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제 2주; 동양의학의 철학적 기초- 정기학설(精氣學說), 음양학설(陰陽學說), 오행학설(五行學說)

■. 학습목표
1. 정기학설에 대한 이해
2. 음양학설에 대한 이해
3. 오행학설에 대한 이해
■. 학습내용
1. 정기학설(精氣學說)
2. 음양학설(陰陽學說)
3. 오행학설(五行學說)
■. 학습하기
1. 정기학설(精氣學說)
-. 기(氣)란 일체의 형체가 없으며, 끊임없이 운동을 하는 물질임.
-. 기(氣)중에서 정수(精粹)를 정기(精氣)라 함.
1) 정기학설(精氣學說)의 주요 내용
(1) 기(氣)는 우주 만물을 구성하는 근본임.
➀ 모든 사물은 기(氣)로 만들어짐.
➁ 천지간의 만물은 기(氣)에 의해서 생겨남. 즉 천지간의 만물은 하늘의 양기(陽氣)가 아래
로 내려가고 땅의 음기(陰氣)가 위로 올라가서 양(陽)과 음(陰)의 교감에 의해서 생겨남.
(2) 기(氣)의 끓임 없는 운동과 변화
➀ 기기(氣機); 기(氣)의 운동
➁ 기(氣)의 운동형식; 승(昇), 강(降), 출(出), 입(入)
➂ 기화(氣化); 기(氣)의 운동을 통하여 생겨나는 각종각양의 필연적인 변화.
➃ 기(氣)의 운동과 기화(氣化)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 왜냐하면 기의 운동인 승(昇), 강(降),
출(出), 입(入)을 통해서 비로소 기화가 일어남.
➄ 예를 들어 동물의 성장 발육, 식물이 자라서 꽃을 피고 열매를 맺고 하는 것등 모두 기
화(기화)라 할 것임.
➅ 즉 기기(氣機)와 기화(氣化)는 영원히 멈추지 않는 것임.
(3) 기(氣)는 천지 만물의 상호 연계를 중재함.
➀ 천지 만물은 각각의 독립된 개체이나 그 사이에 충만한 기(氣)에 의해서 연계됨.
➁ 기(氣)가 만물을 연계함으로써 비로소 만물은 서로 감응을 하게 됨.
➂ 예를 들어 자석이 쇠덩이를 빨아 들이는 것. 악기가 울리고 소리를 내는 것. 해와 달에
의한 낮과 밤 밀물과 썰물 등.
➃ 이 모든 것이 기(氣)에 의해서 생겨나는 상호 감응에 의한 자연 현상인 것임.
(4) 하늘과 땅사이의 정기(精氣)에 의해서 인간이 만들어짐.
➀ 인간은 하늘과 땅의 정기(精氣)가 서로 합해져서 만들어짐.
➁ 하늘과 땅의 정기(精氣)가 인체를 구성하는 기본 물질임.
2) 정기학설(精氣學說)의 동양의학에서의 응용
(1) 정기(精氣)는 인체 생명활동의 동력임.
-. 인간의 오장(五臟) 육부(六腑) 형체(形體) 관규(官竅) 혈(血)과 (津液) 등 모든 형체가 있
고 정체(靜體)되 있는 물질들은 기(氣)의 움직임에 따라서 비로소 활동을 하게됨.
예) 심장이 피를 움직이는 것, 폐가 호흡을 주관하는 것, 비위의 소화 흡수 기능, 신장이 선
천의 기(氣)를 저장하는 것, 간이 기(氣)의 운동을 주관하는 것 등.
(2) 정기(精氣)가 충족하면 생명활동이 충만함.
➀ 사람은 태어나기 전에는 어머니 한테서 선천(先天)의 정기(精氣)를 받음.
➁ 사람이 태어난 후에는 폐를 통하여 자연의 청기(淸氣)를 받아 들임.
➂ 사림이 태어난 후에는 또한 비위를 통하여 수곡(水穀)의 정기(精氣)를 받아 들임.
