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제 3주.

장상학설(藏象學說)
■ 학습목표
1. 장상학설의 개념을 이해함.
2. 오장(五臟)에 대한 이해.
3. 육부(六腑)에 대한 이해.
■ 학습내용
1. 장상학설의 개념.
2. 오장(五臟)
3. 육부(六腑)
■ 학습하기
1. 장상학설의 개념.
1) 장상(藏象)의 뜻
(1) 장(藏); 체내의 장기(臟器).
(2) 상(象); 밖으로 드러나는 생리, 병리 현상.
2) 장상학설의 함의(含意)
(1) “ 이상측장(以象測藏)” “ 유외지내(由外知內)”; 동양의학에서의 장상은 인체의 생명 본질과
형상의 통일을 가리킴.
(2) 장상학설의 형성
➀ 고대의 해부학적 지식.
➁ 오랫 동안의 해부, 생리현상의 관찰.
➂ 오랜 치료경험.
(3) 오장(五臟)을 중심으로 하는 정체관념(整體觀念)
➀ 각 장부(臟腑)는 상호 표리 관계(相互表裏關係). 장(臟)과 부(腑)는 하나의 정체(整體).
➁ 오장(五臟)과 형체(形體), 관규(官竅)는 하나의 정체임.
➂ 오장(五臟)의 생리 활동과 정신(精神), 정지(情志) 활동은 밀접한 관계가 있음.
3) 동양 의학에서의 장부(臟腑)의 개념
(1) 내장(內臟)의 총칭으로 동양의학에서의 장부는 해부, 생리, 병리학의 개념을 내포한 종합적
개념임.
(2) 동양 의학에서 하나의 장부(臟腑)는 인체의 관련 장부계통(臟腑系統)의 기능을 종합하는
개념임.
(3) 따라서 해부학적 개념에 기초한 서양 의학의 단일 장부(장부)의 개념과는 차별화 됨.
4) 장부(臟腑)의 분류.
(1) 오장(五臟); 간(肝), 심장(心臟), 비장(脾臟), 폐(肺), 신장(腎臟)
“ 화생 저장 정기(化生貯藏精氣)” “ 장정기이불사(藏精氣而不瀉), 만이불실(滿而不實)”
(2) 육부(六腑); 담(膽), 소장(小腸),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삼초(三焦).
“ 수성전화수곡(受盛轉化水穀)”, “ 사이불장(瀉而不藏), 실이불만(實而不滿)”
2. 오장(五臟)
-. 오장(五臟)은 인체의 생명활동의 중심으로 정신 의식이 소재하는 곳이며, 육부와 배합되어 표
리 관계(表裏關係)를 이룸으로써 통일된 정체(整體)를 이름.
-. 장병다허(臟病多虛)- 치장병(治臟病), 이보위용(以補爲用); 오장(五臟)의 병은 대부분 허증(虛
證)이며 따라서 그 치료법은 보법(補法)을 사용.

