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1-1-1.

유리수와 순환소수

중2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19-02-21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때, 필요한 식


대표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

1.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 -  의 거듭제곱 이용


(i) 순환소수를  로 놓는다.
1. zb1 )

순환소수    를 분수로 나타낼 때, 다음 중

(ii) 양변에 10의 거듭제곱 중 적당한 수를 곱해서 소수 부분이


가장 간단한 계산식은?
같은      
두 식을 만든다.
     
(iii) 두 식을 변끼리 빼서  를 구한다.
  

2.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 - 공식 이용


(i) 분모는 순환마디의 숫자의 개수만큼  를 쓰고, 그 뒤에 소수

아래 순환마디에 포함되지 않는 숫자의 개수만큼  을 쓴다.
(ii) 분자는 전체의 수에서 순환하지 않는 부분의 수를 뺀다.

순환소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모두 유리수이다.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1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때, 필요한 식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치는 과정


★☆☆ ★★☆

2. zb2 ) 다음 중 순환소수를  라 하고 그 순환소수를 분 3. zb3 )



다음은 순환소수   를 분수로 고치는 과정을
수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식을 바르게 연결 나타낸 것이다. ⓐ~ⓔ의 값을 구한 것 중 옳은 것
한 것은? 은?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  ⓔ

따라서   를 분수로 나타내면 ⓔ 이다.
ⓐ  ⓑ 
ⓒ  ⓓ 

ⓔ 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2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리의 숫자 구하기 유형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리의 숫자 구하기


★★☆ ★★☆

4. 
분수  을 소수로 나타낼 때, 다음 물음에 답하 5. zb5 ) 순환소수  의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
zb4 )

숫자는?
시오.
  
(1) 순환소수로 나타내시오.
 

(2)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시오.

◎ 채점기준
(1) 순환소수로 나타내기 점
(2)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숫자 구하기 점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3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리까지의 숫자의 합 유형 순환소수가 되도록 하는 미지수의 값 구하기


★★★ ★★☆

6. 
분수  을 소수로 나타낼 때, 소수점 아래  번 7. 분수 

을 소수로 나타내면 순환소수로
  ×  × 
zb6 ) zb7 )

째 자리까지 나타나는 숫자의 합은? 나타내어진다.  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 의 값


   이 될 수 있는 수를 모두 더하면?

    
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4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 ★☆☆

8. zb8 ) 다음 중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낸 것으로 옳은 9. zb9 ) 순환소수  을 분수로 나타내면?
것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5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순환소수에 적당한 수를 곱하여 유한소수 만 유형 분자 또는 분모를 잘못 본 경우


유형
들기 ★★★
★★☆
11.기하와 수리는 기약분수를 소수로 나타내는데,
10.
zb1 1 )

 이  ≤  ≤  인 자연수일 때, 순환소수  


기하는 분모를 잘못 봐서   이 나왔고, 수리는 분
zb1 0 )

 
와 분수  에  을 곱하면 유한소수가 된다고 한 자를 잘못 봐서  가 나왔다. 처음 기약분수를 순

환소수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다. 이때  의 개수는?
  
개 개 개     
개 개 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6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가 포함된 식의 계산 유형 두 분수 사이에 있는 유한소수의 개수


★★☆ ★★★

12. 일차방정식     의 해를 구하고자 한


13.      
 개의 분수  ,  ,  ,  , …,  ,  을 소
zb1 2 )

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zb1 3 )

수로 나타낼 때,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는


(1)  의 값을 구하시오.
모두 몇 개인가?

 개  개  개
 개  개
(2)  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시오.

◎ 채점기준
(1)  의 값 구하기 점
(2)  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기 점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7 -
1-1-1.유리수와 순환소수

중2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
1) 제작연월일 : 2019-02-21
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
2) 제작자 : 교육지대㈜
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때, 필요한 식


대표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

1.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 -  의 거듭제곱 이용


(i) 순환소수를  로 놓는다.
1. 
순환소수    를 분수로 나타낼 때, 다음 중

(ii) 양변에 10의 거듭제곱 중 적당한 수를 곱해서 소수 부분이


가장 간단한 계산식은?
같은      
두 식을 만든다.
     
