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8

단위업무매뉴얼

2017. 12. 28. 3차 개정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Uljin Tower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

2017. 12. 28.

부산지방항공청
울진공항출장소
개정차수 제3차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제정일자 2016.12.21.

승 인 자 이창선
신동학
담당부서 울진관제탑 담당직책 관제담당 제 정 자

개 정 표

개정
개정일자 개정 사유 및 내용 작성자 승인자
번호
1 2017. 05. 26. 시계비행 교통장주 제한운영 조건 변경 등 이동림 이창선

현종산 풍력발전단지 회피를 위한 시계비행 보고


2 2017. 09. 27.
지점 신설 등
이동림 이창선

3 2017. 12. 28. 시정도표 주/야간 시정표시 기호 수정 등 박은영 이창선

10

11

12

13

14

15
목 차

1. 총 칙
1.1. 목적 ················································································································· 1
1.2. 근거 ················································································································· 1
1.3. 적용 ··············································································································· 1
1.4. 용어의 정의 ··································································································· 1

2. 일반 사항
2.1. 업무분장 ······································································································· 3
2.2. 근무석 운영 ··································································································· 4
2.3. 비행장 운영 ··································································································· 5
2.4. 관제탑 운영 ··································································································· 5
2.5. 관제탑 근무편성 ··························································································· 5
2.6. 녹음기 운영 ··································································································· 6

3. 관제 일반
3.1. 군훈련공역 비행절차 ··················································································· 7
3.2. 민훈련공역 비행절차 ··················································································· 7
3.3. 기상지원 절차 ······························································································· 7
3.4. 활주로 점검 ··································································································· 8
3.5. 활주로 침범예상지역 ··················································································· 8
3.6. 항공기 견인절차 ··························································································· 8
3.7. 항공교통관제업무일지의 기록 ··································································· 9
3.8. 사용활주로의 지정 ······················································································· 9
3.9. 항공고시보의 취급 ······················································································· 9
3.10. 울진비행장의 표점 및 관제권 ······························································ 10
3.11. 활주로 및 유도로의 제원 ······································································ 10
3.12. 항행안전시설 ···························································································· 11
3.13. 울진관제탑 및 포항접근관제소 울진섹터의 무선주파수 ················ 12
3.14. 시계비행 보고지점 ·················································································· 12
3.15. 관제탑 레이더전시기를 이용한 비행장관제업무 제공 ···················· 13
3.16. 시계비행 교통장주 ·················································································· 13
3.17. 시계비행 교통장주 제한운영 조건 ······················································ 14
3.18. 울진비행장 체공장주 ·············································································· 14
3.19. 이․착륙 기상최저치 ················································································· 15
3.20. 조류활동 정보 ·························································································· 16
3.21. 시각 신호운용 ·························································································· 17

4. 지상 관제
4.1. 지상활주 절차 ···························································································· 19
4.2. 무선통화절차 ······························································································ 19
4.3. 주파수 이양절차 ························································································ 19

5. 국지 관제
5.1. 장주비행절차 ······························································································ 20
5.2. 활주로 변경절차 ························································································ 21
5.3. 무선통화절차 ······························································································ 21

6. 시계비행항공기
6.1. 시계비행 입·출항절차 ··············································································· 22
6.2. 산림청 헬기 입·출항절차 ········································································· 23

7. 특별관제절차
7.1. 우발상황 ······································································································ 25

8. 장비운영
8.1. 항행안전시설 운용 및 감시 ·································································· 26
8.2. 무선통신 운용 ···························································································· 27
8.3. 항공등화 운용 ···························································································· 27
8.4. 항공등화시설의 종류 ················································································ 27

【별표 제1호】울진비행장 관제탑 시정도표 ··················································· 29


【별표 제2호】항공기 사고ㆍ준사고 보고계통 ··············································· 30
【별표 제3호】울진비행장 관할 공역도 ··························································· 31
【별표 제4호】울진비행장 시계비행 입ㆍ출항 도면 ····································· 32
【별표 제5호】울진비행장 표준무선통신절차 ················································· 35

【별지 제1호서식】관제탑 업무점검 목록표 ··················································· 37


【별지 제2호서식】근무위치 기록부 ································································· 38
【별지 제3호서식】항공관제업무일지(관제탑) ················································ 39
【별지 제4호서식】관제탑 장비점검표 ····························································· 41
【별지 제5호서식】이동관제통신장비(GUN SET) 점검표 ···························· 42
【별지 제6호서식】항공안전의무보고서 ··························································· 43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1. 총칙

1. 총 칙

1.1. 목적
이 절차는 울진관제탑의 항공교통관제업무 수행에 필요한 세부절차를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1.2. 근거
이 절차와 관련된 국내 및 국제규정은 다음 각 호와 같다.2.
가. 항공안전법
나.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다. 국제민간항공기구 부속서 11
라. 국제민간항공기구 교범(Doc 4444 항공교통관리)
마. 국제민간항공기구 교범(Doc 9426 항공교통업무계획)
바. 항공교통업무 운영 및 관리규정
사. 항공교통업무기준
아. 항공교통관제절차

1.3. 적용
이 절차는 울진관제탑(이하 “관제탑”이라 한다)에 근무하는 부산지방항공청
소속 항공교통관제사(이하 “관제사”라 한다)에게 적용한다.

1.4. 용어의 정의
이 절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 각 호와 같다.
가. “∼하여야 한다”란 규정의 이행이 의무사항임을 의미한다.
나. “~할 수 있다”란 규정의 이행이 권고사항임을 의미한다.
다. “이동지역(Movement Area)”이란 기동지역 및 계류장으로 구성되며,
항공기의 이․착륙 및 지상유도용에 사용되는 비행장 내의 한 부분을 말한
다.
라. “기동지역(Maneuvering Area)”이란 항공기의 이․착륙 및 지상유도용에
사용되는 비행장 내의 한 부분으로서 계류장을 제외한 지역을 말한다.
마. “울진공항출장소장(이하 “출장소장”이라 한다)”이라 함은 울진공항출장소
업무를 총괄하는 자로 부산지방항공청장이 지정한 자를 말한다.
바. “관제탑장(이하 ”탑장“이라 한다)”이라 함은 관제탑 소관업무의 총괄책임

제정 : 2016.12. 21. -1-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1. 총칙

자로서 소장이 지정한 자를 말한다.


사. “팀장”이라 함은 탑장 부재 시 탑장 업무를 대행하는 관제사를 말한다.
아. “비행훈련사업자(이하”사업자“라 한다)”라 함은 조종사 양성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선정한 전문비행교육훈련 기관을 말한다.
자. “단독비행(SOLO FLIGHT)"이라 함은 조종 훈련생이 단독비행에 필요한
훈련 요구치를 달성하여 항공기를 단독으로 조종하는 것을 말한다.
차. “민간항공기 훈련공역(CATA 7, 이하 “민훈련공역”이라 한다)”이라 함
은 민간항공기의 비행훈련을 위하여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공역을
말한다.
카. “울진섹터”라 함은 레이더 및 비 레이더 관제방식으로 울진공항 입・출항 항
공기 접근관제업무 및 민훈련공역 관제업무를 담당하는 포항접근관제소 내
의 관제섹터를 말한다.

