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제 4주 장상학(藏象學) 2

■ 학습목표
1. 기항지부(奇恒之腑)와 형체(形體) 관규(官竅)에 대한 이해와 설명
2. 오장(五臟)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와 활용
3. 육부(六腑)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와 활용
4. 오장(五臟)과 육부(六腑)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와 활용
■ 학습내용
1. 기항지부(奇恒之腑)와 형체관규(形體官竅)
2. 오장(五臟) 사이의 관계
3. 육부(六腑) 사이의 관계
4. 오장(五臟)과 육부(六腑) 사이의 관계

1. 기항지부(奇恒之腑)
-, 기항지부(奇恒之腑)는 뇌(腦), 수(髓), 골(骨), 맥(脈), 담(膽), 여자포(女子胞) 등의 여섯 개 장
기 조직을 포괄함.
-, 형태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대부분 속이 비어서 부(腑)와 비슷하나, 기능상으로는 음식을 소화
하고 배설하는 통로가 아님.
-, 정기(精氣)를 저장하여 장(臟)과 기능적으로 유사함.
-, 그래서 장(臟)인 것 같으면서도 장(臟)이 아니고, 부(腑)인 것 같지만 부(腑)가 아니면서 오장
육부(五臟六腑)와는 또 다른 특징이 있다하여 기항지부(奇恒之腑)라 함.
1) 뇌(腦)
-, 뇌(腦)는 머릿 속에 위치하며, 수(髓)가 모여서 만들어 진 것임.
-, 모든 수(髓)는 뇌에 속한다. “뇌위수지해(腦爲髓之海)”
(1) 생리공능
➀ 정신 활동의 주재- 심장과 밀접한 관계. 정수(精髓)가 모이는 곳임. 신명(神明) 원신(元神)
이 자리잡고 있는 곳임,“ 두자, 정명지부(頭子, 精明之府)” “뇌위원신지부(腦爲元神之府)“
➁ 청각(聽覺), 시각(視覺), 후각(嗅覺) 및 사유(思惟), 기억(記憶), 언어등의 기능이 뇌에 속
함.
(2) 뇌와 오장(五臟)과의 관계-“ 뇌위수해(腦爲髓海)”
➀ 수(髓)는 정(精)에 의해서 만들어짐. 정(精)은 신장(腎臟)에 저장됨- 신장정(腎藏精).
➁ 오장의 정(精)에 의해서도 정수(精髓)가 만들어짐.
2) 수(髓); 뇌수(腦髓), 척수(脊髓), 골수(骨髓)로 나누어짐.
(1) 수(髓)의 생리공능
➀ 충양(充養) 뇌수(腦髓); “ 뇌위수해(腦爲髓海)” 뇌는 수(髓)의 바다임.
➁ 자양골(滋養骨); 수(髓)는 뼈 속에 저장되며, 뼈는 수(髓)의 양분에 의존함.
➂ 화생혈액(化生血液); 수(髓)에 의해 피가 만들어짐.
(2) 수(髓)와 오장의 관계
➀ 오장과 상관 관계에 있으나 신(腎)과 가장 밀접.
➁ 왜냐하면 신장정(腎藏精), 그리고 정(精)이 수(髓)를 만들어냄.
3) 여자포(女子胞)- 포궁(胞宮), 자궁(子宮)
-, 아랫 배에 위치하여 방광 뒤에 있으며, 뒤집어진 배 모양을 하고 있음.

