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4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영역 수학Ⅰ

정답과 풀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

Ⅱ. 삼각함수 28

Ⅲ. 수열 47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 2020-12-16 오후 7:37:12
정답과 풀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3


Ü ''2_2;3@;=2;3!;_2;3@;
본문 8~34 쪽 =2;3!;+;3@;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2Ú`
=2
01 ④ 02 ③ 03 ② 04 ① 05 ④
②
06 ③ 07 ⑤ 08 ⑤ 09 ⑤ 10 ③
11 ④ 12 ④ 13 ③ 14 ① 15 ④
16 ② 17 ① 18 ③ 19 ② 20 ③ 04


21 ④ 22 ② 23 ② 24 ⑤ 25 ③ 2_27;3!;=2_(3Ü

`);3!; ‌



26 ① 27 33 28 ③ 29 ② 30 ⑤ =2_3
31 ① 32 ⑤ 33 ④ 34 ③ 35 ⑤ =6
36 17 37 ② 38 ③ 39 ② 40 ②
①
41 ② 42 ① 43 ① 44 ① 45 ①
46 2 47 2 48 ③ 49 ③ 50 ②
05
51 ④ 52 6 53 3 54 ① 55 ②
8;3!;+27;3@;=(2Ü`);3!;+(3Ü`);3@;
56 ① 57 5 58 ② 59 22 60 ①
61 128 62 ③ 63 48 64 ④ 65 16 =2+3Û`
66 ⑤ 67 ① 68 ② 69 ② 70 4 =11
71 ① 72 ② 73 ⑤ 74 ④ 75 ② ④
76 ② 77 ⑤ 78 ③ 79 21 80 ④
81 ① 82 ② 83 ⑤ 84 8 85 ③ 06

86 ④ 87 25 88 ③ 89 6 90 ④
3Ü`Ö81;2!;=3Ü`Ö(3Ý`);2!;
91 ① 92 ③ 93 ④ 94 ⑤ 95 ③
96 54 97 ⑤ 98 ③ 99 ⑤ 100 ⑤ =3Ü`Ö34_;2!;
=3Ü`Ö3Û`
101 ② 102 1 103 ② 104 ④ 105 4
106 12 107 ④ 108 40 109 ④ 110 ⑤ =3Ü`ÑÛ`
111 ② 112 ② 113 ⑤ 114 ③ 115 ④ =3
116 6 117 ④ 118 ⑤ 119 ③ 120 3 ③
121 ② 122 ① 123 15 124 ④ 125 12

126 ④ 127 15 128 ④ 129 ② 130 ② 07



Ü '8_4;2#;=8;3!;_4;2#;

=(2Ü`);3!;_(2Û`);2#;
유형 1 지수의 정의와 지수법칙
=2_2Ü`
=2Ý`
01 =16

;3@; ;3@;
3â`_8 =1_(2Ü`) =2Û`=4 ⑤
④
08
02

5â`_25 ;2!;=1_(5Û`);2!;

‌
Ü ''9_3 =(3Û`) _3 =3
;3!; ;3!; ;3!; ;3@;+;3!;
=3 =5
③ ⑤

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 2020-12-16 오후 7:37:13



09 15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 ;2!;
8 +9 =(2Ü`) +(3Û`) ;3!; ;2!;
2Û`_8;3!;=2Û`_(2Ü`);3!;
=2+3 =2Û`_2=22+1
=5 =2Ü`
⑤ =8
④

10

3_27;3!;=3_(3Ü`);3!;
16


=3_33_;3!; 16_2ÑÜ`=2Ý`_2ÑÜ`

‌
=3_3 =2Ý`ÑÜ`
=9 =2
③ ②

11 17

8;3$;_2ÑÛ`=(2Ü`);3$;_2ÑÛ`

3ÑÚ`_9=3ÑÚ`_3Û`
=2Ý`_2ÑÛ`
=3ÑÚ`±Û`
=24-2=2Û`
=3
=4
①
④ 1
다른 풀이 aÑÇ`= (n은 양의 정수)을 이용한 풀이
aÇ`


3ÑÚ`_9=;3!;_3Û`
12 =3

6_8;3!;=6_(2Ü`);3!;

=6_23_;3!;
=6_2 18

=12 (ab)ß`=('2_Ü '3)ß`

④
=(2;2!;_3;3!;)ß`
=2Ü`_3Û`

13 =8_9

=72
2â`_9;2!;=1_(3Û`);2!;
③
=3
③

19
14

2_16;4!;‌=2_(2Ý`);4!;‌



27;3!;=(3Ü`);3!; =2_24_;4!;
=33_;3!; =2_2
=3 =4
① ②

정답과 풀이 ● 3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3 2020-12-16 오후 7:37:13


20 26


3;3@;_3;3!;=3;3@;+;3!; '4_Ü '8="½2Û`_Ü "½2Ü`


‌

=3 =2_2

③ =4
①

21

(4;4#;);3@;=4;4#;
27
_;3@;


=4;2!;
자연수 n에 대하여 Ü "½4Ç`=4;3N;=2;;ª3÷; 이 정수가 되기 위해서는 ;;ª3÷;;이
;2!;
=(2Û`)
자연수이어야 한다.
=2


즉, n은 3의 배수이다.
④
n은 100 이하의 자연수이고, 100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3의 배수

22 의 개수는 33이다.
따라서 구하는 n의 개수는 33이다.

2ÑÚ`_16;2!;=2ÑÚ`_(2Ý`);2!;
 33
4_;2!;
=2ÑÚ`_2
=2ÑÚ`_2Û`
=2-1+2 28

=2 (a );3@; ;2!;
=a;3@;_;2!;=a;3!;
②
a;3!;의 값이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자연수 a를 어떤 자연수의 세
제곱 꼴로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23 1Ü`=1, 2Ü`=8, 3Ü`=27, y이고 a는 1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a;3!;의

8_2ÑÛ`=2Ü`_2ÑÛ`
값이 자연수가 되는 a의 값은 1, 8이다.
‌

=23+(-2)
따라서 모든 a의 값의 합은
=2Ú`
1+8=9
=2
③
②
1
다른 풀이 aÑÇ`= (n은 양의 정수)을 이용한 풀이
aÇ`
29


1
8_2ÑÛ`=2Ü`_

2Û` Ú m>0인 경우
=2 n의 값에 관계없이 m의 n제곱근 중에서 실수인 것이 존재한

다. 그러므로 m>0인 순서쌍 (m, n)의 개수는 Á¼Cª=45 이
24 다.

2;2%;_2-;2!;=2;2%;-;2!; Û m<0인 경우
=2Û` n이 홀수이면 m의 n제곱근 중에서 실수인 것이 항상 존재한

=4 다. 한편, n이 짝수이면 실수인 m의 n제곱근은 존재하지 않는
⑤ 다. 그러므로 m<0인 순서쌍 (m, n)의 개수는
2+4+6+8=20 이다.
25 Ú, Û에 의하여 m의 n제곱근 중에서 실수인 것이 존재하도록 하

4;2!;+3â`=(2Û`);2!;+3â` 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45 + 20 이다.
‌
=2+1 따라서 (가), (나)에 알맞은 수는 각각 45, 20이고
=3 p+q=65
③ ②

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4 2020-12-16 오후 7:37:13


bc=Ü 'a`ß 'a
30 Ⅰ


=a;3!; a;6!;

Ü '¶2m=(2m) 이 자연수이므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3!;

=a;3!; ± ;6!;

m=2Û`_kÜ` (k는 자연수)
꼴이다. =a;2!;=2
135 이하의 자연수 중 m이 될 수 있는 값은 2Û ` _1Ü ` , 2Û ` _2Ü ` , 에서
2Û`_3Ü`이다. a=2Û`=4
따라서 점 PÁ의 y좌표의 값은
또, "nÜ` =n;2#;이 자연수이므로

f(a)=4Û`=16
n=lÛ` (l은 자연수)


⑤
꼴이다.
9 이하의 자연수 중 n이 될 수 있는 값은 1Û`, 2Û`, 3Û`이다.
따라서 m+n의 최댓값은
33


x에 대한 이차방정식 xÛ`-Ü '¶81x+a=0의 두 근이 Ü ''3 과 b이므로
2Û`_3Ü`+3Û`=108+9=117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⑤
Ü ''3+b=Ü '¶81, Ü ''3 b=a



31
그러므로
b=Ü '¶81-Ü ''3

‌

-nÛ`+9n-18=-(n-3)(n-6)
=Ü "3Ý`-Ü ''3


이므로 -nÛ`+9n-18의 n제곱근 중에서 음의 실수가 존재하기
=3 Ü '3-Ü ''3


위해서는
=2 Ü '3
Ú -nÛ`+9n-18<0일 때,


a=Ü ''3 b
‌

즉, 2Én<3 또는 6<nÉ11이고 n이 홀수이어야 하므로 n은
=Ü ''3_2 Ü ''3


7, 9, 11이다.
=2 Ü "3Û`
Û -nÛ`+9n-18>0일 때,


따라서
즉, 3<n<6이고 n이 짝수이어야 하므로 n은 4이다.
ab=2 Ü "3Û`_2 Ü ''3
Ú, Û에 의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n의 값의 합은
‌



=4 Ü "3Ü`


4+7+9+11=31
=4_3
①
=12
④
32
34

점 Pª의 y좌표는

정사각형 OQÁAB의 한 변의 길이가 a이므로 자연수 n의 값과 상관없이 n(n-4)의 세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b=Ü 'a 개수는 1이므로

점 P£의 y좌표는 f(n)=1

정사각형 OQªCD의 한 변의 길이가 b이므로 n(n-4)의 네제곱근 중 실수인 것의 개수는
c='b="Ü 'a=ß 'a Ú n(n-4)>0일 때, g(n)=2


y y=xÜ y=xÛ Û n(n-4)=0일 때, g(n)=1
PÁ(a, f(a)) Ü n(n-4)<0일 때, g(n)=0
f(n)>g(n)에서 g(n)=0이어야 하므로

Pª n(n-4)<0
B(0, a) A(a, a)
C(`Ü 1va, `Ü 1va) 즉, 0<n<4이므로 자연수 n의 값은 1, 2, 3이다.
D(0, `Ü 1va)
P£ 따라서 모든 n의 값의 합은
O QÁ(a, 0)x 1+2+3=6
Qª(`Ü 1va`, 0)
Q£(`ß 1va`, 0) ③

정답과 풀이 ● 5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5 2020-12-16 오후 7:37:14


35 유형 2 로그의 정의와 성질

ㄱ. A¢는 2Œ`=;b$;에서

4=2Œ`_b인 자연수의 순서쌍 (a, b)를 원소로 갖는 집합이므로


37


4=2Ú`_2, 4=2Û`_1에서 log3 54+log9 ;3Á6;=log3 54+log3 ;6!;





A¢={(1, 2), (2, 1)} (참) =log3 9


ㄴ. m=2û`일 때, Aµ=Aªû =2
2û` ②
Aµ은 2Œ`= 에서
b
2û`=2Œ`_b인 자연수의 순서쌍 (a, b)를 원소로 갖는 집합이므로 38


Aµ={(1, 2û` ÑÚ`), (2, 2û` ÑÛ`), (3, 2û` ÑÜ`), y, (k, 2â`)} logª`24-logª`3=logª`:ª3¢:=logª`8
이다.
=logª`2Ü`=3`logª`2
따라서 n(Aµ)=k (참)
=3
m
ㄷ. Aµ은 2Œ`= 에서 ③
b
m=2Œ`_b인 자연수의 순서쌍 (a, b)를 원소로 갖는 집합이다.
b가 짝수, 즉 b=2b'(b'은 자연수)라 하면
39

log2`'8=log2`(2Ü`);2!;
‌
m=2Œ`_b
=log2`2;2#;
‌
=2Œ`_2b'
=2a+1b' =;2#;`log2`2

이므로 (a+1, b')도 원소가 되어 n(Aµ)¾2가 되므로


=;2#;
‌
n(Aµ)=1이 되기 위해서는 b는 홀수이어야 한다.
②
m
b= 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p가 오직 하나만 존재


2¹`
하므로 p=1이어야 한다. (p¾2이면 n(Aµ)+1이므로)
40

따라서 m=2Ú`_(홀수)이어야 한다. logª 5+logª ;5$;=logª {5_;5$;}



두 자리 자연수 중에서 2Ú`_(홀수)인 자연수는 =logª 4
­

2_5, 2_7, 2_9, y, 2_49 =logª 2Û`

이다. =2 logª 2


따라서 n(Aµ)=1이 되도록 하는 두 자리 자연수 m의 개수는 =2

5, 7, 9, y, 49의 23이다. (참) ②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41

log¤`4+log¤`9‌=log¤`(4_9) ‌


=log¤`36 ‌
36

=log¤`6Û` ‌


1 1 2Œ`+2º`
2ь`+2Ѻ`= + = =;4(; yy ㉠ =2`log¤`6 ‌
2Œ` 2º` 2Œ`±º`

=2
그런데 2Œ`+2º`=2이므로 이 값을 ㉠에 대입하면
②
2
=;4(;
2Œ`±º`
42
2Œ`±º`=2_;9$;=;9*;

logÁ° 3+logÁ° 5=logÁ° (3_5)




따라서 p=9, q=8이므로 =logÁ° 15

p+q=17 =1
 17 ①

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6 2020-12-16 오후 7:37:14


43
=log°`5Û
=2 log°`5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a>1, b>1, c>1이므로


=2
logŒ`b>0, logº`c>0, log`a>0
2
양수 t에 대하여
logº`c log`a
logŒ`b=
48
= =t
2 4


로 놓으면
두 점 (2, log¢`a), (3, logª`b)를 지나는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logŒ`b=t, logº`c=2t, log`a=4t
원점과 각각 두 점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는 서로 같아야 한다.
이때 logŒ`b_logº`c_log`a=1이므로
즉,
t_2t_4t=1에서 t=;2!; log¢`a logª`b
= 에서 ;4!;`logª`a=;3!;`logª`b
2 3
따라서
이므로
logŒ`b+logº`c+log`a=t+2t+4t
logª`a=;3$;`logª`b
=7t
따라서
=7_;2!;
logª`b logª`b
logŒ`b= = =;4#;
=;2&; logª`a
;3$;`logª`b
① ③

44 49


log¤`2+log¤`3‌
=log¤`(2_3) ‌
logª`;4A;=b에서 ;4A;=2º`


=log¤`6 ‌

즉, a=4_2º`
=1
① 따라서 2º` = 2º` =;4!;
a 4_2º`
③

45

log£ 6-log£ 2=log£ ;2^; 50




=log£ 3 1
logª`5= 이므로
log°`2

=1
log°`2=;a!;
①
log°`12=log°`(2Û`_3)
‌
=log°`2Û`+log°`3
46 =2 log°`2+log°`3


log£ 72-log£ 8=log£ 9
=2_;a!;+b



=2
2 =;a@;+b

②

47

log°`40+log°`;8%; 51

7`log`a=2`log`b에서
=log°`{40_;8%;}
log`b
;2&;= =logŒ`b
=log°`25 log`a

정답과 풀이 ● 7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7 2020-12-16 오후 7:37:14


따라서
56
;2¥1;`logŒ`b=;2¥1;_;2&;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5 logÇ`2의 값이 자연수가 되려면


=;3$; logÇ`2=1 또는 logÇ`2=;5!;

④ 이어야 한다.
logÇ`2=1에서 n=2

52 logÇ`2=;5!;에서 n;5!;=2, n=2Þ`=32



a;2!;=8이므로 따라서 모든 n의 값의 합은

a=(a;2!;)Û`=8Û`=(2Ü`)Û`=2ß` 2+32=34
①
따라서
logª`a=logª`2ß`
‌
=6`logª`2
=6
6 57

logª`(2Û`_2Ü`)=logª`2Û`±Ü`  

‌

53 =logª`2Þ`
=5`logª`2



log£`;2(;+log£`6=log£ {;2(;_6}
=5`
=log£`27 5
=log£`3Ü`
=3 log£`3

=3
3
58

log¢`2=;2!;이므로
54
원점과 점 {2, ;2!;}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4!;이다.

두 점 (1, logª`5), (2, logª`10)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logª`10-logª`5
이때 원점과 점 (4, logª`a)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도 ;4!;이므로
2-1
logª`a
따라서 =;4!;에서 logª`a=1
4
logª`10-logª`5 logª`;;Á5¼;; 따라서 a=2
=
2-1 1 ②
=logª`2=1
①

55 59


2 log`12=log`12Û`=log`144
1

‌
=log£`a
=log`(1.44_100) logŒ`3
=log`1.44+log`100 =log£`9Ú`Ú`
‌
=log`1.44+log`10Û` =log£`(3Û`)Ú`Ú`
=log`1.44+2 log`10 =log£`3Û`Û`
‌

=a+2 =22
②  22

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8 2020-12-16 오후 7:37:14


60
64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94
10 =k에서 ab=log£`5, b-a=logª`5
log`k=0.94 이므로

log`kÛ`+log`;1ð0;=2 log`k+log`k-log`10 b-a logª`5


;a!;-;b!;= =
ab log£`5

=3 log`k-1 따라서

=3_0.94-1 log`5
log`2
=2.82-1 ;a!;-;b!; =
log`5
=1.82 log`3
① log`3
=
log`2
=logª`3
61 ④

로그의 정의에 의하여
a=4;2&;
65
=(2Û`);2&;


logŒ`b
=;4#;이므로
=2à` 2a
=128 3a
logŒ`b=
2
 128
18`logº`a
=;4#;이므로
b

62 logº`a=
b
24

log'3`a=2`log£`a=log£`aÛ`
3a b
logŒ`b_logº`a= _ =1
2 24
log»`ab=;2!;`log£`ab=log£`(ab) =log£`'¶ab;2!;

ab
log£`aÛ`=log£`'¶ab에서 =1
16
aÛ`='¶ab 따라서 ab=16
양변을 제곱하면  16
aÝ`=ab
a(aÜ`-b)=0에서 a+0이므로
66

b=aÜ`
a ¹`=-p, a2q=-q이므로

따라서
a ¹`_a2q=(-p)_(-q), ap+2q=pq

logŒ`b=logŒ aÜ`
따라서 로그의 정의에 의해
=3 logŒ`a
p+2q=logŒ`pq=-8

=3
⑤
③

67
63

log`;1¢5;=log`;3¥0;

{;4!;}ÑÛ`_logª`8=16_logª`2Ü` =log`8-log`30
‌

=16_3 logª`2 =log`2Ü`-log`(3_10)

=16_3 =3`log`2-log`3-1
=48 =3a-b-1
 48 ①

정답과 풀이 ● 9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9 2020-12-16 오후 7:37:14


68 ∠A=90ù이므로

S(x)=;2!;_ABÓ_ACÓ

1 2
+ =logÁ¥`4+2`logÁ¥`9
log¢`18 log»`18
16
=;2!;_2 logª`x_log¢`
=logÁ¥`2Û`+2`logÁ¥`3Û` ‌ x




=logÁ¥`2Û`+logÁ¥`(3Û`)Û` ‌ =logª`x_{2-;2!;`logª`x}


=logÁ¥`2Û`+logÁ¥`3Ý` ‌
=-;2!; (logª`x)Û`+2 logª`x


=logÁ¥`(2Û`_3Ý`) ‌




=logÁ¥`(2_3Û`)Û` ‌ =-;2!; (logª`x-2)Û`+2


=logÁ¥`18Û` ‌
S(x)는 logª`x=2, 즉 x=4일 때

=2`logÁ¥`18  
최댓값 2를 가진다.

=2
따라서 a=4, M=2이므로
②
a+M=4+2=6
①
69

log`'Ä419=;2!;`log`419

=;2!;`log`(4.19_100)

=;2!; (log`4.19+log`100)

=;2!; (log`4.19+2)

이고
상용로그표에서
log`4.19=0.6222
유형 3 지수, 로그를 활용한 실생활 문제
이므로

log`'Ä419=;2!;(0.6222+2)
72

열차 B가 지점 P를 통과할 때의 속력을 v라 하면 열차 A가 지점
=1.3111 P를 통과할 때의 속력은 0.9v이고 d=75이므로
② 0.9v
L=80+28 log -14 log ;2&5%; yy`㉠
100





70 Lõ=80+28 log
v
100
-14 log ;2&5%; yy`㉡






logŒ`b=3에서 b=aÜ` ㉠, ㉡에서
따라서 0.9v
}
v
Lõ-L=28{log -log
log`100 100 100


aÜ`
log`;aB;_logŒ`100=log` _
a log`a v
2 100
=log`aÛ`_ =28`log
log`a 0.9v

100
2
=2`log`a_
log`a =28 log ;;Á9¼;;


=4
=28(log`10-log`9)
4
=28(1-log`3Û`)
=28(1-2 log 3)
71


=28-56 log 3



삼각형 ABC에서 ②

1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0 2020-12-16 오후 7:37:15


따라서 최댓값은
유형 4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 0 Ⅰ
f(1)=1+{;3!;} =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73 ②

0<a<1이므로 함수 f(x)=aÅ` 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감소한다.


그러므로 함수 f(x)는 닫힌구간 [-2, 1]에서 x=1일 때 최소
76

이고, 최솟값이 ;6%;이므로


함수 f(x)={;a#;}Å` 에서


a=;6%;
Ú ;a#;>1, 즉 0<a<3일 때,
 f(x)={;6%;}Å`이고 함수 f(x)는 주어진 구간에서 x=-2일 때
함수 f(x)는 증가함수이므로 x=2에서 최댓값 4를 갖는다.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f(2)={;a#;}Û`=4에서


M=f(-2)
aÛ`=;4(;
={;6%;}ÑÛ`={;5^;}Û`


a=;2#; 또는 a=-;2#;
따라서 a_M=;6%;_{;5^;}Û`=;5^;


⑤ 그런데 0<a<3이므로 a=;2#;

Û ;a#;=1, 즉 a=3일 때,
74

x-;3$;
 f(x)=1이므로 함수  f(x)의 최댓값이 4가 아니다.
f(x)=-2Ý`ÑÜ`Å` +k=-{;8!;} +k
Ü 0<;a#;<1, 즉 a>3일 때,


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프는 함수 y={;8!;}Å`의 그래프를 x축 함수  f(x)는 감소함수이므로 x=-1에서 최댓값 4를 갖는다.

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f(-1)={;a#;}ÑÚ`=;3A;=4

k만큼 평행이동시킨 것이다. 에서 a=12


한편, 함수 y=f(x)의 그래프가 제 2 사분면을 지나지 않아야 하므 Ú, Û, Ü에서 모든 양수 a의 값의 곱은


로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 그림과 같다. ;2#;_12=18
y
②
y=k
O

77
x

f(0)=2â`+1=2, g(0)=-2ÑÚ`+7=:Á2£: 이므로


y=f(x)

이때 f(0)É0이어야 하므로 두 점 A, B의 좌표는 각각 A(0, 2), B {0, :Á2£:}이다.




-2Ý`+kÉ0 즉, ABÓ=:Á2£:-2=;2(;
즉, kÉ16
두 식 y=2Å`+1, y=-2Å` ÑÚÚ`+7을 연립하여 풀면
따라서 자연수 k의 최댓값은 16이다.

2Å`+1=-2Å` ÑÚ`+7
` ④
;2#;_2Å`=6

75 2Å`=4, x=2

x-1 x
함수 y=1+{;3!;} 의 그래프는 함수 y={;3!;} 의 그래프를 x축의  f(2)=2Û`+1=5이므로 점 C의 좌표는 (2, 5)이다.
따라서 삼각형 ACB의 넓이는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그러므로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f(x)는 x=1에서 최댓값을 ;2!;_2_;2(;=;2(;

갖는다. ` ⑤

정답과 풀이 ● 11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1 2020-12-16 오후 7:37:15


78 다른 풀이 역함수 관계를 이용한 풀이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은 함수 y=aÅ` 의 역함수의

닫힌구간 [-1, 3]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그래프이므로 지수함수 y=aÅ` 의 그래프는 점 (3, 2)를 지난다.


Z
ZG Y
따라서 x=3, y=2를 함수의 식에 대입하면

2=aÜ`에서
a=Ü '2




81


Y 점 A의 좌표는 (t, 32-t+8), 점 B의 좌표는 (t, 0),
 0 
점 C의 좌표는 (t+1, 0), 점 D의 좌표는 (t+1, 3t)

즉, 함수 f(x)는 x=3일 때 최댓값 8을 갖고, x=0일 때 최솟값 사각형 ABCD가 직사각형이므로



1을 갖는다. 점 A의 y좌표와 점 D의 y좌표가 같아야 한다.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즉, 32-t+8=3t

8+1=9 (3t)Û`-8_3t-9=0, (3t+1)(3t-9)=0

③ 그런데 3t>0이므로 3t=9에서 t=2


그러므로 직사각형 ABCD의 가로의 길이는 1이고 세로의 길이는
3Û`=9
79 따라서 직사각형 ABCD의 넓이는 9

①
함수 f(x)={;3!;}
2x-a
은 감소함수이므로 닫힌구간 [2, 3]에서

x=2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f(2)={;3!;}
82
4-a
=27


3 a-4
=3Ü` 곡선 y=|9Å`-3|과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a=7 |9Å`-3|=0에서

따라서 f(x)={;3!;}
2x-7 9Å`=3Û`Å`=3이므로
이므로 함수 f(x)는 닫힌구간 [2, 3]에서

2x=1, x=;2!;
x=3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즉,
m=f(3) 이때 두 곡선 y=|9Å`-3|, y=2Å` ±û`이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의

x좌표 xÁ, xª가 xÁ<0, 0<xª<2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림과 같
={;3!;}
6-7

다.
=3
y y=|9Å -3|
따라서 a_m=7_3=21
` 21 y=2Å ±û

80 2

곡선 y=aÅ`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은
xÁ O ;2!; xª 2 x
y=logŒ`x
이 곡선이 점 (2, 3)을 지나므로 x=2, y=3을 대입하면 x=0일 때
3=logŒ`2 2â`±û`=2û`>2 yy`㉠
aÜ`=2 x=2일 때
따라서 a=Ü '2 2Û`±û`=4_2û`<|9Û`-3|=78
④ 2û`<19.5 yy`㉡

1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2 2020-12-16 오후 7:37:16


㉠, ㉡에서 Z ZG Y

2<2û`<19.5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이므로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은 2, 3, 4이다.
따라서 그 합은 Zm
2+3+4=9 ZH Y

② Z„

오답 피하기 곡선 y=2Å` ±û`에서 미지수 k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주 Y


Y„ 0 Ym

어진 부등식 조건을 만족시키는 xÁ, xª일 때의 함숫값을 따져 볼
수 있어야 한다. 두 점 (xÁ, yÁ), (xª, yª)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1보다 작

‌
으므로

83
yª-yÁ
<1에서
xª-xÁ

f(x)=2Å`, g(x)=-2xÛ`+2로 놓으면 yª-yÁ<xª-xÁ (참)

두 함수 y=f(x), y=g(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ㄷ. f(-1)=;2!;이므로 yÁ>;2!;


Z ZG Y

f {;2!;}='2 이므로 yª>'2




'2
즉, yÁ yª>;2!;_'2 = yy ㉠
2



Zm
또,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
ZH Y

Z„ 대칭이므로 -xÁ>xª이다.
Z ZG Y

Y„ 0 Ym Y

ㄱ. f {;2!;}='2, g {;2!;}=;2#;이므로



Zm

f {;2!;}<g {;2!;} ZH Y






Z ZG Y
 


 Y„ 0 Ym Y
Y„



즉, xÁ+xª<0
Zm
 이때 yÁ=2xÁ, yª=2xª이므로
ZH Y


yÁ yª=2xÁ_2xª



 =2xÁ+xª<2â`=1 yy ㉡
'2
Y„ 0 Ym Y
㉠, ㉡에서 <yÁ yª<1 (참)
2

즉, xª>;2!;이다. (참)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ㄴ. 두 점 (xÁ, yÁ), (xª, yª)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⑤



yª-yÁ
xª-xÁ
이고, 두 점 (0, 1), (1, 2)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는 1
84

곡선 y=2Å`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곡선은 y=2ÑÅ` 이고,


곡선 y=2ÑÅ` 은 직선 y=x+1과 점 B(0, 1)에서 만난다.

곡선 y=2ÑÅ` 을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곡선 y= f(x)의 식은 y=2-x+;4!;+;4!;이다.

직선 y=x+1은 x축의 방향으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정답과 풀이 ● 13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3 2020-12-16 오후 7:37:17


평행이동하여도 직선 y=x+1이 된다.
그러므로 곡선 y=f(x)와 직선 y=x+1이 만나는 점 A는 곡선
유형 5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y=2ÑÅ` 과 직선 y=x+1이 만나는 점인 B(0, 1)이 x축의 방향으


85

로 ;4!;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점 A{;4!;, ;4%;}이다.


곡선 y=2Å` +5는 곡선 y=2Å` 을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2 것이다.
따라서 k=¾Ð{;4!;}Û`+{;4%;-1}Û``= 이므로
4
이때 곡선 y=2Å` 의 점근선은 y=0이므로 곡선 y=2Å` +5의 점근
1



=8 선은 y=5이다.
kÛ`
8 y
y=2Å +5
다른 풀이 곡선과 직선의 교점을 이용한 풀이

곡선 y=2Å` 을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후, x축의 방향으로 ;4!;만
y=log£ x+3

5
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곡선은 y= f(x)이므로
x

O

f(x)=2 -x+;4!;
+;4!;이다.

그러므로 곡선 y=f(x)와 직선 y=x+1이 만나는 점의 x좌표는 그러므로 직선 y=5와 곡선 y=log£`x+3의 교점의 x좌표는
x+1=2 -x+;4!;
+;4!; log£`x+3=5에서
log£`x=2
2-x+;4!;=x+;4#;에서 x=;4!;
따라서 x=3Û`=9
즉, 점 A의 좌표는 {;4!;, ;4%;}이다. ③

따라서

k=®É{;4!;}Û`+{;4%;-1}Û`=
'2
4
86

함수 f(x)=2 log;2!;`(x+k)의 밑은 1보다 작으므로 함수 f(x)는
이므로



1 x=0에서 최댓값 -4, x=12에서 최솟값 m을 갖는다.
=8
kÛ` f(0)=2 log;2!;`k=-2 logª`k=-4



logª`k=2

따라서 k=2Û`=4
m=f(12)=2 log;2!;`(12+4)

=2 log;2!;`16=-2 logª`2Ý`


=-2_4=-8
그러므로
k+m=4+(-8)=-4
④

87

곡선 y=logª`(x+5)는 곡선 y=logª`x를 x축의 방향으로 -5만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곡선 y=logª`x의 점근선은 직선 x=0이므로
곡선 y=logª`(x+5)의 점근선은 직선 x=-5이다.
따라서 k=-5이므로
kÛ`=25
 25

1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4 2020-12-16 오후 7:37:18


88
91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함수 y=2Å` +2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평행이동한 그

두 곡선 y=logŒ`x, y=logº`x와 직선 y=1이 만나는 두 점의
래프를 나타내는 함수의 식은 x좌표를 각각 구하면
y=2 x-m
+2 yy`㉠ logŒ`x=1에서 x=a

함수 y=logª`8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logº`x=1에서 x=b
그래프를 나타내는 함수의 식은 두 점 AÁ, BÁ의 좌표는 각각 (a, 1), (b, 1)이다.
y=logª`8(x-2) yy`㉡ 두 곡선 y=logŒ`x, y=logº`x와 직선 y=2가 만나는 두 점의

㉡을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함수의 x좌표를 각각 구하면
식은 logŒ`x=2에서 x=aÛ`
x=logª`8(y-2)=3+logª`(y-2) logº`x=2에서 x=bÛ`
x-3=logª`(y-2) 두 점 Aª, Bª의 좌표는 각각 (aÛ`, 2), (bÛ`, 2)이다.
2 x-3
=y-2 AÁBÁÓ=b-a=1 yy ㉠

  
즉, y=2 x-3
+2 yy`㉢ 선분 AÁBÁ의 중점의 좌표가 (2, 1)이므로

따라서 ㉠과 ㉢이 일치해야 하므로 a+b
=2
2
m=3
즉, a+b=4 yy ㉡
` ③

   
따라서 ㉠, ㉡에 의하여
AªBªÓ=bÛ`-aÛ`
89

=(b-a)(b+a)

A(1, 0), B(k, logª`k), C(k, log;2!;`k)이므로 삼각형 ACB의 무
=1_4=4
게중심의 좌표는 {
2k+1
, 0} ①
3

2k+1
=3에서 k=4
3
따라서 B(4, 2), C(4, -2)이므로 삼각형 ACB의 넓이는
92
;2!;_4_3=6

두 함수 y=logª`x, y=logª`(x-2)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점

6 이 각각 A, B이므로 두 점 A, B의 좌표를 구하면
A(1, 0), B(3, 0)

90 두 함수 y=logª`x, y=logª`(x-2)의 그래프와 직선 x=k가 만



함수 y=log£`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 나는 점이 각각 P, Q이므로 두 점 P, Q의 좌표를 구하면

로 2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를 나타내는 함수의 식은 P(k, logª`k), Q(k, logª`(k-2))

y=log£ (x-a)+2 yy`㉠ 이때 R(k, 0)이고 점 Q가 선분 PR의 중점이므로


  

이므로 logª`k
=logª`(k-2)
2
f(x)=log£ (x-a)+2
logª`k=2 logª`(k-2)


함수 f(x)의 역함수를 구하기 위해 ㉠을 x에 대하여 정리하면

logª`k=logª`(k-2)Û`

log£ (x-a)=y-2
k=(k-2)Û`, kÛ`-5k+4=0

x-a=3´`ÑÛ`, x=3´`ÑÛ`+a
(k-1)(k-4)=0
x와 y를 서로 바꾸면
그런데 k>3이므로
y=3Å` ÑÛ`+a
k=4
따라서
따라서 구하는 사각형 ABQP의 넓이는 삼각형 ARP의 넓이에서
f ÑÚ`(x)=3Å` ÑÛ`+a=3Å` ÑÛ`+4
삼각형 BRQ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



이므로
a=4 ;2!;_(4-1)_logª`4-;2!;_(4-3)_logª`2=3-;2!;=;2%;

④ ` ③

정답과 풀이 ● 15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5 2020-12-16 오후 7:37:18


93 두 점 A(-1, log£`2), B(3, log£`6)에 대하여
직선 AB의 기울기는

두 곡선 y=log'2`(x-a)와 y=('2 )x+a는 직선 y=x에 대하여
log£`;2^;


대칭이고, 직선 AB는 직선 y=x에 수직이므로 두 점 A, B는 직 log£`6-log£`2
= =;4!;이므로
3-(-1) 4
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점 A의 좌표를 A(2t, t)`(t>0)이라 하면 점 B의 좌표는 점 A를 지나고 직선 AB와 수직인 직선의 방정식은

B(t, 2t)이므로 ABÓ='2t이다. y-log£`2=-4(x+1)

선분 AB의 중점을 M이라 하면 y=-4x-4+log£`2 yy ㉠

3'2 직선 ㉠이 y축과 만나는 점 C의 좌표는


M{;2#; t, ;2#; t}이므로 OMÓ= t
2 C(0, -4+log£`2)이다. 이때


삼각형 OAB는 OAÓ=OBÓ인 이등변삼각형이므로
ABÓ="Ã4Û`+(Ãlog£`6-log£`2)Û` ='1§7


삼각형 OAB의 넓이는
ACÓ="Ã(-1)Û`+4Û` ='1§7
6=;2!;_ABÓ_OMÓ


직각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2!;_'2t_
3'2
t S=;2!;_ABÓ_ACÓ=;2!;_'1§7_'1§7=:Á2¦:
2
⑤
=;2#; tÛ`


tÛ`=4, t=2
즉, A(4, 2)이다.
점 A(4, 2)가 곡선 y=log'2`(x-a) 위의 점이므로
95

2=log'2`(4-a), ('2 )Û`=4-a
P(p, logŒ`p), Q(q, logŒ`q) (p>q)로 놓으면

따라서 a=2
선분 PQ의 중점이 원의 중심 {;4%;, 0}이므로
④
p+q
=;4%; 에서 p+q=;2%;
2

logŒ`p+logŒ`q
=0에서 logŒ`pq=0
2

94 pq=aâ`=1

p, q를 두 실근으로 갖는 t에 대한 이차방정식은
Z
ZMPHf Y 
tÛ`-;2%; t+1=0, 2tÛ`-5t+2=0

#
" (2t-1)(t-2)=0

t=;2!; 또는 t=2
0 Y

즉, p=2, q=;2!;
ZMPHf]Y]
따라서 두 점 P(2, logŒ`2), Q {;2!;, -logŒ`2}이고,

$ '¶13
선분 PQ의 길이가 원의 지름의 길이 과 같으므로
2
x<0일 때의 교점 A의 x좌표는 방정식
PQÓ Û`={2-;2!;}Û`+{logŒ`2-(-logŒ`2)}Û`
log£`(-2x)=log£`(x+3)의 근이므로

