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0

빠른 정답

I
 
22   23 ③ 24  25 ③ 26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7 

32 
28 ⑤

33 
29 

34 
30 

35 
31 ③

36 

37  38 ② 39 ③

01. 지수와 로그 step 실력 문제 27~31쪽

step 기본 문제 7~11쪽 01 ② 02 ④ 03 ④ 04 ⑤ 05 ⑤
06 ④ 07  08 ④ 09 ⑤ 10 ①
01 ③ 02 ① 03 ③ 04 ④ 05 ②
11 ② 12 최댓값 : , 최솟값 :  13 ⑤
06 ③ 07 ② 08 ⑤ 09 ④
14 ④ 15  16 ④ 17 ② 18 ③
10 N, O 11 ⑤ 12  13 ⑤
19  20  21 ④ 22 ② 23 ①
14 ⑤ 15  16 ⑤ 17 ① 18 ④
24  25  26  27 ②
19  20 ③ 21  22 ① 23 ①
28 B, B 29 ③ 30 ②
24 ③ 25 ② 26 ① 27  28 ①

29 ④ 30  31 A 32 ⑤ 33 

34 ① 35 ③ 36  37  38 ③ step 최상위 문제 32~33쪽


39 ⑤ 40 ③
01 ⑤ 02 ④ 03  04 ③ 05 ④
06  07  08 

step 실력 문제 12~17쪽

01 ② 02 ④ 03 ④ 04 ④ 05 ③
06  07  08 ③ 09 ③ 10 ④
11 ② 12  13 ② 14 ④
15 B, C 16 ③ 17 ④ 18 
19 B, B, B 20 ⑤ 21 ⑤ 22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23 ③ 24 ⑤ 25 ③ 26  27 ③
28 ⑤ 29 ③, ⑤ 30 ② 31 ② 32  step 기본 문제 35~38쪽
33 ③ 34  35 ⑤ 36 N, O
01  02 ⑤ 03 ③ 04  05 
06 ③ 07 ⑤ 08 ⑤ 09 ⑤ 10 ③
11 ① 12  13 ⑤ 14  15 ①
step 최상위 문제 18~19쪽
16  17 ② 18 ③ 19  20 
01  02 ② 03  04  05 ③ 21  22 B, C 23  24 ①
06 ① 07  08 ② 
25 ② 26  27  ƒBƒ 28 ③

29 ⑤ 30 ⑤ 31 ⑤ 32 ①

step 실력 문제 39~42쪽


01 ⑤ 02 ⑴ Y 또는 Y ⑵ Y 또는 Y 

03 ③ 04 ④ 05 ①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6 ⑴ Y, Z  ⑵ Y  , Z 또는 Y, Z 

step 기본 문제 21~26쪽 Y Y Y


07 ② 08 < 또는 < 또는 < 09 ②
Z Z Z
 10 ② 11 ③ 12 
01 ③ 02 B  , C 03  04 ④

13 ⑴ Y 또는 Y ⑵ Yƒ 14 ④
05 ③ 06 N, O 07 N, O 
08 ② 09  10 ⑤ 11  12  15 B, C 16 ② 17  18 ④
13 Q, R 14 ③ 15 ⑤ 16  19 ④ 20 ⑤ 21  22 ③ 23 ④
17 ⑤ 18  19 ② 20  21 ⑤ 24 ③

빠른 정답 01

⤿⥗⥸⥇⥏⤼⥗⤿⥡⥸⥅⥜⥎⥏⥤⥎⥐⥅⥓⥫QVLJ  ࿼ፎ"
빠른 정답

step 최상위 문제 43~44쪽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01 ② 02 ⑤ 03  04  05 ② step 기본 문제 57~60쪽

06 ③ 07 ④ 08 ⑤
01 ④ 02 ① 03 ③ 04 ② 05 L
06 ④ 07  08 ④ 09 B, C
L
10 ③ 11 Y, Y  , YL 12 ②, ③ 13 ①

14 ⑤ 15 ④ 16 ⑤ 17 ③ 18 ③
 
19 Y  L 또는 Y  L 20 ③ 21 ④ 22 ①
L 
23 ③ 24 Y 또는 Y  또는 YL 또는 Y  L
  
25  26 ⑤ 27 ④ 28  LƒYƒ  L
 L L
29 ① 30  LYL 31   D 

32 ②

II . 삼각함수
step

01 ①
06 ③

11 ④
실력 문제

02 ③
07 ①

12 ⑤
03 ④
08 

13 ③
04 ⑤
09 ①

05 ③
10 ④

14 L  , Y  L
61~65쪽

15 최댓값 :  , 최솟값 :  16 ② 17 ④


04. 삼각함수의 정의 18
L L L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L
  


19 ⑤ 20 ⑤ 21  22 ⑤ 23 ④
step 기본 문제 47~50쪽
24 L 또는 L 25 ② 26 ①
L 
 27 LY  또는  LYL 28  29 ⑤
01 ② 02 ① 03 ④ 04  L 05 L
L   
06 ② 07 ⑤ 08 ⑤ 09 ④ 10 ① 30  ƒDƒ  L 또는  LƒDƒ  L

11  L 12 ⑤ 13 ① 14 ④ 15 ②

16 ② 17  18 ① 19 ③ 20 
step 최상위 문제 66쪽
21 ① 22 ① 23  24 ② 25 ④
26 ③ 27 ④ 28  29 ⑤ 30 ③ 
01 ③ 02 ƒBƒ  03  04  

31 ③ 32 
05 ①

step 실력 문제 51~54쪽

01  02 ④ 03 ⑤ 04 L 
05  06 ⑤ 07   08 ④ 09 ⑤
10 ④ 11  12 ① 13 ③ 14 ① 06. 삼각함수의 활용
  
15 ③ 16 [  ,  ] 17   18 ④
step 기본 문제 68~71쪽
 
19 ④ 20 ② 21  22  23 ③
01 ⑤ 02 ① 03  04 ① 05 ⑤
24 ①
06 $의 반지름의 길이 : , $의 반지름의 길이 : 
07 ⑤ 08 L 09  10 ③ 11 ②
 
12  13  14 ⑤ 15 ④ 16 ②
step 최상위 문제 55쪽
17 ③ 18   
N 19 ② 20 ①
01 ④ 02 ① 03 ④ 04 ③ 21 ④ 22 ② 23  24 ③ 25 ③

02 빠른 정답

⤿⥗⥸⥇⥏⤼⥗⤿⥡⥸⥅⥜⥎⥏⥤⥎⥐⥅⥓⥫QVLJ  ࿼ፎ"
   
26  27 ② 28  29 ③ 30  step 실력 문제 86~89쪽
`
31 ⑴  ⑵  ` 32 ④ 01  02 ④ 03 ② 04  05 ⑤
06  07 ② 08 ② 09 ⑤ 10 
 
11 B  , C  12 ④ 13 ③ 14 
step 실력 문제 72~76쪽 15 ③ 16 ,  17 ① 18 ④ 19 ③
20 ① 21 ④ 22 .시간 23  24 ④
01 ② 02 ⑤ 03   04 ② 05 ⑤
06 ④ 07 ③ 08 ② 09 ⑤ 10 ②
11 ②
12 ⑴ " 또는 #가 ±인 직각삼각형 step 최상위 문제 90쪽
⑵ CD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인 삼각형
 01 ② 02  03  04 Q, R
13 ⑤ 14 ② 15  ALN 16 ②
 
17 ③ 18 AN 19  20  21 ⑤

22  23 ④ 24  25 ④ 26 ③

27 ④ 28  29  30 ④ 31 ②

step 최상위 문제 77~78쪽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01 ③ 02 ⑤ 03 ① 04  05 ①

06 ④ 07 ③ 08 ①
step 기본 문제 92~96쪽

01 ⑤ 02 ① 03 ② 04  05 ①
 
06 ④ 07 ① 08 Q  , R  09 ③

10  11 ③ 12 ① 13 ④ 14 

15 ④ 16 ① 17 ② 18 ③ 19 O

20  21 ① 22  23  24 ②

25 ③ 26 ⑤ 27 ① 28 ② 29 ②
30 ④ 31  32 ③ 33 풀이 참조
34 ④

III . 수열 step

01 ③ 02
실력 문제

③ 03 ④ 04 ② 05
97~103쪽


06 ⑤ 07  08 ② 09  10 ①
11 ② 12 ③ 13 ② 14  15 ④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16 ④ 17  18  19 ① 20 
21 ④ 22  23 ④ 24 ⑤ 25 ③
26 ① 27 ⑤ 28 ④ 29 ① 30 ④
step 기본 문제 81~85쪽
31 ① 32  33  34 > 35 ⑤
01  02  03 ① 04 ④ 05 ③
36  37 풀이 참조 38 ②
06 ② 07 ⑤ 08  09 ③ 10 
11 ③ 12 ③ 13 ② 14  15 ①
16  17 ① 18  19 ⑤ 20 ⑤
21 ② 22 ③ 23  24 ② 25 ② step 최상위 문제 104~105쪽
26 ③ 27 ④ 28 ① 29 ② 30 ①
31 ① 32 ② 33 ④ 34 ④ 35 ② 01 ① 02 ⑤ 03  04  05 
36 ④ 37 ③ 38  39 ② 06 ③ 07  08 2 , 

빠른 정답 03

⤿⥗⥸⥇⥏⤼⥗⤿⥡⥸⥅⥜⥎⥏⥤⥎⥐⥅⥓⥫QVLJ  ࿼ፎ"
정답 및 풀이

05

B B  B B B B

I
|Š  @|Š  @ |Š  @ @
B B B B B B

.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B ÄaB
  
B B

 B ②

지수로 고치면

01. 지수와 로그 BÅÅ


Å@ BÅÅ
Å@ BÅÅ
Å

BÅ@B@B
step 기본 문제 7~11쪽
BÅ 
01 ③ 02 ① 03 ③ 04 ④ 05 ② BÅB
06 ③ 07 ② 08 ⑤ 09 ④
10 N, O 11 ⑤ 12  13 ⑤
14 ⑤ 15  16 ⑤ 17 ① 18 ④
19  20 ③ 21  22 ① 23 ①
06
24 ③ 25 ② 26 ① 27  28 ①
"}xÄa@ }xā@ ā@`
 #}xÄa@ }xā@ ā@`
29 ④ 30  31 A 32 ⑤ 33 
$`
34 ① 35 ③ 36  37  38 ③
∴ $#" ③
39 ⑤ 40 ③

01 " 
@
② 의 세제곱근 중 실수는 뿐이다. 참
# 
@
③ 의 여섯제곱근은 개이고 그중 실수는 과 이다. 거짓
$ `

③ $#"이므로 $#"

실수 B의 O제곱근 중 실수인 것 O은  이상의 정수

B B B 07


O O
ā 
 }xÄa@Äa
 }xÄa

O이 홀수 B  B
O
}x Äa
 Äa
O이 짝수 B, OB  없다.
`
그런데 `이므로 ā 
보다 큰 자연수 중 가장 작
02 은 수는 이다. ②

‚ 는 음수이므로 의 네제곱근 중 실수는 없다.
의 세제곱근 중 실수는 개, 다섯제곱근 중 실수는 개이다. ā 
 Å@Å
 
`
∴ G 
G 
G 
   ① 그런데 `이므로 ā 
보다 큰 자연수 중 가장 작
은 수는 이다.
03
 
ā ‚  }xÄa  
}xÄa   08
   MÅ
     ③
[  ]  
MÅM=이 정수이므로  은 양의 정수이다.
 O
따라서 정수 O은 , , , 이고 합은 이다. ⑤
04
 
  
 @`  ‚@  
‚  ‚
 09
Äa |Š 
 Äa
Å >
Å!이 어떤 자연수 Y의 O제곱근이면
 
 |Š[  ] !OY, !
OY, !OY

Y가 자연수이므로 O은 의 배수이다.
    ④
  O은  이하이므로 개이다. ④

04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fጄ73QVLL  ࿼ፎ"!
10 17
 Å Å  Å Å
āBB  B@B
 B
B ÅÅ
Y 의 양변을 제곱하면
이므로 
 Å@Å@Å Å Å Å
}xB āBB  B@BÅ
Å B
ÅB Y 
 
∴ N, O N, O
Å  Å Å Å 
Y  [   ]
 
. }xB āBB B @B @B BÅ@B@B Å Å Å Å
Å    āY  Y      Å
B B  
. }xB āBB BÅ@BÅ@Å@BÅ@Å@ÅBÅ  B ∴ āY  Y
 Å
Å ①

11
18
YZ
– YZ
YZ–YZZ ⑤
B
Y YB에서 Y 
B ∴ Y

12 C
Y  YC에서 Y  
C ∴ Y
      

|Š   |Š   |Š  
      
C  B BC
∴ YY@Y[ ] @  ④

     

13 19
\ 
^Å 
 
Å   ⑤ Y이므로 : U❶
Z  <Ä
  이므로  U❷
\ 
^Å 
@Å으로 계산하면 안 된다. ❶–❷를 하면
지수가 유리수인 경우 B일 때 BN
OBNO이 성립한다.

:<Ä, :<Ä

14 ∴
 
  
Å  Y Z
Äa
@<[  ]
  !
= \ 
^ @\   Å ! Å Å 

^

@ ⑤ Y에서 YMPHA MPHA
Z에서 ZMPHA MPHA
15    
∴    MPHAMPHA
Y Y Y Y
Y Z MPHA MPHA
B B B B
의 분모, 분자에 BY을 곱하면 Y 
BY BY B B MPHA MPHA
Y Y  

B  B
  
  이므로
BYBY     


BY B    20
  
Œ Y 이고 Y  이므로
 
   Y이고 Y 
 
  YY이므로
Y 
Y
 ∴ Y
16 Œ, 에서 정수 Y는 , , , 이므로 개이다. ③
BÅ BÅ U❶
❶의 양변을 제곱하면
21
B BÅBÅ B ∴ B B Œ |B|, |B| 이므로
또 ❶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B , B , B 

B B B Å Å
B BÅ Å

B 
 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BY B이므로

B @@ B 
 ∴ B B 이차방정식 Y BY B의 판별식을 %라 하면
%BB ∴ B
B B 
∴   ⑤ Œ, 에서 정수 B는 이다. 
B B   

01. 지수와 로그 05

⤿⥗⥸⥇⥏⤼⥗⤿⥡⥸⥅⥜⥎⥏⥤⥎⥐⥅⥓⥫QVLJ  ࿼ፎ"
정답 및 풀이

22 27
@ MPHA[  ]
  MPHA MPHAMPHAMPHA MPHA MPHA MPHA
MPHA

Q
① MPHA MPHA

MPHA MPHA
MPHA[ ] 
MPHA
MPHA
23 MPHA[ ] 
MPHA
MPHA
 MPHA
 MPHA@MPHA MPHA MPHA

 MPHA
 MPHA
 MPHA@MPHA MPHA
 MPHA MPHA
 ∴ QMPHfAMPHfA 

 MPHA
 ①
BMPH|ADDMPH|AB

24 28
  
MPHA MPHAMPHA[ @]MPHA이므로 MPHAB, MPHA 이므로
  C
MPHfA MPHfAMPHfA ③ MPHAMPHA MPHA
 MPHA

MPHA
MPHBACY이면 BYC이므로 BMPHbACC
 MPHA MPHA


MPHA MPHA

[ ]
25 
C

MPHAMPHA, MPHAMPHA이므로 B
C
MPHA
 C 

∴ B, CMPHA  ①
BC 
∴ B C MPHmA
MPHmA 29

 MPHAB이므로
 
   ② MPHA MPHAB U❶
 

  MPHAMPHA MPHAMPHA MPHA

MPHA MPHA
26 이므로 MPHAC에서
MPHA MPHA
MPHA MPHA

  MPHAMPHA C U❷
MPHA MPHA
[MPHA ][MPHA ] ❶❷를 하면  MPHABC
MPHA MPHA
MPHA MPHA BC 
[MPHA ][MPHA ] ∴ MPHA ④
  


MPHA@ MPHA
 30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이므로
 @MPHA@  ①
 MPHA  MPHA= MPHA> MPHA=> MPHA
 = > 
=@>  
MPHACO O MPHAC O    
  MPHBxAAACO   MPHBAC   
MPHABN N MPHAB N    
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풀 수도 있다.
MPHA MPHA
MPHA MPHA

 MPHA MPHšAA
MPHA MPHšAA
31
 MPHBAC MPHCAB MPHBAC  MPHCAB
 MPHA MPHA
[ MPHA MPHA]
 MPHAC MPHAB
 [ ] 
 MPHA@ MPHA MPHAB MPHAC

MPHAC
 MPHAB



@MPHA@


 @
 MPHA  MPHAB@MPHAC

06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35
MPHAB MPHAC, MPHAB@MPHAC MPHAC MPHAB
MPHB›AAC MPHCšAAAB
이므로 MPHAB MPHAC
 MPHAC  MPHAB
MPHAB
 MPHAC
 MPHAB MPHAC
 MPHAB@MPHAC 
 MPHAB  MPHAC
@
 MPHAC  MPHAB
 MPHAB, MPHAC에서 , 이므로
∴ MPHBAC MPHCAB@    MPHAB  MPHAC

 MPHAC  MPHAB  MPHAC  MPHAB
y|Š @ 
 MPHAB  MPHAC  MPHAB  MPHAC
32 [단, 등호는
 MPHAC  MPHAB
 일 때 성립]
 MPHAB  MPHAC
BCD에서 CB, DC, BD이므로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③
 
MPHBACMPHBAB , MPHCADMPHCAC
 
 36
MPHDABMPHDAD
   MPHA .@u

    MPHA\.@@ .@


Å^
∴ MPHBAC MPHCAD MPHDAB  ⑤
   

MPHA. MPHA MPHA. MPHA


BCDL라 하면 BLÅ, CLÅ, DLÅ이므로 
. . 
. .
Å Å Å

MPHBAC MPHCAD MPHDABMPH² AL MPH² AL MPH² AL
Å Å Å

   
  37
   
MPHA"의 정수 부분을 O, 소수 부분을 =라 하자.
33 O, =가 YYMPHA L의 두 근이므로
BC에서 MPHABC MPHAO =, LO=
  이므로 MPHA


 MPHAB  MPHAC, MPHAC MPHAB


 ∴ O, =MPHA
 
MPHAB C  MPHAB  MPHAC 이때 LO= MPHA
MPHA
∴ MPHBCABC 
MPHABC MPHAB MPHAC
∴ L MPHmA™A 
 MPHAB MPHAB  MPHAB
   
MPHAB!MPHAB ÅMPHAB 38
<B<이므로 B
따라서 B을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는 B, , 
BC에서 BC, BC이므로
∴ BMPHA, MPHA, MPHA
BCCCCÅ, BCC CC
B값의 합은
MPHAB C  
MPHAC   MPHAC MPHA MPHA MPHAMPHA @@

∴ MPHBCABC   
MPHABC MPHACÅ ÅMPHAC  MPHA ③

39
34 MPHAY의 정수 부분이 이므로 ƒMPHAY U❶
 
MPHBACU라 하면 MPHCAB MPHAY과 MPHA 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U Y
또 BC이므로 U 
MPHAYMPHA  MPHAY MPHAY MPHAY
   Y
이때 MPHBAC MPHCAB 에서 U 
 U  는 정수이다.
UU , U
U
 ❶에서 ƒ MPHAY이므로
  MPHAY 또는  MPHAY 또는  MPHAY
U이므로 U

 
   MPHAY 또는 MPHAY 또는 MPHAY
곧, MPHBAC 이므로 CBÅ, CB  

∴ Y 또는 Y 또는 Y 
B C B B
∴     ①
B C B B 따라서 Y값의 곱은     ⑤

01. 지수와 로그 07

⤿⥗⥸⥇⥏⤼⥗⤿⥡⥸⥅⥜⥎⥏⥤⥎⥐⥅⥓⥫QVLJ  ࿼ፎ"
정답 및 풀이

40  B일 때, B!C이므로 항상 자연수이다.


MPHAY의 정수 부분이 이므로 ƒMPHAY U❶ 따라서 B, C
의 개수는 
MPHAY의 소수 부분과 MPHAY 의 소수 부분의 합이 이므로 Ž B 또는 B일 때, B!! 또는 B!!이므로 C가 
  의 배수이다.
MPHAY MPHAY MPHAY MPHAY MPHAY
 
따라서 B, C
의 개수는 @
는 정수이다.
C
   나머지 경우 가 자연수이어야 하므로 C는 의 배수이다.
❶에서 ƒ MPHAY이므로 
 
따라서 B, C
의 개수는 @
 
MPHAY, MPHAY Œ~에서 B, C
의 개수는  ④
 
   
이때 MPHAY  MPHAY  이므로 소수 부분은 이다.
    
ÄaBCB!
③ C
Œ C가 의 배수일 때 가 자연수이므로 B!은 자연수이다.

따라서 B, C
의 개수는 @
 C가 의 배수가 아닌 의 배수일 때
C
B B
 꼴이면 B! B
!이고 가 자연수이므로

step 실력 문제 12~17쪽 B!은 자연수이다.
B는 , , , 이고 C는  또는 이므로
01 ② 02 ④ 03 ④ 04 ④ 05 ③
B, C
의 개수는 @
06  07  08 ③ 09 ③ 10 ④
Ž C가 홀수일 때 B B
 꼴이면 B는  또는 이므로
11 ② 12  13 ② 14 ④

. B, C
의 개수는 @
15 B, C 16 ③ 17 ④ 18 
19 B, B, B 20 ⑤ 21 ⑤ 22  Œ, , Ž에서 B, C
의 개수는 
23 ③ 24 ⑤ 25 ③ 26  27 ③
28 ⑤ 29 ③, ⑤ 30 ② 31 ② 32 
33 ③ 34  35 ⑤ 36 N, O 04
[전략] 거듭제곱으로 고치고 각각이 자연수가 될 조건부터 찾는다.
01 B@C B B C
|Š   @!이 자연수이므로 , 가  또는 자
[전략] 양수 Y의 제곱근은 Y , Y   
Z의 세제곱근 중 실수는 Z 연수이다.
Bā이므로 B의 세제곱근 중 실수는 
B@C B C B C
|Š   @  이 자연수이므로 , 이  또는 자
   
Bāā ②
연수이다.
B의 최솟값은 , C의 최솟값은 이므로 B C의 최솟값은 이다.
02

[전략] 다항식 G Y
를 YB로 나눈 나머지는 G B
이다.
또 G B
이면 G Y
는 YB로 나누어떨어진다.

G Y
가 YB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05
    

G B
, B
 [전략] Y [B ]이면  Y< [B ]= 이다.
 B  B
B, B , B 자주 나오는 꼴이므로 기억한다.

이때 }xāBā이므로 BB
B라 하면 Y 이므로

G Y
를 Y}xāB 으로 나눈 나머지는
B B B  B
 
G 
  ④  Y 
 
B B 
[ ]

03
BB B B
 C !
[전략] ÄaB B 이므로 B가 제곱수, 네제곱수일 때로 나눈다. Y ā Y  B
 
또는 C가 의 배수, 의 배수일 때로 나눈다. O 

∴ }xY ā Y OBOÄa O
ÄaBCB!

Œ B일 때, B!이므로 항상 자연수이다.  O 이 자연수이면 O은 이 아닌 의 약수이므로 , , 의 
따라서 B, C
의 개수는  개이다. ③

08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06 이때 BYBY이므로
J
[전략] O이 제곱수가 아니면 L, , 일 때만 O 이 자연수이므로 BY BY
 BYBY
 
G O
이다. 따라서 O을 Q제곱수라 하고 G O
을 생각한다. BY이므로 BY BY
ONQ N, Q는 자연수
꼴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큰 Q를 생각 ∴ OBYBY BYBY
BY BY

하자. @ 


J Q
Q ∴ NO ③
O N 이 자연수이면L 가 자연수이고, L는 Q의 약수이다.
L
G O
이면 Q의 약수가 개이다. 따라서 O이 최소이면 N, Q
가 최소이므로
10
N, QšA@ 
[전략] , , 의 최대공약수가 임을 이용하여 B 꼴로 변형한다.
따라서 O의 최솟값은 NQ이다. 
 
,  
,  

, , 이므로
07 
 
 
 ④
O
[전략] B, C, D를 각각 , , 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내고 BCD
을 정리한다.

B, C, D이므로


BÅ, C Å, DÅ 11
Y Z [
[전략]    의 각 변을 적당히 거듭제곱하여
∴ BCD
O Å@ Å@Å
O
Y, Z, [ 꼴이 나오게 한다.
-@ -@-
  [에서 YZ[
Y Z

따라서 BCD
O이 자연수이면 O은 , , 의 공배수이고 O의 최

Y 
Z 
[ U❶
솟값은 최소공배수 이다. 

 
, 
 
이므로 
       

따라서 ❶이 성립하면 [YZ ②

08
Y
 Z
 
Z  Z
ΠYZ
Y Y  Y
[전략]   의 양변을  으로 나누고 정리하면 Z  Z   Z [ ] 
  

Y Y이다.
이 식의 제곱, 세제곱, …을 생각한다. ∴ YZ

YY  의 양변을 Y으로 나누면 Y


 [
 
[  [
 Y[  [   [ [ ] 
[  

Y Y, Y Y U❶
∴ Y[
❶의 양변을 제곱하면
Œ, 에서 [YZ
Y  Y, Y Y
이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Y  Y, Y Y
12
또 ❶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A  B
[전략]  이므로 B C BC의 양변을 C로 나누고 를 이용한다.
Y @Y@Y Y Y
Y  C
Y  Y, Y Y BC에서 A U❶
Y Y
    
∴ Y Y   ③ B C BC의 양변을 C로 나누면
    
B  B 
 B,  B
Y Y Y Y
Y Y
 C  C 
❶에 대입하면
B, B–, B
, B 
09
∴ B@CB@BB  
 
Y Y
[전략] B B 를 변형하는 것보다는
BYBYN을 세제곱하여 정리하는 것이 간단하다.
BC에서 양변에 C을 곱하면
BYBYN의 양변을 세제곱하면
B@CC@C, B CC
BYBYBY BYBY
BYN

BYBY이므로 NN B C BC이므로 BCC

N
N N 
 B, B 
N은 실수이므로 N ∴ B@C B
@B B
  


01. 지수와 로그 09

⤿⥗⥸⥇⥏⤼⥗⤿⥡⥸⥅⥜⥎⥏⥤⥎⥐⥅⥓⥫QVLJ!  ࿼ፎ"
정답 및 풀이

13 15
B   
C D [전략] 높이가 같은 두 평행사변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의 비와 같다.
[전략]   L U로 놓고 , , 을 이용할 수 있는 꼴로 정리한다.
B C D
오른쪽 그림에서 작은 사각형의 넓이를
BCLDU라 하면 1 2
1, 2, 3, 4라 하면 "
$
#
U@Å, UAÅ, LUBÅ
1AA2"$“A:A$#“, 3 4
  
 이므로 3AA4"$“A:A$#“,
B C D
∴ 1AA23AA4, 1423
U@=
tAqUtBh, U@Å
 UAÅ
 UBÅ

문제에서 @B@@CB@C
@L
@B@@CB@C, @B@C
L@@ 
 @

B, C는 자연수이므로 B, C B, C
∴ L@ ②

BCLDU라 하면 16
 
BMPHAU, CMPHAU, DMPHLAU [전략] Y Z 이므로 가능한 Y, Z의 절댓값은 보다 작다.
따라서 Y, , U, , 일 때로 나눈다.
  
MPHUA, MPHUA, MPHUAL 밑의 조건에서 YZ이고 YZ 
B C D
   따라서 Y , Z 이고 Y와 Z의 부호는 같다.
 이므로
B C D 진수 조건에서 YZ, Y Z
 MPHUA  MPHUA MPHUAL Œ Y일 때 Z, 
 MPHUA  MPHUA MPHUAL  Y일 때 Z, , 
MPHUA  MPHUAMPHUAL Ž Y일 때 YZ 이므로 Z, 
MPHUA @
MPHUAL Y, , 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순서쌍의 개수는
∴ L@ @   
 ③

17
[전략] 로그의 정의를 이용하여 N, O의 관계식을 구한다.

14 MPHNA
O O 
에서 N  ,  O N
B C D B C D 
[전략]  @ @  이므로 BY, CZ, D[로 치환하면
식을 쉽게 정리할 수 있다. N, O이 자연수이므로 O은 의 약수이다.

 @이므로 가능한 O은 @ 개


이고 O이 정해지
B@C@DB C D 이므로
 면 N은 따라서 정해진다.
BY, CZ, D[라 하면 따라서 순서쌍 N, O
의 개수는 이다. ④

YZ[

18
 
B C D 에서 Y Z [ U❶ O O 
[전략]  ƒB 일 때 [MPHAB ]O이다.
 
  ƒB일 때,
B C D 에서 Y Z [
  ƒMPHAB, <MPHAB>
❶의 양변을 제곱하면 ƒB일 때,

Y Z [  YZ Z[ [Y
 ƒMPHAB, <MPHAB>

 ƒB일 때,

 
 YZ Z[ [Y
 ƒMPHAB, <MPHAB>
 
  ƒB일 때,

YZ Z[ [Y
 ƒMPHAB, <MPHAB>
B   C D
 이므로 ƒBƒ일 때,

∴    
Y Z [
ƒMPHAB, <MPHAB>
YZ Z[ [Y
 ∴ 주어진 식

YZ[
 
@ 
@ 
@

 
@  
@
  ④

Å  

10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19 22
[전략] B을 먼저 구하고, 주어진 식에 를 곱해나가면 B, B의 값을 차례로 MPHAB MPHAC B C
[전략] MPHA 를 정리하고 B, C에 대한 식을 구한다.
 Q
구할 수 있다.
B B B B C
MPHAB MPHAC MPHA 이므로
  MPHAB   U U❶ Q
  
B C 
MPHA이므로 B MPHABCMPH[ ]
Q
B B
❶@를 하면 MPHAB U U❷ B C  B C BC
  BC[ ] , BC
Q Q
에서 MPHA이므로 B
BC BC BC
B BC , BC 
❷@를 하면 MPHA B  U Q Q
 
∴ Q 
에서 MPHA이므로 B
B C
이므로 Q이다.
B, B, B Q
∴ Q 

20
   B
[전략] B BCC 의 양변을 C 으로 나누면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C
BBCC의 양변을 C으로 나누면 23
B  B [전략] MPH BC
MPHABMPHACL로 놓고
[ ] @ 
C C BC, B, C 를 L로 나타내면 B, C에 대한 식을 구할 수 있다.
B B MPH BC
MPHABMPHACL라 하면
이므로  
C C
BCLL U❶
∴ MPH B BCC
MPH BBCC
L L
B  U❷
B BCC
MPHA C  @L L L
U❸
BBCC
B  B ❶@❷❸이므로
[ ] 
C C BC
BC, C BCB
MPHA
B  B
[ ]   양변을 B으로 나누면
C C
 
   C  C
MPHA [ ] [ ]
 
 B B
  C C  
MPHA 이므로  ③
  B B 
 


MPHA
 



MPHA  ⑤


24
  
[전략] B C D L로 놓고 B, C, D를 L로 나타낸 후 가
를 이용한다.
21 (가)에서 MPHABCD
[전략]  MPHBAD MPHCAD에서 밑이 D인 로그로 변형한 다음, ∴ BCD U❶
D 없이 로그를 표현하는 방법을 생각한다.   
(나)에서 B C D L라 하면
 MPHBAD MPHCAD에서
BLÅ, CLÅ, DLÅ
 
  ❶에 대입하면
MPHDAB MPHDAC
MPHDAC   LÅ Å Å, L
 , MPHBAC
MPHDAB  
∴ L 


이때 MPHCAB 이므로 이때 B , C, D이므로

     
MPHBACMPHCAB   ⑤   MPHAB@MPHAC@MPHAD @@  ⑤
     

01. 지수와 로그 11

⤿⥗⥸⥇⥏⤼⥗⤿⥡⥸⥅⥜⥎⥏⥤⥎⥐⥅⥓⥫QVLJ  ࿼ፎ"
정답 및 풀이

25 27
[전략] Y, Z, [에 대입하고 식을 정리한다.  
[전략] MPHB™AAC MPHBAC, MPHCAB임을 이용하여
 MPHBAC
이때 밑과 진수가 순환하는 꼴임을 이용한다.
밑이 B인 로그로 통일하고 정리한다.
MPHBAC@MPHCAB, MPHBAC@MPHCADMPHBAD
MPHAC MPHAD MPHAD 조건식에서
YZMPHBAC@MPHCAD @  MPHBAD C 
MPHAB MPHAC MPHAB MPHB™AA MPHB™AA MPHCAB
 
Z[MPHCAD@MPHDABMPHCAB
  
[YMPHDAB@MPHBACMPHDAC MPHB™AAC MPHCAB, MPHBAC MPHCAB
  
이므로

MPHBAC , MPHBAC

Y Z [ MPHBAC

YZ Y  Z[ Z  [Y [ 
MPHBAC 또는 MPHBAC
MPHBAC MPHCAD
 
MPHBAD MPHBAC MPHBAB MPHCAB MPHCAD MPHCAC ∴ CB 또는 C
B
MPHDAB

MPHDAC MPHDAB MPHDAD B C이므로 C
B
MPHBAC MPHCAD MPHDAB
  
MPHBABCD MPHCABCD MPHDABCD ∴ B CB y|ŠB@ 
B B
MPHBCDAC MPHBCDAD MPHBCDAB

[단, 등호는 B 일 때 성립]
MPHBCDABCD ③ B
따라서 B C의 최솟값은 이다. ③

MPHAC MPHAD MPHAB


MPHBAC@MPHCAD@MPHDAB @ @ 
MPHAB MPHAC MPHAD
 28
이므로 YZ[, [
YZ
O
Y Z [ [전략] MPHBAC N, O은 서로소
이라 하고 B, C의 관계부터 구한 다음
N

YZ Y  Z[ Z  [Y [  BCB 을 이용한다.
 O
Y Z YZ MPHBAC가 유리수이므로 MPHBAC N, O은 서로소
이라 하면
 N
YZ Y    
Z@ Z  @Y  O
YZ YZ YZ CB N
Y YZ 
 BCB에 대입하면
YZ Y   YZ Y Y  YZ
O
Y YZ  BB N B U❶
 
YZ Y  
B, B 이므로 B
O
또 CB N 이 정수이므로 BQN Q는 보다 큰 정수
꼴이다.
Œ N일 때 ❶은 BBOB
26 이 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O은 없다.
[전략] 두 양의 실근을 가지므로 Q, R의 범위를 확인해야 한다.  N일 때 B이므로
%y, = >, =>
B 또는 B
MPHA = >
MPHA= MPHA> 에서 ❶에서 O이므로 C 또는 C
MPHA = >
MPHA=> Ž N일 때 B
∴ = >=> U❶ ❶에서 O 또는 O이므로
=, >가 Y QY R의 두 근이므로 C 또는 C
= >Q, =>R  Ny일 때 B에서 가능한 B가 없다.
❶에 대입하면 QR 따라서 C값의 합은     ⑤
이때 이차방정식은 YRY R이다.
이 방정식의 두 근이 양수이므로
%
Œ RRy ∴ Rƒ 또는 Ry
 29
G Y

 = >R, =>R [전략] MPHAYG Y


H Y
이고 H Y
이면 Y 꼴이다.

Œ, 에서 Ry ① MPHA MPHA이고


따라서 RQR의 최솟값은 R일 때 이다.  MPHA이므로 정수 부분은 이다. 거짓

12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② B, C이면 MPHABC, MPHAB, MPHAC이므로 @이므로 Q B@R C이 의 배수이면
H BC
H B
이지만 H C
이다. 거짓
Qy, Ry ∴ Qy, Ry
③ B, C가 양수일 때 MPHABCMPHAB MPHAC이므로 따라서 Q R의 최솟값은   ②
G BC
H BC
G B
H B
G C
H C

따라서 G BC
G B
G C
이면 H BC
H B
H C
이다.

 
④ MPHA 의 정수 부분은 , 소수 부분은 MPHA 이다.
32
또 MPHA의 정수 부분은 , 소수 부분은 MPHA이다.
[전략] /은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ƒMPHA/ƒ이다.
따라서 G 
, H 
MPHA MPHA
이 부등식과 MPHA/ MPHA/을 이용하여 N의 범위를 구한다.
\ G 
^, \ H 
^ MPHA

/은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ƒ/ƒ
∴ G B
H B
\ G B
^ \ H B
^ 거짓

∴ ƒMPHA/ƒ U❶
⑤ B, C가 한 자리 자연수이면 ƒBCƒ
NƒMPHA/ƒN  U❷
따라서 H BC
이면 BC 또는 BC이고 가능한 순서 
N ƒMPHA/ ƒN 에서
쌍 B, C
는 , 
, , 
, , 
이므로 개이다. 참

N ƒ MPHA/ƒN 
따라서 옳은 것은 ③, ⑤이다. ③, ⑤
N 
∴ ƒMPHA/ƒ N  U❸
 
❶, ❷의 공통부분이 있어야 하므로
Nƒ이고 N y ∴ ƒNƒ
30 N은 정수이므로 N, , , 
[전략] MPHAB와 MPHAC의 소수 부분이 같으므로 N일 때 ❶, ❷, ❸의 공통부분이 없다.
두 수의 차가 정수임을 이용한다.
N일 때 ❶, ❷, ❸의 공통부분은  ƒMPHA/ƒ
C 
MPHACMPHABMPHA 는 정수이다.
B
N일 때 ❶, ❷, ❸의 공통부분은 ƒMPHA/ƒ 
C 
BC이므로  
B N일 때 ❶, ❷, ❸의 공통부분이 없다.
C
∴ MPHAMPHA MPHA
B 따라서  ƒMPHA/ƒ  이면 정수 N이 있다.
 
