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4

KOTRA자료 18-076

 포용적 성장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2018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과
글로벌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겠습니다

CONTENTS

06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50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88 미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12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54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92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12 어웨이 익스프레스 택배회사 54 카디아이 92 탐스 슈즈


16 데자르뎅 58 아디오피조 96 로마 부츠

20 퍼니처뱅크 62 라이프게이트 그룹 100 티치 포 아메리카

24 저스트어스 커피 협동조합 66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 104 퀘스트브릿지

28 토론토 통역 서비스 70 이포임팩트 108 카인드

32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 74 논첼로 사회적 협동조합 112 카붐

36 테크노폴앵거스 78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 116 에너마

40 라토후 82 그루포 쿠페라티보, 씨지엠 120 디씨 센트럴 키친

44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 124 크리샐리스

128 베이켓
134 영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152 일본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174 프랑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138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156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178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138 심프린트 156 고토랩 178 SOS 그룹


142 엘비스 앤 크레스 160 소다테아게넷 181 심플롱

146 스트리트 리그 164 CFC 184 라 휘시 끼 디 위

168 F I J 187 신띨로

190 스파크뉴스
Canada

어웨이 익스프레스 택배회사 (A-Way Express Courier)

데자르뎅(Des-Jardins)

퍼니처뱅크(Furniture Bank)

저스트어스 커피 협동조합(Just Us! Coffee Roaster Coop.)

토론토 통역 서비스(Interpreter Services Toronto)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Out of This World Cafe)

테크노폴앵거스(Technopole Angus)

라토후(La TOHU)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Toronto Enterprise Fund)


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경제활동인구의 사회적 경제 비율
11%(200만명)

2
전반적 개요
세계 위

캐나다는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와 목적을 가진 사회적 경제가 역사적으로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
협동조합
으며 거의 전 분야에 걸친 사업 다양성과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제3섹터”로도 불리우는 캐나다
의 사회적 경제는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1%(200만명)를 차지해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9,200 개
9,200개 협동조합과 비영리 기관의 경제 활동은 GDP의 8%에 달한다.

비영리 기관 경제 활동

퀘벡의 현황

GDP의 8 %

사회적 기업 수 종사자 수 총 매출액

7,000 개 21 만명 400 억 달러

•캐나다의 사회적 경제는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있다. 캐나다의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 및 연구기관인


CCEDNet는 사회적 경제가 지속 가능한 농업, 신재생 에너지, 빈곤 감소, 이민자 정착, 마이크로 금융, 노
동 시장 개발, 원주민 자립, 사회 통합, 지역 경제 개발, 천연 자원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력
을 미쳤다고 발표했다.

•2016년 톰슨 로이터 재단 조사에 의하면 캐나다는 사회적 기업 환경 평가에서 미국에 이은 2위로 사회적
기업가들에게 매우 좋은 환경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원 및 현주소

사회적 기업은 지역자생적이기 보다는 정부 및 기업가를 통해 소개된 개념이지만, 이 용어가 쓰


이기 전부터 캐나다 각 지역 사회에서는 유사한 개념의 활동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온타리오 •비영리 단체의 목적을 위해 재투자되는 소득을 창출


주정부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

•이익 창출 만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 지역과 회원에게 봉사


•정부 관리가 아닌 독립적인 관리
퀘벡 •민주적 의사 결정
샹티에
•자본보다 사람과 일을 우선
•참여, 권한 위임, 개인 및 공동 책임의 원칙

캐나다
사회적 금융 •사회적 기업을 공공 이익을 위한 서비스나 재화를 시장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제공하는 기관 및 사업체
연구 보고서

사회적 기업 종류

협동조합 비영리단체 지역개발조직 원주민 사업 소셜미션을 가진 기업

법적 형태 협동조합 비영리단체 지역 기업 비영리단체 영리 기업


자선단체 지역소유조직 영리 기업 비법인 기업
비공식 단체 협회 비법인 기업 파트너십
파트너십 지역에 기여하는 기업

소유권 개인 회원 정부 원주민 공공
개인
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캐나다는 지리적으로 5개의 주요 지역(애틀란틱 캐나다, 퀘벡, 온타리오, 캐나다 서부 및 북부


지역)으로 나뉜다. 입법부는 연방정부, 주 및 지역 정부, 지방 정부, 원주민 정부 등 4 단계로 관리
된다.

법·제도 체계

애틀란틱 캐나다 퀘벡 온타리오 캐나다 서부 캐나다 북부


| 지리적 |

사회적 기업에 대한 사회적 기업보다는 역사적으로 캐나다의 역사적으로 지역 원주민 커뮤니티들도


개념적 합의는 부족함 사회적 경제 개념을 경제와 금융의 중심지 정부보다는 연방 사회적 기업을 만들고
선호함 정부의 역할이 강조됨 있음
역사와 지역에 대한 지역 특성이 사회적
강한 자부심을 가짐 정부와 사회적 경제 기업에 반영되어 기업 사회적 혁신 영역 역사, 원주민 인구,
조직 간 긴밀한 협력을 운영 측면이 상당히 또한 지역 정부와 사회적 배제 등
통해 상당한 성과를 강조됨 독립적으로 이루어짐 극복해야 할 과제가
거둠 많이 있음

제도적,
문화적 상충

해결을 위한 접근 방법

연방정부 주정부 지역정부 원주민 정부


| 입법부 |

•사회적 기업 육성 •법인법 및 세법 주력 •제한적 참여 •광범위한 참여


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공공 정책 및 지원

연방정부

•자선단체에 적용되는 소득세법을 제외하고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방정부 차원 정책 전무


•2004년 사회적 경제 지원을 발표
•2004년 예산 중 1억3,200만 달러를 사회적 경제 계획에 책정
•전국적 대담과 주요 인사의 참여 유도를 위한 사회적 경제 라운드테이블 구성

퀘벡

•사회경제개발공사와 지역사회센터로 대표될 수 있는 지역 기반 정책


•지역과 분야 상관없는 사회적 기업 일반 지원 정책

1983 노동자 펀드 면세

1996 사회적 경제 워킹그룹 주지사 직속부서로 통합

1997 샹티에 탄생
협동조합법 개정:연합 협동조합 포함
사회적 경제펀딩 기관 RISQ 탄생

1999 샹티에 법인화

2000 퀘벡 재무부 내 사회적 경제부서 창설

2001 신규 사회적 기업 투자 기관 La Financiere 창설 (1,500만 달러 지원)

2006 샹티에 신탁에 1,000만 달러 지원

•정부 및 기업 실패가 두드러지는 특정 사업 부문 지원


•소외 집단 통합을 위한 지원
1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온타리오

•2008년부터 사회적혁신과 사업 활성화를 위해 혁신 전략 추진


•이민국과 온타리오 트릴리움 재단은 비영리 부문과 파트너십 강화
•2012년 온타리오 정부 안에 사회적 기업 부서 신설
•2013년 정부는 온타리오 사회적 기업 전략 보고서 발간

연결,협력,대화

온타리오
4대 전략
서비스 및 사회적 기업
솔루션 제공 브랜드화

사회적 금융 활성화

마니토바

•2011년 사회적 기업 규제 지원을 위해 브리티시 컬럼비아 사회적혁신 위원회 만듦


•2014년 4월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사회적 기업의 달로 지정(4월 22일 원주민 사회적 기업의 날 지정)
•2015년 혁신적인 사회적 기업 정책을 담은 ‘마니토바 사회적 기업 전략’ 보고서 발간

6대 전략

기업가 자본 및 시장 기회 사회적 기업의 관련 제도 공동체 참여 및


실력 향상 투자 확보 확대 가치 홍보 설계 네트워크 지원
1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주요 네트워크

샹티에

•1996년 만들어진 독특한 퀘벡의 네트워크


•퀘벡 안에 있는 사회적 경제 이해관계자들을 연결하며 사회적 기업 사업에 대한 지원 방안 마련을 목표

캐나다 지역사회경제개발 네트워크(CCEDNet)

•1999년 창립
•지역별로 사회적 기업이 정착할 수 있도록 노하우 축적, 공유
•사회적 기업가의 역량 강화 도움
CCEDNet 정책 브로슈어 •1,300건이 넘는 지역경제개발 관련 사례 및 정보 축적

파이낸싱

•정부나 지역사회는 전통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주요 지원 기관


•사회적 기업 자금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각화되고 변화함
•사회적 기업의 자본 출처는 사회적 기업의 창업 시기와 연관됨

1970
재단기금과
1990
개인 투자자들의
2000
재단기금 다음으로
정부기금 의존도가 높음 참여가 시작 개인 기부 및 투자가 가장 주요 자본

•퀘벡: 많은 금융 협동조합과 연대금융이 조합원의 삶을 개선하고 사회적 사업에 


자금 지원을 하기 위해 설립됨

•대표 금융 네트워크

RISQ
마이크로크레딧
(Réseau d’investissement 데자르뎅
네트워크
social du Québec)

IBC에서 대출받아 사업을 시작한 원주민


사업장
1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어웨이 익스프레스 택배회사 (A-Way Express Courier)

현지 주소지 2168 Danforth Avenue, Toronto, ON, M4C 1K3

홈페이지 주소 https://www.awayexpress.ca/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awayexpress.ca


회사번호 +1 416-424-2266
대표자 이메일 meredith@awayexpress.ca
대표자 번호 +1 416-424-2266

기업개요 대표자 Meredith Cochrane


설립연도 1987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주요 연혁 2015년 80개 도시로부터 Community Innovator Award 수상
종업원수 및 규모 3명 (풀타임 8명, 파트타임 25명)
매출액/당기순이익 C$ 1만

사업개요 1987년 설립된 A-Way Express는 정신질환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고용 사회적 기업임. 직원
들은 주로 대중교통을 통해 택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고객은 온라인 또는 전화로 주문할 수 있
으며, 배달 주소지에 가장 가까이 있는 택배원이 주문을 접수하고 배달하는 비즈니스 모델임.
핵심 사업은 크게 택배사업과 기타 A-Way 프로그램(영양, 직업훈련, 직업 지원, 지역사회 자원봉사
등)으로 분류됨.

선정이유 정신질환을 경험했거나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일자리 제공


1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어웨이 익스프레스 택배회사 (A-Way Express Courier)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1987년 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일자리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사회주택


인 프로그레스 플레이스(Progress Place)와 하우스링크 커뮤니티주택(Houselink Community
Homes)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대중 교통을 이용한 택배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으며, 정신질환을 겪었거나 겪고 있는 직원들의 정신적, 신체적인 안정과 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Meredith Cochrane (어웨이 익스프레스 대표)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를 진행한 Meredith Cochrane는 현재 어웨이 익스프레스의 대표다. 2013년 어웨이 익스프
레스로 이직하기 전까지 영국과 캐나다에서 환경, 교육, 캠페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근무했다. 이처
럼 다양한 경력이 어웨이 익스프레스의 사업 모델을 강화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Meredith
Cochrane는 두 가지 이유로 이직을 결심하게 되었다. 첫 번째 이유는 어웨이 익스프레스에 근무하고
있는 모든 직원들과 같이 Meredith Cochrane 또한 정신질환(우울증)을 겪은 경험이 있고, 그녀는 정
신질환에 대한 문제를 누구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두 번째 이유로 사회적 기업이 강력하고 구
체적인 사업 모델만 가지고 있다면 지속가능한 경영과 발전이 가능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 중 다수가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인식 개선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먼저 정
신질환자들에게 소속감과 지지적인 환경을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정신적·육체적 회복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보유하고 있는 연락처를 통해 현 직원, 이직한 직원,
휴식을 취하고 있는 직원 등 사람들을 매년 행사에 초대하여 그들이 소속감을 잃지 않도록 하고, 행사
에 대한 피드백을 얻기 위한 노력하고 있다.

취약계층 고용을 목표로 하는 고용사회적 기업인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고용직원 수, 취업지원 프로그
램(Employment support program)을 통한 취업한 참가자 수 등으로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고 있으
며 직원들의 병원 방문 빈도수도 기록한다.
1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어웨이 익스프레스 택배회사 (A-Way Express Courier)

Q 성공과 전략

성공적인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함께 추진했기 때문
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환경에 발맞춰 수요를 반영하는 것이 어웨이 익스프레스의 성공전략이라
고 할 수 있다. 최근 고객들의 니즈를 맞추기 위해 토론토 뿐만 아니라 인근 4개 지역을 포함하는 광역
토론토(GTA; Greater Toronto Area) 지역까지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으며, 토론토 엔터프
라이즈 펀드(TEF)로부터 받은 혼합 자본 기회 펀드(Mixed Capital Opportunities Fund)를 활용하여
하이브리드 차를 구입하기도 했다. 이로써 운전면허가 있는 직원들에게 또 다른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다른 성공 원인으로 직원들의 열정과 헌신을 강조한다. 사회적 편견으로 직업을 구할 수 없었던 일


부 직원들은 첫 직장에 대한 애정과 충성심이 매우 높다. 은퇴할 나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근무 환
경이 좋아 계속 근무 중인 직원들도 있을 정도다. 또한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정신질환자의 특성상 장
기 근무나 풀타임 근무가 어려운 점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알맞은 근무시간과 근무 양을 적당히 분배
하려고 노력 중이다. 또한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직원들과 활발히 소통하고, 신규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데 있어 직원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려고 노력한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사회적 기업은 단순 취업률을 늘리는 것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고용을 유지하는 방안까지 고려해야 한다.
Meredith Cochrane가 이직했을 당시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사회적 영향에 너무 큰 무게를 두어 사회
적 성과에 비해 경제적 성과가 부족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우편으로만 주문서를 제출할 수 있었고,
대부분의 직원들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스마트폰이 없어 무전기로 소통해야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그녀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시스템, 스마트폰, 웹사이트 등을 도입했고, 이를 통해 어웨이 익
스프레스는 직원들에게 최신 기술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경제적 가치까지 창출하는 1석 2
조 효과를 얻을수 있다.

Q 자금확보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설립년도인 1987년부터 온타리오 주 보건복지부의 장기적인 자금지원을 받고


있다. 운영 자금의 80%는 정부 및 타기관으로부터 확보하며, 20%는 수익에서 온다. 또한 다양한 소
셜 프로그램을 통해 모금 행사들을 주최하기도 한다. 올해 처음으로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로부터
대출을 받기도 했다. 참고로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편지, 등기, 소포 등 택배(기본비용 C$ 7~22)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1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어웨이 익스프레스 택배회사 (A-Way Express Courier)

Q 향후 계획

Meredith Cochrane는 앞서 언급했던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이용해 더 넓은 지역으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며, 어웨이 익스프레스에서 진행 중인 프로그램들을 한층 더 세분화할 계획을 갖고 있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사회적 기업의 비즈니스 원칙인 경제, 환경, 사회(Triple bottom line)의 균형을 맞추는 게 중요하다.
사회적 기업의 비전, 미션, 목적 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있어야 기업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
해서는 처음부터 사회적 기업의 위치와 목표, 한계를 이해해야 한다. 특히 사회적 기업은 사회복지기
관 등과 긴밀히 협업하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Meredith Cochrane는 캐나다 정부의 생활 보조금(Pension) 제도에 대해 아쉬움을 보였다. 안타깝


게도 정부가 정신질환을 바라보는 시각은 환자들의 현실과 많이 다르다. 온타리오 주정부는 정신질환
자들이 매달 C$ 400 이상 수입이 있을 경우 생활 보조금을 지원하지 않고 있다. 정신질환자들이 사회
와 많이 접촉할수록 병에 대한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도로 인해 직원들은 파트타임으로 밖에 일할 수 없는게 안타까운 현실이다. 또한 정부는 정신질환자
의 상태가 호전됐다고 판단하면 생활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는다. 그러나 정신질환은 재발 가능성이 매
우 높고 신체적인 부상이 아니기 때문에 매달 검사하고 측정하는데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Meredith
Cochrane는 정신질환을 '순환(cycle)'으로 표현한다. 즉, 환자의 상태는 순환적으로 변화하기 때
문에 잠시 호전됐다는 이유로 완치됐다고 섣불리 판단해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Meredith
Cochrane는 정부가 환자들의 상태를 매월이 아닌 1년 단위로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데자르뎅(Des-Jardins)

현지 주소지 (HQ) 100, avenue des Commandeurs , Lévis (Québec) G6V 7N5

홈페이지 주소 https://www.desjardins.com/ca/index.jsp

연락처 회사번호 +1 514 281 8634


대표자 이메일 bernard.brun@desjardins.com
대표자 번호 +1 800 423 3276

기업개요 대표자 Bernard Brun


설립연도 1990년
조직 형태 사회적 협동조합
종업원수 및 규모 45,547명
자산 C$ 2,751억
잉여금 C$ 21억 5,100만

사업개요 데자르뎅은 회원들의 생활 안정화를 목표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요 고객은 기업, 대도시 및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시민 및 협동조합임. 개인 및 기업 서비스, 웰스 매니지먼트 및 건강보험, 재산
및 재해보험 등을 중심으로 예금, 적금, 대출, 보험, 벤처캐피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
고 있음.

선정이유 충남연구원 캐나다 퀘백주 협동조합 조사보고서(2013) 및 다수의 자료에서 소개된 바 있는 북미 은


행 안전도 4위(Global Finance)의 금융기관
1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데자르뎅(Des-Jardins)

데자르뎅 신용협동조합은 1900년 퀘벡 주의 세인트로렌스 강(St. Lawrence River) 너머에 있


는 레비(Levis) 지역에서 가브리엘-알폰소 데자르뎅(1854~1920)의 민중 금고로 시작하였습니
다. 설립 당시 퀘벡 주의 프랑스계 사람들은 가난했고, 연 3,000%에 이르는 은행의 높은 폭리로
고통받고 있었습니다. 당시 캐나다 오타와주 하원 속기사로 근무하던 가브리엘-알폰소 데자르뎅
은 이같은 부당한 현실에 반발해 고리채 퇴치운동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도 조합
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신협 모델을 고안하였고, C$ 5의 출자금을 매주 10센트씩 1년에
나눠 내도록 하였습니다.

Bernard Brun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Bernard Brun은 법대 졸업 후 1990년대 법률 사무소 등 사기업에서 근무했었다. 데자르뎅과의 첫 인


연은 데자르뎅의 소송을 담당하게 되었을 때였다. 이후 IT 전공으로 석사 과정을 마친 뒤 지식재산권,
기업 인수·합병 등 다양한 회사에 근무하다가 1993년 데자르뎅으로 이직하게 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데자르뎅의 주요 미션은 통합된 협동조합과 금융기관 네트워크를 지속 개발하고, 회원, 임원, 직원


들에게 민주주의, 경제, 연대 및 개인, 단체의 책임에 대해 교육시킴으로써 지역 사회의 경제적 및 사
회적 복지 개선에 기여하는 것이다. 데자르뎅은 이익 창출보다 조합원들에 대한 경제교육을 중시
해 금융 교육 및 금융 문해력(Financial education and literacy)을 통한 '사회적 금융'을 추구하
고 있다. “소비하기 전에 생각하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서민들에게 절약하고 저축하는 습성을 심
어주기 위해 노력 중이다. 순이익의 일부를 경제교육에 지출하고 있으며, 수익사업을 통해 벌어들
인 돈으로 지역사회에 대규모 기부를 하기도 한다. 참고로 데자르뎅은 2008년 금융위기를 촉발
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같은 ‘고위험 고수익’ 상품은 제공하지 않고 있다. 반면 수익성이 낮아 일반
은행에서 기피하는 지역 농촌 고객 비율은 32%에 달한다. 이를 통해 데자르뎅은 헌신(Personal
commitment), 민주주의(Democratic action), 협동조합의 진실성과 엄밀성(Integrity and rigour
in the cooperative enterprise), 지역사회의 연대(Solidarity with the community), 협동조합
간 상호협동(Intercooperation), 인력 개발 서비스를 위한 자금(Money at the service of human
development) 등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1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데자르뎅(Des-Jardins)

Q 성공과 전략

데자르뎅 조합원 및 회원수는 퀘벡주 기준 1915년 23,614명에서 2000년 5,068,143명으로, 2017년


에는 약 700만 명(퀘벡 주 주민의 70%)으로 증가했다. 2017년 기준, 데자르뎅은 고용인원 4만 5,547
명, 자산 C$ 2,751억을 보유하고 있으며, 매년 수천만 달러를 지역사회에 기부하고 있다. Bernard
Brun은 데자르뎅의 성공 전략으로 자본이 아닌 사람 중심의 공동 가치를 실현해 가는 협동조합(민주
주의)적 경영 원리를 강조한다. 데자르뎅은 협동조합을 통해 기존의 수직적이고 권위적이던 관료제와
는 달리 수평적 관계에 바탕을 두고 다양한 사회구성원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민주적 결정과정을
중시하는 협동조합이기에 조합원들의 목소리가 공정하고 평등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1인1표’에 입각
한 민주적 지배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철저한 협동조합 원칙은 조합원의 충성심과 사회적 신뢰를
높이면서 궁극적으로 수익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데자르뎅의 성공에는 퀘벡 주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있었다. 퀘벡 주정부의 지원으로 조


성한 수천억 달러 규모의 다양한 사회연대기금은 데자르뎅의 활동과 퀘벡의 사회적 경제를 정착시키
고 지탱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주정부에서는 1963년 재경부 산하 ‘협동조합국’을 창설하고, 기
금, 세제 혜택 등 관련 정책 조율을 통해 금융협동조합을 지원한다. 또한 데자르뎅은 예금, 적금, 대출,
보험, 벤처캐피탈 등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1930년대 대공황으로 북미의 경제상황은 크게 나빠졌으며 퀘벡 주 역시 극심한 침체를 겪었다. 이 기


간 동안 데자르뎅은 37개의 민중 금고가 문을 닫고 총 자산의 25%가 줄어드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남
은 민중금고들이 조합원의 예금을 변상하는 등 대출 회복에 힘을 쓰는 한편 퀘벡 주를 관장하는 중앙
연맹을 설립해 전체 조합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경제위기 타파에 힘을 모았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데
자르뎅은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매해 평균 33개의 민중금고를 새롭게 설립하는 쾌거를 거두었다.
1936년 C$1,000만 규모의 자산은 1960년 C$6억 8,700만으로 크게 늘었고 1,059개의 새로운 민중금
고가 설립되었다.

Bernard Brun이 이직한 이후, 데자르뎅은 지속적인 규모 성장으로 효율적인 기업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부터 약 10년간 기업 경영구조 간소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Q 자금확보

캐나다 최대 신용협동조합인 데자르뎅은 자산 C$ 2,751억, 잉여금 C$ 21억 5,100만, Tier 1A 자본 비


율 18%를 보유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총 잉여금인 C$ 17억 7,200만 중 개인 및 기업 서비스 매출이
58%, 웰스 매니지먼트 및 생명보험 26%, 재산 및 재해 보험 17%, 기타 0.6% 차지하고 있다.
1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데자르뎅(Des-Jardins)

Q 향후 계획

빠르게 변하는 디지털 기반의 금융 환경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Bernard Brun은 애플 페
이(Apple Pay)와 같은 기술과 금융의 조합을 예로 들었다. 스마트폰이나 간편한 기술로 은행업무를
본다면 데자르뎅은 조합원들과의 대면 접촉의 기회를 잃을 수도 있다. 데자르뎅은 기존 오프라인 채널
및 모바일 거래 채널을 모두 활용하여 고객 친화적 영업 인프라 구축을 공고히 하고 새로운 고객층인
밀레니얼 세대 고객 유치를 위해 혁신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창출하고자 하는 사회적 가치와 미션 및 비전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
다. 또한 정부는 통제를 완화하고 사회적 기업들에게 자율권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적 기업 간의
통합도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비슷한 목적과 역할을 가진 사회적 기업이 많이 존재할 경우 재원 분배
등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Q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

Bernard Brun은 2017년 한국의 신용협동조합중앙회(National Credit Union)와 규제 기관


(Regulator)과 퀘벡에서 미팅을 가진 바 있다.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의 경우 구체적인 내용
을 검토한 후 협업할 의향을 갖고 있다.

2017 SOCIAL AND COOPERATIVE RESPONSIBILITY REPORT

When you choose


Desjardins,
you’re making change
happen.
2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퍼니처뱅크(Furniture Bank)

현지 주소지 25 Connell Ct #1, Etobicoke, ON M8Z 1E8, Canada

홈페이지 주소 https://www.furniturebank.org/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furniturebank.org


회사번호 +1 416-934-1229
대표자 이메일 dan.kershaw@furniturebank.org
대표자 번호 +1 416-934-1229

기업개요 대표자 Dan Kershaw


설립연도 1998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및 자선단체
주요 연혁 설립 이후 약 7만 명 이상 개인과 2만 9000개 가정을 지원
1만 3,188톤 매립 쓰레기 감축
종업원수 및 규모 50명
매출액/당기순이익 C$ 344만 5,542

사업개요 수녀이자 퇴직 교장인 Anne Schenck는 한 소말리아 난민 가정을 방문한 뒤 가정을 꾸려가기 위해
서는 지원과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여전히 많다는 것을 깨닫고 1998년 퍼니처뱅크를 설립. 이후
퍼니처뱅크는 20년 동안 광역 토론토(Greater Toronto Area) 지역의 중고가구나 가정용품을 수거
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편모가정, 이민자, 난민, 前노숙자, 정신질환자, 원주민, 참전 용사, 저소득 가
계 등 사회적 취약 계층에 전달하고 있음. 주요 고객층 비중은 36%(여성 및 아동), 27%(난민 및 신
규이민자), 25%(前노숙자), 12%(기타)임.

선정이유 사회적 기업진흥원 디렉토리 및 HBR에서 소개된 사회적 기업


2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퍼니처뱅크(Furniture Bank)

퍼니처뱅크는 매일 평균 20개의 가정을 만나며, 고객들이 직접 퍼니처뱅크를 방문해 원하는 가


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구를 기증받기 위해서는 이민기관이나 주택기관 등 관련 기관을 통
해 예약을 해야하며, 예약 가능한 날짜와 시간은 월-금 오전 9시부터 11시 반까지입니다. 예약 시
간이 끝나면 퍼니처뱅크는 가구 배달/수거를 준비하고 다음날 예약 손님을 위해 창고를 정리하는
등 72시간 사이클(turn)을 기본으로 하여 운영 중입니다. 주요 취급 품목은 중고 식탁, 의자, 사이
드보드, 책상, 소파, 전자제품, 침대, 주방용품, 커피테이블, 램프, 옷 등입니다.

Dan Kershaw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Dan Kershaw는 캐나다 웨스턴 대학교(Western University)에서 MBA 과정을 마친 뒤 웹호스팅 기


업(Netfirms Inc.), 모바일 출판사(Spreed Inc.), 마케팅 컨설팅사(GoGrowit) 등 다양한 사기업에서
18년간 종사하였다. 그러다 2014년 헤드헌터로부터 퍼니처뱅크로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고, 퍼니처
뱅크의 사회적 목적에 흥미를 느껴 이직을 결심하였다. 참고로 그는 2009년부터 조지안 전문대학교
(Georgian College)에서 통계, 마케팅, 경영학을 가르치고 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현재 광역 토론토(GTA, Greater Toronto Area)에 거주하는 2만 5천 이상의 가정이 가구가 없거나 온


전하지 못한 가구만 있는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퍼니처뱅크는 재활용 가구 사업을 통해 사회적 취
약 계층이 인간의 존엄성과 안정성을 보장받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변화시키는 역할을 맡고 있다. 따라
서 퍼니처뱅크는 실질적으로 사회 취약 계층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가구 제공을 위해 일정 크기 이하
의 재사용에 문제가 없는 가구만 취급하고 있다.

퍼니처뱅크에 가구를 기증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1) 기증자가 무료로 직접 조립된 가구를 퍼


니처뱅크로 가져오거나, 2) 퍼니처뱅크가 기증자의 집을 직접 방문해 가구를 픽업한다. 이 가구 픽
업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퍼니처뱅크는 가구 기증자에게 일반 폐기물처리 회사들과 비슷한 금액의
가구 처리 비용(운송 비용)을 청구한다. 이 서비스는 기업의 65% 이상의 매출을 차지할 만큼 퍼니
처뱅크의 핵심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퍼니처뱅크는 이 서비스를 통한 이윤추구와 경제적 가치 창
출에도 많은 중점을 두고 있어, 영리조직과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에 늘 어려움이 존재한다. 현재는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를 통해 사회적가치를 평가하고 있다.
2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퍼니처뱅크(Furniture Bank)

Q 성공과 전략

퍼니처뱅크는 2017년 한해 동안 만 명 이상에게 가구를 전해줄 수 있었다. 같은 기간 1,500명 이상의


개인 또는 기업이 자원봉사에 참여했다(총 자원봉사시간 119,000시간). 광역 토론토(GTA)에는 약 40
개의 폐기물 처리회사가 존재하는데, 퍼니처뱅크는 이들과 달리 가구 기증자에게 가구처리비용을 부
담하게 하고 세금공제 영수증을 발행함으로써 세금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퍼니처뱅크는 고용의
기회가 제한적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회적응·직업훈련 프로그램(Leg Up Program)을 제공하며,
이들에게 가구 픽업 서비스, 가구 수리 및 판매 등을 통한 일자리를 제공한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면서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수익성이 상충되는 문제는 자주 있는 일이다. 예컨
대 Dan Kershaw가 이직하기 바로 전년도인 2013년 퍼니처뱅크는 약 C$30만 손실을 보는 등 재정적
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Dan Kershaw는 2014년 퍼니처뱅크로 이직한 이후 재정 문제점을 보완하
기 위해 기존의 트럭 수(5대)를 2배 이상으로 높여 11대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2015년 2월 27일, 누군가가 트럭들을 크게 파손시켰고, 몇 주간 가구 배달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 적이 있다. 그런데 뜻밖에도 이에 대한 소식이 주요 언론에 보도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퍼니처
뱅크의 존재를 알게되었다. 또한 이 소식을 접한 일본의 한 트럭 관련 기업 CEO가 수리를 도와주면서
어려움을 빨리 극복할 수 있었다.

Q 자금확보

Dan Kershaw는 기업의 자립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정부지원과 후원금에만 의존하지 않고 창출한
수익을 이용해 퍼니처뱅크의 고유목적을 위해 사업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방식으로 운영한다. 안정적
인 재원 확보는 안정적인 인력 및 기업 운영과 연관되기 때문에, 가구 픽업서비스를 통해 최대한 많
은 이윤을 창출하고 있다. 퍼니처뱅크는 자금의 65%를 가구 픽업 서비스를 통해 확보하고, 20%는 정
부에서 지원받고 있으며, 이외 온타리오 트릴리움 재단(OTF, Ontario Trilium Foundation)과 자선
가들로부터 후원을 받고 있다. OTF는 퍼니처뱅크에 2011~2012년 6개월간 C$55,900를 지원하였고
2014~2015년 2년간 C$169,500를 지원하였다. 또한 퍼니처뱅크는 매년 정부의 자금 조달 프로그램
이자 기관인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TEF)로부터 지원받고 있다. 참고로 사업 초기 토론토 시정부
가 무료로 제공한 공간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2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퍼니처뱅크(Furniture Bank)

Q 향후 계획

퍼니처뱅크는 앞으로도 기업의 자립성을 강화하기 위해 더 많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2018년 자회사를 설립한 바 있으며, 현재 B-Corp(사회적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 인증 취득
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지원과 후원금 의존도를 낮추고, 향후 더 많은 가정들에게 가구를 보급할 수
있도록 공간을 극대화하고 전자상거래 등 기술 도입 방안을 고려할 예정이다. 북미에 존재하는 퍼니처
뱅크 같은 120개 기업 간 하나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협업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내부적으로 모든 직원들이 사회적 기업의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해당사


자들은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해 모두 다른 정의를 갖고 있으므로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견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Q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이나 사회적 기업가에 대해 알고 있는 바는 없으나, 4년 전 한국에서 사회적 기


업월드포럼(Social Enterprise World Forum)이 개최된 것은 알고 있다. 한국의 사회적 기업가들에
게 해외 사회적 기업 성공 사례들을 참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향후 퍼니처뱅크와 비슷한 목적을 가진
사회적 기업들과 협업할 의향이 있다.
2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저스트어스 커피 협동조합(Just Us! Coffee Roaster Coop.)