-2x=x+3, 3x=-3, x=-1 '¶13 Û`
={ }
2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A(-1, log£`2)
+(logŒ`4)Û`=:Á4£:
9
x>0일 때의 교점 B의 x좌표는 방정식 4
log£`2x=log£`(x+3)의 근이므로 (logŒ`4)Û`=1
2x=x+3, x=3 이때 a>1이므로 logŒ`4=1에서 a=4
따라서 점 B의 좌표는 B(3, log£`6)이다. ③

1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6 2020-12-16 오후 7:37:18


96
97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점 A의 x좌표를 a라 하면 점 A(a, 2)는 곡선 y=logª`4x 위의 점 P의 좌표를 P(t, at)(t<0)이라 하면 점 P를 직선 y=x에 대
점이므로 하여 대칭이동시킨 점 Q의 좌표는 (at, t)이다. ∠PQR=45ù이고
2=logª`4a, 4a=2Û` 직선 PQ의 기울기가 -1이므로 두 점 Q, R의 x좌표는 같다.
a=1 즉 점 R의 좌표는 (at, -t)이다.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1, 2) at+t
직선 PR의 기울기는 ;7!;이므로 =;7!;에서
점 B의 x좌표를 b라 하면 점 B(b, 2)는 곡선 y=logª`x 위의 점 t-at
at=-;4#;t yy ㉠
이므로
이므로 "Ã(t-at)Û`+(at+t)Û`=
5'2 5'2
2=logª`b PRÓ=
2 2
b=4
a2t+tÛ`=:ª4°: yy ㉡
따라서 점 B의 좌표는 (4, 2)
점 C의 x좌표를 c라 하면 점 C(c, k)는 곡선 y=logª`4x 위의 점 ㉠, ㉡에서 tÛ`=4이고 t<0이므로 t=-2
이므로 1 '6
㉠에 대입하면 =;2#;이고 a>0이므로 a=
aÛ` 3
k=logª`4c, 4c=2û`
⑤
c=2k-2
따라서 점 C의 좌표는 (2k-2, k)
점 D의 x좌표를 d라 하면 점 D(d, k)는 곡선 y=logª`x 위의 점
이므로 98
k=logª`d ㄱ. 점 A의 x좌표는

d=2û` logŒ`x=1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2û`, k) x=a

점 E의 x좌표는 점 B의 x좌표와 같으므로 4이고, 이므로 A(a, 1)

점 E가 선분 CD를 1 : 2로 내분하므로 또, 점 B의 x좌표는




1_2û`+2_2k-2 log¢Œ`x=1
4=
1+2 x=4a
k-1 k-1
2_2 +2 이므로 B(4a, 1)
=
3
그러므로 선분 AB를 1`:`4로 외분하는 점의 좌표는
3_2k-1
=
{ }
3 1_4a-4_a 1_1-4_1
,
1-4 1-4
=2k-1
즉,(0, 1)(참)
k-1=2
ㄴ. 사각형 ABCD가 직사각형이면 선분 AD가 y축과 평행하므로

k=3
두 점 A, D의 x좌표는 같아야 한다.
따라서 C(2, 3), D(8, 3), E(4, 3)이고
한편 점 D의 x좌표는
ABÓ=3, CDÓ=6, BEÓ=1
log¢Œ`x=-1
사각형 ABDC의 넓이 S는
1
x=
S=;2!;_(ABÓ+CDÓ)_BEÓ 4a
1
=;2!;_(3+6)_1 이므로 D{ , -1}
4a
이때 A(a, 1)이므로
=;2(;
1 1
a= , aÛ`=
4a 4
따라서 12S=12_;2(;=54
1
` 54 이때 <a<1이므로
4
1
a= (참)
2

정답과 풀이 ● 17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7 2020-12-16 오후 7:37:19


ㄷ. ABÓ=4a-a=3a 이고 log2 Ü'2=;3!;
1
ㄴ. 2-Ü'2=
2Ü'2


한편, 점 C의 x좌표는
logŒ`x=-1 그런데 8<9이므로 2;2#;<3 yy ㉠

1 '
Ü 2와 ;2#; 을 각각 세제곱하면
x=

(Ü'2)Ü`<{;2#;}3`이므로 Ü'2<;2#;


a
이므로

C{
1
, -1} 즉, 2Ü'2<2;2#; yy ㉡
a
㉠, ㉡에서 2Ü'2<2;2#;<3이므로
그러므로
log2 Ü'2<2-Ü'2
1 1 3


CDÓ= -
a 4a
=
4a 그러므로 Ü'2<x2
한편, ABÓ<CDÓ이면 또, log2 '2=;2!;, 2-'2=
1

2'2


3
3a<
4a
;2!;> 이므로 log2 '2>2-'2
1
2'2


1
aÛ`<
4 그림에서 x2<'2

이때
1
<a<1이므로 그러므로 Ü'2<x2<'2 (참)
4
'2
ㄷ. y1=x1이므로 ㄱ에서 ;2!;<y1<
1 1 2
<a< (거짓)
4 2
y2=log2 x2이고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Ü'2<x2<'2,
③
log2 Ü'2<log2 x2<log2 '2이므로



;3!;<y2<;2!;

99 그러므로 y1-y2<
'2
2
-;3!;=
3'2-2
6
(참)

y=2-x, y=|log2 x|, y=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y
y=2ÑÅ y=x ⑤

yÁ y=|logª`x|
1 100

2 yª
m=3Å` 에서 x=log£`m이므로 Aµ(log£`m, m)

m=logª`x에서 x=2µ``이므로 Bµ(2µ``, m)
O 1 xÁ 12 1 xª x 그러므로 AµÓBµÓ=2µ``-log£`m
2 2 Ü`12 12
AµÓBµÓ이 자연수이기 위해서는 m과 2µ``이 자연수이므로 log£`m이
ㄱ. 0<x<1일 때, 음이 아닌 정수이다.
-x
두 곡선 y=2 , y=-log2 x의 교점은 그러므로 m=3û` (단, k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m=3â`일 때, aÁ=2Ú`-log£`1=2
x1=y1이고 x1<1, y1<1 m=3Ú`일 때, aª=2Ü`-log£`3=7
-x
그림에서 y=2 은 감소함수이므로 m=3Û`일 때, a£=2á`-log£`9=510

2-1<2-xÁ=y1, 즉 ;2!;<y1=x1 따라서 a£=510


⑤
'2
한편, -log2 =;2!;<y1=-log2 x1이고
2


'2
y=-log2 x는 감소함수이므로 x1<
2

'2
그러므로 ;2!;<x1< (참)
2

1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1.indd 18 2020-12-17 오후 6:17:17


이 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유형 6 방정식에의 활용
D

=(-k)Û`-16=kÛ`-16=(k-4)(k+4)=0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4
101 이때 두 근의 합이 양수이므로 k=4

3Å` ±Ú`=27에서 따라서 방정식 ㉠의 근이 4이므로

3Å` ±Ú`=3Ü` 2x=4=2Û`에서 a=2

x+1=3 따라서 k+a=6
따라서 x=2 ④
②

105


102 3ÑÅ` ±Û`=;9!; 에서




로그의 진수 조건에서 3ÑÅ` ±Û`=3ÑÛ`


5x+1>0 -x+2=-2
즉, x>-;5!; 따라서 x=4
4
2 log¢(5x+1)=1에서

logª(5x+1)=1

5x+1=2, 즉 x=;5!;
106

방정식
따라서 a=;5!;이므로 logª`x=1+log¢`(2x-3)
에서 진수 조건에 의하여
log°`;Œ!;=log°`5=1
x>0, 2x-3>0
1
즉, x>;2#; yy ㉠

한편
103 logª`x=1+log¢`(2x-3)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하여 에서
4+x>0, 4-x>0이므로
logª`x=1+;2!;`logª`(2x-3)
-4<x<4 yy`㉠
  
logª`(4+x)+logª`(4-x)=3에서 2 logª`x=2+logª`(2x-3)

logª`(4+x)(4-x)=3 logª`xÛ`=logª`4+logª`(2x-3)

(4+x)(4-x)=2Ü`=8 =logª`4(2x-3)

16-xÛ`=8, xÛ`=8 이므로

즉, x=2'2 또는 x=-2'2 xÛ`=4(2x-3)



이 값은 ㉠의 범위에 포함되므로 주어진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Û`-8x+12=0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x-2)(x-6)=0

2'2_(-2'2)=-8 x=2 또는 x=6

② 이것은 모두 ㉠을 만족시키므로 구하는 모든 실수 x의 값의 곱은


2_6=12
 12
104

2Å`=t`(t>0)이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tÛ`-2kt+16=0 yy ㉠
107

{;4!;}ÑÅ`=64, (4ÑÚ`)ÑÅ`=4Ü`, 4Å`=4Ü`이므로 x=3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두 근의 곱은 양수이므로
방정식 tÛ`-2kt+16=0은 양수인 중근을 갖는다. ④

정답과 풀이 ● 19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19 2020-12-16 오후 7:37:19


108
110


2;8!;x-1=16에서 두 점 (p, q), (2a-p, a-q)가 곡선 y= f(x) 위의 점이므로


f(p)=q, f(2a-p)=a-q에서
2;8!;x-1=2Ý`



3Û`Œ`ѹ 3¹`
지수를 비교하면 =a-q=a- yy ㉠
3Û`Œ`ѹ`+3 3¹`+3
;8!;x-1=4, ;8!;x=5 ㉠은 실수 p의 값에 관계없이 항상 성립하므로
3Û`Œ`
따라서 x=40 p=0일 때, =a-;4!; yy ㉡
3Û`Œ`+3
 40
이고,
3Û`Œ`
p=1일 때, =a-;2!; yy ㉢
3Û`Œ`+`9`
㉡, ㉢에서 ㉡-㉢을 정리하면
109 6_3Û`Œ`
=;4!;

두 점 A, B가 직선 y=x 위에 있으므로 A(p, p), B(q, q)`(p<q) (3Û`Œ`+3)(3Û`Œ`+9)
로 놓으면 (3Û`Œ`+3)(3Û`Œ`+ 9 )=24_3Û`Œ`
ABÓ=6'2 3Û`Œ`=X(X>0)이라 하면
이므로 (X+3)(X+9)=24X

"Ã(q-Ãp)Û`+(q-p)Û` =6'2 XÛ`-12X+27=0



q-p=6 yy ㉠ (X-3)(X-9)=0

또, 사각형 ACDB의 넓이가 30이므로 X=3 또는 X=9


3Û`Œ`=3 또는 3Û`Œ`=9
;2!;_CDÓ_(ACÓ+DBÓ)=30
2a=1 또는 2a=2
;2!;_(q-p)_(p+q)=30 a=;2!; 또는 a= 1

;2!;_6_(p+q)=30 이다. 이때 ㉢에서 좌변이 양수이므로 a>;2!;이다.

p+q=10 yy ㉡ 따라서 a= 1 이다.


㉠과 ㉡을 연립하면 3¹`
그러므로 g(p)= , m=9, n=1이므로
p=2, q=8 3¹`+3
3Û`
두 점 A, B가 곡선 y=2ax+b 위에 있으므로 (m-n)_g(2)=(9-1)_ =6
3Û`+3
22a+b=2 yy ㉢ ⑤
2 8a+b
=8 yy ㉣
㉣를 ㉢으로 변끼리 나누면 111

6a
2 =4 ax='3에서 x=logŒ`'3
26a=2Û` 이므로 점 A의 좌표는 (logŒ`'3, '3)이다.
6a=2 '3
직선 OA의 기울기는
logŒ`'3
a=;3!;
'3
직선 AB의 기울기는
이 값을 ㉢에 대입하면 logŒ`'3-4

2;3@;+b=2 직선 OA와 직선 AB가 서로 수직이므로


'3 '3
;3@;+b=1 _ =-1
logŒ`'3 logŒ`'3-4

b=;3!; (logŒ`'3)Û`-4`logŒ`'3+3=0에서
(logŒ`'3-1)(logŒ`'3-3)=0
따라서 a+b=;3!;+;3!;=;3@;
logŒ`'3=1 또는 logŒ`'3=3
④ a='3 또는 aÜ`='3

2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0 2020-12-16 오후 7:37:19


따라서 a=3;2!; 또는 a=3;6!;이므로
모든 a의 값의 곱은
114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log2 (xÛ`-7x)-log2 (x+5)É1의 진수 조건에서
3;2!;_3;6!;=3;2!;+;6!;=3;3@;



-5<x<0 또는 x>7 yy ㉠
②
log2 (xÛ`-7x)Élog2 2(x+5)이므로



xÛ`-7xÉ2x+10, xÛ`-9x-10É0

112 (x-10)(x+1)É0, -1ÉxÉ10 yy ㉡



두 점 A(k, logª`k), B(k, -logª (8-k))에 대하여 ABÓ=2이 ㉠, ㉡에서 -1Éx<0 또는 7<xÉ10

므로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logª`k+logª (8-k)|=2 -1, 8, 9, 10이므로 그 합은 26이다.

|logª`k (8-k)|=2 ③

logª`k(8-k)=-2 또는 logª`k(8-k)=2
Ú logª`k(8-k)=-2일 때

k(8-k)=;4!;, 4kÛ`-32k+1=0 115


27 3Ü`
이때 0<k<8이므로 = =3Ü`ÑÛ`Å` 이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9Å` 3Û`Å`


8-3'7 8+3'7
k= 또는 k= 3Ü`ÑÛ`Å`¾3Å` Ñá`


2 2


Û logª`k(8-k)=2일 때 밑이 1보다 크므로

k(8-k)=4, kÛ`-8k+4=0 3-2x¾x-9

이때 0<k<8이므로 3xÉ12, 즉 xÉ4

k=4-2'3 또는 k=4+2'3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는 1, 2, 3, 4이므로 모든 자연




Ú, Û에서 모든 실수 k의 값의 곱은 수 x의 개수는 4이다.

8-3'7 8+3'7 ④
_ _(4-2'3)_(4+2'3)=;4!;_4=1


2 2
②

116

x-5
부등식 {;2!;} ¾4에서

x-5 -2
{;2!;} ¾{;2!;}

밑이 0보다 크고 1보다 작으므로


x-5É-2
에서 xÉ3
유형 7 부등식에의 활용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x는 1, 2, 3이므로 그
합은
113 1+2+3=6

x
{;9!;} <321-4x에서 6

3-2x<321-4x
-2x<21-4x
2x<21 117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하여
x<;;ª2Á;;
x>0 yy ㉠
  
따라서 자연수 x는 1, 2, y, 10이므로 그 개수는 10이다. 부등식 logª`xÉ2에서
⑤ logª`xÉlogª`4

정답과 풀이 ● 21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1 2020-12-16 오후 7:37:20


밑이 1보다 크므로 x-4É-2
xÉ4 yy ㉡ 에서 xÉ2
  
㉠, ㉡에서 0<xÉ4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x는 1, 2이므로 그 합은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1, 2, 3, 4로 그 개수는 4 1+2=3
이다. 3
④

121
118


2 logª`|x-1|É1-logª`;2!;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해
2 logª`|x-1|É1-(-1)
nÛ`-9n+18>0, (n-6)(n-3)>0


2 logª`|x-1|É2
n<3 또는 n>6 yy ㉠


logª`|x-1|É1
logÁ¥`(nÛ`-9n+18)<1에서
logª`|x-1|Élogª`2
nÛ`-9n+18<18이므로
0<|x-1|É2
nÛ`-9n<0, n(n-9)<0
이때 x가 정수이므로 |x-1|도 정수이다. 즉,
0<n<9 yy ㉡
|x-1|=1 또는 |x-1|=2
㉠, ㉡을 모두 만족시키는 n의 값의 범위는
x-1=-1 또는 x-1=1 또는
0<n<3 또는 6<n<9
x-1=-2 또는 x-1=2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는 1, 2, 7, 8이므로
따라서 정수 x의 값은
구하는 모든 자연수 n의 값의 합은
-1, 0, 2, 3
1+2+7+8=18
이고 그 개수는 4이다.
⑤
②

119
122

로그의 진수 조건에서

x-1>0, 4x-7>0 로그의 진수 조건에서

이므로 x>;4&; yy`㉠ x-1>0, ;2!;x+k>0

부등식 log£`(x-1)+log£`(4x-7)É3에서 이므로 x>1 yy ㉠




log£`(x-1)(4x-7)Élog£`3Ü` log°`(x-1)Élog°`{;2!;x+k}에서
밑이 1보다 크므로
x-1É;2!;x+k
(x-1)(4x-7)É27
4xÛ`-11x-20É0, (x-4)(4x+5)É0 ;2!;xÉk+1

-;4%; ÉxÉ4 yy`㉡ 즉, xÉ2(k+1) yy ㉡



  
㉠, ㉡에서 1<xÉ2(k+1)이고, 모든 정수 x의 개수가 3이므로
㉠, ㉡에서 ;4&; <xÉ4

2(k+1)-1=2k+1=3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2, 3, 4이므로 정수 x의 개
따라서 k=1
수는 3이다.
①
③

120 123

일차함수 f(x)에 대하여 y=f(x)의 그래프의 기울기를 a라 하면


부등식 3Å` ÑÝ`É;9!; 에서 3Å` ÑÝ`É3ÑÛ` a>0이고 f(-5)=0이므로




밑이 1보다 크므로  f(x)=a(x+5) (a>0)

2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2 2020-12-16 오후 7:37:20


로 놓을 수 있다.
2 f(x)É8에서
126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 ¾{;8!;}
g(x)

f(x)g(x)
에서


2 f(x)É2Ü`



밑이 1보다 크므로
{;2!;} ¾{;2!;}
f(x)g(x) 3g(x)



 f(x)É3
즉, a(x+5)É3이고 a>0이므로 f(x)g(x)É3g(x)


{ f(x)-3}g(x)É0
x+5É;a#;


Ú f(x)-3¾0, g(x)É0인 경우


xÉ;a#;-5 주어진 그래프에서

이때 주어진 부등식의 해가 xÉ-4이므로 f(x)¾3이므로 xÉ1 또는 x¾5 yy ㉠




g(x)É0이므로 xÉ3 yy ㉡
;a#;-5=-4에서


  
㉠, ㉡에서 xÉ1
;a#;=1, a=3 Û f(x)-3É0, g(x)¾0인 경우


따라서 f(x)=3(x+5)이므로 주어진 그래프에서

 f(0)=15 f(x)É3이므로 1ÉxÉ5 yy ㉢




 15 g(x)¾0이므로 x¾3 yy ㉣


  
㉢, ㉣에서 3ÉxÉ5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x는 1, 3, 4, 5이므로 구하
124 는 합은

logª`(xÛ`-1)+logª`3É5에서 1+3+4+5=13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하여 ④
xÛ`-1>0, xÛ`>1 yy ㉠

127
logª`(xÛ`-1)+logª`3É5에서

logª`(xÛ`-1)Élogª`:£3ª:

로그의 진수 조건에서
로그의 밑이 1보다 크므로 f(x)>0이므로 0<x<7 yy ㉠

xÛ`-1É`:£3ª:, xÛ`É`:£3°: yy ㉡ x-1>0이므로 x>1 yy ㉡
㉠, ㉡에서 1<x<7 yy ㉢
㉠, ㉡을 만족시키는 정수 x는
log£` f(x)+log ;3!;`(x-1)É0에서
-3, -2, 2, 3


log£` f(x)-log£ (x-1)É0, log£` f(x)Élog£ (x-1)
이므로 정수 x의 개수는 4이다.




f(x)Éx-1
④

그러므로 ㉢과 주어진 그래프에서 4Éx<7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x의 값은 4, 5, 6이고 그

125 합은 4+5+6=15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하여  15
x-2>0, x>2 yy`㉠

부등식 logª`(x-2)<2에서
logª`(x-2)<logª`2Û`
밑이 1보다 크므로
x-2<2Û`, 즉 x<6 yy`㉡
  
㉠, ㉡에서 2<x<6
따라서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x는 3, 4, 5이므로 그
합은 3+4+5=12
 12

정답과 풀이 ● 23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3 2020-12-16 오후 7:37:20


2-;a@;=t로 놓으면
유형 8 지수함수와 로그함수를 활용한 외적문제
a>0이므로 0<t<1이다.
2(1-tÛ`)=3(1-t)
128 2(1-t)(1+t)=3(1-t)

신호 전송 범위 d와 수신 신호 강도 R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
2(1+t)=3
프에서
t=;2!;
d=1일 때, R=-35이므로
-35=k-10 log`1Ç` 즉, 2-;a@;=;2!;=2ÑÚ`에서

즉, k=-35
-;a@;=-1
d=10일 때, R=-55이므로
-55=-35-10 log`10Ç` 따라서 a=2

10n=-35+55=20
즉, n=2
130


그러므로 R=-35-10 log`dÛ`에서
w¼ 15a

3w¼= 10 (1+1015a)에서
수신 신호 강도가 -65일 때 2
-65=-35-10 log`dÛ` (1015a)Û`+1015a-6=0

20 log`d=-35+65=30 (1015a+3)(1015a-2)=0

log`d=;2#; 1015a>0이므로
1015a=2
;2#;
즉, d=10 w¼
kw¼= 10Ü`â`a(1+10Ü`â`a)에서
;2#; 2
따라서 신호 전송 범위는 10
2k=10Ü`â`a(1+10Ü`â`a)
④
따라서

k=;2!;_10Ü`â`a(1+10Ü`â`a)
129

a>0에서 0<2-;a@;<1 =;2!;_(1015a)Û`{1+(1015a)Û`}

즉, 1-2-;a@;>0이므로 =;2!;_2Û`_(1+2Û`)
-;a$; -;a@;
Q¼{1-2 } 1-{2 }Û`
Q(4) =10
= =
;
Q(2) Q¼{1-2 }
-;a@
1-2-;a@; ②

{1-2-;a@;}{1+2-;a@;}
= =1+2-;a@;
-;a@;
1-2
Q(4)
=;2#;에서
Q(2)

1+2-;a@;=;2#;

2-;a@;=;2!;=2ÑÚ`

-;a@;=-1

따라서 a=2
②
다른 풀이 치환을 이용한 풀이

Q(4)
=;2#;에서 2Q(4)=3Q(2)
Q(2)
2Q¼{1-2-;a$;}=3Q¼{1-2-;a@;}

2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4 2020-12-16 오후 7:37:20


[STEP 2]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형태를 파악한다.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35 쪽
이 값이 40 이하의 자연수가 되려면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1 9 02 13 03 10 04 7 05 75 2n;2#;=4û``(k=1, 2, 3, y, 40)





06 78 이어야 한다.
2k-1 2k-1
즉, n=4 에서 이 자연수가 되어야 하므로
01
3
3
정답률 29.8%

2k-1

k=2, 5, 8, y, 38 3
에서 2k-1은 3의 배수의 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즉 2k-1=3, 6, 9, y, 75
[STEP 3] 자연수 n의 개수를 구한다.
로그의 정의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n의 개수는
a>0, a+1, N>0일 때
13
ax=N HjK x=loga N
 13

풀이 전략 로그의 밑과 진수 조건을 이용한다.

문제 풀이 주의

[STEP 1] 로그의 밑의 조건을 확인한다.


로그의 밑이 미지수이면
로그의 진수 조건뿐만 03 정답률 25.1%



아니라 밑의 조건도 따
x가 밑이므로 x>0, x+1 yy ㉠ 져주어야 한다.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STEP 2] 로그의 진수 조건을 이용하여 이차부등식을 푼다.
로그의 성질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하여 -xÛ`+4x+5>0이므로 a>0, a+1, M>0, N>0일 때
xÛ`-4x-5<0, (x+1)(x-5)<0 M
⑴ loga =loga M-loga N
N
yy ㉡



-1<x<5
⑵ loga Mk=k loga M (단, k는 실수)
[STEP 3]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x의 값의 합을 구한다.



㉠, ㉡에서 0<x<1 또는 1<x<5
풀이 전략 로그의 성질을 이해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값을 구한다.

따라서 정수 x는 2, 3, 4이므로 구하는 합은
문제 풀이
2+3+4=9
[STEP 1]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9
1
log`xÜ`-log` =3 log`x-(-2 log`x)=5 log`x
xÛ`



[STEP 2] x의 값의 범위를 이용하여 5 log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10Éx<1000에서
양변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1Élog`x<3, 5É5 log`x<15 log`10Élog`x<log`1000이므로

02

1Élog`x<3

정답률 27.4% 따라서 5 log`x의 값이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x의 개수는 10





 10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보충 설명

로그의 성질
5 log`x의 값이 자연수 5, 6, 7, y, 14가 되도록 하는 x의 값을 각
a>0, a+1, M>0, N>0일 때

M
각 구하면 x=10, 10;5^;, 10;5&;, y, 10:Á5¢:
⑴ loga =loga M-loga N
N



⑵ loga Mk=k loga M (단, k는 실수)



로그의 성질과 거듭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한다. 04 정답률 12.3%

풀이 전략


문제 풀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STEP 1]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간단히 한다. 로그의 성질
1 a>0, a+1, M>0일 때
log¢`2nÛ`- `logª`'§n=log¢`2nÛ`-log¢`'§n
2 loga M이 자연수가 되기 위해서는 M=ak (k는 자연수)의 꼴이어야

2nÛ` 한다. 즉, loga M=loga ak=k
=log¢`
'§n



=log¢`(2n;2#;) 풀이 전략 로그의 성질과 일대일대응의 조건을 이용한다.


정답과 풀이 ● 25

해_001~027 수Ⅰ-1단원-ok1.indd 25 2020-12-17 오후 6:17:30


문제 풀이 3Œ`=d에서
[STEP 1] A(x)의 의미를 파악해서 A(4), A(5), y, A(8) 을 구한다.   a=log£`d yy ㉠
log®`n이 자연수가 되려면 n은 x의 거듭제곱이어야 하므로 A(x) 5º`=d에서
의 값은 1부터 300 사이의 자연수 중 x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어 b=log°`d yy ㉡
지는 수의 개수이다. k`=d에서
2¡`<300<2á`이므로 c=logû`d yy ㉢
logª 2, logª 4, logª 8, y, logª 256이므로
A(2)=8 [STEP 2] 조건 (나)에서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a, b, c에 대한 관계식을 구
       

자연수는 8개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2 이상의 자연수 x에 대하여 A(x)의 값을 구 한다.

하면 조건 (나)에서
3Þ`<300<3ß`이므로 A(3)=5 log`c=log`(2ab)-log`(2a+b)
a>0, a+1, M>0, N>0일 때
4Ý`<300<4Þ`이므로 A(4)=4 2ab
=log` logŒ`M-logŒ`N=logŒ`
M
2a+b N
5Ü`<300<5Ý`이므로 A(5)=3
2ab
6Ü`<300<6Ý`이므로 A(6)=3 c=
2a+b
7Û`<300<7Ü`이므로 A(7)=2
c(2a+b)=2ab yy ㉣
8Û`<300<8Ü`이므로 A(8)=2
[STEP 3] 관계식에 로그의 값을 대입하여 kÛ`의 값을 구한다.
[STEP 2]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 될 조건을 이용하여 집합 X의 개수를 구
㉠, ㉡, ㉢을 ㉣에 대입하면
   

주의
한다. 로그의 진수가 d로
logû`d(2 log£`d+log°`d)=2 log£`d`log°`d 같으므로 로그의 밑변환


전체집합 P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X에 대하여 집합 X에서 공식을 이용하여
1 2 1 1 로그의 밑을 d로 통일
_ + _
집합 X로의 대응 f 가 일대일대응이 되려면 집합 X는 집합  log¶`k log¶`3 log¶`k log¶`5 하도록 한다.

{2, 3, 4, 5, 8}의 부분집합이어야 한다. 2 1


= _
함숫값이 될 수 있는 log¶`3 log¶`5
함수 f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임의의 a<X에 대하여
    A(x)의 값이 2, 3,
4, 5, 8이다.
f(a)<X, f( f(a))=a 2 log¶`5+log¶`3=2 log¶`k


   

logŒ`M+logŒ`N=logŒ`MN,
를 만족시키는 집합 X는 log¶`75=log¶`kÛ`
logŒ`Mû`=k logŒ`M (k는 실수)

{4}, {2, 8},{3, 5}, {2, 4, 8}, {3, 4, 5}, 따라서 kÛ`=75
f( f(4))=f(4)=4 → {4}
   

{2, 3, 5, 8}, {2, 3, 4, 5, 8}이다.


f( f(2))=f(8)=2 → {2, 8}
     75
f( f(3))=f(5)=3 → {3, 5}
따라서 함수 f : X 2Ú X가 일대일대응이 되도록 하는 집합 X
   

의 개수는 7이다.
7

06 정답률 3.4%


05 개념만 확실히 알자!
정답 공식
정답률 11.3%


로그의 밑과 진수의 조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ax=N HjK loga N=x

로그의 정의 ① 로그의 밑의 조건: a>0, a+1
a>0, a+1, N>0일 때 ② 로그의 진수의 조건: N>0
a =N HjK x=loga N
x

풀이 전략 로그의 성질을 이용한다.



풀이 전략 로그의 정의와 성질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한다. 문제 풀이

문제 풀이 [STEP 1] 로그의 진수 조건과 두 수가 같음을 이용하여 관계식을 세운다.


[STEP 1] 조건 (가)의 값을 d로 놓고 로그의 정의를 이용한다. 로그의 진수 조건에서
조건 (가)에서 na-aÛ`>0, nb-bÛ`>0이므로
bÛ`-nb<0에서 b(b-n)<0
3Œ`=5º`=k`=d(d>1) 0<a<n, 0<b<n
aÛ`-na<0에서 a(a-n)<0
로 놓으면 또 logª (na-aÛ`)=logª (nb-bÛ`)에서


2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6 2020-12-16 오후 7:37:21


na-aÛ`=nb-bÛ`
bÛ`-aÛ`-nb+na=0 수능이 보이는 강의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b-a)(b+a)-n(b-a)=0 이 문제는 로그의 진수 조건을 이용하지 않아도 풀 수 있어.
(b-a)(b+a-n)=0 logª (na-aÛ`)과 logª (nb-bÛ`)에서 두 로그의 값이 같은 자연수
   

b+a-n=0에서 b+a=n
b-a>0이므로 라고 했으므로

b+a=n na-aÛ`=2k, nb-bÛ`=2k(k는 자연수)로 놓을 수 있지.


이때 a, b만 다를 뿐 형태가 같으므로 a, b는 이차방정식
[STEP 2] logª (na-aÛ`)과 logª (nb-bÛ`)이 같은 자연수임을 이용하여
nx-xÛ`=2k, 즉 xÛ`-nx+2k=0의 두 근임을 알 수 있어.


ab=2û``(k=1, 2, 3, y)의 꼴이어야 함을 이해한다. 이때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면
logª`(na-aÛ`)이 자연수이고 a+b=n, ab=2k이 성립해.
na-aÛ`=(b+a)a-aÛ`=ab이므로
logª ab=k (k는 자연수)에서
ab=2û` (k=1, 2, 3, y)의 꼴이어야 한다.

ab=2û`

[STEP 3] a, b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을 이용한다.


a+b=n, ab=2k`(k=1, 2, 3, y)이므로 a, b는
xÛ`-nx+2k=0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다.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주의

k 조건에서 0<b-aÉ;2N; 이므로 a+b


D=nÛ`-4´2 >0
즉, a, b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이므로 판별식
nÛ`>4´2k yy`㉠ D>0임을 이해한다.

n
한편, 0<b-aÉ 의 양변을 제곱하면
2
nÛ`
(b-a)Û`=(b+a)Û`-4abÉ
4
nÛ`
nÛ`-4´2kÉ
4

nÛ`É:Á3¤:´2k yy`㉡

㉠, ㉡에서 4´2k<nÛ`É:Á3¤:´2k

[STEP 4] k=1, 2, 3, y을 대입하여 자연수 n의 값을 구한다.

k=1일 때 8<nÛ`É:£3ª: 이므로 n=3

k=2일 때 16<nÛ`É:¤3¢: 이므로 만족하는 n의 값은 없다.

k=3일 때 32<nÛ`É;:!3@:*; 이므로 n=6

k=4일 때 64<nÛ`É;:@3%:^; 이므로 n=9

k=5일 때 128<nÛ`É;:%3!:@; 이므로 n=12, 13

k=6일 때 256<nÛ`É:Á:¼3ª:¢: 이므로 n=17, 18

k=7일 때 512<nÛ`É:ª:¼3¢:¥: 이므로 20 이하의 자연수 n은 존재하

지 않는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20 이하의 자연수 n의 값은 3, 6, 9,
12, 13, 17, 18이고, 그 합은
3+6+9+12+13+17+18=78
 78

정답과 풀이 ● 27

해_001~027 수Ⅰ-1단원-ok.indd 27 2020-12-16 오후 7:37:21



따라서
삼각함수 '¶21
sin`h 7 '3
tan`h= = =-
cos`h 2'7 2
본문 38~53 쪽 -
7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①

01 5 02 ④ 03 ③ 04 ① 05 ④





06 48 07 ④ 08 32 09 27 10 80
05





11 ④ 12 ⑤ 13 ⑤ 14 ③ 15 ②


'3





16 ③ 17 ③ 18 ③ 19 ① 20 ④ cos`;6Ò;= , tan`
2p
=-'3





21 ⑤ 22 6 23 ③ 24 ① 25 ② 2 3




이므로
26 ③ 27 ④ 28 6 29 ④ 30 ⑤ '3 Û`
cosÛ``{;6Ò;}+tanÛ``{ }={ } +(-'3 )Û
2p




31 ① 32 9 33 ④ 34 ③ 35 ④ 3 2







36 ④ 37 ③ 38 7 39 ② 40 ⑤
=;4#;+3





41 ② 42 ① 43 ② 44 30 45 10





46 ② 47 ⑤ 48 ⑤ 49 13 50 32
=:Á4°:




51 ⑤ 52 21 53 ③ 54 50 55 ①
④





56 ⑤ 57 ⑤ 58 ③ 59 ③ 60 ⑤





61 ② 62 ② 63 ② 64 ① 65 25





66 ④
06

sin`{;2Ò;+h}`tan`(p-h)=cos`h_(-tan`h)=-sin`h
유형 1 삼각함수의 정의
즉, sin`h=-;5#;이므로 30(1-sinh)=30_;5*;=48

01  48

8 sin`;6Ò;+tan`;4Ò;=8_;2!;+1=5
07

5

h가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sin`h<0

02 sinÛ``h+cosÛ``h=1에서

반지름의 길이 r=3, 중심각의 크기 h=;3@;p이므로 sin`h=-"Ã1-cosÛ``h =-¾¨1-{-;5$;}Û`=-;5#;

(부채꼴의 호의 길이)=rh=3_;3@;p=2p -;5#;


sin`h
따라서 tan`h= = =;4#;
cos`h
④ -;5$;

④

03

반지름의 길이 r=4, 중심각의 크기 h=;6Ò; 이므로
08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호의 길이를 l이라 할 때, 중심각의
(부채꼴의 호의 길이)=rh=4_;6Ò;=;3@;p
l
크기가 1라디안이므로 =1, 즉 l=r
③ r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는 2r+l=24이므로

04 l=r를 대입하면 3r=24



r=8, l=8
sinÛ``h+cosÛ``h=1이고 ;2Ò;<h<p이므로
따라서 부채꼴의 넓이는 ;2!; rl=;2!;_8_8=32
'¶21 Û`

cos`h=-¾¨1-{ } =-
2'7
7 7  32

2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1.indd 28 2020-12-17 오후 6:17:51


09
유형 2 삼각함수의 그래프
C
11


h tan`;4%;p=tan`{p+;4Ò;}=tan`;4Ò;=1
A H O B
④
반원의 중심을 O라 하면 반원의 지름의 길이가 12이므로
OBÓ=6
∠COB=h라 하면 호 BC의 길이가 4p이므로 12 Ⅱ


6_h=4p sin`:¦3É:=sin`{2p+;3Ò;}

삼각함수
즉, h=;3@;p
=sin`;3Ò;


∠COH=p-h=;3Ò; '3
=
2


삼각형 CHO는 직각삼각형이고 OCÓ=6이므로
⑤
CHÓ=OCÓ_sin`;3Ò;

'3
=6_
2
=3'3
13

따라서 CHÓ Û`=(3'3)Û`=27 cos`{h+;2Ò;}=-sin`h
 27
=-;3!;

10 ⑤

원점을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3인 원이 세 동경 OP,
OQ, OR와 만나는 점을 각각 A, B, C라 하자. 14

점 P가 제1사분면 위에 있고, sin`a=;3!; 이므로 cos`:£2É:=cos`{p+;2Ò;}

점 A의 좌표는 A(2'2 , 1) =-cos`;2Ò;


점 Q가 점 P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0

동경 OQ도 동경 OP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③
그러므로 점 B의 좌표는 B(1, 2'2 )

점 R가 점 Q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동경 OR도 동경 OQ와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15

그러므로 점 C의 좌표는 C(-1,-2'2 ) -1Écos`xÉ1이므로

삼각함수의 정의에 의해 -4+3É4`cos`x+3É4+3이다.
2'2 -2'2 즉, -1É4`cos`x+3É7
sin`b= , tan`c= =2'2
3 -1 이므로 함수 f(x)=4`cos`x+3의 최댓값은 7이다.

