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4

빠른 정답

02. 함수의 연속
I . 함수의 극한과 연속 step

01 ①
기본 문제

02 ① 03 ④ 04 B, C, D


19~22쪽

05 ④ 06 ④ 07 ① 08 Å 09 ③

01. 함수의 극한 10 ③ 11 ① 12 B, C 13 ③


14 ② 15 , ,  16 ,  17 
step 18 ③ 19 ④ 20  21 풀이 참조
기본 문제 7~10쪽
22 ③ 23 ,  24 ③ 25 Å, Å
01 ⑤ 02 ⑤ 03 ③ 04 Å 05 ③ 26 ① 27 ① 28 L 29 ⑤
06  07 ④ 08 ① 09 ③ 10 ④ 30 ② 31 ③
11 ④ 12 ⑤ 13 ① 14 ⑤
15 B, C 16 B, C 17 ④
18 ⑤ 19 ③ 20  21 ⑤ 22 ③
23  24 ④ 25 ④ 26 ③ 27 

28 ④ 29 [, Å] 30 Å


step 실력 문제 23~26쪽

01 ③ 02 ⑤ 03 ⑤ 04  05 ③

06 ① 07 ① 08 ⑤ 09 ⑤ 10 Å
11 ③ 12 ② 13 ⑤ 14 ⑤ 15 , 
step 실력 문제 11~15쪽 16 ① 17 ③ 18 ② 19 , z 20 ④
21 ,  22 ③ 23 ③ 24 ⑤
01 ② 02 ④ 03 ② 04 ④
05 O, 극한값 :  06 ④ 07 ①

08 B, C, 극한값 :  09 ③ 10 ④


11 ① 12  13 ⑤ 14 ① 15 ④
16 ④ 17 ③ 18 ② 19 ① 20 ②
21 ① 22 ① 23 ④ 24 ⑤ 25 A:AA step 최상위 문제 27~28쪽

26 ② 27 L 28 Å 29  30 Å 01 ① 02 ④ 03  04 ② 05 

06  07 ① 08 

step 최상위 문제 16~17쪽

01 ⑤ 02 ⑤ 03 ① 04 ② 05 ④

06 ④ 07  08 Qyg, R

빠른 정답 01

ጄ๢ఖ73QVLL ࿼႖"
빠른 정답

II . 미분
step

01 

05 ④ 06 
실력 문제

02 ZY 

07 
03 ③

08 ③
04 ④

09 
47~51쪽

10 ② 11 ! 12 ① 13 ① 14 ④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15 ③ 16 ③ 17 ① 18 ③ 19 ⑤
20 ① 21 ① 22  23 ⑤ 24 ①

25  26 ⑤ 27   28 ④
u
step 기본 문제 31~34쪽
29 B, C, D 30 ①
01 ③ 02  03 ② 04 ⑤ 05 
06 ⑤ 07  08 ① 09 ② 10 ⑤
11  12  13 B, C 14 ⑤
step 최상위 문제 52~53쪽
15  16 ① 17 ④ 18 ③ 19 
20 ② 21 ① 22  23 ④ 24 ③
01 !ƒUƒ 02 ③ 03 ② 04 ③
25 ① 26 ① 27  28 ④
29 Y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Y에서 연속이지만 05 ① 06  07 ! 08 
미분가능하지 않다.
30 ③ 31  32 풀이 참조

step 실력 문제 35~38쪽

01 
06 ⑤
02 
07 ①
03 ①
08 ③
04 ①
09 , 

05 ③
10 ①
05. 미분의 활용
11 ⑤ 12  13 ⑤ 14  15 ④
step
16 ⑤ 17 ① 18 N, O 19 ③
기본 문제 55~58쪽

20  21 ③ 22 23
01 ④ 02 ④ 03 ① 04 
② 풀이 참조
24 ④ 25 ⑤
05 ADNšA 06  07 [, io]


08 09  10 ② 11 ② 12 ②
 

step 최상위 문제 39~40쪽
13 ② 14 ③ 15 ⑤ 16 ①
17 18 19 ① 20 
01 ① 02  03 ① 04 ③
L 
21 ② 22 ② 23 G Y
YšAY™A  24 ④
05 B, C 06  07 N, O
08 ,  25 ② 26  27 ② 28 ③ 29  U


30 B, C 31 ①

step 실력 문제 59~63쪽

04. 접선과 그래프 01 ⑤ 02 ⑤ 03 ② 04 



05  


06  07 ④ 08 ② 09 ƒLƒ
step 기본 문제 42~46쪽 10 ③ 11 ④ 12 ③ 13  14 ⑤
15 ② 16 ⑤ 17  18 ④ 19 ②
01 02  03 04
20 21 22 23 24 ⑤
① B, C ④
⑤ ③  ①
05 06 07 ① 08
25 26 27 28 29 ⑤
B, C ① 
③ ⑤ ④ 
09 10 11 ⑤ 12
30
B, C ① ②

13 ④ 14 , 
15 ③ 16 ④ 17 ①

18 ① 19 ① 20 Å 21 ③ 22 ④
23 ① 24 ⑤ 25 ③ 26  27 ④ step 최상위 문제 64쪽
28 ⑤ 29 ① 30 ② 31 ④ 32 
33 ④ 34 ④ 35  36  37 ④ 01 ④ 02 ⑤ 03 최솟값 : , 최댓값 : 
38 ③ 39  04 ③

02 빠른 정답

ጄ๢ఖ73QVLL ! ࿼႖"


07. 정적분의 활용
III . 적분 step

01 ③ 02 
기본 문제

03 ④ 04 ③
79~82쪽

05 Å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06 ② 07 ④ 08 ③ 09 di 10 ④

11  12 ④ 13 ig 14 ⑤ 15 
step 기본 문제 67~70쪽 16 ③ 17  18 ⑤ 19 ④ 20 ④
21 ⑤ 22 ② 23  24 ④ 25 ⑤
01  02  03 ④ 04 ④ 05 ⑤
26 ① 27 ② 28 AN 29  30 ③
06 ② 07 ③ 08 ① 09  10 ②
11 ② 12 ④ 13 ② 14 ② 15 ② 31 !
16 ④ 17  18 d 19  20 ①
21  22  23 ① 24 ⑤ 25 ②

26 ⑤ 27 ① 28 ! 29  30 ①
31 ① 32 ②
step 실력 문제 83~86쪽

01 ⑤ 02  03 ① 04  05 ④

06 Å> 07  08  09 ④ 10 ④
step 실력 문제 71~75쪽
11 ⑤ 12 B, 최솟값 :  13 Å 14 ⑤
01 ② 02 ③ 03 ① 04 ③ 05 ④
15 e 16  17 ④ 18 ⑤ 19 
06 ② 07  08 ③ 09 ④ 10 ①
20 ④ 21 ⑤ 22 ② 23 AN 24 AN
11 ④ 12 d 13  14 ② 15 ②
16 ⑤ 17 ① 18 ① 19 ① 20 ③
21  22 ① 23 

24 극댓값 : , 극솟값 : g 25  26 ①

27 ② 28  29 Å 30 ④ 31 dg step 최상위 문제 87쪽

01 02  03 ! 04 z





step 최상위 문제 76~77쪽

01 ④ 02 ⑤ 03  04 g 05 

06 ! 07 L, B, C, D


L, B, C, D
L, B, C , D
L, B, C, D
08 

빠른 정답 0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Y ]™A Y™A 
™A
Y

I
ㄷ. MJN MJN 
YAZ  YAZ Y›A 
Y™A
Y™A
. 함수의 극한과 연속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은 ㄱ, ㄷ이다. ③

06
MJN G Y
이므로
YAZ

01. 함수의 극한 MJN G G Y

 MJN G U

YAZ UAZ

MJN G Y
이므로
YAZ
step 기본 문제 7~10쪽 MJN G G Y

G 

YAZ

01 ⑤ 02 ⑤ 03 ③ 04 Å 05 ③
∴ MJN G G Y

MJN G G Y

  
YAZ YAZ

06  07 ④ 08 ① 09 ③ 10 ④
11 ④ 12 ⑤ 13 ① 14 ⑤ 07
15 B, C 16 B, C 17 ④ YšA Y™AYY™A Y 
 Y 

18 ⑤ 19 ③ 20  21 ⑤ 22 ③  Y™A
Y 

23  24 ④ 25 ④ 26 ③ 27 
 Y 
Y
Y 

28 ④ 29 [, Å] 30 Å


이므로
YšA Y™AY Y 
Y
Y 

01
MJN MJN
YAZ YšA YAZ Y
Y™A Y 

MJN G Y
, MJN G Y
 Y 
Y 
@
YAZ YAZ MJN  
YAZ Y™A Y  
이므로

MJN G Y
MJN G Y
 ⑤
YAZ YAZ

08
02 ‚Y  Y 
MJN MJN
그래프에서 MJN G Y
 YAZ Y YAZ  Y
‚Y  

YAZ

또, YU라 하면 YAZ 일 때 UAZ이므로 MJN
 ‚Y  

YAZ

MJN G Y
 MJN G U
  
YAZ UAZ   ①
∴ MJN G Y
G Y
@ ⑤ @  

YAZ

09
03 ‚ Y‚Y  Y
 Y

MJN MJN
Y일 때 <Y>이므로 YAZ Y YAZ Y ‚ Y ‚Y

Y  
MJN  ③ MJN
YAZ <Y>  ‚ Y ‚Y
YAZ


  ③
04
 

10
MJN G Y
 MJN Y
YAZ YAZ

MJN G Y
 MJN Y™A BY 
 B    Y
™A  Y
Y

YAZ YAZ   이므로


Y
™A Y
™A Y
™A
MJN G Y
가 존재하면 MJN G Y
 MJN G Y
이므로
YAZ YAZ YAZ
   Y

  MJN < =MJN  ④


 B  ∴ B YAZ Y Y
™A YAZ Y
™A
 

11
05 Y 
MJN  MJN
]Y]™A Y™A YAZb
āY™A  Y YAZb 
ㄱ. MJN MJN  |Š 
YAZ ]Y™A] YAZ Y™A
Y™A
Y™A Y
™A Y 
™A 
ㄴ. MJN MJN    ④
YAZ Y›A Y™A YAZ Y™A   

04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12 이때 ❶은 

이므로
Y™A Y
Y™A B 
Y B

MJN āY™A YY


 MJN    
YAZb YAZb
āY™A Y Y MJN  [  ] MJN < =
YAZ Y Y B C YAZ B 
Y B

Y
 MJN 
YAZb
āY™A Y Y 
B 
™A

 MJN  
YAZb  조건에서   , B 
™A
|Š  B 
™A 
Y
B이므로 B  ∴ B, C
 
  ⑤ B, C
  

17
13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YU라 하면 YAZb일 때, UAZb이므로
B C ∴ CB
āY™A Y āY™AY āU™AU āU™A U
MJN  MJN 이때 BhY CB hY
이므로
YAZb Y UAZb U
  BhY C B hY

 MJN [|Š |Š ] MJN MJN


UAZb U U Y
YAZ YAZ Y
 ① B Y

MJN
YAZ Y
hY 

B B
MJN 
14 YAZ hY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B
조건에서 이므로 B, C
B C ∴ CB 

이때 ∴ B™A C™A ④

Y™A BY CY™A BY B


 Y 
Y B
18
B이면 MJN āY™A YBY
b이므로
이므로 YAZb

Y™A BY C 극한값이 C라는 조건에 모순이다. ∴ B


MJN  MJN Y B
B
YAZ Y  YAZ
Y™A YB™AY™A
MJN āY™A YBY
 MJN
조건에서 B이므로 B, C YAZb YAZb
āY™A Y BY
∴ B C ⑤ B™A
Y 
 MJN
YAZb 
|Š B
Y
15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B™A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B이므로 B
B  ∴ B
 
이때 조건에서 C이므로 C
 B 
Y™ABY  Y™AY  
MJN  MJN  ∴ BC ⑤
YAZ Y™A  C
Y C YAZ Y™A  C
Y C

Y
Y

 MJN 
19
YAZ Y
YC

Y  G Y

MJN   MJN 이므로 G Y


는 Y™A의 계수가 인 이차식이다.
YAZ YC C YAZbY™A
  따라서 G Y
Y™A BY C라 할 수 있다.
조건에서  이므로 C B, C
C 
G Y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


YAZ Y™A

16 이다. 즉, G 
이므로
    CYB  B C ∴ CB
[  ] @
Y Y B C Y C Y B
∴ G Y
Y™A BYB Y
Y B 

Y BC G Y
Y
Y B 

 U❶ 이때 MJN
C Y
Y B
MJN
YAZ Y™A YAZ Y 
Y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Y B  B 
MJN 
 BC ∴ CB  YAZ Y  

01. 함수의 극한 0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B   I Y

조건에서 이므로 B, C MJN G Y


b, MJN I Y
 이므로 MJN 
 YAZb YAZb  YAZb
G Y

∴ G Y
Y™AY, G 
 ③ I Y


G Y

∴ MJN   
20 YAZb

I Y

A

G Y
G Y
YšA G Y

MJN < Y= MJN 이므로


YAZb Y™A YAZ
b Y™A
G Y
YšA은 Y™A의 계수가 인 이차식이다.
따라서 G Y
YšA Y™A BY C라 할 수 있다. 24
G Y
YAZb일 때 극한이므로 Y이라 해도 충분하다.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 Y™A, 즉 Y일 때 주어진 부등식의 각 변을 제곱하면
YAZ Y

이다. 즉, G 
이므로 Y™A\G Y
^™A Y 
™A
  B C ∴ CB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A 이므로 각 변을 Y™A 으로 나
∴ G Y
YšA Y™A BYB 누면
 Y
Y™AYB
Y™A \G Y
^™A Y 
™A
 
G Y
Y™A  Y™A  Y™A 
MJN MJN \ Y™AYB
^B 
YAZ Y YAZ Y™A
이때 MJN ,
YAZbY™A 
조건에서 B 이므로 B, C
∴ G Y
YšA Y™AY, Y 
™A Y™A Y 
MJN  MJN 
YAZb Y™A  YAZb Y™A 
G 
  
\G Y
^™A
이므로 MJN  ④
21
YAZb Y™A 

Y
 
Y G Y
G Y

MJN
YAZ Y™A 
MJN
G Y
YAZ Y™A
에서 25
 Y  Y 
Z
G Y
ZG Y

ㄱ. [반례] G Y
< 이면
Y™A Y  Y

MJN MJN < @Y=@이므로
YAZ G Y
YAZ G Y
MJN G Y
이지만
YAZ
Y G 
이다. (거짓)
0 Y

G Y
  
MJN   ⑤ 
YAZ Y™A    ㄴ. U라 하면 YAZb일 때 UAZ이므로
 Y
G Y


MJN G[ ]MJN G  U

Y
22
YAZb UAZ

 UT라 하면 UAZ일 때 TAZ이므로


G Y

MJN 에서 YU라 하면 YAZ일 때 UAZ이므로 MJN G  U


MJN G T
 (참)
YAZ Y Y
UAZ TAZ

G U
ㄷ. MJN G Y
ƒMJN H Y
ƒMJN I Y
이므로
MJN  YAZ YAZ YAZ
UAZ U U 

MJN G Y
MJN I Y
이면 MJN H Y
 (참)
YAZ YAZ YAZ
G Y
G Y

∴ MJN MJN < @ Y 


=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YAZ Y YAZ Y Y 


@ ③

23
ㄴ.  U라 하면 YAZb일 때 UAZ이므로
Y

G Y
H Y
I Y
라 하면 MJN G[ ] MJN G U

YAZb Y UAZ

 
H Y
 G Y
 I Y
이므로
 

MJN
G Y
H Y
26
YAZb G Y
H Y

ㄱ. [반례] G Y
Y, H Y
 이면
G Y
G Y
I Y
Y
 MJN
YAZb G Y
G Y
I Y
MJN G Y
이고
YAZ
I Y

 
G Y
I Y
G Y
MJN G Y
H Y
MJN [Y@ ]이지만
 MJN  MJN YAZ YAZ Y
YAZb G Y
I Y
YAZb I Y

 A MJN H Y
는 발산한다. (거짓)
G Y
YAZ

06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ㄴ. [반례] G Y
Y, H Y
 이면 ∴ S U™A
Y 
G Y
 
MJN G Y
이고 MJN MJN Y™A이지만 ∴ MJN SMJN [ U™A]
YAZ YAZ H Y
YAZ UAZ UAZ  

MJN H Y
는 발산한다. (거짓) 
따라서 2가 한없이 가까워지는 점의 좌표는 [, ]이다.
YAZ 
G Y

ㄷ. G Y
H Y
@ 이고 [, ]
H Y

G Y

MJN H Y
, MJN 가 각각 수렴하므로
30
YAZB YAZB H Y

MJN G Y
도 수렴한다. (참)
YAZB 1 U, āU™A
, 2 U, ‚U 
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③  U ‚U āU™A

4 U
 @U@12“
 
4 U
‚U āU™A
∴ MJN  MJN
27 UAZ U™A UAZ U
 U 
 U™A

점 1를 지나고 Z Y 
에 수직 Z  MJN
 2 UAZ
U ‚U  āU™A


인 직선의 방정식은 Z Y 
U  
  MJN  Å
U  UAZ
 ‚U  āU™A

Z YU
1iU
U 
h
 "  A

0 Y
U 
Y일 때 Z 이므로

U 
2[, ]
 step 실력 문제 11~15쪽
U  ™A 
"2“|Š [

]  āU™A U 
 01 ② 02 ④ 03 ② 04 ④
05 O, 극한값 :  06 ④ 07 ①
U  ™A 
08 B, C, 극한값 :  09 ③ 10 ④
"1“|Š U 
™A [ ]  āU™A U 
 

.
"2“ āU™A U  11 ① 12  13 ⑤ 14 ① 15 ④
16 ④ 17 ③ 18 ② 19 ① 20 ②
∴ MJN  MJN  
UAZb "1“ UAZb
āU™A U 
21 ① 22 ① 23 ④ 24 ⑤ 25 A:AA

26 ② 27 L 28 Å 29  30 Å


28
1 U, U™A
이라 하면 U이므로 01
01“āU™A U›AUā U™A [전략] 세제곱근이 있으므로 다음 공식을 이용하여 분모를 유리화한다.

01“02“이므로 2 Uā U™A, 


BšA CšA B C
B™ABC C™A

BšACšA BC
B™A BC C™A

따라서 직선 12의 방정식은


Y Y
šAÄaY™A šAhY@ 

U™A MJN  MJN


ZU™A YU
YAZ šAhY YAZ YšA
Uā U™AU
U MJN šAÄaY™A šAhY@ 

YAZ
Z YU
U™A
ā U™A    ‚Y 
MJN  [ ] MJN  [ ] 
Y을 대입하면 YAZ Y ‚Y  YAZ
 Y ‚Y 
U™A U™A ā U™A 
Y 
ZU™A U™A MJN
ā U™A U™A Y‚Y  ‚Y  

YAZ

 
U™A ā U™A  MJN 
YAZ ‚Y  ‚Y  

3 , U™A ā U™A 
이므로 UAZ일 때 3는 점 , 
에 가까 
∴ B, C , BC ②
워진다. ④ 

02
29 [전략] YAZ일 때 YB의 부호를 조사하고 절댓값 기호를 없앤다.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2 , S
, 12“S B이므로 YAZ일 때 ]YB] YB

1 U, U™A
이라 하면 12“™AS™A  YB
 B
Y 
MJN MJN  ④
U™A U™AS
™AS™A, U™A U›AU™AS YAZ Y YAZ Y

01. 함수의 극한 0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03 
=™A>™A
‚Y = ‚Y >


[전략]  꼴의 극한이다.
\ Y =
 Y >
^ āY =™A āY >™A

YO  Y
YO YO AU< Y 
을 이용한다. = >
‚Y = ‚Y >


āY =™A āY >™A
YAZ일 때 (분모)AZ, (분자)AZ이다.
= >이므로
YO  Y
YO YO AU< Y 

āY =™AāY >™A


YO Y MJN
YAZb ‚Y =‚Y >
YO Y
@ ‚Y = ‚Y >

 Y
YO YO AU< Y 
Y  MJN
YAZb
āY =™A āY >™A
이므로
YO Y = >
MJN |Š |Š
Y Y  
YAZ YO   MJN   ④
YAZb
=™A >™A  
YO YO AU< Y 
 |Š |Š
MJN Y Y
YAZ YO YO AU< Y 
O
 
07
 
O  
OO  ∴ O ② [전략]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분자, 분모에 ā  Y
šA B CY
를 곱하고 식을 정리한다.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04 B ∴ B
[전략] YAZ 이므로 Y =로 놓고 =AZ 일 때 극한을 생각한다.
이때
YAZ 이므로 Y =로 놓고 생각하면 충분하다. ā  Y
šA  CY

MJN
Y™AY  =
™A  =
=™A = YAZ Y™A
YAZ 일 때 =AZ 이고 G Y
=이므로  Y
šA  CY
™A
MJN
YAZ
G Y
= Y™A\ā  Y
šA  CY
^
MJN  MJN
YAZ Y™AY =AZ =™A =
YšA C™A
Y™A C
Y
  MJN
YAZ
 MJN  ④ Y™A\ā  Y
šA  CY
^
=AZ =  
Y™A C™A
Y C

MJN U❶
YAZ
Y\ā  Y
šA  CY
^
05 또, ❶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전략] YAZO 일 때 <Y>O, YAZO일 때 <Y>O임을 이용한다. 
C ∴ C
OYO 일 때 <Y>O이므로 
<Y>™A Y O™A Y O™A O Y  
MJN  MJN  O   
YAZO <Y> YAZO O O 이때 ❶은 MJN   ∴ D
YAZ   
OYO일 때 <Y>O이므로 ā  Y
šA  Y
<Y>™A Y O
™A Y   
MJN  MJN ∴ B C D  ①
YAZO <Y> YAZO O   
O
™A O O™A 
 
O O
08
O™A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O  [전략] 극한값이 존재하고 MJN Yb이므로
O YAZb

O 
O
O™A  ∴ O MJN āY™A Y BY C
이다.
YAZb

이때 극한값은 O 이다. O, 극한값 :  MJN āY™A Y BY C


이므로
YAZb
  C
MJN Y[|Š  B ]
Y Y™A Y
06
YAZb

  C
bb 또, MJN [|Š  B ]이므로
[전략] bb 꼴이므로 분자, 분모에 YAZb Y Y™A Y
āY =™A āY >™A과 ‚Y = ‚Y >를 곱하고 식을 정리한다.  B ∴ B
이때
āY =™AāY >™A
‚Y =‚Y > MJN Y āY™A YY C

YAZb

Y =™A
 Y >™A
Y\Y™A Y YC
™A^
  MJN
YAZb
‚Y =‚Y >
āY =™A āY >™A
āY™A Y YC

08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Y\  C
YC™A^ ㄴ. G‘˜A Y
U라 하면
 MJN
YAZb
āY™A Y YC YAZ 일 때 UAZ
 C
YC™A
 MJN MJN G‘˜A G‘˜A Y

 MJN G‘˜A U
 (거짓)
YAZb YAZ UAZ
  C
|Š  
Y Y™A Y ㄷ. B이면
YAZb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도 수렴한다. MJN G‘˜A Y
MJN G‘˜A Y
 

YAZB YAZB
 C ∴ C 
B 이면
C™A  
이때 극한값은 
   
MJN G‘˜A Y
MJN G‘˜A Y
  
 YAZB YAZB  
B, C, 극한값 : 
 이므로 실수 B는 개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①

09
U U
[전략] U  Y, U Z로 놓고 UAZb일 때 Y, Z의 극한부터 구한다. 12
\G Y
^™A G Y

[전략] 을 정리한 다음, 부등호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U U U   G Y

Y라 하면   이므로
U  U  U  U  \G Y
^™A G Y
 \G Y
^\G Y
^

UAZb일 때 YAZ G Y
 G Y

U G Y

MJN G[
] MJN G Y

U 
UAZb YAZ
이므로
U U  U 
  \G Y
^™A G Y

Z라 하면   이므로 Yƒ ƒ Y
™A 
U  U  U  U 
G Y

UAZwb일 때 ZAZ MJN Y, MJN \ Y
™A ^이므로
YAZ YAZ
U
MJN G[ ] MJN G Z
 \G Y
^™A G Y

UAZb U  ZAZ
MJN  
YAZ G Y

U U
∴ MJN G[ ] MJN G[ ] ③
UAZb U  UAZb U 
13
G Y
H Y

10
[전략] I Y
라 하고
\H Y
^™A
[전략] [ ] 기호를 포함한 경우 좌극한(YAZO)과 우극한(YAZO )을 나 G Y
를 H Y
, I Y
로 나타낸 다음,
누어 생각한다. (단, O은 정수) MJN H Y
, MJN I Y
임을 이용한다.
YAZb YAZb

ㄱ. Y일 때 <Y>이므로 MJN H Y


 G Y
H Y

YAZ
I Y
라 하면
Y일 때 <Y>이므로 MJN H Y
 \H Y
^™A
YAZ
G Y
\H Y
^™AI Y
H Y

따라서 MJN H Y
의 값은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YAZ 이므로
ㄴ. G Y
 Y
™A이므로 ZG Y
의 그 Z ZG Y
G Y
H Y

MJN
래프는 그림과 같다. G Y
H Y

YAZb

YAZ일 때 G Y
AZ 이므로 \H Y
^™AI Y
H Y
H Y

 MJN
0  Y YAZb \
H Y
^™AI Y
H Y
H Y

MJN H G Y

 MJN H U
 (참)
YAZ UAZ
H Y
I Y

ㄷ. MJN G H Y

G 
 (참)  MJN
YAZb H Y
I Y

YAZ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MJN H Y


, MJN I Y
이므로
YAZb YAZb

H Y
I Y
 
MJN  ⑤
YAZb H Y
I Y
 
11

14
[전략] ZG Y
와 ZG‘˜A Y
의 그래프가 직선 ZY에 대칭임을 이용하여
ZG‘˜A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극한을 생각한다.
[전략] G Y
가 삼차함수이고, G 
이므로
ZG Y
와 ZG‘˜A Y
의 그래프는 Z
 ZGA‘˜A Y
G Y
 Y
H Y
H Y
는 이차식
로 나타낸다.
직선 ZY에 대칭이므로 ZG‘˜A Y
 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MJN 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


Y
YAZ Y
  0  
ㄱ. MJN G Y
 (참)  이다.
YAZ

∴ G 


01. 함수의 극한 0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따라서 G Y
 Y
H Y
A H Y
는 이차식
라 하면  
MJN ]Y]<G[ ]G[ ]=
G Y
YAZ Y Y
MJN MJN H Y
H 

YAZ Y YAZ G U
G U
BU
 MJN  MJN B
따라서 H Y
 Y
BY C
라 할 수 있다. UAZb U UAZb U

G Y
 Y
™A BY C
이고,  
U라 하면 YAZ일 때 UAZb, ]Y]Y 이므로
Y U
G Y

MJN 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YAZ Y MJN ]Y]<G[ ]G[ ]=
YAZ Y Y
(분자))Z이다.
G U
G U
BU
G 
에서  MJN  MJN B
UAZb U UAZb U

 B C
 ∴ CB  
MJN ]Y]<G[ ]G[ ]=의 값이 존재하므로
이때 YAZ Y Y
G Y
 Y
™A BYB
 BB ∴ B
 Y
™A@B Y
 Y
™A  ∴ G Y
Y™A , G 
 ④
B Y
™A Y
 Y
Y 

 Y
\B Y
™AY^ 17
이므로 [전략] "를 #로 나눈 몫이 2, 나머지가 3이면 "#2 3이다. 이 식을

G Y
 이용하여 G Y
, H Y
를 정리한다.
MJN MJN \B Y
™AY^
YAZ Y YAZ (가)에서 G Y
 Y
™AH Y
BY C라 할 수 있다. U❶
B (나)에서 H Y
 Y
2 Y
 (2 Y
는 다항식)이므로
조건에서 B이므로 B, C G Y
H Y
 Y
Y™AY 
2 Y

∴ G Y
 Y
™A Y
, G 
 ①  Y™AY 
BY C
(다)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15 G 
H 
이므로
[전략] Y)Z일 때 극한값이 존재하면 Y)Z 일 때와 Y)Z일 때의 B C ∴ CB
극한값이 같음을 이용한다.
이때
G Y
Y™A BY C라 하자. G Y
H Y
 Y
Y™AY 
2 Y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Z이다.  Y


Y
B Y

∴ G 
 U❶ 이므로
 B C ∴ CB G Y
H Y

MJN
∴ G Y
Y™A BYB Y
Y B 
YAZ Y
이때 MJN \ Y™AY 
2 Y
 Y
B^
YAZ
G Y
Y
Y B 
 B
MJN  MJN
YAZ ]Y] YAZ Y
∴ B, C
 MJN Y B 
 B
YAZ ❶에서 G Y
 Y
™AH Y
Y 이므로
G Y
Y
Y B 

MJN  MJN G 
 ③
YAZ ]Y] YAZ  Y

 MJN \ Y B 
^B
18
YAZ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BB ∴ B Y™AG Y


G Y

[전략] MJN 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


∴ G Y
 Y
™A, G 
 ④ YAZ YšAY™AY
이다. 따라서 Y™AG Y
G Y
Y2 Y
꼴로 정리한다.

❶에서 G Y
는 Y로 나누어떨어진다.
G Y 

MJN 에서 Y)Z일 때


G Y
는 Y™A의 계수가 인 이차식이므로 Y 
Y 
Y

YAZ

G Y
 Y
YQ
로 놓고 풀어도 된다.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 G 

16 즉, G Y
YH Y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전략] ]Y]를 포함하므로 Y)Z 와 Y)Z로 나누어 푼다. G Y 
 Y 
H Y 
이므로
 G Y 
H Y 

MJN G[ ]에서 MJN G U


, G 
 MJN  MJN
YAZb Y UAZ YAZ Y 
Y 
Y
YAZ Y 
Y

따라서 G Y
Y™A BY 이라 할 수 있다. H 

 

 
U라 하면 YAZ 일 때 UAZb, ]Y]Y 이므로
Y U ∴ H 


10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이때 따라서 (가)에서 OO , 즉 O이고
Y™AG Y
G Y
YšAH Y
YH Y
\G Y
^™AG Y™A
B™AB
MJN  B
Y\Y™AH Y
H Y
^ YAZb Y™AG Y
B

이므로 ∴ B, G Y
Y™A CY D
Y™AG Y
G Y
Y™AH Y
H Y
(나)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MJN MJN
YAZ YšAY™AY YAZ
 Y™AY G 
이므로
H 
 C D ∴ DC
  ②
 ∴ G Y
Y™A CYC Y
Y C 

이때
19 G Y
 Y
Y C 

MJN MJN
[전략] Y)ZB일 때 (분자))Z„\G B
^™A, (분모))Z\G B
^™A이므로 YAZ Y YAZ Y
G B
일 때와 G B
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MJN Y C 
 C
YAZ
YAZB일 때 (분자)AZ\G B
^™A, (분모)AZ\G B
^™A이다.
∴ C, G Y
Y™AY 
ΠG B
일 때
따라서 G 
  ②
\G Y
^™A YB
™A \G B
^™A
MJN  
YAZB \G Y
^™A YB
™A \G B
^™A G Y

G Y
, H Y
가 다항식일 때 MJN = (=는 이 아닌 상수)이면
이므로 조건에 모순이다. YAZb H Y

 G B
일 때 G Y
와 H Y
는 차수가 같고, 극한값 =는 G Y
와 H Y
의 최고차항의 계수의
B™AB
G Y
 YB
YC
라 할 수 있다. 비이다. 따라서 (가)에서 OO 이고 극한값은
B
이다.
\G Y
^™A YB
™A YC
™A이므로

21
\G Y
^™A YB
™A YC
™A 

\G Y
^™A YB
™A YC
™A G Y
H Y

[전략] MJN 는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G Y
^™A YB
™A YC
™A  YAZ Y™A
∴ MJN MJN 따라서 G Y
H Y
 Y
2 Y
꼴로 정리한다.
YAZB \G Y
^™A YB
™A YAZB YC
™A
BC
™A   G Y
 Y
H Y
 Y
 Y
\ H Y
^
 
BC
™A  G Y
H Y
 Y
\H Y
^H Y

 BC
™A  BC
™A
이므로
BC
™A ∴ BC† G Y
H Y
\H Y
^H Y

MJN MJN U❶
그런데 G Y B
Y Y BC
이므로 YAZY™A YAZ Y 
G Y B
의 두 근은 Y 또는 YB C H Y
Y
MJN 의 값이 존재하고
∴ ]=] ]>] ]BC] ① YAZ Y
YA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G Y
™A H 
 ∴ H 

< = 
YB  
@
MJN  에서 따라서 ❶의 극한값은  ①
YAZB G Y
™A  
< = 
YB

MJN <
G Y
™A
= U라 하면 22
YAZB YB G G Y

[전략] MJN 를 이용할 수 있는지부터 확인한다.


U   YAZ G Y

 , UU  ∴ U
U  Y
MJN 에서 YAZ일 때 G Y
AZ
G Y
YAZ G Y

∴ MJN †
YAZB YB
Y
MJN 에서 YAZ일 때 G Y
AZ
G B
이므로 G Y
 YB
YC
라 할 수 있다. YAZ G Y

G Y
G Y
U라 하면 YAZ일 때 UAZ이므로
∴ MJN MJN YC
BC†
YAZB YB YAZB G G Y

G U

MJN MJN 
YAZ G Y
UAZ U 
20 ∴ MJN
G G Y

MJN <
G G Y

G Y

@ @

=
YAZ Y™AY YAZ G Y
Y Y 
[전략] (가)에서 G Y
의 차수부터 구한다.
   
G Y
BYŠA U B 
이라 하자.  @ @  ①
   
\G Y
^™A의 최고차항은 B™AY™AŠA, G Y™A
의 최고차항은 BY™AŠA이고
B 이므로 \G Y
^™AG Y™A
의 최고차항은 B™AB
Y™AŠA이다. Y
MJN 에서 G 

또, Y™AG Y
의 최고차항은 BYO 이다. YAZ G Y

01. 함수의 극한 11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따라서 G Y
YH Y
H Y
는 다항식
라 하면 24
Y    [전략] ]Y] ]Z]U의 그래프를 그리면 정사각형이다.
MJN MJN   ∴ H 

YAZ 
G Y
YAZ H Y
H 
 U일 때와 U일 때, 정사각형과 원의 위치 관계부터 조사한다.
Y Œ ]Y] ]Z]U에서 Z
MJN 에서 G 

YAZ 
G Y
U
 Yy, Zy일 때 Y ZU
즉, H 
이므로
Yy, Z일 때 YZU
H Y
 Y
I Y
I Y
는 다항식
라 하면
Y, Zy일 때 Y ZU U 0 U Y
G Y
Y Y
I Y

Y, Z일 때 YZU


Y  
∴ MJN MJN   따라서 ]Y] ]Z]U의 그래프는 U
YAZ 
G Y
YAZ YI Y
I 

 그림과 같다.
∴ I 

  U일 때 도형 ]Y] ]Z]U는 Z
U
   원 Y™A Z™A에 내접한다.
또, H 
 이므로 I 
 ∴ I 

   U
직선 Y Z는 원 Y™A Z™A
G G Y

G Y
\G Y
^I G Y

에 접하므로 0 Y
Y Y
I Y
\G Y
^I G Y

 
U일 때 도형 ]Y] ]Z]U는
이므로
원 Y™A Z™A에 외접한다.
G G Y

G G Y

MJN MJN 따라서 U일 때 G U


, U일 때 G U

YAZ Y™AY YAZ Y
Y 

U일 때 G U
, U일 때 G U

YI Y
\G Y
^I G Y

MJN U일 때 G U

YAZ Y 
I 
\G 
^I G 

∴ MJN G U
MJN G U
  ⑤
UAZ
 UAZ

@Å@ 
@I 


 
25
 

[전략] 닮은 삼각형이므로 길이의 비를 구해도 된다.

23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점 $ U™A, 

U™A
[전략] B이므로 그래프가 두 점 #, 0를 지날 때를 기준으로 하여 G B


값을 조사한다. 직선 #0의 기울기가 이므로 점 0 UšA, 

UšA
점 #를 지날 때 또,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기울기가 변하면 UAZ이다.
 △$#%와 △"0%가 닮음인 삼각형이고
 B, B
™A ∴ B 또는 B
B
#$“ U™A  U 
점 0를 지날 때 MJN MJN MJN 
"0“
UAZUAZ
 Uš A UAZ
  U U™ A 
 이므로 두 삼각형의 닮음비가 AA이다.
 B, B™A ∴ BA ∵ B

B
따라서 넓이의 비는 AA이다. AA
Z Z Z
$ # $ # $ #

26
0 " Y 0 " Y 0 " Y
[전략] 1 U, U™A
으로 놓고 삼각형 102, 삼각형 130가 이등변삼각형임을 이
B일 때 B일 때 B일 때 용하여 2, 3의 좌표를 구한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Z Z
1 U, U™A
이고 삼각형 102가 이등변 ZY™
 3
B일 때 G B
 삼각형이므로 2 U, 


B일 때 G B
 ZG B

 ∴ 4 U
 @U@U™AUšA 1
 U™
B일 때 G B
 .

B일 때 G B
 삼각형 130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0 U 2 Y
0    B
B일 때 G B
 3는 선분 01의 수직이등분선 위의 점이다.
B일 때 G B
 U U™A
선분 01의 중점을 .이라 하면 . [ , ], 직선 01의 기울기
 
B일 때 G B

는 U이므로 직선 .3의 방정식은
∴ MJN G B
MJN G B
MJN G B
  
BAZ BAZ BAZ
U™A  U  U™A 
Z  [Y ], Z Y
④  U  U  

12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U™A        
∴ 3[, ] @ @B BS B
@ S B
|ŠBA™ @S B

        
 U™A   
∴ 5 U
 @[ ]@U UšA U
B
    
S B

 
Å UšA U
UšA B |ŠB™A
5 U
4 U
 
∴ MJN  MJN
UAZ U UAZ U 
     
 MJN [ U™A ] ② ∴ MJN S B
 MJN 
UAZ    BAZb BAZb
   
 |Š
B B™A

27
[전략] 삼각형 10"가 이등변삼각형임을 이용하여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를 구한다. 29
ZY™A UYY YU
에서 1 [전략] 직선 01, "1의 방정식을 구한 다음 2, 3의 좌표를 U로 나타낸다.
U™AS
0 , 
, " U, 
이다. āU™A
직선 01의 방정식은 Z Y
또, 1 U, U™A
이다. # S U
*
삼각형 10"가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선 S āU™A
직선 "1의 방정식은 Z Y 
0 " U
분 0"의 중점을 ), 선분 10와 내접원 U )
따라서 두 점 2, 3의 Z좌표는 각각 Y을 대입하면
의 교점을 #,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āU™A āU™A
S, 내심을 *라 하면 삼각형 1)0와 삼각형 1#*는 닮음이므로 , 이다.
U U
10“AA0)“1*“AA*#“
āU™A
10“āU™A U›AUā U™A이므로 
3#“ U
∴ MJN  MJN
Uā U™AAAU U™AS
AAS, U™ASSā U™A UAZ 2#“ UAZ
āU™A
U™A LU™A U
∴ S , G U

ā U™A  ā U™A  āU™A U

 MJN U❶
G U
LU L UAZ
āU™A
MJN  MJN  MJN L
UAZb U UAZb
ā U™A  UAZb   ‚ U‚U 
|Š   MJN   
U™A U UAZ ‚ U 
L

❶에서 분자, 분모를 ‚U로 약분하였다.


28 ❶의 분자, 분모에 āU™A을 곱하면

[전략] 직각삼각형 "#$의 내접원 *의 반지 " U™A U


āU™A  UāU™A

C U™A  U
름의 길이를 S라 하면 D *
S 이므로 이 식의 극한을 조사해도 된다.
  