현지 주소지 11865 Highway 1, Hortonville, NS (Head office)

홈페이지 주소 https://www.justuscoffee.com/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justuscoffee.com


회사번호 +1 888 668 8436
대표자 이메일 kathy@justuscoffee.com
대표자 번호 +1 902 697 4231

기업개요 대표자 Kathy Day


설립연도 1995년
조직 형태 사회적 협동조합

사업개요 저스트어스는 공정무역 제품(커피, 설탕, 초콜릿, 차)을 커피하우스(Grand Pré Coffeehouse,
Wolfville Coffeehouse), 로스터리(Grand Pré Roastery) 등에 유통하고 있음. ACPROA(엘살바도
르), AGRIVID(코스타리카), AGROSEC(콜롬비아), ASOBAGRI 및 CCDA(과테말라), COMSA(온두라
스), Casil(페루), FAPECAFES(에콰도르), Permata Gayo(인도네시아), PRODECOOP(니카라과),
OCFCU(이디오피아), SOPACDI(콩고), UCIRI 및 Union Majormut(멕시코) 등 커피, 차, 초콜릿 생
산자들을 통해 고급 차와 커피를 공정한 거래를 통해 판매.

선정이유 HBR에서 소개한 캐나다 최초의 공정무역 커피 사회적 기업


2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저스트어스 커피 협동조합(Just Us! Coffee Roaster Coop.)

이익보다 사람과 세상을 먼저(People and the Planet before Profits)라는 슬로건을 실천하는
사회적 협동조합입니다. 캐나다 최초의 공정무역커피 관련 사회적 기업으로, 설립 이래 커피 하
우스, 로스터리, 박물관, 데모 농장 등을 만들며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공정무역 운
동이 캐나다 시민의 일상 속에 실천되도록 공정무역 교육 등을 진행하고, 커피하우스를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와 아이디어를 공유할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만듦과 동시에 모든 공급자 및 파트너
들이 공정한 가격에 거래할 수 있도록 노력 중입니다.

Kathy Day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Kathy Day는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육시스템 관련 기관에 근무하다가 공급자 및 파트너들이 공정한
가격에 거래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인 저스트어스의 협동조합에 관심을 갖고 저스트어스로 이직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직 후 사회적 기업은 지역사회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더 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나가야 하는 것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저스트어스는 사회적·환경적·경제적인 정의(正義)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수익성 있는 협동조합을


유지하고자 하는 사회적 미션을 가지고 있다. 저스트어스는 경제, 환경, 사회라는 세 가지 기준을 측정
하기 위해 수년간 연차보고서를 작성해 왔다.

저스트어스의 사회적 비전은 고급 커피, 차, 초콜릿, 설탕 제품들을 판매하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함으


로써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인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다
2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저스트어스 커피 협동조합(Just Us! Coffee Roaster Coop.)

Q 성공과 전략

1996년 창립하여 22년간 이어지고 있는 저스트어스는 2017년 기준 약 C$ 700만~800만 규모의 매출


액을 기록하였다. Kathy Day는 이러한 성공 요인으로 저스트어스 직원들과 근무 환경을 강조한다. 이
익보다 사람과 환경을 먼저 생각하는 신념과 철학을 바탕으로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성공전략이다. 현
재 저스트어스는 지역 사회의 불우이웃들에게 의미있는 일자리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
하는 중이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저스트어스는 협동조합의 특성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 때도 있었다. 그러나 협동조합 모델을 통해 이


익이 아닌 사회적 가치 창출, 배움과 성장을 중시하고 있다. 특히 사회적 미션인 공정 거래를 위해서는
협동조합의 민주주의적인 요소가 필수적이다.

Q 자금확보

노바스코샤 주정부의 지역사회경제개발투자기금(CEDIF; Community Economic-Development


Investment Funds) 프로그램과 연방정부 산하 캐나다대서양기회공사(ACOA; Atlantic Canada
Opportunities Agency)로부터의 재원 및 보조금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
2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저스트어스 커피 협동조합(Just Us! Coffee Roaster Coop.)

Q 향후 계획

저스트어스의 주요 사업 목표는 다음과 같다.

목표 1. 안정되고 혁신적인 협동조합의 성장(Grow a Stable & Innovative Co-operative Business)

목표 2. 진보적인 노동 관계 전략과 함께 세계를 선도(Lead the World with a Progressive Worker


Relations Strategy)

목표 3. 소규모 생태 농업과 공정무역의 교육자이자 후원자로서 세계를 선도(Lead the World as an


Educator and Supporter of Small Scale Ecological Agriculture and Fair Trade)

Q 현재 진행중인 사업

저스트어스는 커피·차·초콜릿 생산자들의 최적의 사업 파트너가 되고자 관계 유지와 직접적인 교


류에 힘쓰고 있다. 장기적인 관계를 수년간 유지해 온 지역(멕시코 등)에 있는 일부 파트너들을 매년
직접 방문하는 등 활발히 교류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직원들에게 교육하고 있다. 또한 생산자
가 직접 운영하는 “공정 거래” 인증 프로그램인 SPP에 매우 활발하게 참여하고 있다.

또한 공정 여행(Community based tourism)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저스트어스는 담당자들과의


관계 증진을 위한 여행 계획을 개발해 멕시코 오악사카(Oaxaca)주에 있는 커피협동조합(UCIRI; La
Unión de Comunidades)을 방문하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지역 사회 토대로 관광 프로젝트를 수년
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른 생산자들도 방문하고 있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직원들을 교육시
키고 투자자들과 소비자들에게 많은 경험을 제공 중이다.
2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토론토 통역 서비스(Interpreter Services Toronto)

현지 주소지 489 College St., Suite 503, Toronto, ON, M6G 1A5

홈페이지 주소 https://www.interpreterservicestoronto.ca/

연락처 대표 이메일 contact@interpreterservicestoronto.ca


회사번호 +1 416 323 9149
대표자 이메일 maricela@interpreterservicestoronto.ca, jehan@schliferclinic.com

기업개요 대표자 Maricela Lozano, Jehan


설립연도 2009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주요 연혁 설립 이후 약 6만 명의 여성 지원
종업원수 및 규모 약 300명의 통·번역가 근무

사업개요 Interpreter Services Toronto(IST)는 200여개 이상의 언어 통·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
업임. 또한 통·번역가 직업 훈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취약계층 여성(이주여성, 난민, 가정폭력
여성 등)에게 통·번역가 일자리를 제공 중임. 고객들은 대면, 유선, 화상전화 등 여러가지 방법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IST는 연중무휴 24시간 긴급통역 전화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청각장애인
들을 위한 영상 수화통역 서비스를 소개해 큰 주목을 받고 있음.

선정이유 취약계층 여성을 위한 통·번역 서비스 제공하고 일자리 제공을 통해 여성들의 경제적 자립성 추구
하는 사회적 기업
2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토론토 통역 서비스(Interpreter Services Toronto)

토론토 통역 서비스(IST; Interpreter Services Toronto)는 2009년 바브라 슐라이퍼 기념클리


닉(Barbra Schlifer Commemorative Clinic)* 산하 사회적 기업으로 설립되었습니다.

Interpreter Services Toronto

*1985년 설립된 바브라 슐라이퍼 기념클리닉(Barbra Schlifer Commemorative Clinic)은 학대로 생을 마감한
Barbra Schlifer 변호사를 기리기 위해 설립된 여성폭력방지클리닉이다. 이 클리닉은 상담, 법적 지원 및 언어
통역을 통해 연간 약 4,000 명의 여성을 지원하고 있다.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대표자인 Maricela Lozano는 18년 전 캐나다로 이민왔으며, 바브라 슐라이퍼 기념클리닉에서 봉사


하면서 IST를 처음 알게 되었다. 사회취약계층인 이민여성으로서 IST의 사회적 비전과 미션이 와닿았
던 그녀는 2001년 취직에 성공했고, 이후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면서 IST의 규모 확장에 힘쓰고 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IST의 사회적 비전은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소외 계층 여성들의 경제적 자립성과 자존감을 높
이고 모두를 위한 정당한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직업훈련 프로그램 등 일자리를 통해 비슷한
처지에 있는 여성들은 공동체 안에서 소속감을 느낄 수 있다. IST는 전문성, 도덕성 그리고 기술력 등
의 사회적 가치들을 추구한다.

1) 전문성: 엄격한 교육을 이수한 통·번역자들의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2) 도덕성: 공정한 노동환경을 통해 여성들이 기업가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
3) 최첨단: 신기술 도입으로 고객의 수요에 맞춘 서비스 제공

IST는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교육을 받은 참가자 수, 노동시간, 그리고 이들의 급여를 측정
한다.
3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토론토 통역 서비스(Interpreter Services Toronto)

Q 성공과 전략

고객의 다양한 수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서비스를 다각화하고 세분화시키는 것이 IST의 성공 전


략이다. IST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긴급 유선 통역 서비스(OPI, Immediate Over-the-phone
Interpretation)이다. 또한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혁신적인 사업을 소개했
다. 무엇보다 바브라 슐라이퍼 기념클리닉의 전폭적인 지원이 없었으면 IST의 성공은 없었을 것이라
고 언급하며 파트너십(재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대부분의 사회적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IST 또한 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인력이 부족한 IST에서
는 자금 확보에만 매진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바브라 슐라이퍼 기념클
리닉에서 회계사 등 인력을 지원해 주고 있다. 바브라 슐라이퍼 기념클리닉은 만 13살에서 29살까지
의 미혼모를 돕고 있고, IST는그들을 위한 상담사와 보육사를 소개시켜주고 아이들을 위한 유아·아
동 전용공간도 마련해 놓았다.

IST는 다른 통번역 서비스 기업들과 경쟁해야 하기에 늘 긴장해야 하고 버거운 환경이 닥치기도 한
다. 어려움에 직면할 때마다 사회적 비전과 미션을 되새기고, 소외 계층 여성들을 위한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Q 자금확보

IST의 핵심 이윤산업으로는 긴급유선통역서비스(OPI; Immediate Over-the-phone Interpretation)


가 있다. 200여개 이상의 언어 번역이 가능하며, 30초 내로 통역사와 연결된다. 긴급유선통역서비
스를 받는 고객들은 1분당 C$ 1.6를 지불한다. 또한 IST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영상 수화통역 서비스
(Deaf Interpreter Over Video)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자금확보는 바브라 슐라이퍼 기념클리닉을 통하고 있다. 그러나 IST의 가장 핵심적인 자금확보는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TEF)로, 2009년부터 장기적인 자금을 받고 있다. 또한 과거 IST의 도움
을 받았던 개인들로부터 후원금을 받기도 한다.
3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토론토 통역 서비스(Interpreter Services Toronto)

Q 향후 계획

IST의 향후 계획은 다음과 같다.

계획 1 파트너십 구축
계획 2 미국기업과의 경쟁을 위해 콜센터 확장
계획 3 영상 통역 서비스 강화

또한 현재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비슷한 기업 및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최근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회적 기업들이 등장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을 운
영하기 위해서는 더욱 더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창업 비용 조달
이나 상권 분석 등 창업 시작 단계와 성장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더라도 조급하지 않아야 한다. 너무 성
과를 조급하게 기대하는 것은 금물이며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뜻이 잘
맞는 파트너들과의 협력으로 사업을 가속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3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Out of This World Cafe)

현지 주소지 100 Stokes Street, Toronto, ON, M6J 1H4

홈페이지 주소 http://otwcafe.com/

연락처 대표 이메일 orders@otwcafe.com


회사번호 +1 416 535 8501
대표자 이메일 warren@workingforchange.ca
대표자 번호 +1 416 535 8501

기업개요 대표자 Warren Hawke


설립연도 1997년 설립, 2002년 Working for Change(WfC)가 인수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종업원수 및 규모 30명
매출액/당기순이익 C$ 88만

사업개요 정신질환자, 마약중독 등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임. 온


라인/오프라인 주문 케이터링 서비스(최소 5명에서 100명 이상까지 가능)를 제공하고, 오프라인 카
페/식당 운영(샌드위치, 샐러드, 피자, 크로와상, 머핀, 커피, 주스 과일, 디저트 등)을 운영 중임.

선정이유 정신질환, 마약중독 등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일자리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


3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Out of This World Cafe)

1997년 캐나다 중독치료기관 (CAMH; Centre for Addiction and Mental Health)의 재활프로
그램을 통해 설립된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Out of This World Cafe)는 2002년 캐나다 자선단
체 워킹포체인지(WfC; Working for Change)가 인수하면서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워킹포체인지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을 위한 고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자선단체로, 리더십 및
직업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 중입니다.

Warren Hawke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Warren Hawke는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로 이직하기 전 금융업에서 종사해 비즈니스 측면에 관한


전문성을 갖추었다. 음식에 대한 열정이 강했던 그는 셰프로도 활동했었는데, 지인의 추천으로 2009
년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에 셰프로 이직하게 되었다. 이직한 결정적인 계기는 그 역시 아웃오브디스
월드 카페에 근무하는 직원들처럼 정신질환을 경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사기업들과 달리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 직원들 모두 정실질환 또는 마약중독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
에 본인의 문제를 공유할 수 있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고 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의 3가지 비전은 다음과 같다.

1) 빈곤, 노숙, 폭력 및 난민, 이민 문제와 연관된 사회취약계층에게 교육 및 취업 기회 제공


2) 사회적 소외(Marginalization) 반대
3) 지역사회의 성장을 위한 정책 지지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는 모두에게 동일한 고용 기회가 주어지고, 정신 질환, 마약 중독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 대한 낙인이 없고 사회적 경제 기업이 번성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우울
증, 조현병,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질환은 낙인보다는 사회에서 공감해줄 때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3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Out of This World Cafe)

Q 성공과 전략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의 성공 비결은 직원 모두가 정신질환 또는 마약중독을 경험하고 있거나 경험


했기 때문에 사회적 비전과 미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헌신한다는 점
이다. 대다수의 직원들이 이 곳이 첫 직장이기 때문에 충성심 또한 높은 편이다. 그간 사회적인 편견과
선입견으로 고통받아 온 직원들은 이곳에서 사회적 구성원으로서 안정적인 생활을 시작할 수 있다.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는 핵심 파트너인 캐나다 중독치료기관 CAMH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


다. CAMH는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로부터 주변 시세보다 낮은 임대료를 받고 있으며, 수도전
기, 가스비용 또한 삭감해 준다고 한다. 또한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을 때
CAMH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통해 도움을 받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경영에 대한 노하우가 부족했던 점을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사업 초창기 때 빠른 성장세를 기록하면


서 기업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어려웠다. 결국 사회적 기업도 기업이기 때문에 비즈니스 마인드
를 가진 인재가 필요했으나 모든 직원들이 기업운영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했다.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와 같은 사회적 기업은 중장기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토론토 엔


터프라이즈 펀드(TEF)는 사회적 기업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단계적으로 기금의 액수를 줄이고
있다고 한다. 사회적 기업이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경영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기 때
문에 사회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낮아질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현재 자금 확보에 대한
어려움은 기업 성장(매출액)을 통해 해결하고 있다.

Q 자금확보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의 상위 조직인 워크포체인지는 현재 온타리오 주 보건부(Ontario Ministry of


Health)로부터 자금을 받고 있으며, 산하의 사회적 기업들에게 배분하고 있다. 아웃오브디스월드 카
페는 2018년 10월 기준 4개의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는 이 자금을 통해 각 지
점에 있는 매니저들의 급여를 충당하고, 매출로는 직원들의 시급을 지급하고 있다.
3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Out of This World Cafe)

Q 향후 계획

아웃오브디스월드 카페 지점이 위치한 CAMH건물은 2020년에 철거될 예정이다. 직원들의 일자리


를 유지하기 위해 입주 가능한 건물을 물색 중이며, 다른 지점들을 확장할 계획이다. 현재 토론토에
소재한 세인트 조셉 병원(St. Joseph Hospital), 휘트비(Whitby)에 위치한 정신의료기관(Ontario
Shores) 등 잠정 파트너들과 협업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성공적인 사회적 경제 조직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경영에 대한 높은 이해도가 필요하다. 비록 사회적


기업들이 아무리 좋은 사회적 목적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윤을 창출해야 하기 때문에 비즈니스 마인드
를 갖춘 인재를 고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는 사회적 기업을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신규 사회적 기업 뿐만 아니라 기존의 사


회적 기업들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가져야 한다. 정부는 사회적 기업에게 제공하는 자금을 비용
(expense)이 아닌 투자(investment)로 바라보아야 한다. 또한 정부는 사회적 기업이 창출할 단기적
인 사회적 가치가 아닌 중장기적인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
3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테크노폴앵거스(Technopole Angus)

현지 주소지 2600 Rue William-Tremblay, Montréal, QC H1Y 3J2, Canada

홈페이지 주소 www.technopoleangus.com/en/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sda-angus.com


회사번호 +1 514 528 5230
대표자 이메일 clarouche@sda-angus.com
대표자 번호 +1 514 528 5230

기업개요 대표자 Charles Larouche


설립연도 1998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종업원수 및 규모 20명
입주기업 58개사

사업개요 테크노폴앵거스는 지속가능한 지역재생을 목표로 설립된 지역개발 사회적 기업임. 2015년까지 테
크노폴앵거스는 C$ 8천만을 투자해 13채의 건물(약 64만 평방 피트의 임대 공간)을 리모델링하였
으며 현재 56개 기업(사회적경제기업 10여개)이 상주하며 약 2,500여 명이 근무하고 있음.

Technopole Angus의 성공은 동일한 비전(경제적, 사회적 및 환경적 목적을 통합한 지속 가능한 부
동산 개발)을 공유하는 금융 파트너와의 견고한 관계에 달려있음.

선정이유 충남연구원 사회적경제연구회 워크숍(2011)에서 소개된 사회적경제기업. 폐업단지로 인해 슬럼화


된 지역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재생시킨 성공사례
3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테크노폴앵거스(Technopole Angus)

1992년 캐나다 철도산업이 사양길로 접어들면서 몬트리올에 위치한 200만평 부지의 대규모 공
장이 폐쇄되었습니다. 1996년 첫 번째 토지가 매입되었고, 1998년 열차를 만들던 건물이 리모
델링되었습니다. 이어 1998년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통해 삶의 질을 높
이는 비즈니스 단지를 만든다는 미션을 바탕으로 테크노폴앵거스가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지역
사회 재건을 위해 지역개발공사(CDEC), 지자체, 지역주민, 테크노폴앵거스가 협력해 20년에 걸
쳐 건물을 개조하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센터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Technopole Angus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를 진행한 Charles Larouche는 현장의 건물 설계, 자금 조달, 건설 및 운영과 관련된 모든 활동


을 책임지고 있다. 그는 사기업에서 종사하다가 2002년 테크노폴앵거스의 사회적 목적과 가치에 관
심을 가지고 이직을 결심하게 되었다. 테크노폴앵거스는 비영리기관이기 때문에 소유주(owner)가 없
이 사원(member)으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지역 사회와 주민들을 위해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한
다. 사회적 기업은 일반 사기업과 달리 이익 창출보다 사람과 지역사회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철학을
바탕으로 운영되는 것이 큰 차이점이다. 또한 사기업에서 근무할 때는 월급 외에도 주식을 받는 등 기
타 제도가 있었으나 사회적 기업에서 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테크노폴앵거스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는 실업이다. 테크노폴앵거스가 설립된 이래 2,500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였다. 특히 몬트리올 동부는 대표적인 낙후 지역으로, 많은 도시 재생이 필요한
곳으로 보고 있다. 테크노폴앵거스에서 추구하는 가치들은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개
발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는 비즈니스 단지 조성이다.
3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테크노폴앵거스(Technopole Angus)

Q 성공과 전략

테크노폴앵거스는 지역 공동체에 대한 기여를 실천하고 있다. 지역 공동체들이 살아야 도시가 지속가


능해지기 때문이다. 바로 이점이 테크노폴앵거스와 타 부동산 개발업자와 차별화되는 부분이다. 테크
노폴앵거스는 성공전략으로 이러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근면성실함과 회복력(resilience)을
꼽았다. 또한 테크노폴앵거스는 다른 부동산 개발 기업들과 달리 그린빌딩(LEED 인증을 받은 친환경
건축물)을 건설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 뿐만 아니라 많은 일반인들과 다양한 산업의 기업들도 테크노
폴앵거스에 입주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아직까지는 많은 고객들이 그린빌딩보다는 임
대료에 더 관심을 보이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harles Larouche는 테크노폴앵거스가 통해
지금까지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개발 프로젝트에 참가했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성공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테크노폴앵거스의 재생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단순 자금 확보 뿐만 아니라 인프라 확충 등 여러 문


제가 공존한다. 몬트리올의 낙후지역은 기초생활 및 교통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
이다. 또한 관련 기업 및 시민들의 저개발지역에 대한 편견과 인식 때문에 사업을 빠른 속도로 추진하
는데 어려움이 있다. Charles Larouche는 대중교통 관련 기업들과 협업했다면 도시재생 프로젝트들
을 조금 더 빠르게 추진할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테크
노폴앵거스는 주거지역 뿐만 아니라, 상권, 학교 등을 포함한 복합단지를 개발함으로써 사람들의 낙후
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Q 자금확보

테크노폴앵거스는 자금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퀘벡 주정부가 제공하는 대출 제도의 도움을 받았다. 퀘


벡 주정부는 특별히 테크노폴앵거스를 위해 무이자 조건으로 C$ 2,000만을 대출해 주었다. 이외 주요
투자자로는 퀘벡의 행동기금이 있다. 행동기금은 퀘벡 주 전역의 일자리를 유지하고 창출하기 위해 사
회적 경제는 물론 모든 분야의 기업에 투자한다. 또한 행동기금은 주요 금융 파트너 중 하나로 2004년
테크노폴앵거스의 개발 파트너가 되었고, 이후 관련 프로젝트에 C$ 1,180만을 투자해오고 있다.
3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테크노폴앵거스(Technopole Angus)

Q 향후 계획

단기 계획은 40만 평방 피트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한다. 향후 7년에서 10년간 약


300~400개의 주거 공간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며, 여기에 오피스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또한 시너지
빌딩(synergy building), 에너지소비(Energy Consumption), 열발전(Heat Generation) 등을 컨트
롤하는 에너지루프(Energy Loop)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그러나 몬트리올의 동부 지역은 대중 교통
접근성이 낮고, 정유 공장으로 인해 토지가 오염되어 있어 정부와 긴밀한 논의를 거쳐야 한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사회적 경제 조직보다도 정부에게 제안하고 싶다. 정부의 지원이 사회적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정부는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정부가 좁고 편
협한 시각에서 사회적 경제로 접근하면 사회적 기업이 성공하기 어렵다. 정부는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
을 아끼지 않고,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사회적경제기업들을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Q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

Charles Larouche는 한국 KBS 신년기획 '일터혁명! 삶터와 만나다'에 출연한 바 있다.


4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라토후(La TOHU)

현지 주소지 2345 Jarry East, Montréal (Québec) H1Z 4P3, 514-376-TOHU (8648)

홈페이지 주소 http://tohu.ca/en/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tohu.ca


회사번호 +1 888 376 8648
대표자 이메일 groupes@tohu.ca
대표자 번호 +1 888 376 8648

기업개요 대표자 Stéphane Lavoie


설립연도 2004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주요 연혁 설립 이후 160만 명 방문, 97개(1,184회)의 서커스 공연 주관, 469개의 
무료 공연과 행사를 선보임
종업원수 및 규모 840석 규모의 원형 극장 보유

사업개요 La TOHU는 서커스 예술 교육·창작·생산·공연을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서커스 극장이자 학교


중 하나로, 캐나다 정부와 민간으로부터 자금지원을 받아 설립된 사회적 기업이며, 취약계층 예술교
육 및 무료 공연, 행사 등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있음. 쓰레기 매립장을 공연/예술 장소로 지역
활성화해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역사회를 위해 무료/유료 서커스 공연과 행사를 진행
하고 있음.

선정이유 2016 사회적경제 전략기획연수 보고서와 주한캐나다대사관 공식블로그(http://insidecanada.


kr/50165655381)에 소개
4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토후(La TOHU)

광산업이 발달했던 세인트 미셸(Saint-Michel) 지역은 1970년대 말경 산업이 쇠퇴하면서 황폐


화 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여성 무용가가 쓰레기매립지를 문화예술공간으로 활
용하자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지역주민들의 지속적인 시위로 대책 마련에 골치를 앓던
몬트리올 시는 이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몬트리올 시는 1988년에 이 매립지를 포함해 60만
평을 사들여, 단계별로 친환경공원으로 꾸미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캐나다와 북미를 통틀어 유
일하게 재활용 원자재를 이용해 만든 360도 원형극장이 세워졌고, 세인트 미셸 지역은 몬트리
올시와 라토후에 의해 생태복합공간으로 변화하며 캐나다 서커스 산업의 블루칩으로 재탄생하
게 되었습니다.

La TOHU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를 진행한 Stéphane Lavoie는 몬트리올에 위치한 극장 Théâtre Espace Go에서 6년간 근무
하다가 2002년 몬트리올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라토후로 이직을 결심하였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라토후는 일자리 창출, 문화 및 지속가능한 개발 등 사회적 가치에 주력하고 있으며 서커스(문화예술),


환경, 지역사회 세 가지를 핵심가치로 삼고 있다. 라토후는 이 세가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무
료 공연과 서커스를 구상하고, 지역 시민단체 활동가들을 초청하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라
토후의 세가지 미션은 다음과 같다.

미션 1 몬트리올을 문화가 가득한 국제 서커스 예술 도시로 발전시킨다.


미션 2 지구와 환경을 보호한다.
미션 3 지역 사회의 자립과 경제 발전을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라토후는 일자리 창출에도 힘쓰고 있다. 2018년 기준, 세인트 미셸 지역에는 약 60,000명
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약 62개의 다른 지역공동체가 존재한다. 세인트 미셸 지역은 청소년 탈
선, 실업 문제 등 심각한 문제들을 겪고 있다. 이에 라토후는 비행 청소년, 학교 중퇴자 등 사회적 약자
들이 지역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민했고, 사회·직업 통합 프로
그램인 ‘팔라(FALLA)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참가자들에게 10주의 직업교육을 제공하며, 이 교육과
정에 전문작가들이 참여해 목공, 조각, 몰딩 등을 가르친다. 또한 비행 청소년이나 학교 중퇴자 등 청
소년들이 사회와 통합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3개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서커스를 배우거
나 공연용 천막에서 거대한 무대장치를 직접 만드는 등의 체험을 해볼 수 있다. 라토후는 이들에게 예
술교육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자신감을 되찾고 사회에 적응력을 키우도록 하
고 있다.
4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토후(La TOHU)

Q 성공과 전략

Stéphane Lavoie는 라토후의 성공 이유로 사회적 미션과 비전을 꼽았다. 라토후는 일자리 창출, 환
경보호 등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공연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생태 복합단지를
건설해 환경문제를 개선하고, 무료 공연 및 서커스를 통해 지역사회의 참여도를 높이는 등 다양한 사
업을 진행 중이다. 또 다른 성공의 이유는 시민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 것이다. 라토
후는 무료 공연을 통해 시민들에게 학교나 가정 안에서 채우지 못하는 문화·예술 체험의 기회를 마련
하고 있다. 이는 시민들의 예술적 감성을 키우며, 나아가 창의적인 사고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라토후는 비영리 사회적 기업으로, 이윤창출보다 사회적 가치 창출을 중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사회
적 가치와 경제적 수익성이 상충되어 문제가 되었던 경험은 없다. 연방정부, 퀘벡 주정부, 몬트리올 시
정부 모두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재원을 지원해 주고 있다. 따라서 라토후는 안정적인 경영으로 몬
트리올 시민의 삶의 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Q 자금확보

라토후는 시정부와 스폰서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고, 공연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운영 예산중 45%
는 정부 보조금이고, 20%는 판매 수익(공연 표 판매, 주차비 등)을 통해 확보하고 있다.
4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토후(La TOHU)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모든 사회적 경제 조직들이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 우선 기업들과 정부는 에너지, 교통, 상하수도, 환
경, 재난 등 다양한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혁신적인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개발해야 하며, 도시재생 프
로젝트는 규모가 크기 때문에 제품 및 서비스 조달, 인프라 구축, 문화·복지, 지역경제 등 세부 중심
전략과 중점 추진 분야를 구상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려면 관계자들의 많은 경험
과 깊은 이해도 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구상 단계에서는 최대한 많은 지역주민
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지역사회와 활발히 교류하는 것이 좋다.

Q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

2016년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커스의 저변을 확대하고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을 위해 라토후를 방문했
다. 이후 서울시와 협업해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SSACC; Seoul Street Arts Creation Center) 내 서
커스 전용 연습실을 신축한 바 있다. Stéphane Lavoie는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에 관해 긍
정적으로 답했으며, 가능하다면 향후 서울에 장소를 확보해 최신 공연을 선보이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4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Toronto Enterprise Fund)

현지 주소지 26 Wellington St East, 12th floor, Toronto, ON, M5E 1S2

홈페이지 주소 http://www.torontoenterprisefund.ca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torontoenterprisefund.ca


회사번호 +1 416 777 2001
대표자 이메일 pchamberlain@uwgt.org
대표자 번호 +1 416 777 1444

기업개요 대표자 Paul Chamberlain


설립연도 2000년
조직 형태 캐나다 정부(시·주·연방)와 사회적 기업의 중간지원조직(Intermediary)
종업원수 및 규모 5명
매출액/당기순이익 매년 약 C$ 100만 자금 확보 및 분배

사업개요 캐나다 정부시·주·연방)와 사회적 기업의 중간지원조직(Intermediary)으로, 자금 조달(Mixed


Capital Opportunities Fund)을 통해 고용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기관이자 프로그램임.

