020
2012~2016
1946. 9. 제1회 입학식
1946. 5. 국립부산대학 설립 인가
1945. 10. 부산대학교 설립 기성회 조직

국내 제1의 국립종합대학 아시아 허브대학 글로벌 명문대학


10 PNU 캠퍼스 PNU 캠퍼스 11

N
Busan Campus

통합과 성장의 힘,
지역별 4개 특화 캠퍼스 구축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부산캠퍼스를 중심으로 융·복합 연구, 농생명 분야 특화,
최첨단 메디컬 인프라를 갖춘 지역별 특화 캠퍼스로 인류와 지역사회에 기여할
지식공동체를 만들어갑니다.

PNU Multi-Campus

Yangsan Campus • 역사와 전통의 대표 캠퍼스

부산캠퍼스
• 기초 및 응용학문, 인문학적 소양 조화
• 융·복합 교육 산실

• 의생명과학 융·복합 연구의 신허브


• 의생명과학 교육연구시설과 병원시설의

양산캠퍼스 시너지효과 창출
• 양·한방 협진 시스템 구축

밀양캠퍼스
• 지역 밀착형 캠퍼스
• 농생명 분야 특화
• 농생명 및 자연 자원
Miryang Campus Ami Campus 연구 ·교육 선도

• 도심형 메디컬 센터
• 동남권 핵심거점 공공의료기관
아미캠퍼스
• 최첨단 의료 인프라 종합병원,
국가지정 및 전문질환 센터 운영
12 기구표 학생 및 교직원 현황 13

기구표
• 3처 1국 8과 3본부
• 단과대학 14(법과대학 · 상과대학 제외), 독립학부 1
• (일반)대학원 1, 전문대학원 5, 특수대학원 7
교무처 교무과
학사과
U 학생 및 교직원 현황

• 교육기본시설 1 학생처 학생과


• 지원 · 부속시설 61(대학(원)부속(설) 시설 포함)
• 연구시설 106 기획처 기획평가과
재학생 학사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
캠퍼스재정기획과
• 법인 · 기타시설 9
본부 사무국 총무과
29,627 명
21,488 6,582 1,557

재무과 일반대학원 2,952 일반대학원 1,471


전문대학원 1,691 전문대학원
시설과 86
특수대학원 1,939
입학본부
대외교류본부
R&D미래전략본부 141 기금교수

교육부총장
대학 인문대학
전임교수
사회과학대학 1,189 387 명예교수
자연과학대학 교육기본시설 교수 2,121 명
대외협력부총장 공과대학 도서관 10 석좌교수
사범대학 지원·부속시설 61
158 겸임교수
경제통상대학 산학협력단
의무부총장 단과 경영대학
교양교육원 기타교원
대학 약학대학
정보전산원 236
(학부) 생활환경대학
미래인재개발원
총장 예술대학
교육인증원
나노과학기술대학
생명자원과학대학 기록관

교무회의
간호대학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 759 명

의과대학 연구시설 106 직원 및 조교


학부 스포츠과학부 법인·기타시설 9
199 조교
대학평의원회 일반대학원 석사
5계열 87학과 560 직원
과정
박사
5계열 83학과
과정
전문대학원 국제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치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전문대학원
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생 216,163 명 석사
45,622
특수대학원 경제통상대학원 학사
경영대학원 162,620
행정대학원
교육대학원
박사
산업대학원 7,921
환경대학원
기술창업대학원
PNU 70TH ANNIVERSARY

1
PNU
Undergraduate
Schools
단과대학
•단과대학 14
- 인문대학
•독립학부 1
- 사회과학대학
•학과(전공) 103 - 자연과학대학
- 공과대학
- 사범대학
- 경제통상대학
- 경영대학
- 약학대학
- 생활환경대학
- 예술대학
- 나노과학기술대학
- 생명자원과학대학
- 간호대학
- (의과대학)
- 스포츠과학부
땀과 열정으로
키워온 노력의 결실

단과대학

▲ 1946년 예과 신입생 입학식 2016년 신입생 입학식 ▼

국가 재건의 기대 속에 피어난 새싹
흔들리지 않는 거목으로 자라나다
1946년 5월 15일에 국립종합대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은 부산대는 예과 1학년
학생들을 모집했는데 모집분야는 수산학부와 인문학부였다. 당시 학부는 오늘날의
단과대학에 해당하는 것으로, 1946년 3월 7일에 공포된 대학령 제2조에는
인문계 및 자연계의 학부가 병설될 때는 2개 이상의 학부로써 ‘종합대학교를 구성
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설립 당시 부산대 신입생들은 2년의 예과과정을 마치고
다시 본과 4년을 졸업했기 때문에 부산대 1기 졸업생은 48학번이었다.

1953년 부산대는 문리과대학·법과대학·상과대학·공과대학·약학대학·의과대학


등 6개 단과대학 체제로 새로운 웅비와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2016년 현재 부산대는 14개 단과대학, 1개 독립학부, 103개 학과(전공)의 체제를


갖추고 동남권 발전을 선도하는 지역거점대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부단한 자기 혁신으로 발전을 거듭해온 부산대는 2015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국립대 1위, 2016년 세계적 권위를 자랑하는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기계·항공
공학, 화학공학, 토목·구조공학, 약학, 재료과학 등 5개 분야를 101~200위권에
랭크시키는 쾌거를 이루었다. 2015년 졸업생 3,000명 이상 지역대학 유지취업률
1위(93.4%), 2016년 대학사회책임 지수 공공영역대학부문에서는
전국 1위를 차지하였다.
14 Undergraduate School Undergraduate School 15

인문대학 새로운 가치를 창조합니다


College of Humanities 인문대학은 1948년 문리학부로 출발했다. 60여 년을 지나는 동안 인문학연구소,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및 점필재연구소와 함께 어학·문학·역사·철학 등 기초학문
으로서의 인문학 발전을 주도해왔다. 국내 최고 수준의 교수진과 멀티미디어실,
전산실습실 등 인문대학의 최첨단 교육환경은 부산대를 지역거점 인문학 교육·
연구의 메카로 성장시키고 있다.

국어국문학과 / 중어중문학과 / 일어일문학과 / 영어영문학과 / 불어불문학과


http://humanities.pusan.ac.kr
독어독문학과 / 노어노문학과 / 한문학과 / 언어정보학과 / 사학과 / 철학과
TEL. 051-510-1504~5 고고학과

사회과학대학 21세기 한국사회를 경쟁력 있게 선도합니다


College of Social Sciences 사회과학대학은 사회 제반 현상을 탐구함으로써 사회 환경에 합리적·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각과 능력을 길러준다. 이론뿐만 아니라 실험·실습과 조사 등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여 이론과 실제를 함께 배울 수 있다. 사회과학연구원과
학문 공동연구를 통하여 사회과학 발전과 인류사회 발전에 힘을 더하고 있다.

행정학과 / 정치외교학과 / 사회복지학과


http://socio.pusan.ac.kr
사회학과 / 심리학과 / 문헌정보학과 / 신문방송학과
TEL. 051-510-1552, 1554~5
16 Undergraduate School Undergraduate School 17

자연과학대학 기초과학이 미래성장의 원천입니다 공과대학 첨단기술 혁신의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College of Natural Sciences 자연과학대학은 기초과학 전반에 걸친 이론과 응용을 체계적, 합리적으로 통합 College of Engineering 공과대학은 학생 10,700여 명, 교수 238명의 대규모 단과대학으로, 아시아 최초
운용한다. 우수한 연구진과 최첨단 연구장비를 바탕으로 유능한 과학 인력을 Rolls-Royce대학기술센터 등 40여 개의 연구기관에서 기계, 조선, ICT 분야를
양성하고 국내외 연구소 및 산업체로 배출해 국가 미래 창조과학 발전의 원동력이 포함한 산업전반에 핵심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연 168억 원의 장학금을
되고 있다. 세계 수준의 자연과학 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연구성과를 거두며 유수의 지급하며, 국내외 굴지의 기업에 76% 이상의 취업률을 자랑하고 있다.
최상급 연구과제들을 수행하고 있다.

기계공학부 (에너지시스템전공, 기계시스템설계전공, 정밀가공시스템전공,


제어자동화시스템전공, 원자력시스템전공) / 고분자공학과 / 유기소재시스템
공학과 / 화공생명·환경공학부 (화공생명공학전공, 환경공학전공) / 재료공학부
전자공학과 / 전기컴퓨터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정보컴퓨터공학전공)
수학과 / 통계학과 / 물리학과 / 화학과 / 생명과학과 / 미생물학과
http://natural.pusan.ac.kr http://eng.pusan.ac.kr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건축공학전공, 도시공학전공, 토목공학전공)
분자생물학과 / 지질환경과학과 / 해양학과 / 대기환경과학과
TEL. 051-510-1764~5 TEL. 051-510-1405~9 항공우주공학과 / 산업공학과 / 조선·해양공학과
18 Undergraduate School Undergraduate School 19

사범대학 인성과 지성의 참 교육을 실현합니다


College of Education 사범대학은 전공영역뿐만 아니라 현대교육에 필요한 학문적 탐구와 교육자적
자질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수업행동분석실, 교육매체제작실 등
첨단시설을 갖추고 있다. 부속기관으로 교육연수원, 과학교육연구소, 부설고등
학교 등이 있다.

