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전기전자 부품 및 소자 활용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
학습내용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학습목표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을 알 수 있다.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전압, 시간 및 주파수, 펄스 폭 및
상승시간, 위상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2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1. 오실로스코프 동작 원리
1) 오실로스코프의 동작 원리

[수직, 수평 편향에 의한 파형 표시]

• 전자빔 : (-) 전자의 묶음, 진공 속을 이동하면 도선 없는 전류가 됨


• 그리드에서 세기 조절
• 가속전극을 지나면서 속도가 빨라지고 가늘게 다듬어짐
• 전자가 (+)극판쪽으로 포물선 운동하여 브라운관의 형광면의 부딪혀 빛 발생

• 수직축에 1Hz의 정현파를 수평측에 1Hz의 톱니파를 가하면 정현파에 의한 운동은


상하로, 톱니파에 의한 운동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행하므로, 휘선은 벡터 합성되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며 스크린에 정현파를 그림

3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2. 오실로스코프 종류
1) 오실로스코프의 종류
• 1채널 오실로스코프
• 2채널 오실로스코프
• 4채널 오실로스코프
• 메모리 기능을 가진 디지털 스토리지스코프
• RF 스코프
• 제너스코프
• 스위프 마카스코프 등
• 컴퓨터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16~48 채널용 로직 분석기(logic
analyzer)와 오실로스코프 복합

[오실로스코프의 내부 회로 구성도]

4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3. 오실로스코프의 각 단자 기능 및 명칭
1) 화면 조정과 전원부

1 2 3 4 5 6 7 9

1. POWER(전원) 스위치
2. CAL(Calibration) OUT : 프로브 보정과 수직 증폭기의 교정을 위한 구형과 출력
단자, 구형파(0.5V, 1kHz) 출력
3. INTENSITY(휘도 조정) : CRT 화면의 밝기(휘도) 조절
4. B-INT : B-Trigger의 Trace Intensity 조정, (-)형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조절
5. FOCUS(초점 조정) : 화면상의 초점 조정, 소인선이 가장 가늘고 선명하도록 조정
6. TRACE ROTATION : 소인선이 CRT의 수평선과 일치하도록 조정
7. SCALE ILLUM(눈금 조명) : 눈금의 밝기 조절, 어두운 곳에서 관측하거나 화면을
촬영할 때 사용
8. CRT : Display 와 눈금판
9. 접지 단자

5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3. 오실로스코프의 각 단자 기능 및 명칭
2) 수직 증폭부

2
7

4 3
5
1

1. CH2(Y) : 채널 2의 입력단자, 프로브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CH2 수직 증폭부로


연결하며, X-Y 동작시 Y축 신호가 됨
2. VOLT/DIV : 각각 채널 1과 2의 수직 편향 감도를 선택하는 입력측 감쇄기, 1칸당
V/cm 감도로 표시
3. Variable : 수직 편향감도를 연속적으로 가변 조정할 수 있는 미세 조정기,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돌리면 감쇄비는 지시값의 1/2.5 이하가 되고, 손잡이를 당기면
수직축 감도는 5배가 됨, 일반적으로 시계방향으로 최대인 위치(CAL)에 놓고 사용
4. V.MODE : 수직축에 표시형태를 선택하는데 사용
5. CH1(X) : 채널 1의 입력단자, 프로브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CH1 수직 증폭부로
연결하며, X-Y 동작 시 X축 신호가 됨
6. 수직 위치(POSITION (↕)) : 해당 채널의 화면상의 파형을 상하로 이동
7. AC-GND-DC : 사용 전원에 맞도록 선택/사용
– 교류(AC) : 수직 입력 시 직류 전압은 제거되고 교류 전압을 측정할 수 있음
– 접지(GND) : 입력 단자에 신호원을 무시하고 접지 기준 점을 갖게 됨
– 직류(DC) : 직류 전압을 측정할 수 있음

6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3. 오실로스코프의 각 단자 기능 및 명칭
3) 소인과 동기부

3 5

1 4
2

1. 시간 선택(B-Time/DIV) : 채널 2 시간축의 Sweep Time을 선택하고


0.2㎲~0.5㎳/DIV 11 단계로 선택
2. 지연시간(Delay Time Position) : A 소인에 B 소인을 선택했을 때 정확한 시작점을
맞추는 데 사용
3. 수평 위치(POSITION(↔) : 화면 파형을 좌우로 이동
4. 시간 선택(A-Time/DIV) : 채널 1 시간축의 Sweep Time을 선택하여
0.2㎲~0.5㎳/DIV 11 단계로 선택
5. 수평 모드 조절 단자

7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4. 프로브의 보정
1) 프로브 보정
• 차폐(shield)된 선을 사용하므로 잡음 방지
• 동축 케이블 사용해 측정
• 신호원의 임피던스 최고 주파수, 케이블의 용량 등을 정확히 알아야 함
• 정확히 알 수 없을 경우 10×의 프로브 사용

[프로브 모형]

• 1×(직접연결) 위치와 10×(감쇄) 위치


– 10× 위치 : 오실로스코프 프로브의 입력 임피던스 증가, 입력신호 1/10로 감쇄
→ 측정단위(VOLT/DIV)를 10배로 곱해야 함
예) 10mV/DIV일 경우
50mV × 10 = 0.5V