C C C
MPHA 는 정수이므로 MPHA  또는 MPHA 
B B B 이때 !ƒ/ƒ, ƒ/ƒ

C 따라서 자연수 /의 최솟값은 , 최댓값은 이므로 합은 이


Œ , 곧 CB일 때, B, , U, 
B 다. 
C
 , 곧 CB일 때, B, 
B
따라서 순서쌍 B, C
의 개수는   ②

소수 부분이 같다. ⇨ 두 수의 차가 정수 33
소수 부분의 합이 이다. ⇨ 두 수의 합이 정수 [전략] O이  이하의 자연수일 때 가능한 G O
의 값부터 생각한다.

O이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G O


 또는  또는 이다.
ΠG O
일 때 ƒO U❶
또 G O 
이므로
31
[전략] MPHA, MPHA에서 정수 부분을 빼면 소수 부분이다. ƒO ,  ƒO  U❷
 
이므로 MPHA ❶, ❷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O은 , , , , , 이고 개이다.
∴ BMPHA  G O
일 때 ƒO U❸
 
  이므로 MPHA 또 G O 
이므로
∴ CMPHA
ƒO ,  ƒO  U❹
이때  
Q B@R CQ MPHmA@R MPHsA ❸, ❹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O은 , , …, 이고 개이다.
Q@MPHmA@R@MPHsA Ž G O
일 때 O이고
 Q R
@@ @ G O 
G 
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Q@R Œ, , Ž에서 O의 개수는 이다. ③

01. 지수와 로그 13

⤿⥗⥸⥇⥏⤼⥗⤿⥡⥸⥅⥜⥎⥏⥤⥎⥐⥅⥓⥫QVLJ  ࿼ፎ"
정답 및 풀이

34
[전략] MPHAOy이므로 <MPHAO>과 MPHAO의 정수 부분이 같다. .@. ⇨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이 아닌 숫자
이 나온다.
<MPHAO>은 MPHAO의 정수 부분이므로
.@O ⇨ 소수점 아래 O째 자리에서 처음으로 이 아닌 숫자 이 나온다.
MPHAO<MPHAO>=라 하면 ƒ=
MPHAO MPHAO<MPHAO> =
따라서 <MPHAO><MPHAO> 이면
ƒ=, .ƒ=.
O은 보다 작은 자연수이므로 ƒ<MPHAO>
Œ <MPHAO>일 때 step 최상위 문제 18~19쪽
MPHAO=이므로 .ƒMPHAO.
MPHA.., MPHA..이므로 01  02 ② 03  04  05 ③
06 ① 07  08 ②
.ƒO.
따라서 자연수 O은 개
01
 <MPHAO>일 때  
[전략] G 
, G 
, G 
, U을 차례로 구해서 규칙을 찾는다.
MPHAO =이므로  .ƒMPHAO . 또 \ G  
^JÅ이 유리수이므로 L가 음수일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한다.
MPHA MPHA.ƒMPHAOMPHA MPHA. G 
 
.ƒO. G  

따라서 자연수 O은 개 G  

Ž <MPHAO>일 때 G  
 
MPHAO =이므로  .ƒMPHAO .
G  
šA@
MPHA MPHA.ƒMPHAOMPHA MPHA.
G  
šA
ƒO

따라서 자연수 O은 개 O 
곧, G O 
 이므로
Œ, , Ž에서 자연수 O은 개이다.    
G  
 , G  
 @Å
, G  
 @

™A™A@
\ G  
^JÅ L 이 유리수이면 L는 @의 약수이거나
35
O  O 
약수에 음의 부호가 붙은 수이다.
[전략]  이 자리 자연수이면  ƒ  이다.
따라서 L의 개수는 @ @
 
ƒO이므로 MPHAƒMPHAOMPHA
ƒ.O, .ƒO.U
O은 자연수이므로 O,  02
R
따라서 O값의 합은 이다. ⑤ [전략] MPHOAL 라 하면 LOO0이므로 ONQ 꼴이다. 이때 가능한 R의
Q
값을 생각한다.

ƒLƒO이므로 ƒMPHOALƒ이다.
36 따라서 MPHOAL가 유리수라 하면
 R
[전략] MPHA  의 값을 = O ƒ=, O은 정수
꼴로 고치면
 MPHOAL Q는 자연수, R는  또는 자연수, ƒRƒQ
이다.
Q

주어진 표를 이용하여  "@O ƒ"
꼴로
 ∴ LOO0
나타낼 수 있다. L, O이 자연수이므로 ONQ Ny인 자연수
꼴이다.
 Œ OQ일 때 가능한 L는 L, , , U, Q
MPHA  MPHA MPHA

G O
Q 이고, G O
y이므로 Qy
@.@.
Qƒ이므로 Qƒ
. .
따라서 가능한 O은 , , 
표에서 MPHA..이므로
 OQ일 때 가능한 L는 , , , U, Q

MPHA   MPHA. G O
y에서 Qy이고 Qƒ이므로 Qƒ

  따라서 가능한 O은 
곧,  .@이므로 소수점 아래 째 자리에서 처음
 Ž ONQ Ny
이면 NQƒ에서 Q
으로 이 아닌 숫자 이 나온다. 이때 G O
Q 이므로 가능한 O은 없다.
∴ N, O N, O Œ, , Ž에서 O값의 합은     ②

14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03 05
[전략] <MPHA/>은 MPHA/의 정수 부분이다. 
[전략] MPHBAC가 유리수이면 MPHBA
MPHBAC도 유리수이다.
C
MPHA/<MPHA/>=로 놓고 ƒ=임을 이용한다.
따라서 ƒCƒB인 경우부터 조사한다.
<MPHA/>O, MPHA/<MPHA/>=라 하면 O은 정수이고
YB이고 MPHBAY가 유리수이면
ƒ=이다.
  
MPHA/ MPHA/O =이므로  이고 MPHBA MPHBAY도 유리수이다.
B Y Y
<MPHA/><O =>O <=> 
또 MPHBA, MPHBAB, MPHBA 이므로 유리수이다.
(가)에 대입하면 O O <=> B
ƒ=이므로 <=> 또는 <=> 따라서 CB일 때 MPHBAC가 유리수인 값의 개수를 H B

 하면 G B
H B
이므로 H B
y인 자연수 B의 개수를
Œ <=>일 때 ƒ= 이고 O
 찾아도 된다.
(나)에 대입하면 Q
MPHBAC Q, R는 QR인 자연수
라 하면 CBP/
= O =
O, = R
따라서 이런 경우는 없다. BNL N, L는 자연수
이라 하면 Bƒ이므로 L의 최댓값
 은 N일 때 L이다.
 <=>일 때 ƒ=이고 O
 Œ L일 때 R, Q, , , , 가 가능하므로 H B

(나)에 대입하면 따라서 B
= O =
 O 
, =  L일 때 R, Q, , , 가 가능하므로 H B

 따라서 B
Œ, 에서 MPHA/ =, ƒ=이다.

Ž L일 때 R, Q, , 이 가능하므로 H B


곧, ƒMPHA/, ƒ/ 따라서 B, 

이므로   L일 때 R, Q, 가 가능하므로 H B

따라서 자연수 /은 , , U, 이고 개이다. 따라서 B, , 
 그런데 이므로 중복이다.
 L일 때 R, Q이 가능하므로 H B
, G B

‘ L일 때 H B
, G B

Œ~‘에서 B의 개수는     ③

04 06
O O 
[전략]  ƒY 이면 OƒMPHAYO 이고 <MPHAY>O이다. [전략] N, O이 홀수 또는 짝수인 경우로 나누어 G N
, G O
, G NO

<MPHAY>, <MPHAY>도 같은 방법으로 생각한다. 생각한다.
  
   이므로 Œ N, O이 홀수일 때, NO도 홀수이므로

Œ ƒY 일 때 MPHAY이고 G N
MPHAN, G O
MPHAO
<MPHAY> G NO
MPHANOMPHAN MPHAO
또 이므로 ƒY 따라서 G NO
G N
G O
이고
따라서 MPHAY이고 <MPHAY> 순서쌍 N, O
의 개수는 @
(나)에서 <MPHAY>  N, O이 짝수일 때, NO도 짝수이므로
 
ƒMPHAY,  ƒY G N
MPHAN, G O
MPHAO
ƒY과 공통부분은 ƒY G NO
MPHANOMPHAN MPHAO

  ƒYƒ일 때 ƒMPHAY이고 따라서 G NO
G N
G O
이고
<MPHAY> 순서쌍 N, O
의 개수는 @

또  ƒYƒ이므로 ƒMPHAY이고 Ž N은 홀수, O은 짝수일 때, NO은 짝수이므로
<MPHAY> G N
MPHAN, G O
MPHAO
(나)에서 <MPHAY> G NO
MPHANOMPHAN MPHAO
 
ƒMPHAY,  ƒY G NO
G N
G O
이 성립하려면

 ƒYƒ과 공통부분이 없다. MPHAN MPHAOMPHAN MPHAO
Œ, 에서 ƒY이므로 자연수 Y의 개수는 이 MPHANMPHAN ∴ N U❶
다.  따라서 순서쌍 N, O
의 개수는 이다.

01. 지수와 로그 15

⤿⥗⥸⥇⥏⤼⥗⤿⥡⥸⥅⥜⥎⥏⥤⥎⥐⥅⥓⥫QVLJ  ࿼ፎ"
정답 및 풀이

 N은 짝수, O은 홀수일 때 ❶에서 G Y


YOY L이라 하면 G Y
이
O O
ƒY 에서 실근
 
Ž과 마찬가지로 O이므로 순서쌍 N, O
의 개수는 을 가진다.
이다. O  O Z
G Y
[Y ] L ZG Y

 
Œ~에서 순서쌍 N, O
의 개수는
이므로
    ① O O
G[ ]L  O O
   
O  0 O B C Y
MPHAN G[ ]L Oy
❶에서 MPHANMPHAN, MPHAN   
MPHA L 
MPHAN MPHA
 ∴ L Oƒ  
MPHA 이므로 MPHAN ∴ N . OBBL, OCCL
이므로 B, C는 Y에 대한 이차방정식 OYYL, 곧 Y™AOY L의
서로 다른 두 실근이다.
07 %O@L, OL  U❸
 
[전략] MPH OBB
MPH OCC
L로 놓고 식을 정리한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B CO, BCL
MPH OBB
MPH OCC
L L는 자연수
라 하면
O
CBƒ 에서
OBBL, OCCL 
이므로 G Y
YOY L이라 하면 G B
G C
 O O
CB
ƒ B C
BCƒ
 , 
곧, ZG Y
의 그래프는 Y축과 YB, YC에서 만난다.  L O   L 
O @ ƒ , O ƒ
O  
그래프의 축 Y 에 YB, YC는 대칭이고
 ∴ Oƒ  @L  U❹
O O O 
CBƒ 이므로 Bƒ 이다. 따라서 곧, ❸, ❹에서 L Oƒ @L 
   
Z
O O ZG Y

G [ ]L 
 
O  08
G [ ]L Oy O O
      O
[전략] MPHA 의 값을 이용하여  을 "@ ƒ", O은 정수

0 O B C Y
L   L 
∴ O ƒ  꼴로 나타내는 방법을 생각한다.

이므로 Oƒ이면 L이다. 
MPHA MPHA MPHA  MPHA



Œ L일 때 Oƒ  .
 .

O은 자연수이므로 O 이므로  을 "@O ƒ", O은 정수
꼴로 나타내면


 "@, MPHA".이다.
 L일 때 Oƒ
 그런데 MPHA.MPHA이므로
자연수 O은 없다.  MPHAMPHA MPHA
 MPHA @
MPHAMPHA @

Ž L일 때 Oƒ ∴ O


 @@
 
따라서 은 자리의 정수이고, 최고자리의 숫자는 이다.
 L일 때 O ƒ ∴ O

∴ N O  ②

 L일 때 Oƒ ∴ O 또는 O


‘ L일 때 Oƒ ∴ O 또는 O

따라서 O값의 합은
       

다음과 같이 풀 수도 있다.
. OBBL U ❶    OCCL U❷
❶❷를 하면
OBBOC C, BC
OBC

B C이므로 OBC
O
COB를 CBƒ 에 대입하면

O
OBƒ
 ∴ O ƒB O 

16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04
G 
MPHA이므로
HxG

H G 

H 

step 기본 문제 21~26쪽
MPHA 
MPHA  ④
 MPHA 
01 ③ 02 B  , C 03  04 ④

05 ③ 06 N, O 07 N, O



08 ② 09  10 ⑤ 11  12  MPHAMPHšAA

13 Q, R 14 ③ 15 ⑤ 16 
17 ⑤ 18  19 ② 20  21 ⑤
 
22   23 ③ 24  25 ③ 26  05
ZMPHA Y 
의 그래프가 점 B, 
을 지나므로
27  28 ⑤ 29  30  31 ③
 MPHA B 
, B 
32  33  34  35  36 
∴ B
37  38 ② 39 ③
점근선이 직선 Y이므로 C
∴ B C ③
01
 
  이므로 Z

Y
ZY   Z  

따라서 그래프는 ZY의 그래프를



06
Y Y
 ZMPHA[ ]MPHA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  
 
 MPHA Y

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Y
① 참
  이므로 ZMPHA[ ]의 그래프는 ZMPHAY의 그래프를
 0 Y 
② 참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③ 거짓

∴ N, O N, O


④ Y을 대입하면 ZÅ  참

⑤ 참

07
ZMPHAY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N만큼, Z축 방향으로 O만
큼 평행이동하면 ZMPHA YN
O의 그래프이다.
02
ZBY C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직선 Z이므로 C이다. 점근선이 직선 Y이므로 N

∴ ZB Y
 또 그래프가 점 , 
를 지나므로

또 이 그래프를 Z축에 대칭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MPHA 


O, O N, O

ZBY 
이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08
B , B Z
ZMPH|AY
  
∴ B  B , C
  Z
1 2

ZBY C의 그래프가 점 , 


을 지난다는 것을 이용해도 된다. 0  Y
ZMPHbAY
Z
4 3

03 위 그림에서 기울기가 음수이므로 큰 순서는


ZB@Y의 그래프를 원점에 대칭이동하면 ZB@Y 직선 13, 23, 14, 24이다.
곧, ZB@Y의 그래프이다. ∴ ?=@> ②
또 이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동하면 ZB@Y 의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09
B@ H Y
는 G Y
의 역함수이고
∴ B  H 
이므로 G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7

⤿⥗⥸⥇⥏⤼⥗⤿⥡⥸⥅⥜⥎⥏⥤⥎⥐⥅⥓⥫QVLJ  ࿼ፎ"
정답 및 풀이

 B  ∴ B, G Y
Y   따라서 ZI Y
의 그래프는 Z

H 
L라 하면 G L
이므로 점 3 , 
를 지난다.  1  A

L   ∴ L  삼각형 123의 넓이는  0 


 Y

@@
ZY B 에서  3  A
 2  A

ZY B, Y BMPHA Z

Y, Z를 바꾸면 Z BMPHA Y



ZMPHA Y
B
∴ H Y
MPHA Y
B
13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점 , 
을 지난다.
G 
, H 
이므로
10
 Y MPHA  Q
R, MPHÅ  Q
R U❶
ㄱ. Z[ ] Y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를 Z축에 대칭이동
 밑에 관계없이 MPHBA이므로  Q
Y
하면 Z 의 그래프와 겹쳐진다. ∴ Q
Y MPHfA Y Y MPHfA
ㄴ. Z@  @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를 ❶에 대입하면 R Q, R
Y축 방향으로 MPHA만큼 평행이동하면 ZY의 그래프와
겹쳐진다.
14
ㄷ. ZMPHAYMPHAY MPHA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를 Z H Y
YY  Y
이므로
축 방향으로 MPHA만큼 평행이동한 후 직선 ZY에 대칭 ƒYƒ일 때 ƒH Y
ƒ
이동하면 함수 ZY의 그래프와 겹쳐진다. G Y
의 밑이 보다 작으므로 H Y
가 최소일 때 G Y
는 최대이다.
따라서 ZY의 그래프와 겹쳐지는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곧, Y일 때 H Y
의 최솟값이 이므로
 
G Y
의 최댓값은 G 
[ ]  ③

11
ZY에서 YMPHAZ, YMPHAZ 
15
따라서 ZG Y
의 역함수는 ZMPHAY 이므로 YU라 하면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L만큼 평행이동하면 ZUU U

H Y
MPHA Y 
L  
ƒYƒ이므로 ƒUƒ
직선 Z과 만나는 점 ", #의 Y좌표를 각각 B, C라 하면 
G B
에서 B ∴ B 따라서 U일 때 Z의 최댓값은 
H C
에서 U일 때 Z의 최솟값은 
MPHA C 
L , MPHA C 
L ∴ . N ⑤
L L
C  ∴ C 
" , 
, # L, 
이고, 선분 "#의 중점의 좌표가 16
, 
이므로 Y축 방향으로 B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L
    YB
, L Z@[ ] 
 
∴ L  이 그래프를 Z축에 대칭이동하면
 YB
Z@[ ] 
" , 
이고 선분 "#의 중점의 좌표가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H 
을 풀어도 된다.  YB
∴ G Y
@[ ] 

ZG Y
의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12  B  B
@[ ] , [ ] 
G Y
B Y
이므로 ZG Y
는 점 1 , 
을 지나는 직  

선이다. B ∴ B

B의 값에 관계없이 B이므로 H 
이다.  Y 
이때 AG Y
@[ ] 이므로

따라서 ZH Y
의 그래프는 점 2 , 
를 지난다.
ƒYƒ에서 AG Y
의 최댓값은
I Y
MPHBA Y 
이고 B의 값에 관계없이 MPHBA이
 
므로 I 
이다. G 
@[ ]  


18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17 21
MPHAY MPH™AAY MPHAY이므로 분모, 분자를 Y으로 나누면 Z

Y Y
MPHAYU라 하면 U는 실수이고
그런데 Y, Y이고
ZUU  U

Y YyāY@Y 
따라서 U일 때 Z의 최솟값은 이다.
단, 등호는 YY일 때 성립

또 MPHAY에서 Y이므로
이므로 분모의 최솟값은 이다.
B C 
 ⑤
따라서 Z의 최댓값은 이다. ⑤

18 22
ƒYƒ에서 BƒH Y
ƒ B이고, "L L, L
, #L L, L
이므로 선분 "L#L를 A:A로 내분하는
G Y
는 밑이 보다 작으므로 L @L L  L
점의 Z좌표는  이다.
  
H Y
 B일 때 GxH
Y
는 최소이다.
L , L이므로
  
최솟값이 [ ] 이므로 L  L y L  L 
  |Š @ 
    
  B
  
[ ] [ ] ,  B L  L 
  등호는  , 곧 L L, L 일 때 성립한다.
  
∴ B, H Y
 Y
 
  
ƒYƒ에서 G 
, G 
이므로 따라서 L 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이다. 
  
ƒG Y
ƒ
따라서 G Y
일 때 HxG
Y
는 최대이다. 23
HxG
Y
의 최댓값은 H 
   " B, B
, # C, C
이므로 선분 "#의 중점의 좌표는
B C
[ B C , ]이다.
 
19 B C 에서 B C ∴ CB
  
MPHA[Y ] MPHA[Z ]
Z Y B C
에서 B B U❶
  
MPHA[Y ][Z ]
Z Y B CB B이므로 ❶의 양변을 제곱하면
MPHA[YZ

] U❶ B  B
YZ
∴ B B ③
YZ이므로
 y  B C이므로 B C, BC
YZ |ŠYZ@ 
YZ YZ
B C의 양변을 제곱하면
 B @BC C ∴ B C
[단, 등호는 YZ 일 때 성립]
YZ

따라서 YZ
YZ
의 최솟값은 이고, 24
1 B, B
이라 하면 선분 01를 A:A으로 내분하는 점의 좌표는
❶의 최솟값은 MPHA  
이다. ②
B
[ B , ]에서 [ B , B]
    
이 점이 곡선 ZY 위에 있으므로
20
MPHAY, MPHAZ
가 그림의 직선 위의 : B, B B

점이라 생각할 수 있다.
 ∴ B  
직선의 방정식은 :9 이므로  
MPHAZMPHAY 
MPHAY MPHAZ 0  9 25
∴ YZ  #, %의 Z좌표가 같으므로 BBC U❶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서 ", $의 Z좌표가 같으므로
Y Zy‚Y@Z B!CC, BCCC  ∴ BC U❷

‚YZ @ ❷를 ❶에 대입하면
등호는 YZ일 때 성립하므로 최솟값은 이다.  C
C›AC, CC›AC, C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9

⤿⥗⥸⥇⥏⤼⥗⤿⥡⥸⥅⥜⥎⥏⥤⥎⥐⥅⥓⥫QVLJ!  ࿼ፎ"
정답 및 풀이

∴ C  , C  29
  ZMPHBA Y
의 그래프는 Z

❷에 대입하면 B 
%  A

점 , 
를 지나므로 직사각  $

형 "#$%와 만나면 B이다.

∴ B C     ③ 또 ZMPHBAY의 그래프는 B가 커 0   Y
   
지면 Y축에 가까워지므로 " #  A

ZMPHBA Y
의 그래프가
26 
#를 지날 때 B는 최대이고, %를
삼각형 "0#의 넓이가 이고 0#“이므로 점 "의 Z좌표는 지날 때 B는 최소이다.
이다. Œ # , 
을 지날 때
따라서 " Q, 
이라 하면 "는 곡선 ZY 위의 점이므로 MPHBA, MPHBA, B
Q
  ∴ QMPHA
∴ B!
B
따라서 " MPHA, 
이고 "는 곡선 ZY 위의 점이므로  % , 
를 지날 때

MPHBA, MPHBA, B
MPHmA B B
 , MPHmA
  ∴ BÅ
 B
 ∴ B  Œ, 에서 .!, /Å이므로
 
. . 
!ÅÅ ∴[ ]  
/ /

27
30
곡선 ZY은 곡선 ZY을 Y Z
Z
Y
Z
Y

2 # "의 Y좌표를 B라 하면 " B, MPHAB
, # B, MPHAB

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오른쪽 그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4 
림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가 같 MPHABMPHAB  MPHA 
 , 
다.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평행사변형 1 BB  B 
1342의 넓이와 같다.   
0 3 " Y  , B
B  
1 , 
, 2 , 
, 3 , 
, 4 , 

∴ $%“BBB 
이므로

1342[ @@]@ 
 31
"#“"2“이므로  "1“#2“ Z
ZMPHmAY 
사각형 1342는 정사각형이고 12“` 이므로  #
"1“MPHA MPHA이므로
1342  "
#2“ MPHA
#의 Z좌표가  MPHA이므로 0 1 2 Y
28 2 B, 
이라 하면
곡선 ZG Y
와 ZI Y
는 Z축에 대칭이고 3 , 
이므로
 
1 , 
이다.  MPHAMPHAB , MPHABMPHA , B
 
Z
ZG Y
ZH Y
ZI Y
  
∴ △"#2 @[  ]@ MPHA MPHA ③
  
1 2 3 Z


32

 0 =  Y MPHAY에서 Y, Y

12“ 23“이므로 점 2의 Y좌표를 =라 하면 
∴ "[ , ]
=  =

 # C, MPHAC
, $ D, MPHAD
CD
라 하면 삼각형 "#$의
∴ =
  
무게중심이 ([ , ]이므로
H =
이므로 C!  

∴ C 
C D
 
 U❶
∴ H 
C 
 ⑤  

20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MPHAC MPHAD  ∴ 01“@02“  MPHA
@  MPHA

 U❷
  
 MPHA@  
❶에서 C D U❸ MPHA
❷에서 MPHACD, CD ∴ CD U❹
❸과 ❹를 연립하여 풀면 CD이므로 C, D
35
 
#[,

], $[,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ZBY은 ZMPHBAY의 역함수이므로 점 1, 2는 직선 ZY 위에

  있다.

    또 두 사각형이 합동이므로 1 L, L
라 하면 2 L, L
이다.

  
따라서 BLL, BLL이고,
BL BL
이므로 LL
L이므로 L
33 ∴ B, B 
# C, 
, $ D, 
이라 하고, &의 Y좌표를 L라 하자.
%의 Z좌표가 "의 Z좌표와 같고, %(“이므로
MPHADMPHAC , MPHADMPHAC 36
∴ DC ZY 에서 ZY, YMPHA Z

이때 $ C, 
이고 "%“A:A%&“A:A이므로 Y와 Z를 바꾸면 ZMPHA Y

CC
A:A LC
A:A, LCC 따라서 G Y
는 H Y
의 역함수이고 Z
ZG Y
ZY
#m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직 
#
∴ L C 4f
 선 ZY에 대칭이다. 
"m "

직사각형 "#$%, %&'(의 넓이가 같으므로 ZH Y
의 그래프와 직선 Z,
4m
$%“A:A %(“A:A Z, Z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 "„ #„
 0   Y
%(“이므로 $%“ 이를 4이라 하면 44이다. ZH Y


따라서 4 4는 직사각형
 
곧, "#“ 이므로 MPHAC , C 0###에서 직사각형 0"""를 뺀 부분의 넓이이므로
 
 4 4 
∴ L C 


37
"%“A:A%&“A:A이고, 두 직사각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ZMPHBA Y C
에서 Y CBZ
$%“A:A%(“A:A
Y와 Z를 바꾸면 ZBYC

또 %(“이므로 $%“ 따라서 ZMPHBA Y C
는 ZBYC의 역함수이고,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다.
"#“ 이므로 "의 Y좌표를 B라 하면 Z
 교점의 Y좌표가 , 이므로 오른쪽 Y
ZB C ZY
  그래프에서 교점의 좌표는 , 
, 
MPHAB ∴ B 

, 
이다.

또 $(“ 이므로 $의 Y좌표를 D라 하면
 ZBYC의 그래프가 점 , 
을 ZMPHBA Y C

 지나므로 0
MPHAD ∴ D  Y
 BC ∴ C
 ZBYC의 그래프가 점 , 
를 지나므로
이때 "%“DB , %&“ "%“

B ∴ B
따라서 &의 Y좌표는 D  
∴ B C  B
 C 
 


34 38
" , MPHA
이므로 1 MPHA, MPHA
B, C, G 
이므로
∴ 01“ā MPHA
 MPHA
  MPHA 
 @, ∴ ,
Y

또  에서 YMPHA이므로
초 후 "의 온도는
# MPHA, 
, 2 MPHA, MPHA

 
∴ 02“ā MPHA
 MPHA
  MPHA G 
 @, @[ ]  ②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1

⤿⥗⥸⥇⥏⤼⥗⤿⥡⥸⥅⥜⥎⥏⥤⥎⥐⥅⥓⥫QVLJ  ࿼ፎ"
정답 및 풀이

39 ㄷ. ZMPHÅ Y
MPHA Y

AN 떨어진 지점에서 MPHA\ Y


^

[ MPHA * ] ∴ MPHA* 이 그래프는 ZMPHA 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고
AN 떨어진 지점에서
ZMPHA Y
의 그래프는 ZY의 그래프를 직선 ZY
B[ MPHA *  ]  MPHA*
 ③ 에 대칭이동한 다음 원점에 대칭이동한 것이다.

따라서 ZY의 그래프와 겹쳐지는 것은 ㄱ, ㄷ이다. ④

ZMPHAY와 ZMPHA]Y]의 그래프


Z Z
ZMPHmAY ZMPHmA]Y]

0
step 0  Y   Y
실력 문제 27~31쪽

01 ② 02 ④ 03 ④ 04 ⑤ 05 ⑤
06 ④ 07  08 ④ 09 ⑤ 10 ①
. 11 ②
다 12 최댓값 : , 최솟값 :  13 ⑤
03
14 ④ 15  16 ④ 17 ② 18 ③
[전략] G Y
, H Y
는 각각 밑이 보다 큰 지수함수, 로그함수이다.
19  20  21 ④ 22 ② 23 ①
24  25  26  27 ② ㄱ. H Y
H Y
이면 YY이고 Z
ZG Y

28 
B , B  29 ③ 30 ② Y Y 이면 AG Y 
G Y 
이므
로 AG Y
G Y
이면 ZH Y

H Ym

01 H G Y

H G Y


H Y„

B
[전략] B, C
(이면 C 또는 BMPHAC로 고친 다음,
지수나 로그의 성질을 활용한다. Y„ Ym Y
0
C C B
ㄱ. B, 
(이면  
ㄴ. ZB@Y의 그래프를 직선 ZY에 대칭이동하면
∴ CMPHABB MPHA 참

Y
ㄴ. B, C
(이면 CB YB@Z, Z ∴ ZMPHAYMPHAB
B
  이 함수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이때  B
C B
MPHAB만큼 평행이동하면 ZMPHA Y 
이다. 참


∴ [B, ]( 참
ㄷ. G 
B, H 
이므로 Z
C ZG Y

ㄷ. B, C
(이고 D, E
(이면 
B 이면 AG 
H 


ZH Y

CB, ED
따라서 두 함수의 그래프는 만난 
이때 CEB@DB D이므로 B
다. 거짓

B D, CE
( 거짓
0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④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02
Y
04
[전략] ZMPHAY의 그래프는 Z 의 그래프를 직선 ZY에 대칭이동한 것
[전략] ZY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D, E, F를 Z축에 나타낸다.
이다.
Z
ZYÅ[ˆ ZY
 Y
ㄱ. Z@[ ]  Y
 F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는 함수 ZY의 그래프를 Z축에 대
칭이동한 후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 E ZMPHmAY

동한 것이다.

ㄴ. ZMPHA YY 
Z
D
 ZMPHmA]Y]
 MPHA Y
 B C D  E F Y
 0

MPHA|Y| 0  Y
직선 ZY를 이용하여 D, E, F를 Z축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이 그래프는 함수 ZMPHA]Y] 따라서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  B  E
[ ] F U❶ [ ] D U❷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2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C 
[ ] E U❸ MPHAFE U❹  
 
ㄱ. G [  ]MPHÅA MPHÅAMPH‘˜AAA 거짓

 E 
ㄱ. ❷에서 [ ] D 참


Z
 B
ㄴ. ❶, ❹에서 MPH [ ] E, BE ㄴ. ZMPHÅA[ Y  ]이라 하면 [  ]  Y 
 Y  Y

∴ B E 참
Z Y  , Z  
E
Y Y
ㄷ. ❹에서 F 이므로 ❷와 곱하면
 Z , Y 
 E Y Z 
DF[ ] @E 참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Y와 Z를 바꾸면 Z Y  
  Y
Y
∴ H Y
 참

Y
05 Y Y
ㄷ. ㄴ에서 H Y
 Y 이므로 H Y

[전략] ZG MPHAY
로 놓고 H G Y

Y를 이용하여 정리한다.  Y


Y
HxG
Y
Y이므로 ZG MPHAY
에서 분모, 분자에  을 곱하면
H Z
H G MPHAY

MPHAY  
H Y
 
  Y
Y 
YH Z

Y
Y와 Z를 바꾸면 ZH Y
 ⑤ ∴ H Y
H Y
  참

Y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06
Y
[전략]  U로 놓고, 먼저 U Z에 대한 식
으로 정리한다.

 09
ZYY에서 YU로 놓으면 U, Y 이므로
U [전략] 주어진 식에 Y 대신

을 대입하면
Y

ZU , UZU 좌변은 G [

]  G Y
임을 이용한다.
U Y
Z āZ 
U이므로 U
 G Y
 G [  ]MPHAY U❶
Y

Z āZ  Z āZ 
Y ∴ YMPHA[ ] ㄱ. ❶에 Y을 대입하면
 
G 
 G 
MPHA,  G 

Y āY 
Y와 Z를 바꾸면 ZMPHA[ ] ∴ G 
 참


∴ B, C, B C ④ ㄴ. ❶에 Y 대신  을 대입하면
Y

G [  ] G Y
MPHA[  ] U❷
07 Y Y
[전략] H B
C이면 G C
B, HxH
B
C이면 BG G C

, U ❶ ❷를 하면

G 와 H가 역함수이므로 GxH
Y
Y이다.  G Y
G [  ] MPHAY MPHAY
Y
HxHxHxHxH
Y
에서
Gx HxHxHxHxH

Y
G 
∴ G Y
G [  ] 참

Y
∴ HxHxHxH
Y
G 

ㄷ. ㄴ에서 G [  ]G Y
를 ❶에 대입하면
같은 이유로 HxHxH
Y
 GxG

Y
⋮ G Y
G Y
 MPHAY, G Y
 MPHAY
Y GxGxGxGxG

∴ G YN
 MPHAYNN MPHAYN G Y

 GxGxGxG
G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GxGxGxG


 GxGxG


 GxG

G 
  10
Y Y  Y Y 
[전략]  
@   이므로
Y YU로 놓고 U의 범위부터 구한다.
08 Y YU라 하면 Y Y  Y Y
이므로
Y   
[전략] H Y
는  [ ]임을 이용하여 구한다. ZU U L U 
 L U❶
Y  Y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3

⤿⥗⥸⥇⥏⤼⥗⤿⥡⥸⥅⥜⥎⥏⥤⥎⥐⥅⥓⥫QVLJ  ࿼ፎ"
정답 및 풀이

그런데 또 ƒYƒ에서 ƒG Y


ƒ이고
UY YyāY@Y  H G Y

B G Y
의 밑이 보다 작으므로
단, 등호는 YY, 곧 YY, Y일 때 성립
H G Y

의 최댓값은 G Y
일 때 H 
B이다.
따라서 U일 때 ❶은 최소이다. 
최댓값이 같으므로 B, B
최솟값이 이므로   L ∴ L ① 

B이므로 B


11  
따라서 B값의 합은   ⑤
 
[전략] MPHAY MPHYAU로 놓고 G Y
를 U로 나타낸다.
그리고 U의 범위를 구하여 G Y
의 최솟값을 구한다.

MPHAY MPHYAU라 하면 14
U MPHAY
 MPHYA
  
[전략] 조건식에 착안하여 MPHAY ZL로 놓고

이므로 L의 최댓값, 최솟값부터 구한다.


이때는 MPHAY9, MPHAZ:라 하고 계산하는 것이 편하다.
G Y
UU U
 U❶
또 Y에서 MPHAY이므로 MPHAY9, MPHAZ:라 하면 주어진 식은
Uy‚MPHAY@MPHYA 9 :9 :
단, 등호는 MPHAYMPHYA일 때 성립
∴ 9
 :
 U❶

따라서 U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❶에서 
™A 또 MPHAY Z MPHAY MPHAZ이므로
② 9 :L U❷
라 할 때 L의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면 YZ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12 직선 ❷와 원 ❶이 만나면 ❶의 중심 , 
과 ❷ 사이의 거리가
[전략] 지수에 MPHAY가 있으므로 양변에 밑이 인 로그를 잡는다.
반지름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G Y
Y MPHfAY의 양변에 밑이 인 로그를 잡으면 ]@ L] :
ƒ
MPHA G Y
MPHA MPHAY MPHfAY }x 
  MPHAY
MPHAY ]L]ƒ 

MPHAYU라 하면 ∴ ƒLƒ
0  9
MPHA G Y
UU  U
  곧, ƒMPHAYZƒ이므로
 ƒYZƒ
또 ƒYƒ에서 ƒUƒ이므로
 ∴ MPHANOMPHA ④
U일 때 MPHAG Y
의 최댓값은 이고 G Y
의 최댓값은
이다.
U일 때 MPHAG Y
의 최솟값은 이고 G Y
의 최솟값은 이다. 15
최댓값 : , 최솟값 :  [전략] 1 B, C
라 하고 1)“, 1,“를 B, C로 나타낸다.
또 1가 선분 "# 위에 있음을 이용하여 B, C의 관계를 구한다.