△"#$ SB SC SD # $
   B

M의 기울기를 N이라 하면 점 B, B™A


을 지나므로
ZN YB
B™A  U ❶ 30
ZY™A과 접하므로 [전략] 점 1의 Y좌표를 U라 하고
4 N

을 U로 나타낸다.
N
Y™AN YB
B™A, Y™ANY NBB™A
점 1의 Y좌표를 U라 하면 1 U, NU
이므로
에서
 4 N

%N™A NBB™A
, NB
™A 4 N
 NU™A,  U™A
 N 
∴ NB
또, 1는 곡선과 직선의 교점이므로
❶에서 ZBYB™A
U 
NU , NU™A N 
U
Z을 대입하면 YB이므로 " B, 
U
"를 지나고 M에 수직인 직선은 U, N이므로
   N  ā N 
™A N N  āN™A N 
Z YB
, Z Y U 
B B  N N
    
Y을 대입하면 Z 이므로 #[, ]  |Š
  N N N™A
MJN U MJN 
  NAZb NAZb 
0"“B, 0#“ , "#“|ŠB™A
  4 N
  
∴ MJN  MJN U™A
이므로 삼각형 0"#의 넓이에서 NAZb N NAZb  

01. 함수의 극한 1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따라서 B C D의 최댓값은   ,


step 최상위 문제 16~17쪽
최솟값은   이므로 곱은 @이다. ⑤
01 ⑤ 02 ⑤ 03 ① 04 ② 05 ④

06 ④ 07  08 Qyg, R 03
MJN G Y
 MJN G Y
일 조건을 찾는다.
[전략] YAZ
01
O YAZO
YAZO 이면 OYO , YAZO이면 OYO이라 생각
[전략] O, , , 일 때 극한을 구하고, H 
에서부터 조건을 차례로 해도 된다.
찾는다. OYO 이면 <Y>O이므로
G Y
G Y
O™A BY C
O
O일 때 MJN  …❶
YAZ H Y
MJN G Y
 MJN \O™A BY C
O^
YAZO YAZO
G Y

O일 때 MJN  …❷ O™A BO C


O
YAZ H Y

 B 
O™A CO
G Y

O일 때 MJN  …❸ OYO이면 <Y>O이므로


YAZ H Y

G Y
 O
™A BY C
O

G Y

O일 때 MJN  …❹ MJN G Y


 MJN \ O
™A BY C
O
^
YAZ H Y
YAZO YAZO

H 
, YšA의 계수가 이므로  O
™A BO C
O

H Y
 Y
Y™A BY C
로 놓을 수 있다.  B 
O™A B C
OC 
❶에서 G 
이고, YšA의 계수가 이므로 모든 정수 O에 대하여
G Y
 Y
I Y
로 놓을 수 있다. B 
O™A CO B 
O™A B C
OC 
I Y
이므로
이때 ❶은 MJN 이므로 I 

YAZ Y™A BY C
CB C, C 
따라서 G Y
 Y
™A Y D
로 놓을 수 있다.
∴ B, C
❷에서 G 
이므로
따라서 BC ①
D, G Y
 Y
™A Y

G Y
Y
Y

이때
H Y


Y™A BY C 04
G 
 [전략] OG B
y일 때와 OG B
일 때로 나누어 절댓값 기호를
❸에서  이므로 B C  없애고 생각한다.
H 
 B C
G 
 ΠOG B
y일 때
❹에서  이므로 B C 
H 
 B C ]OG B
]OG B

MJN
연립하여 풀면 B, C OAZb O 
∴ H Y
 Y
Y™AY 
, H 
 ⑤ \OG B
^OG B

 MJN
OAZb O 
02 
 MJN 
[전략] (분모))Z인 경우와 (분모))Z이 아닌 경우로 나누어야 하므로 OAZb O 
B 또는 C가 일 때와 이 아닐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이므로 모순이다.
Œ B일 때  OG B
일 때
Y™AY  Y  ]OG B
]OG B

MJN MJN  D MJN


Y
YC
YAZ YC
YAZ C OAZb O 
C
D \OG B
^OG B

 MJN
OAZb O 
따라서 C, D ∴ C, D
OG B

 C일 때  MJN
OAZb O 
YAZ이면 (분자)AZ이므로  B, B
G B
MÅ
Y™AY  Y
이때 MJN MJN 이므로 가능하지 않다.  MJN G B

YAZ Y
™A YAZ Y OAZb
 MÄ
Ž B , C 일 때 Z
ZG Y

조건에서 G B
이다. 
Y™AY B  B 
MJN   D
YAZ YB
YC
B
C
C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0  Y
C
D G B
을 만족시키는 B는 개

따라서 C, D ∴ C, D 이다. 

이때 B, , , , 이다. ②

14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05
[전략]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U로 나타낸다. 1
.
1는 원 위를 움직이고 Y좌표가 U이므로 U™A Z™A I
0
Z이므로 ZāU™A #
3 5 Y
"

작은 원의 지름의 길이는 āU™A이므로


āU™A
™A U™AāU™A 2
4 U
 L L
   
△0"1 @0"“@15“ @"1“@0.“이므로
4 U
U™AāU™A  
∴ MJN  MJN L
  S S
UŠA UŠA @@I @S@|Š[ ]™A, IS|Š[ ]™A
UAZ UAZ
   
U™A
™A U™A

 MJN L  S
UAZ
UŠA U™A āU™A
∴ 4 S
@ @"3“@15“S™A|Š[ ]™A
 
U›A
 MJN L S
UAZ
UŠA U™A āU™A
S™A|Š[ ]™A
4 S

UAZ 일 때 U™A āU™A
AZ이고 O은 자연수이므로 ∴ MJN  MJN
SAZ ‚S SAZ ‚S
U›A S™Aā S
 S

Oƒ일 때 MJN L


UAZ
UŠA U™A āU™A
 MJN
SAZ ‚S
U›A 
O일 때 MJN L L S™Aā S
UAZ
UŠA U™A āU™A
  MJN 
SAZ 
U›A
Oy일 때 MJN Lb
UAZ
UŠA U™A āU™A

따라서 자연수 O의 최댓값은 이다. ④ 07


[전략]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이용하여 두 삼각형의 닮음비를 Y로 나타
낸다.

직각삼각형 "#$의 내접원의 반 $

지름의 길이를 S라 하면 $
06 
@@
[전략] 두 선분 12와 0"가 서로 수직으로 만난다.  S
" Y #
두 선분의 교점을 5라 하고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선분 15의    " #
 @S @S @S
길이를 S로 나타낸다.   
1 ∴ S
직각삼각형 "#$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Y이므로
I
0 직각삼각형 "#$와 직각삼각형 "#$의 닮음비는 AA Y
# "
3 5 Y
이고, 넓이의 비는 AA  Y
™A이다.
2 그런데 직각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직각삼각형 "#$
의 넓이는   Y
™A이고
두 선분 12와 "#가 서로 수직으로 만난다.
G Y
  Y
™AY™A Y
두 선분의 교점을 5, "5“Y, 15“I라 하자.
G Y

"1“S, 01“, 05“Y이므로 피타고라스 정리에서 ∴ MJN MJN  Y 


 
YAZ Y YAZ
15“™A"1“™A"5“™A01“™A05“™A
S™A
I™AS™AY™A™A Y
™A ∴ Y
08

S›A S™A Z Z
I™AS™A ∴ IS|Š [전략] ZG Y
ZG YC
ZH Y

 
 S™A 0 C
∴ 4 S
@ @"3“@15“S™A|Š C Y
  Q
0 C C Y
LQ
S™A
S™A|Š [그림 ] [그림 ]
4 S

∴ MJN  MJN
SAZ ‚S SAZ ‚S ZG Y
, ZG YC
의 그래프가 [그림 ]과 같으므로 포물선
S™Aā S
 S
ZG Y
의 꼭짓점의 Z좌표를 Q라 하면 ZH Y
의 그래프는 [그림 ]
 MJN 와 같다.
SAZ ‚S
S™A‚ S Œ L일 때 방정식 ]H Y
]C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MJN  ④ 그림과 같이 , , 이므로 (나)에 모순이다.
SAZ 

01. 함수의 극한 1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Z Z]H Y
] C를 ❷에 대입하면 LB이고 이는 ❶에 모순이다.
①AZC C를 ❷에 대입하면 LB이므로 역시 모순이다.
②AZC 따라서 L인 경우는 없다.
③AZC
그러므로 Œ, , Ž에서
0 C C Y Y Y
Y

H Y
<
 Y
Y
Yy

 L일 때 방정식 ]H Y


]C의 서로 다른 실근이 개이면 Z Z]H Y
]
N
직선 ZC가 YC에서 Z]H Y
]의 그래프에 접한다.

Z Z]H Y
]
N

ZC 
N


N
0  
0 C C Y  Y


C C 직선 ZNY이
 \H[ ]\C이므로 G[ ]C, BC
  
점 , 
을 지날 때 N
B, C는 자연수이므로 B, C
는 , 
, , 
, , 

Cƒ이므로 (가)에서 
점 , 
을 지날 때 N

H 
LG C
LB C
C

Z Y
Y
의 그래프에 접할 때
LB C
C

 Y
Y
NY
L, B, C이므로 C이다.
Y™A N
Y 
따라서 C이고, B이다.
% N
™A@, N†u
이때 L이므로
∴ Nu
Y Y
Y

H Y
< ZY Y
의 그래프에 접할 때
 Y
Y
Yy

Y Y
NY, Y™A N 
Y 
Ž L일 때 방정식 ]H Y
]C의 서로 다른 실근이 개이
% N 
™A, N †
면 직선 ZC가 YC에서 Z]H Y
]의 그래프에 접한다.
∴ N
Z Z]H Y
] 따라서 ZI N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
ZI N


ZC 

0 C C Y


 0    N

 \H[ C]\C이므로  

C 그래프에서 MJN I N
MJN I N
이면
LG[ C]C, LBC U❶ NAZU NAZU

 
조건 (가)에서 U 또는 Uu이므로 U값의 합은 u
 
(ㄱ) C일 때  
∴ Q , R Q , R
H 
G 
B C
  
∴ B C

좌변은 의 배수이지만 우변은 의 배수가 아니므로 자
연수 B, C는 없다.
(ㄴ) Cƒ일 때
H 
LG C
LB C
C

LB C
C
 U❷
그런데 L, B, Cy이므로 C이다.
따라서 자연수 C는  또는 이다.

16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02. 함수의 연속 Œ, 에서 B이므로
Y™AY
Y 일 때 G Y
 Y 
Y
step 기본 문제 19~22쪽
∴ G 
 ④
01 ① 02 ① 03 ④ 04 B, C, D

05 ④ 06 ④ 07 ① 08 Å 09 ③ 04
10 ③ 11 ① 12 B, C 13 ③ Y에서 연속이면
14 ② 15 , ,  16 ,  17  YšA BY C
18 ③ 19 ④ 20  21 풀이 참조
MJNG Y
G 
이므로 MJN D U❶
YAZ Y
™A YAZ

22 ③ 23 ,  24 ③ 25 Å, Å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26 ① 27 ① 28 L 29 ⑤  B C ∴ CB
30 ② 31 ③ 이때 YšA BYBYšA B Y

 Y
Y™A Y B 

01 이므로 ❶에서
G Y
가 연속이므로
Y™A Y B 
YšA
G Y
Y
Y™A Y 
G Y
MJN D U❷
YAZ Y
MJN MJN
YAZ Y™A YAZ Y 
Y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Y™A Y 
G Y
  B  ∴ B, C 

MJN
YAZ Y 
이때 Y™A Y B Y™A Y Y
Y 

G 

이므로 ❷에서
∴ G 
, G 
 ①
MJN Y 
D ∴ D B, C, D
YAZ

02
Y에서 연속이면 05
‚Y B Y 일 때 ‚ Y‚Y 이므로
MJN G Y
G 
이므로MJN C
YAZ YAZ Y Y™A Y
G Y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 Y‚Y
B ∴ B G Y
는 Y 일 때 연속이므로 Y에서 연속이면 된다.
또, Y™A Y
G 
MJN
‚Y 
YAZ ‚ Y‚Y
Y
CMJN MJN
YAZ Y YAZ Y
‚Y  
Y™A Y
‚ Y ‚Y

MJN
  YAZ  Y
 Y

MJN 
YAZ ‚Y    Y 
‚ Y ‚Y

 MJN
∴ BC ① YAZ 
 @  

  ④

03
G Y
는 Y B에서 연속이므로 YB에서 연속이면 된다. 06
Y™AY Y›A BY C
MJN G Y
G B
이므로 MJN  Y †일 때G Y

YAZB YAZB YB Y™A
Y)ZB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Y›A BY C
Y에서 연속이므로 G 
MJN
B™AB ∴ B 또는 B Y™A YAZ

Œ B일 때 Y)Z일 때 (분모))Z이므로  B C U❶


Y™AY Y 
Y
Y›A BY C
MJN  MJN Y에서 연속이므로 G 
 MJN
YAZ Y  YAZ Y  YAZ Y™A
 MJN Y
 Y)Z일 때 (분모))Z이므로 B C U❷
YAZ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따라서 모순이다.
Y›A
 B일 때 G 
MJN MJN Y™A 

Y™A YAZ
YAZ

Y™AY Y 
Y

MJN MJN Y›A


YAZ Y YAZ Y G 
 MJN  MJN Y™A 

YAZ Y™A YAZ

MJN Y 
 ∴ G 
G 
 ④
YAZ

02. 함수의 연속 1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07 10
G Y
는 ]Y], ]Y]ƒ일 때 연속이다. Y에서 연속이면
G„ Y
Y Y
, Gm Y
Y™A BY C라 하자. G 
 MJN G Y
 MJN G Y

YAZ YAZ
Y에서 연속일 때 G 
B B
G„ 
Gm 
이므로  B C U❶ Y일 때 <Y>이므로
Y에서 연속일 때 G Y
B
G„ 
Gm 
이므로 B C U❷ ∴ MJN G Y
 MJN B
B
YAZ YAZ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Y일 때 <Y>이므로
∴ BC ① G Y
B B
∴ MJN G Y
 MJN B
B
YAZ YAZ

08 
BB이므로 B ③
H Y
G Y
G Y 
이라 하자. 
H Y
가 Y에서 연속이면 H 
 MJN H Y
 MJN H Y

YAZ YAZ

H 
G 
G 
B 11
MJN H Y
 MJN \G Y
G Y 
^ Y에서 연속이면 H 
 MJN H Y
 MJN H Y

YAZ YAZ YAZ YAZ

 MJN G Y
 MJN G Y 
H 
]G 
B]]B]
YAZ YAZ
MJN H Y
 MJN ]Y™AYB]]B]
 MJN G U
YAZ YAZ
UAZ
MJN H Y
 MJN ]Y B]]B]
B YAZ YAZ

MJN H Y
 MJN \G Y
G Y 
^ ]B]]B]이므로
YAZ YAZ
BB 또는 B B

 MJN G Y
 MJN G Y 

YAZ YAZ
∴ B ①
 MJN G U

UAZ

12

 
이므로 B ∴ B ]G Y
]는 Y, ƒYƒ, Y일 때 연속이다.
 
Y에서 연속이므로
]G 
] MJN ]G Y
] MJN ]G Y
]
09
YAZ YAZ

]G 
]
G„ Y
BY , Gm Y
Y™A BY C라 하자.
MJN ]G Y
] MJN ]Y]
Z YAZ YAZ

ZG„ Y
ZGm Y
MJN ]G Y
] MJN ]Y B]] B]
YAZ YAZ

∴ ]B ], B ∵ B


Y에서 연속이므로
]G 
] MJN ]G Y
] MJN ]G Y
]
YAZ YAZ
   0    Y
]G 
]
G Y
는 ƒY에서의 함수가 반복되므로 그림과 같이 MJN ]G Y
] MJN ]Y C]] C]
YAZ YAZ
Y, Y에서 연속이면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다. MJN ]G Y
] MJN ]Y]
YAZ YAZ
Y에서 연속이면 MJN G Y
 MJN G Y
이므로
YAZ YAZ ∴ ]C], C ∵ C
B, C
Gm 
G„ 
∴ C
Y에서 연속이면 MJN G Y
 MJN G Y

YAZ YAZ
13
그런데 G Y 
G Y
이므로 함수 G Y
H Y
가 Y에서 연속이면
MJN G Y
 MJN G Y
Gm 
G 
H 
 MJN G Y
H Y
 MJN G Y
H Y

YAZ YAZ
YAZ YAZ
∴ Gm 
G„ 
,  B CB  G 
H 
 B

C을 대입하면 B MJN G Y


H Y
 MJN G Y
@ MJN H Y
 B

YAZ YAZ YAZ


∴ B C ③
MJN G Y
H Y
 MJN G Y
@ MJN H Y
B
YAZ YAZ YAZ

위 그림에서 Y, Y에서 연속일 조건을 생각해도 된다. 이므로  B


B ∴ B ③

18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14 B일 때 B  ∴ B
함수 G Y
H Y
가 Y에서 연속이면 
B일 때  B  ∴ B , 

G 
H 
 MJN G Y
H Y
 MJN G Y
H Y

YAZ YAZ

G 
H 
  B
@ 
B

MJN G Y
H Y
 MJN < Y™A
@
YAZ YAZ Y
=  17
 MJN Y 
 G Y
가 Y 에서 연속이고 H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므로
YAZ
G Y
H Y
가 Y에서 연속이면 된다.
MJN G Y
H Y
 MJN \ Y™A B
@ Y
^
YAZ YAZ
∴ MJN G Y
H Y
G 
H 
U❶
YAZ
  B
@ 
B
H Y

이므로 B ∴ B ② MJN G Y


H Y
MJN 의 값이 존재하고
YAZ YAZ Y
Y)Z일 때 (분모))Z이므로 H 

이때 ❶은
15 MJN G Y
H Y

YAZ
G Y
는 Y B에서 연속이고 H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므로
또, H Y
B Y
YQ
B 
라 하면
G Y
H Y
가 YB에서 연속이면 된다.
MJN G Y
H Y
MJN B YQ

∴ G B
H B
 MJN G Y
H Y
 MJN G Y
H Y
YAZ YAZ
YAZB YAZB
B Q

G B
H B
 B 
@ B
 B 
B 

∴ Q, H Y
B Y
™A
MJN G Y
H Y
 MJN Y™AY
\Y B 
^
YAZB YAZB H 
이므로 B@, B
 B™AB
B 
H Y
 Y
™A이므로 H 
 
MJN G Y
H Y
 MJN Y 
\Y B 
^
YAZB YAZB

 B 
B 

이므로 18
 B™AB
B 
 B 
B 
분모가 일 때 G Y
가 정의되지 않으므로 연속이 아니다.
B 
B™ABB
 따라서 Y일 때 불연속이다.
B 
B 
B
 
또, Y 에서 Y™AY
∴ B 또는 B 또는 B , ,  Y
따라서 Y 또는 Y일 때에도 불연속이다.
그러므로 불연속이 되는 실수 Y는 , , 의 개이다. ③

16
함수 G Y
G YB
가 YB에서 연속이면
G B
G 
 MJN G Y
G YB
 MJN G Y
G YB
19
YAZB YAZB
G Y

YBU라 하면 G Y
 Y
™A 이므로 가 모든 실수 Y에서 연속
H Y

MJN G YB
 MJN G U
 이면 H Y
이다.
YAZB UAZ

MJN G YB
 MJN G U
 %B™AB ∴ B
YAZB UAZ
B는 정수이므로 개이다. ④
Œ B일 때
G 
G 
@
MJN G Y
G YB
@
20
YAZ

MJN G Y
G YB
@
YAZ Y
YB에서 가 불연속이면 G B
이므로
따라서 YB에서 연속이 아니다. G Y

 B 일 때 Y, Y는 방정식 G Y


의 해이다.
G B
G 
G B
G Y
는 이차식이므로 G Y
B Y
Y

MJN G Y
G YB
G B
@G B
이때
YAZB
G Y

MJN G Y
G YB
G B
@G B
MJN MJN B Y
B
YAZB YAZ Y YAZ
따라서 YB에서 연속이면 ∴ G Y
 Y
Y

G B
G B
∴ G B
 따라서 G 
@@ 

02. 함수의 연속 1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21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 Z
ZG Y

 과 같다.
Y 

[반례] G Y
 Y
™A, H Y
<Y 이면  
직선 Z Y U가 점 , 
을 지 Z

Y U
 Y

G Y
, G Y
H Y
는 Y에서 연속이지만 H Y
는 Y에서 불 날때  0  Y

연속이다.  
 U ∴ U
G Y
H Y
 
위와 같이 H Y
 로 놓으면 G Y
H Y
와 G Y
가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G Y

Y에서 연속이어도 G 
 꼴이면 H Y
가 연속이 아닐 수 
Z Y U가 접할 때

있다. 풀이 참조

 Y
Y 
 Y U
22


함수 H G Y

가 Y에서 연속이면 Y™A Y U



H G 

 MJN H G Y

 MJN H G Y

YAZ YAZ  
% U 이므로 U
H G 

H 
 B  
위 그림에서 Z
Y)Z 일 때G Y
)Z 이므로 ZH U

  
MJN H G Y

 MJN H U
H 
 B U , U 일 때 H U

YAZ UAZ   
Y)Z일 때 G Y
)Z 이므로  
 U 일 때 H U
 
MJN H G Y

 MJN H U
H 
 B  
YAZ UAZ
  
 0  U
이므로  B B, B ③ U , U 일 때 H U
  
 

23
 
따라서 H U
는 U , U 에서 불연속이다.
 
G Y
는 Y 에서 연속이고 H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므    
∴ B , B  ,
로 HxG
Y
가 Y에서 연속이면 된다.    
HxG

 MJN HxG
Y
 MJN HxG
Y

YAZ YAZ

H G 

H B
B™A 
MJN G Y
™A BB이므로
YAZ
26
MJN HxG
Y
 MJN H U
H B
B™A  Z]Y]과 Z]]Y]]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AZ UAZB
Z Z
MJN G Y
 B이므로 Z]Y]
YAZ

MJN HxG
Y
 MJN H U
H  B
B™A B  Z]]Y]]
YAZ UAZ B 
이므로 B™A B™A B , B
B 

  0  Y 0    Y
∴ B 또는 B , 
 
따라서 ZG U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Z

24 림과 같다. 

ㄱ. MJN G G Y

G 
 
YAZ
G U
는 U , U 에서 연속이고 H U
ZG U


MJN G G Y

G 
 (참) 는 연속이므로 함수 G U
H U
가 U,
YAZ
U에서 연속이면 된다.
ㄴ. MJN G G Y

 MJN G U

YAZ UAZ
U에서 연속이면 0  U
MJN G G Y

 MJN G U
 (거짓) G 
H 
 MJN G U
H U
 MJN G U
H U

YAZ UAZ
UAZ UAZ
ㄷ. MJN G G Y

 MJN G G Y

이고 에서
YAZ YAZ

G G 

G 
 G 
H 
H 

이므로 GxG
Y
는 Y에서 연속이다. (참) MJN G U
H U
H 

UAZ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MJN G U
H U
@H 

UAZ

25
이므로 H 


 Y
Y 
Y
U에서 연속이면
G Y
< G 
H 
 MJN G U
H U
 MJN G U
H U
에서
Y
Y 
Yy
UAZ UAZ

20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G 
H 
H 
G 
B™A
MJN G U
H U
H 
B이므로 B ⑤
UAZ

MJN G U
H U
H 

UAZ
ZBˆA과 ZY 의 그래프를 그리면 그림과 같다.
이므로 H 
H 
H 
∴ H 
 Z ZBˆ
H U
는 U™A의 계수가 인 이차함수이므로
H U
U U


∴ MJN G U
H 
  ①
UAZ 

27
0   Y
ZY 
원이 변 "$에 접할 때, "

"$“이므로 삼각형 30
"#$의 넓이에서 
G Y
DPTAYY 로 놓으면 G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

  S 다. 따라서 구간 B, C
에서 오직 하나의 실근을 가지면
@@ @@S
 
G B
G C
이다.
 # $
∴ S  L  L L L
 G[ ]  , G[ ] 
    
원이 "를 지날 때 S Z
 ZG S
이므로 답은 ②이다. ②
원이 $를 지날 때 S


31
따라서 ZG S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ㄱ. G 
 , G 
 

G S
는 S , , 에서 연속이고 0    S 이므로 실근을 갖는다. (참)


ㄴ. G 
@ 
™A, G 

H S
는 연속이므로 G S
H S

ㄷ. G 
 
@, @G 
 
@ 


S , , 에서 연속이면 된다. 이므로 실근을 갖는다. (참)

 따라서 실근을 갖는 방정식은 ㄱ, ㄷ이다. ③
S 에서 연속이면

 
G[ ]H[ ] MJN G S
H S
 MJN G S
H S

  SAZi SAZi

에서
   
H[ ]H[ ]H[ ] ∴ H[ ]
   
같은 이유로 H 
, H 

step 실력 문제 23~26쪽
H S
는 SšA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이므로
 01 ③ 02 ⑤ 03 ⑤ 04  05 ③
H S
[S ] S
S


06 ① 07 ① 08 ⑤ 09 ⑤ 10 Å
 다
.
∴ H 


@@ ① 11 ③ 12 ② 13 ⑤ 14 ⑤ 15 , 

16 ① 17 ③ 18 ② 19 , z 20 ④
28 21 ,  22 ③ 23 ③ 24 ⑤
H Y
G Y
이라 하자.
H 
G 
L , H 
G 
L 01
[전략] Z<Y>는 Y가 정수인 경우 불연속임을 이용한다.
따라서 H 
H 
이면 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
H Y
Y™AY 라 하면 Z ZH Y

을 갖는다.
L 
L
 ∴ L L H Y
 Y
™A 이므로 

Y에서 ƒH Y
 

29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G Y
BˆA Y라 하면 H Y
, , 일 때 G Y
가 불연속 
ZG Y

G 
  이므로 불연속이 되는 Y 값의 개수는
 0   Y
따라서 G 
이면 구간 , 
에서 적어도 하나의 실근을 갖 이다.
는다. ③

02. 함수의 연속 21

ጄ73QVLL ࿼႖"
정답 및 풀이

02 05
[전략] BC
B™A BC C™A
BšACšA을 이용하여 Y 일 때 G Y
를 정리 [전략] 함수 G Y
H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하고 MJN G Y
의 값을 구한다. G 
H 
 MJN G Y
H Y
 MJN G Y
H Y
인지 조사한다.
YAZ YAZ YAZ

Y에서 연속이므로 MJN G Y


G 
Y
YAZ Yƒ일 때, G Y

Y
šA‚ YšA‚Y
Y Y
Y일 때, G Y

Y
 Y
 Y

 ㄱ. MJN G Y
H Y
 MJN Y
Y

YAZ YAZ
Y\šAā  Y
™A šAāY™A šAā Y
™A ^
 Y
šA
 MJN G Y
H Y
 MJN 
 YAZ YAZ Y
Aš ā  Y
™A šAāY™A šAā Y
™A
G 
H 
×이므로
에서
G 
H 
 MJN G Y
H Y
 MJN G Y
H Y

YAZ YAZ
 
MJN G Y
  따라서 Y에서 연속이다.
YAZ    
 Y
이므로 B ⑤ ㄴ. MJN G Y
H Y
 MJN \ Y
šA ^b
 YAZ YAZ Y
Y
MJN G Y
H Y
 MJN \ Y
šA ^
03
YAZ YAZ Y
따라서 MJN G Y
H Y
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Y에서
[전략] Y일 때와 Y일 때로 나누어 H Y
를 G Y
로 나타낸 다음, YAZ

G Y
가 연속임을 이용하여 MJN H Y
, MJN H Y
를 구한다. 연속이 아니다.
YAZ YAZ

Y일 때, H Y
G Y
Y™A  ㄷ. MJN G Y
H Y
 MJN Y
Y
™A
YAZ YAZ

Y일 때, H Y
G Y
Y™AY Y
MJN G Y
H Y
 MJN Y™A 

G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YAZ YAZ Y
MJN H Y
 MJN \G Y
Y™A ^ G 
H 
×이므로
YAZ YAZ
G 
H 
 MJN G Y
H Y
 MJN G Y
H Y

G 
 YAZ YAZ

MJN H Y
 MJN \G Y
Y™AY^ 따라서 Y에서 연속이다.
YAZ YAZ
그러므로 연속인 것은 ㄱ, ㄷ이다. ③
G 


06
MJN H Y
 MJN H Y
에서
YAZ YAZ

\G 
^\G 
^ [전략] 먼저 ZG Y
, ZH Y
의 그래프를 그려 본다.
∴ G 
 ⑤
Z ZG Y
Z ZH Y



04 
 0  Y
[전략] MJN G Y
, MJN G Y
임을 이용하여 H Y
에 대한 조건부터
YAZ YAZ
  0  Y
찾는다.

G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ㄱ. MJN G Y
, MJN H Y
이므로
YAZ YAZ

H Y
MJN \G Y
H Y
^  (참)
MJN G Y
에서 MJN  U❶ YAZ
YAZ YAZ Y Y

H Y
Y™A 
따라서 H 
이다. ㄴ. MJN  MJN 
YAZ G Y
YAZ Y
G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H Y
Y 
H Y
MJN  MJN 
MJN G Y
에서 MJN  U❷
YAZ  G Y
YAZ Y
YAZ YAZ Y Y

H Y

따라서 MJN 의 값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Y에서


따라서 H 
이다. YAZ G Y

H Y
는 Y›A의 계수가 인 사차함수이므로 연속이 아니다. (거짓)
H Y
Y Y
Y™A BY C
라 하자. ㄷ. G Y
는 Y †에서 연속, H Y
는 Y 에서 연속이므로
❶에 대입하면 G Y
H Y
는 Y †에서 연속이다.
MJN Y™A BY C
 ∴ C Y에서 G 
H 
@
YAZ

❷에 대입하면 MJN G Y
H Y
 
@
YAZ

MJN Y™A BY C
,  B C ∴ B MJN G Y
H Y
@
YAZ YAZ

∴ H Y
Y Y
Y™A Y 
, H 
  따라서 Y에서 연속이다.

22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Y에서 G 
H 
@  L 일 때
MJN G Y
H Y
@ G YL
H Y
는 Y에서 연속이므로
YAZ

MJN G Y
H Y
@ G L
H 
G L

YAZ
MJN G YL
H Y
G L
@G L

따라서 Y에서 연속이다. YAZ

G Y
H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다. (거짓) MJN G YL
H Y
G L
@ 

YAZ

따라서 옳은 것은 ㄱ이다. ① G L

이므로 G L


G L
, G L

07  Y 
Y 
Yƒ

G Y
<
[전략] G Y
는 Y, G YC
는 YC에서 불연속이므로 Y
Y
Y

G Y
\G YC
^가 Y, YC에서 연속일 조건을 찾는다. 이므로 G Y
이면 Y, , , 
H Y
G Y
\G YC
^라 하자. ∴ L, , , 
G Y
는 Y, G YC
는 YC에서 불연속이므로 H Y
가 따라서 L, , , 일 때 연속이다.
Y, YC에서 연속일 조건을 찾는다. 그러므로 Œ, 에서 L는 개이다. ⑤
Œ Y에서 연속이면
H 
 MJN H Y
 MJN H Y
 Y 
Y 
Yƒ

YAZ YAZ G Y
<
Y
Y
Y

H 
G 
\G C
^ C 
∵ C

Y™A Yƒ

MJN H Y
 MJN G Y
\G YC
^ H Y
<
YAZ YAZ
Y  Y

 B
@\G C
^B C 

에서 MJN G YL
H Y
 MJN G YL
H Y
임을 보이면 충
YAZ YAZ
MJN H Y
 MJN G Y
\G YC
^
YAZ YAZ
분하다.
@\G C
^ C 

Œ L일 때
이므로
MJN G Y
H Y
@
YAZ
 C 
B C 
, B 
C

MJN G Y
H Y
 
@ 

B이므로 C YAZ

∴ H Y
G Y
\G Y
^ 따라서 L일 때 연속이다.
 Y에서 연속이면  L일 때
H 
 MJN H Y
 MJN H Y
MJN G YL
H Y
 L
@ L
@
YAZ YAZ YAZ

H 
G 
\G 
^ B
MJN G YL
H Y
 L
@ L
@ 

YAZ
MJN H Y
 MJN G Y
\G Y
^ 이므로 L L 
L L 

YAZ YAZ

G 
B 
 B
B
따라서 L, 일 때 연속이다.
MJN H Y
 MJN G Y
\G Y
^ Ž L일 때
YAZ YAZ
MJN G YL
H Y
 L
L
@
G 
 
 B
YAZ

이므로 MJN G YL


H Y
 L
L
@ 

YAZ
 B
 B
B
, B 
B
 이므로  L
L
 L
L

B이므로 B ∴ B C ① 따라서 L, 일 때 연속이다.

08
[전략] L일 때와 L 일 때로 나누어
09
G Y
YB

G L
H 
 MJN G YL
H Y
 MJN G YL
H Y
[전략] Z< 가 YB에서 연속이면 G B
H B
이다.
YAZ YAZ H Y
YyB

가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따라서 ZG Y
, ZH Y
의 그래프는 YB에서 만난다.
Y에서 연속이므로 G Y
YB

G L
H 
 MJN G YL
H Y
 MJN G YL
H Y
G Y
, H Y
가 다항함수이므로 Z< 는 Y B에
YAZ YAZ H Y
YyB

Œ L일 때 서 연속이다. 또, YB에서 연속이면


G 
H 
 
@ 
 Z MJN Z MJN Z이므로 MJN H Y
 MJN G Y

YAZB YAZB YAZB YAZB


MJN G Y
H Y
@
YAZ
곧, H B
G B
이므로 / G, H
는 방정식 G Y
H Y
의 실근
MJN G Y
H Y
 
@ 
 의 개수 또는 ZG Y
, ZH Y
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의 개수
YAZ

따라서 L일 때 연속이다. 이다.

02. 함수의 연속 2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ㄱ. Y™AY 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B B™A 에서 B™A B
/ G, H
 (참) 

ㄴ. G B
H B
1 H B
G B
이므로  
∴ B 또는 B
 
/ G, H
/ H, G
(참)
 
ㄷ. G B
H B
이면 IxG
B
 IxH
B
B™Ay이므로 B 
 
또, I의 역함수가 존재하므로
IxG
B
 IxH
B
이면
I‘˜AxIxG
B
 I‘˜AxIxH
B
에서 G B
H B

따라서 G Y
H Y
의 실근의 개수와
IxG
Y
 IxH
Y
의 실근의 개수가 같다. 11
∴ / G, H
/ IxG, IxH
(참) [전략] ƒY에서 H Y
G G Y

를 구한 다음,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ƒY, ƒY, U에서는 ƒY에서 ZH Y
의 그래프를
적당히 평행이동한 꼴임을 이용하여 ZH Y
의 그래프부터 그린다.
IxG
Y
I G Y

\G Y
^šA, IxH
Y
I H Y

\H Y
^šA이 Y일 때
므로 / IxG, IxH
는 방정식 \G Y
^šA\H Y
^šA의 실근의 개수이다. G G 

G 

\G Y
H Y
^<\G Y
^™A G Y
H Y
\H Y
^™A> U❶
Y일 때
그런데
  G G Y

G Y
Y
\G Y
^™A G Y
H Y
\H Y
^™A<G Y
H Y
=™A \H Y
^™A
  Y일 때
이고 G Y
, H Y
는 실수이므로
G G 

G 

G Y
™A G Y
H Y
H Y
™A이면
Y일 때 Z
G Y
이고 H Y

 0 
따라서 ❶의 해는 G Y
H Y
의 해이다. G G Y

G Y
Y Y
∴ / G, H
/ IxG, IxH
따라서 ƒY일 때 ZG 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H Y 
H Y
이므로

10
ƒY에서 ZH Y
의 그래프는 ZH 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꼴이다.
[전략] Yƒ, Yy에서 G Y
와 H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H Y
가 연속임을
이용하여 Y에서 G Y
의 그래프에 대한 조건을 찾는다.
이와 같이 생각하면 ZH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Z
Y ZH Y

ZMPHmA Y
, ZMPHmA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U
Z 
ZMPHm Y
 0
   Y
Y
ZMPHm


0   Y
즉, ƒYO에서 H Y
는 Y, , , U에서 불연속이다.
불연속인 Y가 개이고, @이므로
A G Y
y
O 또는 O이다.
H Y
< 이므로
G Y
G Y

따라서   ③
Yƒ, Yy에서 ZH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 G Y
는 Y, Y에서 불연속이다.
ZMPHm Y

G Y
 또는 G Y
에서 Y, , 이다.
Y
ZMPHm
 Œ Y일 때
0 
 Y G G 

G 


Y)Z일 때 G Y
)Z이므로
MJN G G Y

MJN G U

YAZ UAZ
곡선 ZMPHmA BY B™A
이 점 , 
을 지나고 Z축과 Zy
따라서 H Y
는 Y에서 연속이다.
에서 만나면 H Y
는 Y과 Y에서 연속이다.
 Y일 때
∴ MPHmA B B™A
, MPHmAB™Ay
H 
H 
G G 

G 


∴ B B™A , B™Ay MJN H Y
 MJN G G Y

 MJN G U

 YAZ YAZ UAZ

24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MJN H Y
 MJN \H Y
^
YAZ YAZ
13
H Y
 MJN \G G Y

^ [전략] G Y
, G Y
ƒ일 때로 나누어 H Y
와 I Y
부터 구한다.
YAZ
G Y
일 때, H Y
G Y
, I Y

H Y
 MJN \G U
^
UAZ
G Y
ƒ일 때, H Y
, I Y
G Y

따라서 Y일 때 H Y
는 불연속이다. Y일 때에만 G Y
이므로 ZH Y
와 ZI Y
의 그래프
Œ, 에서 ƒYO이면 H Y
는 Y, , , U에서 불연속이다. 는 그림과 같다.
Z Z

ZI Y

12 ZH Y

  
 0  Y 0 Y
[전략] ZH G Y

의 그래프를 그린다. 또는 H Y
가 Y, , 에서 불
연속이므로 G Y
, , 인 점에서 연속을 조사한다.


Z Z
ZG Y
ZH Y

 
ㄱ. Y에서 H Y
는 불연속이고, I Y
는 연속이므로
  H Y
I Y
는 불연속이다. (거짓)
 0  Y  0  Y
ㄴ. H Y
I Y
는 Y , Y 에서 연속이다.
 
Y일 때, H 
I 

Π]G Y
]일 때 MJN H Y
I Y
@
YAZ
Y, Y이고 H G Y


이므로 Y에서 연속이다.
 G Y
일 때
Y일 때, H 
I 

Y, , 이고 H G Y


MJN H Y
I Y
@
YAZ
Ž ]G Y
]ƒ, 곧 Œ, 가 아닐 때
 H G Y

]G Y
] MJN H Y
I Y
@ 

YAZ

이때 ZG Y
의 그래프에서 Y축 아래 부분을 위로 꺾어 올 이므로 Y에서 연속이다.
린다. 곧, H Y
I Y
는 ƒYƒ에서 연속이다. (참)
Z ㄷ. Y 일 때 H Y
이므로 I H Y

는 Y 에서 연속이다.

I H 

G 

MJN I H Y

MJN I U

   0    Y YAZ UAZ

이므로 I H Y

는 Y에서 연속이다.

