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5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업무표준 번호 : H 0- 기공 절차
- -0 04 9

제․개정번호 : 0

제․개정일자 : 2014.03.31

2014. 3. 31 제 정

작 성 자 엄배전운영처
주 현
( 배전운영팀 팀원 )

검 토 자 홍배전운영처
성 규
( 배전운영팀 팀장 )

승 인 자 김 동 섭
( 배전운영처장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 개정 이력
Ver 개 정 내 용 작성자 검토자 승인자 승인일자 비 고
00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제정 엄주현 홍성규 김동섭 2014.3.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차 례

Ⅰ. 가공설비  4

Ⅱ. 지중설비  103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Ⅰ. 가 공 설 비

1. 총 칙  5

2. 가공개폐기  7

3. 애 자  38

4. 피 뢰 기  58

5. C O S  72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1 총 칙
1. 목 적
이 절차서는 예방진단기술 및 과학화 장비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배전선로 주요
가공설비의 이상징후 판단과 후속조치 업무에 대하여 정의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자재
관리 및 안정적 전력공급을 통한 공급신뢰도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절차서는 가공분야 주요 4대 기자재인 애자류, SF 가스절연 가공개폐기, 6

LA 및 특고압 COS를 대상으로 한다.

3. 일반사항
3.1 기자재 예방진단 관련 업무는 각종 관련법규, 사규 등을 준수하여야 한다.
3.2 예방진단과 관련한 실적을 관리하여야 하며 후속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3 본 절차서는 기자재 고장예방을 위하여 사업소의 현장업무에 참고할 수 있도록

만든 절차소 이며, 사업소별 또는 상황별 적의판단하여 적용할 수 있다.


3.4 본 절차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법령 및 관련규정에 따른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4. 책임사항
구 분 책 임 책임 사항
배전운영처장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제·개정 승인
주 관 배전운영팀장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제·개정 검토
부서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유효성 평가확인

담 당 차 장 ž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제·개정 작성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유효성 평가 시행
관 련 설비진단처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 내용 검토
부서
활 용 사 업 소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시행 및 실적 관리
부서

5. 유효성 평가
본 업무기준서는 1년 주기로 유효성 평가를 시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가공개폐기
2

1. 검 사  8

2. 진 단  10

3. 세부진단절차  14

4. 관리 기준  29

<붙임 1> 가공개폐기 기별검사 Check List


<붙임 2> SF 가공개폐기 부분방전(PD) 진단표
6

<붙임 3> 개폐기 가스압력 측정진단 절차


<붙임 4> 제조사별 가공개폐기 SF 가스 적정압력 현황 6

<붙임 5> 가공개폐기 구출선 표준시공도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1 장 검 사

1. 검사방법
1.1 검사에는 순시검사, 정기검사가 있으며, 개폐기의 정기검사는 시행주체 및
시행시기에 따라 설치전검사, 초기검사, 중간검사 및 정밀검사로 구분한다.
1.2 일상적인 순시검사, 정기검사는 직영으로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세
부절차는 배전선로 순시검사지침에 따라 수행한다.
1.3 진단 장비를 활용하여 정밀분석이 요구되거나, 검사 인력운영에 어려움이 있
을 경우 사업소장의 결재를 득하여 외부용역을 수행할 수 있다.
2. 정기검사 개요
2.1 설치전검사는 개폐기를 현장에 설치하기 직전에 수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표 1〕 설치전검사 사항

구분 세부내용
육 안 검 사 • 육안으로 개폐기 외관상태를 조사
개폐동작시험 • 가스압력과 전압 범위내 기계적 특성이 정상적 동작확인 유무
절연저항측정 • ON/OFF 상태 주회로 간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측정기(Megger))
2.2 초기검사는 설치 후 4년 이내 개폐기로 주상 활선 기별검사를 시행한다.
〔표 2〕 초기검사 사항

구분 세부내용
육안검사 • 육안(광학쌍안경 및 카메라) 외관상태를 조사
검사기준 • 도심․공단․오손C등급 이상 : 1회/2년 검사
• 야외․청정지역 : 1회/4년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3 중간검사는 설치 후 4년 경과 개폐기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표 3] 중간검사 사항

구분 세부내용
육안검사 • 육안(광학쌍안경 및 카메라) 외관상태를 조사
주상검사 • PD진단, 초음파 진단, 열화상, 가스압력진단장비 등
(필요시)

검사기준 • 도심․공단․오손C등급 이상 : 1회/1년 검사


• 야외․청정지역 : 1회/2년
2.4 정밀검사란 초기 또는 중간검사 시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불량원인을 파악

하기 위한 검사이다. 초기검사의 경우 정밀검사결과에 따라 기기 하자여부를


결정한다.
〔표 4] 정밀검사 사항

구분 세부내용
대상 • 초기 또는 중간검사결과 이상 및 불량판정 개폐기
• 무전압 개폐시험 또는 내부에서 이상음 발생 시
검사시기 • 가스내 수분 또는 SO 가스의 함량이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2

• 가스누기 발생시
검사방법 •-활선상태에서 기별검사 및 진단장비 이용 정밀검사 시행
진단 : 열화상, PD, 초음파, 가스압력 측정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2 장 진 단

1. 진단방법
1.1 개폐기 진단방법에는 활선상태 진단과 사선상태 진단으로 구분된다.
1.2 개폐기 진단항목은 상태진단, 절연성능검사, 통전성능검사가 있다.

〔표 5] 활선상태 진단시 검사방법

진단항목 검사방법 비고
상태진단 활선기별검사 또는 광학진단 광학쌍안경, 카메라
절연성능 PD측정, 초음파, 가스누기측정

통전성능 열화상 측정 표면 발열상태 확인


〔표 6] 사선상태 진단시 검사방법

진단항목 검사방법 비고
절연성능 내압시험 현장시험 곤란
통전성능 주회로저항 측정 접촉저항
개폐성능 무전압개폐, 3상 동작시간차
1.3 개폐기 고장발생 시 원인별 진단방법은 아래와 같다.

〔표 7] 고장원인별 진단방법

고장내용 진단방법 비고
내부절연불량 PD 측정 활선상태
조작불량 무전압, 접촉저항시험
부싱, 리드선 불량 초음파, 열화상, 광학쌍안경(카메라) 활선상태
가스압력저하 가스압력측정장치 활선(사선)상태
회로접속상태 주회로저항 측정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진단절차
2.1 장비별 진단절차는 배전선로 검사 지침을 준용하며, 기별검사 시 SF 가스 6

압력 측정을 동시에 수행한다.


〔표 8] 가공개폐기 진단절차

구분 1 단계(적출) 2 단계(지상확인) 3 단계(주상확인)

⇨ 초음파 진단 ⇨ 열 화 상 ⇨ 기별검사
기기본체 광학진단 SF 압력측정
PD+초음파 병행 6

접속개소 ⇨ 열화상 진단 ⇨ 기별검사


2.2 가공개폐기에 대한 진단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9] 가공개폐기 진단기준

진단시기
진단대상 진단방법 비고
초기 중간 정밀
절연상태 PD측정 ○ ○
본체
오․부동작 무전압 개폐시험 ○ 가스누기시 부동작
절연상태 초음파, 열화상 ○ ○ ○
부싱
균 열 기별, 광학진단 ○ ○ ○
구출선 초음파, 열화상 ○ 리드선, 접속스리브
기별, 광학, 수분제거 시공상태
가스압력 가스압력측정 ○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진단장비별 진단원리 및 중점 진단개소는 아래와 같다.


2.3

〔표 10] 진단종류 및 원리 요약

구분 중점진단 진단원리 진단방법


① 광학진단
본 체 • 11배 이상 고배율 지상에서
(쌍안경, 카메라)
붓 싱 • 20m지점 시 1.8m 광학효과 육안으로
접속개소 (사진촬영 후 PC 확대확인) 정밀검사
② 열화상 진단
본 체 •설비 발생하는 열(온도)을 지상검사
접속개소 주위와 상별온도 비교측정
•결함시 발생하는 초음파를 차량이동 이하 (30㎞/h )

③ 초음파 진단 붓 싱 가청음 변환 검출 진단 → 적출시 정


지후 진단
PD발생 ⇨ 본체
④ PD 진단
•내부결함에서 발생되는
본 체 신호(방전량)를 검출 PD
외부전파 ⇨ 과도
대지전압(TEV)발생
⑤ 가스압력측정 본 체 • SF 가스압력 저하에 따른 가스 주입구 어댑터
6

개폐기 가스압력 상태판단 연결 → 측정


⑥ 주회로 접촉상태 접 속 부 •기기 주회로 접촉상태 확인
전압강하법에 의한
회로저항 절연측정
⑦ 구출선 수분제거 구 출 선 •구출선 피복제거
외관검사 → 구출선
검사 → 수분제거
2.4 진단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기기는 교체를 시행하고 필요 시 설비진단처에
불량원인 세부분석을 의뢰한다.
2.5 진단장비 및 측정·검사방법에 대한 세부절차는 3장과 4장에 의거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절차
단순 육안검사 결과 부싱균열 및 파손, 접속부위 시공불량으로 인한 수분침투
등은 제외하고, 장비활용 진단결과 부분방전 과다, 온도과열, 초음파 발생 등
이상개소에 대하여 설비진단처에 의뢰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11]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대상

구분 정밀진단 요청대상 비고
P D 진단
○ 본체 : TEV Mode 50dB 이상 TEV와 ULTRA
○ 부싱 : Ultra Mode 6dB 이상 Mode 동시 발생분

초음파 진단 ○☞신호음이
주상 측정기준
반복적으로 적출되는 경우 지상 측정시
진단착오 예상
열화상 진단 ○○ 상별 온도차 10℃ 이상
대기 온도차 10℃∼20℃
21℃ 이상은
자체 불량처리
기타사항 ○ 정밀진단이 필요하다고 요구되는 설비 관련서류 첨부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3 장 진단장비별 진단절차 및 판단기준

1. 초음파 진단장비
1.1 초음파 진단장비는 기자재 결함 시 발생하는 초음파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검출
하는 기법을 말한다.
1.2 진단방법은 차량에 탑승하여 30㎞/h 이하로 이동하며 진단을 하며, 신호검출 시

차량을 세운 후 정밀진단을 수행한다.

[그림 1] 초음파 진단장비 및 파형

1.3 진단업무 절차는 다음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흐름도 Safety Check Point

진단대상 출발 전 차량 안전검사
선 정 ⇨ 전주번호 현장도착 
장비확인 교통안전수칙 준수
⇩ ⇦ 차량이동 차량진단시
배전 선로 뒷부분
초음파측정 전주 앞부분
측정
 ,
30Km/h
이하로 운전

검사대상 ⇦ 차량정지 주행시 검출기와 외부 장애물
개폐기 

⇩ 접촉 주의
개폐기 본체 차량안내원 배치
개폐기 기준
360°검사

하부 측면진단 ,
삼각대, 라바콘 등 설치
부싱
각상 전원⋅부하측 자전거, 통행인 주의

진단
③ 리드선 및 스리브
압축개소 진단

지상에서
불량개소 ⇦ 이상신호음 이어폰 활용
확인곤란 적 출
↓ ⇩
정밀검사 광학쌍안경 결함상태 확인
확 인

적출개소
사진촬영

WAV DATA 초간 해당설비 개폐기 부분 소리세기의
저장 지향 상태를 유지할 것
10

⇩ 변화를 확인하여 위치판정


(상→하, 좌→우 확인)
상태판정 불량 ⇨ 교개폐기체 미세한 신호음은 이어폰을
⇩정상 통해확인
실적관리 ⇦ 진단종료 ※ 요주의 주기적 : 안전시설물 철거
관리 및 정밀검사
주행차량 주의 안전운행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4 초음파 진단 시 신호음이 적출되는 경우에는 주상에서 기별검사를 시행하며,


시행절차는 개폐기 3장 8항에 의거 진행하고 검사결과 외관상태등이 정상인
경우에는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한다.

2. PD 진단장비
2.1 PD진단장비는 기기내부 결함에서 발생되는 부분방전 신호(전자파 등)를
기기표면에서 검출하는 진단장비이다.
2.2 진단방법은 지표상 80∼120㎝에서 전주 측정 후 25dB 이상일 경우 주상에서

활선진단을 수행한다.

[그림 2] PD 진단장비
2.3 진단업무 절차는 다음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흐름도 Safety Check Point


대상 전주번호 현장도착
선정 장비확인 출발 전 차량 안전검사
⇩ ⇦ 차량하차 교통안전수칙 준수
배경잡음 ※ 주변잡음 발생 시
측정(대기) 잡음제거 후 측정 차량안내원, 삼각대, 라바콘
⇩ 자전거, 통행인 주의
전주PD측정
지표상
80~120㎝


측정치 25dB ⇒ 활선진단
(주 상)
⇩ 미만
종료/철수
이상

【정밀검사】
실적관리 본체:PD
부싱:초음파
배전센터 활선바켓 ⇐ 활선기별검사
통 보 주상이동

상태판정 ⇒ 교개폐기체 주상진단 시 안전수칙 준수
⇩정상 불량
실적 ⇦ 진단종료 ※ 요주의 주기적
안전시설물 철거
:
관리 관리 및 정밀검사
2.4 초음파 진단결과 본체에 대한 판단기준은 아래와 같으며, 부싱의 경우 Ultra
Mode로 변경하여 측정하되 6dB 이하의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단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표 12] SF 가스개폐기 본체 PD 진단결과 판단기준


6

진단결과 진단수준 판 정
30dB 미만 양 호 정상
30dB 이상 ~ 50dB 미만 요주의 주기적 관찰 및 필요시 정밀진단
50dB 이상 불 량 방전원 확인 및 정밀해체검사
2.5 본체의 측정값이 TEV모드 50dB 이상이나 부싱 Ultra모드 6dB이상인 경우
에는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 의뢰한다.

3. 열화상 진단
3.1 열화상 진단은 변압기, 접속개소 등 설비에 발생하는 열(온도)을 측정하여
기기 열화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장비이다.
3.2 진단방법은 전주와 5∼6m 이내에서 45° 각도로 진단한다.

그림 2] 열화상 진단장비
[

3.3 진단업무 절차는 다음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흐름도 Safety Check Point

대상 ⇨ 현장도착
선정 (진단선로) 【열화상진단】
⇩ ⇦ 차량이동 차량진단 시 30Km/h이하로 운전

열화상진단 전주거리  진단 5~6m/45° 주행시 진단장비와 외부


전원측에서 본체 부싱

조립부위 몰드콘 집중 확인
,
,
장애물 접촉 주의
이상고온감지
이상고온감지】

⇨ 차량정지 차량안내원 배치
삼각대, 라바콘 등 설치

⇩ 자전거, 통행인 주의

정밀진단 온도 스케일 스팬 조정 【현장이동】


,
안전시설물 철거

광학진단 ⇒ 적출설비촬영 ※주행차량 주의 안전운행
진단결과 위험 판정 시
⇩ ⇓ 기기철거 및 설비진단처
이미지저장 이상
분석의뢰
⇩ 【정밀검사】
상태판정 ⇒ 본체:PD
⇩ 정상 불량 부싱:초음파
실적관리 ⇦ 진단종료 기별검사

3.4 열화상 진단결과 판단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12] SF 가스개폐기 열화상 진단결과 판단기준
6

주위온도기준 판정 조치사항
< 5℃ 정상 -
5℃~10℃ 요주의 주기적으로 관리
> 10℃ 위험 교체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표 13] ECO 개폐기 열화상 진단결과 판단기준



온도차 정밀진단 불량
주위(대기) 10~20℃ 미만 20℃ 이상
상별 5~10℃ 미만 10℃ 이상

✓ 부싱 조립부 등 발열개소 온도와 주위 및 인근 상 온도 차를 비교판정


✓ 비, 눈, 한파 시에는 신뢰성이 떨어지므로 진단 중단
✓ 풍속 2m/s이상의 바람 및 측정거리에 대한 보정계수를 진단기기에 입력
✓ 정밀진단 : 설비진단처 의뢰, 불량 : 하자처리(하자기간 경과시 불량처리)

3.5 열화상 진단결과 상별온도차이가 10℃ 이상 또는 주위(대기)온도와 20℃ 이상인

경우에는 기기를 철거하여 외관상태를 검사하며, 검사결과 이상이 없는 경우


에는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한다.

4. 광학쌍안경 및 고배율 카메라


4.1 육안검사 시 지상에서 부싱균열 및 몰드콘 접속부위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이다.
4.2 장비의 기준은 11배이상 고배율로 20m 지점 관측 시 1.8m에서 보는 효과를

가져야 한다.

[그림 3] 광학쌍안경 및 고배율 카메라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4.3진단업무 절차는 아래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흐름도 Safety Check Point

진단대상
선 정 ⇨ 전주번호
장비확인 현장도착 차도에서 촬영
⇩ ⇦ 시 주행차량에
주의해서 촬영
검사대상 ⇦ 차량정지
전주
⇩ 주요 촬영방법
- 개폐기 가스압력 Target
광학카메라 ①② 번호찰 ·전경
촬영 ③ 전원부하측
진단대상기기 -- 개별 부싱 몰딩 접착부
⇩ 구출선 상태
지상에서 (전주번호찰, 전경 별도)

불량개소 ⇦ 현장1차판독 이상 확인 광학쌍안경
확인곤란
↓ ⇩ ⇩이상 촬영유의사항
정밀검사 촬영종료 ⇦ 재촬영 - 최대 14m를 넘지않는 범위에
⇩ 서 외관검사 시행하며
- 기기제원, 부식여부, 부싱균
PC활용 판독
열, 몰드콘 들뜸, 구출선 시공
⇩ 상태를 검사한다.
상태판정 불량 ⇨ 교 체
⇩정상
실적관리 ⇦ 진단종료 요주의 주기적
관리 및 정밀검사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표 21] 광학쌍안경 및 고배율카메라 규격


광학배수 4배 11배 18배 50배

현장사진

일반카메라 광학쌍안경 안정화쌍안경 광학카메라


기 종

4.4 광학진단 시 부싱균열, 접합부 들뜸, 외함 부식여부 등을 중점진단하며, 불량


적출 시 즉시 교체를 시행하고 필요 시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한다.

5. 개폐기 구출선 수분침투 검사


5.1 본 검사방법은 개폐기 구출선 수분제거를 통해 수분
침투로 인한 접속점 열화 또는 기기내부 수분침투를
검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5.2 구출선 피박기는 플라스틱 파이프 커터, [그림 4] 구출선 피박기
SUPER 107 제품이며 일반 공구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5.3 구출선 자연수분 침투여부 확인 및 제거를 위하여 구출선 최하부 지점의 피복을

제거하여 수분침투 여부를 확인하며 이후 스리브카바 개폐부위가 지면을 향하게


시공한 뒤 자기융착테이프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않도록 시공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표 15] 구출선 수분제거 검사 및 시공절차


① 구출선 피복 제거 ② 구출선 수분 제거 ③ 스리브카바 시공

피복 cutting(5∼7cm) 구출선 피박기 사용 스리브카바 개폐부위


하향시공
•수분제거가 용이한 ∙전공칼 및 펜치로 ∙수분 침투 및 고임 방지
구출선 최하부 지점 컷팅부분 마무리 작업 ∙커버 양단 Taping
5.4 구출선 검사결과 개폐기 상태를 아래와 같이 판정한다.

〔표 16] 구출선 수분여부에 따른 개폐기 조치방안

부싱 균열 수분 침투 접속점Taping 상태 판정 조치 방안
유 무
유 유 불량 개폐기 교체
무 무

유 무 수분제거 및 Taping
무 유 요주의
무 무 Taping
유 양 호 양호

6. 접속개소 자기융착테이프 시공검사


6.1 본 검사방법은 Aℓ본선과 구출선의 접속점에 설치된 압축형 이질금속스리브의
자기융착테이프 설치 등 적정시공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이다.
6.2 활선작업차에 탑승하여 주상에 올라 압축형이질금속스리브의 스리브카바를

제거한 뒤 육안으로 적정시공여부를 확인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6.3 검사결과 자기융착 테이핑이 시공되어 있지 않으면, 구출선 수분침투 여부를


검사하며 개폐기 3장 5항의 절차에 의거 수행한다.
〔표 17] 구출선 접속개소 검사기준

불량시공 사례 검사내용

구출선의 절연피복이 이질
금속스리브 내부로 들어감
이중절연자기융착테이프 시공

수분침투
6.4 구출선 검사결과 자기융착테이핑 작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개폐기
3장 5항에 의거 구출선 수분침투 검사를 시행하고 조치한다.

6.5 구출선에 수분침투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전 시공기준 7000 및 개폐기


제3장 6항에 의거 자기융착테이핑 작업을 한 후 스리브카바를 설치하여 작업을
완료한다.
〔표 18] 접속개소 자기융착테이프 적정시공여부 검사절차

① 스리브 카바 제거 ② 자기융착테이프 시공 ③ 스리브카바 시공

접속개소 ➡ 자기융착 테이프 시공 ➡ 배전 스리브 카바 시공


테이프 시공여부 확인 시공기준 7000 참조
6.5 본 작업을 도급으로 시행 시 절연카바와 Jumper 절단품을 지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7. 가스압력 적정여부 측정검사


7.1 본 검사방법은 Digital 가스압력계(Manometer)를 활용하여 기기내부 SF6

가스압력 적정여부를 활선상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표 19] 가스압력 진단장비 개요

1 2

제품 사진 활용 제품
 본체연결부(제조사별 별도제작)  Digital Manometer

7.2 가스압력 측정절차는 검전접지 후 가스 주입구를 개방하여 가스압력을 측정

하는 방법으로 세부절차는 붙임3에 의거 시행한다.


〔표 20] 가스압력 진단검사기법 절차
① 검전 및 접지 ② 주입구 개방 ③ 가스압력 측정

7.3 개폐기의 적정가스압력은 제조사별로 기준이 상이함에 따라 붙임4의 적정


가스압력 기준을 참고하여 시행한다.
7.4 가스압력 측정결과 적정가스압력의 80% 이상의 경우에는 개폐기 제조사와

협력하여 주상 정밀검사를 시행하고 필요 시 가스주입을 시행하며, 80% 이하인


경우에는 개폐기 교체를 시행한다.
7.5 철거된 개폐기의 외관검사 결과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7.6 가스압력 측정방법은 2단장주의 상단개폐기, 가스주입구가 전주측에 설치된


경우 등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복잡장주의 경우에는 측정을 제외한다.

8. 주상 기별검사
8.1 기별검사 절차는 직접활선 작업절차서를 준용하여 작업전 안전회의, 방호,
배전센터 통보 등을 시행한다.
8.2 활선작업차에 승탑하여 기기 외함 접지선의 접속상태를 확인한다. 접지선이

불안정하게 접속되어 있을 경우 외함에 전압이 유기될 수 있다.


8.3 검전기를 외함에 접촉하여 유기전압 여부를 추가로 확인한다.

8.4 중점 검사대상은 몰드콘 접합부, 가스압력 여부, 부식상태, 이물부착, 각종

표시찰 탈락여부를 육안검사 하고 기기제원이 NDIS와 동일한지 확인한다.


〔표 21] 개폐기 집중검사 개소

접합부 들뜸 벌어짐 트래킹


8.5 가스압력 Target 상태를 확인 한 뒤 기기 외함상태를 육안으로 검사 후

가스압력 측정장비를 활용하여 본체 가스압력을 측정한다. 측정절차는 제3장


7항에 의거 시행한다.

8.6 본체 및 부싱상태 검사결과 이상이 있을 경우 즉시 철거를 시행한다.

8.7 몰드콘과 구출선이 하향 시공되어 있는 경우, 몰드콘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적정하게 조치하여야 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표 22] 구출선 시공상태 검사

불량시공 정상시공
※ 개폐기 구출선의 여유분을 감아 놓거나, 아래로 처진 상태로 두면 몰드콘
접합부의 벌어짐과 트래킹(피복균열)현상을 촉진
8.8 구출선이 적정하게 시공이 된 경우에는 구출선 수분침투 여부를 검사한다.

8.9 스리브 커버를 제거한 후 압축형 이질금속스리브 적정시공 여부를 확인한다.

구출선의 절연피복이 이질금속스리브 내부로 들어가 있어야 하며, 이중절연


자기융착테이프 시공 여부를 확인한다.
〔표 23] 구출선 접속개소 검사

불량시공 사례 검사내용

구출선의 절연피복이 이질
금속스리브 내부로 들어감
이중절연자기융착테이프 시공
수분침투
• 접속점 커버시공으로 시공 적정 • 이질금속스리브에 자기융착테이프
여부 육안확인 검사곤란 시공여부 확인
• 테이프 미시공시 재시공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2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8.10 기별검사 후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몰드콘 접속부, 부싱상태, 이질금속


스리브 시공상태를 HD급의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하여 제출한다.
8.11 기별검사 시 Check List 는 <붙임 1>을 참고하고, 작업완료 후 방호철거

및 현장 작업정리를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4 장 관리기준

1. 개폐기 시기별 관리기준


1.1 개폐기는 겨울철 기온급감 시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집중되어, 시기별 관리
방법은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표 24] 시기별 관리기준

시기 기 간 관리방법 비고
• 기기 수분제거 및 시공상태검사 설비보강
평상시 3∼10월 • 초음파․고주파․PD(TEV) → 쌍안경 설비진단
(카메라), 열화상 → 기별검사

• 진단 : 초음파․고주파․PD(TEV)
동 계 11월∼2월 쌍안경(카메라)․열화상 유지보수
• 교체 : 의심 → 교체 → 설비진단처 의뢰
2. 평상시 관리방법
2.1 평상시인 3월∼10월은 일상진단 및 관리의 시기이며, 설비보강․진단을
중점으로 하여 유지보수 한다.
2.2 춘계 월∼ 월 중점 추진활동
(3 4 )

2.2.1 동계기간(11월∼2월) 내 개폐기 제원별, 고장 유형 등을 분석하여 개폐기


보강․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2.2.2 동계기간 검사 중 불량판정 건에 대하여 교체를 시행한다.

2.2.3 광학쌍안경 등을 이용하여 개폐기 부싱, 몰드콘 접합부, 구출선 적정


시공여부 등을 육안검사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기별검사를 시행하고,
불량판정 시 즉시 교체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3 하절기 대비 ∼ 월 중점 추진활동


(5 6 )

2.3.1 개폐기 구출선 내부에 수분검사를 시행하고, 수분이 침투했던 개폐기는

요주의 대상으로 관리한다.


2.3.2 몰드콘과 구출선 시공상태를 검사하여 구출선이 하향시공 되어 있거나,

몰드콘에 과도한 장력이 걸려있는 개소는 구출선 길이를 조정하여 시공


한다. 시공방법은 <붙임 5>를 참고하여 시공한다.
2.3.3 장기간 투개방 실적이 없는 개폐기의 경우에는 사업소별 본체 투․개방

연동시험 계획을 수립하여 1년에 1회이상 투개방 상태를 검사한다.


2.4 하계 및 추계 월∼ 월 중점 추진활동
(7 10 )

2.4.1 진단장비 활용 및 기별검사 등으로 개폐기 불량여부를 집중진단 한다.

2.4.2 장비별 진단절차는 배전선로 검사 지침을 준용하고, 검사결과 설비진단처의

정밀검사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즉시 발송하여 시험에 임한다.

3. 동절기 월∼ 월
( 11 2 )

3.1 동절기(11월∼2월)는 기온급감으로 인한 기기 불량 급증이 예상됨에 따라


기별검사를 중점 시행하되, 아래의 절차를 준수한다.
3.1.1 검사대상 : SF 가공개폐기 단, 하자기간 내 ECO 및 폴리머류 개폐기 제외
6

3.1.2 검사방법 : 직영수행을 원칙, 단 사업소장이 판단 도급시행 가능

3.1.3 중점검사 : 주상 기별검사를 시행하되, 부싱균열, 몰드콘 조립상태,

접속부 열화상태
3.1.4 결과제출 : 접속부, 부싱상태 등 HD급 카메라로 동영상 또는 사진 제출

※ 동영상 제출 시 File name : 전산화번호_999_촬영일자


※ 사 진 제출 시 File name : 전산화번호_9999_촬영일자_01…10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2 평상 검사 시 구출선에 수분이 침투되었던 개폐기에 대하여 SF 가스압력 6

적정여부를 동시에 측정한다. SF 가스압력 측정방법은 <붙임 3>에 준하여


6

시행한다.
3.3 기별검사를 협력회사에 도급시행한 경우 기별검사 당시 동영상이나 사진을

확인하여 검사미흡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관련기준에 의거 제재를 시행한다.


