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4.1 다음과 같은 지층에서 2, 4, 6, 8, 10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지표면에서 0 ~ 3m :  = 1.70
3 ~ 6m :  = 1.60
6 ~ 10m :  = 1.80

2m :   ×    

4m :   ×     ×    

6m :   ×     ×    

8m :   ×     ×     ×    

10m :   ×     ×     ×    

4.2 그림 4-4에서   ,   일 때, 흙속의 주어진 요소에 작용하는 전연직응력, 간


극수압, 유효연직응력을 구하라. 흙의 포화단위중량       , 물의 단위중량

   

전연직응력      ×      ×    


간극수압       ×      
유효연직응력   ′  전연직응력    간극수압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     
4.3 문제 4.1에서 지표면 아래 3m 깊이에 지하수위면이 있을 경우에 2, 4, 6, 8, 10m 깊
이에서의 전응력, 간극수압, 유효응력을 구하여라.  =  로 가정하라.

 전응력 u 간극수압 ′ 유효응력

2m  ×     ×       ×   

 ×    × 
4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m      ×           
 
 ×    × 
8m      ×           
 
 ×    × 
10m      ×          
 

4.4 지표면     의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집중하중 바로 아래 깊이 3, 6, 9, 12,


15m에서의 연직응력   를 구하라.

 
      
 

깊이 z(m) 3 6 9 12 15

      106.11 26.53 11.79 6.63 4.24


4.5 그림 4-6에서      의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집중하중의 작용점에서 x=2m,
y=3m 떨어진 곳에서 집중하중으로 인한 연직응력   를 깊이별로 구하고 도시하라.

 
   
        

z(m)    (kg/m  )
0 0

2 6.41

4 13.49

6 12.27

8 9.40

10 7.04

15 3.69

20 2.20

0 2 4 6 8 10 12 14
0

12

16

20

24
4.6 그림 4-10에서 A점의 깊이 z=6m 일 때, A점에서 발생하는 연직응력을 구하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1,000  , 750 , 900  의 선하중이 일직선상에 5m 간격으로 작용한다. 중앙하


중(750 ) 아래 4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 
   
      

1) 750t/m에 의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900t/m에 의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1000t/m에 의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8 매우 넓은 면적에 걸쳐 등분포하중     이 작용할 때 임의의 위치 아래 깊이
z=4m, 8m인 곳에 발생하는 연직응력을 구하라.

반무한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위치나 깊이에 관계없이 등분포하중이 지반내에


100% 전달되므로
      

4.9 그림 4-11에서     ,    이다. z=4m일 때 x=0m, 2m, 4m, 6m,에서의 연


직응력   를 구하라.

 
            
 

0 0 0 1 2 0.54 0.55 5.4 5.5

2 0.5 1 1 2 0.41 0.41 4.1 4.1

4 1 2 1 2 0.72 0.19 7.2 1.9

6 1.5 3 1 2 0.08 0.25 0.8 0.7

4.10 그림 4-14와 같은 제방에서 제방재료의 평균단위중량은   이다. 제방하중으로


인한 제방 중심선 아래 2m와 4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제방하중     ×    

z = 2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z = 4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1 반경 2.5m의 원형탱크에 50t/m  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1) 탱크의 중심 아래 4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   
           일 때 그림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2) 탱크 중심에서 수평거리 2.5m, 깊이 4m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   
           일 때 그림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3) 탱크 중심에서 수평거리 5m, 깊이 4m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   
          일 때 그림   에서  ≒ 
   
      ×   
4.12 그림 4-19와 같은 폭 B=2m, 길이 L=3m인 직사각형 재하면에 10 의 등분포하중
이 작용하고 있다. B점 아래 2m, 5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A점 아래 2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점 아래 5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3 그림 4-21과 같은 정사각형 기초에 90t의 하중이 작용할 때, 점 A에서 깊이 5m인 점
의 연직응력을 구하라.

4.14 2m×3m 크기의 직사각형 기초에 200   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기초 아래


1,m 3m, 5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2:1 경사법을 사용하여 구하라.

z = 1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z = 3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z = 5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5 그림 4-28과 같은 6m×3m 크기의 직사각형 기초가 30 의 등분포하중을 받고 있
다. A점 아래 5m 깊이에서의 연직응력을 그림 4-18의 영향계수와 Newmark의 영향원을
사용하여 각각 구하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3 4.5 0.6 0.9 0.1311 3.933
2) 3 4.5 0.6 0.9 0.1311 3.933
3) 3 1.5 0.6 0.3 0.0629 1.887
4) 3 1.5 0.6 0.3 0.0629 1.887

Newmark의 영향원
A점 깊이 Z = 5m
영향원에서 기준선 AB = 5m
기초면적 축척대로 축소
1.5m=> 5m : 2.8cm = 1.5 : x x = 0.84cm
6m=> 0.84cm X 4 = 3.36cm
3m=> 3.36/2 = 1.68cm
기초면적 안에 포함된 요소 개수 약 29개

       ×  ×     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