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2

고등학교 국어 문법,

기본을 제대로 익히면 누구나 잘 할 수 있습니다.

국어 문법이 자꾸 어려워집니다.
문법을 배웠지만 시험 대비용으로 암기만 했기 때문에
그 시기가 지나고 나면 또 잊고 어렵게만 느껴집니다.

자이스토리는 문법 개념을 이해하고,


머릿속에 오래 각인될 수 있는 암기 방법을 찾기 위해 오랫동안 고민했습니다.

그래서, 고등학교 필수 문법 이론을 개념별로 세분화하고


한눈에 이해하기 쉽게 마인드맵으로 표현했습니다.

또한, 핵심 개념을 문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 밀착된 풍부한 예문을 수록하였습니다.

세분화된 유형 문제로 내신과 학력 평가에 대비하고


1등급 킬러 문제 연습으로 고난도 유형 문제의 해법을 빨리 찾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어려운 문법 교재로 고생했다면


여러분의 눈높이에 맞춘 자이스토리로 쉽고, 재미있게 공부해 보세요.

어려운 문법 문제가 술술 풀리면서 국어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서


반드시 국어 1등급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 대한민국 No.1 수능 문제집 자이스토리 -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1 2020. 11. 10. 오전 9:16


내신+수능 1등급 완성 학습 계획표 [25일]

Day 페이지 틀린 문제 / 헷갈리는 문제 번호 적기 날짜 복습 날짜

1 A 10~15 월 일 월 일

2 16~19 월 일 월 일

3 B 20~29 월 일 월 일

4 30~36 월 일 월 일

5 37~42 월 일 월 일

6 C 44~51 월 일 월 일

7 52~63 월 일 월 일

8 D 64~75 월 일 월 일

9 76~85 월 일 월 일

10 E 86~93 월 일 월 일

11 94~101 월 일 월 일

12 F 104~113 월 일 월 일

13 114~123 월 일 월 일

14 G 124~131 월 일 월 일

15 132~139 월 일 월 일

16 H 140~149 월 일 월 일

17 150~161 월 일 월 일

18 162~173 월 일 월 일

19 I 176~183 월 일 월 일

20 184~193 월 일 월 일

21 194~200 월 일 월 일

22 J 202~205 월 일 월 일

23 K 208~215 월 일 월 일

24 216~222 월 일 월 일

25 223~229 월 일 월 일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2 2020. 11. 10. 오전 9:16


집필진·감수진 선생님들

자이스토리는 명강의로 소문난 학교·학원 선생님들께서


학교 시험과 학력 평가를 가장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핵심 개념 정리와 필수 확인 문제를 기본으로
시험에 반드시 나오는 유형 문제, 학평과 수능 예시 기출문제를

10단계에 걸친 검증을 통해
개념별, 유형별, 난이도별로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다시는 그 문제를 틀리지 않도록 쉽게 이해되고
개념이 쌓이는 입체 해설로 구성하였습니다.

[자이스토리 10단계 분석 시스템]

STEP 1 꼼꼼한 문법 개념 분석 STEP 6 유형별 풀이 해법 분석

STEP 2 쉬운 이해를 돕는 개념 배열 STEP 7 필수 개념 암기 비법, 개념 구조도

STEP 3 개념 확인 문제 집중 훈련 STEP 8 1등급을 위한 고난도 킬러 문제

STEP 4 학교 시험 빈도순 문제 배열 STEP 9 1등급 킬러 문제 분석과 풀이 전략

STEP 5 개념 적용 문제 유형 분석 STEP 10 틀린 문제 완벽 보충 해설

[ 집필진 ] [ 감수진 ]

김효진 경기 세교고 강영석 대성 학원 이미정 퀸플러스 학원


노승연 서울 서울여고 공재혁 훈민정음 학원 이한 송파 청명학전 학원
문지혜 서울 정신여고 김용환 평촌대시나루 국어 학원 임종빈 임종빈국어 학원
송현우 서울 신도고 김준실 이루는 학원 최정호 최정호 언어논술 학원
양새나 경기 정발중 박선훈 이데아 국어 학원 최진아 이앤케이 학원
이세영 경기 운암고 배한철 청산미래와사람들 학원 한용호 분당 청솔학원
최성조 인천 국제고 손정아 이투스네오
최용창 경기 심석고 오훈 강북 청솔 학원
이상지 고려대 국어교육과 졸업 윤욱준 상아 학원
수경출판사 국어 콘텐츠 연구소 이루하 이루하교육그룹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3 2020. 11. 10. 오전 9:16


차 례

PART I 언어와 음운 PART II 단어

A 언어와 음운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개념 01 언어의 특성  10 개념 09 단어와 형태소  44

개념 02 국어의 음운 체계  10 개념 10 단어의 구성 요소와 종류  46

개념 03 자음 체계  12 개념 11 복합어  48

개념 04 모음 체계  14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52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16 1등급 킬러 문제  60

B 음운 변동 D 단어의 분류
개념 05 교체  20 개념 12 품사  64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26 개념 13 체언  66

1등급 킬러 문제  29 개념 14 용언  68

개념 06 탈락  30 개념 15 수식언  72

개념 07 첨가  32 개념 16 관계언과 독립언  74

개념 08 축약  32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76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34 1등급 킬러 문제  85

1등급 킬러 문제  42

E 단어의 의미
개념 17 의미의 유형과 사전 활용하기  86

개념 18 단어의 의미 관계  88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92

1등급 킬러 문제  101

동아리 소개 / 서울대 스트릿댄스  102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4 2020. 11. 10. 오전 9:16


국어 문법 기본

PART III 문장 표현과 담화 PART IV 어문 규정

F 문장 성분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개념 19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104 개념 34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와 띄어쓰기  176

개념 20 주성분  106 개념 35 한글 맞춤법 중 소리에 관한 것  178

개념 21 부속 성분  110 개념 36 한글 맞춤법 중 형태에 관한 것  180

개념 22 독립 성분  112 개념 37 표준 발음법의 총칙과 모음·받침의 발음  182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114 개념 38 표준 발음법 중 음의 동화와 첨가  184

1등급 킬러 문제  123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186

1등급 킬러 문제  199
G 문장의 짜임 동아리 소개 / 서강대 사진  201
개념 23 홑문장과 겹문장  124

개념 24 이어진문장  126 J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개념 25 안은문장  128 개념 39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202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132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204

1등급 킬러 문제  139 동아리 소개 / 중앙대 연합 달고나  206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26 종결 표현  140
PART V 국어의 역사
개념 27 높임 표현  142

개념 28 시간 표현  144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개념 29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146
개념 40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고대 국어  208
개념 30 부정 표현  148
개념 41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운용  210
개념 31 인용 표현  148
개념 42 중세 국어  212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150
개념 43 근대 국어  214
1등급 킬러 문제  159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216
개념 32 정확한 문장 표현  162
1등급 킬러 문제  225
개념 33 담화의 개념과 요건  164
동아리 소개 / 연세대 스킨스쿠버  230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166

1등급 킬러 문제  173

동아리 소개 / 고려대 아이스하키  174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5 2020. 11. 10. 오전 9:16


쉬운 개념 이해와 개념 훈련 문제로 내신+학평 1등급 완성

1 세분화된 핵심 개념 2 개념 완성 TEST

•국어 문법에서 꼭 알아야 할 중요한 교과서 개념을 쉽게 •핵심 개념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해되도록 세분화해서 정리하여 핵심 내용이 한눈에 •× 문제, 빈칸 채우기, 선 긋기 문제, 단답형 주관식
파악됩니다. 등 다양한 유형의 문제로 학교 문법 시험의 세세한 문제
•그림, 사진, 도표 등을 풍부하게 활용하여 문법 개념이 들을 대비할 수 있습니다.
쉽게 이해되고 시각적으로 오래 기억됩니다.

A 언어와 음운
1 모음의 개념과 발음 특징 11 ㉠~㉤에 들어갈 알맞은 모음을 쓰시오.
개념 완성 TEST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개념 01 언어의 특성 01 발음을 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방해를 받지 혀의 높낮이
입술 모양
모음 모음 모음 모음
않고 나는 소리를 ( )(이)라 한다. 고모음 (폐모음) ㉠ ㅟ ㅡ ㅜ
1 언어와 사고·사회·문화 중모음 (반개모음) ㅔ ㉢ ㅓ ㉤
02 발음하는 동안 입술의 위치나 혀의 모양에 변화가 없는
1.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고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상호 작용한다. 저모음 (개모음) ㉡ ㉣
참고
모음을 ( )(이)라 한다.
(1) 언어가 사람이 사물을 지각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 바사(Bassa)인들은 무지개 색을 두 가지 색으로
만 구별한다. 이는 그들의 언어에 무지개 색깔을 표현하는 말이 두 가지 밖에 없기 때문이다.
★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 ㉡ ㉢
(2) 우리말은 발화자에게 가까운 것을 먼저 인식하는 사고방식이 언어에 반영된다. •지역 방언: 같은 언어가 지역별 2 단모음의 분류 ㉣ ㉤
로 다른 단어 혹은 변형된 어미
 우리말에서 ‘여기저기’, ‘국내외(國內外)’라는 표현은 자연스럽지만, ‘저기여기’, ‘국외내(國外內)’라는 표현은 어색하다.
등으로 다르게 사용되는 언어적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2. 언어와 사회: 지역(지역 방언)에 따라, 성별, 세대, 사회 계층, 직업 등의 사회적 환경(사회 방 용법이다.

언)에 따라 다른 표현이 사용된다.  아주망, 안녕하셔쑤과?(지역 방언), 수술칼 - 메스(사회 방언) •사회 방언: 동일 언어권에서 다
03 발음할 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는 모음은 원순 모음이다.
3. 언어와 문화: 문화는 언어에 영향을 미친다.  우리나라는 농경 생활 관련 용어가 발달하였다.(모, 벼, 쌀, 밥)
양한 사회적 환경의 차이에 따
(,×) 3 이중 모음
라 나타나는 언어적 용법이다.

04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의 최고점이 뒤쪽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개념 02 국어의 음운 체계 에 있을 때 발음되는 모음은 후설 모음이다. 12 반모음은 단모음과 결합하여 ( )을/를 이룬다.


(,×)
개념+ 13 이중 모음은 단모음과 반모음의 결합 순서에 따라 상향
1 음운 ★ 최소 대립쌍 05 고모음은 발음할 때 입이 크게 열려서 개모음이라고도 이중 모음과 하향 이중 모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반모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음운은 의미 구별에 사용되는 최 최소 대립쌍은 의미를 변별하게 한다. 음이 단모음보다 앞에 오는 것을 ( ), 반모
하는 음운을 가진 단어들의 쌍을
소의 단위이기 때문에 최소 대립쌍을 만들어 봄으로써 음운을 파악할 수 있다. 가리킨다. 단어를 구성하는 음운들 (,×) 음이 단모음보다 뒤에 오는 것을 ( )(이)라
중 하나의 음운에 의해서만 뜻이
구별된다. 06 표준 발음법에서는 단모음 ‘ㅚ’와 ‘ㅟ’를 이중 모음으로 한다.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14 하향 이중 모음은 단모음과 ‘ㅣ̆[j]’가 결합한 ‘( )’

 : 시험에서 자주 묻는 개념 설명
 첫소리 ‘ㅂ, ㅍ, ㅃ’이 말의 뜻을 구별해 준다.  가운뎃소리 ‘ㅏ, ㅓ, ㅗ’가 말의 뜻을 구별해 준다.
(,×) 밖에 없다.

참고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모음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참고 2 :음운의
본문의종류 개념 내용 중 가볍게 다룰 수 있는 것으로 구성 ★ 음성
음성은 사람의 입을 통하여 나오 [보기]
✽ <보기>를 참고하여 다음에 제시된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쓰시오.
음운에는 실질적인 소릿값이 나누어 분리되는 분절 음운과 실질적인 소릿값이 나누어 분리되
는 소리 가운데 말할 때에 사용되
지 않고 분절 음운에 얹혀서만 실현되는 비분절 음운이 있다. ㅗ, ㅜ, ㅓ, ㅏ, ㅔ, ㅐ, ㅡ, ㅣ, ㅚ, ㅟ [보기]
 개념+1. 분절:음운
부족한 개념 부분을 추가 는 소리를 가리킨다. 머릿속에서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소리인 음운 【표준 발음법 제 5 항】
(1) 자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방해를 받아서 나는 소리로, 모음과 함께 발음되
과 달리 음성은 물리적으로 귀에
07 전설 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
들리는 구체적인 소리로, 의미 변

 생각 + :어야심화 학습
음절을 이룰 수 있다.  ㄱ, ㄴ, ㄷ …… 별의 기준이 되지 못한다. ( ) 로 발음한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2) 모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로, 홀로 발음될 수 있어서 모음
08 고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만으로도 음절을 이룰 수 있다.  ㅏ, ㅓ, ㅗ …… [ㅣ]로 발음한다.
( )
(3) 반모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지만 모음과 함께 발음되어  무늬[무니]

야 음절을 이룰 수 있다.  j(ㅣ̆), w(ㅗ̆, ㅜ̆) 09 저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참고
2. 비분절 음운 ( ) 15 희망 [ ]
★ 긴소리의 발음

3 내신 + 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비분절 음운에는 장단(말소리의 길이), 억양, 강세 등이 있는데 현대 국어 표준어에서는 장단
만이 비분절 음운이다.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째
음절에서 나타나며 본래 길게 발
음되던 것이라도 둘째 음절 이하
4 1등급 킬러 문제
10 원순 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 )
16 유희 [ ]

에 오면 짧은소리로 발음되는 경
향이 있다.
… 정답
•시험에 잘
ː
나오는 내신
ː
예상 문제로
ː
학교 시험에 완벽하
눈(雪) [눈 ] 눈(眼) [눈] 말(言) [말 ] 말(馬, 斗) [말] 밤(栗) [밤 ] 밤(夜) [밤]
 한국+말ː → 한국말 [한궁말]
함박+눈ː → 함박눈 [함방눈] •고1, 고2 학평 문제 중 정답률이 낮은 최고난도 문항으
01 모음 02 단모음 03  04  05 × 06  07 ㅣ, ㅔ, ㅐ, ㅟ, ㅚ 08 ㅣ, ㅟ, ㅡ, ㅜ
12 이중 모음 13 상향 이중 모음, 하향 이중 모음 14 ㅢ 15 [히망] 16 [유히]
09 ㅐ, ㅏ 10 ㅗ, ㅚ, ㅜ, ㅟ 11 ㉠ l ㉡ ㅐ ㉢ ㅚ ㉣ ㅏ ㉤ ㅗ

게 대비할 수 있습니다.
1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로 구성하였습니다. A. 언어와 음운 15

•고1, 2 학평 문제 중 우수 문항을 선별하여 구성하였습 •개념별 킬러 문제 수록으로 1등급 완성을 위해 꼭 학습


니다.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indd 10 2020. 11. 6. 오후 4:32
해야 할 개념과 유형을 익힐 수 있습니다.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indd 15 2020. 11. 6. 오후 4:32

•2022 수능 예시 문항까지 수록하여 수능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01 , 개념 02
1등급 킬러 문제 E27 2014(11월 AB)/고2교육청 12

다음은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해 탐


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개념 01 언어의 특성 A03 2017(9월)/고1교육청 15 E26 2019(3월)/고2교육청 15

다음 대화 상황에 드러난 어휘의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 <보기>는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1 의존 명사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말
사고 언어 문화
은? [2점]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이2 [1] 대명사
[보기]  말하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 지영아, 오늘이 네 생일인데  음~ 엄마, 전 생선으로
사회 그치다 「동사」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선물로 받고 싶은 게 있니? 문상을 받고 싶어요.
「1」 【(…을)】 계속되던 일이나 움직임이 멈추거나 끝나다.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지역 방언 사회 방언 [2] 관형사 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킬 때
또는 그렇게 하다.
¶비가 그치다. / 울음을 그치다. 쓰는 말
「2」 【…에】 【…으로】 더 이상의 진전이 없이 어떤 상태 ¶노력하는 사람은 실패하지 않는다. 이 점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

A01 예상 문제 에 머무르다. 이3 [1] 수사

언어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출석률이 절반 정도에 그쳤다. / 예감이 예감으로 그치지  일에 일을 더한 수, 아라비아 숫자로는 ‘2’, 로마 숫자
 생일 선물 이야기하라는데  아~ 애들끼리는 다 통하는 는 ‘Ⅱ’로 쓴다.
않고 현실이 되는 경우가 있다.
① 언어에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특 ‘생선’은 뭐고 ‘문상’은 뭐니? 말인데, 생일 선물로 문화
상품권을 받고 싶다는 거예요. 멈추다 「동사」 [2] 관형사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성이 반영되어 있다.
[1] 「1」 사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이 그치다.  그 수량이 둘임을 나타내는 말
② 언어와 사고는 상호 작용하는 관계에 있으며, 인간은 언
¶시계가 멈추다. / 울음소리가 멈추다.
어를 통해 자신의 사고를 나타낸다. ① ‘저 모자를 쓴 이가 누구지?’의 ‘이’는 사람을 뜻하므로 ‘이1’
「2」 비나 눈 따위가 그치다.
③ 우리말에 농경 문화와 관련된 용어가 많은 것은 언어가 ¶멈추었던 비가 다시 내리기 시작했다. 의 용례가 되는군.
인간의 사고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2] 【…을】 사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그치게 하다. ② 하나의 표제어에 여러 개의 뜻풀이가 있으므로 ‘이2’는 다
④ 인종, 나이, 계층, 사회적 신분·지위, 성별, 직업, 이념과 ¶기계를 멈추다. / 발걸음을 멈추다. 의어에 해당하는군.
① 성별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어휘가 나타난다.
같은 사회적 환경이 언어에 영향을 미친다. ③ ‘이2[1]’의 용례와 ‘이2[2]’의 용례를 통해 ‘이2’는 조사
② 특정 세대의 문화가 반영된 어휘가 나타난다.
⑤ 같은 언어라도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말의 양상이 달라 ① ‘그치다 「1」’의 문형 정보와 용례를 보니, ‘그치다 「1」’은 자 의 결합 가능 여부에 따라 품사를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
③ 지역적으로 격리되면서 달라진 어휘가 나타난다.

● 난이도: - 상,
지는 것은 언어가 사회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 중, -하
④ 불쾌감을 유발하는 어휘와 이를 대신하는 어휘가 나타난다. 동사로도 쓰일 수 있고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군.
② ‘그치다 「2」’의 문형 정보와 용례를 보니, ‘그치다 「2」’는 부
할 수 있군.
④ ‘이 킬로미터를 걸어라.’에서 ‘이’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
⑤ 전문적인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어휘가 나타난다.
A02 2014(9월)/고1교육청 14 사어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군. 앞에 쓰이므로 ‘이3[1]’의 용례로 들 수 있군.
<보기>에 나타난 사회 방언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2점] ③ ‘멈추다[2]’의 용례로 ‘차가 경적을 울리며 멈추다.’를 추 ⑤ ‘이1’, ‘이2’, ‘이3’은 별개의 표제어로 기술된 걸 보니 서로
개념 02 국어의 음운 체계 가할 수 있겠군.
[보기] 자음
동음이의 관계이군.
갑자기 쓰러져서 병원에 실려 온 환자를 진찰한 후 분절 음운 모음 ④ ‘그치다’와 ‘멈추다’는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의사 1: 이 환자의 상태는 어떻지? 음운 반모음 다의어이군.
비분절 음운 장단 ⑤ ‘그치다 「1」’과 ‘멈추다’의 뜻풀이와 용례를 보니, 두 단어
의사 2: 아직 확진할 순 없지만, 스트레스로 인하여 심계항
진에 문제가 보이고, 안구진탕과 연하곤란까지 왔어. 육 는 유의 관계에 있군.
안 검사로는 힘드니까 자세한 이학적 검사를 해 봐야 알
것 같아.
A04 예상 문제
의사 1: CT 촬영만으로는 판단이 어렵겠는걸. MRI 촬영 검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사를 추가하여 검사해 봐야겠군.
의사 2: 그렇게 하지. ① ‘공부’에 사용된 음운의 개수는 모두 5개이다.
② ‘밥’과 ‘밤’의 의미를 변별해 주는 음운은 ‘ㅂ’과 ‘ㅏ’이다.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6 2020. 11. 10. 오전 9:16


① 성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③ 음운은 의미 변별의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음성과 구별된다.
② 세대에 따라 의미를 다르게 이해한다. ④ [말]과 [말ː]은 뜻이 서로 다르므로 말소리의 길이는 음운
국어 문법 기본

5 개념의 근본을 다져 주는 문법 체계 구조도

•고등 국어 문법에서 꼭 알아야 할 필수 개념의 핵심만을 개념 04 모음 체계


구조도로 정리하였습니다. 혀의 앞뒤
전설 모음(ㅣ, ㅔ, ㅐ, ㅟ, ㅚ)
후설 모음(-, ㅓ, ㅏ, ㅜ, ㅗ)
•자기 주도 학습을 할 때 그림, 구조도 등을 활용하여 문 고모음(ㅣ, ㅟ, ㅡ, ㅜ)
단모음 혀의 높낮이 중모음(ㅔ, ㅚ, ㅓ, ㅗ)
법 개념을 정리해 둔다면, 핵심 개념을 구조적으로 정리 저모음(ㅐ, ㅏ)

하여 머릿속에 쉽게, 오래도록 기억될 것입니다. 모음 입술 모양


평순 모음(ㅏ, ㅐ, ㅓ, ㅔ, ㅡ, ㅣ)
원순 모음(ㅗ, ㅚ, ㅜ, ㅟ)

이중 모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6 입체 첨삭 해설!

문제 유형 분석
문제 유형을 제시하여 학평· A 04 정답 ② ✽음운의 개념 이해하기 C 30 정답 ④ ✽한정적 접사와 지배적 접사 구별하기
수능 문제 유형을 쉽게 파악할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밑줄 친 단어 중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1등급 킬러 문제 분석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① ‘공부’에 사용된 음운의 개수는 모두 5개이다. •㉮: ㉮는 ‘파생 접사는 어근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어근의 품사 킬러 문제(정답률 27~55%)가
‘ㄱ, ㅗ, ㅇ, ㅂ, ㅜ’ 5개임.
② ‘밥’과 ‘밤’의 의미를 변별해 주는 음운은 ‘ㅂ’과 ‘ㅏ’이다.
를 바꾸기도 하고’입니다. 이처럼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접사를 지배적 접사 의미하는 바를 한눈에 파악할
‘ㅂ’과 ‘ㅏ’가 아니라, ‘ㅂ’과 ‘ㅁ’에 의해 변별됨. 라고 합니다.
선택지 첨삭 해설 ③ 음운은 의미 변별의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음성과 구별된다.
즉 아래의 밑줄 친 단어 중에서 어근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어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음성은 의미 변별의 기준이 되지 못하므로 적절함.
④ [말]과 [말ː]은 뜻이 서로 다르므로 말소리의 길이는 음운이라 할 수 의 품사를 바꾸는 파생 접사가 쓰이지 않은 것을 고르는 문제입니다.
선택지만으로도 정답을 확인할 말소리의 길이로 뜻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적절함.
있다. ① 그의 친구는 행복하였다. → 형용사
수 있도록 선택지를 꼼꼼하고
⑤ ‘불’과 ‘벌’은 ‘ㅜ’와 ‘ㅓ’라는 한 가지 요소에 의해서만 의미가 구별되 ② 그녀의 머릿결이 찰랑거린다. → 동사
명확하게 설명하였습니다. ‘ㅜ’와 ‘ㅓ’에 의해서만 의미가 구별되므로 적절함.
정답률
는 최소 대립쌍이다. ③ 나와 그녀의 견해차를 좁혔다. → 동사
④ 아름다운 가을 하늘이 높다랗다. → 형용사 오답에 대한 상대 평가를 할
[ 정답률 82%]
⑤ 열심히 공부한 내가 자랑스럽다. → 형용사 수 있도록 정답률을 수록하였
② 가운뎃소리
첫소리
첫소리
가운뎃소리 습니다.
밥-밤 끝소리 ‘ㅂ’과 ‘ㅁ’으로 인해 뜻이 구별됨. [ 정답률 43%]

시각화된 해설 끝소리 끝소리


④ 아름다운 가을 하늘이 높다랗다.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시각적 B 12 정답 ① ✽음운 변동 이해하기
높-(형용사 어근) + -다랗-(파생 접사) + -다(종결 어미) → 여전히 형용사
‘높다랗다’를 형태소 분석하면 ‘높/다랗/다’이며 형용사 어근 ‘높 - ’, 파생 접사
으로 설명하였습니다. <보기>의 ㉠ ~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2점] ‘ - 다랗 - ’, 굴절 접사 ‘ - 다’가 결합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때, ‘ - 다랗 - ’은
1등급 킬러 해설
어근 ‘높 - ’에 붙어 ‘높다랗다’라는 새로운 의미를 지닌 단어를 파생한 파생 접사
[보기]
인 것은 맞지만, 형용사 어근 ‘높 - ’에 붙어 ‘높다랗다’라는 형용사를 파생했기 때 고난도 문제를 입체적으로 완
선생님 : 음운 변동 중에는 한 음운이 앞이나 뒤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다른 음운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때 조음 방법
동화 문에 어근의 품사를 바꾸지 않는 한정적 접사이다. 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꼭 알
이나 조음 위치가 변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밥물[밤물]’은 ‘ㅂ’ 아야 할 개념을 제시했습니다.
내용 풀이 ① 그의 친구는 행복하였다.
‘ㄹ’이 ‘ㄴ’으로 교체되는 비음화가 일어남.
주요 내용에 해석을 달아 어려 달님[달림], 공론[공논], 논리[놀리] 행복(명사) + -하-(파생 접사) + -였-(선어말 어미) + -다(종결 어미) → 형용사로 파생
‘ㄴ’이 ‘ㄹ’로 교체되는 유음화가 일어남. ‘ㄴ’이 ‘ㄹ’로 교체되는 유음화가 일어남. ‘행복하였다’를 기본형인 ‘행복하다’로 바꿔서 형태소 분석을 하면 ‘행복/하/다’
운 내용도 쉽게 이해할 수 있 이며, 명사 어근 ‘행복’, 파생 접사 ‘ - 하 - ’, 굴절 접사 ‘ - 다’가 결합된 형태임을
학생: ( ㉠ )은/는 한 음운이 ( ㉡ )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습니다. ( ㉢ )으로 바뀌어 ( ㉣ )이/가 바뀐 사례입니다.
알 수 있다. 따라서 ‘ - 하 - ’는 명사 ‘행복’에 붙어 ‘행복하다’라는 형용사를 파생 왜 오답?
한 지배적 접사이다.
③ 나와 그녀의 견해차를 좁혔다. 오답 풀이를 통해 틀린 문제에
㉠ ㉡ ㉢ ㉣ 좁-(형용사 어근) + -히-(파생 접사) + -었-(선어말 어미) + -다(종결 어미) → 동사로 파생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선택지
① 달님 앞 유음 조음 방법 ‘좁혔다’를 기본형인 ‘좁히다’로 바꿔서 형태소 분석을 하면 ‘좁/히/다’이며, 형용
‘ㄴ’이 앞에 있는 ‘ㄹ’의 영향을 받아 ‘유음’으로 바뀌어 ‘조음 방법’이 달라짐. 사 어근 ‘좁 - ’, 파생 접사 ‘ - 히 - ’, 굴절 접사 ‘ - 다’가 결합된 형태임을 알 수
출제 원리까지 터득할 수 있
② 달님 뒤 비음 조음 위치
앞 유음 조음 방법 있다. 따라서 ‘ - 히 - ’는 형용사의 어근 ‘좁 - ’에 붙어 ‘좁히다’라는 동사를 파생 습니다.
③ 공론 앞 비음 조음 위치 한 지배적 접사이다.
조음 방법
④ 공론 뒤 비음 조음 방법 개념 보충

⑤ 논리 뒤 유음 조음 위치 한정적 접사와 지배적 접사
왜 정답? 앞 조음 방법
‘풋- + 사과(명사) → 풋사과(명사)’의 ‘풋-’처럼 어근 ‘사과’의 품사를 바꾸지 않는

정답이 되는 이유를 정확하게 접사를 한정적 접사라고 하고, ‘웃-(동사) + -음 → 웃음(명사)’의 ‘-음’처럼 어근 매력적인 오답
[ 정답률 63%] ‘웃-’의 품사를 바꾸는 접사를 지배적 접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접두사는 품
제시하여 문제 풀이의 핵심을 사를 바꾸지 않고, 접미사는 품사를 바꾸는 경우가 많지만, ‘메- + 마르다(동사) → 많은 수험생들이 정답이라고
① ‘조음 방법’이란 자음이 만들어질 때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는 방법으로, 꿀 팁 메마르다(형용사)’처럼 접두사가 결합한 단어라도 품사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우리말 음운은 조음 방법에 따라 ‘비음, 유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으로 분류
선택한 오답을 철저히 분석하
할 수 있다. ‘조음 위치’란 자음이 만들어지면서 공기의 흐름이 장애를 받는 위치 여 다시는 틀리지 않도록 대책
로 우리말 음운은 조음 위치에 따라 ‘양순음(입술소리), 치조음(잇몸소리), 경구개
음(센입천장소리), 연구개음(여린입천장소리), 후음(목청소리)’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을 제시합니다.
‘달님[달림]’은 비음인 ‘ㄴ’이 앞 음운인 ‘ㄹ’의 영향을 받아 유음인 ‘ㄹ’로 교체되
어 ‘조음 방법’이 비음에서 유음으로 바뀐 사례이다.

꿀팁 개념 보충
문제를 쉽고 빨리 풀 수 있는 특별 해당 문법 개념과 관련된 개념을 추가하여 유
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한 도움말입니다. 사 문제까지 완벽하게 대비할 수 있습니다.

21자이국어문법기본해설.indd 2 2020. 11. 6. 오후 3:1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7 2020. 11. 10. 오전 9:16


국어 문법 기본 문항 구성표 + 활용법

[ 국어 문법 기본 문항 구성표 1199제 ]

•국어 문법 기본에는 9개년 학력평가에서 엄선된 기출문제(238문항)와 내신을 완벽히 대비할 수 있는 예상


문제(77문항)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기본을 다잡을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개념 완성 TEST(884문항)로 문법 개념을 확실히 끝낼 수 있습니다.

3월 6월 9월 11월
실시 연도 합계
고1 고2 고1 고2 고1 고2 고1 고2

2020 5 5 5 5 5 5 30

2019 5 5 5 5 5 5 5 5 40

2018 5 5 5 5 5 5 5 5 40

2017 5 5 5 5 5 5 5 5 40

2012~2016년 우수 문항 88

내신 대비 예상 문제 77

개념 완성 TEST 884

총 문항 수 1199

[ 국어 문법 기본 활용법 ]

❶ 개념을 제대로 학습했는지 개념 완성 TEST로 확인하고, 개념 구조도를 작성해 봅시다!


문법 개념을 주요 예시를 토대로 세분화하여 암기해 두세요. 시험 볼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

다양한 유형의 개념 완성 TEST로 개념을 제대로 학습했는지 자신의 실력을 꼭 점검해 보


● ‌

세요.
● 핵심
‌ 개념 구조도를 참고하여 본인이 학습한 개념을 구조도나 마인드맵 형식으로 정리하
세요. 머릿속에 각인되어 학습 효과가 오래 지속될 거예요.

❷ 출제율 높은 문제로 학교 시험과 학력 평가에 대비하세요.


기본적인 개념 확인 문제, 지문과 연관된 응용 문제, 학평이나 수능 형태의 문제로 난도를
● ‌

높여가면서 구성된 자이스토리와 함께라면 어떤 유형의 문제도 어려움 없이 해결할 수


있어요.
● 선별된
‌ 1등급 킬러 문제로 심화 학습을 훈련해 보세요. 내신 1등급과 수능까지 확실하게
대비할 수 있답니다.

❸ 입체 첨삭 해설로 다시는 틀리지 말자!


맞은 문제와 틀린 문제 모두 해설을 통해 자신의 풀이 과정을 점검해 보세요. 꼼꼼한 첨삭
● ‌

해설을 통해 개념별 문제 출제 원리와 정·오답을 가려내는 법을 찾을 수 있을 거예요.


● 문제
‌ 분석, 자료 분석, 풀이 tip, 암기 tip, 개념 보충까지 1등급 킬러 문제를 완벽 대비할
수 있는 자이스토리만의 입체 해설 시스템을 꼭 활용해 보세요.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1~008)재.indd 8 2020. 11. 10. 오전 9:16


PART
언어와 음운

A 언어와 음운
개념 01 언어의 특성

개념 02 국어의 음운 체계

개념 03 자음 체계

개념 04 모음 체계

B 음운 변동
개념 05 교체

개념 06 탈락

개념 07 첨가

개념 08 축약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 2020. 11. 26. 오전 9:58


A 언어와 음운

개념 01 언어의 특성
1 언어와 사고·사회·문화
1. 언어와 사고: 언어와 사고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상호 작용한다.
참고
(1) 언어가 사람이 사물을 지각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 바사(Bassa)인들은 무지개 색을 두 가지 색으로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
만 구별한다. 이는 그들의 언어에 무지개 색깔을 표현하는 말이 두 가지 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역 방언: 같은 언어가 지역별
(2) 우리말은 발화자에게 가까운 것을 먼저 인식하는 사고방식이 언어에 반영된다.
로 다른 단어 혹은 변형된 어미
 ‌우리말에서 ‘여기저기’, ‘국내외 (國內外)’라는 표현은 자연스럽지만, ‘저기여기’, ‘국외내 (國外內)’라는 표현은 어색하다. 등으로 다르게 사용되는 언어적
용법이다.
2. 언어와 사회: 지역(지역 방언)에 따라, 성별, 세대, 사회 계층, 직업 등의 사회적 환경(사회 방
•사회 방언: 동일 언어권에서 다
언)에 따라 다른 표현이 사용된다.  아주망, 안녕하셔쑤과? (지역 방언), 수술칼 - 메스 (사회 방언) 양한 사회적 환경의 차이에 따
3. 언어와 문화: 문화는 언어에 영향을 미친다.  우리나라는 농경 생활 관련 용어가 발달하였다.(모, 벼, 쌀, 밥) 라 나타나는 언어적 용법이다.

개념 02 국어의 음운 체계
참고
1 음운 ★★음성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음운은 의미 구별에 사용되는 최 음성은 사람의 입을 통하여 나오
소의 단위이기 때문에 최소 대립쌍을 만들어 봄으로써 음운을 파악할 수 있다. 는 소리 가운데 말할 때에 사용되
는 소리를 가리킨다. 머릿속에서
 ‌첫소리 ‘ㅂ, ㅍ, ㅃ’이 말의 뜻을 구별해 준다.   ‌가운뎃소리 ‘ㅏ, ㅓ, ㅗ’가 말의 뜻을 구별해 준다. 추상적으로 인식하는 소리인 음운
과 달리 음성은 물리적으로 귀에
들리는 구체적인 소리로, 의미 변
별의 기준이 되지 못한다.

2 음운의 종류
개념+
음운에는 실질적인 소릿값이 나누어 분리되는 분절 음운과 실질적인 소릿값이 나누어 분리되
★★최소 대립쌍
지 않고 분절 음운에 얹혀서만 실현되는 비분절 음운이 있다.
최소 대립쌍은 의미를 변별하게
1. 분절 음운 하는 음운을 가진 단어들의 쌍을
(1) 자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방해를 받아서 나는 소리로, 모음과 함께 발음되 가리킨다. 단어를 구성하는 음운들
중 하나의 음운에 의해서만 뜻이
어야 음절을 이룰 수 있다.  ㄱ, ㄴ, ㄷ …… 구별된다.
(2) 모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로, 홀로 발음될 수 있어서 모음
만으로도 음절을 이룰 수 있다.  ㅏ, ㅓ, ㅗ ……
(3) 반모음: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지만 모음과 함께 발음되어
야 음절을 이룰 수 있다.  j (ㅣ̆), w (ㅗ̆, ㅜ̆) 참고

2. 비분절 음운 ★★긴소리의 발음

비분절 음운에는 장단(말소리의 길이), 억양, 강세 등이 있는데 현대 국어 표준어에서는 장단 긴소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째
음절에서 나타나며 본래 길게 발
만이 비분절 음운이다. 음되던 것이라도 둘째 음절 이하
에 오면 짧은소리로 발음되는 경
향이 있다.

 ‌한국+말ː → 한국말 [한궁말]
함박+눈ː → 함박눈 [함방눈]
눈(雪) [눈ː] 눈(眼) [눈] 말(言) [말ː] 말(馬, 斗) [말] 밤(栗) [밤ː] 밤(夜) [밤]

1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0 2020. 11. 26. 오전 9:58


개념 완성 TEST
01

DAY
개념 01 언어의 특성 10 발음 기관의 한 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이 막히거나 방해
를 받아서 나는 소리를 ( )(이)라 한다.
1 언어와 사고·사회·문화
11 공기가 발음 기관을 지나면서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소리를 ( )(이)라 한다.

01 언어와 사고는 상호 작용하는 관계에 있다.


 (,×)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2 언어를 통해 사회를 이루며 살아가는 인간의 삶의 모습 12 국어에서는 같은 모음을 길게 혹은 짧게 소리 냄으로써
을 확인할 수 있다. 단어의 의미를 구별할 수 있다.
 (,×)  (,×)
03 같은 언어여도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에 따라 말의 양 13 ‘ㄱ’, ‘ㄴ’, ‘ㅏ’, ‘ㅓ’는 분절 음운에 해당한다.
상이 다르게 나타나기도 한다.  (,×)
 (,×)
14 비분절 음운도 의미를 구별해 준다는 점에서 분절 음운
04 언어를 통해서는 그 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알 수 없다. 과 같은 자격이 있다.
 (,×)  (,×)

개념 02 국어의 음운 체계
15 다음 중 비분절 음운에 해당하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골
1 음운 라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보기]

㉠ 모음 ㉡ 반모음 ㉢ 자음 ㉣ 장단
05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를 ( )
(이)라 한다.
( )
06 단어를 구성하는 음운들 중 하나의 음운에 의해서만 뜻
이 구별되는 단어의 쌍을 ( )(이)라 한다.
✽ 다음 밑줄 친 단어의 발음으로 옳은 것을 찾아 쓰시오.
✽ 다음 중 적절한 말에  표시하시오. 16 내 ㉠`눈[눈/눈ː]에 차가운 ㉡`눈[눈/눈ː]이 들어갔다.
07 ‘말’의 최소 대립쌍은 ( 눈 / 물 / 몸 / 불 / 밥 )이다. (㉠: ㉡: )
08 ‘밥’과 ‘법’은 ( 첫소리 / 가운뎃소리 / 끝소리 )가 말의 17 ㉠`밤[밤/밤ː]에 ㉡`밤[밤/밤ː]을 먹었다.
뜻을 구별해 준다.
(㉠: ㉡: )

2 음운의 종류 18 ㉠`말[말/말ː]에게 ㉡`말[말/말ː]을 걸어 보았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 )

09 음운에는 실질적인 소릿값이 나누어 분리되는 ( 19 어제부터 함박눈[함방눈/함방눈ː]이 내렸다.


 )와/과 실질적인 소릿값이 나누어 분리되 ( )
지 않는 ( )이/가 있다.

정답
01  02  03  04 × 05 음운 06 최소 대립쌍 07 물 08 가운뎃소리 09 분절 음운, 비분절 음운 10 자음 11 모음 12  13  14 
15 ㉣ 장단 16 ㉠ [눈] ㉡ [눈 ] 17 ㉠ [밤] ㉡ [밤 ] 18 ㉠ [말] ㉡ [말 ] 19 [함방눈]

A. 언어와 음운 1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1 2020. 11. 26. 오전 9:58


A 언어와 음운

개념 03 자음 체계 ★★발음 기관 단면도
개념+

1 자음의 개념과 발음 특징 센입천장

잇몸
1. 자음의 개념 혀
여린입천장
목젖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다. 입술

2. 자음의 발음 특징 성대

반드시 모음과 함께 결합해야만 소리를 낼 수 있으며 발음할 때는 발음 기관을 사용한다.

2 자음의 분류
1. 조음 위치
밖으로 나오는 공기가 입 속에서 방해를 받는 위치이다. 개념+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조음 방법
구분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후음) •파열음: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
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
서 내는 소리
•파찰음: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
조음
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서서히
위치 두 입술 혀끝과 윗잇몸 혓바닥과 센입천장 혀 뒤와 여린입천장 목청 사이 마찰시켜 내는 소리
(두 입술을 붙였다 (혀끝을 윗잇몸에 (혀의 앞부분을 센입천 (혀의 뒷부분을 여린입 (목청 사이에서 •마찰음: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
떼면서 내는 소리) 대어 내는 소리) 장에 대어 내는 소리) 천장에 대어 내는 소리) 내는 소리) 를 좁힘으로써 마찰시켜 내는
소리
해당 ㄷ, ㄸ, ㅌ / ㅅ, ㅆ /
ㅂ, ㅃ, ㅍ, ㅁ ㅈ, ㅉ, ㅊ ㄱ, ㄲ, ㅋ / ㅇ ㅎ •비음: 폐에서 나온 공기의 대부
자음 ㄴ/ㄹ
분을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유음: 혀의 중앙이나 양옆으로
2. 조음 방법 공기를 흘려보내면서 발음하는
소리
밖으로 나오는 공기가 입 속에서 방해를 받는 방법이다.
성대(목청)의 입 밖으로 나오는 공기의 양이나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 방법에 따라
떨림에 따라 성대의 긴장에 따라
•파열음: ㅂ, ㅃ, ㅍ / ㄷ, ㄸ, ㅌ / ㄱ, ㄲ, ㅋ
•안울림소리 •파찰음: ㅈ, ㅉ, ㅊ •예사소리: ㅂ / ㄷ / ㄱ / ㅅ / ㅈ
개념+
•울림소리 •마찰음: ㅅ, ㅆ / ㅎ •된소리: ㅃ / ㄸ / ㄲ / ㅉ / ㅆ
•비음: ㅁ, ㄴ, ㅇ •거센소리: ㅍ / ㅌ / ㅋ / ㅊ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의
소리의 세기
•유음: ㄹ
예사소리(ㄱ, ㄷ, ㅂ, ㅅ, ㅈ)보다 된
소리(ㄲ, ㄸ, ㅃ, ㅆ, ㅉ)가, 된소리
✽ 자음 체계표 (현대 국어의 자음은 총 19개) 보다 거센소리(ㅋ, ㅌ, ㅍ, ㅊ)가 소
리의 세기가 더 센 느낌을 준다.
조음 위치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입술소리 잇몸소리 목청소리
조음 방법 소리 소리
예사소리 ㅂ ㄷ ㄱ
파열음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생각 +
안울림 예사소리 ㅈ
★★예사소리와 된소리, 거센소리의
소리 파찰음 된소리 ㅉ
관계
거센소리 ㅊ
자음 체계도를 보며 어떤 소리가
예사소리 ㅅ 거센소리로 바뀔지 생각해 보면
마찰음 ㅎ
된소리 ㅆ 음운의 변동에서 배우게 될 ‘된소
리되기’와 ‘거센소리되기’를 이해
울림 비음 ㅁ ㄴ ㅇ
하는 데 도움이 된다.
소리 유음 ㄹ

1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2 2020. 11. 26. 오전 9:58


개념 완성 TEST
01

DAY
1 자음의 개념과 발음 특징 11 <보기>의 발음 기관 모양의 자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한 것은?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보기]
01 발음을 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 의해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를 ( )(이)라 한다.

02 자음은 홀로 발음되지 못하고 반드시 ( )와/과 함


께 발음된다.

① 목청 사이에서 나는 ‘ㅎ’을 발음하는 모양이다.


2 자음의 분류 ②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ㅂ, ㅃ, ㅍ, ㅁ’을 발음하는 모양이다.
③ ‌혀끝과 윗잇몸 사이에서 나는 ‘ㄷ, ㅅ, ㄴ, ㄹ’을 발음하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조음 방법을 <보기>에서 고르시오.
는 모양이다.
[보기]
④ ‌혓바닥과 센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ㅈ, ㅊ, ㅉ’을 발음하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는 모양이다.
㉣ 비음 ㉤ 유음
⑤ ‌혀 뒤와 여린입천장 사이에서 나는 ‘ㄱ, ㄲ, ㅋ, ㅇ’을 발
음하는 모양이다.
03 혀의 중앙이나 양옆으로 공기를 흘려보내면서 발음하
는 소리 ( )
12 조음 위치와 해당 자음을 바르게 연결하시오.
04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면
㉠ 입술소리 • •ⓐ ㄷ, ㄴ, ㄹ
서 내는 소리 ( )
㉡ 센입천장소리 • •ⓑ ㅈ, ㅊ, ㅉ
05 폐에서 나온 공기의 대부분을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
 ( ) ㉢ 여린입천장소리 • •ⓒ ㅎ

06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좁힘으로써 마찰시켜 내는 소리 ㉣ 잇몸소리 • •ⓓ ㅂ, ㅃ, ㅁ


 ( )
㉤ 목청소리 • •ⓔ ㄱ, ㄲ, ㅇ
07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서서히 마
찰시켜 내는 소리 ( ) 13 ㉠~㉤에 들어갈 알맞은 자음을 쓰시오.
조음 위치 입술 잇몸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청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조음 방법 소리 소리 소리 소리 소리
예사소리 ㅂ ㄷ ㉢
08 ( )에 따라 자음을 분류하면 입술소리, 잇 파열음 된소리 ㅃ ㄸ ㄲ
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로 분 안
거센소리 ㉠ ㅌ ㅋ

류할 수 있다. 예사소리 ㅈ

파찰음 된소리 ㅉ
09 ( )은/는 두 입술을 붙였다 떼면서 나는 소 소
거센소리 ㅊ

리이다. 예사소리 ㅅ
마찰음 ㉤
된소리 ㉡
10 자음은 ( )의 떨림에 따라 안울림소리와 울림소리
울림 비음 ㅁ ㄴ ㉣
로 분류할 수 있다. 소리 유음 ㄹ

정답
01 자음 02 모음 03 ㉤ 유음 04 ㉠ 파열음 05 ㉣ 비음 06 ㉢ 마찰음 07 ㉡ 파찰음 08 조음 위치 09 입술소리(양순음) 10 성대(목청) 11 ②
12 ㉠–ⓓ, ㉡–ⓑ, ㉢–ⓔ, ㉣–ⓐ, ㉤–ⓒ 13 ㉠ ㅍ ㉡ ㅆ ㉢ ㄱ ㉣ ㅇ ㉤ ㅎ

A. 언어와 음운 1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3 2020. 11. 26. 오전 9:58


A 언어와 음운

참고
개념 04 모음 체계 ★★단모음과 이중 모음을 발음할
때 입 모양

혀의 앞뒤 전설 모음 / 후설 모음 →
단모음 혀의 높낮이 고모음 / 중모음 / 저모음 <‘ㅜ’ 발음 시 입 모양의 변화 없음.>

모음 입술 모양 평순 모음 / 원순 모음

이중 모음
<‘ㅑ’ 발음 시 입 모양의 변화 있음.>
1 모음의 개념과 발음 특징
참고
1. 모음의 개념: 발음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방해를 받지 않고 나는 소리이다.
★★단모음 ‘ㅚ’와 ‘ㅟ’의 발음
2. 모음의 발음 특징: 모음은 홀로 발음될 수 있어서 모음만으로도 음절을 이룰 수 있다.
표준 발음법에서는 단모음을 10개
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ㅚ’
2 단모음의 분류 와 ‘ㅟ’를 단모음으로 발음하지 않
1. 단모음의 개념: 발음하는 동안 입술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에 변화가 없는 모음이다. 고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즉 발
음을 하는 동안 입술의 모양을 바
2. 혀의 앞뒤에 따른 분류 꾸면서 ‘ㅚ’를 [we]’로, ‘ㅟ’를 [wi]로
발음하는 화자들이 많다. 그래서 표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의 최고점이 앞쪽(대체로 경구
전설 모음 ㅣ, ㅔ, ㅐ, ㅟ, ㅚ 준 발음법에서도 ‘ㅚ’와 ‘ㅟ’를 이중
개 부근)에 있을 때 발음되는 모음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을 허용하고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의 최고점이 뒤쪽(대체로 연구 있다.
후설 모음 ㅡ, ㅓ, ㅏ, ㅜ, ㅗ
개 부근)에 있을 때 발음되는 모음
개념+
3. 혀의 높낮이에 따른 분류
★★반모음
고모음(폐모음) 발음할 때, 입을 조금 열어서 혀의 위치가 높은 모음 ㅣ, ㅟ, ㅡ, ㅜ
음성의 성질로 보면 모음과 비슷
중모음(반개모음) 발음할 때, 고모음보다 입을 더 열어서 혀의 위치가 중간인 모음 ㅔ, ㅚ, ㅓ, ㅗ 하지만, 반드시 다른 모음과 결합
저모음(개모음) 발음할 때, 입을 크게 열여서 혀의 위치가 낮은 모음 ㅐ, ㅏ 하여야만 발음된다.(스스로 음절을
이루지 못하므로 반달표(˘)를 하
4. 입술 모양에 따른 분류 여 ‘ㅗ̆ / ㅜ̆’, ‘ㅣ̆’와 같이 표시한다.)
•반모음 ㅣ̆[ j ]: 단모음 ‘ㅣ’와 비
원순 모음 발음할 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는 모음 ㅟ, ㅚ, ㅜ, ㅗ
슷하며, 혀가 ‘ㅣ’의 자리에서 다
평순 모음 발음할 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지 않는 모음 ㅣ, ㅔ, ㅐ, ㅡ, ㅓ, ㅏ 음 자리로 옮겨 갈 때 발음되는
소리이다.
✽ 단모음 체계표 (현대 국어의 단모음은 총 10개) •반모음 ㅗ̆ / ㅜ̆ [w]: 단모음 ‘ㅗ/
ㅜ’와 비슷하며, 혀가 ‘ㅗ/ㅜ’의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ㅣ] [ㅟ] [ㅡ] [ㅜ] 높음
자리에서 다음 자리로 옮겨 갈
입술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혀 때에 발음되는 소리이다.
[ㅔ] [ㅚ] [ㅓ] [ㅗ] 의
혀의 높낮이 모음 모음 모음 모음 높

고모음 (폐모음) ㅣ ㅟ ㅡ ㅜ 이 개념+
[ㅐ]
[ㅏ] ★★‘ㅢ’의 발음
중모음 (반개모음) ㅔ ㅚ ㅓ ㅗ 낮음
앞 뒤 ‘ㅢ’는 하향 이중 모음에 속하지만
저모음 (개모음) ㅐ ㅏ 혀의 앞뒤
<모음 사각도> 그 발음이 온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표준 발음법 제 5 항】
3 이중 모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1. 이중 모음(11개)의 개념: 발음하는 동안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음으로, 반모음 ㅠ,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
‘ㅣ̆[ j ]’ 또는 ‘ㅗ̆ / ㅜ̆ [ w ]’와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2. 이중 모음의 분류  희망[히망]

‘ㅣ̆[ j ]’+단모음 ㅑ[ ja ], ㅕ[ j ], ㅛ [ jo ], ㅠ [ ju ], ㅒ[ jε ], ㅖ[ je ] 다만 4.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상향 이중 모음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
(결합 순서: 반모음+단모음) ‘ㅗ̆/ ㅜ̆[ w ]’+단모음 ㅘ [ wa ], ㅝ [ w ], ㅙ [ wε ], ㅞ [ we ]
음함도 허용한다.
하향 이중 모음
단모음+‘ㅣ̆[ j ]’ ㅢ[ j ] 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결합 순서: 단모음+반모음)

1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4 2020. 11. 26. 오전 9:58


개념 완성 TEST
01

DAY
1 모음의 개념과 발음 특징 11 ㉠~㉤에 들어갈 알맞은 모음을 쓰시오.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입술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01 발음을 할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에서 방해를 받지 혀의 높낮이 모음 모음 모음 모음
않고 나는 소리를 ( )(이)라 한다. 고모음 (폐모음) ㉠ ㅟ ㅡ ㅜ
중모음 (반개모음) ㅔ ㉢ ㅓ ㉤
02 발음하는 동안 입술의 위치나 혀의 모양에 변화가 없는
저모음 (개모음) ㉡ ㉣
모음을 ( )(이)라 한다.

㉠ ㉡ ㉢
2 단모음의 분류 ㉣ ㉤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3 발음할 때 입술을 둥글게 오므리는 모음은 원순 모음이다.


 (,×) 3 이중 모음

04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하여 혀의 최고점이 뒤쪽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에 있을 때 발음되는 모음은 후설 모음이다.  12 반모음은 단모음과 결합하여 ( )을/를 이룬다.
 (,×)
13 이중 모음은 단모음과 반모음의 결합 순서에 따라 상향
05 고모음은 발음할 때 입이 크게 열려서 개모음이라고도 이중 모음과 하향 이중 모음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반모
한다. 음이 단모음보다 앞에 오는 것을 ( ), 반모
 (,×) 음이 단모음보다 뒤에 오는 것을 ( )(이)라
06 표준 발음법에서는 단모음 ‘ㅚ’와 ‘ㅟ’를 이중 모음으로 한다.
발음하는 것을 허용한다.  14 하향 이중 모음은 단모음과 ‘ㅣ̆[j]’가 결합한 ‘( )’
 (,×) 밖에 없다.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모음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보기]
✽ <보기>를 참고하여 다음에 제시된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쓰시오.

ㅗ, ㅜ, ㅓ, ㅏ, ㅔ, ㅐ, ㅡ, ㅣ, ㅚ, ㅟ [보기]

【표준 발음법 제 5 항】
07 전설 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
 ( ) 로 발음한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08 고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ㅣ]로 발음한다.
 ( )
 무늬[무니]
09 저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 ) 15 희망 [ ]

10 원순 모음만을 모두 골라 쓰시오.  16 유희 [ ]
 ( )

정답
01 모음 02 단모음 03  04  05 × 06  07 ㅣ, ㅔ, ㅐ, ㅟ, ㅚ 08 ㅣ, ㅟ, ㅡ, ㅜ 09 ㅐ, ㅏ 10 ㅗ, ㅚ, ㅜ, ㅟ 11 ㉠ l ㉡ ㅐ ㉢ ㅚ ㉣ ㅏ ㉤ ㅗ
12 이중 모음 13 상향 이중 모음, 하향 이중 모음 14 ㅢ 15 [히망] 16 [유히]

A. 언어와 음운 1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5 2020. 11. 26. 오전 9:59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01 ~ 개념 04

개념 01 언어의 특성 A03 
2017(9월)/고1교육청 15

다음 대화 상황에 드러난 어휘의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


사고 언어 문화
은? [2점]

 지영아, 오늘이 네 생일인데  음~ 엄마, 전 생선으로


사회 지역 방언, 사회 방언
선물로 받고 싶은 게 있니? 문상을 받고 싶어요.

A01 
예상 문제

언어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① 언어에는 그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특


  아~ 애들끼리는 다 통하는
성이 반영되어 있다. 생일 선물 이야기하라는데
‘생선’은 뭐고 ‘문상’은 뭐니? 말인데, 생일 선물로 문화
② 언어와 사고는 상호 작용하는 관계에 있으며, 인간은 언 상품권을 받고 싶다는 거예요.

어를 통해 자신의 사고를 나타낸다.


③ 우리말에 농경 문화와 관련된 용어가 많은 것은 언어가
인간의 사고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④ 인종, 나이, 계층, 사회적 신분·지위, 성별, 직업, 이념과
같은 사회적 환경이 언어에 영향을 미친다.
⑤ 같은 언어라도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말의 양상이 달라 ① 성별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어휘가 나타난다.
지는 것은 언어가 사회적 산물이기 때문이다. ② 특정 세대의 문화가 반영된 어휘가 나타난다.
③ 지역적으로 격리되면서 달라진 어휘가 나타난다.
④ 불쾌감을 유발하는 어휘와 이를 대신하는 어휘가 나타난다.
A02 
2014(9월)/고1교육청 14 ⑤ 전문적인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어휘가 나타난다.
<보기>에 나타난 사회 방언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개념 02 국어의 음운 체계
갑자기 쓰러져서 병원에 실려 온 환자를 진찰한 후 자음

의사 1: 이 환자의 상태는 어떻지? 분절 음운 모음


음운 반모음
의사 2: 아직 확진할 순 없지만, 스트레스로 인하여 심계항
비분절 음운 장단
진에 문제가 보이고, 안구진탕과 연하곤란까지 왔어. 육
안 검사로는 힘드니까 자세한 이학적 검사를 해 봐야 알
것 같아.
A04 
예상 문제
의사 1: CT 촬영만으로는 판단이 어렵겠는걸. MRI 촬영 검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사를 추가하여 검사해 봐야겠군.
의사 2: 그렇게 하지. ① ‘공부’에 사용된 음운의 개수는 모두 5개이다.
② ‘밥’과 ‘밤’의 의미를 변별해 주는 음운은 ‘ㅂ’과 ‘ㅏ’이다.
① 성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③ 음운은 의미 변별의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음성과 구별된다.
② 세대에 따라 의미를 다르게 이해한다. ④ [말]과 [말ː]은 뜻이 서로 다르므로 말소리의 길이는 음운
③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라 할 수 있다.
④ 듣기 거북한 말에 대해 우회적으로 발화한다. ⑤ ‘불’과 ‘벌’은 ‘ㅜ’와 ‘ㅓ’라는 한 가지 요소에 의해서만 의미
⑤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말을 많이 만들어 쓴다. 가 구별되는 최소 대립쌍이다. 

1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6 2020. 11. 26. 오전 9:59


A05 
2014(9월)/고1교육청 11
민수: 영희야, 내가 생각하고 있는 자음이 무엇인지 맞혀 봐.
02

DAY
<보기>의 음운 카드를 활용하여 학습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영희: 공기의 흐름에 방해가 일어나는 자리가 어디야?
것은? [2점] 민수: 혀끝과 윗잇몸 사이야.
[보기] 영희: 그러면, 성대의 떨림이 있어?
•음운: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 민수: 아니.
영희: 그러면, 폐에서 나온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ㄱ ㅁ ㅓ ㅗ
터뜨리면서 내는 소리야?
민수: 맞아.
① ‘ㅁ’, ‘ㅓ’, ‘ㄱ’을 차례로 사용하면 ‘먹’이라는 단어를 만들 영희: 그러면, 입 밖으로 나오는 공기의 양이나 소리의 세
수 있군. 기는 어때?
② ‘먹’의 가운뎃소리인 ‘ㅓ’ 대신 ‘ㅗ’를 사용하면 새로운 단 민수: 공기를 강하게 많이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야. 가장
어가 되는군. 센 느낌을 줘.
③ ‘목:곰’에서 보면 첫소리가 끝소리에, 끝소리가 첫소리 영희: 네가 생각하고 있는 자음은 ( ㉠ )이구나.
에도 쓰일 수 있군.
④ ‘먹:목’처럼 가운뎃소리는 첫소리의 오른쪽에 써야 하는군. ①ㄱ ②ㄴ ③ㅃ ④ㅌ ⑤ ㅎ
⑤ ‘목 / 먹 / 곰 / 검’처럼 음운의 결합에 따라 의미가 다른
여러 단어를 만들 수 있군. 

A07 
2017(9월)/고1교육청 14

다음은 자음 습득에 관한 탐구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


지 않은 것은? [2점]
개념 03 자음 체계
안울림소리
성대의 떨림 ‘엄마’와 ‘아빠’ 중에 어느 단어가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
울림소리
입술소리(양순음)
파열음
에서 발음하기가 쉬울까? 자음은 발음을 할 때 공기의 흐
잇몸소리(치조음)
공기의
파찰음 름이 방해를 받기 때문에 제약이 많아 연령에 따라 습득되
센입천장소리
조음 조음
(경구개음) 자음 흐름이 방해를 마찰음 는 자음들이 다르다. 연령에 따른 자음의 발달 단계를 살
위치 방법
받는 방법
여린입천장소리 비음
(연구개음)
펴보면 우선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가 가장 먼저 발달
유음
목청소리(후음) 한다. 그중에서도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비음이자 울림소
예사소리
입 밖으로 나오는
리인 ‘ㅁ’이 2세 때 습득된다. 그 후 3세 때에는 파열음이자
공기의 양이나 된소리
성대의 긴장
거센소리 안울림소리인 ‘ㅃ’을 습득하게 된다. 따라서 ‘ㅁ’을 ‘ㅃ’보다
먼저 습득하게 되므로 아동들은 부모의 호칭 중 음성학적
으로 ‘아빠’보다 ‘엄마’를 보다 쉽게 발음할 수 있는 것이다.

A06 
예상 문제
① ‘ㅁ’은 ‘ㅃ’보다 강하게 파열되며 나는 소리구나.
다음은 자음에 대한 친구 간의 대화이다. <보기>를 참고할 때 ㉠에 ② ‘ㅁ’은 ‘ㅃ’과 달리 목청을 울리면서 소리를 내게 되는구나.
해당하는 자음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③ ‘ㅁ’은 ‘ㅃ’과 달리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소리를 내게 되는
[보기]
구나.
조음 위치 여린
조음 방법
두 입술 윗잇몸 센입천장
입천장
목청 ④ ‘ㅁ’과 ‘ㅃ’은 모두 두 입술 사이에서 나는 소리구나.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⑤ ‘ㅁ’과 ‘ㅃ’은 모두 공기의 흐름이 방해를 받는 소리구나.
안울림소리 파찰음 ㅈ, ㅉ, ㅊ
마찰음 ㅅ, ㅆ ㅎ
비음 ㅁ ㄴ ㅇ
울림소리
유음 ㄹ

❖ 정답 및 해설 2~4p A. 언어와 음운 1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7 2020. 11. 26. 오전 9:59


A08 
2014(9월)/고1교육청 12 개념 04 모음 체계
<보기>를 참고하여 외국 학생이 정확한 발음을 하도록 조언한 내 전설 모음(ㅣ, ㅔ, ㅐ, ㅟ, ㅚ)
혀의 앞뒤
후설 모음(-, ㅓ, ㅏ, ㅜ, ㅗ)
용으로 알맞은 것은? [3점]
고모음(ㅣ, ㅟ, ㅡ, ㅜ)
단모음 혀의 높낮이 중모음(ㅔ, ㅚ, ㅓ, ㅗ)
혹시 불고기 응.
저모음(ㅐ, ㅏ)
먹고 싶은 굴고기!
거니? 모음 평순 모음(ㅏ, ㅐ, ㅓ, ㅔ, ㅡ, ㅣ)
입술 모양
원순 모음(ㅗ, ㅚ, ㅜ, ㅟ)
지금 둘고기
먹고 싶어요. 둘고기? 이중 모음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A10 
예상 문제

굴고기가 그게 아니라,
<보기>를 참고하여 ‘개’와 ‘게’의 발음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가장
눌고기?
아니라 불고기 불고기는~ 적절한 것은? [2점]
라고 하는 거야.
[보기]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입술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혀의 높낮이 모음 모음 모음 모음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보기]
저모음 ㅐ ㅏ
조음 위치 여린
두 입술 윗잇몸 센입천장 목청
조음 방법 입천장
파열음 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 ① ‘개’를 발음할 때는 ‘게’와 달리 입술을 평평하게 해서 발음해
안울림소리 파찰음 ㅈ, ㅉ, ㅊ 야 해.
마찰음 ㅅ, ㅆ ㅎ
② ‘개’를 발음할 때는 ‘게’에 비해 입을 더 크게 벌려서 혀의
비음 ㅁ ㄴ ㅇ
울림소리 높이를 낮추어야 해.
유음 ㄹ
③ ‘개’를 발음할 때는 ‘게’에 비해 입을 조금 덜 벌리고 혀를
① ‘불’은 ‘둘’처럼 혀끝을 윗잇몸에 닿게 해서 소리 내야 해. 높이 들어 올려야 해.
② ‘불’은 ‘굴’처럼 혓바닥을 여린입천장에 밀착시켜 소리 내야 해. ④ ‘게’를 발음할 때는 ‘개’와 달리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을 뒤
③ ‘불’은
‌ ‘눌’과 달리 두 입술을 맞닿게 하면서 목청을 울리 쪽에 둔 상태로 발음해야 해.
지 않고 소리 내야 해. ⑤ ‘게’를 발음할 때는 ‘개’와 달리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④ ‘불’은
‌ ‘둘’, ‘굴’과 달리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일단 모양이나 혀의 위치를 고정해야 해.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소리 내야 해.
⑤ ‘불’은
‌ ‘둘’, ‘눌’과 달리 코로 공기를 내보내며 목청을 울리 A11 
예상 문제

며 소리 내야 해.  <보기>를 참고하여 다음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모두 쓰시오. [2점]


[보기]

A09 
예상 문제 【표준 발음법 제 5 항】

자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


로 발음한다.
① 국어의 자음은 모두 19개로 그중에서 된소리는 5개이다.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② 자음은 반드시 모음과 함께 결합해야만 소리를 낼 수 있다. 발음한다.
③ 공기를 혀의 양옆으로 흘려보내면서 내는 소리는 비음이다. 다만 4. ‌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④ 공기의 흐름이 혓바닥과 센입천장에서 방해를 받으면서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나는 소리는 센입천장소리이다.
⑤ 조음 방법에 의해 분류할 때 성대의 떨림이 없는 소리에 1. 하늬바람 [ ]
는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이 있다. 2. 주의 [ / ]

1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8 2020. 11. 26. 오전 9:59


A12 
2015(9월)/고1교육청 11
① ㉠의 ‘ㅢ’는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바뀌면서 발음되겠
군요.
02

DAY
다음의 단모음 체계표를 참고할 때, <보기>의 ㉠에 들어갈 말로 적
② ㉡은 조사이므로 ㉡의 ‘ㅢ’는 이중 모음뿐만 아니라 단모
절한 것은? [2점]
음으로도 발음할 수 있겠군요.
혀의 앞뒤 위치 전설 모음 후설 모음
혀의
입술의
③ ㉢은 단어의 첫음절이 아니므로 ㉢의 ‘ㅢ’는 [ㅣ]로 발음
높낮이
모양 평순 모음 원순 모음 평순 모음 원순 모음

(입을 벌리는 정도) 하는 것도 가능하겠군요.
고모음 (폐모음) ㅣ ㅟ ㅡ ㅜ
④ ㉠과 ㉡의 ‘ㅢ’는 서로 다른 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겠군요.
중모음 (반개모음) ㅔ ㅚ ㅓ ㅗ
⑤ ㉡과 ㉢의 ‘ㅢ’는 단모음으로 발음될 때 동일한 소리로 발
저모음 (개모음) ㅐ ㅏ
음되겠군요. 
[보기]
수정: 내 가 잘했어야 했는데.
민기: 뭐? 내가 잘했어야 한다고? 어떻게 그렇게 말하니?
수정: 아니. 니가 못했다는 게 아니라 내가 잘했어야 했는
데 그렇지 못해서 미안하다고.
민기: 아아, 내가 오해했구나. 나는 ‘ 네 가 잘했어야 했는 A14 
2017(9월)/고1교육청 13
데.’로 들었어. 그런데 ‘니가’는 잘못된 표현 아니야?
다음 표를 참고할 때, <보기>의 놀이에서 승리할 수 있는 카드는?
수정: 맞아. 그런데 ‘내’와 ‘네’가 혼동되니까 현실적으로 ‘니
 [2점]
가’를 사용하기도 하지.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민기: 아, 그렇구나. ‘내’를 발음할 때는 ( ㉠ ) 입술의 모양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혀의 높이
고모음 ㅣ ㅟ ㅡ ㅜ
① ‘네’보다 입을 더 크게 벌려야겠구나.
중모음 ㅔ ㅚ ㅓ ㅗ
② ‘네’와 달리 입술을 동그랗게 오므려야겠구나.
저모음 ㅐ ㅏ
③ ‘네’보다 혀의 높이를 더 높아지게 해야겠구나.
[보기]
④ ‘네’와 달리 혀의 최고점을 앞에 놓아야겠구나.
◎ 한글 모음 놀이의 승리 조건
⑤ ‘네’와 달리 입술이나 혀를 움직이지 말아야겠구나.
- 아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모음 카드를 제시할 것
•‌입천장의 중간점을 기준으로 혀의 가장 높은 부분을 앞
쪽에 둔 상태로 발음하는 모음
A13 
2015(11월)/고1교육청 11 •입술을 평평하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다음은 국어 수업 중 일부이다.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은 •‌입을 조금 벌리고 혀가 입천장에 닿을 만큼 높은 상태로
것은? [3점] 발음하는 모음

[보기]
선생님: 국어의 모음에는 단모음과 이중 모음이 있는데, 이 ① ② ③
중 모음은 단모음과 달리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바뀝니다. 그런데 이중 모음 가운데 ‘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조사로 쓰일 경우
에는 단모음 [ㅔ]로, 단어에서 첫음절이 아닐 경우에는
④ ⑤
단모음 [ㅣ]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합니다. 그러면 칠판
의 예시를 보고 ‘ㅢ’가 각각 어떻게 발음될 수 있는지 말
해 봅시다.

의사의 호의(好意)
㉠ ㉡ ㉢

학생: ( Ⓐ )

❖ 정답 및 해설 4~7p A. 언어와 음운 1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9 2020. 11. 26. 오전 9:59


B 음운 변동

음운 변동은 한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서 다르게 발음되는 현상이다. 음운 변동은 발음을 쉽게


하여 발음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한 단어에 두 개 이상의 음운 변동이 함 개념+

께 나타나기도 한다. 음운 변동은 발음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원래 ★★평파열음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을 평파열음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 새로운 음운이 추가되는 첨가,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으
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표음(ㄱ,
로 바뀌는 축약으로 나눌 수 있다. ㄴ, ㄷ, ㄹ, ㅁ, ㅂ, ㅇ) 가운데 파열
음에 해당하는 ‘ㄱ, ㄷ, ㅂ’은 받침
같이 [가티] 응? [가티]?
으로 올 때 밖으로 터져 발음되지
✽ 음운 변동 유형 가자~ [가치] 겠지.
않는다. 이때의 소리를 평파열음
(불파음)이라 하고 이와 같이 되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절 말 평파열음화), 비음화, 
교체 현상을 평파열음화(불파음화)라고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경음화) 등 한다.
자음군 단순화, 자음 탈락(‘ㄹ’ 탈락, ‘ㅎ’ 탈락)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음운 변동
탈락
모음 탈락(‘ㅡ’ 탈락, 동일 모음 탈락) 등 의 위치를 고려한 명칭이고, 평파
열음화는 음운 변동의 결과를 고
첨가 ‘ㄴ’ 첨가, 반모음 첨가 등
려한 명칭이다.
축약 거센소리되기(격음화) 등

개념 05 교체
음운 변동의 결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으로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유음
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등이 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구개음화

비음화 교체
유음화 된소리되기 개념+

★★연음
연음은 앞 음절의 끝 자음이 모음
1 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절 말 평파열음화) 으로 시작되는 뒤 음절의 초성으
국어에서 음절의 끝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일곱 개 자음(대표음)으로만 발음되 로 이어져 소리 나는 것으로, 음운
이 바뀌는 현상이 아니므로 음운
고 이외의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오면 일곱 자음 중의 하나로 바뀌어 발음된다. 이때 ‘ㄱ, ㄷ, ㅂ’이 변동으로 보지 않는다.
아닌 자음이 음절 끝에서 [ㄱ], [ㄷ], [ㅂ]으로 바뀌는 경우가 교체에 해당한다. 이러한 음절의 끝  꽃이 → [꼬치], 밭에 → [바테]
소리 규칙은 한 음절 내부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이다.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실현

ㄱ, ㄲ, ㅋ → [ㄱ] 박 [박], 밖 [박], 부엌 [부억]  참고

ㄴ → [ㄴ] 안 [안]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관련한


ㄷ, ㅌ, ㅅ, ㅆ, ㅈ, ㅊ, ㅎ → [ㄷ] 곧 [곧], 솥 [솓], 있다 [읻따], 히읗 [히읃] 표준 발음법 규정

ㄹ → [ㄹ] 말 [말]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표준 발음


법 제8항 ~제9항】, 【제13항 ~제16
ㅁ → [ㅁ] 몸 [몸]
낫 낮 낯 항】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ㅂ, ㅍ → [ㅂ] 밥 [밥], 잎 [입] 이중 제8항은 음절 말 위치에 실
ㅇ → [ㅇ] 강 [강] ‘낫’, ‘낮’, ‘낯’ 모두 [낟]으로 발음된다. 현되는 자음으로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가 있음을 규정하
고 있다. ‘훈민정음’에서는 ‘ㅅ’이
2.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
하나 더 있어서 8종성이었는데, 그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뒤에 ‘ㅅ’이 ‘ㄷ‘으로 실현됨으로써
현대 국어에서는 7개가 되었다.
 ‌밭 아래 → [바다래], 늪 앞 → [느밥], 젖어미 → [저더미], 맛없다 → [마덥따], 헛웃음 → [허두슴], 꽃 위 → [꼬뒤]

다만, ‘맛있다, 멋있다’는 [마싣따], [머싣따]로도 발음할 수 있다.

2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0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 음운 변동 유형 08 음절의 끝에서 음운이 대표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


03

DAY
)(이)라 한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9 끝소리 ‘ㄱ, ㄲ, ㅋ’은 대표음 ‘( )’으로 발음이 되기
01 한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서 다른 음운으로 바뀌어 소리 때문에 ‘부엌’은 ( )(으)로 발음한다.
나는 현상을 ( )(이)라 한다.
10 끝소리 ‘ㄷ, ㅌ’은 대표음 ‘( )’으로 발음이 되기 때
02 음운 변동의 유형은 크게 ( ), ( ), ( ),
문에 ‘솥’은 ( )(으)로 발음한다.
(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1 끝소리 ‘ㅂ, ㅍ’은 대표음 ‘( )’으로 발음이 되기 때
문에 ‘잎’은 ( )(으)로 발음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3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원인은 발음을 쉽게 하여 발음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12 음절의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은 7개로 한정된다. 
04 한 단어에 두 개 이상의 음운 변동이 함께 나타나기도  (,×)
한다. (,×)
13 음절의 끝소리 규칙은 음절 내부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
동이 아니라 다른 음절의 영향을 받아 일어난 것이다.

✽ 다음에 해당하는 음운 변동 현상을 <보기>에서 고르시오.  (,×)

[보기]

㉠ 거센소리되기 ㉡ ‘ㄴ’ 첨가 ㉢ 된소리되기


㉣ 비음화 ㉤ 반모음 첨가 ㉥ 유음화 ✽ 다음 중 적절한 말에  표시하시오.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자음 탈락 ㉨ 자음군 단순화 14 국어에서 음절의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은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 뿐이다.
05 ‘교체’에 해당하는 음운 변동 현상을 모두 찾아 쓰시오.
15 음절의 끝소리 ‘ㄷ, ㅌ, ㅅ, ㅆ, ㅈ, ㅊ, ㅎ’은 모두 대표
 음 ‘( ㄷ / ㅅ / ㅈ )’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꽃’은 ( [꼳] /


06 ‘축약’에 해당하는 음운 변동 현상을 모두 찾아 쓰시오. [꼿] / [꽂] )으로 발음한다.

  16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는 ( 실


질 형태소 / 형식 형태소 )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
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개념 05 교체

1 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절 말 평파열음화)


✽ 다음 밑줄 친 단어의 발음을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7 ㉠` 꽃을 ㉡` 꺾어 내 옷 안에 넣었다.
07 음운 변동의 결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
 ㉠ ㉡
상을 ( )(이)라 한다.

정답
01 음운 변동 02 교체, 탈락, 첨가, 축약 03  04  05 ㉢ 된소리되기, ㉣ 비음화, ㉥ 유음화, ㉦ 음절의 끝소리 규칙 06 ㉠ 거센소리되기 07 교체
08 음절의 끝소리 규칙(음절 말 평파열음화) 09 ㄱ, [부억] 10 ㄷ, [솓] 11 ㅂ, [입] 12  13 × 14 ㄱ, ㄴ, ㄷ, ㄹ, ㅁ, ㅂ, ㅇ 15 ㄷ, [꼳] 16 실질 형태소
17 ㉠ [꼬츨] ㉡ [꺼꺼]

B. 음운 변동 2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1 2020. 11. 26. 오전 9:59


B 음운 변동

2 된소리되기(경음화)
‘ㄱ, ㄷ, ㅂ, ㅅ, ㅈ’과 같은 예사소리는 일정한 환경에서 ‘ㄲ, ㄸ, ㅃ, ㅆ, ㅉ’과 같은 된소리로
바뀌어 발음된다.

1.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덮개[덥깨]
‘ㅍ’은 ‘ㅂ’으로 대표음 + ‘ㄱ’ → ‘ㄲ’
 ‌국밥 [국빱], 깎다 [깍따], 삯돈 [삭똔], 닭장 [닥짱], 옷고름 [옫꼬름], 있던 [읻떤], 꽃다발 [꼳따발], 솥전 [솓쩐], 
넓죽하다 [넙쭈카다]
참고
2.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ㄴ, ㅁ’ 뒤에 결합되는 첫소리
‘ㄱ, ㄷ, ㅅ, ㅈ’이 된소리로 발음
신고[신ː꼬] 되지 않는 경우
‘ㄴ’ + ‘ㄱ’ → ‘ㄲ’
‘ㄴ, ㅁ’ 뒤에 결합되는 첫소리 ‘ㄱ,
 앉고 [안꼬], 삼고 [삼ː꼬], 더듬지 [더듬찌], 닮고 [담ː꼬] ㄷ, ㅅ, ㅈ’이 된소리로 발음되려면
반드시 어간과 어미 관계라는 조
3.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어간과 어
미 관계가 아닌 경우에는 앞말이
핥다[할따] ‘ㄴ, ㅁ’으로 끝나더라도 된소리되
‘ㄾ’ + ‘ㄷ’ → ‘ㄸ’
기가 일어나지 않는다.
 넓게 [널께], 훑소 [훌쏘], 떫지 [떨ː찌]
 ‌나는 숙제를 반도[반도] 하지
4.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못했어.
(‘반 + 도’는 명사와 조사의 결

갈등[갈뜽] 합이므로 된소리되기가 일어


나지 않음.)
‘갈(葛)’ + ‘등(藤)’ → ‘뜽’
 일시 (日時) [일씨], 갈증 (渴症) [갈쯩]

5. 관형사형 어미 ‘- (으)ㄹ’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


(다만, 끊어서 말할 때는 예사소리로 발음)

할 것을[할꺼슬]
‘하-’ + ‘-(으)ㄹ’ + ‘것을’ → ‘할꺼슬’
 갈 데가 [갈떼가], 할 바를 [할빠를], 할 수는 [할쑤는]

3 비음화 개념+

★★‘ㄹ’의 비음화
받침으로 쓰인 파열음 ‘ㄱ, ㄷ, ㅂ’은 비음 ‘ㄴ, ㅁ’ 앞에서 각각 동일한 조음 위치의 비음인 ‘ㅇ,
‘ㄹ’을 제외한 모든 자음 뒤에서 유
ㄴ, ㅁ’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음 ‘ㄹ’이 비음 ‘ㄴ’으로 바뀌는 현
상이다. 그런데 그중 ‘ㄹ’이 ‘ㄱ, ㄷ,
1. 비음화 규칙 실현
ㅂ’ 끝소리에 이어날 때에는 ‘ㄹ’이
받침 ㄱ + 비음 ㄴ, ㅁ → 받침 [ㅇ] + 비음 국물 [궁물], 막는 [망는] 먼저 ‘ㄴ’이 되고 앞의 ‘ㄱ, ㄷ, ㅂ’
은 뒤의 ‘ㄴ’을 닮아 각각 ‘ㅇ, ㄴ,
받침 ㄷ + 비음 ㄴ, ㅁ → 받침 [ㄴ] + 비음 맏며느리 [만며느리], 닫는 [단는]
ㅁ’으로 바뀐다.
받침 ㅂ + 비음 ㄴ, ㅁ → 받침 [ㄴ] + 비음 밥물 [밤물], 잡는 [잠는] •ㄱ+ㄹ→ㄱ+[ㄴ] → [ㅇ]+[ㄴ]
 백리 → [백니] → [뱅니]
2. 다른 음운 현상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
•ㄷ+ㄹ→ㄷ+[ㄴ] → [ㄴ]+[ㄴ]
비음화는 다른 음운 현상과 함께 일어나기도 한다.
 ‌몇 리 → [멷니] → [면니]
깎는 → [깍는] → [깡는] 앞마당 → [압마당] → [암마당] •ㅂ+ㄹ→ㅂ+[ㄴ] → [ㅁ]+[ㄴ]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 협력 → [협녁] → [혐녁]
콧날 → [콛날] → [콘날] 꽃말 → [꼳말] → [꼰말]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음절의 끝소리 규칙 비음화

2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2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2 된소리되기(경음화) 05 ‘국밥’은 <보기>의 (㉠ )에 의해 (㉡ )으로 발


03

DAY
음한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6 ‘일시’는 <보기>의 (㉠ )에 의해 (㉡ )로 발음
01 ‘ㄱ, ㄷ, ㅂ, ㅅ, ㅈ’과 같은 예사소리가 일정한 환경에 한다.
서 ‘ㄲ, ㄸ, ㅃ, ㅆ, ㅉ’과 같은 된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
는 현상을 ( )(이)라고 한다. 07 ‘할 수는’을 발음할 때에는 <보기>의 (㉠ )에 의해
(㉡ )으로 발음한다.
02 ( ) 받침 ‘ㄴ, ㅁ’ 뒤에 결합되는 ( )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된다. 08 ‘앉고’는 <보기>의 (㉠ )에 의해 (㉡ )로 발음
한다.
03 한자어에서 ‘( )’ 받침 뒤에 결합되는 자음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09 ‘핥다’는 <보기>의 (㉠ )에 의해 (㉡ )로 발음
한다.

04 <보기>는 표준 발음법 규정의 일부이다. 이와 가장 관련이 있


는 음운 변동이 일어난 것은? 3 비음화
[보기]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10 받침으로 쓰인 파열음 ‘ㄱ, ㄷ, ㅂ’이 비음 ‘ㄴ, ㅁ’ 앞에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서 각각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는 현상을 ( )
(이)라고 한다.
① 무릎 → [무릅] ② 칡범 → [칙뻠]
11 ‘ㄱ’은 비음 ‘ㄴ, ㅁ’ 앞에서 ‘( )’으로 바뀌어 소리가
③ 종로 → [종노] ④ 산림 → [살림]
나므로 ‘국물’은 ( )로 발음한다.
⑤ 실내 → [실래]
12 ‘ㅂ’은 비음 ‘ㄴ, ㅁ’ 앞에서 ‘( )’으로 바뀌어 소리가
나므로 ‘밥물’은 ( )로 발음한다.
✽ <보기>를 참고하여 ㉠과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3 비음화는 조음 위치는 그대로이고 ( )만 바뀌
[보기]
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ㄱ.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
(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ㄴ.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
14 ‘밭이랑’에서 나타난 음운 변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을 때,
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과 ㉡에 들어갈 알맞은 음운 변동을 쓰시오.
ㄷ. ‌어간 받침 ‘ㄼ, ㄾ’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밭이랑 → [받이랑] → [받니랑] → [반니랑]
ㄹ.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결합되는 자음 ‘ㄷ, ㅅ, ㅈ’ ㉠ ‘ㄴ’ 첨가 ㉡
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ㅁ.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정답
01 된소리되기(경음화) 02 어간, 어미 03 ㄹ 04 ② 05 ㉠ ㄱ ㉡ [국빱] 06 ㉠ ㄹ ㉡ [일씨] 07 ㉠ ㅁ ㉡ [할쑤는] 08 ㉠ ㄴ ㉡ [안꼬] 09 ㉠ ㄷ ㉡ [할따]
10 비음화 11 ㅇ, [궁물] 12 ㅁ, [밤물] 13 조음 방법 14 ㉠ 음절의 끝소리 규칙 ㉡ 비음화

B. 음운 변동 2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3 2020. 11. 26. 오전 9:59


B 음운 변동

4 유음화
비음 ‘ㄴ’은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으로 유음 ‘ㄹ’로 바뀌어 발음된다.
개념+
 ‌선릉의 경우 앞 자음 ‘ㄴ’과 뒤 자음 ‘ㄹ’이 만나 ‘ㄹ’에 영향을 받은 ‘ㄴ’이 ‘ㄹ’로 바뀌는
유음화 현상이 일어난다. ★★자음 동화
선릉 [설릉]역 음절의 끝 자음이 그 뒤에 오는 자
앞에서 보자.
1. 유음화 규칙 실현 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 자음을 닮아서 그와 비슷한 성
앞 음운 ‘ㄹ’이 뒤 음운 ‘ㄴ’에 영향, ㄹ+ㄴ → [ㄹㄹ] 질을 가진 자음이나 같은 소리로
순행적 유음화
 칼날 [칼랄], 달님 [달림]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
뒤 음운 ‘ㄹ’이 앞 음운 ‘ㄴ’에 영향, ㄴ+ㄹ → [ㄹㄹ] 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하는 현
역행적 유음화 선릉 → [설릉] 상이다. 대표적인 자음 동화 현상
 신라 [실라], 천리 [철리]
으로는 비음화와 유음화가 있다.
또한 동화의 방향에 따라 아래와
2. ‘ㅀ’,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 같이 나눌 수 있다.
첫소리 ‘ㄴ’이 ‘ㅀ’,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유음화가 일어난다. 순행 앞 음운이 뒤 음운에 영
 닳는 [달른], 뚫는 [뚤른], 핥네 [할레] 동화 향을 주어 일어나는 동화
역행 뒤 음운이 앞 음운에 영
3. 유음화의 예외 동화 향을 주어 일어나는 동화

한자어에 ‘란, 량, 력, 론, 료, 례, 령’ 등이 붙은 말의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 의견란 [의ː견난], 생산량 [생산냥], 동원령 [동ː원녕], 상견례 [상견녜]

5 구개음화
끝소리가 ‘ㄷ, ㅌ(ㄾ)’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ㄷ, ㅌ’이 구개음 ‘ㅈ, ㅊ’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또한 ‘ㄷ’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올 때 ‘ㄷ’과 ‘ㅎ’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ㅌ’은 ‘ㅊ’으로 발음된다.

1. 구개음화 규칙 실현
ㄷ+ㅣ→ [지] 맏이 → [마디] → [마지], 해돋이 → [해도디] → [해도지]
ㅌ+ㅣ→ [치] 같이 → [가티] → [가치], 핥이다 → [할티다] → [할치다]
ㄷ+-히- (접미사) → [티] → [치] 걷히다 → [거티다] → [거치다], 닫히다 → [다티다] → [다치다]

2. 구개음화 실현 조건
(1) 구개음화는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할 때에만 나타나고, 한 형태소 내에서는 나타나지 않
는다. 참고
 마디 → [마디] () / [마지] (×), 잔디 → [잔디] () / [잔지] (×)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이유?
(2) 구개음화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결합할 때에만 나타날 수 있고, 합성어에서는 나 모음 ‘ㅣ’나 반모음 ‘ㅣ̆’가 발음되
타날 수 없다. 는 위치가 ‘ㄷ, ㅌ’보다는 ‘ㅈ, ㅊ’이
소리 나는 위치와 가까워 발음을
 밭이랑 논을 갈았다.  밭이랑에 고구마를 심었다.
편리하게 하기 위해 ‘ㄷ, ㅌ’이 ‘ㅈ,
ㅊ’으로 바뀌는 것이다.

위의 두 문장에는 모두 ‘밭이랑’이라는 표현이 있다. 앞의 ‘밭이랑’은 ‘밭’(실질 형태소)+‘이랑’(조사)


→ [바치랑]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일어나지만, 뒤의 ‘밭이랑’은 ‘밭’(실질 형태소)+
‘이랑’(실질 형태소) → [반니랑](음절의 끝소리 규칙 → ‘ㄴ’ 첨가 → 비음화 적용)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2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4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4 유음화 5 구개음화
03

DAY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1 유음화는 ‘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을 받 12 구개음화는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
아 ‘ㄹ’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이다.  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ㄷ, ㅌ’이
 (,×) ‘ㅈ, ㅊ’이 되는 현상이다.
 (,×)
02 첫소리 ‘ㄴ’이 ‘ㅀ’, ‘ㄾ’ 뒤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유음화
가 일어나지 않는다.  13 구개음화는 형태소와 형태소가 결합할 때뿐만 아니라
 (,×) 한 형태소 내에서도 일어난다.
 (,×)
03 ‘칼날[칼랄]’과 ‘달님[달림]’은 역행적 유음화 현상이 일
어난다.  14 구개음화는 실질 형태소와 실질 형태소의 결합인 합성
 (,×) 어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
04 순행적 유음화 현상은 앞 음운 ‘ㄹ’이 뒤 음운 ‘ㄴ’에 영
향을 주는 현상이다. 15 ‘ㄷ’ 뒤에 형식 형태소 ‘-히-’가 올 때 ‘ㄷ’과 ‘ㅎ’이 결합
 (,×) 하여 이루어진 ‘ㅌ’은 ‘ㅈ’으로 발음된다.
 (,×)
✽ 다음 밑줄 친 단어의 발음으로 옳은 것을 찾아 쓰시오.

05 올해는 생산량[생산냥 /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16 <보기>는 표준 발음법 규정의 일부이다. 이와 가장 관련이 있


 ( ) 는 음운 변동은?

06 신라[신라 / 실라]의 수도는 경주였다.  [보기]

 ( ) 【제17항】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
07 벽을 뚫는[뚤는 / 뚤른]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
① 음절의 끝소리 규칙 ② 비음화
✽ ‌다음 단어들에서 일어난 유음화가 순행적 유음화에 해당하면 ③ 유음화 ④ 구개음화
‘순행’, 역행적 유음화에 해당하면 ‘역행’이라고 쓰시오. ⑤ 된소리되기

08 권력[궐력]
 ( ) ✽ 다음 밑줄 친 단어의 발음으로 옳은 것을 찾아 쓰시오.

09 난로[날ː로] 17 해돋이[해도디 / 해도지]를 보기 위해 바다로 갔다. 


 ( )  ( )

10 실내[실래] 18 구름이 걷히자[거티자 / 거치자] 해가 나타났다. 


 ( )  ( )

11 달나라[달라라] 19 오늘 점심은 친구와 같이[가티 / 가치] 먹기로 했다.


 ( )  ( )

정답
01  02 × 03 × 04  05 [생산냥] 06 [실라] 07 [뚤른] 08 역행 09 역행 10 순행 11 순행 12  13 × 14  15 × 16 ④ 17 [해도지]
18 [거치자] 19 [가치]

B. 음운 변동 2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5 2020. 11. 26. 오전 9:59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05

개념 05 교체 B03 
예상 문제

음절의 끝소리 규칙 구개음화 <보기>는 구개음화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비음화 교체
구개음화는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
유음화 된소리되기
모음 ‘ㅣ̆’로 시작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그 ‘ㄷ, ㅌ’이
‘ㅈ, ㅊ’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이다. ‘ㄷ’ 뒤에 형식 형

B01 
예상 문제
태소 ‘-히-’가 올 때에는 ‘ㄷ’과 ‘ㅎ’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ㅌ’이 ‘ㅊ’으로 발음된다. 구개음화는 한 형태소 내에서는
다음 ㉠~㉢의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나타나지 않으며, 합성어에서도 나타날 수 없다.
 [2점]

① ‘같이’가 [가치]로 발음되는 것은 ‘ㅌ’이 모음 ‘ㅣ’와 만나


㉠ 박[박], 밖[박], 부엌[부억]
‘ㅊ’이 되었기 때문이군.
㉡ 깎아[까까]. 옷이[오시]
② ‘잔디’가 [잔지]로 발음되지 않는 것은 한 형태소 내에서
㉢ 밭 아래[바다래], 꽃 위[꼬뒤]
는 구개음화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군.

① ㉠을 보니 음절의 끝 자음 ‘ㄱ, ㄲ, ㅋ’은 모두 ‘ㄱ’으로 바 ③ ‘닫히다’가 [다치다]로 발음되는 것은 ‘ㄷ’ 뒤에 접미사 ‘-

뀌어 발음되는군. 히-’가 결합되어 ‘티’가 되었기 때문이군.

② ㉠에는 음절의 끝 자음이 대표음 중 하나로 바뀌어 발음 ④ ‘밭이랑’이 [반니랑]으로 발음되는 것은 ‘ㅌ’이 모음 ‘ㅣ’와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군. 만나 ‘ㅊ’이 된 후 유음화가 일어났기 때문이군.

③ ㉡을 보니 음절의 끝 자음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⑤ ‘샅샅이’가 [삳사치]로 발음되는 것은 두 번째 음절의 ‘ㅌ’은

어미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 첫 번째 음절의 ‘ㅌ’과 달리 구개음화가 일어났기 때문이군.

B04
하는군.

예상 문제
④ ㉢은 음절이 끝 자음 뒤에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
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 나타나는 현상이군. <보기>의 ㉠과 ㉡에 들어갈 음운 변동의 예가 바르게 제시된 것
은? [2점]
⑤ ㉢을 보니 ‘겉옷’은 받침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거톳]
[보기]
으로 발음해야 하는군. 
선생님: 비음화는 비음 ‘ㄴ, ㅁ’의 앞에서 ‘ㄱ, ㄷ, ㅂ’이 각각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는 현상이고, 유음화는 비음
B02 
예상 문제 ‘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으로 유음 ‘ㄹ’로
<보기>를 참고하여 밑줄 친 부분의 발음을 쓰시오. [2점] 바뀌는 현상입니다. 그럼 비음화와 유음화가 일어나는
[보기] 예를 하나씩 말해 볼까요?

음절의 끝소리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 영수: 비음화가 일어나는 예로는 ( ㉠ )이/가 있고, 유

으로만 발음된다. 앞 음절의 끝 자음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화가 일어나는 예는 ( ㉡ )이/가 있습니다.

형식 형태소와 결합할 경우에는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그러나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는 실질 ㉠ ㉡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 ① 콧날[콘날] 달님[달림]
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② 밟는[밤는] 같이[가치]
③ 국물[궁물] 맏며느리[만며느리]
1. 당당하게 앞으로 나아가자. [ ] ④ 천리[철리] 뚫는[뚤른]
2. 어머니께서 주신 약은 맛없다. [ ] ⑤ 의견란[의ː견난] 맏이[마지]

2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6 2020. 11. 26. 오전 9:59


B05 
예상 문제 B07 
2019(3월)/고1교육청 14

<보기>를 참고하여 각 예에 적용된 내용과 그 발음으로 적절한 것 <보기>의 ‘활동 1’과 ‘활동 2’를 연결하여 ‘활동 자료’의 단어를 탐구
은? [2점] 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03

DAY
[보기] [보기]

ㄱ.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활동 자료]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은 국민[궁민], 글눈[글룬], 명랑[명낭], 신랑[실랑], 잡념[잠념]
된소리로 발음한다.
[활동 1] 음운 변동이 있는 음운은 ‘1’, 없는 음운은 ‘0’으로
ㄴ.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
표시하면 ‘국물[궁물]’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활동 자료’의 단어는 어떻게 표시될까요?
ㄷ.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결합되는 자음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ㄱ ㄱ 0  ㅁ ㅁ 0
ㄹ. ‌관형사형 어미 ‘-(으)ㄹ’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ㅜ → ㅜ → 0 ㅜ → ㅜ → 0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ㄱ ㅇ 1 ㄹ ㄹ 0

예 적용 내용 발음
[갈뜽]
[활동 2] ‘활동 자료’의 단어를 발음할 때 순행 동화가 일
① 갈등 ㄹ
어나는지 역행 동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봅시다.
② 신고 ㄱ [씬꼬]
•순행 동화: ‌뒤의 음운이 앞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
③ 덮개 ㄷ [덥깨] 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④ 옷고름 ㄴ [옫꼬름] •역행 동화: ‌앞의 음운이 뒤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
⑤ 할 바를 ㄹ [할빠를] 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① ‘국민’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순행 동화이다.


② ‘글눈’은 ‘0001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B06 
2016(6월)/고1교육청 11
③ ‘명랑’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순행 동화이다.
④ ‘신랑’은 ‘0001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보기>의 ㉠, ㉡에 해당하는 단어로 적절한 것은? [2점]
⑤ ‘잡념’은 ‘001000’으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역행 동화이다.
[보기]

된소리되기는 ‘ㄱ, ㄷ, ㅂ, ㅅ, ㅈ’과 같은 예사소리가


‘ㄲ, ㄸ, ㅃ, ㅆ, ㅉ’과 같은 된소리로 바뀌어 소리 나는 음
운 현상이다. 된소리되기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받침 ‘ㄱ, ㄷ, ㅂ’ 뒤에 연결되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
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유형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유형  ㉠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결합되는 자음 ‘ㄷ, ㅅ, ㅈ’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유형  ㉡

㉠ ㉡ ㉠ ㉡
① 신다 굴곡(屈曲) ② 앉다 불법(不法)
③ 넓다 갈등(葛藤) ④ 담다 발전(發展)
⑤ 끓다 월세(月貰) 

❖ 정답 및 해설 7~10p B. 음운 변동 2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7 2020. 11. 26. 오전 9:59


[ B08~ 09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B08 
2018(3월)/고1교육청 11

음운의 동화는 인접한 두 음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서 윗글의 내용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로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현상이다. 국어의 대표적인 ① 음운의 동화는 인접한 두 음운이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
동화에는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가 있다. 로 바뀌는 현상이다.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ㅂ, ㄷ, ㄱ’이 비음 ‘ㅁ, ㄴ’ 앞에서 비 ② 음운의 동화로 조음 위치나 조음 방식이 바뀌면 발음의
음 ‘ㅁ, ㄴ, ㅇ’으로 바뀌어 소리 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국 경제성이 높아진다.
민’이 [궁민]으로 발음되는 것은 비음화에 해당한다. 유음화는 ③ 구개음화와 달리 비음화와 유음화가 일어나는 인접한 두

비음 ‘ㄴ’이 유음 ‘ㄹ’의 앞이나 뒤에서 유음 ‘ㄹ’로 발음되는 현 음운은 모두 자음이다.


④ 구개음화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접미사 앞에서는
상이다. 유음화의 예로는 ‘칼날[칼랄]’이 있다. ㉠ 아래의 자음
일어나지 않는다.
체계표를 보면, 비음화와 유음화는 그 결과로 인접한 두 음운
⑤ 구개음화는 동화의 결과로 자음과 모음의 소리가 모두
의 조음 방식이 같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뀌는 현상이다. 
조음 위치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입술소리 잇몸소리
조음 방식 소리 소리

파열음 ㅂ, ㅍ ㄷ, ㅌ ㄱ, ㅋ
파찰음 ㅈ, ㅊ
B09 
2018(3월)/고1교육청 12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을 참고할 때, <보기>의 a ~ c에서 일어난 음운 동화에 대한 설
명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구개음화는 끝소리 ‘ㄷ, ㅌ’이 모음 ‘ㅣ’로 시작되는 조사나 접 [보기]
미사 앞에서 구개음 ‘ㅈ,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가령 ‘해 a. 밥물[밤물] b. 신라[실라]
돋이’가 [해도지]로 발음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이는 동화 결 c. 굳이[구지]
과로 조음 위치와 조음 방식이 모두 바뀌는 현상이다.
아래 그림을 보면 ‘해돋이’가 [해도디]가 아닌 [해도지]로 소 ① a: 비음화의 예로, 조음 방식만 바뀐 것이다.