국어교육과 / 영어교육과 / 독어교육과 / 불어교육과 / 교육학과


유아교육과 / 특수교육과 / 일반사회교육과 / 역사교육과 / 지리교육과
http://edu.pusan.ac.kr
윤리교육과 / 수학교육과 / 물리교육과 / 화학교육과 / 생물교육과
TEL. 051-510-1605~7 지구과학교육과 / 체육교육과

경제통상대학 세계적인 비즈니스 인재를 키웁니다


College of Economics 경제통상대학은 무역 및 경제, 국제, 관광컨벤션, 공공정책 분야 등에 대한 깊이

and International Trade


있는 접근을 통하여 국가 경제와 글로벌 경제 문제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해결
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고 운영된다. 경제 및 정책 전문가는 물론
세계화시대에 국제적 감각을 갖춘 글로벌 리더의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무역학부 / 경제학부 / 국제학부 / 관광컨벤션학과 / 공공정책학부


http://econtr.pusan.ac.kr
TEL. 051-510-1654~5
20 Undergraduate School Undergraduate School 21

경영대학 글로벌 리더의 꿈이 가까워집니다 약학대학 봉사정신 갖춘 전문약학인을 양성합니다


School of Business 경영대학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상경계열을 대대적으로 혁신하여 2010 College of Pharmacy 약학대학은 1953년 국내 두 번째 국립약학대학으로 설립되었다. 2011학년도
학년도 2학기부터 기존 상과대학이 경영대학과 경제통상대학으로 분리되면서 부터 타 학과나 대학에서 기초·소양교육을 2년 이상 수료한 학생들을 선발하여
신설되었다. 학문의 융합화 추세를 감안하여 경영학과 단일체제로 운영되며 세 전공교육 4년을 실시하는 ‘2+4’ 학제로 운영되고 있다. 생명의 존엄성을 중시하며
부 트랙으로 경영정보, 국제경영, 마케팅, 생산관리, 인사·조직, 재무관리, 회계를 전문약사로서의 인성을 갖추고 전문지식과 응용방법을 터득하는 데 교육목표를
두고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경영대학을 지향하고 있다. 두고 있으며, 교육 및 연구성과의 탁월성을 인정받고 있다. 신약개발연구소, 부속
약초원, 실습약국, 실험동물센터, 약학교육연수원 등의 부속시설을 두고 있다.

경영학과 약학부 (약학전공, 제약학전공)


http://biz.pusan.ac.kr http://pharmacy.pusan.ac.kr
TEL. 051-510-7663~4 TEL. 051-510-1683~6
22 Undergraduate School Undergraduate School 23

생활환경대학 인간과 생활환경 연구로


College of Human Ecology 삶의 질을 높입니다
생활환경대학은 인간생태학적 관점에서 인간과 생활환경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두고 미래지향적인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부설기관으로 국내 대학 유일의 김치연구소와 한국
전통복식연구소, 노인생활환경연구소 등이 있다. 생활환경대학은 글로컬
리더와 에코 스페셜리스트를 양성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선도대학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아동가족학과 / 의류학과 / 식품영양학과 / 주거환경학과


http://che.pusan.ac.kr
TEL. 051-510-1712~5

예술대학 창의적 예술문화를 이끌어갑니다


College of Arts 예술대학은 음악학, 한국음악학, 무용학, 미술학, 디자인학, 조형학, 예술문화영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술적 감성과 미적 정서, 창조적 표현능력을 갖춘 전문예술
인력을 양성한다. 실기와 이론을 겸비함과 아울러 예술과 인문학 및 공학과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영역까지 개척하여 급변하는 예술문화계를 이끌어갈 지도자적
자질과 인격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디자인학과 / 무용학과 / 미술학과 / 예술문화영상학과


http://art.pusan.ac.kr
음악학과 / 조형학과 / 한국음악학과
TEL. 051-510-1731~2, 1734~5
24 Undergraduate School Undergraduate School 25

나노과학기술대학 작은 나노의 힘찬 비상을 꿈꿉니다


College of Nanoscience and 나노과학기술대학은 나노과학기술 분야의 우수한 핵심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Nanotechnology
설립된 전국 최초의 나노특성화대학이다. 나노과학기술은 다양한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에 활용되며, 국가의 장래와 세계 선진국과의 기술 경쟁력 측면에서 가장 핵심
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분야로서 나노과학기술대학은 이러한 핵심적인 위치에
걸맞은 국제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하여 첨단 나노실험실습교육, 나노특성화
교육 및 학부생 인턴제도 등을 실시하여 우수한 인력 양성과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나노에너지공학과 / 나노메카트로닉스공학과
http://nano.pusan.ac.kr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TEL. 051-510-2795~6, 1992~1993,
055-350-5270

생명자원과학대학 인류의 건강한 생명을 생각합니다


College of Natural 생명자원과학대학은 인류의 생명과 건강뿐만 아니라 농생명자원 및 자연자원의

Resources & Life Science


활용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을 선도하는 대학이며, 또한 21세기 핵심 유망
분야인 생명공학과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동남권 중심대학이다.
21세기 성장산업인 생명자원과학 분야를 선도할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생명
공학(BT), 정보화기술(IT), 초미세과학기술(NT), 생명환경기술(ET) 등을 융합한
교육과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식물생명과학과 / 원예생명과학과 / 동물생명자원과학과 / 식품공학과


http://nrls.pusan.ac.kr
생명환경화학과 / 바이오소재과학과 /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 IT응용공학과
TEL. 055-350-5100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조경학과 / 농업경제학과
26 Undergraduate School Undergraduate School 27

스포츠과학부 건강한 삶과 웰빙문화를 구현합니다


Division of Sport Science 독립학부인 스포츠과학부는 스포츠의 과학적 탐구를 통하여 미래건강사회를 주도적
으로 이끌어갈 우수한 스포츠 전문연구인력을 육성하고 있다. 특히, 동남권 핵심거점
국립대학의 위상을 발판으로 양산부산대학교병원과 학제적 공동연구 기반을 조성하여
최첨단 연구, 최신 스포츠과학적 이론을 통하여 건강한 삶을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지역사회의 웰빙 문화 주도에 기여하고 있다.

http://sportscience.pusan.ac.kr
TEL. 051-510-3745

간호대학 건강복지 실현에 앞장섭니다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은 1955년에 개설된 간호학과가 2006년 단과대학으로 승격하며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꾸준한 양적 성장은 물론 교육과 연구 환경의 개선, 새로운 교육
과정 및 방법 개발, 우수한 교수진의 확보, 대학원 교육의 강화 등 질적인 성장으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전문 간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2009년 양산캠퍼스로
이전하여 지역사회의 건강복지 실현을 위하여 더욱 매진하고 있다.

간호학과
http://nursing.pusan.ac.kr
TEL. 051-510-8305~7
PNU 70TH ANNIVERSARY

2
PNU
Graduate
Schools
대학원
•일반대학원 1
(석사 87 · 박사 83학과)
•전문대학원 5
- 국제전문대학원
- 의학전문대학원
- 치의학전문대학원
- 한의학전문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7
- 경영대학원
- 경제통상대학원
- 행정대학원
- 교육대학원
- 산업대학원
- 환경대학원
- 기술창업대학원
세계로
뻗어나가는
학문후속세대의
요람

대학원

▲ 1969년 당시 대학원(현 박물관 본관) 2016년 현재의 대학원생들 ▼

시대적 어려움과 대학통합·자기혁신의 비바람 거쳐


융‧복합 연구와 국제 경쟁력의 열매를 맺다
1954년 부산대에 대학원이 신설됨에 따라 1기 입학시험을 실시하여
12개 모집학과에서 21명을 선발하였다. 당시 대학원에는 전임교수가 없어 수업과
학생지도 면에서 난점이 많았으나 이것은 그 시대의 전국적인 현상으로
이를 타개하기 위해 모두 합심 노력하였다.

특수대학원은 1969년에 신설된 경영대학원을 시작으로, 행정대학원(1972)·


교육대학원(1975)·산업대학원(1982)·환경대학원(1989)·경제통상대학원(2010)·
기술창업대학원(2014) 등이 차례로 개설되었다.

2006년 밀양대와의 통합을 비롯해 장기발전계획에 따라 추진된 멀티캠퍼스 체제는


대학원에도 획기적인 변화의 바람을 일으켰다. 특히 의학전문대학원·치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전문대학원·국제전문대학원·법학전문대학원 등의 전문대학원이 설치되면서
대학원은 의생명과학 융·복합 연구의 新허브, 글로벌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있는
국제전문인력의 양성,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전문 법조인 양성 등의 비전을 추구하며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28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29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5계열 87학과
박사과정
5계열 83학과
대학원 협동과정 석사과정
5계열 26전공,
8연구소, 1산업체
박사과정
5계열 23전공,
6연구소, 1산업체