선정이유 혁신적인 4자간(United Way Greater Toronto와 토론토 시, 온타리오 주 및 캐나다 연방정부) 자금 조
달 프로그램
4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Toronto Enterprise Fund)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는 전환고용 및 종신고용을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의 이행을 지원하
기 위해 2000년 설립된 자금조달 기관이자 프로그램입니다. 토론토, 필(Peel), 욕(York) 지역
의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비영리기관인 광역 토론토 유나이티드웨이(United Way Greater
Toronto)와 토론토 시, 온타리오 주 및 캐나다 연방정부 간의 혁신적인 4자간 자금 조달 파트너
십입니다. TEF는 캐나다 정부(시·주·연방)와 사회적 기업의 중간지원조직 역할을 수행 중이며
TEF는 워크샵, 액셀러레이터, 보조금, 대출 등을 통해 사회적 기업의 창업, 지속가능성 및 규모 조
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Toronto Enterprise Fund

ansition A sincere thank you


ting local to our Board of Directors
e know for their foresight,
leadership, and Q
Region, 창업 및 이직의 계기
then our
commitment to 인터뷰를 진행한 Paul Chamberlain는 본인의 업무에 대한 원동력으로 고용을 창출하는 사회적·경
n and its 제적 가치를 꼽았다. 일자리를 얻은 사람들은 새로운 기술과 고정적인 수입을 통해 정신적 건강을 개
our community.
nors and 선할 수 있고, 주택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거 인연이 있었던 TEF가 사회적 기업
vision 을 지원하는 부분이 마음에 와닿아 2016년 이직을 결심하게 되었다고 한다.
Thomas Dyck
57 to Chair 그는 ‘사회적 기업’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기 전인 10대때부터 지역문화센터 근무를 시작으로 다
양한 사회적 기업 관련 업무를 맡아왔다고 한다. 2016년 TEF로 영입되기 전 10년(2007~2016
Bruce McCuaig 년)동안 온타리오 지역사회경제개발네트워크(CCEDNet; Canadian Community Economic
Vice Chair
Development Network)에서 사회적 기업의 인프라개발을 지원하는 온타리오 책임자로 근무했
다. 또한 Paul Chamberlain는 빈곤 감소, 이민자를 위한 사회적 기업,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을 골
Directors,
Wayne Halenda
unity and Treasurer 자로한 국가 조사 프로젝트를 이끈 바 있다.
tnership
Mariam Hashmi
Secretary

e look Michelle Cole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missing from picture
nited Way 한번 실패하면 재기 불능한 상태가 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
and York Andrea Czapary-Martin 해서는 사회적 낙인과 편견으로 재기하기 어려운 정신질환자, 노숙자, 출소자 등을 사회적 기업이 끌
어안는 포용 정신이 중요하다. 따라서 TEF는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고용 사회적 기업의 창
ven more Anil Gupta 업과 지속가능한 성장에 힘을 쏟고 있다. 취약계층이 일자리 기회를 통해 실질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재
기를 꿈꿀 수 있도록 돕고 있다. TEF는 영국에서 개발한 삶의 질(livelihood) 척도를 캐나다에 맞게 적
Chuck Hounsell
용하여 사회적 기업의 가치 창출 정도를 파악한다.
hare with Ian Marshall
Chair, Government
n which Nominations Committee
Andrew Roberston
Nicole Skeete-Williams
4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Toronto Enterprise Fund)

Q 성공과 전략

TEF는 많은 분야의 사람들을 돕는 사회적 경제기업들을 도와왔다. 이민여성, 난민여성, 노숙자들, 집


을 잃은 청소년들에게 직업창출을 위한 여러 가지 일자리와 프로그램들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사업계
획대회와 같은 다양한 행사를 통하여 사회적 경제기업들에게 자금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 창출을 지원
한다. TEF는 토론토에 위치한 사회적 경제 기업들이 사회적 가치를 높이며, 취업률을 높일 방법을 끊
임없이 고려하는 것이 성공의 이유라고 한다. 현재 토론토 지역에 진행중인 메트로링크(Metro link)와
같은 대규모 도시 확장 프로젝트들은 TEF를 통해 증명을 받아야 하며, 현지 노동자들을 채용해야 한
다. TEF는 필요로 하는 분야의 사회적경제기업들을 연결시켜주며, 궁극적으로 취업에 장애를 겪고 있
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TEF의 노력을 통해 TEF는 토론토 지역 및 근교지역에 존재
하는 65개가 넘는 사회적 경제기업들을 지원하게 되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자금을 조달하기에 알맞은 사회적 기업을 선정하는 것을 어려움으로 꼽았다. 자금을 효율적으로 조달
하기 위해서는 TEF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방향성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마인드까지 갖
춘 기업을 물색해야 한다.

TEF는 공정하고 투명한 선정을 위해 총체적 접근법(Holistic approach)을 중시하며, 지속가능한 삶


의 질 프레임워크(Sustainable Livelihoods Framework) 등 자체평가 모델을 활용 중이다. 이는 단
순히 기업의 매출액 뿐 아니라, 자금 확보 및 운영 방식, 경제 분야에 대한 지식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평가한다. 또한 TEF는 자금을 신청하는 사회적 기업에게 운영 자금과 관련하여 ‘사회적 비용(Social
Cost)’과 ‘비즈니스 비용(Business Cost)’을 별도로 측정하도록 한다.

Q 자금확보

TEF는 캐나다 정부(시·주·연방)로부터 받은 재원을 매년 신규 고용 사회적 기업 2~3개사에게 스타


트업 자금으로 약 18~20개사에게 3년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참고로 앞에서 소개된 퍼니처뱅크도
TEF로부터 보조금을 받고 있다.

TEF는 연간 C$ 100만 이상의 자금을 확보하고 있으며, 2000년 설립 이래 약 63개의 프로젝트, 3,641
명의 참가자들의 고용을 지원했다.
4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캐나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토론토 엔터프라이즈 펀드(Toronto Enterprise Fund)

Q 향후 계획

TEF는 장기적으로는 10년 내로 10~15배 이상으로 규모를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이 장기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5년 내로 신규 사회적 기업 10개사에게 창업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로 성
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Paul Chamberlain는 TEF의 책임자로서 온타리오 주 내 사회적
기업들을 위한 지원 정책과 사회 환경을 옹호할 계획이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사회적 기업의 창업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외 성공사례를 참고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면 정


부는 사회적 기업의 성장을 위해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고 사회적 기업으로부터
구매를 확대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There are 13,597 households on the housing waiting list

THE
LONGEST
NIGHT
In Peel, 176,896 people face poverty and struggle to afford
housing, resulting in many people using their cars for shelter.
Kudos to the 18 teams of 132 community leaders in total that
slept in their cars and raised $80,000 to increase awareness
about homelessness in our community on February 9.
#LONGESTNIGHTPEEL
Italy

카디아이(CADIAI)

아디오피조(ADDIOPIZZO)

라이프게이트 그룹(LIFEGATE GROUP)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SAN PATRIGNANO COMMUNITY)

이포임팩트(E4IMPACT)

논첼로 사회적 협동조합(Noncello company social cooperative non-profit organization)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OPEN GROUP Cooperativa Sociale)

그루포 쿠페라티보, 씨지엠(Gruppo Cooperativo CGM)


5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2011년 총 소득 중 공공 계약 수익율

65
전반적 개요
%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 조직은 전통적으로 사회봉사 활동에 중점을 둔 비공식 비영리 부문을 바
2013년 직원 중 여성비율
탕으로 여러 단계로 발전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사회적 협동 조합이 중요한 기틀이었으며, 기
업가 정신이 강한 협회와 자발적 조직이 그 다음이 되었다. 그리고 사회적 목표를 추구하고 포괄

61 %
적인 지배 구조를 채택하기로 결정한 합작 회사와 유한 책임 회사가 현재 사회적 기업의 형태가
되었다.

사회적 경제 조직 근무자 중 이주민 비율

이탈리아의 현황

20 %

사회적 기업 수 조합원 수 사회적 경제조직 일자리 수

7 1.5 1,229
만 천개 만명 112 8 만 천개

•이탈리아의 오래된 법적·제도적·정책적 지원의 영향으로 사회적 경제 조직의 일자리는 112만 8,381
개, 기업 7만 1,578개, 조합원 1,229만 3,202명이 있고, 성격이 유사한 민간단체 혹은 재단에 종사하는
인구는 109만 9,629명, 자원봉사자는 89만 9,309명이 있다.

이탈리아 볼로냐 소재의 대표적 사회적


협동조합 카디아이(CADIAI)
5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원 및 현주소

주된 목적은 주주를 위한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영향력을 달성하는 것이다. 주


로 이러한 사회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의 당기 순이익을 사용한다. 기업 활동에 영향을 받
는 노동자, 고객 및 이해 관계자를 참여시킴으로써 기업 활동을 책임 있고 투명하며 혁신적인 방
식으로 관리한다. 이와 같은 경우 사회적 기업이라 정의한다.

| 사회적 기업 핵심 기능 |

기업가적 •공공 당국으로부터 자율성, 시장 지향성을 갖는 것(예: 상업적 수입이 25 % 이상을 차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차원 유급 근로자를 갖는 것과 같은 효과의 지표

사회적 •공공 이익 차원과 관련된 기업 목표 또는 상품으로 정의


차원 •사회적 목표의 우선성은 국내 법령, 법적 형식 또는 관련 문서에 의해 명확하게 설정

•이익 재분배에 대한 몇 가지 제약 / 지배 구조 및 의사 결정 과정에서 이해 관계자 참여


지배구조
차원

| 이탈리아 협동조합의 유형 분류 |

A 유형 B 유형

유형별 분류 경영자/종사자/ 제한 없음 소외계층 30% 이상 포함


조합원

활동 영역 사회, 보건, 교육 서비스 영역 제한 없음

참고: 법률381(1991년)
5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이탈리아 사회적 기업의 발전은 특정한 국가 계획에 따라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지역 지원


계획에 따라 혜택을 입었고 자발적 경로로 발전되었다. 마찬가지로 법적 프레임워크와 정책 지원
은 시민 사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진화했다.

공공 정책 및 지원

혁신적인 사회적 기업
보증 기금 마르코라 기금 창업 위한 지원
(Guarantee Fund) (Marcora Fund) (Startup innovative a
vocazione sociale – SIAVS)

법률 662(1996)에 의해 규제되는 ‘보증 법률 49(1985)(마르코라 법)은 두 지원 대상은 입법 시행령 179(2012)에


기금’은 중소기업을 지원하도록 설계 종류의 기금을 창설함으로써 사회적 따라 혁신적인 사회적 기업에 필요한
협동 조합을 위한 자체 자금 조달 및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 것
2000년부터 운영 자금 조달 메커니즘을 만듦
법률 155(2006)에 의해 확인된
경제개발부에서 관리 이탈리아 노동 은행(BNL)이 운영하는 분야에서 독점적으로 운영되는
저리 융자로 구성된 순환 기금 기업으로 한정
공공 보증을 부여함으로써 보장 기금은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 접근을 촉진 이탈리아 비즈니스 금융 협력 기구 수혜 기업은 명백히 사회적 가치
(Cooperazione Finanza Impresa)가 창출을 추구하고, 사회적 임팩트가
관리하는 기금 발생했다는 증거를 제시

공공 지원 제도는 조직의 유형과 특정 기준 충족 요건에 따라 분류


지원 제도의 수혜 대상은 비영리 및 협동 조합, 사회적 기업 및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민간 기업임
5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주요 네트워크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

국가, 지역 및 지역 사회적 기업 활동 운영
사회적 협동 조합 연맹 지원 네트워크
컨소시엄 네트워크

Networks running
Representative bodies National and local consortia Support networks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social enterprise incubators

•1980년대 후반 창설 •사회적 협동 조합을 지원 •비영리 단체를 대표하는 •유한 책임 회사인 사회적


•조직의 목표는 일반 •새로운 비즈니스 활동의 대규모 조직 기업 형태로 설립
대중과 정책 입안자들 개발에 직접 참여 •사회적, 정치적 대표성을 •무역, 유통 활동의 직접
사이에서 사회적 협동 •서비스에 대한 수요 제공하고 조정하는 생산 및 또는 전략 수행에
조합과 사회적 기업의 증대에 부합하는 전략 역할을 수행 관여
인식을 높이는 것 •제 3섹터 포럼(Forum
•회원의 역량 및 관리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del Terzo Settore)과
목표 자비 네트워크(Rete
Misericordie)

파이낸싱

Traditional Banks with a social


banks orientation
전통적 은행 사회적 가치 지향의 은행

사회적 기업, 사회적 협동 조합과 협력 / 신용 담당 지역 기반 지원을 지향하는 신용 협동 조합 은행


5대 은행 그룹 은행 대출 : 47% 이탈리아 최초 윤리적 금융 기관 : Banca Etica
대형, 중소형 은행 대출 : 38% 고객 : 35,000명 / 조직 : 5,280개 / 직원 : 2,943명
외국 은행 대출 : 1% 미만 재장 지원 : 6,193만 유로
Banca Etica의 윤리 금융 컨설팅 현장

Specialized Innovative instruments


Banks for social finance
전문 은행 사회 재정을 위한 혁신적인 도구

Banca Prossima는 Intesa Sanpaolo은행 그룹이 2007년 사회적 투자 : 벤처 사회 공헌 펀드 Oltre Venture


에 창안한 전문 은행 UBI Banca - 사회 사업을 수행한다는 목적으로 채권 발행
사회적 기업 및 비영리 부문에서 활동하는 다른 기업에 재 총액 2천만 유로 / 대출 15,000~500,000 유로
정 지원을 제공 최대 만기 60개월
5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카디아이(CADIAI)

현지 주소지 Via Bovi Campeggi 2/4E, 40131 Bologna, Italia

홈페이지 주소 https://www.cadiai.it/

연락처 회사번호 +39 051 5283511 / +39 051 7419001


팩스번호 +39 051 5283588
대표 이메일 info@cadiai.it

기업개요 대표자 Franca Guglimetti


설립연도 1974년
조직 형태 사회적 협동조합
규모 1,522여명
매출 5천만 유로

사업개요 CADIAI는 1974년 볼로냐 지역에서 시작된 사회적 기업으로 보건 및 교육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두
고 있음. 노인 돌봄 서비스, 어린이 교육 서비스, 청소년 교육 서비스, 장애자 등을 위한 사회 재활 서
비스, 산업안전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음. 또한 볼로냐와 주변 도시를 위주로 지역의 다른 커뮤니
티와 교류, 협력을 통해 지역 사회 경제발전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음.

선정이유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2015 해외연수 지원사업, 고용노동부 2016 해외 선진사례 연수에
서 검증한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5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디아이(CADIAI)

CADIAI는 1974년 볼로냐 지역에서 시작된 사회적 기업으로 보건 및 교육 서비스 제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노인 돌봄 서비스, 어린이 교육 서비스, 청소년 교육 서비스, 장애자 등을 위한 사회
재활 서비스, 산업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ara Furieri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카디아이는 1974년 볼로냐 지역에서 시작된 사회적 기업으로 노인 돌봄 서비스, 어린이 교육 서비스,
청소년 교육 서비스, 장애인 등을 위한 사회 재활 서비스, 산업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터뷰를
진행한 Lara Furieri 는 현재 카디아이의 기회의 평등 부서 책임자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이 있어
카디아이에 입사했다. 카디아이에서 국제협력과장 등 다양한 직책을 맡아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를 다
니며 카디아이의 활동에 대해 알리는 역할을 수행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카디아이는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돌봄 노동을 하던 여성 27명이 주도해 설립한 단체에서부터 시작되


었다. 이 당시 돌봄 서비스 노동자들은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해 계약서가 없었으며, 이에 따른 보호장
치가 없었다. 이들은 협동조합을 만들어 노동환경 개선을 추구하는 동시에 돌봄 서비스의 전문화를 추
구했다.

이렇게 카디아이는 내부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전문성을 높이고 서비스 영역을
사회적 취약계층(노인, 영유아, 미성년자, 장애인 등)으로 규정하여 지역사회에서 소외되는 구성원 없
이 최종적으로는 이들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생활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균등한 의료(정신과 포
함) 및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5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디아이(CADIAI)

Q 성공과 전략

카디아이의 성공 전략은 3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경영전문화, 두 번째는 구성원의 전문력
향상, 세 번째는 운영 기관의 시스템화이다. 또 다른 성공 요인은 직원의 교육과 훈련이다. 카디아이는
조합원, 즉 직원의 직업훈련에 많은 자원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2만 7,322시간의 유급 훈
련이 이루어졌으며 1년에 1인당 평균 20.7시간 교육훈련을 받는다. 마지막 성공요인은 인증제도이다.
1999년에 경영진에서 처음으로 ISO 9000에 대한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발적으로 민간
인증기구인 유니테르(UNITER)에서도 UNI 10881(노인요양기관 인증), UNI 11031(어린이 집 인증),
UNI11010(장애시설 인증) 인증을 받아 기관의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카디아이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지속성과 전문성이 가장 중요하다. 그래서 장기적인 파트너쉽을 구축


하고 효과적으로 직원 교육을 하여 고용을 안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서비스의
영역이 넓어지고 함께 일하는 단체가 많아지면서 항상 이 부분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고 있다.

카디아이는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하고 보조금이나 보수를 받는 시스템으로는 직원 및 서비스 운영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깨닫고 서비스 차별화와 복합 서비스 제공으로 내부적으로는 직원의 전문성과 고
용안정을 추구하고 외부적으로는 고객만족과 서비스의 퀄리티 유지를 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서비
스 영역을 넓혀 기업과의 계약을 통해 기업 복지 서비스 영역에도 진출하였다.

Q 자금확보

기본적인 운영은 조합원들의 참여와 공공기관에 대한 서비스, 민간 기업 및 개인에게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매출이 주를 이루고 있다. 과거에는 공공기관과의 서비스 계약을 통한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했으
나 점차 개인 및 기업 서비스 제공에 따른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교육훈련은 기금을 별도로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카디아이는 레가코프(Legacoop)의 일원으로 레가


코프(Legacoop)가 2001년도에 설립한 비영리조직 펀디쿱(Fondicoop)를 통해 교육과 훈련에 필요
한 외부비용을 충당하고 있다.
5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디아이(CADIAI)

Q 향후 계획

카디아이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양질의 서비스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향후 계획은
여러 사회적 협동조합과의 협력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지역사회 및 사회구성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카디아이는 최근 제3국으로의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제3국으로 진출하기 위
해서는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조합 및 컨소시엄 간에 공통된 목적의식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 및
의료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의 전문성으로 이용자의 신뢰를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에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
5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아디오피조(ADDIOPIZZO)

현지 주소지 Via Lazio, 7, 90040 Capaci(PA), Italy

홈페이지 주소 http://www.addiopizzo.org/

연락처 재단 번호 +39 327 9061172, +39 091 5084262 / Addiopizzo 위원회


회사 번호 +39 091 8616117 Addiopizzo travel
대표 이메일 comitato@addiopizzo.org, addiopizzo@pec.it

기업개요 설립자 Riccobono Dario 외 다수


설립연도 2004년
조직 형태 사회적경제 조직
규모 2명
매출 약 6만 유로

사업개요 2004년 시칠리아 지역 지역 상권이 불법마피아들에게 불법적인 돈을 내지 않겠다고 공개 선언하면


서 탄생. 윤리적 관광 여행사, 각종 잡화 판매업 운영을 통해 수익 창출, 탈마피아 운동 중인 활동가
를 지원.

선정이유 한국사회적 기업진흥원 2016 글로벌 사회적경제 디렉토리북, 아쇼카 이탈리아에서 검증된 이탈리
아 사회적 경제 조직
5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아디오피조(ADDIOPIZZO)

아디오피조(ADDIOPIZZO)는 2004년 시칠리아 지역 상권이 마피아들에게 불법적인 돈을 내지


않는 탈마피아 운동으로부터 시작하였으며, 이탈리아의 윤리적 관광 여행사, 각종 잡화 판매업 운
영을 통해 수익 창출, 탈마피아 운동 중인 활동가를 지원합니다.

Riccobond Dario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를 진행한 Riccobond Dario는 아디오피조의 설립자이며 아디오피조의 운영에 관련된 모든 활


동을 책임지고 있다. 그는 2004년 대학을 졸업하고 친구들과 바를 열기 위해 여기저기 수소문 하던 중
주변 사람들이 상납금(PIZZO)에 대해 얘기하는 것을 듣게 되었다. 그는 바를 열지 못하였고, 이 사건
은 상납금 관행에 대해 생각하게 해준 계기가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밤에 그는 ‘상납금을 내는 사람
들은 자신에 대한 존중이 없는 사람들이다(Un intero popolo che paga il pizzo è un popolo senza
dignità)’라고 적힌 스티커를 온 시내에 붙이고 다녔다.

그가 했던 이 일은 바로 다음날 지역신문, 방송국, 경찰의 주목을 받아 시칠리아 전 지역에서 알게 되


었다. 경찰에서는 이 일을 벌인 범인이 누구인지를 찾기 위해 수사를 벌였으며, 지역신문에서 연일 대
서특필로 보도하며 이슈의 중심에 놓이게 되었다. 이 사건을 통해 그는 탈마피아운동을 결심하게 되었
고, 곧 아디오피조의 창립 계기가 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아디오피조는 마피아형 범죄 조직의 현실 및 상납에 반대하고 헌법의 원칙에 입각해 합법성, 연대성
을 강화하고 일상적으로 여겨지던 폭력적 환경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아디오피조
의 최우선 목표는 범죄집단의 강압적인 폭력과 위협에 반대하고 적법하고 자유로운 사업 활동을 보호
하고, 시민의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분별된 가치를 보장하는 것이다. 즉, 단순히 사회운동을 넘어서서
지역사회의 경제를 살리고 외부에 우리 지역을 홍보하여 경제의 선순환이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6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아디오피조(ADDIOPIZZO)

Q 성공과 전략

아디오피조의 성공 전략으로는 2005년부터 인근 학교를 방문하여 마피아가 실생활에 얼마나 밀접하


게 연결돼 있는지 현실을 파악하게 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시작한 것이었
다. 사회, 문화적인 변화는 청소년 시기부터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기에 학교에 방문해 정보제공 및 역
할극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현실의 문제를 자각하게 하였다. 현재 이 방법은 학교의 정규 교육 프로젝트
의 일환으로 지속되고 있으며, 시칠리아 전역 및 나머지 이탈리아 지방의 수백 개의 학교까지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사람의 인식을 계몽하고 이를 통해 실생활의 소비가 변화되도록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오


랫동안 관행으로 자리잡은 어떤 행위나 생각을 바꾸는 데에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며, 개인적인 행위나
생각만으로는 실현 불가능하기에,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거나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는 사람들간의
연대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아디오피조는 다행히 언론을 통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을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연대의 손길이 이


어져 다양한 분야의 운동으로 확장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Q 자금확보

2009년 아디오피조 여행사(Addiopizzo travel)의 창립 계획을 세울 당시 자금 충원이 쉽지 않았으나,


2011년 시칠리아 주정부 관광청과 경제개발부로부터 14만 유로의 금융지원을 받았다. 금융지원은 저
금리로 장기 상환하는 제도로 회사를 세워 기초를 다질 수 있었다.

2014년 운영 허가를 받은 후부터 순조로운 사업 진행과 여러 기관의 후원금으로 자력으로 유지해 나


가고 있다. 운영자금은 대부분 외국 관광객 유치와 학교 수학여행 등으로 충당되고 있다. 특히 트립어
드바이져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아디오피조는 고객들로부터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어 꾸준
히 고객이 유치되고 있다.
6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아디오피조(ADDIOPIZZO)

Q 향후 계획

시칠리아 팔레르모라는 지역의 사회운동으로 시작해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한 아디오피조는 안티랫케
(Anti-Racke) 운동으로 확장해 참여를 원하는 단체에 도움을 줄 계획이 있다. 이를 위해 해외기관이나
다른 조직과의 파트너쉽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아직도 많은 지역에서 어떤 사회문제에 대해
서 문제의식 없이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행위들이 있으며, 인식의 개선으로 행동의 변화 그리고 사
회의 변화로까지 연결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연대가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아디오피조가 아쇼카(Ashoka)에서 5대 사회혁신기업으로 선정되어 해외로도 우리 영역을 넓힐 수 있


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6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라이프게이트 그룹(LIFEGATE GROUP)

현지 주소지 via Palermo, 8 – 20121 – Milano – Italy

홈페이지 주소 www.lifegate.it

연락처 회사 번호 +39 02 453 74 850


대표 이메일 businesses@lifegate.com

기업개요 대표자 Marco Roveda


설립연도 2001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매출 160억원
종업원수 및 규모 40여명

사업개요 친환경, 유기능 제품 소비자 운동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미디어 광고, 에너지 사업, 지속가능경영 컨
설팅 회사로 성장. 이탈리아 북부 지방을 대상으로 라디오, 웹사이트, 앱, 소셜미디어 등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홍보하고 전달. 매일 300만 명 이상과 접촉하고 있음.

선정이유 한국사회적 기업진흥원 2016 글로벌 사회적경제 디렉토리북에서 소개되었으며, 2008년 다보스 포
럼에서 '올해의 사회적 기업가' 상을 수상한 이탈리아 컨설팅 분야의 대표적 사회적 기업
6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이프게이트 그룹(LIFEGATE GROUP)

환경을 믿고 존중하는 것이야 말로 삶에서 필수적인 선택이며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진


정한 친환경 사업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 나는 ‘환경주의자’라기 보다는 ‘지속가능주의자’로서 그
가치관에 걸맞는 친환경 비즈니스를 시작하였습니다.

Marco Roveda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라이프게이트 그룹(Lifegate Group)은 친환경, 유기능 제품 소비자 운동으로 시작되어 현재는 미디어
광고, 에너지 사업, 지속가능경영 컨설팅 회사로 성장한 사회적 기업이다. 창립자 Marco Roveda는
유기농 제품을 유통하는 스칼다솔레 농장(Fattoria Scaldasole)을 오랫동안 경영하고 있었다. 그는 유
기농 제품을 생산할 때에도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새롭게 친환경 비즈니스(eco-business)를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2000년에 라이프게이트(Lifegate)를 설립하였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라이프게이트의 창업 목표는 초창기부터 사람과 기업 그리고 환경 간에 적절한 교류를 통해 정의롭고


지속 가능한 세계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라이프게이트는 에너지 효율 프로젝트, 재생에너지 및 전략적
의사 소통을 통해 사회적 및 환경적 영향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자체 미디어 네트워크
를 통해 매일 친환경 관련 사업의 창업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와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훌륭한 비
즈니스는 윤리적, 사회적 및 환경적 목적을 반드시 가져야만 한다는 믿음으로 새롭고 구체적인 네트워
크로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2002년 이탈리아에서 처음으로 인간 활동에서 배출되는 CO2를 계산하고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최초의 탄소 상쇄 프로젝트인 임팩트 제로(Impatto Zero®)를 시작하였으며, 최
근에는 라이프게이트의 가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라이프게이트 레스토랑(LifeGate Restaurant),
라이프게이트 카페(Lifegate Café) 및 라이프게이트 클리닉(LifeGate Holistic Clinic)등의 사업을 시
작하였다. 라이프게이트 에너지(LifeGate Energy)는 2005년 규제 당국에 의해 인정된 최초의 전기
사업자로서 규제 완화된 전력 시장에서 임팩트 제로의 인증을 받은 재생에너지만을 생산 및 판매한
다. 이를 통해 2013년에는 현재의 사회 및 환경 성과 분석에서부터 영향 평가에 이르기까지 360도에
서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회사를 지원하는 새로운 컨설팅 회사인 라이프게이트 컨설팅(LifeGate
Consulting)으로 진화하였다.
6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이프게이트 그룹(LIFEGATE GROUP)

Q 성공과 전략

라이프게이트의 성공은 15년 이상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것이다. 사회와 환경을 위한 구체적이고 혁신
적인 환경 프로젝트, 에너지 및 효율성의 혁신적인 서비스, 사람들과 이익과 환경이 조화롭게 지속되
는 라이프 스타일 및 친환경 경제 모델을 통한 지속 가능한 컨설팅이 가장 큰 성공 요인이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시작부터 어려운 사업이었다. 환경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거의 없을 때 시작된 사업이기에 이익을


창출하기 거의 불가능했다. 다행히 라이프게이트 라디오(LifeGate Radio)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환경
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며 미디어를 중심으로 사업이 안정을 찾게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분야에 사업을 한다는 것, 친환경 사업을 한다는 것은 지속적인 도전에 직면하는 것이
었다. 2019년에 시행 예정인 에너지시장 자율화 정책도 앞으로 직면하게 될 새로운 도전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새로운 정책으로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에 대한 위험에 처해 있으나 그 문제를 지속 해결해 나
가고 있다.

Q 자금확보

라이프게이트는 이미 미디어 광고, 에너지 사업, 컨설팅 사업을 통해 충분히 자금이 조달되고 있는 구
조이다. 사업 영역이 넓어지고 기업이 커지면서 라이프게이트 그룹(LifeGate Holdings) 산하 자회사
구조로 변화하고 있으며, 모기업을 주식회사로 전환하여 주주들의 참여로 기업이 운영되고 있다.
6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이프게이트 그룹(LIFEGATE GROUP)

Q 향후 계획

이탈리아는 재생에너지 생산률을 꾸준히 높여가고 있다. 이에 맞춰 재생에너지 공급을 더 원활하게 하


고 각 기업들이 더 친환경적으로 운영되고 사업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컨설팅 영역을 넓혀갈 예정이다.
또한 미디어를 통해서도 사람들이 더 친환경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
고 생산할 계획이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친환경 관련 사업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없다면 미래는 없을 것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새로운 경
제는 3개의 P(People, Planet, Profit)가 필연적으로 따라야 한다. 사람들과 지구에 관심을 가져야 이
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사람의 필요는 항상 만족되어야 하나 더 중요한 점은
인간은 생태계에 대해 큰 책임을 지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생활 방식으로 추구해왔던 물질주의적 사고를 넘어서야만 환경에 대해 그리고 친환경 사


업에 대해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이러한 친환경성이 바로 사업의 주요 필수 사항이
되어야 한다.
6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SAN PATRIGNANO COMMUNITY)

현지 주소지 Via San Patrignano 53 - 47853 Coriano (Rimini), ITALY

홈페이지 주소 www.sanpatrignano.org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sanpatrignano.org


회사번호 +39 0541 362111
팩스번호 +39 0541 756108

기업개요 대표자 6명이 대표자로 등록 


(Prenna Piero, Chianese Marcello, Pinelli Vittoria, Rossi Laura,
Albertini Virgiglio, Rodino dal Pozzo Alessandro)
설립연도 1978년
조직 형태 사회적 연대 비영리 재단
규모 164명
매출 1580만 유로

사업개요 약물 중독과 사회로부터 소외당한 사람들을 위한 커뮤니티로 자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이탈리아


최대의 사회적 연대 조직. 2017년 기준 연 2,900만 유로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 2만 6천여명이 커뮤
니티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

선정이유 한국사회적 기업진흥원이 발간한 2016 글로벌 사회적경제 디렉토리북에서 소개된 의료분야 사회
적 기업
6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SAN PATRIGNANO COMMUNITY)

많은 사람들이 약물 및 마약 중독은 사회문제로만 인식을 하고 있는데 이는 보다 복합적이고 심


각한 문제로 지역경제 및 지속가능한 경제와도 직결되는 사안입니다. 산 파트리냐노는 약물, 마
약중독으로 초래될 수 있는 위험을 알려 예방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를 시작으로 더
많은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Monica Barzanti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SAN PATRIGNANO COMMUNITY)는 1978년 Vicenzo Muccioli에 의해 마


약중독자과 소외계층의 자력갱생과 치료 회복을 위한 공동체로 출발하였다. 인터뷰를 진행한 Monica
Barzanti는 국제관계부서 매니저를 맡고 있다. 그녀는 볼로냐 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고 1979년 입
사한 이래로 38년 동안 산 파트리냐노에서 근무하고 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산 파트리냐노가 추구하면서 해결하고자 하는 가치는 3가지로 꼽아볼 수 있다.

첫 번째 약물 및 마약치료 경로는 본질적으로 교육적이고 재활적이어야 한다.


두 번째 비용은 모두 무료로 제공한다.
세 번째 치료의 목적은 자신 및 타인, 환경에 대한 존중이다.

이러한 가치는 모든 종교의 신앙에서 나오는 보편적인 개념이며 이탈리아 헌법에도 명시된 원칙이
다.
6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SAN PATRIGNANO COMMUNITY)

Q 성공과 전략

산 파트리냐노는 정해진 전략을 통해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동기부여를 하고 있다.

전략 1 모든 치료 프로그램은 교육과 재활에 기반을 두고 있다.


전략 2 재활 프로그램은 각 입주자에 맞게 제작되며, 각 개인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달라진다.
전략 3 누구든 공동체에 들어오면 산 파트리냐노의 훈련 프로그램에 속하게 된다.
전략 4 개인의 성장은 매일 동료 및 감독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략 5 산 파티리냐노가 갖고 있는 50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특성에 맞게 배치한다.
전략 6 재활의 목표는 거주자들과 가족 같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이탈리아 국내에서는 유명한 이야기로 80년대부터 창립자인 Muccioli에게 폭력 혐의가 있어왔고 내


부에서도 폭력이 있다는 추측이 많았다. 1989년 당시 어떤 사건에 연루돼 8개월의 형을 받기도 했다.
1993년에는 몇몇 공동체 참가자들이 커뮤니티 내 폭력과 가학 행위에 대해 폭로 하기도 했다. 1995
년 창립자의 사망 이후 경영권이 그의 장남에게 넘어갔으나 경영난과 최대 후원자인 Gianmarco
Moratti의 요구로 2011년 8월, 20년 동안 설립자의 장남에게 위임 됐던 경영권이 만료되었다. 이후
경영권은 보증인위원회로 넘어갔으며, 위원회는 열린 경영과 영향력 있는 인사들을 활용하여 현재 경
영 정상화를 유지 및 지속시켜 나가고 있다.