따라서 9(sinÛ``b+tanÛ``c)=9_{;9*;+8}=80 ②

 80

16

함수 f(x)=a sin`x+1의 그래프는 함수 y=a sin`x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a>0이므로 y=a sin`x가 최대일 때 f(x)는 최대이고,


y=a sin`x가 최소일 때 f(x)는 최소이다.


그러므로 함수 f(x)는

정답과 풀이 ● 29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29 2020-12-16 오후 7:38:43


sin`x=1일 때 최댓값 M=a+1,
sin`x=-1일 때 최솟값 m=-a+1
21


p p
을 갖는다. 함수 y=a sin` x의 그래프는 함수 y=sin` x의 그래프를
2b 2b





이때 M-m=(a+1)-(-a+1)=2a이므로 y축의 방향으로 a배한 것이고 a>0이므로 최댓값은 a이고 최솟값


2a=6 은 -a이다.
따라서 a=3 p
그런데 함수 y=a sin` x의 최댓값이 2이므로 a=2
③ 2b



p
함수 y=a sin` x의 주기가
2b
17



2p

=4b
'2  p  
sin`;4#;p=sin`{p-;4Ò;}=sin`;4Ò;= 2b
2
'2 이므로 4b=2에서 b=;2!;
cos`;4#;p=cos`{p-;4Ò;}=-cos`;4Ò;=-
2
따라서 따라서 a+b=2+;2!;=;2%;
'2 '2
sin`;4#;p+cos`;4#;p= +{- }=0 ⑤
2 2
③
22
18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sin`;6&;p=sin`{p+;6Ò;}
-1Ésin`xÉ1
이므로 함수 f(x)=5 sin`x+1의 최댓값은


=-sin`;6Ò;=-;2!; 5_1+1=6
③ 6

19 23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2p
-1Écos`xÉ1 함수 f(x)=a`sin`bx의 주기가 이고 최댓값이 a이므로 두 점
b

-1Écos`{x+;2Ò;}É1 A, B의 좌표는
p
A{ , a}, B{;bÒ;, 0}
-2É2`cos`{x+;2Ò;}É2 2b
점 A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1É2`cos`{x+;2Ò;}+3É5
y
a A y=a
따라서 함수 f(x)=2`cos`{x+;2Ò;}+3의 최솟값은 1

y=f(x)
①

20
O H B x

tan`h=;4#; {0<h<;2Ò;}이므로 OHÓ=BHÓ=AHÓ=a이므로 ;bÒ;=2a

삼각형 OAB의 넓이는 4이므로
sin`h=;5#;
;2!;_2a_a=4, a=2
따라서
p
cos`{;2Ò;-h}+2`sin`(p-h)=sin`h+2`sin`h b= =;4Ò;
2a

=3`sin`h=;5(; 따라서 a+b=2+;4Ò;

④ ③

3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0 2020-12-16 오후 7:38:44


24
27


삼각함수의 주기는 y=tan`x에 x=;3Ò;, y=c를 대입하면
=;3@; p-{-;3Ò;}=p
2p
a c=tan`;3Ò;='3

이므로 a=2
주어진 그래프에서 y=a sin`bx의 주기가 p이므로


y=cos`2(x+b)+1의 그래프는 y=cos`2x+1의 그래프를 x축
2p
=p
의 방향으로 -b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고 0<b<p이므로 b

-b=-;3Ò; 따라서 b=2 Ⅱ


y=a sin`2x의 그래프가 점 {;3Ò;, '3}을 지나므로
b=;3Ò;


삼각함수
'3
a sin`;3@; p= a='3
따라서 ab=2_;3Ò;=;3@; p 2





따라서 a=2
①
a=2, b=2, c='3이므로

25 abc=4'3

④
두 함수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y좌표가 같으므로

sin`x=cos`{x+;2Ò;}+1

cos`{x+;2Ò;}=-sin`x이므로 2 sin`x=1
28

즉, sin`x=;2!;

주어진 그래프에서 최댓값이 3, 최솟값이 -3이므로
그러므로 x=;6Ò; 또는 x=;6%;p a=3
주어진 그래프는 주기가 p이므로
따라서 만나는 모든 점의 x좌표의 합은 p
2p
② =p, b=2
b
따라서 ab=6
26 6

f(x)=cosÛ``{x-;4#;p}-cos`{x-;4Ò;}+k

=cosÛ``{x-;4Ò;-;2Ò;}-cos`{x-;4Ò;}+k

=cosÛ``[;2Ò;-{x-;4Ò;}]-cos`{x-;4Ò;}+k 29

=sinÛ``{x-;4Ò;}-cos`{x-;4Ò;}+k 함수 y=cos`{x-;2Ò;}의 그래프는 함수 y=sin`x의 그래프와 일

치하고 함수 y=sin`4x의 최댓값은 1, 최솟값은 -1, 주기는 ;2Ò;이


=1-cosÛ``{x-;4Ò;}-cos`{x-;4Ò;}+k

므로 0Éx<2p에서 두 함수 y=sin`x와 y=sin`4x의 그래프는
cos`{x-;4Ò;}=t로 놓으면 -1ÉtÉ1이고

다음 그림과 같다.
y=-tÛ`-t+k+1=-{t+;2!;} +k+;4%;에서
Û` Z
ZTJOAY

t=-;2!;일 때 최댓값 k+;4%;, t=1일 때 최솟값 k-1을 갖는다. ZTJOAY
L
즉, 최댓값 k+;4%;=3에서 k=;4&;이므로 0 L L  Y
L
 

m=k-1=;4&;-1=;4#; 

따라서 k+m=;4&;+;4#;=;2%; 따라서 두 곡선이 만나는 점의 개수는 8


③ ④

정답과 풀이 ● 31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1 2020-12-16 오후 7:38:44


30 32


두 조건 (나), (다)에서 2p
두 함수 y=sin`x, y=sin(3x)의 주기가 각각 2p, 이므로
3
{0ÉxÉ;2Ò;}
[ -sin`4x`{;2Ò;<xÉp}
sin`4x
0ÉxÉp에서 두 곡선 y=sin`x, y=sin(3x)를 좌표평면에 나타

 f(x)=
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y
조건 (가)에서 f(x+p)=f(x)이므로 함수 f(x)의 그래프는 다 y=sinx
1


음 그림과 같다.
y p x
y= p
1 2
O p p x
-p 2
2 y=sin(3x)
-p O p x
y=f(x)
-1
-1
위의 그림에서 두 곡선 y=sin`x, y=sin(3x)의 교점의 개수가 4
x
위의 그림에서 직선 y= 는 두 점 (p, 1), (-p, -1)을 지나 이므로
p
x
므로 함수 f(x)의 그래프와 직선 y= 가 만나는 점의 개수는 8 a£=4
p

2p
이다. 두 함수 y=sin`x, y=sin(5x)의 주기가 각각 2p, 이므로
5
⑤ 0ÉxÉp에서 두 곡선 y=sin`x, y=sin(5x)를 좌표평면에 나타
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y y=sinx
1

31

반지름의 길이가 rÁ, rª인 원의 중심을 각각 C, D, 선분 AP의 중 O p p x
2
점을 E라 하면 다음 그림과 같이 직선 OE는 원의 중심 D를 지난 y=sin(5x)
다. -1

P
위의 그림에서 두 곡선 y=sin`x, y=sin(5x)의 교점의 개수가 5
D rª 이므로
E
C a°=5

h
A B 따라서 a£+a°=4+5=9
O
9
∠BAP=h라 할 때 cos`h=;5$;이므로

p
sin`h=;5#; {0<h< }
2
Ú ∠BOP=2h이므로 ∠BOC=h

rÁ+OCÓ=rÁ+ =1
sin`h
sin`h
rÁ= =;8#;
1+sin`h
Û 2rª+OEÓ=2rª+sin`h=1
1-sin`h
rª= =;5!;
2
Ú, Û에서

rÁrª=;4£0;

①

3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2 2020-12-16 오후 7:38:45


1-sinÛ``x=sinÛ``x-sin`x
유형 3 삼각함수의 방정식, 부등식에의 활용
2`sinÛ``x-sin`x-1=0

33
(2`sin`x+1)(sin`x-1)=0

즉, sin`x=-;2!; 또는 sin`x=1

sinÛ``x=1-cosÛ``x이므로
2 sinÛ``x+3 cos`x=3에서 y


1 11 p
7p -
2(1-cosÛ``x)+3 cos`x=3 - 6
O 6 2p

2 cosÛ``x-3`cos`x+1=0 1 p x
--
2 p

(cos`x-1)(2 cos`x-1)=0
-
2 y=sin`x Ⅱ

cos`x=1 또는 cos`x=;2!; Ú sin`x=-;2!; 일 때

삼각함수


y
1 1
-
y=cos`x x=;6&; p 또는 x=:Á6Á: p




2
p
O 5 p 2p x Û sin`x=1일 때
-


p 3
-
3 x=;2Ò;


이때 0Éx<2p이므로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모든 해의 합은

x=0 또는 x=;3Ò; 또는 x=;3%;p ;6&; p+:Á6Á: p+;2Ò;=;2&; p





따라서 모든 해의 합은 ④

0+;3Ò;+;3%;p=2p

④ 36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실근을 갖지 않아야 하

34 므로

1+'2`sin`2x=0에서 D
=4 cosÛ``h-6 sin`h<0
4


1
sin`2x=- 4(1-sinÛ``h)-6 sin`h<0
'2

2 sinÛ``h+3 sin`h-2>0
2x=t로 놓으면 0ÉtÉ2p


(2 sin`h-1)(sin`h+2)>0
y

그런데 sin`h+2>0이므로
5p
- 7p
-
4 4 2 sin`h-1>0

1 O p 2p t
--
12 즉, sin`h>;2!;
y=sin t
0Éh<2p일 때
위의 그래프에서
p
<h<;6%; p
t=;4%; p 또는 t=;4&; p 6



p
따라서 a= , b=;6%; p이므로
즉, 2x=:°4É: 또는 2x=:¦4É: 이므로 6


p
3a+b= +;6%; p=;3$; p
x=:°8É: 또는 x=:¦8É: 2


④
따라서 모든 해의 합은

:°8É:+:¦8É:=;:!8@:Ò;=:£2É:

③ 37

Ú 2Å` -8<0이고 cos`x-;2!;>0인 경우

35 2Å` <8에서 2Å` <2Ü`




방정식 cosÛ``x=sinÛ``x-sin`x에서 따라서 0<x<3 yy ㉠


정답과 풀이 ● 33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3 2020-12-16 오후 7:38:46


cos`x>;2!;에서 따라서 모든 해의 합은

;6Ò;+;6%;p+2p+;6Ò;+2p+;6%;p=6p
0<x<;3Ò; yy ㉡

  
②
㉠, ㉡에서 0<x<;3Ò;

Û 2Å` -8>0이고 cos`x-;2!;<0인 경우
40


2Å` >8에서 2Å` >2Ü` sin`x='3(1+cos`x)에서 sinÛ``x=1-cosÛ``x이므로



따라서 3<x<p yy ㉢ 1-cosÛ``x=3(1+cos`x)Û`, 2(1+cos`x)(2 cos`x+1)=0



cos`x<;2!;에서 Ú cos`x=-1일 때, sin`x=0이고 x=p

'3
;3Ò;<x<p yy ㉣ Û cos`x=-;2!;일 때, sin`x= 이고 x=;3@;p
2

  
㉢, ㉣에서 3<x<p Ú, Û에서 방정식의 모든 해의 합은 ;3%;p이다.

Ú, Û에서 0<x<;3Ò; 또는 3<x<p이므로 ⑤

(b-a)+(d-c)={;3Ò;-0}+(p-3)

=
4p
3
-3 41

4`cosÛ``x-1=0에서
③
(2cos`x+1)(2`cos`x-1)=0

cos`x=-;2!; 또는 cos`x=;2!;
38 y

cosÛ``x-sin`x=1에서
2p 4p y=cos`x
(1-sinÛ``x)-sin`x=1 3 3
;2!;
p
sinÛ``x+sin`x=0 O 2p x
-;2!;
sin`x(sin`x+1)=0 p 5p
3 3
sin`x=0 또는 sin`x=-1
0<x<2p이므로 따라서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x=p 또는 x=;2#; p x=
p
또는 x=;3@;p 또는 x=;3$;p 또는 x=;3%;p
3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한편, sin`x`cos`x<0이므로 x는 제2사분면의 각 또는 제4사분면
p+;2#; p=;2%; p 의 각이다.

그러므로 p=2, q=5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은 x=;3@;p 또는 x=;3%;p이므로 모든 x의 값


p+q=2+5=7
의 합은 ;3&;p이다.
7
②

39
42

cos`{;2Ò;+x}=-sin`x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이차방정식
4`sinÛ``x+4`sin`x-3=0
xÛ`-(2 sin`h)x-3 cosÛ``h-5 sin`h+5=0



(2`sin`x-1)(2`sin`x+3)=0
의 판별식을 D라 하면 이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져야 하므로
sin`x=;2!; D
=(-sin`h)Û`-(-3 cosÛ``h-5 sin`h+5)¾0
4


이때 0Éx<4p이므로
이어야 한다.
x=;6Ò;, ;6%;p, 2p+;6Ò;, 2p+;6%;p 즉, sinÛ``h+3 cosÛ``h+5 sin`h-5¾0


3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4 2020-12-16 오후 7:38:46


이때 cosÛ``h=1-sinÛ``h이므로 y

sinÛ``h+3(1-sinÛ``h)+5 sin`h-5¾0
5
4 | 1
y= cos`x+ 4 |
3


y=k
2 sinÛ``h-5 sin`h+2É0 4
p 2p x


O
(2 sin`h-1)(sin`h-2)É0
3

-
sin`h-2<0이므로 4

2 sin`h-1¾0 따라서 직선 y=k와의 교점이 3개이려면



sin`h¾;2!; k=;4#;
이때 0Éh<2p이므로 이어야 한다.

;6Ò;ÉhÉ;6%; p 즉, a=;4#;이므로

삼각함수

y
40a=40_;4#;=30
1 y=sin`h
2  30
2p
O p 5
p h
6 6
45


`sin`{x+;3Ò;}-;8&;=0에서
2
따라서 a=;6Ò;, b=;6%; p이므로
'3

7'3
4b-2a=4_;6%; p-2_;6Ò; sin`{x+;3Ò;}=
16

=3p
t=x+;3Ò; 라 하면 ;3Ò;ÉtÉ;3&;p
①

7'3 '3 7'3
<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sin`t=
16 2 16


43
7'3
방정식 sin`t= {;3Ò;ÉtÉ;3&;p}는 두 실근 tÁ, tª(tÁ<tª)를 갖
16

y 는다.

1 y=sin`x y
2
'13 7''13
y=
2 16
p
O p 5p x
6 6
O p tÁ p 2p tª 7 p t
3 3
sin`x=;2!;(0ÉxÉp)이므로
y=sin`t

x=;6ÒÒ; 또는 x=;6%; p
tÁ=xÁ+;3Ò;, tª=xª+;3Ò; (xÁ, xª는 실수)라 하면

따라서 모든 해의 합은
tª=2p+(p-tÁ)이므로
;6ÒÒ;+;6%; p=p
tÁ+tª={xÁ+;3Ò;}+{xª+;3Ò;}=3p

②
7'3
방정식 sin`{x+;3Ò;}= 의 모든 실근의 합은
16

xÁ+xª=3p-;3@;p=;3&;p
44 따라서 p=3, q=7이므로

방정식 |cos`x+;4!;|=k가 서로 다른 3개의 실근을 가지려면 함
p+q=10
수 y=|cos`x+;4!;|의 그래프와 직선 y=k가 서로 다른 세 점에  10

서 만나야 한다.

0Éx<2p에서 함수 y=|cos`x+;4!;|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정답과 풀이 ● 35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5 2020-12-16 오후 7:38:47


따라서
유형 4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BCÓ='4Œ1
⑤
46
49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7이므로 사인법칙에 의


하여 aÛ`=8Û`+7Û`-2_8_7_cos`120ù=169

BCÓ 이때 a>0이므로
=2_7
sin`;3Ò; a=13
 13
BCÓ=7'3 yy ㉠

한편, ABÓ`:`ACÓ=3`:`1이므로 50


ACÓ=k (k>0)이라 하면 ABÓ=3k ∠ADB=∠ACB=30ù
이때 △ABD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¾¨ABÓ Û`+ACÓ Û`-2 ABÓ_ACÓ_cos`;3Ò; ADÓ 16'2
=



sin`45ù sin`30ù
=¾¨9kÛ`+kÛ`-2_3k_k_;2!; '2
따라서 ADÓ=16'2_ _2=32
2
="7kÛ`
 32
='7 k yy ㉡

51


㉠과 ㉡에서

7'3='7 k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k='¶21 사인법칙에 의하여
따라서 5
=2R
ACÓ=k='¶21 sin`;6Ò;
②
따라서 R=5

47 ⑤

사인법칙에 의하여
52

BCÓ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해
=2_5이므로
sin`;4Ò;
ACÓ
=2_15
sin`B
BCÓ=2_5_sin`;4Ò;
따라서
'2
=2_5_
2 ACÓ=30_sin`B=30_;1¦0;=21
=5'2  21
⑤
53
48

∠C=120ù이므로

삼각형 AB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사인법칙에 의하여
6Û`+6Û`-('1Œ5)Û` BCÓ 8
cos`A= =
2_6_6 sin`45ù sin`120ù

=;7%2&; 따라서
8 '2
이므로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CÓ= _
'3 2
BCÓ Û`=ABÓ Û`+CAÓ Û`-2_ABÓ_CAÓ_cos`A 2
8'6
=6Û`+10Û`-2_6_10_;7%2&; =
3
=36+100-95=41 ③

3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6 2020-12-16 오후 7:38:47


54
2R=
CDÓ
sin(∠CAD)
=5'1Œ0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5'1Œ0
R= 이므로 삼각형 ADC의 외접원의 넓이는 ;:!2@:%;p이다.
BCÓ `Û =5Û`+6Û`-2_5_6_cos`A=25 2
이때 BCÓ>0이므로 ①
BCÓ=5
이때 0<A<p에서 sin`A>0이므로

sin`A=¾1¨-{;5#;}2`=;5$;
56 Ⅱ


이때 사인법칙에 의하여 AQÓ⊥PQÓ, ARÓ⊥PRÓ이므로 네 점 A, Q, P, R는 한 원 위의 점이
BCÓ 다. 즉, APÓ는 △AQR의 외접원의 지름이다.

삼각함수
=2R
sin`A
△AQR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ª4°:=2R
5
QRÓ
=APÓ=6
;5$; sin`A
이때 △AB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따라서 R=:ª8°:이므로
sin`A=;1¤0;=;5#;
16R=50
 50 따라서 QRÓ=6 sin`A=6_;5#;=:Á5¥:


⑤

55

57
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원이 세 선분 CA, AB, BC와 만나는
점을 각각 P, Q, R라 하자.

ㄱ. a=5이면 △ABC는 직각삼각형이므로 변 BC는 원의 지름이다.
OQÓ=ORÓ=3이므로 DRÓ=DBÓ-RBÓ=1

DOÓ="Ã3Û`+1Û`='1Œ0이므로 즉, R=;2%; (참)

1 '1Œ0 ㄴ. 사인법칙에 의하여
sin`(∠DOR)= =
'1Œ0

10
a=2R sin`A


C
따라서 a=2_4_sin`A=8 sin`A (참)


ㄷ.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

3Û`+4Û`-aÛ`
D cos`A=
O 2_3_4

R
25-aÛ`
=
24

A B
Q
이고 1<aÛ`É13이므로

삼각형 DOR와 삼각형 OAQ는 닮음비가 1`:`3이므로
;2!;Écos`A<1
AQÓ=3_ORÓ=9

따라서 0ù<AÉ60ù이므로 ∠A의 최댓값은 60ù이다. (참)
이때 점 O가 삼각형 ABC의 내심이므로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PAÓ=AQÓ=9, ∠CAD=∠DAB
⑤
ABÓ`:`ACÓ=BDÓ`:`DCÓ, 12`:`(9+CPÓ)=4`:`(CRÓ-1)
9+CPÓ=3(CRÓ-1)
이때 CPÓ=CRÓ이므로 CRÓ=6, 즉 CDÓ=5
직선 OR와 직선 AB가 평행하므로
∠DAB=∠DOR, 즉 ∠CAD=∠DOR
58

BCÓ=2'5 , OBÓ=OCÓ='1Œ0이므로 삼각형 OBC는 직각이등변삼
삼각형 AD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사인법칙에

각형이고 ∠BOC=;2Ò; 이다.
의하여

정답과 풀이 ● 37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7 2020-12-16 오후 7:38:47


∠AOB=a, ∠AOC=b라 하면 두 삼각형 OAB, OCA의 넓이 sin`A : sin`B : sin`C=a : b : c yy ㉠










SÁ, Sª는 각각 6 sin`A=2'3 sin`B=3 sin`C=k`(k+0인 실수)로 놓으면




SÁ=;2!;_('1Œ0)Û`_sin`a=5 sin`a sin`A=
k
, sin`B=
k
, sin`C=
k
6 2'3 3


Sª=;2!;_('1Œ0)Û`_sin`b=5 sin`b 이므로 ㉠에 의하여


: =1 : '3 : 2
k k k
주어진 조건에서 3SÁ=4Sª이므로 a : b : c= : yy ㉡
6 2'3 3













sin`a=;3$;`sin`b ㉡에 의하여 △ABC는 다음 그림과 같다.
A
a+b+;2Ò;=2p이므로 b=;2#; p-a

30ù
sin`a=;3$;`sin`{;2#; p-a}=-;3$;`cos`a yy ㉠
2

'13
sinÛ``a+cosÛ``a=1에서 :Á9¤:`cosÛ``a+cosÛ``a=1

cosÛ``a=;2»5;
60ù
B C
1
sin`a>0이므로 ㉠에서 cos`a<0
즉, △ABC는 ∠C=90ù인 직각삼각형으로 ∠A=30ù이다.
따라서 cos`a=-;5#; ⑤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구하는 선분 AB의 길이는

ABÓ=¿¹(OAÓ)Û`+(OBÓ)Û`-¹2_OAÓ_OBÓ_cos`a

=¾¨('1Œ0)Û`+('1Œ0)Û`¨-2('1Œ0)Û`_{-;5#;} 61

y
=4'2 C(x, y)
③
a

59
b
O
D A c B x

∠BAC=h라 하면 ∠PAU=180ù-h이므로

△PAU=;2!;_AUÓ_APÓ sin(180ù-h) 위의 그림과 같이 점 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D라 하면



x=-ADÓ=-{b cos(p-A)}=-(-b cos`A)
‌


=;2!; bc sin`h = b cos`A



y=CDÓ=b sin(p-A)= b sin`A
이때 △ABC=;2!; bc sin`h이므로
‌




△CDB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PAU=△ABC
BCÓ Û`=BDÓ Û`+CDÓ Û`=(ADÓ+ABÓ)Û`+CDÓ Û`  
‌

같은 방법으로
=( c-x )Û`+yÛ`=(-b cos`A+c)Û`+(b sin`A)Û`
△QRB=△ABC,



=bÛ``cosÛ``A-2bc`cos`A+cÛ`+bÛ``sinÛ``A
△CST=△ABC

=bÛ`(sinÛ``A+cosÛ``A)-2bc`cos`A+cÛ`
한편 APQB, BRSC, CTUA의 넓이는 각각 cÛ`, aÛ`, bÛ`이

=bÛ`+cÛ`-2bc cos`A
고, △ABC의 넓이는 ;2!; ab이므로 육각형 PQRSTU의 넓이는

②

cÛ`+aÛ`+bÛ`+4_;2!; ab=2(cÛ`+ab)

③

60 62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가 3'5 이므로 사인법칙에

a b c

= = =2R에서
sin`A sin`B sin`C 의해
a b c 10 '5
sin`A= , sin`B= , sin`C= 이므로 =2_3'5, sin`C=
2R 2R 2R sin`C 3

3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8 2020-12-16 오후 7:38:48


삼각형 ABC는 예각삼각형이므로
64
cos`C="Ã1-sinÛ``C=;3@;


주어진 원이 삼각형 BCD의 외접원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이므로
aÛ`+bÛ`-ab`cos`C 사인법칙에 의하여
=;3$; 에서
ab


2'3
CDÓ=2r sin`h= r, BCÓ=2r sin`;3Ò;='3r
aÛ`+bÛ`-;3@; ab 3



=;3$;

ab 삼각형 BCD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r}2`-2_'2_{
2'3 2'3
3aÛ`+3bÛ`-2ab=4ab, 3(a-b)Û`=0이므로 a=b ('3r)Û`=('2)Û`+{ r}_cos`;3Ò;
3 3
코사인법칙에 의해 Ⅱ
5rÛ`+2'6r-6=0
10Û`=aÛ`+bÛ`-2ab`cos`C=aÛ`+aÛ`-2aÛ`_;3@; -'6Ñ6
r=

삼각함수
5
100=;3@; aÛ`, aÛ`=150
6-'6

따라서 r>0이므로 r=
따라서 ab=aÛ`=150 5

② ①

65

63 BCÓ=6이고 BEÓ`:`ECÓ=1`:`5이므로
BEÓ=1, ECÓ=5

원의 중심을 O라 하면 두 삼각형 OAB와 OBC는 정삼각형이므
AEÓ='1Œ0, ACÓ=3'5
로 ABÓ=BCÓ=3
삼각형 AE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10+45-25 30 '2
cos`h= = =
2_'1Œ0_3'5 30'2 2
O
A
P 0<h<;2Ò;이므로

'2
B C sin`h=
2

삼각형 ABC에서 ∠ABC=
2p
이므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2 '2
3 따라서 50`sin`h`cos`h=50_ _ =25
2 2
2p
ACÓ Û`=3Û`+3Û`-2_3_3_cos` =27, ACÓ=3'3  25
3
다른 풀이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풀이
사각형 ABCP가 원에 내접하므로 ∠ABC+∠APC=p

p AEÓ='1Œ0, ACÓ=3'5이므로 삼각형 AEC의 넓이는
따라서 ∠APC=
3
;2!;_'1Œ0_3'5_sin`h=;;Á2°;;
APÓ=x, CPÓ=y라 하면 삼각형 ACP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 '2
(3'3 )Û`=xÛ`+yÛ`-2xy`cos` , 27=(x+y)Û`-3xy sin`h= 이므로
3 2

'2
x+y=8이므로 xy=;;£3¦;; cos`h= {0<h<;2Ò;}
2

삼각형 ABC의 넓이는 따라서 50`sin`h`cos`h=25
2p 9'3
;2!;_3_3_sin` =
3 4
삼각형 ACP의 넓이는 66

정육각형 격자구조이므로 각 삼각형은 모두 정삼각형이다.
p 37'3
;2!;_x_y_sin` =
3 12 Q
따라서 사각형 ABCP의 넓이는
9'3 37'3 16'3 2
+ =
4 12 3
120ù
② P
1

정답과 풀이 ● 39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39 2020-12-16 오후 7:38:48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두 점 P, Q를 잡으면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PQÓ Û`=1Û`+2Û`-2_1_2_cos`120ù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54~57 쪽



‌

=5+2=7 01 ⑤ 02 ② 03 10 04 13 05 40





따라서 PQÓ='7 06 ⑤ 07 ① 08 ① 09 63




고정된 한 원자와 중심 사이의 거리가 '7이려면 반지름의 길이가
'7인 원을 그리면 다음과 같다. 01 정답률 27.6%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Q
삼각형의 넓이
'17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A
P
S=;2!;bc sin`A=;2!;ac sin`B c b



=;2!;ab sin`C B C


a

따라서 원 위에 있는 점의 개수가 12개이므로 한 원자와 중심 사


풀이 전략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이용한다.
이의 거리가 '7 인 원자의 개수는 12이다.


문제 풀이

④
[STEP 1] △BPC의 넓이를 이용하여 관계식을 구한다.
∠BPC=h로 놓으면

△BPC=;2!;_PBÓ_PCÓ_sin`h

=;2!;_BCÓ_ABÓ

=△ABC
이므로

;2!; xy sin`h=;2!;_2_1


xy sin`h=2

2
sin`h= yy ㉠
xy
[STEP 2] 점 P가 점 A, 점 D에 있을 때의 sin`h의 값을 이용하여 xy의 값
의 범위를 구한다.
점 P는 ADÓ 위의 임의의 점이므로
Ú 점 P가 A에 있을 때


A 1
D
(P)
h
y
1

B C
2

p
∠B= 이므로
2

ACÓ=y='Ä1+4='5

x=BPÓ=1이므로
2
따라서 sin`h=
'5 2 2

sin`h= =
xy '5
Û 점 P가 D에 있을 때
‌
4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40 2020-12-16 오후 7:38:49


1 D(P) 풀이 전략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과 주기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
A


p
4 h 결한다.
'12
1 '12 문제 풀이

1 [STEP 1] 주어진 조건을 파악하여 사인함수 f(x)의 주기의 성질을 안다.


B C
p 2 2p
f(x)=sin`kx+2의 주기는 이고
4 k


p
△BPC는 위의 그림과 같이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g(x)=3`cos`12x의 주기는 이다.
6
‌
p 이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려면 직선 y=a와 함수 f(x)의 그래
h= Ⅱ
2



프의 교점의 x좌표 중에서 직선 y=a와 함수 g(x)의 그래프의 교
따라서 sin`h=1



점이 아닌 것이 있으면 안된다.

삼각함수
2
Ú, Û에서 Ésin`hÉ1이므로 ㉠을 여기에 대입하면
'5 이때 함수 f(x)의 주기가 g(x)의 주기보다 작으면 y=a와 f(x)



2 2 의 그래프가 g(x)의 그래프보다 더 많이 만나므로 성립하지 않는
É É1
'5 \xy xy '5 다.
1É É
2 2 이므로
2ÉxyÉ'5 따라서 함수 f(x)의 주기가 g(x)의 주기보다 더 커야 하므로
2ÉxyÉ'5


[STEP 3] ㄱ, ㄴ, ㄷ의 참, 거짓을 판별한다. 2p p
> 에서 k<12
k 6
ㄱ. xy¾2 (참)
[STEP 2]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성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
ㄴ. xy=2이면 Û와 같이 △BCP는 직각삼각형이다. (참)
‌
는 주기의 형태를 이해한다.
ㄷ. xyÉ'5 (참)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함수 f(x)의 주기를 다르게 하여 그래프를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그려 보자.
⑤
y f(x)=sin`kx+2 g(x)=3`cos`12x
3
수능이 보이는 강의 a y=a
2
삼각형 BPC에서 두 변 BP, CP의 길이가 변수 x, y로 주어졌으므
1
로 두 변의 끼인각 P를 h로 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이용하는 문제로
접근해야 해. 또한 ABCD가 사다리꼴이므로 평행선과 넓이에 관한
O x
개념을 적용하여 △BPC=△ABC임을 알고, 직각삼각형의 넓이에 p 2 3
p p
6 6 6
서 sin`h의 값을 이용하여 xy로 나타내어 그 값의 범위를 구할 수
있도록 하자. y f(x)=sin`kx+2 g(x)=3`cos`12x
3
a y=a
2

O x
p 2 3 4
p p p
6 6 6 6

p
위 그림에서 보면 함수 f(x)의 주기의 절반이 g(x)의 주기 의
6

정수배일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
p p
즉 = _n (n=1, 2, 3, y)
k 6
02 정답률 25.0% 이때 k가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n=1일 때 k=6, n=2일 때 k=3
n=3일 때 k=2, n=6일 때 k=1
삼각함수의 주기
따라서 만족시키는 k의 값은 1, 2, 3, 6으로 4개이다.
삼각함수 y=sin`ax 또는 y=cos`ax의 주기는 2p 이고 |a|의 값 ②
|a|
이 클수록 주기가 작아지고, |a|의 값이 작을수록 주기가 커진다.

정답과 풀이 ● 41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41 2020-12-16 오후 7:38:49


y
p
y=tan`{3x- }
수능이 보이는 강의 2

이 문제에서는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부분


집합의 개념을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해. 코사인함수 g(x)의 그래프
p 2p
는 주기가 로 일정하고 사인함수 f(x)의 그래프는 주기가 로 -p 2 p O p 2 p x
6 k - p- p
k의 값에 따라 달라져. 그리고 주어진 조건인 3 3 3 3

{x| f(x)=a},{x|g(x)=a}는 두 그래프와 직선 y=a의 교점의



x좌표의 값에 대한 집합의 관계야. 따라서 먼저 코사인함수를 그리 y=-x
고 사인함수의 그래프를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k에 자연수를 대입해
가며 따져 보아야 해.
[STEP 2] aª, a£의 값을 구하여 aª+a£의 값을 구한다.
이때 사인함수의 그래프가 직선 y=a와 만나는 점은 반드시 코사인
함수의 그래프와도 만나도록 그리는 것이 핵심이야. 직선 y=-x와
이런 방법으로 그래프를 그려 가면 사인함수의 주기가 점점 커져야 p
y=tan {2x-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aª=4
함을 알 수 있을 거야. 단, k가 자연수 범위에서만 커지므로 주기는 2


최대 2p가 되는 것을 명심하자. p
y=tan {3x-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a£=6
2


따라서 aª+a£=4+6=10
 10

수능이 보이는 강의
탄젠트함수의 그래프의 형태는 사인함수나 코사인함수처럼 진동하
03 정답률 24.7% 지 않으므로 직선 y=-x와의 교점은 한 주기마다 하나씩 생겨.


즉, 구간 (-p, p)에서 탄젠트함수의 그래프가 몇 번 그려지는지를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파악한다면 이 문제는 쉽게 풀 수 있어.

삼각함수 y=tan`ax의 그래프의 성질

p 이고 그래프는 원점에 대
삼각함수 y=tan`ax의 주기는 하여
|a|
대칭이다.

풀이 전략 삼각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개수를 이용한다.