직선 "#의 방정식은 ZY 이므로


13 1 B, C
라 하면 B C U❶
[전략] B일 때와 B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이때 점 )의 Y좌표는 CMPHAY에서 YC 
 Y
G Y
 Y
, H Y
B ∴ 1)“C B
Œ B일 때 또 점 ,의 Z좌표는 ZB
   
ƒYƒ에서 B ƒH Y
ƒB 이고, B B 이므로 ∴ 1,“BC
G H Y

의 최댓값은 H Y
일 때 G 
이다. ∴ 1)“ 1,“C B BC
또 ƒYƒ에서 ƒG Y
ƒ이고 B C  ∵❶

G Y

H G Y

B 의 밑이 보다 크므로 y}xB@C 



H G Y

의 최댓값은 G Y
일 때 H 
B 이다. }xB C 

최댓값이 같으므로 B }x 
B이므로 B 단, 등호는 BC 일 때 성립

 B일 때 B C이므로 B, C일 때 최솟값은 이다. 


ƒYƒ에서 BƒH Y
ƒB이고, BB이므로
G H Y

의 최댓값은 H Y
일 때 G 
이다. ❶에서 1 B, B
라 하고 풀어도 된다.

24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16 Œ CB  CB Ž CB
[전략] 직선 ZY를 이용하여 Z축 위에 표시되는 B, B, B을 Y축 위에 나타 Z ZB
Y
Z ZB
Y
Z
낸다.
Z ZY Y
ZC Y
ZC
Y ZB

 0 Y 0 Y 0 Y Y
ZC
G B„
Bm
G Bf
Be ㄱ. 위 그래프에서 O이면 BOCO 참

G Bm
Bf
ZG Y

ㄴ. CB일 때, G O
H O
일 수 있다. 거짓


B„ Bf Bm Y
ㄷ. G O
H O
이면 BOCO이므로 BC

0
∴ BMÅ C
MÅCMÅ 참

직선 ZY를 이용하여 Y축에 B을 나타낸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BG B
을 Z축에 나타내고 직선 ZY를 이용하여 B를 Y축에
나타낸다.
BG B
를 Z축에 나타내고 직선 ZY를 이용하여 B을 Y축에
19
나타낸다.
[전략] ZG Y
와 ZH Y
의 그래프가 ZH Y
YB ZG Y

BG B
을 Z축에 나타낸다. 직선 YB에 대칭이면 U U
∴ BBB ④ G B U
H BU

역도 성립한다.

B이고 ZG Y
와 ZH Y

17 그래프는 직선 Y에 대칭이므로 Y
ZG Y
ZH Y

B 
[전략] H Y
에서 밑 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한다. G U
H  U


ZG Y
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고, ZH Y
의 그래프는 점 BC U
BC  U

, 
을 지난다. C U
C  U

B  y  
또 B는 자연수이므로 이다. ∴ C U  U Y
  
Z Z Z ZH Y

ZG Y
ZG Y
이때 G 
B, H 
B이므로 B B

ZG Y

ZH Y

   BB , B


B

ZH Y


0 Y 0 Y 0 Y B이므로 B

[그림 ] [그림 ] [그림 ]  
∴ B C  
 B   
Œ ƒ 일 때
 
[그림 ]과 같으므로 한 점에서 만난다. ZG Y
와 ZH Y
의 그래프가 직선 Y에 대칭이므로 G 
H 
이다.
B  
 일 때 BCBC, CC ∴ C
 

H Y
이므로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한 점에서
만난다.
B  20
Ž  일 때
 [전략] 1, 2, 3의 좌표를 구한 다음,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한다.
[그림 ]와 같으므로 한 점에서 만난다. 2의 Y좌표를 R라 하면 R, R
B  y일 ∴ 2 , 

 때

3의 Y좌표를 S라 하면 BS, SMPHBA
[그림 ]과 같으므로 만나지 않는다.
∴ 3 MPHBA, 

 B 
Œ ~ 에서 ƒ  1 , 
이므로 직각삼각형 123에서
 
따라서 자연수 B는 , , , 이고 합은 이다. ②  
\ MPHBA
 ^ MPHBA

MPHBA, B
 
∴ [ ]  B
 
18 B
Y Y
[전략] B, C가 보다 클 때와 작을 때로 나누어 ZB , ZC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직선 12와 13의 기울기의 곱이 임을 이용해도 된다.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5

⤿⥗⥸⥇⥏⤼⥗⤿⥡⥸⥅⥜⥎⥏⥤⥎⥐⥅⥓⥫QVLJ  ࿼ፎ"
정답 및 풀이

21
[전략] ", #, $, %의 좌표를 구하면 어떤 사각형인지 알 수 있다. Z
ZY
" , 
이므로 $의 Z좌표는 이다. ZMPHmAY
#f
ZY에 대입하면 Y, YMPHA "e
#m
∴ $ MPHA, 
"f

Z@Y과 ZY에서 0 "m
B D
@YY, Y Y
 C E Y
Y Y "„
 이므로   ∴ YMPHA
Z@ 에 대입하면 Z@MPHmA
Y
G Y
는 ZMPHAY의 역함수이고
∴ # MPHA, 
MPHACB, MPHADC, MPHAED
%의 Z좌표가 이므로 ZY에 대입하면 이므로
Y, YMPHA MPHA CG B

∴ %  MPHA, 
DG C
 GxG
B

"$“#%“MPHA이므로 사각형 "$%#는 평행사변형이고 넓 EG D


 GxG
C

이는  MPHA이다. ④ 위 그림의 사다리꼴의 넓이는



C D
ED


22 
 \ G B
G C
^\ GxG
C
 GxG
B
^

[전략] ZG Y
의 그래프가 Y축, Z축과 만나는 점, 점근선을 이용하여
Z]G Y
]의 그래프를 그린다.

 
G 
[ ] 
 24
또A G Y
에서 [전략] Z MPHAY의 그래프는 ZMPHAY의 그래프를 Z축 방향으로 배한
Y  
  , Y , Y 꼴임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의 비를 생각한다.
ZG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Z "#“A:A"$“A:A이므로 △"&$△"%#
Z‹G Y
‹
직선 Z이므로 Z]G Y
]  
∴ #%&$△"%#@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L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또 % B, 
이라 하면 '의 Z좌표는 MPHAB이다.
ZL가 제사분면에서 만나면 #의 Z좌표는 MPHAB MPHAB이므로 %#“%'“
L이므로 자연수 L의  0 Y 같은 이유로 &$“&(“
개수는  
∴ #'($ × #%&$ @ 
 
 ②

23 25
[전략] 직선 ZY에 대칭이동하면 주어진 사다리꼴과 합동인 도형을 곡선 [전략] "O, #O, $O의 좌표를 O으로 나타내고, 4O, 5O을 구한다.
ZG Y
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O의 Y좌표를 B라 하면
Y
Z 은 ZMPHAY의 역함수이므로 Z MPHAB O, BO
E ZG Y

ZG Y
와 ZMPHAY의 그래프는 직 ∴ "O O, O

선 ZY에 대칭이다. #O의 Y좌표를 C라 하면


따라서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사각형 MPHACO, CO
ZY
의 넓이를 구해도 된다. ∴ #O O, O

CG B
D $O의 Y좌표를 D라 하면
DG C
 GxG
B
C MPHA DO
O, DO O
EG D
 GxG
C
B ∴ $O O O, O

0 B C D Y
이므로 사다리꼴의 넓이는 이때
  
C D
ED
4O @O@"O#O“ O OO

  
  
 \G B
G C
^\ GxG
C
 GxG
B
^

①  O@O 
 O@O
 

26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가 ZY 위의 점이므로 N
5O @O@#O$O“ O O OO
 O@O
   
∴ N
  
5O4O이므로 O@O@ O@O
  또 $ , 
가 직선 ZOY 위의 점이므로 O
O@O, OO  
∴ N O ②
OO  ∴ O  

28
[전략] 정사각형의 한 꼭짓점을 B, C
로 놓고, 각 꼭짓점을 O을 이용하여 나
26
타낸 후 주어진 로그함수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전략] 1 Q, MPHBAQ
, 2 R, MPHBAR
로 놓고, 선분 12가 지름임을 이용한다.
Bf, Be에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거나 이고, 꼭짓점의
1 Q, MPHBAQ
, 2 R, MPHBAR
QR
라 하자.
좌표가 모두 자연수인 정사각형의 변은 좌표축에 평행하다.

선분 12의 중점이 원의 중심 [ , ]이므로 가
에서 정사각형의 꼭짓점의 좌 ZMPHmAY
 1 B AC O

B O AC O

Q R  MPHBAQ MPHBAR 표를 그림과 같이 놓을 수 있고,


 , 
   나
에서 1는 곡선 ZMPHAY의 ZMPH„gAY

 위쪽에, 2는 곡선 ZMPHAY의A B AC
2 B O AC

Q R , MPHBAQR

아래쪽에 있어야 한다.

곧, Q R , QR이므로 MPHABC O, CMPHA B O


 BC O, B OC
Q, R는 이차방정식 U U 의 실근이다.
 ∴ COBC O

U U 에서 U
U
 Œ O일 때 CBC 
 C이면 B ∴ B, 
QR이므로 Q, R
 C C 
Cy이면   이므로 가능한 B는 없다.

이때 1 , MPHBA
, 2[ , MPHBA]이고,
  O일 때  BC C

` C이면 B ∴ B, U, 


원의 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Cy이면 CC 이므로 가능한 B는 없다.
  `  Œ, 에서 B, B B, B
[ ] \MPHBA MPHBA
^[ ]
 
MPHBA
, MPHBA†
B이므로 MPHBA ∴ B  29
) L


주어진 자료를 77@[ ] 에 대입하면
)
 L

" 지역에서 @[ ] U❶

27  L


[전략] 다음 두 가지를 이용한다. # 지역에서 CB@[ ] U❷



Y
. Z 과 ZMPHAY의 그래프가 직선 ZY에 대칭이다. 
❶에서  L

. △0"$와 △0#%는 닮음이고 닮음비가 A:A이다.
  
C
선분 "$와 #%가 평행하므로 △0"$와 △0#%는 닮음이고, ❷에서  L  
L   L
 ③
B
넓이의 비가 A:A이므로 0"“"#“이다.
따라서 "의 Y좌표를 B라 하면 ", #가 직선 ZNY 위의 점이
므로 " B, BN
, # B, BN
이다. 30
또 ", #가 곡선 ZMPHAY 위의 점이므로 , 만
이고, 인구가 만 명에서 만 명이 될 때까지 년
BNMPHAB, BNMPHAB 이 걸렸으므로
두 식에서  MPHABMPHAB  

$MPHA ∴ $
 
MPHAB MPHAB, B B  
MPHA
B이므로 B ∴ " , N
인구가 만 명에서 만 명이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 5는
Y
Z 과 ZMPHAY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므로 $와 "   

5
 @MPHA  
MPHA  

는 직선 ZY에 대칭이다.

∴ $ N, 
 @MPHA ②
MPHA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7

⤿⥗⥸⥇⥏⤼⥗⤿⥡⥸⥅⥜⥎⥏⥤⥎⥐⥅⥓⥫QVLJ  ࿼ፎ"
정답 및 풀이

 
step 최상위 문제 32~33쪽 MPHA NMPHA N
   
M  MPHA
N N N 
01 ⑤ 02 ④ 03  04 ③ 05 ④
[ ]
 
06  07  08  따라서 M M이다. 거짓

  Z
01 ㄷ. MPHA NMPHA
 
%
[전략] 1 B, B
로 놓고, 4A:A 4A:A임을 이용하여 B의 값이나 B에 대한
∴ N
식부터 구한다. $
  #
이때 %[ , MPHA ]이므로
직선 ZY 위의 한 점 1를 Z Z
Y
  "
ZY
B, B
B
라 하면 "
#, %의 Z좌표의 차는
B B 0 Y
" B, 
, #  , B
이므로   
MPHA MPHA MPHA
  

  4 B BB
4m
#, "의 Z좌표의 차는
 4„ ZMPHmAY
1 4f #   

4 @B BB
MPHA MPHA MPHA
  
 0 Y
 #$“ 는 Y축에 평행하므로 삼각형 $"#의 넓이와 삼각형
  4 BB
BB

 $#%의 넓이는 같다. 참

4A:A 4A:A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BB
 BB
∴ BB
이때 4B, 4mB이므로 03
4A:A4mA:AL에서 L ⑤ [전략] ZG Y
, ZH Y
의 그래프를 그린 다음, 필요한 조건을 찾는다.


Y에서 Y ZG Y

 Z

G 
, G 
이므로
ZH Y

02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전략] ZMPHA]Y]와 ZMPHA Y N
에서 Z를 소거하면 교점의 Y좌표 에서 파란 곡선이다.
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H 
, H 
이면 
Z 조건을 만족시킨다. 0   Y
ZMPHmA Y
ZMPHmAY 
O
H 
에서  

% S AT
H 
에서 O , O
$ Q AR


ZMPHmA Y N
ZMPHmA Y 

" # 따라서 O 에서 자연수 O은 , , 이므로 합은 이다.

Y„ Ym Y
0

ㄱ. ZMPHA]Y]와 ZMPHA Y N
에서
04
MPHA]Y]MPHA Y N
Y
[전략] B U로 놓으면 G Y
H Y
는 U에 대한 이차함수이다.
]Y]Y N, †YY N
G Y
H Y
BYBY  에서 BYU라 하면
N N
∴ Y 또는 Y G Y
H Y
UBU  U

 
N  N  ㄱ. B 일 때
N이므로 Q  , S  참

    G Y
H Y
 U
y
  
ㄴ. N일 때 Y 또는 Y 이므로 이때 U 이면 
Y ∴ Y
  
    
"[ , MPHA ], #[ , MPHA ] G Y
H Y
y이고 G Y
H Y
의 해가 Y 이므로
    
따라서 직선 "#의 기울기를 M이라 하면 ZI Y
의 그래프는 Y축과 한 점에서 만난다. 참

  ㄴ. B일 때 Z
MPHA MPHA ZI U

   
M  MPHA G Y
H Y
 U

   
[ ]
  이므로 ZI U
의 그래프는 그 

N  N  림과 같다.
또 $[ , MPHA N], %[ , MPHA N]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를 M라 하면 Y Y  에서  Å이므로 0    U
 

28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ZMPHA Y 
에서 YZ이므로 ZY은
예를 들어 UY„, UYm 인 Y, Y를 잡으면
 ZMPHA Y 
의 역함수이다.
I Y
I Y
이다. 거짓
따라서 [그림 ]에서 색칠한 부분은 "O과 같다.
ㄷ. UBU 에서 UBU  Z Z ZˆA 
ZˆA

%B  ZO ZO

B이므로 B "‰  4 ZˆA

따라서 B이면 G Y
H Y
 U
y
이때 UY에서 Y

따라서 Y일 때만 G Y
H Y
이므로
0 Y 0 Y
I Y
의 해는 Y뿐이다. 참

[그림 ] [그림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곧, G O
H O
은 [그림 ]에서 색칠한 부분 4 실선 부분 포함,
점선 부분 제외
에 포함되고 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수이다.
그런데 곡선 ZY 은 곡선 ZY을 Z축 방향으로 만큼
05
B B
평행이동한 곡선이므로
[전략] 은 점 1와 점 , 
을 잇는 직선의 기울기이고, 은 점 1와
B B Y일 때, 4에 속하고 Z좌표가 정수인 점은 개
원점 0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Y일 때, 4에 속하고 Z좌표가 정수인 점은 개
ㄱ. B, C이므로 C B
B C
이면 Y일 때, 4에 속하고 Z좌표가 정수인 점은 개
B C ⋮
 U❶ Z
B C ZˆA 
B
따라서 œ 
ZO
 
은 두 점 1 B, B
, Z Y ƒG O
H O
ƒ이면
B Z

"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오른쪽 그림에서
2 ZˆA
C  ƒO š 
ZO
이고 은 두 점 2 C, C
,
C " O은 자연수이므로 개수는 
1 
"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이다.  0      Y
B 0 C Y
이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❶이 성
립한다. 참
ZMPHA Y 
에서 YZ이므로 Z ZˆA
B O
 Y
Z 은 ZMPHA Y 
의 역함수
ㄴ. 은 두 점 1 B, B
, 0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
B
이다. "‰
C
고, 은 두 점 2 C, C
, 0 , 
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 따라서 "O은 [그림 ]에서 색칠한 도형과
C
이다. 같다.
B C B C 이때 곡선 ZY 은 곡선 ZY을 0 Y
따라서  @ 이 Z Z
Y

BC B C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림 ]


면 01“⊥02“이다. [그림 ]에서 #O 부분과 파란색 부분의 Z
ZˆA 
이때 점 1가 오른쪽 그림과 같이 O 
도형은 "O과 같다. 곧, G O
H O 


1
점 , 
에 충분히 가까우면 ƒG O
H O
ƒ에서 O
01“⊥02“를 만족시키는 양수 C가 0 Y ƒH O 
H O
ƒ이고 #‰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Z좌표가 O , O , O , O 이고

ㄷ. 모든 양수 C에 대하여 오른쪽 그림 Z Z
Y
Y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수가  이상 
과 같이 01“⊥02“를 만족시키는 이하이다.
2 0 Y
음수 B는 항상 존재한다. 참

 [그림 ]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
④ Y일 때, Y 이므로 좌표가 정 Z ZˆA 
0 Y
수인 점은 개 

따라서 O이면 Z좌표가 O , O , 


O , O 이고 Y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 

수는 @ 이상이다. 
06 Y일 때, Y 이므로 좌표가 정
Y
[전략] ZMPHA Y 
의 역함수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Z 과 겹 0    Y
수인 점은 개
쳐짐을 이용한다.

0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29

fጄ73QVLL!  ࿼႖"
정답 및 풀이

Y일 때, Y 이므로 좌표가 정수인 점은 개 08


따라서 O 이면 Z좌표가 O , O , O , O 이고 [전략] ZMPHAY와 ZMPHAY의 그래프를 그리고 C, , , U으로 나누

Y좌표가 정수인 점의 개수는 @ 이다. 어 조건을 만족시키는 B의 값을 생각한다.


Z
그러므로 O y이고 O 에서
ZMPHmAY
ƒO이므로 개수는 이다. 
 ZMPHfAY

07 0    ™ š ™ Y
[전략] 두 곡선과 직선 Z의 교점은 , 
, , 
이다.
따라서 곡선의 그래프를 그리고, 두 곡선의 교점의 Y좌표의 범위를 Œ C일 때 위 그림에서 가능한 경우가 없다.
나누어 생각한다.
 C일 때 위 그림에서 B이다.
Y
곡선 Z 과 직선 Z의 교점은 , 
, Ž C일 때 위 그림에서 B,  , U, 이다.
Y 
곡선 ZB 과 직선 Z의 교점은 , 
이다. Z
Y Y  Y 
Z , ZB 의 교점의 Y좌표를 L라 하고 G Y
B 이 
ZMPHmAY

라 하자. 
 ZMPHfAY
Z Z Zˆ Z
Zˆ Zˆ 


 ™
ZG Y
ZG Y
ZG Y

0 š ™ › š œ  › Y

  
   C일 때 B , U,  이다.
0   Y
L 0    Y 0     Y  C일 때 B, U, 이다.
L L
‘ C일 때 B, U, 이다.
[그림 ] [그림 ] [그림 ]
’ C일 때 B, U, 이다.
Œ L일 때 [그림 ]
] Cy인 경우는 없다.
Y가 , , 일 때 가능한 정수 Z는 개 이하이므로
Œ ~]에서       개

Y가 , , , , 일 때 정수 Z의 개수는
    
이하이다. 따라서 가능한 B는 없다.
 ƒL일 때 [그림 ]
G 
y, G 
이므로
By, B U❶
Y가 , , , , 일 때 정수 Z의 개수는
  B B B B 
따라서 ƒB B ƒ에서
ƒB B 
ƒ U❷
❶, ❷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B는 없다.
Ž ƒL일 때 [그림 ]
G 
y, G 
이므로
By, B U❸
Y가 , , , , 일 때 정수 Z의 개수는
   B B 
ƒB ƒ에서
ƒBƒ U❹
❸, ❹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B는 , , , U, 이다.
 ƒL일 때
G 
y이므로 B U❺
Y가 , , , , 일 때 정수 Z의 개수는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Œ~
­ 에서 B의 개수는 이다. 

30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fጄ73QVLL  ࿼႖"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06
YU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U™AU B U❶
step 기본 문제 35~38쪽
U이므로 ❶이 서로 다른 두 양의 실근을 갖는다.
01  02 ⑤ 03 ③ 04  05  Œ ❶의 판별식을 %라 하면
06 ③ 07 ⑤ 08 ⑤ 09 ⑤ 10 ③
%
11 ① 12  13 ⑤ 14  15 ① B에서 B

16  17 ② 18 ③ 19  20 
 두 근의 합

21  22 B, C 23  24 ①
Ž 두 근의 곱
B

25 ② 26  27  ƒBƒ 28 ③
Œ, , Ž에서 B이므로 정수 B의 개수는 이다.
29 ⑤ 30 ⑤ 31 ⑤ 32 ① ③

01
Y™AY Y
[] [  ] , Y™AYY 07
 
MPH‘™AA Y
MPH‘˜AA Y

∴ Y™AY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 >, =>이므로  MPHA Y
MPHA Y


=™A >™A = >
™A=>  MPHA Y
 MPHA Y

MPHA Y
MPHA Y

 Y
 Y
, YY 
02
∴ Y 또는 Y
Œ Y이면 성립한다.
진수 조건에서 Y이고 Y이므로 Y
 Y 일 때 YY , Y
Y 

∴ Y ⑤
Y이므로 Y
따라서 방정식의 해의 합은 이다. ⑤
08
MPHAY
MPHAY

03 MPHAYU라 하면
YY의 양변에 상용로그를 잡으면
U
U
, UU
MPHAYMPHAY, Y MPHA Y
MPHA
∴ U 또는 U
Y MPHA MPHA
MPHA

MPHA MPHAY일 때 Y
∴ Y ③ 
 MPHAMPHA
MPHAY일 때 Y
따라서 두 근의 곱은  ⑤

04
YU라 하면 Y U™A, Y U이므로
09
주어진 방정식은
YMPHmAYY의 양변에 밑이 인 로그를 잡으면
U™AU, U
U 

MPHAYMPHmAYMPHAY™A
U이므로 U
MPHAY
 MPHAY 
Y =
 이므로  
MPHAYU라 하면
∴ = =
™A™A 
UU ∴ U 또는 U

MPHAY일 때 Y

05 MPHAY일 때 Y
YU라 하면 YU, Y U이므로
따라서 두 근의 곱은  ⑤
주어진 방정식은
UU L U❶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 >라 하면 10
= >
❶의 두 근은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Y9, Z:라 하면
=@>L, = >L 9:, 9:
= >이므로 L  
 연립하여 풀면 9, :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31

⤿⥗⥸⥇⥏⤼⥗⤿⥡⥸⥅⥜⥎⥏⥤⥎⥐⥅⥓⥫QVLJ  ࿼ፎ"
정답 및 풀이

Y, Z이므로 Y, Z BU라 하면 U U 


∴ BC ③ ∴ U †
B에서 B이므로 U 

11 B , B  
 
YZ에서 YZ U❶
∴ "#“  
  

MPHAY
MPHAZ
에 ❶을 대입하면
MPHAZ
MPHAZ

 MPHAZ
 MPHAZ

15
MPHAZ
  MPHAZ  Y

MPHAZ 
™A, MPHAZ " L, L
이고 ZY과 Z[  ] 의 그래프가 Z축에 대칭이므로

  # L, L

Z 이므로 Y
  L

 또 $[L, [  ] ], % , 
이므로
∴  ① 
BC

△"#% @L L


 L
12 △"%$ L<L[  ] =
 
B C B C
  L라 하면 △"#%A:A△"%$AA:AA이므로
MPHBAC  MPHCAB 
  L
BL MPHBAC U❶ @ @L L
@ L<L[  ] =
  
CL MPHCAB U❷
L 이므로 @ L
@ LL

B CL U❸
L @L
❶, ❷를 ❸에 대입하면
LU라 하면 U™AU 
L MPHBAC L MPHCABL, MPHBAC  MPHCAB
L에서 U이므로 U
MPHBACU라 하면
곧, L이므로 LMPHA ①

U , U™AU 
U
BC에서 U이므로 U
∴ MPHBAC  16
Y L에서 YMPHA L

∴ " MPHA L


, L

13 Y
 L에서 YMPHAL
ZY에서 Z이면 Y이다. Z Y
Z] ]
∴ # MPHAL, L

따라서 Z|Y|의 그래프는 그림과 


선분 "#를 A:A로 내분하는 점이 Z축 위에 있으므로
같다. ZL
 MPHAL MPHA L

이 그래프가 직선 ZL와 만나는 점의 Y =0 Y 


 >  

좌표가 =, >이므로 =>이면 L MPHAL MPHA L

⑤ L L
, LL 
진수 조건에서 L이므로 L 

14
B
", #의 Y좌표가 B이므로 " B, B
, #[B, [  ] ]

17
선분 "#의 중점의 Z좌표가  이므로 YƒY 이므로
B B
 
 , B B YƒY , Yƒ 


"#“BB이므로 따라서 자연수 Y는 , , , 이고 합은 이다. ②

"#“  BB
 B B
@B@B

∴ "#“ 
18

B B 에서 B @B  YU라 하면 U  ƒ


U

32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U이므로 양변에 U를 곱하면 U™A ƒU 따라서 이차부등식은
Y
Y
, YY 
U
U
ƒ,  ƒUƒ
 ∴ B, C B, C
 ƒYƒ, ƒYƒ

∴ ƒYƒ 23
Œ 진수 조건에서
따라서 정수 Y는 , , 의 개이다. ③
Y Y이므로 Y 또는 Y U❶
또 Y이므로 Y  U❷
19 
 MPHA Y Y
MPHA Y
에서
Y™A B C
Y BC 에서 Y YY, Y Y
YB
YC
, BYC ∴ Y U❸
∴ "\Y|BYC^ ❶, ❷, ❸에서 Y
Y @Y 에서 YU라 하면 ∴ = >  
U U ,  U


24
Y, Y Y 

∴ #\Y]Y^ Œ [] Y™A에서 YY™A



" #이므로 ƒB이고 Cƒ Y Y™A, Y™AY
따라서 CB의 최댓값은  
  ∴ Y 
 MPHA|Y|ƒ에서
|Y|ƒ, ƒYƒ
20
Œ 진수 조건에서 |Y| 이므로
ƒY 또는 Yƒ
Y, Y이므로 Y  U❶
 Œ, 에서 Y 또는 Yƒ이므로
  MPHÅAYMPHÅA Y
에서 정수 Y는 , , , , , 의 개이다. ①

MPHÅA YMPHÅA Y


25
밑이 보다 작으므로 방정식 Y™A B 
Y  B 
의 판별식을 %라 하면
 
Y Y, YY  %
 B 
™A B 
ƒ
 
∴ Y U❷ B 
B 
ƒ, ƒBƒ
❶, ❷에서 Y B이므로 Bƒ에서 Bƒ
∴ =>@  따라서 B의 최댓값은 이다. ②

21 26
 YU라 하면
MPHA\MPHA MPHAY
^ƒ 에서
 U UL
 Å
 MPHA MPHAY
ƒ , MPHA MPHAY
ƒ 따라서 이 부등식이 U에서 성립하면 된다.
MPHAYƒ™A, MPHAYƒ G U
U UL이라 하면 ZG U
Z
 
∴  Yƒ 
축이 U 이므로
따라서 정수 Y의 개수는   

G 
y이면 부등식이 성립한다. 
0 U
Ly ∴ Lƒ
22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이다. 
Œ 진수 조건에서
G Y
, H Y
이므로 Y U❶
27
 MPHAG Y
MPHAH Y
에서 Y Y
[MPHA ][MPHA ] y에서 MPHAYU라 하면
밑이 보다 크므로 G Y
H Y
B B
∴ Y U❷ UMPHAB
UMPHAB
y
❶, ❷에서 Y U MPHAB
U MPHAB
 y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33

⤿⥗⥸⥇⥏⤼⥗⤿⥡⥸⥅⥜⥎⥏⥤⥎⥐⥅⥓⥫QVLJ  ࿼ፎ"
정답 및 풀이

Y가 양의 실수이면 U는 실수이므로 이 부등식이 모든 실수 U에 대 ㄷ. Z


MPHmA O 
ZMPHmA Y 

하여 성립한다. MPHfA O 

방정식 U™A MPHAB


U MPHAB
™A 의 판별식을 %라  ZMPHfA Y 

하면 
 0 O Y
% MPHAB
\ MPHAB
 ^ƒ
MPHAB
ƒ, ƒMPHABƒ ZMPHA Y 
, ZMPHA Y 
의 그래프는 점 , 

  지나고 위의 그림과 같다.
∴ ƒBƒ ƒBƒ
 
∴ MPHA O 
MPHA O 

28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BC이므로 MPHBABMPHBACMPHBA
∴ MPHBAC U❶ 그림에서 옳은 것은 Z
MPHmA O 
ZMPHmAY
C, B 이므로 MPHCA B 
 U❷ ㄱ, ㄴ, ㄷ이다. MPHmA O 
ZMPHfAY
MPHfA O 

B C 이므로 MPHfA O 

MPHB A C 
 U❸ 0  O  O  Y

❶, ❷, ❸에서
MPHCA B 
MPHBACMPHB A C 

∴ #"$ ③ 31
일 후 갑의 체중은 @ .

29 일 후 갑의 체중은 @ .



H Y
MPHÅAYMPHAY

ㄱ. H Y
G Y
이므로 ]H Y
]]G Y
]
O일 후 갑의 체중은 @ .
O
∴ G |H Y
|
G |G Y
|

또 O일 후 을의 체중은 @ .


O
ㄴ. BC일 때 MPHABMPHAC이고
O일 후 을의 체중이 갑의 체중 이하가 된다고 하면
]H B
]]MPHAB]MPHAB
@.Oy@.O
]H C
]]MPHAC]MPHAC
양변에 상용로그를 잡으면
이므로
MPH @.O
yMPH @.O

]H B
]]H C
]
MPHA O MPHA.yMPHA O MPHA.
G Y
MPHAY는 밑이 보다 크므로
O MPHA.MPHA.
yMPHAMPHA
G |H B
|
G |H C
|

O  . .
y MPHAMPHA
ㄷ. BC일 때 G B
G C

.@Oy., Oy
H Y
MPHÅAY는 밑이 보다 작으므로
따라서 일 후부터이다. ⑤
H G B

H G C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32
30 현재 가격이 "이고 매월 BA씩 가격이 하락한다고 하면
ㄱ. Z B
ZMPHmAY 개월 후 가격은 "[ ]

MPHmA O 

MPHmA O 
B ™A
개월 후 가격은 "[ ]


0  O  O  Y B O
O개월 후 가격은 "[ ]


위의 그림에서 MPHmA O 
MPHmA O 

개월 후 A 하락하였으므로
B  B
ㄴ. Z ZMPHmAY   "[ ] "@. ∴  .Å
 
MPHmA O 
따라서 현재 가격이 만 원인 카메라의 O개월 후 가격은
MPHfA O 
ZMPHfAY
B O
[ ] @.- 만 원


0  O  Y 가격이 만 원 이하이면

위의 그림에서 MPHmA O 
MPHfA O 

@.-ƒ, .-ƒ


34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양변에 상용로그를 잡으면 ⑵ 양변에 밑이 인 로그를 잡으면
O  MPHAMPHsAY MPHAYMPHsAYMPHA
MPHA.ƒMPHA , O  MPHA
ƒ MPHA
  MPHAY@MPHA MPHAY@MPHAY
 MPHA
∴ Oy .@@@ MPHAYU라 하면
 MPHA
U MPHA U MPHA
U
따라서 최소한 개월이 지나야 한다. ①
U U MPHA

일정한 비율로 가격이 내리므로 처음 가격을 "라 할 때, 개월 후 가격은 ∴ U 또는 UMPHA
"S, 개월 후 가격은 "S, U, O개월 후 가격은 "SO이다. MPHAY일 때 Y
개월 후 가격이 ."이므로 
"S.", S.Å
MPHAYMPHA일 때 Y

이를 이용하여 풀어도 된다.

⑴ Y 또는 Y ⑵ Y 또는 Y


03
Y
[전략] @이므로 양변을  으로 나누고 정리하거나,
Y9, Y:로 놓고 푼다.

YY@Y이므로 주어진 식의 양변을 Y으로 나누면


Y Y  Y Y
step 실력 문제 39~42쪽 Y , [  ] @[  ] 
Y   
Y

01 ⑤

02 ⑴ Y 또는 Y ⑵ Y 또는 Y  [  ] U라 하면

03 ③ 04 ④ 05 ① U U, U
U 

   
06 ⑴ Y, Z  ⑵ Y  , Z 또는 Y, Z  U이므로 U


. 07 ② Y Y Y
08 < 09 ② Y

곧, [  ]  이므로
또는 < 또는 <
Z Z Z 

10 ② 11 ③ 12 

 YMPH!A MPHA ③
13 ⑴ Y 또는 Y ⑵ Yƒ
 14 ④ 
15 B, C 16 ② 17  18 ④
19 ④ 20 ⑤ 21  22 ③ 23 ④ Y Y Y을 정리하면
24 ③ Y@Y @ Y
™A Y
™A
Y9, Y:라 하면
01
[전략] H 
L라 하면 G L
이다.
9: 9:, :9
: 9

9, :이므로 :9
H 
L라 하면 G L
이므로
곧, Y@Y이므로
L@L
Y
L  [  ]  ∴ YMPHA
 U라 하면 U  
U
U™AU, U 
U

U이므로 U
04
따라서 L에서 L   
[전략] 주어진 방정식이 B C  B C
꼴임을 이용한다.
∴ H 
 ⑤
MPHAYB, MPHAYC라 하면
B C B C

02 B CB C BC B C

MPHAY MPHA
[전략] ⑴  Y 임을 이용한다.
BC B C

⑵ 밑과 지수에 모두 미지수가 있으므로 양변에 로그를 잡는다.
∴ MPHAY
MPHAY
MPHAY MPHAY

⑴ MPHAYYMPHA이므로 MPHAYU라 하면
Œ MPHAY일 때 Y
U U U
, U
U

 MPHAY일 때 Y
따라서 MPHAY 또는 MPHAY이므로
Ž MPHAY MPHAY일 때
  MPHAY 또는 MPHAY MPHAY
∴ Y 또는 Y MPHAY , MPHA 
MPHAY MPHA
MPHA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35

⤿⥗⥸⥇⥏⤼⥗⤿⥡⥸⥅⥜⥎⥏⥤⥎⥐⥅⥓⥫QVLJ  ࿼ፎ"
정답 및 풀이

MPHAYMPHmAMPHA, YMPHmA 
 MPHAY, MPHAZ일 때 Y, Z

MPHgA

∴ Y MPHmA 
  
⑴ Y, Z ⑵ Y , Z 또는 Y, Z
Œ, , Ž에서 실근의 개수는 이다. ④   

07
05 C
[전략] MPH BC
MPHABMPHACL로 놓고 정리한 다음 B 를 구한다.
[전략] 방정식 G Y
의 해가 =일 때,
YU로 치환한 방정식에서의 해는 =이다. MPHA BC
MPHABMPHACL라 하면
YL@Y  L 의 두 실근을 =, =라 하자. BCLL U❶
Y L L L
 U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B  , C U❷
L L L
U™ALU L  ❷를 ❶에 대입하면    U❸
이 방정식의 두 실근은 =, =이므로 C L
[  ] 이므로 ❸의 양변을 L으로 나누면
= =L U❶ B 
< = = L L
 @ L  U❷ [  ] <[  ] =™A
 
❷❶을 하면 L

=== [  ] U라 하면 U U



=T라 하면 TT™AT
U이므로 U  ②
T
T™A T 
 
T이므로 T, =
❶에 대입하면 L ™A 08
∴ L ① [전략] Y, Z가 양의 정수이므로
@
 정수
A꼴로 고친다.