(iii) 두 식을 변끼리 빼서  를 구한다.
  

2.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방법 - 공식 이용


(i) 분모는 순환마디의 숫자의 개수만큼  를 쓰고, 그 뒤에 소수

아래 순환마디에 포함되지 않는 숫자의 개수만큼  을 쓴다.
(ii) 분자는 전체의 수에서 순환하지 않는 부분의 수를 뺀다.

순환소수는 분수로 나타낼 수 있으므로 모두 유리수이다.

[정답]
양변에 10의 거듭제곱 중 적당한 수를 곱해서
소수 부분이 같은 두 식을 만든다.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8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낼 때, 필요한 식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치는 과정


★☆☆ ★★☆

2. 다음 중 순환소수를  라 하고 그 순환소수를 분 3. 
다음은 순환소수   를 분수로 고치는 과정을
수로 나타내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식을 바르게 연결 나타낸 것이다. ⓐ~ⓔ의 값을 구한 것 중 옳은 것
한 것은? 은?

 ⇒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하면 ⓒ  ⓓ
∴  ⓔ

따라서   를 분수로 나타내면 ⓔ 이다.
ⓐ  ⓑ 
ⓒ  ⓓ 

ⓔ 


[정답]
양변에 10의 거듭제곱 중 적당한 수를 곱해서
소수 부분이 같은 두 식을 만든다.
  
[정답]
  
 
   ⓐ  ⓒ  ⓓ  ⓔ  
 
 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9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리의 숫자 구하기 유형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리의 숫자 구하기


★★☆ ★★☆

4. 
분수  을 소수로 나타낼 때, 다음 물음에 답하 5. 순환소수  의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
숫자는?
시오.
  
(1) 순환소수로 나타내시오.
 

(2)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구하시오.

◎ 채점기준
(1) 순환소수로 나타내기 점
(2)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숫자 구하기 점

[정답] ⑴  ⑵ 
[정답]

(1)    ⋯   는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서 순환마디가

시작되고 순환마디의 숫자의 개수는  개다.
(2)    ×    이므로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     ×    이므로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숫자는 순환마디의  번째 숫자와 같은  이다.
숫자는 순환마디  의  번째 자리의 숫자인  이다.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10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리까지의 숫자의 합 유형 순환소수가 되도록 하는 미지수의 값 구하기


★★★ ★★☆

6. 
분수  을 소수로 나타낼 때, 소수점 아래  번 7. 분수 

을 소수로 나타내면 순환소수로
  ×  × 
째 자리까지 나타나는 숫자의 합은? 나타내어진다.  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 의 값
   이 될 수 있는 수를 모두 더하면?

    
 

[정답]

   이므로 순환마디가  이다.

   ×   이므로 순환마디가  번 반복되고 [정답]
소수점 아래   번째 자리의 숫자는   이다. 
따라서  번째 자리까지의 숫자의 합은  가 순환소수가 되도록 하는  보다 작은
 ×  × 
             이다. 자연수  은    로 그 합은  이다.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11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 ★☆☆

8. 다음 중 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낸 것으로 옳은 9. 순환소수  을 분수로 나타내면?