※ 협력업체 관리지침 및 무정전시공업체 관리 절차서
3.4 기별검사 시행 이후 동계기간 월 1회 열화상 진단검사를 추가 진행한다.

3.4.1 중점검사 : 구출선과 Aℓ접속부위 (압축형이질금속스리브 시공개소)

3.4.2 사 유 : 스리브내 침투된 수분이 기온급감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스리브 열화 촉진
3.4.3 조치방법 : 접속부 재시공 및 시공부위 사진촬영 제출

붙임 1.가공개폐기 기별검사 Check List


2. SF 가공개폐기 부분방전(PD) 진단표
6

3. 가공개폐기 가스압력 측정 진단절차

4. 제조사별 가공개폐기 SF 가스 적정압력 현황


6

5. 가공개폐기 구출선 표준 시공도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1>
가공개폐기 기별검사 Check List
검사일시 : 20 . . . 시 날씨 : 온도 : ℃ 습도 : % 검사자 :
□ 검사설비
사업소명 변전소 D/L 선로명 선로번호 전산화번호 제작사

제조년월 제조번호 절연방식 조작방식 가스타켓 조작횟수 접지저항


가스/진공 수동/자동 정상/불량

□ 검사리스트
구 분 검사내용 상태 비고
외부충격 또는 변형 ○/×
접지선 접속상태 ○/×
본체
표시창 가스압력 ○/×
탈락여부 조작횟수 ○/×
이질금속스리브(AL 전선), A, B, C
분기스리브(동전선) R, S, T
A, B, C
압착 상태 및 횟수
R, S, T
가공전선-구출선 A, B, C
구출선 피복 삽입여부
접속개소 R, S, T
A, B, C
자기융착테이프 사용여부
R, S, T
A, B, C
스리브 커버 시공상태
R, S, T
A, B, C
크랙 및 손상 유무
R, S, T
부싱
A, B, C
흑연 코팅 탈락 유무
R, S, T
A, B, C
들뜸
R, S, T
A, B, C
몰드콘 접합부 벌어짐
R, S, T
A, B, C
트래킹
R, S, T
기타 진동, 소음 발생 여부 ○/×

※ 부싱 상 구분 : 전원측(A, B, C), 부하측(R, S, T)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2>
SF6 가공개폐기 부분방전(PD) 진단표
진단일시 : 2011. . . 시 날씨 : 온도 : ℃ 습도 : % 진단자 :
□ 검사설비
사업소명 변전소 D/L 선로명 선로번호 전산화번호 제작사

제조년월 제조번호 절연방식 조작방식 가스타켓 조작횟수 접지저항


가스/진공 수동/자동 정상/불량

□ 지상진단결과
배경잡음 dB 전주에서 1m 정도 이격하여 측정
전주접촉 dB 대지에서 80∼120cm 위치에서 측정

※ 진단결과 25(dB) 이상분은 주상 정밀진단(활선) 시행

□ 주상(활선)정밀진단

구분 측정위치 PD(dB) Pulse수 육안검사 사항


밑면
본체
측면(전원)
(TEV Mode)
측면(부하)
A
· 부 싱
전원 B
· 몰드콘
부싱 C
· Bonding
(Ultra Mode) A
· 흑연코팅
부하 B
· 스리브압축 상태
C

※ 주의사항 ∙ 본체 → TEV Mode, 부싱 → Ultra Mode


∙ Ultra Mode 측정시 부싱에서 5cm 이내 이격(비접촉)
∙ 전원 → 부하 : 선로번호 기준 / ABC : 도로 → 가옥측
☞ 이질금속스리브 시공불량은 교체 후 PD 재측정

□ 종합의견 : 양호, 사업소 자체 주기적 관리, 철거 후 정밀분석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3>
개폐기 가스압력 측정진단 절차

작업순서 작업내용 및 주요착안 사항 현 장 작 업 사 진


<주요 활선장비 및 공구 검사>
1 가스압력 측정기 1개
2 전선덮개(30kV) 6개
작업준비
3 고무절연브랑켓트 2개
4 특고압고무절연장갑(30kV) 2족
5 고무절연소매(30kV) 2벌
Ÿ 작업책임자는 배전센터에 활선작업을
통보하고 재폐로 분리 요청을 한다.
작업전
Ÿ 개인 안전장구 및 공기구를
안전회의
검사하여 안전 작업에 중점을 둔다.

※ 재폐로 분리여부를 확인

Ÿ 교통량, 보행자 등 현장 작업여건을 고려


차량 및
하여 라바콘, 공구․차량 및 작업자를 배치
작업자 배치
한다.

Ÿ 활선바켓트럭은 작업전 항상 연동선


기계장비 22㎟ 또는 동등 이상의 접지선을 사용
외함접지 하여 중성선, 접지모선 등에 연결함
으로써 트럭을 접지한다.

Ÿ 고무절연장갑, 고무절연소매 등 보호장구


를 착용하고 중성선, 저압선을 방호하고
중 성 선 중성선 지지애자는 고무절연브랑켓트로
방 호 방호한다.
Ÿ 지선의 상단부분을 라인호스 또는 전선
덮개로 방호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작업내용 및 주요착안 사항 현 장 작 업 사 진

Ÿ 작업자는 검전기를 기기 외함에 찍어


개폐기
외함에 유기되는 전압이 없는지 확인
검전접지
한다.

Ÿ 가스 주입구를 개방하고
소 켓
Ÿ 고무호스 연결용 소켓을 주입구에 삽입
연 결
한다.

개 폐 기
Ÿ 소켓에 고무호스를 연결하고 가스압력
가스압력
측정계로 적정 가스압 여부를 확인 한다.
측 정

Ÿ 가스압력 수치를 확인하여 기록한 뒤


원상복귀 Ÿ 소켓을 제거하고, 가스주입구 뚜껑을 부
착한다.

Ÿ 중성선의 방호관을 철거한다.


방호철거 ※ 바스켓 하강 완료 후 차량접지를
분리한다.

Ÿ 작업책임자는 배전센터에 공사완료를


통보하고 재폐로 환원을 요청한다.
작업종료
Ÿ 작업장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고 작업을
완료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4>
제조사별 SF6 가공개폐기 적정압력 현황

제조사명 정격가스압력(출고압력) 가스압력저하동작압력


피엔에이파워시스템 1.5 kg/㎠ 0.5~0.8 kg/㎠
선일전기공업 1.5 kg/㎠ 0.7~1.0 kg/㎠
서 울 산 전 0.07 MPa 0.01~0.04 MPa
광 명 전 기 0.12 MPa 0.03~0.07 MPa
동 방 전기 0.5 kg/㎠ 0.1~0.2 kg/㎠
E N T 1.0 kg/㎠ 0.28±0.225 kg/㎠
비츠로 테크 1.5 kg/㎠ 0.65±0.05 kg/㎠
동양 이이씨 0.2 MPa 0.09~0.13 MPa
경동 중전기 0.7 kg/㎠ 0.2~0.35 kg/㎠
인텍전기전자 1.7 kg/㎠ 0.7±0.2 kg/㎠
제 룡 전 기 0.7 kg/㎠ 0.2~0.4 kg/㎠
진광 이앤씨 0.05 Mpa(0.51kg/㎠) 0.01~0.02 MPa
신 성 산 전 1.0 kg/㎠ 0.05~0.5 kg/㎠
보성 파워텍 0.15 Mpa 0.3~0.7 kg/㎠
동 남 0.7 kg/㎠ 0.2~0.4 kg/㎠
테 크 프 로 0.7 kg/㎠ 0.01~0.03 MPa
에스 엔에스 1.2 kg/㎠ 0.5~0.9 kg/㎠
중 원 전 기 1.2 kg/㎠ 0.3~0.7 kg/㎠

※ 공기압력의 기준단위 : ㎏/㎠


※ 1㎫ = 10.2㎏/㎠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5>
가공개폐기 구출선 표준시공도

※ 현수애자(3련), 진광개폐기 기준 작성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3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애자류
3

1. 검 사  39

2. 진 단  40

3. 세부진단절차  44

4. 관리 기준  48

<붙임 1> 배전애자 외관상태 판단기준 예시


<붙임 2> 배전용 애자의 종류 및 주요특성

<붙임 3> 자기재 애자류 진단시 유의사항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1 장 검 사

1. 검사방법
1.1 검사에는 순시검사, 정기검사가 있으며, 애자류의 정기검사는 시행주체 및 시행
시기에 따라 설치전검사, 중간검사 및 정밀검사로 구분한다.
1.2 일상적인 순시검사, 정기검사는 직영으로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세부
절차는 배전선로 순시검사지침에 따라 시행한다.
1.3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정밀분석이 요구되거나, 검사 인력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사업소장의 결재를 득하여 외부용역을 수행할 수 있다.
2. 정기검사 개요
2.1 설치전검사는 애자를 현장에 설치하기 직전에 수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표 1] 설치전검사 사항

구 분 세부내용
육 안 점 검 • 육안으로 애자 외관상태(균열·파손 등)를 조사
절연저항측정 • 배전애자 양단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측정기(Megger))
2.2 중간검사는 매년 설비진단 시 병행하여 시행한다.

〔표 2] 중간검사 사항

구분 세부내용
육안검사 • 육안(광학쌍안경) 외관상태를 조사
지상검사 • 초음파진단, 열화상진단, 광학카메라 등
검사기준 • 전 특고압 배전선로 1회/1년 검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3 정밀검사란 중간검사 시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불량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이다.
〔표 3] 정밀검사 사항

구분 세부내용
대 상 • 검사결과 이상 및 불량판정 애자
검사시기 •• 측정결과 이상 또는 위험으로 판정 시
육안 또는 지상에서 불량 원인판정이 어려운 경우
검사방법 •-활선상태에서 기별검사 및 진단장비 이용 정밀검사 시행
진단 : 초음파, 분담전압 측정, 열화상 진단 등

제 2 장 진 단

1. 진단방법
1.1 배전애자 진단은 활선상태로 시행한다.
1.2 배전애자는 재질별로 자기재와 폴리머로 구분되며, 아래의 검사방법에 따라

시행된다.
〔표 4] 재질별 애자별 진단방법

진단대상 검사방법 비고
현수 초음파, 열화상 또는 광학진단
자기
LP 초음파 또는 광학진단
폴리머 광학진단(카메라,쌍안경) 외관 진단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3 배전애자 고장발생 시 원인별 진단방법은 아래와 같다.


〔표 5] 고장원인별 진단방법

구 분 고장 내용 주요 증상 진단 방법 비고
强 → 초음파, 열화상
균열·파손 부분방전 PDPD 弱 → 초음파, 광학진단
습윤상태
자 기 표면 오손 표면방전
발열현상 초음파 , 열화상, 광학진단
습도 ↑
강우환경
내부 결함 내부균열
소성불량 열화상 -

폴리머 표면 오손 누설전류
방전현상 광학카메라 염진해
밀도↑

2. 진단절차
2.1 장비별 진단절차는 배전선로 검사 지침을 준용하며, 자기재 현수애자의 경우
에는 기별검사 시 분담전압 측정을 동시에 수행한다.
〔표 6] 배전애자 진단절차

구분 1 단계 2 단계 3 단계

자기LP 초음파진단 +
광학카메라
(쌍안경포함)
자기현수 초음파+열화상 ⇨ 기별검사
(필요시)
폴리머LP
광학카메라(쌍안경포함)
폴리머현수
※ 자기재LP는 열화상진단효과 미흡, 폴리머애자는 외관상태로 진단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2 배전애자에 대한 진단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7] 배전애자 진단기준

진단대상 진단방법
현수 균일/파손 /표면오손
내부결함
초음파, 열화상, 광학진단
열화상, 기별검사
자기재 균일/파손 초음파, 광학진단
애자 (바인드침식, 볼트풀림 병행)
LP 표면오손
내부결함 초음파
폴리머애자 표면오손 광학카메라
2.3 진단장비별 진단원리 및 중점 진단개소는 아래와 같다.

〔표 8] 진단종류 및 원리 요약

구분 중점진단 진단원리 진단방법


균열,파손 • 11배 이상 고배율 지상에서
① 광학진단
볼트풀림 육 안
바인드침식 • 20m 지점 기준 1.8m 효과
정밀검사
플래시오버 (카메라 촬영 후 PC 확대 확인)
자기재 • 설비 발생 열 (온도)을
지상에서
② 열 화 상 진단장비
현수애자 캡 주위온도 및 상별 비교측정 정밀검사
균열,파손 차량이동
③ 초 음 파 볼트풀림 •초음파를 가청음 변환 검출 이하 진단
바인드침식 (30㎞/h )

2.4 진단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애자는 교체를 시행하고 필요 시 설비진단처에

불량원인 세부분석을 의뢰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의뢰
단순 육안검사 결과 균열 및 파손 등 외관상 불량판정 가능한 경우는 제외
하고, 장비활용 진단결과 초음파 발생 등 이상개소에 대하여 상태판정이 곤란한
경우 설비진단처에 의뢰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9]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대상

구분 정밀진단 요청대상 비고
초음파 진단 ∘☞신호음이 반복적으로 적출되는 경우
주상 측정기준
지상 측정시
진단착오 예상
∘상별온도차 : 15℃ 초과
대기온도차
열화상 진단 ∘대기온도차 : 20℃ 초과 40℃ 초과는
자체불량처리
기타사항 ∘ 정밀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련서류 첨부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3 장 세 부 절 차

1. 초음파 진단
1.1 초음파 진단관련 세부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3.1항에 의해 시행한다.
1.2 초음파 진단 시 유의사항은 아래의 표에 의해 참고한다.

[표 10] 자기재 애자 진단시 유의사항

• 방향성 및 지향성 고려 동→서→남→북 순서로 진단


• 상→하, 좌→우 소리변화 확인
• 전주가 방해물이 되지 않도록 진단
1.3 초음파 진단결과 신호음이 적출되는 경우에는 주상에서 기별검사를 시행하며,
검사결과 외관상태 등 정상인 경우에는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한다.
2. 열화상 진단
2.1 열화상 진단관련 세부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3장 3항에 의해 시행한다.
2.2 열화상 상태판정 기준(미국 전기시험협회(NETA) 기준 준용)은 아래와 같다.

[표 11] 애자류 열화상 진단결과 상태판정 기준

구분 상간 온도차 주변 온도차
열화가능성 1 ~ 3℃ 1 ~ 10℃

추후 결함으로 진전 4 ~ 15℃ 11 ~ 20℃

결함 21 ~ 40℃

치명 결함 > 15℃ > 40℃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광학쌍안경 및 고배율 카메라


3.1 광학진단 관련 세부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3장 4항에 의해 시행한다.
3.2 광학카메라를 활용한 진단 시 아래의 유의사항을 참고하여 시행한다.

∘ 애자 1련당 전후 2장을 촬영한다. (3상 1회선 내장주 : 12장 촬영)


∘ 현수애자는 애자, 완철, 커버로 인해 뒤쪽 애자를 가리지 않도록 위치선정하고
캡부위(애자뒷쪽)를 중점촬영 한다.(절연파괴는 대부분 캡 부위에서 진행)
∘ LP애자는 Zoom기능을 활용하여 촬영하되 LP 두부측 트래킹, 안쪽 애자부
균열여부, LP하부너트 탈락여부를 중점 진단한다.
3.3 광학카메라 촬영 후 상태판정 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12] 광학진단 결과 상태판정 기준

등급 정의 현상
A [상태 양호] 신품처럼 상태양호 금구부 코로나
B [주의 관찰] 손상, 마모, 부식정도 낮음 오손, 백화 등
C [즉시 교체] 손상, 마모, 부식정도 높음
내부 트래킹, 코어 노출,
금구 아크손상 등
3.4 폴리머와 자기재 애자의 외관 상태판정 판단기준은 아래의 기준 및 붙임1을
참고하되, 초음파, 열화상, 분단전압 측정 등 진단장비를 활용한 측정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조치방법을 결정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표 13] 폴리머 애자 : FRP 로드 노출여부 판단


[

구분 현상 상태판정
․ 갈라짐, 관통 (splits & punctures) B∼C
갓 ․ 찢어짐 또는 손상(torn or damaged) B∼C
․ 총탄 손상(gunshots damage) B∼C
․ FRP 노출 (exposed rod(electrical activity)) C
․ FRP 노출 (exposed rod(mishandling)) C
외피 ․ 비조립 노출 (unclipped sheath) C
․ 갈라짐 (splits) C
․ 총탄손상 (gunshot damage) C
․ 백화현상 (whitening) A
․ 트래킹 (tracking) C
․ 동물 피해 (animal damage) A∼C
․ 관통 (undermining) C
․ 찍힘 (cracking) B∼C
갓& ․ 표면 균열 (alligatoring) A∼C

외피 ․ 침식 (erosions) B∼C
․ 오손 (contamination) A∼C
․ 잔금 (crazing) A∼B
․ 곰팡이 (fungus or mold growth) A∼B
․ 곤충활동 (insect activity) A∼B
․ 발수성 저하 (hydrophobicity loss(SIR only)) A∼B
․ 그리스 삼출 (silicone grease on surface) A∼B
․ 아크 손상 (flashover damage) C
금구 ․ 기밀 불량 (degraded seal) B∼C
․ 부식 (corrosion) B∼C
고장 ․ 취성파괴(Brittle Fracture)
유형 ․ 방전에 의한 FRP 파손
․ 연결금구 빠짐, FRP 불량 등

※ "Filed Guide-Visual Inspection of Polymer Insulators" EPRI, CA:2012.1025463 발췌


※ FRP 코어 노출에 따른 위험성의 차이(흡습성 시험 결과)
현수애자 코어 FRP로서 섬유다발이라 수분이 모세관 현상으로 섬락 유발 가능
LP애자 코어 FRP가루를 레진에 묻혀 덩어리로 만들어 흡습성이 거의 없음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표 14] 자기재 애자.


현상 보수기준
․ 캡과 자기재간 연속방전 B
․ 자기재 파손 C
․ 핀 코로나 B
․ 자기재 크랙 C
․ 캡 이탈 C
․ 고전장(High Electric Field) B

☞ ″Filed Guide-Visual Inspection of Porcelain and Glass Disc Insulators″EPRI, CA:2012.1025464 발췌


4. 현수애자 분담전압 측정
4.1 분담전압 측정 시 활선기별검사에 준하여 시행한다.
4.2 전압식 불량애자 검출기를 활용하여 자기재 현수애자

양단간에 걸쳐 있는 충전전압의 전위차를 검출기로


측정하여 전압이 “0”에 가까운 측정치를 나타내는 애자는
불량애자로 판정한다.
[표 15] 현수애자 위치별 분담전압 기준치(A.B.CHANCE사 제품)

구 분 분 담 전 압 (V) 비고
선로측 중간측 완금측
2개련 6,925(53%) - 6,263(47%)
3개련 5,464(41%) 3,795(29%) 3,962(30%)

[표 16] 현수애자 분담전압 상태판정 기준

구분 2개련 3개련
분담전압기준(㎸) 0 ∼ 2 2 ∼ 4 4이상 0 ∼ 1 1 ∼ 2 2이상
불량판정 불량 요주의 양호 불량 요주의 양호
※ 련을 구성하는 애자 전체가 불량 시 분담전압으로 적출안됨 ð 열화상 적출 가능
4.3 작업완료 후 방호철저 및 현장 작업정리를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4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4 장 관리기준

1. 배전애자 시기별 관리기준


1.1 배전애자의 시기별 관리방법은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표 17] 계절별 관리기준

시기 기 간 관리방법
평상시 년 중 • 초음파, 열화상 → 광학쌍안경(카메라) → 기별검사
• 광학카메라(쌍안경) → 기별검사
특정시기 낙 뢰 •※광학카메라
고장발생선로
(쌍안경) → 기별검사

2. 평상시 관리방법
2.1 평상시
2.1.1 자기재 현수애자와 LP애자에 대하여 년중 초음파진단을 시행하고, 현수

애자는 하계직전 열화상진단을 집중 시행한다.


2.1.2 자기재 및 폴리머애자는 광학카메라로 촬영하여 상태판정 후 유지보수
등급을 참고하여 조치여부를 결정한다.
2.2 특정시기

2.2.1 낙뢰이후 원인불명 고장이 발생한 선로구간의 배전애자는 광학카메라로


촬영하여 상태판정 후 유지보수 등급을 참고하여 조치여부를 결정한다.

붙임 1. 배전애자 외관상태 판단기준 예시


2. 배전용 애자의 종류 및 주요특성

3. 자기재 애자진단 시 유의사항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1>
배전애자 외관상태 판단기준 예시
1. 폴리머 애자
□ 표면변색 오손 백화 곰팡이( / / )

A~C A B

오손 백화 곰팡이
○현 상
- 오 손 : 해안, 산업지역 및 지형에 따른 오염물질의 부착

- 백 화 : 폴리머 첨가제가 표출되어 백색으로 변색

- 곰팡이 : 균류의 성장으로 현재까지 연구에 의하면 문제가 되지 않음


○ 조치사항
- 운영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화현상으로 즉각 조치 불필요

□ 폴리머 손상 및 코어 노출
C
B c
B∼C C

찢김 갈라짐 총탄손상 표면균열


c
c
c
c
c

갈라짐 (코어노출) 총탄손상 (코어노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현 상
- 갓 손상 : 찢어짐, 갈라짐, 총탄손상 등에 의한 부분적인 훼손
- 하우징 손상 : 코어를 감싸고 있는 하우징 폴리머의 훼손

- 코어 노출 : 갓 또는 하우징의 손상으로 코어의 노출 여부

○ 조치사항
- 갓 또는 하우징이 부분적 손상일 경우 진행 여부를 주의관찰 필요

- 코어(FRP) 노출시 흡습에 의한 고장발생, 즉각적인 조치 필요.

□ 방전현상
c

폴리머 트래킹 방전 백화
○현 상
- 트래킹 : 방전 현상에 의해 폴리머 표면이 손상된 탄화흔적의 유무
- 백 화 : 표면방전에 의한 백화 현상

○ 조치사항
- 지속적인 방전현상에 의해 코어 노출, 섬락고장 발생. 즉각적인 조치 필요
- 표면방전에 의한 백화현상의 경우 즉시 조치 불필요

□ 금구 손상
B~C
c B~C

아크에 의한 용융 및 부식 기밀손상 도금불량 부식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현 상
- 아크 흔적 : 섬락에 의한 금구 용융, 도금손상에 의한 부식 등
- 기밀상태 : 금구와 폴리머 경계부분의 기밀 상태, 벌어짐, 녹 상태 등

- 부식 : 금구의 아연 막 손상에 의한 녹 발생 정도

○ 조치사항
- 아크의 열작용 흔적은 폴리머, 코어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조치가 필요함

- 금구 부식이 접합력에 영향을 주지 않거나 기밀이 파손되어 코어 노출이

없을 경우 조치 불필요
2. 자기재 애자

소손
C C C
C 관통 내부

균열 내부관통 섬락 균열
아크손상(방전)
C C A

아크손상 핀접합 시멘트 부식 부식 날개파손


C C
C C

애자파손 날개파손 균열 부식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C
C C

핀 부러짐 강도불량 오손
3.2.3 LP애자 상태판정 예시

C
C
C

균열 파손 볼트풀림

C
C
C

바인드침식 Flash over 베이스 분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2>
배전용 애자의 종류 및 특성
□ 애자 종류
종류 규격 비고
라인포스트 애자 일반형 152×304(갈색) 누설거리: 559
(자기재) 내염형 178×304(회색) 누설거리: 712, C지역
폴리머 라인포스트 애자 152×304(회색) 누설거리: 712, C, D지역
장간형 현수애자 180×340 누설거리: 745
A형
누설거리: 760
폴리머 현수애자
525±25
자기 현수 3련 대체, C 이상
B형
누설거리: 580
430±20
자기현수 2련 대체, B급 이상
일반형) 갈색) 누설거리: 210
D-1( 191×146(
오손 B 이하 2개, C 3개 사용
현수애자 일반형) 갈색) 누설거리: 292
C급 2개, D급 3개 사용
D-2( 254×146(

내염형) 회색) 누설거리: 430


D급 2개 사용
D-3( 254×146(

□ 애자의 구조
○ 자기애자 (자기, 유약, 금구, 시멘트)
현수애자 지지애자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폴리머애자 (코어, 몸체, 금구)


현수애자 지지애자

□ 애자의 주요특성 및 결함요인


분류 공정/재료 설명 결함요인
자기 원료배합 ,성형 • 불순물 제거, 원료반죽 후 성형·건조 재질불량,불순물,공극
애자 시유조립 , 소성 • 유약 바르기, 열처리로 세라믹 강도 향상 내부균열, 소성불량
• 접착제로 자기와 금구 부착 캡/핀 불량, 양생불량
폴리머 코어 제작 • 유리 섬유/가루를 레진으로 성형 불순물, 공극
애자 사출성형 • 코어 세정, 접착제 도포 후 폴리머 사출 표면오손, 접착불량
금구압착 • 금구압착 후 코어 기밀처리 코어손상, 코어노출
• 포틀랜드시멘트, POR-ROK(상품) 주로사용
시멘트 • 응고, 경화를 위해 장시간 소요 부식, 양생불량
• 흡습성 有, 회색
접착제 • VITROBOND(상품) 주로 사용
흑황 •• 135 ℃이상 용해, 용해 온도 이하 즉시응고
160℃ 이상 가열 시 변질
열팽창
• 흡습성 無, 흑색, 열팽창률 비교적 大
•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rubber 손상, 오손, 백화
폴리머 EPDM rubber
• 내후성, 내오존성이 양호, 비교적 가격 抵 (첨가물 추출) 등
Silicone rubber• 발수성이 좋고, 비교적 가격 高
•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 현수애자에 사용 섬유노출
코어 • 섬유노출 시 모세관 흡습성 高
• Bulk Molding Compounds
BMC • 지지애자, 절연물 등에 사용 원료오손
• 덩어리 폴리머로 흡습성 抵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애자의 절연특성
○ 정상상태
구분 누설전류 분 담 전 압 (㎸)
절연저항 누설거리
(13.2㎸ AC) (5㎸ DC) (㎜)
현수 1개 약 0.2㎃ - 약 10GΩ >210
자기 현수 2개 약 0.1㎃ 선로측 7, 접지측 6 - -
애자 현수 3개 약 0.06㎃ 선로측 5.5, 중간 3.8, 접지측 3.9 - -
지지 1개 약 0.04㎃ - ≫ 10GΩ >559
폴리머 현수 1개 약 0.01㎃ - ≫ 10GΩ >580
애자 지지 1개 < 0.04㎃ - ≫ 10GΩ >559
○ 결함(균열시)
구분 특징 누설전류 분담전압 절연저항
현수 누설길이≫절연두께 크게 증가, 분담전압 약 1GΩ이하 불량
자기 발열 감소
애자 지지 흡수 시 급증 - 변화 적음
폴리머 현수 누설길이≒절연길이 흡수 시 급증 - 변화 적음
애자 지지 흡습성 低 - 변화 적음
○ 자기재애자 특성비교
구분 특징
• 누설거리가 커서 현수애자에 비해 절연 특성이 우수
- 정상애자의 누설전류는 건조 시 주수 시
0.04mA, 0.08mA

LP애자 - 균열애자의 누설전류는 건조 시 주수 시 최대


0.08mA, 9mA

• 건조 시 정상·불량애자 누설전류 변화가 적어 열화상 효과 미흡


단, 주수 직후만 누설전류가 커서 열화상 진단 가능
현수애자 • 절연두께가 작아 미소균열에 누설전류가
• 누설전류에 의한 온도상승 작용이 뚜렷하므로 열화상 검출 가능
이상 크게 증가
60mA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3>
자기재 애자 진단 시 유의사항
□ 현수애자 진단 시 유의사항 ( ' 1 0.9 전력연구원 시험결과 )

개별 누설전류, 누설전류 및
분담 임피던스(V/I) 온도
구 분 구분 전압 전압 전류 Z 전류 온도 판정 【열화상 진단결과】
(kV)
(kV) (mA) (MΩ) (mA)
상승 ①
(℃)

상단 1 5 3.4 4.8 0.7 2.9 불량


전원측

C상 2 6 6.37 3.8 1.7 5 5.3 불량


애자련 3 1.5 3.19 4.6 0.7 3.1 불량
④ ⑤
(③)
상단 1 2.5 8.5 10 0.9 0.4 불량
부하측
B상 2 7 13.2 0.34 38.8 0.24 0.5 주의
애자련 3 2.5 13.2 0.9 14.7 0.6 불량
(⑤)