➃ 이상 세가지가 합해져서, 기화(氣化)를 통하여 인체의 정기(精氣)가 만들어짐.
(3) 인체에서 기(氣)의 운동은 서로 협조하고, 원활하여야 함.
➀ 인체에서의 기(氣)의 운동은 자연계와 마찬가지로 승(昇) 강(降) 출(出) 입(入) 4종의 형
식으로 이루어짐.
➁ 승(昇) 강(降) 출(出) 입(入)이 평형을 유지하면 건강한 상태이고, 평형이 깨졌을 땐 병리
상태가 되는 것임.
예) 기역(氣逆); 승(昇)이 세고, 강(降)이 약함- 기침, 천식, 딸꾹질, 구토 등
기함(氣陷); 승(昇)이 약하고, 강(降)이 셈.- 탈항, 위하수, 자궁하수 등
➂ 기(氣)의 운행이 원활하면 혈과 진액(津液)의 흐름이 원활하여 건강한 상태임. 만약 기(氣)
의 운행이 원활하지 못하면 기가 울체(鬱滯)되어 답답하고, 당기며, 통증이 나타남.
➃ 그리고 기(氣)의 울체(鬱滯)가 오래 되면 어혈(瘀血) 또는 담음(痰飮)이 생겨남.

2. 음양학설(陰陽學說)
1) 음양(陰陽)의 기본개념
(1) 음양()의 개념
➀ 음양(陰陽)은 구체적인 물질이 아니라 자연계의 상호관련된 어떤 사물 또는 현상의 서
로 대립되는 쌍방에 대한 개괄임.
➁ 두 개의 상호 대립된 사물을 나타내기도 하고 또는 한 개 사물내의 상호 대립된 두 방면
을 나타내기도함.
예) 음(陰); 물, 차고 서늘함, 정(靜), 하(下), 암(暗), 땅, 달, 여자, 추동(秋冬)
양(양); 불, 뜨겁고 따뜻함, 동(動), 상(上), 명(明), 하늘, 해, 남자, 춘하(春夏)
(2) 사물에서 음양 속성은 절대적이 아니고 상대적임.
➀ 일정 조건하에서 상호전화(相互轉化); 한극생열(寒極生熱), 열극생한(熱極生寒).
➁ 음양(陰陽)은 무한하게 나눌 수 있음.
예) 음(陰)- 밤(夜); 상반야(上半夜)- 음중의 음(陰中의陰)
; 하반야(下半夜)- 음중의 양(陰中의 陽)
양(陽)- 낮(晝); 상오(上午)- 양중의 양(陽中의 陽)
하오(下午)- 양중의 음(陽中의陰)
2) 음양학설(陰陽學說)의 기본내용
(1) 음양(陰陽)의 대립제약(對立制約)
➀ 음양(陰陽)은 상호 대립 즉 상반(相反)된 것임. 예를 들어 하늘과 땅, 동(動)과 정(靜), 출
(出)과 입(入), 밤과 낮, 물과 불, 한(寒)과 열(熱) 등.
➁ 음양(陰陽)의 상호제약(相互制約); 상호제약은 상반(相反)에 의해서 일어남. 예를들어 뜨
거운 것이 찬 것을 몰아냄. 찬 것이 뜨거운 것을 몰아냄. 물이 불을 소멸시킴. 불이 물을 기화
시킴.
➂ 이러한 음양(陰陽)의 상호대립 제약(相互對立制約)에 의해서 사물은 그 평형을 이룰 수
있음.
➃ 인체의 생리 기능에 있어서도 양(陽)인 흥분과 음(陰)인 억제가 그 평형을 유지할 때 정
상적인 생리 상태임.
(2) 음양(陰陽)의 호근호용(互根互用); 음양(陰陽)은 상호 의존적임.
➀ 음양호근(陰陽互根); 음양(陰陽)은 어느 일방이 단독으로 이탈할 수도 없으며, 단독으로
존재할 수가 없음. 즉 상대방의 존재가 곧 자기존재의 전제 조건임. 예를 들어 하늘이 없으면 땅
이 없고, 위가 없으면 아래가 없고, 열(熱)이 없으면 한(寒)이 없는 등.
