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8

b l a c k l a b e l

A n s w e r

정답과 해설
A등급을 위한 명품 수학
Speed Check
Ⅰ 실수와 그 계산
01. 제곱근과 실수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9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10~13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14~15 미리보는 학력평가 p.16

01 ① 02 -a+2c 03 29 01 ①, ③ 02 ② 03 '8 04 ① 05 ③ 06 ② 07 ③ 01 ⑴ a=12, b=8 ⑵ 18 02 17 1③ 2①


1 1 08 3 09 15 10 27 11 21 12 7 14 6 03 ⑴ 풀이 참조 ⑵ -1+'2>3-'¶10 3 78
04 aÛ`, a, 'a, ¾ , 13 ③ 4②
a a 5
15 ⑤ 16 ④ 17 ② 18 ② 19 6 20 ① 21 11 04 05 3 06 124
05 ① 06 ⑤ 07 ③ 08 ④ 72
22 ③ 23 110 24 7
07 6+'6+'2 08 7

0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18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19~21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22~23 미리보는 학력평가 p.24

01 ④ 02 ⑤ 03
7
04 4'5 05 ⑤ 01 ④ 02 ① 03 12 04 ② 05 '3 06 ② 07 1 01 ⑴ 3 ⑵ 91 02 c<b<2a 1① 2②
2
08 ④ 09 -1 10 -6 11 ② 12 ① 13 '2 03 ⑴ 풀이 참조, 4+2'2 ⑵ 16+6'2 3② 4 180
15
06 07 ① 08 2'3 8-'6 04 12 05 6'2+10'3 06 6'2
2 14 '2 15 ① 16 4'3 17 ② 18
4
07 5'3 08 4-2'3

ⅠⅠ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3. 다항식의 곱셈과 곱셈 공식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27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28~31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32~33 미리보는 학력평가 p.34

01 ⑤ 02 ① 03 ② 04 3 05 ④ 01 ④ 02 32 03 ② 04 ③ 05 ① 06 6xÛ`-15x-9 01 ⑴ aÛ`+bÛ`=17, xÛ`+yÛ`=10 ⑵ 91 1 16 2 16자리


06 2 07 ① 08 ① 07 ② 08 12 09 ③ 10 32 11 ④ 12 ① 13 ③ 02 17 3② 4⑤
5 03 ‌⑴ aÛ`-5a+4 ⑵ 21a+39
14 9 15 9 16 ② 17 18 ③ 19 7 20 0
2
⑶ 12aÛ`-192
4+'2
21 ④ 22 12aÛ`+102a+16 23 24 100 04 120 05 18 06 2 07 16
7
08 58

04. 인수분해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36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37~40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41~42 미리보는 학력평가 p.43

01 ⑤ 02 ① 03 176 04 14 05 ③ 01 ① 02 ③ 03 3 04 ④ 05 ⑤ 06(x+5)(x-6) 01 ⑴ c=a(a+5) ⑵ 14 1④ 2⑤


06 161 07 ② 08 ④ 07 (x+1)(2x-3) 08 ④ 09 13 10 990 11 2 02 ⑴ (5x+2)(3x-4) ⑵ 16x-4 3② 4 298
12 ③ 13 2a-2b 14 ⑤ 15 8 16 6 17 ④ 03 ⑴ (a+b+c)(b+c+d) ⑵ 182
2 04 162 05 63 06 780p`cmÜ``
18 464 19 40 20 '3 21 ① 22 23 -20'2
3 p
07 a(2b-a) 08 50
24 ④ 25 ⑤ 26 ③ 4
ⅠⅠⅠ 이차방정식
05. 이차방정식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p.47~48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49~53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54~55 미리보는 학력평가 p.56

01 ② 02 ⑤ 03 3 04 -6 05 ④ 01 ⑤ 02 ① 03 ④ 04 ③ 05 x=-5 06 2017 3 1 16 2④
01 ⑴ 6초 후 ⑵ 10초 02 -
2
06 4 07 24 08 ④ 09 ③ 10 ③ 07 16 08 ③ 09 ① 10 37 11 ③ 3③ 4 144
1 1 1 03 ⑴ x=-1 ⑵ x=1 ⑶ 근이 없다.
11 ① 12 ⑤ 13 13명 14 40 15 ② 12 a< 또는 <a<4 13 ② 14 ① 15 16 ②
2 2 12 04 12 05 3초 06 62 07 -1
16 3
17 8 18 14 19 2 20 ④ 21 8명 22 12살 23 ② 08 30
24 20 25 ④ 26 80분 후 27 169 28 19 29 16`cm
30 14`cm 31 ⑤

06. 근의 공식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58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59~61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62~63 미리보는 학력평가 p.64

01 ② 02 ① 03 3 04 ② 16'3 01 ‌⑴ x=-a 또는 x=3a-1 1③ 2 210


01 ① 02 ① 03 27 04
"ÃbÛ`-4ac 3 3-'¶10 3② 4 24
05 06 ③, ⑤ 07 kÉ4 ⑵ <a<-2+'¶10
b 1 3
05 x=3 또는 x=- 06 ④ 07 17 08 27
3
02 -1000
3Ñ'¶30 1Ñ'¶17
09 x= 10 ② 11 x= 12 ③ 13 ③ -1+'5
3 4 03 ⑴ 1 ⑵ xÛ`+x-1=0 ⑶
2
1
14 18 15 ③ 16 ⑤ 17 ④ 18 ⑤ 19 - 7+3'5
2 04 13 05 6 06
2
1+'5
07 ,2 08 2+'6
2

ⅠV 이차함수
07. 이차함수와 그래프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67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68~70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71~72 미리보는 학력평가 p.73

01 ①, ④ 02 ⑤ 03 ② 04 ④ 01 ③ 02 -3 03 11 04 13 05 ② 06 ⑤ 07 ② 3 1③ 2 101
01 ⑴ 포물선 ⑵ 12 02
1 2
05 -6, 6 06 ㄷ, ㄹ 08 ③ 09 ③ 10 (6, 9) 11 ④ 12 ④ 13 14 ④ 3④ 4 36
3 1
07 ①, ④ 03 ⑴ y= xÛ` ⑵ 72.4`m 04 (2, 2)
1 128
2 8 2 4 15 16 18 17 -1 18 33
08 A{- , }, B{- , - } 4
05 -1 06
8
07
1
08
81
3 9 3 9 81 2 512

08.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Step 1 /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p.76~77 Step 2 / A등급을 위한 문제 pp.78~82 Step 3 /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83~84 미리보는 학력평가 p.85

01 2 02 ⑤ 03 11 04 ⑤ 05 ① 01 -1 02 ① 03 ③ 04 -2, 3 05 ④ 06 ① 01 44 02 ⑴ 2pÛ`-12p+32 ⑵ 4'2 1 16 2 16


06 ‌꼭짓점의 좌표 : (1, 12), 07 3 08 2 09 ④ 10 ② 11 -3 12 ③ 13 4 1 3② 4①
03
16
축의 방정식 : x=1 14 27 15 ① 16 0 17 ④ 18 (-2, 4)
33
09 6 1 9 04 ‌⑴ C(-4, 5), Q{-3, }
07 ③ 08 ① 10 ① 11 ④ 19 {- , } 20 ④ 21 ① 22 3 23 6 8
2 2
12 ④ 13 ② 1
24 (2, -3) 25 ③ 26 ① 27 3 ⑵ y= xÛ`+3 ⑶ 6
8
4
05 12 06 60 07 ÉaÉ4
9
08 p=3, q=-3
A n s w e r

I
즉, 구하는 자연수 n의 값은
78-3Û`
k=3일 때, n= = 23
3
실수와 그 계산 78-6Û`
k=6일 때, n= =14
3
∴ ㈎ : 3, ㈏ : 3, ㈐ : 23
따라서 ㈎, ㈏, ㈐에 들어갈 수의 합은
01 제곱근과 실수 3+3+23=29 답 29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 9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04 aÛ`, a, 'a, ®;a!;, ;a!;


kÛ` 이 3의 배수이면 k가 3의 배수인 이유
01 ① 02 -a+2c 03 29
자연수 kÛ`이 3의 배수이면 kÛ`=3m (m은 자연수)이라 할 수 있다.
05 ① 06 ⑤ 07 ③ 08 ④
이때, kÛ`은 제곱수이므로 m은 3과 제곱수의 곱으로 이루어진 수이어야 한다. 즉,
   kÛ`=3m=3_3nÛ`=(3n)Û` (단, n은 자연수)
따라서 자연수 k는 3n이므로 3의 배수이다.

01
(-5)Û`=25의 양의 제곱근은 5이므로
A=5
'¶49=7의 음의 제곱근이 B이므로
04
BÛ`=7
0<a<1이므로 a<1의 양변에 양수 a를 곱하면
∴ A-BÛ`=5-7=-2 답①
aÛ`<a yy㉠
또한, 양수 aÛ`, a에 대하여 aÛ`<a<1이므로
"aÛ`<'a<'1   ∴ a<'a<1 yy㉡
1 1
한편, a<'a<1에서 1<¾ < yy㉢
a a
02 1 1 1 1
㉠, ㉡, ㉢에서 aÛ`<a<'a<¾ <  답 aÛ`, a, 'a, ¾ `,
a<c에서 a-c<0 a a a a

a<b에서 a-b<0
blacklabel 특강 참고
a-b<0, (a-b)c<0이므로 c>0
0<a<1인 모든 a에 대하여 주어진 각 값을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또한, c<b에서 b>0, c-b<0 출제되는 문제이므로 해당 범위의 특정한 값을 대입하여 대소 관계를 파악할 수도
따라서 a-c<0, b>0, c-b<0이므로 있다. 이때, 주어진 각 값에 근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특정한 값을 제곱수로 선택하

"Ã(a-c)Û`+"ÅbÛ`-"Ã(c-b)Û`=-(a-c)+b-{-(c-b)}
면 계산이 편리하다.

예를 들어, a=;4!; 을 대입하면


=-a+c+b+c-b 
;a!;=4, 'a=®;4!;=;2!;, ®;a!;='4=2, aÛ`={;4!;}Û`=;1Á6;
=-a+2c 답 -a+2c
따라서 ;1Á6;<;4!;<;2!;<2<4이므로 aÛ`<a<'a<®;a!;<;a!;임을 알 수 있다.

03
자연수 k에 대하여 'Ä78-3n=k라 하면
05
ㄱ. ‌무리수는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로 나타나는 수이다.
78-kÛ`
78-3n=kÛ`이므로 n= 이다.
3 ㄴ. ‌실수는 유리수와 무리수로 이루어져 있다. 즉, 유리수가 아
이때, n은 자연수이므로 78-kÛ`은 3의 배수이다. 닌 실수는 모두 무리수이다.
그런데 78이 3의 배수이므로 kÛ`도 3의 배수이다. ㄷ. ‌'4=2, '9=3 등과 같이 근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 중에는
따라서 k는 3 의 배수이다. 유리수도 있다.
또한, 78-kÛ`>0에서 kÛ`<78을 만족시키는 3의 배수 k는 ㄹ. ‌수직선은 유리수와 무리수를 나타내는 점들 전체로 완전히
k= 3 또는 k=6 메울 수 있다.

00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9~10

ㅁ. ‌원주율 p=3.14y는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로 나타나는


08
'9<'¶10<'¶16에서 3<'¶10<4
수이므로 무리수이고, 무리수는 수직선 위의 점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4<-'¶10<-3이므로 -2<2-'¶10<-1
또한, '¶16<'¶20<'¶25에서 4<'¶20<5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①

blacklabel 특강 참고 3<-1+'¶20<4
따라서 두 수 2-'¶10과 -1+'¶20 사이에 있는 정수는 -1, 0,
원주율 p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기
1, 2, 3이므로 구하는 합은
다음 그림과 같이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이 수직선 위에서 원점에 접하게 두고 그
점을 A라 하자. 이 원을 수직선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한 바퀴 굴려 점 A가 다시 수
(-1)+0+1+2+3=5 답④
직선에 접하는 점을 A'이라 할 때, 점 A'에 대응하는 수가 원주율 p이다.

A A'
0 π
(원의 둘레의 길이)=2p_;2!;=p

06
a+b
① ‌a='2, b=-'2이면 =0으로 유리수이다.
2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10 ~ 13
② ‌a=b='2이면 a-b=0으로 유리수이다.
01 ①, ③ 02 ② 03 '8 04 ① 05 ③
③ ‌a='2, b='2이면 ab=('2)Û`=2로 유리수이다.
06 ② 07 ③ 08 3 09 15 10 27
④ a='2이면 aÛ`=2로 유리수이다. 11 21 12 7 13 ③ 14 6 15 ⑤
⑤ ‌순환소수가 아닌 무한소수를 2배하여도 순환소수가 아닌 무 16 ④ 17 ② 18 ② 19 6 20 ①

한소수이므로 2b는 무리수이다. 21 11 22 ③ 23 110 24 7

따라서 항상 무리수인 것은 ⑤이다. 답⑤

01
① 제곱근 49는 '4Œ9이므로 '4Œ9=7이다.
② (-2)Û`=4의 제곱근은 Ñ2이다.
③ '8Œ1=9의 제곱근은 Ñ3이다.
07 ④ ‌양의 정수의 제곱근은 2개, 0의 제곱근은 1개, 음의 정수의
1 제곱근은 없다.
① ABCD=3Û`-4_{ _2_1}=5
2
⑤ ‌'2Œ5=5의 양의 제곱근은 '5이다.
1
② EFGH=4Û`-4_{ _3_1}=10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③이다. 답 ①, ③
2
③ ‌EFGH=10이므로 EHÓ=EPÓ='1Œ0 
즉, 점 P는 점 E(2)보다 '1Œ0만큼 왼쪽에 있으므로 점 P의
좌표는 2-'1Œ0이다.
④ ‌ABCD=5이므로 ABÓ=AQÓ='5 
즉, 점 Q는 점 A(-2)보다 '5만큼 오른쪽에 있으므로 점 Q
02
의 좌표는 -2+'5이다. A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에서 BCÓ에 내
⑤ ‌EFGH=10이므로 EFÓ=ERÓ='1Œ0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자. 5
즉, 점 R는 점 E(2)보다 '1Œ0만큼 오른쪽에 있으므로 점 R
△ABC의 넓이가 14이므로 B C
의 좌표는 2+'1Œ0이다. H
1 7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③이다.  답③
_7_AHÓ=14   ∴ AHÓ=4
2

Ⅰ. 실수와 그 계산 005
A n s w e r

△AH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직사각형 AGHB에서 도형의 길이가 '2+'5인 경우는 다음
HCÓ="Ã5Û`-4Û`='9=3이므로 그림과 같이 4가지이다.
BHÓ=BCÓ-HCÓ=7-3=4 A B A B A B A B

따라서 △ABH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ABÓ="Ã4Û`+4Û`='3Œ2 답②
G H G H G H G H

이때, 한 변의 길이가 1, 다른 한 변의 길이가 2인 직사각형


은 직사각형 AGHB, 직사각형 BHIC, 직사각형 ADFC,
직사각형 DGIF의 4개가 존재한다.
03 한 직사각형에 대하여 도형의 길이가 '2+'5인 경우가 4가
R1의 넓이는 32_32=2Þ`_2Þ`=210이므로 지씩 존재하므로 이 경우에 만들 수 있는 도형의 개수는
210 4_4=16
R2의 넓이는 =29
2
Û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에서 도형의 길이가 '2+'5인
29
R3의 넓이는 =28 경우
2
도형이 정사각형의 한 변의 중점에서 꺾인 모양으로 그려져
y

R8의 넓이는 23=8 야 하고, 점 B에서 꺾인 모양으로 그려지는 경우는 다음 그


따라서 정사각형 R8의 넓이가 8이므로 R8의 한 변의 길이는 '8 림과 같이 2가지이다.
이다. 답 '8 B B

  ‌이때, 정사각형의 각 변의 중점 B, D, H, F마다 이와 같은 도


04 해결단계 형을 그릴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 만들 수 있는 도형의 개수는
➊ 단계 두 점을 연결하여 만든 도형의 길이가 '2, '5인 경우를 각각 찾는다.   ‌4_2=8
➋ 단계 세 점을 연결하여 만든 도형의 길이가 '2+'5인 경우를 찾는다. Ú, Û에서 세 점을 연결하여 만든 도형의 길이가 '2+'5인 도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서로 다른 도형의 개수를 구한다.
형의 개수는
두 점을 연결하여 만든 도형의 길이가 '2인 경우는 다음 그림과 16+8=24 답①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인 경우이다.

05
두 점을 연결하여 만든 도형의 길이가 '5인 경우는 다음 그림과 ㄱ. ‌x<-1이면 x+1<0, 1-x>0이므로 
같이 한 변의 길이가 1, 다른 한 변의 길이가 2인 직사각형의 대 A=-(x+1)-(1-x)=-2
각선인 경우이다. ㄴ. ‌-1<x<1이면 x+1>0, 1-x>0이므로 
A=(x+1)-(1-x)=2x
ㄷ. ‌x>1이면 x+1>0, 1-x<0이므로
A=(x+1)-{-(1-x)}=2

다음 그림과 같이 9개의 점을 각각 A, B, C, ⋯, I라 하자.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③


A B C

E
D F

G H I 06
Ú ‌한 변의 길이가 1, 다른 한 변의 길이가 2인 직사각형에서 도 ac>0이므로 a와 c는 같은 부호이고,
형의 길이가 '2+'5인 경우 bc<0이므로 b와 c는 다른 부호이다.

00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10~11

즉, a와 b는 다른 부호이므로 ab<0
08
따라서 ab-1<0, 1-ab>0이므로
각 자리의 숫자가 모두 1인 n자리의 자연수를 a라 하자.
"Ã(ab)Û`+"Ã(ab-1)Û`-"Ã(1-ab)Û`
각 자리의 숫자가 모두 1인 2n자리의 자연수 111y111은
=-ab-(ab-1)-(1-ab)
111y111=a_10n+a
=-ab-ab+1-1+ab=-ab 답②
각 자리의 숫자가 모두 2인 n자리의 자연수 222y222는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222y222=2a


∴ ‌"Ã111y111-222y222 
ac>0에서 a, c는 같은 부호이므로
a>0, c>0 또는 a<0, c<0  "Ã(a_10 +a)-2a
= n

Ú a>0,
‌ c>0일 때, bc<0이므로 b<0 n
="Ãa_10 -a 
즉, 이 경우에 ab<0
n
Û a<0,
‌ c<0일 때, bc<0이므로 b>0 ="Ãa(10 -1) 
즉, 이 경우에 ab<0 ="Ãa_999y999 (단, 9는 n개) 
Ú, Û에서 ac>0, bc<0이면 ab<0임을 알 수 있다.
='Äa_9_a 
="Ã(3a)Û` 
=3a=333y333 (단, 3은 n개)
∴ A=3 답3

07
Ú x<-1인 경우
x+1<0, 2x-1<0이므로
"Ã(x+1)Û`-"Ã(2x-1)Û`=-(x+1)-{-(2x-1)} 09
=-x-1+2x-1=x-2 '¶2x가 자연수가 되려면 x=2kÛ` (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즉, x-2=3x이므로 이때, x<1000이므로 2kÛ`<1000, kÛ`<500

-2x=2   ∴ x=-1 ∴ k=1, 2, 3, y, 22

이때, x<-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존재하지 Ú ‌x=2kÛ`이 3의 배수이려면 k가 3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않는다. k는 3, 6, 9, y, 21의 7개이다.

1 Û ‌x=2kÛ`이 4의 배수이려면 k가 2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Û -1Éx< 인 경우
2 k는 2, 4, 6, y, 22의 11개이다.
x+1¾0, 2x-1<0이므로 Ü ‌x=2kÛ`이 3의 배수인 동시에 4의 배수이려면 k가 6의 배수
"Ã(x+1)Û`-"Ã(2x-1)Û`‌=(x+1)-{-(2x-1)} 이어야 하므로 k는 6, 12, 18의 3개이다.
=x+1+2x-1  Ú, Û, Ü에서 구하는 자연수 x의 개수는
=3x 7+11-3=15 답 15
1
즉, -1Éx< 은 x의 값의 범위가 될 수 있다. │다른풀이│
2
1 'Ä2x가 자연수가 되려면 x=2kÛ` (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Ü x¾ 인 경우
2 x=2kÛ`이 3의 배수이려면 k가 3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x+1>0, 2x-1¾0이므로 k=3m (m은 자연수)이라 하면
"Ã(x+1)Û`-"Ã(2x-1)Û`=(x+1)-(2x-1) x=2_(3m)Û`=18mÛ`
=x+1-2x+1=-x+2 이때, x<1000이므로
즉, -x+2=3x이므로 1000
18mÛ`<1000   ∴ mÛ`< =55.5×××
1 18
-4x=-2   ∴ x=
2 즉, m의 값으로 가능한 것은 1, 2, 3, y, 7의 7개이다.
1 1 또한, x=2kÛ`이 4의 배수이려면 k가 2의 배수이어야 하므로
이때, x¾ 이므로 x= 은 조건을 만족시킨다.
2 2
k=2n (n은 자연수)이라 하면
Ú, Û, Ü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의 범위는
x=2_(2n)Û`=8nÛ`
1
-1ÉxÉ 이때, x<1000이므로
2
따라서 x의 값의 범위가 될 수 있는 것은 ③이다. 답③ 8nÛ`<1000   ∴ nÛ`<125

Ⅰ. 실수와 그 계산 007
A n s w e r

즉, n의 값으로 가능한 것은 1, 2, 3, y, 11의 11개이다.


12
한편, x=2kÛ`이 3의 배수인 동시에 4의 배수이려면 k가 6의 배
소수 p에 대하여 '§pa가 양의 정수가 되려면
수이어야 하므로 k=6l (l은 자연수)이라 하면
a=pkÛ` (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x=2_(6l)Û`=72lÛ`
이때, 0<a<20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가 5개이므로
이때, x<1000이므로
a=p, 4p, 9p, 16p, 25p
1000
72lÛ`<1000   ∴ lÛ`< =13.8××× a의 값 중 가장 큰 25p에 대하여
72
즉, l의 값으로 가능한 것은 1, 2, 3의 3개이다. 25p<200   ∴ p<8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의 개수는 또한, 36p는 a의 값이 될 수 없으므로

7+11-3=15 200
36p¾200   ∴ p¾ =5.5×××
36
따라서 5.5×××Ép<8을 만족시키는 소수 p의 값은 7이다.
 답7

10
과수원과 배추밭의 한 변의 길이는 각각
'¶12n, 'Ä21-n
이때, '1§2n="Ã2Û`_3_n이 자연수이므로
n=3kÛ` (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13
접은 후 다시 펼친 색종이의 꼭짓점 및 각  H
∴ n=3, 12, 27, y yy㉠ A D

또한, 'Ä21-n 도 자연수이므로


교점을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하자.
E I
정사각형 ABCD의 넓이가 8이므로 G
21-n=lÛ` (l은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 n=20, 17, 12, 5 yy㉡ EFGH= 1 ABCD=4 B C
2 F
㉠, ㉡에서 구하는 n의 값은 12이므로 AEIH=BFIE=CGIF=DHIG 
(과수원의 한 변의 길이)="12Û`=12, 1
= ABCD=2
(배추밭의 한 변의 길이)='Ä21-12=3 4
따라서 무밭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3, 12-3, 즉 3, 9이 ∴ EFÓ=2, AEÓ='2

므로 무밭의 넓이는 ① ‌길이가 '2인 선분 8개로 둘러싸인 도형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3_9=27 답 27 8'2, 즉 무리수이다.


② ‌길이가 2인 선분 2개와 길이가 '2인 선분 4개로 둘러싸인 도
형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4+4'2, 즉 무리수이다.
③ ‌길이가 2인 선분 4개로 둘러싸인 도형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8, 즉 유리수이다.
11 ④ ‌길이가 2인 선분 2개와 길이가 '2인 선분 4개로 둘러싸인 도
근호 안의 수를 소인수분해하면 형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4+4'2, 즉 무리수이다.
2_3_4_5_6_7_8_9_10_11_12 ⑤ ‌길이가 2인 선분 3개와 길이가 '2인 선분 2개로 둘러싸인 도
=2_3_2Û`_5_(2_3)_7_2Ü`_3Û`_(2_5)_11_(2Û`_3) 형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6+2'2, 즉 무리수이다.
=210_3Þ`_5Û`_7_11 따라서 둘레의 길이가 유리수인 것은 ③이다. 답③
주어진 제곱근이 자연수가 되려면 근호 안의 자연수의 곱이
blacklabel 특강 참고
nÛ` (n은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즉, 소인수의 지수가 모두 짝수이어야 하므로 1+'2=1+1.4142y=2.4142y이므로 (유리수)+(무리수)는 항상 순환소수가
10 10 아닌 무한소수, 즉 무리수이다.
2 _3Þ`_5Û`_7_11=2 _3Ý`_3_5Û`_7_11 1
또한, 1-'2=1+(-'2), '2Ö2='2_
과 같이 유리수와 무리수의 뺄셈과 나
에서 계산 결과가 가장 큰 자연수가 되려면 3, 7, 11을 제외해야 2
눗셈은 각각 덧셈과 곱셈으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으므로
한다. (유리수)-(무리수) ⇨ (유리수)+(무리수)
  ‌

따라서 그 합은    (무리수)Ö(유리수) ⇨ (무리수)_(유리수)


로 바꾸어 생각한 후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를 판단한다.
3+7+11=21 답 21

00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11~13

14 이때, ㄱ에서 P(1+'5 )이므로 점 S에 대응하는 수는


1+'2+'5이다.
n n
한 자리의 자연수 n에 대하여 0.Hn= = 이므로
9 3Û`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f(n)=¿¹0.Hn=¾Ð
n
3Û` │다른풀이│
n ㄱ. ‌직각삼각형 CGD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이때, ¾Ð 이 유리수이려면 n은 자연수의 제곱수이어야 하므로
3Û` CDÓ="Ã1Û`+2Û`='5    ∴ CPÓ=CDÓ='5 
n은 1, 4, 9의 3개이다.
즉,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1+'5이다.
따라서 무리수는  f(2), f(3), f(5), f(6), f(7), f(8)의 6개이다.
 답6

blacklabel 특강 참고

'3과 '5에서 3, 5와 같이 근호 안의 수가 유리수를 제곱한 수가 아니면 그 수는 무


리수임이 알려져 있다.
17
ㄱ. ‌7과 8 사이의 자연수의 양의 제곱근을 'l이라 하면 
7<'l<8   ∴ '4Œ9<'l<'6Œ4 
즉, 'l은 'Œ§50, '§51, '§52, y, '§63의 14개이다.
ㄴ. ‌n="nÛ`, 3n="Ã(3n)Û`="Ã9nÛ`이므로 n과 3n 사이에 있는
점에 대응하는 자연수의 양의 제곱근은 
15 "ÃnÛ`+1, "ÃnÛ`+2, "ÃnÛ`+3, y, "Ã9nÛ`-1 
1<3<4이므로 '1<'3<'4
이고, 그 개수는 
즉, 1<'3<2이므로 -2<-'3<-1
(9nÛ`-1)-(nÛ`+1)+1=8nÛ`-1 
또한, 1<2<4이므로
이때, 8nÛ`은 짝수이므로 8nÛ`-1은 홀수이다.
'1<'2<'4   ∴ 1<'2<2
ㄷ. ‌n=2일 때, "ÃnÛ`+1='5이므로 mÉ'5<m+1을 만족시
따라서 수직선 위에서 두 수 -'3, '2에 대응하는 점을 각각
키는 자연수 m의 값은 2이다. 
A, B라 하고, 두 점 A, B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
한편, 1과 n=2 사이의 자연수에 대응하는 점의 개수는 0이다.
과 같다.
즉, n=2이면 m의 값과 점의 개수는 같지 않다.
A B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2 -1 0 1 Â2 2
-Â3
blacklabel 특강 참고
① ‌두 점 A, B 사이의 점에 대응하는 자연수 1이 있다.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
② 두 점 A, B 사이의 점에 대응하는 정수는 -1, 0, 1의 3개이다. a, b가 정수일 때, 각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③ 두 점 A, B 사이의 점에 대응하는 유리수는 무수히 많다. ⑴ aÉxÉb ⇨ b-a+1
⑵ aÉx<b ⇨ b-a
④ 두 점 A, B 사이의 점에 대응하는 무리수는 무수히 많다.
⑶ a<xÉb ⇨ b-a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답⑤ ⑷ a<x<b ⇨ b-a-1

16
1
18
ㄱ. ‌사각형 ABCD의 넓이는 3Û`-4_{ _2_1}=5이므로 A-C=(1+'5 )-('3+'5 )=1-'3
2
CDÓ=CPÓ='5  이때, 1<'3<2이므로
즉, 점 P에 대응하는 수는 1+'5이다. 1-'3<0   ∴ A<C yy㉠
ㄴ. ‌BCÓ='5이므로 점 G(2)에서 '5만큼 왼쪽에 있는 점에 대 또한, B-C=(3+'3 )-('3+'5 )=3-'5
응하는 수는 2-'5이다. 이때, 2<'5<3이므로
ㄷ. ‌직각삼각형 PQR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3-'5>0   ∴ B>C yy㉡
PRÓ="Ã1Û`+1Û`='2  ㉠, ㉡에서 A<C<B 답②

Ⅰ. 실수와 그 계산 009
A n s w e r

19 ∴ x=5, 6, 7, 8, 9, 10, 11 yy㉠


x
a=3, b='§17-1이므로 같은 방법으로 조건 ㈏에서 '¶13< <'¶17의 각 변을 제곱하면
3
a+b=3+('§17-1)=2+'§17>0 xÛ`
13< <17   ∴ 117<xÛ`<153
a-b=3-('§17-1)=4-'§17<0`(∵ 4<'§17<5) 9
∴ "Ã(a+b)Û`-"Ã(a-b)Û`=(a+b)-{-(a-b)} ∴ x=11, 12 yy㉡

=a+b+a-b  ㉠, ㉡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정수 x의 값은 11이다. 답 11

=2a=2_3=6 답6

22
20 y y
3ɾ `<4의 각 변을 제곱하면 9É <16  
x x
① x<0이므로 x-1<0
∴ 9xÉy<16x
∴ "Ã(x-1)Û`=-(x-1)=1-x
위의 부등식의 각 변에 x를 더하면 10xÉx+y<17x
② -1<x<0이므로 x+1>0
이때, x+y=40이므로 10xÉ40<17x  
∴ "Ã(x+1)Û`=x+1
∴ x=3 또는 x=4
③ y<0이므로 -y>0
Ú x=3일 때,
∴ -"Ã(-y)Û`=-(-y)=y
x+y=40에서 y=37
④ y<0이므로 y-1<0
이때, x, y는 서로소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킨다.
∴ -"Ã(y-1)Û`=-{-(y-1)}=y-1
Û x=4일 때,
⑤ -1<y<0이므로 1+y>0
x+y=40에서 y=36
∴ "Ã(1+y)Û`=1+y
그런데 x, y는 서로소가 아니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때, ①, ②에서 x<0이므로
Ú, Û에서 x=3, y=37이므로
(1-x)-(x+1)=-2x>0   ∴ 1-x>x+1>0
|x-y|=|3-37|=34 답③
즉, ①, ② 중 큰 수는 ①이다.
또한, ③, ④에서
y-(y-1)=1>0   ∴ y-1<y<0 23
즉, ③, ④, ⑤에서 y-1<y<0<1+y이므로 이들 중 가장 큰 반올림의 기준이 되는 수를 찾으면
수는 ⑤이다. 25 5 49 7 81 9
¾Ð = =2.5, ¾Ð = =3.5, ¾Ð = =4.5,
따라서 -1<x<y<0에서 -x-y>0이므로 ①, ⑤에서 4 2 4 2 4 2
121 11
(1-x)-(1+y)=-x-y>0   ∴ 1-x>1+y ¾Ð = =5.5
4 2

그러므로 그 값이 가장 큰 것은 ①이다.  답① Ú ‌2<'5<'6<2.5<'7이므로 

오답피하기 f(5)=f(6)=2
blacklabel 특강
Û ‌2.5<'7<'1Œ2<3.5<'1Œ3이므로
③, ④의 경우와 같이 근호 앞에 음의 부호 -가 있을 때, 식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③ -"Ã(-y)Û`=-"ÅyÛ`=-y
f(7)=f(8)=f(9)=y=f(12)=3
④ -"Ã(y-1)Û`=-(y-1)=1-y Ü ‌3.5<'1Œ3<'2Œ0<4.5<'2Œ1이므로
와 같이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다.
f(13)=f(14)=f(15)=y=f(20)=4
[방법 1] 위의 풀이와 같이 "ÅaÛ` 꼴의 근호를 없애는 과정에서 부호에 유의하여 순서
대로 계산한다. Ý ‌4.5<'2Œ1<'3Œ0<5.5<'3Œ1이므로 
③ -"Ã(-y)Û`=-"ÅyÛ`=-(-y)=y f(21)=f(22)=f(23)=y=f(30)=5
[방법 2] 최종 부호가 일치하도록 부호를 결정하여 계산한다.
Þ 5.5<'3Œ1<6이므로 f(31)=6
③ ‌"Ã(-y)Û`은 양수이므로 -"Ã(-y)Û`은 음수이다. ㈏
이때, y가 음수이므로 양변이 모두 음수가 되도록 하면 -"Ã(-y)Û`=y Ú ~ Þ에서 f(5)+f(6)+f(7)+y+f(31) 
=2_2+3_6+4_8+5_10+6_1=110

 답 110
21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조건 ㈎에서 4<'Ä3x+2<6의 각 변을 제곱하면 ㈎ 반올림의 기준이 되는 수를 찾은 경우 30%
16<3x+2<36 ㈏ ㈎에서 찾은 수로 범위를 나누어 f(n)의 값을 구한 경우 60%

14<3x<34   ∴ 4.6×××<x<11.3××× ㈐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 경우 10%

01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13~14

24 02 해결단계
1<'2<2이므로 a+1<a+'2<a+2
➊ 단계 N(x)=1, N(x)=2, N(x)=3, y인 x의 값을 각각 찾는다.
또한, 2<'5<3이므로 N(1)+N(2)+N(3)+y+N(x)=42를 만족시키는 x의
➋ 단계
-3<-'5<-2   ∴ b-3<b-'5<b-2 값을 구한다.

∴ a+'2<a+2ÉnÉb-3<b-'5 N(x)=('x 이하의 자연수의 개수)이고 '1=1, '4=2이므로


위의 식을 만족시키는 정수 n이 3개이므로 N(1)=N(2)=N(3)=1
(b-3)-(a+2)+1=3 ∴ N(1)+N(2)+N(3)=1_3=3 yy㉠
∴ b-a=7 답7 또한, '4=2, '9=3이므로
N(4)=N(5)=N(6)=N(7)=N(8)=2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 ‌N(4)+N(5)+N(6)+N(7)+N(8) 
a+'2<n<b-'5를 만족시키는 정수 n이 오직 3개이고 '2, '5의 범위로부터
a+2ÉnÉb-3이므로 정수 n은
=2_5=10 yy㉡
a+2, a+3, a+4 또는 b-5, b-4, b-3 같은 방법으로 '9=3, '1Œ6=4이므로
이다. 이때,
N(9)=N(10)=N(11)=y=N(15)=3
a+2=b-5, a+3=b-4, a+4=b-3
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b-a=7임을 알 수 있다. ∴ ‌N(9)+N(10)+N(11)+y+N(15) 
=3_7=21 yy㉢
㉠, ㉡, ㉢에서
N(1)+N(2)+N(3)+y+N(15)
=3+10+21=34
'1Œ6=4, '2Œ5=5이므로
N(16)=N(17)=N(18)=y=N(24)=4
Step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14 ~ 15
이때, N(1)+N(2)+N(3)+y+N(x)=42에서
01 ⑴ a=12, b=8 ⑵ 18 02 17 42=34+8=34+N(16)+N(17)
03 ⑴ 풀이 참조 ⑵ -1+'2>3-'Œ1Œ0 04 ;7°2; 05 3 따라서 구하는 x의 값은 17이다. 답 17
06 124 07 6+'6+'2 08 7

01 해결단계
03 해결단계
➊ 단계 x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한 변의 길이가 각각 '2, '1Œ0이고 한 꼭짓점이 각각 -1,

➋ 단계 a, b의 값을 각각 구한다.
➊ 단계 3에 대응하는 점에 닿아 있는 두 정사각형을 모눈종이 위에
⑵ ➌ 단계 ➋ 단계의 a, b의 값을 이용하여 자연수 c의 최솟값을 구한다. 그린다.

⑴ 4É'2Œx<5이므로 '1Œ6É'2Œx<'2Œ5
➊ 단계에서 그린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두 점 P, Q를 수직
➋ 단계
선 위에 나타낸다.
16É2x<25   ∴ 8Éx<12.5 ⑵ ➌ 단계 두 수 -1+'2와 3-'1Œ0의 대소를 비교한다.
이때, x는 자연수이므로
⑴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은 한 꼭짓점이 -1에 대응하
x=8, 9, 10, 11, 12
는 점에 닿도록 그리고, 한 변의 길이가 '¶10인 정사각형은 한
∴ a=12, b=8
꼭짓점이 3에 대응하는 점에 닿도록 그리면 두 점 P, Q는 다
'bŒc
⑵ 가 자연수이므로 음 그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a
'Ä8_c
=1, 2, 3, y
12
즉, 'Ä8_c=12, 24, 36, y이므로 Â10Ê
Â2
8_c=12Û`, 24Û`, 36Û`, y
122 242 362 -3 -2 -1 Q 0 P 1 2 3 4 5 6 7
∴ c= , , ,y
8 8 8
⑵ ‌⑴에서 점 P(-1+'2)가 점 Q(3-'1Œ0)보다 오른쪽에 있
122 144
따라서 c의 최솟값은 = =18 으므로 -1+'2>3-'1Œ0
8 8
 답 ⑴ a=12, b=8 ⑵ 18  답 ⑴ 풀이 참조 ⑵ -1+'2>3-'1Œ0

Ⅰ. 실수와 그 계산 011
A n s w e r

04 해결단계 a=x-1, b=x, c=x+1`(x는 자연수)이라 하면 세 수 a, b,


c는 자연수이므로
➊ 단계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다.
x-1¾1   ∴ x¾2
180을 소인수분해하여 'Ä180xy가 자연수가 되기 위한 xy의 조건
➋ 단계
을 확인한다. a+b+c<100에서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 (x-1)+x+(x+1)<100
➍ 단계 'Ä180xy가 자연수가 될 확률을 구한다.
3x<100   ∴ x<33.3×××
정십이면체 모양의 주사위를 2번 던질 때, 모든 경우의 수는 ∴ 2Éx<33.3×××
12_12=144 한편, 'Äa+b+c='3Œx는 자연수이므로
'Ä180xy="Ã2Û`_3Û`_5_xy가 자연수가 되려면 x=3kÛ` (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xy=5kÛ` (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이때, 2Éx<33.3×××이므로
즉, x와 y 중에서 하나는 5의 배수이어야 하는데 1부터 12까지 2
2É3kÛ`<33.3×××, ÉkÛ`<11.1×××
3
의 자연수 중에서 5의 배수는 5와 10뿐이므로 주사위를 두 번 던
즉, kÛ`=1, 4, 9이므로 x=3, 12, 27
질 때, 5 또는 10이 한 번만 나와야 한다.
따라서 세 자연수 a, b, c의 순서쌍 (a, b, c)는 (2, 3, 4),
Ú 주사위를 던져 5가 나온 경우
(11, 12, 13), (26, 27, 28)의 3개이다. 답3
x=5라 하면 y=kÛ`이므로 주사위를 던져 두 번째로 나오는
수는 자연수의 제곱수이어야 한다.
∴ y=1, 4, 9
y=5일 때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5, 1), (5, 4), (5, 9), (1, 5), (4, 5), (9, 5)
06 해결단계
의 6개이다. ➊ 단계 버림한 값을 이용하여 ®;aB;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Û 주사위를 던져 10이 나온 경우
➋ 단계 b의 범위를 a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a의 값을 구한다.
kÛ` b의 값을 구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x=10이라 하면 y= 이다. ➌ 단계
2
이때,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수는 자연수이므로 k는 짝수이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 이하를 버림한 값이 3.0이므로
b
어야 한다. 3.0ɾ `<3.1
a
즉, kÛ`=(2n)Û` (n은 자연수)이므로
"Ã3.0Û`ɾ `<"Ã3.1Û`, 9É <9.61
b b
kÛ`=4nÛ`   ∴ y=2nÛ` a a
∴ y=2, 8 ∴ 9aÉb<9.61a yy㉠
y=10일 때도 같은 방법으로 하면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 즉, b>a이고 a, b의 차가 100이므로
쌍 (x, y)는 b=a+100 yy㉡
(10, 2), (10, 8), (2, 10), (8, 10) 이것을 ㉠에 대입하면
의 4개이다. 9aÉa+100<9.61a   ∴ 8aÉ100<8.61a
Ú, Û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의 수는 6+4=10 위의 부등식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를 구하면
10 5 5 a=12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답
144 72 72
㉡에서 b=112
∴ a+b=124 답 124

05 해결단계
연속하는 세 자연수를 한 문자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이 문자의 값 07 해결단계
➊ 단계
의 범위를 구한다.
➊ 단계에서 구한 값의 범위를 이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문자의
➊ 단계 ACÓ의 길이를 구한다.
➋ 단계
값을 모두 구한다. ➋ 단계 CEÓ의 길이를 구한다.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의 개수를 구한다. ➌ 단계 점 F의 x좌표를 구한다.