≪판단방법≫
✓ 열화상 진단은 애자련 누설전류가 ∼ 이상시 검출가능 0.3 0.4mA

• ① ~ ④ 애자련 열화상 검출 / ⑤ 애자련 열화상 미검출


• ⑤ 애자련은 경우 2번째 애자에 의해 누설전류 저하로 검출불가
☞ 열화상이 검출되는 경우 애자련 전체애자 불량이 추정됨
✓ 분담전압 측정 열화상 미검출 개소 불량애자 검출에 용이
:

• 열화상 검출된 ③ 애자련의 1, 2번째 애자 정상 추정 ⇒ 불량 판정


• ⑤ 애자련의 1, 3번째 애자 불량 추정 ⇒ 불량 판정
☞ 분담전압 측정기를 활용 열화상 검출개소 “불량유무 검증”은 곤란
☞ 열화상 진단결과 불량 현수애자 교체시 동일전주 내 타 애자련에
대한 분담전압 측정 병행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자기애자 절연특성 및 진단 착안사항


○ 애자의 구조
LP애자 현수애자

절연거리 김 (지지애자 높이 304㎜) 절연거리 짧음 (절연체 두께 약 14㎜)

○ 절연특성
- LP 애자 : 누설거리가 커서 현수애자 대비 절연특성이 우수

누설전류 건 조 시 주 수 시
정상애자 0.04㎃ 0.08㎃
균열애자 0.08㎃ 9㎃

⇒ 건조시에는 정상과 불량애자의 누설전류 변화가 적어 열화상 효과 미흡


단, 주수 직후에는 누설전류가 커서 열화상 진단 가능
- 현수애자 : 절연두께가 작아 미소균열에 누설전류 60mA 이상 크게 증가
⇒ 누설전류에 의한 온도상승 작용이 뚜렷하므로 열화상 검출이 가능
○ 진단 착안사항
- LP 애자 ⇒ 초음파(고주파) 진단기 활용 진단
- 현수애자 ⇒ 열화상 진단기와 초음파(고주파) 진단기 활용 진단

▶ 현수애자 열화상 진단시 주의사항 ◀


○ 현수애자의 경우 개의 애자로 애자련이 구성되어 있어 구성 애자 중
2~3

1 개라도 정상이면 누설전류가 증가하지 않아 열화상으로 검출되지


않음
※ 의심개소에 대해서는 분담전압 측정기로 측정 시행
○ 과열애자가 검출된 애자련 : 구성 애자 모두 불량 가능성이 높음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5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피뢰기
4

1. 검 사  59

2. 진 단  60

3. 세부진단절차  63

4. 관리 기준  67

<붙임 1> 피뢰기 고장발생 유형


<붙임 2> 피뢰기 열화상 적출 오류사례

<붙임 3> 피뢰기 열화상 진단사례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1 장 검 사

1. 검사방법
1.1 검사에는 순시검사, 정기검사가 있으며, 피뢰기의 정기검사는 시행주체 및 시
행시기에 따라 설치전검사, 중간검사 및 정밀검사로 구분한다.
1.2 일상적인 순시검사, 정기검사는 직영으로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세
부절차는 배전선로 순시검사지침에 따라 수행한다.
1.3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정밀분석이 요구되거나, 검사 인력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사업소장의 결재를 득하여 외부용역을 수행할 수 있다.
2. 정기검사 개요
2.1 설치전검사는 피뢰기를 현장에 설치하기 직전에 수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표 1] 설치전검사 사항

구분 점검방법
육 안 점 검 • 육안으로 피뢰기 외관상태(균열·파손 등)를 조사
절연저항측정 • 피뢰기 양단 절연저항 측정(절연저항측정기(Megger))
2.2 중간검사는 매년 설비진단 시 병행하여 시행한다.
[표 2] 중간검사 사항

구분 검사방법 검사기준
육안검사 육안 또는 광학쌍안경으로 외관상태를 조사 1회/1년 검사
지상검사 초음파진단, 열화상진단, 광학카메라 등
2.3 정밀검사란 중간검사 시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불량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이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표 3] 정밀검사 사항
[

구 분 검사방법
대 상 ○ 검사결과 이상 및 불량판정 피뢰기
○ 육안 또는 지상에서 불량 원인판정이 어려운 경우
검사시기 ○ 불량 징후 적출 즉시
검사방법 ○ 활선상태에서 기별검사 및 진단장비 이용 정밀검사 시행
- 진단 : 열화상진단, 누설전류 측정, 초음파진단 등

제 2 장 진 단

1. 진단방법
1.1 피뢰기 진단은 활선상태 진단을 원칙으로 한다.
1.2 피뢰기 고장 원인별 진단방법은 아래와 같다. 진단방법별 세부진단절차는 3

장에서 다루도록 하며, 진단절차는 다음과 같다.


[표 4] 고장원인별 진단방법

고장유형 진단방법
특성소자 불량, 몸체기밀불량(흡습) 열화상 진단, 누설전류 측정
1차 리드선과 단자 간 접속불량
애관균열(자기재) 및 단로기불량 초음파 진단, 광학쌍안경(광학카메라)
하우징 침식 및 손상(폴리머) 광학쌍안경(광학카메라)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진단절차
2.1 장비별 진단절차는 배전선로 검사 지침을 준용한다.
[표 5] 피뢰기 진단절차

구 분 1 단계(적출) 2 단계 3 단계(주상확인)
특성소자불량 열화상 진단 누설전류 측정 기별검사
내부 흡습 (주상, 필요시) (필요시)

접속개소 불량 광학쌍안경 검사 기별검사


애관균열(자기재) 초음파 진단 (지상확인) (필요시)
단로기 불량
하우징침식 광학쌍안경 검사 기별검사
(폴리머) (필요시)

2.2 피뢰기에 대한 진단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6] 피뢰기 진단기준

진단대상 진단시기
진 단 방 법 중간 증상
정밀
특성소자 불량 내부 흡습 열화상 진단 ○ ○ 몸체발열
접속개소 불량애관균열(자기재) 초음파 진단 ○ 부분방전
오손, 파손, 하우징 침식(폴리머) 광학진단 ○ 표면방전
2.3 진단장비별 피뢰기 중점 진단개소는 아래와 같다.

[표 7] LA 중점진단개소

구 분 중점진단개소
① 광학진단 •애관균열(자기재), 하우징 침식(폴리머)
② 열화상 진단 •특성소자 불량, 몸체내부 흡습

③ 초음파 진단 •하우징 침식 (표면방전), 1차리드선과단자간 접속불량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4 진단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기기는 교체를 시행하고 필요 시 설비진단처에


불량원인 세부분석을 의뢰한다.

4.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절차
육안정밀검사 결과 적출한 하우징 침식, 애관균열 및 파손, 접속개소 시공
불량 등을 제외한 장비활용 진단결과 적출한 부분방전 과다, 온도과열, 초음파
발생 등 이상개소에 대하여는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8]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대상

구 분 정밀진단 요청대상 비 고
초음파 진단 ○☞가공주상초음파 상태판정 불량개소
측정기준
지상에서 측정 시
착오진단 가능
열화상 진단 ○ 상별 온도차 4℃ 이상
기타 사항 ○ 정밀진단이 필요하다고 요구되는 설비 관련서류 첨부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3 장 세 부 절 차

1. 초음파 진단
1.1 초음파 진단관련 세부절차는 제 2 편 가공개폐기 3장에 의해 시행한다.
1.2 초음파 진단 시 유의사항은 제 3 편 애자류 3장 1.2를 참고한다.

1.3 초음파 진단결과 신호음이 적출되는 경우에는 주상에서 기별검사를 시행하며,

검사결과 외관상태 등 정상인 경우에는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한다.

2. 열화상 진단
2.1 열화상 진단관련 세부절차는 제 2편 가공개폐기 3장 3항에 의해 시행한다.
2.2 열화상 진단결과 상태판정 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9] LA 열화상 진단결과 상태판정 기준

온 도 차(X) 판 정 조치사항
X < 2℃ 정 상 -
2℃≤ X < 4℃ 요주의 누설전류 측정주 1)

X ≥ 4℃ 불 량 교체
주1) 누설전류 측정기로 측정 시 누설전류값이 0.5mA 이상인 경우 교체,
0.5mA 미만인 경우 1개월 내 재진단하여 ‘요주의’ 이상 판정 시 교체

2.3 열화상 진단결과가 요주의인 경우에는 누설전류 측정기를 활용하여 진단을


시행하며 절차는 4항에 따른다.

3. 광학쌍안경 및 고배율 카메라


3.1 광학진단 관련 세부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3장 4항에 의해 시행한다.
3.2 광학진단 시행 시 주요 유의사항은 아래와 같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2.1피뢰기당 전·후 2장씩 촬영한다.


3.2.2 애자, 완철, 커버 등으로 인해 피뢰기를 가리지 않도록 위치선정하고 접속
단자, 단로기, 애관(자기재), 하우징(폴리머) 부위를 중점 촬영한다.
3.3 광학카메라 촬영 후 상태판정 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10] 광학진단 결과 상태판정 기준

등급 정의 현상
A [상태 양호] 신품처럼 상태양호 없음
B [주의 관찰] 손상, 마모, 부식정도 낮음 오손, 백화 등
표면트래킹, 방전,
C [즉시 교체] 손상, 마모, 부식정도 높음 금구아크흔적, 하우징파손,
균열, 단로기 분열·분리 등
4. 누설전류 측정
4.1 열화상 진단결과 상별 온도차이가 2℃이상이고 4℃미만일 경우 요주의로
판정하고 누설전류 측정을 시행한다.
4.2 피뢰기 접지선에 CT를 체결하여 LA 누설전류를 측정한다.

4.3 누설전류 측정결과 피뢰기 판정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11] 피뢰기 판정기준


(단위 : mA)

종류 누설전류 비고
전체전류 I t-rms3고조파 I 3h-rms

불량 I ≥ 0.5
t

정상 I < 0.4 or 0.4 ≤ I < 0.5


t t I < 0.05 AND 조건
3h

주의 0.4 ≤ I < 0.5


t I ≥ 0.05 AND 조건
3h

GND결선 확인 I < 0.05


t - 과소누설전류량
4.4 과소누설전류가 발생되는 경우는 다음 아래의 경우를 확인한다.
○ 피뢰기가 모선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지 여부
○ 피뢰기로부터 인하선이 분리된 경우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접지 연결이 분리된 경우
○ 상당기간 열화진행으로 피뢰기 내부 셀이 파손되어 동작능력이 상실된 경우
4.5 과다 누설전류로 측정되어 불량이라 판단되면 시공불량으로 인한 경우가

있으므로 피뢰기의 인하선과 철구와의 접촉여부 및 절연상태를 확인한다.


4.6 피뢰기 누설전류 측정을 시행할 경우 아래의 유의사항을 참고한다.
○ 측정범위 : 0.05 ~ 10㎃ / 전류초과 측정 시 검출기 및 CT Clamp 손상우려
○ Gapless Type만 측정가능 / Gap Type 측정 불가
○ CT는 완전히 닫힘 상태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5. 주상기별검사
5.1 기별검사 절차는 제 2 편 가공개폐기 제3장의 8항을 참고하여 시행한다.
5.2 중점 검사항목은 단자부식, 이물부착, 각종 표시찰 탈락여부를 육안검사하며

피뢰기 애자균열, 파손, 오손, 하우징침식, 1·2차 연결단자 접속상태 등을


검사한다.
5.3 수평시공된 피뢰기의 경우 접지선이 너무 짧은 경우 단로기 동작에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적정한 길이로 재시공 한다.


5.4 1차 리드선은 전력선으로 내습하는 이상전압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기기의 리드선보다 전단에 시공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표 12] 피뢰기 적정시공방법

✓ 피뢰기 1차 리드선 시공은


피 보호기기의 접속보다
전단에 접속해야 이상전압
에 대한 보호역할을 수행
할 수 있음
착오시공 적정시공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5.5 1차 단자카바의 이탈방지를 위한 자기융착테이프 시공여부를 확인한다.


[표 13] 단자카바 불량사례

커버 들뜸 벌어짐 조류접촉
[표 14] 피뢰기 단자카바 시공방법


① 기존 취부상태 ② P.Tr 부싱커버 기존커버 상부에 취부

③ 이중 취부 완료 상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4 장 관리기준

1. 피뢰기 시기별 관리기준


피뢰기의 시기별 관리기준은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1.1
[표 14] 피뢰기 시기별 관리방법

시기 기 간 관리방법
1~3월, •열화상(초음파) → 광학쌍안경(카메라) → 기별검사
평상시 9~12월 •광학카메라(쌍안경) → 기별검사
특정시기 낙뢰대비(4~5월) •열화상(초음파) → 광학쌍안경(카메라) → 기별검사
(춘․하계) 낙뢰집중(6~8월)

2. 관리방법
2.1 평상시(1~3월, 9~12월)
2.1.1 평상시에는 타 기자재 열화상(초음파)진단과 병행 설비검사를 시행한다.
2.1.2 낙뢰가 발생한 직후에는 광학쌍안경(광학카메라)을 활용한 선로순시를

시행하여 단로기 분리여부 등 외관상 이상여부를 확인하며, 이때 누설전


류로 인해 단로기가 동작한 피뢰기는 신품으로 즉시 교체한다.
2.1.3 하계기간(6월~8월)중 발생한 제원별 고장유형 등을 분석하여 피뢰기 진

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2.2 특정시기(4~8월)
2.2.1 낙뢰다발시기(6~8월) 이전 낙뢰정전 대비시기인 4~5월에는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피뢰기 불량여부를 집중진단 한다. 특성소자 불량 또는 내부


흡습에 의한 누설전류로 인해 몸체가 발열되는 피뢰기는 진단 판정기준에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6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따라 적기 조치한다.
2.2.2 진단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피뢰기는 필요 시 분석보고서와 함께 설비진
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하며, 해당 시료에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라벨(사
업소명-시료번호)을 반드시 부착하고, 파손 또는 훼손되지 않도록 철거
및 운반 시 주의하여야 한다.
2.2.3 특정시기 도중 낙뢰가 발생한 직후에는 광학쌍안경(광학카메라)을 활용한

선로순시를 시행하여 단로기 분리여부 등 외관상 이상여부를 확인하며,


이때 누설전류로 인해 단로기가 동작한 피뢰기는 몸체가 소손 또는 파손
되지 않았더라도 신품으로 교체한다.

붙임 1. 피뢰기 고장발생 유형
2. 피뢰기 열화상 적출 오류사례

3. 피뢰기 열화상 진단사례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1>
피뢰기 고장발생 유형
1. 몸체소손 몸체열화 열화상 진단 사전예방
:

2. 단로기 기밀불량 부식 전극간 방전음 초음파 검출로 사전예방


:

3. 결합애자 파손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2>
피뢰기 열화상 적출 오류사례
1. 적출현황
□ 열화상 진단 타 피뢰기 대비 상대온도 9℃ 이상 발열
□ 누설전류 측정장비(LCD-2000) 측정결과 1.29mA로 불량적출

열화상 진단 누설전류측정 장비 누설측정 결과

※ 폴리머피뢰기 : G사, D사 / '13.01월, ‘11.09월


2. 성능시험
□ 열화적출시료는 전압(AC 13.2kV) 누설전류값 0.14mA로 정상수준
○ 피시험품 열화상 진단장비 재현성 위한 시험실 검증(☞발열 없음)
□ 누설불량 적출시료 누설전류값 0.16mA로 정상, 기준전압 측정
결과 성능기준(1mA에서 22.9kV이상)에 적합(☞ 정상)

누설전류 측정 기준전압 측정 단로기 저항측정

3. 착안사항
□ 누설전류 측정 시 피뢰기 자체불량이 아닌 CT Clamp 이물질 및 체결상태
등의 영향으로 불량적출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진단 시행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3>
피뢰기 열화상 진단사례
1. 열화진단 사례
□ 자기재 피뢰기

□ 폴리머 피뢰기

2. 진단오류 사례
□ Span 간격과다(20℃)로 인한 측정오류 사례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5 COS

1. 검 사  73

2. 진 단  76

3 세부진단절차  78

4. 관리 기준  82

<붙임 1> COS 설치전검사 Check List


<붙임 2> COS 검사 Check List

<붙임 3> COS 동작원리 및 고장유형

<붙임 4> By-COS 검사절차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1 장 검 사

1. 검사방법
1.1 검사에는 순시검사, 정기검사가 있으며, 정기검사는 시행주체 및 시행시기에
따라 설치전검사, 초기검사, 중간검사 및 정밀검사로 구분한다.
1.2 일상적인 순시검사, 정기검사는 직영으로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세

부절차는 배전선로 순시검사지침에 따라 수행한다.


1.3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정밀분석이 요구되거나, 검사 인력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사업소장의 결재를 득하여 외부용역을 수행할 수 있다.

2. 정기검사 개요
2.1 설치전검사는 시공회사에서 COS를 주상에 설치하기 전 지상에서 시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표 1] 설치전검사 사항

구분 검사방법
육 안 검 사 •육안으로 COS, 내오손 결합애자 및 퓨즈링크 외관상태를 검사
•검사표 <붙임 1>에 의거 관리
개폐동작시험 •퓨즈링크에 적절한 퓨즈를 체결후, 설치전 1~2회 투·개방 시험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2 초기검사는 설치 후 4년 이내에 다음과 같이 시행한다.


[표 2] 초기검사 사항

구분 검사방법
육 안 검 사 •육안(광학카메라, 광학쌍안경 등)으로 COS설치 및 기자재 상태 검사
투·개방시험 •책임분계점용 COS는 수용가 정기검사 시 투·개방 시험 시행
(주상변압기 및 선로 보호용 COS는 제외)

•주상변압기 보호용 : 주상변압기 검사 시(도심·공단 2년, 야외 4년)


검 사 기 준 •선로보호용 : 개폐기 검사와 동일시기(도심·공단 2년, 야외 4년)
•책임분계점용 : 수용가 정기검사 시(2년 ~ 4년)
2.3 중간검사는 설치후 4년이 경과한 COS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시행하되,

주상변압기 정기검사 시 동시에 수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3] 중간검사 사항

구 분 검사방법
육 안 검 사 •육안(광학카메라, 광학쌍안경 등)으로 COS설치 및 기자재 상태 검사
투·개방시험 •책임분계점용 COS는 수용가 정기검사 시 투·개방 시험 시행
•주상변압기 보호용 : 주상변압기 검사 시(도심·공단 2년, 야외 4년)
검 사 기 준 •선로보호용 : 개폐기 검사와 동일시기(도심·공단 2년, 야외 4년)
•책임분계점용 : 수용가 정기검사 시(2년 ~ 4년)
2.4 정밀검사란 초기 및 중간검사 시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불량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이다. 초기검사의 경우 정밀검사결과에 따라 하자여부를 결정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표 4] 정밀검사 사항
구 분 검사방법
대 상 •순시 및 검사결과 이상의심 또는 불량판정 COS
•COS 설치상태가 불량할 시
검사시기 •열화상 및 초음파 기준초과 시
•애자류 미세균열 등 육안검사로 식별이 곤란할 경우
•기타 시야확보가 어려워 육안검사로 식별이 곤란할 경우
검사방법 •활선상태에서 기별검사 시행
2.5 검사기준별 검사항목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5] 검사기준별 검사항목

항 목 검사기준
Check List
설치전 초기 중간 정밀
설치상태 COS설치상태(커버이탈, 이격미달 등) × ○ ○ ○
애자 균열 상태 ○ ○ ○ ○
상부접촉금구 취부상태 ○ ○ ○ ○
몸체 하부접촉금구 취부상태 ○ ○ ○ ○
COS

내오손애자 취부 금구 시멘트 접합상태 ○ ○ ○ ○


하부금구와 하부접촉자 걸쇠 상태 ○ × × ○
하부접촉자 걸쇠 표면상태 ○ × × ○
퓨즈홀더 퓨즈홀더 외부표면 상태(FRP열화 등) × ○ ○ ○
퓨즈홀더 내부 상태(내부 막힘 등) × ○ ○ ○
퓨즈 적정용량 확인
Glass Fiber 재질 퓨즈링크 사용
○ × △
○ × △


내오손 애자 균열상태 ○ ○ ○ ○
결합애자 금구류 접합상태 ○ ○ ○ ○
투·개방시험 투·개방시험 시행 ○ △ ○ ○
※ △ : 휴전, 현장여건 등 검사 가능 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2 장 진 단

1. 진단방법
1.1 COS의 진단방법에는 활선상태 진단과 사선상태 진단으로 구분된다.
1.2 COS는 상태진단, 절연성능진단, 통전성능진단으로 진단방법에 의해 구분되며,

아래의 진단방법에 따라 시행된다.


[표 6] COS 활선 및 사선 진단내용

진단방법 활선상태 사선상태


상태진단 활선기별검사 또는 광학진단 -

절연성능 초음파 내압시험(현장시험 곤란)


통전성능 열화상 측정(접촉부 발열상태) 접촉부 발열상태
1.3 COS관련 고장발생 시 원인별 진단방법은 아래와 같다.

[표 7] 고장원인별 진단방법

고장내용 진단방법 비고
홀더불량 육안·광학진단으로 퓨즈홀더(FRP) 열화정도 활선, 사선
몸체균열 초음파, 광학쌍안경(카메라) 활선, 사선
금구균열 초음파, 광학쌍안경(카메라) 활선, 사선
접촉불량 열화상 진단 활선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진단절차
2.1 장비별 진단절차는 배전선로 검사 지침을 준용한다.
[표 8] COS 진단절차

구 분 1 단계(적출) 2 단계(지상확인) 3 단계(주상확인)


⇨ ⇨ ⇨
COS본체 초음파 진단 육안진단(광학장비) 기별검사(필요시)
접촉개소 ⇨ 열화상 진단 ⇨ 기별검사(필요시)
2.2 COS에 대한 진단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9] COS 진단기준

진단대상 진단방법 초기 진단시기 중간 정밀 비고


몸체 균열상태 초음파 측정 ○ ○
금구 균열 육안진단 ○ ○
몸체 및 변형상태 (광학장비)
몸체-금구 육안진단 ○ ○ 시멘트
접합상태 (광학장비) 부식점검
홀더표면 육안진단 ○ ○ 유리섬유
홀더 리드선 표면코팅 (광학장비) 노출
-지관 기능검사 지관변형 시
분리상태 (By-COS)
○ 리드선 고착
상·하부 접촉자와 열화상 측정 ○ 부하전류에
접촉금구 접속상태 의해 발열
2.3 진단결과는 <붙임 2> COS검사 Check List로 기록 관리한다.

2.4 진단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COS는 교체를 시행하고 필요시 설비진단처에

불량원인 세부분석을 의뢰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7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절차
단순 육안검사 결과 몸체균열 및 홀더 코팅불량, 장비활용 진단결과 온도과열
등은 제외하고, 육안으로 확인 안 된 균열 등으로 초음파 발생 시 특이한 개소에
대해서만 설비진단처에 의뢰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10] COS 정밀분석 대상

구 분 정밀진단 요청대상 비 고
초음파 진단 ○☞상태판정 불량개소 중 육안확인 곤란한 경우 지상 측정 시
주상 측정기준 진단착오 예상
기타사항 ○ 정밀진단이 필요하다고 요구되는 설비 관련서류 첨부

제 3 장 세부절차

1. 초음파 진단
1.1 초음파 진단관련 세부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제3장 1항에 의해 시행한다.
1.2 초음파 진단 시 유의사항은 아래의 표를 참고하여 시행한다.

[표 11] 피뢰기 진단시 유의사항

• 방향성 및 지향성 고려 동→서→남→북 순서로 진단


• 상→하, 좌→우 소리변화 확인
• 전주가 방해물이 되지 않도록 진단
1.3 초음파 진단 시 신호음이 적출되는 경우에는 주상에서 기별검사를 시행하며,
기별검사 시행절차는 LA편 3장 5항에 따라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열화상 진단
2.1 열화상 진단관련 세부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제3장 3항에 의해 시행한다.
2.2 열화상 진단결과 상태판정 기준은 아래와 같다.

[표 12] 열화상 진단결과 상태판정 기준

주위온도기준 판 정 조치사항
< 5℃ 정 상 -

5℃~10℃ 요주의 주기적으로 관리


> 10℃ 위 험 교체
3. 광학쌍안경 및 고배율 카메라
3.1 광학진단 관련 세부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3장 4항에 의해 시행한다.
3.2 광학검사 시 COS 균열, 접속부 백화, 표면손상 등 중점검사 한다.

[표 13] 육안검사 시 중점검검 항목

실금․균열 하부금구류 상부금구류 표면손상

금구이탈사례〔시멘트 白化 부식확인〕

3.3 특히, 시멘트 부식은 탄산화 또는 백화현상이라 불리며, 발생원인은 시멘트


위의 방수막 페인팅이 벗겨져서 시멘트가 탄산칼슘(CaCO )과 물(H O)로 3 2

분해되는 과정으로 결국엔 시멘트의 부식으로 금구와 몸체의 결합력이 약화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되어 금구가 COS 몸체에서 이탈됨에 따른 추가 안전사고 우려가 있으므로,


유의하여 검사를 시행한다.
[표 14] COS 시멘트 부식 및 이탈된 부식시멘트 확대

4. By -P as s 상태 C OS Fu se- l ink 검사
4.1 활선상태에서 COS의 Fuse-link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COS
몸체와 퓨즈홀더 사이의 상하부 금구류에 그립올 크램프스틱
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삽입형 구조의 By-COS를 이용하여
Fuse-link의 적정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을 말한다.

4.2 검사시기는 변압기 정기검사를 위하여 주상에 승주하여 검사할 때 동시에

COS Fuselink를 검사하며, 중점검사 항목을 아래와 같다.

[표 15] Fuse-link 검사 시 불량사례

접촉단자 고착 고장 COS내부 피복통 부풀음 홀더내부 팽창

4.3 검사결과 불량이 발견된 경우에는 수분흡수에 의한 피복통의 부품음 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한 Glass Fiber 재질의 Fuse-link를 교체한다.
4.4 세부검사 절차는 붙임 4를 참고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5. 주상기별검사
5.1 기별검사 절차는 제2편 가공개폐기 제3장의 8절을 참고하여 시행한다.
5.2 활선작업차에 승탑하여 COS 몸체의 균열여부, 금구의 균열 및 변형여부 및

코팅상태를 확인한다.
5.3 홀더 내부의 지관과 리드선을 분리한 후, 홀더를 COS 몸체에서 분리하여

기능을 검사한다.
5.4 상·하부 접촉자와 접촉금구와의 접속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이물부착

여부와 금속이 부식된 정도를 육안으로 검사하고 제원이 NDIS와 동일한지


확인 한다.
5.5 몸체가 균열되었거나 시멘트 부식이 심하여 하방으로 낙하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즉시 철거를 시행한다.


5.6 홀더 표면의 코팅상태가 불량하여 유리섬유가 흡습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내부의 지관까지 변형되어 리드선 고착으로 부동작의 원인이 되므로 홀더를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7 아크(Arc) 전류의 크기와 차단 횟수에 따라 홀더내부의 가황튜브가 소손되는

정도가 달라지지만, 홀더 내부의 가황튜브가 소손된 경우에는 불활성가스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므로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8 기별검사 후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몸체의 균열여부, 내오손결합애자의

균열여부, 홀더의 표면코팅 상태를 HD급의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하여


제출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4 장 관리기준

1. COS 시기별 관리기준


1.1 COS의 시기별 관리방법은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표 16] COS시기별 관리기준

시기 기 간 관리방법
평상시 년 중 • 초음파, 열화상 → 광학쌍안경(카메라) → 기별검사
• 광학카메라(쌍안경) → 기별검사
특정시기 변압기 • 노후변압기 교체, 소손변압기 교체, 기타 공사로
교체시 변압기 교체시에는 COS동시 검사

2. COS 관리방법
2.1 홀더규격이 제작소마다 상이한 2000년 이전 제품은 COS전체를 교체하고,
2000년 이후 제품은 퓨즈홀더만 별도 구매하여 교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2 홀더내부 수분유입 방지를 위하여 농사용 휴지 등의 경우에는 퓨즈홀더를 철거

하여 보관한다.
2.3 퓨즈홀더 유리섬유 노출, 탄화도전로 형성 등 표면이 손상된 퓨즈홀더는

즉시 교체한다.
2.4 퓨즈홀더 상부접촉자의 용접효과, 부식, 이물부착, 형태변형 등에 의한

부동작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기적으로 동작시험을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5 동작시험은 5년 1회 이상 시행하고 가급적 변압기교체, 수전설비 검사 등과


병행하여 시행한다.
2.6 노후변압기 교체 시 최초 설치한 COS는 정밀검사 후 교체여부를 결정한다.

