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0

내신 1등급

문제서

고등 수학(하)

정답 및 풀이

23)절대등급 수학정답속표지.indd 2 2022. 7. 20. 오전 9:31


빠른 정답

I . 집합과 명제
step

01 ③
05 L
B
09 < 또는 <
실력 문제

02 ③, ④

B
03 ③
06 ④
04 ①
07 ③

10 ①, ④ 11 ", #, $, %
26~29쪽

08 ④

C C
12 ②, ⑤ 13 ②, ⑤ 14 ③ 15 ②
01. 집합 16 최솟값 : , Y 17 ③
 
18 최솟값 : , B  , C  19  20 ③
step 기본 문제 7~11쪽
21  22 ⑴ 풀이 참조 ⑵ 최댓값 :  , 최솟값 : 
23 ①
01  02 ⑤ 03 ② 04 ① 05 ②
06 ④ 07 \, , , ^ 08 ② 09 ②
10 \, , ^ 11 ③ 12 \, , , ^
13  14 ④ 15 ② 16 \, , , , ^ step 최상위 문제 30~31쪽
17 \, , ^ 18 \, , , , ^ 19 ⑤
20 ① 21 ① 22 ②, ⑤ 23 ④ 01 N, O 02 ④ 03 ③ 04 ①
24 \, , , , , ^ 25 \, , , , ^ 26 ① 05 ③ 06 

07 풀이 참조

27 ② 28 ③ 29  30 ① 31 ④
08 풀이 참조 09 ⑴  ⑵ 
32 ③ 33 \, , ^ 34 ƒB
35 ④ 36 ⑤ 37 ⑤ 38 ⑤
39 최댓값 : , 최솟값 :  40 

step 실력 문제 12~17쪽

01 ⑤ 02  03 ① 04 ,  05 ④
06 \, , , , , ^ 07 ⑤ 08 ①, ⑤ 09 
 
10   B  11 ⑤ 12 ② 13 ①

14 ⑤ 15  16 ⑤ 17 ① 18 

II
19 ④ 20  21 ④ 22  23 ⑤
24 ③ 25  26 ④ 27 ⑤ 28 
29
34


30
35


31  32 ② 33
36 최댓값 : , 최솟값 : 

. 함수와 그래프

step 최상위 문제 18~19쪽

01 ④ 02  03 ② 04  05  03. 함수
06 ⑤ 07 ③ 08 최댓값 : , 최솟값 : 
step 기본 문제 35~39쪽

01 ③, ④ 02 \, , ^ 03 ④
02. 명제 04 B, C 

05 L 또는 L

step 기본 문제 21~25쪽 06 ① 07 ④ 08 G  , H   09 ④


10 ⑤ 11  12 ⑤ 13  14 ①
01 ③, ⑤ 02 ③ 03 ④ 04 ① 05    
15 ② 16 ⑴ I Y   Y  ⑵ L Y   Y 
06 ƒBƒ 07 ③ 08 ②, ④ 09 ④ 10 ④
11 ③ 12 ƒLƒ 13 ③ 14 ② 17 ,  18 ③ 19 ① 20 ④
15 L 16 ③ 17 ①, ④ 18 ① 21 최댓값A:A, 최솟값A:A 22  23 
19 Bƒ 20 ① 21 ② 
24 ⑤ 25 ④ 26 "<, ,  , = 27 ②
22 B 23 ④

24 B, C, D 또는 B, C, D 28 ⑤ 29 ① 30   31 ① 32 ②
25 ③ 26 ②, ③ 27 ④ 28 ② 29 ② 33 ③ 34 ① 35 ② 36 B, C
30  31 ④ 32 풀이 참조 33 ②  
37 ③ 38 ② 39 40 ③
34 풀이 참조 35 ③ 36 ④ 

02 빠른 정답

๢൏ႜఖጄ73QVLL  ࿼႖"
    
step 실력 문제 40~44쪽 23  24 ② 25   B  또는  B 

01 ⑤ 02 ⑤ 03  26 ② 27  28 L  29 ④
04 B, C 또는 B, C 05 G  , I   30 ⑤ 31 ② 32 ② 33 ② 34 ①
06 ③ 07 ③ 08 ⑤ 09 ⑤ 35  36 

10 H Y   Y 11 ③ 12 ①

13 Y 또는 Y 또는 Y  14 ƒBƒ
step 최상위 문제 59~60쪽

15 ③ 16  17 ① 18  19 
01 ④ 02  03  04 ④
    
20 B  , C 21 ① 22 ② 05  B  또는  B 

23 B의 최솟값 : , I  

24 ⑤ 25 ① 
06 ⑴  ⑵   Lƒ 또는 ƒL

26  27   28 ② 29  30 
 
07 ⑴ B, C  ⑵ ƒL
 08 ①

step 최상위 문제 45~46쪽

III
 
01  02 ② 03 ① 04   B 

05 ③ 06 ② 07 최댓값A:A, O 08 ⑤
. 순열과 조합

05. 순열과 조합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step 기본 문제 63~67쪽

step 기본 문제 48~52쪽 01 ① 02 ⑤ 03 ② 04 ④ 05 ③
06 ④ 07 ④ 08 ① 09  10 ④
01 ① 02 B, C 03 ② 04 ⑤ 11 ③ 12  13  14 ④ 15 
05 ① 06 ① 07 ,  08 ④ 09 ① 16  17  18 ⑤ 19 ③ 20 
10 ④ 11 ⑤

12 [  , ] 13 ③ 21  22  23 ④ 24 ③ 25 ③
26 ④ 27 ② 28  29 ② 30 ⑤

14 Y, Z  15 Y, Z 16 ⑤ 31 ② 32 ① 33 ① 34 ④ 35 ④
36 ④ 37  38 ① 39 ② 40 
17 ③ 18  19 ⑤ 20  21 
22 ① 23 ⑤ 24 ⑤ 25 B, C, D
26  27 ② 28 ① 29  30 ②
31  32 ④ 33 ① step 실력 문제 68~73쪽
34 ⑴ 정의역A:A\Y|Yy^, 치역A:A\Z|Zƒ^
⑵ Z Y ™A  Yy 01  02 ⑤ 03  04  05 
35  36 ③ 37 ② 38 ② 06 ⑤ 07 ① 08  09 ⑤ 10 ④
 11 ③ 12  13 ① 14  15 
39 ƒL  40 ①
16  17  18 ④ 19 ⑤ 20 
21  22 ③ 23 ③ 24 ⑤ 25 
26 ④ 27 ① 28 ② 29 ① 30 
step 실력 문제 53~58쪽 31 ⑤ 32  33  34  35 
36 ④

01  02 ③ 03  04 ④ 05 ①

06 ① 07 ① 08 \Z|Zƒ^ 09 ①
10  11  12 ① 13 ③ 14  step 최상위 문제 74~75쪽
15 ④ 16 B, C, D 17 ①
 01  02  03  04 ① 05 ③
18  19 ② 20 ⑤ 21  22 ⑤
06  07  08 

빠른 정답 03

๢൏ႜఖጄ73QVLL  ࿼႖"
정답 및 풀이

04
"의 원소는 Δ, B, \B, C^이다.

I . 집합과 명제
ㄱ. Δ" 참
ㄴ. B"이지만 Cm"이므로 \B, C^ž"
그러나 \B, C^"이다. 거짓
ㄷ. "의 원소는 개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이다. 거짓
옳은 것은 ㄱ이다. ①

01. 집합
05
step 기본 문제 7~11쪽
"\, , ^이므로 Y", Z"인 Y, Z에 대하여 Y Z, YZ
01  02 ⑤ 03 ② 04 ① 05 ② 의 값은 다음 표와 같다.
06 ④ 07 \, , , ^ 08 ② 09 ②    @   
10 \, , ^ 11 ③ 12 \, , , ^
       
13  14 ④ 15 ② 16 \, , , , ^
17 \, , ^ 18 \, , , , ^ 19 ⑤
       
20 ① 21 ① 22 ②, ⑤ 23 ④        
24 \, , , , , ^ 25 \, , , , ^ 26 ① #\, , , , ^, $\, , , ^이므로
27 ② 28 ③ 29  30 ① 31 ④
" $ # ②
32 ③ 33 \, , ^ 34 ƒB
35 ④ 36 ⑤ 37 ⑤ 38 ⑤
39 최댓값 : , 최솟값 :  40 

06
01
# "이므로 Y가 의 배수이면 Y는 B의 배수이다.
", #의 원소가 같으므로 Y Y
곧, B는 의 약수이므로 , , , 이다.
Y™A Y ∴ Y 또는 Y
따라서 보다 큰 B의 값의 합은    ④
Œ Y일 때
"\, ^, #\, , ^이므로 " #
 Y일 때
"\, , ^, #\, , ^이므로 "# 07
Œ, 에서 Y  6, ", #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U
A B
그림과 같다. 5
1
4
Y  또는 Y™A Y임을 이용해도 된다. "#$는 그림의 색칠한 부분이므로 2 6
3
"# $\, , , ^

02 \, , , ^
O
J 을 차례로 구하면 J, , J, , J, U이다.
곧, "\J, , J, ^이므로 [, [은  또는 이다.
Œ [, [일 때 [ [ 08
 [, [일 때 [ [ 전체집합이 6\Y|Y는  이하의 자연수^이므로
Ž [, [일 때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Œ ~ 에서 #\, , , ^이고, 원소의 개수는 이다. ∴ O "# $  ②

03 09
"의 원소는 , , \Δ^이다. 이 "#의 원소이므로 B 
따라서 ①, ③, ⑤는 참이다. ∴ B
Δ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므로 ④는 참이다. 이때 #\, C, D^이므로
② , 이 원소이므로 \, ^ "이다. C, D 또는 C, D
또 \, ^은 "의 원소가 아니다. 따라서 거짓이다. ② 따라서 "#\, , , ^이고, 원소의 합은 이다. ②

04 I. 집합과 명제

⤿⥗⥸⥇⥏⤼⥗⤿⥡⥸⥎⥏⥎⥐⥅⥓⥫QVLJ  !࿼ፎ"!
10 15
"\, , , , ^이고, U 각 집합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A B
$
"# "#\, ^ ① U ③ U
2 3 A A
4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으로 6 5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 "#\, , ^ \, , ^ B C B C

④ U ⑤ U
" "# $ " "#$ $ A A
" "$#  ""$  "#
Δ "# "#

B C B C
11 ②
" "# "에서 "#Δ U❶
또 "#6이므로 #"$\, ^
따라서 #의 모든 원소의 합은   ③
16
"$# $ "# $\, , ^
❶은 벤다이어그램을 생각하거나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U
"# "이므로 " "# "# "# $"#\, , ^ A B
2 4
" "# "이면 "#" "$##"\, ^
6
∴ "#Δ 따라서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 8 9
5 7 10
과 같다.
12 6\, , , U, ^이므로 "#\, ^
12$ 3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 U
P ∴ "\, , , , ^ \, , , , ^
내면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1\, , , U, ^,
2\, , , , U^,
Q R
3\, , , , , U^ 17
$
이므로 12 3\, , , ^ \   ^ #$\, ^이므로
" # $$ $ " #$ $" #$
12$ 3 12$ 3$1 2$3$ \, , , ^\, ^
1 23 $1 23 \, , ^ \, , ^
와 같이 정리하고 풀 수도 있다.

" # $$ $ 에서 # $, $ $, # $$ $를 차례로 구해도 된다.


13
""의 원소는 의 배수이고 의 배수이므로 와 의 공배수
이다. 와 의 공배수는 의 배수이므로 """이고,
B이다. 18
""의 원소는 의 배수이거나 의 배수이다. " #$  "#  "$
의 배수는 의 배수이므로 """이다. \, , , ^\, , ^
또 " "C이면 의 배수는 C의 배수이므로 C는 의 약수이다. \, , , , ^ \, , , , ^
따라서 C, , , 이다.
B C의 최댓값은   

19
"" "C에서 " "C이고 " "C이므로
6\, , , , ^이고,
C는 의 약수이고 의 약수이다.
"$# $ "# $\, , ^
이므로 "#\, ^
14
④ "#  "$ 를 벤다이어그램 U "#\, ^이므로 , 은 #의 원소이고 , 은 #의 원소
A
으로 나타내면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가 아니다.
같다. ④ #\, , ^일 때 .  
#\, ^일 때 N 
B C
∴ . N ⑤

01. 집합 05

⤿⥗⥸⥇⥏⤼⥗⤿⥡⥸⥎⥏⥎⥐⥅⥓⥫QVLJ  !࿼ፎ"
정답 및 풀이

20
#"$ $ "# $  # $"  "# "△#, "△ #△$ 를 각각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 A
" # #
"6" ① A B

B C

AŸB AŸ{BŸC}
21
"#, "$#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U U 25
A B A B "◎#Δ이므로 "#  "# Δ
∴ "# "# U❶
따라서 "#"#이고, "#이다.
∴ #\, , , , ^ \, , , , ^
A-B ACÕB

∴ "#  "$# 6 ①
"# "# 이므로 ❶에서
"#"#
"#  "$#  "#  #"$
\ "# #^"$
26
 "# "$6 "$ # "$#  #"$ 를 U
A B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으
므로 "$ #6이면
"#Δ, #"Δ
22
∴ " # "#  #"
"# $  # $"$ "#에서 U
B Δ ①
좌변  "#  # $"
A
" ## $
"$ # "$#  #"$
"6"  "$# $  #"
이므로  "# $ "#
""#
곧, " #이므로 옳은 것은 ②, ⑤이다. ②, ⑤ 27
#9#이므로 9는 #의 부분집합이다.
"9Δ이므로 9는 "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9는 , 을 포함하지 않는 #의 부분집합이므로
23 \, , ^의 부분집합과 같다.
"# $ $
#에서 U
A B
Δ을 빼야 하므로 9의 개수는
"$##, #"#
 ②
∴ "#Δ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28
"99이므로 9는 "의 부분집합이다.
"# 99이므로 "# 9이고 "#\, ^이

24 므로 9는 , 을 포함한다.
#\, , , ^, $\, , , , ^이므로 따라서 9는 \, ^의 부분집합에 원소 , 을 추가한 꼴이므로
#△$ #$  $# 9의 개수는
\, , ^\, , , ^ ™A ③
\, , , , , , ^
"\, , , , ^이므로 29
"△ #△$ \" #△$ ^\ #△$ "^ # $"$# $""#이므로 "#\^
\, ^\, , , ^ 따라서 #는 , , 은 포함하고 은 포함하지 않는 6의 부분집
\, , , , , ^ \, , , , , ^ 합이다.

06 I. 집합과 명제

⤿⥗⥸⥇⥏⤼⥗⤿⥡⥸⥎⥏⥎⥐⥅⥓⥫QVLJ  !࿼ፎ"
#는 \, , , ^의 부분집합에 , , 을 더한 집합이므로 #의 34
개수는   YBY B에서 YB  YB 
∴ #\Y]BYB ^
을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 #이므로 B
, , 을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A
B이고 B y
을 포함하지 않고 , , 을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 ƒB a-2 1 3 a+2 x

ƒB
30 집합 \Y]G Y ^을 부등식 G Y 의 해집합이라 한다.
"#의 원소 , , 는 "$의 원소이므로 #$의 원소이
다. 따라서 $의 원소이다. 35
#"의 원소 도 같은 이유로 $의 원소이다. YY ƒ에서 Y Y ƒ
곧, $는 , , , 을 포함해야 하므로 $의 개수는 ∴ "\Y]ƒYƒ^ B
A
 ① "#Δ이고,
"#\Y]Yƒ^이므로 -1 2 6 x

그림과 같이 #\Y]Y^
31
6\, , , , , , , ^이고, 따라서 Y BY C의 해가 Y이다.

"\, , ^ Y  Y 에서 YY

#\, , , , , ^ ∴ B, C, B C ④

"9"이므로 " 9
그런데 " #이고 #ž9이므로 9가 "를 포함하는 경우에서 36
O "$# $ O "# $
이므로
#를 포함하는 경우를 뺀다.
O "# 
"를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는 
O "# O " O # O "# 이므로
#를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는 
 O "# ∴ O "# 
따라서 9의 개수는  ④
∴ O #" O # O "#
 ⑤
32
\, ^" Δ이므로 "는  또는 를 포함한다. O "# 이므로
Œ 을 포함하고 를 포함하지 않는 "의 개수는  O #" O "# O "
 를 포함하고 을 포함하지 않는 "의 개수는  
Ž 과 를 포함하는 "의 개수는 
Œ, , Ž에서 "의 개수는    ③
37
학생 전체의 집합을 6, 축구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 야구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 를 포함하지 않는 부분집합의 개 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라 하면
수를 빼도 되므로  O 6 , O " , O # , O "$# $ 
O "$# $ O "# $
O 6 O "# 이므로

33 O "# 

Y Y 
Y에서 O "# O " O # O "# 이므로
Y Y Y   O "# ∴ O "# 
∴ Y 또는 Y 또는 Y 축구만 좋아하는 학생 수는
∴ "\, , ^ O "# O " O "#

Y Y 
에서 Y  
Y    ⑤
∴ Y† 또는 Y†
∴ #\, , , ^ 38
∴ "#  #" \^\, ^ 입장객 전체의 집합을 6, 롤러코스터를 이용한 사람의 집합을
\, , ^ ", 범퍼카를 이용한 사람의 집합을 #라 하면
\, , ^ O 6 , O " , O # 
롤러코스터와 범퍼카를 모두 이용한 사람의 집합은 "#이므
집합 \Y]G Y ^을 방정식 G Y 의 해집합이라 한다. 로# "일 때 O "# 가 최대이다. ∴ .

01. 집합 07

⤿⥗⥸⥇⥏⤼⥗⤿⥡⥸⥎⥏⥎⥐⥅⥓⥫QVLJ  !࿼ፎ"
정답 및 풀이

또 O "# O " O # O "# 이므로


step 실력 문제 12~17쪽
O "# 가 최대일 때 O "# 가 최소이다.
곧, O "# 의 최댓값은 O "# O 6 이므로 01 ⑤ 02  03 ① 04 ,  05 ④
N  06 \, , , , , ^ 07 ⑤ 08 ①, ⑤ 09 
 
∴. N  ⑤ 10   B  11 ⑤ 12 ② 13 ①

14 ⑤ 15  16 ⑤ 17 ① 18 
19 ④ 20  21 ④ 22  23 ⑤
39 24 ③ 25  26 ④ 27 ⑤ 28 
학생 전체의 집합을 6, " 문제를 맞힌 학생의 집합을 ", # 문 29 ④ 30 ④ 31  32 ② 33 ④
제를 맞힌 학생의 집합을 #라 하면 34 ② 35  36 최댓값 : , 최솟값 : 
O 6 , O " , O # 
한 문제도 맞히지 못한 학생 수는 01
$ $ $ [전략] "\B, C, D^ BCD 라 하고 #의 원소를 B, C, D로 나타낸 다음
O " # O "# 이고,
$
조건을 활용한다.
O "# O 6 O "# 이므로
$
"\B, C, D^ BCD 라 하면
O "# 가 최대일 때 O "# 가 최소이고,
$
#\B, C, D, B C, B D, C D^
O "# 가 최소일 때 O "# 가 최대이다.
#의 가장 작은 원소가 B, 가장 큰 원소가 D이므로
O "# 의 최댓값을 .이라 하면
B, D ∴ B, D
"#Δ일 때 최대이므로
O # 이고
.O " O # 
$
BB CCC DD
따라서 O "# 의 최솟값은 
BB CB DC DD
또 O "# 의 최솟값을 N이라 하면 # "일 때 최소이므로
이므로 CB D, C ∴ C
NO " 
$
∴ "\, , ^, #\, , , , ^
따라서 O "# 의 최댓값은 
따라서 #"\, , ^이고, 원소의 합은
최댓값 : , 최솟값 : 
   ⑤
O " O # ƒO 6 이므로 "#Δ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02
40 
[전략] 예를 들어 #이므로 는 기약분수이고, O은 의 배수가 아니다.
바둑, 서예, 피아노 강좌를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 #, $라 하면 O

또 m#이므로 은 기약분수가 아니다. 따라서 O은 의 배수이다.
O "#$ , O "# , O
O #$ , O "$  Y
#<Y\ 는 기약분수, Y는 한 자리 자연수=
O
A B C
에서 가능한 Y는 , , , U, 이므로 가능한 #의 원소도 , ,
, U, 이다.
   
"$Δ이므로 , , , 이 #의 원소이므로 , , , 은 기약분수이다.
O O O O
"#  #$ # "$ # 따라서 O은 의 배수가 아니다.
그런데 "#  #$ "#$이므로 
이 #의 원소이므로 은 기약분수이다. 따라서 O은 의 배수
O "#$ O "# O #$ O # O
 O # ∴ O #   가 아니다. U
  
, , 는 #의 원소가 아니므로 , , 는 기약분수가 아니
O O O
O "$ 이면 O "#$ 이므로
다. 따라서 O은 의 배수이다.
O "#$ O " O # O $

O "# O #$ O "$ 는 #의 원소가 아니므로 는 기약분수가 아니다. 따라서 O은
O
O "#$ 의 배수이다. U
O " O # O $ 따라서 조건을 만족시키는 O의 최솟값은 이다. U
O "# O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O " O # O "# O이 의 배수, 의 배수가 아님을 알기 40%
O # O $ O #$ O # O이 의 배수, 의 배수임을 알기 40%
O "# O #$ O # O의 최솟값 구하기 20%

∴  O # , O #  

08 I. 집합과 명제

⤿⥗⥸⥇⥏⤼⥗⤿⥡⥸⥎⥏⥎⥐⥅⥓⥫QVLJ  !࿼ፎ"
03 06
 [전략] 주어진 조건들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다.
[전략] 예를 들어 "이면 "이다.

 " #$ \, , ^을 벤다이어 U
이와 같이 Y, , , U을 대입할 때, "인 경우부터 찾는다.
Y A B
 그램으로 나타내면 오른쪽과 같다. 2
이 자연수이면 Y는 의 약수이다. 5
Y 10

"이면 ", "이면 ", "이면 "


"이면 ", "이면 " C
따라서 "의 원소는 의 약수이고 과 , 와 은 쌍으로 있어 A-{BÕC}

야 한다. " #$ \, , , , ^을 벤다 U


A B
Œ 가 없는 경우 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으므로 2
\, ^, \, ^, \, , , ^ 5
빗금친 부분의 원소는 , 이다. U❶ 10
 가 있는 경우
\^, \, , ^, \, , ^, \, , , , ^
C
Œ, 에서 "의 개수는   ①
A-{BÖC}

#$\, , ^를 벤다이어그램으로 U


A B
나타내면 그림의 색칠한 부분이므로 2 9 3
5
04 ❶의 결과에서 10 6
[전략] 약수가 개이면 소수이고, 약수가 개이면 소수의 제곱수이다. 1
 "# ,  "$
O "Q , O "R 이므로 Q, R는 소수이고, ∴ "# $
C
O "S 이므로 S는 소수의 제곱수이다. \, , , , , ^
Œ SL L는 L Q, L R인 소수 일 때

QRSQRL 의 약수의 개수는 \, , , , , ^
      

 SQ 일 때
QRSQR의 약수의 개수는
07
     [전략] 공통부분이 있으면
Ž SR일 때 "#  "$#  ""$ #

QRSQR 의 약수의 개수는 와 같이 분배법칙을 이용하여 묶는다.

     주어진 식 \ ""$ #^\ "$" # $^


Œ, , Ž에서 O "QRS  또는 O "QRS  ,   Δ#  Δ# $
## $6 ⑤

05
$ $
[전략] "#  " # 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고
08
, , 과 ", #의 원소를 비교한다.
[전략] 집합의 연산 법칙을 이용하여 정리한다.
"# $  "$# 를 벤다이어그램 U 차집합은 교집합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A B
으로 나타내면 그림의 색칠한 부분이다. ① "#  "$  "# $  "$ $
따라서 , , 은 색칠한 부분의 원소 " # $$ $
$
이다. " #$
", "이므로 " #$
Œ B일 때 ② "# $ "# $ $ $
B이므로 B 는 6의 원소가 아니다. " # $$ $
$
 B 일 때 " #$
B이므로 B, BB이고 조건을 만족 " #$
시킨다. ③ \ "#  "$# ^#
Ž BB일 때 \ "#  "# $ $^#
B†`이므로 B†`은 6의 원소가 아니다. \ "#  "# $^#
Œ, , Ž에서 B ④ 6##

01. 집합 09

⤿⥗⥸⥇⥏⤼⥗⤿⥡⥸⥎⥏⥎⥐⥅⥓⥫QVLJ!  !࿼ፎ"
정답 및 풀이

④ \" "# $^\ #" "^ G Y  YB ™AB™A B 이므로


\" "# $ $^\ #"$ "^ Œ B일 때 y y=f{x}
$ $
\" " # ^\# " " ^ G  에서 B 
\ ""$  "# ^ #Δ 
∴  B a
Δ "# Δ 
O 2 x
"#
⑤ "#  "# $  B일 때 y
y=f{x}

 "#  " # $ $ G  에서 B

\ "# "$^\ "# # $^ 


∴ B a

$ $ $ $ O 2 x
\ ""  #" ^\ "#  ## ^
$ $
\Δ #" ^\ "# Δ^
Ž ƒBƒ일 때 y
 "#  #" y=f{x}

B B 이므로
따라서 옳은 것은 ①, ⑤이다. ①, ⑤
B  B 
⑤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 B
U U U ƒBƒ이므로 ƒBƒ O a 2 x
A B A B A B
Ö =
   
Œ, , Ž에서  B  B
   

AÕB {AÖB}C {AÕB}Ö{AÖB}C


U U U 11
A B A B A B
[전략] " #이면 "의 원소가 #의 원소이다.
Õ =
ㄱ. "\, ^, #\, ^이므로 "과 #는 서로소이다.

A-B B-A {A-B}Õ{B-A}
ㄴ. OƒL이면 O 이하의 소수가 L 이하의 소수이므로 "O "L이
다. 참
ㄷ. #N #O이면 N의 약수가 O의 약수이다.
09 따라서 N은 O의 약수이고, O은 N의 배수이다. 참
[전략] G Y H Y 
 G Y 
H Y 
에서 좌변을 전개하여 간단히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정리한다.
  
G Y H Y  G Y H Y 에서
 
12
G Y H Y G Y H Y G Y H Y
[전략] Q"O Q는 소수 이면 Q와 O은 서로소이므로
 
 G Y H Y O은 Q의 배수가 아니다.
G Y H Y G Y H Y  "\, , , ^, "\, , , ^이므로
∴ G Y  또는 H Y  또는 G Y H Y  U ""\, ^
따라서 # "이고 G Y H Y 의 해가 없을 때 곧, ""L\, ^이고 "\, ^이므로 "L는 과 을 포
O $ 는 최소이고, 최솟값은 이다. U 함하면 된다. 따라서 L는 의 배수가 아니고 L이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이상  이하의 자연수 중 의 배수는 개이므로 L의 개수는
G Y H Y  G Y  H Y 
정리하기 50%  ②
O $ 의 최솟값 구하기 50%


13
[전략] 예를 들어 과 서로소인 수는 와 의 배수가 아니다.

ㄱ. ™A이므로 와 서로소이면 의 배수가 아니다.


10 따라서 "의 원소는 와 서로소인 수이므로 "" 참
[전략] Y™ABY B 의 해를 바로 구할 수 없으므로 ㄴ. "의 원소는 과 서로소이므로 의 배수가 아닌 수이고,
ZY™ABY B 의 그래프를 이용한다. "$는 의 배수의 집합이다.
Y™AYƒ에서 ƒYƒ이므로 "\Y]ƒYƒ^ "의 원소는 와 서로소이므로 의 배수가 아닌 수이고,
G Y Y™ABY B 이라 하자. "$는 의 배수의 집합이다.
"#Δ이므로 " #이고, ƒYƒ일 때 G Y 이다. 따라서 "$"$는 의 배수의 집합이다.

10 I. 집합과 명제

⤿⥗⥸⥇⥏⤼⥗⤿⥡⥸⥎⥏⥎⥐⥅⥓⥫QVLJ  !࿼ፎ"
"은 과 서로소이므로 의 배수도 아니고 의 배수도 아닌 Œ O "#9 일 때
수이다. \, ^ 9이고 m9인 9는  (개)
따라서 "\, , , , , U^ \, ^ 9이고 m9인 9는  (개)
"$\, , , , , U^ \, ^ 9이고 m9인 9는  (개)
∴ "$"$ "$ 거짓 ∴  
ㄷ. """이므로 """  O "#9 일 때
그런데 와 의 최소공배수가 이다. 거짓 \, , ^ 9이므로  (개)
옳은 것은 ㄱ이다. ① Œ, 에서   ⑤

ㄱ. "\, , , , U^, "\, , , , U^ ∴ ""


ㄴ. "$\, , , , , , U^ 17
"$"$\, , , , , , U^ [전략] 가장 작은 원소가 , , 인 경우로 나누어 구할 수도 있고,
ㄷ. N, O의 최소공배수가 M일 때, "N"O"M이다.
G " , , 인 경우로 나누어 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M이 "N"O"L를 만족시키는 최솟값은 아니다.
Œ "의 가장 작은 원소가 일 때
, 은 포함하고 , 는 포함하지 않는 "의 개수는
14 
$
[전략] $의 원소가 "#, "#, #", "# 의 원소를 포함할 때,  "의 가장 작은 원소가 일 때
$" $# 가 성립하는지 조사한다.
은 포함하지 않고 , 을 포함하는 "의 개수는
나 은 "#의 원소이므로 나 이 U
4 6 
$의 원소이면 나 은 $"의 원소이 A B
1 3 , 은 포함하지 않고 , 은 포함하는 "의 개수는
2
지만 $#의 원소가 아니다. 5
8 7 9 
는 "#의 원소이므로 가 $의 원소 10 Ž "의 가장 작은 원소가 일 때
이면 는 $"와 $#의 원소이다.
, 는 포함하고 , 을 포함하지 않는 "의 개수는
나머지 원소가 $의 원소일 때, $"의 원소가 아니므로

$" $# 가 성립한다.
, 은 포함하고 을 포함하지 않는 "의 개수는
따라서 $는 와 을 포함하지 않고, 나머지 원소는 포함해도 되

고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 을 포함하는 "의 개수는
$의 개수는  ⑤

Œ, , Ž에서 "의 개수는
15       ①
[전략] 짝수인 원소를 한 개는 포함한다.
전체에서 와 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빼거나 Œ G " 일 때
와 를 포함하는 경우를 나누어 구한다.
"의 가장 큰 원소가 , 가장 작은 원소가 이므로 , 을 포
원소의 곱이 짝수이면 짝수를 하나라도 포함한다.
함하면 된다.
따라서 공집합이 아닌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원소가 모두 홀
따라서 "의 개수는 
수인 집합의 개수를 빼면 되므로
 G " 일 때
    
"의 가장 큰 원소가 , 가장 작은 원소가 이면 , 을 포함
하고 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의 개수는
를 포함하고 를 포함하지 않는 집합의 개수는 

를 포함하고 를 포함하지 않는 집합의 개수는 
"의 가장 큰 원소가 , 가장 작은 원소가 이면 , 을 포함
, 를 모두 포함하는 집합의 개수는 
하고 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의 개수는
∴  

Ž G " 일 때
16 "의 가장 큰 원소가 , 가장 작은 원소가 이면 , 를 포함
[전략] "#를 구하고, O "#9 가 , , U일 때로 나누어 하고 , 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의 개수는
집합 9의 개수를 구한다. 
"99이므로 9 " "의 가장 큰 원소가 , 가장 작은 원소가 이거나 "의 가장
또 "#\, , ^이므로 O "#9 y이면 큰 원소가 , 가장 작은 원소가 일 때도 "의 개수는 각각 
O "#9  또는 O "#9  Œ, , Ž에서 "의 개수는  @ @

01. 집합 11

⤿⥗⥸⥇⥏⤼⥗⤿⥡⥸⥎⥏⥎⥐⥅⥓⥫QVLJ  !࿼ፎ"
정답 및 풀이

18  가장 큰 원소가 일 때
[전략] "9의 원소의 합이 #9의 원소의 합보다 U 가장 큰 원소가 이면 을 포함하고 와 는 포함하지 않는다.
A B
크려면 그림에서 ❶ 부분의 원소의 합이 ❷ 부분 곧, \, ^의 원소가 적어도 개 있는 부분집합에 을 더한 것
❶ ❷
의 원소의 합보다 커야 한다.
이므로 (개)
9가  또는 를 포함하는지를 기준으로 경우를
나눈다. X 따라서 가장 큰 원소의 합은 @
❶에는 , , ❷에는 , 가 올 수 있다. Ž 가장 큰 원소가 일 때
Œ 9가 와 를 모두 포함할 때 가장 큰 원소가 이면 는 포함하고 는 포함하지 않는다.
❷의 원소가 없으므로  또는 이 ❶의 원소이면 된다. 곧, \, , ^의 원소가 적어도 개 있는 부분집합에 를 더한
9가 , 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9의 개수는 것이므로 (개)
 따라서 가장 큰 원소의 합은 @
9가 을 포함하고 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9의 개수는  가장 큰 원소가 일 때
 가장 큰 원소가 이면 를 포함한다.
9가 을 포함하고 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9의 개수는 곧, \, , , ^의 원소가 적어도 개 있는 부분집합에 를

 더한 것이므로 (개)
따라서 9의 개수는    U 따라서 가장 큰 원소의 합은 @
 9가 를 포함하고 를 포함하지 않을 때 Œ~에서
❷의 원소가 이므로 ❶에 이 있어야 하고 9가 을 포함하     
지 않는다.
따라서 9의 개수는  U
Ž 9가 를 포함하지 않을 때
❷는 를 포함하므로 "9의 원소의 합이 #9의 원소의
합보다 클 수 없다. U 21
[전략] 벤다이어그램을 그리고 , , 이 어디에 속하는지 생각한다.
Œ, , Ž에서 9의 개수는
, , 은 "# 또는 #" 7 9 11
  U
$ U
또는 "# 의 원소이다.
단계 채점 기준 배점 A B
9가 와 를 모두 포함할 때 9의 개수 구하기 30%
 "# 일 때 는 "# 또는 1
#" 또는 "# $의 원소이다. 3
9가 를 포함하고 를 포함하지 않을 때 9의 개수
30% 5
구하기 $
도 "# 또는 #" 또는 "#
9가 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9는 없음을 알기 30%
9의 개수 구하기 10% 의 원소일 수 있으므로 @(개)가 가능하다.
 #" ,  "# $인 경우도 개씩 가능하므로 순서

쌍 ", # 의 개수는
@ ④
19
[전략] 을 포함한 "의 개수, 을 포함한 "의 개수, U, 을 포함한 "의 개
수를 각각 생각한다.