곧, IxH
Y
는 ƒYƒ에서 연속이다. (참)
따라서 Z HxG
Y
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같고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Y, , , , 에서 불연속이다. ②

G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고 H Y
는 Y, , 에서 불
연속이다.
14
H 
 MJN H Y
, H 
 MJN H Y
이고
YAZ YAZ 
[전략] MJN H Y
 MJN 이므로 MJN G Y
인 경우에 주의한다.
MJN H Y
 H 
이다. YAZB YAZB G Y
YAZB

YAZ
ㄱ. MJN G Y
, MJN G Y
이므로
ΠG B
일 때 B, , 이고 YAZ YAZ

MJN H G Y

MJN H U
, H G B

 
MJN H Y
 MJN b
YAZB UAZ YAZ G Y

YAZ

따라서 모두 불연속이다. 
MJN H Y
 MJN 
 G B
일 때 B,  YAZ YAZ G Y

MJN H G Y

 MJN H U
, H G 

 따라서 MJN H Y
는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YAZ UAZ YAZ

MJN H G Y

 MJN H U
, H G 

 
YAZ UAZ ㄴ. MJN H G Y

 MJN H U
 MJN  (참)
YAZ G U
UAZ UAZ
따라서 B일 때만 불연속이다. ㄷ. G Y
는 Y에서 Y †, Y 이면 G Y
이고
Ž G B
일 때 B,  연속이므로 H Y
도 연속이다.
MJN H G Y

 MJN H U
, H G 

 Y일 때,
YAZ UAZ

MJN H G Y

 MJN H U
, H G 

 ㄱ에서 MJN H Y
b ∴ MJN Y™AH Y
b
YAZ UAZ YAZ YAZ

따라서 B일 때만 불연속이다. 곧, Y에서 불연속이다.

02. 함수의 연속 2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Y일 때, Y에서 연속이면


 HxG

 MJN HxG
Y
 MJN HxG
Y

MJN H Y
 MJN b YAZ YAZ
YAZ YAZ 
G Y

H G 

H 

∴ MJN Y™AH Y
b
YAZ
MJN G Y
, MJN G Y
이므로
YAZ YAZ
곧, Y에서 불연속이다.
MJN HxG
Y
MJN H U
H 

Y일 때 YAZ UAZ

 Y™A MJN HxG


Y
MJN H U
H 

MJN Y™AH Y
 MJN Y™A@  MJN  YAZ UAZ
YAZ G Y
YAZ Y
YAZ
∴ H 

 Y™A
MJN Y™AH Y
 MJN Y™A@  MJN  곧, H 
H 
H 
이고 YšA의 계수가 이므로
YAZ YAZ G Y
YAZ Y
™A@H 
이므로 Y에서 연속이다. H Y
Y Y
Y 
, H Y
YšAY 
따라서 불연속인 점은 개이다. (참) ∴ H 
 ①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⑤

17
15
[전략] Z]YL] L의 그래프는 Z]Y]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꼴이고
[전략] 함수 GxH
Y
가 Y에서 불연속이면 꼭짓점은 L, L
이다.
MJN GxH
Y
GxH

이다. 그래프를 그리고 원과 접하는 경우부터 찾는다.
YAZ

H Y
 Y
™A L이므로 Z]YL] L의 그래프는 Z]Y]의 그래프를 Y축 방향
Y)Z일 때 H Y
)Z L
이다. 으로 L만큼, Z축 방향으로 L만큼 평행이동한 꼴이다.
∴ MJN G H Y

 MJN G U
Y YyL

YAZ UAZ L



또, Z< 이고, 직선 ZY는 원에 접
모든 B에 대하여 MJN G Y
가 존재하므로 Y L YL

YAZB
한다.
GxH
Y
가 Y에서 불연속이면
오른쪽 그림에서 ❷ Z
MJN G U
G H 

UAZ L

❶은 ZY, ❸
ZY
곧, MJN G U
G L
이다.
UAZ L
❷는 직선 ZY 의 부분이므 ❶
따라서 YL에서 G Y
의 우극한과 함숫값이 달라야 하므로 로 ❶과 겹칠 때 L, 0 Y
그림에서 ❷와 겹칠 때 L이다.
L 또는 L ∴ L 또는 L ,  ❸인 경우 원과 직선 ZY의
접점이 원과 직선 ZY L의 교점이다.
Y)Z일 때 H Y
)ZL이고 G Y
는 Y, , 일 때 불연속 따라서 ZG L
의 그래프는 오른쪽 Z
ZG L


이므로 L , , 이면 GxH
Y
는 Y에서 연속이다. 그림과 같다.
따라서 L, , 일 때 GxH
Y
가 Y에서 불연속인 ㄱ. G 
 (참) 

경우를 찾아도 된다. ㄴ. MJN G L


 (거짓) 
LAZ

ㄷ. L, L, L에서 불연속이


0   L
다. (참)
16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전략] G Y
가 Y , Y 에서 연속이고, H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속이
므로 HxG
Y
가 Y, Y에서 연속일 조건을 찾는다.

G Y
는 Y , Y 에서 연속이고, H Y
는 모든 실수 Y에서 연
속이므로 HxG
Y
가 Y, Y에서 연속이면 된다. 18
Y에서 연속이면 [전략] 원 $와 외접하는 경우와 내접하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HxG

 MJN HxG
Y
 MJN HxG
Y
Z Z
YAZ YAZ

H G 

H 
  
MJN G Y
 MJN G Y
이므로
YAZ YAZ

MJN HxG
Y
 MJN H U
H 

YAZ UAZ 0 Y 0 Y
MJN HxG
Y
 MJN H U
H 
[그림 ] [그림 ]
YAZ UAZ

∴ H 
 원 $와 외접하는 원 중에 S의 최솟값은 이다.

26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따라서 [그림 ]과 같이 S이면 외접하는 원이 개, [그림 ]와 20
같이 S이면 외접하는 원은 개이다. MJN H G Y

, MJN H G Y

에서는 G Y
U로 치환한다.
[전략] YAZ
B YAZB

Z Z 그리고 U)ZQ일 때 Q 인지 Q인지도 확인한다.

  ㄱ. Y)Z 일 때G Y
)Z 이므로
MJN H G Y

 MJN H U

YAZ UAZ

0 Y 0 Y Y)Z일 때G Y
)Z 이므로
[그림 ] [그림 ] MJN H G Y

 MJN H U

YAZ UAZ

원 $와 내접하는 원 중에 S의 최솟값은 이다. ∴ MJN H G Y

 (거짓)
YAZ
따라서 [그림 ]과 같이 S이면 내접하는 원은 개, [그림 ]와
ㄴ. H G 

H 

같이 S이면 내접하는 원은 개이다.
Y)Z일 때 G Y
)Z이므로
S이면 G S

MJN H G Y

MJN H U

G 
 Z
ZG S

YAZ UAZ

S이면 G S
  따라서 H G Y

는 Y에서 연속이 아니다. (참)


 ㄷ. G Y
는 ƒYƒ에서 연속이고 ƒG Y
ƒ이다.
G 


S이면 G S
 H Y
는 ƒYƒ에서 연속이다.

이고 ZG S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곧, ƒYƒ에서 H G Y

는 연속이고
0     S
림과 같다. H G 

H 

따라서 G S
는 S, S에서 불연속이다. ② H G 

H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해 참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19
[전략] 원이 점 #를 지나는 경우와 변 "$에 접하는 경우를 먼저 생각한다.
$ $

21
)

[전략] (가)에서 B값의 범위를 구한 다음 (나)에서
1
" # " # G B
H B
 MJN G Y
H Y
 MJN G Y
H Y

 Y 1 YAZB YAZB

가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G Y
 Y
™A B이므로 Z Y
[그림 ] [그림 ] ZG Y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그림 ]과 같이 원이 #를 지날 때 Y이다. (가)에서
따라서 Y일 때 G Y
 G 
B 
0  Y
Y일 때 G Y
 G 
B
[그림 ]와 같이 원이 "$에 접할 때 접하는 점을 )라 하면 삼각형 ∴ B
")1와 삼각형 "#$는 닮음이므로 (나)에서
 G B
H B
 MJN G Y
H Y
 MJN G Y
H Y

"$“AA#$“"1“AA)1“, AAYAA ∴ Y
 YAZB YAZB

 Z 이고
따라서 Y 일 때 G Y
 ZG Y

  G B
H B
 B™AB B
B B
B™A B

  MJN G Y
H Y
 MJN G Y
Y B

Y 일 때 G Y

 
YAZB YAZB

 G B
@BB™A B

Y일 때 G Y

 MJN G Y
H Y
 MJN G Y
G Y 

Y YAZB YAZB
0   
이고 Z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  G B
G B 

림과 같다.
B B
B™A B


그러므로 G Y
는 Y, Y 에서 불연속이다. 이므로 B™A B
B B
B™A B


B B
B
B 

 
∴ B, B , B이므로 B 또는 B , 
 

02. 함수의 연속 2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22 24
[전략] G Y
가 Y 에서 연속임을 이용하여 H Y
를 구한다. [전략] Y, Y, Y, Y, Y, Y, Y에서 G Y
의 부호를 조
ㄴ, ㄷ에서 최대・최소 정리,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구간 사한다.
에서 연속인지 확인해야 한다.
Y Y Y Y Y Y Y Y
G Y
가 Y 에서 연속이므로 G Y
가 Y에서 연속이면
G Y
   
G 
 MJN G Y
 MJN G Y
U❶
YAZ YAZ G„ Y
    
G 
H 
Gm Y
   
MJN G Y
 MJN Y 
H Y
H 
Gf Y
    
YAZ YAZ

H Y
 Ge Y
   
MJN G Y
 MJN U❷
YAZ YAZ Y G Y
 
❷에서 극한이 존재하므로 H 

G Y
는 연속함수이므로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H Y
Y Y Q
라 하면 ❷는
G Y
은 구간 , 
, , 
, , 
, , 
에서 각각 적어
MJN G Y
 MJN Y Q
Q
YAZ YAZ
도 한 개씩의 실근을 갖는다.
❶에서 QH 

또 G Y
은 사차방정식이므로 많아야 개의 실근을 갖는다.
∴ H Y
Y Y 
, H Y
Y™A Y 
따라서 G Y
은 서로 다른 개의 실근을 갖는다. ⑤
ㄱ. H 
, H 
 (참)
H Y
 Y™A Y
ㄴ.  Y 이므로 step
Y Y 최상위 문제 27~28쪽

Y  ƒY

G Y
< 01 ① 02 ④ 03  04 ② 05 
Y 
Y™A Y 
ƒYƒ

06  07 ① 08 
ƒY일 때 Y 에서 Y

01
ƒYƒ일 때 Y 
Y™A Y 
의 실근은 없다.
따라서 G Y
의 실근은 개이다. (참)
[전략] 곡선 ZY™AY 와 직선 ZY L가 만나는 점에서 함수의
G Y
Y 
Y™A Y 
연속을 생각한다.
ㄷ. MJN  MJN b
YAZ Y YAZ Y
H Y
Y™AY , I Y
Y L라 하자.
이므로 최댓값은 없다. (거짓)
B가 정수이고 H B
I B
라 하면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MJN G Y
MJN H Y
H B
, G B
I B

YAZB YAZB

G Y
G Y
이므로 G Y
는 YB에서 연속이다.
MJN b이므로 는 Y에서 연속이 아니다.
YAZ Y Y
그리고 H B
I B
이면 G Y
는 YB에서 연속이 아니다.
Y에서 정수 Y는 개이므로 불연속인 Y가 개이면
Y에서 방정식 H Y
I Y
의 정수해가 개이다.
Y™AY Y L, Y™AY L
두 정수해를 =, >< =>
라 하면 = >

23 ∴ =, > 또는 = 또는 >

[전략] 함수의 극한의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한다.


=>L이므로 L 또는 L
ㄷ에서 G 
과 G 
의 부호부터 조사한다. ∴ L 또는 L
G Y
G Y
  B 따라서 정수 L값의 합은 이다. ①
ㄱ. MJN MJN [ @ ]B@  (참)
YAZ YšA YAZ Y Y™A Y   
G Y
ZY™ A Y 의 그래프에서 Z
YG Y

Y B Y이고 Y좌표가 정수인 
ㄴ. MJN MJN  (참)
YAZ Y G Y
YAZ G Y
 B
 A 점은
Y 
, 
, , 
, , 
,
ㄷ. [반례] G Y
Y™A Y
™A이라 하면
, 
, , 
, , 

G Y
G Y

MJN MJN  이 중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


YAZ Y YAZ Y

그러나 구간 , 
에서 실근이 존재하지 않는다. (거짓) 기가 인 경우는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 
와 , 
,
, 
와 , 
을 지날 때이 Y
  0   
ㄷ에서 G 
G 
이므로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할 수 없다. 고 그때 L의 값은 , 이다.

28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02 04
[전략] = >YšA Y, =>Y›A이 성립하는 =, >를 구한 다음, 연속함수가 되 [전략] G YN
은 Y N, G Y
O은 Y에서 불연속이므로
도록 G Y
, H Y
를 정의한다. N일 때와 N 일 때로 나누어 연속일 조건을 찾는다.
=YšA, >Y라 하면 Z ZYš ZY G YN
\G Y
O^은 Y  N, Y 일 때 연속이다.
= >YšA Y, =>Y›A  Œ N일 때
또, YšAY에서 Y Y™A
 G Y
\G Y
O^이 Y에서 연속이면

∴ Y, Y, Y 0  Y G 
\G 
O^@O
Œ Y일 때 MJN G Y
\G Y
O^@  O
 O
YAZ

G Y
YšA, H Y
Y
MJN G Y
\G Y
O^@  O

YAZ
또는 G Y
Y, H Y
YšA
이므로  O ∴ O
 ƒY일 때
 N 일 때
G Y
YšA, H Y
Y 또는 G Y
Y, H Y
YšA
G YN
\G Y
O^이 Y에서 연속이면
Ž ƒY일 때
G N
\G 
O^OG N

G Y
YšA, H Y
Y 또는 G Y
Y, H Y
YšA
G YN
은 Y에서 연속이므로
 Yy일 때
MJN G YN
\G Y
O^G N
@  O

G Y
YšA, H Y
Y 또는 G Y
Y, H Y
YšA YAZ

따라서 쌍이 가능하다. ④ MJN G YN


\G Y
O^G N
@  O

YAZ

이므로 OG N
G N
@  O

03 이때 O  O이므로 G N
 U❶
b
[전략] (가)에서 b 꼴이므로 G Y
가 삼차함수이다. G YN
\G Y
O^이 Y N에서 연속이면
(나)에서 Y, Y일 때 H Y
가 연속일 조건을 찾는다. G 
\G  N
O^

(가)에서 G Y
는 YšA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이다. G Y
는 Y N에서 연속이므로

Œ Y에서 H Y
가 연속이고, MJN G YN
\G Y
O^
YAZ N

Y™A Y @\G  N


O^G  N
O
MJN H Y
 MJN  MJN Y 

YAZ Y
YAZ YAZ
MJN G YN
\G Y
O^
YAZ N
G Y

이므로 MJN H Y
 MJN  U❶ @\G  N
O^
YAZ YAZ Y

Y)Z일 때 (분모))Z이므로 G 
 이므로 G  N
O U❷
따라서 G Y
 Y
Y™A BY C
로 놓을 수 있다. ❶에서 N이면
이때 ❶에서  N
™A  ∴ N
MJN Y™A BY C
,  B C U❷ ❷에서 G 
O,  O ∴ O
YAZ
❶에서 N이면
 Y에서 H Y
가 연속이고,

Y™A Y  N
 ∴ N
MJN H Y
 MJN  
YAZ YAZ Y
❷에서 G 
O,  O ∴ O
이므로
Œ, 에서 N, O 또는 N, O 또는 N,
G Y

MJN H Y
 MJN  MJN Y™A BY C
O이므로 N O의 최솟값은 이다. ②
YAZ YAZ Y YAZ

B C U❸
❷, ❸을 연립하여 풀면 B, C
∴ G Y
 Y
Y™A Y 

05

U라 하면 Y)Zb일 때 U)Z 이므로 ]U]일 때 [전략] H 
B이므로 MJN G H Y

G B
가 성립하는 B를 찾는다.
Y YAZ

G U
이때 G B 
G B
임에 주의한다.
G U
H U
G U

U
Z Y
Y
Y 
과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
 U
U™A U 
U™A U 
고, G Y
는 Y에서 연속이다.
U U™A U 

ZG Y

  
∴ MJN Y<G[ ] H[ ]= MJN \G U
H U
^
YAZb Y Y UAZ U      Y

 MJN  U™A U 

UAZ
G H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G H 

MJN G H Y

 YAZ

02. 함수의 연속 2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MJN G H Y

MJN G U
 이므로 U™AU
I U
U U
I U
가 모든 실수 U에서 연속이
YAZ UAZ

이므로 G H 

G B
 면 =, >이다.

Bƒ일 때 G B
 B
B
B 
에서 이때 =에서 G 
이고, >에서 곡선 ZG Y
의 꼭짓

 점의 Z좌표가 이므로 D이다.


B 또는 B
 즉, G Y
B YC
™A 이고, G 
이므로 BC™A 
 B, C인 정수이므로 B, C
G B
G B 
이므로 B O, B O (O은 정수)에서

  
G B
이다. ∴ G Y
 Y
™A , G[ ]
  
따라서 B이고 O, , , 이므로 B는 개이다. 

07
Z Y
Y
Y 
의 그래프는 Z Y
Y
Y 

 [전략] B, B인 경우로 나누어 사잇값의 정리를 생각한다.


Y, , 에서 Y축과 만나므로 그래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프는 그림과 같다.
   Y
 Œ B일 때  B일 때

06
ZG Y
ZG Y

[전략] B, B, C, Cƒ인 경우 ZH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I U

의 조건을 생각한다.
B

ZH Y
의 그래프는 ZG Y
의 그래프에서 Yy인 부분을 Z 
  B B Y  B  Y
축에 대칭이동한 그래프이므로 B, B일 때와 C, Cƒ 

일 때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Œ B일 때
B AC B ACƒ B AC B ACƒ
Z Z Z Z B
ZH Y
 B이고 YB일 때 G Y
이므로 (가)에 모순
ZH Y

ZH Y
이다.
ZH Y

 B일 때
B B
B 이므로 G[ ]이다.
 
[그림 ] [그림 ] [그림 ] [그림 ]
B
또, G Y
는 구간 <,  >에서 연속이고, G 
이므로
[그림 ]과 같은 경우 
가능한 I U
의 값은 U값이 커지면서 차례로 , , , , 이므로 B
사잇값의 정리에 의하여 과  사이에 G D
인 D가

(가)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없다.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그림 ], [그림 ]와 같은 경우
이때 (나)에서 삼각형의 넓이는
가능한 I U
의 값은 , , 이고
 B  B B
I 
ƒI 
ƒI 
또는 I 
yI 
yI 
이므로 B
<G[ ]= B
[ ][ ]
    
(가)를 만족시키는 경우는 없다. 
 B
šA
[그림 ]과 같은 경우 
가능한 I U
의 값은 U값이 커지면서 차례로 , , , , 이므로  
B
šA 이므로 B
 
I 
 또는 , I 
 또는 , I 
 또는 이면 가
∴ G B
G 
@ ①
능하다.
이때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이 I =
, I >
라 하면
ZI U
의 그래프는 아래 오른쪽과 같다. 08
Z Z
[전략] ZH Y
의 그래프를 그린 후 U의 값에 따라
I U
 ZH Y
와 Z]Y]U의 교점의 개수를 구한다.
ZI U

I U
 
> 
I U
 Z ZG Y

 함수 ZY™A Y의 그래프는
I U
 

= 
I U
    
점 [ , ], , 
, [ , ]
=0 > U   
을 지난다. 0
ZI U
의 그래프에서 또, 직선 ZYU가 이 곡선에 
  Y
 
MJN I U
, MJN I U
, MJN I U
, MJN I U
 접하면
YAZ= YAZ= YAZ> YAZ> ZYU

30 I. 함수의 극한과 연속

⥎⥐⥅⥓⥫73QVLJ !࿼ፎ"
  
Y™A YYU, Y™A Y U  U 일때
  
 ZH Y
와 Z]Y]U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개이므로
%에서 U
 I U
이다.
 
따라서 직선 ZY 이 Y 에서 접한다.
  Z]Y]U ZH Y

Z
 
(나)에서 O ƒYO 일 때, ZH Y
의 그래프는
  

O
ZG 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O만큼, Z축 방향으로 만

  0   Y
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다)에서 ZH Y
의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다.
 
따라서 함수 ZH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U 일 때
 

ZH Y

ZH Y
와 Z]Y]U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개이므로
Z
I U
이다.

Z]Y]U ZH Y

  0   Y 

0
Z]Y]U의 그래프는 Z]Y]의 그래프를 Z축의 방향으로     Y

U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Œ U일 때 
‘ U 일 때

ZH Y
와 Z]Y]U의 그래프는 만나지 않으므로
ZH Y
와 Z]Y]U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개이므로
I U
이다.
I U
이다.
Z]Y]U ZH Y

Z Z]Y]U ZH Y

Z



  0   Y
  0   Y

 U일 때  
따라서 I U
가 U, 에서 불연속이고 =„, =m 이다.
ZH Y
와 Z]Y]U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개이므로  
I U
이다. 
또, I[U ]I U
이므로

Z]Y]U ZH Y
  
Z =f=„ , =s=„ @, U, =m‰ƒ=„ O

  
   
=e=m , =g=m @, U, =m‰=m O

  
   
  0   Y ∴ =m=m @  , =m 
   

 함수 ZI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Ž U 일때

Z
ZH Y
와 Z]Y]U의 그래프가 만나는 점은 개이므로 ZI U


I U
이다.

Z]Y]U ZH Y
 U
Z



0       U

    
  0   Y

02. 함수의 연속 31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05

II
G Y
 YšAY 
Y 
Y™A
이므로
G 
@ @ 
. 미분 06
G 
에서  B C U❶
G Y
Y B이므로 G 
에서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B ∴ B
❶에 대입하면 C ∴ BC ⑤

step 기본 문제 31~34쪽 07
G  I
G 
G  I
G 

01 ③ 02  03 ② 04 ⑤ 05 
MJN MJN @
IAZ I IAZ I
06 ⑤ 07  08 ① 09 ② 10 ⑤ G 

11  12 
13 B, C 14 ⑤
G Y
YšA Y이므로 G 
 
15  16 ①
17 ④ 18 ③ 19 
20 ② 21 ①
22  23 ④ 24 ③ 절대등급 Note

25 ① 26 ① 27  28 ④ 함수 ZG Y
가 YB에서 미분가능할 때,
29 Y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Y에서 연속이지만 G B NI
G B

미분가능하지 않다. MJN NG B



IAZ I
30 ③ 31  32 풀이 참조

01 08
G 
G 
G B
G 
G B I
G BI

 이므로 MJN
 
B IAZ I
 
B B 
B
 G B I
G B
G BI
G B

 MJN
 B IAZ I
B 
B
, B 
B
 G B I
G B
G BI
G B

MJN < =
IAZ I I
B이므로 B ③
G B
 ∴ G B

G Y
Y이므로
02
B ∴ B ①
G 
G 

이므로 절대등급 Note



 B
 함수 ZG Y
가 YB에서 미분가능할 때
 ∴ B
 G B NI
G B OI

MJN  NO
G B

G Y
YšA Y이므로 G Y
Y™A  IAZ I

∴ G 
 

09
03 MJN
G I
G  I™A
G 

G 
G 
IAZ I
G D
이고 G Y
Y이므로
 G I
G 
G  I™A
G 

MJN < =
 
IAZ I I
D
 G I
G 
G  I™A
G 

MJN < @I=


IAZ I I™A
∴ D ②
G 
G 
@G 

G Y
YšAY이므로 G 
 ②
04
G Y
Y™A YœA YdA AU< YœAŸA이므로 10
G 
   AU<  G 
H 
이므로
    AU< 
G  I
H I

MJN
@ IAZ I
@
 G  I
G 
H I
H 

MJN
 ⑤ IAZ I

32 II. 미분

⥎⥐⥅⥓⥫73QVLJ !࿼ፎ"
MJN <
G  I
G 
 H I
H 

@ @ = 14
IAZ I  I  āG Y
 āG Y
 āG Y

  MJN MJN < @ =
 G 
H 
YAZ Y YAZ Y āG Y

 
G Y
 
G Y
 Y™A Y›A이므로 MJN < @ =
YAZ Y āG Y

G 
  
G Y
G 

H Y
Y YšA YœA이므로 MJN < @ =
YAZ Y āG Y

H 
  

  G 
@
∴ G 
H 
 ⑤ āG 

 
 
@  ⑤
  
11
G  I
G 

15
G 
MJN
IAZ I
IšA I™A I G Y

MJN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IAZ I YAZ Y
MJN I™A I 
(분자)AZ이다.
IAZ
∴ G 

 
이때
G Y 
YšA Y™A Y G 
에서
G Y
 G Y
G 

MJN MJN G 



G U
 U
šA  U
™A  U
G 

YAZ Y YAZ Y


이 식에서 G U
, G 
를 구할 수 있다. H Y
YG Y
Y™A 
G Y
이므로
H 
G 
G 

12 @ @ 
G Y 

MJN  U❶
Y™A
16
YAZ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분자)AZ이다.


∴ G 
 Y™AG 
G Y™A
 Y™A
G 
\G Y™A
G 
^

Y U라 하면 YAZ일 때 UAZ이므로 ❶의 좌변은 이므로


G U
G 
G U
G 
 Y™AG 
G Y™A

MJN MJN < @ =  MJN


UAZ U™AU UAZ U U  YAZ Y
 G Y™A
G 

 G 
 MJN < Y 
G 
@ @ Y 
=
 YAZ Y™A
∴ G 
 G 
G 

∴ G 
G 
  G Y
Y™A Y이므로
G 
G 
@@ 

13  ①
G Y
BY C

MJN
Y 
 에서 17
YAZ G Y
G 

\G Y
^™A G Y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MJN  YAZ Y
YAZ G Y
G 

(분자)AZ이다.
Y
  ∴ \G 
^™A G 
, G 
\G 
^
 , G 

G 
 G 
이므로 G 

∴ B C U❶ 이때
G Y
G 
\G Y
^™A G Y
G Y
\G Y
^
MJN 에서 MJN MJN
YAZ Y™A YAZ Y YAZ Y
G Y
G 
 G Y
G 

MJN < @ = MJN <G Y


@ =
YAZ Y Y  YAZ Y
 G 
@G 

G 
, G 

 G 
이므로 G 

∴ B C U❷ G 

∴  ④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B, C G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3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18 21
L Y
G Y
H Y
라 하면 G Y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YAZ Y
G  I
H  I
G 
H 

MJN (분자)AZ이다.
IAZ I
L  I
L 
∴ G 

MJN L 

IAZ I G Y
G 

이때 MJN 이므로 G 



G 
, H 
이고 YAZ Y
G Y
Y , H Y
 Y 
@ Y 
에서 H Y

또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G 
, H 
이므로 YAZ Y

L 
G 
H 
G 
H 
(분자)AZ이다.

  ∴ H 

 ③ H Y
H 

이때 MJN 이므로 H 



YAZ Y
I Y
G Y
G Y
H Y
\G Y
^™AH Y

이므로
I 
G 
G 
H 
\G 
^™AH 

19   ①
G Y

22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YAZ Y
(분자)AZ이다. G Y
Y™AŠA YŠA이라 하면 G 
이므로
∴ G 
 Y™AŠA YŠA G Y
G 

MJN MJN G 

YAZ Y YAZ Y


G Y
G 

이때 MJN 이므로 G 


 G Y
OY™AŠA‘˜A OYŠA‘˜A이고, G 
이므로
YAZ Y
H Y
 O O ∴ O 
또 MJN 에서 YAZ일 때 (분모)AZ이므로
YAZ Y
(분자)AZ이다. 23
 
∴ H 
 G Y
[ Y]›A이라 하면 G 
[ ]›A이므로
 
H Y
H 

이때 MJN 이므로 H 



YAZ Y [Å Y]›A[Å]›A
G Y
H Y
 G Y
H Y
G 
H 
MJN G 

∴ MJN MJN YAZ Y


YAZ Y YAZ Y

G 
H 
G 
H 
G Y
[ Y]šA이므로 G 
 ④

 
  24
Y BY C를 Y
™A으로 나눈 몫을 2 Y
라 하면
Y BY C Y
™A2 Y
U❶
Y을 대입하면  B C
❶은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20 Y B Y
2 Y
Y
™A2 Y

G Y
 Y
Y
AU< Y
Y을 대입하면
Y
Y
AU< Y
 B ∴ B, C
Y
Y
Y
AU< Y
∴ CB 
 ③
⋮
Y
Y
AU< Y
2 Y
는 다항함수이므로 미분가능하다.
이 식에 Y을 대입하면 Y을 포함한 개의 항은 이므로
G 
 

AU< 
25
이 식에 Y를 대입하면 Y를 포함한 개의 항은 이므로 ]G 
]y, āG 
y이므로
G 
 



AU< 
G 
, G 

G 

@ 
@ 
G Y
를 Y
™A으로 나눈 몫을 2 Y
라 하고,
∴ 
G 
@@ 3 Y
BY C라 하면
 ② G Y
 Y
™A2 Y
BY C U❶

34 II. 미분

⥎⥐⥅⥓⥫73QVLJ !࿼ፎ"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29
G Y
 Y
2 Y
Y
™A2 Y
B U❷ MJN G Y
 MJN Y
Y™A
,
YAZ YAZ
❶에서 G 
이므로 B C
MJN G Y
 MJN Y
Y™A
,
YAZ YAZ
❷에서 G 
이므로 B
G 
이므로 MJN G Y
G 

C이므로 3 Y
Y, 3 
 ① YAZ

따라서 G Y
는 Y에서 연속이다.
26 MJN
G Y
G 

 MJN
Y
Y™A

YAZ Y YAZ Y


G Y
BY™A C에서 G Y
BY이므로
 MJN Y™A

 BY™A C
 BY
™A Y™A  YAZ

BY™A C B™A 


Y™A  G Y
G 
Y
Y™A

MJN  MJN
YAZ Y YAZ Y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MJN Y™A

BB™A , C YAZ

BB™A 에서 B


™A 따라서 Y에서 미분가능하고 G 
이다.
 MJN G Y
 MJN Y
Y™A
,
∴ B YAZ YAZ

MJN G Y
 MJN Y
Y™A
,
C에서 C YAZ YAZ

 G 
이므로 MJN G Y
G 

∴ G Y
 Y™A , G 
 ① YAZ

따라서 G Y
는 Y에서 연속이다.
G Y
G 
Y
Y™A

27 MJN
YAZ Y 

 MJN
YAZ Y 
G Y
가 O차 다항식이면 G Y
는 O
차 다항식이고,  MJN Y
™A
YAZ
G Y
G Y
는 O
차 다항식이다.
G Y
G 
Y
Y™A

O이므로 O MJN  MJN


YAZ Y 
YAZ Y 
따라서 G Y
Y™A BY C라 하면  MJN \ Y
™A^
YAZ
G Y
Y B
따라서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G Y
G Y
 Y™A BY C
Y B

Y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다.


YšA BY™A B™A C
Y BC
Y에서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다.
YšAY™A Y 과 비교하면

30
B, B™A C, BC
∴ B, C
G„ Y
Y™A BY , Gm Y
Y C라 하면
∴ G Y
Y™AY, G 
 
G„ Y
Y B, Gm Y

G„ 
Gm 
이므로 BC  U❶
28 ∴ B
G„ 
Gm 
이므로  B
G Y

MJN  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❶에 B을 대입하면 C이므로 BC ③
YAZ Y
\ G Y
^™A 

31
(분자))Z이다.
∴ G 
 G  I
G 

G 
MJN
또 G 
이므로 G Y
 Y
Y
Y B
로 놓을 수 있다. IAZ I
이때 G 
G I
IG 

MJN
G Y
Y
Y B
 IAZ I
MJN MJN 
YAZ Y
\ G Y
^™A YAZ
 \G Y
^™A  G I
I G I

MJN MJN < =


극한값이 존재하므로 G 
이고 IAZ I IAZ I

 B  G I

 U❶ G 
이므로 MJN 
I
\G 
^™A  IAZ

G Y I
G Y

G Y
 Y
Y B
Y
Y B
이때 G Y
MJN
IAZ I
Y
Y
G Y
G I
YIG Y

MJN
G 
 B IAZ I
  G I

이므로 ❶에서  , B MJN < Y= Y


 B  IAZ I
∴ G Y
 Y
Y
Y 
, G 
 ④ ∴ G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3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32 02
Œ O일 때 (좌변)\G Y
^, (우변)G Y
이므로 성립한 G Y
G 

[전략] G 
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좌변을 MJN 꼴로 만
YAZ Y
다. 든다.
 OL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G Y
^™AG Y

  <\G Y
L^>L\G Y
^LG Y
MJN
YAZ Y
이때 G Y
\G Y
^
MJN
  <\G Y
^L ><\G Y
^L@G Y
> YAZ Y
<\G Y
^L>G Y
\G Y
^LG Y
G Y
G 

MJN < @\G Y


^>
YAZ Y
L\G Y
^LG Y
G Y
\G Y
^LG Y

G 
\G 
^
 L 
\G Y
^LG Y

∴ G 
 
따라서 OL 일 때에도 성립한다.
Œ, 에서 O이 자연수일 때 <\G Y
^O>O\G Y
^OG Y

성립한다. 풀이 참조 03
[전략] 그래프가 Z축에 대칭이므로 G Y
G Y
이다.
YU로 치환하면 UAZ일 때의 극한값이므로 G 
, G 
를 이용
할 수 있다.

그래프가 Z축에 대칭이므로 G Y


G Y
이다.
G Y™A
G 

MJN 에서 YU라 하면 YAZ일 때


G Y
G 

YAZ

UAZ이므로
G U™A
G 

MJN
UAZ G U
G 

G U™A
G 

MJN
UAZ G U
G 

step 실력 문제 35~38쪽
G U™A
G 
U
MJN < @ @ U 
=
01  02  03 ① 04 ① 05 ③
UAZ U™A G U
G 

06 ⑤ 07 ① 08 ③ 09 , 
10 ① G U™A
G 
U
MJN @MJN < @ U 
=
11 ⑤ 12  13 ⑤ 14  15 ④ U™AAZU™A UAZ G U
G 

16 ⑤ 17 ① 18 N, O 19 ③ 
G 
@ @ ①
20  21 ③ 22 ② 23 풀이 참조 G 

24 ④ 25 ⑤

01 04
[전략] YAZ에 대한 문제이므로
[전략] 구간 <O, O >에서 평균변화율이 O 이므로
G Y
G 

G O 
G O
O 이다. 이를 이용하여 G 
G 
을 나타 G 
 MJN 을 이용할 수 있는 꼴로 정리한다.
YAZ Y 

낸다.
G 
G Y

구간 <O, O >에서 평균변화율이 O 이므로 G Y


G Y
이므로 MJN 에서
Y™A
YAZ

G O 
G O
G Y
G 

O  (좌변) MJN
O O YAZ Y™A
∴ G O 
G O
O  G Y
G 

구간 <, >에서의 평균변화율은  MJN < @ =
YAZ Y 
Y
G 
G 

  G 


\G 
G 
^ \G 
G 
^ AU< \G 
G 
^ 이므로 G 


 \G Y
^™A
  AU<  ∴ MJN
 YAZ Y 

\G Y
^\G Y
^
  MJN
  U❶  YAZ Y 

G Y
G 

 MJN < @\G Y


^>
Y 

YAZ
❶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G 
@\G 
^
   @
„ O 
 [ ]
 O    ①

36 II. 미분

⥎⥐⥅⥓⥫73QVLJ !࿼ፎ"
05 07
G  I
 [전략] G Y
는 다항함수이므로 G Y
는 다항함수이다.
[전략] MJN 에서 G 
의 값을 알 수 있다.
IAZ I
 G Y
Y

G Y
G 
G Y
 이므로 MJNAG Y
G 
임을 이용한다.
따라서 구하는 식을 MJN 을 이용할 수 있는 꼴로 고친다. Y YAZ
YAZ Y
G Y
는 다항함수이므로 G Y
는 다항함수이고 연속이다.
G  I

MJN 에서 G 
 ∴ G 
MJN G Y

IAZ I YAZ

이때 G Y
Y Y
G Y
에서
G  I
G 
G Y
Y
(좌변)MJN < @=G 
Y 일 때 G Y

IAZ I Y
이므로 G 
 MJN G Y
의 값이 존재하므로
YAZ
Y™AY
G Y
G 

G 
 ∴ G 

 Y™AY
\G Y
G 
^ Y™AY
G 
G 

이때
 Y™AY
\G Y
G 
^ Y™AY
G Y
Y
이므로 G 
MJN G Y
MJN
YAZ YAZY
Y™AY
G Y
G 
G Y
G 
Y G 

MJN MJN
YAZ Y YAZ Y
G Y
G 
G Y
G 
 Y

MJN < Y™AY


@  Y 
= MJN <@  = 
YAZ Y YAZ Y Y
G 
 G 

  ③ ∴ G 
 ①

H Y
 Y™AY
G Y
G 
이라 하면 H Y
는 미분가능하 G Y
Y Y
G Y
U❶
고 H 
이다. G Y
의 최고차항을 BYŠA이라 하자.
Y™AY
G Y
G 
H Y
H 
Œ O일 때 ❶의 좌변의 최고차항은 B
Y
∴ MJN MJN
YAZ Y YAZ Y
 G Y
B이므로 ❶의 우변의 최고차항은 BY
H 

∴ BB, B
H Y
 Y
G Y
Y™AY
G Y
이므로
G Y
Y C라 하면 ❶은
H 
G 
G 

Y CY, C
 
∴ G Y
Y, G 

 Oy일 때 ❶의 좌변의 최고차항은 BYŠA
❶의 우변의 최고차항은 OBYŠA
06
B 이므로 O
[전략] YAZ일 때 H Y 
AZH 
이므로
H Y 

G Y
BYšA CY™A DY E라 하면 G Y
BY™A CY D
MJN 에서 H 
의 값을 구한다.
YAZ Y 이므로 ❶에 대입하면
G Y
 BYšA CY™A D
Y E
MJN 에서 G 

YAZ Y BYšA CB
Y™A DC
YD
G Y
G 

이때 MJN 이므로 G 


 양변을 비교하면
YAZ Y
H Y 
 CCB, DDC, ED
또 MJN 에서 H 
 ∴ CB, DB , EB
YAZ Y
H Y 
H 
이때 G Y
BY™ABY B 이므로 G 

이때 MJN 이고
YAZ Y

08
Y U라 하면
U
Y 이고 YAZ일 때 UAZ이므로 [전략] H Y
G Y
Y˜A A으로 놓고 주어진 조건을 H Y
의 Y에서의 미

분계수로 나타낸다.
H U
H 
H U
H 

MJN MJN @H 


H Y
G Y
Y˜A A이라 하면 H 
이므로
UAZ U UAZ U
 G Y
Y˜A A H Y
H 

MJN 에서 MJN 


∴ H 
, H 
 YAZ Y YAZ Y
\G Y
H Y
^G Y
H Y
G Y
H Y
이므로 Y에서의 곧, H 

미분계수는 H Y
G Y
YŸA이므로 Y을 대입하면
  G 
H 
G 
H 
  ⑤ G 
 ∴ G 
 ③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3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12
G 
이므로 [전략] H Y
가 YB
™A으로 나누어떨어지면

G Y
Y˜A A G Y
G 
Y˜A A G 
H Y
 YB
™A2 Y
로 나타내거나 H B
H B
임을 이용한
MJN MJN 다.
YAZ Y YAZ Y
G Y
G 
Y˜A A G Y
에서 Y›A의 계수가 이므로 (가)에서
MJN <  =
YAZ Y Y G Y
 Y
™A Y™A BY C

Y˜A A 로 놓을 수 있다.
YŸA YdA YžA AU< Y™A Y 이므로
Y
이때
G Y
Y˜A A
MJN G 
 G Y
 Y
™A Y™A BY C

YAZ Y
G Y
H Y
라 하면 (나)에서 H 
이므로
조건에서 G 
 ∴ G 

 B C
 U❶
09 H Y
 Y
Y™A BY C
Y
™A Y B
이고
[전략] H Y
Y™A BY C라 하고 조건을 이용하여 B, C 사이의 관계를 구한다. H 
이므로
L Y
G Y
H Y
라 하면 (가)에서 L 
  B C
  B
U❷
∴ G 
H 
G 
H 
 ❶에서 BC이므로 이것을 ❷에 대입하면
(나)를 대입하면 H 
H 
 U❶ B, C
H Y
Y™A BY C라 하면 H Y
Y B이므로 ❶에서 ∴ G Y
 Y
™A Y™A Y 
,
  B C
  B
, CB G 
 
∴ H Y
Y™A BYB
곧, B Y
Y™AH Y
이므로 Y, H 
이면
13
[전략] G Y
를 O차 다항식이라 하고 O의 값부터 구한다.
B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한다.
G Y
G Y
G Y
G Y
YšAY™A U❶
따라서 H 
이므로 ZH Y
의 그래프는 항상 점 , 

G Y
를 O차 다항식이라 하면
지난다. , 

G Y
는 O
차, G Y
G Y
는 O
차 다항식이다.
10 이때 ❶의 좌변은 O
차, 우변은 차 다항식이므로
[전략] G 
G 
G 
이므로 O ∴ O
G Y
는 Y, Y, Y로 나누어떨어진다. G Y
BY™A CY D B
라 하면
G Y
H Y
라 하면 H Y
는 YšA의 계수가 인 삼차식이고, G Y
BY C
H 
H 
H 
이므로 ❶에 대입하면
H Y
 Y
Y
Y
BY™A CY D
BY C
BY™A CY D BY C
이다. YšAY™A U❷
∴ G Y
 Y
Y
Y
 YšA의 계수를 비교하면 B™A
G Y
 Y
Y
Y
Y
B이므로 B
Y
Y
❷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 G 
G 
G 
  ① YšA C 
Y™A C™A C D 
Y CD C D
YšAY™A
11
계수를 비교하면
[전략] 몫을 2 Y
, 나머지를 BY™A CY D라 하면
YdAY Y
™A2 Y
BY™A CY D
C ,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을 미분할 수 있다는 것을 이용한다. C™A C D ,
몫을 2 Y
, 나머지를 BY™A CY D라 하면 CD C D
YdAY Y
™A2 Y
BY™A CY D U❶ ∴ C, D
Y을 대입하면 D ∴ G Y
Y, G 
 ⑤
Y을 대입하면 B C D U❷
14
❶이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을 미분하면
[전략] G Y
의 Y에서의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가 같음을 이용한다.
YžA Y
™A2 Y
Y Y
2 Y

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Y Y
™A2 Y
BY C
G Y
G 
YŠA  Y

Y을 대입하면 B C U❸ MJN  MJN U❶


YAZ Y YAZ Y™A
D을 대입하고 ❷, ❸을 연립하여 풀면 B, C G Y
G 
YŠA Y

MJN  MJN U❷
따라서 나머지는 Y™AY이다. ⑤ YAZ Y YAZ Y™A

38 II. 미분

⥎⥐⥅⥓⥫73QVLJ !࿼ፎ"
O 또는 이면 ❶, ❷는 발산한다. 17
O이면 ❶은 , ❷는 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전략] 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Y에서 연속이다.