제정 : 2016.12. 21. -2-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2. 일반 사항

2. 일반 사항

2.1. 업무분장
2.1.1. 탑장 업무
가. 관제탑 업무 총괄
나. 소속 관제사 복무관리
다. 관제탑 출입자 통제
라. 관련 관제기관과의 업무 협의
마. 합의서, 규정, 절차의 검토 및 보완
바. 관제탑 근무편성(안) 작성 및 근무 대체/변경/보강 승인
사. 항공기사고, 준사고, 비정상 상황 시 조치
아. 항공기 수색구조에 대한 업무 협조

2.1.2. 팀장 업무
가. 탑장 보좌 및 부재 시 업무 대행
나. 관제사의 근무관제석 지정 및 관리
다. 항공고시보(NOTAM) 숙지 및 전파
라. 관련 관제기관과의 관제업무 협의
마. 각종 보고서 및 항공관제업무일지 작성
바. 관제통신장비 및 항행안전시설 운용상태 확인
사. 사용 활주로 선정

2.1.3. 관제사 업무
가. 탑장(팀장)으로부터 지정받은 근무석에서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수행한다.
나. 2.1.3.가의 관제탑장이 지정한 근무석에서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수행 시
해당관제사의 명칭은 지정관제석의 명칭과 같으며, 다음을 참조한다.
1) 국지관제석 근무 관제사 : 국지관제사
2) 지상관제석 근무 관제사 : 지상관제사
3) 감시관제석 근무 관제사 : 감시관제사

제정 : 2016.12. 21. -3-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2. 일반 사항

2.2. 근무석 운영
관제탑에는 다음 각 호와 같이 근무석을 운영한다.

2.2.1. 국지관제석 업무
가. 울진비행장 입·출항 항공기에 대한 이․착륙 허가
나. 관제권 내 모든 항공기간 충돌방지를 위한 안전분리 유지
다. 관제권 내 모든 항공기에 대한 교통정보 제공
라. 항공등화 운영 및 조류 활동정보 제공
마. 필요시 활주로 통제업무
바. 비상 및 긴급항공기 발생 시 우선권 및 관제업무 제공
사. 활주로 점검 시 인원 및 차량 통제업무

2.2.2. 지상관제석 업무
가. 관할구역 내 출발 및 도착항공기에게 지상이동에 관한 항공교통관제업무
제공
나. 지상이동 항공기간 통행우선순위 결정
다. 기상악화 시 항공기 지상이동 조정 및 통제
라. 기동지역내의 인원, 장비 및 차량에 대한 통제
마. 출발순서 조정필요 시 국지관제사와 협조
바. 표준출발절차 및 필요한 제한사항 발부 및 STRIP 기록

2.2.3. 감시관제석 업무
감시관제석에서 근무하는 관제사는 전 관제석의 교통상황을 파악하여 관련
관제석에 조언하여야 한다.

2.2.4. 근무석의 통합운영


탑장 또는 팀장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근무석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가. 지상관제석과 감시관제석은 통합 운영할 수 있다.
나. 탑장 또는 팀장은 교통상황, 근무인원 및 장비상태 등에 따라 근무
석을 변경 또는 증감하여 운영 할 수 있으며 근무위치기록표(별지
제2호 서식)에 약명을 기록 및 관리 하여야 한다.

제정 : 2016.12. 21. -4-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2. 일반 사항

2.3. 비행장 운영
2.3.1. 운영시간
울진비행장의 운영시간은 다음과 같다.
가. 월요일∼금요일 : 07:00~20:00
나. 토요일/일요일 : 09:00~18:00
다. 이 외 시간의 울진비행장 운영은 양사업자(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
직업전문학교)가 운항 24시간 전에 울진공항출장소에 요청 시 검토하여
운영 할 수 있다.

2.3.2. 사용승인
울진비행장은 울진비행훈련원 상주항공기의 훈련을 위해 운영되며, 이외의 항공
기가 울진비행장 사용을 위해서는 24시간 전에 사전승인을 득한 후 사용하여야
한다.

2.4. 관제탑 운영
관제탑의 운영시간은 다음과 같다.
가. 월요일∼금요일 : 07:00∼20:00
나. 토요일·일요일 : 08:00∼18:00
단. 이 외 시간의 운영은 출장소장의 지시에 따라 근무시간을 변경·운영
할 수 있다.

2.5. 관제탑 근무편성


2.5.1. 울진관제탑 근무편성
탑장은 매월 말일까지 익월 관제탑 근무편성표를 작성하여 출장소장의 결재
를 받아 시행하여야 하며, 이를 변경하고자 하는 사람은 출장소장의 승인을
받고 변경내용을 기록하여야 한다.

2.5.2. 근무 보강
탑장은 다음 상황이 발생한 경우 즉시 소장에게 보고하고 소장은 상황을
고려하여 휴무관제사 일부 또는 전부를 근무보강 조치하여야 한다.
가. 교통량의 증가 등으로 근무자 보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나. 위험기상 및 관제장비 고장 등 비정상상황 발생으로 근무자 보강이 필요
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정 : 2016.12. 21. -5-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2. 일반 사항

다. 탑장은 2.5.2의 상황이 긴박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근무보강 조치를 먼저


취하고 그 결과를 소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6. 녹음기 운영
가. 관제탑의 무선통신 및 전화 등 모든 송․수신 자료는 24시간 녹음되도록
조치한다.
나. 녹음기의 점검, 관리, 운영 등은 『울진비행장 항공교통업무관련 시설
의 운영 및 유지보수에 관한 합의서』에 따른다.
다. 녹음기에 녹음된 자료는 소장의 사전 승인 없이 청취 ․ 복사 및 반출할
수 없다.

제정 : 2016.12. 21. -6-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 관제 일반

3.1. 군훈련공역 비행절차


가. 군훈련공역(MOA 8, 9, 12)에서 공군/해군 대규모 비행훈련 시 탑장
은 공군작전사령부와 협력하여 민 훈련비행을 통제하여야 한다. 이
경우 계획된 비행훈련은 2주전에, 긴급 비행훈련은 3일전에 비행계획
을 관련 기관으로부터 통보받는다.
나. 훈련항공기는 울진비행장 주변의 위험구역(D8, 울진원자력발전소)인
P64A(반경 2마일, SFC~8000ft), P64B(반경 2마일~10마일, SFC~
FL180) 상공을 회피하여 비행하여야 한다. 다만, 활주로 17으로 접근
하는 계기비행항공기는 절차선회 시 P64B에 포함된 구역을 통과할
수 있다.

3.2. 민훈련공역 비행절차


가. 훈련항공기는 민훈련공역에서의 훈련 시 시계비행기상상태(VFR: 지상
시정 5km이상, 운고 450m이상[1500ft])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나. 훈련항공기의 민훈련공역 CATA 7 HIGH 공역사용은 항공정보실 또는
관제탑에서 NOTAM 발송 후 사용하여야 한다.
다. 탑장(팀장)은 군 대규모 훈련 시 민훈련공역의 운영을 유보(임시사용
제한)하여야 한다. 다만, 민 훈련항공기의 관제권내 장주비행은 실시할
수 있다.