MPHAYZMPHm A Y Z 
Å

 
MPHAY Z  MPHA Y Z 

06 YZ Y Z 

[전략] ⑴ 한 식을 정리하여 Y, Z에 대한 일차식을 찾는다.
Y, Z는 양의 정수이므로 YZY Z 
⑵ Y는 밑이 인 로그, Z는 밑이 인 로그로 정리한다.
Y
Z

Y@Z U❶
⑴ < Y Y Y
MPHA Y
MPHAZ U❷ ∴< 또는 < 또는 <
Z Z Z
Y Y
❷에서 MPHA ,  Y Y Y
Z Z < 또는 < 또는 <
∴ ZY U❸ Z Z Z
Z Z
❸을 ❶에 대입하면   이므로
Y Y 
 @  09

 [전략] MPHAYU라 하면 U ]U]UL
YU라 하면 U , U™AU
U 좌변을 G U
로 놓고 ZG U
의 그래프와 직선 ZL의 교점을 생각한다.
U이므로 U MPHAYU라 하면 U]U]UL
Y
곧,  이므로 Y U|U|UG U
로 놓으면 Z ZG U

 
❸에 대입하면 Z U U Uy

 G U
<
MPHAY MPHAZ U U U

 0  U
⑵ MPHAY
MPHAZ
 @ ZG U
의 그래프가 직선
MPHA MPHA ZL

MPHAY MPHAZ ZL와 네 점에서 만나려면
 @
MPHA MPHA™A L

MPHAY@MPHAZ 교점의 U좌표를 =, >, ?, @


=>?@
라 하면
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은
= >, ? @
MPHAY MPHAZ, MPHAY@MPHAZ
∴ = > ? @
따라서 MPHAY와 MPHAZ는 방정식 U™AU의 해이다.
이때 주어진 방정식의 네 실근은 =, >, ?, @이므로 네 실근의
이 방정식의 해가 U 또는 U이므로
곱은

 MPHAY, MPHAZ일 때 Y , Z B@>@?@@= > ? @ ②


36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10 
 Y 일 때 U❷
[전략]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 >라 하면

YU로 치환한 방정식의 두 근은 =, >이다. Y Y Y 
, YY
주어진 방정식의 두 근을 =, >A =, >
라 하자. ∴ Y 또는 Y
Y
 U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은 ❷와 공통부분은 Y

U LU L  
Ž Y 일 때 좌변
, 우변
이므로 성립하지

이 방정식의 두 근은 =, >이고 =, >이다.
않는다.
G U
U LU L라 하면

ΠG 
이므로 L Z Œ, , Ž에서 Y 또는 Y
ZG U

∴ L 또는 L ⑵ 진수 조건에서 YY , Y 
 G 
이므로 밑 조건에서 Y, Y 
L L 

0 = 
>
U ∴ Y 또는 Y
∴ L 
Œ, 에서 L ② 
Œ Y 일 때 U❶

YY yY , YYy
11 ∴ Yƒ 또는 Yy
Y Y Y Y
[전략]   U로 놓고 Z 과 Z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❶과 공통부분은 없다.
U의 범위를 구한다.
 Y일 때 U❷
YYU라 하면
Y Y ƒY , YYƒ


UY Y, Y YU 


∴ ƒYƒ
따라서 주어진 방정식은 U BU  U❶
❷와 공통부분은 Yƒ
ZY과 ZY의 그래프를 이 Z
Œ, 에서 Yƒ
용하여 ZYY의 그래프를 그 Y Y 
Z  ⑴ Y 또는 Y ⑵ Yƒ
리면 그림과 같으므로 U는 실수 전 Y
 
Z
체의 값을 갖는다. 0 Y
따라서 ❶이 실근을 가지면 
14
%By
Z
Y
[전략] G Y
, H Y
에 대한 부등식을 만들고 그래프에서 해를 찾는다.
이므로 양수 B의 최솟값은 이다.
 G Y
H Y
 H Y
 G Y
H Y
 H Y

③ [ ] y[ ] 에서 [ ] y[ ] 이므로
   
G Y
H Y
ƒH Y
, H Y
\ G Y
^ƒ
12 ΠH Y
ƒ, G Y
y일 때
Y
[전략]  U라 할 때, 주어진 부등식은 이차부등식이므로 인수분해할 수 있 H Y
ƒ에서 Yƒ
는 꼴인지부터 확인한다. G Y
y에서 Yƒ 또는 Yy
Y
 U라 하면 ∴ Yƒ

U  O 
U Oƒ, U
UO
ƒ  H Y
y, G Y
ƒ일 때
 H Y
y에서 Yy
곧, ƒUƒO이므로 ƒYƒO
 G Y
ƒ에서 ƒYƒ
이때 정수 Y가 개이므로 , , , U, 는 해이고 은 해가 아 ∴ ƒYƒ
니다. 따라서 자연수 Y값의 합은
따라서 ƒO이고 자연수 O의 최댓값은 이다.      ④

13
15
[전략] 지수, 로그 모두 밑의 범위가 보다 작을 때와 클 때로 나누어 푼다.
[전략] MPHAY
™AB MPHAY Cƒ의 해가 =ƒYƒ>일 때
 MPHAYU로 치환하면 해는 MPHA=ƒUƒMPHA>로 바뀐다.
⑴ Œ Y 일 때 U❶

 
 Y 에서 Y
™A@Y
Y

Y Y Y 
, Y Y
Y
Y 

∴ Y
Y 이므로 Y, Y

❶과 공통부분은 Y ∴ "\Y|Y^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37

⤿⥗⥸⥇⥏⤼⥗⤿⥡⥸⥅⥜⥎⥏⥤⥎⥐⥅⥓⥫QVLJ  ࿼ፎ"
정답 및 풀이

"#Δ, "#\Y|Yƒ^이므로 B 
 ƒ 일때
#\Y|ƒYƒ^이다. C 

MPHAY
™AB MPHAY Cƒ U❶ B이면 C, , U, 

에서 MPHAYU라 하면 B이면 C, 

UBU Cƒ U❷ By이면 가능한 C는 없다.

❶의 해가 ƒYƒ이므로 ❷의 해는 Œ, 에서 순서쌍 B, C


의 개수는 이다. 

MPHAƒUƒMPHA, 곧 ƒUƒ이다.
따라서 U
U
ƒ이 UBU Cƒ과 같아야 하므로 18
B, C B, C [전략] \MPHA
N O
\ƒMPHA 을 푼다.
 
O
16 이때는 MPHA

ƒ에 주의한다.
[전략] B 일 때 양변에 밑이 인 로그를 잡고 이차부등식의 성질을 생각한다.
N O
\MPHA \ƒMPHA 에서
Œ B일 때 YMPHmAYy은 항상 성립한다.  
 B 일 때 O O N O
MPHA ƒ이고, MPHA ƒMPHA ƒMPHA
MPHmAY    
Y yB™AY™A의 양변에 밑이 인 로그를 잡으면
O O
MPHAY
™Ay MPHAY MPHAB™A Œ MPHA ƒ에서  ƒ이므로
 
 MPHAYU라 하면 U™AUMPHAB™Ay
자연수 O은 , , 이다.
Y가 양수이면 U는 실수이므로 이 부등식이 모든 실수 U에 대하
O N O
 MPHA ƒMPHA ƒMPHA 에서
여 성립한다.   
방정식 U™AUMPHmAB™A의 판별식을 %라 하면 O N  
ƒ ƒ , OƒNƒ
%   O O
 MPHAB™Aƒ
 O일 때 ƒNƒ이므로 자연수 N은 개
 
MPHAB™Aƒ, B™Aƒ O일 때 ƒNƒ 이므로 자연수 N은 개
 
  O일 때 ƒNƒ이므로 자연수 N은 개
∴ ƒBƒ 단, B 

 
따라서 순서쌍 N, O
의 개수는 이다. ④

Œ, 에서 B의 최댓값은 이다. ②

N N N
MPHA , MPHA , MPHA 일 때로 나누어 풀어도 된다.
  
17
[전략] MPHAYU라 하면 U에 대한 방정식은 실근을 가진다.

Y C 19
[MPHA ][MPHA ]에서 Y
B Y [전략] Z 과 ZMPHAY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다.

MPHAYMPHAB
MPHACMPHAY
 따라서 평행이동한 그래프도 적당히 대칭을 이용할 수 있다.
Y
MPHAYU라 하면 Z 과 ZMPH AY의 그래프를 Z Z
YL
ZY
UMPHAB
MPHACU
 각각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ZMPHmAY L
U™A MPHAB MPHAC
U MPHAB@MPHAC  ZYL, ZMPHAY L이다. 그
이때 주어진 등식을 만족시키는 양수 Y가 있으면 이 방정식의 해 리고 두 함수는 역함수 관계에 있
가 있으므로 판별식을 %라 하면 으므로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
0 B C Y
% MPHAB MPHAC
™A MPHAB@MPHAC 
y 칭이다.
MPHABMPHAC
™A™Ay 교점을 B, B
, C, C
BC
라 하면 두 점 사이의 거리가
B B  이므로
[MPHA ][MPHA ]y
C C
ā CB
 CB
  ,  CB

B B
MPHA y 또는 MPHA ƒ ∴ CB 
C C
따라서 교점은 B, B
, B , B 
이다.
B B 
∴ y 또는 ƒ 두 점이 곡선 ZYL 위에 있으므로
C C 
B BBL U❶
Œ y일 때
C B  B L
U❷
C이면 B, , U,  ❷에서 B  @  BL
이므로 ❶을 대입하면
C이면 B,  
B @B ∴ B
Cy이면 가능한 B는 없다. 

38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❶에 대입하면
 
!L, LMPHA
 21
   [전략] 길이의 비를 이용하여 좌표를 나타낸다.
 
∴ L MPHA "#“A:A#$“A:A$%“A:AA:A이 Z ZMPHmA Y 

 
므로 #, $, %의 Y좌표를 각 M
 "
  MPHA
#
 각 L, L, L라 할 수 있다. ZMPHeAAY
 $
 #와 $의 Z좌표의 비가 A:A
 MPHA ④ %

이므로  0 L L L Y


점 B, B
, B , B 
가 ZMPHAY L 위의 점이므로 MPHA L 
MPHAL

BMPHAB L, B MPHA B 
L
 
이 식을 연립하여 풀어도 된다. MPHA L 
 MPHAL
 
L L ∴ L
따라서 %의 Y좌표는 L 
20
Y 
[전략] 방정식  [ ] L의 해는 교점의 Y좌표이다.
Y
" , C
, % B, 
이라 하면

B C
 Y "#“A:A#%“A:A이므로 #[ , ]
Y
Z , Z[ ] L에서 Z Y
 
 Z
B C
 Y #  Y "$“A:A$%“A:A이므로 $[ , ]
Y
 [ ] L ZY [ L  


#는 곡선 ZMPHA Y 
위의 점이므로
YL@Y  " 
C B C B 
이 방정식의 두 근을 MPHA[ ], MPHA[ ] U❶
= 0 > Y    
=, > =>
라 하면 교점은 $는 곡선 ZMPHAY 위의 점이므로
" =, =
, # >, >
이다. C B C B
MPHA , MPHA U❷
    
선분 "#의 중점이 [, ]이므로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 > 따라서 점 %의 Y좌표는 이다.
 U❶

= > 
 U❷
 
❶에서 >=
22

❷에 대입하면 = = Y
[전략] Z 의 그래프를 그리고, 넓이, 평균, 기울기를 이용하여 각 수의 대

소를 비교한다.
 
=U라 하면 U  Z Z Z
U  Z
Y
G C

Z
Y
Z
Y

 G C

U U  , U


U
 G B
G C


=이므로 U G B
B C G C

G[ ]
  B C G B

 G B

∴ U   

0 B C Y 0 B C Y 0 B C Y
 
= 에서 =이므로 교점은 [, ], , 
이다. [그림 ] [그림 ] [그림 ]
 
 Y ㄱ. [그림 ]에서 사각형의 넓이를 생각하면
점 , 
가 곡선 Z[ ] L 위의 점이므로
 B G B
C G C

  G B
C
 L ∴ L ⑤ ∴  참

 
G C
B
B C
ㄴ. 는 B, C의 평균이고
 >
#[>, [ ] L]로 생각하면 

G B
G C

 는 G B
G C
의 평균이므로 [그림 ]에서
선분 "#의 중점의 Z좌표가

이므로 
>
B C G B
G C

=[  ] L G[ ] 거짓



  
 
>=이므로
ㄷ. 두 점 , 
, B, G B

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는
L   G B

 ∴ L
   B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39

⤿⥗⥸⥇⥏⤼⥗⤿⥡⥸⥅⥜⥎⥏⥤⥎⥐⥅⥓⥫QVLJ!  ࿼ፎ"
정답 및 풀이

두 점 , 
, C, G C

를 잇는 직선의 기울기는 YZYZ


ㄷ. 이라 하면 ㄴ에서 YY이므로
G C
 YY
C YZYZYY, Y Z
Y Z

이므로 [그림 ]에서 Z  Z


∴   U❶
G B
 G C
 Y Y
 참

B C 따라서 ❶이 성립함을 보여도 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점 " , 
이라 하면
Z Z 
은 직선 "1의 기울기이고  은 직선 "2의 기울
Y Y
기이므로 ❶이 성립한다. 참

23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전략]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를 이용하여 두 점을 잡고, 직선의 기
울기를 이용한다.
Z Z Z ZG Y

ZG Y
ZG Y

ZY  ZY C
 

B #
B   "
G B
#
0
0 B Y B  Y 0 B C Y
" C

[그림 ] [그림 ] [그림 ]


ㄱ. [그림 ]에서 B이면 G B
B이다. 참

B이면 G B
B이다.
ㄴ. 직선 "#의 기울기는
step 최상위 문제 43~44쪽
G C
G B
C B
CB
 
CB CB CB

[그림 ]와 같이 BC이면 직선 "#의 기울기가 보다 01 ② 02 ⑤ 03  04  05 ②

작으므로 06 ③ 07 ④ 08 ⑤
C B
 
 ∴ CBCB 거짓
01
CB
B
  [전략] Z]MPHAY]와 ZBY C의 그래프가 세 점에서 만나므로
ㄷ. [그림 ]에서 은 직선 0"의 기울기이고 교점의 Y좌표를 L, L, L라 하자.
B
C 그림과 같이 Z]MPHAY]의 Z
은 직선 0#의 기울기이므로 Z]MPHAY]
C 그래프와 직선 ZBY C의
B C 그래프가 세 점에서 만난다. ZBY C

B C
세 실근의 비가 A:AA:A이므
∴ C B
B C

로 교점의 Y좌표를 각각 L,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0 L Y
L L
L, L L
라 하면
MPHALBL C U❶
MPHALBL C U❷

24 MPHALBL C U❸
[전략] 두 함수가 Y의 값이 증가할 때, Z의 값이 감소하므로  밑
임을 ❷❶을 하면 MPHAL™ABL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린다. 
❸❷를 하면 MPHA BL
Z 
 
 ZY 두 식을 연립하면 MPHAL™AMPHA , L
 

" L이므로 L 이고 세 실근의 합은 L ②


2 Y
Z B

1 Y
ZB
Ym Y„  Y
0
02
YN
[전략] ZB 과 ZMPHBAY N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ㄱ. B이고 B이므로 B 참

 G Y
BYN, H Y
MPHBAY N이라 하면 H Y
는 G Y
의 역
ㄴ. 위 그래프에서 YY이다. 거짓
함수이다.

40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그림에서 ZG Y
와 ZH Y
Z
ZB
YN
ZY 04
의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ZY [전략] △"11와 △"22가 닮은 도형임을 이용한다.

위의 점이다. ZMPHBAY N Y에서 Y이므로 Z Y


Z] ]
Y
G Y
H Y
의 해가 Y Z] ]의 그래프는 그
이므로 교점의 Y좌표는 , 이 림과 같다.
고 교점은 , 
, , 
이다. 점 1, 2의 좌표를 2
0   Y ZN Y 

1
G 
이므로 BN, 1 B, B
, 2 C, C

N ∴ N " 1„ 0 2„ Y
이라 하자.
G 
이므로 BN, B △"11와 △"22는 닮음
B이므로 B 이고 넓이의 비가 A:A이므로 닮음비는 A:A이다.
∴ B N  ⑤ "2“ "1“이므로
C  B 
U❶
22“ 11“이므로
C B
U❷
❶에서 CB  을 ❷에 대입하면
03
B  B

[전략] ZG Y
와 ZG G Y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BU라 하면
ƒY에서 부등식의 정수해부터 구한다.
U™A U
, U
U 

ƒY에서 ZG Y
의 Z
ZG Y


그래프는 검은 실선,  U이므로 U

ZG G Y

의 그래프는 파 ZG G Y

 
곧, B 에서 B이므로 1[, ]
란 실선이다.  
이때 교점의 Y좌표는 1가 직선 ZN Y 
위의 점이므로
YY 에서   
N ∴ N
0   
 
 Y   

Y

Y Y에서

Y
 05
 [전략] L이면 2가 1의 위쪽에 있고, L이면 1가 2의 위쪽에 있다.
그런데 MPHÅAG Y
MPHÅAG G Y

에서
그림에서 2 L, BL
, Z ZB
Y

G Y
G G Y

이므로 L ZY
1 L, B
, 3 L, L
이다.
2
  L이면 3 , 
이고, 이
ƒY에서 해는 Y 3 ZB
Y

  Y
점이 곡선 ZB 위에 있으
진수 조건에서 G Y
, G G Y

이므로
므로
Y , Y  1
B 
따라서 정수 Y는 개이다.
∴ B ∵ B
0 Y
ƒY, ƒY, U에서 YL
따라서 두 곡선은
위와 같은 모양의 그래프가 반복되므로 정수 Y의 개수는
Z Z
@  Z , Z 이다.
ㄱ. L이면 이므로 2 , 
이다.
Y ƒY
또 3 , 
이므로 2와 3는 일치한다. 참

G Y
< 이므로
Y  ƒY
ㄴ. L이면 12“ 이므로 12“이면 L이고
 G Y
ƒ G Y

* *
G G Y

< 12“  


 G Y
 ƒ G Y


*
 Y
ƒY
 U라 하면 UU
 Y 
ƒY 

 <
 Y
 ƒY

U이므로 U,  
*

 Y 
 ƒY 
∴ L
Y ƒY
2 , 
, 3 , 
이므로 23“ 참

Y  ƒY

 <
Y Yƒ
ㄷ. 12“] 
* *
]에서  *
U라 하면

Y  Yƒ
U이고 12“|U U|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활용 41

⤿⥗⥸⥇⥏⤼⥗⤿⥡⥸⥅⥜⥎⥏⥤⥎⥐⥅⥓⥫QVLJ  ࿼ፎ"
정답 및 풀이

Z
G U
12“라 하면 ㄴ. 오른쪽 그림에서
ZY O 
   BOBO 이고 BO
G U
\[U ]  \ Z]MPHmAY]
  이므로
Z Z]U™ U]
이므로 ZG U
의 그래프는 B
 O   참

 BO
그림과 같이 직선 Z 과
 0 BO  Y
 ZY O
 BO 
U에서 서로 다른 세 점에  Z

서 만난다. 0 Å  U CO Z
ㄷ. COO이므로 
O ZY O

따라서 12“ 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 U는 개이므로 실 ZY O에서 ZMPHAO이면
 Z]MPHmAY]
YOMPHAO MPHmAO
수 L의 값도 개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오른쪽 그림에서


OMPHAOCO 0  CO O Y
OMPHmAO
MPHAO CO
 
O O
06 MPHAO CO
[전략] ㄴ. 점 C, E
, D, C
가 곡선 ZMPHBAY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C와 E, ∴    참

O O
D와 C의 관계를 구한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ㄷ. BD을 Y축에 나타내고 부등식의 양변이 의미하는 바를 조사한다.

 
ㄱ. 점 [ , ]이 곡선 ZMPHBAY 위의 점이므로
 
  
MPHBA , BÅ
  
   08
∴ B[ ]  참
[전략] ZMPHÅAY와 ZMPHA 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칭임을 이용하여
 
ZMPHA Y
와 ZMPHA Y
의 그래프를 비교한다.
ㄴ. 점 C, E
, D, C
가 곡선 ZMPHBAY 위의 점이므로
MPHBACE, MPHBADC ZMPHÅAYMPHAY와 Z

곧, BEC, BCD ZMPHA Y
의 그래프, ZMPHmA Y

두 식을 곱하면 B C E
CD 참
직선 ZY와 ZY 는 Y„ AZ„


ㄷ. DMPHBABD이므로 BD, D
는 Z ZMPHBAY 원점에 대칭이다.
ZY Ym AZm

곡선 ZMPHBAY 위의 점이다. E 따라서 ZMPHA Y


의 그래
프와 직선 ZY 의 교점은   0 Y
따라서 D를 Z축에 나타내고, BD D ZMPHfA Y

을 Y축에 나타내면 그림과 같 Y, Z


이다. ZY 
Q
다. ㄱ. Y, Z이므로 YZ 참

C
QC ㄴ. 두 점 Y, Z
, Y, Z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이
는 점 BD, C
, Q, Q

QBD 0 C BD Q D  Y 므로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고 Z Z
 ∴ Y YZ Z 참

DC Y Y
는 점 BD, C
, D, D
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DBD ㄷ. ZY, ZY 이므로
QC DC Y ZYZY Y 
Y Y

∴  거짓

QBD DBD
 YY 
Y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에서 YY이므로
YY , Y Y
∴ Y ZYZ, Y ZY Z 참

07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전략] Z]MPHmAY]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ㄱ. 직선 ZY 와 Z
ㄷ. 그림에서 YZ, Y Z는 Z
Z|MPHAY|의 그래프에서 
MPHmABm
두 직사각형의 넓이이고 ZY  
Z]MPHmAY] YY이므로

\MPHA \이므로
 YZY Z 
Y„ AZ„

 ∴ YZY Z Ym AZm

B 거짓

 0 Bm   Y   0 Y
 ZY 


42 I.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QVLJ  ࿼ፎ"
04

II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자.
S
그림에서 ±

. 삼각함수   TJOA±
S
S
∴ S




S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S

부채꼴의 넓이
 원의 넓이

 L    
 @@ [ ] L L L
04. 삼각함수의 정의
    

step 기본 문제 47~50쪽 05
그림에서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자. 0

01 ② 02 ① 03 ④ 04  L 05 L 밑면의 둘레의 길이가 부채꼴의 호의 길이

06 ② 07 ⑤ 08 ⑤ 09 ④ 10 ① 이므로
 
11  L 12 ⑤ 13 ① 14 ④ 15 ② LS@ L ∴ S ) S

  
16 ② 17  18 ① 19 ③ 20  이때 0)“ā  이므로 부피는
21 ① 22 ① 23  24 ② 25 ④ 
@L@@L L
26 ③ 27 ④ 28  29 ⑤ 30 ③


31 ③ 32 
06
01 ±±@ ±이므로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자. L
±를 호도법으로 나타내면 ②

   
넓이가 L이므로 S@ L L
   
 07
∴ S

 L
  ⑤ LL ⇨ 제 사분면의 각이다. ⑤
따라서 호의 길이는 @ LL ②  
 

08
각 D가 제  사분면의 각이므로
°@O °D°@O ° O은 정수

02 D
∴ °@O ° °@O °

중심각의 크기를 D라 하자.
Œ OL L는 정수
일 때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는 D @
D
원의 둘레의 길이는 L@L이므로 °@L ° °@L °

D L ∴ DL ① D
따라서 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 OL  L는 정수
일 때
D
°@L ° °@L °

D
03 따라서

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넓이가 인 부채꼴의 반지름의 길이를 S, 호의 길이를 M이라 하자. Ž OL  L는 정수
일 때
  D
SM에서 M °@L ° °@L °
 S 
부채꼴의 둘레의 길이는 D
따라서 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S MS y|ŠS@ 
S S D
Œ, , Ž에서 는 제  사분면 또는 제  사분면 또는 제  사분
단, 등호는 S 일 때 성립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④ 면의 각이다. ⑤

04. 삼각함수의 정의 43

⤿⥗⥸⥇⥏⤼⥗⤿⥡⥸⥅⥜⥎⥏⥤⥎⥐⥅⥓⥫QVLJ  ࿼ፎ"
정답 및 풀이

09 12
‚TJOAD TJOAD 01“이므로 Z
|Š 이므로 TJOAD, DPTAD이다.
‚DPTAD DPTAD TJOAD DPTAD UBOAD D 
D는 제 사분면의 각이므로 0 Y
  

L   
OL DOL L O은 정수

 
 ⑤
O L D O L   1
∴ L   L
    
Œ OL L는 정수
일 때
L D L
LL  LL
  
13
D
따라서 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L
 DL이므로 Z

 OL  L는 정수
일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생각한다.  A

 D
LL L LL L 0)“이므로
  

D 
따라서 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UBOAD ① D
 
) 0 Y
Ž OL  L는 정수
일 때
 D  TJOAD DPTAD이므로
LL L LL L
      
[ ] DPTAD, DPTAD[ ]
D  
따라서 는 제 사분면의 각이다.
 
DPTAD이므로 DPTAD
D 
Œ, , Ž에서 는 제 사분면 또는 제 사분면 또는 제 사분
 TJOAD 
UBOAD 
면의 각이다. ④ DPTAD 

14
10
그림과 같이 D의 동경이 제  사분면 Z
 Z
D와 D의 동경이 일치하므로 또는 제  사분면에 있다.

1  A

 Œ 제  사분면에 있을 때 D
D DOL O은 정수
AD ÅA D
 01“` 이므로 0 D Y
0 Y
1  A

   
DOL, D OL TJOAD , DPTAD
  ` `
DL이므로  제  사분면에 있을 때
  
O이고 D L ① TJOAD , DPTAD

` `

Œ, 에서 TJOADDPTAD ④


 TJOAD 
UBOAD 이므로  , DPTAD TJOAD
 DPTAD 
11 TJOAD DPTAD에 대입하면
D와 D의 동경이 Y축에 대칭이므로 Z

TJOAD  TJOAD, TJOAD
  D DOL O은 정수

D
O  
DOL, D L 0 Y ∴ TJOAD , DPTAD
 D ` `
  
LD L이므로 또는 TJOAD , DPTAD
 ` `
  
O, D L L ∴ TJOADDPTAD
  

44 II. 삼각함수

⤿⥗⥸⥇⥏⤼⥗⤿⥡⥸⥅⥜⥎⥏⥤⥎⥐⥅⥓⥫QVLJ  ࿼ፎ"
15 이므로
    
|Š  UBOA L @|ŠDPTA L DPTA" TJOA#  ③
    
 
|Š@ @|Š
 
20

 
 
|Š  ② TJOADDPTAD 의 양변을 제곱하면
  

TJOAD DPTAD TJOADDPTAD
16 
L L   
  TJO [ ]TJOA   TJOADDPTAD ∴ TJOADDPTAD
    
 L  이때
DPTA LDPTA 
    TJOAD DPTAD
UBOAD 
   UBOAD DPTAD TJOAD
UBO [ L]UBO [L L]UBOA L
   TJOAD DPTAD   
  
이므로 TJOADDPTAD   
L  
  TJO [ ] DPTA L UBO [ L]
  


 
 ② 21
 

TJOAY DPTAY 의 양변을 제곱하면

17 TJOAY DPTAY  TJOAY DPTAY

D가 제 사분면의 각이므로 

āDPTAD DPTAD  
  TJOAY DPTAY ∴ TJOAY DPTAY
 
āDPTAD āTJOAD TJOAD
∴ TJOAY DPTAY

 TJOAY DPTAY
 TJOAY DPTAY TJOAY DPTAY

  
TJO AD DPT AD TJO AD 
 UBOAD      
DPTAD DPTAD DPTAD [ ] @[ ]@
  
 DPTAD TJOAD DPTAD 
     
UBO AD TJOAD TJOAD TJOAD 


이므로
  
ā UBOAD  , |Š 
DPTAD UBOAD TJOAD 22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āDPTAD ā UBOAD āDPTAD |Š
UBOAD 
TJOAD DPTAD , TJOADDPTAD
B
   
DPTAD@ TJOAD@
DPTAD TJOAD 
TJOAD DPTAD 의 양변을 제곱하면
  

TJOAD DPTAD  TJOADDPTAD

18 B  
 @[ ] ∴ B ①
TJOAD, DPTAD, UBOAD이므로   
TJOADDPTAD, DPTAD UBOAD
∴ |TJOAD| |UBOAD| ā TJOADDPTAD
 23
ā DPTAD UBOAD
 TJOA LD
TJOAD, DPTA LD
DPTAD,
TJOADUBOAD TJOADDPTAD
DPTAD UBOAD
 DPTA D
DPTAD
 ① 이므로
TJO LD
DPT LD
UBOADDPTA D

19 TJOA LD


DPTA"TJOA"[ ] 
 
TJOAD DPTAD UBOADDPTADTJOAD 
 
TJOAD
    @DPTADTJOAD
 
TJO A#DPT A#[ ]  DPTAD
 
 

04. 삼각함수의 정의 45

⤿⥗⥸⥇⥏⤼⥗⤿⥡⥸⥅⥜⥎⥏⥤⥎⥐⥅⥓⥫QVLJ  ࿼ፎ"
정답 및 풀이

24 ∴ UBOA±UBOA ± ±


UBOA±
  TJOA LD
TJOAD, UBOA LD
UBOAD, TJOA± B
  ④
DPTA± āB
 
DPTA[ L D]TJOAD, TJOA[ LD]DPTAD
 
L
TJOA[ D]DPTAD, DPTA D
DPTAD 28
 DPTA ±Y±
DPTAY±이므로
이므로 DPTA ±Y±
DPTAY±
TJOA[  LD] 따라서
TJO LD
UBO LD

DPTA± DPTA±
DPTA± DPTA±
U

DPTA[ L D] L
TJOA[ D]DPTA D

  DPTA± DPTA±
DPTA± DPTA±
TJOADUBOAD DPTAD  

TJOAD DPTADDPTAD
 TJOAD 
UBOAD  
DPT AD DPTAD DPTAD
 29
TJOAD DPTAD   TJOAY± TJOA ±Y±
TJOAY± DPTAY±
   ②
DPTAD DPTAD 이므로
TJOA± TJOA±
TJOA± TJOA±
U
25 TJOA± TJOA±
TJOA± TJOA±
  
DPTA[ L D] DPTA[ L D] @ [ ] 


  

 DPTA LD
  DPTA LD

TJOAD TJOAD 30
 
DPTAD  DPTAD
DL,
TJOAD  DPTAD
TJOAD DPTAD

   TJOAD TJOA L D
TJOADTJOAD
DPTAD
 DPTAD

 TJOAD  이므로
   ④
DPTAD TJOAD TJOAD TJOAD
TJOAD TJOAD
U
TJOAD TJOAD
TJOAD TJOAD
TJOAL TJOAL ③
26
  
[ ][DPTAD ] TJOADUBOAD
[ ]
DPTAD UBOAD TJOAD 31
 DPTAD TJOAD  MPH UBOAY±
MPH UBO ±Y±

[ ][DPTAD ][TJOAD ][ ]


DPTAD TJOAD DPTAD TJOAD

DPTAD  DPTAD TJOAD 
MPH [UBOAY±@ ]
 @ UBOAY±
DPTAD TJOAD
MPHA
TJOAD DPTAD
TJOAD
@ @ 이므로
DPTAD TJOAD
DPTAD
TJOAD
\MPH UBOA±
MPH UBOA±
^

TJOADDPTAD \MPH UBOA±
MPH UBOA±
^ U
TJOAD
DPTAD
\MPH UBOA±
MPH UBOA±
^ MPH UBOA±

 TJOADDPTAD
TJOADDPTAD MPHA ③

또 TJOAD DPTAD 의 양변을 제곱하면

 32
  TJOAD DPTAD TJOADDPTAD 1s
 U
U

 TJOADDPTAD 1m 1h

 1„ 1~
∴ TJOADDPTAD ③
 D~ D~
" #

△"#1f△#"1, ∠"1#±이므로
27 D±D
TJOA± DPTA±이므로 B DPTA± ∴ DPTAD DPTADDPTAD DPTA ±D


DPTA±이므로 DPTA±āB DPTAD TJOAD

46 II. 삼각함수

⤿⥗⥸⥇⥏⤼⥗⤿⥡⥸⥅⥜⥎⥏⥤⥎⥐⥅⥓⥫QVLJ  ࿼ፎ"
같은 방법으로 
∴ BC@  ④
DPTAD DPTADDPTAD DPTAD 

DPTAD DPTAD
 03
또 DPTADDPTA±
 [전략] 각의 크기가 일정하면 원 또는 원주각을 생각한다.
    
∴ DPT AD DPT AD
U DPT AD DPT AD
DPT AD 점 1는 그림과 같이 선분 "#가 현이고, 현 "#에 대한 원주각
   의 크기가 ±인 원 위를 움직인다. 단, 점 ", #는 제외

 
   "

S 0
원주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례하므로 1 ± 0 ± ± S
L S ±
D , D OD " #
 O 
L #
따라서 D DD D U  라 해도 된다.
 한 원의 중심을 0,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SDPTA± , S
따라서 1가 그리는 도형의 길이는
 
@[@ L] L ⑤
 
절대등급 Note
step 실력 문제 51~54쪽
원주각의 성질
⑴ 원에서 한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이 호에 1
01  02 ④ 03 ⑤ 04 L 

05  06 ⑤ 07   08 ④ 09 ⑤ 대한 중심각의 크기의 이다.
 0
10 ④ 11  12 ① 13 ③ 14 ① ⑵ 한 원에서 길이가 같은 호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같다. 역으로 크기가 같은 원주각에 대한 호의 길 " #
15 ③ 16 [  ,  ] 17   18 ④
이는 같다.
 
19 ④ 20 ② 21  22  23 ③

24 ① 04
[전략] 중심과 벨트가 접하는 점까지 연결하는 반지름을 그리고 필요한 호와
01
선분의 길이를 구한다.
[전략] 호도법에서 중심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를 반지름의 길이로 나눈 값이다.
"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p "$"#“S이므로 )

S  #
∠"0$ 
S #
"

부채꼴의 넓이가 이므로 #
 
S @ ∴ S 
 "

그림에서 )"“, "#“이므로 직각삼각형 "#)에서


02 L L
∠)"# , ∠"#) , #)“
 
[전략] 반지름의 길이와 중심각의 크기를 이용하여 둘레의 길이와 넓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벨트의 길이는
0"“S라 하면 0"“S d ""Ä d ##Ä "#“ "Ä#ē

따라서 중심각의 크기를 D라 하면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L L] [LL L]  
 
S SD SD, S SD U❶
L  L 
또 도형 ""##의 넓이 4는
  
4 @SD SD SD 05
  
[전략] 사각형 1"0# 또는 삼각형 1#0의 넓이부터 구한다.
❶에서 SDS이므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

4 S S
 S
 
 1#“S UBOAD이므로 0
따라서 S일 때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1
D
1
△1#0 ×S×S UBOAD S
 
이때 ❶은  D, D
 그림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가 #

04. 삼각함수의 정의 47

⤿⥗⥸⥇⥏⤼⥗⤿⥡⥸⥅⥜⥎⥏⥤⥎⥐⥅⥓⥫QVLJ  ࿼ፎ"
정답 및 풀이

같으므로  L  
Œ D L일 때 DPT [D ]DPTA L
       
S UBOAD SD SD
    L
 D L일 때 DPT [D ]DPTAL
UBOAD  
UBOADD ∴   
D L
Œ, 에서 DPT [D ]값의 곱은 ⑤
 

06
[전략] 바뀐 부채꼴의 넓이를 D와 S로 나타내면 넓이를 비교할 수 있다. 10
 [전략] 우선 좌변을 통분하고 정리한다.
부채꼴 0"#의 넓이 4는 4 SD
 DPTAD  TJOAD

D는 A 늘이고, S는 A 줄일 때 생기는 부채꼴의 넓이 4은  TJOAD DPTAD
       DPTAD  TJOAD

4 [ S] [ D] @ S D.4 
      TJOAD
DPTAD
따라서 넓이는 .A 늘어난다. ⑤ DPTAD TJOAD
  TJOAD

 TJOAD
DPTAD
  TJOAD

07  
 TJOAD
DPTAD DPTAD
[전략] 그림에서 ±를 포함한 직각삼각형을 찾은 다음, 적당히 한 변의 길이 이므로
를  또는 B로 놓고 필요한 길이를 구한다.  
 ∴ DPTAD
∠$"%±, ∠$"#±±±이므로 ∠#"%± DPTAD 
곧, 삼각형 "#$에서 "$“#$“ D가 제 사분면의 각이므로
"%“이라 하면  
TJOADāDPTAD |Š 
 
#$“"$“, $%“
#%“  
∴ UBOA±     ∴ TJOAD DPTAD ④

"%“


UBOA±  11
 

또 "#“ ™A™A  
™A  [전략] TJOAD DPTAD
  TJOADDPTAD 

 `  
™A 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TJOADDPTAD의 값을 구할 수 있다.
곧, "#“  이므로 주어진 식의 양변을 제곱하면
 
TJOA±DPTA± 

  TJOADDPTAD TJOADDPTAD

 
    TJOADDPTADU라 하면
TJOA±DPTA±  A
   UU ∴ U†
ƒTJOADƒ, ƒDPTADƒ이므로
08 TJOADDPTAD 
" "
[전략] "#이면 < 또는 <
# #
" " 12
"#이면 < 또는 <
# # [전략] TJOADDPTAD의 값을 먼저 구하고,
TJOA D
DPTA D
에서 TJOADDPTAD
 TJOAD DPTAD
 TJOADDPTAD임을 이용한다.

