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소비자와 마케팅(교양)

공정무역

소비자학과
구 혜 경(Ph. D.)
생각해봅시다!

내가 소비하는 물건을 생산하는


노동자들의 삶은 어떠한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생각해봅시다!
공정무역이란 무엇인가?
공정무역의 필요성

▪ 오늘날 국제 무역은 빈국과 부국 사이에 이루어지는 강압적 무역기업들의


정치적 영향력에 의해 활성화

→ 도덕, 양심에 따른 내부 제재조치 미비


→ 공정한 파트너십을 통한 지속가능한 거래 필요
→ 윤리적 무역질서에 기초한 신식민주의적 관계 극복
공정무역의 개념

▪ 경제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불공정한 무역으로 발생하는 구조적


빈곤문제를 해결해 나가려는 세계적인 시민운동이자 사업

▪ 공정 무역(Fair Trade)란 생산자에게 ‘가장 싼 값’이 아닌


‘공정한 값(Fair Price)’을 지불하는 것

▪ 소비자는 개발도상국의 생산자들이 환경에 부담을 덜 주고 생산한 믿을 수


있는 제품에 대해 합당한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그들의 삶과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
공정무역의 개념

▪ 전 세계 인구의 70%는 하루 생계비 1.25달러 이하의 빈곤층, 이 중 1/3은


어린이
▪ 빈곤의 원인 : 저개발, 세계화, 기회 및 임금의 불평등, 민영화, 복지 축소
▪ 빈곤은 인간의 지적 능력과 체력을 훼손 → 저개발되는 악순환
▪ 빈곤국가는 식량 작물 대신 저가의 상품 작물을 재배하도록 강요하는
국제무력 시스템에 종속되어 만성 빈곤에서 벗어나기 어려움
▪ 북반구에서는 비만이, 남반구에서는 기아/기근이 문제인 아이러니…
공정무역의 정의

“ 공정 무역은 대화와 투명성, 존중에 바탕을 둔 무역 파트너십으로써 보다


평등한 국제 무역을 추구한다.

특히 남반구의 소외된 생산자들과 노동자들에게 더 나은 무역 조건을


제공하고 그들의 불리한 여건과 권리를 보호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

소비자로부터 지지 받는 공정무역 단체들은 생산자 지원, 인지 강화, 그리고


기존 국제 무역 규칙과 관행의 변화를 위한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2001년 FINE에서 제정, 2009년 WFTO와 FLO가 공정무역 원칙 헌장에서 확인)


공정무역의 등장배경
공정무역의 목표

무역을 통해
발생하는
빈곤문제 완화

노동자들이 세계무역
경제적으로 조건 개선
자립할 수 있도록
역량 강화
공정무역의 이익구조
공정무역의 기준과 의의

▪ 공정무역은 오직 노동자만을 위한 것일까?


공정무역과 자유무역의 비교
공정무역의 성과
공정무역 역기능과 반론

▪ 역기능에 대한 주장
- 공정가격이 보조금이 되어 가격 상승, 제품 초과 공급

- 원거리에서 공급 받는 구조로 지구 온난화 역행하고 지역 자급 구조 위반

- 수입국의 농민이나 생산자들 이해와 배치됨

- 가격을 지속 가능한 생산을 할 수 있는 최저 가격으로 책정


- 공정 무역 제품은 자국에서 생산하지 않는 제품 거래
공정무역의 주도 주체

- 영국
시민 주도형 - 공정무역마을/풀뿌리 운동

- 프랑스
정부 주도형 - 공정무역법 제정

민간단체 주도형 -일본


- NGO/생활협동조합
공정무역의 역사

서구 공정무역의 역사
구분 시기 내용

- 미국과 유럽의 NGO 단체가 시작


태동기 1950년대 말
- 설탕과 사탕수수 등 제한적 품목 거래
(설탕) ~1970년대 초
- 옥스팜 트레이딩, 오가니사티에 등

- 공정 무역 대중화 단계
도약기 1970년대 초
- 커피를 공정무역으로 수입하며 멕시코 등지 확산
(커피) ~1980년대 말
- 유럽세계상점네트워크 등

- 1989년 국제 공정 무역 협회 조직
확산기 - 1998년 신자유주의 무역 독점에 대항하는 공동
1990년 이후
(다품목) 연대기구 파인(FINE) 결성
- 제품 거래량 증가, 대안무역 시장구축의 단초마련
공정무역의 역사