01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14~16

OAÓ=ABÓ=6이므로
1
1
S1= _6_6=18 B
2
1 1 Q
∴ S2= S1= _18=3 8
6 6
1
이때, _ACÓ Û`=3이므로 ACÓ Û`=6 A
2 O 6 P2
∴ ACÓ='6 (∵ ACÓ>0) 위의 그림과 같이 두 점 O와 Q를 선분으로 연결하면 선분 OQ
1 1 의 길이는 부채꼴 OAB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또한, S3= S2= _3=1이므로
3 3
OQÓ=8
1
_CEÓ Û`=1, CEÓ Û`=2
2 또한, APÓ=OAÓ-OPÓ=8-6=2
∴ CEÓ='2 (∵ CEÓ>0) 선분 PQ는 선분 OA와 수직이므로 △OPQ와 △AQP는 직각
OEÓ=OAÓ+ACÓ+CEÓ=6+'6+'2이므로 삼각형이다.
점 F의 x좌표는 6+'6+'2이다.  답 6+'6+'2 한편, 직각삼각형 OPQ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OQÓ Û`=OPÓ Û`+PQÓ Û``
8Û`=6Û`+PQÓ Û`
PQÓ Û`=8Û`-6Û`=28
∴ PQÓ='2Œ8`(∵ PQÓ>0)
08 해결단계
또한, 직각삼각형 AQP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➊ 단계 "ÃxÛ`+yÛ`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AQÓ Û`=APÓ Û`+PQÓ Û`
➋ 단계 xÛ`+yÛ`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AQÓ Û`=2Û`+('2Œ8 )Û`=32
➌ 단계 순서쌍 (x, y)의 개수를 구한다.
∴ AQÓ='3Œ2`(∵ AQÓ>0)  답③
"ÃxÛ`+yÛ` 의 정수 부분이 4이므로
4É"ÃxÛ`+yÛ`<5
즉, '1Œ6É"ÃxÛ`+yÛ`<'2Œ5이므로
16ÉxÛ`+yÛ`<25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0, 4), (1, 4), (2, 4), (3, 3), (4, 0), (4, 1), (4, 2)
2
의 7개이다. 답7 F E
각뿔의 밑면은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육각
2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형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육각형의
A D
O
16ÉxÛ`+yÛ`<25를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x, y의 값은 다음과 같다. 각 꼭짓점을 A, B, C, y, F라 하고 마주
Ú x=0일 때, 16ÉyÛ`<25   ∴ y=4 보는 꼭짓점을 연결한 선분의 교점을 O라 B C
Û x=1일 때, 15ÉyÛ`<24   ∴ y=4
Ü x=2일 때, 12ÉyÛ`<21   ∴ y=4
하자. 정육각형 ABCDEF는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삼각형 6개
Ý x=3일 때, 7ÉyÛ`<16   ∴ y=3 로 나눌 수 있다.
Þ x=4일 때, 0ÉyÛ`<9   ∴ y=0, 1, 2
∴ ODÓ=2
V
주어진 육각뿔의 꼭짓점 V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의 발은 점 O와 일치하므로 직각삼각형 Â12Ê

VOD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F E

VDÓ="Ã('1Œ2 )Û`+2Û`='1Œ6=4 A O D
2
B 2 C
즉, 각뿔의 옆면은 오른쪽 그림과 같은 이등
V
변삼각형이므로 점 V에서 CDÓ에 내린 수선의 발을
M이라 하면 4 4
VMÓ="Ã4Û`-1Û`='1Œ5
미리보는 학력평가 p. 16
따라서 옆면을 이루는 한 삼각형의 넓이는 C 1 D
M
1 ③ 2 ① 3 78 4 ② 1
_2_'1Œ5='1Œ5 답①
2

Ⅰ. 실수와 그 계산 013
A n s w e r

3 02 근호를 포함한 식의 계산
세 수 '¶2x, '¶3x, '¶4x가 모두 무리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x를
찾으려면 전체 경우에서 세 수 중 어느 한 수라도 유리수가 되는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 18

경우를 제외하면 된다.


01 ④ 02 ⑤ 03 ;2&; 04 4'5 05 ⑤
Ú '¶2x가 유리수가 되는 경우
06 ;;Á2°;;
'¶2x가 유리수가 되려면 x=2lÛ``(l은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07 ① 08 2'3

x는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2lÛ`É100에서 lÛ`É50
∴ l=1, 2, 3, y, 7 01
따라서 이때의 자연수 x는 2_1Û`, 2_2Û`, 2_3Û`, y, 2_7Û` 2'6="ÅÃ2Û`_6='2Œ4   ∴ A=24

의 7개이다. 'Ä294="ÅÃ7Û`_6=7'6   ∴ B=6


Û '¶3x가 유리수가 되는 경우 ∴ A+B=24+6=30 답④

'¶3x가 유리수가 되려면 x=3mÛ``(m은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x는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100
02
3mÛ`É100에서 mÛ`É
3 ① '6'1Œ5='Ä6_15='9Œ0="Ã3Û`_10=3'1Œ0
∴ m=1, 2, 3, 4, 5 '4Œ8 48
② '4Œ8Ö'3= =¾Ð ='1Œ6=4
따라서 이때의 자연수 x는 3_1Û`, 3_2Û`, 3_3Û`, 3_4Û`, '3 3

3_5Û`의 5개이다. 5 '5


③ '5Œ4¾ =3'6_ =3'5
Ü '¶4x가 유리수가 되는 경우
6 '6

'¶4x가 유리수가 되려면 x=nÛ``(n은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④ 3'2Œ0Ö'5=


3'2Œ0 20
=3¾Ð =3'4=3_2=6
'5 5
x는 1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nÛ`É100
⑤ 3'2_2'5=3_2_'Ä2_5=6'1Œ0
∴ n=1, 2, 3, y, 10
따라서 옳은 것은 ⑤이다. 답⑤
따라서 이때의 자연수 x는 1Û`, 2Û`, 3Û`, y, 10Û`의 10개이다.
Ú, Û, Ü에서 구한 x의 값은 중복되지 않으므로 '¶2x, '¶3x,
'¶4x 중에서 어느 한 수라도 유리수가 되도록 하는 자연수 x의
개수는 7+5+10=22
03
따라서 '¶2x, '¶3x, '¶4x가 모두 무리수가 되도록 하는 100 이하
7 7 7_'6 7'6 7
= = =    ∴ a=
의 자연수 x의 개수는 '2Œ4 2'6 2'6_'6 12 12
100-22=78 답 78 '2Œ0 2'5 '5 '5_'3 '1Œ5 1
= = = =    ∴ b=
'4Œ8 4'3 2'3 2'3_'3 6 6
a 7 1 7 7 7
∴ = Ö = _6=  답
b 12 6 12 2 2

04
4 큰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라 하면 작은 직사각형에서 길이
f(n)=2는 '¶na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a가
1
가 2인 변과 이웃한 변의 길이는 x이다.
2임을 의미한다. 5
즉, '¶2n이 자연수가 되려면 n=2kÛ` (k는 자연수)`꼴이어야 한다. 큰 직사각형과 작은 직사각형은 서로 닮은 도형이므로
이때, n이 300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1
2`:` x=x`:`2
5
2kÛ`É300   ∴ kÛ`É150
1
이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는 1, 2, 3, y, 12의 12개이므로 자연 xÛ`=4, xÛ`=20   ∴ x=2'5 (∵ x>0)
5
수 n의 개수도 12이다. 답② ∴ (큰 직사각형의 넓이)=2x=2_2'5=4'5 답 4'5

01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16~19

blacklabel 특강 필수개념 y=-'3x+b에 y=0을 대입하면


b b'3
0=-'3x+b   ∴ x= =
'3
닮은 도형의 성질
3
서로 닮은 두 평면도형에서
⑴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는 일정하다. 즉, 직선 y=-'3x+b가 x축과 만나는 점이 A이므로
⑵ 대응하는 각의 크기는 각각 같다.
b'3
⑶ 닮음비는 대응하는 변의 길이의 비이다. A{ , 0}
3
삼각형 ABO를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1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
b'3
전체는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가 b, 높이가 인 원뿔이므로
3
1 b'3
(부피)= _p_bÛ`_ =3'3p
3 3
05 bÜ`=3Ü`   ∴ b=3
'3Œ2-2'2Œ4-'2(1+2'3)‌=4'2-4'6-'2-2'6 ∴ A('3, 0), B(0, 3)
=3'2-6'6 직각삼각형 ABO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A=3, B=-6 ABÓ="Ã(-'3)Û`+3Û`='Ä3+9='1Œ2=2'3 답 2'3
∴ A-B=3-(-6)=9 답⑤

06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19 ~ 21

3x 4
'5 {3'1Œ0- '5}-2'2 {x- } 01 ④ 02 ① 03 12 04 ② 05 '3
2 '2 06 ② 07 1 08 ④ 09 -1 10 -6
15x 13 '2 14 '2
=15'2- -2'2x+8 11 ② 12 ① 15 ①
2
8-'6
15 16 4'3 17 ② 18
4
={8- x}+(15-2x)'2 yy㉠
2
㉠이 유리수가 되려면 15-2x=0

-2x=-15   ∴ x=
15
2
 답
15
2
01
5q 1 20p 45p
p¾Ð p - p ¾Ð q +q¾Ð q

p'5Œq '2§0p q'4§5p


= - +
'p p'q 'q
p'5Œq'p '2§0p'q q'4§5p'q
= - +
07 'p'p p'q'q 'q'q
'Ä20pq
4<'1Œ7<5이므로 <17>=4 ='5¶pq- +'Ä45pq
pq
4<'1Œ8<5이므로 {18}='1Œ8-4=3'2-4
'Ä100
∴ <17>+{18}'2=4+(3'2-4)'2  ='2Œ5- +'¶225`(∵ pq=5)
5
=4+6-4'2  =5-2+15=18 답④
=10-4'2 답①

02
81 3Ý`
08 'Ä0.081‌=¾¨ =¾¨ ` 
1000 2Ü`_5Ü`
직선 y=-'3x+b가 y축과 만나는 점이 B이므로 ('3)Ý` bÝ`
= =  답①
B(0, b) ('2)Ü`_('5)Ü` aÜ`cÜ`

Ⅰ. 실수와 그 계산 015
A n s w e r

03 ∴ 
6
=
6
`f('2+1)+2g('3+2) 2+2('3-1)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ABÓ=BCÓ=5, ∠B=90ù이므로
6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2+2'3-2
Û
ACÓ `=ABÓ Û`+BCÓ Û`=5Û`+5Û`=50
6 3
= = ='3 답 '3
∴ ACÓ='5Œ0=5'2 (∵ ACÓ>0) 2'3 '3
부채꼴 TAC에서 ACÓ=5'2, ∠TAC=180ù-45ù=135ù이
므로
135 15'2
µ TC=2p_5'2_ = p   ∴ a=2
360 4
또한, ABÓ=5, B(10)이므로 A(5)
06 해결단계
즉, 점 T에 대응하는 수는 5-5'2이므로 두 수 "Ã2Û`_5_a, "Ã2_3Û`_b를 자연수로 만드는 a, b의 조건을
➊ 단계
구한다.
b=5, c=-5
두 자연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이용하여 가능한 순서쌍
➋ 단계
∴ a+b-c=2+5-(-5)=12 답 12 (a, b)를 모두 구한다.
➋ 단계에서 구한 순서쌍을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하고 a+b의
➌ 단계
값이 될 수 없는 것을 찾는다.

두 자연수 "Ã2Û`_5_a, "Ã2_3Û`_b의 최대공약수가 10이므로


a=5_mÛ`, b=2_5Û`_nÛ`   yy㉠
 (단, m, n은 서로소인 자연수, m은 3과 서로소)

04 꼴이어야 한다.

① 'Ä1.03=1.015 또한, 두 자연수 "Ã2Û`_5_a, "Ã2_3Û`_b의 최소공배수가 600이

③ 'Ä404="Ã20Û`_1.01=20'¶1.01=20_1.005=20.1 므로
600_10="Ã2Û`_5_a_"Ã2_3Û`_b에서
④ 'Ä0.0804=¾Ð
2Û`_2.01 2 1
`= '¶2.01= _1.418=0.2836
10Û` 10 5 6000="Ã2Û`_5Û`_mÛ`_"Ã2Û`_3Û`_5Û`_nÛ`  (∵ ㉠)
⑤ 'Ä91800="Ã300Û`_1.02=300'¶1.02=300_1.010=303 =10m_30n
따라서 그 값을 구할 수 없는 것은 ② '¶20.1이다. 답② =300mn
∴ mn=20
blacklabel 특강 오답피하기
이때, 20=2Û`_5이므로 가능한 m, n의 값을 순서쌍 (m, n)으
③ '¶404에서 '¶404="Ã10Û`_4.04=10'¶4.04
로 나타내면
로 생각하여 '¶4.04가 주어진 표에 없으므로 그 값을 구할 수 없다고 오해하지 않도
록 주의한다. (2Û`, 5), (5, 2Û`), (2Û`_5, 1), (1, 2Û`_5)
제곱근표를 이용하여 제곱근의 어림값을 구할 때에는
따라서 각 경우에 가능한 a, b의 값을 순서쌍 (a, b)로 나타내면
'¶404‌="Ã10Û`_4.04=10'¶4.04`
(2Ý`_5, 2_5Ý`), (5Ü`, 2Þ`_5Û`), (2Ý`_5Ü`, 2_5Û`), (5, 2Þ`_5Ý`)
=10"Ã2Û`_1.01=20'¶1.01
과 같이 근호 안에 제곱근표에 있는 수가 남을 때까지 변형하여 그 값을 구해야 한다. Ú a=2Ý`_5, b=2_5Ý`일 때,
a=80, b=1250   ∴ a+b=1330 (③)
Û a=5Ü`, b=2Þ`_5Û`일 때,
a=125, b=800   ∴ a+b=925 (①)
Ü a=2Ý`_5Ü`, b=2_5Û`일 때,
a=2000, b=50   ∴ a+b=2050 (④)

05 Ý a=5, b=2Þ`_5Ý`일 때,
a=5, b=20000   ∴ a+b=20005 (⑤)
1<'2<2에서 2<'2+1<3이므로
Ú ~ Ý에서 a+b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② 1255이다. 답 ②
f('2+1)=2
1<'3<2에서 3<'3+2<4이므로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f('3+2)=3
mn=20=2Û`_5에서 m=2, n=2_5와 같은 경우에는 m, n이 서로소라는 조건
∴ g('3+2)‌=('3+2)-f('3+2)  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3+2)-3  따라서 m, n이 서로소인 자연수이므로 m, n 중 어느 하나가 2를 인수로 가지면 그


수는 반드시 2Û`을 인수로 가져야 한다.
='3-1

01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19~20

07 10
5 두 유리수 x, y에 대하여 {x, y}="Ã(-x)Û`+'2y이므로
'¶243+3'2 {'3- }-4'3('2+1)
'6
{m, -3n}‌="Ã(-m)Û`+'2_(-3n) 
=9'3+3'6-5'3-4'6-4'3 
=-m-3n'2`(∵ m<0)
=-'6
{n, 2m}‌="Ã(-n)Û`+'2_2m 
즉, a'2+b'3+c'6=-'6 이므로
=n+2m'2`(∵ n>0)
a=0, b=0, c=-1
이때, {m, -3n}-1={n, 2m}에서
∴ a+b-c=1 답1
-m-3n'2-1=n+2m'2
즉, m+n+1+(2m+3n)'2=0이므로
m+n+1=0 yy㉠
2m+3n=0 yy㉡

08 ㉠, ㉡을 연립하여 풀면
m=-3, n=2   ∴ mn=(-3)_2=-6 답 -6
자 ㈎에서 눈금 8은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8=2'2인 위치를,
눈금 32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3Œ2=4'2인 위치를 나타내
므로 두 눈금 8, 32 사이의 거리는
4'2-2'2=2'2
또한, 자 ㈏에서 눈금 2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2인 위치를,
눈금 x는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x인 위치를 나타낸다.
그런데 자 ㈎의 눈금 8과 자 ㈏의 눈금 2가 서로 일치하도록 붙
11
3'2x+'3<'6('3-'2)x+1에서
여 놓으면 각 자의 두 눈금 32와 x도 일치하므로 자 ㈏의 두 눈
3'2x-'6('3-'2)x<1-'3
금 2, x 사이의 거리도 2'2이다.
(3'2-3'2+2'3)x<1-'3
따라서 'x-'2=2'2이므로
1-'3 '3-3
'x=2'2+'2=3'2='¶18 2'3x<1-'3   ∴ x< = yy㉠  
2'3 6
∴ x=18 답④
이때, 1<'3<2이므로 -2<'3-3<-1
1 '3-3 1
∴- < <-   yy㉡
3 6 6
㉠, ㉡에서 x의 값 중 가장 큰 정수는 -1이다. 답②

09
'Ä216a="Ã2Ü`_3Ü`_a  가 자연수가 되려면
a=2_3_kÛ``(k는 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이 중 가장 작은 자연수 a는 k=1일 때이므로
a=6

12
2<'6<3이므로 '6-3<0   yy㉠ A(2-'2), B(4+'2)이므로
∴ ¿¹('a-3)Û`-b'a=¿¹('6-3)Û`-b'6  4+'2-(2-'2) 2+2'2
AMÓ=BMÓ= = =1+'2
=-('6-3)-b'6 (∵ ㉠)  2 2
이때, MNÓ`:`NBÓ=3`:`1이므로
=3-(1+b)'6
㈏ 1 1+'2
3-(1+b)'6이 유리수이려면 NBÓ=  BMÓ=
4 4
1+b=0   ∴ b=-1 따라서 점 N에 대응하는 수는

 답 -1 1+'2
4+'2-NBÓ=4+'2- 
4
단계 채점 기준 배점
16+4'2-1-'2
㈎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작은 자연수 a의 값을 구한 경우 40% = 
4
㈏ ¿¹('a-3)Û`-b'a를 간단히 한 경우 30%
15+3'2
㈐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리수 b의 값을 구한 경우 30% =  답①
4

Ⅰ. 실수와 그 계산 017
A n s w e r

13 직사각형 D의 넓이는
3 '3
BCÓEFÓ이므로 △ABC»△ AEF(AA 닮음) bd=¿¹0.H3=¾ =
9 3
이때, △AEF=BCFE이므로 ∴ (직사각형 C의 넓이)=ad
△AEF`:`△ABC=1`:`2 =(ac_bd)Öbc 
즉, △AEF와 △ABC는 닮음비가 1`:`'2인 닮은 도형이다. '7 '3 '2Œ1
={ _ }Ö 
이때, EFÓ=x라 하면 1`:`'2=EFÓ`:`BCÓ에서 3 3 9
1`:`'2=x`:`2, '2x=2 '2Œ1 9
= _ =1 답①
9 '¶21
2
∴ x= ='2
'2
따라서 선분 EF의 길이는 '2이다. 답 '2

필수개념
16
blacklabel 특강

닮은 도형의 둘레의 길이의 비와 넓이의 비


정사각형 ABCD의 넓이가 6이므로
닮은 두 평면도형의 닮음비가 m`:`n일 때,
⑴ 둘레의 길이의 비는 m`:`n ABÓ Û`=BCÓ Û`=6
⑵ 넓이의 비는 mÛ``:`nÛ`
즉, 직각이등변삼각형 AB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 닮은 두 평면도형의 넓이의 비가 a`:`b일 때,
닮음비는 'a`:`'b (단, a>0, b>0) ACÓ Û`=ABÓ Û`+BCÓ Û`=6+6=12  
∴ ACÓ='1Œ2=2'3 (∵ ACÓ>0)
정삼각형 AEF의 한 변의 길이를 x라 하면 꼭짓점 A에서 변
EF에 내린 수선의 발이 C이므로
1 1
ECÓ=FCÓ= EFÓ= x
14 2 2
즉, 직각삼각형 AE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원에 외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원의 지름의 길이와
AEÓ Û`=ECÓ Û`+ACÓÓ Û`이므로
같으므로 2r이다.
1 3
∴ LÁ=4_2r=8r xÛ`= xÛ`+12, xÛ`=12
4 4
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원의 지름의 길이와 xÛ`=16   ∴ x=4 (∵ x>0)
같으므로 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라 하면 따라서 정삼각형 AEF의 한 변의 길이는 4이고 높이는 2'3이므
xÛ`+xÛ`=(2r)Û`, 2xÛ`=4rÛ` 로 그 넓이는
xÛ`=2rÛ`   ∴ x='2r (∵ x>0) 1
_4_2'3=4'3 답 4'3
즉, 원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r이므로 2

L2=4_'2r=4'2r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L 8r` 2`
∴ 1= = ='2 답 '2
L2 4'2r '2 이등변삼각형의 꼭짓점에서 밑변에 내린 수선의 발은 밑변의 중점과 일치한다. 이때,
정삼각형도 이등변삼각형이므로 정삼각형 AEF의 높이 AC는 밑변 EF를 수직이
등분한다.
따라서 ACÓ⊥EFÓ, ECÓ=FCÓ가 성립하므로 직각삼각형 AEC를 이용하여 정삼각형
AEF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15
각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 a+b
a b
이를 a, b, c, d라 하고 넓이를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c ac bc
17
c+d
직사각형 A의 넓이는 d ad bd
한 변의 길이가 2 cm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2'2 cm이
7 '7 고 점 P의 이동 경로는 다음 그림에서 ① → ② → ③이다.
ac=¿¹0.H7=¾ =
9 3

직사각형 B의 넓이는 ① ③

259 7 '2Œ1 2Â2`cm


bc=¿¹0.H25H9=¾Ð =¾Ð = l
999 27 9 P 2`cm

01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21~22

∴ (점
‌ P가 움직인 거리) Step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22 ~ 23
90 90 90
=2p_2_ +2p_2'2_ +2p_2_ 01 ⑴ 3 ⑵ 91 02 c<b<2a
360 360 360
03 ⑴ 풀이 참조, 4+2'2 ⑵ 16+6'2 04 12
=p+'2p+p=(2+'2)p (cm) 답②
05 6'2+10'3 06 6'2 07 5'3 08 4-2'3

18 01 해결단계
A0 전지를 반으로 자르는 과정을 반복하여 A1 용지, A2 용지, ➊ 단계 주어진 식을 만족시키는 x, y의 조건을 구한다.

A3 용지, y를 순서대로 만들면 다음 그림과 같다. ➋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의 개수를 구한다.
➌ 단계 y의 값이 최소일 때의 x, y의 값을 각각 구한다.
" ⑵
➍ 단계 y-x의 값을 구한다.
"
⑴ 637=7Û`_13이므로 'x+'y='Ä637에서
" 'x+'y=7'1Œ3   yy㉠
"
"
‌이때, 7'1Œ3은 무리수이고 x, y는 양의 정수이므로 ㉠을 만족
시키는 x, y는 x=13_kÛ`, y=13_lÛ` (k, l은 자연수) 꼴이

어야 한다.
이때, A2 용지의 넓이는 A4 용지의 넓이의 4배이므로 A4 용지
㉠에서 "Ã13_kÛ`+"Ã13_lÛ`=7'1Œ3이므로
와 A2 용지의 넓이의 비는 1`:`4이고 닮음비는 1`:`2이다.
k'1Œ3+l'1Œ3=7'1Œ3   ∴ k+l=7
∴ a=2
이때, 0<x<y이므로 0<k<l
3
B0 전지의 넓이는 A0 전지의 넓이의 1.5배, 즉 배이므로 A0
2 ∴ k=1, l=6 또는 k=2, l=5 또는 k=3, l=4
3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13, 468),
전지와 B0 전지의 넓이의 비는 1`:` 이고 닮음비는
2
(52, 325), (117, 208)의 3개이다.
3 '6
1`:`¾ =1`:` yy㉠ ⑵ ‌⑴에서 y가 최소일 때는 x=117, y=208일 때이므로
2 2
1 1 y-x=208-117=91
이때, B0 전지와 B6 용지의 넓이의 비는 1`:` =1`:` 이므로
2ß` 64  답 ⑴ 3 ⑵ 91
1 '6 '6
닮음비는 1`:` = `:` yy㉡
8 2 16
㉠, ㉡에서 A0 전지와 B6 용지의 닮음비는
'6
1`:` yy㉢
16
02 해결단계
1 1
한편, A0 전지와 A4 용지의 넓이의 비는 1`:` =1`:` 이므
2Ý` 16 ➊ 단계 세 수 3+'2, '6-1, 1+'5의 소수 부분을 각각 구한다.
1 ➋ 단계 2a, b, c의 대소를 비교한다.
로 닮음비는 1`:` yy㉣
4
1<'2<2이므로 4<3+'2<5
㉢, ㉣에서 A4 용지와 B6 용지의 닮음비는
즉, 3+'2의 정수 부분은 4이므로 소수 부분은
1 '6 '6 '6
:` =1`:`    ∴ b=  a=(3+'2 )-4='2-1
4 ` 16 4 4
'6 8-'6 8-'6 2<'6<3이므로 1<'6-1<2
∴ a-b=2- =  답
4 4 4 즉, '6-1의 정수 부분은 1이므로 소수 부분은
b=('6-1)-1='6-2
blacklabel 특강 교과 외 지식
2<'5<3이므로 3<1+'5<4
용지 규격의 유래
즉, 1+'5의 정수 부분은 3이므로 소수 부분은
A 용지, B 용지의 규격은 1909년 독일의 물리화학자 프레드릭 오스트발트
(1853~1932년)에 의해 만들어졌다. 가장 큰 A0`전지를 반으로 자른 것이 A1 용 c=(1+'5 )-3='5-2
지, 이것을 반으로 자른 것이 A2 용지로, 종이를 계속 반으로 잘라도 종이의 모양은
따라서 2a=2'2-2, b='6-2, c='5-2이고,
같다. 흔히 쓰는 A4는 A0를 네 번 자른 크기이다. 이 비율로 종이를 자르면 손실 부
분이 없어 효율적이기 때문에 1922년 독일공업규격(DIN) 476호로 제정되었다고 '5<'6<'8, 즉 '5<'6<2'2이므로
한다. A4 규격과 비슷한 규격으로는 영국식 국판, 미국식 레터 용지 등이 있으나 미 '5-2<'6-2<2'2-2
국, 영국 등을 제외하고는 독일식 규격이 국제 기준으로 쓰인다.
∴ c<b<2a 답 c<b<2a

Ⅰ. 실수와 그 계산 019
A n s w e r

03 해결단계 13-1 12 '1Œ2 2'3


¿¹1.H3=¾Ð =¾Ð = = 이므로
9 9 3 3
b 2'3 4 b 2'3
, 즉 ¾ `=
칠교놀이의 조각 중에서 서로 합동이 아니면서 둘레의 길이
⑴ ➊ 단계
가 같은 조각을 찾고 그 둘레의 길이를 구한다. 0.8¾ `= 에서
a 3 5 a 3
⑵ ➋ 단계 주어진 동물 모양의 둘레의 길이를 구한다. 2
b 2'3 5 5'3 75 25
¾Â2 `=⑦ 2 _ = 2-Â2=¾Ð =¾Ð
⑴ ‌각 조각을 오른쪽 그림과 같이 ①∼⑦로 a 3 4Â2 6 36 12
① Â2
2 2 b 25
¾Ð
③ ④
정하면 ①과 ②, ③과 ⑤는 각각 합동이다. 이때, 자연수
⑥ x에③대하여
⑤ x=¾Ð x가 자연수가 되어야 하
② ④ a 12
‌이때, 각 조각의 둘레의 길이를 구하면 다 ⑤
Â2 ① ``(k는②자연수) 꼴이어야 한다.
므로 x=12_kÛ
음과 같다. ⑥ ⑦ 2Â2
2 b
x는 k=1일 때이므로 ¾Ð x가 자연수가
2Â2
①, ② : 4+2'2+2'2=4+4'2 이 중 가장 작은 자연수
4-Â2
a
③, ⑤ : '2+'2+2=2+2'2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은 12이다. 답 12
④ : '2+'2+'2+'2=4'2
⑥ : 2+'2+2+'2=4+2'2
⑦ : 2+2+2'2=4+2'2
‌따라서 서로 합동이 아니면서 둘레의 길이가 같은 것은 다음
05 해결단계
그림의 두 조각이고 그 둘레의 길이는 4+2'2이다.
➊ 단계 주어진 네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각각 구한다.
➋ 단계 겹쳐진 부분이 정사각형임을 이용하여 길이가 같은 부분을 표시한다.
⑥ ⑦
➌ 단계 도형의 둘레의 길이를 구한다.

왼쪽에서부터 첫 번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 두 번째


⑵ 2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3, 세 번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
Â2 2 2-Â2
Â2
① Â2
이는 '8=2'2, 네 번째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2=2'3
③ 2 ④ 2
⑥ ③ ⑤
② ④

이다.
Â2 ① ②
⑥ ⑦ 2Â2 이때, 정사각형이 겹쳐진 부분 역시 정사각형이므로 주어진 도형
2 2Â2
4-Â2 에서 길이가 같은 부분을 표시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 ‌(둘레의 길이)=2+'2+2+'2+2+2'2+(4-'2) e
f
d
+2'2+2+(2-'2)+'2+'2+2 a
b c

=16+6'2
답 ⑴ 풀이 참조, 4+2'2 ⑵ 16+6'2

blacklabel 특강 교과 외 지식

칠교놀이
즉, 위의 그림에서 a+b='3, c+d=2'2, e+f=2'3이므로
한국의 민속놀이 중 하나로 사방 10`cm쯤 되는 나무판을 직각삼각형 큰 것 2개, 중
간 것 1개, 작은 것 2개, 그리고 정사각형과 평행사변형이 각각 1개가 되도록 잘라 구하는 둘레의 길이는
낸 조각들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형태를 만드는 놀이이다. 2_('2+a+b+c+d+e+f+2'3)
‘칠교’라는 이름은 이 판이 7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데에서 왔으며, 이 판을 칠교판
=2_('2+'3+2'2+2'3+2'3)
또는 칠교도라 한다. 예전에는 집에 손님이 왔을 때 음식을 준비하는 동안이나 사람
을 기다리는 시간에 주인이 놀이판을 내어놓기도 하여, 이를 유객판 또는 유객도라 =2_(3'2+5'3)
하였다.
=6'2+10'3 답 6'2+10'3
특히 이 놀이는 어린이들의 사고력, 상상력, 조직력 등을 기르는 데에 매우 유익한
놀이로 알려져 있다.

04 해결단계 06 해결단계
➊ 단계 직선 m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와 x절편을 각각 구한다.
➊ 단계 순환소수를 분수로 바꾸어 주어진 식을 정리한다.
직선 l이 삼각형의 넓이를 이등분하기 위해 지나야 하는 점을 찾
b ➋ 단계
➋ 단계 ¾ 의 값을 구한다. 는다.
a
➌ 단계 직선 l의 기울기를 구한다.
b
➌ 단계 ¾Ð x 가 자연수가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의 값을 구한다. ➍ 단계 직선 m의 x절편과 직선 l의 기울기의 곱을 구한다.
a

02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22~24

직선 m이 x축과 만나는 점을 A, y축과 만나는 점을 B라 하자. 미리보는 학력평가 p. 24


x y
- + =6에 y=0을 대입하면 x=-6'6,
'6 '2 1 ① 2 ② 3 ② 4 180

x=0을 대입하면 y=6'2이므로


A(-6'6, 0), B(0, 6'2)
∴ (직선 m의 x절편)=-6'6
1
이때, 직선 l이 삼각형 AOB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직선 l은 a의 양의 제곱근이 '6이므로
-6'6 6'2 'a='6   ∴ a=6
원점과 선분 AB의 중점 { , }, 즉
2 2 b는 12의 음의 제곱근이므로
(-3'6, 3'2 )를 지난다. b=-'1Œ2=-"Ã2Û`_3=-2'3
3'2-0 '3 a 6 3
∴ (직선 l의 기울기)= =- ∴ = =- =-'3 답①
-3'6-0 3 b -2'3 '3
따라서 직선 m의 x절편과 직선 l의 기울기의 곱은
'3
-6'6_{- }=6'2 답 6'2
3

07 해결단계 2
a를 제곱하여 aÛ`-a의 값을 구한다. 7'7
'Ä3.43=¾¨ 이므로 'Ä3.43= _'7
➊ 단계 7Ü` 7
=
➋ 단계 ➊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의 값을 구한다. 10Û` 10 10
7 7
a=¿¹6+"Ã6+'Ä6+y 에서 즉, 'Ä3.43은 '7의 배이므로 x=
10 10
aÛ`=6+"Ã6+'Ä6+y=6+a
5Û`_2 5'2 '2
=¾¨
5 50
∴ aÛ`-a=6 또한, 'Ä0.005=¾¨ =¾¨ = = 이므
1000 10000 100Û` 100 20
이것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로 '2=20_'Ä0.005
aÛ`-a 6 즉, '2는 'Ä0.005의 20배이므로 y=20
¾¨ +'¶48=¾ +"Ã2Ý`_3
2 2
7
='3+4'3=5'3 답 5'3 ∴ y-10x=20-10_ =13 답②
10

08 해결단계
➊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 b, c, d의 값을 각각 구한다.

3'Äc-a와 ¾Ð
2(d-b)
3
➋ 단계 의 소수 부분을 각각 구한다.
3
➌ 단계 소수 부분의 차를 구한다.
다음 그림과 같이 도형의 각 선분이 만나는 점을 A, B, C, D,
조건 ㈎와 ㈏에서 a, b, c, d는 제곱수이면서 3a+b=21, E, F, G, H, I, J, K라 하자.
2c+d=113을 만족시켜야 하므로  A
B K
C J
a=4, b=9, c=16, d=81
이때, 3'Äc-a=3'Ä1Œ6-4=3'1Œ2=6'3이고 10<6'3<11이므
D I
E H
로 3'Äc-a의 소수 부분은 6'3-10

또한,`¾Ð
2(d-b) ¾Ð 2_72
`= `=4'3이고 6<4'3<7이므로 F G
3 3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2이므로 위의
¾Ð 2(d-b) `의 소수 부분은 4'3-6
3 그림의 도형의 둘레의 길이는
∴ |(6'3-10)-(4'3-6)|
=|2'3-4| ABÓ+BCÓ+CDÓ+DEÓ+EFÓ+FGÓ+GHÓ+HIÓ+IJÓ+JKÓ+KAÓ
=4-2'3`(∵ 4>2'3 ) =ABÓ+BCÓ+CDÓ+(DEÓ+HIÓ)+EFÓ+FGÓ+GHÓ+IJÓ
답 4-2'3  +JKÓ+KAÓ

Ⅰ. 실수와 그 계산 021
A n s w e r

II
='2+(2-'2)+'2+(3'2-2'2)+2+'2+2+'2
+(2-'2)+'2

다항식의 곱셈과
=8+4'2 답②
인수분해
4
사각뿔 ABCDE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 면 BCDE의 두 대각 03 다항식의 곱셈과 곱셈 공식
선의 교점을 O라 하고 사각뿔의 전개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èAê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 27

01 ⑤ 02 ① 03 ② 04 3 05 ④
06 2 07 ① 08 ①
B E

01
O G'
èAê èAê
Q

R P
C D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전개하면
G (x-y+1)(-x-y-1)
=x(-x-y-1)-y(-x-y-1)+(-x-y-1)
A =-xÛ`-xy-x+xy+yÛ`+y-x-y-1
즉, GPÓ+PQÓ+QG'Ó의 값이 최소일 때는 네 점 G, P, Q, G'이 =-xÛ`-2x-1+yÛ`
한 직선 위에 있을 때이다. 즉, GPÓ+PQÓ+QG'Ó¾GG'Ó =-1-2x-xÛ`+yÛ` 답⑤
전개도에서 선분 CD와 선분 OA의 교점을 R라 하면 정삼각형
│다른풀이│
ACD에서 ARÓ⊥CDÓ이므로
x+1을 괄호로 묶고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전개하면
1
CRÓ=DRÓ= x (x-y+1)(-x-y-1)={(x+1)-y}{-(x+1)-y}
2
직각삼각형 ARC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y+(x+1)}{-y-(x+1)}

ACÓ Û`=ARÓ Û`+CRÓ Û` =(-y)Û`-(x+1)Û` 

1 3 =-1-2x-xÛ`+yÛ`
xÛ`=ARÓ Û`+ xÛ`, ARÓ Û`= xÛ`  
4 4
'3
∴ ARÓ= x (∵ x>0)
2
또한, 점 G는 삼각형 ACD의 무게중심이므로
AGÓ : GRÓ=2 : 1  
02
1
1 1 '3 '3 (2x+a)Û`=4xÛ`+4ax+aÛ`=4xÛ`-bx+ 에서
∴ GRÓ= ARÓ= _ x= x 9
3 3 2 6
1
∴ OGÓ
=ORÓ+GRÓ 4a=-b, aÛ`=
9
1 '3 1 4a=-b에서 b=-4a이므로
= x+ x= (3+'3)x
2 6 6
1 16
이때, 직각이등변삼각형 GOG'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bÛ`=16aÛ`=16_ =
9 9
1 1
=OGÓ Û`+OG'Ó Û`=[ (3+'3)x]Û`+[ (3+'3)x]Û`
GG'Ó Û` 1 16
∴ (a+b)(a-b)=aÛ`-bÛ`= - 
6 6 9 9
1
=2[ (3+'3)x]Û` =-
15 5
=-  답①
6 9 3
1 '2
∴ GG'Ó ='2_ (3+'3)x= (3+'3)x
6 6 │다른풀이│
'2 1
따라서 (3+'3)x=30(3'2+'6)이므로 (2x+a)Û`=4xÛ`+4ax+aÛ`=4xÛ`-bx+ 에서
6 9
3'2+'6 1
x=30(3'2+'6) 4a=-b, aÛ`=
6 9
1 1 4 1 4
x=30   ∴ x=180 답 180 ∴ a= , b=- 또는 a=- , b=
6 3 3 3 3

02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24~28

1 4
Ú a= , b=- 일 때,
3 3
06
1 4 1 4 1 2-'3
(a+b)(a-b)={ - }_[ -{- }] x= =
2+'3 (2+'3)(2-'3)

3 3 3 3
5 5 2-'3
=(-1)_ =- = =2-'3
3 3 2Û`-('3)Û`
1 4 ∴ x+y=(2-'3)+'3=2  답2
Û a=- , b= 일 때,
3 3
1 4 1 4
(a+b)(a-b)={- + }_{- - }
3 3 3 3
5
=1_{- }=-
5 07
3 3
(x-y)Û`=(x+y)Û`-4xy에서 (x-y)Û`=9, x+y=5이므로
5
Ú, Û에서 (a+b)(a-b)=- 9=5Û`-4xy, 4xy=16
3
∴ xy=4
∴ xÛ`+yÛ`=(x+y)Û`-2xy=5Û`-2_4=17 답①

03 │다른풀이│

(x-2)(x+6)-(3x-4)(x-1) (x-y)Û`=9에서 xÛ`-2xy+yÛ`=9 yy㉠

=xÛ`+4x-12-(3xÛ`-7x+4) x+y=5의 양변을 제곱하면 xÛ`+2xy+yÛ`=25 yy㉡

=-2xÛ`+11x-16 ㉠+㉡을 하면 2(xÛ`+yÛ`)=34

따라서 xÛ`의 계수는 -2, x의 계수는 11이므로 그 합은   ∴ xÛ`+yÛ`=17

-2+11=9 답②

08
04 길의 폭이 x로 일정하므로 딸기밭의 넓이는 처음 직사각형 모양
xÛ`-x-3=0에서 xÛ`-x=3   yy㉠ 의 땅에서 가로의 길이를 x만큼, 세로의 길이를 3x만큼 줄인 것
∴ x(x+1)(x-1)(x-2)={x(x-1)}{(x+1)(x-2)} 과 같다.
=(xÛ`-x)(xÛ`-x-2)  따라서 구하는 딸기밭의 넓이는
=3_(3-2) (∵ ㉠)  (5x+3-x)(9x-1-3x)=(4x+3)(6x-1)
=3 답3 =24xÛ`+14x-3 답①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5x+3 x 5x+3
05 x
x x

1670_1684+7Û` (1677-7)_(1677+7)+7Û`
= 
1677 1677 9x-1 9x-1

1677Û`-7Û`+7Û`
= 
1677
1677Û`
= 
1677
=1677 답④

│다른풀이│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28 ~ 31

1670=x로 놓으면 01 ④ 02 32 03 ② 04 ③ 05 ①
1670_1684+7Û` 1670_(1670+14)+7Û` 06 6xÛ`-15x-9 07 ② 08 12 09 ③
= 
1677 1670+7 10 32 11 ④ 12 ① 13 ③ 14 9
x(x+14)+7Û` 5
=  15 9 16 ② 17   18 ③ 19  7
x+7 2
xÛ`+14x+7Û` (x+7)Û` 4+'2
20 0 21 ④ 22 12aÛ`+102a+16 23
= =  7
x+7 x+7
24 100
=x+7=1670+7=1677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23


A n s w e r

01 (1+2+3)Û`=6Û`=36

(2x-3)(xÛ`+ax+a)-(xÛ`-4)(x+1) 이때, (xÜ`+2x+3)(xÜ`+2x+3)의 전개식에서 xÛ`항은

=2x(xÛ`+ax+a)-3(xÛ`+ax+a)-xÛ`(x+1)+4(x+1) 2x_2x=4xÛ`이므로 xÛ`의 계수는 4

=2xÜ`+2axÛ`+2ax-3xÛ`-3ax-3a-xÜ`-xÛ`+4x+4 따라서 구하는 값은

=xÜ`+(2a-4)xÛ`+(4-a)x+4-3a 36-4=32

x의 계수가 7이므로 4-a=7   ∴ a=-3 blacklabel 특강 필수원리


따라서 상수항은 4-3a=4-3_(-3)=13 답④
x에 대한 다항식
│다른풀이│    a¼+aÁ x+aª xÛ`+a£ xÜ`+y+aÇ xÇ`
의 모든 항의 계수 및 상수항의 합
(2x-3)(xÛ`+ax+a)의 전개식에서
   a¼+aÁ+aª+a£+y+aÇ
Ú x항 : 2x_a+(-3)_ax=(2a-3a)x=-ax 은 주어진 다항식에 x=1을 대입한 식의 값과 같다.