Oy이면 ❶, ❷ 모두 에 수렴한다. G  I
G 
G  I
G 

MJN  MJN ,
IAZ I IAZ I
따라서 O의 최솟값은 이고 이때 G 
이다.
MJN G Y
 MJN G Y

YAZ YAZ
∴   
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Y에서 연속이다.
H Y
Y™A BY C라 하자.
15 Œ Y에서 연속이므로 MJN G Y
 MJN G Y

YAZ YAZ
[전략] 좌극한값과 우극한값을 비교한다.
(좌변)@H 
, (우변)@H 

G  I
G 
]I] 이므로 H 

ㄱ. MJN MJN 에서
IAZ I IAZ I
∴  B C
]I] I
MJN  MJN , 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IAZ I IAZ I

]I] I G  I
G 
G  I
G 

MJN MJN  MJN  MJN


IAZ I IAZ I IAZ I IAZ I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H  I
H 

(좌변) MJN H 

G  I™A
G 
]I™A] IAZ I
ㄴ. MJN MJN
IAZ I IAZ I H  I
H 

(우변) MJN
I™A IAZ I
MJN
IAZ I H  I
H 

 MJN H 

MJN I IAZ I


IAZ
이므로 H 

G  I
G I
]I]]I]
ㄷ. MJN MJN 에서  H Y
Y B이므로
IAZ I IAZ I
]I]]I] II B, C
MJN  MJN 
IAZ I IAZ I ∴ G Y
<Y> Y™AY 
,
]I]]I] I I
G 
@ ①
MJN  MJN 
IAZ I IAZ I
G  I
G I

∴ MJN  H Y
Y™A BY C로 놓지 않고
IAZ I
G  I
G 
G  I
G 

따라서 극한값이 존재하는 것은 ㄴ, ㄷ이다. ④ MJN , MJN 을 바로 계산해도 된다.


IAZ I IAZ I

16
G I
G 

[전략] MJN
YAZ
G Y
G 
이고, MJN
IAZ I
은 존재하지 않음을 이용한다.
18
G I
G 
[전략] G„, Gm가 미분가능한 함수일 때
MJN G Y
G 
이고 MJN 은 존재하지 않는다. G„ YB

YAZ IAZ I G< 가 YB에서 미분가능하면


Gm YyB

ㄱ. H Y
YG Y
라 하면 H 
이므로
G„ B
Gm B
, G„ B
Gm B

H I
H 
IG I

MJN MJN MJN G I


G 
G„ Y
G Y
, Gm Y
NG Y
, Gf Y
O G Y
라 하면
IAZ I IAZ I IAZ

따라서 Y에서 미분가능하다. G„, Gm, Gf은 미분가능한 함수이다.


ㄴ. H Y
Y™AG Y
라 하면 H 
이므로 YB에서 미분가능하면
H I
H 
I™AG I
G„ B
Gm B
이고 G„ B
Gm B
,
MJN MJN MJN IG I

IAZ I IAZ I IAZ G B
NG B
이고 G B
G B

따라서 Y에서 미분가능하다. ∴ NG B


, G B

 YC에서 미분가능하면
ㄷ. H Y
 이라 하면 H 
이고
 YG Y

Gm C
Gf C
이고 Gm C
Gf C
,
 IG I

H I
H 
  NG C
O G C
이고 G C
G C

 IG I
 IG I

이므로 ∴ NOG C
, G C

H I
H 
G I
그런데 G Y
Y™A Y Y 
Y
이므로
MJN MJN < =G 

IAZ I IAZ  IG I


B, C (∵ BC)
따라서 Y에서 미분가능하다. ∴ NG 
,
따라서 Y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는 ㄱ, ㄴ, ㄷ이다. ⑤ ONG 
  N, O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3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19 Y)Z일 때 (분모))Z이므로  B C


[전략] H Y
가 Y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므로 CB이고 이를 ❷에 대입하면
MJN H Y
 MJN H Y
, Y™A BYB Y
Y B 

YAZ YAZ
MJN MJN
H  I
H 
H  I
H 
YAZ Y YAZ Y
MJN  MJN
IAZ I IAZ I B 
그리고 우극한에서는 H Y 
H Y
를 이용한다.
∴ B , B, C
H Y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Y에서 연속
∴ G Y
 Y
Y™AY
 Y
™A Y 
,
이고 미분가능하다.
G 
@ 
그리고 H Y 
H Y
이다.
Œ Y에서 연속이므로 MJN H Y
 MJN H Y

21
YAZ YAZ

(좌변) MJN G Y
G 

YAZ
[전략] 미분가능한지 확인할 때에는 좌미분계수와 우미분계수를 비교한다.
(우변) MJN G Y
G 

YAZ ㄱ. G Y
는 Y에서 연속이고 G 
이므로
이므로 G 
G 
G  I
G 
 I
™A
MJN  MJN
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IAZ I IAZ I
H  I
H 
H  I
H 
I™A I
MJN  MJN  MJN 
IAZ I IAZ I IAZ I
G  I
G 
!\  I
šA^
(좌변) MJN G 
G  I
G 

IAZ I MJN  MJN


IAZ I IAZ I
G  I
G 

(우변) MJN G 


 IšA I™A I
IAZ I  MJN 
 IAZ I
이므로 G 
G 

따라서 G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다. (참)
G Y
YšA BY™A CY D라 하면
]G I
]]G 
] ]I]
G 
G 
이므로 ㄴ. MJN  MJN 
IAZ I IAZ I
 B C D BC D ∴ C ]G I
]]G 
] ]I™A]]]
MJN  MJN 
이때 G Y
Y™A BY IAZ I IAZ I
G 
G 
이므로 따라서 ]G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거짓)
 BB ∴ B ㄷ. H Y
YLG Y
라 하면 L가 자연수이므로 H 
이다.
∴ G Y
YšAY D, H I
IL I

MJN  MJN
IAZ I IAZ I
G Y
Y™A
 MJN IL I
U❶
(나)에서 H Y
는 주기가 인 주기함수이므로 IAZ
L
H 
H 
H 
H 
H I
I I™A

MJN  MJN
IAZ I IAZ I
G 
G 

 MJN IL I™A


U❷
  ③ IAZ

L이면 ❶은 , ❷는 이므로 미분가능하지 않다.


20 Ly이면 ❶, ❷가 모두 이므로 미분가능하다.
[전략] 미분계수의 정의에서 따라서 YL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한 자연수 L의 최솟값
G Y
H Y
G 
H 

MJN 은 이다. (참)


YAZ Y
가 존재하고, 극한값이 일 조건을 찾는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G Y
H Y
G 
H 

I 
이므로 MJN 
YAZ Y
 22
G 

G Y
@ G B I
G B

Y [전략] MJN 의 값이 존재한다는 것과 ㄱ, ㄴ, ㄷ을 비교한다.


(좌변)MJN IAZ I
YAZ Y
G Y
 Y
G 
G Y
가 YB에서 미분가능하면
MJN U❶
YAZ Y
™A G B I
G B

MJN G B
이다.
❶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분자))Z이다. IAZ I
∴ G 
 ŒG Y
가 YB에서 미분가능하다고 가정하면
G Y
에서 YšA의 계수가 이므로 G B I™A
G B
G B U
G B

ㄱ. MJN  MJN G B

G Y
 Y
Y™A BY C
로 놓고 ❶에 대입하면 IAZ I™A UAZ U
Y™A BY C G B IšA
G B
G B U
G B

(좌변)MJN U❷ ㄴ. MJN MJN G B

YAZ Y IAZ IšA UAZ U

40 II. 미분

⥎⥐⥅⥓⥫73QVLJ !࿼ፎ"
G B I
G BI
G Y
G 

ㄷ. MJN Y일 때 ƒ이므로


IAZ I Y
 G B I
G I
G BI
G I
G Y
G 

MJN < = MJN ƒ MJN  U❷


IAZ  I I YAZ Y YAZ

 미분가능하면 ❶, ❷의 극한이 같으므로 G 


이다.
 \G B
G B
^G B

 또 G 
이므로 G Y
G 
ƒ Y

G Y
가 YB에서 미분가능하면 ㄱ, ㄴ, ㄷ이 모두 성립하므 위와 같이 생각하면 G 
이다.
로 ㄱ, ㄴ, ㄷ은 모두 필요조건이다. ∴ G 
G 
  ④
역으로 G Y
]YB]는 YB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지만
G B I™A
G B
]I™A] ZG Y
의 그래프는 두 직선 ZY와 Z ZY
ㄱ. MJN MJN 
IAZ I™A IAZ I™A  2 ZY
ZY 사이에 있다. 그리고 직선 위의
G B I
G BI
]I]]I]
ㄷ. MJN MJN  점 1 , 
, 2 , 
을 지나고 Y에
IAZ I IAZ I ZG Y

서 미분가능하므로 그림과 같다.


곧, ㄱ, ㄷ이 성립할 때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ㄱ, ㄷ은 충분  1
따라서 점 1, 2에서 각각 직선 ZY,
조건은 아니다.
ZY에 접한다.
Žㄴ이 성립한다고 하자. 0   Y
미분계수는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G B U
G B

MJN 에서 모든 실수 U에 대하여 UIšA인 I G 


, G 

UAZ U
가 존재하므로 UIšA으로 놓으면
25
G B U
G B
G B IšA
G B
G I
G 

MJN MJN [전략] G 


의 값을 구하고, 을 부등식으로 나타낸 다음,
UAZ U IAZ IšA I
의 값이 존재하므로 G Y
는 YB에서 미분가능하다. I)Z일 때 극한값을 구한다.
곧, ㄴ은 충분조건이다. (가)에 Y을 대입하면 G 
y
Œ, , Ž에서 필요충분조건인 것은 ㄴ이다. ② (나)에 Y, I을 대입하면
G 
yG 
G 
, G 
\G 
^ƒ
ㄱ. I™Ay이므로 우극한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G 
y이므로 G 
ƒ ∴ G 

ㄷ. ZG Y
의 그래프가 직선 YB에 대칭이면 G B I
G BI
이다.
(가)에서 G I
yI 이므로
따라서 G Y
가 YB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아도 극한값은 항상 존재한다.
G I
yI ∴ G I
G 
yI
23 I일 때
G I
G 
G I
G 
G I
G 

[전략] G 
의 값을 구하고, 을 부등식으로 나타낸 다음, y이므로 MJN y
I
I IAZ I
IAZ일 때 극한을 생각한다.
I일 때
]G 
]ƒ™A이므로 G 

G I
G 
G I
G 

G I
G 
G I
ƒ이므로 MJN ƒ
∴ MJN MJN I IAZ I
IAZ I IAZ I
G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G I
]ƒI™A에서 I™AƒG I
ƒI™A이므로
G I
G 

MJN  ∴ G 

I™A G I
I™A IAZ I
 ƒ ƒ
I I I
∴ G 
G 
  ⑤
I™A I™A G I

MJN [ ], MJN 이므로 MJN 


IAZ I IAZ I IAZ I Z ZY 
ZG Y
의 그래프는 점 , 
에서 직선
G I
G 
ZY 에 접한다.
∴ MJN 
IAZ I
따라서 G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다. 풀이 참조 ZG Y


0 Y

24
G Y
G 

[전략] 을 부등식으로 나타내어 G 


의 값을 구한다.
Y
같은 방법으로 G 
의 값도 구한다.

G 
이므로 YƒG Y
G 

G Y
G 

Y일 때 y이므로
Y
G Y
G 

MJN y MJN  U❶


YAZ Y YAZ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41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Z)Z일 때 좌변은
step 최상위 문제 39~40쪽
G Y Z
G Y
G YZ
G Y

MJN < =G Y

01 ① 02  03 ① 04 ③ ZAZ Z Z
05 B, C 06  07 N, O 이고, 우변은 Z에 대하여 상수이므로
08 ,  \G Y
G 
^
G Y
 ,
Y
01 Y
G Y
\G Y
G 
^ U❶
[전략] G Y
 YY„
YYm
YYf
L로 놓을 수 있다.
G Y
의 최고차항을 BYŠA이라 하면
G Y„
G Ym
G Yf
L라 하면 YšA의 계수가 이므로 좌변의 최고차항은 OBYŠA, 우변의 최고차항은 BYŠA이므로
G Y
 YY„
YYm
YYf
L O이다.
미분하면 따라서 G Y
BY™A CY D라 하면 ❶에서
G Y
 YYm
YYf
YY„
YYf
Y
BY C
 BY™A CY DBCD

YY„
YYm
BY™A CB
YCBY™A CYBC
이므로 계수를 비교하면
G Y„
G Yf

CBC, CBC
G Ym

곧, CB이므로 G Y
BY™ABY D
\ Y„Ym
Y„Yf
^\ YfY„
YfYm
^
 G 
이므로 D
YmY„
YmYf

 Y„Yf
™A H 
이고 H Z
G 
이므로 G 


조건에서 BB  ∴ B

 Y„Yf
™A ∴ ]Y„Yf]u ① ∴ G Y
Y™AY ,

02
G 
  ①

[전략] (가)에서 분자, 분모의 최고차항의 차수가 같다. 이를 이용하여 G Y


04
차수부터 구한다.

G Y
의 최고차항을 BYŠAA B 
이라 하자. [전략] Uƒ, Uƒ, Uƒ, U로 나누어 G U
부터 구한다.
\G Y
^™AG Y™A
의 최고차항은 B™AB
Y™AŠA, U값의 범위에 따라 그림을 그리면 다음과 같다.
YšAG Y
의 최고차항은 BYO 이다. Œ Uƒ일 때  Uƒ일 때
(가)에서 분자, 분모의 최고차항의 차수가 같으므로 Z
OO  ∴ O Z 
U Gm U

또 최고차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G„ U



U
B™AB
, B™AB ∴ B (∵ B ) 0 U  Y 0  U  Y
B
따라서 G Y
YšA CY™A DY E라 하면 Ž Uƒ일 때  Uƒ일 때
  G Y
Y™A CY D Z
Y™A CY D U
(나)에서 MJN  Z
YAZ Y 
U
Y)Z일 때 (분모))Z이므로 D이다.   Ge U

Gf U

이때
 
Y™A CY
MJN MJN Y C
C
YAZ Y YAZ 0   U  Y 0    U  Y
∴ C
Uƒ일 때 넓이는G„ U
U™A
∴ G Y
Y™A Y, G 
  
03
Uƒ일 때 넓이는 정사각형과 사다리꼴의 넓이의 합을 생각
하면
[전략] Y이나 Z을 대입하여 나오는 조건부터 확인한다.
그리고 주어진 식을 평균변화율을 이용할 수 있는 꼴로 변형한다.   
Gm U
 U 
U
 U™A
  
주어진 식에 Y을 대입하면 Z\G 
H Z
^
Uƒ일 때 넓이는 직사각형에서 사다리꼴의 넓이를 빼면
모든 실수 Z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H Z
G 
이다. 따라서
 
Y
\G Y Z
G YZ
^Z\G Y
G 
^ Gf U
U @  
@U
 
Y , Z 일 때 양변을 Y
Z로 나누면 U일 때 넓이는 직사각형에서 나머지 부분의 넓이를 빼면
G Y Z
G YZ
\G Y
G 
^  
 Ge U
U@ @  
@U
Z Y  

42 II. 미분

⥎⥐⥅⥓⥫73QVLJ !࿼ፎ"
따라서 Y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므로
G„ U
U™A Uƒ
Gm 
H 
, Gm 
H 

  ∴ H 
, H 
, H 
, H 
L
Gm U
 U™A Uƒ

<
  H Y
에 대한 조건이 개이므로 미지수가 개인 차수가 가장 낮
G U
 @  은 H Y
는 삼차함수이다. U❶
Gf U
U Uƒ


H Y
이 Y Y
로 나누어떨어지므로

Ge U
U U
H Y
Y Y
BY C


BYšABY™A CY™ACY 
이므로 G U
는 U, , 에서 연속이다.
로 놓을 수 있다.

H Y
BY™ABY CYC
U U


U U
H 
C에서 C

<
G U
 
 U
H 
B CL에서 LB
 U
  
또 H 
 이고 H 
BC B 이므로
  
이므로 G„ 
Gm 
, Gm 
Gf 
, Gf 
Ge 

    
따라서 U 또는 U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이때 U값의 B  ∴ B
    
합은  이다. ③ LB에서 L이므로 자연수 L의 값은 이다. 

❶에서 미지수 개로 표현할 수 있는 차수가 가장 낮은 H Y



05 H Y
BYšA CY™A DY E이므로 H Y
는 삼차함수이다.
[전략] 함수 ]Y™A BY C]는 Y™A BY C 인 Y에서 미분가능하다. 주어진 경우는 그림과 같다.
Z
Y™A BY C 인 Y에서 ]Y™A BY C]가 미분가능하므로 G Y

ZH Y
ZGm Y

도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으므로 ZG„ Y


Y™A BY CY YQ
라 할 수 있다.  0   Y
Œ Q일 때 G Y
]Y™A] Y™A
Y™A Y™A
이므로 Y
에서 미분가능하다. (모순)
 Q 일 때 G Y
는 YQ에서 미분가능하고 G Q
이므로
G Y
G Y
07
MJN  MJN [전략] Y값의 범위를 나누어 H Y
와 G Y
H Y
를 구한 다음 미분가능할 조
YAZQ YQ YAZQ YQ
건을 찾는다.
]Y YQ
] Y™A

(좌변) MJN ]Q] Q™A

YAZQ YQ G Y
는 Y에서 연속이므로 H Y
도 Y에서 연속이다.
]Y YQ
] Y™A

(우변) MJN ]Q] Q™A
G„ Y
 Y, Gm Y
Y™AY  Y
™A 이라 하면
YAZQ YQ 
Q 이므로 Q™A ∴ Q† G„ YN
O YN

H Y
<  
Q이면 G Q
이므로 G 
에 모순이다. Gm YN
O YNy

Q이면 Y™A BY CY Y 



YN
O YN

∴ B, C B, C <


YN
™A O  YNy

H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고 H 
이면 ]Y]H Y
는 Y에서 
H„ Y
 YN
O, Hm Y
 YN
™A O 이라 하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Y Y
] Y™A
은 Y에서 미분가능하고, 면 N이므로
]Y Y 
] Y™A
은 Y에서 미분가능하다. G„ Y
H„ Y
YN 

<
G Y
H Y
 @G„ Y
Hm Y
N ƒY

Gm Y
Hm Y
Yy

06
이때
[전략] Y, Y에서 좌미분계수, 우미분계수를 비교하여 H Y
에 대한 조

건을 찾는다. G„ Y
 , Gm Y
 Y


G„ Y
Y , Gm Y
L Y
이라 하자. 
H„ Y
 , Hm Y
 YN

Y에서 연속이고 미분가능하므로 


G„ 
H 
, G„ 
H 
이므로

03. 미분계수와 도함수 4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G„ Y
H„ Y
^ H Y
I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H Y
I Y
H 
I 

   < YN
O= Y@ MJN
    YAZ Y
 N O
 Y  Y
I Y
I 

  
 MJN
\G„ Y
Hm Y
^ YAZ Y
  
 \ YN
™A O ^ Y@ YN
I 
 I 

  
 O  H Y
I Y
H 
I 

 YN
YN
MJN
  YAZ Y
\Gm Y
Hm Y
^ Y
I Y
I 

 MJN
YAZ Y
 Y
\ YN
™A O ^
I 
I 

\ Y
™A ^@ YN


 Y
YN
YN
I 
 I 
I 
I 
이므로 I 
 U ❷

 Y
O 
 YN

❶, ❷에서 I Y
Y Y
Y =
라 하면
YN 에서 \G„ Y
H„ Y
^\G„ Y
Hm Y
^이므로
I 
이므로
 N O O 
N 
    =
, =
   
∴ I Y
Y Y
Y 

∴ N
따라서 L일 때 I 

Y에서 \G„ Y
Hm Y
^\Gm Y
Hm Y
^이므로
 L인 경우
 O  O 
N
N
 N
,   ZH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 Z
   ZH Y

∴ O N, O 로 Y, Y, Y에서 미분가



능하지 않다.
L Y
G Y
H Y
는 YN , Y에서만 미분가능하면 실수 전체에서 H Y
I Y
가 Y, Y, Y
미분가능하므로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Œ과 같은 이유
L N  I
L N 
L N  I
L N 

MJN  MJN  0  Y
IAZ I IAZ I 로 I 
I 
I 
이다.
L  I
L 
L  I
L 
∴ I Y
Y Y 
Y

MJN  MJN
IAZ I IAZ I
일 조건을 찾아도 된다. 이때 I 
이므로 성립한다.
따라서 L일 때 I 

08 Ž L , L 인 경우

[전략] H Y
가 Y에서 연속인 경우, 곧 G L
G 
인 경우와 아닌 경 H Y
I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MJN H Y
I Y
H 
I 

YAZ
 
함수 H Y
가 Y에서 연속이면 G L
G 
에서 ]L]@I 
I 
∴ I 
 U❸
 
 H Y
I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L], ]L]

H Y
I Y
H 
I 

∴ L 또는 L MJN  ]L]@I 

YAZ Y 
Œ L인 경우
H Y
I Y
H 
I 

ZH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Z ZH Y
MJN I 

YAZ Y
Y,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L]@I 
I 
이므로 I 
 U❹
H Y
I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 
로 H Y
I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H Y
I Y
H 
I 
❶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I 
 U❺
MJN 0  Y
YAZ Y ❸, ❹, ❺에서 I Y
는 Y™A과 Y을 인수로 가지므로
Y
I Y
I Y
Y™A Y
, I 

 MJN I 

YAZ Y (나)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H Y
I Y
H 
I 
Œ, , Ž에서 I L
의 값은 , 이다. , 
MJN
YAZ Y
Y
I Y

 MJN I 

YAZ Y
I 
I 
이므로 I 
 U❶

44 II. 미분

⥎⥐⥅⥓⥫73QVLJ !࿼ፎ"
04. 접선과 그래프 B™A B, B™A B
B이므로 B

step
∴ CG 
 B, C
기본 문제 42~46쪽

01 ① 02  03 B, C 04 ④ 06
05 B, C 06 ① 07 ① 08  G Y
Y™A Y 이라 하면 G Y
Y 
09 B, C 10 ① 11 ⑤ 12 ②
점 ,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G 
이므로
13 ④ 14 , 
15 ③ 16 ④ 17 ①
접선의 방정식은
18 ① 19 ① 20 Å 21 ③ 22 ④
Z Y
∴ ZY
23 ① 24 ⑤ 25 ③ 26  27 ④ 따라서 B, C이므로 B C이다. ①
28 ⑤ 29 ① 30 ② 31 ④ 32 
33 ④ 34 ④ 35  36  37 ④
07
38 ③ 39 
G Y
Y™A B이고 점 , G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이므로


01 G 
 B ∴ B
G Y
 이때 G 

MJN 에서
YAZ Y 접선 ZY C가 점 , 
를 지나므로
Y)Z일 때 (분모))Z이므로 G 
  C ∴ C
G Y
G 
∴ BC ①
곧, MJN , G 

YAZ Y
H Y
 Y
™A에서 H Y
 Y
이므로 08
H 
, H 
 G Y
YšAY™A B라 하면
\G Y
H Y
^G Y
H Y
G Y
H Y
이므로 G Y
Y™AY, G 

곡선 ZG Y
H Y
위의 Y인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따라서 점 , B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G 
H 
G 
H 
 ① ZBY ∴ ZY B
이 직선이 점 , 
를 지나므로
02 B ∴ B 
곡선 ZG Y
위의 점 , 
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G 
, G 
 09
H Y
YšAG Y
에서 G Y
YšA Y 이라 하면
H Y
Y™AG Y
YšAG Y
G Y
Y™A , G 

이므로 따라서 점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H 
G 
G 
  Z Y 
∴ ZY 
곡선 ZYšA Y 과 직선 ZY 에서
03 YšA Y Y 
G Y
YšABY C라 하면 G Y
Y™AB YšAY, Y 
™A Y

곡선 ZG Y
위의 점 , 
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따라서 곡선과 직선은 Y과 Y에서 만난다.
G 
, G 
 B 이므로 B
B C, B ∴ CG 
 B, C
∴ B, C B, C
10
04 G Y
YšA BY™A CY D라 하자.
G Y
 Y
YB
Y YB
Y Y
점 , 
를 지나므로 G 

조건에서 G 
G 
이므로 점 , 
을 지나므로 G 

B@ B
 점 ,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두 점 , 
, , 
을 지나
B™AB 
는 직선의 기울기인 이므로 G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B값의 합은  ④ G 


에서 B C D U❶

G 
에서 BC D U❷
05 G Y
Y™A BY C이므로
G Y
Y™A Y이고 G B
이므로 G 
에서 B C U❸

04. 접선과 그래프 4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❶, ❷, ❸을 연립하여 풀면 B, C, D 14


∴ G Y
Y™AY , G 
 ① 점 1에서의 접선이 직선 YZ에 평행할 때, 1와 직선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다.
두 점 , 
, , 
을 지나 Z ZY   
G Y
 YšA 이라 하면 Z
는 직선의 방정식이 ZY 이  
1
ZG Y
G Y
Y™A
다.
따라서 H Y
Y 라 하면 방  A
1 B, C
라 하면 1에서 접선
0 Y
정식 G Y
H Y
의 해는 의 기울기가 이므로

Y (중근), Y이다.  A


G B
, B™A

G Y
 Y 
Y
B이므로 YZ
0
 Y
™A Y 
B, CG 

ZG Y

G Y
YšAY™A Y  따라서 점 1의 좌표는 , 

G Y
Y™AY  이다. , 

15
11 G Y
YšA Y 이라 하면 G Y
Y™A 
G Y
YšA Y 라 하면 G Y
Y™A  1 B, G B

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직선 ZY 과 평행한 접선의 접점의 Y좌표를 =라 하면 G B
B™A 이고 G B
BšA B 이므로
G =
, =™A  ∴ =† 접선의 방정식은
G 
, G 
이므로 접점은 , 
, , 
이고 접선 Z BšA B 
 B™A 
YB

의 방정식은 점 " , 
를 지나므로
Z Y
, Z Y 
BšAB B™A 
B
, BšA
곧, YZ, YZ  B는 실수이므로 B, G 

두 접선 사이의 거리는 YZ  위의 점 , 
과 직선 따라서 1 , 
이므로
YZ 사이의 거리와 같으므로 "1“ā™A ™Au ③

E
]]

 16
ā™A ™A u G Y
Y™AY 라 하면 G Y
Y

∴ E™A@  ⑤ 접점을 B, G B

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는 G B


B이고

G B
B™AB 이므로 YB인 점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Z B™AB 
 B
YB

12 점 " , 
을 지나므로 $  A

G Y
YšAY™A Y 이라 하면 G Y
Y™AY 
B™A B B
B

두 점 ", #에서의 접선이 평행하므로 점 #의 Y좌표를 C라 하면


B™AB 
G C
G 
이다. 
∴ B 또는 B
C™AC , C™AC #  A

G 
, G 
이므로 접점은
C 이므로 C 
, 
, , 
이다.

G 
이므로 점 # ,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의 넓이는  "  A

Z  Y 
∴ ZY 
  
 
@ @@ @@
따라서 이 직선의 Z절편은 이다. ②   
 ④

13 17
G Y
YšAY™A 이라 하면 G Y
Y™AY G Y
Y™A , H Y
Y™A BY C라 하자.
곡선 위의 점 B, G B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곡선 ZH Y


가 점 "를 지나므로
G B
B™AB B
™A H 
,  B C U❶
이므로 B일 때 접선의 기울기의 최솟값은 이다. 점 "에서 두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G 
H 

G 
이므로 기울기가 최소인 접선의 접점은 , 
이다. 그 G Y
Y, H Y
Y B이므로
리고 이 점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B ∴ B
Z Y
∴ ZY  ❶에 대입하면 C
따라서 이 직선의 Z절편은 이다. ④ ∴ B C ①

46 II. 미분

⥎⥐⥅⥓⥫73QVLJ !࿼ፎ"
18
G Y
YšA, H Y
Y™A Y L라 하면 G Y
이면 G Y
가 증가한다.
G Y
가 증가하면 G Y
y이다.
G Y
Y™A, H Y
Y 
점 1의 Y좌표를 Q라 하자.
23
점 1에서 두 곡선이 만나므로 G Y
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G Y
는 일대일대응이다.
G Q
H Q
∴ QšAQ™A Q L U❶ 그리고 G Y
에서 YšA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G Y
는 모든 실수 Y
점 1에서 두 접선의 기울기가 같으므로 에서 증가한다.
G Q
H Q
∴ Q™AQ  U❷ G Y
Y™ABY By
❷에서 Q
Q 
 이므로
Q이므로 Q %
B™ABƒ ∴ ƒBƒ
❶에 대입하면 L 
G 
, G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따라서 B의 최댓값은 이다. ①
Z Y
∴ ZY
∴ L™A B™A C™A 
™A ™A 
™A ① 24
G Y
ƒ의 해가 ƒYƒ이다.

19
G Y
Y™ABY  B
 YB 
Y

이므로 B ∴ B ⑤


함수 G Y
Y™AY 은 구간 <, >에서 연속이고 구간

25
, 
에서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G 
G 
Z
G D
인 D가 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 G Y
Y™A Y 
Y
ZG  Y

 
B B
재한다. 구간 B, B
에서 G Y
ƒ이므로  0  Y

 Bƒ
G Y
Y이므로 D
 따라서 B의 최댓값은 이다.

∴ D ①


20
26
G Y
Y이므로
G Y
Y™A B 
Y B이므로 점 U, G U

에서 접선의 방
B I
™AB™A I@ B DI

정식은
BI I™AI B DI

Z\UšA B 
U™A BU^\U™A B 
U B^ YU

 
B IB DI ∴ D Y일 때 ZH U
이므로
 
H U
\UšA B 
U™A BU^\U™A B 
U B^ U

21
∴ H U
UšA B 
U™A
H U
U™A  B 
U이고
구간 <, >에서 평균값 정리를 생각하면
U에서 H U
가 증가하면 Z
G 
G 
ZHA U

G D
이 구간에서 H U
y이므로

H 
y, H 
y
인 D가 구간 , 
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G 
이다. H 
이므로
]G D
]ƒ이므로 \ \ƒ H 
  B 
y
 0  U
∴ ƒG 
ƒ By
∴ B C  ③ 따라서 B의 최솟값은 이다. 

27
22
ㄱ. G Y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므로 Y에서 극대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다. (참)
G Y
Y™A BY By
ㄴ. G Y
의 부호가 Y, Y에서 바뀌므로 극값의 개수는
이므로
이다. (거짓)
%
B™ABƒ ∴ ƒBƒ ㄷ. 구간 , 
에서 G Y
이므로 증가한다. (참)

따라서 B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차는 이다. ④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04. 접선과 그래프 4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28 연립하여 풀면 B, C


G Y
Y™AY  Y
Y
∴ G Y
YšA Y™AY D
G Y
에서 Y 또는 Y이다. G 
G 
이므로
 D
 D
 ∴ D
Y U  U  U
∴ G Y
YšA Y™AY, G 
 
G Y
  
G Y
↗ 극대 ↘ 극소 ↗
33
G Y
는 Y에서 극대, Y에서 극소이다. H Y
Y™AG Y
YšA 
G Y

극댓값은 G 
, 극솟값은 G 
이므로 함수 H Y
가 Y에서 극솟값 를 가지므로 H 
,
B, C ∴ BC ⑤ H 
에서

29
H 
G 
G 


G Y
Y™A BY B™AB H 
G 


이차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연립하여 풀면 G 
, G 


% ∴ G 
G 
 
 ④
B™A B™AB
, B™AB

곧, B이므로 정수 B는 , , , , 이고 개이다. ① 34
그래프가 Y축에 접하면 극댓값 또는 극솟값이 이다.
삼차함수 G Y
가 극값을 가지면 ZG  Y
Z
G Y
YšABY™A B라 하면 ZG Y

이차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
G Y
Y™ABY
다. 이때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갖는다.
Y YB

 Y G Y
에서 Y 또는 YB
극대 극소
G 
B이므로 G B
에서
30
0 B Y
BšA B, B B™A

G Y
Y™A BY  Z
ZGA Y
B이므로 B ④
Y에서 이차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35
G 
이므로 (나)에서 G 
, G 

% 0  Y G 
이므로 G Y
BYšA CY™A DY라 하면
Œ B™A

G Y
BY™A CY D
∴ B 또는 B
G 
에서 D
B
 축 :   ∴ B 이때 G Y
BYšA CY™AY, G Y
BY™A CY

 (가)에서 G 
, G 
이므로
Ž G 
 B ∴ B
 BC, B C 
 연립하여 풀면 B, C
Œ, , Ž에서  B ②

이때 G Y
Y™AY Y 
Y

31 G Y
에서 Y 또는 Y이다.
G Y
Y™A BY C Y U  U  U
Y에서 극솟값이 이므로 G 
, G 
에서 G Y
  
C, D G Y
↗ 극대 ↘ 극소 ↗
Y에서 극대이므로 G 

G Y
YšAY™AY이므로 극솟값은
B C ∴ B
G 
 
∴ B C D ④

32 36
G Y
YšA BY™A CY D라 하면 G Y
Y™ABY
YB ZG  Y

G Y
Y™A BY C 방정식 G Y
의 해를 =, > =>

Y에서 극대, Y에서 극소이므로 G 


, G 
 라 하면 조건에서 =B>이다.
에서 그런데 G Y
의 Y™A의 계수가 양수이므 = > Y

B C,  B C 로 G B


이다.