TJOADDPTAD, TJOADDPTAD 
TJOAD DPTAD 의 양변을 제곱하면

∴ TJOAD, DPTAD
또는 TJOAD, DPTAD


따라서 D는 제 사분면 또는 제 사분면에 속한다. ④ TJOAD DPTAD  TJOADDPTAD

 
  TJOADDPTAD ∴ TJOADDPTAD
09  
[전략] 동경이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임을 이용하여 D와 D의 관계를 구한다. 이때

동경이 반대 방향으로 일직선이므로 TJOADDPTAD


TJOAD DPTAD TJOADDPTAD 

DDOL L O은 정수
U❶  
 
 
LDL이므로
TJOAD, DPTAD이므로
LOL LL ∴ O 또는 O
`
❶에 대입하면 DL, L TJOADDPTAD


48 II. 삼각함수

⤿⥗⥸⥇⥏⤼⥗⤿⥡⥸⥅⥜⥎⥏⥤⥎⥐⥅⥓⥫QVLJ  ࿼ፎ"
∴ TJOADDPTAD TJOAD DPTAD
TJOADDPTAD

 ` ` 1 , 


, 1 , 
, 1 , 
이므로 그림에서
 @  ①
     
DPTAD , TJOAD , UBOAD
  
로 바로 구할 수도 있다.

13
15
[전략] 주어진 등식을 정리한 다음
 
  DPT ADTJO AD  [전략] "의 좌표를 이용하여 D로 나타낸다.

 DPTADTJOAD
TJOAD TJOADDPTAD DPTAD
"의 좌표는 DPTAD, TJOAD
이고 DPT LD
DPTAD
  DPTADTJOAD 
" DPTAD, TJOAD
를 원점에 대칭이동하면 $ DPTAD, TJOAD

 DPTADTJOAD
 DPTADTJOAD DPTADTJOAD

이므로 DPTAD는 $의 Y좌표와 같다. ③


중 하나를 이용한다.

 
  에서
TJOAD DPTAD
16
DPTADTJOAD [전략] 굴러간 원의 중심을 지나는 동경이 나타내는 각의 크기를 구한다.

TJOADDPTAD
원 $가 반원과 접하는 점을 Z
DPTADTJOAD TJOADDPTAD $
양변을 제곱하면 ", 한 바퀴 구른 원 $이 접하 

 TJOADDPTAD TJOADDPTAD U❶ 는 점을 #라 하자. " $

TJOADDPTADU라 하면 원 $의 둘레의 길이가 L이므 L #


 L
† 로 p"#L 
U U, U  0  Y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ƒTJOADƒ, ƒDPTADƒ이므로 하면
  p"# L L
U ∠"0#  
 S  
∴ DPTADTJOAD  L
동경 0#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가 이므로 한 바퀴 굴러간 원

 DPTADTJOAD
DPT AD TJOADDPTAD TJO AD
 

 DPTADTJOAD
 TJOADDPTAD
$의 중심의 좌표는

U❷
L L    
 TJOADDPTAD TJOADDPTAD 
[ DPTA ,  TJOA ][ , ] [ , ]
     
    
 @ @  ③
  
17
 
❶에서  TJOADDPTAD TJOADDPTAD 
 [전략] TJO AD DPT AD을 이용할 수 있는 꼴로 정리한다.
이므로 ❷에 바로 대입하여 풀 수도 있다.
DPTADTJOAD
  에서
DPTAD TJOAD
DPTADTJOAD  
DPTAD TJOAD

14  
TJOAD 
DPTAD
[전략] 동경 01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를 D라 하고 D, D, D을 구한다.  
∴ TJOAD DPTAD DPTAD
동경 01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 Z   

를 D라 하면 그림에서 1  A

TJOAD DPTAD이므로
1„  A

 
L
  D D, DL D, DPTAD DPTAD, DPTAD
 D  
0 Y
  DD L ƒDƒ  L이므로 DPTAD  

   
  1m  A
1f  A

TJOAD , DPTAD ,
 

UBOAD 이므로 18

[전략] ±± ±임을 이용한다.
DPTAD TJOAD UBOAD
±Y라 하면 ±± Y이다.
L
DPT [ D] TJO L D
UBO D
TJOA ± Y
DPTAY이므로

TJOADTJOADUBOAD  주어진 식

 UBOAY UBOAY
DPTAY
 ①
 UBOAY  UBOAY
UBOAY
DPTAY

04. 삼각함수의 정의 49

⤿⥗⥸⥇⥏⤼⥗⤿⥡⥸⥅⥜⥎⥏⥤⥎⥐⥅⥓⥫QVLJ!  ࿼ፎ"
정답 및 풀이

TJOAY TJOAY TJOAY 그런데 TJOAD DPTAD에서


  [  ][ ] DPTAY
DPT AY DPT AY DPTAY TJOAD  
 , UBOAD 
TJOAY TJOAY DPTAD DPTAD DPTAD
  DPTAY TJOAY
[ ]
DPT AY DPTAY B
UBOAD|Š 를 대입하면
TJOAY TJOAY B
    ④
DPT AY DPTAY B   
 , 
B DPTAD B DPTAD
±Y로 치환하지 않고 풀어도 된다. ∴ DPTADB
주어진 식
이때 TJOADB이므로
UBOA± UBOA±
TJOA ± ±
B B

주어진 식
  
 
UBO A±  UBO A±
UBO A±
DPT A±   BB
TJOA±
UBOA± [ ] UBOA±
DPTA± ‚B Z
DPTA± UBOAD 이고 1 B AB A

B
UBOA± DPTA± TJOA±
UBOA±

그림에서 01“이므로
UBOA± UBOA± TJOAD‚B , DPTADB D D
또는 0 Y
19 TJOAD‚B , DPTADB
 
[전략]  TJOADDPTAD와 TJO AD DPT AD에서 TJOAD와 DPTAD부터
1 B AB A

구한다.

 TJOADDPTAD U❶

를 TJO AD DPT AD에 대입하면 
22
TJOAD  TJOAD
 [전략] " # $L임을 이용하여 식을 정리한다.

 TJO AD TJOAD, TJOAD  TJOAD
 $  $
DPTA  이므로 ±이다.
   
TJOAD이므로 TJOAD
 $   
∴ TJOA |Š[ ] 
   
❶에 대입하면 DPTAD
 " # $L이므로
TJOAD  " # L " #L
∴ UBOAD  ④ TJOA DPTA
DPTAD   
L$ L$L
TJOA DPTA
20  
[전략] D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ZBY C $ $
TJOA[L ] DPTA[ ]
UBOAD는 직선의 기울기이다.  
D UBOADB
 $ $    
TJOA DPTA 
    
YZ에서 Z Y이므로


UBOAD
 23
L [전략] TJOA L D
TJOAD, DPTA L D
DPTAD 
∴ DPTA L D
TJOA[ D] UBOA D
임을 이용하면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DPTAD DPTADUBOAD  L
D 일 때 DL이고


UBOAD ②
 TJOA L D
TJOAD, DPTA L D
DPTAD이므로
TJOAD TJOAD U TJOAD
21 TJOADTJOAD U TJOAD,
[전략] UBOAD의 값이 주어진 경우 DPTAD DPTAD U DPTAD
 TJOAD 
TJO AD DPT AD에서  DPTADDPTAD U DPTAD
DPTAD DPTAD
임을 이용하면 편하다. L L
∴ G[ ] H [ ] ③
   
TJO AD TJO AD
주어진 식

BDPTAD B DPTAD
TJOAD B DPTAD
TJOAD BDPTAD
24

BDPTAD
B DPTAD
TJOAD  
 
[전략] TJO AD DPT AD과 UBOAD DPTAD 에서 TJOAD 과 UBOAD 의 관계
B TJOAD
 
B DPTAD 를 구한다.

50 II. 삼각함수

⤿⥗⥸⥇⥏⤼⥗⤿⥡⥸⥅⥜⥎⥏⥤⥎⥐⥅⥓⥫QVLJ  ࿼ፎ"
TJOAD DPTAD에서 이므로 직각삼각형 #$%에서
DPTAD    B Y
Y
  ,  
TJOAD TJOAD UBOAD TJOAD  B B
Y , Y
   
곧,  이므로
UBOAD TJOAD B B
∴ UBOA±  ①
    Y B
[  ] [  ] U
UBOA± TJOA± UBOA± TJOA±
   
[  ] [  ]
UBOA± TJOA± UBOA± TJOA±
 ①
03
  L
 을 간단히 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전략] 동경 01„이 나타내는 각의 크기가  이다.
UBOAD TJOAD
따라서 OL 
O@-L는 OL, L , L , L 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L L
동경 01이 나타내는 각의 크기는 L  이다.
 
O
OL 
O@ LDO이라 하자.

Œ OL L는 정수
일 때
DOLL LL
 OL  L는 정수
일 때
step 최상위 문제 55쪽
 L
DO L 
L[L ]LLL
01 ④ 02 ① 03 ④ 04 ③  
Ž OL  L는 정수
일 때
01 DO L 
L L 
L L 
L L
[전략] 호의 길이는 중심각의 크기에 정비례하므로 중심각의 크기의 비도  OL  L는 정수
일 때
 : 이다.  
DO L 
L[L ]LLL L
그림과 같이 원점을 0, 원의 중심을 Z  
", 직선과 원이 제  사분면에서 만 #
ZBY 따라서 OL 일 때 동경 01„과 01O이 일치한다.
L Oƒ이므로 L ƒ
나는 점을 #라 하자.
0
중심각의 크기는 호의 길이에 정비 "  A
)  Y L는 정수이므로 L, , U, 이고 개이다. ④
례하므로
 
∠0"#L@  L
 
#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04
L [전략] 삼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이웃하지 않는 두 내각의 크기의 합과 같
"#“, ∠#") 이므로

음을 이용한다.
L L
")“ DPTA  , #)“ TJOA  "
  "m
"f

∴ #   , 
D

직선 ZBY가 #를 지나므로  B  
D
D
D
0 #
 D D #„ #m
∴ B   ④
  ∠#""∠0 ∠"#0D
∠#""D
02 ∠"##∠0 ∠#"0D
[전략] ±@±임을 이용하여 ±를 포함한 직각삼각형을 만든다. ∠"##D
변 "# 위에 ∠"$%±인 $ 네 번째 이등변삼각형 "#"에서
점 %를 잡으면 ∠#""D, ∠"##D이므로
Y B L L
∠$%#± D 이고 Dy 이면 다섯 번째 이등변삼각형은 만들 수 없다.
 
또 "%“Y라 하면 ± ±
" # L L
%#“Y, $%“Y Y %
Y ∴ ƒD ③
 

04. 삼각함수의 정의 51

⤿⥗⥸⥇⥏⤼⥗⤿⥡⥸⥅⥜⥎⥏⥤⥎⥐⥅⥓⥫QVLJ  ࿼ፎ"
정답 및 풀이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G 


이므로 TJOA[
L

@ C]

L L  
step
 C이므로  L C L
기본 문제 57~60쪽    
 L L
01 ④ 02 ①03 ③ 04 ② 05 L ∴ L C , C
  
06 ④ 07 08 ④ 09 B, C
L 
L ∴ G 
TJO [ ] ②
10 ③ 11 Y, Y  , YL 12 ②, ③ 13 ①  
14 ⑤ 15 ④ 16 ⑤ 17 ③ 18 ③
 
19 Y  L 또는 Y  L 20 ③ 21 ④ 22 ①
05
L  L
23 ③ 24 Y 또는 Y  또는 YL 또는 Y  L ", #는 직선 Y 에 대칭이므로 Z ZTJOAY
 " # 
    Z
25  26 ⑤ 27 ④ 28  LƒYƒ  L = > L ?  L@

 0 = L > L Y
 L L    
29 ① 30  LYL 31   D  Z
L $ % 
L 
∴ = >
32 ② 

$, %는 직선 Y L에 대칭이므로
01 
G Y
TJOAY 이라 하자. ? @  
 L ∴ ? @ L
①, ② ƒTJOAYƒ이므로 ƒG Y
ƒ   
L L L
또 G[ ], G [ ]이므로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 #, $는 점 [ , ]에 대칭이므로
  
다. 참
> ? L
 ∴ > ?L
 
③ ZTJOAY와 주기가 같으므로 주기는 L이다. 참

∴ = > ? @
 = >
> ?
? @

④ G Y
TJOA Y
TJOAY 
L 
곧, G Y
G Y
이므로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 아니다.  L LL L
 
거짓

⑤ 참

06
02 L
ㄱ. ƒDPTA[Y ]ƒ이므로 ƒG Y
ƒ이다. 참


B이고 최댓값이 , 최솟값이 이므로
L L
B D, B D ㄴ. G Y
의 주기는 이므로 G [Y ]G Y
이다. 거짓

 
연립하여 풀면 B, D L L
ㄷ. G Y
DPTA[Y ] DPTA[Y ] 의 그래
L  
C이고 주기가 L이므로 L, C
C L
프는 ZDPTAY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
∴ BCD ① 
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3 그런데 ZDPTAY 의 그래프는 직선 Y에 대칭이므
B이고 최댓값이 , 최솟값이 이므로 L
로 ZG Y
의 그래프는 직선 Y 에 대칭이다. 참

B D, B D 

연립하여 풀면 B, D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 
을 지나므로  TJOACL , TJOACL

L L L  07
 CL 이므로 CL ∴ C
    B이고 최댓값이 , 최솟값이 이므로
 B D, B D
∴ BCD ③
 연립하여 풀면 B, D
L 
04 C이고 주기가 L이므로 L, C
C 
L 
주기가 이고 B이므로  G Y
DPTA Y 이므로
B 
L  L
∴ B G [ L]DPTA  
  

52 II. 삼각함수

⤿⥗⥸⥇⥏⤼⥗⤿⥡⥸⥅⥜⥎⥏⥤⥎⥐⥅⥓⥫QVLJ  ࿼ፎ"
08 12
 ① 주기가 L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G [ ]B라 하면

L
② 주기가 이므로
  
G B
 , DPTAB
 
L L L
Z G Y L
G [Y ]G [Y ]G Y

  
 ZDPTAY
③ 주기가 L이므로 G Y
G Y L


L L
 L
L ④ 주기가 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0

Y
 
Z

L
⑤ 주기가 L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Å

위 그림에서 B L이므로
 따라서 정의역의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G Y L
를 만족
  시키는 함수는 ②, ③이다. ②, ③
G [ ] L ④
 

09 13
TJOAYU라 하면 ƒUƒ이고 Z
ZB TJOAY의 최댓값이 , 최솟값이 이므로 B 
Z]U ]

 Z|U |의 그래프가 그림과


Z DPTACY의 주기가 ZB TJOAY 주기의 반이므로
 같으므로
주기가 L이다. 최댓값은 , 최솟값은  
0  U
L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L, C B, C
C 
이다.

10
ƒTJOAYƒ이므로
Z
H Y
DPTAY
ƒ TJOAY ƒ
 G Y
TJOAY
ƒ| TJOAY |ƒ

 ∴ ƒ| TJOAY |ƒ ①

14
0 B L C L Y
  Z TJOAY
 TJOAY 
  TJOAY  TJOAY
G B
H C
 에서 TJOABDPTAC
 에서 TJOAYU라 하면
L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직선 Y 에 대칭이므로
 ZU U[U ] 
 
L ƒUƒ이므로
B C ③

 
U 일 때 최솟값은  ,
 
11 U일 때 최댓값은  
L L 
ZUBOA[Y ]UBOA[Y ]이므로 ZUBOAY의 그래 ∴ .N ⑤
  
L
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15
ZUBOAY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L
L L TJOA[Y ]DPTAY, DPTA Y L
DPTAY이므로
Y† , YL† , U 
 
G Y
DPTAY TJOAY DPTAY 
L
이므로 ZUBO [Y ] 그래프의 점근선은 위의 직선을 Y축 DPTAYU라 하면

L ZU U
U UU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직선이다.
  
[U ] 
L 
ƒYƒL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Y, Y , YL이다.
 ƒYƒL일 때 ƒUƒ이므로
L 
Y, Y , YL 최솟값은 U 일 때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53

f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최댓값은 U일 때  20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이다. ④  L  L 
 TJOA[ Y ]에서 TJOA[ Y ]
    

16 L  L 
ƒ Y ƒ L이므로
   
DPTAYU라 하면 ƒUƒ이고 Z
 B Z
U   L L 
U B  B Y  또는 L
Z     
U  U 

B이므로 그래프는 그림과 ∴ Y 또는 Y L

같다. Å 
따라서 근의 합은 L이다. ③
U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이   0  U 
 
이므로

 B  21
 ∴ B ⑤
  Z
 UBOAY에서 ZUBOAY


17   UBOAY 
 Z
TJOAYU라 하면 LƒYƒL이므로 L 
L 
L 0L L Y
U   L L L   
Z U Y 또는 
U U 
YL에서 U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 L
YL
하면 
 
Zy|ŠU@  따라서 근의 합은  L이다. ④
U 
 
등호는 U , U, U 일 때 성립한다.
U 
   U
  이므로  22
     UTJOAY
U
 TJOAY DPTAY
 TJOAY 에서
L L  
= 또는   TJOAY DPTAY TJOAY 
  
0 L L L   L Y
L L TJOAY  DPTAY

      
L= L
  
∴ TJOAY 또는 DPTAY
③ 
ƒYƒL이므로
18 TJOAY일 때, Y 또는 YL
L  L
Y 가 해이므로 DPTAY 일 때, Y
  
 L B  
B TJOA L C DPTA , C U❶ 따라서 근의 합은 L이다. ①
    
L
Y 가 해이므로

 L  C 23
B TJOA L C DPTA ,  B  U❷
   
DPTADTJOAD  TJOAD
에서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DPTADTJOAD TJOAD
  
B , C TJOADTJOAD TJOAD,  TJOAD TJOD
 
∴ B C ③ TJOAD 
 TJOAD


  ∴ TJOAD 또는 TJOAD 

19
DL이므로

 TJOAY  에서 TJOAY 
 TJOAD일 때, D L

 
ƒYL이므로 Y L 또는 L  L 
  TJOAD 일 때, D 또는 D L
  
   
∴ Y L 또는 Y L Y L 또는 Y L 따라서 D의 개수는 이다. ③
   

54 II. 삼각함수

⤿⥗⥸⥇⥏⤼⥗⤿⥡⥸⥅⥜⥎⥏⥤⥎⥐⥅⥓⥫QVLJ  ࿼ፎ"
24   
G U
[U ] 
 
LƒLDPTAYƒL이므로
이므로 ZG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Z
TJOA LDPTAY
에서 ZG U


같다.
LDPTAYL, , L ZL
ZG U
의 그래프와 직선 ZL가
∴ DPTAY, , 
만나면  0  U
L  Å
ƒYL이므로 Y 또는 Y 또는 YL 또는 Y L 
   ƒLƒ
 
L  
Y 또는 Y 또는 YL 또는 Y L  
  ∴ ƒLƒ


25  
따라서 L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합은 이다.
 

ZDPTAY 의 그래프는 ZDPTAY의 그래프를 Z축 방향으로 ④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28
Z
   
따라서  ƒDPTAY ƒ 이고 Z\DPTAY \의 그래프 ZTJOAY
   
L L
는 그림과 같다.   L
0 Y
Z 
Z
ZZDPTAY ÅZ 



Z
    
위 그래프에서 LƒYƒ L LƒYƒ L
   
0 L L Y

 29
Z\DPTAY \의 그래프와 직선 ZL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L L
Y U라 하면  DPTA[Y ]ƒ 에서
   
만나면 L 이다.
  
DPTAUƒ

26 L 
ƒU L이므로 ZDPTAU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G Y
TJOALY라 할 때,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 Y가 Z
 ZDPTAU
만나는 점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L L
 
ƒG Y
ƒ이므로 0 L  L U
  
   Z
ƒ Yƒ, 곧  ƒYƒ 
  
에서만 생각하면 된다. 
DPTAUƒ 에서
TJOALY의 주기는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Z   
 LƒUƒ L, LƒYƒL
ZG Y
Z

Y   

 L

 ∴ CBL L ①
   
0   Y

 30
DPTAYU라 하면
  U
U, U U 
따라서 직선 Z Y와 교점은 개이므로

U 
U 


TJOALY Y의 근도 개이다. ⑤ 
 ∴ U

Z
27 ZDPTAY

TJOAYU라 하면 ƒUƒ이므로 이차방정식 UUL가

L
ƒUƒ에서 실근을 가진다.  L
0 L Y
   
따라서 U UL에서 G U
U U이라 하면 Z

ZG U
의 그래프와 직선 ZL가 만난다. Z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55

⤿⥗⥸⥇⥏⤼⥗⤿⥡⥸⥅⥜⥎⥏⥤⥎⥐⥅⥓⥫QVLJ  ࿼ፎ"
정답 및 풀이


DPTAY 이므로 위 그림에서 01

[전략] TJOA Y
TJOAY, DPTA Y
DPTAY, UBOA Y
UBOAY
  를 이용한다.
LYL LYL
 
① TJOA Y
TJOAY이므로 일치한다.
② DPTA Y
DPTAY이므로 두 그래프는 Y축에 대칭이다.
31
모든 Y에 대하여 이차부등식이 항상 성립하므로 ③ ZUBOA|Y|는

% Yy일 때 ZUBOAY
DPTADDPTAD
 Y일 때 ZUBOA Y
UBOAY
DPTAD DPTAD
 이므로 일치하지 않는다.
ƒDPTADƒ이므로 DPTADƒ ④ Z Z]TJOAY] Z ZTJO]Y]
 
Z L
L L 0 L L Y L L 0 L Y
 
ZDPTAD
⑤ Z L Z ZDPT]Y]
L L Z]DPTAY] 
L   
L 0 D
 
 L Y  0 L  Y
 L L 0 L  L   L
     

L L L L ①
∴ D  D
   

32 02
DPTAYU라 하면 ƒUƒ이고 [전략] DPTA Y L
DPTAY를 이용한다.

U UB y DPTA Y L
DPTAY이므로 DPTA Y Q
DPTAY를 만족
따라서 ƒUƒ에서 이 부등식이 성립한다.
시키는 최소의 양수 Q는 L이다.
G U
UUB  Z
따라서
이라 하면
L L L
G U
 U
B  G [Y ]DPTAL[Y ]DPTA[LY L]
  
ZG U

ZG U
의 그래프가 오른쪽과 같으면 되 가 G Y
DPTALY와 같아지는 양수 L의 최솟값은
므로 L
LL에서 L ③
G 
y, B y  0   U 

∴ Bƒ ②

03
[전략] G 
G 
G 
 U임을 이용한다.

L L L
G [ ]G [ ]G [ ] U
  
L
G [ ]

L . U L
 이므로 ƒ 
  
step 실력 문제 61~65쪽 L L
∴ G [ ]TJOA<[ ]= 
 
01 ① 02 ③ 03 ④ 04 ⑤
05 ③
L 
06 ③ 07 ① 08  09 ①
10 ④ TJOA  ④
 
 
11 ④ 12 ⑤ 13 ③ 14 L  , Y  L

15 최댓값 :  , 최솟값 :  16 ② 17 ④



. L L L  04
18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L
    [전략] ㄱ. G Y
와 G Y
를 비교한다.
19 ⑤ 20 ⑤ 21  22 ⑤ 23 ④ ㄴ. G Y Q
G Y
를 만족시키는 Q를 찾는다.
24 L 또는 L 25 ② 26 ① ㄷ. ƒTJOAYƒ임을 이용한다.
L 
27 LY  또는  LYL 28  29 ⑤ ㄱ. G Y
DPTA TJO Y

DPT TJOAY

L   
30  ƒDƒ  L 또는  LƒDƒ  L
DPT TJOAY
G Y

이므로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다. 참

56 II. 삼각함수

⤿⥗⥸⥇⥏⤼⥗⤿⥡⥸⥅⥜⥎⥏⥤⥎⥐⥅⥓⥫QVLJ  ࿼ፎ"
ㄴ. G Y L
DPTA TJOA Y L

DPTA TJOAY
07
DPTA TJOAY
G Y
L
[전략] 두 점 %, $는 직선 Y  에 대칭이므로
이므로 주기함수이다. 참

L
%와 $의 중점의 Y좌표는 이다.
ㄷ. ƒTJOAYƒ이고 TJOAYU라 하면 

ƒUƒ일 때 ZDPTAU의 범위 Z L
변 %$가 Y축에 평행하므로 %, $는 직선 Y 에 대칭이다.
 ZDPTAU 
는 DPTAƒZƒ이다. 참

%의 Y좌표가 =이므로 #와 $의 Y좌표를 >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0  U
= > L
 , >L=
 

∴ "#“L=
"%“TJOA=이므로 TJOA=L= ①
05
[전략] 최댓값, 최솟값, 주기, 지나는 점을 생각한다.

최댓값이 , 최솟값이 이고 B이므로


08
B E, B E
[전략] 함수의 주기를 찾아 C의 값부터 구한다.
연립하여 풀면 B, E
Q Z
 L  주기를 Q라 하면 그래프는 직선 Y
주기가 @[ L ] L이고, C이므로  ZBADPTACY
  
에 대칭이므로 M
L 
 L ∴ C Q, Q Q
C  
L L 0  Q Y
이때 Z DPTA Y D
 U❶ ∴ , C
C 
L
Y 일 때 Z이므로 L
 이때 G Y
B DPTA Y라 하면

 
 DPTA[ L D] , DPTA[ L D] B
  G 


 L
LDL이므로 L DL ∴ D 사각형의 넓이가 이므로
 
 B
∴ BCDE L ③ @ ∴ B 
 

D
❶에서 Z DPTA[Y ] 이고, 주어진 그래프는 Z DPTAY 의 그래

  09
프를 Y축 방향으로 [ L L]만큼 평행이동한 꼴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략] 넓이가 같은 부분을 찾는다.
Z
그림에서 빗금친 두 부분의 넓
$ #
06 이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ZUBOAB
[전략] 그래프에서 교점의 대칭을 이용한다. 직사각형 0"#$의 넓이와
 같다.
ƒLYƒ L이므로 주어진 범위에서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L@UBOABL L
 0 " Y
과 같고, 직선 Z 과 세 점에서 만난다. ∴ UBOAB
 ZUBOAY
Z TJOAB
ZG Y
이므로
 DPTAB
Z

TJOAB DPTAB
0 = L > ? L Y
L L TJOAB DPTAB이므로

교점의 Y좌표를 차례로 =, >, ?라 하자. DPTAB DPTAB



=, >는 직선 Y
L
에 대칭이므로 = >
L ∴ DPTAB ①
L L 

L
따라서 4= > ? ?
L
L
∴ G 4
G [
L
?]TJOA L L?
10
[전략] ZTJOAY, ZDPTAY의 그래프를 그리고

TJOAL?G ?
 ③ TJOA=DPTA>일 때, =와 >의 관계를 조사한다.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57

⤿⥗⥸⥇⥏⤼⥗⤿⥡⥸⥅⥜⥎⥏⥤⥎⥐⥅⥓⥫QVLJ  ࿼ፎ"
정답 및 풀이

ZDPTAY
12
L
 [전략] TJOAH Y
Y임을 이용하여 DPTAH Y
를 구한다.
= > =
L L Y H Y
가 TJOAY의 역함수이므로 TJOAH Y
Y
TJOAH Y
DPTAH Y
이므로
ZTJOAY DPTAH Y
Y ⑤
그림에서 TJOA=DPTA>이면
 L
= > L 또는 => 13
 
ㄱ. TJOA=DPTA>이므로 [전략] H — G
Y
H G Y

에서 G Y
의 범위부터 구한다.
 
DPT A= DPT A>DPT A= TJO A= 참
 
G Y
U라 하면
  H G Y

H U
 U 
 U❶
ㄴ. [반례] = L, > L이면
  또 B이므로 B ƒUƒB 
TJOA=DPTA>이지만 B이므로 U
TJO = >
TJOAL 거짓
따라서 ❶은 UB 에서 최소이다.
  최솟값이 이므로
ㄷ. Œ = > L이면 DPTA = >
DPTA L
 
B
, B

L L
 => 이면 DPTA =>
DPTA  B이므로 B ∴ B
 
Œ, 에서 DPTA = >
DPTA =>
 참
따라서 최댓값은 UB 일 때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③

L
DPTA>TJOA[ >]이므로 TJOA=DPTA>에서
 14
L [전략] TJOAYU로 치환하여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TJOA=TJO[ >]

따라서 O이 정수일 때, TJOAYU라 하면 ƒUƒ이고
L L
= > OL 또는 L= > OL,
ZU LU L
 
 UL
 L L
L L
= >OL 또는 =>OL
  G U
 UL
 L L라 하면 ZG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이 문제에서는 L=L, L>L이므로 같다.
L L
= >L 또는 => 이다. Z Z Z
  ZG U

L  0   L 0 
U U


ZG U
0  L U
11 ZG U

[전략] 곡선 위의 점 =, TJOA=
, >, TJOA>
를 잡고 직선의 기울기를 생각한다.
Z ZY

 Œ Lƒ  L Ž Ly


ZTJOAY Œ Lƒ일 때
" # U일 때 최대이므로 G 

0 L L Y 
 L, L

" =, TJOA=
, # >, TJOA>
라 하자. 
이때 TJOAY, Y L
ㄱ. 직선 0"의 기울기가 직선 0#의 기울기보다 크므로 
TJOA= TJOA>  L일 때
 ∴ =TJOA>>TJOA= 참

= > UL일 때 최대이므로 G L



ㄴ. 직선 "#의 기울기는 보다 작으므로 L L, L 

TJOA>TJOA= L이므로 가능한 L는 없다.
, TJOA>TJOA=>=
>=
Ž Ly일 때
∴ TJOA==TJOA>> 거짓

U일 때 최대이므로 G 

ㄷ. TJOA=, =L이므로

= TJOA=L 참
L, L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Ly에 모순이다.

58 II. 삼각함수

⤿⥗⥸⥇⥏⤼⥗⤿⥡⥸⥅⥜⥎⥏⥤⥎⥐⥅⥓⥫QVLJ  ࿼ፎ"
 
따라서 L 이고 이때 Y L이다. 17
 
[전략] 주어진 식이 DPT에 대한 함수이다. 표에서 주기와 최댓값이나 최솟값
  에 대한 조건을 찾는다.
L , Y L
 
G Y
B DPTACL YD
.라 하자.
만조 시각인 시 분은 .시이고, 시 분은 시이므로 만
조와 만조 사이의 시간은 ..
15
따라서 G Y
의 주기가 .이므로
  TJOAY
[전략] TJO AY DPT AY 또는 UBOAY DPTAY 를 이용할 수 있는 꼴로 정 L 
. ∴ C
리한다. CL 
조차는 G Y
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다.
DPTAY 이므로 분모, 분자를 DPTAY로 나누면
B .
 B .
 ∴ B
TJOAY
 
DPTAY  UBOAY 이때 G Y
DPTA[ L YD
] .
Z  
TJOAY UBOAY

DPTAY G Y
는 만조 시각인 Y.일 때 최대이고
UBOAYU라 하면 
이때 DPTA[ L .D
]이다.
 U  
Z 
U U 
곧, L .D
, L, L, U
L L 
이고  ƒYƒ 이므로
  D이므로 D.
 ∴ B C D ④
ƒUƒ

 U
Z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으므로 Z
G Y
는 Y일 때도 최대이고 이때
U
 U 
최솟값은 U일 때  Z L D
L, D.
U 

최댓값은 U 일때

 18
  A A
   [전략] TJO Y DPT Y을 이용한다.
  
    0  U  TJOAY DPTAY
 TJOAY DPTAY DPTAY

 
 TJOAY DPTAY DPTAY
최댓값A:A  , 최솟값A:A DPTAY  TJOAY DPTAY

L L
Œ DPTAY일 때 Y 또는 Y
 
  TJOAY DPTAY일 때
16
양변을 DPTAY로 나누면
[전략] 분수꼴이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를 그리거나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UBOAY , UBOAY

 L 
G Y
 TJOAY ∴ Y 또는 Y L
TJOAY  
에서  TJOAY이므로 따라서 Œ, 에서
 L L L 
G Y
y|Š TJOAY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L
TJOAY    
 L L L 
|   Y 또는 Y 또는 Y 또는 Y L
    

등호는 TJOAY일 때 성립한다.
TJOAY

곧,

 TJOAY
, TJOAY†
 19
   
[전략] TJO AY DPT AY과 연립하여 푼다.
ƒTJOAYƒ이므로
DPTAYTJOAY U❶
 
TJOAY , TJOAY  
를 TJO AY DPT AY에 대입하면
 
 TJOAY TJOAY

따라서 TJOAY 인 Y에서 최소이고 최솟값은  이다.
 TJOAY TJOAY

∴ B, C, B C ② ∴ TJOAY 또는 TJOAY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59

fጄ73QVLL!  ࿼႖"
정답 및 풀이

TJOAY일 때 ❶에서 DPTAY이므로 Y


L Z|DPTAY|의 그래프와 직선 Z
L
의 교점을 생각해도 된다.
TJOAY일 때 ❶에서 DPTAY이므로 Y 

Z
L L Z]DPTAY]
따라서 근의 합은   ⑤ 
 
Z L


0 L L Y
TJOAY에서 Y 또는 YL라 하면 안 된다는 것에 주의한다.

20
 
[전략] ZTJOAY, ZDPTAY의 그래프와 직선 Z L Y, Z L Y의 교 22
점을 생각한다. [전략] 접하면 판별식이나 꼭짓점의 Z좌표를 생각한다.
  접하므로
TJOAY Y의 해는 곡선 ZTJOAY와 직선 Z Y의
L L
%
 DPTADTJOAD
교점이고, DPTAY Y의 해는 곡선 ZDPTAY와 직선 
L

 DPTAD DPTAD
, DPTAD
Z Y의 교점이므로 =, >는 그림과 같다. 
L

Z   ∴ DPTAD†
Z L Y Z L Y 
 Z
ZDPTAD
ZTJOAY 

L Z 
0 
> L = L Y
L 0 L L D 
  Z 

 ZDPTAY
 
ZDPTAD의 그래프와 직선 Z 또는 Z 의 교점은
따라서 ①, ②, ④는 참이다.  
  개이므로 D는 개이다. ⑤
③ Z Y는 Y L일 때 이고,
L 
 
ZTJOAY는 Y L일 때 이므로
  23
 [전략] ZTJOAY|TJOAY|의 그래프와 직선 ZBY의 교점이 개일 때,
 = L 참

 가능한 직선의 기울기를 생각한다.


L L  G Y
TJOAY|TJOAY|라 하면
⑤ = , > 이므로 = > L 거짓

  
TJOAYy일 때 G Y
,
TJOAY일 때 G Y
 TJOAY
21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전략] |DPTAY|B의 근의 개수는 ZDPTAY의 그래프와 직선 Z†B의 Z ZBY
교점의 개수를 생각한다.
0 L L L L
 Y
DPTA |DPTAY|
 에서

L
ƒ|DPTAY|ƒ이므로 |DPTAY|  ZTJOY]TJOY]

L ZG Y
의 그래프가 직선 ZBY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
∴ DPTAY†

나면 직선은 Y축과 LYL에서 만난다.
Z
ZDPTAY 
 직선 ZBY가 점 L, 
을 지날 때 B
L
Z L


L L Y 직선 ZBY가 점 L, 
을 지날 때 B
0 L
Z L

 
이므로 B ④
L L
L L
ZDPTAY의 그래프와 직선 Z 또는 Z 의 교점은
 
B이고, ZBY의 Z절편이 이므로
개이므로 방정식의 근은 개이다. 
ZG Y
의 그래프와 ZBY는 Y에서 만나지 않는다.

60 II. 삼각함수

⤿⥗⥸⥇⥏⤼⥗⤿⥡⥸⥅⥜⥎⥏⥤⥎⥐⥅⥓⥫QVLJ  ࿼ፎ"
24 DPTAY 이므로 양변을 DPTAY로 나누면
[전략] ƒYƒL이므로 DPTAYU라 하면 ƒUƒ을 만족시키는 U의 개수 UBOAY  
UBOAY ƒ
가 Y의 개수와 같다. UBOAY 
UBOAY
ƒ

DPTAYU라 하면 |LU LU| ∴  ƒUBOAYƒ
이 방정식의 해가 ƒUƒ을 만족시키면 이에 대응하는 Y의 L L L L
 Y 이므로  ƒYƒ
값도 개이다. 따라서 ƒUƒ에서 이 방정식의 해가 개이    

면 된다. L L L
∴ = , > , = > ①
  

Œ L일 때 |UU| 이므로
L
G U
|UU|라 하면 Z
27
ZG U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 ZG U
[전략] DPTAYy일 때와 DPTAY일 때로 나누어 식을 정리한다.
  그리고 TJOAY DPTAY을 이용하거나 UBOAY를 이용하여 정리한다.
다. G [ ] 이므로
 
L L
ƒUƒ에서 ZG U
의 그래 Œ DPTAYy일 때  ƒYƒ
 
 
   DPTAY TJOAY  DPTAY, DPTAY TJOAY
프가 직선 Z 와 서로 다른 세 Z
L

L
 0   U L L
점에서 만나면  DPTAY일 때 Y 또는 Y
  
  L
  ∴ L 이 중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값은 Y U❶
L  
  DPTAY일 때 양변을 DPTAY로 나누면
 L일 때 |UU| 이므로
L

   UBOAY, UBOAY
  ∴ L 
L 
L L
L 이므로 L 또는 L L 또는 L 주어진 범위에서  Y   U❷
 
L L
 DPTAY일 때 LY 또는 YL
25  
[전략] 반지름의 길이가 이므로 호의 길이가 중심각의 크기이다. DPTAY TJOAY  DPTAY,  DPTAY TJOAY
중심각의 크기를 이용하여 1, 2의 Z좌표부터 구한다.  양변을 DPTAY로 나누면
   UBOAY, UBOAY
1, 2가 U초 동안 호를 따라 움직인 거리는 각각 LU, LU이므
  주어진 범위에서
  L 
로 동경 01, 02가 나타내는 각의 크기도 각각 LU, LU이다. LY 또는 LYL U❸
   
1, 2의 Z좌표를 각각 G U
, H U
라 하면 L 
❶, ❷, ❸에서 LY 또는 LYL
   
G U
TJOA LU, H U
TJOA LU
  L 
LY 또는 LYL
Z  
ZH U

ZG U

 28

U L
0  [전략] ZTJOA  Y와 Z|Y|의 그래프를 그리고 해를 구한다. 해를

구하기 힘들면 = > ? @의 값을 바로 구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L
ZTJOA Y와 Z|Y|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그림에서 출발하고 초 동안 G U
, H U
의 값이 회 같으므로 
Z Z]Y]
초가 될 때까지 회 같다.