것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답]
     
   
  [정답]
       
         
   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12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순환소수에 적당한 수를 곱하여 유한소수 만 유형 분자 또는 분모를 잘못 본 경우


유형
들기 ★★★
★★☆
11.기하와 수리는 기약분수를 소수로 나타내는데, 기
10.  이  ≤  ≤  인 자연수일 때, 순환소수  
하는 분모를 잘못 봐서   이 나왔고, 수리는 분자
 
와 분수  에  을 곱하면 유한소수가 된다고 한 를 잘못 봐서  가 나왔다. 처음 기약분수를 순환

소수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다. 이때  의 개수는?
개 개 개   
개 개  
  

[정답]

기하가   로 나타냈으므로 분자  은
[정답] 
     
      ,    이므로 제대로 보았다. 또, 수리가   로 나타냈으므로
   ×  ×    ×  
두 분수 모두 유한소수가 되게 하려면 분모  은 제대로 보았다.
 은  의 배수이어야 한다. 
따라서 처음 기약분수는  이고,
 ≤  ≤  이므로  의 개수는  이다. 
순환소수로 나타내면  이다.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13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유형 순환소수가 포함된 식의 계산 유형 두 분수 사이에 있는 유한소수의 개수


★★☆ ★★★

12. 일차방정식    의 해를 구하고자 한


13.      
 개의 분수  ,  ,  ,  , …,  ,  을 소
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수로 나타낼 때,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는
(1)  의 값을 구하시오.
모두 몇 개인가?

 개  개  개
 개  개
(2)  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시오.

◎ 채점기준
(1)  의 값 구하기 점
(2)  의 값을 순환소수로 나타내기 점

[정답]
유한소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ⅰ) 분모가  의 거듭제곱인 경우
     
     

[정답] (1)    (2)            
 (ⅱ) 분모가  의 거듭제곱인 경우
    
(1) 순환소수를 분수로 표현하면       이다. ,
   
  
양변에  을 곱하면      ,    (ⅲ) 분모에  ,  가 모두 있는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ⅲ)에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는  개
(2)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이다.

   이다.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14 -
(3)순환소수를 분수로 나타내기

10) [정답]
    
[해설]       ,   
   ×  ×    × 
1) [정답]
이므로 두 분수 모두 유한소수가 되게 하려면
[해설] 양변에 10의 거듭제곱 중 적당한 수를 곱해서
 은  의 배수이어야 한다.
소수 부분이 같은 두 식을 만든다.
 ≤  ≤  이므로  의 개수는  이다.
2) [정답]
11) [정답]
[해설] 양변에 10의 거듭제곱 중 적당한 수를 곱해서

소수 부분이 같은 두 식을 만든다. [해설] 기하가   로 나타냈으므로 분자  은

   
제대로 보았다. 또, 수리가   로 나타냈으므로
   
   분모  은 제대로 보았다.
   
따라서 처음 기약분수는  이고,

3) [정답] 
순환소수로 나타내면  이다.
[해설] ⓐ  ⓒ  ⓓ 
  
ⓔ   12) [정답] (1)    (2) 
  
[해설] (1) 순환소수를 분수로 표현하면
4) [정답] ⑴  ⑵    
       이다.
[해설] (1)    ⋯    
 양변에  을 곱하면     ,   
(2)    ×   이므로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
숫자는 순환마디의  번째 숫자와 같은  이다. ∴  

 
5) [정답] (2)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해설]  는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서 순환 
  이다.
마디가 시작되고 순환마디의 숫자의 개수는  개다. 
     ×    이므로 소수점 아래  번째 자리의
숫자는 순환마디  의  번째 자리의 숫자인 13) [정답]
 이다. [해설] 유한소수가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6) [정답] (ⅰ) 분모가  의 거듭제곱인 경우
      
[해설]    이므로 순환마디가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순환마디가  번 반복되고 (ⅱ) 분모가  의 거듭제곱인 경우
소수점 아래   번째 자리의 숫자는   이다.  
 ,
따라서  번째 자리까지의 숫자의 합은   
             이다. (ⅲ) 분모에  ,  가 모두 있는 경우
    
7) [정답]  , , , ,
      
[해설] 

가 순환소수가 되도록 하는  보다 (ⅰ)~(ⅲ)에서 유한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분수는
 ×  ×   개이다.
작은 자연수  은    로 그 합은  이다.

8) [정답]
     
[해설]    
 
   
   
 

9) [정답]
    
[해설]      
  

I410-ECN-0199-2018-001-000747407
- 1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