리 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1]과 [2]에서 보듯이, ‘ㄷ’과 ‘ㅣ’를


② a: 유음화의 예로, 조음 방식만 바뀐 것이다.
③ b: 비음화의 예로, 조음 위치만 바뀐 것이다.
발음할 때의 혀의 위치가 달라 ‘디’를 발음할 때는 혀가 잇몸에
④ b: 유음화의 예로, 조음 위치만 바뀐 것이다.
서 입천장 쪽으로 많이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2]와 [3]을 보
⑤ c: 구개음화의 예로, 조음 방식만 바뀐 것이다. 
면, ‘ㅈ’과 ‘ㅣ’를 발음할 때의 혀의 위치가 비슷하기 때문에 ‘지’
를 발음할 때는 혀를 거의 움직이지 않아도 된다.

B10 
2016(3월)/고1교육청 11

<보기>를 참고할 때 동화의 양상이 다른 것은? [2점]


[보기]

○ ‌순행 동화: 뒤의 음운이 앞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1] ‘ㄷ, ㅌ’ 발음 [2] ‘ㅣ’ 발음 [3] ‘ㅈ, ㅊ’ 발음  칼날[칼랄], 강릉[강능]
○ ‌역행 동화: 앞의 음운이 뒤의 음운의 영향을 받아 그와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는 동화 결과 인접한 두 음운의 성
비슷하거나 같게 소리 나는 현상
격이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뀐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이
 편리[펼리], 까막눈[까망눈]
처럼 성격이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가 연속되면 발음할 때 힘이
덜 들게 되므로 발음의 경제성이 높아진다. ① 종로 ② 작년 ③ 신라
 ④ 밥물 ⑤ 국민

2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8 2020. 11. 26. 오전 9:59


B11 
2017(6월)/고2교육청 13 1등급 킬러 문제
<보기 1>을 활용하여 <보기 2>의 음운 변동을 설명한 내용으로 적
절한 것은? [2점]
03

DAY
[보기 1] B13 
2018(11월)/고1교육청 11

조음 위치
입술소리 잇몸소리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보기>를 바탕으로 사례들을 분석한 내용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조음 방법 소리 소리
 [2점]
파열음 ㅂ, ㅍ ㄷ, ㅌ ㄱ, ㅋ
[보기]
파찰음 ㅈ, ㅊ
음운의 교체는 특정한 음운 환경에서 한 음운이 다른 음
비음 ㅁ ㄴ ㅇ
운으로 바뀌는 음운 변동 현상이다. 두 음절이 인접한 경
유음 ㄹ
우 ㉠ 앞말의 끝소리와 뒷말의 첫소리가 만나는 상황이나
㉡ 앞말의 끝소리가 연음되어 뒷말의 가운뎃소리와 만나
[보기 2]
는 상황에서 음운이 교체될 때, 발음의 결과 ⓐ 앞의 음운
㉠ 국민 → [궁민] ㉡ 물난리 → [물랄리] ㉢ 굳이 → [구지] 만 변한 경우나 ⓑ 뒤의 음운만 변한 경우도 있지만 ⓒ 두
음운이 모두 변한 경우도 있다.
① ㉠은 첫음절 끝의 파열음이 뒤의 자음과 결합하여 유음
으로 바뀌었다. ① ‘마천루[마철루]’는 ㉠이면서 ⓐ에 해당한다.
② ㉡은 유음이 앞뒤 비음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바뀌었다. ② ‘목덜미[목떨미]’는 ㉠이면서 ⓑ에 해당한다.
③ ㉢은 여린입천장소리가 뒤의 자음을 닮아 센입천장소리 ③ ‘박람회[방남회]’는 ㉠이면서 ⓒ에 해당한다.
로 바뀌었다. ④ ‘쇠붙이[쇠부치]’는 ㉡이면서 ⓐ에 해당한다.
④ ㉠과 ㉡에서 변동된 음운은 조음 방법이 변하였다. ⑤ ‘땀받이[땀바지]’는 ㉡이면서 ⓒ에 해당한다. 
⑤ ㉡과 ㉢에서 변동된 음운은 조음 위치가 변하였다.

B14 
2018(9월)/고2교육청 14

B12 
2020(9월)/고2교육청 13 <보기>의 ㉠∼㉤을 활용하여 현대의 ‘구개음화’를 탐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의 ㉠ ~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보기]
㉠ 맏이[마지], 같이[가치]
선생님: 음운 변동 중에는 한 음운이 앞이나 뒤의 음운의
㉡ 밭이[바치], 밭을[바틀]
영향을 받아 다른 음운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
㉢ 굳히다[구치다], 닫히다[다치다]
때 조음 방법이나 조음 위치가 변하게 됩니다. 예를 들
㉣ 밑이[미치], 끝인사[끄딘사]
면 ‘밥물[밤물]’은 ‘ㅂ’이 뒤의 음운 ‘ㅁ’의 영향으로 비음
㉤ 해돋이[해도지], 견디다[견디다]
인 ‘ㅁ’으로 바뀌어 조음 방법이 달라졌지요. 그럼 다음
단어들에서는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탐구해 봅시다.
① ㉠을 보니, ‘ㄷ’이나 ‘ㅌ’이 끝소리일 때 구개음화가 일어나
달님[달림], 공론[공논], 논리[놀리] 는군.
② ㉡을 보니, ‘ㅌ’이 특정한 모음과 만날 때 구개음화가 일
학생: ( ㉠ )은/는 한 음운이 ( ㉡ )의 음운의 영향을 받 어나는군.
아 ( ㉢ )으로 바뀌어 ( ㉣ )이/가 바뀐 사례입니다. ③ ㉢을 보니, ‘ㄷ’ 뒤에서 ‘ㅎ’이 탈락할 때 구개음화가 일어
나는군.
㉠ ㉡ ㉢ ㉣ ④ ㉣을 보니, ‘ㅌ’ 뒤에 실질 형태소가 올 때는 구개음화가
① 달님 앞 유음 조음 방법 일어나지 않는군.
② 달님 뒤 비음 조음 위치 ⑤ ㉤을 보니, 하나의 형태소 내부에서는 구개음화가 일어
③ 공론 앞 비음 조음 위치 나지 않는군.
④ 공론 뒤 비음 조음 방법
⑤ 논리 뒤 유음 조음 위치

❖ 정답 및 해설 10~13p B. 음운 변동 2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29 2020. 11. 26. 오전 9:59


B 음운 변동

개념 06 탈락
두 음운 중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현상으로 자음군 단순화와 자음 탈락 (‘ㄹ’ 탈락과 ‘ㅎ’ 탈락),
모음 탈락 (‘ㅡ’ 탈락과 동일 모음 탈락) 등이 있다.

탈락

자음군 단순화 자음 탈락 모음 탈락

1 자음군 단순화
음절의 끝소리에 겹받침(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이 올 때에는 두 개의 자음
가운데 하나가 탈락한 후 대표음인 일곱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나로 발음된다.
1. 겹받침 중 앞 자음이 소리 나는 경우
겹받침 ‘ㄳ’, ‘ㄵ, ㄶ’, ‘ㄼ, ㄽ, ㄾ, ㅀ’, ‘ㅄ’은 어말 또는  하늘이 맑게 [말께]
개었으니 공원으로 가서 개념+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책을 읽고 [일꼬] 흙을 [흘글]
★★‘ㄹ’ 탈락의 요건
밟는 [밤ː는] 게
 몫 [목] (ㄳ → ㄱ), 외곬 [외골] (ㄽ → ㄹ)
좋겠네. ‘ㄹ’ 탈락은 합성어나 파생어가 만
2. 겹받침 중 뒤 자음이 소리 나는 경우 들어질 때 일어나기도 한다.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 ‌솔 + 나무 → 소나무
바늘 + 질 → 바느질
ㅂ’으로 발음한다.  읊다 → [읖다] → [읍다] → [읍따] (ㄿ → ㅍ → ㅂ)
하지만 이 경우는 15세기에 이미
3. 유의해야 할 겹받침의 발음 ‘ㄹ’이 탈락된 형태가 굳어져 내려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온 말들로 현대 국어에서는 살펴
보기 어려우며, ‘들+나물 [들ː라
대부분 ‘ㄱ’으로 발음함. 맑다 [막따], 읽다 [익따] 물]’, ‘물+살 [물쌀]’과 같이 ‘ㄹ’ 탈

어간 끝의 자음으로 사용된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함. 맑게 [말께], 읽고 [일꼬] 락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ㄹ’로 발음함. 넓고 [널꼬], 짧다 [짤따]
밟다 [밥ː따], 밟는 → [밥ː는] → [밤ː는]
ㄼ •‘밟-’+자음 → [밥]으로 발음함.
넓적하다 [넙쩌카다], 넓죽하다 [넙쭈카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 [넙]으로 발음함.
다], 넓둥글다 [넙뚱글다]

2 자음 탈락 참고

★★음운 탈락의 표기 반영
어간 끝 받침 ‘ㄹ’은 ‘ㄴ, ㅅ’으로 시작하 놀- + -는 → [노ː는], 놀- + -세 → [노ː세], ‘ㅎ’ 탈락을 제외한 모든 음운 탈
‘ㄹ’ 탈락
는 어미 앞에서 탈락함. 살- + -니 → [사ː니], 살- + -시다 → [사ː시다] 락은 표기에 반영된다. ‘ㅎ’ 탈락은
어간의 끝소리 ‘ㅎ’은 모음으로 시작하 쌓- + -이- + -다 → [싸이다], 좋- + -은 → [조은] 표기에 반영되지 않는다.
‘ㅎ’ 탈락
는 형식 형태소와 결합할 때 탈락함. 많- + -이 → [마니], 닳- + -아서 → [다라서]

3 모음 탈락
1. ‘ㅡ’ 탈락
어간 말음 ‘ㅡ’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한다.
 쓰- + -어라 → 써라, 따르- + -아 → 따라, 쓰- + -었다 → 썼다, 잠그- + -아 → [잠가]

2. 동일 모음 탈락
어간 끝 모음 ‘ㅏ, ㅓ’ 뒤에 ‘ㅏ, ㅓ’로 시작하는 어미가 와서 동일한 모음이 이어질 때에는 그
중 한 모음이 탈락한다.
 가- + -아서 → 가서, 서- + -어 → 서

3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0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1 자음군 단순화 07 ‘밟다’는 겹받침 중 (㉠ ) 자음이 소리 나기 때문에


(㉡ )으로 발음한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4

DAY
01 음절의 끝소리에 겹받침이 올 때 두 개의 자음 가운데 2 자음 탈락
하나가 탈락하는 현상을 ( )(이)라고 한다.
✽ ‌<보기>를 참고하여 밑줄 친 단어에 일어난 음운 탈락 유형을 ㉠
02 자음군 단순화에서 두 개의 자음 가운데 하나가 탈락한 과 ㉡ 중에서 골라 알맞게 쓰시오.
후 발음되는 대표음은 ‘( )’ 7개
[보기]
이다.
㉠ ‌‘ㄹ’ 탈락: 어간 끝 받침 ‘ㄹ’은 ‘ㄴ, ㅅ’으로 시작하는 어
03 자음군 단순화는 음운 변동의 유형 중에서 두 음운 중 미 앞에서 탈락한다.
어느 하나가 없어지는 현상인 ( )에 해당한다. ㉡ ‌‘ㅎ’ 탈락: 어간의 끝소리 ‘ㅎ’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
식 형태소와 결합할 때 탈락한다.

04 다음 중 <보기>의 표준 발음법 규정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08 자고 나니 눈이 쌓여[싸여] 있었다.
[보기]
 ( )
【제‌10항】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
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09 친구들과 노는 곳으로 아버지가 오셨다.
 ( )
① 그는 앓는 적이 없었다. 10 하늘을 가르며 나는 비행기가 보였다.
② 그녀는 마음이 넓다.  ( )
③ 가게 앞에 젊은 남녀가 있다.
④ 그 책을 읽어 본 적이 있다.
3 모음 탈락
⑤ 그는 시련의 아픔을 읊은 시를 지었다.
✽ <보기>를
‌ 참고하여 밑줄 친 단어에 일어난 음운 탈락 유형을 ㉠
✽ <보기>를 참고하여 ㉠과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과 ㉡ 중에서 골라 알맞게 쓰시오.
[보기]
[보기]

겹받침 ‘ㄺ, ㄼ’은 불규칙적으로 발음되는데, 겹받침 ‘ㄺ’ ㉠ ‌‘ㅡ’ 탈락: 어간 말음 ‘ㅡ’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

의 경우 대부분 뒤 자음인 ‘ㄱ’으로 발음하지만, 어간 끝의 에서 탈락한다.

자음으로 사용된 ‘ㄺ’은 ‘ㄱ’ 앞에서 앞 자음인 ‘ㄹ’이 발음 ㉡ ‌동일 모음 탈락: 어간 끝 모음 ‘ㅏ, ㅓ’ 뒤에 ‘ㅏ, ㅓ’로

된다. 겹받침 ‘ㄼ’은 대부분 앞 자음인 ‘ㄹ’로 발음하지만, 시작하는 어미가 와서 동일한 모음이 이어질 때에는

‘밟-’에 자음이 결합하는 경우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그중 한 모음이 탈락한다.

‘넓적하다’, ‘넓죽하다’와 ‘넓둥글다’의 경우 [넙]으로 발음


한다. 11 어머니께서 집 앞에 서 계셨다.
 ( )
05 ‘맑다’는 겹받침 중 (㉠ ) 자음이 소리 나기 때문에 12 동생은 나를 따라 학교에 왔다.
(㉡ )로 발음한다.  ( )
06 ‘넓적하다’는 겹받침 중 (㉠ ) 자음이 소리 나기 때 13 그는 자물쇠로 서랍을 잠갔다.
문에 (㉡ )로 발음한다.  ( )

정답
01 자음군 단순화 02 ㄱ, ㄴ, ㄷ, ㄹ, ㅁ, ㅂ, ㅇ 03 탈락 04 ② 05 ㉠ ㄱ(뒤) ㉡ [막따] 06 ㉠ ㅂ(뒤) ㉡ [넙쩌카다] 07 ㉠ ㅂ(뒤) ㉡ [밥 ː 따] 08 ㉡ 09 ㉠ 10 ㉠ 11
㉡ 12 ㉠ 13 ㉠

B. 음운 변동 3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1 2020. 11. 26. 오전 9:59


B 음운 변동

개념 07 첨가
두 음운이 만날 때, 원래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현상이다.

‘ㄴ’ 첨가 개념+
첨가 ★★반모음 첨가의 발음
반모음 첨가
반모음 첨가는 반드시 일어나야
하는 현상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1 ‘ㄴ’ 첨가 반모음 첨가는 표준 발음으로 인
정하지 않는다. 다만, ‘되어, 피어,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모음 ‘ㅣ’나 이오, 아니오’와 유사한 음운 조건
반모음 ‘ㅣ̆’로 시작할 때 앞뒤의 말 사이에 ‘ㄴ’이 첨가된다. 을 가진 경우는 [어]와 [오]로 발음
 ‌홑-이불 [혼니불], 막-일 [망닐], 삯-일 [상닐], 맨-입 [맨닙], 한-여름 [한녀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여]와
[요]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콩-엿 [콩녇], 눈-요기 [눈뇨기], 식용-유 [시굥뉴], 백분-율 [백뿐뉼]

솔-잎 → [솔닙] → [솔립],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을 ‘솜’(어근) + ‘이불’(어근) → ‘솜이불’(합성어)
설-익다 → [설닉따] → [설릭따],
유음화로 인해 [ㄹ]로 발음하는 경우
물-약 → [물냑] → [물략]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한 일[한닐], 옷 입다[온닙따],
발음하는 경우 먹은 엿[머근녇], 할 일[할릴] 개념+

★★음운 현상 더 보기-사잇소리
현상
2 반모음 첨가
사잇소리 현상도 우리가 발음할 때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와서 두 개의 모음이 연속될 때, 나타나는 음운 현상 중 하나이다.
모음과 모음 사이에 반모음 ‘ㅣ̆’가 새로 생겨 발음된다. 이와 관련된 한글 맞춤법 규정은
다음과 같다.
 피어 → [피어/피여], 되어 → [되어/되여]
【한글 맞춤법 규정 제30항】
1.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
개념 08 축약 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새로운 음운이 되는 현상이다.  나룻배[나루빼]/[나룯빼]
⑵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
축약 거센소리되기 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 잇몸[인몸]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1 거센소리되기(격음화)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ㅎ’과 ‘ㄱ, ㄷ, ㅂ, ㅈ’이 결합하여 거센소리 ‘ㅋ, ㅌ, ㅍ, ㅊ’으로 바뀌어 발음된다.    뒷일[뒨ː닐]

 낳고 → [나코], 않던 → [안턴], 법학 → [버팍], 잊히다 → [이치다] 2.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


Tip 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⑴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전통적으로 학교 문법에서는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중 모음으로 변하는 현상을 축약으로 다 나는 것
뤄 왔으며, 이에 따라 2020학년도까지의 시험에 적용되는 교과서에는 ‘모음 축약’ 내용이 소    탯줄[태쭐]/[탣쭐]
개되어 있다. 그러나 ‘모음 축약’은 이중 모음을 ‘반모음 + 단모음’으로 본다면 축약이 아니라 ⑵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교체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 2015 개정 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는 ‘모음 축약’ 내용이 삭제되었다.    제삿날[제ː산날]


⑶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기>로 제시되었다.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반모음 교체: 용언 어간 뒤에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할 때,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 예삿일[예ː산닐]
교체되는 음운 변동 3. 두 음절로 된 한자어
 어간 ‘오-’와 어미 ‘-아’가 결합해 [와]로 발음될 때, 단모음 ‘ㅗ’가 반모음 ‘ w ’로 교체됨. 곳간 (庫間), 셋방 (貰房), 숫자 (數
•이처럼 관련 문제가 출제된다면 <보기>를 통해 판단 준거가 제시될 것이므로 <보기>의 관점 字), 찻간 (車間), 툇간 (退間), 횟
수  (回數)
을 먼저 파악한 후 그에 맞도록 문제를 풀어야 한다.

3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2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개념 07 첨가 2 반모음 첨가

1 ‘ㄴ’ 첨가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4

DAY
12 반모음 첨가는 모음으로 끝나는 형태소 뒤에 단모음으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와서 두 개의 모음이 연속될 때,
01 두 음운이 만날 때, 원래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현상을 모음과 모음 사이에 반모음 ‘ㅣ̆’가 새로 생겨 발음되는
( )(이)라고 한다. 현상이다.
02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할 때 앞뒤의 말 사이에
13 ‘되어’는 [되어]와 [되여]로 모두 발음할 수 있다.
‘ㄴ’이 첨가되는 현상을 ( )(이)라고 한다.  (,×)

14 ‘피어’는 [피어]로는 발음할 수 있지만, [피여]로 발음하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03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은 항상 [ㄴ]으로 발음한다.  (,×)
 (,×)

04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ㄴ’ 첨


가가 일어난다.  개념 08 축약
 (,×)
1 거센소리되기(격음화)
✽ 다음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5 홑이불 [ ]
15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새로운 음운이 되는 현상을
06 맨입 [ ] ( )(이)라고 한다.

07 한여름 [ ] 16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인 ‘ㅋ, ㅌ, ㅍ,


ㅊ’이 되는 현상을 ( )(이)라고 한다.
08 물약 [ ]

09 설익다 [ ]

10 막일 [ ] ✽ 다음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쓰시오.

17 법학 [ ]
11 ‘집일’에서 나타난 음운 변동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을 때,
18 잊히다 [ ]
㉠과 ㉡에 들어갈 알맞은 음운 변동을 쓰시오.
19 낳고 [ ]
집일 → [집닐] → [짐닐] 20 곱하기 [ ]
㉠ ㉡
21 백합 [ ]

㉠ 22 맏형 [ ]

정답
01 첨가 02 ‘ㄴ’ 첨가 03 × 04  05 혼니불 06 맨닙 07 한녀름 08 물략 09 설릭따 10 망닐 11 ㉠ ‘ㄴ’ 첨가 ㉡ 비음화 12  13  14 ×
15 축약 16 거센소리되기(격음화) 17 버팍 18 이치다 19 나코 20 고파기 21 배캅 22 마텽

B. 음운 변동 3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3 2020. 11. 26. 오전 9:59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06 ~ 개념 08

개념 06 탈락 B17 
2015(3월)/고1교육청 11

<보기>의 설명에 따를 때, ㉠ 에 들어갈 수 있는 단어로 적절한


탈락
것은? [2점]
[보기]
자음군 단순화 자음 탈락 모음 탈락 자음 두 개가 음절 끝에 놓일 때, 둘 중에서 하나의 자음
이 탈락하는 현상을 ‘자음군 단순화’라고 한다. 다음 그림
은 ‘칡’([칡] → [칙])과 같이 끝소리에 위치한 두 자음 중 앞
B15 
예상 문제 에 있는 자음(자음2)이 탈락하여 뒤에 있는 자음(자음3)만
<보기>를 참고할 때, 밑줄 부분의 발음이 옳지 않은 것은? [2점] 발음되는 현상을 시각화한 것이다.
[보기]
자음1  모음 자음1  모음
음절의 끝소리에 겹받침(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ㅊㅣ ㅊㅣ

ㄿ, ㅀ, ㅄ)이 올 때 두 개의 자음 가운데 하나가 탈락하고 ㄹㄱ ㄱ
자음2  자음3  자음3
하나만 발음되는 현상을 자음군 단순화라고 한다.
반면, 다음 그림은 ㉠ 과 같이 끝소리에 위치한 두
① 그는 아직 젊다[점ː따]. 자음 중 뒤에 있는 자음(자음3)이 탈락하여 앞에 있는 자음
② 잔디를 밟지[발ː찌] 마라. (자음2)만 발음되는 현상을 시각화한 것이다.
③ 하늘이 너무나 맑다[막따].
④ 바다가 너무나 넓다[널따]. 자음1 모음 자음1 모음

⑤ 여덟[여덜] 명이나 오지 않았다. 자음2 자음3 자음2

① 값, 넋 ② 값, 닭 ③ 값, 삶

B16 
예상 문제
④ 넋, 삶 ⑤ 닭, 삶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음운 변동은 어떤 음운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


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음운 변동은 그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 원래 있던 음운
이 없어지는 탈락,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첨가, 두 개의 음
운이 합쳐져서 하나로 되는 축약으로 분류된다.

① 놀-+-는 → [노는]
② 좋-+-은 → [조은]
③ 먹-+-은 → [머근]
④ 쓰-+-어라 → [써라]
⑤ 가-+-아서 → [가서] 

3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4 2020. 11. 26. 오전 9:59


B18 
2013(11월)/고1교육청 11 B20 
2015(6월)/고2교육청 11

<보기>를 바탕으로 음운의 탈락에 대해 이해한다고 할 때, 적절하 <보기 1>의 두 조항이 모두 적용된 사례를 <보기 2>에서 찾아 바르
지 않은 것은? [2점] 게 묶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1]
04

DAY
ⓐ ‌‘돌다’의 활용: ‘돌-’+‘-고’ → 돌고, ‘돌-’+‘-니’ → 도니 제18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
ⓑ ‌‘낳다’의 활용: ‘낳-’+‘-고’ → 낳고, ‘낳-’+‘-아’ → 낳아 로 발음한다.
…… 제29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 ‌‘쓰다’의 활용: ‘쓰-’+‘-고’ → 쓰고, ‘쓰-’+‘-어’ → 써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 유’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
ⓓ ‌‘가다’의 활용: ‘가-’+‘-고’ → 가고, ‘가-’+‘-아’ → 가 로 발음한다.
……
[보기 2]

① ⓐ에서는 어간의 끝소리 ‘ㄹ’이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 ㉠ 어느새 진달래 꽃잎[꼰닙]도 져 버렸구나.

에서 탈락되는군. ㉡ 아기가 색연필[생년필]로 낙서를 마구 해 댔다.


㉢ 엄마는 고구마를 식용유[시굥뉴]에 튀기고 계셨다.
② ⓑ에서는 ‘낳아’를 [나아]로 발음하므로 음운의 탈락이 표
㉣ 그녀는 아무 말 없이 직행열차[지캥녈차]를 타고 떠났다.
기에 반영되는군.
③ ⓒ에서는 어간의 모음 ‘ㅡ’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에서 탈락되는군.
④ ⓓ에서는 어간의 모음과 동일 음운이 연결될 경우 한 음
운이 탈락되는군.
⑤ ⓐ~ⓓ를 보니, 음운의 탈락에는 자음의 탈락과 모음의
탈락이 있음을 알 수 있군.

B21 
2017(3월)/고1교육청 13

다음은 음운 변동에 대한 선생님의 설명이다. 질문에 대한 답으로


개념 07 첨가 적절한 것은? [2점]

‘ㄴ’ 첨가
첨가 선생님: 음운 변동에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
반모음 첨가
상인 ‘교체’,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인 ‘탈락’,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현상인 ‘첨가’, 두 음운이 하나의 음
운으로 합쳐지는 현상인 ‘축약’이 있습니다.
B19 
예상 문제 그러면 ‘국물[궁물]’과 ‘몫[목]’에서는 각각 어떤 음운

<보기>의 음운 변동을 분석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변동이 일어날까요?

[보기]
국물 몫 국물 몫
㉠ 물약 → [물략] ㉡ 핥네 → [할레]
㉢ 홑이불 → [혼니불] ① 교체 탈락 ② 교체 첨가
③ 탈락 축약 ④ 첨가 교체
① ㉠~㉢은 각각 2회 이상의 음운 변동이 일어났다. ⑤ 첨가 탈락
② ㉠~㉢에 공통적으로 일어난 음운 변동은 교체이다.
③ ㉠~㉢은 모두 음운 변동의 결과 음운의 개수에 변화가
없다.
④ ㉠과 ㉡에서 일어난 음운 변동의 횟수는 같다.
⑤ ㉠에서 첨가된 음운은 ㉢에서 첨가된 음운과 같다.

❖ 정답 및 해설 13~15p B. 음운 변동 3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5 2020. 11. 26. 오전 9:59


B22 
2018(6월)/고1교육청 11 B24 
2017(6월)/고1교육청 11

<보기>는 음운 변동에 대한 선생님의 설명이다. 질문에 대한 답으 <보기>의 (ㄱ)과 (ㄴ)에 나타나는 음운 변동으로 적절한 것은? [3점]
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보기] 음운 변동은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원
•선생님: 음운 변동은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 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첨
로 바뀌는 교체, 두 개의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합쳐 가’, 두 개의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로 되는 ‘축약’으로 분류
지는 축약, 두 개의 음운 중 하나의 음운이 없어지는 탈 할 수 있다.
락, 원래 없던 음운이 새로 덧붙는 첨가가 있습니다. 단어에 따라 아래 예와 같이 한 단어에서 두 가지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다음 ‘잡일’과 동일한 음운 변동 과정이 일어나는 단어는
 물약 [물냑] [물략]
무엇일까요? (ㄱ) (ㄴ)
잡일 → [잡닐] → [잠닐]
첨가 교체 (ㄱ) (ㄴ) (ㄱ) (ㄴ)
① 첨가 교체 ② 첨가 탈락
① 법학[버팍] ② 담요[담뇨] ③ 탈락 교체 ④ 교체 첨가
③ 국론[궁논] ④ 색연필[생년필] ⑤ 교체 축약 
⑤ 한여름[한녀름] 

B25 
2017(3월)/고2교육청 11

B23 
2017(9월)/고2교육청 13 <보기>의 설명에 따를 때, 음운 변동 ⓐ, ⓑ가 모두 일어나는 단어
<보기>의 활동 과제를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2점] 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보기]

[활동 과제] 다음은 ‘맨입’과 ‘국민’을 발음할 때에 일어나는 음운 변


음운 변동의 유형에는 ‘교체’, ‘첨가’, ‘탈락’, ‘축약’이 있다. 동을 나타낸 것이다. ‘맨입’은 음운 변동 ⓐ가 일어나 [맨
ⓐ: 교체 –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닙]으로 발음되고, ‘국민’은 음운 변동 ⓑ가 일어나 [궁민]
ⓑ: 첨가 –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기는 현상 으로 발음된다.
ⓒ: 탈락 – 한 음운이 없어지는 현상
ⓓ: 축약 – 두 음운이 합쳐져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맨입’ ‘국민’

㉠과 ㉡에 해당하는 음운 변동을 ⓐ~ⓓ 중에서 골라


보자. ⓐ ⓑ

불여우 [불녀우] [불려우]


㉠ ㉡ [맨닙] [궁민]

㉠ ㉡
① ⓐ ⓐ ① 막일 ② 담요 ③ 낙엽 ④ 곡물 ⑤ 강약

② ⓐ ⓑ
③ ⓑ ⓐ
④ ⓑ ⓒ
⑤ ⓒ ⓓ

3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6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08 축약 B28 
2015(11월)/고2교육청 11

<보기>의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적절한 것은? [3점]


축약 거센소리되기
[보기]
선생님: 음운 변동은 그 결과에 따라 교체, 탈락, 첨가, 축
약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교체는 한 음운이 다른 음
B26 05

DAY

예상 문제 운으로 바뀌는 현상이며, 탈락은 두 음운 중에서 어느
<보기>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하나가 없어지는 현상입니다. 첨가는 없던 음운이 추가
[보기] 되는 현상이며,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
축약에는 ‘ㄱ, ㄷ, ㅂ, ㅈ’이 ‘ㅎ’과 만나 거센소리인 ‘ㅋ, 으로 줄어드는 현상입니다. 그럼 다음 학습 자료들은 각
ㅌ, ㅍ, ㅊ’이 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거센소리되기라고 각 음운 변동의 어떤 유형에 해당하는지 그 이유를 들어
한다. 설명해 볼까요?

① 입학 → [이팍] ② 같이 → [가치] [학습 자료]


③ 낳고 → [나코] ④ 않던 → [안턴] ㉠ 줍 + 고 → [줍꼬] ㉡ 넣 + 은 → [너ː은]

⑤ 잊히다 → [이치다] ㉢ 먹 + 는 → [멍는] ㉣ 쌓 + 지 → [싸치]


㉤ 논 + 일 → [논닐]

① ㉠은 첨가에 해당합니다. 왜냐하면 ‘ㅂ’의 영향을 받아


‘ㄱ’에 ‘ㄱ’이 추가되어 ‘ㄲ’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② ㉡은 축약에 해당합니다. 왜냐하면 ‘ㅎ’으로 끝나는 어간
과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여 하나의 모음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B27 
2016(6월)/고2교육청 14 ③ ㉢은 탈락에 해당합니다. 왜냐하면 ‘ㄴ’의 영향을 받아
<보기>의 ㉠ ~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2점] ‘ㄱ’이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보기] ④ ㉣은 교체에 해당합니다. 왜냐하면 ‘ㅈ’이 ‘ㅎ’의 영향을
음운의 변동 중 ㉠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서 하나의 받아 ‘ㅊ’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음운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반면 ㉡ 탈락은 두 음 ⑤ ㉤은 첨가에 해당합니다. 왜냐하면 ‘ㄴ’으로 끝나는 형태
운이 만나면서 한 음운이 사라져 소리가 나지 않는 현상을 소와 ‘ㅣ’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결합할 때 ‘ㄴ’이
말한다. 이러한 축약과 탈락은 ㉢ 자음에서 일어나는 경우 추가되었기 때문입니다.
와 ㉣ 모음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

① ‘싫다[실타]’는 ㉠과 ㉣에 해당된다.
② ‘좋아요[조아요]’는 ㉡과 ㉣에 해당한다.
③ ‘울-+-는 → 우는’은 ㉠과 ㉢에 해당된다.
④ ‘크-+-어서 → 커서’는 ㉡과 ㉣에 해당한다.
⑤ ‘나누-+-었다 → 나눴다’는 ㉠과 ㉢에 해당한다.

❖ 정답 및 해설 15~17p B. 음운 변동 3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7 2020. 11. 26. 오전 9:59


B29 
2019(6월)/고1교육청 13 B31 
2020(3월)/고1교육청 11

<보기>를 참고하여 음운 변동 사례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 <보기>의 ‘선생님’의 마지막 질문에 대한 ‘학생’의 대답에서 ㉠, ㉡
지 않은 것은? [2점]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3점]
[보기] [보기]

음운의 변동은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선생님: 음운 변동이 여러 번 일어날 때 최종적으로 음운의
어떤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 새로운 음운이 생기는 첨가, 수가 얼마나 바뀌었는지 파악하기 어려웠죠? 오늘은 좌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으로 합쳐지는 축약으로 구분된다. 표를 이용해서 이를 쉽게 확인해 볼게요.
이 좌표 평면에서 0인
① ‘밥물[밤물]’이 발음될 때에는 ‘ㅂ’이 ‘ㅁ’의 영향을 받아 별표(★)를 기준으로, 음
‘ㅁ’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운의 수가 늘어나는 ‘첨가’
② ‘광한루[광ː할루]’가 발음될 때에는 ‘ㄴ’이 ‘ㄹ’의 영향을 받 는 늘어난 음운 수만큼 위
아 ‘ㄹ’로 교체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쪽으로, 음운의 수가 줄어
③ ‘좋아[조ː아]’가 발음될 때에는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와 드는 ‘탈락’과 ‘축약’은 줄

만나 ‘ㅎ’이 탈락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어든 음운 수만큼 아래쪽


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④ ‘색연필[생년필]’이 발음될 때에는 첨가되는 ‘ㄴ’으로 인해
음운의 수가 변하지 않는 ‘교체’는 교체 횟수만큼 오른쪽
‘ㄱ’이 ‘ㅇ’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으로 이동합니다.
⑤ ‘옷 한 벌[오탄벌]’이 발음될 때에는 ‘ㅅ’이 탈락한 후 첨가
예를 들어 ‘걷히다’는 거센소리되기에 의해 [거티다]가
되는 ‘ㄷ’이 ‘ㅎ’과 만나 ‘ㅌ’으로 축약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된 후 구개음화에 의해 [거치다]가 되므로, 축약과 교체
가 한 번씩 일어나 ㉲로 이동합니다. 그 결과 음운의 수
가 한 개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러면 ‘색연필’의 음운 변동 양상은 어떻게 될까요?
학생: 제 생각에는 ‘색연필’이 ‘[색년필 → 생년필]’로 바뀌므
로, ( ㉠ )이/가 한 번씩 일어나 ( ㉡ )로 이동합니다.

B30 
그 결과 음운의 수가 한 개 늘어납니다.
2018(11월)/고2교육청 13

<보기>의 ㉠ ~ ㉣에서 설명한 음운 변동이 일어난 예로 적절한 것


㉠ ㉡
은? [2점]
① 첨가와 교체 ㉮
[보기]
② 첨가와 교체 ㉯
㉠ 원래 없던 음운이 새로 생긴다.
③ 첨가와 탈락 ㉰
㉡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뀐다.
④ 탈락과 교체 ㉱
㉢ 두 개의 음운 중 한 음운이 없어진다.
㉣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음운으로 바뀐다.
⑤ 탈락과 교체 ㉲

① ㉠: 설날[설ː랄], 한여름[한녀름]
② ㉢: 놓아[노아], 없을[업ː쓸]
③ ㉣: 앉히다[안치다], 끓이다[끄리다]
④ ㉠+㉡: 구급약[구ː금냑], 물엿[물렫]
⑤ ㉡+㉢: 읊조리다[읍쪼리다], 꿋꿋하다[꾿꾸타다]

3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8 2020. 11. 26. 오전 9:59


B32 
2022(수능)/예시문항 37 B33 
2019(11월)/고2교육청 11

<보기>의 [A]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의 ㉠과 ㉡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보기]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수영: 내일이 방송부 아나운서를 선발하는 날인데, 잘할 수 [보기 1]

있을지 걱정이야. 음운의 변동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어떤 음운


05

DAY
진수: 너무 걱정 마. 내가 대본에다가 발음에 주의해야 할 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교체’, 새로운 음운이 생기는 ‘첨
단어들의 표준 발음을 표시해 봤어. 확인해 봐. 가’, 어떤 음운이 없어지는 ‘탈락’, 두 음운이 하나의 음운
으로 합쳐지는 ‘축약’이 그것이다.
[방송 대본]
[보기 2]
어제는 책을 열심히 ㉠ 읽는[잉는] 친구에게 선물할 책
을 사려고 ㉡ 서울역[서울력] 안에 있는 서점에 갔어요. ㉢ [학생이 작성한 학습지]
복잡한[복짜판] 인파를 헤치고 서점 ㉣ 깊숙이[깁쑤기] 들 ※ 빈칸에 ⓐ~ⓓ의 표준 발음을 채우시오.
어가서 친구에게 줄 시집을 드디어 찾아냈지요. 시집을 펼
쳐 마음에 드는 시를 ㉤ 읊다가[읍따가] 약속 시간에 늦었 ㉠ ㉡
지만 친구는 제 선물을 받고 정말 기뻐했어요.

수영: 그런데 왜 이 발음이 표준 발음이지? 내가 아는 것


과는 다른데……. 우리가 배운 음운 변동과 관련이 있는  가로: ⓐ 굳히다  가로: ⓒ 꽃이슬
거야?  세로: ⓑ 훑이다  세로: ⓓ 솜이불
진수: 맞아. 각 단어에서 일어난 음운 변동을 모두 살펴보
면, [A] ① ㉠은 ⓐ에서 ‘교체’가, ⓑ에서 ‘탈락’이 일어나 발음된 것
수영: 그렇구나. 고마워. 이다.
② ㉡은 ⓒ에서 ‘첨가’가, ⓓ에서 ‘축약’이 일어나 발음된 것
① ㉠에서는 탈락과 교체가 한 번씩 일어나 [잉는]으로 발음돼. 이다.
② ㉡에서는 한 번의 첨가가 일어나 [서울력]으로 발음돼. ③ ㉠은 ⓐ와 ⓑ에서 공통적으로 ‘축약’이 일어나 발음된 것
③ ㉢에서는 축약과 교체가 한 번씩 일어나 [복짜판]으로 발 이다.
음돼. ④ ㉡은 ⓒ와 ⓓ에서 공통적으로 ‘교체’가 일어나 발음된 것
④ ㉣에서는 두 번의 교체가 일어나 [깁쑤기]로 발음돼. 이다.
⑤ ㉤에서는 한 번의 탈락과 두 번의 교체가 일어나 [읍따 ⑤ ㉡은 ⓒ와 ⓓ에서 공통적으로 ‘첨가’가 일어나 발음된 것
가]로 발음돼. 이다.

❖ 정답 및 해설 18~20p B. 음운 변동 3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39 2020. 11. 26. 오전 9:59


[ B34~ 35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B34 
2020(9월)/고1교육청 11

가 ◯◯ 고등학교 국어 자료실 게시판 <보기>는 윗글을 바탕으로 탐구한 자료이다. ⓐ, ⓑ에 들어갈 단어


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3점]
묻고 답하기
[보기]
[질문] ‌‘국’은 [국]으로 발음하는데, 왜 ‘국물’은 [궁물]로 발음하나요?

[답변] ‌‘국물’은 비음화가 일어난 경우입니다. ‘국물’의 받침 ‘ㄱ’이 비 음운 변동의 결과로 음운의 개수가 달라졌는가?
음 ‘ㅁ’ 앞에서 비음 ‘ㅇ’으로 바뀌어 [궁물]로 발음됩니다. 예 아니요

한 음운이 다른 음운의
두 음운 중 하나가
나 우리말에는 (가)의 사례처럼 한 음운이 일정한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아 비슷하거나
탈락하였는가?
같은 소리로 바뀌었는가?
다르게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이런 현상을 ‘음운 변동’이라고
하며 비음화, 거센소리되기, 모음 탈락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예 아니요 예 아니요

비음화는 비음이 아닌 ‘ㄱ, ㄷ, ㅂ’이 뒤에 오는 비음 ‘ㄴ, ㅁ’ ⓐ ⓑ


의 영향을 받아 각각 비음인 ‘ㅇ, ㄴ, ㅁ’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한 음운이 다른 음운의 영향을 받아 비 ⓐ ⓑ
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는 원리로, ‘밥만’, ‘닫는’도 각각 [밤 ① 창밖[창박] 능력[능녁]
만], [단는]으로 발음된다. 또한 ‘담력[담ː녁]’, ‘종로[종노]’처럼 ② 놓다[노타] 다섯[다섣]
‘ㄹ’이 비음 ‘ㅁ, ㅇ’ 뒤에서 비음 ‘ㄴ’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것도 ③ 맏형[마텽] 식물[싱물]
비음화이다. ④ 쓰-+-어 → 써[써] 법학[버팍]
거센소리되기는 ‘ㄱ, ㄷ, ㅂ, ㅈ’이 ‘ㅎ’과 합쳐져 거센소리인 ⑤ 타-+-아라 → 타라[타라] 집념[짐념]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한다. 예로 ‘축하’는 ‘ㄱ’


과 ‘ㅎ’이 합쳐져서 하나의 음운인 ‘ㅋ’이 되어 [추카]로 발음되
며, 음운의 개수도 5개에서 4개로 줄어든다.
모음 탈락은 두 모음이 이어질 때 그중 한 모음이 탈락하
는 현상을 말한다. ‘가-+-아서’가 ‘가서[가서]’가 되거나 ‘담
그-+-아’가 ‘담가[담가]’가 되는 경우가 그 예이다.
그리고 우리말에서 음절의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뿐이므로 그 이외의 자음이 음절의 끝에 오
B35 
2020(9월)/고1교육청 12
면 앞에 제시된 자음 중 하나로 발음하게 되는데, 이것도 음운
밑줄 친 단어 중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변동 현상에 해당한다. ‘부엌[부억]’, ‘옷[옫]’이 그 예이다.
① 그는 자신의 뜻을 굽히지[구피지] 않았다.
한편 음운 변동은 한 단어 안에서 한 번만 일어나기도 하고,
② 올 가을에는 작년[장년]보다 단풍이 일찍 물들었다.
㉠ 여러 차례 일어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앞마당’은 먼저 음절
③ 미리 준비하지 않고[안코] 이제야 허둥지둥하는구나.
④ 우리 집 정원에는 개나리, 장미꽃[장미꼳] 등이 있다.
끝의 자음 ‘ㅍ’이 ‘ㅂ’으로 바뀐 후 비음화가 일어나 [암마당]으
로 발음된다.
⑤ 물감을 섞는[성는] 방법에 따라 표현 효과가 달라진다.


4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0 2020. 11. 26. 오전 9:59


B36 
2019(11월)/고1교육청 15 B37 
2017(11월)/고2교육청 11

다음은 사전 활용 수업 장면의 일부이다. 선생님의 설명을 참고하 <보기>는 음운 변동에 대한 수업의 한 장면이다. 학생들의 활동 결
여 <보기>의 학습지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과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선생님: 우리는 ‘표준국어대사전’의 발음 정보를 통해 음절 선‌생님: 지난 시간에는 음운 변동 현상인 교체, 탈락, 축약,
의 끝소리 규칙이나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는 체언의
05

DAY
첨가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오늘은 음운 변동이 두 가지
발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연음될 때의 이상 나타나는 단어를 통해 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적
발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조사 ‘이’와의 결합형이 용해 보겠습니다. 모둠별로 칠판에 제시한 단어에서 일
활용 정보에 제시됩니다. 활용 정보에는 비음화와 구개 어나는 음운 변동 현상을 분석한 후, 분석 결과에 따라
음화가 일어날 때의 발음도 제시되어 있으며, 구개음화 해당 항목에 알맞은 단어 카드를 붙여 볼까요?
의 경우에는 연음될 때의 발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조사 ‘을’과의 결합형도 제시됩니다. 맛없다 영업용 깨끗하다 급행열차

[보기] 교체와 탈락 :ⓐ

낯 발음: [낟] 교체와 축약 :ⓑ

활용: 낯이[나치], 낯만[난만] 교체와 첨가 :ⓒ

「명사」 눈, 코, 입 따위가 있는 얼굴의 바닥 축약과 첨가 :ⓓ

밭 발음: [받]
활용: 밭이[바치], 밭을[바틀], 밭만[반만]
ⓐ ⓑ ⓒ ⓓ
「명사」
‌ 물을 대지 아니하거나 필요한 때에만 물을 대어
① 급행열차 깨끗하다 맛없다 영업용
서 야채나 곡류를 심어 농사를 짓는 땅
② 맛없다 급행열차 영업용 깨끗하다
③ 맛없다 깨끗하다 영업용 급행열차
흙 발음: [흑]
④ 깨끗하다 영업용 맛없다 급행열차
활용: 흙이[흘기], 흙만[흥만]
‌「명사」 지구의 표면을 덮고 있는, 무기물과 유기물이 ⑤ 깨끗하다 맛없다 급행열차 영업용
섞여 이루어진 물질

① ‘낯’의 경우 발음 정보를 통해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일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군.
② ‘흙’의 경우 발음 정보를 통해 자음군 단순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군.
③ ‘낯’과 ‘밭’은 모두, 활용 정보를 통해 구개음화가 일어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군.
④ ‘밭’과 ‘흙’은 모두, 활용 정보를 통해 연음될 때의 발음 양
상을 확인할 수 있군.
⑤ ‘낯’, ‘밭’, ‘흙’은 모두, 활용 정보를 통해 비음화가 일어나
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군.

❖ 정답 및 해설 20~22p B. 음운 변동 4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1 2020. 11. 26. 오전 9:59


1등급 킬러 문제 B40 
2019(6월)/고2교육청 13

<보기>는 문법 수업의 일부이다.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적절한 것은? [3점]
B38 
2020(6월)/고2교육청 13 [보기]

<보기>의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3점] 선생님: 음운의 변동은 발음 결과에 따라 한 음운이 다른
[보기] 음운으로 바뀌는 ㉠ 교체,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아래의 단어들을 음운 변동 양상에 따라 둘로 분류할 ㉡ 탈락, 없던 음운이 추가되는 ㉢ 첨가, 두 음운이 합쳐
때, 어떤 질문이 적절한지 알아봅시다. 져서 하나의 음운으로 바뀌는 ㉣ 축약으로 나눌 수 있습
니다.
놓는[논는], 닳아[다라], 막일[망닐], 칼날[칼랄]
[질문] 다음 밑줄 친 부분에서 일어나는 음운의 변동 양상
을 설명해 볼까요?
질문 ㉠
예 아니요
대답 나는 어제 사 온 책을 읽느라 밤을 꼬박 새웠다. 목
놓는[논는], 칼날[칼랄] 닳아[다라], 막일[망닐] 차만훑고서 사 온 책은 기대보다 훨씬 재미있었다.
장시간 책을 봐서인지 머리가 아팠다. 그러나 예삿
① 음운 변동 전후 음운의 수가 동일한가? 일로 생각해 어머니께서 챙겨 주신 알약을 먹지 않고
② 자음과 모음의 변동이 모두 일어났는가? 있다가 결국 몸살을 앓았다.
③ 음운 변동의 결과가 표기에 반영되었는가?
④ 음운 변동이 앞 음절에서만 발생하였는가?
① ‘읽느라[잉느라]’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⑤ 조음 방법이 같아지는 음운 변동이 일어났는가?
② ‘훑고서[훌꼬서]’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③ ‘예삿일[예산닐]’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④ ‘알약을[알랴글]’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⑤ ‘앓았다[아랃따]’에서 ㉡과 ㉣이 일어납니다.

B39 
2019(9월)/고2교육청 13

<보기>의 ㄱ∼ㄹ에 대해 탐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ㄱ. 신라[실라] ㄴ. 국물[궁물]
ㄷ. 올여름[올려름] ㄹ. 해돋이[해도지]

① ㄱ과 ㄴ은 모두 앞의 음운이 뒤의 음운의 성질을 닮아 변


동된 것이군.
② ㄱ과 ㄷ은 모두 하나의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
상이 일어났군.
③ ㄱ과 ㄹ은 모두 음운의 변동이 일어나기 전과 후의 음운
의 개수에 변화가 없군.
④ ㄴ과 ㄷ은 모두 두 형태소가 결합할 때 음운 변동이 일어
났군.
⑤ ㄷ과 ㄹ은 모두 두 번 이상의 음운 변동이 일어났군.

4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 정답 및 해설 22~24p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2 2020. 11. 26. 오전 9:59


PART
단어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개념 09 단어와 형태소

개념 10 단어의 구성 요소와 종류

개념 11 복합어

D 단어의 분류
개념 12 품사

개념 13 체언

개념 14 용언

개념 15 수식언

개념 16 관계언과 독립언

E 단어의 의미
개념 17 의미의 유형과 사전 활용하기

개념 18 단어의 의미 관계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3 2020. 11. 26. 오전 9:59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개념 09 단어와 형태소
단어와 형태소는 문장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다. 생각 +

★★조사는 왜 단어일까?
동생이 나에게 사탕을 주었다.
단어는 자립성과 분리성의 특성을
•단어 → 동생, 이, 나, 에게, 사탕, 을, 주었다 갖는다. 조사는 비록 홀로 쓰일 수
는 없지만 조사 앞에 오는 체언이
•형태소 → 동생, 이, 나, 에게, 사탕, 을, 주-, -었-, -다 자립성이 있어 비교적 앞말과 쉽

1 단어 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단어로


처리한다.
뜻을 가지고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이나 자립할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 그녀는 사과를 먹는다.
말이다. 단어는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둘 이상의 형태소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조사 ‘는’, ‘를’은 홀로 쓰일 수 없지
만 ‘그녀’와 ‘사과’라는 단어에 붙어
•나무가 무척 푸르다. → 나무, 가, 무척, 푸르다
뜻을 가지고 홀로 자립할 수 있는 말: 나무, 무척, 푸르다
문법적 기능을 하며, 앞 단어에서
자립할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 가 분리되어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다. → 많은, 사람들, 이, 오고, 가다


뜻을 가지고 홀로 자립할 수 있는 말: 많은, 사람들, 오고, 가다
자립할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 이

2 형태소
1. 형태소의 개념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 또는 더 이상 나누면 뜻을 잃어버리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이다.

사과 사과나무 사과 나무

둘로 나누면 의미를 잃어버리므로 하나의 형태소 둘로 나누어도 의미를 잃지 않으므로 두 개의 형태소

2. 형태소의 종류
형태소는 ‘자립성의 유무’와 ‘의미의 성격’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자립 형태소 자립성이 있음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참고
자립성의 유무
의존 형태소 자립성이 없음. 조사, 어미, 접사, 용언의 어간 ★★용언의 어간의 형태소 분석

실질 형태소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냄.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용언의 어간 어간은 용언(동사, 형용사)에서 변
의미의 성격 하지 않는 부분을 말한다. 예를 들
형식 형태소 문법적인 의미를 나타냄. 조사, 어미, 접사
어 ‘먹다’는 ‘음식 따위를 입을 통하
 여 배 속에 들여보내다.’라는 의미
를 갖고 있는데, ‘먹어라’, ‘먹었구
문장 동생 이 나 에게 사탕 을 주 었 다. 나’ 등으로 활용되어도 그 의미는
자립 / 의존 자립 의존 자립 의존 자립 의존 의존 의존 의존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어간은 홀
실질 / 형식 실질 형식 실질 형식 실질 형식 실질 형식 형식 로 사용되지 못하고 ‘-어라’, ‘-었
구나’와 같이 어미가 결합되어야만
3. 단어와 형태소의 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어간은 실
질 형태소이지만 의존 형태소이다.
(1) 자립성의 여부: 조사를 제외한 모든 단어는 자립하여 쓸 수 있는 말의 단위이지만, 형태소는
홀로 쓸 수 없는 의존 형태소도 있다.
(2) 형태소의 개수: 단어는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것도 있고,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
진 것도 있다.
 ‌밤나무: 1개의 단어, 2개의 형태소(밤 + 나무)

4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4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1 단어 11 ‘하늘에 별이 많다.’라는 문장에 쓰인 의존 형태소는 모


두 3개이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01 단어란 뜻을 가지고 홀로 ( )하여 쓸 수 있는 말이
12 형태소 중에 자립 형태소만이 단어로 인정된다.
나 자립할 수 있는 말에 붙어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말
 (,×)
06

DAY
이다.
13 ‘밥을 먹다.’에서 ‘먹다’는 의존 형태소와 자립 형태소가
02 ( )은/는 홀로 쓰일 수 없지만, 앞말과 쉽게 분리
결합한 단어이다.
되어 단어로 인정한다.
 (,×)
03 단어는 자립성과 ( )의 특성을 갖는다.

✽ 다음 문장의 형태소를 <보기>와 같이 분석하시오.


✽ 다음 문장을 <보기>와 같이 단어로 나누시오.
[보기]
[보기] 나는 라면을 먹었다. → 나/는/라면/을/먹/었/다
나∨는∨동생∨이∨제일∨좋다
14 하늘이 매우 푸르다.
04 나를 믿는 것은 언제나 우리 가족이다.
05 엄마는 늦은 밤에도 간식을 만들어 주신다.
15 오늘은 하늘에 별이 참 많다.

2 형태소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문장의 형태소를 종류에 맞게 분류하시오.


06 형태소는 ( )을/를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이다.
꽃이 피면 마음이 설렌다.
07 형태소는 의미의 ( )에 따라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로 나뉜다.
16 자립 형태소:
08 조사는 실질적인 의미는 없고 문법적인 의미만 갖고 있
17 의존 형태소:
으므로 ( ) 형태소이고, 홀로 쓰일 수 없으므로
( ) 형태소이다. 18 실질 형태소:
19 형식 형태소: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9 ‘복숭아’는 더 이상 쪼개면 그 의미를 잃어버리는 하나 20 다음 문장에서 실질 형태소의 개수는?


의 형태소이다. 
 (,×)
동생이 나에게 몰래 사탕을 주었다.
10 용언의 어간은 실질 형태소이자, 자립 형태소이다.
 (,×) ① 1개 ② 2개 ③ 3개 ④ 4개 ⑤ 5개

정답
01 자립 02 조사 03 분리성 04 나∨를∨믿는∨것∨은∨언제나∨우리∨가족∨이다 05 엄마∨는∨늦은∨밤∨에∨도∨간식∨을∨만들어∨주신다 06 뜻(의미)
07 성격 08 형식, 의존 09  10 × 11 × 12 × 13 × 14 하늘/이/매우/푸르/다 15 오늘/은/하늘/에/별/이/참/많/다 16 꽃, 마음
17 이, 피-, -면, 이, 설레-, -ㄴ-, -다 18 꽃, 피-, 마음- 설레- 19 이, -면, 이, -ㄴ-, -다 20 ⑤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4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5 2020. 11. 26. 오전 9:59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개념 10 단어의 구성 요소와 종류
1 단어의 구성 요소
1. 어근과 접사의 개념
(1) 어근: 단어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로, 의미의 중심부를 이루는 부분이다. 개념+

★★어근과 어간의 차이
가방 김 밥 김밥
어근은 단어를 형성할 때 실질적
의미를 지닌 중심 부분이고, 어간
은 용언이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고정된 부분이다.
예를 들면, ‘잡히다’에서 어근은 ‘잡-’
‘가방’은 더 이상 쪼갤 수 없음.  ‘김밥’은 ‘김’과 ‘밥’으로 쪼개짐.
이 되고 어간은 ‘잡히-’가 된다. 이
 ‌‘가방’은 그 자체가 중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형태소에 기대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단 때, ‘-히-’는 피동 접미사로, 어근
어이면서 어근에 속한다. 반면, ‘김밥’이라는 단어는 ‘김’과 ‘밥’이 둘 다 의미의 중심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김’과 ‘밥’ 모 ‘잡-’에 결합하여 어간의 일부가
두 어근의 자격을 갖는다. 된다.

(2) 접사: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항상 다른 어근이나 단어의 앞이나 뒤에 붙어서 뜻을 더하거나


참고
제한하는 형태소로, 의미의 주변부이다.
★★기능에 따른 접사의 종류
햇- + 밤 = 햇밤  ‘햇밤’은
‌ 접사 ‘햇-’이 ‘밤’이라는 중심적 의미에 ‘당해에 난’이라는 뜻을 더하여 ‘당해에
홀로 쓰이지 못하는 접사 새로 난 밤’이라는 의미를 형성한 단어이다. 어근에 일정한 의미만
한정적 을 더할 뿐 품사를 바꾸
2. 접사의 종류 접사 지 않는 접사
 ‘햇밤’의 ‘햇-’
접사는 놓이는 위치에 따라 그 종류를 나눌 수 있다. 어근의 앞에 붙는 것을 접두사라고 하고,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어근의 뒤에 붙는 것을 접미사라고 한다. 지배적 접사
접사  ‌지우다 (동사) →
접두사 접미사
지우개 (명사)
위치 어근의 앞에 붙음.  군말, 날고기, 돌배 어근의 뒤에 붙음.  사냥꾼, 멋쟁이, 잠보
어근의 품사를 거의 바꾸지 않음.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경우가 비교적 많음.
특징
 파랗다 (형용사) → 새파랗다 (형용사)  먹다 (동사) → 먹이 (명사)
생각 +
수량 접미사보다 수가 적음. 접두사에 비해 수가 많음.
★★접두사의 품사 바꿈
접두사가 붙은 단어의 경우 품사
가 바뀌는 일이 거의 없다. 하지만,
2 단어의 종류 동사 ‘마르다’에 접두사 ‘메-’, ‘강-’
이 붙어 만들어진 ‘메마르다’와 ‘강
단일어 어근 마르다’는 형용사로 품사가 바뀌게
된다. 따라서 접두사에 의해 만들
단어 합성어 어근 + 어근 어진 단어라도 품사가 바뀌는 예가
복합어 있다는 것을 기억해 두어야 한다.
접두사 + 어근
파생어
어근 + 접미사
개념+
1. 단일어
★★직접 구성 요소
하나의 어근, 즉 실질 형태소 하나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직접 구성 요소는 어떤 말을 둘로
 바람:
‌ ‘바’와 ‘람’으로 쪼개면 의미가 사라지므로 단일어이다.
쪼개었을 때, 그 둘 각각을 가리키
는 말로, 직접 성분이라고도 한다.
2. 복합어 합성어는 단어를 두 직접 구성 요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거나 어근과 접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복합어는 다시 둘 소로 쪼개었을 때 둘 다 어근인 단
어이고, 파생어는 단어를 두 직접
이상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합성어’와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파생어’로 나눌 수 있다. 구성 요소로 쪼개었을 때 둘 중 하
 돌다리
‌ → ‘돌’(어근) + ‘다리’(어근): 어근과 어근이 결합된 단어, 합성어 나가 접사인 단어이다.
지우개 → ‘지우 -’(어근) + ‘-개’(접사): 어근과 접사가 결합된 단어, 파생어

4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6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단어의 구성 요소 2 단어의 종류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단어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을 ( ) 13 ㉠


(이)라고 한다.
단어 ㉡
06

DAY
02 ( )은/는 용언이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을 말 복합어
한다. 합성어
03 접사 중에서 어근의 앞에 붙는 것을 ( )(이)라고
14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 )(이)라고
한다.
한다.
04 어근 뒤에 붙어서 어근의 품사를 바꾸기도 하는 접사를
15 ‘돌다리’와 같이 둘 이상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를
( )(이)라고 한다.
( )(이)라고 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5 접사는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16 복합어가 이루어지는 조건은 둘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 결합할 때이다. 
 (,×)
06 접두사는 단어의 품사를 바꾸지 못한다. 
 (,×) 17 파생어는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를 말한다.
 (,×)
07 어근에 일정한 의미만을 더할 뿐 품사를 바꾸지 않는
접사를 지배적 접사라고 한다.  18 파생어는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결합하여 이루
 (,×) 어진 단어이다. 
 (,×)
08 ‘지우개’의 ‘-개’는 한정적 접사이다.
 (,×)
19 다음 중 ‘어근+접사’로 구성된 단어가 아닌 것은?
① 가위질 ② 나무꾼 ③ 날고기
✽ 다음 단어들을 <보기>와 같이 분석하시오. ④ 눈사람 ⑤ 잠보
[보기]

김밥(어근+어근), 돌배(접사+어근)
✽ 다음 단어들을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누시오.

09 먹이:
쌀, 바람, 하늘, 구름, 산나물,
10 군말: 풋사과, 첫사랑, 햇밤, 군소리

11 사냥꾼:
20 단일어:
12 멋쟁이:
21 복합어:

정답
01 어근 02 어간 03 접두사 04 접미사 05  06 × 07 × 08 × 09 먹이(어근+접사) 10 군말(접사+어근) 11 사냥꾼(어근+접사) 12 멋쟁이(어근+접사)
13 ㉠ 단일어 ㉡ 파생어 14 단일어 15 합성어 16 × 17  18  19 ④ 20 쌀, 바람, 하늘, 구름 21 산나물, 풋사과, 첫사랑, 햇밤, 군소리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4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7 2020. 11. 26. 오전 10:00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개념 11 복합어
1 파생어
1. 파생어의 개념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어로, 접사가 붙는 위치에 따라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로 나눌 수 있다.
 ‌‘헛디디다’는 ‘발을 올려놓고 서거나 발로 내리누르다.’라는 실질적 의미인 ‘디디다’에
‘잘못’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접사 ‘헛-’이 결합한 접두 파생어이다.

헛디디다: 헛- + 디디다
접사 어근
2. 파생어의 분류
생각 +
(1) 접두 파생어: 어근 앞에 접두사가 결합한 파생어로, 접두사는 일반적으로 품사를 바꾸지 않
★★관형사와 접두사의 구분
는다. 자주 쓰이는 접두사는 다음과 같다.
관형사와 접두사는 아래의 예와
접두사의 종류 접두사 접두사의 의미 예 같은 특성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관형사
시- ‘남편의’ 시아버지, 시어머니, 시누이
① ‌홀로 쓰이며 그 자체가 하나
명사에 붙는 맨- ‘다른 것이 없는’ 맨밥, 맨손, 맨땅, 맨발 의 단어임.
접두사 날- ‘말리거나 익히거나 가공하지 않은’ 혹은 ‘지독한’ 날고기, 날것, 날강도 새책
군- ‘쓸데없는’ 군소리, 군말, 군살 ② ‌다른 단어가 끼어들 수 있음.
새-/ 새까맣다/시꺼멓다  새 책 → 새 문법 책
‘매우 짙고 선명하게’
시- 새파랗다/시퍼렇다 ③ ‌뒤에 다양한 단어가 올 수 있음.
용언에 붙는
(일부 동사 앞) ‘마구’, ‘매우 심하게’ 휘갈기다, 휘감다, 휘젓다  새+옷, 새+건물, ……
접두사 휘-
(몇몇 형용사 앞) ‘매우’ 휘넓다, 휘둥그렇다
•‌접두사
치- ‘위로 향하게’, 혹은 ‘위로 올려’ 치뜨다, 치솟다, 치받다 ① ‌홀로 쓰이지 못하며 단어가
(일부 명사 앞) ‘이유 없는’, ‘보람 없음.’ 헛수고, 헛소리, 헛일, 헛걸음 아님.
명사나 용언에 헛-
(일부 동사 앞) ‘보람 없이’, ‘잘못’ 헛디디다, 헛돌다, 헛살다  새까맣다
모두 붙을 수
(일부 명사 앞) ‘거듭된’ 또는 ‘겹쳐 신거나 입는’ 덧니, 덧저고리, 덧버선 ② ‌다른 단어가 끼어들지 못함.
있는 접두사 덧-
(일부 동사 앞) ‘거듭’ 또는 ‘겹쳐’ 덧대다, 덧붙이다  새 (단어 추가 ×) 까맣다
③ ‌뒤에 올 수 있는 단어가 한정
(2) 접미 파생어: 어근 뒤에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로, 접미사는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경우가 적임.
많다. 자주 쓰이는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 ‌새+빨갛다, 새+파랗다
등 일부 색상과 관련된
접미사의 기능 접미사 접미사의 의미 예 형용사
‘그러한 행위를 하는 간단한 도구’ 혹은 ‘그러한 덮개, 지우개, 날개,
-개
명사 파생 행위를 특성으로 지닌 사람’ 오줌싸개, 코흘리개
개념+
접미사 - 장이 ‘그것과 관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 땜장이, 대장장이, 칠장이
★★피동·사동 접미사
-기 읽기, 쓰기, 보기, 달리기
‘-이-, -히-, -리-, -기-’ 등의
동사 파생 -하- 사랑하다, 공부하다 피·사동 접미사는 문장의 구조에
접미사 -거리- ‘그런 상태가 잇따라 계속됨.’ 까불거리다, 빈정거리다 영향을 미치며 그 의미를 달라지
-롭- ‘그러함.’ 또는 ‘그럴 만함.’ 향기롭다, 평화롭다 게 한다.

- 다랗 - ‘그 정도가 꽤 뚜렷함.’ 기다랗다, 커다랗다  •오늘은 빵이 잘 먹힌다.


형용사 파생 → ‌접미사 ‘-히-’가 쓰인 피
- 스럽 - ‘그러한 성질이 있음.’ 어른스럽다, 장난스럽다
접미사 동의 의미
-하- 친절하다, 건강하다
•아버지가 아이에게 빵을 잘
-답- ‘성질이 있음.’ 정답다, 참답다, 꽃답다 먹인다.
- 오/ 너무(넘-+-우), → ‌접미사 ‘-이-’가 쓰인 사
부사 파생 우- 도로(돌-+-오) 동의 의미

접미사 - 이/ 높이, 많이, 깨끗이,


-히 가만히, 고요히, 조용히

4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8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파생어 ✽ ‌다음 단어 중 접사가 붙어 만들어진 파생어에 밑줄을 그으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2 먹고, 먹으니, 먹이, 먹게, 먹어서

01 ( )(이)란 어근에 접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단 13 웃으면, 웃어서, 웃으니, 웃음, 웃게


어를 말한다. 14 그리면, 그려서, 그리니, 그린, 그림
06

DAY
02 파생어는 접사가 붙는 ( )에 따라 접두 파생어와 15 지우면, 지워서, 지우니, 지우개, 지워서
접미 파생어로 나눌 수 있다.

03 ( )은/는 어근 앞에 접사가 결합한 파생어


를 말한다. ✽ 의미상 서로 어울리는 접사와 어근을 연결하시오.
04 ( )은/는 어근 뒤에 접사가 결합한 파생어 16 치- • •ⓐ 말
를 말한다.
17 덧- • •ⓑ 뜨다
05 ‘날개’, ‘오줌싸개’는 명사 파생 접미사 ‘( )’이/가
18 막- • •ⓒ 향기
결합한 파생어이다.
19 -롭- • •ⓓ 어른

20 -스럽 • •ⓔ 저고리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21 헛- • •ⓕ 소리
06 접두사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품사를 바꾸지 않는다.
 (,×)

07 접두사는 뒤에 다양한 단어가 올 수 있지만 관형사는 22 다음 중 ‘덮개’와 파생어의 분류가 같은 것은?


뒤에 올 수 있는 단어가 제한적이다. 
 (,×) ① 돌담 ② 날짐승 ③ 군소리
④ 겁쟁이 ⑤ 맨밥
08 ‘맨발’이라는 단어는 ‘맨’이라는 어근과 ‘발’이라는 접사
가 결합한 파생어이다.
 (,×)
✽ 다음 단어를 접두 파생어와 접미 파생어로 나누시오.
09 접미사는 어근 뒤에 붙어 뜻을 제한하거나 품사를 바꾸
기도 한다. 
군말, 날개, 높이, 지우개,
 (,×)
조용히, 헛수고, 시누이
10 ‘정답다’, ‘참답다’는 형용사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
어이다.  23 접두 파생어
 (,×)

11 ‘새파랗다’라는 단어는 접두사 ‘새-’와 어근 ‘파랗-’으로


24 접미 파생어
이루어진 파생어이다. 
 (,×)

정답
01 파생어 02 위치 03 접두 파생어 04 접미 파생어 05 -개 06  07 × 08 × 09  10  11  12 먹이 13 웃음 14 그림 15 지우개 16 ⓑ
17 ⓔ 18 ⓐ 19 ⓒ 20 ⓓ 21 ⓕ 22 ④ 23 군말, 헛수고, 시누이 24 날개, 높이, 지우개, 조용히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4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49 2020. 11. 26. 오전 10:00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2 합성어
1. 합성어의 개념 참고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한 복합어로, 어근과 어근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이다. ★★합성어의 분류
•의미 관계에 따른 분류
대등 합성어: 어근이 대등하게
연결  ‌오가다(오다+가다)
‌ 종속 합성어: 한 어근이 다른
어근을 꾸며 주며 연결
 ‌쇠못(쇠+못 → 쇠로 된 못)
솔+나무 → 소나무(‘ㄹ’ 탈락) 나무+잎 → 나뭇잎(사이시옷을 받치어 씀.)
융합 합성어: 어근끼리 결합하
 ‌합성어를 형성할 때에는 단어의 형태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위의 그림과 같은 예 외에 아래의 예들이 그러하다. 면서 각각의 어근이 가진 본
말 + 소 → 마소,    딸 + 님 → 따님     이틀 + 날 → 이튿 + 날(‘ㄹ’ → ‘ㄷ’으로 교체) 래의 의미와 다른 새로운 의
미를 나타냄.
 ‌춘추(봄+가을 → ‘연세’의
2. 합성어의 분류(어근의 결합 방식) 의미)

(1) 통사적 합성어 •품사에 따른 분류


합성 명사, 합성 동사, 합성 형용
단어 형성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 방식이나 문장 구성 방식과 일치하는 합성 사, 합성 관형사, 합성 부사 등으
어이다. 로 나눌 수 있다.
 ‌새해(관형사+명사 → 합성
힘(이) + 들다 → 힘들다 명사)
어근 어근 통사적 합성어(조사는 생략이 가능하며 일반적 어순대로 결합함.)
굶주리다(동사+동사 → 합
통사적 합성어 결합 방식 성 동사)
① 명사 + 명사 높푸르다(형용사+형용사
→ 합성 형용사)
 밤낮 (밤 + 낮)
온갖(관형사+명사 → 합성
② 관형사 + 명사 관형사)
 첫사랑 (첫 + 사랑) 하루빨리(명사+부사 → 합
성 부사)
③ 용언의 어간 + 관형사형 어미(-(으)ㄴ, -(으)ㄹ, -는, -던) + 명사
 큰집 (크 + -ㄴ + 집), 볼거리 (보 + -ㄹ + 거리)
④ 용언의 어간 + 연결 어미(-아/-어) + 용언의 어간
 돌아보다 (돌 + 아 + 보다)
생각 +
⑤ 주어/목적어 + 서술어
★★합성어와 구의 구별
 낯설다 (낯 + 설다), 본받다 (본 + 받다)
구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므로 띄
⑥ 부사 + 부사 어 써야 하고, 사전에 표제어로 오
 이리저리 (이리 + 저리), 곧잘 (곧 + 잘) 르지 않는다. 반면 합성어는 하나
의 단어이므로 붙여 써야 하고, 사
전에 표제어로 오른다.
(2) 비통사적 합성어 구와 합성어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단어 형성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 방식이나 문장 구성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중간에 다른 말을 넣어 보거나, 구
성 요소의 배열이 시간의 흐름에
만들어진 합성어이다.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볼록 + 거울 → 볼록거울 살펴보면 된다.
어근(부사) 어근(명사) 비통사적 합성어(부사가 명사를 꾸며 주고 있으므로 일반적 결합 방식이 아님.) •큰집에 왔다. → ‘큰아버지
비통사적 합성어 결합 방식 집’을 의미하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써야 하고, 중간에 다른
① 용언의 어간과 어간이 연결 어미 없이 결합한 경우
말을 넣을 수 없음.
 여닫다 (열 + 고 + 닫다 → 연결 어미 ‘-고’ 생략)
•큰 집에 왔다. → ‘크기가 큰
② 부사가 명사와 결합한 경우 집’을 의미하는 구이므로 띄
 부슬비 (부슬 + 비) 어 써야 하고, 중간에 ‘큰 우
리 집’처럼 다른 말을 넣을
③ 관형사형 어미를 생략하고 용언의 어간과 명사가 결합한 경우 수 있음.
 먹거리 (먹 + 을 + 거리 → 관형사형 어미 ‘-을’ 생략)

5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0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2 합성어 ✽ 다음 합성어를 결합하는 어근들의 의미 관계에 따라 분류하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돌다리, 논밭, 오가다, 남녀,
01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한 복합어로, 어근과 어근이 쇠못, 피땀(노력), 춘추(나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를 ( )(이)라고 한다.
06

DAY
11 대등 합성어:
02 ( )은/는 한 어근이 다른 어근을 꾸며 주는
구조로 연결된 합성어를 말한다. 12 종속 합성어:
03 어근끼리 결합하면서 각각의 어근이 가진 본래의 의미와 13 융합 합성어:
다른 새로운 의미를 나타내는 합성어를 ( )
(이)라고 한다.

04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 방식이나 문장 구성 방식 ✽ 다음 합성어를 어근의 결합 방식에 따라 분류하시오.


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 합성어를 ( )
(이)라고 한다.
큰집, 낯설다, 여닫다, 부슬비,
05 용언의 어간과 어간이 연결 어미 없이 연결된 경우는 먹거리, 볼거리, 뛰어나다, 덮밥
( ) 합성어에 해당한다.
14 통사적 합성어:
15 비통사적 합성어: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6 ‘밤낮’은 통사적 합성어이다. 


 (,×) ✽ ‌다음 합성어를 <보기>와 같이 분석한 후, 품사의 종류에 따라
07 어근끼리 결합하여 합성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단어 분류하시오.
의 형태가 변하는 경우도 있다. [보기]

 (,×) 새해(관형사 + 명사) → 합성 명사

08 합성어는 어근의 결합 방식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


16 높푸르다:
통사적 합성어로 나뉜다.
 (,×) 17 굶주리다:
09 ‘온갖’은 관형사와 명사가 결합된 합성 부사이다.  18 하루빨리:
 (,×)

10 ‘물병’, ‘낮잠’, ‘힘들다’는 모두 어근과 어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19 다음 단어 중 통사적 합성어가 아닌 것은?
 (,×)
① 책가방 ② 돌다리 ③ 뛰놀다 ④ 본받다

정답
01 합성어 02 종속 합성어 03 융합 합성어 04 통사적 합성어 05 비통사적 06  07  08  09 × 10  11 논밭, 오가다, 남녀 12 돌다리, 쇠못
13 피땀, 춘추 14 큰집, 낯설다, 볼거리, 뛰어나다 15 여닫다, 부슬비, 먹거리, 덮밥 16 높푸르다(형용사 + 형용사) → 합성 형용사 17 굶주리다(동사 + 동사) → 합성 동사
18 하루빨리(명사 + 부사) → 합성 부사 19 ③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5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1 2020. 11. 26. 오전 10:00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09 ~ 개념 11

개념 09 단어와 형태소 C02 


예상 문제

단어 뜻을 가지고 홀로 쓰일 수 있는 말
다음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문장을
이루는 자립 형태소
자립성
기본 단위 의존 형태소
형태소 ㉠ 하늘에 별이 참 많다.
실질 형태소
의미
형식 형태소 ㉡ 나는 오늘 일찍 밥을 먹었다.
㉢ 먼지가 없는 하늘은 너무 깨끗하다.

C01
㉣ 어머니는 나를 깨우지 않고 가셨다.

2020(6월)/고1교육청 13 ㉤ 동생은 길을 걷다가 돌에 걸리고 말았다.
<보기>에서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학생의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2점] ① ㉠의 자립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는 4개이다.
[보기] ② ㉡은 실질 형태소가 4개, 형식 형태소가 5개 포함되어 있다.
선생님: 형태소는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뜻하는 ③ ㉢의 형태소를 분석하면, ‘먼지, 가, 없는, 하늘, 은, 너
말입니다. 형태소는 다음의 두 기준에 따라 자립 형태소 무, 깨끗하-, -다’이다.
와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로 나눌 수 ④ ㉣의 의존 형태소이자 실질 형태소는 ‘깨-, 않-, 가-’이다.
있습니다. ⑤ ㉤의 형태소는 모두 13개이다. 

홀로 쓰일 수 있는가? 실질적 의미가 있는가?

예 아니요 예 아니요

C03
자립 형태소 의존 형태소 실질 형태소 형식 형태소

예상 문제
다음은 아래 ‘예문’을 형태소 단위로 나누고, 위 기준에
다음 문장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따라 분석한 결과입니다.

•예문: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나는 어제 집에서 빵을 먹었다.


•형태소 분석 결과:
형태소 ① 7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이다.
경찰 이 도둑 을 잡– –았– –다
구분 기준
② 자립 형태소는 ‘나, 어제, 집, 빵, 먹-’이다.
홀로 쓰일 수
있는가?
예 아니요 예 ㉡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③ 실질 형태소이면서 자립 형태소는 ‘먹-’이다.
실질적 의미가 ④ 의존 형태소는 ‘는, 에서, 을, 먹-, -었-, -다’이다.
있는가?
㉠ 아니요 예 아니요 ㉢ 아니요 아니요
⑤ 이 문장을 형태소로 분석하면 ‘나, 는, 어제, 집, 에서,
㉠~㉢에 들어갈 대답을 모두 바르게 짝지어 볼까요? 빵, 을, 먹었-, -다’이다. 

㉠ ㉡ ㉢
① 예 예 예
② 예 아니요 예
③ 예 아니요 아니요 개념 10 단어의 구성 요소와 종류
④ 아니요 예 예 단일어 어근

⑤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단어의


종류 합성어 어근 어근
복합어
접두사 어근
파생어
어근 접미사

5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2 2020. 11. 26. 오전 10:00


C04 
예상 문제 C06 
2017(6월)/고1교육청 15

다음의 설명에 따라 <보기>의 ㉠ ~ ㉥을 알맞게 분류한 것은? [2점] <보기>를 바탕으로 단어 형성법에 대해 탐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단일어: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 [보기]

파생어: ‘어근+접사’, ‘접사+어근’과 같이 어근과 접사가 단어에서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을 어근이라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 하고, 어근에 붙어 그 뜻을 더하는 부분을 접사라고 한다.
합성어: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단어 단어는 형성 방법에 따라 단일어와 파생어, 합성어로 나누
어진다. 단일어는 ‘바다’, ‘놀다’와 같이 하나의 어근으로 이
07

DAY
[보기]
루어진 말이고, 파생어는 ‘군살’이나 ‘멋쟁이’처럼 어근과
•어제 내린 비로 ㉠ 하늘이 깨끗해졌다. 접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말이다.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
•어머니가 소고기 ㉡ 덮밥을 해 주셨다. 이 결합한 말로 ‘달빛’이나 ‘뛰놀다’와 같은 말이 이에 해당
•㉢ 먹이를 발견한 호랑이는 빠르게 달렸다. 한다.
•우리는 소풍을 가기 위해 ㉣ 김밥 재료를 샀다.
•㉤ 사냥꾼이 나타나자 토끼는 숲으로 몸을 피했다. ① ‘치솟다’는 접사가 어근에 붙어 뜻을 더하고 있으므로 파생
•그녀는 ㉥ 새파랗게 질린 얼굴로 시험지를 바라보았다. 어이군.
② ‘밤하늘’은 실질적 의미를 지닌 어근끼리 결합하였으므로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
합성어이군.
① ㉠ ㉡, ㉢ ㉣, ㉤, ㉥
③ ‘지우개’는 어근에 접사가 결합한 파생어이고, ‘닭고기’는
② ㉠ ㉡, ㉣ ㉢, ㉤, ㉥
어근끼리 결합한 합성어이군.
③ ㉠ ㉡, ㉤, ㉥ ㉢, ㉣
④ ‘나무꾼’과 ‘검붉다’는 모두 실질적인 뜻을 가진 어근끼리
④ ㉡, ㉣ ㉠, ㉢ ㉤, ㉥
결합하였으므로 합성어이군.
⑤ ㉡, ㉤ ㉣, ㉥ ㉠, ㉢
⑤ ‘개살구’와 ‘부채질’은 모두 어근에 접사가 결합하여 이루
어진 단어이므로 파생어에 해당하는군.

C05 
2016(3월)/고1교육청 15

<보기>의 설명에 따라 ‘달리기’를 도식화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C07 


2014(3월)/고1교육청 12

 [2점] <보기 1>의 설명을 참고할 때, <보기 2>의 ㉠ ~ ㉣ 중 합성어에 해


[보기] 당하는 말을 바르게 고른 것은? [2점]
선생님: 어근은 단어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보기 1]

이 되는 부분을, 접사는 어근이나 단어에 붙어 새로운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를 단일어라고 하고, 둘
단어를 구성하는 부분을 말합니다. 어근과 접사의 결합 이상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를 복합어라고 한다. 복합
관계를 쉽게 구별해 보기 위해 어근을 로, 접사를 어에는 두 종류가 있다. ‘손(어근)+수레(어근)’와 같이 둘
로 나타내 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하늘’은 하나의 이상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어는 합성어이고, ‘사냥(어
어근으로 이루어져 있고, ‘먹이’는 어근 ‘먹-’과 접사 ‘- 근)+꾼(접사)’과 같이 어근에 접사가 결합되어 만들어진
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습 단어는 파생어이다.
니다.
[보기 2]
○ 하늘: 하늘    ○ 먹이: 먹- -이 ㉠ 물고기가 그려진 ㉡ 지우개가 어디로 갔을까? ㉢ 심
술쟁이 동생이 또 ㉣ 책가방에 숨겼을 거야. 그래 보았자
① 달리기 ② 달- -리기 이 누나는 금방 찾는데.
③ 달리- -기 ④ 달리- -기
① ㉠, ㉡ ② ㉠, ㉣ ③ ㉡, ㉢
⑤ 달- -리- -기 
④ ㉡, ㉣ ⑤ ㉢, ㉣ 

❖ 정답 및 해설 24~27p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5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3 2020. 11. 26. 오전 10:00


C08 
2016(6월)/고1교육청 12 개념 11 복합어
<보기>를 바탕으로 단어 형성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접두 파생어 어근 앞에 접두사가 결합한 파생어
않은 것은? [3점] 파생어
접미 파생어 어근 뒤에 접미사가 결합한 파생어
[보기]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중심 부분을 어근이 대등 합성어


라 하고, 일부 어근에 붙어서 그 의미를 제한하며 어근과 의미 관계 종속 합성어
융합 합성어
달리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는 주변 부분을 접사라고 한다.
합성 명사
단어는 구성 방식에 따라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일 합성 동사
합성어 품사 합성 형용사
어, 어근과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 어근과 접사가 결합한 합성 관형사
합성 부사
파생어로 구분할 수 있다.
통사적 합성어
결합 방식
비통사적 합성어
① ‘새해’는 접사와 어근이 결합한 파생어이다.
② ‘밤낮’은 어근과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③ ‘구경꾼’은 어근과 접사가 결합한 파생어이다.
C10 
예상 문제
④ ‘이슬비’는 어근과 어근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다음 글을 바탕으로 단어 형성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⑤ ‘민들레’는 하나의 어근으로 이루어진 단일어이다. 
않은 것은? [2점]

통사적 합성어란 어근과 어근의 연결이 국어의 문장이


C09 
2013(11월)/고1교육청 12 나 어순(명사+명사, 용언의 어간+관형사형 어미+명사,
단어 형성법에 따라 단어를 분류하는 탐구 과제를 수행해 보았다. 용언의 어간+연결 어미+용언의 어간, 주어/목적어+서
㉠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술어, 부사+부사)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합성어
인 반면, 비통사적 합성어는 어근과 어근의 연결이 국어의
‘논밭’, ‘하늘’, ‘지우개’, ‘헛수고’, ‘높푸르다’를 단
탐구 과제 자연스러운 어순이나 결합 방식에 어긋나는 방식(용언의
어 형성법에 따라 분류해 보자.
어간+어간, 부사+명사, 용언의 어간+명사 등)으로 이루
탐구 과정 1 어진 합성어이다.

하나의 어근으로 아니요 복합어


① ‘논밭’은 명사와 명사가 결합된 통사적 합성어이다.
이루어진 단어인가?
② ‘부슬비’는 부사와 명사가 결합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탐구 과정 2 탐구 과정 3
③ ‘첫사랑’은 관형사와 명사가 결합된 통사적 합성어이다.
어근과 어근으로 어근과 접사로 ④ ‘여닫다’는 용언의 어간과 어간이 연결 어미 없이 결합된

이루어진 단어인가? 이루어진 단어인가?
통사적 합성어이다.
예 예 ⑤ ‘먹거리’는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없이 명사가 결
합된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

㉠ ㉡ ㉢

㉠ ㉡ ㉢
① 하늘 논밭, 높푸르다 지우개, 헛수고
② 하늘 논밭 지우개, 헛수고, 높푸르다
③ 지우개 논밭, 하늘 헛수고, 높푸르다
④ 지우개 헛수고, 높푸르다 논밭, 하늘
⑤ 하늘, 지우개 논밭 헛수고, 높푸르다 

5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4 2020. 11. 26. 오전 10:00


C11 
2013(11월)/고2교육청(A) 13 C12 
2015(3월)/고2교육청 12

<보기>는 문법 수업의 일부이다. 선생님의 설명을 듣고 ㉠~㉣에 <보기>의 ㉠~㉤에 들어갈 어휘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합성어는 어근의 배열 양상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
선생님: 우리말의 접사에는 어근의 앞에 결합되는 접두사 통사적 합성어로 나뉜다. 어근의 배열이 우리말의 일반적
가 있고, 어근의 뒤에 결합되는 접미사가 있습니다. 접사 인 문장 구성 방식과 일치하는 것을 통사적 합성어라 하
는 어근의 뜻을 한정해 주거나 품사를 바꾸어 줍니다. 또 고, 그렇지 않은 것을 비통사적 합성어라 한다. 합성어에
한 사동이나 피동의 의미를 갖는 단어를 만들어 줍니다. 서 어근의 구체적 결합 양상은 다음과 같다.
07

DAY
그러면 접사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서 다음의 학습 과제
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통사적 합성어의 유형과 예>
• 체언+체언: 밤낮
학습 과제
• 체언+용언: ㉠
헛살다: 사람으로서 해야 할 도
㉠ • 관형사+체언: ㉡
리를 다하지 못하고 지내다
• 용언의 관형사형+체언: ㉢
살다: 목숨을
㉡ 삶: 사는 일
이어 나가다
<비통사적 합성어의 유형과 예>
㉢ 살리다: 살게 하다
‘접사’의 • 부사+체언: 보슬비
결합 • 용언의 어간+체언: ㉣
㉣ 되살리다: 다시 살게 하다
• 용언의 어간+용언의 어간: ㉤

① ㉠의 ‘헛-’과 ㉣의 ‘되-’는 어근의 뜻을 한정해 주는군.


① ㉠: 낯설다 ② ㉡: 첫사랑
② ㉡의 ‘-ㅁ’은 어근과 결합하여 단어의 품사를 바꾸어 주
③ ㉢: 뜬소문 ④ ㉣: 덮밥
는군.
⑤ ㉤: 앞서다 
③ ㉢의
‌ ‘-리-’는 어근과 결합하여 사동의 의미를 갖는 단어
를 만들어 주는군.
④ ㉣
‌ 의 접두사 ‘되-’와 접미사 ‘-리-’가 하나의 어근에 결
합하여 단어의 품사를 바꾸어 주는군.
⑤ ㉠의
‌ ‘헛-’은 어근의 앞에 결합하는 접두사이고, ㉡의 ‘-ㅁ’
은 어근의 뒤에 결합하는 접미사이군.

❖ 정답 및 해설 27~29p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5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5 2020. 11. 26. 오전 10:00


C13 
2012(6월)/고1교육청 6 C15 
2019(3월)/고1교육청 11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다음은 학생들이 ‘-쟁이’와 ‘-장이’에 대해 탐구한 내용이다. ㄱ~ㅁ
[보기] 에 제시된 탐구 결과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대등한 자격을 지닌 단어들이 결합하여 합성어(合成語) 어근의 뒤에 붙어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접미사 중
가 될 때에는 일정한 결합 순서를 지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탐구
‘-쟁이’와 ‘-장이’의 의미와 쓰임을 구분해 사용할 수
목표
이것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보편적인 사고방 있다.
식이 작용한 결과이다. 이와 같은 합성어의 결합 양상과

관련이 있는 사고방식은 다음과 같다.
⑴ ‌고집쟁이: 고집이 센 사람
거짓말쟁이: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
○ 작은 수에서 큰 수의 차례로 파악하려는 경향
탐구 ⑵ ‌노래쟁이: ‘가수(歌手)’를 낮잡아 이르는 말
그림쟁이: ‘화가(畫家)’를 낮잡아 이르는 말
○ 가까운 거리를 먼 거리보다 먼저 파악하려는 경향 자료
○ 긍정적인 요소를 부정적인 요소보다 선호하는 경향
⑶ ‌땜장이: 땜질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 앞선 시간을 뒤에 오는 시간보다 먼저 파악하려는 경향 옹기장이: 옹기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① 낯익은 얼굴들이 여기저기 눈에 띄었다.
•⑴의 ‘-쟁이’의 의미는 ‘어떤 속성을 많이 가진 사람’
② 우리 고향에는 아름다운 돌다리가 있었다.
으로 볼 수 있다.  ㄱ
③ 강이 오염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⑵와 ⑶은 둘 다 직업과 관련된 말이지만, ‘기술자’를
④ 이제 와서 누구의 잘잘못을 따질 필요가 있겠니?
의미할 때는 ‘-장이’를 쓴다.  ㄴ
⑤ 건장한 청년 예닐곱 명이 한꺼번에 방으로 들어왔다. •⑴ ~ ⑶을 볼 때, ‘-쟁이’와 ‘-장이’는 모두 명사와 결
탐구
결과 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  ㄷ
•⑴ ~ ⑶을 볼 때, ‘-쟁이’와 ‘-장이’는 모두 어근의 품
사를 변화시키지 않는 접미사이다.  ㄹ
•⑴, ⑵, ⑶의 예로 ‘욕심쟁이’, ‘대장쟁이’, ‘중매장이’를
각각 추가할 수 있다.  ㅁ
C14 
2015(3월)/고1교육청 12
①ㄱ ②ㄴ ③ㄷ ④ㄹ ⑤ ㅁ
<보기>를 참고할 때, ‘본받다’와 같은 유형에 해당하는 단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본받다’는 ‘본’과 ‘받다’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로, 다음


과 같이 목적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특
징이다.

본(을) 받다

목적어 서술어

① 동생이 형에게 혼나다.


② 조명이 환하게 빛나다.
③ 오래 걸었더니 힘들다.
④ 말보다 행동이 앞서다.
⑤ 사자의 출현에 겁먹다.

5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6 2020. 11. 26. 오전 10:00


[ C16~ 17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C16 
2022(수능)/예시문항 35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형성된 단어를 합성어라고 한다. ㉠, ㉡에 해당하는 예끼리 짝지어진 것은? [2점]

합성어는 ‘어근들의 결합 방식’과 ‘어근들 간의 의미 관계’에 따 ㉠ ㉡


라 분류할 수 있다. ① 먹고살다 새색시
어근들의 결합 방식이 일반적인 문장 구성 방식과 같은 합성 ② 뛰놀다 먹거리
어를 통사적 합성어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합성어를 비통사적 ③ 갈라서다 척척박사
합성어라고 한다. 예를 들어, ㉠ 둘 이상의 용언이 연결 어미로 ④ 걸어오다 큰아버지
07

DAY
이어지는 것, 용언의 관형사형이 명사를 수식하는 것, 주어나 ⑤ 빛나다 돌다리

목적어 뒤에 서술어가 결합하는 것, ㉡ 명사나 관형사가 명사


를 수식하는 것, 부사가 용언을 수식하는 것 등은 일반적인 문
장 구성 방식이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어근들이 결합한 합성어
는 통사적 합성어이다. 따라서 ‘산나물’, ‘바로잡다’는 통사적 합
성어이고 ‘뾰족구두’, ‘높푸르다’는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합성어를 구성하는 어근들 간의 의미 관계에 따르면, 합성어

C17
는 대등 합성어와 종속 합성어로 나뉜다. 대등 합성어는 ‘높푸

2022(수능)/예시문항 36
르다’처럼 두 어근의 의미가 동등한 관계를 보이는 합성어이다.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종속 합성어는 ‘산나물’처럼 선행 어근이 후행 어근을 의미상
 [2점]
수식하는 합성어이다. 대등 합성어와 종속 합성어는 합성어를
[보기]
구성하는 어근들의 의미만으로 이들 합성어의 의미를 대체로
ⓐ 나는 그저께 막내딸을 보름 만에 만났다.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어근들의 의미만으로는 합성어의 의미를 ⓑ 바깥에 오래 있었더니 손발이 차가워졌다.
파악하기 어려워, 합성어를 구성하는 어근들 간의 의미 관계를 ⓒ 며칠째 밤낮이 바뀐 날이 계속되고 있다.
따지기 힘든 합성어를 융합 합성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가위 ⓓ 시간만 잡아먹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바위보’는 ‘손을 내밀어 그 모양에 따라 순서나 승부를 정하는 ⓔ 가을이 되자 철새들이 남쪽으로 날아갔다.

방법’이라는 의미를 가지므로 융합 합성어이다.


① ‌ⓐ의 ‘막내딸’은 그 의미를 어근들의 의미만으로 파악할
그런데 여러 의미를 가지는 합성어는 그 의미에 따라 서로
수 있으며, ‘딸’의 하의어가 아니므로 대등 합성어이겠군.
다른 합성어의 유형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찬밥’은 ‘지은
② ‌ⓑ의 ‘손발’은 그 의미를 어근들의 의미만으로 파악할 수
지 오래되어 식은 밥’이라는 의미를 가질 때에는 종속 합성어이
있으며, ‘발’의 하의어이므로 종속 합성어이겠군.
고, ‘중요하지 아니한 하찮은 인물이나 사물’이라는 의미를 가
③ ‌ⓒ의 ‘밤낮’은 그 의미를 어근들의 의미만으로 파악하기
질 때에는 융합 합성어이다.
어려우므로 융합 합성어이겠군.
이처럼 의미에 따라 합성어가 어떠한 유형에 속하는지 판단 ④ ‌ⓓ의 ‘잡아먹는’은 그 의미를 어근들의 의미만으로 파악할
하기 어려울 때에는, 합성어와 그 합성어를 구성하는 후행 어 수 있고, ‘먹다’의 하의어가 아니므로 대등 합성어이겠군.
근 간의 의미 관계, 그중에서도 상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도 ⑤ ‌ⓔ의 ‘날아갔다’는 그 의미를 어근들의 의미만으로 파악
움이 된다. 예를 들어, ‘지은 지 오래되어 식은 밥’이라는 의미 할 수 있고, ‘가다’의 하의어이므로 종속 합성어이겠군.
를 가지는 ‘찬밥’은 의미상 ‘밥’에 포함되므로 ‘밥’의 하의어이고,
이러한 의미 관계를 보이는 ‘찬밥’은 종속 합성어이다. 그러나
‘찬밥’이 융합 합성어일 때에는 ‘찬밥’과 ‘밥’이 상하 관계를 보이
지 않는다. 또한 ‘논밭’과 같은 대등 합성어도, 합성어와 그 합
성어를 구성하는 후행 어근이 상하 관계를 맺지 않는다.


❖ 정답 및 해설 29~31p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5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7 2020. 11. 26. 오전 10:00


C18 
2020(3월)/고2교육청 14 C20 
2019(11월)/고2교육청 14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만을 ⓐ ~ ⓓ에서 고른 것 <보기>는 ‘사전 활용하기’ 수업의 한 장면이다. 학생들의 활동 결과
은? [2점] 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선생님: 합성어 중에는 어근의 배열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선생님: 파생어란 어근에 접사가 결합하여 형성된 단어입
문장 구성 방식에 맞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 니다. 그런데 파생어는 접사에 의해 본래 단어의 품사가
어요. 일반적으로 ‘체언+체언’, ‘용언의 관형사형+체언’, 변화되는 경우와 변화되지 않는 경우로 나뉩니다. 다음
‘용언의 연결형+용언’ 등의 형태는 통사적 합성어라 하고, 은 사전에서 찾은 단어들입니다. 제시된 단어들에 접사
‘용언의 어간+체언’, ‘부사+체언’, ‘용언의 어간+용언의 가 결합된 파생어를 찾아보고 분석해 봅시다.
어간’ 등의 형태는 우리말의 일반적인 문장 구성 방식에
맞지 않으므로 ㉠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하지요. 외국어 더욱  정도나 수준 따위가 한층 심하거나 높게
나 외래어를 대체하는 순화어에서도 통사적 합성어와 비 넓다  면이나 바닥 따위의 면적이 크다.
통사적 합성어가 발견됩니다. 그럼 몇 가지 사례를 살펴 덮다 ‌ 물건 따위가 드러나거나 보이지 않도록 넓은
볼까요? 천 따위를 얹어서 씌우다.

 핫 플레이스 ⇨ 뜨는곳  ⓐ
① ‘더욱이’는 ‘더욱’의 어근에 접사 ‘-이’가 결합된 파생어로
 카메오 ⇨ 깜짝출연  ⓑ
 마인드맵 ⇨ 생각그물  ⓒ ‘더욱’과 품사가 다르겠군.
 캐노피 ⇨ 덮지붕  ⓓ ② ‘드넓다’는 ‘넓다’의 어근에 접사 ‘드-’가 결합된 파생어로
‘넓다’와 품사가 같겠군.
③ ‘넓이’는 ‘넓다’의 어근에 접사 ‘-이’가 결합된 파생어로
① ⓐ, ⓑ ② ⓐ, ⓓ ③ ⓑ, ⓒ ‘넓다’와 품사가 다르겠군.
④ ⓑ, ⓓ ⑤ ⓒ, ⓓ ④ ‘뒤덮다’는 ‘덮다’의 어근에 접사 ‘뒤-’가 결합된 파생어로
‘덮다’와 품사가 같겠군.

C19 
2019(6월)/고2교육청 14
⑤ ‘덮개’는 ‘덮다’의 어근에 접사 ‘-개’가 결합된 파생어로
‘덮다’와 품사가 다르겠군.
<보기>의 ㉠ ~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접두사는 단어의 앞에 붙어 특정한 뜻을 더하거나 강조


하면서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낸다. ㉠ 접두사가 명사에
결합하여 생성된 단어도 있고, ㉡ 접두사가 용언에 결합하
여 생성된 단어도 있다. ㉢ 특정한 접두사는 둘 이상의 품
사에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기도 한다. 대개의
접두사는 형태가 고정되어 있지만, ‘찰-/차-’가 붙어 만들
어진 ‘찰옥수수’, ‘차조’처럼 ㉣ 주위 환경에 따라 형태가 다
른 접두사가 붙어 만들어진 단어도 있다.