붙임 1. COS 설치전 검사 Check List


2. COS 검사 Check List

3. COS 동작원리 및 고장유형

4. By-COS 검사절차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1>
COS 설치전검사 Check List
□ 기본사항
공사명 공사번호
S/S D/L 선로명
일시 날씨 온도 습도

□ COS 제원
구분 A상 B상 C상
제작사
제조년월
제조번호
몸체재질 자기/폴리머 자기/폴리머 자기/폴리머

□ 검사 리스트
검사결과
항목 Check List 불량내용
양호 불량
애자 균열 상태
상부접촉금구 취부상태
COS 몸체 하부접촉금구 취부상태
내오손애자 취부 금구 시멘트 접합상태
하부금구와 하부접촉자 걸쇠 접촉면 상태
퓨즈홀더 하부접촉자 걸쇠 표면상태
적정용량 확인
퓨즈
Glass Fiber 재질 퓨즈링크 사용

내오손 애자 균열상태
결합애자 금구류 접합상태
투·개방시험 투·개방시험 시행
기타진단

□ 설치자 검사자 ( ) : ( 인) □ 시험 또는 확인자 : ( 인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2>
COS 검사 Check List
검사일시 : 20 . . . 시 날씨 : 온도 : ℃ 습도 : % 검사자 :
사업소명 변전소 D/L 선로명 전주번호 전산화번호

제작사 제조년월 제조번호 몸체절연방식


COS
자기/폴리머

내오손 제작사 제조년월 제조번호 몸체절연방식


결합애자 자기/폴리머

구 분 검사내용 상 태 비고
균열 A, B, C
금구균열 A, B, C
금구변형 A, B, C
COS 몸체 상부 접속단자금구 부식 A, B, C
하부 접속단자금구 부식 A, B, C
상부 지지-접촉금구 부식 A, B, C
상부 지지-접촉금구 부식 A, B, C
홀더표면 코팅불량 A, B, C
홀더
지관 흡습 변형 A, B, C
내오손 결합애자 균열 A, B, C
기타 진동, 소음 발생 여부 A, B, C
열화상 측정 발열온도(℃) 온도차이(℃) 외기온도(℃) 열화판정
COS 몸체
내오손 애자
상부 접속단자 접속부
하부 접속단자 접속부
상부 지지-접촉금구 접촉부
상부 지지-접촉금구 접촉부
초음파 측정기 측정값(dB) 상태 판정 진단센터 의뢰여부
A상
COS B상
C상
A상
내오손 결합애자 B상
C상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3>
COS 동작원리 및 고장유형
1. COS 개요
□ 구성 기능 /

○ 애자몸체, 상․하부의 접촉자 및 접촉금구, 고정자, 퓨즈홀더로 구성된다.


○ 하부 접촉자는 퓨즈용단 시 퓨즈홀더가 낙하하여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 퓨즈링크는 퓨즈와 퓨즈리더가 연결되고 퓨즈관으로 퓨즈를 씌운다.
○ 퓨즈링크 설치 시 스프링 이탈력이 작용도록 플리퍼를 젖혀서 설치한다.
○ 플리퍼는 홀더의 고정돌기를 눌러 플리퍼 미동작시는 고정되도록 한다.
□ 외관 명칭 /

애자몸체
상부접촉금구
1

하부접촉금구
2

퓨즈홀더
3

상부접촉자
4

하부접촉자
5

퓨즈홀더
6

플리퍼
7

구동 스프링
8 (flipper)

고정돌기
9

회전축
10 (stopper)

걸쇠
11

12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동작원리
□ 소호작용
○ 퓨즈가 과전류로 용단 시, 단선된 양단 간에 재점호되어 아크가 발생된다.
○ 퓨즈관은 아크로 소손 가스를 만들어 금속 산화 이온성 가스를 소호시킨다.
○ 이때 플리퍼는 스프링에 의해 회전되면서 퓨즈리더를 퓨즈홀더 하부로
빠르게 빠지게 하여 절연거리를 확보한다.

Ÿ 소호작용이 상부 접촉자에서 이루어질 경우 (예로 부하를 임의로 개방할 경우) 접촉자와 접촉


금구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 함
Ÿ 이 경우 공기 소호능력 낮아 접촉단의 거리가 커지더라도 아크가 길게 늘어지고, 심할 경우
인접 상과 단락고장을 발생될 수 있으므로 부하전류 개방 시 로드부스타를 사용

□ 개방절차
○ 플리퍼가 회전하고 퓨즈리더가 이탈되면, 고정돌기의 잠금이 해제되어 회전축의
회전으로 상부접촉자에 이격이 생겨 자유낙하 한다.
퓨즈 용단 아크 및 소호

1. -

플리퍼 회전 플리퍼 구동
퓨즈리더 인출
- ,


2.

축 걸쇠 회전 고정돌기 해제

3. / -

4. 홀더 개방 - 자중으로 낙하
Ÿ 플리퍼가 회전하더라도 퓨즈리더가 고착되어 이탈되지 않을 있을 경우, 회전축의 회전이
부족해 상부접촉자에 이격이 충분히 발생하지 않는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8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고장 분석사례
□ 몸체파손
○ 고장유형

하부금구류 상부금구류 파손부위 내부

○ 제조공정(재질 : 흑황사용)

⇨ ⇨ ⇨

흑황연료 분 쇄 용 해 주 입

○ 재질분석(흑황)
고장품 ○○제조사 □□제조사

○ 분석결과
Ÿ 미세구조 분석 시 정상품과 확연한 차이가 있어 제조공정 중 흑황의 취급
불량에 의한 재질변화가 고장의 원인으로 판단됨
Ÿ 고장 동일 제품을 현장에서 발췌해 냉열시험 시 모두 파손되고 신품의 경우
정상으로 나타나 재질변화에 따른 열팽창으로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금구이탈 사례
○ 고장유형

○ 자료조사(부식현상)
Ÿ 시멘트의 수산화칼슘 등은 강알칼리성으로 철의 부식이 방지되지만
Ÿ 공기 중의 탄산가스를 흡수하거나 산성비에 의해 서서히 수산화칼슘이 탄산
칼슘으로 변하는데 이를 탄산화라고 하며 백색 결정체로 변화됨

Ca(OH)2 + CO2 → CaCO3 + H2O

탄산화의 속도식
X [mm] : 탄산화 깊이, R [mm/year0.5] : 백화계수(보통시멘트 3~8임), t : year

○ 시멘트 종류별 탄산화 속도비


보통포틀랜드시멘트 조강포틀랜드시멘트 포틀랜드 포졸한 시멘트
1.0 0.6 1.7

○ 부식 시멘트 현미경 사진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분석결과
Ÿ 시멘트의 전형적인 부식현상인 백화현상을 나타내고 있어
Ÿ 양생이 불량한 시멘트가 수분의 유입에 따라 부식, 즉 탄산화 되어 부스러
지게 되고 기계력을 잃게 된 것으로 판단됨

□ 동작불량 사례
○ 고장유형

Ÿ 퓨즈용단 시 소호동작이 불량하여 퓨즈홀더가 소손될 때까지 또는 기타


보호장치가 동작될 때까지 고장전류가 지속적으로 통전됨
Ÿ COS 동작이 정상적일 경우 저압고장으로 정전이 제한되어야 하나 이로
인해 고압, 일시 또는 순간 정전으로 파급됨 / ※ 특징 : 퓨즈홀더의 소손
○ 고장원인 [1] ⇨ 퓨즈홀더의 변형
Ÿ 퓨즈홀더의 내부변형으로 퓨즈리더가 고착되어 개방되지 못하고 고착부가
아크로 소손될 때까지 고장전류가 통전됨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고장원인 [2] ⇨ 퓨즈홀더의 표면 손상


Ÿ 퓨즈부에서 소호 후 접촉자가 개방되어야 하나, 퓨즈홀더 표면의 절연이
불량할 경우 고장전류가 통전 중 개방되므로 접촉자에서 아크가 발생됨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4>
단상변압기 COS 퓨즈홀더 검사(교체) 사용 설명서
작업순서 작업내용 및 주요착안 사항 현장작업사진
주요 활선장비 및 공구 점검

< >

그립올크램프스틱 개
1 By-COS 1

조작봉 개
2 1

작업준비 3

전선덮개 개
COS 1

고무절연브랑켓트 개
4 (30kV) 6

특고압고무절연장갑 족
5 2

고무절연소매 벌
6 (30kV) 2

7 (30kV) 2

▪작업책임자는 배전센터에 활선작업을


통보하고 재폐로 분리 요청을 한다 .

▪작업내용 설명 및 각 개인별 임무를


작업전 부여한다 .

안전회의 ▪기계적 정신적 위해 요소를 사전제거


하고 개인 안전장구 및 공기구를
,

점검하여 안전 작업에 중점을 둔다 .

※ 재폐로 분리여부를 확인

차량 및 ▪교통량 보행자 등 현장 작업여건을


,

작업자 고려하여 라바콘 공구․차량 및 작업자를,

배치 배치한다 .

≪활선바켓트럭의 접지≫
▪활선바켓트럭은 작업전 항상 연동선
기계장비 ㎟ 또는 동등 이상의 접지선을
외함접지 사용하여 접지한다
22

▪접지선의 일단을 중성선 접지모선


등에 연결함으로써 트럭을 접지한다
,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작업내용 및 주요착안 사항 현장작업사진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는 고무절연
장갑 고무절연소매 등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중성선 및 저압선을 방호
,

한다
중성선 ▪중성선 지지애자는 고무절연브랑켓트로
.

방호 방호한다
▪지선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지선의
.

상단부분을 라인호스 또는 전선덮개로


방호한다 .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는 연결


COS 이상 금구의 이완․탈락 몸체 애자부분의
COS

유무 검사 균열여부 등을 육안으로 검사한다


,

필요시 쌍안경 활용
.

( )

≪작업순서≫
▪주 작업자는 그립올크램프스틱에
몸체를 견고히 고정한다
By-COS .

▪보조 작업자가 조작봉을 활용


하여 상부카바를 약 들어
COS

올려 여유 공간을 확보한다
COS 5cm

By-COS ▪주 작업자는 하부 접촉단자를


하부 금구류에 안정적으로 고정
By-COS

설치 한후
COS

상부 접촉단자를
상부카바 아래로 삽입한다
By-COS

COS .

▪주 작업자는 그립올크램프스틱을 오른
쪽으로 회전하여 의 상․하부
접촉부와 금구류간에 이완․탈락이
By-COS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히 고정 한 후


COS

그립올크램프스틱을 제거한다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작업내용 및 주요착안 사항 현장작업사진

COS퓨즈 ▪ 조작봉을 활용 퓨즈홀더를 개방한


홀더 개방 후 분리한다
COS

≪작업순서≫

COS 퓨즈 ▪ 상․하부 접촉자 열화여부 검사


필요시 쌍안경 활용
COS

홀더(링크) (

▪퓨즈홀더의 열화여부 및 퓨즈용량


)

검사 흡습에 의한 지관상태를 검사하고


,

필요시 홀더 및 퓨즈를 교체한다 .

COS퓨즈 ▪ 조작봉을 활용 퓨즈홀더를 투입


홀더 투입 한다
COS

≪작업순서≫
▪주 작업자는 그립올크램프스틱에
몸체를 견고히 고정한다
By-COS .

By-COS ▪보조 작업자가 조작봉을 활용


하여 상부카바를 일정부분
COS

철거 들어준다
COS

▪주 작업자는 그립올크램프스틱을
왼쪽으로 회전하여 를 철거
한다
By-COS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작업내용 및 주요착안 사항 현장작업사진

▪중성선의 방호관을 철거한다


방호철거
.

※ 바스켓 하강 완료 후 차량접지를
분리한다.

▪작업책임자는 배전센터에 공사완료를


통보하고 재폐로 환원을 요청한다
작업종료 ▪작업장 .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고 작업을


완료한다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삼상변압기 COS 퓨즈홀더 검사(교체) 사용 설명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9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Ⅱ. 지 중 설 비

1. 총 칙  104

2. 지상개폐기  105

3. 지중케이블  158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1 총 칙
1. 목 적
이 절차서는 예방진단기술 및 과학화 장비를 이용하여 시행하는 배전선로 주요
지중설비의 이상징후 판단과 후속조치 업무에 대하여 규정함으로써 효율적인 기자재
관리 및 안정적 전력공급을 통한 공급신뢰도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2. 적용범위
이 절차서는 지중분야 주요 2대 기자재인 지상개폐기와 지중케이블을 대상으로 한다.
3. 일반사항
3.1 기자재 예방진단 관련업무는 각종 관련법규, 사규 등을 준수하여야 한다.
3.2 예방진단과관련한실적을관리하여야하며후속조치가이루어질수있도록하여야한다.

3.3 본 절차서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법령 및 관련규정에 따른다.

4. 책임사항
구 분 책 임 책임 사항
배전운영처장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제·개정 승인

주관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제·개정 검토


부서 지중배전팀장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유효성 평가확인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제·개정 작성
담당차장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유효성 평가 시행
관련 설비진단처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 내용 검토
부서
활용 사 업 소 ž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시행 및 실적 관리
부서
5. 유효성 평가
본 업무기준서는 1년주기로 유효성 평가를 시행함을 원칙으로 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지상개폐기
2 (P ad . SW )

1. 검 사  107

2. 진 단  109

3. 세부절차  113

4. 관리 기준  128

<붙임 1> 휴대용 PD 진단(ULTRA TEV+) 세부진단절차


<붙임 2> 열화상진단 세부진단절차
<붙임 3> SF6 가스순도분석 세부절차

<붙임 4> 상용주파 내전압(제조사) 절차


<붙임 5> 충격파 내전압 시험(제조사) 절차
<붙임 6> 지상개폐기 설치전 검사표
<붙임 7> 지상개폐기 초기(하자) 검사표
<붙임 8> 지상개폐기 정기검사표
<붙임 9> 지상개폐기 부분방전 검사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1 장 검 사

1. 검사방법
1.1 검사에는 순시검사, 정기검사, 진단검사가 있으며, 지상개폐기의 정기검사는
시행주체 및 시행시기에 따라 설치전, 초기, 하자, 중간 및 정밀검사로 구분한다.
1.2 일상적인 순시검사, 정기검사는 직영으로 수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3 진단장비를 활용하여 정밀분석이 요구되거나, 검사 인력운영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사업소장의 결재를 득하여 외부용역을 수행할 수 있다.

2. 정기검사 개요
2.1 설치 전 검사는 개폐기를 현장설치하기 직전에 수행하는 검사를 말한다.
[표 1] 설치 전 검사 사항

구 분 검사내용
육안검사 • 육안으로 개폐기 외관상태를 조사, 검사표(붙임#6)에 의거 관리
개폐동작시험 • 가스압력과 전압 범위내 기계적 특성이 정상적 동작확인 유무
절연저항측정 • ON/OFF 상태 주회로간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측정기(Megger)]
검사기준 • 현장 설치 전
2.2 초기검사는 현장설치 완료 후 준공(인수) 전 개폐기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표 2] 초기검사 사항
검사방법 및 기준 검사내용
육안검사 • 육안으로 외관 상태를 조사, 검사표(붙임#7)에 의거 관리
휴대용 PD진단
(Ultra TEV Plus) • TEV 및 Ultra 진단 검사표(붙임#9)에 의거 관리
검사기준 • 가압 후 준공인수 전
2.3 하자검사는 현장설치 후 하자보증기간이내 전 개폐기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표 3] 하자검사 사항

검사방법 및 기준 검사내용
육안검사 • 육안으로 외관 상태를 조사, 검사표(붙임#7)에 의거 관리
휴대용 PD진단
(Ultra TEV Plus) • TEV 및 Ultra 진단, 검사표(붙임#9)에 의거 관리
검사기준 • 하자보증기간 만료 년도에 1회 시행
2.4 중간검사는 설치 후 4년이 경과된 개폐기를 대상으로 시행한다.

[표 4] 중간검사 사항

구분 검사방법
육안검사 • 육안으로 외관 상태를 조사, 검사표(붙임#8)에 의거 관리
SF6 가스분석
• 가스분석기 활용 SF6 가스분석, 검사표(붙임#10)에 의거 관리
- SF6가스 순도, SO2 함유량 및 수분량
휴대용 PD진단
(Ultra TEV • TEV 및 Ultra 진단, 검사표(붙임#9)에 의거 관리
Plus)
열화상 진단 • 열화상카메라 활용 진단
• SF6가스절연 지상개폐기 : 1회/2년
- 단, 일진전기 ’09년도 이전분은 1회/년
검사기준 • 에폭시몰드절연 지상개폐기 : 1회/2년
- 단, 고장발생 동일롯트 제작분은 2회/년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0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5 정밀검사란 초기, 하자 또는 중간검사 시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불량원인을 파악


하거나 고장발생 이력이 있는 개폐기의 유사고장 예방을 위한 검사이다. 단,
하자보증기간 이내의 개폐기는 정밀검사결과에 따라 기기의 하자여부를 결정
한다.
[표 5] 정밀검사 사항

구 분 내 용
대 상 •• 검사결과 이상 또는 결함판정 개폐기
고장발생 이력이 있는 동일롯드 개폐기
• 검사결과 이상 또는 결함으로 판정 시
- 휴대용 PD : TEV 50dB 이상, Ultra 방전음(초음파) 발생시
검사시기 - 열화상 : 주변온도대비 10℃ 이상시
- 가스 : SF 순도 80%미만, 수분 5,000ppm이상, SO2 50ppm 이상
6

• 개폐 동작 및 절연저항 측정결과 이상 발생시


• 활선 상태에서 진단장비 이용 정밀검사 시행
진단 : 열화상 및 휴대용 PD, 가스분석
검사(시험)방법 •-사선 상태에서 제조사 시험설비 이용 정밀시험 시행
- 시험 : 상용주파내전압, 충격파내전압, 부분방전 시험

제 2 장 진 단

1. 진단방법
1.1 개폐기 진단방법에는 활선상태 진단과 사선상태 진단으로 구분된다.
1.2 활선상태 진단 시는 상태진단, 절연성능 진단, 통전성능 진단으로 구분되며,

사선상태 진단 시는 및 절연성능 진단, 통전성능 진단, 개폐성능 진단으로


구분되며, 아래의 검사방법에 따라 시행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표 6] 활선상태 진단시 검사방법


[
진단항목 검사(시험)방법 비 고
상태진단 육안검사
절연성능 휴대용 PD진단, 가스분석
통전성능 열화상진단 표면 발열상태 확인
[표 7] 사선상태 진단 시 검사방법
진단항목 검사(시험)방법 비 고
절연성능 상용주파 내전압시험 48kV 10분간
충격파 내전압시험 125kV(1.2×50㎲)
통전성능 회로저항 측정
개폐성능 개폐동작 시험
1.3 개폐기 고장발생 주요 원인별 진단방법은 아래와 같다. 진단 장비별 세부

진단절차는 3장에서 다루도록 하며, 업무절차는 붙임을 참고한다.


[표 8] 고장발생 주요 원인별 진단방법
고장발생 원인 진단 및 검사방법 비 고
성형불량 • 휴대용 PD진단, SF6 가스분석 활 선
본체 조립불량 • 휴대용 PD진단, 무부하 개폐시험 활선
불량
SF 절연불량 • SF 가스분석, 상용주파 및 충격파 내전압 (사선)
가스
6 6

PT불량 • 휴대용 PD, 열화상 진단, PT 전압측정 활 선


절연 부싱 및
절연마개(절연캡) • 휴대용 PD진단 활 선
접속불량 • 휴대용 PD, 열화상 진단, 접속재 검사 활 선
본체 접지VI불량 • 휴대용 PD, 상용주파 및 충격파 내전압 활선
불량 조립불량 • 휴대용 PD진단, 무부하 개폐시험 (사선)
에폭시 PT불량 • 휴대용 PD, 열화상 진단, PT전압측정 활 선
몰드 부싱(절연캡
및 ) • 휴대용 PD진단 활 선
절연 절연마개
접속불량 • 휴대용 PD, 열화상 진단, 접속재 검사 활 선
상연결 접속재 • 휴대용 PD진단, 편심 초음파 진단 활 선
※ 상용주파 및 충격파 내전압, 편심 초음파 측정은 제조사주관으로 시행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진단절차
2.1 지상개폐기의 단계별 진단절차는 아래와 같다.(세부 진단절차는 3장 참조)
[표 9] 지상개폐기 진단절차

구 분 1 차 진단 차 진단
2 정밀진단
•휴대용 PD 진단 •휴대용 PD 진단
⇨ •육안검사 이상, 방전음
- 50dB - Locator, 부하절체
진단방법 •휴대용 PD진단 - 1~2개월 이내 •가스분석
•열화상 진단 •열화상 진단 •상용주파내전압시험
- 주위온도대비 10℃이상 •충격파내전압시험

진단주체 사업소 설비진단처(사업소)


2.2진단장비별 진단원리 및 중점 진단개소는 아래와 같다.
[표 10] 진단종류 및 원리 요약

구 분 중점진단개소 비고
① 열화상 진단 엘보접속 열화상카메라
② 초음파 진단 부싱, 엘보접속, PT, 접지VI, Bus-bar Ultra TEV(Ultra Mode)
③ PD진단 몸체, 부싱, PT본체, 엘보접속, 프레임 Ultra-TEV(TEV Mode)
④ 가스분석 개폐기몸체 가스분석기
⑤ 상용주파 내전압 접지 VI
⑥ 충격파 내전압 접지 VI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3지상개폐기에 대한 진단기준은 아래의 표와 같다.


[표 11] 지상개폐기 진단기준

고장내용 진단방법 초기 하자 진단시기 검사 비고


중간 정밀 방법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절연불량 •상용주파 내전압 ○ 직영
•충격파 내전압 ○ 직영
붓 싱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접 속 재 •휴대용 PD진단
•열화상 진단


○ ○ 직영, 용역
○ 직영, 용역
SF6
절연
절연프레임 •휴대용 PD진단
•SF6 가스분석
○ ○ ○ 직영, 용역
○ ○ 직영, 용역
PT 본 체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PT전압 측정 ○ ○ ○ 직영, 용역
PT 접속재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열화상 진단 ○ ○ ○ 직영, 용역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접지 VI •상용주파 내전압 ○ 직영
•충격파 내전압 ○ 직영
Bus-bar 편심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에폭시 접 속 재 •휴대용PD진단 ○ ○ ○ 직영, 용역
몰 드 •열화상 진단 ○ ○ ○ 직영, 용역
절 연 붓 싱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PT 본 체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PT전압 측정 ○ ○ ○ 직영, 용역
PT 접속재
•휴대용PD진단 ○ ○ ○ ○ 직영, 용역
•열화상 진단 ○ ○ ○ 직영, 용역
2.4 진단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기기는 설비진단처에 불량원인 정밀분석을 의뢰

하고 불량일 경우 교체를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절차
단순 육안검사 결과로 적출한 불량부분을 제외하고, 장비활용 진단결과 부분
방전 과다, 온도과열, 초음파 발생 등 이상개소에 대하여 설비진단처에 의뢰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12] 설비진단처 정밀분석 대상

구 분 정밀진단 요청대상 비 고
휴대용 PD진단 ∘- TEV 50dB 이상, Ultra 초음파 발생시
사업소 진단 시 2회 이상 PD발생시
열화상 진단 ∘ 주변온도 대비 10℃ 이상
기타사항 ∘ 정밀진단이 필요하다고 요구되는 설비 관련서류 첨부

제 3 장 세 부 절 차

1. PD 진단
는 기기내부의 결함에 의한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으로
1.1 Ultra TEV Plus

발생되는 전자파가 접지된 지상개폐기 본체(금속)를 충돌하여 전달되는


과도대지전압(Transient Earth Voltage)을 검출하는 진단 장비이다.

그림 1] Ultra TEV Plus 외형 및 센서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2 진단업무 절차는 아래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흐름도 Safety Check Point

진단대상 차량 및 통행인
작업중” 안전표지판 설치
개폐기 확인

안전조치 “
⇩ 보행자 안전조치 : 구획로프
배경잡음측정
(대기,대지) 또는 펜스 설치
⇩ 차량안내원 배치
외함측정 ⇨ 기기상태확인
외함개방 가스압등)
(S/S,D/L, 삼각대, 라바콘 등 설치
⇩ 자전거, 통행인 주의
본체 PD진단
(TEV/Pulse) 적정공구 사용

엘보접속개소 기기위에 올라가지 말 것

Ultra PT엘보 케이블 충격, 이동 금지
TEV ⇩
제어함, 조작부 조작금지
엘보접속개소
케이블 엘보에 무리한 힘을가하지 말 것
⇩ 내부에 공구 등 방치여부
⇨ 설비진단처 확인 철저
불량 정밀진단 의뢰
⇩정상 2 회 이상 진단 후 안전시설물 철거
외함시건 주행차량 주의 안전운행
현장철수

※ 요주의 : 실적관리 ⇨ 배전설비진단
주기적 관리 실적관리시스템
1.3 기기외부의 결함 또는 오손 등에 의한 부분방전 발생시 TEV 신호는 매우 미약
하고 검출이 불가능하다. 기기외부에서 부분방전으로 발생되는 초음파를 가장
감도가 높은 40kHz에 맞춘 초음파 센서를 활용하여 진단하는 장비이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4 PD 진단은 TEV모드로 개폐기의 몸체 및 엘보접속 개소, 케이블 및 PT몸체


(자동화 개폐기)를 진단하고, Ultra모드로 엘보접속 개소 및 PT엘보접속,
상 연결 부스바(에폭시몰드 개폐기)를 진단한다.
1.5 자동화 개폐기는 제어부 On/Off를 통한 비교진단을 시행한다.

1.5.1 제어부의 전원을 Off후 TEV모드로 본체 및 엘보의 재진단을 시행하여 진단결과


TEV값이 10dB이상 감소한 경우는 다음과 같이 구분 진단을 시행한다.

1.5.2 제어부를 On 한 상태에서 모뎀의 전원을 Off한 후 재진단 하고 이어 제어단말

장치(FRTU)의전원을 Off후재진단하고마지막으로제어부전원을 Off 후재진단한다.


1.5.3 모뎀, 제어단말장치(FRTU), 제어부 전원을 순차적으로 Off한 진단결과

TEV값이 10dB 감소한 경우는 해당 자재를 교체 후 확인 진단을 시행한다.

1.6 엘보 접속재의 경우 접속플러그 조임 불량에 의한 내부방전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1.6.1 Hot-Stick을 사용하여 절연마개(절연캡)를 제거하고 접속플러그 시공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1.6.2 엘보 접속재 종류별 시공상태는 아래와 같이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표 13] 엘보접속재별 시공상태

평일제품 폴리코파워(RTE) 제품
∘평일제 접속재의 경우 접속플러그와 엘보 커넥터의 끝선이 일치한다.
∘폴리코파워(RTE)제 접속재의 경우 접속플러그가 엘보 커넥터 끝선에서
1mm정도 돌출 되는 경우가 정상시공 상태이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7 본체 및 타 엘보접속재 대비 특정 엘보접속개소에서 TEV값이 현저히 높은


경우 다음과 같이 부분방전 방전원을 확인한다.
1.7.1 부싱, 엘보 및 케이블 모두 사선상태가 되도록 해당 회로를 Off하고

상대편 개폐기 회로도 Off하여 계통에서 분리한다.