48 II. 미분

⥎⥐⥅⥓⥫73QVLJ !࿼ፎ"
G B
B™AB™A 39
∴ B G Y
G 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다.
따라서 정수 B는 개이다.  또 G 
이므로 G 
이다.
따라서 G Y
는 Y와 Y에서 극값을 가진다.
37 Z
ZG Y

G Y
YšA BY™A  B
Y Z
ZG Y

Y Y™A BY B


Z]G Y
]
Y이 방정식 G Y
의 해이므로  
0 Y
H Y
Y™A BY B이라 하면 방정식 H Y
은 Y
이 근이거나 중근 또는 허근을 갖는다.  0  Y

따라서 H 
 또는 H Y
의 판별식 %ƒ이다. [그림 ] [그림 ]
ΠH 
일 때 [그림 ]과 같이 G 
y이면 ]G Y
]는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
B ∴ B 능하고, [그림 ]와 같이 G 
, G 
이면 ]G Y
]는 미분
 %ƒ일 때 가능하지 않은 점이 개이다.
B™A B
ƒ, B
B
ƒ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Z
Z]G Y
] ZG Y

 [그림 ]과 같고
∴ ƒBƒ

G 
, G 
ƒ이다.  
Œ 또는 에서 정수 B는 , , , 이고 그 합은 이다. ④ 0 Y
따라서 G 
이 최대이면
최고차항의 계수가 양수인 사차함수 G Y
가 극값을 가질 조건 G 
이다.
① 삼차방정식 G Y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면 G Y
G Y
이므로
[그림 ]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갖는다. G Y
Y›A BY™A C라 하면
② G Y
이 중근 또는 허근을 가지면
G Y
YšA BY
극솟값만 갖는다.
G 
이므로 C

38
G 
이므로  B
∴ B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G 
이 최대일 때 G Y
Y›AY™A이고 최댓값은
Z ZG Y

G 
 

G Y
BY›A CYšA DY™A EY F라 하자.
0 Y ① G Y
G Y
이면
BY›ACYšA DY™AEY FBY›A CYšA DY™A EY F
CYšA EY이므로 CE
 ∴ G Y
BY›A DY™A F
② G Y
G Y
이면
G Y
Y›A BYšA CY™A DY E라 하면 BY›ACYšA DY™AEY FBY›ACYšADY™AEYF
G Y
YšA BY™A CY D BY›A DY™A F이므로 BDF
(가)에서 G 
, G 
이므로 E, D ∴ G Y
CYšA EY
따라서 G Y
가 다항식일 때 G Y
G Y
이면 G Y
는 차수가 짝수인 항과
이때 G Y
YšA BY™A CY
상수항만으로 이루어진 식이고, G Y
G Y
이면 차수가 홀수인 항만으
G 
이고 G Y
는 Y에서 극값을 갖지 않으므로 Y은 로 이루어진 식이다.
방정식 G Y
의 중근이다.
따라서 C이고
G Y
YšA BY™AY™A Y B


G Y
에서 Y 또는 Y B


극솟값이 이므로 G[ B]


G Y
Y›A BYšA이므로  B›A, B›A›A
›A

 B이므로 B ∴ B

∴ G Y
Y›AYšA, ]G 
] ③

04. 접선과 그래프 4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G Y
Y™A이라 하면 G Y
Y
step 실력 문제 47~51쪽

따라서 M의 기울기는 G B
B, N의 기울기는  이다.
01  02 ZY  03 ③ 04 ④
B
M의 방정식은 ZB™AB YB

05 ④ 06  07  08 ③ 09 
Y을 대입하면 ZB™A이므로 " , B™A

10 ② 11 ! 12 ① 13 ① 14 ④ 
N의 방정식은 ZB™A YB

15 ③ 16 ③ 17 ① 18 ③ 19 ⑤ B
20 ① 21 ① 22  23 ⑤ 24 ①  
Y을 대입하면 ZB™A 이므로 #[, B™A ]
 
25  26 ⑤ 27   28 ④
u

29 B, C, D 30 ①
삼각형 "1#의 넓이가 이므로


01
  
B[B™A B™A] , BšA B
  
[전략] G Y
Y™AH Y
로 놓고 H Y
에 대한 조건부터 찾는다.
B
B™A B 

H Y
B이므로 B ③
H Y
G Y
Y™A이라 하면 MJN 
YAZ Y

Y)Z일 때 (분모))Z이므로 H 
이다. 04
H Y
H 
[전략] 교점을 =, >, ?라 하면 G Y
Y Y=
Y>
Y?
라 할 수
이때 MJN 이므로 H 

YAZ Y
있다.
H 
이므로 G 
, G 

", #, $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 #, $이라 하면
H Y
G Y
Y이고 H 
이므로
"#“, #$“이므로 ", #, $의 Y좌표를 =, = , = 
G 
 ∴ G 

라 할 수 있다.
G 
이므로 G Y
YšA BY™A CY 라 하자.
G Y
는 YšA의 계수가 이므로
G 
이므로
G Y
Y Y=
Y=
Y=

 B C  U❶
G Y
 Y=
Y=
 Y=
Y=

G Y
Y™A BY C이고 G 
이므로
 Y=
Y=

 B C U❷
따라서 #에서 ZG Y
에 접하는 직선의 기울기는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G = 
@@ 
 ④
∴ G Y
Y™AY, G 
 
05
02 [전략] 02“A:A03“A:A이 주어졌으므로 02“, 03“의 길이를 B에 대한 식으로
[전략] 점 , H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ZH 


H 
Y
이므로 나타낸다.
조건에서 H 
, H 
의 값을 구한다. 
G Y
 YšAY라 하면 G Y
Y™A
(나)에서 Y)Z일 때 (분모))Z이므로 
G 
H 
 1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가)에서 H 
G 
이므로 
Z BšA B B™A
YB


H 
G 
 U❶
 
또 (나)에서 Y을 대입하면 Z BšA ∴ 02“ BšA
 
G Y
H Y
G Y
G 
H Y
H 
 
MJN MJN <  = 또 3의 Z좌표는 G B
 BšAB이므로 03“ BšAB
YAZ Y YAZ Y Y  
G 
H 
 U❷ 02“A:A03“A:A이므로 02“03“
(가)에서 H Y
Y™AG Y
YšAG Y
이므로 
BšABšAB, B B 
B

H 
G 
G 

❶, ❷를 대입하면 B이므로 B
H 
 \ H 
^ ∴ H 
 ∴ CG 
, BC ④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06
Z Y
∴ ZY  ZY 
[전략] 정사각형의 네 꼭짓점이 모두 좌표축 위에 있으므로
직선 "#, $%는 기울기가 인 접선이다.
03 G Y
YšAY라 하면 G Y
Y™A
[전략] 점 1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G B
이고
접점의 Y좌표를 B라 하면 접선의 기울기가 이므로 G B


이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G B
에서

50 II. 미분

⥎⥐⥅⥓⥫73QVLJ !࿼ፎ"
B™A ∴ B† # C, C
이고 M의 기울기가 이므로 M의 방정식은
G 
이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ZY C이다.
Z Y ∴ ZY 따라서 " , C
이고 G 
C이다.
0%“이므로 $%“이다. 조건에서 G 
이므로 C이다.
따라서 정사각형 "#$%의 둘레의 길이는 @이다. ❶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C™AD
 C이므로 CD U❷
"에서의 접선이 ZY C이므로 G 
이다.
07 ❶에서
[전략] N의 기울기는 G 
이므로 바로 구할 수 있다. G Y
 YC
YD
YC
™A U❸
N의 기울기와 "%“A:A%#“A:A을 이용하여 M의 기울기를 구한다.
양변에 Y을 대입하면 CD C™A
G Y
Y™A Y ❷를 대입하면 C™A
G 
이므로 %#“L라 하면 $%“L C이므로 C, D
또 "%“A:A%#“A:A이므로 "%“L ❸에서 G Y
 Y
Y 
Y
™A 
L 따라서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G 
 
따라서 직선 "$의 기울기는 
L
직선 M의 기울기가 이므로 G B
에서
G 
E라 하면 직선 M은 ZY E이다.
B™A B, B™AB  곡선 ZG Y
와 직선 M의 교점을 생각하면
  G Y
YEY™A YC

따라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B값의 곱은 이다.


  이를 이용하여 풀 수도 있다.

10
08
[전략] 직선 "#와 기울기가 같은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전략]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다음, 접선의 방정식과 ZG Y
에서 Z를 소거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접선의 Z ZG Y

하면 교점의 Y좌표를 구할 수 있다.


기울기는 이다.  #
G Y
Y™A B이므로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G 
 B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G Y
Y이므로 접점의 Y좌표
Z  B
Y 
B 를 Q라 하면 G Q
에서 $

곡선 ZG Y
와 이 직선에서 
Q ∴ Q
 "
YšA BY  B
Y 
B 
 
YšAY, Y 
™A Y
 G[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 Y (중근) 또는 Y 0   Y
 
Z [Y ] %
따라서 C이고 #의 좌표는 ,  B
이다.  
G 
 B이므로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Y을 대입하면 Z 이므로 %[,  ]
 
Z  B
Y
 B
사각형 "#$%는 평행사변형이므로 넓이는
곡선 ZG Y
와 이 직선에서
 
YšA BY  B
Y
 B 
[ ] ②
 
YšAY , Y
™A Y 

∴ Y (중근) 또는 Y 11
따라서 D이고 $의 좌표는 , B
이다. [전략] ", $는 고정된 점이므로 삼각형 "$1와 "2$의 넓이가 각각 최대
일 때를 생각한다.
G C
G D
이므로 G 
G 

사각형 "2$1의 넓이는 삼각형 "$1 Z
 BB ∴ B ③
1
의 넓이와 삼각형 "2$의 넓이의 합이 $

09
므로 점 1, 2와 직선 "$ 사이의 거리

[전략] 직선 N은 ZY이므로 두 점 #, $의 Y좌표를 각각 C, D라 하면 방정


가 최대일 때 삼각형과 사각형의 넓이 #
0 Y
식 G Y
Y의 해는 YC (중근), YD이다. 이를 이용하여 G Y
가 최대이다. 2
를 나타낸다. 직선 "$의 기울기가 이므로 그림과
두 점 #, $의 Y좌표를 각각 C, D라 하면 직선 ZY와 곡선 같이 1, 2는 접선의 기울기가 일 때의 "
ZG Y
가 두 점 #, $에서 만나고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접점이다.
인 삼차함수이므로 ZY™AY 이므로
G Y
Y YC
™A YD
U❶ Y™AY 
로 놓을 수 있다. Y™AY 

04. 접선과 그래프 51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이 방정식의 두 근이 1, 2의 Y좌표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14


  [전략] ZYšAY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리고, Z]YB]의 그래프가 접하
1, 2의 Y좌표의 곱은 이다.
  는 경우를 기준으로 교점의 개수를 생각한다.

G Y
YšAY, H Y
]YB]라 하면 G Y
Y™A
그림과 같이 두 그래프가 접할 때에만 두 점에서 만난다.
Z
12 H Y
]YB]
G“ Y
LY  
[전략] MJN 는

꼴의 극한이다.
YAZG“ Y
LY Œ
분자, 분모를 Y로 나누고 극한을 생각한다.

(나)에서
0 Y
G„ Y

G„ Y
LY L G Y
YšAY
Y
G„ 
MJN MJN
YAZ  G„ Y
LY YAZ  G„ Y

L
Y Œ 곡선이 직선 ZYB와 접할 때
(가)에서 G„ 
이므로
접점의 Y좌표를 Q라 하면 G Q

G„ Y
G„ Y
G„ 

MJN MJN Q™A, Q™A


YAZ Y YAZ Y

G„ 
Q이므로 Q

G„ 
L    
∴ G„ 
 G[ ] 이므로 직선 ZYB가 점 [ , ]을 지난다.
G„ 
L    
G„ 
B라 하면   
 B ∴ B
  
B L
B , B LB™A BL
B L  곡선이 직선 ZY B와 접할 때
B™A L
BL 접점의 Y좌표를 R라 하면 G R

같은 방법으로 Gm 
C라 하면 R™A ∴ R
C™A L
CL G 
이므로 직선 ZY B가 점 , 
을 지난다.
따라서 B, C는 방정식 Y™A L
YL의 두 근이다. ∴ B
(다)에서 G„ 
@Gm 
BC이므로 
따라서 B값의 합은  이다. ④


L ∴ L ①

15
[전략] G Y
YšAY™A Y라 하고, 1, 2의 Y좌표를 =, >라 하면
=, >는 방정식 G Y
N의 해이다.

13 G Y
YšAY™A Y라 하면 G Y
Y™AY 
[전략] 접선의 방정식을 ZH Y
라 하면 접점의 Y좌표가 방정식 1, 2의 Y좌표를 각각 =, >라 하면 G =
G >
N
G Y
H Y
의 서로 다른 두 중근이다. ㄱ. =, >는 방정식 G Y
N의 해이다.
G Y
Y›AY™A Y 이라 하고 곡선 ZG Y
위의 두 점에 곧, Y™AY N U❶
서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H Y
NY O이라 하면 방정식 의 해가 =, >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참)
G Y
H Y
은 서로 다른 두 중근을 갖는다. ㄴ. ❶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따라서 G Y
H Y
 Y=
™A Y>
™A = >
으로 놓을 수 %
™A N
 ∴ N (참)

있다.
ㄷ. 선분 12의 길이가 두 접선 사이의 거리이면 선분 12는 두
G Y
H Y
에서 YšA의 계수가 이므로 = >, 곧 >=

이다. 접선에 수직이다. 따라서 선분 12의 기울기가  이다.
N
G Y
H Y
 Y=
™A Y =
™A이므로 G >
G =
>šA=šA
 >™A=™A
 >=


Y›AY™A Y NYOY›A=™AY™A =›A >= >=
계수를 비교하면 >™A => =™A = >

=™A, N, O=›A  = >
™A = >
=> 
  N
∴ =™A , N, O ❶에서 = >, => 이므로
  
 G >
G =
N N
따라서 접선의 방정식은 ZY 이다. ①  
 >=  

52 II. 미분

⥎⥐⥅⥓⥫73QVLJ !࿼ፎ"
 O)Zb일 때 D)Zb이므로 MJN G D

이때 선분 12의 기울기가  이면 OAZb
N
G O 
G O

N  ∴ MJN ,


  , N™AN  OAZb 
 N
%이므로 실수 N은 없다. (거짓) MJN \G O 
G O
^ ③
OAZb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③

19
16 [전략] 도함수가 연속임을 이용하여 (나)에서 G 
에 대한 조건을 찾는다.
[전략] ZG B
YB
G B
는 곡선 ZG Y
위의 점 B, G B

에서 접
(나)에서 도함수가 연속이므로 D인 D에 대하여 G D
ƒ
선임을 이용하여 곡선과 접선의 위치 관계를 생각한다.
∴ G 
 MJN G Y
ƒ
DAZ
곡선 ZG Y
위의 점 B, G B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ZG B
YB
G B
이다. 따라서 (가)에서 G Y
BY C이므로

G Y
ƒG B
YB
G B
G 
B Cƒ

이면 접선이 곡선 ZG Y
의 위쪽에 있다. B, C는 자연수이므로 B, C

ㄱ. G B
B , G B
이므로 또는 B이고 C, , U, 

G B
YB
G B
YB B  G 
G 

(나)에서 ƒ이므로

Y G Y

G 
ƒG 
B C 
따라서 성립한다.
따라서 B C 의 최댓값은 B, C일 때 이므로
G 
의 최댓값도 이다. ⑤

20
[그림 ] [그림 ] [전략] YyB, YB로 구간을 나누어 G Y
y인 B값의 범위를 구한다.

ㄴ. [그림 ]과 같이 접선이 곡선 ZG Y


의 아래쪽에 있으므로 Œ YyB일 때
성립하지 않는다. G Y
YšA Y™A YB 
ㄷ. [그림 ]와 같이 접선이 곡선 ZG Y
의 위쪽에 있으므로 성 G Y
Y™A Y 
립한다.  Y 
™A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는 ㄱ, ㄷ이다. ③ 이므로 G Y
는 증가한다.
 YB일 때
G Y
Y 이면 G Y
이므로 G Y
YšA Y™AY B 
YB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ZGA Y
Z
G Y
Y™A Y
Z YB
B Y 
 Y 
Y

따라서 직선은 접선이 자기 자신이라 할 수 있으므로 성립한다.


따라서 YB에서 G Y
y이면 

17
 B 0  Y
Bƒ, Bƒ

G L
G 

[전략] G L
 을 만족시키는 L의 값을 구한다. 
L Œ, 에서 B의 최댓값은  이다. ①

G Y
Y™AY 이므로
G L
G 

G L

L 21
에서 [전략] B일 때와 B일 때로 나누어 G Y
의 해를 구하고, 증감을
LšAL™A L 조사한다.
L™AL , L™AL
L
G Y
는 Y에서 연속이다.
L이므로 L ①
BY™A BYB Y

G Y
<  
YB Y

18 B Y
Y 
Y

[전략]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G O 


G O
를 G D
로 나타낸다. <
YB Y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구간 O, O 


에서 또 Y에서도 미분가능하고 G 
B이다.
G O 
G O
Œ B일 때
G D

O  O

B
 G Y
에서 Y 또는 Y
를 만족시키는 D가 존재한다. 

04. 접선과 그래프 5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Y U  U  U Y U  U  U

G Y
   S Y
   
G Y
↗ 극대 ↘ 극소 ↗ S Y
↘ 극소 ↗ 극대 ↘

Y일 때 극댓값이 C이므로 G 


C Y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S 

B B B CC, BC   
Y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은 S[ ]
C   
∴ 
B 
따라서 극댓값과 극솟값의 합은 이다. ⑤
 B일 때 

 G Y
에서 Y
24
Y U  U
[전략] 직선 M, N, O의 방정식을 차례로 구한다.
G Y
 
ZY이므로 M의 방정식은
G Y
↘ 극소 ↗
ZB™AB YB
∴ ZBYB™A
극댓값을 갖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B B
Z을 대입하면 Y ∴ "[ , ]
C  
Œ, 에서  ①
B N의 방정식은 ZBY B™A이고 # , B™A
이다.
 B Y  
O의 방정식은 Z [Y ] 이고 $[, ]
B  B  
22 이다.
[전략] Y에서 G Y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뀐다.
Z
G Y
가 Y에서 극대이므로 Y일 때 G Y
이다. O
ZY™
M N M
이때 Y , Y 이므로 Y
이다.
$
따라서 N은 홀수이다. N
#
또 Y일 때 G Y
이다. 1 B AB™A

이때 Y 이고 N이 홀수일 때 Y


N이므로
YM이고, M은 홀수이다. 0 " Y
ƒLMNƒ이므로
Œ L, M, N이 모두 홀수인 경우의 수는 s$f 
B 이므로
 L가 짝수이고 M, N이 홀수인 경우의 수는 
L이면 e$m   B B B™A

4 B
 @[ B™A]@ 
   
L이면 f$m
B™A  
L이면 m$m 4 B
 에서 B 이므로 B 이다.
  
Œ, 에서 순서쌍 L, M, N
의 개수는
B  U  U 
      
4 B
 

23 4 B
↗ 극대 ↘

[전략] \G Y
^™AY™AG Y
\G Y
Y^

꼴로 정리하면 나머지 
를 알 수 있다. 4 B
는 B 에서 극대이므로 극댓값은

\G Y
^™AY™AG Y
    
4[ ] @ @[ ] ①
\G Y
^™AY™AY™AG Y
Y™A     

\G Y
^™AY™AY™AG Y
YšAYšA Y™A
\G Y
Y^\G Y
Y^Y™A\G Y
Y^YšA Y™A 25
에서 \G Y
Y^\G Y
Y^Y™A\G Y
Y^는 G Y
Y로 나 [전략] G =
, G =
이면 G Y
는 Y=
™A으로 나누어떨어진다.
이를 이용하여 G Y
를 나타내고 (나)를 이용한다.
누어떨어진다.
또 G Y
Y는 사차식이므로 나머지는 YšA Y™A이다. (가)에서 G Y
는 Y
™A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S Y
YšA Y™A에서 G Y
 Y
™A YD

S Y
Y™A YY Y
로 놓을 수 있다. 이때

 G Y
 Y
YD
Y
™A 
S Y
에서 Y 또는 Y 이다.
 Y™A D 
Y D 

54 II. 미분

⥎⥐⥅⥓⥫73QVLJ !࿼ፎ"
(나)에서 G Y
y이므로 Œ By일 때
Y™A D 
Y D y Z
ZG Y

Z ZH Y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
 D 
™A D 
ƒ
 Y
0
D
D 
ƒ ∴ ƒDƒ
G 
 D
이므로 D일 때 최대, D일 때 최소이 0 Y

다.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 B일 때
Z ZG Y
Z ZH Y

26
[전략] G Y
는 이차함수이므로 (나)에서 포물선 ZG Y
의 축을 찾을 수
있다. 0 Y

G Y
BYšA CY™A DY E B 
로 놓으면
0 Y
G Y
BY™A CY D
G Y
는 이차함수이고 (나)에서 G 
G 
이므로 따라서 ZH Y
, ZI Y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
ZG Y
그래프의 축은 Y이다. 나면 B이고 다음 왼쪽 그림과 같다.
C
  ∴ C Z ZI Y
Z ZI Y

B
이때 G Y
BY™A D
ZH Y
ZG Y

(가)에서 G Y
는 Y에서 극댓값 Z ZG  Y
1


을 가지므로
G 
B D 0 Y 0 Y

∴ DB  
 0  Y
∴ G Y
BY™AB
B Y 
Y
따라서 ZG Y
, ZI Y
의 그래프는 위 오른쪽 그림과 같다.

또 Y에서 극대이므로 B이다. 제사분면에서 만나는 점을 1 Q, R


라 하면 곡선 ZG Y

ㄱ. G Y
BY™AB B
ZI Y
는 1에서 공통접선을 가지므로

이므로 G Y
는 Y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참) G Q
I Q
에서 QšA BQQ™A  U❶

ㄴ. 그림과 같이 곡선 ZG Y
와 직선 ZG Y
G Q
I Q
에서 Q™A BQ U❷

ZG 
는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 ❷에서 BQQ™A을 ❶에 대입하면

나므로 방정식 G Y
G 
는 서 QšA QQ™A
QQ™A 

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참) ZG 


Q 
Q™AQ 

 
∴ Q, B, G Y
YšAY
ㄷ. G Y
BYšABY E이므로
u
G 
B E, G 
B G Y
Y™A에서 Y†

따라서 점 , G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u u


따라서 G Y
는 Y 일 때 극대이다. 
ZBEB Y 
 
∴ ZBY B E
Y를 대입하면 ZB E
그런데 G 
B E이므로 이 직선은 점 , G 

28
지난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전략] H U
는 거리이므로 H U
]H„ U
] 꼴의 함수이다.
ZH„ U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H U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

27 능할 조건을 찾는다.

[전략] ZG Y
는 원점에 대칭인 그래프이다. G Y
Y™A BY C이므로 점 U, UšA BU™A CU
에서 접선의
G Y
가 극값을 갖는 경우와 갖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방정식은
(가)에서 G Y
G Y
이므로 G Y
YšA BY로 놓으면 ZUšABU™ACU U™A BU C
YU

G Y
Y™A B이므로 By이면 G Y
의 극값이 없고, B이 Y을 대입하면 ZUšABU™A ∴ 1 , UšABU™A

면 G Y
의 극값이 있다. ∴ H U
]UšABU™A]]UšA BU™A]

04. 접선과 그래프 5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H„ U
UšA BU™AU™A U B
라 하면 B, B일 때, 30
ZH U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전략] G Y
의 두 극댓값 G =
, G >
=>
를 찾고,

ŒB일 때 B일 때 G =
G >
, G =
ƒG >
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Z Z G Y
YšA  B
Y™A BY
ZH U
ZH U

Y Y 
YB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B이다.

B Y U  U  U B U
B 0 U 0  U
 
 G Y
    
ZHƒ U

ZHƒ U
G Y
↗ 극대 ↘ 극소 ↗ 극대 ↘

B 극댓값 G 
B , G B
B›A BšA이고, 극솟값 G 

두 경우 모두 ZH U
는 Y 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Ž B이면 H U
]UšA]이고 U에 Z ZH U

Z
서 미분가능하다. ZG Y

이때 G Y
YšA CY이고 (가)에서
G 
이므로  0 B Y
0 U
 C ∴ C
∴ G Y
YšA Y, G 

ZU™ 이때 G B
G 
B›A BšAB B 
šA B

④ 이므로 Bƒ이면 G B
ƒG 
이고,
B이면 G B
G 
이다.
ZH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9 Z Z

[전략] G Y
G Y
이므로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고, ZH U
ZH U

G Y
Y›A CY™A 이다.
(가)에서 G Y
G Y
이므로 BD  0 B U  0 = B U
∴ G Y
Y›A CY™A 
ZG U
ZG U

이때 G Y
YšA CYY Y™A C

[그림 ] [그림 ]
Œ Cy일 때
Œ Bƒ일 때 [그림 ]과 같다.
G Y
에서 Y이다.
U일 때 H U
G U
이므로
Y U  U
MJN H U
G 

UAZ
G Y
 
U일 때 H U
G 
이므로 H U

G Y
↘ 극소 ↗
MJN H U

UAZ
Y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G 
이므로 (나)에 모순이
H U
는 U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모든 U에 대하여 미분가
다.
능하다.
C일 때
 B일 때 [그림 ]와 같다.
C G 
G =
=ƒB
인 =가 있다.
G Y
에서 Y 또는 Y†|Š 이다.

U=일 때 H U
G 
이므로 H U

Y U |Š
C U  U |Š
C U MJN H U

  UAZ=

G Y
      =UB일 때 H U
G U
이므로
G Y
↘ 극소 ↗ 극대 ↘ 극소 ↗ MJN H U
G =

UAZ=

따라서 Bƒ이므로 B의 최댓값은 이다. ①


C C
Y†|Š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은 G[|Š ]이
 
므로
C™A C
C[ ] , C™A
 
C이므로 C
Œ, 에서 B, C, D B, C, D

56 II. 미분

⥎⥐⥅⥓⥫73QVLJ !࿼ፎ"

step 최상위 문제 52~53쪽 Z, Z LšA 


01 !ƒUƒ 02 ③ 03 ② 04 ③ "는 직선 Z LšA  위의 점, #는 직선 Z 위의 점이므


05 ① 06  07 ! 08 
로 네 개의 접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은 그림에서 평행사변형
"$#%이다.

01 ZG Y

% # L A

[전략] ZG U
YU
G U
는 곡선 ZG Y
위의 점 U, G U

에서 접선 Z
의 방정식이다.
곡선 ZG Y
를 그리고, 곡선이 접선의 아래쪽에 있을 조건을 찾는다.

Z LšA 
G Y
Y Y
™A Y™A Y
Y Y
Y
 $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 L 


LšA 

Z ZG Y
 
평행사변형의 높이는 [ LšA ] LšA
 
1 
접선 "%의 방정식은 Z LšAL™A Y L


 
0 U   Y Z을 대입하면  LšAL™AY, Y L
 
ZG  U
YU
G U


곧, %[ L, ]이므로
직선 ZG U
YU
G U
는 곡선 위의 점 1 U, G U

에서의 

접선이므로 ≤Y≤에서 그림과 같이 접선이 곡선의 위쪽에 있  


%#“L[ L] L
 
어야 한다. 따라서 ƒUƒ에서 생각하면 충분하다.
평행사변형의 넓이가 이므로
Œ ƒUƒ일 때 접선의 Z절편이  이상이다.
  
점 U, G U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L@ LšA, L›A


  
ZU™A U
™AU U
U
YU

L이므로 L ③
Y을 대입하면 ZU™A U
U


03
ƒUƒ에서 Zy이면 Uy

 [전략] G Y
N YB
YD
YF
, H Y
O YD
로 놓고
∴ ƒUƒ
 \G Y
H Y
^을 구한다.
 Uƒ일 때 ZG Y
의 그래프는 직선 Y에 대칭이므 그림에서 G B
G D
G F
, H D
이므로
로 U값의 범위도 U에 대칭이다. G Y
N YB
YD
YF
, H Y
O YD

 (N, O은 양수)로 놓으면


∴ Uƒ

G Y
N\ YD
YF
YB
YF

   
Œ, 에서 ƒUƒ ƒUƒ YB
YD
^
   
또 G Y
H Y
NO YB
YD
™A YF
이므로

02 \G Y
H Y
^
[전략] 기울기가 L™A인 접선의 접점부터 구한다. NO\ YD
™A YF
 YB
YD
YF

G Y
Y™ALY이므로 G Y
L™A에서 YB
YD
™A^

Y™ALYL™A, Y L
YL
 
NO YD
< G Y
YB
YF
= U❶
N
∴ YL 또는 YL
그런데 G Y
는 YC, YE에서 극값을 가지므로

", #의 Y좌표는 L, L이고 "[L,  LšA ], # L, 
G Y
N YC
YE
로 놓을 수 있다.

로 놓을 수 있다. ❶에 대입하면

또 곡선 ZG Y
에 접하고 Y축에 평행한 접선은 극대점, 극소점 \G Y
H Y
^

을 지나는 직선이다. NO YD


\ YC
YE
YB
YF
^

G Y
Y™ALYY YL
따라서 I Y
 YC
YE
YB
YF
라 하면

G Y
에서 Y 또는 YL이므로 G Y
는 Y에서 극대, I B
 BC
BE


YL에서 극소이다. I C
 CB
CF


 I E
 EB
EF

G 
, G L
 LšA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I F
 FC
FE


04. 접선과 그래프 5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따라서 Q, R는 방정식 I Y
의 해이고, 각각 구간 B, C
, G 
에서  B C
E, F
에 존재한다. ② 연립하여 풀면 B, C
∴ G Y
YšA Y™A Y, G 
 ①
04
[전략] G Y
의 증감을 이용하여 G Y
의 부호를 구한 다음, YƒG Y
ƒYšA에서
삼차함수 ZG Y
의 그래프를 그린다. Y을 대입하면 ƒG 
ƒ ∴ G 

ZG Y
가 구간 b, 
에서 감소하므로 이 구간에서 G Y
G 

Y일 때 ƒ ƒ Y™A Y 

Y
G Y
ƒ이다.
G Y
G 

∴ MJN 
또 ZG Y
가 구간 , b
에서 증가하므로 이 구간에서 YAZ Y
G Y
y이다. G Y
G 

Y일 때 y y Y™A Y 

Y
그런데 G 
이므로 삼차함수 ZG Y
의 그래프는 그림 G Y
G 

∴ MJN 
과 같다. YAZ Y
∴ G 

Z ZGA Y

06
 0 [전략] (나)에서 방정식 G Y
이 중근을 가짐을 이용하거나
 Y
G 
, G 
임을 이용한다.
(나)에서 방정식 G Y
이 Y에서 중근을 가진다.
(가)에서 G Y
의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G Y
는 Y 
™A을 인수로 가지므로
G Y
 Y
™A Y™A BY C

Y™A BY C는 Y 을 인수로 갖는다.


로 놓을 수 있다.
∴ B C, CB
G Y
 Y
Y™A BY C
Y
™A Y B

G Y
 Y 
Y™A BY B

이므로 (다)에서
또 G 
ƒ, G 
y이므로
C B ∴ BC
G 
Bƒ, G 
 B 
y
이때 G Y
 Y
™A Y™A BY B
이므로
∴ ƒBƒ
B Y 
Y
™A Y™A Y
™A G Y
 …❶
이때
따라서 Y 
Y
™A, G Y
Y™A Y
™A 이면 ❶은 B
B™A C™AB™A B
™A 
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한다.
 
B™AB [B ]™A Y일 때 G 
, Y일 때 G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항상 점 , 
, , 
를 지나
이므로 B일 때 최댓값은 이고, B 일 때 최솟값은
  므로 두 점의 Z좌표의 합은 이다. 
이다.
 . ❶에서 G Y
B Y 
Y
™A Y™A Y
™A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이다. ③
 이므로 ZG Y
는 B의 값에 관계없이 , G 

, , G 

를 지난
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05 . G Y
Y›A BYšA CY™A DY E로 놓고
[전략] ZY과 ZYšA의 그래프를 그리고 ZG Y
의 그래프가 두 G 
, G 
, G 
일 조건을 찾아도 된다.
그래프 사이에 있을 조건부터 생각한다.
Z ZYšA
07
YƒG Y
ƒYšA이므로 G Y
는 삼
차 이하의 다항함수이다.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H Y
Y, I Y
YšA라 하면 U, Uy, Uƒ일 때로 나누어 I U
를 구한다.
I 
H 
, I 
 0  Y Z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H Y

이므로 곡선 ZI Y
의 Y에서 접선의 ZG Y

G„ Y
Y™A LY  Y

방정식이 ZH Y
이다. 

따라서 곡선 ZG Y
는 점 , 
을 지나 ZY Gm Y
Y™A Y Yy

L U
고 G 
이다. 라 하자.
또 G 
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G Y
는 삼차함 Œ U일 때 0 Y
수이다. L의 값에 관계없이 ZG Y
,
G Y
YšA BY™A CY이라 하면 ZH Y
의 그래프는 두 점에서 만

G 
에서 B C 나므로 I U


58 II. 미분

⥎⥐⥅⥓⥫73QVLJ !࿼ፎ"
 Uy일 때 08
G„ 
L이고 직선 ZH Y
의 기울기가 이다. 따라서 [전략] I Y
G Y
H Y
로 놓고 =와 > 사이의 관계를 생각한다.

 H Y
는 이차함수이고 H =
H >
이므로 포물선
B
L, 곧 L 이면 Y에서

= >
G„ Y„
인 Y„이 존재하고 ZH Y
ZH Y
의 축은 직선 Y 이다.
Z 
ZGm Y

YY„에서 곡선 ZG„ Y
와 또 H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이므로
직선 ZY U„이 접한다. U„ = > ™A
 H Y
[Y ] L
U에서 I U
 
UU„에서 I U
 로 놓을 수 있다.
UU„에서 I U
 = >
이때 H Y
[Y ]이므로 H >
에서
Y„ 0 Y 
UU„에서 I U

 >=
 ∴ >= 

C
Ly, 곧 Ly 이면 I Y
G Y
H Y
라 하면 I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
 
Uy에서 I U

ZG„ Y
차함수이다.
ZI Y

Ž Uƒ일 때 (가)에서 I =
, I =

= = 
 (나)에서 I >
I = 
 ? Y
Gm 
 이고 직선 ZH Y
의 기울기가 이다. 따라서
L 따라서 ZI Y
의 그래프의 개형은
  그림과 같다.
D
, 곧 L 이면 Y에서 Gm Ym
인 Ym가 존
L 
I Y
 Y=
™A Y?
라 하면
재하고 YYm에서 곡선 ZGm Y
와 직선 ZY Um가
I Y
 Y=
Y?
Y=
™A 
접한다.
 Y=
Y=?

UmUƒ 에서 I U

I = 
이므로
UUm에서 I U

= ?
UUm에서 I U
 =  , ?= 

  따라서 I Y
 Y=
™A Y=
이다.
E
y, 곧 Lƒ 이면
L 
∴ H > 
G > 

U에서 I U

I > 

U에서 I U

I = 

Œ, , Ž에서
\™A@ 
^ 
 U

 ƒUƒ

<
L!일 때 I U
  UU„

 UU„

 UU„

 UUm

 UUm

<
L!일 때 I U
  UmUƒ

 U

 Uy

 U

<
L!일 때 I U
  ƒU

 Uy


따라서 I U
가 U=에서 불연속인 =가 개이면 L 이다.




04. 접선과 그래프 5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05. 미분의 활용 ZG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으므로 Uy에서 최솟값은
G 
 ①

step 기본 문제 55~58쪽
04
01 ④ 02 ④ 03 ① 04 
하루에 Y개 생산한다고 하면 이윤 Z는
05 ADNšA 06  07 [, io]

Z Y
Y YšAY™A Y 

08  09  10 ② 11 ② 12 ②
  YšA Y™A
ZY™A YY Y

13 ② 14 ③ 15 ⑤ 16 ①
17 L 18  19 ① 20  Z에서 Y ∵ Y

21 ② 22 ② 23 G Y
YšAY™A  24 ④
Y  U  U
25 ② 26  27 ② 28 ③ 29  U

Z  
30 B, C 31 ① Z ↗ 극대 ↘

01 Z는 Y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다. 


G Y
Y™AY Z ZG Y

Y Y
05
G Y
에서 Y 또는 Y 잘라 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YADN, 상자의 부피를
ƒYƒ에서 7 Y
ADNšA라 하면
G 
 B 7 Y
Y Y
Y
YšAY™A Y
G 
 B 7 Y
Y™AY  Y™AY 

G 
 B Y이므로 7 Y
에서 Y
이므로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U  U 
∴ . B, N B
 0    Y 7 Y
 
. N이므로
7 Y
↗ 극대 ↘
 B
 B
 ∴ B ④
7 Y
는 Y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다.

02 따라서 상자 부피의 최댓값은


G Y
BYšABY™A  Z ZG Y

7 
 DNšA
ADNšA
BY™A Y

G Y
에서 Y 또는 Y 06
ƒYƒ에서 A  Z
0 A A Y 직선 01의 기울기가 , 선분 01
U
G 
B C 
" 1 U A

U
G 
B C 의 중점이 [ , ]이므로 선분 01

G 
C 의 수직이등분선의 방정식은 # U A

B이므로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U U


  Z [Y ] 
최댓값이 이므로 C  
0  Y
최솟값이 이므로 U™A
∴ #[, ]


B C에서 B U™A U™A
 "#“[ ] 이므로
 

∴ BC @ ④  U™A  UšA
 G U
 U[ ] [U ]
   

03
 U™A
G U
 [ ]
 
H Y
Y™AY Y
™Ay Z
ZG U

 U이므로G U
에서 U
이므로 H Y
U라 하면 Uy이고 
G H Y

G U
UšAU  
 U  U U 
G U
U™A U 
U


G U
에서 U 또는 U  0  U G U
 

G 
, G 
 G U
↗ 극대 ↘

60 II. 미분

⥎⥐⥅⥓⥫73QVLJ !࿼ፎ"
 따라서 삼각형 "0# 넓이의 최댓값은
G U
는 U 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다.

 
   |Š[  ]™A@  
따라서 G U
의 최댓값은G[ ]    
  

07
09
 
"[U, U™A]이라 하면 Y™AY 에서 구의 중심을 0, 0에서 원기둥의 밑면에
 
Y™A Y ∴ Y†u 내린 수선의 발을 ), 밑면의 반지름의 길
I

 이를 S, 원기둥의 높이를 I라 하자. 0


곡선 Z Y™A과 직선 ZY 은 Y†u일 때 만나 I 
 Iā™AS™A, S™AI™A이므로 원기둥의
) S
므로 U u이다. 부피를 7 I
라 하면
  7 I
LS™A@IL IIšA

∴ %[ U™A, U™A]


  7 I
L I™A

직사각형의 넓이를 4 U
라 하면 
I이므로 7 I
에서 I
    
4 U
[ U™AU]@ U™A U›A UšA U™A
   

 U I  U U 
4 U
UšA U™A U U
U 

 
7 I
 

U u이므로 4 U
에서 U 7 I
↗ 극대 ↘

 
U  U U  u 7 I
는 I 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므로 원기둥의 높이는
 
4 U
    
I@ 
4 U
↗ 극대 ↘   


4 U
는 U 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다. 원기둥의 부피를 S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어 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가 최대일 때 점 "의 좌표는 [ , ]
 
  10
이다. [ , ] Z
  YšAY™AYL에서 ZG Y


G Y
YšAY™AY라 하면 
08  0 Y
G Y
Y™AY
곡선 ZYY™A과 직선 ZU의 교점 Z ZL
ZYY™  Y 
Y

의 Y좌표는 YY™AU에서 G Y


에서 Y 또는 Y
" # ZU
Y™AY U의 해이다. G 
, G 
이므로
따라서 두 근을 =, >라 하면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 = >  Y 
= >, =>U이므로 이때 곡선 ZG Y
와 직선 ZL가
=>
™A = >
™A=>  세 점에서 만나면
U L
"#“]=>]‚U이므로 삼각형 "0#의 넓이는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이다. ②

U‚UāU™A U


G Y
YšAY™AYL라 하자.
G U
U™A U
UšA U™A이라 하면
방정식 G Y
의 서로 다른 실근이 개이면 G Y
의 극댓값과
G U
U™A UU U

극솟값의 부호가 반대이다.



U이므로 G U
에서 U G Y
Y™AY Y 
Y


G Y
에서 Y 또는 Y

U  U U  극댓값은 G 
L 

G U
  극솟값은 G 
L
G U
↗ 극대 ↘ G 
G 
이므로
L 
L
 ∴ L

G U
는 U 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다.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이다.