- 1 -
(1) 생리공능
➀ 월경의 발생과 과정을 주재함.
➁ 태아를 잉태하여 기르는 곳임.
(2) 여자포(女子胞)와 오장의 관계
-, 오장(五臟)과 상관 관계에 있으나 특히 심(心), 간(肝), 비(脾), 신(腎)과 밀접함.
➀ 신장정(腎藏精)과 가장 밀접함.
➁ 심(心) 간(肝) 비(脾) 삼장(三臟)의 관계; 심주혈맥(心主血脈) 간장혈(肝藏血) 비통혈(脾統
血)
(3) 여자포(女子胞)와 경맥(經脈)의 관계; 기경팔맥(奇經八脈)의 충맥(衝脈) 임맥(任脈) 독맥(獨
脈) 대맥(帶脈)과 상관 관계에 있으며 충임(衝任) 양맥의 관계가 가장 밀접함. “ 충위혈해(衝爲血
海)”, 임주포태(任主胞胎)“
(4) 월경의 도래와 주기에서부터 태아의 잉태와 양육에 이르기 까지 전 과정이 기혈(氣血)의 충
만 그리고 혈액의 정상적인 조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5) 이렇듯 여자포(女子胞)는 심(心) 간(肝) 신(신) 비(脾) 및 충맥(衝脈) 임맥(任脈)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2. 형체(形體)와 관규(官竅)
1) 형체(形體)
-, 광의(廣義); 신체(身體) 즉 두면(頭面), 경항(頸項), 구간(軀幹), 사지(四肢), 장부(臟腑) 등 일
정한 형태를 구비하고 있는 조직 기관.
-, 협의(狹義); 피(皮), 육(肉), 근(筋), 골(骨), 맥(脈) 등 오체(五體)를 지칭함.
(1) 피(皮)
-, 피(皮)는 피부(皮膚)라 불리며, 인체 표면을 덮고 있음. 피부 표면에는 모발(毛髮), 땀구멍
등 부속물이 있음.
➀ 생리공능
-, 외사방어(外邪防禦); 피부는 인체 표면에 있는 가장 커다란 보호 기관임.
-, 진액대사조절(津液代謝調節); 땀은 진액에 의해서 만들어짐. 땀이 나는 것은 진액 배설의
과정의 하나임.
-, 체온조절(體溫調節); 인체의 온후(溫煦)는 위기(衛氣)의 작용에 의존함.
-, 호흡보조(呼吸補助); 땀구멍의 열리고 닫힘이 호흡의 보조 역할을 함. “ 한공위기문(汗孔
爲氣門)”
➁ 피부와 폐의 관계; 폐주피모(肺主皮毛)
-, 폐 수포정기(輸布精氣), 충양피부(充養皮膚); 폐가 정기를 전달하여, 피부를 자양함.
-, 폐 선발위기(宣發衛氣), 외달피부(外達皮膚); 폐가 위기(衛氣)를 퍼뜨리면, 피부 까지 도
달하여 사기(邪氣)의 침범을 막음.
-, 피부를 통하여 사기(邪氣)가 침범하면 이는 폐로 전이됨.
➂ 피부와 경락(經絡)의 관계; 12경맥(經脈)이 체표에 분포함에 따라, 피부는 12부문으로 나
눠짐. 매 경맥(經脈)은 나눠서 피부를 자양(滋養)하는데 이를 12피부라함
(2) 육(肉); 육(肉)은 기육(肌肉)임. 기육조직(肌肉組織), 지방, 그리고 피하조직을 포괄함.
➀ 생리공능
-, 내장보호; 육(肉)은 내장과 근골의 바깥을 싸고 보호하는 작용을 함.
-, 외사저어(外邪抵禦); 기육(肌肉)은 피부와 같이 외부의 사기(邪氣) 침입을 방어함.

