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정의란 무엇인가 6 강 요약

3220336 김가원

 평등 옹호 : 존 롤스

정의를 고민하는 올바른 방법은 원초적으로 평등한 상황에서 어떤 원칙에 동의해야 하는가를 묻는
것, 무지의 장막

 계약의 도덕적 한계

어떤 경우엔 합의만으로는 도덕적 의무가 생기지 않고, 또 어떤 경우에는 합의가 반드시 필요치 않을
수도 있다.

 합의만으로는 부족할 때 : 야구 카드와 물이 새는 변기

이 사건은 계약의 도덕적 한계 두 가지를 잘 보여준다. 첫째, 동의했다고 해서 그 합의가 공정하다는


보장은 없다. 둘째, 합의만으로는 도덕적 의무가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이런 계약은 상호 이익은
커녕 호혜라는 이상을 조롱할 뿐이다.

 합의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을 때 : 흄의 집과 유리닦이

합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행위와 구걸 행위의 차이가 모호하다. 루돌프 줄리아니
당시 뉴욕시장은 이 유리닦이들을 체포하라고 경찰에 명령했다.

 이익인가, 합의인가? 샘의 자동차 수리

 도덕적 임의성 배제논리

차등원칙을 통해서 재능 있는 사람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으면서도 재능과 소질의 불공정한 분배를


바로 잡아야 한다.

1.봉건제도, 카스트 제도: 출생에 따라 정해지는 계층

2. 자유지상주의 :기회균등을 인정하는 자유시장

3.능력위주: 공정한 기회균등을 인정하는 자유시장

4.평등주의: 롤즈의 차등원칙

롤스는 앞의 세 이론이 출생·사회적·경제적 이점과 타고난 재능과 같은 임의의 요소에 따라 분배 몫이


결정되는 사회이기에 공정하지 못하다고 비판하며 차등원칙만이 우연에 좌우되지 않음을 주장한다.

 반박 1. 격려금

 반박 2. 노력

 도덕적 자격 거부하기

분배정의는 도덕적 자격을 포상하는 문제가 아님. 기존 정의는 미덕을 기준으로 했었다면 이제는
공정성을 기준으로 하는 정의가 중요하다.

롤스가 도덕적 자격을 분배정의의 기초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는 첫째로 재능이 전적으로 자신의
노력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타고난 부분, 환경적 부분의 영향도 강력하여 임의적 측면이
있다. 둘째, 특정한 시기에 사회가 가치를 두는 자질 역시 임의적이라는 것이다. 즉 그 당시 사회가
무엇을 원하느냐에 따라 받는 대우가 다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