04

문제 풀이 정답률 21.5%


[ STEP 1 ] 주어진 함수에서 n=2, n=3일 때의 그래프를 그려서 직선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y=-x와의 교점의 개수를 구한다.
부채꼴의 넓이
p p p
y=tan {nx- }=tan`n{x- }의 주기는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r, 중심각의 크기가 h(라디안)인 부채꼴의 넓이 S는
2 2n n

S=;2!;rÛ`h이다.
p
y=tan {nx- }의 그래프는 y=tan`nx의 그래프를 x축의 방
2

p 주어진 문제에서 aª, a£
풀이 전략 부채꼴의 넓이 구하는 공식과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
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의 값만 구하면 되니까
2n

n=2, n=3일 때의
그래프만 그려 본다. 을 이용한다.
아래 그림은 n=2, n=3일 때의 그래프이다.
문제 풀이
y
p [STEP 1] 부채꼴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필요한 부채꼴의 넓이를
y=tan`{2x- }
2
구한다.
A Oª
OÁ N
M
-p p O p p x Oª
- 2
2 OÁ B
y=-x C

4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42 2020-12-16 오후 7:38:50


원 OÁ의 중심을 OÁ, 원 Oª의 중심을 Oª, 직선 OÁOª가 선분 AB와 함수 f(x)=2 sin`(ax)+b의 그래프가 두 점



만나는 점을 M이라 하고, 직선 OÁOª가 원 OÁ과 만나는 두 점 중
A{-;2Ò;, 0}, B{;2&; p, 0}을 지나므로


에서 점 M에 가까운 점을 N이라 하자.
f {-;2Ò;}=2 sin`{-
a a
OÕÁAÓ=6, AÕMÓ=3'2이므로 p}+b=-2 sin`{ p}+b=0
'2 2 2





AMÓ
=
OÕÁAÓ`:`AÕMÓ='2`:` 1 OÁAÓ 2 이므로
f {;2&; p}=2 sin`{
'2 7a
sin(∠AOÁM)=
2 에서
p}+b=0
2





∠MOÁA=;4Ò; ∠AOÁM=
p
4 7a a
따라서 sin`{ p}=-sin`{ p}
원 OÁ에서 점 B를 포함하지 않는 부채꼴 OÁNA의 넓이는 2 2
[STEP 2] 삼각함수의 주기와 대칭성을 이용하여 구한 관계식으로부터 a, b Ⅱ
;2!;_6Û`_;4Ò;=;2(;p p yy ㉠
  
r=6, h= 의 값을 구한다.
4

∠MOªA=;3Ò;이므로

삼각함수
a 7a
0<a<;7$; 에서 0< p<;7@; p, 0< p<2p
2 2



OÕªAÓ=2'6 OªAÓ`:`3'2=2`:`'3에서
OªAÓ=2'6 이므로
원 Oª에서 점 B를 포함하지 않는 부채꼴 OªAC의 넓이는 7a a 7a a
p=2p- p 또는 p=p+ p
2 2 2 2
;2!;_(2'6 )Û`_;3@;p=8p yy ㉡
따라서 a=;2!; 또는 a=;3!;
p 다음 사인함수의 대칭성을 이용한다.
=;3@;p

  
∠AOªC=p-
3 y
f(x)=sinx
[STEP 2]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다. f(a)
Ú a=;2!;일 때
p+a 2p-a
OÕÁOªÓ=OÕÁMÓ-OÕªMÓ   O a p-a 2p x

p
‌

OªMÓ`:`3'2=1`:`'3에서 OªMÓ='6 -f(a)
=3'2-'6
OÁMÓ=AMÓ=3'2 f(x)=2 sin`{;2!; x}+b에서



이므로 삼각형 AOÁOª의 넓이는
p
;2!;_6_(3'2-'6 )_sin`;4Ò;=9-3'3 yy ㉢ f {-;2Ò;}=2 sin`{- }+b
4




  
'2
[STEP 3] 공통부분의 넓이를 구하여 p+q+r를 계산한다. =2_{- }+b
2
㉠, ㉡, ㉢에 의하여 공통부분의 넓이는
=-'2+b=0
2_[;2(;p+8p-(9-3'3 )]=-18+6'3+25p 이므로 b='2


=p+q'3+rp 이는 b는 유리수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p=-18, q=6, r=25이므로 Û a=;3!;일 때

p+q+r=-18+6+25=13
 13 f(x)=2 sin`{;3!; x}+b에서



f {-;2Ò;}=2 sin`{-;6Ò;}+b



=2_{-;2!;}+b

05 정답률 21.2%
=-1+b=0

이므로 b=1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이때 f {;2&; p}=0이다.




삼각함수의 성질
사인함수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Ú, Û에서 a=;3!;, b=1이므로
sin (-x)=-sin`x

30(a+b)=30_{;3!;+1}=40
풀이 전략 삼각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 40

문제 풀이

[STEP 1] 함수 f(x)가 지나는 두 점의 좌표를 대입하여 관계식을 구한다.

닫힌구간 [- ]에서 0<a<;7$; 이므로



p 2p
,
a a

p 7p 2p
- <-;4&; p, < 이다.
a 2 a

정답과 풀이 ● 43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43 2020-12-16 오후 7:38:50


∠BFE=∠BFG+∠EFG  


‌
수능이 보이는 강의 =(60ù-h)+30ù

함수 f(x)=2 sin(ax)+b는 닫힌구간 [- ]에서 정의되었


p 2p
,
=90ù-h (참)
a a

2p
[STEP 2] 사인법칙을 이용하여 ㄴ의 참, 거짓을 판별한다.
다고 했지? 그런데 이 함수의 주기를 구하면 이고, 이 함수가 정
a
의된 구간 [- , ]에서 그래프를 그리면 아래 그림처럼 주기
ㄴ. △EFG에서


p 2p
a a FGÓ=2EFÓ cos`30ù



'3
이등변삼각형의 꼭지각의 이등분선은 밑변을 수직이등분하므로
와의 연관성이 보이게 되지.
=2_2_ ;2!; FGÓ=EFÓ cos`30ù
2



y


2+b
p 2p =2'3
-


a b a
p y=b
△BGF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a
2'3 BFÓ
y=f(x) =
-2+b sin`120ù sin`h


이렇게 그래프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면 문제를 푸는 데 훨씬 수월해 BFÓ sin`120ù=2'3 sin`h




져. BFÓ=4 sin`h (참)



[STEP 3]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ㄷ의 참, 거짓을 판별한다.
ㄷ. △EFB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BEÓ Û`=BFÓ Û`+EFÓ Û`-2_BFÓ_EFÓ_cos(90ù-h)

‌


=(4 sin`h)Û`+2Û`-2_4 sin`h_2_sin`h




=4 cos(90ùÑh)=Ðsin`h

이때 BEÓ>0이므로

BEÓ=2

따라서 선분 BE의 길이는 2로 항상 일정하다. (참)

06 정답률 15.7%
이상에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⑴ 사인법칙
삼각형 ABC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a b c
07
= = =2R
sin`A sin`B sin`C
정답률 13.5%

⑵ 코사인법칙

삼각형 ABC에서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① aÛ`=bÛ`+cÛ`-2bc`cos`A
② bÛ`=cÛ`+aÛ`-2ca`cos`B 코사인법칙
③ cÛ`=aÛ`+bÛ`-2ab`cos`C 삼각형 ABC에서
⑴ aÛ`=bÛ`+cÛ`-2bc`cos`A
⑵ bÛ`=cÛ`+aÛ`-2ca`cos`B
풀이 전략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을 이용한다. ⑶ cÛ`=aÛ`+bÛ`-2ab`cos`C

문제 풀이

[STEP 1]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을 이용하여 ㄱ의 참, 거짓을 판별한다. 풀이 전략 코사인법칙과 여러 가지 넓이 구하는 공식을 이용한다.

2'13 문제 풀이
A D
120ù [STEP 1] 원을 적당히 그리고 원주각의 크기가 중심각의 크기의 ;2!;임을 이
30ù E
F 용하여 일등석의 영역을 찾는다.
60ù-h
120ù ABÓ=6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 ABCÁ을 그리면
B C
h G
∠ACÁB=60ù
ㄱ. ∠BGF=h이므로 또, CÁ을 중심으로 하고 ABÓ=CÁAÓ=CÁBÓ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

∠BFG=60ù-h   을 그리면 그림과 같다.

4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44 2020-12-16 오후 7:38:51


08 정답률 10.7%




A CÁ
X'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B
코사인법칙
삼각형 ABC에서
⑴ aÛ`=bÛ`+cÛ`-2bc`cos`A
ACÓªBÓ=;2!;∠ACÁB ⑵ bÛ`=cÛ`+aÛ`-2ca`cos`B
⑶ cÛ`=aÛ`+bÛ`-2ab`cos`C
한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중심각의 크기의 ;2!;이다.
=;2!;_60ù=30ù

풀이 전략 코사인법칙을 이용한다.
다시 Cª를 중심으로 하고 CªAÓ=CªBÓ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


문제 풀이
리면

삼각함수
[STEP 1] CPÓ=x로 놓고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DPÓ, BPÓ를 x로 나타낸다.
∠AX'B=;2!;∠ACªB=;2!;_30ù=15ù
정사각뿔의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1이므로 옆면은 정삼각형이다.
따라서 일등석을 놓을 수 있는 영역은 위의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BPÓ=DPÓ이고
△BCPª△DCP이므로 BPÓ=DPÓ
같다. CPÓ=x`(0ÉxÉ1)로 놓으면
[STEP 2]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선분의 길이를 구한다.
BPÓ Û`=BCÓ Û`+CPÓ Û`-2_BCÓ_CPÓ_cos`60ù

‌
구하는 영역의 넓이는 다음과 같다.
=1+xÛ`-2_1_x_;2!;

Cª Cª
=xÛ`-x+1
A CÁ A CÁ
X' = X' - A _2
이때 BPÓ>0이므로

BPÓ=DPÓ="ÃxÛ`-x+1
B B CÁ 150ù

[STEP 2] △DBP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cos`h를 구한다.


DBÓ='2이므로 △DBP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이때 원 Cª의 반지름 AÕCªÓ의 길이는 ABCD가 정사각형이므로
BPÓÛ`+DPÓÛ`-DBÓÛ` △DBC에서
ABÓ `Û =ACªÓ Û`+BCªÓ Û`-2ACªÓ_BCªÓ_cos`30ù cos`h= DBÓ="Ã1Û`+1Û`='2
2_BPÓ_DPÓ
   

'3
36=ACªÓ Û`+ACªÓ Û`-2ACªÓ Û`_ xÛ`-x+1+xÛ`-x+1-2
2
     

=
2_"ÃxÛ`-x+1_"ÃxÛ`-x+1
ACªÓ Û`=36(2+'3 )
   

xÛ`-x 주의
[STEP 3] 부채꼴의 넓이 구하는 공식과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이용 =
xÛ`-x+1 xÛ`-x+1이 분모이지만 분수의
부호가 음수이므로 xÛ`-x+1의
한다. 값이 최대일 때 cos`h도 최대가
1
=1- `(0ÉxÉ1) 됨에 주의한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xÛ`-x+1
330ù 150ù [STEP 3] x의 값의 범위를 확인하여 cos`h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한다.
p_ACªÓ Û`_ -2[p_ACÁÓ Û`_
360ù 360ù
   

xÛ`-x+1이 최대일 때 cos`h는 최대이고 xÛ`-x+1이 최소일 때


중심이 Cª, 반지름의 길이가 ACªÓ,
중심각의 크기가 330ù인 부채꼴의 넓이 -;2!;_ACÁÓ_CÁCªÓ_sin`150ù] cos`h는 최소이다.

xÛ`-x+1={x-;2!;}2`+;4#;


y y=xÛ -x+1

150ù
=p(72+36'3 )_;1!2!;-2[p_36_ -;2!;_36_;2!;] 1
360ù 3

이므로 0ÉxÉ1에서 4
=3p(12+11'3 )+18
;4#;ÉxÛ`-x+1É1

O 1 1 x
① 2

따라서 cos`h의 최댓값은 xÛ`-x+1의 값이 최대일 때, 즉 1일 때

1-;1!;=0

cos`h의 최솟값은 xÛ`-x+1의 값이 최소일 때, 즉 ;4#;일 때

1
1- =-;3!;
;4#;

[STEP 4]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을 구한다.

정답과 풀이 ● 45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45 2020-12-16 오후 7:38:51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09 정답률 6.8%


0+{-;3!;}=-;3!;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①
삼각형의 넓이
삼각형 ABC의 넓이를 S라 하면 A
수능이 보이는 강의 S=;2!;bc sin`A=;2!;ac sin`B c b



cos`h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코사인법칙을 이용해 =;2!;ab sin`C B C


야 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야 해. 점 P가 모서리 CE 위를 움직 a
이므로 변 CP의 길이를 변수 x로 놓고 △BPC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해서 두 변 BP, DP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고, 풀이 전략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문제를 해결


△DBP에서 또 한 번 코사인법칙을 이용해서 cos`h를 x에 대한 식 한다.
으로 나타내어 값을 구할 수 있어.
문제 풀이

[STEP 1]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을 이용하여 SÁ, Sª를 식으로 나타낸다.


다른 풀이 정삼각형에서 DPÓ의 길이의 범위를 이용한 풀이
∠BAD와 ∠BCD는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그 크기가 같

[STEP 1]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cos`h에 대한 식을 구한다.
다.
DPÓ=BPÓ=x로 놓으면 BDÓ='2이므로
∠BAD=∠BCD=h, ADÓ=a, CBÓ=b라 하면
BPÓÛ`+DPÓÛ`-DBÓÛ` 삼각형 ABD의 넓이 SÁ은
cos`h=
2_BPÓ_DPÓ
2xÛ`-2 1 SÁ=;2!;_ABÓ_ADÓ_sin`h=;2!;_6_a_sin`h=3a`sin`h
= =1-
2xÛ` xÛ`
삼각형 CBD의 넓이 Sª는
[STEP 2] △EDC가 정삼각형임을 이용하여 DPÓ의 길이의 범위를 구한다.
Sª=;2!;_CBÓ_CDÓ_sin`h=;2!;_b_4_sin`h=2b`sin`h
E

1
[STEP 2] △ABC, △ADC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ADÓ의 길이를 구
1
'13 2 한다.
2
D P SÁ : Sª=9 : 5이므로 3a : 2b=9 : 5








a : b=6 : 5이므로 a=6k, b=5k`(k>0)라고 하자.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해
C
ACÓ Û`=6Û`+(5k)Û`-2_6_5k_cos`a  


'3 =36+25kÛ`-45k yy ㉠
이때 x의 값의 범위는 위의 그림과 같이 DPÓ= 일 때 최소이므로
2
∠ABC와 ∠ADC는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이므로
'3
ÉxÉ1 ∠ABC=∠ADC=a
2
삼각형 AD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하여
[STEP 3] 구한 범위 안에서 cos`h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 그 합을 구
한다. ACÓ Û`=(6k)Û`+4Û`-2_6k_4_cos`a  


'3 =16+36kÛ`-36k yy ㉡
즉, cos`h의 최솟값은 x= 일 때 -;3!;, 최댓값은 x=1일 때 0
2 ㉠, ㉡을 연립하면
이므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3!;이다. 11kÛ`+9k-20=0, (11k+20)(k-1)=0
k>0이므로 k=1이고 a=6k=6
[STEP 3] △ADC의 넓이 S를 구하고 SÛ`의 값을 구한다.

'7
한편, sin`a="Ã1-cosÛ``a=¾¨1-{;4#;}Û` = 이므로
4

삼각형 ADC의 넓이 S는
'7
S=;2!;_ADÓ_CDÓ_sin`a=;2!;_6_4_ =3'7
4
따라서 SÛ`=(3'7)Û`=63
 63

4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28~046 수Ⅰ-2단원-ok.indd 46 2020-12-16 오후 7:38:52


Ⅲ 수열 03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자.

본문 60~89 쪽 aª=a+d=5, a°=a+4d=11


에서 a=3, d=2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따라서 a¥=a+7d=3+7_2=17
01 ② 02 ③ 03 ① 04 ④ 05 ① ①





06 7 07 11 08 ⑤ 09 3 10 ③
04





11 ② 12 ③ 13 35 14 ① 15 20





16 ① 17 ② 18 ③ 19 ④ 20 20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21 ⑤ 22 ⑤ 23 ③ 24 14 25 7




a£=aÁ+2d, a¢=aª+2d, a°=a£+2d이므로
26 ③ 27 ③ 28 ④ 29 ④ 30 ② a£+a¢+a°=aÁ+aª+a£+6d




31 ② 32 12 33 ② 34 6 35 96
즉, 6d=(a£+a¢+a°)-(aÁ+aª+a£)=39-15=24





36 ② 37 ① 38 ④ 39 ② 40 9





41 36 42 19 43 ① 44 257 45 ① 따라서 d=4





46 12 47 64 48 ④ 49 ② 50 10 ④





51 63 52 ③ 53 ④ 54 ⑤ 55 ⑤
05





56 19 57 ① 58 160 59 ② 60 ①






61 ① 62 ② 63 ⑤ 64 ⑤ 65 80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수열





66 150 67 ② 68 ④ 69 ① 70 ③ aÁ¼-a¦=3d





71 55 72 ② 73 ① 74 ① 75 ⑤
이므로




76 ③ 77 2 78 ② 79 14 80 ① 3d=6, d=2





81 91 82 ④ 83 ② 84 9 85 ① 따라서





86 ④ 87 ① 88 200 89 ④ 90 ②
a¢=aÁ+3d=4+6=10




91 ④ 92 ③ 93 ⑤ 94 ④ 95 8
‌





96 ④ 97 ③ 98 ① 99 ③ 100 ② ①




101 ⑤ 102 15 103 33 104 ④ 105 8 06





106 ① 107 ③ 108 ② 109 162 110 ④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111 ① 112 ③ 113 ③ 114 ③



a¥-a¢‌
=(a+7d)-(a+3d)


=4d

유형 1 등차수열의 일반항과 합
이므로 d=7
=28

01 따라서 등차수열 {aÇ}의 공차는 7이다.


7

a°는 a£과 a¦의 등차중항이므로

a°=
a£+a¦
2
=
2+62
2
=32 07

첫째항이 2인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②
a¦+aÁÁ=2+6d+2+10d


=4+16d
02

=20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이므로 d=1
d=7 따라서
aÁ£=aÁÁ+2d이므로 aÁ¼‌=2+9d


aÁ£-aÁÁ=2d =2+9_1



=2_7=14 =11
③  11

정답과 풀이 ● 47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47 2020-12-16 오후 7:39:56


08 Û a£=16일 때,


a¥=a£+5d=16-15=1>0이므로

등차수열 {aÇ}에서 aª는 aÁ과 a£의 등차중항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aÁ+a£
=:ª2¼:=10


aª= Ú, Û에서
2
⑤ a£=16
따라서

09 aª=a£-d=16-(-3)=19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③

aª=2+d, a£=2+2d, a»=2+8d이므로


2(2+d+2+2d)=2+8d

13
8+6d=2+8d
2d=6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따라서 d=3
a°=aÁ+4d=5 yy ㉠
3
aÁ°=aÁ+14d=25 yy ㉡

10
㉡-㉠을 하면
10d=20, d=2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d=2를 ㉠에 대입하면
a¥-aª=6d=12에서 d=2
aÁ+4_2=5, aÁ=-3
aÁ+aª+a£=3aª=3(a+2)=15에서
따라서
a+2=5이므로 a=3
aª¼‌=aÁ+19d=-3+19_2=35
따라서

 35
aÁ¼‌=a+9d


=3+9_2

=21
③ 14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11 aÁ=-15이고 a¢=|a£|¾0이므로

aÇ=7+(n-1)_3=3n+4 aÁ+3d=-15+3d¾0
따라서 a¦=3_7+4=25 3d¾15
② 따라서 d¾5 yy ㉠
  
|a£|=a¢에서 |aÁ+2d|=aÁ+3d이므로
12 aÁ+3d=aÁ+2d 또는 aÁ+3d=-(aÁ+2d)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Ú aÁ+3d=aÁ+2d이면
d=-3이므로 d=0이므로 ㉠에 모순이다.
a¦=a£+4d=a£-12 Û aÁ+3d=-(aÁ+2d)이면
a£a¦=a£(a£-12)=64에서 5d=-2aÁ
a£Û`-12a£-64=0 d=-;5@;aÁ
(a£+4)(a£-16)=0
a£=-4 또는 a£=16 =-;5@;_(-15)

Ú a£=-4일 때, =6

a¥=a£+5d=-4-15=-19<0 이므로 ㉠을 만족시킨다.

이므로 Ú, Û에서

a¥>0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d=6

4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48 2020-12-16 오후 7:39:56


따라서
a¦=aÁ+6d
17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

=-15+6_6
aÁ=a£+8에서

=-15+36
aÁ=(aÁ+2d)+8이므로

=21
d=-4
①
이때 2a¢-3a¤=3에서
2(aÁ+3d)-3(aÁ+5d)=-aÁ-9d=-aÁ+36=3

‌
15 따라서 aÁ=33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과 공차가 같으므로 첫째항과 공차를 모두 aÇ=33+(n-1)_(-4)=-4n+37

a라 하자. aû=-4k+37<0에서

등차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k>;;£4¦;;=9.25


aÇ=a+(n-1)a=an
따라서 자연수 k의 최솟값은 10이다.
이때 aª+a¢=24에서
②
2a+4a=24

6a=24, a=4
따라서 aÇ=4n이므로 18

수열
a°=4_5=20 aÁ, aÁ+aª, aª+a£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20 2(aÁ+aª)=aÁ+(aª+a£)
aÁ+aª=a£ yy ㉠
aÁ=a,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놓고 ㉠에 대입하면
16 a+(a+d)=a+2d이므로 a=d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자. 따라서
d>0이므로 a¤<a¥ a£ a+2d
=
이고, 조건 (가)에서 a¤=-a¥이므로 aª a+d
a¤<0, a¥>0 3d
= =;2#;
2d
|a¤|=-a¤이므로 조건 (나)에서
③
-a¤=|a¦|+3 yy ㉠
Ú a¦<0이면
‌

㉠에서 -a¤=-a¦+3, a¦-a¤=3
19


즉, d=3>0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Û a¦¾0이면
aª=a+d, a£=a+2d
‌

㉠에서 -a¤=a¦+3 yy ㉡
이를 주어진 등식에 대입하면

조건 (가)에서 -a¤=a¥이므로 ㉡에 대입하면
(a+d)+(a+2d)=2(a+12), 3d=24

a¥=a¦+3, a¥-a¦=3
따라서 d=8

즉, d=3>0
④
Ú, Û에서 d=3
조건 (가)에서
a¤+a¥=(aÁ+5d)+(aÁ+7d)=0 20

2aÁ+12d=0 첫째항이 10이고 공차가 5인 등차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aÁ=-6d=-6_3=-18 aÇ‌=10+(n-1)_5=5n+5

따라서 따라서
aª=aÁ+d=-18+3=-15 a£‌=5_3+5=20

①  20

정답과 풀이 ● 49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49 2020-12-16 오후 7:39:57


21 따라서 삼각형 OPn+1QÇ의 넓이 AÇ은

AÇ=;2!;_OPÓn+1Ó_PÕÇQÇÓ

;2!;(a¢-a£)(2a¢-2a£)

=
AÁ =;2!;_an+1_'¶3aÇ
;2!;(aª-aÁ)(2aª-2aÁ)

=;2!;_( 3n+1 )_'Ä9n-6


;2!;_d_(21+3d-21+2d)
= 이다.
;2!;_d_(21+d-2)

따라서 p=3, f(n)=3n+1이므로


=22d p+f(8)=3+25=28

이므로 ⑤

=16에서

22d=16
23


d= 2 xÛ`-nx+4(n-4)=0에서
수열 {aÇ}의 일반항은 (x-4)(x-n+4)=0
aÇ=1+(n-1)d x=4 또는 x=n-4


=1+(n-1)_2 한편 세 수 1, a, b가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 2n-1 2a=b+1 yy ㉠
그러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이때 다음 각 경우로 나눌 수 있다.
AÇ=;2!;_2_(2 2n+1
-2 2n-1
) Ú a=4이고 b=n-4인 경우

= 3_22n-1 a<b이므로

따라서 n>8

p=2, f(n)=2n-1, g(n)=3_22n-1 또, ㉠에서

이므로 8=(n-4)+1

g(4) n=11
3_2à`

p+ =2+ =130
f(2) 3 그러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⑤ Û a=n-4이고 b=4인 경우

a<b이므로

n<8

또, ㉠에서
22

2(n-4)=4+1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점 PÇ의 좌표를 (aÇ, 0)이라 하자.
n=:Á2£:
OPÓn+1Ó=OÕPÇÓ+PÕÇPÓn+1Ó이므로

n은 자연수가 아니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an+1=aÇ+PÕÇPÓn+1Ó

Ú, Û에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값은 11이다.
이다. 삼각형 OPÇQÇ과 삼각형 QÇPÇPn+1이 닮음이므로
③
OÕPÇÓ : PÕÇQÇÓ=PÕÇQÇÓ : PÕÇPÓn+1Ó




이고 점 QÇ의 좌표는 (aÇ, '¶3aÇ)이므로
aÇ : '¶3aÇ='¶3aÇ : PÕÇPÓn+1Ó 24





aÇ_PÕÇPÓn+1Ó=3aÇ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PÕÇPÓn+1Ó= 3 a°-a£‌=(a+4d)-(a+2d)


이다. =2d=6
이때, 수열 {aÇ}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므로 d=3
aÇ=1+(n-1)_3 aª=a+d=a+3=2


=3n-2 a=-1

5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0 2020-12-16 오후 7:39:57


따라서 ak-3+ak-1 -24
ak-2= = =-12
2 2
a¤‌=a+5d

이므로

=(-1)+5_3
yy ㉡

ak-2=a+(k-3)d=-12
=14
k{2a+(k-1)d}
 14 Sû= =kÛ`이고, k+0이므로
2
2a+(k-1)d=2k yy ㉢

25 ㉢에서 ㉠을 변끼리 빼면

Sû=-16, Sk+2=-12 a+(k-3)d=2k-42 yy ㉣

에서 ㉡, ㉣에서

Sk+2-Sû=ak+1+ak+2=4 2k-42=-12이므로

이고, 등차수열 {aÇ}의 공차가 2이므로 k=15


다른 풀이 2
aÁ+2k+aÁ+2(k+1)=4


aÁ+2k+1=2 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Á=1-2k yy ㉠ a£=a+2d=42
a=42-2d yy ㉠ Ⅲ
이때 Sû=-16에서
k{2aÁ+2(k-1)} ak-3+ak-1=a+(k-4)d+a+(k-2)d
=-16



2 =-24

수열
k(aÁ+k-1)=-16 이므로
여기에 ㉠을 대입하면 a+(k-3)d=-12 yy ㉡
-kÛ`=-16 ㉠을 ㉡에 대입하면
k는 자연수이므로 42-2d+kd-3d=-12
k=4 kd-5d=-54 yy ㉢
이고, k{2a+(k-1)d}
Sû= =kÛ`이고, k+0이므로
aÁ=1-2k=-7 2
따라서 2a+(k-1)d=2k yy ㉣

aªû=a¥ ㉠을 ㉣에 대입하면


=-7+7_2 84-4d+kd-d=2k

=7 kd-5d=2k-84 yy ㉤

7 ㉢, ㉤에서
2k-84=-54이므로

26
k=15

ak-3, ak-2, ak-1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ak-2는 ak-3과 ak-1의 등차중항이다. 즉,
ak-3+ak-1 -24
ak-2= = =-12
2 2
k(aÁ+aû) k(a£+ak-2)
Sû= =
2 2
k{42+(-12)}
= =15k
2
따라서 kÛ`=15k이고 k+0이므로 k=15
③
다른 풀이 1

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2d=42 yy ㉠

정답과 풀이 ● 51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1 2020-12-16 오후 7:39:57


유형 2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합 32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27 3a°=a¦에서

세 수 3, -6, a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3_4rÝ`=4rß`
-6 a rÛ`=3이므로
=
3 -6 a£=4rÛ`=4_3=12
3_a=(-6)Û`
 12
따라서 a=12
③ 33


28 문제에서 제시된 세 번째 줄의 4와 인접한 아래쪽 칸의 수는 주어
진 규칙에 의해 4의 2배인 8이다.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규칙으로부터 네 번째 줄의 8과 인접한 왼쪽 칸의 수는 그 수를 2

=r=2이고,
aª 배하여 8이 되어야 하므로 4이다.
첫째항이 ;8!;이므로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은 이와 같은 방식으로 네 번째 줄에 있는 수를 모두 구하여 왼쪽부터
차례대로 나열하면 1, 2, 4, 8, 16, 32, 64이다.
aÇ=;8!;_2n-1

따라서 a°=;8!;_2Þ`ÑÚ`=2
 
④


29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 (r>0)라 하면

aÇ=r n-1 그러므로 네 번째 줄에 있는 모든 수의 합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

a£=aª+6에서 rÛ`=r+6 가 2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7항까지의 합이다.

rÛ`-r-6=0, (r-3)(r+2)=0 1_(2à`-1)


따라서 구하는 값은 =127
2-1
r>0이므로 r=3
②
따라서 a¢=rÜ`=27
④ 34

30 세 수 a+3, a, 4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Û`=4(a+3)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 (r>0)라 하면

aÛ`-4a-12=0
a¦ rß`
= =rÛ`=4
a° rÝ` (a+2)(a-6)=0
따라서 r=2이므로 이때 구하는 a의 값은 양수이므로 a=6
aÇ=2Ç` ÑÚ` 6

따라서
a¢=2Ý`ÑÚ`=2Ü`=8 35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이 3이므로 공비를 r라 하면
②
a¢a° (3rÜ`)(3rÝ`) ➋
31 aªa£
=
(3r)(3rÛ`)
=rÝ`=16

세 수 ;4(;, a, 4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rÝ`=16에서
(r+2)(r-2)(rÛ`+4)=0
aÛ`=;4(;_4=9 이고 등비수열 {aÇ}의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r>0이다.
이때 a>0이므로 따라서 r=2이므로
a¤=3rÞ`=3_2Þ`=96

a=3
②  96

5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2 2020-12-16 오후 7:39:57


36 다른 풀이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한 풀이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Á, 공비를 r라 하면

공차가 6인 등차수열 {aÇ}에서 세 항 aª, aû, a¥이 이 순서대로 등
aª=aÁr=4
차수열을 이루므로
a¢=aÁrÜ`=aÁr_rÛ`=4rÛ`=8, rÛ`=2
aª+a¥
aû= 따라서
2
(aÁ+6)+(aÁ+7_6) a¤‌=aÁrÞ`=aÁr_rÝ`
=



2 =4_4=16
=aÁ+24
aû=aÁ+(k-1)_6
이므로 (k-1)_6=24에서
39


k=5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자.
세 항 aÁ, aª, a°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조건 (가)에서 arÛ`_arÝ`_arß`=125
aªÛ`=aÁ_a°
(arÝ`)Ü`=5Ü`, 즉 arÝ`=5
(aÁ+6)Û`=aÁ(aÁ+24)
=:Á6£:, +rÛ`=:Á6£:
arÜ`+arà` 1
조건 (나)에서
aÁÛ`+12aÁ+36=aÁÛ`+24aÁ arÞ` rÛ` Ⅲ
12aÁ=36
=:Á6£:에서
1
rÛ`=X로 치환하면 X+
따라서 aÁ=3이므로 X

수열
k+aÁ=5+3=8 6XÛ`-13X+6=0, (2X-3)(3X-2)=0

② X=;2#; 또는 X=;3@; 에서 rÛ`=;2#; 또는 rÛ`=;3@;


공비가 1보다 커야 하므로 rÛ`=;2#;

37 따라서 a»=ar¡`=arÝ`_rÝ`=5_{;2#;}Û`=:¢4°: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②
a£=4aÁ에서
aÁrÛ`=4aÁ
rÛ`=4 (aÁ+0이므로)
a¦=(a¤)Û`에서
40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Árß`=(aÁrÞ`)Û`=aÁÛ`rÚ`â`
Sn+3-SÇ=13_3n-1
aÁrÝ`=1
이 성립하고
따라서
Sn+3-SÇ=an+1+an+2+an+3
1 1
aÁ= = 이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rÝ` (rÛ`)Û``
1 an+1+an+2+an+3=13_3n-1 yy ㉠
= =;1Á6;
4Û`` 이 성립한다.
① ㉠에 n=1을 대입하면
aª+a£+a¢=13
이므로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38 aÁr+aÁrÛ`+aÁrÜ`=13

수열 {aÇ}이 등비수열이므로 aª, a¢, a¤도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aÁr(1+r+rÛ`)=13 yy ㉡
이룬다. 또, ㉠에 n=2를 대입하면
따라서 a¢Û`=aªa¤ a£+a¢+a°=13_3=39
즉, 8Û`=4a¤ 이므로
따라서 a¤=16 aÁrÛ`+aÁrÜ`+aÁrÝ`=39
④ aÁrÛ`(1+r+rÛ`)=39 yy ㉢

정답과 풀이 ● 53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3 2020-12-16 오후 7:39:58


㉢Ö㉡을 하면 r+rÛ`=r(1+r)<0에서
aÁrÛ`(1+r+rÛ`) -1<r<0
=;1#3(;
aÁr(1+r+rÛ`) a=4a£=4arÛ`
에서 r=3
a>0이므로 rÛ`=;4!;
r=3을 ㉡에 대입하면
aÁ_3_(1+3+9)=13 -1<r<0이므로

에서 aÁ=;3!; r=-;2!;

따라서 a¢=aÁrÜ`=;3!;_3Ü`=9 ㉠에 r=-;2!; 을 대입하면


9 a {-;2!;+;4!;}=-12


a=48
41 따라서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a°=arÝ`=48_{-;2!;}Ý`=3
aÁ¤ a¥
+ =rÛ`+r
aÁ¢ a¦ ①
rÛ`+r=12
(r+4)(r-3)=0
r>0이므로 r=3 44
Ú x+1일 때
a£ a¤

따라서 + =rÛ`+rÜ`=3Û`+3Ü`=9+27=36
aÁ a£ f(x)=(1+xÝ`+x¡`+xÚ`Û`)(1+x+xÛ`+xÜ`)

 36 (xÝ`)Ý`-1 xÝ`-1 xÚ`ß`-1
= _ =
xÝ`-1 x-1 x-1

Û x=1일 때 f(1)=4_4=16
42

따라서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f(2) 2Ú`ß`-1
=
a£ a¤ {f(1)-1}{f(1)+1} (16-1)(16+1)
- =r-rÛ`=;4!;이므로
aª a¢ (2¡`-1)(2¡`+1)
=
4rÛ`-4r+1=0 (2Ý`-1)(2Ý`+1)

(2r-1)Û`=0 =2¡`+1
=257
r=;2!;
 257
이때 aÇ=3_{;2!;}
n-1
(n¾2)이므로

a°=3_{;2!;}Ý`=;1£6; 45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 등비수열 {bÇ}의 공비를 r라 하면
따라서 p=16, q=3이므로
aÇ=3+(n-1)d, bÇ=3rn-1
p+q=19
b£=-aª를 aª+bª=a£+b£에 대입하면
 19
aª+bª=a£-aª=d
그러므로 3+d+3r=d, 3r=-3에서
43 r=-1 yy ㉠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b£=-aª에서
aª+a£‌=ar+arÛ` 3rÛ`=-(3+d) yy ㉡


=a(r+rÛ`) ㉡에 ㉠을 대입하면

=-12 yy ㉠ 3_(-1)Û`=-3-d에서
이고, 첫째항이 양수이므로 d=-6

5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1.indd 54 2020-12-17 오후 6:18:09


따라서
a£=3+2_(-6)=-9
유형 3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

①
48


a£+a¢+a°=S°-Sª
46

‌

=(2_5Û`+5)-(2_2Û`+2)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45
n-1
an=ar 이므로 ④
a£+aª=arÛ`+ar=1 …… ㉠
a¤-a¢=arÞ`-arÜ`=(arÛ`+ar)_rÛ`(r-1)=18 …… ㉡ 49


㉠을 ㉡에 대입하면 aÁ=SÁ=-1
rÛ`(r-1)=18, rÜ`-rÛ`-18=0 n¾2일 때
(r-3)(rÛ`+2r+6)=0 aÇ=SÇ-Sn-1



rÛ`+2r+6=(r+1)Û`+5>0이므로 =(2nÛ`-3n)-{2(n-1)Û`-3(n-1)}


r-3=0에서 r=3 =4n-5 Ⅲ
㉠에 r=3을 대입하면 그러므로 aÇ=4n-5`(n¾1)
a_3Û`+a_3=12a=1, a=;1Á2; aÇ>100에서

수열
4n-5>100
따라서 aÁ=;1Á2;이므로
105
n> =26.y
1 4
=12
aÁ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27이다.
 12 ②

47 50


S¢-S£=2이므로 a¢=2
aÁ=1이므로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S¤-S°=50이므로 a¤=50
aÇ=1_rn-1=rn-1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이때
a¤=a¢_rÛ`이므로
rß`-1


=
r-1 rÛ`= =:°2¼:=25
S£ rÜ`-1 a¢
r-1 모든 항이 양수이므로 r>0
rß`-1 따라서 r=5
=
rÜ`-1
따라서
(rÜ`+1)(rÜ`-1)
= a°=a¢_r=2_5=10
rÜ`-1

=rÜ`+1 yy ㉠  10

또,
2a¢-7=2rÜ`-7 yy ㉡ 51

㉠과 ㉡이 같아야 하므로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rÜ`+1=2rÜ`-7 S»-S°‌=a¤+a¦+a¥+a»


rÜ`=8 =7rÞ`+7rß`+7rà`+7r¡` ‌

r=2 =7rÞ`(1+r+rÛ`+rÜ`)
따라서 S¤-Sª‌
=a£+a¢+a°+a¤ ‌


a¦=2ß`=64 =7rÛ`+7rÜ`+7rÝ`+7rÞ` ‌

 64 =7rÛ`(1+r+rÛ`+rÜ`)

정답과 풀이 ● 55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5 2020-12-16 오후 7:39:58


이때
56
Á (2k+a)=2 Á k+a_10
S»-S° 7rÞ`(1+r+rÛ`+rÜ`)


= =rÜ` 10 10
S¤-Sª 7rÛ`(1+r+rÛ`+rÜ`)




k=1 k=1
이므로 rÜ`=3
10_11
따라서 =2_ +10a
2
a¦‌=7rß`=7_(rÜ`)Û` =10a+110


=7_3Û` 따라서 10a+110=300에서

=63 10a=190이므로
 63 a=19

Á의 성질과 여러 가지 수열의 합
 19
유형 4 57
;K7+! aû=;K6+! (aû+1)에서


52
Á aû=4, Á bû=24이므로



11 11
aÁ+aª+a£+y+a¦

Á (5aû+bû)=5 Á aû+ Á bû


k=1 k=1
=(aÁ+1)+(aª+1)+(a£+1)+y+(a¤+1)
11 11 11
=(aÁ+aª+a£+y+a¤)+6




k=1 k=1 k=1

=5_4+24 이므로 a¦=6



=44 ①

58
③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Á aû=55
53 5

Á aû=3, Á aûÛ`=7이므로


10 10 k=1

에서


Á (2aûÛ`-aû)=2 Á aûÛ`- Á aû
k=1 k=1

10 10 10
5(6+4d)
=55
2




k=1 k=1 k=1

=2_7-3 d=4
=11 즉, aÇ=3+(n-1)_4=4n-1이므로

Á k(aû-3)= Á k(4k-4)
④ 5 5

=4 Á (kÛ`-k)


k=1 k=1

54


k=1

Á (2aû-bû+4)=2 Á aû- Á bû+ Á 4



}
5 5 5 5 5_6_11 5_6
=4{ -
6 2






k=1 k=1 k=1 k=1

=2_8-9+4_5 =160

=27  160

59
⑤

Á (aû-aû*Á)

n

55

k=1

Á (k+1)Û`- Á (k-1)Û`

9 10
=(aÁ-aª)+(aª-a£)+y+(aÇ-aÇ*Á)
=aÁ-aÇ*Á=-nÛ`+n


k=1 k=1

=(2Û`+3Û`+y+10Û`)-(0Û`+1Û`+y+9Û`) 1-aÇ*Á=-nÛ`+n
=10Û`-1Û` aÇ*Á=nÛ`-n+1
=100-1 따라서
=99 aÁÁ=10Û`-10+1=91
⑤ ②

5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6 2020-12-16 오후 7:39:58


60
64


두 곡선 y=logª`x, y=logª`(2Ç`-x)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의 두 근의 합 aÇ은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logª`x=logª`(2Ç`-x)에서 2nÛ`-n
aÇ=
n
x=2Ç`-x
=2n-1
즉, x=2Ç `ÑÚ`이므로 aÇ=2Ç `ÑÚ`


따라서

Á aû= Á (2k-1)
따라서

Á aÇ= Á 2Ç `ÑÚ`=
10 10
5 5 2Þ`-1
=31



= Á 2k- Á 1=2 Á k-10
k=1 k=1
2-1

n=1 n=1
10 10 10
①





k=1 k=1 k=1

61 =2_
10_11
2
-10

aÇ+bÇ=10이므로

Á (aû+2bû)= Á {(aû+bû)+bû}
=100
10 10
⑤

= Á (10+bû)
k=1 k=1

10


= Á 10+ Á bû
k=1

65
10 10


=100+ Á bû
k=1 k=1


10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수열


이때 Á (aû+2bû)=160이므로
k=1
=rÛ`=9
10 a£

100+ Á bû=160
k=1
이때 r>0이므로
10
r=3

따라서 Á bû=60
k=1

10 따라서 aÇ=2_3Ç` ÑÚ`



따라서

k=1

Á aû= Á (2_3k-1)
① 4 4

62


k=1 k=1

2(3Ý`-1)

=
이차방정식 xÛ`-14x+24=0의 두 근이 a£, a¥이므로 3-1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80

a£+a¥=14  80
이때 수열 {aÇ}이 등차수열이므로

Á aÇ=
8 6(a£+a¥)
2
66

n=3

6_14
=
2 f(x)=;2!;x+2이므로

=42
f(2k)=;2!;_2k+2
②

63
=k+2

Á f(2k)= Á (k+2)
Á ;k!;=a+ Á
` 15 15

5 1 5

f(2k)= Á k+ Á 2
k=1 k=1
k=1 k+1


k=1
` 15 15


;1!;+;2!;+;3!;+;4!;+;5!;=a+;2!;+;3!;+;4!;+;5!;+;6!; k=1 k=1

`
f(2k)= 15_16 +2_15
1=a+;6!; 2
`
f(2k)=120+30
따라서 a=;6%;


=150
⑤  150

정답과 풀이 ● 57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7 2020-12-16 오후 7:39:58


67 따라서

Á = Á (k+1)
10 1 10

aÇ=4+(n-1)_1=n+3이므로



aû k=1

Á = Á k+ Á 1
k=1

12 1 10 10

k=1 'Äaû*Á+'§aû




k=1 k=1


12 'Äaû*Á-'§aû =
10(10+1)
+1_10
('Äaû*Á+'§aû)('Äaû*Á-'§aû) 2

k=1


12 'Äaû*Á-'§aû =65
aû*Á-aû ①

= Á ('Äaû*Á-'§aû)
k=1

12

k=1

=('§aª-'§aÁ)+('§a£-'§aª)+y+('¶aÁ£-'¶aÁª) 70


='¶aÁ£-'§aÁ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라 하면
='1Œ6-'4 a£=4(aª-aÁ)에서
=4-2 aÁrÛ`=4(aÁr-aÁ)
=2 aÁrÛ`-4aÁr+4aÁ=0
② aÁ(r-2)Û`=0

68 따라서 aÁ=0 또는 r=2



aÁ=0이면

Á aû=0+15
3
aÇ=;2!;_{(n+1)-(n-1)}_
n 6

k=1
3
=;2!;_2_ 이므로
n
3 aÁ+0
=
n 따라서 r=2이다.