Û 상수항 : (-3)_a=-3a
(xÛ`-4)(x+1)의 전개식에서
Ü x항 : -4x
Ý 상수항 : -4 03
즉, (2x-3)(xÛ`+ax+a)-(xÛ`-4)(x+1)의 전개식에서 x항은 조건 ㈎에서 A=5a+3 (a는 음이 아닌 정수)이라 할 수 있고
Ú, Ü에서 -ax-(-4x)=(4-a)x 조건 ㈏에서 B=10b+7 (b는 음이 아닌 정수)이라 할 수 있다.
이때, x의 계수가 7이므로 ∴ AB=(5a+3)(10b+7)
4-a=7   ∴ a=-3 =5a(10b+7)+3(10b+7) 
따라서 상수항은 Û, Ý에서 =50ab+35a+30b+21 
-3a-(-4)=-3_(-3)+4=13 =5(10ab+7a+6b+4)+1

필수원리 따라서 AB를 5로 나누었을 때의 나머지는 1이다. 답②


blacklabel 특강

특정 항의 계수 구하기
(다항식)_(다항식)에서
⑴ (xÛ`의 계수)=(xÛ`의 계수)_(상수항)+(x의 계수)_(x의 계수)
          +(상수항)_(xÛ`의 계수) 04
⑵ (xy의 계수)=(x의 계수)_(y의 계수)+(y의 계수)_(x의 계수)
(x+A)(x+B)=xÛ`+(A+B)x+AB
          +(xy의 계수)_(상수항)+(상수항)_(xy의 계수)
⑶ (x의 계수)=(x의 계수)_(상수항)+(상수항)_(x의 계수) =xÛ`+Cx-24
이므로 AB=-24, A+B=C이다.
이때 A, B는 정수이므로
Ú 두
‌ 수 A, B가 -1, 24 또는 1, -24일 때, 
C=23 또는 C=-23   ∴ C=23 (∵ C는 자연수) (⑤)
02 Û 두
‌ 수 A, B가 -2, 12 또는 2, -12일 때, 
(xÜ`+2x+3)Û` C=10 또는 C=-10   ∴ C=10 (∵ C는 자연수) (④)
=(xÜ`+2x+3)(xÜ`+2x+3) Ü 두
‌ 수 A, B가 -3, 8 또는 3, -8일 때, 
=xÜ`(xÜ`+2x+3)+2x(xÜ`+2x+3)+3(xÜ`+2x+3) C=5 또는 C=-5   ∴ C=5 (∵ C는 자연수) (②)
=xß`+2xÝ`+3xÜ`+2xÝ`+4xÛ`+6x+3xÜ`+6x+9 Ý ‌두 수 A, B가 -4, 6 또는 4, -6일 때, 
=xß`+4xÝ`+6xÜ`+4xÛ`+12x+9 C=2 또는 C=-2   ∴ C=2 (∵ C는 자연수) (①)
따라서 xÛ`의 계수를 제외한 모든 항의 계수 및 상수항의 총합은 Ú ~ Ý에서 C의 값이 될 수 없는 것은 ③ 8이다. 답③
1+4+6+12+9=32 답 32

│다른풀이│
x에 대한 다항식에서 모든 항의 계수 및 상수항의 총합을 구할
05
때는 주어진 식에 x=1을 대입하면 된다.
6
x+ =-5의 양변에 x를 곱하면
즉, (xÜ`+2x+3)Û`에 x=1을 대입하면 모든 항의 계수 및 상수 x
항의 총합은 xÛ`+6=-5x   ∴ ‌xÛ`+5x=-6   yy㉠

02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28~29

∴ ‌(x-1)(x+1)(x+4)(x+6) 
09
={(x+1)(x+4)}{(x-1)(x+6)} 
두 수의 십의 자리의 숫자를 a, 일의 자리의 숫자를 각각 b, c라
=(xÛ`+5x+4)(xÛ`+5x-6) 
하면 두 자리의 자연수는 각각 10a+b , 10a+c로 나타낼 수
=(-6+4)_(-6-6) (∵ ㉠) 
있다.
=-2_(-12)=24 답①
∴ (10a+b)(10a+c)=(10a)Û`+(b+c)_10a+bc
=100aÛ`+ 10 _10a+bc 
 (∵ b+c=10)
06 =100(aÛ`+a)+bc
(ax+1)(3x+b)=3axÛ`+(ab+3)x+b   yy㉠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111_19를 계산하면
세움이는 a를 잘못 보고 3xÛ`-6x+c로 전개하였으므로 111_19=(100+11)_19 
세움이가 잘못 본 a의 값은 1이고 ㉠에서 =100_19+11_19 
3xÛ`+(b+3)x+b=3xÛ`-6x+c = 1900 +11_19 
∴ b=c=-9 =1900+(10+1)_(10+9) 
용재는 b를 잘못 보고 6xÛ`+dx-7로 전개하였으므로 =1900+{100_(1Û`+1)+1_9} 
용재가 잘못 본 b의 값은 -7이고 ㉠에서
=1900+(100_ 2 + 9 ) 
3axÛ`+(3-7a)x-7=6xÛ`+dx-7
=1900+(200+9) 
∴ a=2, d=-11
=2109
따라서 a=2, b=-9를 ㉠에 대입하면
∴ ㈎ : 10a+b, ㈏ : 10, ㈐ : 1900, ㈑ : 2, ㈒ : 9
(2x+1)(3x-9)=6xÛ`-15x-9 답 6xÛ`-15x-9
따라서 ㈎~㈒에 들어갈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③ ㈐이다. 답 ③

07
x(xÛ`+4)(x+2)(xÝ`+16)(x-2)+(2x-1)Û`+5
10
(3+1)(32+1)(34+1)(38+1)(316+1)
=x(x-2)(x+2)(xÛ`+4)(xÝ`+16)+(2x-1)Û`+5
1
=x(xÛ`-4)(xÛ`+4)(xÝ`+16)+(2x-1)Û`+5 = (3-1)(3+1)(32+1)(34+1)(38+1)(316+1)
2
=x(xÝ`-16)(xÝ`+16)+(2x-1)Û`+5 1
= (32-1)(32+1)(34+1)(38+1)(316+1)
=x(x8-256)+(2x-1)Û`+5 2

=x9-256x+4xÛ`-4x+1+5 1
= (34-1)(34+1)(38+1)(316+1)
2
=x9+4xÛ`-260x+6 1
= (38-1)(38+1)(316+1)
이때, xÛ`의 계수는 4, x의 계수는 -260이므로 2
a=4, b=-260 1 1
= (316-1)(316+1)= (332-1)
2 2
∴ a+b=4+(-260)=-256 답②
1 32 1
즉, (3 -1)= (3n-1)이므로
2 2
n=32 답 32

08
연속한 두 홀수를 2n-1, 2n+1 (n은 자연수)이라 하면 제곱의
차는 11
(2n+1)Û`-(2n-1)Û`=(4nÛ`+4n+1)-(4nÛ`-4n+1)  (1015-5)Û`=(1015)2-2_1015_5+5Û`
=8n =1030-1016+25 0이 14개 0이 16개
(
\
{
\
9
(
\
{
\
9

즉, 농구팀의 선수들에게 부여할 수 있는 등번호는 두 자리 이하 이때, 1030=1000y0이고 100y00000y00


->³ 100y00
(
\
{
\
9

0이 30개
의 8의 배수이다.
1016=1000y0이므로 9y999900y00
따라서 가능한 등번호는 8, 16, 24, y, 96의 12개이다. 답 12
(
\
{
\
9
(
\
{
\
9
(
\
{
\
9

0이 16개 9가 14개 0이 16개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25


A n s w e r

1030-1016+25=999y9 000y0+25 그러므로

(
{
9
(
{
9
9가 14개 0이 16개
1 2 2(3+'3) 3+'3
=999y9 000y0 25 = = = 
1 3-'3 (3-'3)(3+'3) 3
(
{
9
(
{
9
9가 14개 0이 14개 1-11131311
1
따라서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은   1-1142321
1
9_14+0_14+2+5=133 답④ 1-121
1-x 답③


14
2
f(x)= 이므로
'Äx+2+'x
12 2
f(0)= ='2
'2
2-'3 (2-'3)(2-'3)
x= = =(2-'3)Û` 2 2('3-1)
2+'3 (2+'3)(2-'3) f(1)= = ='3-1
'3+1 ('3+1)('3-1)
=4-4'3+3=7-4'3
2 2('4-'2)
f(2)= = ='4-'2
1 2+'3 (2+'3)(2+'3)
‌= = =(2+'3)Û` '4+'2 ('4+'2)('4-'2)
x 2-'3 (2-'3)(2+'3)

y
=4+4'3+3=7+4'3 2 2('¶25-'¶23)
f(23)= = ='¶25-'¶23
1 '¶25+'¶23 ('¶25+'¶23)('¶25-'¶23)
∴ ‌xÛ`- =(7-4'3)Û`-(7+4'3)Û` 
xÛ` 2 2('¶26-'¶24)
f(24)= = ='¶26-'¶24
=(49-56'3+48)-(49+56'3+48) '¶26+'¶24 ('¶26+'¶24)('¶26-'¶24)
=-112'3 답① ∴ N=f(0)+f(1)+f(2)+y+f(23)+f(24)
='2+('3-1)+('4-'2)+y
 +('¶25-'¶23)+('¶26-'¶24)
='¶25+'¶26-1=4+'¶26
이때, '¶25<'¶26<'¶36에서 5<'¶26<6이므로
9<4+'¶26<10 ∴ 9<N<10
13 따라서 N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는 9이다. 답9
'3-1 '3-1 3-'3
x= 에서 1-x=1- = 이므로
2 2 2 풀이첨삭
blacklabel 특강
1 2 2(3+'3) 3+'3
= = = 분모, 분자에 근호가 포함되어 있고, 근호 안에 문자가 들어 있는 식의 계산이 힘들
1-x 3-'3 (3-'3)(3+'3) 3
지 않다면
1 3+'3 '3    f(x)=
2
=
2('Äx+2-'x)
즉, 1- =1- =- 이므로 'Äx+2+'x ('Äx+2+'x)('Äx+2-'x)
1-x 3 3
2('Äx+2-'x)
3 = ='Äx+2-'x
1 (x+2)-x
=- =-'3
1 '3 와 같이 f(x)를 먼저 간단히 한 후, 숫자를 대입해도 된다.
1-
1-x
1
따라서 1- =1-(-'3)=1+'3에서
1
1-
1-x 15 해결단계
1 1 1-'3
= = ➊ 단계 a+'b와 그 역수의 합을 분모의 유리화를 이용하여 정리한다.
1 1+'3 (1+'3)(1-'3)
1-111321 ➋ 단계 a+'b와 그 역수의 합이 정수가 되는 조건을 찾는다.
1
  1-1142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의 개수를 구한다.
1-x
1-'3
=- 무리수 a+'b와 그 역수의 합은
2
1 a-'b
a+'b+ =a+'b+ 
이므로 a+'b (a+'b)(a-'b)
a-'b
}=
1 1-'3 3-'3
1- =1-{- =a+'b+ 
1 2 2 aÛ`-b
1-111321
1 a 1
  1-1142
1-x ={a+ }+{1- }'b
aÛ`-b aÛ`-b

02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29~31

이때, a, b는 자연수이고 'b는 무리수이므로 위의 식의 값이 정수


18
가 되려면
x=2'2+3, y=2'2-3이므로
a 1
a+ =(정수)   yy㉠, 1- =0   yy㉡ (x6n-y6n)2-(x6n+y6n)2
aÛ`-b aÛ`-b
={(x6n+y6n)Û`-4x6ny6n}-(x6n+y6n)2
이어야 한다.
=-4x6ny6n
㉡에서 aÛ`-b=1, 즉 b=aÛ`-1
=-4(xy)6n
이를 ㉠에 대입하면
=-4{(2'2+3)(2'2-3)}6n
a
a+ =a+a=2a=(정수)   =-4_(-1)6n
aÛ`-b
∴ 2a=(정수), b=aÛ`-1 =-4 답③

따라서 100 이하의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2, 3), (3, 8), (4, 15), (5, 24), (6, 35), (7, 48), (8, 63),
(9, 80), (10, 99)의 9개이다. 답9

19
aÛ`-ax+1=0에서 a+0이므로 양변을 a로 나누면
1 1
a-x+ =0   ∴ a+ =x   yy㉠
16 a a
3 1 1 1
a-b=3   yy㉠, ab=-2   yy㉡ ∴ aÛ`-3a- + ={aÛ`+ }-3{a+ }
a aÛ` aÛ` a
이므로 1 1
={a+ }Û`-2-3{a+ } 
b-1 a+1 b(b-1)+a(a+1) a a
+ = 
a b ab =xÛ`-3x-2 (∵ ㉠) 
bÛ`-b+aÛ`+a aÛ`+bÛ`+(a-b)` =AxÛ`+Bx+C
= =
ab ab
(a-b)Û`+2ab+(a-b) 따라서 A=1, B=-3, C=-2이므로
=
ab 3A-2B+C=3_1-2_(-3)+(-2)=7 답7
3Û`+2_(-2)+3
= (∵ ㉠, ㉡) 
-2
8
= =-4 답②
-2

20 해결단계
➊ 단계 완전제곱식을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ab)n의 값을 구한다.
17
➋ 단계
➌ 단계 주어진 식을 정리하고 그 값을 구한다.
(x+y)Û`-(x-y)Û`=8에서
aÛ`+bÛ`=(a+b)Û`-2ab에서 a+b=5, aÛ`+bÛ`=27이므로
{(x-y)Û`+4xy}-(x-y)Û`=8
27=5Û`-2ab   ∴ ab=-1
4xy=8   ∴ xy=2   yy㉠
따라서 홀수 n에 대하여
(2x-1)(2y-1)=3에서
(ab)n=(-1)n=-1
4xy-2(x+y)-2=0, 2xy-(x+y)-1=0
∴ ‌(주어진 식) 
이때, xy=2이므로 4-(x+y)-1=0
aÜ`+bÜ`
]+[(aÜ`+bÜ`)+ ]+y
a+b
∴ x+y=3 yy㉡ =[(a+b)+
ab aÜ`bÜ`
x y xÛ`+yÛ` (x+y)Û`-2xy` aÇ`+bÇ``
+ =
y x xy
=
xy
 +[(an+bn)+ ]
aÇ` bÇ`
3Û`-2_2   ={(a+b)-(a+b)}+{(aÜ`+bÜ`)-(aÜ`+bÜ`)}+y
= (∵ ㉠, ㉡) 
2
 +{(an+bn)-(an+bn)}
5 5
=  답
2 2   =0 답0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27


A n s w e r

21 3+'2
2
EBÓ=
1+'2
2
변형 전의 정사각형의 넓이는 1+'2 (1+'2)(3-'2) 1+2'2
∴ EBÓ= = =
a_a=a2 3+'2 (3+'2)(3-'2) 7
변형 후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또한, 두 삼각형 AOK, HIK에서 A

(a+b)(a-b)=a2-b2 △AOK»△HIK (AA 닮음)


1
H
따라서 사각형의 넓이는 b 만큼 줄어든다. 2
답④ 즉, AOÓ : HIÓ=KOÓ : KIÓ에서
K
3+'2 1 O 2+Â2 I 1
1 : HIÓ= : 이므로 2 2
2 2
3+'2 1
HIÓ=
2 2
1 3-'2 3-'2
∴ HIÓ= = =
3+'2 (3+'2)(3-'2) 7
22 1+2'2 3-'2 4+'2 4+'2
∴ EBÓ+HIÓ= + =  답
직육면체 모양의 상자의 겉넓이는 7 7 7 7
2{(3a+4)_(2a+1)+(2a+1)_10+10_(3a+4)}
blacklabel 특강 참고
=2(6aÛ`+11a+4+20a+10+30a+40)
직각삼각형에서의 AA 닮음
=2(6aÛ`+61a+54)
직각삼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는 90ù이므로 나머지 두 A
=12aÛ`+122a+108 내각 중에서 한 내각의 크기만 서로 같으면 AA 닮음
A'
띠로 가려지는 부분의 넓이는 에 의하여 닮은 삼각형이 된다. 즉,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내각을 공유하는 두 직각삼각형 ABC, A'B'C는 닮
(네 옆면에서 가려지는 부분의 넓이) 은 삼각형이다.
B B'
C

 +(두 밑면에서 가려지는 부분의 넓이)


=4_(2_10)+2_{2_(2a+1)+2_(3a+4)-2_2}
=80+2(4a+2+6a+8-4)
=20a+92
24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1단계]에 사용된 상자는 1개
(12aÛ`+122a+108)-(20a+92)=12aÛ`+102a+16
[2단계]에 사용된 상자는 1+3=4(개)
답 12aÛ`+102a+16
[3단계]에 사용된 상자는 1+3+5=9(개)

blacklabel 특강 오답피하기 [4단계]에 사용된 상자는 1+3+5+7=16(개)


[5단계]에 사용된 상자는 1+3+5+7+9=25(개)
직육면체의 네 옆면에는 띠가 한 번씩 지나가고 두 밑면에는 각각 띠가 수직으로 교 ㈎
차하여 지나간다. 이때, 상자 하나의 가로의 길이가 2x+y, 세로의 길이가
따라서 두 밑면에서 띠로 가려지는 부분의 넓이를 구할 때, 띠가 겹쳐지는 부분의 넓
x-2y+3, 높이가 2이므로 [5단계]에 사용된 상자 전체의 부피는
이가 중복됨에 주의한다.
25_(상자 하나의 부피)
=25_{(2x+y)(x-2y+3)_2}
=50(2x+y)(x-2y+3)
=50{2x(x-2y+3)+y(x-2y+3)}
=50(2xÛ`-4xy+6x+xy-2yÛ`+3y)
23 =50(2xÛ`-3xy-2yÛ`+6x+3y)
SÁ=1이므로 OAÓ=OBÓ=1 =100xÛ`-150xy-100yÛ`+300x+150y

1 '2 =axÛ`+bxy+cyÛ`+dx+ey
Sª= 이므로 BDÓ=BIÓ=
2 2
따라서 a=100, b=-150, e=150이므로
1 1
S£= 이므로 IGÓ=IKÓ= a+b+e=100+(-150)+150=100
4 2 ㈐
두 삼각형 AOK, EBK에서 A  답 100

△AOK»△EBK (AA 닮음) E 단계 채점 기준 배점


1
㈎ [5단계]의 상자의 개수를 구한 경우 40%
즉, AOÓ : EBÓ=KOÓ : KBÓ에서
K ㈏ [5단계]의 상자 전체의 부피를 구한 경우 40%
3+'2 1+'2 O 1 B 1+Â2
1 : EBÓ= : 이므로 2 ㈐ a, b, e의 값을 각각 구하고, a+b+e의 값을 구한 경우 20%
2 2

02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31~32

x
Step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32 ~ 33 위의 식의 양변에
x-1
를 곱하면

01 ⑴ aÛ`+bÛ`=17, xÛ`+yÛ`=10 ⑵ 91 02 17 xa-1 x16-1 x x16-1


c= _ = 16
03 ⑴ aÛ`-5a+4 ⑵ 21a+39 ⑶ 12aÛ`-192 04 120
b
x -x x 16
x-1 x -x15
05 18 06 2 07 16 08 58 따라서 a=16, b=16, c=15이므로
a+b-c=16+16-15=17  답 17

01 해결단계
➊ 단계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aÛ`+bÛ`의 값을 구한다.

➋ 단계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xÛ`+yÛ`의 값을 구한다.
⑵ ➌ 단계 (ax+by)(bx+ay)의 값을 구한다. 03 해결단계
⑴ a+b=5, ab=4이므로 ⑴ ➊ 단계 직사각형 EFCD의 넓이를 구한다.
aÛ`+bÛ`=(a+b)Û`-2ab=5Û`-8=17 yy㉠ ⑵ ➋ 단계 전체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구한다.
x+y=4, xy=3이므로 ⑶ ➌ 단계 겹치지 않는 부분의 넓이의 합을 구한다.

xÛ`+yÛ`=(x+y)Û`-2xy=4Û`-6=10 yy㉡ ⑴ BFÓ=CGÓ=2a+4이므로


⑵ (ax+by)(bx+ay)=abxÛ`+aÛ`xy+bÛ`xy+abyÛ` FCÓ=FGÓ-CGÓ=(3a+3)-(2a+4)=a-1
=4xÛ`+3aÛ`+3bÛ`+4yÛ` 따라서 직사각형 EFCD의 넓이는
=4(xÛ`+yÛ`)+3(aÛ`+bÛ`) EFÓ_FCÓ=(a-4)(a-1)=aÛ`-5a+4
=4_10+3_17 (∵ ㉠, ㉡) ⑵ ‌직사각형 2개를 겹치면 겹쳐진 부분이 1개 생기고
=40+51=91 직사각형 3개를 겹치면 겹쳐진 부분이 2개 생기고
답 ⑴ aÛ`+bÛ`=17, xÛ`+yÛ`=10 ⑵ 91
y

직사각형 10개를 겹치면 겹쳐진 부분은 9개 생긴다.


따라서 10개의 직사각형을 일렬로 배열할 때, 전체 직사각형
의 가로의 길이는
10 BCÓ-9 CFÓ=10(3a+3)-9(a-1)
=30a+30-9a+9
02 해결단계
=21a+39
1
➊ 단계 등식의 양변에 1- 을 곱하고 좌변을 전개한다.
x
⑶ 10개의 직사각형을 겹쳐서 만든 전체 직사각형의 넓이는
➋ 단계 세 자연수 a, b, c의 값을 각각 구한다. (21a+39)(a-4)=21aÛ`-45a-156
➌ 단계 a+b-c의 값을 구한다. ‌이때, ⑴에 의하여 겹치는 부분 하나의 넓이가 aÛ`-5a+4이

1 므로 겹치지 않는 부분의 넓이의 합은


주어진 등식의 양변에 1- 을 곱하면
x (21aÛ`-45a-156)-9(aÛ`-5a+4)
1 1 1 1 1
{1- }{1+ }{1+ }{1+ }{1+ } =21aÛ`-45a-156-9aÛ`+45a-36
x x xÛ` xÝ` x¡`
=12aÛ`-192
1 xa-1
={1- } b
x x -xc 답 ⑴ aÛ`-5a+4 ⑵ 21a+39 ⑶ 12aÛ`-192
이때, 좌변을 정리하면
1 1 1 1 1
{1- }{1+ }{1+ }{1+ }{1+ }
x x xÛ` xÝ` x¡`
1 1 1 1
={1- }{1+ }{1+ }{1+ }
xÛ` xÛ` xÝ` x¡`
1 1
={1- }{1+ }{1+ }
1 04 해결단계
xÝ` xÝ` x¡`
1 1 1 ➊ 단계 `f(1), f(2), f(3), y의 값을 각각 구한다.
={1- }{1+ }=1- 16 `f(n) (n은 자연수)의 값의 규칙을 찾는다.
x¡` x¡` x ➋ 단계

1 1 xa-1 b-a의 값을 구한다.


즉, 1- 16 ={1- } b
➌ 단계
이므로
x x x -xc
16 a 1<'3<2이므로 '3의 소수 부분은
x -1 x-1 x -1
= _ b f(1)='3-1
x16 x x -xc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29


A n s w e r

1 1 '3+1 aÛ`+bÛ`=2에서 bÛ`=2-aÛ` yy㉡


= = 이고, 2<'3+1<3에서
`f(1) '3-1 2 xÛ`+yÛ`=2에서 yÛ`=2-xÛ` yy㉢
'3+1 3 1
1< < 이므로 의 소수 부분은 ㉡, ㉢을 ㉠에 대입하면
2 2 `f(1)
aÛ`xÛ`=(2-aÛ`)(2-xÛ`)
'3+1 '3-1
f(2)= -1= =4-2xÛ`-2aÛ`+aÛ`xÛ`
2 2
1 2 즉, 4-2xÛ`-2aÛ`=0
= ='3+1이고, 2<'3+1<3이므로
`f(2) '3-1 2(aÛ`+xÛ`)=4
1 ∴ aÛ`+xÛ`=2 답2
의 소수 부분은
`f(2)
f(3)=('3+1)-2='3-1
같은 방법으로 계속하면
f(1)=f(3)=f(5)=y=f(79)='3-1,
'3-1
f(2)=f(4)=f(6)=y=f(80)=
2
07 해결단계
∴ ‌
f(1)+f(2)+f(3)+y+f(80)
'3-1 ➊ 단계 AQÓ=x, QBÓ=y라 하고 SÁ을 x, y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3-1)_40+ _40 △PAB가 직각삼각형임을 확인하고, Sª를 x, y를 사용하여 나타
2 ➋ 단계
낸다.
=40'3-40+20'3-20=-60+60'3 x-y=8'3, SÁ-Sª=2p임을 이용하여 선분 AB의 길이를 구
➌ 단계
한다.
따라서 a=-60, b=60이므로
b-a=60-(-60)=120 답 120 다음 그림과 같이 AQÓ=x, QBÓ=y라 하면
P

05 해결단계 A
x Q y
B

x+y Û` 1 x 1 y 1 p
➊ 단계 3_9_19_511에 1을 더한 값이 aÇ` 꼴임을 파악한다. SÁ=p{ } _ -p{ }Û`_ -p{ }Û`_ = xy
2 2 2 2 2 2 4
➋ 단계 곱셈 공식을 이용하여 aÇ` 의 값을 구한다.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장 큰 자연수 n의 값을 구한다. 이때, 다음 그림과 같이 삼각형 PAB를 나타내면 변 AB가
△PAB의 외접원의 지름이다. 즉, △PAB의 외심이 변 AB 위
3_9_19_511=aÇ` -1 (a, n은 자연수) 꼴이므로
에 있으므로 △PAB는 ∠APB=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3_9_19_511+1=aÇ`
P
이때,
3_9_19_511+1=513_511+1
A B
=(512+1)(512-1)+1 x Q y

=512Û`-1Û`+1 또한, PQÓ는 꼭짓점 P에서 빗변 AB에 내린 수선이므로


=512Û` △AQP»△PQB (AA 닮음)
그런데 512=2á`이므로 aÇ` =(2á`)Û`=218 즉, AQÓ : PQÓ=PQÓ : BQÓ에서
따라서 가장 큰 자연수 n의 값은 PQÓ Û`=AQÓ_BQÓ=xy
n=18 답 18 PQÓ Û` 1 p
∴ Sª=p{ } _ = xy
2 2 8
그런데 SÁ-Sª=2p이므로
p p p
06 해결단계 4
xy- xy=2p, xy=2p   ∴ xy=16
8 8

➊ 단계 주어진 등식을 적절히 변형한다. 또한, AQÓ-QBÓ=8'3에서 x-y=8'3이므로


➋ 단계 aÛ`xÛ`=(2-aÛ`)(2-xÛ`)임을 파악한다. ABÓ Û`=(AQÓ+QBÓ)Û`=(x+y)Û`
➌ 단계 aÛ`+xÛ`의 값을 구한다.
=(x-y)Û`+4xy=(8'3)Û`+4_16
ax-by=0에서 ax=by =192+64=256
∴ aÛ`xÛ`=bÛ`yÛ` yy㉠ ∴ ABÓ=16 (∵ ABÓ>0) 답 16

03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32~34

│다른풀이│ 'Än+1-'n
= 
다음 그림과 같이 삼각형 PAB를 나타내면 변 AB가 △PAB의 (n+1)-n

외접원의 지름이다. 즉, △PAB의 외심이 변 AB 위에 있으므 ='Än+1-'n


로 △PAB는 ∠APB=90ù인 직각삼각형이다. 1 'n-'Än-1
= 
P
'n+'Än-1 ('n+'Än-1)('n-'Än-1)
'n-'Än-1
= 
n-(n-1)
A B
x Q y ='n-'Än-1

또한, 점 P에서 선분 AB에 내린 수선의 발이 Q이므로 이므로


1
∠AQP=90ù, ∠PQB=90ù 'Än+1-'n< <'n-'Än-1
2'n
AQÓ=x, QBÓ=y라 하면 직각삼각형 PAB에서 피타고라스 정
1
∴ 2('Än+1-'n)< <2('n-'Än-1)
리에 의하여 'n
APÓ Û`+BPÓ Û`=(x+y)Û` yy㉠ 1
n=2일 때, 2('3-'2)< <2('2-1)
두 직각삼각형 QPA와 QBP에서 '2
PQÓ Û`=APÓ Û`-xÛ`=BPÓ Û`-yÛ` 1
n=3일 때, 2('4-'3)< <2('3-'2)
∴ APÓ Û`-BPÓ Û`=xÛ`-yÛ` yy㉡ '3

㉠-㉡을 하면
y
2BPÓ Û`=(x+y)Û`-xÛ`+yÛ`=2xy+2yÛ` 1
n=899일 때, 2('¶900-'¶899)< <2('¶899-'¶898)
'¶899
∴ BPÓ Û`=xy+yÛ`
1
n=900일 때, 2('¶901-'¶900)< <2('¶900-'¶899)
따라서 직각삼각형 QBP에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하여 '¶900
PQÓ Û`=BPÓ Û`-yÛ`=xy+yÛ`-yÛ`=xy
위의 부등식을 각 변끼리 모두 더하면
1 1 1 1
blacklabel 특강 필수개념 2('¶901-'2)< + +y+ + <2('¶900-1)
'2 '3 '¶899 '¶900
직각삼각형의 닮음의 응용
즉, 2('¶901-'2)<P-1<2(30-1)이므로
∠A=90ù인 직각삼각형 ABC의 꼭짓점 A에서  A
빗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2("Ã10Û`_9.01-'2)+1<P<2_29+1
△ABC»△HBA»△HAC (AA 닮음) 2(10_3.01-1.4)+1<P<59
⑴ ‌△ABC»△HBA에서
B C
ABÓ`:`BHÓ=BCÓ`:`ABÓ ⇨ ABÓ Û`=BHÓ_BCÓ H 따라서 58.4<P<59이므로
⑵ ‌△ABC»△HAC에서 [P]=58 답 58
CBÓ`:`ACÓ=ACÓ`:`CHÓ ⇨ ACÓ Û`=CHÓ_CBÓ
⑶ ‌△HBA»△HAC에서 참고
blacklabel 특강
BHÓ`:`AHÓ=AHÓ`:`CHÓ ⇨ AHÓ Û`=BHÓ_CHÓ
범위가 주어진 수의 합
두 실수 x, y에 대하여 x, y의 값의 범위가 주어졌을 때, x+y의 값의 범위는 x, y의
값의 각 범위에서 가장 작은 값의 합보다 크고 가장 큰 값의 합보다 작다.
   a<x<b, c<y<d ⇨ a+c<x+y<b+d

08 해결단계
1 1 1
< < (n은 1보다 큰 자연수)임
'Än+1+'n 2'n 'n+'Än-1 미리보는 학력평가 p. 34
➊ 단계
1
을 이용하여 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n 1 16 2 16자리 3 ② 4 ⑤

1
n 대신 2부터 900까지의 자연수를 대입하여 의 각 값의 범위
➋ 단계 'n

1
를 구한다.
➌ 단계 부등식의 각 변끼리 더하여 P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➍ 단계 [P]의 값을 구한다. 2010Û`-2002_2018 2010Û`-(2010-8)_(2010+8)
=
2011Û`-2009_2013 2011Û`-(2011-2)_(2011+2)
1 1 1
< < (n은 1보다 큰 자연수)에서 2010Û`-2010Û`+8Û`
'Än+1+'n 2'n 'n+'Än-1 = 
2011Û`-2011Û`+2Û`
1 'Än+1-'n 64
=  = =16 답 16
'Än+1+'n ('Än+1+'n)('Än+1-'n) 4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31


A n s w e r

2 04 인수분해
9_11_101_10001_100000001
=(10-1)(10+1)(100+1)(10000+1)(100000000+1)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 36
8
=(10-1)(10+1)(10Û`+1)(10Ý`+1)(10 +1) 01 ⑤ 02 ① 03 176 04 14 05 ③
=(10Û`-1)(10Û`+1)(10Ý`+1)(108+1) 06 161 07 ② 08 ④

=(10Ý`-1)(10Ý`+1)(108+1)
=(108-1)(108+1)
=1016-1 01
이때, 1016은 가장 큰 자리의 숫자가 1인 17자리의 자연수이므로 ③ xÛ`-1=(x+1)(x-1)
16
10 -1은 16자리의 자연수이다. 답 16자리 ④ xÛ`-x=x(x-1)
따라서 인수가 아닌 것은 ⑤이다. 답⑤

02
3 25xÛ`+(4k-1)x+16=(5xÑ4)Û`
색칠한 큰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므로
a+b 4k-1=2_5_4=40 또는 4k-1=-2_5_4=-40
2
41 39
색칠한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 k= 또는 k=-
4 4
a+b a-b 따라서 모든 상수 k의 값의 합은 
a- =
2 2
41 39 1
따라서 색칠한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 }=  답①
4 4 2
a+b 2 a-b 2 (a+b)Û` (a-b)Û`
{ } +{ }= +
2 2 4 4
aÛ`+2ab+bÛ`+aÛ`-2ab+bÛ`
=
4

=
aÛ`+bÛ`
2
 답② 03
e=c+2이므로 eÛ`-cÛ`=184에서
eÛ`-cÛ`=(c+2)Û`-cÛ`=(cÛ`+4c+4)-cÛ`
=4c+4=184
∴ c=45
이때, a=c-2=45-2=43이므로
cÛ`-aÛ`=(c+a)(c-a)
4
=(45+43)_(45-43)
한 변의 길이가 각각 a, 2b인 두 개의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은
=88_2=176 답 176
aÛ`+(2b)Û`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a, b인 직사각형의 넓이는
ab=4
이때, 두 정사각형의 넓이의 합이 직사각형의 넓이의 5배와 같으
므로 04
aÛ`+4bÛ`=5ab   yy㉠ xÛ`-ax+10이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따라서 한 변의 길이가 a+2b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xÛ`-ax+10=(x-1)(x+m) (m은 상수)이라 하면
(a+2b)Û`=aÛ`+4bÛ`+4ab xÛ`-ax+10=xÛ`+(m-1)x-m
=9ab (∵ ㉠) 즉, -a=m-1, 10=-m이므로
=36 (∵ ab=4) 답⑤ m=-10, a=11

03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34~37

또한, 4xÛ`+bx-7이 x-1을 인수로 가지므로


08
4xÛ`+bx-7=(x-1)(4x+n) (n은 상수)이라 하면
큰 직사각형의 넓이는 주어진 직사각형들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4xÛ`+bx-7=4xÛ`+(n-4)x-n
2xÛ`+3x+1=(2x+1)(x+1)
즉, b=n-4, -7=-n이므로
따라서 큰 직사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각각 2x+1,
n=7, b=3
x+1이므로 둘레의 길이는
∴ a+b=11+3=14 답 14
2{(2x+1)+(x+1)}=2(3x+2)=6x+4 답④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직사각형을 다음과 같이 겹치지 않게 빈틈없이 붙이면 큰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


05 1
x x 1

(x-y)(x-y-1)-2에서 x-y=A로 놓으면


x
(x-y)(x-y-1)-2=A(A-1)-2
=AÛ`-A-2 
=(A+1)(A-2) 
=(x-y+1)(x-y-2) 답③

06
aÛ`-bÛ`=(a+b)(a-b)이므로
172-152+132-112+92-72+52-32+12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37 ~ 40

=(17+15)_(17-15)+(13+11)_(13-11) 01 ① 02 ③ 03 3 04 ④ 05 ⑤
 +(9+7)_(9-7)+(5+3)_(5-3)+1 06 (x+5)(x-6) 07 (x+1)(2x-3) 08 ④

=32_2+24_2+16_2+8_2+1  09 13 10 990 11 2 12 ③ 13 2a-2b


14 ⑤ 15 8 16 6 17 ④ 18 464
=2_(32+24+16+8)+1
2
19 40 20 '3 21 ① 22 23 -20'2
=2_80+1 3

=161 답 161 24 ④ 25 ⑤ 26 ③

01
07 2xy+4x-6y-12=2x(y+2)-6(y+2)

(x+4)(x-3)+3(x-3)=(x-3)(x+4+3) =(2x-6)(y+2)

=(x-3)(x+7) =2(x-3)(y+2)

이므로 위의 식에 x=2'6-2를 대입하면 ④ 2x-6=2(x-3)

(2'6-2-3)(2'6-2+7)=(2'6-5)(2'6+5) ⑤ xy+2x-3y-6=x(y+2)-3(y+2)

=(2'6)Û`-5Û` =(x-3)(y+2)

=24-25=-1 답② 따라서 2xy+4x-6y-12의 인수가 아닌 것은 ①이다. 답①

│다른풀이│
(x+4)(x-3)+3(x-3)=xÛ`+x-12+3x-9
=xÛ`+4x-21   yy㉠
이때, x=2'6-2에서 x+2=2'6 02
양변을 제곱하면 (x+2)Û`=(2'6)Û` c에 대하여 내림차순으로 정리하고 인수분해하면
xÛ`+4x+4=24 ∴ xÛ`+4x=20 abc+ab+bc+ac+a+b+c+1
따라서 구하는 식의 값은 ㉠에서 =abc+ac+bc+c+ab+a+b+1
xÛ`+4x-21=20-21=-1 =c(ab+a+b+1)+ab+a+b+1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33


A n s w e r

=(c+1)(ab+a+b+1)
05
=(c+1){a(b+1)+(b+1)}
1 1
¾Ð{a- }Û`+2a-¾Ð{a+ }Û`-2a
=(c+1)(a+1)(b+1) 2 2
=(a+1)(b+1)(c+1) 1 1
=¾ÐaÛ`-a+ +2a-¾ÐaÛ`+a+ -2a
4 4
이때, 105=3_5_7이고 a, b, c는 a<b<c인 자연수이므로
1 1
a+1=3, b+1=5, c+1=7 =¾ÐaÛ`+a+ -¾ÐaÛ`-a+
4 4
1 1
=¾Ð{a+ }Û`-¾Ð{a- }Û`
∴ a=2, b=4, c=6
2 2
∴ a+b+c=2+4+6=12 답③
1 1 1
이때, 0<a< 에서 a+ >0, a- <0이므로
오답피하기
2 2 2
blacklabel 특강
1 1 1 1
(a+1)(b+1)(c+1)=105에서 105를 서로 다른 세 자연수의 곱으로 나타내면
¾Ð{a+ }Û`-¾Ð{a- }Û`={a+ }-[-{a- }]
2 2 2 2
105=3_5_7=1_3_35=1_5_21=1_7_15가 가능하므로
=2a 답⑤
   a=2, b=4, c=6 ⇨ a+b+c=12
   a=0, b=2, c=34 ⇨ a+b+c=36
   a=0, b=4, c=20 ⇨ a+b+c=24
   a=0, b=6, c=14 ⇨ a+b+c=20
의 네 가지 경우가 모두 해당된다고 생각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세 수 a, b, c가 모두
자연수이므로
   a+1¾2, b+1¾2, c+1¾2
06
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105=3_5_7인 경우만 생각해야 한다. 은희의 계산에서
(x+6)(x-5)=xÛ`+x-30
이때, 은희는 x의 계수를 잘못 본 것이므로 상수항은 바르게 보
았다.
즉, 처음 이차식의 상수항은 -30이다.