국내 공정 무역: 2000년부터 본격화

구분 내용

- 생활협동조합 그룹이 운동 영역을 대안 공정 무역으로 확장


환경단체 및
- 두레생혐, iCOOP 등
협동조합 중심
- 자연 드림 : 여성 민우회와 한국생협연대 공동 출자 설립

- 한국의 NGO 단체가 국제연대활동의 일환으로 참여


- 아름다운 가게(참여연대) : 네팔과 페루 유기농 커피 거래
NGO 단체 중심 - YMCA : 피스커피(동티모르 커피노동자 돕기 운동)
- 페어트레이드 코리아(여성환경연대) : 시민주식회사 형태의
공정 무역 회사
공정무역 인증 비교
공정무역의 실천과 사례
공정무역 제품 사례

• 커피
- 커피 재배 빈민국의 자립 위해 경제 원조가 아닌 공정한 거래 시작
- 우리나라의 경우 2007년부터 적극적 판매 시작

• 초콜릿
- 1994년 그린애드 블랙스의 마야 골드 유기농 초콜릿에서 시작
- 1993년 공정 무역 기업이 가나 정부와 협약하여 코코아 재배 농민 지원

• 축구공
- 1997년 ‘애틀란타 협약’14세 이하 어린이 고용 금지
- 2002년 공정무역 인증 공 제조

• 의류 및 패션소품
- KTS : 네팔 극빈층 자활 지원 손뜨게 공방
공정무역 단체 이용 / 후원

▪ 옥스팜(OXFAM)
-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옥스포드 주민들의 자발적인 자선단체로 시작
- 1995년 ‘옥스팜 인터내셔널’ 결성 (www.oxfam.org)
- 커피숍 운영 ‘프로그래소’

▪ 아름다운가게
- 2003년 ‘아름다운가게’를 통해 처음으로 공정무역 운동 소개
- 네팔산 공정무역 커피 ‘히말라야의 선물’ 판매

▪ 여성환경연대
- 12월부터 ‘희망무역’이라는 이름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
- 인도의 ‘사샤’, 일본의 ‘네팔로 바자로’ 유통
- 국내 최초 공정무역 브랜드 ‘그루’런칭
공정무역 단체 이용 / 후원

▪ 한국YMCA 전국연맹
- 동티모르 빈민구제를 위한 ‘평화커피’사업
- 청소년과 여성 가장의 자활을 돕기 위한 바리스타 교육과정 운영

▪ 두레생협연합회
- 필리핀 네그로스의 유기농 설탕, 팔레스타인 올리브 판매
- 공정무역(Fair Trade) 대신 민중교역(People to People Trade) 용어 사용
- 필리핀 마스코바 설탕 구입. 설탕가격의 10%‘네그로스 프로젝트 기금’조성
공정무역 단체 – 생산지에 희망 심기
공정여행하기

• 세상을 바꾸는 착한 여행 ‘공정여행’


- 국제민주연대의 ‘윈난 소수민족 문화체험 공정여행’
* 관광지나 면세점이 아닌 소수민족의 삶터와 재래장터 방문
* 소수민족이 운영하는 음식점이나 민박 이용하여 공정 무역 실천

• 새로운 방식으로의 여행
- 공정여행은 기존 여행 방법에 대한 ‘개선’이자 또 다른 여행 방식에
대한 ‘제안’
- 국내 공정 여행
: 체험마을, 걷기 여행, 지역 축제 및 민속 공연 참가
공정여행하기
공정무역마을 사례

• 공정 무역 마을의 요건

1. 지역의회에서 공정무역 지지 결의안을 통과시킴


2. 지역 주민들이 공정무역 제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어야 함
3. 학교, 직장, 종교기관, 지역사회 단체에서 공정무역 제품을 사용함
4. 언론매체를 통해 공정무역을 알리고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이는 행사를 개최함
5. 각 계 대표가 공정무역마을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활동하고 더욱 발전시킴
공정무역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공정무역에 대한 소비자 인식

- 소비자의 72.5% “공정무역의 내용이 좋아서 적극 동참하고 싶다”


공정무역에 대한 소비자 인식

- 공정무역에 대한 편견 여전, 52.1% “기업마케팅 중 하나”


- 절반 이상 “공정무역제품을 사면 소비자에게 어떤 이익이 있는지가
분명하지 않다고 생각”
공정무역에 대한 소비자 인식

대학생 프로젝트 사례

공정무역 커피를
판매한다고 해서
갔지만 직원 모름

지하철 타고 40분 이동해서 성공

공정무역 커피를 판매한다고 해서


갔지만 커피가 아니라 원두만 판매
공정무역에 대한 소비자 인식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