따라서 초가 될 때까지는 회 같다. ②


G U
의 주기는 , H U
의 주기는 이므로 초까지의 그래프가 반복된다. 0
 = >  ? @ Y

26
ZTJO L Y
  
[전략] TJO AY, DPT AY, TJOAY DPTAY만 포함한 식은 DPT AY로 나누어 UBOAY로 

나타낸다. =와 @, >와 ?는 직선 Y에 대칭이므로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61

⤿⥗⥸⥇⥏⤼⥗⤿⥡⥸⥅⥜⥎⥏⥤⥎⥐⥅⥓⥫QVLJ  ࿼ፎ"
정답 및 풀이

= @ > ? ❶, ❷의 공통 범위는
, 
  L   
ƒDƒ L 또는 LƒDƒ L
∴ = > ? @     
L   
ƒDƒ L 또는 LƒDƒ L
   
29
L 
[전략]  Y  L이면 ƒDPTAY이므로

DPTAYy인 해를 가지면 안 된다.

B 
DPTAYU라 하면 방정식은 U U 
 
step 최상위 문제 66쪽
L 
이 방정식이 ƒUƒ인 해를 가지면 Y L가 아닌 범위
  
01 ③ 02 ƒBƒ  03  04  
에서 해를 가진다.
따라서 해가 존재하고 해는 ƒU을 만족시킨다. 05 ①

B 
G U
U U 이라 하면 01
 
Z [전략] ƒYƒL에서 정수 Y는 , , , 이므로 이 값이 가능한 정수해이다.
ZG U
의 그래프가 ƒU에서 ZG U

는 U축과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고 ƒYƒL에서 정수 Y는 , , , 이므로 가능한 정수해는


ƒUƒ에서는 U축과 만나지 않는다. , , , 이다.
 
그런데 곡선의 Z절편이  이고 축  Œ Y이 해일 때 <DPTA >L
 
 0 U
B 
이 직선 U 이므로 Bƒ인 경우는  < >L ∴ L
 
 
B
U
없다.  
 Y이 해일 때 <DPTA >L U❶

B이면 G 
y이고 G 
,
L L 
B  B   이므로 DPTADPTA 
  y이고      
   
또 DPTAƒ이므로 ❶은
∴ By이고 B
L ∴ L
B이므로 B ⑤

Ž Y가 해일 때 <DPTA >L U❷

L 
 L이므로
30  
[전략] 실근을 가질 조건과 L  
DPTA DPTADPTA L,  DPTA
두 실근을 =, >라 할 때, |=>|ƒ 일 조건을 찾는다.   
따라서 ❷는 L ∴ L
실근을 가지므로

%  Y이 해일 때 <DPTA >L U❸
 DPTAD 
DPTADy, DPTAD y 

 
 LL이므로 DPTA
DPTADy  

따라서 ❸은 L ∴ L
ƒDƒL이므로
Œ ~  에서 L값의 합은     ③
 
ƒDƒ L 또는 LƒDƒL U❶
 
두 실근을 =, >라 하면 차가  이하이므로 
Z<DPTAY >의 그래프는 그림에서 파란 직선이다.
 

|=>|ƒ , = => > ƒ Z ZY  ZY ZY ZY
= >
=>ƒ 
 ZY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DPTAD 
, =>DPTAD
ZY
이므로
 0 L  L Y
 DPTAD 
 DPTADƒ, DPTADƒ  
L

L  
∴ ƒDƒ L U❷
 

62 II. 삼각함수

⤿⥗⥸⥇⥏⤼⥗⤿⥡⥸⥅⥜⥎⥏⥤⥎⥐⥅⥓⥫QVLJ  ࿼ፎ"
02 04
   
[전략] DPTAD, TJOAD
는 원 Y Z  위의 점이므로 [전략] DPTAY9, TJOAY:라 하고 TJO AY DPT AY임을 이용한다.
DPTADY, TJOADZ로 놓고 좌표평면에서 생각한다. DPTAY9, TJOAY:라 하면
DPTADY, TJOADZ라 하면 Y Z :
Z U❶
L 9 
ƒDƒ 이므로 점 Y, Z

 또 9 :이므로 9, :
는 반지름이 인 원 위의 점이다.
  ❶에서 Z9 Z:
" , 
, #[, ]이라 할 때
  Z9: Z 
원에서 호 "# 부분이다.
Y BZB Z Z 9 
: 
그리고 직선은 Z9: Z  :
이 직선은 Z의 값에 관계없이
Y BZB 
#  
Y B Z
 점 [ , ]을 지나고 직
 
"
이므로 B의 값에 관계없이 0 L Y 선과 원의 교점이 있으므로 0 9


점 , 
을 지나는 직선이다. 원점과 이 직선 사이의 거리
Y™A Z™A
, 
은 원 Y Z 위의 가  이하이다. 9™A :™A

점이므로 |Z |
ƒ
직선이 "를 지날 때 B가 최소이고 āZ 
직선이 #를 지날 때 B가 최대이다. āZ  를 곱하고 제곱하면
" , 
을 지날 때  B, B Z Z ƒZ 
   B Z Zƒ
#[ , ]을 지날 때 B,
    
Z Z의 두 근을 =, >라 하면
 부등식의 해는 =ƒZƒ>
 
B, B  

따라서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다.
∴ ƒBƒ  ƒBƒ 
 
∴ . N> = 
 

03 05
 
  [전략]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Y 
Z 에서 Z를 소거하여 방정식
[전략] B C BC DPTA?에서 DPTA?의 범위부터 구한다.
을 구한다.
B CBC DPTA?의 양변을 BC로 나누면
" DPTAD, TJOAD
라 하면 원 Y™A Z™A 위의 점 "에서의 접선
B C
 DPTA? 의 방정식은
C B
B, C는 양수이므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서 Y DPTAD Z TJOAD
B C B C 
 DPTA?y|Š @  [등호는  일 때 성립] 곧, Z Y DPTAD 
을 Y 
 Z에 대입하여
C B C B TJOAD
 정리하면
∴ ƒDPTA?ƒ
 
Y 
 Y DPTADY DPTAD 

또 = >L?이므로 TJOAD
TJOA L = >
TJOA L?
TJOA? TJOAD
Y 
 Y DPTADY DPTAD 
 TJOAD

∴  TJOA L = >
 DPTA?  Y TJOAD DPTAD
Y TJOAD 

 TJOA?  DPTA? DPTA?


 DPTA?  이 방정식의 두 근이 =, >이므로 = > TJOAD DPTAD

 DPTA?DPTA?
 ∴ G D
 TJOAD  DPTAD

   DPTADU라 하면
[DPTA? ]
  G D
 U
UU U
    
ƒDPTA?ƒ이므로 DPTA? 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이 [U ] 
   
다.   
U이므로 U 일 때 최솟값은  이다.
 

05. 삼각함수의 그래프 63

⤿⥗⥸⥇⥏⤼⥗⤿⥡⥸⥅⥜⥎⥏⥤⥎⥐⥅⥓⥫QVLJ  ࿼ፎ"
정답 및 풀이

06. 삼각함수의 활용 05
수선의 길이를 각각 I, I, I라 하자. "

삼각형 "#$의 넓이를 이용하면


step 기본 문제 68~71쪽 D I C
  
B@I C@I D@I
01 ⑤ 02 ① 03  04 ① 05 ⑤    I I
# $
06 $의 반지름의 길이 : , $의 반지름의 길이 :  BCD B
07 ⑤ 08 L 09  10 ③ 11 ② ∴ BA:ACA:ADA:AA:A
 
12  13  14 ⑤ 15 ④ 16 ② 사인법칙에서
17 ③ 18   
N 19 ② 20 ①   TJOA"A:ATJOA#A:ATJOA$ B A:A C A:A D
21 ④ 22 ② 23  24 ③ 25 ③ 3 3 3
    A:AA:A ⑤
26  27 ② 28  29 ③ 30 
`
31 ⑴  ⑵  ` 32 ④
06
01 원 $, $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3, 3라 하자.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3라 하면 사인법칙에서 현 "#를 한 변으로 하는 두 삼각형에서 사인법칙을 이용하면
   원 $에서
3  
TJOA!L   
 3 ∴ 3
TJOA±

∴ 3 ⑤ 원 $에서


3 ∴ 3
TJOA±
$의 반지름의 길이 :  , $의 반지름의 길이 : 
02
 
  "±@ ±, #±@ ±
 
이므로 사인법칙에서
07
#$“Y라 하면 코사인법칙에서
 C
 Y Y×DPTA±
TJOA± TJOA±
 Y Y, Y 
Y

@
@TJOA±  Y이므로 Y ⑤
∴ C   ①
TJOA± 


08
두 반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S, S라 하면 수로의 길이는
03
∠#%"∠#$"±이므로 삼각형 "#%에서 사인법칙을  
@L@S @L@SL S S
U❶
 
이용하면
"#“ S S
이므로 삼각형 "1#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

TJOA± TJOA±  S S
 @@@DPTA±

 
 @
 @TJOA±  ∴ S S U❷
∴ "%“   
TJOA±  ❷를 ❶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L S S
 L  L

04
09
" # $L이므로 " %
두 대각선의 교점을 0라 하자. 
  TJOA # $
TJOA L"
TJOA"  0
삼각형 "#0에서 코사인법칙을  ±
또 사인법칙에서 ±
이용하면 # $
B B 
@ ∴ TJOA" "#“  @@@DPTA±
TJOA" 
 TJOA # $
TJOA"에 대입하면 삼각형 "0%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B "%“  @@@DPTA±
@  ∴ B ①  
 ∴ "#“ "%“  

64 II. 삼각함수

⤿⥗⥸⥇⥏⤼⥗⤿⥡⥸⥅⥜⥎⥏⥤⥎⥐⥅⥓⥫QVLJ  ࿼ፎ"
10 3


`

삼각형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 
@
 
#%“  
 
@ @ @DPTA±

내접하는 사각형에서 대각의 합은 ±이므로 15
∠#$%±이다. 삼각형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Y라 하면 삼각형 #$%에서 "$“  @@@DPTA±

#%“ Y YYDPTA± ∴ "$“
Y, Y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3라 하면
Y이므로 Y ③  3
 
TJOA±
 `
∴ 3  ④
 
11 @
"/“ā  , /.“ā  `, 

".“ā  `
이므로 삼각형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16
 `
 `
  ` 사인법칙에서
  DPTAD   ②
@@` ` 
  TJOA" B , TJOA# C , TJOA$ D
3 3 3
이므로
12
B C D
00“,00“,00“ 0„ A:A A:A A:AA:A
3 3 3
이므로 D
  BA:ACA:ADA:AA:A
+- 
  DPTAD  따라서 BL, CL, DL라 하면
@@ 
0m 0f $의 크기가 최대이다.
 
 L LL 
  DPTA$ 
@L@L 

∴ $ L ②

13
"#“B라 하면 "

"%“%&“&$“B
B
%
17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B
 &
1에서 선분 "#에 내린 수선의 1
#%“ B B
Y 발을 ), 1)“I라 하자.
@B@B@DPTA±  # $ I I
")“I, #)“ 이므로
B  ± ±
" #
#&“#%“ B I )
I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B BB     
I
  DPTAY 
@ B@ B  
∴ I  

     
∴ TJOAYāDPTAY |Š[ ] 
  

18
14 나무의 위치를 1라 하고 1에서 1
코사인법칙에서 도로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자.
   1)“B라 하면 #)“B이므로
B
  DPTA# 
@@  ± ±
삼각형 ")1에서 ")“ B "
  `  # B )

∴ TJOA#āDPT A# |Š[ ]   B B,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3라 하면  
B
 
3이므로 ∴ B   
  
N
TJOA#  

06. 삼각함수의 활용 65

⤿⥗⥸⥇⥏⤼⥗⤿⥡⥸⥅⥜⥎⥏⥤⥎⥐⥅⥓⥫QVLJ  ࿼ፎ"
정답 및 풀이

19   C
△"-/ @ D@ @TJOA"
주어진 사면체의 전개도는 그림 0
  

과 같다. 최단 거리는 선분 "3의  ±
3  
2  CD TJOA"@ 
1  
길이이다. " "
 B D
∠"03@±±, △#.- @ @ @TJOA#
  
03“ # $
 
 DB TJOA#@ 
이므로  

"3“  @@@DPTA±  B 
△$/. @ @ C@TJOA$
  
∴ "3“` ②
 
 BC TJOA$@ 
 
20 ∴ △-./   
 
중근을 가지므로
%
 TJOA" TJOA#
 TJOA" TJOA" TJOA#

 24
 
∴ TJO A#TJO A"  
직각삼각형에서 TJOA=

B C
사인법칙에서 TJOA" , TJOA# 이므로
3 3 L L "
>L[ =]L=
   
C B
  ∴ BC 이고
>
3 3 =

곧, B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① TJOA>TJOA L=


#
$


TJOA= 

21
처음 삼각형의 두 변의 길이를 B, C라 하고 끼인각의 크기를 D라 이므로 색칠한 삼각형의 넓이는
하자.  
@@@  ③
 

처음 삼각형의 넓이 4는 4 BC TJOAD

  25
B가 A 늘어나면 B B
 
#%“ā  `
 
C가 A 줄어들면 C C #(“ā  `
 
이므로 새로운 삼각형의 넓이는 %(“ā  
      이므로
  @ B@ C@TJOAD BC TJOAD@  4
        
  DPTA ∠#%(
 
따라서 A 줄어든다. ④ @`@ `
  
∴ TJOA ∠#%(
|Š[ ]
` `
22
   
DPTA # $
 에서 ∴ △#(% @`@@  ③
  ` 
 
  DPTA L"
 , DPTA"
 
  26
TJOA"이므로 TJOA"āDPTA" |Š   L
  ∠"0#L@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0$L@  L
@@@  ②  
 
 
∠$0"L@  L
 
23 이므로
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 C  L 
D  △"0# @@TJOA 
  /   
CD TJOA" DB TJOA#  
  C
  
D
-  △#0$ @@TJOA L
   
 BC TJOA$ 
 # B B $   

.
 △$0" @@TJOA L
   

66 II. 삼각함수

⤿⥗⥸⥇⥏⤼⥗⤿⥡⥸⥅⥜⥎⥏⥤⥎⥐⥅⥓⥫QVLJ  ࿼ፎ"
         
∴ △"#$    DPTA$ 
     @@ 
 TJOA$이므로
  `
27 TJOA$āDPTA$ |Š[

]

그림과 같이 정팔각형 외접원의 반지
" ⑵ "#$%△"#% △#$%
름의 길이를 S라 하자. S  
L L   @@@TJOA± @@@TJOA$
삼각형 "0#에서 ∠"0# 이므로  #
 
 0
 `
L

S+S-@S@S@DPTA `
 ⑴ ⑵  `


 
S
S+
따라서 정팔각형의 넓이는
32
  L 
@ S TJOA @  
@ 등변사다리꼴에서 두 대각선의 길이는
   ±
  
② 같다. B
한 대각선의 길이를 B라 하면 넓이가
이므로
28

△"#$△"#% △"$%이므로 "%“Y라 하면  @B@TJOA±, B

 ∴ B` ④
@@@TJOA±

 
   @Y@TJOA± @Y@TJOA±
 
  
 Y Y ∴ Y
  

29
"
∠#±±± %

이므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
±
$ step 실력 문제 72~76쪽
@△"#$ 

 01 ② 02 ⑤ 03   04 ② 05 ⑤
@ @@@TJOA± ③
 06 ④ 07 ③ 08 ② 09 ⑤ 10 ②
11 ②
12 ⑴ " 또는 #가 ±인 직각삼각형
30 ⑵ CD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인 삼각형

.
삼각형 "%$에서 
   13 ⑤ 14 ② 15  ALN 16 ②
"$“   @@@DPTA± U❶
 
삼각형 "#$에서 "#“#$“Y라 하면 17 ③ 18 AN 19  20 21 ⑤


  
"$“ Y Y @Y@Y@DPTA±Y 
22  23 ④ 24  25 ④ 26 ③
❶과 비교하면 Y
27 ④ 28  29  30 ④ 31 ②
∴ "#$%△"%$ △"#$
  01
 @@@TJOA± @Y@Y@TJOA±
 
[전략] 삼각형 "#$에서 각의 크기를 구한 다음 사인법칙을 이용한다.
 
 ∠"$#± ±±
 
  ∠#"$∠$#%±
 ±
"
  이므로 삼각형 "#$에서 $
± 
사인법칙을 이용하면 %
± #
31  "#“

TJOA± TJOA±
⑴ 삼각형 "#%에서
   
#%“  @@@DPTA± ∴ "#“ @TJOA± @  ②
TJOA± 
Å
삼각형 #$%에서

06. 삼각함수의 활용 67

⤿⥗⥸⥇⥏⤼⥗⤿⥡⥸⥅⥜⥎⥏⥤⥎⥐⥅⥓⥫QVLJ  ࿼ፎ"
정답 및 풀이

02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서


[전략] ∠"0#의 크기를 구할 수 있으므로 삼각형 "0#에서 사인법칙을 생  
Y y|ŠY@ 
각한다. Y Y

 단, 등호는 Y 일 때 성립

직선 Z Y와 직선 Z Y가 Y축과 이루는 각의 크기가 각 


 L
❶에서 DPTADy 이므로 ƒDƒ
 
각 ±, ±이므로 ∠"0#±
L
0"“B라 하면 삼각형 "0#에서 따라서 ƒDƒ 에서 TJOAD의 최댓값은

B 
 , B TJOA# L 
TJOA# TJOA± TJOA 
 
따라서 #±일 때 TJOA#와 B는 최대이다.
B의 최댓값은  TJOA± ⑤

05
[전략] ∠"21∠"31±이므로 점 ", 2, 1, 3는 지름이 "1인 원
03
위의 점이다.
[전략]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와 각의 크기를 이용해 삼각형의 변의 길이를
구한다. ∠"21∠"31±이므로 "

사인법칙에서 $ 점 ", 2, 1, 3는 지름이 "1인 원


B C 위의 점이다. 
 @ C B

TJOA± TJOA± 곧 삼각형 "23의 외접원의 지름의 
이므로 2
"
± ±
#
길이가 "1“이므로 1 3
 )
B TJOA±@  23“
  # $
TJOA" 

C TJOA±@  23“ TJOA" U❶

 
$에서 변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삼각형 "#$는 직각삼각형이므로 TJOA" 
 
"#“")“ #)“ 
❶에 대입하면 23“ ⑤
 DPTA±  DPTA± 
 
 @  @
 
   
06
[전략] 삼각형 "%$에서 "$“와 $부터 구한다.
  "#“
TJOA± 임을 알면 @에서 "#“를 구할 수도 있다.
 TJOA$ 삼각형 "%$에서

"$ “  
@@ DPTA±
∴ "$“
04  "$“
[전략] 사인법칙에서 TJOAD가 최대인 경우를 생각한다. 또  이므로
TJOA$ TJOA±
삼각형 0"1에서 사인법칙을 이용하면 1    
  TJOA$ @TJOA± @ 
   D "$“   

TJOAD TJOA" 이때 DPTA$이므로

0
 " 
TJOAD TJOA"
 DPTA$āTJOA$ 

따라서 TJOA"가 최대일 때 TJOAD가 최대 삼각형 "#$에서
이다.  
"#“  
@@ @[ ]
L 
"L이므로 " 일 때 TJOA"의 최댓값은 이다.
 ∴ "#“
따라서 TJOAD의 최댓값은 삼각형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3라 하면
 L  "#“ 
@TJOA  ② 3, 3 ∴ 3 ④
   TJOA$ 

1"“Y라 하면
  

 Y   삼각형 "%$에서 "%“ "$“ %$“ 이므로 $±


DPTAD  [Y ] U❶ 따라서 DPTA$이다.
@@Y  Y

68 II. 삼각함수

⤿⥗⥸⥇⥏⤼⥗⤿⥡⥸⥅⥜⥎⥏⥤⥎⥐⥅⥓⥫QVLJ  ࿼ፎ"
07 따라서 직각삼각형 %&#에서
[전략] 선분 #%의 길이와 DPTA#의 값을 구한 다음, 코사인법칙을 쓴다.     
#%“ [ ] [ ] ∴ #%“
 
선분 "%가 ∠"의 이등분선이므로
"#“A:A"$“#%“A:A$%“A:A
∴ #%“, $%“
09
삼각형 "#$에서 [전략] 삼각형 "#%와 #$%에서 사인법칙을 이용하면
   TJOA=와 TJOA>를 공통변 #%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DPTA# 
@@ 
삼각형 "#%에서 "
따라서 삼각형 "#%에서
  #%“ 
"%“  @@@DPTA#  
TJOA> TJOA" %
∴ "%“` ③ 
 TJOA" >
)
TJOA> U❶ #
=
$
#%“ 
"%“Y, ∠#"%∠$"%D라 하자. 삼각형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  TJOA$
 , TJOA= U❷
삼각형 "#%에서 TJOA= TJOA$ #%“
 Y Y  삼각형 "#$에서
  DPTAD  U❶
@@Y Y   
DPTA" 
삼각형 "$%에서 @@ 

 Y Y  
  DPTAD  U❷ ∴ TJOA"āDPTA" 
@@Y Y 

Y  Y  또 "에서 변 #$에 내린 수선의 발을 )라 하면


❶과 ❷가 같으므로 
Y Y 삼각형 "$)에서

Y  ∴ Y` 
)$“, ")“ ∴ TJOA$

@!
TJOA>  TJOA" 
08 ❶, ❷에서    ⑤
TJOA=  TJOA$ 
@
[전략] ∠$"#D라 하고 DPTAD를 구할 수 있음을 이용한다. 또는 변 #%를
포함하는 직각삼각형을 생각한다.

∠$"#D라 하자. % $
D D 10
변 "#와 변 $%는 평행하므로 
[전략] "%“#%“$%“이므로 점 %는 삼각형 "#$의 외심이다.
∠"$%D D
#
"  "%“#%“$%“이므로 점 %는 삼각형 "#$의 외심이다.
"$“"%“이므로 ∠"%$D
따라서 삼각형 "#$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3를 구하면 된다.
삼각형 "#$에서
삼각형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면
   
  DPTAD  "$“  @@@DPTA±
@@ 
∠$"%LD, ∠%"#LD이고 ∴ "$“
 사인법칙을 이용하면
  DPTA LD
DPTAD
   
3, 3 ∴ 3 ②
이므로 삼각형 "#%에서 TJOA±  

#%“  @@@ DPTA LD
 

∴ #%“ ②
11
"에서 변 $%에 내린 수선의 발 [전략] 넓이가 최대인 원은 삼각형의 내접원이다.
)
% $
D
을 )라 하면 그림과 같이 삼각형의 꼭짓점을 ", "
 #, $라 하자.

%)“@DPTAD #
 &
"    
  DPTA#  
  @@  S *
TJOADāDPT AD 
 이므로
이므로  # $
  TJOA#āDPTA#  
 
%&“")“@TJOAD
 넓이가 최대인 원은 삼각형 "#$의 내접원이다.

06. 삼각함수의 활용 69

⤿⥗⥸⥇⥏⤼⥗⤿⥡⥸⥅⥜⥎⥏⥤⥎⥐⥅⥓⥫QVLJ!  ࿼ፎ"
정답 및 풀이

내접원의 중심을 *,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14


△"#$△*"# △*#$ △*$" [전략] 1$“I로 놓고 "$“와 #$“를 I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1$“I라 하면
@@@TJOA# @ S @ S @S
   
I
 삼각형 1"$에서 "$“
S ∴ S ② 

삼각형 1#$에서 #$“I
삼각형 #"$에서 "±이므로
I I
12 I

@@ @DPTA±

[전략] ⑴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각을 변에 대한 식으로 바꾼다.
I I
⑵ 코사인의 제곱이므로 사인으로 정리한 다음, 변에 대한 식으로
정리한다. I 
I

I이므로 I ②
C DB D BC B CD
⑴ B@ C@ D@
CD DB BC
양변에 BCD를 곱하면
15
B C DB
C D BC
D B CD

[전략] 갑과 을의 위치를 각각 1, 2라 하고, 선분 "1, "2의 길이를 구한다.


B CBCD 선분 12와 변 #$가 평행하다는 것을 이용한다.
BC
D
평행한 순간 갑과 을의 위치를 각각 "
BC D
BCD

1, 2라 하자. U ± 
∴ B DC 또는 C DB  2
"1“U라 하면 1
따라서 " 또는 #가 ±인 직각삼각형이다. U
2$“U, "2“U
  
⑵ CD
TJO A"
C TJO A#
D TJO A$

12“∥#$“이므로 # $
CD
TJOA"C TJOA#D TJOA$
"1“A:A"2“"#“A:A"$“
B C D
CD
@  C@  D@  
3 3 3 UA:A U
A:A ∴ U

  
CD
B C D
  
CD
C CD DB
 "1“ , "2“@ 
  
Œ CD일 때 CD인 이등변삼각형 삼각형 "12에서
 C CD DB일 때        
12“ [ ] [ ] @ @ @DPTA±
 
C D B 
     
DPTA" 
CD   
∴ 12“ ALN
따라서 "±인 삼각형이다.  
⑴ " 또는 #가 ±인 직각삼각형
⑵ CD인 이등변삼각형 또는 "±인 삼각형
16
[전략] 점 1가 선분 0", 0#와 대칭인 점을 그려 본다.

점 1가 선분 0", 0#와 대칭인 1Ä #


13
점을 각각 1, 1이라 하자.
[전략] 조건에 맞게 그림을 그리고, 닮은 삼각형을 찾는다.
21“21“, 31“31“이므로
선분 0", 0"은 막대기이고 3
" 3, 2가 직선 11 위의 점일 때 1
선분 0#, 0#은 그림자이다.
" 12“ 23“ 31“가 최소이고 최
점 "에서 선분 0#에 내린 수선의 발 ±
AN 솟값은 선분 11의 길이이다. 0
2
"
을 )라 하자. AN
∠101
∠302
∠"0)±이므로 ±
#
0 #) ± 1
 AN
0)“")“ 이므로 삼각형 011에서


△"0#v△")#이므로 11“  @@ @DPTA±
A:A ")“A:A)#“ ∴ 11“ ②
 
∴ )#“ ")“
 
따라서 그림자의 길이는 17
[전략] 원뿔의 전개도에서 1가 #에서 "까지 움직이는 최단 거리를 그려
 
0)“ )#“ ⑤ 본다.


70 II. 삼각함수

⤿⥗⥸⥇⥏⤼⥗⤿⥡⥸⥅⥜⥎⥏⥤⥎⥐⥅⥓⥫QVLJ  ࿼ፎ"
원뿔 옆면의 전개도에서 부채꼴의 0 삼각형 "#$에서 "#“#$“Y라 하면

" D
호의 길이는 원뿔 밑면인 원 둘레의 Y Y 
  Y
  DPTA± , 
"  " @Y@Y  Y
길이이므로 L이다.
 
Y ∴ Y
따라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를 D
# 
라 하면 ∴ △"#$ YTJOA± 

 L    
DL, D L ∴ ∠"0#  @ 
@ 
     
점 1가 움직인 최단 거리는 "#“이므로
 L
"#“  @@@DPTA 
 21
∴ "#“ ③ [전략] 원기둥을 뉘었을 때와 세웠을 때 물의 부피는 같다.

그림에서 원기둥을 수평으로 뉘었을 때 수


18 면과 밑면이 만나서 이루는 활꼴 부분의 넓
[전략] 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의 길이를 구한다. 이 4는
S D
삼각형 "#$에서 $± ± ±
±  
  4 SD S TJOAD
  4
 #$“
이므로  한편 원기둥을 세웠을 때 물의 부피 7는
TJOA± TJOA±
   7LSI
∴ #$“ @ 
   뉘었을 때 원기둥의 물의 부피는
  
  4@ SD S TJOAD
∴ $%“#$“ TJOA± @   
 
이므로
AN
  
S D S TJOADLSI
 
19 ∴ I

DTJOAD

[전략] 사각형 "%1&에서 ∠%1&의 크기를 구한다.
L

삼각형 "#$의 넓이는


 IÅ이므로 DL이다.
@@@TJOA" TJOA"

사각형 "%1&에서
L L 22
∠%1&L  "L"
  [전략] 삼각형 "#$의 세 변의 길이를 알고 있으므로 DPTA"를 구하고 선분
이므로 삼각형 1&%의 넓이는 "%의 길이를 구한다.

  삼각형 "#$에서
YZ TJOA L"
 YZ TJOA"
 
  
 
조건에서 △"#$△1%&이므로 DPTA"  ∴ "±
@@ 
   TJOA"@  YZ TJOA" "%“$%“이고 "±이므로 삼각형 $"%는 정삼각형이다.

∴ $%“"%“, %#“, ∠$%#±
∴ YZ 

∴ △%#$ @@@TJOA± 

20
[전략] 원주각의 성질을 이용하여 ∠"#$의 크기를 구한다.
23
∠"0#∠#0$ [전략] #1“Y, #2“Z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Y, Z로 나타낸다.
"
 
±@ ± ± #1“Y, #2“Z라 하자.

±
∠"$#∠#"$
#
)
0 △"#$△1#2이므로

  
 ∠"0#.± @@@TJOA#@ YZ TJOA#
 $
 

이므로 삼각형 "#$에서 ∠"#$± ∴ YZ 


 삼각형 "#$의 둘레의 길이가 선분 #1와 #2의 길이의 합의
또 ")“@TJOA±
 배이므로
이므로 "$“ ")“    Y Z
∴ Y Z

06. 삼각함수의 활용 71

⤿⥗⥸⥇⥏⤼⥗⤿⥡⥸⥅⥜⥎⥏⥤⥎⥐⥅⥓⥫QVLJ  ࿼ፎ"
정답 및 풀이


삼각형 "#$에서 DPTA# 이므로 26
 [전략] 대각선 "$를 긋고, 선분 "$의 길이와 ∠"$%의 크기를 구한다.

12“ Y ZYZ DPTA#
삼각형 "#$에서
  
Y Z  YZ "$“   
@@  
DPTA±

∴ "$“

 Y Z
 YZ
 또 ∠"$#D라 하면 "
%
   
 @ 
 TJOA± TJOAD 
± D 
#
∴ 12“ ④    $
TJOAD

D±이므로 D± ∴ ∠"$%±
따라서 사각형의 넓이는
24
△"#$ △"$%
[전략] 삼각형 "#$의 넓이를 구한 다음, 넓이 관계를 이용하여 선분 1'의
  
길이를 구한다.  @@  
@TJOA± @ @ @TJOA±
  
또 TJOA"를 이용하여 TJOA ∠&1'
를 구한다.
    
     ③
DPTA"  이므로   
@@ 

  TJOA"āDPTA"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27
   [전략] "#“∥%$“에서 △"#&v△$%&를 이용하여 "&“, "$“를 구한다.
@@@ 
  
△"#&v△$%&이므로 ::"&“
1'“Y라 하면
 
∴ "&“ , "$“
△"#$△1"# △1#$ △1$"  
이므로 
∠#"&D라 하면 ∠"$%D이고 TJOAD 이다.
   
 [Y  ]
   ∴ "#$%△"#$ △"$%
    
∴ Y  @@ @TJOAD @@ @TJOAD
    
사각형 "'1&에서 ∠'1&L"이므로  ④
삼각형 &'1의 넓이는
    
@ @ @TJOA L"
 @TJOA"
    
 28
 [전략]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삼각형 "#%와 #$%에서 대각선 #%의
길이를 구한다. 이때 " $L를 이용한다.

∠#"%D라 하면 ∠#$%LD
삼각형 "#%에서
25  D 
[전략]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를 B, D로 나타내고, #%“  @@ DPTAD " %

넓이가 인 조건을 이용하여 최소일 때 B, D의 관계를 구한다.  DPTAD #
 

넓이가 이므로 삼각형 #$%에서


 $
 #%“
 DB TJOA± ∴ DB U❶
  @@ DPTA LD
  DPTAD
코사인법칙에서 이므로
CD BDB DPTA±D B 
 DPTAD  DPTAD, DPTAD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서 
D ByāDB DB 
∴ TJOADāDPTAD 
 

이고 등호는 D B , 곧 DB일 때 성립한다.
∴ "#$%△"#% △#$%
C는 DB일 때 최소이고
   
이때 ❶에서 DB이므로  @@@ @@@
   
"#“ #$“D B ④  

72 II. 삼각함수

⤿⥗⥸⥇⥏⤼⥗⤿⥡⥸⥅⥜⥎⥏⥤⥎⥐⥅⥓⥫QVLJ  ࿼ፎ"
29
[전략] 대각선의 교점을 0, 0"“Y, 0#“Z라 하고, 삼각형 0"#와 0%" ⑴ 헤론의 공식
에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Y, Z의 관계를 구한다. 세 변의 길이가 B, C, D인 삼각형의 넓이를 4라 하면
B C D
대각선의 교점을 0, "  4āT TB
TC
TD
[단, T ]
% 
Y
0"“Y,  ⑵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 사이의 관계
±
0 Y이면 세 변의 길이가 , , 이고  이므로
0#“Z라 하자. Z
, , 을 세 변의 길이로 하는 삼각형을 만들 수 있다.
삼각형 0"#에서 # $
  
 Y Z YZ DPTA±
Y ZYZ U❶
삼각형 0%"에서 0%“Z, ∠"0%±이므로
Y ZYZ DPTA±
Y Z YZ U❷
❷❶을 하면 YZ ∴ YZ
"$“Y, #%“Z이므로 평행사변형의 넓이는
 
@Y@Z@TJOA±YZ@   step 최상위 문제 77~78쪽
 

01 ③ 02 ⑤ 03 ① 04  05 ①

06 ④ 07 ③ 08 ①

30
01
[전략] 대각선의 길이를 Y, Z라 하고 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가 
[전략]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내심과 외심은 변 #$의 수직이등분선 위에 있다.
임을 이용하여 Y, Z의 관계를 구한다.
변 #$의 중점을 )라 하면 선분 ")는 변 #$의 "
대각선 "$, #%의 길이를 각각 Y, %
% 수직이등분선이고, 내심 *와 외심 0는 선분 ")
Z라 하자. " Z
± $ 위에 있다.
", %은 변 "#, "%의 중점이므로 " Y
선분 #*는 ∠#의 이등분선이고, 
 0
"%“ Z # $  
")“ā  
 #

같은 이유로 #"“A:A#)“"*“A:A*)“
*
  이므로 # 
)
$
$#“ Z, "#“$%“ Y
   
"*“ @ 
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가 이므로  
Y Z 삼각형 "#$에서
사각형 "#$%의 넓이는   
  DPTA# 
@@ 
 
YZ TJOA± YZ 
    TJOA#āDPTA#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에서 Y ZyY`Z이므로
따라서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3라 하면
yY`Z, YZƒ 단, 등호는 YZ일 때 성립

 
 3, 3
따라서 넓이의 최댓값은 @ ④ TJOA# 

따라서 내심과 외심 사이의 거리는

"*“"0“ ③


31
[전략] 세 변의 길이가 주어지면 헤론의 공식을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를
구한다.