Q 자금확보

산 파트리냐노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판매하는 수익으로 운영비의 약 65%를 충당하고 있다. 창립 당


시부터 커뮤니티에 소속하여 생활하는 지원자에게 무료로 시설 제공과 학업 지원을 하는 것을 모토로
하며 사이트상에 후원 링크(https://donazione.sanpatrignano.org/)를 통해 기금을 모금하고 있다.
여러 스폰서의 후원으로 운영 자금을 확보중이다.
6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SAN PATRIGNANO COMMUNITY)

Q 향후 계획

산 파트리냐노는 지속 가능한 경제 및 약물, 마약 예방 교육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약물


및 마약 중독은 중독 후의 재활보다 먼저 예방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약물 및 마약 중독을 예
방하는 것은 개인에게도 중요하지만 사회적으로도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경제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서도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그렇기에 에밀리아-로마냐 주와 3년 계획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
며 기업가 및 주요 비즈니스 인사까지 교육 대상이다.

이로 인해 약물 및 마약중독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기업에서도 이 분야에 관심


을 가지고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7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이포임팩트(E4IMPACT)

현지 주소지 ALTIS – Via San Vittore, 18 – 20123 Milan – Italy

홈페이지 주소 www.e4impact.org

연락처 대표번호 +39 02 7234 8373


연락처 http://e4impact.org/contact/

기업개요 대표자 Letizia Moratti


설립연도 2010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가 교육기관

사업개요 로마의 ALTIS - Università Cattolica del Sacro Cuore 비즈니스 및 사회 대학원을 시작으로 아프
리카 학생들을 위한 사회적 기업가 MBA 교육과정을 제공. 아프리카 국가에서 사업 타당성을 연구하
고 아프리카 시장과의 결합을 도모. 아프리카 사업 기회 분석, 파트너쉽, 법률 정보 등을 제공.

선정이유 한국사회적 기업진흥원이 발간한 2016 글로벌 사회적경제 디렉토리북에서 소개된 사회적 경제 중
간 지원 조직
7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포임팩트(E4IMPACT)

이포임팩트는 아프리카 대륙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도구로서 아프리카의 중소기업 발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적 발전은 유럽 기업에게도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부
여할 수 있습니다. 이로서 아프리카는 경제적 발전을 이룰 수 있으며, 유럽 기업은 국제화를 추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재 교육을 통해 일자리와 경제 개발로 아프리카에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가 창출될 수 있습니다.

Fabio Petroni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를 진행한 Fabio Petroni는 2013년 밀라노 카톨릭 대학내 최고경영자과정(ALTIS)에서 일을 시


작한 후 2015년 아프리카 국가에 교육제도 및 기존 MBA과정을 조정하는 이포임팩트 프로그램 총괄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그는 입사 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전문가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파트너십 및 국제 개발 프로


젝트 컨설턴트로 일했었다. 당시 그는 UN 및 관계기관인 UN-SEFA와 UN Global Compact (UNGC)
의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는데, 이 활동들은 그로 하여금 아프리카에 사는 아프리카인들에 대한 교육의
절실함과 필요성을 느끼게 만들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이포임팩트의 미션과 비전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성공을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과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세대의 기업가들을 교육한다.
둘째, 전문적인 아프리카 매니지먼트를 커리큘럼에 포함시키기 위해 지역 대학과 협력한다.
셋째, 사회와 환경 변화에 노력하는 유럽 및 아프리카 기업의 국제 개발 촉진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아프리카 대륙에서 총 15개의 기업가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여 2,000명 이상


의 인재들이 기업가 교육 코스를 이수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1,000개 이상의 새로운 기업이 세워지고
그로 인해 수천 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7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포임팩트(E4IMPACT)

Q 성공과 전략

우선 국제 개발 기구 어젠다에서 다루는 주제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고, 아프리카 시장이 유럽 중소기


업에게 얼마나 중요한 시장인지 시장과 사회 영향 기회를 동시에 확인했다.

두 가지를 결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키 위해 ATLAS(최고경영자과정)라는 이탈리아 내 교육기관


에 아프리카 대륙의 인재들(예비 기업가들)에게 창업과 운영을 지원하는 재단인 이포임팩트를 설립
하였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고객/수혜자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해 커리큘럼 등과 같은 교육과정을 포함하여, 각국의 법률


이나 사회 시스템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서 필요한 행정 절차를 자주 변경해야만 했다. 또한 실질적인
수익성을 동반하지 않기에 좀 더 많은 후원금과 제도적 장치가 필요했다.

다행히도 이탈리아 정부, 민간 기업 및 EU기구에서 아프리카 경제발전과 기업가 정신 제정에 기여하


는 등 사업의 가치를 알고 지원했으며, 직접적으로 사업에 참여하는 인재들이 거주하는 아프리카 각국
에서도 지지를 얻기 시작하였다.

Q 자금확보

이포임팩트의 자금 확보를 위해 카톨릭 대학과 마페이(MAPEI), Salini Impregilo 설립자 Moratti와


직간접으로 친분이 있는 유수의 기업들이 후원을 했으며 파트너인 아프리카 국내외 조직들이 후원 또
는 기금 모금에 도움을 주고 있다.

수익을 창출하는 활동은 어떠한 것도 하고 있지 않으며, 고객·수혜자에게 더 좋은 교육을 지원해주기


위해 후원이나 기금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이탈리아와 아프리카 각국의 기관과 제도 등도 자금 확보
에 도움이 되었다.
7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포임팩트(E4IMPACT)

Q 향후 계획

이포임팩트의 향후 계획은 단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아프리카 내의 프로


젝트로까지 지속적으로 계획, 발전시켜서 교육 및 창업에 도움을 준 사업가들과 금융지원을 포함한 산
업 투자에 공동작업을 추진하는 것이다. 단순히 교육과정 운영 지원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
로 아프리카 대륙 내에서 그 인재들이 실질적으로 창업 및 운영을 지원해 주도록 프로그램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사회적 경제 조직이라고 해서 이윤 창출에 무관심해서는 안 된다. 고정 비용의 50% 이상을 수혜자로


부터 직접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업 모델을 창안해야 한다. 외부에서 기부 혹은 지원을 받는 부분이
고정비용의 50% 이상이 될 경우 운영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조직을 유지하기 위해 5-10년의 장기적 계획이 가능한 안정적인 신용 보장(또는 금융 지원 계획)


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QMBA한국Industry
사회적 경제Focus
조직과의 협업 International Projects
아직까지 한국의 사회적 경제조직과의 협업 사례는 없다. 다만, 최근 한국에서 5월에 한-아프리카 경
제협력회의가 있었다는 것을 언론을 통해 알게 되었고 현재 아프리카 개발은행 입찰에 한국도 참여 했
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도 수단과 르완다의 입찰 참여를 희망하고 있기에 만약 이러한 사업에 함
P

께 참여를 한다면 양 국간에 시너지 효과가 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
P
P
P

P
7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논첼로 사회적 협동조합


(Noncello company social cooperative non-profit organization)

현지 주소지 dell'Artigianato 20 Roveredo in Piano (PN), ITALY

홈페이지 주소 http://www.coopnoncello.it

연락처 회사번호 +39 0434.386811


팩스번호 +39 0434.949960
대표 이메일 info@coopnoncello.it, coopsocnoncello@legalmail.it

기업개요 대표자 Stefano Mantovani


설립연도 1981년
조직 형태 사회적 협동조합
매출 1280만 유로
종업원수 및 규모 672명의 종사자

사업개요 실업과 착취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정신 장애인들에게 고용 기회를 창출하며 청소서비스, 폐기물관


리 서비스, 묘지 및 녹지관리 서비스 등을 제공.

선정이유 한국사회적 기업진흥원, 한신대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의 글로벌 사회적 경제 현장 연수 보고서에서


소개된 이탈리아의 대표적 사회적 협동조합
7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논첼로 사회적 협동조합(Noncello company social cooperative non-profit organization)

논첼로의 미션은 개인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통해 모든 사람의 평등과 존엄성을 구체적으로 증진


하는 데 있습니다. 즉, 모든 시민에게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환경과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사
회로의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자기 존엄성을
높이고 자기 권리에 대한 인식을 배가시켜 사회 공동체 내에서 각자의 자치권과 사회복지에 대해
동등하고 공평한 편익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Giorgio Di Giusto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논첼로 사회적 협동조합(Noncello company social cooperative non-profit organization)은 필요


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합이다. 이탈리아에서는 1978년 바자리아법(Legge Basaglia)이 제정돼 정신
장애인들이 시설에서 격리돼 지내는 것이 아니라 중증이 아닌 경우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아가게 되었
다. 이에 포르데노네(Pordenone) 지역의 정신병원에 있던 몇몇 의사 및 환자, 직원들이 지금의 논첼
로를 설립하게 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논첼로의 미션은 사회구성원 모두 각각의 존엄성을 보장받고 동등한 사회복지와 사회 편익을 누리도
록 하는데 있다. 사회적 편견 앞에서는 어떠한 정책도 치료도 효과가 없다. 사회적 편견은 극복해야 할
문제이며 사회구성원 모두는 개인의 가치 함양을 통해 동등한 사회적 가치를 누려야 한다.

논첼로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일반 서비스의 개념이 아니라 서비스 내에서 사회-노동의 통합
(융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활동은 사회-교육 통합으로까지 연결되고 있다. 즉, 노동과 교
육, 노동과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융합이 같은 선상에 있다. 이를 위해 아직 익숙하지 않은 구성원도 생
산활동과 매일 반복되는 일상생활로 들어갈 수 있도록 그리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자원과 기
술을 지원하고 있다.
7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논첼로 사회적 협동조합(Noncello company social cooperative non-profit organization)

Q 성공과 전략

이 조합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내부적으로 끊임없이 서비스의 질에 대한 고민이 있었기에 가능했
다. 공공서비스 제공에서는 퀄리티를 유지하지 않으면 다음 일로 연결되는 것이 어렵다. 양질의 서비
스를 유지하기 위해 직원 교육이 계속적으로 이뤄졌고 전문분야에 대한 교육도 진행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처음 설립될 당시에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해 양질의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었다. 설립 이후
공공입찰에서 청소서비스 용역 계약에 낙찰이 됐으나, 우려의 시선이 많았다. 그러나 이 첫 번째 업무
에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인식이 바뀌어 그 다음부터는 보다 순조롭게 진행이 될 수 있었다.

사업 방향이 다양해지고 직원수가 많아지면서 고용안정을 위해서는 계속 사업을 수주해야 하는 어려


움이 발생했다. 공공시장 분야는 지원조건이 까다롭고 지원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적이어서 물리적인
한계에 부딪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타 지역의 다른 조합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다른 지역의 공공
시장에도 진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로서 구성원들이 안정적으로 근로를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었다.

Q 자금확보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정부 및 기관의 공공입찰에 참여하여 공공기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안정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이 이뤄지고 있
다.

우리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영역은 청소 서비스, 녹지관리, 폐기물 관리, 보안 서비스, 수송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분포하고 있으며 개인 및 공공기관, 컨소시엄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안정적으로
자금이 확보되고 있다. 이 중 대부분인 약 80%가 인건비로 지출되고 있다.
7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논첼로 사회적 협동조합(Noncello company social cooperative non-profit organization)

Q 향후 계획

처음에 정신 장애인들과 함께 시작했으나 지금은 난민 등 다양한 사회 취약 계층으로 그 영역을 확장


하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의 새로운 이슈인 난민의 문제를 인식하고 이들을 돕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
해 논첼로의 이사장 및 직원들이 시리아를 방문한 바 있으며, 지역에서 노숙을 하던 난민들에게 직업
교육 및 일자리 제공을 통해 사회의 일원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난민과 함께 해 나갈 수 있는 사업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7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


(OPEN GROUP Cooperativa Sociale)

현지 주소지 Via Milazzo 30 40121 Bologna , ITALY

홈페이지 주소 http://www.opengroup.eu/

연락처 회사번호 +39 051242557


팩스번호 fax +39 051242955
대표 이메일 segreteria@opengroup.eu

기업개요 대표자 Roberto Lippi


설립연도 2014년
조직 형태 사회적 협동조합
매출 연 2,155만 유로
종업원수 및 규모 653명의 종업원

사업개요 지역 사회 내 치료공동체, 사회교육체, 아파트 네트워크를 구축함. 마약 중독 치유 서비스, 맞춤형 홈


케어, 마피아 관련 법률 상담, 사회적 경제 미디어를 운영.

선정이유 한국사회적 기업진흥원, 한신대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의 글로벌 사회적 경제 현장 연수 보고서에서


검증된 이탈리아의 대표적 사회적 협동조합
7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OPEN GROUP Cooperativa Sociale)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 (OPEN GROUP Cooperativa Sociale)는 지역 사회에 기반하여


치료공동체, 사회교육체, 아파트 네트워크 구축하며, 마약 중독 치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
니다.

Caterina Pozzi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Caterina Pozzi는 오픈그룹의 전무이사로 재직 중이다. 그녀는 오픈그룹 입사 전, 생물학과를 나와 볼


로냐의 병원 실험실의 세포 연구실 연구원으로 근무를 했다. 다른 분야에 일하는 친구가 La Rupe라는
단체에 대해 이야기를 했고, 거기서 청소년을 위한 시설에 책임자를 구인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관심이 생겨 La Rupe의 창립자와 면접을 치렀으며, 2달 후에 전화를 받고 이직을 결심하였다.


이후, 2014년에 La Rupe(근무하던 회사), CoPas, Voli Group이 합병해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
(OPEN GROUP Cooperativa Sociale)가 되며 자연스럽게 OPEN GROUP에서 근무를 하게 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오픈그룹은 규정된 미션을 가지고 운영되지 않는다. 테크놀로지와 사회구조가 급작스럽게 변화하는
현실에 맞춰 ‘유동적’으로 사회에 접근하는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일상의 업무에서 사회적 포용 및
혁신, 교육과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돌봄과 문화를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일들이 혼자서 이뤄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이를 깨닫고 가치를 함께 공유한 단
체, 회사, 기관 등과 연대하여 협력하고 있다.

오픈그룹의 가치 추구 핵심은 도시와 사람 간에 발생하는 작용에 있다. 사회적 문제, 환경 문제, 권리


와 책임의 장벽 없이 지역사회와 구성원의 조화롭고 지속적인 개발을 추구하는 것이다.
8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OPEN GROUP Cooperativa Sociale)

Q 성공과 전략

오픈그룹은 마약/약물중독자 돌봄에 중점을 둔 La Rupe와 사회 취약계층이 근무할 수 있는 생산시


설을 운영하던 CoPas, 독립적으로 미디어(라디오, 웹매거진, 광고, 다큐멘터리 등)를 제작하던 Voli
Group가 합병해 탄생하였다. 합병 후, 미디어, 유아/청소년 돌봄 사업, 약물 및 마약 게임의 중독 예방
프로그램, 생산 클러스터 운영(세탁시설과 전자기계부품 생산), 사회적응 사업 운영으로 각 조합들의
특성을 모두 살려 통합된 조직으로 탄생하였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오픈그룹은 각기 성향이 다른 3개의 조직이 합병해 탄생하였다. 경제위기가 장기화되고 사회가 변하


면서 각 협동 조합에도 변화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조합의 역할과 해야 할 일은 많아지는데 자금조달
의 어려움으로 경제적인 위기를 겪게 되며 변화를 추구할 수 밖에 없었다.

합병의 과정은 수평적 합병으로 총회에서 100% 찬성과 동의 과정을 통해 이뤄져야 했기에 오랜 시간
이 필요했다. 다행히 이 3곳의 조합은 이 전에도 계속 컨소시엄 등의 형태로 일을 같이 했던 경험이 있
었기에 필요와 역할에 대한 이해가 충분했다.

Q 자금확보

오픈그룹은 다양한 사업영역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출판, 미디어, 교육, 돌봄 뿐 아니라 전기기계
및 자전거 생산은 주요 자금원 중 하나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모두 유료로 이뤄지고 있으며 이렇게 창
출한 수익으로 직원 교육 및 조합 운영이 이뤄지고 있다.
8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오픈그룹 쿠페라티바 소샬레(OPEN GROUP Cooperativa Sociale)

Q 향후 계획

조직의 유연성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소통하고 이로 더 나은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중간자의 역할


을 하는 것이다.

사회 경제적 조직이 지역사회의 경제활동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이런 경


제활동을 정부 조직와 일반 기업이 함께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미 생산품 중에
는 에미레이트 항공으로 납품되는 것이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민간 기업과 파트너쉽을 맺고 있다. 이러
한 파트너쉽의 영역을 더 넓히는 한편 R&D와 리서치 등을 통해 보다 장기적으로 파트너쉽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Q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

한국의 협동 조합 관련 단체에서 방문한 적도 있고 국제 세미나에서도 한국의 사회적 경제 조직과 만


난 적이 있다. 수 차례 정보를 교환하며 다양한 접근을 가졌으나 아직까지 직접적으로 협업까지 연결
되지는 않았다. 이 부분은 사회적 경제 조직이 가지고 있는 한계일 수도 있는데, 사회적 경제 조직은
조합원들 및 구성원들의 사회, 경제적 안정성을 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사업을 진행해야 하기에 아무래
도 이탈리아 국내 및 인근 유럽의 경제조직과 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
8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그루포 쿠페라티보, 씨지엠(Gruppo Cooperativo CGM)

현지 주소지 Via Barigozzi Ermanno 24, 20138 Milano(MI), ITALY

홈페이지 주소 http://cgm.coop/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cgm.coop, consorzioginomattrelli@legalmail.it


회사번호 +39 02 365 79650
팩스번호 +39 02-365 79669

기업개요 대표자 Stefano Granata


설립연도 1987년
조직 형태 사회적 협동조합, 사회적 기업 네트워크(컨소시엄)
매출 약 2백2십만 유로
종업원수 및 규모 700여 개의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 42,000여 명의 노동자, 15,000여 명
의 조합원 및 봉사자, 조합 직원 수 12명

사업개요 CGM은 이탈리아의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를 향상시키기 위해, 협동 조합과 사회적 기업의 활동을
조정하고 향상시키는 대규모 네트워크 컨소시엄
CGM finance: 금융, 사회적 기업 발전 지원
Welfareitalia: 복지, 의료센터 네트워크
Cooperjob: 일자리, 노동취약계층에게 고용서비스 제공

선정이유 한국사회적 기업진흥원, 한신대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의 글로벌 사회적 경제 현장 연수 보고서에서


소개된 이탈리아 최대 규모 사회적 기업 네트워크이며 사회적 경제 조직
8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그루포 쿠페라티보, 씨지엠(Gruppo Cooperativo CGM)

그루포 쿠페라티보, 씨지엠 (Gruppo Cooperativo CGM)은 이탈리아의 사회적 경제 네트워크를


향상시키기 위해, 협동 조합과 사회적 기업의 활동을 조정하고 향상시키는 대규모 네트워크 컨
소시엄입니다.

Martina Tombari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를 진행한 Martina Tombari는 2000년 밀라노 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한 후 변호사 시보로 2년
근무 후 사회 빈곤계층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어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사회복지재단인 "Angelo
Abriani"에서 사회복지 담당으로 근무를 하였다. 이직의 계기로는 씨지엠의 금융, 복지, 일자리 서비
스 등 사업영역의 다양함을 꼽았으며, 그는 현재 2017년 씨지엠에서 사업개발부서의 총괄책임자로
근무하고 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씨지엠은 그 자체가 하나의 협동조합이며 이탈리아 각 지역의 700개 사회적 협동조합을 대표하는 44
개의 지역 컨소시엄과 제휴하고 있다. 주요 활동 영역은 사회적 기업, 취약계층 및 장기실업자의 고용
창출과 관련된 정보를 조사하고 출판하는 활동과 지역 컨소시엄의 훈련 운영 및 관리, 사회적 협동조
합에 대한 원조와 상담 제공, 전국 및 국제적 사회정책 추진과 네트워크 형성 및 관리의 활동을 하고
있다. 씨지엠은 개인 의료 (미성년자, 노인, 이민자, 장애인) 및 신흥시장(환경, 생활, 기술, 예술 및 문
화, 관광, 취업 지원) 분야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씨지엠의 주된 역할은 경쟁력을 갖춘 고
급 서비스를 기업에 제공하고 컨소시엄을 지원하는 이탈리아 국내 및 유럽 개발 프로젝트와 새로운 로
컬 네트워크를 촉진하기 위한 이니셔티브 등의 지역 네트워크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8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그루포 쿠페라티보, 씨지엠(Gruppo Cooperativo CGM)

Q 성공과 전략

온라인을 통한 사업은 현실의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한 근본적인 선택이다. 과거와 같은
사회 협동 조합 형식은 오늘날 더 이상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를 위해 씨지엠은 다른 방식을 찾아야 했다. 씨지엠은 사회적 기업의 진정한 허브가 되기 위해 노력


하고 있으며, 전통의 장애물을 뛰어 넘는 혁신을 추구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다른 협동 조합이나 컨소시엄과 마찬가지로 이탈리아 경제불황이 장기화되던 시기에 자금확보 어려


움이 있었다. 특히 조합원의 회비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자금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기 어려웠다.

UBI은행과 금융 대출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UBI은행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대출 장려책으로 CGM에 중장기 대출이 승인돼 1,755만 유로의 대출이 이뤄졌다. 이후 다양한
사업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Q 자금확보

조합원의 회비와 사업에서 발생하는 이윤으로 자금을 확보한다. 현재 회비 의존도를 낮추고 사업에서
발생하는 이윤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8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이탈리아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그루포 쿠페라티보, 씨지엠(Gruppo Cooperativo CGM)

Q 향후 계획

2018 년 7월 18일 씨지엠은 이탈리아 최대 규모의 은행 중 하나인 UBI은행의 복지 서비스 참여에 합


의 서명하였다. UB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자체 네트워크의 성장과 개인 및 기업 시장으로 진출했음을
증명하는 사안으로 향후 지속적 성장을 추구해 나갈 계획이다.

이로써 신용 금융 기관의 복지 서비스를 선택한 고객은 개인 간병, 건강 및 교육 전용 서비스를 이탈리


아 전국에 퍼져있는 씨지엠 협동 조합을 통해 좀 더 안정적으로 혜택 받을 수 있을 것이며, 향후 네트
워크 확장을 통해 더 많은 파트너쉽을 기대해 볼 수 있다.
USA

탐스 슈즈(TOMS shoes)

로마 부츠(ROMA Boots)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퀘스트브릿지(QuestBridge)

카인드(KIND)

카붐(KaBOOM)

에너마(ENUMA)

디씨 센트럴 키친(D.C. Central Kitchen)

크리샐리스(Chrysalis)

베이켓(BAYCAT)
8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전체 노동인력 중 비영리 기관 근무 인력 비율
(860만명)

14
전반적 개요
%

미국의 사회적 기업은 비영리조직의 벤처사업에 역사적 뿌리를 두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미국
미국 내 운영 비영리 기관
만의 특별한 현상은 아니며 1990년대 전반에 걸쳐 유럽에도 등장하여 세계 다른 지역에 급속하
게 확산되었는데, 미국의 사회적 기업은 특유의 시장 환경, 신자유주의 사회복지제도 및 문화적

100 만개
규범 속에서 다른 국가의 사회적 기업과 상이한 차별적인 특징을 갖게 되었다.

비영리 기관 경제 활동

미국의 현황

GDP의 7 %

사회적 기업 수 종사자 수 총 매출액

17 5 만 백개 860 만명 342 조원

사회적 기업 특징

01 02
비영리조직들이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업적 활동을 사회적 벤처가 사회적 기업의 주요 맥락을 형성
수행

03 04
사회적 기업 활동을 위한 제도적 규정이 없으며, 이에 따라 다 미국의 사회적 기업은 비즈니스적인 방법과 관행이 강함
양한 유형의 사회적 기업이 존재
8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원 및 현주소

미국에서 비영리조직이 발달하게 된 것은 거대 정부를 반대하는 전통에서 기인한다. 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이미 시민의식을 기반으로 자발적인 참여에 의한 단체가 발달하여 왔다. 이러한 시민
의식은 전통적으로 자선사업에 대한 호혜적인 기부문화를 조성해왔다. 다양한 영역에서 지원된
기부금은 비영리단체들의 재정적 기초가 되었으며 제3섹터의 영역 내에서 다양한 재단의 발달을
촉진시켰다. 이것이 미국의 사회적경제 조직과 사회적 기업의 기원이다.

Work Integration Social Enterprises: WISEs

•취약계층을 위한 자체 직업재활제도에 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 동시에 재화 및 서비스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근로통합 사업을 추진
•취약계층 근로자들에게 소프트 기술교육, 하드 기술훈련, 근로경험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목적
사회적기업

Worker Cooperative
•투자자 소유법인 : 의결권과 투자자 소유 주식의 순 장부가액에 기초한 경제적 이익에 대한 권리를 가짐

노동자 •노동자 소유 협동조합 : 주식은 재산권보다는 인격권을 내포 / 노동자가 해당 회사에서 근무


협동조합 •종업원지주제도(Employee Stock Ownership Plan: ESOP) : 노동자들이 주식의 대부분을 소유하지만
주식은 재산권으로서 노동자나 외부인이 매매

Low-Profit Limited Liability Company: L3C

•이윤의 극대화가 아닌 낮은 이익이지만 사회적 이익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LLC에 준하는 법인의 형태


•L3C 목적 : 재단으로부터 저수익 투자를 유치 함으로써 사회적 사명에 공감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주류
저수익
투자자들에게 시장이율을 제시하는 투자처를 제공
유한책임회사

Benefit Corporation

•공익회사 인정 : 공익(general public benefit)을 위한다는 요건을 충족


공익회사 •기업의 이사는 주주의 이익과 당해 회사 및 자회사와 공급업자 등 근로자의 이익과 공익으로서 소비자의
이익을 고려하여야 하며, 그 외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배려 및 지역과 지구환경을 고려할 의무가 부과

Flexible Purpose Corporation

•이사로 하여금 무엇이 회사에게 최선의 이익이 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것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고려함에 있어 특정 목적을 고려하는 것 허용(특정 목적 : 자선 내지 공공적 목적으로
비영리법인이 수행하도록 허용된 경우 또는 당해 회사의 근로자, 공급업자, 고객, 채권자, 공동체, 사회 또는
유연목적회사

환경에 단기 혹은 장기적 불이익을 감소시키거나 긍정적인 영향을 촉진시키기 위한 경우)


9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미국의 경우 정부의 사회 서비스에 대한 개입 수준이 낮고, 대부분의 사회 서비스가 시장이나 제


3섹터에 의해 제공된다. 이에 미국의 사회적 기업 생태계는 필요에 의해 그 다양성과 규모를 가
지게 되었다. 어린이와 청소년, 노인, 장애인을 위한 각종 서비스를 비롯하여 주거환경 개선사업,
영유아 보육, 지역사회 복지와 환경개선 사업은 물론 직업 훈련과 취업 알선에 이르기까지 다양
한 사회 공공서비스 제공의 역할이 비영리조직에 의해서 수행된다.

공공 정책 및 지원

연방정부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목적을 수행하는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
•정부가 제3섹터와 계약을 체결하고 공공부문 내 특정 사업을 민간기관에 위탁
•바우처 형태로 지원

| 주요 네트워크 |

국세청
Internal Revenue
미국 내 사회적 기업 관련 주요 기관과 이해 관계 Service

중소기업청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SBA

성장 Duke
포용력 University
잠재력

Columbia
미국의 University

사회적경제기업의
공감 인프라 환경

사회적 기업 연합 고등 Harvard
University
(Social Enterprise Alliance, SEA) 교육기관과의
연계

Stanford
변화
통합 University
촉진
9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 미국 대학의 사회적 기업 관련 학위 과정 개설 예시 |

Duke University 과목명: Social Enterpreneurship


Center for the MBA 총 6개의 모듈로 강의를 구성, 사회적 가치 창출, 자금조달과 재무구조, 사회적영향의 평가, 사회적 혁신 등 사회적기업과
Advancement of Social
Enterpreneurship 관련한 기본지식을 사례연구와 실습, 전문가 초청강연을 통해 전달

Columbia University 과목명: Social Entrepreneurship


social Enterprise Program MBA 총 6개의 모듈로 강의를 구성, 사례연구와 실습, 전문가 초청강연을 통해 사회적기업에 관한 기본 지식을 전달
팀 프로젝트로 GSVC(Global Social Venture Competition)대회에 참가하는 것이 특징

Harvard University 과목명: Global Marketing Consulting for Social Enterprise


The Social Enterprise MBA 마케팅 분석 및 기회 포착, 마케팅 전략 구상 및 마케팅 프로그램의 구체화 등 총 3단계 모듈로 강의 구성
Initiative
수업과 더불어 실제로 인도 소재 사회적 기업을 방문해 마케팅 전략 컨설팅 제공

Harvard University 과목명: Effective Leadership of Social Enterprise


Extension School MBA 총 5개의 모듈로 강의를 구성, 사례연구와 토론, 효과적인 사회적기업, 비영리단체에 대한 리더십 형태로 진행
대부분의 시간에 실무자를 초청해 당면한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함으로써 실무능력을 배양

Harvard University 과목명: Social Entrepreneurship


Extension School 경영자 사회적기업의 개념 형성, 사회적 가치, 사회변화의 모형, 사회변화의 7가지 전략, 자금 제공 모형, 기회 등의 내용을 사례연구,
과정
토의를 통해 학습

Stanford University 과목명: Entrepreneurship in the Social Sector


Center for Social Innovation MBA 총 7개의 모듈로 강의를 구성, 사회적기업의 관리와 설립에 경영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목적으로 경제적·인적 자원의 동원,
성장관리, 동맹 맺기 등 사회적기업 영역에서의 기업가적 지식에 대해 사례연구 및 토의를 진행

Stanford University 과목명: Leading Social Change: Educational and Social Entrepreneurship
Center for Social Innovation 교육학
사회적 변화 가운데 발생하는 기회와 도전 과제를 분석하여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역량 제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토의와 사례
석사
연구 및 전문가 초청 프로그램으로 강의 구성

파이낸싱

Community EcoLogic Finance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s
제도권 은행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자산규모 2억 5천만 달러 이상의 대형은행들은 낙후지역에 영리기업과 사회적 기업과의 파트너십의 대표적인 예인 스
대출, 지역투자, 각종 금융서비스의 활동에 참여 타벅스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EcoLogic Finance에
총 500만 달러를 장기 저리로 투자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적 기업과 협력체계를 구축
9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탐스 슈즈(TOMS shoes)

현지 주소지 1344 Abbot Kinney Blvd, Venice, CA 90291, USA

홈페이지 주소 www.toms.com

연락처 회사번호 +1-800-975-8667

기업개요 대표자 Blake Mycoskie


설립연도 2006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2006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One for One shoes 및 기타 패션 악세서리 및 커피 판매

선정이유 TOMS는 사회적 스타트업은 아닐 수 있으나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에서 사회에 공헌을 하는 사회
윤리적 기업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음
국내에서는 이미 여러 차례 사회적 기업으로 소개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형태의 다른 기업들
(Warby Parker 등)과 함께 미국 사회적 기업의 좋은 예가 될 수 있음
9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탐스 슈즈(TOMS shoes)

“내일을 위한 신발” (Shoes for Tomorrow)라는 슬로건으로, 소비자가 한 켤레의 신발을 구


입하면, 다른 한 켤레의 신발을 제3세계 어린이들에게 일대일로 기부하는 사회작경제 기업입
니다.

Blake Mycoskie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TOMS Shoes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신발 회사이다. 내일을 위한 신발(Shoes for


Tomorrow)라는 슬로건으로 소비자가 한 켤레의 신발을 구입하면, 다른 한 켤레의 신발을 제3세계 어
린이들에게 일대일로 기부하는 사회적경제기업이다. 창업자 Blake Mycoskie가 2006년 여름에 아르
헨티나를 여행하는 중에 많은 아이들이 맨발로 걸어 다니는 것을 목격하고, 맨발로 다니는 어린이들에
게 신발을 제공해야겠다는 목적으로 TOMS Shoes를 창립하였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맨발로 다니는 것은 단순히 불편이나 질병의 문제 만이 아니다. 신발 또한 학교 유니폼 중에 하나이므


로 신발이 없으면 학교도 다닐 수 없어 교육받을 기회마저 박탈된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신발을 지
원하는 것은 어린이의 건강 문제에 도움을 주며, 교육 또한 받을 수 있게 하므로 빈곤의 악순환을 해결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약 200만 명의 어린이들이 TOMS Shoes가 기부한 신발과 의약품을 통해 구충 감염 등으로부터 안전


해졌으며, 신발 보급을 통해 자녀를 둔 엄마들의 보건 교육 프로그램 참여율도 42% 증가하였다. 또한
TOMS는 전 세계 13개국에서 약 40만 명의 시력회복과 3개국에서 산모 약 7만 명의 안전한 출산에 도
움을 주었고 7개국에서 40만 주 동안 쓸 수 있는 깨끗한 물을 기부하였다.