3.3. 기상지원 절차
울진비행장 비행훈련원 훈련항공기에 대한 기상지원은 AMOS의 기상과 별표
제1호의 울진비행장 관제탑 시정도표를 참조하여 관제탑에서 관제사가 목측으
로 측정한 자료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울진지역 예보/특보사항은 울진기상
대 자료를 참고하여야 한다.(다만, 전세기 및 VIP 항공기 운항 시 기상정보
는 항공기상청의 기상자료를 참고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 울진기상대 자료 : 기상청 홈페이지

제정 : 2016.12. 21. -7-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4. 활주로 점검
3.4.1 활주로 점검절차
사람 또는 차량이 활주로를 포함한 기동지역 점검을 위하여 기동지역에
진입하고자 할 때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야 한다.
가. 관제탑은 공항공사가 활주로·유도로·계류장 점검(1일 2회) 요청이 있
는 경우, 항공기 운항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협조하여야
한다.
나. 관제탑 또는 항공정보실은 가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필요하다고 인
정되는 경우에는 공항공사에 추가로 점검을 요청할 수 있다.
다. 관제탑은 항공기 운항에 지장을 주는 요소가 있다고 판단되어 특별점검을
요청하거나 점검 부서(공항공사)로부터 긴급한 점검통보가 있는 경우에는
최종접근중인 항공기를 포함한 모든 항공기의 이·착륙을 금지시키고
우선적으로 활주로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야 한다.
라. 활주로 점검결과 점검자로부터 항공기 안전운항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
발생을 통보 받은 경우 항공기 이․착륙을 금지하여야 한다.
마. 활주로 점검결과를 항공교통관제업무일지에 기록하여야 한다.
바. 1차 활주로 점검은 항공기 운항 30분전까지 실시하고, 2차 활주로 점
검은 13:00~14:00 사이에 실시한다.

3.5. 활주로 침범예상지역


가. 울진비행장은 사용 활주로와 이·착륙을 위해 이동하는 유도로 “P”간
거리가 매우 근접하게 위치(약 82미터)하여 유도로 “E2”, “E3” 및
“E4”등에서 활주로 침범이 예상되므로 국지관제사는 활주로 침범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와 확인이 필요하다.
나. 각종 장비의 점검, 정비 및 FOD 점검 등을 위해 기동지역 내에서 차량이나
인원이 기동지역 내의 내부 도로로 이동시 지상관제사는 활주로 및 유도로와
만나는 지점을 고려한 항공기 이동 지시를 하여야 한다.

3.6. 항공기 견인절차


울진비행장에는 견인장비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항공기의 비정상 상황으
로 인하여 견인이 필요한 경우, 공항공사와 협정을 체결한 중장비업체에서
시행하여야 한다.

제정 : 2016.12. 21. -8-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7. 항공교통관제업무일지의 기록
팀장은 다음 각 호의 내용을 별지 제3호의 항공교통관제업무일지에 작성하
여야 한다.
가. 근무자의 성명, 약명 및 근무시간
나. 관제업무 장비 및 항행안전시설의 운용상태 및 활주로 점검결과
다. 사용 활주로 및 사용 활주로 변경사항
라. 시계․계기비행 및 이․착륙 최저치 미만의 기상상태 등 기상상황
마. 비상전화 점검사항
바. 항공기 이․착륙 제한사항 및 기타 참고사항
사. 관련 유효 항공고시보
아. 이동예비통신장비 점검사항
자. 활주로 점검에 관한사항
차. 일일 항공교통관제량 통계
카. 기타 특이사항 중 서면으로 보고하지 않은 사항

3.8. 사용활주로의 지정
3.8.1. 무풍활주로
가. 관제탑은 풍속이 5노트 이상인 경우 풍향과 가깝게 정대 되는 방향
의 활주로를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5노트 미만인 때에는 무풍활주
로(Calm Wind Runway)를 사용할 수 있다.
나. 가항의 규정에 의한 무풍 활주로는 활주로 35로 정한다.

3.8.2. 사용활주로의 선정
가. 사용활주로의 선정 및 변경은 기상상황, 안전 및 항공교통조건에
따라 탑장(팀장)이 결정하고, 그 사실을 항공정보실 및 포항접근관
제소 울진섹터에 통보하여야 한다.
나. 조종사가 사용활주로의 반대방향으로 이·착륙을 요구할 경우에는 타
항공기의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 한 울진섹터와 협의 후 허가할 수
있으며 STRIP에 실제 이·착륙 방향을 표기하여야 한다.

3.9. 항공고시보의 취급
가. 팀장은 항공기 안전운항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시설 및 장비의 비정상
운용에 관하여 시설․장비의 보수담당부서에 통보하고 그 내용을 출장

제정 : 2016.12. 21. -9-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소장에게 보고 후 항공고시보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항공


정보실에 항공고시보 발송을 의뢰하여야 한다. 다만, 출장소장의 부재
시 또는 공휴일에는 선 조치 후 보고를 할 수 있다.
나. 팀장은 유효한 항공고시보를 비치하고 전파하여야 하며 근무자는 그
내용을 숙지하여야 한다.
다. 비행중인 항공기에 제공될 긴급한 항공고시보는 무선통신으로 조종사
에게 전파하여야 한다.

3.10. 울진비행장의 표점 및 관제권


3.10.1. 울진비행장의 표점
울진비행장의 표점(Airport Reference Point, 이하ARP라 한다)은
36°46′37″N 129°27′42″E 로 활주로 17 시단에서 169° 방향 904m에 위치
하며, 울진비행장의 표고(Aerodrome Elevation)는 175ft(53m)이다.

3.10.2. 울진비행장의 관제권


울진비행장의 관제권은 별표 제3호의 관제탑 관할 공역도와 같이 ARP를
기준으로 반경 5NM, 지상으로부터 2500ft(AGL)까지의 공역과 D등급 관제
공역의 입․출항 경로 확장구간(약2NM)으로 설정된 공역(1000ft~2500ft AGL)
을 포함한 구역이다.

3.10.3. 울진비행장 주변 공역
울진비행장 반경 25NM 이내 비행제한/금지/위험구역은 다음의 표와 같다.

명칭 위 치 수평범위 수직범위 비 고
D8 37°06′00″N P64A(반경 2마일, SFC~8,000ft)
중심반경 SFC~
(울진원자력 129°23′00″E P64B(반경 2마일~10마일, SFC~FL180)
2마일 8000ft
발전소) (R349/20마일) by NOTAM

3.11. 활주로 및 유도로의 제원


3.11.1. 활주로(Runway)
구 분 진방위 자방위 길이×폭 강 도 포 장 시단표고
17 162.71° 171° 1800×45m PCN 53.4m(175ft)
아스 팔트
(5905.5×147.6ft) 36/F/B/X/T 48.0m
35 342.71° 351° (157.4ft)

제정 : 2016.12. 21. -10-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11.2.유도로(Taxiway)
구 분 폭 강 도 포 장
P(평행) 7.5 m PCN 20/F/A/Z/T 아스팔트
E1 26.3 m PCN 20/F/A/Z/T 〃
E2 7.5 m PCN 20/F/A/Z/T 〃
E3 18 m PCN 36/F/B/X/T 〃
E4 7.5 m PCN 20/F/A/Z/T 〃
E5 27.1 m PCN 20/F/A/Z/T 〃

3.11.3. 개방로(Clearway), 착륙대(Strip) 및 계류장

구 분 개방로 면적 착륙대 면적 계 류 장
17방향 300×200m CONCRETE
1920×300m
35방향 300×200m PCN 40/R/C/X/T