1.7.2 계통에서 분리 후 본체 및 전회로 엘보, 케이블을 진단한다.
1.7.3 TEV값이 10dB이상 현저히 감소한 경우 해당 회로의 방전원은 아래와 같이

확인한다.
∘ 해당 회로 3상 모두 엘보접속재를 분리한다.
∘ 엘보접속재 내 이물질 또는 Arc흔적을 확인한다.
∘ 해당 회로의 부싱에 절연마개(절연캡)를 취부한 후 해당 회로를 투입한다.
∘ 본체 및 타회로 엘보, 케이블을 진단하여 TEV값 변화를 확인한다.
∘ TEV값이 감소한 경우 엘보교체 후 PD소멸 여부를 확인 진단한다.
[표 14] 부싱/엘보접속 부분방전원 구별방법
① ON상태에서 PD 측정 ② OFF 후 PD 측정 : 부싱,엘보,케이블사선

③ 엘보분리후절연마개(절연캡) 시공 : 안전유의 ④ 부싱 ON 상태에서 PD 측정


개폐기 정밀분석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7.4 특정 엘보에서 TEV 및 Pulse값이 높게(1,000이상) 적출된 경우는 Ultra


모드 진단 및 열화상 진단을 병행한다.
1.7.5 진단결과 초음파 검출 및 열화상이 적출 된 경우 해당 회로 휴전 후 엘보를 분리하여
접속플러그 및 엘보접속재 내 이물질 또는 Arc 흔적 유무를 확인한다.
1.8 Locator 진단 및 활선 상태에서 PD발생원 구분이 곤란한 경우는 부하전환을
통하여 방전원을 확인한다.
1.8.1 1개 회로씩 Off(케이블 사선)하면서 PD값 변화를 측정한다.
1.8.2 개방된 회로는 반드시 투입하여 PD값 변화를 확인한다.
1.8.3 1개 회로는 반드시 투입된 상태(개폐기 전압 인가)가 되도록 부하전환계획을
수립한다.
1.8.4 최종 개폐기기가 사선 상태가 되도록 부하전환 계획을 수립한다.
1.8.5 부하전환에 따른 PD진단 후 계통 환원 시에도 1개 회로씩 투입하면서
PD값 변화를 재확인 한다.
1.8.6 방전원 확인결과 특정회로 사선시 PD값이 감소하면 해당 회로의 엘보접속
개소가 방전원이며 해당회로의 엘보를 분리하고 1.7.3의 방법으로 부싱
또는 엘보에 대한 방전원을 구분 진단한다.
1.8.7 개폐기가 최종적으로 사선상태에서 PD값이 감소
하면 본체내부가 방전원이며 해당 개폐기는 정밀
(해체)분석을 통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순차적
조 작

1.9 Locator 진단결과 고객 인입단자 방전원 지시 및 고객측


인입단자 엘보 접속개소 PD값이 높은 경우는 아래와
같이 고객파급 여부를 확인한다.
1.9.1 VCB를 Off 한 후 PD가 소멸된 경우 VCB 이후 구간
(3구간)이 방전원이며 환원시 ABC측을 Off후 ACB
및 VCB 순차 투입을 통해 방전원을 확인한다.
[그림 5] 고객수전설비 방전원 확인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9.2 ASS 등을 Off 한 후 PD 소멸여부 확인


1.9.3 인입개폐기 해당회로 Off후 PD 소멸시 부싱/엘보접속재 구분 진단
(1.7.3참조)

1.9.4 인입개폐기 해당회로 Off후 PD 미소멸시 고객 인입단자를 제외한 나머지

단자 계통절체를 통한 방전원을 확인한다.(1.8.1 ∼ 1.8.7 참조)


1.10 엘보접속개소 Ultra 모드 진단결과 초음파 방전음 적출개소는 아래와 같이 방전원을

확인한다.
1.10.1 초음파 방전음이 적출된 회로를 Off 한다.
1.10.2 해당 회로의 엘보접속재 및 케이블 사선상태가 되도록 상대편 개폐기의 회로를

Off한다.

1.10.3 초음파 방전음이 적출된 회로에서 엘보접속재를 분리한다.


1.10.4 부싱 및 엘보접속재 내 이물질 및 Arc 흔적을 확인한다.

1.10.5 해당 회로의 부싱에 절연마개(절연캡)를 취부하고 해당 회로를 투입한다.

1.10.6 해당 회로의 부싱 부위를 Ultra 모드로 진단하여 초음파 발생여부를 확인한다.


1.10.7 부싱 부위에서 초음파가 적출되는 경우 정밀(해체)분석을 통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한다.
1.10.8 부싱 부위에서 초음파 미적출시 엘보교체 및 재접속 후 Ultra 모드로 확인
진단을 시행한다.
1.11 엘보접속개소의 TEV값이 높고 Pulse값이 1,000이상인 경우는 아래와 같이

전자파 잡음여부를 확인한다.


1.11.1 Ultra 모드로 전환하여 해당 엘보접속개소의 부싱과 엘보접속개소 공기

통로를 360도 회전하면서 초음파 신호 유무를 확인한다.


1.11.2 초음파 신호가 적출되지 않고 배경잡음에 의한 파급이 없는 경우는
Noise로 간주한다.

1.11.3 초음파 신호가 적출 된 경우는 1.10.1∼1.10.8을 참고하여 진단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1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열화상 진단
2.1 지상개폐기 엘보접속재 등 접속개소에서 발생하는 적외선 에너지(열)을 탐지
하여 이를 모니터에 열화상을 생성하여 열화 상태를 진단하는 장비이다.
2.2 진단업무 절차는 아래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흐름도 Safety Check Point

진단대상 확인 차량 및 통행인
안전조치 출발 전 연료, 공기압, 엔진


외함개방 ⇨ 기기 가스압등 확인 소음 안전검사
이상유무 등차량
S/S, D/L,
⇩ 교통안전수칙 준수
개폐기와 거리 ∼ 정도 “작업중” 안전표지판 설치
열화상진단 조임개소
 0.5 2m
엘보접속재 스터드볼트
집중확인
⇩ 보행자 안전조치 : 구획로프
이상고온감지 ⇦ 통제 및 안전조치 또는 펜스 설치
⇩ 차량안내원 배치
온도 스케일 스팬
정밀진단 스팟조정  삼각대, 라바콘 등 설치
, ,
자전거, 통행인 주의

적출사진 촬영
기기번호 불량설비 적정공구 사용
기기위에 올라가지 말 것
( , )

적외선
이미지저장 케이블 충격, 이동 금지
대기온도 ⇩ 제어함, 조작부 조작금지

,
방사율 거리 ⇨
, 배전운영실 배전센터 내부에 공구 등 방치여부
,
상대습도 확인 불량 설비진단처
⇩ 정상 요주의 확인 철저( )

진단종료
⇩ 안전시설물 철거
외함시건 주행차량 주의 안전운행
현장철수

배전설비진단
실적관리 ⇨ 실적관리시스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상용주파 내전압 시험
3.1 에폭시몰드 진공차단부(VI) 내부의 진공도 저하여부 및 SF6가스절연 개폐기
절연성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상용주파(정현파60Hz) 48kV시험전압
을 인가하는 시험방법이다.
3.2 에폭시몰드의 경우 주로 상시 전압이 인가되는 접지회로의 진공차단부에

적용하며 필요시 주회로의 진공차단부에도 적용할 수 있다.


3.3 진단업무 절차는 다음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흐름도(내전압 시험) Safety Check Point

진단대상 차량 및 통행인 출발 전 연료, 공기압, 엔진


개폐기확인

안전조치 소음 이상유무 등 차량 안전검사
⇩ 교통안전수칙 준수
검전시행 검정봉으로
사선상태 확인 “작업중” 안전표지판 설치
⇩ 보행자 안전조치 : 구획로프

엘보분리 엘보 및 접속플러그 분리 또는 펜스 설치


차량안내원 배치

1,2번 번 개방 번 투입 삼각대, 라바콘 등 설치
1,2 , 3,4
시험준비 상 접지
자전거, 통행인 주의
(A, B, C )

1,2번 번 상 순 전압인가 적정공구 사용
1,2 A, B, C
가압시험 상별 누설 전류값 기록 기기위에 올라가지 말 것

3.4번 번 개방 번 투입 케이블 충격, 이동 금지
방전 ⇨ 시험준비 3,4
상 접지
, 1,2
제어함, 조작부 조작금지
(A, B, C )
⇩ 내부에 공구 등 방치여부
3,4번 번 상 순 전압인가 확인 철저
3,4 A, B, C
가압시험 상별 누설전류값 기록

상태판정 불량 ⇨ 절연파괴 개폐기 이상시
교체 안전시설물 철거 /

⇩정상 ※ 각 상별 누설전류 평균값


실적관리 ⇦ 진단종료 ※ 요주의 검사주기 1mA이상 편차 발생시 진단
:
강화 및 정밀검사 센터 정밀분석 의료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4 절연파괴 시험 시 누설 전류값을 기록하고 누설전류에 따른 이상여부 판정은 다음의


표와 같으며 기준값보다 높을 경우 재시험 후 누설 전류값을 기록한다.
[표 15] 절연파괴 누설전류 판정기준
항 목 정 상 요주의 이 상
AC 48kV 누설전류값 5.0mA미만 5.0mA∼6.0mA 6.0mA이상
조치방법 정상 사용 검사주기 강화 개폐기 교체

4. 충격파 내전압 시험
4.1 에폭시몰드 진공차단부(VI) 내부의 진공도 저하여부 및 SF6가스절연 개폐기 절연성능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 내전압을 먼저 시행한 후에 시험한다.
4.2 진단업무 절차는 아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흐름도(임펄스 시험) Safety Check Point


진단기기 확인 차량 및 통행인 안전조치
⇩ 출발 전 차량 안전검사
검전시행 검정봉으로 사선상태 확인 교통안전수칙 준수

엘보분리 엘보 및 접속플러그 분리 차량안내원 배치
삼각대, 라바콘 등 설치

접지VI시험준비 주회로 1,2,3,4번 투입 자전거, 통행인 주의

접지회로 1,2,3,4번 개방제조사와 협의 후 현장 또는

접지 주회로와 접지회로 사이에 정․부 시험장에서 임펄스 시험시행
임펄스 시험 극성임펄스각 3회인가
VI

⇩ 접지회로는 전부 개방. 안전시설물 철거


주행차량 주의 안전운행
주회로
VI시험준비 주회로는 1,2번 투입

번주회로개방
1,2
번주회로투입
주회로
임펄스 시험
VI 번 주회로에 정 부극성
3,4
임펄스 각 회 인가


3,4 3

상태판정 불량 ⇨ 개폐기
회 이상교체섬락시
2

⇩정상 정극성 인가 부극성 인가


실적관리 진단종료 < > <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4.3 시험대상은 주로 상시 전압이 인가되는 진공차단부 방식의 접지회로에 적용한다.


4.4 임펄스는 전압은 표준파형(1.2×50μs, 125kV BIL)으로 정극성 3회, 부극성 3회
인가하되, 최초 125kV에서 섬락시 재시험을 시행한다.
4.5 정극성 또는 부극성 각각의 시험에서 125kV 미만에서 2번 이상 섬락시

진공도가 저하된 것으로 판단한다.

5. 가스분석
5.1 본 검사방법은 Digital Multi 가스분석기를 활용하여 기기내부 SF 가스 순도와 6

SO 및 수분 함유량을 측정하여 SF 가스의 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2 6

5.2 가스분석기 성능과 장비구성 및 부대장치는 다음 사항을 참고한다.


5.2.1 SF 가스절연 지상개폐기는 SF 가스 순도, SO 함유량 및 수분량을 분석
6 6 2

하므로 가스순도, SO 및 수분 함유량을 동시 측정 가능하여야 한다.


2

5.2.2 측정값은 SF 가스 순도는 %, SO 함유량은 ppm, 수분량은 ppmV (℃


6 2

dp(Dew Point))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단, ℃ dp(Dew Point)로 측정되는

경우는 ppmV 자동변환 또는 별도의 환산표를 구비해야 한다.


5.2.3 가스분석장치는 본체와 내장형 센서 그리고 가스 샘플 채취를 위한 호스로
구성되며, 가스 추출용 호스는 절연이 되도록 외장한다.
5.2.4 본체에 가스 주입시 압력을 0.5∼10bar사이로 조절하는 안전밸브를 부착

하여 과도한 가스압력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5.2.5 가스분석 센서의 측정범위 및 오차는 아래와 같다.

○ SF 가스순도 측정범위 : 0 ∼ 100% ± 1% 오차


6

○ 수분량 측정범위 : -100 ∼ 20℃ dp ± 2℃ 오차


○ SO 가스 농도 측정범위 : 0 ∼ 100ppm ± 2% 오차
2

5.2.6 개폐기 제작사 마다 가스 주입구의 모양과 형태가 상이하므로 제작사별 가스

주입구용 노즐을 구비하여야 한다.(단 '12.3이후 제품 규격 단일화)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5.2.7 가스분석기는 가스분석기 최소 6개월에 1회 검교정을 시행하여야 한다. 단, 가스


분석기 제작사별로 별도 권고기준이 있을 경우 그에 준하여 시행한다.
5.3 가스분석 전 개폐기의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한다.

5.3.1 개폐기 외함을 개방 한 후 SF 가스 압력계의 압력을 확인한다.


6

5.3.2 가스압이 조작금지 범위일 경우는 즉시 배전센터에 통보한다.


5.3.3 조작금지 범위일 경우 가스분석은 시행하지 않고, 해당 제작사에 통보하여

가스를 보충한다.
5.4 가스주입구의 가스 누기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5.4.1 가스주입구의 Cab을 개방하기 전 Ultra TEV+의 Ultra 모드를 선택하고 프렉

시블 센서와 이어폰을 연결한다.


5.4.2 가스주입구 주변을 360° 회전하며 가스 주입구의 가스 누기여부를 확인한다.
5.4.3 가스가 누기 되는 경우 “쉬익”하는 소리가 연속적으로 검출된다.

5.4.4 누기가 될 경우 즉시 배전센터에 통보하고 가스 분석은 시행하지 않고 해당

제작사에 즉시 통보하여 가스주입구를 보수한다.


[표 16] Ultra TEV Plus를 활용한 가스주입구 누기여부 확인방법

5.5 가스주입구의 Cap을 개방 한 후 주입구의 상태를 확인한다.


5.5.1 가스주입구 이물질 부착 및 변형 여부를 확인한다.
5.5.2 가스주입구 누기 방지용 고무링의 파손여부를 확인한다.

5.5.3 고무링이 파손되거나 변형된 경우는 예비용 고무링과 현장에서 교환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5.6 가스분석을 위한 가스 추출 유량 및 추출 시간을 설정한다.


5.6.1 가스추출시 추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유량계의 중간인 0.2∼0.5리터가 되도록

조정한다. 단, 제조사별 유량계 표시가 상이할 경우 추출 유량의 적정수준


권고치 또는 유량계의 중간정도가 되도록 설정한다.
5.6.2 초기 가스 추출시간은 1분으로 설정하고 1분 동안 가스추출을 시행한다.

5.6.3 2회차 가스 추출시간은 2분으로 설정하고 2분 동안 가스추출을 시행한다.

5.6.4 초기(1분 추출)와 2회차(2분 추출) 분석결과 허용오차 범위 이상인 경우 3분

추출 설정하고 분석을 시행한다.


5.7 가스분석이 완료된 후 가스주입구 Cap 장착 및 외함 시건 전 개폐기 상태를

최종 확인한다.
5.7.1 가스주입구 Cab을 적정한 공구를 사용하여 최대한 조여준다

5.7.2 가스주입구 Cab 장착 후 Ultra TEV+의 Ultra 모드를 선택하고 프렉시블 센서와

이어폰을 연결한다.
5.7.3 가스주입구 주변을 360° 회전하며 가스 주입구의 가스 누기여부를 확인

한다.
5.7.4 가스가 누기 되는 경우 “쉬익”하는 소리가 연속적으로 검출된다.

5.7.5 누기가 될 경우 즉시 배전센터에 통보하고 해당 제작사에 즉시 통보 하여

가스주입구를 보수한다.
5.7.6 압력계의 압력을 확인하고 진단 전 후 가스압 변화 여부를 확인한다.

5.7.7 가스압이 현저하게 감소한 경우는 즉시 해당 제작사에 통보하여 가스를 보충

하고 누기여부를 재 확인한다.
5.8 진단업무 절차는 다음의 표에 의하여 진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흐름도 Safety Check Point

진단대상 확인 차량 및 통행인 안전조치


⇩ 출발 전 연료, 공기압, 엔진


외함개방 ⇨ 기기상태가스압 확인

소음 이상유무 등차량
안전검사

S/S, D/L,

교통안전수칙 준수
가스주입구 모드활용 프렉시블의센서
Ultra TEV Plus Ultra
“작업중” 안전표지판 설치
누기확인 하며
( )
가스주입구 도 회전
보행자 안전조치 : 구획로프
360
누기여부 확인

⇩ 또는 펜스 설치
가스주입구 개방 적정공구 사용 차량안내원 배치
⇩ 삼각대, 라바콘 등 설치
가스주입구 고무링
가스주입구 주변 이물질 자전거, 통행인 주의
상태 확인 파손여부 확인

적정공구 사용
⇩ 기기위에 올라가지 말 것
가스주입구용 개폐기 제조사별 가스
노즐장착 주입구노즐준비 
케이블 충격, 이동 금지
⇩ 제어함, 조작부 조작금지
가스추출
호스연결 내부에 공구 등 방치여부

⇩ 확인 철저
초기 분 ⇨ 분 추출 시행
차 분 추출 ⇨ 가스추출(분석) 오차
1
3
안전시설물 철거
주행차량 주의 안전운행
2 2
⇩ 오차

진단종료


가스주입구폐쇄

주입구누기및 모드활용 의
Ultra TEV Plus Ultra
프렉시블 센서
가스압변화확인 하며
( )
가스주입구 도 회전
누기여부 확인
 360


안전조치 해체
외함시건
실적관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5.9 가스 순도분석 측정결과 판단기준은 아래의 표에 의한다.


[표 17] 가스압력 및 순도분석 판단기준

항목 정상 요주의 이상
SF6 가스분도 90%이상 80~89.9% 80% 미만
SO2(아황산가스) 0.3ppm이하 50ppm 이하 50ppm 초과
수분량 1,000ppm 이하 5,000ppm 이하 5,000ppm 초과
조치방법 정상사용 검사주기강화 투개방금지, 가스교체

6. 일상 순시검사
6.1 지상개폐기의 설치 및 절연상태를 육안, 열화상진단 장비로 검사하고 필요시는
가스분석기, 휴대용 부분방전 진단기로 검사한다.
6.2 일상 순시검사의 검사내용은 아래와 같다.

6.2.1 부싱(공단자 포함)의 파손 및 균열 이탈여부

6.2.2 충전부의 접촉과 볼트, 너트의 조임 상태


6.2.3 가스누기 및 규정압력 유지 여부

6.2.4 외함 및 엘보접속재 접지선 접속상태

6.2.5 개폐표시장치 이상여부


6.2.6 접속개소의 발열 및 절연상태 여부

6.2.7 본체 및 제어함의 부설상태

6.2.8 제어장치의 퓨즈 및 조작전원 이상유무


6.2.9 내부검사 및 청소는 필요에 따라 교체등의 방법으로 실시

6.3 지상개폐기 외함을 열고 내부의 가스압력이 정상범위에 있는지 확인하며, 0 PSI 또는

조작금지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투개방을 금지하고 배전센터에 연락한다.


6.4 절연마개(절연캡)가 돌출되었는지 육안으로 검사하며 돌출된 경우에는 내부에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접속플러그가 파손되어 방전이 진행되는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활선에 준하여


검사를 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전소음을 귀로도 확인가능 한 경우도
있다.
[표 18] 절연마개(절연캡) 돌출(左) 및 접속플러그 파손(右)

6.5 자동화용 지상개폐기인 경우에는 PT의 전원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한다.
6.6 지상개폐기엘보또는외함에아크흔적이있는지검사하고필요시사진을촬영하여기록한다.

6.7 엘보에 기계적인 손상, 잔사가스에 의한 부풀음 등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이상한

방전소음이나 개폐기 외함의 부식, 오손정도를 검사한다.


6.8 엘보접속재 및 외함 접지선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고 접지선 단선 및 이탈시 현장

에서 즉시 시정토록 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4 장 관리기준

1. 운전현황 검사표 운영기준


1.1 지상개폐기 운전현황을 작성하여 설치된 기기 외함문 안쪽에 비치한다.

○ 기기 운전현황 카드 : 간단한 기기 이력사항 및 연결 상황


○ 기기 검사카드 : 기기 검사일시, 검사결과, 검사자 등 검사실적
○ 비닐코딩된 서식(B5크기)에 현장에서 유성펜으로 직접 기재
지 상 개폐 기 운전 현 황

기 기 번 호 삼성로 12 전산화번호 9716Q131


제작회사 LG산전 제작년월 1998. 5
시 공 업 체 한국전업사 시 공 일 시 1998. 7. 15
개폐기 운전현황 및 특기사항
단자명 공 급 계 통 특기사항 기록일자
1
삼성로 SW10 #4 1998. 7. 15

2
강남제과 250㎾ 1998. 7. 15

3
삼성로TR23 #HA 1998. 7. 15

4
삼성로 SW14 #1 상시개방 1998. 7. 15

기타
사항
* 간이 계통도는 이면을 활용 바랍니다.

1.2 검사 Check List를 참조하여 지상기기 검사기록표를 작성하여 운전현황과


같이 비치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2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앞 면><
지상기기 검사기록표
기기번호 : (전산화번호 : )
검사일시 점검결과 점검자

※ 이면의 지상개폐기 검사 Check List 참조


뒷 면> <
지상개폐기 검사 Check List
점검사항 조치내용 조치시기
각종 표시찰 부착 상태 표시찰 부착 즉 시
엘보접지 접지상태 시정 즉 시
엘보에 케이블 장력 발생 여부 케이블 고정 즉 시
(케이블 고정 여부)
엘보 과열 여부 접속재 세부 검사 및 사정 즉 시
가스압력 유지(2psi․g 이상) 가스 보충 또는 기기교체 즉 시
맨홀내 개폐기의 엘보케이블 실린더 써포트 및 고정용 즉 시
고정 여부 (장력발생) 크리트 사용 케이블 고정
맨홀내 지중용 개폐기 관리상태 조작 가능하도록 개폐기 이동
- 지상에서 기기조작 가능여부 즉 시
- 맨홀 누수 여부
방수공사 우선시행
지상기기 운반고리 운반고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조치 현장조치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3 검사(시공시 검사사항 포함)는 다음의 Check Point에 유념하여 실시한다.


구분 CHECK POINT
1. 반드시 운반고리(4개)를 이용하여 운반·설치하고 설치가 끝난 후에는 운
반 고리를 제거하거나 돌충되지 않도록 돌려 놓는다
2. 외관 및 구조상의 파손 여부를 검사한다.
3. 압력게이지의 가스압력을 확인한다.

운반 및 4. 수동조작핸들(1개)이 있는지 확인한다.


설치 5. 부싱에 조그마한 힘이라도 가해지지 않도록한다. 부싱을 잡고 밀거나 당
기지 않도록 하며, 부싱을 밟고 올라서는 일이 없어야 한다. (가스누설
원인이 됨)
6. 지중설치형 등에 있어서 90° 핸들어댑터를 사용하면 개폐조작이 용이할
경우가 있으므로 검토하여 필요하면 개폐기 청구시 포함하여 청구하거
나 별도로 주문한다.
1. 접속재의 수량을 확인한다.
2. 안전운전 및 절연을 위해 케이블과 접속되지 않는 각 부싱은 절연마개
(절연캡)를 반드시 씌어 놓아야 한다.
3. 접속재나 부싱에 이물질이 혼입되면 고장이 발생하므로 깨끗한 면포에 메
접속재 틸 알코올을 묻혀 잘 닦아내고 실리콘 그리스를 충분히 도포한 후 접속한
접속 다. 이때 면포의 털이 접속재나 부싱에 혼입되어 있지 않나 잘 살핀다.
4. 지중설치형의 경우 맨홀 출입시 필히 출입구(750)를 통하여 출입하고 개
폐기나 접속재를 밟지 않도록 한다.
5. 접속플러그(K650BIP)와 엘보커넥터(K655BLR) 접속시, 조임토크가
820kg-cm 정도인지를 확인한다.(토크렌치 사용)

접지 개폐기 본체는 접지선에 연결하여 대지에 접지하고, 케이블 접속재는 각각


본체 접지대에 연결 접지한다.
시험 케이블 접속이 완료되면, 내전압 시험을 실시한다.
1. 조작전에는 반드시 가스압력을 확인하고,개폐조작은 규정된 조작봉을
이용하여 조작한다
2. 개폐기의 조작상태를 조작핸들과 연결된 개폐상태 표시기에 의해 확인
조작 한다.
3. 개폐조작이 완료되면 안전잠금장치(Padlocking)에 자물쇠를 채워 오조작
을 방지하도록 한다.
4. 수동조작시 수동조작 핸들을 취부하고, 금구 양쪽에 있는 고정용 볼트를
조인 후 개폐조작을 한다.
기타 표준부속품 및 피막이 벗겨진 곳이 없는지 확인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지상개폐기 정기검사 기준
2.1 배전운영실에서 분기 1회 시행하는 정기순시검사는 기기 설치상태를 확인한다.

2.1.1 선로순시자가 이상이 예상되는 개소를 발견한 경우는 즉시 설비관리

부서에 검사를 의뢰한다.


2.1.2 검사의뢰를 받은 설비관리부서는 검사기준에 의거 정기검사를 시행한다.

2.2 정기검사는 2년에 1회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사업소 실정에 맞게

기간을 단축하여 운영할 수 있다.


2.2.1 정기검사는 육안검사, 열화상 측정, PD측정을 병행 시행한다.

2.2.2 검사 방법은 각 항목별 세부검사기준에 따른다.

2.2.3 정기검사는 직영시행을 원칙으로 하되, 필요시 용역으로 시행할 수 있다.


2.2.4 정기검사 결과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 정밀분석 또는 설비교체를 시행한다.

2.2.4.1 육안검사 및 열화상 측정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는 즉시 보강공사를

시행한다.
2.2.4.2 PD측정에 의해 불량으로 판정된 경우는 2개월 이내 1회 이상 재측정 하여

불량으로 최종 판정된 경우 설비진단처에 정밀분석을 의뢰한다.


2.3 특별검사는 본사요청, 제작사 리콜 등 필요시 시행한다.
2.3.1 별도로 검사 착안사항이 지시된 경우는 그 기준에 따라 검사한다.

2.3.2 필요시 특별검사 사항이외의 기타 검사도 병행할 수 있다.

2.3.3 특별검사결과 적출된 설비는 해당설비에 대한 조치 지시에 따라 조치해야 한다.

3. 검사실적 관리 및 운영
3.1 설비진단이 완료되면 진단결과를 보고하여야 하며 검출설비에 대해서 설비
운영부서장에게 보고하고 지시에 따라 조치해야 한다.
3.2 검출된 설비는 측정 데이터를 비롯한 사진자료를 첨부하여 배전설비 진단
실적관리 시스템에 입력하여 전산으로 관리하며, 필요시 해당 데이터를 별도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대장관리 할 수 있다.
3.3 설비운영부서장은 진단결과 검출된 설비에 대해서는 조치결과를 확인하여야 하며,미
조치된 설비에 대해서는 적기에 조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4 설비진단 통계 및 검출설비에 대한 자료 축적을 통하여 기자재 특성분석고장

예방 계획 수립시 반영 또는 진단장비 성능개선을 위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관리해야 한다.

4. 시기별 진단 검사관리 기준

4.1 개폐기는 겨울철 기온급감 시 고장으로 인한 정전이 집중되어, 시기별 관리


방법은 아래의 기준에 준하여 관리한다.
시기 기 간 관리방법 비고
• TEV 30∼50dB 미만 개폐기 주기적 관리 설비보강
평상시 3∼10월 • 열화상 ․ PD(Ultra TEV+) → Locator, 설비진단
부하절체
• 진단 : PD(Ultra TEV+), 열화상, 가스분석
동 계 11월∼2월 • 불량 판정 → 설비진단처 정밀진단 → 유지보수
정밀(해체)분석 → 교체

5. 평상시 관리기준
5.1 평상시인 3월∼10월은 일상진단 및 관리의 시기이며, 설비보강․진단을 중점
으로 하여 유지보수 한다.
5.2 춘계(3월∼4월) 중점 추진활동
5.2.1 동계기간(11월∼2월) 내 개폐기 제원별, 고장 유형 등을 분석하여 개폐기

보강․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5.2.2 동계기간 검사 중 불량판정 건에 대한 정밀(해체)분석 및 결과에 따라 교체를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시행한다.
를 이용하여 개폐기 본체, 엘보접속재, PT의 부분방전 여부
5.2.3 Ultra TEV Plus
등을 진단하고 주기적 관리가 필요한 요주의 대상을 선정하여 주기적으로
진단 및 보강을 시행한다.
5.3 하절기 대비(5∼6월) 중점 추진활동
5.3.1 요주의 대상 개폐기중 2회 이상 재진단 결과 PD값이 현저히 증가하거나 불량으로

판정된 개폐기에 대하여 설비진단처에 의뢰하여 정밀검사를 시행한다.


5.3.2 엘보접속개소에 대하여 열화상 진단을 시행하고 과열개소 및 온도가 현저히
증가한 개소는 부하분리를 통해 엘보접속재 상태를 확인한다.
5.3.3 정밀검사를 위해 해당 개폐기의 부하절체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며 고객

인입 개폐기의 경우 고객휴전 안내 등 고객설비에 의한 부분방전 파급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5.3.4 가공설비 입상개소 개폐기의 경우 입상된 가공설비에 의한 부분방전파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가공설비 진단을 병행한다.


5.4 하계 및 추계(6월∼10월) 중점 추진활동

5.4.1 우기 및 혹서기 대비 진단장비 활용 및 기별검사 등으로 개폐기 불량여부를

집중진단 한다.
5.4.2 장비별 진단절차는 배전선로 검사 지침을 준용하고, 검사결과 설비진단처의

정밀검사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즉시 발송하여 시험에 임한다.

