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4


#$“   북
⑵ ① TJO@"  
"$“  
"#“  
② DPT@"  
I. 삼각비 "$“  

1 삼각비 ③ UBO@"
#$“ 
 
"#“ 
"#“  
⑶ ① TJO@$  
01 삼각비 "$“  
7쪽~13쪽 #$“  
② DPT@$  
1 ⑴  ⑵  1- ⑴  ⑵  "$“  
"#“ 
2 ⑴ Å! ⑵ o ⑶ i ③ UBO@$  
#$“ 
2- ⑴ f ⑵ Å ⑶ f 
4- ⑴ "$“}x#$“ ™@"#“ ™@ā™@™@u

3 ⑴ o ⑵ Å! ⑶ o "$“  


⑵ TJO@#  
#$“  
3- ⑴ Å ⑵ f ⑶ o
DPTA#
"#“
!Å
#$“
 
4 ⑴  ⑵ ①



③ "$“ 
UBO@#  
"#“ 
 
⑶① ② ③
  "#“
⑶ TJO@$ !Å
4- ⑴   #$“
 "$“  
⑵ TJO@# , DPT@#Å, UBO@# DPT@$  
 #$“  
  "#“  
⑶ TJO@$Å, DPT@$ , UBO@$ UBO@$  
  "$“  
5 ⑴ ,  ⑵ ,  5- ⑴ ,  ⑵ , 
#$“ #$“
6 ⑴  ⑵  6- ⑴  ⑵ u 6 ⑴ DPT@# 

!이므로 #$“
"#“
 
7 , , , ,

,
 ⑵ "$“}x"#“ ™@#$“ ™ ā™@™@u

u u
7- , , , u,

,
 6- ⑴ UBO@"
#$“


Å이므로 "#“
"#“ "#“
8 ⑴ Å! ⑵ i 8- ⑴  ⑵  ⑵ "$“}x"#“ ™@ #$“ ™ ā™@ ™@uu

9 ⑴  ⑵  ⑶  9- ⑴  ⑵  ⑶ Å $


8 DPT@"o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

⑴ s$#" ⑵ C#$" ⑶ 
10 Y, Z 10- Y, Z
각형 "#$를 그릴 수 있다. 
11
∴ #$“ā™@™@u
 
⑷ TJO@Y , DPT@Y , UBO@Y

⑴ s#"$, s#)" ⑵ C$#" ⑶ 


  ⑴ TJO@"Å! " #

12
u u ⑵ UBO@"i
⑷ TJO@Y , DPT@Y , UBO@Y!
 
  8- $
13  14 
UBO@"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

삼각형 "#$를 그릴 수 있다.



1 ⑴ ™@™@ Y™@에서 Y™@ ∴ "$“ā™@ ™@u
"
∴ Yu ∵ Y
 #
⑴ TJO@"
⑵ 
™@™@ Y™@에서 Y™@
∴ Y ∵ Y
⑵ DPT@"

1- ⑴ ™@Y™@ ™@에서 Y™@


 
∴ Y ∵ Y
9 ⑴ TJO@± DPT@±



⑵ ™@ 
™@ Y™@ 에서 Y™@
⑵ DPT@± TJO@±Å Å
∴ Y ∵ Y

 
⑶ UBO@±@TJO@± DPT@±@ 
4 ⑴ "$“}x"#“ ™@ #$““ ™@}x 
™@x 
™@u  

I. 삼각비 1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9- ⑴ TJO@±DPT@±

 
 개념 14쪽~16쪽

  
⑵ UBO@±@UBO@±

@ 01 ③ 02  03  04 @DN™@
 
⑶ DPT@±@TJO@±UBO@±

@ Å
 05 ÅÅ 06 ⑤ 07 Å 08 o

Y 09  10 ④ 11 ① 12 ④
10 UBO@±

  ∴ Y  

   u
DPT@±    ∴ Z 13 Y, Z  14  15 
Z 

Y 
10- 1 DPT@±      ∴ Y   16  17 Å 18 Å

Z 
TJO@±    ∴ Z
01 "$“ā™@™@u 이므로

⑴ s%#&와 s$#"에서
 

11 #$“  
UBO@"  
"$“  

s%#&vs$#"@ "" 닮음)


C%&#C$"#±, C#는 공통이므로

⑵ s%#&vs$#"이므로 C#%&C#$"
02 #$“ā™@™@이므로
#$“ 
TJO@" 
⑶ "$“}x #$“ ™@x"#“ ™ }x 
™@™@ "#“ 
⑷ 직각삼각형 $#"에서 C#$"C#%&Y이므로 "$“
DPT@" 
"#“
   
TJO@Y  , DPT@Y  , UBO@Y! TJO@" 

⑴ s")$와 s#"$에서
    ∴ TJO@"–DPT@" –
DPT@" 
12  
 @

s")$vs#"$@ "" 닮음)


C")$C#"$±, C$는 공통이므로  

또, s")$와 s#)"에서
#$“
03 UBO@"

이므로 #$“

s")$vs#)"@ "" 닮음)


C")$C#)"±, C"$)C#")이므로 ∴ "$“ā™@ ™@u

⑵ s")$vs#"$vs#)"이므로 C$")C$#"
#$“  
∴ TJO@"  
"$“  

⑶ "#“}x #$“ ™@x"$“ ™ }x h


™@™@
"$“
⑷ 직각삼각형 #"$에서 C$#"C$")Y이므로 04 TJO@#

!이므로 "$“ DN

 u  u ∴ #$“ā™@™@u DN

∴ s"#$Å@@ DN™@

TJO@Y  , DPT@Y  , UBO@Y!


u  u 

13 직각삼각형 '()에서

s%')는 C%)'±인 직각삼각


')“ā™@ ™@u DN

% 05 DPT@"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



형이므로  ADN 직각삼각형 "#$를 그릴 수 있다.
ADN
'%“}x ')“ ™@x %)“ ™ #$“ā™@™@u이므로 " #
Y
' 
ā 
™@ ™@u DN
 ADN )
u u
TJO@" , UBO@"
%)“    
∴ TJO@Y  
'%“   u u
∴ TJO@"@UBO@" @ ÅÅ
 
14 직각삼각형 %#.에서

점 )는 s#$%의 무게중심이므로
%.“ā™@™@u DN

06 UBO@"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 $

삼각형 "#$를 그릴 수 있다.


%)“! %.“!@ DN

"$“ā™@ ™@u이므로
직각삼각형 "%)에서 "  u
TJO@"  "

#
u 
")“}x"%“ ™@%)“ ™@
ADN  u
 ADN DPT@" 
ā™@ 
™@u DN
u 
")“   Y
∴ TJO@Y   % u u u
  )  ADN ∴ TJO@" DPT@" 
"%“   

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vs&#%@ "" 닮음)이므로

s%')는 C%)'±인 직각삼각형이


07 15 직각삼각형 '()에서 ')“ā™@ ™@ 북

s"#$에서 #$“ā™@ ™@u이므로


C#$"C#%&Y %

므로  

"#“ '%“}x 
™@ ™@uhh
TJO@YTJO@$ Å!
#$“ ')“  u '
Y
∴ DPT@Y     )
"$“ '%“ u 
DPT@YDPT@$ y
#$“
16 두 직각삼각형 "#., %$.에서 "
∴ TJO@YDPT@YÅ

s"#$vs&%$@ "" 닮음)이므로 꼭짓점 "에서 s#$%에 내린 수선


".“%.“ā™@™@u 

의 발을 )라 하면 점 )는 s#$%의
08 %
# Y

s"#$에서 "$“ā™@™@u이므로
C"#$C&%$Y .
)
무게중심이므로 $

"$“ .)“Å%.“Å@ "


UBO@YUBO@# o
"#“

s"#$vs)"$@ "" 닮음)이므로


직각삼각형 ".)에서
 
09 ")“}x 
™@ 
™@u
 

s"#$에서 #$“ā™@ ™@u이므로


C"#$C)"$Y@ ")“   Y
∴TJO@Y   .
 )
".“  

"$“
TJO@YTJO@# f 17 직선이 Y축, Z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 #라 하고
#$“
YZ 에
"#“
DPT@YDPT@# e
#$“ Z을 대입하면 Y 이므로 "[ , ]
∴ TJO@Y DPT@Y 

s"#$vs)#"@ "" 닮음)이므로


Y을 대입하면 Z이므로 #[, ]
10
직각삼각형 "0#에서 0"“ , 0#“이므로

또, s"#$vs)"$@ "" 닮음)이므로


C"$#C)"#Y
0#“
UBO@B – @!Å
0"“

s"#$에서 #$“}x 


™@ ™@u이므로
C"#$C)"$Z
18 YZ 에
"$“ Z을 대입하면 Y이므로 " , 

DPT@YDPT@$ !Å
#$“ Y을 대입하면 Z이므로 # , 

"$“ 직각삼각형 "0#에서 0"“, 0#“이므로


TJO@ZTJO@# !Å
#$“
"#“ā™@ ™@u
∴ DPT@Y TJO@ZÅ Å
0#“ 0"“ 0#“
∴ TJO@"@DPT@"@UBO@" @ @
"#“ "#“ 0"“
11 @TJO@±@DPT@±@UBO@±  
 @ @!Å
   
@ @Å@
 

ÅÅ

12 TJO@± DPT@± TJO@±@DPT@±


02 예각의 삼각비
 
Å Å @ 18쪽~19쪽
 
1 ⑴  ⑵  ⑶  ⑷  ⑸ 
Å Å Å
1- ⑴  ⑵  ⑶  ⑷ 

s"#%에서 TJO@±
Y  ⑸ 
13  이므로 Y
 2 ⑴  ⑵  ⑶  ⑷  ⑸ 

s"%$에서 TJO@±  이므로 Z



   2- ⑴  ⑵  ⑶ 
Z  
3 ⑴ ◯ ⑵ × ⑶ ◯

s%#$에서 UBO@±
#$“ 3- ⑴ ◯ ⑵ ◯ ⑶ × ⑷ ◯
14 이므로 #$“
4
s"#$에서 UBO@±
 ⑴  ⑵  ⑶ 

이므로 "#“ 4- ⑴ ± ⑵ ± ⑶ ±
"#“

I. 삼각비 3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1 ⑴ TJO@±
"#“ "#“
 "#“ 03 주어진 삼각비의 값을 각각 구해 보면
0"“ 
0#“ 0#“ ①   ② Å  ③   ④   ⑤ 
⑵ DPT@±  0#“
0"“ 
이때 Å이므로 가장 큰 값은 ④ UBO@±이다.
$%“ $%“
⑶ UBO@±  $%“
0%“ 
직각삼각형 "0#에서 C0"#±±± 04 주어진 삼각비의 값을 각각 구해 보면

0#“ 0#“  
⑷ TJO@±  0#“ ㄱ.   ㄴ. Å  ㄷ.   ㄹ.   ㅁ.
  
0"“
"#“ "#“  
⑸ DPT@±  "#“ 이때 Å  이므로 작은 것부터 차례대로 나
0"“   
열하면 ㄹ, ㄴ, ㅁ, ㄱ, ㄷ이다.
"#“ "#“
1- ⑴ TJO@± 

"#“
0"“ 05 TJO@±이므로 Y±
0#“ 0#“ DPT@±이므로 Z±
⑵ DPT@±  0#“
0"“ 
UBO@±이므로 [±
$%“ $%“
⑶ UBO@±  $%“
0%“  ∴ Y Z [± ± ±±
직각삼각형 "0#에서 C0"#±±±
#$“
0#“ 0#“ 06 ⑴ TJO@±

 ∴ #$“
⑷ TJO@±  0#“
0"“ 
⑵ C"±±±이므로
"#“ "#“
⑸ DPT@±  "#“ #$“
0"“  UBO@±  ∴ #$“

2- ⑴ TJO@± DPT@± 
⑵ DPT@±@TJO@±@
실력 21쪽~22쪽
⑶ TJO@± DPT@±UBO@± 
01 ② 02  03 ① 04 ④
3 ⑵ "의 크기가 커지면 DPT@"의 값은 작아진다.
05 ① 06 ① 07  08 ②, ④

3- ⑴ "±일 때, TJO@"DPT@"
 
09 ① 10  11 
⑵ "±일 때, UBO@"이고, "의 크기가 커지면
UBO@"의 값도 커지므로 UBO@"y 12 TJO@"DPT@"
⑶ ±ƒ"±일 때, TJO@"yDPT@"
01 "$“ā™@ ™@u DN
이므로
4- ⑴ TJO@±이므로 Y±
   
⑵ DPT@±이므로 Y± TJO@"  , DPT@" 
   
⑶ UBO@±이므로 Y±
  
∴ TJO@" DPT@" 
  

02 UBO@"Å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



직각삼각형 "#$를 그릴 수 있다. "
 #
"$“ā™@ ™@u 이므로
개념 20쪽
 u  u
TJO@"  , DPT@" 
01 ④ 02 ② 03 ④ 04 ㄹ, ㄴ, ㅁ, ㄱ, ㄷ u  u 

05 ± 06 ⑴  ⑵  u u u


∴ DPT@" TJO@" 
  
u u u
$%“ $%“ DPT@"TJO@"  
01 UBO@Y  $%“   
0%“ 
DPT@" TJO@" u u u 
∴  –  @ 

s"#%vs)"%@ "" 닮음)이므로 C"#%C)"%Y


0#“ 0#“ DPT@"TJO@"    u
TJO@Z  0#“


C0"#C0$%Y이므로 s0"#에서
0"“

s"#%에서 #%“ā™@ ™@u이므로


03
02
0#“ 0#“ "%“ "#“
TJO@Y  0#“ TJO@Y Å>, DPT@Y Å!
0"“ 
#%“ #%“
"#“ "#“
DPT@Y  "#“ ∴ TJO@YDPT@YÅ
0"“ 

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① s$)#에서 UBO@± "%“"$“이므로 s"#$에서


$)“ 북
04 
이므로 $)“ DN

② s$)#에서 DPT@±

  DPT@±"#“Å, TJO@±#$“
 이므로 $#“ DN



③ s$")에서 UBO@±
$#“
∴ #%“ÅÅ

또, s"%&에서 UBO@±%&“

이므로 ")“ DN

")“
④ "#“")“ #)“  DN

⑤ s$")에서 DPT@±
따라서 사다리꼴 #%&$의 넓이는

Å이므로 $"“ DN
 
$"“ Å@[  ]@Å
 
05 이차방정식 Y™@ YB의 한 근이 DPT@±Å이므로
12
YÅ을 Y™@ YB에 대입하면 ±"±일 때 DPT@", TJO@"임을 이용한다.

@[Å]™@ @ÅB  ∴ B


±"±일 때, DPT@", TJO@"이므로
 DPT@", TJO@"
06 "±@
  
±이므로
∴ ā DPT@"
™@ ā TJO@"
™@
TJO@"@DPT@"@UBO@"TJOA±@DPTA±@UBOA± 
 DPT@"
 TJO@"
TJO@"DPT@"
 
Å@ @ Å
 
07 직각삼각형 '()에서 ')“ā™@ ™@u 중단원 23쪽~25쪽

직각삼각형 #')에서 #
01 ③, ⑤ 02 Å 03 ⑤ 04 
#)“ā™@ ™@u이므로  
 

05 Å! 06 ① 07 ② 08 ②
TJO@Y 
  Y
)  
 
'
 09  10  11 ④ 12 
DPT@Y 
 
 
13  14  15 ④ 16 ③
UBO@Y
17 ⑤ 18  19 
 
∴ TJO@Y@DPT@Y UBO@Y @ 
 
"$“ "$“ 01 #$“ā™@™@
08 ② DPT@Y 

"$“
"#“ #$“ 
① TJO@" 
#$“ #$“ "#“ 
④ DPT@[DPT@Z  #$“
"#“  #$“ 
② UBO@" 
"&“  "$“ 
⑤ UBO@[ 
%&“ %&“ #$“ 
④ DPT@# 
09 TJO@±이므로 Y± "#“ 

s"%$에서 "$“ā™@™@u
DPT@±이므로 Z±

s"#$에서 #$“ā™@™@u
02
∴ UBO@ YZ
UBO@±
10 #$“
∴ DPT@# Å
±의 삼각비의 값을 이용하여 "%“, $%“의 길이를 구한다. "#“

s"%$에서 TJO@±
 03 "#“L, #$“L@ L
라 하면 "
Å이므로 "%“
"%“ "$“ā L
™@L™@ L
$
  ÄaL™@L@ ∵ L
# L
UBO@±  이므로 $%“

s"#%에서 C#"%±±±이므로
$%“ 
L  L

s"#%는 이등변삼각형이다.
TJO@#  , UBO@# 
L  L
 
∴ TJO@# UBO@# 
∴ #%“"%“  

"$“   #$“
∴ UBO@±   
#$“     04 TJO@"

이므로 #$“

11 ∴ "#“ā™@™@u
±의 삼각비의 값을 이용하여 "#“, #$“, %&“의 길이를 구한다.
∴ s"#$Å@@

I. 삼각비 5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5 TJO@#o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

직각삼각형 "#$를 그릴 수 있다.  직선 ZQY R와 Y축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가 B이면
#
$ UBO@BQ@(직선의 기울기)
#$“ā™@™@u이므로

TJO@ ±#
TJO@"Å! C"12C$12@(접은 각),
14 ADN

s"#$vs"%&@ "" 닮음)이므로 C#C"%&


" ) 1 %
C"12C12$@(엇각)이므로 Y Y

s"&%에서 "%“ā™@™@u DN
이므로
ADN
06

즉, s12$가 이등변삼각형이므
C$12C12$ Y
# 2 $

"%“ u 3

s$23에서 $3“"#“@DN이므로
DPT@#DPT C"%&
  로 2$“1$“"1“@DN
%&“ 

07 TJO@±@UBO@±UBO@±@DPT@± 23“ā™@™@ DN

      점 2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   
     
)"“2#“23“@DN이므로
1)“"1“")“ DN

따라서 s)21에서 UBO@Y


 
08 DPT@"


 )2“   
 
 1)“  
이때 DPT@± 이므로 C"±

15 ① TJO@±"#“

09 TJO@±Å이므로 ② DPT@±0#“
③ UBO@±$%“
Y±±, Y±  ∴ Y±
④ C0"#±±±이므로 TJO@±0#“

∴ TJO@YTJO@±  
 ⑤ C0$%±이므로 UBO@± 
$%“ 

s"#$에서 TJO@±
"$“
10 
Å이므로 "$“ 16 주어진 삼각비의 값을 각각 구해 보면

s"%$에서 UBO@±
  
이므로 $%“ ①   ② Å  ③   ④   ⑤ 
 
$%“
 

s"#%에서 TJO@±
이때 Å  이므로 삼각비의 값 중에서 두
"%“   
11 
 이므로 "%“ DN

 번째로 큰 것은 ③ DPT@±이다.
C#"%±±±이므로 C%"&±±±

s"%&에서 TJO@±
17 ±"±일 때, TJO@"DPT@"이므로
%&“ 
 이므로 %&“ DN
TJO@"DPT@", DPT@"TJO@"
 
∴ā TJO@"DPT@"
™@ ā DPT@"TJO@"
™@
12 직각삼각형 '()에서 ')“ā™@ ™@ TJO@"DPT@" DPT@"TJO@"

직각삼각형 %')에서 %
@TJO@"@DPT@"
%'“}x 
™™@ ™@ 이므로  

  18 TJO@±|이므로 Y@
TJO@Y  Y
  '
)
 
  19 C$0%Y라 하면 0%“이므로 $
DPT@Y 
  $%“
UBO@Y 
   0%“
∴ TJO@Y@DPT@Y @ 
   삼각비의 표에서 UBO@±이므로 " 

s"0#에서 DPT@±0#“
Y±
13 직선 ZY 이 Y축, Z축과 만나는 Z ZY 
 
점을 각각 ", #라 하자. 
# Y
∴ #%“0%“0#“
ZY 에 Z을 대입하면 0 # %


  B
Y   ∴ Y " 0 Y

또, Y을 대입하면 Z 서술형 26쪽

 
따라서 "[

, ], # , 
이므로 0"“ , 0#“
 01 Å 01-1  02  03 

∴ UBO@B
0#“ 
–  04 L@DNš@
0"“ 

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vs#)$vs"#$@ "" 닮음)이므로


01 채점 기준 Y, Z와 크기가 같은 각 각각 찾기 U 1점 04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 원뿔 북

의 높이를 I@DN라 하면 ADN


IADN
C"$#C"#)Y, C#"$C)#$Z
DPT@±ŠÅ이므로 S UU ❶ ±

s"#$에서 "#“ā™@™@u
SADN
채점 기준 "#“의 길이 구하기 U 2점

또, TJO@± 이므로 I UU ❷

채점 기준 TJO@Y, TJO@Z의 값 각각 구하기 U 2점
∴ (원뿔의 부피)Å@ L@™@
@
TJO@YTJO@$o, TJO@ZTJO@"Å!
L DNš@
UU ❸
채점 기준 TJO@Y TJO@Z의 값 구하기 U 1점
채점 기준 배점
TJO@Y TJO@Zo Å!Å
❶ 밑면인 원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점
❷ 원뿔의 높이 구하기 점
❸ 원뿔의 부피 구하기 점

s"#$∽s&%$ "" 닮음)이므로


01-1 채점 기준 Z와 크기가 같은 각 찾기 U 1점

C$%&C$#"Z

s$%&에서 %&“ā™@™@
채점 기준 %&“의 길이 구하기 U 2점

채점 기준 DPT@Y, DPT@Z의 값 각각 구하기 U 2점 2 삼각비의 활용


DPT@Y, DPT@ZDPT C$%&

채점 기준 DPT@Y DPT@Z의 값 구하기 U 1점 01 삼각비와 변의 길이
28쪽~30쪽
DPT@Y DPT@Z 
1 , , ,  1- ⑴  ⑵ 

"#“의 중점 0가 s"#$의 외심이므로 s"#$는


2 ⑴  ⑵  2- ⑴  ⑵ 
02 3 ⑴  ⑵  ⑶  ⑷ u
C$±인 직각삼각형이다. 3- u
"#“"0“ 4 ⑴  ⑵  4- 
#$“ā™@™@u이므로 UU ❶ 5 ⑴ #)“I, $)“I ⑵  

#$“ 5- 
TJO@" e
"#“ 6 ⑴ #)“I, $)“I ⑵   

"$“ 6- 
UBO@#   UU ❷
#$“

∴ TJO@"@UBO@#@ 
UU ❸ 1- ⑴ UBO@± 이므로
"#“
채점 기준 배점  
"#“  
❶ "#“, #$“의 길이 각각 구하기 점 UBO@± 
❷ TJO@", UBO@#의 값 각각 구하기 점 
⑵ TJO@± 이므로
❸ TJO@"@UBO@#의 값 구하기 점 #$“
 
#$“ @ 
TJO@±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중점은 외접원의 중심, 즉 외심이다.
"#“
2 ⑴ TJO@±

이므로

03 "TJO@±@TJO@± DPT@±@DPT@± "#“@TJO@±@


   "$“
 @ @ UU ❶ ⑵ DPT@± 이므로
   
#TJO@±@DPT@±DPT@±@UBO@± "$“@DPT@±@

@Å@Å UU ❷
"#“
2- ⑴ UBO@±

이므로
∴ "™@ #™@ Å UU ❸
"#“@UBO@±@
채점 기준 배점 
❶ "의 값 구하기 점
⑵ DPT@± 이므로
"$“
❷ #의 값 구하기 점  
❸ "™@ #™@의 값 구하기 점 "$“  
DPT@± 

I. 삼각비 7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⑴ s"#)에서 ")“@TJO@±@
 6- s"#)에서 C#")±±±이므로
3 


⑵ s"#)에서 #)“@DPT@±@Å s"$)에서 C$")±C"$)±±±


#)“I@UBO@±I@I

⑷ s")$에서
⑶ $)“#$“#)“ 이므로
$)“I@UBO@±I@I

"$“}x ")“ ™@x $)“ ™ }x 


™@ ™@uu #$“#)“$)“이므로

)라 하면 s"#)에서
3-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II, I  ∴ I 
 

±
")“@TJO@±@Å # $
)
 
 개념 31쪽~32쪽
#)“@DPT@±@ 

01 ⑤ 02  03 ③ 04 @N
따라서 s")$에서
∴ $)“#$“#)“
05  06  07 ALN 08 @N
"$“}x ")“ ™@x $)“ ™ }x™@ 
™@u 09 ④ 10   
11  
@N

⑴ s#$)에서 $)“@TJO@±@
 12   
@N
4 

⑵ C"± ± ±


±이므로 s")$에서


01 ① TJO@"A이므로 BC@TJO@"
 
"$“ @ 
TJO@±  ② DPT@$A이므로 BC@DPT@$

)라 하면 s)#$에서
4-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D
± ) ③ UBO@$@"이므로 B
UBO@$
#)“@TJO@±@Å ± ± ④ DPT@"A"이므로 DC@DPT@"
# $
 
C"± ± ±
±이므로

s"#)에서 "#“
⑤ TJO@$A"이므로 DC@TJO@$
 
@ 

⑴ s"#)에서 C#")±±±이므로
TJO@± 
5 02 C$± ± ±
±이므로

s")$에서 C$")±±±이므로
#)“I@UBO@±I@I Y@TJO@±@
Z@DPT@±@

$)“I@UBO@±I@I ∴ Y Z 

⑵ #$“#)“ $)“이므로
"$“ 
I I,  
I 03 TJO@± 이므로 "#“ N

TJO@±
"#“

∴ I  

s"#)에서 C#")±±±이므로
 
04 (건물의 높이)#$“@UBO@±
5- @ N

s")$에서 C$")±±±이므로
#)“I@UBO@±I@I

)라 하면 s"#)에서
05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I@UBO@±I@I  

#$“#)“ $)“이므로  ±


")“@TJO@±@  # $
  )
I I, I  ∴ I  

⑴ s"#)에서 C#")±±±이므로
 
#)“@DPT@±@ 
6 

따라서 s")$에서
∴ $)“#$“#)“

s"$)에서 C$")±C"$)±±±
#)“I@UBO@±I@I

이므로 "$“}x")“ ™A $)“ ™Aā™@ ™@u


$)“I@UBO@±I@I

)라 하면 s")$에서
⑵ #$“#)“$)“이므로 06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II, 
I 

 
∴ I   
")“@TJO@±@  ± ±
 #
)
$


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C#± ± ±
±이므로   

s"#)에서 "#“

"#“")“ #)“이므로 I I, I
 
 
@  
TJO@±  ∴ I  

 
따라서 기구의 높이는  
@N이다.

)라 하면 s"#)에서
07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ALN
12 꼭짓점 $에서 "#“의 연장선에 내린 ± $
 ±
")“@TJO@±@  LN
# ) $ 수선의 발을 )라 하고 $)“I@N ± IAN

ALN

s$")에서 C"$)±이므로
라 하면 ± ±
#)“@DPT@±@Å LN
"
AN # )

따라서 s")$에서 s$#)에서 C#$)±이므로


∴ $)“#$“#)“ LN
")“I@UBO@±I N

"$“}x ")“ ™@x $)“ ™ }x 


™@ ™@ LN
#)“I@UBO@±I N

"#“")“#)“이므로 II, 


I
08 C$± ± ±
±이므로 $

∴ I   

)라 하면 s$")에서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AN
따라서 산의 높이는   
@N이다.
± ±
 " #
")“@TJO@±@  N

따라서 s"#)에서


")“ 
"#“ @  N

TJO@± 

")“I라 하면 s"#)에서
02 삼각비와 넓이
09 "
±
34쪽~35쪽
±
C#")±±±이므로 1 ⑴  ⑵  1- ⑴  ⑵ 
I
2 2-
s")$에서
#)“I@UBO@±I ± ±
⑴  ⑵  ⑴  ⑵ 
# $
) 3 ⑴  ⑵  3- ⑴  ⑵ 

C$")±±±이므로 4 ⑴  ⑵  4- ⑴  ⑵ 

⑴ s"#$Å@@@TJO@±
$)“I@UBO@±
#$“#)“ $)“이므로 I I@UBO@± 1
  
∴I ∴")“ Å@@@ 
 UBO@±  UBO@± 

")“I라 하면 s"#)에서 ⑵ s"#$Å@@@TJO@±


10 ±
"

C#")±±±이므로 
Å@@@ 
± 

s"$)에서
I
#)“I@UBO@±I

#
± ±
1- ⑴ s"#$Å@@@TJO@±
$ )
C$")±±±이므로 

Å@@@Å

⑵ s"#$에서 "#“"$“이므로

$)“I@UBO@± I

#$“#)“$)“이므로
C$C#±
 
I I, I   ∴ C"± ± ±
±

∴ s"#$Å@@@TJO@±
 

∴ I   
∴ ")“  


Å@@@Å

⑴ s"#$Å@@@TJO@ ±±

11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s$")에서 C"$)±이므로
±
)라 하고 $)“I@N라 하면 ± 2
IAN
± ± 
" # Å@@@ 

s$)#에서 C#$)±이므로
) 

⑵ s"#$Å@@@TJO@ ±±

")“I@UBO@±I N
AN


#)“I@UBO@± I N
Å@@@Å


I. 삼각비 9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⑴ s"#$Å@@@TJO@ ±±

s"#$
2- 03 "$“를 그으면
  DN
"
#
 ADN
Å@@@  ADN


⑵ s"#$Å@@@TJO@ ±±

±
Å@@@TJO ±±
±
$ %
ADN
Å@@@Å DN™@

s"$%Å@@@TJO@±

Å@@@ 


3 ⑴ f"#$%@@TJO@± Å@@@

 DN™@

∴ f"#$%s"#$ s"$%


@@ 


f"#$%@@TJO@ ±±

⑵ C#C%±이므로   DN™@

s"#%
@@

 04 #%“를 그으면 " ADN %


⑴ f"#$%@@TJO@±
ADN ±

3- Å@@@TJO@ ±±
#  ADN

@@Å

⑵ f"#$%@@TJO@ ±±

  ADN ±
Å@@@  DN™@

s#$%Å@@@TJO@±
$


@@ 


⑴ f"#$%Å@@@TJO@±

Å@@@  DN™@

∴ f"#$%s"#% s#$%

4

Å@@@Å   DN™@

⑵ f"#$%Å@@@TJO@ ±±

05 f"#$%@#$“@TJO@±
 
Å@@@  @#$“@ 
 

⑴ f"#$%Å@@@TJO@±
@#$“  ∴ #$“ DN

4-


f"#$%Y@Y@TJO@ ±±

Å@@@

 06 마름모의 한 변의 길이를 Y@DN라 하면

⑵ f"#$%Å@@@TJO@ ±±

Y™@@Å

Å@@@ 
 Y™@  ∴ Y ∵ Y

따라서 마름모의 한 변의 길이는 @DN이다.

