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건설관리 2021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머신러닝 기반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스마트 건설 분야


정책과 연구 간 연계성 분석
Connectedness between Policy and Research in the Smart Construction Field
Using Machine Learning-based Keyword Network Analysis

전수진 ․ 정종홍
Jun, Soo Jin․Jung, Jong Hong
최근 건설 분야에 스마트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을 해왔지만 이제 도입단계
로 타 산업 분야보다 현저히 낮은 활용도로 기술개발 수준의 격차가 발생하고,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상당
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건설 전문 인력의 융복합 학문 유입이 필요한 시점에서 스마트건설연구영
역 고도화와 전문 인재확보를 위한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AI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
하여 최근 5년간 발표된 국토교통부의 스마트 건설 분야 정책 보도자료와 동일 연도에 출간한 선행연구 분
야의 KCI 등재 논문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TF-IDF분석을 실시하여 중심 주제어의 출현빈도와
연결 중심성을 도출하고 정책과 연구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부
가 주도하는 스마트 건설 운영방향과 학계에서 움직이는 스마트 건설 기술 연구의 동향을 비교 고찰하여 향
후 국내 스마트 건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지표화 설정에 초점을 둔다.
핵심용어 : 연결
머신러닝,
중심성,텍스트마이닝,
근접 중심성,스마트
건설, 건설정책, 건설연구동향, 주제어 네트워크분석,
매개 중심성
1. 서 론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2018년도「스마트 건설 로드맵」 발표 이후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 R&D’,
‘스마트 건설기술 가이드라인’, ‘스마트 건설지원 센터’ 등 계속해서 정부 주도하에 정책적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 분야에서는 스마트기술을 활용하여 실무에 적용하기까지 기술성숙도(TRL) 확보 및 실증
검증, 전문 인력 확보, 중·장기적인 유지관리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과 필요성을 도출·보완하
고자 본 연구는 스마트 건설의 정책과 연구 분야에서 해당 문서를 기반으로 머신러닝을 활용한 출현빈도와
연결 중심성을 비교·검토룰 실시한다. 이를 통해 기술의 확장범위 및 접목 방향 등 객관적 지표 도출로 확보
하여 향후 정부 동향과 수행 연구기술 개발 동향의 중심성 및 관계성 파악을 통해 스마트 건설의 제도개선
방향을 예측하고 건설 분야의 융·복합 연구계획의 이해를 돕고자 기초연구를 수행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정책 분야’와 ‘연구 분야’의 스마트 건설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한국도로공사에서
총괄하여 수행 중인 국토부 R&D과제 ‘스마트 건설기술 개발사업’에 주요 세부기술의 제목을 대상 주제어
로 ‘건설장비 자동화’, ‘프리팹’, ‘OSC’, ‘건설 데이터 통합 플랫폼’, ‘안전 관제’, ‘센서 건설’, ‘센싱 건설’, ‘드
론 건설 ’, ‘디지털트윈’, ‘BIM’ 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정책 분야에서 건설·도로영역의 주관인 국토교
통부 정책 기준을 근거로 최근 5년간(2017.01~2021.08) 발표한 보도자료를 한정하여 제목 및 본문 내용을
수집한다. 연구 분야도 마찬가지로 동일시기에 발간된 논문으로 연구플랫폼 ‘RISS’를 통해 국내 게재논문
을 대상으로 제목 및 주제어를 대상으로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분야별 대상 주제어 간 연계성 및 중
요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머신러닝 기반 웹 크롤링과 TF-IDF분석을 실시한다. 텍스트마이닝의 토큰화 및
용례 일치, 불용어처리 등 텍스트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연도별 TF-IDF 값을 기준으로 상위단이 가지
는 연결 중심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비회원․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 연구원, 공학석사 (E-mail:jny5959@gmail.com) - 발표자
** 정회원․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 팀장, 공학박사 (E-mail:j hong@ex.co.kr)
325

www.dbpia.co.kr
건설관리 2021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3. 스마트 건설의 정책 분야 및 연구 분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본 연구는 국토부 주제어 ‘스마트 건설’ 보도자료 271건, 스마트 건설기술을 이루는 핵심 주제어 대상
게재논문 2,576건을 데이터로 활용하였으며, 각 단어의 출현빈도의 순위와 워드 간의 연결 중심성을 이루
는 수치 도출 등 정량적 지표로 상위권에 출현하는 주제어를 살펴보았다. 연도별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연
구 주제어는 ‘BIM’으로 최근 5년간 꾸준하게 증가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타 분야의 주제어와도 단어쌍을
이루는 등의 다양하게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연결 중심성이 0.825로 상위 평균보다 2배 이상으로 측정되었
다. 이외에도 ‘정보처리’, ‘IFC’, ‘통합시스템’ 등 건설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서 발생하는 건설 전반의
데이터에 관한 주제어도 높게 측정되었으며, 2018년 스마트 건설 로드맵 발표 이후 알고리즘, 인공신경망 등
의 ‘인공지능’ 이 대두되며, 정책 동향이 연구 주제어에서도 연구결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표 1. ‘스마트 건설’ 정책 및 연구 영역 간 네트워크 분석
항목 2017 2018 2019 2020 2021
BIM 빈도순위 1 1 1 1 1
중심성 0.586 0.697 0.780 0.825 0.601
정보처리 빈도순위중심성
2
0.490
2
0.455
3
0.469
4
0.501
3
0.474
스마트건설 빈도순위중심성
7
0.017
5
0.382
8
0.232
7
0.366
11
0.417
3차원모델 빈도순위중심성
4
0.374
3
0.382
19
0.443
3
0.351
35
0.460
가상현실 빈도순위중심성
-
0
13
0.053
21
0.413
12
0.354
8
0.777
IFC 빈도순위 8 8 18 35 > 50
중심성 0.344 0.382 0.416 0.042 0
인공지능 빈도순위 30 53 4 5 2
중심성 0 0 0.446 0.453 0.469
통합시스템 빈도순위 17 15 16 11 6
(플랫폼) 중심성 0.336 0.382 0.423 0.468 0.425
4. 결 론
본 논문은 도출된 분석값을 지표로 정책과 연구 영역 간에
동향을 해석하고 있다. 2021년은 8월까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
고 수집된 데이터 표본 수가 많을수록 두 분야의 관계에 대한
정합도 높은 결과값이 나타나기 때문에 타 년도에 비해 표본
가중치가 불충분할 가능성이 있다. 향후 수집된 데이터 표본
수의 확장과 장기적인 관찰을 통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최근 ‘메타버스’가 대두되는 현 시점에 가상 시뮬레이션에 대
한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연구 소재의 다양성은 넓어지고 있으
나 정책 분야에서 다소 사업계획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분은 향후 주제어·시기별로 세분화된 분석
을 통해 연계성 검토를 시도할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스 그림 1. 2021년도 스마트 건설 정책 및 연
마트 건설기술 개발의 실증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과 연계 구 분야 네트워크 분석 결과 (8월 기준)
방향을 제시하는 근거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2021년도 정부(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
음. 12세부 ‘스마트 건설기술 종합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 핵심기술요소(CTE) 중 ‘스마트 건설기
술 제도 개선 및 실용화 기반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임(No.20SMIP-A157407-01).
참고문헌
1. Kim, S. H., Chang, N, S., Kim, K, W. “Academic Trend Analysis of Shared Economy Based on Text
Mining an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ity, 16.2 (2021): 15-34.
326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