또한 기부되는 신발의 경우, 현지에서의 생산공정을 통해 약 700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되었고


TOMS의 지원을 통해 세계 곳곳에 사회 지원 단체 수가 20개 이상 증가하였다.
9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탐스 슈즈(TOMS shoes)

Q 성공과 전략

가볍고 편한 디자인: TOMS Shoes는 아르헨티나의 전통 신발인 ‘알파르가타’에서 영향을 받아 가볍


고 편한 디자인의 신발들을 주로 판매하여 주목을 받게 되었다.

1:1 기부 전략(One for One): 소비자가 한 켤레의 TOMS Shoes를 구입하면, 한 켤레의 신발을 제3세
계 어린이들에게 기부하는 전략이다.

Cause Marketing: TOMS Shoes는 사회의 공익적 이슈를 기업의 마케팅과 연관시키는 Cause
Marketing(착한 소비를 유발하는 대의 마케팅)의 성공적 사례가 되었다.

신발 없는 하루 캠페인: TOMS Shoes는 신발 없이 살아가는 어린이들의 아픔을 체험하기 위해 2008


년부터 ‘신발 없는 하루’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슈 드롭(Shoe Drop): TOMS는 일대일 기부를 슈 드롭 행사를 통해서도 실천하고 있다. TOMS Shoes
는 개발도상국의 시민단체들을 통해 기부 물량의 90%를 나눠주며, 나머지 10%는 TOMS Shoes 직
원들이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슈 드롭’(Shoe Drop)이라는 신발 기부 행사를 통해 현지에서 직접 나
눠준다. 2006년 1만 켤레를 시작으로, 2009년에 40만 켤레, 2010년 4월 60만 켤레, 10월 100만 켤
레를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6,000만 켤레 신발이 기부되었다. 현재까지 TOMS Shoes는 Friends of
TOMS를 설립하여, 아르헨티나, 페루, 과테말라, 온두라스 등 중남미 국가와 에티오피아, 우간다, 르완
다, 남아공, 몽골, 캄보디아 등 세계 23개국 어린이들에게 신발을 전해 주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TOMS의 ‘일대일 기부’라는 비전은 여러 비난과 어려움에 직면하기도 했다. 많은 비판 중 하나는


TOMS가 현지 산업 기반에 어려움을 주었다는 점이다. TOMS가 더 좋은 품질의 제품을 무료로 기증하
게 되자, 현지에 있는 신발업계 종사자들의 생계가 위협 받게 된 것이다. 이는 TOMS 운영진에게 좋은
의도로 한 일이 의도한 것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점을 알 수 있게 해주었고, 이에 TOMS는
현지 상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길을 찾고자 노력했다. 결국 판매용 생산은 기존의 중국 공장에서
생산하되, 기부용 신발은 신발을 많이 기증하는 지역에 공장을 세워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방법
으로 현지에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부 물품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Q 자금확보

TOMS Shoes의 좋은 뜻에 할리우드 스타들과 일반 소비자들이 뜻을 같이 해주고, SNS를 통해 자발


적으로 홍보해주어 급격한 성장을 하게 되었다.
9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탐스 슈즈(TOMS shoes)

Q 향후 계획

TOMS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신발을 기부 받는 나라에서 신발 생산도 함께 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


를 통해 해당 지역에 일자리를 제공하는 한편 운송거리도 줄여 환경을 보호하고 유통 비용도 절감하기
위해서이다. TOMS Shoes가 아르헨티나와 중국에 이어 에티오피아에 신발 공장을 지은 것도 이런 이
유에서이다.
9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로마 부츠 (ROMA Boots)

현지 주소지 8060 Park Lane, Suite 126, Dallas, TX 75231

홈페이지 주소 romaboots.com

연락처 회사번호 +1-888-612-6264

기업개요 대표자 Samuel Bistrian


설립연도 2001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2001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고객이 레인부츠 하나를 구입하면, 빈곤 가정 어린이에게 레인 부츠 하나는 무료로 제공

선정이유 가난한 지역의 어린이들에게 레인 부츠를 무료로 제공하여 어린이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고, 해당
지역에 공장을 건립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통해 빈곤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9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로마 부츠 (ROMA Boots)

고객이 레인 부츠를 하나 구입하면, 필요한 어린이들에게 레인 부츠 하나를 기증하고 있습니다.


다른 신발이 아닌 장화를 선택한 이유는 어린이들을 해로운 환경과 혹독한 자연환경으로부터 보
호함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깨끗한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였습니다.

Samuel Bistrian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ROMA Boots의 창업자 Samuel Bistrian은 루마니아에서 가난하게 자라났다. 공산주의 정권이 몰락
하자 8살 때에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오게 되었다. 그의 부모는 어렵게 살았던 세월을 잊지 말 것
을 가르쳤다. 그 영향으로 그는 사회에 어떻게 기여할까를 항상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던 와중에 미국
으로 이민 온 후 처음으로 2001년에 루마니아를 방문하게 되었다. 루마니아는 공산주의의 몰락 후에
도 여전히 가난했다. 길거리에서는 신발도 신지 못하고 돌아다니는 어린이들을 목격하게 되었다.

대학을 졸업한 후, 그는 달라스에 있는 Neiman Marcus에 취업을 해, 매 년 루마니아로 옷, 신발 등


의 생필품을 보냈다. 하지만 그것으로 만족할 수 없었다. 2009년에 TOMS Shoes의 창립자인 Blake
Mycoskie를 만나게 되었고, 그의 이야기에 영감을 받은 Samuel Bistrian이 2010년에 ROMA Boots
를 창립하게 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고객이 레인 부츠를 하나 구입하면 로마 부츠는 필요한 어린이들에게 레인 부츠 하나를 기증한다.”

다른 신발이 아닌 장화를 선택한 이유는 어린이들을 해로운 환경과 혹독한 자연환경으로부터 보호함
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깨끗한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서였다. 이는 신발 하나의 문제를 뛰어넘어, 가
난을 극복하고 건강하며 풍요로운 삶을 살아가도록 돕기 위함이다. 현재 ROMA Boots는 월드 비전,
글로벌 에이드 네트워크, 링킹 더 월드, 적십자, 버크너 인터내셔널과 협력해서 이 비전을 실현하고
있다.
9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로마 부츠 (ROMA Boots)

Q 성공과 전략

“모두를 위한 ROMA Boots”

TOMS와 유사한 1+1전략을 실행했다. 고객이 하나를 사면, ROMA Boots는 하나를 무료로 기증했다.
이익이 남아야 사업도 유지되고 사업 만이 아니라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선택한 전략이었다. ROMA
Boots는 지금까지 6개 대륙의 26개 나라에 있는 파트너들과 함께 하고 있다. ROMA Boots의 목표는
가난한 이들을 돕고 풍요로움을 창출해 내는 것이다. 이러한 비전을 가진 ROMA Boots는 2017년 한
해 동안 3,935명의 어린이에게 부츠를 기증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창업자 Samuel Bistrian이 ROMA Boots를 시작할 때, 그가 모아둔 돈과 친구들에게 빌린 돈, 자신의


차를 판 돈으로 시작했다고 한다. 직장을 하나 더 구해 일을 하면서 자금을 충당했다.

시작과 동시에 적절한 공급자를 찾아야 했다. ROMA Boots를 시작하긴 했지만, Samuel Bistrian에
게 관련 경험은 사실상 별로 없었다. 어디에서 시작해야 할지도 몰랐던 그는 알리바바로 가서 공급자
들을 찾았다. 그리고 상해까지 가서 공급책을 찾기 시작했다. 이 때 Chen Lei라는 사람을 만나게 되었
고, 그와 함께 현재 ROMA Boots가 하고 있는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초기에는 품질 관리도 어려웠다. 조금씩 조금씩 극복할 수 있었고, 품질과 적정 가격을 찾아가는 데는
시간이 꽤 걸렸다. 또한 부츠를 만들기 위해 재료를 구입할 자금 마련도 늘 어려웠다.

정부의 도움은 없었다. 생산과 유통을 시작할 때 ROMA Boots가 직면했던 가장 큰 문제는 세금, 관세
와 배송비였다. 부츠를 기증하는 것임에도 ROMA Boots는 여전히 세금과 다른 관세들을 지불해야 했
고, 동시에 수많은 다른 종류의 이슈들도 처리해야 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Q 자금확보

ROMA Boots가 성장하자 2015년에 투자자들이 나섰다. 그러나 각 투자자들이 제시한 사업의 목표
와 방법들은 모두 달랐다. 이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하는 것이 사업을 운영하고 성장시켜 가는 데
오히려 큰 문제가 되었다. 마침내 Samuel Bistrian은 대출을 받았고, 모든 투자자들의 자금을 갚았다.
ROMA Boots만의 방향을 잃지 않기 위해서였다.
9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로마 부츠 (ROMA Boots)

Q 향후 계획

Samuel Bistrian은 ROMA Boots를 더 성장시키길 원하고 있어 오프라인 매장보다는 아마존과 같은


온라인 유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ROMA Boots는 미래에 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10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현지 주소지 1225 Broadway, New York, NY 10004

홈페이지 주소 www.teachforamerica.org/

연락처 대표 이메일 press.center@teachforamerica.org

기업개요 대표자 Wendy Kopp


설립연도 1989년

1989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실력을 갖춘 대학졸업자들을 통해 취약 계층에 공립교육을 제공

선정이유 상대적으로 열악한 저소득층 지역 공립교육 재건에 관심을 가지고 열악한 환경에 처한 학생들의 삶
을 회복시키고, 빈곤의 악순환 등 사회적 문제 해결에 주력
10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아이비리그 졸업생들을 공립 학교의 교사로 보내서 그들로 하여금 저소득층 학생들을 돕게 하자


는 것이 TFA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미국 내 대학 졸업생들이 5주간 집중적인 훈련을 받은 후, 미
국 각지의 가난한 지역에 배치되어 2년간 학생들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이 ‘Teach For America’
의 핵심입니다.

Wendy Kopp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Teach For America(TFA)는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미국 뉴욕 주에 본부를 두고 있는 비


영리 단체이며 사회적 기업이다. 이는 프린스턴 대학의 학생이었던 웬디 콥(Wendy Kopp)의 논문에
서 제시된 아이디어로부터 시작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Teach For America’는 교육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1990년 이래 6만 명 이상의
대학 졸업생들이 TFA에 참여하였다. 그들의 에너지와 상상력이 미국 전역의 교실로 퍼져나갔다. TFA
는 학교, 지역 대학, 지역사회의 기업들과 협력하여 졸업생들에게 초기 훈련,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
유례없는 지원과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TFA는 미국 공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공교육의 제도적 시스템을 바꾸거나 사교육
을 활용하기 보다 좋은 선생님을 통해서 공교육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러나 TFA는 그들의 모델을
한국 및 다른 나라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고 말한다. 문제의 핵심이 공교육 때문인지,
사교육 때문인지를 먼저 평가하는 과정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TFA는 문제의 본질 그 자체에 집중했고
그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TFA는 리더가 교육 불
평등 해소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10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Q 성공과 전략

TFA는 네 단계의 전략을 가지고 있다.

단계 1 좋은 리더를 찾는다.
단계 2 리더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리더를 돕는다.
단계 3 교육 시스템을 변화시키고 발전시키는 리더를 육성한다.
단계 4 지속적인 연대 리더십을 강화한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TFA가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고 기업들의 후원이 줄을 잇자 아이비리그 학생들이 더 좋은 직장을 찾기


위해 스펙 쌓는 통로로 삼는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2010년 금융위기 때에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
하려는 대학생들이 몰려 오기도 했다. 또한 TFA의 성공은 미국 공교육의 붕괴를 의미한다는 비난을 받
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약 83%의 TFA 졸업생들이 저소득층의 교육과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고 있
으며, 13,500명 이상이 선생님으로, 1,120명 이상이 교장선생님으로, 150명 이상의 졸업생들이 교육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현재 TFA는 미국 내 51개 지역에 지부가 있고, 60,000명 이상의 졸업생과
회원들이 있다.

Q 자금확보

TFA는 모빌, 허츠, 모건스탠리로부터 $26,000의 자금과 사무실, 차량 6대를 지원받아 출범했고 1991
년부터 공립학교에 강사를 보내기 시작했다.

단촐한 시작과 달리 TFA는 현재 수많은 대기업으로부터 기부금을 받고 있다. 제너럴 일렉트릭(GE)이


나 딜로이트(Deloitte)에서는 TFA와 제휴하여 채용 예정 학생이 취업전 2년간 TFA에 참가하는 것을
경력으로 인정하고 있다. JP모건 체이스 또한 채용 예정 학생의 TFA 프로그램의 참가를 경력으로 인
정하고 이 학생들에 대한 계약금을 TFA 프로그램 참가 전에 지불하고 있으며 TFA에 참가한 채용 예정
학생들을 위한 여름 캠프도 실시하고 있다. TFA는 정부 기금과 Americorps에서도 도움을 받아 운영
되고 있다.
10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

Q 향후 계획

TFA의 성공은 전세계 사회적 기업가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많은 이들이 비슷한 프로그램을 시작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왔다. 이에 2007년 TFA는 영국의 ‘Teach First’ 창립자인 브렛 위그도츠와 협
력해 독자적인 사회적 기업으로 ‘Teach for All’을 세워 세계에 교육이 필요한 지역에 진출하기도 했
다. 이 단체를 통해 유럽, 아시아, 남미, 중동 등 27개 나라와 함께 하고 있으며, 20여 개 국가에서 참여
의사를 밝혀왔다. TFA는 향후 세계 각국으로 진출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각 지역의 문화 차이에 따
른 리더십의 개념 정립도 함께 진행 할 계획에 있다.
10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퀘스트브릿지(QuestBridge)

현지 주소지 445 Sherman Ave. Suite 100Palo Alto, CA 94306

홈페이지 주소 www.questbridge.org

연락처 회사번호 +1-650-331-3280대표


이메일 questions@questbridge.org

기업개요 대표자 Michael McCullough


설립연도 1987년

1987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실력을 갖춘 저소득층 고등학생들의 대학 진학 지원

선정이유 QuestBridge는 실력 있는 저소득층 학생들을 찾아서 그들이 좋은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돕고


있음
또한 그들이 다시 자신들의 미래와 사회에 공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10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퀘스트브릿지(QuestBridge)

QuestBridge는 1987년에 스탠포드 대학에서 “QuestBridge Scholars Program”이란 이름으


로 시작되었습니다. 5주 동안 저소득층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그룹”이라는 문화를 만들어
주고자 시작되었습니다. 더불어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 모여서 마음을 열고 함께 여러 가지 탐
구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습니다.

Michael Mccullough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QuestBridge는 1987년에 스탠포드 대학에서 Michael Mccullough 등에 의해서 “QuestBridge


Scholars Program”이란 이름으로 시작되었다. 5주 동안 저소득층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그
룹”이라는 문화를 만들어 주고자 시작되었다. 더불어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 모여서 마음을 열고 함
께 여러 가지 탐구를 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열정과 인생의 가치를 깨
닫고 보다 나은 삶을 향한 모험을 독려하기를 원했다. 실제적인 대학 진학을 위해 대학 입학, 수능시험
(SAT), 재정 보조 및 워크숍도 함께 진행했다. 1996년에는 QuestBridge 프로그램을 졸업한 학생들
가운데 72%가 하버드, 예일, 스탠포드 등에 진학을 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매년 저소득층 출신 30,000명 이상의 우수한 고등학생들이 미국의 최고 대학에 입학할 실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80% 이상이 입학허가를 받을 만한 대학들에 한 군데도 원서를 내지 않고 있다. 일류 대학
에 교육비를 낼 형편이 안 된다는 생각으로 미리 포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학생들은 대학에 지원
하는 데 필요한 교육이 부족하거나 단순히 입학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저소득층 학생들이 좋은 대학에 지원하고 대학 다닐 기회를 놓치는 것은 미래에 큰 영향을 준다.


QusetBridge는 이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해 입학정보를 제공하고 대학에 합격하도록 돕고 있으며 경
제적 부담 없이 공부하도록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10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퀘스트브릿지(QuestBridge)

Q 성공과 전략

QuestBridge는 일류 대학들이 재능 있는 저소득층 학생들을 모집하는 방식과 이 학생들이 자신들의


교육과 미래를 접근하는 방식을 혁신하고자 한다.

QuestBridge는 현재까지 60,000명 이상의 학생들을 지원하였으며, 이 가운데 21,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파트너 대학에 합격하였다. 이들 중 5,200명 이상의 저소득층 학생들이 파트너 대학들로
부터 4년 전액 장학금을 받고 있다. 또한 13,500명 이상의 학생들과 부모들이 대학 입학 과정에 대
한 QuestBridge 콘퍼런스에 참석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지금까지 QuestBridge에는 위기가 많았다. 그때마다 QuestBridge를 도운 것은 졸업생들, 기부자들


과 파트너 대학들이었다. 특히 1996년에는 그 해 프로그램을 전혀 진행하지 못할 정도로 심각하였다.
이 당시 QuestBridge 프로그램의 졸업생 가운데 한 명이 학교를 일 년 휴학하고 우리를 도왔다. 또 어
떤 졸업생은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일을 해 주었다. 2003년에 프로그램이 정상 궤도에 진입하면서
QuestBridge 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서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Q 자금확보

QuestBridge는 많은 기업 및 개인 기부자들의 자금 지원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현재의 ‘QuestBridge Matching Program’을 만들기 위해 지원해 왔다. Mellon Foundation,
Goldman Sachs, Hewlett Foundations, Stanford GSB's Center for Social Innovation, Ashoka
in the vision 등이 대표적인 후원 기업이다. QuestBridge와 함께 일하는 대학들도 하버드, 예일, 스
탠포드를 포함해 40여 개 대학들이 있다.
10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퀘스트브릿지(QuestBridge)

Q 향후 계획

QuestBridge의 미래 계획은 간단하다. 훨씬 더 많은 우수한 저소득층 학생들을 미국의 일류 대학과


연결하고 이 대학들이 원하는 우수한 학생들을 매칭시켜 주는 것을 돕는 일이다.

더불어 저소득층 학생들의 대학 합격 만이 아닌 대학생활, 인턴십, 구직 활동 및 대학원 진학까지 돕고


자 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저소득층 학생들이 미국의 당당한 리더들이 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그
중에 우수한 학생들은 Quest for Excellence (QFE) Awards도 받을 수 있는 기회도 있다. 좀더 경쟁력
이 있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컴퓨터를 주고, 파트너 대학을 방문할 수 있는 기금 등을 지원
하는 사업도 추진 중에 있다.
10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카인드(KIND)

현지 주소지 New York

홈페이지 주소 www.kindsnacks.com

연락처 회사번호 +1-855-884-5463

기업개요 대표자 Daniel Lubetzky


설립연도 2004년

2004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건강한 제품을 만들고, 친절한 세상을 만든다는 모토의 사회적 기업

선정이유 KIND는 친절을 친절로 갚는 사회적 기업임


이윤추구만 아니라 친절한 세상이라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음
10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인드(KIND)

‘친절한 행동’ 덕분에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살아남았고, 내가 존재합니다. 저의 아버지는 “모든 사


람은 자신을 인간적으로 대해 주었던 이를 알아봐 준단다. 자비롭고 겸손한 태도는 언젠가 도움
이 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하곤 했습니다.

Daniel Lubetzky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KIND는 대니얼 루베츠키에 의해 2004년 뉴욕에서 창립되었다. 루베츠키는 맛도 있고 몸에도 좋은 간


식을 만들고자 했다. 이에 KIND는 몸에 나쁜 유화제를 섞는 기존의 스낵바 제조 기술을 탈피하였고,
견과류와 과일, 꿀을 주성분으로 혼합하여 혈당지수를 낮추고 영양을 풍부하게 한 스낵바를 만들고 있
다. 이와 같이 KIND는 천연 제품을 기초로 한 ‘건강’과 ‘친절’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조합해 사업을 시작
했고 첫해부터 1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여러분의 몸과 미각, 세상을 위해 친절한 일을 하자”

KIND는 건강하고, 맛있으며, 몸에 좋고, 간편하면서, 경제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을 추구하는 간식을 만들고자 한다. KIND는 건강과 맛, 수익을 내는 기업과 사회적 기업을 양자택
일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오히려 모두 한 번에 이룰 수 있는 목표로 본다. KIND만의 사업을 통해 수익
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친절한 행동을 통해 사회를 아름답게 만들자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11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인드(KIND)

Q 성공과 전략

KIND는 사람들이 서로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친절한 생각들을 하는 공동체를 꿈꾼다. 이런 정신을 바
탕으로 2009년에 KIND는 “친절한 일을 하자”(Do the KIND Thing)이라는 캠페인을 시작하였다. 사
람들로 하여금 친절한 행동을 하도록 영감을 불어 넣어주는 캠페인이었다.

최대한 많은 소비자들에게 KIND 제품을 알리는 것은 꼭 필요하다. 그러나 KIND는 자사 제품의 충


성 고객들과의 파트너십 관계를 더 깊게 만드는 것 또한 중요시했다. 기존 고객의 아침식사를 위한
과일, 채소, 치아 씨앗을 넣은 Kind Breakfast 라인 또한 출시하여 제품을 확장하였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2011년에 경쟁업체가 KIND의 제품을 그대로 모방하고 인공조미료를 추가해 설탕을 60% 더 줄인 제
품을 내놓아 큰 인기를 끌었다. KIND에게도 당분을 줄이는 것은 과제였다. 다이어트를 원하는 고객들
에게 큰 인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천연성분에도 당분은 들어있다는 것. 즉, 당분을 줄이
기 위해서는 천연재료의 사용도 재고해야 한다는 뜻이다. KIND는 경쟁사들의 성공을 보며 많은 고민
을 했다. 그리고 고민 끝에 포기했다. KIND가 다이어트 기능을 갖춘 인공 식품이 되기를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대안으로 이듬해 과일을 빼고, 천연 향신료 또는 다크초콜릿을 넣는 방식으로 설탕 함유량
을 크게 줄인 제품을 내놓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KIND는 브랜드 신뢰를 지킬 수 있었다.

Q 자금확보

KIND는 2004년 설립 후, 2008년 VMG Partners로부터 투자를 받을 수 있었다. 이 투자금으로 많


은 사람들이 KIND바를 접할 수 있도록 많은 매장에서 KIND 제품을 팔 수 있도록 투자했다. VMG
Partners가 처음 투자할 당시 KIND의 예산은 $800이었고 20,000개의 장소에서 KIND바가 팔렸었는
데 2009년에는 예산이 100배 늘어나 $80,000불로 증가하였다.

2017년에는 KIND바가 Snickers나 M&M과 같은 초콜릿, 껌, 사탕 등으로 유명한 MARS에서 투자를


받기 시작했다. MARS에서 받은 투자금으로 여러 가지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음료수나 냉동 식품류를 고려 중이다. MARS 또한 KIND와 같이 건강에 관심이 많았기에 함께 일하게
되었고, 두 기업은 현재 KIND 바를 세계적 브랜드로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 중이다.
11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인드(KIND)

Q 향후 계획

KIND바는 사업 초기에 비해 급성장 했으며, 매해 수백만개 이상 팔리고 있다. 그 비결은 역시 이윤추


구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가치를 유지했기 때문이라고 그는 말한다. KIND는 항상 친절에 기초를 두
고 고객을 위해 옳은 행동을 하는 기업이 되고자 한다. 그렇기에 미래 사업도 KIND가 추구하고자 하는
‘친절로 보다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에 매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KIND는 단순한 ‘기업’이
아닌 미래에도 여전히 ‘사회적 기업’으로 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KIND는 좋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
여 더 많은 곳에 더 많은 양을 기부할 계획이다.
11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카붐(KaBOOM)

현지 주소지 4301 Connecticut Ave NW, Ste ML-1, Washington, DC 20008

홈페이지 주소 kaboom.org

연락처 회사번호 +1-202-659-0215

기업개요 대표자 Darell Hammond(설립자 ) / James Siegal(최고경영자)


설립연도 1996년

1996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미국 내 가난한 지역에 사는 어린이들이 날마다 균형 잡히고 활동적인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놀이터
를 만들어 주는 사회적 기업

선정이유 수익사업을 통해 기금을 조성하고, 회사 후원자들과 지역 주민들의 후원과 참여를 통해 저소득층 지


역에 놀이터를 공급함
이를 통해 참여하는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공동체를 창조해 내고 있음
11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붐(KaBOOM)

마땅히 놀 장소가 없던 두 어린이가 길에 버려진 차에서 놀다가 질식사 했다는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를 접하고 “모든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친구와 함께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카붐은 1995년에 워싱턴 DC에 위치한 리빙턴 마노에 첫 놀이
터를 지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Darrell Hammond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카붐(KaBOOM)은 미국 내의 가난한 지역에 사는 어린이들이 균형 잡히고 활동적인 놀이를 할 수 있


도록 돕는 비영리단체이다. 마땅히 놀 장소가 없던 두 어린이가 길에 버려진 차에서 놀다가 질식사 했
다는 워싱턴 포스트의 보도를 접한 Darrell Hammond가 “모든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
이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친구와 함께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카붐은 1995년에 워싱턴 DC
에 위치한 리빙턴 마노에 첫 놀이터를 지으면서 시작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놀이는 모든 어린이들에게 중요하다.”

KaBOOM은 놀이문화를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어린이들이 노는 장소나 시간이 없다


는 것은 사교성 저하, 근육 발달 저하 등 건강문제, 아동비만과 폭력성 등 저변에 깔려 있는 사회문제
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놀이터를 건설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창의적인 놀이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KaBOOM의 가장 기본적


인 목적이다. 놀이터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과 회사 직원들까지 참여시켜 지역 사회와의 연
대의식을 향상시키고, 활력 넘치는 커뮤니티를 조성했다. KaBOOM의 노력으로 공터가 24시간 만에
놀이터로 바뀌는 것에 그치지 않고, 지역공동체가 직접 놀이터 건립을 주도하고 이끌어 가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의 결속과 사회변혁을 이끌어 가고 있다. 물론 지역 사회에 KaBOOM 홍보는 자연스럽게
되며,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 또한 구축할 수 있었다.
11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붐(KaBOOM)

Q 성공과 전략

KaBOOM의 독특함은 회사가 자체 인력을 투입하는 대신 지역 커뮤니티에 대부분의 권한을 위임시켜


이들과 ‘함께’하는 모델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KaBOOM의 놀이터 건설에는 기부
자, 제작자, 지역사회가 참여한다.

KaBOOM은 현재까지 17,000개 이상의 놀이터를 건립하거나 수리했다. 9백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놀이터들을 이용하고 있으며, 150만 명 이상의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1995년 워싱턴 DC에서 시작되었고, 1996년에 KaBOOM이라는 명칭으로 공식 설립되었다. 초창기


KaBOOM은 Home Depot와의 제휴로 성장할 수 있었다. Home Depot의 협찬과 지원으로 KaBOOM
법인이 설립되었고, 2005년에는 2500만 달러 규모의 지원을 받아, 1,000일간 1,000개의 놀이터 짓기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2008년에 마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디즈니, 젯트블루, 징가 등의 기업들이 함께해 주었다. 징가의 경우에는 자원봉사자들 뿐만


아니라 자사의 시티빌 게임에 KaBOOM 의 미션을 알리고 게임을 통한 모금까지 해주었다. 2011년에
는 당시 영부인이었던 미쉘 오바마가 행사에 참여하여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Q 자금확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사업 이익이다. 놀이터를 후원하기로 한 회사와 계약을 맺을 때 놀이터


건설 원가에 KaBOOM의 수수료를 더해 판매한다. 2017년에는 이와 같이 벌어들인 수입이 1,800만
불 정도이다. 이는 KaBOOM의 1년 수입의 약 75% 이상을 차지한다. 현실적으로 수수료를 받지 않는
다면 KaBOOM은 지속되기 어려울 것이다.

영업이익 다음으로 가장 큰 자금원은 후원이다. 기업후원과 개인후원을 총망라하여 2017년 한 해동


안 500만 불 정도의 후원이 있었다. 이는 1년 수입의 20% 정도이다.
11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카붐(KaBOOM)

Q 향후 계획

단기적으로는 허리케인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본 지역을 재생시키는 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6


년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 중인 Play Everywhere Project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것 또한 중요하
다. 디트로이트의 브라이트무어 런웨이, 샬롯의 레일 트레일 심포니, 휴스턴의 OX4D, 시카고의 퍼마-
플레이스트리트, 텍사스 맥알렌의 메트로 맥알렌 스윙 앤 라이드 지역 등 각 주와 시를 대표할 수 있는
놀이 공간을 조성하는 것 또한 향후 KaBOOM의 행보에 중요한 일부분이다.
11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에너마(ENUMA)

현지 주소지 2600 9th St.Berkeley, CA, 94710. USA

홈페이지 주소 www.enuma.com

연락처 회사번호 +1-800-280-0558


대표 이메일 info@enuma.com

기업개요 대표자 Sooinn Lee


설립연도 2012년
조직 형태 사회적 기업

2012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은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시작하게 된 사회적기업

선정이유 한국인 부부가 창업하였는데, 직접 자본금을 마련하여 설립


11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에너마(ENUMA)

아들이 장애가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기술을 기반으로 한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도구들을 찾아


보았으나, 만족스러운 것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이에 NC soft에서 근무하며 인지장애 개선 기
능성 게임인 인지니를 개발하였고, 이후에도 꾸준히 장애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Sooinn Lee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ENUMA는 2012년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이수인 대표와 이건호 수석 엔지니어에 의해 창업되었다.


창업 전 두 사람은 모두 NC Soft에서 일을 하였다. 이건호 수석 엔지니어는 NC Soft 지원으로 버클리
에서 박사학위를 마친 후 한국으로 돌아갈 계획이었지만, 아들이 청각장애를 가지고 태어나면서 많은
변화들이 있었다.

이수인 대표는 NC Soft에 근무하며 인지 장애 개선 기능성 게임인 인지니를 개발하였다. 마침 K9


ventures 직원의 아이도 장애가 있어 인지니를 접하게 되었는데 그 이후 NC Soft에서도 인지니 프로
젝트를 그만두게 되었다. 이에 그는 트위터에서 인지니 개발자를 만나보고 싶다고 접촉하였고, 이수인
대표와 함께 창업하게 된 기업이 ENUMA이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처음 시작은 장애가 있는 아이들 혹은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아이들이 가장 필요한 도구를 만들고자
하였다. 이는 그들이 가장 좋은 퀄리티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지금은 ENUMA의 접근이 보다 넓어졌다. 전세계 모든 아이들이 혼자서 학습할 수 있는 최고의 교육제
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학습이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서 만들다보니 장기적인
미션을 구상하게 되었다. 단지 장애가 있는 아이들 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에 있는 아이들을 도와주기
위해 어디서나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러닝 익스피리언스에 포커스를 맞추게 되었다
11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에너마(ENUMA)

Q 성공과 전략

투두 수학(Todo Math)이 2014년에 출시되어 8개 언어로 서비스 되고 있다. 애플의 지원으로 전 세계


애플 매장 기기에 투두 수학이 깔려 있다. 아이들을 위한 것이라고 수준을 낮출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
였고 이에 최고의 어플을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만 두 세살 앞에 갔다놓아도 아이들이 할 수 있는 투두 수학은 입상 경력도 많다. 이미 육 백만번 이상


다운로드 되었고, 미국의 4,000여 개의 교실에서 한 번 이상 사용되었다. 특히 학교에는 크게 마케팅
을 하지 않는데도 어플의 우수성만으로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두 공동대표가 한국에서 오래 근무하였기 때문에 한국에서 인력을 채용하는 데는 큰 어려움을 겪지 않


았으나 미국에서는 인건비가 비싸고 인적 네트워크도 약해서 어려움을 겪었다. ENUMA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있는 팀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되어야 한다는 점 또한 미국에서 인력을 채용하는
데 하나의 걸림돌이 되었다. 이렇게 특수한 조직 형태가 주는 어려움들을 풀어나가는 것이 도전 과제
이기도 하다.