헤론의 공식에서
  Y Y
T 

이므로 삼각형의 넓이를 4라 하면
4ā@@ Y
@Y āY Y

곧, Y일 때 넓이의 최댓값은  이다. ②

06. 삼각함수의 활용 73

⤿⥗⥸⥇⥏⤼⥗⤿⥡⥸⥅⥜⥎⥏⥤⥎⥐⥅⥓⥫QVLJ  ࿼ፎ"
정답 및 풀이

02 ❶에 대입하면
[전략] 사인법칙을 이용하여 TJOA"의 값을 구한 다음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Y™A`@ 
C, D의 관계를 구한다. `
  ∴ Y
이므로 TJOA"
TJOA" 

∴ DPTA"āTJOA" 

04
코사인법칙에서
[전략]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DPTA"의 값을 구하고
      TJOA"의 최댓값을 구한다.
 C D CD DPTA"C D  CD

  "#“B , %"“C라 하면 " %
yāCD  CD CD C
  #$“B, $%“C B

∴ CDƒ 삼각형 "#%에서 #


C
  
등호는 CD일 때 성립하므로 CD의 최댓값은 이다. ⑤ #%“ B C @B@C@DPTA" 
  B
B C BC DPTA" U ❶ $
삼각형 #$%에서 ∠$L∠"이므로

03 #%“ B C@B@C@DPTA L"

[전략] 사각형 "2#1의 넓이를 구한 다음, 삼각형 1"2, 1#2의 넓이의 합 B C BC DPTA" U❷
을 이용한다.
❶, ❷에서
이때 ∠"12∠#12∠2"#를 이용한다.
B CBC DPTA"B C BC DPTA"
직각삼각형 "1#에서 1
 B C
BC DPTA"BC, DPTA" [ ]
"#“ā  `   ±  C B
 
  TJOA"DPTA"   [ B C ]

또 직각이등변삼각형 "2#에서 "

#

0 Y  C B
"2“@"#“` 
B C B C
 y [단, 등호는  , 곧 BC일 때 성립]
C B C B
사각형 "2#1의 넓이는
2 이므로
삼각형 1"#, 2#"의 넓이의 합이므로

    TJOA"ƒ   @ 
@@ @`@`  
 

또 ∠"12∠#12∠2"#±이고 따라서 BC일 때 TJOA"의 최댓값은 이다.

사각형 "2#1의 넓이는 삼각형 1"2, 1#2의 넓이의 합이므
#%“
이므로 TJOA"가 최대일 때,
로 12“Y라 하면 TJOA"
 
 Y TJOA± Y TJOA±
#%“ TJOA"
 
  
 Y ∴ Y ① 또 DPTA"이므로 DPTA"|Š  이고 ❶에서
  
 
B BBDPTA", B
직각삼각형 "1#에서  

"#“ā  `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직각이등변삼각형 "2#에서       
B TJOA" @ @ 
     

"2“ @"#“`

12“Y라 하면 삼각형 1"2에서
Y™A™A `
™A@@`@DPTA"  05
[전략] 삼각형 (#$에서 중선 정리를 이용하여 #$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 DPTA" U❶
그리고 세 변의 길이를 알 수 있으므로 삼각형 (#$의 넓이를 구할 수
또 삼각형 1#2에서 "L#이므로 있다.
Y™A™A `
™A@@`@DPTA#  (%“이므로 #%“Y라 하면 "
 ` DPTA" U❷ 삼각형 (#$에서 중선 정리를 사용
❶, ❷에서 
하면 (
` DPTA" ` DPTA"    Y
, Y   $
 ∴ Y`
  DPTA" %
` # Y

74 II. 삼각함수

⤿⥗⥸⥇⥏⤼⥗⤿⥡⥸⥅⥜⥎⥏⥤⥎⥐⥅⥓⥫QVLJ  ࿼ፎ"
따라서 ∠#($D라 하면 08
  `
  [전략] 원에서 한 현에 대한 원주각의 크기는 모두 같으므로 각 D가 ±, ±
  DPTAD
 
@@  인 점 9는 원 위의 점이다. 따라서 현 "#에 대한 원주각이 ±, ±
`
 인 원을 그린다.
  TJOADāDPT AD 

일등석은 그림과 같이 현 "#에 $m
따라서 삼각형 (#$의 넓이는
대한 중심각의 크기가 ±인 원 
 $„
@@@TJOAD` $과 ±인 원 $ 사이의 부분이 "
 S

삼각형 "#$의 넓이는 @`` ① 다.  ±



0m
±
원 $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
"
중선 정리 따라서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 "$“ ".“ #.“
S라 하면 0"“0#“S이므로
# $
.
삼각형 0"#에서
06 S S@S@S@DPTA±,
[전략] 전개도를 그리고 내리막길인 구간부터 구한다.  
S ∴ S  

원뿔 옆면의 전개도에서 내리막길 0 원 $에서 활꼴을 제외한 부분의 넓이를 4이라 하면


   
은 선분 $# 부분이다. I
#   4 @L @@TJOA±
 
밑면 둘레의 길이가 L이므로 " $ "
L 
L 
∠"0#  L 원 $에서 활꼴을 제외한 부분의 넓이를 4라 하면
 
 
삼각형 0"#에서   4 @SL S TJOA±
 
 
"#“  @@@DPTA L   
L   


∴ "#“`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삼각형 0"#의 넓이에서   44  


L   
 L 

    L  


 ①
@`@I @@@TJOA L, I
   `
직각삼각형 0$#에서
   @
$#“ [ ]
` 

∴ $#“ ④
`

07
[전략] 선분 "%, #%, $%의 길이를 건물의 높이로 나타내고
삼각형 "#%와 $#%에서 코사인법칙을 생각한다.

건물의 높이를 YAN라 하면


Y Y
"%“ Y, #%“  Y
TJOA± TJOA±
Y 
$%“  Y
TJOA± 
∠"#%D라 하면 삼각형 "#%에서
 YY Y
  DPTAD 
@@ Y  Y
또 ∠$#%LD이므로 삼각형 $#%에서
 YY  !Y
  DPTA LD
 
@@ Y  Y
이때 DPTA LD
DPTAD이므로
 !Y
Y 
 , Y 
 Y  Y
∴ Y ③

06. 삼각함수의 활용 75

⤿⥗⥸⥇⥏⤼⥗⤿⥡⥸⥅⥜⥎⥏⥤⥎⥐⥅⥓⥫QVLJ  ࿼ፎ"
정답 및 풀이

BO CO\B O


^ \C  O
^

III
B C  O

따라서 등차수열 \BO CO^의 공차는 이다. ④


. 수열
05
BOBO 에서
\ O
^ O

O
O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

O

 
step 기본 문제 81~85쪽 따라서 O은 자연수이므로 O ③

01  02  03 ① 04 ④ 05 ③
06 ② 07 ⑤ 08  09 ③ 10  06
11 ③ 12 ③ 13 ② 14  15 ① BOE에서
16  17 ① 18  19 ⑤ 20 ⑤
 O
EE, O
E
21 ② 22 ③ 23  24 ② 25 ②
O, E가 자연수이므로
26 ③ 27 ④ 28 ① 29 ② 30 ①
31 ① 32 ② 33 ④ 34 ④ 35 ② E, O 또는 E, O
36 ④ 37 ③ 38  39 ② 곧, E, O 또는 E, O
따라서 자연수 E값의 합은 이다. ②
01
첫째항을 B라 하면 공차도 B이므로
07
BOB O
BOB
=, >, = >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이므로
B B이므로 B B, B
>= = >
∴ >=
∴ BB 
YY L의 두 근이 =, =이므로
= =, =@=L
02
 
첫째항을 B, 공차를 E라 하자. ∴ = , L= ⑤
 
B B에서
B E
B E
, B E U❶
08
BB에서
세 근이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BE, B, B E라 할 수 있다.
B E
B E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❶을 대입하면 B E U❷
BE
B B E
 U❶
❶과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E
BE
B B B E
BE
B E
 U❷

BO<에서   O
, O ∴ O BE
B B E
L U❸

따라서 O의 최댓값은 이다.  ❶에서 B
❷에서 BE이므로 E†

03 ❸에서 LB BE


 
첫째항을 B, 공차를 E E
라 하자.
삼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B B에서
BY CY DY E의 세 근을 =, >, ?라 하면
B E
B E
, BE U❶ C D E
= > ? , => >? ?= , =>?
|B||B| 에서 B B B

|B E||B E| 
❶을 대입하면 ]E], E† 09
E이므로 E 첫째항을 B라 하자.
∴ BB EE ① |B||B|에서
Œ BB일 때
04 B @B @
등차수열 \BO^, \CO^의 첫째항을 각각 B, C라 하면 이 식을 만족시키는 B는 없다.

76 III. 수열

⤿⥗⥸⥇⥏⤼⥗⤿⥡⥸⥅⥜⥎⥏⥤⥎⥐⥅⥓⥫QVLJ  ࿼ፎ"
 BB일 때 14
B @ B @
∴ B \BO^, \CO^은 모두 등차수열이다.
\BO^은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BO^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은
@\@ 
@^ N B BN
N  N
N N

B B B U B  
   
 ③ \CO^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은
N[ ÅN ] N[ÅN ]
N C CN

10  
  
첫째항을 B, 공차를 E라 하자. 합이 같으므로
B에서 B E
N[ÅN ]
B에서 B E N N


 
연립하여 풀면 B, E
N이므로 NN 
BL  L
L 이므로
∴ N 
B B B U BL에서
L  L 

, L L

L이므로 L  15
첫째항을 B, 공차를 E라 하자.
B에서 B E
11
B에서 B E
, B, B, U, BO, 의 항이 O 
개이므로
연립하여 풀면 B, E
O 
 

 ∴ O ③ O\ O


@ 
^
 ∴ 4O

 
 O O
12  
첫째항을 B라 하면 공차가 이므로    
 [O ]
  
B B B U B에서
\B 
@^ 
따라서 에 가장 가까운 자연수는 이므로 O일 때 4O은
 

최대이다. ①
∴  B 
 U❶
또 B, B, B, U은 첫째항이 B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B, E이므로 BOy, BO 일 때 4O이 최대이다.
\ B 

@^
B B B U B BOO 이므로 O 에서


 B 
U❷ O .@@@

 B 
   곧, 수열 \BO^은 제항부터 음수이므로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이 최
대이다.
  ∵ ❶

 ③

 16
❶에서 B 를 ❷에 대입해도 된다.
 첫째항을 B, 공차를 E라 하자.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이 이므로
13  B E

, B E

첫째항이 이므로 공차를 E라 하면 B에서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이 이므로
 E, E
 B E

∴ BO O
@ 
O  , B E

Oƒ일 때 BOy, Oy일 때 BO이므로
연립하여 풀면 B, E
|B| |B| |B| U |B| O\ O
@ 
^
∴ 4O
 B B B B
 B U B

@  
  
O O

 
  
[O ]
 ②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77

⤿⥗⥸⥇⥏⤼⥗⤿⥡⥸⥅⥜⥎⥏⥤⥎⥐⥅⥓⥫QVLJ  ࿼ፎ"
정답 및 풀이


따라서 에 가장 가까운 자연수는 이고, 4O의 최댓값은 O
 다음과 같이 하면 B를 구하지 않아도 된다.
일 때 이다.  BBSBS@S@

BO O
@ 
O 이므로 20
 MPHABO  MPHABO에서
O 에서 O .

MPHABO MPHABO, BO BO
곧, 수열 \BO^은 제항부터 음수이므로 첫째항부터 제항까지
따라서 수열 \BO^은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의 합이 최대이다.
BOB@OO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최댓값은 4
B@B@B@ U @B@@@ U @
   U 
∴ L ⑤
17
공비를 S라 하자.
BB에서 B@BS U❶ 21
B B에서 BS BS  
U❷ MPHA, MPHA, MPHAY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이므로
 MPHA
MPHA@MPHAY
❶에서 S ∵ B 

 
 MPHAY, MPHAY
 
Œ S 일 때, ❷에 대입하면
 ∴ Y  ②
B B

 
B에 모순이다. 22
 G Y
YBY B라 하면
 S 일 때, ❷에 대입하면
 QG 
B , RG 
, SG 
B

B B R QS이므로
 , B
   B 
B
, BB 

∴ BBS@  ① ∴ B 또는 B

따라서 실수 B값의 합은 이다. ③

18 23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자. BO, ×, CO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이므로
 
BS BS  ×
BOCO
 
BS BS 
× BC
O
  
SS , [S ]  이때 BC의 값이 최소이면 자연수 O의 값이 최대이다.
 
그리고 와 이 서로소이므로 O의 최댓값은 과 의 최대공약

∴ S 수인 이다.

B BS  이때 BC
O @

∴       
B BS S 따라서 BC의 최솟값은 이다. 

19 24
B, BL, B이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이므로 L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자.
B, B,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이므로 BB@B
B에서 BS U❶
B 
B B 
, B
BB BS×BS
에서 , BS U❷
B BS ∴ L B ②
❷–❶을 하면 S
S이므로 S 25
 첫째항을 B, 공차를 E라 하자.
❶에 대입하면 B@ , B

BB에서 E ∴ E

∴ BBS @ 
 ⑤ B, B, B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이므로 BBB


78 III. 수열

⤿⥗⥸⥇⥏⤼⥗⤿⥡⥸⥅⥜⥎⥏⥤⥎⥐⥅⥓⥫QVLJ  ࿼ፎ"
B
 B
B
31
BB BB , B 공비를 S라 하자.
∴ B B, B, U, BL는 첫째항이 BS, 공비가 S인 등비수열,
∴ BO O
@ 
O  B, B, U, BL은 첫째항이 B, 공비가 S인 등비수열이다.
 B B U BL에서
BO에서 O , O .@@@
 S\ S
L^
따라서 자연수 O의 최댓값은 이다. ②  U ❶
S
B B U BL에서
@\ S
L^
26  U ❷
S
4에서
❶, ❷를 비교하면 S
B 

 ∴ B ③ ❷에 대입하면 
L
 
∴ L ①

27
B B U BL의 양변에 공비 S를 곱하면
나머지는 
 
 U 
 

B B U BLS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의 합이므로
∴ S

 
 U 
 

@\ 
^
  ④
  32
수열 \BO^의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면
28 수열 <  =은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BO B S
B B B U B
B B B U B에서
    U 
  U 

B S

 
 U❶
  ① S

   
U 에서
B  B  B B
29  [  ]
B S  S
  ,  @  U❷
첫째항이 , 공비가 이므로   BS S
 
S
 [  ]
❶–❷를 하면 BS
 O 
  4O  O
  ∴ B@B@B@ U @BB@BS@BS@ U @BS

 BS BS


|4O|.에서 O ., O ②

, 이므로 O의 최솟값은  ②
33
년 말 년 말 년 말 U 년 말 년 말
30 (단위: 만 원)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자.    


˜AŸ
B SO
   
˜Ad
4O이므로  U❶
S    
˜Až
4O이므로
U

   

B SO
B SO
SO 

,   
S S
   .
  .
 U   .

O  O
❶을 대입하면  S 
, S   .
 .

    만 원

O
B S 
. .
∴ 4O
S
B SO
SO SO 

 34
S
만 원의 개월 동안 원리합계는
 
@[ ] ① @  .
@. 만 원
U❶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79

⤿⥗⥸⥇⥏⤼⥗⤿⥡⥸⥅⥜⥎⥏⥤⥎⥐⥅⥓⥫QVLJ!  ࿼ፎ"
정답 및 풀이

또 이달 말부터 매달 Y만 원씩 지불할 때 원리합계는 38


A개월A말 A개월A말 A개월A말 U A개월A말 A개월A말 선분의 Y좌표를 왼쪽에서부터 Y, Y, U, Y라 하자.

Y Y  
˜A˜
선분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수열 \YO^은 등차수열이다.
Y Y  
˜A 
또 선분의 길이는
Y Y  
Ÿ B YO
YO B
YOB
이므로 선분의 길이도 등차수열을 이룬다.
U

U
Y Y  

  

Y Y 따라서 선분의 길이의 합은  



Y Y  .
Y  .
 U Y  .

Y .
.Y

.

.
Y U❷ 39
❶, ❷가 같아야 하므로 각 변의 중점을 연결하여 가운데 삼각형을 제거하면 남은 삼각형
@.Y, Y. 
의 넓이의 합은 처음 삼각형 넓이의 이다.

따라서 매월 말에 만 천 원씩 지불해야 한다. ④
 
따라서 수열 \BO^은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  ]=
35  
∴ B B B U B
Oy일 때  

BO4O4O O O
\ O
O^
 
O  <[ ] =

∴ B ② 
 ②

B44로 구할 수도 있다.

36
G Y
Y Y이라 하면 4OG O
O O
Oy일 때
BO4O4O
step 실력 문제 86~89쪽
 O O
\ O
  O
^
O 01  02 ④ 03 ② 04  05 ⑤
또 B4 06  07 ② 08 ② 09 ⑤ 10 

.
 
∴ B B  ④ 11 B  , C  12 ④ 13 ③ 14 

15 ③ 16 ,  17 ① 18 ④ 19 ③
20 ① 21 ④ 22 .시간 23  24 ④
37
4O@O L라 하자. 01
Oy일 때 [전략] \BO^, \CO^을 나열하면 공통인 수열을 찾을 수 있다.

BO4O4O 두 등차수열의 공통인 수열은 등차수열이다.

 @O L
 @O L
\BO^A:A, , , , , , , , , , U
@ O
@ 
\CO^A:A, , , , , , U
@ O
U❶ 이므로
따라서 수열 \BO^은 둘째항부터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DO^A:A, , , U
 따라서 수열 \DO^은 첫째항이 이고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또 B4@ LL
 D @ 

❶에 O을 대입하면 B 

BO은 로 나눈 나머지가 인 꼴이다.
곧, 수열 \BO^이 등비수열이므로
따라서 COO 에서 ON일 때와 ON일 때로 나
  
 L ∴ L ③ 누어 생각한다. 단, N은 자연수

  
CN N
N
O
4OQ S 
꼴이면 \BO^은 등비수열이다. 이므로 수열 \BO^의 항이 아니다.

80 III. 수열

⤿⥗⥸⥇⥏⤼⥗⤿⥡⥸⥅⥜⥎⥏⥤⥎⥐⥅⥓⥫QVLJ   ࿼ፎ"
CNN  N 
 05
이므로 수열 \BO^의 항이다. :Å <Å YÅ
[전략] B C D L로 놓고 Y, Z, [를 B, C, D와 L로 나타낸 다음, (가)를
따라서 DOCOO 이므로 D 이용한다.

(가)에서 ZY [ U❶
:Å <Å YÅ
02 (나)에서 B C D L L
라 하면
[전략] 4 중 가장 작은 수 B을 찾는다. 그리고 B으로부터 B, B을 구하는 방   
MPHBAL, MPHCAL, MPHDAL
Y Z [
법을 생각한다.
∴ YMPHLAB, ZMPHLAC, [MPHLAD
4 중 가장 작은 수는   U 
❶에 대입하면
이므로 B
 MPHLACMPHLAB MPHLAD, CBD
, , U, 에서  대신 을 뽑으면 BB 
C이므로 CB`D
이와 같이 생각하면 수열 \BO^은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다.
B D B D B D
∴ B × ④ ∴  
C B`D D B
B D
4중 가장 큰 수는   U  y|Š @ 
D B
B D
따라서  , 곧 BD일 때 최솟값은 이다. ⑤
03 D B
[전략] BO O
E로 놓고 B, U, B는 정수가 아니고 B은 정수일
조건을 찾는다. (가)에서 공차를 E라 하면
수열 \BO^이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ZY E, [Y E
첫째항이 이므로 B E (나)에서 B:ÅC<ÅDYÅL L
라 하면
E이므로 E BLY, CLZLY E, DL[LY E
B이 정수이므로 E, , U,  B D LY LY E
∴  LE LE
C LY E
  
∴ E , , U, U❶ y}xLE@LE@
  
(가)에서 E, E, E, U, E가 정수가 아니다. 단, 등호는 LELE일 때 성립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그런데 E가 , 이면 E, E는 정수이므로
 
 
❶에서 , 을 뺀 E만 가능하다.
 
06
따라서 가능한 등차수열은  개
이다. ②
[전략] (가), (나)에서 B BOB BO U을 이용한다.

(가)와 (나)에서
04
 
B B B B, BO BO BO BO이므로
[전략] 삼차방정식 BY CY DY E의 세 근을 =, >, ?라 하면
B B B B BO BO BO BO
C D E
= > ? , => >? ?= , =>?
B B B B BOB BOB BOB BO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B BO
 ∴ B BO
C O B BO

B C D U❶ (다)에서 이므로
B 
D O
BC CD DB U❷  ∴ O 
B 
BCD U❸
B, C, D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이므로 CB D U❹

❹를 ❶에 대입하면 C
C 07
B
[전략] 공차를 E라 하고 BN, BO, BN O을 B와 E로 나타낸다.
∴ B 또는 C
공차를 E라 하자.
❸에서 C 이므로 B
BN BOBN O에서
❸에 대입하면 CD
B N
E B O
EB N O
E

이때 ❶, ❷는 C D, C  D D ∴ EB U❶

연립하여 풀면 C, D B, B, U, B은 첫째항이 B, 공차가 E인 등차수열이고
 
∴ B C D 
 BB 
@EB ∵ ❶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81

⤿⥗⥸⥇⥏⤼⥗⤿⥡⥸⥅⥜⥎⥏⥤⥎⥐⥅⥓⥫QVLJ   ࿼ፎ"
정답 및 풀이

 B B
10
∴ B B B U B B

[전략] BO4O4O이므로 수열 \4O^에서 4O을,
B 수열 \4O^에서 4O을 구한다.
∴ Q ②   4O4 O
@O 4
  4O4 O
@O 4
이므로
08 BO4O4OO 44
[전략] E, N, L가 자연수이므로
@
 정수
꼴의 방정식을 구한다. B이므로  44, 44
조건에서 BO O
E이므로 ∴ B 44 
BN BN  BN  U BN L에서
L 
\ N
E  N L
E^ B만 구하기 위해서는 4과 4만 알면 된다.


B44이고
L 
\ N L
E^
  44@4 
@4 
L 이므로 N L
E
  44@4 
@4 
N, L가 자연수이므로 N Ly, 곧 E는 의 약수이다.
이므로 44에서
@@이므로 E의 개수는 @@ ②
4 
 4 
, 44
그런데 B44이고
연속한 L 
개 항의 합이 이라 하자.
  44@4 
@4 
공차가 E이므로
  44@4 
@4 
Œ L 이 홀수일 때 연속한 L 
개 항은
∴ B 4 
 4 

U, E, , E, U
 44

꼴을 포함한다. 곧, 이 수열의 항이므로
 O
E
O은 자연수이므로 E는 의 양의 약수이다. 11
∴ E, , , , , , ,  [전략] 등차중항과 등비중항의 성질을 이용한다.
 L 이 짝수일 때 연속한 L 
개 항은
(가)에서  MPHACMPHAB MPHA ∴ CB
E E
U, ,  , U  (나)에서 B
@C, BC  ∴ BC 
 
B를 소거하면
E
꼴을 포함한다. 곧, 가 수열의 항이므로 CC , C
C 


E      
 O
E , O C이므로 C ∴ B B , C
  E    
O은 자연수이므로 E, , , 
Œ, 에서 E의 개수는 이다.
12
[전략] <Y>O O은 정수
으로 놓고 Y, Y<Y>의 범위부터 구한 다음, 등
비중항의 성질을 이용한다.
09 Y<Y>, <Y>, Y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이므로
   
[전략]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면 BBBB S  BS
이다.
<Y>Y Y<Y>
U❶
따라서 BS의 값만 구하면 충분하다.
<Y>O O은 정수
이라 하면 Y이므로 Oy이고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면
<Y>O
BBBBS@BS@BSBS U❶
또 OƒYO , ƒY<Y>
또 B B B에서
따라서 ƒY Y<Y>
O 
BS BS BS, BS  S S
A U ❷
곧, ❶에서 ƒOO 
   
 에서 O이면 ❶에서
B  B  B 
    S S  Y
   ,  U❸
BS BS BS  BS Y에 모순이다.
❷–❸을 하면 BSdA 따라서 O이고 가능한 자연수는 O
 
B, S 이므로 BS ›A ❶에 대입하면
 
❶에 대입하면 BBB ›A
 ⑤ Y Y
, YY

82 III. 수열

f ጄ73QVLL  ! ࿼ፎ"


  ❶에서 BBS, ❷에서 SB B

Y이므로 Y
 B를 소거하면 SBS
 
∴ Y<Y>Y ④ S 이므로 B, S 


<Y>O O은 정수
이라 하면 Y이므로 Oy 15
Y<Y>=라 하면 ƒ= [전략] 좌표평면을 이용한다.

이때 ❶은 O  O =
= 곧, # , 
, " , 
, $ , 
, 1 B, C
로 놓고 1%“, 1'“, 1&“를 구
  한다.
O =O= 
좌표평면에서 # , 
, " , 
, Z
=†}x= = 
∴ O  †
= $ , 
인 삼각형 "#$를 잡고 
  "
Y Z
 점 1의 좌표를 B, C
라 하자.
Oy이므로 O  
= '
 직선 "$의 방정식은 Y Z이
%
ƒ=이고 O은 정수이므로 므로 1 B AC


   # & $ Y
O, =  |B C|
   1%“B, 1'“ ,

1&“C
13 세 선분의 길이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이므로

[전략] MPHAY
U로 놓고 U의 값부터 구한다. B C

BC

MPHAY
U로 놓으면 주어진 방정식은
B C  BCCBBC
UU B U❶
B
 C

❶의 두 근을 Q, R라 하면 주어진 방정식이 서로 다른 네 실근을
점 1가 나타내는 도형은 중심이 점 C
가지므로 B
™A C
™A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QR라 할 수 있다.
중에서 삼각형 "#$의 내부의 점이다.
MPHAY
Q 또는 MPHAY
R "

따라서 점 1가 나타내는 도형의 길이는
에서 MPHAY†Q 또는 MPHAY†R
 
∴ Y†Q 또는 Y†R L@@ L B
 # $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R , Q, Q , R ③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이므로
Q –QR –Q , QRQ
16
R Q ∴ RQ
[전략] 모든 O에 대하여 COBN인 N이 존재할 수 있는 E를 찾는다.
❶의 두 근이 Q, Q이므로 Q Q ∴ Q
CO이 수열 \BO^의 N번째 항이라 하자.

∴ > ?Q Q  ③ @EO N
E

에서 E가 보다 큰 자연수이므로 @EO, N
E는 E로 나
누어떨어진다. 따라서 도 E로 나누어떨어지므로 E는 의 약수
14
이다.
[전략] &$“B로 놓고 △(&$, △"(), △%&'의 넓이부터 구한다.
역으로 @EO N
E에서 E가 의 약수이면
&$“B로 놓으면

$(“(&“B, "(“B N@EO 
E
  이고 우변은 자연수이므로 CO은 수열 \BO^의 N번째 항이다.
△(&$ B

따라서 가능한 E는 , 이다. , 
 
△"() B B
TJOA° B B

 
  17
△%&' S
     
[전략] H Y
Y Y Y Y U Y Y 라 할 때
△(&$, △"(), △%&'의 넓이가 이 순서대로 공비가 S인 등 H Y
 Y
G Y
H 
임을 이용한다.
비수열이므로
H Y
YY YY U YY 라 하자.
  
B B
 BS U❶ H 
이므로
 
   H Y
 Y
G Y
 ∴ H 
G 

S BS B
U❷ 따라서 G Y
를 Y으로 나눈 나머지는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83

⤿⥗⥸⥇⥏⤼⥗⤿⥡⥸⥅⥜⥎⥏⥤⥎⥐⥅⥓⥫QVLJ   ࿼ፎ"
정답 및 풀이

 
G 
 H 
 ∴ BBS ③
 

   U  



 
\ 
^
 @  20
  

 [전략] 원금이 B, 월이율이 SA 일 때 O개월 후 복리로 계산한 원리합계는


 

 S O
B[ ] 이므로 등비수열의 합을 생각한다.

저금한 금액의 원리합계는
H Y
 Y
G Y
이므로
    @. @. U @.
G Y
Y Y Y Y Y
@.@ .

G 
     
.
\ 
^  
   
@.@.
    만 원

.
따라서 자동차의 가격은 만 원이다. ①

18

[전략] 공비를 S라 하면 S 이다. 첫째항을 B라 하고 B B B에서 B, 21
S에 대한 조건을 찾는다. [전략] 매번 적립하는 금액이 변한다는 것에 주의하여 년 후의 원리합계를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면 B B B에서 구한다.


     년 년 년 년 년
BS BS BS , BS  S S
 월 일 월 일 월 일
U
월 일 월 일
S이므로 B  S S

B B B B U B  @  
™A 
  
B BS BS BS U BS @  
@  
™A 
B  S S
BS  S S
BS  S S
U
@  
™ @  
™A 
BS  S S

U
@  
˜AŸ @  
™A 
 @ @ U @
    U 
첫해 적립한 만 원을 년 동안 연이율 A의 복리로 계산하

  면 @  .
만 원이다.
@  ④
 매년 전년도보다 A씩 늘려서 적립하므로 두 번째 해에 적립한
금액은 @  .
만 원이고, 이 금액을 년 동안 연이율
A의 복리로 계산하면
@  .
@.@. 만 원
이다.
19 따라서 매년 월 일에 적립한 금액의 원리합계는
O O
[전략] BOBS 이라 하면 COMPHABS 이다.
@.만 원으로 동일하므로 년 마지막 날 적립금의
이것을 (가), (나)에 대입하여 B, S에 대한 조건을 찾는다.
원리합계는
수열 \BO^의 첫째항을 B, 공비를 S라 하면 B, S이다.
@@.@@.
(가)에서
 만 원

C C C U C C
MPHAB MPHABS MPHABS U MPHABS MPHABS
MPHABS MPHABS
 22
∴ BS U❶
 [전략] A씩 증가하므로 .을 곱하면 된다. 곧, 공비가 .인 등비수열에
(나)에서 대한 문제이다.

C C C U C C 처음 ALN 구간은 ALNI의 속력으로 일정하게 달렸으므로


   
MPHABS MPHABS MPHABS U MPHABS MPHABS 
걸린 시간은 시간이고, 이때 ALN를 달리는 데 걸린 시간은
   
MPHAB S  MPHABS 

 시간이다.
∴ BS U❷ 

ALN 이후 ALN씩 달리는 데 걸린 시간은 전 ALN를 달리는

❶, ❷에서 S , BœA 데 걸린 시간에 .을 곱하면 되므로


84 III. 수열

⤿⥗⥸⥇⥏⤼⥗⤿⥡⥸⥅⥜⥎⥏⥤⥎⥐⥅⥓⥫QVLJ   ࿼ፎ"
     
@. @. @. U @. 수열 \B O^은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므로 수열
     

  .@ . 
 
 < = \5O^은 첫째항이 ,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  ]=
 .. 시간
.시간  

∴ 5 5 5 U 5
 

23   
 <[ ] = ④
 
[전략] 점 1O이 변 "#를 일정하게 나누는 점이므로 변 1O2O의 길이는 등차
수열이다. 2L가 $의 왼쪽에 있는 경우와 오른쪽에 있는 경우로 나누
어 합을 구한다.

꼭짓점 $에서 변 "#에 내린 $

수선의 발을 )라 하자.  
 
"#“ā  이므로
 " #
)
@@$)“ 

 step 최상위 문제 90쪽
   @@

∴ $)“ 01 ② 02  03  04 Q, R
 
이때 ")“ā  
01
1, 2가 각각 ), $이므로 12“)$“
[전략] 수열 \BO^,\CO^의 첫째항을 B, C, 공차를 E, E라 하고 "O, #O부터
, 12“, U, 12“도 등차수열이므로 구한다.
@  
또 "A:A#A:A임을 이용하여 B과 C의 관계도 구한다.
 12“ U 12“ 

"A:A#AA:AA이므로 BC이다.
12“, 12“, U, 12“, 도 등차수열이므로
\BO^의 첫째항을 B, 공차를 E이라 하고,
@  

12 “ 12 “ U 12 “   \CO^의 첫째항을 B, 공차를 E라 하면



∴ 12“ 12“ 12“ U 12“ O O
"O \B O
E^, #O \B O
E^
 
  
"OA:A#O O 
A:A O 
이므로
B EOE O 
다음 그림에서 
B EOE O 

2~ 모든 O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2„ EA:AEA:A, BE


A:A BE
A:A
2h

EA:AEA:A에서 E E이므로
2mm 
2f
2m U U
2„ 2mf 2me  
BE
A:A[B E]A:A ∴ B E
"
1„ 1f 1h ) 1mm 1me#
 



1m 1„ 1mf 
1~ 이때 BOB O
E E O
E



12“ 12“ U 12“
12“ U 12“
 
COB O
E E O
E
   
 @@  @@
   
∴ BA:AC[ E E]A:A[ E E]A:A ②
 

24 EO BE O 
  에서
EO BE O 
[전략] # BO, CO
이 직선 Z Y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먼저 CO, BO 을 BO
 EL, BEL라 하면
으로 나타내고, 수열 \BO^의 일반항부터 구한다.

EL, BEL이므로 B L
  
CO BO이므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BO이고,  
  곧, BB E L @L L
 

5O BO이다.  
CB E L @L L
  
  ∴ BA:A C
 
LA:A LA:A
이때 BO BO BO BO  
 

07.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85

⤿⥗⥸⥇⥏⤼⥗⤿⥡⥸⥅⥜⥎⥏⥤⥎⥐⥅⥓⥫QVLJ   ࿼ፎ"
정답 및 풀이

02 04
 
[전략] B B U BO4O은 O 에 대한 이차식이다. [전략] 세 근을 B, BS, BS 으로 놓으면 B의 부호와 S의 범위에 따라 크기가
조건을 만족시키는 4O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정해진다.
O\ O
E^ 서로 다른 세 실근이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세 실근을
수열 \BO^의 공차를 E라 하면 5O\ \
 B, BS, BS B , S , S , S 
으로 놓을 수 있다.
  E
  E

55이므로 \ \\ \ 세 근의 곱이 이므로


 
  B@BS@BS, BS

  E
  E

Œ  일 때 E BS가 실수이므로 BS U❶


 
이때 55이 성립한다. Œ S이면 SS 이므로 B, BS, BS 또는 BS, BS, B의 순


  E
  E
 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  일 때 E
   BSB BS, B SS 

이때 55이 성립하지 않는다. B , S 이므로 가능하지 않다.
O O  S이면 SS이므로 BS, BS, B 또는 B, BS,
Œ, 에서 5O\ \이다.

BS이므로 Œ과 같은 이유로 가능하지 않다.
Y Y
G Y


라 하면 Z Z]G Y
] Ž S이면 SS이므로 BS, BS, B 또는 B, BS, BS
 의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ZG Y
그래프의 축이 직선
 
BSB BS, B S
S 

Y 이고 방정식 G Y
의
 
B , S 이므로 S
해가 Y 또는 Y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0     Y ❶에 대입하면 B

같다. 따라서 세 실근은 ,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따라서 555 U 5, 55 Q 




5O5O 을 만족시키는 O의 값은 R@ 



@ @

, , , U, 이고 최솟값과 최댓값의 합은 ∴ Q, R

    S이면 SS이므로 BS, B, BS 또는 BS, B, BS의


순서로 등차수열을 이룬다.
5O|B B B U BO|이므로 5O BBS BS, B S 
S

55이고 55이므로 B , S 이므로 S
B이고 B이다. ❶에 대입하면 B
\BO^은 첫째항이 인 등차수열이므로
따라서 세 실근은 , , 이므로 Q, R의 값은 Ž과 같다.
B E에서 E
∴ BOO  Œ~에서 Q, R Q, R

03
[전략] 수열 B, C, D의 공비를 S라 하고 C, D를 B와 S로 나타낸다.

수열 B, C, D의 공비를 S라 하면 CBS, DBS


따라서 B, C, D은 B, BS, BS™A이고 이 수열의 공비도 S이므로
BS BS™A
 BS S
B 
∴ BSBBS™ABSS U❶
BSBBSBS에서
B SS 
, B S
S


B이고 S 이므로 S

 
❶에 대입하면 !BB ,  B, B
 

곧, C, D 이므로

  Å
U" , U# , U$ 
  Å

  ∴ U" U# U$ 

86 III. 수열

⤿⥗⥸⥇⥏⤼⥗⤿⥡⥸⥅⥜⥎⥏⥤⥎⥐⥅⥓⥫QVLJ   ࿼ፎ"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또 „ BL BL 
에서 „ BL BL

L L

 

step
„ BL „ BL U❷
기본 문제 92~96쪽 L L

01 ⑤ 02 ① 03 ② 04  05 ① @❷❶을 하면 „ BL 
L
 
06 ④ 07 ① 08 Q  , R  09 ③

10  11 ③ 12 ① 13 ④ 14 
05
15 ④ 16 ① 17 ② 18 ③ 19 O J K
 J  J J 
J 
 „  „ K @  이므로
20  21 ① 22  23  24 ② J J K
K J  
 J K
 
25 ③ 26 ⑤ 27 ① 28 ② 29 ② „ [ „ ] „ J 

J K J  J


30 ④ 31  32 ③ 33 풀이 참조
 @ 
34 ④  @  ①
  

01
 
„ G L 
 „ G L
06
L L

\ G 
G 
G 
U G 
^ = >, =>이므로
 
\ G 
G 
G 
U G 
^ „ L=
L>
 „ \L = >
L =>^
L L
G 
G 
 ⑤ 
 „ LL

L

02 @@ @
  



   
„ BL CL
 „ BL BLCL CL

L L
 ④
 
 
 „ BL CL
 „ BLCL
L L
 
에서 „ BL CL
, „ BLCL을 대입하면 07
L L

 
=O >OO, =O>OO 이므로
 „ BL CL
, „ BL CL
 =O >O =O >O
=O>O
L L
  O O 
OO
∴ „ BL CL
 „ BL CL
@ O
L L
∴ „ =L >L

 ① L

O
 „ LL

L
03
O O 
O 
O O 


L 
  @ O
„  „   
L L L  L L L 
O

L 
  \ O 
O 
 O 
^
„  „   
L L L  L L L 
O
 L 
LL 
 OO

„< = 
L LL 

 „ L 

L

@ 08
  ②  
 „ LB
 „ LBL B

L L

@@ @
04  B@ B
 

„ BL 
에서 BB 
L

   
„ BL BL 
 [B ]
 
L
   
„ BL  „ BL  따라서 G B
는 B 에서 최솟값 를 갖는다.
 