- 2 -
-, 운동진행(運動進行); 근골과 더불어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침.
➁ 기육(肌肉)과 비장(脾臟)의 관계;“비주신지기육(脾主身之肌肉)”
-, 비장이 정기를 만들고 이 정기가 기육에 영양을 공급함.
-, 기육의 병은 내부로 들어가 비장(脾臟)에 까지 영향을 끼침.
(3) 근(筋); 근(筋)은 힘줄, 인대, 근막을 포괄함. 근(筋)은 뼈에 붙어 있으며, 관절에 모여 있음.
➀ 생리공능
-, 뼈, 관절과 연결됨.
-, 주지운동(住持運動); 인체의 관절을 펴고 오므리고 하는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은, 근
(근)의 수축과 확장에 의존함.
-, 내장보호; 골(骨), 육(肉), 피(皮)와 더불어 골격을 만들며, 내장을 보호하며 그손상을 방
지함.
➁ 근(筋)과 간(肝)의 관계; “ 간주근(肝主筋)”
-, 간의 기혈이 근(筋)을 자양(滋養)함.
-, 간의 병은 근(筋)에 이르고, 근(筋)의 병은 간(肝)에 이름.
➂ 근(筋)과 경락(經絡)의 관계; 12경근(經筋)
(4) 골(骨); 인체를 지지함.
➀ 생리공능; 인체지지, 내장보호, 운동협조.
➁ 골(骨)과 신(腎)의 관계
-, 신(신)이 골수를 주관하며 이것이 골(骨)을 자양함.
-, 치위신지표(齒爲腎之標), 치위골지여(齒爲骨之余)
(5) 맥(脈); 혈맥(血脈)과 경맥(經脈)을 포괄함.
➀ 생리공능; 기혈운행의 통로, 혈행제약, 전신의 정보 반영.
➁ 맥(脈)과 장부(臟腑)의 관계
-, 심주혈맥(心主血脈)
-, 폐조백맥(肺朝百脈)
-, 비주통혈(脾主統血)
-, 간장혈(肝藏血), 간주소설(肝主疏泄).
2) 관규(官竅)
-, 관규(官竅)는 인체와 자연물의 물질교환의 출입문 역할을 함.
-, 인체에 필요한 공기, 물, 식품 등은 입과 코를 통하여 체내로 들어오며 인체의 생리 활동중
에 생산되는 찌꺼기(大便, 小便 등)등 전음(前陰)과 후음(後陰)을 통하여 체외로 배출됨.
-, 오관(五官); 목(目), 설(舌), 구(口), 비(鼻), 이(耳)
-, 구규(九竅); 눈구멍2, 입구멍1, 코구멍2, 귓구멍2, 전음(前陰)1, 후음(後陰)1
(1) 목(目)- 눈
➀ 생리공능; 시각, 심령의창 즉 눈은 신(神)의 구멍임.
➁ 눈과 오장의 관계
-, 간(肝) 개규(開竅) 목(目)
-, 간과 오장 모두 관계가 있음.
-, 눈과 경락(經絡)과의 관계가 밀접함.
(2) 설(舌)- 혀
➀ 생리공능; 미각(味覺), 음식물을 씹는 것을 도움, 삼키는 것, 발음.

- 3 -
➁ 혀와 오장의 관계; “ 설위심지묘(舌爲心之苗)”
(3) 구(口)- 입
➀ 생리공능; 소화의 시작, 호흡, 성음.
➁ 입과 오장의 관계; 입은 비장(脾臟)이 드러나는 곳임.
➂ 인후(咽喉); 호흡과 성음이 올라오고 내려감을 주도하고 수곡의 통로임. 후(喉)는 폐와
연계되고, 인(咽)은 위(胃)와 연계됨.
(4) 비(鼻)- 코
➀ 생리공능; 호흡, 후각, 발음.
➁ 오장과의 관계; 폐는 코로 드러남. 코 끝은 비장과 연계됨. 비강의 건조와 출혈은 간과
연계됨. 담열(膽熱)이 위로 올라와서 비연(鼻淵)이 발생.
(5) 이(耳)- 귀
➀ 생리공능; 청각, 평형.
➁ 오장과의 관계; 신장(腎臟)이 드러나는 곳임. 심, 간 담, 비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
(6) 전음(前陰)
➀ 생리공능; 배뇨(排尿), 생식(生殖)
➁ 오장과의 관계
-, 신장정(腎藏精), 신주수액(腎主水液)
-, 간주소설(肝主疏泄), 간장혈(肝藏血)
-, 비주운화(脾主運化), 비주승청(脾主昇淸)
(7) 후음(後陰)
➀ 생리공능; 대변배설
➁ 오장과의 관계
-, 대장과 폐는 표리 관계임.
-, 신지규(腎之竅)
-, 비주운화(脾主運化), 비주승청(脾主昇淸)
3. 오장(五臟) 사이의 관계
1) 심(心)과 폐(肺)의 관계; 혈액의 정상운행
(1) 생리
➀ 폐는 기(氣)와 호흡을 주관하고 심(心은 혈액의 운행을 주관함.
➁ 폐는 선발(宣發) 숙강(肅降)을 주관하고, 모든 맥을 조회(朝會)하므로 혈을 운행하는 심의
기능을 촉진함.
➂ 또한 혈액이 정상적으로 순환되어야 호흡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
(2) 병리
➀ 폐기가 허약해지면서 혈의 운행이 느려지면 가슴이 답답하고, 심 박동이 고르지 못하며 ,
입술이 파래지고, 혀가 자색으로 변하는 등의 어혈증이 나타남.
➁ 심기가 부족하여 심양(心陽)이 부진하면 어혈이 심맥을 막아 혈행에 이상이 생기면, 폐의
순환 공능에 영향을 미쳐 심계(心悸), 입술이 파래지고, 혀가 자색으로 변하며, 해천(咳喘), 흉민
(胸悶) 등이 나타남.
2) 심(心)과 비(脾)의 관계; 혈액(血液) 생성(生成)과 운행(運行)
(1) 생리
➀ 심주혈(心主血)과 비주운화(脾主運化)의 관계