Á aû=
이므로 aÁ(2ß`-1)
Á
6
=15에서
9 2-1

10 k=1

n=1 aÇaÇ*Á
aÁ_63=15

10 9
aÁ=;2°1;

n=1 3 3
_
n n+1

= Á (nÛ`+n)
따라서
10

aÁ+a£+a°=;2°1;_(1+2Û`+2Ý`)

n=1

10_11_21 10_11
= +
6 2 =;2°1;_21
=385+55
=5
=440
③
④

69 71

Á kÛ`=
x에 대한 이차방정식

5 5_6_11
(nÛ`+6n+5)xÛ`-(n+5)x-1=0 =55

k=1 6
의 두 근의 합이 aÇ이므로  55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5)
72
aÇ=-
nÛ`+6n+5

n+5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d>0)이라 하면
=
(n+5)(n+1)
a°=5이므로 a£=5-2d, a¢=5-d, a¤=5+d, a¦=5+2d
1
= 그러므로
n+1

5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8 2020-12-16 오후 7:39:59


Á |2aû-10|=|2a£-10|+|2a¢-10|+|2a°-10| a=2Ç`-1
7

k=3
이때 OQÓ=OHÓ+HQÓ, HQÓ=n이므로
+|2a¤-10|+|2a¦-10|
xÇ=a+n=2Ç `-1+n

=|-4d|+|-2d|+0+|2d|+|4d|


따라서

Á xû= Á (2û`-1+k)
=12d=20
5 5

따라서 d=;3%;이므로 a¤=5+d=;;ª3¼;;
= Á 2û`- Á 1+ Á k
k=1 k=1

5 5 5

② k=1 k=1 k=1

2_(2Þ`-1) 5_6
= -5_1+
2-1 2
73 =62-5+15

세 수 a°, a», aÁ£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72
a°+aÁ£ ①
=a»
2
다른 풀이 좌표와 선분의 길이를 이용한 풀이


2a»=3a»에서 a»=0
점 P의 좌표를 (a, b)(a, b는 양수)라 하자.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점 Q의 좌표가 (xÇ, 0)이고 직선 PQ의 기울기가 -1이므로
a»=a+8d=0 yy ㉠ Ⅲ
Á aû=
0-b

18(2a+17d) =-1에서 xÇ-a=b
=;2(;이므로 xÇ-a
18

2

k=1
xÇ=a+b이므로

수열
2a+17d=;2!; yy ㉡ PQÓ="Ã(xÇ-a)Û`+(0-b)Û`

㉠, ㉡을 연립하여 풀면 ="ÃbÛ`+bÛ`='2b

a=-4, d=;2!; PQÓ='2n에서 b=n


점 P(a, n)이 곡선 y=logª`(x+1) 위의 점이므로
따라서
n=logª`(a+1)에서
aÁ£=a+12d
a=2Ç`-1
=-4+12_;2!; xÇ=a+b=2Ç`-1+n

=2 따라서

Á xû= Á (2û`-1+k)
5 5
①

= Á 2û`- Á 1+ Á k
k=1 k=1

5 5 5

74 k=1

2_(2Þ`-1) 5_6
k=1 k=1

y = -5_1+
2-1 2
=62-5+15
y=logª`(x+1)
=72
P

n 12n

O H Q x
75

도형 R의 넓이가 3이므로 2n개의 도형 R를 겹치지 않게 빈틈없
점 P의 좌표를 (a, b)(a, b는 양수)라 하고, 점 P에서 x축에 내린
이 붙여서 만든 직사각형의 넓이는 6n이다.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따라서 aÇ=6n이므로
이때 두 점 P, Q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1이므로 삼각형
Á aÇ= Á 6n= Á 6n- Á 6n
15 15 15 9
PHQ는 PHÓ=HQÓ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n=10 n=10 n=1 n=1
PQÓ='2n이므로
15_16 9_10
=6_ -6_
PHÓ=n, 즉 b=n 2 2

점 P(a, n)이 곡선 y=logª`(x+1) 위의 점이므로 =450

n=logª`(a+1) ⑤

정답과 풀이 ● 59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59 2020-12-16 오후 7:39:59


76 79
Á (aû+1)Û`=28에서


두 점 O(0, 0), A(1, 0)을 이은 선분 OA를 2Ç` : 1로 내분하는 10


Á {(aû)Û`+2aû+1}=28
k=1
점 PÇ의 좌표는
10

{ }
2Ç`_1+1_0 2Ç`_0+1_0
,


Á (aû)Û`+2 Á aû+ Á 1=28
k=1
2Ç`+1 2Ç`+1
10 10 10

즉, {
2Ç`





Á (aû)Û`+2 Á aû+10=28
, 0}이므로 k=1 k=1 k=1
2Ç`+1 10 10

2Ç`




Á (aû)Û`+2 Á aû=18
k=1 k=1
lÇ=
2Ç`+1 10 10
yy ㉠
따라서





또, Á aû(aû+1)=16에서
k=1 k=1

Á =Á
10
10 1 10 2Ç`+1

lÇ n=1 2Ç`


Á {(aû)Û`+aû}=16
k=1


n=1

= Á [1+{;2!;}Ç` ]
10
10

Á (aû)Û`+ Á aû=16

k=1

n=1

= Á 1+ Á {;2!;}Ç
10 10
10 10 yy ㉡




k=1 k=1


n=1 n=1
㉠, ㉡을 연립하여 풀면

Á (aû)Û`=14
;2!;[1-{;2!;} ]
10
10
=10+
1-;2!;

k=1

 14
=10+[1-{;2!;}Ú`â` ]
80


=11-{;2!;}Ú`â`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이 양수, 공비가 음수이므로

a2n-1>0에서 |a2n-1|+a2n-1=2a2n-1
③
a2n<0에서 |a2n|+a2n=0
77
Á aû=2_10-1=19
수열 {a2n-1}은 첫째항이 aÁ, 공비가 (-2)Û`=4인 등비수열이므로

Á (|aû|+aû)=2(aÁ+a£+a°+a¦+a»)
10
9

Á aû=2_9-1=17
k=1

k=1
9
aÁ(4Þ`-1)
k=1 =2_
4-1
따라서

aÁ¼= Á aû- Á aû
2_1023_aÁ
10 9 =
3
k=1 k=1
=682aÁ
=19-17=2
따라서 682aÁ=66이므로
2
aÁ=;3£1;
78

①
자연수 n에 대하여 직선 x=n과 영역 S가 만나는 점 중 y좌표가
정수인 점들은
(n, 1), (n, 2), (n, 3), y, (n, 2n)
81

aÇ=2nÛ`-3n+1이므로

Á (aÇ-nÛ`+n)= Á (nÛ`-2n+1)
이 점들의 x좌표의 합은 n_2n=2nÛ` 7 7

y좌표의 합은 1+2+3+y+2n

= Á (n-1)Û`


aÇ=2nÛ`+ Á k=2nÛ`+
n=1 n=1

2n(2n+1)
2n 7

= Á kÛ`


k=1 n=1

6
=4nÛ`+n

k=1
aÁ¼=4_10Û`+10=410, a°=4_5Û`+5=105이므로
6_7_13
aÁ¼-a°=410-105=305 = =91
6
②  91

6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0 2020-12-16 오후 7:40:00


82 ß m+2=2à`, 즉 m=126일 때


Á aû
2127-2N=2à`

m


127-2N=7, N=60

= Á logª`¾¨
k=1


m 2(k+1) à m+2¾2¡`일 때


k+2

k=1

=;2!;` Á logª`
N>100


2(k+1) m
Ú~à에서
k+2

k=1
m=6, 30, 126
=;2!; [logª`
2_2 2_3 2_4
+logª` +logª` +y 따라서 모든 m의 값의 합은
3 4 5

2_(m+1) 6+30+126=162
+logª` ]
m+2

④
2_(m+1)
]
2_2 2_3 2_4
=;2!; `logª`[ _ _ _y_
3 4 5 m+2

2m+1
=;2!;`logª`
m+2
83
Á aû=N`(N은 100 이하의 자연수)

|{n+;2!;}Û`-m|<;2!;


k=1

라 하면
-;2!;<{n+;2!;}Û`-m<;2!;
2m+1
;2!;`logª` =N
m+2

수열
{n+;2!;}Û`=nÛ`+n+;4!;에서
2m+1
=22N
m+2
-;2!;<nÛ`+n+;4!;-m<;2!;
2m+1-2N=m+2
따라서 m+2는 2의 거듭제곱이어야 한다. -;2!;-;4!;<nÛ`+n-m<;2!;-;4!;
Ú m+2=2Û`, 즉 m=2일 때
-;4#;<nÛ`+n-m<;4!;

23-2N=2Û`

3-2N=2, N=;2!; m, n은 자연수이므로 nÛ`+n-m=0이다.

따라서 m=nÛ`+n이므로
N은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aÇ=nÛ`+n

m+2
따라서

Á aû= Á (kÛ`+k)
Û m+2=2Ü`, 즉 m=6일 때

5 5
27-2N=2Ü` k=1 k=1

= Á kÛ`+ Á k

7-2N=3, N=2 5 5

Ü m+2=2Ý`, 즉 m=14일 때



k=1 k=1

215-2N=2Ý` 5_6_11 5_6
= +
6 2


15-2N=4, N=:Á2Á: =55+15


N은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70


m+14 ②

Ý m+2=2Þ`, 즉 m=30일 때

231-2N=2Þ`

31-2N=5, N=13
84

Þ m+2=2ß`, 즉 m=62일 때

xÛ`-(2n-1)x+n(n-1)=0

263-2N=2ß`
(x-n)(x-n+1)=0

63-2N=6, N=:°2¦: x=n 또는 x=n-1

N은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이때 aÇ=n, bÇ=n-1 또는 aÇ=n-1, bÇ=n

m+62 따라서

정답과 풀이 ● 61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1 2020-12-16 오후 7:40:00


Á
81 1 따라서

aÇ= Á bû
n=1 '§aÇ+'§bÇ


n-1
81 1


= Á (nÛ`-1-kÛ`)
k=1
n=1 '§n+'¶§n-1

= Á ('§n-'¶§n-1)
n-1

=(n-1)(nÛ`-1)- Á kÛ`
81 k=1

n=1 n-1

=(1-0)+('2-1)+('3-'2 )+y+('8Œ1-'8Œ0 )


k=1



='8Œ1 (n-1)n(2n-1)
=(n-1)(nÛ`-1)-
6
=9
(n-1)(4nÛ`+n-6)
9 =
6
(n-1)(4nÛ`+n-6)
85 그러므로 p=2, f(n)=nÛ`-1, g(n)=
6



36의 양의 약수는 따라서
1, 2, 3, 4, 6, 9, 12, 18, 36 p+f(4)+g(6)=2+15+120

‌

이고, =137
f(1), f(4), f(9), f(36)은 홀수, ④

f(2), f(3), f(6), f(12), f(18)은 짝수이다.

87
따라서

Á {(-1)f(aû)_log`aû}
9

조건 (가)에서 SÇ의 이차항의 계수를 a라 하자.

k=1

=-log`1+log`2+log`3-log`4+log`6-log`9 조건 (나), (다)에서 SÁ¼=S°¼이고 SÇ은 n=30일 때 최댓값 410을


‌

+log`12+log`18-log`36 가지므로
2_3_6_12_18 SÇ=a(n-30)Û`+410
=log`
1_4_9_36
SÁ¼=10이므로
=log`6
10=a(10-30)Û`+410에서 a=-1
=log`2+log`3
따라서 SÇ=-(n-30)Û`+410
①
Sµ>S°¼=SÁ¼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의 값의 범위는

86 10<m<50이므로
p=11, q=49

n=2일 때 주어진 도형의 내부에 있는 점 중에서 x좌표와 y좌표
따라서

Á aû= Á aû
가 모두 정수인 점은 (2, 1), (3, 1)이므로 q 49

aª= 2


k=p k=11

3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하여 aÇ을 구하여 보자. =S¢»-SÁ¼



y ={-(49-30)Û`+410}-10=39
y=1x

(nÛ`-1-kÛ`)개 ①
k ...

O kÛ kÛ`+2
kÛ`+1
nÛ`-1 nÛ x
88

점 (n, 0)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이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만
n¾3일 때,
나는 점의 y좌표를 aÇ이라 하면 aÇ을 n에 대한 일차식으로 나타낼
1ÉkÉn-1인 정수 k에 대하여 주어진 도형의 내부에 있는 점 중
수 있으므로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다.
y좌표가 k인 점은
a¢=;2&;이고 a¦=5이므로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kÛ`+1, k), (kÛ`+2, k), y, ( nÛ`-1 , k)
이므로 이 점의 개수를 bû라 하면 a¦-a¢=3d=5-;2&;=;2#;
bû= nÛ`-1 -kÛ`
d=;2!;
이다.

6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2 2020-12-16 오후 7:40:00


aÁ=a¢-3d aÇ=;2!;n+;2#;

Á aû= Á {;2!;k+;2#;}
=;2&;-3_;2!; 25 25



k=1 k=1
=2

Á aû의 값은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25_26
25
=;2!;_ +;2#;_25
2



k=1

제25항까지의 합과 같으므로 25_13+3_25


=
2


Á aû=
25
25[2_2+(25-1)_;2!;] 25_16
=
2 2



k=1

25_16 =25_8
= =200


2

=200


 200
다른 풀이 1 중간값인 aÁ£의 값을 이용한 풀이

점 (n, 0)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이 일차함수의 그래프와 만
나는 점의 y좌표를 aÇ이라 하면 aÇ을 n에 대한 일차식으로 나타낼 89


수 있으므로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a¢=;2&;이고 a¦=5이므로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y
y=(x-10)Û

수열
a¦-a¢=3d

=5-;2&; y=-x+10

=;2#;

d=;2!; x
O 10
aÁ£‌
=a¦+6d


=5+3 1ÉnÉ7일 때, 직선 y=-x+10만 원 OÇ의 내부를 지나게 된다.

=8 y y=-x+10
y=(x-10)Û
이므로

Á aû=(aÁ+aª°)+(aª+aª¢)+y+(aÁª+aÁ¢)+aÁ£
25

k=1

=2aÁ£+2aÁ£+y+2aÁ£+aÁ£ ‌


=12_2aÁ£+aÁ£ ‌

=25aÁ£ ‌ x
O 4 7 10

=25_8 ‌

=200 이 경우 원 OÇ의 내부에 있고 곡선 y=f(x)의 아랫부분에 있는
다른 풀이 2 직선의 방정식을 이용한 풀이 점의 개수와 원 OÇ의 내부에 있고 곡선 y=f(x)의 윗부분에 있는

a¢=;2&;이고 a¦=5이므로 직선 l은 두 점 {4, ;2&;}, (7, 5)를 지난다. 점의 개수가 같으므로
AÇ-BÇ=0
5-;2&; ;2#; 8ÉnÉ11일 때, 직선 y=-x+10과 곡선 y=(x-10)Û`이 동시
직선 l의 기울기는 = =;2!;이므로
7-4 3 에 원 OÇ의 내부를 지나게 된다.
직선 l의 방정식은 Ú n=8일 때,
‌

y=;2!;(x-4)+;2&; [그림 1]에서

A¥=B¥이므로
=;2!;x+;2#;

A¥-B¥=0 8
점 (n, 0)을 지나고 x축에 수직인 직선이 직선 l과 만나는 점의 y 1011 x

좌표가 aÇ이므로 [그림 1]

정답과 풀이 ● 63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3 2020-12-16 오후 7:40:01


Û n=9일 때,
유형 5 수열의 귀납적 정의
‌

[그림 2]에서 원 OÇ의 내부에 있는 점 중
에서 함수 y=f(x)의 그래프 위의 점의
개수는 5이고 B»=8이므로 90


9 10 x


aÇaÇ*Á=2n yy ㉠
A»=25-5-8=12

  

[그림 2] ㉠에 n=2를 대입하면 aªa£=4이므로
따라서

4
A»-B»=12-8=4 aª= =;1$;=4

Ü n=10일 때,
㉠에 n=3을 대입하면 a£a¢=6이므로
‌

[그림 3]에서 원 OÇ의 내부에 있는 점 중
6
a¢= =;1^;=6
에서 함수 f(x)의 그래프 위의 점의 개수 a£

10 x
는 4이고 BÁ¼=4이므로 ㉠에 n=4를 대입하면 a¢a°=8이므로

8
AÁ¼=25-4-4=17 a°= =;6*;=;3$;

[그림 3] a¢
따라서

따라서
AÁ¼-BÁ¼=17-4=13
Ý n=11일 때, aª+a°=4+;3$;=:Á3¤:
‌

[그림 4]에서 원 OÇ의 내부에 있는 점 중 ②
에서 함수 f(x)의 그래프 위의 점의 개수

는 3이고 BÁÁ=7이므로 11 x 91


AÁÁ=25-3-7=15 an+1+aÇ=(-1)n+1_n

따라서 [그림 4]
에서

AÁÁ-BÁÁ=15-7=8 an+1=-aÇ+(-1)n+1_n
12ÉnÉ20일 때, 곡선 y=(x-10)Û`만 원 OÇ의 내부를 지나게 이때 aÁ=12이므로
된다. aª=-aÁ+1=-11
y
y=(x-10)Û a£=-aª-2=9
a¢=-a£+3=-6
y=-x+10 a°=-a¢-4=2
a¤=-a°+5=3
3
a¦=-a¤-6=-9
a¥=-a¦+7=16
O 9 10 12 x
따라서 aû>aÁ을 만족시키는 k의 최솟값은 8이다.

이 경우 원 OÇ의 내부에 있고 곡선 y=f(x)의 아랫부분에 있는 ④

점의 개수와 원 OÇ의 내부에 있고 곡선 y=f(x)의 윗부분에 있는


점의 개수가 같으므로 92

AÇ-BÇ=0 k
yy ㉠
Á (AÇ-BÇ)
aÇ*Á=
20
aÇ+2
㉠의 양변에 n=1을 대입하면

n=1

=(AÁ-BÁ)+y+(A¥-B¥) k
aª= =;3K;
‌

+(A»-B»)+(AÁ¼-BÁ¼)+(AÁÁ-BÁÁ) aÁ+2

이고
+(AÁª-BÁª)+y+(Aª¼-Bª¼)
㉠의 양변에 n=2를 대입하면
=(A»-B»)+(AÁ¼-BÁ¼)+(AÁÁ-BÁÁ)
=4+13+8=25 k k
a£= =
aª+2
;3K;+2
④

=;2#;

6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4 2020-12-16 오후 7:40:01


이므로
96
3_{;3K;+2}=2k


an+1=-(-1)n_aÇ+2n


‌
k+6=2k =(-1)n+1_aÇ+2n

따라서 k=6 aª=(-1)Û`_aÁ+2Ú`

‌

③ =1+2=3
a£=(-1)Ü`_aª+2Û`

‌

=-3+4=1

93 a¢=(-1)Ý`_a£+2Ü`

‌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8=9

aÇ*Á=3aÇ 따라서

aÇ*Á a°‌=(-1)Þ`_a¢+2Ý`
즉, =3이므로



aÇ =-9+16=7
수열 {aÇ}은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이다. ④
이때 aª=2이므로

a¢‌=aª_3Û` 97



=2_9 aÁ=1이므로

=18 a¢=aÁ+1=2

수열
⑤ a¢=2이므로
a11=2a¢+1=2_2+1=5
a12=-a¢+2=-2+2=0
94 a13=a¢+1=2+1=3

n=1, 2, 3, y, 7을 차례로 대입하면 따라서
7+3 5+3 a11+a12+a13=5+0+3=8
aÁ=7, aª= =5, a£= =4,
2 2
③
7+3 5+3
a¢=4+3=7, a°= =5, a¤= =4,
2 2
a¦=4+6=10, a¥=10+7=17 98

aÁ 2
④ aª= = =-;2!;
2-3aÁ 2-6

a£=1+aª=1-;2!;=;2!;

95 a£
;2!;

aÇ*Á+aÇ=3n-1 a¢= = =1
2-3a£ 2-;2#;
이므로 n에 1, 2, 3, 4를 차례로 대입하면
n=1일 때, aª+aÁ=2 a°=1+a¢=1+1=2

n=2일 때, a£+aª=5 

n=3일 때, a¢+a£=8 따라서

n=4일 때, a°+a¢=11 aÁ+aª+a£+a¢‌


=a°+a¤+a¦+a¥=y


a£=4이므로 =a£¦+a£¥+a£»+a¢¼ ‌

a¢+a£=8에서 a¢=4 =2+{-;2!;}+;2!;+1

a°+a¢=11에서 a°=7
=3
a£+aª=5에서 aª=1
이므로

Á aÇ=10_3=30
aª+aÁ=2에서 aÁ=1 40

따라서 aÁ+a°=1+7=8

n=1

8 ①

정답과 풀이 ● 65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5 2020-12-16 오후 7:40:01


99 a£=aª+(-1)Û`_2=(a-2)+2=a
a¢=a£+1=a+1

aÁ=;5!; a°=a¢+(-1)Ý`_2=(a+1)+2=a+3
a¤=a°+(-1)Þ`_2=(a+3)-2=a+1
aª=2aÁ=;5@;
a¦=a¤+1=(a+1)+1=a+2
a£=2aª=;5$; 
aÁ¼=a+3, aÁ£=a+4이고,
a¢=2a£=;5*;
aÁ¢‌=aÁ£+(-1)Ú`Ü`_2



a°=a¢-1=;5#; =(a+4)-2


=a+2
a¤=2a°=;5^;
aÁ°‌=aÁ¢+(-1)Ú`Ý`_2



a¦=a¤-1=;5!; =(a+2)+2


=a+4

따라서 aÁ°=a+4=43에서
이므로
a=39
aÇ=aÇ*¤ (n¾1)
⑤

이 성립한다.
20=3_6+2이므로

Á aÇ=3_{;5!;+;5@;+;5$;+;5*;+;5#;+;5^;}+{;5!;+;5@;}
102
20

n=1

=3_;;ª5¢;;+;5#; aª=p라 하면
a£=p+4
=15
a¢=a£+aª=p+4+p=2p+4
③
2p+4=34에서 p=15이므로
aª=p=15
100  15

aÁ=2이고
aÁ은 짝수이므로
aª=aÁ-1=1
aª는 홀수이므로
103

a£=aª-aÁ=-6
a£=aª+2=1+2=3
a¢=a£-aª=-9
a£은 홀수이므로
a°=a¢-a£=-3
a¢=a£+3=3+3=6
a¤=a°-a¢=6
a¢는 짝수이므로
a¦=a¤-a°=9
a°=a¢-1=6-1=5
a¥=a¦-a¤=3
a°는 홀수이므로
즉, 수열 {aÇ}의 각 항은 9, 3, -6, -9, -3, 6, …이 반복되므
a¤=a°+5=5+5=10
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은 짝수이므로
aÇ=an+6
a¦=a¤-1=10-1=9
이 성립한다.
②
이때 9, 3, -6, -9, -3, 6 중에서 |aû|=3을 만족시키는 항의
개수는 2이고 100=6_16+4이므로 구하는 100 이하의 자연수
101 k의 개수는

aÁ=a 16_2+1=33
aª=aÁ+(-1)Ú`_2=a-2  33

6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6 2020-12-16 오후 7:40:02


104 aÇ*ª=(aÇ*Á)Û`-(aÇ)Û`

an+1= Á kaû에서 n=1을 대입하면



이므로
n

a£=(aª)Û`-(aÁ)Û`=1Û`-1Û`=0

aª= Á kaû=aÁ이므로
k=1

1 a¢=(a£)Û`-(aª)Û`=0Û`-1Û`=-1

k=1
a°=(a¢)Û`-(a£)Û`=(-1)Û`-0Û`=1
aª=2

n¾2일 때 aÇ= Á kaû이므로


a¤=(a°)Û`-(a¢)Û`=1Û`-(-1)Û`=0
n-1
a¦=(a¤)Û`-(a°)Û`=0Û`-1Û`=-1

an+1-aÇ= Á kaû- Á kaû
k=1

y
n n-1


수열 {aÇ}은


k=1 k=1

=naÇ aÁ=1, aª=1, a£=0, a¢=-1,


그러므로 an+1=(n+1)aÇ (단, n¾2) a°=1, a¤=0, a¦=-1, y
위 식에 n=50을 대입하면 이므로
a51=51a50이고 a51>0이므로 aÇ*£=aÇ`(n¾2)
a51 bÇ*Á=aÇ-bÇ+n이므로
=51
a50
a51
bª=aÁ-bÁ+1=1-k+1=2-k Ⅲ
따라서 aª+ =2+51=53
a50 b£=aª-bª+2=1-(2-k)+2=1+k
④ b¢=a£-b£+3=0-(1+k)+3=2-k

수열
b°=a¢-b¢+4=-1-(2-k)+4=1+k
b¤=a°-b°+5=1-(1+k)+5=5-k
105 b¦=a¤-b¤+6=0-(5-k)+6=1+k

수열 {aÇ}의 첫째항이 6이므로 aÁ>0
b¥=a¦-b¦+7=-1-(1+k)+7=5-k
이때 aª=2-6=-4
b»=a¥-b¥+8=1-(5-k)+8=4+k
aª<0이므로
bÁ¼=a»-b»+9=0-(4+k)+9=5-k
a£=aª+p=-4+p
bÁÁ=aÁ¼-bÁ¼+10=-1-(5-k)+10=4+k
Ú -4+p¾0, 즉 p¾4일 때
bÁª=aÁÁ-bÁÁ+11=1-(4+k)+11=8-k

a¢‌
=2-a£ ‌
bÁ£=aÁª-bÁª+12=0-(8-k)+12=4+k



=2-(-4+p) ‌
bÁ¢=aÁ£-bÁ£+13=-1-(4+k)+13=8-k

=6-p ‌
bÁ°=aÁ¢-bÁ¢+14=1-(8-k)+14=7+k

=0
bÁ¤=aÁ°-bÁ°+15=0-(7+k)+15=8-k
에서 p=6
bÁ¦=aÁ¤-bÁ¤+16=-1-(8-k)+16=7+k

Û -4+p<0, 즉 p<4일 때
bÁ¥=aÁ¦-bÁ¦+17=1-(7+k)+17=11-k

a¢‌
=a£+p ‌
bÁ»=aÁ¥-bÁ¥+18=0-(11-k)+18=7+k



=(-4+p)+p ‌
bª¼=aÁ»-bÁ»+19=-1-(7+k)+19=11-k

=-4+2p ‌
이때 bª¼=14이므로

=0
11-k=14
에서 p=2
따라서 k=-3

Ú, Û에서 a¢=0이 되도록 하는 모든 실수 p의 값의 합은
①
6+2=8
8
107

두 조건 (가), (나)에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106 aªÇ*Á=aªÇ-3 yy ㉠


aÁ=aª=1이고 이 성립하므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a£=aª-3 yy ㉡

정답과 풀이 ● 67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7 2020-12-16 오후 7:40:02


a°=a¢-3
a¦=a¤-3 yy ㉢
108


조건 (가)에서

이다.
a¢=(aª)Û`+1
a¦=2이므로 ㉢에서
a¥=aª_a¢+1
a¤=5



=aª_{(aª)Û`+1}+1
이때 조건 (가)에서


=(aª)Ü`+aª+1
a¤=aª_a£+1=5
조건 (나)에서
즉, aª_a£=4
a£=aª_aÁ-2 yy ㉠
이므로 ㉡에서


조건 (가)에서
aª(aª-3)=4
aª=aª_aÁ+1이므로
aªÛ`-3aª-4=0
aª_aÁ=aª-1 yy ㉡
(aª+1)(aª-4)=0


㉠, ㉡에서
따라서 aª=-1 또는 aª=4
a£=aª-3
Ú aª=-1일 때
또,

조건 (가)에서
a¦=aª_a£-2

aª=aª_aÁ+1



=aª_(aª-3)-2

이므로


=(aª)Û`-3aª-2

-1=-aÁ+1
aÁ°=aª_a¦-2

따라서 aÁ=2이므로 0<aÁ<1이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aª_{(aª)Û`-3aª-2}-2

Û aª=4일 때


=(aª)Ü`-3(aª)Û`-2aª-2

조건 (가)에서
이때 a¥-aÁ°=63이므로

aª=aª_aÁ+1
{(aª)Ü`+aª+1}-{(aª)Ü`-3(aª)Û`-2aª-2}=63

이므로
(aª)Û`+aª-20=0

4=4aÁ+1
(aª+5)(aª-4)=0

따라서 aÁ=;4#;이므로 0<aÁ<1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킨다. aª=-5 또는 aª=4

Ú, Û에서 Ú aª=-5일 때,

aÁ=;4#;, aª=4 ㉡에서

이때 ㉠에서 aÁ=;5^;

aª°=aª¢-3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고 조건 (가)에서 Û aª=4일 때,

aª¢=aª_aÁª+1 ㉡에서



=4aÁª+1 aÁ=;4#;

이때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킨다.
aÁª=aª_a¤+1

Ú, Û에서


=4a¤+1
aÁ=;4#;, aª=4

=4_5+1=21
이므로 따라서 a¥=4Ü`+4+1=69이므로
aª¢=4_21+1=85 a¥ 69
= =92
aÁ ;4#;
따라서
aª°=aª¢-3
②


=85-3=82
③

6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8 2020-12-16 오후 7:40:02


109
유형 6 수학적 귀납법
등비수열 {aÇ}의 공비를 r (r는 정수)라 하면 첫째항이 2이므로


aÇ=2rn-1 110


aª=2r, a£=2rÛ`이므로 조건 (가)에서 Ú n=1일 때, (좌변)=3, (우변)=3이므로 (C)이 성립한다.


4<2r+2rÛ`É12 Û n=m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aû=2m(m+1)-(m+1)_2-m


2<r+rÛ`É6 m



rÛ`+r>2에서 k=1

이다.