Q 자금확보

ENUMA의 자금 확보는 주로 엔젤 투자 및 입상 등으로 이루어졌다. 창업 시 첫 엔젤 투자 외에도


2018년 4월에 4백만 달러를 투자 받았다. 현재는 엘론 머스크 테슬라 CEO 등이 출연해 1,500만 달러
상금이 걸린 경연 대회 최종 후보까지 올라가 평가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2019년 6월에 최종 결정
될 예정이다.

물론 기업을 이끌어 오면서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도 또 규모를 줄여야 하는 일도 생겼었다. 모든 스타


트업이 다 그렇겠지만 ENUMA도 이윤 창출을 하기 전까지는 경제적으로 항상 어려움을 있을 것이다.
11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에너마(ENUMA)

Q 향후 계획

Kid in story: 자폐가 있는 아이들을 위해 아이들이 직접 스토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

Visual schedule: 애플워치용으로 개발된 자폐 아동을 위한 시각 스케줄

Kit kit school: 아이들이 언어와 수학을 배울 수 있는 ENUMA의 새로운 프로그램

투두 수학(Todo Math)은 물론 새로 개발하는 프로그램들을 성공적으로 교육 시스템 내에 안착시키는


것이 ENUMA의 향후 목표이다.
12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디씨 센트럴 키친(D.C. Central Kitchen)

현지 주소지 425 Second St. Nw, Washington DC 20001 USA

홈페이지 주소 dccentralkitchen.org

연락처 대표 이메일 volunteer@dccentralkitchen.org

기업개요 대표자 Robert Egger


설립연도 1989년
조직 형태 비영리 사회적기업
규모 워싱턴 DC에 두개, 미국 전역에 63개의 캠퍼스 키친을 보유

1989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버려진 음식을 요리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노숙자나 저소득층에게 요리 교육을 시켜 일자리를 제공
하여 이들의 안정적인 삶을 지원

선정이유 노숙자나 저소득층에게 무료로 요리교육을 시켜 일자리를 제공함


남는 음식물을 요리하여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음식들을 저소득층이나 공공기관에 저렴하게 공급
이를 통해 남긴 수익은 또 다시 노숙자나 저소득층을 위한 교육에 투자
12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디씨 센트럴 키친(D.C. Central Kitchen)

지역 내의 음식점들에서 다 소비되지 못한 음식들을 기증받고 지역의 농장들에서도 신선하지


만 제품으로 팔리기는 어려운 농산물들을 저렴하게 구입합니다. 이 재료들을 꼭 필요한 사람들
을 위한 한 끼 식사로 변화시키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낭비될 수 있는 음식을 한 끼의 따
뜻한 식사로 변화시키는 일은 놀랍게도 노숙자들과 저소득층의 사람들에 의해서 일어나고 있습
니다.

Robert Egger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D.C. 센터럴 키친은 로버트 에거(Robert Egger)에 의해 1989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시작되었다. 그
는 자원봉사 도중 노숙자 급식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일회성을 극복하고 보다 영구적이고 실효성있
는 방법을 찾아야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마침 조지 부시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남은 음식들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 음식들을 지역 쉼터에 배달한 것으로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워싱턴 DC 지역은 소득의 양극화가 매우 심해서 빈곤에 시달리는 노숙자들과 저소득층이 많다.
Central Kitchen은 워싱턴 DC 지역의 빈곤문제를 해결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남겨진 음식에 주
목했다. 먼저 지역 내의 음식점들에서 다 소비되지 못한 음식들을 기증받고 지역의 농장들에서도 신선
하지만 제품으로 팔리기는 어려운 농산물들을 저렴하게 구입한다. 이 재료들을 꼭 필요한 사람들을 위
한 한 끼 식사로 변화시키는 일을 하고 있다. 그리고 낭비될 수 있는 음식을 한 끼의 따뜻한 식사로 변
화시키는 일은 놀랍게도 노숙자들과 저소득층의 사람들의 손에서 만들어진다.

단순히 노숙자들에게 한 번 음식을 제공하는 한계를 벗어나 노숙자들이나 저소득층 시민들에게 무


료로 직업교육을 제공하고, 직접 일자리 또한 창출하여 이들에게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를 통해 영구적으로 가난에서 벗어나 스스로 재기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다. 동시에 음식을 기
증해준 지역 식당들, 신선한 요리를 무료로 받는 지역 내의 사람들, 건강하고 신선한 음식을 먹고 자
라는 학생들, 신선하지만 상품성이 떨어지는 농산물을 통해 수익을 얻게 되는 농장들, 이 모두가 상
생하는 건강한 공동체를 D.C. Central Kitchen이 만들어 가고 있다.
12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디씨 센트럴 키친(D.C. Central Kitchen)

Q 성공과 전략

노숙자나 저소득층이 가난을 이겨내고 전문 요리사가 될 수 있도록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총 14


주 과정으로 되어 있으며, 90% 이상의 졸업생들이 이 과정을 이수한 후에 직업을 갖게 되었다.

매일 남는 음식물을 5,000파운드의 건강한 요리로 재탄생 시키고 있다.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해 농장에서 수확한 신선한 재료로 요리사들이 직접 요리한 ‘건강한 급식’을
공급하고 있다. 인근 농장들로부터 저렴하게 재료를 공급받아 워싱턴 DC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
어 있는 작은 가게들에 신선하고 건강한 재료들을 배달하기로 결정하고 직접 음식을 전달하는 자원
봉사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D.C. Central Kitchen은 기업의 뜻을 다양한 자선단체와 재단 등에 이메일을 통해 전달했다. 이렇게


받은 기부금을 모아 냉동트럭을 구매하고 각 식당에서 기부 받은 식재료들을 활용하여 음식 자원봉사
를 시작했다. 정부의 지원과 기부 등도 큰 힘이 되었다.

Q 자금확보

Capital Food Fight라는 기부행사를 매년 봄, 가을에 개최한다. 지역 내 유명한 레스토랑의 시식코너,


유명 방송 프로그램인 Iron Chef와 연계하여 요리 경연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 행사를 통해 2017년
에는 80만불 정도를 모금할 수 있었다.

2017년 D.C. Central Kitchen의 총 수입은 $17,707,735였다. 수익 사업을 통해 900만 불, 기부나


후원금으로 600만 불, 기타 후원금 등으로 200만 불 정도를 운영하고 있다. 참고로, 2017년 지출은
$17,157,143이었다.
12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디씨 센트럴 키친(D.C. Central Kitchen)

Q 향후 계획

단기적으로는 이번 11월부터 Ron Brown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에서 ‘퓨전 바’로 명칭
한 새로운 런치 옵션을 시작할 것이다. 학생들을 위해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되기를 모두가 기대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대표적인 요리학교 CIA(Culinary Institute of America)와 같은 좋은 요리
학교를 설립하여 후학을 육성하며 사회나눔을 실천하고 싶다.
12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크리샐리스(Chrysalis)

현지 주소지 522 S. Main St, Los Angeles, CA 90013

홈페이지 주소 www.changelives.org

연락처 회사번호 +1-213-806-6300


팩스번호 +39 051 5283588.

기업개요 대표자 존 딜런
설립연도 1984년

1984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노숙자·전과자·저소득층에게 직업과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

선정이유 Chrysalis는 노숙자나 저소득층에게 직업 교육 및 일자리, 자체 용역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
이 수익은 또 다른 노숙자들이 직업을 구하는 일을 돕고, 일자리 직접 창출 및 교육 기금으로 활용되
고 있음
12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크리샐리스(Chrysalis)

Chrysalis가 하는 일은 노숙자들에게 식품과 의류를 나누어 주는 것이었는데, 후에 빈곤과 노숙


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정책이 필요함을 절감했습니다.

존 딜런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Chrysalis는 1984년 존 딜런에 의해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초기에 Chrysalis가 하는 일


은 노숙자들에게 식품과 의류를 나누어 주는 것이었는데 후에 빈곤과 노숙을 탈피하기 위해서는 장기
적인 정책이 필요함을 절감했다. 결국 Chrysalis는 노숙자, 저소득층, 중독자들의 고용을 지원하여 자
립의 기반을 만들어 주는 사회적 기업이 되었고, 2018년 현재 로스엘젤레스, 산타 모니카 등 4곳에 센
터를 구축, 운영하고 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Chrysalis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100% 저소득층이며, 57%는 범죄 경력이 있으며, 79%가 고등학교
이상의 학력을 가지고 있고, 33%는 자녀들이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 중 75%가 노숙을 하거나 시설에서 사는 등 불안정적인 환경에서 거주를 하고 있다. Chrysalis는


이들에게 직업교육과 직업 정보를 제공하여 직장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 주거 안정을 제공하여 안정적
인 삶을 살 수 있도록 돕고 있다.

Chrysalis는 안정적인 직업을 갖는 것이 가난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삶을 여는 첫 단계라고 생각하


고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안에 있는 노숙자나 저소득층이 직업을 찾고, 준비하는 과정을 돕는다. 이를
통해 개인이 스스로 직업을 찾는 여정을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Chrysalis는 개개인이
필요한 도구들과 도움들을 제공하지만, 노숙자나 저소득층 ‘스스로’가 자립하는 것을 돕고 있다.
12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크리샐리스(Chrysalis)

Q 성공과 전략

Chrysalis는 저소득층 시민들에게 직업을 가질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삶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


왔다. 1984년 이후 Chrysalis는 6만 명 이상의 노숙자들과 저소득층에게 이와 같은 혜택을 제공하였
으며 Chrysalis가 가진 3개의 센터에서는 하루에 400명 이상의 사람들이 도움을 받고 있다.

2017년에는 1,752명이 Chrysalis를 통해 직장을 얻었고, 2,503명이 이력서를 준비했고, 2,225명이


인터뷰 준비를 했다. 1,139명이 임시 직장을 다니고 있으며, Chrysalis의 고객들은 한 해 동안 496만
불을 벌었다. 2010년 이래 연평균 57%의 성장율을 보이고 있으며, 2021년까지 100%의 성장률을 달
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Chrysalis는 노숙자나 전과자 등 취약계층 중 일을 다시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Chrysalis가 항상 겪는 어려움은 비즈니스에 가장 적합한 것과 고객에게 가장 적합
한 것 사이에 절충점을 찾는 것이다. Chrysalis 이러한 이슈에 대해 고객의 복지를 우선시하면서 동시
에 모든 결정의 비즈니스 의미 또한 고려하려고 한다.

2017년 한 해 동안 Chrysalis의 고객들은 음식관련직에 17%, 건설/노동에 13%, 창고직 12%, 소매


직 11% 등의 순으로 직장을 갖게 되었다.

Q 자금확보

한 사람의 직업 교육을 위해 필요한 비용은 평균 2,000불 정도이다. 청소용역을 받아 얻게 되는 수익


과 주정부의 지원, 보조금, 모금행사를 통해 자금을 조달한다. 2017년에는 Chrysalis 자체 수익사업을
통해 62%의 자금을 확보하였고, 개인과 기업후원이 9%, 기금에서 10%, 정부가 11%, 이벤트를 통해
8%의 운영자금이 준비되었다. 평균적으로는 자체 수익 사업을 통해 운영비용의 50% 정도를 조달하
고 있다.
12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크리샐리스(Chrysalis)

Q 향후 계획

2018년 현재 Chrysalis는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 오렌지 카운티, 샌 페만도 밸리, 산타 모니카까지


4개의 지역에 사무실을 가지고 있다. Chrysalis는 향후 5년간 3개의 새로운 지역으로 확장할 계획
이다.
12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베이켓(BAYCAT)

현지 주소지 2415 3rd street, #230, San Francisco, CA 94107

홈페이지 주소 baycat.org

연락처 회사번호 +1-450-701-8228


팩스번호 +39 051 5283588.

기업개요 대표자 Villy Wang


설립연도 2005년
조직 형태 비영리 사회적 기업

1989

1980 1990 2000 2010 2020

사업개요 저소득층 청소년들에게 무료 미디어 교육을 제공하며, 이 교육을 받은 학생들을 고용하고, 이들과
함께 생산한 미디어 제품을 판매함
그 이익으로는 또 다른 청소년들을 교육하여 고용함

선정이유 빈곤 문제 및 청소년 범죄 등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솔선수범는 사회적 기업


12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베이켓(BAYCAT)

BAYCAT은 저소득 청소년들을 무료로 교육해서 월급을 주고 고용합니다. 그들에게 일거리를 제


공하여 이익을 창출하며 그 이익은 또 다른 청소년들의 무료 교육을 위해 재투자됩니다. BAYCAT
은 2005년부터 11년동안 3,250명의 학생들에게 무료 미디어 교육을 제공하였고, 150명이 넘
는 청소년들을 고용하였는데 인턴십을 한 학생들 중 88%는 SF Giants Productions, Wired,
HBO, Lucas Film, The City of San Francisco, the Golden State Warriors와 같은 곳에 취업
을 할 수 있었습니다.

BAYCAT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Bayview-Hunters Point Center for Arts and Technology(BAYCAT)은 2005년 중국계 이민자 2세
인 Villy Wang에 의해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되었다. 샌프란시스코는 물가가 비싸고, 주거비가 상상
하기 힘들 정도로 비싸다. 당연히 빈곤과 주거문제, 청소년 문제 등의 사회문제들이 많다.

우연히 청소년들이 미디어를 통해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만 이들 중 대


다수의 학생들은 주로 공립학교를 다니는데, 공립학교에서는 영화제작, 애니메이션, 디자인 같은 교육
이 거의 전무하였다. 이런 프로그램들을 청소년기에 접할 수 있다면 그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방식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이에 BAYCAT을 시작하게 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BAYCAT은 ‘비지니스’와 ‘교육’을 결합한 모델이다. 물론 청소년들의 교육을 우선시 한다. BAYCAT의
교육을 받는 청소년들은 고등학교 교육을 지속해야 한다. BAYCAT은 이윤보다 청소년의 꿈을 더 지향
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기업의 수익 보다는 청소년들이 꿈을 마음 껏 펼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이
목표이다.

BAYCAT은 샌프란시스코의 11-17세의 취약계층 청소년들과 18-24세의 청년들에게 디지털 미디어를


교육하고, 차후에 이들을 고용하여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사명인 사회적 기업이다. 청소년들에게 비디
오, 그래픽, 웹디자인, 애니메이션, 음악 제작 같은 것을 무료로 교육한다. 자신의 이야기를 ‘미디어 아
트’로 사회에 전달하는 창조적 과정을 경험하고 터득하게 해주는 것이다. 자신만의 독특한 삶의 이야
기를 통해 청소년들이 세상을 더 긍정적으로 보게 만들고자 한다. BAYCAT은 모든 사람의 이야기를 중
요시하며 더 많은 사람의 이야기를 미디어와 기술을 통해 대중과 공유하기를 원한다. 물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빈곤의 악순환으로부터 탈피할 수 있게 되고 다양한 청소년 문제들 또한 예방 및 개선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13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베이켓(BAYCAT)

Q 성공과 전략

BAYCAT은 주거, 가족, 마약, 범죄 등 여러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 계층 청소년들을 타겟으로


생각했다. 열 세 살 마이샤는 꿈을 묻는 질문에 “만약 미래에 내가 살아 있다면, 대학에 가고 싶다”고
대답하였다. 열 세 살 소녀가 미래에 살아 있다면 이라는 조건을 얘기한다는 것이 충격적일 수 있으나
저소득층에서는 그만큼 흔한 일인 것이다. BAYCAT은 이러한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고자 한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지금까지 BAYCAT은 4,000명 이상의 저소득층 청소년을 교육해 왔고, 200명 이상을 고용할 수 있었
다. BAYCAT의 프로그램을 통해 500개 이상의 작품이 만들어졌으며, 50개 이상의 작품이 수상을 하거
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지난 몇 년간 불경기를 맞아 기부금이 많이 줄었다. 자체 수입이 없으면 생존하기 힘들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시 정부가 영세 상인들을 돕기 위해 로고를 만들어 주기로 했는데, 그 작업을 BAYCAT에서
진행하게 된 적이 있었다. 덕분에 재정적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었고, 동시에 청소년들도 일거리를 얻
게 되었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어려움이 많았으나, 현재는 Golden State Warriors, UCSF, National Park
Service, SalesForce, Pixar, United Way, DRA, Hewlett Foundation, Play Works, Code 2040,
San Francisco Water Power Sewer 등과 안정적 관계를 유지하며 발전하고 있다.

Q 자금확보

BAYCAT은 비디오나 광고 등을 제작해 돈을 번다. 2004년부터 400개가 넘는 비디오를 작은 비영리기


관들과 회사들을 위해 제작했다. 모두 이 기관들의 스토리를 알리는 것을 돕기 위함이었다. 동시에 그
래픽 디자인 작업을 통해 회사들의 브로셔, 연간 보고서, 메뉴, 웹사이트 등을 디자인하여 자금을 조달
하기도 한다. 정부나 개인, 기업·재단의 기부도 받는다. 단, BAYCAT은 ‘불쌍하니까 돈을 주자’는 생각
은 거부하며, 항상 기부자들을 위해 무언가를 하기 위해 노력한다. 모든 수입은 BAYCAT의 사회적 사
명을 다하는 데 사용된다.
13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미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베이켓(BAYCAT)

Q 향후 계획

BAYCAT Academy를 통해서 청소년들에게 무료 영상 교육을 지속해 갈 것이다. 11-17세를 위한 유스


미디어 클래스, 18-25세를 위한 청년 인턴쉽, 학교나 커뮤니티를 위한 워크샵 등이 이에 해당된다. 물
론 그 가운데 재능 있는 학생들은 BAYCAT과 함께 일하게 될 수 있다. 또한 BAYCAT Studio를 통해 기
업들과 상생의 관계도 모색해 나갈 것이며 현재 제공하는 비디오 프로덕션, 브랜딩 서비스, 그래픽 디
자인 서비스 등을 발전시켜 가고자 한다.
UK

심프린트(Simprint Technology Ltd)

엘비스 앤 크레스(Elvis & Kresse)

스트리트 리그(Street League)


13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정부 상대 공공부문 서비스 제공율

50
전반적 개요
%

영국 내 사회적기업의 1/3은 최근에 설립되었다. 사회적 기업의 영업활동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


손익분기점을 넘긴 기업비율
뤄지고 있으나 정부를 상대로 하는 공공부문의 서비스 제공이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영국
의 사회적 기업은 범위가 다양하여 주택, 금융서비스, 건축, 운송, 물류, 제조, 문화, 상점, 카페,

73 %
재활용, 그린에너지, 미디어, 보건/사회 서비스 등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영국의 현황

사회적 기업 수 조합원 수 총 매출액

7 만개 200 백만 명 240 억 파운드

•영국은 전 세계에서 사회적 경제가 가장 활성화된 곳 중 한 곳이다. 다양한 사회적 기업의 종류만큼이나
영국 사회적 기업의 정의는 다양하다.

•EMES 정의와 Social Enterprise Coalition (SEC)의 정의가 어느 정도 알려져 있지만, 가장 통용되고 있
는 정의는 Social Enterprise Unit이 제시한 ‘사회적 기업은 성장하고 있는 사회적 경제의 일부’라는 개
념이다. 사회적 경제는 때때로 ‘제3의 부문(3섹터)’이라고 지칭되는 이 분야는 자원 봉사 단체와 지역사회
단체, 재단, 여러 종류의 협회 등을 포함한다.
13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원 및 현주소

영국에서는 다양한 사회적 기업에 보다 적합한 형태의 법적 개념이 무엇일까에 대한 논의가 활발


히 이뤄져 왔다. 현재는 각 기업의 사회적 기업의 목적을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형태가 선호되
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 인식이다.

수익의
지속적이고
분명한 상당부분을 설립
사회적기업 개념 자생 가능한
사회적인 취지인 사회적
영속성을 위한
목적 목적을 위해
영업활동 영위
재투자

사회적 기업 종류

법적 형태 자선단체 가능여부 주요 특징 비중

비법인 단체 가능 법인격이 부여되지 않은 업체 1%

보증 책임 주식회사 가능 파산시 출자자들이 보증인으로서 유한책임을 51%


지니지 않는 주식자본이 없는 유한책임회사

자선사업법인 가능 기업등록소가 아닌 자선사업관리위원회에 등 신규


록해야 하는 유한책임형 회사

유한 책임 주식회사 불가능 이윤추구의 일반적 형태 12%

산업공제조합 불가능 영국 신용협동조합이 선정하고 금융행위규제 19%


청의 규제를 받는 협동조합의 법적 형태

유한 책임형 불가능 사회적 목적을 지닌 유한책임회사로 이윤 배 17%


공동체이익회사 분에 제한이 있음

보증 책임형 불가능
공동체이익회사

주식회사 불가능 주식거래를 통해 공개적으로 거래 가능한 주 1%


식회사
13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1995년 영국의 사회적 경제는 총 1,622,962개의 일자리(전체 고용의 8.42%)를 담당했다. 20


년이 지난 2015년 영국의 사회적 기업은 7만여개의 기업체, 2백만명의 종사자, 연간 240억 파
운드의 경제적 가치로 급성장 하게 되었다.

| 정책 지원을 통한 일반 영리기업과 다른 사회적 기업의 차이점 |

법적 지위 및 지배구조의 차이 주된 목표가 이익을 추구함이 아닌 사회적 사회적인 활동과 상업 활동이 결합된 형태


목적의 실현

단일품목보다는 다품종 생산 교부금과 지원금의 혼합적 사용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해 시작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문성의 부족

공공 정책 및 지원

사회적 기업가 육성 정부 정책지원 부분

인큐베이터 사전지원

사회적 기업가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으며, 상품과 서비스 개발,


비즈니스 모델 정비와 사업계획의 재정비, 사회적 기업 설립에 필요한 법적 지원, 멘토 연계,
사회적기업가 역량개발, 투자 매칭, 소셜 임팩트 측정 등의 다양한 부분에서 지원을 받을 수 있음
13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주요 네트워크

Buzzbank

•영국 내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기업과 자선단체 지원에 특화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2011년 출범
•2014년 Trillion Fund(그린에너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와 병합
•2015년까지 약 73개 프로젝트 63만 파운드 지원
•지원금 형태 : 대출, 보조금

Big Society Capital

•영국의 Social impact investment 시장 성장을 위해서 정부가 직접 만든 독립적인 금융기관


•사회적 투자 분야(Social Impact Investment)의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고 벤치마킹 사례를 널리 알림으
로써 나아가 정부의 사회적 금융 정책을 선도하는 역할

파이낸싱

보조금 Micro Grants


상환의무가 있는 자금을 활용하기에는 사업 분야의 위험성
이 높거나 실험적인 요인이 높은 경우
소액 대출
사회적 기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대규모 자산에 대
한 자본 투자가 필요한 경우 소액규모의 자금만을 대출받는 것이 아니라 사업 아이디어
거래행위를 함에 있어서 원래 영리 기업이라면 지불할 필요 를 확장하고 추진시켜 나가기 위한 네트워크와 멘토링, 피
도 그리고 지불하기도 힘든 거래 비용을 감당해야하만 하는 드백 등 다양한 지원을 함께 추진 하는 경우가 많음
경우

Challenge Fund Venture


Philanthropists
프로젝트성 펀딩 자선 자금

특정한 금액의 보조금이 공시되고 가장 적합한 솔루션을 제 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정성을 가지고 사회적 문제를 해
시한 챌린저에게 자금이 수여되는 형태 결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기업들에게 벤처 자선사업가가 조
성한 펀드의 자금을 지원하는 형태
13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심프린트(Simprint Technology Ltd)

현지 주소지 The Bradfield Centre, Unit 184 Cambridge Science Park, Milton Road CB4 0GA

홈페이지 주소 https://www.simprints.com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simprints.com


회사번호 +44-1223-357647

기업개요 대표자 Alexandra Grigore, Toby Norman, Daniel Storisteanu, 


Tristram Norman
설립연도 2012년
조직 형태 Nonprofit Organization
종업원수 및 규모 25명
자산 231,241파운드

사업개요 전 세계 인구 중 약 11억 명은 공공기관에 신원이 등록되지 않은 채 의료나 교육 서비스에서 소외되


고 있음. 이들 중 대부분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있는 캠브리지 대학의 심프린트는 생체 인식 기술
(biometrics)을 활용한 모바일 지문인식기와 개인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소셜 벤처임.

선정이유 포브스(30대 미만의 대표자가 운영하는 대표적인 사회적 기업 30 등재) 및 스왑 재단(2017년 올해


의 사회적 기업가 선정), 테크 크런치는 2015년 심프린트를 아이들의 삶을 바꾸는 베스트 기술 기반
의 회사로 선정 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기술성과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정도가 높아 선정
13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심프린트(Simprint Technology Ltd)

심프린트는 ‘신원 확인을 위한 수단은 뭐가 될 수 있을까?’라는 문제 제기로 연구 개발을 시작하


게 되었습니다. 생체 인식 기술의 경우, 다양한 부분(손, 발, 눈동자, 귀 등)을 통해 인식이 가능한
데, 어떤 방법이 가장 저렴하고 정확하고 문화적으로 용인이 될 수 있는지를 고려하다가 지문 인
식을 통한 생체 인식 기술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이슬람 국가가 많은 동남 아시아의 경우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개발된 지문인식 시스템을 나이지리아에 있는 현금
송금 시스템에도 적용 중입니다.

Simprint Technology Ltd.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Christine Kim은 인턴십을 통해서 회사에 10번째 멤버로 입사하게 되었다. 사회적 경제 조직으로의
이직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3개월 정도의 인턴십 기회를 통해서 그 사람이 회사에 적합한 사람인지
를 알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사회적 기업에서 근무하면서 조금 다른 점은 자율성이 있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많고 사회적 영향을 발휘한다는 점이 일반기업과 다른 점이라고 언
급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전 세계 11억 명의 사람들이 공식적인 신분증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혜택으로부터 멀어


져 있다. 사람들을 정확히 식별하지 못하는 것은 생명을 희생시키고, 자원을 낭비하며, 수백만 명이 가
난에서 탈출하지 못하도록 한다. 심프린트는 개발도상국 91,146명의 지문을 등록하여 75,688명의 신
분을 분류하고 있다.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실시한 연구를 활용하여 모바일 생체인식 스캐너, 모바일
앱, 지원 서비스로 구성된 솔루션을 구축하였다.

심프린트의 NAT 솔루션은 가장 취약한 모집단에 도달하기 위해 오프라인으로 작동하는 세계 최초의


저렴하고 안전하며 견고한 지문 인식 시스템이다. 손가락 하나만 터치하면 된다. 이는 개인 정보 등록
이 안되어서 받아야 할 서비스, 보살핌, 권리를 받지 못하는 이가 없는 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
다. 심프린트는 한 분야에 집중하는 대신 개인 식별이라는 과제를 영원히 해결하기 위해 모든 분야에
서 활동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14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심프린트(Simprint Technology Ltd)

Q 성공과 전략

심프린트 측은 사회적 영향을 측정할 때는 산업군에 따라서 다르게 측정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면 얼마나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하여 도움을 주었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여 산업 부분마다 접근
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이다. 심프린트는 지금 성공을 이야기하긴 힘들지만 영향력이 계속해서 늘어
난다는 점에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심프린트 측은 기업을 위한 정책도 중요하지만 어려움이 있을 때 전략적으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에 대한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업이 커지면서 미팅이 많이 늘어나게 되는데 심프린트는 제
한된 인력으로 미팅 뿐만 아니라 어떻게 효율적으로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넷플릭스 모델을 사용하
고 있다. 다른 일을 하더라고 같은 목표를 가지고 서로를 신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Q 자금확보

심프린트의 가장 큰 자금(시드 머니)은 민간 부문에서 조달했다. 95%의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칩 프로세서 제조 업체인 Arm(심프린트 파트너사 중 하나)의 CSR팀에서 $150,000 지원하
였다. 이와 동시에 공공 부문에서 매칭 펀드를 얻게 되었다. 한국(Koica), 미국(USAid, Bill&Melinda
Gates Foundation), 영국(UKAid), 노르웨이(Norad), 캐나다(Grand Challenges Canada) 등 국가
별 국제 개발 에이전시에서 주관하는 대회(Saving Lives at Birth)에서 입상하여 $250,000를 얻게 되
었다. $400,000로 처음 시작하게 되었으나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 양쪽으로부터 펀딩을 받았기 때문
에 사업 시작이 가능했다. R&D 관련 펀딩은 영국 정부에서 후원하는 Innovative UK에 도움을 받았다.
14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심프린트(Simprint Technology Ltd)

Q 향후 계획

심프린트는 현재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는데 에티오피아 정부


(Federal Ministry of Health)와 영국의 어린이 재단(Children’s investment fund foundation)과
함께 5년에 걸쳐 2백만명 아이들을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또한 방글라데시에서 3년간 2백만
명의 산모들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작은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지원을 통해서 인력을 끌어올 수 있도록 도움을 줘야 한
다. 영국의 경우에는 민간 부문에서는 큰 기술 기업들이 CSR의 일환으로 유동적으로 그 회사의 인력
을 일정 기간 파견하거나 회사로 초청해서 도움을 주기도 한다. 민간 기업들이 융통성 있게 사회적 경
제 조직에게 도움을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테크놀로지 기업들을 같은 공간에 불러들여서 생태계 클
러스터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

Q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

씨큐젠(SecuGen)이라는 회사의 엔지니어팀이 한국에서 방문했다. 현재 씨큐젠의 부품이 심프린트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심프린트 목표 시장(아프리카, 동남아시아)에서 삼성 모바일 폰을 주로 사용하
기 때문에 삼성전자 CSR팀과 협업을 시도한 경험이 있다.
14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엘비스 앤 크레스(Elvis & Kresse)

현지 주소지 Eako Ltd(Elvis & Kresse) Tonge Mill, Church Road Tonge Kent ME9 9AP England

홈페이지 주소 https://www.elvisandkresse.com/

연락처 대표 이메일 james@elvisandkresse.com


회사번호 +44-1795-484-235, +44 7809 883 079

기업개요 대표자 James Robert


설립연도 2007년
조직 형태 Private limited Company
순 자산 261,161파운드

사업개요 버려진 소방 호수와 브랜드 제품의 짜투리 가죽 등을 재료로 하여 새로운 디자인 가치를 더한 후 프
리미엄 생활용품 및 악세서리(가방, 지갑 등), 패션 소품을 제작

선정이유 Elvis & Kresse는 공인 받은 B-Corporation 이면서 동시에 인증 받은 사회적 기업이며, 까르띠에가
선정한 우수여성 리더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영국 국내외적으로 사회적 성과와 소셜 미션에 대해서
널리 알려져 있음
14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엘비스 앤 크레스(Elvis & Kresse)

2005년에 런던 소방 단체(London Fire Brigade)에 방문할 기회가 있었는데, 망가진 폐소방 호


스 처리에 대하여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버려지기엔 너무나도 아까운 것들이었고, 누군가는 이
를 활용해야 했습니다.

Elvis & Kresse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엘비스 앤 크레스는 지난 13년간 런던의 화재 구조현장에 사용되었던 모든 소방 호스들을 모아왔다.