계열 석사과정 박사과정 학과간 협동과정


- 2개 이상의 학과 또는 전공이 공동으로 설치·운영하는 석·박사 학위과정
국어국문학과 문헌정보학과 국어국문학과 문헌정보학과
중어중문학과 신문방송학과 중어중문학과 신문방송학과 학〮연 협동과정
일어일문학과 법학과 일어일문학과 국어교육학과 - 대학 및 연구소간 연계로 교수·연구 인력 및 연구 기자재를 공동 활용하여 과학기술인력의 효율적인 양성체제 구축
영어영문학과 국어교육학과 영어영문학과 외국어교육학과 -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생산기술연구원 등과 협력하여 석·박사과정 개설·운영
불어불문학과 외국어교육학과 불어불문학과 교육학과
독어독문학과 교육학과 독어독문학과 유아교육학과 학〮산 협동과정
노어노문학과 유아교육학과 노어노문학과 특수교육학과 - 산업체 현장 기술 및 장비 활용
인문 〮사회 한문학과 특수교육학과 한문학과 사회교육학과 - 대학의 우수한 연구진과 연계하여 산업 생산성 제고
석사 34 언어학과 사회교육학과 언어학과 윤리교육학과 - LG전자(주)와 협력하여 운영
박사 32 사학과 윤리교육학과 사학과 무역학과
철학과 무역학과 철학과 경제학과
학과ㆍ전공명[협약기관]
고고학과 경제학과 고고학과 경영학과 과정 계열
행정학과 경영학과 행정학과 공공정책학과 석사과정 박사과정
정치외교학과 공공정책학과 정치외교학과 아동가족학과 기록관리학협동과정 영재교육협동과정 기록관리학협동과정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사회복지학과 아동가족학과 사회복지학과 관광컨벤션학과 인문·사회 여성학협동과정 국제교육개발협력협동과정 여성학협동과정 영재교육협동과정
사회학과 관광컨벤션학과 사회학과 석사 7 NGO학협동과정 사회적기업전공 NGO학협동과정 국제교육개발협력협동과정
박사 6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심리학과 식품자원경제학과 심리학과
인지과학협동과정 수리금융전공협동과정 인지과학협동과정 생물정보학및장수과학협동과정
수학과 주거환경학과 수학과 주거환경학과 자연과학 멀티미디어협동과정 분자과학기술협동과정 멀티미디어협동과정 수리금융전공협동과정
통계학과 의류학과 통계학과 의류학과 석사 8 과학기술학협동과정 전통복식과보존과학협동과정 과학기술학협동과정 분자과학기술협동과정
물리학과 식품영양학과 물리학과 식품영양학과 박사 7 생물정보학및장수과학협동과정 헬스테크놀로지협동과정 전통복식과보존과학협동과정
화학과 화학소재학과 화학과 화학소재학과
자연과학 생명시스템학과 식물생명과학과 생명시스템학과 식물생명과학과 공간정보협동과정 기계융합기술협동과정 공간정보협동과정 영상정보협동과정
지구과학과 원예생명과학과 지구과학과 원예생명과학과 공학 의공학협동과정 로봇관련협동과정 의공학협동과정 기계융합기술협동과정
석사 22 학과간 첨단정밀공학협동과정 공학교육협동과정 첨단정밀공학협동과정 로봇관련협동과정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바이오소재과학과 지구환경시스템학부 바이오소재과학과 석사 9
박사 21 박사 8 빅데이터협동과정 동력및서멀매니지먼트시스템전공 빅데이터협동과정 동력및서멀매니지먼트시스템전공
수학교육학과 동물생명자원과학과 수학교육학과 식품공학과 영상정보협동과정
과학교육학과 식품공학과 과학교육학과 생명자원응용과학과
약학과 생명환경화학과 약학과 간호학과 의학
제약학과 간호학과 제약학과 석사 1 생물공학협동과정 생물공학협동과정
박사 1
기계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 기계공학부 항공우주공학과
예·체능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조선·해양공학과 예술ㆍ문화와영상매체협동과정 예술ㆍ문화와영상매체협동과정
석사 1
화학공학·고분자공학과 나노융합기술학과 화학공학·고분자공학과 나노융합기술학과 박사 1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바이오산업기계공학과
공학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유기소재시스템공학과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소계 26전공 23전공
석사 19 재료공학과 IT응용공학과 재료공학과 IT응용공학과 이학 이학계 관련학과[한국화학연구원] -
박사 19 건축공학과 조경학과 건축공학과 조경학과
공학계 관련학과 공학계 관련학과
건축학과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건축학과 인지메카트로닉스공학과
학ㆍ연 공학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생산기술연구원, 한국로봇융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생산기술연구원,
도시공학과 융합학부 도시공학과 융합학부
합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산업공학과 산업공학과
소계 8연구소 6연구소
의학 의학과 의학과 공학 지능기계시스템전공[LG전자(주)] 지능기계시스템전공[LG전자(주)]
석사 3 치의학과 치의학과 학ㆍ산
박사 3 한의학과 한의학과 소계 1산업체 1산업체
합계 5계열 26전공, 8연구소, 1산업체 5계열 23전공, 6연구소, 1산업체
체육학과 조형학과 체육학과 조형학과
예 〮 체능 음악학과 무용학과 음악학과 스포츠과학과
석사 9 한국음악학과 스포츠과학과 한국음악학과 예술문화영상학과 - 학사 4, 석사 18, 박사 11과정 운영
박사 8 디자인학과 예술문화영상학과 디자인학과 - 기업 및 유관기관과 산학협력 체결로 맞춤형 교과과정 운영
미술학과 미술학과 계약학과 - (주)LG하우시스, 건일제약(주), 한국조경사회 부산지회, 부산상공회의소, 한국감정원, 부산은행, 부산항만공사, LG전자(주), 한국남동발전(주),
부산·울산지방중소기업청, 삼성전기(주), (주)엔케이, 중소기업청, 부산권의료산업협의회, 부산상공회의소, 삼성전기(주), 한국조선공업협회,
합계 5계열 87학과 5계열 83학과 (주)극동기계, 부산은행, (재)동양경제연구원, 한국남부발전(주), 한국수력원자력(주), 르노삼성자동차(주)
30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31

전문대학원 국제전문대학원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국제전문인력 양성의 요람
국제전문대학원은 글로벌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있는
국제전문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석사학위과정에는
국제통상전공, 국제물류 및 항만관리전공, 국제지역·
협력전공, EU전공, 한국학전공 등 5개 전공을, 박사

http://www.gsis.pusan.ac.kr
학위과정에는 4개 전공(한국학 제외)을 운영하고 있다.
이론과 실무가 적절하게 조화된 교과과정을 통하여
의학전문대학원
TEL. 051-510-1116, 1118, 1663 21세기가 요구하는 국제전문인력을 배출한다. School of Medicine

의학 발전과 인류 건강 증진의 주역
의학전문대학원은 세계가 주목하는 동북아 의료의 중심 의학교육기관
으로서, 국가와 인류가 필요로 하는 보건의료 및 의생명과학 전문가를 양성
한다. 첨단 의생명과학단지인 양산캠퍼스의 최첨단 교육시설에서 우수
교수진이 최고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심형 메디컬타운인 아미동 부산
대학교병원과 특성화된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의 양원 체제를 기반으로
탁월한 의료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2017학년도부터 의학교육학제가 의과
대학으로 완전 전환됨에 따라 2015학년도에 의예과를 신설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학년도부터 4년간(예정) 정원의 70%인 88명을 의예과 학생
으로 모집하고 2017학년도부터는 정원의 30%인 37명을 학사편입생으로
모집한다.

http://medical.pusan.ac.kr
TEL. 051-510-8004~7
32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33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의 미래가치를 창조하는


School of Korean Medicine 세계적 교육연구기관
한의학전문대학원은 국내 유일의 국립 한의학 교육기관으로, 한의학을
중심으로 다학제 간 공동연구와 한·양방 협진체제 구축을 통하여 한의
학의 과학화와 표준화를 촉진하고, 한의학 발전을 선도할 세계 의학계
의 지도자적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첨단 의료허브로 조성된 양산
캠퍼스에 한방병원과 한의약임상연구센터를 설치해 한의학 연구의 세
계적 중심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http://kmed.pusan.ac.kr
TEL. 051-510-8403~5

치의학전문대학원
School of Dentistry

부산·울산·경남 유일의 치과의사 양성교육기관


치의학전문대학원은 의료인으로서의 인격은 물론 치과의사로서 구강보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갖추도록 교육하고 있다. 학사학위자의 치무석사과정 및 고교졸업자의 학·석사
통합과정을 통해 다양한 인재를 발굴하여 치의학자를 양성하고 있다. 부산·울산·경남의 유일한 치과
의사 양성교육기관으로 학생들의 학습능률 향상을 위한 교육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2011년
독립법인으로 개원한 치과병원에서의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통하여 전문자격을 갖춘 훌륭한 의료
인을 배출하고 있다.

http://dent.pusan.ac.kr
TEL. 051-510-8205~9
34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35

특수대학원

경영대학원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시대를 이끄는 경영·관리 전문가 산실
급변하는 시대에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최신 학문을 바탕으로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경영자와 전문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운영되고
있다. 정규 석사과정으로 경영학전공을 두고, 계약학과 석사과정으로 경영혁신
MBA전공, Techno-MBA전공을 개설하고 있으며, 공개강좌로 최고경영자과정
(AMP)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http://cobman.pusan.ac.kr
TEL. 051-510-1652, 1362

법학전문대학원
경제통상대학원
School of Law
Graduate School of Economics and
International Trade
금융, 해운·통상 특성화로 전문법조인 양성 글로벌 경쟁력과 창의성을 지닌 인재 양성
경제통상대학원은 경제, 무역, 관광컨벤션, 공공정책 및 국제학부를 융·복합
법학 교육을 통하여 인권을 옹호하고 정의로운 민주사회를 지향하며,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하여 국가 및 지역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창의력 있는 글로벌 인재를 육성한다.
법률가와 금융, 해운·통상 등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춘 전문법조인을 양성
이러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글로벌정책전공 석사과정을 개설하고,
하고 있다. 나아가 창의적 정신으로 학문 발전에 이바지하는 차세대 법학연구자 양성에
경제통상, 공공정책, 관광컨벤션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주력하고 있다.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국제화된 교육과정을 실시함으로써 국제
경쟁력 강화에도 힘쓰고 있다.
http://geit.pusan.ac.kr
TEL. 051-510-1654~5

http://law.pusan.ac.kr
TEL. 051-510-1574~5
36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37

행정대학원 환경대학원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전문 관리자 육성 환경 보존을 위한 전문관리자 양성
행정학, 사회복지학 관련 사회과학 학문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교수하여 국가와 지역사회 산업화 정책에 밀려 훼손된 우리 환경을 살리고, 아름다운 환경을 보존하면서
발전에 필요한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전문 관리자를 양성하고 재교육한다. 1971년에 설립 산업도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할 전문 관리자를 양성하고 재교육한다. 환경공학과,
되어 현재 행정학, 사회복지학의 2개 전공 분야에 석사과정을 두고 있으며, 공개강좌로 최고 환경과학과, 도시계획학과가 개설·운영되고 있다.
관리자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http://pegr.pusan.ac.kr
http://gspa.pusan.ac.kr TEL.051-510-1392
TEL. 051-510-1372~3

교육대학원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전문가 배출 및 재교육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교육과 학술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통하여 국가와 인류사회의 발전에
Pusan National University
기여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전문가 양성과 현직교원의 재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육행정을 비롯한 33개 전공의 석사과정을 두고 있다.