05. 미분의 활용 61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11 14
Y›AYšAY™A YB에서 Z ZG Y
삼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이 서로 다른 Z ZH Y


G Y
Y›AYšAY™A Y라 하면 ZB 두 점에서 만나면 그림과 같이 한 점에
G Y
YšAY™AY   서 접한다. 
ZG Y

 YšAY™AY 
접점의 Y좌표를 B라 하고,

 Y 
Y
Y
0   Y G Y
NY 
G Y
에서 Y† 또는 Y H Y
YšA Y™AY
G 
, G 
, G 
이 라 하면
 B 0  Y
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 B
H B
에서
곡선 ZG Y
와 직선 ZB가 서로 다 NB BšA B™AB U❶

른 네 점에서 만나면 G B
H B
에서
B ∴ B NB™A B U❷
따라서 정수 B의 최댓값은 이다. ② ❷를 ❶에 대입하면
B B™A B
BšA B™AB
B 
B™AB 

B는 실수이므로 B
12 ∴ N ③
G Y
YšAY 이라 하면
G Y
Y™A Y 
Y
교점의 Y좌표는 방정식 NY YšA Y™AY, 곧
G Y
에서 Y 또는 Y YšA Y™A N 
Y의 해이다. 그런데 교점이 개이므
G 
, G 
이므로 ZG Y
와 Z]G Y
]의 그래 로 해는 중근과 나머지 한 근이다.
프는 그림과 같다. 중근을 =, 나머지 한 근을 >라 하면
Z ZG Y
Z Z]G Y
] YšA Y™A N 
Y Y=
™A Y>

  (우변)YšA = >
Y™A =™A =>
Y=™A>
ZL
이므로

 = > U❶
 0 Y  0  Y
=™A =>N U❷

=™A> U❸
]G Y
]L의 해가 서로 다른 네 실근이면 Z]G Y
]의 그래 ❶에서 >=를 ❸에 대입하고 정리하면
프와 직선 ZL가 서로 다른 네 점에서 만나므로 =šA =™A , = 
=™A= 

L =는 실수이므로 =, >
따라서 정수 L이다. ② ❷에 대입하면 N

15
YšAY™AYB에서 Z ZG Y

13

G Y
YšAY™AY라 하면 ZB

G Y
H Y
에서 Z ZI Y
G Y
Y™AY 0 
 Y
  Y 
Y

Y›A Y™AY B 0 Y


따라서 Y›A Y™AYB에서 G Y
에서 Y 또는 Y
I Y
Y›A Y™AY라 하면 G 
, G 
이므로
I Y
YšA Y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A Y 
곡선 ZG Y
와 직선 ZB는
 ZB
I Y
에서 Y Y일 때 한 점, Y일 때 두 점에서 만나므로
I 
이므로 ZI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B ⑤
곡선 ZI Y
와 직선 ZB가 한 점에서 만나면
B ∴ B ② 16
G Y
H Y
에서
I Y
Y›A Y™AY B라 하고, ZI Y
의 그래프가 Y축과 한 점에서 만 YšAY™AYYšAY™A Y B
날 조건을 찾아도 된다. 따라서 YšA Y™AYB에서

62 II. 미분

ጄ73QVLL ! ࿼႖"


I Y
YšA Y™AY라 하면 Z ZI Y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G Y
y이려면

I Y
Y™A Y G 
y이므로 B™A B y ∴ ƒBƒ
 Y 
Y
따라서 정수 B의 개수는 이다. ①
I Y
에서 Y 또는 Y
I 
, I 
이므로
ZI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0
 0 Y
곡선 ZI Y
와 직선 ZB는 Y ZB I Y
G Y
H Y
라 하면

일 때 두 점, Y일 때 한 점에서 만  I Y
 YšAY™A L
 Y™A 

나므로 B YšAY™A L

따라서 정수 B의 개수는 이다. ① I Y


Y™AYY Y

Y이므로 I Y
에서 Y
17 Y  U  U 
G Y
H Y
에서 I Y
 
YœA YšAY™A LYšAY™A  I Y
↘ 극소 ↗
따라서 YœA Y™AL에서
I Y
는 Y일 때 극소이고 최소이다.
I Y
YœA Y™A이라 하면
Y에서 G Y
yH Y
, 곧 I Y
y이려면 I 
y이므
I Y
Y›A YY YšA 

Z ZI Y

Y에서 I Y
이므로 I Y
는 증가 
Ly ∴ Ly
한다.
ZL 따라서 L의 최솟값은 이다. 
I 
, I 
이므로 ZI Y
의 그
래프는 그림과 같다.

21
구간 , 
에서 곡선 ZI Y
와 직선
0  Y
ZL가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므로 I Y
G Y
H Y
라 하면 Z
ZI Y


L I Y
 YšA Y
 Y™A L

∴ L L YšAY™A YL


라 할 때 Y에서 I Y
이다.
18    Y
I Y
Y™AY  0
YšAY L에서 Z ZH Y

 Y
Y

YšAY L  
H Y
YšAY 라 하면 I Y
에서 Y 또는 Y

H Y
Y에서 G Y
H Y
, 곧 I Y
이려면 I 
y이므로
Y™A Ly ∴ Lƒ
ZL 
 Y 
Y
L 따라서 정수 L의 최댓값은 이다. ②

H Y
에서  L

Y 또는 Y L

H 
, H 
이므로  L 22
 임의의 실수 Y„, Ym에 대하여 Z ZG Y

ZH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L

같다. L G Y„
yH Ym
이면
  
\G Y
의 최솟값^y\H Y
의 최댓값^ 0 Y
G L
는 곡선 ZH Y
와 직선  0  Y
ZL가 제사분면에서 만나 이다.
는 교점의 개수이다. G Y
YšAY

L, , , 일 때 G L
이므로 L의 개수는 이다.  Y Y 
Y

G Y
에서 Y 또는 Y† 

19 G 
, G 
, G 
이므로 ZG Y
의 그래
G Y
Y›AYB™A B 라 하면 ZG Y
프는 그림과 같다.
G Y
YšA 또 H Y
 Y
™A L 
 Y
Y™A Y 
G Y
의 최솟값은 , H Y
의 최댓값은 L 이므로
G Y
에서 Y  Y yL  ∴ Lƒ
G Y
는 Y에서 극소이고 최소이다. 따라서 L의 최댓값은 이다. ②

05. 미분의 활용 6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23 25
(가), (나)에서 Z]G Y
]의 그래 Z Z]G Y
] 시각 U에서 점 1의 속도는

프는 그림과 같다. EY
U 
따라서 G Y
의 극솟값이 이다. EU
Z
G Y
YšA BY™A CY D라 하면 UB에서 1의 속도가 이므로

G Y
Y™A BY C 0 Y B  ∴ B ②


26
(가)에서 G 
, G 
이므
로 D, C 시각 U에서 1의 속도를 W, 가속도를 B라 하면
G Y
YšA BY™A  EY EW
W U™A U, B U 
G Y
Y™A BYY Y B
EU EU
 점 1의 가속도가 일 때 시각은
따라서 G Y
는 Y B일 때 극소이다.
 U  ∴ U
 이때 점 1의 위치는 이므로
G[ B]이므로


   @šA @™A L ∴ L 
 BšA BšA , BšA 
 
B는 실수이므로 B 27
∴ G Y
YšAY™A  G Y
YšAY™A  지면에 떨어지면 I이므로 그때의 시각은
 UU™A, U 
U

U이므로 U (초)
24 시각 U에서 물체의 속도를 W U
ANT라 하면
G Y
G 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칭이다. EI
W U
 U이므로 물체가 지면에 떨어지는 순간의
또 YšA의 계수가 이므로 그래프는 다음 두 가지 꼴이다. EU

Z Z
속도는
ZG Y
ZG Y

W 
A NT

Y Y
28
0 0
시각 U에서 두 점 1, 2의 속도는 각각
1 U
U™A U, 2 U
U
[그림 ] [그림 ] 1 U
2 U
에서

이때 ]G Y
]의 서로 다른 실근이 개인 경우는 [그림 ]이고 U™A UU, U™AU, U 
U


Z]G Y
]의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U이므로 U

Z Z]G Y
] 1 
, 2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Z  
 ③
 
0 Y
29
따라서 함수 G Y
의 극솟값은 , 극댓값은 이다. 시각 U에서 두 점 1, 2의 속도는 각각
G Y
G Y
이므로 G Y
YšACY라 하면 1 U
U, 2 U
U
G Y
Y™AC 두 점 1, 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C 1 U
2 U
이다.
G Y
에서 Y†|

U
U
 U
U

C  
G [| A]이므로 ∴ U U
  
C C
[| A]šAC@| 
  30
CC ∴ C 시각 U에서 점 1의 속도를 W U
, 가속도를 W U
라 하면
따라서 G Y
YšAY이므로 G 
 ④ EY EW
W U
 U™A BU C, W U
 U B
EU EU
G Y
G Y
를 만족시키는 함수를 기함수라 하며 기함수의 그래프는 원 U에서 점 1의 운동 방향이 바뀌므로
점에 대칭이다. W 
 B C U❶

64 II. 미분

⥎⥐⥅⥓⥫73QVLJ !࿼ፎ"
U에서 점 1의 가속도가 이므로 사각형 0#"$의 넓이

W 
 B U❷ △0#$ △"#$
❷에서 B이고 ❶에서 C이다. B, C   
 #$“@L #$“@ L
 #$“
  
31 
 \ LšA L
LšA^LšA L
시각 U에서 점 1의 속도는 
EY G L
LšA L라 하면 G L
L™A 
U™AU B
EU 
L이므로 G L
에서 L
점 1가 움직이는 방향이 바뀌지 않으면 속도의 부호가 바뀌지 않 
으므로 U™AU B의 해가 중근 또는 허근이다. 
L  U U 
%  
Bƒ ∴ By
  G L
 

따라서 자연수 B의 최솟값은 이다. ① G L


↗ 극대 ↘


G L
는 L 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므로 사각형 0#"$의 넓


step 실력 문제 59~63쪽 이가 최대일 때 L 이다. ⑤


01 ⑤ 02 ⑤ 03 ② 04 

05  
 03
[전략] 점 #가 원점인 좌표평면을 잡고 1의 Y좌표를 U로 놓은 다음, 삼각형
06  07 ④ 08 ② 09 ƒLƒ 의 넓이를 U로 나타낸다.
10 ③ 11 ④ 12 ③ 13  14 ⑤
Z
15 ② 16 ⑤ 17  18 ④ 19 ②
점 #가 원점, 변 #$가 Y축 위에
ZB Y
™
20 ⑤ 21 ③ 22  23 ① 24 ⑤
" %
있는 좌표평면을 생각하자.
25 ③ 26 ⑤ 27 ④ 28  29 ⑤ 포물선의 꼭짓점이 , 
이므로 1
30 ③ ZB Y
™A이라 하자. ( '

01
점 " , 
를 지나므로

[전략] 구간 <B, B>에서 극값부터 조사한다.


B@ 
™A ∴ B # 2
0  $ Y
따라서 포물선의 방정식은
G Y
Y™A BYB™A Y B
YB

Z Y
™A이다.
B
이므로 G Y
에서 YB 또는 Y 
 또 직선 "'의 방정식은 Z Y 

구간 <B, B>에서 G Y
의 증감을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B 포물선 Z Y
™A과 직선 Z Y 에서
Y B U U B 


G Y
  Y
™A Y , Y™AY

G Y
G B
↘ 극소 ↗ G B

  
따라서 교점의 Y좌표는 Y, Y 이므로 ([ , ]
B    
G Y
는 Y 일 때 극소이고 최소이다. 최솟값이 이므로
  
점 1의 Y좌표를 U[U ]라 하면
B     
G[ ] BšA  , BšA
     
1[U,  U ], 2 U, U
™A

BšA ∴ B 

이때 G B
G 
, G B
G 
 삼각형 "21의 넓이를 4 U
라 하면

이므로 최댓값은 .   


4 U
 U< U  U
™A= UšAU™A

  
∴ B . ⑤
 
4 U
 U™AU
 U U

 
02
 
[전략] 점 "의 좌표를 구하고, 삼각형 0#$와 삼각형 "#$의 넓이의 합을 U 이므로 4 U
에서 U
 
생각한다.
 
YšAYšA Y에서 Y Y 
Y
 U  U U
 
∴ Y 또는 Y† 4 U
 

따라서 점 "의 Y좌표는 이다. 4 U


↗ 극대 ↘

점 0와 변 #$ 사이의 거리는 L, 점 "와 변 #$ 사이의 거리는



L이므로 4 U
는 U 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므로 삼각형 "21 넓이의


05. 미분의 활용 6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최댓값은 ƒUB일 때 최댓값은 G U

     UyB일 때 최댓값은 G U 

4[ ] @<@[ ]šA@[ ]™A= ②


     G U 
U

04
[전략] 두 점 1, 2의 Y좌표는 각각 Y™A Y
NY의 해이다.

∴ H U
  <
G U

ƒU

ƒUB

두 근을 =, >로 놓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G U 


UyB

곡선 ZY™A Y
와 직선 ZNY Z ZNY 곡선 ZG U 
은 곡선 ZG U
Z ZH U
ZG U

에서 2 를 U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



Y™A Y
NY 한 꼴이므로 ZH U
의 그래프는
Y Y™AY N
 그림과 같다.
따라서 1 따라서 함수 H U
는 UB에서 미분
Y™AY N U❶ " 가능하지 않다.
0= > Y 0  B B  U
의 두 근을 =, >< =>
라 하면 ZY™A YY
G B
G B 
에서
두 점 1, 2의 Y좌표는 각각 =, >이다. BšAB™A B
❶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N  B 
šA B 
™A  B 

 B™AB 
N이므로 N
  
B이므로 B 
1 =, N=
, 2 >, N>
이므로 △"12의 넓이를 4 N
이라 하  

4 N
△0"2△0"1 U, U일 때 H U
는 미분가능하고
H 
H 
G 
이다.
  N
 @@N> @@N= >=

  
❶에서 >=ā = >
™A=>‚N이므로 06
 [전략] H Y
\G Y
^šAG Y
에서 H Y
인 G Y
의 값부터 구한다.
4 N
 āNšA N™A
 G Y
Y™A Y 
Y

G N
NšA N™A이라 하면 G Y
에서 Y 또는 Y
G N
N™A NN N
G 
, G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
N 이므로 G N
에서 N G Y
YšAY
 

Z
 
N  U U
 
G N
   Z
  0  Y
G N
↗ 극대 ↘
Z
 
G N
은 N 일 때 극대이고 최대이므로 삼각형 "12의 넓이

  H Y
에서
가 최대일 때 N 이다.
 
\G Y
^šAG Y

05 G Y
\G Y
^\G Y
^
[전략] 구간 <U, U >에서 G Y
가 극댓값을 가지는 경우와 ∴ G Y
 또는 G Y
†
G Y
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로 나눈다. ZG Y
의 그래프는 세 직선 Z, Z, Z과 각각 세
G Y
Y™AY  Y
Y
점에서 만나므로 방정식 H Y
의 서로 다른 실근의 개수는 
G Y
에서 Y 또는 Y 이다. 
따라서 극댓값은 G 
, 극솟값 Z ZG Y 
ZG Y

은 G 
이므로 ZG Y
의 그래

07
프는 그림과 같다. L L
[전략] YšAY™A O 에서 곡선 ZYšAY™A과 직선 Z O 의 교점의 개
Y에서 G Y
G Y 
을 
수를 생각한다.
만족시키는 Y의 값을 B라 하자.
L
U일 때 G Y
는 구간 <U, U >에 O YšAY™A
L에서 YšAY™A
O
0  B  B  Y
서 증가하므로 최댓값은 G U 
G Y
YšAY™A이라 하면 G Y
Y™AYY Y

ƒU일 때 최댓값은 G 
G Y
에서 Y 또는 Y

66 II. 미분

⥎⥐⥅⥓⥫73QVLJ !࿼ፎ"
G 
, G 
이므로 ZG Y
Z ZG Y
H Y
에서 Y 또는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  H 
, H 
이므로 ZH Y
Z ZH Y

Y 
L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곡선 G Y
YšAY™A과 직선 Z
O ƒYƒ에서 H 
, H 
이 ZL
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면 므로 ZH Y
의 그래프와 직선 ZL가
L
L Z O
   적어도 한 점에서 만나면 
O 0  Y
ƒLƒ
∴ LO 
따라서 정수 L의 개수는 B‰O이다. ƒLƒ
 
@
∴ „ B‰ „ O
@  ④

10
O O

[전략] 접점의 Y좌표를 U라 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다음,


08 점 , B
를 지날 때 U의 값이 개인 경우를 찾는다.
[전략] YšA Y™AY B†에서 곡선 ZYšA Y™AY B가 두 직선
G Y
YšAY™A Y라 하면 G Y
Y™AY 
Z, Z와 각각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날 조건을 찾는다.
곡선 ZG Y
위의 점 U, G U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YšA Y™AY B]에서 YšA Y™AY B†
ZUšA U™AU  U™AU 
YU

G Y
YšA Y™AY B라 하면
이 직선이 점 , B
를 지나므로
G Y
Y™A Y Y 
Y

BUšA U™AU UšA U™AU


G Y
에서 Y 또는 Y
UšAU™A B
G 
B , G 
B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 Z
H U
UšAU™A 라 하면 ZH U

림과 같다. 
H U
U™AUU U

Z ZG Y

B  H U
에서 U 또는 U ZB
H 
, H 
이므로

Z ZH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 U

 곡선 ZH U
와 직선 ZB가 세
 0 Y 
Z
점에서 만나면
B
B ∴ B ③
곡선 ZG Y
가 두 직선 Z, Z와 개의 점에서 만나므
로 11
B, B  ∴ B [전략] YšAY™ABY에서 곡선 ZYšAY™A과 직선 ZBY의 교점의 개
수를 생각한다.
따라서 정수 B의 개수는 이다. ②
YšAY™ABY에서 YšAY™ABY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 Y
YšAY™A이라 하면
Z Z]G Y
] G Y
Y™AYY Y

B 
 Z
G Y
에서 Y 또는 Y
B 
  ZG Y

G 
, G[ ] 이므로
0  
  Y Y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

직선 ZBY는 원점을 지나므로 곡선


따라서 ]G 
], ]G 
]일 조건을 찾아도 된다. ZG Y
에 접하는 경우보다 기울기가
클 때 곡선과 직선이 세 점에서 만난다. ZBY

09 접점을 U, G U

라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전략] 직선 "#의 방정식을 ZI Y
라 하면 방정식 G Y
I Y
는 ZUšA U™A  U™AU
YU

ƒYƒ에서 적어도 하나의 해를 갖는다. 원점을 지나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ZY 이다. UšA U™A UšA U™A
따라서 YšAYLY 의 해가 ƒYƒ에서 적어도 하나 UšAU™A , U 
U™AU 

존재한다. 실근은 U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Y이다.
YšAYL에서 H Y
YšAY이라 하면 따라서 B일 때 곡선과 직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H Y
Y™A Y 
Y
한 자리 자연수 B는 , , , 의 개이다. ④

05. 미분의 활용 6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12 이다.
[전략] 점 1에서의 접선에 수직이고 점 1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Œ C일 때
ZI Y
라 할 때, 방정식 G Y
I Y
의 실근이 개이다.
❶에 Y을 대입하면 L
G Y
 Y
BY 
Y BY 
BY Y
이때 ❶은 YšAY
에서 G 
B  Y 
Y 
Y

B이면 G Y
Y Y
™A이므로 1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 B, C, D
직선은 Y이고 곡선 ZG Y
와 한 점에서만 만난다. C일 때
따라서 B 이고 점 , 
에서의 접선에 수직인 직선의 방정 ❶에 Y을 대입하면 L
식은 이때 ❶은 YšAY, Y Y™A

 따라서 한 근만 정수이다.
Z Y

B 
Ž C일 때
이 직선과 곡선 ZG Y
가 만나므로
❶에 Y을 대입하면 L

Y Y
BY 
 Y
이때 ❶은 YšAY 
B 
 Y
Y
Y 

Y
<Y BY 
=
B  ∴ B, C, D
직선과 곡선 ZG Y
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므로 Œ, , Ž에서 ]B] ]C] ]D] 

BY™A Y 이 Y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져
B 
야 한다. 14
B B 
Y™A B 
Y 에서 [전략] H Y
가 YB에서 연속이므로 MJN H Y
 MJN H Y
일 조건부터
YAZB YAZB
찾는다.
ΠB B 
 ∴ B , B 
 % B 
™AB B 
 H Y
가 YB에서 연속이므로
 MJN H Y
 MJN H Y
, MJN G Y
 MJN \UG Y
^
B 
B
 ∴ B YAZB YAZB YAZB YAZB

U
Ž Y이 근이 아니어야 하므로 G B
UG B
∴ G B


B B 
B   , B™A B   G B
BšA B™AB이므로
이 식은 B가 실수일 때 항상 성립한다. G B
B™A B B 
B

 G B
에서 B 또는 B Z
Œ, , Ž에서 B 또는 B ③ ZG B


G 
, G 
이므로 

13
U
ZG B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


[전략] YšAYL에서 곡선 ZYšAY와 직선 ZL가 세 점에서 만 U


따라서 I U
는 방정식 G B
 를
날 때, 교점의 Y좌표로 가능한 정수부터 찾는다.  
만족시키는 실수 B의 개수이므로 곡  0 B
YšAY L U❶
에서 YšAYL이므로 G Y
YšAY라 하면 U
선 ZG B
와 직선 Z 의 교점의 

G Y
Y™A이므로
개수이다.
u
G Y
에서 Y† U
 직선 Z 의 교점이 개이면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U
  ∴ U
Z ZG Y

따라서 정수 U의 개수는 이다. ⑤



15
B 
 0 C D Y

 [전략] 접점을 Q, QšABQ™A Q
라 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면, Q에 대한
방정식이 나온다. 따라서 U의 값에 따라 가능한 Q의 개수를 센다.
ZL
G Y
YšABY™A Y라 하면 G Y
Y™ABY 
곡선 ZG Y
와 직선 ZL의 교점의 Y좌표가 ❶의 해이다. 따라서 곡선 위의 점 Q, G Q

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❶의 해가 B, C, D이므로 교점의 Y좌표가 B, C, D이고 ZQšA BQ™AQ Q™ABQ 
YQ

u u 점 , U
를 지나므로
 C 이므로 정수 C가 될 수 있는 수는 , , 
  UQšA BQ™AQQšA BQ™AQ, QšABQ™AU

68 II. 미분

⥎⥐⥅⥓⥫73QVLJ !࿼ፎ"
I Q
QšABQ™A이라 하면 두 점 ", #에 이르는 거리가 같은 점은 선분 "#의 수직이등분
I Q
Q™ABQQ QB
선, 곧 Z축 위에 있다.
B 따라서 1 Y, G Y

에서 Yy이면 "1“ƒ#1“, Y이면


I Q
에서 Q 또는 Q
 "1“#1“이다.
B이고, I 
이므로 ZI Q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 Y
Yy

Z ZI Q

∴ H Y
<
G Y
Y

H U

B G Y
YšAY™AY™A Y

0  H U

Q G Y
에서 Y 또는 Y
H U


H U
 Y U  U  U

H U
 G Y
   
B
G Y
↘ B ↘ ↗
(극소)
곡선 ZI Q
와 직선 ZU의 교점의 개수가 H U
이므로 직
선 ZU가 극대점이나 극소점을 지날 때, H U
가 불연속이다. G 
B, G 
B이므로 ZG Y
와 ZH Y
의 그래프
U일 때 직선 Z은 극대점을 지난다. U일 때, 직선 는 그림과 같다.
Z이 극소점을 지나므로 극솟값이 이다. Z ZG Y
Z ZH Y

B B
B BšA  
I[ ],   ∴ B ②
  0 Y 0 B Y

ZL

16
[전략] Z]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고 G =
이면 B
B
Y=
™A은 G Y
의 인수이다.
(나)에서 곡선 ZG Y
는 ƒYƒ에서 Y축과 적어도 한 점에 ZH Y
의 그래프와 직선 ZL가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면
서 만난다. 그런데 (가)에서 ]G Y
]는 Y축과 만나는 점에서 미 BLB
분가능하므로 곡선은 Y축에 접한다. B가 정수이고 정수 L가 개이므로
따라서 곡선의 개형은 그림과 같고, B B
 ∴ B 
G Y
B Y 
YL
™A (단, B , ƒLƒ)
으로 놓을 수 있다. 18
[전략] G 
G 
이고 ZG Y
의 그래프가 직선 Y에 대칭이므로
Œ B인 경우  B인 경우
G Y
는 Y에서 극대이고, G Y
의 두 극솟값은 같다.
ZG Y
ZG Y

G Y
는 G 
G 
이고,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사차함수이고
 L  ZG Y
의 그래프가 직선 Y에 대칭이다.
  Y 따라서 G Y
는 Y에서 극대이고 두 극솟값이 같다.
 L  Y
ΠG Y
가 Y에서 극솟값을 가질 때
Z Z
ZG Y
ZG ]Y]

G Y
B YL
™A B Y 
YL

B\Y™A L
Y L™AL^
G 
B L™AL

∴   0
G 
BL™A L 0  Y   Y

G 

그런데 ƒLƒ이므로 은 L일 때 최대이고 L일 ZG ]Y]


의 그래프는 위와 같으므로 G ]Y]
의 실근이
G 

때 최소이다. 개일 수 없다.

     G Y
가 Y에서 극솟값을 가질 때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므로 그 곱은
    Z Z
ZG Y
ZG ]Y]

  
@  ⑤
  

17 0  Y  0  Y

[전략] "1“#1“이면 1는 "#“의 수직이등분선 위 Z


1 ZG ]Y]
의 그래프는 위와 같으므로 G ]Y]
의 실근이
에 있다.
개일 수 없다.
 
# 0 "Y Ž G Y
가 Y에서 극소일 때 세 실근을 갖는다.

05. 미분의 활용 6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Z Z G =
이므로 B= C U❶
ZG Y
ZG ]Y]

G Y
 Y=
2 Y
Y=
™A2 Y
B
G =
이므로 Y=를 대입하면 B
Z
❶에서 C
0  Y   0   Y
나머지가 이므로 G Y
는 Y=
™A으로 나누어떨어진다.
G 
이므로 (참)
G Y
G 
 Y
™A Y™A BY C
로 놓으면 ㄴ. G =
일 때, ZG Y
의 그래프가 점 =, 
에서 접하고
G Y
 Y
Y™A BY C
Y
™A Y B
>, 
을 지나므로 다음과 같이 =, >가 중근이거나 중근 =와
Y에서 극소이면 Y에서도 극소이므로 두 실근을 갖는다.
G 
C B ZG Y
ZG Y

G 
  B C
  B

연립하여 풀면 BC
= > Y = > Y
∴ G Y
G 
 Y
™A Y™AY

극댓값은 G 
이고 G 
이므로 Y을 대입하면 G >
일 때에도 마찬가지로 허근을 갖지 않는다. (참)
G 
 ∴ G 
 ④ ㄷ. G =
G >
이면 G =
와 G >
의 부호가 같으므로
Y=와 Y>에서 같이 증가하거나 같이 감소한다. 따라서
G Y
의 양근을 =라 하면 Y†=는 G ]Y]
의 해이다. 가능한 그래프는 다음과 같고, Y축과 네 점에서 만난다.
따라서 G ]Y]
의 해가 개이면 G Y
은 양근 한 개와 을 근으로 갖
ZG Y
ZG Y

는다. (음근은 상관없다.)


따라서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이 Y일 때와 Y좌표가 양수인 점
에서 만날 조건을 찾아도 된다.
= > Y = > Y

19 곧, 방정식 G Y
은 서로 다른 네 실근을 갖는다. (참)
[전략] G Y
은 이차방정식이므로 두 실근을 가질 때에는 G Y
가 극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값, 극솟값을 가지지만, 중근이나 허근을 가질 때에는 극값을 갖지 않

21
는다.

G Y
은 이차방정식이다.
[전략] ZY›A BY™A B 
Y B™A의 최솟값은  이상이다.
ㄱ. G Y
이 중근을 가지므로 G Y
는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G Y
Y›A BY™A B 
Y B™A이라 하면
따라서 G Y
의 실근은 한 개이다. 이때 실근은 삼중근일
G Y
YšA BY B 

수도 있지만, 실근과 허근 두 개일 수도 있다.


 Y
Y™A Y B 

 <반례> G Y
YšA 이면 G Y
은 Y이 중근이지만
 
†J B이면 Y™A Y B [Y ]™A B 이므로
G Y
의 근은 실근 Y과 허근 Y 이다.  

G Y
에서 Y
(거짓)
ㄴ. G Y
이 허근을 가지면, G Y
는 증가 또는 감소하고, 삼 Y U  U

중근을 갖지 않으므로 G Y
은 하나의 실근과 서로 다른 G Y
 

두 허근을 갖는다. (참) G Y


↘ 극소 ↗

ㄷ. [반례] 극댓값과 극솟값의 부호가 같으면 ZG Y


의 그래프 G Y
는 Y에서 극소이고 최소이다.
는 Y축과 한 점에서 만나므로 G Y
의 실근은 한 개이다. 부등식 G Y
y이 항상 성립하므로
(거짓) G 
B™ABy, B 
B
y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② B이므로 By
따라서 양수 B의 최솟값은 이다. ③
ㄴ. G Y
이 삼중근을 가지면 G Y
B YQ
šA꼴이다.
이때 G Y
B YQ
™A이므로 G Y
은 중근을 갖는다.
22
20 [전략] Yy에서 ZYŠAOY L의 최솟값은  이상이다.

[전략] G Y
가 다항식일 때 G =
, G =
이면 G Y
는 Y=
™A을 인수 Yy에서 YŠAOY Ly이 성립하는 정수 L의 최솟값이
로 갖는다. 이라 해도 된다.
ㄱ. G Y
를 Y=
™A으로 나눈 몫을 2 Y
, 나머지를 BY C라 G Y
YŠAOY L이라 하면
하면 G Y
OYOOO YO

G Y
 Y=
™A2 Y
BY C Yy에서 G Y
의 실근은 Y

70 II. 미분

⥎⥐⥅⥓⥫73QVLJ !࿼ፎ"
Y  U  U Y U  U  U  U
G Y
  G Y
    
G Y
↘ 극소 ↗ G Y
↗ 극대 ↘ 극소 ↗ 극대 ↘

G Y
는 Y에서 극소이고 최소이므로 G 
B , G 
B, Z ZH Y

G Y
y이면G 
y에서 G 
B 이므로 ZG Y
,
O Ly, LyO  ZH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B
B 
따라서 L의 최솟값이 일 때, O이다.  곡선 ZH YU
는 곡선 ZH Y

Y축 방향으로 U만큼 평행이동한 꼴이
23
B 
다. B
[전략] Yy에서 ZYšAL Y™AL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따라서 임의의 실수 U에 대하여 곡선  0  Y
ZG Y

Yy에서 YšAL Y™AL


y일 조건을 찾으면 된다. ZG Y
가 곡선 ZH YU
와 만나
G Y
YšAL Y™AL
라 하면 지 않으면 G Y
의 최댓값이 H Y
의 최솟값보다 작다.
G Y
Y™ALYY YL
G Y
의 최댓값은 G 
B 이고,
G Y
에서 Y 또는 YL H Y
 Y 
™A B이므로 H Y
의 최솟값은 B이다.
B B ∴ B
Y  U L U
따라서 자연수 B의 최솟값은 이다. ③
G Y
 
G Y
↘ 극소 ↗
26
Yy일 때 G Y
는 YL에서 극소이고 최소이다.
[전략] H Y
가 삼차함수일 때, ]H Y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
G L
y이므로 면 H Y
B Y=
šA 꼴이다.
LšA L™Ay, LšAL™A ƒ 삼차함수 ZH Y
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으면 Z]H Y
]는
H L
LšAL™A 이라 하면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H L
L™ALL L
ZH Y
Z]H Y
]
H L
에서 L 또는 L
H 
, H 
이므로 ZH L
의 Z ZH L

 = Y = Y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따라서 H L
ƒ을 만족시키는 양수 L
는 이다. 0  L Z]H Y
]

① ZH Y

24
= Y = Y

[전략] B에서 G C
가 G B
의 최솟값보다 작거나 같다.

임의의 양수 B에 대하여 G B
yG C
이면
그러나 H Y
B Y=
šA 꼴이면 다음과 같이 Z]H Y
]는 실
\G B
의 최솟값^yG C

수 전체에서 미분가능하다.
G Y
Y™A Y 
Y
ZH Y
Z]H Y
]
G Y
에서 Y 또는 Y
Y에서 G Y
는 Y일 때 극소이고 최소이다.
따라서 B에서 G B
의 최솟값이 G 
이므로 = Y = Y
yG C
, G C
ƒ
CšAC ƒ, C
™A C 
ƒ
C일 때, C
™A이므로 C ƒ (가)에서 G Y
Y Y=
šA이라 하면
따라서 C의 최댓값은 이다. ⑤ G Y
 Y=
šA Y
(나)에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G Y
y이므로
25 Yy일 때 G Y
y, Y일 때 G Y
ƒ이다.
[전략] ZH YU
의 그래프는 ZH 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U만큼 그런데 G Y
는 연속이므로 G 
이다.
평행이동한 꼴이다. 따라서 =
šA, 곧 =이다.
G Y
YšAY™A YY Y
Y 
이때 G Y
YšA Y이고 YG Y
Y›A Y™Ay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 G 
 ⑤

05. 미분의 활용 71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27 U에서도 #의 속도가 더 빠르므로 #가 "보다 앞선다.


[전략] 속도의 부호가 바뀌는 시각에서 운동 방향이 바뀐다. 따라서 U에서 #가 "를 추월한다. ③
점 1의 시각 U에서의 속도는
EY
U™A U 
U

EU
U이므로 U일 때, 속도의 부호가 바뀐다.
곧, U일 때 1가 원점에 있으므로 step 최상위 문제 64쪽
šA@ L, L
∴ L ④ 01 ④ 02 ⑤ 03 최솟값 : , 최댓값 : 
04 ③

28 01
[전략] 기차가 멈추는 순간의 속도 W이다.
[전략] G Y
의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을 I Y
로 놓고,
제동을 걸고 나서 U초 동안 달린 거리를 Y U
AN라 하면 Uƒ일 때와 Uy일 때로 나누어 H U
를 구한다.
 I Y
YšAUY라 하면 I Y
Y™AU Y™AU

Y U
U DU™A

Œ Uƒ일 때
시각 U에서 열차의 속도를 W U
라 하면
I Y
y이므로 I Y
는 증가한다.
EY 
W U
  DU I 
이므로 ƒYƒ일 때 ]I Y
]의 최댓값은
EU 
  H U
]I 
]]U]
정지할 때 W이므로  DU에서 U
 D 따라서 H U
의 최솟값은 BH 

정지할 때까지 열차가 달린 거리는  Uy일 때
Z
  U ZI Y

Y[ ] I Y
에서 Y†
D D 
 U U
정지선을 넘지 않으려면 ƒ에서 Dy I Y
는 Y 에서 극
D   
U 0 Y
따라서 D의 최솟값은 이다.  U 

대, Y 에서 극소이다.


29 또 Uy이면
[전략] Y U
를 구하고, Y U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U U
 , y이고 I 
이므로
Z  
시각 U에서 점 1의 속도는 Y U
이고 ZY U

Y U
U™AU  ƒYƒ일 때 ]I Y
]의 최댓값은
 U
U
H U
]I 
]]U]
 따라서 H U
의 최솟값은 CH 

Y U
에서 U 또는 U
 ∴ BC@ ④
Y 
, Y 
이므로
ZY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2
ㄱ. U일 때 점 1의 속도는 0   U [전략] (가), (나)에서 G Y
에 대한 조건을 찾은 다음,

Y 
 (참) ZG Y
G Y
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G Y
YšA BY™A CY D라 하면
ㄴ. U 와 U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참)
 G Y
Y™A BY C
ㄷ. Y 
이므로 U에서 원점을 다시 지난다. (참) (나)에서 G 
G 
이므로 CD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 G Y
G Y
YšA B
Y™A CB
Y
H Y
G Y
G Y
라 하면 ZH Y
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
 
ㄴ. U 와 U의 좌우에서 속도 Y U
의 부호가 바뀌므로 점 1는 U 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와 U에서 운동 방향을 바꾼다. Œ ZH Y
   ZH Y
  Ž ZH Y

30
 Y  Y Y


[전략] U의 전후에서 ", #의 속도를 생각한다. (다)에서 Yy일 때, H Y


y이므로 Ž만 가능하다. 곧,
(가)에서 U일 때, "와 #는 같은 위치에 있다. ZH Y
의 그래프는 Y에서 Y축과 접한다.
U에서 #의 속도가 더 빠르고 U에서 만나므로 #가 H Y
Y™A  B
Y CB이고 H 
이므로
"의 뒤에서 따라온다. CB ∴ CB

72 II. 미분

⥎⥐⥅⥓⥫73QVLJ !࿼ፎ"
이때 H Y
YšA B
Y™A G Y
Y L Y=
šA
또 Yy일 때 H 
y이므로   ∴ G Y
 Y=
šAYL
H 
By ∴ By 이때 G Y
 Y=
™A이므로 G Y
는 실수 전체의
∴ G Y
YšA BY™A BY B, G 
B  집합에서 감소한다.
By이므로 G 
의 최솟값은 이다. ⑤ (나)에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
G Y
ƒ이므로
Y이면 Y이므로 G Y
ƒ,
03 Y이면 Y이므로 G Y
y이다.
[전략] G Y
를 구한 후, 방정식에 대입하여 H Y
를 구한다. 그런데 G Y
는 연속함수이므로 G 

G Y
Y™AY 이므로 G 
 =
šAL U❶
G Y
YG H Y

에서  Y=
šA Y=

또 H Y
] Y=
šA]< 이므로
 Y™AY 
Y\H Y
^™AH Y
 Y=
šA Yy=

Y™AY \H Y
^™AH Y
  Y=
™A Y=

H Y
<
\H Y
^™AH Y
Y™A Y  Y=
™A Yy=

\H Y
Y^\H Y
Y^ H 
이므로
∴ H Y
Y 또는 H Y
Y  H 
 =
™A ∴ = 또는 =
ΠH Y
Y일 때 =ƒ이므로 =
G Y
Y이므로 이것을 ❶에 대입하면 L ③
YšAY™A Y LY, YšAY™A Y L
I„ Y
YšAY™A Y L라 하면
I„ Y
Y™AY 
%
™A@이므로 I„ Y
이고 I„ Y
는 증

가한다. 따라서 구간 <, >에서 실근을 가지면
I„ 
ƒ이고 I„ 
y
Lƒ이고 L y ∴ ƒLƒ
 H Y
Y 일 때
G Y 
Y이므로
Y 
šA Y 
™A  Y 
LY
YšAY™A YL
Im Y
YšAY™A YL라 하면
Im Y
Y™AY 
%
™A@이므로 Im Y
이고 Im Y
는 증

가한다. 따라서 구간 <, >에서 실근을 가지면
Im 
ƒ이고 Im 
y
Lƒ이고 Ly ∴ ƒLƒ
Œ, 에서 L의 최솟값은 이고, 최댓값은 이다.
최솟값 : , 최댓값 : 

04
[전략] H Y
의 절댓값 기호 안의 식을 I Y
로 놓고,
Z]I Y
]가 미분가능한 꼴을 찾는다.
I Y
G Y
Y L라 할 때 삼차함수 ZI Y
의 그래프가
다음과 같으면 Z]I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ZI Y
ZI Y
ZI Y

= Y = Y = Y

그러나 I Y
 Y=
šA 꼴이면 Z]I Y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다.