철수의 계산에서
(x+4)(x-5)=xÛ`-x-20
이때, 철수는 상수항을 잘못 본 것이므로 일차항의 계수는 바르

03 게 보았다.

(x-1)Û`-(Ax-5)=xÛ`-2x+1-Ax+5  즉, 처음 이차식의 일차항의 계수는 -1이다.



=xÛ`-(2+A)x+6 그런데 처음 이차식의 xÛ`의 계수가 1이므로 처음 이차식은

위의 식이 x-3을 인수로 가지므로 xÛ`-x-30

xÛ`-(2+A)x+6=(x-3)(x-m) (m은 상수)이라 하면 따라서 처음 이차식을 바르게 인수분해하면

xÛ`-(2+A)x+6=xÛ`-(3+m)x+3m xÛ`-x-30=(x+5)(x-6)

따라서 2+A=3+m, 6=3m에서  답 (x+5)(x-6)

m=2, A=3 답3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처음 이차식의 상수항을 구한 경우 30%
㈏ 처음 이차식의 일차항의 계수를 구한 경우 30%
㈐ 처음 이차식을 완성하고 바르게 인수분해한 경우 40%

07
04 [a, b, c]=(a+b)(a-c)이므로
9xÝ`-37xÛ`+4=(xÛ`-4)(9xÛ`-1) 3[x, -1, 1]-[x, -2, 3]
=(x+2)(x-2)(3x+1)(3x-1) =3(x-1)(x-1)-(x-2)(x-3)
따라서 a>0, c>0이므로 =3xÛ`-6x+3-xÛ`+5x-6
a=2, b=-2, c=1, d=-1 =2xÛ`-x-3
∴ a-b+c-d=2-(-2)+1-(-1)=6 답④ =(x+1)(2x-3) 답 (x+1)(2x-3)

03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37~38

08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xÛ`-ax+3b)-(-3ax+b)=xÛ`+2ax+2b 2n(2n+1)(2n-1) 꼴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큰 세 자리 자연수를 구해야 하므로


100É2n(2n+1)(2n-1)<1000=10Ü`
위의 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이때, 2n은 짝수이고, 10과 가까운 수임을 알 수 있다.
2a
2b={ }Û`=aÛ`
2
따라서 10보다 작은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로 가능한 것
은 (2, 2), (4, 8)이므로 a+b의 최댓값은
4+8=12 답④

11
xÛ`+6xy+9yÛ`-4x-12y-32
=xÛ`+(6xy-4x)+(9yÛ`-12y-32)
09 =xÛ`+(6y-4)x+(3y+4)(3y-8)
주어진 200개의 다항식 xÛ`-x-k (k=1, 2, 3, y, 200) 중 =xÛ`+{(3y+4)+(3y-8)}x+(3y+4)(3y-8)
x의 계수가 1이고 상수항이 정수인 두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 ={x+(3y+4)}{x+(3y-8)}
해되는 다항식을 두 정수 m, n에 대하여 (x+m)(x+n)으로 =(x+3y+4)(x+3y-8)
나타내면 즉, 두 일차식은 x+3y+4, x+3y-8이므로 그 합은
xÛ`-x-k=(x+m)(x+n) (x+3y+4)+(x+3y-8)=2x+6y-4
∴ xÛ`-x-k=xÛ`+(m+n)x+mn 따라서 A=6, B=-4이므로
따라서 k=1, 2, 3, y, 200일 때, 합이 m+n=-1이고 곱이 A+B=6-4=2 답2
mn=-k가 되는 두 정수 m, n이 존재하는 경우는
│다른풀이│
m=1, n=-2일 때, k=2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할 수도 있다.
m=2, n=-3일 때, k=6
xÛ`+6xy+9yÛ`-4x-12y-32
m=3, n=-4일 때, k=12
=(xÛ`+6xy+9yÛ`)-(4x+12y)-32

=(x+3y)Û`-4(x+3y)-32
m=13, n=-14일 때, k=182
이때, x+3y=C로 놓으면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다항식은 xÛ`-x-2, xÛ`-x-6,
(주어진 식)=CÛ`-4C-32
xÛ`-x-12, y, xÛ`-x-182의 13개이다. 답 13
=(C-8)(C+4)
=(x+3y-8)(x+3y+4)

10 해결단계
➊ 단계 8nÜ`-2n을 인수분해한다.

12
➋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2n의 값을 구한다.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세 자리의 자연수를 구한다.
(x+1)(x+2)(x+3)(x+4)-k
8nÜ`-2n=2n(4nÛ`-1)
={(x+1)(x+4)}{(x+2)(x+3)}-k
=2n(2n+1)(2n-1)
=(xÛ`+5x+4)(xÛ`+5x+6)-k
=(2n-1)_2n_(2n+1)
이때, xÛ`+5x=A로 놓으면
이므로 8nÜ`-2n은 연속하는 세 자연수 2n-1, 2n, 2n+1의
(주어진 식)=(A+4)(A+6)-k 
곱이다.
=AÛ`+10A+24-k
2n=8이면 2n(2n-1)(2n+1)=8_7_9=504
위의 식이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2n=10이면 2n(2n-1)(2n+1)=10_9_11=990
10 Û
2n=12이면 2n(2n-1)(2n+1)=12_11_13=1716 24-k={ }`=25
2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는 990이다. 답 990 ∴ k=-1 답③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35


A n s w e r

13 16
aÛ`+bÛ`-cÛ`-2ab-2c-1 x+y=A로 놓으면
=(aÛ`-2ab+bÛ`)-(cÛ`+2c+1) (x+y)Û`-2(x+y)-24=AÛ`-2A-24 
=(a-b)Û`-(c+1)Û` =
 (A+4)(A-6) 
={(a-b)+(c+1)}{(a-b)-(c+1)} =(x+y+4)(x+y-6)
=(a-b+c+1)(a-b-c-1) 이때, x+y+4>x+y-6이므로
따라서 두 일차식은 a-b+c+1, a-b-c-1이므로 그 합은 (x+y+4)(x+y-6)이 소수가 되려면
(a-b+c+1)+(a-b-c-1)=2a-2b 답 2a-2b x+y-6=1이어야 한다.
x+y-6=1에서 x+y=7이므로 
(x+y+4)(x+y-6)=11_1=11 
즉, 주어진 식의 값이 소수가 된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 y의 순서쌍 (x, y)는
(1, 6), (2, 5), (3, 4), (4, 3), (5, 2), (6, 1)
의 6개이다. 답6

14 blacklabel 특강 필수개념
xÛ`+2yÛ`+3xy-x-3y-2
소수
=xÛ`+(3xy-x)+(2yÛ`-3y-2)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갖는 수
=xÛ`+(3y-1)x+(2y+1)(y-2)
=(x+2y+1)(x+y-2)
따라서 인수인 것은 ⑤이다. 답⑤

17
212-1=(2ß`)Û`-1Û`
=(26+1)(26-1) 
=(2ß`+1){(2Ü`)Û`-1Û`}
=(26+1)(23+1)(23-1) 
15 =65_9_7 
2
(xÛ`+x)(xÛ`+5x+6)-15 =3 _5_7_13
=x(x+1)(x+2)(x+3)-15 따라서 212-1의 약수의 개수는
={x(x+3)}{(x+1)(x+2)}-15 (2+1)_(1+1)_(1+1)_(1+1)=24 답④

=(xÛ`+3x)(xÛ`+3x+2)-15
blacklabel 특강 필수원리
이때, xÛ`+3x=A로 놓으면
약수와 약수의 개수
(주어진 식)=A(A+2)-15
자연수 N이 am_bn (a, b는 서로 다른 소수, m, n은 자연수)으로 소인수분해될 때
=AÛ`+2A-15 ⑴ ‌N의 약수는 ak_bl (단, k=0, 1, 2, y, m이고 l=0, 1, 2, y, n)
=(A-3)(A+5) ⑵ N의 약수의 개수는 (m+1)(n+1)

=(xÛ`+3x-3)(xÛ`+3x+5)
∴ a+b+c+d=3+(-3)+3+5=8 답8

blacklabel 특강 참고

인수분해하는 수의 범위 18
이차식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2개의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할 수 있지만 중학
aÛ`=332_334+1 
교 교육과정에서는 인수인 다항식의 계수가 유리수인 경우만 다루므로 특별히 범위
를 정하지 않는 한 유리수의 범위에서 인수분해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332_(332+2)+1 
‌ `-2의 경우, (x+'2)(x-'2)로 인수분해하지 않는다. 즉, xÛ`-2는 더 이상
 xÛ =332Û`+2_332+1 
인수분해하지 않는다.
=(332+1)Û`=333Û`

03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38~39

∴ a=333 (∵ a>0)
20
b='Ä10_ÄÄ11_Ä12_Ä13+1에서 10=x로 놓으면
주어진 분수의 분자, 분모를 각각 인수분해하면
b="Ãx(x+1)(x+2)(x+3)+1 
xÜ`-3xÛ`-4x+12=(xÜ`-3xÛ`)-(4x-12)
="Ã{x(x+3)}{(x+1)(x+2)}+1
=xÛ`(x-3)-4(x-3)
="Ã(xÛ`+3x)(xÛ`+3x+2)+1
=(x-3)(xÛ`-4)
xÛ`+3x=A로 놓으면
=(x-3)(x+2)(x-2)
b="ÃA(A+2)+1="ÃAÛ`+2A+1 
xÛ`-x-6=(x-3)(x+2)
="Ã(A+1)Û`=A+1 (∵ A+1>0) 
xÜ`-3xÛ`-4x+12 (x-3)(x+2)(x-2)
∴ = 
=xÛ`+3x+1 xÛ`-x-6 (x-3)(x+2)
=10Û`+3_10+1  =x-2 (∵ x+2+0, x-3+0) 
=131 ='3 (∵ x=2+'3) 답 '3

∴ a+b=333+131=464 답 464

│다른풀이│
aÛ`=332_334+1 
=(333-1)_(333+1)+1 
=333Û`-1Û`+1  21
=333Û` 3 1
2a+b= , 2a-b= 이므로
∴ a=333 (∵ a>0) 2 3
4aÛ`-bÛ`-10a-5b=(4aÛ`-bÛ`)-5(2a+b) 
=(2a+b)(2a-b)-5(2a+b) 
=(2a+b)(2a-b-5) 
3 1
= _{ -5} 
2 3
3 14
= _{- } 
19 2 3
4Û` 6Û` 8Û` 22Û` 2Û` 4Û` 6Û` 20Û` =-7 답①
{ + + +y+ }-{ + + +y+ }
3 5 7 21 3 5 7 21
4Û` 2Û` 6Û` 4Û` 8Û` 6Û` 22Û` 20Û`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 - }+{ - }+{ - }+y+{ - }
3 3 5 5 7 7 21 21
3 1
2a+b= , 2a-b= 을 연립하여 풀면
4Û`-2Û` 6Û`-4Û` 8Û`-6Û` 22Û`-20Û` 2 3
= + + +y+ 11 7
3 5 7 21 a= , b=
24 12
(4+2)_(4-2) (6+4)_(6-4) (8+6)_(8-6)
= + + 이것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여 식의 값을 구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풀면 복잡한
3 5 7 분수를 계산해야 하므로 인수분해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22+20)_(22-20)
 +y+
21
6_2 10_2 14_2 42_2
= + + +y+
3 5 7 21
=2Û`+2Û`+2Û`+y+2Û`
(
|
|
\
{
\
|
|
|
9

10개
=10_2Û`=40 답 40
22
blacklabel 특강 참고
1 1 2
+ = 에서
k가 자연수일 때, xÛ` yÛ` xy
(2k+2)Û`-(2k)Û` {(2k+2)+2k}{(2k+2)-2k} xÛ`+yÛ` 2
=
2k+1 2k+1 = , xÛ`+yÛ`=2xy, xÛ`-2xy+yÛ`=0
(4k+2)_2 xÛ`yÛ` xy
=
2k+1 즉, (x-y)Û`=0에서 x-y=0이므로 x=y
4(2k+1)
= =4
2k+1 xÛ`-4xy+yÛ`
이므로 이것을 에 대입하면
xy-4yÛ`
4Û`-2Û` 6Û`-4Û` 8Û`-6Û` 22Û`-20Û`
= = =y= =4 yÛ`-4yÛ`+yÛ` -2yÛ` 2 2
3 5 7 21
= =  답
yÛ`-4yÛ` -3yÛ` 3 3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37


A n s w e r

23 │다른풀이│
[그림 1]의 색종이를 다음과 같이 점선을 따라 잘라 내어 여섯 개
1 1
{x- }Û`={x+ }Û`-4=6Û`-4=32 의 조각으로 나눈다.
x x
이때, 0<x<1이므로 2x

1 1 A x
x<1<    ∴ x- <0 4
x x
x x
1 3x 2 2
∴ x- =-'3Œ2=-4'2 2x-2
x x-1

1 1 1 1 B 2
∴ xÛ`-x+ - =xÛ`- -x+ 
x xÛ` xÛ` x 1 3
1 1 1
={x+ }{x- }-{x- } 이렇게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진 색종이를 다음 그림과 같이 겹치
x x x
1 1 지 않게 빈틈없이 붙이면 문제의 [그림 2]와 같이 세로의 길이가
={x+ -1}{x- }
x x 2x-2인 직사각형을 만들 수 있다.
=(6-1)_(-4'2) x

=-20'2 답 -20'2
2x-2
x x-1

x-1

3x x x 2 1
2 2

이때, 가로의 길이는 4x+3이 된다.

24 따라서 구하는 길이는 4x+3이다.

[그림 1]의 색종이를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겹치지 않게 빈틈없


이 붙여서 [그림 2]의 직사각형 모양을 만들었으므로 [그림 1]의
도형의 넓이는 [그림 2]의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아야 한다.
2x
A x
4
3x 2x-2

25
B 2
3

[그림 1] [그림 2] 삼각형 ABC의 둘레의 길이가 2(5x+8)이므로


[그림 1]에서 A 부분의 넓이는 ABÓ+BCÓ+CAÓ=2(5x+8)
1 이때,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r라 하면
_(2x+4)_x=x(x+2)
2
1 1 1
[그림 1]에서 B 부분의 넓이는 △ABC= _r_ABÓ+ _r_BCÓ+ _r_CAÓ
2 2 2
2_3=6 r
= _(ABÓ+BCÓ+CAÓ)
[그림 1]의 도형의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3x인 정사각형에서 A 2

부분과 B 부분의 넓이를 뺀 것과 같다. r


= _2(5x+8)=5xÛ`+18x+16
2
따라서 [그림 1]의 도형의 넓이는 (5x+8)r=(5x+8)(x+2)
(3x)Û`-x(x+2)-6=8xÛ`-2x-6
∴ r=x+2
=(4x+3)(2x-2) yy㉠
따라서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x+2이다.
한편, [그림 2]의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L이라 하면 이 직사
답 ⑤
각형의 넓이는
blacklabel 특강 필수원리
(2x-2)L yy㉡
삼각형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
[그림 1]과 [그림 2]의 두 도형의 넓이는 서로 같으므로
삼각형 ABC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A
㉠, ㉡에서 길이를 r라 하면
1 c r b
(2x-2)L=(4x+3)(2x-2)    △ABC= r(a+b+c)
2 I
∴ L=4x+3 B C
a
따라서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는 4x+3이다. 답④

03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40~41

26 ‌⑴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4x-1)Û`-(x+3)Û`=(4x-1+x+3)(4x-1-x-3)
BGÓ=ABÓ=CDÓ=b ∴ CGÓ=a-b
=(5x+2)(3x-4)
EFÓ=FJÓ=CGÓ=a-b이므로
⑵ ‌직사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가 각각
HJÓ=HIÓ=FGÓ=b-(a-b)=2b-a
5x+2, 3x-4
∴ FHÓ=(a-b)-(2b-a)=2a-3b
이므로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는
∴ FHÓ Û`-EFÓ Û`
=(2a-3b)Û`-(a-b)Û`
2{(5x+2)+(3x-4)}=2(8x-2)=16x-4
=(2a-3b+a-b)(2a-3b-a+b)
 답 ⑴ (5x+2)(3x-4) ⑵ 16x-4
=(3a-4b)(a-2b)
=(a-2b)(3a-4b)  답③

03 해결단계
⑴ ➊ 단계 주어진 식을 인수분해한다.
주어진 식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b+c의 값과 a, d의 값을
➋ 단계
⑵ 각각 구한다.
➌ 단계 주어진 식의 최댓값을 구한다.
Step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41 ~ 42
⑴ a에 대한 내림차순으로 정리하여 인수분해하면
01 ⑴ c=a (a+5) ⑵ 14 02 ⑴ (5x+2)(3x-4) ⑵ 16x-4
bÛ`+cÛ`+ab+2bc+ac+ad+bd+cd
03 ⑴ (a+b+c)(b+c+d) ⑵ 182 04 162 05 63
p
=(ab+ac+ad)+bÛ`+(2bc+bd)+(cÛ`+cd)
06 780p cmÜ` 07 a(2b-a) 08 50
4 =a(b+c+d)+{bÛ`+(2c+d)b+c(c+d)}
=a(b+c+d)+(b+c)(b+c+d)
=(b+c+d)(a+b+c)
01 해결단계 =(a+b+c)(b+c+d)
⑴ ➊ 단계 c를 a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⑵ bÛ`+cÛ`+ab+2bc+ac+ad+bd+cd, 즉
⑵ ➋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의 개수를 구한다. (a+b+c)(b+c+d)의 값이 최대가 되려면 두 인수
⑴ ‌xÛ`+5x-c=(x-a)(x+b)에서 a+b+c, b+c+d의 값도 각각 최대가 되어야 한다.
xÛ`+5x-c=xÛ`+(b-a)x-ab 그런데 b+c가 공통이므로 b+c의 값이 최대일 때
∴ b-a=5, ab=c a+b+c, b+c+d의 값도 각각 최대가 된다.
b-a=5에서 b=a+5이므로 이것을 ab=c에 대입하면 따라서 b+c=5+6이고, 두 수 a, d는 2, 3이어야 하므로 구
c=a(a+5) 하는 최댓값은
⑵ ‌1<c<300이므로 1<a(a+5)<300 (2+5+6)_(5+6+3)=13_14=182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답 ⑴ (a+b+c)(b+c+d) ⑵ 182
(1, 6), (2, 7), (3, 8), y, (14, 19)
│다른풀이│
의 14개이다. 다음과 같이 인수분해할 수도 있다.
 답 ⑴ c=a(a+5) ⑵ 14 bÛ`+cÛ`+ab+2bc+ac+ad+bd+cd
=bÛ`+cÛ`+2bc+ab+ac+bd+cd+ad
=(b+c)Û`+a(b+c)+d(b+c)+ad
=(b+c)(b+c+a+d)+ad
이때, b+c=t로 놓으면
02 해결단계 (주어진 식)=t(t+a+d)+ad

⑴ ➊ 단계 색칠한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 두 일차식의 곱으로 나타낸다. =tÛ`+(a+d)t+ad


➋ 단계 직사각형의 두 변의 길이를 구한다. =(t+a)(t+d)

➌ 단계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구한다. =(b+c+a)(b+c+d)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39


A n s w e r

04 해결단계 Þ a=9, b=2일 때,


㉠에서 9p+2=55, 9p=53
➊ 단계 3¡`-1을 인수분해한다.
53
➋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n의 값을 구한다. ∴ p=
9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n의 값의 합을 구한다.
이때, p는 소수가 아니다.
3¡`-1이 자연수 n으로 나누어떨어지므로 자연수 n은 3¡`-1의 ß a=18, b=1일 때,
약수이어야 한다. 이때, ㉠에서 18p+1=55, 18p=54
3¡`-1=(3Ý`+1)(3Ý`-1) ∴ p=3
=(3Ý`+1)(3Û`+1)(3Û`-1) Ú ~ ß에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수 p의 값은 3, 23, 37이므로
=(3Ý`+1)(3Û`+1)(3+1)(3-1) 그 합은
=82_10_4_2 3+23+37=63 답 63
=2Þ`_5_41
이고 2Ý`_5=80, 2_41=82이므로 70 이상 90 미만의 자연수
중에서 3¡`-1의 약수는 80, 82의 2개뿐이다.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n의 값은 80, 82이므로 그 합은
80+82=162 답 162 06 해결단계
➊ 단계 큰 원뿔대의 부피를 식으로 나타낸다.
➋ 단계 작은 원뿔대 모양의 구멍의 부피를 식으로 나타낸다.
➊, ➋ 단계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를 식으로 나
➌ 단계
타낸다.
➍ 단계 인수분해 공식을 이용하여 부피를 구한다.

05 해결단계 큰 원뿔에서 높이가 원뿔의


2
3
가 되도록 잘라 만든 큰 원뿔대의

➊ 단계 p가 소수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두 일차식의 곱으로 나타낸다. 부피를 VÁ이라 하자.


➋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p의 값을 구한다. 이때, 원뿔대를 만들기 위해 잘라 버린 원뿔의 높이가 처음 큰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p의 값의 합을 구한다.
1
원뿔의 이므로 잘라 버린 원뿔과 처음 큰 원뿔의 닮음비는
p가 소수이므로 pxÛ`+55x+18을 인수분해하면 3
1 : 3이고 부피의 비는 1Ü` : 3Ü`=1 : 27이다.
pxÛ`+55x+18=(x+a)(px+b) (단, a, b는 자연수)
∴ VÁ=(큰 원뿔의 부피)-(잘라 버린 원뿔의 부피)
가 되어야 한다.
1
즉, ab=18이고 =(큰 원뿔의 부피)- _(큰 원뿔의 부피)
27
pa+b=55   yy㉠ 26
= _(큰 원뿔의 부피)
조건을 만족시키는 a, b의 값과 p의 값은 다음과 같다. 27
Ú a=1, b=18일 때, 26 1
= _ _p_10.5Û`_27
27 3
㉠에서 p+18=55   ∴ p=37 26
= p_10.5Û` (cmÜ`)
Û a=2, b=9일 때, 3
㉠에서 2p+9=55, 2p=46 같은 방법으로 작은 원뿔대 모양의 구멍의 부피를 Vª라 하면
∴ p=23 Vª=(작은 원뿔 모양의 구멍의 부피)
Ü a=3, b=6일 때,  -(잘라 버린 작은 원뿔 모양의 구멍의 부피)
㉠에서 3p+6=55, 3p=49 =(작은 원뿔 모양의 구멍의 부피)
49 1
∴ p=  - _(작은 원뿔 모양의 구멍의 부피)
3 27
이때, p는 소수가 아니다. 26
= _(작은 원뿔 모양의 구멍의 부피)
27
Ý a=6, b=3일 때,
26 1
㉠에서 6p+3=55, 6p=52 = _ _p_4.5Û`_27
27 3
52 26 26
∴ p= = = p_4.5Û` (cmÜ`)
6 3 3
이때, p는 소수가 아니다.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04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41~43

26 26 조건 ㈎에서 ab+a+b=143의 양변에 1을 더하면


=
VÁ-Vª p_10.5Û`- p_4.5Û`
3 3
ab+a+b+1=144
26
= p(10.5Û`-4.5Û`)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3
26 ab+a+b+1=a(b+1)+b+1
= p_(10.5+4.5)_(10.5-4.5)
3 =(a+1)(b+1)
26
= p_15_6 ∴ (a+1)(b+1)=144
3
=780p (cmÜ`) 답 780p cmÜ` 이때, 144=2Ý`_3Û`이므로
(a+1)(b+1)=2Ý`_3Û` yy㉠
조건 ㈏에서 bc+b+c=62의 양변에 1을 더하면
bc+b+c+1=63

07 해결단계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bc+b+c+1=b(c+1)+c+1
➊ 단계 Sª를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b+1)(c+1)
➋ 단계 SÁ을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b+1)(c+1)=63
➌ 단계 SÁ-Sª를 a, b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인수분해한다.
이때, 63=3Û`_7이므로
OO'Ó의 중점이 B이므로
(b+1)(c+1)=3Û`_7 yy㉡
1 1
OBÓ= OO'Ó= (a+b) 조건 ㈐에서 cd+c+d=153의 양변에 1을 더하면
2 2
1 cd+c+d+1=154
∴ ABÓ=OAÓ-OBÓ=a- (a+b) 
2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1 1 1 cd+c+d+1=c(d+1)+d+1
= a- b= (a-b)
2 2 2
=(c+1)(d+1)
즉, CAÓ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 Sª는
∴ (c+1)(d+1)=154
1 1
Sª=p_ABÓ Û`=p[ (a-b)]Û`= (a-b)Û`p yy㉠
2 4 이때, 154=2_7_11이므로
또한, (c+1)(d+1)=2_7_11 yy㉢
OCÓ
=OAÓ-CAÓ=OAÓ-2ABÓ  ㉠, ㉡에서 2 이상의 자연수 b+1은 3 또는 3Û`이므로 다음과 같
=a-(a-b)=b 이 경우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므로 OCÓ를 지름으로 하는 원의 넓이 SÁ은 Ú b+1=3일 때,
1 1 1
SÁ=p_{ OCÓ}Û`=p{ b}Û`= bÛ`p yy㉡ ㉠에서 a+1=2Ý`_3, ㉡에서 c+1=3_7
2 2 4
이때, ㉢에서 c+1의 소인수 중 3의 배수는 없으므로
㉠, ㉡에서
b+1+3
1 1
SÁ-Sª= bÛ`p- (a-b)Û`p  Û b+1=3Û`일 때,
4 4
p ㉠에서 a+1=2Ý`, ㉡에서 c+1=7
= {bÛ`-(a-b)Û`} 
4
따라서 ㉢에서 d+1=2_11
p
= {b+(a-b)}{b-(a-b)}  Ú, Û에서
4
p p a=2Ý`-1=15, b=3Û`-1=8, c=7-1=6,
= a(2b-a) 답 a(2b-a)
4 4 d=2_11-1=21
∴ a+b+c+d=15+8+6+21=50 답 50

08 해결단계
주어진 조건 ㈎, ㈏, ㈐의 각 식의 양변에 1을 더하여 좌변을 인수
➊ 단계
분해한다.
주어진 식을 만족시키는 a+1, b+1, c+1, d+1의 값을 각각
➋ 단계 미리보는 학력평가 p. 43
구한다.
➋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a, b, c, d의 값을 각각 구하고 그 1 ④ 2 ⑤ 3 ② 4 298
➌ 단계
합을 구한다.

Ⅱ.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 041


A n s w e r

III
1
xÛ`-x=X로 놓으면
(xÛ`-x)Û`+2xÛ`-2x-15=(xÛ`-x)Û`+2(xÛ`-x)-15 이차방정식
=XÛ`+2X-15
=(X+5)(X-3)
=(xÛ`-x+5)(xÛ`-x-3)
∴ a=-1, b=5, c=-3 또는 a=-1, b=-3, c=5
05 이차방정식
∴ a+b+c=1 답④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p. 47 ~ 48

01 ② 02 ⑤ 03 3 04 -6 05 ④
06 4 07 24 08 ④ 09 ③ 10 ③
11 ① 12 ⑤ 13 13명 14 40 15 ②
16 3

2
xÛ`yÛ`+1-xÛ`-yÛ`=xÛ`yÛ`-yÛ`-xÛ`+1 
=
 (xÛ`-1)yÛ`-(xÛ`-1)  01
=(xÛ`-1)(yÛ`-1)  ㄱ. ‌x(x-5)=3에서 xÛ`-5x=3 
=(x+1)(x-1)(y+1)(y-1) ∴ xÛ`-5x-3=0
∴ aÛ`+bÛ`+cÛ`+dÛ`=1Û`+(-1)Û`+1+(-1)Û`  ㄴ. ‌xÜ`-3xÛ`+3=x(xÛ`-5)+2x에서 
=4 답⑤ xÜ`-3xÛ`+3=xÜ`-5x+2x 
∴ -3xÛ`+3x+3=0
1
ㄷ. xÛ`+ =0은 이차방정식이 아니다.
x
ㄹ. ‌(2x-2)Û`=2xÛ`+3에서 
4xÛ`-8x+4=2xÛ`+3 
3 ∴ 2xÛ`-8x+1=0
11Ý`-6Ý`=(11Û`+6Û`)(11Û`-6Û`)
ㅁ. ‌3xÜ`-6xÛ`+1=(x-3)(3xÛ`+3x)+x에서 
=(121+36)_(11+6)_(11-6)
3xÜ`-6xÛ`+1=3xÜ`+3xÛ`-9xÛ`-9x+x 
=157_17_5
∴ 8x+1=0
=a_b_157
이 방정식은 일차방정식이다.
1이 아닌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b이므로
따라서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은 ㄱ, ㄴ, ㄹ이다.  답②
a=5, b=17
∴ a+b=5+17=22 답②

02
4 [   ] 안의 수를 각 방정식의 x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300=x로 놓으면
① 4Û`-4=12+0
(300-5)(300+1)+9=(x-5)(x+1)+9 
② (-3)Û`-4_(-3)+3=24+0
=xÛ`-4x+4 
③ 3_(-2-2)_(-2+1)=12+0
=(x-2)Û` 
1 1
=(300-2)Û`  ④ _{2_ -3}=-1+1
2 2
=298Û` ⑤ 2_(-3+2)_(-3-1)+1=9=(-3)Û`
∴ N=298 답 298 따라서 [   ] 안의 수가 해인 것은 ⑤이다.  답⑤

04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43~48

03 07
x=2를 3xÛ`-(2a-1)x-a+1=0에 대입하면 x=2를 xÛ`-10x+a=0에 대입하면
3_2Û`-(2a-1)_2-a+1=0 4-20+a=0   ∴ a=16
12-4a+2-a+1=0 a=16을 xÛ`-10x+a=0에 대입하면
-5a+15=0, -5a=-15 xÛ`-10x+16=0
∴ a=3 답3 (x-2)(x-8)=0   ∴ x=2 또는 x=8
따라서 b=8이므로
a+b=16+8=24 답 24

04
x=a, x=b를 xÛ`-5x-2=0에 각각 대입하면
aÛ`-5a-2=0, bÛ`-5b-2=0 08
따라서 aÛ`-5a=2, bÛ`-5b=2이므로 xÛ`+3x-10=0에서 (x+5)(x-2)=0
(aÛ`-5a)(-2bÛ`+10b+1) ∴ x=-5 또는 x=2
=(aÛ`-5a){-2(bÛ`-5b)+1} Ú ‌공통인 근이 -5인 경우 
=2_(-2_2+1)=-6 답 -6 x=-5를 xÛ`-ax+a+7=0에 대입하면
25+5a+a+7=0
16
6a=-32   ∴ a=- 
3

05 x=-5를 2xÛ`-bx-6=0에 대입하면 


50+5b-6=0
(x-8)(x-10)=15에서
44
xÛ`-18x+65=0, (x-5)(x-13)=0 5b=-44   ∴ b=-
5
∴ x=5 또는 x=13 Û ‌공통인 근이 2인 경우 
따라서 a=5, b=13 또는 a=13, b=5이므로 x=2를 xÛ`-ax+a+7=0에 대입하면 
aÛ`+bÛ`=5Û`+13Û`=194 답④ 4-2a+a+7=0   ∴ a=11 

풀이첨삭 x=2를 2xÛ`-bx-6=0에 대입하면 


blacklabel 특강
8-2b-6=0
완전제곱식을 이용하여 해를 구할 수도 있다.
(x-8)(x-10)=15에서 2b=2   ∴ b=1  
xÛ`-18x+65=0 Ú, Û에서 a, b는 양수이므로 a=11, b=1
(x-9)Û`=16   ∴ x-9=Ñ4
∴ x=5 또는 x=13 ∴ ab=11_1=11 답④

09
06
2{ -3}Û`-3{ -3}=12-2{3- }에서
x x x
1 1 6 6 6
2xÛ`-1.1x- =x(x+1)+ x의 양변에 10을 곱하면
2 5
x
20xÛ`-11x-5=10xÛ`+10x+2x -3=X로 놓으면
6
10xÛ`-23x-5=0, (2x-5)(5x+1)=0 2XÛ`-3X=12-2_(-X)
5 1 2XÛ`-5X-12=0, (2X+3)(X-4)=0
∴ x= 또는 x=-
2 5
3
5 1 ∴ X=- 또는 X=4
이때, a>b이므로 a= , b=- 2
2 5
3 x 3
5 1 Ú X=- 일 때, -3=- 
=2_ +5_{- } 
∴ 2a+5b 2 6 2
2 5
x 3
=5-1=4 답4    =    ∴ x=9
6 2

Ⅲ. 이차방정식 043
A n s w e r

x
Û ‌X=4일 때,
6
-3=4  12
x 연속하는 세 자연수를 x-1, x, x+1 (x¾2)이라 하면
=7   ∴ x=42
6 (x-1)(x+1)=3x+3
Ú, Û에서 두 근 중 작은 근은 x=9
xÛ`-3x-4=0, (x+1)(x-4)=0
x=9가 이차방정식 xÛ`-5x-3(a+4)=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x=-1 또는 x=4
9Û`-5_9-3(a+4)=0
그런데 x¾2이므로 x=4
81-45-3a-12=0, -3a=-24  
따라서 연속하는 세 자연수는 3, 4, 5이므로 그 합은
∴ a=8 답③
3+4+5=12 답⑤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치환하지 않고 전개하여 정리한 후 인수분해하여 이차방정식을 풀 수도 있다.

2{
x
6
-3}Û`-3{ -3}=12-2{3- }에서
x
6
x
6 13
xÛ` x x
2{ -x+9}- +9=12-6+
36 2 3
학생 수를 x라 하면 각 학생이 받는 사탕의 개수는 x+2이므로
xÛ` 5 x x(x+2)=195
- x+27=6+
18 2 3
양변에 18을 곱하면 xÛ`+2x-195=0, (x+15)(x-13)=0
xÛ`-45x+486=108+6x
∴ x=-15 또는 x=13
xÛ`-51x+378=0, (x-9)(x-42)=0
∴ x=9 또는 x=42 그런데 학생 수는 자연수이므로 x=13
따라서 학생은 모두 13명이다. 답 13명

14
10 물건의 원가를 a원이라 하면
2a+7
3xÛ`+9x+2a+7=0에서 xÛ`+3x+ =0 x x 12
3 a{1+ }{1- }=a{1+ }
100 200 100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지므로
20000
2a+7 3 양변에 을 곱하면
={ }Û` a
3 2
(100+x)(200-x)=22400
2a+7 9
즉, = 에서 xÛ`-100x+2400=0, (x-40)(x-60)=0
3 4
1 ∴ x=40 또는 x=60
8a+28=27, 8a=-1   ∴ a=-
8 그런데 0<x<50이므로 x=40  답 40
이것을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27 blacklabel 특강 필수개념
3xÛ`+9x+ =0에서 4xÛ`+12x+9=0
4
원가, 정가에 대한 문제
3
(2x+3)Û`=0   ∴ x=-    ⑴ 원가가 a원인 물건에 x`%의 이익을 붙인 정가
2 x x
   (정가)=a+a_ =a{1+ }(원)
3 100 100
따라서 b=- 이므로
2 ⑵ 정가가 b원인 물건을 y`% 할인한 판매 가격
y y
1 3 3    (판매 가격)=b-b_ =b{1- }(원)
ab=- _{- }=  답③ 100 100
8 2 16

15
11 x초 후에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75`m이면
1 5 75=-5xÛ`+30x+35
- , 를 두 근으로 하고 xÛ`의 계수가 6인 이차방정식은
3 2
5xÛ`-30x+40=0
1 5 13 5
6{x+ }{x- }=0, 6{xÛ`- x- }=0 xÛ`-6x+8=0, (x-2)(x-4)=0
3 2 6 6
∴ 6xÛ`-13x-5=0 답① ∴ x=2 또는 x=4

04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48~49

따라서 2초 후, 4초 후에 물체의 높이는 75`m이므로 물체가 처 ㉡, ㉢을 연립하여 풀면


음으로 지면으로부터 75`m의 높이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 a=4, b=-5
은 2초이다. 답② ∴ ab=4_(-5)=-20 답⑤

│다른풀이│
xÛ`의 계수가 a-1이고 두 근이 -1, 3인 이차방정식은
16 (a-1)(x+1)(x-3)=0
x는 길이이므로 x>0 (a-1)(xÛ`-2x-3)=0
x x ∴ (a-1)xÛ`-2(a-1)x-3(a-1)=0
가로의 길이에서 +x+ <24   ∴ x<12
2 2 이 이차방정식이 주어진 이차방정식
세로의 길이에서 x<12 (a-1)xÛ`+(b-a+3)x+2b+1=0과 일치하므로
즉, x의 값의 범위는 0<x<12 b-a+3=-2(a-1), 2b+1=-3(a-1)
주어진 종이에 흰색 테이프가 붙어 있지 않은 부분의 넓이는 ∴ a+b=-1, 3a+2b=2
xÛ`
24_12-{24x+12x+2_12_ -xÛ`-2_ }=162
x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2 2
2xÛ`-48x+288=162 a=4, b=-5   ∴ ab=-20

xÛ`-24x+63=0, (x-3)(x-21)=0
∴ x=3 또는 x=21
그런데 0<x<12이므로 x=3 답3

blacklabel 특강 참고
02
(ax+1)(x-5)=(4x+2)(2x-1)에서
직사각형 모양의 땅 위의 도로 또는 종이 위의 테이프 문제
axÛ`+(1-5a)x-5=8xÛ`-2
다음 그림의 세 직사각형이 모두 합동일 때, 어두운 부분의 넓이는 모두 같다.
x x x ∴ (a-8)xÛ`+(1-5a)x-3=0   yy㉠
㉠이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이어야 하므로
x x
x
a-8+0   ∴ a+8 답①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49 ~ 53 03


01 ⑤ 02 ① 03 ④ 04 ③ 05 x=-5 x=m이 이차방정식 6xÛ`-(4a+5)x-6=0의 근이므로 대입
06 2017 07 16 08 ③ 09 ① 10 37 하면
1 1
11 ③ 12 a< 또는 <a<4
2 2
13 ② 14 ① 6mÛ`-(4a+5)m-6=0

15
1
16 ② 17 8 18 14 19 2 m+0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m으로 나누면
12
6
20 ④ 21 8명 22 12살 23 ② 24 20 6m-(4a+5)- =0
m
25 ④ 26 80분 후 27 169 28 19 29 16 cm
1
30 14 cm 31 ⑤ 6{m- }=4a+5
m
1
이때, m- =a이므로 6a=4a+5
m
01 5
2a=5   ∴ a=  답④
(a-1)xÛ`+(b-a+3)x+2b+1=0 yy㉠ 2

x=-1이 이차방정식 ㉠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a-1-b+a-3+2b+1=0
∴ 2a+b-3=0 yy㉡
x=3이 이차방정식 ㉠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04
9a-9+3b-3a+9+2b+1=0 x=a가 이차방정식 xÛ`+5x-3=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6a+5b+1=0 yy㉢ aÛ`+5a-3=0

Ⅲ. 이차방정식 045
A n s w e r

이때, a+0이므로 이 식의 양변을 a로 나누면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3
a+5- =0 이차방정식 2016Û`xÛ`+2015_2017x-1=0에서
a 2015_2017=(2016-1)_(2016+1)
3 =2016Û`-1
∴ a- =-5 yy㉠
a 이므로 이차방정식 2016Û`xÛ`+(2016Û`-1)x-1=0의 좌변을 인수분해하면 다음과
㉠의 양변을 제곱하면 같다.
2016Û`xÛ`+(2016Û`-1)x-1=0
3 9
{a- }Û`=25, aÛ`-6+ =25 2016Û` -1 -1
a aÛ` 1 1 2016Û`
9 2016Û`-1
∴ aÛ`+ =31 yy㉡
aÛ` 즉, (2016Û`x-1)(x+1)=0이므로
㉠, ㉡에서 1
x= 또는 x=-1
2016Û`
3 9 9 3
aÛ`+a- + ={aÛ`+ }+{a- } 
a aÛ` aÛ` a
=31+(-5)=26 답③

07
|x|Û`=xÛ`이므로 xÛ`+2|x|-24=0에서
|x|Û`+2|x|-24=0, (|x|+6)(|x|-4)=0

05 ∴ |x|=-6 또는 |x|=4
이때, |x|¾0이므로 |x|=4
x=-3이 이차방정식 (k-1)xÛ`+(kÛ`+2k)x+17-k=0의
따라서 x=4 또는 x=-4이므로
근이므로 대입하면
a=4, b=-4 또는 a=-4, b=4
9(k-1)-3(kÛ`+2k)+17-k=0
∴ aÛ`+ab+bÛ`=
 16-16+16=16 답 16
9k-9-3kÛ`-6k+17-k=0
3kÛ`-2k-8=0, (k-2)(3k+4)=0 │다른풀이│

∴ k=2`(∵ k>0) 방정식 xÛ`+2|x|-24=0에서


이것을 (k-1)xÛ`+(kÛ`+2k)x+17-k=0에 대입하면 Ú x¾0일 때,
xÛ`+8x+15=0, (x+5)(x+3)=0 주어진 방정식은 xÛ`+2x-24=0
∴ x=-5 또는 x=-3 (x+6)(x-4)=0
따라서 구하는 다른 한 근은 x=-5이다. 답 x=-5 ∴ x=4 (∵ x¾0)
Û x<0일 때,
주어진 방정식은 xÛ`-2x-24=0
(x-6)(x+4)=0
∴ x=-4 (∵ x<0)
Ú, Û에서 주어진 방정식의 해는
06 x=4 또는 x=-4
이차방정식 xÛ`-2015x-2016=0에서
(x+1)(x-2016)=0  
∴ x=-1 또는 x=2016
두 근 중에서 큰 근이 a이므로 08
a=2016 (x-y-2)(2y-2x+3)+21=0에서
이차방정식 2016Û` xÛ`+2015_2017x-1=0에서 (x-y-2){-2(x-y)+3}+21=0
(x+1)(2016Û`x-1)=0   x-y=X로 놓으면
1 (X-2)(-2X+3)+21=0
∴ x=-1 또는 x=
2016Û` -2XÛ`+7X-6+21=0
두 근 중에서 작은 근이 b이므로
2XÛ`-7X-15=0, (X-5)(2X+3)=0
b=-1
3
∴ a-b=2016-(-1)=2017 답 2017
∴ X=5 또는 X=-
2

04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49~50

이때, x, y가 자연수이므로 X의 값은 정수이다. 3


이차방정식 2xÛ`+kÛ`x-3k=0의 한 근이 x=- 이므로 대입
2
∴ x-y=5
하면
따라서 이를 만족시키는 순서쌍 (x, y)는 (10, 5), (9, 4),
3 3
(8, 3), (7, 2), (6, 1)의 5개이다. 답③ 2_{- }Û`+kÛ`_{- }-3k=0
2 2
kÛ`+2k-3=0, (k-1)(k+3)=0
∴ k=1 또는 k=-3
Ú k=1인 경우
09 처음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2xÛ`-3x+1=0이므로
x=-1이 이차방정식 axÛ`-2x+b=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1
(2x-1)(x-1)=0   ∴ x= 또는 x=1
a+2+b=0   ∴ a+b=-2 yy㉠ 2
Û k=-3인 경우
1
x= 이 이차방정식 bxÛ`-2x+a=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3 처음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2xÛ`+9x+9=0이므로
b 2 3
- +a=0   ∴ 9a+b=6 yy㉡ (x+3)(2x+3)=0   ∴ x=-3 또는 x=-
9 3 2
㉠, ㉡을 연립하여 풀면 Ú, Û에서 처음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근이 모두 음수가 되도록
a=1, b=-3 하는 실수 k의 값은 -3이다. 답③
따라서 이차방정식 axÛ`-2x+b=0, 즉 xÛ`-2x-3=0에서
(x+1)(x-3)=0   ∴ x=-1 또는 x=3
∴ m=3
또한, 이차방정식 bxÛ`-2x+a=0, 즉 -3xÛ`-2x+1=0에서
3xÛ`+2x-1=0 12
1 2xÛ`+(2a-7)x-3(a-2)=0에서
(x+1)(3x-1)=0   ∴ x=-1 또는 x=
3 (2x-3)(x+a-2)=0
∴ n=-1
3
∴ x= 또는 x=-a+2
∴ mn=3_(-1)=-3 답① 2
이때, 두 근이 서로 달라야 하므로
3 1
+-a+2   ∴ a+
2 2
3
Ú ‌두 근 중에서 작은 근이 x= 일 때, 
10 2
3 3
xÛ`-2(k-3)x+2kÛ`-13k+15 x= >-2이고 <-a+2이므로 
2 2
={xÛ`-2(k-3)x}+2kÛ`-13k+15 1
a<
={xÛ`-2(k-3)x+(k-3)Û`-(k-3)Û`}+2kÛ`-13k+15 2
Û ‌두 근 중에서 작은 근이 x=-a+2일 때, 
={x-(k-3)}Û`-(k-3)Û`+2kÛ`-13k+15
x=-a+2>-2에서 a<4 
={x-(k-3)}Û`+kÛ`-7k+6
3 1
위의 식이 x에 대한 완전제곱식이 되려면 또한, >-a+2이므로 a> 
2 2
kÛ`-7k+6=0, (k-1)(k-6)=0 1
∴ <a<4
∴ k=1 또는 k=6 2
따라서 모든 상수 k의 값의 제곱의 합은 Ú, Û에서 구하는 상수 a의 값의 범위는

1Û`+6Û`=1+36=37 답 37 1 1 1 1
a< 또는 <a<4 답 a< 또는 <a<4
2 2 2 2

blacklabel 특강 오답피하기

3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 중에서 하나는 으로 -2보다 크다는 조건을 만족시키
2

11 므로 나머지 한 근 -a+2가 -2보다 크다는 조건만을 생각해서는 안 된다.