① ㉠에 해당하는 사례로는 ‘군기침, 군살’이 있다.


② ㉡에 해당하는 사례로는 ‘빗나가다, 빗맞다’가 있다.
③ ㉢에 해당하는 사례로는 ‘헛디디다, 헛수고’가 있다.
④ ㉡, ㉣에 모두 해당하는 사례로는 ‘새빨갛다, 샛노랗다’가
있다.
⑤ ㉢, ㉣에 모두 해당하는 사례로는 ‘수꿩, 숫양’이 있다.

5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8 2020. 11. 26. 오전 10:00


[ C21~ 22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C21 
2018(11월)/고2교육청 11

합성어는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되어 형성된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 ~ ㉣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단어를 말하는데, 분류 기준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보기]
첫째, 합성 명사, 합성 부사, 합성 동사 등과 같이 합성어의
○ 농부들이 ㉠ 피땀으로 일군 ㉡ 논밭에 가을이 왔다.
품사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꽃’은 명사와 명
○ ‌이 ㉢ 봄비가 그치고 여름이 오면, 포도가 ㉣ 송이송이
사가 결합한 합성 명사이고, ‘곧잘’은 부사와 부사가 결합한 합 영글어 갈 것이다.
성 부사, ‘힘쓰다’는 명사와 동사가 결합한 합성 동사이다.
07

DAY
둘째, 대등 합성어, 종속 합성어, 융합 합성어와 같이 결합하 ① ㉠은 두 어근의 본래 의미에서 벗어나 ‘노력과 수고’라는
는 어근들의 의미 관계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등 합성 새로운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융합 합성어이다.
어는 결합하는 어근들의 의미가 대등한 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② ㉢은 합성 명사로, 선행 어근이 후행 어근에 의미상 종속
‘앞뒤, 오르내리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종속 합성어는 선행 되어 있다.
어근이 후행 어근을 수식하는 구조로, 선행 어근이 후행 어근 ③ ㉠과 ㉣은 모두 명사와 명사가 결합한 합성어이며, 두 합

에 의미상 종속되어 있는 합성어이다. ‘돌다리, 산길’ 등이 여기 성어의 품사는 동일하다.


④ ㉡과 ㉢은 결합하는 어근들의 의미 관계가 다른 합성어
에 해당한다. 한편, 융합 합성어는 어근들이 결합하면서 각 어
이지만, 두 합성의 품사는 동일하다.
근이 본래 갖고 있던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갖는 합
⑤ ㉡과 ㉣은 모두 결합한 어근들의 의미가 대등한 관계를
성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나는 그분께 춘추(春秋)를 여쭈어 보
이루는 합성어이지만, 두 합성어의 품사는 다르다.
았다.’에서 ‘춘추(春秋)’는 ‘봄’과 ‘가을’이라는 기존의 의미에서
벗어나 ‘어른의 나이를 높여 이르는 말’로 사용된 것이다.
셋째, 어근의 결합 방식이 국어의 일반적인 통사적 구성
과 일치하는지를 기준으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
어로 분류할 수 있다. 통사적 합성어는 명사와 명사가 결합 C22 
2018(11월)/고2교육청 12

한 ‘산나물’, 부사와 부사가 결합한 ‘실룩샐룩’, 부사와 용언 다음은 [A]와 관련된 학습지의 일부이다. ㉠ ~ ㉤에 들어갈 내용을
이 결합한 ‘그만두다’, 연결 어미에 의해 용언의 어간과 어 탐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A] 간이 결합한 ‘뛰어가다’ 등과 같이 국어의 일반적인 통사적


단어 결합 방식 구분 다른 예
구성을 따른 합성어를 말한다. 반면 비통사적 합성어는 용
언의 어간과 명사가 결합한 ‘접칼’, 연결 어미 없이 용언의 또다시 통사적
㉠ ㉡
→ 또 + 다시 합성어
어간과 어간이 직접 결합한 ‘굶주리다’, 부사와 명사가 결합
첫사랑 관형사와 명사의
한 ‘척척박사’ 등과 같이 국어의 일반적인 통사적 구성과 일 ㉢ 왼쪽
→ 첫 + 사랑 결합
치하지 않는 합성어를 말한다.
붙잡다 용언의 어간과
 ㉣ ㉤
→ 붙- + 잡다 어간이 직접 결합

① ㉠에는 ‘부사와 부사의 결합’이 들어가겠군.


② ㉡에는 ‘하루빨리’를 넣을 수 있겠군.
③ ㉢에는 ‘통사적 합성어’가 들어가겠군.
④ ㉣에는 ‘비통사적 합성어’가 들어가겠군.
⑤ ㉤에는 ‘굳세다’를 넣을 수 있겠군.

❖ 정답 및 해설 31~33p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5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59 2020. 11. 26. 오전 10:00


C23 
2016(3월)/고2교육청 12 1등급 킬러 문제
<보기>의 선생님 물음에 대한 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학생: 선생님, ‘젊음’은 사전의 표제어인데, 왜 ‘늙음’은 사 C24 


2018(6월)/고1교육청 12

전의 표제어가 아닌가요? <보기>의 설명을 참고할 때, ㉠을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선생님: 사전의 표제어인 ‘젊음’은 파생 명사입니다. 반면 것은? [2점]
에 ‘늙음’은 파생 명사가 아니라 동사 ‘늙다’의 명사형입 [보기]
니다. ‘늙음’은 ‘늙다’의 활용형이기 때문에 표제어가 아 ‘형태소’는 뜻을 가진 말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형태소
닙니다. 는 의미의 유무에 따라 구체적인 대상이나 동작, 상태를
학생: 둘 다 ‘-음’으로 끝나는데, 무엇이 다른가요? 표시하는 실질적인 의미를 지닌 실질 형태소와 문법적인
선생님: 사전의 표제어 ‘젊음’은 어근 ‘젊-’에 명사를 만드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식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자
접미사 ‘-음’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로 관형어의 꾸밈 립성의 유무에 따라 다른 말에 기대어 쓰이지 않고 홀로
을 받을 수 있어요. 그런데 ‘늙음’은 어간 ‘늙-’에 명사형 사용될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다른 말에 기대어 사용되는
어미 ‘-음’이 결합한 말로 문장에 쓰이면 서술하는 기능 의존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이 있고 부사어의 꾸밈을 받을 수 있어요.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말들 중에서 사전의 표제어가 되는 것은 무엇일 ㉠ 하늘이 매우 높고 푸르다.
까요?
① 자립 형태소는 모두 4개이다.
① 그녀의 수줍음은 늘 티가 났다. ② 형식 형태소는 모두 3개이다.
② 나는 가진 돈이 전혀 없음을 깨달았다. ③ 의존 형태소는 모두 5개이다.
③ 그녀가 많이 먹음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④ 실질 형태소이면서 의존 형태소는 모두 2개이다.
④ 그는 경력이 남들보다 많음을 자랑스러워했다. ⑤ 실질 형태소이면서 자립 형태소는 모두 2개이다.
⑤ 내가 늘 빨리 걸음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6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0 2020. 11. 26. 오전 10:00


[ C25~ 26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C25 
2017(6월)/고2교육청 11

‘형태소’는 단어를 분석한 단위이며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의 단위이다. 형태소는 뜻의 성격에 따라 실질 형태소와 형식 ① 형태소를 더 작게 쪼개면 뜻이 사라진다.
형태소로 나눌 수 있고, 자립성의 여부에 따라서 자립 형태소 ② 의존 형태소만으로도 단어를 형성할 수 있다.
와 의존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③ 형태소 하나가 단어 하나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⑴ 사과를 먹었다. ④ 형태소 중에는 문법적인 기능만 수행하는 것도 있다.
⑤ 실질적인 뜻을 지닌 형태소는 모두 자립적인 성격을 지
⑴은 ‘사과, 를, 먹었다’의 세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07

DAY
닌다.
‘사과’의 경우, 단어를 나누면 ‘사’와 ‘과’로 쪼개어지는데 각각은
뜻이 없다. 따라서 ‘사과’는 뜻을 가진 단위 중 가장 작은 단위
이므로 하나의 형태소가 된다.
‘먹었다’의 경우, ‘먹-’의 자리에 ‘꺾-’을 넣는다면 단어
의 뜻이 달라진다. 그러므로 ‘먹었다’라는 단어가 ‘음식 등
을 입을 거쳐 배 속으로 들여보내다.’라는 뜻을 나타낼 수 있
는 것은 ‘먹-’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었-’ 자리에
‘-는-’을 넣으면 먹는 행위가 이루어진 때가 ‘현재’로 달라지므
로 ‘-었-’이 ‘과거’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같은 방법으
로 ‘-다’ 자리에 ‘-고’를 넣으면 ‘먹었고’가 되어서 그 뒤에 문장 C26 
2017(6월)/고2교육청 12

이 이어짐을 나타내므로 ‘-다’가 ‘문장 종결’의 뜻을 나타내고 윗글을 참고하여 <보기>를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단어 ‘먹었다’는 ‘먹-’,  [3점]
‘-었-’, ‘-다’라는 세 개의 형태소로 분석할 수 있다. [보기]

이때 ‘-었-’이나 ‘-다’는 ‘먹-’과 달리 문법적인 기능을 수행 그가 풀밭을 맨발로 뛴다.

하는데, 이러한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형태소를 형식 형태소라


① ‘풀밭’은 ‘풀’ 대신 ‘꽃’을 넣거나 ‘밭’ 대신 ‘빛’을 넣으면 단
고 한다. 형식 형태소에는 ‘-었-’, ‘-다’와 같은 어미뿐만 아니
어의 뜻이 달라지므로 ‘풀’과 ‘밭’으로 나눌 수 있다.
라 ‘를’과 같은 조사, 어근의 앞뒤에 붙어 뜻을 더하거나 단어의
② ‘맨발’의 ‘맨-’은 ‘발’과 결합하여 뜻을 더하는 기능을 하므
성질을 바꾸는 접사가 있다. 반면에 ‘사과’, ‘먹-’처럼 구체적인
로 하나의 형태소로 볼 수 있다.
대상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실질적인 뜻을 지닌 형태소를 실질
③ ‘뛴다’의 ‘-ㄴ-’ 대신에 ‘-었-’을 넣으면 동작 시간이 현
형태소라고 한다.
재에서 과거로 바뀌므로 ‘-ㄴ-’을 하나의 형태소로 보아
⑴의 형태소 중 ‘사과’는 다른 말에 기대지 않고 자립해서
야 한다.
쓰일 수 있지만, ‘를’은 ‘사과’에 붙어야 쓰일 수 있고, ‘먹-’,
④ 다른 말에 기대지 않고 홀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의 개수
‘-었-’, ‘-다’는 서로 기대어야 문장에서 쓰일 수 있다. ‘사과’처
는 모두 4개이다.
럼 자립하여 쓸 수 있는 형태소를 자립 형태소라고 하고, ‘를’,
⑤ 실질적인 뜻은 없고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형태소의 개
‘먹-’, ‘-었-’, ‘-다’처럼 다른 말에 기대어 사용되는 형태소를
수는 모두 5개이다.
의존 형태소라고 한다.
이상의 설명을 바탕으로 ⑴의 형태소를 분석하면 ⑵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⑵ 사과 / 를 / 먹 / 었 / 다
실질 형식 실질 형식 형식
자립 의존 의존 의존 의존

❖ 정답 및 해설 33~35p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6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1 2020. 11. 26. 오전 10:00


C27 
2019(9월)/고2교육청 11 C28 
2019(3월)/고2교육청 13

다음 글을 참고할 때, <자료>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 <보기>의 탐구 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만 고른 것은? [2점]
은 것은? [2점] [보기]

[탐구 과제]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의미를 전달할 때 문 다음을 참고하여 [탐구 자료] ㉠~㉣을 [A], [B]로 구분
제가 발생한다. 구와 합성어의 경우가 그렇다. 다음 사례 하고, 그렇게 구분한 근거를 적어 보자.
를 살펴보자.
어근에 파생 접사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형성
ㄱ. 직장을 옮기면서 작은 집에서 살게 되었다. 될 때 [A] 품사가 바뀌는 경우도 있고, [B] 품사가 바
ㄴ. 직장을 옮기면서 작은집에서 살게 되었다. 뀌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명사 ‘마음’에 접
사 ‘-씨’가 결합하여 ‘마음씨’가 될 때는 품사가 바뀌
ㄱ과 ㄴ은 비슷해 보이지만 띄어쓰기에 따라 살게 된 집 지 않지만, 형용사 ‘넓다’의 어근 ‘넓-’에 접사 ‘-이’가
의 의미가 달라진다. ㄱ의 ‘작은 집’은 ‘크기가 작은 집’을 결합하여 ‘넓이’가 될 때는 품사가 명사로 바뀐다.
의미하는 ‘구’이고, ㄴ의 ‘작은집’은 ‘작은아버지 집’을 의미
하는 ‘합성어’이다. [탐구 자료]
이때 한글 맞춤법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 •예술에 대한 안목을 ㉠ 높이다.
칙으로 한다.’에 따라 살펴보면, 구는 하나의 단어가 아니 •그는 모자를 ㉡ 깊이 눌러썼다.
므로 띄어 써야 하고 사전에 표제어로 오르지 않는다. 반 •오랫동안 ㉢ 딸꾹질이 멈추지 않았다.
면 합성어는 하나의 단어로 붙여 써야 하고 사전에 표제어 •그런 일은 ㉣ 일찍이 경험하지 못했던 일이다.
로 오른다. 구와 합성어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성 요
[탐구 결과]
소 사이에 다른 말을 넣어 본다. 이때 ㉠ 중간에 다른 말이
끼어들어 갈 수 있는 경우와 ㉡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탐구
구분 근거
자료
전자는 ‘구’이고 후자는 ‘합성어’이다. 한편 구성 요소의 배
열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연결되었는지를 살 형용사 ‘높다’의 어근 ‘높-’에 접사 ‘-
㉠ [B] …ⓐ
이-’가 결합하여 형용사가 됨.
펴보기도 한다. 이때 ‘구’는 순차적으로 연결되지만, ‘합성
어’는 ㉢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형용사 ‘깊다’의 어근 ‘깊-’에 접사 ‘-
㉡ [A] …ⓑ
이’가 결합하여 명사가 됨.
[자료] 부사 ‘딸꾹’에 접사 ‘-질’이 결합하여
㉢ [A] …ⓒ
•누군가 헌가방을 놓고갔다. 명사가 됨.
•소가 풀을 뜯어먹었다. 부사 ‘일찍’에 접사 ‘-이’가 결합하여
㉣ [B] …ⓓ
•뜬소문이 돌았다. 부사가 됨.
•선생님의 설명을 알아들었다.

※ 밑줄 친 부분은 띄어쓰기 여부를 판단하지 못한 부분임. ① ⓐ, ⓑ ② ⓐ, ⓓ ③ ⓑ, ⓒ


④ ⓑ, ⓓ ⑤ ⓒ, ⓓ 
① ‘헌가방’은 ㉠에 해당하니까 사전에 표제어로 실리지 않
았겠군.
② ‘놓고가다’는 ㉠에 해당하니까 사전에 표제어로 실리지
않았겠군.
③ ‘뜯어먹다’는 ㉡에 해당하니까 사전에 표제어로 실렸겠군.
④ ‘뜬소문’은 ㉡에 해당하니까 사전에 표제어로 실렸겠군.
⑤ ‘알아듣다’는 ㉢에 해당하니까 사전에 표제어로 실렸겠군.

6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2 2020. 11. 26. 오전 10:00


[ C29~ 30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C29 
2018(9월)/고2교육청 11

어근은 파생이나 합성 등 조어(造語) 과정에 참여하는 요소 다음 문장에서 ㉠, ㉡에 해당하는 예를 찾아 이를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중 의미상 중심이 되는 부분을 말하며, 어간은 용언이 활용을
할 때 중심이 되는 줄기 부분으로서 활용에서 어미에 선행하는
말썽꾸러기였던 나는 시간이 흐르고 나서야 부모님의
부분을 말한다. 예를 들어 ‘맡기다’에서 ‘맡­’은 어근이며 ‘맡기­’는
드높은 사랑을 깊이 깨닫게 되었다.
어간이다.
어근이나 어간에 결합하여 특정한 의미나 기능을 부여하는 ① ‘드높은’의 ‘드­’는 ㉠에 해당하는 예로 단어 파생에 기여하
07

DAY
형태소를 접사라고 한다. 접사는 일반적으로 어근이나 어간과 는 기능을 하는군.
함께 나타나야 하기 때문에 문장에서 단독으로 쓰이지 않는다. ② ‘말썽꾸러기’의 ‘­꾸러기’는 ㉠에 해당하는 예이며, ‘말썽꾸
접사는 기능에 따라 단어 파생에 기여하는 ㉠ 파생 접사와 활용 러기’는 ‘말썽’과 별개의 단어이겠군.
할 때 어간에 결합하여 문법적인 기능을 표시하는 굴절 접사로 ③ ‘되었다’의 ‘­었’­은 ㉡에 해당하는 예로 어간에 결합하여 특
나누기도 한다. 어근의 앞에 위치하는 접두사는 굴절 접사가 없 정한 기능을 부여하는 형태소이군.

어 모두 파생 접사이고, 어근의 뒤에 위치하는 접미사는 굴절 ④ ‘깊이’의 ‘­이’는 ㉡에 해당하는 예로 문법적인 기능을 표시


하는 역할을 하는군.
접사와 파생 접사가 모두 존재한다. 굴절 접사는 흔히 ㉡ 어미
⑤ ‘흐르고’의 ‘­고’는 ㉡에 해당하는 예이며, ‘흐르다’는 사전
라고 하는데 접사라 하면 일반적으로 파생 접사만을 가리킨다.
에 표제어로 등재되었겠군.
결국 접사는 좁은 의미로는 파생 접사만을 의미하고 넓은 의미
로는 굴절 접사와 파생 접사를 모두 포함한다.
파생 접사는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내지만, 굴절 접사인 어
미는 그렇지 않다. 예를 들면 ‘구경꾼’은 파생 접사 ‘­꾼’이 어근
‘구경’과 결합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단어이고, 이렇게 만들어진
단어는 ‘구경’과는 별개의 단어로 사전에 표제어로 등재된다.
이에 비해 어간 ‘먹­’에 어미가 결합한 ‘먹지, 먹자, 먹어서’ 등은
사전에 표제어로 등재되지 않고, 기본형인 ‘먹다’만 사전에 표
제어로 등재된다.
특히 ㉮ 파생 접사는 어근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
C30 
2018(9월)/고2교육청 12
때 어근의 품사를 바꾸기도 하고 바꾸지 않기도 한다. 예를 들 밑줄 친 단어 중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어 ‘군소리’에서 접두사 ‘군­’은 ‘쓸데없는’이라는 뜻으로, 어근인
① 그의 친구는 행복하였다.
‘소리’가 나타낼 수 있는 뜻을 일부 제한할 뿐 품사를 바꾸지 않
② 그녀의 머릿결이 찰랑거린다.
는다. 하지만 ‘놀이’는 동사의 어간 ‘놀­’을 어근으로 하여 접미사
③ 나와 그녀의 견해차를 좁혔다.
‘­이’가 붙어 만들어진 명사이다. 즉 접미사 ‘­이’는 새로운 단어를
④ 아름다운 가을 하늘이 높다랗다.
만들 때 품사를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군­’과 같이 어근의 ⑤ 열심히 공부한 내가 자랑스럽다.
품사를 바꾸지 않는 접사를 한정적 접사라 하고, ‘­이’와 같이 어
근의 품사를 바꾸는 접사를 지배적 접사라 한다.


❖ 정답 및 해설 35~38p C. 단어의 구조와 형성 6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3 2020. 11. 26. 오전 10:00


D 단어의 분류

개념 12 품사
단어를 공통된 성질을 바탕으로 갈래를 나누어 형태 기능 의미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한다. 개념+
명사
체언 대명사 ★★품사를 구분하는 이유

수사 비슷한 단어들을 그룹으로 묶어


두면 많은 단어를 정리하거나 지
불변어 관형사
수식언 시할 때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부사 수 있기 때문이다.
독립언 감탄사
조사
관계언
서술격 조사
가변어 동사 참고
용언
형용사 ★★품사를 구분하는 순서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품사를 구
1 품사의 분류 기준 분할 때에는 아래의 순서와 같이
접근할 수 있다.
1. 형태: 문장에서 단어가 쓰일 때 형태가 변화하는지에 따라서 2가지로 분류한다.
 ‌어머, 철수는 벌써 밥을 다 먹
 하늘이 푸르구나 (푸르다). 었어.
단어의 형태가 변함. 활용을 하는 단어(동사, 형용
가변(可變)어 ‌
색칠을 예쁘게 (예쁘다) 잘 했네 [1단계] 각 어절의 단어 구분
사, 서술격 조사)
(하다). → ‌어머/철수/는/벌써/밥/을/
다/먹었어.
단어의 형태가 변하지 않음. 즉, 활용을 하지 않는 단  친구/가 나/를 만나러 왔습니다.
불변(不變)어 [2단계] 형식 형태소를 골라낸다.
어(체언, 수식언, 독립언, 서술격 조사 이외의 조사) 맙소사, 그릇/도 깨졌소?
→ ‘는, 을’은 조사
[3단계] 실질 형태소 중 용언을
2. 기능: 단어가 문장 내에서 어떤 기능(역할)을 하는지에 따라서 5가지로 분류한다. 골라낸다.
→ ‘먹었어(먹다)’는 동사
체언  나는
‌ 빵을 사서 그것을 친구
문장에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의 기능을 함. [4단계] 수식언을 골라낸다.
(명사, 대명사, 수사) 와 둘이 나누어 먹었다.
→ ‘벌써, 다’는 부사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  그녀는
‌ 달콤한 과자를 먹었습 [5단계] 독립언을 골라낸다.
용언(동사, 형용사)
등을 나타내는 단어임. 주로 서술어의 기능을 함. 니다. → ‘어머’는 감탄사
 ‌나는 그 식당에서 온갖 음식 [6단계] 체언을 골라낸다.
수식언(관형사, 부사)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며 주는 기능을 함. → ‘철수, 밥’은 명사
을 다 먹었습니다.
다른 단어의 뒤에 붙어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  나는
‌ 팥떡보다 콩떡을 더 좋
관계언(조사)
거나 의미를 더해 주는 기능을 함. 아해.
독립언(감탄사) 다른 단어들과 관계없이 홀로 독립하여 쓰임.  아니,
‌ 국수는 안 먹었어.
생각 +

3. 의미: 단어 부류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9가지로 분류한다. ★★서술격 조사 ‘이다’


서술격 조사 ‘이다’는 다른 조사와
명사 사람이나 사물, 장소 등의 이름을 나타냄.  철수,
‌ 강아지, 하늘, 사랑, 실망, 혁명
달리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대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나타냄.  그는
‌ 책을 샀지만 그것을 읽지는 않았다. 서술격 조사 ‘이다’는 체언이나 체
 떡볶이
‌ 하나 배달 되나요? 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서술
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냄. 어 역할을 하는 조사로, 조사임에도
‌
내가 중요시하는 것의 첫째는 건강이다.
불구하고 동사나 형용사처럼 활용
동사 사람이나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나타냄.  밥을
‌ 차렸으니 와서 먹으렴. 네, 갈게요.
을 하기 때문에 가변어에 속한다.
형용사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냄.  커다란
‌ 피자를 다 먹었더니 배가 부르다. 아래의 예에서처럼 문장에서 ‘이
관형사 체언 앞에 놓여서 체언(주로 명사)을 꾸며 줌. 새
‌ 옷을 샀으니 그 옷은 이제 갖다 버려라. 다’의 형태가 변하는 모습을 볼 수
부사 용언이나 문장 등을 꾸며 줌.  너무
‌ 기분이 좋아서 아침 내내 웃었어요. 있다.
 ‌나는 고등학생이다.
감탄사 놀람, 느낌, 부름, 대답 등을 나타냄.  아이고,
‌ 이제 왔니? 응, 늦어서 미안해.
너는 중학생이니?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  나는
‌ 너만큼 공부를 열심히 하는 친구를
조사
를 더함. 본 적이 없어.

6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4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품사의 분류 기준 10 다음 밑줄 친 단어들을 기능에 따라 분류할 때, 나머지와 성


격이 다른 하나는?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① 집에서 학교까지 뛰어서 갔습니까?
01 단어를 공통된 성질에 따라 분류한 것을 ( )(이)라
② 저는 할머니께 사실을 말씀드릴 생각입니다.
고 한다.
③ 우리 내일 선생님께 편지를 쓰자.
02 품사는 단어의 형태, 기능, ( )을/를 기준으로 나 ④ 꽃이 지는 것을 보고 있으니 마음이 쓸쓸하네.
눌 수 있다. ⑤ 이 자리에 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08

DAY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밑줄 친 단어들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시오.
03 단어를 기능에 따라 분류하면 7가지로 나누어진다.
 (,×) 친구들과 함께 떡볶이를 먹고 야구장에 가서 경기를 관
04 부사는 주로 용언이나 문장 등을 꾸며 준다. 람했습니다. 집에 오는 길에는 문구점에 들러 새 공책을
 (,×) 잔뜩 사고 지우개도 하나 샀습니다.

05 수식언은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11 체언:


 (,×)
12 용언:
06 다음 ㉠~㉥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각각 쓰시오. 13 수식언:
형태 기능 의미
명사
14 다음 단어의 품사를 분류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 ㉣
수사
㉠ ㉤ 머리, 설마, 공부하다, 어서, 귀엽다, 빠르다, 다섯, 탁구,
수식언
부사 연습, 무슨, 아마, 둘째, 만지다, 마르다, 그대, 정의롭다
독립언 감탄사
조사 ① 명사: 머리, 탁구, 연습, 그대
관계언

② 수사: 다섯, 무슨, 둘째
가변어 동사
㉢ ③ 동사: 공부하다, 빠르다, 만지다
형용사
④ 부사: 설마, 어서, 아마
⑤ 형용사: 귀엽다, 정의롭다, 마르다
✽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품사를 각각 쓰시오.

07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 ) 15 다음 중 체언이 아닌 것은?

08 다른 단어와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의미를 더해 ① 그 사람이 여기에 왜 왔지?


주는 역할을 한다. ② 이것이 웬 날벼락이니?
 ( ) ③ 하나를 보면 열을 알아.
④ 그 녀석은 인상이 참 좋아.
09 사람이나 사물, 장소 등의 이름을 대신 나타낸다.
⑤ 우리 저 식당에서 점심 먹자.
 ( )

정답
01 품사 02 의미 03 × 04  05  06 ㉠ 불변어 ㉡ 체언 ㉢ 용언 ㉣ 대명사 ㉤ 관형사 ㉥ 서술격 조사 07 형용사 08 조사 09 대명사 10 ②
11 떡볶이, 하나 12 가서, 관람했습니다 13 새, 잔뜩 14 ④ 15 ⑤

D. 단어의 분류 6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5 2020. 11. 26. 오전 10:00


D 단어의 분류

개념 13 체언
개념+

문장 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형태가 변하지 않고, 주어, 목적어, 보어 등으로 쓰일 수 ★★보통 명사와 고유 명사

있다. •‘-들’ 접사의 사용 유무


 ‌장군 → 장군들 () 
보통 명사 / 고유 명사 “A는 B를 ~한다.”라는 : 보통 명사
명사
자립 명사 / 의존 명사 문장에서 A나 B에 들어가는 이순신 → 이순신들 (×)
말이 체언이야.
: 고유 명사
지시 대명사 1~3인칭
체언 대명사 •‌단, 고유 명사에 접미사 ‘-들’을
재귀 결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보통
인칭 대명사
미지칭 명사가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부정칭 문맥을 통해 구분해야 한다.
양수사  ‌해군 사관생들은 바다를 지
수사
서수사 키기 위해 중책을 짊어진
이순신들이다.
1 명사
사물, 사람, 장소 등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어떤 속성을 지닌 대상들에 두루 쓰이는
보통 명사  학교, 장군, 바다
쓰임의 이름
범위 특정한 하나의 대상을 가리키기 위해 붙인 참고
고유 명사  서울대학교, 이순신, 태평양
이름 ★★의존 명사
자립 명사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명사  물건, 사람, 신발, 동물 의존 명사는 언뜻 보기에 명사처럼
앞에 관형어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명사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단위성 의존 명사: 수량을 셀 때 단위로 품사와 혼동되곤 한다. 자주 쓰이는
자립성  한 켤레, 여러 마리 의존 명사를 기억해 두면, 의존 명
의존 명사 쓰이는 의존 명사
좋은 것, 친절한 분, 아픈 데가 있다. 사가 무엇인지 감을 잡는 데에 도
•‌형식적 의존 명사: 실질적 의미가 별로
움이 된다.
없는 의존 명사
•‌식사를 하는 데에 두 시간 걸
렸어.
2 대명사 •먹고 싶은 만큼만 먹으렴.
•내키는 대로 해도 좋아.
사물, 사람, 장소 등의 이름을 대신하여 그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그 일은 네가 알 바가 아니다.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  이것, 그것, 저것 •나는 최선을 다 할 뿐이오.
지시
 ‌여기, 거기, 저기, 이곳, 그곳,
대명사 장소를 가리키는 대명사
저곳

1인칭 대명사 말하는 사람이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  나, 저, 우리, 저희, 소인, 짐

2인칭 대명사 말하는 사람이 청자를 가리키는 대명사  너, 자네, 그대, 너희, 여러분 생각 +
말하는 사람이 자신과 청자를 제외한 나 ★★수사, 관형사, 명사 구분
3인칭 대명사  그, 그녀, 이분, 그분, 그이
인칭 머지를 가리키는 대명사 수사가 문장 안에서 관형사로 쓰이
대명사 재귀 대명사 앞에 나온 체언을 다시 가리키는 대명사  자기, 당신 는 경우가 있다. 조사의 결합 여부
미지칭 모르는 사람이나 물건, 장소를 가리키는  그 사람은 누구니? 또는 뒤의 단어를 수식하는지 여부
에 따라 품사를 구별해야 한다.
대명사 대명사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지?
•첫째 주 토요일은 쉰다.
부정칭  아무나 나를 좀 도와 다오.
특정 대상을 가리키지 않는 대명사 → 관형사 - 명사 ‘주’를 수식
대명사 거기 아무도 없니?
•‌건강을 위해서 첫째가 운동
이고, 둘째가 식습관이다.
3 수사 → 수사 - 조사 ‘가’ 결합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수사에는 양수사와 서수사가 있는데, 양수사는 •이 아이가 우리집 첫째입니다.
→ ‌명사 - 조사 ‘이다’ 결합
수량을 나타내는 수사를 말하며, 서수사는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를 말한다. (사물이나 사람을 지칭할
 ‌하나, 둘, 셋…… / 일, 이, 삼…… (양수사) 경우 명사)
첫째, 둘째, 셋째…… / 제일 (第一), 제이 (第二), 제삼 (第三)…… (서수사)

6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6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명사 ✽ 다음을 읽고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보기>에서 각각 찾아 쓰시오.


철희: 우리 이제 집에 갈까?
[보기] 영수: 나는 이 숙제를 마저 하고 갈게. ㉠` 이거 너무 어려
그는 여의도에 있는 공원에서 친구와 노는 것을 가장 워서 철수에게 좀 도와달라고 해야겠어. 철수가 어려운
좋아합니다. 문제는 ㉡ `자기한테 물어보라고 했거든.
철희: 나는 숙제를 ㉢ `어디에 뒀는지 모르겠어.
01 체언:
08

DAY
11 ㉠은 ‘누구, 무엇’과 마찬가지로 미지칭 대명사에 속한다.
02 명사:
 (,×)
03 고유 명사:
12 ㉡은 재귀 대명사이다.
04 자립 명사:  (,×)
05 의존 명사: 13 ㉢은 특정 대상을 가리키지 않는 부정칭 대명사이다.
 (,×)

06 밑줄 친 단어 중 의존 명사가 아닌 것은?
3 수사
① 그 선수가 실수를 했을 리 없어!
② 너희들 모두 더할 나위 없이 잘 해주었어. ✽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③ 집을 떠나온 지가 어언 20년이 넘었습니다. 14 수사는 사물의 수량이나 ( )을/를 나타내는 단어


④ 이렇게 훌륭한 분을 연사로 모시게 되어 영광입니다. 이다.
⑤ 우리는 건물 안에서 청소를 하고 있었다.
15 수사 중에서 ‘하나, 둘, 셋, 일, 이, 삼’ 등 수량을 나타
내는 단어는 ( )(이)라고 한다.

2 대명사
16 <보기>를 참고할 때 밑줄 친 단어의 품사가 다른 하나는?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보기]
07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가리키는 단어이다. 첫째
 (,×)  【수사】 【관형사】
맨 처음의 차례(의). 차례로 맨 처음(의)
08 지시 대명사는 사람을 대신하여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 【명사】
 (,×)
① 무엇보다도 앞서는 것
09 2인칭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이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 ② 맏이
이다.
 (,×) ① 신발은 첫째로 발이 편안해야 한다.
② 김 선생님 댁 첫째가 이번에 대학에 간대요.
10 3인칭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이 자신과 청자를 제외한
나머지를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③ 우리 첫째는 둘째보다 결혼을 더 늦게 했어.
④ 이 가게는 항상 첫째 주 월요일에 쉰다.
 (,×)
⑤ 나에게는 우리 가정의 행복이 언제나 첫째입니다.

정답
01 그, 여의도, 공원, 친구, 것 02 여의도, 공원, 친구, 것 03 여의도 04 여의도, 공원, 친구 05 것 06 ⑤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순서 15 양수사 16 ④

D. 단어의 분류 6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7 2020. 11. 26. 오전 10:00


D 단어의 분류

개념 14 용언 참고

★★자타 양용 동사
용언은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 동사 ① ‌비가 그치다.
본용언
이나 상태 등을 나타내는 단어로, 본용언과 보조 형용사 ② ‌아기가 울음을 그치다.
용언 ①, ②의 서술어는 모두 ‘그치다’인
용언으로 나뉘며 각각에는 동사와 형용사가 있다. 데, ①은 자동사이고, ②는 타동사
보조 동사
보조 용언 이다. 이처럼 어떤 동사들은 자동사
보조 형용사
와 타동사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를

1 본용언 ‘자타 양용 동사’라고 한다. 자타 양


용 동사에는 ‘그치다’ 말고도 ‘멈추
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하면서 보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이다. 다, 다치다, 움직이다’ 등이 있다.

1. 동사: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이나 작용 등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개념+
자동사 목적어가 필요 없는 동사  ‌비가 내린다. 나는 길에서 넘어졌다. ★★동사와 형용사의 구분 방법
타동사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  우리는 과자를 샀다. 고양이가 사료를 먹는다.
동사 형용사
현재형  ×
2. 형용사: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ㄴ/-는다’ (먹는다) (예쁜다)
성상 관형사형  ×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직접 나타내는 형용사  아름답다, 귀엽다, 크다, 슬프다
형용사 ‘-는’ (먹는) (예쁘는)
성상 형용사를 대신하여 가리키는 형용사 (사물  ×
지시  이러하다, 저러하다, 어떠하다, 아무러 명령형,
의 성질이나 상태, 수량 따위가 어떠하다는 것 (먹어라, (예뻐라,
형용사 하다 청유형
을 형식적으로 가리킴.) 먹자) 예쁘자)
목적·의도  ×
‘-(으)려고’, (먹으려고, (예쁘려고,
2 보조 용언 ‘-고자’ 등 먹고자) 예쁘자)

혼자서는 쓰이지 못하고 본용언과 연결되어 그것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용언이다. ※ ‌‘내리다’와 같이 동사이지만 이
 이거 한번 먹어 보렴. 태풍이 올 법하군. 렇게 구분할 수 없는 예도 있으
동사 ↲ ↳ 보조 동사 동사 ↲ ↳ 보조 형용사 니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크다’와 같이 동사, 형
1. 보조 동사: 동사처럼 활용하는 보조 용언이다. 용사 둘 다로 쓰이는 단어도 있
음을 기억해야 한다.
완료 밀린 월급을 받아 냈다. 숙제를 마치고 나서 오너라.
 ‌아이는 잘 크니? (동사)
진행 이제 거의 끝나 간다. 새 아침이 밝아 온다. 나는 운동을 하고 있어.
저 가방은 너‌무‌크다. (형용사)
유지 잘 기억해 두었다. 과제는 마무리를 해 놓자.
부정 나는 울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예상하지 못했다. 참고
도달 이러다간 우리 팀이 지게 생겼어. ★★본용언과 보조 용언의 구분 방법
용언들의 순서가 교체될 수 있는
2. 보조 형용사: 형용사처럼 활용하는 보조 용언이다.
지, 다른 문장 성분이 개입할 수
추측 그 팀이 우승할 듯하다. 꽃이 피었나 보다. 있는지에 따라 본용언과 보조 용
언을 구분할 수 있다.
가능성 우리가 이길 뻔했어. 그의 진술은 믿을 만하다.
•‌그는 쓰레기를 구분하여 치
소망 피자를 먹고 싶어. (본용언+본용언)
웠다.
→ ‌그는 쓰레기를 치워 구분
3. 보조 용언 없이 결합한 예
하였다.()
문장에서 두 개 이상의 용언이 연달아 쓰일 때,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결합한 경우도 있지만 → ‌그는 쓰레기를 구분하여
(서둘러) 치웠다.()
본용언 여러 개가 함께 쓰이는 경우도 있다.
•그는 밖으로 나가 버렸다.
 A의
‌ ‘버리다’는 ‘씻다’라는 행동에 완료의 의미를 (본용언+보조 용언)
더해 주는 역할만 할 뿐 실제로 버리는 행위를 → ‌그는 밖으로 버려서 나갔
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B의 ‘버리다’는 ‘씻다’와 다.(×)
마찬가지로 ‘버리다’라는 행위, 즉 실질적인 의 → ‌그는 밖으로 나가 (서둘러)
미를 갖고 있다. 버렸다.(×)
‌(‘서둘러’를 넣으면 문장이
어색함.)
A. 그 통은 내가 씻어 버렸어. B. 그 통은 내가 씻어서 버렸어.
본용언 ↲ ↳ 보조 용언 본용언 ↲ ↳ 본용언

6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8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본용언 16 밑줄 친 단어 중에서 품사가 다른 하나는?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① 달리는 차 안에서 전화 통화를 하면 안 돼.


② 교실에 모인 친구들이 시끄럽게 소리를 질렀다.
01 ( )은/는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이나 작용 등을
③ 내일은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야지.
나타내는 단어이다.
④ 그의 연기는 상대 배우를 더욱 빛나게 한다.
02 ( )은/는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 ⑤ 음식을 씹을 때 소리를 내지 맙시다.
타내는 단어이다.
08

DAY
03 ( )은/는 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하면서 보
조 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이다.
2 보조 용언

04 ( ) 형용사는 성상 형용사를 대신하여 가리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는 형용사이다. 17 보조 용언은 혼자서는 쓰이지 못한다.
 (,×)

18 용언이 두 개 이상 쓰이는 경우, 본용언이 여러 개 함께


쓰이는 경우도 있다.
✽ 밑줄 친 단어가 동사이면 , 아니면 × 표시하시오.  (,×)
05 그 아이는 눈썹이 정말 길더라. (,×)
06 그 거북이는 토끼보다 빠르대. (,×) ✽ ‌밑줄 친 용언의 구성 방식을 <보기>와 같이 밝혀 쓰시오.
07 일찍 자야 키가 큰대. (,×) [보기]

08 할머니는 오랜 병치레로 기력이 쇠약하셨다. (,×) 나는 잠깐 여기서 쉬다 갈게. → 본용언+본용언

09 우리는 학교 앞에서 내렸다. (,×)


19 친구는 밥부터 먹고 만나자.
20 할머니는 제가 잘 보살펴 드릴게요.
21 우선 재활용품부터 분류하여 치웁시다.
✽ 밑줄 친 단어가 형용사이면 , 아니면 × 표시하시오. 22 그는 음식을 마구 먹어 댔다.
10 나는 기분이 좋아 노래를 불렀다. (,×) 23 그 책을 꼭 사고 싶습니다.
11 내가 만든 음식은 전부 맛있어.  (,×)
12 지갑이 하나 필요합니다.  (,×) 24 다음 중 보조 형용사가 쓰인 문장은?
13 오늘 날씨는 어떻습니까? (,×) ① 나는 실패하고 말았어.
14 크게 성공하려면 작은 약속을 잘 지켜야 해. (,×) ② 어느 새 밥이 다 되어 가네.
③ 나는 동생을 모르는 체했어요.
15 우리집에는 늙은 개가 한 마리 있어요. (,×)
④ 철수는 곧바로 문을 열고 나갔다.
⑤ 몸을 떠는 것을 보니 추운가 보다.

정답
01 동사 02 형용사 03 본용언 04 지시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② 17  18 
19 본용언+본용언 20 본용언+보조 용언 21 본용언+본용언 22 본용언+보조 용언 23 본용언+보조 용언 24 ⑤

D. 단어의 분류 6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69 2020. 11. 26. 오전 10:00


D 단어의 분류

3 용언의 구성
1. 어간: 용언이 활용할 때에 변하지 않는 부분으로 단독으로 쓰일 수 없으며 어미와 결합해야
꼬리 몸통
한다.  먹자, 먹고, 먹었어
‘먹-’은 변하지 않는 부분이므로 어간

2. 어미: 용언이 활용할 때에 변하는 부분으로 문법적 의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 보니, 보고, 보았어
‘-니’, ‘-고’, ‘-았-’, ‘-어’는 변하는 부분이므로 어미
몸통은 ‘어간’에, 꼬리는 ‘어미’에 해당한다.

4 용언의 활용
용언이 문장 속에서 기능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는 것을 활용이라고 한다.
1. 규칙 활용: 활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모습이 바뀌지 않거나 규칙적으로 변하는 활용이다.
(1) 어간과 어미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경우
참고
다 ⇨ 막다 다 ⇨ 접다 다 ⇨ 가다
★★어미의 종류
막 (으)니 ⇨ 막으니 접 (으)니 ⇨ 접으니 가 (으)니 ⇨ 가니
어미는 크게 어말 어미와 선어말
아/어서 ⇨ 막아서 아/어서 ⇨ 접어서 아/어서 ⇨ 가서 어미로 나눌 수 있다. 어말 어미는
단어의 마지막에 오는 어미이고,
(2) 어간과 어미의 형태가 다소 변하지만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
선어말 어미는 어간과 어말 어미
다 ⇨ 끄다 다 ⇨ 울다 사이에 쓰이는 어미이다. 주로 높
끄 (으)니 ⇨ 끄니 울 (으)니 ⇨ 우니 (어간 끝소리 ‘ㄹ’ 탈락) 임, 시제, 화자의 태도 등을 드러내
는 역할을 한다.
아/어서 ⇨ 꺼서 (어간 끝소리 ‘ㅡ’ 탈락) 아/어서 ⇨ 울어서
또한 어말 어미는 종결 어미, 전성
2. 불규칙 활용: 활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모습이 불규칙적으로 변하는 활용이다. 어미, 연결 어미로 나뉘는데, 종결
어미는 한 문장을 종결되게 하는
(1) 어간이 바뀌는 불규칙 활용 어미이며, 전성 어미는 용언의 어
① ‌‘ㄷ’ 불규칙: 어간의 끝소리 ‘ㄷ’이 모음 어미 ② ‌‘ㅂ’ 불규칙: 어간 끝소리 ‘ㅂ’이 모음 어미 간에 붙어 다른 품사의 기능을 수
행하는 어미이다. 그리고 연결 어
앞에서 ㄹ로 바뀐다. 앞에서 ‘오/우’로 바뀐다.
미는 어간에 붙어 다음 말에 연결
다 ⇨ 묻다 다 ⇨ 돕다 하는 구실을 하는 어미이다.
묻 (으)니 ⇨ 물으니 돕 (으)니 ⇨ 도우니  ‌이제 어머니도 잘 도착하셨겠지.
아/어서 ⇨ 물어서 아/어서 ⇨ 도와서 도착하-+-시-+-었-
어간 높임 과거
선어말 어미
③ ‌‘ㅅ’ 불규칙: 어간의 끝소리 ‘ㅅ’이 모음 어미 ④ ‘르’
‌ 불규칙: 어간 끝소리 ‘르’가 모음 ‘아/어’
+-겠-+-지
앞에서 탈락한다. 앞에서 ‘ㄹㄹ’로 바뀐다. 선어말 어미, 어말 어미
추측 종결
다 ⇨ 잇다 다 ⇨ 흐르다
잇 (으)니 ⇨ 이으니 흐르 (으)니 ⇨ 흐르니
아/어서 ⇨ 이어서 아/어서 ⇨ 흘러서
개념+
⑤ ‌‘우’ 불규칙: 어간의 끝소리 ‘ㅜ’가 모음 어미 ★★활용할 때 어간이 바뀌는 불규
앞에서 탈락한다. 칙 용언의 예

다 ⇨ 푸다 ‘ㄷ’ 불규칙 걷다, 깨닫다


푸 (으)니 ⇨ 푸니 ‘ㅂ’ 불규칙 곱다, 아름답다
아/어서 ⇨ 퍼서 ‘ㅅ’ 불규칙 붓다, 짓다
‘르’ 불규칙 마르다, 고르다
(2) 어미가 바뀌는 불규칙 활용
‘우’ 불규칙 푸다
‘러’ 불규칙 어간이 ‘르’로 끝나는 일부 용언에서 어미 ‘-어’가 ‘-러’로 변함.  푸르+-아 /어 → 푸르러
‘여’ 불규칙 어간 ‘하’ 뒤에 오는 어미 ‘-어’가 ‘-여’로 변함.  노력하+-어 → 노력하여 ★★활용할 때 어미가 바뀌는 불규
불완전 동사 ‘달다’ 뒤에 오는 명령형 어미 ‘-아 /어라’는 ‘오’ 칙 용언의 예
‘오’ 불규칙  달+-아라 → 다오
로 변함. ‘러’ 불규칙 이르다, 누르다
‘하다’로 끝나는
(3) 어간과 어미가 모두 바뀌는 불규칙 활용 ‘여’ 불규칙
용언
‘ㅎ’으로 끝나는 일부 용언 어간에 어미 ‘-아 /어’가 오면 어 ‘오’ 불규칙 달다
‘ㅎ’ 불규칙  파랗+-아 /어서 → 파래서
간의 ‘ㅎ’이 탈락하고 ‘-아 /어’는 ‘-애 /에’로 변함.

7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0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3 용언의 구성 09 다음 중 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이 아닌 것은?

01 다음 중 용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늙다 ② 날다 ③ 기르다


④ 마시다 ⑤ 아프다
① 용언은 동사와 형용사이다.
② 용언은 어근과 어미로 구성된다. ✽ 다음 밑줄 친 용언에 나타나는 불규칙 활용의 이름을 쓰시오.
③ 어미는 문법적 의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10 그 자동차는 정말 빨라. ( )
④ 어미에는 어말 어미와 선어말 어미가 있다.
11 수레에 짐을 잔뜩 실었다.( )
08

DAY
⑤ ‌용언은 활용할 때 변하지 않는 부분과 변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2 꾸준히 연습하여라. ( )

13 밑줄 친 단어 중 ‘ㅂ’ 불규칙에 해당하는 것은?


✽ 다음 밑줄 친 용언의 기본형을 쓰시오.
① 언니가 내 손을 붙잡았어.
02 체육 시간에 땀이 많이 났겠지. ② 나는 특별히 바라는 게 없어.
03 나는 아름다운 작품을 완성했다. ③ 할머니는 아이를 업고 있었다.
④ 윗옷을 벗어도 땀이 계속 흘렀다.
04 벌에 쏘인 자리가 퉁퉁 부었습니다.
⑤ 날씨가 이렇게 추운데 꼭 나가야겠어?

14 다음 용언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다음 밑줄 친 용언의 어간과 어미를 나누어 쓰시오.

05 라면이 다 식었어. 예의가 바르다. - 예의가 발라서


06 네가 노력한 만큼 거두겠지.
① 어간과 어미가 모두 바뀌는 경우
07 동생에게 줄 선물을 골랐다.
② 어간과 어미가 바뀌지 않는 경우
③ 일부 어간 뒤에서 어미가 바뀌는 경우
④ 모음 ‘아/어’ 앞에서 어간이 바뀌는 경우
4 용언의 활용
⑤ 어간이나 어미가 바뀌지만 음운 규칙으로 설명되는 경우
08 다음 중 용언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다음 불규칙에 해당하는 활용 경우를 <보기>의 ㉠~㉢에서 고
① 활용은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으로 나눌 수 있다. 르시오.
② ‌활용은 어간에 어미가 다양하게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
[보기]
어진다.
㉠ 어간과 어미가 모두 바뀌는 경우
③ ‌불규칙 활용 중에는 어간과 어미의 형태가 모두 변하는
㉡ 일부 어간 뒤에서 어미가 바뀌는 경우
경우도 있다.
㉢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어간이 바뀌는 경우
④ ‌용언이 문장 속에서 기능에 따라 형태를 달리하는 것을
활용이라고 한다. 15 ‘ㅎ’ 불규칙 ( )
⑤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형태가 절대 변하지
16 ‘러’ 불규칙 ( )
않는 경우만 규칙 활용에 해당한다.
17 ‘ㅂ’ 불규칙 ( )

정답
01 ② 02 나다 03 아름답다 04 붓다 05 어간: 식- / 어미: -었어 06 어간: 노력하- / 어미: -ㄴ 07 어간: 고르- / 어미: -았다 08 ⑤ 09 ③ 10 ‘르’ 불규칙
11 ‘ㄷ’ 불규칙 12 ‘여’ 불규칙 13 ⑤ 14 ④ 15 ㉠ 16 ㉡ 17 ㉢

D. 단어의 분류 7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1 2020. 11. 26. 오전 10:00


D 단어의 분류

개념 15 수식언
문장에서 다른 말을 꾸며 주는 단어로, 관형사와 부사가 있다. 참고

★★관형사와 대명사의 구분 방법
성상 관형사
관형사 지시 관형사 •‌단독으로 쓰이거나 뒤에 조사가
수 관형사 바로 붙으면 대명사이다.
성상 부사  그가
‌ 나타났다.
수식언
성분 부사 지시 부사 이는 모두 거짓이오!
부정 부사
부사 •뒤에 체언이 오면 관형사이다.
양태 부사 그
‌ 사람이 나타났다.
문장 부사
접속 부사
이 말은 모두 거짓이오!
1 관형사
★★수 관형사와 수사의 구분 방법
체언 앞에서 체언을 꾸며 주는 단어이다.  그 학생, 헌 가방, 두 친구 •‌단독으로 쓰이거나 뒤에 조사가
바로 붙으면 수사이다.
1. 관형사의 특징
 한 팀에 다섯은 너무 많아.
(1) 불변어로, 활용을 하지 않음.  순 거짓 옛 추억
•‌뒤에 체언이 오면 수 관형사이다.
(2) 조사가 붙을 수 없음.  순 + 의 거짓말 옛 + 의 추억  ‌한 팀에 다섯 명은 너무 많아.
‘관형사 + 조사’의 결합이 어색함.
2. 관형사의 종류
성상 관형사 대상의 모양, 성질, 상태를 나타내는 관형사  온갖 동물, 외딴 마을, 새 책 생각 +

 ‌이 학생, 저 사람, 그 아이, 어느 곳, ★★그것? 그 것?


지시 관형사 특정 대상을 지시하는 관형사
무슨 일 ‘이것, 그것, 저것’은 관형사 ‘이, 그,
수 관형사 대상의 수량이나 순서를 나타내는 관형사  한 사람, 세 명, 여러 번, 모든 일 저’와 의존 명사 ‘것’이 결합된 형태
이지만 관형사와 명사로 구분하지
않고 대명사로 분류하고 있다. 위
2 부사 의 단어들은 워낙 많이 쓰이는 말
용언이나 문장 등을 꾸며 주는 단어이다. 이다 보니, 두 단어가 합성하면서
품사가 바뀐 예라 볼 수 있다.
 음식이 너무 짜다. 다행히 우리는 그 집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부사 형용사 부사 문장 전체

부사는 보통 체언을 생각 +
1. 부사의 특징 제외한 다른 품사를
수식하지만, 일부 명사를 ★★‘깨끗이’는 ‘깨끗하다’의 활용형
(1) 불변어로, 활용을 하지 않음.  어서 먹어라. 꾸며 주기도 해! 일까?
(2) 용언 이외에 다른 부사를 꾸미기도 하고 드물게 체언을 꾸미기도 함. ① 깨끗이 치웠어.
 •너무 헌 신발이네. (관형사 수식) •아주 빨리 왔구나. (부사 수식) ② 깨끗하게 치웠어.
부사 관형사 부사 부사
①의 ‘깨끗이’는 부사 파생 접미사
•참석자들이 겨우 조금밖에 모이지 않았다. ‘이’가 결합된 부사이고, ②의 ‘깨
부사 명사
끗하게’는 ‘깨끗하다’의 활용형으
(3) 보조사(는, 도, 들)와 결합할 수도 있음.  빨리도 왔네. 어서들 출발합시다. 로, 형용사이다.
같은 어근 ‘깨끗  -’을 확인할 수 있
2. 부사의 종류 어 같은 품사로 여기기 쉽지만 사
(1) 성분 부사: 문장의 한 성분을 꾸며 준다. 실은 단어의 구성이 다르다.

성상 부사 모양, 성질, 상태, 정도 등을 한정하는 부사  참 맛있구나. 깨끗이 치웠니?


때와 곳을 한정하는 부사. 또는 앞에서 언급  이리 오렴. 참고
지시 부사
된 사실을 가리키는 데에 쓰이는 부사 어제 거기 갔었니? ★★부사의 위치 이동
부정 부사 용언의 내용을 부정하는 부사  저녁 안 먹었어? •문장 부사: 특정 성분을 수식하
는 것이 아니라 문장 전체를 수
(2) 문장 부사: 문장 전체를 꾸며 준다.
식하기 때문에 문장 속에서 위
양태 부사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 부사  제발 저를 믿어 주세요. 치 이동이 비교적 자유롭다.
•성분 부사: 위치가 달라지면 수
 진실
‌ 혹은 거짓
식을 받는 대상이 달라지기 때
접속 부사 단어나 문장을 이어 주는 부사 ‘그리고, 그러나’처럼 문장을 이어 주
문에 위치가 바뀌기 어렵다.
는 부사도 포함됨.

7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2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관형사 13 <보기>에서 부사를 모두 고르시오.


[보기]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잘 지냈니? 나는 즐겁게 지내고 있어. 여기에 온 이후
01 관형사는 ( ) 앞에 놓여서 그 말을 꾸며 주는
로 건강도 아주 좋아졌어. 다만 친구들이 그리워서 기분
역할을 한다. 이 안 좋아. 시간이 나면 이리 놀러와 줄래?
02 관형사는 성상 관형사, ( ) 관형사, 수 관형사
로 나뉜다.
08

DAY
14 다음의 밑줄 친 예가 될 수 없는 것은?
✽ 관형사가 아닌 단어를 찾아 표시하시오.

03 나는 (새, 예쁜, 온갖, 모든) 물건을 샀다. 문장 부사는 접속 부사와 양태 부사로 나눌 수 있다. 양
태 부사란 화자의 심리적 태도를 나타내는데, 문장 안에
04 (웬, 어떤, 한, 낯선) 남자가 찾아왔습니다.
서 다양한 위치에 쓰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05 그들은 (어느, 외딴, 먼, 그) 마을로 떠났습니까?
① 과연 너는 똑똑하구나,
② 모쪼록 성공하기를 빈다.
✽ 밑줄 친 단어의 품사를 쓰시오.
③ 아이가 꽈당 넘어져서 울었다.
06 첫째, 공부를 열심히 하고 둘째,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④ 멧돼지는 분명히 돌아올 것입니다.
07 이 책은 꼭 읽어야 해. ⑤ 이번 일은 결코 잊을 수 없을 거야.

08 꿈에서 그를 만났습니다.
09 다섯 명이 모여서 사업을 시작했다. 15 <보기>를 참고하여 부사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부사 [보기]

(가) 1. 설탕 또는 시럽을 넣어 주세요.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부사
2. 사정은 잘 알겠다. 그래도 용서할 수 없어.
10 부사는 주로 용언이나 문장 등을 꾸며 주는 단어이다. 부사
(나) 1. 이리 가까이 오세요.
 (,×) 부사
2. 저기에 올려 주세요.
11 부사가 체언을 수식하는 경우도 있다.  대명사
(다) 1. 회의를 오늘 할까요?
 (,×) 부사
2. 네, 오늘이 좋을 것 같습니다.
명사
12 밑줄 친 단어 중 수식언인 것은?
① (가)의 부사는 접속 부사로 분류할 수 있겠군.
① 나는 라면이 최고로 좋다.
② 부사가 체언과 체언을 연결하는 데에 쓰이기도 하는군.
② 여기 오니 옛 추억이 떠오른다.
③ 부사 중에는 명사나 대명사와 형태가 같은 것도 있군.
③ 우리 엄마는 유치원 선생님이셔.
④ ‌시간을 가리키는 부사에는 조사가 결합하지 않는군.
④ 언제 어디서 친구를 만나니?
⑤ (나)와 (다)에 나타난 부사는 성상 부사로 분류되겠군.
⑤ 그것은 내려놓고 빈손으로 이리 오렴.

정답
01 체언 02 지시 03 예쁜 04 낯선 05 먼 06 수사 07 관형사 08 대명사 09 관형사 10  11  12 ② 13 잘, 아주, 다만, 안, 이리 14 ③ 15 ⑤

D. 단어의 분류 7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3 2020. 11. 26. 오전 10:00


D 단어의 분류

개념 16 관계언과 독립언
1 관계언 참고

★★접속 조사 ‘와/과’와 부사격 조


다른 단어의 뒤에 붙어서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의미를 더해 주는 역할을 하 사 ‘와/과’ 구분
는 단어로, 조사가 있다.  나는 친구와 아침부터 운동을 했어요. ① 비와 바람이 대단하다.
② 언니는 오빠와 함께 출근한다.
1. 조사의 특징
①의 ‘와’는 명사 ‘비’와 ‘바람’을 이
(1) 결합 여부: 단독으로는 쓰일 수 없고, 다른 말에 붙어서만 쓰인다.(주로 체언에 붙어 쓰이지 어 주는 접속 조사이다.
②의 ‘와’는 두 명사를 이어 주는
만, 부사나 용언의 어미에도 붙어 쓰이며 여러 개의 조사가 결합하여 쓰일 수도 있다.)
것이 아니라 ‘오빠’를 부사어로 만
 꽃이 피었다. 빨리도 왔다. 날씨가 좋아요. 너만큼만이라도 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의
명사에 붙음. 부사에 붙음. 용언의 어미에 붙음. 조사 3개가 결합됨.
‘와’는 부사격 조사이다.
(2) 활용 여부: 활용하지 않는다.(단, 서술격 조사인 ‘이다’는 활용을 하는 가변어임.)
 학생이다 – 학생이니 – 학생이면 – 학생이라서 - 학생인

2. 조사의 종류 참고

★★조사 ‘에서’의 쓰임
(1) 격 조사: 앞에 오는 체언에 일정한 문법적 자격(문장 성분)을 부여하는 조사이다.
조사 ‘에서’는 앞의 체언이 부사어
주격 조사 앞의 체언이 주어의 자격을 갖게 하는 조사 (이/가, 께서)  바다가 푸르다. 하늘이 높다. 의 자격을 갖게 하는 부사격 조사
 나는 하늘을 보았다. 로 주로 쓰인다. 그런데 예외적으
목적격 조사 앞의 체언이 목적어의 자격을 갖게 하는 조사 (을/를)
우리는 친구를 만났다. 로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에 붙
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주
앞의 체언이 보어의 자격을 갖게 하는 조사 (이/가)  나는 학생이 아니다.
보격 조사 격 조사로 쓰이는 경우가 있으니
(서술어 ‘되다’와 ‘아니다’ 앞에 쓰인다.) 그는 대표가 되었다.
주의해야 한다.
서술격 조사 앞의 체언이 서술어의 자격을 갖게 하는 조사 (이다)  나는 학생이다.
 ‌이번 대회는 우리 학교에서 우
관형격 조사 앞의 체언이 관형어의 자격을 갖게 하는 조사 (의)  친구의 책을 빌렸다. 승을 차지했다.
앞의 체언이 부사어의 자격을 갖게 하는 조사 (에, 에서,  ‌우리는 도서관에서 만나기
부사격 조사
에게) 로 했다.
호격 조사 앞의 체언이 부름말의 의미를 가지게 하는 격 조사(아/야)  민수야, 재원아, 집에 가자. 개념+

★★다양한 의미를 가진 보조사


(2) 접속 조사: 두 단어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조사이다. ‘와/과’. ‘하고’. ‘(이)랑’ 등이 있다.
은/는 대조, 강조
 사과 하고 배를 사자. 딸기와 포도도 사자.
만 제한, 한정
(3) 보조사: 앞에 오는 단어에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조사이다. 체언이 아닌 다른 품사와도 까지, 이미 어떤 것이 포함
조차, 도 되고 그 위에 더함.
결합할 수 있으며, 형태가 다양하다.
뿐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
 동생 만 상을 탔고 나 는 못 탔어. 심심해서 낮잠 이라도 자야겠어요.
단독 대조, 강조 차선의 선택 높임 밖에 그것 말고는
앞말과 비슷한 정도
만큼
나 한도
어절이나 문장의 끝
2 독립언 요 에 결합하여 상대 높
다른 단어들과 관계를 맺지 않고 독립성을 가지는 단어 무섭니?
임을 나타냄.
보조사
로, 감탄사가 있다. 감탄사는 놀람, 느낌, 부름, 대답 등을
글쎄요.
나타내는 단어이다.
감탄사 개념+
 야, 이리 와 봐. 네, 제가 했습니다.
★★감탄사의 종류
1. 감탄사의 특징 감탄사는 말하는 이의 감정을 표
현하는 감정 감탄사, 듣는 이를 의
(1) 보통 조사와 결합하지 않는다. (예외  그럼요, 글쎄요)
감탄사에 높임의 의미를 더하는 보조사 식하면서 말하는 이가 자기 생각
(2) 활용하지 않으며,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을 드러내는 의지 감탄사, 별다른
‘요’가 결합하는 경우도 있다.
(3) 단독으로 문장을 이룰 수도 있다.  배 고프니? 네. 의미 없이 입버릇이나 더듬거리는
소리를 표현하는 무의미 감탄사로
(4) 문장 안에서 위치가 자유롭다.  내가, 허허, 미안하네.
나눌 수 있다.
(5) 독립적으로 쓰이기 때문에 뒤에 쉼표( , )나 느낌표( ! ) 등이 붙는 경우가 많다.

7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4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관계언 ✽ 다음 문장에서 조사를 모두 찾으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3 나도 너만큼은 열심히 했어.

01 조사는 다른 조사와 결합하여 쓰이기도 한다.  14 이번 시험 범위는 여기부터 마지막 단원까지입니다.


 (,×)

02 모든 조사는 활용할 수 없으므로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2 독립언


 (,×)
15 밑줄 친 단어 중 감탄사가 아닌 것은?
08

DAY
03 조사는 체언과 부사에만 붙을 수 있다. 
① 그래, 네 생각에도 일리가 있어.
 (,×)
② 제가 글쎄 오늘 지각을 했지 뭐예요.
③ 유리병이 펑 터지자 모두가 달아났다.
④ 세상에, 어떻게 그런 짓을 했을까.
✽ ‌밑줄 친 단어가 주격 조사이면 , 보격 조사이면 △, 둘 다 아 ⑤ 날씨가 정말 좋네요, 여보.
닐 때에는 × 표시하시오.

04 오늘 부로 나는 주장이 되었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5 우리는 학교에서 만나기로 했어. 16 감탄사는 문장 안에서 위치 이동이 비교적 자유롭다.


06 다음 달에 시청에서 마라톤 대회를 개최한다.  (,×)

07 선생님께서 직접 숙제를 검사하신대. 17 감탄사는 단독으로는 문장을 이룰 수 없다.


 (,×)
08 이 편지를 할머니께 부쳐 주세요.
18 감탄사 중에는 활용하여 형태가 변하는 것도 있다.
 (,×)

✽ 밑줄 친 보조사의 의미를 <보기>에서 고르시오.


19 <보기>를 참고하여 감탄사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보기] 않은 것은?
ㄱ. ‘그것 말고는’, ‘그것 이외에는’의 뜻을 나타냄.
[보기]
ㄴ. 이미 어떤 것이 포함되고 그 위에 더함의 뜻을 나타냄.
ㄱ. 야, 너 이리 좀 와 봐.
ㄷ.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냄.
ㄴ. 오냐, 너도 새해 복 많이 받아라.
ㄹ. ‘그것만이고 더는 없음.’을 나타냄.
ㄷ. 아무렴, 네 말이 옳고말고.
ㄹ. 아, 그럼요, 그 일은 제가 해야지요.
09 나도 형만큼 운동을 잘할 수 있다. ( )

10 너조차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줄 몰랐다. ( ) ① ㄱ에서는 감탄사가 부름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군.

11 내가 가진 것은 이것뿐이다. ( ) ② ㄴ에서는 감탄사가 대답하는 말로 쓰였군.


③ ㄷ에서는 상대의 말에 동의하는 뜻을 감탄사로 표현했군.
12 하나밖에 남지 않았다. ( )
④ ㄹ을 보니, 한 문장에서 여러 개의 감탄사를 쓸 수도 있군.
⑤ ㄱ~ㄹ을 보니, 감탄사는 조사와 결합하여 쓸 수 없군.

정답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ㄷ 10 ㄴ 11 ㄹ 12 ㄱ 13 도, 만큼, 은 14 는, 부터, 까지, 입니다 15 ③ 16  17 ×
18 × 19 ⑤

D. 단어의 분류 7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5 2020. 11. 26. 오전 10:00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12 ~ 개념 16

개념 12 품사 D03 
2016(6월)/고2교육청 12

형태 기능 의미 <보기>의 [가]를 바탕으로 [나]를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명사 것은? [3점]
체언 대명사 [보기]
수사
[가] ‌품사는 단어를 ‘형태’, ‘기능’,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한
불변어 관형사
수식언
부사 것이다. ㉠ ‘형태’에 따라 불변어, 가변어로, ㉡ ‘기능’에
독립언 감탄사 따라 체언, 용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으로 나뉜다.
조사
관계언 그리고 ㉢ `‘의미’에 따라 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
서술격 조사
용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로 나뉜다.
가변어 동사
용언
형용사 [나] 열에 아홉은 매우 착실한 학생이다.

① ㉠에 따라 나누면 ‘착실한’과 ‘이다’는 가변어이다.


D01 
예상 문제 ② ㉡에 따라 나누면 ‘열’과 ‘학생’은 체언이다.
밑줄 친 단어들을 바탕으로 단어의 분류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③ ㉡에 따라 나누면 ‘은’과 ‘이다’는 관계언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④ ㉢에 따라 나누면 ‘아홉’과 ‘학생’은 같은 품사이다.
[보기] ⑤ ㉢에 따라 나누면 ‘매우’와 ‘착실한’은 다른 품사이다.
ㄱ. 그 옷은 헌 거니까 아무 상자에나 던져 넣어라.
ㄴ. 아이들이 모두 모여 즐거이 춤을 추며 실컷 놀았다. 개념 13 체언
보통 명사 / 고유 명사
ㄷ.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해서 흐뭇하구나. 명사
자립 명사 / 의존 명사
ㄹ. 무엇이 더 중요한지 너도 생각을 해 봐. 지시 대명사
체언 대명사
인칭 대명사
ㅁ. 선생님께서 와 주실 줄은 꿈에도 몰랐어요.
양수사
수사
서수사

① ㄱ의 밑줄 친 단어들은 의미의 차이로 다시 품사를 구분


할 수 있다.
② ㄴ의 밑줄 친 단어들은 ㄷ의 밑줄 친 단어들과 달리 활용 D04 
예상 문제

을 하여 형태를 바꿀 수 없다. <보기>를 바탕으로 의존 명사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


③ ㄷ의 밑줄 친 단어들은 기능상 한 분류에 속하지만, 의미 은? [2점]
를 기준으로 분류하면 구분된다. [보기]

④ ㄹ의 밑줄 친 단어들은 모두 주어로 기능할 수 있다. ㄱ. 그 일은 내가 알 바가 아니다.


⑤ ㅁ의 밑줄 친 단어들이 속하는 품사는 다른 말과의 문법 ㄴ. 밥을 먹은 지 8시간이나 지났어.

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의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ㄷ. 집이 좁아서 연습할 데가 없습니다.


ㄹ. 먹고 싶은 것을 원하는 만큼 먹으렴.
ㅁ. 그분이 우리를 도와주실 수도 있나요?
D02 
예상 문제

다음 문장을 단어 단위로 구분하고, 각 단어의 품사를 쓰시오. [2점] ① ㄱ에서는 의존 명사가 주어로 쓰이고 있다.
② ㄱ과 ㄴ을 보면 의존 명사에는 조사가 반드시 붙어야 한다.
⑴ 선배들은언제부터학교에나옵니까?
③ ㄷ과 ㄹ을 보면 의존 명사 앞에는 용언을 관형어로 취할
수 있다.
⑵ 선생님께서는이번학기에무슨수업을개설하실계획인가요?
④ ㄹ과 ㅁ을 보면 의존 명사는 앞말과 붙여 써야 한다.
⑤ ㅁ에서는 의존 명사가 관형사의 수식을 받고 있다. 

7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6 2020. 11. 26. 오전 10:00


D05 
2015(11월)/고1교육청 12
D06 
예상 문제

<보기>를 참고할 때, 다음 문장 중 어법에 맞는 것은? [2점]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의 내용을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보기]
않은 것은? [2점]
단어의 품사를 분류할 때에는 분류가 쉽지 않은 것들도
[보기 1]
있는데, 대표적으로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이 그러하다. 단
학생: 선생님, 지난 시간에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쓰는 것
어의 의미만으로 동사와 형용사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에
을 원칙으로 한다고 가르쳐 주셨잖아요. 그런데 막상 띄
는 단어의 활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어쓰기를 하려고 하니 헷갈리는 게 너무 많아요.
동사와 달리 형용사는 원칙적으로 현재형 ‘-ㄴ/는다’, 관
선생님: 많이 헷갈리지? 앞에 수식어가 없으면 쓸 수 없는
형사형 어미 ‘-는’, 명령형·청유형 어미, 의도나 목적을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그리고 두 말을 이어
나타내는 어미 등과 결합하여 쓰이지 않는다.
주거나 열거할 때 쓰이는 말은 앞말과 띄어 써야 해. 그
09

DAY
런데 조사는 단어이긴 하지만 예외적으로 앞말에 붙여
① 내가 떠나도 너는 행복해라.
써야 한단다.
② 나는 예쁘려고 미용실에 갔다.
[보기 2] ③ 마당에 있는 나무가 쑥쑥 큰다.
승윤이는 ㉠ 각종 토론 대회에 ㉡ 학교 및 지역 대표로 ④ 나들이 가기에 날씨가 알맞는다.
㉢ 여러번 참가해서 좋은 성적을 거둠으로써 학교뿐만 아니 ⑤ 우리 모두 내년에도 부디 건강하자.
라 지역의 이름을 널리 ㉣ 알리는데에 ㉤ 기여할수 있었다.

기호
띄어쓰기의
적절성
판단 근거 D07 
2018(6월)/고1교육청 13

① ㉠  ‘각종’과 ‘토론’은 각각 별개의 단어이다. <보기>는 ‘용언의 활용’에 대한 설명이다.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② ㉡  ‘및’은 두 단어를 이어 주는 말이다. 것은? [3점]
③ ㉢ × ‘번’은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이다. [보기]

④ ㉣ × ‘데’는 의존 명사이다.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기본 형태가 바뀌지


⑤ ㉤  ‘수’는 조사이다. 않거나 바뀌어도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를 ‘규칙 활용’이라고 한다. 반면, 어간이나 어미의 기
본 형태가 바뀌는 것을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를 ㉠ ‘불규칙 활용’이라고 한다.

(가) ‌그녀가 모자를 벗는다.


그녀가 모자를 벗으며 방으로 들어간다.
(나) ‌그는 시골에 집을 짓고 있다.
그는 시골에 집을 지으며 행복해 했다.
개념 14 용언
동사 (가)는 어간 ‘벗-’ 뒤에 어미 ‘-으며’가 붙었을 때 어간의
본용언
형용사
용언 형태가 바뀌지 않는 규칙 활용을 하는 반면, (나)는 어간
보조 동사
보조 용언 ‘짓-’ 뒤에 어미 ‘-으며’가 붙었을 때 어간의 형태가 ‘지-’
보조 형용사
로 바뀌는 불규칙 활용을 한다.
‘ㄷ’ 불규칙
‘ㅅ’ 불규칙
규칙 활용 어간이
‘ㅂ’ 불규칙 ① 그는 우물에서 물을 퍼 먹었다.
용언 변하는
‘르’ 불규칙
활용 ② 그는 형의 말을 비밀로 묻어 두었다.
불규칙 활용 ‘우’ 불규칙
‘러’ 불규칙
③ 그녀는 음악을 들으면서 공부를 한다.
어미가
변하는
‘여’ 불규칙 ④ 그녀는 어머니를 도와 집안일을 하였다.
‘오’ 불규칙
⑤ 그녀는 옥상에 올라 하늘을 바라보았다.
어간, 어미가
‘ㅎ’ 불규칙
모두 변하는

❖ 정답 및 해설 38~40p D. 단어의 분류 7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7 2020. 11. 26. 오전 10:00


D08 
예상 문제 D10 
2015(6월)/고2교육청 12

<보기>를 참고할 때, 본용언과 보조 용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이나 어미의 기본 형태가 바뀌지
(ㄱ) 내가 식탁을 치워 줄게. 않거나 바뀌어도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ㄴ) 내가 라면을 다 먹어 치웠다. 경우를 ‘규칙 활용’이라 하고, 어간이나 어미의 기본 형태
(ㄷ) 나는 점심을 든든히 먹어 두었다. 가 바뀌는 것을 일반적인 음운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ㄹ) 오늘은 훌쩍 여행을 떠나고 싶네. 경우를 ‘불규칙 활용’이라 한다. 불규칙 활용은 ㉠ 어간이
(ㅁ) 동생이 화단의 꽃을 꺾어 버렸다. 바뀌는 경우, ㉡ 어미가 바뀌는 경우, ㉢ 어간과 어미가 모
두 바뀌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① 보조 용언에는 보조 형용사와 보조 동사가 있다.
② 보조 용언은 본용언 뒤에 쓰여 본용언에 의미를 더해 준다. ① ‘솟다’가 ‘솟아’로 활용하는 것과 달리, ‘낫다’는 ‘나아’로 활
③ 보조 용언은 자립성이 없어 본용언이 없으면 홀로 쓰일 수 용하므로 ㉠에 해당한다.
없다. ② ‘얻다’가 ‘얻어’로 활용하는 것과 달리, ‘엿듣다’는 ‘엿들어’
④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이어 주는 어미에는 ‘-어/-아, -고’ 로 활용하므로 ㉠에 해당한다.
등이 있다. ③ ‘먹다’가 ‘먹어’로 활용하는 것과 달리, ‘하다’는 ‘하여’로 활
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대부분의 경우 순서를 바꾸어도 용하므로 ㉡에 해당한다.
문장 구성에 무리가 없다. ④ ‘치르다’가 ‘치러’로 활용하는 것과 달리, ‘흐르다’는 ‘흘러’
로 활용하므로 ㉡에 해당한다.
⑤ ‘수놓다’가 ‘수놓아’로 활용하는 것과 달리, ‘파랗다’는 ‘파
래’로 활용하므로 ㉢에 해당한다.

D09 
예상 문제

<보기>에 제시된 불규칙 용언의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활용 명칭 의미
‘ㅅ’ 불규칙 ‘ㅅ’이 모음 어미 앞에서 떨어지는 현상
‘ㄷ’ 불규칙 ‘ㄷ’이 모음 어미 앞에서 ‘ㄹ’로 변하는 현상
‘우’ 불규칙 ‘ㅜ’가 모음 어미 앞에서 떨어지는 현상
‘르’ 불규칙 ‘르’가 모음 ‘아/어’ 앞에서 ‘ㄹㄹ’ 형태로 변하는 현상
‘ㅎ’으로 끝나는 어간에 어미 ‘-아/어’가 오면, 어간의 일부
‘ㅎ’ 불규칙
인 ‘ㅎ’이 없어지고 어미도 변하는 현상

① ‘ㅅ’ 불규칙: 머리를 빗다.


② ‘ㄷ’ 불규칙: 옷에 물감이 묻다.
③ ‘우’ 불규칙: 낙서를 지우다.
④ ‘르’ 불규칙: 선생님께 이르다.
⑤ ‘ㅎ’ 불규칙: 날씨가 좋다.

7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8 2020. 11. 26. 오전 10:00


[ D11~ 12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D11 
2020(3월)/고1교육청 13

‘높다’의 ‘높-’은 어간이기도 하고 어근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의 ㉠과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
한 것은? [2점]
어간일 때와 어근일 때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를 이해하기 위
[보기]
해서는 어간과 어근의 개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높다’에서 ‘높-’은, 단어가 활용될 때 ㉠ 는 점에
어간은 용언 등이 활용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용언은 문
서 ‘어간’, 단어를 구성할 때 ㉡ 는 점에서 ‘어근’이라
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바뀌면서 활용되는데, 형태가 변하지 않 고 할 수 있다.
는 부분을 어간이라 하고 형태가 변하는 부분을 어미라고 한다.
예를 들어 ‘높다’가 ‘높고’, ‘높지’와 같이 활용될 때, ‘높-’은 어 ㉠ ㉡
간이고, ‘-고’나 ‘-지’는 어미이다. ① 형태가 변한다 실질적 의미를 나타낸다
②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실질적 의미를 나타낸다
09

DAY
이와 달리 어근은 단어를 구성할 때,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
는 부분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그리고 어근의 앞이나 뒤에 결합 ③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의미를 덧붙여 준다
하여 특정한 의미나 기능을 더해 주는 부분을 접사라고 한다. ④ 의미를 덧붙여 준다 형태가 변한다

용언을 어근과 접사로 분석할 때 형태가 변하지 않는 어간만을 ⑤ 실질적 의미를 나타낸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대상으로 한다. 가령, ‘드높다’의 경우 어간인 ‘드높-’에서 실질


적 의미를 나타내는 ‘높-’은 어근이고, 그 앞에 붙어 ‘심하게’라
는 의미를 덧붙여 주는 ‘드-’는 접사이다. 접사는 어근 뒤에 결
합하기도 하는데, 어근 ‘높-’에 접사 ‘-이-’가 결합한 ‘높이다’
가 이에 해당한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어간 어미

D12
접사 어근 접사

높다 • 높- • -다 2020(3월)/고1교육청 14
드높다 드- 높- • -다
<보기>의 ‘자료’에서 ‘활동’의 a ~ c에 들어갈 단어로 적절하지 않
높이다 • 높- -이- -다
은 것은? [2점]
한편 단어는 ‘높다’와 같이 하나의 어근으로 구성된 경우나 [보기]

‘드높다’나 ‘높이다’와 같이 어근에 접사가 결합한 경우 이외에 [자료] 용언: 검붉다, 먹히다, 자라다, 치솟다, 휘감다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지기도 한다. 예컨대 ‘높 [활동]


•어간과 어근이 일치하는 단어를 모아 봅시다.
푸르다’의 경우 어근 ‘높-’과 어근 ‘푸르-’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 a
단어이다.
•어간과 어근이 일치하지 않는 단어를 모아 봅시다.

- 어근의 앞이나 뒤에 접사가 결합한 단어: b
-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한 단어: c

① a: 휘감다 ② a: 자라다
③ b: 먹히다 ④ b: 치솟다
⑤ c: 검붉다

❖ 정답 및 해설 40~42p D. 단어의 분류 7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79 2020. 11. 26. 오전 10:00


[ D13 ~ 14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D13 
2019(11월)/고2교육청 12

문장의 주체를 서술하는 기능을 하는 용언은 홀로 쓰이는 본 <보기>의 ⓐ ~ ⓔ를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로 분류한 것으로 적
절한 것은? [2점]
용언과, 홀로 쓰이지 않고 본용언 뒤에서 본용언에 특수한 의
[보기]
미를 더해 주는 보조 용언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이
 내일 해야 할 업무가 생각만큼 쉽지는 ⓐ 않겠다.
꺼져 간다.’라는 문장이 있을 때, ‘꺼져’는 ‘불이 꺼진다.’라는 문
 나는 부모님께 야단맞을까 ⓑ 봐 얘기도 못 꺼냈다.
장의 서술어로 홀로 쓰일 수 있으므로 본용언이다. 그러나 ‘간
 일을 마무리했음에도 사람들은 집에 가지 ⓒ 않았다.
다’는 진행의 의미만 더해 주고 있어, ‘불이 간다.’라는 문장의  새로 일할 사람이 업무 처리에 항상 성실했으면 ⓓ 한다.
서술어로 홀로 쓰일 수 없으므로 보조 용언이다.  ‌이런 일을 당해 ⓔ 보지 않은 사람은 내 심정을 모를 것
보조 용언은 다시 보조 동사와 보조 형용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다.
일반적으로 보조 용언의 품사는 앞에 오는 본용언의 품사에 따
른다. 예를 들어 보조 용언 ‘않다’는 앞에 오는 본용언의 품사가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
① ⓐ, ⓑ, ⓓ ⓒ, ⓔ
동사이면 보조 동사, 형용사이면 보조 형용사로 쓰인다. 한편
② ⓐ, ⓒ ⓑ, ⓓ, ⓔ
보조 용언의 품사가 보조 용언의 의미에 따라 구분되는 경우도
③ ⓐ, ⓓ, ⓔ ⓑ, ⓒ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용언 ‘하다’가 앞말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
④ ⓑ, ⓒ ⓐ, ⓓ, ⓔ
한 바람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보조 동사이다. 또한
⑤ ⓒ, ⓓ, ⓔ ⓐ, ⓑ
보조 용언 ‘보다’가 어떤 일을 경험한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
에는 보조 동사이고,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에 대한 걱정
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보조 형용사이다.
본용언은 주로 본용언의 어간에 보조적 연결 어미가 결합되 D14 
2019(11월)/고2교육청 13

어 보조 용언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나는 일을 하고 나서 집 윗글의 ㉠ ~ ㉢과 관련하여 <보기>의 Ⓐ ~ Ⓔ의 밑줄 친 부분을 분


에 갔다.’라는 문장은 본용언의 어간 ‘하-’에 보조적 연결 어미 석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고’가 결합된 ‘하고’가 보조 용언 ‘나서’와 연결된 문장이다. 그 [보기]

리고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연결되는 경우들을 살펴보면, 보통 Ⓐ 그는 순식간에 사과를 던져서 베어 버렸다.


Ⓑ 그는 식당에서 고기를 먹어 치우고 일어났다.
두 용언이 연결되는 경우가 많지만 의미의 추가를 위해 세 용
Ⓒ 그에게 전화를 했을 때 그가 깨어 있어 행복했다.
언이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는 용언들이 ㉠ 본용언, 본
Ⓓ 나는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의자에 앉아 있게 생겼다.
용언, 보조 용언의 순서로 연결된 경우, ㉡ 본용언, 보조 용언,
Ⓔ ‌나는 평소 밥을 좋아하는데 오늘은 갑자기 빵을 먹고
본용언의 순서로 연결된 경우, ㉢ 본용언, 보조 용언, 보조 용 싶게 되었다.
언의 순서로 연결된 경우가 있다.
 ① Ⓐ: ‘베어’는 어간 ‘베-’에 보조적 연결 어미 ‘-어’가 결합
되어 ‘버렸다’와 연결된 형태이고 ㉠에 해당한다.
② Ⓑ: ‘치우고’는 어간 ‘치우-’에 보조적 연결 어미 ‘-고’가
결합되어 ‘일어났다’와 연결된 형태이고 ㉠에 해당한다.
③ Ⓒ: ‘깨어’는 어간 ‘깨-’에 보조적 연결 어미 ‘-어’가 결합
되어 ‘있어’와 연결된 형태이고 ㉡에 해당한다.
④ Ⓓ: ‘앉아’는 어간 ‘앉-’에 보조적 연결 어미 ‘-아’가 결합
되어 ‘있게’와 연결된 형태이고 ㉢에 해당한다.
⑤ Ⓔ: ‘먹고’는 어간 ‘먹-’에 보조적 연결 어미 ‘-고’가 결합
되어 ‘싶게’와 연결된 형태이고 ㉢에 해당한다.

8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0 2020. 11. 26. 오전 10:00


[ D15 ~ 16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D15 
2017(3월)/고1교육청 11

국어 문장에서 서술어로 쓰이는 것은 용언인 동사와 형용사,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그리고 체언에 ‘이다’가 붙어서 이루어지는 표현이다. ① 동사와 형용사는 문장에서 서술어로 쓰일 수 있다.
② 형용사는 활용할 때 감탄형 어미와 결합할 수 있다.
⑴ 준영이가 책을 읽는다. / 읽느냐? / 읽는구나. ③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에 붙는 부분을 어미라고 한다.
⑵ 준영아, 책을 읽어라. / 읽자. ④ 동사는 형용사에 비해 ‘이다’와 활용 양상이 유사하다.
⑤ ‘이다’는 활용할 때 명령형 어미나 청유형 어미와는 결합

⑴, ⑵는 동사 ‘읽다’가 문장 안에서 그 형태가 변하는 예이다. 하지 않는다.

이때 변하지 않는 부분인 ‘읽-’은 어간이고, 변하는 부분인 ‘-는다,

09

DAY
-느냐, -는구나, -어라, -자’는 어미이다. 이처럼 용언 어간에
여러 가지 어미가 붙는 일을 ‘활용’이라 한다.

⑶ 꽃이 예쁘다. / 예쁘냐? / 예쁘구나.


⑷ 꽃아, *예뻐라. / *예쁘자. (*표는 비문법적인 표현)

⑶, ⑷는 형용사 ‘예쁘다’가 활용하는 예이다. ⑴, ⑵와 비교해


D16 
2017(3월)/고1교육청 12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 ~ ⓔ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보았을 때, 동사와 형용사는 활용의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않은 것은? [3점]
먼저 ⑴과 ⑶에서 볼 수 있듯이, 동사 활용에는 ‘-는/ㄴ다, -느
[보기]
냐, -는구나’가 쓰이지만 형용사 활용에는 ‘-다, -(으)냐, -구
ⓐ 나는 주로 저녁에 씻는다.
나’가 쓰인다. 다음으로 ⑵와 ⑷에서 볼 수 있듯이, 동사 어간과 ⓑ 오늘 날씨가 정말 춥구나.
달리 형용사 어간에는 명령형 어미 ‘-아라/어라’, 청유형 어미 ⓒ 규연아, 지금 밥 먹자.
‘-자’가 붙을 수 없다. ‘꽃이 참 예뻐라!’와 같이 ‘예뻐라’가 쓰이 ⓓ 창문을 활짝 열어라.
기도 하는데, 이때의 ‘-어라’는 명령형 어미가 아니라 감탄형 ⓔ 그는 어떤 사람이냐?

어미이다.
① ⓐ의 ‘씻는다’는 어간이 ‘-는다’와 결합한 것으로 보아 동
사이다.
⑸ ‌이것이 책이다.(*책이는다.) / 책이냐?(*책이느냐?) / 책
② ⓑ의 ‘춥구나’는 어간이 ‘-구나’와 결합한 것으로 보아 형
이로구나.(*책이는구나.) / *책이어라. / *책이자.
용사이다.
③ ⓒ의 ‘먹자’는 어간이 청유형 어미 ‘-자’와 결합한 것으로
⑸는 체언 ‘책’에 ‘이다’가 결합한 어절 전체가 문장에서 서술
보아 동사이다.
어로 쓰이는 예이다. ⑸에서 볼 수 있듯이, ‘이다’도 용언처럼
④ ⓓ의 ‘열어라’는 어간이 명령형 어미 ‘-어라’와 결합한 것
활용을 한다. 이때 ‘-는/ㄴ다, -느냐, -는구나’, 그리고 명령형 으로 보아 형용사이다.
어미 ‘-아라/어라’, 청유형 어미 ‘-자’ 등의 어미와는 결합하지 ⑤ ⓔ의 ‘사람이냐’는 체언에 ‘이다’가 결합한 말이 활용한 것
않는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이다’의 활용 양상은 대체로 ⑶, ⑷ 이다.
에 나타난 형용사의 활용 양상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정답 및 해설 42~43p D. 단어의 분류 8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1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15 수식언 D19 
2016(9월)/고2교육청 12

성상 관형사 <보기>의 ㉠~㉢에 해당하는 것을 바르게 분류한 것은? [2점]


관형사 지시 관형사
[보기]
수 관형사
성상 부사
수식언 ㉠ 관형사, ㉡ 대명사, ㉢ 부사 중에는 ‘이, 그, 여기, 이
성분 부사 지시 부사

부사
부정 부사 리, 그리’ 등과 같이 ‘지시성’을 지닌 단어들이 있다. 이들
양태 부사 은 지시성이라는 공통점 때문에 구별이 쉽지 않으므로 문
문장 부사
접속 부사
장 내에서의 기능을 통해 단어의 품사를 파악해야 한다.

ⓐ 이 사과는 맛있게 생겼다.


D17 
예상 문제 ⓑ 그 책 좀 나에게 빌려줄 수 있어?
<보기>를 참고하여 관형사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 ⓒ 여기가 바로 우리의 고향입니다.
은? [2점] ⓓ 이리 가까이 오게.
[보기] ⓔ 그리 물건을 보내겠습니다.
(ㄱ) 두어 사람이 거짓 소문을 퍼뜨렸다.
(ㄴ) 우리 가게에도 경찰 서넛이 찾아왔다. ㉠ ㉡ ㉢
(ㄷ) 온갖 음식을 다 먹고 만두도 열두 개나 먹었다. ① ⓐ ⓑ, ⓒ ⓓ, ⓔ
(ㄹ) 그 하얀 새 집에서 살고 싶다. ② ⓐ, ⓑ ⓒ ⓓ, ⓔ
③ ⓑ, ⓒ ⓓ, ⓔ ⓐ
① (ㄱ)에는 관형사가 한 개만 쓰이고 있다. ④ ⓑ, ⓓ ⓔ ⓐ, ⓒ
② (ㄴ)에는 관형사가 쓰이지 않고 있다. ⑤ ⓒ, ⓓ ⓐ ⓑ, ⓔ
③ (ㄷ)에는 수 관형사가 쓰이고 있다.

D20
④ (ㄹ)에는 성상 관형사가 두 개 나타나고 있다. 
2014(6월)/고2교육청(A) 13
⑤ 여러 개의 관형사가 함께 쓰일 때에는 지시 관형사가 성
<보기>의 밑줄 친 단어를 바르게 분류한 것은? [2점]
상 관형사 앞에 쓰인다.
[보기]

형용사와 관형사를 구별하는 기준의 하나로 ‘서술하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동물원에는 큰 사자가 있다.’에
D18 
예상 문제 서 ‘큰’은 ‘사자가 크다’처럼 주어인 ‘사자가’를 서술하는 기
<보기>에 제시된 부사의 특성 중 ㄷ과 ㄹ이 모두 드러나는 문장으 능을 하므로 형용사이다. 그러나 관형사는 그런 기능을 하
로 적절한 것은? [2점] 지 못한다.
[보기]

부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닌다. ㄱ. 정원에 아름다운 꽃이 피었다.


ㄱ. 주로 용언 앞에 놓여서 그 뜻을 수식한다. ㄴ. 웬 말이 그렇게 많은지 모르겠다.
ㄴ. 형태가 고정되어 있으며, 활용을 하지 않는다. ㄷ. 수리를 하고 나니 새 가구가 되었다.
ㄷ. 용언 이외의 품사나 문장 전체를 수식하기도 한다. ㄹ. 모여 있던 모든 사람들이 일제히 나를 쳐다봤다.
ㄹ. 보조사와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ㅁ. 그의 빠른 일처리가 사람들을 만족스럽게 하였다.

① 너는 정말 빨리도 달리는구나. 형용사 관형사


② 내가 원한 것이 바로 이 자전거였어. ① ㄱ, ㄷ ㄴ, ㄹ, ㅁ
③ 이 책은 새 책이지만 아주 낡았네요. ② ㄱ, ㅁ ㄴ, ㄷ, ㄹ
④ 아마 그는 그 일을 해결할 수 있을 거야. ③ ㄴ, ㄹ ㄱ, ㄷ, ㅁ
⑤ 그이가 여기 앉았고 나는 멀찍이 서 있었어. ④ ㄱ, ㄷ, ㅁ ㄴ, ㄹ
⑤ ㄴ, ㄷ, ㄹ ㄱ, ㅁ

8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2 2020. 11. 26. 오전 10:01


D21 
2017(11월)/고2교육청 13 D23 
예상 문제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보기>를 참고할 때, 다음 밑줄 친 말 중 접속 조사에 해당하는 것


[보기] 은? [3점]
부사는 수식하는 범위에 따라 문장의 한 성분을 수식하 [보기]

는 성분 부사와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문장 부사로 나뉜다. 접속 조사 ‘와/과’와 부사격 조사 ‘와/과’의 구별


이 중 성분 부사는 주로 용언을 수식하지만 때로는 체언을 ⑴ ‌접속 조사 ‘와/과’로 이어진 두 단어는 문장 성분이 동일
수식하거나 관형사, 부사를 수식하는 경우도 있다. 하다.
⑵ ‌부사격 조사 ‘와/과’는 비교나 기준으로 삼는 대상, 일을
ㄱ. 그녀는 매우 빨리 달린다. 함께 하는 대상, 상대로 하는 대상 등을 나타낸다.
ㄴ. 설마 나에게 맞는 옷이 없을까?
ㄷ. 우리 학교 바로 옆에 우체국이 있다. ① 너는 민첩하기가 번개와 같네.
09

DAY
ㄹ. 내 차는 얼마 전까지 아주 새 차였다. ② 나는 불의와 맞서 싸울 것이다.
ㅁ. 과연 그 아이는 재능이 정말 뛰어나군. ③ 오빠는 동생과 성격이 다릅니다.
④ 선생님이 나와 영수를 불러내셨어.
① ㄱ에서 ‘매우’는 용언을 수식하고 있다. ⑤ 저는 오전 내내 언니와 함께 춤을 추었습니다.
② ㄴ에서 ‘설마’는 체언을 수식하고 있다.
③ ㄷ에서 ‘바로’는 부사를 수식하고 있다.
④ ㄹ에서 ‘아주’는 관형사를 수식하고 있다.
⑤ ㅁ에서 ‘과연’과 ‘정말’은 문장을 수식하고 있다.

개념 16 관계언과 독립언 D24 


2018(3월)/고2교육청 11
격 조사   
관계언 조사 보조사 독립언 감탄사 밑줄 친 말 중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접속 조사
[보기]

조사는 주로 체언에 붙어서, 그 체언이 문장 중의 다른


단어와 맺는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단
D22 
예상 문제 어이다. 조사는 체언이 문장 속에서 다른 말과 맺는 관계를
다음을 참고하여 격 조사와 보조사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올바른 표현하는 격 조사, 둘 이상의 체언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서
것은? [2점] 하나의 명사구를 형성하는 접속 조사, ㉠ 앞말에 특별한 뜻
[보기] 을 더해 주는 보조사로 구분된다
(ㄱ) 우리는 학교에 일찍 도착했어.
(ㄴ) 언니가 떡을 먹고 만두도 먹었어. ① 오직 새소리만 들렸다.
(ㄷ) 어머니께서 공원에서 사람들을 구출하셨다. ② 시험까지 한 달도 안 남았다.
(ㄹ) 지방자치단체에서 청소년 미술 대회까지 개최했다. ③ 나는 개와 고양이를 좋아한다.
(ㅁ) 이것은 누구를 그린 그림이니? ④ 할아버지께서는 신문을 보셨다.
⑤ 그는 평생 가족밖에 모르고 살았다. 
① 국어의 주격 조사에는 ‘은/는, 이/가’ 등이 있다.
② 국어의 목적격 조사에는 ‘을/를, 에, 도’ 등이 있다.
③ (ㄱ)과 (ㄷ)에는 장소를 나타내는 관형격 조사가 있다.
④ (ㄷ)과 (ㄹ)에는 각각 주격 조사가 하나씩 있다.
⑤ (ㅁ)에는 두 개의 조사가 있다.

❖ 정답 및 해설 43~46p D. 단어의 분류 8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3 2020. 11. 26. 오전 10:01


[ D25 ~ 26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D25 
2020(6월)/고2교육청 11

국어에는 체언이나 부사, 어미 따위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 ~ ㉤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가
[보기]
있는데, 이를 조사라고 한다. 조사는 그 기능과 의미에 따라 격
㉠ 그는 보통 인물이 아니다.
조사, 보조사, 접속 조사로 분류한다.
㉡ 철수야, 내일이 무슨 날이니?
격 조사는 앞에 오는 체언이 문장 안에서 일정한 자격을 가지
㉢ 이번에 성적이 많이도 올랐구나!
도록 해 준다. ‘이/가’와 같이 문장 안에서 체언이나 체언 구실
㉣ 언니가 동생의 간식을 만들고 있다.
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주어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주격 조사도 ㉤ 백화점에 가서 구두랑 모자랑 샀어요.
있고, ‘을/를’과 같이 목적어가 되게 하는 목적격 조사도 있다.
또 ‘의’와 같이 관형어가 되게 하는 관형격 조사도 있고, ‘이/가’ ① ㉠의 ‘이’는 체언인 ‘인물’에 붙어 주어의 자격을 갖게 한다.
와 같이 ‘되다’, ‘아니다’와 함께 쓰여 보어가 되게 하는 보격 조 ② ㉡의 ‘이니’는 체언인 ‘날’에 붙어 서술어의 자격을 갖게
사도 있다. 그밖에 ‘에’, ‘에서’, ‘(으)로’, ‘와/과’, ‘보다’처럼 체언 한다.
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부사어의 자격을 가지게 ③ ㉢의 ‘도’는 부사인 ‘많이’에 붙어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
하는 부사격 조사와 ‘아/야’와 같이 독립어 가운데 부름말이 되 는 구실을 한다.
게 하는 호격 조사 등도 격 조사에 속한다. 특히 체언에 붙어 ④ ㉣의 ‘의’는 체언인 ‘동생’에 붙어 관형어의 자격을 갖게
서술어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 ‘이다’는 서술격 조사라고 하는 한다.
데, 마치 동사나 형용사처럼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⑤ ㉤의 ‘랑’은 ‘구두’와 ‘모자’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역

보조사는 체언, 부사, 활용 어미 따위에 붙어서 어떤 특별한 할을 한다.