이들을 다양한 종류의 고급 액세서리로 변화시켰고 50%의 수익을 Fire Fighters Charity에 기부하였
다. 엘비스 앤 크레스 기업만의 특별한 DNA는 구조(Rescue), 변환(Transform), 기부(Donate)이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엘비스 앤 크레스가 망가진 소방 호수를 선택한 데는 2가지 이유가 있는데 이는 문제해결 가능성과 잠
재성 때문이다. 그들이 이 사업을 시작하기로 한 해에만 1억톤 가량의 폐기물이 영국 매립지에 폐기되
고 있었다. 폐기물을 통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작업은 엘비스 앤 크레스에게 도전이 되었다. 이들은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을 목표로 완전히 다른 멋진 것으로 바꾸어
냈던 것이다.
14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엘비스 앤 크레스(Elvis & Kresse)

Q 성공과 전략

엘비스 앤 크레스는 10가지 이상의 재료를 통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모든 제품들이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특별한 방식의 취급이 필요한 폐기물이고 재활용의 방법이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 대부분이다. 엘비스 앤 크레스는 디자인 과정을 통해서 환경보호와 사회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해
결책을 제시한다. 엘비스 앤 크레스는 폐기된 소방 호스, 낙하산 실크, 차와 커피를 담는 부대, 경매에
쓰이는 배너, 인쇄용 블랑켓, 건축공사 때 사용되다가 망가진 기계 그리고 가죽 폐기물 등을 모아 새로
운 제품을 탄생시킨다. 창업 이후 현재까지 200톤 가량의 자원절약에 기여하였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환경보호와 도덕적 원칙에 따라 모든 것이 제대로 운영되고 관리되고 있는가가 중요하다. 이를 지켜나


가는 것은 어려운 과정이지만, 진정한 보람을 느낄 수 있다.

Q 자금확보

엘비스 앤 크레스를 처음 시작할 때 가족과 친구, 사회 경제적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았다. 아울러 여러
대회에서 입상을 하게 되면서 Cartier, Deloitte, Barclays, HSBC, Walpole Group 등으로부터 지원
을 받게 되었다. Burberry Foundation, Sainsbury’s, Ikea, Eurofiber, Interface, Apple, Harrods
등과도 좋은 사업적 관계를 맺고 있다.
14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엘비스 앤 크레스(Elvis & Kresse)

Q 향후 계획

엘비스 앤 크레스의 잠재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최근 미국 몬타나 주에 있는 환경친화적 호텔에 카


펫을 공급하였고, 싱가포르에 있는 고객이 디자인한 카펫과 수소 자동차 회사에 제공하고 있는 시트
작업 역시 마무리 중에 있다. 미국 내쉬빌에 있는 호텔 카페 조성 작업이 가장 최근에 시작한 프로젝
트이다. 사업모델에 대한 확장 가능성이 무한하다고 보고 있다.

“배려, 열정과 같은 가치를 우리 미래 세대를 포함한 전 인류가 가지고 있다면 우리에게 닥친 모든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14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스트리트 리그(Street League)

현지 주소지 Suite 1.05 The Courtyard, Royal Mills, 17 Redhill Street, Manchester M4 5BA England

홈페이지 주소 https://www.streetleague.co.uk/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streetleague.co.uk


회사번호 +44 (0) 800 331 7600, +44 20 8536 5330

기업개요 대표자 Mke Parker(Chairman), Matt Stevenson-Dodd(CEO)


설립연도 2003년
조직형태 Chairty
종업원수 및 규모 138명
매출액 £6,031,776
당기순이익 £61,329

사업개요 영국의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인 축구를 이용하여 청소년들의 동기를 부여하고 16-24세 청소년
들의 실업문제를 해결 하는 것이 목적임.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수익, 후원금 조달, 벤처 자선
(Venture Philanthropy)으로부터의 자금 조달, 기부금 조성을 통해 자금을 확보

선정이유 스트리트 리그는 영국 사회적 기업 2016 수상기업이면서 2017년 제 3세계 부분 수상기업으로서 영


국내 체육활동을 활용한 청소년 교육기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음
14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스트리트 리그(Street League)

스트리트 리그는 영국에서 청년 실업의 마지막을 볼 때까지 가능한 한 많은 젊은이들을 돕는데 전


념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젊은 층의 모든 단계에서 총체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계속해서 스트리트 리그의 혁신적인 스포츠 프로그램에 포함될 것이며,
젊은이들의 복지에 초점을 맞춰 나갈 것입니다.

Street League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청년 실업에 대한 대안을 스포츠를 통한 팀워크 기반의 스포츠 교육을 통해 해결하기 위해서 2003년
설립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스트리트 리그의 목표는 청년실업을 줄이는 것이다. 젊은이들에게 지속 가능한 발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트리트 리그는 젊은이들이 다가올 10~20년 안에 다양한 직업을 가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 많은 도전과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고용주는 근로자가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팀의 일부로서 일하고,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러한 모든 기
술과 능력은 스포츠를 통해 전달되고 발전될 수 있다. 스트리트 리그의 모든 자선 활동은 영국의 청년
실업 해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주요 성과와 방법들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
고 있다.
14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스트리트 리그(Street League)

Q 성공과 전략

스트리트 리그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프로그램 이후에도 젊은이들과 더 쉽게 관계를 유지할 수 있
는 디지털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디지털 솔루션이 규모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훌륭한 방법이라
고 생각하지만, 이 솔루션은 스트리트 리그의 고도로 숙련된 팀이 제공하는 일대일 지원을 대체할 수
는 없다. 아울러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업계의 다른 주요 파트너와 협력해
야 한다. 스트리트 리그는 지역 공동체와 개인의 삶을 변화시킬 스포츠의 잠재력을 효과적으로 입증하
고 전달하기 위해 상호 보완적인 기술, 전문 지식 네트워크 파트너십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계속
해서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다른 청소년 및 스포츠와 보다 긴밀하게 협력하기를 노력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예정된 일정 내에 자금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고정 비용을 충족하기에 현금이 충분하


지 않을 경우 단기적 현금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하여 대출을 통하여 해결하기도 한다. 또 다른 부분은
소득과 관련된 어려움이다. 스트리트 리그의 상당부분은 수입의 정부와 지방정부에서 발주된 위탁계
약을 통해 이뤄지는데 이러한 계약은 갱신 여부가 불확실한 단점이 있다. 자선사업, 보조금, 행사 및
벤처 자선사업을 포함한 광범위한 수익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안정적인 자금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
한 부분이며 지금까지는 순조롭게 진행되어 왔다.

Q 자금확보

스트리트 리그의 목표는 자체 수입의 비율을 최대한 증가시켜 활동에 제약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용
도가 제한된 펀드는 기부자가 요청하는 조건에 따라 사용되기 때문에 이와같이 제한된 펀드의 수준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14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영국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스트리트 리그(Street League)

Q 향후 계획

스트리트 리그는 오랜 기간 동안 젊은이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계속 노


력 할 예정이다. 청년 실업률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감소해 왔지만 소외된 사회에 살고 있는 젊은이
들이 직면한 구조적인 어려움은 여전히 남아있다. 예를 들어 소수 민족 출신의 16세에서 24세 사이의
23%는 실업 상태이며, 일반 백인 16세에서 24세 사이의 실업은 12%에 불과하다. 스트리트 리그는
발전가능성은 인종과 상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아울러 스트리트 리그의 프로그램에 여성참여율이
27%(723/2,712)에 달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2019년 4월까지 30%의 목표치를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3개년 사업계획(2016-19년)이 끝나감에 따라 2019년 이후 계획에 대한 전략적 검토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청년실업을 줄이기 위한 지원은 계속해서 스트리트 리그의 혁신적인 스포츠 프로그램
에 포함될 것이며, 젊은이들의 복지 지원에도 초점을 맞출 것이다. 또한 투명한 운영을 위해 작년에 대
시보드(www.streetleague.co.uk/impact)에 이전 12개월 동안의 활동 및 결과를 공개 하여 사회적
영향을 명확하고 정직하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Japan

고토랩(Kotolab)

소다테아게넷 (sodateage)

CFC

FIJ(Factcheck Initiative Japan)


15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NPO법인의 사회적 진출 분야

17
전반적 개요
개 분야

일본의 사회적경제는 장기화된 일본의 경제 침체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극적인 경제 성장 이후


활동중인 NPO법인
경제 버블이 가라앉으면서 부의 심각한 양극화로 인해 2000년대에 진입하여 빈부 격차, 빈곤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인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4 만개

비영리 기관 경제 활동

일본의 현황

GDP의 8 %

사회적 기업 수 종사자 수 총 매출액

7,000 개 21 만명 400 억 달러

•2000년대 이후 이러한 사회 문제는 극대화 되었으나, 경제가 부흥하지 못해 정부의 재정 지출로 사회 문


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 때 사회적경제 개념이 대두되어, 사회적경제기업을 활용한 사회 문제
해결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 다양한 사회적 기업과 단체를 통해서 일본은 경제 불
황기에 사회 문제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대처해나갈 수 있었다.

•시대적 흐름으로 보면 1970년대부터 고도로 성장한 경제의 부작용이 점차 내재화 되어 1980년대에는 생


활협동조합을 통한 시민 사업, 시민 자본이 태동하기 시작했다. 이후 1990년대에는 본격적으로 커뮤니티
중심의 다양한 프로젝트가 활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이 가진 문제점
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좋은 취지와 의도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점
이었다.

•일본은 현재까지도 재정 적자로 감소하는 공공 재화와 복지 서비스를 사회적 기업으로 아웃소싱함으로써


더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달성해내기 위한 노력이 지속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경제적 자립을 요구하지
는 않는 유럽형의 사회적 기업 모델보다는 자생적인 경제적 자립을 강조하는 미국형 사회적 기업의 모델
을 선택하여 발전시켜 왔다고 볼 수 있다.
15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원 및 현주소

일본에서는 ‘사회적경제기업’을 정의하는 법 체계가 따로 존재하지 않아 명확히 합의된 정의는


없다. 그러나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은 NPO 법인으로 알려진 인정 비영리 활동 법인, 협동 조합,
유한 책임 회사, 임의 단체, 재단 및 사단, 사회복지법인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합의되어 있다.

| 국가별 사회적 기업의 범주 |

유럽 미국 한국 일본

•사회적 경제 실현을 •영리조직과 비영리 조직 •“사회적기업육성법”에 •제 3부문(third sector)


바탕으로 한 조직 사이에 위치하는 조직 의거해 인증 받은 조직 을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개념 중의 하나

| 일본의 사회적 경제 조직의 구분 |

비영리 영리
중간형태
조직형태 조직형태

NPO법인, 중간법인, 사회지향형기업 사회적 사업을


사회복지법인 등 협동조합 등 (벤처기업) 전개하는 일반
기업(기존기업)

|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의 3요소 |

사회적
지속성 혁신
임팩트

Social Impact Sustainability Innovation


15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일본의 가장 보편적인 사회적경제기업인 NPO 법인은 세제 혜택 등의 지원을 받으며 확장할 수


있는 공공 정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기부금 제공자에 대한 세제 혜택을 주어 NPO 법인등 사회
적경제 생태계 내에 다양한 채널로 자금이 지원될 수 있도록 구조화 해 놓았다.

•법인 형태에 따른 정책 지원의 차이점은 다음 표와 같다.

비영리법인 일반영리법인 공익법인 공공법인 공공법인재단

활동영역 공익증진목적 제한없음 학문, 예술, 자선단체 제한없음 학문, 예술, 자선 단체


등의 공익목적을 위한 등의 공익목적을 위한
분야 분야

등록 소요 기간 5개월 2-4주 2-4주 2-4주 2-4주

등록을 위한 직원 수 10명 이상 2명 이상 2명 이상 1명 이상 1명 이상

등록을 위한 이사 수 4명 이상 2명 이상 3명 이상 7명 이상 7명 이상

등록을 위한 필요자본 제한없음 제한없음 제한없음 30,000달러 30,000달러

세금 세법에 의해서 명시된 영리 기업과 동일한 세 규정에 의한 면제 규정에 의한 면제 규정에 의한 면제


비즈니스외에 생긴 수 금 부과
익에 대해서는 면제

후원자에 대한 세금 지원 해당 해당 없음 해당 해당 해당

공시 의무 해당 해당 없음 해당 해당 해당

기타 특이사항 - - 공익을 추구하지 않는 2년 이상 30,000달러 공익을 추구하지 않는


다고 판단되면 일반영 이하로 자산이 떨어지 다고 판단되면 일반영
리법인으로 강등될 수 면 해산 리법인으로 강등될 수
있음 있음
자료 : 일본 내각부

•이러한 기부금을 통한 자금 유입 이외에도 신용보증제도를 통해 비영리법인들이 필요한 자금을 유치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사회적경제기업 연구회 등으로 일반 국민에 대한 인지도를
향상하고 자금 조달 및 인재육성, 경영 노하우 지원 및 기타 환경정비 등 다양한 부분에서 사회적경제
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해오고 있다.
15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주요 네트워크

정부

•경제통산산업부는 사회적 기업가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공


•NPO 센터는 중간지원조직으로 실질적인 사회적 기업의 효율적인 운영과 지속성을 위해 네트워킹, 정보
수집 및 제공, 상담 및 컨설팅, 조사연구, 인재 육성 및 연수, 활동지원 및 조성, 정책제안 등을 지원

민간

•ETIC은 공모전, 연구, 기업 파이낸싱, 코워킹 스페이스 등을 제공하여 사회적 기업 창업 및 커뮤니지 구축


에 일조
•Social Venture Partners Tokyo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펀딩을 제공
하고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
•Japan Fund raising Association는 비영리법인을 위한 자금 모집에 대한 훈련, 인증 모금 시스템 육성,
일본의 자선단체에 대한 연구보고서 발행 등을 진행

교육 기관

•게이오 대학교 : 사회적 기업가 양성 및 육성에 대한 선도적인 기관. 학생들의 참신하고 혁신적인 아이디
어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
•메이지 대학 : 사회적경제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 영향 평가 및 기업의 CSR 활동에 대한 전문
컨설팅 제공

협업

•다양한 사회적 경제 조직 내에서의 협업이나 영리, 비영리 조직 간의 협업과 연계가 활발


홋 카이도 그린 펀드(1999년 삿포로 설립) : 시민들에 의해 세워진 풍력 사업 모델의 시초
•도쿄, 교토 등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소셜 벤처 클러스터

파이낸싱

일본에서는 직접지원방식(인건비, 보조금 등) 보다는 간접지원방식(세제, 금융, 우선구매 등)의 널리 활용되고 있는 특징


을 보임
15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고토랩(Kotolab)

현지 주소지 神奈川県横浜市中区松影町 3 - 11 - 2

홈페이지 주소 http://koto-lab.com/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koto-lab.com


회사번호 +81-45-663-3969

기업개요 대표자 오카베 토모히코


설립연도 2007년 12월 5일
조직 형태 협동조합
종업원 수 6명

사업개요 2005년부터 시작한 사업인 ‘요코하마 호스텔 빌리지’는 연간 만 명 넘게 이용하고 있으며 지역 내 외


국인 관광객 등을 수용하면서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
‘일’ 만들기의 중요성을 사업에 활용해 나가고 싶다는 생각에서 ‘일’을 연구하자는 의미인 “koto(일
본어로 ‘일’을 뜻함) lab”이라는 사명을 짓게 되었으며 지역 자원의 활용 뿐만 아니라 지역을 활성화
시키는 새로운 체계나 이미지의 제안도 실시하고 있음

선정이유 마을 커뮤니티 및 도심재생관련 분야 선두 조직


15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고토랩(Kotolab)

다만 단지 돈을 벌기 위해서가 아니라 지역의 사회적 문제 과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고 싶은 마음


으로 설립하게 되었습니다. 사회적경제기업이란 지역의 숨겨진 자원과 지역 과제를 찾아 자원 봉
사도 공적 자금도 아닌 자립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지고 활동을 하는 형태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
니다. 특히 지역 사람들과의 관계를 구축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카베 토모히코

Q 창업의 계기

고토랩의 창업의 계기는 토모히코 오카베 대표가 대학원 수료 후 우연히 견학을 갔던 코토부키쵸에서
의 사람들과의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오카베 대표가 고토랩을 창업할 당시에는 소셜 비즈니스라는 단
어가 없는 시대에 시작했기 때문에 사회적경제기업으로 시작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했다.

코토부키 지역은 항구도시 요코하마의 슬럼가이자 일본 3대 쪽방 지역이다. 경제가 쇠퇴하고 항만노


동이 기계화 되면서 도시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 되었으며 생활보호 대상자가 급증하여 희망이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오카베 대표는 급증한 희망 없는 고토부키 지역을 살려야겠다는 생각에 ‘빈방 개조’
아이디어를 착안하여 1,500개의 빈 쪽방을 값싼 숙소로 개조해 전 세계 관광객을 유치한 ‘요코하마 호
스텔 빌리지’를 설립하였다. 사명 또한 마을 커뮤니티의 일(Koto) 만들기 + 연구(Lab)의 합성어로 고
토랩으로 지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고토랩은 오랫동안 방치된 빈방을 개조해 호스텔로 활용하는데 건물 수리비용은 집주인이 내고 고토


랩은 청소와 홍보·고객 관리 등 운영을 담당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수익은 집주인과 50:50으로 하여
상생의 모델을 활용했다. 또한 게이오대와의 파트너십 통해, 빈 사무실 공간을 개조해 '현장실습 교육
장'으로도 활용하였다.

최근에는 자립 조건부 아파트 임대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2년 안에 생활보호를 받지 않고 자립하면 이


후에도 계속 살 수 있다는 조건으로 아파트 임대하는 방식으로 지역 주민의 자립을 근본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의 일환으로 NTT 도코모와 파트너십을 맺고, 근처 관광지의 자전거 임대센터
에서 자전거 유지·보수업무를 저소득층 주민이 수행하게 하여 일자리 창출도 진행하고 있다.
15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고토랩(Kotolab)

Q 성공과 전략

오카베 대표는 고토랩의 성공 전략을 작지만 충실한 인간 관계 형성과 지속적인 지역 활동을 해온 것


을 들었다. 특히 마을 만들기에서 중요한 점은 90년 정도인 인간의 수명과 비교했을 때 마을의 수명은
500년, 1,000년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세대를 넘어 고토랩의 활동을 계승하는
것이 중요하고 앞으로도 고민이 되는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오카베 대표는 주요 성공 요인으로 ① 고토랩의 꾸준한 사업과 ② 지속적인 지역 자원을 발굴 ③ 이주


및 정착하고 싶은 사람들을 따뜻하고 친절하게 지원하고자 하였다는 점으로 정리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오카베 대표 또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는데, 숙소가 일시적으로 감소하여 수익도 함께 급감하여


위기가 있었다고 했다. 결국 사회적경제기업도 비즈니스이기 때문에 수익 창출이 지속가능한 시스템
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이유로 숙소 집주인과 50:50으로 수익과 리스크도 함께 나누게 되었다고 언급
했다. 또한 일본의 다른 사회적경제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함께 일하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는 일이 고
민이라고 밝혔다.

Q 자금확보

고토랩은 현재까지 투자나 대출을 이용하지 않고 지역의 자원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과의 제휴를 긴밀
히 구축하여 자금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고 했다. 그리고 수익을 창출하게 되면 다시 지역 사
회 문제 해결을 위해 재투자하는 중이라 밝혔다.
15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고토랩(Kotolab)

Q 향후 계획

오카베 대표는 현재하고 있는 자립 조건부 아파트 임대사업 통해 자립 가능성을 계량화한 후 정부에


법안을 제안할 예정에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마을 만들기 활동을 전개해 나갈 방침으로 사이타마, 후
쿠시마에도 마을만들기를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의 다양한 사회적경제기업에게 고토랩의 호
스텔 사업 노하우를 전파할 계획이라고 한다.

오카베 대표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운영지속성을 위해서는 공적 자금이 아닌 지속적인 현금 흐름을 만


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이 문제는 정부 및 법률의 문제가 많아 이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며 다른 기업들도 이 능력을 갖출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16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소다테아게넷 (sodateage)

현지 주소지 認定NPO法人 育て上げネット〒190-0011 東京都立川市高松町2-9-22 生活館ビル3F

홈페이지 주소 https://www.sodateage.net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sodateage.net


회사번호 +81-42-527-6051
팩스 +81-42-548-1368

기업개요 대표자 케이 쿠도
설립연도 2001년(설립) / 2004년(NPO법인화)
조직 형태 비영리 법인
종업원수 및 규모 직원 114명(상근 67명, 비상근 47명)
총 자산 153,169,023엔
당기 순이익 11,483,792엔

사업개요 히키코모리(은둔형 외톨이), 니트족(청년무직자), 프리터족(아르바이트 생계족)과 같은 사회부적응


청년의 사회 복귀를 위해 취업 교육, 멘토링, 자활 프로그램 제공

선정이유 일본의 대표적 사회적 문제인 히키코모리 문제 집중


16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소다테아게넷 (sodateage)

20대에 일본에서 대학을 다니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습니다. 미국 또한 일본처럼 희망 없는 청


년 실업자들이 많았고 이는 우리 세대의 문제점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본에 귀국하여 이러
한 문제점을 가진 청년층을 지원하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이 들어 창업을 하게 되었습니
다. 다행히 저희 아버지 또한 1960, 70년대부터 집을 개방하여 히키코모리 지원을 하고 있어 영
향을 받은 부분도 컸습니다. 그래서 처음엔 아버지가 진행하고 있는 사업 중 일부로 혼자서 소다
테아게넷을 창업하면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케이쿠도

Q 창업의 계기

케이 쿠도 대표는 일본 세이조大 졸업 후, 미국 유학까지 갔어도 학교를 제대로 다닌 적이 없다고 한


다. 미국 유학에서 깨달은 점은 일본에서처럼 미국에서도 청년 실업의 현실을 목격했다는 점이라고 언
급했다. 일본은 니트족 70만명, 고등학교 중퇴 8만명, 대학 중퇴자 14만명 등 사회부적응 문제가 심각
하다. 쿠도 대표는 일하고 싶어도 일을 하지 못하는 히키코모리, 니트족, 프리터족들을 위해 지원이 필
요하다고 느껴 창업을 하게 됐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소다테아게넷은 사회적 관계 맺기를 두려워 하는 니트족, 프리타족을 위해 다양한 직업군 예비 체험,


취업 기초 훈련 프로그램 및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니트족, 프리타족의 경험을 토
대로 의견을 수렴해 비슷한 상황의 중고생을 대상으로 커리어 교육 지원 사업을 하고 있다. 연간 1만
명이 넘는 청년들과 접촉하고 있는 중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빈곤 가정 아동에게 학습지도를 지원
하고 있으며 여름방학 캠프, 스포츠 관람 등 이벤트 참가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기본적으로 소다테아게넷사의 소셜 미션은 청년과 사회를 연결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청년을 사회의
틀에 맞추는 것은 아니다. 학교의 경우 공립 뿐만 아니라 사립의 문제도 함께 지원하고 있으며 모든 청
년이 사회적 소속을 찾아, 직업을 갖고 계속해서 일할 수 있는 사회 건설을 비전으로 가지고 있다.
16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소다테아게넷 (sodateage)

Q 성공과 전략

쿠도 대표는 사회적 가치의 실현과 동시에 지속적인 사업성을 갖는 것을 강조했다. 사회적경제기업이


지원 단체이기 때문에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긴 하지만 자원 봉사 단체가 아니기 때문에
비영리 단체를 평생의 직장으로 삼을 수 있도록 내부 인력을 떠나지 않게 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언
급했다. 이러한 차원에서 소다테아게넷은 신뢰성 있는 조직을 만들기 위해 외부 제3자를 이사로 초빙
하여 회계 감사 등을 받고 있다고 했다.

또한 소다테아게넷의 사회적 영향을 평가, 측정하기 위하여 사업 단위로 분석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
프트와 협력하여 측정하고 있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쿠도 대표가 말하는 전반적인 어려움은 대부분 인재 확보 문제였다. 우선 젊은 세대는 급여가 낮은


NPO에 입사를 회피하고 있어, 좋은 인재를 영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들었다. 또한 사회부적
응 청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선생님 또한 부족한 실정이라고 언급했다.

Q 자금확보

소다테아게넷은 현재 정부 관련 위탁 사업 수행 60%,보조금 30%, 자비 10%로 운영되고 있다. 정


부 관련 위탁 사업을 통한 재원 비중은 차차 줄여나갈 방침이다. 또한 대출이 필요할 때는 크라우드 펀
딩 등을 활용해 확보하고 있다.
16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소다테아게넷 (sodateage)

Q 향후 계획

소다테아게넷은 사회부적응 청년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선생님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


문에 이 역할을 수행해 줄 수 있는 인재 영입 위한 플랫폼을 구축할 것이라 밝혔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쿠도 대표는 일본 정부의 교육 예산에 대한 제도 운영의 유연성을 제안했다. 현재는 교육 예산이 무조


건 학교를 중심으로 배분되어 학교를 다니지 못하는 학생들은 예산 지원에서도 혜택을 받지 못하는 점
이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사회적경제기업은 기업이지만 사회성을 우선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기업에 대한 스폰서와 이 부


분에 대한 이견이 있다고 하더라도 사회적 가치 추구라는 신념을 지키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 말했
다.
16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C F C

현지 주소지 東京都江東区亀戸6丁目54番5号 小川ビル2階

홈페이지 주소 www.cfc.or.jp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cfc.or.jp


회사번호 +81-22-265-3461

기업개요 대표자 이마이 유스케, 오쿠노 사토시


설립연도 2009년 11월 1일
조직 형태 공익법인
종업원수 및 규모 임원 9명(대표이사 2명, 이사 7명), 직원 10명
자산 176,296,145엔

사업개요 (1) 어린이에 대한 학교 외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이용권 제공


(2) 학교 외 교육 기관 및 어린이의 지원 기관에 대한 컨설팅
(3) 어린이에 관한 조사 연구 및 정책 제언
(4) 어린이에 관한 사업의 수탁 및 자녀 등에 관한 시설 등의 관리 운영
(5) 어린이를 지원하는 다른 단체에 대한 조성 사업

선정이유 일본의 대표적인 사회적 경제 교육 기관


16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C F C

CFC는 사회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하는 것을 기업의 핵심 사명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사회적경제기업의 존재 이유는 일반 사기업과는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이 비용보다 높아야
지속적인 사업이 가능 하긴 하나 규모를 확장시키는데 목적을 두지 않고 교육시스템 보급을 최우
선의 임무라 보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윤 극대화에 목적을 두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업을 통해 얻
은 노하우 또한 다른 사회적경제기업이나 조직에 전수할 수 있고 이것이 사회적 영향을 낼 수 있
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마이 유스케

Q 창업의 계기

창업자인 이마이 유스케 대표는 안정적이고 보수가 높은 대기업인 구몬(KUMON)에서 일하면서 한신·
아와지 대지진 때 가정교사를 파견하는 교육봉사를 시작했다. 정기적인 청소년 캠프도 운영하고 등교
거부를 하는 학생들에게 가정교사를 보내는 일을 병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던 가운데 ‘09년 경제 위기가 도래하면서 일본도 영향을 받게 되었는데, 재정파탄 및 경제적인 이
유로 가정교사를 받지 못하는 학생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유스케 대표는 이러한 학생들을 돕기 위
해 처음엔 Brain Humanity의 일부 사업으로 진행하다가 ‘11년 6월 동일본 대지진 이후, CFC를 정식
으로 설립했다. 동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후 시급한 활동이 필요했기 때문에 공익법인으로 법인 유형을
선택하였으며 이로 CFC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CFC는 정부의 지원 대상이 아닌 중고등학생에 초점을 맞춰, 부모의 소득 격차로 인한 자녀의 교육 격


차를 없애는 것을 기업의 미션으로 하고 있는 기업이다. 현재 일본은 유치원 전 단계와 고등교육 이후
인 대학장학금을 지원하는데 교육 정책이 맞춰져 있다. 하여 중고등학생들은 정부의 상대적으로 받지
못하고 있으며 빈부격차로 평균 7명의 학생 중 1명은 고통을 받고 있다는 통계도 있다. 즉 CFC의 비전
은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가진 청소년들에게 소득의 격차가 교육의 격차를 낳지 않는 사회를 만들고
틀에 박히지 않은 교육을 실현하는데 있다.

CFC는 이러한 비전을 구현하기 위해 쿠폰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쿠폰 제도는 교외교육기관에서 사용


가능한 ‘스터디 쿠폰’을 제공하여, 비용은 CFC가 부담하고 아이들이 폭넓게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든 방
식이다. 이 제도는 자금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마음까지 고려한 방식으
로 평가받았다. 왜냐하면 빈곤 가정의 아이들만 모이는 캠프의 경우, 참가 자체가 아이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교육 캠프에 쿠폰 제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심리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이 쿠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쿠폰 사용처 상담, 진로 및 학습 상담, 고민
상담 등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16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C F C

Q 성공과 전략

CFC는 교육 지원 기업이므로 아이들의 학업 성적 향상이 1차적인 지표이지만 이는 단순한 접근이라


강조했다. 더욱 중요한 부분은 사회적가치 창출의 사회적 영향력이라 판단하고 있어 현재 미쓰비시
UFJ 리서치 앤 컨설팅社에 의뢰하여 사회적 가치 측정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지자체를 포함한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할 예정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CFC는 사업 초반에는 보조금이 많고 기부금이 적었지만 현재는 지속적으로 기부금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이마이 유스케 대표는 아직까지 지원자 5명 중 1명은 지원하지 못하고 있어 자금 확보에 노력 중이라
고 말했다. 특히 ‘17년에는 총 지원자 중 1,079명이 지원을 받지 못하였다고 한다. 현재 CFC는 이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기부금 확대와 정책 도입 등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에 협조를 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업을 운영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쿠폰 자체도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는 아이들이 많아 쿠폰 중


8%는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진다고 했다. 이에 지차체 등과 협력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구축하여 보
다 다양하고 세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Q 자금확보

CFC는 정부의 지원금은 전혀 없었고 초기의 보조금은 재난 재단(민간 재단)으로부터 받은 지원금으


로 기업을 운영하였다고 했다. 또한 정부의 위탁 사업도 진행한 적이 있다고 한다. 현재까지 위탁금
2,000만엔, 기부금 1억엔, 민간 보조금(조성금) 4,000만엔으로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으며 대출이나
투자는 활용한 적이 없다.

이마이 유스케 대표는 자금 확보와 관련한 애로로 기부금의 확보가 어려운 점을 들었다. 기부금 모집
활동 과정에 어려움이 크며 유니세프처럼 대량 광고비를 사용하여 급진적으로 기부금을 늘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뉴스를 만들어 미디어 기재를 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16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C F C

Q 향후 계획

CFC의 향후 계획은 현재 가지고 있는 여러 고민을 해결하는 것이다. 첫 번째 이슈는 현 자금 상황에서


는 독립적인 해결 불가능한 종이 쿠폰의 디지털화 문제이며, 쿠폰의 사용률을 100%로 높이는 문제이
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 협력 강화, 네트워크 형성이 관건이 될 것이라 밝혔다. 또한 지자체로의 교
외 교육활동 지원 시스템 보급하고 교육받고 싶어 하는 아이들 모두에게 교육을 지원할 수 있도록 자
금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아이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장기
적으로는 경제적 이유가 아닌 특수한 문제, 가령 등교거부 학생들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계획이
라 밝혔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유스케 대표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NPO 설립을 하지 않아도, 일반기업에 다니면서 사회문제해
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 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어떤 환경에서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은 가능하다는 것이다. 사회적경제기업 창업은 대학시절의 활동 등 일상적인 것에서 계기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또한 CFC를 비롯한 정부의 IT화 지원이 시급하며 종이 쿠폰을 충전식 카드 시스템으로 바꾸는 등 시
대의 흐름에 맞게 NPO의 사업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나 강조했던 점은 인재육성지원
에 대한 부분인데 NPO와 지자체 및 기업 간 교류를 늘리는 것이 필요하며 급여 또한 일정 수준 이상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6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F I J(Factcheck Initiative Japan)

현지 주소지 〒150-0001 東京都渋谷区神宮前6-25-16いちご神宮前ビル 3階

홈페이지 주소 http://fij.info

연락처 대표 이메일 info@crossfields.jp


회사번호 +81-3-6417-4804

기업개요 대표자 세가와 시로


설립연도 2017년 6월 21일(설립) / 2018년 1월 11일(NPO법인 설립)
조직 형태 NPO 법인
종업원수 및 규모 120명(일반회원 40명, 특별회원 39명, 학생회원 35명, 법인 회원 6명)
총 자산 1,929,992엔

사업개요 미디어에 보도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프로젝트 기획 및 진행

선정이유 새로운 미디어 발달에 따른 신 사업 분야


16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F I J(Factcheck Initiative Japan)

FIJ를 운영하는데 애로사항이라면 경제적 수익이 나지 않아 ‘팩트체크’라고 하는 사회적 가치를


확산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홈페이지 개선 등 정보를 확산시킬 수 있도록
노력 중에 있습니다. 또한 영향력이 있고 협력이 가능한 미디어, 신문사를 더 늘리려고 노력 중
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NHK 등이 참가하면 파급 효과는 클 것으로 예측됩니다. 많은 미디어가
참가하게 되면 팩트체크 성과도 늘어나면서 사회적 인지도도 높아져서 기부도 늘어나지 않을까
요?