http://gsedu.pusan.ac.kr

기술창업대학원
TEL. 051-510-1382~3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Entrepreneurship
산업대학원
Graduate School of Industry 지역과 국가 경제 이끄는 기술창업가 및
창업지원전문가 배출
산업변화에 대응하는 첨단산업 전문가 요람 동남권 신전략(융합부품소재, 해양, 창조문화, 바이오헬스, 지식인프라) 분야를
산업체에 근무하는 관리자 및 기술인의 독창적인 개발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산업의 경쟁력 포함한 다양한 산업 관련 기술창업자 및 창업지원전문가를 양성하고자 2014년
강화와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전자전기공학, 재료공학, 토목공학, 건축공학, 중소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현재 기술창업학과를 설치해 미래
건축학, 유기소재시스템공학, 고분자공학, 조선·해양공학, 산업공학, 조경학, 원예생명과학, 먹거리 창출, 고용 창출을 위한 강소기업 창업을 통하여 지역과 국가 경제 발전에
스포츠산업학 등 12개 전공을 개설하고 있으며, 공개강좌로 산업CEO과정도 운영 중이다. 이바지할 전문인력을 길러낸다.

http://indu.pusan.ac.kr http://technoent.pusan.ac.kr
TEL. 051-510-1391 TEL. 051-510-1369
PNU 70TH ANNIVERSARY

3
PNU
Major
Organizations
주요기관
•도서관
•교양교육원
•정보전산원
•미래인재개발원
•산학협력단
•연구기관
•지원·부속시설
•병원시설
첨단 우수시설 구비해
대학의 효율적 운영과
풍부한
교육·연구 지원

주요기관

▲ 1975년 중앙도서관 2016년 제1도서관 ▼

각 지원·부속기관 제 기능 발휘해
학생들의 더 큰 배움과 효율적 대학 운영 지원하다
부산대 도서관은 1959년까지 대신동 옛 교사, 1966년 4월까지 장전동 교내
임시건물 등을 거쳐 1966년 신축되었다. 당시 도서관은 7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열람실, 참고도서실, 시청각교육실 등 우수한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대학이 나날이
발전하여 더 큰 규모의 현대적 도서관 건립이 절실해짐에 따라 1980년 9월 총 면적
3,200평(10,578.51㎡), 2,900석의 열람실을 갖춘 중앙도서관(현 제2도서관)이
건립되었다. 이어서 2011년 8월에는 지상 5층 총 면적 2,392평(7,906.88㎡) 규모의
제1도서관이 당당한 위용을 드러내면서 지식정보화와 U-캠퍼스 구현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현재 부산대에는 교육기본시설인 도서관뿐만 아니라 대학(원) 부속 〮
부설 시설을 포함한 61개 지원 〮 부속기관이 각 위치에서 기능을 발휘하며 대학 운영
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다.

-정
 보전산원은 1977년 12월에 신설된 전자계산소를 모체로 하여 2000년 1월 멀티미디어
교육원과 가상대학 사업단을 흡수, 2003년 11월 지금의 명칭으로 개원했다.
-산
 학협력단은 산학협력의 활성화와 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대학 및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2004년 1월 특수법인으로 설치되었다.
-미
 래인재개발원은 2005년 1월 종합인력개발원으로 신설되었으며, 2013년부터 현재 명칭
으로 변경하여 학생들의 취업 및 진로, 생활고민 등의 문제 해결을 돕고 있다.
-박
 물관은 지금의 박물관 별관 건물이 1956년 3월 준공되었으며, 1963년 3월 박물관 설치
인가를 받아 다음 해 5월에 개관하였다. 1994년 구 음악관을 개조해 이전, 지금의 전시실
1, 2층을 개관하였다.
38 도서관 교양교육원 39

도서관 교양교육원
Library Office of General Education

4개 캠퍼스에서 6개 주제도서관 운영 교양·인성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240만여 종 장서·간행물 제공 지식기반시대 창의적·통합적 사고 능력 지원
부산캠퍼스의 제1도서관(문학예술자료관, 인문사회과학자료관, 과학기술자료관)과 제2도서관(보존 전공학습의 기초가 되는 지식습득과 지식기반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ㆍ통합적 사고
서고, 열람실) 및 법학도서관, 양산캠퍼스의 의생명과학도서관, 밀양캠퍼스의 나노생명과학도서관 등 능력 배양을 위한 교양교육과정의 개발, 운영 및 평가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2005년 총장
6개 주제도서관 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직할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장서 238만여 권, 연속간행물 5만 8천여 종(전자저널 포함)을 소장ㆍ구독하고 있다. 고문헌자료실, 모든 학문 영역의 연구와 교육의 기초가 되는 교양교육은 물론, 인성교육을 통하여 인간에 대한 존중을
iCOMMONS, 북한자료실, 지도자료실, 취업정보자료실, 외국학술지지원센터 등 특화된 자료실과 바탕으로 주체적이고 보편적인 이해를 키우며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 공감과 연대를 통해 더불어
UN/EU/IMF자료, 악보자료, 독서치료자료 등 전문화된 자료 코너를 운영하고 있다. 살아가는 힘을 기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의 다양한 수업환경에 대한 욕구 충족과 급변
하는 정보화시대에 맞추어 교양과목 사이버 강좌를 개설하고, 특별프로그램으로 Global Leaders
이용자의 연구와 학습활동에 필요한 정보조사제공, 이용교육서비스, SCI 서비스, 학과별 학술정보
Program,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Pre-Start Program, Step-Up Program 등을 운영하고 있다.
가이드 등 전문화된 서비스와 독서치료프로그램, 독서낭독회, 저자와의 만남, 도서 전시회 등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과 체험형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http://lib.pusan.ac.kr http://culedu.pusan.ac.kr
40 정보전산원 미래인재개발원 41

정보전산원 미래인재개발원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Mirae HRDC(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대학정보인프라 고도화로 입학부터 취업까지 학생정보 체계적 관리


행정·교육·연구 시스템 전산 지원 맞춤형 진로·취업전략 지원
정보전산원은 교육ㆍ연구 및 행정 업무 지원을 위한 스마트캠퍼스, 클라우드 컴퓨팅, 대학 정보자원을 미래인재개발원은 입학에서 취업까지 학생활동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
통합 관리하는 대학통합전산센터(PNU-IDC) 등 대학정보인프라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생 스스로 삶의 목표를 설정하여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재육성 기관으로, 학생정보 분석
을 통한 맞춤형 진로 및 취업전략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학생들이 앱 또는 웹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학생지원 및
인터넷증명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ㆍ연구 지원을 위한 기관ㆍ교수홈페이지, 연구용 서버관리, http://hrd.pusan.ac.kr
웹 메일, 인터넷디스크 운영과 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업무포털(u-PIP), 대학자원관리
(PIP), 전자문서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 진로·취업정책 및 취업률 향상 계획 수립
• 기업체 채용설명회 및 채용상담
또한 학생들의 정보화교육을 위한 정보기술활용 교과목 운영과 e-열람실, 첨단강의실, 클라우드실습
• 추천채용
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영남지역 교육기관들의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교육을 위한 정보보호교육 • 수리온 진로·취업캠프 및 수리온 취업동아리 지원
지역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 맞춤형 진로·취업 개인상담
취업지원부 • 입사서류·면접클리닉
http://itc.pusan.ac.kr • 저학년 진로탐색프로그램(저학년 CEP)
• 5, 7, 9급 공무원 준비 지원
• 국가직 지역인재 7급 공무원 추천
• 직업능력개발과정 교과목 운영
• 외부 기관, 기업, 졸업생과의 네트워크 구축

• 학생경력개발관리시스템(PASS) 구축·운영
• 진로·취업 교육과정 개발
• 학생 경력 분석 및 대응 전략 수립
인재개발부 • 인재육성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심리상담부 • 학생 인·적성 검사 및 맞춤형 심리상담
• 학생 위기관리 프로그램 운영
• 취업 통계
• 홈페이지 운영 및 홍보

• 여대생 취업·진로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개발·운영


여대생커리어 • 여성 전문 직무 분석 및 대응
개발부 • 여대생 특화 기업정보 제공

• 현장실습 개발·운영
• 취업연계형 현장실습 운영
현장실습 • 해외인턴십 프로그램 운영
지원센터 • 입사서류 및 면접클리닉 운영
• 외부 기관, 기업과의 네트워크 구축 및 프로그램 홍보
• 현장실습지원센터 홈페이지 구축 및 운영
42 산학협력단 국책사업 43

산학협력단 국책사업
Institute for Research & Industry Cooperation

교육부 ▷ 융합분야 유형 Ⅱ 국토교통부


(GCRC, 글로벌핵심연구센터사업)
BK21플러스사업 건설기술혁신사업
• 조선해양플랜트글로벌핵심연구센터
대학의 인재-기업의 인프라, 상생의 요람 • 31개 사업단(팀) (연구단 컨소시엄 과제)
국가·지자체·산업체 등과의 산학협력 촉진 ▷ 이공학분야(ERC) • GI & LID 물순환 요소기술의 효율성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
• 설계기반미래성형기술개발센터 실험검증 및 평가 기술 개발
산학협력단은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설치된 특수법인으로, 부산대와 •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사업단
▷ 융합분야
국가ㆍ지방자치단체ㆍ산업체 등과의 상호협력을 통하여 산학협력을 촉진ㆍ활성화하고, 관련 전문인력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
• 개인안전 융합제품 3차원 혁신제조연구
을 양성함으로써 대학 및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사회과학연구소 해양수산부
해외우수기관유치활용사업
인문한국(HK)지원사업 수산실용화기술개발사업
http://sanhak.pusan.ac.kr • 선박 및 해양플랜트 혁신 구조설계연구소
•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환경변화에 대응한 오믹스 기반
• Rolls-Royce대학기술센터
• 인문학연구소 수산 생물 감염성질병 제어기술 개발
연구사업
1,793건 대학선도TLO지원사업
• 대학선도TLO지원사업단
연구비
1,748억여 원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청
에너지자원인력양성사업 연구장비공동이용지원사업
• 풍력발전 고등기술 개발 및 인력양성 고급트랙
미래창조과학부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
특허 출원 지역연고산업육성사업
글로벌프론티어사업 • 첫걸음과제
계약학과 3,109건 • 밀양웰빙RIS사업단
•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 미래소재 연구단 • 도약과제
23개 설치·운영 특허 등록
• 수송용 섬유 BIZ 산업지원사업단
1,613건 글로벌연구실지원사업 중소기업공정혁신지원사업
• 공생박테리아의 숙주 방어 반응 조절기작 연구 산업융합·연계형 로봇창의인재양성사업
• 글로벌 몬순기후 변화: 이해, 예측 및 적응 • 산업융합·연계형 로봇창의인재양성사업단