의미를 더해 주는 구실을 한다. 보조사에는 ‘은/는’, ‘도’, ‘만’,


‘까지’, ‘마저’, ‘조차’, ‘부터’ 따위가 있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에 쓰인 ‘은’은 체언에 붙어서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대
조됨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또 ‘고구마는 구워도 먹고 삶아도
먹는다.’에 쓰인 ‘도’는 활용 어미 뒤에 붙어서 둘 이상의 대상이
나 사태를 똑같이 아우름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D26 
2020(6월)/고2교육청 12
접속 조사는 둘 이상의 단어나 구 따위를 같은 자격으로 이어
밑줄 친 조사 중 ⓐ의 사례로 적절한 것은? [2점]
주는 구실을 한다. 접속 조사에는 ‘와/과’, ‘하고’, ‘(이)나’, ‘(이)
방이 깨끗하지가 않다.
랑’ 등이 있다. ‘배하고 사과하고 감을 가져오너라.’에 쓰인 ‘하고’ ①
친구마저 미덥지가 못하다.
는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접속 조사이다.
그녀는 장미를 좋아한다.
그런데 ⓐ 동일한 형태의 조사가 문장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②
그는 도서관에서 잡지를 읽었다.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조사 ‘가’는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그는 요란한 소리에 잠을 깼다.
격 조사로 쓰일 때도 있고, 앞말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 ③
그까짓 일에 너무 마음 상하지 마라.
조사로 쓰일 때도 있다. ‘를’은 앞말이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격
친구들과 어울려 늦게까지 놀았다.
조사로 쓰일 때도 있고, 앞말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④
그는 다섯 살 아래의 여성과 결혼했다.
로 쓰일 때도 있다. 또 ‘에’는 앞말이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
너는 부산에서 몇 시에 출발할 예정이냐?
사로 쓰일 때도 있고,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 ⑤
우리 학교에서 올해도 우승을 차지했다.
는 접속 조사로 쓰일 때도 있다. ‘과’는 앞말이 부사어임을 나타
내는 격 조사로 쓰일 때도 있고, 두 단어나 문장 따위를 이어 주
는 접속 조사로 쓰일 때도 있다. 또 ‘에서’는 앞말이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로 쓰일 때도 있고, 단체를 나타내는 명사 뒤
에 붙어 앞말이 주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로 쓰일 때도 있다.


8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4 2020. 11. 26. 오전 10:01


D27 
2016(11월)/고2교육청 14 1등급 킬러 문제
다음을 바탕으로 <보기>의 ㉠∼㉤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D28 
2017(11월)/고1교육청 11
형태소가 의미를 가진 말의 최소 단위라면, ‘단어’는 의 다음은 문법 수업의 내용을 정리한 학생의 노트이다. 이를 바탕으
미를 가진 최소의 자립 형식이다. 그런데 ‘조사’는 자립성 로 <보기>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이 없는 형태소임에도 불구하고 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단어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의존 명사도 자립성은 없지만 명사와 마찬가
형태 변화 여부
지로 꾸미는 말의 꾸밈을 받을 수 있고, 꾸미는 말과 늘 띄
단어의 분류 기준 문장 안에서 수행하는 기능
어 쓰며 조사가 붙어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등으로 쓰
09

DAY
단어가 지닌 의미
이기 때문에 단어로 인정하고 있다.

[보기]
[보기]
•우리도 두 팔을 넓게 벌려 원 하나를 이루었다.
•그는 너보다 열심히 공부했다.
㉠ •동생이 나무로 된 탁자에 그린 꽃만 희미하다.
•나는 꽃을 받고 어찌할 바를 몰랐다.
㉡ ㉢ ① ‘도’와 ‘만’은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이다.
•네가 질문하고 싶은 것이 무엇이니? ② ‘이루었다’와 ‘그린’은 형태가 변하는 단어이다.

③ ‘두’와 ‘하나’는 문장 안에서 수식의 기능을 하는 단어이다.
•교실 안은 숨소리가 들릴 만큼 조용하다.
㉤ ④ ‘나무’와 ‘꽃’은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이다.
⑤ ‘넓게’와 ‘희미하다’는 대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이다. 
① ㉠과 ㉢은 꾸미는 말의 꾸밈을 받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② ㉠과 ㉣은 자립하여 쓰일 수 없으므로 단어로 인정되지
않는다.
③ ㉡과 ㉣은 조사가 붙어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등으로
사용된다.
④ ㉡과 ㉤은 문장에서 홀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단어로
인정된다.
⑤ ㉢과 ㉤은 홀로 쓰일 수 있는 말에 붙어 쉽게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 정답 및 해설 46~47p D. 단어의 분류 8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5 2020. 11. 26. 오전 10:02


E 단어의 의미

개념 17 의미의 유형과 사전 활용하기


단어는 말소리와 의미로 이루어져 있다. 말소리가 형식이라면 의미는 내용으로, 관점에 따라
단어의 의미를 다양하게 유형화할 수 있다.
참고

1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 ★★단어의 의미에 대한 견해


단어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설명하
1. 중심적 의미: 한 단어의 가장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의미이다. 는 다양한 견해들이 있는데, 대표
2. 주변적 의미: 한 단어의 중심적 의미에서 확장된 의미이다. 적으로 ‘지시설’과 ‘개념설’이 있다.
•‌지시설: 단어는 사물을 직접 가
리킨다는 견해이다. 하지만, ‘사
•‌바쁜데 손이 모자라다. •‌그 일은 선배의 손에 떨어졌다.
손 랑’ 같은 추상적인 단어는 명확
(일손, 주변적 의미) (범위, 주변적 의미) 한 지시물이 없어 이를 설명할
근거가 부족한 것이 한계점이다.
•‌엄마는 손이 크다. •‌장사꾼의 손에 놀아나다. •‌개념설: 의미를 ‘개념’으로 보는
(씀씀이, 주변적 의미) (수완, 주변적 의미) 견해로, 단어가 지시물과 직접
•‌손을 깨끗이 씻었다.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개념’을
(신체의 일부, 중심적 의미)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것
이다.
2 사전 활용하기
국어사전을 잘 활용하면, 좀 더 풍부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다. 국어사전을 통해 단어의 뜻뿐
만 아니라 표제어, 발음 정보, 용언의 활용 형태, 품사 정보, 문형 정보, 용례, 단어의 의미 관계,
관용구와 속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들다1 [들다] 〔들어, 드니, 드오〕 


표제어 발음 정보 활용 형태 품사
【…에,…으로】 → 문형 정보 (반드시 필요한 문장 성분을 알려 줌.)
개념+
「1」 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
1 4
‘들다 과 ‘들다 ’는 중심적 의미 (일반적으로 단어의 중심적 의미는 「1」로 제시함.) ★★사전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
서로 다른 표제어로 사전에 ¶ 사랑에 들다 / 숲 속에 드니 공기가 훨씬 맑았다.
표기된 동음이의어야. 의미의 유형에는 중심적, 주변적
용례, 예문에 【…에】가 사용됨.
「2」 빛, 볕, 물 따위가 안으로 들어오다. 의미 외에 사전적 의미와 함축적
주변적 의미 의미가 있다.
¶ 이 방에는 볕이 잘 든다. / 꽃은 해가 잘 드는 데 심어야 한다. •‌사전적 의미: 사전에 풀이된 중
「3」 방이나 집 따위에 있거나 거처를 정해 머무르게 되다. 심적이고 핵심적인 의미, 객관
주변적 의미 적이고 기본적인 의미의 특성을
¶ 어제 호텔에 든 손님 / 새집에 들다. 지님. ‘개념적 의미’라고도 함.
•‌함축적 의미: 개념적 의미에 연
속담 드는 줄은 몰라도 나는 줄은 안다.→ 표제어와 관련된 속담을 제시함. 상이나 관습 등이 덧붙어서 형
사람이나 재물이 붇는 것은 눈에 잘 띄지 않아도 그것이 줄어드는 것 성된 의미, ‘내포적 의미’ 또는
은 곧 알아차릴 수 있다는 말 → 속담의 의미를 제시함. ‘연상적 의미’라고도 함.
사전적 의미: 시간
밤
4 함축적 의미: 역경
들다 [들다] 〔들어, 드니, 드오〕  【…을 …에, …을】

「1」 손에 가지다.
¶ 꽃을 손에 든 신부 / 칼을 들고 서 있는 장수 ‘들다’는 한 표제어 안에 두 개
이상의 뜻이 있음. → 다의어는
「2」 아래에 있는 것을 위로 올리다. 하나의 표제로 실림.

¶ 역기를 번쩍 든 역도 선수 / 손을 들다.

관용구 들었다 놓다. → 표제어와 관련된 관용구를 제시함.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치다. → 관용구의 의미를 제시함.
‌¶ 그의 말 한마디는 온 나라를 들었다 놓을 정도였다.

8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6 2020. 11. 26. 오전 10:02


개념 완성 TEST

1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 ✽ ‌왼쪽의 사전을 참고하여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04 사전에는 다의어가 하나의 표제로 실리며, 그것을 (


✽ ‌밑줄 친 단어가 중심적 의미로 사용되었으면, ‘중’, 주변적 의미
)(이)라고 한다.
로 사용되었으면, ‘주’라고 쓰시오.

01 밤하늘에 별이 반짝거린다.  ( ) 05 ‘뛰어[뛰어/뛰여], 뛰니[뛰니]’에서는 ‘뛰다’의 ( )


와/과 그 발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02 그들은 모든 청소년들이 바라는 별이다.  ( )
06 ‘뛰다2’는 ‘뛰다1’과 달리 그 단어가 사용된 ( )
03 밥을 너무 많이 먹어 배가 아팠다. ( )
와/과 관용구에 대한 정보도 제시되어 있다.

07 「…으로」로 제시된 ( )을/를 통해 ‘뛰다2’는 주


2 사전 활용하기 어 외에 부사어를 필요로 하는 단어라는 사실을 확인할
10

DAY
수 있다.
✽ ‌다음은 사전의 일부이다.
08 ‘뛰다1’과 ‘뛰다2’는 품사가 ( )임을 확인할 수
뛰다1 [뛰다] 뛰어[뛰어/뛰여], 뛰니[뛰니]  있다.
「1」 있던 자리로부터 몸을 높이 솟구쳐 오르다.
09 사전에서는 ‘¶’ 표시를 사용하여 각각의 의미에 해당하
¶ 제자리에서 높이 뛰다. / 모두뜀을 뛰다. / 토끼뜀을 뛰다.
는( )을/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맥박이나 심장 따위가 벌떡벌떡 움직이다.
¶ 춘향이를 본 이 도령의 가슴이 뛰었다. / 급하게 뛰어왔더
니 심장이 벌떡벌떡 뛴다.
✽ ‌왼쪽의 사전을 참고하여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3」 값이나 가치 따위가 갑자기 오르다. 하시오.
¶ 1년 만에 물가가 두 배로 뛰었다. / 전국의 땅값이 엄청나
게 뛰었다. / 날마다 뛰는 물가를 잡을 정책이 필요하다.
10 ‘뛰다1’과 ‘뛰다2’는 의미적 연관성이 없는 동음이의 관계
이다.
2
뛰다 [뛰다] 뛰어[뛰어/뛰여], 뛰니[뛰니]  「…으로」   (,×)
(‘…으로’ 대신에 ‘…을 향하여’가 쓰이기도 한다.)
「1」 발을 몹시 재게 움직여 빨리 나아가다.
11 ‘뛰다1’은 한 표제어가 두 개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 그는 차에서 내리자마자 집으로 마구 뛰었다. / 불이 나자 다의어이다.
사람들이 비상구 쪽으로 뛰었다.  (,×)
「2」 어떤 자격으로 일하다. 12 ‘뛰다1’과 ‘뛰다2’는 용언의 활용 형태가 다르다.
¶ 그는 프로 야구 선수로 뛴 첫 해에 유명해졌다. / 앞으로 십
 (,×)
년 동안은 현역으로 뛰려고 합니다. / 홍 선수는 국가 대표 선
수로 10년 넘게 뛰었다. 13 ‘뛰다1’의 「3」의 용례로 ‘공급이 부족하면 값은 뛰게 마련
이다.’를 들 수 있다.
속담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
아무리 재주가 뛰어나다 하더라도 그보다 더 뛰어난 사
람이 있다는 뜻으로, 스스로 뽐내는 사람을 경계하여 14 ‘뛰다2’의 「2」의 용례로 ‘그는 이번 경기부터 선수 겸 코
이르는 말 치 자격으로 뛴다.’를 들 수 있다. 
관용구 뛰지도 걷지도 못하다.  (,×)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매우 난처한 처지에 빠져 옴 15 ‘뛰다1’과 ‘뛰다2’의 발음은 같다.
짝달싹 못하다.
 (,×)

정답
01 중 02 주 03 중 04 표제어 05 활용 형태 06 속담 07 문형 정보 08 동사 09 용례 10  11  12 × 13  14  15 

E. 단어의 의미 8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7 2020. 11. 26. 오전 10:02


E 단어의 의미

개념 18 단어의 의미 관계
참고

1 유의 관계 ★★유의어의 분류
•‌기본적인 의미가 같고, 연상되는
1. 유의 관계의 개념: 말소리는 다르지만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의미 관계로, 이러한
의미도 차이가 없는 경우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유의어라고 한다.
 메아리–산울림, 살갗–피부
2. 유의 관계의 특징 •‌기본적인 의미가 같으나, 연상되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때때로 바꾸어 쓸 수 있지만 는 의미에 차이가 있는 경우
 머리–대가리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기본 의미는 서로 비슷하지만
•‌기본적인 의미가 같으나, 사용되
대상의 범위가 다르고 미묘한 느낌의 차이가 있기 때문 는 상황이 다른 경우
에 상황에 따라 바꾸어 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 있다–계시다, 밥–진지
3. 우리말에서 유의어가 발달한 이유
못을 뽑다.() 흰머리를 뽑다.()
(1) 고유어와 함께 한자어와 외래어가 섞여 쓰임.
= 못을 빼다.() ≠ 흰머리를 빼다.(×)
 가운데–중앙(中央)–센터(center)
개념+
(2) 높임법이 발달함.  나–저–본인
★★유의어 사이의 의미 차이를 확
(3) 감각어가 발달함.  노랗다–노르스름하다–노릇노릇하다 인하는 방법
(4) 일상어에 대응하는 전문어가 등장함.  소금–염화 나트륨, 기름–지방 •교체하기
(5) 금기어에 대응하는 완곡어가 등장함.  똥–대변, 보신탕–영양탕 ① 기차가 {벌써/이미} 도착했다.
② ‌철수야, 학교에 갔다가 {벌써
/이미} 오니?
2 반의 관계 ①의 ‘벌써’와 ‘이미’는 서로 교
체할 수 있으나, ②에서 ‘벌써’를
1. 반의 관계의 개념: 둘 이상의 단어가 의미상 서로 짝을 이루어 대립하는 의미 관계로, 이러한 ‘이미’로 교체하면 비문이 된다.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반의어라고 한다. •반의어 찾기
① ‌나의 합격 소식에 어머니가 매
2. 반의 관계의 특징
우 (기뻐하셨다/좋아하셨다).
(1) 의미 요소의 대립: 반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하나의 의미 요소 ② ‌나의 합격 소식에 어머니가 매
만 대립되고, 나머지 의미 요소는 공통적이다. 우 (슬퍼하셨다/싫어하셨다).
①에서는 두 단어의 의미 차이
(2) 반의어의 개수: 반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꼭 한 쌍이 되지 않 + 여자 + 남자 가 잘 드러나지 않지만, 반의어
을 수도 있다.(다의어의 경우 반의어도 여럿이 될 수 있다.) 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심장이) 뛰다 ↔ (심장이) 멈추다 •(물가가) 뛰다 ↔ (물가가) 떨어지다 사람
•(학교에) 가다 ↔ (학교에) 오다 •(시계가) 가다 ↔ (시계가) 서다, 멈추다 (공통적 의미 요소)

참고
3 상하 관계
★★반의어의 종류
1. 상하 관계의 개념: 한 단어가 의미상 다른 단어를 포함하거나,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 •‌상보 반의어: 두 단어가 상호 배
이다. 이때 다른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를 상위어(상의어),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단어를 하위어 타적으로 대립하는 경우(반의어
사이에 중간 상태가 없음.)
(하의어)라고 한다.
 ‌여자–남자, 살다–죽다
2. 상하 관계의 특징 •‌등급(정도) 반의어: 두 단어가
(1) 의미의 포괄성과 구체성: 상위어일수록 일반적이 과일 상위어 정도나 등급의 측면에서 대립하
는 경우(반의어 사이에 중간 단
고 포괄적인 의미를, 하위어일수록 개별적이고
계가 존재함.)
구체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 ‌길다–짧다, 춥다–덥다
(2) 의미의 범위: 상위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 특성을 •‌관계(방향) 반의어: 두 단어가
바나나 수박 포도 하위어 의미상 방향이나 관계의 측면에
하위어는 자동적으로 가진다.
서 대립하거나 대칭을 이루는
(3) 상하 관계의 상대성: 상하 관계의 규정은 상대적이다. 한 단어가 어떤 단어에 대해서는 상위
경우
어이지만, 다른 단어에 대해서는 하위어가 될 수 있다.  ‌시작–끝, 위–아래
 동물–새–참새 → ‘새’는 ‘동물’의 하위어이지만 ‘참새’의 상위어이다.

8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8 2020. 11. 26. 오전 10:02


개념 완성 TEST

1 유의 관계 11 ‘좋다-싫다’와 같은 등급 반의어는 두 단어가 정도나 등


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반의어 사이에는 중간 영역이 존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재하지 않는다.
01 ( )은/는 말소리는 다르지만 서로 비슷한 의미  (,×)
를 가지고 있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

02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 )(이)라고 한다. ✽ 다음 ‘서다’의 의미에 대응하는 반의어를 쓰시오.

단어 예문 반의어
버스에 자리가 없어서 서서 왔다. ㉠
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고장이 나서 시계가 서 버렸다. ㉡
10

DAY
03 유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어느 문맥에서나 바꾸어 쓸 12 ㉠
수 있다.
13 ㉡
 (,×)

04 ‘밥–진지’와 같이 기본적인 의미는 같지만, 사용되는


상황이 다른 단어의 경우 유의 관계에 속한다.  3 상하 관계
 (,×)
14 다음 단어들의 의미 관계가 상하 관계가 아닌 것은?
✽ 다음 단어들을 유의 관계에 맞게 연결하시오. ① 개–진돗개 ② 음악–재즈

05 가운데 •  • ⓐ 주무시다 ③ 식물–나무 ④ 과일–사과


⑤ 문학–실내악
06 죽다 •  • ⓑ 돌아가다

07 자다 •  • ⓒ 중앙
✽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15 ( )은/는 한 단어가 의미상 다른 단어를 포함

2 반의 관계 하거나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를 말한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6 다른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를 ( ), 다른 단어
에 포함되는 단어를 ( )(이)라고 한다.
08 반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 )(이)라고 한다.

09 반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나머지 의미 요소는 공통적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이고, 하나의 의미 요소만 ( )되어야 한다.
17 상위어일수록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나타내며,
하위어일수록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에 표시하시오.  (,×)

10 반의어는 반드시 한 쌍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 단 18 하위어가 가지고 있는 의미 특성을 상위어는 자동적으


어에 여러 개의 단어가 대립하기도 한다.  로 갖는다.
 (,×)  (,×)

정답
01 유의 관계 02 유의어 03 × 04  05 ⓒ 06 ⓑ 07 ⓐ 08 반의어 09 대립 10  11 × 12 앉다 13 가다 14 ⑤ 15 상하 관계
16 상위어(상의어), 하위어(하의어) 17  18 ×

E. 단어의 의미 8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89 2020. 11. 26. 오전 10:02


E 단어의 의미

4 다의 관계
1. 다의 관계의 개념
하나의 단어가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의미 관계로, 이러한 단어를 다의어라고 한다.
참고
2. 다의 관계의 특징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사전 수록
(1) 표제어와 의미의 개수: 국어사전에 하나의 표제어로 등재되며, 하나의 중심 의미와 여러 개 •‌다의어 
의 주변 의미를 가진다. 국어사전에서 「1」, 「2」, 「3」과 같
이 순서를 매겨 ‘중심적 의미 →
(2) 중심 의미와 주변 의미의 연관성: 둘 사이에는 의미적 연관성이 있으며, 사전에 실릴 때에는
주변적 의미’의 순서로 단어의
중심 의미에서 주변 의미 순으로 제시된다. 뜻을 차례로 제시한다.
•‌동음이의어 
국어사전에서 길1, 길2와 같은 순
발 【명사】 서로 따로 제시한다. 동음이의
어를 별개의 단어로 취급하여
「1」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각각의 표제어로 싣기 때문이다.
중심 의미
¶ 발을 디디다. / 발로 밟다.

「2」 가구 따위의 밑을 받쳐 균형을 잡고 있는, 짧게 도드라진 부분


¶ 장롱의 발 / 이 장식장은 한쪽 발이 짧다.
「3」 ‘걸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발이 빠른 선수 / 발을 멈추다. 주변 의미

「6」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 걸음을 세는 단위 ¶ 한 발 / 두 발

5 동음이의 관계
1. 동음이의 관계의 개념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단어들의 관계로, 이러한 단어들을 동음이의어라고 한다.
2. 동음이의 관계의 특징 개념+

단어들의 소리만 우연히 같을 뿐, 서로 의미적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별개의 단어이다. 따라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구분
각 단어들 사이의 의미적 연관성
서 사전에도 별개의 표제어로 실린다.
유무로 다의어와 동음이의어를 구
분할 수 있다.
1
다리 【명사】  ‌① 다리에 쥐가 나다.
② 밥상 다리가 짝짝이다.
「1」 ‌사람이나 동물의 몸통 아래 붙어 있는 신체의 부분. 서고 걷고 뛰는 일 따위를 ③ 한강 다리를 가로질렀다.
맡아 한다. ¶ 다리가 굵다. / 다리를 다치다. ①, ②는 물체의 아래쪽에 붙어서
「2」 ‌물체의 아래쪽에 붙어서 그 물체를 받치거나 직접 땅에 닿지 아니하게 하거나 윗부분을 받치고 있다는 점에서 관
높이 있도록 버티어 놓은 부분 ¶ 책상 다리 / 이 의자는 다리가 하나 부러졌다. 련이 있으므로 다의 관계이며 ①,
⋮ ②와 ③은 관련이 적으므로 동음이
의 관계이다.
「4」 안경의 테에 붙어서 귀에 걸게 된 부분 ¶ 다리가 부러진 안경

2
다리 【명사】

「1」 물을 건너거나 또는 한편의 높은 곳에서 다른 편의 높은 곳으


로 건너다닐 수 있도록 만든 시설물 ¶ 다리를 건너다.
「2」 둘 사이의 관계를 이어 주는 사람이나 사물을 비유적으로 이
르는 말
¶ 나는 그 사람을 잘 모르니 자네가 다리가 되어 주게나.
「3」 중간에 거쳐야 할 단계나 과정
¶ 이 물건은 우리에게 오는 데 다리를 여럿 거친 것이다.

9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0 2020. 11. 26. 오전 10:02


개념 완성 TEST

4 다의 관계 5 동음이의 관계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하나의 단어가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의미 관계를 09 ( )은/는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서로 다
( )(이)라고 한다. 른 단어들의 관계를 의미한다.

02 다의어는 중심 의미와 주변 의미라는 두 가지 이상의 다 10 동음이의 관계에 있는 단어들은 단어의 소리가 우연히
른 의미를 지니는데, 이들 사이에는 의미적 ( ) 같을 뿐, 서로 ( )이/가 없기 때문에 별
이/가 있다. 개의 단어이다.

03 국어사전에는 다의어가 하나의 표제어로 실리며, 그 의


10

DAY
미는 ( )에서 ( )의 순서로 제시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1 동음이의어는 사전에서 별개의 단어로 취급하여 각각


의 표제어로 실린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04 다의 관계는 소리는 다르지만, 의미적으로 연관성이 있
12 ‘맛있는 밤을 먹다.’와 ‘밤이 깊다.’에서의 ‘밤’은 소리는
는 단어들의 관계를 말한다.
같지만 의미적 연관성이 없으므로 동음이의어이다. 
 (,×)
 (,×)
05 ‘닫힌 것을 열다.’와 ‘나무에 열매가 열었다.’의 ‘열다’는
의미적 연관성이 있으므로 다의 관계이다. 
13 다음 중 ‘동음이의어’와 ‘다의어’의 분류 기준으로 알맞은 것
 (,×)
은?

① 의미의 수 ② 음절의 수
✽ ‌<보기>의 ‘손’이라는 단어와 다의 관계에 있는 단어를 사용한 ③ 소리의 동일성 ④ 의미의 연관성
문장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⑤ 주변 의미 수

[보기]

손 【명사】 「1」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 손등, 손바닥, ✽ ‌다음 ㉠~㉣의 밑줄 친 ‘길’의 의미에 따라 ㉠ ~ ㉣을 두 개의
손목으로 나뉘며 그 끝에 다섯 개의 손가락이 있어, 무 동음이의어로 나누시오.
엇을 만지거나 잡거나 한다.
¶ 손으로 잡다. / 손으로 가리키다. ㉠ 명절이라 길이 꽉 막혔다.
㉡ 농촌 생활에 제법 길이 들었다.
06 식당 일은 손이 많이 간다. ㉢ 그 집 장독은 길이 잘 나 있다.
 (,×) ㉣ 고향으로 가는 길은 멀기만 하다.

07 고등어 한 손에 오천 원이다.

 (,×)

08 우리 집에는 늘 자고 가는 손이 많다.
 (,×) 14 15

정답
01 다의 관계 02 연관성 03 중심 의미, 주변 의미 04 × 05 × 06  07 × 08 × 09 동음이의 관계 10 의미적 연관성 11  12  13 ④ 14 ㉠, ㉣
15 ㉡, ㉢

E. 단어의 의미 9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1 2020. 11. 26. 오전 10:02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17 , 개념 18

개념 17 의미의 유형과 사전 활용하기 E03 


예상 문제

중심적 의미 의미 주변적 의미
다음은 ‘들다’를 사전에서 찾아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이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표제어 문형 정보
사전
발음 정보 용례
활용
활용 정보
정보
관용구와 속담 들다1 [들다] 〔들어, 드니, 드오〕  【…에,…으로】
품사 정보 단어의 의미 관계
「1」 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
¶ 사랑에 들다. / 숲 속에 드니 공기가 훨씬 맑았다.

E01 
「2」 빛, 볕, 물 따위가 안으로 들어오다.
예상 문제
¶ 이 방에는 볕이 잘 든다. / 오후가 되면 햇빛이 안방으로 든다.
다음 중 사전을 활용했을 때의 효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들다4 [들다] 〔들어, 드니, 드오〕  【…을 …에, …을】
① 단어의 활용형을 파악할 수 있다. 「1」 손에 가지다.
② 단어의 하위어를 모두 알 수 있다. ¶ 꽃을 손에 든 신부 / 칼을 들고 서 있는 장수

③ 단어와 관련된 다양한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2」 아래에 있는 것을 위로 올리다.


¶ 역기를 번쩍 든 역도 선수 / 손을 들다.
④ 단어의 표준 발음법을 알고 바르게 발음할 수 있다.
관용 들었다 놓다.
⑤ 단어와 관련된 속담과 관용구를 확인하여 폭넓은 국어
굉장히 큰 영향을 미치다.
생활을 할 수 있다. 

① ‘들다1’과 ‘들다4’의 관계는 다의 관계이다.


② ‘들다1’과 ‘들다4’는 모두 [들다]로 발음됨을 알 수 있다.
③ ‘들다1’, ‘들다4’는 표제가 되는 말인 표제어로 각각 독립된
E02 
예상 문제 단어이다.
다음의 밑줄 친 ‘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④ ‘들다1’은 ‘에’, ‘으로’라는 부사어가 붙는 단어임을 알 수
있다.
㉠ 대청소는 손이 많이 가는 일이다. ⑤ ‘들다4’의 「1」, 「2」는 의미적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는 다의
㉡ 아이는 손을 흔들며 작별 인사를 했다. 관계이다. 
㉢ 나는 어릴 때부터 할머니의 손에서 자랐다.
㉣ 그는 권력을 손에 넣자 다른 사람이 되었다.
㉤ 장사꾼의 손에 놀아나 사지 않아도 될 것을 샀다.

① ㉠은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이나 노력, 기술’


이라는 주변적 의미이다.
② ㉡은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이라는 중심적 의미이다.
③ ㉢은 ‘일을 하는 사람’이라는 주변적 의미이다.
④ ㉣은 ‘어떤 사람의 영향력이나 권한이 미치는 범위’라는
주변적 의미이다.
⑤ ㉤은 ‘사람의 수완이나 꾀’라는 주변적 의미이다.

9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2 2020. 11. 26. 오전 10:02


E04 
2018(6월)/고2교육청 15 E06 
2018(3월)/고1교육청 14

<보기>의 ㉠~㉤에 들어갈 예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에 제시된 국어사전의 정보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보기] 것은? [2점]
바치다  [보기]

① 반드시 내거나 물어야 할 돈을 가져다주다. ¶ ㉠ 없다 [업ː따] 〔없어, 없으니, 없는〕


1
받치다   ‌사람, 동물, 물체 따위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①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 ¶ ㉡ 상태이다.
2 ¶ 각이 진 원은 없다.
받치다 
① 어떤 물건의 밑이나 안에 다른 물건을 대다. ¶ ㉢ 있다 [읻따] 〔있어, 있으니, 있는〕
② 어떤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다. ¶ ㉣ ⑴  ‌【…에】 사람이나 동물이 어느 곳에서 떠나거나 벗
밭치다  어나지 아니하고 머물다.
① ‌건더기와 액체가 섞인 것을 거르기 장치에 따라서 액 ¶ 그는 학교에 있다.
10

DAY
체만을 따로 받아 내다. ¶ ㉤ ⑵  ‌사람, 동물, 물체 따위가 실제로 존재하는 상태이다.
¶ 날지 못하는 새도 있다.

① ㉠: 매년 국가에 성실하게 세금을 바치고 있다.


② ㉡: 그는 설움에 받쳐서 끝내 울음을 터뜨렸다. ① ‘없다’는 장음 부호( ː )를 표시하여 어간이 긴소리로 발음
③ ㉢: 그녀는 쟁반에 음료수 잔을 받치고 걸어갔다.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군.
④ ㉣: 그가 우산을 받쳐 들고 거리를 거닐고 있다. ② ‘있다’는 하나의 표제어 아래에 두 가지의 뜻을 제시한 것
⑤ ㉤: 어머니께서 멸치젓을 체에 밭쳐 놓았다. 으로 보아 다의어라고 할 수 있군.
③ ‘있다 ⑴’은 주어 외에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문장 성
분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군.
E05 
2016(9월)/고1교육청 14 ④ ‘없다’와 ‘있다 ⑵’는 품사가 서로 같고, 의미상 반의 관계
다음은 단어 학습을 위해 활용한 사전의 일부분이다. 탐구 결과로 에 있음을 알 수 있군.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⑤ ‘없다’와 ‘있다’는 모두 활용할 때 어간의 형태가 불규칙적
으로 변하는 단어에 해당하는군.
끌다 [끌ː-] 
 【…을】
㉠ 바닥에 댄 채로 잡아당기다.
¶ 의자를 끄는 소리가 시끄럽다.

㉡ 시간이나 일을 늦추거나 미루다.


¶ 시간을 끌지 말고 하렴.

 【…에서 …을】
어느 곳에서 원하는 곳에 이르도록 전선 따위를 늘리다.
¶ 옆집에서 전기를 끌어 쓴다.

① ‘끌다’의 첫음절은 장음으로 발음되는군.


② ‘끌다’는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다의어이군.
③ ‘끌다-㉡’의 유의어로는 ‘지연하다’가 가능하겠군.
④ ‌‘끌다’의 용례로 ‘주방에서 수도를 끌어 물을 받았다.’를
추가할 수 있겠군.
⑤ ‌‘끌다’은 ‘끌다’와 달리 문장 구조상 부사어를 필요로
하는군.

❖ 정답 및 해설 48~49p E. 단어의 의미 9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3 2020. 11. 26. 오전 10:02


E07 
2014(3월A)/고2교육청 12 E09 
2017(11월)/고2교육청 12

<보기>는 국어사전의 일부이다. <보기>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것 <보기>는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해
은? [2점]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2 1
고르다 동⃞ 물리다 동사

1. (…을)
‌ 울퉁불퉁한 것을 평평하게 하거나 둘쭉날쭉한 【…에/에게】
것을 가지런하게 하다. ¶울퉁불퉁한 땅을 고르다. 다시 대하기 싫을 만큼 몹시 싫증이 나다.
2. ‌(…을) 붓이나 악기의 줄 따위가 제 기능을 발휘하도 ¶세 끼 꼬박 국수를 먹어서 이젠 국수에 물렸다.

록 다듬거나 손질하다. ¶강모는 거문고 줄을 골라 다시 물리다2 동사


한 곡조를 뜯었다. [1] 【…에/에게 …을】
고르다3 형⃞ 「1」 ‘물다2[1] 「2」’의 피동사 ¶사나운 개에게 팔을 물리다.
1. 여럿이
‌ 다 높낮이, 크기, 양 따위의 차이가 없이 한결 「2」 ‘물다2[1] 「3」’의 피동사 ¶어젯밤 모기에게 코를 물렸다.
같다. ¶이 지역은 비가 연중 고르게 내린다. [2] 【…에게】
2. ‌상태가 정상적으로 순조롭다. ¶생각보다 날씨가 고르다. ‘물다2 [1] 「4」’의 피동사
¶그놈들에게 잘못 물렸다가는 큰일 치른다.
2 3
① 고르다 와 고르다 은 동음이의어이다. 물리다3 동사
2 3
② 고르다 와 고르다 은 모두 다의어이다. [1] 【…을】
③ 고르다2는 주어 이외에도 다른 문장 성분을 필요로 한다. 「1」 ‘무르다2[1] 「1」’의 사동사
④ 고르다2의 1의 용례로 ‘그는 목소리를 고르고 있었다.’를 ¶친구는 새로 구입한 책을 모두 물렸다.

추가할 수 있다. [2] 【…을 …으로】 「1」      ㉠     


¶약속 날짜를 이틀 뒤로 물리다.
⑤ 고르다3은 사물의 동작이나 작용을 의미하지 않는다.

① 물리다1, 물리다2, 물리다3은 서로 동음이의 관계이군.


E08 
2019(9월)/고1교육청 15
② 물리다2, 물리다3은 각각 다의어임을 알 수 있군.
<보기>는 단어 학습을 위해 활용한 사전의 일부이다. 탐구 결과로 적 ③ 물리다1의 용례로 ‘버스가 고장이 나 승객들이 차표를 도
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로 물리는 소동이 있었다.’를 추가할 수 있군.
[보기]
④ 물리다2[1]은 물리다1에 비해 서술어가 요구하는 필수적
1
개다 
문장 성분이 더 많다고 할 수 있군.
「1」 흐리거나 궂은 날씨가 맑아지다. ¶ 비가 개다.
⑤ 물리다3의 ㉠에는 ‘정해진 시기를 뒤로 늦추다.’가 들어갈
「2」 (비유적으로) 언짢거나 우울한 마음이 개운하고 홀가분
수 있겠군.
해지다. ¶ 마음이 활짝 개다.
개다2  【…을】 【…을 …에】
가루나 덩이진 것에 물이나 기름 따위를 쳐서 서로 섞이
거나 풀어지도록 으깨거나 이기다.
개다3  【…을】
옷이나 이부자리 따위를 겹치거나 접어서 단정하게 포
개다. ¶ 이부자리를 개고 방을 청소하다.

1 2 3
① ‘개다 ’, ‘개다 ’, ‘개다 ’은 동음이의어이다.
1
② ‘개다 ’ 「1」의 용례로 ‘기분이 개다.’를 추가할 수 있다.
2
③ ‘개다 ’의 용례로 ‘가루약을 찬물에 개어 먹다.’를 들 수 있다.
3
④ ‘개다 ’의 반의어로 ‘펴다’를 들 수 있다.
⑤ ‘개다 ’은 ‘개다1’과 달리 목적어를 필요로 한다. 
3

9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4 2020. 11. 26. 오전 10:02


E10 
2018(9월)/고1교육청 15
① ‘어리다1’과 ‘어리다2’는 모두 다의어이다.
② ‘어리다1’은 목적어가 필요한 동사이다.
다음은 단어 학습을 위해 활용한 사전의 일부분이다. 탐구 결과로
③ ‘어리다1’과 ‘어리다2’는 동음이의 관계에 있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④ ‘어리다1’의 ㉡에 해당하는 또 다른 용례로, ‘입가에 미소
무르다2 「동사」 가 어리다.’를 추가할 수 있다.
 【…을】 ⑤ ‘어리다2’의 ㉡에 들어갈 예로, ‘저의 어린 소견을 경청해
㉠ ‌사거나 바꾼 물건을 원래 임자에게 도로 주고 돈이나 주셔서 고맙습니다.’와 같은 문장을 들 수 있다.
물건을 되찾다.
¶ 흠 있는 책을 돈으로 물렀다.

㉡ ‌이미 행한 일을 그 전의 상태로 돌리다.


¶ 한 수만 물러 주게.

 【…으로】 있던 자리에서 뒤로 옮기다.


¶ 가운데 앉지 말고 뒤로 물러 벽 쪽으로 붙어 앉으렴.

무르다3 「형용사」 11

DAY
㉠ 여리고 단단하지 않다. E12 
2016(3월)/고1교육청 12

¶ 무른 살 <보기>의 국어사전 정보를 탐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마음이 여리거나 힘이 약하다.  [2점]
¶ 성질이 무르다. [보기]
1
되다 「동사」
2 3
① 무르다 와 무르다 은 서로 동음이의 관계에 있군. [ 1 ] 【…이】
2
② 무르다 는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다의어이군. 「1」 새로운 신분이나 지위를 가지다.
2
③ 무르다 의 -㉠의 유의어로 ‘빼다’가 가능하겠군. ¶ 커서 선생님이 되고 싶다.
2 3
④ 무르다 는 무르다 과 달리 주어 이외의 문장 성분을 필요로 「2」 【…으로 】 다른 것으로 바뀌거나 변하다.
하는군. ¶ 물이 얼음이 되다. 물이 얼음으로 되다.

⑤ 무르다3의 ㉡의 용례로 ‘그는 마음이 물러서 모진 소리를 [ 2 ] 【…으로】 어떤 재료나 성분으로 이루어지다.
¶ 나무로 된 책상
못한다.’를 추가할 수 있겠군. 
되다2 「형용사」
[ 1 ] 반죽이나 밥 따위가 물기가 적어 빡빡하다.

E11 
2017(6월)/고1교육청 13
¶ 밥이 너무 되다.

[ 2 ] 일이 힘에 벅차다.
<보기>는 단어를 학습하기 위해 활용한 사전 자료이다. 이에 대한
¶ 일이 되면 쉬어 가면서 해라.
탐구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1
① 되다1과 되다2는 형태가 같지만 의미는 다르다.
어리다 「동사」
② 되다1은 되다2와 달리 주어 이외의 문장 성분을 필요로 한다.
㉠ 【 …에 】 눈에 눈물이 조금 괴다.
¶ 갑순이의 두 눈에 어느덧 눈물이 어리고 있었다.
③ 되다2는 되다1과 달리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이다.
④ 되다1 [1] - 「2」의 용례로 ‘국토가 산으로 되어 있다.’를 추
㉡ ‌【 …에 】 어떤 현상, 기운, 추억 따위가 배어 있거나
은근히 드러나다. 가할 수 있다.
¶ 밤을 새우고 난 그의 얼굴에 피로한 기색이 어렸다. ⑤ 되다2[ 2 ]의 유의어로 ‘힘들다’를 쓸 수 있다.

어리다2 「형용사」
㉠ 나이가 적다. 10대 전반을 넘지 않은 나이를 이른다.
¶ 나는 어린 시절을 시골에서 보냈다.

㉡ 생각이 모자라거나 경험이 적거나 수준이 낮다.


❖ 정답 및 해설 50~52p E. 단어의 의미 9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5 2020. 11. 26. 오전 10:02


E13 
2017(9월)/고2교육청 14
① 재다1과 재다2는 모두 다의어이다.
② 재다1과 재다2는 서로 동음이의 관계이다.
다음은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
③ 재다1은 재다2와 달리 문장 구조상 목적어를 필요로 한다.
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④ 재다1–의 용례로 ‘길이가 얼마나 되는지를 재어 보아라.’
익다  를 추가할 수 있다.
① 열매나 씨가 여물다. ⑤ 재다2–의 용례로 ‘발걸음이 재다.’를 들 수 있다.
¶ 배가 익다.

② ‌고기나 채소, 곡식 따위의 날것이 뜨거운 열을 받아


그 성질과 맛이 달라지다.

E15
¶ 고기가 푹 익다.

2016(6월)/고2교육청 11
익-히다  【…을】
<보기>에 제시된 국어사전 정보를 완성한다고 할 때, ㉠~㉤에 대
① ‘익다①’의 사동사
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 ‌잎사귀에 단풍이 든 콩들은 꼬투리를 더욱 단단하게 익히고 있
[보기]
었다.
그르다01
② ‘익다②’의 사동사
[Ⅰ] 「 ㉠ 」
¶ 고기를 익히다.
어떤 일이 사리에 맞지 아니한 면이 있다.
¶ 행실이 그르다. / 그른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① ‘익다’와 ‘익히다’는 모두 다의어로군.
[Ⅱ] 「동사」
② ‘익다’와 달리 ‘익히다’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군.
「1」 ( ㉡ ) 어떤 일이나 형편이 잘못되다.
③ ‘익히다’는 ‘익다’에 사동 접미사가 결합된 단어로군. ¶ 대세는 벌써 그른 지 오래다. / 이번 일도 이미 글렀다.
④ ‘익다①’의 유의어로는 ‘김치가 잘 숙성되었다.’의 ‘숙성되 「2」 어떤 상태나 조건이 좋지 아니하게 되다.
다’가 있겠군. ¶ 이 환자는 회생하기에 그른 것으로 보인다.
⑤ ‘익히다②’의 용례로 ‘감자를 푹 익혀 먹으면 맛이 좋다.’
가 있겠군. 바르다03 「형용사」
「1」 겉으로 보기에 비뚤어지거나 굽은 데가 없다.  굽다
¶ 선을 바르게 긋다.

E14 
2020(9월)/고1교육청 15
「2」 ‌말이나 행동 따위가 사회적인 규범이나 사리에 어긋
나지 아니하고 들어맞다. ¶ 그는 생각이 바른 사람이다.
<보기>는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3」 ㉢ ¶ 묻는 말에 바르게 대답해라.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4」 그늘이 지지 아니하고 햇볕이 잘 들다. ¶ 양지 바른 곳
[보기]

재다1 「동사」
옳다01 [올타] 「형용사」
【…을】 【 -ㄴ지를】
「1」 사리에 맞고 바르다. ¶ 옳은 판단  ㉣
 ‌자, 저울 따위의 계기를 이용하여 길이, 너비, 높이,
「2」 격식에 맞아 탓하거나 흠잡을 데가 없다. ¶ 옳은 상차림
깊이, 무게, 온도, 속도 따위의 정도를 알아보다.
「3」 차라리 더 낫다. ¶ ㉤
¶ 온도계로 기온을 재다.

 여러모로 따져 보고 헤아리다.
① ㉠에 들어갈 말은 ‘형용사’이다.
¶ 일을 너무 재다가는 아무것도 못한다.
② ㉡에 들어갈 문형 정보는 ‘흔히 현재 시제에 쓰여’이다.
③ ㉢에는 ‘사실과 어긋남이 없다.’를 넣을 수 있다.
재다2 「형용사」
 동작이 재빠르다. ④ ㉣에 들어갈 말은 ‘그르다01 [Ⅰ]’이다.
¶ ⑤ ㉤에는 ‘변명하느니 말을 않는 게 옳다.’를 넣을 수 있다.
 참을성이 모자라 입놀림이 가볍다.
¶ 입이 재다.

9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6 2020. 11. 26. 오전 10:02


E16 
2015(11월)/고2교육청 14 E17 
2017(3월)/고2교육청 15

<보기>에 제시된 국어사전의 정보를 완성한다고 할 때, ㉠~㉤에 <보기>는 ‘뿐’에 대한 남북한의 사전 풀이이다. 이를 탐구한 내용으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늦다 (가) 표준국어대사전(남한)
[Ⅰ] 동사
뿐01 「의존 명사」
㉠ 정해진 때보다 지나다.
(1) (어미
‌ ‘-을’ 뒤에 쓰여)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 따름
¶‌그는 약속 시간에 항상 늦는다. / 그는 버스 시간에 늦어 고향
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에 가지 못했다. ¶ 소문으로만 들었을 뿐이네.

(2) ‌(‘-다 뿐이지’ 구성으로 쓰여)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


[Ⅱ] ㉡ 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
 기준이 되는 때보다 뒤져 있다. ¶ 시간만 보냈다 뿐이지 한 일은 없다.
¶시계가 오 분 늦게 간다. 뿐02 ‌「조사」 (체언이나 부사어 뒤에 붙어) ‘그것만이고 더
11

DAY
 ‌시간이 알맞을 때를 지나 있다. 또는 시기가 한창 는 없음’ 또는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인 때를 지나 있다. 나타내는 보조사
¶우리 일행은 예정보다 늦게 도착했다. / ㉢ ¶ 이제 믿을 것은 오직 실력뿐이다.
 ‌곡조, 동작 따위의 속도가 느리다.
¶박자가 늦다. / ㉣ (나) 조선말대사전(북한)
뿐 ‌「불완전명사*」
이르다 형용사 (1) (체언아래에 쓰이여) 그것만이고 더는 없다는 뜻
【…보다】 【-기에】 ‌대중이나 기준을 잡은 때보다 앞서 ┃소식을 듣고 기뻐한것은 나뿐이 아니였다.
거나 빠르다. (2) ‌(용언아래에 쓰이여)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따름이
¶‌그는 여느 때보다 이르게 학교에 도착했다. / 아직 포기하기 라는 뜻
엔 이르다. ┃우리는 감격의 눈물을 삼켰을뿐이였다

*불완전명사: 북한에서 ‘의존 명사’를 가리키는 말


반의어 ㉤
① (가)의 ‘뿐01’은 (나)의 ‘뿐’과 달리 앞에 오는 말과 띄어서
① ㉠에 들어갈 말은 ‘【…에】’이다. 쓰이는군.
② ㉡에 들어갈 말은 ‘형용사’이다. ② (가)의 ‘뿐01’과 (나)의 ‘뿐’은 모두 두 가지의 뜻을 가진 단
③ ㉢에는 ‘발걸음이 늦다.’를 넣을 수 있다. 어이군.
④ ㉣에는 ‘그는 다른 사람보다 서류 작성이 늦다.’를 넣을 수 ③ ‘내가 가진 것은 이것뿐이다.’에서 ‘뿐’은 (가)의 ‘뿐02’, (나)
있다. 의 ‘뿐’ (1)의 뜻에 해당하는군.
⑤ ㉤에 들어갈 말은 ‘늦다[Ⅱ]’이다. ④ (가)에서는 (나)에서와 달리 체언 뒤의 ‘뿐’과 용언 뒤의
‘뿐’을 서로 다른 표제어로 등재하고 있군.
⑤ (나)에서는 (가)에서와 달리 ‘뿐’을 다른 말에 기대어 쓰이
지 않고 자립하여 쓰일 수 있는 말로 보고 있군.

❖ 정답 및 해설 52~54p E. 단어의 의미 9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7 2020. 11. 26. 오전 10:02


E18 
2016(3월)/고2교육청 14 E19 
예상 문제

다음은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 다음의 ㉠~㉢에 해당하는 단어들로 연결되지 않은 것은? [2점]
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자료] 의미가 비슷한 단어들이 맺는 의미 관계를 ㉠ 유의 관
우연 명 아무런 인과 관계가 없이 뜻하지 아니하게 일어난 일 계, 의미상 서로 짝을 이루어 대립하는 의미 관계를 ㉡ 반
¶우연의 일치 의 관계, 한 단어가 의미상 다른 단어를 포함하거나 다른
「반」 필연01. 단어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를 ㉢ 상하 관계라 한다.

우연-적 관 명 아무런 인과 관계 없이 뜻하지 아니하게 일 유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 관계


어나는. 또는 그런 것 ① 책 : 도서 남자 : 여자 과일 : 사과
¶우연적 만남/우연적 사건∥우연적으로 일어난 일 ② 뽑다 : 빼다 오르다 : 내리다 꽃 : 장미
우연-하다 형 어떤 일이 뜻하지 아니하게 저절로 이루어 ③ 날씨 : 기후 아버지 : 어머니 동물 : 곰
져 공교롭다. ④ 열다 : 닫다 길다 : 짧다 포유류 : 개
¶친구를 우연하게 만났다.
⑤ 가운데 : 센터 오다 : 가다 식물 : 대나무

우연-히 부 어떤 일이 뜻하지 아니하게 저절로 이루어져


공교롭게
¶동생의 비상금을 우연히 발견하였다.

① ‘우연’의 뜻풀이와 반의어를 보니, ‘우연적’의 반의어로


‘필연적’이 존재할 수 있겠군.
E20 
예상 문제
② ‘우연적’의 품사 정보와 뜻풀이를 보니, ‘그들의 만남은 우
다음은 ‘손’에 대해 학습하기 위해 찾아본 사전의 일부이다. 이에
연적이었다.’의 ‘우연적’은 관형사에 해당하겠군.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③ ‘우연하다’의 품사 정보와 뜻풀이를 보니, ‘우연하다’의 용
례로 ‘우연한 계기’를 추가할 수 있겠군.
손1 「1」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
④ ‘우연’과 ‘우연하다’의 표제어 및 뜻풀이를 보니, ‘우연하 「2」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이나 노력, 기술
다’는 ‘우연’에 ‘하다’가 결합한 복합어로군. 「3」 어떤 사람의 영향력이나 권한이 미치는 범위
⑤ ‘우연하다’와 ‘우연히’의 뜻풀이 및 용례를 보니, ‘친구를 2
손 「1」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
우연하게 만났다.’의 ‘우연하게’는 ‘우연히’로 교체하여 쓸 「2」 ‌여관이나 음식점 따위의 영업하는 장소에 찾아온
수 있겠군. 사람

① ‘손1’과 ‘손2’는 동음이의 관계이다.


② ‘손1’의 「1」, 「2」는 다의 관계이다.
③ ‘손1’의 「2」와 ‘손2’의 「2」는 다의 관계이다.
④ ‘손1’의 「1」에 해당하는 용례로 ‘손을 비비다’를 추가할 수
있다.
개념 18 단어의 의미 관계 ⑤ ‘손2’의 「2」에 해당하는 용례로 ‘그 가게는 손이 많다.’를
말소리는 다르지만 서로 비슷한 의미를 가 추가할 수 있다. 
유의 관계
지고 있는 의미 관계
둘 이상의 단어가 의미상 서로 짝을 이루
반의 관계
어 대립하는 의미 관계
단어의 한 단어가 의미상 다른 단어를 포함하거
상하 관계
의미 관계 나,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
하나의 단어가 둘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다의 관계
의미 관계
소리는 같지만 의미가 서로 다른 단어들의
동음이의 관계
관계

9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8 2020. 11. 26. 오전 10:02


[ E21 ~ 22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E21 
2020(9월)/고2교육청 11

두 단어가 서로 짝을 이루어 반대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을 윗글을 참고하여 추론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반의어라고 한다. 이 중 ‘넓다/좁다’처럼 정도나 등급에 있어서 ① ‘올해는 사과의 품질이 좋다.’에서 ‘좋다’에는 비교 표현을
대립되는 단어 쌍을 등급 반의어라고 한다. 등급 반의어는 다 쓸 수 있겠군.
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② ‘여행 가방이 무겁다.’에서 사람들이 생각하는 가방의 무
첫째, 등급 반의어가 나타내는 정도나 등급은 단계적인 차이 게는 다를 수 있겠군.
를 보이며, 이러한 차이로 인해 정도 부사의 수식이나 비교 표 ③ ‘기차역은 여기에서 멀다.’에서 ‘멀다’는 정도 부사의 수식

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리 집 마당은 아주 넓다.”, “우리 을 받을 수 있겠군.


④ ‘영수 집은 학교에서 가깝다.’에서 ‘가깝다’를 부정하면
집 마당이 옆집 마당보다 더 넓다.”라고 쓸 수 있다. 이때 ‘우리
‘멀다’의 의미와 동일하겠군.
집 마당’의 넓이가 얼마인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생각하는 바
⑤ ‘물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다.’에서 ‘뜨겁지도’와 ‘차갑지
가 조금씩 다를 수 있다.
도’ 사이의 중간 정도를 나타내는 말이 있겠군.
둘째, 등급 반의어에서는 한쪽 단어의 긍정이 다른 쪽 단어
11

DAY
의 부정을 함의하며, 이것의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당이 넓다’는 ‘마당이 좁지 않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그러나
마당이 ‘좁지 않다’고 해서 반드시 ‘넓다’는 것은 아니다. 마당이
넓지도 않고 좁지도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등급 반의어는 두 단어를 동시에 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당이 넓지도 않고 좁지도 않다.”라는 표현이 가능한데,
이것은 마당의 크기에 대해 사람들이 인식하는 ‘중간 정도’의 E22 
2020(9월)/고2교육청 12

크기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중간 정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 <보기>의 담화 상황을 고려할 때, 윗글의 ㉠에 해당하는 것만을
타내는 별도의 말이 존재하기도 한다. ⓐ ~ ⓕ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3점]
넷째, ㉠ 등급 반의어의 대립 쌍 중 일부는 두 단어 중 하나 [보기]

가 언어적으로 더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인다. 진주: 여행 잘 갔다가 ⓐ 왔어? 기억에 남는 곳이 있니?
승민: 이육사의 발자취를 따라 이육사 문학관에 ⓑ 갔어.
예를 들어 마당의 면적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마
볼 것도 많고 체험도 할 수 있어서 인상 깊었어.
당의 ‘넓거나 좁은 정도’를 물을 때, “마당이 얼마나 넓니?”라고
진주: 나도 가 보고 싶다. 문학관이 ⓒ 커?
묻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당이 좁다는 것을 전제하지 않는 한
승민: 우리가 같이 갔던 황순원 문학관보단 ⓓ 작아. 입장
“마당이 얼마나 좁니?”라고 묻는 것은 어색하다. 또한 넓은 정 할 때 줄도 섰어.
도를 나타내는 파생 명사로 ‘좁이’가 아니라 ‘넓이’가 사용된다. 진주: 그랬구나. 줄이 ⓔ 길었어?
이는 ‘넓다’가 ‘좁다’에 비해 어떠한 전제나 가정이 없는 의미를 승민: 내 앞에 다섯 명 정도 있었어. 줄은 ⓕ 짧았는데 줄어

나타낸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렇게 보면 등급 반의 관계에 있 드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렸어. 사람들이 천천히 관람하느

는 ‘넓다/좁다’에서 ‘넓다’가 더 활발하게 쓰여 사용상의 비대칭 라 그런 것 같아.

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① ⓐ, ⓕ ② ⓒ, ⓔ ③ ⓓ, ⓕ

④ ⓐ, ⓒ, ⓔ ⑤ ⓑ, ⓓ, ⓕ

❖ 정답 및 해설 55~56p E. 단어의 의미 9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99 2020. 11. 26. 오전 10:02


E23 
예상 문제 E25 
2015(9월)/고1교육청 14

단어의 의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2점] (가) ~ (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① ‘밥을 먹다.’와 ‘나이를 먹다.’에서의 ‘먹다’는 동음이의어 (나) (다)


이다. 제도를 고치다 개혁(改革)하다
② ‘철수는 결심이 섰다.’와 ‘질서가 바로 서다.’에서의 ‘서다’ (가)
병을 고치다 치료(治療)하다
는 동음이의어이다. 고치다 습관을 고치다 교정(矯正)하다
③ ‘이 방은 볕이 잘 든다.’와 ‘산길에 드니 공기가 다르다.’에
내용을 고치다 수정(修正)하다
서의 ‘들다’는 소리만 같은 동음이의어이다.
옷을 고치다 수선(修繕)하다
④ ‘사람의 다리’와 ‘장롱의 다리’에서의 ‘다리’는 ‘몸통이나
물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부분’이라는 의미적 연관성을 ① (가)는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지니는 다의어이다. ② (나)의 의미는 목적어에 의해서 제한적으로 해석된다.
⑤ ‘영화를 보다.’와 ‘시계를 보다.’에서의 ‘보다’는 각각 ‘눈으 ③ (다)의 어휘들끼리는 문장에서 서로 바꿔 쓸 수 있다.
로 대상을 즐기거나 감상하다.’와 ‘대상의 내용이나 상태 ④ (다)는 문장에서 (가)로 바꿔 쓸 수 있다.
를 알기 위하여 살피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동 ⑤ (다)는 (가)에 비해 세분화된 의미를 지닌다.
음이의어이다.

E24 
2017(3월)/고1교육청 15

<보기>의 (가),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단어는 문맥에 따라 여러 가지 뜻을 가진다. 그래서 반


의어도 여럿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가 서다.’에서
‘서다’의 반의어는 ‘가다’인데, ‘기강이 서다.’에서 ‘서다’의
반의어는 ‘무너지다’가 된다. ‘벗다’도 문맥에 따라 여러 가
지 뜻을 가지기 때문에 반의어가 여럿이다.
단어 예문 반의어
외투를 벗다. 입다
벗다 (가) 쓰다
배낭을 벗다. (나)

(가) (나)
① 누명을 벗다. 메다
② 안경을 벗다. 끼다
③ 장갑을 벗다. 차다
④ 모자를 벗다. 걸다
⑤ 허물을 벗다. 들다 

10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00 2020. 11. 26. 오전 10:02


1등급 킬러 문제 E27 
2014(11월 AB)/고2교육청 12

다음은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해 탐


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E26 
2019(3월)/고2교육청 15

<보기>는 ‘사전 활용하기’ 학습 활동을 위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이1 의존 명사 ‘사람’의 뜻을 나타내는 말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이2 [1] 대명사
[보기]  말하는 이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그치다 「동사」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1」 【(…을)】 계속되던 일이나 움직임이 멈추거나 끝나다.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또는 그렇게 하다. [2] 관형사 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킬 때


¶비가 그치다. / 울음을 그치다. 쓰는 말
「2」 【…에】 【…으로】 더 이상의 진전이 없이 어떤 상태 ¶노력하는 사람은 실패하지 않는다. 이 점을 우리는 명심해야 한다.

에 머무르다. 이3 [1] 수사

11

DAY
¶출석률이 절반 정도에 그쳤다. / 예감이 예감으로 그치지  일에 일을 더한 수, 아라비아 숫자로는 ‘2’, 로마 숫자
않고 현실이 되는 경우가 있다. 는 ‘Ⅱ’로 쓴다.
멈추다 「동사」 [2] 관형사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1] 「1」 사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이 그치다.  그 수량이 둘임을 나타내는 말
¶시계가 멈추다. / 울음소리가 멈추다.

「2」 비나 눈 따위가 그치다. ① ‘저 모자를 쓴 이가 누구지?’의 ‘이’는 사람을 뜻하므로 ‘이1’


¶멈추었던 비가 다시 내리기 시작했다. 의 용례가 되는군.
[2] 【…을】 사물의 움직임이나 동작을 그치게 하다. ② 하나의 표제어에 여러 개의 뜻풀이가 있으므로 ‘이2’는 다
¶기계를 멈추다. / 발걸음을 멈추다. 의어에 해당하는군.
‌ 2[1]’의 용례와 ‘이2[2]’의 용례를 통해 ‘이2’는 조사
③ ‘이
① ‘그치다 「1」’의 문형 정보와 용례를 보니, ‘그치다 「1」’은 자 의 결합 가능 여부에 따라 품사를 구별할 수 있음을 확인
동사로도 쓰일 수 있고 타동사로도 쓰일 수 있군. 할 수 있군.
② ‘그치다 「2」’의 문형 정보와 용례를 보니, ‘그치다 「2」’는 부 ④ ‘이 킬로미터를 걸어라.’에서 ‘이’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
사어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군. 앞에 쓰이므로 ‘이3[1]’의 용례로 들 수 있군.
③ ‘멈추다[2]’의 용례로 ‘차가 경적을 울리며 멈추다.’를 추 ⑤ ‘이1’, ‘이2’, ‘이3’은 별개의 표제어로 기술된 걸 보니 서로
가할 수 있겠군. 동음이의 관계이군. 
④ ‘그치다’와 ‘멈추다’는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다의어이군.
⑤ ‘그치다 「1」’과 ‘멈추다’의 뜻풀이와 용례를 보니, 두 단어
는 유의 관계에 있군.

❖ 정답 및 해설 56~59p E. 단어의 의미 10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009~101)A~E.indd 101 2020. 11. 26. 오전 10:03


동아리 소개
H.I.S.(Hoofers In SNU)

서울대학교 스트릿댄스 동아리

서울대학교의 춤꾼,‘H.I.S’
‘Hoofers In SNU(서울대학교의 춤꾼들)’이라는 뜻을 지닌 중앙 동아리로서,

명실상부 서울대 최고의 스트릿댄스 동아리입니다.

Street Dance는 스트릿 문화를 기반으로 한 유쾌한 춤 전반을 일컫는 말로, 장르별 기본기를

활용하여 자유롭게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Locking, Popping, Waacking, B-boying,

Hiphop, Girl’s Hiphop, House, Krump 등의 장르가 있습니다.

[H.I.S. 주요 활동]

•교내 활동: 3월 학관 앞 길거리 공연을 시작으로 봄·가을 축제, 새내기 배움터, OT 공연 등

의 행사에 참여하며, 최종적으로 11월 정기 공연에서 그동안 갈고 닦아온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합니다.

•대외 활동: 다양한 외부 행사를 통해 다른 학교 댄서들과 교류하며 인맥을 넓힐 수 있는 기

회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UDC, 유니온, R U Ready 배틀, 5511(서울대·숭실대·중앙대 교류) 등의 행사가 있습니다.

매주 정기 연습을 하며, 매 연습이 끝난 뒤에는 즐거운 뒤풀이가 진행됩니다.

스트릿댄스에 관심이 있고, 동아리원들과 어울리면서 끈기 있게 배우고자 하는 열의가 있는

신입 부원을 찾습니다.

(Homepage - https://www.facebook.com/hoofersinsnu/)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2 2020. 11. 26. 오전 9:59


PART
문장 표현과 담화

F 문장 성분
개념 19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개념 20 주성분

개념 21 부속 성분

개념 22 독립 성분

G 문장의 짜임
개념 23 홑문장과 겹문장

개념 24 이어진문장

개념 25 안은문장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26 종결 표현

개념 27 높임 표현

개념 28 시간 표현

개념 29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개념 30 부정 표현

개념 31 인용 표현

개념 32 정확한 문장 표현

개념 33 담화의 개념과 요건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3 2020. 11. 26. 오전 9:59


F 문장 성분

개념 19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1 문장 성분의 개념
참고
문장 안에서 문장을 구성하면서 일정한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각 부분을 문장 성분이라고 한다.
★★문장의 요소
일반적으로 어절이 문장 성분으로 쓰이지만, 어절이 모여서 이루어진 구나 절이 하나의 문장 성
문장은 우리의 생각이나 감정을 완
분으로 쓰이기도 한다. 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
어절 어 형식으로 아래와 같은 요소를 갖
와! 이제야 진수가 어려운 시험을 통과했구나. 춘다.
독립어 부사어 주어 관형어 목적어 서술어 •의미상: 완결된 내용을 갖춘다.
주어 성분을 이루는 명사구 목적어 성분을 이루는 명사절 •‌구성상: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저 학생이 철수이다. 우리는 비가 그치기를 기다렸다. 갖춘다.
관형어 주어 주어 서술어 •‌형식상: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내
는 표지(!, ?, .)가 있다.
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 단위
어절 문장을 구성하는 기본 문법 단위로 띄어쓰기 단위와 대체로 일치함.
구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하나의 단어와 동등한 기능을 함.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갖추지 못함.
두 개 이상의 어절이 모여 하나의 의미 단위를 이룸. 절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갖추나 다른 문장의

일부분이 된다는 점에서 문장과 구별됨.

2 문장 성분의 종류
주어
목적어
주성분
서술어
보어 개념+
문장
관형어 ★★주격 조사와 보격 조사 구분
성분 부속 성분
부사어 주격 조사와 보격 조사 모두 ‘이/
가’로 형태는 같다. 주격 조사와 보
독립 성분 독립어
격 조사를 구분하려면 문법적 기
1. 주성분: 문장의 골격을 이루는 필수적 문장 성분이다. 능과 서술어가 무엇인지를 고려해
야 한다.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에
문장에서 동작이나 상태, 성질의 주체를 나타  아버지가 그림을 그리셨다. 해당하는 문장 성분 뒤에 붙어 있
주어
내는 문장 성분 주어 으면 주격 조사이고, 서술어 ‘되다/
아니다’의 필수 성분으로 기능하는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 성질 등을 나타내는  사람이 꽃보다 아름답다.
서술어 문장 성분 뒤에 붙어 있으면 보격
문장 성분 서술어
조사이다.
목적어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 수경이는 공부를 한다.
주어 목적어 서술어

‘되다’, ‘아니다’와 같은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 물이 얼음이 되었다. / 수경이는 회장이 아니다.


보어
요구하는 문장 성분 중에서 주어를 제외한 것 주어 보어 서술어 주어 보어 서술어

2. 부속 성분: 주성분의 내용을 꾸며 뜻을 더해 주는 문장 성분이다.

관형어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 성분  철수가 새 옷을 입었다.


관형어 명사
용언, 관형어, 다른 부사 또는 절이나 문장 전
부사어  꽃이 참 예쁘다.
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 부사어 형용사

3. 독립 성분: 다른 문장 성분들과 직접적인 관련 없이 따로 떨어져 있는 문장 성분이다.


문장의 어느 성분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 어머나, 네가 아주 새 사람이 되었구나!
독립어
문장 성분  영희야, 선생님께서 부르신다.

10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4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1 문장 성분의 개념 2 문장 성분의 종류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1 ( )은/는 문장의 골격을 이루는 필수적 성분이다.


문장은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 ㉠ )의 언어 형
12 ( )은/는 주성분의 내용을 꾸며 주는 역할을
식을 말한다. 문장은 의미상 완결된 ( ㉡ )을/를 갖추
하는 성분이다.
어야 하고, 구성상 주어와 ( ㉢ )의 관계를 갖추어야
한다. 또 형식상으로는 문장이 끝났음을 나타내는 ( ㉣
)이/가 있는 것을 말한다. ✽ 다음
‌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에 표시하시오.

13 주성분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세 개가 있다. (,×)


01 ㉠ ( ) 02 ㉡ ( )
14 부사어는 용언 이외에 다른 문장 성분을 수식할 수 있다.
03 ㉢ ( ) 04 ㉣ ( )
 (,×)
12

DAY
15 관형어와 부사어는 무엇을 수식하느냐에 따라 구분할
문장 성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구성하 수 있다. (,×)
는 기본적인 문법 단위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 16 독립어는 주성분이나 부속 성분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
면 ‘어절(語節)’ 뿐만 아니라, ‘구(句)’나 ‘절(節)’도 하나의 는 문장 성분이다. (,×)
문장 성분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어절’은 문장을 구성
하는 기본 단위로 ( ㉠ ) 단위와 대체로 일치한다. ‘구’
는 두 개 이상의 ( ㉡ )이/가 모여 하나의 ( ㉢ ) 17 다음 문장 성분에 해당하는 의미를 바르게 연결하시오.
와/과 동등한 기능을 한다. ‘절’ 역시 두 개 이상의 어절
㉠ 주어 • •ⓐ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성분
이 모여 이루어지지만, 주어와 서술어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 ㉣ )와/과 구별된다. ㉡ 서술어• •ⓑ 동작이나 상태, 성질의 주체

㉢ 목적어• •ⓒ 주체의 동작이나 상태, 성질을 풀이


05 ㉠ ( ) 06 ㉡ ( )

07 ㉢ ( ) 08 ㉣ ( )
✽ 다음
‌ 문장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성분이 무엇인지 쓰시오.

18 새 건물이 많이 들어섰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 ㉢ ㉣

㉠( ) ㉡( ) ㉢( ) ㉣( )
영수는 지희가 모범생임을 잘 안다.
Ⓐ Ⓑ 19 물이 얼음이 되었다.
㉠ ㉡ ㉢
09 위 문장은 총 5개의 어절로 이루어져 있다. ㉠( ) ㉡( ) ㉢( )
 (,×)
20 와! 과연 그 아이는 똑똑하구나.
10 Ⓐ는 두 개 이상의 어절로 이루어져 있으나 주어와 서 ㉠ ㉡ ㉢ ㉣ ㉤
술어의 관계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구’이다. ㉠( ) ㉡( ) ㉢( )
 (,×) ㉣( ) ㉤( )

정답
01 최소 02 내용 03 서술어 04 표지 05 띄어쓰기 06 어절 07 단어 08 구 09  10 × 11 주성분 12 부속 성분 13 × 14  15  16 
17 ㉠–ⓑ, ㉡–ⓒ, ㉢–ⓐ 18 ㉠ 관형어 ㉡ 주어 ㉢ 부사어 ㉣ 서술어 19 ㉠ 주어 ㉡ 보어 ㉢ 서술어 20 ㉠ 독립어 ㉡ 부사어 ㉢ 관형어 ㉣ 주어 ㉤ 서술어

F. 문장 성분 10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5 2020. 11. 26. 오전 9:59


F 문장 성분

개념 20 주성분
개념+
1 주어 ★★주격 조사 ‘에서’
문장에서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의 주체를 나타내는 문장 성분  ‘무엇이 무엇이다/ 주어는 단체를 나타내는 주격 조
어떠하다/어찌하다’의 ‘무엇이’에 해당한다. 사 ‘에서’를 통해서도 실현되는 경
우가 있다.
1.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에 주격 조사 ‘이/가’나 ‘께서’를 붙여 나타냄.
이번 대회는
 •영수가 축구를 한다. •그 소년이 공을 잡았다.
우리 학교에서 우승을
명사+주격 조사 명사구+주격 조사
차지했어.
•우리 팀이 승리했음이 분명하다. •아버지께서 신문을 보신다.
명사절+주격 조사 명사+주격 조사

2. 주격 조사는 생략될 수도 있고, 주격 조사 대신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보조사가 붙을 수도 있음.


 •영희 지금 밥 먹어. •영희도 지금 밥 먹어.
명사(조사 생략) 명사+보조사

3. 문장에서 주어가 반복되거나 분명할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음.


 •나는 오전에 산책을 하고 (나는) 영화를 봤어.
•(너는) 일어났니? (의문문이나 명령문에서는 보통 청자가 주어가 된다.)

참고

★★조사의 특징
2 서술어
‘무엇이다’는
‘체언 + 서술격 조사’를, 격 조사는 문장에서 관계가 명확
‘어떠하다’는 형용사를, 한 경우 생략할 수 있으며 보조사
문장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 등을 나타 ‘어찌하다’는 동사를
말해. 가 붙는 경우에도 격 조사가 생략
내는 문장 성분  ‘무엇이 무엇이다/어떠하다/어찌하다’의 될 수 있다. 또한 격 조사와 보조
‘무엇이다/어떠하다/어찌하다’에 해당한다. 사가 나란히 쓰일 수도 있다.

1. 동사나 형용사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나 체언에 서술격 조 •민우가 커피를 빨리 마신다.


•‌민우 지금 커피 마셔.
사 ‘이다’가 결합될 수도 있음.  철수가 집에 간다. 철수가 멋있다. 철수가 반장이다.
(격 조사 생략)
동사 형용사 체언+서술격 조사
•민우가 커피만 빨리 마신다.
2. 서술어의 자릿수: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문장 성분의 개수이다.
•‌민우가 커피만을 빨리 마신다.
(1) 한 자리 서술어: 주어만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한 자리
주어 서술어

•비가 내린다. 개념+


서술어 ‘내린다’, ‘맑다’는 주어 하나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한 자리 서술어임.
•하늘이 맑다. ★★서술어와 용언의 개수

(2) 두 자리 서술어: 주어 이외에 목적어, 보어, 부사어 중 하나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한 문장 내에서 서술어는 하나의
용언만을 사용할까?
 철수가 머리를 깎아 주었다.
목적어 위의 예를 살펴보면 ‘주었다’는 본
보어 두 자리
주어 부사어 서술어 용언인 ‘깎다’의 보조 용언으로 쓰
여 ‘깎아 주었다’가 하나의 서술어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영희가 음악을 사랑한다. 서술어 ‘사랑한다’, ‘되었다’는 주어 이외에 각각 목적어와 서술어는 하나의 용언으로 이루어
•영희가 대학생이 되었다. 보어를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두 자리 서술어임.
질 수도 있지만 두 개 이상의 용언
(3) 세 자리 서술어: 주어 이외에 목적어와 부사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두 위치는 바뀔 수 있다.

(필수적) 세 자리
주어 목적어 서술어
부사어

•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용돈을 주셨다. 서술어 ‘주셨다’, ‘삼았다’는 주어 이외에 목적어, 부사어를
•장인은 그를 제자로 삼았다. 반드시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세 자리 서술어임.

10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6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1 주어 2 서술어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1 서술어는 주성분이지만 필수적 성분은 아니다.


주어는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에 주격 조
 (,×)
사 ‘이/가’나 ‘( ㉠ )’, ‘에서’가 붙어서 나타나는데, 주격
조사를 생략하고 ( ㉡ )이/가 붙을 수도 있다. 12 서술어는 보통 문장의 맨 끝자리에 위치한다.
 (,×)
01 ㉠ ( ) 02 ㉡ ( )
13 두 개의 용언이 서술어를 이루기도 한다.
 (,×)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3 주어는 문장에서 동작이나 작용, 성질이나 상태의 (
12

DAY
)을/를 나타내는 문장 성분이다.
서술어는 ‘무엇이 무엇이다/어떠하다/어찌하다’에서 ‘무
04 주어는 ‘무엇이 무엇이다/어떠하다/어찌하다’에서 ‘( 엇이다/어떠하다/어찌하다’에 해당한다. ‘무엇이다’는 체
)’에 해당한다. 언 뒤에 ( ㉠ )이/가 결합한 형태이고, ‘어떠하다’는 용
언중( ㉡ ), ‘어찌하다’는 용언 중 ( ㉢ )(으)로 서
술어가 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5 주어는 주성분이자 필수적 성분이다. (,×) 14 ㉠


06 주격 조사는 생략이 불가능하다.  (,×) 15 ㉡
07 ‘은/는’은 주격 조사에 해당한다. (,×) 16 ㉢

✽ 빈칸에
‌ 들어갈 명칭을 <보기>에서 고르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보기]
17 서술어의 자릿수는 서술어가 ( )(으)로 요구하

명사, 주격 조사, 보조사, 명사구, 목적격 조사, 명사절


는 문장 성분의 개수를 말한다.

18 한 자리 서술어는 ( )만을 요구한다.


08 ( 소년 + 이 ) 그림을 그린다.
㉠ ㉡ 19 세 자리 서술어는 주어 이외에 ( )와/과 부사
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 ) ㉡( )

09 ( 그 소년 + 만 + 이 ) 그림을 그린다. ✽ 다음 밑줄 친 서술어가 몇 자리 서술어인지 쓰시오.


㉠ ㉡ ㉢
20 하늘이 매우 푸르다.  ( ) 서술어
㉠( ) ㉡( ) ㉢( )
21 나는 영화를 재밌게 보았다.  ( ) 서술어
10 우리는 ( 너가 + 잘되기 를 ) 바란다.
㉠ ㉡ 22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 ) 서술어
㉠( ) ㉡( ) 23 엄마가 아이에게 젖을 먹였다.  ( ) 서술어

정답
01 께서 02 보조사 03 주체 04 무엇이 05  06 × 07 × 08 ㉠ 명사 ㉡ 주격 조사 09 ㉠ 명사구 ㉡ 보조사 ㉢ 주격 조사 10 ㉠ 명사절 ㉡ 목적격 조사
11 × 12  13  14 서술격 조사 15 형용사 16 동사 17 필수적 18 주어 19 목적어 20 한 자리 21 두 자리 22 두 자리 23 세 자리

F. 문장 성분 10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7 2020. 11. 26. 오전 9:59


F 문장 성분

3 목적어
문장에서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  목적어가 있을 경우 서술어에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가 온다.

이번에 누굴 (누구+를) 고민 중이야.


1.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에 목적격 조사 뽑을 거니?
개념+
‘을/를’을 붙여 나타냄.
★★목적어의 위치
 영희가 철수를 좋아한다.
명사+목적격 조사 목적어는 보통 서술어 앞에 오지
만, 목적어와 서술어 사이 성분 부
영희는 철수의 행복을 빈다. 사어 앞에 올 수도 있다.
명사구+목적격 조사
목적어를 실현하는 모습에는 ‘을/를’을 •철수가 그림을 그린다.
영희는 철수가 합격하기를 빈다. •철수가 그림을 잘 그린다.
줄여서 ‘ㄹ’로 나타내는 방법도 있다.
명사절+목적격 조사

명사 + 보조사 + 목적격 조사
2. 목적격 조사는 생략될 수도 있고, 목적격 조사 대신
영희는 철수만을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보조사가 붙을 수도 있음.
좋아해.
 영희가 철수 좋아한다.
명사(조사 생략)

영희가 철수만 좋아한다.


명사+보조사

3. 목적어는 한 문장에 두 번 이상 나타날 수 있음. 목적어를 실현할 때에는 보조사와


 그녀는 책을 두 권을 샀다. 목적격 조사가 나란히 쓰일 수도 있다.

4 보어
주어를 제외하고 ‘되다/아니다’와 같은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문장 성분이다.

1.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에 보격 조사 ‘이 / 가’를 붙여 나타냄.


 •영수는 어른이 아니다. •그가 대표가 되었다.
명사+보격 조사 명사+보격 조사
참고
•영희는 말할 상황이 아니다. •그녀가 웃지 않은 것은 그가 싫어서가 아니다. ★★보어와 주어의 모습 구분
명사구+보격 조사 명사절+보격 조사
보어는 주격 조사 ‘이/가’와 형태가
같은 보격 조사가 붙어 문장 성분
2. 보격 조사는 생략될 수도 있고, 보격 조사 대신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보조사가 붙을 수도 있음. 으로 쓰여 그 모습이 주어와 같게
 •영수는 어른 아니다. 영수는 어른은 아니다. 나타난다. 보어와 주어를 구별하는
명사(조사 생략) 명사+보조사 방법에는 다음의 두 가지가 있다.
•그가 대표 되었다. 그가 대표도 되었다. •배열 순서
명사(조사 생략) 명사+보조사
보어와 주어를 구분할 때에는  ‌얼음이 물이 된다.(보어)
서술어의 양상 외에도 문장 성분의 물이 얼음이 된다.(주어)
3. 보격 조사 ‘이/가’는 주격 조사와 형태가 같지만 보어는 서술어 배열 순서로 파악할 수 있어.
•‌‘되다/아니다’의 서술어 사용 여부
‘물이 얼음이 되다.’의 ‘얼음이’는 보어이지만
‘되다/아니다’ 앞에서 사용됨. 또 ‘께서’는 주어를 나타내는 데에 ‘얼음이 물이 되다.’에서는 주어야!  ‌문제는 이것이 아니다.(보어)
만 쓰이고 보어를 나타내는 데에는 쓰이지 않음. 이것이 내 소중한 물건이다.
(주어)
 사과가 빨갛게 익었다.   이것은 사과가 아니다.
주어, 주격 조사 보어, 보격 조사

4. 보어의 자리에 필수적 부사어가 올 수 있음.


 물이 얼음이 되다.   물이 얼음으로 되다.
보어, 보격 조사 부사어, 부사격 조사

10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8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3 목적어 4 보어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목적어는 문장에서 서술어의 ( ㉠ )이/가 되는 문장 보어는 ( ㉠ )을/를 제외하고 ‘( ㉡ ), 아니다’와


성분이다. 이때 서술어에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 ㉡ 같은 서술어가 ( ㉢ )(으)로 요구하는 문장 성분이다.
)이/가 온다. 목적격 조사 ‘( ㉢ )’이/가 붙는 것이 일
반적이지만 ( ㉣ )이/가 가능하며, 특정한 의미를 더해 13 ㉠ ( ) 14 ㉡ ( )
주는 ( ㉤ )이/가 붙기도 한다.
15 ㉢ ( )

01 ㉠ ( ) 02 ㉡ ( )

03 ㉢ ( ) 04 ㉣ ( )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5 ㉤ ( )
12

DAY
16 보어는 문장의 골격을 이루는 필수적 성분인 ( )
이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7 보격 조사는 형태적으로는 ( ) 조사 ‘이/가’와 같다.

06 목적어는 보통 ( ) 앞에 오지만, 목적어와 서 18 문장에서 보어가 쓰일 때 보격 조사가 생략되고 특별한


의미를 더해 주는 ( )이/가 붙을 수 있다.
술어 사이 성분 부사어 앞에 올 수도 있다.

07 목적어를 실현할 때에는 ( )와/과 목적격 조사


가 나란히 쓰일 수도 있다.
✽ 다음
‌ 밑줄 친 문장 성분이 보어가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
시오.

✽ 다음
‌ 밑줄 친 문장 성분이 목적어가 맞으면 , 틀리면 × 표시 19 어느덧 여름이 되었다.
하시오.  (,×)

08 너는 밥 먹었니? 20 철수가 이 일을 할 수 있다.


 (,×)  (,×)

09 영희 지금 옷 입어. 21 그는 덩치가 큰 동생을 만났다.


 (,×)  (,×)

10 영수는 축구도 잘 한다. 22 명수는 숙희가 성공할 줄 알았다.


 (,×)  (,×)

11 아기가 부모님만 쳐다본다. 23 나는 너처럼 부지런한 사람이 아니다.


 (,×)  (,×)

12 친구가 과자 두 상자 보냈다. 24 물이 얼음이 되다.


 (,×)  (,×)

정답
01 동작 대상 02 타동사 03 을/를 04 생략 05 보조사 06 서술어 07 보조사 08  09 × 10  11  12  13 주어 14 되다 15 필수적
16 주성분 17 주격 18 보조사 19  20 × 21 × 22 × 23  24 ×

F. 문장 성분 10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09 2020. 11. 26. 오전 9:59


F 문장 성분

개념 21 부속 성분
1 부사어 개념+

문장에서 용언, 관형어, 다른 부사 또는 절이나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이다. ★★부사격 조사의 의미


1. 부사가 단독으로 쓰이거나 ‘체언(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부사격 조사’의 조합으로 쓰임. 아버지가 나무로 낚싯
도구
‘공간적 범위’의 의미 ‘비교’의 의미 대를 만들었다.
 •그는 우리 반에서 가장 키가 크다. •학생들이 운동장에서 축구를 한다. •그는 동료보다 책임감이 강하다.
그는 휴게실에서 쉬고
부사 단독 체언 + 부사격 조사 체언 + 부사격 조사 장소
있다.
나는 오늘도 독서실에
지향점
2. ‘부사+보조사’의 조합이나 ‘용언의 어간+부사형 어미(-게, -도록)’의 조합으로 쓰임. 간다.
 •비가 온 후 공기가 무척이나 깨끗해졌다. 대상 친구가 나에게 선물을
부사 + 보조사 (상대) 주었다.
•귀가 예쁘게 생겼다. •집에 빨리 들어오도록 하렴. 사람들이 떠드는 소리
예쁘- + -게 들어오- + -도록 원인
에 잠을 깼다.
나는 친구와 오후 한

3. 일부 부사어 중에서는 문장에서 꼭 필요로 하는 필수적 부사어가 존재함. 시에 만난다.
동반 이번 일은 부모님과 상
(1) 두 자리 서술어: ‘다르다, 생기다, 같다, 비슷하다, 닮다, 어울리다, 다니다’ 등 (함께) 의하겠습니다.
 ‌‘다르다’의 서술어는 ‘무엇과’에 해당하는 부사어를 반드시 필 그는 동료보다 책임감
프로는 비교
요로 하기 때문에 ‘프로는 확실히 달라.’를 바르게 고친다면 확실히 달라. 무엇과 이 강하다.
‘프로는 아마추어와 확실히 달라.’ 정도가 될 수 있다. 다르다는 거지?

(2) 세 자리 서술어: ‘주다, 삼다, 넣다, 두다’ 등


 ‌선생님은 그 학생을 수제자로 삼았다.

4. 부사어는 관형어에 비해 문장에서 자리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음. 개념+

 ‌영희는 철수를 무척 사랑한다. / 영희는 무척 철수를 사랑한다. / 영희는 철수를 사랑한다, 무척. ★★필수적 부사어
부사어는 일반적으로 문장에서 생
략할 수 있는데, 두 자리 서술어
5. 다른 부사어나 관형어를 한정할 때는 부사어의 위치가 달라지면 수식을 받는 대상이 달라짐. 부정 와 세 자리 서술어에 쓰이는 부사
부사어의 경우에는 자리를 바꾸면 안 됨. 어는 생략할 수 없다. 이를 필수적
부사어라고 하며, 필수적 부사어
 •겨우 하나를 먹었다. / 하나를 겨우 먹었다. •밥을 안 먹었니? () / 응, 안 밥 먹었어. (×) 는 문장 성분상 부사어에 속하지
만 문장에서 꼭 필요로 하기 때문
에 생략할 수 없다.
6. 부사어는 수식 범위에 따라 나눌 수 있음.
(1) 성분 부사어: 용언, 관형어, 부사어 등 특정한 성분을 수식하는 부사어이다.
 •벚꽃이 참 예쁘다. (서술어 수식)
문장 부사어는 문장에서
•그는 아주 착한 학생이 되었다. (관형어 수식)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다.
•과연 소문이 사실이었구나. (O) 개념+
•비행기가 매우 빨리 날아간다. (부사어 수식)
•소문이 과연 사실이었구나. (O)
★★접속 부사어
(2) 문장 부사어: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어이다.
부사어에는 문장과 단어를 이어
 •‌과연 소문이 사실이었구나. 주는 기능을 하는 접속 부사어가
•모름지기 청년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있다.
•‌문장 접속: ‘그러나, 그리고, 그
•만일 네가 계속 거짓말을 한다면 나도 더 이상 참지 않겠어. 러므로’ 등

‘과연, 설마, 모름지기, 차마, 비록, 만일, 설령’ 등의 문장 부사어는 말하는 사람의 심리적  ‌그러나 승부가 완전히 결정
된 것은 아니다.
태도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말들과 호응 관계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단어 접속: ‘및’ 등
 과연+-   구나, 모름지기+-해야 한다, 차마+-수 없다, 비록+-일지라도, 만일+-다면/ -  라면, 설령+-다 하더라도
 ‌통찰력, 창의력 및 포용력을
(3) 부정 부사어: ‘안’(단순, 의지 부정), ‘못’(능력 부정)과 같은 부정 부사가 부정 부사어로 쓰인다. 지녀야 진정한 리더이다.
 나는 밥을 안 먹었어. (서술어 수식, 의지 부정)

11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0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1 부사어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0 모든 부사어는 필수적 성분이다.
 (,×)
ⓐ 공부가 참 힘들다. 11 부사어는 다른 부사어를 수식할 수 있다.
ⓑ 우리는 어제 고향에 돌아왔다.  (,×)
ⓒ 그는 차를 멋지게 운전했다.
12 단어나 문장을 이어 주는 부사어도 있다.
 (,×)
부사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처럼 ( ㉠ )
이/가 단독으로 쓰여 부사어가 될 수도 있고, ⓑ처럼 체언 13 부사어는 다른 문장 성분을 수식한다는 점에서 관형어
에 ( ㉡ )이/가 결합하여 부사어가 되기도 한다. 또 ⓒ처 와 공통점이 있다.
럼 ‘멋지다’라는 ( ㉢ )의 어간에 ( ㉣ )이/가 결합하  (,×)
여 부사어로 쓰이기도 한다.
14 부사어는 보조사와 결합하지 못한다.
12

DAY
 (,×)
01 ㉠ ( ) 02 ㉡ ( )

03 ㉢ ( ) 04 ㉣ ( )
15 부사어에는 부정을 나타내는 부사어가 있다.
 (,×)

16 부사어는 문장 내에서 자리를 옮기는 것이 불가능하다.


 (,×)

부사어에는 특정한 성분을 수식하는 ( ㉠ )와/과 (


㉡ )을/를 수식하는 문장 부사어가 있다. 특히 문장 부사 ✽ 다음
‌ 문장에서 필수적 부사어를 찾아 쓰시오.
어는 말하는 사람의 ( ㉢ ) 태도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 17 선생님은 일찍이 그 학생을 수제자로 삼으셨다.
에, 특별한 말들과 ( ㉣ )을/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05 ㉠ ( ) 06 ㉡ ( ) 18 철수는 아버지와 꼭 닮았다.


07 ㉢ ( ) 08 ㉣ ( )

✽ 다음
‌ 밑줄 친 부사격 조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쓰시오.

09 다음 문장 부사어와 호응 관계를 이루는 말들을 바르게 연결 19 영수는 아파서 병원에 갔다. ( )

하시오. 20 학생들이 교실에서 생일파티를 했다. ( )

㉠ 모름지기• •ⓐ ~수 없다. 21 철수가 친구에게 편지를 보냈다. ( )

㉡ 차마 • •ⓑ ~해야 한다. 22 나는 독서실에서 친구와 공부했다. ( )

㉢ 비록 • •ⓒ ~일지라도 23 할아버지가 돌로 담을 쌓았다. ( )

24 철수는 영희보다 집중력이 좋다. ( )

정답
01 부사 02 부사격 조사 03 용언(형용사) 04 부사형 어미 05 성분 부사어 06 문장 전체 07 심리적 08 호응 관계 09 ㉠–ⓑ, ㉡–ⓐ,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수제자로 18 아버지와 19 지향점 20 장소 21 대상(상대) 22 동반(함께) 23 도구 24 비교

F. 문장 성분 11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1 2020. 11. 26. 오전 9:59


F 문장 성분

2 관형어
문장에서 체언을 수식하는 문장 성분이다.
1. 문장에서 관형사 단독으로 쓰임.
참고
 그는 새 신발을 신었다.
관형사 단독, 명사(체언) 수식 ★★체언과 관형격 조사 ‘의’ 사이에
다른 조사의 결합
2. ‘체언(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관형격 조사 ‘의’’의 조합으로 쓰이거나, 관형격 조사가 생략되어
 ‌그 물건은 이제 나의 것이다.
‘체언(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 단독으로 쓰임. 그 물건은 이제 나만의 것이다.
 나는 바다의 경치를 좋아한다. / 나는 바다 경치를 좋아한다. 위의 예에서 보듯이 밑줄 친 ‘나의’
명사(체언)+조사 명사(체언)
관형사형 어미는 는 관형어로 체언 ‘나’와 관형격 조
3. ‘용언의 어간+관형사형 어미(-는, -(으)ㄴ, -(으)ㄹ, -던)’의 조합으로 쓰임. 시제를 동반해. 사 ‘의’가 결합한 것이다. ‘나만의’
 이 빵을 먹던 사람이 없다. / 이 빵을 먹는 사람이 없다. / 이 빵을 먹을 사람이 없다. 처럼 체언과 격조사 ‘의’ 사이에 보
‘먹-+-던’, 과거 시제 ‘먹-+-는’, 현재 시제 ‘먹-+-을’, 미래 시제 조사 ‘만’이 결합하여 문장이 성립
4. ‘체언+서술격 조사+관형사형 어미’의 조합으로 쓰임. 되는 경우도 있다.

 학생인 사람
체언+서술격 조사+관형사형 어미
생각 +
5. 반드시 꾸밈을 받는 체언 앞에서만 쓰임.
★★‘관형사’와 ‘관형어’의 구분
 •어머니는 어떤 모자를 썼니? 빨간 모자 () / 모자 빨간 (×)
관형사와 관형어는 ‘서술 기능’의
체언 수식
유무로 구분할 수 있다.
•노란 꽃 한 송이가 피었다. () / 꽃 노란 한 송이가 피었다. (×)
체언 수식  ① 다른
‌ (他) 사람은 집에 가고
6. 관형어는 문장에서 없어도 되지만 의존 명사 앞에서는 관형어가 필수적임. 나만 남았다.
② ‌그는 나와 다른(異) 사람이다.
저
‌ 분이 우리 선생님이다. () / 분이 우리 선생님이다. (×)
의존 명사 수식 의존 명사 위의 밑줄 친 두 ‘다른’은 모두 관
형어이지만 품사로 보면 ①은 관
7. 관형어가 겹쳐 쓰일 때는 보통 ‘지시 관형어 → 수 관형어 → 성상 관형어’의 순서로 쓰임.
형사고, ②는 형용사이다.
저
‌ 두 젊은 사람이 이 회사의 대표이다. 서술 기능은 용언(동사, 형용사)만
지시 수 성상
갖고 있는데 ①은 ‘사람이 다르다.’
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없으므로
‘관형사’이다. 하지만 ②는 ‘그와 나
개념 22 독립 성분 는 다르다.’라고 해석할 수 있으므
로 형용사에 관형사형 어미 ‘-ㄴ’
이 결합한 형태로 볼 수 있다.
1 독립어
문장의 어느 성분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이다. (문장에서 느낌이나 감정의 표현
을 나타내는 문장 성분이다.)
1. 감탄사 자체가 단독으로 쓰임.
 와! 드디어 기다리던 소풍날이 왔다.
감탄사

2. 체언 단독 형태나 체언에 호격 조사 ‘아/야, (이)여’가 결합된 형태로 쓰임.


 •선생님, 이것 좀 보세요. 선생님이여,
체언 단독
이것 좀 보세요.
•영희야, 밥 먹자.
체언+호격 조사
•신이시여, 우리에게 은총을 내리소서.
체언+호격 조사

3. 독립어는 문장에서 자유롭게 위치함.


독립어는 일반적으로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지만, 다른 문장 성분
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문장의 중간 혹은 끝에도 올 수
높여야 할 대상일지라도 무정물이거나
있다.
접미사 ‘-님’이 붙는 경우에는
 세상에, 이제야 일어났니? / 이제야 일어났니? 세상에. 호격 조사를 붙이지 않는다.
4. 독립어를 생략해도 문장은 성립함.
 (아), 아름다운 풍경이구나!

11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2 2020. 11. 26. 오전 9:59


개념 완성 TEST

2 관형어 14 관형어가 쓰이지 않은 문장은?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① 어머니께서 새 옷을 사 주셨다.


② 진호 동생은 형에게 소식을 물어 보았다.
관형어는 ( ㉠ )을/를 수식하는 문장 성분이다. 관 ③ 그녀의 일기는 오래전부터 써 온 것이다.
형어는 문장에서 없어도 되지만, ( ㉡ ) 앞에서는 관 ④ 그는 너와 많이 다르다.
형어가 필수적으로 와야 한다. ⑤ 친구네 집에서 따뜻한 밥을 먹었다.

01 ㉠ ( ) 02 ㉡ ( ) 개념 22 독립 성분

1 독립어
관형어는 두 개 이상 함께 쓰일 수 있다. 이때 일정한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순서가 있는데, 보통 ‘( ㉠ ) 관형어 → ( ㉡ )관
12

DAY
형어 → ( ㉢ ) 관형어’ 순으로 나온다.
독립어는 문장의 어느 성분과도 ( ㉠ )인 관련이
없는 문장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 ㉡ ) 자체가 단독
03 ㉠ ( ) 04 ㉡ ( )
으로 쓰이거나 체언 단독 형태가 쓰이기도 하며 ( ㉢
05 ㉢ ( ) )에 ( ㉣ )인 ‘아/야, (이)여’가 결합된 형태로도 나
타난다.

✽ 다음
‌ 밑줄 친 관형어의 품사를 쓰시오.
15 ㉠ ( ) 16 ㉡ ( )
06 작은 고추가 맵다. ( )
17 ㉢ ( ) 18 ㉣ ( )
07 도시 야경이 눈부시다. ( )

08 푸른 하늘이 눈앞에 펼쳐졌다. ( ) ‌다음 밑줄 친 부분이 독립어가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9 모든 사람들이 뛰기 시작했다. ( ) 19 에구, 아기가 넘어질 뻔했네! 


 (,×)
10 저 학생은 다른 학교 소속이다. ( )
20 엄마, 밥이 정말 맛있어요.
 (,×)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21 과연 축구선수라 그런지 달리기가 빠르네!
11 관형어는 체언을 수식하는 부속 성분이다.  (,×)
 (,×)

12 관형어는 부사어와 달리 다른 부사 또는 문장을 수식할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수 있다. 
22 독립어를 생략하면 문장이 성립되지 않는다.
 (,×)
 (,×)
13 체언과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한 관형어에는 체언과 23 독립어는 느낌이나 감정의 표현을 나타내는 문장 성분
관형격 조사 사이에 다른 조사가 올 수 없다.
이다.
 (,×)
 (,×)

정답
01 체언 02 의존 명사 03 지시 04 수 05 성상 06 형용사 09 명사 08 형용사 09 관형사 10 관형사 11  12 × 13 × 14 ④ 15 직접적
16 감탄사 17 체언 18 호격 조사 19  20  21 × 22 × 23 

F. 문장 성분 11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3 2020. 11. 26. 오전 9:59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19 ~ 개념 22

개념 19 문장 성분의 개념과 종류 F02 


2018(3월)/고1교육청 13

주어 <보기>의 [자료]를 근거로 할 때, [활동]에 대한 답으로 적절한 것


목적어
주성분 은? [3점]
서술어
보어 [보기]
문장
성분 부속 성분
관형어 [자료]
부사어
‘구문 도해’는 문장의 짜임을 그림으로 풀이한 것이다.
독립 성분 독립어
국어학자 최현배는 아래 그림과 같이 문장의 구문 도해를
나타내었다.
이 구문 도해는 ‘그가 새 옷을 드디어 입었다.’
F01 

2016(11월)/고1교육청 13 라는 문장을 나타낸 것이다. 중간에 내리그은 │

<보기>는 문장 성분을 이해하기 위한 학습 활동의 일부이다. [A]에 세로줄 왼편에는 주성분인 주어(그가), 목적어 새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옷을), 서술어(입었다)를, 오른편에는 부속 성 옷
│ 드
[보기] 분인 관형어(새), 부사어(드디어)를 배치하였다. 을 디
[탐구 방법] 그리고 서로 다른 두 성분 사이에는 가로로 외
입 어
1. 특정
‌ 문장 성분을 생략할 경우 문장이 성립하는가를 확 줄을 그었는데, 특히 주어 부분과 그 외의 부분 었
인하고 그 성분이 문장 구성에 필수적인지를 판단한다. 을 구분할 때에는 가로로 쌍줄을 그었다. 또한 다

2. ‌특정 문장 성분이 어떤 기능을 하는가를 문장 내 다른 조사는 앞말과의 사이에 짧은 세로줄을 그어 표


성분과의 관계를 고려해서 판단한다. 시하였다.
[탐구 대상]
ㄱ. 꼼꼼한 소윤이가 가위로 색종이를 잘랐다. [활동]
ㄴ. 경민이는 옆집의 효빈이를 동생으로 삼았다. 다음 문장의 구문 도해를 나타내시오.