3.12. 항행안전시설
3.12.1. 울진비행장의 항행안전시설
가. 울진비행장의 항행안전시설은 다음과 같다.
명칭 식별부호 주파수 좌표 비고
36°47′14″N
LOC 35 IUJN
129°27′28.0″E
108.1 MHz
36°46′00.3″N
LOC 17 IUJS 129°27′56.7″E
36°46′16″N
GP 35 IUJN 129°27′45.3″E 3°ILS RDH 50ft
334.7 MHz
36°46′54.4″N
GP 17 IUJS 129°27′30.7″E 3°ILS RDH 44ft
36°46′16.7″N
DME 35 IUJN 129°27′45.1″E
979 MHz
1042 MHz 36°46′54.4″N
DME 17 IUJS 129°27′30.6″E
VOR Unserviceable
- Radial 040-090 beyond 20NM
BLW 3500ft
- Radial 240-270 beyond 20NM
BLW 15000ft
115.3 MHz 36°46′35.2″N - Radial 270-010 beyond 15NM
BLW 6000ft
VORTAC UJN 1187 MHz 129°27′26.9″E TACAN Unserviceable
1124 MHz - Radial 190-240 beyond 13NM
BLW 12000ft
- Radial 240-270 beyond 9NM BLW
15000ft
- Radial 270-010 beyond 12NM
BLW 12000ft

나. 가항에 의한 VOR을 표기한 구역도는 별표 제3호를 참조한다.

제정 : 2016.12. 21. -11-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13. 울진관제탑 및 포항접근관제소 울진섹터의 무선주파수


주파수
V H F U H F
시설명
118.550 MHz(국지관제) 317.450 MHz
울진관제탑 121.775 MHz(지상관제)
121.5 MHz(비상주파수) 243.0 MHz(비상주파수)
포항접근관제소 122.550 MHz 317.650 MHz
울진섹터 121.5 MHz(비상주파수) 243.0 MHz(비상주파수)

3.14. 시계비행 보고지점


시계비행 항공기의 위치확인을 위한 시계비행 보고지점은 다음과 같다.

보고지점 지 명 위 치 좌 표 (WGS-84)
방율리 36°48'53.56"N
A UJN R316/D3.7
Bangyoulri 129°23'49.20"E
평해교 36°43'41.06"N
B UJN R223/D3.6
Pyeonghaekyo 129°24'52.25"E
사동리 36°49'49.96"N
C UJN R030/D3.5
Sadongri 129°29'05.39"E
월송정 36°44'43.33"N
D UJN R130/D3.5
Weolsongjeong 129°31'08.23"E
이평리 36°46'34"N
H UJN R270/D4.7
Ipyeongri 129°21'39"E
갈면교 36°51'32.75"N
N UJN R322/D7.2
Galmyeongyo 129°20'57.74"E
채석장 36°40'41.11"N
S UJN R205/D6.2
Chaeseokjang 129°25'08.41"E
비행장등대 36°46'44.67"N
T UJN R075/D0.4
Beacon 129°27'54.87"E
길곡리 36°49'15.70"N
w Gilgokri UJN R304/D6.1
129°20'36.40"E

※ 시계비행 보고지점은 A, B, C, D이며 진입고도는 2000ft 로 한다.


단, 주 진입지점은 A, B이며 C, D는 제한 운영된다.
※ 시계비행 보고지점 T는 야간(일몰부터 일출까지)에 울진비행장 서쪽 산악
지역에서 입항하는 항공기에 한하여 운영되며, 입항고도는 7500ft 이다.
※ 현종산(1,371ft/417m) 풍력발전단지 회피를 위한 시계비행 보고지점 신설

제정 : 2016.12. 21. -12-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15. 관제탑 레이더전시기를 이용한 비행장관제업무 제공


관제사는 비행장관제업무 제공 시 비행장 내 이동지역 및 비행장 주변지역
에 대하여 육안관측을 우선하여야 하며, 다음 각 호에 따라 관제탑용 레이
더전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단, 포항접근관제소(울진섹터) 및 울진비행장
레이더 송신소로부터 레이더 시설에 문제가 있다고 통보받은 경우나 문제
를 인지한 경우에는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가. 항공기의 식별, 정확한 위치 또는 항공기 간 분리 상태 확인
나. 항공기에게 레이더 교통 정보 제공
다. 시계비행 항공기에 대한 권고 기수 또는 방향 제공
라. 관제탑 관할 공역 내 항공기에게 정보 및 지시 제공

3.16. 시계비행 교통장주


3.16.1.울진비행장 시계비행 교통장주
가. 폐쇄/장방형장주 : CLOSED/RECTANGULAR PATTERN

DOWNWIND

BASE CROSSWIND
1.0NM
※ 활주로35 기준

FINAL UPWIND
35 17

나. 교통장주 고도(PATTERN ALTITUDE) : 1500ft(고정익항공기)

3.16.2. 교통장주 항공기 수용능력


교통장주 내 비행훈련은 다음과 같이 제한하며, 이를 초과할 경우 시계비행
보고지점 체공 및 착륙 후 재이륙 등으로 장주내의 교통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 분 최대 대수
단발기 4대
동일기종
쌍발기 2대
타기종
3대
(단발기 및 쌍발기 1대 동시비행)
단독비행을 포함한 비행
3대
(단, 쌍발기 1대로 제한)

제정 : 2016.12. 21. -13-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16.3. 교통장주의 사용
주로 사용하는 교통 장주는 서쪽 장주이며, 동쪽 장주는 항공교통관제에 필
요한 경우를 제외하고 시계비행 출항항공기의 비행경로 확보를 위해 제한
운용된다.

3.17. 시계비행 교통장주 제한운영 조건


다음 각 호에 해당할 경우 훈련항공기의 안전을 고려하여 국지관제사는
시계비행 교통장주 운영을 제한할 수 있다.
가. 국지 교통상황에 따라 해당관제사가 교통장주 운영이 항공안전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한 경우.
나. 시계비행기상상태(VMC)에서 해당관제사의 교통장주 내 항공기 육안
식별이 어려울 경우.
다. 교통장주 내 구름 등으로 시야 차폐구간이 존재할 경우.
라. 공항자동기상관측장비(AMOS)상의 최대정풍 또는 최대측풍 수치가 양
훈련사업자가 항공교통관제기관에 제출한 이․착륙 기준을 초과할 경우.

3.18. 울진비행장 체공장주


첫 접근 또는 실패접근 시 체공장주는 다음의 표와 같다.
ILS Y / VOR
접 근 절 차
RWY17 RWY17 RWY35 RWY35
구 분
(첫 접근) (실패 접근) (첫 접근) (실패 접근)

체 공 지 점 LENON 상공 BANYA 상공 BANYA 상공 LENON 상공


NE OF SE OF SE OF NE OF
체 공 방 향
LENON BANYA BANYA LENON
INBOUND HEADING 220° 310° 310° 220°

OUTBOUND HEADING 040° 130° 130° 040°

PATTERN LEG 1 MIN 1 MIN 1 MIN 1 MIN

선 회 방 향 LEFT TURN LEFT TURN LEFT TURN LEFT TURN

체 공 고 도 6000ft 6000ft 6000ft 6000ft


230노트 /
210노트
최 고 속 도 230노트 230노트 230노트
(ILS Y, Z,
RNAV)

제정 : 2016.12. 21. -14-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19. 이․착륙 기상최저치


3.9.1. 시계비행 항공기 이․착륙 기상최저치

구 분 이 ․ 착 륙 기 상 최 저 치
ㅇ 지상시정 5km 이상
VFR ㅇ 지상시정이 보고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비행시정이 5km 이상일 것
ㅇ 운고 450m(1500ft) 이상