- 1 -
1) 간(肝); 장군지관(將軍之官)
(1) 간주소설(肝主疎泄)
➀ 의의; 전신 기의 운동을 주관함.
➁ 생리적 의의
-, 정지활동조절(情志活動調節); 기혈이 조화로우면 기분이 좋으며, 화가 나지 않음.
-, 소화 흡수 촉진(消化吸收促進); 비위(脾胃)의 기 운동이 정상이 되며, 담즙 분비가 원활
함.
-, 생식 기능 조절(生殖機能調節); 남자 정액 배설 통창, 여자 월경의 정상적 조절.
-, 수액 대사 조절; 기가 원활하면, 몸 안의 수액이 잘 돌아감.
➂ 병리적 의의
-, 정지활동의 이상; 간기가 울결되어 쉽게 화를 냄.
-, 소화 흡수 장애; 간위불화(肝胃不和)로 인해 위가 당기며 통증, 트림, 딸꾹질, 신물이 넘
어오는 증상 등. 간비불화(肝脾不和)로 인해 배가 당기고 아픔, 설사 등. 간담불화(肝膽不和)로
옆구리가 당기며 통증이 오고, 입 안이 쓰고, 소화불량, 황달 등.
-, 기혈 운행 장애; 출혈, 기체, 어혈.
-, 수액대사이상; 담음, 수종.
-, 생식 기능 장애; 여자 월경 부조, 남자 정액 배설이 원활치 않음.
(2) 간장혈(肝藏血); 혈액을 저장하고, 혈류량을 조절함.
➀ 생리적 의의
-, 혈액저장; 간양(肝陽)을 억제하여 출혈을 방지함.
-, 혈류량을 조절; 혈류량을 조절하여, 유관 조직 기관에 영양을 제공함.
➁ 병리적 의의
-, 혈액 저장의 기능을 상실하면 출혈이 일어남.
-, 간에 피가 부족하면, 머리 눈이 어지러우며, 신체가 마비되고 피곤하며, 여자는 월경량이
적어지며 폐경에 이름.
2) 심장(心臟); 군주지관(君主之官)
(1) 심주혈맥(心主血脈); 피가 혈관에서 흘러 가도록 함.
➀ 생리적 의의
-, 심장의 기운이 충분함. 혈액이 충만. 혈관 안이 잘 통해야 함.
-, 심장박동정상.
-, 피가 전신을 잘 흘러가면 전신에 대한 영양(營養) 자윤(滋潤), 정력이 충만. 얼굴엔 윤택
이 나며, 혀는 담홍색이며 윤택이 남. 맥은 부드럽고 힘이 있음.
➁ 병리적 의의
-, 심기부족(心氣不足), 심혈부족(心血不足); 심황(심황), 심계(심계), 권태 피로(권태 피로),
얼굴 색이 빛이 없음, 혀는 색이 윤택이 없음, 맥은 가늘고 힘이 없음.
-, 심기부족(心氣不足), 심혈이 막힘.; 심장 부위 답답한 통증, 얼굴 색이 어두움, 혀는 청자
색, 맥은 원활치 않음.
(2) 심장신(心藏神); 심장은 사람의 정신 의식, 사유 활동을 주관함.
➀ 생리적 의의
-, 정신 활동을 주관; 정신이 맑고, 생각이 민첩하며, 반응이 영민함.
-, 인체 생리 활동에 영향; 오장 육부(五臟 六腑), 형체(形體), 관규(官竅) 등 기능활동이

- 2 -
정상이며, 심장과 협조하여 균형을 이루면 전신이 평안함.
➁ 병리적 의의
-, 심신실상(心神失常); 정신착란(精神錯亂) 및 이상(異常)
-, 혈불양신(血不養神), 심신불안(心神不安); 심계(心悸), 실면(失眠), 다몽(多夢).
-, 심신불명(心神不明); 장부기능문란(臟腑機能紊亂), 형체(形體) 관규(官竅)기능장애(機能障
碍)
3) 비장(脾臟); 창름지관(倉廩之官)
(1) 비주운화(脾主運化); 음식물을 소화 흡수하여 그 정미(精微) 수액(水液)을, 심장(心臟) 폐
(肺) 가지 운송하여 전신에 퍼지도록 함.
➀ 생리적 의의
-, 운화에는 수곡정미(水穀精微)와 수액(水液)을 포함하고 있음.
-, 인체의 영양(營養)물질대사와 수액대사에 관계됨.
-, 기혈진액(氣血津液)을 만들어 내는 근원임.
-, 비주운화(脾主運化)는 비기(脾氣)의 영향을 받음. 따라서 운화(運化) 기능이 정상이 되려
면 비기(脾氣)가 충만해야함.
➁ 병리적 의의
-, 소화흡수장애(消化吸收障碍); 복창(腹脹), 변당(便溏), 면황(面黃), 식욕부진 등.
-, 수액대사장애(水液代射障碍); 담음(痰飮), 수종(水腫) 등.
(2) 비주승청(脾主昇淸); 수곡정미(水穀精微)를 흡수하여 심폐(心肺)로 올려보내 기혈을 만들어
영양을 전신으로 공급함.
➀ 생리적 의의
-, 정미(精微)를 흡수 전수, 화생(化生) 기혈(氣血), 영양 전신(營養全身)하여 생명 활동 유
지함.
-, 고섭(固攝) 내장(내장); 내장 기관이 항상 제 위치에 있도록함.
➁ 병리적 의의
-, 비불승청(脾不昇淸); 복창(腹脹), 설사(泄瀉), 두혼(頭昏), 목현(目眩) 등.
-, 비기하함(脾氣下陷); 내장하수(內臟下垂), 탈항(脫肛), 오랜 설사 등.
(3) 비주통혈(脾主統血); 비장은 혈액이 혈관 안에서 흐르도록 통섭(統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
➀ 생리적 의의; 통(統)은 통섭(統攝) 즉 컨트롤한다는 뜻이며, 즉 혈액이 혈관 밖으로 벗어
나지 않토록 하여 혈관 안에서 운행하도록 하는 것임.
➁ 병리적 의의; 비기(脾氣)가 부족하여 섭혈(攝血)을 할 수 없음. 변혈(便血), 뇨혈(尿血), 붕
루(崩漏), 피하출혈(皮下出血) 등.
4) 폐(肺); 상부지관(相傅之官)
(1) 폐주 선발 숙강(肺主宣發肅降); 선발(宣發)은 선포(宣布)와 발산(發散)을 가리키며 이는 폐
기의 상행성 확산과 외향성 산포임. 숙강(肅降)이란 청숙(淸淑), 청결(淸潔), 하강(下降)이며, 이는
폐기의 하강(下降)과 호흡기의 청결(淸潔)을 유지하는 것임.
➀ 생리적 의의
-, 탁기배설(濁氣排泄)
-, 수곡정미(수곡정미(水穀精微)를 전신으로 산포.
-, 위기(衛氣)를 선발, 피부 개합(開闔), 대사를 마친 진액을 땀으로 배출, 체온 조절 등.

