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소비자와 마케팅(교양)

절제와 검소 & 기부와 나눔

소비자학과
구 혜 경(Ph. D.)
생각해봅시다!

단순하게 사는 것의 가치는 무엇일까?


절제와 간소한 삶
절제와 간소한 삶의 배경

- 자본주의 발달로 물질적 풍요로움은 증가하였으나


과중한 스트레스와 소외감으로 우울증 등 정신적 문제 발생

- 세계 경제 침체, 환경문제, 자원고갈로 인하여


기업과 소비자의 윤리적 책임 강조

➔ 자발적 간소함의 욕구와 결합된


윤리적 가치로 소비 이동
절제와 간소한 삶의 의미

소비 절제

- 소비생활의 편리함이나 개인의 이기적 욕구 조절,


필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여 검소하게 소비하는 것

간소한 삶

- 일상 활동을 최대한 조절하고 소비에 대한 의존을 최소화하려는


라이프스타일, 목적의 단일함, 성실, 내면의 정직함을 의미 (듀안 엘진)
절제와 간소한 삶의 근본 가치

1. 물질적 간소화 (비소비 지향)


2. 인간 중심 척도 (소규모 제도 지향)
3. 환경 인식 (인간과 자연 간의 상호 의존 인식)

4. 자기 스스로의 결정 방식
5. 인격적인 성장 (내적 생활을 탐색, 개발하기 원함)

➔ 자본주의적 개발과 기술로 인한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소비지상주의 생활을 변화 시킬 수 있음

➔ 내적으로 풍요롭고 평화로운 삶, 자아와 삶에 대해 깨닫고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
절제와 간소한 삶의 사례

미니멀리즘 열풍
절제와 간소한 삶의 사례

의류브랜드 파타고니아

“모든 생산과 소비는 환경을 해치는


행위이니 우리 옷도 사지 말고 수선해
입어라”

CEO 이본 취나드
“과소비가 꼴불견으로 여겨지는 세상
만들기가 나의 미션”

‘포춘’은 ‘지구상에서 가장 쿨한
회사(The coolest company on the
planet)’라고 칭송
절제와 간소한 삶의 사례

미국 ‘옷 6벌 이하 입기 캠페인(Six Items or Less)’

- 낭비를 줄이는 아이디어에 관심이 많은 도시 젊은 층을 중심으로 홈페이지나


트위터를 통해 확산
- 참가자들(Sixers) 대부분이 “주변 사람들 대다수가 내가 단 6벌만의 옷만
입었다는 사실을 눈치 채지 못했다”고 말하는 점에서 재미를 느낌
절제와 간소한 삶을 실천할 수 있는 작은 방법들…

1. 소비량을 줄인다.
2. 자신의 육체적·정신적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다.
3.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갖는다.
4. 간소한 삶을 통해 얻어진 시간과 에너지를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투자하거나 자원
봉사 등의 활동으로 공동체에 참여 기회를 높인다.
5. 물건을 오래 사용하며 실용성 있는 소비 패턴으로 바꾼다.
6. 가공식품 소비를 줄이고 환경에 피해를 덜 끼치는 음식으로 바꾼다.
7. 자신에게 필요하지 않은 물건들을 남에게 주거나 팔아서 복잡함을 줄인다.
8. 비윤리적 기업이나 상품을 소비하지 않는다.
9. 자급자족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고 일상적 수리는 직접 하려고 노력한다.
10.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소규모 모임을 선호한다.
기부와 나눔
생각해봅시다!

내가 할 수 있는 기부/나눔은
무엇일까?
기부와 나눔의 개념

기부(Donation)

타인을 돕기 위하여 내가 가진 것을 대가 없이 내놓는 것


(물질적인 것 + 무형의 것)

나눔(Sharing)

즐거움, 고생 따위를 함께 하는 것

자선기부, 성금, 헌혈, 재능기부


자원봉사, 품앗이, 두레, 계, 바자회…
기부행동을 설명하는 이론

1. 이타주의 이론
- 이타주의란 타인을 이롭게 하거나 돕는 행동으로서 보상을 기대하지 않는 것
- 사람에게는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돕고자 하는 천성이 있다는 것