3.9.2. 계기비행 항공기 이․착륙 기상최저치


가. 이륙기상최저치
REDL & REDL & REDL or NIL
RWY
RCLL RCL RCLL (Day Only)
Multi-Engine ACFT with 500m /
17/35 400m / 1200ft
TKOF ALTN AD 1600ft
OTHERS 17/35 AVBL LDG MINIMA

나. 착륙기상최저치
DA(DH)/
CATEGORY A B C D
MDA(MDH)
FULL 375 800m
RWY 17 CAT-Ⅰ
ALS INOP (200) 1200m
ILS Y or
LOC Y FULL 950 3200m
LOC
ALS INOP (775) 3600m
※ Circling not authorized

DA(DH)/
CATEGORY A B C D
MDA(MDH)
CAT-Ⅰ FULL 511 1100m
(CG 2.5%) ALS INOP (353) 1800m
RWY 35
CAT-Ⅰ FULL 391 RVR 550m, VIS 800m
ILS Y or
(CG 4.0%) ALS INOP (233) 1200m
LOC Y
FULL 580 1500m
LOC
ALS INOP (422) 2200m
※ Circling not authorized

제정 : 2016.12. 21. -15-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MDA
CATEGORY A B C D
(MDH)
RWY 17 FULL 940 3200m
Straight-in
VOR ALS INOP (765) 3600m
※ Circling Not authorized

MDA
CATEGORY A B C D
(MDH)
RWY 35 FULL 600 2000m
Straight-in
VOR ALS INOP (442) 2700m

※ Circling Not authorized

※ 울진비행장 계기접근 도착절차는 아래와 같으며, 언급되지 않은 착륙기


상 최저치의 도착절차는 AIP를 참조한다.
활 주 로 접 근 방 식
ILS LOC Z RNAV
RWY 17
ILS LOC Y VOR
ILS LOC Z RNAV
RWY 35
ILS LOC Y VOR

3.20. 조류활동 정보
1. 조종사의 보고, 관제탑의 관측 또는 조종사의 확인에 의한 조류활동에 대하
여 조언정보를 발부하여야 한다. 정보에는 가능한 경우 조류의 위치, 진행
진로, 고도 등을 포함한다. 육안관측 또는 조종사의 보고를 통해 조류활동
이 더 이상 교통장애가 되지 않을 것임을 확인할 때까지 최소한 15분 동안
조언을 발부하여야 한다.
2. 조류충돌 후 또는 충돌의심이 가는 경우, 모든 항공기의 이착륙을 금지시켜
야 하며, 공사 운영팀을 통해 활주로 점검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음을 확인
한 후 운항을 재개하여야 한다.

제정 : 2016.12. 21. -16-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3.21. 시각 신호운용
3.21.1. 빛총신호
무선 교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 항공기 또는 차량의 통제가 필요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빛총을 사용하여야 한다.
의 미
신호의 색깔과 형태 차량, 장비 및 인원의
지상 항공기 비행중인 항공기
이동
연속 녹색등 횡단/진행/전진을
이륙을 허가한다. 착륙을 허가한다.
(STEADY GREEN) 허가한다.
착륙을 위해 귀환하라
점멸 녹색등
지상 활주를 허가한다. (적당한 시간에 연속 적용 안 됨
(FLASHING GREEN)
녹색신호가 뒤따른다)
연속 적색등 다른 항공기에게 진로를
정지하라 정지하라
(STEADY RED) 양보하라

점멸 적색등 사용 중인 착륙지역 또는 공항이 불안정하다 - 활주로 또는 유도로로부터


(FLASHING RED) 활주로로부터 이탈하라 착륙하지 말라 이탈하라

점멸 백색등 공항의 출발지점으로 공항의 출발지점으로


적용 안 됨
(FLASHING WHITE) 귀환하라 귀환하라
교차되는 적색과 녹색등 : 일반적인 경고신호 - 최대한 주의를 요한다.

3.21.2. 경고 신호
다음의 경우 항공기 또는 차량 운행자에게 적절한 일반 경고 신호인 적색
및 녹색 교차를 직접 발부한다. 단 경고신호는 금지신호가 아니며 상황이
허락하면 또 다른 후속 빛총 신호를 발부할 수 있다.
가. 항공기가 수렴 접근하여 충돌위험이 있을 때
나. 조종사가 인지하지 못할 기계적인 고장이 있다고 판단될 때
다. 조종사 또는 차량 운행자의 집중 경계가 요구되는 기타 다른 장애요
소가 있을 때(장애물, 비행장 표면의 연약지반, 활주로상의 얼음 등)

3.21.3. 수신만 가능한 항공기의 인지


수신만 가능한 항공기에게 관제사의 지시에 대한 응답으로 항공기에게 다
음과 같이 답할 것을 요구하여야 한다.
가. 고정익 항공기
1) 주간
(가) 지상 운행 중에는 보조익 또는 방향타를 움직인다.
(나) 비행 중에는 날개를 좌우로 흔든다.
2) 야간에는 항행등 또는 착륙등을 깜박인다.

제정 : 2016.12. 21. -17-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3. 관제 일반

나. 헬리콥터
1) 주간
(가) Hovering 하는 동안에는 헬리콥터 방향을 관제시설로 향하도록
하고 착륙등을 깜박이거나 Tip Path Plane을 흔든다.
(나) 비행 중에는 착륙등을 깜박이거나 Tip Path Plane을 흔든다.
2) 야간에는 착륙등 또는 탐색 등을 깜박인다.

제정 : 2016.12. 21. -18-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4. 지상 관제

4. 지상 관제

4.1. 지상활주 절차
가. 모든 항공기는 지상활주 전 관제탑의 인가를 득(得)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 지상 활주 시 각 항공기간 거리는 200ft(60.96m) 이상의 안전거리
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 항공기의 지상활주 속도는 주기장 내에서는 5노트, 유도로 상에서는
10노트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4.2. 무선통화절차
가. 울진비행장으로 입출항하는 모든 항공기는 별표 제5호의 울진비행장
표준무선통화절차에 따라 관제탑과 교신하여야 한다.
나. 기타 무선통화절차는 항공교통관제절차(국토교통부 고시) 및 무선통신
매뉴얼(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른다.

4.3. 주파수 이양절차


가. 이륙 항공기는 이륙을 위해 유도로(E1, E5)에 진입 시 별도의 관제지시가
없을 경우 지상관제 주파수에서 국지관제 주파수로 변경하여야 한다.
나. 착륙 항공기는 활주로 개방 시 별도의 관제시시가 없을 경우 국지관제
주파수에서 지상관제 주파수로 변경하여야 한다.

제정 : 2016.12. 21. -19-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5. 국지 관제

5. 국지 관제

5.1. 장주비행절차
5.1.1. 교통장주 내 항공기 대수
교통장주 내에서 비행할 수 있는 훈련항공기 대수는 다음 각 호의 요건에
따른다.
가. 단발항공기만 장주 비행하는 경우 : 4대
나. 단발항공기와 쌍발항공기가 동시에 장주 비행하는 경우 : 3대
3대 : 쌍발항공기 1대 + 단발항공기 2대
다. 쌍발항공기만 장주 비행하는 경우 : 2대
라. 조종연습생이 단독으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1대로 제한하며, 교통장주 내
항공기 최대 허용대수는 단독비행 항공기를 포함하여 3대로 제한한다.