➁ 음양호용(陰陽互用); 음양(陰陽) 쌍방(双方)은 서로 끊임 없이 서로를 생겨나게하고, 촉진
하고, 커나가도록함.
(3) 음양(陰陽)의 소장평형(消長平衡); 일정 한도내에서 음양은 차소피장(此消彼長), 차장피소
(此長彼消)의 상대적 평형을 이룸. 이 평형이 깨졌을 때 자연계에서는 재해가 일어나고, 인체에
서는 질병이 발생함.
예) 자연계; 홍수- 과한(過寒), 가뭄- 과열(過熱)
인체; 열병(熱病), 한병(寒病), 허증(虛症), 실증(實證)
(4) 음양(陰陽)의 상호전화(相互轉化); 음양(陰陽)은 일정한 조건하에서 상대방 속성으로 전화
함.
➀ 양(陽)의 성질이 음(陰)의 성질로 바뀌고, 음(陰)의 성질이 양(陽)의 성질로 바뀌는 것임.
➁ 음양(陰陽)의 소장평형(消長平衡)의 결과임. 음양(陰陽)의 소장평형(消長平衡)은 양(量)의
변화라면 상호전화(相互轉化)는 질(質)의 변화임.
➂ 질병의 발전 과정 중에서도 일어남. 예를 들어 표증(表證)과 리증(裏證), 열증(熱證)과 한
증(寒證), 허증(虛證)과 실증(實證) 등.
3) 음양학설(陰陽學說)의 동양의학에서의 응용
(1) 인체의 구조
➀ 인체의 장부조직(臟腑組織)
양(陽); 인체의 상부, 체표, 등, 사지외측, 육부(六腑)
음(陰); 인체의 하부, 체내, 배, 사지내측, 오장(五臟)
➁ 인체의 경락(經絡)계통
양(陽); 수삼양경(手三陽經), 족삼양경(足三陽經), 독맥 등.- 사지외측(四肢外側), 등쪽.
음(陰); 수삼음경(手三陰經), 족삼음경(足三陰經), 임맥 등.- 사지내측(四肢內側), 배쪽.
(2) 인체의 생리 기능
➀ 인체의 정상적인 생명활동은 음양(陰陽)이 서로 대립하면서 협조하고 평형을 유지하는 것
임.
➁ 인체의 기능과 물질을 대비해 보면 기능(機能)은 양(陽)에 속하고, 물질은 음(陰)에 속함.
➂ 인체의 생리 활동에는 물질이 필요하며, 물질이 없으면 기능이 발생하지 않음.
➃ 생리활동의 결과는 끓임 없이 물질의 신진대사를 촉진함.
➄ 인체의 기능과 물질의 관계는 음양(陰陽)상호간의 의존과 소장의 관계임.
➅ 음(陰)과 양(陽)이 분리되면 생명활동이 정지됨.
(3) 인체의 병리적 변화(病理的 變化)- 음양실조(陰陽失調)
➀ 인체내 음양(陰陽)의 소장평형(消長平衡)이 정상 생명 활동의 기본 조건임.
➁ 음양실조(陰陽失調)가 일체 질병 발생의 기본 원리임.
➂ 음양편성(陰陽偏盛); 음양편성(陰陽偏盛)이란 즉 음사(음사)와 양사(양사) 어는 한 쪽이 극
성하여 정상 수준을 벗어난 상태임.
-. 양성 즉 열(陽盛則熱), 양성즉 음병(陽盛則陰病)
-. 음성 즉 한(陰盛則寒), 음성 즉 양병(陰盛則陽病)
-. 양사편성(陽邪偏盛)은 실열증(實熱證)
-. 음사편성(陰邪偏盛)은 실한증(實寒證)
➃ 음양편쇠(陰陽偏衰); 음양편쇠(陰陽偏衰)란 음(陰)과 양(陽) 어느 한 쪽이 약해진 상태를
말함.