2. 교환이론
- 교환이론은 행동에 있어 보상과 비용에 근거하여 인간 행동은 차후에
자신에게 돌아올 이득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
- 지불한 비용 이상의 가치 있는 보상을 기대하고 그에 따라 기부 정도를 결정

예) 사회로부터의 인정, 체면 유지, 경제적 능력의 과시, 조세감면 혜택 등

3. 효용 극대화 이론

- 인간이 소비로 얻는 행복은 주관적이며 다른 사람을 돕는 데서 오는


즐거움은 효용 극대화 행동의 하나로 간주
(가장 만족스러운 행동을 찾음)

- 사람마다 기부행동이 다른 것은 기부에 대한 다른 선호도 때문


기부행동을 설명하는 이론

기부 행동의 동기(예시)

▪ 미국에서 재단을 만드는 사람들의 자선활동 이유

1) 이타주의적인 사람들이어서

2) 재산관리의 한 방법으로

3) 종교적인 박애주의에 입각해서

4) 사회적으로 존경 받는 명사가 되기 위해서

5) 평소의 신념을 실천하기 위해서

6) 부모님이나 자녀 등 가족을 기념하고 연대를 보존하기 위해


기부캠페인 사례

‘아름다운 1% 나눔’ 캠페인

▶ 월급 1% 나눔
: 월급의 1%를 떼어 매달 기부하는 방식으로 참여

▶ 유산 1% 나눔
: 사후에 유산의 1%를 기부하겠다고 미리 약정하는 방식

▶ 용돈 1% 나눔
: 돼지저금통에 모든 동전, 용돈의 일부 기부

▶ 전문성 1% 나눔
: 홈페이지 디자인, 편집 디자인, 인테리어, 인쇄물 출력 등 전문적 기술 기부

▶ 기념 1% 나눔
: 출생, 돌, 생일, 수상, 승진 등 모든 기념일에 감사의 마음을 담아 기부
기부캠페인/마케팅 사례

The Social Swipe Campaign

- 독일 자선기부단체 미제레오르(Misereor)의 캠페인으로 디스플레이에


카드를 긁으면 2유로가 기부금으로 결제
- 대부분의 소비가 카드 결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
- 기부 행위의 결과물을 눈 앞에서 즉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효과 증대
기부캠페인 사례

아이스버킷챌린지

- 2015년 8월 기준 모금액 약 1,321억원


- 유명인사가 얼음을 뒤집어쓰는 쾌감과 캠페인에 지목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지목하는 놀이 방식을 활용, 기부 행위를 유쾌한 놀이로
기부캠페인 사례

CJ 미네워터 바코드롭 캠페인

- 병에 있는 바코드를 찍으면 생수 가격에 100원 추가 지불


- 소비자가 본인의 의사에 따라 능동적으로 참여 가능
- 2013년 1억 3천만원 유니세프를 통해 기부
- 2015년 기준 매출액 전년대비 3.5배 증가
기부캠페인 사례

퍼네이션(Funation)

- 재미(fun)와 기부(donation) 합성어


- 단순 기부금 전달을 넘어 즐거움을 느끼며 기부에 참여하는 활동

* 모바일 게임 앱 프리라이스(free rice)


- 퀴즈 풀때마다 ‘톨’을 적립, 누적된 톨은 극빈국 아동들에게 실제 쌀을
유엔을 통해 기부하는 구조로 퍼네이션 실천, 500만 명 분 식량 기부

http://freerice.com/
기부캠페인 사례

기부방방
기부캠페인 사례

빅워크(BigWalk)

- 10미터를 걸을 때마다 1원 적립, 적립금 만큼 후원기업에서 대신


기부를 해주는 형태
- 걷기 불편한 아이들에게 수술 및 치료비, 휠체어, 보조기 전달에 사용
- 작년 기준 어린이 25명에게 3억 2천여 만원 지원
요약하자면…

소비의 절제 / 간소한 삶의 실천 / 기부 / 나눔을 통해

자원을 소유하고 소비하는데 있어서의 새로운 관점을 적용해보고,

소비생활에서의 만족감, 나아가 삶에서의 행복과 풍요를 증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