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독도와 간도

조선후기 개항기(대한제국) 식민지기(일제)


문제시되었으나 적극 대응 모든걸 뒤집고
문제는 있었지만 해결 봄
cf. 세계만방의 독립제국 안좋게 말아먹음

시기 독도 간도
§ 여진족의 중원진출(청건국)을 계기로 조선백성 다
수가 만주로 이주
조선후기 § 안용복의 활약, 에도 막부의 확인 § 청의 만주 성역화로 문제시
§ 청, 조선의 양국 관리가 파견되어 백두산 정계비
세우고 일단락
§ 백두산정계비의 해석 문제 발생
§ 대한제국 칙령 제 41호 / 독도 = 우리땅, 확실히 § 동쪽 토문강을 청은 두만강, 조선은 해란강이라 주
개항기(대한제국) 관리하고, 울릉군에 편입시킴 장
§ 적극 대응하며 간도 관리사(이범윤)를 파견
§ 을사조약을 통해 외교권을 박탈한 후 청과 일본이
§ 시마네현 고시를 통해 독도를 주인없는 무인도라 간도협약 체결
식민지기(일제) 고 주장하며 일본 영토로 편입시킴 § 일본은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 청은 일본에게
만주철도부설권등의 이권 넘김.

※개항과 외국상인들의 무역 활동
1876 1882 1894
거류지 무역 내지 통상

거류지 거류지

중개상인 중개상인
객주여각 객주여각

국내 소비자 국내 소비자
생산자 생산자
※경제적 구국운동

시기 조약&주요내용 문제점 경제적 구국운동


조일조약: 불평등조약
§ 가내수공업 타격
1876 조일장정: 개항장 주변 10리(거류지무역의 형태)
§ 곡물가격 폭등
§ 방곡령(함경도, 황해도)
조일부록: 3무조항(무관세,무항세,무제한곡물유출)
조미조약: 최혜국대우 § 상권수호운동
1882 조청장정: 거류지무역균열 → 내지통상 § 청일 상인 간 경쟁 심화, 전 시전상인: 철시, 황국중앙총상회 조직
조일속약: 10리 → 50리 통상인 타격 객주: 상회사 조직
1883 제2차 조일장정: 관세, 방곡령, 최혜국 대우 경강상인: 증기선 구입

1894 청일전쟁으로 일본승리


§ 열강의 이권 침탈 by 최혜국
아관파천이후 이권침탈 본격화 § 독립협회: 이권수호운동
1896 러(삼림), 미(광산), 일(철도)
대우

§ ⽇ 토지 약탈 심화, 황무지
식민지 기반 조성 § 보안회: 농광회사 활동
개간권 요구
1904 한일의정서: 군용지사용
제1차 한일협약: 재정고문 매가타
§ 화폐정리사업으로 국채 증가 § 국채보상운동

※민족자본의 성장 (화폐정리사업으로 타격)


1.상업자본-상회사(대동상회, 장통회사)
2.산업자본-자기, 유기
3.금융자본­조선, 한성, 천일은행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