- 4 -
-, 심혈(心血)의 자양(滋養)으로 비장(脾臟)의 운화(運化)를 유지함.
-, 정상적인 비장의 운화(運化)로 수곡정미(水穀精微)에서 심혈즉 혈액을 만들어냄.
➁ 심(心)과 비(脾)의 혈액 운행중 협력 관계
-, 심주혈맥(心主血脈); 혈액 운행의 추동
-, 비주 통혈(脾主統血); 혈액이 맥(脈)중 운행
-, 심주혈맥(心主血脈)과 비주통혈(脾主統血)에 의해 혈액의 정상적 운행이 이루어짐.
(2) 병리; 심비양허증(心脾兩虛證)
➀ 심혈(心血)이 부족하여 비장(脾臟)에 영양을 공급하지 못하면- 심계(心悸), 실면(失眠), 식
소(食少), 복창(腹脹), 변당(便溏) 등.
➁ 비장이 운화 기능을 잃거나, 통혈(統血) 기능을 잃게 되면, 피의 생성이 부족하거나 출혈
이 생겨서 심혈이 부족하게 되면- 식소(食少), 변당(便溏), 만성출혈, 얼굴에 빛이 없음, 심계(心
悸), 실면(失眠), 다몽(多夢)
3) 심(心)과 간(肝)의 관계; 혈액 운행과 정신 정지(精神 情志)
(1) 생리
➀ 심주혈맥(心主血脈)과 간장혈(肝藏血)의 상호 관계
-, 심주혈맥(心主血脈)에 의한 혈액 운행의 추동.
-, 간장혈(肝藏血)에 의한 혈류량의 저장 조절.
-, 따라서 혈액 운행의 정상.
➁ 심주신지(心主神志)와 간의 정지 조절의 상호 관계
-, 심주신지(心主神志)에 의한 정신 활동의 주관.
-, 간주소설(肝主疏泄)에 의한 정지활동(情志活動)의 조절.
-, 따라서 정신과 정지 활동의 정상 유지.
(2) 병리
➀ 심혈부족(心血不足), 간혈부족(肝血不足); 심간혈허(心肝血虛)- 얼굴 색에 빛이 없음, 심계
(心悸), 두혼(頭昏), 월경량이 적으며 색깔이 연함 등.
➁ 심신 불안, 간실소설(肝失疏泄)- 심번(心繁), 심계(心悸), 실면(失眠), 쉽게 화를 냄, 우울
함 등.
4) 심(心)과 신(腎)의 관계; 정혈호화(精血互化), 정신호용(精神互用)
(1) 생리
➀ 심신수화(心腎水火)의 상교(相交)
➁ 심신(心腎) 음양(陰陽) 충족과 평형
➂ 정혈호생(精血互生) 심신교통(心腎交通)
➃ 심신(心神)과 신정(腎精)의 상교호용(相交互用)
(2) 병리
➀ 심신음허화왕(心腎陰虛火旺)- 심계(心悸), 심번(心繁), 실면(失眠), 다몽(多夢), 이명(耳鳴),
요슬산연(腰膝酸軟), 남자몽정(男子夢精), 여자몽교(女子夢交) 등.
➁ 신양허손(腎陽虛損); 외한(畏寒), 얼굴 색이 창백함, 오줌이 적음, 수종(水腫), 심계(心悸)
등.
➂ 심혈부족(心血不足); 건망(健忘), 두혼(頭昏), 이명(耳鳴), 실면(失眠), 다몽(多夢) 등.
5) 폐(肺)와 비(脾)의 관계; 기(氣)의 생성, 수액대사(水液代謝)
(1) 생리