3 1
서로 다른 두 근이어야 하므로 구한 두 근 과 -a+2가 같아지는 경우, 즉 a=
이차방정식 2xÛ`-3kx+kÛ`=0의 x의 계수와 상수항을 바꾸면 2 2
을 반드시 제외해 주어야 한다.
2xÛ`+kÛ`x-3k=0

Ⅲ. 이차방정식 047
A n s w e r

13 해결단계 이때, a, b는 각각 1, 2, 3, 4, 5, 6 중 하나이고 ㉠에서 6b의 값


은 연속한 두 정수의 곱이어야 한다.
p가 소수임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의 자연수인 해를 구하고 a를
➊ 단계 b=1일 때, 6b=6=3_2이므로 ㉠에서 a=3
p로 나타낸다.
➋ 단계 a가 소수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수 p를 찾는다. b=2일 때, 6b=12=4_3이므로 ㉠에서 a=4
➌ 단계 a>3일 때, a가 항상 짝수인지 확인한다. b=3일 때, 6b=18은 연속한 두 정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없다.
a가 5의 배수일 때, 조건을 만족시키는 30 이하의 소수 p가 몇 개
➍ 단계 b=4일 때, 6b=24는 연속한 두 정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없다.
인지 확인한다.
b=5일 때, 6b=30=6_5이므로 ㉠에서 a=6
이차방정식 xÛ`-ax+p=0이 서로 다른 두 자연수를 근으로 갖
b=6일 때, 6b=36은 연속한 두 정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없다.
고 p는 소수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은
즉,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갖도록 하는 순서쌍 (a, b)는
(x-1)(x-p)=0   ∴ x=1 또는 x=p  
(3, 1), (4, 2), (6, 5)의 3개이다. 
∴ a=p+1 ㈐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질 확률은
ㄱ. ‌p가 소수이고 a=p+1도 소수이려면 
3 1
p=2 = 
36 12

ㄴ. ‌a>3이면 p+1>3   ∴ p>2  1
 답
2보다 큰 소수는 모두 홀수이므로 a=p+1은 항상 짝수이다. 12
단계 채점 기준 배점
ㄷ. ‌a=5k (k는 자연수)라 하면 
㈎ 모든 경우의 수를 구한 경우 10%
5 k=p+1  ㈏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질 조건을 구한 경우 40%
∴ p=5k-1  ㈐ ㈏에서 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a, b)를 구한 경우 40%

이를 만족시키는 30 이하의 소수 p는 19, 29의 2개이다. ㈑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중근을 가질 확률을 구한 경우 10%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② 필수개념


blacklabel 특강

확률
어떤 실험이나 관찰에서 각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같을 때, 일어나는 모든 경우의
수를 n, 어떤 사건 A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를 a라 하면 사건 A가 일어날 확률 p는
다음과 같다.

14    p=
(사건 A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 a
(일어나는 모든 경우의 수)
=
n
(x-1)(3b-x)=a(x-1)에서
(x-1)(3b-x)=a(x-1)
a(x-1)-(x-1)(3b-x)=0
∴ (x-1)(x+a-3b)=0
이 이차방정식이 중근 x=1을 가지므로
a-3b=-1
이를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a, b의 순서쌍 (a, b)는
(2, 1), (5, 2), (8, 3), y 16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2+1=3 답① 이차방정식 xÛ`+2(a+b)x-2(a+b)-1=0이 중근을 가지므로
2(a+b) Û
-2(a+b)-1=[ ]`
2
a+b=t로 놓으면 -2t-1=tÛ`
tÛ`+2t+1=0, (t+1)Û`=0

15 즉, (a+b+1)Û`=0이므로
a+b+1=0 yy㉠
모든 경우의 수는
x=a가 이차방정식 xÛ`-(a-3)x+b=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6_6=36

aÛ`-a(a-3)+b=0
이차방정식 xÛ`-2ax+a+6b=0이 중근을 가지므로
-2a Û` ∴ 3a+b=0  yy㉡
a+6b={ }
2 1 3
㉠, ㉡을 연립하여 풀면 a= , b=-
aÛ`=a+6b, aÛ`-a=6b   2 2
1 3 5
∴ 6b=a(a-1)   yy㉠ ∴ aÛ`+bÛ`={ }Û`+{- }Û`=  답②
㈏ 2 2 2

04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50~51

17 [a, b]=12_<a, b>=12_2=24


이때, 최대공약수가 2이고 최소공배수가 24=2Ü`_3인 한 자리
수영이가 푼 이차방정식, 즉 xÛ`의 계수가 2이고 두 근이 1, 3인
의 두 자연수는 2Ü`=8, 2_3=6이므로
이차방정식은
a=8, b=6 또는 a=6, b=8
2(x-1)(x-3)=0
∴ a+b=14 답 14
2(xÛ`-4x+3)=0   ∴ 2xÛ`-8x+6=0
이때, 수영이는 일차항의 계수를 잘못 보고 풀었으므로 상수항은 │다른풀이│
바르게 보았다. 즉, 처음 이차방정식의 상수항은 6이다. <a, b>=G, [a, b]=L이라 하면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한편, 현선이가 푼 이차방정식, 즉 xÛ`의 계수가 2이고 두 근이 GxÛ`-Lx+40=0 yy㉠
-1, 2인 이차방정식은 x=2가 이차방정식 ㉠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2(x+1)(x-2)=0 4G-2L+40=0
2(xÛ`-x-2)=0   ∴ 2xÛ`-2x-4=0 ∴ 2G-L+20=0 yy㉡
이때, 현선이는 상수항을 잘못 보고 풀었으므로 일차항의 계수는 x=10도 이차방정식 ㉠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바르게 보았다. 즉, 처음 이차방정식의 일차항의 계수는 -2이다. 100G-10L+40=0
따라서 처음 이차방정식은 2xÛ`-2x+6=0이고 일차항의 계수 ∴ 10G-L+4=0 yy㉢
와 상수항의 차는 ㉡, ㉢을 연립하여 풀면 G=2, L=24
6-(-2)=8 답8

│다른풀이│
처음 이차방정식을 2xÛ`+ax+b=0이라 하고, 수영이가 잘못
19
본 이차방정식을 2xÛ`+px+b=0이라 하자.
"ÃnÛ`+12=m의 양변을 제곱하면
수영이가 얻은 근이 1, 3이므로 위의 식에
nÛ`+12=mÛ`
x=1을 대입하면 2+p+b=0 yy㉠
즉, mÛ`-nÛ`=12이므로
x=3을 대입하면 18+3p+b=0  yy㉡
(m-n)(m+n)=12   yy㉠
㉠, ㉡을 연립하여 풀면 b=6, p=-8
이때, m, n은 자연수이므로 m+n은 자연수이고 m+n>0
현선이가 잘못 본 이차방정식을 2xÛ`+ax+q=0이라 하자.
㉠에서 m-n>0   ∴ m>n
현선이가 얻은 근이 -1, 2이므로 위의 식에
즉, m+n>m-n이므로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m+n,
x=-1을 대입하면 2-a+q=0 yy㉢
m-n의 값과 이를 만족시키는 m, n의 값은 다음 표와 같다.
x=2를 대입하면 8+2a+q=0 yy㉣
m+n 12 6 4
㉢, ㉣을 연립하여 풀면 a=-2, q=-4
m-n 1 2 3
따라서 처음 이차방정식은 2xÛ`-2x+6=0이고 구하는 차는
13 7
6-(-2)=8 m 4
2 2
11 1
n 2
2 2

이때, m, n은 자연수이므로 m=4, n=2


한편, xÛ`의 계수가 1이고 두 근이 4, 2인 이차방정식은
18 (x-4)(x-2)=0   ∴ xÛ`-6x+8=0
xÛ`의 계수가 1이고 두 근이 2, 10인 이차방정식은 이 이차방정식이 xÛ`+ax+b=0과 일치하므로
(x-2)(x-10)=0   ∴ xÛ`-12x+20=0 a=-6, b=8
즉, xÛ`의 계수가 <a, b>이고 두 근이 2, 10인 이차방정식은 ∴ a+b=-6+8=2  답2
<a, b>(xÛ`-12x+20)=0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 <a, b>xÛ`-12_<a, b>x+20_<a, b>=0
이차방정식 xÛ`+ax+b=0의 해가 x=4 또는 x=2이므로 이를 각각 이차방정식
이 이차방정식이 <a, b>xÛ`-[a, b]x+40=0과 일치하므로
에 대입하여 a, b의 값을 구해도 된다. 즉,
상수항끼리 비교하면 x=4를 xÛ`+ax+b=0에 대입하면 16+4a+b=0

20_<a, b>=40   ∴ <a, b>=2 x=2를 xÛ`+ax+b=0에 대입하면 4+2a+b=0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6, b=8임을 알 수 있다.
일차항의 계수끼리 비교하면

Ⅲ. 이차방정식 049
A n s w e r

20 즉, 현재는 두 사람이 처음 만났을 때로부터 (x+2)년 후이므로


수진이의 현재 나이는 (3x+2)살이다.
가운데 세로 방향에 있는 값을 모두 더하면 ㈎
두 사람이 처음 만났을 때의 수진이의 나이의 10배는 그때의 민
(x-1)+6+(3x+1)=4x+6
우의 나이와 수진이의 현재 나이의 곱과 같으므로
이므로 주어진 표에서 모든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에 있는 세
2x_10=x_(3x+2)
값을 더하면 4x+6이다.
3xÛ`-18x=0, 3x(x-6)=0
즉,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방향의 대각선의 값을 모두 더하면
∴ x=0 또는 x=6
xÛ`+6+3=xÛ`+9이므로
이때, x는 나이이므로 자연수이다.
xÛ`+9=4x+6
∴ x=6
xÛ`-4x+3=0, (x-1)(x-3)=0   ㈏
따라서 수진이와 민우가 처음 만났을 때의 수진이의 나이는
∴ x=1 또는 x=3
2x=2_6=12(살)
이때, 각 칸의 수는 모두 자연수이므로 x-1>0, 즉 x>1 ㈐
 답 12살
∴ x=3  
따라서 모든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에 있는 세 자연수의 합은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둘이 처음 만났을 때의 민우의 나이를 x살이라 하고 그때
4_3+6=18 ㈎ 의 수진이의 나이, 수진이와 민우의 현재 나이를 각각 x로 40%
나타낸 경우
이므로 가운데 가로 방향에 있는 세 자연수의 합은
㈎에서 구한 나이를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세우고 둘이
A+6+8=A+14=18 ㈏ 40%
처음 만났을 때의 민우의 나이를 구한 경우
∴ A=4 답④ ㈐
수진이와 민우가 처음 만났을 때의 수진이의 나이를 구한
20%
경우

21
파티에 참여한 친구를 x명, 친구 1명당 처음에 내려고 했던 금액 23
을 A원이라 하면 어제의 사과 판매량을 a`kg이라 하면 어제의 총 매출액은
Ax=48000 yy㉠ 20000a원이고 오늘 총 매출액은
유리와 정훈이가 돈을 가져오지 않아 나머지 (x-2)명의 친구 2x 3x
20000a{1+ }{1- }(원)
100 200
들이 처음에 내려 했던 금액보다 2천 원씩 더 냈으므로
그런데 오늘 총 매출액은 어제보다 2`% 증가했으므로
(A+2000)(x-2)=48000에서
2x 3x 2
Ax-2A+2000x-4000=48000 20000a{1+ }{1- }=20000a{1+ }
100 200 100
48000-2A+2000x-4000=48000 (∵ ㉠) 2x 3x 102
{1+ }{1- }=
2A=2000x-4000   ∴ A=1000x-2000 100 200 100

이것을 ㉠에 대입하면 양변에 10000을 곱하면

(1000x-2000)x=48000 (50+x)(200-3x)=10200

1000xÛ`-2000x-48000=0 3xÛ`-50x+200=0, (x-10)(3x-20)=0

xÛ`-2x-48=0, (x-8)(x+6)=0 20
∴ x=10 또는 x=
3
∴ x=8 또는 x=-6
그런데 x는 자연수이므로 x=10
이때, x는 친구의 수이므로 자연수이다.
따라서 오늘 사과의 1`kg당 판매 가격은
∴ x=8 2x 20
20000{1+ }=20000{1+ }=24000(원) 답②
따라서 파티에 참여한 친구는 모두 8명이다.  답 8명 100 100

22 24
수진이와 민우가 처음 만났을 때의 민우의 나이를 x살이라 하면
처음 소금의 양은
두 사람이 처음 만났을 때의 수진이의 나이는 2x살이고, 민우의
10
현재 나이는 (2x+2)살이다. _100=10(g)
100

05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51~53

x`g의 소금물을 퍼내고 남은 소금의 양은 1 1


xÛ`+6= x+30
100 2
10 x
10- _x=10{1- }(g)
100 100 xÛ`-50x-2400=0, (x+30)(x-80)=0
다시 2x`g의 소금물을 퍼내고 남은 소금의 양은
∴ x=80 (∵ x>0)
x 2x
10{1- }{1- }(g) 따라서 출발한 지 80분 후에 기차가 자동차보다 30`km 앞에 위
100 100
이 소금물의 농도가 4.8`%이므로 치한다. 답 80분 후

x 2x
10{1- }{1- }
100 100
4.8= _100
100

0.48={1-
x
}{1-
2x
}
27
100 100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 5`m E {x-5}`m
A D
0.48_5000=(100-x)(50-x)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xÛ`-150x+5000=2400 x`m (x>0)라 하면 x`m
{x-3}`m

xÛ`-150x+2600=0, (x-20)(x-130)=0 EDÓ=(x-5)`m, F


3`m
∴ x=20 (∵ 0<x<50) 답 20 DFÓ=(x-3)`m B C

정사각형 ABCD의 넓이는 xÛ``m이고, 삼각형 EFD의 넓이는


25 1 1
(x-5)(x-3)= (xÛ`-8x+15) (mÛ`)
2 2
t초 후 공의 높이를 36`m라 하면
오각형 ABCFE의 넓이가 129`mÛ`이므로
40t-4tÛ`=36
1
tÛ`-10t+9=0, (t-1)(t-9)=0 xÛ`- (xÛ`-8x+15)=129
2
∴ t=1 또는 t=9 xÛ`+8x-273=0, (x+21)(x-13)=0
즉, 공은 위로 던진 지 1초 후에 높이 36`m인 지점을 지나 올라 ∴ x=-21 또는 x=13
가다가 최고 높이에 도달한 후 9초 후에 높이 36`m인 지점을 다 그런데 x>0이므로 x=13
시 지나 지면으로 떨어진다. 따라서 정사각형 ABCD의 넓이는 13_13=169 (mÛ`)이므로
따라서 높이가 36`m 이상인 것은 1초부터 9초까지의 8초 동안 a=169 답 169
이다. 답④

26 해결단계 28
자동차와 기차가 각각 시간과 시간의 제곱에 비례할 때의 비례상 t초 후 직사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60-2t)`cm,
➊ 단계
수를 각각 구한다.
(33+3t)`cm이다.
➋ 단계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이차방정식을 세운다.
➌ 단계 ➋ 단계에서 세운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하고 적합한 답을 찾는다. 길이가 동시에 변하기 시작하여 t초 후 직사각형의 넓이가 처음
직사각형의 넓이와 같아지므로
자동차와 기차가 t분 동안 달린 거리를 각각 at`km, btÛ``km라
(60-2t)(33+3t)=60_33
하자. (단, a, b는 상수)
-6tÛ`+114t=0, tÛ`-19t=0
자동차와 기차는 출발한 지 20분 후와 30분 후에 각각 만나고,
t(t-19)=0   ∴ t=0 또는 t=19
기차가 자동차의 6`km 앞에서 출발하므로
그런데 t>0이므로 t=19 답 19
20a=400b+6, 30a=900b+6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1 1
a= , b=
2 100
29
1 처음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가로의 길이를 x`cm라 하면
즉, t분 동안 자동차가 달린 거리는 t`km, 기차가 달린 거리
2
빗금친 사각형의 넓이는
1
는 tÛ``km이다. 12x-12_12-(x-12)Û`=32
100
출발한 지 x분 후, 기차가 자동차보다 30`km 앞에 위치한다고 xÛ`-36x+320=0, (x-16)(x-20)=0
하면 ∴ x=16 또는 x=20

Ⅲ. 이차방정식 051
A n s w e r

그런데 CDÓ<DEÓ에서
01 해결단계
x-12<12-(x-12)   ∴ x<18
➊ 단계 4초 후의 물 로켓의 높이를 구한다.
∴ x=16
⑴ 높이에 대한 식을 이용하여 4초 후의 높이와 같은 지점을
➋ 단계
따라서 처음 직사각형 모양의 종이의 가로의 길이는 16`cm이다. 다시 지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구한다.

 답 16`cm ⑵ ➌ 단계 물 로켓이 땅에 떨어질 때까지 걸린 시간을 구한다.

⑴ 물 로켓을 발사한 지 4초 후의 높이는


50_4-5_4Û`=200-80=120 (m)
30 ‌즉, 물 로켓을 발사한 지 x초 후의 높이가 120`m이면
ACÓ=x`cm라 하면 BCÓ=(20-x)`cm 50x-5xÛ`=120
이때, BCÓ<ACÓ에서 xÛ`-10x+24=0, (x-4)(x-6)=0
20-x<x, -2x<-20   ∴ x>10   yy㉠ ∴ x=4 또는 x=6
색칠한 부분의 넓이가 21p cmÛ`이므로 ‌따라서 물 로켓을 발사한 지 4초 후의 높이와 같은 지점을 다
1 20 1 x 1 20-x Û` 시 지나는 것은 발사한 지 6초 후이다.
_p_{ }Û`- _p_{ }Û`- _p_{ } =21p
2 2 2 2 2 2 ⑵ 물 로켓이 땅에 떨어지면 물 로켓의 높이는 0`m이므로
400-xÛ`-(20-x)Û`=168
50x-5xÛ`=0
xÛ`-20x+84=0, (x-6)(x-14)=0
x(x-10)=0   ∴ x=0 또는 x=10
∴ x=14 (∵ ㉠)
‌따라서 발사한 물 로켓이 땅에 떨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10
따라서 선분 AC의 길이는 14 cm이다.  답 14 cm
초이다.
 답 ⑴ 6초 후 ⑵ 10초

31
△APQ와 △ABE에서 PQÓBEÓ이므로
△APQ»△ABE (AA 닮음)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선분 AH, PQ R A
P
x 3
Q 02 해결단계
가 만나는 점을 R, PQÓ=x라 하면
B E
ARÓ : AHÓ=PQÓ : BEÓ에서 H 직선 y=mx-2m-4가 점 (2m-1, 4m+11)을 지날 때, 가
➊ 단계
능한 m의 값을 구한다.
4
3 ➊ 단계에서 구한 m의 값 중에서 직선이 제 1 사분면을 지나지 않
ARÓ : 3=x : 8   ∴ ARÓ= x ➋ 단계
8 C D 도록 하는 m의 값을 구한다.
8
즉, 사다리꼴 PCDQ의 높이는
점 (2m-1, 4m+11)이 직선 y=mx-2m-4 위에 있으므로
3 3
{3- x}+4=7- x 4m+11=m(2m-1)-2m-4
8 8
사다리꼴 PCDQ의 넓이가 직사각형 BCDE의 넓이와 같으므로 2mÛ`-7m-15=0, (m-5)(2m+3)=0
1 3 3
(x+8){7- x}=32 ∴ m=5 또는 m=-
2 8 2
(x+8)(56-3x)=512 Ú m=5일
‌ 때,
3xÛ`-32x+64=0, (x-8)(3x-8)=0 직선의 방정식은 y=5x-14
8 이 직선은 제 1 사분면을 지난다.
그런데 0<x<8이므로 x=
3 3
Û m=-
‌ 일 때,
8 2
따라서 선분 PQ의 길이는 이다. 답⑤
3 3
직선의 방정식은 y=- x-1
2
이 직선은 제 1 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Step 3 3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54 ~ 55 Ú, Û에서 구하는 m의 값은 - 이다. 답-
2 2
3
01 ⑴ 6초 후 ⑵ 10초 02 -
2 │다른풀이│
03 ⑴ x=-1 ⑵ x=1 ⑶ 근이 없다. 04 12 05 3초
직선 y=mx-2m-4의 기울기 m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경
06 62 07 -1 08 30
우를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05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53~54

Ú m>0일 때, 1
⑴ x< 일 때,
2
기울기가 양수인 직선은 y절편에 관계없이 항상 제 1 사분면을
2x-1<0, x-2<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서
지난다.
xÛ`-(2x-1)=1-(x-2)
Û m=0일 때,
xÛ`-2x+1=-x+3, xÛ`-x-2=0
직선의 방정식은 y=-4이고 이 직선은 제 1 사분면을 지나지
1
않는다. (x+1)(x-2)=0   ∴ x=-1 {∵ x< }
2
그런데 점 (2m-1, 4m+11), 즉 점 (-1, 11)은 직선 1
⑵ ÉxÉ2일 때,
y=-4 위의 점이 아니다. 2
2x-1¾0, x-2É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서
Ü m<0일 때,
xÛ`+2x-1=1-(x-2)
기울기가 음수인 직선이 제 1 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y절편
xÛ`+2x-1=-x+3, xÛ`+3x-4=0
이 0 또는 음수이어야 하므로
1
-2m-4É0, -2mÉ4   ∴ m¾-2 (x+4)(x-1)=0   ∴ x=1 {∵ ÉxÉ2}
2
∴ -2Ém<0 yy㉠ ⑶ x>2일 때,
점 (2m-1, 4m+11)이 직선 y=mx-2m-4 위에 있으 2x-1>0, x-2>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서
므로 대입하면 xÛ`+2x-1=1+x-2, xÛ`+x=0
4m+11=m(2m-1)-2m-4 x(x+1)=0   ∴ x=0 또는 x=-1
2mÛ`-7m-15=0, (m-5)(2m+3)=0 그런데 x>2이므로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없다.
3 답 ⑴ x=-1 ⑵ x=1 ⑶ 근이 없다.
∴ m=- (∵ ㉠) 
2
3
Ú, Û, Ü에서 m=- blacklabel 특강 참고
2
\"aÛ``과 |a|
blacklabel 특강 해결실마리 Ú a=0이면
‌
"ÅaÛ`=0, |a|=0   ∴ "ÅaÛ`=|a|=0
직선 y=ax+b (a, b는 상수)가 제 1 사분면을 지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Û a>0이면
‌
⑴ ‌기울기가 양수인 직선은 y절편에 관계없 y y
"ÅaÛ`=a, |a|=a   ∴ "ÅaÛ`=|a|=a
이 항상 제 1 사분면을 지난다.
Ü a<0이면
‌
⇨ a>0 O
x x "ÅaÛ`=-a, |a|=-a   ∴ "ÅaÛ`=|a|=-a
O
 Ú, Û, Ü에서 모든 실수 a에 대하여 "ÅaÛ`=|a|이다.
⑵ x축에
‌ 평행한 직선은 y절편이 양수일 때만 제 1 사분면을 y
지난다.
⇨ a=0, b>0
O x

⑶ ‌기울기가 음수인 직선은 y절편이 양수일 때 제 1 사분면을
y y
04 해결단계
지난다.
➊ 단계 제  x  단계의 정사각형의 개수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 a<0, b>0
O x O x ➋ 단계 제  x  단계의 직사각형의 넓이를 x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➌ 단계 제  x  단계의 직사각형의 넓이가 672일 때의 x의 값을 구한다.
⑴, ⑵, ⑶에서 직선 y=ax+b (a, b는 상수)가 제 1 사분면을 지나지 않으려면
   a=0, bÉ0 또는 a<0, bÉ0 ‌제  1  단계에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1_3=3(개)
을 만족시켜야 한다.
제  2  단계에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2_4=8(개)
제  3  단계에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3_5=15(개)

y

따라서 제  x  단계에 있는 정사각형의 개수는 x(x+2)개이다.


03 해결단계 또한, 정사각형 하나의 넓이는 2_2=4이므로 제  x  단계의 직사
각형의 넓이는
1
x< 일 때, 절댓값과 근호를 정리하고 주어진 방정식을
⑴ ➊ 단계 2 4x(x+2)=4xÛ`+8x에서
풀어 근을 구한다.
4xÛ`+8x=672
1
ÉxÉ2일 때, 절댓값과 근호를 정리하고 주어진 방정식
⑵ ➋ 단계 2 xÛ`+2x-168=0, (x+14)(x-12)=0
을 풀어 근을 구한다.
x>2일 때, 절댓값과 근호를 정리하고 주어진 방정식을 풀
∴ x=-14 또는 x=12
⑶ ➌ 단계
어 근을 구한다. 그런데 x>0이므로 x=12 답 12

Ⅲ. 이차방정식 053
A n s w e r

05 해결단계 07 해결단계
세 점 P, Q, R가 동시에 출발한 지 t초 후의 삼각형 PQR의 넓이 ➊ 단계 주어진 이차방정식에 근을 대입하고 정리하여 a의 값을 구한다.
➊ 단계
를 t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➋ 단계 a의 값을 이용하여 b, c의 값을 각각 구한다.
➋ 단계 삼각형 PQR의 넓이가 99 cmÛ`가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구한다.
➌ 단계 b+c의 값을 구한다.

‌세 점 P, Q, R가 출발한 지 t초 후 각 선분의 길이는 다음 그림 x=a는 이차방정식 xÛ`+ax+b=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과 같다. aÛ`+aa+b=0 yy㉠
18`cm
A D x=a는 이차방정식 xÛ`+bx+a=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t`cm {15-3t}`cm
P aÛ`+ba+a=0 yy㉡
R
{15-t}`cm 15`cm ㉠-㉡을 하면 aa+b-ba-a=0
3t`cm
(a-b)a-(a-b)=0, (a-b)(a-1)=0
B C
2t`cm Q {18-2t}`cm ∴ a=b 또는 a=1
=ABCD-△PBQ-△QCR-APRD
△PQR 이때, a=b이면 xÛ`+ax+b=0과 xÛ`+bx+a=0이 같아지므로
1 1 b+c인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18_15- _2t_(15-t)- _(18-2t)_3t
2 2
∴ a+b, a=1
1
 - _(15-2t)_18 x=a, 즉 x=1이 xÛ`+ax+b=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2
=270-15t+tÛ`-27t+3tÛ`-135+18t 1+a+b=0

=4tÛ`-24t+135 ∴ b=-(a+1) yy㉢


t초 후 △PQR의 넓이가 99`cmÛ`라 하면 ㉢을 xÛ`+ax+b=0에 대입하면
4tÛ`-24t+135=99 xÛ`+ax-(a+1)=0

4tÛ`-24t+36=0, tÛ`-6t+9=0 xÛ`-1+ax-a=0, (x+1)(x-1)+a(x-1)=0

(t-3)Û`=0   ∴ t=3 (x-1)(x+a+1)=0

따라서 △PQR의 넓이가 99`cmÛ`가 될 때까지 걸린 시간은 3초 ∴ x=1 또는 x=-a-1   ∴ b=-a-1

이다. 답 3초 ㉢을 xÛ`+bx+a=0에 대입하면


xÛ`-(a+1)x+a=0, (x-1)(x-a)=0
∴ x=1 또는 x=a   ∴ c=a
∴ b+c
=-a-1+a=-1 답 -1

06 해결단계 08 해결단계
➊ 단계 인수분해를 이용하여 <x>의 값을 구한다. ➊ 단계 이차방정식 xÛ`-4x+3=0의 두 근 a, b의 값을 구한다.

➋ 단계 ➊ 단계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x가 될 수 있는 값을 구한다. ➋ 단계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구한다.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값의 합을 구한다. ➌ 단계 정사각형의 넓이와 둘레의 길이를 각각 구한다.


➍ 단계 m, n의 값을 각각 구한 후 m-n의 값을 구한다.
3<x>Û`-16<x>-12=0에서
이차방정식 xÛ`-4x+3=0에서
(<x>-6)(3<x>+2)=0
(x-1)(x-3)=0   ∴ x=1 또는 x=3
2
∴ <x>=6 또는 <x>=-
3 ∴ a=1, b=3 (∵ a<b)
그런데 <x>는 개수이므로 음이 아닌 정수이다. 직각삼각형 ABC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k라
∴ <x>=6 하고 다음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의 꼭짓점이 두 선분 AB, AC
이때, <x>=6이려면 x보다 작은 소수가 2, 3, 5, 7, 11, 13이 와 만나는 서로 다른 두 점을 각각 D, E라 하자.
어야 하므로 자연수 x로 가능한 값은 A
E
14, 15, 16, 17 D
1
k
따라서 구하는 합은
C
14+15+16+17=62 답 62 B
3

05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55~56

△ABC»△ADE (AA 닮음)에서


3
ABÓ : ADÓ=BCÓ : DEÓ
APÓ=x (x>0)라 하면
즉, 1 : (1-k)=3 : k에서
BPÓ=CRÓ=OQÓ=2-x
k=3(1-k), k=3-3k, 4k=3
이때, APÓ<PBÓ이므로 x<2-x
3
∴ k= 2x<2   ∴ 0<x<1
4
A S D
3 x
즉,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이므로 정사각형의 넓이와 둘 R
4 P
O
3 9 3 2
레의 길이는 각각 { }Û`= , 4_ =3이다. 2-x
4 16 4
9 B Q C
한편, xÛ`의 계수가 16이고 , 3을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4
16
9 △OBQ»△DBC (AA 닮음)이므로
16{x- }(x-3)=0   ∴ 16xÛ`-57x+27=0
16 BQÓ : BCÓ=OQÓ : DCÓ
따라서 m=57, n=27이므로 BQÓ : 4=(2-x) : 2
m-n=57-27=30 답 30 2BQÓ=4(2-x)  
∴ BQÓ=2(2-x), CQÓ=4-BQÓ=4-2(2-x)=2x
두 사각형 APOS와 OQCR의 넓이의 합이 3이므로
APÓ_OPÓ+OQÓ_CQÓ=3
x_2(2-x)+(2-x)_2x=3 (∵ OPÓ=BQÓ)
미리보는 학력평가 p. 56
4xÛ`-8x+3=0
1 16 2 ④ 3 ③ 4 144
(2x-3)(2x-1)=0
1
∴ x= (∵ 0<x<1)
2
1 따라서 선분 AP의 길이는
1
이다. 답③
2
이차방정식 xÛ`-8x+a=0이 중근을 가지려면
이차식 xÛ`-8x+a가 완전제곱식이 되어야 한다.
-8 Û`
∴ a={ } =(-4)Û`=16 답 16
2

4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x (x>0)라 하면
2 DFÓ=x-5
이차방정식 xÛ`+kx+k+8=0이 중근을 가지므로
AECF=ABCD-(△ABE+△AFD)
k
k+8={ }Û` 1 1
=xÛ`-[ _4_x+ _x_(x-5)]
2
2 2
kÛ`
즉, k+8= 에서 4k+32=kÛ` 1 1
4 =xÛ`-{ xÛ`- x}
2 2
kÛ`-4k-32=0, (k+4)(k-8)=0
1 1
= xÛ`+ x
∴ k=-4 또는 k=8 2 2
Ú k=-4일 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사각형 AECF의 넓이가 78이므로
xÛ`-4x+4=0, (x-2)Û`=0 1 1
xÛ`+ x=78
2 2
∴ x=2 (중근)   ∴ a=2
1 1
Û k=8일 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Û`+ x-78=0, xÛ`+x-156=0
2 2
xÛ`+8x+16=0, (x+4)Û`=0 (x+13)(x-12)=0
∴ x=-4 (중근)   ∴ a=-4 ∴ x=12 (∵ x>0)
a<0이므로 Ú, Û에서 a=-4, k=8 따라서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는 12이므로 그 넓이는
∴ a+k=-4+8=4 답④ 12Û`=144 답 144

Ⅲ. 이차방정식 055
A n s w e r

│다른풀이│
06 근의 공식 이차방정식 xÛ`-10x+3k+4=0의 좌변을 완전제곱식으로 나
타내면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 58
(xÛ`-10x+25)-25+3k+4=0
"ÃbÛ`-4ac
01 ② 02 ① 03 3 04 ② 05 (x-5)Û`=21-3k
b
06 ③, ⑤ 07 kÉ4 즉, x-5=Ñ'Ä21-3k이므로
x=5Ñ'Ä21-3k
이때, 이차방정식 xÛ`-10x+3k+4=0의 한 근이
01 5-2'3, 즉 5-'¶12이므로
(x-4)Û`=p에서 21-3k=12, 3k=9   ∴ k=3
x-4=Ñ'p   ∴ x=4Ñ'p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이것이 x=qÑ'6과 일치하고 p, q가 유리수이므로
p=6, q=4 이차방정식 xÛ`-10x+3k+4=0의 한 근이 5-2'3이고, 계수와 상수항이 모두 유
리수이므로 다른 한 근은 5+2'3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 p+q=6+4=10 답② 즉, xÛ`의 계수가 1이고 두 근이 5-2'3, 5+2'3인 이차방정식은
{x-(5-2'3)}{x-(5+2'3)}=0이고, 이 이차방정식이 xÛ`-10x+3k+4=0
과 일치함을 이용하여 k의 값을 구할 수 있다.