개념 36쪽 07 #%“ "$“이므로 #%“Y@DN라 하면 "$“!Y@DN

01 ± 02 @DN 03 @DN™@ 04 @DN™@ f"#$%Å@Y@!Y@TJO@±


05 @DN 06 @DN 07 @DN 08 @DN 
ÅY™@@ 

s"#$Å@@@TJO@#이므로

01 Y™@  ∴ Y ∵ Y

 ∴ #%“ DN

@TJO@#  ∴ TJO@#   


f"#$%는 등변사다리꼴이므로 #%“"$“Y@DN라 하면



이므로 C#± 08
f"#$%Å@Y@Y@TJO@ ±±

이때 TJO@±


02 s"#$Å@#$“@@TJO@ ±±


ÅY™@@ 
Å@#$“@@Å 
Y™@  ∴ Y ∵ Y

 #$“  ∴ #$“ DN


∴ #%“ DN

1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북
실력 37쪽~38쪽 ∴ I  

 
01 ④ 02 ③@ 03   
@DN 따라서 육지에서 섬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는  
@N

04   
@DN™@ 05  
@N 이다.

06 @DN™@ 07 ± 08 ⑤@ 09 


 06 UBO@#Å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
10 ②@ 11 u@DN 12 
@DN
직각삼각형 "#$을 그릴 수 있다. 
13 L
@DN™@ "#“ā™@ ™@이므로 #
$


s"#)에서 #)“C@DPT@± C
 
TJO@# 

∴ s"#$Å@@@TJO@#
  
01 

s")$에서 $)“B@DPT@±

B
 
Å@@@  DN™@

  B C 
∴ #$“#)“ $)“ C B

s"#$Å@@@TJO@ ±#
이므로
  

s%()에서 ()“@DPT@±@
 07
02 
 DN


TJO@ ±#

%)“@TJO@±@Å DN


∴ (직육면체의 부피)@@ DNš@
이때 TJO@± 이므로


s$")에서 $)“@TJO@±@
±#±  ∴ C#±

03 
 DN

)라 하면 s"#)에서
08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DPT@±@Å DN
이므로 ADN
# ±

s$)#에서
#)“"#“")“ DN
) $

"#“
TJO@±
#$“}x 
™@ ™@u DN

@  DN


∴ s$)#의 둘레의 길이)#)“ $)“ #$“

로 s"#$는 이등변삼각형이다.
C%"$C#"$@(접은 각), C%"$C#$"@(엇각)이므
   DN

s"#)에서 C#")±이므로
04 즉, #$“"#“@DN

∴ s"#$Å@"#“@#$“@TJO@±
")“I@DN라 하면 "
±
±
IADN

s"$)에서 C$")±이므로
#)“I@UBO@±I DN
± ±
# 
ADN $ ) Å@@@  DN™@


$)“I@UBO@±I DN

#$“#)“$)“이므로 09 정팔각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개의 합 "



II, 
I 동인 삼각형으로 나누어진다. ±
#
 0"“0#“이고 0 
∴ I   

∴ s"#$Å@@  


C"0#Å@±±이므로

s"0#Å@@@TJO@±
  
DN™@


05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 Å@@@ 
" ± 
±
을 )라 하면 ")“의 길이가 육지에 IAN ∴ (정팔각형의 넓이)s"0#@
± ±

s".$Ås"#$
서 섬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이다. # ) $
AN

s"#)에서 C#")±이므로
")“I@N라 하면 10

Å@Å f"#$%Å f"#$%

s")$에서 C$")±이므로
#)“I@UBO@±I N

Å@ @@TJO@±

$)“I@UBO@±I N


Å@[@@ ] DN™@

#$“#)“ $)“이므로 I I,  


I 

I. 삼각비 11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11 01 DPT@±

이므로 #$“

#$“ DPT@±
보조선을 그어 #%“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만든다.
02 #$“@UBO@±@ N

꼭짓점 %에서 #$“의 연장선에 내린 " %


∴ (나무의 높이)  N

s"#$에서 "$“@UBO@±@ N

수선의 발을 )라 하면 ADN
±

s%#$에서 $%“@UBO@±@ N

±
%$“"#“@DN, # ) 03
ADN $
C%$)C"#$±이므로
∴ "%“"$“$%“ N

$)“@DPT@±@Å DN

하면 s0#)에서
 04 점 #에서 0"“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0
%)“@TJO@±@  DN
ADN
 ±

따라서 s%#)에서
#)“#$“ $)“  DN
 )
0)“@DPT@±@ # #

"
#%“}x #)“ ™@x %)“ ™ }x™@ 
™@u DN
 DN

따라서 추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을 때, " 지점을 기준으로


12
s"#$s"#% s"$%임을 이용한다.

@DN의 높이에 있다.

s"#$s"#% s"$%이므로
05 두 점 ", %에서 #$“에 내린 수선 " %

s"#)에서
의 발을 각각 ), )이라 하면 ADN

± ) )
Å@@@TJO@± # $
 ADN
")“@TJO@±@
Å@@"%“@TJO@± Å@@"%“@TJO@± 
 DN

@"%“@Å @"%“@Å
#)“@DPT@±@Å DN


 "%“  ∴ "%“ DN
$)“#)“@DN이므로

"%“))“  
 DN

∴ f"#$%Å@  
@ DN™@

13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부채꼴 "01의 넓이에서 s"01의
넓이를 뺀 것임을 이용한다.

라 하면 s#$)에서
06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s"01에서 0"“01“이므로
1 ± )
01“를 그으면
± 
#)“@TJO@±@ ± ±
±
±  # $
C01"C0"1± " # AN
  DN 0  N

∴C"01± ± ±

C"± ± ±


±이므로

s"#)에서 "#“
±
#)“ 
∴(색칠한 부분의 넓이) @  N

TJO@± 

")“I라 하면 s"#)에서
(부채꼴 "01의 넓이)s"01
07 " ±
L@ 
™@@Å! 
Å@@@TJO@ ±±

C#")±±±이므로 ± I
± ±

s")$에서 C$")±±±이므로
 #)“I@UBO@±I #
)
$
LÅ@@@ 

L DN™@

$)“I@UBO@±I
중단원 39쪽~41쪽 #$“#)“ $)“이므로 I I,  
I

01 ⑤ 02 ② 03 
@N 
∴ I  

∴ s"#$Å@@ 
 

 
04 ④ 05 ④ 06 ③
07  
08 ② 09 ①

10 @DN™@ 11 @DN 12 L
@DN™@ 08 꼭짓점 $에서 "#“의 연장선에 내린 $
 ±

$)“I@LN라 하면 s$")에서
수선의 발을 )라 하고 ±
13 ④ 14 ⑤ 15 ① 16 @DN™@ IALN
±
17 ③ 18 @DN 19 분 ±
"ALN # )
C"$)±±±이므로

1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에서 C#$)±±±이므로
")“I@UBO@±I LN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은 정삼각형 북
± ADN
개로 나누어진다. ADN
0
#)“I@UBO@±I LN
∴ (정육각형의 넓이)
"#“")“#)“이므로 II, 
I
[Å@@@TJO@±]@

∴ I   

 [Å@@@ ]@

따라서 지면에서 인공위성까지의 높이는   
@LN
 DN™@

f"#$%@@TJO@±
이다.

s"#$에서 "#“"$“@DN이므로
15
09 " 
@@  DN™@


C$C#±
± 네 삼각형 1"#, 1#$, 1$%, 1%"의 넓이는 모두 같으
∴ C"± ± ±
± ADN ADN

∴ s"#$Å@@@TJO@±
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Å f"#$%Å@


± ±
# $
Å@@@Å
 DN™@

go DN™@

16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ADN

점 (가 s"#$의 무게중심이므로
선의 발을 '라 하면 s"#&에서
점 #에서 $%“의 연장선에 내린 수 " %
10
s"($Ås"#$
ADN
±
C"#&C%$(±, # $ (
&
'
"&“@DN이므로
Å@[Å@@@TJO@±]
 
"#“ @  DN

s#'$에서 C#$'C%$(±, #'“@DN이므로


TJO@± 

Å@[Å@@@ ] DN™@


 

s"#$Å@@@TJO@± DN™@

#$“ @  DN

∴ f"#$%"#“@#$“@TJO@±
TJO@± 
11

s"#%Å@@"%“@TJO@± "%“ DN™@


@@

 DN™@

s"$%Å@@"%“@TJO@±"%“ DN™@

s"#$s"#% s"$%이므로
17 C"0#Y@ ±Yƒ±
라 하면

f"#$%Å@@@TJO@Y@TJO@Y DN™@

Y±일 때 TJO@Y로 최대이므로 f"#$%의 넓이의


 "%“ "%“,  "%“

 최댓값은
∴ "%“ DN


@ DN™@

12 (색칠한 부분의 넓이) 18 f"#$%Å@@ 1#“ 


@TJO@±

Å@L@™@Å@@@TJO@ ±±

Å@@ 1#“ 
@ 

 
LÅ@@@ 1#“ 
, 1#“ 
 
L DN™@
∴ 1#“ DN

"$“∥%&“이므로 s"$%s"$&
(엇각)이므로 s"#$에서
19 C"$#C%"$±@ " ± %

∴ f"#$%s"#$ s"$%
13
AN
  ±
s"#$ s"$& #$“  # 지면 $
UBO@± 
 N

s"#&Å@  
@@TJO@±
따라서 # 지점에 있던 구조 요원이 분속 @N로 달려 $ 지점

Å@@@ 에 도착하는 데 걸린 시간은

 DN™@
–(분)

I. 삼각비 13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 (원뿔의 부피)Å@L@™@@
서술형 42쪽

L DNš@
UU ❹

01 @N 01-1  
@N 02  채점 기준 배점

03 L@DNš@ 04 @DN™ ❶ 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체도형 알기 점


❷ "$“의 길이 구하기 점
❸ #$“의 길이 구하기 점

"#“@N이므로 s"#)에서
01 채점 기준 ")“의 길이 구하기 U 3점 ❹ 입체도형의 부피 구하기 점


")“@TJO@±@  N

 04 "$“를 그으면 "

s"#$Å@@@TJO@±
ADN

s$")에서
채점 기준 산의 높이인 $)“의 길이 구하기 U 3점 %
ADN ±
  DN
$)“@UBO@±@ N
 ±
Å@@@ # $
   DN
따라서 산의 높이는 @N이다.
 DN™@
UU ❶

s"$%Å@@@TJO@ ±±

$%“@N이므로 s"$%에서
01-1 채점 기준 "%“의 길이 구하기 U 2점 
Å@@@  DN™@

∴ f "#$%s"#$ s"$%
UU ❷


"%“@UBO@±@  N

   DN™@


UU ❸

s$#%에서
채점 기준 #%“의 길이 구하기 U 2점

❶ s"#$의 넓이 구하기
채점 기준 배점

❷ s"$%의 넓이 구하기
점

❸ f"#$%의 넓이 구하기
#%“@UBO@±@ N
점
점
채점 기준 ㈏ 건물의 높이 구하기 U 2점
"#“"%“ #%“  N

따라서 ㈏ 건물의 높이는  


@N이다.

02 #%“B B
라 하면 "%“B이고

s%#$에서 $%“
B
B@B

따라서 s"%$는 "%“$%“B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UU ❶
TJO@±

이때 s%#$에서 C$%#±±±
C"C"$%Y

s"%$에서 Y Y±이므로
Y±  ∴ Y± UU ❷

∴ UBO@YUBO@± UU ❸

채점 기준 배점
❶ #%“, "%“, $%“의 길이를 한 문자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기 점
❷ Y의 크기 구하기 점
❸ UBO@Y의 값 구하기 점

03 주어진 직각삼각형 "#$를 직선 M을 회 "

전축으로 하여 회전 시킬 때 생기는 입 ADN


체도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원뿔이다.
±
UU ❶ # $


"$“@TJO@±@  DN
UU ❷


#$“@DPT@±@Å DN
UU ❸

1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직각삼각형 "0.에서 북

1 원과 직선 S™@™@ S
™@ ∴ S

4- 원 모양의 접시의 중심을 0라 하면 $

01 원의 현 현 "#의 수직이등분선인 $.“의 연 " .


ADN
#
ADN ADN
45쪽~48쪽
장선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0를 SADN
1 ⑴  ⑵  1- ⑴  ⑵  S
ADN
지난다. 0
2 ⑴ ⑵ 2- ⑴ ⑵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하면
3 ⑴  ⑵  3- ⑴  ⑵ 

s"0.에서
0"“SADN 0.“ S
DN
4 S, "#“, , , , S, 

4- 
DN
S™A™A S
™A S ∴ So
5  DN 5-  DN
6 @DN 6- @DN 따라서 원 모양의 접시의 반지름의 길이는 o@DN이다.
7 ⑴ ⑵ 7- ⑴  ⑵ 
8 ± 8- ± 5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이라 하면 SADN 0 
SADN

1 ⑴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면 현의 길이가 같으므로 Y ".“Å "#“Å@ DN


" ADN . #
⑵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AA±AAY, AAAAY ∴ Y
0"“S@DN, 0.“ÅS@DN

1- ⑴ 현의 길이가 같으면 중심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Y s0".에서


⑵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S[ÅS] , S, S
Y±AA±AAAA Y ∴ Y
이때 S이므로 S@

2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이등분하므로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⑴ Y".“
5-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⑵ YÅ"#“Å@ 발을 .이라 하면 SADN 0  SADN

 ".“Å"#“Å@ DN
" #
.
2-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이등분하므로 ADN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⑴ Y".“@
0"“SADN 0.“ÅSADN

s0".에서
⑵ YÅ"#“Å@

3 ⑴ s0".에서 S™A[ÅS]A 


™@, S™A, S™A
".“ā™@™@
이때 S이므로 S@
∴ Y".“

⑵ ".“Å"#“Å@이므로 s0".에서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0에서 "#“에


Yā™A™Au 내린 수선의 발을 .이라 하면 0

⑴ s0#.에서
ADN

s0".에서
0"“@DN, 0.“@DN
" #
3- .
ADN
#.“ā™@™@u
".“ā™@™@ DN

∴ Y#.“@

⑵ #.“Å"#“Å@이므로 s0#.에서
∴ "#“".“ DN

6-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0에서 "#“에 내


Yā™A ™Au .
" ADN #
린 수선의 발을 .이라 하면

s"0.에서
0"“@DN, 0.“@DN 0
ADN
4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0"“S@DN, 0.“ S
DN
".“ā™@™@ DN

".“Å "#“Å@ DN
이므로 ∴ "#“".“ DN

Ⅱ. 원의 성질 15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7 ⑴ 0.“0/“이므로 Y"#“
05 ".“Å"#“Å@ DN

⑵ "#“#.“@, 즉 "#“$%“이므로
$.“은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 $
Y0.“
로 $.“의 연장선은 원의 중심을 지
" #
. ADN
7- ⑴ 0.“0/“이므로 Y"#“#.“@ 난다.
ADN

s"0.에서
⑵ "#“$%“이므로 Y0/“ 원의 중심을 0라 하면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0

8
0.“āu DN

∴ CYC$±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 $.“ DN

8-
06 ".“Å "#“Å@ DN

∴ C$C#±
∴ CY±@±± $.“은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 ADN
" #
$.“의 연장선은 원의 중심을 지난다. .
ADN
원 모양의 접시의 중심을 0, 반지름의 길
0
이를 S@DN라 하면

s"0.에서
0"“SADN 0.“ S
DN
개념 49쪽~50쪽

S™A S
™A ™A S ∴ S
01 @DN 02 @DN 03 u@DN 04 @DN
따라서 원래 원 모양의 접시의 둘레의 길이는
05 @DN 06 L@DN 07 @DN 08 @DN
L@L DN

09 @DN 10 @DN 11 ± 12 ±


07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01 "#“∥$%“이므로 $
% .이라 하면 0 ADN
±

$0“를 그으면 s$0%는 이등변삼


ADN
C$%0C#0%± (엇각) 0.“Å@ DN

0"“@DN이므로 s0".에서
± " #
" .
0 #

각형이므로
".“ā™A™Au DN

C$0%±@±±
∴ "#“".“@ DN

±AA±p$%AA이므로
AAp$%AA ∴ p$% DN
08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이라 하면 0

02 "%“∥0$“이므로 ADN %
".“Å"#“Å@ DN

.
" ADN #

0%“를 그으면 s"0%는 이등변삼각형


$
C%"0C$0#± (동위각)
± ±
" 0
#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하면

이므로 0"“SADN 0.“ÅSADN

s0".에서
C"0%±@±±
±AA±AAp#$이므로
S™A[ÅS]A ™A S™A, S™A
AAAAp#$ ∴ p#$ DN

이때 S이므로 S@
03 ".“Å"#“Å@ DN
따라서 원의 중심 0에서 "#“까지의 거리는

0"“를 그으면 s0".에서 0 0.“Å@ DN

ADN
0"“ā™A ™Auu DN
"
.
#
ADN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직선 M 위에 있지 않은 점 1와 직선 M 1

uADN이다. 사이의 거리는 점 1에서 직선 M에 내린 점 1와 직선 M


사이의 거리
수선의 발 )까지의 거리이다.
M
04 0#“S@DN라 하면 0.“ S
DN 1)“의 길이 )

s0#.에서 s0#.에서
#.“".“ADN이므로
09
S™@ S
™@ ™@, S ∴ S #.“ā™@™@u DN

∴ 0#“@DN ∴ $%“"#“#.“@ DN

1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0".에서
10 ".“#.“@DN이므로 04 0"“를 그으면 북

s0"1에서
0"“02“  DN
이므로 0 ADN
0.“ā™A™Au DN
" #
1
ADN
"#“$%“이므로 0/“0.“ADN "1“ā™A™Au DN

f".0/에서
2
∴ "#“"1“@ DN

11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C"± ± ± ±
± 05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 $

발을 )라 하면 ) 0
ADN
∴ CYÅ@ ±±
± #)“Å"#“Å@ DN
ADN ADN

f#)0.에서
# %
0#“Å#$“Å@ DN

s0#)에서
12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C#± ± ± ±
±
0)“ā™A™A DN

∴ CY±@±± "#“$%“ADN이므로 원의 중심 0에서 두 현 "#, $%


까지의 거리는 서로 같다.
따라서 두 현 "#, $% 사이의 거리는
0)“@ DN

f".0/에서
실력 51쪽
06
01 @DN 02 @DN 03 @DN™@ 04 ④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C"± ± ± ±
±
05 ⑤ 06 @DN 07 L
DN

∴ C#C$Ų@ ±±
±

따라서 s"#$는 정삼각형이므로


01 0"“를 그으면
0"“0$“@DN 0
#$“"#“".“@ DN

"1“Å"#“Å@ DN

s0"1에서
ADN
1
" #
$ ADN 07
01“ā™@ 
™@u DN
주어진 그림에서
∴ 1$“0$“01“ DN
(색칠한 부분의 넓이)(부채꼴 "0#의 넓이)s0"#
이므로 먼저 부채꼴 "0#의 반지름의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
를 구한다.
02 0%“Å $%“Å@ DN
이므로

0.“ DN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0"“를 그으면 " )라 하면 0

s"0.에서
0"“0%“@DN이므로 ADN
)
0 ")“Å"#“Å@ DN

$ % " ADN #
.
ADN
".“āu DN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
∴ "#“".“@ DN
0"“SADN 0)“ÅSADN

s0")에서
03 s"#$가 "#“"$“인 이등변삼각형이 "

므로 0"“를 그어 #$“와 만나는 점을 ) # ) $ S™A[ÅS]A 


™A, S™A, S™A
라 하면 ")“⊥#$“이고 0"“@DN 0 이때 S이므로 S
ADN
$)“Å#$“Å@ DN
즉, 0"“ADN, 0)“ADN이므로

s0$)에서
0$“를 그으면 0$“@DN이므로 DPT C"0)
Å에서 C"0)±

∴ C"0#C"0)@±±
0)“}x™A 
™A DN
∴ (색칠한 부분의 넓이)(부채꼴 "0#의 넓이)s0"#
")“0"“0)“ DN
이므로

s"#$Å@@ DN™@

L@™A@Å!
Å@@

L DN™A

Ⅱ. 원의 성질 17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5- "#“ $%“"%“ #$“이므로
직각삼각형에서 변의 길이를 이용하여 직각이 아닌 내각의 크  Y  ∴ Y
기를 구할 때는 특수한 각의 삼각비를 이용한다.
 
① TJO@YÅ, DPT@Y , UBO@Y
 
Y±
 
② TJO@Y , DPT@Y , UBO@Y
 
Y±

③ TJO@Y , DPT@YÅ, UBO@Y 개념 55쪽~57쪽

Y± 01 @DN 02 @DN 03 @DN 04 ±
05 L@DN 
06 @DN 
07 @DN 08 @DN
09 @DN 10 @DN 11 @DN 12 @DN
13 @DN 14 @DN 15 @DN 16 @DN
17 @DN 18 @DN

C1"0±이므로 s"10에서
02 원의 접선
53쪽~54쪽 01
1 @DN 1-  1"“āu DN

2 ± 2- ± 1#“1"“@DN이므로


3 ± 3- ± 1"“ 1#“  DN

4 ⑴ #%“, $'“ ⑵ 
02 0"“05“@DN이므로
4- 

C150±이므로 s015에서
10“1"“ 0"“  DN

5  5- 

1 C0"1±이므로 s01"에서 15“ā™A™Au DN

0"“ā™A™Au DN
∴ 15“15“@DN

C1"0±, C1#0±이므로 f"1#0에서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C0"1±이고 0"“0#“이므로 s01"에서


03

이때 1"“1#“이므로 s1"#는 정삼각형이다.


1- C1± ± ± ±
±

따라서 s1"#의 둘레의 길이는


1"“ā™A™Au

2 C1"0±, C1#0±이므로 f"1#0에서


@ DN

C1± ± ± ±


±

C1"0±, C1#0±이므로 f"1#0에서 04 C1"0±이므로


2-

1"“1#“이므로 s1"#는 이등변삼각형이다.


C1"#±±±
C"0#± ± ± ±
±

3 1"“1#“이므로 s1"#는 이등변삼각형이다.

s1"#에서
∴ C1#"C1"#±
∴ C1#"Å@ ±±
±

1"“1#“이므로 s1"#는 이등변삼각형이다.


C1±@±±

C1"0±, C1#0±이므로 f"1#0에서


3-
∴ C1±@±± 05
C"0#± ± ± ±
±
4 ⑴ "%“"'“이므로
따라서 색칠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는 ±±±
#%“, $'“
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⑵ #$“
#&“ $&“#%“ $'“ 
L@@!>
L DN

4- $'“$&“이므로

s1"0fs1#0 3)4 합동)


"'“, #&“ 06 C1"0C1#0±이므로

s1#0에서 C01#±이므로
∴ "#“"%“ #%“"'“ #&“ 

5 "#“ $%“"%“ #$“이므로


0#“ TJO ±@Å DN

  Y ∴ Y

1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에서 "$“ā™@™@©u DN




1#“ DPT ±@  DN
13 북

∴ f"1#0s1#0@[Å@@ ] DN

 "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하면 $&“$'“SADN이므로
ADN S
ADN
#%“#&“ S
DN  %
07 #'“#%“ DN

"%“"'“ S
DN
0 '
SADN
"&“"%“ADN이므로 #
&
$
"#“#%“ "%“이므로 S
ADN
SADN
$'“$&“ DN

 S
S

∴ #$“#'“ $'“  DN

S ∴ S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08 "%“"&“, #%“#'“, $&“$'“이므로

s"#$에서 "$“ā™A™Au DN

s"#$의 둘레의 길이)"#“ #$“ "$“


"#“ #'“ $'“
"$“

s"#$s0"# s0#$ s0$"이므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하면
 "#“ #%“
$&“ "$“

"%“ "&“"&“
Å@@Å@@S Å@@S Å@@S
@  
 DN

S ∴ S
09 %&“%"“@DN, $&“$#“@DN이므로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  DN

$
14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ADN "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ADN %
SADN라 하면 ADN ADN
)라 하면 & ADN 0 '
% )
"'“"%“ADN, SADN

s$%)에서
$)“$#“#)“ DN
ADN ADN #
ADN & $
" #
#&“#%“@DN, SADN
0
$&“$'“SADN이므로
%)“ā™A™Au DN

s"#$에서
"$“  S
ADN, #$“  S
ADN
∴ "#“%)“ADN

10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   S


  S
, S S

발을 )라 하고 #$“YADN라  Y
ADN S
S 
 ∴ S 또는 S
Y
ADN
하면
& 이때 S이므로 S
) $
%&“%"“@DN, YADN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 ADN 0 #
$&“$#“Y@DN이므로 15 "#“ $%“"%“ #$“이므로
%$“%&“ $&“ Y DN
f"#$%의 둘레의 길이) "#“ $%“

%)“%"“")“Y DN
@  
 DN

s$%)에서
)$“"#“@ DN

16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DN이므로

Y
™A ™A  Y
™A, Y ∴ Y "#“@ DN

"%“ #$“"#“ $%“  DN

∴ f"#$%Å@ "%“ #$“


@"#“
∴ #$“ADN

11 "'“Y@DN라 하면
Å@@ DN™@

"%“"'“Y@DN이므로
#&“#%“ Y
DN, $&“$'“ Y
DN
17 s%&$에서
#$“#&“ $&“이므로
$&“ā™@u DN

 Y
Y
, Y ∴ Y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Y@DN라 하면 "%“ Y 
@DN
∴ "'“ADN

"#“ %&“"%“ #&“에서


12 "%“"'“, #%“#&“, $&“$'“이므로
  Y 
Y, Y ∴ Y
"#“ #$“ "$“ "%“ #&““ $'“

∴ #&“@DN

%&“Y@DN라 하면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 "%“ #&“ $'“Å "#“ #$“ "$“

18
Å@   
 DN
"#“ %&“"%“ #&“에서

Ⅱ. 원의 성질 19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에서 C#± ± ±
±
#%“#&“이므로 s#&%는 이등변삼각형이다.
 Y #&“ ∴ #&“Y DN
06

s%&$에서
$&“#$“#&“ Y
Y DN
이므로@

∴ CYÅ@ ±±
±
Y Y
 , Y ∴ Y
∴ %&“@DN
07 "%“"'“@DN이므로 #&“#%“ DN

∴ #$“  DN

따라서 s"#$의 둘레의 길이는


$'“$&“@DN이므로 "$“  DN

"#“ #$“ "$“   DN

실력 58쪽~59쪽

01 @DN 02 ③ 03 @DN 04 @DN 08 s"#$에서 "#“ā u


05 @DN™@ 06 ± 07 @DN 08 ④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

$&“$'“S, "%“"'“S,
09 L@DN™@ 10 @DN 11 io@DN 12 @DN S
S
#%“#&“S
13 @DN %
"#“"%“ #%“이므로 0
'

C1"0±이므로 s"10에서
S S
 S
S
, S #
&
$
01 S S
∴ S
10“ā u DN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또, 10“⊥")“이므로
1"“@"0“10“@")“에서 s"#$에서 "#“ā u
@@")“ ∴ ")“ DN

s"#$s0"# s0#$ s0$"이므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 "#“")“@ DN

1"“1#“이므로 s1"#에서
02 C1#0±이므로 C1#"±±± Å@@Å@@S Å@@S Å@@S

S ∴ S
C1"#C1#"±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 C1± ± ±
±
09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SADN " SADN
03 #%“#'“, $&“$'“이므로 % '
하면 #%“#&“@DN, ADN
ADN
"&“"%“Å@ s"#$의 둘레의 길이) $'“$&“@DN, 0
# ADN $
& ADN
"%“"'“SADN이므로
Å@   
 DN

s"#$에서
"#“  S
DN, "$“  S
DN
∴ $&“"&“"$“ DN

04 C"%0±이므로 s"%0에서 ™A  S


™A  S
™A, S™A S
 
"%“ā  u DN
S
S 
 ∴ S 또는 S

"%“"&“, #%“#'“, $&“$'“이므로 이때 S이므로 S

s"#$의 둘레의 길이)"#“ #$“ "$“ 따라서 원 0의 넓이는

"%“ "&“"%“ L@™AL DN™A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 DN

10
05 %&“%"“@DN, $&“$#“@DN이므로 "#“ $%“"%“ #$“
%$“  DN
이때 "#“$%“이므로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ADN $ "#“  ∴ "#“ DN

% &
)
)라 하면 ADN
두 점 ",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 " ADN %
ADN

s$%)에서 s"#)fs%$) 3)" 합동)에서


$)“$#“#)“ DN
을 각각 ), )이라 하면
" 0 #
0
) )
%)“ā™A™Au DN
#)“$)“이므로 # $

∴ f"#$%Å@  
@ DN™A

ADN

#)“Å@ 
 DN

2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에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북
")“ā™A™Au DN
00“  S
DN, 0)“ S
DN,

s0)0에서
따라서 원 0의 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0)“SS DN

11  S
 S
 S
, SS 

⑴ "#“, "'“가 반원 0의 접선이므로 "#“"'“ S


S
 ∴ S 또는 S
⑵ 선분의 길이를 구하는 데 필요한 선분들의 길이를 한 문자 이때 S이므로 S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직각삼각형을 찾아 피타고라스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정리를 이용한다.