6. 동절기 관리기준
6.1 동절기(11월∼2월)는 기온급감으로 인해 에폭시몰드 개폐기 불량 급증이
예상됨에 따라, 접지VI 진공도 저하에 따른 부분방전 상연결 부스바 편심
적출을 중점으로 하되 아래의 사항을 참고하여 진단한다.
6.1.1 검사대상 : 에폭시몰드 지상개폐기 단, 하자기간 내 개폐기 제외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6.1.2 검사방법 : 직영수행을 원칙, 단 사업소장이 판단 도급시행 가능


6.1.3 중점검사 : Ultra TEV Plus를 활용하여 상별로 TEV모드와 Ultra모드로진단
하며, 상연결 부스바는 Ultra 모드를 활용하여 진단한다.
6.1.4 진단내용 : 지상개폐기 부분방전 진단표 서식을 기준으로 진단한다.

6.1.4.1 본체(PT 포함) 및 엘보접속개소의 TEV 및 Pulse값


6.1.4.2 엘보접속개소 및 상연결 부스바의 Ultra(초음파 음) 적출여부

6.1.5 에폭시몰드 개폐기는 각 상별로 하우징이 독립되어 있어 본체 TEV 진단 시

각 상별로 TEV를 진단하여야 한다.


6.1.6 진단결과 TEV값이 50dB이상 이거나, 초음파 방전음이 적출되는 경우 설비

진단처에 정밀진단을 의뢰한다.


6.1.7 정밀진단시 부분방전원 확인을 위한 사전에 부하전환 계획을 수립하고 정밀
진단을 의뢰한다.
6.1.8 정밀진단 결과 개폐기 본체가 방전원으로 판정된 경우 해당 개폐기정밀

(해체)분석을 시행한다.
6.1.9 정밀(해체)분석은 접지 진공차단부에 대한 절연내력 성능 확인을 위해상용

주파 내전압 및 충격파 내전압을 시행하며, 필요시 X-Ray 촬영 및 개폐기를


분해 등 정밀분석을 시행한다.
6.1.10 요주의 대상 개폐기는 주 1회 진단 시행하여 PD값 상승 및 초음파 발생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6.2 가스절연 개폐기의 경우 Ultra TEV Plus 및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하여 절연
성능 저하 및 접속개소 열화를 중점으로 진단한다.
6.3 가스절연 개폐기의 경우 기온 강하에 따른 가스 순도 저하에 따른 절연성능

저하에 따른 고장예방을 위해 가스분석을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붙임 1. 휴대용 PD 진단(ULTRA TEV+) 세부진단절차


2. 열화상 진단 세부진단절차
3. SF 가스순도분석 세부절차
6

4. 상용주파 내전압(제조사 시행) 절차

5. 충격파 내전압 시험(제조사 시행) 절차


6. 지상개폐기 설치전 검사표

7. 지상개폐기 초기(하자) 검사표

8. 지상개폐기 정기검사표
9. 지상개폐기 부분방전 검사표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1>
휴대용 PD진단 (ULTRA TEV+) 세부진단절차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 1. 전원을 ON 하여 장비 상태를 확인한다 .

(1) 진단기의 키를 누른다.


삐 소리가 나며 약 1초 후 EA사 로고가 나타나며,
(2) “ ”
자기테스트 화면이 약 6초간 진행된다.
※ Skip 하려면 키를 누른다.
(3)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고 “FAIL"시 즉시 수리한다.
0 2. M ai n 에서 모드를 선택한다
M en u T EV .

(1) 자기테스트 화면 후 주 메뉴가 나타난다.


(2) “TEV Mode" 선택(기본설정) 한다.
(3) 키 누른다.
※ T E V모드 : 본체, 엘보접속개소, 케이블, PT 내부방전진단
※ Ultra모드 : 엘보접속개소, PT 엘보표면방전진단
0 3. “TEV 를 확인한다
M o d e" .

(1) 진단장비 상태가 “TEV : Continuous Pulse” 인지


화면 상단에서 확인한다.
(2) Singleshot Pulse 인 경우는 Main Menu에서
Settings → TEV Settings → Mode에 커서를 위치
하고 키를 누른 후 키를 눌러 Continuous
모드로 변경 후 키를 누른 후 저장한다.
0 4. 배경잡음을 측정한다 .

(1) Ultra TEV 를 기기에서 약 1m이상 이격 후 허공을


+

향해 배경음을 측정한다.
(2) 이때 20dB 이상시 잡음원 등 특이사항을 기록한다.
(예: 수전실 옆, 공장 옆, 대형 모터 가동 중 등)
(3) 배경에 대한 TEV값 및 Pulse값을 기록한다.
(단, 10dB이하는 Pulse가 카운터 되지 않는다)
0 5. 대지잡음을 측정한다 .

를 기기 전면 대지에 접촉하여 대지의


(1) Ultra TEV
+

잡음을 측정한다(곤란시 기초대 접촉하여 측정)


(3) 대지에 대한 TEV값 및 Pulse값을 기록한다.
(단, 10dB이하는 Pulse가 카운터 되지 않는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6. 개폐기 외함에서 TEV 값을 측정한다 .

(1) 개폐기 외함을 개방하기 전 Ultra TEV+를 기기


외함에 수직으로 밀착하여 진단한다.
(2) 정면에서 진단하며 진단 후 TEV와 Pulse 값을
기록한다.
07. 기기의 외함을 개방한다 .

(1) 기기용 오각핸들로 전면 문을 개방한다.


(2) 시건장치가 있는 기기는 마스터키를 확보하여
해제한다.
(3) 기기내부의 먼지, 오물, 거미줄 등을 제거한다.

08. 기기의 정보 및 내부 상태를 확인 기록한다 .

(1) 변전소, D/L명, 선로명 등을 기록한다.


(2) 단자별 ON/OFF 상태를 기록한다.
이때 주회로만의 상태를 기록한다. (접지회로 제외)
(3) 케이블 규격, 고객명, 계통(변압기 라인)을 기록한다.
(4) 명판을 확인하여 제작사항을 기록한다.
(5) 접지상태 검사 및 기타 특이사항을 기록한다.

09. SF 6 가스 압을 확인하여 기록한다 .

(1) 가스절연 개폐기의 경우 SF6 Gas압을 확인 기록한다.


(2) 이때 가스 압이 조작금지 범위일 경우는 즉시 배전
센터에 통보한다.

10. 개폐기 본체의 TEV 를 진단한다 .

(1) 진단기를 본체의 진단 면과 직각으로 완전히 접촉


하여 진단한다.
(2) 접촉 후 5∼10초 정도 경과후 안정된 상태의
TEV 및 Pulse값을 기록한다.
(3) 진단순서는 좌측→중앙→우측 순으로 진단한다.
- 좌측: 1번회로좌측/ 중앙: 2․3번회로중앙/ 우측: 4번회로우측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업사진
1 0 -1 . 개폐기 본체는 다음사항에 유의하여 진단한다 .

(1)본체 PD진단 시 본체가 아닌 조작부에 접촉하여


진단하지 않는다. (그림 참조)
(2) 진단 시 초기 과도 전압 등에 따른 최대값은 제외
한다. 단, 최대값이 안정된 상태에서도 측정되는
경우에는 그 최대값을 기록한다.
1 0 -2 . 에폭시몰드개폐기본체 는각상별로진단한다
TEV .

(1) 진단순서는 1번회로 A상부터 4번회로 C상까지


이며 각 회로의 상 모두를 순차적으로 진단한다.
(2) 진단위치는 각 부싱(엘보접속 개소)과 조작부 사이
본체에 수직으로 완전 접촉하여 진단한다.
(3) 접촉 후 5∼10초 정도 경과 후 안정된 상태의
TEV 및 Pulse값을 기록한다.
1 0 -3 . 개폐기 본체 TEV 진단관련 T ip

(1) 개폐기의 조작부와 엘보접속재 등으로 인해 TEV


센서면을 접촉하기 곤란한 경우는 엘보 접속재간
공간을 활용 개폐기 본체에 접촉한다.
(2) 이때, 엘보접속재간 공간에
장비 삽입이 용이하도록 고무
케이스를 제거한다.
11. 자동화개폐기인 경우 본체 PT TEV 를 진단한다 .

본체와직각면을유지하고완전밀착시켜진단한다.
(1) PT
(2) 진단위치는 진단장비의 TEV센서를 완전 밀착하기
쉬운 곳을 선택하여 진단한다.
(3) 접촉 후 5∼10초 정도 경과후 안정된 상태의
TEV 및 Pulse값을 기록한다.
※ 진광제 PT : 개폐기 본체 상부 좌측(제어부 좌측)
개폐기 엘보접속 개소에 대한 를 진단한다
엘보접속재 측면을 접촉하고
12. TEV .

(1)
TEV센서면 전체가 밀착되도록
세로로 접촉한다. ×
(2) 접촉후 5∼10초정도경과후안정된
상태의 TEV 및 Pulse 값을 기록한다. <센서면 밀착 불량>
(3) 1번 회로 A상부터 4번 회로
C상 순으로 진단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3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업사진
13. 지중케이블의 TEV 를 진단한다 .

(1) Ultra TEV 를 케이블에 직각으로 접촉한다.


+

(2) 접촉 후 ∼ 초 정도 경과후 안정된 상태의 TEV


5 10
및 값을 기록한다.
Pulse
(3) 1 번 회로 상부터 4번 회로 C상 순으로 진단한다.
A
(4) 접지동대 등 개폐기 구조상 전면에서 케이블 진단이
불가능한 경우 후면 외함을 개방하여 케이블을 진단한다.
14. Ultra TEV+의 TEV 모드를 Ultra 모드로 전환한다 .

(1) 지중케이블까지 TEV모드 진단이 완료 된 경우


키를 길게 눌러 Main 화면으로 전환한다.
(2) Main Menu 화면에서 키를 눌러 “Ultra Mode"
를 선택 후 키를 눌러 초음파 진단을 준비한다.
15. Ultra 진단을 위한 센서 및 헤드폰을 연결한다 .

(1) 플렉시블 센서를 Ultra TEV 우측 측면의 소켓에 +

연결한다.
(2) 헤드폰(또는 이어폰)을 Ultra TEV 하부의 헤드폰
+

소켓에 연결한다.
(3) Gain은 100이 되도록 키를 눌러 맞추고 볼륨은
진단자의 상태에 따라 가감 조정한다.
16. 엘보접속개소를 진단한다
U ltra .

(1) 개폐기 부싱부위와 엘보접속재가 연결된 부분에


플렉시블 센서를 최대한 접근하여 진단한다.
(2) 플렉시블 센서를 엘보접속 개소에 360° 회전하면서
엘보접속개소 모든 부위를 진단한다.
(3) 반드시 헤드폰을 착용 후 방전음을 적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방전음이 들릴 때의 dB값을 기록한다.
(4) 1번회로 A상부터 4번회로 C상 순으로 진단한다.
17. 에폭시몰드개폐기 상연결 부스바의 를 진단한다 Ultra .

(1) 에폭시몰드 개폐기 본체 하부의 상연결 부스바에


플렉시블 센서를 최대한 접근하여 진단한다.
(2) 진단순서는 상연결 부스바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연결 부스바 전체를 진단한다.
(3) 진단자는 몸을 최대한 낮추어 플렉시블 센서가
상연결 부스바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업사진

18. 자동화개폐기의 엘보의 PT Ultra 를 진단한다 .

(1) 진단자는 몸을 최대한 낮추어 플랙시블 센서를


사용하여 PT몸체 엘보의 Ultra를 진단한다.
(2) PT와 개폐기 본체를 연결하는 엘보에 플렉시블
센서를 접근하여 Ultra를 진단한다.
(3) 플렉시블 센서를 엘보접속개소에 360° 회전하면서
엘보접속개소 모든 부위를 진단한다.
19. 개폐기 외함에 시건장치를 한다 .

(1) 지상기기 내부 상태를 확인한다.


(2) 기기의 외함 문을 닫고 기기용 오각핸들로 시건을
시행한다.

20. 진단이 종료되면 진단장비 전원을 OFF 한다 .

(1) 진단완료 후 키를 눌러 전원을 OFF한다.


(2) 진단장비를 케이스에 집어 넣는다.

21. 진단 값에 따른 상태판정 및 진단결과를 입력한다 .

(1)지상개폐기 부분방전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진단결과(측정값) 진단수준 판 정
∼ 미만 양호 정상
∼ 미만 요주의 주기적 진단 회 개월
0 30dB

이상 불량 방전원 확인 및 정밀진단
30dB 50dB (1 /1 )

50dB

(2) 진단결과를 설비진단실적관리시스템에 입력한다.


(3) 50dB 이상 개폐기는 재진단 후에도 진단결과가
50dB 이상 시 설비진단처에 정밀진단을 의뢰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2>
열화상진단 세부진단절차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 1. 열화상 카메라의 진단환경을 설정한다 .

(1) 뷰파인더 아래쪽의 굴절보정 조정노브를 이용하여


뷰파인더의 초점을 맞춘다.
(2) 스팍과 영역이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① 카메라 메뉴 의 도구 탭 을 선택한다.
② 메뉴의 스팟과 상자 또는 원영역을 선택한다.
③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크기를 재조정한다.
④ 상자영역의 최대값을 표현하도록 선택한다.

0 2. 이미지 조정모드를 수동모드로 바꾼다 .

(1) 자동(A)/수동(M)버튼을 눌러 이미지 조정모드를


수동(M)모드로 바꾼다.
(2) 화면 우측 상단의 “수동”을 확인하여 수동(M)
모드 전환을 확인한다.
※ 수동(M)모드일 때 레벨과 스팬의 조정이 가능
0 3. 레벨과 스팬을 조정한다 .

(1) 이미지 탭 의 레벨/스팬을 선택한다.


(2) 조이스틱을 좌우로 움직여 스팬을 약 10℃로 한다.
(3) 조이스틱을 상하로 움직여 레벨을 조정한다.
※ 레벨은 기기의 형태가 보일 수 있게 조정
0 4. 개폐기의 엘보접속부를 진단한다 .

(1) 엘보 접속부의 열화상 촬영 시 태양의 반사각을


고려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진단한다.
(1) 엘보접속부는 스터드 볼트의 조임불량 등에 의한
커넥터 부위 열화를 고려하여 진단한다.
※ 열화의 경우 열이 점진적으로 번지는 패턴을
보이나 반사의 경우 급진적인 변화를 보인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업사진
05. 열화 추정개소를 근접 진단한다 .

(1)열화 발견시 열화지점 및 온도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근접 또는 확대 촬영한다.
(2) 미세열화가 감지될 경우 스팬(온도폭)을 줄여서
열화부위를 부각시킨다.
(3) 엘보 접속부의 열화 시 엘보 분리 후 스터드볼트 조임
상태 등 육안검사를 시행한다.
06. PT 몸체를 진단한다 .

(1) PT는 금속재질로 방사율이 낮아 케이블 및 엘보에


비해 온도가 높게 보이므로 상태판정시 주의한다.
(2) PT 열화상태 판정시 타 개폐기의 PT온도와 비교
또는 방사율값을 0.1∼0.2로 변경 후 진단한다.

07. PT - 개폐기 연결 엘보를 진단한다 .

(1) PT- 개폐기 연결 엘보의 위치는 제작사에 따라


본체 우측 하부 또는 좌측 상단에 위치한다.

08. 진단값에 따른 상태판정 및 진단결과를 입력한다 .

(1) 지상개폐기 열화 판정기준은 다음에 따른다.


진단결과(측정값) 판 정
℃∼ ℃미만 열화가능
℃이상∼ ℃미만 추후 결함 진전
2 5

℃이상 결 함
5 10

10

(2) 내부 열화 발견시 Health Index 기준에 따라 조치한다.


(3) 진단결과를 설비진단실적관리시스템에 입력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3>
SF6 가스 순도분석 세부절차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1. 가스분석장치 전원장치를 구성한다 .

(1) 차량통행 및 일반인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진단


차량을 측정대상 개폐기 최 인근에 정차한다.
(2) 차량 시거잭용 인버터(500W)를
이용하여 전원을 확보하고, 측정
대상 개폐기까지 전원코드
확장릴과 멀티코드를 이용 전원장치를 구성한다.
02. 개폐기 외함을 개방한다 .

(1) 기기용 오각핸들로 전면 문을 개방한다.


(2) 시건장치가 있는 기기는 마스터키를 확보하여 해제한다.
(3) 기기내부의 먼지, 오물, 거미줄 등을 제거한다.

03. SF 6 가스압을 확인하여 기록한다 .

(1) 가스절연 개폐기의 경우 SF6 Gas압을 확인 기록한다.


(2) 이때 가스압이 조작금지 범위일 경우는 즉시
배전센터에 통보한다.
(3) 조작금지 범위일 경우 가스분석은 시행하지 않는다.
04. 가스주입구로 가스 누기여부를 확인한다 .

의 Ultra Mode를 선택하고 프렉시블


(1) Ultra TEV+
센서와 헤드폰을 해당 소켓에 연결한다.
(2) 가스주입구 주변을 360° 회전하며 가스 누기여부
를 확인한다(가스가 누기되는 경우 “쉬익” 하는 소
리가 연속적으로 검출)
(3) 누기가 될 경우 즉시 배전센터에 통보하고 가스
분석은 시행하지 않는다.
05. 장비를 전원코드에 연결하고 부팅한다 .

(1) 장비의 전원을 ON하면 모델명, 시리얼 번호 및


펌웨어 버전이 약 2초간 표시된다.
(2) 초기화면에 이어 진단장비 센서 부팅 진행율 bar가
나타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 6. 가스분석기의 Gas -in 소켓에 가스추출용


호스를 연결한다 .

(1) 소켓 연결시 소켓부의 장금장치가 완전히 체결될


때까지 가스추출용 호스를 밀어 넣는다.
0 7. 개폐기 제작사별로 해당 노즐을 준비한다 .

(1) 가스추출용 호스와 개폐기 가스주입구간 연결을


위한 노즐은 개폐기 제작사별로 준비한다.
(2) 진단대상 개폐기의 제작사를 확인하고 해당 제작사
가스주입구용 노즐을 준비한다.
※ ’12. 3 주입구 규격 단일화 이전 개폐기는 제작사별
주입구 규격이 상이하여 별도 노즐 필요
0 8. 가스주입구 Cab 을 적정한 공구로 개방한다 .

(1) 몽키스패너, 다이스플라이어 등을 사용하여 가스


주입구 Cap을 열어 가스 주입구를 확인한다.

0 9. 가스주입구의 상태를 검사한다 .

(1) 가스주입구 이물질 부착 및 변형여부를 확인한다.


(2) 가스주입구 누기방지용 고무링의 파손여부를 확인
한다.
※ 고무링이 파손되거나 변형된 경우는 예비용 고무
링과 현장에서 교환한다.
1 0. 가스주입구 노즐을 주입구에 장착한다 .

(1) 해당 제작사의 가스주입구 노즐을 가스주입구에


장착한다.
(2) 노즐 장착 후 가스가 누기되지 않도록 노즐을
완전히 조여 준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11. 가스주입구 노즐과 가스추출용 호스를 연결한다 .

(1) 가스주입구 노즐 소켓부의 장금장치가 완전히


체결될 때까지 가스추출용 호스를 밀어 넣는다.

12. 가스 추출을 위한 유량을 설정한다 .

(1) 가스추출시 추출되는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유량밸브를 0.2∼0.5리터가 되도록 설정한다.

13. 가스추출 시간 설정 및 가스추출을 시행한다 .

(1) 초기 가스추출 시간은 1분으로 설정한다.


(2) 1분 설정 후 가스추출을 시행한다.
(3) 1분 추출 및 분석결과 기록 후 추출시간을 2분
으로 설정한다.
(4) 2분 설정 후 가스추출을 시행한다.
14. 가스분석 결과를 기록한다 .

(1) 1분 및 2분 추출 후의 가스분석기의 분석결과를


진단표에 기록한다.
(5) 1분 추출 분석값과 2분 추출 분석값이 허용오차
범위 이상인 경우 3분 추출을 시행한다.
※ 허용오차 : SF 순도 ± 1% / SO 함량 ± 2%
6 2

15. 가스분석 결과를 현장에서 즉시 출력한다 .

(1) 가스분석 데이터를 포터블 프린터를 사용하여


즉시 출력하고 출력결과를 활용하여 진단표를
작성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16. 가스추출용 호스 및 가스주입구 노즐을 분리한다 .

(1) 가스주입구 노즐에서 가스추출용 호스를 분리한다.


(2) 가스주입구 노즐을 가스주입구에서 분리한다.

17. 가스주입구 Cap 을 장착한다 .

(1) 가스주입구 Cap을 가스주입구에 부착한다.


(2) 가스주입구 Cap을 적정한 공구를 사용하여 최대한
조여 준다.

18. 가스주입구 장착후 가스누기 여부를 확인한다


Cap .

의 Ultra Mode를 선택하고 플렉시블


(1) Ultra TEV+
센서와 헤드폰을 해당 소켓에 연결한다.
(2) 가스주입구 주변을 360° 회전하며 가스 누기여부를
확인한다.

19. SF 6 가스압을 확인한다 .

(1) 진단 전후 가스압의 변화여부를 확인한다.

20. 개폐기 외함을 시건한다 .

(1) 지상기기 내부 상태를 확인한다.


(2) 기기의 외함 문을 닫고 기기용 오각핸들로 시건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21. 가스분석기 및 전원장치를 정리 정돈한다 .

(1) 가스분석기에 연결된 가스추출용 호스를 분리한다.


(2) 가스분석기, 가스주입구 노즐 및 가스추출 호스 등
을 정리한다.
(3) 전원장치를 정리 정돈한다.

22. 진단값에 따른 상태판정 및 진단결과를 입력한다 .

지상개폐기 가스분석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항 목 정 상 요주의 이 상
SF 가스순도 90%이상
6 80~89.9% 80% 미만

SO 아황산가스 0.3ppm 이하 50ppm 이하 50ppm 초과


2( )

수분량 이하
1,000ppm
이하
5,000ppm
초과
5,000ppm

조치방법 정상 사용 검사주기 강화 가스교체


(2) 진단결과 이상개소는 투․개방을 금지한 후 관리
부서의 조치(조작금지, 가스교체 등)를 받는다.
(3) 진단결과를 설비진단실적관리시스템에 기타장비로
입력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4>
사용주파 내전압시험(제조사 시행) 절차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1 . 안전구획로프 설치 및 외함 문을 개방한다 .

(1) 시험구간 안전확보를 위해 구획로프를 설치한다.


(2) 오각핸들로 개폐기 전면 문을 개방한다.
※ 시건장치가 있는 기기는 마스터키 사전 확보
(3) 기기내부의 먼지, 오물, 거미줄 등을 제거한다.

02 . 개폐기와 케이블의 충전여부를 확인한다 .

(1) 절체 후 절연스틱을 활용하여 엘보의 절연마개


(절연캡)를 분리한다.
(2) 용량성 검전기를 활용하여 개폐기 및 케이블의
충전여부를 확인한다.
(3) 개폐기 제원 및 기기상태를 사진 기록한다.

03 . 시험장비를 전원코드에 연결하고 준비한다 .

(1) 내압시험 장비를 전원코드에 연결 한다.


(2) 시험자는 안전에 주의하여 시험을 진행해야 하고
주변 안전상태를 확인한다.

04 . AC 내압설비의 배선작업을 실시한다 .

(1) AC 내압설비의 단자간 회로연결을 실시한다.

05 . AC 내압설비 TR 배선을 연결 한다 .

(1) AC 내압설비와 TR배선 연결작업을 실시한다.


※ TR 배선이 땅에 닿지 않도록 할 것.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4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6 . 외함접지에 시험설비를 접지한다 .

(1) 개폐기 외함접지단자에 내압시험설비의


접지선을 연결한다.

07 . TR G ND 연결 한다 .

(1) TR GND 연결 작업을 실시한다.

08 . 발전기 S /W 를 투입 ( O N) 한다 .

(1) 발전시 S/W를 투입(ON) 한다.

09 . 접속플러그를 분리한다 .

(1) 접속 플러그 해체 전 상 표시를 시행한다.


(2) 스패너를 활용하여 엘보 커넥터로 부터 절연
플러그를 분리한다.
(3) 절연 플러그 해체 후 비닐봉지에 넣어 이물질
및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작업한다.
10 . 엘보커넥터를 분리한다 .

(1) 접속플러그 분리 후 개폐기 본체에서 조작클램


프를 결합하여 엘보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케이블은 비닐로 묶어 이물질 및 먼지가 들어
가지 않도록 진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11. 각 상별 인가 후 시험준비를 한다 .

(1) 1․2 S/W 열림, 3․4 S/W 닫힘으로 조작 후


1․2 S/W A, B, C상 순으로 인가하고 3․4 S/W
A, B, C상 순으로 접지하여 진행한다.
(2) 시험 시 안전에 주의한다.

12. AC 내압 4 8 kV 를 인가한다 .

(1) AC내압 48kV를 1분간 인가한다.


(2) 시험 시 안전에 주의한다.

13. 시험 누설값을 확인 후 기록 한다 .

(1) AC내압 48kV 인가 시 누설 값을 기록하고 기준


값보다 높을 경우 재시험하여 기록한다.
(2) 각 상별 평균값이 1mA이상일 경우 한전 감독자
에게 통보한다.
14. 상 변경후 시험 준비 한다 .

(1) 1․2 S/W 닫힘, 3․4 S/W 열림으로 조작 후


1․2 S/W A,B,C상 순으로 접지 3․4 S/W
A, B, C상 순으로 인가하여 진행한다.
(2) 시험 시 안전에 주의한다.

15. AC 내압 4 8 kV 를 인가 한다 .

(1) AC 내압 48kV 1분간 시험을 진행한다.


(2) AC 내압 48kV 인가 시 누설 값을 기록하고 기준
값보다 높을 경우 재시험하여 기록한다.
(3) 각 상별 평균값이 1mA이상일 경우 한전 감독자
에게 통보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16. 본체에 엘보커넥터를 연결한다 .

(1) 엘보커넥터 청소 및 절연그리스 도포 후 연결


작업을 실시한다.
(2) 케이블 상별 확인 후 작업한다.

17. 접속플러그를 엘보커넥터에 연결한다 .

(1) 접속플러그 체결 작업을 실시한다.


(2) 체결시 Stud Bolt 마모상태 및 체결 유무를
확인한다.

18. 접속플러그 및 케이블 접지 작업을 실시한다 .

(1) 접지 조립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2) 기기의 외함 문을 닫고 기기용 오각핸들로 시건한다.

19. 시험설비 및 발전기 주변 정리 정돈을 실시한다


, .

(1) 시험설비 배선작업을 분리 한다.


(2) 주변정리 및 정리 정돈을 실시한다.

20. 진단 값에 따른 상태판정결과를 통보한다 .

(1)에폭시몰드 절연개폐기 내압시 누설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항 목 정 상 요주의 이 상
AC 내전압
5.0mA미만 5.0mA~6.0mA 6.0mA 이상
48kV 누설값
조치방법 정상 사용 검사주기 강화 제품 교체
(2) 진단결과 이상개소는 투․개방을 금지한 후 관리
부서의 조치(조작금지, 제품교체 등)를 받는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5>
충격파 내전압 시험(제조사 시행) 절차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1 . 이동용 충격파내전압시험기를 설치한다 .

(1) 차량 및 일반인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시험기가


탑재한 차량을 개폐기 근처에 정차한다.
(2) 시험구간 안전펜스를 설치한다.
(3) 발전기를 이용하여 시험전원을 확보하고 오실로
스코프를 연결한다.
02 . 개폐기 외함을 개방한다 .

(1) 기기용 오각핸들로 전면 문을 개방한다.


(2) 시건장치가 있는 기기는 마스터키를 확보하여
해제한다.
(3) 기기내부의 먼지, 오물, 거미줄 등을 제거한다.

03 . 내전압시험기를 접지한다 .

(1) 시험기를 개폐기 접지단자에 연결한다.

04 . 계통절체 후 충전여부를 확인한다 .

(1) 시험대상 개폐기의 계통을 분리한다.


(2) 절연스틱을 활용하여 엘보의 절연마개(절연캡)를 제거한다.
(3) 용량성 검전기를 활용하여 개폐기 및 케이블의
충전여부를 확인한다.
(4) 전 회로 접속플러그를 제거 후 접속재를 분리한다.

05 . 시험용 지그를 연결한다 .