- 3 -
➁ 병리적 의의
-, 호기불리(呼氣不利), 흉민(胸悶), 해수 및 코막힘, 재채기 등.
-, 무한(無汗)
(2) 폐주기(肺主氣) 사호흡(司呼吸); 폐는 기의 주재와 호흡의 담당으로써 일신지기(一身之氣)
와 호흡지기(呼吸之氣)를 포괄함.
➀ 생리적 의의
-, 폐주일신지기(肺主一身之氣)는 종기(宗氣)의 생성과 관련됨. 폐의 일호이흡(一呼一吸)의
절율(節率)은 전신의 기기(氣機)에 중요한 조절 작용을 함.
-, 폐사호흡지기(肺司呼吸之氣) 즉 폐는 기체(氣體) 교환의 장소임. 청기(淸氣)를 받아 들이
고 탁기(濁氣)를 내보냄.
➁ 병리적 의의
-, 페실선강, 호흡이상(肺失宣降, 呼吸異常); 호흡불창(呼吸不暢), 해수, 기천(氣喘) 등.
-, 일신지기(一身之氣)의 부족(不足); 목소리에 힘이 없음, 호흡에 힘이 없음, 전신이 권태롭
고 힘이 없음.
(3) 폐주통조수도(肺主通調水道); 통(通)은 소통(疏通)이고, 조(調)는 조절(調節)임. 수도(水道)
는 수액이 운행되고 배설(排泄)되는 통로임.
➀ 생리적 의의
-, 폐의 선발(宣發) 공능에 의해 진액(津液)과 수곡정미(水穀精微)가 온 몸으로 선포(宣布)
될 뿐 아니라, 주리(腠理)가 열려 땀이 배설됨.
-, 폐의 숙강(肅降)에 의해 흡입된 청기(淸氣)가 신장(腎臟)으로 수납될 뿐 아니라 체내의
수액이 하부로 수송되어 오줌이 생성되는 근원이 됨.
➁ 병리적 의의; 폐가 선발(宣發) 숙강(肅降) 공능을 잃게 되면, 통조수도(通調水道) 공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수액(水液)의 수포(수포)와 배설(배설)에 장애가 생겨남. 따라서 담음(痰飮), 무
한(無汗), 오줌이 적음, 수종 등이 나타남.
(4) 폐조백맥(肺朝百脈); 조(朝)는 모은 다는 뜻임. 그래서 폐조백맥(肺朝百脈)은 온 몸의 혈액
이 경맥을 통과하고 폐로 모여서 폐의 호흡 공능에 의해서 기체의 교환이 이루어진 다음에 전신
으로 수포됨을 말함.
➀ 생리적 의의; 심장을 도와서 혈액이 운행 되도록 함. 혈(血)이 운행 되기 위해서는 기
(氣)의 추동(推動)이 필요함. 폐가 일신지기(一身之氣)를 주재하므로 혈액의 운행은 폐기의 추동
(推動)에 의지함.
➁ 병리적 의의; 폐가 선발(宣發) 숙강(肅降) 공능 잃게되면 혈행(血行)에 장애(障碍)가 일어
남. 따라서 해수기천(咳嗽氣喘), 심계흉민(心悸胸悶), 순설청자색(脣舌靑紫色).
(5) 폐주치절(肺主治節); 치절(治節)은 관리와 조절을 말함. 폐는 심장을 도와서 전신을 관리하
고 조절함.
➀ 생리적 의의
-, 호흡 운동을 주재
-, 전신의 기기(氣機), 승강출입(昇降出入)을 조절함.
-, 심장을 도와 혈액의 운동을 추동하고 조절함.
-, 수액의 수포(輸布)와 배설(排泄) 조절.
➁ 병리적 의의; 호흡(호흡), 수액대사(수액대사) 및 기혈 운행(기혈 운행)의 이상(이상).
5) 신장(腎臟); 요자신지부(腰者腎之府)