- 5 -
➀ 폐와 비의 기(氣) 생성 관계
-, 폐사호흡(肺司呼吸) ; 자연의 청기(淸氣) 흡입(吸入).
-, 비주운화(脾主運化); 수곡(水穀)의 정기(精氣) 흡수
-, 이둘이 합해서 기가 만들어짐.
➁ 폐와 비의 수액대사
-, 폐주통조수도(肺主通調水道) ; 수액의 수포 배설
-, 비주운화(脾主運化) 수액; 수액의 흡수 수포
-, 수액대사 정상
(2) 병리
➀ 비기허약(脾氣虛弱), 생기부족(生氣不足)에 따른 폐기허(肺氣虛); 식소(食少), 복창(腹脹),
변당(便溏), 핍력(乏力), 해천(咳喘), 기단(氣短) 등의 폐비기허증(肺脾氣虛證)이 나타남.
➁ 폐(肺)의 병이 오래되서 기의 소모가 과다함으로 비기허(脾氣虛)에 이름; 식소(食少), 복
창(腹脹), 변당(便溏), 핍력(乏力), 해천(咳喘), 기단(氣短) 등의 폐비기허증(肺脾氣虛證)이 나타남.
➂ 비기허약(脾氣虛弱)하면 운화수습(運和水濕) 곤란. 수습내정(水濕內停)에 의해 담음(痰飮)
이 만들어 지면 폐에 영향을 끼쳐 폐실선강(肺失宣降)이 됨.; 식소(食少), 권태(倦怠), 복창(腹脹),
해천(咳喘), 담음(痰飮) 등 폐비기허(肺脾氣虛)에 의한 담음내정(痰飮內停). “ 비위생담지원(脾爲生
痰之源), 폐위저담지기(肺爲貯痰之器)”
6) 폐(肺)와 간(肝); 기기조절(氣機調節)과 기혈운행조절(氣血運行調節)
(1) 생리
➀ 폐와 간의 기기(氣機) 조절 작용
-, 폐기(肺氣); 청숙하강(淸肅下降)
-, 간기(肝氣); 소설승발(疏泄昇發)
-, 따라서 일승일강(一昇一降)에 의한 전신(全身) 기기(氣機) 조절
➁ 폐와 간의 기혈운행(氣血運行) 조절 작용
-, 간장혈(肝藏血); 전신의 혈액조절.
-, 폐주기(肺主氣); 전신의 기 조절.
-, 따라서 기혈 운행 조절 작용
(2) 병리
➀ 간기울결화화(肝氣鬱結化火), 기화상역범폐(氣化上逆犯肺)에 의한 폐실선강(肺失宣降); 두
통, 면홍(面紅), 목적(目赤), 옆구리 통증, 해수(咳嗽), 객혈 등 간폐동병(肝肺同病)
➁ 폐실청숙(肺失淸肅), 조열내성(燥熱內盛)에 의한 간실조달(肝失條達); ➀과 같은 간폐동병
7) 폐(肺)와 신(腎); 수액대사(水液代謝)와 호흡운동(呼吸運動) 방면의 상호 협동.
(1) 생리
➀ 폐와 신의 수액 대사 작용.
-, 폐주통조수도(肺主通調水道); 폐위수지상원(肺爲水之上源)
-, 신주수(腎主水); 신위수지장(腎爲水之臟)
-, 따라서 수액의 정상 수포와 배설을 보증함.
➁ 폐와 신의 호흡 운동 작용
-, 폐사호흡(肺司呼吸); 폐위기지주(肺爲氣之主)
-, 신주납기(腎主納氣); 신위기지근(腎爲氣之根)
-, 따라서 폐와 신에 의해 호흡 운동이 완성됨.