"'“"#“@DN이므로 " %

&$“&'“Y@DN라 하면 ADN
Y
ADN
ADN '
"&“  Y
DN YADN
&

s"&%에서
%&“ Y
DN 0 YADN 중단원 60쪽~62쪽
# ADN $
01 ⑤ 02 @DN 03 ③ 04 @DN
 Y
™A™A Y
™A
05 ② 06 ④ 07 @DN™@ 08 @DN
Y ∴ Y 09 ± 10 ③ 11 ± 12 @DN
∴ "&““ io DN
13 @DN™@ 14 @DN 15 ± 16 @DN
17 ② 18 @DN 19 ③ 20 L@DN

s0".에서
12
s"#0는 "#“를 밑변으로 하고, 반원의 중심 0에서 "#“에
01
내린 수선, 즉 반원의 반지름을 높이로 하는 삼각형이다.
".“ā™A™Au DN

∴ "#“".“@ DN

s"0)에서
"&“"%“@DN, #&“#$“@DN이므로
02
"#“  DN

")“ā™A™Au DN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 ADN %

s#$)에서
#)“")“ADN, )$“ DN
이므로

s"#)에서
#)“#$“$)“ DN

&
ADN 0
#$“}x 
™A ™Au DN

")“āu DN
# $
)
0&“를 그으면 ADN 03 $)“는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원 $

0&“Å $%“Å")“Å@ DN
의 중심을 지난다.
ADN
0
원의 중심을 0라 하고 반지름의 길이를 SADN
"#“⊥0&“이므로

s"#0Å@"#“@0&“
S
ADN
)
S@DN라 하면 " ADN #

0)“ S
DN
Å@@ DN
")“Å"#“Å@ DN
이므로

s0")에서
13
S™A S
™A ™A, S ∴ S
두 원이 외접하는 경우 색칠한 직각삼
0
따라서 원래 원 모양의 접시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S
각형에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다. S
0
04 "#“@@$%“@@이므로
@@$%“@@,  $%“ ∴ $%“ DN

두 원의 중심 0, 0에서 #$“에 내린 "


ADN
%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
수선의 발을 각각 1, 2라 하고 점 의 발을 .이라 하면
ADN ADN 0
0에서 01“에 내린 수선의 발을 ) 0 ADN
SADN .
0
#.“Å "#“Å@ DN
" #
라 하자. ) $ %
# 1 2 $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Å $%“Å@ DN

Å"#“Å@ DN
∴ #%“#.“%.“ DN

Ⅱ. 원의 성질 21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0"#는 0"“0#“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5 점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0
) C0#"CY
")“Å"#“Å@ DN
" #
ADN
이때 C1#0±이므로

의 반지름의 길이를 CADN라 하면 s0")에서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BADN, 작은 원
CY CZ±

0"“ ™A0)“ ™A")“ ™A이므로 B™@C™@™@ 12 C1"0±이고 10“  DN


이므로 s0"1에서

∴ (색칠한 부분의 넓이)LB™ALC™A  1"“ā™A™Au DN

L B™AC™A
L DN™A
∴ 1#“1"“ADN

s0".에서 13 1#“1"“@DN이므로

s1"#Å@1"“@1#“@TJOA±
06
0.“ā™A™Au DN

0.“0/“ADN이므로 
Å@@@  DN™A

$%“"#“".“@ DN


07 s"#$에서 두 변 "#, #$의 길이와 그 끼인각 C#의 크기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 " %
. ADN
을 /이라 하면 "#“$%“이므로 ADN
/ 를 알 때,

s"#$Å@"#“@#$“@TJO@#
s0/%에서
0/“0.“ADN 0
#
$

/%“ā™A™A DN
이므로
14 "%“"&“  DN

$%“/%“@ DN

∴ s0$%Å@@ DN™A

$'“$&“ADN이므로
#%“#'“ DN

∴ "#“"%“#%“ DN

08 원 모양의 상자 뚜껑의 중심을 0라 하고 점 " ) #

s"0$fs&0$ 3)4 합동),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ADN
ADN 15 0&“를 그으면 $"“$&“, %#“%&“이므로 " $

s#0%fs&0% 3)4 합동)


0
&
0"“Å@ DN

0)“Å@ DN
따라서 C"0$C&0$,

s0")에서 C#0%C&0%이므로 # %

")“ā™A™Au DN
C$0%C&0$ C&0%

∴ "#“")“@ DN
ÅC"0& ÅC#0&

09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ÅC"0#Å@½±½±


∴ CYÅ@ ±±
±
16 #&“#%“Y@DN라 하면

10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 Y


DN $'“$&“ Y
DN

C1"0±, C1±이므로 s1"0에서


0"“0#“SADN "$“"'“ $'“이므로
Y
Y
, Y ∴ Y
∴ #&“ADN
0"“  S
TJO ±, S  S
@Å
17 "#“ $%“"%“ #$“이므로
S S ∴ S
Y 
 Y 
, Y Y 

s0"#는 정삼각형이다.
이때 C10"± ± ±
±이므로
∴ Y

∴ s0"#의 둘레의 길이)@ DN


18 "#“ $%“"%“ #$“이므로

1"“1#“이므로 s1"#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  DN

11
이때 "%“AA#$“AA이므로
∴ CZÅ@ ±±
± 
#$“@ @ DN

 

%&“Y@DN라 하면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C1"0±, C1"#±이므로
CY±±± 19
∴ CY CZ± ±± "#“ %&“"%“ #&“에서

2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의 넓이 구하기 U 1점
 Y #&“ ∴ #&“Y DN
이때 S이므로 S 북

s%&$에서 s"#$Å@"#“@"$“
$&“#$“#&“ Y
Y DN
이므로 채점 기준

  
Y  Y
 , Y ∴ Y
Å@@ DN™@

∴ %&“@DN

20 $%“는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 02 접힌 현을 "#“, 원의 중심 0에서 ADN "

ADN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이라 하면


$%“의 연장선은 원의 중심을 지난다. % .
" # SADN
ADN
원 모양의 접시의 중심을 0라 하고 ".“Å"#“Å@ DN
0
ADN # 
0 SADN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UU ❶ 

s"0%에서
0"“SADN 0%“ S
DN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0"“S@DN, 0.“ÅS@DN이므로 s".0에서


S™@™@ S
™@, S ∴ Sd

S[ÅS] 
 UU ❷
따라서 원래 원 모양의 접시의 반지름의 길이는 d @DN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L@dL DN


ÄS, S ∴ S ∵ S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UU ❸

채점 기준 배점

63쪽 ❶ ".“의 길이 구하기 점


서술형
❷ 반지름의 길이에 대한 식 세우기 점

01 L@DN™@ 01-1 @DN™@ 02 @DN ❸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점

03 @DN™@ 04 @DN

s"01fs#01 3)4 합동)이므로


03 01“를 그으면 "
ADN

s"#$에서 "#“ā™@™@u DN

01 채점 기준 "#“의 길이 구하기 U 2점 0
±
1
C10"C10#ÅC"0#
#
채점 기준 원 0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U 3점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 Å@±±
' ADN

s"01에서
%
하면 C0"1C0#1±이므로 UU ❶
"%“"'“SADN이므로 0
# $
&
#&“#%“ S
DN ADN  
0"“ @  DN
UU ❷
UBOA± 

∴ f1"0#s"01@[Å@@]
$&“$'“ S
DN
#$“#&“ $&“이므로
 S
S
S ∴ S
 DN™@
UU ❸
채점 기준 원 0의 넓이 구하기 U 1점
채점 기준 배점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ADN이므로 원 0의 넓이는
❶ C10", C0"1의 크기 각각 구하기 점
L@™AL DN™A

❸ f1"0#의 넓이 구하기
❷ 0"“의 길이 구하기 점
점
01-1 채점 기준 "#“, "$“의 길이를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이용하여 각각
나타내기 U 2점
04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DN이므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 $%“@ DN
UU ❶
%
하면
0
"%“"'“S@DN,
#
ADN & ADN $ "#“ $%“"%“ #$“에서
#%“#&“@DN,
"%“ #$“  DN
UU ❷
$'“$&“@DN이므로
∴ f"#$%의 둘레의 길이
 "%“ #$“
 
"#“ S 
@DN, "$“ S 
@DN
@ DN
UU ❸

s"#$에서
채점 기준 원 0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U 3점
채점 기준 배점
❶ $%“의 길이 구하기 점
™@ S 
™@ S 
™@, S™@ S
❸ f"#$%의 둘레의 길이 구하기
❷ "%“ #$“의 길이 구하기 점
S
S 
 ∴ S 또는 S 점

Ⅱ. 원의 성질 23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2 원주각 5- ⑴ p"#p#$이므로 C"$#C#"$
∴ Y
⑵ C$"%±±±이므로 C"%#C$"%
01 원주각
즉, p"#p$%이므로 Y
65쪽~67쪽

1 ⑴ ± ⑵ ± ⑶ ± ⑷ ± 6 ⑴ ±@@Y±@@@@ ∴ Y


1- ⑴ ± ⑵ ± ⑶ ± ⑷ ± ⑵ C"%$±이므로 C"$%± ± ±
±
2 ⑴ ± ⑵ ± 2- ⑴ ± ⑵ ± ±@A±AAY, @@@@Y
3 ± 3- ± Y ∴ Y
4 ⑴ ± ⑵ ± 4- ⑴ ± ⑵ ±
5 ⑴  ⑵  5- ⑴  ⑵  6- ⑴ ±@@Y±  
@@, @@Y@@

6 ⑴  ⑵  6- ⑴  ⑵  Y ∴ Y
7 ⑴◯ ⑵× 7- ⑴◯ ⑵× ⑵ ±@@±@@Y, @@@@Y
Y ∴ Y

1 ⑴ CYÅ@±± 7 ⑴ C#"$C#%$±이므로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다.


⑵ CY@±± ⑵ C"$%±±±이므로 C"$% C"#%
따라서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지 않다.
⑶ CYÅ@±±
7- ⑴ C#"$± ± ±
±
⑷ CYÅ@ ±±
±
C#"$C#%$±이므로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다.
⑵ C#"$±±±이므로 C#"$ C#%$
1- ⑴ CYÅ@±±
따라서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지 않다.
⑵ CY@±±
⑶ CY@±±

⑷ ±Å@ ±CY
, ±CY±

∴ CY±

2 ⑴ CYC"%#±
⑵ C"%#C"$#± 개념 68쪽~70쪽

∴ CY± ± ±


± 01 ⑴ ± ⑵ ± ⑶ ± 02 ± 03 ±
2- ⑴ CYC"$#± 04 CY±, CZ± 05 ± 06 ±
⑵ C%"$C%#$± 07 ⑴ ± ⑵ ± ⑶ ± 08 ± 09 ±
∴ CY± ±± 10 ± 11 ± 12 ± 13 ±

3 C"$#±이므로 14 ± 15  16  17 ±
CY± ± ±
± 18 ±
3- C"$#±이므로
CY± ± ±
± 01 ⑴ 1"“, 1#“가 원 0의 접선이므로
C1"0C1#0±

⑵ C"$#±이므로 s"#$에서
4 ⑴ C"#$C"%$±이므로 CY±
∴ C"0#±±±

⑵ C"$#ÅC"0#Å@±±
CZ± ± ±
±
⑶ p"$#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는 ±±±이므로

⑵ C"$#±이므로 s"#$에서
4- ⑴ C$"#C$%#±이므로 CY±
C"%#Å@±±

CZ± ± ±


±
02 1"“, 1#“가 원 0의 접선이므로
5 ⑴ p"#p$%이므로 C"1#C$2%
C1"0C1#0±
∴ Y
∴ C"0#±±±
⑵ C"1#C$2%±이므로 p"#p$%
∴ Y ∴ CYÅC"0#Å@±±

2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3 "%“를 그으면 #
" 12 #$“를 그으면 p"#의 길이가 원주의 Å이 " 북
Y %
'
C$"%C$#%± ± 므로 Y
±
C%"&C%'&± & C"$#±@ű
#

∴ CYC$"% C%"&  $ $
p"#AAp$%AA이므로
± ±± %
±AAC$#%AA C$#%±

s"#&에서
04 CYC#%$± ∴ C$#%±
∴ CY± ±±
CZ±±±

s#1$에서
13 C"#$C"%$±
05 C"%#C"$#CY

s"#%에서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C#$%± ±±

s"1%에서
14 C"%$C"#$±
CY± ± ±
±

06 "%“를 그으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 % ±± CY ∴ CY±


C"%$± Y ±
0 15 #0“의 연장선이 원 0와 만나는 점을 "이 "
C"%#C"&#CY이므로 " $ "
라 하면 C#"$C#"$
CY ±± 0

s"#$에서
이때 C"$#½±이므로
∴ CY± # 
# $


⑵ s"%1에서 C1"%±±±
07 ⑴ "#“가 반원 0의 지름이므로 C"%#± "$“āu
"$“  
∴ DPT "DPT "  
#"“  
⑶ C$0%C$"%@±±
16 #0“의 연장선이 원 0와 만나는 점을 " "
08 "%“를 그으면 "#“가 반원 0의 지름 1 ±
± ± "
% 이라 하면

s"%1에서
이므로 C"%#± $
C#"$C#"$± 0

s"#$에서
Y 이때 C"$#±이므로 #

$
C1"%±±± " #
0
∴ CYC$"%@±±
#$“ 
"#“ @ 
TJO ± 

s#$%에서
09 p"#p#$이므로 C"$#C#%$±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 ± CY
±± @Å
± CY± ∴ CY± 17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10 CY@@C#"$p"%@@p#$이므로 C"$#C"%#±
∴ CYC"$%±±±

s"#1에서
CYAAC#"$AAAA ∴ C#"$CY

18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CY CY±, CY± ∴ CY±
s"1$에서
C"$#C"%#CY

11 한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이고,


± CY± ∴ CY±
원주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CY±@ ±@ű
  

p"#@@p #$@@p $"B@@C@@D이면 "

B
C"$#±@
B C D
# $ 실력 71쪽
C
C#"$±@
B C D
01 ± 02 ± 03 ± 04 ±
D
C$#"±@
B C D 05 ③ 06 ± 07 ±

Ⅱ. 원의 성질 25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1 s"#$에서 C#"$C#$"±이므로 C"%$ÅC"0$Å@±±
C"#$±@±± s1"%에서
±Å@ ±CY
이므로 CY ±± ∴ CY±

±CY±  ∴ CY±

s"0$는 0"“0$“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2 C"0$C"#$@±±

C0"$Å@ ±±
±

03 "%“를 그으면 "#“가 반원 0의 지름이 1


$ Y
므로 C"%#± %

C$"%ÅC$0%Å@±±
± 02 원주각의 활용

s"%1에서
±
73쪽~75쪽
" 0 #
1 ⑴ ± ⑵ ± 1- ⑴ ± ⑵ ±
CY ±± ∴ CY± 2 ⑴ × ⑵ ◯ 2- ⑴◯ ⑵×

04 p"$p #$이므로 3 ⑴ ± ⑵ ± 3- ⑴ ± ⑵ ±


4 ⑴ ± ⑵ ± 4- ⑴ ± ⑵ ±

s"#$에서
C$"#C"#$±
5 ⑴ ± ⑵ ± ⑶ ± ⑷ $%“
5- CY±, CZ±
C"$#±@±±
6 ⑴ ± ⑵ ± ⑶ $%“
0"“, 0#“를 그으면 "
6- CY±, CZ±
C"0#C"$#@± 
1 Y 0 $
± ±
1 ⑴ CY ±±이므로 CY±
1"v, 1#v가 원 0의 접선이므로 ⑵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한 내각에 대한 대각의 크기
#
CY C"0#±에서 와 같으므로
CY ±± ∴ CY± CYC#"%±
05 "$“를 그으면 LADN

s"#$에서 C"#$± ± ±


±
" # 1- 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s"$1에서
C"$#AAC$"%LAALAA
1 ±

0 CY ±±이므로 CY±
C"$# C$"%±이므로 %
$ ⑵ C#"%ÅC#0%Å@±±

C"$#±@ ±@ű LADN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한 내각에 대한 대각의 크기
한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와 같으므로 CYC#"%±
±AA±LAA(원 0의 둘레의 길이)

f"#$%는 원에 내접하지 않는다.


AALAA(원 0의 둘레의 길이) 2 ⑴ C" C$± ± ±이므로

∴ (원 0의 둘레의 길이)L DN

C%"#C%$&이므로 f"#$%는 원에 내접한다.


⑵ C%"#±±±에서
06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s#%1에서 ⑴ s"#$에서
C"#%C"$%±
2-
C"#$± ± ±
±
s$%&에서
C#%$± CY

f"#$%는 원에 내접한다.
C"#$ C"%$± ±±이므로

⑵ C#"$ C#%$이므로 f"#$%는 원에 내접하지 않


± ± CY
± ∴ CY±

07
는다.

⑴ s"#$에서
"%“를 그어 원주각의 크기를 이용한다.
3
%
"%“를 그으면 C$± ± ±
±

⑵ C$#"C$"5±이므로 s"#$에서
$
C#"%ÅC#0% 0 ± ∴ CYC# $"±
Y
1 " #
±
C#"%Å@±± CY± ± ±
±

2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에서
3- 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76쪽~79쪽

개념

C# $"± ± ±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⑵ $"“$#“이므로 s$"#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CYC#$"±
09 ⑴ ± ⑵ ± 10 ± 11 ±

s$"#에서
C# $"C#"5±이므로 12 ± 13 ± 14 ② 15 ±
16 ± 17 ± 18 ± 19 ③
CYÅ@ ±±
± 20 ± 21 ± 22 ± 23 ±
24 CY±, CZ±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f"#$%에서 CY ±±이므로 CY±


4 ⑴ C#%"C#"5±이고
01
C$%" C$#"±에서 C&$%C&"%±이므로
CY± ± ± ±
± CZ± ±±

%"“%$“이므로 s%"$에서
⑵ C%$"C%"5±이고 ∴ CY CZ± ±±

s"#%에서 C#"%± ± ±


±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  02
∴ CY±±±
C"%$ C"#$±에서
CY±±±
03 s1$%에서
C1%$± ± ±
±
s%"#에서
4- ⑴ C%"#±±±이므로
∴ CYC"%$±

f"#$%에서 C#"%±±±
C#%"± ± ±
±

s"1#에서 CY±±±
∴ CYC#%"±
⑵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이므로 s$%#에서 s0#$에서 0#“0$“이므로


C%$#C%"#±
04
C$#%Å@ ±±
± C#0$±@±±

C#"$ÅC#0$Å@±±

s"#%에서
∴ C%#"±±±
∴ CYC#"%± ±±
C#%"± ± ±
±

s1#$에서 C %$2C Y ±이므로


∴ CYC#%"± 05 C$%2C"#$CY

s%$2에서 C Y C Y ±
±±
5 ⑴ C#52C#"5±
⑵ C%51C#52± (맞꼭지각)
C Y± ∴ C Y±
⑶ C%$5C%51±
⑷ C#"5C%$5
즉,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 06 C2#$±±±

s1$%에서 C1$2± ±±


C"%$C2#$±이므로
5- CYC#52±
C%51C#52± (맞꼭지각) s#2$에서 CY± ± ±
±
∴ CZC%51±

6 ⑴ C#52C#"5± 07 #%“를 그으면 "


&
Y
⑵ C$%5C$52± C#%$ÅC#0$Å@±± # ±
⑶ C#"5C$%5 0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C#%&±±±
즉,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 ±
±
$ %

6- CYC$52± C#"& C#%&±


CZC#52± ∴ CY±±±

Ⅱ. 원의 성질 27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8 "$“를 그으면 " 17 #%“를 그으면
C"%#C"#5CY 0
C"$#ÅC"0#Å@±½±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Z & " %
# ±
0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Y $
Y C"#%±
C"$% C"&%½± $ % 5 #

∴ CY CZC"$# C"$% C"&%

s"#%에서
C#"%±±±
½± ½±±

⑴ f"#21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Y± ± ±
±
09

f"#$%가 원에 내접하므로
⑵ f12$%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12$C#"1±
18 "

C"%$±±±
C1%$ ±± # ±
#%“를 그으면 p"#p #$이므로 %
∴ C1%$±

f"#21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C#%$Å@±± Y
$ 5
10 ∴ CYC#%$±

f12$%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12$C#"1±

C"51C"#5CY이므로 s#15에서
19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5"±
C1%$±±±
∴ CYC1%$@±± ± CY ±
CY±

s"#%에서
CY± ∴ CY±
11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 ± ±
±
20 "5“를 그으면 #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5#± 0


CYC"±

s"5#에서
C#"5C#52±이므로

s"#&에서
" ±
1
12 Y 5 2

s#15에서
C"#5± ± ±
±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 ±±이므로 C#"&±

CY ±±이므로 CY±
C#"% C#$%±에서

s"1#는 1"“1#“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Y ±
±±
21
∴ CY±
C1#"Å@ ±±
±

13 C"$#ÅC"0#Å@±±이므로 C$#"C$"%±
∴ CY± ± ±
±
CYC#$"±

C$#"C$"5CY이므로 s"#$에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14
22
C YÅ@ ±±
±
C$&'Å@ ±±
±

s%&'에서
15 CYC%$2± C'%&C'&$±이므로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 ± ±
±
C%'&± ± ±
±
CZ±±±
∴ CY CZ± ±± 23 C%$5C%51C#52 (맞꼭지각)

s%5$에서
C#"5½±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16 C#%"C#"5±
C%5$±½ ½±½ ½±½
±½

s#%"에서
C%"#±±±
24 CZC"#5±
C"#%± ± ±
± CYC%51±

2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 C" C$ C& C#"% C'"%
C$ C& 북
실력 80쪽
 C#"% C$
C'"% C&

01 ② 02 ± 03 ± 04 ± ± ±±


05 ± 06 ± 07 @DN
07
s$"#에서 삼각비를 이용하여 변의 길이를 구한다.

s"#$에서 C"#$± ± ±


±
01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

s$"#에서
C$"#± ADN @
C"%$±±± 0
±
$

s%"$에서
±
p"%p$%이므로 C"$%C$"% ±
C#$"±±±이므로 1
"

$"“ DPT@±@Å DN

CYÅ@ ±±
±

s1#$에서 s$1"에서 C$1"±±±이므로


이때 C$"1C$#"±이고

C%$2C"#$ ±이므로 s%$2에서


02
C$1"C$"1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Y C"#$ ±
±C"#$ ± UU ㉠ ∴ $1“$"“ADN

C"#$ C"%$±
C"#$ C"#$ ±
±, C"#$±
∴ C"#$±
㉠에 C"#$±를 대입하면
CY± ±± 중단원 81쪽~83쪽

f12$%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YC1%$± 01 ± 02 ± 03 ④ 04 ±


f"#21가 원 0에 내접하므로
03
05 ① 06 ② 07 ③ 08 ⑤
C#"1±±± 09 ± 10 ④ 11 ± 12 ③
∴ CZC#"1@±± 13 ± 14 ① 15 ④ 16 ±
∴ CY CZ± ±± 17 ⑤ 18 ⑤ 19 L@N

04 한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이고


01 #2“를 그으면 @ 1
2
원주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Y
∠"2#∠"1#±
 0
C"$#±@ ±@ű ±
   ∠#2$Å∠#0$Å@±± ±
∴ CYC"$#± $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 ∠Y∠"2# ∠#2$ 
#
05 ± ±±

s1"%에서 C%"1±±±
C"%$±±±

s1#$에서 CZ±±±
02 CYC"%# ±

1"“가 원 0의 접선이므로
∴ CZCY±±±

s"$%에서
C%$"C%"1±
03 #$“를 그으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 $

s"#$에서
CY± ± ±
± C"$#±
±
" #
0
06
C"#$± ± ±
± Y
"%“를 그어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을 개 만든다. ∴ CYC"#$± %

f"#$%가 원에 내접하므로
"%“를 그으면 " 04 "%“를 그으면 "#“가 반원 0의 지름
±
1

s"%1에서
# ' 이므로 C"%#±
%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 C$± $

$ & C1"%±±± Y
" #
C'"% C&± % ∴ CYC$"%@±± 0

Ⅱ. 원의 성질 29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5 p"#p#$이므로 12 ③ s"#&에서 "

C"%#C#%$CY C"#&± ± ±


± ± & %
±

s"$%에서 f"#$%는 원에 내접하지 않는다.


±
C"$%C"#%± 따라서 C"#% C"$%이므로
# $

± ± CY CY
± 즉, 네 점 ", #, $, %는 한 원 위에 있지 않다.
CY± ∴ CY±
13 p"#@@p"$@@이므로
Y
#
06 C"#$CY라 하면 #
C"$#@@C"#$@A
" Y

s#1$에서
C"%$C"#$CY &
1 ± ± C"#$CY, C"$#CY라 하면 0
$ Y Y
$ Y
"#“#$“이므로

s&$%에서
C#$%CY ± Y ± % "

s"#$에서
5
C$"#C"$#CY

± CY ±
CY
CY CY CY±
CY± ∴ CY±
CY± ∴ CY±
∴ C"#$±
∴ C$"5C"#$CY±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07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14
s"#1에서 CY± ±±
C#"$C#%$±
C%"#±±±

s"#%에서
C#%"C#"5±이므로

s1#%에서 C%#"CY±
08 C#%$CY라 하면

CY± ± ±


±
"%“를 그으면 $

p"#p#$p$%이므로 15 "#“를 그으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


% Y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C$#%C#%$CY ±
Y Y C#"$± 0
1 Y± #

s#"$에서
"
C$#"C$"5±이므로
# ±
C"%$ C"#$±에서 1
Y
" 5

s$1"에서
CY CY CY±
± C#$"± ± ±
±
CY± ∴ CY±
CY ±± ∴ CY±
09 C"@@C#@@이므로 C#C"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 C%±에서 16 s%&'에서

C" C" ±
± C%'&± ± ±
±
C%&#C%'&±이고 #%“#&“이므로
C"± ∴ C"±
s#%&에서 CY± ± ±
±
C&%#C%&#±
∴ CYC"±

10 f"#$%가 원에 내접하므로 17 ① C"#5C"51C$52 %


1

s1#$에서 C%$2CY ±


C$%2C"#$CY C$%5
"

s%$2에서
5
즉,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
"#“∥$%“이다. 2 $
CY CY ±
±±
② C#"&C&'$C&$% "
CY± ∴ CY± & %
즉,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
11 $&“를 그으면 @ " "#“∥$%“이다.
& '
C$&%ÅC$0%Å@±±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 0
±
± ③ C#"&C&'$C$%( & %
" (
즉, 동위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C# C"&$± %
$
"#“∥$%“이다.
∴ C# C& C# C"&$
C$&% #
'
± ±± $

3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④ C"#&C"'&C&%$ % 채점 기준 C$"%의 크기 구하기 U 2점 북
&
즉, 엇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 p"#  p $%  이므로
"#“∥$%“이다. ±  C$"%  에서 C$"%±
#

s"1%에서
'
채점 기준 CY의 크기 구하기 U 2점
$
⑤ C#"$C#$%±
CY± ±±
즉, 엇각의 크기가 다르므로 "#“와 $%“는 평행하지 않다.
따라서 "#“  $%“가 아닌 것은 ⑤이다.

④, ⑤ s"#5와 s%$5에서
02 p"$p
#%이므로
18
s1$#에서
C"#$C#$%± UU ❶

s"#5∽s%$5@ "" 닮음)


C#"5C#52C$%5, C5는 공통이므로

C$1#± ± ±


± UU ❷
∴ 5"“@@5#“5%“@@5$“
∴ C"1%C$1#± UU ❸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채점 기준 배점

19 원의 중심을 0라 하고 0$“의 연장선이 AN ❶ C"#$의 크기 구하기 점


# $ ❷ C$1#의 크기 구하기 점
원 0와 만나는 점을 "이라 하면
± ❸ C"1%의 크기 구하기 점
C#"$C#"$± 0
"

s"#$에서
C"#$±이므로 ±

" 03 C"%#C"$#±이므로 &


±
#$“ 네 점 ", #, $, %는 한 원 위에 있다. % $
"$“½ @ N

s"$&에서
TJOA± UU ❶
Y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Å@ N
이므로 연못 "
.
#
C&"$±±± UU ❷
의 둘레의 길이는 L@L N

C"%#±에서 "#“가 네 점 ", #, $, %를 지나는 원의


지름이므로 점 .은 그 원의 중심이다.
∴ CYC%"$@±± UU ❸
서술형 84쪽
채점 기준 배점

01 ±@ 01-1 ±@ 02 ± ❶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음을 알기 점


❷ C&"$의 크기 구하기 점
03 ± 04 @DN™@ ❸ CY의 크기 구하기 점

01 채점 기준 C"%#의 크기 구하기 U 2점

C"#5C"51±이므로 s"#5에서
"%“ 를 그으면 p " #의 길이가 원주의 " 04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5#±

Y
Å이므로 #
1
%
C#"5± ± ±
± UU ❶
C"%#±@ű
"5“ DPT ±@Å DN

s"15에서
UU ❷
$
채점 기준 C$"%의 크기 구하기 U 2점

따라서 s"15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p$%의 길이가 원주의 Å이므로 C1 ±±이므로 C1±

C$"%±@ű
"1“"5“ADN

s"1%에서
채점 기준 CY의 크기 구하기 U 2점
C1"5± ± ±
±

∴ s"15Å@@@TJOA ±±

CY
 ± ±±

Å@@@

01-1 채점 기준 C"%#의 크기 구하기 U 2점
"%“ 를 그으면 p " #의 길이가 원주의 "  DN™A
UU ❸

Å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 % ❶ C#"5의 크기 구하기 점
1 Y
C"%#±@ű
❸ s"15의 넓이 구하기
❷ "5“의 길이 구하기 점
$ 점

Ⅱ. 원의 성질 31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⑶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III. 통계
, , , 
1 대푯값과 산포도
변량의 개수가 로 짝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 과 의 평균인 
이다.
01 대푯값 
87쪽~88쪽
4 ⑴ 가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1 ⑴ 명 ⑵ 명 ⑶ 분
⑵ 과 가 모두 개씩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1- ⑴ 명 ⑵  ⑶ 명 ⑷ 세
, 이다.
2 ⑴  ⑵  2- ⑴  ⑵ 
⑶ , , 가 모두 개씩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
3 ⑴  ⑵  ⑶  3- ⑴  ⑵  ⑶ 
4 ⑴  ⑵ ,  ⑶ , ,  , 이다.
4- ⑴  ⑵  ⑶ , 
4- ⑴ 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⑵ 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1 ⑴   (명) ⑶ 와 가 모두 개씩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
⑵ 줄기가 인 잎이 개이므로 등교 시간이 분대인 학생은  이다.
명이다.
⑶ (분)

1- ⑴    (명) 개념 89쪽~90쪽

⑶ 줄기가 인 잎이 개이므로 나이가 세 미만인 회원은 명


01 ⑴ 평균:초, 중앙값:초, 최빈값:초 ⑵ 중앙값
이다.
02 ⑴ 평균:호, 중앙값:호, 최빈값:호 ⑵ 최빈값
      03 평균:권, 중앙값:권, 최빈값:권
2 ⑴ (평균)

dz
04 평균:점, 중앙값:점, 최빈값:점
   
⑵ (평균)

Å
 05 중앙값:권, 최빈값:권
06 중앙값:@NN, 최빈값:@NN

2- ⑴ (평균)
    
dz 07  08  09  10 

11  12 B, C
     
⑵ (평균) Å
!