-. 양허 즉 한(陽虛則寒); 양기(陽氣)가 허해진 상태를 말함. 즉 양(陽) 허(虛)해져서 상대적
으로 음(陰)이 강해져 보임. 따라서 한증(寒證)이 나타남. 이를 허한증(虛寒證)이라 함.
-. 음허 즉 열(陰虛則熱); 음기(陰氣)가 허해진 상태임. 즉 음(陰)이 허해져서 상대적으로 양
(陽)이 강해져 보임. 따라서 열증(熱證)이 나타남. 이를 허열증(虛熱證)이라 함.
➄ 음양호손(陰陽互損)
-. 음허(陰虛)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양(陽)도 생겨나지 않음. 따라서 양허(陽虛) 증상도
나타남.이를 음손급양(陰損及陽)이라 함.
-. 양허(陽虛)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음도 생겨나지 않음. 따라서 음허(陰虛) 증상도 나
타남. 이를 양손급음(陽損及陰)이라 함.
-. 최종적으로 음양양허(陰陽兩虛)에 이르게 됨.
(4) 질병 치료에서의 응용
➀ 치료원칙(治療原則); 음양조정(陰陽調整)
➁ 음양편성(陰陽偏盛); 실증(實證)이기 때문에 거사(祛邪) 즉 사기를 몰아냄.
-. 음편성(陰偏盛) 즉 실한증(實寒證). 열성 약으로 치료함. 한자열지(寒者熱之).
-. 양편성(陽偏盛) 즉 실열증(實熱證). 한성 약으로 치료함. 열자한지(熱者寒之).
➂ 음양편쇠(陰陽偏衰); 허증(虛證)이기 때문에 부정(扶正) 즉 정기(正氣)를 보해야 함.
-. 음허(陰虛) 즉 허열증(虛熱證). 보음약(補陰藥)으로 치료.
-. 양허(陽虛) 즉 허한증(虛寒證). 보양약(補陽藥)으로 치료.
➃ 음양양허(陰陽兩虛); 보음(補陰)과 보양(補陽).
(5) 약물 성능에서의 응용.
➀ 사기(四氣); 음(陰)- 한(寒) 량(凉), 양(陽)- 열(熱) 온(溫)
➁ 오미(五味); 음(陰)- 산(酸) 고(苦) 함(鹹), 양(陽)- 신(辛) 감(甘)
3. 오행학설(五行學說)
1) 오행(五行)의 기본개념; 오(五)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 물질을
가리키며, 행(行)은 운동 변화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오행(五行)이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다섯 가지 물질의 운동 변화 상호 관계를 말함.
2) 오행(五行)의 특성
(1) 목왈 곡직(木曰曲直); 곡직(曲直)은 나무가 자라는 모습을 가리키는 것으로써, 나무는 줄기
와 가지가 곧게 뻗으면서 상부와 외부로 고르게 펼쳐짐. 때문에 생장(生長), 승발(升發), 조달(條
達) 등의 기능이나 속성을 지니는 사물은 모두 목(木)에 속한다고 본 것임.
(2) 화왈 염상(火曰炎上); 염상(炎上)은 화(火)가 온열(溫熱)과 상승(上昇)의 특성을 지니고 있
기 때문에 온열(溫熱), 승등(昇騰)의 작용을 하는 모두 화에 속한다고 봄.
(3) 토왈 가색(土曰稼穡); 가색(稼穡)은 토(土)에 농작물을 파종하고 수확하는 작용이 있음을
가리킴. 따라서 생화(生化), 승재(承載), 수납(受納)의 작용이 있는 사물은 모두 토(土)에 속한다
고 봄. 또한 토재사행(土載四行) 즉 토(土)는 사행(四行)을 실고 있으므로 만물은 토(土)에서 생
겨나 토(土)에서 죽음. 토(土)는 만물의 어미라 함.
(4) 금왈 종혁(金曰 從革); 종혁(從革)은 변혁(變革)을 뜻함. 따라서 청결(淸潔), 숙강(肅降), 수
렴(收斂) 등의 작용이 있는 사물은 모두 금(金)에 속한다고 봄.