02
2xÛ`+6x+3=0에서 04
3 3xÛ`+5x+1=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xÛ`+3x+ =0
2 -5Ñ"Ã5Û`-4_3_1
x= 
3 3 3 2_3
xÛ`+3x+{ }Û`-{ }Û`+ =0
2 2 2 -5Ñ'¶13
= 
3 9 3 6
{x+ }Û`- + =0
2 4 2 pÑ'q
=
3 3 3 3 6
즉, {x+ }Û`= 이므로 x+ =Ѿ `에서
2 4 2 4 따라서 p=-5, q=13이므로
3 3
x=- Ѿ p+q=-5+13=8  답②
2 4
3 3 3 3
∴ a= , b= , c=- , d=
2 4 2 4
3 3 3 3
이차방정식 axÛ`+bx+c=d, 즉
2
xÛ`+ x- = 에서
4 2 4 05
2xÛ`+x-3=0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양변을 a로 나눈 다음 상수항
(x-1)(2x+3)=0 을 우변으로 이항하면
3 b c
∴ x=1 또는 x=- xÛ`+ x=-
2 a a
따라서 양수인 해는 x=1이다. 답①
b Û` bÛ`
위의 식의 양변에 { }= 을 더하면
2a 4aÛ`
b bÛ` c bÛ`
xÛ`+ x+ =- +
a 4aÛ` a 4aÛ`
b c bÛ`
즉, {x+ }Û`=- +
03 2a a 4aÛ`
이므로

b Û` -4ac+bÛ`
5-2'3이 이차방정식 xÛ`-10x+3k+4=0의 근이므로 대입하 {x+ }=
2a 4aÛ`
면 등식이 성립한다. 즉,
(5-2'3)Û`-10(5-2'3)+3k+4=0
b "ÃbÛ`-4ac
x+ =Ñ
2a 2a
37-20'3-50+20'3+3k+4=0
-bÑ"ÃbÛ`-4ac
3k=9   ∴ k=3 답3 ∴ x=
2a

05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58~59

bÛ` b "ÃbÛ`-4ac 2
따라서 A= , B= , C= 이므로 즉, -4+¾ =-4+'2에서 a=1
4aÛ` 2a 2a a
BC 1 b "ÃbÛ`-4ac 4aÛ` 2
=B_C_ = _ _  ∴ b=-4-¾ =-4-'2
A A 2a 2a bÛ` a
"ÃbÛ`-4ac
답 "ÃbÛ`-4ac
= 
∴ a+b=1+(-4-'2)=-3-'2 답①
b b

06
① xÛ`=0에서 x=0이므로 근이 존재한다. 02
② xÛ`=1에서 x=Ñ1이므로 서로 다른 두 근을 갖는다. 12(x-1)Û`=a-3에서
③ xÛ`=2에서 x=Ñ'2이므로 서로 다른 두 근을 갖는다. a-3 a-3
(x-1)Û`= , x-1=ѾÐ
④ ‌xÛ`=k에서 k>0이므로 x=Ñ'k이고 서로 다른 두 근을 갖 12 12
a-3 a-3
는다. ∴ x=1+¾Ð 또는 x=1-¾Ð
12 12
⑤ xÛ`=k에서 k>0이므로 x=Ñ'k   이때, 두 근의 차는
∴ |'k|=|-'k| a-3 a-3 a-3
{1+¾Ð `}-{1-¾Ð `}=2¾Ð 
따라서 옳은 것은 ③, ⑤이다. 답 ③, ⑤ 12 12 12
a-3
=¾4Ð_ 
12
a-3
07 =¾Ð
3
`

a-3
이차방정식 xÛ`+2x+k-3=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따라서 ¾Ð `=1에서 a-3=3이므로
3
-2Ñ"Ã2Û`-4_1_(k-3)
x=  a=6 답①
2_1
-2Ñ'Ä16-4k
=
2
이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해를 가지려면
(근호 안의 식의 값)¾0이어야 하므로
16-4k¾0, -4k¾-16 03
∴ kÉ4 답 kÉ4 연속하는 세 홀수를 x-2, x, x+2`(x¾3)라 하면
(x-2)Û`+xÛ`+(x+2)Û`=251
xÛ`-4x+4+xÛ`+xÛ`+4x+4=251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59 ~ 61
3xÛ`+8=251

01 ① 02 ① 03 27 04
16'3 3xÛ`=243, xÛ`=81
3
1 ∴ x=9 (∵ x¾3)
05 x=3 또는 x=- 06 ④ 07 17 08 27
3 따라서 연속하는 세 홀수는 7, 9, 11이므로 그 합은
3Ñ'¶30 1Ñ'¶17
09 x= 10 ② 11 x= 7+9+11=27 답 27
3 4
12 ③ 13 ③ 14 18 15 ③ 16 ⑤
1
17 ④ 18 ⑤ 19 -
2

01 04
a(x+4)Û`-2=0에서 두 이차방정식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근을 a라 하면
2 3aÛ`+aa-4=0 yy㉠
a(x+4)Û`=2, (x+4)Û`=
a 5aÛ`+aa-28=0 yy㉡
2
x+4=Ѿ ㉡-㉠을 하면
a
2aÛ`-24=0
2 2
∴ x=-4+¾ 또는 x=-4-¾
a a aÛ`=12   ∴ a=Ñ2'3

Ⅲ. 이차방정식 057
A n s w e r

Ú ‌a=2'3일 때, 4 25
따라서 이차방정식 {x- }Û`= 에서

3 9
이를 ㉠에 대입하면 
4 5
36+2'3a-4=0 x- =Ñ
3 3
16'3 1
2'3a=-32   ∴ a=- ∴ x=3 또는 x=-
3 3
Û ‌a=-2'3일 때, 
이를 ㉠에 대입하면 
36-2'3a-4=0 

2'3a=32   ∴ a=
16'3
3
06
16'3 16'3 2xÛ`+5x+1=0의 양변을 2 로 나누면
Ú, Û에서 a= (∵ a>0) 답
3 3 5 1 5 1
xÛ`+ x+ =0   ∴ xÛ`+ x=-
2 2 2 2
5
위의 식의 양변에 { }Û`= ;1@6%; 를 더하고 좌변을 완전제곱식으
4
로 만들면
05 5 1
xÛ`+ x+;1@6%;=- +;1@6%;
3xÛ`+ax-3=0에서 2 2
5 '1Œ7
a
xÛ`+ x-1=0 {x+ ;4%; }Û`= ;1!6&; , x+ =Ñ
3 4 4
a
xÛ`+ x=1 -5Ñ'1Œ7
3 ∴ x=
4
xÛ`+ x+{ }Û`=1+{ }Û`
a a a
3 6 6 25 5 17 -5Ñ'1Œ7
∴ ‌‌㈎ : 2, ㈏ : ,㈐: ,㈑: ,㈒:
a aÛ` 16 4 16 4
∴ {x+ }Û`= +1
6 36 따라서 바르게 짝지은 것은 ④이다. 답④
25
이 식이 (x+p)Û`= 와 일치하므로
9
a aÛ` 25
=p yy㉠, +1= yy㉡
6 36 9
aÛ` 16
㉡에서 = , aÛ`=64   ∴ a=-8 (∵ a<0)
36 9
이것을 ㉠에 대입하면
07
이차방정식 xÛ`-6x+(2a-9)=0에서
8 4
p=- =-
6 3 xÛ`-6x=9-2a
4 25
따라서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x- }Û`= 이므로 xÛ`-6x+9=9-2a+9
3 9
(x-3)Û`=18-2a
4 5
x- =Ñ x-3=Ñ'Ä18-2a
3 3
1 1 ∴ x=3Ñ'Ä18-2a=3Ñ"Ã2(9-a)
∴ x=3 또는 x=-  답 x=3 또는 x=- ㈎
3 3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해가 모두 정수가 되려면
│다른풀이│ 9-a=2kÛ` (k는 정수) 꼴이어야 한다.

25 25 ∴ 9-a=0, 2, 8, 18, y
(x+p)Û`= 에서 xÛ`+2px+pÛ`- =0
9 9
이때, a는 자연수이므로 a=1, 7, 9
25
양변에 3을 곱하면 3xÛ`+6px+3pÛ`- =0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a의 값의 합은
3
이 식이 3xÛ`+ax-3=0과 일치하므로 1+7+9=17

25  답 17
6p=a yy㉢, 3pÛ`- =-3 yy㉣
3
단계 채점 기준 배점
16 16
㉣에서 3pÛ`= , pÛ`= ㈎ 완전제곱식을 이용하여 주어진 방정식의 해를 구한 경우 40%
3 9
㈏ 해가 모두 정수가 될 조건을 구한 경우 30%
4
∴ p=- (∵ a<0, ㉢) ㈐ 자연수 a의 값을 모두 구하고 그 합을 계산한 경우 30%
3

05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59~60

08 x=
-(-6)Ñ"Ã(-6)Û`-4_3_(-7)
2_3

이차방정식 xÛ`-8x+m=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6Ñ'¶120 3Ñ'¶30
= = 
-(-8)Ñ"Ã(-8)Û`-4_1_m 6 3
x= 
2_1 ㈐

8Ñ'Ä64-4m 3Ñ'¶30
 답 x=
=  3
2
단계 채점 기준 배점
8Ñ2'Ä16-m
=  잘못 보고 푼 이차방정식을 이용하여 상수 a의 값을 구한
2 ㈎ 40%
경우
=4Ñ'Ä16-m ㈏ 처음의 이차방정식을 완성한 경우 20%
한편, xÛ`-5x+6=0에서 ㈐ 처음의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한 경우 40%
(x-2)(x-3)=0   ∴ x=2 또는 x=3
이때, mÉ16에서 'Ä16-m¾0이므로 이차방정식
xÛ`-8x+m=0의 두 근 중
x=4+'Ä16-m¾4
10
즉, 나머지 한 근 x=4-'Ä16-m이 2와 3 사이에 있어야 하므로
이차방정식 mxÛ`+(2m-1)x+m-3=0에서 근의 공식에 의
2<4-'Ä16-m<3
하여
-2<-'Ä16-m<-1, 1<'Ä16-m<2
-(2m-1)Ñ"Ã(2m-1)Û`-4m(m-3)
즉, 1<16-m<4에서 x= 
2m
-15<-m<-12   ∴ 12<m<15 -(2m-1)Ñ'Ä8m+1
=
2m
따라서 정수 m의 값은 13, 14이므로 그 합은
두 근의 차가 2이므로
13+14=27 답 27
-(2m-1)+'Ä8m+1 -(2m-1)-'Ä8m+1
-
풀이첨삭
2m 2m
blacklabel 특강
'Ä8m+1
= =2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일차항의 계수가 짝수이므로 이차방정식 axÛ`+2b'x+c=0의 m
즉, 'Ä8m+1=2m이므로 양변을 제곱하면
근의 공식
-b'Ñ"Ãb'Û`-ac
   x= (단, b'Û`-ac¾0)
a 8m+1=4mÛ`
를 이용하면 약분하는 과정을 줄이고 빠르게 근을 구할 수 있다.
즉, 이차방정식 xÛ`-8x+m=0에서
4mÛ`-8m-1=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4)Ñ"Ã(-4)Û`-1_m
=4Ñ'Ä16-m -(-8)Ñ"Ã(-8)Û`-4_4_(-1)
   x=
1 m= 
2_4
이다.
8Ñ'¶80 8Ñ4'5 2Ñ'5
= = =
8 8 2
2+'5
이때, 2='4<'5이므로 양수 m의 값은 이다. 답②
2

09
이차방정식 xÛ`-3ax-2a-1=0에서 x의 계수와 상수항을 서
11
{(x+1)(-2x+1)}△{(3x+1)(-x+1)}=0에서
로 바꾼 이차방정식은
{(x+1)+(-2x+1)}△{(3x+1)+(-x+1)}=0
xÛ`-(2a+1)x-3a=0
(-x+2)△(2x+2)=0
이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3이므로 대입하면
(-x+2)(2x+2)-(-x+2)-(2x+2)+2=0
9-3(2a+1)-3a=0
-2xÛ`+2x+4+x-2-2x-2+2=0
2
-9a+6=0   ∴ a= 
3 2xÛ`-x-2=0

7 근의 공식에 의하여
즉, 처음의 이차방정식은 xÛ`-2x- =0
3 -(-1)Ñ"Ã(-1)Û`-4_2_(-2)
x= 
㈏ 2_2
이 식의 양변에 3을 곱하면 3xÛ`-6x-7=0
1Ñ'¶17 1Ñ'¶17
따라서 이차방정식 3xÛ`-6x-7=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  답 x=
4 4

Ⅲ. 이차방정식 059
A n s w e r

1+'5 Û` 1+'5
12 2_{ } -2a_ +b=0
2 2
위로 던진 공의 t초 후의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60 m이면 6+2'5
2_ -a-'5a+b=0
at-5tÛ`=60 4
∴ (3-a+b)+'5(1-a)=0
즉, 5tÛ`-at+60=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이때, a, b는 유리수이므로
-(-a)Ñ"Ã(-a)Û`-4_5_60 aÑ"ÃaÛ`-1200
t= =
2_5 10 3-a+b=0, 1-a=0
a-"ÃaÛ`-1200 ∴ a=1, b=-2
즉, 위로 던진 공은 초 후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10
한편, 이차방정식 axÛ`+2bx-a=0, 즉 xÛ`-4x-1=0에서 근
60 m인 지점을 지나 최고 높이까지 올라간 후 지면으로 떨어진다.
의 공식에 의하여
a+"ÃaÛ`-1200
또한, 지면으로 떨어지던 공은 공을 던지고 초 -(-4)Ñ"Ã(-4)Û`-4_1_(-1) 4Ñ2'5
10 x= = 
2_1 2
후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60 m인 지점을 다시 지난다.
=2Ñ'5
따라서 위로 던진 공이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60 m인 지점을 지
따라서 두 근의 제곱의 합은
난 뒤, 4초 후에 높이가 60 m인 지점을 다시 지나려면
(2+'5)Û`+(2-'5)Û`=9+4'5+9-4'5
a+"ÃaÛ`-1200 a-"ÃaÛ`-1200
- =4 =18 답 18
10 10
"ÃaÛ`-1200
=4, "ÃaÛ`-1200=20 │다른풀이│
5
1+'5
즉, aÛ`-1200=400에서 aÛ`=1600 이차방정식 2xÛ`-2ax+b=0의 한 근이 이고, 계수와 상
2
∴ a=40 (∵ a>0) 답③
1-'5
수항이 모두 유리수이므로 다른 한 근은 이다.
2
blacklabel 특강 오답피하기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시간, 속력, 거리, 길이, 넓이, 부피 등은 양수가 되어야 하고, 사람 수, 나이 등은 자 1+'5 1-'5 -2a
+ =-    ∴ a=1
연수가 되어야 한다. 활용 문제를 풀 때는 이에 주의하여 답을 구할 수 있도록 한다. 2 2 2
1+'5 1-'5 b
_ =    ∴ b=-2
2 2 2
이차방정식 axÛ`+2bx-a=0, 즉 xÛ`-4x-1=0의 두 근을
a, b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13 a+b=4, ab=-1

1 ∴ aÛ`+bÛ`=(a+b)Û`-2ab=16+2=18
이차방정식 xÛ`-0.5x-0.2=0, 즉 2xÛ`-5x-2=0에서 근의
5
공식에 의하여
-(-5)Ñ"Ã(-5)Û`-4_2_(-2) 5Ñ'¶41
x= =
2_2 4
이때, 5='¶25<'¶41이므로 양수인 근 A는
5+'¶41
A=
4
'¶36<'¶41<'¶49에서 6<'¶41<7이므로
15
11<5+'¶41<12
작은 원과 큰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r1, r2`(r1<r2)라 하면
11 5+'¶41
∴ < <3 두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6p이므로
4 4
따라서 2<A<3이므로 2pr1+2pr2=6p
n=2 답③ r1+r2=3   ∴ r2=3-r1   yy㉠
또한, 두 원의 넓이의 비가 1`:`3이므로
pr1Û``:`pr2Û`=1`:`3
3pr1Û`=pr2Û`   ∴ 3r1Û`=r2Û`

14 ㉠을 위의 식에 대입하면
3r1Û`=(3-r1)Û`
1+'5
x= 가 이차방정식 2xÛ`-2ax+b=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3r1Û`=r1Û`-6r1+9
2

06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60~61

즉, 2r1Û`+6r1-9=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2(a+4)Ñ"Ã{2(a+4)}Û`-4_a_(a+6)


x= 
-6Ñ"Ã6Û`-4_2_(-9) 2_a
r1= 
2_2 -2(a+4)Ñ2"Ã(a+4)Û`-a(a+6)
= 
-6Ñ6'3 2a
= 
4 -a-4Ñ'Ä2a+16
=
-3Ñ3'3 a
=
2 Ú 2a+16>0, 즉 a>-8일 때,
3'3-3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서로 다른 두 근을 갖는다.
그런데 r1>0이므로 r1=
2
Û 2a+16=0, 즉 a=-8일 때,
3'3-3
따라서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는 이다. 답③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중근을 갖는다.
2
Ü 2a+16<0, 즉 a<-8일 때,
│다른풀이│
주어진 이차방정식은 근을 갖지 않는다.
두 원의 넓이의 비가 1 : 3이면 두 원의 반지름의 길이의 비는
1 : '3이므로 작은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x라 하면 큰 원의 반지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답④

름의 길이는 '3x이다.
두 원의 둘레의 길이의 합이 6p이므로
2px+2'3px=6p
즉, ('3+1)x=3이므로
3 3('3-1)
x= =
'3+1 2
18
이차방정식 kxÛ`+2(k-3)x+k-5=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2(k-3)Ñ"Ã{2(k-3)}Û`-4_k_(k-5)
x= 
2_k
16 해결단계 -2(k-3)Ñ2"Ã(k-3)Û`-k(k-5)
= 
2k
➊ 단계 x, y가 모두 양수인 것을 확인한다.
-k+3Ñ'Ä9-k
주어진 등식의 양변을 yÛ`으로 나누고
x =
➋ 단계 y
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구 k
한다. 이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근을 가지려면
x
➌ 단계
y
의 값을 구한다. 9-k¾0   ∴ kÉ9
따라서 자연수 k는 1, 2, 3, y, 9의 9개이다. 답⑤
점 (x, y)가 제 1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x>0, y>0이다.
xÛ`+xy=yÛ`의 양변을 yÛ`으로 나누면
xÛ` x x x
+ =1   ∴ { }Û`+ -1=0
yÛ` y y y
x
=t로 놓으면
y
tÛ`+t-1=0
근의 공식에 의하여 19
-1Ñ"Ã1Û`-4_1_(-1) -1Ñ'5 이차방정식 (k+1)xÛ`-4kx+2k+3=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t= =
2_1 2 -(-4k)Ñ"Ã(-4k)Û`-4_(k+1)_(2k+3)
x= 
x -1Ñ'5 2(k+1)
∴ =
y 2 4kÑ2"Ã4kÛ`-(k+1)(2k+3)
= 
x 2(k+1)
이때, >0이므로
y 2kÑ"Ã2kÛ`-5k-3
=
x -1+'5 k+1
=  답⑤
y 2 이 근이 중근이려면 2kÛ`-5k-3=0
1
(k-3)(2k+1)=0   ∴ k=3 또는 k=-
2
Ú k=3일 때,
17   이차방정식 (k-1)xÛ`+(2k-5)x+2k-5=0, 즉
이차방정식 axÛ`+2(a+4)x+a+6=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2xÛ`+x+1=0의 근은 없다.

Ⅲ. 이차방정식 061
A n s w e r

1 3-'1Œ0
Û k=- 일 때, Ú, Û에서 <a<-2+'1Œ0
2 3
이차방정식 (k-1)xÛ`+(2k-5)x+2k-5=0, 즉 답 ⑴ x=-a 또는 x=3a-1
3
- xÛ`-6x-6=0에서 xÛ`+4x+4=0 3-'1Œ0
2 ⑵ <a<-2+'1Œ0
3
(x+2)Û`=0   ∴ x=-2 (중근)
1 1
Ú, Û에서 k=-  답-
2 2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02 해결단계


k=3일 때, 이차방정식 2xÛ`+x+1=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➊ 단계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ab의 값을 구한다.
-1Ñ"Ã1Û`-4_2_1
   x=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a, b임을 이용하여 주어진 식을 정리한다.
2_2 ➋ 단계
이때, 근호 안의 식의 값이 음수이므로 이 이차방정식의 근은 없다. ➌ 단계 (aÛ`-2ka-10)(bÛ`-2kb-10)의 값을 구한다.

이차방정식 xÛ`-2(k+5)x-10=0의 두 근이 a, b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10
x=a가 이차방정식 xÛ`-2(k+5)x-10=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Step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62 ~ 63 aÛ`-2(k+5)a-10=0

01 ⑴ x=-a 또는 x=3a-1 ⑵
3-'¶10
<a<-2+'¶10
aÛ`-2ka-10a-10=0
3
-1+'5
∴ aÛ`-2ka-10=10a
02 -1000 03 ⑴ 1 ⑵ xÛ`+x-1=0 ⑶ 04 13
2 또한, x=b가 이차방정식 xÛ`-2(k+5)x-10=0의 근이므로
7+3'5 1+'5
05 6 06 07 , 2 08 2+'6 대입하면
2 2
bÛ`-2kb-10b-10=0
∴ bÛ`-2kb-10=10b
01 해결단계 ∴ (aÛ`-2ka-10)(bÛ`-2kb-10)

⑴ ➊ 단계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근을 a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10a_10b=100ab


➋ 단계 이차방정식 (x-2)Û`=10의 두 근을 구한다. =100_(-10)=-1000 답 -1000
⑵ ➋ 단계에서 구한 두 근 사이에 ➊ 단계에서 구한 근이 있도
➌ 단계
록 하는 실수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 `-(2a-1)x+a-3aÛ`=0에서
⑴ xÛ
xÛ`-(2a-1)x+a(1-3a)=0 03 해결단계
(x+a)(x+1-3a)=0
⑴ ➊ 단계 정오각형의 내각의 크기를 이용하여 CPÓ의 길이를 구한다.
∴ x=-a 또는 x=3a-1
➋ 단계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x에 대한 비례식을 세운다.

⑵ (x-2)Û`=10에서 ➌ 단계 x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구한다.
x-2=Ñ'1Œ0   ∴ x=2Ñ'1Œ0 ⑶ ➍ 단계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x의 값을 구한다.

1 180ù_(5-2)
Ú -aÉ3a-1,
‌ 즉 a¾ 인 경우 ⑴ 정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가 =108ù이므로
4 5
2-'1Œ0<-aÉ3a-1<2+'1Œ0이므로 180ù-108ù
∠BAC=∠BCA=∠ABP= =36ù
3+'1Œ0 2
a<-2+'1Œ0이고 a<
3 따라서 ∠CBP=108ù-36ù=72ù, ∠CPB=36ù+36ù=72ù
3+'1Œ0 1 이므로 △CPB는 BCÓ=CPÓ인 이등변삼각형이다.
이때, -2+'1Œ0< 이므로 Éa<-2+'1Œ0
3 4
1 ∴ CPÓ=1
Û -a>3a-1,
‌ 즉 a< 인 경우
4 ⑵ △ABC »△APB (AA`닮음)이므로
2-'1Œ0<3a-1<-a<2+'1Œ0이므로 ABÓ`:`ACÓ=APÓ`:`ABÓ
3-'1Œ0 즉, 1`:`(1+x)=x`:`1에서
a> 이고 a>-2-'1Œ0
3
xÛ`+x=1
3-'1Œ0 3-'1Œ0 1
이때, -2-'1Œ0< 이므로 <a< ∴ xÛ`+x-1=0
3 3 4

06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61~63

⑶ 이차방정식 xÛ`+x-1=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b+"ÃbÛ`-4ac 1 b-"ÃbÛ`-4ac


∴ a= =- _ 
-1Ñ"Ã1Û`-4_1_(-1) -1Ñ'5 2a 2 a
x= =
2_1 2 1 3
=- _(-3)=
-1+'5 2 2
이때, x>0이므로 x=
2 -b-"ÃbÛ`-4ac 1 b+"ÃbÛ`-4ac
b= =- _ 
-1+'5 2a 2 a
 답⑴1 ⑵ xÛ`+x-1=0 ⑶
2 1
=- _6=-3
2
3
∴ 2a-b=2_ -(-3)=6 답6
2

│다른풀이│
미정이가 구한 두 근은
b-"ÃbÛ`-4ac b+"ÃbÛ`-4ac
04 해결단계 a
=-3,
a
=6

➊ 단계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p로 나타낸다. 미정이가 구한 두 근의 합은


➋ 단계 두 근이 모두 유리수가 되도록 하는 조건을 구한다. b-"ÃbÛ`-4ac b+"ÃbÛ`-4ac
+ =-3+6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소수 p의 값을 구한다.
a a
2b 3
=3 ∴ b= a
이차방정식 xÛ`-4px-65p=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a 2
-(-4p)Ñ"Ã(-4p)Û`-4_1_(-65p) 미정이가 구한 두 근의 곱은
x=
2_1 b-"ÃbÛ`-4ac b+"ÃbÛ`-4ac
_ =-3_6
=2pÑ"Ã4pÛ`+65p a a
65 65 bÛ`-(bÛ`-4ac) 4c 9
=2pѾ¨pÛ`{4+ }=2pÑp¾¨4+ aÛ`
=-18,
a
=-18   ∴ c=- a
2
p p
3 9
65 즉, 처음 이차방정식은 axÛ`+ ax- a=0, 즉
이때, 주어진 이차방정식의 두 근이 모두 유리수이므로 4+ 2 2
p
2xÛ`+3x-9=0 (∵ a+0)이므로
는 제곱수이고 p는 65의 약수이다.
3
이때, 65=5_13이고 p는 소수이므로 p=5 또는 p=13 (x+3)(2x-3)=0 ∴ x=-3 또는 x=
2
65 65 3
Ú p=5이면 4+ =4+ =4+13=17 따라서 a= , b=-3 (∵ a>b)이므로
p 5 2
65 65 3
Û p=13이면 4+ =4+ =4+5=9=3Û` 2a-b=2_ -(-3)=6
p 13 2
Ú, Û에서 p=13 답 13
06 해결단계
b
➊ 단계 를 x,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다.
a
x
05 해결단계 ➋ 단계
y
의 값을 구한다.

b
➌ 단계 의 값을 구한다.
미정이가 잘못 알고 이용한 근의 공식과 올바른 근의 공식을 비교 a
➊ 단계
한다.
미정이가 잘못 구한 두 근을 이용하여 두 근 a, b를 각각 구한다. y 1 xy+1 x 1 xy+1
➋ 단계 a= + = , b= + = 이므로
➌ 단계 2a-b의 값을 구한다.
x xÛ` xÛ` y yÛ` yÛ`
xy+1
이차방정식 axÛ`+bx+c=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b yÛ` xÛ` x
= = ={ }Û`
-bÑ"ÃbÛ`-4ac a xy+1 yÛ` y
x= 이므로
2a xÛ`
-b+"ÃbÛ`-4ac -b-"ÃbÛ`-4ac y x x
a= , b= `(∵ a>b) + =3에서 =t라 하면 x>y>0이므로 t>1이고,
2a 2a x y y
bÑ"ÃbÛ`-4ac 1
이때, 미정이가 근의 공식을 x= 로 잘못 알고 구한 +t=3
a t
두 근이 -3, 6이므로 즉, tÛ`-3t+1=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b-"ÃbÛ`-4ac b+"ÃbÛ`-4ac -(-3)Ñ"Ã(-3)Û`-4_1_1 3Ñ'5
=-3, =6 t= =
a a 2_1 2

Ⅲ. 이차방정식 063
A n s w e r

3+'5 ∴ 2xÛ`-2nx+nÛ`-20=0 yy㉡


이때, t>1이므로 t=
2
이차방정식 ㉡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b x 3+'5 Û` 14+6'5 7+3'5
∴ ={ }Û`=tÛ`={ }= = -(-n)Ñ"Ã(-n)Û`-2_(nÛ`-20)
a y 2 4 2 x= 
2
7+3'5
 답
2 nÑ"Ã-nÛ`+40
= yy㉢
2
07 해결단계 이차방정식 ㉡의 근이 존재해야 하므로
-nÛ`+40¾0   ∴ nÛ`É40
➊ 단계 [x]의 값이 달라지는 값을 기준으로 x의 값의 범위를 나눈다.
➋ 단계 x의 값의 범위에 따라 이차방정식을 세워 각각의 근을 구한다.
즉, 음이 아닌 정수 n으로 가능한 값은 0, 1, 2, y, 6이다.
➌ 단계 주어진 이차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을 모두 구한다. Ú n=0일 때,
Ñ'¶40
[x]는 x보다 크지 않은 최대의 정수이므로 x의 값의 범위를 ㉢에서 x= =Ñ'¶10
2
0<x<1, 1Éx<2, 2Éx<3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 x='¶10 (∵ x>0)
Ú 0<x<1일 때, [x]=0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서 이때, '9<'¶10<'¶16, 즉 3<'¶10<4이므로
xÛ`=x+0 3<x<4
xÛ`-x=0, x(x-1)=0 그런데 ㉠에서 0<x<1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 x=0 또는 x=1 Û n=1일 때,
그런데 0<x<1이므로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x의 값은 없다. 1Ñ'¶39
㉢에서 x=
Û 1Éx<2일 때, [x]=1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서 2
xÛ`=x+1 1+'¶39
∴ x= (∵ x>0)
2
즉, xÛ`-x-1=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이때, '¶36<'¶39<'¶49, 즉 6<'¶39<7이므로
-(-1)Ñ"Ã(-1)Û`-4_1_(-1) 1Ñ'5
x= = 1+'¶39
2_1 2 3.5< <4   ∴ 3.5<x<4
2
1+'5
이때, 1Éx<2이므로 x= 그런데 ㉠에서 1<x<2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2
Ü 2Éx<3일 때, [x]=2이므로 주어진 방정식에서 Ü n=2일 때,

xÛ`=x+2 2Ñ'¶36
㉢에서 x=
2
xÛ`-x-2=0, (x+1)(x-2)=0
∴ x=-2 또는 x=4
∴ x=-1 또는 x=2
그런데 x는 양의 무리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이때, 2Éx<3이므로 x=2 Ý n=3일 때,
1+'5
Ú, Û, Ü에서 구하는 x의 값은 , 2이다. 3Ñ'¶31
2 ㉢에서 x=
2
1+'5
답 ,2 ∴ x=
3+'¶31
(∵ x>0)
2
2
이때, '¶25<'¶31<'¶36, 즉 5<'¶31<6이므로

08 해결단계 4<
3+'¶31
2
<4.5   ∴ 4<x<4.5

양의 무리수 x의 정수 부분을 n이라 하고 주어진 식을 n을 포함 그런데 ㉠에서 3<x<4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➊ 단계
한 x에 대한 이차방정식으로 세운다.
Þ n=4일 때,
➊ 단계에서 세운 이차방정식의 근을 존재하게 하는 n의 값을 구
➋ 단계
한다. 4Ñ'¶24
㉢에서 x= =2Ñ'6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n의 값과 이때의 양의 무리수 x의 값을 구한다. 2
∴ x=2+'6 (∵ x>0)
양의 무리수 x의 소수 부분이 y이므로
이때, '4<'6<'9, 즉 2<'6<3이므로
n<x<n+1 yy㉠
4<2+'6<5   ∴ 4<x<5
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n에 대하여
ß n=5일 때,
x=n+y
5Ñ'¶15
로 놓을 수 있다. ㉢에서 x=
2
즉, y=x-n을 xÛ`+yÛ`=20에 대입하면 이때, '9<'¶15<'¶16, 즉 3<'¶15<4이므로
xÛ`+(x-n)Û`=20

06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63~64

5+'¶15 5-'¶15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4< <4.5, 0.5< <1
2 2
근의 공식을 이용하여 빠르게 근을 구할 수도 있다.
∴ 4<x<4.5 또는 0.5<x<1
이차방정식 3xÛ`-12x-k=0에서 근의 공식에 의하여
그런데 ㉠에서 5<x<6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12)Ñ"Ã(-12)Û`-4_3_(-k)
   x=
2_3
à n=6일 때, 12Ñ'Ä12k+144
=
6
6Ñ'4
㉢에서 x= k
=2Ѿ¨ +4
2 3
∴ x=2 또는 x=4
그런데 x는 양의 무리수이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Ú~à에서 구하는 양의 무리수 x의 값은 2+'6이다. 3
 답 2+'6 AEÓ=a, AHÓ=b라 하면 이차항의 계수가 1이고 두 선분 AE
와 AH의 길이, 즉 a, b를 두 근으로 하는 이차방정식은
(x-a)(x-b)=0
∴ xÛ`-(a+b)x+ab=0 yy㉠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가 10이므로
PFÓ=10-a, PGÓ=10-b

미리보는 학력평가 p. 64
직사각형 PFCG의 둘레의 길이가 28이므로
2(PFÓ+PGÓ)=28
1 ③ 2 210 3 ② 4 24
즉, 2(10-a+10-b)=28에서 20-(a+b)=14
∴ a+b=6 yy㉡

1 직사각형 PFCG의 넓이가 46이므로 PFÓ_PGÓ=46


즉, (10-a)(10-b)=46에서
x=a가 이차방정식 xÛ`-3ax+6=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100-10(a+b)+ab=46
aÛ`-3aÛ`+6=0
100-10_6+ab=46 (∵ ㉡)
-2aÛ`+6=0, aÛ`-3=0, aÛ`=3
∴ ab=6 yy㉢
∴ a='3 (∵ a>0) 답③
따라서 ㉡, ㉢을 ㉠에 대입하면 구하는 이차방정식은
xÛ`-6x+6=0 답②

2 4
3xÛ`-12x-k=0에서 이차방정식 xÛ`+4x-3=0의 두 근이 a, b이므로
k k x=a, x=b를 이차방정식에 각각 대입하면 등식이 성립한다.
xÛ`-4x- =0, xÛ`-4x=
3 3 즉, aÛ`+4a-3=0, bÛ`+4b-3=0이므로
k k aÛ`+4a-4=-1, bÛ`+4b-4=-1
xÛ`-4x+4= +4, (x-2)Û`= +4
3 3
6b 6a
k k
x-2=ѾР+4   ∴ x=2ѾР+4 ∴ + =-6(b+a)   yy㉠
3 3 aÛ`+4a-4 bÛ`+4b-4
k 또한, 이차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에 의하여 a+b=-4
이때, x가 정수가 되려면 +4가 제곱수이어야 한다.
3 따라서 ㉠에서
1 k 100 6b 6a
또한, 1ÉkÉ100에서 É É 이므로 + =-6(a+b)
3 3 3 aÛ`+4a-4 bÛ`+4b-4
13 k 112 =-6_(-4)=24 답 24
É +4É
3 3 3
13 112 k blacklabel 특강 참고
즉, =4.3×××, =37.3×××이므로 +4의 값으로
3 3 3
xÛ`의 계수가 1이고 두 근이 a, b인 이차방정식은
가능한 제곱수는 9, 16, 25, 36이다.
   xÛ`-(a+b)x+ab=0
∴ k=15, 36, 63, 96 이고 이 이차방정식이 xÛ`+4x-3=0과 일치하므로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모든 자연수 k의 값의 합은    a+b=-4, ab=-3


임을 알 수 있다.
15+36+63+96=210 답 210

Ⅲ. 이차방정식 065
A n s w e r

IV
04
① ‌y=2xÛ`에서 x=1일 때, y=2이므로 y=2xÛ`의 그래프는 점
이차함수 (1, 2)를 지난다.
② 2>0이므로 y=2xÛ`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다.
③ 축의 방정식은 x=0 (y축)이다.
④ 모든 x의 값에 대하여 xÛ`¾0이므로 y=2xÛ`¾0
07 이차함수와 그래프
⑤ ‌y=2xÛ`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와 x축에 서
로 대칭이다.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 67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답④
01 ①, ④ 02 ⑤ 03 ② 04 ④ 05 -6, 6
2 8 2 4
06 ㄷ, ㄹ 07 ①, ④ 08 A{- , }, B{- , - }
3 9 3 9

05
01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원점을 꼭짓점으로 하고 y축을 축으로 하
x, y 사이의 관계식은 각각 다음과 같다. 는 포물선이므로 이 이차함수의 식을 y=axÛ` (a는 상수, a+0)
x(x-3) 이라 하자.
① y=
2
y=axÛ`의 그래프가 점 (3, -1)을 지나므로
② y=(x+3)Û`-xÛ`   ∴ y=6x+9
-1=a_3Û`, -1=9a
③ y=Ñ'x
1
1 ∴ a=-
④ y= _(x+3x)_2x   ∴ y=4xÛ` 9
2
1
4 즉, 이차함수의 식은 y=- xÛ`이고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⑤ y= pxÜ` 9
3
(m, -4)를 지나므로
따라서 y가 x에 대한 이차함수인 것은 ①, ④이다.  답 ①, ④
1
-4=- _mÛ`, mÛ`=36
9
∴ m=6 또는 m=-6 답 -6, 6
02
y=2mÛ`(x-1)Û`-4m(xÛ`+1)
=2mÛ`(xÛ`-2x+1)-4m(xÛ`+1)
=(2mÛ`-4m)xÛ`-4mÛ`x+2mÛ`-4m 06
이때, y가 x에 대한 이차함수이려면 xÛ`항이 존재해야 하므로 a<-1에서 a<0이므로 y=axÛ`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포물
2mÛ`-4m+0   ∴ 2m(m-2)+0 선이다. 또한, |a|>1이므로 y=-xÛ`의 그래프보다 폭이 좁다.
따라서 m+0이고 m+2인 모든 실수 m에 대하여 주어진 함수 따라서 y=axÛ`의 그래프가 될 수 있는 것은 ㄷ, ㄹ이다.
는 이차함수가 된다. 답⑤  답 ㄷ, ㄹ

blacklabel 특강 참고

두 수 또는 두 식 A, B에 대하여 AB=0이면 다음 세 가지 중 하나가 성립한다.


⑴ A=0, B+0 ⑵ A+0, B=0
따라서 AB+0이면 A+0, B+0이어야 한다.
⑶ A=0, B=0
07
두 이차함수 y=(a+1)xÛ`, y=bxÛ`의 그래프가 x축에 서로 대
칭이므로
a+1=-b   ∴ a=-b-1   yy㉠
03 ㉠을 ab=-6에 대입하면
f(x)=-2xÛ`+5x-c에서 f(2)=1이므로 (-b-1)b=-6, bÛ`+b-6=0
-8+10-c=1   ∴ c=1 (b+3)(b-2)=0   ∴ b=-3 또는 b=2
즉, f(x)=-2xÛ`+5x-1이므로 Ú b=-3일 때,
f(1)=-2+5-1=2 답② b=-3을 ㉠에 대입하면 a=3-1=2

06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67~68

Û b=2일 때,
02
b=2를 ㉠에 대입하면 a=-2-1=-3
(aÛ`-4)xÛ`-(aÛ`+a-6)yÛ`-ax+3y=0에 대하여 y가 x에 대
Ú, Û에서 두 상수 a, b의 순서쌍 (a, b)로 가능한 것은
한 이차함수이려면 xÛ` 항은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yÛ` 항은 없어야
(2, -3), (-3, 2)이다. 답 ①, ④
한다.
aÛ`-4+0, aÛ`+a-6=0
aÛ`-4+0에서
(a-2)(a+2)+0   ∴ a+2이고 a+-2 yy㉠

08 또한, aÛ`+a-6=0에서

점 D의 좌표를 (a, 2aÛ`) (a>0)이라 하면 (a-2)(a+3)=0   ∴ a=2 또는 a=-3 yy㉡

A(-a, 2aÛ`), B(-a, -aÛ`), C(a, -aÛ`) ㉠, ㉡에서 a=-3 답 -3

☐ABCD가 정사각형이므로 ADÓ=CDÓ에서


a-(-a)=2aÛ`-(-aÛ`)
2
3aÛ`-2a=0, a(3a-2)=0   ∴ a= `(∵ a>0)
3
2 8 2 4
∴ A{- , }, B{- , - }
3 9 3 9
03
y={(a-2)x+3}(ax-b)(x-2)
2 8 2 4
 답 A{- , }, B{- , - }
3 9 3 9 =(a-2)x(ax-b)(x-2)+3(ax-b)(x-2)
=(a-2){axÜ`-(b+2a)xÛ`+2bx}+3{axÛ`-(b+2a)x+2b}
=a(a-2)xÜ`-{(a-2)(b+2a)-3a}xÛ`
 +{2b(a-2)-3(b+2a)}x+6b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68 ~ 70 =a(a-2)xÜ`-(ab+2aÛ`-2b-7a)xÛ`-(2ab-7b-6a)x+6b


이 함수가 x에 대한 이차함수이려면 xÜ` 항은 없어야 하고 xÛ` 항은
01 ③ 02 -3 03 11 04 13 05 ②
06 ⑤ 07 ② 08 ③ 09 ③ 10 (6, 9)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11 ④ 12 ④ 13
1
14 ④ 15
1 ∴ a(a-2)=0, ab+2aÛ`-2b-7a+0
3 4
a(a-2)=0에서 a=0 또는 a=2
16 18 17 -1 18 33
Ú a=0일 때, ab+2aÛ`-2b-7a+0에서
-2b+0   ∴ b+0

01 이때, a, b는 5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a, b의 순서쌍

① y=xÛ`+(x+1)Û` 이므로 (a, b)는

y=2xÛ`+2x+1   ∴ f(x)=2xÛ`+2x+1 (0, 1), (0, 2), (0, 3), (0, 4), (0, 5)

즉, y는 x의 이차함수이고, f(1)=2+2+1=5이다. 의 5개이다.

② y=180(x-2)이므로 Û a=2일 때, ab+2aÛ`-2b-7a+0에서

y=180x-360 2b+8-2b-14+0   ∴ -6+0

즉, y는 x의 이차함수가 아니다. 이때, b의 값에 관계없이 위의 식이 성립하므로 a, b의 순서

③ y=p_(2x)Û`_3이므로 쌍 (a, b)는

y=12pxÛ`   ∴ f(x)=12pxÛ` (2, 0), (2, 1), (2, 2), (2, 3), (2, 4), (2, 5) 

즉, y는 x의 이차함수이고, f(2)=48p이다. 의 6개이다.