[탐구 결과]
나는 그 책도 샀다.
[A]

① ㄱ의 ‘색종이를’은 필수적인 성분으로, ‘잘랐다’라는 행위 ① ② ③ ④ ⑤ 


나 나 나 나 나
의 대상으로 기능한다. │ │ │ │
② ㄱ의 ‘꼼꼼한’과 ㄴ의 ‘옆집의’는 필수적이지 않은 성분으 는 는 는 는 는
그 그 │ 그
로, 문장 내에서 동일한 기능을 한다. 책 책 책 그 책 책 그
③ ㄱ의 ‘소윤이가’와 ㄴ의 ‘경민이는’은 필수적인 성분으로, │ │ │ │
도 도 도 도 도
문장 안에서 행위의 주체로 기능을 한다. │
샀 샀
④ ㄱ의 ‘잘랐다’와 ㄴ의 ‘삼았다’는 필수적인 성분으로, 문장 샀 샀 샀 다
다 다 다 다
안에서 주체의 행위를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⑤ ㄱ의 ‘가위로’와 ㄴ의 ‘동생으로’는 필수적이지 않은 성분
으로, 문장 내의 특정 단어를 수식하는 기능을 한다.

11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4 2020. 11. 26. 오전 9:59


F03 
예상 문제 F05 
예상 문제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다음 중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문장 성분의 개수가 다른
[보기] 것은? [2점]

① 지수는 대학원에 다닌다.


ⓐ구
② 나는 영화를 꼭 볼 거야!
③ 그녀는 외국으로 떠났다.
ⓒ ④ 그 사람이 대표가 되었다.
ⓑ절 ⓔ 문장
ⓓ ⑤ 아버지는 친구를 사위로 삼았다.

① ⓐ: 문장의 기본 문법 단위로 띄어쓰기 단위와 일치한다.


② ⓑ: 더 큰 문장의 일부를 이룬다.
③ ⓒ: 두 개 이상의 어절로 이루어져 있다.
④ ⓓ: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를 지닌다.
⑤ ⓔ: 생각이나 감정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최소의 언
13

DAY
어 형식이다.

F06 
예상 문제

주어와 서술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골


라 바르게 묶은 것은? [2점]
[보기]
개념 20 주성분
ㄱ. 주어와 서술어는 필수적 성분에 속한다.
주어 무엇이

무엇이다 (= 체언 + 서술격 조사)


ㄴ. 주어와 서술어에 사용된 격 조사는 모두 생략될 수 있다.
서술어 어찌하다 (= 동사) ㄷ. ‌한 문장의 서술어는 반드시 하나의 용언으로 이루어진다.
주성분 어떠하다 (= 형용사)
ㄹ. ‌서술어는 문장에서 동작, 작용,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
목적격 조사 ‘을/를’, 목적격 조사 생략,
목적어
보조사 결합 낸다.
보어 보격 조사 ‘이/가’ + 아니다/되다 ㅁ. ‌주어는 문장에서 동작, 상태, 성질의 주체를 나타내는
문장 성분이다.

F04 
예상 문제
① ㄱ, ㄴ, ㄹ
③ ㄱ, ㄴ, ㄷ, ㅁ
② ㄱ, ㄹ, ㅁ
④ ㄱ, ㄷ, ㄹ, ㅁ
다음 중 문장의 주성분으로만 이루어진 문장은? [2점]
⑤ ㄴ, ㄷ, ㄹ, ㅁ
① 그는 결코 죄인이 아니다.
② 철수는 대학생이 되었다.
③ 모든 것이 결실을 이루었다.
④ 영희는 친구에게 선물을 주었다.
⑤ 그녀는 독서실에서 공부를 했다.

❖ 정답 및 해설 59~61p F. 문장 성분 11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5 2020. 11. 26. 오전 10:00


F07 
예상 문제 F08 
2016(9월)/고2교육청 13

다음 내용을 학습한 학생들이 <보기>의 ㉠~㉤에 대해 보인 반응 다음과 같이 서술어의 자릿수를 파악하는 활동을 해 보았다. 이를
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서술어는 그 성격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의 개수 문장에서 서술어는 그 성격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문장 성


가 다른데, 이를 ‘서술어의 자릿수’라고 한다. 이러한 서술 분의 개수가 다른데 이를 서술어의 자릿수라고 한다. 그런
어의 자릿수에 의한 서술어의 종류에는 주어만을 요구하 데 같은 형태의 서술어라도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의 개수
는 한 자리 서술어, 주어 이외에도 목적어, 보어, 부사어 가 다른 경우가 있는데, 문장 성분을 생략해 봄으로써 이
중에서 한 성분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두 자리 서술어, 를 파악할 수 있다.
주어, 목적어, 부사어 세 가지 성분을 모두 요구하는 세 자
탐구자료 •콩쥐가 옷을 예쁘게 만들었다.
리 서술어가 있다. [A] •어머니는 아들을 의사로 만들었다.

[보기]
문장 성분을 생략해 보며, 문법적으로 올바
㉠ 장미가 아름답게 피었다. 탐구활동
른 문장인지를 파악한다.
㉡ 삼촌은 나를 아들로 여겼다.
㉢ 나는 마침내 대학생이 되었다. •콩쥐가 옷을 예쁘게 만들었다.
㉣ 민수가 도서관에서 책을 읽는다. ☞ ‌‘콩쥐가’, ‘옷을’, ‘예쁘게’를 각각 생략해
㉤ 그는 매우 유명한 영화배우와 닮았다. 본다.
•어머니는 아들을 의사로 만들었다.
① ㉠의 ‘피었다’는 주어만 필요로 하는 한 자리 서술어이다. ☞ ‌‘어머니는’, ‘아들을’, ‘의사로’를 각각 생
략해 본다.
② ㉡의 ‘여기다’는 주어와 목적어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두 자리 서술어이다. ⇩

③ ㉢의 ‘되었다’는 ‘나는 고등학생이 아니다.’의 ‘아니다’와 서술어 ‘만들었다’는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문


탐구결과 장 성분의 수에 따라 두 자리 서술어가 되기도
서술어 자릿수가 같다.
하고, 세 자리 서술어가 되기도 한다.
④ ㉣의 ‘읽는다’는 주어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두 자리 서

술어이다.
적용자료 •친구는 내 손을 살며시 잡았다.
⑤ ㉤의 ‘닮았다’는 ‘눈이 순식간에 비로 변하다.’의 ‘변하다’
[B] •철수가 물고기를 많이 잡았다.
와 서술어 자릿수가 같다. 

① [A]에서 ‘콩쥐가’와 ‘어머니는’은 서술어의 주체가 되는 말


이므로 꼭 필요한 성분이겠군.
② [A]에서 ‘옷을’과 ‘아들을’은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
는 문장 성분이므로 생략할 수 없겠군.
③ [A]에서 ‘예쁘게’는 ‘의사로’와 달리 서술어가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문장 성분이 아니기 때문에 생략할 수 있겠군.
④ [B]에서 ‘친구는’과 ‘손을’을 생략했을 때 문장이 성립되지
않으므로 ‘잡았다’는 두 자리 서술어이겠군.
⑤ [B]에서 ‘많이’는 생략할 수 없는 문장 성분이므로 ‘잡았
다’는 세 자리 서술어이겠군.

11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6 2020. 11. 26. 오전 10:00


F09 
예상 문제 F11 
예상 문제

<보기>에 근거하여 목적어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다음 중 밑줄 친 문장 성분이 나머지 넷과 다른 것은? [2점]
것은 [2점]
① 동생이 축구 선수가 되었다.
[보기]
② 우리 아버지가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는다.
선생님이 커피를 마신다.
③ 그분이 바로 우리가 찾던 은인이 아닐까?
ⓐ 선생님이 (은수가 준 커피/교무실의 커피)를 마신다. ④ 전망대에서 바라본 야경이 정말 예술이었다.
ⓑ 선생님이 커피 마신다. ⑤ 예약한 식당이 생각보다 깨끗하지가 않았다.
ⓒ 선생님이 커피는 마신다.
ⓓ 선생님이 커피만 마신다.

① ⓐ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목적어는 체언뿐 아니라 체언


구실을 하는 구나 절 뒤에 목적격 조사가 붙어서 실현될
수 있다.
② ⓑ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목적격 조사는 생략할 수 있다.
③ ⓒ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은/는’은 목적격 조사로 사용된다. F12 
2017(6월)/고2교육청 14
13

DAY
④ ⓓ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목적어는 체언 뒤에 보조사가
<보기>의 수업 상황에서, 밑줄 친 물음에 대한 학생의 대답으로 적
붙어서 실현될 수 있다. 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⑤ ⓐ~ⓓ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목적어는 서술어의 동작 대 [보기]
상이 되는 문장 성분이다.  이번 시간에는 문장을 구성할 때 반드시 있어야 하는 성
분인 주성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주성분에는 주어, 서

F10 
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습니다. 주어는 문장에서 동작 또
2020(3월)/고1교육청 15
는 상태나 성질의 주체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서술어는 주
<보기>에 있는 ‘자료’의 밑줄 친 부분에 ㄱ~ㄷ에 해당하는 예를 어의 동작, 상태, 성질 따위를 풀이하는 기능을 하는 성분
찾아 넣으려고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입니다.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문장 성분을 목적어라
[보기] 고 하고, 서술어 ‘되다, 아니다’가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
목적어는 문장에서 주로 서술어가 나타내는 동작의 대 중에서 주어를 제외하고 조사 ‘이/가’가 붙은 것을 보어라
상이 되는 문장 성분이다. 문장에서 목적어는 다음과 같은 고 합니다.
형태로 나타난다. 자, 그럼 다음 문장의 주성분에 대해 알아볼까요?

ㄱ. 철수의 동생이 사진을 찍었다.


•체언 + 목적격 조사 ‘을/를’
ㄴ. 언니는 올해 대학생이 되었다.
•체언 + 특정한 의미를 더해 주는 보조사  ㄱ
•체언 단독  ㄴ
① ㄱ의 ‘찍었다’는 ‘동생’의 동작을 풀이하는 서술어입니다.
•체언 + 보조사 + 목적격 조사  ㄷ
② ㄴ의 ‘올해’는 ‘되었다’가 꼭 필요로 하므로 주성분입니다.
③ ㄱ에는 목적어가 있지만, ㄴ에는 목적어가 없습니다.
[자료]
그는             갔어. ④ ㄱ과 ㄴ에는 주어가 하나씩 있습니다.
⑤ ㄱ과 ㄴ에는 주성분의 종류가 세 가지씩 있습니다.
① ㄱ의 예로 ‘산책을’을 넣을 수 있다.
② ㄱ의 예로 ‘이사도’를 넣을 수 있다.
③ ㄴ의 예로 ‘꽃구경’을 넣을 수 있다.
④ ㄴ의 예로 ‘배낭여행’을 넣을 수 있다.
⑤ ㄷ의 예로 ‘한길만을’을 넣을 수 있다.

❖ 정답 및 해설 61~63p F. 문장 성분 11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7 2020. 11. 26. 오전 10:00


[ F13 ~ 14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F13 
2017(11월)/고1교육청 13

올바른 문장이란 문장 성분이 잘 갖추어진 문장이다. 문장 윗글을 바탕으로 다음 문장을 분석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2점]

성분이란 문장 안에서 일정한 문법적 기능을 하는 각 부분들을


야호! 우리가 드디어 힘든 관문을 통과했어.
일컫는다. 문장 성분은 문장을 이루는 데 골격이 되는 주성분,
주로 주성분의 내용을 수식하는 부속 성분, 다른 문장 성분과
주성분 부속 성분 독립 성분
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독립 성분으로 나뉜다.
① 우리가, 통과했어 힘든, 관문을 야호, 드디어
주성분에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가 있다. 주어는 문장
② 우리가, 힘든, 관문을 통과했어 야호, 드디어
에서 동작의 주체, 혹은 상태나 성질의 주체를 나타내는 성분
우리가, 드디어,
③ 힘든, 관문을 야호
이다. 서술어는 주어의 동작, 상태, 성질 따위를 풀이하는 기능 통과했어
을 하는 성분이다. 목적어는 서술어의 동작 대상이 되는 성분 우리가, 관문을,
④ 드디어, 힘든 야호
이고, 보어는 ‘되다, 아니다’와 같은 서술어가 필요로 하는 문장 통과했어
⑤ 관문을, 통과했어 우리가, 힘든 야호, 드디어
성분 중에서 주어를 제외한 성분이다. 부속 성분에는 관형어와
부사어가 있다. 관형어는 주로 체언*을 수식하고, 부사어는 주
로 용언*을 수식하는 성분이다. 독립 성분에 해당하는 독립어
는 문장의 어느 성분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성분이다. F14 
2017(11월)/고1교육청 14

이러한 문장 성분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아서 문장이 다음은 [A]에 대한 학습 활동지 중 일부이다. 작성한 내용으로 적
올바르지 않은 경우는 주로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 성분 간 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의 호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이다. 여기에는 주어와 서술
어의 호응, 목적어와 서술어의 호응,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 학습 활동: 올바른 문장 표현 익히기
•잘못된 문장
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등이 있다. 가령 “내가 가장 원하
㉠ 그는 친구에게 보냈다.
는 것은 자전거를 가지고 싶다.”는 주어 ‘내가 가장 원하는 것
㉡ 이번 일은 결코 성공해야 한다.
은’과 서술어 ‘가지고 싶다’가 어울리지 않아 잘못된 문장이다.
㉢ 그의 뛰어난 점은 필기를 잘한다.
“지수는 시간이 나면 음악과 책을 듣는다.”는 목적어 ‘책을’과 ㉣ 할아버지께서 입학 선물을 주셨다.
[A]
서술어 ‘듣는다’가 어울리지 않아서, “다들 시험 치느라 여간 ㉤ 사람들은 즐겁게 춤과 노래를 부르고 있다.
힘들다.”는 부사어 ‘여간’과 서술어 ‘힘들다’가 어울리지 않아서
잘못된 문장이다. 둘째, 반드시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이 생략 •잘못된 이유
된 경우이다. 여기에는 문장 안에서 목적어나 부사어가 반드 ㉠: 서술어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목적어가 생략됐어.  ①

시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생략된 경우 등이 있다. 예컨대 “나도 ㉡: 부사어와 서술어가 어울리지 않아.  ②
읽었다.”는 서술어 ‘읽었다’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목적어가 생 ㉢: 주어와 서술어가 어울리지 않아.  ③
략되어서, “아이가 편지를 넣었다.”는 서술어 ‘넣었다’가 반드 ㉣: 서술어가 반드시 필요로 하는 부사어가 생략됐어.

시 필요로 하는 부사어가 생략되어서 잘못된 문장이다. ㉤: 목적어와 서술어가 어울리지 않아.

체언: 문장에서 주로 주어, 목적어,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단어들 •고쳐 쓴 문장


용언: 문장의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가진 단어들
㉠: 그는 친구에게 답장을 보냈다.

㉡: 이번 일은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 그의 뛰어난 점은 필기를 잘한다는 것이다.
㉣: 할아버지께서 어제 입학 선물을 주셨다.  ④
㉤: 사람들은 즐겁게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고 있다.  ⑤

11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8 2020. 11. 26. 오전 10:00


F15 
2017(9월)/고2교육청 11 F17 
예상 문제

다음 글의 ㉠에 해당하는 예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서술어는 그 성격에 따라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의 개수 ⓐ 철수는 새 책을 읽는다.
가 다른데, 이를 ‘서술어의 자릿수’라고 한다. 이러한 서술 ⓑ ‌철수는 내가 보던 책을 읽는다.
어의 자릿수에 의한 서술어의 종류에는 주어만을 요구하 철수는 내가 보는 책을 읽는다.
는 한 자리 서술어, 주어 이외에도 목적어, 보어, 부사어 철수는 내가 볼 책을 읽는다.
중에서 한 성분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두 자리 서술어,
주어, 목적어, 부사어 세 가지 성분을 모두 요구하는 ㉠ 세 ① ⓐ처럼 관형사가 관형어로 쓰일 수 있다.
자리 서술어가 있다. ② ⓑ처럼 관형어는 시제를 나타내기도 한다.
③ ⓑ처럼 두 개 이상의 어절이 하나의 의미 단위를 이루며
① 계절이 어느덧 가을이 되었다.
관형어 역할을 하기도 한다.
② 오빠는 아빠와 정말 많이 닮았다.
④ ⓐ와 ⓑ 모두 관형어로서 품사도 같다.
③ 장미꽃이 우리 집 뜰에도 피었다.
⑤ ⓐ와 ⓑ 모두 형태는 다르지만 ‘책’이라는 명사를 수식하
④ 아버지께서 헌 집을 정성껏 고치셨다.
는 역할을 한다.
⑤ 그는 자신의 직업을 천직으로 여겼다.
13

DAY
개념 21 부속 성분
성분 부사어
F18 
2014(3월A)/고2교육청 13

종류 문장 부사어 <보기>에서 설명하는 부사어의 종류와 예가 적절하게 짝지어지지


부사어
부정 부사어 않은 것은? [2점]
부속 특징 필수적 부사어
성분 [보기]
관형사
체언(체언 구실을 하는 구/절)+격조사 ‘의’
부사어에는 성분 부사어와 문장 부사어가 있다. 성분 부
관형어
용언의 어간+관형사형 어미 ‘-는, -(으)ㄴ, -(으)ㄹ, -던’ 사어는 용언, 체언, 관형어, 부사어를 수식하고 문장 부사
체언+서술격 조사+관형사형 어미
어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거나 문장이나 단어를 이어 준다.

① [용언을 수식하는 부사어] - 장미꽃이 정말 예쁘다.


F16 
예상 문제 ② [문장을 이어 주는 부사어] - 이상하게 오늘은 운이 좋다.
다음 중 필수적 부사어가 쓰이지 않은 것은? [2점] ③ [부사어를 수식하는 부사어] - 그가 매우 높이 뛰어올랐다.
① 철수는 아버지와 많이 닮았다. ④ [관형어를 수식하는 부사어] - 내 차가 아주 새 차가 되
② 선수가 공을 골대에 넣었다. 었다.
③ 그는 착한 동생에게 용돈을 주었다. ⑤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어] - 다행히 나는 학교에 늦
④ 아버지는 불쌍한 그녀를 수양딸로 삼았다. 지 않았다.
⑤ 즐거웠던 학교 축제가 너무도 빨리 끝났다.

❖ 정답 및 해설 64~65p F. 문장 성분 11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19 2020. 11. 26. 오전 10:00


F19 
2017(6월)/고1교육청 14 F21 
2017(3월)/고2교육청 13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부사어는 문장 내에서 다른 성분을 꾸며 주는 부속 성분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ㄴ’을 결합하고자 할 때, 어간의


이므로 생략할 수 있다. 그러나 부사어 중에는 문장을 구 끝소리가 ‘ㄹ’인 경우에는 ‘ㄹ’을 탈락시키고 ‘-ㄴ’을 붙여야
성하는 데 꼭 필요한 부사어도 있는데 이를 ㉠ ‘필수 부사 한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ㄹ’을 탈락시키지 않고 ‘-은’을
어’라고 한다. 예를 들어 ‘그는 비겁하게 굴었다.’에서 ‘비겁 잘못 붙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게’는 부사어이지만 이 말이 빠지면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을 이루지 못하므로 ‘비겁하게’는 필수 부사어이다. ■녹슬- + -ㄴ 녹슨(◯)
            녹슬은(×)
① 철수가 매우 빨리 달렸다.
② 나는 철수에게 선물을 주었다. ① 언니는 시들은 꽃다발을 부여잡고 눈물을 흘렸다.
③ 그녀는 마침내 꿈을 이루었다. ② 자신의 잘못임을 깨달은 형은 누나에게 사과했다.
④ 정원에 장미가 예쁘게 피었다. ③ 낯설은 땅에 정착한 주민들은 모든 것이 새로웠다.
⑤ 나는 오후에 할머니 댁을 방문했다.  ④ 나는 차창 밖으로 내밀은 어머니의 손을 붙잡았다.
⑤ 석양빛을 받아 붉게 물들은 구름이 꽤 아름다웠다.

F22 
2014(11월A)/고2교육청 13

<보기>의 예를 바탕으로 부사어의 특징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F20 
2015(6월)/고1교육청 14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보기>를 바탕으로 관형어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 엄마와 그녀는 닮았다. / *그녀는 닮았다.
것은? [2점]
㉡ 그는 밥을 안 먹었다. / *그는 안 밥을 먹었다.
[보기]
㉢ ‌아빠가 용돈을 아이에게 주었다. / *아빠가 용돈을 주었다.
㉠ 그녀는 파란 옷을 입었다.
㉣ ‌겨우 하나를 만들었다는 거야? / 하나를 겨우 만들었다는
㉡ 이 우산은 새 것이다.
거야?
㉢ 시골 풍경은 마음을 편안하게 해.
㉤ ‌경제 및 문화가 발달해야 선진국이다. / *경제 문화가
㉣ 영희는 내가 읽은 책을 읽을 계획이다.
및 발달해야 선진국이다.
 *는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
① ㉠`을 보니 관형어는 체언의 의미 범위를 축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군. ① ㉠을 보니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어 중에는 생략할
② ㉡`을 보니 관형어가 없으면 올바른 문장이 되지 않을 수도 수 없는 부사어가 있군.
있군. ② ㉡을 보니 부정의 의미를 갖는 부사어는 수식하는 문장
③ ㉢`을 보니 관형격 조사가 붙지 않은 체언은 관형어가 될 수 성분 앞으로 위치가 고정되는군.
없군. ③ ㉢을 보니 서술어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을 가리키는 부
④ ㉣`을 보니 관형사형 어미를 통해 시제를 표현할 수 있군. 사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데 꼭 필요한 성분이 되기도 하
⑤ ㉣`을 보니 하나의 문장이 다른 문장 안에서 관형어의 기 는군.
능을 할 수 있군. ④ ㉣을 보니 체언을 꾸며 주던 부사어가 위치를 이동하면
수식하는 성분이 바뀌는 경우도 있군.
⑤ ㉤을 보니 단어를 이어 주는 부사어는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군.

12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0 2020. 11. 26. 오전 10:00


[ F23 ~ 24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F23 
2019(6월)/고1교육청 11

서술어에 따라 완전한 문장을 이루기 위해 필요로 하는 문장 <보기>는 국어사전의 일부이다. 윗글을 바탕으로 ⓐ~ⓓ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2점]
성분의 개수가 다른데, 이를 ‘서술어의 자릿수’라 한다.
[보기]
‘한 자리 서술어’는 주어만을 필요로 한다.
듣다01 [-따] 〔들어, 들으니, 듣는[든-]〕
 아기가 운다.
「동사」
‘두 자리 서술어’는 주어 외에 목적어, 보어, 필수적 부사어
[1] 【…을】
중에서 하나의 문장 성분을 더 필요로 한다. 사람이나 동물이 소리를 감각 기관을 통해 알아차리다.
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 나는 숲에서 새소리를 ⓐ 듣는다.

물이 얼음이 되었다. [2] 【…에게 …을】


아들이 아빠와 닮았다. 주로 윗사람에게 꾸지람을 맞거나 칭찬을 듣다.
¶ 그 아이는 누나에게 칭찬을 자주 ⓑ 듣는다.
‘세 자리 서술어’는 주어, 목적어, 필수적 부사어를 반드시 필
[3] 【…을 …으로】
요로 한다.
어떤 것을 무엇으로 이해하거나 받아들이다.
 그녀는 그 아이를 제자로 삼았다.
¶ 그들은 고지식해서 농담을 진담으로 ⓒ 듣는다.
위 문장에서 부사어인 ‘아빠와’, ‘제자로’는 필수적 성분으로
13

DAY
서, 생략되었을 경우 불완전한 문장이 된다. 이러한 부사어를 듣다02 [-따] 〔들어, 들으니, 듣는[든-]〕
㉠ 필수적 부사어라 한다. 「동사」
한편 문장에서 사용되는 의미의 차이에 따라 그 자릿수를 달 【…에】
리하는 서술어도 있다. 눈물, 빗물 따위의 액체가 방울져 떨어지다.
¶ 차가운 빗방울이 지붕에 ⓓ 듣는다.
 ㉮ 나는 그녀를 생각한다.
㉯ 나는 그녀를 선녀로 생각한다.
① ⓐ는 세 자리 서술어이다.
㉮의 ‘생각하다’는 ‘사람이나 일 따위에 대하여 기억하다’는
② ⓑ는 주어와 목적어만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서술어이다.
뜻으로 주어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두 자리 서술어이다. 이
③ ⓒ는 주어 외에 두 개의 문장 성분을 더 필요로 한다.
에 비해 ㉯의 ‘생각하다’는 ‘의견이나 느낌을 가지다’는 뜻으로
④ ⓐ와 ⓓ는 필요로 하는 문장 성분이 서로 같다.
주어, 목적어, 부사어를 필요로 하는 세 자리 서술어이다. ⑤ ⓑ와 ⓓ는 의미에 차이가 있지만 서술어 자릿수는 같다.


F24 
2019(6월)/고1교육청 12

밑줄 친 부분이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점]

① 그 아이는 매우 영리하게 생겼다.


② 승윤이는 통나무로 식탁을 만들었다.
③ 이 지역의 기후는 벼농사에 적합하다.
④ 나는 이 일을 친구와 함께 의논하겠다.
⑤ 작년에 부모님께서 나에게 큰 선물을 주셨다.

❖ 정답 및 해설 65~68p F. 문장 성분 12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1 2020. 11. 26. 오전 10:00


뭐라고 부르나요? 누가 맞는지, <자료>를
통해 알아볼까요?
관형어요!

관형사요!

[ F25 ~ 26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대화 2>

<대화 1> ‘관형사’는


‘관형어’는
[B]를 기준으로
그럼 둘은 어떤 [A]를,
말한 거예요!
둘다 차이가 있죠?
‘새 옷’의 ‘새’를
뭐라고 부르나요? 누가 맞는지, <자료>를 맞았네요!
통해 알아볼까요?
관형어요!

관형사요!

F25 
2019(3월)/고1교육청 12

<자료> ‘관형사’는
‘관형어’는 [A], [B]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B]를 기준으로
관형어는 문장을그럼 둘은 어떤 성분
구성하는 중 [A]를,
하나로, 품사
말한가운데
거예요! 명사
둘다 차이가 있죠? [A] [B]
나 대명사와 같은 체언 앞에서 그 뜻을 꾸며 주는 기능을 한다.
맞았네요! ① 품사가 무엇인가 의미가 무엇인가
예를 들어 ‘모든 책’의 ‘모든’은 뒤에 오는 명사 ‘책’에 ‘빠짐이나 ② 품사가 무엇인가 문장 성분이 무엇인가
남김이 없이 전부의’라는 의미를 더해 주는 관형어이다. ③ 문장 성분이 무엇인가 문장의 종류가 무엇인가
다음 문장들의 밑줄 친 부분은 모두 관형어이다. ④ 문장의 종류가 무엇인가 의미가 무엇인가
⑤ 문장의 종류가 무엇인가 문장 성분이 무엇인가
ㄱ. 선생님의 목소리가 들린다.
ㄴ. 마실 물이 있다.
맑은 물이 있다.
ㄷ. 온갖 꽃이 활짝 피어 있다.

ㄱ은 체언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관형어가 된 경우


F26 
2019(3월)/고1교육청 13

윗글을 참고하여 <보기>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다. ‘선생님의’는 명사 ‘선생님’에 관형격 조사 ‘의’가 결합하여
 [2점]
‘목소리’를 꾸며 주고 있다. 이 경우 ‘선생님 목소리’와 같이 관
[보기]
형격 조사 없이 명사만으로도 관형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관
a. 고향
형격 조사 ‘의’를 반드시 써야 하는 경우가 있고, ‘의’가 생략되
면 의미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b. 예쁜
+ 친구가 여기 있다.
ㄴ은 동사나 형용사와 같은 용언의 어간에 관형사형 어미 c. 남자의
‘-(으)ㄴ’, ‘-(으)ㄹ’ 등이 결합하여 관형어가 된 경우이다. ‘마
d. 옛
실’은 동사의 어간 ‘마시-’에 관형사형 어미 ‘-ㄹ’이 결합하여
‘물’을 꾸며 주고 있고, ‘맑은’은 형용사의 어간 ‘맑-’에 관형사형
① a~d는 모두 체언 ‘친구’를 꾸며 주는 역할을 한다.
어미 ‘-은’이 결합하여 ‘물’을 꾸며 주고 있다.
② a는 조사가 없이 체언만으로 관형어가 된 경우이다.
ㄷ은 관형사가 관형어가 된 경우이다. 관형사는 체언 앞에서
③ b는 용언의 어간 ‘예쁘-’에 관형사형 어미 ‘-ㄴ’이 결합된
체언의 뜻을 꾸며 주는 품사이다. 관형사 ‘온갖’은 명사 ‘꽃’을
것이다.
꾸며 주며 ‘이런저런 여러 가지의’라는 의미를 더해 주고 있다.
④ c에서 관형격 조사 ‘의’가 생략되어도 문장의 원래 의미가
관형사는 체언과 달리 조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용언과 달리
달라지지 않는다.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특성이 있다. ⑤ d는 조사가 결합할 수 없으며 활용이 불가능하다.

12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2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22 독립 성분 1등급 킬러 문제
감탄사
독립
독립어 체언
성분
F28
체언(체언 구실을 하는 구/절)+호격 조사 ‘아/야, (이)여’ 
2017(3월)/고2교육청 12

제시된 탐구 과정을 고려할 때, [A], [B]에 들어갈 ㉠~㉣을 바르게

F27 
분류한 것은? [3점]
예상 문제

다음 <보기>의 밑줄 친 문장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밑줄 친 말을 문장 성분과 품사를 기준으로 분류하시오.


탐구
것은? [2점] 주제
•이것은 ㉠ 새로운 글이다. •이것은 ㉡ 새 글이다.

[보기]
•그는 ㉢ 빠르게 달린다. •그는 ㉣ 빨리 달린다.
•‌형용사는 관형사나 부사
•아! 시간이 너무 빠르게 흘러간다. •‌관형어는 체언을, 부사어
탐구 와 달리 활용을 함.
•영수야, 이리 잠깐 와 볼래? 관련 는 용언을 한정하는 기능
지식 •‌관형사는 명사를, 부사는
•아버지, 질문이 있습니다. 을 함.
동사를 수식함.
탐구 문장 성분에 따라 [A] 품사에 따라 [B] 로 분류
① 감탄사는 모두 이 문장 성분에 해당한다. 결과 로 분류할 수 있다. 할 수 있다.
② 문장 속의 위치에 따라서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A] [B] 13

DAY
③ 보통 느낌이나 감정 표현을 나타내는 문장 성분이다.
① ㉠, ㉡ / ㉢, ㉣ ㉠, ㉡ / ㉢ / ㉣
④ 문장의 어느 성분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독립 성분
② ㉠, ㉡ / ㉢, ㉣ ㉠, ㉢ / ㉡ / ㉣
이다.
③ ㉠, ㉡ / ㉢, ㉣ ㉠, ㉣ / ㉡ / ㉢
⑤ 체언 뒤에 호격 조사가 붙기도 하고, 체언 단독으로 실현
④ ㉠, ㉢ / ㉡, ㉣ ㉠, ㉡ / ㉢ / ㉣
되기도 한다.
⑤ ㉠, ㉢ / ㉡, ㉣ ㉠, ㉢ / ㉡ / ㉣

❖ 정답 및 해설 68~69p F. 문장 성분 12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3 2020. 11. 26. 오전 10:00


G 문장의 짜임

개념 23 홑문장과 겹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만 나타나느냐 두 번 이상 나타나느냐에 따라 홑문장과 겹문장
으로 나눈다.

1 홑문장과 겹문장
홑문장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관형절을 가진 안은문장
문장 안은문장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
겹문장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
이어진문장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1. 홑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이다. 철수는 책을 열심히 읽는다.
주어 서술어
2. 겹문장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으로, 동일한 주어나 서술어는 생략할 수 생각 +

있다. 한편 홑문장들이 모여 하나의 겹문장이 되는 과정을 문장의 확대라고 한다. ★★본용언과 보조 용언이 함께 쓰
인 서술어는 한 개일까?
우리는 그가 정당했음을 깨달았다. 주어와 서술어의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본용언과 보
주어 주어 서술어 서술어 관계가 두 번 이상 조 용언을 하나의 서술어로 취급하
나타나면 겹문장이야!
봄이 오니, 날씨가 따뜻하다. 고 있다. 따라서 본용언과 보조 용
주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언이 함께 사용되었더라도 서술어
는 하나이다.

2 겹문장의 종류
1. 안은문장: 홑문장이 그 속에 있는 다른 홑문장을 안아서 생긴 겹문장이다.(안긴문장은 안은문
장에 안겨 절을 이루는 문장으로, 이때 안긴문장은 안은문장 안에서 문장 성분처럼 쓰인다.)

안은문장 안긴문장(절)
안은문장 안긴문장(절)
2. 이어진문장: 두 개 이상의 홑문장이 나란히 이어져서 생긴 겹문장이다.
문장 1 문장 2
문장 1 연결 어미 문장 2
연결 어미

3. 겹문장의 분류 문장 A 연결 어미 문장 B
문장 A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연결 어미 문장
 어린이가 그런 일을B 하기란 쉽지 않다.

관형절을 가진 안은문장  이 책은 내가 읽던 책이다.


안은문장 문장 A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 비가 소리도 없이문장
연결 어미 B
내린다.
문장 A 연결 어미 문장 B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  나는 한결이가 학교에 간다고 말했다.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 코끼리는 코가 길다.
문장 A 문장 B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  나는 시험공부를 했고, 언니는 음악을 들었다.(나열)
이어진문장 문장 A 문장 B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 너를 도와주려고 숙제도 안 하고 왔어.(의도)

12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4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홑문장과 겹문장 12 ‘건우는 언제나 자기만의 방식으로 공부 계획을 세운다.’


에서 서술어는 두 번 나온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
01 ( )은/는 주어와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
13 ‘할머니는 날씨만 좋으면 산에 가신다.’에서 서술어는
장이다.
한 번 나온다. 
02 주어와 ( )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면 겹문  (,×)
장이다.
14 ‘어머니가 새 책을 모두 정리했다.’는 홑문장이다.
03 홑문장이 모여 하나의 겹문장이 되는 과정을 문장의  (,×)
( )(이)라고 한다.

04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하나의 ( )(으)로 취급


한다.
✽ 다음 문장에서 안은문장에 안긴 ‘절’ 부분에 밑줄을 그어 보시오.
05 안은문장 안에 안겨 절을 이루는 문장을 ( )
(이)라고 한다. 15 범인이 거짓말을 했음이 밝혀졌다.
16 나는 사람이 많은 교실에서 공부한다. 14

DAY
17 사람들은 전쟁이 끝났다고 한다.
✽ 다음 문장이 홑문장인지 겹문장인지 쓰시오.

06 비가 소리도 없이 내린다.
 ( )

07 내 동생은 마음씨가 곱다. ✽ 다음 문장이 안은문장인지 이어진문장인지 쓰시오.


 ( )
18 날씨가 좋으면 공원에 산책하러 가자.
08 하늘은 푸르고 물은 맑다.  ( )
 ( )
19 나는 네가 늦지 않기를 바란다.
09 우리 집 마당에 국화꽃이 피었다.  ( )
 ( )
20 그것은 내가 신던 신발이다.
10 어제 나는 친구에게 편지를 받았다.  ( )
 ( )
21 비가 오고 찬 바람이 불었다.
 ( )

22 친구가 말도 없이 여행을 떠났다.


2 겹문장의 종류
 ( )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23 입맛이 없어서 밥을 먹기 싫다.
11 겹문장을 만들 때 동일한 주어나 서술어는 생략할 수 있다.  ( )
 (,×)

정답
01 홑문장 02 서술어 03 확대 04 서술어 05 안긴문장 06 겹문장 07 겹문장 08 겹문장 09 홑문장 10 홑문장 11  12 × 13 × 14 
15 범인이 거짓말을 했음 16 사람이 많은 17 전쟁이 끝났다 18 이어진문장 19 안은문장 20 안은문장 21 이어진문장 22 안은문장 23 이어진문장

G. 문장의 짜임 12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5 2020. 11. 26. 오전 10:00


G 문장의 짜임

개념 24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이 연결 어미에 의해 대등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다.

주어 + 서술어 + 주어 + 서술어

개념+
1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 ★★연결 어미
홑문장과 홑문장이 연결 어미에 의해 이어질 때 앞뒤 문장의 의미 관계가 대등한 문장이다. 어간에 붙어 다음 말에 연결하는
 ‌•형은 대학생이고, 누나는 고등학생이다. 구실을 하는 어미로 ‘-게’, ‘-고’,
→ ‘형은 대학생이다.’ + -고(연결 어미) + ‘누나는 고등학생이다.’ 문장 A 〓 문장 B ‘-(으)며’, ‘-(으)면’, ‘-(으)니’, ‘-아/
•형은 키가 크지만, 누나는 키가 작다. 연결 어미 어’, ‘-지’ 등이 있다.
→ ‘형은 키가 크다.’ + -지만(연결 어미) + ‘누나는 키가 작다.’  ‌밖을 내다보게 커튼 좀 걷어.
연필을 집어 책상 위에 올려놓
았다.
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의 종류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에서 앞 절은 뒤 절과 ‘나열, 대조, 선택’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의미 연결 어미의 종류 예
•삶은 차갑고 죽음은 뜨겁다.
나열 -고, -(으)며, -(으)면서 등 •뜨겁게 살며 뜨겁게 공부하자.
•문법 공부를 하면서 커피도 마신다.
•사랑은 겉은 뜨거우나 속은 차갑다.
대조 -(으)나, -지만 등
•사랑은 뜨겁지만 이별은 차갑다.
선택 -거나 등 •수학이 어렵거나 국어가 어렵다.

2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생각 +
홑문장과 홑문장이 연결 어미에 의해 이어질 때 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과
종속적인 관계에 있는 문장이다.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 ‌•비가 오더라도 내가 꼭 마중을 나가겠다. 의 구분
문장 A ‹ 문장 B
→ ‘비가 오다.’ + -더라도(연결 어미) + ‘내가 꼭 마중을 나가겠다.’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은 앞
•노트북을 사려고 누나가 돈을 모으고 있다. 연결 어미
뒤 문장을 바꾸어도 뜻의 변화가
→ ‘(누나가) 노트북을 사다.’ + -려고(연결 어미) + ‘누나가 돈을 모으고 있다.’ 없지만,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
문장은 앞뒤 문장을 바꾸면 전혀
다른 뜻이 된다.
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의 종류
 •형은 대학생이고, 누나는 고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에서 앞 절은 뒤 절과 ‘이유, 양보, 의도, 조건, 상황’ 등의 의미 등학생이다.
를 나타낸다. ⇒ ‌누나는 고등학생이고, 형은 대
학생이다.(, 대등하게 연결
의미 연결 어미의 종류 예 된 이어진문장)
•국어가 쉬워서 행복하다. •비가 오더라도 내가 꼭 마중
-아/-어서, -(으)니까, -므
이유 •여름이 되니까 날씨가 덥다. 을 나가겠다.
로등
•그는 부지런하므로 성공할 것이다. ⇒ ‌내가 꼭 마중을 나가더라도 비
가 오겠다.(×, 종속적으로 연
-아/-어도, -더라도, -ㄹ지 •시험이 어려워도 절망하지 말자.
양보 결된 이어진문장)
라도 등 •인생이 어려울지라도 나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으)러, -(으)려, -(으)려고 •밥을 먹으러 식당에 갔다.
의도
등 •그들은 내일 일찍 떠나려 아침부터 분주했다.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조건 -(으)면, -어야/-아야 등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상황 -는데 등 •내가 집에 가는데 저쪽에서 누가 다가왔다.

12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6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 ✽ 다음 밀줄 친 연결 어미의 의미를 밝히시오.

✽ 다음
‌ 두 문장을 연결 어미 ‘-고’를 사용하여 대등하게 연결된
11 피곤하면 일찍 들어가 쉬어라.
이어진문장으로 만드시오.  ( )

01 꽃이 핀다.+새가 운다. 12 비가 오더라도 내가 꼭 마중을 나가겠다. 


 ( )
( )
13 노트북을 사려고 누나가 돈을 모으고 있다.
02 남긴 만큼 버려진다.+버린 만큼 오염된다.
 ( )
( )
14 눈이 많이 내려서 버스가 다니지 못한다.
03 절약은 부자를 만든다.+절제는 사람을 만든다.  ( )
( ) 15 내가 집을 나서던 참이었는데, 갑자기 비가 억수같이
쏟아졌다.
 ( )
2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14

DAY
✽ 다음
‌ 두 문장을 제시된 연결 어미를 사용하여 종속적으로 연결
된 이어진문장으로 만드시오.
16 다음 중 문장의 짜임이 다른 하나는?
04 봄이 온다.+꽃이 핀다. / ‘-면’
① 눈이 오면 세상이 온통 하얗다.
( )
② 책을 읽으니까 잠이 온다.
05 첫눈이 내린다.+기분이 좋다. / ‘-어서’ ③ 낙타를 보러 동물원에 갔다.
④ 공부를 하려고 도서관에 갔다.
( )
⑤ 비가 오고 바람이 분다.
06 그가 잠을 자고 있다.+전화벨이 울렸다. / ‘-는데’
( )

17 <보기>의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다음
‌ 문장 중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에는 ‘대’, 종속적으
[보기]
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에는 ‘종’이라고 쓰시오.
(가) 봄이 오면 꽃이 핀다.
07 저녁이 되자 바람이 불었다. ㉠ ㉡
(나) 손님이 오시면 반갑게 맞이하자.
 ( ) ㉢ ㉣
08 장갑을 벗어도 손이 시리지 않다.
① (가)에서 ㉠과 ㉡의 위치를 바꾸면 의미가 달라진다.
 ( )
② (가)에서 ㉠과 ㉡은 종속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09 하늘에 별만 뜨고 바람은 싸늘하였다.  ③ (나)에서 ㉢과 ㉣의 관계는 대등하다.
 ( )
④ (나)에서 ㉢은 ㉣과 조건의 의미를 형성하고 있다.
10 남풍이 솔솔 불어오면 보리들이 누런빛으로 변한다.  ⑤ (가), (나) 모두 ‘주어+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나타난다.
 ( )

정답
01 꽃이 피고 새가 운다. 02 남긴 만큼 버려지고 버린 만큼 오염된다. 03 절약은 부자를 만들고 절제는 사람을 만든다. 04 봄이 오면 꽃이 핀다. 05 첫눈이 내려서 기분이 좋
다. 06 그가 잠을 자고 있는데 전화벨이 울렸다. 07 종 08 종 09 대 10 종 11 조건 12 양보 13 의도 14 이유 15 상황 16 ⑤ 17 ③

G. 문장의 짜임 12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7 2020. 11. 26. 오전 10:00


G 문장의 짜임

개념 25 안은문장
1 안은문장과 안긴문장 개념+

1. 안은문장의 개념 ★★ 전성 어미와 품사

주어와 서술어로 된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아서 겹문장을 이룰 때 이를 안은문장이라 한다. 용언의 어간에 붙어 다른 품사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어미이다.
 •농부들은 비가 내리기를 기
주어 + 주어 + 서술어 + 서술어
다리고 있다.
•향기가 없는 꽃이라도 좋다.
•날이 추운데 따뜻하게 입어.
2. 안긴문장의 개념
위 예에서 밑줄 친 ‘-기’, ‘-는’, ‘-
‘눈이 부시다.’라는
주어와 서술어로 된 절로서 더 큰 문장 안에 들어가 하나의 문장이 안긴문장으로 게’는 용언을 각각 명사, 관형사, 부
문장 성분처럼 사용되는 것을 안긴문장이라 한다. 바뀔 때, 사의 역할을 하게 하는 전성 어미
부사형 전성 어미 ‘-게’가 이다. 전성 어미는 어떤 절의 문법
그녀는 예뻤다. + 눈이 부시다. 결합하게 돼.
적 성격을 임시로 바꾸어 주는 역
눈이 부시- + -게 할을 하는 것으로, 전성 어미가 붙
을 때 그 단어의 품사가 변하는 것
 그녀는 눈이 부시게 예뻤다. 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두
‌ 개의 홑문장 즉 ‘그녀는 예뻤다.’와 ‘눈이 부시다.’가 결합된 문장이다. 이때 안긴문장
‘눈이 부시다.’는 안은문장에 안기면서, 안은문장 내에서 서술어인 ‘예뻤다’를 수식하는 부사어 역할을 한다.

2 안은문장의 종류 참고

★★명사절이 부사어의 역할을 하


안은문장은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안긴문장의 성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뉜다.
는 경우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명사절이 문장 안에서 부사어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바로 명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안은 사절이 부사격 조사와 결합하여
문장의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쓰일 때이다. 문장 안에서 ‘명사절
종류 부사절과 인용절 모두 문장에서 부사어 기능을 하지만 + 부사격 조사’의 형태로 쓰일 경
관형절을 가진 안은문장 우 부사절처럼 부사어와 같은 역
절을 만들 때 사용하는 어미가 다르다.
할을 하기 때문에 부사절과 혼동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지금은
‌ 집에 가기에 이른 시간
이다.
1.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명사의 기능을 하는 절을 안고 있는 문장이다.
(1) 명사절은 문장 속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등의 역할을 함.
 •철수가 그 어려운 일을 해냈음이 분명하다.
주어
•나는 시험이 코앞에 닥쳤음을 깨달았다.
목적어 생각 +
(2) 명사절은 용언에 명사형 어미 ‘-기’나 ‘-(으)ㅁ’을 붙여 표현함. ★★서술절의 주어와 보어 구별하기
 •나는 그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 돌아오- + -기 (명사형 어미) + 를 (목적격 조사) 서술절은 보어가 있는 문장과 형
•그가 거짓말을 했음이 밝혀졌다. → 거짓말을 했- + -(으)ㅁ(명사형 어미) + 이(주격 조사) 태가 비슷하다. 하지만 ‘되다’와
‘아니다’라는 두 서술어 앞에 오는
것은 서술절의 주어가 아닌 보어
2.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서술어 기능을 하는 절을 안고 있는 문장이다. 이다.
(1) 서술어 부분에 절이 들어가기 때문에 주어가 두 개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임.  •언니가 대학생이 되었다.
보어
 •철수가 마음이 넓다. •코끼리가 코가 길다.
주어 주어 서술어 주어 주어 서술어 •언니가 키가 크다.
서술절의 주어
(2) 전성 어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서술절을 나타내는 표지가 따로 없음.
 ‌•기린이 목이 길다. •나는 네가 좋다.
주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서술절 서술절

12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8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안은문장과 안긴문장 ✽ 다음 문장에서 안긴문장에 밑줄을 그으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11 부모는 언제나 자식이 행복하기를 바란다.

01 더 큰 문장 안에 들어가 하나의 문장 성분처럼 사용되 12 색깔이 희기가 눈과 같다.


는 문장을 ( )(이)라고 한다. 13 산은 공기가 좋다.
02 절을 하나의 성분으로 안아서 겹문장을 이루는 문장을
( )(이)라고 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4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은 서술어가 두 개 있는 것처럼


2 안은문장의 종류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 다음 밑줄 친 안긴문장이 문장 속에서 하는 역할을 쓰시오.  (,×)

03 그가 범인임이 밝혀졌다. 15 ‘그 집은 지붕이 낡았다.’에서 전체 문장의 서술어는 ‘낡


았다’이다.
 ( )
 (,×)
04 나는 그가 왔음을 몰랐다. 14

DAY
16 ‘기린이 목이 길다.’에서 전체 문장의 주어는 ‘기린이’이다.
 ( )  (,×)
05 이 곡은 매력이 없다. 17 ‘그녀는 눈이 부시게 예뻤다.’에서 안은문장은 ‘그녀는
 ( ) 예뻤다.’이다.
 (,×)
06 친구들은 내가 노래 부르기를 원한다.
18 ‘그녀는 눈이 부시게 예뻤다.’에서 안긴문장의 주어는
 ( )
‘눈이’이다.
 (,×)
✽ ‌다음 문장 중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은 ‘명’,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은 ‘서’라고 쓰시오.

07 그가 집으로 돌아갔음이 분명하다. 19 <보기>의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 ) [보기]

(가) 그가 범인임이 밝혀졌다.


08 장미꽃이 빛깔이 곱다. (나) 언니가 대학생이 되었다.
 ( )
① (가)에서 ‘범인임이’는 보어이다.
09 우리 집은 마당이 넓다.
② (가)에서 서술어는 ‘밝혀졌다’이다.
 ( ) ③ (나)에서 ‘대학생이’는 안긴 문장의 주어이다.
10 어린아이들은 눈이 내리기를 기다린다. ④ (나)에서 ‘대학생이 되었다’는 서술어이다.
⑤ (가), (나) 모두 겹문장이다.
 ( )

정답
01 안긴문장 02 안은문장 03 주어 04 목적어 05 서술어 06 목적어 07 명 08 서 09 서 10 명 11 자식이 행복하기 12 색깔이 희기 13 공기가 좋다
14 × 15 × 16  17  18  19 ②

G. 문장의 짜임 12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29 2020. 11. 26. 오전 10:00


G 문장의 짜임

3.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부사어의 기능을 하는 절을 안고 있는 문장이다.


(1) 부사절은 문장 속에서 부사어의 역할을 함. 참고
부사절을 이루는 어미는
(2) 부사절은 용언에 ‘-듯이’, ‘-게’, ‘-이’, ‘-도록’을 워낙 많기 때문에 외우기보다 ★★부사절과 종속적으로 이어진
그 절이 문장에서 어떤 기능을 문장의 범위
붙여 표현함. 하는지 생각하면서 파악하는
‘나는 강아지가 도망가도록 풀어
 ‌•해가 불이 활활 타듯이 솟아올랐다. (불이 활활 타 - + -듯이) 것이 필요해.
주었다.’라는 문장을 ‘강아지가 도
•하늘이 눈이 부시게 푸르다. (눈이 부시 - + -게)
망가도록 나는 풀어 주었다.’로 순
•눈이 밤새 소리도 없이 내렸다. (소리도 없- + -이) 서를 바꾸면 ‘강아지가 도망가다.’
•나는 강아지가 도망가도록 풀어 주었다. (강아지가 도망가 - + -도록) 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의 앞
절로 볼 수 있다.
현행 학교 문법에서는 종속적으로
4. 관형절을 가진 안은문장: 관형어의 기능을 하는 절을 안고 있는 문장이다. 이어진 문장의 앞 절은 부사절의
일종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1) 관형절은 문장 속에서 관형어의 역할을 함.
부사절은 이어진문장과 경계가 모
(2) 관형절은 용언에 관형사형 어미 ‘-(으)ㄴ’, ‘-는’, ‘-(으)ㄹ’, ‘-던’을 붙여 표현함. 호한 부분이 있다.
 ‌•그는 우리가 돌아온 사실을 모른다. (우리가 돌아오- + -ㄴ)
•나는 그가 잠을 자는 모습을 보았다. (그가 잠을 자- + - 는)
•다음 주에 볼 영화는 재미있으려나? (다음 주에 보- + -ㄹ)
•이것은 내가 입던 옷이다. (내가 입- + -던)
개념+

 관형절의 종류 ★★관형사형 어미와 시간 표현


관형절을 이루는 데 쓰이는 관형
 그녀는
‌ 음악을 좋아한다. + 나는 그
관형절과 수식을 받는 체언이 관형절의 한 성분이 사형 어미 ‘-(으)ㄴ’, ‘-는’, ‘-(으)
관계 녀를 사랑한다.
수식을 되는 것으로 관형절로 안길 때 중복된 ㄹ’, ‘-던’은 각각 시간 표현이 함
관형절 → 나는 음악을 좋아하는 그녀를 사랑한다.
받는 단어가 포함된 문장 성분이 생략된 절 께 나타난다.
(주어인 ‘그녀는’이 생략됨.)
체언과의 나는
관형절 전체가 수식을 받는 체언의 의미  그가 범인이다. + 나는 확신이 없다. 미래!!
관계에 ‌ 격
동 나는 나는
를 보충하는 것으로 관형절로 안길 때 → 나는 그가 범인이라는 확신이 없다. 과거~ 현재!
따라 관형절 (생략된 성분이 없음.)

생략되는 성분이 없는 절 회상……
긴 종결 어미로 끝난 문장이 관형사형 어미  ‌그는 어제 그녀가 한국으로 귀국했다
관형절의 관형절 ‘-(고 하)는’과 결합하여 나타내는 절 는 소식을 들었다.
길이에 안긴 문장의 종결 어미 자리에 관형사형
짧은
따라 어미 ‘-(으)ㄴ’, ‘-는’, ‘-(으)ㄹ’, ‘-던’을  이 책은 내가 읽은 책이다. -(으)ㄴ -는 -(으)ㄹ -던
관형절
결합하여 나타내는 절

5.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 어떤 말이나 생각을 인용한 것을 절의 형식으로 안고 있는 문장이다.


참고
(1) 인용절은 문장 속에서 부사어 역할을 함.
★★관형절과 관형사절
(2) 다른 사람의 말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인용하느냐에 따라 나뉨. 관형절은 ‘관형사절’을 줄인 말이다.
① ‌직접 인용: 주어진 문장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  큰따옴표(“ ”)를 쓰고, 인용 부사격 조 명사절, 부사절과 같이 ‘품사명+
절’의 형태를 지켜 ‘관형사절’이라
사 ‘(이)라고’를 붙인다.
고 부르기도 한다.
 ‌철수는 나에게 “선생님께 네가 말씀 드려.”라고 말했다.
② ‌간접 인용: 말하는 사람이 원래의 문장을 자신의 표현으로 고쳐서 문장에 사용하는 것 
인용 부사격 조사 ‘고’를 붙인다. 서술격 조사 ‘이다’로 끝나는 경우에는 ‘이라고’로 나타
낸다. 개념+
 ‌•철수는 내가 내일까지 과제를 제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선생님은 우리에게 침묵은 금이라고 말씀하셨다.
★★간접 인용 표현의 특징

 문장의 종류에 따른 간접 인용절의 종결 어미 간접 인용문은 화자의 관점에서


다시 서술하여 표현하는 것이기
평서문, 감탄문 -다+고  선생님께서 어제 수업 태도가 좋았다고 말씀하셨어. 때문에 간접 인용절 속의 대명사,
의문문 -느냐+고  선생님께서 숙제를 다 했느냐고 말씀하셨어. 시간 표현, 공간 표현, 서술어에 실
현되는 높임 표현, 종결 표현 등이
청유문 -자+고  선생님께서 숙제를 다 하자고 말씀하셨어.
원래 발화와 달라질 수 있다.
명령문 -(으)라+고  선생님께서 숙제를 다 하라고 말씀하셨어.

13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0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2 안은문장의 종류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문장에서 안긴문장에 밑줄을 그으시오.


16 ‘나는 그가 범인이라는 확신이 없다.’에서 안긴문장이
안길 때 생략된 성분은 없다.
01 쥐를 잡은 고양이를 보았다.  (,×)
02 감기 걸리지 않게 옷을 단단히 입자. 17 부사절을 만드는 어미는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03 오늘은 햇볕이 좋은 날이다.  (,×)

04 그는 형과 다르게 말을 잘한다. 18 부사절은 문장 속에서 부사어의 역할을 한다.


 (,×)
05 철수가 밥 먹으러 가자고 하는데 어떻게 할까?
06 누나가 다음 주에 가겠다고 하던데요. 19 ‘-게’는 관형절을 만드는 어미이다.
 (,×)
07 어떤 아이가 나보고 “시골뜨기, 시골뜨기”라고 놀려댔다.
20 간접 인용을 나타내는 조사는 ‘고’이다.
 (,×)
✽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의 절의 종류를 쓰시오.

08 이것은 내가 좋아하는 소설이다. 14

DAY
 ( )

09 친구가 나에게 “너의 꿈은 뭐니?”라고 물었다. ✽ 다음


‌ 문장 속 안긴문장의 종류를 바르게 연결하시오.
 ( )

10 그는 그녀가 오기를 눈이 빠지도록 기다렸다. 21 동생은 나를 놀리기를


• • 서술절
좋아했다.
 ( )
22 우리는 민희가 결혼한
• • 관형절
다는 소식을 들었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11 ‘나는 그가 착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라는 문장 23 집안은 온통 회오리가 몰


• • 인용절
에서 안긴문장의 주어는 ‘( )’이다. 아친 듯이 엉망이었다.

12 ‘내가 태어난 1950년에 6·25가 발발하였다.’라는 문 24 아버지는 운동을 해야


장에서 안긴문장의 생략된 성분은 ( )이다. 몸이 건강해진다고 말 • • 부사절
13 ‘나는 아이들이 지나가도록 길을 비켜 주었다.’라는 문 씀하셨다.
장에서 부사절은 ‘( )’으로 실현된다.
25 큰형은 얼굴에 여드름
• • 명사절
14 직접 인용한 문장은 문장 부호인 ( )을/를 붙 이 있다.
인다.

15 ‘다음 주에 볼 영화는 재미있으려나?’에서 관형사형 어


미는 ‘( )’이다.

정답
01 쥐를 잡은 02 감기 걸리지 않게 03 햇볕이 좋은 04 형과 다르게 05 밥 먹으러 가자 06 다음 주에 가겠다 07 “시골뜨기, 시골뜨기” 08 관형절 09 인용절
10 부사절 11 그가 12 부사어(1950년에) 13 -도록 14 큰따옴표 15 -ㄹ 16  17  18  19 × 20  21 명사절 22 관형절 23 부사절 24 인용절
25 서술절

G. 문장의 짜임 13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1 2020. 11. 26. 오전 10:00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23 ~ 개념 25

개념 23 홑문장과 겹문장 G03 


2014(6월)/고2교육청(A) 12

홑문장
<보기>의 밑줄 친 ㉠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문장 [보기]
안은문장
겹문장
이어진문장 문장에는 주어와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홑문장’과
두 번 이상 나타나는 ㉠ ‘겹문장’이 있다. 겹문장에는 ‘안은
문장’과 ‘이어진문장’이 있다. 전자는 홑문장이 다른 문장
G01 
예상 문제 속에 하나의 문장 성분이 되는 것이고, 후자는 홑문장과
㉠에 들어갈 선생님의 답변을 쓰시오. [2점] 홑문장이 대등하거나 종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학생: 선생님, 오늘 수업 시간에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은 ① 가을이 오면 곡식이 익는다.


주어가 두 개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라고 하셨 ② 함박눈이 소리도 없이 내린다.
잖아요? 그렇다면 ‘형이 의사가 되었다.’도 주어가 두 개 ③ 우리는 어제 학교로 돌아왔다.
인 것처럼 보이는데 이 문장도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④ 그는 우리가 돌아온 사실을 모른다.
인가요? ⑤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
선생님: 그렇지 않단다. 문장 성분을 공부할 때 서술어 ‘되
다, 아니다’ 앞에 오는 ‘이/가’는 보격 조사이고, 이런 조
사가 붙은 말은 보어라고 했던 것 기억나니? ‘되다, 아니
다’라는 서술어 앞에 오는 것은 서술절의 주어가 아니라
보어야. 따라서 ‘형이 의사가 되었다.’는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이 아니라 ㉠ 이야.

G04 
예상 문제

다음 중 문장의 구성이 다른 하나는? [2점]

① 바다가 눈이 부시게 파랗다.


G02 
예상 문제 ②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하라.
다음 밑줄 친 절의 문법적 특성이 다른 하나는? [2점] ③ 철수가 합격했음을 알려야지.
④ 성적을 올리려고 열심히 공부했다.
① 그는 이마에 흐르는 땀을 씻었다.
⑤ 기온이 내려가는 겨울이 시작되었다.
② 철수가 먹은 사과가 가장 예쁘고 달았다.
③ 영희는 시장에서 과일도 사고 채소도 샀다.
④ 어머니는 오빠가 건강히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셨다.
⑤ 지금은 우리가 밥을 먹기에 아직 이르다. 

13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2 2020. 11. 26. 오전 10:00


G05 
예상 문제 G07 
2016(11월)/고2교육청 12

다음 ㉠과 ㉡의 문장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점] <보기>의 ㄱ~ㄹ을 활용하여 만든 겹문장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
하지 않은 것은? [2점]
㉠ 친구들은 내가 밥 먹기를 기다린다. [보기]
㉡ 우리는 친구가 아니다. ㄱ. 바람이 분다.
ㄴ. 바람이 차갑다.
① ㉠은 겹문장이지만 ㉡은 홑문장이다. ㄷ. 단풍잎이 빨갛다.
② ㉠에는 명사절이 안겨 있지만 ㉡에는 서술절이 안겨 있다. ㄹ. 단풍잎이 흔들린다.
③ ㉠에는 서술절이 안겨 있지만 ㉡에는 관형절이 안겨 있다.
④ ㉠의 안긴문장 속에는 관형어가 있지만 ㉡의 안긴문장 ① ‘바람이 불어서 단풍잎이 흔들린다.’는 ㄱ과 ㄹ이 종속적
속에는 관형어가 없다. 으로 이어진 문장이다.
⑤ ㉠의 안긴문장 속에는 목적어가 있지만 ㉡의 안긴문장 ② ‘차가운 바람이 분다.’는 ㄴ이 ㄱ에 안기면서 ㄴ의 주어가
속에는 목적어가 없다. 생략된 문장이다.
③ ‘바람이 차갑고 단풍잎이 빨갛다.’는 ㄴ과 ㄷ이 대등적으
로 이어진 문장이다.
④ ‘단풍잎이 바람이 불면 흔들린다.’는 ㄹ이 관형절로 바뀐
ㄱ을 안고 있는 문장이다.
⑤ ‘흔들리는 단풍잎이 빨갛다.’는 ㄹ이 관형절의 형태로
15

DAY
G06
ㄷ에 안겨 있는 문장이다.

2018(6월)/고2교육청 14

<보기>의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겹문장 속에서 하나의 ‘주어+서술어’ 관계가 이루어진


부분을 ‘절’이라고 한다. ‘절’은 전체 문장의 한 성분으로 안
기거나 서로 이어지거나 한다.
(가) 봄이 오면 꽃이 핀다.
㉠ ㉡
(나) 눈이 내린 마을은 고요했다.
㉢ ㉣
(다) 나는 그가 왔음을 몰랐다.

① (가)에서 ㉠과 ㉡의 위치를 바꾸면 의미가 달라진다.


② (나)에서 ㉢은 ㉣의 주어를 꾸며 주는 역할을 한다.
③ (다)의 ㉤을 생략하면 전체 문장의 의미가 불완전해진다.
④ (나)와 달리 (다)는 절이 전체 문장의 한 성분으로 안겨
있다.
⑤ (가), (나), (다)는 모두 ‘주어+서술어’ 관계가 두 번 나타
난다.

❖ 정답 및 해설 69~71p G. 문장의 짜임 13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3 2020. 11. 26. 오전 10:00


G08 
2017(9월)/고2교육청 12 개념 24 이어진문장
다음 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ㄱ~ㅁ에 대해 탐구한 것으로 적절 대등하게 연결된 이어진문장
이어진
하지 않은 것은? [2점]
문장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에 따라 홑문장과 겹문장


으로 나뉜다. 홑문장은 ‘주어-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겹
문장은 ‘주어-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G09 
예상 문제
이다.
㉠에 들어갈 문장을 <조건>에 맞게 쓰시오. [2점]
겹문장은 다시 이어진문장과 안은문장으로 나뉜다. 이
어진문장은 둘 이상의 절이 연결 어미에 의하여 결합된 문
ⓐ 비가 내리다. + ⓑ 우리는 밖에 나가지 못했다.
장으로,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과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

장’이 있다.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은 앞 절과 뒤 절의 의미

가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으로, 앞 절과 뒤 절은 ‘나열’, ‘대
조’, ‘선택’ 등의 대등한 의미 관계를 갖는다. 그리고 종속 [조건]
적으로 이어진 문장은 앞 절과 뒤 절의 의미가 독립적이지 •ⓐ가 앞 절이 되어, 종속적으로 연결된 이어진문장으로
못하고 종속적인 관계에 있는 문장으로, 앞 절이 뒤 절에 만들 것
대해 ‘배경’, ‘원인’, ‘조건’, ‘결과’, ‘목적’ 등의 종속적인 의 •연결 어미 ‘-아/-어서’를 사용할 것
미 관계를 나타낸다.
문장 속에 안겨 하나의 문장 성분처럼 기능하는 절을 ‘안
긴문장’이라고 하며 이러한 절을 포함한 문장을 ‘안은문장’
이라고 한다. 안긴문장은 문장 속에서 주어, 목적어 등의
기능을 하는 ‘명사절’, 관형어의 기능을 하는 ‘관형절’, 부사 G10 
예상 문제

어의 기능을 하는 ‘부사절’,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서술절’, 다음 중 문장이 이어지는 방법이 다른 하나는? [2점]
그리고 인용한 내용이 절의 형식으로 안기는 ‘인용절’ 등이
① 눈이 내려서 길이 미끄럽다.
있다. 안은문장에서는 안긴문장의 어떤 성분이 그것을 안
②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
고 있는 안은문장의 한 성분과 동일하게 되면 그 안긴문장
③ 오는 말이 고와야 가는 말이 곱다.
의 성분이 생략될 수 있다.
④ 비가 오더라도 나는 떠날 것이다.
[보기] ⑤ 절약은 부자를 만드나 절제는 사람을 만든다.
ㄱ. 누나는 마음이 넓다.
ㄴ. 그 배는 섬으로 갔다.
ㄷ. 나는 형이 준 책을 읽었다.
ㄹ. 우리는 그가 학생임을 알았다. G11 
2016(6월)/고2교육청 13
ㅁ. 바람도 잠잠하고, 하늘도 푸르다. <보기>의 ㉠에 해당하는 문장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① ㄱ에서 안은문장의 주어와 안긴문장의 주어는 동일하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은 두 개 이상의 문장이 연결 어
② ㄴ은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나타나므로 홑문장 미로 이어져 있다. 이때 앞의 절과 뒤의 절은 인과, ㉠ 조
이다. 건, 의도, 양보, 배경 등의 의미 관계를 나타낸다.
③ ㄷ에서 안긴문장의 목적어는 안은문장의 목적어와 중복
되므로 생략되었다. ① 책을 많이 읽으면 생각이 깊어진다.
④ ㄷ에는 관형어의 기능을 하는 안긴문장이 있고, ㄹ에는 ② 책을 읽으려고 학교 도서관으로 갔다.
목적어의 기능을 하는 안긴문장이 있다. ③ 책을 아무리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는다.
⑤ ㅁ은 앞 절과 뒤 절이 ‘나열’의 의미 관계를 가지는, 대등 ④ 책을 읽고 있는데 친구가 나를 자꾸 불렀다.
하게 이어진 문장이다. ⑤ 책을 다양하게 읽어서 그는 지식이 풍부하다.

13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4 2020. 11. 26. 오전 10:00


G12 
2016(3월)/고1교육청 13 G13 
2016(3월)/고2교육청 13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를 탐구한 결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 <보기>의 사례를 통해 ‘의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으)
은? [2점] 려고’의 쓰임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1] [보기]

이어진문장 ㄱ. 도서관에 가려고 철호가 집을 나섰다.


둘 이상의 홑문장이 이어져 있는 문장으로, 주어가 같은 *영희가 도서관에 가려고 철호가 집을 나섰다.
홑문장이 이어질 때는 주어를 하나만 사용할 수도 있음. ㄴ. 철호가 도서관에 가려고 집을 나섰다.
○ 대등하게
‌ 이어진 문장 도서관에 가려고 철호가 집을 나섰다.
둘 이상의 홑문장이 동등한 자격으로 이어진 문장으 철호가 집을 나섰다, 도서관에 가려고.
로, 앞 절과 뒤 절이 ‘나열, 대조, 선택’ 등의 의미 관계 ㄷ. 철호야, 공부하려고 도서관에 가니?/*가라./*가자.
를 가짐. ㄹ. ‌할머니께서는 병원에 가시려고/*가셨으려고/*가시겠
○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으려고 버스를 타셨다.
앞 홑문장과 뒤 홑문장의 의미가 독립적이지 못하고 ㅁ. 할머니께서는 운동을 하려고 공원에 가셨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앞 절과 뒤 절이 ‘원인, 할머니께서는 *건강하려고 공원에 가셨다.
조건, 의도’ 등의 의미 관계를 가짐.
(*는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
[보기 2]

ㄱ. 암벽 등반은 힘들고 재미있다. ① ㄱ을 보니, ‘-(으)려고’로 연결된 문장은 앞 절과 뒤 절의

15
ㄴ. 암벽 등반은 힘들어서 재미있다. 주어가 다르면 문법적으로 잘못된 문장이 되는 경우가

DAY
ㄷ. 암벽 등반은 힘들지만 재미있다. 있군.
② ㄴ을 보니, ‘-(으)려고’가 포함된 절은 문장에서의 위치
① ㄱ, ㄴ, ㄷ은 ‘암벽 등반은 힘들다.’와 ‘암벽 등반은 재미 이동이 가능하군.
있다.’라는 두 홑문장이 이어진 문장이군. ③ ㄷ을 보니, ‘-(으)려고’는 명령형이나 청유형이 이어지면
② ㄱ, ㄴ, ㄷ은 앞 절과 뒤 절의 순서를 바꾸어도 의미에 변 문법적으로 잘못된 문장이 될 수 있군.
화가 생기지 않는 이어진문장이군. ④ ㄹ을 보니, ‘-(으)려고’는 선어말 어미와 결합하지 못하는군.
③ ㄱ, ㄴ, ㄷ에서 뒤 절의 주어가 없는 것은 앞 절과 주어가 ⑤ ㅁ을 보니, ‘-(으)려고’는 동사 어간과는 결합하지만 형용
같기 때문이군. 사 어간과는 결합하지 않는군.
④ ㄱ, ㄷ은 두 홑문장이 각각 나열, 대조의 의미를 갖는 어
미 ‘-고’와 ‘-지만’으로 연결된 대등하게 이어진 문장이군.
⑤ ㄴ은 두 홑문장이 원인의 의미를 갖는 어미 ‘-어서’로 연
결된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군.

❖ 정답 및 해설 71~73p G. 문장의 짜임 13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5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25 안은문장 G16 
2019(9월)/고1교육청 14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보기>를 참고할 때, ㉠ ~ ㉢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은? [2점]
안은
문장의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보기]
종류
관형절을 가진 안은문장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등을 원래의 내용과 형식 그대
인용절을 가진 안은문장 로 옮겨 표현하는 것을 ‘직접 인용’, 원래의 내용을 전달하
되 말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표현하는 것을 ‘간접 인용’이라
한다.
G14 
2013(3월)/고1교육청 12 직접 인용은 큰따옴표와 종결 표현에 따른 문장 부호를

<보기>는 ‘문장의 종류’에 대한 학습 자료이다. ㉠에 들어갈 예문으 사용하고, 조사 ‘라고’를 붙여 표현한다. 간접 인용은 문장

로 적절한 것은? [3점] 부호 없이, 앞말의 종결 어미에 조사 ‘고’를 붙여 표현한다.


간접 인용문은 화자의 관점에서 표현하기 때문에 직접 인
[보기]
용문과 비교할 때 인칭, 지시 표현, 높임 표현, 시간 표현,
문장의 종류
종결 표현 등에서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홑문장: 주어와 서술어가 한 번만 나타나는 문장
 날씨가 맑다.
㉠ ‌어제 진우는 “내일 떠나고 싶다.”라고 했다.
•겹문장: 주어와 서술어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
→ 어제 진우는 오늘 떠나고 싶다고 했다.
- 안은문장:
‌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 하나의 성분처럼 쓰
㉡ ‌아들이 나에게 “잠시만 집에 계세요.”라고 했다.
이는 홑문장을 포함하고 있는 문장
 ㉠ → 아들이 나에게 잠시만 집에 있으라고 했다.

- ‌이어진문장: 둘 이상의 홑문장이 대등하거나 종속적 ㉢ ‌그 바다에서 아영이는 “나는 이곳이 마음에 들어.”라고

으로 이어진 문장 했다.
 봄이 오면 꽃이 핀다. → 그 바다에서 아영이는 자기는 그곳이 마음에 든다고
했다.
① 민수는 성격이 좋은 학생이다.
② 우리 집 정원에 장미꽃이 피었다. ①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조사 ‘라고’가 간접 인용문에서
③ 다예가 교실에서 소설책을 읽었다. ‘고’로 달라졌다.
④ 그는 갔으나 그의 예술은 살아 있다. ②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시간 표현 ‘내일’이 간접 인용
⑤ 바람이 세차게 불고, 비가 억수같이 내린다. 문에서 ‘오늘’로 달라졌다.
③ ㉡: 직접 인용문에서 실현된 주체 높임 표현이 간접 인용
문에서 객체 높임 표현으로 바뀌었다.
④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1인칭이 간접 인용문에서 3인
칭으로 바뀌었다.

G15 
⑤ ㉢: 직접 인용문에서 쓰인 지시 표현 ‘이곳’이 간접 인용
예상 문제
문에서 ‘그곳’으로 달라졌다. 
다음 문장의 직접 인용절을 간접 인용절로 고치시오. [2점]

선생님께서 “오늘 수업이 끝나고 다 남아!”라고 말씀하


셨어.

→ 선생님께서  말씀하셨어.

13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6 2020. 11. 26. 오전 10:00


G17 
예상 문제 G18 
2018(3월)/고2교육청 14

<보기>를 참고하여 ㉢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다음 글을 참고할 때, ㉠~㉣ 중 명사절이 동일한 문장 성분으로
[보기] 사용된 것끼리 묶인 것은? [2점]
글을 쓸 때 문장의 길이를 줄이거나 표현의 효과를 높이
기 위하여 두 개의 홑문장을 하나의 겹문장으로 만드는 경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 하나의 문장 성분처럼 쓰이는 문

우가 있다. 이때 두 홑문장 중 특정 성분이 생략되기도 한다. 장을 안긴문장이라고 하며, 이 안긴문장을 포함한 문장을

다음의 예가 이를 잘 보여 준다. 안은문장이라고 한다. 안긴문장에는 명사절, 관형절, 부사


절, 서술절, 인용절이 있는데, 이 가운데 명사절은 서술어
㉠ 아기가 곤히 잠을 잔다. + ㉡ 엄마가 아기를 안아 주었다.
로 쓰인 용언의 어간에 명사형 어미 ‘-(으)ㅁ’, ‘-기’가 붙
→ ㉢ 엄마가 곤히 잠을 자는 아기를 안아 주었다.
어 만들어진다. 명사형 어미는 안긴문장에서 서술어로 쓰
이는 용언이 서술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명사처럼 기
① ㉠이 ㉡에 관형절로 안기는 과정에서 ㉠의 주어가 생략
능하도록 용언의 문법적인 기능을 바꾼다.
되었다.
ㄱ. 그것이 사실임이 틀림없다.
② ㉠이 ㉡에 관형절로 안기는 과정에서 ㉡의 주어가 생략
ㄴ. 나는 그것이 사실이기를 바란다.
되었다.
③ ㉠이 ㉡에 명사절로 안기는 과정에서 ㉠의 목적어가 생 명사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 다양한 문

략되었다. 장 성분으로 쓰이는데, 위의 예문에서 ㄱ의 명사절은 주어


의 기능을 하고, ㄴ의 명사절은 목적어의 기능을 한다.
④ ㉠이 ㉡에 명사절로 안기는 과정에서 ㉠의 주어가 생략
되었다.
15

DAY
[보기]
⑤ ㉠이 ㉡에 부사절로 안기는 과정에서 ㉡의 목적어가 생 ㉠ 농부들은 비가 오기를 기다린다.
략되었다. ㉡ 지금은 집에 가기에 이른 시간이다.
㉢ 그는 1년 후에 돌아가기로 결심했다.
㉣ 어린 아이들은 병원에 가기 싫어한다.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정답 및 해설 73~75p G. 문장의 짜임 13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7 2020. 11. 26. 오전 10:00


G19 
2015(6월)/고2교육청 13 G21 
2018(9월)/고2교육청 13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다음은 ‘문장의 짜임’에 대해 활동한 것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
[보기] 로 적절한 것은? [2점]
‘안긴문장’은 다른 문장 속에 들어가 하나의 성분처럼 쓰
이는 문장을 말하며, ‘안은문장’은 안긴문장을 포함하고 있 안긴문장의 특징을 이해한 후 주어진 자료를
목표
는 문장을 말한다. 안긴문장은 기능에 따라 명사절, 관형 바탕으로 겹문장을 만들 수 있다.

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로 나뉜다. ※ ‌다음의 [자료]를 안긴문장으로 활용하여 <조건>


을 충족하는 문장을 만드시오.

㉠ 영수는 키가 매우 크다. [자료]


㉡ 영수는 꽃이 핀 사실을 몰랐다. 내용 •꽃이 봄에 활짝 피다.
㉢ 영수는 말도 없이 학교로 가 버렸다. •봄이 오다.
㉣ 영수는 공원을 산책하기를 좋아한다. <조건>
㉤ 영수는 영희에게 빨리 오라고 외쳤다. •명사절과 관형절이 있는 겹문장을 만들 것

① ㉠의 안긴문장은 안은문장의 서술어 기능을 한다. 결과 ㉠

② ㉡의 안긴문장은 체언의 뜻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③ ㉢의 안긴문장은 안은문장의 부사어를 수식한다. ① 봄이 오면 꽃이 활짝 핀다.
④ ㉣의 안긴문장의 주어는 안은문장의 주어와 동일하다. ② 꽃이 활짝 피는 봄이 온다.
⑤ ㉤의 안긴문장은 안은문장의 주어가 한 말을 인용한 것 ③ 나는 봄이 오고 꽃이 활짝 피기를 바란다.
이다. ④ 나는 꽃이 활짝 핀 봄이 오기를 기다린다.
⑤ 나는 봄이 와서 꽃이 활짝 피기를 소망한다.

G20 
2016(6월)/고1교육청 13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재희는 봉사활동에 아무도 모르게 참여한다.


위 문장에서 ‘아무도 모르게’는 단어가 아니라 주어인 ‘아
무도’와 서술어인 ‘모르다’로 이루어진 문장이다. 이 문장
은 ‘재희는 봉사활동에 참여한다.’라는 문장에서 서술어
‘참여한다’를 수식하여 ‘어떻게’라는 의미를 더해 주면서 수
식하고 있다. 이런 역할을 하면서 안겨 있는 문장을 ㉠ 부
사절이라 한다.

① 이 일은 하기가 쉽지 않다.
② 빙수는 이가 시리도록 차가웠다.
③ 은기는 꼭 꿈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④ 승희는 마음이 따뜻한 사람을 좋아한다.
⑤ 민우는 우리가 어제 돌아온 사실을 모른다.

13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8 2020. 11. 26. 오전 10:00


1등급 킬러 문제 G24 
2020(9월)/고2교육청 14

<학습 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2점]


[ 학습 활동 ]
G22 
2020(3월)/고2교육청 13 다른 문장에 들어가 하나의 성분처럼 쓰이는 문장을 안
<보기>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긴문장이라고 하고, 이 문장을 포함한 문장을 안은문장이
[보기] 라고 한다. 안긴문장을 절이라고 하는데 그 종류로는 명사
1
- ‌음 「어미」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 절, 관형절, 부사절, 서술절, 인용절이 있다. 예를 들어 관
미 ‘-었-’, ‘-겠-’ 뒤에 붙어)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형절은 안은문장 안에서 절 전체가 관형어의 기능을 한다.
하는 어미 다음 자료에서 안긴문장의 종류와 기능을 파악해 보자.
○그는 그 말을 믿었음이 분명하다.
○나는 그의 판단이 옳음을 믿는다. [자료]
2
- ‌음 「접사」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용언의 어간 뒤에 붙 ㉠ 누나가 주인임이 밝혀졌다.
어) 명사를 만드는 접미사 ㉡ 삼촌은 농담을 던짐으로써 분위기를 풀었다.
○그는 나의 믿음을 저버렸다. ㉢ 형은 동생이 고향으로 돌아오기만 기다렸다.
○그는 서랍에서 종이 한 묶음을 꺼냈다.
① ㉠~㉢에서 안긴문장의 종류가 모두 동일하고 ㉠에서 안
1
① ‘-음 ’은 선어말 어미와 결합할 수 있군. 긴문장은 안은문장 안에서 목적어의 기능을 하는군.
1
② ‘-음 ’이 붙은 말은 본래의 품사를 유지하는군. ② ㉠~㉢에서 안긴문장의 종류가 모두 동일하고 ㉡에서 안
15

DAY
2
③ ‘-음 ’가 붙은 말은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군. 긴문장은 안은문장 안에서 부사어의 기능을 하는군.
1 2
④ ‘-음 ’은 ‘-음 ’와 달리 뒤에 격 조사가 올 수 있군. ③ ㉠~㉢에서 안긴문장의 종류가 모두 동일하고 ㉢에서 안
2 1
⑤ ‘-음 ’는 ‘-음 ’과 달리 명사절을 만들 수 없군. ‌ 긴문장은 안은문장 안에서 주어의 기능을 하는군.
④ ㉠~㉢에서 안긴문장의 종류가 모두 다르고 ㉠에서 안긴

G23 
2019(3월)/고2교육청 14
문장은 안은문장 안에서 주어의 기능을 하는군.
⑤ ㉠~㉢에서 안긴문장의 종류가 모두 다르고 ㉡에서 안긴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문장은 안은문장 안에서 부사어의 기능을 하는군.
[보기]

학생: 한 문장 안에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 나타나


는 문장을 홑문장, 두 번 이상 나타나는 문장을 겹문장
이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나는 따뜻한 차를 마셨다.’라
는 문장의 경우 주어 ‘나는’과 서술어 ‘마셨다’의 관계가
한 번만 나타나는 것 같은데 왜 겹문장인가요?
선생님: ‘나는 따뜻한 차를 마셨다.’라는 문장은 겹문장으로,
관형절을 안은 문장이야. 관형절 ‘따뜻한’의 주어가 관형
절이 수식하는 명사 ‘차’와 중복되어 생략된 것이지. 이처
럼 ㉠ 한 문장이 다른 문장 속에 관형절로 안길 때 두 문장
에 중복된 단어가 있으면, 관형절에서 그 단어가 포함된
문장 성분이 생략되기도 한단다.

① 그녀는 그가 여행을 간 사실을 몰랐다.


② 내가 사는 마을은 무척이나 아름답다.
③ 그는 책장에 있던 소설책을 꺼냈다.
④ 나는 동생이 먹을 딸기를 씻었다.
⑤ 골짜기에 흐르는 물이 깨끗하다.

❖ 정답 및 해설 75~78p G. 문장의 짜임 13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39 2020. 11. 26. 오전 10:00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26 종결 표현
오늘 네가 학원에
종결 표현은 문장의 끝부분에 오는 표현 간다는 거야, 아니면
오늘
오늘일찍
일찍학원에
학원에가.
가.
나한테 학원에 가라고
으로 문장 전체의 의미를 좌우한다. 종결 하는 거야?
어미를 통해 구현되며, 종결 어미의 형태
에 따라 문장의 종류가 달라진다. 오늘
오늘
학원에
일찍
학원에
일찍
가.가.

그런데 종결 어미의 형태만으로 문장의


종류가 결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으므로, 개념+

상황적 맥락이나 억양을 고려해야 한다. ★★종결 어미


용언의 끝에 오는 어말 어미는 문
평서문 내용을 전달함. 장을 끝맺는 역할을 하는 종결 어
미와 문장을 끝맺는 역할을 하지
의문문 대답을 요구함. 않는 비종결 어미로 나눌 수 있다.
종결
종결 어미는 문장의 형태뿐만 아
표현의 명령문 행동을 요구함.
니라 청자에 대한 높임의 정도를
종류
청유문 행동을 함께 하자고 제안함. 표시하기도 하기 때문에 상대 높
임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감탄문 느낌을 표현함.

1 종결 표현의 종류
생각 +
1. 평서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자기의 생각을 단순하게 전달하는 문장  주로 종결 어미
★★‘-아요/-어요’, ‘-아/-어’는 어
‘-다’를 붙여 표현한다.
떤 종결 표현일까?
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 ‘-아요/-어요’, ‘-아/-어’는 평서
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등의
2. 의문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요구하는 문장  ‘-느냐’ 외에 ‘-ㅂ니까’,
모든 종결 표현에 사용될 수 있다.
‘-ㄹ까’, ‘-오’, ‘-나’, ‘-ㄴ가’, ‘-니’ 등을 붙여 표현한다. 문장 끝 억양에 따라 문장의 유형
이 결정된다.
설명 의문문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  너 지금 뭐하니?
 ‌밥 먹어요. ↘ (평서문, 청유문)
판정 의문문 긍정이나 부정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문  밥 먹었니?
밥 먹어요? ↗ (의문문)
대답을 요구하는 것은 아니면서 서술이나 명령,
수사 의문문  그렇게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밥 먹어요. → (명령문)
감탄의 효과를 나타내는 의문문
부정문에 의한 의문문. 이때 묻는 사람이 부정문  ‌오늘 날씨가 참 안 좋지?
부정 의문문 으로 묻는다면 답하는 사람은 묻는 사람의 입장 아니요, 날씨 좋아요. / 예, 날씨가
에 서서 대답을 해야 함. 좋지 않아요. 참고

3. 명령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문장  주로 종결 어미 ★★청유문의 예외적 쓰임


일반적으로 청유문은 화자가 청자
‘-(어/아)라’를 붙여 표현한다.
에게 함께 행동할 것을 요청할 때
 너는 건강을 위해 골고루 먹어라. 쓰인다. 그런데 담화 상황에 따라
명령문과 청유문 둘 다 서술어로
동사만 올 수 있고, 시간 표현의 선어말 어미 청유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행동을
4. 청유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자
‘-았-/-었-, -겠-, -더-’와 함께 쓰이지 않아. 요청하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고 요청하는 문장(상황에 따라서는 명령의 의미를 나타 한편 명령문에서 주어는 항상 듣는 이지만, 간혹 화자만 행동을 하기를 바랄
청유문에서는 말하는 이와 듣는 이가 때에 쓰이기도 한다.
내기도 함.)  주로 종결 어미 ‘-자’를 붙여 표현한다.
함께 포함되어야 해.
 •(시끄럽게 방해하는 친구에
 우리 함께 생각해 보자.
게) 너무 시끄러워, 조용히 좀
5. 감탄문: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별로 의식하지 않거나 혼 하자.

잣말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  주로 종결 어미 •(식사를 먼저 마친 사람들이


화자의 식사를 방해할 때) 밥
‘-(는)구나’를 붙여 표현한다. 좀 먹자.
 벌써 아침이 밝았구나!

14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0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종결 표현의 종류 15 ‘-아/-어’, ‘-아요/-어요’는 평서문과 명령문에만 쓰인다.


 (,×)
✽ 다음
‌ 문장에 해당되는 문장의 종류를 바르게 연결하시오.
16 판정 의문문은 긍정이나 부정의 대답을 요구하는 의문
01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다. •  •의문문
문이다.
02 요즘 제일 큰 고민은 무엇이니? •  •평서문  (,×)
03 벌써 아침이 밝았구나! • •감탄문 17 종결 표현은 주로 종결 어미를 통해 이루어진다. 
04 너는 건강을 위해 골고루 먹어라. •  •청유문  (,×)

05 우리 함께 고민해 보자. •  •명령문 18 청유문은 상황에 따라 화자가 청자에게 어떤 행동을 요


청하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
✽ 동사로는
‌ 만들 수 있지만 형용사로는 만들 수 없는 종결 형태에
모두  표시하시오. 19 명령문의 주어는 항상 청자이다.
 (,×)
06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

✽ 다음 부정 의문문에 바르게 답하시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보기>에서 찾아 기호를 쓰시오.
[보기]
선생님: 오늘 날씨가 참 안 좋지?
16

DAY
㉠ -라    ㉡ -(는)구나    ㉢ -다    ㉣ -자
㉤ ‘-느냐’, ‘-ㅂ니까’, ‘ㄹ까’, ‘-오’, ‘-나’, ‘-ㄴ가’, ‘-니’
20 날씨가 좋은 경우
– 학생: ( ), 좋아요.
07 평서문은 주로 종결 어미 ( )를 붙여 표현한다.
21 날씨가 안 좋은 경우
08 의문문은 주로 종결 어미 ( )를 붙여 표현한다.
– 학생: ( ), 별로 좋지 않네요.
09 명령문은 주로 종결 어미 ( )를 붙여 표현한다.

10 청유문은 주로 종결 어미 ( )를 붙여 표현한다.
22 <보기>의 ㉠의 예문으로 적절한 것은?
11 감탄문은 주로 종결 어미 ( )를 붙여 표현한다.
[보기]

국어 문장은 종결 어미로 문장의 종류를 알 수 있다. 그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러나 ㉠ 종결 어미의 형태만으로 문장의 종류가 결정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황적 맥락이나 문장
12 ‘내가 그거 하나 못 사 주겠니?’는 수사 의문문이다.
의 억양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

13 ‘영화 보러 갈래?’는 구체적인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 ① 오늘은 일찍 집에 가.


이다. ② 빨리 안으로 들어오게.
 (,×) ③ 아, 참으로 딱하게 되었구려.
④ 저기 서 있는 사람은 누구지?
14 ‘우리 행복하자.’는 비문이다.
⑤ 나는 주말마다 친구들과 농구를 한다.
 (,×)

정답
01 평서문 02 의문문 03 감탄문 04 명령문 05 청유문 06 명령문, 청유문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아니요 21 예 22 ①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4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1 2020. 11. 26. 오전 10:00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27 높임 표현 ★★높임 표현의 오용과 남용


참고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높임 표현을


높임 표현은 말하는 이가 어떤 대상이나 상대에 대하여 높이거나 낮추는 태도를 나타내는 표 잘못 사용하거나 과도하게 사용하
현이다. 문장의 주체(A)나 객체(B)에 따라, 또 듣는 사람(청자)이 누구냐에 따라 높임 표현이 달 는 현상을 자주 볼 수 있다. 가령
‘손님께서 주문하신 음료 나오셨
라지며, 높임 표현은 어휘, 조사, 종결 어미 등을 통해 실현된다. 습니다.’는 주체 높임의 선어말 어
미 ‘-(으)시-’가 필요하지 않은 상
A 가 B 에게 ~ 하다 황에서 이를 과도하게 붙여 사용
주체 객체
한 것이다. 또 ‘저에게 여쭈어 보세
요.’는 객체 높임에 사용하는 ‘여쭈
듣는 사람(청자) 다’를 통해 ‘저’를 높이고 있으므로
말하는 사람(화자) 상대 잘못된 문장이다.

1 높임 표현의 종류–높이는 대상에 따라 개념+


1. 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
(1) 문장의 주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방법  서술어의 주체를 높임. 용언의 어간과 어말 어미 사이에
놓이는 문법 형태소로 어말 어미
(2) 주로 선어말 어미 ‘-(으)시-’에 의해 실현되며 주격 조사 ‘께
네, 8천 원 앞에 오기 때문에 선어말 어미라
서’를 붙여서 표현하거나 ‘계시다, 주무시다’ 등 특수한 어휘 되시겠습니다.
고 한다.
를 통해 실현되기도 함.  어머니께서 설거지를 하시었다. 선어말 어미에는 높임을 나타내
는 ‘-(으)시-’, 시제를 나타내는 ‘-
직접 높임 말하는 이가 주체를 직접 높임. 는-’, ‘-았-’ 등이 있다.
말하는 이가 주어와 관련된 대상(높임 대상의 소유물이나  가시다
‌
신체 일부분, 관련 있는 사람 등)을 통해 주체를 간접적으 어간 어말 어미
간접 높임 선어말 어미
로 높임. 특수한 어휘(계시다 등)를 사용하지 않고 ‘-(으) 주체인 가격은 높임의 대상이
시-’로만 나타냄.  우리 할머니께서는 귀가 밝으시다. 아니므로 잘못된 높임 표현이다.

2. 객체 높임법 참고

(1)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방법  서술어의 객체를 높임. ★★주체와 객체

(2) 특수한 어휘(뵙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를 사용하거나 부사격 조사 ‘께’를 통해 실현됨. 주체는 문장 안에서 서술어의 동
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대상으로
 너는 선생님을 모시고 오너라.    영희는 선생님께 그 책을 드렸다.
주로 주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뜻
3. 상대 높임법 한다. 객체는 문장 내에서 동사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 주로 목
(1)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 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2) 상대 높임은 주로 종결 어미를 통해 실현되는데 격식체는 공식적인 상황이나 장소에서 쓰 뜻한다.

이거나 화자와 청자 사이의 심리적인 거리를 나타내며, 비격식체는 격식을 덜 차리는 상황


에 쓰이며 화자와 청자 사이에 친근감을 나타냄.
생각 +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 ★★높여야 할 사람이 둘인 경우에


는 어떻게 해야 할까?
높임 하십시오체 날씨가 언제 식사를
어서 가십시오. -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아버지에 대
(아주 높임) 좋습니다. 쉬십니까? 하시지요.
해 말을 하는 경우, 손자에게는 할
하오체
날씨가 좋소. 언제 쉬시오? 어서 가시오. 식사를 합시다. 정말 반갑구려. 아버지, 아버지 둘 다 높여야 할
(예사 높임) 대상이지만, 할아버지에게 아버지
격식체
하게체 는 높임의 대상이 아니다. 이런 경
날씨가 좋네. 언제 쉬는가? 어서 가게. 식사를 하세. 정말 반갑구먼.
(예사 낮춤) 우에는 듣는 사람인 할아버지를
해라체 고려하여 아버지를 높이지 않는다.
날씨가 좋다. 언제 쉬나? 어서 가라. 식사를 하자. 정말 반갑구나.  ‌(손자가 할아버지에게) 할아버
낮춤 (아주 낮춤)
지, 아까 아버지가 집에 왔어요.
높임 해요체
날씨가 좋아요. 언제 쉬어요? 어서 가요. 식사를 해요. 정말 반가워요. 이것을 ‘압존법’이라 하는데, 가정
(두루 높임)
비격식체 에서는 지켜야 할 언어 예절이지
해체(두루
날씨가 좋아. 언제 쉬어? 어서 가. 식사를 해. 정말 반가워. 만, 직장에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낮춤 낮춤–반말)

14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2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높임 표현의 종류 12 형님이 선생님을 모시고 집으로 왔다. ( )


13 할머니, 아버지가 고모에게 전화하는 것을 들었어요.
✽ 다음 문장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 )

선생님, 아버지께서 할머니를 모시고 학교에 오시겠다


고 하셨습니다. ✽ 높임법이
‌ 바르게 쓰인 문장은 , 잘못 쓰인 문장은 × 표시하시오.

01 이 문장에서 높임의 대상을 모두 쓰시오. 14 교장 선생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
 ( )

02 이 문장에서 객체를 쓰시오. 15 (점원이 손님에게) 전부 합쳐서 6만 9천원 되시겠습니다.


 (,×)
 ( )

03 이 문장에서 객체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 표현을 찾아 16 우리 딸은 집에 오면 나에게 많은 것을 물어봐요.


 (,×)
쓰시오.  ( )

04 이 문장에서 ‘선생님’과 ‘아버지’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


표현을 모두 찾아 쓰시오. ✽ 다음
‌ 문장을 지시에 맞게 바꿔 쓰시오.
 ( )
17 ‘날씨가 좋다.’를 ‘하게체’로 바꾸면 ‘( )’이다.
05 이 문장에서 ‘선생님’을 ‘친구’로 바꾼다면 달라질 표현
18 ‘어서 가십시오.’를 ‘해라체’로 바꾸면 ‘( 16

DAY
)’이다.
을 찾아 바꿔 쓰시오.
 ( ) 19 ‘식사를 합시다.’를 ‘해요체’로 바꾸면 ‘( )’이다.

20 ‘정말 반갑구나.’를 ‘하오체’로 바꾸면 ‘( )’이다.

✽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시오. 21 ‘언제 쉬시오?’를 ‘해체’로 바꾸면 ‘( )’이다.

06 ( )은/는 문장 내에서 동사의 행위가 미치는


대상으로 주로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이다.
22 다음에서 객체 높임이 쓰이지 않은 문장은?
07 상대 높임법은 주로 ( )을/를 통해 실현된다.
① 제 용돈으로 할머니께 드릴 선물을 샀어요.
08 ( )에서 주로 사용되는 특수한 어휘에는 ‘뵙
② 할머니를 뵙고 왔구나.
다, 드리다, 모시다, 여쭈다’ 등이 있다.
③ 할머니를 모시고 병원에 갔어요.
09 비격식체이며 두루 높일 때 쓰는 상대 높임의 등급은 ④ 저는 큰아버지께 인사를 드리고 왔어요.
( )체이다. ⑤ 할머니께서 편찮으셨나 보다.
10 말하는 이가 문장의 주어와 관련된 대상을 통해 주체를
간접적으로 높이는 것을 ( )(이)라 한다.
23 다음 문장의 높임 표현을 바르게 고치시오.

✽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이 높이고 있는 인물을 쓰시오.