- 4 -
(1) 신장정(腎藏精); 정기(精氣)를 저장함.
➀ 생리적 의의
-, 생장(生長), 발육(發育), 생식(生殖); 신장의 정기가 신체의 성장, 발육, 생식의 물질 기초
임.
-, 신음(腎陰), 신양(腎陽)을 만들어냄; 신음(腎陰), 신양(腎陽)은 인체 음양(陰陽)의 근본임.
-, 뇌수(腦髓)를 만들어냄; 신정(腎精)이 충만할 때 뇌수(腦髓) 역시 충만함. 눈과 귀가 밝아
지고, 생각이 민첩해지며, 기억력이 좋아짐.
-, 화혈(化血); 피를 만들어냄. 따라서 신정(腎精)이 충만하면 피 역시 충만함.
➁ 병리적 의의
-, 신중정기부족(腎中精氣不足); 어린애의 성장 발육이 불량 지체, 어른은 조노(早老), 성기
능 감퇴, 남녀 불임증, 머리 어지러움, 이명(耳鳴), 기억력 감퇴, 혈허, 유정(遺精), 요슬산연(腰膝
酸軟), 부종(浮腫), 유뇨실금(遺尿失禁) 등.
(2) 신주수(腎主水); 전신의 수액대사(水液代謝)를 주재하는 기능과 신중정기(腎中精氣)의 증등
기화(蒸騰氣化) 공능을 말하며, 체내 진액(津液)의 수포 배설 및 체내 진액 대사의 평형 유지를
위한 중요한 조절 작용을 말함.
➀ 생리적 의의
-, 신양(腎陽)의 온후(溫煦), 추동(推動) 기타 장부의 기화 공능.
-, 신(腎) 본래의 증등기화(蒸騰氣化)와 오줌의 생성, 배설에 직접 관련.
➁ 병리적 의의
-, 오줌량 감소, 부종(浮腫), 소변청장(小便淸長), 오줌량 증가.
(3) 신주납기(腎主納氣); 납(納)은 고섭(固攝), 수납(受納)의 뜻임.
➀ 생리적 의의
-, 폐에 의해 흡입된 청기(淸氣)를 수납하여 호흡이 얕아지는 것을 방지함.
-, 폐의 호흡은 알정한 심도가 유지되어야함. 신(신)의 납기 기능이 정상이어야 호흡이 균일
하게 조화됨.
➁ 병리적 의의
-, 신불납기(腎不納氣); 천식, 호다흡소(呼多吸少)
3. 육부(六腑)
-, 육부(六腑)는 담(膽), 소장(小腸), 위(胃), 대장(大腸), 방광(膀胱), 삼초(三焦)의 총칭임.
-, 이들은 음식물을 소화 시켜 조박(糟粕)으로 전화한다는 점에서 기능이 동일함.
-, 실이불능만(實而不能滿)
-, 부병다실(腑病多實); 치부병(治腑病), 이통위용(以通爲用)
1) 담(膽); 중정지부(中精之腑)
-, 결단(決斷)을 주재하는 중하부의 장기이며, 기항지부에 속함.
-, 담(膽)은 간(肝)과 이웃하여 간(肝)의 단엽 사이에 부착되어 있음.
(1) 생리 기능
➀담즙의 배설과 분비.
➁ 비위(脾胃)의 수곡(水穀)에 대한 소화를 도움.
➂ 강직(剛直), 결단(決斷), 사물판단, 결정 등을 주재.
(2) 병리; 담즙 분비의 이상(異常)
➀ 담즙이 위로 올라옴; 입안이 씀. 담즙을 토함.