L L

     
„ BL  „ BL U❶ ∴ Q , R Q , R
   
L L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87

⤿⥗⥸⥇⥏⤼⥗⤿⥡⥸⥅⥜⥎⥏⥤⥎⥐⥅⥓⥫QVLJ   ࿼ፎ"
정답 및 풀이

09
   , 
, , 
, , 
, U로 생각하면
  이므로
L L 
L L 
L번째 항은 L, L
이므로
O

„   
L L L 
„ BL „ L L
 „ L

L L L


O
 
 „ [  ] @
L L L  @ @

     
<[  ] [  ] U [  ]=
    O O 
13
 Y@OY Oƒ
[ ]
O 
YO
YO 
ƒ
조건에서
∴ OƒYƒO 
 O 
[ ],  정수해의 개수는
O  O  
∴ O ③ BOO O @O 
 
∴ „ BO „ @O 

O O
10  

Oy일 때   ④

 
BO4O4OO  O
O
B4이므로 BOO 단, Oy
14
   B부터 B까지 중에 이 B개, 이 C개, 가 D개라 하면
  [    ]
BO BO  O
O 
 O O  
„ BL에서 C D
이므로 L


 „ BL에서 C D
„
L BL BL 
L

  연립하여 풀면 C, D


 „[    ]
 L L L  
∴ „ BLC šAD 
      L
 <[ ] [  ] U [  ]=
     
    B C D이므로 B
 [ ]
   
15
O이 홀수이면 G O
이고
11
L‚L  ‚L L O이 짝수이면 G O
이다.

  이므로 이때 G 
G 
G 
G 
 U 이므로
L ‚L  L L 

 M 
 „ G L
M@M
„
L L ‚L  L
@ 
  따라서 „ G L
이고, G 
이므로
 „ ‚L  L

 L L
 
 „ G L
 „ G L
G 

 \  
 
 

 L L

U ` `
``
^ ∴ N ④

 @   ` `

 실수 B의 O제곱근 중 실수인 것
  ③ O이  이상의 정수일 때, 실수 B의 O제곱근 중 실수인 것은 다음과 같다.

B B B

12 O이 짝수 Š B, Š B  없다.
주어진 수열에서 의 배수를 함께 생각하면 O이 홀수 Š B  Š B
, , , , , , U, , 
, U
이므로 B이다. 16
            
∴ „ BL „ L „ L [ ], [ , ], [ , , ], [ , , , ], U
L L L          
@ @ 
 @  ① 와 같이 나누어 생각하면 는 제군 번째 항이다.
  

88 III. 수열

⤿⥗⥸⥇⥏⤼⥗⤿⥡⥸⥅⥜⥎⥏⥤⥎⥐⥅⥓⥫QVLJ  ࿼ፎ"
@ 
 
제군까지 항의 개수는  ∴„  „ ‚O  ‚O

 O 4O O

   
 
 
U 
따라서 는  번째 항이다. ①
  ` `
` `

`   
17

, , 
, , , 
, , , , 
, U 21
과 같이 나누면 각 군의 수는 첫째항 , 공차 인 등차수열이므로 4OOO 이므로 Oy일 때
각 군의 O번째 항은   O
O이다. BO4O4O
제군의 마지막 항은 이고 처음으로 이 나오는 항이다. OO \ O
 O
^
따라서 첫째항에서 제Q항까지의 합은 제군의 합부터 제군까 O
지의 합을 모두 더하면 된다.  
∴ „ BL „ L

O L L
제O군의 합은 „ LO O 
이므로
L @
@ @ ①
구하는 합은 
 
„ N N 
 „ N N

N N 수열 \BO^은


@@ @ B4
 
  BOO Oy


22
O BL
18 4O „
L 
라 하면 4OO O이므로
L
"L L, L 
, #L  L , L 
이므로
Oy일 때
4L는 가로의 길이가 이고
BO
세로의 길이가 L 
 L 
LL  4O4O
O 
인 직사각형의 넓이이다. O O\ O
 O
^O U❶
L
∴ 4L L  B
4이고 ❶에서 O을 대입하면  이므로
  
∴ „ 4L „ LL 

L L BO
Oy일 때 O ∴ BOO O 

 
@ O 
  @ ③
      
  [  ]이므로
BO O O 
 O O 

    
19 „  „[  ] 
O BO  O O O 
직선 O개의 방정식을 왼쪽부터 YBL L, , , U, O
라 하면
     
 L
 <[ ] [  ] U [  ]=
     
BL 이므로
O
   
 L
 [ ]
   
MLBL BL
BL
O
O O  L

∴ „ ML „ <
L L O
=  23
 
 O O
BC „ BLCL „ BLCL
O @ O O L L
O 
@ @ @ @

이때 BOO에서 B이므로
20 
"O#O“‚O , "O #O “‚O  에서 C  

‚O ‚O 
4O 이므로

24
 
 B이므로
4O ‚O ‚O 
BB
 ‚O ‚O 

 BB  



‚O  ‚O BB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89

⤿⥗⥸⥇⥏⤼⥗⤿⥡⥸⥅⥜⥎⥏⥤⥎⥐⥅⥓⥫QVLJ !  ࿼ፎ"
정답 및 풀이

BB 
B이므로 BL 에서
BB   

BB ② L  
 ∴ L ②
L 

25
29
BB
B, BO BO O 에서
BB 
BB 
BB
BB 
BB 
BB 
BB
BB 
BB 


BOBO O
이므로
변변 더하여 정리하면
BNN, BNN  O

∴ B B  ③ BOB „ L


L

O O 

 

26  
BO BO  BO에서  O O 
 
BO BO BO BO BL이면
이므로 \BO^은 등차수열이다.   
L L , L L
공차를 E라 하면 BB에서  
B EB ∴ EB L이므로 L ②
B이므로 B E, B
∴ B, E 30
∴ BB E ⑤ (가)에 의해
BBB U B
(나)에 의해
27
MPHABO MPHABO이므로 BO BO BB
따라서 \BO^은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BB
BO@OO이므로 BB
B„@Bm@Bf@ U @Bi@@@ U @ ∴ B ④
   U  
 
주기가 이고 @ 이므로 BB
∴ L ①

31
28 (나)에서 YuBO Y BO 이 중근을 가지므로

BO[  ] BO에서   %BO BO 

O
O O
O 
∴ BO BO
BO BO, BO BO
O O 따라서 \BO^은 첫째항이 이고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 B @ 
B  B

@
B  B
 32
@ Œ O일 때
B  B
 @  @ 
⋮ 이므로 의 배수이다.
O
O 
 OL일 때 L  L가 의 배수라 가정하면
BO BO
O
L  LM M은 자연수

O 
변변 곱하여 정리하면 BO B 로 놓을 수 있다.
O 

90 III. 수열

⤿⥗⥸⥇⥏⤼⥗⤿⥡⥸⥅⥜⥎⥏⥤⥎⥐⥅⥓⥫QVLJ!  ࿼ፎ"
 L 
  L 
 따라서 OL 일 때도 ¦
이 성립한다.
L 
 L Œ, 에 의하여  이상의 자연수 O에 대하여 부등식 ¦
이 성
@L  @L@@L  립한다.
\M L 
^ 
∴ (가) LL , (나) L  ④
O 
L
이므로 O L  일 때도  O는 의 배수이다.
Œ, 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O에 대하여 O  O는 의
배수이다.
따라서 B, G L
L , H L
L, I L
L 
이므로
B G 
H 
I 
   ③
step 실력 문제 97~103쪽
33
Œ O일 때 01 ③ 02 ③ 03 ④ 04 ② 05 
06 ⑤ 07  08 ② 09  10 ①
@@
좌변
@, 우변
  11 ② 12 ③ 13 ② 14  15 ④


. 16 ④ 17  18  19 ① 20 
이므로 등식이 성립한다.
21 ④ 22  23 ④ 24 ⑤ 25 ③
 OL일 때 등식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26 ① 27 ⑤ 28 ④ 29 ① 30 ④
L L 
L 

@ @ @ U L L 


 31 ① 32  33  34 > 35 ⑤

U❶ 36  37 풀이 참조 38 ②

❶의 양변에 L 
L 
를 더하면
01
@ @ @ U L L 
L 
L 
O O

[전략] BO 이다.


L L 
L 

 L 
L 

 O O

BO Oy
이므로
L 
L 
L 


   L L

„ BL „
따라서 OL 일 때도 ❶이 성립한다. L L 
Œ, 에 의하여 모든 자연수 O에 대하여 등식   
 < „ LL
 „ LL
=
 L L
O O 
O 

@ @ @ U O O 


 
  < @@ @ @   
=
  
가 성립한다. 풀이 참조
 ③

34
02
Œ O일 때   L M
  [전략]  @ 이므로 의 약수는  @ L, M, , , 
꼴이다.
좌변
 , 우변
 
의 양의 약수는
이므로 ¦
이 성립한다.
, , , , , @, @, @, , @, @,
 OL Ly
일 때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LL  L 
L
이므로
이때

L  L 
L  „ MPHABLMPHAB MPHAB U MPHAB
L 
 @ LL  L
LL 
L 
L  MPH B@B@ U @B

 @ L 
L MPH @
 MPHA
LL 
L 
L  ③

LL 
L 
 L 
< = 03
L
[전략] , , 의 개수를 B, C, D라 하고 주어진 등식을 B, C, D로 나타낸다.
L L  L 
[ ] , , 의 개수를 각각 B, C, D라 하면
L
 L  B C D U❶
[ L  ]
L 
„ YJ |YJ|
에서
 L 
L  J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91

⤿⥗⥸⥇⥏⤼⥗⤿⥡⥸⥅⥜⥎⥏⥤⥎⥐⥅⥓⥫QVLJ!  ࿼ፎ"
정답 및 풀이

B C D
B C D
 }xB‰@œÄaO 에서
O
∴ C D U❷ O O
B‰@  , BO
, BO
  
„ YJ
YJ 
에서 O O O O 

J L
∴ „ BL „ [ ]O
 L L  
„ YJ
, B C D U❸
J 
 O™AO

❶, ❷, ❸을 연립하여 풀면 B, C, D 


 
∴  „ YJ B C D
 ④ G O
 O™AO
이라 하면 곡선 ZG O
의 축이 직선

J

O 이고 O은 자연수이므로 O 또는 O일 때 최대이다.

04 따라서 최댓값은
O
[전략] L번째 항을 O과 L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다음 „ BL를 계산한다. 
L
G 
 @
 
 
BLL OL
이므로 주어진 식은
O O O
„ L OL
O „ L „ L
L L L 08
  MPHBAC가 정의되기 위한 조건은 B, B , C이다.
O O
O
O O
[전략] 
O@ 
  Y는 정수이고
O O
YO, YO 이므로 YO  U❶
 \ O
 O
^
   
 Y O YY O 이므로
O O
O 

 ② Y O
YO, Y 
YO


O은 자연수이므로 YO U❷
O ❶, ❷의 공통부분은 O 일 때 O YO이므로
BO이므로 „ L™A OL
를 계산해도 된다.
L
B, B이고
BOO O 
OO Oy

05  
[전략] L L 
L 
L 
부터 간단히 한다. ∴ „ BO „ BO
O O

L L 
L 
L 
 

 
 „ OO
  

 L L
L L 
 O


 L L
 L L
   @@ @
    ②
 
 
 L L 

이므로 주어진 식은
   
09
„ L L 
 „ L  „ L „  
[전략] 이차함수 G Y
BY CY D B
는 Y
C
에서 최소이다.
L L L L B
@@ @ 
 @  곡선 ZG Y
의 축이 직선 Y 이므로
 
O O 

    
BO [  ]
O O 
O O 
06 
∴ „ BL „


O 
[전략] 몫을 2O Y
라 하고 Y  Y 
2O Y
BOY CO에서 CO부터 구 L L L 

L


한다.  
 „ [  ] 
L L L 
몫을 2O Y
라 하면
    
YO Y
2O Y
BOY CO <[ ] [  ] U [  ]=
    
Y을 대입하면 OBO CO 
[ ] 
Y을 대입하면  BO CO O 
연립하여 풀면 BO, COO
   @
 
10
∴ „ CL „ L 
L L   [전략] 예를 들어 ]YB] ]YC] ]YD] BCD
는 YC에서 최
⑤ 소이다.

BBUB이므로
07 

B‰ O 
G Y
 „ ]YBO]은 YB에서 최소이다.
[전략] }x @œÄa  의 좌변을 지수 꼴로 고친 다음 BO을 구한다. O

92 III. 수열

⤿⥗⥸⥇⥏⤼⥗⤿⥡⥸⥅⥜⥎⥏⥤⥎⥐⥅⥓⥫QVLJ!  ࿼ፎ"
BS이므로 S  O 
OO‚O 
  
S이므로 S O 
O O‚O  O 
OO O 

  O 
OO‚O 
∴ NG B
 „ BO
„ BO

O O O O 

 
 
S  S S 

 O ‚O 
 „ BO „ BO  
O O S S O O 
 
S 
S 

 
이므로 주어진 식은
 
S    O ‚O 
„[  ]
  
 
O O O 
∴ SN@  
 
     
[  ] [  ] [  ] U
     
  

u u
   [  ]
 
11 u 
  ②
[전략] L일 때 O의 값, L일 때 O의 값, U을 차례로 구한다.  
LƒMPHAOL 에서 LƒOL 이므로 A
ƒO일 때 G O
 14
 L
ƒO일 때 G O
 [전략] 
   L
L 을 이용하여 BO을 간단히 하는 방법을 생각한다.

ƒO일 때 G O
   L 
L  ,
⋮      L L 
L

  
∴ „ G N
G 
G 

N   
G 
G 
G 
U G 

이므로 BOO
G 
U G 

G 
U G 
 

∴ „ BO „ [O ]
 O O 
G 
U G 

@ 
@ @ @ @ @ @ 
 
 ②

15
12    
[전략] 분수 꼴의 합은 "#  #"[ "  # ] 꼴로 변형할 수 있는지
O
[전략] Y U라 하면 O이 짝수일 때 실수는 Y†ŠU 이고, O이 홀수일 때 실
부터 조사한다.
수는 YŠU 이다. 따라서 O이 짝수일 때와 홀수일 때로 나누어 실근
을 생각한다. O  O   
 <  = 
O  O O 
 O 
O O O 

Y U라 하면 U U 
 
이 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양근을 가진다. 이 두 양근을 =, >라 <   =
O O 

하면 YO=, YO>이고 =>이다. 이므로
Œ O이 홀수이면 실근은 =MÅ, >MÅ이므로 
O 
„
 O O 

O
G O
 =>
MÅMÅ ∴ MPHAG O

O 
 
 „ <   = 
 O이 짝수이면 실근은 †=MÅ, †>MÅ이므로 O O O 

      
G O
 =>
MM ∴ MPHAG O
   <[    ] [    ] U [    ]=
O      

 
 
  
∴ „ „ „ [  ]
 
O MPHAG O
O MPHAG O
O MPHAG O


O 
O ∴ Q, R, Q R ④
„ „
O  O 

@   @ 16
[  ] @
       
[전략] 로그를 포함한 식이지만 분수 꼴이므로 "#  #"[ "  # ]

 ③ 을 이용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BO BO BO에서 양변에 밑이 인 로그를 잡으면A
13   MPHABO MPHABO  MPHABO
[전략] 분모를 유리화한 다음 적당히 나열하여 소거되는 규칙을 찾는다. 곧, MPHABL MPHABL MPHABL이므로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93

⤿⥗⥸⥇⥏⤼⥗⤿⥡⥸⥅⥜⥎⥏⥤⥎⥐⥅⥓⥫QVLJ!  ࿼ፎ"
정답 및 풀이

MPHABL   L L
   [B ] [B ]
MPHABL 
MPHABL 
MPHABL  MPHABL  B B
 MPHABL L 
∴„ B , B L
L MPHABL 
MPHABL 
B

  L  O
„[  ]  ❶에 대입하면 L O, LO™A ∴ L
L MPHABL  MPHABL  L  
    O
[  ] [  ] U 따라서 G O
 이므로
MPHAB MPHAB MPHAB MPHAB 
  
 @@
[  ]  „ G O
 @  
MPHAB MPHAB O  
 
  U❶
MPHAB MPHAB
19
그런데 MPHAB, MPHAB, MPHABO MPHABO  MPHABO [전략] 원과 현의 성질을 이용하여 선분 1O2O의 길이를 구한다.
이므로 수열 \MPHABO^은 Y ZO Z
선분 1O2O의 중점을 .O이라 하면
, , , , , , , , , , , , U
01O“O, 1O
곧, MPHAB이므로 ❶은 O .O
]O] 
  0.O“  O
  ④ ā   2O
Y
 
이므로 O 0 O

 
B, B이고, BO BO  BO을 만족시키는 수열 \BO^을 피보나치 수 1O .O“|± O
[ O]
 Y™A Z™AO™
O
열이라 한다. 
 O


17 
따라서 1O 2O“ 1O .O“ O이므로

[전략] BN BN  U B를 G 로 나타낸다.

   @
 N „ 1O 2O“ „ O @  ①
BN BN  U B „ BL „ BL O  O  
L L

G 
G N

20
이 성립하므로 G 
G N
O O O
[전략] 선분과 곡선이 만나면 ƒOƒ , ƒLƒO
그림에서 Z L L 
ZG Y
L가 자연수이므로 O이 짝수일 때와 홀수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ƒNƒ, ƒNƒ

따라서 자연수 N의 최솟값은  선분 1O2O과 곡선 Z Y이 만나므로
0   Y L

O O O
ƒOƒ , 곧 ƒLƒO
L L 
18 Œ ON N은 자연수
이면
L NƒLƒN이므로
[전략] 원과 곡선이 만나는 한 점을 1[B, ]라 하면 나머지 세 점은
B
L
BOBNNN N
직선 ZY 또는 원점에 대칭이므로 좌표를 B, 로 나타낼 수 있다.
B  ON N은 자연수
이면
L Z L NƒLƒN이므로
그림에서 1는 곡선 Z 위의 Z 
Y Y
O 2 BOBNNN N 
점이고 1, 2는 직선 ZY에 대칭 Y™A Z™AO™
  

L 1 ∴ „ BO „ BN „ BN


O N N
이므로 1[B, ] B
라 하면 O
B  
0 O Y
L  „ N
„ N 

2[ , B]이다. 2 N N


B
@ @
또 1, 2은 각각 2, 1와 원점에 1 O @  @ 
 
대칭이므로 
L L
1[ , B], 2[B,  ]
B B
21
L 
1는 원 위의 점이므로 B [ ] O U❶ [전략] , , , 을 포함한 자연수 주변에서 , , , 이 나열
B
된다.
L L
12“ [B ], 11“ [B ] 연속된 네 개의 항이 처음으로 , , , 이 되는 때는 다음과 같
B B
조건에서 11“ 12“이므로 이 과 의 각 자릿수를 나열할 때이다.

94 III. 수열

⤿⥗⥸⥇⥏⤼⥗⤿⥡⥸⥅⥜⥎⥏⥤⥎⥐⥅⥓⥫QVLJ!  ࿼ፎ"
, , , , U, , , , , , , , , U BO BO O, BO BO O
이 나오기 전까지 나열된 자릿수의 개수는 ∴ B B@ ⑤
한 자리 수의 자릿수 : 
두 자리 수의 자릿수 : @ BO ™ABO™A
기울기
 O이므로 BO  BOO
BO BO
세 자리 수의 자릿수 : @
네 자리 수의 자릿수 : @
25
   이므로 O의 최솟값은
[전략] B, B, B, U를 구해 규칙을 찾는다.
  ④
B„이므로
 
B B, B 
22 B 
[전략] L행의 O번째 수를 L, O으로 나타낸다. 
B B, B
L행은 첫째항이 , 공차가 L인 등차수열이므로 

L행의 O번째 수는  L


O
 
B B , B
 
따라서  L
O
에서

L
O
 U❶ B B, B

L, O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B B, B ∴ L ③
™A@@의 약수가 @@ 개
이므로 
❶을 만족시키는 L, O
은 개이다. 
26
[전략] 규칙이 나올 때까지 Bm, Bf, Be, U를 구한다.
23
[전략] 첫 번째 시행, 두 번째 시행, 세 번째 시행에서 꼭짓점의 개수가 어떻게 B이므로
변하는지 조사한다. B„  
Bm  , Bf Bm
B„  
각 시행에서 삼각형의 개수는 이전 시행의 배이므로 O번째 시
Bf
행에서 남은 삼각형은 O개이다. Be
Bf
, Bs Be
또 변의 중점이 다음 시행에서 꼭짓점이 되므로 @O개의 꼭짓 ⋮
점이 더 생긴다. BOBO , B„ Bm Bf Be이므로
∴ BO BO O  
„ BO B„ Bm Bf Be
B B B B
U
B이므로 O

BB   B B B B

  
BB     @ ①

∴ B   ›A œA  27
™A 
[전략] 나
에서 BO은 주기가 인 수열이다.
  ④
 B B B B, B B B B과 같이 네 항씩 나누어 합을 생각
한다.
O
BO „ L  Oy
B, B, B, B이므로
L
B B B B   
B B B BB B B B
24

B B B BB B B B
[전략] 나
에서 1O은 곡선 ZY 위의 점이다.
Z

(나)에서 1O은 곡선 ZY 위의 ZY™
1O  BL  BL  BL  BL L 
점이다. Q Q  Q

(다)에서 1 O을 지나고 기울기가 ∴ „ BL „ L  Q 


L L 
O인 직선의 방정식은 Q


„ BL이므로 Q  ∴ Q ⑤
ZBO O YBO
BO™
1O L

이 직선과 ZY에서
YO YBO
BO 0 BO Y
28
BO O
YBO
Y BOO
 TJOAY, DPTAY는 주기가 L인 함수이다. 따라서 좌표의 주기를 찾는다.
[전략] 

해가 YBO 또는 YBO O이므로 \BO^ : , , , , U이므로 BO은 주기가 이고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95

⤿⥗⥸⥇⥏⤼⥗⤿⥡⥸⥅⥜⥎⥏⥤⥎⥐⥅⥓⥫QVLJ!  ࿼ፎ"
정답 및 풀이

OL OL L BO BO이므로 BO BO


DPTA , TJOA 는 주기가 A 이므로
  L 따라서 \BO^은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므로
A

OL OL B @ ①
BODPTA , BOTJOA 는 주기가 이다.
 
따라서 1O 1O이다.
32
@ 이므로 11@ 1 ④
[전략] 가
에서 BO과 BO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4O과 4O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29 수열 \CO^의 첫째항부터 제O항까지의 합을 4O이라 하자.
[전략] B, B, B, B를 직접 구한다. O O
  4O „ CL „ CL
BB@ L L

B B„ Bm
  @
@  
@ O O
 „ \ 
L@BL ^ „ \ 
L@BL ^
L L
B B„ Bm Bf

O O
 
  @ @
   @ @
 „ L 
„ L 

L L
 

< =@ O
  „ O
L
B B„ Bm Bf Be

4O4OCO
  @ @ @

O\ 
O@O ^O
   @ @ @

4N에서
 

< =@ ① Œ N이 짝수일 때, NN이라 하면



4NN
N
BO 4O이므로 BO4O
∴ N, 
따라서 Oy일 때
 N이 홀수일 때, NN이라 하면
BO BO4O4OBO
4NN
BO BO
N, N
B, BB@이므로
∴ N, , , U, 
수열 \BO^은 둘째항부터 공비가 인 등비수열이다.
따라서 N값의 합은
∴ BB@@
@  

   

30
O B  BO 
[전략] BO  B  꼴을 B 
BO
A꼴로 고쳐
O O 
33
 
과 의 관계부터 구한다. O O O
BO BO  [전략] „ OL 
BL를 O „ BL „ L
BL와 같이 정리한 다음
L L L
BO 수열의 합과 일반항의 관계를 이용하여 BO을 구한다.
BO  에서
BO 
조건에서
 B   
 O ,  O
BO  BO BO  BO „ OL 
BLO O 
O 

L
 
따라서 수열 < =은 첫째항이 , 공차가 인 등차수열이 O O
BO B O „ BL „ L
BLO O 
O 

L L
므로 O O
  4O „ BL, 3O „ L
BL라 하면
 O
@, BO L L
BO O
  O4O3OO O 
O 
U❶

∴ B ④ Oy일 때 O 대신 O을 대입하면

O
4O3O O
O O 
U❷
31 이므로 ❶❷를 하면
[전략] 4O 4OBO  BO을 이용하여 주어진 관계식을 정리한다. O 4O4O
4O 3O3O
O O 

4O 4OBO  BO이므로 OBO 4O O


BOO O 


4O 4O
BOBO  에서   4O BOO O 


BO  BO
BOBO     4OO O 

BO BO
  ∴ BO4O4OO O 
 O
OO

96 III. 수열

⤿⥗⥸⥇⥏⤼⥗⤿⥡⥸⥅⥜⥎⥏⥤⥎⥐⥅⥓⥫QVLJ!  ࿼ፎ"
문제의 주어진 식에 O을 대입하면 B BO @O
따라서 Oy일 때 BOO BO@O O Oy

 
∴ „ BL „ L@
@
  ∴ Q, G O
O
L L 
∴ Q G 
 
 ⑤

O을 대입하면 BO  LQ BO L


이면 수열 \BO L^는 첫째항이 B„ L이고 공비가 Q인
B„ Bm U B~ B@@ U❸ 등비수열이다.

O를 대입하면
36
B„ Bm U B~@@ U❹
[전략] OL 일 때 성립하는 식을 미리 써 보면 OL일 때 식을 어떻게
❸❹를 하면 정리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B„ Bm U B B@@@@ @ L 
@ L
@ L
U
 L@ L 
@
@ L
@ L
@ L
U L@
34     U L
L 
[전략] C, C, C, U을 B, B, B, U으로 나타내면 규칙을 찾을 수 있다. L L 
L 
L L 

 @ L 

 
CB
L L 
L 

CC BB B  L 


CCBB BB L L 
L 
 L 

CC BB BB B 

CC BB BB B B L 
L 
L 


CCBB BB B BB 
⋮ 따라서 G L
L , H L
 L 
,
CB BB B BB B BB B U❶ L 
L 
L 

I L
 이므로

CB이고, \BO^의 공차를 E라 하면
G 
H 
I 
   
BBBBBBE이므로 ❶에서
B B BE 37
B B E B EE, B„ E [전략] OL 일 때 성립하는 식을 미리 써 보면 OL일 때 식을 어떻게
따라서 BE, BOE O
EE O
정리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 CB„ BmBf
Be BsBg
Bi Bh Œ O일 때
BE BE B B 좌변
, 우변
이므로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EE EE E EE  OL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CCB BE EE L
„ \J L
^ L
 L
C   J
∴ 
C   이므로
L 
„ J L

J
35 L

[전략] 4O 4OBO 임을 이용하는 과정이다.


 „ J L
L L
L  L

J
L
4OBOO  U❶  „ \J L
 L
^ L L 

J
에서 O일 때, 4 B이고 4 B이므로
L L
B  „ \J L
^ „ L
L L 

J J
4O BO  O 
 U❷ L
 L
 L „ L
L L 

❷❶을 하면 J

 4O 4O
BO BO  L
 L L
 L L 

BO BO BO L L L L 


BO BO  L L 

∴ BO   BO 
따라서 OL 일 때도 성립한다.
따라서 수열 \BO ^는 첫째항이 B , 공비가 인 등비수 Œ, 에 의하여 O이 자연수일 때 주어진 등식이 성립한다.
열이므로 풀이 참조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97

⤿⥗⥸⥇⥏⤼⥗⤿⥡⥸⥅⥜⥎⥏⥤⥎⥐⥅⥓⥫QVLJ!  ࿼ፎ"
정답 및 풀이

38 02
[전략] OL 일 때 성립하는 식을 미리 써 보면 OL일 때 식을 어떻게 BL  BL  
[전략]  로 변형하고 처음 몇 항과 마지막 몇 항을
BLBL  BL BL 
정리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나열하여 소거되는 규칙이 있는지 찾는다.
O    
„[  ]  [ O ] U ¦
첫째항을 B, 공차를 E라 하자.
J J J
O B BL
 OL Ly인 자연수
일 때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L A L  =
L BLBL 
L
„[    ]  [  ] O
 
J J J  L  „ < 
L [ ]=
L BL BL 
위 부등식의 양변에
       
  [ ][ ] [ ][ ]
   B B B  B B  B B B
 
L   L 
 L 
L 
   
U [ ][ ]
을 더하면 BO BO BO BO 

    
L         
„ [ J  J ]  [ L ]  L 
L 
B BO  B B OE
J
EO
한편  L 
L이므로 
B B EO

   EO O
우변
 [ ] 조건에서 
 L L L 
B B EO
O 
    EO EOBO BEO
   [ ]
  L 
 L  O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따라서 OL 일 때도 ¦
이 성립한다. EBE, EB
Œ, 에 의하여 부등식 ¦
은 Oy인 모든 자연수 O에 대하 첫 번째 식에서 E B

여 성립한다. E이면 B이므로 분모가 이 되어 모순이다.
  B이면 E이고, 어느 항도 이 아니다.
∴ (가) , (나) ②
 L 
L 
L L 

∴ B, E, B @ ⑤

03
step 최상위 문제 104~105쪽
[전략] 먼저 (가), (나)에서 CO에 대한 식을 구한다.

01 ① 02 ⑤ 03  04  05  가
, 나
에서
06 ③ 07  08 2 , 
 
„ BO ]CO]
 „ BO CO

O O

01 이므로
[전략] 조건에서 CO, CO로 나누어 BO, BO을 구한다. 
„ ]CO]CO
 U❶
 O
COO O 이므로
 등비수열 \CO^의 공비를 S라 하자.
  S는 음의 정수이므로
BOO O, BOCO

C„, Cm, Cf, Ce, Cs

CO O
 O 이므로 ❶에서

  Cm Ce
, C„S C„SšA
BO O
 O, BOCO
 ∴ C„S  S™A
 U❷
  
∴ „ BLCL
 „ BLCL
„ BLCL
C„S는 음의 정수이고,  S™A은 자연수이므로  S™A은 의 약수
L L L
이다.

 

 „ [ ] „ 의 양의 약수는 , , , , , 이고
L  L 

  S가 음의 정수이므로 S 또는 S 또는 S


[ ]@ @
  ❷에 각각 대입하면
 
 .@@@ C„ 또는 C„ 또는 C„
 

∴ < „ BLCL
> ① 
이때 C„은 자연수이므로 C„ 일 수는 없다.
L 

98 III. 수열

⤿⥗⥸⥇⥏⤼⥗⤿⥡⥸⥅⥜⥎⥏⥤⥎⥐⥅⥓⥫QVLJ!  ࿼ፎ"
Œ C„, S일 때 G 
G 
,
 
G 
G 
,
„ CO이므로 (가)에서 „ BO
O O
G 
G 
,

 G 
G 
,
„ BOBf이므로 Bf
O 
G 
G 

수열 \BO^은 첫째항이 자연수이고 공차가 음의 정수이므로

Bf은 정수이다. ∴ „ BOG 
G 
G 
U G 

O
따라서 C„, S인 경우는 없다. @
 C„, S일 때 또 B
 \ 
œA^
„ CO   
O  
B  
@ 

(가)에서 „ BO 
O B 
@

 
„ BOBf이므로 Bf
O 이므로 „ BO „ BO이다.
O O
  œA

또 „ ]CO]  따라서 N의 최댓값은 이다. 


O 

이므로 (다)에서 „ ]BO] U❸
O

수열 \BO^의 공차를 E라 하자.


Bf이므로
B„E
BmE
Be E 05
Bs E [전략] 점 B, C
는 ZH Y
의 그래프 위에 있거나 Y축과 ZH Y
의 그래
프 사이에 있는 점이다.
E이므로 B„BmBfBeBs
따라서 ❸에서 Y  ƒY

G Y
< 이므로
E
E
  E
  E
 Y ƒYƒ

E, B„E  ƒY

H Y
<
Œ, 에서 Y ƒYƒ

B„, E, C„, S 또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이므로 H Y 
 Y 
G Y 

BO O
@ 
O  Y  G Y
H Y

따라서 제사분면에서 ZH Y
의 Z
CO@ 
O ZH Y

∴ Bi Ci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H 
,

H O
H O 
O 

이다.
이때 순서쌍 B, C
는 그림에서 색 

칠한 부분에 있고, Y좌표와 Z좌표 0        Y


04
O 가 모두 자연수인 점이다. 따라서
[전략] G O
 O 의 그래프는 점근선의 교점에 대칭임을 이용하여
BOH O
H O 
H O 

합이 간단해지는 규칙이 있는지 찾는다.


O  O  O O ,
O  Z
BOH O
H O
H O 

 에서 ZG Y

O O
O O  O O 

G Y
 이라 하면   
Y ∴ „ BO „ BO „ BO
U O O O

ZG Y
의 그래프는  
U
  „ O 
„ O 

점 [ , ]에 대칭이므로 0    Y O O


 
 @ @
G 
G 
, [@ @] [@ @]
 
G 
G 
,  

08. 수열의 합과 수학적 귀납법 99

 f ጄ73QVLL!!  ࿼႖"


정답 및 풀이

06 08
[전략] 에서 , 에서 , 에서 , U로 묶어 생각한다. [전략] 1, 1, 1, U과 2, 2, 2, U을 차례로 구한다.

2O YO, ZO
이라 하면 삼각형 2O2O 2O 의 무게중심이
1O O, BOB
이므로

U
U

      
      
YO YO  YO O U❶
       ZO ZO  ZO  BOB
U❷
       이고 1O, 2O을 차례로 구하면
      
     
 
1OA:A , 
, , B
, , B
, , B
, , B
, , B
,
      
 , B
, , B
, U
2OA:A , 
, , 
, , 
, , B
, , B
,
U

O 
™A
, B 
, , B
, , B
, , B 
,
수를 차례로 적으면 위 그림과 같으므로 부터
, B
, U
O 
 O
O
2의 좌표가 , 
이므로
씩 묶어서 군으로 생각하면 O군의 가장 큰 수는 O 
이다.
B ∴ B
@ 

2의 좌표는 , B
에서 2 , 
이다.
@ 

2 , 

@ 

이므로 은 군의 번째 수이다.
❶에서
이때 과 이웃한 수 중 가장 작은 수 Y는 그림과 같이 군의
YOO 
YO O
YO O

번째 수이다. 이므로 YO O
BO이라 하면
 ⇦   BO BO  BO 
Y ⇦   그런데 BY, BY이므로 B
⇧ ⇧ ∴ BO, YOO, Y
  ❷에서
\ZOB O
^ \ZO B O
^ \ZO BO^
 
이므로 ZOB O
CO이라 하면
 
CO CO  CO 

그런데 CZ BB, CZ이므로
따라서 Y 이다. ③ CB , CB, C, CB , U
∴ CCC U COB,
CCC U CO
CCC U COB 
∴ ZOB O
B, ZOBOB
07 ZOB O
, ZOBOB
[전략] 다
에서 BO과 BO 의 관계를 구할 수 있다.
ZOB O
B , ZOBOB 
따라서 B, B, U는 B로, B, B, U은 B로 나타낼 수 있다.
조건에서 Z이므로 ZOBOB에서
L ƒB ƒ L 에서 OB ƒLƒ O 
B
O  O
O O O BB ∴ B
자연수 L의 개수는 O 
BOOBO BO 이므로 이때 ZOO이므로 Z
BO BO  ∴ 2 , 

∴ B, B

또 BB 이므로 „ BL에서
L

 B  B 
, B
∴ B, B 

100 III. 수열

 f ጄ73QVLL  ࿼႖"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