손님께서 주문하신 음료 나오셨습니다.
11 할아버지께서는 아버지의 사업을 도우신다.( )

정답
01 선생님, 아버지, 할머니 02 할머니 03 모시고 04 아버지께서, 오시겠다고, 하셨습니다 05 하셨습니다 → 하셨어 06 객체 07 종결 어미 08 객체 높임법
09 해요 10 간접 높임 11 할아버지 12 선생님 13 할머니 14 × 15 × 16  17 날씨가 좋네. 18 어서 가라. 19 식사를 해요. 20 정말 반갑구려.
21 언제 쉬어? 22 ⑤ 23 손님께서 주문하신 음료 나왔습니다.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4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3 2020. 11. 26. 오전 10:00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28 시간 표현
시간 표현은 시간을 나타내기 위한 언어 표현이다. 시제는 문장에 나타난 행위의 시간상 앞뒤
관계를 문법적으로 나타낸 표현으로, 발화시(말하는 이가 말하는 시점)와 사건시(동작이나 상태
가 일어나는 시점)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1 시제의 종류
1. 과거 시제: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앞서 있는 시제이다. 과거 시제: 사건시 < 발화시 현재 시제: 사건시 = 발화시 미래 시제: 사건시 > 발화시

 ‌•어제 동생은 많이 아팠다.   •너는 어제 학교에 가더라.  생각 +


사건시 발화시 사건시, 발화시 발화시 사건시
•금방 밥을 먹었는데 빵을 먹고 싶어졌다.
★★‘-았-/-었-’의 사용 모습
2. 현재 시제: 발화시가 사건시와 일치하는
과거 시제: 사건시시제이다.
< 발화시 현재 시제: 사건시 = 발화시 미래 시제: 사건시 > 발화시
일반적으로 ‘-았-/-었-’은 과거
시제를 표현하는 선어말 어미이지
 ‌•오늘은 덜 아프다.   •그는 지금 운동을 하는 중이다.
사건시 발화시 사건시, 발화시 만발화시
때로는 다른사건시
의미를 나타내기도
•우리 반 회장인 은희는 학생들의 입장을 잘 대변해 준다.
한다.
3. 미래
과거 시제: 시제:
사건시 사건시가
< 발화시 현재 시제:
발화시보다 나중인사건시 시제이다.
= 발화시 미래 시제: 사건시 > 발화시  ‌너, 누구 닮았니? 
 ‌•내일은 안 아프겠다. 저는 엄마와 닮았어요.
사건시 발화시 사건시, 발화시 발화시 사건시 위의 예문에서 누구와 닮았다는
•오늘은 꼭 이 일을 끝낼 것입니다.
•선생님, 모레 OO대학교 회의실에서 뵐까 하는데요. 것은 현재에까지 이뤄지는 것으로
단순히 과거를 나타낸다고 할 수
 시제 구분 없다. 과거에도 닮았고 지금도 닮
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쓰인 ‘-
시제 과거 현재 미래 았-/-었-’은 ‘완료’ 또는 ‘완결 지
•주로 선어말 어미 ‘-았-/-었-’에 •주로 선어말 어미 ‘-는-/- •주로 선어말 어미 ‘-겠-’, 속’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의해 실현됨. ㄴ-’에 의해 실현됨. ‘-(으)리-’에 의해 실현됨.
•아주 오래전에 일어난 일이나 현 •형용사나 서술격 조사 ‘이 •관형사형 어미와 의존 명사
재에는 그렇지 않은 상태임을 표 다’에는 특정 어미가 결합 가 합쳐진 ‘-(으)ㄹ 것(이)-’
현하기 위해 ‘-았었-/-었었-’을 되지 않은 상태로 실현됨. 에 의해 실현되기도 함. 참고

사용하기도 함. •관형절로 안길 때 동사에 •관형절로 안길 때 관형사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더-’


어미
•과거 어느 때의 일이나 경험을 회 는 관형사형 어미 ‘-는’이, 형 어미 ‘-(으)ㄹ’이 쓰임. 의 제약
상할 때에는 ‘-더-’를 사용함.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 ‘이 평서문에서 주어가 1인칭인 ‘나’일
•관형절로 안길 때 동사에는 관형 다’에는 ‘-(으)ㄴ’이 쓰임. 때, 의문문에서 주어가 듣는 이일
사형 어미 ‘-(으)ㄴ’, ‘-던’을 붙이 때는 ‘-더-’를 쓸 수 없다.
고, 형용사나 서술격 조사 ‘이다’ •나는 어제 학교에 가더라.(×)
에는 ‘-던’을 붙임. •네가 어제 학교에 가더냐?(×)

부사어 어제, 옛날, 아까 등 지금, 오늘 등 내일, 모레 등

개념+
2 동작상의 종류
★★‘-겠-’, ‘-(으)리-’ ‘-(으)ㄹ 것
동작상은 발화시를 기준으로 동작이 일어나는 모습을 나타내며, 보조 용언을 통해 표현한다. (이)-’의 의미
1. 진행상: 사건이 그 시점에 계속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는 동작상으로 보조 용언 ‘(-고) 있다’, ‘-겠-’과 ‘-(으)ㄹ 것(이)-’가 미래
상황을 나타낼 때만 쓰이는 것은
‘(-아/-어) 가다’ 등을 붙여 표현함.
아니다. 추측이나 의지와 같은 화
 ‌•현수는 어제 집에 가고 있었다. (과거 진행상 ‘-고 있었다’) 자의 태도를 나타낼 수도 있다.
•현수는 지금 집에 가고 있다. (현재 진행상 ‘-고 있다’)  ‌•새해에는 공부를 열심히 해
•현수는 내일쯤 집에 가고 있겠다. (미래 진행상 ‘-고 있겠다’) 야겠다. (의지)
•지금쯤은 집에 도착했으리
2. 완료상: 사건이 그 시점에서 이미 완료되었거나 완료된 결과 상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동작
라. (추측)
상으로 보조 용언 ‘(-아/-어) 있다’, ‘(-아/-어) 버리다’ 등을 붙여 표현함. •그 사람도 널 기다리고 있을
 ‌‌•화단에 어제 꽃이 피어 있었다. (과거 완료상 ‘-아/-어 있었다’) 거야. (추측)
•화단에 지금 꽃이 피어 있다. (현재 완료상 ‘-아/-어 있다’)
•화단에 내일쯤 꽃이 피어 있겠다. (미래 완료상 ‘-아/-어 있겠다’)

14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4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시제의 종류 09 다음 문장 중 시간 표현이 자연스럽지 않은 것은?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① 다시는 울지 않을 것이다.


② 우리 반 아이들은 참 아름답다.
01 ( )은/는 문장에 나타난 행위의 시간상 앞뒤
③ 여기가 너와 숨바꼭질하던 공원이다.
관계를 문법적으로 나타낸 표현이다.
④ 아까 숙제를 끝낼 것이다.
02 시제는 발화시와 ( )을/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⑤ 너는 한 살이 될 때까지 엎드리지도 못했었지.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2 동작상의 종류
03 과거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보다 나중인 시제이다.
 (,×) ✽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4 과거 어느 때의 일이나 경험을 회상할 때에는 주로 선 10 동작상은 발화시를 기준으로 동작이 일어나는 모습을
어말 어미 ‘-겠-’을 사용한다. 나타내며 ( )을/를 통해 표현한다.
 (,×) 11 사건이 그 시점에서 이미 완료되었거나 완료된 결과 상
태가 지속됨을 나타내는 동작상을 ( )(이)라고
한다.
05 다음 중 시제를 드러내는 요소가 없는 것은? 16

DAY
12 사건이 그 시점에 계속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내는 동작
상을 ( )(이)라고 한다.
선생님께서는 내일 오시겠다고 말씀하셨다.
① ② ③ ④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밑줄 친 부분을 제시된 시제에 맞게 고쳐 쓰시오. 13 ‘영이는 밥을 다 먹어 버렸다.’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06 친구를 만나다. → 미래 시제로  (,×)
내일 ( ) 친구는 마음씨가 곱다. 14 ‘영이는 밥을 다 먹어 간다.’는 완료상을 나타낸다.
07 꽃이 아름답다. → 과거 시제로  (,×)
비가 오자 ( ) 꽃이 다 떨어졌다. 15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놀고 있다.’는 진행상을 나타낸다.
 (,×)

16 ‘학생들이 어제 교실에서 음악을 듣고 있었다.’는 과거


08 밑줄 친 부분의 시제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완료상을 나타낸다.
① 이것은 내가 읽은 책이야. - 과거  (,×)
② 아이가 엄마를 보며 웃는다. - 현재
17 ‘누나는 지금 정원에 물을 주고 있다.’는 현재 진행상을
③ 반드시 이 강의를 다 들을 거야. - 현재
나타낸다.
④ 내일은 전국적으로 맑겠습니다. - 미래
 (,×)
⑤ 호식이는 진실만을 말할 친구야. - 미래

정답
01 시제 02 사건시 03 × 04 × 05 ① 06 만날 07 아름답던 08 ③ 09 ④ 10 보조 용언 11 완료상 12 진행상 13  14 × 15  16 × 17 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4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5 2020. 11. 26. 오전 10:01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29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1 피동 표현
개념+
피동 표현은 주어가 남에 의해서 동작이나 행위를 당함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반면, 능동 표
★★이중 피동
현은 주어가 동작이나 행위를 제힘으로 함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사냥꾼이 토끼를 잡았다.
1. 피동사를 이용한 피동문: 능동사의 어간에 피동 접미사( -이-, -히-, -리-, -기-)를 결합한다. ⇒ 토끼가 사냥꾼에게 잡혔다.
⇒ 토끼가 사냥꾼에게 잡혀졌다.
이러한 피동문을 ‘파생적 피동문’이라고도 한다. ‘잡혀졌다’는 ‘잡히다’에 다시 ‘-어
 토끼가 사냥꾼에게 잡혔다 (잡-+-히+-었-+-다). 지다’가 붙은 형태이다. 이러한 이
중 피동(중복 피동)은 삼가야 한다.
2. ‘-아/-어지다’를 이용한 피동문: 능동사의 어간에 ‘-아/-어지다’, ‘-게 되다’를 결합한다. 이러
한 피동문을 ‘통사적 피동문’이라고도 한다.
 우리가 가게 되었다.
개념+

★★피동문이 사용되는 경우
능동문 사냥꾼이 토끼를 잡았다.
•‌행동을 당하는 대상을 강조하고
주어 목적어 능동사
싶을 때
 아기가 모기에게 물렸다.
행동을 당한 사람이나 •‌동작의 주체를 모르거나, 밝히기
피동문 토끼가 사냥꾼에게 잡혔다.
주어 부사어 피동사 주어의 행위가 강조됨. 사물이 강조됨. 어려울 때
(능동문) (피동문)  ‌현재 충첨 이남 지방에 벼
락과 돌풍을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2 사동 표현 •‌객관성을 높이거나, 책임을 회피


할때
사동 표현은 주어가 남에게 동작이나 행위를 하도록 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반면,  ‌(뉴스에서) 이 후보의 발언
주동 표현은 주어가 스스로 동작이나 행위를 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은 정치권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1. 사동사를 이용한 사동문: 주동사의 어간에 사동 접미사(-이-, -히-, -리-, -기-, -우-, -
구-, -추-)를 결합한다.
 난롯불이 얼음을 녹이다.
생각 +
2. ‘-게 하다’를 이용한 사동문: 주동사의 어간에 ‘-게 하다’를 결합한다.
★★사동사를 이용한 사동문과 ‘-게
 난롯불이 얼음을 녹게 하다.
하다’를 이용한 사동문의 의미
차이
주동문 동생이 옷을 입었다.
주어 목적어 주동사 사동사를 이용한 사동문과 ‘-게 하
다’를 이용한 사동문은 시키는 행
위의 직접성에서 차이가 있다.

사동문 내가 동생에게 옷을 입혔다.
주어가 스스로 함. 행위를 시킨 사람이 추가됨. ① 어머니가 딸에게 옷을 입혔다.
주어 부사어 목적어 사동사
→ ‌어머니가 직접 옷을 입혀 주었
(주동문) (사동문)
다.(직접 사동)
② 어머니가
‌ 딸에게 옷을 입게 하
Tip 였다.
★ 피동 표현은 접미사 ‘-되다’, ‘-받다’, ‘-당하다’, 사동 표현은 접미사 ‘-시키다’에 의해 실현되기도 한다. → ‌어머니가 딸로 하여금 옷을 입
게 하였다.(간접 사동)
접미사 ‘-하다’가 붙은 동사가 사용된 경우 ‘-하다’ 자리에 ‘-되다’, ‘-받다’, ‘-당하다’, ‘-시키다’ 등을 결합한다.
직접 사동은 행위를 시키는 주체
 •나는 엄마에게 사랑받았다.
가 행위를 하는 사람과 함께 행위
•아버지께서 동생을 병원에 입원시켰다. 에 참여하는 것이고, 간접 사동은
그런데 ‘-시키다’에 의한 사동 표현은 남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가령 ‘새로 온 학생을 소개시켰다.’ 행위를 시키는 주체가 행위에 참
는 ‘새로 온 학생을 소개했다.’로 ‘-시키다’ 대신 ‘-하다’로도 의미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불필요한 여하지 않고 행위를 하는 사람에
게 간접적으로 시키는 것이다.
사동 표현은 지양해야 한다.

14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6 2020. 11. 26. 오전 10:01


개념 완성 TEST

1 피동 표현 2 사동 표현

✽ ‌다음 문장을 피동 표현으로 바꾸어 쓰시오. 10 다음 문장 중 사동 표현이 쓰이지 않은 것은?


01 철수가 강아지를 안았다. ① 형이 동생을 울렸다.
② 내가 친구들을 웃긴다.
③ 졸려서 눈이 자꾸 감겼다.
02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④ 선생님이 영수에게 책을 읽혔다.
⑤ 동생이 토끼에게 당근을 먹인다.
03 모기가 나를 물었다.

✽ ‌다음 밑줄 친 표현을 바르게 고치시오.


04 흰 눈이 세상을 덮었다.
11 소녀가 입김으로 언 손을 녹았다.  →( )

12 의사가 환자를 살았다. →( )


05 심사 위원이 그를 최고의 가수로 뽑았다.
13 나 그 친구 좀 소개시켜 줘. →( )

06 나는 파랑새가 지저귀는 소리를 들었다.


16

DAY
✽ ‌다음 밑줄 친 표현이 사동 표현이면 ‘사동’, 피동 표현이면 ‘피
동’이라고 쓰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4 어머니는 어린 동생의 옷을 입혔다.


 ( )
07 능동문의 목적어는 피동문에서 부사어로 바뀐다.
 (,×) 15 나는 팔이 아파서 동생에게 밥을 먹게 했다.
 ( )
08 피동문은 행동을 당한 사람이나 사물이 강조된다.
 (,×) 16 비행기가 시야에서 점점 멀어졌다.
 ( )

09 다음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우리는 매일 아름다운 노랫소리를 듣는다.
㉯ 아름다운 노랫소리가 우리에게 매일 들린다. 17 ‘동생이 옷을 입었다.’라는 문장을 사동문으로 바꿀 때
목적어는 그대로 유지된다.
① ㉮는 능동 표현이고, ㉯는 피동 표현이다.  (,×)
② ㉮의 주어가 ㉯의 부사어로 바뀌었다. 18 ‘-게 하다’를 이용한 사동문은 대체적으로 간접적인 의
③ ㉮의 목적어가 ㉯의 주어로 바뀌었다. 미를 나타낸다.
④ ㉯에서는 ㉮에 없던 ‘-리-’가 사용되었다.  (,×)
⑤ ㉯의 ‘들린다’를 ‘들리어진다’로 바꿀 수 있다.

정답
01 강아지가 철수에게 안겼다. 02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03 내가 모기에게 물렸다. 04 세상이 흰 눈으로 덮였다. 05 그는 심사 위원에게 최고의 가수로 뽑혔다.
06 파랑새가 지저귀는 소리가 나에게 들렸다. 07 × 08  09 ⑤ 10 ③ 11 녹였다 12 살렸다 13 소개해 14 사동 15 사동 16 피동 17  18 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4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7 2020. 11. 26. 오전 10:01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30 부정 표현 ★★명령문, 청유문의 부정 표현
개념+

명령문이나 청유문에서는 ‘-지 말


1 부정 표현 다’ 형태의 긴 부정 표현이 쓰인다.
 ‌내일은 그곳에 가지 말자.
부정 표현은 ‘안(아니)’이나 ‘못’과 같은 부정 부사나 ‘-지 않다(아니하다)’, ‘-지 못하다’, 
내일은 그곳에 가지 마라.
‘-지 말다’와 같은 부정 용언이 결합되어 문장의 내용, 의미를 부정하는 것을 말한다.

1. 부정 표현의 종류 개념+

★★특수 부정어
‘안’ 부정문(단순 부정, 의지 부정) ‘못’ 부정문(능력 부정)
‘모르다’, ‘없다’ 같은 용언은 짧은
단순히 어떤 상태가 그렇지 않음을 나타내
주어의 능력이나 그 밖의 다른 상황 때문에 부정 표현(‘안 모른다, 안 없다’)은
의미 거나 동작을 행하는 주어의 의지에 의해 어 불가능하고, 긴 부정 표현 (‘모르지
그 일이 일어나지 못함을 나타냄.
떤 동작이 일어나지 않음을 나타냄. 않다, 없지 않다’)만 가능하다.
부정하는 말 앞에 ‘안(아니)’을 사용함. 부정하는 말 앞에 ‘못’을 사용함.
짧은 부정
 나는 운동을 안 했다.  나는 운동을 못 했다.
개념+
형태 부정하는 말 뒤에 ‘-지 않다(아니하다)’를
부정하는 말 뒤에 ‘-지 못하다’를 사용함. ★★부정문의 중의성
긴 부정 사용함.
 나는 운동을 하지 못했다. 부정문은 부정 표현이 부정하는 범
 나는 운동을 하지 않았다.
위에 따라 문장이 여러 의미로 해
석되는 중의성이 발생하기도 한다.
2. 부정문과 결합하는 부사어 이러한 부정문의 중의성은 보조사
‘결코, 전혀, 통, 도무지, 여간, 그다지’ 등이 있다. 를 사용하거나 어순을 바꾸는 방법
등을 통해 해소할 수 있다.
 ‌•나는 결코 네 말을 믿지 않는다. / 그것은 전혀 말이 안 된다.
 나는
‌ 책을 보지 않았다.
•그는 통 말을 하지 않는다. / 그녀를 어디서 만났는지 도무지 생각이 안 난다.
- ‌책을 본 것은 내가 아니다.
•뜰에 핀 꽃이 여간 탐스럽지 않았다. / 그 꽃은 그다지 예쁘지는 않다. (‘나는’을 부정) / 내가 본 것
은 책이 아니다.(‘책을’을 부
정) / 나는 책을 본 것이 아
니라 책으로 다른 일을 했다.

개념 31 인용 표현 (‘보지’를 부정)
→ ‌나는 책은 보지 않았다.
(‘책을’을 부정한 것으로 부
정의 범위가 명확해짐.)
1 인용 표현
인용 표현은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 또는 생각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자신의 말이나 글 속 참고
에 옮겨 쓰는 표현이다. ★★ 부정문의 서술어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가 결합한
1. 인용 표현의 종류 용언이 서술어로 쓰일 경우에는
(1) 직접 인용: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을 원래의 형식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큰따옴표(“ ”)나 작 능력 부정과 의지 부정 모두 사용
되지 않는다.
은따옴표(‘ ’)에 넣어 인용함. 직접 인용된 절에는 조사 ‘(이)라고’가 쓰임.
 ① ‌영희는 안 예쁘다.()/
 철수는 나에게 “내가 먼저 갈게.”라고 말했다.
영희는 못 예쁘다.(×) 
(2) 간접 인용: 인용된 말이나 글을 자신의 관점에서 다시 서술하여 표현함. 인용절 속의 대명 영희는 안 미인이다.(×)/
영희는 못 미인이다.(×)
사, 시간 표현, 공간 표현, 서술어에 실현되는 높임 표현, 종결 표현 등이 원래의 발화와 ② ‌영희는 예쁘지 않다.()/
달라질 수 있음. 간접 인용된 절에는 조사 ‘고’가 쓰임. 영희는 예쁘지 못하다.(×)
 철수는 나에게 자기가 먼저 간다고 말했다. 영희는 미인이지 않다.(×)/
영희는 미인이지 못하다.(×)
③ ‌예쁘지 마라.(×)/ 
2. 인용 표현의 효과
예쁘지 말자.(×)
(1) 인용 표현을 사용하면 전달하는 정보의 출처를 밝힐 수 있음. 미인이지 마라.(×)/
 월요일은
‌ 비가 내리겠습니다. → 일기 예보에서 “월요일은 비가 내리겠습니다.”라고 보도했습니다. / 일기 예보에서 미인이지 말자.(×)
월요일은 비가 내리겠다고 보도했습니다. ①, ②에서 ‘안, 않다’가 사용되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은 의지 부정이 아
(2) 직접 인용 표현을 사용하면 직접 말을 전하는 듯한 생생한 느낌을 줄 수 있음.
닌 상태 부정 표현이기 때문이다.
(3) 간접 인용 표현을 사용하면 직접 인용 표현을 사용할 때보다 매끄럽고 간결한 느낌을 줌.

14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8 2020. 11. 26. 오전 10:01


개념 완성 TEST

개념 30 ① 어제 비가 많이 내렸잖아요.
② 다른 숙제가 더 급했거든요.
1 부정 표현 ③ 몸살로 하루 종일 앓았거든요.
④ 축구는 원래 좋아하지 않거든요.
✽ 다음 빈칸에 ‘안’과 ‘못’ 중 어울리는 말을 쓰시오.
⑤ 손님이 오셔서 집에 일찍 가야 했거든요.
01 늦잠을 자는 바람에 아침밥을 ( ) 먹었다.

02 입맛이 없어서 아침밥을 ( ) 먹었다.


12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03 그 책은 필요가 없어서 ( ) 샀다.
ㄱ. 수지는 약속을 안 지켰다.
04 그 책이 이미 다 팔려서 ( ) 샀다. ㄴ. 준기는 공을 던지지 못한다.
ㄷ. 도서관에서는 떠들지 마라.
✽ 다음
‌ 빈칸에 ‘나는 어제 운동을 했다.’라는 문장을 알맞게 바꾸
어 쓰시오. ① ㄱ은 짧은 부정문, ㄴ은 긴 부정문이다.
② ㄴ은 ㄷ과 달리 짧은 부정문으로 바꿀 수 있다.
짧은 부정문 긴 부정문
③ ‌ㄱ의 ‘안’을 ‘못’으로 바꾸면 외부 원인에 의한 행위로 해
‘안’
05 ( ) 06 ( )
부정문 석될 수도 있다.
‘못’
07 ( ) 08 ( ) ④ ‌ㄴ을 ‘안’ 부정문으로 바꾸면 주체에게 행위를 할 능력이
부정문
없음을 나타내게 된다.
16

DAY
⑤ ‌ㄷ을 청유문으로 바꾸려면 ‘-지 마라’를 ‘-지 말자’로 바
✽ <보기>의 문장을 다음 항목에 따라 구분하시오.
꾸면 된다.
[보기]

㉠ 그녀는 부상으로 인해 시합에 나가지 못했다. 개념 31


㉡ 나는 단것을 싫어해서 초콜릿을 잘 안 먹는다.
㉢ 그가 회의에 참석하지 못한 이유를 나는 알고 있었다. 1 인용 표현
㉣ ‌산 정상에 오르는 것이 힘들었지만 나는 포기하지 않
✽ 다음 직접 인용문을 간접 인용문으로 바꾸어 쓰시오.
았다.
13 그는 나에게 “미안합니다.”라고 말했다.
의지 부정 표현이 쓰인 문장 능력 부정 표현이 쓰인 문장

09 ( ) 10 ( )
14 형이 “비가 올 것 같으니 우산을 챙겨.”라고 말했다.

11 <보기>의 빈칸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5 뉴스에서 “토요일부터 장마가 시작되겠습니다.”라고 보
[보기]
도했다.
선생님: 철수가 요즘 운동에 빠져 있다지?
철수: 네. 친구들과 어울릴 수 있어서요.
선생님: 어제도 축구를 했니?
16 (사무실에 계신 아버지가 집에 있는 나에게 전화를 한 상황
철수: 못했어요. ( )
에서) 아버지께서 “여기로 서류를 가져와 줘.”라고 하셨다.
선생님: 그랬구나.

정답
01 못 02 안 03 안 04 못 05 나는 어제 운동을 안 했다. 06 나는 어제 운동을 하지 않았다. 07 나는 어제 운동을 못 했다. 08 나는 어제 운동을 하지 못했다.
09 ㉡, ㉣ 10 ㉠, ㉢ 11 ④ 12 ④ 13 그는 나에게 미안하다고 말했다. 14 형이 비가 올 것 같으니 우산을 챙기라고 말했다. 15 뉴스에서 토요일부터 장마가 시작되겠다
고 보도했다. 16 아버지께서 거기로 서류를 가져와 달라고 하셨다.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4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49 2020. 11. 26. 오전 10:01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26 ~ 개념 31

개념 26 종결 표현 H03 
2016(9월)/고2교육청 15

평서문 밑줄 친 부분이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


의문문 은? [2점]
종결
표현의 명령문 [보기]
종류
청유문 일반적으로 의문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에 대한 대
감탄문 답을 요청할 때, 청유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함께 행동할
것을 요청할 때 쓰인다. 그런데 담화 상황에 따라 의문문
과 청유문 모두 ㉠ 화자가 청자에게 행동을 요청할 때 쓰
H01 
예상 문제 이기도 한다.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옳은 것은? [2점]
① A: 얘들아, 영화 좀 보자.
청유문은 화자가 청자에게 같이 행동할 것을 요청하는 B: 알았어. 떠들어서 미안해.
문장이다. 그러나 간혹 청자만 행하기를 바라거나 화자만 ② A: 환기가 필요하구나. 창문 좀 열자.
행하기를 바랄 때에도 쓰인다. B: 네. 알겠습니다.
③ A: 잠깐, 내가 안경을 어디다 뒀더라?
① (반장이 떠드는 친구에게) 조용히 좀 하자. B: 너 혼자 거기서 뭐하니? 빨리 나와.
② (체육 시간에 친구에게) 이번에는 네가 우리 팀 대표로 뛰자. ④ A: 방 청소를 해야 하는데, 좀 비켜 줄래?
③ (식사를 먼저 마친 사람들이 귀찮게 말을 걸 때) 밥 좀 먹읍시다. B: 네, 엄마. 바로 나갈게요.
④ (회의에서 논의가 길어질 때) 이 문제는 나중에 다시 다루도 ⑤ A: 기사님! 저 신호등 앞에서 세워 주시겠어요?
록 합시다. B: 네, 저기에 세우겠습니다.
⑤ (같은 반 친구에게) 영화표가 두 장 생겼어. 오늘 나와 같이
보러 가자.

개념 27 높임 표현

H02 
예상 문제 높이는
주체 높임

객체 높임
대상에
<보기>에서 언급한 의문문에 해당하는 것은? [2점] 따라
상대 높임
[보기]

의문문 중에는 형태상으로는 의문문이지만 대답을 요구


하지 않으면서 서술, 명령, 감탄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의
문문도 있다.
H04 
예상 문제

다음 밑줄 친 부분의 높임 표현 중에서 그 용법이 다른 것은? [2점]

① 이번 시험이 지난번보다 더 쉬웠니? ① 명절을 맞아 선생님을 찾아뵈었다.


② 윤태가 나쁜 짓을 보고 가만히 있을 것 같아? ② 그저께는 할아버지께서 댁에 계셨다.
③ 수업 끝나고 나랑 같이 문구점에 갈 수 있니? ③ 나는 어머니께 선물을 드리고 밖으로 나갔다.
④ 아까 중국 음식점에 짬뽕하고 군만두 시키셨어요? ④ 제가 선생님을 뵙자고 청한 이유가 있습니다.
⑤ 아버지께서 어제 그 가게에서 어떤 물건을 사셨어요? ⑤ 영이는 할머니를 집까지 모시고 와서 저녁을 대접했다.

15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0 2020. 11. 26. 오전 10:01


H05 
예상 문제 H07 
2019(6월)/고1교육청 15

다음 중 주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객체 높임법의 세 가지 높임법 다음은 높임 표현에 대한 탐구 학습지이다. ㉮에 들어갈 내용으로


이 모두 사용된 것은? [2점]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 할아버지, 귀염둥이 손자 선재입니다. ㉡ 오늘 오후에 ▶ ‌높임 표현의 종류와 실현 방식에 대해 이해하고 <보기>
할머니께서 놀러 오셨어요. 할머니께 할아버지의 안부를 여 문장에 나타난 높임 표현을 설명해 보자.
쭸는데 할아버지께서 편찮으시다고 알려 주셨어요. ㉢ 어머 종류 실현 방식
니께서 할아버지를 모시고 병원에 가야겠다고 하셨어요. ㉣
•대화의 상대, 즉 듣는 이를 높이거나 낮춤.
할아버지, 빨리 회복하셔서 다음에는 할머니와 함께 놀러 상대 높임 •종결 어미 ‘-습니다’, ‘-다’, ‘-(으)십시오’,
오세요. ㉤ 이번 시험이 끝나면 부모님과 함께 주말에 꼭 뵈 ‘-(아/어)라’ 등을 사용
러 갈게요.
•서술의 주체, 즉 문장의 주어를 높임.
•선어말 어미 ‘-(으)시-’ 결합
①㉠ ②㉡ ③㉢ ④㉣ ⑤㉤ 주체 높임
•주격 조사 ‘께서’ 사용
•특수 어휘 ‘계시다’, ‘주무시다’ 등 사용
•서술의 객체, 즉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를
높임.
객체 높임
•부사격 조사 ‘께’ 사용
•특수 어휘 ‘드리다’, ‘뵙다’ 등 사용
[보기]

㉠ 채윤아, 할아버지께 물 좀 갖다 드려라.


㉡ ‌선생님, 어제 부모님께서 할머니를 모시고 여행을
17

DAY
H06 
2018(6월)/고1교육청 15
가자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


[보기]
객체 높임은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① ㉠은 종결 어미 ‘-어라’를 사용하여 대화 상대인 ‘채윤’
곧 객체에 대한 높임의 태도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객체 을 낮추고 있다.
높임은 주로 ‘모시다, 여쭙다’ 등 높임의 의미가 있는 특수 ② ㉠은 부사격 조사 ‘께’를 사용하여 서술의 객체인 ‘할아버
어휘에 의해 실현되거나 부사격 조사 ‘께’를 통해 실현되기
지’를 높이고 있다.
도 한다.
③ ㉡은 특수 어휘 ‘말씀’을 사용하여 서술의 객체인 ‘할머니’
를 높이고 있다.
① 선생님께서는 댁에 계십니다.
④ ㉡은 종결 어미 ‘-습니다’를 사용하여 대화 상대인 ‘선생
② 형은 어머니께 그 책을 드렸다.
님’을 높이고 있다.
③ 할아버지께서는 눈이 밝으십니다.
⑤ ㉡은 주격 조사 ‘께서’와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하여
④ 할머니, 아버지가 지금 막 도착했어요.
서술의 주체인 ‘부모님’을 높이고 있다. 
⑤ 윤우야, 선생님께서 빨리 교무실로 오라고 하셔.

❖ 정답 및 해설 79~81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5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1 2020. 11. 26. 오전 10:01


H08 
2019(3월)/고1교육청 15 H09 
2020(6월)/고1교육청 15

<보기>의 [A]~[C]에 들어갈 예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보기>의 ‘학습 활동’을 수행한 결과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보기]

•‌ㄱ~ㄷ은 높임 표현이 사용된 문장들이다. 아래의 순서 [학습 활동]


도에 따라 ㄱ~ㄷ을 분류해 보자. 다음 담화 상황에 등장하는 ㉠, ㉡이 달라질 때, 언어 예
절에 적합한 높임 표현을 사용해 보자.

ㄱ. 나는 할아버지께 선물을 드렸다.


[담화 상황]
ㄴ. 할아버지께서 지금 우리 집에 계신다.
(내가 철수에게)
ㄷ. 어머니께서는 할아버지를 모시고 집에 가셨다.
“어제 ㉠ 영희가 ㉡ 경희에게 선물을 주는 것을 보았어.”
⇩ ※ 말하는 사람인 ‘나’와 철수, 영희, 경희는 서로 대등한 관계임.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인 아니오


 [A]
주체를 높이는가? ① ㉠이 높임의 대상인 ‘선생님’으로 바뀌면 조사 ‘가’를 ‘께
서’로 고쳐 말해야 한다.
예
② ㉠이 높임의 대상인 ‘선생님’으로 바뀌면 조사 ‘에게’를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 ‘께’로 고쳐 말해야 한다.
가 나타내는 대상인 객 아니오
 [B]
체를 높이는가? ③ ㉡이 높임의 대상인 ‘선생님’으로 바뀌면 ‘주는’을 ‘주시는’
으로 고쳐 말해야 한다.
예
④ ㉡이 높임의 대상인 ‘선생님’으로 바뀌면 ‘보았어’를 ‘보셨
[C] 어’로 고쳐 말해야 한다.
⑤ ㉡이 높임의 대상인 ‘선생님’으로 바뀌면 ‘보았어’를 ‘보았
습니다’로 고쳐 말해야 한다.

[A] [B] [C]

① ㄱ ㄴ ㄷ
② ㄱ ㄷ ㄴ
③ ㄴ ㄱ ㄷ
④ ㄴ ㄷ ㄱ
⑤ ㄷ ㄴ ㄱ

15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2 2020. 11. 26. 오전 10:01


[ H10~ 11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H10 
2018(9월)/고1교육청 11

‘I like you.’를 번역할 때, 듣는 이가 친구라면 ‘난 널 좋아해.’ 다음 문장 중 ㉠의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라고 하겠지만, 할머니라면 ‘저는 할머니를 좋아해요.’라고 할 ① 아버지께서 요리를 하셨다.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말은 상대에 따라 높임 표현이 달리 실 ② 교수님께서는 책이 많으시다.
현되기 때문이다. ③ 어머니께서 음악회에 가셨다.
‘높임 표현’이란 말하는 이가 어떤 대상을 높이거나 낮추는 ④ 선생님께서 우리의 이름을 부르신다.
정도를 구별하여 표현하는 방법을 말한다. 국어에서 높임 표현 ⑤ 할아버지께서는 마을 이장이 되셨다.
은 높임의 대상에 따라 주체 높임, 상대 높임, 객체 높임으로
나누어진다.
주체 높임은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주체 높임을 H11 
2018(9월)/고1교육청 12

실현하기 위해 선어말 어미 ‘-(으)시-’를 사용하며, 주격 조사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 ~ ⓔ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
은 것은? [3점]
‘이/가’ 대신에 ‘께서’를 쓰기도 한다. 그 밖에 ‘계시다’, ‘주무시
[보기]
다’ 등과 같은 특수 어휘를 사용하여 높임을 드러내기도 한다.
(복도에서 친구와 만난 상황)
그리고 주체 높임에는 직접 높임과 간접 높임이 있다. 직접 높
성호: 지수야, ⓐ 선생님께서 발표 자료 가져오라고 하셨어.
임은 높임의 대상인 주체를 직접 높이는 것이고, ㉠ 간접 높임 지수: 지금 바빠서 ⓑ 선생님께 자료 드리기 어려운데, 네
은 높임의 대상인 주체의 신체 일부, 소유물, 가족 등을 높임으 가 가져다 드리면 안 될까?
로써 주체를 간접적으로 높이는 것이다. 성호: ⓒ 네가 선생님을 직접 뵙고, 자료를 드리는 게 좋을
상대 높임은 말하는 이가 듣는 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말하는 것 같아.
방법이다. 상대 높임은 주로 종결 표현을 통해 실현되는데, 아 지수: 알았어.
17

DAY
래와 같이 크게 격식체와 비격식체로 나뉜다.
(교무실로 선생님을 찾아간 상황)
하십시오체  합니다, 합니까? 등
선생님: 지수야, 이번 수업 시간에 발표해야지? 발표 자료
하오체  하오, 하오? 등 가져왔니?
격식체
하게체  하네, 하는가? 등 지수: 여기 있어요. ⓓ 열심히 준비했어요.
해라체  한다, 하냐? 등 선생님: 그래, 준비한 대로 발표 잘 하렴.
해요체  해요, 해요? 등
비격식체
해체  해, 해? 등 (수업 중 발표 상황)
지수: ⓔ 이상으로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격식체는 격식을 차리는 자리나 공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
성호: 궁금한 점이 있는데, 질문해도 되겠습니까?
하며, 비격식체는 격식을 덜 차리는 자리나 사적인 상황에서 주
로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대상이라도 공식적인 자리인
① ⓐ: 조사 ‘께서’와 선어말 어미 ‘-시-’를 사용하여 서술의
지 사적인 자리인지에 따라 높임 표현이 달리 실현되기도 한다.
주체인 선생님을 높이고 있군.
객체 높임은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의 ② ⓑ: 조사 ‘께’와 특수 어휘 ‘드리다’를 사용하여 서술의 객
객체를 높이는 방법이다. 객체 높임은 ‘모시다’, ‘여쭈다’ 등과 체인 선생님을 높이고 있군.
같은 특수 어휘를 통해 실현되며, 부사격 조사 ‘에게’ 대신 ‘께’ ③ ⓒ: 특수 어휘 ‘뵙다’를 사용하여 서술의 주체인 선생님을
를 사용하기도 한다. 높이고 있군.
 ④ ⓓ: 듣는 사람인 선생님을 높이기 위해 ‘준비했어요’라는
종결 표현을 사용하고 있군.
⑤ ⓔ: 수업 중 발표하는 공식적인 상황이므로 ‘마치겠습니
다’라고 격식체를 사용하고 있군. 

❖ 정답 및 해설 81~83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5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3 2020. 11. 26. 오전 10:01


H12 
2019(11월)/고1교육청 13 개념 28 시간 표현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에서 사용된 높임의 양상을 바르게
발화시와 사건시<발화시 - 과거
분석한 것은? [2점]
사건시를 사건시=발화시 - 현재
[보기 1] 기준으로 사건시>발화시 - 미래

주체 높임법은 서술의 주체에 해당하는 문장의 주어를


높이는 방법이고, 객체 높임법은 서술의 객체에 해당하는 동작의 진행상
진행 여부 완료상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을 높이는 방법이다. 이
러한 높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선어말 어미, 조사, 특수
어휘를 사용한다.

[보기 2] H14 
2020(9월)/고1교육청 14

어머니께서는 할머니를 모시고 공원에 가셨다. 밑줄 친 부분에 주목하여 <보기>의 ㄱ~ㅁ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
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주체 높임법 객체 높임법
[보기]

선어말 어미 조사 특수 어휘 조사 특수 어휘 ㄱ. 그는 어제 고향을 떠났다.


ㄴ. 지난겨울에는 정말 춥더라.
①  ×   
ㄷ. 친구와 함께 본 영화는 재미있었다.
②   ×  ×
ㄹ. 작년만 해도 이곳에는 나무가 적었었다.
③   × × 
ㅁ. 축제 준비를 하려면 오늘 밤 잠은 다 잤네.
④ × ×  × 
⑤ ×  ×  ×
① ㄱ을 보니, 시간 부사어를 사용하여 과거를 나타내고 있군.
② ㄴ을 보니, 선어말 어미 ‘-더-’를 사용하여 과거의 경험
을 회상하고 있군.
H13 
2020(6월)/고2교육청 14 ③ ㄷ을 보니, 동사는 관형사형 어미 ‘-(으)ㄴ’을 사용하여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의 높임 표현을 바르게 분석한 것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타내는군.
은? [2점] ④ ㄹ을 보니, 선어말 어미 ‘-었었-’을 사용하여 현재까지
[보기 1] 지속되는 과거의 상황을 나타내는군.
우리말의 높임법은 주어가 나타내는 대상을 높이는 주 ⑤ ㅁ을 보니, 선어말 어미 ‘-았-’이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
체 높임, 목적어나 부사어가 나타내는 대상을 높이는 객체 타내지 않기도 하는군.
높임, 청자를 높이거나 낮추는 상대 높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높임법은 조사, 특수 어휘, 선어말 어미, 종
결 어미 등에 의해 실현된다. H15 
2017(6월)/고1교육청 12

<보기>의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2]
[보기]
영희야, 아버지께서는 할머니를 모시고 먼저 나가셨어.
미래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겠-’은 용언의 어간
에 붙어 화자의 추측이나 ⓐ 의지, 가능성의 의미로 쓰인다.
주체 높임 객체 높임 상대 높임
①   높임
① 나는 이번 시험에 합격하고야 말겠다.
②   낮춤
② 그렇게 쉬운 것은 삼척동자도 알겠다.
③  × 높임
③ 이 많은 일을 어떻게 혼자 다 하겠니?
④ ×  낮춤
④ 오늘 눈이 많이 와서 길이 미끄럽겠다.
⑤ × × 높임
⑤ 지금 떠나면 내일 새벽에 도착하겠구나.

15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4 2020. 11. 26. 오전 10:01


H16 
예상 문제
※ ‌다음의 장면들로 문장을 만들어 현대 국어의 시제
다음 중 ‘-겠-’의 쓰임이 다른 것은? [2점]
를 탐구해 보자. 이때 발화자는 ‘나’이며 ⓐ, ⓑ, ⓒ
① 나는 그 책을 사겠어. 장면의 인물도 발화자와 동일하다.
② 저는 이 일에서 빠지겠습니다.
③ 내가 그 사람을 만나러 가겠다. 시간의 흐름
④ 제가 이 음식을 먹어 보겠습니다.

⑤ 내일은 하루 종일 비가 내리겠습니다.

H17 

2017(11월)/고2교육청 14

다음은 현대 국어의 시제에 대한 탐구 활동지의 일부이다. 다음 글을


바탕으로 할 때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시제란 발화시를 기준으로 사건시의 선후 관계에 따라 ⓒ


과거, 현재, 미래를 구분하는 문법 범주를 가리킨다. 이때
발화시는 말하는 시점을, 사건시는 사건이 일어나는 시점
을 말한다.
탐구 내용:         ㉮       
과거 시제는 일반적으로 사건시가 발화시에 선행하는
시간 표현으로 규정되는데, 선어말 어미 ‘-았-/-었-’과
17

DAY
관형사형 어미 ‘-(으)ㄴ’ 등을 통해 실현된다. 그리고 ‘어 ① ⓐ에서 발화시와 사건시가 동일하다면, 선어말 어미 ‘-
제’, ‘옛날’과 같은 시간 부사어와 결합하여 그 의미가 구체 는-’을 사용하여 ‘나는 묘목을 심는다.’와 같이 표현할 수
화되기도 한다. 현재와 단절된 상황이나 먼 과거는 ‘-았 있다.
었-/-었었-’을 통해 표현되기도 한다. 과거 시제 선어말
② ⓐ에서 사건시가 발화시 이후인 ⓑ를 나타내고자 한다
어미 중 ‘-더-’는 발화자가 과거에 경험한 일을 회상할 때
면, 선어말 어미 ‘-겠-’을 사용하여 ‘묘목이 자라면 나무
쓰이는데, 주어가 1인칭인 경우 쓰임에 제약이 따르기도
아래에서 잘 수 있겠지.’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한다. ‘-았-/-었-’이 사용되었다고 해도 경우에 따라 사
③ ⓐ를 시간적으로 거리가 먼 ⓒ에서 발화한다면, 선어말
건시가 발화시와 일치하는 현재의 일이나 사건시가 발화
어미 ‘-었었-’을 사용하여 ‘나는 묘목을 심었었지.’와 같
시 이후인 미래의 일을 표시하는 데에도 쓰일 수 있다.
이 표현할 수 있다.
현재 시제는 일반적으로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시간 표현이다. 동사의 경우 선어말 어미 ‘-는-/-ㄴ-’을 ④ ⓒ에서 ⓑ를 회상하여 발화할 때 ‘나는 나무 아래에서 자
통해,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의 경우에는 선어말 어미 없이 더라.’와 같은 표현이 어색한 것은 선어말 어미 ‘-더-’의
현재 시제를 표현한다. 또한 관형사형 어미 ‘-는’, ‘-(으) 사용에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ㄴ’을 통해서도 현재 시제를 표현할 수 있으며, ‘지금’과 같 ⑤ ⓒ에서 발화시보다 사건시가 선행할 때 선어말 어미 ‘-
은 시간 부사어와 결합하여 그 의미가 구체화되기도 한다. 았-’을 사용하여 ‘이제 나무 아래에서 낮잠은 다 잤다.’와
현재 시제가 사용된 표현은 보편적인 사실과 미래에 예정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된 일을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미래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 이후인 시간 표현이다. 이
를 표현하는 선어말 어미로는 보편적으로 ‘-겠-’이 사용
되며, ‘-(으)리-’가 사용되어 예스러운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그리고 관형사형 어미로는 ‘-(으)ㄹ’이 사용된다. 미
래 시제는 ‘내일’과 같은 시간 부사어와 결합하여 의미가
구체화되기도 한다.

❖ 정답 및 해설 83~85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5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5 2020. 11. 26. 오전 10:01


[ H18~ 19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H18 
2020(6월)/고1교육청 11

국어의 시제는 과거, 현재, 미래가 있는데, 이는 발화시와 사 윗글을 읽고 <보기>의 ⓐ ~ ⓒ를 탐구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
은? [3점]
건시라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눈 것이다. 발화시는 말하는 이가
[보기]
말하는 시점을 뜻하고, 사건시는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나는 시
ⓐ 아기가 새근새근 잘 잔다.
점을 가리킨다. 발화시보다 사건시가 앞서면 ‘과거 시제’, 발화
ⓑ 영주는 어제 영화를 한 편 봤다.
시와 사건시가 일치하면 ‘현재 시제’, 발화시보다 사건시가 나 ⓒ 전국적으로 비가 곧 내리겠습니다.
중이면 ‘미래 시제’라고 한다.
시제는 다음과 같이 어미나 시간 부사를 통해 실현된다. ① ⓐ: 발화시보다 사건시가 나중인 시간 표현이 사용되었다.
시제의 ② ⓐ: 관형사형 어미와 선어말 어미를 활용한 시간 표현이
종류
문법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 나타난다.
요소 ③ ⓑ: 발화시와 사건시가 일치하는 시간 표현이 사용되었다.
–­았–­/–­었–­, •동사: ‌–­는–­, 
선어말 ­겠­, ­ ④ ⓑ: 시간 부사와 선어말 어미를 활용한 시간 표현이 나타
–­았었­–, –었었­–, –­ㄴ–­
어미 –(으)리–­ 난다.
­ 더–­
– •형용사: 없음
•동사: ‌–­(으)ㄴ, ⑤ ⓒ: 발화시보다 사건시가 앞선 시간 표현이 사용되었다.
관형사형 •동사: ­–는
–­던 –­(으)ㄹ–
어미 •형용사: –(으)ㄴ
•‌형용사: –­던
시간 부사 어제, 옛날 등 오늘, 지금 등 내일, 곧 등

시간을 표현하는 문법 요소는 항상 특정한 시제만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았‑/‑었‑’은 주로 과거 시제를 표현
하지만, 과거에 이루어진 어떤 상태가 현재까지 지속되는 경우
에 쓰이기도 하고, ㉠ 미래의 상황을 표현하는 경우에 쓰이기
도 한다.

㉮ 찬호는 어려서부터 아빠를 닮았다.

H19
㉯ 네가 지금처럼 공부하면 틀림없이 대학에 붙었다.

2020(6월)/고1교육청 12
㉮는 ‘찬호와 아빠의 닮음’이라는 과거의 상태가 현재까지도
㉠의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한편 ㉯의 ‘붙었다’에서 과거 시제
① 그는 여행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선어말 어미 ‘‑었‑’이 쓰였지만, 발화시에서 볼 때 ‘대학에 붙
② 1919년 3월 1일,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는 일’은 앞으로 벌어질 미래의 사건이다.
③ 봄날 거리에 개나리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④ 학생들이 운동장에서 축구공을 차고 있었다.
⑤ 어린 동생과 싸웠으니 난 이제 어머니께 혼났다.

15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6 2020. 11. 26. 오전 10:01


개념 29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H22 
2016(11월)/고2교육청 13

<보기>를 바탕으로 피동문과 사동문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


능동 주어가 행위를 제힘으로 하는가
- 피동 남에 의해서 행위를 당하는가 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주동 주어가 행위를 스스로 하는가 ⓐ 동생이 언니에게 안겼다.


- 사동 남에게 행위를 하도록 시키는가
㉠ ‌언니가 동생을
안았다. ⓑ 엄마가 언니에게 동생을 안겼다.

㉡ ‌나는 그림을 ⓒ 그림이 나에게 보였다.


H20 
예상 문제 보았다. ⓓ 형이 나에게 그림을 보게 했다.
다음 밑줄 친 동사의 종류가 다른 하나는? [2점]

① 철수가 물을 끓인다. ① ㉠과 ⓐ를 보니 능동문의 주어는 피동문에서 부사어가


②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되는군.
③ 영희가 그 소식을 알렸다. ② ㉡과 ⓒ를 보니 능동문의 목적어는 피동문에서도 목적어
④ 개그맨이 사람들을 웃긴다. 가 되는군.
⑤ 어머니가 아이에게 밥을 먹인다. ③ ㉡과 ⓓ를 보니 주동문이 사동문으로 바뀌면 새로운 주
어가 나타나는군.
④ ⓐ와 ⓑ를 보니 피동사와 사동사의 형태가 같을 수 있군.
⑤ ⓑ와 ⓓ를 보니 사동사나 ‘-게 하다’를 활용하여 사동문
을 만들 수 있군.

17

DAY
H21 
2013(6월)/고1교육청 15 H23 
2018(11월)/고2교육청 14

<보기>의 설명을 참고할 때 ‘피동 표현’의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다음 ㉠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주동문 사동문
피동 표현은 주체가 남에 의해 어떤 동작을 당하는 것을
㉠ 철수가 집에 가다. 내가 철수를 집에 가게 하다.
나타낸 표현이다. 예를 들어 ‘토끼가 호랑이에게 잡혔다.’라
㉡ 동생이 밥을 먹다. 누나가 동생에게 밥을 먹이다.
는 문장은 주체가 스스로 한 행동이 아니라 남에 의해 ‘잡
는’ 동작을 당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으므로 피동 표현이다. *이삿짐이 방으로 옮다.
㉢ 인부들이 이삿짐을 방으로 옮기다.
(‘*’는 비문임을 나타냄.)

① 밧줄을 세게 당기다.
① ㉠의 주동문은 ㉡과 달리 사동 접미사를 활용하여 사동
② 동생의 머리를 감기다.
문을 만들 수 없다.
③ 아이에게 밥을 먹이다.
② ㉢의 사동문에서 사동 접미사 대신 ‘-게 하다’를 활용할
④ 후배가 선배를 놀리다.
경우 어색한 문장이 된다.
⑤ 태풍에 건물이 흔들리다.
③ ㉠과 ㉡은 모두 주동문의 주어가 사동문의 목적어로 바
뀐 경우이다.
④ ㉠과 ㉡은 모두 주동문이 사동문이 될 때, 사동문에는 새
로운 주어가 생겼다.
⑤ ㉠, ㉡과 달리 ㉢은 사동문에 대응하는 주동문이 없는 경
우이다.

❖ 정답 및 해설 85~87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5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7 2020. 11. 26. 오전 10:01


H24 
2019(11월)/고1교육청 14 H26 
예상 문제

<보기>는 수업 장면의 일부이다.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 다음 직접 인용문을 간접 인용문으로 바꾸어 쓰시오. [2점]
은? [2점]
[보기] 누나가 나에게 “우편물이 곧 도착하겠다.”라고 말했다.
선생님: 주어가 스스로 행동하지 않고 다른 주체에 의해 어
떤 동작을 당하거나 영향을 받는 것을 피동이라고 합니다.  
피동문을 만들 때는 능동사의 어근에 피동 접미사 ‘-
이-, -히-, -리-, -기-’를 붙여서 짧은 피동을 만들거
나, ‘-아/-어지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여 긴 피동을 만
듭니다. 그런데 ㉠ 일부 능동사의 어근에는 피동 접미사
가 결합하지 못하여 짧은 피동을 만들 수 없는 경우도 있
습니다.

① 물고기가 낚싯줄을 끊었다.


② 경민이가 아기의 볼을 만졌다.
③ 민수가 동생의 이름을 불렀다.

H27
④ 다람쥐가 도토리를 땅에 묻었다. 
2015(3월)/고1교육청 13
⑤ 요리사가 음식을 접시에 담았다.
<보기>의 ㄱ~ㄷ을 통해 부정 표현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
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ㄱ. 나팔꽃이 안 예쁘다.
ㄴ. 그는 다리를 다쳐 축구를 못 한다.
개념 30 부정 표현 ㄷ. 고래는 어류가 아니다.

‘안’ 부정문
부정 짧은 부정문
표현의 ‘못’ 부정문
길이에 ① ㄱ에서 ‘안’을 ‘못’으로 바꾸면 어색한 문장이 된다.
따라 긴 부정문
종류 ② ㄱ에서 ‘안’은 ‘예쁘다’라는 상태를 부정하기 위해 사용되
‘말다’ 부정문

었다.
개념 31 인용 표현 ③ ㄴ에서 ‘못’은 축구를 하고자 하는 ‘그’의 의지를 부정하고
인용 직접 인용
있다.
표현의
간접 인용 ④ ㄴ에서 ‘못 한다’는 ‘하지 못한다’로 바꾸어도 어법상 문제가
종류
없다.
⑤ ㄷ에서 ‘아니다’는 ‘고래’가 ‘어류’라는 것을 부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H25 
예상 문제

다음 문장을 ‘너는’을 주어로 하는 명령문으로 바꾸시오. [2점]

나는 그를 만나지 않았다.

 

15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8 2020. 11. 26. 오전 10:02


H28 
2020(3월)/고1교육청 12 1등급 킬러 문제
<보기>의 ㉠과 ㉡이 모두 적용된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부정 표현이란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표현을 말한다. 부 H30 


2018(3월)/고2교육청 13

정 표현은 부사인 ‘안’과 ‘못’을 사용해서 짧게 표현할 수도 <보기>의 ㉠과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있고, ㉠ ‘-지 아니하다’와 ‘-지 못하다’ 등을 사용해서 길 [보기]
게 표현할 수도 있다. 부정 표현은 능력을 부정하거나 의 피동문은 서술어가 형성되는 방법에 따라서, ‘파생적 피
지를 부정하는 것 이외에 ㉡ 단순히 사실이나 상태를 부정 동문’과 ‘통사적 피동문’으로 나뉜다. 파생적 피동문은 능
하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동사 어간을 어근으로 하여 파생 접사 ‘-이-, -히-, -
리-, -기-’가 붙어 만들어진 피동사를 서술어로 하는 문
① 우리가 묵은 방은 두 평이 채 못 된다. 장이다. 한편 통사적 피동문은 서술어로 쓰이는 타동사의
② 나는 저녁을 먹으려고 간식을 안 먹었다. 어간에 ‘-아/어지다’ 등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③ 그는 용기가 없어서 발표를 잘하지 못했다. 그런데 동사의 성격에 따라서는 ㉠ 피동사로 파생되지
④ 다행히 소풍을 가는 날 비가 내리지 않았다. 않는 동사도 있다. 또 ㉡ 능동문의 서술어로 쓰인 동사의
⑤ 동생은 숙제를 한다며 놀이터에 나가지 않았다. 피동사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파생적 피동문으로 바꿀
수 없는 문장도 있다.

㉠ ㉡
① 주다 고양이가 쥐를 잡았다.
H29 
2022(수능)예시문항 38 ② 먹다 사람들이 열심히 풀을 뽑았다.
<보기>의 ㉠에 들어갈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③ 돕다 동생이 부모님께 칭찬을 들었다.
17

DAY
[보기] ④ 만나다 학생들이 벽화를 멋지게 그렸다.
선생님: 우리는 지난 시간에 부정 부사를 사용하는 짧은 부 ⑤ 나누다 누나가 일부러 문을 세게 닫았다.

정문과 보조 용언을 사용하는 긴 부정문에 대해 배웠어요.


그리고 ‘못’ 부정문은 능력 부정을 나타낸다는 것도 기억
하죠? 그런데 ‘안’ 부정문은 의지 부정을 나타내기도 하
고, 주체의 의지와 무관하게 긍정문을 단순히 부정하는
단순 부정을 나타낼 수도 있어요. 오늘은 제시된 조건에
맞게 부정문을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해 보겠어요.

조건 부정문

짧은 부정문,
 동생은 발을 다쳐 등산을 못 갔다.
능력 부정
긴 부정문,
 ㉠
단순 부정

① 올해는 장마철에도 비가 많이 안 왔다.


② 환기를 하기 위해 창문을 닫지 않았다.
③ 심한 어지럼증으로 몸을 잘 가누지 못했다.
④ 나무가 많아 여기는 낮에도 볕이 잘 들지 않는다.
⑤ 충치 때문에 탄산음료는 당분간 못 마시게 되었다.

❖ 정답 및 해설 87~89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5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59 2020. 11. 26. 오전 10:02


[ H31~ 32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H31 
2018(11월)/고1교육청 13

담화 상황에서 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명확하게 전달하고 청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자와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대상과 상황에 맞게
ㄱ. ‌(회장이 학급 친구들에게) 지금부터 학급 회의를 시작
문법 요소를 활용해야 한다. 이러한 문법 요소에는 높임 표현,
하겠습니다.
피동 표현 등이 있다.
ㄴ. (언니가 동생에게) 나는 지난주에 할머니를 뵙고 왔어.
높임 표현은 화자가 대상의 높고 낮은 정도를 언어적으로 구
ㄷ. (형이 동생에게) 할아버지께서는 지금 어디 계시니?
별하는 것이다. 이는 화자가 높이려는 대상이 누구인지에 따 ㄹ. (학생이 선생님에게) 선생님의 옷이 멋지십니다.
라 주체 높임, 객체 높임, 상대 높임으로 구분된다. 주체 높임 ㅁ. (아들이 어머니에게) 아버지께 다녀왔어요.
은 서술어의 주체를 높이는 방식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서술어
에 선어말 어미 ‘-(으)시-’가 붙어서 실현되며, ‘주무시다, 잡 ① ㄱ: ‘회장’은 공적인 상황에서 종결 어미를 사용하여 상대
수시다’와 같은 특수한 어휘나 조사 ‘께서’로 실현되기도 한다. 인 ‘학급 친구들’을 높이고 있다.
주체 높임에는 높임의 대상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방식과 높이 ② ㄴ: ‘언니’는 특수한 어휘를 사용하여 객체인 ‘할머니’를

려는 대상의 신체 일부분, 소유물, 생각 등과 관련된 서술어에 높이고 있다.


③ ㄷ: ‘형’은 조사와 선어말 어미를 사용하여 주체인 ‘할아
‘-(으)시-’를 사용해 높임의 대상을 간접적으로 높이는 방식이
버지’를 높이고 있다.
있다. 객체 높임은 목적어나 부사어가 지시하는 대상, 즉 서술
④ ㄹ: ‘학생’은 선어말 어미를 사용하여 ‘선생님’을 간접적으
어의 객체를 높이는 방식이다. 이는 보통 ‘드리다, 모시다’와 같
로 높이고 있다.
은 특수한 어휘나 조사 ‘께’로 실현된다. 상대 높임은 청자를 높
⑤ ㅁ: ‘아들’은 조사를 사용하여 객체인 ‘아버지’를 높이고 있다.
이거나 낮추는 방식이다. 상대 높임은 종결 어미를 통해 실현
되는데 하십시오체, 하오체, 하게체, 해라체와 같은 격식체와
해요체, 해체와 같은 비격식체로 나뉜다. 보통 공적인 상황에 H32 
2018(11월)/고1교육청 14

서 예의를 갖추며 상대를 높일 때에는 격식체의 하십시오체를 [A]를 바탕으로 <보기>의 ㉠ ~ ㉤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사용하고, 사적인 상황에서 친밀감을 드러내며 높일 때에는 비
[보기]
격식체의 해요체를 사용한다.
학생 1: 어제 유기견 보호 센터에서 한 봉사활동은 어땠어?
한편 피동 표현은 주어가 다른 주체에 의해 동작이나 행
학생 2: 응, 좋았어. 강아지들과 놀아 주고 산책도 했어. 그
위를 당하는 것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주어가 동
리고 친구들의 마음이 ㉠ 담긴 성금도 전달했지.
작이나 행위를 제힘으로 함을 표현하는 것은 능동 표현이라 학생 1: ㉡ 버려지는 강아지들이 ㉢ 구조되는 데 성금이 ㉣ 쓰
고 한다. 그런데 능동 표현을 피동 표현으로 바꾸거나 피동 인다고 해서 나도 모금에 동참했어.
표현을 능동 표현으로 바꾸면 문장 성분에 변화가 일어난다. 학생 2: 아, 그래? 유기견 보호 행사가 다음 주에 ㉤ 열린다

피동 표현은 능동의 동사에 피동 접미사 ‘-이-’, ‘-히-’, ‘- 는데 너도 같이 갈래?

리-’, ‘-기-’가 붙거나, 동사의 어간에 ‘-어/아지다’, ‘-게 되 학생 1: 응. 좋아.

다’ 등이 붙어서 실현된다. 그리고 일부 명사 뒤에 ‘-되다’가


[A] ① ㉠은 능동의 동사에 피동 접미사 ‘-기-’가 결합하여 실현
결합하여 실현되기도 한다. 피동 표현이 실현되면 동작이나
된 피동 표현이다.
행위를 당하는 대상이 주어로 나타나므로 동작이나 행위를
② ㉡은 피동 접미사 ‘-리-’가 쓰인 동사의 어간에 ‘-어지
당한 대상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그런데 간혹 피동 표현
다’가 중복해서 결합한 이중 피동 표현이다.
을 만드는 요소를 중복으로 결합하여 이중 피동 표현을 사용
③ ㉢은 명사 뒤에 ‘-되다’가 결합하여 주어가 행위를 당하
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잘못된 표현이 되어 화자 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어렵고 상대방과의 원활한 ④ ㉣은 ‘쓴다고’와 같이 능동 표현으로 바뀔 경우 ㉣의 주어
의사소통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동 표현의 쓰임새를 가 목적어로 바뀐다.
정확하게 이해하여 피동 표현을 사용하는 일은 중요하다. ⑤ ㉤은 행사를 여는 주체보다 ‘유기견 보호 행사’가 강조되
 는 효과가 드러나는 피동 표현이다. 

16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0 2020. 11. 26. 오전 10:02


H33 
2020(3월)/고2교육청 15 H34 
2017(3월)/고1교육청 14

<보기>의 주동문 ㉠ ~ ㉢을 탐구 과정에 따라 분류하고자 한다. ⓐ ~ ⓔ 중 <보기>의 ㉠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2점]


A ~ C에 해당하는 사례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높임 표현에는 말하는 이가 듣는 이에 대하여 높이거나
사동문은 주어가 다른 대상을 동작하게 하거나 특정한 낮추어 말하는 상대 높임, 서술의 주체를 높이는 주체 높
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문장을 가리킨다. 파생적 사동문은 임, 목적어나 부사어가 나타내는 대상, 즉 서술의 객체를
주동문의 서술어로 쓰인 용언의 어간을 어근으로 삼아 사 높이는 ㉠ 객체 높임이 있다.
동 접미사가 붙어 이루어진 문장이며, 통사적 사동문은 주
동문의 서술어로 쓰인 용언의 어간에 ‘-게 하다’가 붙어서
이루어진 문장이다. 선생님: 지은아, 방학은 잘 보냈니?
지은: 네. 제 용돈으로 할머니께 ⓐ 드릴 선물을 사서 할머
[주동문] 니 댁에 다녀왔어요.
㉠ 물통에 물이 가득 찼다. 선생님: 기특하다. 할머니를 ⓑ 뵙고 왔구나. 가서 무엇을 했
㉡ 그는 한여름에 더위를 먹었다. 니?
㉢ 아이가 방바닥에 흩어진 구슬을 모았다. 지은: 아버지께서 할머니를 ⓒ 모시고 병원에 가신 사이에

[탐구 과정] 저는 ⓓ 큰아버지께 인사를 드리고 왔어요.


선생님: 저런, 할머니께서 ⓔ 편찮으셨나 보다.
사동문으로 바꿀 수 있는가?
예 아니오 ①ⓐ ②ⓑ ③ⓒ ④ⓓ ⑤ ⓔ
파생적 사동문으로 바꿀 수 있는가? [ A ]

예 아니오

17

DAY
[ B ] [ C ]

A B C A B C
① ㉠ ㉡ ㉢ ② ㉡ ㉠ ㉢
③ ㉡ ㉢ ㉠ ④ ㉢ ㉠ ㉡
⑤ ㉢ ㉡ ㉠

❖ 정답 및 해설 90~92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6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1 2020. 11. 26. 오전 10:03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32 정확한 문장 표현
1 문장 성분 갖춰 쓰기
1. 주어가 생략된 문장
 본격적인
‌ 공사가 언제 시작하고, 언제 개통될지 모른다. ⇨ 본격적인 공사가 언제 시작하고, 도로가 언제 개통될지 모른다. 참고

: ‘공사가’는 뒷절의 주어가 될 수 없으므로, 뒷절에 주어인 ‘도로가’가 들어가야 한다.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2. 목적어가 생략된 문장 부사어는 특정한 서술어의 제약이


따르는 것이 많다. 예를 들어 부
 사람은
‌ 남에게 속기도 하고 속이기도 한다. ⇨ 사람은 남에게 속기도 하고 남을 속이기도 한다.
사 ‘모름지기’는 서술어 ‘~해야 한
: ‘속이다’에 해당하는 목적어가 없으므로, 목적어인 ‘남을’이 들어가야 한다. 다’와 호응한다. 이와 같은 예를 더
3. 부사어가 생략된 문장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록 -ㄹ지라도 [-라도, -지만, 
 ‌‌신은 인간을 사랑하기도 하지만 시련을 주기도 한다. ⇨ 신은 인간을 사랑하기도 하지만 인간에게 시련을 주기도 한다.
-어도]
: ‘주다’는 세 자리 서술어이므로, 필수적 부사어인 ‘인간에게’가 들어가야 한다. •결코 -지 않겠다 [아니다]
•하물며 -랴 [-ㄴ가]
•여간 -않다
2 문장 성분 간의 호응 •차마 -없다
1.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 ‌‌너희가 기억할 것은 좋은 지도자는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않는다. 
⇨ 너희가 기억할 것은 좋은 지도자는 실패하더라도 좌절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문장 전체의 주어인 ‘(너희가 기억할) 것은’과 호응하는 서술어인 ‘것이다’가 들어가야 한다.
2. 목적어와 서술어의 호응
개념+
 동생은
‌ 평소에 건강을 위해 야구와 공을 찬다. ⇨ 동생은 평소에 건강을 위해 야구를 하고 공을 찬다.
: 목적어 ‘야구’에 해당하는 서술어가 없으므로 ‘야구를 하고’로 고쳐야 한다. ★★의미상 중복된 표현 고쳐쓰기
① ‌그의 장점은 경기 흐름을 잘 읽
3. 부사어와 서술어의 호응
고, 다른 선수들에게 공을 잘
‌‌‌이것은 비단 우리 학교만의 문제였던 것이다. ⇨ 이것은 비단 우리 학교만의 문제가 아니었던 것이다. 보내 준다는 것이 장점이다.
: 부사어 ‘비단’은 부정의 의미를 띤 서술어와 호응하므로 ‘문제가 아니었던 것이다’로 고쳐야 한다. → ‌주어와 서술어가 중복되고 있
나는 반드시 네 말에 동의할 수 없어. ⇨ 나는 절대로 네 말에 동의할 수 없어. 으므로 ‘그의 장점은 경기 흐름
: ‘반드시’는 ‘틀림없이’, ‘꼭’이라는 당위적 표현을 나타낼 때 쓰므로, 부정 표현이 따르는 ‘절대로’로 고쳐야 한다. 을 잘 읽고, 다른 선수들에게
공을 잘 보내 준다는 것이다.
4. 조사와 서술어의 호응
② ‌방학 기간 동안 축구를 실컷
‌‌‌우리 모두 쓰레기 줄이기 운동을 동참합시다. ⇨ 우리 모두 쓰레기 줄이기 운동에 동참합시다. 했다.
: 서술어인 ‘동참합시다’가 요구하는 부사어에 정확한 조사를 사용해야 하므로, ‘운동에’로 고쳐야 한다. → ‌‘기간’과 ‘동안’이 의미상 중복되
고 있으므로 ‘방학 동안 축구를
실컷 했다.’로 고쳐야 한다.
3 중의적인 표현
꾸미는 말의 범위 때문에 생김. - 예쁜 영희의 동생을 만났다.
수식의 범위 → 반점( , ) 사용 - 예쁜 영희의, 동생을 만났다.
→ 순서 바꾸기 - 영희의 예쁜 동생을 만났다.
주어나 목적어가 명확하지 않아서 생김. - 철수가 보고 싶은 친구가 많다.
주어와 목적어의 개념+
→ 보조사 ‘은/는’ 사용 - 철수는 보고 싶은 친구가 많다.
범위 ★★어휘적 중의성
→ 내용 보충 - 철수를 보고 싶어 하는 친구가 많다.
비교 대상이 명확하지 않아서 생김. -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나를 더 사랑한다. 어휘적 중의성은 문장에 사용되는
비교 대상 어휘의 특성에 따라 문장이 중의
→ 내용 보충 - 어머니는 아버지가 나를 사랑하는 것보다 더 나를 사랑한다.
적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다의어나
접속 조사 ‘와/과’의 연결 관계 때문에 생김. - 나는 사과와 감 두 개를 골랐다. 동음이의어를 통해 실현된다.
접속 조사
→ 내용 보충 - 나는 사과 한 개와 감 한 개를 골랐다.  말이 빠르다. → ‘말’이라는 동
동작의 진행과 진행의 의미인지 완료의 의미인지 명확하지 않아서 생김. - 그는 모자를 쓰고 있다. 음이의어 때문에 ‘사람이 하는
완료 → 내용 보충 - 그는 모자를 쓰고 있는 중이다. 말이 빠른 것’과 ‘동물인 말이
빠른 것’의 두 가지의 의미로
부정이 미치는 범위 때문에 생김. - 학부모가 다 오지 않았다.
부정의 범위 해석될 수 있다.
→ 보조사 ‘은/는’ 사용 - 학부모가 다 오지는 않았다.

16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2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완성 TEST

1 문장 성분 갖춰 쓰기 10 엄마는 아침에 귤과 토마토 두 개를 주었다.


 (,×)
✽ 다음 문장에서 생략된 성분을 찾아 쓰시오.
11 이 그림은 아버지가 그린 그림이다. 
01 도로 공사가 언제부터 시작되고, 언제 개통될지는 불투  (,×)
명하다.
 ( ) 12 그이는 나보다 축구를 더 좋아한다.
 (,×)
02 동물은 사람을 경계하기도 하고 기대기도 한다.
13 그는 넥타이를 매고 있다.
 ( )
 (,×)
03 우리는 법을 지배하기도 하고, 구속받기도 한다.
14 영희는 철수와 결혼을 했다. 
 ( )  (,×)

15 다음 중 중의성을 가진 문장이 아닌 것은?


2 문장 성분 간의 호응
① 나는 그 음식을 다 먹지 않았다.
✽ 다음
‌ 문장들의 문장 성분들이 서로 호응할 수 있도록 밑줄 친 ② 은수는 희영이와 효민이를 놀렸다.
부분을 고치시오.
③ 아름다운 그녀의 목소리가 들렸다.
04 사람은 모름지기 열심히 공부한다. ④ 초대한 친구 중 일부가 오지 않았다.
 →( ) ⑤ 우리 엄마는 나보다 강아지를 더 좋아한다.

05 정원에 핀 꽃이 여간 탐스럽다. 18

DAY
 →( )
16 다음 중 수정 이유에 따라 고쳐 쓴 문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06 아무리 어려워도 결코 물러서겠다.
사례1 ‌사람들은 쾌적한 환경을 위한 조치에 찬성하는 경향이다.
 →( )
이유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맞지 않다.
07 누구나 자기가 처한 현실에 직시해야 한다. → ‌사람들은 쾌적한 환경을 위한 조치에 찬성하는 경향인 것이다.  ①

 →( ) 사례2 그 기차는 사람과 화물을 싣고 부산으로 출발했다.

이유 목적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맞지 않다.


08 우리 집의 장점은 거실이 넓다. → 그 기차는 사람이나 화물을 싣고 부산으로 출발했다.  ②
 →( )
사례3 여름 날씨의 특징은 비가 자주 내린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유 주어와 서술어가 중복되고 있다.


→ 여름 날씨는 비가 자주 내린다는 점이 특징이다.  ③

3 중의적인 표현 사례4 사람을 좋아하는 친구의 고양이가 새끼를 낳았다.

이유 문장의 의미가 중의적이다.


✽ 다음
‌ 중 문장의 의미가 모호하게 해석되면 , 그렇지 않으면 → 사람을 좋아하는 친구의 고양이가, 새끼를 낳았다.  ④
× 표시하시오. 사례5 그는 양말을 벗고 바위에 앉아서 발을 넣었다.

09 아기는 웃으면서 들어오는 엄마에게 달려갔다. 이유 필요한 부사어가 생략되었다.


→ 그는 양말을 빠르게 벗고 바위에 앉아서 발을 넣었다.
 (,×)  ⑤

정답
01 주어 - 도로가 02 부사어–사람에게 03 부사어–법에 04 공부해야 한다 05 탐스럽지 않다 06 물러서지 않겠다 07 현실을 08 넓다는 것이다 09  10 
11 × 12  13  14 × 15 ④ 16 ③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6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3 2020. 11. 26. 오전 10:03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개념 33 담화의 개념과 요건 ★★담화의 기능과 유형


개념+

1 발화와 담화 담화는 발화자의 의도에 따라 크


게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발화: 머릿속의 추상적인 생각이 구체적인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말로 표현된 문장이다.
정보 제공 뉴스, 보고서, 강의,
직접 발화 간접 발화 기능 안내문 등

의미 발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 발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 설득· 연설문, 논설문, 광
호소 기능 고문, 법규문 등
문장의 표면적 의미와 실제 상황에서의 발화 의
사용 문장의 종결 표현과 화자의 의도가 일치함. 계약서, 맹세, 선서,
미가 일치하지 않음. 약속 기능
모습  점심 식사하러 가자. 합의서 등
 벌써 시간이 이렇게 지났네.
인사말, 잡담, 문안
사교 기능
2. 담화: 둘 이상의 발화가 모여 형식적·내용적으로 완결성을 지니는 유기적인 연결체이다. 편지 등
판결문, 주례문, 임
선언 기능
구어 담화 문어 담화 명장, 유언장 등
의미 직접 입으로 주고받는 대화로, 일상적인 말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쓰지 않고 글에서만 쓰이는 말
•‌화제가 빈번하게 교체되며, 덜 체계적이고 군말 •‌비교적 일관된 화제로 구성되며, 체계적이고 군
특징 및 비문법적 표현이 자주 쓰임. 말 사용이 적으며 문법적 표현을 중요시함. 생각 +
•‌표정, 억양, 몸짓 등이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침. •‌표정, 억양 등이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맥락과 담화의 관계
맥락은 담화의 의미를 명확하게
2 담화의 구성 요소 할 뿐만 아니라 담화를 새롭게 해
석하는 데에도 관여한다.
‘화자(필자)’, ‘청자(독자)’, ‘맥락’이 담화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의사소통에는 이러한 여러 요 1시
인데요.
소가 관여하기 때문에 동일한 문장이라도 상황에 따라 발화 의미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발화의
12

지금 9
6
3

몇 시니?
의미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에는 언어적 맥락과 비언어적 맥락이 있다.
언어적 어떤 문장이나 발화가 앞뒤에 놓인 다른 문장이나 발화와 맺고 있는 관계
맥락 언어적 맥락이 충분하면 문장 성분은 자유롭게 생략이 가능함.
담화의 생산과 수용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맥락 늦게 귀가한 자녀에게 시간을 묻
상황 맥락
비언어적 화자, 청자, 주제, 목적, 시간, 장소, 공간적 상황 등과 관련됨. 는 것은 학생으로서 지켜야 할 규
맥락 사회·문화적 특정 사회나 문화에 오랜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맥락 범적 태도와 이를 훈육하려는 어
머니의 신념적 태도가 결합되어
맥락 역사적·사회적 상황, 공동 가치, 신념, 관습, 규범 등과 관련됨.
표현된 것이다. 따라서 담화의 의
미를 해석할 때에는 화자, 청자 사
3 담화의 요건 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담화가 사
회나 공동체와 맺고 있는 관계까
1. 통일성: 내용적 측면에서의 담화의 요건으로, 담화를 이루는 발화나 문장들이 일관된 목적이 지를 포함하여 이해해야 한다.
나 주제 아래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특성이다.
2. 응집성: 형식적 측면에서의 담화의 요건으로, 담화를 이루는 발화나 문장들이 지시, 대용, 접
개념+
속 표현 등을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특성이다. ★★지시 표현과 거리
화자와 청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4 효율적인 담화 표현 요소 지시 표현이 달라진다. 이때 거리
는 공간적, 심리적 거리를 모두 포
1. 지시 표현: 담화 장면을 구성하는 화자, 청자, 시간, 장소, 사물 등의 요소를 가리키는 표현으
함한다.
로, 맥락을 고려하지 않으면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기 어렵다. ‘이, 그, 저’, ‘이것, 그것, 저
대상이 화자로부터 가
것’, ‘여기, 거기, 저기’,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 등의 표현이 사용된다. ‘이’
까운 경우
계열
 (지도를 가리키며) 이곳에 숙소를 잡고 여기로 이동할 거야.  이것은 연필이다.
대상이 청자로부터 가
2. 대용 표현: 앞에서 이미 언급한 내용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대신하여 사용되는 표현이다. 지 ‘그’
까운 경우
계열
시 표현과 유사한 형식인 ‘이, 그, 저’, ‘이것, 그것’, ‘이러하다, 그러하다’ 등이 사용된다.  그 책을 주겠니?
 A: 지진으로 인해 수능이 연기됐다고 하더라. / B: 정말로 그게 사실이야? 대상이 화자와 청자로
‘저’ 부터 모두 먼 경우
3. 접속 표현: 발화와 발화를 이어 주면서 발화 사이의 의미 관계나 기능을 나타내 주는 표현이다.
계열 저
‌ 사람이 누군지
‘그리고, 그래서, 그러나, 왜나하면, 또한’ 등의 접속 부사가 사용된다. 아니?
 우리 동네는 버스가 자주 다니지 않는다. 그래서 버스 시간표를 보고 정류장에 나가는 것이 좋다.

16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4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완성 TEST

1 발화와 담화 10 통일성은 일관된 주제의 담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


는( )적 측면에서의 담화의 요건이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머릿속의 생각이 구체적인 의사소통 상황에서 말로 표 11 다음 글에서 담화의 통일성을 저해하는 문장을 찾아 쓰시오.
현된 문장을 ( )(이)라고 한다.

02 ( )은/는 직접 입으로 주고받는 일상적인 최근 스마트폰의 보편화로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


담화로 표정, 억양, 몸짓 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스(SNS)가 발달하고 있다. 이 덕분에 세계의 여러 나라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소통이 가능한 시대가 열렸다. 미국
03 ( )은/는 발화자가 자신의 의도를 직접적으
사람들은 특히 밤에 잠이 없는 것 같다. 시간과 장소에 구
로 표현하는 발화로, 문장의 ( ) 표현과 화자의
애 받지 않고 자유롭게 생각과 감정을 공유하는 것이 가
의도가 일치한다.
능한 시대가 우리의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2 담화의 구성 요소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4 효율적인 담화 표현 요소

04 화자와 청자는 담화의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12 지시 표현은 화자와 대상의 물리적 거리만을 기준으로
05 같은 발화라고 하더라도 상황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 선택되는 표현이다.
될 수 있다.  (,×)
 (,×) 13 지시 표현은 상황 맥락과 무관하게 고정된 의미로 해석
18

DAY
06 인사말이나 잡담은 호소 기능을 하는 담화이다. 될 수 있다.
 (,×)  (,×)

07 ‘공동의 가치, 신념, 관습, 규범’ 등은 사회·문화적 맥 14 접속 표현은 발화 사이의 의미 관계나 기능을 나타내 주
락에 해당한다.  는 표현이다.
 (,×)  (,×)

08 다음 담화의 유형으로 알맞은 것을 연결하시오. 15 다음 밑줄 친 ㉠~㉤ 중 가리키는 대상이 다른 것을 고르시오.


㉠ 안녕? 오늘 날씨가 좋구나! • •ⓐ 호소 담화
민‌수: 영미야, 너 ㉠ 이 책 읽어 봤니? 어제 ㉡ 이거 읽다가
㉡ 위 학생을 학교 회장으로 임명함. • •ⓑ 선언 담화
그만 밤을 새버렸지 뭐야.
㉢ 유기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 •ⓒ 친교 담화
영‌미: 난 독서 취미 없어. 그런데 ㉢ 그거 표지만 봐도 재
미있어 보이네. 하지만 난 네가 안 읽은 걸 읽어 보고
3 담화의 요건 싶은데.
민‌수: 그럼, 네 옆에 ㉣ 그건 어때? ㉤ 이 책이랑 작가가 같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아서 내용과 스토리 전개가 비슷할 것 같아.
09 담화를 이루는 발화들은 지시, 대용, 접속 표현 등을 통 영미: 오! 재밌겠다. 그럼 나는 이걸로 읽을래.
해 긴밀하게 연결되는 ( )을/를 갖추어야 한다.

정답
01 발화 02 구어 담화 03 직접 발화, 종결 04  05  06 × 07  08 ㉠–ⓒ, ㉡–ⓑ, ㉢–ⓐ 09 응집성 10 내용 11 미국 사람들은 특히 밤에 잠이 없는
것 같다. 12 × 13 × 14  15 ㉣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6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5 2020. 11. 26. 오전 10:03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32 , 개념 33

개념 32 정확한 문장 표현 H37 
2014(11월)/고1교육청 15

<보기>의 ㉠에 들어갈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필요한 문장 성분을 다 갖추고 있는가
고려 [보기]
의미가 중복되는 표현은 없는가
요소
문장 성분 간의 호응이 잘 이루어져 있는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문장을 정확하게
수식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구사해야 한다. “이 옷은 참 잘 어울린다.”는 서술어인 ‘어
주어와 목적어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울린다’가 필요로 하는 부사어가 빠져 의미가 제대로 전달
중의적인 비교 대상의 중의성
표현
병렬 구문의 중의성
되지 않는 문장이다. 이와 같이 문장에 필요한 성분이 빠
(중의성)
동작의 진행과 완료에 따른 중의성 져 있는 또 다른 문장의 예는 다음과 같다.
부정의 범위에 따른 중의성

H35 
예상 문제 ① 내 친구 영수는 얼굴이 닮았다.

밑줄 친 부분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② 그는 하얀색 운동화를 신고 있었다.


③ 기상청에서는 눈이 내릴 것이라고 미리 예고했다.

동작상에는 진행상과 완료상이 있다. 진행상은 주로 연 ④ 저희는 소중한 고객님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결 어미 ‘-고-’ 뒤에 보조 용언 ‘있다’가 이어지면서 실현 ⑤ 그는 절대로 그가 하고 싶은 일을 결국에는 하고야 말았다.
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진행상과 완료상의 두 가지 의미
로 모두 해석되기도 한다.

① 누나가 신발을 신고 있다.


② 형이 아빠 차에 타고 있다.
③ 아빠가 넥타이를 매고 있다. H38 
예상 문제

④ 동생이 빨간 옷을 입고 있다. ㉠~㉣ 중 <보기>에서 제시된 문장과 동일한 종류의 문제점을 가


⑤ 언니가 식탁에서 밥을 먹고 있다. 진 문장을 모두 고른 것은? [2점]
[보기]

새로 산 인형의 옷이 예쁘다.

H36 
㉠ 앞으로는 네가 강아지에게 주어라.
예상 문제
㉡ 우리 집의 특징은 앞마당이 넓다.
다음 문장을 다음과 같이 고쳐 쓴 이유를 구체적으로 쓰시오. [2점] ㉢ 나는 귀여운 친구의 동생을 처음 보았다.
㉣ 우리는 아름다운 그녀의 목소리를 들었다.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동물은 사람을 경계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기대기도 한다. ①㉠ ② ㉠, ㉣ ③ ㉡, ㉢
→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동물은 사람을 경계하기도 하지
④ ㉢, ㉣ ⑤ ㉡, ㉢, ㉣
만 때로는 사람에게 기대기도 한다.

16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6 2020. 11. 26. 오전 10:03


H39 
2015(6월)/고1교육청 15 H41 
2018(6월)/고1교육청 14

<보기>에서 잘못된 문장을 고쳐 쓴 것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다음 문장들을 수정할 때 고려한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2점]
•중의적 문장을 사용한 경우
그녀는 학교에서 되었다.
 나는 형과 누나가 추천한 영화를 보았다. ㉠
↳ 그녀는 학교에서 회장이 되었다.
  → 나는 형과 누나가 추천한 영화를 집에서 보았다.  ㉠
그는 나보다 낚시를 더 좋아한다.
•의미를 중복하여 사용한 경우 ㉡
↳ 그는 내가 낚시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낚시를 좋아한다.
 그 문제는 다시 재론할 필요가 없다.
우리 집의 특징은 앞마당이 넓다.
  → 그 문제는 재론할 필요가 없다.  ㉡ ㉢
↳ 우리 집의 특징은 앞마당이 넓다는 것이다.
•사동 표현이 잘못된 경우
우리는 환경을 개선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 내가 친구 한 명을 소개시켜 줄게. ㉣
↳ 우리는 환경을 개선해야 할 의무가 있다.
  → 내가 친구 한 명을 소개해 줄게.  ㉢
그들은 조용히 정숙을 유지하고 있었다.
•호응 관계가 잘못된 경우 ㉤
↳ 그들은 정숙을 유지하고 있었다.
 내일은 구름과 비가 내리겠습니다.
  → 내일은 구름이 끼고 비가 내리겠습니다.  ㉣ ① ㉠: 서술어가 요구하는 문장 성분인 주어를 추가한다.
•높임 표현이 잘못된 경우 ② ㉡: 문장의 중의성을 해소한다.
 손님께서 주문하신 아메리카노 나오셨습니다. ③ ㉢: 주어와 서술어가 호응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손님께서 주문하신 아메리카노 나왔습니다.  ㉤ ④ ㉣: 불필요한 사동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⑤ ㉤: 의미가 중복되는 어휘를 삭제한다.
①㉠ ②㉡ ③㉢ ④㉣ ⑤ ㉤

H40 18

DAY

2016(6월)/고1교육청 15

<보기>의 ㉠~㉤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H42
 [2점]

2016(9월)/고1교육청 15
[보기]

㉠ 경준이는 손이 크다. <보기>의 ㉠의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 효정이는 구두를 신고 있다. [보기]

㉢ 상호는 아름다운 그녀의 어머니를 만났다. ‘ ㉠ ’처럼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를 중
㉣ 어머니께서 나에게 사과와 귤 두 개를 주셨다. 의적 표현이라 하고, 이런 문장들을 ‘중의문’이라고 한다.
㉤ 지훈이는 웃으면서 들어오는 소민이를 맞이했다. 문장이 중의성을 띠게 되면 정확한 의미 전달에 방해가 되
므로 중의성을 해소하는 것이 좋다.
① ㉠은 ‘손이 크다’의 의미가 신체의 손이 큰지 씀씀이가 큰
지 모호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해석하기 어렵군. ① 그는 그녀와 작년에 결혼을 했다.
② ㉡은 ‘신고 있다’의 의미가 구두를 신는 중인지 구두를 신은 ② 형은 나보다 어머니를 더 좋아한다.
상태인지가 모호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해석하기 어렵군. ③ 나를 보고 싶어 하는 친구들이 많다.
③ ㉢은 ‘아름다운’이 수식하는 대상이 ‘어머니’인지 ‘그녀’인 ④ 그녀는 사과 한 개와 배 두 개를 샀다.
지 모호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해석하기 어렵군. ⑤ 그는 고향의 아름다운 바다를 생각한다.
④ ㉣은 ‘사과’와 ‘귤’의 결합에 따라 ‘사과’와 ‘귤’이 각각 몇
개인지가 모호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해석하기 어렵군.
⑤ ㉤은 ‘웃으면서’의 주체가 ‘지훈이’인지 ‘지훈이와 소민이’
인지가 모호하기 때문에 명확하게 해석하기 어렵군.

❖ 정답 및 해설 92~95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6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7 2020. 11. 26. 오전 10:03


H43 
2015(11월)/고1교육청 13 H44 
2019(9월)/고2교육청 14

다음은 학생의 자기 주도 학습 노트이다. <과제 수행>에 들어갈 수 <보기>의 [자료]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문장의 중의성은 하나의 문장이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중의성은 문장의 통사 구조나 특
<오늘 배운 내용>
정 어휘가 갖는 영향 범위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중의성
•다음의 경우 잘못된 문장이 된다. 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어순을 바꿔 주거나, 문장 부호나
- 문장 성분 간의 호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보조사 ‘은/는’을 사용한다.
- 반드시 필요한 문장 성분이 생략된 경우
- 문장이 중의적으로 해석되는 경우 [자료]
<과제> ㄱ. 친구가 모두 오지 않았다.
•‌다음 문장이 올바르지 못한 이유를 생각해 보고 문장들 ㄴ. 그가 울면서 떠나는 그녀를 안아 주었다.
을 올바른 문장으로 고쳐 보세요. ㄷ. 나는 사랑스러운 그녀의 강아지를 보았다.
ㄱ. 철수는 노래하는 것을 전혀 싫어한다.
① ㄱ은 수량과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함께 사용되어 중의
ㄴ. 이곳의 풍부한 일조량은 키우기에 적합하다.
성이 생겼겠군.
ㄷ. 만약 민수가 아파서 너는 그를 돌봐줘야 한다.
② ㄴ은 행위의 주체가 불분명하여 중의성이 생겼겠군.
ㄹ. 인간은 운명을 개척하기도 하고 순응하기도 한다.
③ ㄷ은 수식을 받는 대상이 불분명하여 중의성이 생겼겠군.
ㅁ. ‌(아버지가 용감한 경우) 용감한 영호의 아버지는 위
④ ㄱ과 ㄴ은 모두 보조사 ‘는’을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중의
기에 처한 사람을 구했다.
성을 해소할 수 있겠군.
<과제 수행> ⑤ ㄴ과 ㄷ은 모두 어순을 바꾸는 방법을 통해 중의성을 해
소할 수 있겠군. 

① ㄱ의 ‘전혀’는 서술어와 호응하지 않으므로 ‘전혀’를 ‘매우’


로 바꿔야 한다.
② ㄴ에는 반드시 필요한 목적어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키우
기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농작물을’과 같은 말을 넣어야
한다.
③ ㄷ의 ‘아파서’는 ‘만약’과 호응하지 않으므로 ‘아프니’로 바
꿔야 한다.
④ ㄹ에는 반드시 필요한 문장 성분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순응하기도’ 앞에 ‘운명에’를 추가해야 한다.
⑤ ㅁ은 수식 관계가 불분명하여 중의적으로 해석되므로 ‘용
감한’을 ‘아버지는’의 앞으로 옮겨야 한다.

16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8 2020. 11. 26. 오전 10:03


[ H45~ 46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미도 될 수 있고, 포수 세 명 각자가 사슴 한 마리씩을 잡았다
는 의미도 될 수 있다.
하나의 언어 표현이 둘 이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현상을 ‘중의
이와 같은 중의적 표현은 광고나 유머 등에서 표현 효과를
성’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⑴~⑶과 같이 세 가지 양상으로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중
나눌 수 있다.
의적 표현은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중의성을 띠지 않
⑴ ㄱ. 손이 크다. 도록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쉼표를 사용하거나, 어순, 단
ㄴ. 차를 사다. 어, 조사 등을 바꾸거나, 단어나 조사를 추가하면 중의성이 해
⑵ ㄱ. 예쁜 민지의 목소리가 들린다. 소될 수 있다.
ㄴ. 나는 철수와 영희를 달랬다.
 작용역: 어떠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범위
ㄷ. 아버지는 어머니보다 강을 더 좋아한다.

⑶ ㄱ. 나는 어제 그녀를 만나지 않았다.
ㄴ. 포수 세 명이 사슴 한 마리를 잡았다. H45 
2019(6월)/고2교육청 11

첫째, ‘어휘적 중의성’은 문장에 사용되는 어휘의 특성에 따 윗글을 읽고 알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2점]

라 문장이 중의적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다의어’나 ‘동음이의 ① 표현 의도에 따라 중의적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어’를 통해서 실현된다. (1ㄱ)은 ‘손’이 ‘신체 부위’나 ‘씀씀이’와 ② 동음이의어에 따른 중의성은 한자어 표기를 병행하여 해
같이 둘 이상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다의어’에 따른 결할 수 있다.
중의성에 해당한다. (1ㄴ)의 ‘차’는 ‘엔진이 달린 탈것[車]’이라는 ③ 둘 이상의 수식어가 하나의 피수식어를 수식할 때 구조

의미로도 해석되고, 녹차나 홍차와 같이 ‘마시는 음료[茶]’로도 적 중의성이 발생한다.

해석된다. 따라서 (1ㄴ)은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동음이의


④ 수량 표현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둘 이상이 되면 작용
역의 중의성이 나타날 수 있다.
어’에 따른 중의성이 나타난 경우에 해당한다.
⑤ 비교 구문에서 특정 부분이 행위의 주체도 될 수 있고 행
18

DAY
둘째, ‘구조적 중의성’은 어떤 문장이 둘 이상의 통사적 관계
위의 대상도 될 수 있을 때 중의성이 발생한다.
를 가진 문장 구조로 분석되어 중의적으로 해석되는 것으로,

H46
‘수식 관계’, ‘접속 구문’, ‘비교 구문’ 등을 통해서 실현된다. (2

2019(6월)/고2교육청 12
ㄱ)은 ‘수식 관계’에 따라 중의성이 생기는 경우로, ‘예쁜’이 ‘민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보기>의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
지’를 수식할 수도 있고 ‘목소리’를 수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중
하지 않은 것은? [2점]
의성이 생긴다. (2ㄴ)은 ‘접속 구문’에 따라 중의성이 생기는 경
[보기]
우이다. 내가 ‘철수와 영희’ 둘 다 달랬다는 의미로도 해석되지
중의적인 문장 해소 방법 고친 문장
만, 내가 철수와 함께 ‘영희’를 달랬다는 의미로도 해석되기 때
길이 없다. 단어 바꾸기 ㉠
문에 중의성이 생긴다. (2ㄷ)은 ‘비교 구문’에 따라 중의성이 생
착한 주희의 동생을 만났다. 어순 바꾸기 ㉡
기는 경우이다. 행위의 주체인 ‘아버지와 어머니’가 강을 놓고
나는 영호와 민주를 보았다. 쉼표의 사용 ㉢
그 선호도를 비교했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고, 아버지가 행위
회원들이 다 오지 않았다. 조사의 추가 ㉣
의 대상인 ‘어머니와 강’을 놓고 그 선호도를 비교했다는 의미
학생들이 컴퓨터 한 대를 사용
로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중의성이 생긴다. 단어의 추가 ㉤
한다.
셋째, ‘작용역*의 중의성’은 하나의 문장에서 나타나는 작용
역이 다르게 해석됨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부정 표현’, ‘수
① ㉠: 도로가 없다.
량 표현’ 등을 통해서 실현된다. (3ㄱ)은 ‘부정 표현’에 따라 중
② ㉡: 주희의 착한 동생을 만났다.
의성이 생기는 경우이다. ‘않았다’가 부정하는 것이 ‘나’인지,
③ ㉢: 나는, 영호와 민주를 보았다.
‘어제’인지, ‘그녀’인지, ‘만나다’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중의적 ④ ㉣: 회원들이 다는 오지 않았다.
표현이 되었다. (3ㄴ)은 ‘수량 표현’에 따라 중의성이 생기는 경 ⑤ ㉤: 모든 학생들이 컴퓨터 한 대를 사용한다.
우이다. 즉, 포수 세 명이 합쳐서 사슴 한 마리를 잡았다는 의

❖ 정답 및 해설 95~96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6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69 2020. 11. 26. 오전 10:04


H47 
2016(3월)/고2교육청 15 H49 
2015(11월)/고2교육청 15

<보기>를 고친 이유에 따라 짝지은 결과로 적절한 것은? [2점] ㉠ ~ ㉤의 잘못된 문장을 수정한 이유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잘못된 문장 → 수정한 문장
(가) 지원이의 꿈은 국어 교사가 되고 싶다.
할아버지께서 세뱃돈을 주셨다.
→ 지원이의 꿈은 국어 교사가 되는 것이다. ㉠
→ 할아버지께서 우리에게 세뱃돈을 주셨다.
(나) ‌인간은 한편으로는 자연에 순응하면서, 다른 한편으
그의 말이 정말 믿겨지지 않았다.
로는 이용하면서 살아왔다. ㉡
→ 그의 말이 정말 믿기지 않았다.
→ ‌인간은 한편으로는 자연에 순응하면서, 다른 한편
으로는 자연을 이용하면서 살아왔다. 그는 공연장에서 춤과 노래를 불렀다.

→ 그는 공연장에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렀다.
(다) 형은 어떤 사람이든지 만나고 싶어 한다.
→ 어떤 사람이든지 형을 만나고 싶어 한다. 연서는 “내가 요리를 잘한다.”고 말했다.

→ 연서는 “내가 요리를 잘한다.”라고 말했다.

문장의 중의성 주어와 서술어 필요한 문장 주변 사람들에게 따뜻한 온정을 베풀어야 한다.

간의 불호응 성분 누락 → 주변 사람들에게 온정을 베풀어야 한다.

① (가) (나) (다) ① ㉠: 서술어 ‘주셨다’가 요구하는 목적어가 없다.


② (나) (가) (다) ② ㉡: 이중 피동 표현을 사용하였다.
③ (나) (다) (가) ③ ㉢: 목적어의 하나인 ‘춤’과 호응하는 서술어가 없다.
④ (다) (가) (나) ④ ㉣: 조사가 잘못 사용되었다.
⑤ (다) (나) (가) ⑤ ㉤: 의미가 중복된 표현을 사용하였다.

H48 
2015(9월)/고2교육청 12

<보기>의 검토 내용을 고려하여 ㉠~㉤을 수정한 결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원래의 문장 검토 내용
약은 약사에게 상의하십
㉠ 조사를 잘못 사용함.
시오.
뜰에 핀 꽃이 여간 탐스

러웠다. 문장 성분의 호응이
그의 장점은 모든 일에 적절하지 않음.

성실하다.
철수는 사과와 배 두 개

를 먹었다. 문장이 중의적으로
기태는 아름다운 은영이 해석됨.

의 목소리를 좋아한다.

① ㉠: 약은 약사께 상의하십시오.
② ㉡: 뜰에 핀 꽃이 여간 탐스럽지 않았다.
③ ㉢: 그의 장점은 모든 일에 성실하다는 것이다.
④ ㉣: 철수는 사과 한 개와 배 한 개를 먹었다.
⑤ ㉤: 기태는 은영이의 아름다운 목소리를 좋아한다.

17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70 2020. 11. 26. 오전 10:04


개념 33 담화의 개념과 요건 H51 
2013(11월AB)/고2교육청 15

종류 구어 담화, 문어 담화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구성 요소 화자, 청자, 발화, 맥락 것은? [2점]
담화
요건 통일성, 응집성 [보기 1]

표현 요소 지시 표현, 대용 표현, 접속 표현 담화는 의사소통의 기본 단위에 따라 문어 담화와 구어


담화로 나눌 수 있다. 문어 담화의 대표적 유형에는 신문
기사가 있고, 구어 담화의 대표적 유형에는 일상 대화가

H50 
2016(6월)/고2교육청 15
있다.