산학협력단 미래유망융합기술파이오니어사업 산업기술연구기반구축사업 고용노동부


• 유가자원 고도선택성 나노그리드 소재 및 • 해양플랜트 폭발/화재시험기술개발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사업
녹색회수 기술 기반구축사업 (구.에너지기술인력양성센터)
• 감성 e-Textile 기반 광전자소자 원천 기술 연구 • 심해자원 생산설비 운영성능 실증베드
• 전략분야인력양성
기술이전 구축사업
기초연구실지원사업(BRL)
15개 541건
• ICT 융합 에너지저장장치의 최적 제어 및 해양플랜트전문인력양성사업
교원창업 기업 운영 기술료 수입
운용 기초연구실 • 해양플랜트 기본 설계/FEED 글로벌 전문가
108억 926만 원
• 분자구조동역학 연구실 양성을 위한 한·영 대학 간 복수 학위 운영 기타
PNU EU센터
CT, IT 연구센터 공학교육혁신센터사업
신산학협력 • 빅데이터처리플랫폼연구센터 • 글로벌 경쟁력 강화 공학교육혁신사업 원자력안전위원회
우수모델 창출
• 사물인터넷연구센터 공학교육거점센터사업 • 원자력안전연구사업
산학협력 MOU
271건 체결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창의융합지식을 갖춘 융합신기술 핵심 한국기상산업진흥원
▷ 기초의과학분야(MRC) 인재양성 공학교육혁신사업(창의) • 지진기술개발사업
• 분자염증노화제어연구센터
• 건강노화한의과학연구센터
• 혈관성질환유전자세포치료연구센터
44 연구기관 연구기관 45

연구기관

인문계열 • 고전번역학+비교문화학연구단 • 단백질체생물물리학연구센터 • 신재생에너지연구센터 의·약학계열 • 의학연구원


• 러시아센터 • 웰빙제품연구센터 • 조선해양플랜트글로벌핵심연구센터 • 장수생명과학기술연구원
• 인문학연구소 • 극한물리연구소 • 지진방재연구센터 • 건강노화한의과학연구센터
• 점필재연구소 • 기능성물질화학연구소 • 첨단냉동공조에너지센터 • 분자염증노화제어연구센터
•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기후과학연구소 • 청소년창의기술인재센터 •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 한국전통복식연구소 • 김치연구소 • 초소형기계및부품기술혁신센터 • 항노화산업지원센터
• 미생물자원연구소 • 특수환경Navigation/Localization로봇 • 허혈조직재생연구센터
• 바이오피지오센서연구소 기술연구센터 • 간호과학연구소
사회계열 • 경제통상연구원
• 수리과학연구소 • 풍력발전미래기술연구센터 • 구강생물공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
• 유전공학연구소 • 하이브리드소재솔루션국가핵심연구센터 • 신약개발연구소
• 선물·금융연구원
• 유전체물성연구소 • 한국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센터 • 암연구소
• 과학교수학습센터
• 지질재해·산업자원연구소 • 화력발전에너지분석기술센터 • 의료경영연구소
• 부산국제금융개발센터
• 통계연구소 • Rolls-Royce대학기술센터 • 중개치의학연구소
• 윤리경영전략센터
• 플라스틱정보및에너지소재연구소 • ITU ASP CoE PNU • 한의과학연구소
• 한국학교상담교육센터
• 해양생물기술연구소 • LG전자스마트제어센터 • 항암바이오신약연구소
• PNU-EU센터
• 해양연구소 • 건축과학기술연구소 • 환경보건연구소
• 경영연구소
• 핵과학연구소 • 광메카트로닉스연구소
• 교육발전연구소
• BIT융합기술연구소 •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 노동정책연구소 예·체능계열 • 아시아예술문화연구소
• 단결정은행연구소
• 노인생활환경연구소 • 영화연구소
• 도시문제연구소
• 법학연구소 공학계열 • 기계기술연구원 • 음악연구소
• 물류혁신네트워킹연구소
• 사회교육연구소 • 선박해양플랜트기술연구원 • 조형예술연구소
• 부품소재산학협력연구소
• 사회급변현상연구소 • 고장분석및신뢰성연구센터 • 체육과학연구소
• 생산기술연구소
• 여성연구소 • 공학교육거점센터
• 소재기술연구소
• 일본연구소 • 공학교육혁신센터
• 신발신소재및신공정개발연구소
• 중국연구소 • 기계공학연구정보센터
• 에너지융합기술연구소
• 한국지리연구소 • 기계설계전산화인력양성센터
• 원자력안전및방재연구소
• 반도체설계교육센터
• 정밀정형및금형가공연구소
• 부산대-(주)바텍차세대의료기술연구센터
자연계열 • 과학영재교육원 • 컴퓨터및정보통신연구소
• 사물인터넷연구센터
• 기초과학연구원 •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소
• 빅데이터처리플랫폼연구센터
• 생명산업융합연구원 • LG전자PDP신기술연구소
• 설계기반미래성형기술개발센터
• 환경연구원 • PNU-IFAM연구소
• 슈퍼컴퓨팅센터
• 농·식품품질관리센터 • PNU-IPK국제공동연구소
• 스마트전력기기연구센터
46 지원·부속시설 지원·부속시설 47

지원·부속시설 교수학습지원센터 대학문화원 상남국제회관


대학의 교육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대학과 주변지역의 문화 창달을 위한 공연, 전시, 강연, 포럼 등 다 지방 국립대 중 최초로 국내ㆍ외 학술 교류를 목적으로 건립된 호
있다. 교육혁신 및 교육과정연구부(교육정책과 교육과정 개발), 교 양한 문화 행사를 주관 또는 지원한다. 대학과 지역사회의 문화예 텔형 컨벤션센터다. 회의실, 연회장, 예식장 등의 시설이 들어서
수직원개발부(교수, 강사 등 교직원역량 강화), 학습지원부(학습역 술인, 문화단체, 공공기관, 산업체, 상가 등과 협력하여 문화 진흥 있으며, 81실의 객실은 학술교류 참석자와 교수ㆍ연구 목적으로
량 강화), e-Learning지원부(e-Learning 시스템 운영 및 지원, 강 을 위한 공동협의, 정책자문, 공동사업 등도 수행한다. 대학 내외 체류 중인 원어민 교수 등의 숙소로 활용되는 게스트 하우스다.
의동영상 촬영 공개 지원), MOOC 지원부(MOOC 강좌 개발, 운영, 의 다양한 문화적 실험과 창의적 문화풍토 조성에 노력하는 한편
지원)의 5개 부서로 구성돼 있고 양산분원을 두고 있다. 문화콘텐츠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경량부품가공센터 교육인증원 대학생활원(기숙사) 유학생지원센터


학부생 현장실습교육과 기업 수익활동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 전 학문 분야에 대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품질관리 체계(CQI· 전체 재학생의 15.7%인 4,46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총 8개관 외국인 유학생과 연구원 등 교내 외국인 체류자를 위하여 체류
학부ㆍ대학원 및 30여 개 외부기관의 연구용 부품과 시스템의 설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인프 (부산4, 밀양3, 양산1)이 개원 중이다. 대학생활원의 기본 구조는 법ㆍ행정적 지원, 학업ㆍ생활 관련 지원 등의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계 제작을 수행하는 한편, 대학원, 연구소 및 각종 사업단과 외부 라를 지원한다. 또한, 외부교육인증제를 운영 중인 7개(공학, 경영 2인 1실로 식당, 샤워실, 화장실, 체력단련실, 휴게실, 매점, 컴퓨 제공하고 있으며, 외국인 유학생과 국내 학생 간의 친교, 공동학
회사와의 실질적인 산학협력 활동으로 기술교류 및 수익 확대를 학, 건축학, 의학, 치의학, 한의학, 간호학) 학문분야의 인증요구사 터실, 독서실, 세탁실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원생들의 생 습, 정보ㆍ문화 교류 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항 이행, 교과목의 균일한 질 관리 지원, 통합교육인증지원시스템 활 편의와 학습 증진을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운영 등 각종 교육인증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공동실험실습관 국제언어교육원 박물관 장애학생지원센터


각 분야에서 필요한 각종 교육 및 연구기기 중 공동 활용성이 높 다양한 국가에서 온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있다. 외국 1964년 개관 이래 우리나라의 구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 가 장애학생이 학습 활동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은 고가 기자재를 중앙 집중화하고 모든 연구자에게 개방, 활 인이 한국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화활동을 실시하고 있으 야ㆍ신라의 문화자료를 발굴ㆍ수집하여 2만 5천여 점의 유물을 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장애영역별로 교수-학습, 대학생활, 이
용ㆍ연구하게 함으로써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환경을 효율적으로 개 며 언어교환도우미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제 생활 속에서 한국어 존ㆍ전시하고 있다. 또한 학술연구총서를 발간하고 심포지엄을 개 동-편의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장애관련 체험수기 및
선하고 있다. 대학ㆍ연구소ㆍ산업체 간 협동 연구체제 구축에도 크 를 사용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영어와 중국어, 스페인어 등 최하여 한국고대사 학술연구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학내 구성원 사진전 공모, 장애학생들을 위한 문화 행사(뮤지컬ㆍ영화 관람),
게 기여하고 있다. 언어교육을 실시하여 재학생과 일반인들의 외국어 능력 향상에 과 지역사회 시민들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증진시키 장애학생과 함께하는 하나로 캠프, 수화교실, 점자교실 등 장애에
도움을 주고 있다. 는 사회문화교육기관으로서 다양한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을 실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높이고 장애학생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시하고 있다. 노력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원 기록관 보육종합센터 평생교육원