Á aû
rÛ`+r-2=(r+2)(r-1)>0이므로
m+1
r<-2 또는 r>1 yy ㉠



= Á aû+am+1
k=1
rÛ`+rÉ6에서 m

rÛ`+r-6=(r+3)(r-2)É0이므로



k=1

-3ÉrÉ2 yy ㉡ =2m(m+1)-(m+1)_2-m


㉠, ㉡에서 -3Ér<-2 또는 1<rÉ2 +{22(m+1)-1}_2(m+1)m+m_2-(m+1)


이때 r는 정수이므로 =2m(m+1)-(m+1)_2-m


r=-3 또는 r=2 +(22m+2-1)_ 2m(m+1) +m_2-(m+1)


Ú r=-3인 경우 조건 (나)에서 m+2

Á aû= Á {2_(-3)k-1}
= 2m(m+1) _ 22m+2 - _2-m

2

수열

m m

=2(m+1)(m+2)-(m+2)_2-(m+1)



k=1 k=1

2{1-(-3)m} 이다. 따라서 n=m+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

1-(-3)
즉, f(m)=2m(m+1), g(m)=22m+2이므로

m
1-(-3)
= g(7) 2Ú`ß`
2 = =2Ý`=16
f(3) 2Ú`Û`
1-(-3)m

=122에서 ④
2

1-(-3)m=244, (-3)m=-243

즉, (-3)m=(-3)Þ`이므로 111


m=5 n=k`(k¾3)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Û r=2인 경우 조건 (나)에서 8
Á aû= Á (2_2k-1)
aû=

m m (k-1)(k-2)
이다.



k=1 k=1

k(k-2)ak+1= Á ai=aû+ Á ai
2(2m-1) k k-1
=
2-1


i=1 i=1

=2(2m-1) =aû+(k-1)(k-3)aû
2(2m-1)=122에서 =aû_ (k-2)Û`

m m
2 -1=61, 2 =62 8

= _ (k-2)Û`
이때 2m=62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m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k-1)(k-2)

Ú, Û에서 r=-3, m=5이므로 8(k-2)
=
aµ=a°=2_(-3)Ý`=162 k-1

 162 이다. 그러므로

1 8(k-2) 8
ak+1= _ k-1 =
k(k-2) k(k-1)
이다.
따라서
f(k)=(k-2)Û`, g(k)=8(k-2), h(k)=k(k-1)

이므로

정답과 풀이 ● 69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69 2020-12-16 오후 7:40:02


f(13)_g(14) 11Û`_8_12 이다. 따라서 n=m+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 =88


h(12) 12_11
Ú, Û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C)이 성립한다.
①
(-1)µ``
따라서 f(m)= , g(m)=m!, h(m)=m+1이므로
m+1

112 g(3)+h(3)
f(4)
=(3!+4)_5=50

n=m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Á (-1)û` ±Ú`kÛ`=(-1)µ ±Ú`´


③
m m(m+1)
yy ㉠
2

또, Á (-1)û` ±Ú`kÛ`은 k=1부터 k=m+1까지 (-1)û` ±Ú`kÛ`의 합이
k=1

m+1
114




므로 Á (-1)û` ±Ú`kÛ`에 (-1)µ ±Û`(m+1)Û`을 더한 것과 같다. 즉,
k=1
집합 Aû의 원소의 개수는 k 이하의 자연수 중에서 2개를 선택하
m
는 조합의 수와 같으므로

Á (-1)û` ±Ú`kÛ`
k=1

m+1 k(k-1)
(가) =ûCª=
2

= Á (-1)û` ±Ú`kÛ`+ (-1)µ ±Û`(m+1)Û`
k=1

m
집합 {(1, k+1), (2, k+1), y, (k, k+1)}에서

k=1
k+1이 k개이므로 그 합은 k(k+1)
m(m+1)
= (-1)µ ±Ú`´ + (-1)µ ±Û`(m+1)Û` 즉, (나) =k(k+1)
2
(m+1)(m+2) k(k-1)
=(-1)µ ±Û`´ 그러므로 f(k)= , g(k)=k(k+1)
2 2

이다. 따라서 f(10)+g(9)=45+90=135

따라서 f(m)=(-1)µ ±Û`(m+1)Û`, ③

m(m+1)
g(m)=(-1)µ ±Ú`´ 이므로
2

f(5)=(-1)Þ`±Û`(5+1)Û`=-36

2(2+1)
g(2)=(-1)Û`±Ú`´ =-3
2

f(5) -36
따라서 = =12
g(2) -3
③

113

Ú n=1일 때 (좌변)=1, (우변)=1이므로 (C)이 성립한다.

Û n=m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Á

m (-1)k-1µCû m 1

k k=1 k



k=1

이다. n=m+1일 때,

Á

m+1 (-1)k-1m+1Cû
k


k=1


m (-1)k-1m+1Cû (-1)m
+
k m+1


k=1


m (-1)k-1(µCû+mCk-1) (-1)m
+
k m+1


k=1

=Á +Á[
1 m+1 (-1)k-1 m!
]
m
_
k k=1 k (m-k+1)!(k-1)!


k=1

=Á +Á[
k-1
1 m+1 (-1)
]
m (m+1)!
_
k k=1 m+1 (m-k+1)!k!


k=1

=Á =Á
m 1 1 m+1 1
+
k m+1 k=1 k



k=1

7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0 2020-12-16 오후 7:40:02


따라서 Á an=0+0+2+4+6+6+8=26
7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90~94 쪽


n=1



①
01 ① 02 ④ 03 201 04 4 05 18




06 58 07 ④ 08 ② 09 13 10 132
수능이 보이는 강의





11 16 12 8 13 142 14 477 15 120




16 164 17 117 18 320 주어진 방정식 sin`x=
3
의 해는 0<x<np에서 함수 y=sin`x의


n
3
그래프와 직선 y= 의 교점이야.
01
n
정답률 28.7% 이때 자연수 n의 값에 따라 삼각함수의 그래프가 정의되는 구간이


3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변하므로 직선 y= 과의 교점의 규칙성이 보이도록 n의 값을 짝
n
수, 홀수로 나눠서 생각해야 해.
함수 y=sin`x의 성질
⑴ 정의역은 실수 전체의 집합이고, 치역은 {y|-1ÉyÉ1}이다.
⑵ y=sin`x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02
‌

즉, sin`(-x)=-sin`x
정답률 28.5%


⑶ 주기가 2p인 주기함수이다.


‌

즉, sin`(2np+x)=sin`x (단, n은 정수)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수열의 귀납적 정의

풀이 전략 삼각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처음 몇 개의 항을 구하고 이웃한 항 사이의 관

문제 풀이 계를 구하여 수열의 규칙성을 찾는다.

수열
[STEP 1] ;n#;=1, ;n#;>1로 n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aÇ을 구한다.
풀이 전략
등비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한다.
Ú ;n#;>1인 경우, 즉 n<3일 때 문제 풀이

[STEP 1] 조건 (가), (나)를 이용하여 항의 값을 구한다.
-1Ésin`xÉ1이고 ;n#;>1
aª¼=aÁ¼-1이고 aª¼=1이므로
따라서 n=1, n=2일 때, aÁ¼=2
방정식 sin`x=;n#;의 실근의 개수는 0이므로 또, aÁ¼=a°-1에서

y=sin`x의 그래프와 a°=3
aÁ=aª=0
3

직선 y= 이 만나지 않는다. a°=2aª+1에서
n
Û ;n#;=1인 경우, 즉 n=3일 때
aª=1
0<x<3p에서 함수 y=sin`x의 그래프와 직선 y=1은 aª=aÁ-1에서
p
x= 또는 x=;2%; p에서 만나므로 aÁ=2
2


[STEP 2] 조건 (나)를 이용하여 수열 {aÇ}의 합에 대한 규칙을 찾는다.
a£=2

aªÇ+aªÇ*Á=(aÇ-1)+(2aÇ+1)=3aÇ
[STEP 2] 0<;n#;<1을 만족시키는 n의 값의 범위에서 n이 짝수인 경우와
aª+a£=3aÁ
3aª+3a£‌=3(aª+a£)


홀수인 경우로 나누어 aÇ을 구한다. a¢+a°+a¤+a¦=3aª+3a£=3Û`aÁ =3´3aÁ

=3Û`aÁ

Ü ;n#;<1인 경우, 즉 n>3일 때 a¥+a»+y+aÁ°=3a¢+3a°+3a¤+3a¦=3Ü`aÁ



3a¢+3a°+3a¤+3a¦
aÁ¤+aÁ¦+y+a£Á=3a¥+3a»+y+3aÁ°=3Ý`aÁ =3(a¢+a°+a¤+a¦)
n=2k (k는 2 이상의 자연수)이면 0<x<np에서 함수 =3´3Û`aÁ
a£ª+a££+y+a¤£=3aÁ¤+3aÁ¦+y+3a£Á=3Þ`aÁ =3Ü`aÁ
y=sin`x의 그래프와 직선 y=;n#; 은 2k개의 점에서 만나므로
[STEP 3] 등비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Á aÇ의 값을 구한다.
63


Á aÇ=aÁ+(aª+a£)+(a¢+y+a¦)+(a¥+y+aÁ°) ‌

n=1
aÇ=n n=4, 6, y
63
n=2k+1 (k는 2 이상의 자연수)이면 0<x<np에서 함수



n=1
+(aÁ¤+y+a£Á)+(a£ª+y+a¤£)
y=sin`x의 그래프와 직선 y=;n#; 은 2k+2개의 점에서 만나므로


aÇ=n+1 n=5, 7, y =aÁ(1+3+3Û`+3Ü`+3Ý`+3Þ`)

[STEP 3] Á an 의 값을 구한다.
7 3ß`-1 첫째항이 1, 공비가 3인 등비수열의
=2_ =728 첫째항부터 제6항까지의 합
3-1



n=1

④

정답과 풀이 ● 71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1 2020-12-16 오후 7:40:03


aÇ= Á  aû- Á  aû
n n-1

03 
정답률 28.4% k=1 k=1
Á aû‌=logª`((n-1)Û`+(n-1)}
n-1

=logª`(nÛ`+n)-logª`(nÛ`-n)



k=1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logª`(nÛ`-n)


n+1
=logª` (단, n¾2)
여러 가지 수열의 합 n-1 logª`(nÛ`+n)-logª`(nÛ`-n)
분모가 서로 다른 두 수 또는 두 식의 곱의 꼴로 나타내어진 수열의 nÛ`+n
따라서 =logª`
nÛ`-n
합은 다음과 같이 부분분수로 분해하여 구한다. 2n+1+1 n(n+1)

Á  =Á 
a2n+1=logª` =logª`
n(n-1)
2n+1-1
{ - }
n 1 n 1 1 1 n+1
k=1 akbk k=1 bk-ak ak bk 2n+2 =logª`
n-1
=logª`
2n
풀이 전략 자연수의 특성과 부분분수를 이용한다. 2(n+1)
=logª`

2n
문제 풀이
n+1
[STEP 1] 이차함수의 식을 이용하여 부등식을 세운다. =logª` (단, n¾1)
n
부등식 f(n)<k<f(n)+1 (n=1, 2, 3, y)은
[STEP 2] logŒ`M+logŒ`N=logŒ`MN, logŒ`Mû`=k`logŒ`M임을 이용

하여 Á aªÇ*Á의 값을 구한다.
nÛ`+n-;3!;<k<nÛ`+n+;3@; yy ㉠ 15


Á  aªÇ*Á=logª`2+logª`;2#;+logª`;3$;+y+logª`;1!5^;
n=1
[STEP 2] 부분분수를 이용하여 p, q의 값을 구한다.
15

부등식 ㉠을 만족시키는 정수 k는 nÛ`+n이므로 n=1


n이 자연수이므로 nÛ`+n-;3!;<k<nÛ`+n+;3@;를
=logª`{2_;2#;_;3$;_y_;1!5^;}
aÇ=nÛ`+n

Á  =Á 
만족시키는 정수 k는 nÛ`+n이다.
1001 100 1
n=1 aÇ n=1 nÛ`+n   =logª`16=logª`2Ý`

=Á 
100 1   =4`logª`2

n=1 n(n+1)   =4
= Á  {
1 1 1 1
= { - }
AB B-A A B
}
100 1 1 4
  -
n=1 n n+1

  ={;1!;-;2!;}+{;2!;-;3!;}+y+{;10!0;-;10!1;}
05 정답률 27.8%


  =1-;10!1;=;1!0)1);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따라서 p=101, q=100이므로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p+q=101+100=201 ⑴ 등차수열의 일반항: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n}의 일
‌
 201 반항 an은 an=a+(n-1)d
⑵ 등비수열의 일반항: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n}의 일
‌
반항 an은 an=arn-1

04 정답률 28.3%


풀이 전략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성질,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계를 이용한다.
수열의 합 Sn과 일반항 an의 관계 문제 풀이
Sn-1
[STEP 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성질을 이용하여 a¢와 a°의 관계식을 구한다.
aÁ+aª+a£+y+an-1+an
Sn 수열 {aÇ}은 등차수열이므로
따라서 an=Sn-Sn-1= Á ak- Á ak
n n-1
aÁ+a¥=a¢+a°
k=1 k=1 aÁ+(aÁ+7d)=(aÁ+3d)+(aÁ+4d)
‌

따라서 a¢+a°=8 =a¢+a°

풀이 전략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 로그의 성질을 이용한다. 수열 {bÇ}은 등비수열이므로



문제 풀이 bªb¦=b¢b°
bÁr_bÁrß`=bÁrÜ`_bÁrÝ`

[STEP 1] aÇ= Á  aû- Á  aû, logŒ`M-logŒ`N=logŒ` N 임을 이용하


‌

n n-1 M 이때 b¢b°=a¢a°이므로 =b¢_b°

k=1 k=1
a¢a°=b¢b°=bªb¦=12
여 aªÇ*Á을 구한다.
[STEP 2]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 a°의 값을 구한다.

Á  aû=logª`(nÛ`+n)이므로
n a¢, a°가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라 하면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와
k=1

7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1.indd 72 2020-12-17 오후 6:18:21


의 관계에 의하여 xÛ`-8x+12=0의 두 근이다. 이것은 n=1일 때도 성립하므로
(x-2)(x-6)=0에서 4n-3
=4n+5`(n¾1)

x=2 또는 x=6
[STEP 2] 수열 {an}의 일반항 an을 구한 후 p, q의 값을 구한다.
이때 a¢=b¢, a°=b°이고
4n-3
등비수열 {bÇ}의 공비가 1보다 작으므로 aÇ= 이므로
4n+5
b¢>b°에서 a¢>a°
a°_a¦_a»=;2!5&;_;3@3%;_;4#1#;
따라서 a¢=6, a°=2
[STEP 3]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구하여 aÁ의 값을 구한다. =;4!1&;
a°-a¢=2-6=-4이므로
따라서 p+q=41+17=58
수열 {aÇ}은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이다.
 58
따라서
a¢=aÁ+(4-1)_(-4)=6
aÇ=aÁ+(n-1)d
수능이 보이는 강의
aÁ-12=6
4n-3
따라서 aÁ=18 이 문제의 핵심은 을 새로운 수열 {bn}의 일반항 bn으로 놓


an
 18 는 거야. Ⅲ
으로 놓으면 주어진 식은 Á bk=2nÛ`+7n이 되고
4n-3 n
즉, bn=


an k=1

수능이 보이는 강의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게 간단해져.

수열
일반항 bn에 대한 식을 이끌어내고 an으로 정리하면 일반항 an의 식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은 aÁ의 값이야. 이 값은 등차수열 {an} 을 구할 수 있어.
의 일반항 an을 구해야 알 수 있어. 이때 공차를 알아야 하는데 이웃
하는 두 항 사이의 관계를 알아야 하므로 먼저 주어진 조건을 활용
하여 a4, a5의 관계식을 이끌어 내자.
즉, a4, a5의 합과 곱을 구하고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를 활
용하여 a4, a5의 값을 구한 거야.

07 정답률 24.7%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등차수열의 합
06 정답률 25.2%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 n은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n{2a+(n-1)d}
Sn=
2
수열의 합 Sn과 일반항 an의 관계
수열 {an}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n이라 하면
aÁ=SÁ, an=Sn-Sn-1 (단, n=2, 3, 4, y)
풀이 전략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한다.

문제 풀이

풀이 전략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를 이용한다. [STEP 1]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하여 SÇ을 구한다.

문제 풀이 n{2_50+(n-1)_(-4)}
SÇ=
[STEP 1]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를 이용하여 Á bk에서 b1의 값과 일반
n
2
=-2nÛ`+52n

k=1

항 bn을 구한다. =-2(n-13)Û`+2_13Û`

[STEP 2]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하여 Á Sû의 값이 최대가 되는


1 m+4
n=1일 때 =9


k=m

n¾2일 때 m의 값을 구한다.

=Á -Á
4n-3 n 4k-3 n-1 4k-3
SÇ의 값은 n=13일 때 최대이다.

따라서 Á Sû의 값은 m=11일 때 최대가 된다.


aÇ aû aû


k=1 k=1
m+4

=2nÛ`+7n-{2(n-1)Û`+7(n-1)}

k=m
SÇ이 n=13을 기준으로 대칭이다.
=4n+5 ④

정답과 풀이 ● 73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3 2020-12-16 오후 7:40:04


a¢Éa°이므로


수능이 보이는 강의 a¤=2a¢+a°=3aª+10


이때 a¤=19이므로
Sn은 n에 대한 이차함수의 식이므로 n=13일 때 최댓값을 가져.


즉, 직선 n=13이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축이야. 따라서 그 3aª+10=19


래프의 대칭성에 의하여 n=12, n=14일 때 함숫값이 같고 aª=3


n=11, n=15일 때 함숫값이 같아.
aª=3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값은 S m+S m+1+S m+2+S m+3+S m+4의 최댓값이니까


m=13일 때의 값을 기준으로 따져 보면 m=11이 되어야 주어진 2aÁ+3=2


값이 최대가 됨을 알 수 있어.
aÁ=-;2!;


Û aÁ>aª일 때


a£=aÁ+aª=2 yy ㉡
08


정답률 20.2% 이므로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aÁ>0


aªÉa£이므로
수열의 귀납적 정의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처음 몇 개의 항을 구하고 이웃한 항 사이의 관 a¢=2aª+a£=2aª+2


계를 구하여 수열의 규칙성을 찾는다. ① aª¾0일 때

a£Éa¢이므로

풀이 전략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규칙을 이용한다.
a°=2a£+a¢=2aª+6


[STEP 1] aÁÉaª 또는 aÁ>aª일 때로 나눠서 aÁ의 값을 구한다.
a¢Éa°이므로

문제 풀이
a¤=2a¢+a°=6aª+10

Ú aÁÉaª일 때, 이때 a¤=19이므로


a£=2aÁ+aª=2 yy ㉠ 6aª+10=19


이므로
aª=;2#;

aª>0


① aÁ¾0일 때 aª=;2#; 을 ㉡에 대입하면



㉠에서 a£-aª=2aÁ¾0
aªÉa£이므로 이므로 a£¾aª
aÁ+;2#;=2

a¢=2aª+a£=2aª+2


위의 식에서 a¢-a£=2aª¾0
a£Éa¢이므로 이므로 a¢¾a£ aÁ=;2!;


a°=2a£+a¢=2aª+6

위의 식에서 a°-a¢=2a£¾0 이때 aÁ<aª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aÁ의 값은 존
a¢Éa°이므로

‌
이므로 a°¾a¢

재하지 않는다.
a¤=2a¢+a°=6aª+10

② aª<0일 때
이때 a¤=19이므로


a£>a¢이므로
6aª+10=19


a°=a£+a¢=2aª+4
aª=;2#;

a¢Éa°이므로


aª=;2#; 을 ㉠에 대입하면 a¤=2a¢+a°=6aª+8



이때 a¤=19이므로
2aÁ+;2#;=2

6aª+8=19


aÁ=;4!; aª=:Á6Á:


② aÁ<0일 때 이때 aª>0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aª와 aÁ의 값


‌
aÁ<0이므로 ㉠에서
aª>a£이므로 a£-aª=2aÁ<0이므로 은 존재하지 않는다.

a£<aª
a¢=aª+a£=aª+2 Ú, Û에서

a£Éa¢이므로 위의 식에서 a¢-a£=aª¾0
이므로 a¢¾a£ aÁ=;4!; 또는 aÁ=-;2!;

이런 식으로 다음의 두 항 사이의 대소 관계도 파악한다.
a°=2a£+a¢=aª+6

7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4 2020-12-16 오후 7:40:04


[STEP 2] aÁ의 값의 합을 구한다. bÁ¼=4aÁ+15d=-8d+15d=7d
모든 aÁ의 값의 합은 이므로

;4!;+{-;2!;}=-;4!;
b¥ 6d
bÁ¼ = 7d =;7^;
② 즉, p=7, q=6이므로
p+q=7+6=13
수능이 보이는 강의  13

이 문제는 이웃하는 두 항 사이의 대소 관계에 따라 항의 값이 달라


짐을 알고 두 항 사이의 대소 관계를 경우에 따라 놓고 풀어가는 문
제야. 주어진 조건인 a£=2라는 것에서 a£에 대한 등식을 aÁ과 aª로
나타낼 때, aÁÉaª 또는 aÁ>aª인 경우로 나누어야 해. 또한 aÁÉaª 10 정답률 17.4%



에서 aÁ이 양수인지 음수인지 나누고, aÁ>aª에서는 aª가 양수인지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음수인지 나누어서 생각해야 해. 그래야 모든 경우를 빠짐없이 생각
하게 되므로 조금은 복잡하더라도 천천히 풀어 나가도록 해보자. 삼각형의 무게중심
좌표평면에서 세 점 A(xÁ, yÁ), B(xª, yª), C(x£, y£)에 대하여
삼각형 ABC의 무게중심의 좌표는

{
xÁ+xª+x£ yÁ+yª+y£
, } Ⅲ
3 3

09 정답률 19.6%

풀이 전략 삼각형의 무게중심의 좌표를 이용한다.

수열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문제 풀이

등차수열의 일반항 [STEP 1] 세 점 PÁ, QÁ, Qª의 좌표를 이용하여 Q£, Q¢, Q°의 좌표를 구한다.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점 PÁ의 좌표는 (1, 0), 두 점 QÁ, Qª의 좌표가 각각 (0, 0),
aÇ=a+(n-1)d
(1, -1)이고 점 PÁ이 삼각형 QÁQªQ£의 무게중심이므로 Q£의 좌
표를 (aÁ, bÁ)이라 하면
풀이 전략 주어진 관계식에 n 대신에 1, 2, 3, y, 9, 10을 차례로 대
0+1+aÁ 0-1+bÁ
{ }=(1, 0)이므로

입한다. ,
3 3
문제 풀이
aÁ=2, bÁ=1
[STEP 1] 주어진 관계식에 n 대신에 1, 2, 3, y을 차례로 대입하여 bÁ¼을 구 즉, 점 Q£의 좌표는 (2, 1)이다.
한다. 점 Pª의 좌표는 (2, a), 두 점 Qª, Q£의 좌표가 각각 (1, -1),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 (d+0)라 하자. (2, 1)이고 점 Pª는 삼각형 QªQ£Q¢의 무게중심이므로 Q¢의 좌표

bª=bÁ+aª=aÁ+(aÁ+d)=2aÁ+d 를 (aª, bª)라 하면
b£=bª-a£=(2aÁ+d)-(aÁ+2d)=aÁ-d 1+2+aª -1+1+bª
3은 3의 배수이므로 { , }=(2, a)이므로
b¢=b£+a¢=(aÁ-d)+(aÁ+3d)=2aÁ+2d b£=b£ÐÁ-a£ 3 3
b°=b¢+a°=(2aÁ+2d)+(aÁ+4d)=3aÁ+6d aª=3, bª=3a
b¤=b°-a¤=(3aÁ+6d)-(aÁ+5d)=2aÁ+d 즉, 점 Q¢의 좌표는 (3, 3a)이다.
b¦=b¤+a¦=(2aÁ+d)+(aÁ+6d)=3aÁ+7d 점 P£의 좌표는 (3, 2a), 두 점 Q£, Q¢의 좌표가 각각 (2, 1),
b¥=b¦+a¥=(3aÁ+7d)+(aÁ+7d)=4aÁ+14d (3, 3a)이고 점 P£는 삼각형 Q£Q¢Q°의 무게중심이므로 Q°의 좌
b»=b¥-a»=(4aÁ+14d)-(aÁ+8d)=3aÁ+6d 표를 (a£, b£)라 하면
2+3+a£ 1+3a+b£
bÁ¼=b»+aÁ¼=(3aÁ+6d)+(aÁ+9d)=4aÁ+15d { , }=(3, 2a)이므로
3 3
[STEP 2] bÁ¼과 aÁ¼을 aÁ과 공차 d로 나타낸다.
a£=4, b£=3a-1
bÁ¼=aÁ¼이므로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Ç}의 즉, 점 Q°의 좌표는 (4, 3a-1)이다.
4aÁ+15d=aÁ+9d, aÁ=-2d 일반항은
aÇ=aÁ+(n-1)d [STEP 2] 같은 방법으로 Q¤, y, QÁ¼을 구하여 QÇ을 추론한다.

[STEP 3] b¥, bÁ¼을 d로 나타내고 bÁ¼ 의 값을 구하여 p+q의 값을 계산한다.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따라서 P¢(4, 3a), Q¢(3, 3a), Q°(4, 3a-1)에서
b¥=4aÁ+14d=-8d+14d=6d, 점 Q¤의 좌표는 (5, 3a+1)

정답과 풀이 ● 75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5 2020-12-16 오후 7:40:04


P°(5, 4a), Q°(4, 3a-1), Q¤(5, 3a+1)에서 y
y=
- 8x
점 Q¦의 좌표는 (6, 6a) 2x-15

P¤(6, 5a), Q¤(5, 3a+1), Q¦(6, 6a)에서 ...


4
점 Q¥의 좌표는 (7, 6a-1) ...
P¦(7, 6a), Q¦(6, 6a), Q¥(7, 6a-1)에서 O 5 10 15 x
15
점 Q»의 좌표는 (8, 6a+1) -
2
P¥(8, 7a), Q¥(7, 6a-1), Q»(8, 6a+1)에서
점 QÁ¼의 좌표는 (9, 9a) [STEP 2]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대칭을 이용하여 함숫값을 구한다.

유리함수 y=f(x)의 그래프는 점 {;;Á2°;;, 4}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Q¢, Q¦, QÁ¼, y으로부터 Q£û*Á을 추론할 수 있다.
y

즉, Q£û*Á(3k, 3ka) (k는 자연수) yy ㉠
f(7)+f(8)=8 점근선의 방정식이 x=;;Á2°;;, y=4이므로
[STEP 3] 점 QÁ¼의 좌표가 (9, 90)임을 이용하여 점 QÁ£의 좌표를 구한다.


f(6)+f(9)=8 두 직선의 교점 {;;Á2°;;, 4}에 대하여 대칭이다.
점 QÁ¼의 좌표가 (9, 90)이므로


f(5)+f(10)=8
9a=90, a=10


f(4)+f(11)=8
따라서 점 QÁ£의 좌표는


f(3)+f(12)=8
(3_4, 3_4_10)=(12, 120)

f(2)+f(13)=8
이므로 p=12, q=120  
f(1)+f(14)=8

[STEP 3] Á aÇÉ73이 되는 m의 최댓값을 구한다.


따라서 p+q=132

m

 132

n=1

aÇ=f(n)에서

11 Á aÇ=f(1)+f(2)+f(3)+y+f(14)=56
14
정답률 15.9%


n=1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또, aÁ°=f(15)=8
60
k aÁ¤=f(16)=4+
유리함수 y=
x-p
+q`(k+0)의 그래프 2_16-15

⑴ 함수 y=;[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 =7+;1»7;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8

⑵ 점근선의 방정식은 x=p, y=q이다.
⑶ 점근선의 교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aÁ¦=f(17)>4
이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Á aÇ<73< Á aÇ
풀이 전략 16 17



n=1 n=1
문제 풀이 56+8+7+;1»7;<72
따라서 m의 최댓값은 16이다.
8x
[STEP 1] 유리함수 f(x)= 2x-15 의 그래프를 그린다.  16

8x 4(2x-15)+60
f(x)= =
2x-15 2x-15

수능이 보이는 강의
60 8x
=4+ =
2{x-:Á2°:}
2x-15 이 문제는 시간만 있으면 해결할 수 있는 문제야.
8x
f(x)= 에서 x=1부터 하나씩 대입한 값들을 더해서 73을
2x-15
8x

이므로 유리함수 f(x)=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넘지 않는 가장 큰 수일 때의 x의 값을 구하면 되니까. 그런데 이렇
2x-15

게 풀면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의외로 계산 과정에서 틀릴 수 있어.
이때는 함수 f(x)가 유리함수 형태이고 점근선에 대하여 그래프가
대칭인 성질을 이용하면 x=1부터 x=14까지의 함숫값의 합은 쉽
게 구할 수 있게 된단다.

7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6 2020-12-16 오후 7:40:04


12 
정답률 14.9% 13 정답률 13.2%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합의 기호 Á의 성질 수열의 귀납적 정의
⑴ Á (aûÑbû)= Á aûÑ Á bû
n n n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처음 몇 개의 항을 구하고 이웃한 항 사이의 관

⑵ Á caû=c Á aû (단, c는 상수)


k=1 k=1 k=1
계를 구하여 수열의 규칙성을 찾는다.
n n

⑶ Á c=cn (단, c는 상수)


k=1 k=1
n 풀이 전략 aÁ의 경우를 나누고 주어진 관계식에 n 대신에 2, 3, 4, 5를


k=1
대입한다.

Á의 성질과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한다.


문제 풀이
풀이 전략

[STEP 1] aÁ의 경우를 나누어 주어진 관계식에 n 대신에 2, 3, 4, 5를 대입
문제 풀이
주의
한다.
[STEP 1] 점 P가 이동한 거리를 구한다. aÁ은 짝수이지만 aª가 짝수 또는 홀수가 될 수 있도록 aÁ의 형태를 4k와 4k+2로 잡는다.

점 A¼에서 점 AÇ까지 점 P가 경로를 따라 이동한 거리는 aÁ이 짝수이므로 aÁ=4k인 경우와 aÁ=4k+2인 경우로 나누어

Á =;2Á5; Á (2k-1)=;2Á5; {2 Á k- Á 1}
n 2k-1 n n n a°=5가 되는 정수 k의 값을 구하면 다음 표와 같다.
25


k=1 k=1 k=1 k=1

Á k=
n(n+1)
n n(n+1) aÁ 4k 4k+2 Ⅲ
=;2Á5;[2_ -n] k=1 2

2 aª 2k 2k+1

nÛ` a£ k 2k+4
=

수열
25

a£이 홀수 a£이 짝수
={;5N;}Û` a¢ k+2
;2K;

k+3
[STEP 2]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직선 y=x 위에 있는 두 번째 점을 찾는다.
점 AÇ이 직선 y=x 위에 있기 위해서는 점 A¼에서 점 AÇ까지 점 a¢가 a¢가 a¢가 a¢가
k+3 홀수 짝수 홀수 짝수
P가 경로를 따라 이동한 거리가 짝수이어야 한다. a°
2
k+2
점 P가 이동한 거리가 2, 4, 6, y일 때
;2K;+3 ;4K; k+5
{;5N;}Û`이 짝수이면 ;5N;도 짝수이므로 점 P가 직선 y=x 위에 있다. 2

[STEP 2] a°=5임을 이용하여 가능한 aÁ의 값을 모두 구한다.


;5N;=2m (단, m은 자연수)
a°=5이므로 각 경우의 k의 값은
n=10m
k+3
=5에서 k=7
따라서 점 AÇ 중 직선 y=x 위에 있는 원점에서 두 번째로 가까운 2
점은 m=2일 때이므로 n=20일 때, 즉 Aª¼이다. k
+3=5에서 k=4
2
[STEP 3] 점 P가 이동한 거리를 이용하여 a의 값을 구한다.
경로를 따라 이동한 거리가 2k(k는 자연수)일 때 점 P의 x좌표는 k
=5에서 k=20
4
k이다.
k+5=5에서 k=0
점 A¼에서 점 Aª¼까지 점 P가 경로를 따라 이동한 거리가
k+2
=5에서 k=8
{:ª5¼:}`Û =4Û`=16이므로 점 Aª¼의 x좌표는 8이다. 2

따라서 a=8 k=4인 경우 a¢=;2K;가 짝수이므로 a°+;2K;+3


a°=;4K;=1이 되어 모순
8 k=0인 경우 a¢=k+2가 짝수이므로 a°+k+5
k+2
a°= =1이 되어
그러므로 k=7 또는 k=20 또는 k=8이고 2
모순
aÁ이 될 수 있는 수는 28, 80, 34이다.
[STEP 3] 첫째항이 될 수 있는 모든 값의 합을 구한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28+34+80=142
 142

정답과 풀이 ● 77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7 2020-12-16 오후 7:40:05


14 
정답률 12.1%
문제 풀이

[STEP 1]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를 (x, y)로 두고서 두 함수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y=gÇ(x), y=hÇ(x)를 정하여 주어진 범위에서 그래프를 각각 그린다.

등비수열의 일반항 자연수 n에 대하여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 aÇ은 aÇ=arn-1 gÇ(x)=logÇ`x,
구하는 순서쌍 (a, b)를
hÇ(x)=-(x-nû`)Û`+kÛ` (k는 자연수) 순서쌍 (x, y)라 하고
풀이 전략 등비수열의 공비를 이용한다. x와 y의 함수식으로 나타낸다.
라 하자.

문제 풀이
gÇ(nû`)=logÇ`nû`=k, hÇ(nû`)=kÛ`이므로
[STEP 1] A(200)의 의미를 파악한다.
x<nû`에서 y=gÇ(x)의 그래프와
A(200)은 조건의 등비수열에서 제k항이 3_2200이 되는 모든 k
x¾nû`에서 y=hÇ(x)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의 값의 합이다. y
[STEP 2]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공비와 k의 값을 구한다.
kÛ y=hÇ(x)
200
200 200
공비를 2¹`이라 하면 2 =(2¹`) p 이고 은 자연수이어야 하므
p y=gÇ(x)
k
로 p는 200의 양의 약수이다.
200
그러므로 3_2200=3_(2¹`) p 은 첫째항이 3이고 공비가 2¹`인 O 1 nû nû +k x
첫째항이 3, 공비가 2¹` 인 등비수열의 제n항은
200

등비수열의 제{ +1}항이다. 3_(2¹`)n-1이고 n-1=
200
[STEP 2] 1<x<nû` 에서 yÉgÇ(x)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의 개수를
p p
이므로


[STEP 3] A(200)의 값을 구한다. 제{
200
+1}항이다. 구한다.
p

200=2Ü`_5Û`이므로 200의 모든 양의 약수는 Ú 조건 (가)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의 개


‌
1, 2, 2Û`, 2Ü`, 5, 2_5, 2Û`_5, 2Ü`_5, 5Û`, 2_5Û`, 2Û`_5Û`, 2Ü`_5Û` 수는 부등식
모든 양의 약수의 개수는
따라서 (3+1)(2+1)=12
1<x<nû`, yÉgÇ(x)

A(200)=(2Ü`_5Û`+1)+(2Û`_5Û`+1)+y+(2+1)+(1+1) 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x, y의 순서쌍 (x, y)의 개수와 같다.

‌

=(2Ü`_5Û`+2Û`_5Û`+y+2+1)+12 1<x<n일 때, 0(개)


=465+12 (1+2+2Û`+2Ü`)(1+5+5Û`)=465 nÉx<nÛ`일 때,


=477 1_(nÛ`-n)=nÛ`-n (개)


 477 nÛ`Éx<nÜ`일 때,

2_(nÜ`-nÛ`)=2nÜ`-2nÛ` (개)


nÜ`Éx<nÝ` 일 때,


3_(nÝ`-nÜ`)=3nÝ`-3nÜ` (개)

15


정답률 11.8% 



nû` ÑÚ`Éx<nû`일 때,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k-1)(nû`-nû` ÑÚ`)=(k-1)nû`-(k-1)nû` ÑÚ` (개)




1. 등비수열의 합
이므로 개수의 총합은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SÇ은

a(rÇ`-1) a(1-rÇ`) (k-1)nû`-(n+nÛ`+nÜ`+y+nû` ÑÚ`)


⑴ r+1일 때, SÇ= = 첫째항이 n, 공비가 n,
r-1 1-r n(nû `ÑÚ`-1)
=(k-1)nû`- 항의 개수가 k-1인 등비수열의 합

⑵ r=1일 때, SÇ=na n-1

2.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⑴ Á k=1+2+3+y+n=
nû`-n
n(n+1) =(k-1)nû`-
n
n-1

2

⑵ Á kÛ`=1Û`+2Û`+3Û`+y+nÛ`=
k=1
n n(n+1)(2n+1) [STEP 3] nû`Éx<nû`+k에서 yÉhÇ(x)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의
6

⑶ Á kÜ`=1Ü`+2Ü`+3Ü`+y+nÜ`=[
k=1
개수를 구한다.
n n(n+1)
]2
k=1 2 Û 조건 (나)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의 개
‌
수는 부등식
풀이 전략 a, b에 대한 조건식을 x, y에 대한 함수식으로 나타낸 후 nû`Éx<nû`+k, yÉhÇ(x)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x, y의 순서쌍 (x, y)의 개수와 같다.

7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8 2020-12-16 오후 7:40:05


x=nû`일 때, kÛ` (개)
16


정답률 8.6%


x=nû`+1일 때, kÛ`-1Û` (개)




x=nû`+2일 때, kÛ`-2Û` (개)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⑴ Á k=1+2+3+y+n=

x=nû`+k-1일 때, kÛ`-(k-1)Û` (개) n n(n+1)
2


⑵ Á k=1+2+3+y+n+(n+1)=
k=1
이므로 개수의 총합은 n+1 (n+1)(n+2)

k_kÛ`-{1Û`+2Û`+3Û`+y+(k-1)Û`} k=1 2

1부터 k-1까지의 자연수의 제곱의 합
(k-1)k(2k-1)
=kÜ`- n=1, 2, 3, y을 대입하여 aÇ의 규칙을 찾는다.
6 풀이 전략


=;6K;(4kÛ`+3k-1)
문제 풀이

[STEP 1] n=1, 2, 3일 때, aÁ, aª, a£의 값을 구한다.
k(k+1)(4k-1)
= n=1일 때 △AOB에서 나올 수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6

aÁ=1+2=3
[STEP 4] 순서쌍 (a, b)의 개수를 n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y
두 조건 (가), (나)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 A
6
의 개수를 A(n)이라 하면 Ú, Û에서 5 Ⅲ
nû`-n k(k+1)(4k-1) 4
A(n)=(k-1)nû`- +
n-1 6 3

수열
이므로 f(2), f(3), f(4)의 값은 각각 다음과 같다. 2



1
[STEP 5] n=2, n=3, n=4일 때의 가장 작은 자연수 k의 값을 구하여 B
O 1 2 3 4 5 x
f(2)_f(3)_f(4)의 값을 구한다.