1 Ú, Û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④ y=30- x
4 5+6=11 답 11
즉, y는 x의 이차함수가 아니다.
│다른풀이│
x
⑤ y= _300이므로 y={(a-2)x+3}(ax-b)(x-2)   yy㉠
100
y=3x 이라 할 때, 함수 ㉠이 이차함수이려면 (a-2)x+3, ax-b 중
즉, y는 x의 이차함수가 아니다. 에서 하나는 0이 아닌 상수항이고, 나머지 하나는 일차식이어야
따라서 y가 x의 이차함수이고 옳은 것은 ③이다. 답③ 한다.

Ⅳ. 이차함수 067
A n s w e r

Ú (a-2)x+3이 0이 아닌 상수항인 경우
06
a-2=0, 즉 a=2이어야 하고, 이를 ㉠에 대입하면
f(x)가 이차함수이므로 f(x)=axÛ`+bx+c (a+0)라 할 수
y=3(2x-b)(x-2)
있다. 이때,
이때, b의 값에 관계없이 위의 함수는 이차함수이므로 정수
f(x+1)=a(x+1)Û`+b(x+1)+c
a, b의 순서쌍 (a, b)는 (2, 0), (2, 1), (2, 2), (2, 3),
=axÛ`+(2a+b)x+a+b+c
(2, 4), (2, 5)의 6개이다.
f(x-1)=a(x-1)Û`+b(x-1)+c
Û ax-b가 0이 아닌 상수항인 경우
=axÛ`-(2a-b)x+a-b+c
a=0이어야 하고, 이를 ㉠에 대입하면
∴ f(x+1)-f(x-1)=4ax+2b
y=-b(-2x+3)(x-2)
그런데 x의 값에 관계없이 f(x+1)-f(x-1)=4x+2가 성립
이 함수가 이차함수이려면 b+0이어야 하므로 5 이하의 음이
하므로
아닌 두 정수 a, b의 순서쌍 (a, b)는 (0, 1), (0, 2), 
4ax+2b=4x+2에서 a=1, b=1
(0, 3), (0, 4), (0, 5)의 5개이다.
∴ f(x)=xÛ`+x+c
Ú, Û에서 구하는 순서쌍 (a, b)의 개수는
또한, f(0)=1이므로 c=1
6+5=11
∴ f(x)=xÛ`+x+1
∴ f(4)=16+4+1=21 답⑤

│다른풀이│
f(x+1)-f(x-1)=4x+2 yy㉠
04 ㉠이 x의 값에 관계없이 성립하므로
f(x)=2xÛ`-ax+1에서 f(-2)=-1이므로 ㉠에 x=1을 대입하면
8+2a+1=-1, 2a=-10   ∴ a=-5 f(2)-f(0)=6, f(2)-1=6  

즉, f(x)=2xÛ`+5x+1이고 f(1)=b이므로 ∴ f(2)=7


b=2+5+1=8   ㉠에 x=3을 대입하면
∴ b-a=8-(-5)=13 답 13 f(4)-f(2)=14, f(4)-7=14  
∴ f(4)=21

05
f(x)=xÛ`-2x-3이므로 07
ㄱ. f(-2)=(-2)Û`-2_(-2)-3=5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에 대하여
3 3 3 9 ② ‌a의 절댓값이 클수록 그래프가 y축에 가깝다.
ㄴ. f {- }={- }Û`-2_{- }-3=
2 2 2 4 ⑤ ‌a<0일 때,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는 y
ㄷ. f(0)=0Û`-2_0-3=-3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x>0에서 x의
O
x
ㄹ. f(1)=1Û`-2_1-3=-4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3 3 3 15
ㅁ. f { }={ }Û`-2_ -3=-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이다.
2 2 2 4 y=ax@
ㅂ. f(4)=4Û`-2_4-3=5  답②
따라서 함숫값이 서로 같은 것은 ㄱ, ㅂ이다. 답②

blacklabel 특강 참고

f(x)=xÛ`-2x-3=(x-1)Û`-4이므로 이차함수  y=fèxê

08
y=f(x)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x=1이다.
이때,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축에 대칭이
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이 그래프의 대칭성을 이용 f(x)=axÛ`이라 하면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x의 값이
하면 함숫값 f(-2), f(4)가 서로 같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에서 3까지 증가할 때, y의 값은 4만큼 증가하므로
x=-2 x=1 x=4
f(3)-f(1)=4

06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68~69

즉, a_3Û`-a_1Û`=4에서 8a=4 한편, 직선 AP의 기울기가 2이므로 직선 AP의 방정식을


1 y=2x+b (b는 상수)라 할 수 있다.
∴ a=
2
점 A(2, 1)은 이 직선 위에 있으므로
1
∴ f(x)= xÛ` 1=4+b   ∴ b=-3
2
따라서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에서 x의 값이 2에서 4까지 즉, 직선 AP의 방정식이 y=2x-3이므로 이 직선 위의 점 P의
증가할 때의 y의 값의 증가량은 x좌표를 p라 하면 P(p, 2p-3)이라 할 수 있다.
1 1 1
f(4)-f(2)= _4Û`- _2Û`=8-2=6 답③ 그런데 점 P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2 2 4
1
2p-3= _pÛ`, pÛ`-8p+12=0
blacklabel 특강 오답피하기 4
(p-2)(p-6)=0   ∴ p=2 또는 p=6
문제에서 x>0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도 증가하므로 a>0임을 알 수 있다.
이것에 유의하여 답을 구하면 실수를 피할 수 있다. 이때, 두 점 A, P는 서로 다른 점이므로
p=6 ∴ P(6, 9) 답 (6, 9)

09
주어진 그래프에서
a>0, b>0, c<0, d<0 yy㉠
또한, 두 이차함수 y=axÛ`, y=dxÛ`의 그래프가 x축에 서로 대
11
두 점 A, B의 x좌표를 각각 a, b라 하면
칭이므로
1
d=-a yy㉡ A(a, 2aÛ`), B{b, bÛ`}
2
두 이차함수 y=bxÛ`, y=cxÛ`의 그래프가 x축에 서로 대칭이므로 이때, b>a이고 ABÓ=2이므로
c=-b yy㉢ b-a=2   ∴ b=a+2 yy㉠
① ㉠에서 a>0, c<0이므로 ac<0 두 점 A, B의 y좌표가 k로 서로 같으므로
② 두 이차함수 y=axÛ`, y=bxÛ`의 그래프에서 1
k=2aÛ`= bÛ` yy㉡
a>b 2
1
이때, ㉡에서 d=-a이므로 |d|>|b| ㉠을 ㉡에 대입하면 2aÛ`= (a+2)Û`
2
③ ㉡, ㉢에서 d=-a, c=-b이므로 3aÛ`-4a-4=0, (3a+2)(a-2)=0
a+b+c+d=a+b+(-b)+(-a)=0 ∴ a=2 (∵ a>0), b=4 (∵ ㉠)
④ 네 그래프의 축은 모두 직선 x=0, 즉 y축이다. 이것을 ㉡에 대입하면 k=8 답④
⑤ 두 이차함수 y=axÛ`, y=bxÛ`의 그래프에서 a>b>0
│다른풀이│
두 이차함수 y=cxÛ`, y=dxÛ`의 그래프에서 d<c<0 y y=2x@
점 A의 x좌표는 2xÛ`=k에서 1
y= x@
즉, d<c<b<a이므로 가장 큰 값은 a이다. 2
k
xÛ`=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답③ 2
k k A y=k
∴ x=¾ (∵ x>0) B
2
1
점 B의 x좌표는 xÛ`=k에서 O x
2
xÛ`=2k
10 ∴ x='2Œk (∵ x>0)
점 A(2, 1)이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k
이때, ABÓ=2이므로 '2Œk-¾ =2
2
1
1=a_2Û`, 1=4a   ∴ a= '2 '2
4 {'2- }'k=2, 'k=2
2 2
1
즉, 주어진 이차함수는 y= xÛ`이다.
4 'k=2'2='8   ∴ k=8

Ⅳ. 이차함수 069
A n s w e r

12 14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점 A, B에서 y y 1
y= x@ 제 1 사분면 위의 점 A의 x좌표를 k (k>0)라 하면 점 A는 이
4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라 B
l 차함수 y=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B'
하면 △CAA'»△CBB' (AA 닮음) A(k, kÛ`)
이므로 1
C 점 B의 x좌표는 점 A의 x좌표와 같고, ABÓ=1이므로
A A'
ACÓ : BCÓ
=AA'Ó : BB'Ó=A'CÓ : B'CÓ -a O 4a x B(k, kÛ`-1)
=1 : 4   yy㉠ 점 C의 y좌표는 점 B의 y좌표와 같고, BCÓ=ABÓ=1이므로
즉, 점 A의 x좌표를 -a (a>0)라 하면 점 B의 x좌표는 4a이 C(k+1, kÛ`-1) yy㉠
1 1
고 두 점 A, B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이때, x좌표가 k+1인 점 C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4 2
1
A{-a, aÛ`}, B(4a, 4aÛ`) 있으므로
4
1
1 C{k+1, (k+1)Û`} yy㉡
∴ OA'Ó= aÛ`, OB'Ó=4aÛ` 2
4
㉠, ㉡에서 두 점의 y좌표가 같아야 하므로
이때, 점 C의 y좌표가 1이므로
1
1 kÛ`-1= (k+1)Û`, 2kÛ`-2=kÛ`+2k+1
A'CÓ=1- aÛ`, B'CÓ=4aÛ`-1 2
4
kÛ`-2k-3=0, (k-3)(k+1)=0
1
㉠에서 A'CÓ : B'CÓ={1- aÛ`} : (4aÛ`-1)=1 : 4이므로 ∴ k=3 (∵ k>0)
4
4aÛ`-1=4-aÛ`, 5aÛ`=5 따라서 점 A의 좌표는 (3, 9)이므로 x좌표와 y좌표의 합은
aÛ`=1   ∴ a=1 (∵ a>0) 3+9=12  답④

1
A{-1, }, B(4, 4)이므로 직선 l의 기울기는
4
1 15
4-
4 4 3
= = 
4
4-(-1) 5 답④
15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가 점 C(3, 4)를 지나므로
4
4=a_3Û`, 4=9a   ∴ a=
9
4
즉, 주어진 이차함수의 식은 y= xÛ`이다.
9

이때, 직사각형  ABCD의 넓이는 (2_3)_4=24이므로

13 △PBC=
5
16
_24=
15
2
정사각형 OABC의 두 대각선인 OBÓ, ACÓ의 길이는 같으므로
또한, 삼각형 PBC의 밑변의 길이를 BCÓ, 높이를 h라 하면
OBÓ=ACÓ=k (k>0)라 하자.
1 1 15
△PBC= _BCÓ_h= _4_h= 에서
정사각형 OABC의 넓이가 18이므로 2 2 2
1 15
kÛ`=18, kÛ`=36 h=
2 4
∴ k=6 (∵ k>0)   ∴ A(3, 3) 삼각형 PBC의 높이 h는 h=|(점 P의 x좌표)|+3이므로
이때, 점 A가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15 3
|(점 P의 x좌표)|= -3=   
4 4
1 1
3=a_3Û`, 3=9a   ∴ a=  답 3
3 3 ∴ (점 P의 x좌표)=- (∵ (점 P의 x좌표)<0)
4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4
이때, 점 P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9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은 서로 수직으로 만난다.
4 3
즉, 정사각형 OABC의 한 대각선 OB가 y축에 포함되므로 나머지 한 대각선 AC (점 P의 y좌표)= _{- }Û` 
9 4
는 x축에 평행하다.
4 9 1
이때, 정사각형 OABC에서 B(0, 6)이므로 이 정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M = _ = 
이라 하면 M(0, 3)이다.
9 16 4

따라서 A(3, 3), C(-3, 3)임을 알 수 있다. 1
 답
4

07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69~70

단계 채점 기준 배점 ∴ D(4, 16a)
㈎ a의 값을 구하여 주어진 이차함수의 식을 구한 경우 20% 또한, 두 직선 AB와 CD가 평행하므로 기울기가 서로 같다.
㈏ 점 P의 x좌표를 구한 경우 50%
2-8 16a-4a
점 P의 y좌표를 구한 경우 30% 즉, = 에서
㈐ 1-(-2) 4-(-2)
-2=2a   ∴ a=-1 답 -1

16 18 해결단계
1
점 A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3 1
정사각형의 네 꼭짓점 중에서 어느 꼭짓점을 지나야 의 값이 각
k
1 ➊ 단계
A{a, aÛ`} (a>0)이라 할 수 있다. 각 최솟값, 최댓값이 되는지 확인한다.
3
➋ 단계 ➊ 단계에서 구한 최솟값, 최댓값을 이용하여 부등식을 세운다.
이때, 점 D는 이차함수 y=3xÛ`의 그래프 위에 있고 두 점 A, D
➋ 단계에서 세운 부등식을 이용하여 f(1), f(3), f(5)의 값을 각
의 x좌표가 같으므로 D(a, 3aÛ`)이다. ➌ 단계
각 구한다.
또한, 두 점 C, D의 y좌표가 같으므로 C(c, 3aÛ`) (c>a>0)이 ➍ 단계 f(1)+f(3)+f(5)의 값을 구한다.

1 정사각형 AÇ의 네 꼭짓점을 각각


라 할 수 있다. 이때, 점 C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3
PÇ(n, 2n), QÇ(n, n), RÇ(2n, n), SÇ(2n, 2n)
있으므로
1
1 이라 하고 정사각형 AÇ과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가 만날 때
3aÛ`= cÛ`   ∴ c=3a (∵ c>a>0)   k
3
1 1 1
∴ C(3a, 3aÛ`) 의
k
의 최댓값을 , 최솟값을 이라 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kŒ kº
∴ ‌ABÓ=DCÓ=3a-a=2a, y 1 1
y= x@ y= x@
1 8 ká kà
BCÓ=ADÓ=3aÛ`- aÛ`= aÛ` Pˆ Sˆ
2n
3 3

n
즉, ABÓ : BCÓ=1 : 2에서 Rˆ

8 8 O n 2n x
2a : aÛ`=1 : 2, aÛ`-4a=0
3 3
3 1
2aÛ`-3a=0, a(2a-3)=0   ∴ a= (∵ a>0) 점 PÇ(n, 2n)은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2 kŒ
3 8 8 9 1 1 2
따라서 ABÓ=2a=2_ =3, BCÓ= aÛ`= _ =6이므로 2n= _nÛ`   ∴ =
2 3 3 4 kΠkΠn
답 18 1
ABCD=3_6=18 점 RÇ(2n, n)은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1 1 1 1
n= _(2n)Û`, n= _4nÛ`   ∴ =
kº kº kº 4n
1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가 정사각형 AÇ과 만나려면
17 k

이차함수 y=2xÛ`의 그래프 위의 두 점 A, B의 x좌표가 각각 1 1 1


É É 이어야 하므로
kº k kŒ
-2, 1이므로
1 1 2 n
É É    ∴ ÉkÉ4n yy㉠
A(-2, 8), B(1, 2) 4n k n 2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위의 점 C의 x좌표가 -2이므로 즉, f(n)은 부등식 ㉠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개수이다.
C(-2, 4a) Ú n=1일 때,
두 점 B, D에서 직선 AC에 내린 수선의 y 1
ÉkÉ4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은 1, 2, 3, 4의 4개
A
y=2x@ 2
발을 각각 H, I라 하고 점 D의 좌표를
H B
이다.
(c, acÛ`)이라 하자. O
x ∴ f(1)=4
이때, 두 삼각형 ACB와 ACD의 넓이의
C y=ax@ Û n=3일 때,
비가 1 : 2이므로
3
BHÓ : DIÓ=1 : 2 I D ÉkÉ12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은 2, 3, 4, ⋯, 12
2
즉, 3 : (c+2)=1 : 2에서 의 11개이다.
c+2=6   ∴ c=4 ∴ f(3)=11

Ⅳ. 이차함수 071
A n s w e r

Ü n=5일 때, 또한, 점 A의 x좌표가 t이므로 점 B의 x좌표는 2t이고 점 B


5 의 y좌표는
ÉkÉ20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k의 값은 3, 4, 5, ⋯, 20
2
b=k_(2t)Û`=4ktÛ`
의 18개이다.
=4_3 (∵ ㉠)
∴ f(5)=18
=12
Ú, Û, Ü에서
 답 ⑴ 포물선 ⑵ 12
f(1)+f(3)+f(5)=4+11+18=33 답 33

02 해결단계
➊ 단계 두 점 P, Q의 좌표를 각각 점 R의 x좌표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➋ 단계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R(k, 0) (k+0)이라 하면 두 점 P, Q의 x좌표는 모두 k이다.


‌x=k를 y=4xÛ`에 대입하면
Step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71 ~ 72 y=4kÛ`   ∴ P(k, 4kÛ`)

01 ⑴ 포물선 ⑵ 12 02
3 ‌x=k를 y=axÛ`에 대입하면
2
1
y=akÛ`   ∴ Q(k, akÛ`)
03 ⑴ y= xÛ` ⑵ 72.4 m 04 (2, 2) 05 -1
128 즉, PQÓ=(4-a)kÛ`, QRÓ=akÛ`이므로 PQÓ`:`QRÓ=5`:`3에서
8 1 81
06
81
07
2
08
512 (4-a)kÛ``:`akÛ`=5`:`3
3(4-a)kÛ`=5akÛ`, 12-3a=5a (∵ k+0)
3 3
8a=12   ∴ a=  답
01 해결단계 2 2

⑴ ➊ 단계 글에서 설명하는 ㈎ 에 들어갈 단어를 찾아 쓴다.


➊ 단계에서 설명하고 있는 곡선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나

➋ 단계
타냄을 확인한다. 03 해결단계
➌ 단계 a=3임을 이용하여 b의 값을 구한다.
주어진 표 및 제동거리가 자동차의 속력의 제곱에 비례함을
⑴ ➊ 단계
⑴ ‌우리는 생활 속에서 포물선 또는 비슷한 모양을 관찰하기 쉽 이용하여 x와 y 사이의 관계식을 구한다.

다. 돌고래가 물에서 솟구쳐 올라 다시 떨어질 때, 돌고래는 ➋ 단계 자동차의 공주거리와 제동거리를 각각 구한다.



➌ 단계 자동차의 정지거리를 구한다.
포물선 을 그리며 떨어진다. 분수대에서 뿜어 나오는 물, 농구
선수가 던진 공, 럭비 선수가 힘차게 차올린 공 등은 모두 ⑴ ‌제동거리는 자동차의 속력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x와 y 사이의
포물선 을 그린다. 또한, 우리나라의 광안대교, 남해대교, 영종 관계식을 y=axÛ` (a는 상수)이라 할 수 있다.
대교 등과 같은 현수교에서도 포물선 모양을 찾아볼 수 있다. 1
주어진 표에서 x=8일 때, y=0.5= 이므로
2
⑵ ‌주어진 곡선은 포물선 모양으로, 원점을 꼭짓점으로 하고 y축
1 1 1
을 축으로 하며 아래로 볼록하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이다. =a_8Û`, =64a   ∴ a=
2 2 128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나타내는 식을 y=kxÛ` (k>0)이라 따라서 x와 y 사이의 관계식은
하고, 그래프 위에 y좌표가 각각 a, b인 두 점 A, B를 나타 1
y= xÛ`
128
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⑵ ‌시속 1 km는 초속 0.28 m로 계산하므로 시속 80 km로 달리는
y
y=kx2
B
자동차는 초속 80_0.28=22.4(m)로 달린다고 할 수 있다.
브레이크를 밟기 전까지의 반응 시간이 1초이므로 이 자동차
b
A
의 공주거리는
a 22.4_1=22.4(m)
O x
이 자동차의 제동거리를 p m라 하면 자동차의 속력이 시속
점 A의 x좌표를 t (t>0)라 하면 y좌표는
80 km이므로
a=ktÛ`
1
이때, a=3이므로 3=ktÛ` yy㉠ p= _80Û`=50(m)
128

07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70~72

따라서 이 자동차의 정지거리는 06 해결단계


22.4+50=72.4(m)
➊ 단계 OPQR의 넓이를 구한다.
1
 답 ⑴ y= xÛ` ⑵ 72.4 m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와 OPQR가 제 1 사분면에서 만나
128
➋ 단계 는 점을 S라 할 때, 아르키메데스의 계산 방법을 이용하여 삼각형
ORS의 넓이를 구한다.
➌ 단계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04 해결단계 P(6, 0), Q(6, 2), R(0, 2)이므로 OPQR의 넓이는


6_2=12
➊ 단계 두 삼각형 OAB, PAB의 넓이가 같아질 조건을 확인한다.
➋ 단계 점 P의 좌표를 구한다. 다음 그림과 같이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와 QRÓ가 만나는 점
을 S라 하고 점 S와 y축에 대하여 대칭인 점을 S'이라 하자.
△OAB와 △APB의 밑변을 ABÓ라 하면 두 삼각형의 높이가 같
y y=ax2
을 때, 넓이도 같아진다.
즉, △OAB와 △APB의 넓이가 같게 되는 점 P에 대하여 두 점
S' 2R S Q
O, P에서 일차함수 y=x+2의 그래프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
P
각 O', P'이라 하면 OO'Ó=PP'Ó이 성립한다. O 6 x

y 1
y= x2 y=x+2
2
주어진 아르키메데스의 계산 방법에 의하면 SS'Ó과 이차함수
B y=axÛ`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삼각형 OSS'의 넓
P'
O' 4
A P 이의 배이다.
3
O x
그런데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는 y축에 대칭이므로 ORÓ,
이때, 두 점 O, P를 지나는 직선은 일차함수 y=x+2의 그래프 RSÓ 및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삼
와 평행하므로 직선 OP의 방정식은 4
각형 OSR의 넓이의 배이다.
y=x 3
직선 y=x 위의 점 P의 좌표를 (t, t) (t>0)라 하면 점 P는 이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위의 점 S의 좌표를 (t, 2) (t>0)라

1 하면 ORÓ=2, RSÓ=t이므로
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2 1 1
△ORS= _ORÓ_RSÓ= _2_t=t
1 2 2
t= tÛ`, 2t=tÛ`, tÛ`-2t=0
2 즉, ORÓ, RSÓ 및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도형의
t(t-2)=0   ∴ t=2 (∵ t>0) 4
넓이는 t이다.
따라서 점 P의 좌표는 (2, 2)이다. 답 (2, 2) 3
이때, 직사각형 OPQR의 넓이가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에
의하여 이등분되므로

05 해결단계 4
3
1 9
t= _12   ∴ t=   
2 2
이차함수 y=4xÛ`의 그래프가 y축에 대칭임을 이용하여 두 점 A, 9
➊ 단계 ∴ S{ , 2}
D의 좌표를 각각 미지수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2
➋ 단계 ABCD가 평행사변형임을 이용하여 점 B의 좌표를 나타낸다. 점 S가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➌ 단계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수 a의 값을 구한다.
9 8 8
2=a_{ }Û` ∴ a=  답
2 81 81
이차함수 y=4xÛ`의 그래프는 y축에 대칭이므로 점 D의 x좌표를
t (t>0)라 하면 점 A의 x좌표는 -t이다.
∴ A(-t, 4tÛ`), D(t, 4tÛ`) 07 해결단계
이때, 평행사변형의 성질에 의하여 ADÓ=BCÓ이고 점 C는 y축
두 삼각형 CAP, BCP의 넓이의 비를 이용하여 두 점 A, B의 좌
위에 있으므로 점 B의 x좌표는 -2t이다. ➊ 단계
표를 각각 미지수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또한, 두 점 A와 B의 y좌표의 절댓값이 같고, 부호가 다르므로 ➋ 단계 점 C의 y좌표가 6임을 이용하여 미지수의 값을 구한다.
➌ 단계 직선 AB의 기울기, 즉 m의 값을 구한다.
B(-2t, -4tÛ`)
점 B는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CAP, △CBP의 밑변을 각각 ACÓ, BCÓ라 하면 두 삼각형의
-4tÛ`=a_(-2t)Û`, -4tÛ`=4atÛ` 높이가 같으므로
∴ a=-1 답 -1 ACÓ : BCÓ=△CAP : △CBP=1 : 2

Ⅳ. 이차함수 073
A n s w e r

이때, 두 점 A, B에서 y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A', B'이라 9 9 1 9


따라서 ㉡에서 BCÓ= e= _ = 이고
8 8 4 32
하면 △CAA'»△CBB' (AA 닯음)이다.
9 9
즉, 점 A의 x좌표를 -a (a>0)라 하면 점 B의 x좌표는 2a이 ABÓ : BCÓ=2 : 1에서 ABÓ=2BCÓ=2_ = 이므로
32 16
1 사각형 ABCD의 넓이는
고 두 점 A, B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12
9 9 81 81
1 1 ABÓ_BCÓ= _ =
aÛ`}, B{2a, aÛ`}
 답
A{-a, 16 32 512 512
12 3
한편, 점 C는 직선 y=mx+6과 y축의 교점이므로
C(0, 6)
CA'Ó : CB'Ó=ACÓ : BCÓ=1 : 2에서 미리보는 학력평가 p. 73

1 1
{6- aÛ`} : { aÛ`-6}=1 : 2 1 ③ 2 101 3 ④ 4 36
12 3
1 1 1
12- aÛ`= aÛ`-6, aÛ`=18
6 3 2
aÛ`=36   ∴ a=6 (∵ a>0) 1
∴ A(-6, 3), B(12, 12)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점의 개수는
따라서 직선 AB의 기울기 m은 x=1일 때, 0개
12-3 9 1 1 x=2일 때, 2Û`-1=(2-1)_(2+1)=1_3=3(개)
m= = =  답
12-(-6) 18 2 2
x=3일 때, 3Û`-1=(3-1)_(3+1)=2_4=8(개)
x=4일 때, 4Û`-1=(4-1)_(4+1)=3_5=15(개)

08 해결단계
y

이와 같이 계속되므로 x=43일 때,
➊ 단계 점 E에서 x축에 수선의 발 H를 내린다.
N=43Û`-1=(43-1)_(43+1)
➋ 단계 주어진 비례식을 이용하여 ABÓ, BCÓ의 길이를 각각 구한다.
➌ 단계 사각형 ABCD의 넓이를 구한다.
=42_44
=2Ü`_3_7_11(개)
두 점 B, E는 이차함수 y=4xÛ` (x>0)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
따라서 자연수 N의 소인수는 2, 3, 7, 11이므로 N의 소인수가
로 B(b, 4bÛ`), E(e, 4eÛ`) (b>0, e>0)이라 하면
될 수 없는 것은 ③이다. 답③
ABÓ=4bÛ`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E에서 x축에 내 y=4x@
C B
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EHÓ=4eÛ`
E
이때, AEÓ : ECÓ=4 : 5에서 2
EHÓ : CDÓ=EHÓ : ABÓ=4 : 9이므로 O D H A x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와 직선 y=25의 교점 중 x좌표가 양
4eÛ` : 4bÛ`=4 : 9 수인 점을 A라 하자.
9 점 A의 x좌표를 a (a>0)라 하면 A(a, 25)이고, 점 A는 이
16bÛ`=36eÛ`, bÛ`= eÛ`
4
차함수 y=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3 3
∴ b= e (∵ b>0, e>0)   ∴ B{ e, 9eÛ`} 25=aÛ`   ∴ a=5 (∵ a>0)
2 2
3 3 1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와 두 직선 x=0, y
즉, A{ e, 0}이므로 AHÓ= e-e= e 25 y=25
2 2 2 y=25로 둘러싸인 영역의 내부 또는 그 경

한편, ABÓ : BCÓ=2 : 1에서 계는 오른쪽 그림의 어두운 부분과 같다. 16


9

9eÛ` : BCÓ=2 : 1   ∴ BCÓ= eÛ` yy㉠ 이와 같은 x좌표와 y좌표가 모두 정수인 9


2

점의 개수를 다음과 같이 x좌표의 값에 따 4


또한, AEÓ : ECÓ=4 : 5에서 AHÓ : ADÓ=AHÓ : BCÓ=4 : 9이므로 3
2
9 9 1 9 라 경우를 나누어 구해 보자. 1
BCÓ= AHÓ= _ e= e yy㉡ O 12345 x
4 4 2 8 Ú x좌표가
‌ 0일 때, y좌표의 값으로 가능
9 9 한 정수는 0, 1, 2, y, 25이므로 그 개수는 26이다.
㉠, ㉡에서 eÛ`= e이므로
2 8
Û x좌표가 1일 때, y좌표의 값으로 가능한 정수는
1
4eÛ`-e=0, e(4e-1)=0   ∴ e= (∵ e>0) 1, 2, 3, y, 25이므로 그 개수는 25이다.
4

07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72~76

Ü x좌표가 2일 때, y좌표의 값으로 가능한 정수는


4, 5, 6, y, 25이므로 그 개수는 22이다.
08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
Ý x좌표가 3일 때, y좌표의 값으로 가능한 정수는
Step 1 시험에 꼭 나오는 문제 pp. 76 ~ 77
9, 10, 11, y, 25이므로 그 개수는 17이다.
01 2 02 ⑤ 03 11 04 ⑤ 05 ①
Þ x좌표가 4일 때, y좌표의 값으로 가능한 정수는 06 꼭짓점의 좌표 : (1, 12), 축의 방정식 : x=1
16, 17, 18, y, 25이므로 그 개수는 10이다. 07 ③ 08 ① 09 6 10 ① 11 ④
ß ‌x좌표가 5일 때, y좌표의 값으로 가능한 정수는 25의 1개이다. 12 ④ 13 ②

Ú ∼ ß에서
f(5)=26+25+22+17+10+1=101 답 101
01
주어진 그래프는 이차함수 y=axÛ`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3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래프의 식은
점 D의 좌표를 (k, 0) (k>0)이라 하면 두 점 A, B는 이차함 y=axÛ`-1
3 이차함수 y=axÛ`-1의 그래프가 점 (2, 11)을 지나므로
수 y= xÛ`의 그래프 위에 있고,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y축에 대
2
11=4a-1   ∴ a=3
칭이므로
∴ f(x)=3xÛ`-1
3 3
A{-k, kÛ`}, B{k, kÛ`}, C(-k, 0)
2 2 즉, f(-3)=3_(-3)Û`-1=26,
3 f(-1)=3_(-1)Û`-1=2, f(3)=3_3Û`-1=26이므로
즉, CDÓ=2k, BDÓ= kÛ`이고, 직사각형 ACDB의 둘레의 길이
2
f(-3)+f(-1)-f(3)=26+2-26=2 답2
가 4이므로
3
2{2k+ kÛ`}=4 blacklabel 특강 참고
2
주어진 함수 y=f(x)의 그래프는 y축에 대칭이므로 모든 실수 k에 대하여
3kÛ`+4k-4=0, (3k-2)(k+2)=0 f(-k)=f(k)이다.
2 즉, f(-3)=f(3)에서 f(-3)-f(3)=0이므로
∴ k= (∵ k>0)
3 f(-3)+f(-1)-f(3)=f(-1)이다.

2 2 2 2 2 2
따라서 A{- , }, B{ , }, C{- , 0}, D{ , 0}
3 3 3 3 3 3
이므로 사각형 ACDB의 넓이는
2 2 2 8
=[ -{- }]_ = 
CDÓ_BDÓ 답④ 02
3 3 3 9
1 y
이차함수 y=- (x-1)Û`의 그래프
3 O 1
x
4 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1
3
y 1
점 P의 x좌표가 a이므로 y=x@ 1
y= x@ ③,‌ ④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1
3 3 y=- {x-1}@
3
1
P{a, aÛ`}, Q(a, aÛ`) R
2a
Q 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때, 두 함수
3
1 2 1 1
2 y=- xÛ`, y= xÛ`의 그래프의 폭은 서로 같다.
∴ PQÓ=aÛ`- aÛ`= aÛ` a@ 3 3
3 3 S P 3
O a x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y축에 대칭 ⑤ ‌x>1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이므로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⑤이다. 답⑤

1
S{-a, aÛ`}, R(-a, aÛ`)
3
∴ PSÓ=2a
2
03
이때, PQÓ=PSÓ이므로 aÛ`=2a 이차함수 y=(x-4)Û`+k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3
aÛ`-3a=0, a(a-3)=0 (4, k)
∴ a=3 (∵ a>0) 이 점이 일차함수 y=3x-1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사각형 PQRS는 한 변의 길이가 2_3=6인 정사각형이 x=4, y=k를 y=3x-1에 대입하면
므로 그 넓이는 6Û`=36 답 36 k=3_4-1=11 답 11

Ⅳ. 이차함수 075
A n s w e r

04 07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y=-3xÛ`-6x-2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3(xÛ`+2x)-2
y=(x-m)Û`-1+n =-3(xÛ`+2x+1-1)-2
이것이 y=(x+1)Û`+2와 일치하므로 =-3(x+1)Û`+1
-m=1, -1+n=2 따라서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좌표가
∴ m=-1, n=3 (-1, 1)이며,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가 (0, -2)인 포물선이
∴ m+n=-1+3=2 답⑤ 므로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③이다.` 답③

│다른풀이│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0, -1)이고 08
이차함수 y=(x+1)Û`+2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y=-3xÛ`+6x-5
(-1, 2)이므로 점 (0, -1)을 x축의 방향으로 m만큼, y축의 =-3(xÛ`-2x)-5
방향으로 n만큼 평행이동시키면 (-1, 2)와 일치해야 한다. =-3(xÛ`-2x+1-1)-5
즉, 0+m=-1, -1+n=2이므로 =-3(x-1)Û`-2
m=-1, n=3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 m+n=-1+3=2 q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y=-3(x-p-1)Û`-2+q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p+1, -2+q), 축
의 방정식은 x=p+1이다.

05 이때, 꼭짓점이 x축 위에 있으므로 꼭짓점의 y좌표는 0이다.

이차함수 y=a(x+p)Û`+aq의 그래프가 y 즉, -2+q=0에서 q=2


aq 또한, 축의 방정식이 x=-4이므로 p+1=-4에서
제 2 사분면, 제 3 사분면, 제 4 사분면만을
-p O x p=-5
지나므로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 p+q=-5+2=-3 답①

즉,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a<0
09
또한, 꼭짓점 (-p, aq)가 제 2 사분면에 있으므로
y=-2xÛ`+4x+6
-p<0, aq>0
=-2(xÛ`-2x)+6
∴ a<0, p>0, q<0   yy㉠
=-2(xÛ`-2x+1-1)+6
이때, 이차함수 y=-p(x-aq)Û`-(a-p)의 그래프의 꼭짓점
=-2(x-1)Û`+8
의 좌표는 (aq, -a+p)이고 ㉠에서 aq>0, -a+p>0이므
즉, 꼭짓점의 좌표가 (1, 8)이므로
로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은 제  1  사분면 위에 있다.
A(1, 8)
 답①
f(0)=6이므로 B(0, 6)
또한, f(x)=0에서
-2xÛ`+4x+6=0, xÛ`-2x-3=0
(x+1)(x-3)=0   ∴ x=-1 또는 x=3
06 ∴ C(3, 0)
y=-5xÛ`+10x+7 이때, 삼각형 ABC의 넓이는 사각형 ABOC의 넓이에서 삼각형
=-5(xÛ`-2x)+7 BOC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구하는 넓이는 
=-5(xÛ`-2x+1-1)+7 (△ABO+△AOC)-△BOC
=-5(x-1)Û`+12 1 1
=[ _OBÓ_(점 A의 x좌표)+ _OCÓ_(점 A의 y좌표)]
2 2
따라서 꼭짓점의 좌표는 (1, 12), 축의 방정식은 x=1이다.
1
답 꼭짓점의 좌표 : (1, 12), 축의 방정식 : x=1
 - _OBÓ_OCÓ
2

07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76~77

1 1 1   ∴ b=4a, c=4a


={ _6_1+ _3_8}- _6_3
2 2 2
  이때,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a<0
=3+12-9=6  답6
  ∴ b<0, c<0   ∴ ab>0
④ ‌주어진 그래프에서 x=1일 때의 y의 값 y
-2 1
은 음수이므로  O x

x=1을 y=axÛ`+bx+c에 대입하면 


10 a+b+c<0
1 1 ⑤ ‌주어진 그래프에서 x=-2일 때의 y의 값은 0이므로 
주어진 두 이차함수를 f(x)= xÛ`+2, g(x)= xÛ`-1이라 하
3 3 x=-2를 y=axÛ`+bx+c에 대입하면 
1
면 y=f(x), y=g(x)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 xÛ`의 그래프 4a-2b+c=0
3
를 y축의 방향으로 각각 2, -1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모양 따라서 옳은 것은 ④이다. 답④

과 폭이 일치한다. 
y
즉,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이차함수
y=fèxê
의 그래프와 두 직선의 교점을 A, B,
D
C, D라 하면 이차함수 y=g(x)의
A
그래프와 선분 BC로 둘러싸인 도형 2 y=gèxê 12
O C
을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와 선 x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5, 4)인 이차함수의 식은
B H
분 AD로 둘러싸인 도형, 즉 빗금친 -1 y=a(x-5)2+4`(단, a+0)
x=-1 x=2
부분으로 이동시키면 일치하므로 구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2, -5)를 지나므로
하는 넓이는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와 같다. -5=a(2-5)2+4
이때,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g(x)의 그래 -5=9a+4   ∴ a=-1
프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즉, y=-(x-5)2+4=-x2+10x-21이므로
ABÓ=CDÓ=3 a=-1, b=10, c=-21
또한, 점 B에서 직선 x=2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a-b-c=-1-10-(-21)=10 답④
BHÓ=2-(-1)=3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ABCD=ABÓ_BHÓ=3_3=9  답①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13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이 (-2, 0), (3, 0)이
1 1
f(x)= xÛ`+2, g(x)= xÛ`-1에서
3 3 고 그래프가 위로 볼록하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7 10 2 1
f(-1)= , f(2)= , g(-1)=- , g(2)=
3 3 3 3 y=a(x+2)(x-3)`(단, a<0)
이므로
이라 할 수 있다.
7 2 1 10
A{-1, }, B{-1, - }, C{2, }, D{2, }
3 3 3 3 이때, 그래프가 점 (0, 12)를 지나므로
∴ ABÓ=CDÓ=3
12=a_2_(-3)   ∴ a=-2
즉, 주어진 그래프의 식은
y=-2(x+2)(x-3)=-2x2+2x+12
① a=-2, b=2, c=12이므로 a+b+c=12
② x=-1일 때, y=8이므로 그래프는 점 (-1, 8)을 지난다.