수학과 과학 분야의 영재아동을 조기에 발굴하고, 이들에게 효과적 부산대의 각종 기록물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기록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로 요구되고 있는 영유아 보육 대학의 인적 인프라 및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유익하고 다양한 평
인 영재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잠재력과 영재성을 최대한 계 관은 기록물관리에 관한 계획을 수립ㆍ시행하고 있다. 특히 보존가치 의 양적 확대와 질적 향상을 위하여 운영되고 있다. 보육교사를 생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에 보급하고 있다. 매 학기
발하고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시켜 미래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 를 지닌 부산대 관련 기록물을 수집ㆍ정리ㆍ보존하여 투명한 행정 업무 양성ㆍ재교육하는 보육교사교육원과 생태유아교육으로 유명한 어 단위로 전문교육, 교육지도자, 생활ㆍ문화, 교양ㆍ전통, 음악ㆍ무용,
는 인재를 육성한다. 매년 초ㆍ중등 학생 250여 명에게 심화, 사사과 의 기반을 마련하고 대학의 정체성을 확립시켜 대학역사의 연속성 확 린이집, 어린이상담실, 보육운영지원실 등을 운영하고 있다. 미술ㆍ공예, 건강ㆍ체육 분야에 100여 개 강좌를 개설하여 명실상
정별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대부분 부산대 교수로 구성된 강사진이 보에 기여하고 있으며, 대학구성원과 지역사회에 열람 및 전시를 통한 부한 평생학습 기관으로 역할을 다하고 있다.
연간 100시간 이상의 영재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대학 기록관 고유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록관 박물관 대학생활원(기숙사)


48 병원시설 병원시설 49

병원시설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http://www.pnuh.or.kr [부산 아미동] 양산부산대학교병원 http://www.pnuyh.or.kr [양산]


부산대학교병원은 39개 진료과, 1,385병상 운영으로 수준 높은 지역거점병원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로
양산부산대학교병원은 대학병원, 어린이병원, 재활병원, 전문질환센터 등 총 1,300병상을 갖춘 종합의료복합
봇수술기 등 50여 종의 최첨단 의료기기를 도입,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진료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경영 합
단지로, 우수한 의료진과 종합의료정보시스템(YES), PACS, 물류자동화시스템 등 진료 인프라와 최신 의료장비
리화, 병원환경 개선 등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가 주관하는 지식기반 연구개발 사업에 대거 참여함으로써
를 바탕으로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JCI(국제의료기관인증)을 통하여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병
‘연구하는 병원’의 선봉에 서고 있으며 권역응급의료센터, 부산지역암센터, 부산권역장애인구강진료센터, 권역외
원’으로 공인됐으며, 간센터, 소화기병센터, 심혈관센터, 뇌신경센터, 장기이식센터, 최소침습내시경수술센터,
상센터, 권역호흡기전문질환센터 건립 등 국책사업을 수행하며 지역 거점 공공의료기관으로서 국민보건 수준 향
국제진료센터, 건강증진센터 등 14개의 전문센터와 8개의 전문클리닉, 15개의 전문진료과로 운영되고 있다.
상에 앞장서고 있다.

부산대학교치과병원 http://pnudh.co.kr [양산] 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 http://kids.pnuyh.or.kr [양산]


부산대학교치과병원은 2011년 9월 국립대학치과병원설치법에 준하여 독립법인으로 최종 승인된 국립대학 치과 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은 국립대 두 번째, 영남권 최초로 건립된 어린이질환 전문병원이다. 소아심장
병원이다. 양산캠퍼스에 위치해 구강악안면외과, 치과보철과, 치과교정과, 구강내과, 치주과, 치과보존과, 소아치 센터와 소아소화기클리닉 등 20개의 전문클리닉을 운영 중이며, 일반 140병상, 특수 100병상 등 전체
과, 구강악안면방사선과, 치과마취과로 구성된 9개의 진료과와 종합진료실, 전문진료센터(임플란트센터) 등의 시 240병상으로 어린이를 위한 의료전달 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소아질환에 대한 진료 및 검사가 한곳
설을 갖추고 있다. 부산ㆍ울산ㆍ경남지역 내 유일한 치과대학병원으로 우수한 의료진을 통하여 최상의 구강 및 턱 에서 이루어지는 체계적이고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장기입원 및 잦은 통원 치료를
관련 질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부산대병원 내 치과진료센터와의 협진과 치의학전문대학원과의 연계 위하여 병원 내 ‘어린이병원학교’를 두고 있다.
속에 학생 및 수련의 등의 전문의료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영남권역 재활병원 http://rehab.pnuyh.or.kr [양산]


영남권역 재활병원은 지하 2층, 지상 6층에 150병상이 자리한 국내 최대 규모의 최첨단 재활의학과
부산대학교한방병원 http://www.pnukh.or.kr [양산] 전문병원이다. 각 진료과와의 협진을 통하여 정밀검사와 정확한 진단 및 효과적 치료를 시행하고 있
국립대학 최초의 한방병원으로, 200개 병상을 갖추고 내상센터, 중풍뇌질환센터, 척추관절센터 등 3개 다. 중증장애인 추적관리 검사크리닉 외 8개 전문센터와 8개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25m 4레인
센터와 전문 질환별 14개 클리닉을 운영한다. 국내 유수의 한방병원에서 쌓은 임상경험과 교원경력을 갖 의 수중재활치료시설인 수영장 및 환자 리프팅 시스템, 트랜짓 하우스(Transit House), 척추손상환자
춘 공인된 일류 교수진이 기존의 한방진료와 차별화된 진료를 펼친다. 한의약임상연구센터와 함께 의생 를 위한 보행재활 치료로봇 등을 갖추고 있다.
명연구를 주도하고 한ㆍ양방협진시스템을 구축하여 한의약의 과학화, 표준화, 세계화에 매진하고 있다.

부산대학교한방병원 부산대학교어린이병원 영남권역 재활병원


50 Global PNU Global PNU 51

GLOBAL PNU
글로벌 전문가로 세계의 중심이 되다
교류국가·지역 국제 산학협력
MOU 체결
(11개국 22개 기관)

30 건

49 개 우수 외국인
학생 유치 외국인 교수

1,174 명 59 명

외국어강의
강좌 운영 영어점수
(학기당, 학부·대학원 포함)
졸업요건제
503 개
시행

408 개 1,038 명

국제학부 복수전공
교류대학·기관 연간 해외파견 학생
유학생지원센터 및
GSP 국제언어교육원
운영
KEASP
Students to the world with PNU
부산대는 독일, 러시아, 미국, 영국, 일본, 중국, 호주 등 49개 국가·지역의 408개 대학·기관과 • 전 강의 영어 진행(원어민 전담교원)
• GSP(Global Studies Program): 국제학 학사 학위 수여
교류협정을 체결하여 교수 및 연구원 상호교류, 학생교환 프로그램, 단기파견 프로그램, 공동연구,
• KEASP(Korean and East Asian Studies Program): 한국·동아시아학 학사 학위 수여
학술자료 교환 등 국제학술교류를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 방학 중 해외연수 기회 부여
52 국제 교류기관 국제 교류기관 53

국제 교류기관 교류협정 체결 대학 및 교육·연구 기관 49개 국가·지역 / 408개 대학·기관, 대륙별

유럽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Korean-Romanian Advance Technology Training •Zagreb Schoo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University of Medicine and Pharmacy, Ho Chi Minh City
•Vietnam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N iigata University
•Ochanomiz University
•N anjing Audit University
•N anjing University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University of St. La Sall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Los Baño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네덜란드 Center •Vietnam National University, Hanoi •Oita University •N ankai University •West Negros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Hastings
폴란드 •Osaka City University •N ingxia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미얀마
•The Technical University of Cluj-Napoca

오세아니아
•Erasmus University Rotterdam •Osaka Prefectural University •N ortheastern University
•Warsaw University of Life Science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리투아니아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IWA) •Dagon University •Osaka University •Ocean University of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프랑스
•Leiden University •Yangon Technological Univeresity •R itsumeikan Asia Pacific University •P eking University
•Vilnius University •University of Connecticut
뉴질랜드
•Radboud University Nijmegen •R itsumeikan University •Qingdao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University of Dayton
•University of Groningen •Vytautas Magnus University •Blaise Pascal University
•ECE-Pari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사우디아라비아 •S aitama University •R enmin University of China •The University of Auckland •University of Florida
몰도바
•University of Twente
•Wageningen Agricultural University •Ecole De Management Bretagne Atlantique(EMBA) •Saudi Arabian Cultural Mission in Korea •S aga University •S handong University •University of Otago •University of Guam
•S hizuoka University •S handong University at Weihai •University of Hawaii at Hilo
싱가포르
•ESCE International Business School
호주
•Moldova State University
노르웨이
•S imane University •S handong Weihai College of Foreign Languag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Ecole Superieure Des Techniques Aeronautiques
벨기에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S ophia University •S hanghai Jiao Tong University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University of Illinois, Chicago
•Lillehammer University College et de Construction Automobil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 undai College of Business & Foreign Language •S hanghai Maritime University •D eakin University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Champaign
•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rtevelde University College Ghent •National Institute of Oriental Languages and Cultures
•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Tenri University •S hanghai University •Griffith University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University of Liege •Paul Sabatier University
덴마크
•The Standard Club Asia Ltd •The International Center for the Study of East •S hanghai University of Finance and Economics •Macquarie University •University of Massachusetts
•University of Cergy-Pontoise
R 스위스
Asian Development •S henyang Agricultural University
인도
•University of Franche-Comté •N ational Korean Studies Centre •University of Michigan
• •Tohoku University •S henyang Jianzhu University •University of Missouri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University of Zurich •Universite Jean Moulin Lyon 3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Bannari Amman Institute of Technology •Tokyo Metropolitan Institute of Technology •S henyang Pharmaceutical University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University College of Northern Denmark •University of Nice-Sophia Antipolis •S 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University of Hyderabad •University of Toyama •S outhwest Jiaotong University
스페인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 of New Hampshire
•University of Copenhagen •University of Orleans •University of Tokyo •S outhwest University of Political Science and Law
인도네시아 •The University of Adelaid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University of Las Palmas De Gran Canaria •University Paris-Est Créteil Val de Marne(UPEC) •University of Tsukuba •S un Yat-sen University
독일 •The University of Newcastl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niversity of Picardie Jules Verne •D uta Wacana Christian University •W aseda University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아일랜드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Baden-Württemberg Agency for International •University of Toulouse Jean Jaures •Electronic Engineering Polytechnic Institute of Surabaya (EEPIS) •Yamagata University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Utah State University
Economics Cooperation •P oliteknik Negeri Bali (PNB) •Yamaguchi University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핀란드
•Dublin City University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ielefeld University •University of Limerick •S epuluh Nopember Institute of Technology (ITS) •Yamaguchi Prefectural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Hong Kong •University of Tasmania
•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Virginia University of Oriental Medicine
•Bremen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University College Cork– National University of •Hanken School of Economics •Telkom University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Tianjin University •W est Virginia University
•Catholic University of Eichstatt •University of Jyvaskyla •University of Indonesia •Tianjin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중국(&홍콩)
Ireland, Cork •W illiam Paterson University
•Eberhard Karls University of Tübingen •University of Turku •Tongji University