5.1.2. 단독비행 항공기의 운항


단독비행 시 조종사는 비행계획서 및 계류장에서의 초기 호출시 단독비
행임을 명확히 하여야 하며, 훈련 시 단독비행임을 알 수 있는 호출부호
(SOLO)를 사용하여야 한다.

5.1.3. 복행 및 교통장주
가. 착륙 중 복행하는 항공기와 이륙하는 항공기는 상호경계를 철저히
하여야하며, 이륙하는 항공기에게 우선권을 부여하여야 한다.
나. 항공기의 복행은 활주로 상에 있는 타 항공기와 동일경로 유지를 회피
하기 위해 활주로 동쪽(East side)으로 평행하게 유지하여 상승하여야
한다.
용어 : A/C(CALL SIGN) MAKE GO ROUND IMMEDIATELY MAINTAIN
RIGHT(LEFT) SIDE OF RUNWAY35(17) DUE TO(TRAFFIC
INFORMATION)

5.1.4. 교통장주 진입절차 및 착륙허가절차


가. 훈련항공기는 교통장주 진입 시 UPWIND 상에서 기종별 최소 진입
속도 및 고도 1000ft(MSL) 도달 후 관제탑에 장주진입을 요구하여야
한다.
나. 훈련항공기는 안전 분리를 위하여 이륙 후 CROSSWIND 진입 시
반드시 관제탑에 교통장주 진입을 요구하여 관제사의 허가를 득(得)
제정 : 2016.12. 21. -20-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5. 국지 관제

한 후 진입하여야 한다.
다. 훈련항공기는 장주비행 시 MID-DOWNWIND(VORTAC 상공)에서
관제탑에 위치보고를 맹목방송 하여야 한다.
라. 훈련항공기는 BASE LEG 진입 전 반드시 관제탑에 위치 및 접근형태
를 보고하고 관제탑은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착륙허가 등을 발부한다.
마. 관제탑은 계속 이착륙(Touch and Go) 훈련 시 전방기와의 분리
(3000ft 이상)가 확보되었다면 전방기가 활주로를 완전히 개방 또는
재이륙이 완료되기 전이라도 허가를 발부할 수 있다. 이미 발부된 허
가라도 관제사가 적절한 간격이 미확보 될 것으로 판단될 경우 취소
할 수 있다.

5.2. 활주로 변경절차


가. 활주로 변경이 요구될 시 관제사는 항공기에게 다음과 같이 방송하여
야 한다.
용어 : Attention all A/C(Traffic) in the pattern, Expect RWY
Change to 35(17), Expect RWY Change to 35(17)
나. 비행장으로 진입하는 항공기는 시계비행 보고지점을 이용하여 변경된 활주
로 방향으로 정상 진입하여야 한다.
다. 장주 비행 중인 항공기는 착륙 후 변경된 활주로로 재이륙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교통상황에 따라 시계보고지점 체공 등 적절한 방법을 통하여
활주로 변경절차를 수행 할 수 있다.

5.3. 무선통화절차
가. 울진비행장으로 입출항하는 모든 항공기는 별표 제5호의 울진비행장
표준무선통화절차에 따라 관제탑과 교신하여야 한다.
나. 기타 무선통화절차는 항공교통관제절차(국토교통부 고시) 및 무선통신
매뉴얼(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른다.

제정 : 2016.12. 21. -21-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6. 시계비행항공기

6. 시계비행항공기

6.1. 시계비행 입·출항절차


6.1.1. 시계비행 입항절차
가. 울진비행장으로 입항하는 모든 항공기는 별표 제4호의 울진비행장 입
출항 도면에 따라 ‘N’, ‘S’ 시계비행 보고지점에서 위치보고를 하고
관제탑으로부터 입항인가를 득한 후 다음 시계비행 보고지점으로
비행하여야 한다.
나. 활주로 양 시단을 기준으로 반경 10NM 내의 활주로연장선상의 경로
를 통과하려는 모든 입항항공기는 교신 중인 관제사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6.1.2. RWY 17/35 입항절차
가. 북쪽 입항절차
해당항공기는 시계비행 보고지점 'N'(R322/7.2DME)를 경유하여
'W'(R304/6.1DME 2,500피트) 또는 'A'(R316/3.7DME 2,000피트)를 통
과하며 관제탑 허가를 득한 후 교통장주 및 최종접근로로 진입하여야
한다.

※ 현종산(1,371ft/417m) 풍력발전단지 회피를 위한 시계비행 보고지점 'W'신설

제정 : 2016.12. 21. -22-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6. 시계비행항공기

나. 남쪽 입항절차
해당항공기는 시계비행 보고지점 'S'(R205/6.2DME)를 경유하여
'B'(R223/3.6DME)를 고도 2000ft로 통과하며 관제탑 허가를 득한 후
교통장주 및 최종접근로로 진입하여야 한다.

6.1.3. RWY 35 출항절차


가. 공역훈련 항공기
해당항공기는 이륙 후 관제탑의 인가를 득한 후 우선회하여 훈련고도 도
달 시까지 항공기 기수 080°를 유지하여 관제권 이탈 및 훈련공역으로
비행하여야 한다. 다만, 계기비행 접근항공기가 있을 시 계기접근절차선
회(ARC TURN) 구간을 횡단하기 위해서는 교신 중인 관제사에게 보고하
여야 한다.
나. 야외비행(Cross-Country) 및 외래항공기
해당항공기는 이륙 후 관제탑의 인가를 득한 후 우선회하여 활주로 시단
상공을 기수 260°/고도 2500ft 이상으로 통과하여 목적지로 비행하여야
한다.

6.1.4. RWY 17 출항절차


가. 공역훈련 항공기
해당항공기는 이륙 후 관제탑의 인가를 득한 후 좌선회하여 훈련고도 도
달 시까지 항공기 기수 080°를 유지하여 관제권 이탈 및 훈련공역으로
비행하여야 한다. 다만, 계기비행 접근항공기가 있을 시 계기접근절차선
회(ARC TURN) 구간을 횡단하기 위해서는 교신 중인 관제사에게 보고하
여야 한다.
나. 야외비행(Cross-Country) 및 외래항공기
해당항공기는 이륙 후 관제탑의 인가를 득한 후 좌선회하여 활주로 시단
상공을 기수 260°/고도 2500ft 이상으로 통과하여 목적지로 비행하여야
한다.

6.2. 산림청 헬기 입·출항절차


6.2.1. 입항절차
가. 산림청 헬기는 관제권 진입 전 관제탑과 교신하여 교통정보를 득한
후 'H' POINT를 경유하여 입·출항하되, 교통상황과 사용활주로 방향

제정 : 2016.12. 21. -23-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6. 시계비행항공기

에 따라 NE(R-020˚)/SE(R-120˚)로 입항 할 수 있다.
나. DOWNWIND 통과 시 훈련항공기와 500ft 이상 고도분리를 유지해야
한다.

6.2.2. 출항절차
가. 산림청 헬기는 이륙 전 관제탑과 교신하여 교통정보를 득한 후 'H' POINT
를 경유하여 입·출항하되, 교통상황과 사용활주로 방향에 따라 SW(R-200˚)/
NW(R-300˚) 방향으로 출항 할 수 있다.
나. DOWNWIND 통과 시 훈련항공기와 500ft 이상 고도분리를 유지해야한다.