- 5 -
➁ 황달
➂ 식후 복부 팽만, 식욕부진.
2) 소장(小腸); 수성지관(受盛之官)
-, 청탁(淸濁)의 분별과 화물(化物)의 수성을 주재함.
-, 상당히 긴 소화관으로 복강(腹腔)에 위치하는데 상구(上口)는 유문(幽門) 부위에 있어 위(胃)
의 하구(下口)와 연접하고, 하구(下口)는 대장(大腸)의 상구(上口)와 연접되어 있음.
(1) 생리 기능
➀ 수성화물(受盛化物)
-, 수성(受盛); 소장(小腸)은 위(胃)에서 기초적인 소화가 이루어진 음식물을 접수(接受). 음
식물은 다시 소장(小腸)에서 장시간 체류하면서 소화 흡수를 진전.
-, 화물(化物); 소장(小腸)은 우l(胃)로부터 전달 받은 음식물에 대하여 소화를 진일보 시켜
수곡정미(水穀精微)를 만듦.
➁ 비별청탁(泌別淸濁)
-, 비(泌)는 분비(分泌)의 뜻이고, 별(別)은 분별(分別)의 뜻임.
-, 소화(消化)를 진일보 시킨 뒤에 수곡정미(水穀精微)와 찌꺼기로 구분.
-, 수곡정미(水穀精微)는 흡수, 찌꺼기는 대장(大腸)으로 수송(輸送)
-, 수곡정미(水穀精微)를 훕수하는 동시에 다량의 수액(水液)을 흡수.
(2) 병리
➀ 탁기(濁氣)가 상부(上部)로 몰림; 복창(腹脹), 복통(腹痛), 구토(嘔吐), 변비(便秘) 등.
➁ 탁기(濁氣)가 하부(下部)로 몰림; 변당(便溏), 설사 등.
3) 위(胃); 태창(太倉), 수곡지해(水穀之海)
-, 수곡(水穀)을 부숙(腐熟)하고 수납(受納)을 주재하는 곡식 창고임.
-, 위완(胃脘)이라고도 불리며, 상완(上脘) 중완(中脘) 하완(下脘)의 세 부위로 나뉨.
-, 위의 상부는 상완(上脘)으로써 분문(噴門)을 포함하고, 중부는 중완(中脘)으로써 위의 본체
부분이며, 위의 하부는 하완(下脘)으로써 유문(幽門)을 포함 함.
(1) 생리 기능
➀ 수곡(水穀)을 수납(受納), 부숙(腐熟); 음식물에 대한 초보적인 소화 상태인 식미(食糜)로
만듦.
➁ 통강(通降); 식미(食糜)를 소장으로 수송함.
(2) 병리
-, 구취, 완복창만(脘腹脹滿) 또는 통증, 대변비결(大便秘結), 트림, 딸꾹질, 속이 메스꺼움, 구
토 등.
4) 대장(大腸); 전도지관(傳導之官)
-, 조박(糟粕)을 전화(傳化)하고 변화를 주재하는 전도지관(傳導之官)임.
-, 복강에 위치하며, 상구(上口)는 소장과 연결되고, 하구(下口)는 항문에 연결 됨.
(1) 생리 기능
➀ 전화조박(傳化糟粕); 대변의 형성 및 배출.
➁ 수분 흡수(水分吸收); 소량의 수분 흡수, 수액 대사의 조절.
(2) 병리
➀ 전도 이상(傳導異常); 변비(便秘), 변당(便溏).
➁ 대장과 표리(表裏)관계인 폐의 숙강(肅降) 작용 이상(異常); 변비, 변당 등.