(5) 수왈 윤하(水曰 潤下); 윤하(潤下)는 수(水)가 자윤(滋潤)과 하향(下向)의 특성을 지니고 있
음을 말함. 따라서 한량(寒凉), 자윤(滋潤), 하향(下向)의 운동을 하는 사물은 모두 수(水)에 속한
다고 봄.
3) 사물의 오행(五行) 속성 분류
-. 오행학설(五行學說)은 오행의 특성으로서 사물의 오행 속성을 설명함. 즉 사물의 성질 및
작용을 오행의 특성과 비교하여 얻어진 사물 자체의 특성을 오행으로 분류함.
(1) 방위(方位); 동(東), 남(南), 중(中), 서(西), 북(北)
➀ 동쪽은 해가 뜨는 곳으로 목(木)의 승발(昇發) 특성과 유사함.
➁ 남쪽의 더운 기운은 화(火)의 염상(炎上)의 기운과 같음.
➂ 중앙(中央)은 사방으로 받아 들이고 있는 모습이 토(土)와 같음.
➃ 서쪽은 해가 서쪽으로 지는 것이 금(金)의 숙강(肅降)과 같음.
➄ 북쪽은 춥기 때문에 수(水)의 한량(寒凉)과 특성이 같음.
(2) 오장(五臟); 간(肝), 심장(心臟), 비장(脾臟), 폐(肺), 신장(腎臟)
➀ 간(肝)은 조달(條達)하기를 좋아하고 속박되는 것을 싫어하여 소설(疏泄)하는 작용을 하므
로 목(木)에 귀속됨.
➁ 심장은 따뜻하게 하는 작용을 하므로 심장(心臟)은 화(火)에 귀속됨.
➂ 비장(비장)은 수곡(水穀)의 정미(精微)를 운화(運化) 수송하고, 오장 육부와 사지백해를 영
양하는 작용을하여 기혈을 화생(化生)하는 근원이므로 토(土)에 속함
➃ 폐(肺)는 청숙(淸肅)하는 성질을 갖추어 숙강(肅降)하므로 금(金)에 속함.
➄ 신장(腎臟)은 장정(藏精), 주수(主水) 등의 기능이 있으므로 수(水)에 속함.
(3) 오색(五色); 목-청(靑), 화- 적(赤), 토- 황(黃), 금- 백(白), 수- 흑(黑)
(4) 오계(오계); 목-춘(春), 화- 하(夏), 토- 장하(長夏), 금- 추(秋), 수- 동(冬)
(5) 육부(六腑); 목- 담(膽), 화- 소장(小腸), 토- 위(胃), 금- 대장(大腸), 수- 방광(膀胱)
(6) 오화(五華); 목- 조(爪), 화- 면(面), 토- 순(脣), 금- 모(毛), 수- 발(髮)
(7) 오관(五官) 오규(五竅); 목- 목(目), 화- 설(舌), 토- 구(口), 금- 비(鼻), 수(수)- 이(耳)
(8) 오액(五液); 목- 루(淚), 화- 한(汗), 토- 연(涎), 금- 체(涕), 수- 타(唾)
(9) 오체(五體); 목- 근(筋), 화- 맥(脈), 토- 육(肉), 금- 피(皮), 수- 골(骨)
(10) 정지(情志); 목- 노(怒), 화- 희(喜). 토- 사(思), 금- 비(悲), 수- 공(恐)
4) 오행(五行)의 상생(相生) 상극(相剋)과 제화(制化).
-. 인체와 사물의 운동 변화에서 정상적인 상호 자생 및 제약의 관계를 설명함. 즉 오행(五行)
간의 고립이 아니라 상생(相生) 상극(相剋)의 연계에 의하여 사물간의 상호 연계, 균형의 정합성
과 통일성을 설명하는 것임.
(1) 상생(相生); 오행(五行) 사이에 질서있게 한 단계씩 자생(資生), 조장(助長), 촉진(促進)함을
뜻함.