05. 미분의 활용 7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 ∴ $

III
따라서 G Y
Y™A Y 이므로 G 
 ④

. 적분 04
 
G Y
A[ YšA Y ]EYA[ YšA Y]EY
 

A Y 
EY Y™A Y $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G 


이므로 $

따라서 G Y
 Y™A Y 이므로 G 
 ④

step 기본 문제 67~70쪽

01  02  03 ④ 04 ④ 05 ⑤ 05
06 ② 07 ③ 08 ① 09  10 ②
11 ② 12 ④ 13 ② 14 ② 15 ② G Y
A Y
Y™AY 
EY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16 ④ 17  18 d 19  20 ① G Y
 Y
Y™AY 

21  22  23 ① 24 ⑤ 25 ② G  I
G I

∴ MJN
I
26 ⑤ 27 ① 28 ! 29  30 ①
IAZ

G  I
G 
G I
G 

31 ① 32 ② MJN <
IAZ I

I
= 

G 
@ ⑤
01

06
G Y
AG Y
EYA Y™A 
EY

YšA Y $ ' Y
G Y
이므로
함수 ZG Y
의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 주어진 식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G Y
YšA Y 이므로 G 
  G Y
G Y
YG Y
YšAY
YG Y
YšA Y ∴ G Y
Y™A 
02 ∴ G Y
AG Y
EYA Y™A 
EY
G Y
AG Y
EYA Y™A
EY YšA Y $
YšAY $ G 
이므로 $
이때 G Y
Y™A Y 
Y
이므로 따라서 G Y
YšA Y 이므로 G 
 ②
G Y
에서 Y 또는 Y

Y U  U  U 07
G Y
   
A Y B
EY<Y™A BY>
 B
G Y
↗ 극대 ↘ 극소 ↗
이므로
G Y
는 Y에서 극솟값 을 가지므로  B ∴ B ③
G 
 $ ∴ $
따라서 G Y
YšAY 이므로 G Y
의 극댓값은 08
G 
 

BA Y™A
EY<YšAY>B
BšAB

03 이므로
E BšAB, B B 
B

A\G Y
Y™A ^EYG Y
Y™A 
EY 따라서 B이므로 B ①
E
A \G Y
Y ^EYG Y
Y $
EY
이므로 09
YšA 
G Y
Y™A G Y
Y $   
 EY 
 EY
Y  Y 
∴ G Y
Y™A Y $
YšA 
  
 EY
G 
이므로 Y 

74 III. 적분

⥎⥐⥅⥓⥫73QVLJ !࿼ፎ"
  

Y 
Y™AY 

EY 14
Y 
@B"A YšA Y™A Y B
EY
  
A Y™AY 
EY

 
BA Y™A B
EY<YšA BY>B
BšA B™A
  < YšAY™A Y>
 

이므로
BšA B™A B 
™A, B™A B 
 B 
™A
10 B 
B 
B

Y™AYY Y
에서 
∴ B 또는 B 또는 B
Y™A Y Y

]Y™AY]< 
Y™AY Yƒ 또는 Yy
따라서 실수 B값의 합은  이다. ②

이므로


A]Y™AY]EY
A Y™A Y
EY ÅA Y™AY
EY 15
G Y
BY C라 하면
   
< YšA Y™A>
< YšA Y™A>Å
    @ÅAYG Y
EY@ÅAY BY C
EY
ABY™AEY
 
  ②  
  < BYšA>
 B
 

이므로 B ∴ B
11 
G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ÅAY™AG Y
EY@ÅAY™A BY C
EY
CY™AEY
G 
 MJN AG Y
 MJN AG Y

YAZ YAZ  
< CYšA>
 C
G 
B  
MJN AG Y
 MJN Y™AY B
B 
이므로 C ∴ C
YAZ YAZ 
MJN AG Y
 MJN BY 
B  따라서 G Y
Y이므로 G 
 ②
YAZ YAZ

이므로 B B ∴ B


Y  Y
16
따라서 G Y
< 이므로
Y™AY  Yy
@Å\G Y
^™AEY@ÅA Y 
™AEY@ÅA Y™A Y 
EY 

@ÅAG Y
EY@Å Y 
EY ÅA Y™AY 
EY  

A Y™A 
EY< YšA Y>

 

<Y™A Y>@Å < YšAY™A Y>Å  또

  @ÅAG Y
EY@ÅA Y 
EY
  ②
 

AAEY<Y>


12 따라서 조건에서

L ∴ L


 

G Y
EY<G Y
>
G 
G 
이고

  17
G 

A UšA 
EU< U›A U>

  G 
이므로 G Y
BY™A CY이라 하면
 
G 
!A UšA 
EU< U›A U>! @ÅA BY™A CY
EY
A BY™A
EY
 
이므로  
< BYšAY>
 B
 
 

G Y
EY   ④
   
@ÅA BY™A CY
EY< BYšA CY™AY>@Å
 
 
13
 B C
 
 
@ÅA YšA Y™A 
EY
A Y™A 
EY 
A BY™A CY
EY< BYšA CY™AY>
 
 
 
<YšA Y>
 ②  B C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75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이므로
4 

H Y
EY
    
B B C B C
    

H Y
EY ÅH Y
EY H Y
EY
   
B C B C에서 C
     
  따라서 최댓값 ., 최솟값 N이므로
또, B B에서 B
  .N ①
따라서 G Y
Y™A이므로G 
 
21
@ÅAG Y
EY@ÅAG Y
EY 
G Y
EY이므로  Y
™A  ƒY

G Y
<
Y  ƒY

  @ÅAG Y
EY@ÅAG Y
EY
G Y
EY
이고, G Y
G Y 
이므로 Z
이면 ZG Y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이 
  @ÅAG Y
EY@ÅAG Y
EY
G Y
EY 주기가 인 함수이다. 0      Y
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 G Y
EY


18 
A Y™A Y
EY Å Y 
EY
G Y
G Y
에서 G Y 
G Y
이므로  
< YšA Y™A>
< Y™A Y>Å
함수 ZG Y
의 그래프는 직선 Y에 대칭이다.  
조건에서   

  G Y
EY
G Y
EY 22
' Y
G Y
라 하면
  ÅG Y
EYG Y
EY
 ' Y
' 

MJN !G U
EUMJN
 YAZ Y YAZ Y
이므로 G Y
EY
 ' 
G 
 
∴ G Y
EYG Y
EYG Y
EY
23
   ' Y
G Y
라 하면
 
  
 ' Y
' 

MJN ÅG U
EUMJN
YAZ Y YAZ Y
19 ' 
G 
 B C
(가)에서 G Y
는 증가함수이고 (나)에서 G 
이므로  B C에서 B C U❶
ƒYƒ이면 G Y
ƒ, ƒYƒ이면 G Y
y이다.  
  
A Y™A BY C
EY< YšA BY™A CY>

 
(나)에서 
A\G Y
^EY, G Y
EY  
 B C
 
곧, 
G Y
EY이므로    
B C에서 B C U❷
   

G Y
EY
G Y
EY G Y
EY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 C
 

20
∴ BC ①

ƒYƒ일 때 H Y
ƒ,
ƒYƒ일 때 H Y
y, 24
ƒYƒ일 때 H Y
ƒ ÅG U
EUYšA BY™AY  U❶
이므로 4 Y
의 최댓값은 4 
, 최솟값은 4 
이다.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4 

H Y
EY  B  ∴ B
❶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H Y
EY ÅH Y
EY
G Y
Y™A BYY™A Y
  ∴ G B
G 
 ⑤

76 III. 적분

⥎⥐⥅⥓⥫73QVLJ !࿼ፎ"
25 L
G U
EU
A U™AUL
EU
YG Y
@ÅA\G U
U™A U^EU U❶
<UšAU™ALU>
L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 G 
 ∴ L

❶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G Y
Y™AY 이므로 G 

G Y
YG Y
G Y
Y™A Y   
∴ G Y
Y 

G Y
AG Y
EYA Y 
EYY™A Y $ 29

G 
이므로 $ 
G Y
EYL라 하면

따라서 G Y
Y™A Y이므로 G 
 ② 
G Y
 Y™A L™A이므로


26
L
G Y
EY
A[ Y™A L™A]EY

E  
Å< AG U
=EUYšA BY™A U❶ < YšA L™AY>
L™A
EU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L™AL , [L ]™A ∴ L
  
 B  ∴ B
 
❶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따라서 G Y
 Y™A 이므로
 
G Y
Y™A BYY™A Y
 
∴ G B
G 
 ⑤ 
G Y
EY
A[ Y™A ]EY
 
   
< YšA Y>

   
27
Y™AÅG U
EUÅU™G U
EUY›A BYšA CY™A U❶ 30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H U
EUB, @ÅAG U
EUC라 하면
 B C U❷ G Y
YšAY™A B, H Y
Y™A  C
❶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이므로
  YÅG U
EU Y™AG Y
Y™AG Y
YšA BY™A CY B
H U
EU
A U™A  C
EU

YÅG U
EUYšA BY™A CY <UšA  C
U>
C  U❶

ÅG U
EUY™A BY C U❸ C@ÅAG U
EU@ÅA UšAU™A B
EU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A U™A B
EU
 B C U❹
❷, ❹를 연립하여 풀면
<UšA BU>
B U❷
B, C
❸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G Y
Y BY  
B , C
 
따라서 G Y
Y이므로 G 
 ①
 
∴ G Y
H Y
[YšAY™A ] [Y™A ] 
 

28
YšA ①

31

G U
EUL라 하면

주어진 식에서

G U
EUYšAY™ALY
YÅG U
EUÅUG U
EUY›A BY™AY  U❶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Y
Y™AYL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이므로  B  ∴ B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7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❶의 양변에 B을 대입하고 Y에 대하여 미분하면


H Y
A\Y™A G Y
^EYA BY C
EY
ÅG U
EU YG Y
YG Y
YšA Y
B
 Y™A CY $

∴ ÅG U
EUYšA Y
이때 G Y
H Y
Y›A YšA에서
다시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B
Y™A BY C
[ Y™A CY $]Y›A YšA
G Y
Y™A  ∴ G 
 ① 
B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 B

32 Y™A Y C
Y™A CY $
Y›A YšA
주어진 식에서
YšA의 계수를 비교하면 C  ∴ C
G Y
Y
G U
EU
UG U
EUYšA Y™A Y Y™A Y
Y™A $
Y›A YšA
Y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U❶
따라서 H Y
Y™A이므로 H 
 ②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❶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02
E
G Y

G U
EU YG Y
YG Y
Y™A Y  [전략] A< EY G Y
=EYG Y
$ ($는 적분상수)임을 이용하여

G Y
H Y
와 G Y
H Y
부터 구한다.
G Y

G U
EUY™A Y  U❷
조건에서

이때 
G U
EU가 이차식이므로 G Y
는 일차식이다. G Y
H Y
A Y 
EYY™A Y $„

G 
이므로 G Y
BY™A CY이라 하면
G Y
H Y
A Y™A Y 
EYYšA Y™A Y $m
G Y
BY C
G 
, H 
이므로 $„, $m
❷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G 

이때 G Y
H Y
YšA Y™A Y 이고 G Y
, H Y
는 상수함
∴C
수가 아닌 다항함수이므로 G Y
, H Y
중 하나는 이차함수이고
G Y
BY™A Y, G Y
BY 를 ❷에 대입하면
다른 하나는 일차함수이다.
BY  BY™A Y Y™A Y 
YšA Y™A Y  Y 
Y™A Y 

BY™A B 
YY™A Y ∴ B
G 
, H 
이므로
따라서 G Y
Y™A Y이므로 G 
 ②
G Y
Y™A Y , H Y
Y 
∴ G 
H 
 ③

03
step 실력 문제 71~75쪽

01 ② 02 ③ 03 ① 04 ③ 05 ④ [전략] 부정적분을 이용하여 Yy일 때 G Y


와 Y일 때 G Y
를 구한 다
06 ② 07  08 ③ 09 ④ 10 ① 음, 적분상수를 구한다.

11 ④ 12 d 13  14 ② 15 ② 
ALEYLY $„, A Y 
EY Y™A Y $m이므로

. 
16 ⑤ 17 ① 18 ① 19 ① 20 ③
LY $„ Yy

21  22 ① 23 
G Y
<
24 극댓값 : , 극솟값 : g 25  26 ① 
Y™A Y $m Y

27 ② 28  29 Å 30 ④ 31 dg G 
이므로
L $„ U❶
01 G Y
는 Y에서 연속이므로

[전략] H Y
A\Y™A G Y
^EY이므로 다항식 H Y
가 O차식이면
L $„ $m U❷
❷❶을 하면 $m
Y™A G Y
는 O차식이다.
∴ G 
$m ①
G Y
는 이차함수, G Y
H Y
는 사차함수이므로 H Y
는 이차함
수이다.
G Y
가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또 H Y
A\Y™A G Y
^EY에서 Y™A G Y
는 일차함수이므로 G Y
G 
G Y
G 

MJN  MJN
YAZ Y YAZ Y
G Y
Y™A BY C라 하면  L ∴ L

78 III. 적분

⥎⥐⥅⥓⥫73QVLJ !࿼ፎ"
04 H B
@B"AG Y
EY라 하면
G Y I
G Y

[전략] G Y
MJN 에서 (나)를 이용하여 분자를 정리한다.
IAZ I
H B
@"A Y 
EY 
BA Y™A Y 
EY
(나)에서 Y, Z을 대입하면
G 
G 
G 
 ∴ G 
 
<Y™A Y>@" < YšA Y™A Y>B


이때

G Y I
G Y
B™A B BšA B™A B
G Y
MJN 
IAZ I

G Y
G I
YI Y I
G Y
 BšA B
MJN 
IAZ I
∴ H B
B™A  B 
B

G 
이므로
B이므로 H B
에서 B
G I
G 

G Y
MJN < Y Y I
= 
IAZ I B 
U  U
G 
Y™A H B
 
(가)에서 G 
이므로 Y을 대입하면
H B
↗ e ↘
G 
 ∴ G 

G Y
Y™A 이므로 따라서 H B
는 B에서 극대이면서 최대이므로 최댓값은
 
G Y
AG Y
EYA Y™A 
EY YšA Y $ H 
 ②
 
G 
이므로 $ 07
 [전략] G Y
H Y
y일 때와 G Y
H Y
일 때로 나누어 절댓값 기
따라서 G Y
 YšA Y 이므로 G 
 ③
 호를 없애고 계산한다.

G Y
H Y
Y
ŒYy일 때, G Y
H Y
y이므로

05
G Y
H Y
]G Y
H Y
]
G Y


[전략] 방정식 G Y
G 
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려면 곡선 ZG Y

Y일 때, G Y
H Y
이므로
와 직선 ZG 
가 두 점에서 만나야 한다.
G Y
H Y
]G Y
H Y
]
 Z
ZG Y
H Y

(가)에서 G[ ]이므로 G Y


는 

 G Y
H Y
]G Y
H Y
]
 ZG 
∴ 
 EY
Y 부근에서 감소한다. 그런데 

(나)에서 G Y
는 Y에서 극댓값을 
H Y
EY !G Y
EY
0  Y
 
가지므로 Y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A Y™AY 
EY !A Y™A
EY
 

또 (다)에서 곡선 ZG Y
와 직선 ZG 
는 두 점에서 만나므  
< YšAY™A Y>
< YšAY>! 
로 한 점에서 접한다.  
따라서 곡선 ZG Y
는 그림과 같고 Y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G 
G 
이고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이차함
08
수이므로
[전략] 함수의 증감을 이용하여 G Y
가 양수인 구간과 음수인 구간을 구한
G Y
 Y
Y
Y™AY 
다음 계산한다.
∴ G Y
AG Y
EYA Y™AY 
EY G 
, G 
이므로
YšAY™A Y $ Y일 때G Y

G 
이므로 $  ∴ $ Y일 때G Y

따라서 G Y
YšAY™A Y 이므로 G 
 ④ Y일 때G Y


∴ 
A]G Y
]EY
G Y
EYÅG Y
EY

<G Y
>
<G Y
>Å 
06
G 
G 
G 
G 

[전략] B가 양의 실수이므로
G 
G 
G 

@B"AG Y
EY@"A Y 
EY 
BA Y™A Y 
EY이다.
   ③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7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전략] Y이므로 U이면 ]UY]YU이다.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UƒYƒU 에서 G Y
의 최댓값 H U

생각한다.
Y이므로
  G Y
YšAY™AY 에서

A]UY]EU
A YU
EU<YU U™A>
Y
  G Y
Y™AY Y 
Y


]U]EU
A U
EU A U
EU G Y
에서 Y 또는 Y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YU YU 
Z
 
<U U™A>
< U™AU> 같다.
  
    ƒUƒ일 때,  0 Y
 Y™AY  Y™AY 
    G Y
의 최댓값은 G 
이므로 ZG Y

  H U
G 
 YU YU 
Y  Y™AY 이므로
 
Uƒ일 때,
Y™AY , Y
Y

G Y
는 감소하므로 H U
G U

따라서 Y이므로 Y ④   


∴  AH U
EU AEU  G U
EU
  


 
<U> < U›AUšAU™A U> 
   

[전략] B, B, B일 때로 나누어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극대인  
  ④
 
Y의 값을 찾는다.
Y
YB
YyB

G Y
< 
 Y
YB
YB

[전략] ZG Y
와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ƒYƒU에서 ]G Y
]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의 최댓값 H U
를 구한다.
B B B
ZG Y
ZG Y
ZG Y
G Y
YšAY에서 G Y
Y™A Y 
Y

G Y
에서 Y 또는 Y
B 
Y  Y G 
, G 
이므로 ZG Y
와 Z]G Y
]의 그래
 B Y
프는 그림과 같다.
Z ZG Y
Z Z]G Y
]
[그림 ] [그림 ] [그림 ]

조건에서 G Y
의 극댓값이 이므로 그래프는 [그림 ]과 같다. 
 
YB일 때 G Y
Y™A B 
YB이므로  0 Y

B  B
™A 
G Y
는 Y 에서 극댓값 을 갖는다.
 
  0  Y
B
™A
, B
™A

ƒYƒU에서 ]G Y
]의 최댓값 H U

B이므로 B이고, 그림에서 색 Z ZG Y

 ƒUƒ

칠한 두 도형의 넓이가 같으므로 H U


<
UšA U  ƒUƒ


G Y
EYG Y
EY
0    Y
∴ @ÅAH U
EU@ÅAEU 
A UšA U 
EU

∴ 
G Y
EY G Y
EY  
<U>@Å < U›A U™A U>
 
 
∴ 
G Y
EY   
 
  

G Y
EY ÅG Y
EY G Y
EY
ZH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ÅA\ Y
Y
^EY Z ZH U

 
< YšA Y™AY>Å ① 
 


  
AG Y
EY
A\ Y
Y
^EY A Y
Y
EY

를 계산해도 된다.  0  U

80 III. 적분

 !ጄ73QVLL  !࿼ፎ"


13 16
[전략] 두 구간 <, >와 <, >에서 G Y
의 부호부터 생각한다. [전략] G Y
G Y
이고 G Y
는 삼차함수이므로

G 
이므로 G Y
BYšA CY 꼴이다.

(가)에서 ƒYƒ일 때 G Y
ƒ ㄱ. G Y
G Y
이고 G 
이므로
(나)에서 ƒYƒ일 때 G Y
y G 
G 
 (참)
곧, G 
이므로 ㄴ. G Y
는 Y›A의 계수가 인 사차함수이므로
G Y
LY Y
(L) G Y
는 YšA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이고
로 놓을 수 있다. G Y
G Y
이므로
G Y
YšA BY라 하면

A]G Y
]EY
A LY™ALY
EY
G 
이므로  B ∴ B
  ∴ G Y
YšAY
< LYšALY™A>
 L
 
 G Y
AG Y
EYA YšAY
EY
이므로 (가)에서 L ∴ L

Y›AY™A $
따라서 G Y
Y Y
이므로 G 
 
G 
이므로 $

14
∴G Y
Y›AY™A 
이때 ZG Y
의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므로
[전략] G Y
Q의 서로 다른 실근이 개이면 곡선 ZG Y
와 직선
ZQ는 곡선 ZG Y
가 극값을 갖는 점에서 접한다. @,AG Y
EY
LG Y
EY (참)
(나)에서 G Y
Q의 서로 다른 실근이 개이면 곡선
ㄷ. 함수 G Y
Y›AY™A 의 그래 Z ZG Y

ZG Y
와 직선 ZQ는 곡선 ZG Y
가 극값을 갖는 점에서 
프는 그림과 같다.
접한다.
두 직선 YU, YU와 Y축 및
그리고 Q가 최대이면 직선 ZQ는 곡선 ZG Y
의 극대점을 지 
ZG Y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
난다.
또 (가)에서 G 
G 
이므로 곡선 Z
ZG Y

분의 넓이 @U5AG Y
EY는 두 직선
ZG Y
와 직선 ZQ는 Y에서 접 YU, YU와 Y축 및 직선  U 0 U  Y
ZQ
하고 Y에서 만난다. Z으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의 넓이 U보다 작다.
곧, G Y
Q Y
™A Y
라 하면
∴@U5AG Y
EYU (참)
G 
이므로 Q
0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 G Y
 Y
™A Y

YšAY™A Y

∴ 
G Y
EY
A YšAY™A Y
EY ㄷ. @U5AG Y
EY
UA Y›AY™A 
EY

  
< Y›AYšA Y™A>
 ② < YœA YšA Y>U
 
  
 
15
 UœA UšA U
 
[전략] G Y
G Y
이고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이므로
H U
@U5AG Y
EYU라 하면
G Y
YšA BY 꼴이다.
G Y
는 최고차항의 계수가 인 삼차함수이고, 모든 실수 Y에 대  
H U
 UœA UšA, H U
U›AU™AU™A U™A

 
하여 G Y
G Y
이므로 곡선 ZG Y
는 원점에 대칭이다.
U일 때 H U
이므로 H U
는 감소한다.
따라서 G Y
YšA BY라 하면
또 H 
이므로 H U

@ÅAG Y
EY
∴ @U5AG Y
EYU

또 @ÅAG Y
EY
G Y
EY이므로


G Y
EY에서 17
 B [전략] G Y
G Y
, H Y
H Y
에서 I Y
I Y
이므로

A YšA BY
EY< Y›A Y™A>
 B ZI 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칭이다.
 
B이므로 G Y
YšAY G Y
G Y
, H Y
H Y
이므로
∴ G 
 ② I Y
G Y
H Y
G Y
H Y
I Y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81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곧, ZI 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칭이고 H Y
QY R라 하면
I Y
BOYO BOYO U B„Y U❶
@!AG Y
H Y
EY
꼴이다.
I Y
 O
BOYO O
BOYO U B„ @!A BYšA CY™A Y
QY R
EY
이므로 ZI Y
의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다.
@!A\BQY›A BR CQ
YšA CR Q
Y™A RY^EY
∴ @A Y 
I Y
EY

A\BQY›A CR Q
Y™A^EY
@AYI Y
EY @AI Y
EY
 
< BQYœA CR Q
YšA>

 
I Y
EY  
 
 BQ CR Q

<I Y
>
   
이므로
\I 
I 
^
B 
Q CR
❶에서 I 
이고 @A Y 
I Y
EY이므로 모든 Q, R에 대하여 등식이 성립하므로

I 
 ∴ I 
 ① 
B , C

 
G Y
가 미분가능할 때, 우함수를 미분하면 기함수이고 기함수를 미분하면 우 따라서 G Y
 YšA Y이므로 G 
 ①
 
함수이다. 곧,
G Y
G Y
이면 G Y
G Y
20
G Y
G Y
이면 G Y
G Y

[전략] G Y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YAZ
MJN AG Y
G 
이다.


(가)에서 G 

18 (나)에서 G 
G 

[전략] G Y
QY™A RY S라 하고 주어진 등식이 Q, R, S의 값에 관계없이
G Y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속이므로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G Y
가 이차 이하의 다항함수이므로 MJN AG Y
G 
에서 B ∴ B
YAZ 
G Y
QY™A RY S라 하면 
따라서 G Y
 Y™A이고 G Y 
G Y
이므로 ZG Y

G 
S, G 
Q R S, G 
Q R S이고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 Y
EY
A QY™A RY S
EY
Z ZG Y
Z ZG Y

Q R   
< YšA Y™A SY>
 Q R S
  
 
이므로
  
Q R SBS C Q R S
D Q R S

  
 C D
Q C D
R B C D
S
0         Y 0         Y
모든 Q, R, S에 대하여 등식이 성립하므로
 [그림 ] [그림 ]
C D , C D, B C D

[그림 ]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연립하여 풀면 B , C , D
   ?G Y
EY
G Y
EY 

∴ BCD ① [그림 ]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ÅG Y
EY
G Y
EY   
19 

AA Y™AEY 

[전략] H Y
QY R라 할 때, 모든 Q, R에 대하여 @!G Y
H Y
EY이

성립한다. < YšA>
 ③

G 
이므로
G Y
BYšA CY™A DY라 하면 O  O  O 
   G Y
EY G Y 
EY \G Y
^EY
O  O O
G Y
BY™A CY D O 

G 
이므로 D  G Y
EY 
O

82 III. 적분

⥎⥐⥅⥓⥫73QVLJ  !࿼ፎ"
21 23
N  G Y 


[전략] 모든 정수 N에 대하여  G Y
EY이므로 MJN YG[ ]과 MJN
[전략] (나)에서 YAZ 의 극한이 존재하므로 각각을
N b Y Y
YAZ

미분계수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U<
G Y
EY!G Y
EYG Y
EYAU<이다.
' Y
G Y
라 하면
(가)에서
' Y
' 

(가)에서 MJN 



G Y
EY!G Y
EYG Y
EY YAZ Y 

∴ ' 
G 
 U❶
?G Y
EYAU  G Y 

(나)에서 MJN YG[ ]과 MJN 의 극한이 존재하므로


YAZb Y YAZ Y
이므로
 
  MJN YG[ ]에서 U라 하면
 G Y
EY G Y
EY
G Y
EY YAZb Y Y
 
YAZb일 때 UAZ이고

G Y
EY !G Y
EY G Y
EY  G U

MJN YG[ ]MJN


YAZb Y UAZ U

?G Y
EY  G Y
EY
G Y
EY G U

 이므로 G 
이고 MJN G 

UAZ U

G Y
EY
A YšAY™A Y
EY  G Y 

또 MJN 에서 G 
이므로
YAZ Y
 G Y 
G 

@< Y›AYšA Y™A>


 G Y 

 MJN MJN G 

YAZ Y YAZ Y
 
  (나)에서
 
 G 
G 
 U❷
∴  G Y
EY 
 G 
, G 
이므로
G Y
Y Y
BY C
라 하면
❶에서  B C
, B C U❸
또 G Y
 Y
BY C
Y BY C
BY Y
이므로
22 ❷에서 C B C U❹
[전략] G Y 
G Y
이므로 ❸, ❹를 연립하여 풀면 B, C
 
U< G Y
EY AG Y
EY 따라서 G Y
Y Y
Y 
이므로
 

G 
 

G Y
EYG Y
EY?G Y
EYAU이다.

G Y 
G 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
ZG Y

G Y
BYšA CY™A DY E라 하면

(가)에서 G 
이므로
     0      Y B CD E U❶
(나)에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이 Z축에 대칭이므로
 G Y 

MJN YG[ ] MJN


@B"AG Y
EY
BG Y
EY YAZb Y YAZ Y
G U
G Y 

 MJN MJN
@B"AG Y
EY에서 
BG Y
EY UAZ U YAZ Y
 G Y
G Y 

MJN

G Y
EYG Y
EY?G Y
EYAU< YAZ Y

이므로
G Y
EY
G Y
EY@ 이므로 G 
, G 

∴ G 
E, G 
B C D E U❷
∴ 
BG Y
EY
G Y
EY  BG Y
EY
G Y
BY™A CY D이므로
 G 
G 
D B C D U❸
  BG Y
EY

❶, ❷, ❸을 연립하여 풀면

이므로  BG Y
EY B, C, D, E

따라서 G Y
YšA Y™AY이므로


따라서 
G Y
EY G Y
EY 이므로 B ①
  G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8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24 26
[전략] ÅG U
EUYG Y
Y›A YšA 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한다. [전략] G Y
Y B라 하고 B의 범위를 나누어 Z]H Y
]의 그래프를 생
각한다.
ÅG U
EUYG Y
Y›A YšA  U❶ G Y
는 Y의 계수가 인 일차함수이므로 G Y
Y B라 하자.

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H Y



A U™AU 
G U
EU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G 
  ∴ G 
 H Y
 Y™AY 
G Y
 Y
™A Y B

❶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B, B, B일 때 Z]H Y


]의 그래프는 그림
G Y
G Y
YG Y
YšA Y™A 과 같다.
∴ G Y
Y™AYY Y

B B B


 Z Z Z
G Y
에서 Y 또는 Y


Y U  U U

G Y
  
0  B Y 0  Y 0 B  Y
G Y
↗ 극대 ↘ 극소 ↗
B 또는 B이면 YB에서 Z]H Y
]는 미분가

G Y
는 Y에서 극댓값을 갖고, Y 에서 극솟값을 갖는다. 능하지 않으므로 Z]H Y
]가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

하면 B이다.
G Y
AG Y
EYA Y™AY
EYYšAY™A $
따라서 H Y
 Y
šA이므로 H 
 ①
G 
이므로 $
따라서 G Y
YšAY™A이므로

극댓값은 G 
, 극솟값은 G[ ]
 27
 
 [전략] 
A\G U
H U
^EU$„, 
A\G U
H U
^EU$m로 놓고,
극댓값 : , 극솟값 : 
 G Y
Y $„, H Y
Y™A $m를 주어진 정적분에 대입한다.


A\G U
H U
^EU$„, 
A\G U
H U
^EU$m라 하면

25 G Y
Y $„, H Y
Y™A $m
[전략] ' Y
를 구하고 ' Y
의 부호 변화를 조사한다. 이때

' Y

G U
EU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
A\G U
H U
^EU

' Y
G Y
YšAY B 
A U™A U $„ $m
EU
' Y
의 극값이 하나이므로 삼차방정식 G Y
은 실근이 하
나이거나 중근과 실근을 갖는다. <UšA U™A $„ $m
U>
 $„ $m
G Y
Y™A Y 
Y
∴ $m
G Y
에서 Y 또는 Y이므로 G Y
는 극댓값과 극솟
$m
A\G U
H U
^EU
값을 갖는다.
따라서 삼차방정식 G Y
이 실근을 하나 갖거나 중근과 실근 
A U™A U $„$m
EU
을 가지려면 그림과 같이 극댓값이  이하이거나 극솟값이  이
상이어야 한다. <UšA U™A $„$m
U>
$„$m
Z ZG Y
Z ZG Y
$m이므로 $„
  따라서 G Y
Y, H Y
Y™A이므로
0 Y
G 
H 
 ②

 0  Y

28
곧, G 
ƒ 또는 G 
y이므로
[전략] 
 YU
™AI U
EU
B ƒ 또는 By
∴ Bƒ 또는 By Y™A
I U
EUY
UI U
EU 
U™AI U
EU

따라서 양수 B의 최솟값은 이다.  와 같이 정리하고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한다.

84 III. 적분

⥎⥐⥅⥓⥫73QVLJ  !࿼ፎ"
H Y
가 이차함수이므로 ❷의 양변에 U을 대입하면
H Y
BY™A CY D라 하면
H 

G Y
EY
A Y™A BY C
EY
G Y
H Y

 YU
™AI U
EU
 
<YšA BY™A CY>
 B C 
 
H Y
Y™A
I U
EUY
UI U
EU
❷의 양변에 U을 대입하면


U™AI U
EU  U❶ H 
ÅG Y
EYÅYEY

❶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A>Å
G 
H 

G Y
 Y
›A Y 
에서 G 
이므로 
이때 H 
H 
 이므로

H 
 ∴ H Y
BY™A CY  U❷
 
또 ❶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B C  U❸
 

G Y
H Y
Y
I U
EU Y™AI Y
❶, ❸을 연립하여 풀면 B, C
Y™AY Y
Z
곧, G Y
< 이므로 ZG Y


UI U
EUY™AI Y
Y™AI Y
Y Yy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H Y
Y
I U
EU
UI U
EU U❸
따라서 H U
가 최소이면 구간 <U, U >
❸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이 구간 [, ]을 포함해야 하므로 0   Y
G 
H 



G Y
 Y
šA Y 
Y
›A  Uƒ이다. 이때
U  U 
 Y
šA Y 
H U
 AG Y
EY  Y™AY
EY
U U
에서 G 
이므로
 U 

H 
 ∴ H Y
BY (∵ ❷) <YšA Y™A> U™A U
 U 
❸에서  
[U ]™A
Y
šA Y 
 
  
BY Y
I U
EU
UI U
EU U❹ 따라서 H U
의 최솟값은 H[ ]
  
❹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30
 Y
™A Y 
Y
šA@
[전략] H Y
는 구간 <Y, Y >에서 G Y
y이면 ZG Y
의 그래프와 Y축
B 
I U
EU YI Y
YI Y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이고, G Y
이면 ZG Y
의 그래프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에  부호가 붙은 값이다.
∴ Y
™A Y 
B 
I U
EU U❺  
ㄱ. @ÅAG U
EU , 
G U
EU 이므로
 
❺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B
Y 
∴ B H Y
 G U
EU의 양변에 Y을 대입하면
Y
❺의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H 
@ÅG U
EU (참)
 Y
Y 
Y
™A@I Y

Z
∴ I Y
 Y
Y
ㄴ. 그림에서 Yƒ이면 색칠한 부
또 H Y
Y™AY 이므로 분의 넓이 4 Y
는 줄어든다. Y Y  Y  
0 U
H 
I 
   그런데 H Y
4 Y
이므로
Y
H Y
는 구간 , 
에서 증가한
다. (거짓) ZG U

29
 
ㄷ.  G U
EU,  AG U
EU,
 
U 
[전략] G Y
y일 때, H U
 G Y
EY는 구간 <U, U >에서 곡선
U
G U
EU, ?G U
EU
ZG Y
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이다.
G Y
가 Y에서 연속이므로 이므로 ƒYƒ에서 방정식 H Y
의 실근은 ,

 B C, B C  U❶ , , 이다.


U  따라서 모든 실근의 합은 이다. (참)
H U
 G Y
EY U❷
U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85

 !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31 
A\G Y
^™AEY
A\G Y
^EY
B   B 
[전략] ƒBƒ이므로  G Y
EY G Y
EY  G Y
EY이다.
B B 
<YG Y
>
G 
U❶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Z
B  ZG Y
(나)에서 Y, Z을 대입하면

같고, H B
 G Y
EY라
B G 
G 

G 

하면  G 
G 

G 
L
H B
"A YY™A
EY 0   Y  ∴ G 
L
 LG 

B 
  Y
EY 따라서 ❶에 대입하면 
A\G Y
^™AEY L ④


  B 
<Y™A YšA>" < Y™AY>
   02
   [전략] G Y
BY YL
B
라 하고 L값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한다.
[ BšAB™A ] B™A
  
(가)에서 G Y
가 Y에서 극대, YL에서 극소이고 최고차항
  
 BšA B™A 의 계수가 양수이므로 L이고 G Y
BY YL
A B

  
∴ H B
B™ABB B
놓을 수 있다.
H B
에서 B 또는 B Œ L일 때
UL인 U에 대하여 YU에 Z Z]GA Y
]
B  U  U 
서 G Y
이므로
H B
  
H B
↘ 극소 ↗ 
UA]G Y
]EY
UG Y
EY

따라서 ƒBƒ일 때 H B
는 B에서 극소이면서 최소이므로 <G Y
>U
0 U L Y
 
H B
의 최솟값은 H 
 G U
G 

 
이고, (나)를 만족시키지 않는다.
 Lƒ일 때
U인 U에 대하여 Z Z]GA Y
]

YL에서 G Y
,
LYU에서 G Y
이므로


UA]G Y
]EY
step 0 L  U Y
최상위 문제 76~77쪽

LG Y
EY ,UG Y
EY
01 ④ 02 ⑤ 03  04 g 05 
<G Y
>L
<G Y
>U,
06 ! 07 풀이 참조 08 
G L
G 
G U
G L

01
G U
G L
G 

G Y I
G Y
이고, (나)에서 G L
이다.
[전략] G Y
 MJN 임을 이용하여 G Y
와 G Y
사이의
IAZ I ㄱ. 에서 ƒYƒL일 때 G Y
ƒ이므로
관계식을 구한다.

LG Y
EY (참)
(가), (나)에서
G Y I
G Y
ㄴ. L이고 Œ, 에서 Lƒ이므로 Lƒ이다. (참)
G Y
MJN
IAZ I ㄷ. (가)에서 G Y
는 YL에서 극소이고 에서 G L
이므
G Y
G I

G Y
로 G Y
의 극솟값은 이다. (참)
 G Y
 G I

 MJN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IAZ
I
G I
@<\G Y
^™A>
03
MJN
IAZ I@\ G Y
 G I
^
G I
G 
\ G Y
^™A [전략] G Y
L일 때와 G Y
Ly일 때로 나누어 ZH Y
의 그래프
MJN < @ >
IAZ I  G Y
G I
를 그린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H Y
를 구한다.
G 
@<\G Y
^™A>\G Y
^™A G Y
]G Y
L]
H Y
 에서
곧, \G Y
^™AG Y
이므로 

86 III. 적분

⥎⥐⥅⥓⥫73QVLJ  !࿼ፎ"
ŒG Y
L, 곧 G Y
L일 때 H Y

L 04

[전략] U값의 범위를 나누어 ZG Y
의 그래프를 그린 다음, G Y
의 최댓값
L 을 구한다.
G Y
Ly, 곧 G Y
yL일 때 H Y
G Y


Y™A YU YU

이므로 ZH Y
의 그래프는 ZG Y
의 그래프를 Z축의 방 G Y
Y™A]YU]에서 G Y
< 이므
Y™AY U YyU

L
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이다. 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ZG Y
ZG Y
U ƒUƒ U
Z Z Z
ZG Y

ZL ZL ZG Y


ZG Y

ZH Y

ZH Y


L L  0 
Z Z U  0 Y  U Y 0  UY
 

[그림 ] [그림 ]
이때 G Y
의 최댓값은
[그림 ]과 같이 곡선 ZG Y
가 직선 ZL와 세 점에서 만나는
U일 때 G 
, ƒUƒ일 때 G U
, U일 때 G 

경우 H Y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이 개이다.
이므로
[그림 ]와 같이 극대점이 직선 ZL의 아래쪽에 있는 경우 H Y

U  U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한 개이지만 이 점의 Y좌표가 이면


H 
H 
일 수 없다.
H U
  U™A< ƒUƒ

U U

따라서 곡선 ZG Y
는 [그림 ]과 ZG Y

 
같이 직선 ZL와 Y에서 만나고 ∴  AH U
EU
U™AEU   U
EU
 

Y에서 접한다. ZL  


< UšA>
<UU™A>
L ZH Y
 
또 ƒYƒ에서 G Y
H Y

    
Z
L  
이므로 (다)에서     
Y Y

AA]G Y
H Y
]EY
05
[그림 ]

L L [전략] Y과 Y에서 H Y


가 연속이고 미분가능한 것을 이용하여

AA EY< Y>
L
 

H Y
EY가 최솟값을 가지는 ZH Y
의 그래프를 구한다.
∴ L
곡선 ZG Y
와 직선 Z의 교점의 Y좌표가 Y과 YA(중 G Y
Y›A BYšA CY™A에서
근)일 때이므로 G Y
YšA BY™A CY
G Y
Y Y
™A, G Y
Y Y
™A  Œ H Y
는 Y에서 연속이므로
Y일 때G Y
L이므로 MJN AH Y
 MJN AH Y
∴ G 
G 
L
YAZ YAZ
L G 
이므로 G 
L, H 
L
H Y
 

H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Yy일 때G Y
yL이므로
H Y
H 

L MJN H 
G 

H Y
G Y
 Y Y
™A  YAZ Y

H Y
H 

∴ H 
H 
   MJN G 

YAZ Y
그런데 G 
이므로 G 
, H 

 H Y
는 Y에서 연속이므로
G Y
YšA BY™A CY D라 하면
H 
 MJN AH Y
G 
LL
YAZ
G Y
Y™A BY C
G 
G 
, G 
이므로 D H Y
는 Y에서 미분가능하므로
H Y
H 

 B C D U❶ H 
 MJN G 

YAZ Y
 B C U❷
Ž 조건 (가)에서 H Y
y이고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Y일 때 H Y
G Y
이므로
함수 G Y
YšAY™A Y 이므로
Y, Y일 때 ZH Y
는 증가하고 같은 꼴이다.
 Y

H Y
< 또 
H Y
EY가 최소이면 Y에서 H Y
는 상수함수
YšAY™A Y  Yy

∴ H 
H 
 이므로 ZH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8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Z G Y
y이므로
ZH Y

L  By ∴ Bƒ

L
G Y
AG Y
EY
0    Y
A BY™ABY
EY
 G Y
에서 YšA의 계수가 이고 G 
G 
이므로
 
G Y
Y Y
YQ
라 하면  BYšA BY™A $
 
Y에서 H Y
G Y
이고 H Y
y이므로 Qy G 
이므로 $

G Y
AG Y
EYAY Y
YQ
EY  
∴ G Y
 BYšA BY™A
 
 Q 
B B B
Y›A YšA QY™A $ 이때 G Y
의 극솟값은 G 
   이고, Bƒ이
   
G 
이므로 $ 므로
 Q 
 B
∴ G Y
Y›A YšA QY™A  ƒ 
  


H Y
EY
G Y
EY  
따라서 G Y
의 극솟값의 최솟값은  이다. 
 