① n=2일 때 n=2일 때 △AOB에서 나올 수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k(k+1)(4k-1) aª=1+2+3=6
A(2)=(k-1)2û`-(2û`-2)+
6
y
k(k+1)(4k-1) A
=(k-2)2û`+2+ 7
6
6
k=5이면 A(2)=96+2+95=193<300 5
k=6이면 A(2)=256+2+161=419>300 4

즉, A(2)¾3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6이므로 3


2
f(2)=6
1

② n=3일 때 B
O 1 2 3 4 5 6 x
3û`-3 k(k+1)(4k-1)
A(3)=(k-1)3û`- +
2 6
n=3일 때 △AOB에서 나올 수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k=4이면 A(3)=243-39+50=254<300
a£=1+2+3+4=10
k=5이면 A(3)=972-120+95=947>300
y
즉, A(3)¾3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5이므로 8 A
f(3)=5 7

6
③ n=4일 때
5
4û`-4 k(k+1)(4k-1)
A(4)=(k-1)4û`- + 4
3 6
3
k=3이면 A(4)=128-20+22=130<300 2
k=4이면 A(4)=768-84+50=734>300 1
B
즉, A(4)¾3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최솟값은 4이므로 O 1 2 3 4 5 6 7 x
f(4)=4

[STEP 2] aÇ을 추론하여 식을 구한다.
따라서 f(2)_f(3)_f(4)=6_5_4=120

 120

정답과 풀이 ● 79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79 2020-12-16 오후 7:40:06


Á (aÇ+|bÇ|)- Á (aÇ+bÇ)=67-27
Z 5 5

"

Á (|bÇ|-bÇ)=40



n=1 n=1
O 
O  5
yy ㉠


  
O  n=1

등비수열 {bÇ}의 공비를 r(r는 음의 정수)라 하면


bÁ>0, bª<0, b£>0, b¢<0, b°>0
… 이므로 ㉠에서
 …
 # -2(bª+b¢)=40
0  O  O  Y 즉, bÁr+bÁrÜ`=-20
bÁr(1+rÛ`)=-20 yy ㉡
자연수 n에 대하여 △AOB에서 나올 수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이때 bÁr는 음의 정수이고 1+rÛ`은 자연수이므로 1+rÛ`은 20의 양
aÇ=1+2+3+y+(n+1)

=Á k
n+1
의 약수이어야 한다.
20의 양의 약수는 1, 2, 4, 5, 10, 20이고 r가 음의 정수이므로

k=1
1+rÛ`=2에서 rÛ`=1이고
r=-1 또는 r=-2 또는 r=-3
=;2!; (n+1)(n+2) r가 음의 정수이므로 r=-1

㉡에서 1+rÛ`=5에서
rÛ`=4, r=-2
=;2!; (nÛ`+3n+2) r=-1일 때, bÁ=10

1+rÛ`=10에서

[STEP 3] Á aÇ의 값을 구한다.


8 r=-2일 때, bÁ=2 rÛ`=9, r=-3

Á aÇ=;2!;` Á (nÛ`+3n+2)
r=-3일 때, bÁ=;3@;
n=1

8 8

그런데 bÁ은 자연수이므로




n=1 n=1

8_9_17 8_9
=;2!; { +3_ +2_8} bÁ=10, r=-1 또는 bÁ=2, r=-2
6 2

[STEP 2] 각 경우에 대한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과 공차를 구한다.
=164
Ú bÁ=10, r=-1일 때

Á bÇ=
 164

5 10{1-(-1)Þ`}
=10
1-(-1)


n=1

수능이 보이는 강의 조건 (가)에서


첫째항이 10, 공비가 -1인 등비수열의

Á (aÇ+bÇ)=27
첫째항부터 제5항까지의 합

5
삼각형 AOB를 그리면 직선 AB 위의 점 중에서 x좌표, y좌표가

Á aÇ+ Á bÇ=27


n=1
동시에 자연수가 되는 점은 없어. 만약 직선 AB의 기울기가 -1이
5 5
면 동시에 자연수가 되는 좌표는 규칙적으로 존재하게 되지. 따라서

Á aÇ+10=27



n=1 n=1
기울기가 -1이 되는 직선을 이용하여 그 직선 위의 점을 기준으로
5
직사각형의 개수의 규칙성을 찾으면 돼.

따라서 Á aÇ=17


n=1
5

Á aÇ=(a£-2d)+(a£-d)+a£
Á aÇ=5a£=17에서 a£=;;Á5¦;;


n=1 5

5 n=1

17
+(a£+d)+(a£+2d)



n=1 =5a£
정답률 8.4%


한편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이 자연수이고 공차가 음의 정수
개념만 확실히 알자!
‌
정답 공식
이므로 등차수열 {aÇ}의 모든 항은 정수이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따라서 bÁ=10, r=-1은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⑴ 등차수열의 일반항: 첫째항이 a, 공차가 d인 등차수열 {an}의 일
Û bÁ=2, r=-2일 때
‌
Á bÇ=
반항 an은 an=a+(n-1)d

⑵ 등비수열의 일반항: 첫째항이 a, 공비가 r인 등비수열 {an}의 일
5 2{1-(-2)Þ`}
=22
1-(-2)
‌


n=1
반항 an은 an=arn-1
조건 (가)에서
등차수열,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Á의 성질을 이용한다. Á (aÇ+bÇ)=27, Á aÇ+ Á bÇ=27

5 5 5
풀이 전략

Á aÇ+22=27





n=1 n=1 n=1
문제 풀이 5

따라서 Á aÇ=5
[STEP 1] 조건 (가)와 (나)를 이용하여 등비수열 {bÇ}의 첫째항과 공비를 구


n=1
5
한다.


n=1
조건 (가)와 조건 (나)에서

8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80 2020-12-16 오후 7:40:06


Á aÇ=5a£=5에서 a£=1
5
문제 풀이


n=1

조건 (나)에서 [STEP 1] 함수 y=f(x)의 그래프의 개형으로부터 m의 값을 구한다.

Á aÇ+ Á |bÇ|=67, 5+ Á |bÇ|=67



;2!;(2x-p)+;2P;+2n
5 5 5
x+2n

Á |bÇ|=62
f(x)= =




n=1 n=1 n=1
2x-p 2x-p


5

조건 (다)에서 Á (|aÇ|+|bÇ|)=81이므로
;2P;+2n


n=1

=;2!;+
5

2x-p

Á |aÇ|+62=81




;2P;+2n
n=1
5 ;2!;+ 에서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x=;2P;, y=;2!;
이고 ;2P;+2n>0이므로 2{x-;2P;}

따라서 Á |aÇ|=19


n=1
5
yy ㉢ f(1)<f(5)<f(3) yy ㉠


  

n=1

한편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d는 음의 정수)라 하면 a£=1 이 성립하려면 함수 y=f(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
y
이므로
aÁ>aª>a£>0¾a¢>a°

|a¢|=-a¢, |a°|=-a° f(3)
이다. 이때 y=f(x)

f(5)
aÁ=1-2d, aª=1-d, a¢=1+d, a°=1+2d


O1 3 5 x
이므로 ㉢에서 1
y=-
2

f(1)
(1-2d)+(1-d)+1-(1+d)-(1+2d)=19 p
x=-
2

수열
1-6d=19, d=-3
1<;2P;<3이어야 하므로 2<p<6에서

aÁ=1-2_(-3)=7

Ú, Û에서 자연수 p의 최솟값 m은 3이다.
aÁ=7, d=-3이고 bÁ=2, r=-2 [STEP 2] 함수 y=g(x)의 그래프로부터 q의 개수를 구한다.
[STEP 3]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2x+n
g(x)=
등차수열 {aÇ}의 일반항은 x+q
2(x+q)+n-2q
aÇ=7+(n-1)_(-3) =
x+q


=-3n+10
n-2q
등비수열 {bÇ}의 일반항은 =2+
x+q
bÇ=2_(-2)Ç` ÑÚ` 이므로 곡선 y=g(x)의 두 점근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x=-q, y=2
a¦+b¦=-11+128 x+2n
p=3일 때 f(x)= 에 대하여


=117 2x-3

 117 xÁ=f(1)=-2n-1
2n+5
xª=f(5)=
7
2n+3
x£=f(3)=
18 정답률 3.4%
3

이라 하면 ㉠으로부터 xÁ<xª<x£

정답 공식 개념만 확실히 알자!
이때 문제의 조건에서

유리함수 y=
k
+q`(k+0)의 그래프
g(xª)<g(x£)<g(xÁ)

x-p
이 성립해야 하므로 함수 y=g(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아야 한다.
⑴ 함수 y=;[K;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g(x)
⑵ 점근선의 방정식은 x=p, y=q이다.
⑶ 정의역은 {x|x+p인 실수}, 치역은 {y|y+q인 실수}이다. y=2
⑷ 점 (p, q)에 대하여 대칭이다.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성질과 Á의 성질을 이용한다.


x=xª
풀이 전략 x=xÁ x=-q x=x£

정답과 풀이 ● 81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81 2020-12-16 오후 7:40:07


그러므로 xÁ<-q<xª이고 n-2q<0이어야 한다.
2n+5
즉, -2n-1<-q< 이고 q>;2N;이어야 하므로
7
2n+5
- <q<2n+1이고 q>;2N;에서
7

;2N;<q<2n+1

Ú n=2l-1 (l은 자연수)일 때



2l-1
<q<2(2l-1)+1에서
2

l-;2!;<q<4l-1이므로

q=l, l+1, y, 4l-2

그러므로 자연수 q의 개수는 3l-1

4l-2-l+1=3l-1
Û n=2l (l은 자연수)일 때

2l
<q<2_2l+1에서
2

l<q<4l+1이므로

q=l+1, l+2, y, 4l

그러므로 자연수 q의 개수는 3l

4l-(l+1)+1=3l
Ú, Û에서
aªÂÐÁ=3l-1,
aªÂ=3l

[STEP 3] Á의 성질을 이용하여 Á aû의 값을 구한다.


20

Á aû= Á (aªÂÐÁ+aªÂ)
k=1

20 10

= Á (3l-1+3l)
k=1 l=1

10

= Á (6l-1)
l=1

10

=6 Á l- Á 1
l=1

10 10

Á  k=



l=1 l=1 10 10(10+1) 10_11
=
2 2
10_11 k=1

=6_ -10
2
=330-10
=320
 320

8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해_047~082 수Ⅰ-3단원-ok.indd 82 2020-12-16 오후 7:40:07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영역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정답과 풀이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83 2020-12-16 오후 7:41:12



본문 96~101 쪽
유형 2 로그의 정의와 성질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6


a=log`6=log`2+log`3
01 ④ 02 ③ 03 ① 04 ⑤ 05 15
b=log`15=log`3+log`5




06 ④ 07 ② 08 ④ 09 150 10 9




11 ④ 12 ② 13 973 14 ⑤ 15 ① 따라서




16 ⑤ 17 ③ 18 ② 19 ② 20 ① a-b=log`2-log`5




21 ⑤ 22 ⑤ 23 ③ 24 4 25 ①
=log`2-log`;;Á2¼;;




26 55
=log`2-(1-log`2)
=2 log`2-1
1


유형 지수의 정의와 지수법칙 이므로
a-b+1
log`2=
01 2

-;2#;
④
{;4!;} ={;2!;} =2Ü`=8
-3

④
07
1
=logª¦`b=log3Ü``b=;3!;`log£`b
02 logº`27

-;2#; 이므로
{;4(;} ={;2#;} ={;3@;} =;2¥7;
-3 3

log£`a=;3!;`log£`b
③
3 log£`a=log£`b

03 log£`aÜ`=log£`b

에서 b=aÜ`
 Ü '3Œ6_{Ü®;3@;`}Û`=Ü "2à Û`_3Û`_{Ü®;3@;`}Û`
따라서
;3@; ;3@; ;3@; -;3@;
=2 3 _2 3 logŒ`bÛ`+logº`aÛ`=logŒ`(aÜ`)Û`+logaÜ``aÛ`
;3@; ;3@; ;3@; ;3@;
=2 _2 _3 _3Ñ =logŒ`aß`+;3@;`logŒ`a
;3@;+;3@; ;3@;-;3@;
=2 _3
=6+;3@;
;3$;
=2
=:ª3¼:
따라서 a=;3$;
②
①

04 08
(2;3!;_2-;3$;)-2=[2[;3!;+{-;3$;}]] =(2ÑÚ`)ÑÛ`=2Û`=4


-2 log`a=3-log`(a+b)
log`a+log`(a+b)=3
⑤ log`a(a+b)=3
a(a+b)=10Ü`
05 이때 a는 10Ü`의 약수이므로 그 개수는 약수의 개수와 같다.

"Ã3  Ý '2Œ7=¿¹3 Ý "3Å Ü`=ad3_3 =(3_3 ) =(3 ) =3 ;4#; ;4#; ;2!; ;4&; ;2!; ;8&;
10Ü`=2Ü`_5Ü`이므로 10Ü`의 약수의 개수는


따라서 p=8, q=7이므로 (3+1)_(3+1)=16
p+q=15 따라서 정수 a, b의 순서쌍 (a, b)의 개수는 16이다.
 15 ④

8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84 2020-12-16 오후 7:41:12
09
12


60Œ`=5에서 720=2Ý`_3Û`_5이므로 약수의 개수는
a=log¤¼`5 5_3_2=30
60º`=6에서 따라서 720의 모든 양의 약수의 곱은
b=log¤¼`6 aÁaªya£¼=720Ú`Þ`
따라서 Á logª`aû=logª`aÁ+logª`aª+y+logª`a£¼
30


k=1
2a+b log¤¼`150
= =logÁª`150이므로 =logª`(aÁaªya£¼)
1-a log¤¼`12
2a+b =logª`720Ú`Þ`
12 1-a =12logÁª`150


=logª`(2Ý`_3Û`_5)Ú`Þ`
=150logÁª`12



=logª`(2ß`â`_3Ü`â`_5Ú`Þ`)
=150



=logª`2ß`â`+logª`3Ü`â`+logª`5Ú`Þ`
 150


=60+30 logª`3+15 logª`5




log`3` 1-log`2
=60+30_ +15_
log`2 log`2


0.48 0.7
=60+30_ +15_
0.30 0.3
10
=60+48+35=143


logµ`2=;10N0;에서 ②

m;10N0;=2 13

이때 m=2Œ`(a는 자연수)라 하면 logŒ`b=;2#;에서 a;2#;=b, 즉 aÜ`=bÛ` yy ㉠


;10N0; ;10÷0;
(2Œ`) =2 =2 ㉠이 성립하려면 a는 자연수의 제곱이고, b는 자연수의 세제곱이

경찰대학 사
에서 an=100이어야 한다. 어야 한다.
a, n은 100=2Û`_5Û`의 양의 약수이므로 순서쌍 (a, n)의 개수는 a=(a')Û`, b=(b')Ü` (a', b'은 자연수)로 놓으면

·관학교 기출 문제
9이다. (a')ß`=(b')ß`에서 a'=b'
따라서 순서쌍 (m, n)의 개수도 9이다. 따라서 a'=b'=m (m은 자연수)로 놓으면
9 a=mÛ`, b=mÜ`

log`d=;4#;에서 c;4#;=d, 즉 cÜ`=dÝ` yy ㉡



㉡이 성립하려면 c는 자연수의 네제곱이고, d는 자연수의 세제곱

11 이어야 한다.

(a+b)Û`=log£`64=6 log£`2 c=(c')Ý`, d=(d')Ü` (c', d'은 자연수)로 놓으면

9Œ`=2;b!;에서 (c')Ú`Û`=(d')Ú`Û`에서 c'=d'
따라서 c'=d'=n (n은 자연수)로 놓으면
32a=2;b!;, 즉 32ab=2 yy ㉠
c=nÝ`, d=nÜ`
㉠의 양변에 밑이 3인 로그를 취하면
a-c=mÛ`-nÝ`=19에서
2ab=log£`2
(m-nÛ`)(m+nÛ`)=19
(a-b)Û`=(a+b)Û`-4ab  
19는 소수이고 m-nÛ`<m+nÛ`이므로
‌

=6 log£`2-2 log£`2=4log£`2


m-nÛ`=1, m+nÛ`=19
(a-b)Û` 4 log£`2
따라서 = =;3@;이고

(a+b)Û` 6 log£`2 m=10, nÛ`=9, 즉 n=3

a>b>0이므로 따라서

a-b '6 b-d=mÜ`-nÜ`=10Ü`-3Ü`  


=®;3@; =


a+b 3

=1000-27=973
④  973

정답과 풀이 ● 85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85 2020-12-16 오후 7:41:13


㉡-㉠을 하면
유형 4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
2=log£`9(a+2)-log£`9a
a+2
14 =log£`
a

a+2
y=4Å`-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a만큼, y축의 방향으로 b만 9= , a=;4!;
a
큼 평행이동하면
㉠에서 3º`=9a=;4(;
y-b=4x-a-1 즉, y=22x-2a+b-1
이 그래프가 함수 y=22x-3+3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따라서 a+3º`=;4!;+;4(;=;2%;
a=;2#;, b=4 ⑤

따라서 ab=6
⑤

15

aÅ`=t로 놓으면
f(x)=a2x+4aÅ`-2에서 17



f(x)=tÛ`+4t-2   Ú a>1일 때



=(t+2)Û`-6 1
A{ , 1}, B(a, 1), C(1, 0)이므로
a
-1ÉxÉ1일 때 a>1이므로 ;a!;ÉtÉa
(직선 AC의 기울기)_(직선 BC의 기울기)=-1에서
함수 f(x)는 t=a, 즉 x=1일 때, 최댓값 10을 가지므로 1 -1
_ =-1

aÛ`+4a-2=10, aÛ`+4a-12=0 ;a!;-1 1-a

(a-2)(a+6)=0 a 1
_ =1
a>1에서 a=2 1-a 1-a
a=(1-a)Û`
함수 f(x)는 t=;a!;=;2!;, 즉 x=-1일 때 최소이므로 최솟값은
aÛ`-3a+1=0

f(-1)=;4!;+2-2=;4!; 그런데 a>1이므로

3+'5
① a=
2
Û 0<a<1일 때

A(a, 1), B {;a!;, 1}, C(1, 0)이므로

(직선 AC의 기울기)_(직선 BC의 기울기)=-1에서


유형 5 로그함수의 뜻과 그래프 -1
1-a
_
-1
=-1
1-;a!;

16 -1
_
a
=1

1-a a-1
log£`9x=log£`9+log£`x
a=(1-a)Û`
=2+log£`x
aÛ`-3a+1=0
이므로 곡선 y=log£`9x는 곡선 y=log£`x를 y축의 방향으로 2만
그런데 0<a<1이므로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즉, BCÓ=2이므로
3-'5
ABÓ=BCÓ=2 a=
2
곡선 y=log£`9x 위의 점 A의 좌표는 (a, b)이므로
Ú, Û에서 모든 양수 a의 값의 합은
점 C의 좌표는 (a+2, b+2)이고
3+'5 3-'5
+ =3
b=log£`9a yy ㉠ 2 2
b+2=log£`9(a+2) yy ㉡ ③

8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86 2020-12-16 오후 7:41:13
18
이때 yª<g(logª`6)=logª`(logª`6),
yÁ>g(logª`3)=logª`(logª`3)에서
점 A(1, 0)을 지나고 y축에 평행한 직선이 곡선 y=aÅ` 과 만나는
yª-yÁ<logª`(logª`6)-logª`(logª`3)
점 B의 좌표는 B(1, a)이다.
logª`6
직선 AC의 기울기는 -1이고, 이와 평행한 직선 BD의 기울기도 =logª`{ }
logª`3
-1이므로 직선 BD의 방정식은 =logª`(log£`6)
y=-(x-1)+a=-x+1+a 이므로
직선 AC와 수직인 직선 AD의 기울기는 1이므로 직선 AD의 방 2xÁ+2xª-8<logª`(log£`6)
정식은 즉, 2xÁ+2xª<8+logª`(log£`6) (거짓)
y=x-1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직선 AD와 직선 BD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②
a a
x=1+ , y=
2 2

이므로 점 D의 좌표는 D{1+ , }이다.


a a
2 2
20


Ú n=3일 때,
사다리꼴 ADBC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와 삼각형 ABD
(16, 4) y=logª`x
의 넓이의 합이므로

;2!;_ABÓ_(점 D의 x좌표)=;2!;_a_{1+;2A;}=6

aÛ`+2a-24=0, (a+6)(a-4)=0 y=logÁ¤`x


(16, 1)
a=4 (a>1)

13 14 15 16 17 18 19 x
따라서 점 D의 좌표는 D(3, 2)이고 곡선 y=logº`x 위의 점이므로
2=logº`3, bÛ`=3, b='3 위 그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형은 색칠한 부분이므로

따라서 ab=4'3 a£=2

경찰대학 사
② Û n=4일 때,
(16, 4) (32, 5) y=logª`x

·관학교 기출 문제
19
y=logÁ¤`x

Z G Y
]Y] 12 13 14 15 16 17 18 19 20 28 29 30 31 32 33 34 35 36 x

Zm H Y
MPHmAY (16, 1)

위 그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사각형은 색칠한 부분이므로

a¢=19
따라서 a£+a¢=2+19=21
0 Y„  Ym Y
①
MPHmA MPHmA

f(x)=|2Å`-4|, g(x)=logª`x, f(xÁ)=g(xÁ)=yÁ,




f(xª)=g(xª)=yª라 하자.

ㄱ. f(logª`3)=1, f(logª`6)=2이므로


yÁ<1<yª<2이고 logª`3<xÁ<xª<logª`6 (참)
ㄴ. ㄱ에 의해 xª-xÁ<logª`6-logª`3=1이고,
2xª-2xÁ<2 logª`6-2 logª`3=3이므로


(xª-xÁ)(2xª-2xÁ)<3 (참)
ㄷ. yÁ=|2xÁ-4|=4-2xÁ,
yª=|2xª-4|=2xª-4에서
yª-yÁ=2xÁ+2xª-8

정답과 풀이 ● 87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87 2020-12-16 오후 7:41:14


유형 6 방정식에의 활용 유형 7 부등식에의 활용

21 24


16 2+log;3!;`(2x-5)>0에서 2-log£`(2x-5)>0
2Å`+ =10에서 2Å`=A로 치환하면 A>0이고
2Å`
log£`(2x-5)<log£`3Û`, 2x-5<9, x<7
16
A+ =10
A 로그의 진수 조건에 의해 2x-5>0, x>;2%;
AÛ`-10A+16=0, (A-2)(A-8)=0
따라서 ;2%;<x<7이고 이를 만족시키는 모든 정수 x는 3, 4, 5, 6
A=2 또는 A=8
2Å`=2에서 x=1 이므로 그 개수는 4이다.

2Å`=8에서 x=3 4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25


{;2!;} ¾{;1Á6;}
1-x x-1
1+3=4 에서
⑤
1-xÉ4x-4, x¾1 yy ㉠


22 logª`4x<logª`(x+k)에서

log£(logª¦`x)=logª¦(log£`x)에서 log£`x=t로 놓으면 0<4x<x+k, 0<x<;3K; yy ㉡


로그의 진수의 조건에 의하여 t>0 이때 주어진 연립부등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으려면
log£(log3Ü``x)=log3Ü`(log£`x), log£ {;3T;}=;3!;log£`t ;3K;É1, 즉 0<kÉ3이어야 한다.

log£ {;3T;}Ü`=log£`t에서 {;3T;}Ü`=t 따라서 양수 k의 최댓값은 3이다.

tÜ`-27t=0, t(tÛ`-27)=0 ①

이때 t>0이므로 tÛ`=(log£`x)Û`=27 26

|log£` |+log£` É0에서
⑤ m n
15 3

23 Ú m¾15일 때
m n mn mn

주어진 방정식의 양변에 밑이 2016인 로그를 취하면 log£` +log£` É0, log£` É0, É1
15 3 45 45

log2016 '¶2016`x logª¼Á¤`x=log2016`xÛ` 즉, mnÉ45


log2016 '¶2016+log2016`x

logª¼Á¤`x
=log2016`xÛ` n=1일 때, m=15, 16, y, 45로 31개



;2!;`log2016`2016+(log2016`x)Û`=2`log2016`x n=2일 때, m=15, 16, y, 22로 8개

n=3일 때, m=15로 1개
;2!;+(log2016`x)Û`=2 log2016`x

…… ㉠
즉, 순서쌍 (m, n)의 개수는

  

log2016`x=t로 치환하면 31+8+1=40

tÛ`-2t+;2!;=0 Û m<15일 때
m n 5n 5n
2tÛ`-4t+1=0 …… ㉡ -log£` +log£` É0, log£` É0, É1
15 3 m m


x에 대한 방정식 ㉠의 두 근을 a, b라 하면 t에 대한 이차방정식 즉, 5nÉm

㉡의 두 근이 log2016`a, log2016`b이다. n=1일 때, m=5, 6, y, 14로 10개

따라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n=2일 때, m=10, 11, y, 14로 5개

log2016`a+log2016`b=2이므로 즉, 순서쌍 (m, n)의 개수는

log2016`ab=2 10+5=15

ab=2016Û`=N Ú, Û에서 구하는 순서쌍 (m, n)의 개수는
그러므로 N의 마지막 두 자리는 56이다. 40+15=55
③  55

8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88 2020-12-16 오후 7:41:14

본문 101~103 쪽 유형 2 삼각함수의 그래프


삼각함수
03


2p
p= =4, M=5+3=8이므로
01 ⑤ 02 ⑤ 03 12 04 ① 05 ③ ;2Ò;




06 ⑤ 07 ⑤ 08 480 09 ③ 10 ⑤




11 ⑤ p+M=12
 12

유형 1 삼각함수의 정의
04


함수  f(x)=a`sin`bx+c의 그래프는 함수 y=a`sin`bx의 그래프
01 를 y축의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sin`h=-;3!; 에서 함수  f(x)=a`sin`bx+c에서
최댓값은 |a|+c, 최솟값은 -|a|+c
cosÛ``h=1-sinÛ``h
이고 a>0이므로
=1-{-;3!;}Û`=;9*;
a+c=4, -a+c=-2
따라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3, c=1
cos`h cos`h
= 2p
tan`h sin`h 주기는 이고 b>0이므로
cos`h |b|
2p
cosÛ``h =p, b=2
= b
sin`h
따라서 a=3, b=2, c=1이므로

경찰대학 사
;9*;
= =-;3*; abc=6
-;3!; ①

·관학교 기출 문제
⑤

유형 3 삼각함수의 방정식, 부등식에의 활용


02
05

sinÛ``h+cosÛ``h=1에서

sinÛ``h=1-cosÛ``h
y=|sin`2x|의 주기는 ;2Ò;이므로
=1-{-;2!;}2`=;4#;
방정식 |sin`2x|=;2!; 의 모든 실근의 개수는 8개이다.
이때 각 h는 제3사분면의 각이므로
y
sin`h<0
'3 y=|sin`2x|
즉, sin`h=- 1
1
2 y=
2
따라서 O p 2p x
sin`h
tan`h=
cos`h
'3 실근을 크기순으로 aÁ, aª, a£, y, a¥이라 하면
-
2
= ='3 aÁ+a¥=aª+a¦=a£+a¤=a¢+a°=2p
-;2!;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2p_4=8p
⑤ ③

정답과 풀이 ● 89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89 2020-12-16 오후 7:41:14


06 08


cosÛ``3x-sin`3x+1=0에서 n=5일 때, 0ÉxÉ2p에서 y=|sin`5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
1-sinÛ``3x-sin`3x+1=0 다.
sinÛ``3x+sin`3x-2=0 y

(sin`3x+2)(sin`3x-1)=0 y=|sin`5x|
1 2
y=
-1Ésin`3xÉ1이므로 3
O p 2p x
sin`3x=1

y
이때 방정식 |sin`5x|=;3@;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1 y=1
4_5=20이므로
O 2
p
4
p 2p x a°=20
3 3
y=sin`3x n=6일 때, 0ÉxÉ2p에서 y=|sin`6x|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
다.
따라서 x=;6Ò; 또는 x=;6%; p 또는 x=;2#; p이므로 y
y=|sin`6x|

모든 실근의 합은 ;6Ò;+;6%; p+;2#; p=;2%; p 1 y=
2
3
O p 2p x
⑤

이때 방정식 |sin`6x|=;3@;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4_6=24이고 그 실근의 합은 2p_12=24p이므로
b¤=24p
따라서 a°b¤=20_24p=480p이므로
k=480
 480

07

sin 2x
tan`2x`sin`2x= _sin`2x
cos`2x
sinÛ` 2x
=
cos`2x
1-cosÛ` 2x
=
cos`2x

=;2#;

3`cos`2x=2(1-cosÛ``2x)
2`cosÛ``2x+3`cos`2x-2=0
(2`cos`2x-1)(cos`2x+2)=0
-1Écos`2xÉ1이므로

cos`2x=;2!;

0ÉxÉ2p에서 방정식 cos`2x=;2!;의 해는

x=;6!;p 또는 x=;6%;p 또는 x=;6&;p 또는 x=:Á6Á:p

따라서 모든 해의 합은 4p이다.
⑤

9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0 2020-12-16 오후 7:41:15
;2!;_x_y_sin`120ù=3'3
유형 4 사인법칙과 코사인법칙
따라서 사각형 OABC의 넓이는

09 4'3+3'3=7'3

삼각형 ABC에서 사인법칙에 의하여 ⑤
BCÓ ABÓ sin`C ABÓ
= 이므로 = 이다.
sin`A sin`C sin`A BCÓ
한편, 2 sin`(∠ABD)=5 sin`(∠DBC)에서


sin`(∠ABD)=;2%; sin`(∠DBC)이다.

점 D는 선분 AC를 5 : 3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삼각형 ABD의 넓


이를 SÁ, 삼각형 DBC의 넓이를 Sª라 하면 SÁ : Sª=5 : 3이고




SÁ=;2!;_ABÓ_BDÓ_sin`(∠ABD)

Sª=;2!;_BCÓ_BDÓ_sin`(∠DBC)에서 11


A
3_;2!;_ABÓ_BDÓ_sin`(∠ABD)
D E
=5_;2!;_BCÓ_BDÓ_sin`(∠DBC)

B C
ABÓ_sin`(∠ABD)=;3%;_BCÓ_sin`(∠DBC) F

ABÓ_;2%; sin`(∠DBC)=;3%;_BCÓ_sin`(∠DBC) ∠BAC=h로 놓으면 ABÓ=5, BCÓ=7, ACÓ=6이므로 코사인법



칙에 의하여
ABÓ
=;3@; 5Û`+6Û`-7Û`
BCÓ cos`h= =;5!;

경찰대학 사
2_5_6
sin`C ABÓ
따라서 = =;3@; 이때 원에 내접하는 삼각형 ADE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
sin`A BCÓ
라 하면 사인법칙에 의하여

·관학교 기출 문제
③
DEÓ
=2R
sin`h

10 DEÓ=2R¾¨1-{;5!;}Û`=
4'6R
5

∠ABC=120ù에서 점 B를 포함하는 호 AC에 대한 중심각의 크 점 A에서 선분 BC에 내린 수선의 길이를 h라 하면 삼각형 ABC
기 ∠AOC=120ù 의 넓이에서
삼각형 AOC의 넓이는
;2!;_7_h=;2!;_5_6_sin`h
;2!;_4_4_sin`120ù=4'3
cos`h=;5!;이므로
삼각형 AO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해
ACÓ Û`=4Û`+4Û`-2_4_4_cos`120ù=48 2'6
sin`h=
5
ACÓ=4'3
12'6
ABÓ=x, BCÓ=y라 하면 따라서 h=
7
삼각형 ABC에서 코사인법칙에 의해 6'6
이때 hÉ2R에서 R¾
48=xÛ`+yÛ`-2_x_y_cos`120ù 7

xÛ`+yÛ`+xy-48=0 따라서
4'6R
(x+y)Û`-xy-48=0 DEÓ= ¾;;Á3¢5¢;;
5
x+y=2'1§5 를 대입하면
xy=12 따라서 선분 DE의 길이의 최솟값은 ;;Á3¢5¢;;이다.

삼각형 ABC의 넓이는 ⑤

정답과 풀이 ● 91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1 2020-12-16 오후 7:41:15



본문 104~112 쪽
03


수열


등차수열 {aÇ}의 공차를 d라 하면
5(2aÁ+4d)
S°= =5(aÁ+2d)=aÁ
2
01 19 02 24 03 ② 04 10 05 ② 5aÁ+10d=aÁ




06 ③ 07 ⑤ 08 ③ 09 ③ 10 282 2aÁ=-5d yy ㉠




11 270 12 375 13 8 14 395 15 ③
10(2aÁ+9d)




16 191 17 ④ 18 ① 19 ② 20 195 SÁ¼=
2
=5(2aÁ+9d)=40




21 ① 22 ① 23 3 24 120 25 ①
yy ㉡




2aÁ+9d=8
26 ⑤ 27 ⑤ 28 ② 29 ① 30 ④




31 ③ 32 297 33 ⑤ 34 ① 35 17 ㉠, ㉡을 연립하여 풀면




36 ② aÁ=-5, d=2
따라서
aÇ‌
=-5+2(n-1)=2n-7
1


유형 등차수열의 일반항과 합 이므로
aÁ¼=20-7=13
01 ②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a+2d=1 yy ㉠
04
  
a°=a+4d=7 yy ㉡

  
㉠, ㉡을 연립하여 풀면 조건 (가)에서 등차수열의 합의 공식에 의하여 (m+2)개의 수의

a=-5, d=3 합은

=a+b+ Á  logª`cû
따라서 (m+2)(a+b) m

2 k=1
a»=a+8d  
이때 a+b=1이므로
‌

=1+ Á  logª`cû, 즉 m=2 Á  logª`cû
=-5+24  
m+2

m m
=19 2

k=1 k=1

 19 로그의 성질에 의하여

Á  logª`cû=logª`(cÁ_cª_c£_y_cµ)
m

k=1

이고 조건 (나)에서
cÁ_cª_y_cµ=32이므로
02 m=2 logª`32=2 logª`2Þ`=10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 10
aª=a+d=14 yy ㉠
a¢+a°=23에서
(a+3d)+(a+4d)=2a+7d   05
‌
  

=23 yy ㉡ 1부터 1000까지의 자연수 중 홀수의 집합을 A, 홀수이면서 3의
㉠, ㉡을 연립하여 풀면 배수의 집합을 B, 홀수이면서 5의 배수의 집합을 C라 하자.
a=15, d=-1 이때 구하는 집합은 A;B‚`;C‚`이다.
따라서 A;B‚`;C‚`=A;(B'C)‚
a¦+a¥+a»=(a+6d)+(a+7d)+(a+8d)   =A-(B'C)
‌

=3a+21d   n(A)=500

=45-21   집합 B={3, 9, 15, y, 999}이고

=24 3, 9, 15, y, 999는 첫째항이 3, 공차가 6인 등차수열이므로
 24 3+(n-1)6=999

9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2 2020-12-16 오후 7:41:15
6n=1002 aÛ`-2a=0, a(a-2)=0
따라서 n=167이므로 따라서 a=2(a>0이므로)
n(B)=167 a°=a¢+12a£에서
집합 C={5, 15, 25, y, 995}이고 arÝ`=arÜ`+12arÛ`
5, 15, 25, y, 995는 첫째항이 5, 공차가 10인 등차수열이므로 r>0, a>0이므로
5+(n-1)10=995 rÛ`-r-12=0
10n=1000 (r-4)(r+3)=0
따라서 n=100이므로 따라서 r=4(r>0이므로)
n(C)=100 aÇ=2_4n-1이므로
이때 B;C={15, 45, 75, y, 975}이고 aÁ¼=2_4á`=21+18=219
15, 45, 75, y, 975는 첫째항이 15, 공차가 30인 등차수열이므로 따라서

15+(n-1)30=975 logª`aÁ¼=logª`219


‌
30n=990 =19 logª`2  



따라서 n=33이므로 =19
n(B;C)=33 ⑤
따라서
n(B'C)=n(B)+n(C)-n(B;C)
=167+100-33
=234
08
등비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r>0)라 하면
B,A, C,A이므로
S¤-S£=6이므로
n(A;B‚`;C‚``)=n(A)-n(B'C)
a¢+a°+a¤=6
=500-234

경찰대학 사
arÜ`+arÝ`+arÞ`=6
=266
arÜ`(1+r+rÛ`)=6 yy ㉠
  
따라서 세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266이다.
SÁª-S¤=72이므로

·관학교 기출 문제
②
a¦+a¥+y+aÁª=72
arß`+arà`+ar¡`+ará`+arÚ`â`+arÚ`Ú`=72
arß`(1+r+rÛ`)+ará`(1+r+rÛ`)=72
유형 2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합 (arß`+ará`)(1+r+rÛ`)=72
arÜ`(1+r+rÛ`)(rÜ`+rß`)=72
06 rÜ`+rß`=12 (㉠에 의하여)

6, a, 15,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공비를 r라 하면 rß`+rÜ`-12=0
a=6r, 15=6rÛ`, b=6rÜ` (rÜ`-3)(rÜ`+4)=0
따라서 r>0이므로 rÜ`=3

;aB;=rÛ`=:Á6°:=;2%; 이것을 ㉠에 대입하면


3a(1+r+rÛ`)=6
③
a(1+r+rÛ`)=2
따라서
07 aÁ¼+aÁÁ+aÁª=ará`+arÚ`â`+arÚ`Ú`

등비수열의 첫째항을 a, 공비를 r라 하면 일반항은 =ará`(1+r+rÛ`)
aÇ=arÇ` ÑÚ` =a(1+r+rÛ`)(rÜ`)Ü`
aªa¢=2a°에서 =2_3Ü`
aÛ`rÝ`=2arÝ` =54
r>0이므로 ③

정답과 풀이 ● 93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3 2020-12-16 오후 7:41:15


09 Û aÁ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인 경우


{aÇ} : (bÁ, aª, bª), (b£, a°, b¢), (b°, a¥, b¤),

두 수열 {aÇ}, {bÇ}의 첫째항을 각각 a, b (a>0, b>0)이라 하




y, (b19, a29, b20)
고, 공비를 r (r>0)이라 하자.