예) 목(木)을 기준으로 함. -. 생아(生我); 나를 살리는 것- 수(水), 모자(母子)관계임.
-. 아생(我生); 내가 살리는 것- 화(火), 모자(母子)관계임.
: 오행(五行)의 상생(相生)관계;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
➀ 목 생 화(木生火); 나무는 불을 잘타도록 함.
➁ 화 생 토(火生土); 불은 모든 물질을 태워서 재를 남김. 재는 곧 흙이 됨.
➂ 토 생 금(土生金); 흙은 금(金)을 품고 생성함.
➃ 금 생 수(金生水); 금(金)은 물을 품거나 보호함.
➄ 수 생 목(水生木); 물이 있어야 나무가 성장함.
(2) 상극(相剋); 오행(五行)간에 질서 있게 한 단계를 건너서 상호제약(相互制約) 극제(剋制) 억
제(抑制) 함을 뜻함.
예) 목(木)을 기준으로 함. -. 극아(剋我); 나를 극제하는 것- 금(金)
-. 아극(我剋); 내가 극제 하는 것- 토(土)
➀ 금 극 목(金克木)- 금이 목을 극제(克制); 목득금이벌(木得金而伐)- 도끼로 벌목.
➁ 수 극 화(水克火)- 물이 불을 극제(克制); 화득수이멸(火得水而滅)- 물로 화재 진압.
➂ 목 극 토(木克土)- 목이 토를 극제(克制); 토득목이달(土得木而達)- 목은 토의 양분을 흡
수.
➃ 화 극 금(火克金)- 화가 금을 극제(克制); 금득화이결(金得火而缺)- 불은 금속을 용해.
➄ 토 극 수(土克水)- 흙이 물을 극제(克制); 수득토이절(水得土而絶)- 홍수는 흙으로 막음.
(3) 제화(制化); 오행(五行)간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의 결합을 말함. 상생(相生)과 상극(相
剋)이 서로 협조하여 평형을 유지함으로써 사물의 생화(生化)를 촉진시키는 적극적 작용을 말함.
5) 오행(五行) 사이의 상생(相生), 상극(相剋)의 이상관계(異狀關係)
(1) 상생관계(相生關係)의 이상(異狀)
➀ 모병급자(母病及子); 어미의 병이 자식에 이름.- 상생(相生)과 동일 방향.
➁ 자병급모(子病及母); 자식의 병이 어미에 이름.- 상생과 역방향(逆方向).
(2) 상극관계(相剋關係)의 이상(異狀)
➀ 승(乘); 극(克)의 일방이 지나침- 태과(太過), 극(克)의 일방이 허약함- 불급(不及). 상극
(相剋)과 동일 방향임.
➁ 모(侮); 상극(相剋)과 역방향으로 태과(太過)와 불급(不及)의 역방향임.
6) 오행(五行)을 인체의 생리에 응용
-. 오행(五行)을 생리에 응용하려면 먼저 오장(五臟)을 오행(五行)에 배속해야함.
-. 오행(五行)을 인체와 관련 지우는 핵심적인 근거는 오장(五臟)의 생리적인 특성과 오행(五行)
의 각종 특성간의 상관 관계임.
(1) 목(木)- 간(肝); 목(木)은 위를 향하여 사방으로 펼쳐지는 성질이 강함. 따라서 목(木)은 소
설(疏泄)에 능한 장군지관(將軍之官)인 간과 연계됨.
(2) 화(火)- 심장(心臟); 화(火) 즉 불꽃은 위로 솟구침. 심장(心臟)은 위로 솟구치므로 즉 심화
상염(心火相炎).
(3) 토(土)- 비장(脾臟); 토(土)는 만물의 어미로 만물을 화생함. 사람은 비위(脾胃)의 소화와
흡수에 의해 영양이 공급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음. 아울러 음식물의 소화, 흡수, 배설에는 일
정한 규칙성이 있어 토(土)의 온화하고, 항상적인 특성과 일치함.