- 6 -
(2) 병리
➀ 수액대사장애; 폐실선강(肺失宣降)에 의한 통조수도실직(通調水道失職), 신기화수액실사
(腎氣化水液失司)로 수액 수포(輸布)와 배설(排泄) 장애- 해천(咳喘), 뇨소(尿少), 수종(水腫) 등.
➁ 호흡실상(呼吸失常); 폐기가 오랫 동안 허(虛)하면 숙강실조(肅降失調)에 의한 신기부족
(腎氣不足) 즉 납기부족(納氣不足)- 기단(氣短), 기천(氣喘), 호다(呼多)흡소(吸少) 등.
➂ 폐신음허(肺腎陰虛); 골증조열(骨蒸潮熱), 도한(盜汗), 권홍(顴紅), 마른 기침, 요슬산연(腰
膝酸軟) 등 폐신음허에 의한 내열증.
8) 간(肝)과 비(脾)의 관계; 소화 공능 및 혈액 운행
(1) 생리
➀ 간주소설(肝主疏泄)과 비주운화(비주운화)의 상호관계와 소화 흡수.
-, 간주소설(肝主疏泄); 간기가 원활하면 담즙 분비가 왕성하여 비주운화(脾主運化)를 협조.
-, 비주운화(脾主運化)의 정상은 간의 소설(疏泄)을 촉진 시킴.
-, 결국 양 장부의 상호 협조 관계는 비위(脾胃)의 소화 흡수 기능을 촉진 시킴.
➁ 간장혈(肝藏血)과 비통혈(脾統血)의 상호 협동관계와 혈액운행
-, 간장혈(肝藏血); 저장혈액(貯藏血液), 혈류량의 조절.
-, 비통혈(脾統血); 혈액의 맥중 운행.
-, 따라서 혈액의 정상 운행을 유지함.
(2) 병리
➀ 간실소설(肝失疏泄)에 의한 기울범비(氣鬱犯脾); 정신억울(精神抑鬱), 흉민(胸悶), 식욕부진
(食慾不振), 복창(腹脹), 설사 등의 간비부조증(肝脾不調證)
➁ 비실건운(脾失健運)에 의한 생습화열(生濕化熱), 습열울증간담; 식욕부진, 황달 등
➂ 비실건운(脾失健運)이 오래 되면 간혈부족에 이름; 식소(食少), 권태(倦怠), 두혼(頭昏), 목
현(目眩), 부녀 월경량이 적으며 색이 연함 등.
9) 간(肝)과 신(腎)의 관계; 정혈동원(精血同源), 소설봉장호용(疏泄封藏互用)
(1) 생리
➀ 간혈(肝血)과 신정(腎精)의 상호 화생(化生) 관계
-, 간장혈(肝藏血); 간혈자신(肝血滋腎) 화정(化精).
-, 신장정(腎藏精); 신정양간(腎精養肝) 화혈(化血).
➁ 간주소설(肝主疏泄)과 신주봉장(腎主封藏)의 상호 관계
-, 간주소설(肝主疏泄); 신(腎)의 봉장(封藏) 개합(開闔)을 조절.
-, 신주봉장(腎主封藏); 신(腎)의 봉장(封藏)은 간주소설(肝主疏泄)을 제약함.
-, 즉 소설(疏泄)과 봉장(封藏)은 호용(互用) 호제(互制) 관계임.
➂ 간신음양(肝腎陰陽)의 상호 자생(滋生)과 제약(制約) 관계
-, 정혈호생(精血互生); 간장혈(肝藏血), 신장정(腎藏精)에 의해 상호 자생(滋生).
-, 장설호용(藏泄互用); 간주소설(肝主疏泄), 신주봉장(腎主封藏)에 의해 상호 제약.
(2) 병리
➀ 신정휴손(腎精虧損), 간혈부족(肝血不足); 두통, 목현(目眩), 이농(耳聾), 이명(耳鳴), 요슬
산연(腰膝酸軟) 등의 간신정혈부족증(肝腎精血不足證)
➁ 간신음허화왕(肝腎陰虛火旺); 월경문란, 유정(遺精), 활정(滑精) 등.
10) 신(腎)과 비(脾)의 관계; 선천지본(先天之本)과 후천지본(後天之本)의 관계 및 수액대사(水
液代謝)