"이고 m"인 "의 개수는 


"이고 m"인 " 중에서 "인 "의 개수는
22

[전략] 9, :의 벤다이어그램을 그리고 9:, 9:, :9의 원소를
"이고 m"인 " 중에서 , , 을 포함한 "의 개수도 각각 생각한다.
이다. 9:"인 경우에서 9:Δ인 경우를 뺀다.
따라서 4 " 의 합은 원소 의 합, 의 합, U, 의 합을 모두 합 Œ 9:"인 9, : 의 개수 X Y
한 값으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의 원소 , , , , 를 각각 ❶, ❷,
❶ ❷ ❸
@ @ @ @ @ ④ ❸ 중 어느 한 곳에 넣으면 되므로
@@@@
20  9:Δ인 9, : 의 개수
[전략] 가장 큰 원소가 , , , 인 집합의 개수를 구한다. "의 원소 , , , , 를 각각 ❶ 또는 ❸ 중 어느 한 곳에 넣
Œ 가장 큰 원소가 일 때 으면 되므로
가장 큰 원소가 인 집합은 \, ^뿐이므로 가장 큰 원소의 @@@@
합은 이다. Œ에서 인 경우를 빼면  

12 I. 집합과 명제

⤿⥗⥸⥇⥏⤼⥗⤿⥡⥸⥎⥏⥎⥐⥅⥓⥫QVLJ  !࿼ፎ"
23 26
[전략] 주어진 △의 정의를 이용하여 "△# △"를 간단히 한다. [전략] 원소의 개수를 알면 부분집합의 개수를 알 수 있으므로
$ $ $ $ 원소의 개수를 미지수로 나타낸다.
"△# △" " # "
 "# "$ O " 이므로 1 " 
 ""$  #"$ O # C, O "# D라 하면
Δ #"$ 1 # C, 1 "# D
#" 1 " 1 # 1 "# 이므로
곧, #"Δ이므로 # " U  CD
A
ㄱ. #는 "의 부분집합이므로 Œ C일 때 C C  D
B
가능한 #는  (개) 참 C 이 의 거듭제곱이 아니므로 모순이다.
ㄴ. "## 거짓  C일 때  이므로 D
ㄷ. # $"6 참 Ž C일 때   C D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⑤  C이 의 거듭제곱이 아니므로 모순이다.
Œ, , Ž에서 O " , O # , O "# 이므로
O "#   ④

24 27
G " G #
[전략] 연산 법칙을 이용하여 정리하거나 벤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전략] "# Δ이면 G "# 
G "#
조건을 찾는다.
ㄱ. 6의 모든 원소들은 보다 크므로 " #이면
"△# "# $  #"$
G " ƒG # 참
 "#  #"
ㄴ. "#Δ이면 G "# 는 "와 #의 원소를 모두 곱한 값
ㄱ. "△Δ "Δ $  Δ"$  "6 Δ
이므로 G "# G " G # 참
"Δ" 참 $ $
ㄷ. "" 6, "" Δ이므로 ㄴ에 의해
ㄴ. " #이면
G 6 G ""$ G " G "$
"△# "#  #"
G 6
Δ #" #" 거짓 ∴ G "$  참
G "
ㄷ. "△#"이면 "#  #" " U❶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Y #" 이면 Ym"이므로 ❶에 모순이다.
28
곧, Y #" 인 Y가 없으므로 #"Δ
[전략] "의 원소 , 을 제외한 나머지 원소를 문자로 놓는다.
이때 ❶은 "#"이므로 #Δ 참
(다)에서 "#\, ^이므로 "\Y, Y, Y, , ^이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라 하면 U
U Y B Y B Y B  B  B
ㄷ. "△#는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이다. #<  , , , , =
A B     
곧, "△#"이므로
"#Δ, #"Δ (가)에서 "의 원소의 합이 이므로
∴ #Δ Y Y Y  
∴ Y Y Y
따라서 #의 원소의 합은
Y Y Y B  
25  B U
 
[전략] ""  "" 로 정리한 다음
"M"N은 M과 N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의 집합임을 이용한다.
그런데
"#의 원소의 합  "의 원소의 합 #의 원소의 합
"M"N의 원소는 M의 배수이고 N의 배수이므로 M과 N의 최소
 "#의 원소의 합
공배수의 배수이다.
이고, (나)에서 "#의 원소의 합은 이므로
∴ " ""  ""  ""

""  [ B]   ∴ B U

"""이고
단계 채점 기준 배점
O " , O " , O "" 
"\Y„, Ym, Yf, , ^으로 놓기 20%
이므로 #의 원소의 합 구하기 40%
O "" O " O " O " "#, "#의 원소의 합을 이용하여 B의 값 구하기 40%

   

01. 집합 13

⤿⥗⥸⥇⥏⤼⥗⤿⥡⥸⥎⥏⥎⥐⥅⥓⥫QVLJ  !࿼ፎ"
정답 및 풀이

29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전략] 4 9 , 4 9 , U, 4 9O 을 모두 구해서 합을 구하는 문제는 아니 학급 전체의 학생 수를 Y라 하고, 수학과 영어를 신청
한 학생의 집합을 ", #라 할 때, O " , O # 를 각각 30%
다. 9, 9, U, 9O에 포함된 원소의 규칙을 찾는다.
Y로 나타내기
"\, , , , , ^, #\, , , ^이므로 #와 서로소인 "$# $ 또는 "# $를 이용하여 O "# 를
20%
Y로 나타내기
"의 부분집합은 , , 를 포함하지 않는다. O "# O " O # O "# 를 이용하
30%
곧, 9, 9, U, 9O은 \, , ^의 부분집합이다. 여 Y의 값 구하기
O "# 를 이용하여 보충 수업을 신청한 학생 수
이때 원소 을 포함하는 부분집합은 \^, \, ^, \, ^, \, , ^ 구하기
20%

이므로 개이고, 마찬가지로 , 을 포함하는 집합도 각각 개씩



이다.
∴ 4 9 4 9 4 9 U 4 9O
    @ ④ 32
[전략] "△#, #△$, $△"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고
원소 을 포함하는 부분집합의 개수는 \, ^의 부분집합의 개수와 같으므로 "#$, "#$와의 관계를 생각한다.
라 해도 된다. A A A

30 B C B C B C
[전략] 예를 들어 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와 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를
AŸB BŸC CŸA
더하면 로 나눈 나머지가 이다.
이와 같이 로 나눈 나머지가 같은 수로 구분하여 합을 생각한다. "△#, #△$, $△"를 각각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
로 나누어 나머지가 , , , , 인 수의 집합을 각각 3, 3, 의 색칠한 부분이므로
3, 3, 3라 하자. O "△# O #△$ O $△"
3과 3의 원소, 3와 3의 원소를 더하면 의 배수이다. \O "#$ O "#$ ^
또 3의 두 원소를 더하면 의 배수이다.   \O "#$ ^
따라서 3과 3의 원소가 동시에 4의 원소일 수 없고, 3와 3 ∴ O "#$  ②
의 원소가 동시에 4의 원소일 수 없다.
또 3의 원소는 개가 4의 원소일 수 없다.
33
6가  이하의 자연수의 집합이므로 [전략] 주어진 조건을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후
O 3 O 3 , O 3 O 3  O $ "# 가 최소가 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따라서 4가 3, 3의 원소를 모두 포함하고 3의 원소를 하나 A
$ "# 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
만 포함할 때 O 4 가 최대이고, 최댓값은 이다. ④
면 그림의 색칠한 부분이고, O $ 이
므로 ❶과 ❷의 원소의 개수가 최대일 때 11 ❶
4
O $ "# 가 최소이다. ❷
31 B C
O " 이므로 ❶의 원소의 개수의
[전략] 비율이 주어진 경우 학급 전체의 학생 수를 Y라 하고
주어진 조건을 Y로 나타낸다. 최댓값은
   
학급 전체의 학생 수를 Y라 하고, 수학을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O # 이므로 ❷의 원소의 개수의 최댓값은
", 영어를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라 하면
   
 
O 6 Y, O "  Y, O #  Y
  O $ 이므로 O $ "# 의 최솟값은
      ④
O "#  Y, O "$# $  U

O "$# $ O "# $
O 6 O "# 이므로
O "# Y U 34
O "# O " O # O "# 이므로 [전략] 그림에서 Y Z [의 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A
주어진 조건을 B, C, D, Y, Z, [로 나타낸다. a
  
Y Y Y Y x z
   탁구, 배드민턴, 테니스를 좋아하는 학생의 6
YY YY 집합을 각각 ", #, $라 하자. b y c
B C
∴ Y U O "#$ 이므로 그림과 같이 을
따라서 방과 후 보충 수업을 신청한 학생 수는 쓰고 나머지 영역의 원소의 개수를 B, C, D, Y, Z, [라 하자.
O "# Y U 이때 Y Z [의 값을 구하면 된다.

14 I. 집합과 명제

⤿⥗⥸⥇⥏⤼⥗⤿⥡⥸⥎⥏⥎⥐⥅⥓⥫QVLJ  !࿼ፎ"
O "#$ 이므로 
또 O "#$ B C D Y Z [ V
Y Z [ B C D  U❶ 

또 O " , O # , O $ 이므로    


 V V V V
   
B Y [ , C Y Z , D Z [  $
O "#$ 이므로
변변 더하면

B C D  Y Z [  U❷ V V ∴ V

❷❶을 하면 Y Z [  따라서 두 가지 안만 좋아하는 학생 수는
∴Y Z [ ② 
Y Z [ V 

"#$6이므로 O "#$ 
또 조건에서
O "#$ , O " , O # , O $  36
[전략] 6의 원소가 양수이므로 "#의 원소의 개수가 최대, 최소인 경우로
종목만 좋아하는 학생 수를 U라 하면
나누어 생각한다.
U\O "# O "#$ ^
Œ 6의 원소가 양수이므로 O "# 가 최대일 때만 "#의
\O #$ O "#$ ^
원소의 합의 최댓값을 생각하면 된다.
\O $" O "#$ ^
O " O # 이므로 "#"일 때 O "# 는 최대
O "# O #$ O $" @
이고, 최댓값은 O "# 이다.
그런데
따라서 "#\, , , ^일 때 "#의 원소의 합이
O "#$ O " O # O $
최대이고 최댓값은    
O "# O #$ O $"
 6의 원소가 양수이므로 O "# 가 최소일 때만 "#의
O "#$
원소의 합의 최솟값을 생각하면 된다.
이므로
O "# O " O # O "# 에서
   U   ∴ U
O " , O # , O 6 이므로 O "# 의 최
댓값은 이고 O "# 의 최솟값은  이다.
따라서 "#\, ^일 때 "#의 원소의 합은 최소이
35
고, 최솟값은  
[전략] 전체 학생 수를 V라 하면 ", #, $ 모두 좋아 U{u}
16 u
 A 100 Œ, 에서 "#의 모든 원소의 합의 최댓값은 이고, 최솟
하는 학생 수는 V이다.
 값은 이다. 최댓값 : , 최솟값 : 
x z
그림과 같이 쓰고 Y Z [의 값을 구한다.
y
", #, $를 좋아하는 학생의 집합을 각각 ", B C

#, $라 하자.
전체 학생 수를 V라 하면

O "#$  V U{u}
 A 21
 a
그림과 같이 V를 쓰고 나머지 부분
 x z
16 u
의 영역의 개수를 B, C, D, Y, Z, [라 하자. 100 step 최상위 문제 18~19쪽
b y c
한 가지 안만 좋아하는 학생이 전체의 B C
01 ④ 02  03 ② 04  05 
A이므로 06 ⑤ 07 ③ 08 최댓값 : , 최솟값 : 

B C D V U❶
 01
   [전략] 가능한 Y Z의 값을 모두 구하고 중복에 대해서 생각한다.
O "  V, O #  V, O $  V이므로
  
"\, , , , B^, #\, , ^이므로
   
B Y [ V V, C Y Z V V 9\, , , , , , , , B , B , B ^
   
  이때 O 9 이므로 B , B , B  중 하나만 에서
D Z [ V V
  까지의 값이다.
  B , ƒB ƒ 또는 ƒB ƒ, B 
변변 더하면 B C D  Y Z [ V V
 
∴ ƒB 또는 Bƒ

❶을 대입하고 정리하면 Y Z [ V B는 정수이므로 B, , , 이고, 합은 이다. ④


01. 집합 15

⤿⥗⥸⥇⥏⤼⥗⤿⥡⥸⥎⥏⥎⥐⥅⥓⥫QVLJ  !࿼ፎ"
정답 및 풀이

# """""
B , B , B  중 하나가 에서 까지의 값이므로  #"  #" U #"
B  또는 B  또는 B  또는 B  이므로
∴ B, , ,  Œ Y #" 일 때
Y#에서 YY이므로 Y의 정수 부분은 이다.
02  
Y"에서 Y[Y] 이므로 Y의 소수 부분은 이다.
[전략] YšA의 한 허근을 T라 하고 ", #, $의 원소를 T로 나타낸다.  
그리고 T가 Y™A Y 의 근임을 이용하여 T와 T의
• 관계를 구한다. ∴ Y Å
 
Y 에서 Y Y Y  
 Y #" 일 때
Y Y 의 한 근을 T라 하면 나머지 한 근은 T이
• 다.
Y#이므로 Y의 정수 부분은 이다.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T T• U❶ Y"에서 Y[Y] 이므로 Y의 소수 부분은 이다.
 
T는 Y Y 의 근이므로 ∴ Y Å
T T  U❷ U

❶, ❷에서 T•T Ž 같은 이유로 Y #" 이면 Y

∴ "\, T, T^
Y #" 이면 Y Å
T@TT, T@TTTT이므로

#\, T, T^ Y #" 이면 Y

 TT,  TT, T T이므로
Œ, , Ž에서
$\, T, T, , T, T^ U
# """""
#$Δ이고
    
#의 원소의 합은  T T < , , , , =
    
$의 원소의 합은  T T     
∴ B
∴ #$의 원소의 합  #의 원소의 합     

$의 원소의 합          
 이므로
         
 U
<B>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A Y 의 한 근이 T일 때
30%
T T•, T™A T 임을 알기
05
T를 이용하여 ", #, $ 구하기 50%
[전략] 4의 원소 중 서로소가 아닌 수는 , , , 과 , , 이다.
#$의 원소의 합 구하기 20%
이를 이용하여 분류한다.

, , ,  중 두 개 이상은 동시에 9의 원소가 될 수 없다.
또 , ,  중 두 개 이상은 동시에 9의 원소가 될 수 없다.
03
Œ 9일 때
[전략] "이면 m"이고 "일 수 있고,
"이면 m"이고 "일 수 있다. 9의 나머지 원소는 , , , ,  중 하나 이상이고 , 는 동
B"이면 Bm"이다. 시에 포함하지 않으므로 9는   (개)
"의 원소의 개수가 최대일 때 B"이고 Bm"이다. 마찬가지로 9, 9일 때 각각 개씩이다.
또 B"이고 Bm", B"이다.  9일 때
따라서 6의 원소에서 의 배수를 빼고, 9의 나머지 원소는 , ,  중 하나 이상이므로 9는
의 배수를 넣고 의 배수를 빼고,  (개)
의 배수를 넣고 의 배수를 빼고, Ž 9일 때
의 배수를 넣으면 "의 원소의 개수가 최대이다. 짝수가 원소인 경우는 Œ에 속하므로 나머지 원소는 , , 
∴     ② 중 하나 이상이다. 곧, 9는  (개)
마찬가지로 9일 때 개이다.
04  m9이고 m9일 때
[전략] Y가 양수일 때 Y"이면 Y[Y]  이므로
 짝수가 원소인 경우는 Œ에 속하므로 9의 원소는 , ,  중


개 이상이다. 따라서 9는
Y의 소수 부분은 이다.
     (개)
Y#이면 YY이므로 Y의 정수 부분은 이다. Œ~에서 @  @  

16 I. 집합과 명제

⤿⥗⥸⥇⥏⤼⥗⤿⥡⥸⥎⥏⥎⥐⥅⥓⥫QVLJ  !࿼ፎ"
08
Ž,  홀수로만 이루어져 있을 때 , 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원소가 개 [전략] 그림에서 색칠한 부분의 원소의 개수가 U
이하인 경우를 제외해야 하므로 9의 개수는 A
최대 또는 최소인 경우를 생각한다.
 
    
학생 전체의 집합을 6, 봉사 활동 ", #,
30
$를 신청한 학생의 집합을 각각 ", #, $
06 라 하면
B C

[전략] "#의 원소 , 와 #"의 원소 에 주의하면서


O 6 , O " ,
9"와 9#의 원소의 합을 생각한다.
O # , O $ ,
ㄱ. 94일 때
O "#$ 
9"\, , , U, ^이므로
", #, $를 모두 신청하지 않은 학생 수를 Y라 하면
G" 9  $
O "#$ Y
9#\, , , , U, ^이므로
또 그림과 같이 U
G# 9  A
x
O "#  "#$ B,
따라서 G" 9 G# 9 이므로 45 참
O #$  "#$ C, a c
ㄴ. 95이면 G" 9 G# 9 30
O $"  "#$ D
Y가 9의 원소일 때 Yy이면 Y 9" 이고 b
라 하면 B C
Y 9# 이다.
O "#$
또 9"와 9#가 을 포함할 수 없다.
   B   C   D  
Y 또는 Y이면 Y 9# 이지만 Ym 9" 이다.
 B C D
따라서 G" 9 G# 9 이려면 9이고 9# Δ이
∴ Y\ B C D ^
다. 참
 B C D U❶
ㄷ. ㄴ에서 95이면 9이다.
ŒB C D가 최대이면 Y가 최대이다.
 또는  이상의 수는 9의 원소이어도 되고 아니어도 된다.
B C ƒ, C D ƒ, D B ƒ
과 가 9의 원소이면 9"의 원소가 아니고 9#의
곧, B Cƒ, C Dƒ, D Bƒ이므로
원소이지만  이므로 과 는 9의 원소이어도 된다.
 B C D ƒ, B C Dƒ
따라서 9는 를 포함하는 4의 부분집합이므로 개수는
B C D의 최댓값은 이고, ❶에서 Y
이다. 참
B C D가 최소이면 Y가 최소이다.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BCD일 때 B C D는 최소이고, ❶에서 Y
Œ, 에서 Y의 최댓값은 , 최솟값은 이다.
07 최댓값 : , 최솟값 : 
[전략] 4 # 4 $ 에서 #의 원소는 두 번씩 더해진다.
따라서 $#의 원소를 생각한다.

# $이므로 4 # 4 $ 4 # 4 $#


4 # 4 $ 와 4 # 는 짝수이므로 4 $# 가 짝수이다.
Œ $#\, , , ^일 때 #Δ이므로 개
 $#\, , ^일 때 #\^이므로 개
$#\, , ^일 때 #\^이므로 개
Ž $#\, ^일 때 #는 \,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이므로 
$#\, ^일 때 #는 \,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이므로 
 $#\^일 때 #는 \, ,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이므로 
$#\^일 때 #는 \, ,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이므로 
 $#Δ일 때 #는 \, , ,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
합이므로 
Œ~ 에서 순서쌍 #, $ 의 개수는
 @ @  ③

01. 집합 17

⤿⥗⥸⥇⥏⤼⥗⤿⥡⥸⥎⥏⥎⥐⥅⥓⥫QVLJ  !࿼ፎ"
정답 및 풀이

02. 명제 05
QA:A Y 
Z 에서 Y, Z가 정수이므로
Y  Y 
step 기본 문제 21~25쪽 < 또는 <
Z  Z 
01 ③, ⑤ 02 ③ 03 ④ 04 ① 05  Y† Y
06 ƒBƒ 07 ③ 08 ②, ④ 09 ④ 10 ④ < 또는 <
Z Z†
11 ③ 12 ƒLƒ 13 ③ 14 ②
ƒYƒ, ƒZƒ이므로
15 L 16 ③ 17 ①, ④ 18 ①
19 Bƒ 20 ① 21 ② Y, Z  ,  , ,  , ,  , , 
22 B 23 ④ RA:AZY에서 ƒYƒ, ƒZƒ인 정수이므로
24 B, C, D 또는 B, C, D Y, Z  ,  , ,  , , 
25 ③ 26 ②, ③ 27 ④ 28 ② 29 ②
_Q이고 _R의 진리집합은 1$2$ 12 $

30  31 ④ 32 풀이 참조 33 ②
O 1 , O 2 , O 12 
34 풀이 참조 35 ③ 36 ④
이므로
01 O 12 O 1 O 2 O 12
① [반례] 은 의 약수이지만 의 약수가 아니다. 거짓  
② [반례] 세 변의 길이가 , , 이면 이등변삼각형이지만 정삼각 전체집합을 6라 하면 O 6 @이므로
형이 아니다. 거짓 O 12 $
O 6 O 12  
③ 참
④ [반례] Y이면 Y이지만 Y 이다. 거짓 06
 
⑤ B, C가 실수일 때, B C 이면 Q, R의 진리집합을 1, 2라 하면
B이고 C이므로 B C이다. 참 1\Y]Yƒ 또는 Yy^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③, ⑤이다. ③, ⑤ 2\Y]BYB ^
_Q) Z)R가 참이면 1$ 2이고 1$\Y]Y^이므로
아래 그림에서
02
Bƒ이고 B y ∴ ƒBƒ
① [반례] Y 이면 Z으로 유리수이다. 거짓
Q
② [반례] Y 이면 Z 로 무리수이다. 거짓 PC
③  가 무리수이고,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은 무리수이다. 참 x
a-1 0 1 a+1 ƒBƒ
④ [반례] Y이면 Z 이므로 Y Z 는 무리수이다.
거짓
07
⑤ [반례] Y 이면 Z이므로 Y Z 는 무리수이
Q) Z)_R가 참이므로 U
다. 거짓 $ P Q
1 2 ∴ 12Δ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③이다. ③
따라서 옳은 것은 ③이다. ③

유리수 유리수  유리수 , 유리수 무리수  무리수

08
03 ① 1$ž2이므로 거짓
Y™A Z™A [™A은 Y이고 Z이고 [이므로 ② 3$ 2$이므로 참
부정은 Y  또는 Z  또는 [ 이다. ③ 1ž3$이므로 거짓
곧, Y, Z, [ 중 적어도 하나는 이 아니다. ④ ④ 13 2$이므로 참
⑤ 12 ž3이므로 거짓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②, ④이다. ②, ④
04
조건 Q, R, S의 진리집합 1, 2, 3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과 같다. 09
Q _Q) Z)_R가 거짓이면 1$ž2$이므로 1$의 원소 중 2$의
R 원소가 아닌 것이 있다.
P P
-3 -2 4 7 x 따라서 _Q) Z)_R가 거짓임을 보일 수 있는 원소가 속하는
그림에서 1 2이므로 Q) Z)R는 참이다. 집합은
1ž3, 2ž1, 2ž3, 3ž1이므로 나머지는 거짓이다. ① 1$ 2$ $1$221 ④

18 I. 집합과 명제

ጄ73QVLL  ࿼႖"
Œ L일 때, Q
$
P
QA ZAR가 거짓임을 보이는 반례는 1212 의 원소이다. L 이므로
k-2 -3 k+3 5 x
L
 Ly일 때, Q
10 P
① [반례] Y이면 Y™A이다. 거짓 L이므로
 ƒL -3 k-2 5 k+3 x
② Y 인 원소 Y가 없다. 거짓
③ [반례] Y이면 |Y |이다. 거짓 Œ, 에서 L L
 
④ Y, Z이면 Y Z 이다. 참
⑤ [반례] Y, Z이면 Y Z이다. 거짓
16
따라서 참인 명제는 ④이다. ④ 1의 원소 중 적어도 하나는 의 배수이다.
6의 원소 중 의 배수는 , 이므로

11 Œ 1, m1인 1의 개수는 ™A


부정은  m1, 1인 1의 개수는 ™A
‘어떤 여학생은 아이스크림을 좋아하지 않는다.’ Ž 1, 1인 1의 개수는 ™A
이므로 옳은 것은 ③이다. ③ Œ, , Ž에서 1의 개수는 ™A@ ③

6의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에서 , 을 원소로 갖지 않는 부분집


12 합의 개수를 빼면
부정은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ALYL y이다.’

이 명제가 참이면
%
L™A Lƒ
 17
∴ ƒLƒ ƒLƒ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반례] Y이면 의 배수이지만 의 배수가 아니다. 거짓
② 참
13
③ 참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조사하면 다음과 같다.
④ [반례] Y이면 Y™AY이지만 Y이다. 거짓
ㄱ. [반례] Y이면 Y 이다. 거짓
⑤ 참
ㄴ. 참
 원 명제가 거짓이면 대우도 거짓이다.
ㄷ. Y 인 실수는 없다. 거짓
따라서 대우가 거짓인 명제는 ①, ④이다. ①, ④
원래 명제가 거짓이면 부정이 참이다.
따라서 부정이 참인 명제는 ㄱ, ㄷ이다. ③
③ YZ 이면 Y 이고 Z 이다.
④ Y™AY이면 Y 또는 Y이다.
참, 거짓을 판단하기 쉽지 않은 경우에는 부정의 참, 거짓을 조사해도 된다.

18 
14 ㄱ. 역A:AO이 자연수일 때, O이 홀수이면 O은 홀수이다. 참
Œ ‘Y인 어떤 실수 Y에 대하여 Y B’에서
ㄴ. 역A:AN, O이 자연수일 때, NO이 짝수이면 N O은 짝수이다.
YB인 양수 Y가 하나라도 있으므로
N이 짝수, O이 홀수이면 NO은 짝수이지만 N O은 홀수
B ∴ B
이다. 거짓
 ‘Y인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Bƒ’에서
ㄷ. 역A:AY, Z가 실수일 때, Y Z이면 YZ이다.
모든 Y인 Y에 대하여 YƒB 이므로
Y, Z이면 Y Z이지만 YZ이다. 거짓
B y ∴ By
따라서 역이 참인 명제는 ㄱ이다. ①
Œ, 에서 ƒB ②

19
15 Q) Z)_R가 참이므로 1 2$ QC
QA:A Y  Y 에서 1\Y]Y^ 2$\Y]BYƒ^이므로 P

또 2\Y]LYƒL ^ 그림과 같이 -a -3 a 4 x
2
‘어떤 Y에 대하여 Q이고 R이다.’가 참이려면 B
B이고 ƒ ∴ Bƒ Bƒ
Q이고 R를 만족시키는 Y가 있으므로 12 Δ 

02. 명제 19

⤿⥗⥸⥇⥏⤼⥗⤿⥡⥸⥎⥏⥎⥐⥅⥓⥫QVLJ!  !࿼ፎ"
정답 및 풀이

20 24
대우 ‘YB이면 YY 이다.’가 참이므로 Q는 R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므로 12

B B  QA:A Y  Y 에서 1\, ^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B의 값의 합은 이다. ① 따라서 삼차방정식 Y BY CY D의 해가 , 이다.
B, C, D가 실수이므로  또는  중 하나가 중근이다.

21 Œ 가 중근일 때
① Y™A Y이면 Y 또는 Y Y BY CY D Y  
Y

곧, Q11)R, Q11)R이므로 충분조건  Y Y  Y
② YZ이면 Y 또는 Z Y YY
Y Z이면 Y이고 Z ∴ B, C, D
곧, Q11R, Q11)R이므로 필요조건  이 중근일 때
③ Q11)R, Q11)R이므로 필요충분조건 Y BY CY D Y  Y 


Y Y  Y  Y Y 
④ YZ이면 < 또는 <  
Z Z Y Y Y 
곧, Q11)R, Q11)R이므로 충분조건 ∴ B, C, D
[반례] Y, Z이면 Y 또는 Z이지만 YZ B, C, D 또는 B, C, D
이다. 곧, R) Z)Q는 거짓이다.
⑤ 는 의 배수이지만 의 배수는 아니다. 25
곧, Q11)R, Q11)R이므로 충분조건 ② _R11)Q이므로 _Q11)R
_S11)_R이므로 R11)S
① 1\^, 2\, ^ _Q11)R이고 R11)S이므로 _Q11)S
곧, 1 2이므로 충분조건 _Q11)S이므로 _S11)Q ③
⑤ 1\, , , , U^, 2\, , , , U^
곧, 1 2이므로 충분조건 원 명제가 참이면 대우도 참이라는 것과 삼단논법을 이용한다.
삼단논법 Q11)R, R11)S이면 Q11)S

22
QA:A Y  Y 에서 1\Y|Y^ 26
RA:A Y  Y ƒ에서 2\Y|ƒYƒ^ C   
① BBC C[B ] C y 참
 
SA:AƒYBƒ에서 3\Y|BƒYƒB ^
P
R 등호는 BC일 때 성립한다.
Q
-5 -4 2 a+6 8 x ② [반례] B, C이면 성립하지 않는다.
a-6

Œ S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3 1
B, C이면 B CyB`C
B이고 B  ∴ B
③ B™A C™A D™ABCCDDB
 S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므로 2 3

Bƒ이고 B y ∴ ƒBƒ  \ BC ™A CD ™A DB ™A^y

Œ, 에서 B B
곧, BCD일 때는 등호가 성립한다. 거짓
④ 참
23 ⑤ 참
QA:AB이고 C 따라서 참이 아닌 부등식은 ②, ③이다. ②, ③
RA:A BC 에서 BC
SA:AB CBC 또는 B C BC 에서
B 또는 C
ㄱ. 3ž2, 2ž3이므로 아무 조건도 아니다. 거짓
ㄴ. 1 2이므로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참
ㄷ. 231이므로 R이고 S는 Q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20 I. 집합과 명제

⤿⥗⥸⥇⥏⤼⥗⤿⥡⥸⥎⥏⥎⥐⥅⥓⥫QVLJ  !࿼ፎ"
절대등급 Note 29
절댓값 기호가 있는 경우 제곱하여 차를 비교한다. Y, Z는 실수이므로 Y™Ay, Z™Ay이다.
④ ]B] ]C] ™A]B C]™A Y™A Z™AyāY™AZ™A
 ]B]™A ]B]]C] ]C]™A  B C ™A y ]YZ], ]YZ]ƒ
 B™A ]BC] C™A  B™A BC C™A
∴  ƒYZƒ
 ]BC]BC y
∴ ]B] ]C] ™Ay]B C]™A 등호는 Y™AZ™A일 때 성립하고, YZ의 최솟값은  ②
]B] ]C]y, ]B C]y이므로
]B] ]C]y]B C]
단, 등호는 ]BC]BC, 즉 BCy일 때 성립 30
⑤ Œ ]B]]C]일 때 B C이므로
좌변은 양수, 우변은 음수이므로 성립한다.
B  C  C B™A  B C™A 
 ]B]y]C]일 때 
B C BC
 
]BC]™A ]B]]C] ™A 
 
 BC ™A ]B]™A]B]]C] ]C]™A  
BC B C B C

BC
 
B™ABC C™A B™A]BC] C™A 
 
 ]BC]BC y 
 U❶
∴ ]BC]™Ay ]B]]C] ™A
BC
]BC]y, ]B]]C]y이므로 B, C이므로 B CyB`C 에서 yB`C
  ]BC]y]B]]C] B`C ƒ, BCƒ
Œ, 에서
  
  ]BC]y]B]]C]  y , y 단, 등호는 BC일 때 성립
BC  BC
  단, 등호는 ]BC]BC, ]B]y]C]일 때 성립
따라서 ❶의 최솟값은   

B  C   
B C
B C B C
27  
 U❷
", #, $이므로 제곱하여 크기를 비교한다. B C
B C BBC C C B
Œ "# BC B C이고 , 이므로
  B C
BC 
   
 y [ ] B C [ ] 
 B C B C
∴ "y# 단, 등호는 BC일 때 성립 C B

     B C
B C B C
 $"  C B
B C   y |Š @ 
B C
 B C  B C  B C
  
 ❷에 대입하면
 B C 
B C \ B C  B C ^
 
B  C 
 y 
 B C  B C
B C BC 
 
[단, 등호는
C B
 , 곧 BC일 때 성립]
 y B C
 B C 
∴ $y" 단, 등호는 BC일 때 성립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Œ, 에서 #ƒ"ƒ$ ④

31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x`m

28 YAN, 세로의 길이를 ZAN라 하면 넓이


YZ이므로 는 YZAN이다. y`m

   철망의 길이가 AN이므로


[Y ][ Z]  YZ
Z Y YZ
Y Z

y |ŠYZ@ Y, Z이므로
YZ
 @ Y Zy‚Y@Z
  y‚YZ , YZƒ
[단, 등호는 YZ , 곧 YZ 일 때 성립]
YZ  ∴ YZƒ 단, 등호는 YZ일 때 성립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② 따라서 넓이의 최댓값은 AN이다. ④

02. 명제 21

⤿⥗⥸⥇⥏⤼⥗⤿⥡⥸⥎⥏⥎⥐⥅⥓⥫QVLJ  !࿼ፎ"
정답 및 풀이

그러면 N, O이 서로소인 자연수라는 가정에 모순이다.