<보기>를 고려할 때,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2]


 [2점] (가) 신문기사
[보기] 택시 기사가 승객이 두고 내린 돈을 되찾아 준 사실이 알
엄마: 너 지금 뭐하니? 늦었는데 빨리 학교 가야 하지 않니? 려져 주위를 훈훈하게 하고 있다. △△시에서 택시 기사로
아들: ㉠ 예, 가요. 뭐 좀 챙긴다구요. 일하고 있는 씨(42세)는 지난 달 14일 새벽 1시경 자
엄마: 그런데 네 방이 어질러져 있던데, ㉡ 어제는 청소 안 신의 택시에서 현금 120만 원과 수표 1,000만 원이 든 가
했니? 방을 발견한 후, 승객에게 가방을 돌려주기 위해 인근 경찰
아들: ㉢ 그게 어제 밤늦게까지 과제 발표를 준비하느라고요. 서로 가서 분실물 습득 신고를 하였다. 이후 가방을 되찾은
엄마: 그랬구나. 그래, 발표 준비는 다 했고? 승객은 씨에게 사례를 하려 했으나 씨는 오히
아들: 친구들 앞에만 서면 떨려서 제대로 ㉣ 못 할 것 같아요. 려 당연히 할 일을 했다며 이를 사양했다고 한다.
엄마: 너무 떨리면 발표 전에 심호흡을 세 번만 ㉤ 해 보자.

(나) 대화
① ㉠: 부정의 물음에 대해 긍정의 대답을 사용하여 학교에 A: 야, 너 그 얘기 들었어?
갈 것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B: 뭐?
18

DAY
② ㉡: 보조사를 사용하여 다른 날에는 ‘아들’이 청소를 했다 A: 택시 기사가 경찰서에 돈 찾아 줬대.
는 사실과 대조하고 있다. B: (의아한 표정으로) 근데 그게 무슨 말이야?
③ ㉢: 지시 대명사를 사용하여 ‘엄마’의 이야기에 언급된 내 A: ‌아니, 승객이 놓고 내린 돈가방을 경찰서에 신고했대.

용을 다시 언급하는 것이므로 ‘이게’와 바꿔 쓸 수 없다. 사례금을 줬는데도 안 받고.


④ ㉣: ‘못’ 부정문을 사용하여 앞으로의 상황이 자신의 능력 B: 정말? 대단하네, 그 사람.

부족 때문에 발생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A: ‌(고개를 끄덕이며) 그렇지. 난 이런 기사 읽으면 왠지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 같아.
⑤ ㉤: 청유형 종결 어미를 사용하여 ‘엄마’가 ‘아들’에게 함
께 심호흡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① (가)는 육하원칙에 따라 내용을 전달하는 것으로 보아,
문어 담화의 체계적인 특성을 확인할 수 있군.
② (나)의 ‘대단하네, 그 사람.’으로 보아, 구어 담화에서는
어순을 바꾸어 사용하기도 하는군.
③ (나)에서 ‘그런데’를 ‘근데’로, ‘나는’을 ‘난’으로 줄여서 사
용하는 것으로 보아, 구어 담화에는 줄임말이 자주 사용
되는군.
④ (가)에 비해 (나)는 조사나 주어 등을 생략한 것으로 보
아, 문어 담화에 비해 구어 담화에서는 문법 요소들이 자
주 생략됨을 알 수 있군.
⑤ (나)와 달리 (가)는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달하
는 것으로 보아, 문어 담화가 구어 담화에 비해 정보의
기록성과 보관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군. 

❖ 정답 및 해설 96~99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7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71 2020. 11. 26. 오전 10:04


H52 
예상 문제 H54 
2015(11월)/고2교육청 12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언니: (백화점 매장에서 모자를 써 보며) ㉠ 이 모자 어때? 아버지: (아이 방으로 들어오며) 은주야, ㉠ 이거 받아.
동생: ㉡ 그 모자보다는 ㉢ 이거 어때? 한번 써 봐. 은주: (선물을 보며) 어? 그게 뭐예요?
언니: 내 스타일 아닌 것 같긴 한데 써 볼게, ㉣ 이리 줘 봐. 아버지: 응. 스웨터야. 어제 고모를 만났는데, 곧 있으면 네
동생: (모자를 착용한 언니를 한참 바라보며) 음, 생각보다 생일이라고 주시더라. 마음에 드니? ㉡ 저 옷이랑 같이
별로네. 아니면 ㉤ 저 모자 한번 써 봐. 기존에 안 쓰던 입으면 잘 어울릴 것 같은데.
스타일인데 어울릴 것 같아! 은주: 와! ㉢ 그러면 정말 예쁘겠네요. 내일 당장 입어야겠
어요.
① ㉠과 ㉡은 다른 지시 관형사를 사용했지만 문맥상 같은 아버지: 그래. 고모한테 고맙다고 전화 한 통 드려.
사물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은 주: 네, 저도 ㉣ 그렇게 하려고 했어요.
② ㉠과 ㉢은 화자와 거리가 가까운 대상을 가리키기 위해 아버지: ㉤ 그런데 내일 아빠랑 영화나 보러 갈까?

‘이’ 계열 지시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③ 동일한 ‘이’ 계열 지시 표현을 사용하지만 ㉢은 사물을 가 ① ㉠은 지시하는 대상이 청자인 은주에 비해 화자인 아버

리키고 ㉣은 방향을 가리킨다. 지에게 가까이 있음을 나타낸다.

④ ㉣은 화자에게 가까운 장소나 방향을 가리키는 표현을 ② ㉡은 지시하는 대상을 청자인 은주도 볼 수 있음을 전제로

나타내기 위해 지시 부사를 사용하고 있다. 한다.

⑤ ㉤은 화자에게는 멀지만, 청자에게 가까운 대상을 가리 ③ ㉢은 아버지가 앞에서 한 말과 관련된 세부 사항이 뒤에

키기 위해 ‘저’ 계열의 지시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추가될 것임을 나타낸다.


④ ㉣은 고모한테 고맙다고 전화 한 통 드리라는 말을 대신
표현하여 담화의 중복을 피한다.
⑤ ㉤은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를 다
H53 
예상 문제 른 데로 돌리는 기능을 한다.
다음 밑줄 친 표현이 간접 발화에 해당하는 것은? [2점]

① (수업시간에 졸고 있는 학생에게)
선생님: 잠 좀 그만 자라.
학생: 과제 때문에 늦게 자서 그래요. 죄송해요.
② (기말고사 시험 채점을 끝낸 친구에게)
철수: 중간고사보다 성적이 올랐어?
영희: 아니. 더 떨어졌어.
③ (용돈을 더 달라고 하는 아들에게)
엄마: 아들, 엄마한테 돈 맡겨 놨니?
아들: 죄송해요. 그냥 저한테 있는 만큼만 쓸게요.
④ (길을 잃은 행인이)
행인1: 저기요. 우체국에 가려면 어디로 가야 하나요?
행인2: 오른쪽으로 가서 횡단보도를 건너세요.
⑤ (현관에서 뛰어 들어오는 딸에게)
아빠: 문 좀 닫고 다녀라.
딸: 바로 다시 나갈 거예요.

17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72 2020. 11. 26. 오전 10:04


H55 
예상 문제
① ㉠과 ㉡은 동일한 인물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 표현이다.
② ㉢과 ㉦은 동일한 날을 지칭하는 표현이다.
<보기>의 담화 상황에서 ⓐ~ⓔ가 가리키는 대상이 같은 것끼리
③ ㉣과 ㉧은 화자가 자신의 행위를 낮추기 위해 사용한 표
바르게 짝지은 것은? [2점]
현이다.
[보기]

(엄마, 아빠, 민수가 대화를 하고 있다.)


④ ㉤은 화자와 청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을 지시하는 표
엄마: 벌써 다음 달이면 휴가 기간이네. ⓐ 우리 이번에는 현이다.
어디로 휴가를 갈까요? ⑤ ㉥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
아빠: 날짜부터 맞춰봐야겠어요. 회사에서는 ⓑ 우리에게 는 표현이다.
휴가 날짜를 이번 달로 조정을 하라고 하더라고요.
민수: 이번에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도 함께 가면 어때요?
엄마: 그것 좋은 생각인데?
민수: 작년에는 ⓒ 우리끼리만 가서 할아버지 생각이 많이
났거든요.
아빠: 그렇지 않아도 어제 여쭤봤더니, 이번 휴가 기간에는
다른 계획이 있다고 하셨어요. H57 
2015(11월)/고1교육청 14
엄마: 그래요? 그럼 할 수 없네. 이번에는 ⓓ 우리끼리 가야 <보기>의 ㉠ ~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겠네요. [보기]
민수: 그래요. 그럼 다음엔 꼭 ⓔ 우리 다 같이 가요. 효준: 여기 운동화 정말 많다. 뭘 사야 할지 모르겠어.
유로: 그래? 그럼 내가 하나 골라 줄까? ㉠ 저건 어때?
① ⓐ–ⓑ ② ⓐ–ⓓ 효준: ㉡ 저기 진열되어 있는 거 말이야?
③ ⓒ–ⓔ ④ ⓑ–ⓒ 유로: 그래. 가서 한번 신어 봐.
⑤ ⓓ–ⓔ 효준: (진열대 앞으로 가서) ㉢ 이거 말하는 거지?
18

DAY
유로: (뒤따라오며) 응, ㉣ 그거.
효준: 디자인은 괜찮네. 근데 가격이 조금 비싼 것 같지 않아?
유로: 그러면 전에 우리 같이 갔었던   매장에서 할인 행
사 중이던데 ㉤ 거기 한번 가 보자.
효준: 좋아. 같은 물건이면 싼 것이 더 좋지.

① ㉠은 ‘효준’과 ‘유로’ 모두에게 멀리 있는 사물을 가리키는


H56 
2016(11월)/고1교육청 14
표현이다.
<보기>의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② ㉡을 사용하여 ‘효준’이 지시한 장소는 ㉤이 나타내는 장
[보기] 소와 동일하다.
학생: 안녕하세요? 인터뷰 때문에 원장님을 ㉠ 뵈러 왔습 ③ ㉢은 ‘유로’보다 ‘효준’에게 가까이 있는 사물을 가리키는
니다. 표현이다.
직원: 지금 ㉡ 계시긴 한데 혹시 미리 약속은 하셨나요?
④ ㉣을 사용하여 ‘유로’가 가리킨 사물은 ㉢이 나타내는 사
학생: ㉢ 이틀 전에 제가 원장님과 통화를 했는데, 오늘 오
물과 동일하다.
라고 ㉣ 말씀하셨어요.
⑤ ㉤은 ‘효준’과 ‘유로’의 눈에 현재 보이지 않는 장소를 가
직원: 아, 그러세요? ㉤ 저쪽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리키는 표현이다.
학생: (노크 후 방 안으로 들어서며) 원장님, 안녕하세요?
오늘 뵙기로 한 김입니다.
원장: 아, ㉥ 김 선생님 따님이군요. ㉦ 지난번에 전화로 약
속을 잡았었죠? 이쪽에 앉으세요.
학생: 고맙습니다. 그럼 그때 ㉧ 말씀을 드렸던 주제로 인
터뷰를 시작하겠습니다.

❖ 정답 및 해설 99~101p H. 문장의 표현과 담화 17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02~173)F~H.indd 173 2020. 11. 26. 오전 10:04


동아리 소개
TIGRIS
동아리 소개
TIGRIS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 동아리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 동아리

‘호랑이’의
‘호랑이’ 학명에서유래
의 학명에서 유래

Ⓒ 88326338/Getty Images Bank.com

TIGRIS는 고려대학교 아마추어 아이스하키팀의 팀 이름으로


TIGRIS는 고려대학교 아마추어 아이스하키팀의 팀 이름으로
‘호랑이’의 학명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호랑이’의 학명에서 유래하였습니다.
2001년부터 가을 정기 고연전의

2001년부터
아이스하키 오프닝가을
게임을정기 고연전의
개최하면서

국내 여러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클럽 팀의
아이스하키 오프닝 게임을 개최하면서
고대 출신들이 모여서 프로젝트 팀으로

국내
활동해 여러
온 것이아마추어 아이스하키 클럽 팀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고대 출신들이 모여서 프로젝트 팀으로


2004년도부터는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 클럽으로
활동해 온 것이
정식 창단하여 기원이 되었습니다.
학내 유일무이한

아이스하키 팀으로 함께 활동해 오고 있습니다.

2004년도부터는 고려대학교 아이스하키 클럽으로


TIGRIS는 고려대학교 동문 아이스하키 팀으로서
정식 창단하여 학내 유일무이한
졸업생 및 재학생 모두가 함께 한 팀으로서 운동하고 있으며,

아이스하키 팀으로
산하 조직으로 재학생 동아리활동해 오고 있습니다.
모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TIGRIS는 고려대학교 동문 아이스하키 팀으로서


졸업생 및 재학생 모두가 한 팀으로서 운동하고 있으며,

산하 조직으로 재학생 동아리 모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34-155) 국어 문법기본 문제I~J-ok.indd 134 2019-09-30 오후 2:56:5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74 2020. 11. 26. 오전 10:00


PART
어문 규정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개념 34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와 띄어쓰기

개념 35 한글 맞춤법 중 소리에 관한 것

개념 36 한글 맞춤법 중 형태에 관한 것

개념 37 표준 발음법의 총칙과 모음·받침의 발음

개념 38 표준 발음법 중 음의 동화와 첨가

J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개념 39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75 2020. 11. 26. 오전 10:00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개념 34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와 띄어쓰기


1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참고
【제 1 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 맞춤법 규정에서 표음주
표음주의 표의주의
의와 표의주의를 동시에 적용
소리대로 적기 어법대로 적기 하는 이유
소리대로 적는 것이 기본 원칙 형태소의 본모양을 밝혀 적음. 소리대로 적는 것이 기본 원칙이
내용  ‌•집+웅 → 집웅 (×) / 지붕 (),  ‌•믿음 → 미듬 (×) / 믿음 (), 지만, ‘꽃 (花)’의 경우에는 발음 환
•들다+-어+나다 → 들어나다 (×) / 드러나다 () •떨어지다 → 떠러지다 (×) / 떨어지다 () 경에 따라 ‘꽃이 [꼬치]’, ‘꽃잎 [꼰
표기하기에 편리하나 같은 단어도 발음 환경에 따 닙]’, ‘꽃과 [꼳꽈]’처럼 발음이 다
원형을 밝혀 표기하므로 의미 파악이 쉬우나 발음 르게 나타나서 소리대로만 적을
특징 라 다르게 표기되므로 같은 단어임을 쉽게 파악하
과 차이가 나는 표기가 생김. 경우 의미 파악이 어렵다. 이를 보
기 어렵고, 원래의 형태가 무엇인지 알기 어려움.
완하기 위해 어법대로 적는 원칙
【제 2 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을 적용하여 형태소의 본모양을
밝혀서 어떤 환경에서도 ‘꽃’이라
띄어쓰기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다. 가령 ‘나물좀줘요.’라는 는 형태로 표기하는 것이다.
말을 띄어 쓰지 않을 경우 ‘나/물/좀/줘요.’ 또는 ‘나
물/좀/줘요.’의 중의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데,
나물좀줘요. 나물? 물?
이를 ‘나 물 좀 줘요.’나 ‘나물 좀 줘요.’처럼 띄어 쓰면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띄어쓰기의 기본 단위가 ‘단어’인 것은 단어가 뜻을 개념+
가지고 있으면서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 말의 ★★의존 명사와 동일한 형태의 조
단위이기 때문이다. 사 구분하기
•먹을 만큼 먹어. (의존 명사)
2 띄어쓰기 •생각만큼 어려워. (조사)
‘대로, 뿐, 만큼’ 등은 의존 명사와
1. 조사 조사의 형태가 같다. 관형어의 수
【제 41 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 꽃이, 꽃마저, 꽃밖에 식을 받으면 의존 명사이므로 앞
말과 띄어 써야 하고, 체언 다음에
조사는 하나의 단어로 인정하지만, 독립성이 없이 체언의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므로 앞말
쓰이면 조사이므로 앞말에 붙여
에 붙여 쓰도록 한다. 쓴다.
2. 의존 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 42 항】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  아는 것이 힘이다, 나도 할 수 있다.
개념+
【제 43 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 한 개, 차 한 대, 옷 한 벌
★★고유 명사의 띄어쓰기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제48항】 성과 이름, 성과 호 등
 두시 삼십분, 삼학년, 502호 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제 44 항】 수를 적을 적에는 ‘만(萬)’ 단위로 띄어 쓴다. 관직명 등은 띄어 쓴다.
 ‌김양수, 김양수 씨,
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12억 3456만 7898
충무공 이순신 장군
【제 45 항】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쓴다.
 국장 겸 과장,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 이사장 및 이사들 【제49항】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
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3. 보조 용언
하되, 단위별로 띄어 쓸 수 있다.
【제 47 항】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붙여 씀도 허용한다.  •대한 중학교(원칙)
 불이 꺼져 간다.(불이 꺼져간다.), 비가 올 듯하다.(비가 올듯하다.) 대한중학교(허용)

다만, 앞말에 조사가 붙거나, 앞말이 합성 용언인 경우, 그리고 중간에 조사가 들어갈 적에는 그 뒤에 •한국 대학교 사범 대학(원칙)
한국대학교 사범대학(허용)
오는 보조 용언은 띄어 쓴다.
 잘도 놀아만 나는구나!, 네가 덤벼들어 보아라. 그가 올 듯도 하다.

17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76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2 띄어쓰기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어법에 맞도록 표기한다는 것은 형태소의 ( ) 10 ( )은/는 하나의 단어로 인정하지만, 독립성이 없


을/를 밝혀 표기하는 것이다. 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쓴다.

02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에서 문장의 각 ( )은/는 11 ‘국장 겸 과장’, ‘사과, 배, 귤 등’으로 보아 두 말을 이어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주거나 ( )할 적에 쓰이는 말들은 띄어 쓴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03 ‘지붕’, ‘드러나다’ 등은 ( )대로 적는 표기 방식을
따른 것이다. 12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 )을/를 나타내거나 ( )와/과 어울리어 쓰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04 표음주의 표기 방식은 표기하기에는 편리하지만, 단어


의 원래 형태를 알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13 고유 명사의 경우 성과 이름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다.
05 한글 맞춤법은 어떠한 단어라도 발음과 상관없이 형태  (,×)
를 고정하여 표기하는 것을 근본 원칙으로 한다.
14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한 단어로 취급하여 붙여 쓰
 (,×)
는 것이 원칙이다.
06 의미의 정확성이 떨어지더라도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  (,×)
해 모든 단어는 띄어 써야 한다.
15 ‘이순신 장군’은 붙여 쓸 수도 있고, 띄어 쓸 수도 있다.
 (,×)
19

DAY
 (,×)
07 ‘믿음, 같이, 꽃잎’은 실제 발음과 차이가 나는 표기 방
식을 취하고 있다. (,×)
16 ㉠~㉢은 밑줄 친 [A]에 해당하는 경우이다. 각 경우에 적절
한 예시를 바르게 연결하시오.
08 다음 단어를 표기 방식에 따라 ㉠과 ㉡으로 나누시오.
[A] 보조 용언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
굳음, 길이, 지붕, 쓰러지다, 넘어지다
붙여 씀도 허용한다.

㉠ 소리대로 적기 ㉡ 어법대로 적기
㉠ 앞말에 조사가 붙는 경우 • •ⓐ 잘난 체를 한다.
㉡ 앞말이 합성 동사인 경우 • •ⓑ 책을 읽어도 본다.
㉢ 중간에 조사가 들어가는 경우 • •ⓒ 덤벼들어 보아라.

09 다음 학생의 질문에 대한 이유를 쓰시오.


17 다음을 한글 맞춤법 규정에 맞춰 바르게 띄어 쓰시오.
Q. ‌왜 한글 맞춤법은 음운이나 형태소가 아니라 단어를
기준으로 띄어 쓰라고 정한 것일까? 아는것이힘이다.

정답
01 본모양 02 단어 03 소리 04  05 × 06 × 07  08 ㉠ 지붕, 쓰러지다 ㉡ 굳음, 길이, 넘어지다 09 단어가 뜻을 가지고 있으면서 홀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
은 말의 단위이기 때문이다. 10 조사 11 열거 12 순서, 숫자 13 × 14 × 15 × 16 ㉠–ⓑ, ㉡–ⓒ, ㉢–ⓐ 17 아는 것이 힘이다.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7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77 2020. 11. 26. 오전 10:00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개념 35 한글 맞춤법 중 소리에 관한 것
1 된소리
【제 5 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개념+
(1)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
★★【제5항】의 ‘다만’ 규정 보충
 소쩍새, 어깨, 깨끗하다, 가끔, 오빠, 이따금
한 단어 안에서 같거나 비슷한 음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절이 거듭되는 경우에는 예외적으
 산뜻하다, 잔뜩, 훨씬, 엉뚱하다, 살짝 로 된소리를 표기에 반영하여 같
다만,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 은 글자로 적는다.
 똑똑, 쓱싹쓱싹, 쌉쌀하다
소리로 적지 아니한다.
 국수, 깍두기, 갑자기, 법석, 몹시

‘ㄴ, ㄹ, ㅁ, ㅇ’ 뒤에 오는 된소리는 특별한 까닭이 있 개념+


깍뚜기는 셀프 깍뚜기?
다고 할 수 없으므로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다. 그렇지만 ★★‘ㄷ’ 소리 받침에 관한 규정

‘ㄱ, ㅂ’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언제나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 중


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
된소리로 소리 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된소리로 표기하 은 ‘ㅅ’으로 적는다.
지 않는다.  ‌덧저고리, 돗자리, 웃어른, 무
릇, 얼핏
2 모음 ‘ㄷ’ 소리의 받침을 ‘ㄷ’으로 적을
뚜렷한 까닭이 없는 경우에는 기
【제 8 항】 ‘계, 례, 몌, 폐, 혜’의 ‘ㅖ’는 ‘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ㅖ’로 적는다.
존의 관습을 존중하여 ‘ㅅ’으로 표
 사례, 혜택, 핑계, 계시다, 폐품, 연예 기한다는 규정이다.
다만, 다음 말은 본음대로 적는다.
 게시판 (揭示板), 휴게실 (休憩室)
개념+
【제 9 항】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제8항】의 규정 보충
 의의 (意義), 본의 (本義), 무늬, 띄어쓰기, 희망 (希望), 하늬바람, 늴리리
【제8항】은 표기의 역사성과 독해
의 능률을 중요시한 규정이다. 현
3 두음 법칙 실 발음이 표기와 거리가 있을지라
도 그 표기가 눈에 익어 문자 생활
두음 법칙은 단어의 첫머리에 특정한 소리가 출현하지 못하 女 老
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때문이다.
여자? 남녀? 노인? 경로석?
는 현상을 말한다. ‘계, 례, 몌, 폐, 혜’는 현실에서 [게, 레,
【제 10 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메, 페, 헤] 로 발음되는 일이 있다.
그렇지만 발음이 변화한 것과는 달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리 표기는 여전히 ‘ㅖ’로 굳어져 있
 여자 (女子), 요소 (尿素), 유대 (紐帶), 익명 (匿名) 으며 사람들이 여전히 표기를 ‘ㅖ’
[붙임 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로 인식하므로 ‘ㅖ’로 적는다.

 남녀 (男女), 당뇨 (糖尿), 수력 (水力), 급류 (急流), 쾌락 (快樂), 왕래 (往來)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 참고
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두음 법칙의 적용을 받지 않는
 신여성 (新女性), 공염불 (空念佛), 남존여비 (男尊女卑) 경우

【제 11 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의존 명사는 독립적으로 쓰이기
보다는 그 앞의 말과 연결되어
유, 이’로 적는다.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기 때문에
 양심 (良心), 유행 (流行), 예의 (禮儀), 이발 (理髮), 역사 (歷史), 용궁 (龍宮) 본음대로 적는다.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적는다.  ‌십 년(年), 금 한 냥(兩), 몇
리(里), 그럴 리(理)가 없다.
 백분율 (百分率), 나열 (羅列)
•‌준말에서 본음으로 소리 나는
【제 12 항】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나, 내, 노, 뇌,
것은 본음대로 적는다.
누, 느’로 적는다.  국련(국제 연합)
 낙원 (樂園), 내일 (來日), 노인 (老人), 뇌성 (雷聲), 누각 (樓閣), 능묘 (陵墓)

17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78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된소리 08 ‘냥(兩), 리(里), 년(年)’과 같은 ( )은/는 독립적


으로 쓰이기보다는 앞의 말과 연결되어 하나의 단위를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구성하기 때문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01 한 ( )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
09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
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 )(으)로 적
02 ‘ㄱ, ( )’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 는다.
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10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
적지 않는다.
음 법칙에 따라 ( )(으)로 적는다.
03 ‘커피는 (쌉살한 / 쌉쌀한) 맛이 나는 음료이다.’라는
문장에서 ‘쌉살한’과 ‘쌉쌀한’ 중 ‘( )’이 맞는 표
기이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1 ‘급뉴(急流)’처럼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도 두음


✽ 다음 질문에 적절한 이유를 쓰시오. 법칙이 적용된다.
 (,×)
04
Q. 깍두기는
‌ 발음이 [깍뚜기]로 나는데 표기는 왜 12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결합되는 ‘렬’, ‘률’은 ‘열’, ‘율’로
‘깍두기’로 하는 것일까? 표기한다. 
 (,×)
이유:


13 다음 한글 맞춤법 규정 ㉠~㉢에 해당하는 예를 <보기> ⓐ~ⓔ
에서 찾아 바르게 연결하시오.
19

DAY
2 모음
㉠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05 이중 모음 ‘ㅖ’는 단모음화하여 ‘ㅔ’로 발음되는 경우가 ㉡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있으므로 ‘ㅖ’와 ‘ㅔ’의 표기를 모두 인정한다.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 ㉢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06 ‘의’나,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
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ㅢ’로 적는다.  [보기]
 (,×) ⓐ 연세(年歲) ⓑ 익명(匿名) ⓒ 노인(老人)
ⓓ 용궁(龍宮) ⓔ 예의(禮儀)

3 두음 법칙
규정 예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07 두음 법칙은 단어의 ( )에 특정한 소리가 출현 ㉡
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

정답
01 단어 02 ㅂ 03 쌉쌀한 04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지 않기 때문이다. 05 × 06 
07 첫머리 08 의존 명사 09 나, 내, 노, 뇌, 누, 느 10 여, 요, 유, 이 11 × 12  13 ㉠–ⓐ, ⓑ ㉡–ⓓ, ⓔ ㉢–ⓒ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7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79 2020. 11. 26. 오전 10:00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개념 36 한글 맞춤법 중 형태에 관한 것
1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
개념+
체언과 용언의 어간의 형태를 유지한 채로 조사나 어미를 결합시켜야 체언과 조사, 어간과
★★【제15항】 [붙임 1] 규정
어미를 분명히 구별할 수 있다. 이는 의미 파악의 효율성을 위해 각각의 형태를 밝혀 적는 표의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
주의 표기 방식이다. 언이 될 적에, 앞말의 본뜻이 유지
【제 14 항】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 손이, 손을, 손에, 손도, 손만 되고 있는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고,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밝
【제 15 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 먹다, 먹고, 먹어, 먹으니 히어 적지 아니한다.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
 ‌넘어지다, 늘어나다, 돌아
2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가다, 떨어지다, 엎어지다,
【제 19 항】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이’나 ‘-히’ ○○ 슈퍼 접어들다, 들어가다, 벌어
지다
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본뜻에서 멀어진 것
 길이, 먹이, 웃음, , 같이, 익히 어름 팔아요
 ‌드러나다, 사라지다, 쓰러지다
다만, 어간에 ‘-이’나 ‘-음’이 붙어서 명사로 바뀐 것이라도 그 어간의
뜻과 멀어진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
‘어름’이 아니라,
 목거리 (목병), 거름 (비료), 노름 (도박) ‘얼음’이라고 써야 함.
생각 +
【제 25 항】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거나, 부사에
★★‘오십시오’와 ‘오십시요’의 차이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어서 오십시오.(종결 어미)
 급히, 꾸준히, 어렴풋이, 깨끗이, 곰곰이, 더욱이 •마음이 참 예쁘군요.(보조사)
‘-오’는 문장을 끝맺는 종결 어미
이고, ‘요’는 보조사이므로 둘을 구
3 사이시옷 별해서 사용해야 한다. 이때, ‘오십
시오’에서 ‘-오’를 생략하게 되면
【제 30 항】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순우리말+순우리말’, ‘순우리말 + 한자어’로
‘오십시’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종
이루어진 합성어 안에서 이루어짐.) 결 어미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예

나룻배 [나루빼/나룯빼], 나뭇가지 [나


쁘군요’에서 ‘요’를 생략하게 되면

무까지/나묻까지], 찻잔 [차짠/찯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예쁘군’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만두국? 보조사로 보아야 한다.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아랫마을 [아랜마을], 잇몸 [인몸],
‘ㄴ’ 소리가 덧나는 것 냇물 [낸물], 훗날 [훈ː날] 만두
---- 국
ME
NU

만두국
- 8,0

8,000원
00원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뒷일 [뒨닐], 깻잎 [깬닙], 나뭇잎 [나


개념+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문닙], 예삿일 [예ː산닐]
★★‘되’와 ‘돼’의 표기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
‘만두국’이 아니라, ‘만둣국’이
곳간 (庫間), 셋방 (貰房), 숫자 (數字), ‘되’는 ‘되다’의 어간이며, ‘돼’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다음 단어에만 맞는 표기임.
찻간 (車間), 툇간 (退間), 횟수 (回數) ‘되다’의 어간 ‘되-’와 어미 ‘-어’가
사이시옷을 표기
결합한 형태이다. 따라서 어미가
축약된 경우에는 ‘돼’로 표기해야
한다.
4 준말 •‌법을 어기면 안 되.(×)
법을 어기면 안 돼.()
【제 39 항】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잖-’이 될 적과 ‘-하지’ 뒤에 ‘않-’이 어울려 ‘-찮-’이 될 적에
→ 어간 ‘되-’+종결 어미 ‘-어’
•‌나도 가게 됬다.(×)
는 준 대로 적는다.
 그렇지 않은 → 그렇잖은, 만만하지 않다 → 만만찮다, 적지 않은 → 적잖은, 변변하지 않다 → 변변찮다 나도 가게 됐다.()
【제 40 항】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 ‌어간 ‘되-’+선어말 어미 ‘-
었-’+종결 어미 ‘-다’
거센소리로 적는다.
 간편하게 → 간편케, 다정하다 → 다정타, 연구하도록 → 연구토록
[붙임 2]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하’ 앞의 받침의 소리가 [ㄱ, ㄷ, ㅂ]이
면 ‘하’가 통째로 줄고 그 외의 경우에는 ‘ㅎ’이 남는다.)
 거북하지 → 거북지, 생각하건대 → 생각건대, 익숙하지 않다 → 익숙지 않다, 무심하지 → 무심치

18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0 2020. 11. 26. 오전 10:00


개념 완성 TEST

1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 3 사이시옷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1 ( )은/는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10 사이시옷은 대체로 파생어를 이루는 어근 중에 적어도


하나는 순우리말 어근일 때 일어나는 현상이다.
02 용언의 어간과 ( )은/는 구별하여 적는다.
 (,×)
03 ‘사라지다, 쓰러지다’는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
언이 될 적에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지 않고 본뜻에서 멀 11 ‘아랫마을, 냇물, 훗날’은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은 것
어졌기 때문에 ( )을/를 밝히어 적지 않은 것이다.
이다.
04 ‘결국 그 사건은 조작된 것으로 (들어났다 / 드러났다).’  (,×)
라는 문장에서 ‘들어났다’와 ‘드러났다’ 중 ‘( )’
이/가 맞는 표기이다. 12 ‘나룻배, 바닷가, 숫자, 아랫방’은 우리말로 이루어진 합
성어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기 때문에 사이시

05 ‘젊다’의 어간에 다음 어미를 적절하게 결합하여 표기하시오. 옷을 받치어 적은 것이다.


 (,×)
-고 → (㉠: ) -으니 → (㉣: )
13 ‘카메라 렌즈의 (초점 / 촛점)(焦點)이 흐려져서 선명하
어미 -어 → (㉡: ) -(으)ㄴ → (㉤: )
지 않구나.’라는 문장에서 ‘초점’과 ‘촛점’ 중 ‘촛점’이 맞
-지 → (㉢: )
는 표기이다.
 (,×)
2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4 준말
19

DAY
06 어간에 ‘-이’나 ‘-음’이 붙어서 명사로 바뀐 것이라도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그 어간의 ( )와/과 멀어진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
14 어미 ‘-지’ 뒤에 ‘않-’이 어울려 ‘( )’이/가 될 적에
지 아니한다.
는 준 대로 적는다.
07 ‘급히, 꾸준히, 어렴풋이’처럼 ‘-하다’가 붙는 어근에 ‘-히’
15 ‘거북지, 생각건대’처럼 어간의 끝음절 ‘( )’이/가
나 ‘(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는 경우에는 그 어근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이나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16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
08 ‘이 도로는 길이 하나밖에 없는 데다 (더우기 / 더욱이)
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 )(으)로
매우 좁다.’라는 문장에서 ‘더우기’와 ‘더욱이’ 중 ‘(
적는다.
)’가 맞는 표기이다.
17 ‘이 일은 생각보다 (만만잖다 / 만만찮다).’라는 문장에
09 다음 단어를 표기 방식에 따라 ㉠과 ㉡으로 나누시오. 서 ‘만만잖다’와 ‘만만찮다’ 중 ‘( )’가 맞는 표
기이다.
먹이, 노름, 웃음, 거름, 익히
18 ‘어머니께서는 (넉넉지 / 넉넉치) 않은 살림에도 우리를
㉠ 원형을 밝히어 적음. ㉡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음. 훌륭하게 키우셨지.’라는 문장에서 ‘넉넉지’와 ‘넉넉치’
중 ‘( )’가 맞는 표기이다.

정답
01 체언 02 어미 03 원형 04 드러났다 05 ㉠ 젊고 ㉡ 젊어 ㉢ 젊지 ㉣ 젊으니 ㉤ 젊은 06 뜻 07 –이 08 더욱이 09 ㉠ 먹이, 웃음, 익히 ㉡ 노름, 거름
10 × 11  12 × 13 × 14 -잖- 15 하 16 거센소리 17 만만찮다 18 넉넉지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8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1 2020. 11. 26. 오전 10:00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개념 37 표준 발음법의 총칙과 모음·받침의 발음


1 총칙
이전부터 내려오던 발음상의 관습을 고려함.
개념+
【제 1 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
현대 서울말의 현실 발음을 기반으로 표준 발음을 정함. 여러 음운 현상을 고려하여 합리적으로 표준 발음을 정함. ★★연음 규정
으로 한다.
【제13항】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
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
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
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
2 모음의 발음 국회[구쾨/구퀘]에서 한다.
이번 법안이 쉽게  옷이 [오시], 꽃을 [꼬츨]
【제 4 항】 ‘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는 단모음으로 발음 가결되었습니다.
한다. 【제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
[붙임]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
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제 5 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모음으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이 경우,
로 발음한다.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 넋이 [넉씨], 앉아 [안자]
‘ㅚ’, ‘ㅟ’는 단모음으로 발음하는
발음한다. 것이 원칙이나 이중 모음으로 발 【제15항】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 ‌가지어 → 가져 [가저], 찌어 → 쪄 [쩌], 다치어 → 다쳐 [다처],  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ㅗ, ㅜ, ㅟ’ 들로 시작되는 실질 형
바치어 → 바쳐 [바처] 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
다만 2,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계집 [계ː집 / 게ː집], 혜택 [혜ː택 / 헤ː택], 지혜 [지혜 / 지헤], 시계 [시계 / 시게]
 겉옷 [거돋], 밭 아래 [바다래]
다만 3,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 늴리리 [닐리리], 무늬 [무니], 띄어쓰기 [띠어쓰기], 희망 [히망], 씌어 [씨어]
다만 4,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 주의 [주의 / 주이], 협의 [혀븨 / 혀비], 우리의 [우리의 / 우리에]

개념+

★★받침 ‘ㅎ’의 발음 규정
3 받침의 발음
받침 ‘ㅎ’의 발음은 다음과 같다.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1. ‘ㅎ(ㄶ, ㅀ)’ 뒤에 ‘ㄱ, ㄷ, ㅈ’이 결

【제 8 항】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ㄸ ㅃ ㅅ 합되는 경우에는, 뒤 음절 첫소


ㄲ 우리가 대표음! ㅆ 리와 합쳐서 [ㅋ, ㅌ, ㅊ]으로 발
【제 9 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음한다.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 놓고 [노코]
 닦다 [닥따], 키읔 [키윽], 옷 [옫], 꽃 [꼳], 앞 [압], 덮다 [덥따] ㅈ ㅎ 2. ‘ㅎ(ㄶ, ㅀ)’ 뒤에 ‘ㅅ’이 결합되는
ㅉ ㅍ
ㅊ ㅋ ㅌ 경우에는, ‘ㅅ’을 [ㅆ]으로 발음
2. 자음군 단순화 한다.
【제 10 항】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 싫소 [실쏘]
 넋 [넉], 앉다 [안따], 넓다 [널따], 외곬 [외골], 핥다 [할따], 값 [갑] 3. ‘ㅎ’ 뒤에 ‘ㄴ’이 결합되는 경우에
는, [ㄴ]으로 발음한다.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하고,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놓는 [논는]
 밟다 [밥ː따], 밟지 [밥ː찌], 밟고 [밥ː꼬]
4. ‘ㅎ(ㄶ, ㅀ)’ 뒤에 모음으로 시작
넓죽하다 [넙쭈카다], 넓둥글다 [넙뚱글다], 넓적하다 [넙쩌카다]
된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되는 경
【제 11 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우에는, ‘ㅎ’을 발음하지 않는다.

 닭 [닥], 흙과 [흑꽈], 맑다 [막따], 젊다 [점ː따], 읊고 [읍꼬], 삶 [삼ː]  낳은 [나은]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 맑게 [말께], 묽고 [물꼬], 얽거나 [얼꺼나], 밝고 [발꼬]

18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2 2020. 11. 26. 오전 10:01


개념 완성 TEST

1 총칙, 2 모음의 발음 3 받침의 발음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 11 우리말에서 음절의 끝소리 발음으로 허용되고 있는 받
통성과 ( )을/를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침소리로는 ‘( ), ( ), ( ), ( ), ( ),
( ), ( )’이 있다.
02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음운에는 ‘ㅑ, ㅒ, ㅕ, ㅖ, ㅘ,
ㅙ, ㅛ, ( ), ( ), ㅠ, ㅢ’가 있다. 12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받침 ‘ㄲ, ㅋ’은 ( )(으)로, ‘ㅅ,
ㅆ, ㅈ, ㅊ, ㅌ’은 ( )(으)로, ‘ㅍ’은 ( )(으)로 발음
03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 )
한다.
로 발음한다.

04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 )로 13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각각 ( ), ( ), ( ), ( )(으)로 발음
발음해야 하며, ‘무늬’는 ( )로 발음한다.
한다.
05 조사 ‘의’는 ( )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하며, ‘바다
의’는 [바다의] 또는 ( )로 발음한다. 14 ‘밟-’은 자음 앞에서 ( )(으)로 발음한다.

15 겹받침 ‘ㄺ’의 대표음은 ( )이지만 용언의 어간 말


음 ‘ㄺ’은 ‘ㄱ’ 앞에서 ( )(으)로 발음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6 ‘여자’를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는 모 ✽ ‌다음 단어의 표준 발음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음이 있다.
16 닦다 [닦따 , 닥따]
 (,×)
17 덮다 [덮따 , 덥따]
07 ‘당기어’와 ‘가지어’는 각각 ‘당겨’와 ‘가져’로 축약되며, 19

DAY
이는 [당거]와 [가저]로 발음된다. 18 넓다 [널따 , 넙따]
 (,×) 19 흙과 [흘꽈 , 흑꽈]
08 ‘종례’와 ‘폐지’는 각각 [종례/종레], [폐지/페지]로 발음 20 읊고 [을꼬 , 읍꼬]
된다.
21 묽고 [물꼬 , 묵꼬]
 (,×)

09 ‘협의’는 [혀븨]로 발음할 수 있지만 [혀비]로 발음하는


22 다음 <보기>의 겹받침으로 이루어진 단어들의 발음 양상을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과 ㉡으로 나누시오.
 (,×)
[보기]

핥다, 밟고, 맑게, 넓죽하다


10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의 발음을 모두 쓰시오.
㉠ 앞의 받침을 대표음으로 발음함. ㉡ 뒤의 받침을 대표음으로 발음함.

우리의 희망은 모두의 바람이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정답
01 합리성 02 ㅝ, ㅞ 03 [저, 쩌, 처] 04 [ㅣ], [무니] 05 [ㅔ], [바다에] 06  07 × 08 × 09 × 10 [우리의/우리에], [히망], [의ː의/의ː이]
11 ㄱ, ㄴ, ㄷ, ㄹ, ㅁ, ㅂ, ㅇ 12 [ㄱ], [ㄷ], [ㅂ] 13 [ㄱ], [ㄴ], [ㄹ], [ㅂ] 14 [밥] 15 [ㄱ], [ㄹ] 16 닥따 17 덥따 18 널따 19 흑꽈 20 읍꼬 21 물꼬
22 ㉠ 핥다, 맑게 ㉡ 밟고, 넓죽하다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8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3 2020. 11. 26. 오전 10:01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개념 38 표준 발음법 중 음의 동화와 첨가
한 곡만 더
부르고 끝을[끄츨]?
1 음의 동화 내겠습니다.

1. 구개음화
【제 17 항】 받침 ‘ㄷ, ㅌ (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ㅈ, ㅊ] 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곧이듣다 [고지듣따], 굳이 [구지], 미닫이 [미ː다지], 땀받이 [땀바지], 밭이 [바치] 모음 ‘ㅡ’ 앞에서는 구개음화가
[붙임] ‘ㄷ’ 뒤에 접미사 ‘히’가 결합되어 ‘티’를 이루는 것은 [치]로 발음한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끄츨]이
아닌 [끄틀]로 발음해야 한다.
다.  굳히다 [구치다], 닫히다 [다치다], 묻히다 [무치다]
2. 비음화
【제 18 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개념+

ㅁ]으로 발음한다.  먹는 [멍는], 긁는 [긍는], 닫는 [단는], 쫓는 [쫀는], 앞마당 [암마당], 읊는 [음는] ★★자음 동화를 인정하지 않은 예

[붙임]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와 같다. 표준 발음법 【제17항~제20항】에


서 지적한 이외의 자음 동화는 인
 책 넣는다 [챙넌는다], 옷 맞추다 [온맏추다], 밥 먹는다 [밤멍는다]
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래의 예
【제 19 항】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한다. 와 같이 동화된 발음은 표준 발음
 담력 [담ː녁], 침략 [침ː냑], 강릉 [강능], 대통령 [대ː통녕] 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붙임] 받침 ‘ㄱ, ㅂ’ 뒤에 연결되는 ‘ㄹ’도 [ㄴ]으로 발음한다.  감기 [강ː기](×) → [감ː기],


옷감 [옥깜](×) → [옫깜], 
 막론 [막논 → 망논], 석류 [석뉴 → 성뉴], 법리 [법니 → 범니], 협력 [협녁 → 혐녁]
문법 [뭄뻡](×) → [문뻡],
3. 유음화 젖먹이 [점머기](×) → [전머기]

【제 20 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 난로 [날ː로], 천리 [철리], 광한루 [광ː할루], 물난리 [물랄리], 줄넘기 [줄럼끼]
생각 +

★★‘생산량’은 어떻게 발음해야 하


2 음의 첨가 나?
1. ‘ㄴ’ 첨가 한자어에서 ‘ㄴ’과 ‘ㄹ’이 만나 유음
화가 일어나는 환경이지만 [ㄹㄹ]
【제 29 항】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로 발음되지 않고 [ㄴㄴ]로 발음하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는 단어들이 있다. (【표준 발음법
 솜이불 [솜ː니불], 내복약 [내ː봉냑], 한여름 [한녀름], 담요 [담ː뇨], 식용유 [시굥뉴] 제20항】 ‘다만’ 규정 적용)
 ‌의견란[의ː견난], 임진란[임ː진
다만 1, 다음과 같은 말들은 ‘ㄴ’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되, 표기대로 발음할 수 있다.
난], 공권력[공꿘녁], 동원령
 ‌이죽이죽 [이중니죽 / 이주기죽], 야금야금 [야금냐금 / 야그먀금], 검열 [검ː녈 / 거ː멸], 욜랑욜랑 [욜랑뇰랑 / 욜랑욜랑]
[동ː원녕], 입원료[이붠뇨], 횡
[붙임 1]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ㄹ]로 발음한다. 단로[횡단노]
 ‌솔잎 [솔립], 물엿 [물렫], 설익다 [설릭따], 서울역 [서울력] 대체로 한자어를 두 부분으로 분
석했을 때 앞 부분이 독립된 의미
[붙임 2]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  한 일 [한닐], 옷 입다 [온닙따]
를 가질 때 이런 현상이 적용된다.
다만 2, 다음과 같은 말에서는 ‘ㄴ(ㄹ)’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생산량’도 이에 따라 [생산냥]으로
 6·25 [유기오], 3·1절 [사밀쩔], 송별연 [송ː벼련], 등용문 [등용문] 발음해야 한다.

2. 사이시옷
【제 30 항】 사이시옷이 붙은 단어는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1)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올 때는 이들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
을 원칙으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 냇가 [내ː까 / 낻ː까], 콧등 [코뜽 / 콛뜽], 깃발 [기빨 / 긷빨]
(2)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발음한다.
 콧날 [콛날 → 콘날], 아랫니 [아랟니 → 아랜니], 툇마루 [퇻ː마루 → 퇸ː마루]
(3) 사이시옷 뒤에 ‘이’ 음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ㄴ]으로 발음한다.
 베갯잇 [베갣닏 → 베갠닏], 깻잎 [깯닙 → 깬닙], 나뭇잎 [나묻닙 → 나문닙]

18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4 2020. 11. 26. 오전 10:01


개념 완성 TEST

1 음의 동화 2 음의 첨가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받침 ‘ㄷ, ㅌ(ㄾ)’이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와 결합되 09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
는 경우에는, ( )(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 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
리로 옮겨 발음한다. 인 경우에는 ‘( )’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한다.
02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ㅂ
(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 )(으)로 10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 )(으)로 발음한다.
발음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1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사이시옷
을 [ㄴ]으로 발음한다.
03 ‘책 넣는다[챙넌는다]’, ‘값 매기다[감매기다]’에서 알 수
 (,×)
있듯이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에는
비음화를 적용하지 않는다. (,×) 12 사이시옷 뒤에 ‘이’ 음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ㄹㄹ]로 발
음한다.
04 ‘ㄴ’은 ‘ㄹ’의 앞에서 [ㄹ]로 발음하므로 ‘난로’는 [날로]
 (,×)
로 발음한다. (,×)
13 ‘이죽이죽’은 [이중니죽]과 [이주기죽]으로 모두 발음할
수 있다.
✽ 다음 문장에서 표준 발음법 규정에 맞는 발음에  표시하시오.
 (,×)
05 색연필[샌연필 , 생년필]로 칠했는데 이렇게 예쁘다고?
14 ‘콧등’은 [코뜽]으로 발음하며, [콛뜽]으로 발음하는 것
06 영수는 선생님의 말씀을 곧이듣지[고디듣찌 , 고지듣찌] 은 허용되지 않는다.
20

DAY
않는 버릇이 있어.
 (,×)

15 ‘한 일’처럼 두 단어를 이어서 한 마디로 발음하는 경우


07 다음 <보기>의 단어를 발음 양상에 따라 ㉠과 ㉡으로 나누시오.
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발음하지 않는다.
[보기]  (,×)
광한루, 공권력, 입원료, 대관령
✽ 다음 단어의 표준 발음으로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 ‘ㄴ’이 ‘ㄹ’을 만나 ㉡ ‘ㄴ’이 ‘ㄹ’을 만나 16 솔잎 [솔닙 , 솔립]


17 콧날 [콘날 , 콛날]
[ㄴㄴ]으로 발음 [ㄹㄹ]로 발음

18 물엿 [물녇 , 물렫]
19 깻잎 [깬닙 , 깯닙]
08 다음 단어의 발음을 쓰시오. 20 설익다 [설닉따 , 설릭따]
21 한여름 [한녀름 , 한여름]
닫히다 / 굳히다
22 생산량 [생산냥 , 생살량]

정답
01 [ㅈ, ㅊ] 02 [ㅇ, ㄴ, ㅁ] 03 × 04  05 생년필 06 고지듣찌 07 ㉠ 공권력, 입원료 ㉡ 광한루, 대관령 08 [다치다], [구치다] 09 ㄴ 10 [ㄹ] 11  12 ×
13  14 × 15 × 16 솔립 17 콘날 18 물렫 19 깬닙 20 설릭따 21 한녀름 22 생산냥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8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5 2020. 11. 26. 오전 10:01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34 ~ 개념 38

개념 34 한글 맞춤법의 기본 원리 I02 
2019(6월)/고1교육청 14

소리대로
소리대로적되,
적되,어법에
어법에맞도록
맞도록씀.씀.
(조화)
다음은 수업의 일부이다. 이를 참고할 때, 띄어쓰기가 바르게 된
기본
총칙 문장은? [2점]
원리 원칙: 각 단어는 띄어 씀.

조사
조사
학생: 선생님, ‘뿐’은 앞말에 붙여 쓰는 경우도 있고 띄어 쓰
띄어
띄어
의존명사,
의존명사,
단위를단위
나타내는
명사, 열거하는
명사, 열거하는
말 말
쓰기
쓰기 는 경우도 있던데 어떻게 띄어 써야 하나요?
보조
보조용언
용언
선생님: 품사에 따라 띄어쓰기가 달라져요. ‘나에게는 너뿐
이야.’에서처럼 ‘너’라는 체언 뒤에 붙어서 한정의 뜻을
나타낼 때의 ‘뿐’은 조사이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써야
I01 
2015(9월)/고1교육청 13 해요. 그런데 ‘그녀는 조용히 웃을 뿐이었다.’에서의 ‘뿐’
다음 대화를 바탕으로 <보기>의 밑줄 친 단어에 대해 설명한 것으 은 체언을 수식하는 관형어 ‘웃을’ 뒤에 붙어서 ‘따름’이
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라는 뜻을 나타내는 의존 명사이기 때문에 앞말과 띄어
써야 해요.
학생: 선생님, 한글 맞춤법 제1항에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 학생: ‘뿐’과 같이 띄어쓰기가 달라지는 예가 더 있나요?
는다고 되어 있는데, 이건 표준어를 발음 형태대로 적는 선생님: 대표적인 예로 ‘대로, 만큼’이 있어요.
다는 뜻이에요?
선생님: 맞아, 그러면 표기할 때 편하지. 그런데 뜻이 얼른 ① 아는대로 모두 말하여라.
파악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그래서 어법에 맞도록 한다 ② 마음이 약해질대로 약해졌다.
는 또 하나의 원칙이 붙어 있어. ③ 모든 것이 자기 생각 대로 되었다.
학생: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건 무슨 의미예요? ④ 손님들은 먹을 만큼 충분히 먹었다.
선생님: 어근의 형태를 파악하기 쉽도록 각 형태소의 본 모
⑤ 그 사람은 말 만큼은 누구보다 앞선다. 
양을 밝히어 적는다는 말이야.

[보기]
I03 
2014(9월)/고1교육청 15
가–1. 지리산은 전라, 충청, 경상도 어름에 있다.
<보기 1>을 참고하여 <보기 2>의 ‘밖에’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
가–2. 썰매를 타고 얼음을 지쳤다.
지 않은 것은? [2점]
나–1. 자세를 반듯이 해라.
[보기 1]
나–2. 오늘 반드시 다 마치도록 해라.
【한글 맞춤법】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① 가–1은 소리대로 적어 표기하기에 편리하다.
【제41항】 조사는 그 앞말에 붙여 쓴다.
② 가–2는 의미 파악이 쉽도록 어법에 맞게 적은 것이다.
③ 가–1 , 가–2는 발음만으로는 의미를 구분할 수 없다. [보기 2]

④ 나–1처럼 형태소의 본 모양을 적으면 뜻이 쉽게 파악된다. ㉠ 우리는 웃을 수밖에 없었다.


⑤ 나–2는 어근의 본뜻이 파악되도록 어법에 맞게 적은 것 ㉡ 아이들은 잠시 밖에 나가 있어야 했다.
이다.
① ㉠의 ‘밖에’는 조사로 보아야겠군.
② ㉠의 ‘밖에’를 붙인 것은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일
때이군.
③ ㉡의 ‘밖에’는 명사와 조사의 결합으로 보아야겠군.
④ ㉡의 ‘밖’은 ㉠과 달리 ‘바깥’과 바꾸어 쓸 수 있겠군.
⑤ ㉠과 ㉡ 모두 ‘밖에’는 ‘밖’과 ‘에’의 두 단어로 보아야겠군.

18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6 2020. 11. 26. 오전 10:01


[ I04 ~ 05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I05 
2017(9월)/고1교육청 12

한글 맞춤법 제1장 총칙의 제1항은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윗글을 통해 <보기>의 ㉠~㉤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이다.
[보기]
여기서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은 ‘구름’과 같이 표준어를 발음
•사건의 전모가 ㉠ 드러나다.(들다+나다)
형태대로 적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집으로 ㉡ 돌아가다.(돌다+가다)
것은 한 단어가 다양한 발음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에 뜻을 쉽 •그의 얼굴에 ㉢ 웃음이 피어났다.(웃다+-음)
게 파악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형태소의 원형을 밝혀 적는 •㉣ 노름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일이었다.(놀다+-음)
것을 의미한다. •‌㉤ 사랑니를 뺐더니 통증이 한결 나아졌다.(사랑+이[齒])
형태소의 원형을 밝히는 경우를 살펴보자. 단어는 형성 방법
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어근이 결합되는 합성어와 어근의 앞이 ① ㉠은 어근이 본래 의미에서 멀어져 소리대로 적은 것이

나 뒤에 파생 접사가 붙는 파생어가 있다. 이때 합성어와 같이 겠군.


② ㉡은 어근의 본래 의미가 유지되어 끊어 적은 것이겠군.
어근끼리 연결된 경우에는 각 어근의 본래의 뜻이 유지되면 소
③ ㉢은 어근의 본래 의미가 유지되어 끊어 적은 것이겠군.
리대로 적지 않고 끊어적기를 한다.
④ ㉣은 어근이 본래 의미에서 멀어져 소리대로 적은 것이
 ‘국’ + ‘물’ → ‘국물’(◯) / ‘궁물’(×) 겠군.
단, ‘이[齒]’가 합성어에서 ‘니’로 소리가 날 경우에는 어근의 ⑤ ㉤은 어근이 본래 의미에서 멀어져 소리대로 적은 것이
의미 유지와 관계없이 ‘니’로 적는다. 겠군.

파생어의 경우에는 어근에 접두사가 붙으면 형태소의 원형


을 밝혀 적는다. 그리고 어근에 접미사가 붙을 때에 어근의 본 I06 
2016(9월)/고1교육청 13

래의 뜻이 유지되면 원형을 밝혀 끊어적기를 한다. <보기>의 과제를 해결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 ‘먹-’[食] + ‘-이’ → ‘먹이’(◯) / ‘머기’(×)
※ 과제: 다음 예문은 띄어쓰기가 올바른 문장입니다. 이를
20

DAY
이처럼 형태소의 원형을 밝혀 적을 것인지에 대한 판단에는 통해 띄어쓰기 규정을 알아볼까요?
어근이 본래의 뜻을 유지하는가가 중요한 요소이며 이를 토대
㉠ 너는 일밖에 모르니?
로 어법에 맞게 적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 연필 두 자루가 있습니다.

㉢ 나는 그저 웃고만 있었다.

I04 
㉣ 너무 아는 척을 하지 말아야 해.
2017(9월)/고1교육청 11
㉤ 청군 대 백군으로 나눠 경기를 했다.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한 것은? [2점]

①빛 ②옷 ③잎 ④ 바깥 ⑤ 하늘 ① ㉠: ‌‘일’과 ‘밖에’를 붙여 쓴 것을 보니, 조사는 붙여 쓰는군.


② ㉡: ‌‘두’와 ‘자루’를 띄어 쓴 것을 보니,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쓰는군.
③ ㉢: ‌‘웃고`만’과 ‘있었다’를 띄어 쓴 것을 보니, 본용언끼리
는 띄어 쓰는군.
④ ㉣: ‌‘아는’과 ‘척’을 띄어 쓴 것을 보니, 의존 명사는 띄어
쓰는군.
⑤ ㉤: ‌‘청군’, ‘대’, ‘백군’을 각각 띄어 쓴 것을 보니, 두 말을
이어 줄 때에 쓰이는 말은 띄어 쓰는군.

❖ 정답 및 해설 101~103p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8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7 2020. 11. 26. 오전 10:01


개념 35 한글 맞춤법 중 소리에 관한 것 I08 
예상 문제

된소리 <보기>를 참고하여 된소리 표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소리에
모음 것은? [2점]
관한 것
두음 법칙 [보기]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I07 
예상 문제
다만,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
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
다음 한글 맞춤법 규정으로 미루어 볼 때, 밑줄 친 말 중 잘못 쓰인
지 아니한다.
표현은? [2점]

① ‘어깨’는 두 모음 사이에서 뚜렷한 이유 없이 나는 된소리


【제10항】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
이므로 ‘어개’가 아니라 ‘어깨’로 표기하였다.
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② ‘잔뜩’은 받침 비음 뒤에서 뚜렷한 이유 없이 나는 된소리
다만, 의존 명사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이므로 ‘잔득’이 아니라 ‘잔뜩’으로 표기하였다.
[붙임 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
③ ‘똑닥똑닥’은 받침 ‘ㄱ’ 뒤에서 나는 된소리이므로 ‘똑딱똑
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딱’이 아니라 ‘똑닥똑닥’으로 표기하였다.
법칙에 따라 적는다.
【제11항】 한자음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의 첫머리에 ④ ‘갑자기’는 받침 ‘ㅂ’ 뒤에서 나는 된소리이므로 ‘갑짜기’가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야, 여, 예, 요, 유, 이’로 아니라 ‘갑자기’로 표기하였다.
적는다. ⑤ ‘똑똑’은 받침 ‘ㄱ’ 뒤에서 나는 된소리이지만 같은 음절이
다만,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겹쳐 나는 경우이므로 ‘똑독’이 아니라 ‘똑똑’으로 표기하
율’로 적는다. 였다.

① 당뇨(糖尿)는 무서운 병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② 시장에서 인삼 다섯 냥(兩)만 사오너라.
I09 
2015(11월)/고2교육청 13

<보기>를 바탕으로 한글 맞춤법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③ 그는 아직도 남존녀비(男尊女卑) 사상에서 벗어나지 못
않은 것은? [2점]
했다.
[보기]
④ 유행(流行)은 시대를 거슬러 돌고 도는 것이다.
【제5항】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⑤ 그의 목소리를 들으니 온 몸에 전율(戰慄)이 흘렀다.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
1. 두 모음 사이에 나는 된소리  ⓐ
2.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
다만, ‘ㄱ, ㅂ’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는, 같은 음절이
나 비슷한 음절이 겹쳐 나는 경우가 아니면 된소리로 적
지 아니한다.  ⓒ

① [으뜸]으로 소리 나는 말은 ⓐ에 따라 ‘으뜸’으로 표기해


야겠군.
② [거꾸로]로 소리 나는 말은 ⓐ에 따라 ‘거꾸로’로 표기해
야겠군.
③ [살짝]으로 소리 나는 말은 ⓑ에 따라 ‘살짝’으로 표기해
야겠군.
④ [씩씩]으로 소리 나는 말은 ⓑ에 따라 ‘씩씩’으로 표기해
야겠군.
⑤ [낙찌]로 소리 나는 말은 ⓒ에 따라 ‘낙지’로 표기해야겠군.

18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8 2020. 11. 26. 오전 10:01


개념 36 한글 맞춤법 중 형태에 관한 것 I11 
2016(9월)/고1교육청 12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 형태를 구별하여 적음. <보기>의 한글 맞춤법 규정을 ⓐ~ⓔ와 바르게 연결한 것은? [2점]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원형을 밝혀 적음. [보기]
형태에
관한 것 사이시옷 사이시옷을 받쳐 적음. ㄱ. 【제14항】 체언은 조사와 구별하여 적는다.
준말 준 대로 적음. ㄴ. ‌【제33항】 체언과 조사가 어울려 줄어지는 경우에는 준
대로 적는다.

I10 
2014(11월)/고1교육청 13 •너는 ⓐ 무얼 좋아하니?
<보기>를 바탕으로 한글 맞춤법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 이건 값이 너무 비싸다.
않은 것은? [2점] •ⓒ 너희 사진은 어디에 있니?
[보기] •나는 항상 ⓓ 여기에 있을게.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A] •ⓔ 그게 바로 문제의 핵심이다.
 먹어(◯)/머거(×), 좋고(◯)/조코(×)
[붙임 1]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언이 될 적에, ① ⓐ–ㄱ ② ⓑ–ㄱ ③ ⓒ–ㄴ ④ ⓓ–ㄴ ⑤ ⓔ–ㄴ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고,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밝히어 적지 아니한

I12
다.`  `[B] 
2015(6월)/고1교육청 13
⑴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
 늘어나다 다음은 인터넷 게시판의 질문과 답변이다. [가]와 [나]에 들어갈 내
⑵ 본뜻에서 멀어진 것 용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3점]
 사라지다, 쓰러지다
[붙임 2] 종결형에서 사용되는 어미 ‘-오’는 ‘요’로 소리
나는 경우가 있더라도 그 원형을 밝혀 ‘오’로 적는다.`
 `[C]
[질문]
 이리로 오시오.
20

DAY
그 일을 해낸 고등학생은 (일찌기, 일찍이) 없었다.
위 문장에서 ‘일찌기’와 ‘일찍이’ 중 어느 것이 옳은 표기
① [A]를 보니, 어간이 표시하는 의미와 어미가 표시하는 의
인가요?
미가 쉽게 파악될 수 있게 표기한 것이라 할 수 있군.
② ‘고개를 넘어 가다.’에서 ‘넘어’로 적는 것은 [A]의 ‘먹어’를 [답변]
표기할 때 적용된 규정을 따른 것이군. 한글 맞춤법 제25항을 살펴보면 ㉠ ‘-하다’가 붙을 수 있
③ ‘격차가 벌어지다.’에서 ‘벌어지다’로 적는 것은 [B]의 ‘사 는 어근에 ‘-히’나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되는 경우나, ㉡
라지다’를 표기할 때 적용된 규정을 따른 것이군. 부사에 ‘-이’가 붙어서 뜻을 더하는 경우에는 그 어근이나
④ ‘교실로 들어가다.’에서 ‘들어가다’로 적는 것은 [B]의 ‘앞 부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와 달
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에 해당하기 때문이군. 리 ㉢ 어근과 접사의 결합체로 분석되지 않는 경우는 소
⑤ ‌‘이것이 당신 것이오?’에서 ‘것이오’로 적는 것은 [C]의 ‘오 리 나는 대로 적습니다. 따라서 질문하신 단어는 ( [가] )
시오’를 표기할 때 적용된 규정을 따른 것이군.  에 해당하므로 ( [나] )로 적어야 합니다.

[가] [나] [가] [나]


① ㉠ 일찍이 ② ㉡ 일찌기
③ ㉡ 일찍이 ④ ㉢ 일찌기
⑤ ㉢ 일찍이

❖ 정답 및 해설 103~105p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8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89 2020. 11. 26. 오전 10:01


I13 
2018(11월)/고1교육청 12 I14 
2016(9월)/고2교육청 14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의 ㉠ ~ ㉤에 대해 탐구한 내용으로 밑줄 친 부분이 한글 맞춤법에 맞게 쓰인 것은? [2점]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① 힘든 일은 제가 다 알아서 할게요.
[보기 1]
② 무엇을 하던지 최선을 다했으면 좋겠어.
[한글 맞춤법]
③ 오늘 소풍 가는 날인데 비가 와서 어떻해.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④ 네가 원하는 꿈을 꼭 이룰 수 있기를 바래.
[붙임 1]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언이 될 적에, ⑤ 넉넉치 않은 살림이지만 어려운 사람을 돕자.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그 원형을 밝
히어 적고,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제19항 어간에 ‘-이’나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과 ‘-이’나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
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제23항 ‘-하다’나 ‘-거리다’가 붙는 어근에 ‘-이’가 붙어
서 명사가 된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I15 
2018(9월)/고1교육청 14

<보기>를 참고할 때, 밑줄 친 부분이 한글 맞춤법에 맞게 쓰인 것


[보기 2]
은? [2점]
•나는 모퉁이를 ㉠ 도라가다 예쁜 꽃을 보았다.
[보기]
•바닷물이 빠지자 갯벌이 ㉡ 드러났다.
한글 맞춤법
•날씨가 너무 더워서 ㉢ 얼음이 녹았다.
•건축 기사가 건물의 ㉣ 노피를 측량했다. 제56항 ‘-더라, -던’과 ‘-든지’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요새 동생이 밥을 잘 먹지 못해 ㉤ 홀쭈기가 되었다. 1. 지난 일을 나타내는 어미는 ‘-더라, -던’으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① ㉠은 제15항 [붙임 1]을 적용해 ‘돌아가다’로 정정해야겠군. ㄱ ㄴ
② ㉡은 제15항 [붙임 1]을 적용해 ‘드러났다’로 표기한 것이 적 깊던 물이 얕아졌다. 깊든 물이 얕아졌다.
절하군.
2. 물건이나 일의 내용을 가리지 아니하는 뜻을 나타내는
③ ㉢은 제19항을 적용해 ‘얼음’으로 표기한 것이 적절하군. 조사와 어미는 ‘(-)든지’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④ ㉣은 제23항을 적용해 ‘높이’로 정정해야겠군. 버림.)
⑤ ㉤은 제23항을 적용해 ‘홀쭉이’로 정정해야겠군. 
ㄱ ㄴ
배든지 사과든지 배던지 사과던지
마음대로 먹어라. 마음대로 먹어라.

① 영화나 보러 가던가.
② 그 사람 말 잘하든데!
③ 얼마나 깜짝 놀랐든지 몰라.
④ 어찌하던지 간에 나는 신경 안 써.
⑤ 무엇이든지 주저하지 말고 시작해 봐. 

19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0 2020. 11. 26. 오전 10:01


[ I 16 ~ 17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I16 
2019(9월)/고1교육청 11

‘홀쭉이’와 ‘홀쭈기’ 중 무엇이 올바른 표기일까? 이런 질문에 윗글을 바탕으로 <보기>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답을 제시해 주고 있는 것이 바로 한글 맞춤법이다. 한글 맞춤법
[보기]
제1항을 보면,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먹을 것은 많았지만, 마음 편히 먹고 있을 수만은 없었다.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라고 나와 있다. ⓐ ⓑ ⓒ
한글 맞춤법의 기본적인 원칙은 표준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 •집으로 돌아오다가 너무 지쳐 쓰러질 뻔했다.
는 것이다. 그러나 단어나 문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소리가 ⓓ ⓔ
바뀌는 경우에는 사정이 달라진다. 그래서 함께 제시된 것이
‘어법에 맞도록’ 적는다는 원칙이다. 어법에 맞게 적는다는 것 ① ⓐ는 용언의 어간 ‘먹-’에 어미 ‘-을’이 결합했으므로 형
태를 밝히어 적었군.
은 형태소들이 만나 소리가 바뀔지라도 형태소의 본 모양을 밝
② ⓑ는 체언 ‘것’에 조사 ‘은’이 붙었으므로 형태를 밝히어
히어 적는 것을 의미한다.
적었군.
국어의 단어와 문장은 형태소들이 결합하여 만들어진다. 형
③ ⓒ는 실질 형태소 ‘수’와 형식 형태소 ‘만’, ‘은’이 결합했으
태소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 등 실질적인 의미를 표시하는 실
므로 형태를 밝히어 적지 않았군.
질 형태소와, 접사나 용언의 어미, 조사처럼 실질 형태소에 결
④ ⓓ는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형태를 밝히어
합하여 보조적 의미를 덧붙이거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는 형
적었군.
식 형태소로 나뉜다. 예를 들어 ‘꽃나무’, ‘덮개’를 보면 실질 형
⑤ ⓔ는 앞말이 본뜻에서 멀어졌으므로 형태를 밝히어 적지
태소(꽃, 나무)끼리 만나 이루어지거나 실질 형태소(덮-)에 형 않았군.
식 형태소(-개)가 붙어 단어가 만들어진다. 또한 ‘모자를 쓰다’
에서는 실질 형태소(모자, 쓰-)에 각각 형식 형태소(를, -다)가
붙어 문장이 만들어진다.
그렇다면 어떠한 경우에 ‘어법에 맞도록’ 적어야 할까? 체언
에 조사가 붙거나 용언의 어간에 어미가 붙어 소리가 바뀔 때

20

DAY
형태를 밝히어 적는다. 예를 들어 ‘꽃이’는 [꼬치]로, ‘잡아’는
[자바]로 발음되지만 각각 ‘꽃이’와 ‘잡아’와 같이 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를 구별하여 적어야 한다.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언이 될 때에 ‘들어가다’처 I17 
2019(9월)/고1교육청 12

럼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윗글의 ㉠ ~ ㉢에 해당하는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다만, ‘드러나다’처럼 앞말이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원형을
① ㉠: 나는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었다.
밝히어 적지 않는다. ② ㉠: 모두들 그의 정신력을 높이 칭찬했다.
어근에 접사가 붙어 새로운 말이 만들어질 때에도 소리 나 ③ ㉡: 나는 그 사실을 익히 들어 알고 있다.
는 대로 적지 않고 형태를 밝히어 적는다. 예를 들어 ‘삶’은 ‘살 ④ ㉢: 그는 상처에서 흐르는 고름을 닦았다.
다’의 어간 ‘살-’에 접미사 ‘-ㅁ’이 붙어서 파생된 명사로 [삼ː] ⑤ ㉢: 그들은 새로 만든 도로의 너비를 측정했다.
이라 발음되지만 ‘삶’으로 적는다. 그리고 ‘많이’는 ‘많다’의 어간
‘많-’에 접미사 ‘-이’가 붙어서 부사가 된 것으로 [마ː니]라고 발
음되지만 ‘많이’로 적는다. 이처럼 ㉠ 용언의 어간에 ‘-이’나 ‘-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과 ㉡ 용언의 어간에 ‘-이’나 ‘-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다만, ㉢ 어간에 ‘-이’나 ‘-음’이 붙어서 명사로 바뀐 것이라도
그 어간의 뜻과 멀어진 것은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않는다.


❖ 정답 및 해설 106~107p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9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1 2020. 11. 26. 오전 10:01


I18 
2016(11월)/고1교육청 12 I19 
2019(11월)/고1교육청 11

<보기>는 한글 맞춤법 수업 중 준말과 관련한 학습지의 일부이다. <보기>는 ‘한글 맞춤법’의 일부를 정리한 학습지이다. 다음 글을 바
학생의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탕으로 <보기>의 ㉠~㉤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3점]
제40항 어간의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
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될 적에는 거센소 현대 국어의 표기는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
리로 적는다.  ㉠ 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라는 한글 맞춤법 규정을 따른다.
 간편하게 → 간편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은 표준어를 발음 나는 대
[붙임 1] ‘ㅎ’이 어간의 끝소리로 굳어진 것은 받침으로 적 로 적는 표음주의를,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은 각 형태소
는다.  ㉡ 의 본 모양을 밝혀 적는 표의주의를 채택한 것이다. 그런데
 아무렇다, 어떻다 일반적인 활용 규칙에서 어긋나는 경우, 합성어나 파생어
[붙임 2] 어간의 끝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 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성 요소가 본뜻에서 멀어진 경우 등
는다. 이는 어간의 끝음절 ‘하’가 줄어진 형태로 관용 에는 표음주의가 채택된다.
되고 있는 형식으로, 안울림소리 받침 뒤에서 나
[보기]
타난다.  ㉢
 넉넉하지 → 넉넉지 제15항 용언의 어간과 어미는 구별하여 적는다.
 ㉠ 먹고, ㉡ 좋아

① ‘다정하다’를 ‘다정타’로 적는 것은 ㉠의 규정을 따른 결과 [붙임] 두 개의 용언이 어울려 한 개의 용언이 될 적에,


라고 볼 수 있겠군.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은 그 원형을 밝히어

② ‘분발토록’은 ㉠에 따라 ‘분발하도록’에서 ‘하’의 ‘ㅏ’가 줄 적고, 그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⑴ 앞말의 본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  돌아가다
고 ‘ㅎ’이 다음 음절의 ‘ㄷ’과 어울려 거센소리로 된 결과
⑵ 본뜻에서 멀어진 것  ㉢ 사라지다, 쓰러지다
이겠군.
③ ‘이렇다’를 ‘이러타’로 적지 않는 것은 ㉡의 규정을 따른
제18항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
결과라고 볼 수 있겠군.
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
④ ‘무심하지’는 ㉢의 규정에 따라 ‘하’가 줄어진 형태인 ‘무
1. 어간의 끝 ‘ㅂ’이 ‘ㅜ’로 바뀔 적  ㉣ 쉽다, 맵다
심지’로 적을 수 있겠군.
2. ‌어간의 끝음절 ‘르’의 ‘ㅡ’가 줄고, 그 뒤에 오는 어미
⑤ ‘깨끗하지’는 ‘하’ 앞에 안울림소리 받침이 오는 것으로 보 ‘-아/-어’가 ‘-라/-러’로 바뀔 적  ㉤ 가르다, 부르다
아 ㉢의 규정에 따라 ‘깨끗지’로 적을 수 있겠군.
① ㉠은 단어의 기본형인 ‘먹다’와 마찬가지로 표의주의 방
식을 채택하고 있군.
② ㉡은 어간과 어미를 구별하여 형태소의 본 모양을 밝혀
적는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군.
③ ㉢은 합성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앞말이 본뜻에서 멀어져
발음 나는 대로 적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군.
④ ㉣은 활용할 때, ‘쉽고’와 같은 표의주의 표기와 ‘쉬우니’
와 같은 표음주의 표기를 모두 확인할 수 있군.
⑤ ㉤은 활용할 때, ‘갈라’와 같이 일반적인 활용 규칙에서
어긋난 경우에는 표의주의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군.

19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2 2020. 11. 26. 오전 10:02


I20 
2020(9월)/고1교육청 13 I21 
예상 문제

<보기>는 한글 맞춤법 규정의 일부를 정리한 것이다. 이를 읽고 탐 다음을 고려하여 모음의 발음을 이해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2점]
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제5항】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
제16항 어간의 끝음절 모음이 ‘ㅏ, ㅗ’일 때에는 어미를 ‘- 모음으로 발음한다.
아’로 적고, 그 밖의 모음일 때에는 ‘-어’로 적는다.  ㉠ 다만,

제18항 다음과 같은 용언들은 어미가 바뀔 경우, 그 어간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 발음한다.

1. ‘하다’의 활용에서 어미 ‘-아’가 ‘-여’로 바뀔 적  ㉡ •‘예, 례' 이외의 ‘ㅖ’는 [ㅔ]로도 발음한다.

2. ‌어간의 끝음절 ‘르’ 뒤에 오는 어미 ‘-어’가 ‘-러’로 바 •‌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

뀔적 ㉢ 한다.
•‌단어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① ‘시계를 보다.’에서 ‘보다’는 ㉠에 따라 어간 ‘보-’에 어미
‘–아’가 결합해 ‘보아’로 적겠군.
① ‘여우야’의 각각의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위치를 바꾸는
② ‘간식을 먹다.’에서 ‘먹다’는 ㉠에 따라 어간 ‘먹-’에 어미
것은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어’가 결합해 ‘먹어’로 적겠군.
② ‘닫혀’를 [다처]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③ ‘마당의 눈이 희다.’에서 ‘희다’의 어간 ‘희-’에 어미 ‘-아’
않는다.
가 결합하면 ㉡에 따라 ‘희여’로 적겠군.
③ ‘폐수’를 [폐수]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④ ‘민수가 공부를 하다.’에서 ‘하다’의 어간 ‘하-’에 어미 ‘-
않는다.
아’가 결합하면 ㉡에 따라 ‘하여’로 적겠군.
④ ‘의례적’을 [의례적]으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으로 인
⑤ ‘약속 장소에 이르다.’에서 ‘이르다’의 어간 ‘이르-’에 어미
정되지 않는다.
‘-어’가 결합하면 ㉢에 따라 ‘이르러’로 적겠군.
⑤ ‘띄어쓰기’를 [띄어쓰기]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20

DAY
I22 
2018(6월)/고2교육청 13

<보기>의 ‘표준 발음법’을 바르게 적용하지 못한 것은? [2점]


[보기]

【제10항】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


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제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
개념 37 표준 발음법의 총칙과 모음·받침의 발음 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
겨 발음한다.(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름.
총칙
단,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함.

단모음의 발음
① ‘넓지’는 【제10항】에 의거하여 [널찌]로 발음해야겠군.
모음의
발음 이중 모음의 발음 ② ‘옮겨’는 【제11항】에 의거하여 [옴겨]로 발음해야겠군.

음절의 끝소리 규칙
③ ‘읽고’는 【제11항】에 의거하여 [일꼬]로 발음해야겠군.
받침의
발음 자음군 단순화 ④ ‘값이’는 【제14항】에 의거하여 [갑시]로 발음해야겠군.
⑤ ‘훑어’는 【제14항】에 의거하여 [훌터]로 발음해야겠군.

❖ 정답 및 해설 107~110p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9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3 2020. 11. 26. 오전 10:02


I23 
예상 문제 I24 
2018(9월)/고1교육청 13

<보기>의 ‘표준 발음법’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1>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보기 2>의 ㉠ ~ ㉤을 발음한다고
 [3점] 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보기 1]

【제8항】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 표준 발음법


음만 발음한다.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제12항 ‘ㅎ(ㄶ, ㅀ)’ 뒤에 ‘ㄱ, ㄷ, ㅈ’이 결합되는 경우에
【제10항】 겹받침 ‘ㄳ’, ‘ㄵ’, ‘ㄼ, ㄽ, ㄾ’, ‘ㅄ’은 어말 또는 자 는, 뒤 음절 첫소리와 합쳐서 [ㅋ, ㅌ, ㅊ]으로 발
음 앞에서 각각 [ㄱ, ㄴ, ㄹ, ㅂ]으로 발음한다. 음한다.
【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제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옮겨 발음한다.(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제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
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 (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
겨 발음한다.(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제15항】 받침 뒤에 모음 ‘ㅏ, ㅓ, ㅗ, ㅜ, ㅟ’들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 [보기 2]
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주름이 ㉠ 많던 그 이마에는
㉡ 젊어 품었던 꿈들 사라졌지만
① ‘옷’과 ‘옷도’는 받침 ‘ㅅ’이 어말 또는 자음 앞에 위치한 경 너희가 없으면 나도 ㉢ 없단다.
우이므로 각각 [옫], [옫또]로 발음한다. ㉣ 꽃처럼 ㉤ 웃던 우리 어머니
② ‘닭고기’와 ‘읽고’는 겹받침 ‘ㄺ’이 자음 앞에 위치한 경우
이므로 각각 [닥꼬기], [익꼬]로 발음한다. ① ㉠은 제12항 규정에 따라 [만턴]으로 발음해야겠군.
③ ‘값이’는 겹받침 ‘ㅄ’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와 결합한 경 ② ㉡은 제14항 규정에 따라 [절머]로 발음해야겠군.
우이므로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긴 후 된소리 ③ ㉢은 제14항, 제23항 규정에 따라 [업딴다]로 발음해야겠군.
[갑씨]로 발음한다. ④ ㉣은 제9항 규정에 따라 [꼳]으로 발음해야겠군.
④ ‘앉아’는 겹받침 ‘ㄵ’이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와 결합한 경 ⑤ ㉤은 제9항, 제23항 규정에 따라 [욷떤]으로 발음해야겠군.
우이므로 [안자]로, ‘앉는’은 자음으로 시작된 어미와 결
합한 경우이므로 [안는]으로 발음한다.
⑤ ‘흙이’는 받침 ‘ㄺ’ 뒤에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가 결합한
경우이므로 [흘기]로, ‘흙 위’는 ‘위’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
소가 결합한 경우이므로 [흐귀]로 발음한다.

19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4 2020. 11. 26. 오전 10:02


I25 
2016(11월)/고2교육청 11 I26 
2016(9월)/고2교육청 11

<보기 1>은 표준 발음법 규정의 일부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기 2> <보기>의 표준 발음법을 참고하여 단어의 올바른 발음을 탐구한
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1] [보기]

제9항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 [표준 발음법]


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 제13항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
제13항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 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제14항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제18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ㅎ),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ㅂ(ㅍ, ㄼ, ㄿ, ㅄ)’은 ‘ㄴ, ㅁ’ 앞에서 [ㅇ, ㄴ, ㅁ]으 발음한다.
로 발음한다.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① ‘깎아’는 [깍가]로 발음해야 한다.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 ② ‘읊어’는 [을퍼]로 발음해야 한다.
(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 ③ ‘여덟을’은 [여덜블]로 발음해야 한다.
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④ ‘덮이다’는 [더피다]로 발음해야 한다.
⑤ ‘부엌이’는 [부어키]로 발음해야 한다.
[보기 2]

㉠ 들녘이    ㉡ 들녘도    ㉢ 들녘만

① ㉠에서 ‘들녘’의 ‘ㅋ’은 제13항이 적용되어 [ㄱ]으로 발음


되겠군.
② ㉡에서 ‘들녘’의 ‘ㅋ’은 제9항이 적용되어 [ㄱ]으로 발음되
겠군. I27 
2019(9월)/고1교육청 13

③ ㉡에서 ‘도’의 ‘ㄷ’은 제23항이 적용되어 [ㄸ]으로 발음되 <보기>는 표준 발음법의 된소리되기 중 일부이다. ㉠과 ㉡에 해당
겠군. 하는 예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2점]

21

DAY
④ ㉢에서 ‘들녘’의 ‘ㅋ’은 제18항이 적용되어 [ㅇ]으로 발음 [보기]

되겠군. ㉠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⑤ ㉠∼㉢에서 ‘들녘’의 ‘ㄴ’은 제20항이 적용되어 [ㄹ]로 발음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

되겠군. 로 발음한다.
㉡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 ㉡
① 늦게 [늗께] 얹다 [언따]
② 옆집 [엽찝] 있고 [읻꼬]
③ 국수 [국쑤] 늙다 [늑따]
④ 묶어 [무꺼] 껴안다 [껴안따]
⑤ 앉다 [안따] 머금다 [머금따] 

❖ 정답 및 해설 110~112p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9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5 2020. 11. 26. 오전 10:02


I28 
2016(3월)/고1교육청 14 개념 38 표준 발음법 중 음의 동화와 첨가
다음은 ‘윗-’, ‘위-’, ‘웃-’의 표기에 관한 탐구 과정이다. ㉠에 들어 구개음화
갈 조건으로 적절한 것은? [3점] 음의
비음화
동화
탐구 유음화
과제
‘윗-’, ‘위-’, ‘웃-’을 어떻게 구분하여 표기할까?
음의 ‘ㄴ’ 첨가
수집
자료
윗사람, 윗집, 위쪽, 위층, 웃어른 첨가 사이시옷

자료에서 ‘윗-’과 ‘웃-’의


자료에서 ‘위-’와 ‘윗-’의
쓰임의 차이를 확인한다.
쓰임의 차이를 확인한다.
자료
분석
윗사람(○), 웃사람(×)
위집(×), 윗집(○) I29 
2016(9월)/고1교육청 11
↔ 아랫사람(○)
위쪽(○), 윗쪽(×) 다음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윗어른(×), 웃어른(○)
위층(○), 윗층(×) [보기]
↔ 아랫어른(×)
[질문]
위 아래의 대립이
존재하는가? 다음 밑줄 친 부분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발음 원리와
함께 설명해 주세요.

예 아니오
㉠ 한여름, ㉡ 대관령에 올라 ㉢ 좋은 것만 가지려는 ㉣
탐구 욕망을 버리고 나니, ㉤ 그렇게 마음이 편할 수 없었다.
결과 ㉠

[답변]
예 아니오

‘위-’ ‘윗-’ ‘웃-’

① 합성어인가?
② 모음 앞에 위치하는가?
③ 울림소리 앞에 위치하는가? ① ㉠은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반모음 ‘ㅣ̌’로 시작
④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가? 할 때, ‘ㄴ’ 소리를 첨가하므로 [한녀름]이라고 읽습니다.
⑤ 된소리나 거센소리 앞에 위치하는가? ② ㉡은 ‘ㄴ’이 ‘ㄹ’ 앞에서 ‘ㄹ’의 영향을 받으므로 [대관녕]이
라고 읽습니다.
③ ㉢은 받침 ‘ㅎ’이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탈락하므로 [조
은]이라고 읽습니다.
④ ㉣은 ‘ㄱ’이 비음 앞에서 발음이 바뀌므로 [용망]이라고
읽습니다.
⑤ ㉤은 ‘ㅎ’과 ‘ㄱ’이 어울려 거센소리가 되므로 [그러케]라
고 읽습니다.

19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6 2020. 11. 26. 오전 10:02


I30 
2017(11월)/고1교육청 12 I31 
2016(3월)/고2교육청 11

다음은 표준 발음법의 일부이고, <보기>는 이를 학습하는 과정에 <보기>에 따라 표준 발음에 대하여 학습하였다. 각 예에 적용된 내
서 학생들이 나눈 대화이다. ㉠ ~ ㉤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용과 그 발음이 바르지 못한 것은? [2점]
[보기]
제23항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
ㅂ(ㅍ,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이 ‘이, 야, 여, 요, 유’인
된소리로 발음한다. 경우에는, ‘ㄴ’ 음을 첨가하여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
제24항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함. 그리고 ‘ㄹ’ 받침 뒤에 첨가되는 ‘ㄴ’ 음은 [ㄹ]로 발음
첫소리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함.  ⓐ
제26항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연결되는 ‘ㄷ, ㅅ, ㅈ’ •‌받침 ‘ㄱ, ㄷ, ㅂ’은 ‘ㄴ, ㅁ’ 등의 비음 앞에서 [ㅇ,ㄴ,ㅁ]
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으로 발음함.  ⓑ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발음함.  ⓒ
[보기]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함.  ⓓ
학생 1: ‘국밥’의 표준 발음은 [국밥]이야, [국빱]이야?
학생 2: 표준 발음법 제23항에 따르면, [국빱]이 맞아.  ㉠
예 적용 내용 발음
학생 3: ‘아무리 뻗대도 소용이 없다.’에서 ‘뻗대도’는 받
① 색연필 ⓐ, ⓑ [생년필]
침 ‘ㄷ’ 뒤에 ‘ㄷ’이 연결되기 때문에 [뻗대도]로 발음하겠
② 물약 ⓐ, ⓒ    [물냑]
네.  ㉡
③ 잡는다   ⓑ [잠는다]
학생 2: ‘그가 집에 간다.’에서 ‘간다’는 [간다]로 발음하는
데, ‘껴안다’는 왜 [껴안따]로 발음하지? ④ 강릉   ⓒ    [강능]
학생 3: ‘간다’의 기본형이 ‘가다’이므로 ‘ㄴ’은 어간 받침이 ⑤ 물난리   ⓓ [물랄리]
아니야. 그래서 표준 발음법 제24항을 적용할 수 없어.
학생 1: 표준 발음법 제24항에 따르면, ‘껴안다’는 [껴안따]
로 발음하는 것이 맞아.  ㉢
학생 2: 그러면 ‘그녀를 수양딸로 삼고 싶었다.’에서 ‘삼고’
는 어간 받침 ‘ㅁ’ 뒤에 ‘ㄱ’이 결합되어 [삼ː꼬]로 발음해
야겠네.  ㉣
21

DAY
학생 3: ‘결과(結果)’는 [결과]로 발음하는데, ‘갈등(葛藤)’은
왜 [갈뜽]으로 발음하지?
학생 1: ‘갈등(葛藤)’은 표준 발음법 제26항에 따라 [갈뜽]으
로 발음하지만, ‘결과(結果)’는 여기에 해당되지 않아.  ㉤

①㉠ ②㉡ ③㉢ ④㉣ ⑤ ㉤

❖ 정답 및 해설 112~114p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9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7 2020. 11. 26. 오전 10:03


I32 
2016(11월)/고1교육청 11 I33 
2020(6월)/고1교육청 14

다음은 표준 발음에 대한 수업 장면의 일부이다. 각 예에 적용된 <보기>의 <표준 발음법>을 참고할 때, ㉠과 ㉡의 사례가 모두 바르
내용과 그 발음이 모두 바른 것은? [3점] 게 짝지어진 것은? [2점]
[보기]
학생: 선생님, 저번 시간에 ⓐ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 <표준 발음법>
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23항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고 하셨으 받침 ‘ㄱ(ㄲ, ㅋ, ㄳ, ㄺ), ㄷ(ㅅ, ㅆ, ㅈ, ㅊ, ㅌ), ㅂ(ㅍ,
니까 ‘막일’은 [마길]로 발음해야 하나요? ㄼ, ㄿ, ㅄ)’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선생님: 그렇지 않아요. ⓑ 합성어 및 파생어에서, 앞 단어 발음한다.
나 접두사의 끝이 자음이고 뒤 단어나 접미사의 첫음절
이 ‘이, 야, 여, 요, 유’인 경우에는, [ㄴ] 소리를 첨가하여 국밥[국빱] 솥전[솓쩐] 옆집[엽찝] ( ㉠ )
[니, 냐, 녀, 뇨, 뉴]로 발음해야 하기 때문에 ‘막일’은 [망
제24항
닐]로 발음해야 해요.
어간 받침 ‘ㄴ(ㄵ), ㅁ(ㄻ)’ 뒤에 결합되는 어미의 첫소리
학생: 그러면 ‘막일’에서 ‘일’이 [닐]로 발음되는 건 이해가
‘ㄱ,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
되는데, ‘막’은 왜 [망]으로 발음이 되는 거죠?
선생님: 그것은 ⓒ 받침소리 [ㄱ, ㄷ, ㅂ]은 [ㄴ, ㅁ] 소리 앞 신고[신ː꼬] 얹다[언따] 닮고[담ː꼬] ( ㉡ )
에서 [ㅇ, ㄴ, ㅁ]으로 발음되는 현상 때문입니다. 그래
서 [막닐]이 아니라 [망닐]로 발음해야 됩니다.
㉠ ㉡
① 옷고름 [옫꼬름]
학생: 아, 그렇군요. 말씀해 주신 것 말고도 제가 더 알아둬
젊고 [점ː꼬]
야 할 것이 있나요?
② 문고리 [문꼬리] 감고 [감ː꼬]
선생님: ⓓ [ㄴ] 소리가 첨가된 후, 이 [ㄴ] 소리가 받침소리
[ㄹ] 뒤에서 [ㄹ]로 발음되는 현상도 있습니다. ‘물약’을 ③ 갈등 [갈뜽] 앉다 [안따]
[물략]으로 발음하는 것이 이에 해당해요. ④ 덮개 [덥깨] 언짢게 [언짠케]
⑤ 술잔 [술짠] 더듬지 [더듬찌]

예 적용 내용 발음

① 눈 + 요기 ⓐ [눈뇨기]
② 내복 + 약 ⓑ, ⓒ [내ː봉냑]
③ 색 + 연필 ⓑ, ⓒ [색년필]
④ 들+일 ⓑ, ⓓ [들ː닐]
⑤ 칼+날 ⓑ, ⓓ [칼랄]

19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8 2020. 11. 26. 오전 10:03


1등급 킬러 문제 I35 
2019(9월)/고2교육청 12

다음 글과 <보기>를 바탕으로 할 때,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I34 
2018(3월)/고2교육청 12

<보기>의 선생님의 질문에 답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우리말에는 형태는 같지만 기능이 달라 띄어쓰기를 판
[보기] 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특히 의존 명사는 조사, 어미
선생님: 우리말에서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합성 명사를 의 일부 등과 형태가 같아 띄어쓰기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

이룰 때, 뒤 어근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거나 두 우가 있다. 이때 이들의 문법적 특성을 이해하면 띄어쓰기

어근 사이에 ‘ㄴ’이 첨가되기도 합니다. 다음은 이와 관 를 하는 것에 도움이 된다.

련된 표준 발음법의 규정을 정리한 것입니다. 의존 명사는 의미상 그 앞에 수식하는 말, 즉 관형어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의존적인 말이지만 자립 명
㉮ ‌‘ㄱ, ㄷ, ㅂ, ㅅ, ㅈ’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사이시옷이
사와 같은 명사 기능을 하므로 단어로 취급하여 앞말과 띄
올 때는 이들 자음만을 된소리로 발음하는 것을 원칙으
어 쓴다. 그러나 조사는 결합한 앞말과 분리해도 앞말이
로 하되, 사이시옷을 [ㄷ]으로 발음하는 것도 허용한다.
자립성을 유지하므로 단어로 보지만, 단독으로 쓰이지 못
㉯ ‌사이시옷 뒤에 ‘ㄴ, ㅁ’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으로,
하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쓴다. 그리고 어미는 용언의 어
‘이’ 음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ㄴㄴ]으로 발음한다.
간과 분리하면 어간과 어미가 모두 자립성을 잃기 때문에
㉮는 앞 어근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뒤 어근의 첫 단어로 보지 않으며 앞말에 붙여 쓴다.
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사전은 문법적 특징과 의미 등의 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다.
바뀌는 현상과 관련된 규정입니다. 그리고 ㉯는 앞 어근 따라서 띄어쓰기 여부를 확인할 때 사전을 적극적으로 활용
이 모음으로 끝나고 뒤 어근이 ‘ㄴ, ㅁ’으로 시작되면 앞 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어근의 끝소리에 ‘ㄴ’ 소리가 첨가되는 현상, 혹은 앞 어
[보기]
근이 모음으로 끝나고 뒤 어근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
만큼
로 시작되면 앞 어근의 끝소리와 뒤 어근의 첫소리에 각
[Ⅰ] 「의존 명사」
각 ‘ㄴ’이 첨가되는 현상과 관련된 규정입니다
「1」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임을 나타내는 말
「2」 ‌뒤에 나오는 내용의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내는 말
그러면, 이를 바탕으로 다음 단어들에 대해 설명해 볼
[Ⅱ] 「조사」
까요?
21

DAY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빨랫돌[빨래똘/빨랟똘], 옷깃[옫낃],
홑이불[혼니불], 뱃머리[밴머리], 깻잎[깬닙]
데 「의존 명사」
「1」 ‘곳’이나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말
「2」 ‘일’이나 ‘것’의 뜻을 나타내는 말
① ‘빨랫돌’은 합성 명사로, 앞 어근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
고 뒤 어근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므로 ㉮의 예로 볼 -는데 「어미」
[1]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묻거나 시키거나 제안
수 있어요.
하기 위하여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말할 때
② ‘옷깃’은 합성 명사이고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
에 쓰는 연결 어미
상이 나타나므로 ㉮의 예로 볼 수 있어요.
③ ‘홑이불’은 ‘ㄴ’의 첨가가 나타나지만, ‘홑-’이 접사이므로
① 명주는 무명만큼 질기지 못하다.
㉯의 예로 볼 수 없어요.
② 학교에 가는데 비가 오기 시작했다.
④ ‘뱃머리’는 합성 명사로, 앞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고 뒤
③ 그 책을 다 읽는데 삼 일이나 걸렸다.
어근이 ‘ㅁ’으로 시작하는 음운 환경에서 앞 어근의 끝소
④ 소리가 나는 데가 어디인지 모르겠다.
리에 ‘ㄴ’이 첨가되므로 ㉯의 예로 볼 수 있어요.
⑤ 방 안은 숨소리가 들릴 만큼 조용했다.
⑤ ‘깻잎’은 합성 명사로, 앞 어근이 모음으로 끝나고 뒤 어
근이 ‘ㅣ’로 시작되는데 앞 어근의 끝소리와 뒤 어근의 첫
소리에 각각 ‘ㄴ’이 첨가되므로 ㉯의 예로 볼 수 있어요. 

❖ 정답 및 해설 114~117p I. 한글 맞춤법과 표준 발음법 19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199 2020. 11. 26. 오전 10:03


[ I 36 ~ 37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I36 
2020(3월)/고2교육청 12

한 음운이 다른 음운의 속성을 닮아 가는 음운 현상을 ‘동화’ [A]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라고 한다. 이때 동화를 일으키는 음운을 ‘동화음’, 동화음을 닮 ① ‘딤’가 ‘짐’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구개음화는
아 가는 음운을 ‘피동화음’이라고 한다. 동화 현상의 하나인 구 ‘ㄷ-구개음화’에 해당한다.
개음화는, 경구개가 아닌 위치에서 발음되는 자음이 단모음 ② ‘딤’가 ‘짐’로 변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구개음화는 형
‘ㅣ’나 반모음 ‘ㅣ̆’ 앞에서 경구개음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으로, 태소 내부에서 일어났다.
피동화음인 자음이 동화음 ‘ㅣ’나 반모음 ‘ㅣ̆’가 경구개 부근에 ③ ‘김치’의 ‘치’에서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것은 ‘치’의

서 발음되는 속성을 닮아 가는 것이다. 모음이 본래 ‘ㆎ’였기 때문이다.


④ ‘짐’가 ‘김’로 변하는 과정에서 언중은 ‘짐’를 ‘ㄱ-
구개음화는 피동화음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데 피동
구개음화’가 일어난 형태라고 생각했다.
⑤ ‘김치’의 본래 형태가 ‘딈’였고 형태소 내부에서의 ‘ㄷ-
화음이 ‘ㄷ, ㅌ, ㄸ’인 경우는 ‘ㄷ-구개음화’, 피동화음이 ‘ㄱ,
ㅋ, ㄲ’인 경우는 ‘ㄱ-구개음화’로 부른다. 현대 국어에서 표준
구개음화’가 사라진 후에 ‘ㅢ’가 ‘ㅣ’로 변화했다면 구개음
발음으로 인정되는 구개음화는 ‘ㄷ-구개음화’ 중 다음 두 가지
화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다. 우선 음절 끝소리가 ‘ㄷ, ㅌ’인 형태소가 단모음 ‘ㅣ’로 시
작하는 조사나 접사 같은 형식 형태소와 결합하여 ‘ㅈ, ㅊ’으로
변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음절 끝소리가 ‘ㄷ’이고 뒤에 접사 ‘-
히-’가 올 때 ‘ㄷ’과 ‘ㅎ’이 축약되어 ‘ㅌ’이 되고, 이것이 구개음
‘ㅊ’으로 되는 경우이다.
과거에는 ‘ㄱ-구개음화’도 일어났다. 방언에서 ‘기름’이 ‘지름’
으로 변화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I37 
2020(3월)/고2교육청 11

과거에는 구개음화가 형태소 내부에서도 일어날 수 있었으며, 윗글을 바탕으로 현대 국어의 표준 발음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
이는 근대 국어 시기에 활발하게 일어났다. 절한 것은? [2점]

그런데 현대 국어에는 ‘마디’, ‘견디다’와 같이 과거에 구개음 ① ‘같이’를 [가치]로 발음하는 이유는 피동화음이 ‘ㄱ’인 경
화가 일어났을 법한데 그렇지 않은 단어들이 남아 있다. 이런 우이기 때문이다.
단어들은 ‘ㄷ’ 뒤에 오는 모음이 원래 ‘ㅣ’가 아닌 다른 모음이었 ② ‘많지만’을 [만치만]으로 발음하는 이유는 동화음이 반모
다는 공통점이 있다. 예를 들어 ‘마디’는 과거에 ‘마듸’였는데, 음 ‘ㅣ̆’인 경우이기 때문이다.