      
01 ⑴ (평균)

3 ⑴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ÅÅ!(초)
변량의 개수가 로 홀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⑵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 , 
, , , , , ,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초이다.
변량의 개수가 로 홀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또, 초가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초이다.
이다. ⑵ 자료에 초라는 극단적인 값이 있으므로 평균은 대푯값으
⑶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로 적절하지 않으며, 최빈값인 초도 자료에서 가장 좋
, , , , ,  은 기록으로 자료의 전체적인 특징을 나타내지 못하므로
변량의 개수가 으로 짝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중앙값이 자료의 대푯값으로 가장 적절하다.
 
변량 과 의 평균인 yf이다.
        
02 ⑴ (평균)

3- ⑴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호)
, , , ,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변량의 개수가 로 홀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 , , , , , , 
⑵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 호와
, , , , , , 
 
변량의 개수가 로 홀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호의 평균인 Å(호)이다.

이다. 또, 호가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호이다.

3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⑵ 공장에 가장 많이 주문해야 할 티셔츠의 크기는 가장 많 12 자료에서 가 개, 이 개이므로 최빈값이 가 되기 위해서 북
이 판매된 티셔츠의 크기를 선택해야 하므로 최빈값이 자 는 B
료의 대푯값으로 가장 적절하다. 평균이 이므로
        C
@ @ @ @ @ 
03 (평균) 

 C  ∴ C
>!(권)

중앙값은 명의 학생 중에서 번째와 번째 학생이 구입 주어진 자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변량이 최빈값이 될 수
  있도록 미지수 B의 값을 정한다.
한 책 수의 평균이므로 (권)이다.

또, 구입한 책 수가 권인 학생이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
빈값은 권이다.

@ @ @ @ @


04 (평균)
 실력 91쪽

 !(점) 01 $#" 02  03 수혁, 미영


중앙값은 명의 학생 중에서 번째와 번째 학생의 점수의 04  05 ③ 06 @LH
 
평균이므로 (점)이다.
        
01 (평균)

또, 점수가 점인 학생이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점이다. 
 


05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권이다.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또, 권이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권이다. , , , , , , ,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 과 
06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  
의 평균인 

이다.
  
인  NN
이다.
 또, 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또, @NN가 켤레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NN이다. 따라서 ", #, $이므로 $#"

     Y   @ @ @ @ @


07 (평균)

이므로 02 (평균)

 Y  ∴ Y
(회)
     Y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회이다.
08 (평균)

이므로
또, 회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회이다.
 Y  ∴ Y
따라서 B, C, D이므로
09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학생의 점수  B CD 
점과 Y점의 평균이다.
03 자료 "는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중앙값이 점이므로
 
 Y 평균인 이다.
,  Y  ∴ Y 

또, 자료 "에서 가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이다.
10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학생이 관람한 즉, 중앙값과 최빈값은 서로 같다.
영화 수 Y편과 편의 평균이다. 자료 #에 극단적인 변량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평균은
중앙값이 편이므로 대푯값으로 적절하지 않다.
Y  자료 $에서
, Y   ∴ Y
         
(평균) co

 Y       Y
11 (평균)



이고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이때 변량이 규칙적이므로 평균이나 중앙값을 대푯값으로
주어진 자료에서 최빈값은 이므로
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Y
,  Y  ∴ Y
 따라서 바르게 설명한 사람은 수혁, 미영이다.

Ⅲ. 통계 33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4 자료에서 가 개, 이 개이므로 최빈값이 이 되기 위해서
1- (평균)
     
fc이므로

는 B
편차는 다음 표와 같다.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 ,  변량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편차      

 

B  C   
2
05 (평균)

 (편차)(변량)(평균)에서 (변량)(평균) (편차)이므로

이므로  B C에서 B C UU ㉠ 학생 보람 수현 지은 영주 희빈 은비


주어진 조건에서 BC UU ㉡ 줄넘기 단
     
뛰기 횟수 (회)
㉠, ㉡을 연립하여 풀면 B, C
편차 (회)      
따라서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 , , , 
2- (편차)(변량)(평균)에서 (변량)(평균) (편차)이므로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가구 " # $ % &
06 자녀 수 (명)     
학생이 명일 때의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이 편차 (명)     
고, 학생이 명일 때의 중앙값은 번째 변량이다.
3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처음 개의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할 때 번째 변량을 Y 
   ∴ Y
Y@LH이라 하면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이므로
 Y 3-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  Y  ∴ Y
 
Y 
  ∴ Y
이 모둠에 몸무게가 @LH인 학생이 들어와도 변량을 크기
순으로 나열했을 때 번째 변량은 그대로 @LH이므로 학생     
4 ❶ (평균)

oz
명의 몸무게의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LH이다.
❷ 각 변량의 편차는 , , , , 
❸ \(편차)™A의 총합^™@ 
™@ 
™@ ™@ ™@

❹ (분산)iz

❺ (표준편차)

     
4- ❶ (평균)

ee(회)

02 산포도 ❷ 각 변량의 편차는 회, 회, 회, 회, 회, 회


93쪽~96쪽 ❸ \(편차)™@의 총합^ 
™@ ™@ ™@ ™@ 
™@ 
™@
1 평균:, 풀이 참조 1- 평균:, 풀이 참조 
2 , , , , ,  2- , , , , 
❹ (분산)ci
3  3- 
4 ❶  ❷ , , , ,  ❸  ❹  ❺  ❺ (표준편차) (회)
4- ❶ 회 ❷ 회, 회, 회, 회, 회, 회
    
❸  ❹  ❺ 회 5 (평균)

io 

5 @, ,   5- , , 
각 변량의 편차는  ,  ,  ,  ,  이므로
6 ⑴&반 ⑵%반 6- ⑴# ⑵"

™A ™A ™A 
™A ™A
7 #반 7- #반 (분산) z

8 평균:, 분산: 9 평균:, 분산: (표준편차) 

           
1 (평균) de이므로 5- (평균)

de

편차는 다음 표와 같다. 각 변량의 편차는 , , , , , 이므로

™A ™A 
™A ™A 
™A ™A
변량       (분산) ci

편차       (표준편차)

3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6 % 반의 표준편차는 u(점), & 반의 표준편차는
97쪽~98쪽

개념
(점)이다.
⑴ & 반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으므로 성적이 가장 고르게 분 01 ⑴  ⑵ 점 02 회 03 u시간
포된 반은 & 반이다. 04 회 05 ① 06 ④
⑵ % 반의 표준편차가 가장 크므로 성적이 가장 고르지 않게 07 분산:, 표준편차: 08 u@H 09 희재
분포된 반은 % 반이다. 10 시은 11 ①, ③ 12 ④

6- " 학생의 표준편차는 (시간), & 학생의 표준편차는 01 ⑴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시간)이다. 

Y  

⑴ # 학생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으므로 수면 시간이 가장 고 Y   ∴ Y
른 학생은 #이다. ⑵ (편차)(변량)(평균)이므로
⑵ " 학생의 표준편차가 가장 크므로 수면 시간이 가장 불규  $의 성적)
칙한 학생은 "이다. ∴ $의 성적)(점)

7 주어진 막대그래프에서 변량이 평균 가까이에 모여 있는 반 02 학생 %의 맥박 수의 편차를 Y회라 하면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은 # 반이므로 표준편차가 더 작은 반은 # 반이다. 이므로

 
Y  

7- 주어진 막대그래프에서 변량이 평균에서 멀리 흩어져 있는 Y  ∴ Y
반은 # 반이므로 표준편차가 더 큰 반은 # 반이다. (편차)(변량)(평균)이므로
 %의 맥박 수)
8 B, C, D의 평균이 , 분산이 이므로 ∴ %의 맥박 수)(회)
B C D B
™@ C
™@ D
™@
, 
      Y
03 (평균)

이므로
B , C , D 에 대하여
 Y  ∴ Y
B 
C 
D 

(평균)
 명의 운동 시간의 편차는
B C D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이므로



™@ ™@ 
™@ ™@ 
™@
B C D (분산)
  

oz
 
B 
™@ C 
™@ D 
™@ ∴ (표준편차)u(시간)
(분산)


™@ ™@ 
™@ ™@ ™@ 
™@ ™@ ™@

B
™@ C
™@ D
™@
 04 (분산)



 

9 B, C, D의 평균이 , 분산이 이므로
∴ (표준편차)(회)
B C D B
™@ C
™@ D
™@
, 
    Y Z 
B, C, D에 대하여
05 (평균)

이므로

B C D  Y Z  ∴ Y Z UU ㉠


(평균)
 표준편차가 u이므로 분산은 u
™@, 즉
B C D 
™@ 
™@ Y
™@ Z
™@ 
™@
@ (분산)
 
@ 
B
™@ C
™@ D
™@   Y™@ Z™@ Y Z
  
(분산)

Y™@ Z™@ Y Z
 UU ㉡
\ B
^™@ \ C
^™@ \ D
^™@

 ㉠을 ㉡에 대입하면 Y™@ Z™@@ 
 B
™@  C
™@  D
™@ ∴ Y™@ Z™@


B
™@ C
™@ D
™@  Y  Z 
@
 06 (평균)

이므로

@  Y Z  ∴ Y Z UU ㉠

Ⅲ. 통계 35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 Y
™@ 
™@ Z
™@ 
™@
(분산) 실력 99쪽~100쪽

 01 ③ 02 ⑤ 03  04 ③
Y™@ Z™@ Y Z
    05 u 06  07 u시간 08 
Y™@ Z™@ Y Z
 UU ㉡
09 ③ 10 ④ 11  12 
㉠을 ㉡에 대입하면
13 
Y™@ Z™@@   ∴ Y™@ Z™@
이때 Y Z
™@Y™@ YZ Z™@이므로 01 ③ 분산은 편차의 제곱의 평균이다.
YZ Y Z
™@ Y™@ Z™@
™@ ∴ YZ
02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07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B 
 


 
Y 
B  ∴ B
 Y  ∴ Y
(편차)(변량)(평균)이므로 " 학생의 자료에서

™@ ™@ 
™@ ™@ ™
(분산) dz (평균)  ∴ (평균) DN


(표준편차) % 학생의 자료에서 C  ∴ C
∴ B C 
08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Y 

 03 도수의 총합은     (대)이므로
Y  ∴ Y 
™A@ 
™A@ ™A@ ™A@ ™A@
(분산)
™A ™A 
™A 
™A ™A 
(분산) oz     
 

∴ (표준편차)u H

 
09 희재의 표준편차가 가장 크므로 운동 시간이 가장 불규칙한
학생은 희재이다.
04 표준편차가 가장 크다는 것은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흩어진
정도가 가장 심한 것을 말하므로 표준편차가 가장 큰 것은
10 명의 표준편차를 비교하면
③이다.
종국:u (점), 시은:u (점), 동훈:u (점),
은지:u 점, 명수:u 점이므로
각각의 표준편차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uu
 u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성적이 고르므로 시은이의 성적이 평 ①  ②  ③  ④  ⑤
  
균을 중심으로 가장 밀집되어 있다.

11 ① 두 중학교의 평균이 점으로 같으므로 전체 평균도 점     Y


05 (평균)

이므로
이다.
 Y  ∴ Y
② 두 중학교의 평균이 같으므로 " 중학교의 영어 성적이 #
(분산)
중학교보다 우수하다고 할 수 없다.

™A 
™A 
™A 
™A 
™A
③ " 중학교의 영어 성적의 표준편차가 # 중학교보다 작으 

므로 " 중학교의 영어 성적이 더 고르다고 할 수 있다.     


④ 편차의 총합은 항상 으로 같다.
⑤ 두 중학교의 표준편차가 다르므로 영어 성적의 분포는 다 oz
르다. ∴ (표준편차)u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③이다.

™A ™A Y™A ™A Z™A 
™A
12 ①, ② 평균이 같으므로 어느 과목의 성적이 더 우수하다고 06 (분산)

이므로

할 수 없다. Y™@ Z™@   ∴ Y™@ Z™@


③, ④, ⑤ u, u 이므로  , 즉 체육 성적
의 표준편차가 더 작다. 따라서 체육 성적이 음악 성적보 @ @ @ @ @
07 (평균)

다 고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iz(시간)

3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분산) (표준편차)ăT™@T(점) 북

™A@ 
™A@ 
™A@ 
™A@ 
™A@ 따라서 평균은 점 올라가고, 표준편차는 변함이 없다.


 >

∴ (표준편차)u(시간) 11
변량이 개이므로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했을 때, 번째 변
B
  B

08 (평균)

f 량이 중앙값이다. 즉, B 또는 C의 값이 이므로 B와 C의 대소
표준편차가 이므로 분산은 
™@, 즉 를 비교하여 본다.

\ B
^™A 
™A \  B
^™A
(분산)  

B C 
 (평균) 이므로

B™@
, B™@, B™@  ∴ B†  B C  ∴ B C UU ㉠

따라서 양수 B의 값은 이다. 변량이 개이므로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했을 때, 번째 변
량이 중앙값이고 중앙값이 이므로 B, C의 값 중 하나가 중
09 자료 ":, , , , 이므로
앙값이다.
    
(평균) o 이때 BC이므로 B


™AA 
™A 
™A 
™A 
™A ㉠에서  C  ∴ C
(분산)
 
™A 
™A ™A ™A ™A
(분산)
z 
!

(표준편차)  ∴ B
자료 #:, , , , 이므로 ∴ (표준편차)u
    
(평균) io


™A 
™A 
™A 
™A 
™A
(분산) 12

cz ❶ 나머지 학생 명의 변량을 Y„, Ym, Yf으로 놓는다.
❷ 평균을 이용하여 Y„ Ym Yf의 값을 구한다.
(표준편차)  ∴ C
❸ 분산을 이용하여
자료 $:, , , , 이므로
Y„
™@ Ym
™@ Yf
™@의 값을 구한다.
    
(평균) dz ❹ 실제 평균과 분산을 구한다.


™A 
™A 
™A 
™A 
™A
(분산) 잘못 입력된 학생 명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 명의 변량을

cz Y„, Ym, Yf이라 하면
Y„ Ym Yf  
(표준편차)  ∴ D (평균) 

∴ BCD Y„ Ym Yf   ∴ Y„ Ym Yf
(분산)
10 명의 변량을 Y„, Ym, U, Yƒ~~이라 하고 평균을 N점, 표
Y„
™A Ym
™A Yf
™A 
™A 
™A
준편차를 T점이라 하면 

Y„ Ym U Yƒ~~ 
N

Y„
™@ Ym
™@ Yf
™@ 
Y„N
™A YmN
™A U Y„N
™A
T™A ∴ Y„
™@ Ym
™@ Yf
™@

미술 수행평가 점수를 모두 점씩 올려 주면 변량은 따라서 실제 운동화 크기의 평균은
Y„ , Ym , U, Y„ 이므로 Y„ Ym Yf     

 
Y„ 
Ym 
U Y„ 

(평균) 
   NN


Y„ Ym U Y„
 N (점) 이므로 실제 운동화 크기의 분산은

\ Y„ 
 N 
^™A U \ Y„ 
 N 
^™A Y„
™A Ym
™A Yf
™A 
™A 
™A
(분산) 

Y„N
™A YmN
™A U Y„N
™A   
 T™@@  


 

Ⅲ. 통계 37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13 이때 BC이므로 B, C
평균이 같은 ", # 두 집단의 변량 ∴ BC
집단 " #
의 개수와 표준편차가 오른쪽 표 변량의 개수 B C 04 학생 명의 수학 점수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와 같을 때
표준편차 Y Z Y„, Ym, Yf, …, Y„, Y„„이라 하면 Yi
⑴ (두 집단 전체의 분산)
중앙값이 점이므로 Yg
(편차)™@의 총합 BY™@ CZ™@
  수학 점수가 점인 학생 명을 추가하면 변량이 개가 되
(변량)의 총개수 B C
BY™@ CZ™@ Yg Yi  
⑵ (두 집단 전체의 표준편차)|Š 므로 중앙값은  (점)
B C  

05 세 수 , , B의 중앙값이 가 되려면 By


(남학생 명의 제기차기 개수의 총합)@
네 수 , , , B의 중앙값이 이 되려면 Bƒ
(여학생 명의 제기차기 개수의 총합)@
따라서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B의 값은 ƒBƒ이다.
 
∴ (전체 명의 제기차기 개수의 평균)
 06 꺾은선그래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ez
최고 기온 
     
남학생 명의 분산이 이므로 " 지역 (일)      
(남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 지역 (일)      


$ 지역 (일)      
∴ (남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여학생 명의 분산이 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이므로 " 지역의 중앙값은 @, # 지
(여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역의 중앙값은 @, $ 지역의 중앙값은 @이다.

 즉, " 지역의 중앙값이 가장 작다.
∴ (여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최빈값은 " 지역이 @, # 지역이 @, $ 지역이 @
∴ (전체 학생 명의 제기차기 개수의 분산) 이다.
  따라서 바르게 설명한 학생은 은지, 명환이다.
  


07 최빈값이 @이므로 B, C, D 중 적어도 개는 이다.
나머지 한 변량을 제외한 개의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 , , , 
개의 변량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할 때, 번째와
중단원 101쪽~103쪽
번째 변량의 평균이 중앙값인  이므로 B, C, D 중 가
01 ③ 02 ① 03  04 점 아닌 값과 의 평균이 이다.
05 ⑤ 06 은지, 명환 07  08 ②, ⑤ 즉, B, C, D 중 가 아닌 값은 이다.
09 ③, ⑤ 10 ④ 11 ⑤ 12  ∴ B C D  

13 u점 14 ④ 15  16 ㄱ, ㄴ, ㅁ 08 ① 대푯값에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 등이 있다.


17 시간 ③ 변량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는 중앙값이 주어진 변량 중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B 
C
D 
E 
 ④ 분산이 다른 두 집단의 평균은 같을 수도 있다.
01 (평균)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⑤이다.
B C D E   ∴ B C D E
따라서 B, C, D, E의 평균은     
09 ① (평균)

do(회)
B C D E
de ②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이므로 중앙값

은 번째 변량인 회이다.
02 김밥이 명, 라면이 명, 떡볶이가 명, 어묵이 명, 순대가 ③ 회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회이다.
명이다. 따라서 김밥이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김밥 ④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다.
이다. 
™A 
™A 
™A 
™A 
™A
⑤ (분산)

   B  C 
03 (평균)

 ic

 B C  ∴ B C ∴ (표준편차)u(회)


최빈값이 이므로 B, C 중 하나는 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 ⑤이다.

3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명의 분산이 이므로 북
10 (평균)

B
™A C
™A D
™A E
™A 
™A

gyz E#

∴ B
™@ C
™@ D
™@ E
™@

™A 
™A 
™A 
™A ™A ™A ™A ™A ™A ™A
(분산) 즉, 나머지 학생 명의 과학 실험평가 점수의 분산은

B
™@ C
™@ D
™@ E
™@
ocz z

∴ (표준편차)u E#
∴ (표준편차)u (점)

11 ① 지선이의 편차는 초이므로 지선이의 @N 달리기 기록 14 ①, ②, ③, ⑤ 평균과 표준편차로는 직원 수나 임금에 대하


은 평균과 같다. 여 정확히 알 수 없다.
② 정우와 기영이의 편차의 차는  
(초)이므 ④ % 회사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으므로 % 회사가 임금이 가
로 기록 차이는 초이다. 장 고른 회사이다.

™A ™A ™A ™A 
™A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③ (분산)  
 
∴ (표준편차)u(초)
15 ", # 두 모둠의 평균이 같으므로 두 모둠을 합친 전체의 평
④ 편차가 작을수록 변량이 작아지므로 달리기 기록이 빠르
균은 변함이 없다.
다. 즉, 편차가 가장 작은 학생이 달리기 기록이 가장 빠
" 모둠의 \(편차)™@의 총합^@™@
르므로 달리기 기록이 가장 빠른 학생은 호태이다.
# 모둠의 \(편차)™@의 총합^@Y™@Y™@
⑤ 편차가 가장 큰 학생이 달리기 기록이 가장 느리므로 달
두 모둠을 합친 전체의 국어 성적의 분산은 u
™@이므로
리기 기록이 가장 느린 학생은 소민이다.
 Y™@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  Y™@, Y™@
 
∴ Y ∵ Y

12 B, C, D의 평균이 , 분산이 ™@이므로


B C D B
™A C
™A D
™A

,

 16 세 모둠 학생들이 하루에 외우는 영어 단어의 수를 표로 나

B , C , D 에 대하여 타내면 다음과 같다.


B 
C 
D 
단어의 수 (개)     
(평균)

" 모둠 (명)     
B C D
@  # 모둠 (명)     

@  $ 모둠 (명)     
∴ N
@ @ @ @ @
\ B 
^™A \ C 
^™A \ D 
^™A ㄱ. " 모둠의 평균)

(분산)

 
(개)
B
™A C
™A D
™A

 @ @ @ @ @
# 모둠의 평균)
 B
™A  C
™A  D
™A 

  
(개)
B
™A C
™A D
™A
@ @ @ @ @ @
 $ 모둠의 평균)

@
(표준편차)u  ∴ O  
(개)
∴ NO ㄴ. 세 모둠 ", #, $의 변량이 모두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학생이 외운 영어 단어의 수이다.
13 나머지 학생 명의 과학 실험평가 점수를 각각 B점, C점, D점, 따라서 세 모둠의 중앙값은 모두 개이다.
E점이라 하면 명의 평균이 점이므로 ㄷ. " 모둠의 최빈값은 개, 개이다.
B C D E  ㄹ, ㅁ. 주어진 그래프에서 변량이 평균에서 가장 멀리 흩어


진 것은 " 모둠이므로 " 모둠의 분산이 가장 크고, 변
B C D E   ∴ B C D E
량이 평균 가까이에 가장 많이 모여 있는 것은 $ 모둠이
즉, 나머지 학생 명의 과학 실험평가 점수의 평균은
므로 $ 모둠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다.
B C D E
if(점)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ㅁ이다.


Ⅲ. 통계 39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17 금요일의 수면 시간을 Y시간이라 하면
02 (평균)
@ @ @ @ @

    Y
(평균) 에서
 
 (회) UU ❶
 Y  ∴ Y (분산)

™@ 
™@ 
™@ 
™@ 
™@ 
™A@ 
™A@ 
™A@ 
™A@ 
™A@
(분산) 
 
    
 z Å> UU ❷

∴ (표준편차) (시간) ∴ (표준편차)u (회) UU ❸

채점 기준 배점
❶ 평균 구하기 점
❷ 분산 구하기 점
서술형 104쪽 ❸ 표준편차 구하기 점

01 BCD@ 01-1  02 u 회


03  04 평균:, 분산:   B C 
03 (평균)

이므로

 B C  ∴ B C  UU ㉠ UU ❶
01 채점 기준 B의 값 구하기 U 2점

™A 
™A B
™A C
™A 
™A
          (분산) 
(평균) 

  B™@B 
C™@C 

>
 B™@ C™@ B C
 UU ㉡ UU ❷

∴ B ㉠을 ㉡에 대입하면
채점 기준 C의 값 구하기 U 2점 B™@ C™@@   ∴ B™@ C™@ UU ❸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채점 기준 배점


❶ 평균을 이용하여 B C의 값 구하기 점
, , , , , , , , , 
❷ 분산을 이용하여 B, C에 대한 식 세우기 점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 과 의 ❸ B™@ C™@의 값 구하기 점
 
평균인 이다.

∴ C 04 B, C, D, E, F의 평균이 , 분산이 이므로
   채점 기준 D의 값 구하기 U 2점 B C D E F
,
이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이다. 
B
™@ C
™@ D
™@ E
™@ F
™@
∴ D 

   채점 기준 B, C, D의 대소 비교하기 U 1점
UU ❶
BCD B, C, D, E, F에 대하여
B
C
D
E
F

01-1 채점 기준 B의 값 구하기 U 2점 (평균)



@ @ @ @ @ B C D E F
(평균) @ 
 
>
(회) @ UU ❷
(분산)
∴ B
B
™@ C
™@ D
™@ E
™@ F
™@
채점 기준 C의 값 구하기 U 2점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였을 B
™A C
™A D
™A E
™A F
™A

때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인 
   B
™@  C
™@  D
™@  E
™@  F
™@
(회) 
 
∴ C B
™@ C
™@ D
™@ E
™@ F
™@
@

   채점 기준 D의 값 구하기 U 2점
@ UU ❸
회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회이다.
채점 기준 배점
∴ D
❶ B, C, D, E, F의 평균과 분산을 식으로 나타내기 점
   채점 기준 B CD의 값 구하기 U 1점 ❷ B, C, D, E, F의 평균 구하기 점
B CD @ ❸ B, C, D, E, F의 분산 구하기 점

4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⑸ 팔굽혀펴기 횟수가 회 이상이고 턱걸이 횟수가 회 미
2 상관관계 북
만인 학생은 표시한 점이므로 명이다.

월평균 습도
01 산점도와 상관관계 2-

106쪽~111쪽

1 풀이 참조 1- 풀이 참조
() 
2 ⑴ 명 ⑵ 명 ⑶ 명 ⑷ 명 ⑸ 명 
2- ⑴   ⑵   ⑶ 개월 ⑷ 개월 ⑸ 개월 
3 ⑴ 명 ⑵ 명 ⑶ 명
0      
3- ⑴ 명 ⑵ 명 ⑶ 명 월평균 기온 ()
4 @ 4- 
⑴ 월평균 기온이 가장 낮은 달의 월평균 기온은  이다.
5 풀이 참조 5- 풀이 참조
⑵ 월평균 습도가 가장 높은 달의 월평균 습도는  이다.
6 ⑴ 명 ⑵ 명 ⑶ 점
⑶ 월평균 기온이   이하인 달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
6- ⑴ 명 ⑵ 명 ⑶ 점
함)에 속하므로 개월이다.
7 ⑴ ㄱ, ㄷ ⑵ ㄹ ⑶ ㄴ ⑷ ㄱ ⑸ ㄹ
⑷ 월평균 습도가   초과인 달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제
7- ⑴ ㄴ ⑵ ㄱ, ㄹ ⑶ ㄷ ⑷ ㄴ
8 ⑴ 음의 상관관계 ⑵ " ⑶ # 외)에 속하므로 개월이다.
8- ⑴ 양의 상관관계 ⑵ $, " ⑶ # ⑷ % ⑸ 월평균 기온이   이상이고 월평균 습도가   이상
인 달은 표시한 점이므로 개월이다.
사용 시간

 차 점수
1 Z
 3 
 
 
(시간) 
(점) 
 
 
 
 
 
 0         
 차 점수 (점)
0       Y
책 수 (권) ⑴ 차 점수와 차 점수가 같은 학생은 대각선 위의 점이므
관객 평점

1- Z

로 명이다.
 ⑵ 차 점수가 차 점수보다 높은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

(점)  선 제외)에 속하므로 명이다.

 ⑶ 차 점수가 차 점수보다 낮은 학생은 빗금친 부분(경계

선 제외)에 속하므로 명이다.

 학기 점수

0         Y 3-
전문가 평점 (점) 
턱걸이 횟수


2 


(점) 
 

(회)  


0         
 학기 점수 (점)

0        ⑴ 학기 점수와 학기 점수가 같은 학생은 대각선 위의 점


팔굽혀펴기 횟수 (회)
이므로 명이다.
⑴ 팔굽혀펴기 횟수가 회인 학생은 표시한 점이므로  ⑵ 학기 점수가 학기 점수보다 낮거나 같은 학생은 색칠한
명이다.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⑵ 턱걸이 횟수가 회인 학생은 노란색 직선 위의 점이므로  ⑶ 학기 점수가 학기 점수보다 높거나 같은 학생은 빗금친
명이다.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⑶ 팔굽혀펴기 횟수가 회 이하인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
4 국어 점수와 영어 점수가 같은 학생은 대각선 위의 점이므로
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명이다.
⑷ 턱걸이 횟수가 회 이상인 학생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포
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따라서 전체의 c@ 

Ⅲ. 통계 41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4- 수행평가 점수에 비해 지필고사 점수가 높은 학생은 대각선 7- ⑷ 도시의 인구수가 많아질수록 교통량은 일반적으로 많아
의 위쪽에 있는 점이므로 명이다. 지므로 도시의 인구수와 교통량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
∴ B 가 있다. 따라서 산점도로 알맞은 것은 ㄴ이다.
수행평가 점수에 비해 지필고사 점수가 낮은 학생은 대각선
8 ⑴ 휴대 전화 사용 시간과 수면 시간 중 한쪽의 값이 증가함
의 아래쪽에 있는 점이므로 명이다.
에 따라 다른 한쪽의 값이 대체로 감소하는 관계이므로 음
∴ C
의 상관관계이다.
∴ BC
5 ⑴ 두 변량 Y, Z의 합이 인 직선은 Z ⑵ 8- ⑴ 키와 몸무게 중 한쪽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한쪽의

오른쪽 그림과 같다.  값도 대체로 증가하는 관계이므로 양의 상관관계이다.
⑵ 두 변량 Y, Z의 차가 인 직선은 
 ⑵
오른쪽 그림과 같다. 