- 7 -
(1) 생리
➀ 신(腎)과 비(脾)의 선천지본(先天之本)과 후천지본(後天之本)의 관계
-, 신(腎); 선천지본(先天之本)
-, 비(脾); 후천지본(後天之本)
-, 신(腎)과 비(脾)의 상호 자생(滋生)에 의한 인체 생명지본(生命之本)
➁ 신(腎)과 비(脾)의 수액대사(水液代謝)에서의 관계
-, 신(腎); 기화 수액(氣化水液)에 의한 수액대사 및 평형.
-, 비(脾); 운화수액(運化水液)에 의한 수액의 생성(生成) 및 수포(輸布)
(2) 병리
➀ 비기허약(脾氣虛弱)에 의한 운화부족(運化不足), 신정부족(腎精不足); 식소(食少), 복창
(腹脹), 변당(便溏), 몸이 마름, 허리가 시큰 거림, 이명(耳鳴), 어린애의 성장 발육이 느림 등.
➁ 신양허(腎陽虛)에 의한 온후(溫煦) 비양(脾陽) 곤란, 비양허(脾陽虛); 복부 냉통, 하리청
곡(下利淸穀), 요슬산냉(腰膝酸冷), 오경설사(五更泄瀉) 등.
➂ 비허(脾虛)에 의한 수액운화 불능과 신허(腎虛) 수액기화불능(水液氣化不能)에 의한 수
액수포(水液輸布)와 배설장애; 뇨소(尿少), 부종(浮腫), 복창(腹脹), 변당(便溏), 요슬산연(腰膝酸
軟), 외한지냉(畏寒肢冷) 등.
4. 부(腑)와 부(腑)의 관계; 육부(六腑)전화물(轉化物)의 작용 및 관계
1) 소화단계
(1) 위(胃); 수곡 수납 부숙(水穀受納腐熟)- 초보 소화
(2) 담(膽); 담즙 저장 배설(膽汁貯藏排泄)- 소화를 도움
(3) 소장(소장); 수성 화물(受盛化物)- 소화를 증진 시킴.
2) 흡수단계
(1) 소장(小腸); 비별청탁(泌別淸濁)- 정미(精微) 흡수와 음식물 찌꺼기 전달.
(2) 대장(大腸); 전도변화(傳導變化)- 수분 흡수.
3) 배설단계
(1) 대장(大腸); 전도변화(傳導變化)- 대변의 형성, 배설.
(2) 방광(膀胱); 저뇨(貯尿) 배뇨(排尿)- 소변 배설.
4) 삼초(三焦); 수곡(水穀)의 도로- 소화(消化) 흡수(吸收) 배설(排泄) 전과정을 개괄.
5. 장(臟)과 부(腑)의 관계
1) 간(肝)과 담(膽); 소화 공능과 정신(精神) 정지(情志)
(1) 생리
➀ 간담의 소설(疏泄)과 소화 관계; 간의 담즙 생성 분비와 담의 담즙 저장 배설에 의해 음
식물의 소화를 도움.
➁ 간담의 소설(疏泄)과 정신 정지(精神情志); 간주모려(肝主謀慮), 담주결단(膽主決斷) 즉 간
담 상호간의 교류에 의해 용기가 생겨남.
(2) 병리; 간실소설(肝失疏泄)에 의해 담즙의 생성과 분비에 영향을 미침. 소화불량, 정지억울,
실면, 다몽, 공포감.
2) 심(心)과 소장(小腸); 화생혈액(化生血液)
(1) 생리
➀ 심주혈(心主血); 심혈(心血)의 영양에 의해 소장의 화물(化物) 공능을 도움.
➁ 소장의 비별청탁(泌別淸濁), 수성화물(受盛化物)에 의해 수곡정미흡수(水穀精微吸收)를 하