YZ, Y Z이면 Y, Z이다. 따라서  는 무리수이다. 풀이 참조
곧,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가 AN, 세로의 길이가 AN일 때 우리의 넓이는
최대이다.

35
32 Œ 한쪽 면에 홀수가 적혀 있으면 다른 쪽 면에는 자음이 적혀 있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임을 증명한다. 어야 하므로 과 이 적힌 카드를 확인해야 한다.
‘ O이 의 배수가 아니면 O™A은 의 배수가 아니다. ’  대우는 ‘한쪽 면에 알파벳 모음이 적혀 있으면 다른 쪽 면에는
O이 자연수이고 의 배수가 아니면 짝수가 적혀 있다.’이므로 B와 J가 적힌 카드를 확인해야 한다.
OL 또는 OL L는 자연수 이다. Œ, 에서 , , B, J ③
Œ OL인 경우
OL™AL  L™AL 이고

L™AL 는 자연수이므로 O 은 의 배수가 아니다. 36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다음과 같은 경우 네 사람이 말한
 OL인 경우
내용의 참, 거짓을 확인한다.
OL™AL  L™AL  이고
Œ "인 경우 : ", $의 말이 거짓
L™AL  은 음이 아닌 정수이므로 O은 의 배수가 아
 #인 경우 : $의 말이 거짓
니다.
Ž $인 경우 : ", #, %의 말이 거짓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 %인 경우 : ", $의 말이 거짓
대우: O이 의 배수가 아니면 O™A은 의 배수가 아니다.
이 중 한 사람의 말만 거짓인 경우는 이므로 거짓말을 한 사람
㈎: L™AL, ㈏: L™AL 
은 $이고, 휴대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이다. ④

33 거짓말을 한 사람이 다음과 같은 경우 누가 휴대폰을 가지고 있


주어진 명제의 결론 ‘B, C 중 적어도 하나는 짝수이다.’를 부정할 는지 확인한다.
때 모순이 생김을 보인다. Œ " 또는 #가 거짓 : 거짓인 사람이 $ 말고도 있으므로 %에
B, C가 모두 홀수 라 가정하자. 모순
방정식 Y 
BYC의 자연수인 근을 N이라 하면  $가 거짓 : ", #, %의 말이 참이고 #가 휴대폰을 가지고 있다.
N 
BNC Ž %가 거짓 : #와 $의 말이 모순
Œ N이 홀수일 때
N은 홀수, BN은 두 홀수의 곱이므로 홀수이다.
CN BN은 두 홀수의 합이므로 짝수 이다.
따라서 가정에 모순이다.
 N이 짝수일 때
N은 짝수, BN은 홀수와 짝수의 곱이므로 짝수 이다.
CN BN은 두 짝수의 합이므로 짝수 이다.
따라서 가정에 모순이다.
Œ, 에서 B, C 중 적어도 하나는 짝수이다. ②

step 실력 문제 26~29쪽
34
 가 유리수라고 가정하면 01 ③ 02 ③, ④ 03 ③ 04 ①
O 05 L 06 ④ 07 ③ 08 ④
  N, O은 서로소인 자연수 U❶ B B
N 09 < 또는 < 10 ①, ④ 11 ", #, $, %
C C
로 놓을 수 있다.
12 ②, ⑤ 13 ②, ⑤ 14 ③ 15 ②
❶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NO U❷
16 최솟값 : , Y 17 ③
O이 짝수이므로 O은 짝수이다.  
18 최솟값 : , B  , C  19  20 ③
O이 짝수이므로 OL L는 자연수 를 ❷에 대입하면
21  22 ⑴ 풀이 참조 ⑵ 최댓값 :  , 최솟값 : 
NL, NL
23 ①
곧, N이 짝수이므로 N은 짝수이다.

22 I. 집합과 명제

ጄ73QVLL  ࿼႖"
01 04
[전략] 벤다이어그램을 그리고 진리집합의 포함 관계를 조사한다. [전략] 조건 Q의 진리집합부터 구한다.

12 3Δ이므로 전체집합을 U QA:A Y Y Y Y  에서


R

6라 하면 벤다이어그램은 그림과 같다. P Q Y Y9로 놓으면
① 1ž2 거짓 9 9  
② 2ž3 거짓 9  9 
③1 3$ 참 Y Y  Y Y 
④ 2$ž3 거짓 Y Y 은 허근을 갖는다.
$ 
⑤ 3 ž1 거짓 ③ Y Y에서 Y 또는 Y
1\, ^이고 1 2이므로
02 YLY y에 Y, Y을 대입하면 성립한다.

[전략] Q 또는 _R의 진리집합은 12
$
Y일 때,  L y
$
_Q이고 S의 진리집합은 1 3 
∴ Ly U❶
12Δ에서 1 2 

2$36에서 Y일 때, L y

23$Δ, 23Δ ∴2 3 ∴ Lƒ U❷

곧, 1 2 3이므로 136에서 36 


❶, ❷에서  ƒLƒ이므로 L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따라서 벤다이어그램은 그림과 같다. R=U
Q  
① 3ž1 거짓   ①
P
 
② 1$ž2 거짓
③ 2$ 3 참
④ 12$ 3 참
⑤ 1$3 ž2 거짓 ③, ④ 05
[전략] 부정을 구한 다음 참일 조건을 찾아도 되고,
이 명제가 거짓인 조건을 찾아도 된다.
03 ‘어떤 Y에 대하여 Q’의 부정 ‘모든 Y에 대하여 _Q’
[전략] 진리집합의 포함 관계를 이용하여 1, 2, 3 사이의 관계를 구한다. 주어진 명제의 부정
_QA Z)S가 참이므로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YLY L’
1$ 3 U❶ 이 참이므로 ƒYƒ에서 YLY L이다. U
$
S) Z)_R가 참이므로 3 2 U❷ G Y Y LY  
L 로 놓으면 y=f{x}

_S) Z)R가 참이므로 3$ 2 ∴ 2$ 3 U❸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❷, ❸에서 32$ Œ G  이므로
$ $ 0 2 x
이때 ❶은 1 2 ∴2 1 L ∴ L
또 3$2이고 2 1이므로 123$ ③  G  이므로
LL ∴ L
U U Œ, 에서 L U
P P

㉢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명제의 부정 구하기 40%

부정이 참일 때 실수 L의 값의 범위 구하기 60%
㉠ ㉡
Q R Q R
L
 [그림 ] [그림 ]
$
_QA Z)S가 참이므로 1 3
곧, [그림 ]에서 ㉠ 부분의 원소가 없다.
06
SA Z)_R가 참이므로 3 2$ [전략] 어떤 Y에 대하여 Y9이면 9 Δ
곧, [그림 ]에서 ㉡ 부분의 원소가 없다. 6의 모든 Y에 대하여 Y9이면 96
_SA Z)R가 참이므로 3$ 2 Y9인 모든 Y에 대하여 Y:이면 9 :

곧, [그림 ]에서 ㉢ 부분의 원소가 없다. (가)에서 "# Δ


$
따라서 오른쪽 [그림 ]에서 색칠한 부분의 원소가 없으므로 옳은 (나)에서 $ # ∴ #$Δ
$ $
것은 ㄱ, ㄷ이다. (다)에서 " $ ∴$ "

02. 명제 23

⤿⥗⥸⥇⥏⤼⥗⤿⥡⥸⥎⥏⥎⥐⥅⥓⥫QVLJ  !࿼ፎ"
정답 및 풀이

따라서 ", #, $를 벤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④ 역A:AB이고 C이면 |B| |C|이다. 참
U 대우A:A원 명제가 참이므로 참이다. 참
A
B ⑤ 역A:AB  또는 C 이면 BC 이다.
C
[반례] B, C이면 B  또는 C 이지만
BC이다. 거짓
① "$$, $ $
# 이므로 "$ # $ 대우A:AB이고 C이면 BC이다. 참
② #$Δ이므로 "#$Δ 따라서 역과 대우가 모두 참인 명제는 ④이다. ④
$ $ $
③ #$ Δ 6이므로 # #$ #
④ "$#$ 6 ④ ]B]y, ]C]y이므로
]B] ]C]이면 ]B]이고 ]C]
⑤ "$", "$$이므로
곧, B이고 C이다.
"$  "$ "$"$$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④
09
07 [전략] Q) Z)R의 역과 대우가 모두 참이면 1 2이고 2 1
 
[전략] ]Y] ]Z]L와 Y Z 를 동시에 만족하는 Y, Z 가 있다. 역 R) Z)Q가 참이므로 2 1
두 도형의 그래프가 만난다.
대우가 참이면 Q) Z)R도 참이다. 곧, 1 2
주어진 명제가 참이므로 좌표평면에 y ∴ 12 U
|x|+|y|=k 2
서 도형 ]Y] ]Z]L와 따라서 BYB C , C YBC B에서
x@+y@=4
원 Y Z가 만난다. BC 이고 B C BC B이다.
]Y]y, ]Z]y이므로 Ly이다. -2 O x 두 식에서 B를 소거하면
2
Œ 도형 ]Y] ]Z]L가 점 ,  C  C  C  C  C 
-2
을 지날 때 L는 최소이고 
C C ∴ C 또는 C
L이다. ∴ N B B
 직선 Y ZL가 원 Y Z와 접할 때 L는 최대이다. ∴ < 또는 < U
C C
원의 중심 ,  과 직선 Y ZL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L]
, ]L] 명제 QA ZAR의 역과 대우가 모두 참이면 12임
40%
ā  을 알기
L이므로 L ∴ . 12를 만족시키는 B, C의 값 모두 구하기 60%
   
Œ, 에서 N .    ③ B B
< 또는 <
y
C C
]Y] ]Z]L L 에서 k
Yy, Zy일 때 Y ZL |x|+|y|=k

Yy, Z일 때 YZL


Y, Zy일 때 YZL -k O k x 10
Y, Z일 때 Y ZL [전략] Q, _R, T, _S를 오른쪽과 같이 쓴다. Q 11) _R
따라서 그래프는 오른쪽과 같다. -k 그리고 11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나타내고
대우의 성질과 삼단논법을 이용한다. T _S

08 조건에서 Q11)_R, _T11)S이므로 대우를 생각하면


[전략] 대우를 구해 참, 거짓을 조사해도 되고, R11)_Q, _S11)T
Q 11 _R
대우의 참, 거짓은 원 명제의 참, 거짓과 같음을 이용해도 된다. _S11)_R일 조건을 찾아야 하므로

111

1
1
11 11

원 명제와 역이 모두 참인 명제를 찾으면 된다. Q, _R, _S, T와 참인 명제를 오른쪽과


111

① 역A:A이등변삼각형이면 정삼각형이다. 거짓 같이 나타내자. T 11) _S


대우A:A원 명제가 참이므로 참이다. 참 따라서 T11)Q 또는 _S11)Q 또는 T11)_R
② 역A:AB C이면 B이고 C이다. 이면 삼단논법에 의해 _S11)_R이다.
[반례] B, C이면 B C이지만 C이다. 거짓 또 대우 _Q11)_T 또는 _Q11)S 또는 R11)_T도 가능하
대우A:A원 명제가 참이므로 참이다. 참 다. ①, ④
③ 역A:AB이고 C이면 BC이다. 참
대우A:ABƒ 또는 Cƒ이면 BCƒ이다.
[반례] B, C이면 Bƒ 또는 Cƒ이지만 BC 11
이다. 거짓 [전략] ", #, $, %가 문제를 푼 경우를 B, C, D, E라 하고 조건을 정리한다.

24 I. 집합과 명제

⤿⥗⥸⥇⥏⤼⥗⤿⥡⥸⥎⥏⥎⥐⥅⥓⥫QVLJ  !࿼ፎ"
", #, $, %가 문제를 푼 경우를 B, C, D, E라 하자. 이때 다음 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가) B11)D PC PC PC
Q Q
(나) _C11)_D Q
(다) E11)B -3 a 2 5 x -3 2 a5 x -3 2 5 x

(라) _B 또는 C 11)E [그림 ] [그림 ] [그림 ]


(나)에서 D11)C이므로 (가), (나), (다)를 B 11 D Œ B일 때
정리하면 오른쪽과 같다. 2\Y|BƒYƒ^이고 [그림 ]에서 ƒB

11
11
(라)에서 _B이면 E이고 (다)에서 B이므로  B일 때
모순이다. E ) C 2\Y|ƒYƒB^이고 [그림 ]에서 Bƒ
C이면 E이고 B, D이다. Ž B일 때 2\^이므로 2 1$
따라서 네 학생 모두 문제를 풀었다. ", #, $, % Œ, , Ž에서 ƒBƒ
따라서 정수 B는 개이다. ③

12
[전략] Q는 R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면 1 2 15
필요조건이면 12 [전략] ", #의 대소 관계는 "#의 부호를 조사한다.
R는 _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2 1$ 근호가 있는 경우 양변을 제곱하여 비교한다.

곧, Y2이면 Ym1이므로    B C 
ㄱ. [ ]  
B C B C BC B C
12Δ
B C BC
R는 _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 아니므로 2Ÿ1$ 
BC B C
곧, Ym1이고 Ym2인 Y가 있으므로 BC 
 y
1 2$ $
Δ, 12 6 BC B C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⑤이다. ②, ⑤   
∴ y 단, 등호는 BC일 때 성립 참
B C B C
ㄴ. B C  ‚B C B uBC C B C
uBC 
13
B C  ‚B C 이므로 B C ‚B C 참
[전략] 모든 집합 $에 대하여 "$"이면 "Δ
  
모든 집합 $에 대하여 "$"이면 "6 ㄷ. Y Z [ yYZ Z[ [Y에서

① 명제도 참이고 역도 참이므로 필요충분조건이다. 참 YB , ZC , [D 를 대입하면

② 그림과 같을 때 B C
B C DyuBC uCD uDB

" #$ 이지만 A 단, 등호는 BCD일 때 성립

" #도 아니고 " $도 아니다. 등호가 성립하므로 거짓이다.

역은 성립하므로 필요조건이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③ $Δ일 때도 "$$이므로 "Δ이다. 참


④ Y "# 일 때 $\Y^이면 Y "$ 이지만
Ym #$ 이다. 16
C
따라서 "#Δ이다. [전략] Y이므로 B Y 를 포함하는 꼴로 고쳐
Y
같은 이유로 #"Δ이므로 "#이다. 참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한다.

⑤ "\, , ^, #\, ^, $\, , ^ YY  Y Y  


 Y
이면 "$ #$ 이지만 "ž#이다. 거짓 Y Y Y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②, ⑤이다. ②, ⑤ 
 Y  U
Y
Y이므로
 
14  Y y|Š Y @ 
Y Y
$
[전략] R) Z)_Q가 참이므로 2 1 이다. @  U
$
2, 1 를 구하고 수직선 위에서 비교한다.

등호가 성립하려면  Y  , Y 
R) Z)_Q가 참이므로 2 1$이다. Y
_QA:A Y  Y ƒ에서 1$\Y|ƒYƒ^ Y이므로 Y ∴ Y U
RA:A YB Y ƒ 따라서 Y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이다.

02. 명제 25

⤿⥗⥸⥇⥏⤼⥗⤿⥡⥸⥎⥏⥎⥐⥅⥓⥫QVLJ  !࿼ፎ"
정답 및 풀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 CBC이고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이용할 수 있는 꼴로 B Cy‚B@C 단, 등호는 BC일 때 성립
30%
고치기
최솟값 구하기 40% 이므로 BCyuBC
최솟값을 가질 때의 Y의 값 구하기 30% uBC U U 라 하면
최솟값A:A, Y Uy U, U  Uƒ
U  U ƒ
17 ∴  ƒUƒ
[전략] Y Z를 한 문자로 보고 정리하면 쉽다. U이므로 Uƒ
Y Z를 한 문자로 보고 전개하면 곧, B`C ƒ 이므로 BCƒ
  [ Y Z 따라서 BC의 최댓값은 이다. 
[ ] Y Z [  
Y Z [ Y Z [
[ Y Z 
 B  C  에서 B 이므로
Y Z [ C 
Y Z, [이므로 C 
BC C <  C  =
[ Y Z [ Y Z C  C 
 y |Š @
Y Z [ Y Z [  
 C  y|Š @ C  이므로
 @ C  C 
[ Y Z BCƒ
[단, 등호는  , 곧 [ Y Z 일 때 성립]
Y Z [ 
[단, 등호는  C  , 곧 B, C일 때 성립]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③ C 
따라서 BC의 최댓값은 이다.
18
 
[전략] B C [ ]를 이용한다.
B C
C B 20
B C이고 , 이므로
B C [전략]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을 ZN Y 로 놓고
    B C ", #의 좌표를 N으로 나타낸다.
 B C [ ] 
B C B C C B Y Z
또는 에서 ", #의 좌표를 B, C로 나타낸 다음
B C B C
y |Š @  @
C B B, C의 관계를 이용한다.
B C   Y Z
등호가 성립하려면  , B C 직선 에서 y
C B B C
B, C이므로 BC B{0,`b}
Y절편은 B, Z절편은 C이므로 8
  " B,  , # , C
B C에 대입하면 B , C
 
직선이 점 ,  을 지나므로 직선의
 
따라서 B , C 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이다. 방정식을 O 2 A{a,`0} x
 
  ZN Y U❶
최솟값A:A, B , C
  로 놓자.
❶에 " B,  을 대입하면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에서 
N B ∴ B 
     N
B C [ ]y[`B@| `C@| ]
B C B C ❶에 # , C 를 대입하면
   ™A CN ∴ CN 
B C   
[단, 등호는 @Ä  A , 곧 B C 일 때 성립] ∴ 0"“ 0#“B C
N
N


  B, C이므로 N,  , N
B C이므로 y N
B C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 0"“ 0#“y |Š[ ]@ N
N
 @
19 
[단, 등호는  N, 곧 N일 때 성립]
[전략] B, C의 합이 주어진 꼴은 아니지만,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이용하면 N
B C BC에서 BC나 B`C에 대한 부등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③

26 I. 집합과 명제

⤿⥗⥸⥇⥏⤼⥗⤿⥡⥸⥎⥏⥎⥐⥅⥓⥫QVLJ  !࿼ፎ"

⑵ B™A C™A ™A ™A y B C
  B C
점 ,  을 지나므로  U❷ [단, 등호는  일 때 성립]
B C  

  에서 @y B C
∴ 0"“ 0#“B C B C [ ] ∵❷
B C ∴  ƒB Cƒ
B C B C
  에서 BC를 B™A C™A에 대입하면
C B  
B C  
y |Š @  C™A , C†
C B  
B C 
[단, 등호는  일 때 성립] 따라서 BC 일 때 최댓값은 ,
C B 

BC 일 때 최솟값은 

21 ⑴ 풀이 참조 ⑵ 최댓값 : , 최솟값 : 
[전략] 1.“Y, 1/“Z로 놓고 Y, Z의 관계부터 구한다.

1.“Y, 1/“Z라 하자. C 다음을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라 한다.


6 N B C
△"#$△1"# △1"$이므로 B C Y Z y BY CZ 
[단, 등호는  일 때 성립]
y Y Z
P
 x BC D Y Z [ y BY CZ D[ 

@@@TJOA± 30æ
 A B C D
3 B M   [단, 등호는   일 때 성립]
Y Z [
 
   @@Y @@Z
 
∴ Y Z
Y, Z이므로 23
    [전략] N이 짝수이거나 O이 홀수라 가정했으므로 귀류법을 이용하는 증명이

1.“ 1/“ Y Z 다. 따라서 가정 ‘N O이 소수이고 N  또는 O ’에 모순이라는
  것을 보인다.
[ ] 
Y Z
Œ N이 짝수이면 NK K는 자연수 라 할 수 있다.
 
 Y Z [
Y Z
]  N OK O@ K O
 O  O
Y Z K  은 자연수이므로 N  은  의 배수이다.
   O
Z Y 곧, N  은 소수가 아니다 .
Y Z 따라서 가정에 모순이므로 N은 홀수이다.
y |Š @ 
Z Y
 O이 홀수이면 OL L는 자연수 라 할 수 있다.
Y Z
[단, 등호는  , 곧 YZ일 때 성립] N ON LN @ L
Z Y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N N™A@L @ L ™AN™A@L
L
 N™A @ ™A N@L ™A
삼각형 "#$의 넓이 C
 N™AN@L @L

△"#$ CDATJOA" b @ N™A N@L @L

N O은 소수이므로
A B
c
N™AN@L @L  또는
N™A N@L @L
그런데 N™A N@L @L이므로
22 N™AN@L @L 
[전략] ⑴ "y#의 증명은 "#y을 이용한다.
또 N™AN@L @L
⑵ ⑴의 결과를 이용한다.
N™AN@L L L
⑴ B C Y Z  BY CZ 

 NL ™A L
 BY BZ CY CZ  BY BCYZ CZ
이고 Ly이므로
BZBCYZ CY
NL, L
 BZCY y
∴ L, N
∴ B C Y Z y BY CZ 

따라서 NO이고, 가정에 모순이므로 O은 짝수이다.


B C
[단, 등호는 BZCY, 곧  일 때 성립] Œ, 에서 주어진 명제는 참이다. ①
Y Z

02. 명제 27

⤿⥗⥸⥇⥏⤼⥗⤿⥡⥸⥎⥏⥎⥐⥅⥓⥫QVLJ  !࿼ፎ"
정답 및 풀이

03
step 최상위 문제 30~31쪽 
[전략] BY CY D의 해를 =, >라 하면

01 N, O 02 ④ 03 ③ 04 ①  
DYCY B의 해는 , 이다.
= >

05 ③ 06  07 풀이 참조
 B, C, D가 모두 양수이므로 BY™ACY D에서
08 풀이 참조 09 ⑴  ⑵  C D
두 근의 합  , 두 근의 곱  
B B
01 따라서 실수 U가 방정식 BYCY D의 근이면 U이다.
[전략] ZY™A 와 ZN Y , ZO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BUCU D에서 양변을 U으로 나누면
부등식이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G Y Y™A , H Y N Y , BC[ ] D[ ] 
U U
I Y O Y 이라 하자. y 
y=h{x}
이므로 은 DYCY B의 근이다.
U
6\Y]ƒYƒ^이므로
따라서 1가 공집합이 아닐 때
ƒYƒ에서 ZG Y 의 그래프
 
가 ZH Y 의 그래프보다 위쪽에 y=f{x} 1\Y|=Y>^ => 라 하면 2<Y\ Y =
y=g{x}
> =
있고 ZI Y 의 그래프보다 아래
또 3\^이다.
쪽에 있다. O 1 1 3 x
2  
ㄱ. 3 1이면 =>이므로  이다.
ZN Y , ZO Y 은 > =
 ∴3 2 참
점 [ , ]을 지나는 직선이다.

ㄴ. 1Δ이면 2Δ이므로 12Δ이고 12 Δ이면
Œ G  이므로 직선 ZI Y 가 점 ,  을 지날 때
1 Δ, 2 Δ이다.
O
 
이때 12Δ이면 > 또는 = 
 G  이므로 직선 ZI Y 가 점 ,  을 지날 때 > =
  
O ∴ O > 이면 >이므로 >, 
 > >
Ž 직선 ZH Y 가 ZG Y 의 그래프에 접할 때 ∴ m1이고 m2
Y™A N Y , Y™ANY N   
=이면 =이므로 =, 
% = =
에서 N™AN
 ∴ m1이고 m2
∴ N 또는 N 어느 경우도 3 1 또는 3 2가 아니다. 거짓
Œ, 에서 G Y I Y 이면 O ㄷ. =y 또는 >ƒ이면 12Δ이다.
Ž에서 H Y G Y 이면 N N, O 따라서 12 Δ이면 =>이다.
 
이때  이므로  12
> =
∴3 12 참
02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전략] ∠"1#±인 점 1가 그리는 도형과 직선 M의 교점이 있으면 된다.

∠"1#±이므로 1는 선분 "#가 y
{x-2}@+y@=5
지름인 원 위의 점이다.
P 04

A [전략] 분모 Y Z 이 소거되는 꼴로 고쳐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선분 "#의 중점을 $라 하면
이용한다.
$ ,  이고 $"“ 이므로 O C x
B

1는 원 $A:A Y 
Z 위를 움 Y™A Z™AY
Y Z 
직인다. 2x+y+k=0 
Y Z  Y  U❶
따라서 원 $와 직선 M의 교점이 있으면 Y Z 
주어진 명제가 참이다. 에서 Y Z 이므로
중심 $ ,  과 직선 Y Z L 사이의 거리를 생각하면 
Y Z  y`
Y Z 
| L|
ƒ , | L|ƒ 등호가 성립할 때
ā 
∴ ƒLƒ 
Y Z  , Y Z  
Y Z 
따라서 L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Y Z 이므로 Y Z U❷
   ④

28 I. 집합과 명제

⤿⥗⥸⥇⥏⤼⥗⤿⥡⥸⥎⥏⥎⥐⥅⥓⥫QVLJ  !࿼ፎ"
Y는 실수이므로 Y y이고 등호는 Y일 때 성립한다. 선분 23는 △#$3의 넓이를 ZA:A Z 로 나누므로
  Z Z
따라서 Y Z  는 ƒYƒ일 때 최소이고 △2$3@ @ 
Y Z    
Y 은 Y일 때 최소이므로 ❶은 Y일 때 최소이다. ∴ △123△"#$ △1#2 △"13 △2$3
Y을 ❷에 대입하면 Z† Y Z
[ ]
따라서 ❶의 최솟값은 Y, Z† 일 때 이므로  

B, C™A, N ∴ BC™AN ① 


 Y Z

 
y @‚YZ  ∵❶
 
05 단, 등호는 YZ일 때 성립
[전략] 직사각형 "의 가로의 길이를 Y, 세로의 길이를 Z라 하고 
따라서 삼각형 123의 넓이의 최솟값은 
", #, $, %를 구한다. 
ㄱ. 거짓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을 나누면 3 1 

4 4 
   
" @   1
    A B
2
   
$ @   1
    C D 2
07
[전략] 귀류법을 이용한다.
ㄴ. 거짓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을 나누면 2 1
R
3 3 무리수가 아니면 Q, R는 서로소인 자연수 로 놓을 수 있다.
    1 Q
" @   A B
    3
āO™A 이 무리수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Oy이므로
% @   C D
2
    3
R
āO™A  Q, R는 서로소인 자연수
Q
ㄷ. 참 그림과 같이 정사각형을 나누면 x 1-x
로 놓을 수 있다.
"
YZ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y A B
% Y Z Q™A O™A R™A U❶
 Y Z YZ 1-y C D 그런데 Q, R가 서로소이면 Q™A, R™A도 서로소이고 ❶에서 O™A이
Y, Z에서 Y ZyY`Z이므로 자연수이므로 Q이다.
%ƒY`Z YZ ❶에 Q을 대입하면

 Y`Z 단, 등호는 YZ일 때 성립 O™AR™A, O™AR™A 
     R가 자연수일 때 R™AR™A  R  ™A이므로
곧, " 이면 YZ 이므로 %[| ] 
   
R™AO™A R  ™A ∴ ROR 
따라서 옳은 것은 ㄷ이다. ③
이 부등식을 만족하는 자연수 R, O은 없다.
R
따라서 āO™A  Q, R는 서로소인 자연수 로 나타낼 수 없
Q
06 으므로 āO™A 은 무리수이다. 풀이 참조
[전략] △1#2, △"13, △2$3의 넓이의 합을 생각한다.

#1“Y, #2“Z라 하면 A
1
R
 3-x
△1#2 YZ,
 4 08
 P
x [전략] 정수 Y, Z가 있다고 가정하고 모순이 생김을 보인다.
△"#$ @@
 C 그리고 가 짝수이므로 Y, Z는 모두 짝수이거나
B y Q 4-y
  모두 홀수임을 이용한다.
이므로 조건에서 YZ@
 
Y™A Z™A인 정수 Y, Z가 있다고 가정하자.
∴ YZ U❶
Œ YL , ZM L, M은 정수 일 때
선분 #3는 삼각형 "#$의 넓이를 A:A로 나누므로
Y™A Z™A에 대입하면
 
△"#3@ , △#$3@ L™A L  M™A
 
좌변은 홀수, 우변은 짝수이므로 모순이다.
선분 13는 삼각형 "#3의 넓이를 Y A:AY로 나누므로
 YL, ZM  L, M은 정수 일 때도
 Y Y
△"13@ @ 
   좌변은 홀수, 우변은 짝수이므로 모순이다.

02. 명제 29

⤿⥗⥸⥇⥏⤼⥗⤿⥡⥸⥎⥏⥎⥐⥅⥓⥫QVLJ!  !࿼ፎ"
정답 및 풀이

Ž YL , ZM  L, M은 정수 일 때

II
Y™A Z™A에 대입하면
L™A L  M™A M 
∴  L™A
좌변은 짝수, 우변은 홀수이므로 모순이다.
M™A L M  . 함수와 그래프
 YL, ZM L, M은 정수 일 때
Y™A Z™A에 대입하면
L™A M™A, L™A M™A
이 식에서 우변은 홀수이므로 L™A과 M™A 중 하나는 홀수이고 하 03. 함수
나는 짝수이다.
LL , MM L, M은 정수 라 하고 L™A M™A에 step 기본 문제 35~39쪽

대입하면
01 ③, ④ 02 \, , ^ 03 ④
L™A L  M™A 
04 B, C  05 L 또는 L
 L™A L M™A 
06 ① 07 ④ 08 G  , H   09 ④
좌변은 짝수, 우변은 홀수이므로 모순이다.
10 ⑤ 11  12 ⑤ 13  14 ①
LL, MM  L, M은 정수 인 경우도 모순이 생긴다.   
15 ② 16 ⑴ I Y   Y  ⑵ L Y   Y 
Œ, , Ž, 에서 Y™A Z™A인 정수 Y, Z는 없다.
17 ,  18 ③ 19 ① 20 ④
풀이 참조
21 최댓값A:A, 최솟값A:A 22  23 

24 ⑤ 25 ④ 26 "<, ,  , = 27 ②

09 28 ⑤ 29 ①

30   31 ① 32 ②
[전략] 삼각형 "#$의 넓이는 삼각형 1"#, 1#$, 1$"의 넓이의 합임을
33 ③ 34 ① 35 ② 36 B, C
이용하여 Y, Z, [의 관계를 구한다.
 