0       Y

5- ⑴ 두 변량 Y, Z의 합이  미만인 영 Z ⑵ 개념 112쪽~113쪽

역을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에서 
01 ⑴ 명 ⑵ 점 ⑶ 명 02 ⑴   ⑵  H

색칠한 부분(경계선 제외)과 같다.  03 ⑴ 명 ⑵   04 ⑴ 명 ⑵  

⑵ 두 변량 Y, Z의 차가  이상인 영

⑴ ⑵ 05 ③ 06 ⑤ 07 ③ 08 ㄱ, ㄴ
역을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에서 
0
09 ⑴ $ ⑵ " 10 ⑴ " ⑵ ", #
빗금친 부분(경계선 포함)과 같다.        Y
기말고사 성적

말하기 점수
6  01 
 

 

(점)  (점) 

 

0 
0      듣기 점수 (점)
중간고사 성적 (점)

⑴ 중간고사 성적과 기말고사 성적의 평균이 점, 즉 성적 ⑴ 듣기 점수가 점 이상이고 말하기 점수가 점 이상인 학

의 합이 점인 학생은 노란색 직선 위의 점이므로 명 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이다. ⑵ 듣기 점수가 점인 학생은 표시한 점이므로 말하기 점

⑵ 중간고사 성적과 기말고사 성적의 차가 점 이상인 학생 수의 평균은

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ie(점)

⑶ 대각선으로부터 위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은 표시
⑶ 말하기 점수가 듣기 점수보다 높은 학생은 대각선 위쪽
한 점이므로 그 학생의 기말고사 성적은 점이다.
(경계선 제외)에 있는 점이므로 명이다.
 차 점수

6-
지방


 02

 (H) 
(점) 


 

0         

차 점수 (점)

⑴ 차 점수와 차 점수의 합이 점 이상인 학생은 색칠한 0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열량 (LDBM)

⑵ 차 점수와 차 점수의 차가 점 미만인 학생은 빗금친 ⑴ 열량이  LDBM 미만이면서 지방 함량이  H 미만인 음
부분(경계선 제외)에 속하므로 명이다. 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제외)에 속하므로 개이다.
⑶ 대각선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은 표 
따라서 전체의 @ 


시한 점이므로 그 학생의 차 점수는 점이다.
⑵ 열량이  LDBM인 음식은 표시한 점이므로 지방 함량
7 ⑸ 산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낮아지므로 산의 높이와
의 평균은
기온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산점도로
    
알맞은 것은 ㄹ이다. gc H

4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팔굽혀펴기 횟수

03  02 차 점수와 차 점수의 합이 점 미만인 학생은 빗금친 부분 북

 (경계선 제외)에 속하므로 순서쌍 차 점수, 차 점수)로 나

 타내면 , 
, , 
, , 
, , 
, , 
이다. 즉, 차

 점수와 차 점수의 합은 점, 점, 점, 점, 점이므로
(회) 

      
(평균)  (점)
0                  
윗몸 일으키기 횟수 (회)

국어 점수
⑴ 윗몸 일으키기 횟수와 팔굽혀펴기 횟수의 평균이 회 이 03

하, 즉 윗몸 일으키기 횟수와 팔굽혀펴기 횟수의 합이 
(점) 
회 이하인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⑵ 윗몸 일으키기 횟수와 팔굽혀펴기 횟수의 합이 회 이상
0      
인 학생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도서 대출 수 (권)

 ㄴ. 도서 대출 수가 권 이상인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따라서 전체의 @ 


포함)에 속하므로
기말고사 점수

04 ⑴ 중간고사 점수보다 기말고   @ @ @


(평균)
사 점수가 점 이상 하락한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점)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점)
 ㄷ. 국어 점수가 점 미만인 학생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제
⑵ 중간고사 점수보다 기말고
0      외)에 속하므로 명이다.
사 점수가 점 이상 상승한 중간고사 점수 (점)
학생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따라서 전체의 y@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따라서 전체의 @ 


04 ① 나이와 수확량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05 ①, ②, ④, ⑤ 양의 상관관계 ② 나이가 년 이상인 나무 중에서 수확량이  LH 미만인
③ 음의 상관관계 나무가 있다.
따라서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③이다. ④ 수확량이  LH 이하인 나무의 나이는 년 이하이다.

06 주어진 산점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주어진 그래 ⑤ 수확량이 가장 많은 나무의 나이가 가장 많다.


프와 같은 산점도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⑤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08 ㄷ. # 산점도는 " 산점도보다 약한 상관관계가 있다.


05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적어도 한 번은 점 이상을 받았다.
09 ⑵ 대각선의 위쪽에 있는 점이므로 "이다. 차 점수 또는 차 점수 중 한 번만 점 이상을 받아도 성립
10 ⑵ 대각선의 위쪽에 있는 점이므로 ", #이다. 한다.
 차 점수




실력 114쪽
(점) 

01 점 02 점 03 ㄱ, ㄴ 04 ③ 


05 개 팀 06 점
0        
차 점수 (점)
 차 점수

01 차 점수가 점 이상인 학생
차 점수와 차 점수 중 적어도 한 번은 점 이상을 받은 팀

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 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개 팀이다.
에 속하므로 (점) 

     06
(평균) 
 주어진 산점도에서 오른쪽 상단에 있을수록 두 변량의 합이
c(점) 0     크다.
차 점수 (점)

Ⅲ. 통계 43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차 점수와 차 점수의 총점이 높은 순으로 개 팀의 점수를 08 신발의 크기와 발의 길이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순서쌍 차 점수, 차 점수)로 나타내면
, 
, , 
, , 
, , 
, , 
09 ㄷ의 산점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③이다.

이므로 두 점수의 총점은 점, 점, 점, 점, 점이다.


10 대각선의 아래쪽에 있는 점이므로 $이다.
     
∴ (평균)  (점)
 
11 ④ ", #, $, %, & 일 중 일평균 기온이 가장 낮은 날은 "
이다.

12 상위  가 본선에 진출하므로 본선에 진출하는 학생 수는

@iz(명)
중단원 115쪽~116쪽
상위  인 명의 성적을 순서쌍 차 성적, 차 성적)으
01 ④ 02   03 ④ 04 ⑤ 로 나타내면
05 ③ 06 ⑤ 07 ⑤ 08 ① , 
, , 
, , 
, , 
, , 

09 ③ 10 $ 11 ④ 12 점 이므로 차 성적과 차 성적의 합은


점, 점, 점, 점, 점이다.
영어 점수

01 국어 점수와 영어 점수가 따라서 차 성적과 차 성적의 합의 평균은


모두 점 이상인 학생은 
    
gi(점)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 (점)  

에 속하므로 명이다. 


02 국어 점수보다 영어 점수

가 높은 학생은 대각선의 0     
위쪽(경계선 제외)에 속하 국어 점수 (점)

므로 명이다.

따라서 전체의 g@ 

서술형 117쪽
03 ㄱ. 영어 점수가 점인 학생은 명이다.
ㄷ. 국어 점수와 영어 점수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01 점 01-1 점 02 풀이 참조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ㄹ이다. 03 ⑴   ⑵ 회

04 차 점수가 점인 학생들의 차 점수는 각각 점, 점이므로


01 채점 기준 영어 성적보다 수학 성적이 더 높은 학생 수 구하기
  U 2점
(평균) g(점)

영어 성적

영어 성적보다 수학 성적이 더
 차 점수

05 차 점수와 차 점수의 차가
 높은 학생은 대각선의 아래쪽에 

점 이상인 학생은 색칠한 부  



있는 점이므로 명이다. (점)

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점) 


명이다. 

 0    
06 ② 대각선 위의 점이므로 명  수학 성적 (점)
0 채점 기준 평균 구하기 U 3점
이다.         
차 점수 (점)
④ 차 점수와 차 점수의 합 @ @ @ @ @ @
(평균)

이 점 미만인 학생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제외)에 속하

 (점)
므로 명이다. 
 학기 점수




@ 
01-1 채점 기준 학기 점수와 학기 점수가

같은 학생 수 구하기 U 2점
⑤ 차 점수와 차 점수의 평균이 점 이상인 학생은 표 
시한 점이므로 명이다. 학기 점수와 학기 점수가 같은 (점) 

 학생은 대각선 위의 점이므로 명 


∴ @ 

 이다. 0    
따라서 틀리게 말한 학생은 ⑤ 지윤이다. 학기 점수 (점)

4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채점 기준 평균 구하기 U 3점 북
학기 점수와 학기 점수가 같은 학생들의 점수를 순서쌍
학기 점수, 학기 점수)로 나타내면
, 
, , 
, , 
, , 
, , 

이므로 그 합은 점, 점, 점, 점, 점이다.


     
∴ (평균)  (점)
 

02 주어진 변량의 순서쌍 Y, Z


를 좌표 Z

로 하는 점을 추가하여 산점도를 그리 

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UU ❶

따라서 두 변량 Y와 Z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UU ❷
0      Y

채점 기준 배점
❶ 찢어진 부분의 산점도 그리기 점
❷ 상관관계 말하기 점
차

03 ⑴ 윗몸 일으키기 횟수가 
차보다 차에서 회 (회) 

이상 향상된 학생은 색 

칠한 부분(경계선 포 

함)에 속하므로 명이

다. UU ❶ 0      
따라서 전체의 차 (회)

y@ 
UU ❷

⑵ 등인 학생은 표시한 점이므로 차 횟수와 차 횟수는


각각 회, 회이다. UU ❸
  
∴ (평균)  (회) UU ❹
 

채점 기준 배점
❶ 차보다 차에서 회 이상 향상된 학생 수 구하기 점
❷ 전체의 몇 인지 구하기 점
❸ 등인 학생의 차 횟수와 차 횟수 각각 구하기 점
❹ 평균 구하기 점

Ⅲ. 통계 45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6 ⑴ TJO ± DPT ±





 
⑵ DPT ±TJO ±  
I. 삼각비  

1 삼각비 ⑶ DPT ±@UBO ±Å@Å


⑷ UBO ±–UBO ±TJO`± –Å
01 삼각비 

ÅÅÅ

개념 2쪽
Y 
07 ⑴ DPT ±



∴ Y
u u u u
01 ⑴  ⑵




 Z
TJO ± Å ∴ Z

⑸  ⑹ ! 
Y
⑵ TJO ±  ∴ Y
   
02 ⑴  ⑵ TJO "  , DPT ", UBO " 
Z 
DPT ±  ∴ Z
   
⑶ TJO $, DPT $ , UBO $
 
03 , , , "#“, 
 
04 ⑴  ⑵  05 ⑴  ⑵

개념 3쪽~5쪽

 u
06 ⑴  ⑵  ⑶ Å ⑷ Å 01  02 ② 03 Å! 04 

07 ⑴ Y, Z ⑵ Y, Z 05  DN 06 !Å 07 ⑤ 08 ④

02 ⑴ #$“āu 09  10 Å 11 Å 12 ②


#$“ 
⑵ TJO "  13  14 Å 15  DN
"$“ 

DPT "
"#“
 16 Y , Z  17 ⑴  ⑵  ⑶   

"$“
  
UBO "
#$“
 18  19  20 Å 21 y
"#“ 
"#“
⑶ TJO $ 
"$“ 01 "$“}xu이므로

#$“  "$“  


DPT $  TJO #  
 "#“  
"$“
"#“   02 "#“}x (
u이므로
UBO$  
#$“  
#$“  u
TJO "  
"#“ u   
"$“  
TJO #  
"$“• "#“ u 
04 ⑴ TJO #

이므로 "$“
u  
∴ TJO "@TJO # @ 
    
⑵ #$“}v  u
03 #$“ā™@™@u이므로
#$“ "$“
DPT@# o, UBO`# i
"#“ #$“
05 TJO@"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
∴ DPT@#@UBO`#o@iÅ!
직각삼각형 "#$를 그릴 수 있다. 


∴ "#“ā™@™@
"
04 UBO " !이므로 "#“ DN

# "#“

⑴ DPT@"
 "$“}x uu DN

  "#“  u


⑵ UBO`"  ∴ DPT "  
  "$“ u 

4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  13 @TJO@±@UBO@± @DPT@± 북
05 TJO "



이므로 #$“ DN


@Å@ @
"$“}x 
u DN


∴ s"#$Å@@ DN

 

14 DPT ±@UBO ± TJO ±@UBO ±TJO ±@DPT ±


06 DPT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 $    
 @ Å@ @
   
각형 "#$를 그릴 수 있다.
 Å ÅÅÅ
#$“}xu이므로

s"#$에서 UBO ±


u u #$“
TJO "

, UBO "
 "

# 15  이므로

u u #$“ DN

s%#$에서 TJO ±


∴ TJO "@UBO " @ !Å
 
 
 이므로
#%“ 
07 UBO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 $
#%“ DN

형 "#$를 그릴 수 있다.

s$)#에서 UBO ±


"$“}x u 이므로 Z  

16  이므로 Z

s"#$에서 C"± ± ±


±
  
 u  u
TJO "  , DPT " 

s$")에서 UBO ±


u  u 
" #
u u
 Z Z
이므로 Y
∴ TJO "@DPT " @ d Y 
 

s"#$vs&%$ "" 닮음)이므로


 
∴ Y @  
 
08

⑴ s"#$에서 DPT@±
C"#$C&%$Y
s"#$에서 "#“}x  u이므로
"#“
17 
Å이므로 "#“
 

⑵ s"#$에서 TJO`±
  "$“ 
DPT YDPT #   이므로 "$“
   

s&#%vs"#$ "" 닮음)이므로 s"$%에서 DPT@±


"%“ 
09  이므로 "%“
 

⑶ s"$%에서 UBO`±
C#%&C#$"Y
s%#&에서 #&“}x  u이므로
$%“
이므로 $%“
  
따라서 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는
TJO YTJO C#%&

"#“ #$“ $%“ "%“   

s"#$ vs%#" "" 닮음)이므로


  

10
C"$#C%"#Y 18 직각삼각형 &'(에서

s"#$에서 #$“}x u이므로


&(“ā u
직각삼각형 $&(에서 $
TJO YTJO $!, DPT YDPT $g
$&“}x 
 u  

∴ TJO Y DPT Y! gÅ &(“   Y
∴ DPT Y   &

s"#$vs"$%vs$#% "" 닮음)이므로


$&“     (

11 19 직각삼각형 &'(에서

s"#$에서 #$“}x  u DN


이므로
C"#$C"$%Y, C$"#C%$#Z &(“ā u
 
직각삼각형 "&(에서 "

DPT YDPT #Å!, DPT ZDPT "o  


"(“}x  u  

&(“  
∴ DPT Y DPT ZÅ! oÅ ∴ DPT Y   Y
"(“   &
(


12 DPT ±@UBO ±UBO ±@TJO ± 20 직선이 Y축, Z축과 만나는 점을 각각 ", #라 하고
  YZ 에
Å@ @
 
Z을 대입하면 Y이므로 " , 

  
   Y을 대입하면 Z이므로 # , 

  

I. 삼각비 47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직각삼각형 "0#에서 0"“, 0#“이므로 04 ±ƒYƒ±인 범위에서 Y의 크기가 커지면
0#“ ⑴ TJO Y의 값은 증가하므로 TJO ±TJO ±
UBO B iÅ
0"“ ⑵ DPT Y의 값은 감소하므로 DPT ±DPT ±
21 YZ 에 ⑶ UBO Y의 값은 증가하므로 UBO ±UBO ±

Z을 대입하면 YÅ이므로 "[Å, ] 06 ⑴ TJO@±이므로 Y±


⑵ DPT@±이므로 Y±
Y을 대입하면 Z이므로 #[, ]
⑶ UBO`±이므로 Y±
직각삼각형 "0#에서 0"“Å, 0#“이므로
  u
"#“|±[Å] [] |

개념 7쪽
0#“  u
TJO " @ 
"#“ u 
01 ⑤ 02  03 ⑤
0"“  u
DPT " Å@ 
 04 UBO Y, TJO Y, DPT Y 05 ± 06 ①
"#“ u
0#“
UBO " @
0"“ #$“ #$“
01 ④ DPT [DPT Z 

#$“
u u "$“
∴ TJO "@DPT "@UBO " @ @y
  "#“ "#“
⑤ TJO [TJO Z  "#“
"$“ 

$%“ $%“
02 UBO ± 

$%“
0%“
C0"#±±±이므로
"#“ "#“
DPT ±  "#“
0"“ 
∴ UBO ± DPT ± 
02 예각의 삼각비
03 주어진 삼각비의 값을 각각 구해 보면
개념 6쪽  
① ② ③ ④ ⑤ Å
 
01 ⑴ "#“ ⑵ 0"“ ⑶ $%“  
이때 Å  이므로 두 번째로 작은 것은
02 ⑴  ⑵  ⑶   
⑤ DPT ±이다.
03 ⑴  ⑵  ⑶ 
04 ⑴  ⑵  ⑶ 
04 ±Y±일 때 DPT YTJO Y이고, UBO Y이므로
05 ⑴  ⑵  ⑶ 
UBO YTJO YDPT Y
06 ⑴ ± ⑵ ± ⑶ ±

"#“ "#“ 05 TJO ±이므로 Y±


01 ⑴ TJO Y 

"#“
0#“ DPT ±이므로 Z±
0"“ 0"“ ∴ Y Z± ±±
⑵ DPT Y  0"“
0#“ 
$%“ $%“
⑶ UBO Y 

$%“ 06 DPT "gd
0$“
삼각비의 표에서 DPT ±이므로
"#“ "#“
02 ⑴ TJO ± 

"#“ C"±
0"“
0#“ 0#“
⑵ DPT ±  0#“
0"“ 
$%“ $%“
⑶ UBO ±  $%“
0%“  실력 8쪽

03 ⑴ DPT ± TJO ±UBO ±  01 ② 02 ⑤ 03 ⑤


⑵ DPT ±@TJO ±UBO ±–DPT ±@– 04 Y, Z 05  06 ②, ③
⑶  TJO`±DPT ±  UBO ±@ @

4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vs%"$ "" 닮음)이므로


01 북

s"#$에서
중단원 9쪽~10쪽
C"#$C%"$Y

01 ③, ⑤ 02 ③ 03  04 
"$“
UBO YUBO#  이므로
 05 Y, Z 06 > 07 
"$“ DN

08 ③ 09 ④ 10 ⑤ 11 ①
∴ #$“}x 
h DN

12 ⑴ s"%&vs"$#
02 이차방정식 Y™A BY의 한 근이 TJO ±Å이므로 ⑵ TJOA$, DPTA$, UBOA$

YÅ을 Y BY에 대입하면 13 

@[Å] ÅB, ÅB 
01 "#“ā u
™@™@
∴ B  u u
① TJO`#  
u  
 u u
 ② DPT@#  
03 "±@ ±@ű u  
  
 u   u

  ④ DPT@$  
∴ TJO`± : DPTA± : UBO`±Å : : u  
 
 :  : 
02 "$“ā™@ ™@u이므로

s"#$에서
"#“ #$“
TJO`Y e, DPT@Y f
04 "$“ "$“
Y
DPT ± Å이므로 Y ∴ TJO`Y DPT@Y 

"$“ 
TJO ±  이므로 "$“ DN

s"$%에서
 
03  DPT "에서 DPT "!이므로 오른 $


Z  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를 그릴 수
TJO ±  이므로 Z
  있다. " #

 
#$“}x   이므로
05 직선 YZ 이 Y축, Z축과 Z
TJO "

, UBO "

 
만나는 점을 각각 ", #라 하고 #
YZ   
YZ 에 ∴ TJO "@UBO " @ 
 
" B

s&#%vs"#$ "" 닮음
이므로
Z을 대입하면 Y이므로
0 Y
" , 
04

s&#%에서 #&“ā™@™@ 이므로


Y을 대입하면 Z이므로 # , 
C#%&C#$"Y
직각삼각형 "0#에서 0"“, 0#“이므로
 
"#“}x  u 
TJO@YTJO@ C#%&
 , DPT@YDPT@ C#%&
Å

0"“
∴ DPT B e  
"#“ ∴ TJO@Y@DPT@Y @Å
0#“  
UBO B  
0"“

s"#$에서 TJO@±
"$“
∴ DPT B@UBO B@ 05 
Å이므로 "$“

#$“ 
DPT@±  이므로 #$“
 
06 ㄱ. TJO Y#$“ ㄴ. TJO Z"$“
ㄷ. DPT Y"$“ ㄹ. DPT Z#$“ C#"$±±±이므로 C%"$Å@±±

s"%$에서 UBO`± 
 Z 
ㅁ. UBO Y%&“ ㅂ. UBO Z 이므로 Z
%&“  
따라서 삼각비의 값이 같은 것은 ㄱ과 ㄹ, ㄴ과 ㄷ이다. ∴ Y

I. 삼각비 49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6 직각삼각형 &'(에서 &(“ā™@ ™@ "
UBO@$UBO@ C"%&
 UU ❷
직각삼각형 "&(에서

❶ s"%&와 닮은 삼각형을 찾아 기호로 나타내기


 채점 기준 배점
"&“, &(“이므로
점
Y
UBO@Y> & ( ❷ TJO@$, DPT@$, UBO@$의 값 각각 구하기 각 점


"$“
07 직선 ZY 이 Y축, Z축과 만나는
Z 13 TJO@±

이므로
 #
ZY  
점을 각각 ", #라 하자.  "$“@ UU ❶
" B #$“
ZY 에  0 Y DPT@± 이므로

Z을 대입하면 #$“@ UU ❷
Y   ∴ Y ∴ "$“ #$“  UU ❸

또, Y을 대입하면 Z 채점 기준 배점


❶ "$“의 길이 구하기 점
따라서 " , 
, # , 
이므로 직각삼각형 "0#에서
❷ #$“의 길이 구하기 점
0"“, 0#“, "#“ā™@ ™@u ❸ "$“ #$“의 길이 구하기 점

∴ TJO`B, DPT@B

∴ TJO`B DPT@B 

08 ① TJO@±"#“
② DPT@±0#“ 2 삼각비의 활용
③ UBO@±$%“
④ C0"#±이므로 TJO@±0#“
01 삼각비와 변의 길이
⑤ C0"#±이므로 DPT@±"#“

개념 11쪽
09 ① TJO@± DPT@± ÅÅ

 01 ⑴ ,  ⑵ , 


② TJO`±@DPT@± @
 02 ⑴  DN ⑵  DN
③ UBO`±DPT@± 03 ⑴  DN ⑵  DN ⑶  DN ⑷  DN
④ UBO`±@TJO`±@ 04 ⑴  DN ⑵  DN
 
⑤ DPT@±–TJO`± –Å @ 
  05 ⑴ #)“I, $)“ I ⑵  



10 ⑤ TJO@±DPT@± 06 ⑴ #)“I, $)“ I ⑵ 


11 ±"±일 때, TJO@"이므로
02 ⑴ "$“ TJO ±@ DN

TJO`", TJO`" 


⑵ #$“ DPT ±@ DN

∴ ā TJO`"
™@ā TJO`" 
™@

⑴ s"#)에서 ")“ TJO ±@


 TJO`"
 TJO`" 

03 
 DN

⑵ s"#)에서 #)“ DPT ±@Å DN

@TJO`"

⑴ s"%&와 s"$#에서
⑷ s")$에서
⑶ $)“#$“#)“ DN

12

s"%&∽s"$# "" 닮음)


C"는 공통, C"&%C"#$이므로
 
UU ❶ "$“}x")“ $)““ }x 
™@ ™@u DN

s"%&에서 "&“ā™@™@ DN
이므로 ⑴ s#$)에서 $)“ TJO ±@
⑵ C$C"%&이고

04  DN

⑵ s"#$에서 C"± ± ±


±이므로

TJO@$TJO@ C"%&


s")$에서 "$“
 
DPT@$DPT@ C"%&
 @  DN

TJO± 

5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⑴ s"#)에서 C#")±±±이므로


05 (나무의 아랫부분)"$“ UBO ±  북

s")$에서 C$")±±±이므로
#)“I UBO ±I  
@  N

 

 ∴ (나무의 높이)"#“ "$“


$)“I UBO ± I
  
  N

⑵ #$“#)“ $)“이므로  
  

)라 하면 s"#)에서
I

I,

I 05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I  

 

⑴ s"#)에서 C#")±±±이므로
#)“ DPT #@!
# $
)
06
s")$에서 $)“이므로
∴ ")“}xu 

s"$)에서 C$")±±±이므로
#)“IUBO ±I

"$“}x 
u

$)“IUBO ± I

발을 )라 하면 s")$에서
 06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

⑵ #$“#)“$)“이므로 ±
  $)“@TJO`±  AADN
I I, I )
  ±
 @Å DN
±
∴ I@  # $


이므로 s)#$에서
C#± ± ±
±

$)“  
#$“  @  DN

TJO± TJO± 
개념 12쪽~13쪽

)라 하면 s"#)에서
07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01 ③, ④ 02 ③ 03 ④ 04  N   N

 ± )
05  06 ⑤ 07  N 08  @N ")“ TJO ±@ #
AN
$
 
09  
10 ① 11 ③ 12  N  N


#)“ DPT ±@  N

Z Y 
01 "#“ 또는 "#“

따라서 s")$에서
TJO± DPT± ∴ $)“#$“#)“ N

또한, C"± ± ±


±이므로
Y Z  
"#“ 또는 "#“ "$“}x")“ $)““ ā u N

TJO± DPT±

)라 하면 s")#에서
따라서 "#“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은 ③, ④이다. 08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AN
#
± ±

02 C"± ± ±


±

")“@TJO`±@ ± )
  
① TJO ± 이므로 "#“
TJO±

C$± ± ±


±이므로 s"$)에서
"#“  N
$
 
② DPT ± 이므로 "#“
"#“ DPT±
  
#$“ "$“ @  N

③ DPT ± 이므로 #$“"#“ DPT ± TJO± 

")“I라 하면 s"#)에서
"#“ 

④ UBO ±
#$“
이므로 #$“ UBO ± 09 "
± ±

C#")±±±이므로 I
 
⑤ UBO ± 이므로 #$“ 
#$“ UBO± ± ±

s")$에서
#)“IUBO ± I # $
 )

I
03 TJO ± 이므로 I TJO ±

C$")±±±이므로 $)“IUBO ±I

   
04 (나무의 윗부분)"#“ #$“#)“ $)“이므로 I I  I
DPT±  
  
@  N
 ∴ I  
∴ ")“ 

   

I. 삼각비 51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⑴ s"#$Å@@@TJO ±
s"#)에서
10 ")“I라 하면 "
01
± ±
I 
C#")±±±이므로 Å@@@ 

⑵ s"#$Å@@@TJO ±

± ±

s"$)에서
#)“I UBO ± # )
 $

 
C$")±±±이므로 $)“I UBO ± Å@@@ 

⑶ s"#$Å@@@TJO ±
 
#$“#)“$)“이므로 I UBO ±I UBO ±

(UBO ±UBO ±
I ∴ I
UBO±UBO±
Å@@@Å

∴ ")“
UBO±UBO± ⑷ C$C#±이므로 C"± ± ±
±

11 s"#)에서 C#")±±± "  ∴ s"#$Å@@@TJO`±


±
±

s")$에서 C$")±±±
이므로 #)“I UBO ± IAN
± Å@@@Å

⑴ s"#$Å@@@TJO ±±

± 
# ) $
이므로 $)“I@UBO ± AN
02
#$“#)“ $)“이므로

I UBO ± I UBO ± Å@@@ 

⑵ s"#$Å@@@TJO ±±


∴ I UBO ± UBO ±


s#")에서
12 #)“I N라 하면 ±
#
± Å@@@Å

⑴ f"#$%@@TJO ±
IAN
C"#)±±±이므로 "
± ± 04 
AN $ )

s#$)에서 C$#)±±±이므로
")“I UBO ±I N

@@ 

⑵ f"#$%@@TJO ±±



$)“I UBO ± I N


@@ 

⑶ f"#$%@@TJO ±
 
"$“")“$)“이므로 I I

 
I ∴ I@  @@Å

⑷ f"#$%@@TJO ±±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N이다.

@@ 

s"$#는 이등변삼각형이다.
C"#$C#$)C#"$±±±이므로 

06 ⑴ f"#$%Å@@@TJO ±
즉, #$“"$“ N이므로
 Å@@@

⑵ f"#$%Å@@@TJO ±
#)“ TJO ±@  N


따라서 건물의 높이는  N이다.

