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한국사 시간에 학생의 권리와 의무

학생의 권리 학생의 의무
1. 수업받을 권리 1.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의무

2. 학생으로서 존중받을 권리 2. 교사를 존중할 의무


- 존중받을 권리
- 차별받지 않을 권리

3. 건강·안전을 보장받을 권리 3. 교사의 정당한 지시를 수용할 의무

4. 상담 조정을 신청할 권리 4. 면담 지도를 받아들일 의무

5. 5.

1. 2022년 한국사 수업에 바라는 점:

2. 2022년 한국사 수업에 참가하는 나의 다짐:

확인자 학생 : 교사 :

서명
JIKS 한국사 10학년 반 번 이름: .

학 습 지
Ⅰ. 문명의 발생과 고대 세계의 성립 (중학역사 1 10-13p)
1. 역사의 의미와 역사학습의 목적 (역사란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단군 고조선 건국 광개토대왕 즉위 JIKS 승인


단기 (B.C.2333) 불기 (B.C.544) A.D. (1) 영락 1(393) A.H.(622) 직스 1년(1976) 47년(2021)
부처님 입멸 예수님 탄생 헤지라 (622. 7.16)

오늘의 ▶ 사실(fact)이 아니면 다 거짓인가? 그렇지 않다면?


질 문 ▶ 주관적인 것과 객관적인 것의 개념은 무엇인가? 둘 중 어느것이 좋고, 나쁜가?

가. 개념 잡기: 빈 칸을 채우며 내용을 정리하기 (개념있는 학생들은^^ 이것을 가장 먼저, 반드시!)


1. (11p) 역사책에는 과거에 실제 발생했던 (ㅅㅅ) 중에서 역사가가 중요하고 의미 있어 (ㄱㄹ)할 만하다고
보는 내용들이 담겨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역사는 두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ㅅㅅ)로
서의 역사, 다른 하나는 (ㄱㄹ)으로서의 역사이다. 전자는 (ㄱㄱㅈ)으로 기록하는 사람이 달라도 바뀌지 않
는 데 반해, 후자는 (ㅈㄱㅈ)으로 역사가에 따라 다르게 서술될 수 있다. 역사가는 자신의 관점과 해석에
따라 내용을 선별하여 역사를 서술한다.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중요한 이유는 거짓이 아닌 □□(fact)를
정확히 알고, 역사와 현실에 대한 우리 자신의 합리적인 □□(opinion)를 수립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이다.

나. 읽기자료: 객관과 주관, 역사적 사실과 역사가의 기록의 관계 – 1


객관적이라는 것은 여러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동일하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A는 키가
170이다. 몸무게가 75kg 이하이다. 오늘 아침 밥을 먹었다.“ 등은 객관적인 것이다. 객관적인 것은 사실과 거짓
을 판별할 수 있다. 위에 내용들은 맞는지 틀리는지 알 수 있다. 즉 A의 키가 170인지 아닌지는 여러 사람들의
답이 똑같다.
주관적이라는 것은 여러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견해)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B는 착하다. 멋지다. 공부를 잘 한다.“ 등은 주관적인 것이다. 주관적인 것은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B의 외모가 내 스타일이어서 멋지다고 보는 사람이 많아도 다른 사람들은 그런 스타일을 별로이면 그
들에게는 B가 멋지지 않을 수 있다. 시험 성적이 70점인 사람은 100점을 기대하는 부모에게는 못하는 것일 수
있지만 매번 50점을 맞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잘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주관적인 것은 어느 것이 절대적으
로 옳거나 그르다고 할 수 없다.

다. 지식채널e 두 개의 기록을 보고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https://www.youtube.com/watch?v=pYUxy4wXRZY)


1. 다비드와 제임스 길레이는 나폴레옹의 대관식을 각각 어떻게 묘사하였습니까?
화려하고 근엄한 고상한 분위기 속에 대관식이 치러짐. 촹제의 탄생에 사람들이 기뻐하고 교황은 축복하는 모습

불만스런 표정의 유럽 각국 대표, 족쇄를 채워진 병사들, 탐욕스런 뚱보 황후와 부풀어오른 황제의 모습으로 폭

2. 똑같은 사건(나폴레옹 대관식)에 대해 두 개의 다른 기록이 나온 이유는 무엇입니까?

- 1 -
JIKS 한국사 10학년 반 번 이름: .

라. 다음을 읽고 맞는 것을 고르거나, 빈 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 역사 선생님은 우리 학교 최고의 미남이다. (주관적 / 객관적)
2. 우리학교의 이름은 갈매중학교다. (주관적 / 객관적)
3. ”코로나 백신을 맞은 사람은 좀비가 된다“는 것은 가짜 뉴스이다. (주관적 / 객관적)
4. 다음은 주관적/객관적인지 선택하고 그 이유를 쓰시오
가) 10학년 학생들은 모두 모두 자카르타에서 태어났다. (주관적 / 객관적)
이유 :

나) 학교 폭력을 저질렀던 스포츠 선수를 국가대표에서 제외시키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 (주관적 / 객관적)


이유 :

다) 객관적인 것은 좋고, 주관적인 것은 나쁘다./ 객관적인 것은 나쁘고, 주관적인 것은 좋다.


이유 :

차. 내 모습(왼쪽)과 역사 선생님(오른쪽)의 모습을 그려 보세요~

- 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