37 ③ 38 ② 39  40 ③
정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B라 하면
△"#$△1"# △1#$ △1$"이므로
01
    X Y X Y
B@ BY BZ B[ ① ②
    -1 0 -1 0
∴Y Z [ U❶ 0 1 0 1
2 2
⑴ Y 
Z
[
 
 
 y Y Z [  1 1
3 3
2 4 2 4
단, 등호는 YZ[일 때 성립
❶을 대입하면 ③ X Y ④ X Y
 Y Z [ y -1 0 -1 0
0 1 0 1
따라서 Y Z [의 최솟값은  2 2
1 1
3 3
⑵ Y Z [  YZ Z[ [Y 2 2
4 4
Y Z [YZZ[[Yy
이므로 Y Z [ y YZ Z[ [Y ⑤ X Y
-1 0
단, 등호는 YZ[일 때 성립 0 1
2
❶을 대입하면 1
3
2 4
y YZ Z[ [Y
따라서 YZ Z[ [Y의 최댓값은  ③ 9의 원소 에 대응하는 :의 원소가 없다.
⑴  ⑵  ④ 9의 원소 , , 에 대응하는 :의 원소가 없다.
따라서 함수가 아닌 것은 ③, ④이다. ③, ④

02
, 는 유리수이므로 G Y Y에서
G  @, G  @
,  은 무리수이므로 G Y Y™A에서
G    , G    
따라서 치역은 \, , ^이다. \, , ^

30 II. 함수와 그래프

ጄ73QVLL  ࿼ፎ"
03 06

G Y  Y 이고,   
G Y [Y ]  이므로 y
ㄱ. B이면 Yy일 때 G Y y이므로   y=f{x}
y y=f{x}
9\Y|YƒL^에서 1
C 거짓 4 O k 2
3 :\Z|ZyL ^으로의 x
f{k}
함수 G 가 일대일대응이면
O 1 x

Lƒ 이고 G L L 이다.
ㄴ. B이면 YyB일 때 ZyG B 이므로 y

y=f{x}
CG B 참 LLL , LL
4
3 ∴ L 또는 L

Lƒ 이므로 L ①
O 1 a x 
ㄷ. C이면 치역이 \Z|Zy^이므로 y y=f{x}
Bƒ 참 4
3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07
G  Y Y Y  Y  
O a 1 x
G  Y  B  Y C
라 하자.
G   이므로 G Y 가 일대일대응이면 y
04 y=f¡{x}
   ZG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다.
G [ ]H[ ]에서   B C
   G   이므로 B C
2
∴ BC U❶ 또 B 이므로 B -4
O x
   따라서 자연수의 순서쌍 B, C 는 -1
G [ ]H[ ]에서  B C
   ,  , ,  , ,  , U, ,  -7
∴B y=f™{x}
C U❷ 이고 개이다. ④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B, C
 
08
H는 항등함수이므로
H  , H  , H  
05 (나)에서 G  I  H  
Yy일 때
I는 상수함수이므로
G Y Y LY L  Y
I  I  I  
Y일 때
(다)에서 G  H  I  이므로
G Y  Y LY L Y
G   
L  Y Yy
∴ G Y < ∴ G  
L Y Y
G는 일대일대응이므로 G   G  , H  
G Y 가 일대일대응이면 그림과 같이 직선의 기울기가 모두 양수
이거나 음수이다.
y y
y=f{x}
2 2 09
O x O x
G 가 항등함수이므로 9의 모든 Y에 대하여 G Y Y이다.
-4 -4
YY Y YY에서
YY Y Y
y=f{x} Y, Y을 대입하면 성립하므로
Y  Y YY  
곧, L  L 이므로 
Y  Y Y 
L 또는 L L 또는 L
∴ Y 또는 Y 또는 Y

L  L 
따라서 9는 \, ,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므로 9의
< 또는 < 을 풀어도 된다.
L L 개수는  ④

03. 함수 31

⤿⥗⥸⥇⥏⤼⥗⤿⥡⥸⥎⥏⥎⥐⥅⥓⥫QVLJ  !࿼ፎ"
정답 및 풀이

10 ㄷ. H—I Y H I Y

H [ Y

]< Y >
G Y G Y 에 Y을 대입하면 G  G   
Y을 대입하면 G  G  
I—H Y I H Y I <Y>  <Y> 

G  과 G  의 값은 같고 , , 이 가능하다.

또 G  도 , , 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H—I  , I—H   이므로

따라서 G의 개수는 @ ⑤ H—I Y I—H Y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11
(가)에서 G는 일대일함수이다. f
X Y
(나)에서 G  이면 G  이다. 1 1 16
2 2
이때 G  는 , ,  중 하나이고, G  는 ⑴H I Y G Y 이므로 I Y Y 
3
3
남은 두 값 중 하나이다. 4 
4 5
∴I Y  Y 

따라서 G는 @개이다.
⑵L H Y G Y 이므로 L Y Y 
G  , , 인 경우도 각각 G는 @개이다.
U 
G  이면 G  이므로 가능하지 않다. YU라 하면 Y

따라서 G의 개수는 @ @   U   
L U @  U
  
 
12 ∴L Y  Y
 
G—H  G H  G  @ 
  
H—G  H G  H   ⑴I Y  Y  ⑵L Y  Y
  
∴ G—H  H—G   ⑤

13 17
I  L라 하자. H Y BY C B  이라 하면
G I  H  이므로 G L  G—H Y G H Y G BY C BY C
 H—G Y H G Y H Y BYB C
L , L
 BY CBYB C이므로
∴ I    CB C ∴ CB
이때 ZH Y 는
G I Y H Y 이므로
ZBY B, ZB Y

I Y Y™A 
 따라서 ZH Y 의 그래프는 B의 값에 관계없이 점 ,  을 지
∴ I Y Y™A  난다. , 

14
H G L 에서 18
Œ G L y이면 \ G L ^ , G L † (나)에서
G L y이므로 G L  좌변  I— H—G Y  I—H —G Y
|L| ∴ L†  I—H BY 
 G L 이면 \ G L ^ , \ G L ^ (가)에서
G L 는 실수이므로 성립하지 않는다. I—H BY   BY  BY 
Œ, 에서 L의 값의 곱은 이다. ① (나)의 우변 Y C와 비교하면
B, C ∴ B, B C ③
15
 (나)에서
ㄱ. G—H—I  G H I  G [H [ ]] 좌변  I— H—G Y  I—H —G Y

 I—H G Y  G Y 
G   참
이므로
ㄴ. I—G  I G  I   C 
 G Y Y C, G Y Y
 
H—I  H I  H [ ] 참
 G Y BY 이므로 B, C

32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19 G Y U라 하면 ƒUƒ이고
G G   U❶ G G   U❷ H—G Y H U U U 
f f  U 

X X X
1 1 1 [그림 ]에서 H U 의 최댓값은 H  ,
2 2 2
3 3 3
최솟값은 H  
4 4 4 최댓값A:A, 최솟값A:A

Œ G  이면 ❶에서 G  이므로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 G  이면 ❶에서 G  이므로 모순이다. 22
Ž G  이면 ❶에서 G   H Y  Y 이므로 f{t}={t-2}@+k-4
❷에서 G  이므로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H Y U라 하면 Uƒ이고
 G  이면 ❶에서 G   G—H Y G U UU L
f f  U 
L
X X X -2 2 t
1 1 1 따라서 G U 의 최솟값은 G  이다.
2 2 2
3 3 3
조건에서   L ∴ L 
4 4 4

G  일 때 ❷에서 G  이므로 모순이다. 23


G  일 때 G  이다. G G Y  에서 G Y  U라 하면 G U 
Œ~에서 G  G    ① y
6 y=f{t}
4 y=4

20 2
Œ G  일 때
O 2 5 6 8 11 13 15 161718 19 t
f f f f
X X X X X X
1 1 1 1 1 1
2 2 2 2 2 2 G U 의 해는 U, , , 
3 3 3 3 3 3 G Y  ƒ이므로 U
이때 G Y  이므로 Y  또는 Y 
 G  일 때
f f
∴ Y 또는 Y
X X X
따라서 서로 다른 실근의 합은  
1 1 1
2 2 2
3 3 3
24
Ž G  일 때 G   G  
f f G   G G  G  
X X X
1 1 1 G   G G   G  
 
2 2 2 G  G G  G  
3 3 3
마찬가지로 G  , G   , G   


Œ, , Ž에서 G의 개수는    ④ ∴ G  B B


G G G  U G G 이므로


G G , G G
21 ∴ G   G   G G  G  
y

17 y=g{t}
G  G  
16
y 13 ∴ G   G    ⑤
y=f{x}
6
4
3 25
ΠG  , G   , G   ,
O 1 4 x O 34 6 t
G   , G   , G   , G   ,
[그림 ] [그림 ] G   , U
[그림 ]에서 ƒYƒ일 때 ƒG Y ƒ ∴ G  

03. 함수 33

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 G  , G   , G   , G    30



G   , G   , G   , G   , U G  Y H Y 에서 Y이면 Y 이므로

∴ G   
G [ ]H 
Œ, 에서 G   G    ④ 
 
G [ ]B라 하면 G B  이므로
 
26  
B  ∴ B
   
G [ ]
   
∴ H   
     
G [ ]G [ G [ ]]G [ ]
  
  Y
G [ ]G [ G [ ]]G   G Y Y 이므로 G  Y 
  
  Y
G [ ]G [ G [ ]]G   G  Y H Y 이므로 H Y 
  
  U  U
G [ ]G [ G [ ]]G   YU라 하면 Y 이므로 H U 
   
  
G [ ]G [ G [ ]]G   ∴ H  
  
U

따라서 "<, ,

, = "<, ,

, = 31
  G  Y Y에서 G Y Y U❶
 
G—H Y Y에서

27 G —G—H

Y G  Y
  
G    H Y G Y Y
또, G   L라 하면 G L  ∴ H Y Y
L이면 L  ∴ L 곧, H  이므로 ❶에서
L에 모순이다. G—H  G  ` ①
Ly이면 L ∴ L
 Y는 양의 실수이므로 G Y™A Y에서 G Y uY
∴G  
∴G  G    ②
32
G 의 역함수가 있으므로 G 는 일대일대응이다. 
y
Œ
28 또 ZG Y 의 그래프가 직선이므로 그림과 5
G—H L G H L 에서
같다.
H L  ∴ H L 
Œ G  , G  일 때
H  L이므로 L@   ⑤ -2 O 2 x
B C, B C -1

∴ B , C

29
  G  , G  일 때
H— G—H —HH— H—G  —H
B C, B C
 H—H —G —H

G —H ∴ B , C

이므로
 
H— G—H 
—H   G —H  Œ, 에서 B C  ②
 
G  H  G  
G   B라 하면 G B 
33
By이면 B이므로 모순이다. G 의 역함수가 있으면 G 는 일대일대응이다.
y
B이면 B B G Y  Y 
 y=f{x}
2
BB ∴ B 또는 B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고,
B이므로 B 정의역은 \Y]Yƒ^이다. O1 x

∴ H— G—H —H   ① ∴ L ③

34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34 38
직선 ZY를 이용하여 Z축의 좌표를 y Y  G Y Y  G  Y 이므로
y=x
구하면 그림과 같다. Y을 대입하면
e y=f{x}

G C D이므로 G D C d G  G   U❶
c
∴ G —G  D b Y을 대입하면
a
G  G  D 1 G  G   U❷
 O 1a b c d e x
G C 
❶ ❷를 하면 G   ∴G   ②
G B C이므로 G 
C B 

∴ G —G  D B ①
 Y, Y인 Y를 대입하여 풀었다.

35 39
직선 ZY를 이용하여 Z축의 좌표를 y
G Y G āY™A Y이므로
y=f{x} y=x
구하면 그림과 같다. 
d Y 을 대입하면

G— H—G 
—G  c
y=g{x}   

G—G —H—G  b G [ ] G [ ] U❶
a   

H—G Oa b c d x  
āY  에서 Y ∵ ƒYƒ
이므로  
G— H—G 
—G  E H G  E 
Y 을 대입하면

G D E이므로 G  E D
  
∴ H G  E H D B ② G [ ] G [ ] U❷
  
 
❶@❷@을 하면 G [ ]
 
    
36 ∴ G [ ]
  
G Y BY C에서
ZG Y 의 그래프가 점 ,  를 지나므로
G Y G āY Y  U❸
G  
āY U ƒUƒ 이라 하면
∴ B C U❶ YU ∴ YāU
ZG  Y 의 그래프가 점 ,  를 지나므로 ❸의 Y에 āU 을 대입하면 

G   G āU G U āU


곧, G   U를 Y로 바꾸면 G āY G Y āY  U❹
∴ B C U❷ āY™A Y
❸@❹@을 하면 G Y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B, C B, C

40
G  G @ G  G 
37
y  G @  \G  G  ^
ZG Y 와 ZG  Y 의 그래프는 y=f{x} y=x
 @   
직선 ZY에 대칭이다. y=f—!{x}
G  G @ G  G   
그래프를 그리면 ZG Y 와
O G—G  G G  G  G @
ZG  Y 의 그래프의 교점은 x
4
- G  G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의 3
 G @  \G  G  ^
교점이다.
 @   
  
Y  Y에서 ∴G  G—G    ③
 

Y Y
∴ Y 또는 Y . 소수 B, C, D에 대하여
G B@CD CD@G B B@G CD CD B C D
Yy이므로 Y
G BC@D D@G BC BC@G D D B C BC
따라서 교점의 좌표는 ,  이므로 . @@이므로 G  을
B, C, B C ③ G @ 또는 G @ 로 구해도 결과가 같다.

03. 함수 35

⤿⥗⥸⥇⥏⤼⥗⤿⥡⥸⥎⥏⥎⥐⥅⥓⥫QVLJ  !࿼ፎ"
정답 및 풀이

   y
G Y [Y ] y=f{x}
step 실력 문제 40~44쪽   b

G 가 일대일대응이므로
01 ⑤ 02 ⑤ 03 
3
04 B, C 또는 B, C 05 G  , I   
By U 3
06 ③ 07 ③ 08 ⑤ 09 ⑤
 4
3 a x
 CG B B™A B 이므로 - O
10 H Y   Y 11 ③ 12 ① 2
BCB B B 

13 Y 또는 Y 또는 Y  14 ƒBƒ B™AB

15 ③

16  17 ① 18  19 
 B   U

 By 이므로 BC의 최댓값은 B일 때 이다. U
20 B  , C 21 ① 22 ② 
23 B의 최솟값 : , I  

24 ⑤ 25 ①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 값의 범위 구하기 30%
26  27   28 ② 29  30 
BC를 B에 대한 식으로 정리하기 50%
BC의 최댓값 구하기 20%
01

[전략] GH이므로 B9이면 G B H B 이다.
이를 이용하여 가능한 9의 원소를 모두 찾는다.

ㄱ. B9이면 G B H B 이고 04
H B B 이므로 G B B 이다. 참 [전략] 정의역에 꼭짓점이 포함되는 지를 기준으로 B의 범위를 나누고
ㄴ. G B B 이므로 B|B|BB  이차함수 ZG Y 의 그래프를 그린다.
Œ By일 때 Œ BB 일 때 y y=f{x}
BBB , BB 곧, B이면 G 는 일대일대응
†` 이 아니다.
B

 By일 때
 ` a O a+2 x
By이므로 B G B C, G B  C이므로

 B일 때 BC, B  C y y=f{x}
 
곧, B  B 에서 4b
BBB , B B 

∴ B 또는 B B B

 ` B  B  b
Œ, 에서 가능한 9의 원소는 , , 이므로 
x
 By이므로 B, CB  O a a+2

공집합이 아닌 9는   개 참 ŽB ƒ, 곧 Bƒ일 때
ㄷ. 9\, ^일 때, 원소의 합은 이고 최소이다. 참 G B C, G B  C이므로 y=f{x}
y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B C, B  C
4b
곧, B B  에서
B B 
b
B  B  
x
02 Bƒ이므로 a a+2 O
$
[전략] G"∩#∩$ B 를 이용하여 B가 ", # , $, "#의 원소인지 아닌 B, C B  
지를 판별하면 함숫값을 구할 수 있다.
Œ, , Ž에서 B, C 또는 B, C
G"∩#∩$ B 에서 B "#$ B, C 또는 B, C
∴ B", B#, B$
Bm# $, Bm "# 이므로
\ G" B G# B
$ G$ B ^@G"# B 05
[전략] I Y 의 정의에서 I Y yG Y 이고 I Y yH Y 이다.
    @ ⑤
H Y 가 주어져 있으므로 가능한 I  , I  , U를 먼저 생각한다.
g
X X
1 1
2 2
03 3 3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4 4
G Y 가 일대일대응일 때 B의 범위와 C의 값을 생각한다.

36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G  H  이므로 I  H   U❶ 07
H  이므로 I  y U❷ [전략] 가 에서 G 는 일대일함수이다.

H  이므로 I  y U❸ 나 에서 G  이 , , U, 일 때 가능한 경우를 각각 찾는다.

H  이므로 I  y U❹ (가)에서 G 는 일대일함수이다.


Y, , 일 때 I Y 이므로 ❸에서 I   (나)에서 G  G  G  이므로 가능한 경우는 다음 표와
I는 일대일대응이므로 ❶, ❹에서 I   같다.
∴ I    G  G  G  G  G 
또 I  , H  이므로 G    
G  , I    
 
 
I Y 는 G Y 와 H Y 중 크거나 같은 값을 가진다.  
(가)에서 G  이고   @ @
(나)에서 H  이므로  
 
I   U❶  
H  이므로 G  이  또는  또는 일 경우 I  이므로   @ @
❶에서 I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곧, G  이므로 I    
I는 일대일대응이므로 h
 
X X  
I   또는 I  이다.  
1 1
그런데 G  , H  의 값을 비교할 때 2 2  
H  이므로 I  y이다. 3 3  
4 4  
∴ I    
 
따라서 G의 개수는 이다. ③
06
[전략] ㄱ. 교점을 B, C 라 하면 G B C, H B C이다.
ㄴ. ZG Y 의 그래프가 원점에 대칭이면 G Y G Y
08
ㄷ. 증명이 쉽지 않으면 반례를 찾아본다.
[전략] G  ƒ, G  ƒ, U이므로 가능한 G  , G  , U의 값의 개수를
ㄱ. ZG Y , ZH Y 의 그래프의 교점을 B, C 라 하면 조사한다.
G B H B C이므로 (나)에서
    G  ƒ이므로 G  , G   중 하나이다.
I B  G B H B  C CC
   
G  ƒ이므로 G  의 값은 , ,  중 G  의 값이 아닌 개가
따라서 ZI Y 의 그래프는 교점 B, C 를 지난다. 참
가능하다.
ㄴ. ZG Y , ZH Y 의 그래프가 각각 원점에 대칭이면
G  ƒ이므로 G  의 값은 , , ,  중 G  , G  의 값이
G Y G Y , H Y H Y 이므로
아닌 개가 가능하다.
 
I Y  G Y H Y G  ƒ이므로 G  의 값은 , , , ,  중 G  , G  , G 
 
  의 값이 아닌 개가 가능하다.
 G Y  H Y I Y
  (가)에서 G  이고 G  의 값은 남은 개이다.
따라서 ZI Y 의 그래프도 원점에 대칭이다. 참 따라서 G의 개수는 @@@ ⑤
ㄷ. [반례] G Y Y, H Y Y라 하면 G, H는 일대일대응이
지만
  09
I Y  G Y H Y
 
[전략] ㄴ. H — G Y 를 구하면 H — G Y 도 구할 수 있다.
  ㄷ. H Y 의 범위를 나누면 G H Y 를 구할 수 있다.
 @Y @ Y 
 
따라서 I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다. 거짓 ㄱ. G—H  G H  G   참

그러므로 옳은 것은 ㄱ, ㄴ 이다. ③ ㄴ. 함수 H—G Y 는


Œ Y일 때, H G Y H  
. G Y G Y 이면 ZG 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칭이다.  |Y|ƒ일 때, H G Y H Y Y™A
. G Y G Y 이면 Z G Y 의 그래프는 Z축에 대칭이다. Ž Y일 때, H G Y H  

03. 함수 37

⤿⥗⥸⥇⥏⤼⥗⤿⥡⥸⥎⥏⥎⥐⥅⥓⥫QVLJ  !࿼ፎ"
정답 및 풀이

 Y 
B 이므로 BB에서 B

Œ, , Ž에서 H—G <
Y  Y™A |Y|ƒ
BC이므로 C
 Y

또 H—G Y 의 Y에 Y를 대입하면 B , C은 B CC 을 만족시킨다.

 Y

∴H Y  Y U
H—G Y  Y™A |Y|ƒ < 
 Y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 G — H에서 G Y 구하기 40%

<
 Y™A |Y|ƒ H Y BY C로 놓고 H — G 정리하기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여 H Y 구하기
30%
30%
 Y
∴ H—G Y  H—G Y 참 
H Y  Y

ㄷ. 함수 G—H Y G H Y 는
Œ Y일 때, H Y 이므로 G H Y  ❶의 세 방정식 중 처음 두 식에서 구한 B, C가 세 번째 식을 만족시키는지
 |Y|ƒ일 때, |H Y |ƒ이므로  확인해야 한다.
G H Y Y™A
Ž Y일 때, H Y 이므로 G H Y 
 Y 11
Œ, , Ž에서 G H Y <
 Y™A ]Y]ƒ [전략] 방정식 G H Y 에서 H Y U라 할 때, G U 부터 풀면 된다.
또는 L의 값의 범위를 나누어 ZG H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Y
직선 Z와 교점을 생각한다.
∴ G—H Y  H—G Y 참
G H Y 에서 H Y U라 하면 G U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Uy일 때 U ∴ U

. ZG Y , Z H — 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U일 때 U  ∴ U
y y U일 때 H Y  U❶
y=f{x}
2 y={g`©f}{x} U일 때 H Y  U❷
-2 2
x 서로 다른 세 실근을 가지면 ZH Y 의 y y=g{x}
O 2
-2 -2 O 2 x 그래프가 두 직선 Z, Z과 서로 y=5

-2 다른 세 점에서 만난다.
Z H — G Y 의 그래프가 Z축에 대칭이므로 ZH Y 의 그래프가 그림과 같으므로 O
H — G Y  H — G Y x
ZH Y 의 그래프가 직선 Z에 k y=-1
. ㄴ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도 있다.
ZG Y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칭이므로 G Y G Y 이다. 접한다.
또 H Y H Y 이므로 ∴ L
H—G Y H G Y H G Y 또 H Y 의 해는 Y
H G Y  H—G Y
L일 때 H Y 에서 Y™A
∴ Y†
근의 제곱의 합은 ™A  ™A  ™A ③

10
H Y , H Y 에서 Y™A L, Y™A L
[전략] G H Y \ H Y ^ 이므로 H Y U라 하면 G U 를 알 수 있다.
두 방정식 중 하나는 중근을 갖고 나머지 하나는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질 조
합성함수 ⇨ 치환을 생각할 수 있다.
건을 찾아도 된다.
또 H Y 는 일차함수이므로 H Y BY C라 하고 푼다.

G—H Y G H Y \ H Y ^ 에서 H Y U라 하면


G U U  ∴ G Y Y  U
12
H Y BY C B  이라 하면
[전략] G G Y G Y 에서 G Y U라 하면 G U U이다.
H—G Y H G Y B Y  C이고 ZG U 의 그래프와 직선 ZU의 교점을 생각한다.
H—G Y \ H Y ^  BY C 
이므로 Y  ƒY
 
B Y  C BY C  G Y < 
Y ƒYƒ
BY™A B CB™AY™A BCY C™A  U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양변의 계수를 비교하면 G G Y G Y 에서
 
BB , BC, B CC  U❶ G Y U라 하면 G U U ƒUƒ 이다.

38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y
Œ ƒU일 때 Ž Y일 때 Y에서 Y
3
 y=2-t 
U U ∴ U 2 Œ, , Ž에서 Y 또는 Y 또는 Y
 y=f{t} 
1
 ƒUƒ일 때 
Y 또는 Y 또는 Y
   O 1 2 3 t 
U U ∴ U -1
  
  y
U 일 때 G Y  이므로
  3 14
y=f{x} 5
y= [전략] H Y U라 할 때 G U y인 U의 범위부터 구한다.
  3
Y  에서 Y 1 또는 G H Y 를 H Y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다음 H Y 의 범위를
  1 y=
2 구한다.
  
Y  에서 Y O 1 3 x
   G—H Y G H Y y에서

  \H Y ^ H Y y
U 일 때 G Y  이므로
  \H Y ^\ H Y ^y
  ∴ H Y ƒ 또는 H Y y U❶
Y  에서 Y
 
H Y ƒ의 해가 있으면 y=g{x}
  
따라서 해의 곱은 @@  ① H Y 인 Y도 있다.
  
y=2
따라서 ❶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하
x
면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H Y y이다.
13 Y™ABY y에서 y=-3
[전략] Z H—G Y 와 ZH Y 의 그래프를 그려 교점을 생각한다.
Y™ABY y
H—G Y 를 구할 때에는 G Y 의 값의 범위를 나눈다.
모든 실수 Y에 대하여 성립하므로
ZG Y , ZH Y 의 그래프는 각각 다음과 같다.
%
y y B™Aƒ ∴ ƒBƒ ƒBƒ

3 y=f{x} y=g{x}
4
1
2 -4
-1 O 5 x O 4 x 15
-4 [전략] ƒY, ƒYƒ일 때로 나누어 G Y 를 식으로 나타낸다.
-3
그리고 ƒG Y , ƒG Y ƒ일 때를 생각하면
 G Y  ZG G Y 를 구할 수 있다.

H—G Y H G Y <
 G Y |G Y |ƒ Y
G Y <
ƒY
이므로
 G Y  Y  ƒYƒ
G Y 일 때 Y이고 H G Y  G Y ƒG Y 
G G Y <
|G Y |ƒ일 때 Yƒ이고 H G Y G Y G Y  ƒG Y ƒ
G Y 인 경우는 없다. 
ƒG Y 일 때 ƒY

 Y
∴H G Y < 
G Y Yƒ ƒG Y ƒ일 때 ƒYƒ

 Y 
Œ ƒY 일 때 
Y Yƒ 
  <
Y  ƒYƒ   G G Y G Y  Y Y
 Y 
 ƒY일 때 

따라서 ZH G Y , ZH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 G Y G Y  Y Y 
y
4 y=g{ f{x}} Ž ƒYƒ일 때 
3
  G G Y G Y  Y  Y
2 4
-4 O 9 x Œ, , Ž에서 y
-1 y=f{ f{x}}
-3  2
-4 Y [ƒY ]
y=-g{x} 
두 그래프의 교점의 Y좌표는

G G Y
<
 
Y

 [ ƒY]

1

Œ Yƒ일 때 YY에서 Y Y ƒYƒ O 1 1 2 x


 2
 ƒYƒ일 때 Y Y에서 Y 따라서 ZG G Y 의 그래프 개형은 ③이다. ③

03. 함수 39

⤿⥗⥸⥇⥏⤼⥗⤿⥡⥸⥎⥏⥎⥐⥅⥓⥫QVLJ!  !࿼ፎ"
정답 및 풀이

16 y
y
[전략] Yƒ, Y, Yy일 때로 나누어 G Y 를 식으로 나타낸다. y=f{x} y=f@{x}
그리고 G Y ƒ, G Y , G Y y일 때를 생각하면 1
1
ZG G Y 를 구할 수 있다.
O 1 x O 1 2 x
 Yƒ
<
G Y  Y  Y 이므로 U [그림 ] [그림 ]
O  O
Y Yy 마찬가지로 ZG Y 의 그래프는 ZG Y 의 그래프를 Z축
 G Y ƒ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다음 Y축 아랫 부분을 꺾어 올린
G G Y  G Y <  G Y  것이다.
G Y  G Y y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G Y ƒ일 때 Yƒ이고 y
1 y=f %{x}
G G Y 
G Y 일 때
-3 -2 -1 O 1 2 3 4 5 x
Y이고 G Y Y이므로

따라서 ZG Y 의 그래프와 Y축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G G Y G Y Y 

G Y y일 때 @[ @@] ①

Yy이고 G Y Y이므로
G G Y G Y Y
 Yƒ 18
곧, G G Y <
 Y  Y U   
[전략] G  , G  에서 G  G  이다.
Y Yy 따라서 G  가 , , , 인 때로 나누어 가능한 경우를 찾는다.

ZG 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f f f


X X X X
y 1 1 1 1
3 y=f{ f{x}} 2 2 2 2
21 3 3 3 3
O 15 18 24 x 4 4 4 4
-3

G  , G   이므로
따라서 ƒYƒ에서 ZG G Y 의 그래프와 Y축, Z축으로
G   G  G  G    …❶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Œ G  일 때 G  G G  G  
  
@   @ @@ U ❶에 모순이다.
  
 G  일 때 G   G G  G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그래프에서 G Y 구하기 20% ❶에 모순이다.
G G Y 구하기 50% Ž G  일 때 G   G G  G 
ZG G Y 의 그래프와 Y축, Z축으로 둘러싸인 부분 
30% 이때 G  이므로 G  
의 넓이 구하기
 G  일 때 G   G G  G  

 ❶에 모순이다.
따라서 G  , G  , G  , G  
f f f
X X X X
1 1 1 1
2 2 2 2
3 3 3 3
17 4 4 4 4

[전략] G Y  G—G Y G G Y ]G 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ZG Y 의 그래프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다음 그림에서 G Y Y
Y축 아랫 부분을 꺾어 올린 모양이다. 곧, G*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 ]과 같고 G G — G 
G, G G , G G *이고
G  Y  G—G Y G G Y ]G Y ] G   G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ZG Y 의 그래프를 Z축 방향으 G   G   G G  G  
로 만큼 평행이동한 다음 Y축 아랫 부분을 꺾어 올린 [그림 ] G   *  
와 같다. ∴ G   G   G    

40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21
O O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G — G G — G [전략] G—H* 또는 HG 를 이용한다.


Z H Y 에서 H Y Z

G—H Y Y이므로
19
 
[전략] 나 에서 G   또는 G  를 만족시키는 경우로 나눈다. YG Z , Y G Z
 
가 를 만족시키는 G 를 만든다.
 
Y, Z를 서로 바꾸면 Z G Y ①
(나)에서 G  와 G   중 적어도 하나가 성립한다.  
Œ G  일 때 f f
X X X
(가)에서 G—G  이므로  
1 1 1 HG 이므로 Z G Y 
2 2 2

G  
3 3 3 G  Y Z, YG Z
∴ G  , G   또는 4 4 4
 
G  , G   Y G Z
 
따라서 G의 개수는 이다.  
Y, Z를 서로 바꾸면 Z G Y
 G  일 때 f f  
X X X
(가)에서 G—G  이므로 1 1 1

G   2 2 2
3 3 3
22
∴ G  , G   또는 4 4 4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려 G 가 일대일함수이고, 치역과 공역이 같을
G  , G   조건을 생각하면 B, C의 값의 범위와 B, C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G의 개수는 이다. G  Y YBY , y y=f¡{x}

Œ, 에서 중복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G의 개수는 G  Y Y CY이라 하자.
   B  B
G  Y [Y ]  
 
 O a 1 b x
G  Y  YC C 2
y=f™{x}
이고 G 가 일대일함수이면
20 B
ƒ, Cy …❶
[전략] 결합법칙,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정리한다. 

G—H —IG— H—I , G—H H—G  또 치역이 3이므로 G   G  
H— G—H 
—H H— H—G  —H B  C ∴ CB …❷
 
 H —H —G —H B C에 대입하면 B C B

G —H ❶에서 Cy이므로 ❷에서 CBy ∴ Bƒ
G Y Y, H Y Y 이고 ❶과 공통인 부분은 Bƒ
   따라서 B일 때  B의 최댓값은 이다. ②
G Y  Y 이므로
 
 
G  H Y  H Y
  23
  [전략] G—G—IH를 이용하여 I Y 를 구한 다음
 Y 
  ZI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I Y 가 일대일대응일 조건을 찾는다.
 G Y Y, H Y Y™A Y 에서
 Y 

G—G Y G G Y G Y Y
 
∴ B , C B , C G—G—I Y  G—G I Y I Y 
 
따라서 G—G—IH에서 I Y Y Y 

G —H Y BY C에서 ∴ I Y Y Y 
 y

G—G —H Y G BY C  Y  U 8
y=h{x}
H Y G BY C YyB에서 I Y 가 일대일대응이면 By이므
5
Y  BY C  로 B의 최솟값은 이다. U

∴ Y BY C 또I  L라 하면 I L 이므로

계수를 비교하면 B, C L L 


O 1 a x
 LL
∴ B , C
 Ly이므로 L U

03. 함수 41

⤿⥗⥸⥇⥏⤼⥗⤿⥡⥸⥎⥏⥎⥐⥅⥓⥫QVLJ  !࿼ፎ"
정답 및 풀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26
G — G — IH를 만족시키는 I Y 구하기 40% [전략] 함수와 그 역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ZY를 이용한다.
YyB에서 I의 역함수가 있을 때 B의 최솟값 구하기 30%
B가 최솟값을 가질 때의 I  의 값 구하기 30%
두 함수ZG Y 와 ZG  Y 의 그 y=f{x} y y=x
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고, 그래
B의 최솟값 : , I   -2
프의 교점은 ZG Y 의 그래프와 직 O x
y=f—!{x}
선 ZY의 교점이다.
. G—G—I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도 있다.
B
G—G—I Y G G I Y G I Y  교점을 " =, = , # >, > =>
A -2
\I Y ^I Y  라 하면 "#“이므로
. I Y 의 공역은 치역이라고 생각한다. 
>= >=   … ❶
ZG Y 와 ZY에서
Y Y BY, Y Y B
24
[전략] 방정식 G Y G

Y 를 풀 때에는 ZG Y , ZG  Y 의 그래프 해가 =, >이므로 = >, =>B

가 직선 ZY에 대칭임을 이용한다. ∴ >=  = > =>B
\ G Y ^G Y G  Y 에서 ❶에 대입하면  B 
G Y \ G Y G 
Y ^  
∴ B
 
∴ G Y  또는 G Y G  Y
절대등급 Note
Y  Y
G Y <  이므로 ZG Y 와 ZG  Y 의 그래프의 교 y=f—!{x}
Y Yy y y=x
  점이 반드시 직선 ZY 위에만 있는 것
Œ G Y 의 해는 y 은 아니다.
y=x
Y Y
 예를 들어 함수 G Y <  O x
Y 에서 Y y=f{x} Y Yy
 1 y=f{x}
1 일 때, ZG Y 와 ZG  Y 의 그래
 G Y G  Y 의 해는 -1 O x
프의 교점은 직선 ZY 위 외에도 있다.
-1
y=f—!{x}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의
교점의 Y좌표와 같으므로
Y Y에서 Y
 
Y Y에서 Y
 
 27
Œ, 에서 Y 또는 Y 또는 Y 
 [전략] ZG Y 와 ZG Y 의 그래프의 교점은 직선 ZY를 이용한다.
 교점의 Y좌표를 =, >라 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따라서 실근의 곱은 ⑤
 B  Y Y
G Y <
B Y  Yy
이므로 G Y 의 역함수가 있고,
y
25 y=g{x} y=x
ZG Y 와 ZH Y 의 그래프가 두 점 B
[전략] ZG Y 와 ZH Y 의 그래프의 교점이 있을 조건을 찾고, y=f{x}

두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임을 이용한다.