Å@@@ 


02 삼각비와 넓이 개념 15쪽

14쪽 01 ± 02  DN 03  DN@ 04  DN


개념
05  DN 06  DN 07  DN 08 ±

01 ⑴  ⑵ 
⑶  ⑷ 

02 ⑴  ⑵  03 ÅBC TJO Y, BC TJO Y 01 s"#$Å@@@TJO #이므로

04 ⑴  ⑵  ⑶  ⑷   TJO # ∴ TJO #




05 BC TJO Y, ÅBC TJO Y 06 ⑴  ⑵  
이때 TJO`± 이므로 C#±


5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Å@"#“@@TJO ±±



08 두 대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Y라 하면

f"#$%Å@@@TJO Y이므로
02 북


Å@"#“@@ 
 
 "#“ ∴ "#“ DN
 TJO Y ∴ TJO Y


이때 TJO`± 이므로 Y±


s"#%
03 #%“를 그으면 %
ADN  따라서 두 대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이다.
" ADN
±
Å@@@TJO` ±±
  DN
±
# ADN $
Å@@@Å DN

s#$%Å@@@TJO ±
실력 16쪽

01  02  
N 03  DN™A
 04  
05 ③ 06 ADN™A 07  DNA
Å@@@  DN

∴ f"#$%s"#% s#$%


01 s#'(에서 #'“ DPT ±@Å


  DN™@


'(“ TJO ±@ 

04 "$“를 그으면 "

s"#$Å@@@TJO ±
  DN ∴ (직육면체의 부피)@@

#$“AN이므로 s"#$에서
ADN ± %
02 "


s#%$에서
Å@@@   DN "$“ UBO ±@ N

 ±
#
 DN
$

s"$%Å@@@TJO ±±

ADN ±
 # ± $
$%“ UBO ±@

  N
AN %
Å@@@  DN

∴ f"#$%s"#$ s"$%

∴ (송신탑의 높이)"$“ $%“  N

  DN™@


03 두 점 #, $에서 "%“에 내린 수선의 ADN
) )
" %
발을 각각 ), )이라 하면 ±
  DN

f"#$%@"#“@TJO ±±

05 C"C$±이므로 ")“%)“ DPT ±


# $

@  DN



@"#“@  
 #)“$)“ TJO ±@  DN


 "#“ ∴ "#“ DN
#$“))“"%“ ")“ %)“

f"#$%"#“ @TJO ±±

  
 DN

∴ f"#$%Å@  
@ DN


06


 "#“ @ 


s"#)에서
 
04 ")“I라 하면 "
±
"#“ @  ±
 I
± ±
∴ "#“ DN
(∵ "#“
C#")±±±이므로 #
)
$


s")$에서
#)“I`UBO`±I
07 "$“@@#%“@@이므로

"$“Y DN@ Y


라 하면 #%“Y DN C$")±±±이므로

f"#$%Å@Y@Y@TJO ±±

$)“I`UBO`±I
#$“#)“ $)“이므로
 I I,  
I
Y@ 
 
∴ I  

 

∴ s"#$Å@@ 
 

Y ∴ Y ( ∵ Y

∴ "$“ DN

I. 삼각비 53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을 )라 하면 s"#)에서
05 UBO "

에서 UBO ±

이므로 C"± 04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 " %
 

∴ s"#$Å@@@TJO`±
  DN

")“@TJO`± ± )
# $
ADN
 
Å@@@Å DN
@ (DN

s"#&fs$#& 3)4 합동)이므로


06 #&“를 그으면 % 
#)“`DPT@±@ (DN


& %
"
" ∴ "%“)$“#$“#)“(DN

∴ f "#$%Å@  
@(DN™@

∠"#&C$#&
$

s"#&에서
Å@ ±±
± ±
# $
ADN

)라 하면 s#$)에서
05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
"&“ UBO ±@  (DN
±


∴ s"#&Å@@ DN™@

± ±
#)“@TJO`±@Å(DN

C"± ± ±


±이므로 s"#)에서
# $
ADN

∴ f"#$&s"#&
 
@ DN™@
"#“ @  (DN

TJO@± 
07 "#“A:A#$“A:A이므로 "#“B DN, #$“B DNA B

)라 하면 s"#)에서
06 꼭짓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f"#$%B@B@TJO ±
라 하면 AN ±

# ±

B@B@Å #)“ DPT ±@Å N


) ±
$

")“ TJO ±@  N

C$± ± ±


±이므로 s")$에서
 
oB , B  ∴ B (∵ B


( f"#$%의 둘레의 길이)@  


 DN

따라서 "#“ DN, #$“ DN이므로



$)“  N

UBO±
∴ #$“#)“ $)“  N

따라서 # 지점에서 $까지의 거리는  


AN이다.

s1"2에서
중단원 17쪽~18쪽
07 ±
1

01 ⑤ 02  03  
AN C"12±±±이므로
± AN
"2“ UBO ±@
04 ADN™A 05 ④ 06  
AN

s1#2에서 ∠#12±±±
± ±
 N
"
07 
AN 08 ADN™A # 2

09 AA 10 ADN™A 11 ±
이므로

12 AN 13 ADN™A #2“ UBO`±@

 N

∴ "#“"2“#2“ N

B B

s"#$Å@@@TJO@ ±±

01 DPT@# 이므로 "#“


DPTA#
"#“

s"#)에서
08
02
Å@@@Å DN™@



s$")에서
")“@TJO`±@ 

09 정팔각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개의 "
  
$)“`UBO`±@  합동인 삼각형으로 나누어진다. ±
  #

"%“@N이므로 s#"%에서
0"“0#“이고 
0

03 ∠"0#Å@±±이므로

s"0#Å@@@TJO ±

#%“AUBOA±@  N

s"$%에서 $%“`UBO`±@ N


∴ (나무의 높이)#$“#%“ $%“  N
Å@@@ 


5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따라서 정팔각형의 넓이는 II. 원의 성질 북

s"0#@ 1 원과 직선

10 s"$.Ås"$%
01
Å@Åf"#$%Åf"#$%
원의 현

개념 19쪽
Å@ @@TJO@±

 01 ⑴  ⑵  ⑶  ⑷ 
Å@[@@ ] DN™@

 02 ⑴  ⑵  ⑶  ⑷  ⑸  ⑹ 


11 두 대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를 Y라 하면 03 ⑴  ⑵  ⑶  ⑷  ⑸  ⑹ 

f"#$%Å@@@TJO`Y이므로
04 ⑴ ± ⑵ ±


@TJO`Y ∴ TJO`Y
 01 ⑶ ±AA±AAY, AAAAY ∴ Y
⑷ ±AAY±AAAA, Y ∴ Y


⑶ ".“Å"#“Å@이므로 s0".에서
이때 TJO`± 이므로 Y±

따라서 두 대각선이 이루는 예각의 크기는 ±이다. 02

⑷ s0".에서 ".“ā™Au
Yā™A™A

12 s$"#에서
∴ Y".“@

⑸ #.“Å"#“Å@이므로 s0#.에서
#$“@TJO`±@ N
UU ❶

∴ (지면으로부터 연이 떠 있는 지점까지의 높이)
Yā u

⑹ #.“Å"#“Å@이므로 s0#.에서
  N
UU ❷

채점 기준 배점
❶ #$“의 길이 구하기 점
❷ 지면으로부터 연이 떠 있는 지점까지의 높이 구하기 점 Yāu

03 ⑶ s0".에서

s"#%
13 #%“를 그으면 ADN
%

" ".“}x 


™@™@u이므로
± ADN
"#“".“@
Å@@@TJO` ±±
ADN
± ∴ Y"#“
 # $
Å@@@ ADN ⑷ $%“"#“이므로


s#$%Å@@@TJO@±
$/“Å$%“Å@

s0$/에서 Yā™A ™Au


@(DN™@
UU ❶

Å@@@

 DN™@
UU ❷ ⑸ s0".에서

∴ f"#$%s"#% s#$%

".“ā™A™Au이므로
"#“".“@
  DN™@
UU ❸
∴ Y"#“

❶ s"#%의 넓이 구하기
채점 기준 배점
⑹ %/“Å$%“Å@이므로
❷ s#$%의 넓이 구하기
s0%/에서 0/“ā™A™Au
점

❸ f"#$%의 넓이 구하기
점
점
이때 "#“".“@$%“이므로
Y0/“

04 ⑴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


이다.
따라서 C#C$±이므로

⑵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


CY±@±±

이다.

II. 원의 성질 55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따라서 C#C$이므로
07 ".“Å"#“Å@ DN

CYÅ@ ±±
± $.“은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의 연장선은 원의
중심을 지난다.

s"0.에서
원의 중심을 0라 하면 $
개념 20쪽~21쪽
" #
.
ADN
01 @DN 02 ㄱ, ㄴ, ㄷ, ㅁ 03 @DN  
0.“ā  u DN
ADN
04 @DN 05 @DN 06 @DN 07 ② ∴ $.“ DN

0
08 @DN 09 L@DN™@ 10  11 
12 @DN™@ 13 ± 14 ± 15 ± 08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
을 .이라 하면 0

0%“를 그으면 s0#%는 이등변


01 0$“∥#%“이므로 C 0#%C "0$±(동위각) 0.“Å@ DN

s0".에서
" . #
% ADN
±
$
삼각형이므로
ADN ".“ā™A™Au DN

C%0#±@±± ± ± ∴ "#“".“@ DN

" 0 #
±AA±p#%AA이므로
AAp#%AA ∴ p #% DN

09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이라 하면 0
02 ㄹ. 현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지 않으므로
".“Å"#“Å@ DN
.
" ADN #
ㄹ. "#“ Å$&“

ㅂ. s$0& s$0%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하면

0"“S@DN, 0.“ÅSADN

s0".에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 ㅁ이다.

03 0.“Å0$“Å@ DN

s"0.에서

S™A[ÅS] 
™A, S™A, S™A

이때 S이므로 S
".“ā™A™Au DN

따라서 원 0의 넓이는
∴ "#“".“@ DN

L@™AL DN™A

04 0"“YADN라 하면 0.“ Y


DN
10 "#“$%“이므로
".“Å"#“Å@ DN
이므로

s0".에서
".“Å"#“Å@

s0".에서
Y™A Y
™A ™A, Y ∴ Y
0"“ā™A ™Au

%/“$/“이므로 s0/%에서
∴ 0"“ADN
11
05 0"“를 그으면
0/“ā™A™Au

s0".에서
0"“0$“  DN
0 "#“$%“이므로 0.“0/“

0/“0.“ADN이므로 s0/%에서
ADN
" . ADN # 12
".“ā™@™@u DN

$ %/“ā™A™A DN

∴ "#“".“@ DN

∴ $%“%/“ DN

∴ s0$%Å@@ DN™A

06 $.“은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의 연장선은 원의

f".0/에서
중심을 지난다.
원의 중심을 0라 하고 원 0의 반 $ 13
ADN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 #
C"± ± ± ±
±
.

s"0.에서
ADN
0"“SADN, 0.“ S
DN
SADN S
ADN

0 ∴ C $Å@ ±±
±

f$/0)에서
S™A S
™A ™A, S
∴ S 14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C$± ± ± ±
±

5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05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북
∴ C#C$± .이라 하고 0"“를 그으면

0.“0/“이므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ADN 0

s0".에서
0.“ADN 0"“ADN ADN
15
" . #
따라서 C$C#±이므로
".“ā™A™Au DN

f".0/에서
C"±@±±

s0".에서
∴ "#“".“@ DN

C.0/± ± ± ±


± 06
".“ā™A™Au DN

"#“".“@ DN

∴ $%“"#“ADN

즉, s"#$는 정삼각형이므로 C#±


07 0%“0&“0'“이므로 "#“#$“$"“
실력 22쪽

01  02 ADN 03 ADN 04 ADN™A s"#&에서 "&“ TJO ±@



 DN


05 ③ 06 ADN 07 ④
점 0는 정삼각형 "#$의 무게중심이므로

01 0$“를 그으면 "0“! "&“!@ DN

$ . %
 Y
0$“0"“Å@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ADN이므로
" #
0
 원 0의 넓이는 L@™@L DN™@

$.“Å@$%“Å@

C 0.$±이므로 s0$.에서
즉, s"#$는 정삼각형이고 "&“의 길이는 정삼각형 "#$
0%“0&“0'“이므로 "#“#$“$"“
Yā™A™Au
의 높이와 같으므로
02 0.“$.“Å0$“Å@ DN

"&“ @ DN


0"“를 그으면
점 0는 정삼각형 "#$의 무게중심이므로

s0".에서
0"“ADN이므로 0
ADN "0“! "&“!@ DN

" . #
".“ā™@™@u DN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DN이므로
$
∴ "#“".“@ DN
원 0의 넓이는 L@L DN


03 $%“는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로 $%“의 연장선은 원의 한 변의 길이가 B인 정삼각형의 높이는 B이다.

중심을 지난다.
원의 중심을 0라 하고 원 0의 반지름 $ ADN

의 길이를 S@DN라 하면 " #


ADN %

s"0%에서
0"“S@DN, 0%“ S
@DN SADN S
ADN
02 원의 접선
0
S™@ S
™@ ™@, S ∴ S
개념 23쪽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01 ⑴  ⑵ 
04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이라 하고 0.“Y@DN라 하면 02 ⑴  ⑵ 
0
0"“0$“0.“YADN .
03 ⑴ ± ⑵ ± ⑶ ± ⑷ ±
" #
04 ⑴ Y, Z, [ ⑵ Y, Z, [
".“Å"#“Å@ DN

s0".에서
ADN
$
05 ⑴  ⑵ 
06 ⑴  ⑵ 
Y
™AY™A ™A, Y™A, Y™A

⑴ C0"1±이므로 s01"에서
이때 Y이므로 Y

∴ s0"#Å@@ DN™A

01
Yā™A™Au

II. 원의 성질 57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⑵ C 0"1±이고 0"“Y이므로 s01"에서
0"“를 그으면 s01"에서
03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ADN라 하고
ADN
"
SADN

⑴ C0"1±이므로 s01"에서
Y 
™AY™A ™A, Y ∴ Y 1 SADN
ADN #
0
02 S 
™@S™@ ™@, S
1"“ā™@™@u ∴ S
1#“1"“이므로 Y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C0"1±이므로 s01"에서
⑵ 1"“1#“

이때 1"“1#“이므로 s1#"는 이등변삼각형이다.


04 C1#$±이므로 C1#"±±±

⑴ C0"1C0#1±이므로 f"1#0에서
Yā™@™@u
∴ CY±@±±

C0#1±이고 C01#±이므로 s01#에서


03
05
⑵ C 0"1C 0#1±이므로 f"1#0에서
C Y± ± ± ±
±

1#“ DPT ±@  DN

⑶ 1"“1#“이므로 s1"#에서
C Y± ± ± ±
±
∴ 1"“1#““ADN

C YÅ@ ±±
± 06 C0"1C0#1±이므로 f"1#0에서

⑷ C0"1C0#1±이므로 f"1#0에서
C "0#± ± ± ±
±

0"“0#“이므로 s0"#에서
C "0#± ± ± ±
± ∴ (부채꼴 "0#의 넓이)L@™A@ÅL DN™A

07 C0"1±이므로 s0"1에서
CYÅ@ ±±
±

s0"1fs0#1 3)4 합동)이므로


1"“ā™A™Au DN

04 ⑴ Y"'“, Z#%“, [$&“


⑵ Y#&“, Z$'“, ["%“ f"1#0s0"1@[Å@@] DN™A

05 ⑴ #&“#%“이므로 $&“
∴ Y$&“ 08 "%“"&“ADN이므로
⑵ $'“$&“이므로 "%“"'“ #%“ DN

∴ Y#%“ $&“ DN

∴ #$“#'“ $'“#%“ $&“  DN

06 ⑴ "#“ $%““"%“ #$“이므로


 Y   ∴ Y
#%“#'“, $&“$'“이므로
⑵ "#“ $%““"%“ #$“이므로
s"#$의 둘레의 길이)"%“ "&“"&“에서
  Y 
  ∴ Y
  #$“@ ∴ #$“ DN

24쪽~26쪽
09 s"#$의 둘레의 길이)"#“ #$“ "$“
개념
"#“ #'“ $'“
"$“
01 u@DN 02  03 @DN 04 ±
 "#“ #%“
$&“ "$“

05 @DN 06 L@DN™@ 07 @DN™@ 08 @DN "%“ "&“"%“


09 @DN 10 @DN 11 @DN 12 @DN™@ 이므로   "%“, "%“ ∴ "%“ DN

13 @DN 14 @DN 15 @DN 16 L@DN™@


17  18  19 @DN 20 @DN 10 %&“%"“ADN, $&“$#“ADN이므로
$%“  DN

21 @DN
11 %&“%"“ADN, $&“$#“ADN이므로

C150±이므로 s015에서
01 10“1"“ 0"“  DN

%$“  DN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ADN


" %
15“āuu DN
하면
&

s%)$에서
∴ 15“15“uADN $)“$#“#)“ DN
ADN
0

C0"1±이므로 s01"에서
02 01“0$“ $1“ 이고
)
# $
%)“ā™A™Au DN
ADN

1"“āu ∴ Y1"“ ∴ "#“%)“ADN

5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12 %&“%"“ADN, $&“$#“ADN이므로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므로 원 0의 넓이는 북

%$“  DN
L@™@L DN™@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17 "#“ $%“"%“ #$“이므로
ADN
)라 하면
"%“ #$“ 

s$%)에서 C#±이므로 s"#$에서


& ADN
$)“$#“#)“ DN
%
)
ADN 18
" 0 #
%)“ā™A™Au DN
#$“ā™A™Au
"#“ $%“"%“ #$“이므로

f"#$%Å@  
@ DN™@

따라서 "#“%)“@DN이므로
 Y  ∴ Y

19 $'“$(“YADN라 하면
13 "%“YADN라 하면
"&“")“@DN, #'“#&“@DN, %)“%(“@DN이고
"'“"%“YADN이므로
"#“ $%“"%“ #$“이므로
#&“#%“ Y
DN
f"#$%의 둘레의 길이) "#“ $%“
에서
$&“$'“ Y
DN
   Y
, Y ∴ Y
#$“#&“ $&“이므로 ∴ $'“@DN

s%&$에서
 Y
Y
, Y ∴ Y
∴ "%“ADN 20
$&“āu( DN

14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 #%“#&“, $&“$'“이므로 #&“Y@DN라 하면 "%“#$“ Y 
DN
"%“ #&“ $'“Å "#“ #$“ $"“

s"#$의 둘레의 길이가 ADN이므로


"#“ %&“"%“ #&“에서
  Y 
Y Y ∴ Y
 #&“ Å@ ∴ #&“ DN

s"#$에서 #$“ā™A™Au DN

∴ #&“@DN
15 21 s%&$에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
%&“āu( DN

ADN %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SADN라 하면 S
ADN
"&“Y@DN라 하면 #$“"%“ Y 
DN
0 '
$&“$'“SADN이므로 SADN
#
#%“#&“ S
DN, S
ADN & $
SADN "#“ $&“"&“ #$“에서
"%“"'“ S
DN  Y Y 
, Y ∴ Y
"#“#%“ "%“이므로 ∴ "&“@DN
 S
S
, S ∴ S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s"#$에서 #$“ā™@™@‚ DN

실력 27쪽

s"#$s0"# s0#$ s0$"이므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하면
01 ± 02 ADN 03 ADN 04 ADN

Å@@Å@@S Å@@S Å@@S


05 ① 06 LADN 
07 

S ∴ S
01 C0"1C0#1±이므로 f"1#0에서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다.

s"#$에서 "$“ā™A ™Au DN


0"“0#“이므로 s0"#에서
C"0#± ± ± ±
±
16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
C"#0Å@ ±±
±
'
S
ADN
SADN라 하면

1"“1#“이므로 s1"#는 이등변삼각형이다.


% 0
#%“#&“SADN이므로 SADN
$
# & S
ADN
"'“"%“ S
DN SADN

$'“$&“ S
DN ∴ C1#"Å@ ±±
±

"$“"'“ $'“이므로 C0#1±이므로


 S
S
, S ∴ S C"#0±±±

II. 원의 성질 59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C 0"1±이므로 s01"에서
02 0"“0$“ADN이고
중단원 28쪽~29쪽

∴ ( f"1#0의 둘레의 길이) 0"“ 1"“

1"“ā™A™Au DN
01 ⑤ 02  03 LADN 04 ADN
05 ② 06 ⑤ 07 ③ 08 ADN
@  
 DN
09 ② 10 ②

03 C0&"±이므로 s0"&에서 11 LADN™A 12 


"&“ā™A™Au DN

∴ s"#$의 둘레의 길이)"#“ #$“ "$“ 01 0%“를 그으면 $


.
%
ADN
"%“ "&“"&“ 0%“Å"#“Å@ DN
" #
0
@ DN
ADN

s.0%에서
.%“Å $%“Å@ DN

04 %&“%"“ADN, $&“#$“ADN이므로
%$“  DN

0.“ā™@™@u DN

점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


ADN
)라 하면 ADN &
$
) 02 0$“0"“Y@DN이므로

s%)$에서
%)“%"“")“ DN
ADN ADN

s0".에서
" 0 # 0.“ Y
@DN, ".“#.“@DN

)$“āu DN

따라서 "#“)$“ADN이므로 반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Y™@™@ Y


™@, Y ∴ Y

s"#$가 정삼각형이므로
Å@ DN

03
05 "%“"'“, #%“#&“, $&“$'“이므로 #$“"#“@DN
"#“ #$“ "$“ "%“ #&“ $'“

#.“Å #$“Å@ DN

0#“를 그으면 s0#.에서


∴ "%“ #&“ $'“Å "#“ #$“ "$“

ADN "
Å@   
0#“}x 
™@ ™@ u DN

0
Å@ DN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
ADN

s"#$에서 #$“āu DN

이므로 원 0의 둘레의 길이는 # . $


06 L@L DN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


ADN %
S@DN라 하면 S
ADN
0
0
'
SADN
04 $.“은 현 "#의 수직이등분선이므 $
$&“$'“SADN이므로 ADN
# $ 로 $.“의 연장선은 원의 중심을 지
S
ADN & " #
#%“#&“ S
DN, SADN .
난다. ADN
"%“"'“ S
DN ADN
원의 중심을 0라 하면 0
"#“"%“ #%“이므로

s"0.에서
0.“0$“$.“ DN

 S
S
S ∴ S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ADN이므로 원 0의 넓이는

s".$에서
".“āA™ ™Au DN

L@L DN

07 #'“이고 "#“ $%“"%“ #$“이므로 "$“ā™A ™Au DN

   Y
∴ Y

05 원의 중심 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f0&#'가 정사각형이므로
0&“를 그으면  %
" ) .이라 하면 #
0
(
0 

s0".에서
#&“#'“ &
0"“ADN, 0.“Å@ DN
.
 
")“"&“ "
#  ' Y $
%(“%)“ ".“ā™@™@u DN

$'“$(“ ∴ Y ∴ "#“".“@ DN

6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6 0.“0/“이므로 $%“"#“@DN
2 원주각 북

s%0/에서
%/“Å $%“Å@ DN

01 원주각
%/“  
0%“ @  DN

C0#1±이므로 s01#에서
DPTA±  
개념 30쪽~31쪽
07
01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1#“ā™@™@u DN

따라서 1"“1#“@DN이므로 02 ⑴ ± ⑵ ± ⑶ ± ⑷ ±


f"1#0의 둘레의 길이)1"“ 0"“ 0#“ 1#“ 03 ⑴ ± ⑵ ± ⑶ ± ⑷ ±
    DN
04 ⑴ ± ⑵ ±
05 CY±, CZ±
08 "'“"%“@DN이므로
06 ⑴  ⑵  ⑶  ⑷  ⑸  ⑹ 
$&“$'“ DN

#%“#&“ DN
07 ⑴  ⑵  ⑶  ⑷ 
∴ s1#2의 둘레의 길이)#1“ 12“ #2“ 08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 #&“ DN
09 ⑴ ± ⑵ ±

09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DN라 " ADN


'
ADN
하면 ADN 01 ⑴ CYÅ@±±
% 0
SADN
#%“#&“S@DN이므로 # $ ⑵ C Y@±±
& ADN
SADN
"#“ S 
@DN, ⑶ C Y@±±

s"#$에서
#$“ S 
@DN
⑷ C YC "1#Å@±±

™@ S 
™@ S 
™@, S™@ S ⑸ C YÅ@±±
S 
S
 ∴ S@( ∵ S
⑹ C Y@±±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므로 원 0의 넓이는
02 ⑴ CYC"$#±

s%#$에서 #$“}x h


™@™@u DN

L@™@L DN™@

⑵ C YC "%#±
10
⑶ C $"%C $#%±이므로
"#“ $%“"%“ #$“이므로
C Y± ±±
"#“   ∴ "#“ DN

⑷ C %#$C %"$±이므로
C Y± ± ±
±
11 ".“Å"#“Å@ DN

03 ⑴ C"$#±이므로

s0".에서
C"0.±±±이므로
C Y± ± ±
±
⑵ C "$#±이므로
 
0"“ @  DN
UU ❶ C Y± ± ±
±
TJOA± 
⑶ C "$#±이므로
∴ (원 0의 넓이)L@ 
™@L DN™@
UU ❷
C Y±±±
채점 기준 배점
⑷ C %$#C %&#±이고
❶ 원 0의 반지름의 길이 구하기 점
❷ 원 0의 넓이 구하기 점 C "$#±이므로
C Y±±±
12 "'“"%“@DN
#%“#&“Y@DN 04 ⑴ CYC"%$±

s"#$의 둘레의 길이가 ADN이므로


$'“$&“@DN UU ❶ ⑵ C "$#±이므로
C Z± ± ±
±
  Y 
, Y  ∴ Y UU ❷
05 C"%#±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❶ "'“, #%“, $'“의 길이 각각 구하기 점 CY±±±
❷ Y의 값 구하기 점 ∴ C ZC Y±

II. 원의 성질 61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06 ⑴ C "%#C #%$±이므로 02 0"“, 0#“를 그으면 1"“, 1#“가 원 0 "

Yp#$ 의 접선이므로
0 Y
1 ± $
⑵ p"#p$%이므로 C $2%C "1#± C 1"0C 1#0±
∴ Y ∴ C "0#±±± #

⑶ C"1#C$2%±이므로 ∴ C YÅ@±±
Yp"#
⑷ p"#p$%이므로 03 1"“, 1#“가 원 0의 접선이므로
Y±@±±  ∴ Y C 1"0C 1#0±
⑸ p#$p"$이므로 C $"#C "#$Y±

s"#$에서 Y±Å@ ±±


±
∴ C "0#±±±

∴ C YÅ@±±
 ∴ Y CZÅ@ ±±
±
⑹ C %#$±±±이므로 C "$#C %#$
  ∴ Yp"# 04 &#“를 그으면 &
%
'
C"&#C"'#± ± Y ±
07 ⑴ Y±AA±AA, YAAAA ∴ Y
⑵ Y±AA±AA, YAAAA C #&$C #%$±
∴ C YC "&# C #&$ 

⑶ C "%$±이므로 s"$%에서
Y ∴ Y "
$
± ±± #

C %"$± ± ±


±

s1#$에서 ± C Z±이므로 C Z±


05 CYC%"$±
±AA±YAA AAYAA 

Y ∴ Y
∴ C ZC Y±±±
⑷ ±AA±  Y
AAY AA  Y
AAY 
Y Y Y  ∴ Y 06 C"$%C"#%±

⑹ C"%#± ± ±


±이므로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
08
C "$# C "%# ∴ C Y±±±

따라서 네 점이 한 원 위에 있지 않다.
07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09 ⑴ CYC#"$±  ∴ C"$%±±±
⑵ C #%$C #"$±이므로 p"%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서로 같으므로

s1%#에서
C Y± ±± C "#%C "$%±

C Y± ± ±


±

s"%1에서
08 "#“가 반원 0의 지름이므로 C"%#±

개념 32쪽~34쪽 C1"%±±±
∴ CYC$"%@±±
01 ± 02 ③ 03 CY±, CZ±
04 ± 05 ± 06 ± 07 ± 09 "%“를 그으면 "#“가 반원 0의 지름이 1

08 ± 09 ± 10 ± 11 ± ± %

s"%1에서
므로 C"%#± $
12 ± 13 ± 14 ± 15 ± Y
 " #
16 ± 17  18  19 ⑤ C1"%±±± 0

∴ CYC$"%@±±
20 ± 21 ±
10 C#%$C#"$±

01 CYÅ@±± p
#$p$%이므로

s#$%에서
C $#%C #"$±
C ZÅ@ ±±
±

∴ C ZC Y±±± ± ± C Y


±± ∴ C Y±

6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11 두 현 "$, #%의 교점을 1라 하면 "
ADN
% 19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북
Y

s"#1에서
±AAC #"$AAAA C "#%C "$%±
1

s"#1에서
∴ C #"$±
±
# $ C Y ±± ∴ C Y±
C Y± ±± ADN
20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s"#1에서 CY± ±±


12 한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이고, C#"$C#%$±
원주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C Y±@ ±@d± 21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s"$1에서
C$"%C$#%±
13 #$“를 그으면 "

p"#의 길이가 원주의 @Å이므로 1 %


± CY± ∴ CY±
Y
#
$
C "$#±@ű

p$%의 길이가 원주의 @이므로

실력 35쪽
C $#%±@±

s1#$에서 C Y± ±± 01 ± 02 ± 03 ± 04 ±


05 ADN 06 ADN 07 ± 08 ±
14 #$“를 그으면 %
"

 p"#의 길이가 원주의 Å이므로 01 1"“, 1#“가 원 0의 접선이므로


1
C 1"0C 1#0±
C"$#±@ű # $
∴ C "0#±±±
p"# : p$% : 이므로 ∴ C YÅ@ ±±
±
± : C%#$ : , C%#$±

s1#$에서 C%1$± ±±


∴ C%#$± 02 C#%$C#"$±

s#$%에서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s1$"에서 C Y± ±±


15 C"$#C"%#±
CY± ± ±
±

03 "%“를 그으면 "#“가 반원 0의 지름이 1

s"1%에서 ±± C Y
16 C"%$C"#$± 므로 C "%#±
Y
$ %
∴ CY±
C $"%ÅC $0%Å@±±

s"%1에서
±
17 #0“의 연장선이 원 0와 만나는 점을 "이 "
" 0 #
"

이때 C"$#±이므로 s"#$에서
라 하면 C#"$C#"$ C Y ±± ∴ C Y±
0

 04 한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āu
#  $ CB CC CD CE CF±

05 s"#1에서 C#"1±±±
"$“  
∴ DPT "DPT "  
#"“  

18 "0“의 연장선이 원 0와 만나는 점을 $ ±AA±AA(원의 둘레의 길이)


 AAAA(원의 둘레의 길이)
#이라 하면 C"#$C"#$
0

s"#$에서
이때 C"$#±이므로 " # ∴ (원의 둘레의 길이) DN

06 #%“를 그으면 $%“는 원 0의 지름이므로


"
ADN
$
#
UBO`#UBO`#   C$#%±
#$“
∴ C"#%±±± 0

s"#$에서 "#“ā u


 ∴ #$“ ±
 C"#$AAC"#%p"$AAp"%에서
% #
±@A±@Ap"%, AAAAp"%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Å@ ∴ p"% DN

II. 원의 성질 63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⑸ s"#%에서 C"± ± ±
±
s"1%에서 C"%$± ±± C" C%$&이므로 f"#$%는 원에 내접하지 않는다.
07 C#$%C#"%±

s&%$에서 CY± ±±


C#"%C%$&이므로 f"#$%는 원에 내접한다.
⑹ C#"%±±±

⑴ s"#$에서
08 네 점 ", #, $, %가 한 원 위에 있으므로
C#"$C#%$CY 03
C$"%C$#%± C#$"Å@ ±±
±
따라서 ± CY±이므로 CY±
  ∴ CYC#$"±

s"#$에서 C#$"± ± ±


±
⑵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 CYC#$"±

02 원주각의 활용
개념 37쪽~40쪽

개념 36쪽 01 ± 02 ± 03 ± 04 ±

01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05 ± 06 ± 07 ③ 08 ±


⑺ ± ⑻ ± 09 ± 10 ② 11 ⑴ ±⑵ ±

02 ⑴ × ⑵ ◯ ⑶ ◯ ⑷ ◯ ⑸ × ⑹ ◯ 12 ± 13 ± 14 ± 15 ±

03 ⑴ ± ⑵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⑵ s"$%에서 C "%$± ± ±
±
01 ⑴ CY ±±이므로 CY±
27 CY±, CZ±
∴ C Y±±±
⑶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 01 CY±±±
C %"#± ± ±
± C Z±±±
∴ C Y±±± ∴ C YC Z±±±

s"$%에서
⑷ C "%$±±±
02 C#"%ÅC#0%Å@±±

C Y± ± ±


± ∴ C Y±±±
⑸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한 내각에 대한 대각의 크기

s"#$에서 C #"$± ± ±


±
03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와 같으므로

⑹ s"#%에서 C #"%± ± ±


±
CYC#"%±
∴ C YC #"%± ±±

∴ C YC #"%± 04 s"1#에서


± C"#1± ∴ C"#1±
⑺ C#"%ÅC#0%Å@±±이므로
∴ CYC"#1±
C YC #"%±
⑻ C #"%C %$&±이므로 05 C#"%C%$&±이므로

C #"$±±± ± C $"%± ∴ C $"%±

∴ C YC #"$± ∴ C $#%C $"%±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
∴ C Y±±±
⑵ C" C$±, C# C%±이므로 f"#$%는
02 ⑴ 대각의 크기의 합이 ±인지 알 수 없다.

s1#$에서 C %$2C Y ±이므로


06 C$%2C"#$CY

⑶ s"#$에서 C#± ± ±


±
원에 내접한다.

s%$2에서
C# C%±이므로 f"#$%는 원에 내접한다.
⑷ C"#&C%±이므로 f"#$%는 원에 내접한다.
 C Y C Y ±
±±
C Y± ∴ C Y±

6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1$%에서 C #$2C Y ±


07 C"%$±±±이므로 17 CYC%$2± 북

s#2$에서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 ± ±
±

± C Y ±
± ∴ C Y± CZ±±±
∴ CY CZ± ±±

f"#$'가 원에 내접하므로
08 $'“를 그으면 "
±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 18 C#%"C#"5±
C#$'±±± ±

f$%&'가 원에 내접하므로
$

s#%"에서 C"#%± ± ±


±
∴ C%$'±±± &
C%"#±±±
%

C&±±±
19 #%“를 그으면
09 "$“를 그으면 "
C"%#C"#5CY %
0
C"$#ÅC"0#Å@±± ±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 ±
Z &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0 C"#%±
Y 5 Y #
C"$% C"&%± $ %

s"#%에서 CY± ± ±


±
∴ CY CZC"$# C"$% C"&%
C#"%±±±

20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10 $&“를 그으면 "
#
± 0 C"%$±±±
0
± & ±
C"&$±±± Y #%“를 그으면 p"#p#$이므로 #
%
∴ C$&%±±± C"%#C#%$Å@±±
$ % Y $ 5
∴ CYC$&%@±±

⑴ f"#21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CYC#%$±
11

C"51C"#5±이므로 s#15에서
21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5"±

⑵ f12$%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12$C#"1±

CY ± ±
±± ∴ CY±
C1%$ ±± ∴ C1%$±
22 "5“를 그으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f"#21가 원 0에 내접하므로
12 12“를 그으면 % #
1
"
C "5#± 0
± 0

s"5#에서
C #"5C #52±이므로

f12$%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12$C#"1± # 0 Y "
±
Y
2 1
5 2
$

s#15에서
C1%$±±± C "#5± ± ±
±
∴ CYC1%$@±±

s"$%에서
C Y ±± ∴ C Y±
13

f"#$%가 원에 내접하므로
C %± ± ±
± 23 #5“를 그으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
Y
C"5#±
0

s"5#에서
C Y±±± C"#5C"52±이므로

f"#$%가 원에 내접하므로
± #
14 1

s"51에서
2 5 Z
CY± ± ±
±
C #"$C #%$±
∴ C YC #"%± ±±
± CZ± ∴ CZ±

s"#$에서 C Y±@±±
15 C#$"C#"5±이므로
∴ CZCY±±±

24 s"1#는 1"“1#“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 "#5C "51±이므로 s#15에서


16 "1“"5“이므로 C"51C"15±
C1#"Å@ ±±
±

± ± ± CY


± C$#"C$"%±
∴ CY± ∴ CY± ± ±
±

II. 원의 성질 65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25 $&“$'“이므로 07 #$“를 그으면 "
± %
C$&'Å@ ±±
± C#$5C#%$±이므로
C"$#±±± 0

s%&'에서
C'%&C'&$±이므로 # Y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5 ± $
C#$%±
C%'&± ± ±
±
∴ CY±±±
26 C%$5C%51
C#52@(맞꼭지각)

s%5$에서
C#"5±

C%5$± ± ±


± 중단원 42쪽~43쪽

27 CYC%51± 01  L DN™A 02 ② 03 ③ 04 L


CZC#"5±
05 ± 06 ± 07 ± 08 ④
09 ADN 10 ± 11 ±

12 ± 13 ±

실력 41쪽 01 C"0#C"1#@±±

01 ± 02 ⑤ 03 ± 04 ± ∴ (색칠한 부분의 넓이)L@™@@

 L DN™@

05 ± 06 ± 07 ④

s%1$에서
02 "%“를 그으면
#
"
'
01 ∠$"%∠$#%± ± ±

C1%$± ± ±


± ∠%"&∠%'&±
∴ ∠$"&∠$"% ∠%"&  $
∴ CYC"%$± &

± ±± %

s1#$에서 C%$2CY ±이므로


02 C$%2C"#$CY

s%$2에서 CY CY ±
±±
03 "%“를 그으면 1
$ Y
C$"%ÅC$0%Å@±± %
CY± ∴ CY± ±
"#“는 반원 0의 지름이므로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 #
03 0

s1"%에서 CY± ± ±


±
#%“를 그으면 &
C"%#±
"
±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
C &%#±±±
∴ C #%$±±±
Y ± % 04
∴ C YC #%$@±± # $ C#"$±@±±
p #$  p"$C#"$  C"#$±  ±이므로
04 C"$#C"#5±
p #$  L   ∴ p #$L
p #$  이므로 C"$#  C#"$  
p"#  
±  C#"$   ∴ C#"$± 05 p"#, p #$의 길이가 각각 원주의 Å, Å이므로 p"$의 길이는

이때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5 C#$"C#"5±
원주의 [Å Å]g이다.