북아메리카
•Fraunhofer Institute for Manufacturing 에스토니아 일본 •B eijing Foreign Studies University •Tsinghua University 캐나다
Technology and Applied Materials Research •University of Tartu 헝가리 •B eppu University •B eijing Jiaotong University •University of International Business and Economics •Lakehead University
•Eötvös Loránd University •E ducational Foundation Baekdu Hagwon •B eijing Language and Culture University •W eifang University
미국
•Friedrich-Alexander-University Erlangen- •McMaser University
Nuernberg 영국 •Technical University of Budapest •F ukui University •B eijing Normal University •Yanbian University
•Memorial University of Newfoundland
•Freie Universitat Berlin •Fukuoka Prefectural Social Education General Center •B eiji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Yanb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rgonne National Laboratory

아시아
•Hill Dickinson LLP •University of Manitoba
•Leibniz University of Hannover •F ukuoka University •Changchun Scientific Research Center of •Yunnan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rizona State University
•Holman Fenwick Willan LLP •University of Montreal
•Munich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Gunma University Applied Chemistry •Zhejiang University •Asbury University
•Lloyd's Register Educational Trust •University of Ottawa
•Munster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H irosaki University •China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Zhongnan University of Economics and Law •B oston University
네팔
•Loughborough University •University of the Fraser Valley
•Osnabrueck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H iroshima University •China Pharmaceutical University •Xi’an Jiaotong University •H arvard University
•Rolls-Royce PLC

남아메리카
•H itotsubashi University •China Ship Scientific Research Center •H awaii Pacific University
카자흐스탄
•Otto-Friedrich-University of Bamberg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Pokhara University
•Philipps-University Marburg •H okkaido University of Education •China University of Mining and Technology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대만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Institute of Aerospace Technology of Japan •China University of Political Science and Law •Al-Farabi Kazakh National University
•RWTH Aachen University •Indiana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Warwick
아르헨티나
•University of Bayreuth •China Medical University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Chinese Academy of Science •KIMEP University •Georgetown University Law Center
•University of Birmingham •Institute of Physical and Chemical Research (RIKEN)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Korea Education Center in Almaty •Miami University
•University of Bonn •Chinese Culture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of La Plata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Interdisciplinary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Chongqing University •Nazarbayev Intellectual Schools •Michigan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Bremen •I-Shou University
•University of Glasgow
칠레
Engineering, Shimane University •Chongqing University of Education
태국
•University of Duisburg-Essen •Kaosiung Medical University •Mississippi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Leeds •Jap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 alian Maritime University •Montan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of Hohenheim •National Chengchi University •La Serena University
•University of Hamburg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Japan College of Social Work •D alian University of Technology •Chulalongkorn University •Murray State University
•National Taiwan University
•K agoshima University •D onghua University •Kasetsart University
코스타리카
•University of Köln •University of Oxford •N orthwestern University
•Soochow University •K anazawa University •E ast China Normal University •Korean Education Center in Thailand
•University of Mannheim •University of Southampton •N ova Southeastern University
말레이시아
•University of Strathclyde •K eio University •E ast China University of Political Science and Law •Ramkhamhaeng University •University of Costa Rica
•Ohio State University
라트비아 •University of Sussex •K obe University •E ast Chin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아프리카
•Institut Teknologi PETRONAS Sdn Bhd •P urdue University
•K ogakuin University •E astern Liaoning University
터키
•University of Latvia •University of the West of England, Bristol •University of Malaya •R utgers University
•University of Worcester •K umamoto University •F udan University
•University of Sains Malaysia •S LAC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
러시아
•K yoto Institute of Technology •Gansu Universit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stanbul Kültür University
오스트리아 에티오피아
•Universiti Teknologi Malaysia •K yoto Sangyo University •Guangzhou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Gazi University •S 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Oswego
•Far-Eastern National Technical University •S tudy Abroad Foundation
몽골
•K yoto University •H arbin Engineering University •Gediz University •Adama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Frank Laboratory of Neutron Physics of the Joint •Vienna University of Technology •K yushu Institute of Technology •H 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King Sejong Institutes in Turkey •The University of Alabama

기타
Institute for Nuclear Research
우크라이나
•Mongolia International University •K yushu Sangyo University •H arbin Institute of Technology at Weihai •KOC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Kansas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Russian Academy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K yushu University •H eilongjiang University •Medipol Mega University Hospital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of Science •Kiev Polytechnic Institute •Th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K wansei Gakuin University •H enan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Marmara University
•Irkutsk State Technical University 베트남 •The University of Tennessee, Martin
이스라엘
•Mechanical Engineering Laboratory of the National Insti- •H enan Polytechnic University •Suleman Sah University •University Mobility in Asian and the Pacific
•Irkutsk State University •H anoi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ute of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H enan University •Uludag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Texas at San Antonio •E U Consortium: University of Oulu (Finland), Impe-
•Kazan Federal University •Tel Aviv University •H o Chi Minh City University •Mejiro University •Jiangnan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Utah rial College London (UK), Paris-Dauphine Univer-
•Korean Cultural Center in Russia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H 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Education •N agahama Institute of Bio-Science and Technology •Jiangxi University 파키스탄 •The University of Washington sity (France), and Lulea University of Technology
•Moscow State University •The Washington Center for Internships and Academic Seminars
이탈리아
•International University – Vietnam National •N agaoka University of Technology •Jilin Agricultural University •University of Karachi (Sweden)
•North-Eastern Federal University University •N agasaki University •Jilin Animation University •Thomas Jefferson University •Campus Asia: Kyushu University, Shanghai Jiao
•Novosibirsk State Technical University •Ca' Foscari University of Venice •N ational Center for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 agoya University •Jilin University 필리핀 •Towson University Tong University
•Russkiy Mir Foundation •University of Genova •N ational College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No.3 •N aruto University of Education •L ingnan University •Ateneo de Manila University •Truman State University •International Associated Laboratory: CNRS in France,
•State Rocket Center Vertical Ltd. •University of Pisa •University of Dalat •N 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N anjing Association of Social Sciences •System Plus College •Tulane University University of Lyon and other institutions in France
54 장학제도 발전기금재단 55

장학제도 (재)부산대학교발전기금

등록금재원 장학금 (재)부산대학교발전기금은 부산대 공식 발전기금 모금기관으로, 체계적으로 조성한 기부금(발전기금)을 장학금, 학술·연구

지원, 교육·연구 환경 개선 등 기부자가 지정한 사용목적대로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운용하는 비영리 공익법인이다. 1979년
등록금부담 경감률
등록금 전액 또는 일부 감면 비영리법인 장학재단으로 설립되어 1992년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매년 70억 원 이상의 기부금이 출연되고 있으며,
현재 258억 원이 기본재산으로 적립되어 대학 발전을 위한 제반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대상
- 입학성적우수특별장학금(* Premier 장학금) 부산대학교발전기금
- 성적우수장학금 Tel. 051) 510-1292,3 Fax. 051) 583-2750 http://fund.pusan.ac.kr E-mail. fund@pusan.ac.kr

72 % - 학업지원장학금(경제적 형편이 어려운 학생)


- 근로봉사장학생
등록금 대비 장학금
지급률 * Premier 장학금 부산대학교발전기금 장학금
•매 학기 등록금 전액 면제 남안장학금(故 강처녀 여사 기금) 등 39개, 그 외 기관지정목적장학금(기부자가 지정한 학과 재학생 지원 장학금)
•매 학기 학업장려금 300만 원 지급
•대학생활원(기숙사) 우선 배정 장학금명 대상 장학금명 대상
•해외 장·단기 파견 성적우수자 환경공학과교수장학금 환경공학전공
재학생 1인당 장학금 •해외봉사·체험프로그램 선발 시 우대 성적우수자
에스원장학금 김재창교수가족장학금 전자공학과
•본교 일반대학원 진학 시 등록금 전액 지원
•2016학년도 선발기준: 계열별 수능 지정영역 백분위 합산점수 충족자 남안장학금 전기공학과총동창회장학금 전기공학전공
- 인문·사회계열: 국어B 및 영어의 합산 194점 이상 우함장학금 김영호교수장학금 정보컴퓨터공학전공
Scholarship - 자연계열: 수학B 및 영어의 합산 189점 이상
현범장학금 김창렬교수장학금 조선·해양공학과
- 예·체능계열: 국어A/B 및 영어의 합산 189점 이상
- 의학계열: 수학B 및 영어의 합산 196점 이상(단, 모집단위별 모집인원 5% 이내) 안중환교수장학금 경제적 형편이 어려움에도
의주(금속)장학회장학금 재료공학부(금속공학과)
불구하고 학업성적이
이정술여사장학금