- 8 -
여 심혈(心血)을 만들어냄.
(2) 병리
➀ 심(心)의 열이 소장으로 전달; 뇨소(尿少), 뇨황(尿黃), 뇨통(尿痛) 등.
➁ 소장의 열이 심(심)으로 전달; 심번(심번), 혀가 빨감, 뇨적 열통(뇨적열통), 입안이 헐음.
3) 비(脾)와 위(胃); 소화 흡수 및 기혈생화지원(氣血生化之源)
(1) 생리
➀ 운납협조(運納協助); 비주운화(脾主運化), 위주수납(胃主受納)
➁ 승강상인(昇降相因); 위주강탁(胃主降濁), 비주승청(脾主昇淸)
➂ 조습상제(燥濕相濟); 위희습(胃喜濕), 비희조(脾喜燥)
➃ 따라서 소화 흡수기능 정상.
(2) 병리
➀ 비위운납실조(脾胃運納失調); 식소(食少), 완비(脘痞), 복창(腹脹), 설사 등
➁ 승강실상(昇降失常); 완복타창(脘腹墮脹), 설사, 구토, 현운, 내장하수(內臟下垂)
4) 폐(肺)와 대장(大腸); 호흡과 배변
(1) 생리; 폐기 숙강(肅降)과 대장 전도간의 관계임. 폐와 대장의 기기조창(氣機調暢) 및 진액
의 포산(布散)에 의해 호흡 운동과 배변 공능 정상.
(2) 병리
➀ 폐실숙강(肺失肅降)으로 기가 내려가지 않고 , 진액이 전달되지 않으면 - 해천(咳喘), 장
조변비(腸燥便秘) 등.
➁ 대장에 습열이 있고, 전도 공능이 좋지 않으면 대장의 기가 불통- 변비, 흉민, 해천 등.
5) 신(腎)과 방광(膀胱); 소변의 생성(生成), 저장(貯藏), 배설(排泄)
(1) 생리
➀ 신기화(腎氣化), 주수(主水); 소변의 생성 배설.
➁ 방광기화(膀胱氣化) 사개합(司開闔); 소변의 저장, 배뇨.
➂ 정상적 개합(開闔), 소변의 생성 저장 배설 정상.
(2) 병리
➀ 신기허약(腎氣虛弱), 기화실상(氣化失常), 고섭무력(固攝無力); 방광에 영향- 소변불리, 융
폐(隆閉), 요실금(尿失禁) 등.
➁ 방광습열(膀胱濕熱)이 신기(腎氣)에 영향- 뇨빈(尿頻), 뇨적(尿赤), 뇨통(尿痛), 허리 통증
등.
■ 정리하기
1. 기항지부(奇恒之腑); 뇌(腦), 수(髓), 골(骨), 맥(脈), 담(膽), 여자포(女子胞)
2. 형체(形體)와 관규(官竅)
1) 형체(形體); 근(筋), 맥(脈), 육(肉), 피(皮), 골(骨)
2) 관규(官竅); 목(目), 설(舌), 구(口), 비(鼻), 이(耳)
3. 오장(五臟) 사이의 관계
1) 심(心)과 폐(肺)의 관계
2) 심(心)과 비(脾)의 관계
3) 심(心)과 간(肝)의 관계
4) 심(心)과 신(腎)의 관계
5) 폐(肺)와 비(脾)의 관계

- 9 -
6) 폐(肺)와 간(肝)의 관계
7) 폐(肺)와 신(腎)의 관계
8) 간(肝)과 비(脾)의 관계
9) 간(肝)과 신(腎)의 관계
10) 신(腎)과 비(脾)의 관계
4. 부(腑)와 부(腑)의 관계
5. 장(臟)과 부(腑)의 관계
1) 간(肝)과 담(膽(의 관계
2) 심장(心臟)과 소장(小腸)의 관계
3) 비(脾)와 위(胃)의 관계
4) 폐(肺)와 대장(大腸)의 관계
5) 신(腎)과 방광(膀胱)의 관계

참고문헌

이승호외 6명, 『동양의학이야기』, 신일서적(주)


주춘재, 『한의학입문』, 청홍
신동원, 『한의학강론』, 신일북스

저작물명 저작자명 출처 종류 이용형태 이용량


이미 복제 및
관련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www.iclickart.co.kr 4컷
지 전송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