제정 : 2016.12. 21. -24-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7. 특별관제절차

7. 특별관제절차

7.1. 우발상황
관제탑 및 항공교통관제업무에 장애가 발생하였거나 항공기에 비정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울진비행장 항공교통업무 우발계획”에 의거 항공교통관제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제정 : 2016.12. 21. -25-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8. 장비운영

8. 장비운영

8.1. 항행안전시설 운용 및 감시
8.1.1. 항행안전시설의 점검
근무자는 근무 상번 시에 관제 장비 및 항행안전시설의 작동상태를 점검
표(별지 제4호 서식)에 의거하여 점검 후 그 결과를 항공교통관제업무일지
에 기록한다.

8.1.2. 이동관제통신장비의 점검
매주 월요일 이동관제통신장비(GUN SET)를 별지 제5호에 따라 점검하고,
비상주파수는 비행중인 항공기와 실제 주파수 상태를 점검하고 해당항공기
호출부호, 위치 등을 별지 제3호의 항공교통관제업무일지에 기록하여야 한다.

8.1.3. 항행안전시설의 감시
근무자는 관제탑에 설치되어 있는 RSU(ILS 감시장비), RMU(VOR 감시장
비), TRIU(TACAN 감시장비)등을 이용하여 항행안전시설의 운용상태를 확
인하여야 한다. 또한 항행안전시설이 비정상상태를 감시 장비에 의하여
인지 또는 항공기로 부터 통보 받은 경우 다음과 같이 조치하여야 한다.
가. 항공기가 항행안전시설 장애를 보고하는 경우 가능한 대체절차로 유도
하거나 복행지시를 하여야 한다.
나. 감시 장비가 정상인 경우에는 후속 항공기에게 항행안전시설의 상태
를 보고하도록 요청하여야 한다.
다. 후속 항공기가 정상으로 보고한 경우 해당 항행 안전시설은 계속
사용하고 선행 항공기에게 내용을 통보하여야 한다.
라. 유지보수 담당자로부터 고장을 확인한 경우 접근하는 항공기에게 해
당 항행시설의 장애정보를 제공하고 가능한 대체절차로 유도하거나
복행지시를 하여야 한다.

제정 : 2016.12. 21. -26-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8. 장비운영

8.2. 무선통신 운용
8.2.1 울진비행장 무선통신의 운용
가. 관제탑은 주 무선통신장비(VCCS), 비상 무선통신장비(EVCS) 및 이동
관제통신장비(URC-200)를 이용하여야 한다.
나. 주․비상 무선통신장비가 고장 시에는 이동관제통신장비(URC-200)를
이용하여야 한다.

8.2.2. 예비관제통신장비의 운용
가. 주․비상 무선통신장비 고장에 대비하여 이동관제통신장비의 주파수를 각
관제석별 주 무선통신장비의 사용주파수와 일치시킨다.
나. 이동관제통신장비의 점검은 매주 월요일 10:00(KST)에 점검하고 그
결과를 업무일지에 기록한다.

8.3. 항공등화 운용
가. 항공등화는 계기비행기상상태 또는 야간에 운용(PAPI 제외)함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조종사의 요구나 관제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변경
운용 할 수 있다.
나. 항공등화 운용은 항공기 운항시작 10분전부터 운항종료 5분 후까지
점등한다.

8.4. 항공등화시설의 종류
가. RWY17: 활주로등(REDL), 활주로시단등(RTHL), 활주로종단등(RENL),
접지대등(RTZL), 진입각지시등(PAPI),진입등시스템(SSALF)
나. RWY35: 활주로등(REDL), 활주로시단등(RTHL), 활주로종단등(RENL),
진입각지시등(PAPI), 진입등시스템(ALSF-1)
다. 유도로: 유도로등(TWYL), 유도안내등(TGS)
라. 활주로중심선등(RCLL)
마. 활주로거리등(DMS)
바. 풍향등(IWDI)
사. 비행장등대(ABN)
아. 지향신호등(SIGL)
자. 계류장조명등(AF)

제정 : 2016.12. 21. -27-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8. 장비운영

부 칙

제1조 (시행일) 본 표준운영절차는 2017년 12월 28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다른 규정의 폐지) 본 표준운영절차의 시행에 따라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2017. 09. 27)는 폐지한다.
제3조 이 절차는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수시로 수정, 보완할 수 있다.

제정 : 2016.12. 21. -28-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별표 제1호】울진비행장 관제탑 시정 도표

울진비행장 관제탑 시정 도표

제정 : 2016.12. 21. -29-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별표 제2호】항공기 사고ㆍ준사고 보고 계통

항공기사고 ․ 준사고 보고 계통

1. 일과 중 보고

2. 일과 후 보고

제정 : 2016.12. 21. -30-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별표 제3호】울진비행장 관할 공역도

울진비행장 관할 공역도

제정 : 2016.12. 21. -31-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별표 제4호】울진비행장 시계비행 입ㆍ출항 도면

울진비행장 시계비행 입․출항 도면

RWY35 출항절차

: 공역훈련 항공기 출항 경로
: 야외비행(Cross Country) 및 외래항공기 출항경로

제정 : 2016.12. 21. -32-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RWY17 출항절차

: 공역훈련 항공기 출항 경로
: 야외비행(Cross Country) 및 외래항공기 출항경로

제정 : 2016.12. 21. -33-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RWY35/17 입항절차

제정 : 2016.12. 21. -34-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별표 제5호】울진비행장 표준무선통화절차

울진비행장 표준무선통화절차

제1절 개요
관제사와 조종사간 무선통화는 항공교통관제절차(국토교통부 고시) 및 무
선통신매뉴얼(국토교통부 고시)에 명시된 무선통화절차를 따르는 것을 원
칙으로 한다.

제2절 엔진시동 및 지상활주


P : Uljin ground, C/S, Request engine start up
C : C/S, Uljin ground, Start up approved, RWY35(17), altimeter 0000
P : Uljin ground, C/S, Request taxi instruction
C : C/S, RWY35(17), Taxi via P then E5(E1)
P : RWY 35(17), Taxi via P then E5(E1), C/S

제3절 이륙
P : Uljin TWR, C/S, Ready for departure for (목적)
C : C/S, Uljin TWR, RWY35(17) Wind 000 at 0, Cleared for take off
(Line up and Wait or Hold short of RWY)
P : (복창), C/S
P : (VFR 비행시) C/S, Request right/left turn
C : C/S, Right/left turn approved(필요시 Report leaving control zone)
P : (복창), C/S

제4절 입항
(VFR 입항)
P : Uljin TWR, C/S, Position over ‘S’(‘N’),
Request landing instruction for F/S(T/G or L/A)
C : C/S, Uljin TWR, RWY 35(17) altimeter 0000, Report ‘B’(‘A’)

제정 : 2016.12. 21. -35-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표

(IFR 입항)
P : Uljin TWR, C/S, ILS(or VOR) 00miles on final for F/S(T/G or L/A)
C : C/S, Uljin TWR, RWY 35(17), Report final approach fix(필요한 보고지점)

(Straight-In APP')
P : Uljin TWR, C/S, (위치보고), Request Straight-in APP' for F/S(T/G or L/A)
- 가능 시
C : C/S, Uljin TWR, Straight-in APP' approved. Report 0NM on final,
RWY 35(17), Altimeter 0000
P : (복창), C/S
P : C/S, 0NM on final for F/S(T/G or L/A)
C : C/S, RWY 35(17), Wind 000 at 00, Cleared to Land(T/G or L/A)
P : (복창), C/S
- 불가능 시
C : C/S, Uljin TWR, Unable Straight-in APP' (필요시 교통정보), Report
(보고지점), RWY 35(17), Altimeter 0000

제5절 장주비행 및 선회
(Closed traffic)
P : Uljin TWR, C/S, Request closed traffic
C : C/S, Uljin TWR, Closed traffic approved, Report base
P : (복창), C/S
P : C/S, On downwind
C : (필요시 교통정보)
P : C/S, Turning base for F/S(T/G or L/A)
C : C/S, RWY 35(17), Wind 000 at 0, Cleared to land(T/G or L/A)

(선회지시)
C : C/S, Make left/right three-sixty, Due to (이유)
P : (복창), C/S

제정 : 2016.12. 21. -36-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지

【별지 제1호서식】관제탑 업무점검 목록표

관제탑 업무점검 목록표

20 . . .