(1) 개폐기 부싱의 연면거리 확보를 위하여 시험용


지그를 부싱에 연결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작업순서 및 설명 작 업 사 진
06 . 충격파내전압 인가선을 시험회로에 연결한다 .

(1) 1, 2번 회로 투입 및 3, 4번 회로를 개방한다


(2) 1, 2번 회로에 시험선을 연결하고 3, 4번 회로는
접지한다. (1,2회로 극간, 대지간 절연상태 확인)
(3) 시험용 지그와 엘보의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고무
절연판을 설치한다.
07 . 충격파 내전압시험을 시행한다 .

(1) 시험기의 전압을 단계별로 인가하여 부극성 3회를


인가하여 Flash Over가 없는 지 확인한다.
※ 의
(2) Flash Over가 발생할 경우 인가전압을 1단계 하향
125kV 50%(62kV), 80%(100kV), 100%(125kV)

하여 시험하고 이상이 없는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


한다.
08 . 시험회로를 방전하고 시험회로를 변경한다 .

(1) 1, 2번 회로 시험종료 후 방전을 시행한다.


(2) 3, 4번 회로 투입 및 1, 2번 회로를 개방한다
(3) 3, 4번 회로에 시험선을 연결하고 1, 2번 회로는
접지한다.(3,4회로 극간, 대지간 절연상태 확인)
(4) 시험용 지그와 엘보의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고무
절연판을 설치한다.
09 . 시험결과를 확인하고 기록한다 .

(1) 시험 후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을 확인한다.


(2) 파형이 정상이면 다음 단계로 시험을 진행하고
Flash Over이면 화면을 캡쳐하고 기록한다.
※ Flash Over - 상단, 정상 - 하단

10 . 계통을 원상태로 복귀하고 결과를 통보한다 .

(1) 시험용 지그를 부싱에서 제거한다.


(2) 엘보를 연결하고 계통을 원상태로 복귀한다
(3) 시험결과를 관리부서에 통보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6>
지상개폐기 설치전 검사표

결 검사자 담 당 차 장

검사일 : 년 월 일( 요일) 날씨 : 온도: (습도 %)

개폐기 기본사항
기기번호 설치위치
제조업체 제조번호 제조년월 설치년월 기 타 사 항

※ 설치위치는 보도, 녹지, 고객구내 등의 사항과 번화가 여부 기재 [예 : 보도(번화가)]

검사항목 착안사항 검사결과 비 고


- 부식 및 각종 표시찰 부착여부 양호,불량
외 함 - 기초대 파손 및 기초대내 물 유입 여부 양호,불량
- 개폐기 주변 굴착, 지반침하 여부 양호,불량
- 본체의 변형(배부름 현상 등) 여부 양호,불량
일 - 과압방출장치 동작여부 양호,불량
- 부싱 및 케이블 연결 상태 양호, 불량

- 미사용 회로 절연처리 상태 양호,불량
본 체 - 접지선 및 각종 리드선 연결상태 양호,불량

- SF6 Gas 압력 [psig]
1번 회로 A: 회 B: 회 C: 회

2번 회로 A: 회 B: 회 C: 회
- 회로별 상별 동작횟수 (A,B,C)
3번 회로 A: 회 B: 회 C: 회
4번 회로 A: 회 B: 회 C: 회
자동화 제어함 - 밧데리 충전여부 및 제어기능 자동화용에 한함
개폐기 PT - 2차전압의 적정여부 ”

험 개폐동작 시험 - 기계적 특성의 동작상태 양호, 불량

측 절연저항 측정 - 개폐기 ON/OFF 주회로간 절연저항 [Ω]

검사자 종합의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7>
지상개폐기 초기(하자) 검사표

결 검사자 담 당 차 장

검사일 : 년 월 일( 요일) 날씨 : 온도: (습도 %)

기기번호 설치위치 제조업체 제조번호 개폐기 기본사항


제조년월 설치년월 기타사항
※ 설치위치는 보도, 녹지, 고객구내 등의 사항과 번화가 여부 기재 [예 : 보도(번화가)]
검사항목 착안사항 검사결과 비고
- 부식 및 각종 표시찰 부착여부 양호,불량
외 함 - 기초대 파손 및 기초대내 물 유입 여부 양호,불량
- 개폐기 주변 굴착, 지반침하 여부 양호,불량
- 본체의 변형(배부름 현상 등) 여부 양호,불량
- 과압방출장치 동작여부 양호,불량
일 - 부싱 및 케이블 연결 상태 양호, 불량
반 - 미사용 회로 절연처리 상태 양호,불량
본 체 -- 접지선 및 각종 리드선 연결상태 양호,불량
SF6 Gas 압력
점 [psig]
1번 회로 A: 회 B: 회 C: 회
검 2번 회로 A: 회 B: 회 C: 회
- 회로별 상별 동작횟수 (A,B,C)
3번 회로 A: 회 B: 회 C: 회
4번 회로 A: 회 B: 회 C: 회

자동화 제어함 - 밧데리 충전여부 및 제어기능 자동화용에 한함


개폐기 PT - 2차전압의 적정여부 ”

단 부분방전 - 절연물의 열화 상태 검증 양,주의,불 부분방전 진단표 참조

검사자 종합의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8>
지상개폐기 정기검사표

결 검사자 담 당 차 장

검사일 : 년 월 일( 요일) 날씨 : 온도: (습도 %)

기기번호 설치위치 제조업체 제조번호 개폐기 기본사항


제조년월 설치년월 기타사항
※ 설치위치는 보도, 녹지, 고객구내 등의 사항과 번화가 여부 기재 [예 : 보도(번화가)]
검사항목 착안사항 검사결과 비고
- 부식 및 각종 표시찰 부착여부
외 함 - 기초대 파손 및 기초대내 물 유입 여부
- 개폐기 주변 굴착, 지반침하 여부
- 본체의 변형(배부름 현상 등) 여부
- 과압방출장치 동작여부
일 - 부싱 및 케이블 연결 상태
- 미사용 회로 절연처리 상태
반 본 체 -- 접지선 및 각종 리드선 연결상태
SF6 Gas 압력 [psig]
1번회로 A: 회 B: 회 C: 회
점 - 상별 동작횟수 (A,B,C)
2번회로 A: 회 B: 회 C: 회
3번회로 A: 회 B: 회 C: 회
검 기기온도 - 본체, 부싱 및 케이블 접속 부위 4번회로 A: 회 B: 회 C: 회
[ / ℃] 최소 / 최고온도
(국부 과열 여부) - 케이블 및 접지선 등 [ / ℃] ”
자동화 제어함 - 밧데리 충전여부 및 제어기능 자동화용에 한함
개폐기 PT - 2차전압의 적정여부 ”
A/S 이력 - 개폐기 A/S 실적 유무
접지저항 - 기기 접지저항 [Ω]

가스 가스누설 - 절연가스 누설 여부 양호, 불량


분석 수분측정 - 가스내 수분함량
가스순도 - 순도 및 불순물 함유 여부
[ppm] 가스분석 진단표 참조
% “
부분방전 - 절연물의 열화 상태 검증 양,주의,불 부분방전 진단표 참조
검사자 종합의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9>
지상개폐기 부분방전 검사표

진단일시 : 2013. 00. 00. 시 날씨 : 온도 : ℃ 습도 : % 확인 :


□ 진단대상

사업소명 변전소 D/L 선로명 선로번호 전산화번호 압 Gas (psi) 제작사 년월 ( ) 조작방식
( ) 자동/수동
□ 배경 및 PT 측정

대기 중
배 경 (dB/Pulse) / 대지
(dB/Pulse) / 외함 정면( )
(d B/ P ul se )
/

진단 PT
PT
본체
(TEV) dB, Pulse : PT 엘보
(Ultra)
개폐기측
dB
PT 측
dB

□ 본체 ․ 엘보 및 케이블 PD 측정

구분 회로 기타사항등
고객명
상별 수
TEV M o de U L TR A

가스 본체 좌 중 우
PD ( dB ) P u l se mo de ( )

/ / / /
번회로
SW ( / / )

본 번회로
1 (A/B/C) / / / /

체 에폭시 번회로
2 (A/B/C) /
/
/
/
/
/
/
/
번회로
3 (A/B/C)
SW
/ / / /
상연결 부스바
4 (A/B/C)

1 A

( ㎟) B

(on / off) C

2 A

( ㎟) B

엘 보 (on / off)

3
C

( ㎟) B

(on / off) C

4 A

( ㎟) B

(on / off) C

1 B

2 B

케이블 C

3 B

4 B

C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10>
지상개폐기 SF6 가스순도분석 검사표

진단일시 : 2013. . . 시 날씨 : 온도 : ℃ 습도 : % 진단자 :


□ 진단대상

사업소명 변전소 D/L 선로명 선로번호 전산화번호 Gas압(psi) 제작사(년월) 조작방식


( ) 자동 수동
/

□ 가스분석 진단결과

Sampling 1분 2분 3분
항 목
SF6 가스순도 % % %
SO2(아황산가스) ppm ppm ppm
수분량 ppmV ppmV ppmV
※ 분및 분 결과가 장비허용오차 이상일 경우 분 시행
허용오차
1 2 Sampling 3 Sampling

- : SF6 ± 1%, SO2 ± 2%

□ 판정기준

항 목 정 상 요주의 이 상
SF6 가스순도 90%이상 80~89.9% 80% 미만
SO2(아황산가스) 0.3ppm 이하 50ppm 이하 50ppm 초과
수분량 1,000ppm 이하 5,000ppm 이하 5,000ppm 초과
조치방법 정상 사용 검사주기 강화 투개방금지, 가스교체
□ 판정결과

□ 특이사항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5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편 지중케이블
3

1. VL F 진단장비개요  159

2. VL F 진단절차
VL F T D/P D  164

V LF 내전압  173

B y-Pa s s c ab l e V LF 진단  181

<붙임 1> VLF 진단장비 개요


<붙임 2> VLF 케이블 진단결과 보고서

<붙임 3> VLF 진단차량 PMIS Self Check List

<붙임 4> 차량 안전운전 Check List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1 장 진 단

1. 진단항목
1.1 지중케이블 진단항목은 VLF TD, VLF PD이 있다.
〔표 1〕 유형별 진단방법
구분 세부내용
TD(Tanδ) • 절연체의 수트리(Water Tree) 성장여부 확인
PD(Partial Discharge) • 케이블 및 접속제의 전기트리(Electric Tree) 확인
2. 진단주기
표 2〕 케이블 진단주기

케이블 선별적 VLF PD 선별적 VLF TD &
사용기간 PD
VLF TD & PD

1~12년
▪ 선별적 진단
- 케이블 이설 시
- 접속재 교체 발생 ▪ 선별적 진단

년 시 - 침수다발 선로
- 케이블 고장원인 - 케이블 사용환경이
13~20

분석결과 필요시 열악한 선로


년~ ▪ 전체 케이블 4년
21
주기 진단시행
주1) 케이블 이설 및 접속재 교체 : 부실시공에 의한 케이블 절연체 손상발생 우려
주2) 케이블 고장원인 분석결과 : 특정 제원의 케이블에 집중적으로 고장이 발생한
경우, 또는 고장분석 결과 제조상 결함(이물질 등)이 검출된 경우
주3) 케이블 사용환경이 열악한 선로 : 고장전류 경험이 잦거나 부하전류의 변동이
심한 케이블 및 경과지 내 굴착이 빈번하여 외상경험이 우려되는 케이블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판정기준
3.1 VLF TD 판정기준
〔 표 3〕 VLF TD 판정기준
[U0=13,200V, 단위:×10-3]
판정구분 TD DTD STDEV Skirt 최종
(1.0U0) (1.5U0-0.5U0) (1.0U0) (1.0U0) 판정구분
A (정상) ≤ 1.0 ≤ 0.5
B (관심) ≤ 2.0 ≤ 1.2
C (요주의) ≤ 6.0 ≤ 6.0 ≥ 0.10 ≥ 0.30 D (이상)
D (이상) ≤ 10.0 ≤ 12.0 ≥ 0.20 ≥ 0.60 E (불량)
E (불량) ≤ 27.0 ≤ 60.0 ≥ 0.70 ≥ 2.20 F (임박)
F (임박) › 〉27.0 › 60.0
1차 판정조건 OR OR

AND 2차 판정조건
3.1.1 각 Index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A 상태(정상) : 양호 상태로 특별한 조치가 요구되지 않는 케이블
∘B 상태(관심) : 중기계획에 의한 관심대상 케이블
∘C 상태(요주의) : 초기 열화단계에 진입한 케이블
∘D 상태(이상) : 열화 진행상태 케이블로 2년 이내 재측정 대상 케이블
∘E 상태(불량) : 여건에 따라 절연파괴 가능, 1년 이내 재측정 대상 케이블
∘F 상태(임박) : 단기간 내 절연파괴 우려로 즉시 교체시행 (절연보강 적용 불가)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1.2 측정인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측정인자 해설 비고
TD 시험전압에 대한 유전율 변화율 측정 1.0U 0

DTD
(Differential TD)
시험전압에 대한 유전율 안정도 측정 1.5U -0.5U 0 0

STDEV
(Standard Deviation)
시험시간에 대한 상태안정도 측정 1.0U 0

Skirt 단시간 상태변화량 측정(최대-최소) 1.0U 0

3.1.3 진단 후 좌측 칼럼(TD, DTD)의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 후 우측칼럼

(STDEV, Skirt)의 기준과 “AND" 조건이 성립하는 최종 판정기준을 따른다.

☞ 우측 칼럼에 부합되는 항목이 없는 경우 좌측칼럼의 판정기준을 따른다


3.1.4 후속조치 운영기준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정상"∼"요주의" 단계의 케이블은 4년 주기로 재진단 시행


∘"불량" 단계의 케이블은 1년 이내 재진단 시행 후 진단결과에 따라 직선보
간법에 따른 임박조건 전이속도를 계산하여 잔존수명 산출 후 후속조치 시행
- 산출된 잔존수명이 절연보강사업 소요기간과 절연보강 안정화기간(60일)

을 초과하는 경우 절연보강(Cable Cure) 시행


- 상기의 조건이 부합되지 않는 경우 케이블 교체 시행
- 케이블 운영환경에 따라 열화가속도가 상이하므로 1년 이내 재진단에 따

라 직선보간법에 따른 임박조건 전이속도를 계산하여 후속조치 추진


※ 잔여수명에 따라 절연보강 안정화기간 및 보강사업 추진 소요기간을
고려하여 절연보강(Cable Cure) 또는 케이블 교체 시행
∘"임박" 단계의 케이블은 철거 후 전력연구원에 절연내력시험 의뢰
- 실 고장발생 케이블의 data 분포에 따른 것으로 0 ∼ 3개월 이내 절연파
괴 가능성이 높은 케이블로 즉각적인 조치 필요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직선보간법에 의한 잔존수명 산출 예시≫


2012년 1월 진단결과 TD 16.0, 2012년 10월 진단결과 TD 19.0의 경우
열화속도는 (19.0 - 16.0) / 9개월 = 0.4/month로 임박단계 (TD > 27.0)
도달시까지 20개월 소요 예정 [※ 20개월 = (27.0 - 19.0) / 0.4]
판정기준
3.2 VLF PD
[U0=13,200V]
시험전압 판정기준 조치사항
① 1.0 U0
② 1.25 U0
③ 1.5 U0
500pC 초과시 고장임박조건에 준하여 조치
④ 1.75 U0

주1) VLF PD는 시험전압 1.0 - 1.25 - 1.5 - 1.75U0 순서로 측정


주2) VLF PD는 PD 파형분석에 의하여 판정하되, 어떤 시험전압에서든지
500pC 초과할 경우는 고장임박조건에 준하여 조치
주3) VLF TD/PD 복합진단인 경우 VLF TD 측정 후 PD 측정 시행
주4) PD가 발생한 케이블은 절연보강(cable cure)으로 절연성능 회복이 불가하
므로 케이블 교체를 시행하되 접속재 PD와 케이블 PD를 명확히 구분하여
조치 시행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4. 진단장비

4.1 VLF전원을 공용 사용하여 tanδ, 내전압, PD 측정의 동시시행 가능


4.2 PD 유무의 확인을 위해서는 상전압의 2배를 인가전압으로 하여야 하나 케이블
보호를 위해 계통전압의 1.7배정도를 인가전압으로 하며 절대 3배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면 안됨
※ 불량점 검출 : 칼자국, 절연성 불순물, 도전성 돌기 등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제 2 장 지중케이블 VLF 진단절차


1. V LF TD/P D 진단절차
1.1 업무흐름도
VLF 진단업무 흐름도 Safety Check Point

∙대상기기, 단자 확인
∙차량 안내원 배치
∙보행자 안전조치 : 구획로프(펜
스) 설치
∙작업절차 확인

∙대상기기, 단자 재확인
∙GAS압 등 확인

∙계통부하 확인
∙제어함(현장, 잠금) 조작
∙검전,접지 및 방전 철저
∙HV플러그 충격 금지
∙상 변경 시 복명복창

∙고장임박조건 시 계통분리
∙접속플러그, 엘보커넥터
이물질 부착여부 확인
∙제어함(원격,풀림) 조작
∙작업현장 정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1.2 세부 진단절차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현장 도착 및 작업준비
1) 영업정보시스템 GIS도면 확인 후 현장에 도착한다.
2) 지상개폐기 번호찰 확인 후 배전센터와 최종 작업구간을
1 확인한다.
3) 진단차량 및 장비를 지상개폐기 옆에 위치시킨다.
4) 일반인, 차량 안전통행을 위한 조치로서 라바콘 및
작업 안내표지판을 설치한다.
안전장구 착용 및 안전작업 회의 시행
1) 진단 시행 전 안전장구를 착용한다.
가) 진단 분석가 : 안전화, 안전모
나) 진단 보조자 : 방염복, 안전화, 안전모
2) 진단작업을 위한 작업도구를 준비하고 확인한다.
가) 계 측 기 :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 Multi Tester
2 나) 작업공구 : 조작핀, 렌치, 접속플러그
다) 진단장비 : 방전기, 접지도구, VLF TD/PD
3) 안전작업회의를 시행한다.
가) 계통부하 절체 적정성을 검토한다.
나) 진단작업절차 숙지여부를 확인한다.
다) 안전작업수칙 및 일반인 안전대책을 숙지한다.
- 접근한계거리(90cm) 등

진단구간 지상개폐기 확인 및 외관점검


1) 개폐기 외함문을 열기 전 주위상태
(외부상태, 굴착상태 등)을 검사한다.
2) 배전센터와 연락 후 지상개폐기 외함문을 연다.
3) 회로명찰(방향표시) 및 가스압력 적정유무를 확인한다.
3 가) 조작가능압력 : 압력계 녹색 범위
나) 조작금지압력 : 압력계 적색 범위
※ 제작회사별 조작가능범위 별도 확인 필요
4) 엘보변색, 과열 및 장력발생 여부 확인
※ 특이사항 발생시 배전센터에 연락하고 정밀검사
받은 후 조작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진단구간 부하절체 및 지상개폐기 분리
1) 부하절체 전 배전센터와 배전선로 부하를 확인한다.
2) 진단구간의 부하를 인접 D/L로 배전회선당 기준용량에
적합하게 절체한다.
※ 설계기준(DS-3001) 총칙 5. 배전회선당 기준용량
구 분 기준용량 회선당 운전용량(kVA)
(kVA) 상 시 비상시
일 반 10,000 10,000 14,000
대용량 15,000 15,000 20,000
4 3) 배전센터와 지상개폐기 조작 S/W 재확인 후 분리(OFF)한다.
가) 수동 지상개폐기는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분리(OFF)한다.
나) 자동화 지상개폐기는 배전센터에서 원격 분리(OFF)한다.
4) 원격 분리 후 현장에서 제어함을 현장 및 잠금으로 설정한다.
가) 진단중 배전센터 원격조작 및 제어함 오동작에 의한
돌발 투입(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단중에는 제어함을
현장, 잠금으로 조작한다.
나) 진단작업 종료 후 지상개폐기 환원조작 후 반드시
제어함을 원격, 풀림으로 조작한다.
지상개폐기 엘보 사활유무 확인
1) 지상개폐기 절연마개(절연캡)(K600DRDP)를 분리한다.
※ 비교 Test 및 진단예정 회선과 혼돈방지를 위하여
건전상(활선)의 절연마개(절연캡)(1Φ)도 함께 분리한다.
2)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의 동작여부를 확인한다.
※ 확인방법 : Test Button 누르면 “삑”소리 발생
3)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로 사활유무를 확인한다.
5 ※ 사선상(소리없음) /활선상(“삑”소리 발생)
4) 접속플러그 전압인가 여부를 Multi Tester로 확인
※ 사선상태 : 0.***V이하/활선상태 : 45V~95V 유기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접속플러그 및 엘보커넥터 설치 엘보 분리 (PT )

1) 각 상별 접속플러그(K650BIP)를 분리한다.(렌치사용)
2) 자동화개폐기 제어함 전원공급용 PT가 설치된 엘보
커넥터(K655BLR)는 분리하고 접속플러그로 엘보커넥터를
절연 후 개폐기 부싱에 보호캡을 씌운다.
3) 몰드개폐기는 각 상 엘보를 모두 분리한다.
※ 제조사별 PT설치상 (현장확인 필요)
PT 설치상 제조사
6 인텍(다회로차단기), 보성, 우광,
A상 테크프로, LS산전, 동방, 동양EEC,
정인시스템, 중원전기(구형)
B상 일진, 비츠로, 선일, 중원전기(신형)
C상 인텍, 진광
A,B,C상 신성(기기마다 상이함)
☞ 일반적인 경우이므로 현장에서 재확인 필요

케이블 충전유무 확인
1)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 4단이상 펼친다.
2)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로 접근한계거리를 유지하면서,
7
각 상별 케이블 사활 여부를 재확인
※ 안전작업수칙 : 제3장 309조(충전부에 대한 접근한계거리)
☞ 접근한계거리 : 90cm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6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케이블 충전전류 방전
1) 방전기를 지상개폐기 접지단자에 연결한다.
2) 방전기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의 적정여부를
Multi Tester로 확인한다.
가) 확인방법 : 방전기 양단자를 Multi Tester의
8
저항계로 확인
나) 적정저항 : 10 ~ 20kΩ
3) 방전기로 케이블 충전전류를 각 상별로 방전한다.
4) 엘보커넥터 스터드볼트 또는 케이블 접속단자에
접촉하여 충전전류를 완전히 방전한다.
접속플러그 및 T es t Ro ad 설치
1) 각 상별 TD 및 PD측정을 위하여 조작핀(600-AT)을
사용하여 접속플러그(K650LRTP, K650ETP)를 설치한다.
2) 접속플러그 설치 후 각 상별로 Test Road를 설치한다.
9
3) 조작핀을 시계방향으로 딸깍 소리가 두 번
날 때까지 조여준다.

VLF TD(Tan δ) 진단을 위한 결선 시행


1) TD 진단을 위하여 전원을 확보한다.
※ 인근 Pad.tr 또는 가정용 220V 전원 확보한다.
2) 차량, 진단기기(케이블드럼 등) 외함을 지상개폐기
접지선과 연결하고, 접지선 연결 여부를 철저히 확인한다.
3) VSE(Virtual Safety Earth, 가상보호접지)를 접지선과
10 연결 후 HV(고전압) 플러그를 진단할 지상개폐기
A상 Test Road에 연결한다.
4) 진단기기 결선 시 진행중인 작업은 완전히
마무리한 후 다음 작업을 시행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T D ( T an δ) 진단 프로그램 기동
1) BAUR VLF TD 진단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2) Cable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11

VLF T D ( T an δ) 진단 시행
안전컨트롤러)의 (①)번
1) SCU(Safety Control Unit,
전원스위치를 누른(ON) 후 작동대기버튼(②)을 누른(ON)다.
2) VLF TD 측정을 위하여 전압(①)을 인가(ON)한다.
※ 인가전압 : 6.6kV, 13.2kV, 19.8kV (자동 인가)
3) A상 VLF TD(Tanδ)를 측정한다.
4) A상 TD 측정이 끝나면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컨트롤러)의 고전압차단버튼 (③)을 누른 후
“방전하고 상 바꾸어 주세요”라고 전달하고, 진단
보조자는 복명복창하고 A상 방전 후 Test Road의
HV(고전압) 플러그를 분리하여 B상에 연결한다.
12 5) 판정기준을 참고하여 A상 TD진단값을 진단결과표에
입력한다.
※ 판정기준표

6) 상을 변경하기전 3상을 동시에 방전한다.


7) 동일한 방법으로 B, C상을 진단한다.
8)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정지 스위치(⑥)’를 누른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TD(Tan δ) 진단 종료
1) C상 측정이 끝난 후 고전압차단버튼(③)과
전원스위치 (①)를 OFF하고, 진단기록표에
결과를 입력 후 TD 측정을 종료한다.
2) VSE(Virtual Safety Earth, 가상보호접지)를 철거한다.
13

3) VLF TD 측정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VLF PD 진단을 위한 결선 시행
1) DU80( 방전기) 리드선과 Noise Filter(잡음 여과장치)의
리드선을 교차 연결한다.
2) PD 측정을 위하여 커플링 캐패시터를 설치한다.
3) Calibration(교정)을 위하여 Calibrator를 설치한다.
14

VLF PD 측정 프로그램 기동 및 교정 시행
Calibration( )

1) VLF PD 측정 프로그램 기동한다.


2) Cable 기본 데이터를 확인하고, 필요시 수정한다.
3) 전압 인가 전 케이블 선로길이 및 접속재 확인을 위한
Calibration(교정)을 시행한다.
4)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케이블
시점과 종점이 나오도록 조정한다.
15 5) Calibrator의 방출전하량을 입력한다.
6) 시점과 종점을 확인 후 Start Recording을 눌러 기록한다.
7) 동일한 방법으로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케이블 접속재를 찾아 기록한다.
8) Calibration(교정)을 종료하고, SCU(Safety Control
Unit,안전컨트롤러)의 (①)번 전원스위치를 누른(ON)후
Calibrator를 분리하고, 진단분석가가 육안확인 후
차량내 충격이 없는 곳에 보관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PD 진단 시행
1) PD 측정 전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파형에 노이즈가 없도록 설정한다.
※ 조정방법 :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신호양호도(③)가 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2)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컨트롤러)의 (①)번
전원스위치와 작동대기버튼(②)을 누른(ON) 후
Start Generation(ⓐ) 버튼을 누른다.
16 3) VLF PD 측정 프로그램의 (ⓑ)를 상하로
조정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 인가전압 : 13.2kV, 16.5V, 19.8kV, 23.1(수작업으로 인가)
4) A상 VLF PD를 측정하고 진단결과표에 기록한다.
※ PD 판정기준표
시험전압 판정기준 조치사항
① 1.0 U0

② 1.25 U0

초과시
500pC 고장임박조건에
준하여 조치
③ 1.5 U0

④ 1.75 U0

VLF PD 진단 종료
1) A 상 PD 측정이 끝나면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컨트롤러)의 고전압차단버튼(③)을 누른 후
“방전하고 상 바꾸어 주세요”라고 전달하고, 진단
보조자는 복명복창하고 A상 방전 후 Test Road의
HV(고전압) 플러그를 분리하여 B상에 연결한다.
2) 진단분석가는 작동대기버튼(②)을 누른(ON) 후
17 “16”항과 동일하게 B, C상 VLF PD를 측정한다.
3) 최종상(C상) 측정이 끝나면 안전컨트롤러의 고전압
차단버튼(③) 및 전원스위치(①)를 OFF하여 PD
측정을 종료한다.
4) 3상을 모두 방전기로 방전한다.
5) 커플링 캐패시터를 철거한다.
6) B, C상 VLF PD를 측정값을 진단결과표에 기록한다.
7) VLF PD 측정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개폐기 엘보 재접속
1) 접속플러그 및 Test Road를 철거한다.
2) 접속플러그 및 절연마개(절연캡)를 설치한다.
18 3) 엘보커넥터(PT설치 엘보)를 개폐기 부싱에 연결한다.
※ 엘보커네터 및 접속플러그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
4) 측정치 분석 및 데이터 저장이 완료된 후 전원을
철거한다.
지상개폐기 투입 및 계통 환원
1) 배전센터와 연락 후 지상개폐기를 투입(ON)한다.
2) 열화상태가 극히 불량(고장임박 조건)하여 계통에서
19 분리할 경우 배전센터와 협의 후 자동화 지상개폐기
제어함 조작판을 현장, 잠금으로 조작한다.
3) 배전센터 계통조작화면에는 계통분리한 개폐기 양측에
분리내용을 Memo한다.
VLF T D / PD 진단장비 철거 및 현장정리
1) PD측정 종료 후 차량에 진단장비를 원위치로 배치한다.
2) 각종 안전 표지판 등을 진단차량에 적재하고, 주변현장을
20

정리 정돈 한다.