에서 만나면 C

y=x
B , B A
방정식 G Y H Y 의 실근이 있으므로 y y=f{x}
y=g{x} ∴ B O 1 x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만난다.
또 ZG Y 와 ZH Y 의 그래프로 둘
이때 두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
2 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로 둘러싸
므로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
O 2 x 인 삼각형 "#$의 넓이의 배이다. U
는 Yy에서 만난다.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의 교점을 " =, = , # >, >
곧, 방정식 G Y Y는 Yy에서 실근을 갖는다.
=> 라 하면
YYBY에서 YYB

I Y YYB라 하면 ZI Y 의 그 y=h{x} =는 B  YY의 해이므로 =
B 
래프가 Yy에서 Y축과 만나므로 5
2 2  
% By x ∴ "[ , ]
B  B 
 
By >는 B Y Y의 해이므로 >
 B
  
따라서 B의 최솟값은  ① ∴ #[ , ]
 B B

42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ā >= ™A >= ™A G  
  G  G G  G  
 >=  [  ] U
B B  G  G G  G  
$ , B 이고 점 $와 직선 ZY 사이의 거리는 G  G G  G  
]B] B G  G G  G  
 ∵ B U
ā   
G  G G  G  
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G  G G  G  
   B
@ [  ]@  G  G G  G  
 B B  

U
 B ™A
,  B ™A B  B
B  B ∴ G  G  G  U G  G 
B™AB @ @ 
B이므로 B  U
단계 채점 기준 배점 N이  이하의 자연수일 때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ZY에 대칭임을 이해하기 20% G N , G N 
선분 "#의 길이 구하기 30%
점 $와 선분 "# 사이의 거리 구하기 20%
삼각형 "#$의 넓이를 이용하여 B의 값 구하기 30%

  30
[전략] 4에서 G O 을 구한 다음
G가 일대일대응이 되게 하는 4의 부분집합을 생각한다.
Bƒ이면 함수 ZG Y 는 일대일대응이 아니므로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
는다. 4\, , , , , , , , , , ^이므로
G  G  
G  G  
G  G  
G  G  
28 G  , G  , G  
[전략] Y, Z에 적당한 값을 대입하여 G  , G  , G  , U을 구하면 역함수가 존재하면 일대일대응이므로
G  을 앞에서 구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9는 , , 을 포함하고
G Y Z G Y G Z YZ 에
와  중 하나, 과  중 하나, 과  중 하나, 과  중
Œ Y, Z을 대입하면
하나를 포함한다.
G  G  G  
따라서 집합 9의 개수는 @@@ 
∴ G  
 Y, Z을 대입하면
G  G  G    …❶
Ž Y, Z을 대입하면
G  G  G    … ❷ step 최상위 문제 45~46쪽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G  G  
  
01  02 ② 03 ① 04   B 
 Y, Z을 대입하면
05 ③ 06 ② 07 최댓값A:A, O 08 ⑤
G  G  G  
∴ G   01
 Y, Z를 대입하면 [전략] BCy이므로 B 이면 축이 Z축의 왼쪽에 있다.
G  G  G   B, B, B일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 G   ② Œ B일 때
G Y C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직선이다.
ƒG  ƒ이고 ƒG  ƒ
ƒC ƒ이고 ƒC ƒ
 
ƒCƒ이고 ƒCƒ
29  
[전략] O을 기준으로 함수의 정의가 바뀌므로 C는 정수이므로 C, , , U, 
G  , G  , G  , U을 차례로 구하면 규칙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순서쌍 B, C 는 개이다. U

03. 함수 43

⤿⥗⥸⥇⥏⤼⥗⤿⥡⥸⥎⥏⥎⥐⥅⥓⥫QVLJ  !࿼ፎ"
정답 및 풀이

 B일 때 Cy이고 같은 이유로 [그림 ]에서 y


y=f{x} y=x
C C G Y >의 해는 >와 >가 아닌 두 4
축 Y 에서  ƒ이다. y
y=f{x}
?
B B 실수 >, >이므로 가능한 9는 >
따라서 G  y이고 G  ƒ 9\>, >^ 또는 9\>, >^로 개
B C y이고 B C ƒ 이다.
1
 G Y ?의 해는 ?와 ?가 아닌 세 실수 O >¡ >™ > ? 4 x
CyB 이고 CƒB O 1 5 x

?„, ?m, ?f이므로 가능한 9는 [그림 ]

곧, B ƒCƒB 9\?, ?^ 또는 9\?, ?^ 또는

 9\?, ?^로 개이다.
B일 때 ƒCƒ 이므로 정수 C는 개
 또 H  , H = =, H > >, H ? ?이므로 , =, >, ?
 중 개가 원소인 9도 가능하다. 곧, 가능한 9는
B일 때 ƒCƒ 이고 Cy이므로 정수 C는 개

\, =^, \, >^, \, ?^, \=, >^, \=, ?^, \>, ?^로 개이다.

B일 때 ƒCƒ 이고 Cy이므로 정수 C는 개 따라서 9의 개수는     ②

따라서 순서쌍 B, C 는 개이다. U
Ž B일 때 Cƒ이고
C C
축 Y 에서  ƒ이다. y
B B y=f{x}
1
G  이므로 ƒYƒ일 때 03
G Y 이다. 
Y [ƒY ]

따라서 가능한 경우는 없다. U [전략] G Y   < 
O 1 5 x Y  [ ƒYƒ]
Œ, , Ž에서 순서쌍 B, C 는 개이다. 
 
이므로 ƒG Y  , ƒG Y ƒ일 때로 나누면 Z G—G Y
단계 채점 기준 배점  
B일 때 순서쌍 B, C 의 개수 구하기 30% 를 구할 수 있다.
B일 때 순서쌍 B, C 의 개수 구하기 50%

B일 때 순서쌍 B, C 의 개수 구하기 20% Y [ƒY ]

G Y  < 
이므로
 Y  [ ƒYƒ]


G Y [ƒG Y  ]

G G Y <
 

G Y  [ ƒG Y ƒ]

02 
 Y [ƒY ]
[전략] B, C는 G G Y G Y 를 만족시키므로 G U U의 해부터 찾는다. 


<
그리고 H B , H C 가 9의 원소임에 주의한다.
 Y  [ƒY  ]

H B G G B G B , H C G G C G C 이므로  

B, C는 방정식 G G Y G Y 의 해이다.  Y  [ ƒY]

G Y U라 하면 G U U y
y=f{t} y=t 
4  Y   [ ƒY ƒ]
[그림 ]에서 G U U의 해는 
U, =, >, ?이다. 
Y [ƒY ]

G Y 의 해는 Y

[그림 ]와 같이 G Y =의 해는
=와 =가 아닌 두 실수 =, =이다.
H = G G = G = =
O = >

[그림 ]
? 4 t
<Y  [ Yƒ]
 




Y  [ ƒY ]

H = G G = G = = y  
y=f{x} y=x Y [ ƒYƒ ]
H = G G = G = = 4  
Z G—G Y 의 그래프는 오른쪽 위 y
H Y 는 9에서 9로의 함수이므로 = y={ f`©`f }{x}
1
또는 =가 9의 원소이면 =도 9의 원 =
그림과 같다.

소이다. 마찬가지로 Z G—G—G Y 를 구하

따라서 가능한 9는 9\=, =^ 또는 O =¡ = =™ 4 x 고 그래프를 그리면 오른쪽 아래 그림과


같다. O 1 1 3 1 x
9\=, =^로 개이다. [그림 ] 4 2 4

44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G—G—G Y Y의 해는 y 
y={ f`©`f`©`f}{x} %m B ∴ B
Z G—G—G Y 의 그래프와 직선 1 y=x 

ZY의 교점의 Y좌표이므로 개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면  B

9는 해집합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
   
이므로 개수는 O 1 1 3 1 x
Œ, 에서  B  B
   
4 2 4
 ①

ZG Y 의 그래프는 직선 ZY에서 Y축 y


y=2x-1
아랫부분을 꺾어 올린 다음 Y축에 대칭한 후 Z축 1 05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꼴이므로 [전략] 일대일대응인지 보일 때에는 일대일함수인지 확인하고,
G Y ]Y], x 치역과 공역을 비교한다.
O 1
또 G G Y ]G Y ]에서
ㄱ. Y„ Ym이면 H Y„ H Ym
G Y 은 G Y 를 배한 다음 Z축 방향으로  -1
y=-|2x-1|
만큼 평행이동한 꼴이므로 그래프는 [그림 ]과 같다. ∴ G H Y„ G H Ym
]G Y ]은 [그림 ]에서 Y축 아랫부분을 꺾어 올린 다음 Y축에 대칭 따라서 G—H는 일대일함수이다.
한 꼴이므로 [그림 ]와 같다. 또 H의 치역이 9이므로 G H Y 의 치역도 9이다.
따라서 ZG G Y 의 그래프는 [그림 ]의 그래프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
따라서 G—H도 일대일대응이다. 참
행이동한 꼴이므로 [그림 ]과 같다.
y y y ㄴ. G, H가 다음과 같으면 G—H가 항등함수이지만 G, H는 항등함
y=2f{x}-1 y=|2f{x}-1| y=1-|2f{x}-1|
1 1 1 수가 아니다. 거짓
g f
X X X
O 1 x O 1 x O 1 x a a a
b b b
-1 -1
y=-|2f{x}-1| c c c
[그림 ] [그림 ] [그림 ] d d d
마찬가지로 G—G—G Y ] G—G Y ]이므로 위와 같이 생각
하면 Z G—G—G Y 의 그래프도 그릴 수 있다. ㄷ. H Y„ H Ym 이면 G H Y„ G H Ym 이므로
Y„Ym
따라서 H는 일대일함수이다.
04 또 H의 치역의 원소가 개이면 G—H의 치역의 원소가 개 이
[전략] By일 때와 B일 때로 나누고 하이므로 G—H가 일대일대응이라는 것에 모순이다.
두 곡선 ZG Y , ZH Y 는 직선 ZY에 대칭임을 이용하면
곧, H의 치역의 원소는 개이고 치역은 9이다.
두 곡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날 조건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H는 일대일대응이다.
Œ By일 때 이때 H의 역함수가 있으므로 G G—H —H이고 G는 일대
곡선 ZG Y 와 ZH Y 는 직선 y=f{x}
y y=x 일대응의 합성이므로 일대일대응이다. 참
ZY에 대칭이므로 그림과 같이 y=g{x}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곡선 ZG Y 가 직선 ZY와 세 a
점에서 만난다. O x

곧, Yy에서 곡선 ZY B가
직선 ZY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06
만나면 Y에서는 한 점에서 만난다. [전략] G—H—G가 일대일대응이므로 G, H는 일대일대응이다.
다음과 같이 그림으로 나타내고 생각한다.
곡선 ZY™A B와 직선 ZY가 접할 때
Y BY, 곧 YY B에서 (다)에서 G—H—G가 일대일대응이므로 G, H는 일대일대응이다.
 조건을 나타내면 그림의 검정 화살표이다.
%„B ∴ B
 f g f
A B A B
 1 2 1 2
따라서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면 ƒB
 2 3 2 3
 B일 때 3 4 3 4
y y=f{x} y=x 4 5 4 5
마찬가지로 Y에서 곡선
ZY B와 직선 ZY가 서로 y=g{x}
(나)에서 어떤 Y에 대하여 H Y Y이고 H는 일대일대응이므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면 된다. O 가능한 경우는 H  이다.
a x
Y BY, 곧 Y YB 또 G—H  이고 (다)에서 G—H—G  , G는 일대일
에서 대응이므로 G  

03. 함수 45

⤿⥗⥸⥇⥏⤼⥗⤿⥡⥸⥎⥏⥎⥐⥅⥓⥫QVLJ  !࿼ፎ"
정답 및 풀이

f g f H  이면 (다)에서 G  이다.


A B A B
1 2 1 2 또 Y일 때 (다)이면 G  , H  이다.
2 3 2 3 f g f
A B A B
3 4 3 4
1 2 1 2
4 5 4 5
2 3 2 3
3 4 3 4
G—H  , (다)에서 G—H—G  , G는 일대일대응이
4 5 4 5
므로 G  
이때 G   H  이면 (다)에서 G  이고
f g f 이때 G—H—G  이므로 모순이다.
A B A B
1 2 1 2 ∴ G  , H  
2 3 2 3
3 4 3 4
4 5 4 5
07
또 (다)에서 G—H—G  이고 [전략] ON이면 G O G N , ON 이면 G O G N 이므로
G O 이 최대이면 O이 홀수이다.
G—H—G   G—H G   G—H  
같은 이유로 G N 이 최대이면 N도 홀수이다.
이므로 H  
따라서 H  이고 G—H—G  를 만족시킨다. O을 로 나눈 몫을 B, 나머지를 S이라 하면
∴ G  , H  , G  H   ② G O G B S G B S
B을 로 나눈 몫을 B, 나머지를 S라 하면
G, H가 일대일대응인지 모르는 경우 다음과 같이 풀 수 있다. G B G B S G B S
G B 라 하면 (다)에서 B를 로 나눈 몫을 B, 나머지를 S이라 하면
G H  B , G  B  G B G B S G B S
U

G  이므로 B, G  
f g f 로 나눈 나머지는  또는 이므로 G O 이 최대이면
A B A B
1 2 1 2
SSS U
2 3 2 3 ∴ OB 
3 4 3 4  B  B  
4 5 4 5 
 B    B   

 
(나)에 의해 H   또는 H  이다.  B    B    
U

(다)에 의해 H  는 과 가 아니다.
Œ H  일 때 L @  L U  
L L
f g f   U  
A B A B
1 2 1 2
따라서 OL L U  일 때 G O 은 최대이다.
2 3 2 3 그런데 이므로
3 4 3 4 O      
4 5 4 5
일 때 최대이고 최댓값은
H  이면 (다)에 의해 G   G  G   U  
 
이 경우 G—H—G  이므로 G   U   
 
H   또는 H  이고 G   G       
U

H  이면 위 그림에서 G  는 어떤 값이어도 (다)를 만족


시키지 않는다.       
H  이고 G  인 경우도 Y일 때 (다)를 만족시키 최댓값 : , O
지 않는다. G  
 H  일 때 G  G  
f g f G  G  
A B A B
1 2 1 2 G  G  G  
2 3 2 3 G  G  G  
3 4 3 4
G  G  G  
4 5 4 5
G  G  G   

46 II. 함수와 그래프

ጄ73QVLL !࿼႖"
G  G  G  G   O L  L
L일 때 <Y ><Y > N
G  G  G  G     

G  G  G  G   O L  L


Ly일 때 <Y ><Y > N
  
U

따라서
G  G  G  G 

G  G  G  G   G [Y N ]

ƒOƒ인 O에서  
<Y > U <Y > N
G    
G  G    
<Y> <Y > U <Y > N
 
G  G  
G Y  N
G  G  
O
G  G   ∴ G [Y ]G Y O 참

G  G   O O 
ㄷ. ƒOƒ이고 ƒY 일 때, ❶에서 G Y O
G  G    
G    G G Y  OG Y 에 대입하면 G O O
G     O은 정수이므로 G O  O
G       O O, O O 
G       ∴ O 또는 O
G        자연수 O의 합은 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08
[전략] QƒYQ  1 <Y>Q Q는 정수 를 이용한다.
L
특히 G Y 는 <Y > 꼴을 정리해야 하므로

R R 
Q ƒYQ 을 생각한다.
 
L, , , U, 라 하자.
Q가 정수이고 R는  이하의 자연수일 때
R R 
Q ƒYQ
 
R L L R  L
라 하면 Q ƒY Q
  
L
따라서 R L이면 <Y >Q

L
R Ly이면 <Y >Q 

L, , , U, , 이므로 R Ly인 L는 R개이다.
R R 
따라서 Q ƒYQ 이면
 
G Y Q R  … ❶
   
ㄱ.  ƒ  이므로 G [ ] 참
   
ㄴ. ON N은 자연수 일 때
O L L L
<Y ><Y N >N <Y >
   
이므로 G Y N G Y N
O
∴ G [Y ]G Y O

ON N은 자연수 일 때
O L  L
<Y ><Y N >
  

03. 함수 47

ጄ73QVLL !࿼႖"
정답 및 풀이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04


Y  Y  
Z   
Y Y Y
TUFQ 기본 문제 48~52쪽

이므로 Z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Y
01 ① 02 B, C 03 ② 04 ⑤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05 ① 06 ① 07 ,  08 ④ 09 ①
 ∴ Q, R, Q R ⑤
10 ④ 11 ⑤ 12 [  , ] 13 ③

14 Y, Z  15 Y, Z 16 ⑤

17 ③ 18  19 ⑤ 20  21  05
22 ① 23 ⑤ 24 ⑤ 25 B, C, D Y  
G Y   
26  27 ② 28 ① 29  30 ② Y Y
31  32 ④ 33 ①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N만큼, Z축 방향으
34 ⑴ 정의역A:A\Y|Yy^, 치역A:A\Z|Zƒ^ 로 O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의 식은
⑵ Z Y A™  Yy

35  36 ③ 37 ② 38 ② Z  O
YN

39 ƒL  40 ① ZH Y 와 비교하면 N, O 
∴ N, O, N O ①
01
주어진 식의 우변을 통분하면
B Y 
C Y B C Y BC 06
우변  
Y  YY™AY 점근선이 직선 Y, Z인 유리함수의 식은
분모가 좌변과 같으므로 분자를 비교하면
L
Z 
B C, BC Y
∴ B, C, BC ① 으로 놓을 수 있다.
점 ,  을 지나므로 L  ∴ L
   Y
02 ∴ Z
Y

Y
  
Y Y  Y  Y  Y  Y  Y 

Y
  
 [  ] BY C
Y  Y Y Y  Z 와 비교하면
Y D
  
 [  ] B, C, D, BCD ①
Y   Y  Y  Y 
  
[  ]
Y   Y  Y  Y  BY C B Y D CBD
Z 
      Y D Y D
   
Y Y  Y  Y  Y  Y  CBD
 B
  Y Y  Y D
   
Y Y  Y Y  Y Y  이고 점근선이 직선 Y, Z이므로
∴ B, C B, C B, D
Y C
이때 Z 이고,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다음을 이용하였다. Y
     C ∴ C
 [  ] 단, " #
"# #" " #

03 07
좌변의 분모, 분자에 Y 을 곱하면 점 1는 두 점근선의 교점이다.
Y Y   Y  
 Z   
Y  Y  Y Y  Y Y Y
 
Y  Y   Y Y 
 이므로 점근선은 직선 Y, Z이고 교점의 좌표는 ,  이
Y 
 Y    다. , 
  
Y  Y 
∴ B, C, D, B C D ②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에 대칭이다.

48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08 11
Y   Y  Y  Y 
Z  y 2x+1 Z  y
Y Y y= Y Y y=
2x-1
x-3 x-1
  3
   
Y y=2 2
Y 2
O
이므로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3 x 이므로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
- O 1 2 x
Z이다. 3 치역이 \Z]Zƒ^이므로 Z을 대
ㄱ. 거짓 x=3 입하면
  
ㄴ. 점 [,  ]을 지나므로 그래프는 제사분면을 지난다. 참 ,  ∴ Y
 Y Y
ㄷ.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 ,  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따라서 정의역은 \Y]Yy^ ⑤
직선에 대칭이므로 Z Y , 곧 ZY에 대칭이
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ㄴ, ㄷ이다. ④
12
점근선이 직선 Y, Z이므로
유리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직선 YQ, ZR y
L
이면 그래프는 점 Q, R 를 지나고 기울기가 † Z 
Y
인 직선에 대칭이다. q
로 놓을 수 있다.
점 ,  을 지나므로 L  ∴ L
O p x

∴ Z 
Y

Z을 대입하면  
Y
09
  
Y   Y    , Y ∴ Y
Z    Y  
Y Y  Y 
 
이므로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Z이다. 따라서 Y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는 [ , ] [ , ]
 
따라서 그래프는 두 점근선의 교점 y=-x-5 y y=x-3

,  를 지나고 기울기가  -1


-5 O 3 x
또는 인 직선에 각각 대칭이다. -4
기울기가 인 직선은 {-1,`-4}
13
주어진 함수의 식을 변형하면
Z Y  Y
YB   Y B 
기울기가 인 직선은 Z 
Y Y
Z Y  Y B 
  
두 직선의 Y절편은 각각 , 이므로 두 직선과 Y축으로 둘러 Y
싸인 부분의 넓이는 이므로 점근선은 직선 Y, Z이다.
 y y
@@ ①


O x O 2
-2 2 x
-2
10
Y 
G Y  이라 하면
Y  [그림 ] [그림 ]
 Y   
G Y    Œ B 일 때
Y  Y 
y [그림 ]과 같은 꼴이므로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이므로 ƒYƒ에서 그래프는 그림과
3 y=f{x} 
같다. ∴ B

   B 일 때
최댓값은 G   
 
-2 2 x 
  O Z이므로 제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 B
최솟값은 G    
 
Ž B 일 때

따라서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은 ④ [그림 ]와 같이 Y에서 Z의 값이  또는 음수이다.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49

⤿⥗⥸⥇⥏⤼⥗⤿⥡⥸⥎⥏⥎⥐⥅⥓⥫QVLJ!  !࿼ፎ"
정답 및 풀이

Y을 대입하면 17
B   ZG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직선 Y, Z이므로
ƒ, B y ∴ Bƒ
  L
G Y  
  Y
B 이므로 Bƒ
  로 놓을 수 있다.
 L
Œ, , Ž에서 Bƒ G  이므로  ∴ L
 
자연수 B의 값은 , , 이고, 합은 이다. ③  
G Y  이므로 Z 이라 하고 역함수를 구하면
Y Y
  
Z , Y , Y 
14 Y Z Z
Y  Y, Z를 서로 바꾸면
H Y  @ Y 
G H Y    Y
H Y  Y  Z  ∴ Z
 Y Y
Y
 Y   Y Y
 따라서 H Y  이므로
Y
Y   Y
Y   Y   B, C, D ∴ B™A C™A D™A ③
   
Y   Y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므로
 
Y   ZH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Z이고 점 , 

따라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Y, Z 을 지난다. 곧,

 L
H Y  라 하면 H  이므로 L
Y, Z Y

 Y
∴H Y  
Y Y
∴ B, C, D, B™A C™A D™A
15
 Y
 G Y 
Y
G ™A Y G G Y  
G Y  Y 18

Y
직선 ZY와 ZY 의 교점의 좌표가 ,  이므로
Y  Y 
  ZG Y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Z이다.
Y  Y Y
  L
G ›A Y G ™A G ™A Y   Y 따라서 G Y  로 놓을 수 있다.
 Y
G™A Y 
Y G  이므로 L ∴ L
G žA Y G šA G ›A Y G šA Y G G ™A Y 
이때 G Y  
Y

 Y G  Q라 하면 G Q 이므로
 Y
G [ ] 
Y  Y  
 , Q ∴ Q 
Y Q
Y   
  
Y  Y  ZG Y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Z이므로
따라서 점근선의 방정식은 Y, Z Y, Z 
G Y  이다.
Y 

16
ZG Y 의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G  에서 19
Y
Z 과 ZBY에서
B C Y
 ∴ B C  … ❶

Y
ZG ‘˜A Y 의 그래프가 점 ,  을 지나므로 ZG Y 의 그래 BY, YBY Y
Y
프는 점 ,  를 지난다. 곧, G  에서 BY™A B  Y 
B C 접하므로 % B  ™AB, B™AB 
 ∴B C  …❷

이 이차방정식은 실근을 가지므로 B의 값의 합은
❶, ❷를 연립하여 풀면

∴ CB ⑤  ⑤
B, C 

50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23
  y   ‚Y ‚Y
B의 값을 구하면 B 또는 B 이다. 9 G Y  
  y= x Y   Y 
2 ‚Y  ‚Y
1
y= x
2 ‚Y  ‚Y
3 이므로
O
2 3x-8 x G  G  G  U G 
y=
x-2
      
     
20    
제사분면에서 교점의 Y좌표를 y k   
y= x
=, = = 이라 하자.   ⑤
L
Y™A Z™A와 Z 에서
Y
O = x
2=
Y™A
L™A
, Y›AY™A L™A 24
Y™A x@+y@=5 Z‚Y  ‚ Y 
이 방정식의 해가 교점의 Y좌표이다. 따라서 Z‚Y  의 그래프는 Z‚Y 의 그래프를 Y
Y™AU라 하면 U™AU L™A 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이 방정식의 두 근이 =™A, =™A이므로 ∴ B, N, O, BNO ⑤
=™A =™A, =™A@=™AL™A
=™A에서 =™A ∴ L™A=›A
L이므로 L  25
Z‚BY C D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
로 만큼 평행이동하면
21 Z‚B Y  C D
 다시 Z축에 대칭이동하면
점 B, C 가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C 
B
Z‚BY B C D

B이면 B, 이므로 Z‚Y  과 비교하면
B
 B, B C, D 
B CB 
B ∴ B, C, D B, C, D

 B 
B
 26
y|Š B @ 
B
G Y ‚BY C D의 그래프는 ZuBY B 의 그래

[단, 등호는  B  , 곧 B일 때 성립] 프를 Y축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
B
따라서 최솟값은 이다.  므로
G Y ‚B Y 
G  이므로
22 ‚B , ‚B  ∴ B
.@@@이므로 의 정수 부분은 이고 소수 부분은 따라서 G Y ‚ Y 이고
Y이다. G  ‚   
‚Y  ‚Y ‚Y  ™A ‚Y ™A

‚Y ‚Y  ‚Y ‚Y  


Y ‚Y  Y‚Y  27
Y Z‚BY C D의 그래프는 ZuBY B 의 그래프를 Y축
Y     방향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Y  
Z‚B Y 
   
  점 ,  를 지나므로
 
‚B , ‚B  ∴ B
 

 곧, Z‚ Y ‚Y  이므로
 ① C, D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51

⤿⥗⥸⥇⥏⤼⥗⤿⥡⥸⥎⥏⥎⥐⥅⥓⥫QVLJ  !࿼ፎ"
정답 및 풀이

DY B 0#“이고 삼각형 "0#의 넓이가 이므로


이때 Z 는
BY C  B B
@@|Š , |Š 
Y  Y    B  B 
Z   
Y  Y Y 양변을 제곱하면
이므로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Z이다. B
, B B  ∴ B
Y B 
따라서 Z 의 그래프는 점 ,  에 대칭이다.
Y 
∴ =, >, = > ②
31
Z‚Y  의 그래프는 Z‚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28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Z‚Y  C의 그래프는 y 또 Z‚Y  의 그래프는 Zu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
Zu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y=Âx+˛3˛+b
으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만큼, Z축 방향으로 C만큼 평행 -3 Z‚Y 의 그래프와 ZuY 의 그 x=-4 y
y=Â-x˛+˛4˛+3
O x
이동한 것이다. 래프는 Z축에 대칭이므로 그림에서
b
정의역은 \Y|Yy^, 색칠한 두 부분의 넓이는 같다. A 3 D

치역은 \Z|ZyC^이므로 따라서 구하는 부분 빗금친 부분 6


O 4
B, C ∴B C ① -4 x
의 넓이는 직사각형 "#$%의 넓이
-3
와 같으므로 B C
8
@  y=Âx+˛4˛-3 x=4
29
G Y ‚Y  B y
9
|Š[Y

] B y=Â-3˛x˛+˛16˛+a 32
 G ‘˜A  에서 G  이므로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a 16
3 B‚  , B  ∴ B
Z‚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 따라서 G Y ‚Y  이므로
-3 O 5 x
 G    ④
로 만큼, Z축 방향으로 B만큼 평

행이동한 것이다.
ƒYƒ에서 최댓값이 이므로 G   33
 
G   이므로
‚@   B ∴ B 
따라서 G Y ‚Y  이고 G— H—G ‘˜A—G   G—G ‘˜A—H ‘˜A—G 
G B G  ‚     H ‘˜A—G 
H ‘˜A G  H ‘˜A 
H ‘˜A  L라 하면 H L 이므로
30
Z‚B Y ‚B Y y ‚L , ‚L 
의 그래프는 Z‚BY 의 그래프를 y=´a{¨6¨-¨x¨}¨ 
L ∴ L ①

Y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 A
y=Âx°
이다.
점 " Q, R 라 하면 Q, R이다.
O B{6,`0} x 34
⑴ G Y 의 정의역은 \Y]Yƒ^, y
0#“이고 삼각형 "0#의 넓이가 이므로
치역은 \Z]Zy^이다. y=f{x}

@@R ∴ R G ‘˜A Y 의 정의역은 G Y 의 치역이므 5

이때 " Q,  는 Z‚Y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로 \Y]Yy^, G ‘˜A Y 의 치역은 G Y
Q ∴ Q 의 정의역이므로 \Z]Zƒ^이다.
O 3 x
" ,  는 Z‚B Y 의 그래프 위의 점이므로 ⑵ Z‚Y 라 하고
‚B  , B ∴ B ② Z‚Y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Z ™AY, Y Z ™A 
"의 Y좌표는 Z‚B Y 와 Z‚Y 에서 Y, Z를 서로 바꾸면
  ‚B Y Y , B Y Y Z Y ™A  Yy
B B ⑴ 정의역A:A\Y]Yy^, 치역A:A\Z]Zƒ^
∴ Y , Z|Š
B  B  ⑵ Z Y ™A  Yy

52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y

. 무리함수의 역함수를 구할 때에는 역함수의 정의역을 표시한다.


y=¸2x-˛3˛
역함수의 정의역은 원 함수의 치역이다. 1
y=mx+1
. G Y 의 역함수를 ZY™A Y Yy 라 해도 된다. A
O 3 x
2

따라서 직선 ZNY 이 Z‚Y 의 그래프에 접할 때


35
N은 최대이고, "를 지날 때 N은 최소이다.
G Y 의 역함수가 있으면 G Y 는 일대일대응이다.
Œ N이 최대일 때
Z‚Y 의 그래프는 ZuY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ZNY 과 Z‚Y 에서
만큼, Z축 방향으로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다.
NY ‚Y , NY  ™AY
Z YB ™A  Yy 의 그래프 y
N™AY™A  N Y 
가 점 ,  을 지나므로
접하므로
 B ™A  3 {4,`3}
%
B™AB   N ™AN™A
y=f{x} 
∴ B 또는 B N N  
O 4 x
이때 축 YB의 위치를 생각하면 x=a

N이므로 N
Bƒ이므로 B  
 N이 최소일 때

직선 ZNY 이 "[ , ]을 지나므로
36 
G Y ‚ Y 이고, y
y=f—!{x}
 
y=x  N  ∴ N
 
ZG Y 와 ZG ‘˜A Y 의 그래프는 직
Œ, 에서
선 ZY에 대칭이므로 그림과 같다. 4 y=f{x}
 
따라서 ZG Y 와 ZG ‘˜A Y 의 그래 2 B , C ∴ BC ②
 
프의 교점은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O 2 4 x
ZY의 교점과 같다.
Z‚Y 와 ZY에서 39
‚Y Y, ‚Y Y Z‚Y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 y ❶

Y Y ™A, Y™AY  과 같이 점 " ,  에서 Y축과
y=¸x+2˛
∴ Y 또는 Y 만난다. A

ZY에 대입하면 교점은 ,  , ,    -2 O x


또 직선 Z Y L는 기울기가
 
두 점 사이의 거리는 ā  ™A  ™A  ③
이고 Z절편이 L인 직선이다.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나면 직선이 ❶
37 과 ❷ 사이에 있거나 직선 ❷이면 된다.
Z‚Y 과 ZY B에서 y y=x+a Œ 직선이 ❶일 때
‚Y Y B 
Z Y L와 Z‚Y  에서

양변을 제곱하면 y=Âx-˛1˛
 
YY™A BY B™A Y L‚Y , [ Y L]™AY 
O 1 x  
Y™A B Y B™A  Y™A  L Y L™A
접하므로 접하므로
% B ™A B™A   %
 L ™A L™A 
 
B ∴ B ②
 
L  ∴ L

 직선이 ❷일 때
38 
직선 Z Y L가 " ,  을 지나므로
 
그림과 같이 Z‚Y 의 그래프는 점 "[ , ]에서 Y축과

 L ∴ L
만난다. 또 직선 ZNY 은 Z절편이 이고 기울기가 N인 직
 
선이다. Œ, 에서 ƒL ƒL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53

⤿⥗⥸⥇⥏⤼⥗⤿⥡⥸⥎⥏⥎⥐⥅⥓⥫QVLJ  !࿼ፎ"
정답 및 풀이

40 02
그림과 같이 ZG Y 와 ZG ‘˜A Y 의 y y=f—!{x} y=x [전략] 저항 3, 3 를 병렬 연결한 것부터 생각한다.
그래프가 한 점에서 만나면 ZG Y 의 저항 3, 3 를 병렬 연결한 저항을 3"라 하면
그래프와 직선 ZY가 접한다. y=f{x}     3  3
 , 
B‚YC Y에서 3" 3 3  3" 3 3 
b
B™A YC Y™A, Y™AB™AY B™AC 3 3 
Ob x ∴ 3" 
3 
접하므로
저항 3"와 3를 직렬 연결한 전체 저항은
%B›AB™AC, B™A B™AC 
3 3  3 3  3 3 
B이므로 B™AC 3

3  3 
  3™A 3
이때 CB B™AB B ™A  ③
  3 
따라서 CB는 B일 때 최소이고, 최솟값은 이다.