한 원에서 모든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의 합은 ±이므로


CYÅ@ ±±
±
CY±@g±
06 CYC%$2±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 #$%± ± ±
± 06 ∠&$%∠&"%±이므로

f"#$%가 원에 내접하므로
∠#$%± ±±
C Z±±±
∴ C Y C Z± ±± ∠Y±±±

6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s1#$에서 C%$2CB ±이므로


07 C"#$C$%2CB라 하면
III. 통계 북

s%$2에서 CB CB ±
±±
1 대푯값과 산포도

s%$2에서 CY± ±±


CB± ∴ CB±
01 대푯값

08 f"#$%가 원에 내접하므로 개념 44쪽

CY±±±, CZC"#$±
01 ⑴ 평균:, 중앙값:, 최빈값:
∴ CY CZ± ±±
⑵ 평균:, 중앙값:, 최빈값:
09 C#$"C#"5이고 C#"$C#"5이므로 ⑶ 평균:, 중앙값:, 최빈값:

따라서 s"#$는 "#“#$“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C #$"C #"$ ⑷ 평균:, 중앙값:, 최빈값:, 
⑸ 평균:, 중앙값:, 최빈값:
#$“"#“ADN

s"#%에서 C#"%± ± ±


±
⑹ 평균:, 중앙값:, 최빈값:, 

f"#$%가 원에 내접하므로
10 02 평균:회, 중앙값:회, 최빈값:회

CZ±±±      
01 ⑴ (평균)





s#$%에서 CY± ± ±


±
C#%$C#$1±이므로
변량의 개수가 로 홀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 CZCY±±±
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11 "#“를 그으면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
⑵ (평균)
     



 
C#"$±
0 변량의 개수가 으로 짝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

s#"$에서
C$#"C$"5±이므로
 
Y
±
째 변량 와 의 평균인 이다.
# 
1 "

s$1"에서 CY ±±
5
C#$"± ± ±
± 가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 CY±        
⑶ (평균)  
 

C1"0C1#0±이므로 f"1#0에서
변량의 개수가 로 홀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12 이다.
C"0#± ± ± ±
± 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 CYÅC"0#Å@±± ⑷ (평균)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CY CZ±


UU ❶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CZ±±± UU ❷ , , , , , , 
∴ CZCY±±± UU ❸ 변량의 개수가 로 홀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채점 기준 배점 이다.
❶ CY의 크기 구하기 점 와 이 모두 개씩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 
❷ CZ의 크기 구하기 점
이다.
❸ CZCY의 크기 구하기 점
       
⑸ (평균)

13 "$“를 그으면 "
% 
# Y  
C#"$C#$1± UU ❶ 
0
±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C$"%ÅC$0%Å@±
, , , , , , , 
±
± UU ❷
변량의 개수가 로 짝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1 $
∴ CYC#"$ C$"%  
변량 와 의 평균인 이다.
± ±± UU ❸ 
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채점 기준 배점
         
❶ C#"$의 크기 구하기 점 ⑹ (평균)

❷ C$"%의 크기 구하기 점

❸ CY의 크기 구하기 점  


III. 통계 67

თ๥൘ၦጄ༘ዼጄ໕73QVLL ࿼ፎ"!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또, ANN가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ANN
, , , , , , , , ,  이다.
변량의 개수가 으로 짝수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 ⑵ 공장에 가장 많이 주문해야 할 신발의 크기는 가장 많이
  판매된 신발의 크기를 선택해야 하므로 최빈값이 자료의
째 변량 와 의 평균인 이다.

대푯값으로 가장 적절하다.
과 가 모두 개씩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 이다. @ @ @ @ @ 
03 (평균)



(점)
         
02 (평균)
 중앙값은 명의 학생 중에서 번째와 번째 학생의 점수의
  
 (회) 평균이므로 (점)이다. 또, 점수가 점인 학생이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 회와 회의 평균인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점이다.
 
(회)이다. @ @ @ @ @ 
 04 (평균)  (개)
 
회가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회이다.
중앙값은 명의 학생 중에서 번째와 번째 학생이 구입
 
한 과자 수의 평균이므로 (개)이다. 또, 구입한 과자

수가 개인 학생이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개이다.

개념 45쪽~46쪽
05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회이다.
01 ⑴ 평균:세, 중앙값:세, 최빈값:세 ⑵ 중앙값 회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회이다.
02 ⑴ 평균:@NN, 중앙값:@NN, 최빈값:@NN
        
⑵ 최빈값 06 (평균)



(회)

03 평균:점, 중앙값:점, 최빈값:점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인
04 평균:개, 중앙값:개, 최빈값:개  
(회)이다. 또, 회가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

05 중앙값:회, 최빈값:회
빈값은 회이다.
06 평균:회, 중앙값:회, 최빈값:회
07 일 08 Y, 중앙값:@LH 09 B, C 07 대구의 미세 먼지가 ‘주의’인 날수를 Y일이라 하면
10  11  12  13    Y    
(평균) 이므로

 Y ∴ Y
      
01 ⑴ (평균)
 따라서 대구의 미세 먼지가 ‘주의’인 날수는 일이다.

 (세)  Y   
 08 (평균) 이므로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Y ∴ Y
, , , , , ,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세이다.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ALH이다.
또, 세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세이다.
⑵ 자료에 세라는 극단적인 값이 있으므로 평균은 대푯값 B   C   
09 (평균)

이므로
으로 적절하지 않으며, 최빈값인 세도 자료에서 가장
B C  ∴ B C
작은 변량으로 자료의 전체적인 특징을 나타내지 못하므
중앙값이 이므로 번째 변량이 이 되어야 한다.
로 중앙값이 자료의 대푯값으로 가장 적절하다.
∴ C, B
02 ⑴ (평균)        
 10 나머지 한 명의 왼쪽 눈의 시력을 B라 하면 명의 중앙값은

  NN
번째와 번째 학생의 왼쪽 눈의 시력의 평균이다.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중앙값이 이므로 B이고

, , , , , , ,   B


,  B ∴ B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 ANN
11 B¢를 제외한 모든 변량이 개씩 있으므로 최빈값이 ¢
 
와 ANN의 평균인  NN
이다. 이려면 B


6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12 주어진 자료에서 Y를 제외한 변량을 살펴보면 와 이 모 05 꺾은선그래프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북
두 개씩 있다. 이때 최빈값이 이므로 Y
체육복의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합계
크기(호)
, , , , , , ,  반(명)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인 반(명)       
 
 ㄱ, ㄴ. 반과 반 모두 전체 학생이 명이고, 반의 번

째와 번째 학생의 체육복의 크기가 모두 호이므로
13 주어진 자료에서 이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이다.
중앙값도 호이다. 반의 번째와 번째 학생의 체
  B     
(평균) 이므로 육복의 크기가 각각 호, 호이므로 중앙값은 그 평

B  ∴ B  
균인 (호)이다.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즉, 반의 중앙값이 반의 중앙값보다 작다.
, , , , , , , 
ㄷ, ㄹ. 반의 최빈값은 호이고, 반의 최빈값은 호,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인
호이다. 즉, 반의 최빈값은 개이고, 반의 최빈값이 
 
 개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06 자료에서 가 개, 이 개이므로 최빈값이 가 되기 위해서


는 B
실력 47쪽
평균이 이므로
01 "#$ 02 ④        C
,  C ∴ C

03 평균:회, 중앙값:회, 최빈값:회
04  05 ㄱ, ㄴ 06 B, C

          
01 (평균)



(점)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02 산포도


, , , , , , , , ,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인 개념 48쪽

 

(점)이다. 01 ⑴ , 풀이 참조
또, 점이 회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점이다. ⑵ , 풀이 참조

따라서 ", #, $이므로 "#$ 02 ⑴  ⑵ 


03 ⑴ 평균:, 분산:, 표준편차:
02 운동화를 대량 주문하려고 할 때 필요한 대푯값으로는 최빈
⑵ 평균:, 분산:, 표준편차:u
값이 가장 적절하다. ANN가 켤레로 가장 많으므로 최
빈값은 ANN이다. 04 평균:회, 분산:, 표준편차:u회
05 평균:점, 분산:, 표준편차:u점
@ @ @ @ @ @ @ @
03 (평균)
 06 ⑴ # 반 ⑵ & 반
(회)      
01 ⑴ (평균)



이므로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
편차는 다음과 같다.
 
인 (회)이다.

변량     
또, 관람 횟수가 회인 학생이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
편차     
값은 회이다.
     
⑵ (평균)  이므로
04 B를 제외하고 주어진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이다.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 편차는 다음과 같다.
균이고 중앙값이 이므로 B이다.
변량     
 B
,  B ∴ B 편차     


III. 통계 69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02 ⑴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01 학생 &의 편차를 YALH이라 하면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Y   
 ∴ Y 
 

Y
⑵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Y ∴ Y
 
 
Y ∴ Y (편차)(변량)(평균)이므로
(&의 몸무게) ∴ (&의 몸무게) LH

     
03 ⑴ (평균)



 02 학생 $의 편차를 Y점이라 하면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Y  

 


 
 
 
 

(분산)  Y ∴ Y

 (편차)(변량)(평균)이므로
 

($의 점수) ∴ ($의 점수)(점)
(표준편차)
  Y  
⑵ (평균)
    


 03 (평균)

이므로
 
 Y ∴ Y
(분산)
수학 시험 성적의 편차는 점, 점, 점, 점, 점이므로

 
 
 
 

 
   
 
 
(분산)  
  
 
 ∴ (표준편차)u (점)
(표준편차)u           
04 (평균)



(개)
@ @ @ @ 
04 (평균)



(회) 삼진의 수의 편차는

@ 
@ 
@ 
@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 개이
(분산)
 므로

  (분산)


        
 

(표준편차)u(회) 

@ @ @ @ @ Å

05 (평균)

    Y Z
 (점) 05 (평균) 이므로
 
(분산)  Y Z ∴ Y Z UU ㉠

@ 
@ 
@ 
@ 
@ 
 
 
 Y
 Z

 (분산) 
 
    Y™A Z™A Y Z
 
 

Y Z Y Z
 UU ㉡
(표준편차)u(점)
㉠을 ㉡에 대입하면
06 다섯 반의 표준편차가 각각 u 점,  (점), u (점), Y Z@  ∴ Y Z
u (점), u (점)이므로
  Y Z
⑴ # 반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으므로 점수가 가장 고르게 분 06 (평균)

이므로

포된 반은 # 반이다.  Y Z ∴ Y Z UU ㉠


⑵ & 반의 표준편차가 가장 크므로 점수가 가장 고르지 않게 표준편차가 u 이므로 분산은 ( u
, 즉
분포된 반은 & 반이다. 
 
 Y
 Z

(분산) 

   Y™A Z™A Y Z
 
Y Z Y Z
 UU ㉡
㉠을 ㉡에 대입하면
개념 49쪽~50쪽
Y Z@ , Y Z
01 @LH 02 점 03 u 점 04  이때 Y Z
Y YZ Z이므로
05  06  07  YZ Y Z
 Y Z
 ∴ YZ
08 분산:, 표준편차:u 09 u@DN Y    Z
07 (평균)

이므로
10 ⑤ 11 " 학교 12 ② 13 ③
 Y Z ∴ Y Z UU ㉠

7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Y
 
 
 
 Z
 ② 우빈이와 세라의 편차가 모두 점으로 같으므로 우빈이와 북
(분산) 

세라의 수학 점수는 같다.
 Y™A Z™A Y Z
   
③ 민호와 세라의 편차의 차는  
(점)이므로 수학
Y Z Y Z
 UU ㉡
점수의 차도 점이다.
㉠을 ㉡에 대입하면
④ 은정이의 편차가 가장 작으므로 점수가 가장 낮은 학생은
Y Z@  ∴ Y Z
은정이다.
따라서 Y™@, ™@, ™@, ™@, Z™@에 대하여
 
   
 
Y    Z  Y Z ⑤ (분산)  
(평균)   
 
∴ (표준편차)u(점)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08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02 (평균)   
 
 Y 


 ∴ Y

 
 
 
 

  
 
 
  (분산)
(분산)   
 

(표준편차)u  

09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 (표준편차)u
  
Y 
 ∴ Y 03 휴대 전화 사용 시간이 시간인 학생 수는
  
 
 
    
(명)
(분산)

@ @ @ @
 (평균) 
(시간)
  


@ 
@ 
@ 
@
 

∴ (표준편차)u ( DN
(분산)


10 명의 표준편차는 각각 Å



분, (분), 분, (분), u분 (표준편차)(시간)
이므로 통학 시간이 가장 불규칙한 학생은 표준편차가 가장
04 승환이의 점수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면
큰 &이다.
         
(평균)  
(점)

11 성적이 가장 고른 학교는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 학교이다.
    
  
  

      
(분산)
12 ①, ② # 학생의 사회 성적의 표준편차가 " 학생보다 작으 
므로 # 학생의 사회 성적이 더 고르다. Å!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찬규의 점수의 평균과 분산을 구하면
13 ①, ② 평균이 같으므로 어느 학교의 학생들이 책을 더 많이
(평균)
         
 
(점)

읽었다고 할 수 없다.
   
   
   
③, ④ u, u, 즉 이므로 " 학교 학생 (분산)

들이 읽은 책 수의 분포가 더 고르다.
c
⑤ 책을 가장 많이 읽은 학생이 어느 학교에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즉, 승환이와 찬규의 점수의 평균은 같고 찬규의 점수의 분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산이 승환이의 점수의 분산보다 작으므로 찬규의 점수가 승


환이의 점수보다 고르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실력 51쪽 Y Z [
05 
에서 Y Z [ UU ㉠
01 ③ 02 u 03 분산:, 표준편차:시간  
Y
Z
[

에서

04 ② 05  06 점
Y™@ Z™@ [™@ Y Z [
 UU ㉡
㉠을 ㉡에 대입하면
01 세라의 편차를 Y점이라 하면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Y™@ Z™@ [™@@  ∴ Y™@ Z™@ [™@
 
Y  
,  Y  ∴ Y
따라서 Y™@, Z™@, [™@에 대하여
① 효진이의 편차가 이므로 효진이의 수학 점수는 평균 점
Y™A Z™A [™A 
수와 같다. (평균)  
 

III. 통계 71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06 남학생 명의 성적의 표준편차가 점이므로 분산은 05 ①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편차의 평균도 이다.

™@ ② 평균보다 작은 변량의 편차는 음수이다.
남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③ 자료의 개수만으로는 표준편차를 알 수 없다.
즉, 

④ 변량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을수록 표준편차는 작아진다.
∴ (남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⑤이다.
여학생 명의 성적의 표준편차가 점이므로 분산은
(
 B    
06 ㄱ.

, B  ∴ B
여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즉,    C  
 ㄴ. , C  ∴ C

∴ (여학생 명의 편차의 제곱의 총합)
ㄷ, ㄹ. 준희의 분산은
남학생과 여학생의 평균이 같으므로

™A 
™A 
™A 
™A 
™A 
  
(전체 명의 분산) 
  
 
∴ (전체 명의 표준편차)(점) 서희의 분산은

™A 
™A 
™A 
™A 
™A

iz
즉, 기복이 더 심한 학생은 서희이고, 자유투 성공 횟수
중단원 52쪽~53쪽 가 더 고른 학생은 준희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01 시간 02 ⑤ 03  04 ADN
05 ①, ⑤ 06 ㄱ, ㄷ 07 & 08 ③ 07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독서 시간이 규칙적이라고 할 수 있다.
09 ① 10 ④ &의 표준편차가 가장 작으므로 독서 시간이 가장 규칙적인
학생은 &이다.
11 서연, 민준, 지유 12  08 학생 명의 수행평가 성적을 모두 점씩 올려 주면 평균은 
점 올라가고 표준편차는 변함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01 (평균)

c(시간)

02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09 " 모둠의 (편차)™A의 총합은 @ 


™@
, , , , , , ,  # 모둠의 (편차)™A의 총합은 @™@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균인   
따라서 전체 학생의 분산은  
 
 
 LH

 10 자료 "의 표준편차는 이고 자료 #와 자료 $의 표준편차는

03 B와 C를 제외한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로 서로 같다.


, , , , , ,  따라서 B, CD이므로 BCD
최빈값이 이므로 B와 C 중 하나는 이다.
전체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했        
11 자료 ":(평균)




을 때 번째 변량이다.
즉, , , , , , , , 에서 중앙값이 이므로 B와 C 중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 , 
하나는 이다.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 B C  또, 이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이다.
       
04 %의 편차를 Y@DN라 하면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자료 #:(평균)  
 


 Y ,  Y ∴ Y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 , 
"의 키가  DN이므로 명의 학생들의 키의 평균은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DN
또, 와 이 모두 개씩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 이다.
∴ %의 키)  DN
       
자료 $:(평균)  
 
변량을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 , , , 
(편차)(변량)(평균)이므로
변량이 개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변량인 이다.
(평균)(변량)(편차), (변량)(평균) (편차)
또, 이 개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값은 이다.

7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사회 점수

서연:자료 "의 중앙값과 최빈값은 으로 서로 같다. (◯) ⑵ 영어 점수가 점인 학생은 Z 북

UU ❶ 표시한 점이므로 명이다. 
(점) 
유찬:자료 $는 극단적인 변량 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평 ⑶ 영어 점수와 사회 점수가

균은 대푯값으로 적절하지 않다. (×) UU ❷ 모두 점 이상인 학생은 

혜민:자료 #의 최빈값은 와 의 개이다. (×) UU ❸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 
민준:자료 #의 평균과 중앙값은 로 서로 같다. (◯) UU ❹ 에 속하므로 명이다. 0        Y
영어 점수 (점)
지유:자료 ", #, $의 중앙값은 각각 , , 이므로 자료 $ ⑷ 사회 점수가 점인 학생은
의 중앙값이 가장 크다. (◯) UU ❺ 표시한 점이므로 영어 점수의 평균은
따라서 바르게 설명한 사람은 서연, 민준, 지유이다. UU ❻      (점)
 
채점 기준 배점
⑸ 영어 점수와 사회 점수가 같은 학생은 대각선 위의 점이
❶ 서연이의 설명이 바른지 판단하기 점
❷ 유찬이의 설명이 바른지 판단하기 점
므로 명이다.
❸ 혜민이의 설명이 바른지 판단하기 점
02

시청 시간
⑴ 57 시청 시간이 시간 이 57
❹ 민준이의 설명이 바른지 판단하기 점 

❺ 지유의 설명이 바른지 판단하기 점 상인 학생은 색칠한 부분 
❻ 바르게 설명한 사람 모두 고르기 점 (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시간) 
명이다. 따라서 전체의 
B
B 
B B 
B 
12 (평균)



B UU ❶  
@ 

 
각 변량의 편차를 차례대로 구하면
⑵ 57 시청 시간이 시간인 
, , , 이므로 UU ❷ 
학생은 표시한 점이므 

™A ™A ™A ™A 
(분산) ic UU ❸ 로 대출한 책 수의 평균은
 0      
    책 수 (권)
채점 기준 배점  (권)
 
❶ 평균 구하기 점
❷ 각 변량의 편차 구하기 점 ⑶ 대출한 책 수가 권 이상인 학생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포
❸ 분산 구하기 점 함)에 속하므로 57 시청 시간의 평균은
     
 (시간)
 

03 ⑴ 키와 머리카락 길이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ㄷ이다.


⑵ 여름철 기온과 시원한 음료 판매량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
계가 있으므로 ㄱ이다.
⑶ 자동차의 주행 거리와 남은 연료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ㄴ이다.

2 상관관계

01 산점도와 상관관계 개념 55쪽~56쪽

01 ③ 02 @ 03 ④ 04 일
개념 54쪽 05 명 06 명 07 편 08 @
01 ⑴ 풀이 참조 ⑵ 명 ⑶ 명 ⑷ 점 ⑸ 명 09 ① 10 ④ 11 # 자동차 12 ②, ③
02 ⑴ A ⑵ 권 ⑶ 시간 13 양의 상관관계 14 ③
03 ⑴ㄷ ⑵ㄱ ⑶ㄴ
 차 점수

01 차 점수와 차 점수가 같은 학 
사회 점수


생은 대각선 위의 점이므로 명
01 ⑴

Z 
이다. (점) 
 
(점)  
 02 차 점수가 차 점수보다 높은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제
 0        
 외)에 속하므로 명이다. 차 점수 (점)

0        Y
영어 점수(점) 따라서 전체의 c@ 

III. 통계 73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습도
03 최고 기온이 A 이상인 날은

 학기 점수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 ()  01 학기 점수와 학기 점수의 차 

하므로  가 점 이상인 학생은 색칠한 
 
(평균)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점) 

       명이다. 
 
 0       
최고 기온 ()
 
0         
학기 점수 (점)
04 습도가 A 미만인 날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제외)에 속하
02 학기 점수와 학기 점수의 평균이 높은 순으로 명의 점수
므로 일이다.
과학 점수 를 순서쌍 (학기 점수, 학기 점수)로 나타내면
05 수학 수행평가 점수와 과학 수  , 
, , 
, , 
, , 
, , 
, , 


행평가 점수의 평균이 점인 학  이 학생들의 평균은 차례대로 점, 점, 점, 점, 
생은 노란색 직선 위의 점이므 (점) 
 점, 점이므로 대표로 선발되는 학생의 평균은 적어도 
로 명이다. 
 점 이상이다.

06 수학 수행평가 점수와 과학 수
0 03 자료를 크기순으로 나열했을 때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
       
행평가 점수의 합이 점 이하 수학 점수 (점) 균이 중앙값이다.
인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따라서 B , C, D 이므로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CDB
전문가 평점

07

차
관객 평점과 전문가 평점의 차가 
 04 조건을 만족시키는 학생은 
점인 영화는 표시한 점이므 
차 횟수가 차 횟수보다 (회) 
로 편이다.  
(점)  회 또는 회 많은 학생이 
 
08 관객 평점과 전문가 평점의 차가  다. 즉, 대각선의 위쪽에 있 
 
점 이하인 영화는 색칠한 부분 
0         으면서 색칠한 부분(경계선
(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편 
관객 평점 (점)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이다. 따라서 전체의 0          
차 (회)

@ 


05 ㄱ. 차와 차의 평균이 번째로 높은 학생의 기록은 차 회,
09 ① 음의 상관관계 차 회이므로
②, ③, ④, ⑤ 양의 상관관계  
(평균) (회)
따라서 나머지 넷과 다른 하나는 ①이다. 
ㄷ. 차와 차 팔굽혀펴기 횟수의 총합이 회 이상인 학생
10 주어진 산점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주어진 그래
은 빗금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프와 같은 산점도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은 ④이다.
따라서 전체의 ÅÅ@ 

11 # 자동차의 산점도가 " 자동차의 산점도보다 양의 상관관


계가 강하다. ㄹ. 차 팔굽혀펴기 횟수가 회 이상인 학생들은 표시한
점이므로 차 팔굽혀펴기 횟수는 각각 회, 회, 회,
12 ①, ④ 양의 상관관계
회, 회이다.
②, ③ 상관관계가 없다.
     
⑤ 음의 상관관계 ∴ (평균)  (회)
 
13 가계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가계 지출도 대체로 증가하는 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ㄹ이다.
계에 있으므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06 ④ $는 키도 크고 앉은키도 큰 편이다.

14 ③ " 가구는 가계 지출에 비해 가계 소득이 적다.

중단원 58쪽~59쪽

01 ② 02 점 03 ② 04 ④
실력 57쪽
05 ⑤ 06 ④ 07 % 08 ④
01 명 02 ④ 03 ③ 04 명
05 ㄱ, ㄴ, ㄹ 06 ④ 09 ⑴ 명 ⑵ A ⑶ A 10 (가)

7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차 점수

01 차 점수와 차 점수가 모두 점 
07 수면 시간에 비해 게임 시간이 많은 학생은 $, %이고 대각 북

이상인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  선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은 %이므로 수



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점)  면 시간에 비해 게임 시간이 가장 많은 학생은 %이다.


02 차 점수에 비해 차 점수가 가  08 ① 게임 시간과 수면 시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장 많이 오른 학생은 대각선의 0        ② 게임 시간이 가장 적은 학생은 #이다.


차 점수 (점)
위쪽으로 가장 많이 떨어진 점이 ③ #가 "보다 수면 시간이 적다.

므로 표시한 점이다. 즉, 차 점수가 점, 차 점수가  ⑤ 수면 시간이 가장 많은 학생은 "이다.

점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평균) (점)


 학기
09 ⑴ 학기와 학기에 읽은 책의 수 

03 ㄴ. 차 점수와 차 점수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가 같은 학생은 대각선 위의 점
(권) 
이므로 명이다. UU ❶ 
ㄷ. 차 점수와 차 점수가 같은 학생은 대각선 위의 점이므 
⑵ 학기와 학기 모두 책을 권 
로 명이다. 
 미만으로 읽은 학생은 빗금친 0       
따라서 전체의 @ 

 부분(경계선 제외)에 속하므로 학기 (권)

ㄹ. 차 점수에 비해 차 점수가 높은 학생은 대각선의 위쪽 명이다.


(경계선 제외)에 속하므로 명이고 차 점수에 비해 차
따라서 전체의 d@ 
UU ❷
점수가 낮은 학생은 대각선의 아래쪽(경계선 제외)에 속
하므로 명이다. 따라서 차 점수에 비해 차 점수가 낮 ⑶ 학기와 학기 중 적어도 한 학기는 책을 권 이상 읽은
은 학생이 더 많다. 학생은 색칠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므로 명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따라서 전체의 e@ 
UU ❸
실기 점수

04 ① 필기 점수가 실기 점수보다 
채점 기준 배점
 ❶ 학기와 학기에 읽은 책의 수가 같은 학생 수 구하기 점
높은 학생은 대각선의 아래쪽  ❷ 학기와 학기 모두 책을 권 미만으로 읽은 학생은 전
(점)  점
(경계선 제외)에 속하므로  체의 몇 인지 구하기

명이다.  ❸ 학기와 학기 중 적어도 한 학기는 책을 권 이상 읽은
점
 학생은 전체의 몇 인지 구하기
② 필기 점수와 실기 점수의 합 
0        
이 점 이상인 학생은 색칠 필기 점수 (점) 10 ㈎ 산점도의 중량과 연비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한 부분(경계선 포함)에 속하 UU ❶
므로 명이다. ㈏ 산점도의 중량과 제동 거리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전체의 e@ 
UU ❷
따라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산점도는 ㈎이다. UU ❸
③ 필기 점수가 점인 학생들의 실기 점수는 점, 점이므로
  채점 기준 배점
(평균) (점) ❶ ㈎ 산점도 분석하기 점

❷ ㈏ 산점도 분석하기 점
④ 실기 점수가 점인 학생들의 필기 점수는 점, 점, 점,
❸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산점도 찾기 점
점이므로
   
(평균) dc(점)

⑤ 필기 점수와 실기 점수의 차가 점인 학생은 노란색 직선
위의 점이므로 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05 운동량이 많을수록 비만도가 낮은 경향이 가장 뚜렷한 것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⑤이다.