11 1 2 25
③ ‌y=-2x2+2x+12=-2{x- } + 이므로 꼭짓점의
2 2
①, ‌②, ③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가 1 25
좌표는 { , }이다.
  (-2, 0)이므로 2 2
=axÛ`+bx+c
  y 1
④ ‌이차함수 y=-2x2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만큼, y축
2
=a(x+2)Û`=a(xÛ`+4x+4)
25
=axÛ`+4ax+4a 의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2

Ⅳ. 이차함수 077
A n s w e r

1 25 이때, 점 D는 이차함수 y=axÛ`-b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이므로


⑤ ‌③에서 꼭짓점의 좌표가 { , }이므로 주어진 이차함수의
2 2
abÛ`-b=0, b(ab-1)=0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 ab=1 (∵ b>0) 답①
1 25
{ , - }이고 주어진 그래프와 폭이 일치하고 아래로 볼록
2 2
하다.
  ‌즉, 주어진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수의 식은
1 2 25
  y=2{x- } - =2xÛ`-2x-12
2 2

03
=2(xÛ`-x-6)=2(x+2)(x-3) 1
점 A는 이차함수 y=- xÛ`-3의 그래프의 꼭짓점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②이다. 답② 2
A(0, -3)
점 P(a, b)는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1
b=- aÛ`-3   yy㉠
2
y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P에서 x축, y축
Step 2 A등급을 위한 문제 pp. 78 ~ 82 H B
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H, I라 하면 O 6 x
01 -1 02 ① 03 ③ 04 -2, 3 05 ④ -3 A
OAPB=△OAP+△OPB
06 ① 07 3 08 2 09 ④ 10 ② I Pèa,bê
1
11 -3 12 ③ 13 4 14 27 15 ① = _OAÓ_PIÓ 
2 1
1 9 y=- x@-3
16 0 17 ④ 18 (-2, 4) 19 {- , } 1
2
2 2  + _OBÓ_PHÓ
20 ④ 21 ① 22 3 23 6 24 (2, -3)
2
27 3 1 1
25 ③ 26 ① = _3_a+ _6_(-b)
2 2
3
= a-3b
2
01 3 1
= a-3{- aÛ`-3} (∵ ㉠)
함수 y=-2xÛ`+3의 그래프가 점 (a, -a)를 지나므로 2 2
3 3
-a=-2aÛ`+3, 2aÛ`-a-3=0 = aÛ`+ a+9
2 2
3 이때, 사각형 OAPB의 넓이는 18이므로
(a+1)(2a-3)=0   ∴ a=-1 또는 a=
2
3 3
이때, 점 (a, -a)가 제  2  사분면 위에 있으므로 a<0   aÛ`+ a+9=18
2 2
∴ a=-1 답 -1 aÛ`+a-6=0, (a-2)(a+3)=0  

blacklabel 특강 참고 ∴ a=2 (∵ 0<a<6)


1
좌표평면 위의 점의 좌표의 부호 이것을 ㉠에 대입하면 b=- _2Û`-3=-5
2
제  1  사분면 제  2  사분면 제  3  사분면 제  4  사분면 ∴ a+b=2+(-5)=-3 답③
x좌표 + - - +
y좌표 + + - -
04
점 P는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P(a, aÛ`+1)
이때, PQÓ=8이므로
Q(a+8, aÛ`+1)
02 점 Q는 일차함수 y=x-1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점 A는 이차함수 y=-axÛ`+b의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이므로 aÛ`+1=(a+8)-1
A(0, b)   ∴ OAÓ=b aÛ`-a-6=0, (a-3)(a+2)=0
ABCD는 정사각형이므로 ∴ a=-2 또는 a=3
ODÓ=OAÓ=b   ∴ D(b, 0) 따라서 점 P의 x좌표는 -2 또는 3이다. 답 -2, 3

07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77~79

1
즉, y=b(x-a)Û`=-3{x- }Û`이
blacklabel 특강 풀이첨삭 y
1
2 2
이차함수 y=xÛ`+1의 그래프 위의 점 P, 일 y y=x@+1 O x
8 고 그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차함수 y=x-1의 그래프 위의 점 Q에 대하 y=x-1 3
-
여 x축과 평행한 선분 PQ의 길이가 8이 되 따라서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은 4
8
는 경우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1
Ú P(-2, 5), Q(6, 5)일 때 -2 3 감소하는 x의 값의 범위는 x> 이다.
2
{
y=-3 x-
2}
1 @

O -1 6 11 x
Û P(3, 10), Q(11, 10)일 때
의 두 가지가 존재한다.
 답①

07 해결단계
05 ➊ 단계 세 점 A, B, C의 좌표를 각각 m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ㄱ. ‌이차함수 y=(x+4)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 ➋ 단계 상수 m의 값을 구한다.
행이동하면 이차함수 y=(x-1)Û`의 그래프가 되므로
직선 y=x+m과 x축, y축의 교점이 각각 A, B이므로
ACÓ=BDÓ=5
‌A(-m, 0), B(0, m) 
ㄴ. ‌k=4일 때, 직선 y=k와 이차함수 y=(x+4)Û`의 그래프의
ACÓ=3ABÓ에서 ABÓ`:`BCÓ=1`:`2이므로 
교점의 x좌표는
C(2m, 3m)
4=(x+4)Û`
‌점 C(2m, 3m)이 이차함수 y=(x-3)Û`=xÛ`-6x+9의 그래
xÛ`+8x+12=0, (x+2)(x+6)=0
프 위에 있으므로
∴ x=-2 또는 x=-6
3m=(2m)Û`-6_2m+9 
이때, 점 B는 직선 y=4와 이차함수 y=(x+4)Û`의 그래프
4mÛ`-15m+9=0, (4m-3)(m-3)=0 
의 교점 중 오른쪽에 있는 점이므로
3
x=-2   ∴ B(-2, 4) ∴ m= 또는 m=3
4
또한, k=4일 때, 직선 y=k와 이차함수 y=(x-1)Û`의 그래 이때, 포물선 y=(x-3)Û`의 축의 방정식은 x=3이고, 점 C는
프의 교점의 x좌표는 포물선의 축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4=(x-1)Û` 3
2m>3   ∴ m>
xÛ`-2x-3=0, (x-3)(x+1)=0 2
따라서 구하는 m의 값은 3이다. 답3
∴ x=-1 또는 x=3
이때, 점 C는 직선 y=4와 이차함수 y=(x-1)Û`의 그래프
의 교점 중 왼쪽에 있는 점이므로
x=-1   ∴ C(-1, 4)
∴ BCÓ=-1-(-2)=1
08
이차함수 y=-(x+1)Û`+4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ㄷ. ‌이차함수 y=(x-1)Û`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x+4)Û`의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두 이
y=-(x-2+1)Û`+4-3
차함수의 그래프의 모양과 폭은 같다.
∴ y=-(x-1)Û`+1 yy㉠
∴ ABÓ=CDÓ
㉠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1, 1)이고 위로 볼록하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답④
이때, ㉠의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
는 (1, -1)이고 아래로 볼록하며 ㉠의 그래프와 폭이 일치한다.
즉, ㉠의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를 나타내는 이차함

06 수의 식은
y=(x-1)Û`-1 yy㉡
일차함수 y=ax+b의 그래프가 점 (0, -3)을 지나므로
㉡의 그래프가 점 (m, 4)를 지나므로
-3=b
4=(m-1)Û`-1, (m-1)Û`=5   ∴ m=1Ñ'5
또한, y=ax-3의 그래프가 점 (6, 0)을 지나므로
따라서 모든 실수 m의 값의 합은
1
0=6a-3   ∴ a= (1+'5)+(1-'5)=2 답2
2

Ⅳ. 이차함수 079
A n s w e r

09 즉, ㉠의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의 식은


1
a>0이므로 이차함수 y=a(x-p)Û`+q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 y= (x-3)Û`-1 yy㉡
2
록한 포물선이고, 꼭짓점의 좌표는 (p, q)이다. ㉡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이때, p>0, q<0이므로 꼭짓점은 제 4 사분면 위에 있다. 1
y= (x-3)Û`-1+q yy㉢
또한, x=0일 때, y=apÛ`+q이므로 이 그래프가 y축과 만나는 2
점의 y좌표는 apÛ`+q이다. ㉢의 그래프와 x축이 만나는 두 점 사이 x=3

즉, apÛ`+q의 값의 범위에 따른 주 y 의 거리가 4'2이고 ㉢의 그래프는 축 2Â2 2Â2


3-2Â2 3 x
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은 x=3에 대칭이므로 ㉢의 그래프와 x축
O x 3+2Â2
ap@+q>0 인 경우 이 만나는 두 점의 좌표는 각각
오른쪽 그림과 같다. ap@+q=0 인 경우
Ú apÛ`+q>0일 때, ap@+q<0 인 경우 (3+2'2, 0), (3-2'2, 0)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제 1 사분면, 제 2 사분면, 제 4 사 x=3+2'2, y=0을 ㉢에 대입하면


1
분면을 지난다. 0= _(3+2'2-3)Û`-1+q
2
Û apÛ`+q=0일 때,
0=4-1+q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제 1 사분면, 제 2 사분면, 제 4 사
∴ q=-3  답 -3
분면을 지난다.
Ü apÛ`+q<0일 때,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모든 사분면을 지난다.
Ú, Û, Ü에서 옳은 것은 ④이다. 답④ 12
ㄱ. ‌x=1일 때, y=1Û`-a+a=1이므로 이차함수
y=xÛ`-ax+a의 그래프는 점 (1, 1)을 지난다.
a aÛ`
ㄴ. y=xÛ`-ax+a={x- }Û`- +a yy㉠
2 4
10 a
y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 만큼 평행이동
함수 y=-(x-1)Û`+6의 그래프의 축 x=1 2
6
의 방정식은 x=1이다. 5 한 그래프의 식은
a a aÛ` aÛ`
제 1 사분면 위의 점 P의 x좌표를 a라 하 y=[x-{- }- ]Û`- +a=xÛ`- +a
P 2 2 4 4
면 점 P와 그래프의 축 사이의 거리와 점
a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를 y축의
P와 x축 사이의 거리가 같으므로 a>1 O 1 x
aÛ`
이어야 한다. 방향으로 - +a만큼 평행이동한 것과 같으므로 그래프는
4
이때, 점 P와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축 사이의 거리는 a-1이고, y축에 대칭이다.
점 P와 x축 사이의 거리는 -(a-1)Û`+6이므로 ㄷ. ‌㉠에서 이차함수 y=xÛ`-ax+a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
a-1=-(a-1)Û`+6에서 a aÛ`
는 { , - +a}이므로 이 꼭짓점이 x축 위에 있으려면
2 4
aÛ`-a-6=0, (a+2)(a-3)=0
꼭짓점의 y좌표가 0이어야 한다. 즉,
∴ a=3 (∵ a>1) 답②
aÛ`
- +a=0, aÛ`-4a=0
4
a(a-4)=0   ∴ a=0 또는 a=4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a의 개수는 2이다.

11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1
y=- (x-3)Û`+1 yy㉠
2
이라 하면 ㉠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한 포물선이고 꼭짓점의 좌표
는 (3, 1)이다. 13
이때, ㉠의 그래프와 x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 y=-3xÛ`+6ax 
는 (3, -1)이고 아래로 볼록하며 ㉠의 그래프와 폭과 모양이 일치 =-3(xÛ`-2ax+aÛ`-aÛ`) 
한다. =-3(x-a)Û`+3aÛ`

080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79~80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a, 3aÛ`) 1 5 1


또한, 이차함수 y=- xÛ`+3x- =- (x-3)Û`+2의 그래
2 2 2
꼭짓점의 y좌표가 12이므로 3aÛ`=12
프는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좌표는 (3, 2)이다.
aÛ`=4   ∴ a=-2 또는 a=2
y
Ú a=2일 때, 꼭짓점의 좌표는 (2, 12) y=x@-2x+1
A
Û a=-2일 때, 꼭짓점의 좌표는 (-2, 12)
Ú, Û에서 두 점 (2, 12), (-2, 12) 사이의 거리는
D C
2-(-2)=4 답4 tO k x

1 5
y=- x@+3x-
2 2
B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x=t라 하면

14 1 5
A(t, tÛ`-2t+1), B{t,- tÛ`+3t- }
2 2
이차함수 y=xÛ`+2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를 y축
직선 x=t와 x축의 교점을 D라 할 때, 삼각형 ABC가 정삼각형
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또한,
이 되기 위해서는 직선 CD가 선분 AB를 수직이등분해야 한다.
y=-xÛ`+2x+6
그러므로 ADÓ=BDÓ에서
=-(xÛ`-2x)+6
1 5
tÛ`-2t+1=-{- tÛ`+3t- }
=-(xÛ`-2x+1-1)+6 2 2
=-(x-1)Û`+7 1 5 1 3
tÛ`-2t+1= tÛ`-3t+ , tÛ`+t- =0
2 2 2 2
이므로 이차함수 y=-xÛ`+2x+6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tÛ`+ 2t-3 =0, (t-1)(t+3)=0
y=-xÛ`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7
∴ t=1 또는 t= -3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그런데 t=1이면
이때, 두 이차함수 y=xÛ`, y=-xÛ`의 그래프는 폭이 서로 같고
1 5
x축에 서로 대칭이므로 이들을 평행이동하여 만든 두 이차함수 ADÓ=1Û`-2+1=0, BDÓ=-{- _1Û`+3_1- }=0
2 2
y=xÛ`+2, y=-xÛ`+2x+6의 그래프의 폭도 서로 같다. 즉, 삼각형 ABC가 만들어지지 않으므로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
따라서 다음 그림과 같이 네 점 P(-1, 9), Q(-1, 0), 는다.
R(2, 0), S(2, 9)에 대하여 세 선분 AP, PS, BS 및 한편, t=-3이면
y=-xÛ`+2x+6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T와 같다. ADÓ=(-3)Û`-2_(-3)+1=16,
y 1 5
P S BDÓ=-[- _(-3)Û`+3_(-3)- ]=16
9 y=x@+2 2 2
T
즉, 정삼각형 ABC의 한 변의 길이는 2ADÓ=16_2=32이므로
6 B
높이는
S
CDÓ=¿¹ACÓ Û`-ADÓ Û`="Ã32Û`-16Û`=16'3
y=-x@+2x+6

A 3
따라서 양수 k의 값은 k=CDÓ-ODÓ= 16'3-3 이다.
Q T
R f(t)=2t-3, a=-3, b=-3+16'3이므로
-1 O 2 x
f(a)+b=2_(-3)-3+(-3+16'3)

즉, S+2T의 값은 가로의 길이가 3, 세로의 길이가 9인 직사각 =-12+16'3 답①

형 PQRS의 넓이와 같으므로


S+2T=3_9=27 답 27

16
1 11 1 11
y=- xÛ`+x- =- (xÛ`-2x)- 
2 2 2 2
15 1
=- (xÛ`-2x+1-1)-
11

2 2
이차함수 y=xÛ`-2x+1=(x-1)Û`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하
1
=- (x-1)Û`-5 yy㉠
고 꼭짓점의 좌표는 (1, 0)이다. 2

Ⅳ. 이차함수 081
A n s w e r

㉠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A이므로 이때, ABCD가 평행사변형이므로  y


1
y= x@+x-4
D 2
A(1, -5) ABÓCDÓ, ADÓBCÓ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p만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 D(a, b)라 하면 ABÓCDÓ, 즉 두
A O C x
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직선 AB, CD의 기울기가 서로
1 같으므로
y=- (x-p-1)Û`-5+q yy㉡ B
2
-4-0 b-0
㉡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B이므로 =   
0-(-4) a-2
B(p+1, -5+q) ∴ b=-a+2 yy㉠
두 점 A, B를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가 -2이므로 또한, ADÓBCÓ, 즉 두 직선 AD, BC의 기울기가 서로 같으므로
-5+q-(-5) q b-0 0-(-4)
= =-2 =    ∴ b=2a+8 yy㉡
p+1-1 p a-(-4) 2-0
-2p=q   ∴ 2p+q=0  답0 ㉠, ㉡을 연립하여 풀면 a=-2, b=4
∴ D(-2, 4) 답 (-2, 4)

17 19
이차함수 y=-3xÛ`+3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q만큼 평행 y=-xÛ`-4x+5=-(xÛ`+4x)+5 

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xÛ`+4x+4-4)+5 

y=-3xÛ`+3+q =-(x+2)Û`+9   yy㉠

이차함수 y=-3xÛ`+3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x좌표는 ㉠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A이므로 A(-2, 9)

0=-3xÛ`+3에서 ㉠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Û`=1   ∴ x=-1 또는 x=1 -xÛ`-4x+5=0에서 xÛ`+4x-5=0

즉, 이차함수 y=-3xÛ`+3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 사 (x+5)(x-1)=0   ∴ x=-5 또는 x=1

이의 거리는 ∴ B(-5, 0), C(1, 0)



1-(-1)=2 1
∴ △ABC= _{1-(-5)}_9=27
2
따라서 이차함수 y=-3xÛ`+3+q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
이때, 직선 l이 삼각형 ABC의 넓이를 이등분하므로
점 사이의 거리는 4이고 축이 y축이므로 이차함수
1 1 27
△BCD= △ABC= _27=
y=-3xÛ`+3+q의 그래프와 x축의 두 교점의 좌표는 (2, 0), 2 2 2
(-2, 0)이다. 점 D의 좌표를 (a, b)라 하면
점 (2, 0)이 y=-3xÛ`+3+q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27 1 9
△BCD= = _6_b   ∴ b=   
2 2 2
0=-3_2Û`+3+q   ∴ q=9  답④
9
∴ D{a, }
2

한편, 두 점 A, C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y=-3x+3
9
점 D{a, }가 직선 y=-3x+3 위에 있으므로
18 2
9 3 1
1 =-3a+3, 3a=-    ∴ a=-
점 B는 이차함수 y= xÛ`+x-4의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이므로 2 2 2
2
1 9
B(0, -4) ∴ D{- , } 
2 2

1 1 9
또한, 이차함수 y= xÛ`+x-4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
2  답 {- , }
2 2
표는 단계 채점 기준 배점
1 ㈎ 세 점 A, B, C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30%
0= xÛ`+x-4에서
2 ㈏ 삼각형 ABC의 넓이를 구한다. 10%
xÛ`+2x-8=0, (x+4)(x-2)=0 ㈐ 점 D의 y좌표를 구한다. 30%

∴ x=-4 또는 x=2   ∴ A(-4, 0), C(2, 0) ㈑ 점 D의 좌표를 구한다. 30%

082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80~82

blacklabel 특강 필수원리 따라서 y=cxÛ`+(a-b)x+b에서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


c<0, a-b<0, b>0
⑴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이므로 이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으로 알맞은 것은 ①이다. 답 ①
이차방정식 axÛ`+bx+c=0의 해와 같다.
⑵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와 직선 y=mx+n의 교점의 x좌표는
‌이차방정식 axÛ`+bx+c=mx+n, 즉 axÛ`+(b-m)x+c-n=0의 해와 같다.

22
조건 ㈐에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x좌표는 -1
20 이다.
b
ㄱ. y=axÛ`+bx+c=a{xÛ`+ x}+c 또한, 조건 ㈏에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이차함수
a
1
y=- xÛ`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한 것이다.
=a[xÛ`+ x+{ }Û`-{ }Û`]+c
b b b
3
a 2a 2a
b Û` bÛ`-4ac 즉,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을
=a{x+ }-
2a 4a 1
y=- (x+1)2+q`(q는 상수)라 할 수 있다.
b 3
에서 주어진 그래프의 축의 방정식은 x=- 이고 축은 y축
2a 조건 ㈎에서 점 (-2, 2)가 이 함수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b 1 7
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 >0 2=- (-2+1)2+q   ∴ q=
2a 3 3
b 따라서 구하는 이차함수의 식은
즉, <0이므로 ab<0
a
1 7 1 2
ㄴ. x=1일 때의 함숫값이 양수이므로 a+b+c>0 y=- (x+1)2+ =- x2- x+2
3 3 3 3
ㄷ. ‌그래프가 x축과 두 점 (-1, 0), y
1 2
이므로 a=- , b=- , c=2
(3, 0)에서 만나고 이차함수의 그 3 3
c
1 2
래프는 축에 대칭이므로 이차함수 ∴ c-a-b=2-{- }-{- }=3 답3
-1 3 3 3
y=axÛ`+bx+c의 그래프의 축의 O 2 x

방정식은 x=1

-1+3
x=    ∴ x=1
2
즉, 주어진 그래프가 점 (0, c)를 지나므로 점 (2, c)도 지 23
난다. 직선 y=-2x+8의 x절편은 4, y절편은 8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답④ B(4, 0), C(0, 8)


이차함수 y=-x2+bx+c의 그래프는 두 점 B, C를 지나므로
blacklabel 특강 참고
0=-16+4b+c, 8=c
문제에서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x축과 두 점 (-1, 0), (3, 0)에서 ∴ b=2, c=8
만나므로
y=a(x+1)(x-3)
∴ c-b=8-2=6 답6
=axÛ`-2ax-3a
∴ b=-2a, c=-3a
이때, a<0이므로 b=-2a>0, c=-3a>0
즉, ab<0이고, y=axÛ`-2ax-3a에 x=2를 대입하면
y=4a-4a-3a=-3a=c
이므로 주어진 그래프는 점 (2, c)를 지난다.
24
세 이차함수 y=f(x), y=g(x), y=h(x)의 xÛ`의 계수가 모두
1이고
이차함수 y=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가
21 각각 1, 2이므로
y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가 제 1 사 y=ax@+bx+c
f(x)=(x-1)(x-2)=xÛ`-3x+2
분면, 제 3 사분면, 제 4 사분면만 지나려면 그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가
O x
래프의 개형은 오른쪽 그림과 같아야 한다. c 각각 1, 3이므로
∴ a<0, b>0, c<0 g(x)=(x-1)(x-3)=xÛ`-4x+3

Ⅳ. 이차함수 083
A n s w e r

이차함수 y=h(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두 점의 x좌표가 y


y=ax@+bx+c
4
각각 1, 4이므로
A P Q B
h(x)=(x-1)(x-4)=xÛ`-5x+4 2

∴ f(x)+g(x)+h(x)=(xÛ`-3x+2)+(xÛ`-4x+3) O 2 4 5 6 8 x

 +(xÛ`-5x+4)
또한, 조건 ㈎에서 꼭짓점의 y좌표는 4이므로
=3xÛ`-12x+9
y=axÛ`+bx+c=a(x-5)Û`+4 (단, a<0)
=3(xÛ`-4x)+9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점 P(4, 2)를 지나므로
=3(xÛ`-4x+4-4)+9
2=a(4-5)Û`+4, 2=a+4
=3(x-2)Û`-3
∴ a=-2
따라서 이차함수 y=f(x)+g(x)+h(x), 즉
따라서 주어진 이차함수의 식은
y=3(x-2)Û`-3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2, -3)이다.
y‌=-2(x-5)Û`+4
 답 (2, -3)
=-2(xÛ`-10x+25)+4
=-2xÛ`+20x-46
이므로 a=-2, b=20, c=-46
∴ a+b+c=-2+20+(-46)=-28 답①
25
ㄱ. 4a+b=0에서 b=-4a이므로
y=axÛ`+bx+c 27 해결단계
=axÛ`-4ax+c ➊ 단계 점 A의 좌표를 문자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a(xÛ`-4x)+c ➋ 단계 x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한다.

=a(x-2)Û`-4a+c ➌ 단계 PRÓ=2, QSÓ=2'3임을 이용하여 a, b, c의 값을 각각 구한다.

즉,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의 축은 직선 x=2 두 이차함수 f(x)=xÛ`, g(x)=axÛ`+bx+c의 그래프는 폭이


이다. 서로 같고 볼록한 방향이 반대이므로
ㄴ. ‌ㄱ에서 이차함수 y=axÛ`+bx+c의 그래프는 직선 x=2를 a=-1   ∴ g(x)=-xÛ`+bx+c
축으로 하고 이 그래프가 점 (2, 3)을 지나므로 이차함수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므로
y=axÛ`+bx+c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2, 3)이다. 이때, 이 g(0)=0   ∴ c=0
점은 제 1 사분면 위에 있다. 이차함수 y=g(x)의 그래프의 꼭짓점 A는 제 1 사분면에서 이
ㄷ. ‌ㄱ, ㄴ에서 y=axÛ`+bx+c=a(x-2)Û`+3이고 이 이차함 차함수 y=f(x)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꼭짓점의 좌표를
수의 그래프가 점 (1, 4)를 지나므로 A(t, tÛ`) (t>0)이라 할 수 있다.
4=a+3   ∴ a=1 ∴ g(x)=-xÛ`+bx=-(x-t)Û`+tÛ`
∴ y=axÛ`+bx+c=(x-2)Û`+3 한편, x축에 평행한 직선이 이차함수 f(x)=xÛ`의 그래프와 만
즉,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아래로 볼록한 포물선이므 나는 두 점이 P, R이고 PRÓ=2이므로 두 점 P, R의 x좌표는
로 x<2일 때, x의 값이 증가하면 y의 값은 감소한다. 각각 -1, 1이다. 두 점 P, R가 이차함수 f(x)=xÛ`의 그래프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답③ 위에 있으므로
P(-1, 1), R(1, 1)
즉, 직선 PR의 방정식은 y=1
또한, 직선 y=1이 이차함수 g(x)=-(x-t)Û`+tÛ`의 그래프와
만나는 두 점이 Q, S이므로 이들 점의 x좌표는
26
1=-(x-t)Û`+tÛ`에서
조건 ㈏에서 선분 AB는 x축과 평행하고 APÓ=PQÓ=QBÓ=2이
(x-t)Û`=tÛ`-1, x-t=Ñ"ÃtÛ`-1   ∴ x=tÑ"ÃtÛ`-1
므로
∴ Q(t-"ÃtÛ`-1, 1), S(t+"ÃtÛ`-1, 1)
P(4, 2), Q(6, 2)
이때, QSÓ=2'3이므로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축에 대칭이므로 y=axÛ`+bx+c의 그래
t+"ÃtÛ`-1-(t-"ÃtÛ`-1)=2'3
4+6
프의 꼭짓점의 x좌표는 =5이다. 2"ÃtÛ`-1=2'3, tÛ`-1=3, tÛ`=4   ∴ t=2 (∵ t>0)
2

084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82~83

따라서 g(x)=-(x-2)Û`+2Û`=-xÛ`+4x이므로 b=4 1


⑴ ‌y= (x-4)Û`에 x=0을 대입하면 y=8이고, 이 그래프의
2
∴ a+b+c=-1+4+0=3 답3
꼭짓점이 (4, 0)이므로 B(4, 0), C(0, 8)이다.
그래프 위의 점 P의 x좌표가 p이므로
1
P{p, (p-4)Û`} (p>4)이라 하면
2
‌OAÓ, APÓ, PCÓ, OCÓ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두 삼각형
OAP와 OPC의 넓이의 합과 같으므로
1 1 1
_8_ (p-4)Û`+ _8_p=2(p-4)Û`+4p
2 2 2
=2pÛ`-12p+32
Step 3 종합 사고력 도전 문제 pp. 83 ~ 84
⑵ ‌OAÓ, APÓ, PCÓ, OCÓ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삼각형 BPC

01 44 02 ⑴ 2pÛ`-12p+32 ⑵ 4'2 03
1 의 넓이의 비가 3 : 1이므로 OAÓ, APÓ, PCÓ, OCÓ로 둘러싸인
16
33 1 도형의 넓이와 두 삼각형 OBC, APB의 넓이의 합의 비는
04 ⑴ C(-4, 5), Q{-3, } ⑵ y= xÛ`+3 ⑶ 6
8 8 3 : 2이다.
4
05 12 06 60 07 ÉaÉ4 이때, 두 삼각형 OBC, APB의 넓이의 합은
9
08 p=3, q=-3 1 1 1
_4_8+ _(8-4)_ (p-4)Û`=16+(p-4)Û`
2 2 2
=pÛ`-8p+32
01 해결단계 이므로
(2pÛ`-12p+32) : (pÛ`-8p+32)=3 : 2
➊ 단계 두 점 P, Q의 y좌표를 문자 p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➋ 단계 PQÓ=4임을 이용하여 p에 대한 이차방정식을 세운다. 2(2pÛ`-12p+32)=3(pÛ`-8p+32)
➌ 단계 ➋ 단계에서 구한 식을 변형하여 (5p+3)Û`의 값을 구한다. 4pÛ`-24p+64=3pÛ`-24p+96
pÛ`=32   ∴ p=4'2 (∵ p>4)
점 P의 x좌표가 p이므로
 답 ⑴ 2pÛ`-12p+32 ⑵ 4'2
P(p, -pÛ`-2p+3)
점 Q의 x좌표도 p이므로
1 1 11
Q{p, pÛ`- p- }
4 2 4 03 해결단계
1 1 11
PQÓ=-pÛ`-2p+3-{ pÛ`- p- }
4 2 4 ➊ 단계 삼각형의 닮음을 이용하여 두 점 B, C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5 3 23 ➋ 단계 a, b의 값을 각각 구하고, ab의 값을 구한다.
=- pÛ`- p+
4 2 4
1
5 3 23 직선 y=- x+3이 x축, y축과 만나는 점이 각각 A, D이므로
PQÓ=4이므로 - pÛ`- p+ =4에서 2
4 2 4
A(6, 0), D(0, 3)
5pÛ`+6p-7=0
y
양변에 5를 곱하면
y=bx@
25pÛ`+30p-35=0, 25pÛ`+30p+9=44
D C
B x
∴ (5p+3)Û`=44 답 44 O C' B'A 1
y= x+3
2
y=ax@-5
-5

두 점 B, C에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B', C'이라 하면


△ABB'»△ACC'»△ADO이므로

02 해결단계 AB'Ó : B'C'Ó : C'OÓ=ABÓ : BCÓ : CDÓ


=2 : 1 : 3
➊ 단계 점 P의 좌표를 p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때, AOÓ=6이므로 OB'Ó=4, OC'Ó=3
⑴ OAÓ, APÓ, PCÓ, OCÓ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p를 사용하
➋ 단계 1
여 나타낸다.
두 점 B, C는 직선 y=- x+3 위에 있으므로
OAÓ , APÓ , PCÓ , OCÓ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와 삼각형 2
BPC의 넓이의 비가 3 : 1임을 이용하여 실수 p의 값을 구 3
}
⑵ ➌ 단계
한다. B(4, 1), C{3,
2

Ⅳ. 이차함수 085
A n s w e r

점 B는 이차함수 y=axÛ`-5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따라서 구하는 길이는 STÓ=3-(-3)=6


1=16a-5, 16a=6 33 1
 답 ⑴ C(-4, 5), Q{-3, } ⑵ y= x2+3 ⑶ 6
8 8
3
∴ a=
8
또한, 점 C는 이차함수 y=bxÛ`의 그래프 위에 있으므로
3 1
=9b   ∴ b=
2 6 05 해결단계
3 1 1 1
∴ ab= _ =  답
8 6 16 16 ➊ 단계 이차함수 y=-(x+3)Û`+14로부터 k의 값을 구한다.
➋ 단계 세 점 A, B, C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➌ 단계 p, q의 값을 각각 구하고, k+p+q의 값을 구한다.

y=-(x+3)Û`+14=-xÛ`-6x+5에서 B(0, 5)
∴ k=5

04 해결단계 이차함수 y=-xÛ`-6x+5의 그래프와 직선 y=5의 교점의


x좌표는 -xÛ`-6x+5=5에서
⑴ ➊ 단계 두 점 C, Q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xÛ`+6x=0, x(x+6)=0
곡선 CD를 포함하는 포물선을 그래프로 하는 이차함수의
⑵ ➋ 단계
식을 구한다. ∴ x=0 또는 x=-6   ∴ A(-6, 5)
⑶ ➌ 단계 로고에서의 길이가 가장 짧은 부분의 길이를 구한다. 1 1
한편, ABÓ=BCÓ에서 BCÓ= _6=2이므로
3 3
⑴ ‌직선 AB가 x축, ABÓ 의 중점이 y
5
C(2, 5)
원점인 좌표평면 위에 로고를 놓 C Q D
이차함수 y=-(x-p)Û`+q의 그래프가 두 점 B(0, 5),
으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4 -3 4 C(2, 5)를 지나므로
  ABÓ=8이므로 OAÓ=4 A P O B x
5=-pÛ`+q   ∴ q=pÛ`+5 yy㉠
  CEÓ=10이므로 CAÓ=5
5=-(2-p)Û`+q   ∴ q=pÛ`-4p+9 yy㉡
E R F
  ∴ C(-4, 5) -5
㉠, ㉡에서 pÛ`+5=pÛ`-4p+9
1 1 33 33
  ‌또한, APÓ=1, PQÓ= QRÓ= _ = 이므로 4p=4   ∴ p=1, q=6 (∵ ㉠)
2 2 4 8
33 ∴ k+p+q=5+1+6=12 답 12
  ‌Q{-3, }
8
⑵ ‌곡선 CD를 포함하는 포물선의 꼭짓점이 y축 위에 있으므로
이차함수의 식을 y=ax2+q`(a>0)라 할 수 있다. 

이 이차함수의 그래프가 두 점 C(-4, 5), Q{-3,


33
}을 06 해결단계
8
지나므로 이차함수 y=-2(x+1)Û`+9의 그래프와 y축에 서로 대칭인 그
➊ 단계
래프의 식을 구한다.
33
  ‌16a+q=5, 9a+q= ➋ 단계 평행이동한 이차함수를 구한다.
8
➌ 단계 네 점 A, B, C, D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1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a= , q=3 ➍ 단계 네 점 A, B, C, D를 꼭짓점으로 하는 사각형의 넓이를 구한다.
8
  ‌따라서 곡선 CD를 포함하는 포물선을 그래프로 하는 이차함 함수 y=-2(x+1)Û`+9의 그래프는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의
수의 식은 좌표는 (-1, 9)이다.
1 이때, 이 그래프와 y축에 서로 대칭인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y= x2+3
8
(1, 9)이고 위로 볼록하며 함수 y=-2(x+1)Û`+9의 그래프와
⑶ ‌⑴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놓았을 때, 두 곡선 CD, EF가 y축
폭과 모양이 일치한다.
과 만나는 점을 각각 S, T라 하면 로고에서의 길이가 가장 짧
즉, 함수 y=-2(x+1)Û`+9의 그래프와 y축에 서로 대칭인 그
은 부분의 길이는 STÓ의 길이이다.
래프의 식은
  ‌곡선 CD를 포함하는 포물선을 그래프로 하는 이차함수가
y=-2(x-1)Û`+9 yy㉠
1
y= xÛ`+3이므로 S(0, 3)
8 ㉠의 그래프를 y축의 방향으로 9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곡선 CD와 곡선 EF는 ABÓ, 즉 x축에 서로 대칭이므로 y=-2(x-1)Û`+18 yy㉡
  T(0, -3) ㉡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A이므로 A(1, 18) 

086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본문 pp.83~85

y=-2(x-1)Û`+18=-2xÛ`+4x+16 이차함수 y=(x-p)Û`+q의 그래프와 직선 y=1이 두 점에서


에서 ㉡의 그래프와 y축의 교점은 만나므로 q<1
B(0, 16)  이차함수 y=(x-p)Û`+q의 그래프가 직선 y=1과 만나는 점의
y=-2xÛ`+4x+16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x좌표는 (x-p)Û`+q=1에서
-2xÛ`+4x+16=0에서 (x-p)Û`=1-q, x-p=Ñ'Ä1-q   ∴ x=pÑ'Ä1-q
xÛ`-2x-8=0, (x+2)(x-4)=0  즉, A(p-'Ä1-q, 1), B(p+'Ä1-q, 1)이므로
∴ x=-2 또는 x=4 ABÓ=2'Ä1-q
즉, ㉡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좌표는 (-2, 0), (4, 0)이다. 이차함수 y=(x-p)Û`+q의 그래프가 직선 y=4와 만나는 점의
따라서 C(-2, 0), D(4, 0)이라 하면 y x좌표는 (x-p)Û`+q=4에서
A
18
네 점 A, B, C, D를 꼭짓점으로 하는 16 (x-p)Û`=4-q, x-p=Ñ'Ä4-q   ∴ x=pÑ'Ä4-q
B
사각형의 넓이는 두 점 중 x좌표가 더 작은 점이 C이므로
△BCO+△ABO+△AOD  C(p-'Ä4-q, 4)
1 1 1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가 직선 y=4와 만나는 점의 x좌표는
= _2_16+ _16_1+ _4_18
2 2 2
xÛ`=4에서 x=Ñ2
=16+8+36=60 C D
-2 O 1 4 x 두 점 중 x좌표가 더 작은 점이 D이므로
D(-2, 4)
답 60
∴ CDÓ=p-'Ä4-q-(-2)=p+2-'Ä4-q
ABÓCDÓ에서 ABCD는 사다리꼴이므로 그 넓이는
07 해결단계 1 3
_(ABÓ+CDÓ)_(4-1)= (ABÓ+CDÓ)
2 2
➊ 단계 주어진 이차함수의 꼭짓점의 좌표를 구한다. 3
= (2'Ä1-q+p+2-'Ä4-q)
➋ 단계 포물선이 ABÓ의 양 끝 점과 만날 때의 a의 값을 각각 구한다. 2
➌ 단계 a의 값의 범위를 구한다. 3 27-3'7
즉, (2'Ä1-q+p+2-'Ä4-q)=    yy㉠
2 2
y=ax(x-4)+4a+2 
한편, 점 A(p-'Ä1-q, 1)은 이차함수 y=xÛ`의 그래프 위에 있
=axÛ`-4ax+4a+2 
으므로
=a(xÛ`-4x+4)+2 
p-'Ä1-q=1
=a(x-2)Û`+2
이때, 'Ä1-q=p-1에서 p, q는 유리수이고 등식이 성립하므로
꼭짓점의 좌표가 (2, 2)인 이차함수의 그 y èiê èiiê
'Ä1-q도 유리수임을 알 수 있다.
래프가 선분 AB와 만나기 위해서는 오른 6 A B 3(2'Ä1-q+p+2)-3'Ä4-q
3
(2'Ä1-q+p+2-'Ä4-q)=
쪽 그림의 Ú, Û 또는 그 사이를 지나야 2 2
한다. 27-3'7
2 = (∵ ㉠)
2
Ú  그래프가 점 A(3, 6)을 지날 때,
2'Ä1-q+p+2=9, 'Ä4-q='7
O 2 3 5 x

`6=a(3-2)Û`+2
'Ä4-q='7에서 q=-3
`a+2=6   ∴ a=4
2'Ä1-(-3)+p+2=9에서 p=3 답 p=3, q=-3
Û  그래프가 점 B(5, 6)을 지날 때,
`6=a(5-2)Û`+2
4
`9a=4   ∴ a=
9
4 4
Ú, Û에서 a의 값의 범위는 ÉaÉ4  답 ÉaÉ4
9 9

08 해결단계
➊ 단계 네 점 A, B, C, D의 좌표를 각각 구한다.
미리보는 학력평가 p. 85
➋ 단계 사다리꼴 ABCD의 넓이를 p, q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무리수가 서로 같을 조건을 이용하여 유리수 p, q의 값을 각각 구 1 16 2 16 3 ② 4 ①
➌ 단계
한다.

Ⅳ. 이차함수 087
본문 p.85
A n s w e r

1 2
세 이차함수 y=-xÛ`, y=-(x+2)Û`+4, y=-(x+4)Û`은 이차함수 y=xÛ`-2x-3=(x-1)Û`-4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A
xÛ`의 계수가 모두 -1이므로 그래프의 폭과 모양이 모두 같다. 이므로
Ú y=-(x+2)Û`+4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A(1, -4)
(-2, 4) 이차함수 y=xÛ`-10x+21=(x-5)Û`-4의 그래프의 꼭짓점이
y=-(x+4)Û`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4, 0) B이므로
즉, y=-(x+2)Û`+4의 그래프는 y=-(x+4)Û`의 그래프 B(5, -4)
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y=xÛ`-2x-3의 그래프와 x축의 교점의 x좌표는
것이다. xÛ`-2x-3=0에서
따라서 다음 그림의 색칠한 두 도형 A와 A'은 서로 합동이다. (x+1)(x-3)=0   ∴ x=-1 또는 x=3

y=-èx+2ê@+4
y ∴ C(3, 0), D(-1, 0)
4
A' 이때, ABÓCDÓ, ABÓ=CDÓ=4이므로 ABCD는 평행사변형
2
이다.
-2 2 x y=x@-2x-3 y y=x@-10x+21
-4 O
A
-2
y=-èx+4ê@ y=-x@

-4
-1 1 3 5
D O C x

Û y=-xÛ`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0, 0) -4
A B
y=-(x+2)Û`+4의 그래프의 꼭짓점의 좌표는
따라서 평행사변형 ABCD의 넓이는
(-2, 4)
4_4=16 답 16
즉, y=-(x+2)Û`+4의 그래프는 y=-xÛ`의 그래프를 x축
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동한 것
이다.
3
"aÛ`=-a에서 a<0
따라서 다음 그림의 색칠한 두 도형 B와 B'은 서로 합동이다.

"bÛ`=b에서 b>0
y
y=-èx+2ê@+4
4
B'
2
이차함수 y=axÛ`+bx의 그래프에서 a<0, b>0이므로 이 그래
프는 위로 볼록하고, 축이 y축의 오른쪽에 있으며 원점을 지난다.
-4 -2 O 2 x
B 따라서 그래프로 알맞은 것은 ②이다. 답②
-2
y=-èx+4ê@ y=-x@
│다른풀이│
-4
y=0을 y=axÛ`+bx에 대입하면

axÛ`+bx=0, x(ax+b)=0
Ú, Û에서 도형 A를 A'로, 도형 B를 B'로 옮기면 다음 그림 b
∴ x=0 또는 x=-
의 색칠된 부분의 넓이와 같다. a
b
y=-èx+2ê@+4
y
즉, 이차함수 y=axÛ`+bx의 그래프는 두 점 (0, 0), {- , 0}
4 a
b
2 을 지난다. 이때 a<0, b>0이므로 - >0이다.
a
-4 -2 O 2 x 따라서 이차함수 y=axÛ`+bx의 그래프로 알맞은 것은 ②이다.
-2
y=-èx+4ê@ y=-x@

-4
4
일차함수 y=ax+b의 그래프에서 a<0, b>0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한 변의 길이가 4인 정사각형의 넓이와 같
이차함수 y=a(x+b)Û`의 그래프에서 a<0, b>0이므로 그래프
으므로
는 위로 볼록하고, 꼭짓점 (-b, 0)이 x축의 음의 부분에 있다.
4_4=16 답 16
따라서 그래프로 알맞은 것은 ①이다. 답①

088 블랙라벨 중학 수학 ❸ - 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