B일 때 C이다. 03
[전략] 발주량의 정의에 따라 )", )#를 B로 나타내고
)")#임을 이용한다.
급식 인원이 명이고 "의 폐기율이 B  , 인당 제공되는
정미중량이  H 이므로 발주량은
@
  )" @ H
B
#의 폐기율이 B  , 인당 제공되는 정미중량이  H 이므
TUFQ 실력 문제 53~58쪽 로 발주량은
@
)# @ H

01  02 ③ 03  04 ④ 05 ① B
)")#이므로
06 ① 07 ① 08 \Z|Zƒ^ 09 ①
10  11  12 ① 13 ③ 14  @ @
@@ @
B B
15 ④ 16 B, C, D 17 ①
  
18  19 ② 20 ⑤ 21  22 ⑤ 
B B
      B  B ∴ B 
23  24 ② 25   B  또는  B 

26 ② 27  28 L  29 ④
04
30 ⑤ 31 ② 32 ② 33 ② 34 ① 
[전략] Z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35  36 
이 그래프가 Y축, Z축과 만나는 점의 좌표부터 찾는다.

01 Z

에
C E G C E G Y
[전략] .   꼴이 주어지면   L로 놓고 정리한다.
B D F B D F

C E G Y을 대입하면 Z
. BA:ACDA:AEFA:AG 이면   로 바꿔 생각한다. 
B D F
  
Y Z Z [ [ Y Z을 대입하면  , Y ∴ Y
  L라 하면 Y  
[ Y Z
따라서 그림에서 y 1
Y Z[L, Z [YL, [ YZL …❶ y= +3
2x-8
색칠한 부분에 있고 Y좌표와 3
변변 더하면  Y Z [  Y Z [ L
Z좌표가 모두 자연수인 점의 23
Y Z [ 이므로 L 8
개수를 구하면 된다.
❶에 대입하면
 O 23 4 x
Y Z[   …❷ Z 에
Y 6
Z [Y  …❸  
Œ Y을 대입하면 Z 
[ YZ  …❹  
❷❸을 하면 Y[[Y ∴ Y[ 곧, 자연수의 순서쌍 Y, Z 는 ,  , , 
❹에 대입하면 Z[  
 Y를 대입하면 Z 
 
YšA ZšA [šA [ šA [ šA [šA  
∴   곧, 자연수의 순서쌍 Y, Z 는 ,  , , 
YZ[ [@[@[  

54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Ž Y을 대입하면 Z    ,  ∴ B
  B B B 
곧, 자연수의 순서쌍 Y, Z 는 ,  , ,  
∴B C
Œ, , Ž에서 Y좌표와 Z좌표가 모두 자연수인 점의 개수는 

이다. ④

05 07
LY 
[전략] 유리함수 Z Y 의 그래프가 직선 ZY 에 대칭이면 [전략] 유리함수의 그래프가 직선 ZY에 대칭이다와 점근선이 직선

점근선도 직선 ZY 에 대칭이다. ZY에 대칭이다는 필요충분조건이다.


따라서 점근선을 구하고 직선 ZY에 대칭일 필요충분조건을 찾는다.
이를 이용하여 L의 값부터 구한다.
B BE
LY  L Y L  L  DY E C
Z   L BY C D D
Y Y Y Z 
DY E DY E
이므로 그래프의 점근선은 y y=x+5
BE
k
C
직선 Y, ZL이다. y=k
D B 
 …❶
DY E D
두 점근선이 직선 ZY 에 대칭
E B
이므로 점근선의 교점 , L 는 직 이므로 점근선은 직선 Y , Z 이다.
y=ax+b D D
선 ZY  위에 있다. 1
O x E B
x=1 두 점근선이 직선 ZY에 대칭이면 점근선의 교점 [ , ]
∴ L D D
이때 점근선은 직선 Y, Z이다. 가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직선 ZBY C의 기울기가 이므로 B B E
 ∴B E
또 직선 ZY C가 점근선의 교점 ,  을 지나므로 D D

 C, C ∴ BC ① B


역으로 B E이면 ❶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
D
B
Z 이고, 두 점근선이 직선 ZY에 대칭이므로 ❶의 그래프
06 D
[전략] 정의역과 치역이 같으면 점근선은 직선 YQ, ZQA꼴이다. 도 직선 ZY에 대칭이다. ①
정의역과 치역이 같으므로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을 YQ,
ZQ라 하자. ZG Y 의 그래프가 직선 ZY에 대칭이면
점 Q, Q 가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ZG Y 와 YG Z 가 같은 식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QQ  ∴ Q BY C
Z   …❷
DY E
L Y 
L Y L
따라서 G Y    로 BZ C
Y  Y  Y  에서 Y, Z를 서로 바꾸면 Y
DZ E
놓을 수 있다.
Y DZ E BZ C, DYB ZEY C
CY CY
조건에서 G Y   이므로 위의 식과 비교하면 EY C
BY  BY  ∴ Z
DYB
C, L, B
이 식이 ❷와 같으므로 BE
 
∴ B , C, B C ①
 

@! BY  @! @! 08


CY C [전략] Yy일 때와 Y일 때로 나누어 함수의 그래프를 그린다.
G Y   
BY  BY  BY  B
Y 
 C Z 에서
이므로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 Z 이다. ]Y] 
B B
Œ Yy이면 y
따라서 정의역과 치역은 각각
4 2x+4
Y   y=
 C Z   |x|+1
<Y\Y  인 실수=, <Z\Z 인 실수= Y  Y 
B B 2
 Y이면 -2
 C
정의역과 치역이 같으므로   ∴ C O x
B B Y  
Z   -2
Y  Y
 
이때 점근선은 직선 Y , Z 이고, 점근선의 교점
B B Y 
따라서 Z 의 그래프는
  ]Y] 
[ ,  ]이 직선 ZY  위의 점이므로
B B 그림과 같고 치역은 \Z|Zƒ^ \Z|Zƒ^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55

⤿⥗⥸⥇⥏⤼⥗⤿⥡⥸⥎⥏⥎⥐⥅⥓⥫QVLJ  !࿼ፎ"
정답 및 풀이

09 1의 좌표를 B, C 라 하자.
Y
[전략] Z Y 의 그래프와 직선 ZBY , ZCY 를 그려 점근선이 직선 Y, Z이고 B, y 2
y= +2
x-1
ƒYƒ에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C이므로 직사각형 1243의 둘레
Y y 의 길이는 R
P{a,`b}
G Y  라 하면 y=bx+2
Y  13“  12“ B  C 2
y=f{x}
S Q
 U
G Y  이므로
Y y=ax+2
O 1 x
2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C 이므로
B
Œ ƒYƒ에서 BY ƒG Y 이면 
O 1 2 4 x  13“  12“ B
직선 ZBY 가 ZG Y 의 B
그래프와 만나거나 아래쪽에 있다. 따라서 Y일 때 
y|Š B @ 
B
 
B ƒG  , B ƒ ∴ Bƒ 
    [단, 등호는  B  일 때 성립]
B
 ƒYƒ에서 G Y ƒCY 이면
따라서 직사각형 1243의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은 이다.
직선 ZCY 가 ZG Y 의 그래프와 만나거나 위쪽에 있
U
다. 따라서 Y일 때
C yG  , C y ∴ Cy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직사각형 1243의 둘레의 길이를 식으로 나타내기 40%
 
Œ, 에서 CB의 최솟값은   ① 둘레의 길이의 최솟값 구하기 60%
 


 B  에서 B™AB
B
10 B이므로 B 
[전략] 1 Y, Z 라 하고 2, 3의 좌표를 구하면 따라서 B 일 때, 최소이다.
1"“12“ 13“를 Y, Z에 대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1가 제사분면 위의 점임에 주의한다.

1 Y, Z 라 하면 1가 제사분면 위의 y
P{x,`y}
점이므로 Y, Z이고 R

2 Y,  , 3 , Z 12
-2 [전략] 1 B, B 라 하고 2, 3의 좌표를 B로 나타낸다.
1"“12“ 13“에서 O Q x
그리고 선분 12와 13의 길이를 구한다.
ā Y  ™A Z  ™A Z Y A -2
B
양변을 제곱하면 1 B, B 라 하면 2[B, ]
B
Y  ™A Z  ™A Y Z ™A Y
또 3의 Z좌표가 B이므로 B 에서
YZYZ, Y Z  Y
Y이면 식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Y 이고 B B
B Y Y, Y ∴ 3[ , B]
B B

Z 따라서
Y
 B B B  B B™AB 
∴ Z  y 12“B  
Y B B B
y=x
Y, Z이므로 1가 그리는 도형은 B B B  B B™AB 
13“B  
B B B
그림과 같다.
2 
이 도형은 점 ,  를 지나고, 기울기 12“ 13“이므로

가 인 직선 ZY에 대칭이다. O 2 x
8 B™AB   B™AB 
y= +2  @
x-2
∴ B, C, B C B  B
 
 B™AB [B ]™A 이므로
 
1는 Y, Z인 부분만 움직이므로 점 ,  를 지나고 기울기가 인
직선에는 대칭이 아니다.   
 @ ,  B  B
B  B
∴ B
 
11 이때 12“ , 13“ 이므로 삼각형 123의 넓이는
 
[전략] 1 B, C 라 하고, 직사각형의 둘레의 길이를 B, C로 나타낸다.     
또 1가 그래프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B, C의 관계식을 구한다. @12“@13“ @ @  ①
    

56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13 15
Y L
[전략] 방정식 Y의 해를 =, >라 하면 [전략] #가 곡선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 >의 관계를 구한다.
Y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좌표는 =, = , >, > 이다. 또 점 $의 좌표를 =, >로 나타내고, 삼각형 "#$의 넓이도 =, >로
방정식을 정리하고 근과 계수의 관계를 이용한다. 나타낸다.

Y L L  y y=x  y
Z    … ❶ # =, > 가 Z 의 그래프 위의 점 2 y=x
Y Y Y y=
x
Q
L 이므로 ❶의 그래프는 그림과 이므로 C
1 A 2
같다. 
> ∴ => …❶ B{=,<>}
O 1 x =
Y L -2 x
Z 와 ZY에서 P
y=
k+1
+1 =이므로 > O Â2
Y x-1
Y L 점 #, $가 직선 ZY에 대칭이므로
Y, Y™AYL
Y $ >, =
이 방정식의 두 근을 =, > => 라 하면 1 =, = , 2 >, > =>이므로 #$“ā >= ™A => ™A  =>
12“이므로 직선 #$는 직선 ZY에 수직이다. 따라서 직선 #$는 기울기가
>= ™A >= ™A  ™A 이고 #를 지나므로 방정식은
>= ™A  … ❷ Z> Y= ∴Y Z = > 
또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 >, =>L이므로 " ,  와 직선 #$ 사이의 거리를 I라 하면
>= ™A = > ™A=> L |  = > | 
I  = >
❷에 대입하면  L ∴ L ③ ā™A ™A 
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 => @ = > 
 
14 ∴ =™A>™A  …❷
[전략] 곡선과 직선의 방정식에서 Z를 소거한 식의 해가 교점의 Y좌표이다.
❶, ❷에서
YZYZL …❶ =™A >™A ™A =™A>™A ™A =™A>™A
Y Z …❷   ™A @™A
❷에서 ZY를 ❶에 대입하면 =™A >™A이므로 =™A >™A ④
Y Y Y Y L
Y™AY L  …❸ 16

1, 2의 Y좌표를 각각 =, >라 하면 =, >는 ❸의 두 근이므로 [전략] G—H Y G H Y 를 계산하여
과 비교할 때에는
Y
= >, =>L  식을 정리한 후,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한다.
조건에서 =>이므로 L  ∴ L H Y 
G—H Y G H Y 
1, 2는 직선 위의 점이므로 1 =, = , 2 >, > H Y 
= >이므로 1 =, > , 2 >, = BY C

Y D BY C Y D
∴ 01“@02“ā=™A >™A ā>™A =™A  
BY C BY C Y D

=™A >™A = > ™A=>  Y D
™A@  B  Y C D

B Y CD
 B  Y C D 
. YZYZL에서 Y ZY L G—H Y  이므로 
Y B Y CD Y
Y L L 
Z   B  Y™A C D Y B Y CD
Y Y
따라서 L 일 때 곡선은 다음과 같다. Y™A의 계수를 비교하면 B
Œ L일 때  L
이때 Y의 계수와 상수항을 비교하면
y y k+4
k+4 y= +2
y=
x-2
+2 x-2 C D, CD ∴ C, D
8 8
B, C, D

2  
2 G—H Y  에서 H Y G ‘˜A[ ]
Y Y
O 2 8 x O 2 8 x
x+y=8 x+y=8 Y  Z 
Z 에서 Y ZY  ∴ Y
. 곡선과 직선이 두 점에서 만나면 ❸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Y Z
% Y 
™A L   ∴ L Y, Z를 서로 바꾸면 Z
 Y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57

⤿⥗⥸⥇⥏⤼⥗⤿⥡⥸⥎⥏⥎⥐⥅⥓⥫QVLJ  !࿼ፎ"
정답 및 풀이

Y   
곧, G ‘˜A Y  이므로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점 [ , ]에 대칭이다.
Y  
  
 B 이므로 G Y 는 유리함수이고, 점 [ , ]은 두 점근선의
 Y  
H Y G ‘˜A[ ]
Y 
  
Y 교점이므로 ZG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 Z
 
 Y Y
  @! BY  @!  @!
Y Y
G Y   @!
BY C BY  BY 
H Y  와 비교하면 B, C, D
Y D   C 
이므로   ,  ∴ B, C
B  B 
Y  Y
17 ∴G Y  
Y  Y
[전략] G ™A Y , G šA Y , G ›A Y , U를 차례로 구해 규칙을 찾는다.   
∴ G—G  G G  G [ ]
Y   
G Y  이므로
Y 
Y G Y„ G Ym
Y  Y
G ™A Y G G Y   CY„  CYm 
Y Y  
 BY„  BYm 
Y 
Y CY„  BYm  CYm  BY„ 

Y  Y BY„  BYm 
G šA Y G G ™A Y  
Y Y  BCY„Ym B Y„ Ym C Y„ Ym 
   
Y  B™AY„Ym B Y„ Ym 
Y Y„ Ym이면 G Y„ G Ym 이므로 위의 식에 대입하면
Y  Y
G ›A Y G G šA Y   BCY„ Y„ B C 
Y Y  
 B™AY„ Y„ B 
Y 
⋮ BCY„ Y„ B C B™AY„ Y„ B 

Y BCY„™A BCY„ B C B™AY„™A B™AY„ B 


G  Y 
Y  Y„에 대한 항등식이므로
  BCB™A ∴ B CB    … ❶
∴ G     ①
  
B C B  ∴ CB   … ❷
❶에서 B 이므로 CB

G   ❷와 연립하여 풀면 B, C

Y  Y
  ∴G Y  
G ™A  G G  G [ ] Y  Y
 
 
  ∴ G—G  G G  G [ ]
G šA  G G ™A  G [ ]  
 
 
G ›A  G G šA  G [ ]
 
⋮ 19

[전략] ƒYƒ에서 Z Y 의 그래프를 그린 다음
 
∴G  
 G Y 가 9에서 9로의 일대일대응이 되게 직선 ZBY C를 그린다.
 y
G„ Y BY C, Gm Y  
Y
12
18 라 하자. Gm  , Gm  이므로 y=f¡{x}
[전략] 두 점 Y„, G Y„ , Ym, G Ym 를 연결하는 선분의 중점의 좌표가
ƒYƒ에서 ZGm Y 의 그래프는 6
일정하면 ZG Y 의 그래프는 이 중점에 대칭이다. y=f™{x}
그림과 같다. G Y 의 역함수가 있으면
Y„ Ym이면 G Y„ G Ym 
G Y 는 9에서 9로의 일대일대응이 O 3 12 x
이므로 ZG Y 의 그래프 위의 두
{x™,`f{x™}} 므로 ZG„ Y 의 그래프는 G„  , G„  인 직선이다.
점 Y„, G Y„ , Ym, G Ym 를 연
G„ Y BY C에서
결하는 선분의 중점의 좌표는
Y„ Ym G Y„ G Ym
{x¡,`f{x¡}}
{ 12 , 32 } C, B  ∴ B
[ , ] Y  ƒY 
 
∴ G Y <
   ƒYƒ 
  [ , ] Y
 

58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G — G—G L 에서 G G—G L  
따라서 직선 12에 수직인 직선의 기울기는  이다.
 G—G L  ∴ G—G L  

G G L 이므로 점 ,  을 지나므로 직선의 방정식은

  
, G L  Z Y ∴ Z Y  U
 
G L
L  ∴ L ② 직선의 Z절편은 이다. U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직선 12의 기울기 구하기 40%
20 직선 12에 수직이고 점 ,  을 지나는 직선의 방정
40%
식 구하기
[전략] ZG Y 그래프의 점근선을 구하고 ZG ‘˜A Y 와 ZG Y 
Z절편 구하기 20%
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일치함을 이용한다.

Y C  YB B C B C 
G Y    
YB YB YB

ZG Y 의 그래프를 평행이동하면 Z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Y 22
[전략] 그래프에서 점근선의 위치와 Y축, Z축과 만나는 점의 부호를 이용하여
B C  … ❶
B, C, D의 부호를 조사한다.
G ‘˜A Y G Y 에서
B BD
ZG ‘˜A Y 와 ZG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이 같다. CY D 
BY  C C
G Y  
ZG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B, Z이므로 CY D CY D
ZG ‘˜A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ZB BD

C B
ZG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B , Z 
CY D C
∴ B
D B
❶에 대입하면 C ∴B C ⑤ 따라서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Y , Z
C C
D B
∴  ,   … ❶
Y C C C
Z 에서 YB ZY C
YB BY  
또 Z 에 Y을 대입하면 Z
BZ C CY D D
Z YBZ C, Y
Z 
Z을 대입하면 Y
Y와 Z를 서로 바꾸면 B

BY C BY C  
Z ∴ G ‘˜A Y  ∴ ,    … ❷
Y Y D B

G ‘˜A Y G Y 에서 ❶, ❷에서 B, C, D

BY C  Y C B
  이때 ZB‚CY B DB|ŠC[Y ] D이므로
Y Y B C

BY C Y B C  그래프의 개형은 ⑤와 같다. ⑤



Y YB
양변에서 분모의 Y의 계수가 같으므로 23
B, B, CB C  [전략] ZG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 B 9에서 :로의 일대일대응이 될 조건을 찾는다.
Y C C G Y 의 역함수가 있으면 y
이때 G Y   이고 ZG Y 의 그래프를 평
Y  Y  2a y=f{x}
G Y 는 9에서 :로의 일대일대응이다.

행이동하면 Z 의 그래프와 일치하므로 그림에서 G B B이므로
Y
C ∴ C, B C ‚B  B   …❶ a
3 O x
-
양변을 제곱하면 4

B B™A, B B  
21
 
[전략] 1, 2의 좌표를 함수의 식에 대입하여 B, C, D, E의 관계식을 구한다. ∴ B 또는 B   … ❷
 
C™A E™A 
CB , ED 이므로 B , D B 을 ❶에 대입하면 
  
또C E이므로 직선 12의 기울기는 
B 을 ❶에 대입하면 
EC EC  EC  
    U
DB E™A  C™A E™AC™A C E  
  따라서 B 만 해이다.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59

⤿⥗⥸⥇⥏⤼⥗⤿⥡⥸⥎⥏⥎⥐⥅⥓⥫QVLJ!  !࿼ፎ"
정답 및 풀이


직선 ZH Y 가 점 ,  을 지나면 B 이고
❷는 ❶을 제곱하여 푼 결과이다. 

이런 경우 B 과 같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해도 나온다. 교점이 개이다.


한 점을 지나고 무리함수의 그래프에 접하는 직선을 찾기 위해 %을 이용 직선 ZH Y 가 점 ,  을 지나면 B 이고

하는 경우도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해가 나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확인한다.
교점이 개이다.
 
24 따라서  B 이면 교점이 개이다.
 
[전략] ZLuY 의 그래프를 그리고 L의 값이 최대일 때와 최소일 때를 생각  
 B일 때 B 이면 교점이 개이다.
한다.  
ZLuY 의 그래프가 % O™A, O™A 을 y    
C{4n@,`4n@} Œ, 에서  B 또는 B
D{n@,`4n@}
   
지날 때 L가 최대이고, # O™A, O™A 을
   
지날 때 L가 최소이다.  B 또는 B
   
% O™A, O™A 을 지날 때 A{n@,`n@}
O™ALÄaO™A ∴ LO B{4n@,`n@}
# O™A, O™A 을 지날 때 O x 26
[전략] G Y H Y 를 풀어 "의 좌표를 구한다.
O
O™ALÄaO™A ∴ L 그리고 #, $의 좌표를 Q로 나타내고 삼각형 "#$의 넓이를 구한다.

Œ O이 짝수일 때 uYuY 에서 uYuY
O  양변을 제곱하면 YY, Y ∴ " , 
BOO  O 
  G Q uQ , H Q Q이므로
  # Q, uQ  , $ Q, Q
BOy이므로 O y ∴ Oy
 
따라서 #$“uQ Q이다.
O은 짝수이므로 O, , U
삼각형 "#$의 넓이가 이므로
 O이 홀수일 때
 y
O    Q uQ Q 
BOO[ ]  O  y=f{x}
    B
QQ   
   C
BOy이므로 O y ∴ Oy  O y=g{x}
   QQ 
 x
O은 홀수이므로 O, , U A{0,`-1}
∴ Q x=p
따라서 O의 최솟값은 이다. ②

25
[전략] G Y G Y  이면 ZG Y A ƒY 의 그래프가 27
ƒY, ƒY, U에서 반복하여 나타난다. [전략] Z‚Y 의 그래프와 직선 ZBY , ZCY 을 그려

ƒY일 때 G Y ‚Y Yƒ 에서 주어진 부등식이 성립할 조건을 찾는다.

ƒY일 때 G Y ‚ Y y Œ
Z‚Y 
따라서 ƒY에서 ZG Y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Š[Y ]
 1
또 ZG Y 의 그래프는 ƒY의 그래프가 반복된다. y= -2 x+ { 1
2 }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1 O x
y=f{x} -
1 2
Œ BY ƒ‚Y
ZBY 의 그래프는 점 ,  을 지나고 기울기가 B인 직
9 x
-1 O 1 3 5 7 
선이므로 점 [ , ]을 지날 때 B의 값이 최소이다.

H Y BY 이라 하자.

Œ Bƒ일 때 ZBY 에 점 [ , ]을 대입하면

ZG Y 와 직선 ZH Y 에서 B ∴ By U
‚YBY , B™AY™A B  Y  ‚Y ƒCY 
접하면 ZCY 의 그래프는 점 ,  을 지나고 기울기가 C인 직선
 이므로 Z‚Y 의 그래프에 접할 때 C의 값이 최대이다.
% B  ™A@B™A@ ∴ B

Z‚Y 과 ZCY 에서

곧, 직선 Z Y 이 접선이다. ‚Y CY 


60 II. 함수와 그래프

ጄ73QVLL !࿼႖"!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C™AY™A  C  Y   
Z 와 ZY에서 Y, Y™A ∴ Y†
접하므로 Y Y

% C  ™AC™A " ,  , # ,  이므로 Lƒ

C™AC ∴ C† 정수 L는 , , , 이고, 개이다. ④

C이므로 C ∴ Cƒ U


Œ, 에서 CB의 최댓값은 30
Y 
  U [전략] Yy에서 Z Y 의 그래프부터 그리고

단계 채점 기준 배점 Y에서 Z‚Y B의 그래프를 생각한다.


B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Y 
C의 값의 범위 구하기 40% G„ Y ‚Y B, Gm Y  이라 하자.
Y
CB의 최댓값 구하기 20%

Gm Y  이고 y
 Y y=f¡{x}

Gm  이므로 Yy에서
9
ZGm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28 y=f™{x}
따라서 G Y 가 일대일대응이면 2
[전략] Z‚Y |Y|의 그래프를 그리고 직선 ZY L를 움직이면서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개수를 조사한다.
G„   ∴ B
O 2 3 x
G„ Y ‚Y 이므로
‚Y Yy
Z‚Y |Y|< G  G„  ‚ 
 Y
G  G L 에서 G L 
이므로 Z‚Y |Y|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Œ G L 이면 L이므로 Gm L 
L  
, L L ∴ L ⑤
L 
y=Â2xÊ`{x 0}
y=0`{x<0}

O x
31
[전략] Y축에 평행한 직선을 ZL로 놓고
그래프와 직선이 서로 다른 세 점에서 만나려면
G Y L를 풀면 BC를 L로 나타낼 수 있다.
직선 ZY L는 색칠한 부분 경계 제외 에 있으면 된다. 이때 유리식의 최대, 최소는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생각한다.
Œ 직선 ZY L가 ZuY의 그래프에 접할 때 Y에서 ZG Y 의 그래프는 y 1
y= -1
Y LuY에서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x
그림과 같다. y=Âx-˛1˛
Y™A  L Y L™A y=k
Y축에 평행한 직선의 방정식을
%  ZL라 하자.
접하므로  L ™AL™A ∴ L
  O a1 b x
직선 ZL가 ZG Y 의 그래프와
 직선 ZY L가 원점을 지날 때 L
두 점에서 만나므로 L
 
Œ, 에서 L L  
  L에서 Y
Y L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의 개수는


‚YL에서 YL™A 
  L™A 
L 또는 L 일 때 개, L 또는 L 일 때 개 ∴ BC   …❶
  L 
L™A L L  L L L   L  이고
L 이므로
29
[전략] ZH Y 의 그래프는 점 L, L 에서 시작하는 곡선이다.  
BCL  L  
L  L 
그리고 점 L, L 는 직선 ZY 위에 있음을 이용한다.

ZG Y 의 그래프는 그림과 같다. y
y|Š L  @ 
y=x L 
ZH Y 의 그래프는 ZuY 의 그래 
k A [단, 등호는 L  일 때 성립]
프를 평행이동한 것이고, 점 L, L 에 L 
O k
서 시작한다. x
따라서 BC의 최솟값은 이다. ②
B y=g{x}
그리고 점 L, L 는 직선 ZY 위에
있다. 따라서 ZG Y 와 ZH Y 의 ❶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도 있다.
y=f{x} L™A 을 L 로 나눈 몫은 L, 나머지는 이므로
그래프가 한 점에서 만나면 점 L, L
L™A  L  L  
 L
는 그림의 선분 "# 점 #는 제외 위에 있다. L  L  L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61

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32 그림에서 ZH Y 의 그래프가 Œ, y y=x


Œ 
[전략] 무리함수의 역함수는 이차함수 꼴이다.  사이에 있거나 Œ이면 직선 ZY
y=g{x}
G Y 와 H Y 가 서로 역함수인지부터 확인한다. 와 두 점에서 만난다.
ZG Y 에서 Zy이고 Œ에서 ZH Y 의 그래프가 점
O
Z‚Y, Z ™AY ,  을 지나므로 k x
5
Y, Z를 서로 바꾸면 Y ™AZ H   ∴ L
∴ ZY™AY  Yy 에서 ZH Y 의 그래프가 직선 ZY에 접하므로
따라서 H Y 는 G Y 의 역함수이다. ‚YL Y에서 Y™AY L
ZG Y 와 ZH Y 의 그래프는 직 y
y=g{x} 
y=x %L, L
선 ZY에 대칭이고, 그림과 같이 두 
그래프의 교점은 ZH Y 의 그래프 y=f{x}

3 Œ, 에서 ƒL

와 직선 ZY의 교점과 같다. 2
Y™AY Y에서
Y™AY  O 2 3 x
∴ Y 또는 Y
곧, 교점의 좌표는 ,  , ,  이므로 두 점 사이의 거리는 34
ā  ™A  ™A  ② [전략] ZG Y 와 ZG ‘˜A Y 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이다.
또 직선 ZY L와 직선 ZY는 수직이다.
이를 이용하여 선분 "#의 길이가 최소인 경우부터 찾는다.

33 ", #는 직선 ZY에 대칭이


y=-x+k
y y=f —!{x}
y=x
[전략] G Y 는 이차함수, H Y 는 무리함수이므로 고 선분 "#는 직선 ZY에
서로 역함수인지부터 조사한다. y=x+a
수직이다. B
그리고 역함수이면 두 그래프가 직선 ZY에 대칭임을 이용한다. 5 H
선분 "#와 직선 ZY의 교 4 y=f{x}
  점을 )라 하면 "#“  ")“ A
Z Y™A L Yy 에서
  x
O 5
이고, 선분 ")의 길이가 최 4
 
Y™AZ L, Y™AZL 소일 때 선분 "#의 길이는 최소이다.
 
Yy이므로 Y‚ZL y 곧, 직선 ZY에 평행한 직선이 ZG Y 의 그래프에 접할 때
y=x
Y, Z를 서로 바꾸면 Z‚YL 선분 "#의 길이가 최소이다.
y=g{x}
따라서 H Y 는 G Y 의 역함수이고, "에서 접하는 직선의 방정식을 ZY B라 하자.
ZG Y , ZH Y 의 그래프는 직선 y=f{x} 
G Y Y B에서 ‚Y Y B

ZY에 대칭이다. x
O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그림과 같이 두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
Y™A  B Y B™A   … ❶
나면 교점은 직선 ZY 위에 있으므로 ZG Y 의 그래프와 직
접하므로
선 ZY가 두 점에서 만날 때 L의 값을 구해도 된다.
%
   B ™A B™A  
Y™A LY에서 Y™AY L 
 
∴ B
이 방정식이 음이 아닌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는다.
❶에 대입하면
I Y Y™AY L라 하자.
Y™AY , Y ™A
 y
ZI Y 의 그래프의 축이 직선 Y y=h{x}

 따라서 접점의 Y좌표는 Y

이므로
    y
I  Ly G [ ] |Š@  
   
O x 3 B
 5
 
%  ™AL, L x=
2 이므로 "[ , ] 2
  
 1
∴ ƒL "와 #는 직선 ZY에 대칭이므로 A
 2
  O 1 3 x
정수 L는 개이다. ② #[ , ] 2 2
 
     
∴ △0"# @ @[ @ @ ] @@
ZH Y 의 그래프가 직선 ZY와 두 점에서 만날 때 L의 값을      
구한다.  ①

62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35
TUFQ 최상위 문제 59~60쪽
[전략] ZuY 와 ZY™A Yy 은 서로 역함수이다.
uY Yy 01 ④ 02  03  04 ④
따라서 G Y < 의 그래프에서
Y™A Y    
05  B  또는  B 
Yy인 부분과 Y인 부분은 적당히 이동하면 겹쳐진다.