06 주어진 산점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④ 책의 두께와 무게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III. 통계 75

თ๥൘ၦጄ༘ዼጄ໕ 73QVLL ࿼ፎ"


02- 1 s"#$가 C#±인 직각삼각형이 아니므로
 

"#“
DPT@" 이다.
"$“
I. 삼각비 즉, 틀리게 말한 사람은 민재이다.
1 삼각비
03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지면을 $
2쪽~6쪽
"#“, 발사 거리를 "$“라 하면 AN
YAN
01 ⑴ UBOA$ ⑵ 고도차 : AN, UBOA$i 불꽃은 $ 지점에서 터진다. ±
"
u
 u Y #
01- 1 TJOA"  , DPTA"  , UBOA"Å ⑵ TJO@±

Å

02 풀이 참조 02- 1 민재 ∴ Y

s"#$는 "#“"$“인 이등변삼각


03 ⑴ ,  ⑵  04 Å
04 "
 
 형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
05  06 
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 $
 ) 

07  08  하면
u  
09 10 #)“$)“ #$“ @

s"#)에서 ")“ā이므로
 ㄱ과 ㄹ, ㄴ과 ㄷ  


11  12 
   
DPT #  , TJO $ 
13 DPT"TJO" 14 현수    
15 민준, 지석 16 ± ∴ DPT #TJO $
 
 

  
17 ⑴ A ⑵ ± 18 
"$“
05 UBO # 이므로 "$“

s"#$vs"%& "" 닮음)이므로


(수평 거리) "#“ 
01 ⑴ (활공비)  UBO@$
(고도차) #$“
⑵ 고도차를 Y@N라 하면 수평 거리가 @N이므로 피타고 C"#$C"%&

s"%&에서
라스 정리에 의하여 ™@™@ Y™@ 즉, UBO@ C"%&
UBO@#
Y™@™@™@ ∴ Y (∵ Y

따라서 고도차는 @N이다. "&“


UBO C"%&
 이므로 "&“

∴ UBO@$izi
∴ &$“"$“"&“

s"#$에서 UBO #
(수직 거리) 
01- 1 경사도가 @이고 UBO@"이므로 06 !이므로 #$“
(수평 거리) #$“
UBO@"@ ∴ UBO@"Å ∴ $%“Å #$“Å@

s"%$에서 "%“ā™@ ™@


오른쪽 그림과 같이 "#“, #$“인 $

직각삼각형 "#$에서 "
#

"$“
∴ DPT@Y 
"$“ā™@ ™@u이므로 "%“

s"0#에서 DPT@±
 u
TJO@" 
u   
07 

 u 0#“
DPT@" 
u  
∴ 0#“@ 

s#0$에서 DPT@±

02 ™@ ™@ ™@이므로 주어진 삼각형은 직각삼각형이 아니다.  

0$“ 
주어진 삼각형의 변의 길이로 삼각비의 값을 구하기 위해서

는 주어진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이어야 한다. ∴ 0$“@ 

따라서 시연이의 생각은 옳지 않다.   ™A
즉, 0#“0"“@ , 0$“0"“@[ ],
예각삼각형이나 둔각삼각형에서 삼각비의 값을 구할 때  
는 한 꼭짓점에서 대변 또는 대변의 연장선에 수선의 발을  šA  ›A
0%“0"“@[ ] , 0&“0"“@[ ]
 
내려 직각삼각형을 만들고 직각삼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구
 œA  
∴ 0'“0"“@[ ] @ 
한 후 삼각비의 값을 구한다.   

76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 ዼิ཯ఝႮQVLL ࿼ፎ"


특별한
08 YY 에서 Y
  ∴ Y  부록
12 "±@
  
±이므로
따라서 UBO "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
TJO " DPT " UBO ±"

"#“, #$“인 직각삼각형 "#$를 그릴 


TJO ± DPT ± UBO ±
수 있다.
" #   

"$“ā 이므로
 
TJO " 
  13 ±"±일 때, TJO "DPT "이므로
  TJO "DPT ", DPT "TJO "
DPT " 
 
  ∴ ā TJO "DPT "
 ā DPT "TJO "

∴TJO " DPT " 
   TJO "DPT "
DPT "TJO "

TJO " DPT " DPT "TJO "


09 기울기가 인 직선의 방정식을 ZY L라 하면
DPT " TJO "
이 직선이 점 , 
을 지나므로
@ 
L ∴ L
따라서 직선의 방정식은 ZY 이므로 14 민아:C"가 예각일 때, C"±에서 DPT@"의 값은
TJO@"의 값보다 크지만 ±C"±에서 DPT@"

s"0#에서 "0“, 0#“이므로


" , 
, # , 

의 값은 TJO@"의 값보다 작다.


재희:C"가 예각일 때, TJO@"와 DPT@"의 값은 과  사이
"#“™A™@ ™@
이지만, UBO@"의 값은 보다 큰 경우도 있다.
∴ "#“uu (∵ "#“

따라서 바르게 말한 사람은 현수이다.


 u
TJO@B 
u 
 u
DPT@B  
u  15 서희:DPT@±TJO@±

Å
u u
∴ TJO@BDPT@B  
  민준:UBO@±@UBO@± @

u u
 
  지석:DPT@±TJO@±ÅÅ

"#“ 은서:UBO@±@UBO@±@
10 ㄱ. TJO Y "#“
0"“ 따라서 바르게 구한 학생은 민준과 지석이다.
0#“
ㄴ. DPT Y 0#“
0"“
ㄷ. TJO Z
0#“
0#“ 16 UBO Ye이므로 UBO의 값이 인 각도를 찾으면
0"“
"#“ Y±
ㄹ. DPT [DPT@Z "#“
0"“
$%“
ㅁ. UBO Y $%“ 
0%“ 17 ⑴ (경사도)

@ ()
0%“ 
ㅂ. UBO [  
$%“ $%“ ⑵ UBO@" 이므로 삼각비의 표에서 UBO의

따라서 그 값이 같은 것은 ㄱ과 ㄹ, ㄴ과 ㄷ이다. 값이 인 각도를 찾으면 C"±

11 "#“TJO ±Å
0#“
 18 DPT Y 0#“이므로
0#“DPT ± 0"“

Y±

$%“UBO ± "#“

∴ f"#%$s$0%s"0#
 TJO ± 
0"“
 ∴"#“
Å@0%“@$%“Å@0#“@"#“ $%“
UBO ± 
0%“
 
Å@@ Å@ @Å ∴$%“
 
∴"#“ $%“ 
  
   
  

특별한 부록 77

თ๥൘ၦጄ༘ዼጄ໕ ዼิ཯ఝႮQVLL ࿼ፎ"


2 삼각비의 활용 07 ⑴ 원총안에서 총을 쏘았을 때 성벽으로부터 총알이 떨어지
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Y@N라 하면
7쪽~11쪽

UBO@± 이므로
01 ㉢ ± ㉣  ㉤ AN Y
01- 1 ⑴ AN ⑵ AN ⑶ AN  
Y  U 
UBO@± 
02 AN 03 분 따라서 반올림하여 소수 첫째 자리까지 나타내면 @N
04  
DN 05 ADN
이다.
06 ㉠ "#“ ㉡ "$“ ㉢ DPT 근총안에서 총을 쏘았을 때, 성벽으로부터 총알이 떨어지
07 ⑴ AN, AN ⑵ AN 이상 AN 이하 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Z@N라고 하면
08 ⑴ AN ⑵ AN ⑶ AN 
UBO@± 이므로
Z
09 AN 10   
N
 
 Z  U
11 ADN™A 12 
DN UBO@± 
따라서 반올림하여 소수 첫째 자리까지 나타내면 @N
13 ADN 14 L
DN
이다.
⑵ 근총안에서 ±인 경사각으로 사격하였을 때, 성벽으로부
01 ㉢ 빨대와 실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건물을 올려
터 사격이 가능한 지점까지의 거리를 [@N라 하면
본각의 크기 "±±±
 
㉣ UBO@"UBO@± UBO@± 이므로 [ 이다.
[ UBO@±
㉥ 측정한 지점에서 학교 건물까지의 거리가 @N이고 서준
⑴에서 근총안에서 ±인 경사각으로 사격하였을 때, 성
이의 눈높이가 @N이므로 학교 건물의 높이는
벽으로부터 사격이 가능한 지점까지의 거리는 @N이므
 UBO@± @  N

로 성벽으로부터 사격이 가능한 지점까지의 거리의 범위


01- 1 ⑴ #%“의 길이는 민재의 눈높이와 같으므로 #%“@N 는 @N 이상 @N 이하이다.
⑵ #$“ UBO@±@ N

⑶ (나무의 높이)#%“ #$“ 08 ⑴ I@TJO@± 


  @ 
 N
 N

⑵ I@TJO@± @TJO@±

02 TJO@± 이므로 @ @
"$“
   
"$“   N

TJO@±   N

  ⑶ I@TJO@±@TJO@±
03 "$“
TJO±


 N

@@
따라서 " 지점에서 출발하여 $ 지점까지 분속 @N로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N


(분)


지면이 이루는 삼각형을 s"#$


09 오른쪽 그림과 같이 부러진 나무와 "

04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에서 0"“ 0


±

s0#)에서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ADN ± ± 라 하면 나무의 원래 높이는 "$“와 $
AN
#

"#“의 길이의 합과 같다.


)
0)“ DPT ± # "$“ TJO ±
 " @
@  DN


 N

∴ )"“0"“0)“
"#“ DPT ±

@
 
DN

 N

따라서 # 지점은 " 지점보다  


DN 더 높이 있다.
∴ "$“ "#“  N

05 계단이 총 개이므로 #$“@ DN


따라서 나무의 원래 높이를 반올림하여 소수점 아래 첫째 자
∴ "$“@UBO@±@ DN
리까지 나타내면 @N이다.

78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ዼิ཯ጄ໕ ఝႮQVLL  ࿼ፎ"


특별한
10 다음 그림과 같이 전봇대의 높이를 IN라 하면 따라서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성질에 의하여 부록

s"($Ås"#$
# %

± ±
IAN IAN
± Å@ DN

±
" &
$ AN
직각삼각형 "#$에서 삼각형의 무게중심과 세 꼭짓점을 이었을 때, 생기는 세 삼
"$“#$“ UBO C"#$
각형의 넓이는 모두 같다.
I UBO ±I N
"

직각삼각형 "%&에서
(
"&“%&“ UBO C"%&

점 (가 s"#$의 무게중심일 때,
# $
I UBO ±I N

s("#s(#$s($"
$&“"&“"$“ N
이므로
II

s"0)에서
(
I
14

∴ I   
 
 0"“ @  DN

DPTA± 
따라서 전봇대의 높이는   
N이다.
따라서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므로
± (색칠한 부분의 넓이)
11 마름모의 내각 중 한 예각의 크기는

±이므로
(부채꼴 "0#의 넓이)s"0)
(도형의 넓이)@ @@TJO@±


L@ 
@ Å@@@TJO ±
 
@[@@ ] DN™@


LÅ@@@Å

12 s"#$Å@@@TJO ± L DN


Å@@@

 DN™@

"%“YADN라 하면

s"#%Å@@Y@TJO ±
II. 원의 성질
Å@@Y@Å 1 원과 직선
12쪽~15쪽
Y DN™@

s"%$Å@Y@@TJO ±
01 ADN
01- 1 ⑴ ALN ⑵ ALN ⑶ ALN
Å@Y@@Å 02 ADN 03 지우

04 05
이때 s"#$s"#% s"%$이므로
Y DN™A
 L

06 DN 07 DN

 Y Y 08 AN 09 ±

 10 혜지 11 ㄴ, ㅁ, ㅂ
Y
 12 DN™A 
13  
ADN

∴ Y

 01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 0의 반지름의 길 ADN
"
따라서 "%“의 길이는 @DN이다. ADN
 이를 S@DN라 하면

s"#$Å×@@TJO ±
0"“ S 
@DN #
SADN
$

13 직각삼각형 "0$에서 SADN


0
S 
™@™@ S™@, S
Å@@@Å
∴ S

 DN
따라서 원 0의 반지름의 길이는 @DN이다.

특별한 부록 79

თ๥൘ၦጄ༘ዼዼิ཯ጄ໕ ఝႮQVLL!  ࿼ፎ"


01- 1 ⑵ 01“  LN
07 오른쪽 그림과 같이 평행한 두 개의 굵 " $

⑶ 15“ā™@™@ LN
은 철사를 각각 현 "#와 현 $%로 나 ADN

따라서 두 지점 1와 5 사이의 거리는 @LN이다. 타내고, 원의 중심 0에서 두 현 "#, . /


0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이 ADN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0"“를 그으면 %
라 하면 ./“@DN이다.
# %
0"“0$“Å$%“Å@ DN
한 원에서 길이가 같은 두 현은 원의 중
ADN 0
0.“0$“$.“ DN
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으므로
" . #
직각삼각형 0".에서 ADN $ 0.“0/“Å@ DN

".“āhu DN

0$“를 그으면 직각삼각형 0$/에서


이때 "#“⊥$%“이므로
0$“ DN, 0/“ DN이므로
#.“".“ DN
$/“āu DN

∴ "#“".“@ DN

원의 중심에서 현에 내린 수선은 그 현을 이등분하므로

03 원에서 현의 수직이등분선은 그 원의 중심을 지나므로 원의 $%“ $/“@ DN

중심을 바르게 찾을 수 있는 사람은 지우이다. 따라서 평행한 두 굵은 철사 중 하나의 길이는 @DN이다.

04 $

s0"1와 s0#1에서
오른쪽 그림과 같이 $)“는 "#“의
 08 오른쪽 그림과 같이 0#“, 01“를 그으면
수직이등분선이므로 $)“의 연장 " ) # 0
 AN
선은 원의 중심 0를 지난다. C0"1C0#1±, 01“는 공통, " #
S
부채꼴 "0#의 반지름의 길이를 S

s0"1fs0#1 3)4 합동)


0"“0#“이므로 ± ±
S라 하면 1
0
0)“S, ")“
따라서 C01"C01#Å@±±이므로

s0"1에서
직각삼각형 0")에서
S™@ S
™@ ™@, S ∴ S
따라서 부채꼴의 "0#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0"“ 
1"“ –  N

UBO@±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단면인 원의 중심 즉, 1#“1"“@N이므로

하면 s0")에서
0에서 현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0 1"“ 1#“  N


 #
" ) 
DPT@ C"0)
Å이므로
09 다음 그림과 같이 크고 작은 두 개의 바퀴를 두 원 0, 0으
로 나타내면
C"0)±이고 부채꼴 "0#의 중심각의 크기는 ± "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부채꼴 "0#의 넓이에서 s"0#의


이다.
$

0 0 ± 1
넓이를 뺀 것이므로
%
(색칠한 부분의 넓이)
#
L@™@@Å!
Å@@@TJO@ ±±
C$1%±이고, 원의 접선은 그 접점을 지나는 원의 반지
 름에 수직이므로
LÅ@@@


따라서 f1"0#에서
C1"0C1#0±
L
± ± C"0# ±± ∴ C"0#±
06 0%“0&“0'“이므로

따라서 s"#$는 정삼각형이므로


"#“#$“"$“ 10 점 1에서 원짜리 동전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같으므로
1"“1#“
#$“ DN, C"#$±

∴ s"#$Å@"#“@#$“@TJO ±
마찬가지로 원짜리 동전과 원짜리 동전에서 각각
1#“1$“, 1$“1%“

 즉, 1"“1#“1$“1%“이므로 원 밖의 한 점 1에서 그은
Å@@@
 접선의 길이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에 관계없이 모두 같다.

 DN
따라서 바르게 말한 사람은 혜지이다.

80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 ዼิ཯ఝႮQVLL  ࿼႖"


특별한
11 ㄴ, ㅁ. 원 밖의 한 점에서 그 원에 그은 두 접선의 길이는 서 01- 1 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원의 중심 0에서 AN 부록
" #
로 같으므로 "%“"'“, $&“$'“ 무대 전체를 카메라 렌즈에 담으려면
0
ㅂ.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모두 같으므로 %0“&0“'0“ 화각은 p" #에 대한 중심각의 크기와 ±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ㅁ, ㅂ이다. 같아야 한다. p "#에 대한 중심각의 크 1
기는 원주각의 크기의 배이므로 카메
12 원 0의 반지름의 길이가  DN이므로
라 렌즈의 화각의 크기는 ±@±이어야 한다.

f"#$%가 원 0에 외접하므로
$%“@ DN

⑵ 오른쪽 그림과 같이 #0“의 연장선이 AN


" #
원 0와 만나는 점을 2라 하면
"%“ #$“"#“ $%“ ± 0
#2“는 원 0의 지름이므로

∴ f"#$%의 넓이)
  DN
2 ±
C#"2±, 1
C"2#C"1#±

s"2#에서 #2“
Å@ "%“ #$“
@%$“
"#“ 
–  N

TJO@± 
Å@@
따라서 원형 극장의 지름의 길이는 @N이다.
 DN

02 오른쪽 그림과 같이 "1“와 원의 교점


13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유리병의 밑면의 ADN 을 4라 하면 p"#에 대하여
"
0
원의 중심을 각각 0와 0이라 하고, 빗 ADN C"2#C"4#
변을 00“으로 하고 나머지 두 변이 상 ADN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 # 4
" 4

므로 s#41에서 C"1#C"4#
자의 테두리와 평행하도록 직각삼각형 0 M
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으 1 2 3
0"0을 그리면 0"“, 0"“의 길이는 정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에서 @ DN
를 뺀 길이와 같 즉, C"1#C"2#

즉, s0"0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으므로 0"“0"“이다. 마찬가지로 #3“와 원의 교점을 4이라 하면 p"#에 대하여
C"2#C"4#

크기의 합과 같으므로 s"34에서 C"3#C"4#


C00"±에서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그와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0"“ DPT@±@  DN

 즉, C"3#C"2#
따라서 이 상자의 밑면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따라서 눈의 위치가 원의 접점인 점 2에 위치할 때 작품을
 
@DN이다. 바라보는 각의 크기가 가장 크다.

02- 1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골대의 양 끝 점을 ",
"
#라 하고 수현이의 이 골대
동 경로 위에 세 점 1, #

2 원주각 2, 3를 잡으면 두 점
1 2 3

16쪽~19쪽 1, 3는 원 밖에 있는

01 C"1#C"2# 01- 1 ⑴ ± ⑵ AN 점이고 점 2는 직선과 원의 접점이다.


이때 C"1#C"2#, C"3#C"2#이므로 골을 넣
02 점2 02- 1 이동 경로와 원의 접점
을 수 있는 각의 크기가 가장 큰 지점은 이동 경로와 원의 접
03 ± 04 ±
점인 점 2이다.
05 ± 06 ㄴ과 ㄹ
07 ± 08 ± 03 오른쪽 그림과 같이 0$“, 0%“를 그으면 "

09 분 10 풀이 참조 정오각형 "#$%&에서 1 2


# &
0
11 12 ±
± ± C$0% ±

13 ± 14 ±
$ %
∴ C$"%ÅC$0%Å@±±

01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모두 C150±이므로 s105에서


" #
04
같으므로 C105± ± ±
±
p"#에 대한 두 원주각인 C"1#, C"2# 1
∴ C50#±±±
의 크기는 서로 같다. 2

∴ C"1#C"2# ∴ C5$#ÅC50#Å@±±

특별한 부록 81

თ๥൘ၦጄ༘ዼጄ໕ ዼิ཯ఝႮQVLL  ࿼ፎ"


05 오른쪽 그림과 같이 #$“를 그으면 " 12
0 #
p$%의 원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B & $ Y
F Z ±
±
#
C$#%C$"%CB B
C 1
" 2
E
p"#의 원주각의 크기는 같으므로 ED % 위의 그림과 같이 "$“를 그으면

따라서 s#$&에서
C"$#C"%#CE $ C#$"C#"2±

s$"#에서 CY± ± ±


±
#$“가 원 0의 지름이므로 C$"#±
CB CC CD CE CF±

06 오른쪽 그림과 같이 "$“를 그으면 " s#1"에서 CY CZ± CZ±이므로 CZ±


%
C#"$C%$"@(엇각) ∴ CYCZ±±±

s1"#에서 1"“1#“이므로
0
이때 원주각의 크기가 같으면 호의 길이도 13
같으므로 p#$p"% #
C#"1Å@ ±±
±
따라서 길이가 항상 같은 것끼리 짝 지으 $

면 ㄴ과 ㄹ이다. ∴ C$"#± ± ±


±
따라서 1&v는 원 0의 접선이므로
07 p"#는 원주의 dÅ이므로 C$#&C$"#±

C"%#±@ű 14 f"#5$가 원 0에 내접하므로

s#15에서 C#51± ± ±


±
C1#5C"$5±
p$%는 원주의 cÅ이므로
따라서 15v는 원 0의 접선이므로
C$"%±@ű

따라서 s"&%에서
C#"5C#51±

CYC%&"± ± ±


±

08 s"$5에서 "$“"5“이므로

C"$5C"5$Å@ ±±
± III. 통계

따라서 "$v는 원 0의 접선이므로


1 대푯값과 산포도
C$%5C"$5± 20쪽~22쪽

s"#$에서 C#"$± ± ±


±
01 ㉠, ㉢, ㉤, ㉧
09
01- 1 ⑴ 중앙값 ⑵ 평균 ⑶ 최빈값
C#"$ : C"$#p #$ : p"#이므로
02  03 (최빈값)(평균)(중앙값)
± : ±p #$ : p"# p#$p"# 04 ㄱ 05 , 

∴ # 지점에서 $지점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 06 CBD

@(분) 07 회의 수학 성적 : 점, 분산 : ii

08 u시간 09 cg
10 평행사변형의 성질에 의해 C#C%이다.
또, 점 #가 옮겨진 점이 점 #이므로 C#C#이다.
즉, C#C%이다.
01- 1 ⑴ 변량 중에 극단적으로 큰 값이 있기 때문에 대푯값으로
중앙값이 적절하다.
따라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네 점 ", $,
⑵ 변량 중에 극단적으로 크거나 극단적으로 작은 값이 없기
%, #은 한 원 위에 있다.
때문에 대푯값으로 평균이 적절하다.

f"#%&가 원 0에 내접하므로
11 오른쪽 그림과 같이 #%“를 그으면 " ⑶ 자료에 같은 값인 변량이 많으므로 가장 많이 팔린 블라
± &
우스 치수인 최빈값이 대푯값으로 적절하다.
0
±
C#%&±C"  %
02 준우의 점수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
$ 점, 점, 점, 점, 점, 점, 점, 점
#
따라서
변량의 개수가 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
C#%$±±±이므로
균이다.
C#0$C#%$
  
@±± (중앙값)  (점) ∴ B
 

82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ዼิ཯ጄ໕ ఝႮQVLL   ࿼ፎ"


특별한
병주의 점수에서 점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      부록
"의 평균) cz(점)

은 점이다.
    
∴ C #의 평균) cz(점)

∴ BC     
$의 평균) cz(점)

@ @ @ @ @ 즉, ", #, $의 사격 점수의 평균은 점으로 같다.
03 (평균)


™@ 
™@ ™@ ™@ ™@
  "의 분산) z
  (회) 
 

™@ ™@ ™@ ™@ ™@
학생이 명이므로 중앙값은 번째 값인 회이다. #의 분산) !

턱걸이 횟수가 회인 학생 수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최빈 
™@ 
™@ 
™@ ™@ ™@
$의 분산) c
값은 회이다. 
u u
∴ (최빈값)(평균)(중앙값) 따라서 B, C , D 이므로
 
CBD
04 ㄱ. " 모둠의 학생 수는    (명)이므로
평균 점을 중심으로 점수의 흩어진 정도가 가장 작은
@ @ @ @
(평균) !Å(가지) 선수는 #이고, 점수의 흩어진 정도가 가장 큰 선수는 $이므

# 모둠의 학생 수는     (명)이므로 로 표준편차의 대소 관계는 CBD이다.
@ @ @ @ @
(평균)

07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 c(가지) 

Y  

즉, # 모둠의 평균이 " 모둠의 평균보다 더 크다. ∴ Y

ㄴ. " 모둠 학생의 변량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 수학 성적의 평균이 점이고 회의 수학 성적의 편차가

면 , , , , , , , , , (가지)이므로 점이므로

  (편차)(변량)(평균)에서 (변량)(평균) (편차)


" 모둠의 중앙값) (가지)
 즉, 회의 수학 성적)(점)
ㄷ. " 모둠에서 가지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 모둠의 
 
 
  
(분산) ii
최빈값은 가지이다. 
# 모둠에서 가지가 명으로 가장 많으므로 # 모둠의
최빈값은 가지이다. 08 ", #, $, % 종의 사용 시간의 편차는 각각 시간, 시
즉, 두 모둠의 최빈값은 다르다. 간, 시간, 시간이고 편차의 총합은 항상 이므로 & 기종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의 사용 시간의 편차는 시간이다.

™A ™A ™A ™A 
™A
∴ (분산) oz

05 주어진 자료의 평균이 이므로
    B  C  ∴ (표준편차)u (시간)


 B C 09 평균은 변량의 총합을 변량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 B C U㉠ 그런데 실제 변량 , 과 잘못 본 변량 , 의 각각의 합이
㉠과 BC을 연립하여 풀면 같으므로 변량의 총합에는 변함이 없다.
B, C 즉, 실제 개의 변량의 평균은 와 같다.
따라서 주어진 변량을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제대로 본 나머지 두 개의 변량을 각각 Y, Z라 하면 개의 변
, , , , , , ,  량 Y, Z, , 의 분산은 이므로
변량의 개수가 이므로 중앙값은 번째와 번째 변량의 평 Y
 Z
 
 


균이다. 
  ∴ Y
 Z

(중앙값) 

또, 이 개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이다. 따라서 실제 변량 Y, Z, , 의 분산은
Y
 Z
 
 


06 세 선수의 사격 점수를 작은 값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Y
 Z
 
":, , , , (점) 

#:, , , , (점)
   
$:, , , , (점)   
  

특별한 부록 83

თ๥൘ၦጄ༘ዼዼิ཯ጄ໕ ఝႮQVLL   ࿼ፎ"


2 상관관계 05 산점도에서 한쪽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한쪽도 대체로 증가
하므로 한 달 용돈과 저축 금액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23쪽~24쪽
있다.
01 원기 01- 1 아현 따라서 용돈에 비해 저축 금액이 높은 학생은 대각선의 위쪽
02 양의 상관관계 에 있는 #이다.
03 ⑴ ㄹ, ㅁ, ㅇ ⑵ ㄱ, ㅂ, ㅅ ⑶ ㄴ, ㄷ
04 05

역사
㉡ #
06 ⑴

06 ⑴ 명 ⑵ 명 ⑶ 점 (점)

07 점 


01 주어진 산점도에서는 Z가 가장 작은 점과 가장 큰 점의 두 
0      
점을 제외하면 Y와 Z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 지혜는 극단 사회(점)
적인 값에 주목하여 전체적인 자료의 상관관계를 잘못 해석
두 과목의 성적이 모두 점 이상인 학생 수는 색칠한 부
하였다. 따라서 원기의 생각이 옳다.
분과 경계에 있는 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명이다.

역사

01- 1 Y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Z의 값이 대체로 증가하거나 감소하 (점)


는 경향이 있지 않으므로 두 변량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따라서 아현이의 생각이 옳다.


0
02 산점도에서 왼손의 쥐는 힘이 증가함에 따라 오른손의 쥐는     
사회(점)
힘도 대체로 증가한다.
역사 성적보다 사회 성적이 좋은 학생 수는 직선의 아래
따라서 왼손과 오른손의 쥐는 힘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쪽에 있는 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명이다.
있다.
⑶ 두 과목 성적의 총점이 높은 순으로   이내가 되려면
전체 학생 수가 명이므로
03 ㄱ. 겨울철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난방비는 대체로 증가하는
 
관계가 있으므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  (명)
 
ㄴ. 수명과 발의 길이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즉,   이내에 드는 학생 수는 명이므로 총점이 높은
ㄷ. 수학 성적과 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다. 순으로 명의 점수를 순서쌍 (사회 점수, 역사 점수)로 나
ㄹ. 흡연량이 많아짐에 따라 폐암 발생률은 대체로 높아지는 타내면
관계가 있으므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 
, , 
, , 
, , 
, , 

ㅁ. 입장객 수가 많아짐에 따라 입장료 총액은 많아지므로 따라서 총점의 평균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평균)
ㅂ. 산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대체로 낮아지는 관계가 

있으므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점)

ㅅ. 일정한 거리를 달리는 자동차의 속력이 빨라질수록 주행
시간은 짧아지므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차

ㅇ.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공기 오염도는 대체로 높아지는 관 07



(점) 
계가 있으므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



04 ㉠, ㉢, ㉣ 자동차 배기가스, 대기 오염 물질, 난방 등 연료 
사용이 많아질수록 미세 먼지 농도는 대체로 높아지는 0      
차(점)
관계가 있으므로 자동차 배기가스, 대기 오염 물질, 난방
등 연료 사용과 미세 먼지 농도 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 차 성적보다 차 성적이 향상된 학생 수는 직선의 위쪽에 있

가 있다. 는 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명이다.

㉡ 강수량이 많으면 대기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미세 먼지 따라서 이 학생들의 차 성적의 평균은

농도가 낮아지므로 강수량과 미세 먼지 농도 사이에는 음 @ @ @ @ @



의 상관관계가 있다.

따라서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이다.  (점)


84 정답 및 풀이

თ๥൘ၦጄ༘ዼጄ໕ ዼิ཯ఝႮQVLL  ࿼ፎ"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