따라서
an+1=arÇ`, bn+1=brÇ`이므로


b20=a30  
(a )Û`+4(bn+1)Û`




aÇbÇ= n+1 에서 =2_30+c-1  
5


(an+1)Û`-5aÇbÇ+4(bn+1)Û`=0 =59+c=199
2n
aÛ`r -5abr 2n-2
+4bÛ`r =0 2n 그러므로 c=140, aÁ=c+1=141


r2n>0이므로 이때 aÁ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 아니므로 성립하지 않는


5ab 다. yy ㉡
aÛ`- +4bÛ`=0
rÛ` Ü aÁ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2인 경우


5ab 5 {aÇ} : (bÁ, bª, a£), (b£, b¢, a¤), (b°, b¤, a»),
rÛ`= =




aÛ`+4bÛ`
;bA;+;;¢aõ;; y, (b19, b20, a30)


a>0, b>0이므로 따라서


b20=a29  
;bA;+;;¢aõ;;¾2¾¨;bA;_;;¢aõ;;=4



=2_29+c-1  


(등호는 ;bA;=;;¢aõ;;, 즉 a=2b일 때 성립한다.) =57+c=199
그러므로 c=142, aÁ=c+1=143
'5

따라서 rÛ`É;4%;이므로 r의 최댓값은 ¾;4%;= 이때 aÁ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2이므로
2

③ c=142 yy ㉢

㉠, ㉡, ㉢에서 구하는 모든 c의 값의 합은
140+142=282
 282

유형 3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 유형 4 Á의 성질과 여러 가지 수열의 합

10 11


SÇ-Sn-1=aÇ에서
등차수열 {aÇ}의 첫째항을 a, 공차를 d라 하면
aÇ=nÛ`+cn-(n-1)Û`-c(n-1)=2n+c-1`(n¾2)이고
aÁ+a£+aÁ£+aÁ°=72
aÁ=c+1이므로 aÇ=2n+c-1`(n¾1)
a+(a+2d)+(a+12d)+(a+14d)=72
Ú aÁ이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경우
4a+28d=72

{aÇ} : (aÁ, bÁ, bª), (a¢, b£, b¢), (a¦, b°, b¤),
a+7d=18



y, (a28, b19, b20)
따라서

Á aÇ=
따라서 15 15(2a+14d)

b20=a30   n=1 2



=2_30+c-1   =15(a+7d)  


=59+c=199 =15_18  

그러므로 c=140, aÁ=c+1=141 =270

이때 aÁ이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c=140 yy ㉠  270

94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4 2020-12-16 오후 7:41:16
12 15
Á aÇ은 제1행부터 제50행까지의 검은 바둑돌의 개수의 합이다.


x>0에서 xÛ`>-2x이므로 50

n=1
AÇ(n, nÛ`), BÇ(n, -2n)
제1행부터 제 50행까지의 바둑돌의 총 개수는
따라서 AÕÇBÇÓ=nÛ`-(-2n)=nÛ`+2n

Á AÕÇBÇÓ= Á (nÛ`+2n)= Á nÛ`+2_ Á n


1+2+3+y+49+50
9 9 9 9

이므로

Á k=
n=1 n=1 n=1 n=1

9_10_19 9_10 50 50_51


= +2_ =1275
6 2 k=1 2
=285+90=375 바둑돌 3개마다 검은 바둑돌이 2개이므로 제 50행까지의 검은 바
 375 둑돌의 총 개수는
1275
_2=850
3
13
Á (2k+1)Û`aû= Á (4kÛ`+4k+1)aû
③

10 10
다른 풀이 흰 바둑돌의 총 개수를 이용한 풀이

= Á 4kÛ`aû+ Á 4kaû+ Á aû
k=1 k=1


10 10 10 제1행부터 제 50행까지의 바둑돌의 총 개수는

Á k=

k=1 k=1 k=1 50 50_51
=1275
이므로 2

Á 4kÛ`aû+ Á 4kaû+ Á aû=100


k=1

10 10 10
yy ㉠ 제1행부터 제 50행까지의 흰 바둑돌의 총 개수는

Á k(k+1)aû= Á (kÛ`+k)aû
  
k=1 k=1 k=1
1275
10 10 =425
3

= Á kÛ`aû+ Á kaû
k=1 k=1

10 10 따라서 제1행부터 제50행까지의 검은 바둑돌의 총 개수는


k=1 k=1 1275-425=850
이므로

Á kÛ`aû+ Á kaû=23

경찰대학 사
16
10 10
yy ㉡
k=1 k=1

㉠에서
 f(x)=;k!;xÛ`이라 놓으면 주어진 곡선이 선분 PÇQÇ과 만나기 위해
4{ Á kÛ`aû+ Á kaû}+ Á aû=100

·관학교 기출 문제
10 10 10
서는

4_23+ Á aû=100 (㉡에 의하여)


k=1 k=1 k=1

10  f(n)É2nÉ f(2n)
k=1
이어야 한다.
따라서

Á aû‌
자연수 n, k에 대하여
10
=100-4_23=8 nÛ` 4nÛ`
É2nÉ

k=1
k k
8
따라서 ;2N;ÉkÉ2n yy ㉠
  
㉠에 n 대신에 1, 2, 3, y을 차례로 대입하면
14 n=1일 때, ;2!;ÉkÉ2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2이고

OÕAÇÓ=OÕBÇÓ="ÃnÝ`+nÛ` 이므로 BÇ(n, -nÛ`)
1 aÁ=2
직선 OAÇ의 기울기는 , 직선 OBÇ의 기울기는 -n
n
두 직선의 기울기의 곱이 -1이므로 수직으로 만난다. n=2일 때, 1ÉkÉ4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4이고
aª=4
따라서 SÇ=;2!;_"ÃnÝ`+nÛ` _"ÃnÝ`+nÛ` =
nÝ`+nÛ`
이므로
2
n=3일 때, ;2#;ÉkÉ6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5이고

Á  =Á  = Á  (nÛ`+1)
nÝ`+nÛ`
2_ a£=5
10 2SÇ 10 2 10

n=1 nÛ` nÛ`


n=1 n=1
n=4일 때, 2ÉkÉ8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7이고
10_11_21 a¢=7
= +10=395
6

 395 n=5일 때, ;2%;ÉkÉ10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8이고

정답과 풀이 ● 95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5 2020-12-16 오후 7:41:16


a°=8 이므로 함수  f(x)는 x=r¡`일 때 최솟값을 갖는다.
n=6일 때, 3ÉkÉ12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10이고 따라서 r¡`=16이므로
a¤=10 rÝ`=4, rÛ`=2
 따라서 r='2 (r>0이므로)

n=15일 때, :Á2°:ÉkÉ30이므로 자연수 k의 개수는 23이고  f(x)=|x-1|+|x-'2|+|x-2|+y+|x-16|  


+y+|x-256|
aÁ°=23


이고 x=16에서 최솟값을 가지므로 최솟값은

따라서

Á aÇ=(aÁ+a£+a°+a¦+a»+aÁÁ+aÁ£+aÁ°)
 f(16)=(16-1)+(16-'2 )+(16-2)+y+(16-8'2 )


15
+(16-16)+(16'2-16)+(32-16)

n=1



+(aª+a¢+a¤+a¥+aÁ¼+aÁª+aÁ¢) +y+(256-16)


=(2+5+8+11+14+17+20+23)   =-(1+'2+2+y+8'2 )+(16'2+32+y+256)

+(4+7+10+13+16+19+22) ('2 )¡`-1 16'2{('2 )¡`-1}

=- +
=
8(2+23)
+
7(4+22) '2-1 '2-1
2 2
15(16'2-1)
=100+91=191 = =15(31+15'2 )
'2-1
 191
r='2, m=15(31+15'2 )이므로
rm=15'2(31+15'2 )  
17
‌

=15(30+31'2 )

도형 RÁ에서는 위에서 1번째 행의 2칸 중 ;2!;인 1칸이 검은 부분  ①

이다.
19

도형 Rª에서는 위에서 3번째 행까지 각 행의 4칸 중 ;2!;인 2칸이 검

함수 y=2Å`-'2의 그래프 위의 점 P(t, 2^`-'2)를 지나고 기울기
은 부분이다. 가 -1인 직선의 방정식은

y-(2^`-'2)=-(x-t)
도형 R£에서는 위에서 7번째 행까지 각 행의 8칸 중 ;2!;인 4칸이 검
즉, y=-x+t+2^`-'2 yy ㉠
  
은 부분이다.
직선 ㉠이 x축과 만나는 점 Q의 좌표는 (t+2^`-'2, 0)


PQÓ=n에서
즉, 한 번 분할될 때마다 맨 아래 행을 제외한 나머지 행 모두에서
¿¹(2^`-'2)Û`+(2^`-'2)Û`='2|2^`-'2|=n
한 행의 ;2!;이 검은 부분이다. 이때 점 P는 제1사분면의 점이므로

도형 RÇ의 행의 개수는 2Ç`이므로 n=10일 때 행의 개수는 2^`-'2>0, 즉 t>;2!;

2Ú`â`=1024
따라서 '2(2^`-'2)=n에서 2^`=
n+2
따라서 도형 RÁ¼은 1023행까지 각 행의 ;2!;이 검은 부분이므로 '2
n+2
도형 RÁ¼의 검은 부분의 넓이 SÁ¼은 t=logª` =logª(n+2)-;2!;
'2
SÁ¼=;1!0)2@4#;_;2!;=;2!0)4@8#; aÇ=logª(n+2)-;2!;이므로

Á aÇ= Á [logª(n+2)-;2!;]
④ 6 6

n=1 n=1

18 =logª(3_4_5_6_7_8)-3

=logª`2520

등비수열 {aÇ}의 일반항은

이때 logª`2Ú`Ú`<logª`2520<logª`2Ú`Û`이므로

11< Á aÇ<12
aÇ=rÇ` ÑÚ

 f(x)= Á |x-aÇ|

6
17

따라서 Á aÇ의 정수 부분은 11이다.


n=1
n=1
6
=|x-1|+|x-r|+|x-rÛ`|+y+|x-r¡`|   n=1

+y+|x-rÚ`ß`| ②

96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6 2020-12-16 오후 7:41:16
20
21


원 xÛ`+yÛ`=nÛ`과 곡선 y=;[K; (k>0)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 aÁ=;8(;이고

도록 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aÇ*Á=;8(; {;8(;+9}{;8(;+9+9Û`}`y`{;8(;+9+9Û`+y+9Ç` }



y y=x
B(b, a) ={;8!;+1}{;8!;+1+9}{;8!;+1+9+9Û`}`y
n

A(a, b) `{;8!;+1+9+9Û`+y+9Ç` }


k
y=-
}_{;8!;+ }_y
9Û`-1 9Ü`-1
O
={;8!;+1}_{;8!;+
-n x
n x 9-1 9-1

}
9Ç` ±Ú`-1
xÛ`+yÛ`=nÛ _{;8!;+
9-1


-n
9Û` 9Ü` 9Ç` ±Ú`
C(-a, -b)
D(-b, -a)
=;8(;_ _ _y_
8 8 8
91+2+3+y+(n+1)
이때 제1사분면에 있는 교점 중 x좌표가 큰 쪽을 A(a, b)라 하면 =
8Ç` ±Ú`
곡선 y=;[K; (k>0)가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B(b, a), 9
(n+1)(n+2)
2
=
C(-a, -b), D(-b, -a)이다. 8Ç` ±Ú`

따라서 ABÓ="Ã2(a-b)Û`, ADÓ="Ã2(a+b)Û`이므로
2_ (n+1)(n+2)
3 2
=
8Ç` ±Ú`
ABÓ가 짧은 변, ADÓ가 긴 변이다.
(n+1)(n+2)
3
주어진 조건에서 =
8Ç` ±Ú`
2 ABÓ=ADÓ
3n(n+1)

따라서 aÇ= 이므로
이므로 8Ç`
2"Ã2(a-b)Û`="Ã2(a+b)Û` 3n(n+1)

경찰대학 사
log`aÇ=log`
8(a-b)Û`=2(a+b)Û` 8Ç`
=log`3n(n+1)-log`8Ç`
4(a-b)Û`=(a+b)Û`

·관학교 기출 문제
=log`3n(n+1)-log`2Ü`Ç`
3(aÛ`+bÛ`)=10ab yy ㉠
  
=n(n+1) log`3-3n log`2
이때 점 A(a, b)는 원 xÛ`+yÛ`=nÛ`과 곡선 y=;[K;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Á  =Á 
aÛ`+bÛ`=nÛ` yy ㉡ 10 log`aû 10 k(k+1)log`3-3k log`2

k k
b=;aK;, k=ab
= Á  {(k+1) log`3-3 log`2}
k=1 k=1
yy ㉢
10

㉡, ㉢을 ㉠에 대입하면
= Á  (k+1) log`3- Á  3 log`2


k=1

10 10
3nÛ`=10k  

= Á  k log`3+ Á  log`3- Á  3 log`2




k=1 k=1

k=;1£0; nÛ` 10 10 10



k=1 k=1 k=1

따라서  f(n)=;1£0; nÛ`이므로 10_11


= _log`3+10 log`3-30 log`2
Á  ;1£0; nÛ`=;1£0; Á nÛ`

2



12 12
=65 log`3-30 log`2

n=1 n=1



12_13_25 3ß`Þ`
=;1£0;_ =log`
2Ü`â`
6

=195 3ß`Þ`
이므로 A=
2Ü`â`
 195
①

정답과 풀이 ● 97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7 2020-12-16 오후 7:41:16


22 =10{a-;5#;}Û`+5{b-;;Á5ª;;}Û`+34-
18 144
-
5 5

a= Á  

1 =10{a-;5#;}Û`+5{b-;;Á5ª;;}Û`+;5*;
100
yy ㉠
2k(2k-1)

  
k=1

=Á  ㉠은 a=;5#;, b=;;Á5ª;;일 때 최솟값을 가지므로


100 1
k=1 (2k-1)2k

= Á  {
a+b=;;Á5°;;=3
}
100 1 1
-
k=1 2k-1 2k
3
={;1!;-;2!;}+{;3!;-;4!;}+y+{;19!9;-;20!0;}

={1+;3!;+;5!;+y+;19!9;}-{;2!;+;4!;+;6!;+y+;20!0} 24


수열 {aÇ}은 첫째항 a=-2016, 공차가 d(d는 정수)인 등차수열
={1+;2!;+;3!;+y+;19!9;+;20!0}-2{;2!;+;4!;+;6!;+y+;20!0} 이므로
aÇ=-2016+(n-1)d

Á aû={a+(n-1)d}+(a+nd)+y+{a+(2n-1)d}
={1+;2!;+;3!;+y+;19!9;+;20!0;}-{1+;2!;+;3!;+y+;10!0;}
2n

= Á  ;k!;- Á  ;k!;
200 100 k=n

k=1 k=1 (n+1){a+(n-1)d+a+(2n-1)d}

=Á 
=
2
100 1
k=1 k+100 n+1

b= Á  
= {2a+(3n-2)d}
2
100 1
k=1 (100+k)(201-k) n+1

=;30!1; Á  {
= {-4032+(3n-2)d}
2
}
100 1 1
+
k=1 100+k 201-k =0

=;30!1;[{;10!1;+;20!0;}+{;10!2;+;19!9;}+y+{;20!0;+;10!1;}] 그런데 n+1+0이므로


-4032+(3n-2)d=0
=;30@1;{;10!1;+;10!2;+y+;20!0;} (3n-2)d=4032=2ß`_3Û`_7

=;30@1; Á  
100 1 3n-2는 3으로 나누면 나머지가 1인 수이면서 2ß`_3Û`_7의 약수
k+100
k=1
이다.
=;30@1; a 따라서 3n-2가 될 수 있는 수들은

따라서 [;bA;]=[;:#2);Á;;]=150
1, 7, 2Û`, 2Û`_7, 2Ý`, 2Ý`_7, 2ß`, 2ß`_7
이므로 d의 값은 다음과 같다.
①
3n-2 1 7 2Û` 2Û`_7

23
d 2ß`_3Û`_7 2ß`_3Û` 2Ý`_3Û`_7 2Ý`_3Û`

Á xÔ=(-2)+(-1)+0+1+2=0

5
3n-2 2Ý` 2Ý`_7 2ß` 2ß`_7

Á xÔÛ`=(-2)Û`+(-1)Û`+0Û`+1Û`+2Û`=10
i=1

5
d 2Û`_3Û`_7 2Û`_3Û` 3Û`_7 3Û`

Á yÔ=1+2+3+2+4=12
i=1
따라서
5
k=(2ß`_3Û`_7)+(2ß`_3Û`)+(2Ý`_3Û`_7)+(2Ý`_3Û`)  

Á yÔÛ`=1Û`+2Û`+3Û`+2Û`+4Û`=34
i=1
‌

5 +(2Û`_3Û`_7)+(2Û`_3Û`)+(3Û`_7)+3Û`


Á xÔ yÔ=(-2)+(-2)+0+2+8=6
i=1
=4032+576+1008+144+252+36+63+9  

5
=6120

i=1

이므로 따라서 k를 1000으로 나눈 나머지는 120이다.

Á (axÔ+b-yÔ)Û`
5  120

=aÛ` Á xÔÛ`+ Á bÛ`+ Á yÔÛ`+2ab Á xÔ-2b Á yÔ-2a Á xÔ yÔ


i=1

5 5 5 5 5 5

i=1 i=1 i=1 i=1 i=1 i=1

=10aÛ`+5bÛ`+34-24b-12a

98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8 2020-12-16 오후 7:41:17
25 Û 두 함수 y=log£`x, y=2-|x-1|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
같다.

y=log;2!;(2x-m)=-logª(2x-m)
y
함수 y=log;2!;(2x-m)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3

m 2 y=log£`x
2x-m=0에서 x=
2
1 y=f(x)
직선 x=n이 함수 y=log;2!;(2x-m)의 그래프와 한 점에서 만나
려면 O 1 2 3 4 5 6 7 8 9 10 x

m 즉, a£=6
n> , 즉 m<2n yy ㉠
2



Ü 두 함수 y=log¢`x, y=2-|x-1|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함수 y=2-x-m={;2!;}Å`-m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
같다.
y=-m y
-x
이므로 함수 y=|2 -m|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은 3
y=m 2 y=log¢`x
y=f(x)
1
직선 y=n이 함수 y=|2-x-m|의 그래프와 두 점에서 만나려면
2Én<m yy ㉡ O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x

y
즉, a¢=12

따라서 aÇ=nÛ`-n이므로

Á  aÇ= Á  (nÛ`-n)
y=|2ÑÅ -m|
y=n 10 10

  = Á  (nÛ`-n)-aÁ
O x n=2 n=2

10

n=1
y=log 1 (2x-m)
x=n 2 10_11_21 10_11
  = -
6 2
㉠, ㉡에서 n<m<2n yy ㉢

경찰대학 사

  =385-55  
부등식 ㉢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m의 값의 합 aÇ은

=330
aÇ=(n+1)+(n+2)+y+(2n-1)

·관학교 기출 문제
= Á (n+k)
⑤
n-1

k=1

n(n-1) 3n(n-1)
=n(n-1)+ = (n¾2)
2 2
따라서

Á  =Á  =;3@; Á {
27
[;n{;]=2이므로
- }
10 1 10 2 10 1 1

n=5 aÇ n=5 3n(n-1) n=5 n-1 n

=;3@;{;4!;-;1Á0;}=;3@;_;2£0;=;1Á0;
2É;n{;<3

①
따라서 2nÉx<3n yy ㉠

26 [ ]=1이므로
x
n+1

Ú 두 함수 y=logª`x, y=2-|x-1|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x
1É <2
‌
같다. n+1
y 따라서 n+1Éx<2n+2 yy ㉡
  
3 ㉠, ㉡에 의하여
y=logª`x
2 Ú n=1이면
y=f(x)
㉠에서 2Éx<3,

1

㉡에서 2Éx<4이므로

O 1 2 3 4 5 x
2Éx<3

즉, aª=2 따라서 aÁ=2


정답과 풀이 ● 99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99 2020-12-16 오후 7:41:17


Û n¾2이면
2n-(n+1)=n-1>0에서
30


aÁ=20이므로

2n>n+1
20+2

3n-(2n+2)=n-2¾0에서 aª= =11
2

3n¾2n+2 11-1
a£= =5

2
따라서 2nÉx<2n+2이므로
5-1

aÇ=2n+1 (n¾2) a¢= =2
2

따라서 2+2

Á aÇ=aÁ+ Á (2n+1)
a°= =2

30 30
2
2+2
n=1 n=2
a¤= =2
2
29_(5+61)
=2+ a¦=2
2
=959 a¥=2

⑤ 


aÁ=20, aª=11, a£=5이고
a¢=a°=a¤=y=2
이므로

Á aû= Á aû+ Á 2
10 3 10

k=1 k=1 k=4

=20+11+5+2_7

=50

④
유형 5 수열의 귀납적 정의

28

aÁ+aª=2aÁ, a£+a¢=2aª, y, a15+a16=2a¥이므로

Á  aÇ=2 Á  aÇ=4 Á  aÇ=8 Á  aÇ=16aÁ=16_;2#;=24 31


16 8 4 2



n=1 n=1 n=1 n=1

② aÁ=4

aª= =-2
2-aÁ
29 a£=aª+2=0

조건 (가), (나)의 식을 변끼리 더하면 a¢=a£+2=2
a2n+1+a2n+2=2an+1이므로 a°=a¢+2=4

Á  aÇ=aÁ+aª+2 Á  aÇ
16 8 a¤=-2

=3+2 Á  aÇ-2
n=1 n=2
a¦=0
8
a¥=2

이므로 Á aû=8

=1+2 Á  aÇ
n=1
8
8
k=1

=1+2{aÁ+aª+2 Á  an}
n=1

nÉ8인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Á aû<12
4

n

=7+4 Á  an-4
n=2

4 k=1

이고 a»=4이므로

=3+4 Á  aÇ
n=1

Á aû=12
4 9

n=1 k=1

=3+4(aÁ+aª+2aª)=31 따라서 자연수 m의 최솟값은 9이다.


① ③

100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100 2020-12-16 오후 7:41:17
32
㉠, ㉡에서 음이 아닌 모든 정수 k에 대하여
2ak+1-1=2ak+2-5, 즉 ak+2=ak+1+2

an+1= 에서 가 성립하므로 수열 {aÇ}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2인 등차수열
aÇ+1
1 aÇ+1 1 이다.
= = +1
an+1 aÇ aÇ 따라서 an=2n-1이므로

Á g(k)= Á (2aû+1)= Á (4k-1)


1 10 10 10
이때 =bÇ이라 하면



k=1 k=1 k=1

1 =2_10_11-10=210
bÁ= =1이고



⑤
bn+1=bÇ+1
즉, 수열 {bÇ}은 첫째항이 1이고 공차가 1인 등차수열이다.
따라서 bÇ=1+(n-1)=n이므로 34


aÇ=;n!; 8
(4-an+1)(2+aÇ)=8에서 4-an+1=
2+aÇ

A= Á aûak+1
9
8 4aÇ 8 2(2+aÇ) 4
an+1=4- = , = =2+
2+aÇ 2+aÇ an+1 an aÇ
=Á 
k=1

9 1 8
k=1 k(k+1) aÁ=1에서 =8

= Á  {;k!;- }
9 1 4_1 8
k=1 k+1 aª= =;3$;에서 =6
2+1 aª
={;1!;-;2!;}+{;2!;-;3!;}+y+{;9!;-;1Á0;} 4_;3$;
8
a£= =;1!0^;=;5*;에서 =5
2+;3$; a£
=1-;1Á0;

=;1»0; 4_;5*;
8 =;2(;=4+;2!;
=;1#8@;=;;Á9¤;;에서

경찰대학 사
B= Á  
a¢=
2+;5*; a¢
9 1
k=1 aûak+1

= Á k(k+1)
4_;;Á9¤;;

·관학교 기출 문제
8
=;3^4$;=;1#7@;에서 =;;Á4¦;;=4+;4!;
9
a°=
k=1
2+;;Á9¤;; a°

= Á kÛ`+ Á k
9 9

k=1 k=1 4_;1#7@;


128 8
a¤= = =;3^3$;에서 =;;£8£;;=4+;8!;
9_10_19 9_10 2+;1#7@; 66 a¤
= +
6 2
=330 4_;3^3$;
256 128 8
따라서 a¦= = = 에서 =;1^6%;=4+;1Á6;
2+;3^3$; 130 65 a¤

AB=;1»0;_330=297
4_;;Á6ª5¥;;
512 256 8
 297 a¥= = = 에서 =;;Á3ª2»;;=4+;3Á2;
2+;;Á6ª5¥;; 258 129 a¤

33 4_;1@2%9^;
1024 512 8
=;;ª6°4¦;;=4+;6Á4;

k=0일 때, 모든 자연수 m에 대하여 a»= = = 에서
2+;1@2%9^; 514 257 a¤

Á 
aÁ+2aµ=g(m), 즉 g(m)=2aµ+1
8
=(8+6+5+4_6)+{;2!;+;4!;+y+;6Á4;}
9
m=1일 때, 음이 아닌 모든 정수 k에 대하여 aû
k=1

a2k+1+2aÁ=g(k+1)=2ak+1+1
;2!;[1-{;2!;}ß`]
즉, a2k+1=2ak+1-1 yy ㉠ =43+ =44-{;2!;}ß`
1-;2!;


따라서 Á  
m=2일 때, 음이 아닌 모든 정수 k에 대하여
9 8
a2k+1+2aª=g(k+2)=2ak+2+1 의 정수 부분은 43이다.
k=1 aû
즉, a2k+1=2ak+2-5 yy ㉡ ①

정답과 풀이 ● 101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101 2020-12-16 오후 7:41:18


35 유형 6 수학적 귀납법

aÇ<0인 자연수 n의 최솟값이 m이므로
n=1, 2, 3, y, m-1에서 36


aǾ0이고 aµ<0 Ú n=1일 때,


aµ=aµÐÁ-d, aµ*Á=aµ+d ªPÁ 2!
(좌변)= =1이고 (우변)= = 1 이므로 (C)이 성립
따라서 aÁ, aª, a£, y, aµÐÁ, aµ은 이 순서대로 공차가 -d인 등 2Ú` 2Ú`


차수열을 이룬다. 한다.


조건 (가)에서 Û n=m일 때, (C)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Á 


aµÐª+aµ=2_aµÐÁ이므로 m ªûPû (2m)!
É
2û` 2µ``


k=1
3aµÐÁ=3, 즉 aµÐÁ=1
이다. n=m+1일 때,

Á  =Á 
aÁ+(m-2)_(-d)=1 yy ㉠


ªûPû m ªûPû P
  
m+1
2m+2 m+1
aµÐÁ=1, aµ=1-d, aµ*Á=1 + m+1
2û` 2û` 2


k=1 k=1

=Á 
이므로 조건 (나)에서 (2m+2)!
m ªûPû
aÁ+1=-9_{(1-d)+1}, 즉   + m+1
2û` 2 _(m+1)!


k=1

aÁ=9(d-2)-1 yy ㉡ (2m)! (2m+2)!


É
      
  + m+1
조건 (다)와 ㉡에서 2µ`` 2 _(m+1)!

Á aû=
(2m+2)(2m+1)
]
m-1 (m-1)(aÁ+aµÐÁ) (2m)!
  = _[2+
2 2m+1 (m+1)!

k=1

(m-1)(aÁ+1) (2m+2)!
=   =
2 2m+1

9(m-1)(d-2)
]
= 1 1
2 _[ +
(m+1)(2m+1) (m+1)!

=45
(2m+2)!
(m-1)(d-2)=10   <
2m+1

m¾3에서 m-1¾2인 자연수이고 d도 자연수이므로 이다. 따라서 n=m+1일 때도 (C)이 성립한다.

m-1, d-2의 순서쌍은 p=1, f(m)=(2m+2)!, g(m)=(m+1)(2m+1)이므로

(2, 5), (5, 2), (10, 1) f(2) 6!
p+ =1+ =17

즉, m, d의 순서쌍은 (3, 7), (6, 4), (11, 3)이다. g(4) 5_9

m=3, d=7이면 ㉡에서 aÁ=44이고 이것은 ㉠을 만족시키지 않 ②

는다.
m=6, d=4이면 ㉡에서 aÁ=17이고 이것은 ㉠을 만족시킨다.
m=11, d=3이면 ㉡에서 aÁ=8이고 이것은 ㉠을 만족시키지 않
는다.
따라서 aÁ=17
 17

102 ● EBS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102 2020-12-16 오후 7:41:18
한눈에 보는 정답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Ⅱ 삼각함수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8~34 쪽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38~53 쪽





01 ④ 02 ③ 03 ② 04 ① 05 ④ 06 ③ 01 5 02 ④ 03 ③ 04 ① 05 ④ 06 48













07 ⑤ 08 ⑤ 09 ⑤ 10 ③ 11 ④ 12 ④ 07 ④ 08 32 09 27 10 80 11 ④ 12 ⑤













13 ③ 14 ① 15 ④ 16 ② 17 ① 18 ③ 13 ⑤ 14 ③ 15 ② 16 ③ 17 ③ 18 ③













19 ② 20 ③ 21 ④ 22 ② 23 ② 24 ⑤ 19 ① 20 ④ 21 ⑤ 22 6 23 ③ 24 ①













25 ③ 26 ① 27 33 28 ③ 29 ② 30 ⑤ 25 ② 26 ③ 27 ④ 28 6 29 ④ 30 ⑤











31 ① 32 ⑤ 33 ④ 34 ③ 35 ⑤ 36 17 31 ① 32 9 33 ④ 34 ③ 35 ④ 36 ④













37 ② 38 ③ 39 ② 40 ② 41 ② 42 ① 37 ③ 38 7 39 ② 40 ⑤ 41 ② 42 ①













43 ① 44 ① 45 ① 46 2 47 2 48 ③ 43 ② 44 30 45 10 46 ② 47 ⑤ 48 ⑤













49 ③ 50 ② 51 ④ 52 6 53 3 54 ① 49 13 50 32 51 ⑤ 52 21 53 ③ 54 50













55 ② 56 ① 57 5 58 ② 59 22 60 ① 55 ① 56 ⑤ 57 ⑤ 58 ③ 59 ③ 60 ⑤












61 128 62 ③ 63 48 64 ④ 65 16 66 ⑤ 61 ② 62 ② 63 ② 64 ① 65 25 66 ④












67 ① 68 ② 69 ② 70 4 71 ① 72 ②






73 ⑤ 74 ④ 75 ② 76 ② 77 ⑤ 78 ③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54~57 쪽






79 21 80 ④ 81 ① 82 ② 83 ⑤ 84 8









85 ③ 86 ④ 87 25 88 ③ 89 6 90 ④ 01 ⑤ 02 ② 03 10 04 13 05 40 06 ⑤





91 ① 92 ③ 93 ④ 94 ⑤ 95 ③ 96 54






07 ① 08 ① 09 63






97 ⑤ 98 ③ 99 ⑤ 100 ⑤ 101 ② 102 1








103 ② 104 ④ 105 4 106 12 107 ④ 108 40






109 ④ 110 ⑤ 111 ② 112 ② 113 ⑤ 114 ③






115 ④ 116 6 117 ④ 118 ⑤ 119 ③ 120 3






121 ② 122 ① 123 15 124 ④ 125 12 126 ④






127 15 128 ④ 129 ② 130 ②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35 쪽


01 9 02 13 03 10 04 7 05 75 06 78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103 2020-12-16 오후 7:41:18
수능 기출의 미래
수학Ⅰ

Ⅲ 수열 부록 경찰대학, 사관학교 기출 문제

수능 유형별 기출 문제 본문 60~89 쪽
Ⅰ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본문 96~101 쪽






01 ② 02 ③ 03 ① 04 ④ 05 ① 06 7 01 ④ 02 ③ 03 ① 04 ⑤ 05 15 06 ④












07 11 08 ⑤ 09 3 10 ③ 11 ② 12 ③ 07 ② 08 ④ 09 150 10 9 11 ④ 12 ②












13 35 14 ① 15 20 16 ① 17 ② 18 ③ 13 973 14 ⑤ 15 ① 16 ⑤ 17 ③ 18 ②












19 ④ 20 20 21 ⑤ 22 ⑤ 23 ③ 24 14 19 ② 20 ① 21 ⑤ 22 ⑤ 23 ③ 24 4












25 7 26 ③ 27 ③ 28 ④ 29 ④ 30 ② 25 ① 26 55






31 ② 32 12 33 ② 34 6 35 96 36 ②






37 ① 38 ④ 39 ② 40 9 41 36 42 19






43 ① 44 257 45 ① 46 12 47 64 48 ④ Ⅱ 삼각함수 본문 101~103 쪽







49 ② 50 10 51 63 52 ③ 53 ④ 54 ⑤








55 ⑤ 56 19 57 ① 58 160 59 ② 60 ① 01 ⑤ 02 ⑤ 03 12 04 ① 05 ③ 06 ⑤











61 ① 62 ② 63 ⑤ 64 ⑤ 65 80 66 150 07 ⑤ 08 480 09 ③ 10 ⑤ 11 ⑤










67 ② 68 ④ 69 ① 70 ③ 71 55 72 ②






73 ① 74 ① 75 ⑤ 76 ③ 77 2 78 ②






79 14 80 ① 81 91 82 ④ 83 ② 84 9 Ⅲ 수열 본문 104~112 쪽








85 ① 86 ④ 87 ① 88 200 89 ④ 90 ②





91 ④ 92 ③ 93 ⑤ 94 ④ 95 8 96 ④ 01 19 02 24 03 ② 04 10 05 ② 06 ③












97 ③ 98 ① 99 ③ 100 ② 101 ⑤ 102 15 07 ⑤ 08 ③ 09 ③ 10 282 11 270 12 375












103 33 104 ④ 105 8 106 ① 107 ③ 108 ② 13 8 14 395 15 ③ 16 191 17 ④ 18 ①












109 162 110 ④ 111 ① 112 ③ 113 ③ 114 ③ 19 ② 20 195 21 ① 22 ① 23 3 24 120











25 ① 26 ⑤ 27 ⑤ 28 ② 29 ① 30 ④





31 ③ 32 297 33 ⑤ 34 ① 35 17 36 ②





1등급 고난도 문제 본문 90~94 쪽


01 ① 02 ④ 03 201 04 4 05 18 06 58






07 ④ 08 ② 09 13 10 132 11 16 12 8






13 142 14 477 15 120 16 164 17 117 18 320





해_083~104 수Ⅰ-사관-ok.indd 104 2020-12-16 오후 7:41:1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