- 6 -
5) 방광(膀胱); 주도지관(州都之官)
-, 진액(津液)을 저장하고, 기화(氣化)를 주재하는 주도지관(州都之官)임.
-, 방광(膀胱)은 소복(小腹)의 중앙에 위치하여 오줌을 저장하는 기관으로써 신장(腎臟)과 직
접 연결 되어 있음.
(1) 생리 기능
➀ 오줌의 저장과 배설
➁ 오줌은 진액이 변화된 것임.
➂ 오줌은 신장(腎臟)의 기화(氣化) 작용에 의해 생성되어 방광(膀胱)으로 수송됨.
➃ 오줌은 방광에서 일정 기간 머문 다음 배출됨.
➄ 방광의 기능은 전적으로 신장(腎臟)의 기화(氣化)에 의존함.
(2) 병리
-, 뇨급(尿急), 빈뇨(頻尿), 뇨통(尿痛), 소변불리(小便不利), 유뇨(遺尿), 뇨폐(尿閉)
6) 삼초(三焦); 결독지관(決瀆之官)
-, 수도(水道)를 소통하고 기혈의 순환을 주재하는 결독지관(決瀆之官)인 삼초(三焦)는 육부(六
腑) 가운데 하나로써 이름만 있고 형체가 없음.
-, 모든 기를 주지하여 전신의 기기(氣機)와 기화(氣化)를 통솔함.
-, 결독지관(決瀆之官)에서 결(決)은 소통(疏通)의 뜻이고 독(瀆)은 도랑이란 뜻임.
(1) 생리 기능
➀ 통행원기(通行元氣); 원기(元氣) 운행의 통로임. 인체의 기기(氣機)와 기화(氣化)의 총괄
임.
➁ 소통수도(疏通水道); 기(氣)와 수액(水液)의 승강출입(昇降出入)의 운행 통로임.
(2) 삼초의 부위
➀ 상초(上焦); 횡격막 이상(심장과 폐, 두부를 포괄함)- 상초여무(上焦如霧)
➁ 중초(中焦); 횡격막에서 배꼽 까지를 이름(비, 위, 간, 담을 포괄함)- 중초여구(中焦如漚)
➂ 하초(下焦); 배꼽 아래( 소장, 대장, 신장, 방광을 포괄함)- 하초여독(下焦如瀆)
(3) 병리; 전신의 기화(氣化) 활동에 영향을 미침.

■ 정리하기
1. 장상학설의 개념
1) 장(藏); 체내의 장기(臟器)
2) 상(象); 밖으로 드러나는 생리, 병리 현상.
2. 오장(五臟); 간, 심장, 비장, 폐, 신장
1) 간의 공능; 간주소설(肝主疏泄), 간장혈(肝藏血)
2) 심장의 공능; 심주혈맥(心主血脈), 심장신(心藏神)
3) 비장의 공능; 비주운화(脾主運化), 비주승청(脾主昇淸), 비주통혈(脾主統血)
4) 폐의 공능; 폐주 선발(宣發) 숙강(肅降), 폐주기(肺主氣) 사호흡(司呼吸), 폐주통조 수도(肺主
通調水道), 폐조백맥(肺朝百脈), 폐주치절(肺主治節)
5) 신장의 공능; 신장정(腎藏精), 신주수(腎主水), 신주납기(腎主納氣)
3. 육부(六腑); 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
1) 담의 공능; 담즙의 저장과 분비
2) 소장의 공능; 수성화물(受盛化物), 비별청탁(泌別淸濁)

- 7 -
3) 위의 공능;; 수곡(水穀)을 수납(受納) 부숙(腐熟), 통강(通降)
4) 대장의 공능; 전화조박(傳化糟粕), 수분흡수(水分吸收)
5) 방광의 공능; 오줌의 저장과 배뇨
6) 삼초(三焦)의 공능과 부위
(1) 삼초의 공능; 통행원기(通行元氣), 소통수도(疏通水道)
(2) 삼초의 부위
➀ 상초(上焦); 횡격막 이상-심과 폐 및 두부를 포괄함
➁ 중초(中焦); 횡격막에서 배꼽 까지- 비, 위, 간, 담을 포괄함
➂ 하초(下焦); 배꼽 아래 - 소장, 대장, 신장, 방광을 포괄함

참고문헌

이승호외 6명, 『동양의학이야기』, 신일서적(주)


주춘재, 『한의학입문』, 청홍
신동원, 『한의학강론』, 신일북스

저작물명 저작자명 출처 종류 이용형태 이용량


이미 복제 및
관련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www.iclickart.co.kr 10컷
지 전송

- 8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