ZuY 와 ZY™A Yy 은 서 B'{2,`4} 06 ⑴  ⑵   Lƒ 또는 ƒL
y=x@ y
y=x  
로 역함수이므로 그래프는 직 A{-2,`4} 07 ⑴ B, C  ⑵ ƒL 08 ①

선 ZY에 대칭이다. y=Âx°

또 ZY™ A Yy 과 ZY™ A 01


B{4,`2}
Yƒ 의 그래프는 Z축에 대 O x [전략] I™A, IšA, I›A, U을 구해 % I 부터 구한다.
칭이다. % I™A 은 I™A, I›A, U을 조사하고
% IšA 은 IšA, IA, U을 조사한다.
따라서 # ,  라 하면 곡선 0", 0#, 0#은 같은 꼴이다.
그림에서 색칠한 두 부분의 넓 y Y

x+3y-10=0
I Y  Y
이가 같으므로 ZG Y 의 그래 A{-2,`4} I™A Y I I Y  
I Y  Y 
프와 직선 Y Z으로 Y
y=f{x} Y Y Y  Y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삼각형 B{4,`2}   
x
Y  Y Y  Y
0"#의 넓이와 같다. O
Y
"#“ā   A™  A™ 
I™A Y  Y
IšA Y I I™A Y  
` I™A Y  Y 
Y
원점 0와 직선 Y Z 사이의 거리는
Y  Y Y
||   Y
` Y  Y 
ā™A ™A
이므로 % I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IšA Y IA Y IŸA Y UY이므로

△0"# @`@`  % IL  L는 자연수

I›AI—IšAI, IžAI—IAI, U이므로
% I % I›A % IžA U
36 I™A ™AI›AI—IšAI, I™A šAIA* 항등함수 이므로
[전략] 9:\^임을 이용하여 ZG Y 가 어떤 꼴인지부터 생각한다.
  % I™A 
그리고 H Y H Y 이면 ZH Y 의 그래프는 직선 ZY에 대칭
임을 이용한다.
또 IœAI™A—IšAI™A, IdAI™A—IAI™A, U이므로
% I™A % IœA % IdA U
:\Z|ZƒD^이므로 y
∴% I % I™A % IšA U % I
9:\^이면 오른쪽 그림과 같이
2 @ @ @ ④
D이고 9\Y|Yy^이다. y=f{x}
x
따라서 B이고 O 2

G Y āB Y  02
㈎에서 ZH Y 의 그래프는 직선 y [전략] 점 1는 두 점근선의 교점이다.
y=x
ZY에 대칭이고 9에서 H Y G Y 따라서 ZG Y 의 그래프가 1에 대칭이다.

이므로 Y에서 ZH Y 의 그래프는 ZG Y 의 그래프는 점근선이 직선 Y, ZL이므로


Y에서 ZH Y 의 그래프를 직선 점 1에 대칭이다.
2
ZY에 대칭이동한 꼴이다. y=g{x} 따라서 직선 M과 ZG Y 의 그래 y y=f{x}
x
H  이므로 H   O 2 프가 만나는 점 중 #가 아닌 점
A
l
G  이므로 `B , B 을 2라 하면 B
k
∴ G Y ‚Y  ∴ C △1#"f△120 4"4 Q P
H B H  L라 하면 H L 이므로 삼각형 1$0의 넓이가 삼각형
C 1 x
O
G L ‚L  ∴ L 1#"의 넓이의 배이므로 삼각
H C H  M이라 하면 H M 이므로 형 1$0의 넓이는 삼각형 120
G M ‚M  ∴ M 의 넓이의 배이다.
H D H  G   따라서 삼각형 120와 삼각형 $20의 넓이가 같고, 2는 선분
∴H B H C H D   $1의 중점이다.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63

⤿⥗⥸⥇⥏⤼⥗⤿⥡⥸⥎⥏⥎⥐⥅⥓⥫QVLJ  !࿼ፎ"
정답 및 풀이

L  
1 , L 이므로 2의 Z좌표는 이다. B L, LB
 B B
L L  ™A 
2[B, ]라 하면 G B  에서 ∴ L™A[B ] B™A  
  B B™A
L L L L
L , 
B  B  ❶이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L이므로 B ∴ B %L™A ∴ L 또는 L
L 그래프와 직선이 제사분면에서 만나므로 L
2[, ]이므로 $ , 

L ", #는 직선 ZY에 대칭이고 y=-x y y=x
M은 기울기가 이고 $를 지나므로 A
 ∠"#$±이므로
L #, $는 직선 ZY에 대칭이다.
Z Y  ∴ LYZ L
 B
 O x
원점과 M 사이의 거리가 이므로 따라서 "[B, ]라 하면
B
|L|  
, L™AL™A , L™A #[ , B], $[B,  ] C
āL™A  B B
L이므로 L 

04
BY
03 [전략] ZG Y 와 Z Y 
의 그래프의 교점을 생각한다.
 
[전략] "[B, B ]라 하면 B는 Z Y 와 ZY L에서 G Y G 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는
 ƒYƒ에서의 그래프가 반복된다.
Y L의 해이다.
Y BY
Z 의 그래프는 B의 범위를 나누어 점근선부터 그린다.
이를 이용하여 #, $의 좌표를 구하고 Y 
"가 직선 ZY L 위의 점임을 이용하여 L, B의 관계를 구한다. ZG Y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2 y
"의 Y좌표를 B라 하면 "[B, ] y
y= x
B 6 y=f{x}
A

Z 와 ZY L에서
Y
B
2
 O x
Y L -10 -6 -2 O 2 6 10 x
Y
y=-x+k
Y™ALY   … ❶ C BY B
또 Z  B이므로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❶의 한 근이 B이므로 나머지 한 근을 Y  Y 
C라 하면 근과 계수의 관계에서 Y, ZB이다.
  BY
BC, C ∴ #[ , B] Œ B일 때, Z 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과 같다.
B B Y 
y ax
∠"#$±이므로 직선 #$의 기울기는 이다. y=
x+2 y=f{x}
그리고 점 #를 지나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6

 
ZBY , ZY B   … ❷ 2
B B -10 -6 -2 2 6 10 x
O
  
❷와 Z 에서 Y B a
Y Y B
 
Y™A [B ]Y, [Y ] Y B  BY
B B 따라서 ZG Y 와 Z 의 그래프는 한 점에서 만난다.
Y 

∴ Y 또는 YB  B일 때
B
ax y
 y=
x+2 y=f{x}
#의 Y좌표가 이므로 $의 Y좌표는 B이다.
B 6
 a
∴ $[B,  ]
B 2
"$“ A™   ™A이므로 -10 -6 -2 O 2 6 10 x

  
\B B ^™A < [ ]=™AB™A 
B B B™A BY
ƒBƒ이면 ZG Y 와 Z 의 그래프는 위의 그림과
Y 

∴ B™A 
B™A 같이 무수히 많은 점에서 만난다.
또 "가 직선 ZY L 위의 점이므로 B 또는 B이면 유한개의 점에서 만난다.

64 II. 함수와 그래프

⤿⥗⥸⥇⥏⤼⥗⤿⥡⥸⥎⥏⥎⥐⥅⥓⥫QVLJ  !࿼ፎ"
Ž B이면 Z
BY
이므로 두 그래프는 만나지 않는다. 06
Y  [전략] ⑴ G Y G ‘˜A Y 의 해는 ZG Y 와 ZG ‘˜A Y 의 그래프가 만나는
따라서 정수 B의 값은 , , , , 이고, 합은 이다. ④ 점의 Y좌표이다.
⑵ ZG Y 와 ZH Y 의 그래프가 두 점에서 만날 조건을 찾으면 된
다. 이때 L 값의 범위를 나누어 생각한다.
05 ⑴ 방정식 G Y G ‘˜A Y 의 해는 ZG Y 와 ZG ‘˜A Y 의 그래
[전략] OƒYO  O은 정수 일 때로 나누면 [Y]를 간단히 할 수 있다.
프가 만나는 점의 Y좌표이다.
직선 ZH Y 의 기울기 B를 변화시키면서 ZG Y 의 그래프와 교점
의 개수를 조사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ZG Y 와 y y=f —!{x}
y=x
⋮ ZG ‘˜A Y 의 그래프의 교점은
ƒY일 때 G Y ‚Y  ZG Y 의 그래프와 직선 ZY의 2 y=f{x}

ƒY일 때 G Y ‚Y  교점과 같다.


-2 O 2 x
ƒY일 때 G Y ‚Y G Y Y에서 ‚Y  Y -2

ƒY일 때 G Y ‚Y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ƒY일 때 G Y ‚Y Y™AY ∴ Y 또는 Y
⋮ 이 중에서 G Y G ‘˜A Y 를 만족시키는 값은 Y
따라서 ZG Y 의 그래프는 그림에서 곡선 부분이다. ⑵ ZG Y 와 ZH Y 의 그래프가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또, ZH Y 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B이고 ,  을 지나는 직 조건을 찾으면 된다.
선이다. YL YyL
H Y < 이므로 ZH Y 의 그래프는 그림
y L YL
y=f{x}
에서 꺾은 선이다.

D{3,`3}
Œ L일 때 ZH Y 의 꺾인 점 y y=g{x}

L, L 가 곡선 Z‚Y 의 아
C{2,`2} 2
래 있으면 된다. y=f{x}
B{4,`2} G L L에서 k
A{3,`1}
‚L  L ∴ L -2 O k 2 x
O x
또 L일 때도 두 점에서 만나므로 ƒL
-1
 L일 때 직선 ZYL가 y y=g{x}
A'{-3,`-3}
곡선 Z‚Y  와 두 점에서
B'{-4,`-4} y=f{x}
C'{-2,`-4}
만나면 된다. k
O x
ZYL가 점 ,  을 -2
D'{-3,`-5} 지날 때 L
k
ZYL와 곡선
Œ 직선 ZH Y 가 점 " ,  , " ,  을 지날 때
Z‚Y  가 접할 때

B 이고 교점은 개이다. YL‚Y 

또 직선 ZH Y 가 점 # ,  , # ,  를 지날 때 제곱하여 정리하면 Y™A L  Y L™A
 접하므로
B 이고 교점은 개이다.
 
% L  ™A L™A , L
  
그리고 B 일 때 교점은 개이다.
  
∴ Lƒ
 직선 ZH Y 가 점 $ ,  , $ ,  를 지날 때 
 
B 이고 교점은 개이다. Œ, 에서  Lƒ 또는 ƒL
 
또 직선 ZH Y 가 점 % ,  , % ,  를 지날 때 
⑴ ⑵ Lƒ 또는 ƒL


B 이고 교점은 개이다.

  07
그리고 B 일 때 교점은 개이다. Y B
  [전략] ⑴ Z
Y 
와 Z‚YC의 그래프를 그려 G Y 가 일대일대
    응일 조건을 찾는다.
Œ, 에서 B 또는 B
    Y B
⑵ 직선 ZY L가 Z 또는 Z‚YC의 그래프와
    Y 
B 또는 B 접할 때를 기준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04.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65

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Y B 직선 ZY L가
G„ Y  , Gm Y ‚Y C라 하자.
Y   Œ과  사이에 있을 때 교점이 개
y
⑴ ZGm Y 의 그래프는 ZuY y=f™{x}  에 있을 때 교점이 개
 2  와 Ž 사이에 있을 때 교점이 개
의 그래프를 Y축 방향으로 만 y=f¡{x}

-b  Ž에 있을 때 L이고 교점이 개
큼, Z축 방향으로 C만큼 평행 1 O 1 1 x
-   
이동한 것이다. 2
2
∴ ƒL ⑴ B, C ⑵ ƒL
  
B
G„ Y  이므로 ZG„ Y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Y 

직선 Y , Z이다.
 08
9에서 9로 정의된 G Y 의 역함수가 있으면 G Y 가 일대일 [전략] YO이면 G Y O이고 G O  O 이므로

대응이므로 (나)에서 C는 O 이하의 자연수이다.


따라서 H B O, H B O, U인 경우를 찾아야 한다.
B, G„  , G„  Gm 
ZG Y 와 ZH Y 의 그래프를 그리고 생각한다.
G„  에서 B
다음 그림에서 점 찍은 부분에 존재하는 점 1 B, C 의 개수가
 B 
G„  Gm  에서 C ∴ C "O이다.
 
Y  y y=f{x} y y=f{x}
⑵ G„ Y  , Gm Y ‚Y 이다.
Y   n+1
n n
Œ 직선 ZY L와 ZG„ Y 의 그래프가 접할 때 y=g{x}
y=g{x}
Y
Y L 에서 Y L Y  Y -n O n 3n x -n O n 3n x
Y  n+1

Y™A L Y L  … ❶ ZG Y 의 점근선이 직선 YO, ZO이므로


접하므로 OBƒO이면 OG B 이고 G O  O 이므로
% L ™AL CG B 이면 가능한 C는 O, O, U이다.
L L  또 위 왼쪽 그림과 같이 H O  ƒO이어야 H B C인 정수 B,
  C가 있다.
Yy 에서 직선과 ZG„ Y 의 그래프가 접하므로 L
 
곧, ‚O  ƒO, O ƒO™A
 
❶에 대입하면 Y™AY , [Y ]™A O은 자연수이므로 O , 
 
 Œ O일 때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 , ]이다.
 
G Y  , H Y ‚Y  이고 H  이므로 조건
 직선 ZY L와 ZGm Y 의 그래프가 접할 때 Y
  을 만족시키는 점 1 B, C 는 ,  , ,  이다.
Y L‚Y 에서 Y L ‚Y
  ∴ "f
 y
[Y L ]™AY

  
Y™A [L ]Y L™A L   … ❷ 3
  
접하므로
-3 O 3 6 9 x
%    
[L ]™A[L™A L ] ∴ L
    
❷에 대입하면 Y™AY , Y ™A  O일 때
 
따라서 접점의 좌표는 [, ]이다. G Y  , H Y ‚Y  이고 H  이므로 조
 Y
Œ, 에서 직선 ZY L가 ZG Y 의 그래프에 접하는 경 건을 만족시키는 점 1 B, C 는 ,  , ,  , ,  , ,  ,
우는 그림과 같다. ,  , ,  , ,  이다. ∴ "e
Œ Ž y
y
y=f™{x}
4
4
3
y=f¡{x}
-4 O 4 12 x
O 1 x

66 II. 함수와 그래프

ጄ73QVLL  ࿼ፎ"
Ž O일 때

III
H  `, H  `이므로
1 B, C  ,  , ,  , U, ,  는 (나)를 만족시킨다.
또 H  이므로 1 B, C  ,  , ,  , ,  , ,  ,
,  도 (나)를 만족시킨다.
. 순열과 조합
∴ "
y

5 05. 순열과 조합
-5 O 5 15 x step 기본 문제 63~67쪽

01 ① 02 ⑤ 03 ② 04 ④ 05 ③
 Oy일 때 06 ④ 07 ④ 08 ① 09  10 ④
H O `OO, H O `OO이므로 11 ③ 12  13  14 ④ 15 
CO이면 (나)를 만족시킨다. 16  17  18 ⑤ 19 ③ 20 
또 H O `OO, H O `OO이므로 21  22  23 ④ 24 ③ 25 ③
26 ④ 27 ② 28  29 ② 30 ⑤
CO도 (나)를 만족시킨다.
31 ② 32 ① 33 ① 34 ④ 35 ④
따라서 (나)를 만족시키는 1 B, C 는 36 ④ 37  38 ① 39 ② 40 
O , O , O , O , U, O, O
O , O , O , O , U, O, O 01
을 포함하므로 O@(개) 이상이다. ∴ "OyO Y Z에서 Y나 Z를 뽑는 경우 가지 U❶
y ❶의 각 경우에 대하여
y=f{x}
B C에서 B나 C를 뽑는 경우 가지 U❷
n
❶, ❷의 각 경우에 대하여
n-1
y=g{x} Q R S에서 Q나 R나 S를 뽑는 경우 가지
-n O n 3n x 따라서 항의 개수는 @@ ①

Œ~에서 Oƒ"OƒO인 "O의 값의 합은


"e "s  ① 02
šA@™A이므로 약수는 다음과 같다.

@   ™A šA
  @ @™A @šA
 @ @ @™A @šA
™A ™A@ ™A@ ™A@™A ™A@šA

약수의 개수는   @   


약수의 합은
  ™A šA    ™A šA ™A   ™A šA
   ™A šA   ™A @
∴ B, C, B C ⑤

위와 같이 생각하면 QBRCSD Q, R, S는 서로 다른 소수 의
양의 약수의 개수는 B  C  D 
양의 약수의 합은  Q U QB  R U RC  S U SD

03
@이므로 šA@™A@의 약수 중 과 서로소인 자
연수는 의 약수 중 의 배수가 아닌 수이다.
따라서 의 약수 중 의 배수가 아닌 수는 šA@의 약수이다.
그리고 šA@의 약수의 개수는 @ ②

05. 순열과 조합 67

ጄ73QVLL  ࿼ፎ"
정답 및 풀이

04 11
원짜리 동전 개, 원짜리 동전 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 명의 학생을 ", #, $, %라 하고 각
" # $ %
은 원짜리 동전 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과 같다. 학생의 시험지를 B, C, D, E라 하자.
BE D
원짜리 동전 개, 원짜리 동전 개로 지불할 수 있는 금액의 "가 C를 채점하는 경우는 오른쪽과
C D EB
수는      같이 가지이다.
EB D
원을 지불하는 것은 제외하므로  ④ "가 D, E를 채점하는 경우도 각각
가지씩이므로 @ ③
05
천의 자리,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숫자가 각각 개씩 가능하고,
일의 자리 숫자는  또는 만 가능하므로 12
@@@ ③ "에서 #, %, &로 갈 수 있다.
"#
#
$ '#
06 (
의 배수는 , , , U, 이므로 개 )&'#
"% #
의 배수는 , , U, 이므로 개
&'
이 중 중복되는 수는 의 배수인 , 이므로 개 ($#
)
따라서 의 배수 또는 의 배수가 적힌 카드가 나오는 경우의 수는 '#
(
  ④ $#
"  &인 경우의 수는 "  %인 경우의 수와 같다.
07 ∴ @ 가지 
Œ 합이 인 경우: ,  , , 
 합이 인 경우: ,  , ,  , ,  , ,  , , 
Ž 합이 인 경우: ,  , ,  , ,  , ,  13
 합이 인 경우: ,  가능한 백의 자리 숫자는  또는 이다.

Œ ~ 에서     ④ 각각의 경우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 숫자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
08 
[일 때, Y Z  

∴ Y, Z  ,  , ,  , ,  
[일 때, Y Z  
∴ Y, Z  ,  , ,  , ,  
[일 때, Y Z  
∴ Y, Z  ,  , ,   
[일 때, Y Z 

∴ Y, Z  ,  
[y인 경우는 없다. 따라서 개 
따라서 순서쌍 Y, Z, [ 의 개수는     ①

09 14
Œ 집에서 도서관으로 바로 가는 방법의 수는  영역을 그림과 같이 ", #, $, %, &라
B
 집에서 학교를 거쳐 도서관으로 가는 방법의 수는 하자.
@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부터 색칠한다. A D
C
Œ, 에서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가지 E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에 칠한 색을
10 뺀 가지
Œ ")Z)#)Z)$)Z)%로 가는 방법의 수는 @@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 #에 칠한 색을 뺀 가지
 ")Z)$)Z)%로 가는 방법의 수는 @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 %에 칠한 색을 뺀 가지
Ž ")Z)%로 가는 방법의 수는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 #에 칠한 색을 뺀 가지
Œ, , Ž에서    ④ 따라서 @@@@ 가지 ④

68 III. 순열과 조합

ጄ73QVLL  ࿼႖"
15  $S $S이므로 주어진 식은
영역을 그림과 같이 ", #, $, %라 하자.  $S$S™A
Œ ", $에 같은 색을 칠하는 경우 A B
SS™A, S™A S
",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가지 S는 자연수이므로 S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에 칠한 색 D C Œ, 에서 S의 값의 합은   ⑤
을 뺀 가지
%에 칠할 수 있는 색도 "에 칠한 색을 뺀 가지
19
∴ @@ 가지 천의 자리에 올 수 있는 숫자는 을 제외한 개이고,
 ", $에 다른 색을 칠하는 경우 남은 숫자 개 중에서 개를 뽑아 나머지 자리에 나열하는 경우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가지 의 수는 1이다.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에 칠한 색을 뺀 가지 ∴ @1@ @@  ③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 #에 칠한 색을 뺀 가지
%에 칠할 수 있는 색은 ", $에 칠한 색을 뺀 가지
20
∴ @@@ 가지
, , , , ,  중 의 배수는 과 이므로
Œ, 에서   가지 
  또는   꼴이다.
나머지 네 자리에 , , , 를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각각
Å×××
16 ∴ × 
그림과 같이 영역을 ", #, $, %, &라
E
하고 세 색을 B, C, D라 하자. A
21
"에 B를 칠하는 경우 D
그림에서 짝수 , 은 ◯에 와야 한다.
B
" # $ % & C
C D
B 개의 ◯에 , 을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D C
1@
C C
B 남은 개의 ◯와 개의 에 , , , 을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
D D
Å@@@
C D
B ∴ @ 
C D
B
D C
D C 22
B
D 각 자리 숫자의 합이 의 배수이다.
C
D C , , , , ,  중에서
"에 C, D를 칠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 가지  Œ 을 포함하고 합이 의 배수인 숫자 개는
, , ,  , , , ,  , , , ,  , , , , 
각각에서 만들 수 있는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Å
17 ∴ @
1@O 1에서
O  을 포함하지 않고 합이 의 배수인 숫자 개는
O O O  O  O , , ,  이고, 만들 수 있는 네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O\ O O  O  ^ Å
O O™AO , O™A O  Œ, 에서   
O은 자연수이므로 O 

23
남자 명 중에서 명이 양 끝에 서는 경우의 수는

18 1@
Œ $S $S™A에서 나머지 명이 가운데에 서는 경우의 수는
S S™A, S™AS Å@@@@
S는 자연수이므로 S ∴ @ ④

05. 순열과 조합 69

⤿⥗⥸⥇⥏⤼⥗⤿⥡⥸⥎⥏⥎⥐⥅⥓⥫QVLJ!  !࿼ፎ"
정답 및 풀이

24 30
소설책 권을 한 묶음으로 보고 소설책과 시집 권을 나열하는 경 ", *가 자리를 먼저 정하고 나머지 문자를 나열한다.
우의 수는
Å@@
위의 개의 자리에서 ", *가 있을 곳을 정하고 앞에 "를, 뒤에
묶음 안에서 소설책 권을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
Å@@@ *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 
@
∴ @ ③ 나머지 자리에 ., 5, $, 4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Å@@@
25 ∴ @ ⑤
여 여 여

여학생 명이 한 줄로 선 다음 곳 중 곳에 남학생이 한 명


31
씩 서면 된다.
뽑은 카드 장 중 홀수는 적어도 한 장 있다.
여학생 명이 한 명씩 서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홀수가 장 또는 장이면 합이 짝수이다.
Å@@
Œ 홀수가 장일 때 짝수는 장이므로
중 곳에 남학생이 한 명씩 서는 경우의 수는
@
1@@ $@$$@$
 @
 @
∴ @ ③  홀수가 장일 때 짝수는 장이므로
$@$@


26 Œ, 에서   ②
B 꼴의 문자열은 1@@ 개
C 꼴의 문자열은 1 개
D 꼴의 문자열은 1 개 32
EB 꼴의 문자열은 1@ 개 의 배수의 합은 의 배수이다.
ECB , ECD 꼴의 문자열은 각각 개 또 으로 나눈 나머지가 인 수와 인 수의 합은 의 배수이다.
ECFB, ECFD의 순이므로 으로 나눈 나머지가 , , 인 수의 집합을 각각 ", ", "라
    @  번째 ④ 하면
"\, , , , ^, "\, , , , ^
"\, , , , ^
27
 꼴 Å @
Œ "에서 두 수를 뽑는 경우의 수는 $ 
= 개 @
 꼴 Å
= 개  "과 "에서 개씩 뽑는 경우의 수는 @
 꼴 Å = 개 Œ, 에서   ①
 꼴 Å = 개
 꼴 Å
따라서 번째 수는 , 번째 수는 이므로
33
일의 자리 숫자는 이다. ② 점 개에서 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이다.
그런데 한 변 위에 있는 점들 중에서 개를 뽑아 직선을 만들면
28 모두 같은 직선이므로, 각 변에서 개를 뽑아 만들 수 있는 직선
학년 명에서 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은 하나이다.
@ ∴ $ $  $  $
$$ 
@
@ @ @ @
학년 명에서 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      ①
   
∴ @ 

29 34
명 중에서 회장 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점 개에서 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이다.
나머지 명 중에서 부회장 명을 뽑는 방법의 수는 그런데 한 직선 위에 있는 점들에서 개를 뽑는 경우는 삼각형을
@ 만들 수 없다.
$
 
@ @@
∴ $$$$  ④
∴ @ ② @@

70 III. 순열과 조합

⤿⥗⥸⥇⥏⤼⥗⤿⥡⥸⥎⥏⥎⥐⥅⥓⥫QVLJ  !࿼ፎ"
35 G  , , , , 인 경우도 G  는 따라 정해지고
개에서 개를 뽑고, 나머지 개에서 개를 뽑고, 나머지 개에 G  , G  는 나머지 :의 원소 개 중 개의 값이다.
서 개를 뽑는 방법의 수는 ∴ @ ②
 $@$@$
개수가 같은 것이 두 묶음이므로 40
 ΠG  G  G  G  
$@$@$@
Å 이므로 :의 원소 , , ,  중에서 개를 뽑으면 크기 순으
세 묶음을 명에게 나누어 주므로 로 G  , G  , G  의 값이다. 따라서 경우의 수는
  $
$@$@$@ @Å@@@ @ 
Å 
 G   또는 이므로 경우의 수는 

Œ, 에서 @ 

36
특정한 원소 개를 B, C라 하자.
Œ B, C를 포함한 부분집합의 원소가 개일 때
B, C를 뺀 원소 개를 개, 개, 개로 나눈 후 B, C를 원소가
개인 부분집합에 넣으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step 실력 문제 68~73쪽
$@$@$@@

01  02 ⑤ 03  04  05 
 B, C를 포함한 부분집합의 원소가 개일 때
06 ⑤ 07 ① 08  09 ⑤ 10 ④
B, C를 뺀 원소 개를 개, 개로 나누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11 ③ 12  13 ① 14  15 
  16  17  18 ④ 19 ⑤ 20 
$@$@
 @@ 
Å  21  22 ③ 23 ③ 24 ⑤ 25 
Œ, 에서   ④ 26 ④ 27 ① 28 ② 29 ① 30 
31 ⑤ 32  33  34  35 
36 ④
37
여학생 명을 호실에 명, 호실에 명 배정하는 방법의 수는 01
 $@$@ [전략] 의 배수이므로 와 를 적어도 하나씩 포함한 약수만의 합을 생각
남학생 명을 호실과 호실에 명씩 배정하는 방법의 수는 한다.
  ™A@@L™A@@™AL의 약수가 개이므로
$@$@ @Å@@ @
Å 
@@ L   ∴ L
∴ × 
의 배수이면 소인수 중 와 를 적어도 하나씩 포함하므로
™A@@의 약수 중 의 배수의 합은
호실 여학생 명과 호실 남학생 명만 배정하면 나머지 여학생
 ™A @@   ™A    
은 호실에, 나머지 남학생은 호실에 배정된다.
∴ $@$@
02
38 [전략] 각 변의 성냥개비의 개수를 Y, Z, [ YyZy[ 라 하면

명을 명, 명, 명의 세 조로 나누는 방법의 수는 Y Z [, YZ [이다.


가능한 Y의 값부터 찾는다.
 
 $@$@$@ @@@  각 변의 성냥개비의 개수를 Y, Z, [ YyZy[ 라 하자.
Å 
개의 층 중에서 명이 내릴 개의 층을 정하는 방법의 수는 성냥개비가 개이므로 Y Z [ U❶
 $ 삼각형이므로 YZ [ U❷
먼저 명인 조가 내리고 나머지 개의 층에서 명인 두 조가 내 ❶에서 Yy이므로 Yy
리는 방법의 수는  Z [Y이므로 ❷에 대입하면
∴ @@ ① YY ∴ Y
따라서 가능한 Y의 값은 , , 이다.
39 Œ Y일 때 Z, [  , 
G  일 때 G  이고  Y일 때 Z, [  ,  , ,  , , 
G  , G  는 :의 나머지 원소 개 중 개의 값이므로 Ž Y일 때 Z, [  ,  , ,  , ,  , , 
경우의 수는 1 따라서 서로 다른 삼각형의 개수는 이다. ⑤

05. 순열과 조합 71

⤿⥗⥸⥇⥏⤼⥗⤿⥡⥸⥎⥏⥎⥐⥅⥓⥫QVLJ  !࿼ፎ"
정답 및 풀이

03 05
[전략] 주어진 이차방정식이 실근을 가질 조건은 [전략] 맨 위와 맨 아래 사각형의 색을 정하고 나머지 경우를 생각하거나
%C™AB@Dy 가운데 사각형의 색을 정하고 나머지 경우를 생각한다.
C, , , U일 때 B, D의 값을 구한다. 세 가지 색을 각각 B, C, D라 하자.
B 이므로 방정식 BY™A CY D이 실근을 가지면
1
%C™AB@Dy, C™ABDy U❶ 2
3
Œ C일 때 BDy, BDƒ 4
5
BD 또는 BD 또는 BD이므로
B, D  ,  , ,  , ,  , ,  , ,  , 에 각각 B, C를 칠한다고 하자.
 Œ 에 C를 칠하는 경우
 C일 때 BDy, BDƒ
 , 에는 B, D 또는 D, B를 칠할 수 있다.
BD 또는 BD이므로  에 D를 칠하는 경우
B, D  ,  , ,  , ,  , 에는 B, D 또는 C, D 또는 C, B를 칠할 수 있다.
 , 에 칠하는 방법의 수가 1이므로 구하는 방법의 수는
Ž C일 때 BDy, BDƒ

@    
BD이므로 B, D  , 
 Cƒ일 때 ❶이 성립하는 B, D의 값은 없다.
, 에 B, C를 칠하는 경우는
Œ ~에서    
    
C D
B
04 D C
[전략] 맨 위나 맨 아래 오른쪽 사각형에 빨간색을 칠한 다음 가능한 경우를 B C C
모두 찾는다. B
D D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을 각각 B, C, D라 하자. C D
❷ ❷ 이므로 가지
a ❶ b ❶ , 에서 칠하는 색을 정하는 방법이 1이므로
❹ ❸ a ❹ ❸ a @ 가지
[그림 ] [그림 ]
맨 아래 오른쪽에 B를 칠한다고 하자. 06
[전략] 먼저 이웃한 개 지역을 정한 다음 명이 조사할 지역을 정한다.
Œ [그림 ]과 같은 경우
❶은 C 또는 D이고 ❷는 ❶에 칠하지 않는 색 개가 가능하다. 오른쪽 그림에서 이웃한 개 지역은 ❺
❶, ❷ , ❶, ❺ , ❶, ❻ , ❶ ❹
❸, ❹도 마찬가지이므로 방법의 수는 ❻

@@@ ❷, ❸ , ❷, ❻ , ❸, ❹ ,
❷ ❸
 [그림 ]와 같은 경우 ❸, ❻ , ❹, ❺ , ❹, ❻ ,
❶, ❸은 D이고 ❷, ❹는 B 또는 C가 가능하므로 방법의 수는 ❺, ❻

@이다. 이므로 개이다.


또 [그림 ]에서 C 대신 D인 경우의 수도 이므로 방법의 수는 이웃한 개 지역을 조사하는 사람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 나머

  지 개 지역을 조사하는 명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Å


따라서 맨 아래 오른쪽에 C, D를 칠하는 방법의 수도 Œ, 와 같 ∴ @@Å ⑤
으므로 @    
이웃한 지역을 하나로 보고 개 지역을 조사하는 명을 정하는 방법의 수를
구한다고 생각해도 된다.
a a a a

a b c b a b c b 07
a a c c [전략] 맨 아래 칸에 상품을 하나씩 진열할 때, 나머지 상품을 진열할 수 있는
4가지 2가지 2가지 4가지 경우의 수부터 구한다.
첫 행에 B,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칸에 C를 칠하는 경우 가능한 경 세 종류의 상품 개씩을 각각 BBB, CCC, DDD라 하자.
우는 위와 같이     가지 그림과 같이 맨 아래 칸에 B, C, D를 하나씩
❹ ❺ ❻
첫 행과 두 번째 행의 두 번째 칸에 칠하는 색을 정하는 방법은 진열한다고 하자.
❶ ❷ ❸
@ 가지 ❶, ❷, ❸에 가능한 경우는
a b c
∴ @ 가지 C, D, B 또는 D, B, C

72 III. 순열과 조합

⤿⥗⥸⥇⥏⤼⥗⤿⥡⥸⥎⥏⥎⥐⥅⥓⥫QVLJ  !࿼ፎ"
Œ C, D, B일 때 ❹, ❺, ❻에는 B, C, D 또는 D, B, C가 가능하다. 11
 D, B, C일 때 ❹, ❺, ❻에는 B, C, D 또는 C, D, B가 가능하다. [전략] 적어도 한쪽 끝에 모음이 오는 경우의 수는 전체 경우의 수에서 양쪽

맨 아래 칸에 B, C, D를 진열하는 방법의 수는 Å이므로 끝에 자음이 오는 경우의 수를 뺀 것이다.