공항 운영
상태

항공기 및
차량 이동
상황

기상 상태

고도계수정치

활주로 상태
(B/A)

NOTAM

특이 상황

항공교통상황

비 고

제정 : 2016.12. 21. -37-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지

【별지 제2호서식】근무위치기록부

근무위치기록부(Position Log)
Position Log
(1)시 설 (2)관제기관명 (3)근무석 (4)날짜(년/월/일)
TWR(예) ULJIN(예) LC(예) 2012.11.11 (9)통합근무석
(5)상번 시간 (6)약 명 (7)하번 시간 (8)감독자 약명

제정 : 2016.12. 21. -38-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지

【별지 제3호서식】항공관제업무일지(관제탑)
(제1면)

항공관제업무일지(관제탑)

울 진 관 제 탑 20□□. 00.00( )

근 무 자

근 무 시 간 근 무 시 간
직 책 성 명 약 명 직 책 성 명 약 명
부 터 까 지 부 터 까 지
탑 장 관 제 사
관 제 사 관 제 사
관 제 사 관 제 사
관 제 사 관 제 사

보 고 사 항

주요 NOTAM 사항

제정 : 2016.12. 21. -39-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지

(제2면)

업 무 수 행 현 황

시 간 내 용

항공교통관제량 통계

구 운송용 항공기 일반 항공기


분 한 국 기 한 국 기
비 활 국내선국 제 선 외 국 기 기 활 고정익 헬 기
외 국 기
행 주 이 착 이 착 계 주 이 착 착 계
종 로 이륙 착륙 타 로 이륙 착륙 이륙
류 륙 륙 륙 륙 륙 륙 륙

계기
비행
계 계

시계
비행
계 계
통과 민항기 계기비행

비행 군용기
기타 용
기타 복 행 시계비행

비행 회 항
계기비행
총계 시계비행 비고
기타비행

제정 : 2016.12. 21. -40-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지

【별지 제4호서식】관제탑 장비점검표

관제탑 장비점검표
20 . . .

상태 관제사
구 분 장 비 명
(약 명)
양호 불량
118.550

VHF 121.775

관제통신 121.50
장 비 317.450
UHF
243.0

URC-200(예비)

ACC 직통선
비행정보
MCRC 직통선
장 비
FDT 단말기
LLZ
항행안전 ILS DME
시 설
G/P
모니터
T/VOR UJN

항행안전 BRITE
시 설 등화시설

비상벨 및 10:00
전화 18:00
AMOS
기상장비
WIND SOCK
빛 총 Light Gun
FM 이동국
녹음 장비
표준 시계
망 원 경

제정 : 2016.12. 21. -41-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지

【별지 제5호서식】이동관제통신장비(GUN SET) 점검표

이동관제통신장비(GUN SET) 점검표

NO.1
상 태
장비명 채 널 주파수 비 고 점검시간
양호 불량
CH1 118.550MHz

CH2 121.5MHz

관제통신장비 CH3 317.450MHz

(URC-200) CH4 243.0MHz

CH5 122.550MHz

CH6 -

CH7 121.775MHz

CH8 317.650MHz

CH9 -

NO.2
상 태
장비명 채 널 주파수 비 고 점검시간
양호 불량
CH1 118.550MHz

CH2 121.5MHz

관제통신장비 CH3 317.450MHz

(URC-200) CH4 243.0MHz

CH5 122.550MHz

CH6 -

CH7 121.775MHz

CH8 317.650MHz

CH9 -

20 . . 점검자 : (인)

제정 : 2016.12. 21. -42- 개정 : 2017. 12. 28.


울진관제탑 표준운영절차 별지

【별지 제6호서식】항공안전 의무보고서


■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지 제65호서식] 통합항공안전정보시스템(https://www.esky.go.kr)에서도
보고할 수 있습니다.

항공안전 의무보고서(Aviation Safety Mandatory Report)


보고 구분 [ ] 항공기사고 [ ] 항공기준사고 [ ] 항공안전장애
(Category of (Accident) (Serious Incident) (Incident)
Occurrence)
분야 구분 [ ] 항공기운항 [ ] 항공기정비 [ ]항공교통관제 [ ] 공항항행시설
(Fields) (Flight Operation) (Maintenance) (Air Traffic Control) (Aerodrome and NAVAID)

발생유형
(Type of Occurrence)
호출부호
등록기호(Registration)
(Call Sign)
항공기기종ㆍ공항ㆍ
항행안전시설 명칭
(Type of Aircraft or
Name of Aerodrome
or NAVAID)
발생일시 발생장소ㆍ공항
(Date, Time) (Location or Aerodrome)
발생단계 [ ] 지상 [ ]이륙 [ ] 상승 [ ] 순항 [ ] 접근 [ ] 착륙
(Phase of Flight) (GND) (Take Off) (Climb) (Cruise) (Approach) (Landing)
비행구간 비행고도
(Flight Route) (Altitude)
승객수 승무원수 운항승무원(Flight Crew)
(Number of (Number of
Passengers) Crew Members) 객실승무원(Cabin Crew)
사망자수 부상자수
(Number of Fatalities) (Number of Injuries)
기상(Weather) [ ] VMC [ ]IMC
발생 개요(Description of Occurrence)

사업자의 종류 [ ] 국내 [ ] 국제 [ ] 소형 [ ] 항공기사용사업 [ ] 기타
(Type of (Domestic Air (International Air (Small Commercial Air (Aerial Work) (Other)
Operations) Carrier) Carrier) Transport Operator)
보고자의 성명 보고자의 연락처
(Name) (Telephone)
「항공안전법」제59조제1항, 제62조제5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134조제1항에 따라 항공기사고 등을
위와 같이 보고합니다.(In accordance with Paragraph 1, Article 59 and Paragraph 5, Article 62 of the
Aviation Safety Act and Paragraph 1, Article 134 of the Ministerial Regulation of Aviation Safety Act, I
hereby report the occurrence of mandatory reporting items as described above.)
년 월 일
Date:________/_______/_______ (YYYY/ MM/ DD)
보고자 (서명 또는 인)
(Name) (Signature)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지방항공청장 귀하
(Attention : Minister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r
Administrator of Regional Aviation Administration)
210mm×297mm[백상지(80g/㎡) 또는 중질지(80g/㎡)]

제정 : 2016.12. 21. -43- 개정 : 2017. 12. 2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