2,786,000
우수한 자 역사교육과장학금 역사교육과

연간 원 국가장학사업 대신장학회장학금
사범대학지리교육과교수장학금 지리교육전공
오인제장학금
우수인재 육성사업 저소득층 지원사업 인산장학금 경영학부
좋은데이희망장학금
•인문사회계 및 이공계 우수학생에게 •소득분위 8분위 이하 학생에게 등록금 조상도장학금 약학대학
등록금 전액 지원 일부 및 전액 지원 NH농협은행장학금 학부생, 대학원생
효원최아자장학금 예술대학 미술학과 3학년
-국
 가우수장학생(인문사회계): 등록금 -국
 가장학금(Ⅰ유형): 소득분위별로 정부가
사학과장학금 사학과
전액 지원 일정금액 지원
죽암박희영장학금 사회과학대학 대학원생
-국
 가우수장학생(이공계): 등록금 -국
 가장학금(Ⅱ유형): 대학의 자체기준에 정징원교수장학금 고고학과
전액 지원 따라 일정금액 추가 지원 의대31기동기회장학금 의과대학
이성해교수장학금 사회학과
의학전문대학원
교외장학금
약수장학금
물리학전공장학금 물리학전공 - 사회기여, 봉사, 헌신

생명과학과동문장학회장학금 생명과학과 GSIS6기장학회장학금 국제전문대학원

•장학법인, 동문회 등 외부장학단체 및 독지가 장학금 선재장학금 국제전문대학원(주간)


분자생물학과장학금 분자생물학과
•재단장학금 다문화가족, 동남아유학생,
범수장학금 미생물학과 경헌장학금 노인복지전공

 어촌희망재단장학금, 롯데장학재단, 미래에셋 박현주재단장학금, 협성문화재단, 현대차 정몽구
전자, 전기, 컴퓨터공학과
재단, 정수장학회, 아산사회복지재단, 현송교육문화재단, 삼성복지재단, PPG코리아, 송원문화재단, 일봉장학금 컴퓨터및정보통신연구소장학금 우수학생
기계공학부
목훈재단, 에스엘 서봉재단, 연강재단, 정암장학회, 유니온스틸장학회, BS금융그룹희망나눔재단 외 박희성장학금 기초학문분야장학금 기초학문분야 대학원생
130여 개 재단장학금
56 PNU Campus Guide _ 부산캠퍼스 부산캠퍼스 _ PNU Campus Guide 57

부산캠퍼스

PNU Campus Guide 가나다순

ㄱ 707 음악관
코드명순

1 ZONE 414 지구관


 11
5 간이체육관 507 인덕관 415 샛벌회관
101 MEMS/NANO 클린룸동
401 건설관 306 인문관 416 생물관
102 제1부속공장
706 경암체육관 307 인문대 교수연구동 417 제1사범관
103 제12공학관
705
514
경암체육관 교수연구동
경영관
ㅈ 105 제3공학관(기계관)
418
419
제2교수연구동
금정회관
717 411 자연과학관 106 효원문화회관
109 공과대학 공동실험관 420 제2도서관
716 313 자연대 연구실험동 107 제8공학관(항공관)
312 공동실험실습관 421 사회관
711
315 자유관 A동(기숙사) 108 제9공학관(기전관)
713
715
311 공동연구기기동 422 성학관
316 자유관 B동 109 공과대학 공동실험관
607 공동연구소동
317 자유관 관리동
710 712
110 에너지분야실험실
5
714
709 과학기술연구동 ZONE
706
314 정보전산원 교육관
111 실험폐기물처리장
709
409 교수회관
501 약학연구동
705
402 정학관
708
301 구조실험동
2
608
510 제1도서관 502 약학관(구관)
707
ZONE
516 국제관
701 609
607
515 제1도서관 및 정보전산원 503 약학관(신관)
703
210 국제언어교육원 201 제6공학관(컴퓨터공학관)
308 제1물리관 505 실험동물센터
606 419 금정회관 202 운죽정
102 제1부속공장
704
208 기계기술연구동 506 효원산학협동관
203 넉넉한터
702
417 제1사범관 507 인덕관

603 516 514
204 넉넉한터 지하주차장
605
418 제2교수연구동
508 산학협동관
602 513
420 제2도서관 205 대학본부
511
510 203 넉넉한터 509 박물관 별관
601
309 제2물리관 206 제11공학관(조선해양공학관)
204 넉넉한터 지하주차장 510 제1도서관
남문 608 제2법학관 207 제10공학관(특성화공학관)
512


515
511 간이체육관
508
701 제2사범관 208 기계기술연구동
421

405 제2공학관(재료관) 512 테니스장


710 대운동장 209 상남국제회관
509 418 419
513 철골주차장
422
105 제3공학관(기계관)
506
205 대학본부 210 국제언어교육원
417
예원정
503 507
408 제5공학관(유기소재관) 514 경영관

415
211 보육종합센터
501 505
414
502
201 제6공학관(컴퓨터공학관) 515 제1도서관 및 정보전산원
3
420

408
410
412
416 310 문창회관 406 제7공학관(화공관) ZONE 516 국제관
703 미술관 107 제8공학관(항공관)
413
문창대
6
407
미리내골 건립중 통합기계관

108 제9공학관(기전관) ZONE
409 318
301 구조실험동
406 411 317

조각공원
316
207 제10공학관(특성화공학관) 601 예술관
60계단
314
302 토조실험동
402 405 309
412 박물관 A 206 제11공학관(조선해양공학관)
315
602 생활환경관
306 인문관
312
413 박물관 B 103 제12공학관
403 307 308 211
603 생활환경대 실험실습동
313
307 인문대 교수연구동
210
509 박물관 별관 702 조소실
605 학군단
401 311
609 법학관 704 조형관 308 제1물리관
606 화학관
211 보육종합센터 414 지구관 309 제2물리관
306 310
607 공동연구소동

715 진리관 가동(기숙사) 310 문창회관
북문 608 제2법학관
209 716 진리관 나동 311 공동연구기기동
통합기계관
421 사회관 717 진리관 다동 609 법학관
312 공동실험실습관
508 산학협동관 714 진리관 관리동 313 자연대 연구실험동
7
206
209 상남국제회관 ZONE
205 207 208

웅비의탑 415 샛벌회관 ㅊ 314 정보전산원 교육관


701 제2사범관
202

문창쪽문 416 생물관 315 자유관 A동(기숙사)


513 철골주차장 702 조소실
203
602 생활환경관 316 자유관 B동

703 미술관
317 자유관 관리동
301 302
603 생활환경대 실험실습동
201
704 조형관
407 선박예인수조연구동 512 테니스장 318 외인교수아파트
705 경암체육관 교수연구동
410 선박충격·피로·도장시험연구동 302 토조실험동
4
무지개문 107
706 경암체육관
ZONE
422 성학관 건립중 통합기계관
204
707 음악관
505 실험동물센터 401 건설관
110


108
708 학생회관
109
111 실험폐기물처리장 402 정학관
106
709 과학기술연구동

605 학군단 403 10.16기념관
710 대운동장
105 111
708 학생회관 405 제2공학관(재료관)
103
102
101 502 약학관(구관) 606 화학관 711 효원재
406 제7공학관(화공관)
503 약학관(신관) 106 효원문화회관 712 웅비관 A동(기숙사)
407 선박예인수조연구동
501 약학연구동 506 효원산학협동관 713 웅비관 B동
110 에너지분야실험실 408 제5공학관(유기소재관)
(구)정문 정문 711 효원재 714 진리관 관리동
601 예술관 409 교수회관
715 진리관 가동(기숙사)
318 외인교수아파트 기타 410 선박충격·피로·도장시험연구동
716 진리관 나동
202 운죽정 101 MEMS/NANO 클린룸동 411 자연과학관
717 진리관 다동
712 웅비관 A동(기숙사) 403 10.16기념관 412 박물관 A
713 웅비관 B동 413 박물관 B
58 PNU Campus Guide _ 양산캠퍼스 / 아미캠퍼스 밀양캠퍼스 _ PNU Campus Guide 59

양산캠퍼스
Y07 Y01 M11
M05-1
Y09 YH09

대학단지
M05
YH08
Y10
YH02 Y01 의학전문대학원
Y02 치의학전문대학원
Y08 Y04
YH06
Y02 Y03 한의학전문대학원 M04
Y04 간호대학
YH01 M06 M03
Y03
Y13 YH05
Y05 행림관 M02
Y06 지진방재연구센터 M01-1

YH04 Y07 파워플랜트 M08 M09


Y08 쓰레기집하장

밀양캠퍼스
Y12 YH03
Y06 Y09 편의동 M01
Y10 의생명과학도서관
Y11 충격공학 연구센터 시험연구동
YH07

Y11 Y12 운동장 M01 행정지원본부동


Y13 테니스장
M07
M01-1 나노생명과학도서관
Y14

Y14 한국 그린인프라·저영향개발 센터
M10
Y05 M02 나노과학기술관
M03 생명자원과학관
병원단지 M04 학생회관
YH01 양산부산대학교병원
M05 비마관 및 매화관
YH02 어린이병원
M05-1 청학관
YH03 치과병원
M06 부속공장
YH04 한방병원
M07 정문수위실
YH05 재활병원
M08 운동장
YH06 전문질환센터
M09 공동실험실습관
YH07 한의약임상연구센터
M10 테니스장
YH08 NH아리관
M11 첨단온실
YH09 교수연구동·행정동

Busan Miryang

AH20

AH08

AH01
AH06

AH07 Ami Yangsan


AH10

AH05

아미캠퍼스
AH04
AH09

AH01 A동(본관)
AH04 B동(외래센터)
AH05 E동(부산권응급의료센터)
AH06 C동(부산지역암센터)
부산캠퍼스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63번길 2(장전동) Tel. 051) 512-0311
AH07 CE동(부산지역암센터 별관) 양산캠퍼스 | 경남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49 Tel. 051) 512-0311
AH08 주차타워 밀양캠퍼스 |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268-50 Tel. 055) 350-5100
AH09 H동(복지동)
아미캠퍼스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아미동 1가) Tel. 051) 240-7000
AH10 J동(장기려관)
AH20 의생명연구원

발행처 부산대학교 발행인 총장 전호환 기획·편집 부산대학교 홍보실 Tel. 051) 510-1299 디자인 다인커뮤니케이션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