8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1. 실습준비
1) 실습준비물
• 공구 및 장비
– 오실로스코프
– 멀티 테스터
– 주파수 카운터
– 함수 발진기
– S/N노이즈 메터(신호대 잡음)
– 직류 전원 공급기
• 실습사용재료
– 건전지 DM1.5 4개
– 트랜스 220V/3~12V 1개
– 다이오드 Si, Ge형 각1개
– 제너다이오드 RD5A, RD9A
– 저 항 1KΩ 등 1개
– 콘덴서 10㎌ 등 각1개
2) 안전 유의사항
• 오실로스코프 내에 직접 전류가 유입되지 않게 하기
• 프로브를 시험 중인 회로에 연결하기 전에 측정 장비에 프로브 출력 연결하기
• 오실로스코프에서 프로브를 분리하기 전에 입력과 프로브 리드선을 시험 중인
회로에서 분리하기
• 계측기 사용 시 과대한 입력 가하지 않기
• 휘점이 한 곳에 오래 정지하지 않도록 하기
• 장비의 접지가 확실히 되어있는지 확인하기
• 측정단자에 피측정단자를 접속한 상태에서 전환손잡이를 변환시키지 않기

9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2. 초기 동작 조정하기
1) 실습순서
• 전원(POWER) 스위치 : OFF (나온 상태) / ON(누른 상태)
• 감도(INTENSITY) : 완전 반 시계 방향(감도 최대)
• 초점(FOCUS) : 중간 정도에 위치
• 전환스위치(AC-GND-DC) : 손잡이를 이용하여 AC에 위치
• 수직 위치(POSITION) : 누른 상태에서 가운데에 위치
• 전압선택(VOLT/DIV) : 20mV에 위치
• 조정(VARIABLE) : 누른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림
• 시간 선택(TIME/DIV) : 0.5mS에 위치
• 전압 (Volt MODE) : CH1에 위치
• 시간 조정(TIME VARIABLE) : 누른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최대로 돌림
• 수평 위치(POSITION) : 좌우 중앙에 위치

3. 직류(DC) 전압 측정하기
1) 실습순서
① 입력파형 선택 스위치(AC-GND-DC)를 DC에 맞추기
② VOLT/DIV 노브의 앞 손잡이를 CAL의 위치에 최대로 돌리기
③ 휘선 수직 상하 조절 손잡이를 이용하여 휘선을 기준 휘선 설정 위치까지 내리기
④ VOLT/DIV를 1V에 맞추기
⑤ DM 건전지 2개를 직렬로 연결하기
⑥ 프로브 양단에 탐침처럼 (+)단자에 연결하고 악어클립을 전지의 (-)쪽에 연결하기

10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4. 교류(AC) 전압 측정하기
1) 실습순서
① 입력 파형 선택 스위치(AC-GND-DC)를 OFF 상태(AC 측정)로 놓기
② VOLT/DIV 노브의 앞 손잡이를 CAL 단자의 위치에 최대로 돌리기
③ 휘선 수직 상하 조절 손잡이를 이용하여 휘선을 기준선 중앙에 오도록 조정하기
④ VOLT/DIV를 5V에 맞추기
⑤ 강압 트랜스를 전원과 연결하기
⑥ 프로브 양단에 강압 트랜스의 출력 0V와 12V지점 연결하기

⑦ 나머지 단자 3V, 6V, 9V지점에 연결, VOLT/DIV 단자를 2V, 1V로 바꾸어 가며 파형
측정하기
⑧ 전압 크기 계산하기

11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5. 주파수 측정하기
1) 실습순서
① 표준 파형 조정과 주파수 발생기 준비하기
② 입력 파형 선택 스위치(AC-GND-DC)를 OFF 상태(AC)로 놓기
③ VOLT/DIV 노브의 앞 손잡이를 CAL 위치까지 돌리기
④ 수직 위치 노브를 돌려서 휘선이 중심선에 있도록 조정하기
⑤ 미지의 주파수 입력, 적당한 파형 크기를 유지하도록 조정하기
⑥ 내부 소인 발생기 주기전환 스위치(time/div)를 전환하여 5개 모양이 그려지게
하기
⑦ 미지의 주파수 계산하기

12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6. 위상 측정하기
1) 실습순서
• 2개의 발생기를 이용하여 주파수 측정

[2개의 주파수가 같을 경우 위상 변화]

• 같은 주파수의 합성 때 위상이 달라서 생긴 모양


• 위상의 진행 방향 : 스크린의 X, Y축 중심선 상 좌측 윗부분에서 우측 윗부분으로
진행
• 0°는 360°와, 45°는 315°와, 90°는 270°와 135°는 225°와 같은 모양이므로
0°에서부터 시작하여 그려가며 정확한 위상차 계산

13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7. 변조도 측정
1) 실습순서
• 내부 소인 발진기를 이용할 경우(피변조파 측정)
– 내부 소인 발진기에 의한 주파수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패널 조작
– 미지의 피변조파를 V입력에 가함

m(변조도) =

[변조도 파형]

• 신호파 및 고주파를 스코프에 직접 가하여 구할 경우


– 신호파의 출력 조절

[변조도 진폭]

m(변조도) : A, B값에 의해 측정

14
핵심정리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개요
• 오실로스코프
– 전자 장비를 설계, 제조 또는 수리하는 모든 이에게 필수적인 장비
– 미지의 전압, 주파수, 위상, 변조도 등 측정
• 오실로스코프의 종류
– 1채널 오실로스코프
– 2채널 오실로스코프
– 4채널 오실로스코프
– 메모리 기능을 가진 디지털 스토리지스코프
– RF 스코프
– 제너스코프
– 스위프 마카스코프

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의 활용 실습
• 초기 동작 조정하기
• 직류 전압 측정하기
• 교류 전압 측정하기
• 주파수 측정하기
• 위상 측정하기

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