 Q 


A<Y›A YšA QY™A=EY

 Q  Q
07
< YœA Y›A YšA>

  
Q 
  [전략] 
G U
EU는 사차함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그래프를 그린 다음,
 
극대, 극소를 생각한다.
이 값이 최소일 때, 
H Y
EY도 최소이다. Y
I Y
 AG U
EUY›AYšA Y™ALY
Qy이므로 Q이고 

   라 하면 I Y
는 사차함수이므로 ZI Y
의 그래프와 직선

H Y
EY  
   ZD가 다음과 같은 꼴일 때, H Y
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연
  속이고 한 점에서 미분가능하지 않다.
 Q일 때 G 
 ∴ L
 
단, [그림 ]에서는 I Y
은 중근 YC,
  
ÅH Y
EY
H Y
EY L  [그림 ]에서 I Y
은 중근 YB를 갖는다.
  
ZI Y
ZI Y


!H Y
EYL


∴ 
H Y
EY ZD ZD


H Y
EY ÅH Y
EY !H Y
EY YB YC YB YC
[그림 ] [그림 ]
    
 
     ZI Y
ZI Y

06
ZD ZD
[전략] 
U]G Y
]EYG U
U의 양변을 U에 대하여 미분하여 G U

조건을 찾고, G 


G 
임을 이용한다. YB YC YB YC


UA]G Y
]EYG U
U U❶ [그림 ] [그림 ]

ZI Y
ZI Y

❶의 양변에 U을 대입하면


G 
  ∴ G 

❶의 양변을 U에 대하여 미분하면 ZD ZD

]G U
]G U
 ∴ G U
y
YB YC YB YC
(가)에서 G 
, G 
이므로
[그림 ] [그림 ]
 
G Y
BY Y
B[Y ]™A B (단, B)
  G Y
Y™AY  Y
Y
이고

88 III. 적분

 !ጄ73QVLL !࿼ፎ"


Œ[그림 ]인 경우 08
O
I Y
가 극댓값을 가지므로 I Y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린 다음, 그래프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즉, G Y
이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갖는다. 넓이를 정적분으로 나타낸다.

G 
L, G 
L이므로 L Z ZG ™ Y

L는 정수이므로 L
 0 
∴ I Y
Y›AYšA Y™AY   Y

이때 

G Y
YšAY™A Y ZG › Y

Z
 Y
Y™AY 
U❶
이므로 I Y
는 Y에서 극대이다. ∴ C    0   
  Y
DI 
 
I B
이므로 Y›AYšA Y™AY ZG ™AŠ Y

Z
Y
™A Y™AY

   0   
B이므로 B O U U O Y

[그림 ]인 경우
[그림 ]에서 B이고 CB인 경우이므로 ZG Y
, ZG Y
, ZGO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C , D, L O
 AGO Y
EYO
O
Ž[그림 ], [그림 ]인 경우
 O
❶에서 G Y
일 때 Y†이므로  AGO Y
EY AGO Y
EYO
O 
I Y
는 Y†에서 극소이다. O O
O
 AGO Y
EY AGO Y
EY
그런데 I  
I 
이므로 B 또는  O 
C 이면 H Y
는 모든 실수 Y에서 미분가능하다. O  O

곧,  AG U
EU AG U
EU  AG U
EU O이므로
O O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U가 최소인 경우는 UO일 때이다.
[그림 ]인 경우
O

I Y
, 곧 G Y
이 YC에서 중근을 갖는다.  AGO Y
EYƒ O일 때
U 
G C
, G C
이므로 C이다. O O O
 AGO Y
EY AGO Y
EY  AGO Y
EY
G 
이므로 L ∴ L U U O

∴ I Y
Y›AYšA Y™A  
ƒ O O
 
∴ DI 
 U O

I B
이므로 Y›AYšA Y™A 이므로  AGO Y
EY AGO Y
EYy
O U

Y
šA Y 
 ∴ B O
O
이때  AG Y
EY는 한 변의 길이가 OU인 직각이등변
U
[그림 ]인 경우
G B
, G B
이므로 B이다. 삼각형의 넓이이므로
O

G 
이므로 L ∴ L  AGO Y
EY OU
™A
U 
∴ I Y
Y›AYšA Y™AY
 
OU
™Aƒ O이므로
∴ DI 
  
I C
이므로 Y›AYšA Y™AY  OuOƒUƒO uO
Y
šA Y
 ∴ C 곧, 실수 U의 최솟값 H O
OuO
Œ~에서 구하는 L, B, C, D의 쌍은 H O
의 값이 정수이면 uO이 자연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L, B, C, D  이하의 자연수 O은
L, B, C, D O@™A, O@™A, O@™A,
L, B, C , D O@™A, O@™A
L, B, C, D 이다. 따라서 O값의 합은 이다. 

L, B, C, D


L, B, C, D
L, B, C , D
L, B, C, D

06. 부정적분과 정적분 89

 !ጄ73QVLL ! !࿼ፎ"


정답 및 풀이

07. 정적분의 활용 

Y Y 
Y


∴ Y 또는 Y†
step 기본 문제 79~82쪽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01 ③ 02  03 ④ 04 ③ 05 Å  A[ YšAY]EY  A[ YšA Y]EY
 
 

06 ② 07 ④ 08 ③ 09 di 10 ④    
 
< Y›A Y™A> < Y›A Y™A>
     

11  12 ④ 13 ig 14 ⑤ 15    
  ④
16 ③ 17  18 ⑤ 19 ④ 20 ④   
21 ⑤ 22 ② 23  24 ④ 25 ⑤

26 ① 27 ② 28 AN 29  30 ③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가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A[ÅYšA Y]EY@
31 !


01 04
곡선 ZY™A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 Z ZY™AY
곡선 ZY™AY 과 직선 Z의 Z ZY™AY 
는 Y™AY에서 0  Y 교점의 Y좌표는 Y™AY 에서
Y Y
 Y Y
 
∴ Y 또는 Y ∴ Y 또는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0  Y

A\ Y™AY
^EY 
A\ Y™AY 
^EY


A Y™A Y
EY 
A Y™A Y
EY

<YšA Y™A>
 ③  
< YšA Y™A>
 ③
 

02
곡선 ZYšAY™A Y와 Y축의 교 Z ZYšAY™A Y
05
곡선 ZY™A Y와 직선 ZY의 Z ZY
점의 Y좌표는 YšAY™A Y에
교점의 Y좌표는 Y™A YY에서

Y Y

Y Y
Y
 0   Y
∴ Y 또는 Y
∴ Y 또는 Y 또는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0  Y
ZY™A Y

A Y™A YY
EY

A YšAY™A Y
EY ÅA\ YšAY™A Y
^EY 


A Y™A Y
EY

A YšAY™A Y
EY ÅA YšA Y™AY
EY
  
< YšA Y™A>

<Y›AYšA Y™A>
<Y›A YšAY™A>Å   

  
06
03 
두 곡선 ZY™A, Z Y™A과 직선
Z ZY™A Z  Y™



G Y
A Y™A
EY YšAY $
 Y는 그림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
G 
이므로 $ 는
 Z  
따라서 함수 G Y
 Yš A Y이고, Z YšAY
 
[Y™A Y™A]EY
 
0  Y
 
곡선 Z YšAY와 Y축의 교점의 
 Y™AEY
 
 0  Y
 
Y좌표는 YšAY에서 < YšA>
 ②
 

90 III. 적분

⥎⥐⥅⥓⥫73QVLJ! !࿼ፎ"
07 ZY 과 곡선 ZY Y
로 둘러싸인 부분에서 색칠한 부
곡선 ZYšAY™A Y와 직선 Z ZYšAY™A Y 분의 넓이를 두 번 뺀 것과 같으므로
  
ZY의 교점의 Y좌표는 0 Y  \Y Y Y
^EY
A Y™A Y
EY
YšAY™A YY에서 ZY 


Y 
Y
™A   Y™A Y 
EY
A Y™A Y
EY

∴ Y 또는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 YšA Y™A Y> < YšA Y™A>

   

 \ YšAY™A Y
 Y
^EY   
   ④
   

  YšAY™A 
EY
 다음과 같이 계산해 넓이를 구해도 된다.
  
< Y›AYšA Y>@Å ④    \ Y 
Y Y
^EY 
A< Y 
\Y Y
^>EY
  

  ÅA\ Y 
Y Y
^EY
08
두 점 1, 2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11
Z Y
∴ ZY 
 
두 곡선 ZBYšA, Z YšA과 직선 Y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
Z B
곡선 ZY™A과 직선 ZY 의 교점 ZY™A
이는
의 Y좌표는 Y™AY 에서
 
Y 
Y
 
A[BYšA YšA]EY[B ]
YšAEY
B B
∴ Y 또는 Y 
1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B ]< Y›A>
 
 2 B 
 0  Y

A\ Y 
Y™A^EY 
ZY  [B ]
B


A Y™AY 
EY 이때 B가 양수이므로
 
  [B ]y@|ŠB@ 
< YšAY™A Y>
 ③ B B
 

[단, 등호는 B , 곧 B일 때 성립]
B
09 따라서 구하는 넓이의 최솟값은 이다. 
두 곡선 ZY™AY, ZY™AY
Z
ZY™AY 의 교점의 Y좌표는
12
ZY™AY 

Y™AYY™AY 에서
ZY™A 에서 ZY ZY™A  Z ZY
Y 
Y
 
곧, 곡선 위의 점 , 
에서 접선의 
∴ Y 또는 Y
기울기는 ×이므로 접선의 방정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Y
 0    식은

0   Y
 \ Y™AY 
 Z Y

 

 Y™AY
^EY ∴ Z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Y™A Y 
EY
  

A\ Y™A 
 Y
^EY @@
 
   
< YšA Y™A Y> 
    

A Y™AY 
EY

10   
< YšAY™A Y>
  ④
Z Z]Y Y
]   
Z]Y Y
]의 그래프와 직선
ZY 
ZY 의 교점의 Y좌표는
Y™AYY 에서 13
Y 
Y
 ZYšA Y에서 ZY™A 
∴ Y 또는 Y 곧, 곡선 위의 점 , 
에서 접선의 기울기는
 0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직선 ×™A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07. 정적분의 활용 91

!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Z  Y
16
∴ ZY 곡선 ZY™AY와 직선 ZY의 교점의 Y좌표는
ZYšA Y
곡선 ZYšA Y과 직선 ZY Z Y™AYY에서 Z ZY™AY
ZY 
의 교점의 Y좌표는   Y Y

0 Y 0  Y
4m
YšA YY에서 ∴ Y 또는 Y

Y
™A Y 

4„
A YY™A Y
EY
∴ Y 또는 Y Z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A Y™A Y
EY

 \ YšA Y
 Y
^EY   
 < YšA Y™A>

  

  YšAY 
EY 
 4m
A]Y™AY]EY4„
A Y™A Y
EY

  
 
< Y›A Y™A Y>    
     < YšA Y™A>
 
  
 
∴ ]4„4m]\  \ ③
 

14
함수 G Y
YšA YA Yy
의 역함수 Z ZG Y
ZY
17
 곡선 ZY™AY와 직선 ZBY의 Z ZY™AY
가 H Y
이므로 ZG Y
와 ZH Y
" ZBY
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다. 교점의 Y좌표는 Y™AYBY에서
그림에서 "와 # 두 부분의 넓이는 같 Y YB

ZH Y

 ∴ Y 또는 YB 
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
0   Y B 
B  Y
@
A YšA Y
EY    \BY Y™AY
^EY 0


B 
   \ B 
YY™A^EY
< Y›A Y™A>
 ⑤
  

  B 

< B 
Y™A YšA>  B 
šA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이므로
15

 
함수 G Y
YšAY™A Y Yy
Z ZG Y
ZY B 
šA 에서 B 
šA
 
의 역함수가 H Y
이므로 ZG Y
와 ZH Y
이때 B는 실수이므로
ZH Y
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B  ∴ B 
대칭이다.
G Y
Y™AY 
 Y
™Ay 0   Y 18
이므로 ZG Y
, ZH Y
의 그래 곡선 ZY™A Y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는 Y™A Y에서

프는 그림과 같고, 두 곡선의 교점은 곡선 ZG Y


와 직선 ZY Y Y
 ∴ Y 또는 Y

의 교점과 같다. 따라서 곡선 ZY™A Y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G Y
Y에서 YšAY™A YY  

A Y™A Y
EY< YšA Y™A>

 
Y Y
Y

또 곡선 ZY™A Y와 직선 ZNY Z
∴ Y 또는 Y 또는 Y ZNY
의 교점의 Y좌표는 Y™A YN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에서 
0 N Y

A\G Y
Y^EY ÅA\YG Y
^EY Y Y N

∴ Y 또는 YN ZY™A Y
<
A YšAY™A Y
EY ÅA YšA Y™AY
EY= 
따라서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N
 N N
<< Y›AYšA Y™A>
< Y›A YšAY™A>Å=  Y™A YNY
EY< YšA Y™A>
     

   
[ ]   N
šA
   

92 III. 적분

⥎⥐⥅⥓⥫73QVLJ! !࿼ፎ"
이때 N은 실수이므로 22
NšA ∴ NšA ⑤ 시각 U에서 U까지 점 1가 움직인 거리는


A]W U
]EU
A U™A U
EU

19 <ÅUšA U™A>
di ②
두 곡선 ZY›AYšA, ZY›A Y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곡
선 ZY›A Y와 곡선 ZBY Y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의 배이므로 23
U에서 점 1의 운동 방향이 바뀌므로

A\ Y›A Y
 Y›AYšA
^EY
W 
에서 B ∴ B
따라서 U에서 U까지 점 1가 움직인 거리는

A\ Y›A Y
BY Y
^EY

A]W U
]EU
A U
EU !A  U
EU

A Y›A YšA Y
EY
<UU™A>
<U U™A>!

A\Y›A BY™A B
Y^EY
  

A\YšABY™A B
Y^EY

 B B 24
< Y›A YšA Y™A>

   높이가 최고일 때 W U
이므로
  B  U ∴ U
 B  ∴ B ④
   
따라서 물체가 초 동안 올라간 높이는


AW U
EU
A U
EU
20
Z <UU™A>
 N

"AA#AA에서 #" ZY™AY L

포물선 ZY™AY L는 직선 Y 물체의 최고 높이에서 지면까지의 거리는   N


이므
에 대칭이므로 로 물체가 지면에 떨어질 때까지 움직인 거리는
  N


A Y™AY L
EY에서 "

0 # Y

25

  < YšAY™A LY>


U초 후 점 1의 위치를 Y U
라 하면

    L

Y U
 
UW U
EU 
UA UU™A
EU

따라서 L 이므로 L ④

 <U™AUšA>U
UšA U™A 

Y U
이면 UšA U™A 
21 U™A U
 ∴ U 또는 U
Y™A Y L의 두 근을 =, > =>
라 하면 곧, U일 때 좌표가 인 점으로 다시 돌아오므로 움직인 거리
45이므로 는
>  
  Y™A Y L
EY에서 
A]W U
]EU  UU™A
EU   U U™A
EU
  

 
 >
>™A <U™AUšA> <U™A UšA>
< YšA Y™A LY> >[ > L]
    

> 이므로   
 
  
>™A
 > L U❶ 따라서 Q, R이므로 Q R ⑤

G >
이므로
>™A > L U❷ 26
  
 
❶❷를 하면 >™A>, >[> ]  W U
EU @@L @@LL
    
    
∴ > , L ⑤ 초 후 점 1의 위치가 이므로 L ∴ L
    

07. 정적분의 활용 93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따라서 출발한 후 초 동안 점 1가 움직인 거리는 31



 ]W U
]EUL LL ① 시각 U에서 점 1의 위치를 Y„ U
라 하면

Y„ U
 
UW„ U
EU 
U U 
EU

27  <U™A U>U
U™A U 
ㄱ. 
W U
EU이므로 U에서 1의 위치는 이다. (거짓) 시각 U에서 점 2의 위치를 Ym U
라 하면
ㄴ. W U
의 부호가 두 번 바뀌므로 운동 방향을 번 바꾼다. (참) Ym U
 
UWm U
EU 
U U
EU
ㄷ. 
A]W U
]EU
W U
EU !A\W U
^EU
 <U™AU>U
U™AU 
 
  시각 U에서 두 점 1, 2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U에서 U까지 움직인 거리는

이다. (거짓) ]Ym U
Y„ U
]U™AU [U ]™A
  
따라서 옳은 것은 ㄴ이다. ②  
따라서 두 점 사이의 거리의 최솟값은 U 일 때 이다.
 

28 
W U
y이므로 U일 때 열기구의 높이는
  
  W U
EU  UAEU   U
EU
  

 
 <U™A> <UU™A>
  step 실력 문제 83~86쪽
   N
AN
01 ⑤ 02  03 ① 04  05 ④

29 06 Å> 07  08  09 ④ 10 ④
1, 2의 속도가 같아지면 W„ U
Wm U
이므로
11 ⑤ 12 B, 최솟값 :  13 Å 14 ⑤
U™A UU™A U에서 U U
 ∴ U 또는 U
이때 U이므로 U 15 e 16  17 ④ 18 ⑤ 19 

U일 때 점 1의 위치는 20 ④ 21 ⑤ 22 ② 23 AN 24 AN

01


W„ U
EU
A U™A U
EU<UšA U™A>


U일 때 점 2의 위치는 [전략] 곡선 ZG Y
와 직선 ZL의 교점을 찾고, 그래프를 그린다.

   G Y
YšAYY Y 
Y


Wm U
EU
A U™A U
EU< UšA U™A>

   G Y
에서 Y 또는 Y 또는 Y
이때 두 점 사이의 거리는
Y U  U  U  U
  
 G Y
    
  
G Y
↘ 극소 ↗ 극대 ↘ 극소 ↗

30 따라서 G Y
는 Y, Y에서 극소, Y에서 극대이다.
UB일 때 점 1의 위치는 G Y
AG Y
EYY›AY™A $

BW„ U
EU
BA U™A U
EU 극댓값이 L이므로 G 
L에서 $L, G Y
Y›AY™A L
곡선 ZG Y
는 Z축에 대칭이므로
<UšA U™AU>B
BšA B™AB
Y›AY™A LL에서 Y™A Y 
Y

UB일 때 점 2의 위치는 따라서 그래프는 그림과 같으므로 색 Z ZG Y


BWm U
EU
BA U
EU 칠한 부분의 넓이는

L
 A\LG Y
^EY
<U™AU>B
B™AB 


UB일 때 두 점의 위치가 같으므로  A Y™AY›A
EY

BšA B™ABB™AB 
  Y™AY›A
EY   0   Y
B™A B
 ∴ B (∵ B) ③ 

94 III. 적분

!ጄ73QVLL! !࿼ፎ"
    Z]Y™AY]의 그래프와 직선 ZY Z Z]Y™AY] ZY
< YšA YœA>  ⑤
    의 교점의 Y좌표는 Y, Y, Y
이다. " #

02 따라서
[전략] 점 1 Y, Y™A
으로 놓고, "1“™A이 최소가 되는 Y의 값을 구한다. "
A Y™A YY
EY
0    Y

점 1 Y, Y™A
이라 하면
"1“™A Y
™A Y›AY›A Y™AY  
A Y™A Y
EY
G Y
Y›A Y™AY 라 하면   
< YšA Y™A>

G Y
YšA Y   
 Y
Y™A Y 
#A\Y Y™A Y
^EY A\Y Y™AY
^EY
G Y
에서 Y
A Y™AY
EY A Y™A Y
EY
Y U  U
G Y
     
< YšA Y™A> < YšA Y™A> 
   
G Y
↘ 극소 ↗
 
 
따라서 G Y
는 Y에서 극소이고 최 Z ZY™A  
소이다. ∴  "#
 
이때 1 , 
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
이는 
1 05
"
  [전략] 접선의 방정식을 구한 다음, 구간을 나누어 넓이를 구한다.

Y™AEY @@ 0   Y
  Z
접점을 U, U™A
이라 하면 ZY이므로 ZY™A
 
접선의 방정식은

ZU™AU YU

 
03
점 [ , ]를 지나므로

 0  Y
[전략] 그래프를 그리고 영역을 나누어 넓이를 구한다.  
U™AU[ U] 
 
ZY™A과 ZNY에서 Z ZY™A Z N 
Y ZY ZY
U™AU, U 
U

Y™ANY, Y YN
 ZNY
∴ U 또는 U
∴ Y 또는 YN
접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ZY™A과 Z N 
Y에서
ZY, ZY
Y™A N 
Y
0N N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Y YN

Å 
∴ Y 또는 YN   A\Y™A Y
^EY  \Y™A Y
^EY
 Å
따라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Å 
N  N  A Y™A Y 
EY   Y™AY 
EY
 \ N 
YY™A^EY NYY™A
EY  Å
 
   Å
N   N 
N  N
< YšA Y™A Y> < YšAY™A Y>
< Y™A YšA> < Y™A YšA>    Å
     

N 
šA NšA   
    ④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이므로
 Å 
   A Y 
™AEY   Y
™AEY
 Å
N 
šA NšA 
  , N™A N
   Å
<Å Y 
šA> <Å Y
šA>


 Å
N 
N

로 계산해도 된다.
∴ N (∵N) ①

06
04 [전략] 직선 M의 방정식을 ZBY C, 접점의 Y좌표를 =, >라 하면
G Y
 BY C
 Y=
™A Y>
™A
[전략] 그림에서 곡선의 ZY™AY 부분과 ZY™A Y 부분을 나누어 생
각한다. 직선 M을 ZH Y
라 하자.

07. 정적분의 활용 95

!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ZG Y
08
[전략] 직선 12의 방정식을 ZH Y
라 할 때, H Y
Y™A은 B, C로 간단히
ZH Y

나타낼 수 있다.
= Z
> Y 직선 12의 방정식을 ZH Y
라 하면 ZY™A
C™A 2
교점의 Y좌표가 B, C BC
이므로
Y™AH Y
 YB
YC

H Y
BY C라 하고, 직선 ZH Y
와 곡선 ZG Y
의 접점
따라서 직선과 곡선 사이의 넓이는
의 Y좌표를 =, >< =>
라 하면
B™A 1
G Y
의 최고차항이 Y›A이므로 "CA\H Y
Y™A^EY
0 B C Y
Y›AY™AY  BY C
 Y=
™A Y>
™A
"CA\ YB
YC
^EY
YšA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
이때 (우변) Y=
™A Y =
™AY›A=™AY™A =›A  B C
< YšA Y™ABCY>C"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A

=>이므로 =, >  CB
šA

∴ G Y
H Y
Y›AY™A  
조건에서 CB
šA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B, C는 실수이므로 CB
@ÅA\G Y
H Y
^EY@ÅA Y›AY™A 
EY
이때

A Y›AY™A 
EY 12“ā CB
™A C™AB™A
™A
ā CB
™A\ C B
™A^
 
< YœA YšA Y>

  }x B 
™A
  āB™A B 

 
이므로
12“ āB™A B 
MJN  MJN × 
B B
07
BAZb BAZb

[전략] "CAG Y
EY #DAG Y
EY"DAG Y
EY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CA YB
YC
EYÅ CB
šA
간단히 한다.
을 이용하여 넓이를 구할 수도 있다.
G Y
는 Y™A의 계수가 이고 G 
인 이차함수이므로
G Y
 Y=
Y
으로 놓을 수 있다.
 
 AG Y
EY AG Y
EY에서
09
 

 

G Y
EY  AG Y
EY AG Y
EY [전략] 역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다. 따라서 곡선 ZG Y

 
직선 ZY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이용한다.
∴ 
G Y
EY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고, Y,
그런데 Y인 점에서 만나므로 교점의 좌표는 , 
, , 
이다.

G Y
EY
A Y=
Y
EY ZG Y
가 이 두 점을 지나므로
 
B C, B C ∴ B , C

A\Y™A = 
Y =^EY  
 
 =  = G Y
 Y™A 이고,
< YšA Y™A =Y>
  
  
이므로 "
A\G Y
Y^EY, #ÅA\YG Y
^EY이므로
= ∴ =
"#

 
A\G Y
Y^E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Å Y
Y
EYÅ Y™AY 
EY 
AA[ Y™AY ]EY
 
    
< YšAY™A Y>Å  < YšA Y™A Y>
 ④
    
 

  ", #의 값을 각각 구해 계산해도 된다.

96 III. 적분

⥎⥐⥅⥓⥫73QVLJ! !࿼ፎ"
10  
4 B
 BšA B B B™A

 
[전략] ZG Y
, ZY, ZY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이용한다.
B에서 4 B
의 해는 B
G Y
Y™A Y  Z
ZY 따라서 4 B
는 B일 때 극소이고, 최소이다.
 Y 
™A   ZY 
ZG Y
이때 최솟값은 4 
이다. B, 최솟값 : 
이므로 G Y
는 증가한다.
또 G Y
Y Y 
šA이고,
 13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0 Y
ZH Y
 [전략] 직선 "#의 방정식을 구하고 4„ 또는 4m의 값은 정적분으로 구한다.
직선 ZY에 대칭이다. 
또 4„ 4m의 값은 삼각형 0"#의 넓이임을 이용한다.
곡선 ZG Y
와 직선 ZY 은

점 , 
에서 만난다. 직선 "#의 방정식은 Z Y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직선 "#와 곡선 ZBY™A의 교점의 Y좌표를 Q라 하면

 

 \G Y
Y^EY @@  Y 
šAEY   Q BQ™A …❶
   
 
이때
< Y 
›A> 
 

 ④   4„
QA<[ Y ]BY™A=EY

 
< Y™A Y BYšA>Q
 
 
11  
 Q™A Q BQšA U❷
[전략] 넓이를 B로 나타낸 다음, B에 대한 다항식이면 미분을,  
B에 대한 분수식이면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생각한다. 
한편 4„ 4m @@이고 4„AA4mAA이므로
그림에서 " #4 B
라 하면 Z ZY™ABY 
4 B
 
4„@ 
 

BA Y™ABY
EY "   
# ❷와 비교하면  Q™A Q BQšA
0 B  Y   
"A Y™ABY
EY    
❶을 대입하면  Q™A Q Q[ Q ]
   
 B  B
< YšA Y™A>B
< YšA Y™A>"  
     Q™A Q , Q
Q

 
BšA B 
  
   Q이므로 Q


4 B
B™A 이므로 B에서 4 B
의 해는    
 이것을 ❶에 대입하면   B ∴ B
   

B

 14
따라서 4 B
는 B 일 때 극소이고 최소이다. ⑤
 [전략] 평행이동한 꼴이므로 곡선 ZG Y
와 ZH Y
의 교점을 지나고 Z축
에 평행한 직선에 두 곡선이 대칭임을 이용한다.

12
H Y
 Y
Y
이므로
G Y
H Y
에서
[전략] 넓이를 B로 나타낸 다음, B에 대한 다항식이면 미분을,
B에 대한 분수식이면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생각한다.
Y Y
 Y
Y

∴ Y
두 도형의 넓이의 합을 4 B
라 하면
두 곡선 ZG Y
와 ZH Y
는 직선 Z
4 B
ZG Y
ZH Y

Y에 대칭이다.
 B  Y
@B!A Y™A
YB
EY  따라서
Z Y™A
YB

4„ 4m 4f
"A Y™A
YB
EY  4„
G Y
EY!H Y
EY 
0     Y
 B 
A Y™A Y
EY Y
< Y›A YšAY™A BY>B@! 
 
 B !A Y™A Y
EY 
< Y›A YšAY™A BY>"
 
  
   B›A B™A  < YšA Y™A>
< YšA Y™AY>! 
  

07. 정적분의 활용 97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ZNYN, N Y
 Z 

 
  이므로 N의 값에 관계없이 등식이 성립하려면 Y, Z
  이다.
4m!H Y
EY@ 
 
따라서 % , 
이고 삼각형 0%$의 넓이는

4f4„ 
 @@ 

z
4m 
∴   ⑤
4„ 4f 
17
ii ii

[전략] G Y
EYA\G Y
^EY
G Y
EY @
오른쪽 그림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가 Z
ZG Y
ZH Y

같으므로 임을 이용한다.

  4„ÅG Y
EY H Y
G Y
라 하면 ZH Y
의 그래프는 ZG Y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4m
G Y
EY
0      Y 것이다.
로 구할 수도 있다.
∴ G Y
EYA\G Y
^EY

15 
G Y
EY @
[전략] 등차수열이므로 4m4„ 4f이다.
또 정사각형의 넓이이므로 4„ 4m 4f이다. (나)에서
따라서 4„, 4m, 4f 중 하나만 정적분으로 구한다.
  
G Y
EY
G Y
EY G Y
EY
  4„ 4m 4f, 4m4„ 4f U❶
이므로
  
  4„
 Y™AEY< YšA>
 U❷
     
G Y
EY 
G Y
EY 
 
❶, ❷에서 4m , 4f
  ∴ 
G Y
EY, G Y
EY
곡선 ZBY™A과 직선 Z에서 BY™A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Y일 때 Y 이므로
B   ?G Y
EY?A\G Y
^EY
 
B B B
4f BY™A
EY<Y YšA> G Y
EY @
  

     ④
  
B B B
  
18
4f 이므로 B ∴ B
  
[전략] 속도가 H U
일 때, U에서 U까지 움직인 거리는

16 
]H U
]EU이다.
[전략] 넓이가 같은 부분이 있으면 정적분이 이 되는 꼴이 있는지 찾아본다.
ㄱ. AG U
U U
이므로 1는 U에서 운동 방향을 한 번 바
직선 M의 방정식을 ZNY O이라 Z G Y
YšAY™
꾼다. (참)
하자. 0 $
ㄴ. 시각 U에서 1, 2의 가속도는 각각
Y
사다리꼴 0"#$의 넓이가 곡선 G U
U, H U
U 이다.
ZG Y
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
QG 
, RH 
이므로 QR이다. (참)
넓이와 같으므로 그림에서 색칠한 부 #
ㄷ. H U
U U
이므로 U에서 U까지 2가 움직인
ZNY O
분의 넓이와 빗금친 부분의 넓이는 같 거리는
다.
 
A]H U
]EU
H U
EU !A\H U
^EU

A YšAY™ANYO
EY

A U™A U
EU!A U™A U
EU
 N
< Y›AYšA Y™AOY>

 
<UšA U™A>
<UšA U™A>!  
NO
∴ ON   (참)
이때 M은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98 III. 적분

⥎⥐⥅⥓⥫73QVLJ! !࿼ፎ"
19 21
[전략] "의 출발점을 원점이라 하면 Y분 후 [전략] G U
y, H U
y이므로 시각 U에서 ", #의 높이는 각각

"의 위치는 
BAEU 
UAG U
EU, 
UAH U
EU이다.

#의 위치는  
A U™AU
EU이다.
ㄱ. 
BAG U
EU
BAH U
EU이므로 UB에서 "는 #보다 높은
"의 출발점을 원점, #의 출발점을 이라 하면 Y분 후 위치에 있다. (참)
"의 위치는 
ABAEUBY ㄴ. G U
y, H U
y이므로 ", #의 높이는 계속 높아진다.
UC일 때 G U
H U
, CUD일 때 G U
H U
이므
#의 위치는  
A U™AU
EU YšAY™A 로 UC일 때 "가 #보다 빨리 올라가고, CUD일 때
"와 #가 적어도 한 번 만나므로 Y에서 방정식 #가 "보다 빨리 올라간다.
BYYšAY™A 의 해가 적어도 하나 있다. 따라서 UC일 때, "와 #의 높이의 차가 최대이다. (참)
곧, G Y
YšAY™A , H Y
BY라 하면 곡선 ZG Y
와 ㄷ. 
DAG U
EU
DAH U
EU이므로 시각 UD에서 ", #는 같은
직선 ZH Y
가 Y에서 적어도 한 번 만난다.
Z 높이에 도달한다. (참)
G Y
Y™AY이므로 그래프는 그 ZG Y

ZH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림과 같고, 직선 ZH Y
가 곡선의 

접선일 때 B가 최소이다.
접점의 Y좌표를 Q라 하면 접선의 방정
식은 22
0 Y
ZQšA Q™A [전략] 수도관의 단면의 넓이를 4라 하면 Y초 동안 흘러나온 물의 양은
 Q™AQ
YQ
4@
AW U
EU이다.
이 직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물이 멈추는 순간 W U
이므로 U
QšA Q™A Q™AQ
Q

수도관의 단면의 넓이는 L@™AL DN™A


이므로 초 동안 흘러
QšAQ™A, Q
Q™A Q 

나온 물의 양은
Q이므로 Q
B의 최솟값은 접선의 기울기이므로 L@
W U
EUL
A UU™A
EU
BG 
  
L<U™A UšA>
L DNšA



23
20
[전략] 가속도를 적분하면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전략] 구간 <, B>, <B, C>, <C, D>, <D, E>에서 곡선과 Y축으로 둘러싸인 부
ƒUƒ, ƒUƒ, ƒU일 때로 나누어 속도를 구하고 엘리베이터
분의 넓이를 4„, 4m, 4f, 4e라 하고, 정적분을 이 값으로 나타낸다.
가 멈추는 시각을 구한다.
그림과 같이 각각의 넓이를 W U

U초 후 엘리베이터의 속도를 W U
ANT라 하자.
4„, 4m, 4f, 4e라 하자.
초에서 초까지 속도는 ANT이므로 Uy일 때, 속도는
  
BA]W U
]EU"EA]W U
]EU 4„ 4e U
W U
   
EU
C 
이므로 0 B DE U
4f U 
  4„4m 4f 4e U❶ 4m
따라서 W U
, 곧 U일 때 엘리베이터가 멈춘다.
ㄱ. 4„>4m 4f이므로 1는
U ƒUƒ

원점을 다시 지나지 않는다. (거짓)


∴ W U
  <  ƒUƒ

ㄴ. 
DW U
EU4„4m4f, $EW U
EU4e U  ƒUƒ

따라서 W U
의 그래프는 그림과 W U

이므로 ❶에서 
DW U
EU$EW U
EU (참)
같으므로 엘리베이터가 움직인 거 

리는
ㄷ. 
CW U
EU4„4m, #EA]W U
]EU4f 4e

 W U
EU 0    U

이므로 ❶에서 
CW U
EU#EA]W U
]EU (참)

 @  
@ N
AN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07. 정적분의 활용 99

⥎⥐⥅⥓⥫73QVLJ!! !࿼ፎ"
정답 및 풀이

24 따라서 그림에서 4m의 넓이는


 
[전략] "가 #를 추월할 때의 시각을 구한다.  
  4m Y™A 
EY< YšA Y> 
 Å  Å
"의 속도는 ALNI이므로  NT
이다.
  
 
"가 1 지점에서 제동장치를 작동하여 ANT™A의 가속도로 운  
행할 때, U초 후 "의 속도는 U이므로 초 동안 달린 거리는 4„이므로 구하는 넓이는
  

A U
EU<U U™A>
 N
  4„ 4m
  
따라서 초 후 "는 #의 AN 뒤에 있고, "의 속도는 이다.
이때부터 #는 ANT™A의 가속도로, "는 ANT™A의 가속도로 움
직이므로 "가 #를 U초 후 추월한다고 하면

02

UUAEU 
UUAEU, <U™A>U
 <U™A>U

U™A ∴ Uu (초) [전략] 직선의 방정식이 ZN Y


이므로 Y™AN Y
의 해를
이때 "가 달린 거리는 @ u
™A N
=, >라 하면 4 N
¬• NYN Y™A
EY임을 이용한다.
따라서 "가 #를 추월하는 지점까지 달린 거리는
점 , 
를 지나고 기울기가 N인 직선의 방정식은
  N
AN
ZN Y

곡선 ZY™A과 직선 Z ZY™A

ZN Y
가 만나는 점
ZN Y

의 Y좌표를 =, >< =>
라 하  A

면 =, >는 방정식
Y™AN Y
, 곧
step = 0 > Y
최상위 문제 87쪽 Y™ANY N의 근이다.
이때 Y™ANY N Y=
Y>
이고, 근과 계수의 관
01 02  03 ! 04 z

 계에서 = >N, =>N
곡선 ZY™A과 직선 ZN Y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
01
4 N

[전략] 직선 &(, )'가 Y축, Z축이고
  4 N

세 점 #, ), $를 지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식을 구한 다음,


제사분면에서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생각한다. ¬• NYN Y™A
EY
직선 &(, )'가 Y축, Z축인 좌표평면을 생각한다.
Z
  ¬•\Y™A = >
Y =>^EY
ZY™A 
" )
%  = >
    < YšA Y™A =>Y>•¬

%  
 
 = >
4„ 4m   < >šA=šA
 >™A=™A
=> >=
=
& (  
 0   Y
 
  >=
šA
 

$
이때
#  '
>=
™A = >
™A=> 
세 점 #, ), $를 지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식을 ZBY™A  N™A N

이라 하면 이 그래프가 점 $ , 
을 지나므로  N
™A 
B  ∴ B ∴ ZY™A  이므로
그림에서 점 %은 ZY™A 의 그래프와 직선 ZY의 교점 
  4 N
 \ā N
™A ^šA
이므로 
Y™A Y, Y™A Y, Y
Y 
  
따라서 N일 때 4 N
의 최솟값은 이다.
 
  
Y이므로 Y ∴ %[ , ] ZG Y

  
G Y
B Y=
Y>
일 때
ZY™A 의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의 Y좌표는
B
  ¥G Y
EY >=
šA
  = > Y
Y™A  ∴ Y†
 임을 이용하면 보다 간단히 계산할 수 있다.

100 III. 적분

⥎⥐⥅⥓⥫73QVLJ !࿼ፎ"
03 Œ Yƒ일 때,
[전략] 구간 <U, U >에서 G Y
의 극값을 포함하는 경우, 증가하는 경우, G„ Y
의 최댓값은 , Gf Y
의 최솟값은 이므로
감소하는 경우로 나누어 H U
의 값을 구한다. 
G Y
G„ Y
 @Y@YY™A
Yy일 때, U U  Z U U  ZG Y

G Y
G Y
Y™AY  ƒY일 때,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G„ Y
의 최솟값은 , Gf Y
의 최댓값은 ,

 0  Y Gm Y
는 감소하는 함수이고, G 
이므로
원점에 대칭이고, 그림과 같다.
   
U 일 때, H U
G U
G Y
Gf Y
 \ Y 
^™A Y™A Y
   

 Œ, 에서
 ƒU일 때, H U
G U 

 Y™A Yƒ

ƒUƒ일 때, Z ZH U
G Y
<  
ZG U
 Y™A Y ƒY

H U
G 
  

Uy일 때, H U
G U

    
 0  U ∴ 
G Y
EY
Y™AAEY ÅA[ Y™A Y ]EY


 
따라서 ZH U
의 그래프는 그
    
림의 파란 곡선이다. < YšA>
< YšA Y™A Y>Å 
   
    
 ƒY일 때,  
    
G Y
G Y 

 Y™AY
\ Y 
™A Y 
^
Y 
ƒY일 때,
G Y
G Y 
 Y™AY
\ Y 
™A Y 
^
Y™AY 
이므로 두 곡선 ZG Y
, ZH Y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G Y
G Y 
^EY  \ G Y
 
^EY
 

 
  Y 
EY  Y™AY 
EY
 


 Y™AY 
EY



 
 
<Y™A Y> < YšAY™A Y> < YšAY™A Y>
    

    
 
    

04
[전략] W U
의 그래프를 그리고 넓이를 이용하여 움직인 거리 개를 비교한다.

W U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ΠW U
 W U

 

 
 

0    U 0    U
Y Y  Y Y 

시각 U에서 UY까지 움직인 거리를 G„ Y


,
시각 UY에서 UY 까지 움직인 거리를 Gm Y
,
시각 UY 에서 U까지 움직인 거리를 Gf Y
라 하자.
G„ Y
, Gm Y
, Gf Y
는 각각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 색칠한 부분,
점 찍은 부분의 넓이이다.

07. 정적분의 활용 101

⥎⥐⥅⥓⥫73QVLJ !࿼ፎ"
⥎⥐⥅⥓⥫73QVLJ !࿼ፎ"
⥎⥐⥅⥓⥫73QVLJ !࿼ፎ"
⥎⥐⥅⥓⥫73QVLJ !࿼ፎ"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