모음이나 자음의 개수를 Y라 하고 경우의 수를 구한다.
@    ①
적어도 한쪽 끝에 모음이 오는 경우의 수는 전체 경우의 수에서
양쪽 끝에 자음이 오는 경우의 수를 뺀 것이다.
08
자음의 개수를 Y라 하자.
[전략] 국어가 교시, 교시, 교시일 때 각각 가능한 경우를 생각한다.
양쪽 끝에 자음이 오는 경우의 수는 자음 개를 양쪽 끝에 나열
국어가 교시일 때 수학은 교시 또는 교시이다.
하는 경우의 수와 나머지 알파벳 개 중에서 개를 가운데 나열
국어가 교시일 때 수학은 교시 또는 교시 또는 교시이다.
하는 경우의 수의 곱이므로
국어가 교시일 때 수학은 교시 또는 교시이다.
Y 1@ @
각 경우 영어를 생각하면 다음 표와 같다.
적어도 한쪽 끝에 모음이 오는 경우의 수가 이므로
1 2 3 4 1 2 3 4 1 2 3 4 1Y1@ @ 

영 수 \ 수 영 \ 수 영 \
@@@Y Y @@
\ 수 영 수 \ 영 수 \ 국 영
국 국 @Y Y , Y™AY
영 \ 수 \ 수 영 \ 영 수
\ 영 수 \ 영 수 Y이므로 Y
따라서 모음은 개이다. ③
∴    

09
[전략] 두 수의 곱으로 가능한 값부터 구한다.

"\, , , , , ^이다.
12
원소 개를 ◯◯ 와 같이 나열한다고 하자.
[전략] 백의 자리, 십의 자리, 일의 자리가 , , , , 인 수가 몇 개인지 구하
Œ 가 , 일 때 ◯는 , 이므로 경우의 수는 Å@Å 면 각 자리 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또 가 , 이고 ◯가 , 일 수도 있다. Œ  꼴인 경우
따라서 두 수의 곱이 인 경우의 수는 @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 , , 에서 개를 뽑아 일렬로
 가 , 일 때 ◯는 ,  또는 , 가 가능하므로 경우의 수는 나열하는 경우의 수이므로 1
Å@Å Å@Å 개의 수에서 백의 자리가 , , , 인 수의 개수가 같으므
또 가 ,  또는 , 인 경우도 마찬가지이므로 로 , , , 인 수는 개씩이다.
두 수의 곱이 인 경우의 수는 @ 십의 자리도 백의 자리와 같고 일의 자리는 이므로 합은
Ž 가 , 일 때 ◯는 , 이므로 경우의 수는 Å@Å     @@     @@
또 가 , 이고 ◯가 , 일 수도 있다.  U
따라서 두 수의 곱이 인 경우의 수는 @   꼴인 경우
Œ, , Ž에서    ⑤ 백의 자리에는 이 올 수 없으므로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
10 개의 수에서 백의 자리가 , , 인 수의 개수가 같으므로 ,
[전략] 일차에 한 관광명소를 방문했다 하고 가능한 경우의 수부터 구한다. , 인 수는 개씩이다.
가 볼 만한 관광명소 곳을 B, C, D, E, F라 하고 진아와 준희가 또 십의 자리가 인 수는 개이고, , , 인 수는 각각 개씩
일차에 B에 방문했다고 하자. 이므로 합은
진아가 , 일차에 방문할 수 있는 관광명소의 종류는    @@    @@ @
 1 가지  U
준희는 진아가 일차 또는 일차에 방문한 곳 중 하나를 진아와 Ž  꼴인 경우
다른 날에 방문해야 하고, 나머지 하루는 진아가 방문하지 않은  백의 자리에는 이 올 수 없으므로 세 자리 자연수의 개수는
곳 중 한 곳에 방문해야 하므로 @ 가지 @
따라서 진아와 준희가 일차에 B를 방문하는 경우의 수는 개의 수에서 백의 자리가 , , 인 수는 개씩이다. 또 십의
@ 자리가 인 수는 개, , , 인 수는 각각 개씩이므로 합은
, , 일차 중 하루 같은 곳에 방문하고, 같은 곳은 곳 중 한 곳    @@    @@ @
이므로  U
@@ 가지 ④ Œ, , Ž에서    U

05. 순열과 조합 73

⤿⥗⥸⥇⥏⤼⥗⤿⥡⥸⥎⥏⥎⥐⥅⥓⥫QVLJ  !࿼ፎ"
정답 및 풀이

단계 채점 기준 배점 16
일의 자리가 인 세 자리 자연수의 합 구하기 30% [전략] 조건을 만족시키는 숫자 개부터 구한다.
일의 자리가 인 세 자리 자연수의 합 구하기 30%
일의 자리가 인 세 자리 자연수의 합 구하기 30% 가 에서 비밀번호는 홀수 개, 짝수 개이거나 홀수 개, 짝수
, , 의 합 구하기 10% 개이다.
 나 에서 홀수는 개일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는 홀수 개, 짝수
개이다.
이때 짝수는 , , 이고 합이 이므로 개 숫자의 합이 의
13 배수이면 홀수의 합은 이다.
[전략] 여학생끼리는 명, 명, 명, 명이 이웃하므로 Œ 홀수가 , 일 때
여학생을 명씩 묶어 생각한다. , , 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Å
여학생이 일렬로 서는 경우의 수는 Å이다. 짝수 사이에 , 을 일렬로 나열하는 경우의 수는 Å
∴ @
여학생 ◯ 을 두 명씩 묶을 때 남학생은 중 곳에 명씩 서  홀수가 , 인 경우도 Œ과 같으므로 경우의 수는 
면 되므로 경우의 수는 Œ, 에서   
Å@1@Å ∴ " ①

17
14 [전략] 가 번, 번, 번 나오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전략] ", #가 인용 소파에 앉는 경우와 인용 소파에 앉는 경우로 나누어 Œ 가 한 번 나오는 경우
생각한다.
, , , , 를 나열하는 경우의 수이므로
다섯 명을 ", #, $, %, &라 하자. Å 개 U
Œ ", #가 인용 소파에 앉는 경우  가 두 번 나오는 경우
", #가 인용 소파에 앉는 경우의 수는 Å ◯◯◯, ◯◯◯, ◯◯◯, ◯◯◯, ◯◯◯,
$, %, &가 인용 소파에 앉는 경우의 수는 Å ◯◯◯ 꼴이 가능하고 ◯에 , , ,  중 세 개를 나열하
∴ @ U 면 되므로
 ", #가 인용 소파에 앉는 경우 @@@ 개 U
인용 소파에 앉을 명을 뽑고 ", #가 이웃하게 인용 소파 Ž 가 세 번 나오는 경우
에 앉는 경우의 수는 @Å@Å ◯◯ 꼴이고 ◯에 , , ,  중 두 개를 나열하면 되므로
인용 소파에 나머지 두 명이 앉는 경우의 수는 Å @ 개 U
∴ @ U Œ, , Ž에서    개 U
Œ, 에서   U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단계 채점 기준 배점 가 한 번 나오는 자연수의 개수 구하기 30%
", #가 인용 소파에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 구하기 30% 가 두 번 나오는 자연수의 개수 구하기 30%
", #가 인용 소파에 이웃하여 앉는 경우의 수 구하기 40% 가 세 번 나오는 자연수의 개수 구하기 30%
, 의 합 구하기 30% , , 의 합 구하기 10%

 
에서 ", #가 이웃하게 인용 소파에 앉는 경우의 수는 @Å
$, %, &가 나머지 세 자리에 앉는 경우의 수는 Å
따라서 @Å@Å로 계산해도 된다.
18
[전략] 남학생 명, 여학생 명 또는 남학생 명, 여학생 명을 뽑는 경우의
수를 각각 구한다.
15
Œ 남학생이 명이거나 여학생이 명인 경우
[전략] 빈 자리에 선생님 명이 앉는다고 생각해도 된다.
남학생 명과 여학생 명, 선생님 명이 일렬로 선 다음 대표를 뽑는 경우의 수는
의자에 차례로 앉는다고 생각하자. $@$@
빈 자리에 선생님 명이 앉는다고 생각해도 된다. 따라서 성립하지 않는다.
남학생 명, 선생님 명이 일렬로 서는 경우의 수는 Å  남학생이 명이거나 여학생이 명인 경우
남학생과 선생님 사이와 양 끝의 곳 중 곳에 여학생 명이 서 대표를 뽑는 경우의 수는
는 경우의 수는 1 $@$ $@$@ @
∴ @  따라서 성립하지 않는다.

74 III. 순열과 조합

⤿⥗⥸⥇⥏⤼⥗⤿⥡⥸⥎⥏⥎⥐⥅⥓⥫QVLJ  !࿼ፎ"
Ž 남학생과 여학생이 모두 명 이상인 경우
남학생 수를 O이라 할 때 남학생 명, 여학생 명을 뽑는 경 증권 회사 개 중 개, 통신 회사 개 중 개, 건설 회사 개 중 개를 뽑고 나
머지 개 회사 중에서 개를 뽑는다고 생각해서 $@$@$@$과 같이
우의 수는 O$@O$이고, 남학생 명, 여학생 명을 뽑는
생각해서는 안된다.
경우의 수는 O$@O$이다. 증권 회사를 B, B, B, 통신 회사를 C, C, C, 건설 회사를 D, D, D, D라 할
경우의 수가 이므로 때 이와 같이 계산하면, 예를 들어
$@O$ $@O$ B, C, D을 뽑고 나머지 개에서 B를 뽑은 경우와
O O
B, C, D을 뽑고 나머지 개에서 B을 뽑은 경우가
O O O O
@ O O@  중복된다.
 
O O
O O 

O O , O™AO  21
[전략] 각 자리의 숫자의 합이 짝수인 경우이다.
∴ O 또는 O
따라서 가운데 세 자리 숫자의 합이 짝수인지 홀수인지부터 확인한다.
따라서 남학생과 여학생은 명, 명 또는 명, 명이고,
  꼴이므로 와 에 들어가는 숫자의 합이 짝수이다.
차는  ④
Œ 의 숫자가 모두 짝수인 경우
, , , , 에서 개를 뽑아 나열하는 경우이므로 경우의 수는
1
19  의 숫자가 개는 짝수, 개는 홀수인 경우
[전략] 남학생, 여학생을 합하여 명을 뽑는 경우와
, , , , 에서 개를 뽑고 , , , , 에서 개를 뽑은 다
명에게 책 권을 권씩 나누어 주는 경우를 생각한다.
음 개를 나열하는 경우이므로 경우의 수는
Œ 남학생 명, 여학생 명을 뽑고 명에게 책 권을 각각 권씩
@$@Å@@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Œ, 에서   
$@$@Å@@


 남학생 명, 여학생 명을 뽑고 명에게 책 권을 각각 권씩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22
$@$@Å@@
 [전략] 전체 경우에서 홀수나 의 배수가 아닌 의 배수가 되는 경우를 뺀다.
Ž 남학생 명, 여학생 명을 뽑고 명에게 책 권을 각각 권씩 또는 를 포함하는 경우와 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로 나눈다.
나누어 주는 경우의 수는 Œ 곱이 홀수인 경우
$@$@Å@@
 홀수만 번 나오는 경우이므로 @@ 가지
Œ, , Ž에서    ⑤  곱이 의 배수가 아닌 의 배수인 경우
 또는 이 한 번, 홀수가 번 나오는 경우이고,
남학생만 명 뽑는 경우의 수는 $이므로  또는 이 나오는 위치를 정하는 경우의 수가 $이므로
여학생을 적어도 한 명 포함하여 명을 뽑는 경우의 수는 @$@@ 가지
$$이다.
 전체 경우의 수가 이므로
∴ $$ @Å     가지 ③

Œ 를 포함하는 경우
20 가 한 번 나오는 경우의 수는 가 나오는 순서를 정하고 나
[전략] 한 업종에서 회사를 개 뽑고, 나머지 업종에서 회사를 개씩 뽑으면 머지 두 번은 가 아닌 수가 나오는 경우의 수이므로
된다. @@
Œ 증권 회사 개, 통신 회사 개, 건설 회사 개에 원서를 내는 가 두 번 나오는 경우의 수는 $@
경우의 수는 가 세 번 나오는 경우의 수는 
$×$×$××
 ∴   
 증권 회사 개, 통신 회사 개, 건설 회사 개에 원서를 내는  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경우의 수는  또는 을 두 번 포함하는 경우의 수는  또는 이 나오는 순
$×$×$××
 서를 정하고 나머지는 홀수가 나오는 경우의 수이므로
Ž 증권 회사 개, 통신 회사 개, 건설 회사 개에 원서를 내는 $@@@
경우의 수는  또는 을 세 번 포함하는 경우의 수는 @@
$×$×$×× ∴  
Œ, , Ž에서     Œ, 에서  

05. 순열과 조합 75

⤿⥗⥸⥇⥏⤼⥗⤿⥡⥸⥎⥏⥎⥐⥅⥓⥫QVLJ  !࿼ፎ"
정답 및 풀이

23 단계 채점 기준 배점
[전략] 예를 들어 세 수를 뽑아 큰 순서로 나열하면 나열하는 방법이 정해져 홀수인 원소가 개 또는 개임을 알기 10%
있으므로 세 수를 뽑는 조합을 생각하면 된다. 홀수가 개일 때 원소의 곱이 의 배수인 집합의 개수
40%
구하기
BCDEF가 의 배수이고 F가 이 아니므로 F이다. 홀수가 개일 때 원소의 곱이 의 배수인 집합의 개수
40%
구하기
Œ D이면 E는 , , 가 가능하고 보다 크고 E, F가 아닌 두
, , 의 합 구하기 10%
수를 뽑아 큰 수를 B, 작은 수를 C라 하면 경우의 수는

@$@
 D이면 E는 , 가 가능하고 보다 크고 E, F가 아닌 두 수
를 뽑아 큰 수를 B, 작은 수를 C라 하면 경우의 수는
@$@
Ž D이면 E는 이고, 보다 크고 E, F가 아닌 두 수를 뽑아
큰 수를 B, 작은 수를 C라 하면 경우의 수는 26
$ [전략] O "# 인 경우의 수에서  "# 인 경우의 수를 뺀다.


Œ, , Ž에서    ③ Œ O "# 일 때


"#의 원소 개를 뽑는 경우의 U
A B
24 수는 $
5
[전략] 가장 작은 수가 , , , U일 때로 나누어 경우의 수를 각각 구한다. 나머지 원소 개는 각각 "#,
6
$
뽑은 세 수를 B, C, D BCD 라 하면 B는  이하의 자연수이 #", "# 중 하나의 원소
다. 이므로 경우의 수는
1 2 3 4
Œ B일 때 C, D는 어떤 수이어도 되므로 경우의 수는 $ @@@
 B일 때 C@D가 짝수이므로 C@D가 될 수 있는 전체 경우 따라서 순서쌍 ", # 의 개수는
의 수에서 C@D가 홀수가 되는 경우의 수를 빼면 된다. @
따라서 경우의 수는 $$  O "# 이고  "# 일 때
Ž B일 때 C@D가 의 배수이므로 C 또는 D가 이다. "#의 원소 개를 뽑는 경우의 수는 $
$
C일 때 D 또는 D이고, D일 때 C 또는 C 나머지 원소 개는 각각 "#, #", "# 중 하나
이다. 따라서 경우의 수는   의 원소이므로 경우의 수는 @@
 B일 때 C@D가 의 배수이므로 C 또는 D가 이다. 따라서 순서쌍 ", # 의 개수는
C인 경우는 없고, D일 때 C 또는 C 또는 C @
이다. 따라서 경우의 수는  Œ, 에서  ④
 B일 때 C@D가 의 배수일 수 없다.
 "# ,  #" ,  "# $일 때로 나누어 풀어도 된다.
‘ B일 때 C@D가 의 배수일 수 없다.
Œ ~‘에서     ⑤

25
[전략] 합이 홀수이므로 홀수는 홀수 개이다.
또 곱이 의 배수이므로 짝수의 곱이 의 배수이다. 27
합이 홀수이므로 홀수의 개수는 , , 이다. 그런데 곱이 의 배 [전략] 가로선 개와 세로선 개를 뽑으면 평행사변형 하나가 정해진다.

수이므로 원소가 모두 홀수일 수는 없다. U a' b' c' d' e'


a
Œ 홀수가 개일 때 짝수가 개이므로 의 배수이다.
b
홀수를 뽑은 경우의 수는 $ c
짝수를 뽑은 경우의 수는 $ d

따라서 부분집합의 개수는 @ U e

 홀수가 개일 때 짝수는 개이다. Œ 가로선 B, C, D, E, F 중 개와 세로선 B, C, D, E, F 중 개
홀수를 개 뽑는 경우의 수는 $ 를 뽑으면 평행사변형이 하나 정해진다.
짝수에서 개를 뽑을 때, , , , , 에서 개를 뽑는 경 ∴ $@$@ 개
우만 의 배수가 아니므로 의 배수가 되게 짝수 개를 뽑는  색칠한 평행사변형을 포함하려면 가로선 B, C 중 하나와 D, E,
경우의 수는 $$ F 중 하나를 뽑고 세로선 B, C 중 하나와 D, E, F 중 하나를
따라서 부분집합의 개수는 @ U 뽑으면 되므로 @ @ @  개
Œ, 에서   U Œ, 에서   개 ①

76 III. 순열과 조합

⤿⥗⥸⥇⥏⤼⥗⤿⥡⥸⥎⥏⥎⥐⥅⥓⥫QVLJ  !࿼ፎ"
28  각 그룹에 아시아 국가가 개씩 모두 포함된 경우의 수는 아
[전략] 만나는 두 선분은 사각형의 두 대각선이라 생각할 수 시아 국가의 집합에서 아프리카 국가의 집합으로의 일대일대
있다. 응의 개수와 같으므로 Å
선분 "# 위에서 점 개, 선분 $% 위에서 Œ에서 의 경우의 수를 빼면 
점 개를 뽑아 사각형을 생각하면 대각선이 만나는 두 선분이다.
∴ $@$@ ②

29 31
[전략] 원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대각선은 원의 지름임을 이용한다. [전략] 명을 조로 나눈 다음 각 조가 내릴 층을 정한다.

원 위의 세 점은 일직선 위에 있지 않으므로 O개에서 개를 뽑는 명을 같은 층에서 내릴 명, 명, 명 또는 명, 명, 명으로
조합의 수가 삼각형의 개수이다. 나누는 경우의 수는
O O O  
$에서
O  $@$@$@ $@$@$@
Å 
Å 

O O O @@ ∴ O  
@@@ @@@
그림과 같이 네 점을 연결하는 사각형이 직사  

각형이면 대각선은 원의 지름이다. 개의 점  

을 연결할 때 지름은 개이고, 이 중 개를 조가 개 층 중 내릴 개 층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1

뽑으면 개의 점 중 네 점을 연결하여 얻을 ∴ @ ⑤

수 있는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개수는 $ ①

개의 점 중 개를 뽑아 지름이 아닌 현을 만들면 직사각형을 하


32
나 만들 수 있다.
[전략] 명, 명 또는 명, 명의 개의 조로 나누어야 한다.
지름이 아닌 현의 개수는 $이고 직사각형의 그리고 남학생이 각 조에 명은 포함되는 경우를 생각하기 어려우면
변이 개이므로 직사각형은 번씩 중복된다. 남학생 명이 한 조에 포함되는 경우를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한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개수는 – 명, 명 또는 명, 명으로 나눌 수 있다.
Œ 명, 명으로 조를 나누는 경우
전체 경우는 $@$@ 가지
30 남학생 명이 명인 조에 속하는 경우는  가지
[전략] 아시아 국가만으로 이루어진 그룹이 개인 경우와 개인 경우로 나누
남학생 명이 명인 조에 속하는 경우는 여학생 명을 명, 
어 구한다.
또는 전체 경우의 수에서 아시아 국가만으로 이루어진 그룹이 없는 경
명으로 나눈 다음 여학생이 명인 조에 남학생 명이 속하는
우의 수를 뺀다. 경우와 같으므로
Œ 아시아 국가만으로 이루어진 그룹이 개인 경우  $@$@ 가지
아시아 개국과 아프리카 개국을 각각 그룹씩 나누면 되므 ∴  가지 U
로 경우의 수는  명, 명으로 조를 나누는 경우
  전체 경우는
[$@$@ ]@[$@$@ ]
Å Å  
 $@$@ @@  가지
  Å 
@@ @@@ 
  남학생 명이 한 조에 속하는 경우는 여학생 명을 명, 명
 아시아 국가만으로 이루어진 그룹이 개인 경우 으로 나눈 다음 여학생이 명인 조에 남학생 명이 속하는 경
아시아 개국을 뽑고 남은 아시아 개국에 아프리카 개국을 우와 같으므로
뽑아 대응시키고 나머지 아프리카 개국을 한 그룹으로 만들  $@$@ 가지
면 된다. ∴  가지 U
따라서 경우의 수는 $@1@@@ Œ, 에서   가지 U
Œ, 에서    단계 채점 기준 배점
명, 명으로 조를 나누는 방법의 수 구하기 40%
명, 명으로 조를 나누는 방법의 수 구하기 50%
Œ 개국을 개국씩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의 수는
, 의 합 구하기 10%
 
$@$@$@$@ @@@@  
Å 

05. 순열과 조합 77

⤿⥗⥸⥇⥏⤼⥗⤿⥡⥸⥎⥏⥎⥐⥅⥓⥫QVLJ  !࿼ፎ"
정답 및 풀이

33 36
[전략] "에 속하는 팀과 #에 속하는 팀을 정하는 방법부터 생각한다. [전략] G가 일대일대응이므로 O " O # 이다.
그리고 가능한 "#의 원소부터 생각한다.
"에 속하는 팀을 뽑는 경우의 수는 $
"에 속하는 팀을 팀씩 묶는 경우의 수는 일대일대응이고, O 6 , O "# 이므로
  O " O # 이다.
 $@$@ @@ 
Å  "#의 원소는 6의 원소 중 하나이므로 가지
#에 속하는 팀에서 부전승으로 올라가는 팀을 정하는 경우의 "의 원소는 6에서 "#의 원소가 아닌 원소를 개 뽑으면 되
수는 $ 므로 가능한 "의 개수는 $
따라서 대진표의 가짓수는 @@  이때 남은 원소는 #의 원소이다.
O " O # 이면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Å
대진표에서 다음 두 경우는 같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일대일대응의 개수는 @@ ④

a b c d b a c d

다음도 같다고 생각한다.

a b c d c d a b

34 step 최상위 문제 74~75쪽


[전략] 예를 들어 국어를 번째, 번째 제출한다고 하면
번째는 국어 "를, 번째는 국어 #를 제출해야 한다. 01  02  03  04 ① 05 ③
06  07  08 
그림과 같이 제출하는 순서를 칸으로 나타내어 보자.

01
[전략] 첫 번째 줄에 모자 ", #, $, %를 하나씩 건 경우
개의 과제를 제출할 때, 국어 과제에 해당하는 칸을 개 정하면
두 번째 줄과 세 번째 줄에 가능한 경우를 구한다.
앞의 칸은 국어 ", 뒤의 칸은 국어 #이다.
다음과 같이 첫 번째 줄에 ", #, $, %를 걸고 두 번째 줄 첫 번
남은 칸에서 수학 과제에 해당하는 칸을 개 정하면 앞의 칸은
째 칸에 #를 건 경우
수학 ", 뒤의 칸은 수학 #이다.
A B C D
남은 칸에서 앞은 영어 ", 뒤는 영어 #이다.
따라서 경우의 수는 $@$@$@@  B ❶ ❷ ❸

❹ ❺ ❻ ❼

Œ ❶이 "인 경우 ❷는 %, ❸은 $이다.
35 ❹가 $이면 ❺, ❻, ❼은 %, ", # 또는 %, #, "이므로
[전략] G  , , 일 때로 나누어 가능한 G의 개수를 각각 구한다. 가지
Œ G  일 때 ❹가 %이면 ❺, ❻, ❼은 $, ", # 또는 $, #, "이므로
G  G  이고 G  , G  , G  , G  은 , , , ,  가지
중 하나이다.  ❶이 $인 경우 ❷는 %, ❸은 "이다.
따라서 G의 개수는 @ @@@  ❹가 $이면 ❺, ❻, ❼은 %, ", #이므로 가지
 G  일 때 ❹가 %이면 ❺, ❻, ❼은 ", #, $이므로 가지
G  , G  는 , ,  중 하나이고 G  , G  , G  , G  은 Ž ❶이 %인 경우 ❷는 ", ❸은 $이다.
, ,  중 하나이다. ❹가 $이면 ❺, ❻, ❼은 ", %, #이므로 가지
따라서 G의 개수는 @ @ @@@  ❹가 %이면 ❺, ❻, ❼은 $, #, "이므로 가지
Ž G  일 때 Œ, , Ž에서 첫 번째 줄에 ", #, $, %를 걸고 두 번째 줄 첫
G  , G  는 , , , ,  중 하나이고 번째 칸에 #를 거는 방법의 수는 
G  G  G  G  이므로 G의 개수는 두 번째 줄 첫 번째 칸에 $ 또는 %를 거는 방법의 수도 각각 
@ @ 첫 번째 줄에 ", #, $, %를 거는 방법의 수는 Å
Œ, , Ž에서     ∴ @@ 

78 III. 순열과 조합

ጄ73QVLL  ࿼႖"
02 그런데    ,   ,
[전략] #에 있던 명 중 #의 비어 있던 개의 의자로 옮긴 사람 수로 경우를   ,   ,   
나누어 구한다. 이므로
탁자 #에 앉아 있던 사람을 B, C, D라 하고 앉아 있던 자리를 ,  과 ,  , ,  와 ,  ,
B, C, D, 비어 있던 자리를 E, F이라 하자. ,  과 ,  , ,  과 ,  ,
Œ B, C, D가 E, F에 앉지 않는 경우 ,  과 , 
B, C, D는 C, D, B 또는 D, B, C에 앉아야 하므로 가지 로 조를 나누는 경우를 제외하면 각 조의 두 수의 합이 같지 않다.
또 "에 앉아 있던 사람이 #의 E, F에 앉는 경우의 수는  따라서 합이 작은 조부터 열, 열, 열에 쓰면 된다.
∴ @ 또 각 열에 두 수를 쓰는 방법이 가지씩이므로 경우의 수는
 B, C, D 중 명이 E, F에 앉는 경우  @@@ ①
B, C, D 중 명이 E 또는 F에 앉는 경우의 수는 @
남은 명이 B, C, D에 앉는 경우의 수는 
"에 앉아 있던 사람이 남은 의자에 앉는 경우의 수는 
∴ @@
Ž B, C, D 중 명이 E, F에 앉는 경우
B, C, D 중 명이 E, F에 앉는 경우의 수는 1
남은 명이 B, C, D에 앉는 경우의 수는 
05
"에 앉아 있던 사람이 남은 의자에 앉는 경우의 수는 
[전략] B라 하고 가능한 C를 모두 찾는다.
∴ @@ 이때 C의 네 자리 숫자가 를 포함할 때와
Œ, , Ž에서     포함하지 않을 때로 나누어 생각한다.

B라 하자.
Œ #에서 뽑은 숫자가 , , , 인 경우
03
[전략] (나)에서 G  의 값은 , ,  중 하나이다. C의 천의 자리가 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가지이다.
이때 (가)를 이용하여 가능한 G  의 값을 찾는다. B    
(나)에서 G  의 값은 , ,  중 하나이다.   
Œ G  일 때 C    
(가)에서 ]G  G  ], ] G  ]   
G   또는 G  
C의 천의 자리가  또는 인 경우도 가지씩이다.
m9이므로 G  
∴ @
 G  일 때
 #에서 뽑은 숫자가 , , , 인 경우, 곧 C에 이 없는 경우
(가)에서 ] G  ]
C의 천의 자리가 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가지이다.
G   또는 G  
Ž G  일 때 B    
  
(가)에서 ] G  ] C 
  
G   또는 G  
m9이므로 G   C의 백의 자리가 인 경우는 다음과 같이 가지이다.
Œ, , Ž에서 G  과 G  의 값을 정하는 경우의 수는 B    
     
같은 방법으로 G  와 G  , G  과 G  의 값을 정하는 C    
경우의 수도 각각 이다.   
따라서 G의 개수는 @@ 
C의 십의 자리가  또는 C의 일의 자리가 인 경우도 가지씩
이다.
04 ∴ @
[전략] 개의 수를 개씩 조로 나눈다.
Ž C에  또는  또는 가 없는 경우도 가지씩이다.
이때 각 조의 두 수의 합이 같은 경우가 없으면
Œ, , Ž에서 B일 때 가능한 C의 개수는
합이 작은 조부터 열, 열, 열에 쓰면 된다.
 @
개의 수를 개씩 조로 나누는 경우의 수는
가능한 B의 개수는 1이므로 순서쌍 B, C 의 개수는
 
$@$@$@ @@@  1@ ∴ Y ③
Å  

05. 순열과 조합 79

⤿⥗⥸⥇⥏⤼⥗⤿⥡⥸⥎⥏⥎⥐⥅⥓⥫QVLJ!  !࿼ፎ"
정답 및 풀이

06 07
[전략] 여학생 명을 각 층에 배정하는 경우를 나누어 경우의 수를 각각 구한다. [전략] 다리가 이미 놓여 있는 두 섬을 하나의 섬으로 보고
이 섬에서 다리를 개, 개, 개 놓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한다.
Œ 층 개를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
층의 사물함을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그림과 같이 섬을 ", #, $, %, &라 하고, "와 #를 묶어 "이
Å 라 하자. C
A'
나머지 사물함을 남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Œ "에 다리를 개 놓는 경우 A
D
$, %, &에서 " 또는 #에 다리를 하
1

따라서 경우의 수는 @ 나씩 놓으면 되므로 B E


 층 개를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 @@ 가지
Œ과 같으므로 경우의 수는   "에 다리를 개 놓는 경우
C
A'
Ž 층 개 중 개를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 $, %, & 중 "에 연결되는 섬을 선 A
D
층의 사물함을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택하는 방법이 $ 가지
경우의 수는 1 예를 들어 $, %를 선택한 경우 &와 B E
남학생 명에게는 층 또는 층의 사물함을 $, %를 연결하는 다리는 $& 또는
여 여
배정해야 하므로 경우의 수는 1 %&이므로 가지
따라서 경우의 수는 @ 또 $, %에서 " 또는 #에 다리를 놓는 방법이
 층 개, 층 개를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 @ 가지
층, 층의 사물함을 개씩 선택하는 경우의 ∴ @@ 가지

수는 @이고, 사물함을 여학생 명에게 Ž "에 다리를 개 놓는 경우 C

A'
배정하는 경우의 수는 Å이므로 $, %, & 중 "에 연결되는 섬을 선택 A
D
@ 하는 방법이 가지
남학생 명에게는 층의 사물함을 배정해야 하므로 경우의 예를 들어 $를 선택한 경우 $와 %, B E
수는 Å &를 연결하는 방법이 $%, $&
따라서 경우의 수는 @ 또는 $%& 또는 $&%이므로 가지
 층 개, 층 개를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 또 $에서 " 또는 #에 다리를 놓는 방법이 가지
❷를 여학생에게 배정하면 남학생 명에게 사 ∴ @@ 가지

물함을 배정할 수 없다. Œ, , Ž에서    가지 
층 사물함 개와 ❶, ❸ 중 하나를 정하는 경 ❶ ❷ ❸

우의 수는 @이고, 여학생 명에게 배


08
정하는 경우의 수는 Å이므로 @ [전략] 부터 까지 차례로 나열한 다음, 이웃하지 않는 장을 뽑는 경우의
❶, ❸ 중 남은 하나와 층 사물함을 남학생 명에게 배정하 수와 같다.
는 경우의 수는 Å 부터 까지 장의 카드를 차례로 나열한 다음 이웃하지 않게
따라서 경우의 수는 @@ 장의 카드를 뽑는다고 생각한다.
‘ 층 개, 층 개를 여학생 명에게 배정하는 경우
 와 같으므로 경우의 수는 
따라서 를 개 나열하고 양 끝과 사이에 를 개 넣는
Œ ~‘에서
경우의 수를 생각하면
      
$
 

위의 그림은 , , , 를 뽑는 경우이다.

80 III. 순열과 조합

⤿⥗⥸⥇⥏⤼⥗⤿⥡⥸⥎⥏⥎⥐⥅⥓⥫QVLJ   !࿼ፎ"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