세가와 시로(Segawa Shiro)이사장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FIJ의 전신은 미디어 오보를 검증하는 日本報道検証機構(일본정보검정기구)라는 비영리단체에서


출발하였다. 기존 미디어 뿐만 아니라 인터넷 미디어도 팩트체크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미
디어, 테크놀로지 기업, 전문가, 시민 등 분야와 업종을 넘어서 연계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 조직으로
서의 가능성에 따라 설립되었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일본정보검정기구는 각 미디어에 따른 보도의 질을 검증, 오보 문제를 조사하는 활동을 직접 수행하므


로 팩트체크 자체를 주로 하는 단체이지만 FIJ는 팩트체크를 직접 수행하는 기관은 아니다. 팩트체크
는 미디어 관계자가 하고 FIJ는 그들이 팩트체크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단체로서 가이드라인
을 만들거나 정보를 수집하거나 인재를 모으는 역할을 한다.

그 대신 FIJ가 집중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는 잘못된 정보 제공이 가져오는 파급효과다. 팩트 체크 결과


를 빠르고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기 위해서는 야후 재팬, 구글, 페이스북 같은 정보 제공 플랫폼과 협
력하고 있다. 잘못된 정보는 신속히 삭제하지 않거나 팩트체크한 뉴스를 우선적으로 보도하지 않으면
그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FIJ의 소셜 미션은 팩트체크 문화를 보급하여 잘못된 미디어에 혼동되지 않는 사회를 구축하는 것이
다. FIJ의 중요한 포인트는 거짓을 없앤다는 것보다 사실을 더 확산시키는 것에 있다.
17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F I J(Factcheck Initiative Japan)

Q 성공과 전략

FIJ 성과라면 팩트체크를 거친 기사들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17년 법인이 설립된 이후, ‘17년 총선
거와 오키나와현 지사 선거에 한정하여 각각 약 1달간 팩트 체크를 했다. ‘17년 총선거는 4개의 미
디어가 오키나와현 지사 선거는 6개 미디어가 참가했고 이 미디어에 대해서 FIJ가 팩트체크를 하고
그 내용을 소개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향후 참여 미디어를 늘리는 것이 FIJ의 목
표이다.

Q 어려움과 극복과정

FIJ의 지속적인 어려움은 자금 부족에 있다. 이 문제로 인하여 FIJ 회원인 교수들이 팩트체크를 연구
주제로 하여 연구비를 받아 지원을 해준 적도 있다. 현재는 민간 조성금을 도요타 재단과 전기통신보
급재단으로부터 받으려고 노력 중에 있는데 빈곤 문제, 사회 복지 등에 관련된 민간 조성금은 많으나
반면 인터넷, 정보 등에 관한 지원은 적다는 것이 애로사항이다. 생활에 직접적으로 지장을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민간 조성금의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상황이다. 플랫폼 사업자는 사회적 책임이 있으므
로 팩트체크를 지원할 책임도 있다고 보는데 기업들이 사회적 공헌 활동으로 팩트체크에 관심을 가지
고 함께 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바람을 표현했다.

Q 자금확보

현재 FIJ의 자금은 기부금이나 크라우딩 펀등을 해서 50만엔 정도 확보가 되었으나, 투자를 받은 적은


없고 금융기관을 통한 대출 또한 없는 상황이다.
17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일본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F I J(Factcheck Initiative Japan)

Q 향후 계획

FIJ의 향후 계획은 협력 미디어 수를 늘리고, 자원봉사나 서포터를 통해 인재를 확보하는데 있다. 또한


1주년 기념 심포지움을 개최할 계획이며, 플랫폼 조직이니만큼 사이트를 개선할 계획이다. 초보자를
위한 팩트체크 지식을 세미나 및 강좌 등을 통해 제공하고, 한국 기관과도 협력할 예정이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FIJ는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해서 사명을 갖고 생각한 일을 포기하지 않고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며, 다


루고 있는 이슈에 대해서 사람들의 관심과 공감을 얻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국에도 동 기
관과 비슷한 ‘팩트체크센터 언론정보연구소’가 존재하는데 네이버가 이 단체에 일정 규모의 자금을 지
원하여 사회적 활동을 한 바 있다. 그러나 일본의 야후는 이런 활동이 없어 아쉬움이 있다고 언급했다.
France

SOS 그룹(Groupe SOS Solidarités)

심플롱(SIMPLON)

라 휘시 끼 디 위(LA RUCHE QUI DIT OUI)

신띨로(SCINTILLO)

스파크뉴스(SPARKNEWS)
17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협동조합(Cooperatives)

8,510
전반적 개요

프랑스는 사회적 경제 개념의 선구적 국가이나 사회적경제기업이라는 용어는 다른 유럽 국가에


상호공제조합(Mutual Societies)
비해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사회적경제기업이라는 용어가 앵글로색슨적인 어감을 내포한다는
프랑스적 신념이 있기 때문이다. 대신 비슷한 개념으로 사회적 연대 경제(Social and Solidarity

813 개
Economy, ESS)라는 용어를 활용하고 있다.

재단(Foundations)

프랑스의 현황

474 개

사회적 기업 수 조합원 수 사회적 연대 경제


Economie sociale et solidaire (ESS)

16 만개 230 만명
(총 고용대비 10.5%)
22 1 만 천개

•프랑스의 사회적경제는 2000년대에 노동 통합 분야를 중심으로 이야기 되기 시작했다. 사회적 기업가들


은 사회적 사명을 가지고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을 성취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같은 시기에 협동
조합의 새로운 형태인 공익협동조합(Collective interest cooperatives, SCIC) 또한 도입되었다. 이 새
로운 협동 조합 형태는 1947년 제정된 협동 조합법의 개정안으로 인정되어, 조직의 목표와 업무가 협동
조합법에 잘 반영될 수 있게 하였다.

•2014년에는 사회적 연대 경제 내에 속하는 모든 조직들을 사회적 연대 경제 기업(ESS)이라 부르기로


입법화하였다. 즉, 전통적으로 사회적 경제의 핵심이라 간주되었던 협회, 협동조합, 상호공제조합, 재
단 외에도 사회적 가치창출에 기여하고 ESS 원칙에 부합하는 상업적 기업 역시 연대 기업(Solidarity
enterprises of social utility; ESUS)도 포함하여 사회적 연대 경제 기업(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enterprises)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현재 ESS에 속한 기업들은 노동자 통합, 재생에너지, 공정 무역, 유기농 식품 및 농업, 건강, 노약자 보호,
사회적 소외, 스포츠, 교육, 문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17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기원 및 현주소

프랑스에서 사회적 경제는 19세기에 등장한 오래된 개념이다. 1980년 제정된 사회적 경제 헌장
(Chart of Social Economy)을 “보면 사회적 경제는 활동의 범위에 제한이 없으나, 지역사회나
조직 구성원들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이윤 추구보다 중시하고, 1인 1표(one person,
one vote) 원칙에 근거한 민주적 거버넌스를 추구하며, 개인에 대한 이윤 재분배에 관해 제한을
가지고 있는 여러 조직들의 집합체(set)”로 인식된다고 정의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 기업 종류
•전통적인 법적 형태는 협동조합(cooperatives), 상호공제조합(mutual societies), 협회(associations),
재단(foundations)이 있고 2014년에 ESS에 관한 기본법이 채택됨에 따라 사회적 가치창출(social
utility)이 목적인 상업 회사도 법적 형태로 인정하였다.

| 법적 형태 | 협회 협동조합 상호공제조합 재단
(Associations) (Cooperatives) (Mutual societies) (foundations)

•1명 이상의 유급 근로자를 •‘1인 1표’ 규칙을 준수하고 •투자 수익을 달성하기 •기부자가 사회적 목표를
고용하고 사적 또는 공적 법적 형식, 활동 영역, 보다는 가입 회원의 가진 프로젝트에 자금을
자금에 의한 재화 및 규모 및 명시적 목표에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원하는 비영리 단체
용역의 판매에서 오는 따라 공동 이익, 조합원의 탄생한 자발적 조직, 일반
수입이 최소 25%인 경우 이익을 추구하는 조직 보험회사에서 고위험
고객으로 서비스가 배제될
수 있는 사람들에게
건강, 사회서비스,
보험서비스를 제공

연대 기업(Solidarity enterprises of social utility, ESUS)

•사회적 가치(취약성, 배제 및 불평등 퇴치, 시민권 교육, 지속 가능한 개발)를 추구하는 경제활동을 하는 조직. 균등한 임금
정책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익잉여금은 사회적 가치 추구에 우선적으로 투자함

| 기업이 고용한 유급 상근 근로자 현황 |

78%
협회(associations)
13%
협동 조합(Cooperatives)

5.6%
상호공제조합(mutual societies)
3.1%
재단(foundations)
17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프랑스의 경제, 산업, 디지털 기술부(Ministry of Economy, Industry and Digital Technology)
는 사회적경제 생태계에서 활동하는 대부분의 사회적 연대 경제 기업 및 지원 조직들의 목록을
관리하며 웹사이트(http://www.esspace.fr)에 공개하고 있다.

| 사회적 연대 경제 기업 및 지원조직 목록 |

사회적 기업 및 인프라를 위한 지원 정책을 소셜 비즈니스(Social Business) 라벨 홍보, 사회적 기업가 교육 및 훈련 및 사회적경제


구현하는 정부 부처 또는 기관 인증 및 수여 단체 관련 싱크 탱크

사회적 기업 평가 조직 사회적 기업 창업 및 개발 지원 서비스 및 사회적 기업 사업 지원 조직


시설 제공 업체 (창업 보육 센터 등)

사회적 기업과 연구 네트워크를 위한 교류 사회적 기업 (지원) 네트워크, 협회 주요 금융 서비스 제공 업체


플랫폼

공공 정책 및 지원

공공조달 입찰 참여 시 우대조항

•사회적 조항(social clause) : 모든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공공조달 입찰 참여 시, 사회적경제기업 우대


장 기 실직자로 구성된 근로자와 함께 프로젝트를 제공하려는 건설 분야의 입찰자를 우대
•사회적 조항 도입한지 15년 경과 됨

EU 구조 기금 사용

•사회적 기업에 적용가능한 EU 기금 : 유럽 사회 기금(European Social Fund, ESF) 


유럽 지역 개발 기금(European Regional Development Fund,
ERDF)
•아비즈(Avise), 프랑스 액티브(France Active) 등의 중개기관을 통해 EU 기금에 접근성 증대
17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현황

사회적경제기업의 인프라 환경

지역 정부 간 협력

•프랑스의 지자체 이니셔티브는 다른 EU 회원국과 비교할 때 수가 많고 중요성이 큼


•지자체는 2년에 1회 이상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회의를 개최하여 지역 발전과 사회적경제기업 발전을
함께 검토하고 논의해야 한다고 기본법에 명시
•직접적인 보조금 형태의 지원도 있음  이데클릭 솔리대르(iDéclic Solidaire)

주요 네트워크

청년, 리더 및 사회적 경제 센터 아비즈 리우스

Centre des Jeunes, Dirigeants et Avise Réseau Interuniversitaire


Acteurs, de l’Economie Sociale, d’Economie sociale et solidaire,
CJDES RIUESS

•1985년에 설립 •2002년에 설립 •대학 네트워크로 많은 연구자들이


•사회적경제 참여자들이 경험을 공유할 •모든 유형의 사회 경제 조직을 지원 RIUESS의 회원
수 있는 네트워킹 플랫폼을 제공하고 •사회적경제에서 신규 기업의 수 증대, •대학교에서 사회적 연대 경제 관련
컨퍼런스를 개최 대내외 역량 강화를 통한 기업의 성과 석사 프로그램을 개설
향상, 신규 일자리 창출 목적

파이낸싱

•프랑스 액티브(France Active)와 공공 지원 기관, 공공 투자 은행(Public Bank for Investment, BPI) 및


예금 및 위탁 펀드(Caisse des Dépôts et Consignations, CDC) 등 사회적 투자는 프랑스의 정책 어젠
다에서 중요한 이슈
•ESS에 관한 기본법(2014)에서도 파이낸싱 이슈 명시
•세금 인센티브 : 기업에서 비영리 단체에 기부하는 금액의 50%가 법인세에서 면제. 개인은 기부 금액의
66%까지 세금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연대 금융(Solidarity finance) : 피난솔(Finansol), 프랑스 악티브(Le groupe associative France
Active), 임팩트 펀드(impact fund), 책임 투자 펀드(responsible investment funds), 벤처 자선
(Venture philanthropy), 협동조합 은행(Cooperative bank), 기존 은행, 그리고 시갈(CIGALES) 운동,
크라우드 펀딩, 노베스(NovESS) 등 기타 연대 활동이 있음

18 억 유로 (한화 2조 3천억원)

모든 공적 + 사적 재원의 합
17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SOS 그룹(Groupe SOS Solidarités)

현지 주소지 75 Rue de Maubeuge, 75010 Paris, France

홈페이지 주소 www.groupe-sos.org

연락처 대표전화 +33 01 56 55 55 55 / +33 01 55 28 95 21(대외 관계 매니저)


Fax +33 01 58 30 56 36
대표메일 maubeugel@groupe-sos.org
대외 관계 매니저 isaac-aguilar-ruiz@groupe-sos.org

기업개요 대표자 Jean-Marc Borello


설립연도 1984년
조직형태 비영리 조직
매출 $500 million to $1 billion (USD) per year
종업원 수 17,000명

사업개요 •‘84년에 설립돼 17,000명의 종업원, 44개의 사회적경제기업 자회사, 해외 18개 지역 283개 기관
과의 네트워크 보유한 성공한 사회적 기업의 표본
•지난 30년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보건, 주거, 교육 분야의 사회적경제기업 설립과 투자를 주도했
으며, 현재 투자기업의 매출 합계가 8500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성장

선정이유 프랑스의 대표적 사회적 경제 조직, 하버드 비즈니스리뷰, 서울연구원 세계도시연구센터 등 국내외
연구기관 다수에서 연구, 검증한 사회적 기업
17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S 그룹(Groupe SOS Solidarités)

SOS 그룹은 오랜 기간 동안 기업 활동을 해온 만큼 정책적 기조가 바뀔 때마다 관련 법안이나 지


침 등에 변화가 있어 기업의 부침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럴 때마다 SOS 그룹 내 자회사와 협력
단체들의 도움으로 이겨낼 수 있었습니다.

Groupe SOS Solidarités

Q 창업의 계기

하나의 사회적 문제에는 복합적인 원인이 있다는 전제 하에 아쇼카 재단의 후원을 받아 쟝 마크 보렐


로에 의해 창업한 사회적경제기업이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SOS 그룹의 사업 형태는 다양하지만 건강, 주거, 노인, 청소년, 고용 등의 다섯 개 영역으로 진행되고
있다.

① 건강 : 8개의 병원을 운영, 노숙자, 알코올 중독자를 위한 치료시설 운영 등


② 주거 : 임시 서민아파트를 집 없는 이들에게 제공. 장애인 특수 주거 시설 마련
③ 노인 : 노인 가정을 방문해 치료나 돌봄 서비스를 제공. 양로원도 운영
④ 청소년 : 고아, 전과자 청소년들을 교육하는 주간보호센터, 빈곤층 영아 탁아소운영
⑤ 고용 : 사회 통합 훈련의 과정으로 음식, 커피, 초콜릿 가게 등 15개 점포 운영

또한 SOS 그룹은 자발적인 운영이 가능한 기업을 표방하기 때문에 자회사 CDI社의 자체 평가 모델을
통해 자회사의 수익 창출, 재정에 대한 컨설팅, 감독 및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18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S 그룹(Groupe SOS Solidarités)

Q 자금확보

SOS 그룹은 정부 보조금이나 기부금은 거의 받지 않고 개별 자회사의 재정적 독립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가령 병원 자회사의 경우 노숙자에게는 무료 진료를, 재정적 부담은 일반인들의 병
원비 수익으로 충당하는 것처럼 각 자회사에 맞는 수익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Q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 하고 싶은 제안

SOS 그룹은 사회적 기업들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사회적 성과 뿐만 아니라 재무적 성과 향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투자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및 가이드라인 구축이 필
요하다고 제안했다.
18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심플롱 (SIMPLON)

현지 주소지 4 rue Serpollet, 75020 Paris

홈페이지 주소 www.simplon.co

연락처 대표자 이메일 frederic@simplon.co


대표자 번호 +33 06 64 63 43 92

기업개요 대표자 Frédéric Bardeau


설립연도 2013년
조직형태 ESUS
규모 120명
매출 5 million €

사업개요 •난민,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청소년 및 아이들, 장기 미취업자 및 재취업자 등에게 무료로 웹 개
발자 교육을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

선정이유 ESUS이며 Group Sociétés Coopératives d’Intérêt Collectif (SCIC) 회원으로 공인된 사회적 기
업,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발간한 2016 글로벌 사회적경제 디렉토리북에 포함
18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심플롱 (SIMPLON)

심플롱은 난민,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는 청소년 및 아이들, 장기 미취업자 및 재취업자 등에게 무


료로 웹 개발자 교육을 제공하는 사회적 기업입니다.

프레데릭 바르도 (Frédéric Bardeau) 설립자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대표인 프레데릭 바르도 설립자가 이미 사회적 사업가였던 5년 전, 비전공자들을 몇 주 만에 개발자로


육성할 수 있는 매우 빠른 미국의 훈련 방법을 발견하여 심플롱을 설립하였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심플롱은 미국의 훈련 방법을 토대로 가르치되 미국과는 다르게 무료로 실직자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
램을 제공했다. 또한 이들이 창출하는 소셜 임팩트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들의 설문조사를 통
해 측정하고 있다.

Q 성공과 전략

초기의 심플롱은 사회적 가치 창출은 있었으나 수익성 차원에서는 많은 문제가 있어 보조금과 후원에
기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회사가 발전하면서 이들만의 수익 모델을 찾았고 현재는 지속적인 자금
의 선순환으로 보조금 및 후원 의존도는 35%로 낮아졌다. 직원은 초창기 4명에서 160여명으로 늘어
났으며, 예전에는 6개월에 3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했던 것에 비해 현재는 1년에 1,600명을 대상
으로 무료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183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심플롱 (SIMPLON)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초기에는 수익 모델이 없었고, 2016년에는 자금 확보가 어려워 회사가 성장하는 데 걸림돌이 되기도
했다. 또한 선생님들을 고용하는 문제도 쉽지 않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심플롱은 자금 관리를 담당
하는 매니저를 채용하고 체질개선에 나섰다. 인사과에서는 선생님들을 모집하기 위한 특별 채용계획
을 실시했다. 또한 라 프랑스 성갸즈(La France s’engage)와 같은 사회적 기업 지원 기관들로부터 많
은 도움을 받기도 했다. 정부의 지원과 민간 사회적 경제 생태계로부터의 지원도 컸다. 프랑스 정부는
그랑제꼴 뒤 뉴메리끄(Grande Ecole du Numérique) 시스템을 통해 디지털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
들을 선정, 보조금을 지원했다. 사회적 경제 기업들은 Orange, Microsoft 나 Apple과 같은 대형 디지
털 회사들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도 있었다.

Q 자금확보

심플롱은 처음에는 아주 작은 자본만을 가지고 시작했으며 그 후에는 사회적 기업으로서 지원받을 수


있는 경로들을 통해 자본증대를 도모했다.

Q 향후 계획

심플롱의 전략은 지속적인 지리적 확장이다. 현재 13개국에 분포하고 있는 이들의 네트워크는 앞으로
그 크기를 계속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을 사이버 보안이나 AI 등으로 확장할 예정
이다. 마지막으로 다른 기업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전에는
현금흐름, 재무 건전성, 인사관리에 대한 리스크가 있었다면 현재는 회사가 성장함으로 인한 품질 유
지 문제와 경쟁자의 출현 등 새로운 문제를 마주하게 됐다. 이들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 또한 심플롱
에게 중요 과제다.
184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라 휘시 끼 디 위 (LA RUCHE QUI DIT OUI)

현지 주소지 2, rue de la Roquette 75011 Paris

홈페이지 주소 https://laruchequiditoui.fr/fr/p/index

연락처 대표전화 +33 03 21 01 77 66


대표자 이메일 clemence.fernet@lrqdo.fr

기업개요 대표자 Grégoire de Tilly, PDG


설립연도 2011년
조직형태 ESUS
매출 3,5 millions €

사업개요 •지역 농민들에게 직접 신선한 식품을 구입해 농부가 자신의 식품에 공정한 가격을 책정하고 지역
사회가 알 수 있도록 함
•유기농 채소를 33% 정도 싸게 판매하고 있으며 버터와 요거트 제품, 질 좋은 고기와 달걀이 유명

선정이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발간한 2016 글로벌 사회적경제 디렉토리북에 포함


185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 휘시 끼 디 위 (LA RUCHE QUI DIT OUI)

LA RUCHE QUI DIT OUI는 지역 농민들에게 직접 신선한 식품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농부가 자신
의 식품에 공정한 가격을 책정하고 지역사회가 알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유기농 채
소를 33% 정도 싸게 판매하고, 버터와 요거트 제품, 질 좋은 고기와 달걀이 유명합니다.

라 휘시 끼 디 위 (LA RUCHE QUI DIT OUI)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 대상자는 원래 사회적경제기업에 관심이 많아 라 휘시 끼 디 위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에 깊


이 공감하게 되어 이직을 결심하게 됐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라 휘시 끼 디 위의 미션은 신선하고 건강한 로컬(지역)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까운 지역에서 생


산된 식재료를 이용하는 것은 신선하고 맛 좋은 음식을 먹는다는 의미 뿐 아니라 농산물의 복잡한 배
달 과정을 단순화해 운송에 따른 탄소배출을 줄인다는 의미도 있다.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누구나 원
하는 물품을 쉽게 주문할 수 있으며 현재 150만명의 사람들이 이 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다. 라 휘시 끼
디 위의 서비스는 온라인 기반이기 때문에 웹사이트를 통해 소셜 임팩트를 측정하고 있다.

Q 성공과 전략

2011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라 휘시 끼 디 위는 유럽 내 10,000명의 생산자와 1,500개의 지점, 133만


건의 주문을 달성했다. 정기적으로 이들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16만명에 달하며 상품 공급자들
은 8천만 유로의 수익을 창출했다.

수많은 언론기사를 통해 라 휘시 끼 디 위의 행보는 잘 알려진 바이다. 이들의 성공 전략은 사회적 기


업가들이 인도적이고 효율적인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통합된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한 2015년에 iOS, 2017년에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출시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주문이 가
능하도록 사용자 편의를 제고했다. SNCF(프랑스 국영철도)등 여러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도움
을 받기도 했다. 이외에도 이들은 무역 박람회나 출판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자사의 서비스를 알리
고 있다.
186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라 휘시 끼 디 위 (LA RUCHE QUI DIT OUI)

Q 어려움과 극복과정

라 휘시 끼 디 위가 새로운 버전의 웹사이트를 선보였던 당시, 준비 부족으로 인해 몇 가지 오류가 발


생했다. 당시 많은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고 다른 조직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라 휘시 끼 디 위는
이러한 어려움들에 체계적으로 잘 대응해 왔다.

Q 자금확보

라 휘시 끼 디 위는 사회적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의 지원을 통해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Q 향후 계획

이들의 목표는 유럽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상품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웹
사이트와 매거진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187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신띨로 (SCINTILLO)

현지 주소지 15 rue de la Fontaine au Roi 75011 Paris, France

홈페이지 주소 http://scintillo.eu/

연락처 대표전화 +33 01 76 74 74 94/ 개발 이사


대표메일 contact@scintillo.eu(대표)
steven.hearn@scintillo.eu(개발 이사) 
alexandre.lourie@groupe-sos.org(directeur general) 
jean.arnaud@scintillo.eu(directeur du developpement)

기업개요 대표자 Steven Hearn


설립연도 2010년
조직형태 사회적 기업 (Groupe SOS의 자회사)
규모 15 여개의 문화 기업

사업개요 •음악, 미술, 영화, 언론, 이벤트, 커뮤니케이션 등 문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회적 기업 연합조직

선정이유 하버드 비즈니스리뷰, 서울연구원 세계도시연구센터 등 국내외 연구기관 다수에서 검증한 사회적
기업 Groupe SOS의 자회사
188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신띨로 (SCINTILLO)

신띨로는 음악, 미술, 영화, 언론, 이벤트, 커뮤니케이션 등 문화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회적 기업
연합조직 입니다.

스티브 히언 (Steven Hearn) 대표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신띨로는 개인 회계사의 제안으로 만든 회사다.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한 재무, 행정, 법률 서비스를 지


원한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신띨로는 세 가지 주요 미션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첫째는 문화공학이다. 문화에 대한


연구, 컨설팅, 이벤트 제작 서비스를 제공한다. 둘째는 문화시설 운영으로, 직접 운영하는 영화관이나
문화공간 등에서의 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셋째는 문화적 기업이다. 문화산업
분야의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인큐베이터를 운영하고 있다. 신띨로는 이에 대한 소셜 임팩트를 설문조
사나 고객 경험에 기반해 측정하고 있다.

Q 성공과 전략

신띨로의 성공 전략은 이들이 만든 문화사업들의 자생능력이다. 예를 들어 이들이 만든 첫 번째 문화


사업인 투아지엠뽈(3ème pole)은 2000년 15만프랑의 수익을 올린데 비해 2006년에는 5백만 유로
의 성과를 올렸다. 또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터를 통해 230여개의 혁신적 문화 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189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신띨로 (SCINTILLO)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좁고 보수적인 분야인 문화계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만큼, 신띨로는 로비 등 정치적인 이유로 인한 어


려움들에 직면했다. 또한 대형 사업자보다는 영세한 규모의 회사들이 많아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자 할
때 알맞은 파트너를 찾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예술적 작업에 대한 투자는 많은 리스크를 동반하기
때문에 투자자를 찾고 자금확보를 하는 것 또한 중요한 도전 과제다. 따라서 신띨로는 이러한 예술적
인 창조 작업과 대중 사이를 연결하는 가능한 모든 중간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
정에서 직접적인 정부 지원은 받지 못했으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에 대해서는 프랑스 정부와 파리 시
의 도움을 받았다.

Q 자금확보

초기 신띨로는 자기자본이 전혀 없었고 가시적인 활동도 개시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자금 조달을 받기


가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SOS 그룹과의 합병 후 자금 조달이 쉬워졌다.
190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Social enterprise 스파크뉴스(SPARKNEWS)

현지 주소지 37 RUE LAFAYETTE, 75009 PARIS

홈페이지 주소 https://www.sparknews.com/

연락처 대표 메일 contact@sparknews.com
대외 관계 매니저 alamour@sparknews.com
대표 번호 +33 06 75 29 98 87

기업개요 대표자 Christian de Boisredon (설립자)


설립연도 2012년
조직형태 사회적 기업
규모 20명

사업개요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사회적 기업에게 자문 서비스를 저널리즘 관점


에서 제공
•전문가에게 사업의 원천이 되는 지식 기반을 사회적 기업가, 언론인, 교사 등에게 제공
•기자들에게는 비디오 플랫폼, 사회적 기업가와 기자 사이의 공개 토론의 자리를 제공

선정이유 Ashoka fellow는 세계의 사회적 기업가 네트워크)로 공인된 사회적 기업이며, 한국사회적기업진흥
원이 발간한 2016 글로벌 사회적경제 디렉토리북에 포함
191
2018 KOTRA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스파크뉴스(SPARKNEWS)

스파크뉴스는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협업 플랫폼을 제공하고, 사회적 기업에게 자문 서비스를


저널리즘 관점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에게 사업의 원천이 되는 지식 기반을 사회적 기업
가, 언론인, 교사 등에게 제공합니다. 기자들에게는 비디오 플랫폼, 사회적 기업가와 기자 사이의
공개 토론의 자리를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크리스티앙 드 보아스레동 (Christian de Boisredon)설립자

Q 창업 및 이직의 계기

인터뷰 대상자는 사회적 기업에 관심을 갖고 있던 차에 학교에서 진행된 스파크뉴스 대표의 강연을 듣
고 처음 이 회사를 알게 됐다. 2016년에 인턴으로 입사해 이를 계기로 정직원으로 일하게 됐다.

Q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가치 창출

스파크뉴스는 사회 및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프로젝트를 통해 사람들의 자신감을 회


복하고 행동하고자 하는 욕구를 고취시키는 회사다. 전 세계 80개의 주요 미디어와 함께 작업 및 홍보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협업하는 모든 미디어들이 스스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다. 또
한 이들은 임팩트 저널리즘 데이(Impact journalism day)로 미디어 운영성과를, 솔루션 젠(Solution
zen.co)으로 소셜 임팩트를 측정한다. 현재는 협업 조직들과의 1:1 만남을 통해 더욱 심층적인 소셜
임팩트 측정을 진행하고 있다.

Q 성공과 전략

스파크뉴스의 성공은 6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들은 20명의 직원과 80개 이상의 국제
미디어, 60개 이상의 CAC40(프랑스 주가지수) 상장업체 및 비프랑스 출신 조직들과 함께 일하고 있
다. 또한 회사 내에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고 다양한 커넥션을 만들기 위해 국제 행사인 르 끌룹 드
리노바시옹 포시티프(le club de l'innovation positif)를 설립했다. 이는 사회적경제기업들의 경영자
와 임원들이 모이는 교류의 장으로 자리잡았다.
192
2018 KOTRA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프랑스의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스파크뉴스(SPARKNEWS)

Q 어려움과 극복과정

스파크뉴스의 도전과제는 미디어 운영 분야에서의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을 찾는 것이다. 또한 급속한


성장에 따른 운영방식의 전환도 준비해야 한다.

Q 자금확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이들은 구글 디엔아이(Google DNI)에서 지원하는 장학금을 받고 있


다. 또한 대기업 고위직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설립, 스파크뉴스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 있다. 스파크뉴스는 정부 자금이나 기부금에 의존하지 않고 미디어 운영을 위해 UN과 다른
UN 산하기관들의 통신분야 지원에만 의존하고 있다. 투자자들로부터 받은 펀딩도 작은 비중으로 보
유 중에 있다.

Q 향후 계획

스파크뉴스는 구글 디엔아이 (Google DNI)를 통해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다. 이들이 개발


한 미디어 문서를 식별하는 AI 도구는 자동으로 번역되어 다른 모든 파트너 매체가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모임들을 기획, 스파크뉴스와 협업하는 기업들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Q 한국 사회적 경제 조직과의 협업

스파크뉴스는 4천개 이상 전 세계 프로젝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어 한국의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은 현재 위민 인 비즈니스 포 굿(Women in
Businesses for Good) 프로젝트를 위해 한국의 대한상공회의소와 협력하고 있다.
KOTRA자료 18-076

 포용적 성장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발 행 인 • 권평오
발 행 처 • KOTRA
발 행 일 • 2018년 12월
주 소 •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13
(06792)
전 화 • 1600-7119(대표)
홈페이지 • www.kotra.or.kr
문 의 처 • 경제통상협력본부/통상협력실/통상지원팀
(02-3460-3388)
I S B N • 979-11-6097-866-7 (93320)
979-11-6097-867-4 (95320)(PDF)

KOTRA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8

 포용적 성장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

(06792) 서울시 서초구 헌릉로 13 (염곡동 300-9)  T. 1600-7119 www.kotra.or.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