(4) 금(金)- 폐(肺); 금속은 소리가 잘나고, 사람의 말과 소리는 폐기의 고동(鼓動)에 의해서 발
생함. 그리고 폐는 연약한 장부로써 화기(火氣)를 무서워함. 따라서 오행(五行)중의 금(金)은 오
장중의 폐에 배합함.
(5) 수(水)- 신장(腎臟); 수(水)의 성질은 정확히 화(화)와 반대임. 수(水)는 아래로 내려감. 사
람이 매일 마시는 수분은 삼초(三焦)를 통하여 아래로 내려간 다음 최종적으로 방광을 경유하여
체외로 배설됨. 신장(腎臟)과 방과(膀胱)의 관계가 밀접하다는 관찰을 통하여 신장(腎臟)을 수장
(水臟)이라 부르며 오행(五行)증의 수(水)에 배합함.
7) 오행(五行)을 인체의 병리에 응용
(1) 상생(相生)관계의 전변(轉變)
➀ 모병급자(母病及子); 어미의 병이 자식에 이름.
예) 신음허(腎陰虛)로 인하여 간음(肝陰)의 자양기능이 쇠퇴함; 간양상항(肝陽上亢)- 수불함
목(水不涵木)
➁ 자병범모(子病犯母); 자식의 병이 어미에 이름.
예) 심화왕(心火旺)으로 인한 간화(肝火); 심간혈허(心肝血虛), 심간화왕(心肝火旺).
(2) 상극(相剋)관계의 전변(轉變)
➀ 상승(相乘); 상극(相剋)과 같은 방향.
-, 극(克)하는 쪽이 지나치게 과도함; 태과(太過).
예) 목왕승토(木旺乘土)- 간기범비위(肝氣犯脾胃).
-, 극(克)을 당하는 쪽이 허약함; 불급(不及)
예) 토허목왕(土虛木旺)- 간기범비위(肝氣犯脾胃)
➁ 상모(相侮); 상극(相剋)과 역방향(逆方向).
-, 극(克) 하는 쪽이 너무 허약함.; 불급(不及).
예) 금허목모(金虛木侮)- 간화범폐(肝火犯肺)
-, 극(克)을 당하는 쪽이 너무 강함.; 태과(太過)
예) 목왕모금(木旺侮金)- 간화범폐(肝火犯肺)
8) 치료에 대한 적용
(1) 상생(相生)관계에 의한 치칙(治則)과 치법(治法)
➀ 치칙(治則)
-, 허즉보기모(虛則補其母); 허증(虛證)
-, 실즉사기자(實則瀉其子); 실증(실증)
➁ 치법(治法)
-, 자수함목법(滋水涵木法)
-, 배토생금법(培土生金法)
-, 금수상생법(金水相生法)
(2) 상극(相剋) 관계에 의한 치칙(治則)과 치법(治法)
➀ 치칙(治則)
-, 억강(抑强); 태과(太過)로 인하여 일어나는 상승(相乘), 상모(相侮)
-, 부약(扶弱); 불급(不及)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상승(相乘), 상모(相侮)
➁ 치법(治法)
-, 억목부토법(抑木扶土法)
-, 배토제수법(培土制水法)
-, 좌금평목법(佐金平木法)
-, 사남보북(瀉南補北法)

■ 정리하기
1. 정기학설(精氣學說); 정기학설의 주요내용과 정기학설의 동양의학에서의 응용.
2. 음양학설(陰陽學說)
1) 음양의 기본개념; 음양의 개념과 사물에서의 음양의 속성은 절대적이 아니고 상대적임.
2) 음양학설의 기본내용; 음양의 상호다립, 음양의 호근호용, 음양의 소장평형, 음양의 상호 전
화.
3) 음양학설의 동양의학에서의 응용; 인체의 구조, 생리, 병리, 질병치료에서의 응용. 약물 성능
에서의 응용.
3. 오행학설(五行學說)
1) 오행의 상생, 상극관계
2) 사물의 오행 속성 분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