진단실적 통보 및 입력
1) 진단결과를 해당 사업소에 보고서 작성 후 문서로
21
통보한다.
2) 진단결과는 배전설비 진단시스템에 입력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 V LF 내전압시험 절차
2.1 업무흐름도
업무 흐름도 Safety Check Point

∙대상기기, 단자 확인
∙차량 안내원 배치
∙보행자안전조치 : 구획로프(펜스) 설치
∙작업절차 확인

∙대상기기, 단자 재확인
∙GAS압 등 확인(5PSIG이상)
∙계통부하 확인
∙제어함(현장, 잠금) 조작
∙검전,접지 및 방전 철저

∙HV플러그 충격 금지

∙불량시 재시공

∙접속플러그, 엘보커넥터
이물질 부착여부 확인
∙제어함(원격,풀림) 조작
∙작업현장 정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2.2 세부 진단절차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현장 도착 및 작업준비
1) 영업정보시스템 GIS도면 확인 후 현장에 도착한다.
2) 지상개폐기 번호찰 확인 후 배전센터와 최종 작업구간을
확인한다.
1 ※ 단, 미인수설비로 가압전 선로일 경우 감독자와
최종 작업구간을 확인한다.
3) 진단차량 및 장비를 지상개폐기 옆에 위치시킨다.
4) 일반인, 차량 안전통행을 위한 조치로서 라바콘 및
작업 안내표지판을 설치한다.
진단 시작전 안전장구 착용 및 안전작업 회의 시행
1) 진단 시행 전 안전장구를 착용한다.
가) 진단 분석가 : 안전화, 안전모
나) 진단 보조자 : 방염복, 안전화, 안전모
2) 진단작업을 위한 작업도구를 준비하고 확인한다.
가) 계 측 기 :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 Multi Tester
2 나) 작업공구 : 조작핀, 렌치, 접속플러그
다) 진단장비 : 방전기, 접지도구, VLF TD/PD
3) 안전작업회의를 시행한다.
가) 계통부하 절체 적정성을 검토한다.
나) 진단작업절차 숙지여부를 확인한다.
다) 안전작업수칙 및 일반인 안전대책을 숙지한다.
- 접근한계거리(90cm) 등
진단구간 지상개폐기 확인 및 외관검사
1) 개폐기 외함문을 열기 전 주위상태
(외부상태, 굴착상태 등)을 검사한다.
2) 배전센터와 연락 후 지상개폐기 외함문을 연다.
3) 회로명찰(방향표시) 및 가스압력 적정유무를 확인한다.
3 가) 조작가능압력 : 압력계 녹색 범위(5PSIG이상)
나) 조작금지압력 : 압력계 적색 범위(2PSIG미만)
※ 제작회사별 조작가능범위 별도 확인 필요
4) 엘보변색, 과열 및 장력발생 여부 확인
※ 특이사항 발생시 배전센터에 연락하고 정밀검사
받은 후 조작(미가압 선로는 감독자와 협의)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진단구간 부하절체 및 지상개폐기 분리
1) 부하절체 전 배전센터와 배전선로 부하를 확인한다.
2) 진단구간의 부하를 인접 D/L로 배전회선당 기준용량에
적합하게 절체한다.
※ 설계기준(DS-3001) 총칙 5. 배전회선당 기준용량
구 분 기준용량 회선당 상 시
운전용량
비상시
(kVA)

일 반
(kVA)

대용량
10,000 10,000 14,000

15,000 15,000 20,000

3) 배전센터와 지상개폐기 조작 S/W 재확인 후 분리(OFF)한다.


4
가) 수동 지상개폐기는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분리(OFF)한다.
나) 자동화 지상개폐기는 배전센터에서 원격 분리(OFF)한다.
4) 원격 분리 후 현장에서 제어함을 현장 및 잠금으로 설정한다.
가) 진단중 배전센터 원격조작 및 제어함 오동작에 의한
돌발 투입(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단중에는 제어함을
현장, 잠금으로 조작한다.
나) 진단작업 종료 후 지상개폐기 환원조작 후 반드시
제어함을 원격, 풀림으로 조작한다.
지상개폐기 엘보 사활유무 확인
1) 지상개폐기 절연마개(절연캡)(K600DRDP)를 분리한다.
※ 비교 Test 및 진단예정 회선과 혼돈방지를 위하여
건전상(활선)의 절연마개(절연캡)도 함께 분리한다.
2)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의 동작여부를 확인한다.
※ 확인방법 : Test Button 누르면 “삑”소리 발생
3)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로 사활유무를 확인한다.
5 ※ 사선상(소리없음) /활선상(“삑”소리 발생)
4) 접속플러그 전압인가 여부를 Multi Tester로 확인
※ 사선상태 : 0.***V이하/활선상태 : 45V~95V 유기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접속플러그 및 엘보커넥터 설치 엘보 분리 (PT )

1) 각 상별 접속플러그(K650BIP)를 분리한다.(렌치사용)
2) 자동화개폐기 제어함 전원공급용 PT가 설치된 엘보
커넥터(K655BLR)는 분리하고 접속플러그로 엘보커넥터를
절연 후 개폐기 부싱에 보호캡을 씌운다.
3) 몰드개폐기는 각 상 엘보를 모두 분리한다.
※ 제조사별 PT설치상 (현장확인 필요)
6 설치상 제조사
인텍 다회로차단기 동양보성구형우광 테크프로
PT

상 A 산전 동방중원전기
(
LS 정인시스템
, ,
),
EEC,
, ,
,
,

상 일진 비츠로 선일 중원전기 신형
( )

상 인텍 진광
B , , , ( )

상 신성 기기마다 상이함
C ,

A,B,C ( )

☞ 일반적인 경우이므로 현장에서 재확인 필요

케이블 충전유무 확인
1)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 4단이상 펼친다.
2)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로 접근한계거리를 유지하면서,
7 각 상별 케이블 사활 여부를 재확인 한다.
※ 안전작업수칙 : 제3장 309조(충전부에 대한 접근한계거리)
☞ 접근한계거리 : 90cm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케이블 충전전류 방전
1) 방전기를 지상개폐기 접지단자에 연결한다.
2) 방전기의 내부에 설치된 저항의 적정여부를
Multi Tester로 확인한다.
가) 확인방법 : 방전기 양단자를 Multi Tester의
8
저항계로 확인
나) 적정저항 : 10 ~ 20kΩ
3) 방전기로 케이블 충전전류를 각 상별로 방전한다.
4) 엘보커넥터 스터드볼트 또는 케이블 접속단자에
접촉하여 충전전류를 완전히 방전한다.
9-1 【직렬연결을 통한 상동시 내전압 시험 3 】 상간열결장치활용

상간연결장치 설치 및 각상 직렬화 결선 시행
1) 진단하고자 하는 기기측 단자에 상간연결장치 3개를
각상에 설치한다.
2) 진단하는 기기 반대측(케이블 부하측) 단자에 상간연결
장치 2개를 A상, B상에 설치한다.
3) 상간연결장치의 부직포 및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상간
전원측 부하측

가 연결장치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4) 3상을 직렬화 하기 위해, 진단기기측에는 B,C상에
진단반대측(케이블 부하측)에는 A,C상을 단락시킨다.

VLF 내전압 시험을 위한 결선 시행


1) 내전압 시험을 위하여 전원을 확보한다.
※ 인근 Pad.tr 또는 가정용 220V 전원 확보한다.
2) 차량, 진단기기(케이블드럼 등) 외함을 지상개폐기
나 접지선과 연결하고, 접지선 연결 여부를 철저히 확인한다.
3) VSE(Virtual Safety Earth, 가상보호접지)를 접지선과
연결 후 HV(고전압) 플러그를 진단할 지상개폐기
A상 연결장비에 연결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7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9-2 【병렬연결을 통한 상동시 내전압 시험 3 】 3상일괄진단연결장치활용
접속플러그 설치 및 각상 병렬화 결선 시행
1) 진단하고자 하는 기기측 단자에 접속플러그 3개를
각상에 설치한다.
2) 접속플러그 설치 후 각 상별로 Test Road를 설치한다.
3) 조작필을 시계방향으로 딸각 소리가 두 번 날때까지
가 조여준단
4) 3상을 병렬화 하기 위해, 진단기기측에 3상연결장치를
설치하여 병렬연결을 시행한다.

VLF 내전압 시험을 위한 결선 시행


1) 내전압 시험을 위하여 전원을 확보한다.
※ 인근 Pad.tr 또는 가정용 220V 전원 확보한다.
2) 차량, 진단기기(케이블드럼 등) 외함을 지상개폐기
나 접지선과 연결하고, 접지선 연결 여부를 철저히 확인한다.
3) VSE(Virtual Safety Earth, 가상보호접지)를 접지선과
연결 후 HV(고전압) 플러그를 진단할 지상개폐기
A상 연결장비에 연결한다.

VLF 내전압시험 프로그램 기동


1) BAUR VLF TD 진단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2) Cable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10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내전압시험 시행
1)환경설정에서 케이블 시험전압 입력
※ 시험전압은 장비의 안전화를 위하여 STEP별로 입력한다.
분→
: 13. 2 kV 1 분→
2 6. 4k V 1 분
39 . 6k V 60

2)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컨트롤러)의 (①)번


전원스위치를 누른(ON) 후 작동대기버튼(②)을 누른(ON)후
VLF 내전압시험을 위하여 HV인가버튼을 누른다.
※ 지상개폐기 1번단자, 4번단자 내전압시험시 지상
기기 외함과 절연거리 확보를 위한 절연판 또는
11
절연고무판 설치후 시험

1번단자 4번단자

3) VLF 내전압시험을 진행한다.

VLF 내전압시험 종료
1) 내전압시험이 끝나면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
컨트롤러 )의 고전압차단버튼(③)을 누른 후
“방전해 주세요”라고 전달하고, 진단보조자는 복명복창
하고 방전 후 HV(고전압) 플러그를 분리한다.
2) 전원스위치 (①)를 OFF하고, 내전압시험을 종료한다.
12 3) VLF 내전압 결과를 결과표에 기록한다.
4) VLF 측정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5) 진단장비를 철거한다.
※ VLF 내전압시험 중 절연파괴 발생시 상간연결장치
또는 3상일괄진단연결장치를 분리한 후 불량 상만을
내전압시험을 재시행하여 불량개소를 최종 확인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개폐기 엘보 재접속
1) 접속플러그 및 상간연결장치(또는 Test Road)를 철거
한다.
2) 접속플러그 및 절연마개(절연캡)를 설치한다.
3) 엘보커넥터(PT설치 엘보)를 개폐기 부싱에 연결한다.
13

※ 엘보커넥터 및 접속플러그에 부착된 이물질 제거


4) 측정치 분석 및 데이터 저장이 완료된 후 전원을
철거한다.
지상개폐기 투입 및 계통 환원
1) 배전센터와 연락 후 지상개폐기를 투입(ON)한다.
2) 열화상태가 극히 불량(고장임박 조건)하여 계통에서
14 분리할 경우 배전센터와 협의 후 자동화 지상개폐기
제어함 조작판을 현장, 잠금으로 조작한다.
3) 배전센터 계통조작화면에는 계통분리한 개폐기 양측에
분리내용을 Memo한다.

VLF T D / PD 진단장비 철거 및 현장정리


1) PD측정 종료 후 차량에 진단장비를 원위치로 배치한다.
2) 각종 안전 표지판 등을 진단차량에 적재하고, 주변현장을
15

정리 정돈 한다.

진단실적 통보 및 입력
1) 진단결과를 해당 사업소에 보고서 작성 후 문서로
16
통보한다.
2) 진단결과는 배전설비 진단시스템에 입력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 By - Pas s Ca bl e V LF 진단절차
3.1 업무흐름도
VLF 진단업무 흐름도 Safety Check Point

∙진단케이블 확인
∙차량 안내원 배치
∙보행자안전조치 : 구획로프(펜스) 설치

∙작업절차 확인

∙상 변경 시 복명복창

∙작업현장 정리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3.2 세부 진단절차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현장 도착 및 작업준비
1) 사전에 진단장소를 확인한다.
2) 진단차량 및 장비를 진단장소에 위치시킨다.
3) 일반인, 차량 안전통행을 위한 조치로서 라바콘 및
1

작업 안내표지판을 설치한다.

안전장구 착용 및 안전작업 회의 시행
1) 진단 시행 전 안전장구를 착용한다.
가) 진단 분석가 : 안전화, 안전모
나) 진단 보조자 : 방염복, 안전화, 안전모
2) 진단작업을 위한 작업도구를 준비하고 확인한다.
가) 계 측 기 : 다전압 휴대용 검전기, Multi Tester
2
나) 작업공구 : 조작핀, 렌치, 접속플러그
다) 진단장비 : 방전기, 접지도구, VLF TD/PD
3) 안전작업회의를 시행한다.
가) 진단작업절차 숙지여부를 확인한다.
나) 안전작업수칙 및 일반인 안전대책을 숙지한다.
- 활선작업거리(75cm) 등

중간 및 입상 엘보케이블 포설
,

1) 케이블 보호용 비닐을 편다


2) 중간케이블을 꼬임없이 Zigzag로 포설한다
3) 중간케이블 양 끝에 엘보케이블 및 입상케이블 포설
- 좌측 : 엘보케이블
3 - 우측 : 입상케이블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입상케이블 설치
1) 매달기나 조작봉 등을 이용하여 입상케이블을 고정한다.
(이때 절연유지가 가능토록 설치)
2) 스커트 위쪽 적색 케이블과 본 케이블 충분한 이격 유지

엘보케이블 설치
1) VLF 리드선 연결이 용이하도록 낮은 위치에 절연
5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한다.

중간접속용 접속재 준비
1) 중간접속을 위해 중간접속용 접속부와 보호함을 준비
6
한다

중간접속
1) 중간케이블 양측에 접속재를 이용하여 엘보케이블
및 입상케이블을 각각 접속한다.
7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접지선 설치
8 1) 접지는 접지동봉을 설치하거나 전주 접지선을 이용
하여 연결한다

엘보케이블에 L RT P 취부
1) LRTP 양측 세척(솔벤트)
2) 엘보 삽입 측 실리콘그리스 도포
3) 엘보와 LRTP 연결
4) Stud Bolt 취부

엘보 차페 편조선 접지처리
1) PD 진단시 귀로 차폐선 저항 감소 방지를 위해 엘보
차폐선에 굵은 편조선을 감아서 구출
10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6/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TD(Tan δ) 진단을 위한 결선 시행
1) TD 진단을 위하여 전원을 확보한다.
※ 인근 Pad.tr 또는 가정용 220V 전원 확보한다.
2) 차량, 진단기기 외함을 접지선과 연결하고, 접지선 연결
여부를 철저히 확인한다.
3) VSE(Virtual Safety Earth, 가상보호접지)를 접지선과
연결 후 HV(고전압) 플러그를 진단할 엘보케이블 차폐
접지선에 연결한다.
4) 진단기기 결선 시 진행중인 작업은 완전히 마무리한
11

후 다음 작업을 시행한다.

VLF TD 진단을 위한 접지선 연결


1) VLF시스템 접지선 연결
2) 엘보케이블 차폐 접지선 연결
12

VLF T D ( T an δ) 진단 프로그램 기동
1) BAUR VLF TD 진단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2) Cable 기본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한다.

13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7/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T D ( T an δ) 진단 시행
안전컨트롤러)의 (①)번
1) SCU(Safety Control Unit,
전원스위치를 누른(ON) 후 작동대기버튼(②)을 누른(ON)다.
2) VLF TD 측정을 위하여 전압(①)을 인가(ON)한다.
※ 인가전압 : 6.6kV, 13.2kV, 19.8kV (자동 인가)
3) A상 VLF TD(Tanδ)를 측정한다.
4) A상 TD 측정이 끝나면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컨트롤러)의 고전압차단버튼 (③)을 누른 후
“방전하고 상 바꾸어 주세요”라고 전달하고, 진단
보조자는 복명복창하고 A상 방전 후 Test Road의
14 HV(고전압) 플러그를 분리하여 B상에 연결한다.
5) 판정기준을 참고하여 A상 TD진단값을 진단결과표에
입력한다.
※ 판정기준표(IEEE P400.2/D11 EPR Cable 기준적용)
측정결과 판정기준
Uo<35, DTD<5, STDEV<0.1 정 상
≤ ≤
35 Uo 120, 5≤ DTD ≤ 100, 0.1 ≤ ≤
STDEV 1.3 요주의
Uo>120, DTD>100, STDEV>1.3 불 량
6) 상을 변경하기전 3상을 동시에 방전한다.
7) 동일한 방법으로 B, C상을 진단한다.
8) 비상상황 발생시 ‘비상정지 스위치(⑥)’를 누른다.

VLF TD(Tan δ) 진단 종료
1) C상 측정이 끝난 후 고전압차단버튼(③)과
전원스위치 (①)를 OFF하고, 진단기록표에
결과를 입력 후 TD 측정을 종료한다.
15 2) VSE(Virtual Safety Earth, 가상보호접지)를 철거한다.
3) VLF TD 측정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8/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PD 진단을 위한 결선 시행
1) DU80( 방전기) 리드선과 Noise Filter(잡음 여과장치)의
16 리드선을 교차 연결한다.
2) PD 측정을 위하여 커플링 캐패시터를 설치한다.
3) Calibration(교정)을 위하여 Calibrator를 설치한다.

VLF PD 진단을 위한 접지선 연결


1) VLF 시스템 접지선 연결
2) Capacitor 접지선 연결
17

3) 엘보케이블 차폐 접지선을 Capacitor 접지단자에 연결

VLF PD 측정 프로그램 기동 및 교정 시
Calibration( )


1) VLF PD 측정 프로그램 기동한다.
2) Cable 기본 데이터를 확인하고, 필요시 수정한다.
3) 전압 인가 전 케이블 선로길이 및 접속재 확인을 위한
Calibration(교정)을 시행한다.
※ 81.8 → 79 이하로 줄여가며 화면상 거리가 실선로길이가
될 때까지 조정한다.
4)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케이블
18
시점과 종점이 나오도록 조정한다.
5) Calibrator의 방출전하량을 입력한다.
6) 시점과 종점을 확인 후 Start Recording을 눌러 기록한다.
7) 동일한 방법으로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케이블 접속재를 찾아 기록한다.
8) Calibration(교정)을 종료하고, SCU(Safety Control
Unit,안전컨트롤러)의 (①)번 전원스위치를 누른(ON)후
Calibrator를 분리하고, 진단분석가가 육안확인 후
차량내 충격이 없는 곳에 보관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89/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PD 진단 시행
1) PD 측정 전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파형에 노이즈가 없도록 설정한다.
※ 조정방법 : Gain(①) 및 Trigger(②)를 조정하여
신호양호도(③)가 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2)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컨트롤러)의 (①)번
전원스위치와 작동대기버튼(②)을 누른(ON) 후
Start Generation(ⓐ) 버튼을 누른다.
19 3) VLF PD 측정 프로그램의 (ⓑ)를 상하로
조정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 인가전압 : 13.2kV, 16.5V, 19.8kV, 23.1(수작업으로 인가)
4) A상 VLF PD를 측정하고 진단결과표에 기록한다.
※ PD 판정기준표
시험전압 판정기준 조치사항
① 1.0 U0

② 1.25 U0

초과시
500pC 고장임박조건에
준하여 조치
③ 1.5 U0

④ 1.75 U0

VLF PD 진단 종료
1) A상 PD 측정이 끝나면 SCU(Safety Control Unit,
안전컨트롤러)의 고전압차단버튼(③)을 누른 후
“방전하고 상 바꾸어 주세요”라고 전달하고, 진단
보조자는 복명복창하고 A상 방전 후 Test Road의
HV(고전압) 플러그를 분리하여 B상에 연결한다.
2) 진단분석가는 작동대기버튼(②)을 누른(ON) 후
20 “나”항과 동일하게 B, C상 VLF PD를 측정한다.
3) 최종상(C상) 측정이 끝나면 안전컨트롤러의 고전압
차단버튼(③) 및 전원스위치(①)를 OFF하여 PD
측정을 종료한다.
4) 3상을 모두 방전기로 방전한다.
5) 커플링 캐패시터를 철거한다.
6) B, C상 VLF PD를 측정값을 진단결과표에 기록한다.
7) VLF PD 측정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90/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순번 세부 진단절차 사진

VLF T D / PD 진단장비 철거 및 현장정리


1) PD측정 종료 후 차량에 진단장비를 원위치로 배치한다.
2) 각종 안전 표지판 등을 진단차량에 적재하고, 주변현장을
21

정리 정돈 한다.

진단실적 통보 및 입력
1) 진단결과를 해당 사업소에 보고서 작성 후 문서로
22
통보한다.
2) By-pass cable 진단결과는 별도로 Data를 관리한다.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91/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1>
VLF 진단장비 개요
○ 장 비 명 : VLF 케이블 진단장비
○ 진단원리
▫ VLF TD 진단 원리
⇒ 케이블은 Capacitor로서 교류전원을 인가했을 때 전압-전류간 위상차가 발생
하며, 이상적인 경우 capacitor의 영향으로 90°의 위상각을 나타냄
⇒ 열화상태에 따라 케이블의 저항성분과 정전용량성분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압-전류간 위상의 변화(tanδ)가 발생하여 이를 측정하는 원리
▫ VLF PD 진단 원리
⇒ 케이블의 국부적인 결함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을 측정하여 불량여부 판단
※ 국부결함 : 절연체 내부/계면의 Void, 절연체 내부 이물질

XP

○ 제조사 : BAUR / Austria


○ 판매사
- (주)파워앤솔루션 / 서울시 구로구 구로3동 191-7 에이스테크노타워8차 1005호
- TEL 02-573-5670, www.pands.co.kr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92/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2>
2012.01.11(수) 보고 문서번호 광전 A1201-001-01 팀원 팀장
광주전남본부 진단팀 Sub 광전 A1118-052-00

지중케이블 VLF 진단결과 분석보고서


▣ 진단 정보 진 단 일 시 : 2012 년 1 월 3 일 14:30
▪ 1차 사 업 소 : 대구경북본부 맑음 흐림 비 눈
▪ 기 상 상 태 :
동대구지점
, , ,

▪ 2차 사 업 소 : ▪ 온도 / 습도 : ℃ / 37 %
동대구 역 광장 내 지상개폐기 변압기 구간
8

▪ 진 단 지 역 : ~

▣ 설비 정보 변전소명 : 서초 DL명 : 양지
상구분 선종 규격 제조사 제조년 시점 종점 접속점 긍장(m)
▪A상 대한전선 NDIS
▪B상
TR CNCV-W 325 1993 SW MH 3
1,612

▪ C상 Calibration
3
3 2 -2 - ① 4 3 -2 -2
3 1,588

▣ VLF TD - Time Stability 시험전압 : 1.0U0, 단위 : 10


-3
불량 : > 0.5, 정상 : < 0.1
상구분 1st 2nd 3rd 4th 5th 6th 7th 8th Skirt Mean STDEV
▪ A상
▪B상
9.230 1.236 1.215 1.165 1.897 1.857 1 .4 5 6 1 .2 4 5 0.031 1.585 0.325

▪ C상
▣ VLF TD - Time Stability 시험전압 : 1.0U0, 단위 : 10
-3
미정
상구분 1st 2nd 3rd 4th 5th 6th 7th 8th Skirt Mean STDEV
▪ A상
▪B상
11.024 1.236 1.215 1.165 1.897 1.857 1.456 1.245 0.031 1.585 0.325

▪ C상
▣ VLF Differential TD DTD : 불량 : > 1.0, 정상 : < 0.5
시점 1st 2nd 3rd 4th 5th 종점
상구분 0.5U0 1.5U0 DTD

▪ A상
접 거리 210m 590m 875m 1,025m 1,320m 1,588m

▪B상
1 .4 5 6 1 .8 6 7 0.125 0 587 1,089 24 0 0 0

▪ C상
PD

▣ VLF PD (cable) 권장 SD(전압유지시간): 3분, FD(최종전압유지시간): 20분


상구분 1.0U0 1.25U0 1.5U0 1.75U0 Step Duration Final Duration Inception Time
▪ A상
▪B상
245 252 264 269 3 30 24

▪ C상
0 0 0 0 3 30 -

▣ 종합 평가
○ 진단담당 : (인)
○ 분석담당 : (인)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93/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94/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3>
VLF 진단차량 운전자 PMIS Self-Test check List

사 업 소 ○○본부 ○○지점
: 일시 : 20 . . .

작업장소 ○○간 호 ○○간 호


: 10 0 ~ 19 0

작업내용 가공설비 열화상 초음파 진단


: ,

구 분 체 크 항 목 판정결과 비 고
음주 여부(※) 유․무
신체적(P) 약물복용(수면제 등) 여부(※) 유․무
요소
혈색 등 신체상태 육안 확인시 이상 유무 유 ․ 무
본인의 설비진단 시행 의지(※) 유․무
정신적(M) 가정사 등으로 인한 Stress 여부 유․무
요소 이해관계 등으로 심적 고통 유․무
사고현장 목격, 꿈 등으로 인한 심적 위축감 유 ․ 무
지성적(I) 작업사항 숙지 여부 유․무
요소 관련 안전작업수칙 숙지 여부 유․무
감성적(S) 충분한 숙면 여부 유․무
요소 (신체, 감성,바이오리듬 이상유무
지성리듬이모두위험기이면이상유) 유 ․ 무
기타
☞ (※)표시된 음주․약물복용(수면제 등) 적발 및 작업자 스스로 진단업무가
불가하다고 판단할 경우 진단업무 금지
☞ 기타 요소의 경우 설비진단 담당 부서장과 면담을 통해 작업시행 여부결정
최종판정 □가 능 □ 불가능
( 설비진단수행 )

설비진단자 : ( 인 )

담당부서장 : ( 인 )
업무표준 No H0-기공-절차-0049
배전기자재 예방진단 절차서 개정․ 페이지 0 195/195
배전운영처 (Prevention Diagnosis of SOP)
제․ 개정일자 2014. 3. 31

< 붙임 4>
차량 안전운전 Check List

구 분 주요 Check 사항 확인

운전원 1. 신체적 피로여부 : 눈 충혈, 전일 과음, 약물복용(감기약) 등 □


2. 정신적 및 심리적 불안 여부 등 □
상태점검 3. 운전경험 부족에 의해 불안 여부 등 □
1. 오 일 : 엔진오일의 양 및 호스의 손상여부 □
2. 라지에터 : 냉각수의 양 및 호스의 손상여부 □
3. 엔 진 : 엔진음 확인, 벨트마모, 균열상태, 오일상태 □
4. 배 터 리 : 배터리 액량, 부식상태 □
차량점검 5. 타 이 어 : 타이어 공기압, 전열손상, 이상마모 □
6. 와 이 퍼 : 와이퍼의 작동상태, 워셔액 □
7. 브레이크 : 브레이크의 액량 및 움직임, 주차브레이크 당김량 □
8. 안전장구 : 폭우, 안개, 도로결빙 등에 따른 관련장구 탑재 □
1. 운전석 점검 : 핸들위치, 높낮이, 등받이각도 등 □
2. 안전띠 착용 : 안전띠가 목부위를 감싸지 않도록 조절 □
3. 실내 후사경 및 사이드 미러 조절 :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 □
운행전 4. 계기판 확인 : 연료, 엔진오일, 방전, ABS경고등 □
필수점검 5. 브레이크 및 크러치 : 브레이크 3~10㎜, 크러치 5~15㎜ □
6. 전기장치 : 전조등, 방향지시등, 미등 정상 작동여부 □
7. 핸들 이상유무 및 차량문 잠금상태 확인 □
1. 방어운전 : 시선은 멀리, 시야는 최대 확보, 안전거리 유지
2. 곡선도로 : 천천히 진입, 빠른 통과 (Slow-in Fast-out)
3. 교 차 로 : 신호준수, 신호주기 예측후 서행 통과
4. 언 덕 길 : 서행, 차간거리 유지, 오르막 및 내리막 같은 기어 사용
안전운전 5. 빗 길 : 전조등 켜기, 속도 20% 감속, 차간거리 평소 2배 이상 유지
요 령 6. 안 개 길 : 전조등․안개등 켜기, 속도 50%감속, 차간거리 유지
7. 주행중 펑크 : 브레이크 사용금지, 엔진브레이크 사용하여 정지
8. 눈길(빙판길) : 전조등 켜기, 속도 20~50% 감속, 저단기어 사용
9. 주행중 엔진정지 : 브레이크를 평소보다 세게 밟음, 저단기어 사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