형태소 내부에서의 구개음화가 사라진 후에 ‘ㅢ’가 ‘ㅣ’로 바뀌 ③ ‘맏이’를 [마디]로 발음하지 않는 이유는 구개음화를 일으

었기 때문에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채로 남게 된 것이다.


키는 동화음이 없기 때문이다.
④ ‘곁으로’를 [겨츠로]로 발음하지 않는 이유는 두 형태소가
과거에 일어났던 구개음화와 관련하여 잘못된 교정이 일어
결합하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이다.
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문헌상으로 ‘김치’의 과거 형태는 ‘딤
’였는데 구개음화가 일어난 이후 ‘짐’로 나타난다. 그런
⑤ ‘끝인사’를 [끄친사]로 발음하지 않는 이유는 뒤에 결합하
[A] 는 형태소가 형식 형태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데 언중이 구개음화가 일어난 형태를 원래 형태로 교정하고
자 하는 과정에서 원래 형태를 잘못 생각하여 ‘김’의 형태
로 교정하게 되고 이것이 현재의 ‘김치’가 되었다.


20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 정답 및 해설 117~118p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0 2020. 11. 26. 오전 10:03


동아리 소개
서광회

서강대 사진 동아리

아날로그적 낭만이 함께하는 서광회


서강대학교 중앙 사진 동아리 서광회는 1963년에 만들어진 전국 대학교 사진 동아리 중 가장

역사가 깊은 곳입니다.

카메라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서광회는 사진을 좋아하고, 나누며,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싶은

그 누구에게나 열려 있습니다.

사진 전시를 주요 활동으로, 주로 방학을 이용해 1년에 최소 두 차례 정기 사진전을 개최합니다.


여름 방학에 진행되는 신인전은 동아리가 생겨난 이래로 쭉 흑백 사진의 전통을 지켜오고 있는

서광회만의 특별한 활동입니다.

겨울 방학 정기전에서는 신인전을 통해 갈고닦은 실력을 마음껏 발휘하여 경험의 폭을 넓히고

성장한 사진 실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희와 함께 사진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법을 배우고

서로의 시각을 공유하며, 사진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갈 여러분을 기다립니다.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1 2020. 11. 26. 오전 10:03


J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개념 39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참고

1 외래어 표기법 ★★현용 24 자모


① ‌자음
1. 표기의 기본 원칙 ○○까페 △△카페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제 1 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ㅈ, ㅊ, ㅋ, ㅌ, ㅍ, ㅎ
② ‌모음
【제 2 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 file: 파일(), 화일(×) / film: 필름(), 휠름(×) 어느 것이 ㅣ
맞는 표기일까?
【제 3 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 chocolate 초콜릿, shop 숍, supermarket 슈퍼마켓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
으므로 ‘카페’라고 표기해야 한다. 생각 +
【제 4 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Paris 파리, cafe 카페, conte 콩트 ★★‘버스’는 외국어일까, 외래어일
까?
【제 5 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외래어는 다른 나라 말에서 빌려
 piano 피아노(), 피애노(×) / camera 카메라(), 캐머러(×) 와서 우리말처럼 쓰는 말이고, 외
2. 틀리기 쉬운 외래어 표기 국어는 다른 나라의 말로 우리말로
대체할 수 있는 말이다. 따라서 우
틀린 표기 바른 표기 틀린 표기 바른 표기 틀린 표기 바른 표기 리말로 바꿀 수 없으면 외래어이고
까페 카페 밧데리 배터리 쵸콜렛 초콜릿 그렇지 않으면 외국어이다. 즉, ‘버
스, 냄비, 라디오, 빵’은 외래어이고
도너츠 도넛 뱃지 배지 칼라 컬러
디스켙 케익/케잌
‘굿모닝, 선데이, 보이프렌드’는 외
디스켓 부페 뷔페 케이크 국어이다.
디지탈 디지털 악세사리 액세서리 테입 테이프
메세지 메시지 알콜 알코올 프라자 플라자

2 로마자 표기법 Jongno 1-ga

1. 표기의 기본 원칙
Jongro 2-ga
【제 1 항】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왕십리 Wangsipri(×), Wangsimni()
2. 자음과 모음 표기 규칙
종로는 [종노]로 발음되므로, 개념+
(1) 자음(초성일 때, 받침일 때) ‘Jongno’라고 표기해야 한다.
★★로마자 표기에서 붙임표(-)는
ㄱ ㄲ ㅋ ㄷ ㄸ ㅌ ㅂ ㅃ ㅍ ㅈ ㅉ ㅊ ㅅ ㅆ ㅎ ㄴ ㅁ ㅇ ㄹ 어떤 경우에 쓸까?

g, k kk k d, t tt t b, p pp p j jj ch s ss h n m ng r, l ① ‌해운대 Hae-undae
→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2) 모음 때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쓴다.
ㅏ ㅓ ㅗ ㅜ ㅡ ㅣ ㅐ ㅔ ㅚ ㅟ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ㅙ ㅝ ㅞ ㅢ (표기상의 유의점 【제2항】)
② ‌송나리 Song Na-ri
a eo o u eu i ae e oe wi ya yeo yo yu yae ye wa wae wo we ui
→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
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
3. 그 밖의 원칙
임표를 허용한다. (표기상의
(1)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적으며, ‘ㄹ’은 모음 유의점 【제 4항】)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로 적고, ‘ㄹㄹ’은 ‘ll’로 적음. (표기 일람 【제2항】 [붙임]) ③ ‌도봉구 Dobong-gu
종로 2가 Jongno 2-ga
 독도 Dokdo, 벚꽃 beotkkot, 설악 Seorak, 울릉 Ulleung
→ ‌행정 구역 단위와 ‘가’ 앞에
(2)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를 반영하여 표기함. 다만, 체언에서 ‘ㄱ, ㄷ, ㅂ’ 는 붙임표를 쓴다. (표기상
의 유의점 【제 5항】)
뒤에 ‘ㅎ’이 따를 때에는 ‘ㅎ’을 밝혀 적음.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 묵호 Mukho, 집현전 Jiphyeonjeon
(3)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음.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붙임])  낙동강 Nakdonggang

20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2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완성 TEST

1 외래어 표기법 2 로마자 표기법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 ) 자모만으로 적는다. 13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 )에 따라 적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02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 )(으)로 적는다.

03 파열음 표기에는 ( )을/를 쓰지 않는 것을 원 14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 체언에서 ‘ㄱ, ㄷ, ㅂ’ 뒤에


‘( )’이/가 올 때에는 ‘( )’을/를 밝혀 적는다.
칙으로 한다.
15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어말에서는 ‘( ), ( ), ( )’(으)로 적는다.

04 ‘fantasy’를 ‘환타지’로, ‘family’를 ‘훼밀리’로 표기하는 16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l’
것은 1 음운을 1 기호로 적는 규칙에 맞지 않는다. 로 적고, ‘ㄹㄹ’은 ‘( )’(으)로 적는다.
 (,×)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5 ‘service’는 ‘써비스’로, ‘paris’는 ‘빠리’로 표기한다.
 (,×) 17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
영하지 않는다. (,×)
06 ‘piano’를 ‘피아노’로, ‘model’을 ‘모델’로 표기하는 것은
이미 굳어진 외래어의 관용을 존중하는 것이다. 18 ‘김나미’는 Kim nami로 쓰는 것으로 보아, 이름 사이에
 (,×) 는 붙임표를 쓸 수 없다. (,×)

✽ 다음 중 외래어 표기법에 비추어 맞는 표기에  표시하시오. ✽ 다음


‌ 중 로마자 표기법에 비추어 맞는 표기에  표시하시오.

07 우리의 첫 만남은 (카페, 까페)에서 이루어졌었지. 19 효창(Hyochang, Hoychang) 공원 앞에서 보자.


08 (초콜렛, 초콜릿)을 너무 많이 먹으면 몸에 좋지 않아. 20 옛날 가락(garak, galak)을 들으면 대중가요와는 또 다
른 멋이 느껴져.
09 우리 집에 있는 (칼라 프린터, 컬러 프린터)가 고장 났어.
22

DAY
10 이번 어버이날에는 축하 (케잌, 케익, 케이크)을/를 직 21 3호선 학여울(Hangyeoul, Hangnyeoul)역에서 만나기
로 한 거지?
접 만들 거야.

11 어젯밤 늦게 급한 (메세지, 메시지)가 왔었어. 22 백마(Baekma, Baengma) 타고 오는 초인을 기다리자.


23 종로(Jongro, Jongno)는 예나 지금이나 서울의 중심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지.
12 다음 단어를 외래어 표기법에 맞게 바르게 표기하시오.

단어 외래어 표기 24 다음은 자음의 로마자 표기 규칙이다. 빈칸에 들어갈 말을 쓰


file ㉠:
시오.
doughnut ㉡:
alcohol ㉢: ㄱㄲㅋㄷㄸㅌㅂㅃㅍㅈㅉㅊㅅㅆㅎㄴㅁㅇㄹ
accessory ㉣: kk k tt t pp p j jj s h n m ng

정답
01 24 02 1 기호 03 된소리 04  05 × 06  07 카페 08 초콜릿 09 컬러 프린터 10 케이크 11 메시지 12 ㉠ 파일 ㉡ 도넛 ㉢ 알코올 ㉣ 액세서리
13 표준 발음법 14 ㅎ,ㅎ 15 k, t, p 16 ll 17  18 × 19 Hyochang 20 garak 21 Hangnyeoul 22 Baengma 23 Jongno 24 (순서대로) g, k / d, t /
b, p / ch / ss / r, l

J.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20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3 2020. 11. 26. 오전 10:03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39

개념 39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J03 


2013(11월B)/고2교육청 11

국어의 현용 24 자모로 표기함. 다음은 표준 발음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일부이다. 이를 이


‘외래어의 1 음운 = 1 기호’로 표기함.
외래어 해한 학생의 반응으로 적절한 것은? [2점]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씀.
표기법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음.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함. [표준 발음법]
표준 발음법에 따라 적용.
【제4장 제8항】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 7
체언에 오는 ‘ㄱ, ㄷ, ㅂ’ 뒤에서 ‘ㅎ’을 밝혀 적음. 개 자음만 발음한다.
로마자
된소리되기는 반영하지 않음.
표기법 【제5장 제19항】 받침 ‘ㅁ,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로
•‘ㄱ, ㄷ, ㅂ’: ‌모음 앞 (g, d, b) / 자음 앞과 어말 (k, t, p)
•‘ㄹ’: 모음 앞 ( r ), 자음 앞과 어말 ( l ) 발음한다.
•‘ㄹㄹ’: l l
【제20항】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J01
【제1장 제1항】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예상 문제
따라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음 외래어 표기법이 틀린 이유로 적절한 것은? [2점] 【제2장 제1항】 모음은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1. 단모음
나는 까페(cafe)에서 공부하면 집중이 잘 안 돼. ㅏ ㅓ ㅗ ㅡ
a eo o eu
【제2장 제2항】 자음은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①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1. 파열음
②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ㄱ ㄲ ㄷ ㅌ ㅂ
③ 받침에는 ‘ㄱ,ㄴ,ㄹ,ㅁ,ㅂ,ㅅ,ㅇ’만을 쓴다. g, k kk d, t t b, p
④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파찰음
⑤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 ㅈ ㅊ
j ch
는 따로 정한다. 3. 마찰음
ㅅ ㅎ
s h
4. 비음
J02 
예상 문제 ㄴ ㅁ ㅇ
n m ng
<보기>의 지하철 역명을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한 것 중에서 옳
5. 유음
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r, l
〔붙‌임 1〕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
이나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붙‌임 2〕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
서는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제3장 제3항】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① 신림 Sinrim ② 봉천 Bongcheon
③ 낙성대 Nakseongdae ④ 강남 Gangnam
① ‘종로’는 ‘Jongro’로 표기해야겠군.
⑤ 선릉 Seolleung 
② ‘탐라’는 ‘Tamna’로 표기해야겠군.
③ ‘벚꽃’은 ‘Beotkkoj’으로 표기해야겠군.
④ ‘강릉’은 ‘Kangneung’으로 표기해야겠군.
⑤ ‘한라산’은 ‘Halrasan’으로 표기해야겠군.

20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4 2020. 11. 26. 오전 10:03


J04 
2012(9월AB)/고2교육청 6 J05 
2014(3월B)/고2교육청 13

<보기>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중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이 다음은 학생들이 궁금해 하는 질문과 이와 관련된 외래어 표기법
를 적용하여 잘못 표기된 나라 이름을 수정하였을 때, 수정 근거가 이다. 질문에 답하기 위해 참조해야 할 규정을 바르게 짝지은 것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은? [2점]
[보기]

◇ ‌‘ㄱ, ㄷ, ㅂ’은 모음 앞에서는 ‘g, d, b’로, 자음 앞이나 [질문]


어말에서는 ‘k, t, p’로 적는다.  ㉠ ○ ‌프랑스의 수도를 적을 때 ‘파리’로 적어야 할까, ‘빠리’로
◇ ‌‘ㄹ’은 모음 앞에서는 ‘r’로,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는 적어야 할까?  ㉠
‘l’로 적는다. 단, ‘ㄹㄹ’은 ‘ll’로 적는다.  ㉡ ○ ‌‘racket’의 발음 [t]를 받침으로 표기할 때, ‘ㄷ’, ‘ㅅ’, ‘ㅌ’
◇ 된소리되기는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중 무엇으로 적어야 할까?  ㉡
◇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 ○ ‌[f]를 표기하기 위한 새로운 기호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
까?  ㉢
단, 국어의 로마자 표기는 국어의 표준 발음법에 따라 [외래어 표기법]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1장】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나라 이름 수정 전 → 수정 후 수정 근거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고려[고려] golyeo → Goryeo ㉠, ㉣  ①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발해[발해] Parhae → Balhae ㉠, ㉡  ②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
백제[백쩨] Paegje → Baekje ㉠ ③ 으로 한다.
신라[실라] Silra → Silla ㉡ ④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
옥저[옥쩌] okjjeo → Okjeo ㉢, ㉣  ⑤ 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 ㉡ ㉢
① 제1항 제3항 제2항
② 제1항 제4항 제5항
③ 제4항 제3항 제1항
④ 제4항 제5항 제2항
22

DAY
⑤ 제5항 제4항 제3항

❖ 정답 및 해설 118~120p J.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20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5 2020. 11. 26. 오전 10:03


동아리 소개
달고나

중앙대 연합 동아리

달라서 달콤한 달고나


달고나는 여러 대학의 학생들이 모여 만든 다문화 봉사 동아리입니다.

새터민, 이주 노동자, 이주 아동 및 여성에 관한 문제 등

다문화 문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달고나의 일원이 될 수 있습니다.

달고나는 매주 다문화 청소년들의 교육에 도움을 주는 봉사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교과목 학습 지원 및 문화 체험 등 다문화 청소년들에게 꼭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아리 회원들과 토요일마다 모여 다문화와 관련된 이슈에 대해 토론 및 스터디를 합니다.

또한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토크 콘서트를 열기도 하며

직접 여러 다문화 관련 행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합 다문화 동아리 달고나는 서울 시립 문화 교류 센터의 지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회원들과의 모임 활동에 대한 인증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소수자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에 열린 생각을 품은 대학생들에게

달고나는 여러분의 뜻을 함께 펼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6 2020. 11. 26. 오전 10:03


PART
국어의 역사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개념 40 훈민정음
‌ 창제 이전의 고대 국어

개념 41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운용

개념 42 중세 국어

개념 43 근대 국어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7 2020. 11. 26. 오전 10:03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개념 40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고대 국어
참고

1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표기 ★★국어의 시대 구분


•‌한자 유입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우리말을 표기할 때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렸는데, 이를 ‘차자 표기(借 고대 국어 (BC 2~3세기)
(~10세기) •‌통일 신라
字表記)’라고 한다. 차자 표기는 인명과 지명 등의 고유 명사를 표기하는 것에서 시작되어 우리 (676~936년)
말 문장을 표기하는 단계로까지 나아갔다.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방법에는 글자 고려 건국(918년)
전기
의 뜻을 살려 사용하는 방법과 뜻은 버리고 그 음만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중세 국어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인명, 지명, 관직명 등을 표기한 것이다. (10~14세기)
고유 명사  ‌‘永同郡 本吉同郡 (영동군본길동군–영동군은 본래 길동군이었다.)’ - 《삼국사기》 한글 창제(1443년)
표기 → ‌‘永’의 ‘길다’라는 뜻을 빌려 표기한 것으로, 오늘날은 ‘永同郡’을 ‘영동군’이라 읽지만 당시 후기
중세 국어
에는 ‘길동군’으로 읽었음을 의미한다.
(15~16세기)
한자를 우리말 어순에 맞게 변형·배열하여 표기한 것이다. 임진왜란
서기체
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약차사실천대죄득서–만약 이 일을 어기면 하느님에게 큰 죄를 얻을 것 (1592~1598년)
(誓記體)
을 맹세한다.)’ - <임신서기석> → 한문 어순에 따르면 ‘得大罪’이나 이를 우리말 어순으로 바꾸었다. 근대 국어
한자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읽을 때 그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구절의 중간에 조사나 어미 (17~19세기)
와 같은 문법 형태소인 ‘토(吐)’를 달아 표기한 것이다. 원문은 그대로 두고 구결만 달았으므로 이
구결(口訣) 갑오개혁(1894년)
를 생략해도 문장의 의미는 통한다.
현대 국어
 ‘天地之間萬物中厓 (천지지간만물중애) 唯人伊 (유인이) 最貴羅 (최귀라)’ - 《동몽선습》
(20세기~)
한자를 우리말 어순으로 고쳐 쓰고 이에 토를 달아 표기한 것으로, 실용문이나 공사(公私) 문서에
이두(吏讀) 주로 사용되었다.
 ‘南山新城作節 如法以作 (남한산성을 지을 제, 법대로 짓고)’
우리말 어순 사용 도구, 수단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로’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 문장 전체를 표기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실질 형태소는 뜻을 빌려


향찰(鄕札) 적고, 형식 형태소는 음을 빌려 적었다.  ‘善花公主主 隱 (선화공주님 은)’ - <서동요> 참고
뜻음 실질 형식
★★ 고대 국어의 시기
2 고대 국어의 음운 고대 국어는 삼국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까지 약 1,000년 동안의
자음 모음 국어를 가리킨다.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가 쓰였
•자음의 개수 14개 (ㄱ, ㅋ, ㆁ, ㄴ, ㄷ, ㅌ, ㄹ, ㅁ, ㅂ, •단모음 개수 7개 (ㅣ, ㅜ, ㅡ, ㅓ, ㅗ, ㆍ, ㅏ)로 추정되
을 것으로 추정하나 자료가 부족
ㅍ, ㅅ, ㅈ, ㅊ, ㅎ)로 추정됨. 나 일부 모음의 음가 즉 조음 위치는 오늘날과 다름.
하여 정확한 모습은 알기 어렵다.
•예사소리와 거센소리는 존재하였으나 된소리는 발 통일 신라 시대에는 신라어를 중
달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됨. •전설 모음은 전설 모음끼리, 후설 모음은 후설 모음 심으로 국어가 통일되었을 것으로
•모든 자음들이 음절 말 위치에서도 음가대로 발음했 끼리 어울리는 현상 (구개적 모음 조화)이 존재함. 추정한다.
을 것으로 추정됨.

3 고대 국어의 어휘
고유어 한자가 들어오기 전부터 우리 민족이 사용해 온 순우리말이다. 참고
한자의 영향으로 8세기 중엽에는 고유어로 불리던 인명, 지명, 관직명을 중국식을 본떠 한자 ★★ 한자 풀이
한자어와
로 고치기도 하였고, ‘붇 (筆), 먹 (墨)’ 등 중국어 차용어와 ‘부텨 (佛陀), 미륵 (彌勒)’ 등 불교계 •伊 (저 이)
외래어의 유입
외래어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是 (이 시)
•乙 (새 을)
4 고대 국어의 문법 •隱 (숨을 은)
•古 (옛 고)
조사 •주격 조사: 이 [伊, 是] •목적격 조사: (으)ㄹ [乙] •보조사: (으)ㄴ [隱] •㫆 (하며 며)

•연결 어미: -고 [古], -며 [㫆]


•如 (같다 여)
•관형사형 어미: -ㄹ [尸], -ㄴ [隱] •종결 어미: -다 [如]
어미 •賜 (줄 사)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 [賜]

20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8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완성 TEST

1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표기 2 고대 국어의 음운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훈민정음 창제 이전까지는 ( )의 음과 뜻을 빌려 10 고대 국어의 자음은 ( )개로 이루어져 있었을 것


우리말을 표기하였다. 으로 추정된다.

02 차자 표기의 종류에는 고유 명사 표기, 이두, 구결, 서 11 고대 국어의 모음은 단모음 ( )개로 이루어져 있
기체, ( ) 등이 있다. 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3 차자 표기는 우리말 문장을 표기하는 것에서 시작되어 12 고대 국어에는 예사소리, 거센소리, 된소리가 모두 존
고유 명사를 표기하는 단계로 나아갔다. 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
04 향찰에서 일반적으로 실질 형태소는 한자의 뜻을, 형식 13 고대 국어에서는 모든 자음들이 음절 말 위치에서 음가
형태소는 한자의 음을 빌려 적었다. 대로 발음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
05 서기체는 한자를 우리말 어순에 맞게 변형하여 배열한
표기법이다.
3 고대 국어의 어휘
 (,×)

06 구결을 사용한 표기법의 경우 토를 생략하면 문장의 의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14 ‘붇(筆), 먹(墨)’ 등은 불교계 외래어가 유입된 것이다.


 (,×)  (,×)

15 한자의 영향으로 고유어로 불리던 인명, 지명, 관직명


✽ 다음
‌ 설명에 해당하는 표기법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등이 중국식을 본떠 한자로 바뀌기도 하였다.
 (,×)
23

DAY
[보기]

㉠ 구결      ㉡ 이두      ㉢ 향찰

4 고대 국어의 문법
07 한자를 우리말 어순으로 고쳐 쓰고 토를 단 표기법
 ( )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8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 문장 전체를 표기한 표 16 고대 국어에서 조사 ‘이[伊, 是]’는 주격 조사로 사용되


기법  었다.
 ( )  (,×)

09 한자를 우리말로 번역하여 읽을 때 구절의 중간에 토를 17 고대 국어의 높임 표현 선어말 어미 ‘-시-[賜]’는 객체


단 표기법 를 높일 때 사용되었다.
 ( )  (,×)

정답
01 한자 02 향찰 03 × 04  05  06 × 07 ㉡ 이두 08 ㉢ 향찰 09 ㉠ 구결 10 14 11 7 12 × 13  14 × 15  16  17 ×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0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09 2020. 11. 26. 오전 10:03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개념+
개념 41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운용 ★★《훈민정음》 서문 해석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

1 훈민정음의 창제 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여서 이런 까


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한글은 1443년에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가리키며,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훈민정음》 서문에는 창제 목적이 제시되어 있다.
가 이를 위하여 가엾게 여겨 새로

나랏 말미 中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디 아니 이런 젼로 어린 百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

姓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내 이 爲윙


자주 정신 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安
애민 정신

킈 고져  미니라
실용 정신

참고
2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
《훈민정음》 해례본은 ‘훈민정음’의
초성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17개)
제자 원리와 운용법 등을 설명한
중성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11개) 한문 해설서로 《훈민정음》 원본에
종성 초성 글자를 다시 쓰라고 규정(종성부용초성) 해당한다. 본문에 해당하는 예의
(例義) 부분은 세종이 직접 만들었
1. 초성 글자의 제자 원리 으며 해설에 해당하는 해례(解例)는
집현전의 학자들이 만들었다.
어금닛소리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구멍소리 반혓소리 반잇소리
《훈민정음》 언해본은 해례본의 어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
제 서문과 예의 부분만을 한글로
ㄱ ㄴ ㅁ ㅅ ㅇ - - 풀이하여 간행한 것으로, 중세 한
국어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상형 ㄱ ㄴ ㅁ ㅅ ㅇ
- - 문헌 자료이다.

가획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ㆆ, ㅎ - -
이체 ㆁ - - - - ㄹ ㅿ 개념+

(1) 상형: 기본자인 ‘ㄱ, ㄴ, ㅁ, ㅅ, ㅇ’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다. ★★훈민정음 운용의 그 밖의 특징

(2) 가획: 각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거세게 발음하였다.(ㅋ, ㄷ, ㅌ, ㅂ, ㅍ, ㅈ, ㅊ, ㆆ, ㅎ) •붙여쓰기: 부서(附書)라고도 하


며, 중성이 초성과 합쳐질 때의
(3) 이체: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기는 하나 가획의 의미는 지니지 않은, 즉 세기는 그대 중성의 위치를 초성을 기준으로
로인 소리이다.(‘ㆁ(옛이응)’, ‘ㄹ(반설음)’, ‘ㅿ(반치음)’) 규정한 것을 말한다.

2. 중성 글자의 제자 원리 ·
‌‘ , ㅡ, ㅗ, ㅜ, ㅠ’와 같이 옆으
로 납작하게 생긴 글자는 ‘,
(1) 상형: 중성의 기본 글자인 ‘·, ㅡ, ㅣ’는 각각 하늘, 땅, 사람을 본떠 만들었다. 그’처럼 초성 아래 붙인다.
(2) 합성: 기본자 (‘·, ㅡ, ㅣ’)를 결합시켜 만들었다. •방점 찍기: 가점(加點)이라고도
하늘 · 하며 왼쪽에 점을 찍어 소리의
초출(初出)자 ‘ㅏ, ㅓ, ㅗ, ㅜ’ (기본이 되는 두 모음을 결합함.)
높낮이를 표시한다는 규정이다.
재출(再出)자 ‘ㅑ, ㅕ, ㅛ, ㅠ’ (초출자에 ‘·’를 다시 결합함.)
사람 ㅣ 평성 가장 낮은 소리로 점
3. 종성 글자의 원리 (平聲) 이 없다.
땅 ㅡ 가장 높은 소리로 점
(1) 종성부용초성: 종성은 초성을 다시 쓴다. 거성
(去聲) 이 하나다.  ·거
(2) 팔자가족용: 사용할 때는 여덟 글자로 충분하다.(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상성 낮았다 높아지는 소리

3 훈민정음의 운용 (上聲) 로 두 점이다.  : 거

•합용의 원리: 훈민정음은 자음


1. 이어 쓰기(연서): ‘ㅇ’을 순음 아래 이어 써서 입술가벼운소리(순경음)를 나타낸다.
17자와 모음 11자인 28자를 조합
 ‘ㅱ, ㅸ, ㅹ, ㆄ’ (‘ㅸ’만 국어 표기에 사용하고 나머지는 한자음의 표기에 사용함.) 하여 ‘ㅺ’, ‘ㅸ’ 등의 더 많은 글자
를 만들 수 있었으며, 이는 합용
2. 나란히 쓰기(병서): 초성을 합칠 때는 가로로 나란히 쓴다.
의 원리에 따른 것이다. 적은 수
각자 병서 ‘ㄲ, ㄸ, ㅃ, ㅆ, ㅉ, ㆅ’ (같은 글자를 나란히 쓰는 것) 의 글자를 이용하여 많은 글자를
합용 병서 ‘ㅺ’, ‘ㅳ’, ‘ㅴ’ (서로 다른 글자를 나란히 쓰는 것) 만들어 낸다는 점에서 경제적이
고 익히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3. 음절 이루기(성음): 초성, 중성, 종성을 반드시 합해서 써야 한다.

21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0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완성 TEST

1 훈민정음의 창제 3 훈민정음의 운용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1 ‘훈민정음’의 뜻은 ‘( )을/를 가르치는 바른 소리’ 11 ‘종성부용초성’은 종성은 ( ) 글자를 다시 쓰라고


이다. 규정한 것이다.

02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은 《훈민정음》 ( )에 제시 12 ‘ㅇ’을 순음 아래 이어 쓰는 운용법을 ( )(이)


되어 있다. 라고 한다.

13 ‘ㅺ’, ‘ㅳ’과 같이 서로 다른 글자를 나란히 쓰는 운용법


을( )(이)라고 한다.
2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
14 훈민정음의 붙여쓰기(부서) 규정에 따르면 ‘·, ㅡ, ㅗ’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등과 같이 옆으로 납작하게 생긴 글자는 초성 ( )
03 훈민정음은 초성 ( )개와 중성 ( )개로 이루 에 붙인다.
어져 있다.
15 방점 찍기(가점)은 왼쪽에 점을 찍어 소리의 ( )
04 기본 글자의 음보다 더 거세게 발음되는 글자는 기본 글 을/를 표시한다는 규정이다.
자에 획을 더해 만들었는데 이를 ( )(이)라 한다.

05 ( )은/는 기본 글자에 획을 더해 만들었으나


소리가 거세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6 순경음에는 ‘ㅱ, ㅸ, ㅹ, ㆄ’이 있으나 이 중에서 국어 표


기에 사용된 것은 ‘ㅱ’만이었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06 세종이 새로 만든 글자는 28자이다.
17 같은 글자를 가로로 나란히 쓰는 일, 또는 그렇게 만든
 (,×)
글자를 각자 병서라고 한다.
07 초성 글자는 조음 위치에 따라 ‘어금닛소리’, ‘혓소리’,  (,×)
‘입술소리’, ‘잇소리’, ‘콧소리’로 나뉜다.
18 붙여쓰기는 중성이 초성과 합쳐질 때의 초성의 위치를
23

DAY
 (,×)
중성을 기준으로 규정한 것이다.
08 초성 글자의 제자 원리는 상형과 가획, 이체로 나눌 수  (,×)
있다.
19 방점 찍기는 평성은 점이 없고, 거성은 한 점이며, 상성
 (,×)
은 두 점을 찍어 표시하는 운용법이다.
09 중성의 기본 글자인 ‘·, ㅡ, ㅣ’는 각각 하늘, 바다, 사  (,×)
람을 본떠 만들었다.
 (,×)

10 중성의 기본 글자를 합하여 만든 글자를 초출자, 이에 20 훈민정음에서 밝히고 있는 초성의 기본자를 모두 쓰시오.
다시 ‘·’를 더해 만든 글자를 재출자라고 한다.
( )
 (,×)

정답
01 백성 02 서문 03 17, 11 04 가획 05 이체자 06  07 × 08  09 × 10  11 초성 12 이어 쓰기(연서) 13 합용 병서 14 아래 15 높낮이 16 ×
17  18 × 19  20 ㄱ, ㄴ, ㅁ, ㅅ, ㅇ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1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1 2020. 11. 26. 오전 10:03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개념 42 중세 국어 ★★자음 ‘ㆁ, ㆆ, ㅇ, ㅿ’
개념+

•‌‘ㆁ’(옛이응, 아음(牙音)): 현대
1 중세 국어의 표기 국어의 종성의 ‘ㅇ’과 음가가 같
은데, 현대와는 달리 초성에서
종성 표기 받침은 주로 8개의 초성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로만 표기함. 도 나타났다.
•‌‘ㆆ’(여린 히읗): 사잇소리 표기
기본 형태를 밝혀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었으므로,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
로도 쓰이고, 관형사형 어미 ‘ㄹ’
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결합할 때 받침에 있는 종성을 다음 자의 초성으로 내
이어적기 아래에 쓰여 뒤에 오는 음운이
려서 쓰는 이어적기 (연철) 방식이 일반적이었음.
 말 + 이 → 말미
된소리로 발음됨을 표시하였다.
•‌‘ㅇ’(이응): ‘아’, ‘(此)’와 같
띄어쓰기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음. 이 특별한 소리 없이 글자의 형
상을 갖추기 위해 사용된 경우와
‘달아’, ‘이’와 같이 유성 마찰
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었다.
2 중세 국어의 음운 •‌‘ㅿ’(반치음): ‘ㅅ’에 대립되는 유
성 마찰음으로 울림소리 사이에
•현대 국어에는 없는 ‘ㆁ, ㆆ, ㅸ, ㅿ’ 등이 사용되었음. 서 사용되었다.
자음 •경음 (된소리) 계열이 등장하여 점차 발달함.   (>꿈)
•‘ㅳ’, ‘ㅴ’ 같은 어두 자음군이 존재함.   (뜻)
•‌7개의 단모음 (ㆍ, ㅡ, ㅣ, ㅏ, ㅗ, ㅓ, ㅜ)과 다양한 이중 모음 (ㆎ, ㅐ, ㅚ, ㅢ, ㅔ, ㅟ, ㅑ, ㅛ,
ㅕ, ㅠ, ㅘ, ㅝ 등)이 존재함.
모음
•‌모음 조화가 비교적 잘 지켜짐. (‘ㆍ, ㅏ, ㅗ’는 양성 모음, ‘ㅡ, ㅓ, ㅜ’는 음성 모음, ‘ㅣ’는 중
개념+
성 모음이었음.)
★★중세 국어의 시기
고려 건국부터 16세기 말까지의
국어를 중세 국어라고 한다. 중세
3 중세 국어의 어휘 국어는 세종 25년(1443년) 12월 훈
민정음의 창제를 기준으로 하여
1.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한자어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한자어와 고유어 사이에 유의 관계가
다시 전기 중세 국어와 후기 중세
형성되고, 서로 경쟁을 벌이다 어느 한쪽이 사라지거나 단어의 의미가 변하게 되었다. 국어로 나누기도 한다.
 ‘’과 ‘강(江)’ 중에서 ‘’, ‘얻다’와 ‘得다’ 중에서 ‘得다’가 사라짐.

2. 외래어의 유입: 13세기에서 14세기에 걸쳐 고려가 원(元)나라와 관계를 맺게 됨에 따라 몽골어


가 유입되었다.
 몽골어 가운데 말 (馬)과 매, 군사, 음식 용어가 주로 차용되었고, 약간의 여진어 어휘도 차용되었음.
참고
3. ‘ㅎ’ 종성 체언: 중세 국어에는 현대 국어와 달리 ‘ㅎ’을 종성으로 가지고 있는 체언들이 있었다.
★★중세 국어의 조사
  +  → 암,  +  → 수 (현대 국어에서 쓰이는 ‘암탉’, ‘수탉’은 이때 만들어진 말이 이어져 내려온 것임.)
•‌주격 조사: 주격 조사 ‘이’는 환
‘ㅎ’ 종성 체언은 체언이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ㅎ’이 드러나지 않고 조사와 결합하면 그 모습 경에 따라 ‘이, ㅣ, ∅’의 세 가지
을 드러낸다. 형태로 실현되었다. 자음 뒤에
서는 ‘이’, 모음 ‘ㅣ’나 반모음 ‘ㅣ̆’
 돌히 (돌 + 이), 돌콰 (돌 + 과), 돌토 (돌 + 도)
이외의 모음 뒤에서는 ‘ㅣ’, 모음
‘ㅣ’나 반모음 ‘ㅣ̆’ 뒤에서는 ∅
로 나타났다.
4 중세 국어의 문법 •‌목적격 조사: 목적격 조사는 선
행 체언이 자음으로 끝날 때는
조사 어미 의문문 ‘/을’, 모음으로 끝날 때는 ‘
/를’로 나타났고, 모음으로 끝나
•주격 조사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샤-’ •‌판정 의문문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
는 체언 뒤에서 ‘/를’ 대신 ‘ㄹ’
: ‘이, ㅣ, ∅’
•높임
: ‌의문 보조사 ‘가/아’, 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
표현
•목적격 조사 종결 어미 ‘-녀’, ‘-려’ •‌관형격 조사: 관형격 조사는 ‘
: ‘을/를, /, ㄹ’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더-/-다-’ •‌설명 의문문 /의’ 계열과 ‘ㅅ’ 계열이 존재했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ㄴ-’
•시간 는데, ‘/의’는 평칭의 유정 명
•관형격 조사 : ‌의문 보조사 ‘고/오’,
: ‘/의’, ‘ㅅ’
표현 사에 사용되었고, ‘ㅅ’은 높임의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리-’ 종결 어미 ‘-뇨’, ‘-료’
유정 명사나 무정 명사에 사용
•호격 조사: 높임의 뜻을 •전성 •‌2인칭 주어가 쓰인 의문문
명사형 어미: ‘-옴/움’ 되었다.
나타내는 ‘하’ 어미 : ‘-ㄴ다’

21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2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완성 TEST

1 중세 국어의 표기 08 고려가 원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됨에 따라 우리나


라에 ( )어가 유입되었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9 중세 국어에서 쓰인 고유어 ‘람’은 현대 국어에서는
01 중세 국어의 받침은 주로 ( )개의 초성자로만 표
‘( )’을/를 의미한다.
기하였다.

02 중세 국어에서는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에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결합할 때 받침에 있
는 종성을 다음 자의 초성으로 내려서 쓰는 ( 10 중세 국어에서 유의 관계에 있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경
)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쟁할 경우 한자어가 승리하였다.
 (,×)

11 전기 중세 국어에 차용된 몽골어는 대개 말(馬)이나 매,


2 중세 국어의 음운 군사 용어가 주류를 이루었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03 중세 국어의 자음에는 현대 국어에서는 쓰이지 않는 것


들도 있다. 4 중세 국어의 문법
 (,×)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4 중세 국어에는 ‘ㅳ’과 같은 어두 자음군이 존재하였다. 
12 중세 국어의 ( ) 조사에는 ‘/의’, ‘ㅅ’이 있었다.
 (,×)
13 중세 국어의 ( ) 조사에는 ‘을/를, /’, ‘ㄹ’
05 중세 국어에서는 현대 국어에서보다 모음 조화가 잘 지
이 있었다.
켜지지 않았다. 
 (,×)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14 중세 국어에는 현대 국어와 달리 상대 높임 선어말 어


06 중세 국어의 모음 ‘·, ㅡ, ㅣ, ㅗ, ㅏ, ㅜ, ㅓ’를 양성, 음성, 중
미가 존재하였다. 
성 모음으로 분류하시오.
23

DAY
 (,×)
양성 모음 ㉠:
15 중세 국어의 의문문은 설명 의문문과 판정 의문문이 종
음성 모음 ㉡:
결 어미가 다르게 나타났다.
중성 모음 ㉢:
 (,×)

16 중세 국어에는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 --,


--’이 존재하였다. 
3 중세 국어의 어휘
 (,×)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17 중세 국어에서 주격 조사 ‘이’는 환경에 따라 ‘이, ㅣ,
07 중세 국어에서는 한자어와 고유어 사이에 ( ) ∅’의 세 가지 형태로 실현되었다.
관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

정답
01 8 02 이어적기(연철) 03  04  05 × 06 ㉠ ㆍ, ㅏ, ㅗ ㉡ ㅡ, ㅓ, ㅜ ㉢ ㅣ 07 유의 08 몽골 09 강 10 × 11  12 관형격 13 목적격 14 
15  16 × 17 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1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3 2020. 11. 26. 오전 10:03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개념 43 근대 국어
1 근대 국어의 표기 참고

★★근대 국어의 시기
주로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7개 글자를 주로 사용하여 표기함. 종성의 ‘ㄷ’과 ‘ㅅ’의 발음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약
종성 표기
상의 구별이 어려워지면서 ‘ㄷ’을 ‘ㅅ’으로 적는 경향이 나타났음. 300년 동안의 국어를 근대 국어라
중세의 이어적기(연철) 방식이 현대의 끊어적기(분철) 방식으로 바뀌어 가는 과도기적 표기로 고 한다. 17세기부터 국어에 많은
거듭적기(중철) 방식이 나타남.  말 + 이 → 말미
거듭적기 변화가 일어나 음운, 단어, 문법 등
이 앞 시대의 국어와 상당 부분 다
른 모습을 보인다.
2 근대 국어의 음운
자음 모음
•‘ㆆ’: 15세기 중엽에 소실됨. •‌‘ㆍ’: 16세기 (둘째 음절 위치에서 주로 ‘ㅡ’나 ‘ㅗ, ㅏ’
•‌‘ㆁ’: 16세기 초 (음절 초에서는 사라지고 음절 말에 로 변화함.) → 17세기 (첫음절에서도 ‘ㅏ’로 바뀜.)
서만 발음됨.) → 16세기 말 (‘ㅇ’으로 대체되어 완전 → 18세기 (완전히 소실됨. 모음 조화 붕괴 원인)
히 소실됨.)
•‘ㅿ’: 16세기 말에 소실됨. •‌‘ㅔ, ㅐ’: 중세 국어에서 이중 모음이었던 것이 단모
•‘ㆅ’: 17세기 말에 소실됨. 음으로 변화함. (근대 국어의 단모음은 8개임.)
•‘ㅂ’, ‘ㅄ’계 어두 자음군이 사라지면서 된소리로 바뀜.

3 근대 국어의 어휘
어엿븐 제가
셩이로구나.
1. 서구 문물과 관련한 외래어의 도입: 중국을 통해 서양 문물이나 예쁘다고요?
사상이 들어오면서부터 새 문물에 대한 어휘가 한자어로 많이
만들어졌다.
 ‘자명종 (自鳴鐘)’, ‘천주교 (天主敎)’ 등

2. 의미의 변화: 근대 국어 어휘들 가운데에는 중세 국어에서와 의


미가 달라진 것들이 있다. 중세 국어에서 ‘어엿브다’는 ‘불쌍하다’는 의미였으나
 ‌중세 국어에서 ‘어리다’ (‘어리석다’의 뜻) → 근대 국어에서는 ‘나이가 적다’라는 뜻 근대 국어로 와서는 ‘예쁘다’의 의미로 바뀌었다.

4 근대 국어의 문법
조사 어미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
•‌주격 조사: ‘이/가’, ‘셔, 겨셔’, ‘겨오셔, 옵서’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
•높임

상대 높임 선어말 어미: ‘--’


표현
•‌관형격 조사: ‘의’(‘ㅅ’은 관형격 기능을 잃고 사이 참고
시옷으로만 사용됨.) 과거 시제 선어말 어미: ‘-앗-/-엇-’
현재 시제 선어말 어미: ‘--’,‘-ㄴ/(는)-’
•시간 ★★주격 조사 ‘가’의 출현
•‌호격 조사: ‘하’는 후기 근대 국어에서 소실됨.
•‌보조사: ‘, 만’(한정의 의미), ‘지, ’(한도의
표현 주격 조사 ‘가’는 근대 국어 시기가
미래 시제 선어말 어미: ‘-겟-’, ‘-리-’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
의미) •전성 하였다. 초기에는 반모음 ‘ㅣ̆’로 끝
명사형 어미: ‘-기’
어미 나는 체언 뒤에 오다가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전체로 확대되어 현
현대 국어와 더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근대 국어의 문법 현상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대 국어와 같은 모습을 보이게 되
(1) 원순 모음화: 양순음 ‘ㅁ, ㅂ, ㅍ, ㅃ’ 다음에 나타나는 평순 모음 ‘ㅡ’가 원순 모음 ‘ㅜ’로 바뀌 었다.
는 현상으로, 17세기 전반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7세기 후반에 완성되었다.
 ‘믈’ → ‘물’, ‘플’ → ‘풀’
(2) 성조와 방점의 소실: 성조는 16세기부터 혼란이 일어나 17세기를 거치면서 완전히 사라졌고
이에 따라 방점 표기도 없어졌다. 낮았다 높아지는 음인 상성은 장음으로, 나머지 거성과
평성은 단음으로 발음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3) 구개음화: 17~18세기에 구개음화가 점진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 ‘티다’ → ‘치다’

21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4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완성 TEST

1 근대 국어의 표기 3 근대 국어의 어휘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1 근대 국어의 종성은 주로 ‘ㄱ, ㄴ, ㄹ, ㅁ, ㅂ, ㅅ, ㅇ’의 10 중세 국어에서 ‘어엿브다’는 ‘불쌍하다’라는 뜻이었으나


7개 글자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근대 국어에 와서 ‘예쁘다’라는 의미로 바뀌었다.
 (,×)  (,×)

02 근대 국어에서는 중세의 이어적기 방식이 현대의 거듭 11 근대 국어에는 고유어와 함께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었다.


적기 방식으로 바뀌어 가는 과도기적 표기로 끊어적기  (,×)
방식이 나타났다.
12 ‘천주교’, ‘자명종’ 등은 새로 유입된 문물을 가리키기 위
 (,×) 해 만들어진 한자어이다.
 (,×)

2 근대 국어의 음운 13 중세 국어의 ‘어리다’는 ‘나이가 적다’라는 뜻이었으나


근대 국어에 와서 ‘어리석다’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
03 ‘ㅂ’계, ‘ㅄ’계 어두 자음군이 사라지면서 ( )
(으)로 바뀌었다.
4 근대 국어의 문법
04 ‘·’는 16세기에 둘째 음절에서 주로 ‘( )’로, 17
세기에 첫음절에서도 ‘( )’로 바뀌었다. ✽ 다음
‌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

05 중세 국어에서 이중 모음이었던 ‘( )’가 근대 14 근대 국어에서는 고대 국어의 주격 조사 ‘이’의 음운론


국어에서 단모음으로 변화하였다. 적 이형태인 ‘( )’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5 근대 국어의 선어말 어미 ‘-앗-/-엇-’은 ( )


시제를 나타낸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06 ‘ㆁ’은 16세기 말에 음절 말 ‘ㅇ’으로 대체되었다.


16 선어말 어미와 그 기능을 바르게 연결하시오.
 (,×) 23

DAY
㉠ 주체 높임 • • ⓐ ‘-시-’
07 중세 국어의 자음 ‘ㆆ, ㆁ, ㅿ, ㆅ’은 근대 국어에 이르러
한꺼번에 소실되었다. ㉡ 상대 높임 • • ⓑ ‘--’

 (,×) ㉢ 객체 높임 • • ⓒ ‘--’

08 근대 국어에서 모음 조화가 흔들린 것은 ‘·’의 소실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 다음 설명이 맞으면 , 틀리면 × 표시하시오.
 (,×) 17 보조사 ‘지, ’는 한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09 중세 국어에서 7모음 체계였던 단모음은 근대 국어에  (,×)
이르러 8모음 체계로 변화하였다.  18 근대 국어에서 ‘ㅅ’은 관형격 기능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  (,×)

정답
01  02 × 03 된소리 04 ㅡ, ㅗ, ㅏ / ㅏ 05 ㅔ, ㅐ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가 15 과거
16 ㉠–ⓐ, ㉡–ⓒ, ㉢–ⓑ 17  18 ×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1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5 2020. 11. 26. 오전 10:03


내신+학평 대비 기출·예상 문제 개념 40 ~ 개념 43

개념 40 훈민정음 이전의 고대 국어 K02 


예상 문제

차자
<보기 1>을 참고하여 <보기 2>를 이해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고유 명사 표기, 서기체, 구결, 이두, 향찰
표기 은? [2점]
[보기 1]
음운 자음 14개, 모음 7개
향찰이란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 문장 전체를 표
어휘 고유어, 한자어와 외래어의 유입 기한 것으로, 실질 형태소는 뜻을 빌려 적고, 형식 형태소
는 음을 빌려 적었다.
문법 조사, 어미
[보기 2]

원문 ㉠ `善花 ㉡ `公 ㉢ `主 ㉣ `主 ㉤` 隱

K01
뜻 착할 꽃 공평할 주인 주인 숨길

예상 문제
음 선 화 공 주 주 은
<보기>를 참고하여 고대 국어의 단어의 특징을 이해한 것으로 가 해독 선화 공주님은
장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① ㉠은 사람의 이름으로 실질 형태소에 해당하나 뜻을 빌
2세기부터 우리나라에 한자가 유입되어 어휘 체계에 영
려 적는 방식을 따르지 않았군.
향을 미쳤다. 신라 경덕왕(742년~765년)은 중국의 제도와
② ㉡은 ‘공’으로 해독되는 것으로 보아 한자의 음을 빌려 표
문화를 적극 수용하는 한화(漢化) 정책을 펴서 신라의 제반
기한 경우이군.
제도와 관직, 순우리말 지명(地名)을 한자(漢字)로 바꾸기도
③ ㉢과 ㉣은 같은 한자로 표기하였으나 서로 다른 요소를
하였다. ‘서라벌’을 ‘경주(慶州)’로, ‘달구벌’을 대구(大邱)로 바
빌려 적었군.
꾼 것이 그 예이다. 이 밖에도 ‘붇[筆]’, ‘먹[墨]’ 등의 차용어
④ ㉣은 ‘주인’이라는 높임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므로 이를
가 쓰이고, 불교의 전래로 ‘부텨[佛陀]’, ‘미륵(彌勒)’ 등의 단
어가 쓰였다. 빌려 ‘님’을 표기한 것이군.
⑤ ㉤은 조사로, 실질 형태소에 해당하므로 뜻을 빌려 적었군.
① 평민들의 일상생활과 관련 있는 단어들이 주로 차용되었다.
② 지배층의 정책으로 인해 백성들의 고유어의 사용이 금지
되었다.
③ 한자어가 일시적으로 유입되었으나 갈수록 영향력이 약
화되었다.
④ 외래 문물과 사상의 유입에 따라 새로운 단어가 사용되
었다.
⑤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에서 고유어가 절대적 우위를 차
지하였다.

21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6 2020. 11. 26. 오전 10:03


개념 41 훈민정음 창제 원리와 운용 K04 
예상 문제

상형(象形) <보기>를 바탕으로 ‘훈민정음의 창제’에 대해 이해한 것으로 적절


초성의 제자 원리 가획(加劃) 하지 않은 것은? [2점]
이체(異體) [보기]

상형(象形) ㉠ `나랏 말미 中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


디 아니 이런 젼로 ㉡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중성의 제자 원리
합성(合成)

 배 이셔도 내 제 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


㉢ `내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 새로 스믈여듧 字
종성부용초성
종성의 원리
팔자가족용
 노니 ㉤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뼌
安킈 고져  미니라

K03
- <세종, 『훈민정음』 서문 中>

2015(11월)/고1교육청 15
[풀이] 나라의 말이 중국과 서로 달라 문자가 서로 통하지 아니하여서, 어리
<보기>를 바탕으로 ‘훈민정음 자음의 제자 원리’에 대해 탐구한 것
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
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이 많다. 내가 이를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사람들로 하
[보기] 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훈민정음의 자음은 발음 기관을 상형하여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을 만들고,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기본자보 ① ㉠에서 훈민정음의 창제 이전에는 한자로 우리말을 표기
다 소리가 더 세게 나는 가획자를 만들었다. 각각의 기본 하였으나 이에 한계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자와 가획자는 같은 위치에서 나는 소리를 나타낸다. 그런 ② ㉡에서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백성들이 자신이 말하고자
데 ‘ㆁ, ㄹ, ㅿ’은 각각 ‘ㄱ, ㄴ, ㅅ’과 소리 나는 위치는 같지 하는 바를 문자로 표기하기 어려웠음을 짐작할 수 있다.
만, 가획의 방법에 따라 만든 글자가 아니기 때문에 ‘이체 ③ ㉢에서 세종이 애민 정신을 바탕으로 훈민정음을 창제하
자’라고 한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였음을 알 수 있다.
구분
어금닛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청소리 ④ ㉣에서 당시 창제된 훈민정음은 스물여덟 글자였음을 알 수
소리
있다.
기본자 ㄱ ㄴ ㅁ ㅅ ㅇ
가획자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ㆆ, ㅎ ⑤ ㉤에서 당시 훈민정음을 익히고 쓰는 것을 백성들에게
이체자 ㆁ ㄹ ㅿ 의무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① ‘ㅋ’은 기본자 ‘ㄱ’에 가획을 한 것이군.


② ‘ㄴ, ㄹ’은 같은 위치에서 소리 나는 글자군.
③ 이체자 ‘ㅿ’은 기본자 ‘ㅅ’을 가획하여 만들었군.
24

DAY
④ ‘ㅎ’은 가획자이므로 ‘ㅇ’보다 소리가 더 세게 나겠군.
⑤ 자음의 기본자는 모두 모양을 본뜨는 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었군.

❖ 정답 및 해설 120~122p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1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7 2020. 11. 26. 오전 10:03


K05 
2017(11월)/고1교육청 15 개념 42 중세 국어
<보기>를 바탕으로 ⓐ ~ ⓒ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
표기 8개의 글자로 종성 표기, 이어적기
은 것은? [2점]
자음 ‘ㆁ, ㆆ, ㅸ, ㅅ’, 경음 등장, 어두 자음군 존재
[보기] 음운
모음 모음 조화 현상이 규칙적으로 적용
[자료] [현대어 해석]
고유어와 한자어의 경쟁
가운뎃소리는 모두 열한 어휘
외래어 유입
자(字)다. ‘·’는 혀를 오그라
지게 해서 조음하고 소리는 조사 ‘이, ㅣ(y), Ø’, ‘을/를, /, ㄹ’, ‘/의, ㅅ’, ‘하’

깊으니, …… 모양이 둥근 시간 표현 ‘-더-/-다-’, ‘--/-ㄴ-’, ‘-리-’


문법
ⓐ ‘-시-/-샤-’, ‘--/--/--’, ‘--/--’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다. 높임 표현

‘ㅡ’는 혀를 조금 오그라지게 의문문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 2인칭 주어가 쓰인 의문문

ⓑ 해서 조음하고 소리는 깊지
도 얕지도 않으니, …… 모


양이 평평함은 땅을 본뜬 것 K06 
예상 문제
이다. ‘ㅣ’는 혀를 오그라들 <보기>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지 않게 조음하고 소리가 얕
[보기]
으니, …… 그 모양이 서 있 중세 국어의 높임 표현은 선어말 어미를 통해 실현되었다.
는 꼴은 사람을 본뜬 것이다. 주체 높임은 선어말 어미 ‘-시-/-샤-’, 상대 높임은 선어
- <훈민정음 제자해(訓民正音 制字解)> 말 어미 ‘--/--’, 객체 높임은 선어말 어미 ‘--/-
-/--’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① ⓐ는 ⓒ와 달리 발음할 때 얕은 소리가 나겠군.
② ⓑ는 ⓐ와 달리 글자 모양이 평평하게 생겼군. ㉠ (이성계) …… 모딘 도 믈리시니다
③ ⓒ는 ⓐ와 달리 발음할 때 혀가 오그라들지 않겠군. (현대어) 모든 도적을 물리치셨습니다.
④ ⓐ, ⓑ, ⓒ는 모두 가운뎃소리 열한 자에 포함되는군. ㉡ 스 軍馬 이길  믈리조치샤
⑤ ⓐ, ⓑ, ⓒ는 대상의 모양을 본뜬 것이라는 공통점이 있군. (현대어) (태조가)
‌ 시골 군마를 이기매, (태조는) 혼자
쫓겨 물러나시어
㉢ 내  …… 부텨옷 보면
(현대어) 내 딸이 …… 부처만 뵈면
㉣ 世尊 버릇 업던 일 魔王이 뉘으츠니다
(현대어) 세존께 버릇 없던 일을 마왕이 뉘우칩니다.
㉤ 落水예 山行 가 이셔 하나빌 미드니가
(현대어) ‌낙수에 사냥을 가 있으면서 할아버지를 믿으
시겠습니까?

① ㉠의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는 모음 어미 앞에서


실현되었다.
② ㉡은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샤-’를 사용하여 ‘스
軍馬’에 대한 높임의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③ ㉢은 주체인 ‘’이 ‘객체’인 ‘부텨’보다 높은 대상임을 드
러내기 위해 선어말 어미 ‘--’이 사용되었다.
④ ㉣의 선어말 어미 ‘--’은 조사 ‘’와 함께 객체인 ‘世
尊’를 높이고 있다.
⑤ ㉤의 선어말 어미 ‘--’은 ‘하나비’에 대한 높임의 의도
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21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8 2020. 11. 26. 오전 10:03


K07 
2018(11월)/고1교육청 15 K08 
2018(3월)/고1교육청 15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의 ㉠~㉤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 <보기>의 ㉠ ~ ㉤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특징을 현대 국어와 비교
지 않은 것은? [2점] 하여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보기 1] [보기]
조사와 어미는 앞말의 뒤에 붙어서 문장 안에서 문법적 나·랏:말·미㉠ 中듕國・귁・에달・아文문字・・와・로서
의미를 표시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특징을 지닌다. 르・디아・니・・이런젼・・로㉡ 어・린 百・姓・
・이니르・고・져・・배이・셔・도・:내제㉢ ・・들시・러
[보기 2]
펴・디:몯 ・노・미하・니・라・내・이・爲・윙・・야:어엿・
나랏 말미 ㉠ 中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 비너・겨・새・로・스・믈여・듧字・・・노・니:사:마・
디 ㉡ 아니 이런 젼로 ㉢ 어린 百姓이 니르 다:・:수・니・겨・날・로・・메㉣ 便뼌安・킈・고・
고져  ㉣ 배 이셔도 내 제 ㉤ 들 시러 펴디 몯 져㉤ ・미니・라
노미 하니라  -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 《훈민정음》 언해
[현대어 풀이]
[현대어 풀이]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아니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 하여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
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 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위하여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
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하
탐구 대상 비교 대상 탐구한 내용 고자 할 따름이다.
‘에’는 앞말이 장소임을 표시
① ㉠의 ‘에’ ‘중국과’의 ‘과’
하는 조사이다. ① ㉠: 조사 ‘에’는 앞말이 사건의 원인이 됨을 나타낸다.
‘-ㄹ’는 앞말이 뒤에 오는 ② ㉡: 현대 국어의 ‘어리다’와 단어의 의미가 서로 다르다.
② ㉡의 ‘-ㄹ’
‘아니하므로’의
내용과 인과 관계로 연결됨을 ③ ㉢: 단어의 초성에 서로 다른 두 자음자를 나란히 적었다.
‘-므로’
표시하는 어미이다. ④ ㉣: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자음자가 있었다.
‘어리석은’의 ‘-ㄴ’은 앞말이 뒤에 오는 말을 ⑤ ㉤: 한 음절의 종성을 다음 자의 초성에 옮겨 표기하였다.
③ ㉢의 ‘-ㄴ’
‘-은’ 수식함을 표시하는 어미이다.
‘ㅣ’는 앞말이 문장의 주어임
④ ㉣의 ‘ㅣ’ ‘바가’의 ‘가’
을 표시하는 조사이다.
‘을’은 앞말이 문장의 목적어
⑤ ㉤의 ‘을’ ‘뜻을’의 ‘을’
임을 표시하는 조사이다.
24

DAY

❖ 정답 및 해설 122~123p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1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19 2020. 11. 26. 오전 10:03


[ K09~ 10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K09 
2018(6월)/고2교육청 11

현대 국어와 중세 국어는 문법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는데,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격조사의 차이도 그중 하나이다. 현대 국어에서는 주격 조사로 ① 현대 국어의 주격 조사 중에는 중세 국어에서 사용하지


‘이/가’를, 목적격 조사로 ‘을/를’을, 관형격 조사로 ‘의’를 사용 않았던 것이 있다.
하고 있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음운 환경에 따라 주격 조사, 목 ② 중세 국어에는 음운 환경에 따라 주격 조사를 표기하지
적격 조사, 관형격 조사가 오늘날보다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않는 경우도 있었다.
먼저 주격 조사는 ‘이’만 사용하였는데, 이때 ‘이’는 음운 환경 ③ 현대 국어보다 중세 국어에서 사용된 목적격 조사의 형

에 따라 그 형태가 조금씩 달랐다.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면 ‘이’ 태가 더 다양하였다.


④ 중세 국어에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면 예외 없이 주격
를 썼지만, ‘ㅣ’를 제외한 모음으로 끝나면 ‘ㅣ’를 붙여 썼고, ‘ㅣ’
로 끝나면 주격 조사를 표기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사’에는
조사 ‘ㅣ’가 사용되었다.
⑤ 중세 국어에서 앞말의 모음이 양성 모음이고 자음으로
끝나면 목적격 조사 ‘’을 사용하였다.
‘이’가 붙고, ‘부텨’에는 ‘ㅣ’가 붙는다. 그러나 ‘비’와 같은 경우에
는 주격 조사를 붙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목적격 조사는 ‘/을//를’을 사용하였다. 앞말이
자음으로 끝날 경우 ‘/을’, 모음으로 끝날 경우 ‘/를’로 표기
하였다. 또 앞말의 모음이 양성 모음이면 ‘/’로, 음성 모음
이면 ‘을/를’로 표기하였다. 각각의 상황을 예로 들면, ‘’에
는 ‘’이 ‘구름’에는 ‘을’이, ‘나’에는 ‘’이, ‘너’에는 ‘를’이 붙는다.
끝으로 관형격 조사는 단어의 의미와 음운 환경에 따라
‘/의’와 ‘ㅅ’을 사용하였다. ‘/의’는 앞에 오는 명사가 사
람이나 동물일 때 사용하였는데, 앞말의 모음이 양성 모음
일 때는 ‘’를, 음성 모음일 때는 ‘의’를 사용하였다. ‘ㅅ’은 K10 
2018(6월)/고2교육청 12

[A] 앞에 오는 명사가 사람이면서 높임의 대상이거나, 사람도 [A]를 참고할 때 <보기>의 ㉠과 ㉡에 들어갈 조사로 적절한 것은?

아니고 동물도 아닐 때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은 사람이


 [2점]

고, ‘ㆍ(아래아)’가 양성 모음이기 때문에 ‘’가 붙고, ‘벌’은


[보기]
[중세 국어] 거붑+㉠ 터리 고
동물이고 ‘ㅓ’가 음성 모음이기 때문에 ‘의’가 붙는다. 반면에
[현대 국어] 거북의 털과 같고
‘부텨’는 사람이면서 높임의 대상이기 때문에 ‘ㅅ’이 붙는다.
 [중세 국어] 하+㉡ 光明이 믄득 번거늘
[현대 국어] 하늘의 광명이 문득 훤하거늘

㉠ ㉡ ㉠ ㉡ ㉠ ㉡
① 의 ㅅ ②   ③ 의 
④  ㅅ ⑤ 의 의

220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0 2020. 11. 26. 오전 10:03


K11 
2017(11월)/고2교육청 15
① (가):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없이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군.
다음 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나타난 중세 국어의
② (나): 주어가 1인칭이므로 선어말 어미 ‘-다-’를 사용하
특징을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여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군.
과거 시제는 일반적으로 사건시가 발화시에 선행하는 시 ③ (다): 선어말 어미 ‘--’를 통해 현재의 의미를 나타내고
간 표현으로 규정되는데, 선어말 어미 ‘-았-/-었-’과 관 있군.
형사형 어미 ‘-(으)ㄴ’ 등을 통해 실현된다. 과거 시제 선어 ④ (라): 현재형 선어말 어미가 사용되어 보편적인 사실을
말 어미 중 ‘-더-’는 발화자가 과거에 경험한 일을 회상할 나타내고 있군.
때 쓰이는데, 주어가 1인칭인 경우 쓰임에 제약이 따르기 ⑤ (마): 오늘날 사용되지 않는 선어말 어미를 통해 미래의
도 한다. 의미를 나타내고 있군.
현재 시제는 일반적으로 사건시와 발화시가 일치하는 시
간 표현이다. 동사의 경우 선어말 어미 ‘-는-/-ㄴ-’을 통
해, 형용사와 서술격 조사의 경우에는 선어말 어미 없이
현재 시제를 표현한다. 현재 시제가 사용된 표현은 보편적
인 사실과 미래에 예정된 일을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미래 시제는 사건시가 발화시 이후인 시간 표현이다. 이를

K12
표현하는 선어말 어미로는 보편적으로 ‘-겠-’이 사용되며,

‘-(으)리-’가 사용되어 예스러운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2016(9월)/고2교육청 16

중세 국어도 과거, 현재, 미래의 삼분 체계를 가진다는 <보기>를 바탕으로 중세 국어의 특징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점에서 현대 국어와 동일하다. 다만 이를 표현하는 방식 않은 것은? [2점]
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중세 국어에서 동사의 경우, [보기]

과거 시제는 선어말 어미 없이 표현하거나 선어말 어미 ‘- [중세 국어] 잣 ㉠  ㉡ 보 플와 나모 


더-’를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중세에는 ‘-더-’가 현대 국 [현대 국어] 성(城) 안의 봄에 풀과 나무만
어와는 달리 모든 인칭에 두루 쓰였으며, 1인칭 주어와 함
께 쓰이는 경우에는 ‘-다-’로 나타났다. 현재 시제는 선어 [중세 국어] 烽火(봉화)ㅣ ㉢ 석 ㉣ 니시니
말 어미 ‘--/-ㄴ-’을 써서 표현하였으며, 이는 보편적 [현대 국어] 봉화가 석 달을 이어지니
인 사실을 나타내기도 한다. 미래 시제는 ‘-리-’를 써서 표
현하였다. [중세 국어] 첫소리 ㉤ 니라
[현대 국어] 첫소리를 쓰느니라.
[보기]

(가) 주거미 닐오 “내 마 명종(命終)호라” <월인석보> ① ㉠을 보니 ‘ㅅ’은 현대 국어의 ‘의’에 해당하는 관형격 조
24

DAY
[현대어 풀이] 주검이 말하기를, “내가 이미 죽었다.” 사로 쓰였군.
(나) 내 담다라 <석보상절> ② ㉡을 보니 체언과 조사를 구분하여 그 형태를 밝혀 적었군.
[현대어 풀이] 내가 농담하였다. ③ ㉢을 보니 ‘’은 현대 국어 ‘달을’과 달리 모음 조화를
지켜 표기하였군.
(다) 네 이제  묻다 <월인석보>
④ ㉣을 보니 현대 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자음을 사용하였군.
[현대어 풀이] 네가 이제 또 묻는다.
⑤ ㉤을 보니 첫 음절 초성에 서로 다른 자음을 가로로 나란
(라) ‌하히며 사 사  다 뫼호아 세계(世界)라  히 붙여 썼군.
니라 <월인석보>
‌[현대어 풀이] 하늘이며 사람 사는 땅을 다 모아서 세
계라 한다.

(마) 내 이제 분명(分明)히 너려 닐오리라 <석보상절>


[현대어 풀이] 내가 이제 분명히 너에게 말하겠다.

❖ 정답 및 해설 124~125p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21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1 2020. 11. 26. 오전 10:03


K13 
2019(6월)/고2교육청 15 K14 
2017(3월)/고2교육청 14

<보기 1>을 바탕으로 <보기 2>를 분석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 <보기>에 제시된 ‘선생님’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적절한 것은? [2점]
은? [2점] [보기]
[보기 1] 선생님: 중세 국어에서는 각 글자의 왼편에 점을 찍어 소리
[중세 국어의 주체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 의 높낮이를 표시하였습니다. 점이 없으면 낮은 소리,
점이 한 개면 높은 소리, 점이 두 개면 처음은 낮고 나중
•‌주체 높임법: 문장의 주어에 해당하는 대상을 높이는 것
이 높은 소리를 나타냈습니다. 가령 ‘:말·미’는 다음과
이다. 주체 높임법은 주로 선어말 어미 ‘-시-/-샤-’를
같이 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통해 실현된다. 또한 특수 어휘나 조사에 의해 실현되기
도 한다. :말·미 → 말  미
•‌객체 높임법: 문장의 목적어나 부사어에 해당하는 대
상을 높이는 것이다. 객체 높임법은 주로 선어말 어미 자, 그럼 다음의 밑줄 친 ⓐ는 소리의 높낮이를 어떻게
‘--/--/--’을 통해 실현된다. 또한 특수 어휘 표시할 수 있을까요?
나 조사에 의해 실현되기도 한다. 불·휘기·픈남··매 ⓐ 아·니:뮐·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2장 중에서
[보기 2]
㉠ 世尊(세존)ㅅ 安否(안부) 묻고 니르샤 므스므라 오
[A] [B]
① 아 니 뮐  ② 아 니 뮐 

시니고 ③ 아 니 뮐  ④ 아 니 뮐 


[세존의 안부를 여쭙고 이르시되 무슨 까닭으로 오셨습
⑤ 아 니 뮐
니까?]
㉡ 네 아리 各各(각각) 어마님내 뫼고
[네 아들이 각각 어머님을 모시고]
K15 
2020(9월)/고2교육청 15

<보기>의 ㉠ ~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2점]


① ㉠의 [A]에서 주체 높임은 실현되었으나 그 주체가 생략
[보기]
되었다.
중세 국어에는 용언의 어간에 붙어서 실현되는 의문형
② ㉠의 [A]에서 선어말 어미를 사용하여 객체 높임이 실현
어미와는 달리, 체언 뒤에 직접 실현되어서 의문의 뜻을
되었다.
나타내면서 문장을 끝맺는 조사가 있다. 이를 ‘의문 보조
③ ㉠의 [B]에서는 주체를 높이기 위해 선어말 어미가 사용
사’라고 하는데, 의문 보조사로는 판정 의문문에 실현되는
되었다. ‘가/아’와 설명 의문문에 실현되는 ‘고/오’가 있다. 그런데
④ ㉡에서 특수 어휘를 사용하여 주체인 ‘아’을 존대하였다. ‘가, 고’는 모음 또는 ‘ㄹ’ 다음에는 ‘아, 오’로 쓰인다.
⑤ ㉡에서는 객체인 ‘어마님’을 높이기 위해 선어말 어미를
사용하였다.  얻논 藥(약)이 ( ㉠ )
[얻는 약이 무엇인가?]
 이 리 너희 ( ㉡ )
[이 딸이 너의 종인가?]
 엇뎨 일훔이 ( ㉢ )
[어찌 이름이 선야인가?]

㉠ ㉡ ㉢
① 므스것고 가 船若(선야)오
② 므스것고 가 船若(선야)고
③ 므스것고 고 船若(선야)오
④ 므스것가 고 船若(선야)오
⑤ 므스것가 아 船若(선야)고

222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2 2020. 11. 26. 오전 10:03


① ‘남’은 실질 형태소 ‘나모’가 형식 형태소 ‘’ 앞에서
K16 

‘’으로 나타난 것이겠군.


2016(11월)/고2교육청 15

② ‘매’와 ‘래’는 각각 두 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가)를 바탕으로 (나)의 학습활동을 수행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말이겠군.
(가) 교과서 내용 ③ ‘뮐’는 의존 형태소 ‘뮈-’와 의존 형태소 ‘-ㄹ’로 이루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형태소’라고 어진 말이겠군.
한다. 형태소는 자립성을 기준으로 명사처럼 문장에서 홀 ④ ‘므른’의 ‘믈’은 의미를 가진 말의 최소 단위이면서 동시에
로 사용될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 최소의 자립 형식이기도 하겠군.
조사처럼 다른 형태소와 결합해야만 사용될 수 있는 ‘의존 ⑤ ‘그츨’는 형식 형태소 ‘긏-’에 형식 형태소 ‘-ㄹ’가 결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하 합한 단어이겠군.
면,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처럼 실질적인 의미를 가진 ‘실질
형태소’와 조사, 어미, 접사처럼 문법적 의미를 가진 ‘형식
형태소’로 나눌 수 있다.

(나) 학습활동
<자료>는 <용비어천가>의 일부입니다. 아래의 ‘옛말사
전’을 활용하여 <자료>의 형태소와 단어에 대해 탐구해 봅 K17 
2020(6월)/고2교육청 15

시다. <보기>의 중세 국어 자료에 나타난 특징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


[자료] 하지 않은 것은? [2점]
•불휘 기픈 남매 아니 뮐 [보기]

(현대어 풀이)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움 [중세 국어] 불·휘기·픈남··매아·니:뮐·


직이므로 [현대 국어]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움직이므로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 <용비어천가>

(현대어 풀이)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끊어지 [중세 국어]·첫소·리·어·울·워·디·면··쓰·라


므로 [현대 국어] 첫소리를 합하여 쓸 것이면 나란히 쓰라.
- <훈민정음언해>

[중세 국어]·몸·이며얼굴·이며머·리털·이·며··
[현대 국어] 몸과 형체와 머리털과 살은
나모 명사 ‘나무’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나 자음 - <소학언해>
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공동격 조사 ‘와’
앞에서 나타나며, 그밖에 모음으로 시작
① ‘기·픈’은 ‘깊은’과 견주어 보니, 소리 나는 대로 적었음을
하는 조사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 조사 (끝음절의 모음이 ‘·, ㅏ, ㅗ’이고 받침 알 수 있군.
있는 체언류 뒤에 붙어) 은
·’는 ‘움직이므로’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현대 국어 25

DAY
② ‘:뮐
 명사 ‘바람’의 옛말
에서는 쓰이지 않는 단어임을 알 수 있군.
‘’은 ‘를’과 견주어 보니, 현대 국어와 단어의 형태가 달
애 조사 (일부 체언류 뒤에 붙어) 에
뮈다 동사 ‘움직이다’의 옛말 ③·
-ㄹ 어미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랐음을 알 수 있군.
―기에. ―므로
④ ‘
·디·면’은 ‘쓸 것이면’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초성에 서
믈 명사 ‘물’의 옛말
 명사 ‘가물(=가뭄)’의 옛말
로 다른 두 개의 자음이 함께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군.
긏다 동사 ‘끊어지다’의 옛말 ⑤ ‘얼굴’은 ‘형체’라는 의미였던 것을 보니, 현대 국어로 오
면서 단어의 의미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군.

❖ 정답 및 해설 125~128p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23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3 2020. 11. 26. 오전 10:03


K18 
2019(11월)/고2교육청 15 개념 43 근대 국어
<보기>의 ‘교사가 제시한 과제’에 대해 학생들이 보인 반응으로 적
표기 7개의 글자로 종성 표기, 거듭적기
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자음 ‘ㆆ, ㆁ, ㅿ, ㆅ’, ‘ㅂ’, ‘ㅄ’계 어두 자음군 사라짐.
[보기] 음운
모음 ‘ㆍ’ 소실, ‘ㅔ, ㅐ’ 단모음으로 변화
<교사가 알려 준 내용>
현대 국어와 마찬가지로 중세 국어에서도 어말 어미 앞 외래어 도입 자명종, 천주교
어휘
에서 문법적인 기능을 하는 어미가 있었다. 그중 하나인 의미의 변화 어리다: ‘어리석다’ → ‘나이가 적다’

‘-오-’는 현대 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어미로 문장의 주어 ‘이/가’, ‘ㅅ’의 기능을 잃음.


‘하’ 소실, ‘, 만’, ‘지, ’
조사

가 화자임을 표현하기 위해 쓰였는데, 음성 모음 뒤에서는 문법 시간 표현 ‘-앗-/-엇-’, ‘--, -ㄴ/(는)-’, ‘-겟-, -리-’


‘-우-’로 나타났다. 또한 ‘-오-’는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높임 표현 ‘-시-’, ‘--’, ‘--’
‘-더-’와 결합하면 ‘-다-’로, 현재 시제를 나타내는 ‘-
-’와 결합하면 ‘-노-’로 나타났다.

<교사가 제시한 과제>


K19 
2016(11월)/고1교육청 15

※ 다음 예문들을 보고 ㉠~㉢의 어미에 대해 탐구해 보자. <보기>의 ㉠~㉤을 탐구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 어저 다 가짓 믈 ㉠ 우니
내 [보기]

[내가 어저께 다섯 가지의 꿈을 꾸니] 븕은 ㉠ 긔운이 명낭야 첫 ㉡ 홍을 혜앗고, 텬듕의


 ‌내 이 爲윙야 … 새로 스믈여듧 字 ㉡ 노니 반  것이 수레박희 야 믈속으로셔 치미러 밧치
[내가 이를 위하여 …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시 올나븟흐며 항 독 ㉢  긔운이 스러디고 처엄 븕
 ‌太子ㅣ 닐오 내 ㉢ 롱담다라 어 것 빗최던 ㉣ 거 모혀 소 혀텨로 드리워 믈속의 풍
[태자가 말하되, “내가 농담하였다.”] 덩 ㉤ 디 듯시브더라.
- 의유당, <동명일기(1772년)>

① ㉠의 ‘-우-’는 어간 ‘-’에 있는 음성 모음 때문에 나타난 [현대어 풀이]


형태이군. 붉은 기운이 명랑하여 첫 홍색을 헤치고, 하늘 한가운데
② ㉡의 ‘-노-’는 ‘--’와 ‘-오-’가 결합되어 나타난 형태 쟁반 같은 것이 수레바퀴 같아서 물속에서 치밀어 받치듯

이군. 이 올라붙으며, 항아리, 독 같은 기운이 없어지고, 처음 붉


게 겉을 비추던 것은 모여 소의 혀처럼 드리워 물속에 풍
③ ㉢의 ‘-다-’는 ‘-더-’가 어말 어미와 결합하여 나타난 형
덩 빠지는 듯싶더라.
태이군.
④ ㉡과 ㉢에는 모두 문장의 시제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탐구 비교
어미가 사용되었군. 탐구 결과
대상 자료
⑤ ㉠, ㉡, ㉢ 모두에는 주어가 화자임을 표현하기 위한 어
미가 사용되었군. ① ㉠ 기운이 ‘긔운’과 ‘이’를 끊어 적었군.

현대 국어와 같은 형태의 ‘을’이 사용되었


② ㉡ 홍색을
군.
현대에는 소실된 ‘ㆍ’가 당시에는 사용되
③ ㉢ 같은
었군.

④ ㉣ 것은 앞 글자의 받침 ‘ㅅ’을 거듭 적었군.

현대 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ㅽ’이 사용되


⑤ ㉤ 빠지는
었군.

224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4 2020. 11. 26. 오전 10:03


K20 
2022(수능)/예시문항 39 K21 
2019(11월)/고1교육청 12

<학습 활동>의 [A]에 들어갈 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다음 글을 바탕으로 <보기>의 ⓐ~ⓖ를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학습 활동] 않은 것은? [2점]
[자료]에 나타나는 중세 국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현대 국어의 표기 원칙이 제정되기 전 국어의 표기 방식
[자료] 은 이어적기, 끊어적기, 거듭적기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 나랏 말미 中國귁에 달아 文문字와로 서르  나타났다. 자음으로 끝나는 체언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
디 아니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 사를 만나거나 자음으로 끝나는 용언의 어간이나 어근이
㉡ 배 이셔도 내 제 ㉢ 들 시러 펴디 몯 ㉣ 노미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나 접사를 만날 때, 이어적기는 앞
하니라 내 ㉤ 이 爲윙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형태소의 끝소리를 뒤 형태소의 첫소리로 옮겨 적는 방식
字 노니 사마다  수 니겨 날로 메 便 이고, 끊어적기는 실제 발음과는 달리 형태소의 본 모양을
뼌安킈 고져  미니라 밝혀서 끊어 적는 방식이다. 그리고 거듭적기는 앞 형태소
- 《훈민정음》 언해, 세조 5년(1459) 의 끝소리를 뒤 형태소의 첫소리에도 다시 적는 표기 방식
○현대어 풀이 으로, ‘말+이’를 ‘말미’와 같은 방식으로 적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 한편 ‘ㅋ, ㅌ, ㅍ’을 ‘ㄱ, ㄷ, ㅂ’과 ‘ㅎ’으로 나누어 표기하는
하여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 방식인 재음소화 표기가 나타나기도 했는데, ‘깊이’를 ‘깁
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히’와 같이 적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내가 이를 위하여 가엾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
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데 편하 [보기]

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머리셔 라매 ⓐ 노피 하해 다핫고 갓가이셔 보니 아


라히 하햇 ⓑ 므레 겻니
[활동 결과] (멀리서 바람에 높이 하늘에 닿았고 가까이서 보니 아스
[A] 라이 하늘의 물에 잠겼나니) - 《번역박통사》

•‌고경명은 광 ⓒ 사이니 임진왜난의 의병을 슈챵


① ㉠을 보니, ‘ㅅ’이 현대 국어의 관형격 조사 기능을 하는군. 야 금산 ⓓ 도적글 티다가 패여
② ㉡을 보니, ‘ㅣ’가 현대 국어의 주격 조사 기능을 하는군. (고경명은 광주 사람이니 임진왜란에 의병을 이끌어 금
③ ㉢을 보니, 현대 국어와 달리 서로 다른 두 개의 초성 글 산 도적을 치다가 패하여) - 《동국신속삼강행실도》

자가 나란히 쓰였군. •ⓔ 븕은 긔운이 하을 노더니 이랑이 소를 ⓕ 놉히


④ ㉣을 보니, ‘놈’이 현대 국어와 다른 의미로 쓰였군. 야 나를 불러 져긔 믈 밋츨 보라 웨거 급히 눈을
⑤ ㉤을 보니, 현대 국어와 달리 양성 모음 뒤에 목적격 조 ⓖ 드러 보니
사 ‘’이 쓰였군. (붉은 기운이 하늘을 뛰놀더니 이랑이 소리를 높이 하여
나를 불러 저기 물 밑을 보라 외치거늘 급히 눈을 들어
25

DAY
보니) - 《의유당관북유람일기》

① ⓐ는 이어적기를 하고 있는 반면 ⓕ는 거듭적기를 하고
있군.
② ⓑ는 앞 형태소의 끝소리를 뒤 형태소의 첫소리로 옮겨
적고 있군.
③ ⓒ는 체언과 조사가 결합할 때 형태소의 본 모양을 밝혀
서 끊어 적고 있군.
④ ⓓ는 앞 형태소의 끝소리를 뒤 형태소의 첫소리에도 다
시 적고 있군.
⑤ ⓔ와 ⓖ는 용언의 어간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를 만
날 때 표기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군.

❖ 정답 및 해설 128~130p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25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5 2020. 11. 26. 오전 10:03


K22 
2014(3월B)/고2교육청 16 1등급 킬러 문제
<보기>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것은? [2점]

K23
[보기]

선생님: 모음 조화란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 모음 2017(9월)/고2교육청 15

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입니다. 양성 모음으로 <보기>를 바탕으로 현대 국어와 중세 국어의 특징을 비교한 내용
는 ‘ㆍ, ㅏ, ㅗ’가, 음성 모음으로는 ‘ㅡ, ㅓ, ㅜ’가 있었습 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니다. 모음 조화는 15세기에는 비교적 엄격하게 지켜졌 [보기]

으나 그 이후로 지켜지지 않은 경우가 나타나게 됩니다. •㉠ 효도홈과 슌호


여러분, 이제 18세기 문헌을 통해서 확인해 볼까요? (효도함과 공손함을)
•‌兄(형)ㄱ ㉡ 디 일어시 ㉢ 聖孫(성손) ㉣ 내시니
홍이 거록야 ㉠ 븕은 긔운이 ㉡ 하을 노더니 이 다
랑이 ㉢ 소 놉히 야 나를 불러 져긔 믈밋 보라 웨 (형의 뜻이 이루어지시매 (하늘이) 성손을 내셨습니다.)
거 급히 눈을 ㉣ 드러 보니 믈밋 홍운을 헤앗고 큰 실오 •‌世尊(세존)ㅅ 安否(안부) ㉤ 묻고 니르샤 므스므라
리 ㉤  줄이 븕기 더옥 긔이며 오시니고
- 의유당, <관북유람일기>(1772) (세존의 안부를 여쭙고 이르시되 무슨 까닭으로 오셨습
니까?)
①㉠ ②㉡ ③㉢ ④㉣ ⑤ ㉤
① ㉠을 보니 현대 국어와 달리 명사형 어미 ‘-옴’이 사용되
었군.
② ㉡을 보니 현대 국어와 달리 어두 자음군이 사용되었군.
③ ㉢을 보니 현대 국어와 달리 목적격 조사 ‘’이 사용되었군.
④ ㉣을 보니 현대 국어와 마찬가지로 주체 높임 선어말 어
미 ‘-시-’가 사용되었군.
⑤ ㉤을 보니 현대 국어와 마찬가지로 청자를 높이는 특수
어휘가 사용되었군.

226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6 2020. 11. 26. 오전 10:03


K24 
2019(9월)/고2교육청 15 K26 
2018(3월)/고2교육청 15

<보기>를 참고할 때, ㉠과 ㉡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한 것은? [2점] 다음 글을 참고할 때, ⓐ~ⓔ 중 명사절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
[보기] 은? [3점]
중세 국어에서 ‘/의’는 ㉠ 관형격 조사와 ㉡ 부사격 조
사로 모두 사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대체로 높임을 나타 중세 국어에서도 다양한 명사형 어미가 사용되어 만들
내지 않는 유정 명사 뒤에서는 관형격 조사로 쓰이고, 시 어진 명사절이 문장에서 여러 가지 문장 성분으로 쓰였다.
간이나 장소 등을 나타내는 일부 체언 뒤에서는 부사격 조 중세에 사용된 명사형 어미로는 ‘-옴/움’과 ‘-기’, ‘-디’ 등
사로 사용되었다. 한편 ‘/의’는 모음 조화의 양상에 따라 이 있었다. 이 가운데 ‘-옴’과 ‘-움’은 모음 조화에 따라 양
‘’ 또는 ‘의’로 실현되었다. 성 모음 뒤에서는 ‘-옴’이, 음성 모음 뒤에서는 ‘-움’이 쓰
였다.

㉠ ㉡ [보기]
겨틔 서서 거부븨 터리 고 ⓐ 날로 메 뼌킈 고져

(곁에 서서) (거북의 털과 같고) (나날이 씀에 편하게 하고자)
거부 터리 고 겨틔 서서 ⓑ 구르믜 축추기 둡 시니라

(거북의 털과 같고) (곁에 서서) (구름이 축축하게 덮듯 하시니라)
거부븨 터리 고 바 비취니 ⓒ 부모 현뎌케 홈이 효도 이니라

(거북의 털과 같고) (밤에 비치니) (부모를 드러나게 함이 효도의 끝이니라)
바믜 비취니 사 들 ⓓ 본향(本鄕)애 도라옴만 디 몯니라
④ (본향에 돌아옴만 같지 못하니라)
(밤에 비치니) (사람의 뜻을)
사 들 겨 서서 ⓔ 내 겨지비라 가져 가디 어려
⑤ (내가 계집이라 가져가기 어려우니)
(사람의 뜻을) (곁에 서서)

①ⓐ ②ⓑ ③ⓒ ④ⓓ ⑤ⓔ

K25 
2018(9월)/고2교육청 15

<보기>의 설명을 참고할 때, ㉠ ~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2점]
[보기]

일반적으로 중세 국어의 주격 조사는 앞에 결합하는 체


언의 끝소리에 따라 달라졌다. 체언의 끝소리가 자음일 때
‘이’가 나타났고, 체언의 끝소리가 모음 ‘ㅣ’도, 반모음 ‘ㅣ’
25

DAY
도 아닌 모음일 때는 ‘ㅣ’가 나타났다. 그런데 체언의 끝소
리가 모음 ‘ㅣ’이거나, 반모음 ‘ㅣ’일 때는 아무런 형태가 나
타나지 않았다.
○ ㉠ 가칠 므러 (뱀이 까치를 물어)
○ ㉡ 기픈 남 (뿌리가 깊은 나무는)
○ ㉢ 세상에 나매 (대장부가 세상에 나와)

㉠ ㉡ ㉢
① 얌 불휘ㅣ 대장뷔
② 얌 불휘ㅣ 대장뷔ㅣ
③ 야미 불휘 대장뷔
④ 야미 불휘 대장뷔ㅣ
⑤ 야미 불휘ㅣ 대장뷔 

❖ 정답 및 해설 130~133p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27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7 2020. 11. 26. 오전 10:04


[ K27~ 28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K27 
2019(3월)/고2교육청 11

반모음과 관련된 대표적인 음운 현상으로 ‘반모음 첨가’와 ‘반 윗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모음화’가 있다. 현대 국어에서 반모음 첨가는 모음으로 끝나 ① 현대 국어에서 ‘피어’를 [펴ː]로 발음하는 것은 표준 발음
는 형태소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가 올 때 일어난다. 으로 인정된다.
어간 ‘피-’에 어미 ‘-어’가 결합할 때 ‘피어’가 [피여]로 소리 나 ② 현대 국어에서 ‘피어’를 [펴ː]로 발음할 때는 어간의 단모
는 경우가 대표적인데 이때 어미에는 ‘ㅣ’계 반모음인 ‘ㅣ̆’가 첨 음이 반모음으로 교체된다.
가된다. 어미 ‘-어’에 ‘ㅣ̆’가 첨가되어 ‘되어[되여]’, ‘쥐어[쥐여]’ ③ 현대 국어에서 ‘피어’에 반모음 첨가가 일어나도 ‘피여’라

로 발음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어간이 ‘ㅣ, ㅚ, ㅟ’ 고 적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④ 15세기 국어의 ‘ㅚ’ 표기는 단모음 ‘ㅗ’와 반모음 ‘ㅣ̆’가 결
로 끝날 때 어미에 반모음 ‘ㅣ̆’가 첨가되어 발음되는 경우는 표
합한 이중 모음을 나타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준 발음으로 인정되지만 표기할 때는 음운 변동이 일어나지 않
⑤ 15세기 국어의 체언 ‘바’에 주격 조사 ‘이’가 붙어 ‘배’로 표
은 형태로 해야 한다.
기된 사례에서는 체언의 단모음이 반모음으로 교체되었
한편 ‘피어’는 [펴ː]로 발음되기도 한다. ‘피+어 → [펴ː]’의 경
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처럼 두 개의 단모음이 나란히 놓일 때 하나의 단모음이 반모
음으로 교체되는 음운 현상을 반모음화라고 부른다. 반모음화
는 반모음과 성질이 비슷한 단모음에 적용되는 것으로, [펴ː]의
경우 단모음 ‘ㅣ’가 소리가 유사한 반모음 ‘ㅣ̆’로 교체된 것이다.
[펴ː]와 같이 반모음화가 일어난 경우도 규범상 표준 발음으로
인정된다.
K28 
2019(3월)/고2교육청 12

<보기>의 ⓐ~ⓓ 중 윗글의 ㉠과 ㉡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한 것


15세기 국어 자료에서도 반모음 첨가나 반모음화가 일어난
은? [2점]
것으로 추정되는 흔적을 찾을 수 있다. 15세기에는 표음적 표 [보기]
기*를 지향했기 때문에 문헌의 표기 상태를 통해 당시의 음운 15세기 국어 자료 밑줄 친 부분의
현상을 추론할 수 있는데, 15세기 국어 자료에서 반모음 첨가 (현대어 풀이) 음운 변동 과정

ⓐ 내 이 爲윙야
나 반모음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이는 표기들이 관찰되는 것이다. 나+이 → 내
(내가 이를 위하여)
수 ⓑ 니겨
어간 ‘쉬-’에 어미 ‘-어’가 결합할 때 ‘쉬여’로 표기된 사례나 어
간 ‘흐리-’에 어미 ‘-어’가 결합할 때 ‘흐리여’로 표기된 것은 반 니기+어 → 니겨
(쉽게 익혀)
모음 첨가가 일어난 사례로 생각된다. 여기서 ‘쉬여’는 현대 국  바다로 ⓒ 긔여
긔+어 → 긔여
어의 [피여]와는 다른 음운 환경에서 반모음 첨가가 일어난 것 (배의 바닥으로 기어)
인데, 15세기에는 ‘ㅟ’ 표기가 ‘ㅜ’와 ‘ㅣ̆’가 결합한 이중 모음을 해 ⓓ 디여
디+어 → 디여
나타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ㆎ, ㅐ, ㅔ, ㅚ, ㅢ’ 표기 (땅에 거꾸러져)

도 ‘ㅟ’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중 모음을 나타냈을 것으로 추


정된다. 따라서 ‘쉬여’는 ㉠ ‘ㆎ, ㅐ, ㅔ, ㅚ, ㅟ, ㅢ’가 이중 모음 ㉠ ㉡
을 나타낸 것이라고 할 경우 반모음 ‘ㅣ̆’ 뒤에서 일어난 반모음 ① ⓑ ⓐ

첨가의 사례인 것이다. 이와 달리 어간 ‘미-’에 어미 ‘-어’가 ② ⓒ ⓑ

결합할 때 ‘며’로 표기된 경우는 현대 국어의 [펴ː]처럼 ㉡ 어간 ③ ⓒ ⓓ

이 ‘ㅣ’로 끝나는 용언에서 일어난 반모음화의 사례라고 할 수 있 ④ ⓓ ⓐ

다. 또한 15세기 국어에서 체언 ‘바’ 뒤에 주격 조사 ‘이’가 붙을 ⑤ ⓓ ⓒ

때 ‘배’로 표기된 사례도 반모음화로 설명할 수 있다.

 표음적 표기: 발음 형태대로 적는 표기 방식




228 자이스토리 국어 문법 기본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8 2020. 11. 26. 오전 10:04


K29 
2017(6월)/고2교육청 15 K30 
2018(11월)/고2교육청 15

<보기>의 설명을 참고할 때, ㉠과 ㉡에 들어갈 단어로 적절한 것 <보기 1>은 중세 국어를 학습하기 위한 자료이고, <보기 2>는 현대
은? [2점] 국어사전의 일부이다. <보기 2>를 참고하여 ㉠ ~ ㉤을 탐구한 내용
[보기] 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중세 국어 의문문의 종결어미는 인칭의 종류와 물음말 [보기 1]

의 유무에 따라 달라진다. 주어가 1, 3인칭일 경우, 물음말 [중세 국어] 보살(菩薩)이 ㉠ 어느 나라해 리시게 려뇨
이 있는 의문문에는 ‘-ㄴ고’, ‘-ㄹ고’와 같은 ‘오’형 어미가 [현대 국어] 보살이 어느 나라에 내리시도록 하려는가?

[중세 국어] ㉡ 어늬 구더 병불쇄(兵不碎)리고


사용되었고, 물음말이 없는 의문문에는 ‘-ㄴ가’, ‘-ㄹ가’와
같은 ‘아’형 어미가 사용되었다. 그리고 주어가 2인칭일 경
[현대 국어] ‌어느 것이 굳어 군대가 부수어지지 않겠습니
우, 물음말의 유무와 상관없이 ‘-ㄴ다’가 사용되었다.
까?

•부톄 世間에    ㉠   [중세 국어] 져믄 아 ㉢ 어느 듣리고


(부처가 세간에 나신 것인가?) [현대 국어] 어린 아이가 어찌 듣겠습니까?
•네 뉘손 글    ㉡  
[중세 국어] 미혹(迷惑) ㉣ 어느 플리
(너는 누구에게서 글을 배웠는가?)
•어느 사미 少微星이 잇다 니던고
[현대 국어] 미혹한 마음을 어찌 풀겠는가?

(어떤 사람이 소미성이 있다고 말하던가?) [중세 국어] 이 두 말 ㉤ 어늘 종(從)시려뇨


[현대 국어] 이 두 말을 어느 것을 따르시겠습니까?
㉠ ㉡
혼다
[보기 2]
① 나샤미신가
호고
어느 01 「관형사」
② 나샤미신가
혼다
둘 이상의 것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
③ 나샤미신고
호고
쓰는 말
④ 나샤미신다
⑤ 나샤미신다 호가 어느 02 「대명사」 『옛말』
어느 것

어느 03 「부사」 『옛말』
‘어찌’의 옛말

① 체언을 수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아 ㉠은 <보기 2>


의 ‘어느 01’과 품사가 같다고 할 수 있겠군.
② ㉡은 <보기 2>의 ‘어느 02’에 주어의 자격을 부여하는 조
25

DAY
사가 결합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군.
③ ㉢은 <보기 2>의 ‘어느 03’으로 쓰여 뒤에 오는 용언을 수
식한다고 할 수 있겠군.
④ <보기 2>의 ‘어느 01’과 ‘어느 03’을 참고해 보니 ㉣과 ‘어
느 01’은 품사가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겠군.
⑤ ㉤에 사용된 ‘어느’는 둘 이상의 것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 쓰는 말인 <보기 2>의 ‘어느 01’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군.

❖ 정답 및 해설 133~136p K. 훈민정음과 국어의 변천사 229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29 2020. 11. 26. 오전 10:04


동아리 소개
스킨스쿠버 다이빙 팀

연세대학교 스킨스쿠버 동아리

지구의 3분의 2는 바다!


언제까지 땅에서만 만족할 것인가?
연세대학교 스킨스쿠버 다이빙 팀은 1968년에 창단되어 50년의 역사를 지닌

국내 대학 최고의 다이빙 팀입니다.

정기 원정, 주중 수영, 정기 훈련, 스쿠버 강의 등으로 바쁜 학기 일정을 소화해야 하지만,

학업에 지쳐 새로운 도전과 자극을 원하는 학생들에게

스쿠버 다이빙만큼 흥미로운 활동은 없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이 모든 활동을 동아리에 구비된 장비를 이용하여,

동아리 회원인 강사의 지도 아래, 저렴하게 즐길 수 있다는 것은 저희 동아리의 큰 장점입니다.

학기 중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스쿠버 다이빙 자격증을 발급 받은 후


계절마다 제주도, 울릉도, 대만, 세부, 괌 등으로 떠나

자연이 허락한 최고의 경험인 아름다운 바다 속의 세계를 탐험합니다.

이것이 ‘연세대 스킨스쿠버 다이빙 팀’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입니다.

21자이 고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30 2020. 11. 26. 오전 10:04


1026 최종
국어가 쉬워지면 모든 과목 성적이 오릅니다!

독해력 시리즈
고등 중등 초등

•고등 국어 비문학 독해

⦁독해 STEP에 따른 단계별 독해 훈련


비문학 독해 1 STEP I 핵심어 찾기, 중심 문장 찾기
42지문
STEP II 문단 요약하기, 문단 간의 관계 파악하기
18일 완성
STEP III 글의 구조 파악하기, 주제 찾기
STEP 실전 테스트
⦁지문 특강: 지문 독해 방법 익히기
비문학 독해 2
⦁문제 특강: 문제 접근 방법 익히기
⦁다양한 유형의 어휘 테스트와 배경지식

•중학 국어 독해력 완성 [비문학]

[비문학] 1
⦁독해 STEP에 따른 단계별 독해 훈련
STEP I 핵심어 찾기, 중심 문장 찾기 하루
[비문학] 2
STEP II 문단 요약하기, 문단 간의 관계 파악하기 2지문씩
STEP III 글의 구조 파악하기, 주제 찾기 24일 완성

⦁지문과 문제 접근법을 알려 주는 FOLLOW ME!


[비문학] 3
⦁다양한 유형의 어휘 테스트와 배경지식

•초등 국어 독해력 쑥쑥 + 낱말 쑥쑥

⦁6가지 STEP에 따른 단계별 독해 연습


4학년
STEP 1 중심 낱말 찾기 STEP 2 중심 문장 찾기 하루
STEP 3 단락 요약하기 STEP 4 단락 간의 관계 이해하기 1지문씩
5학년 STEP 5 글의 구조 이해하기 STEP 6 주제 알아보기 36일 완성

⦁쉽고 빠른 지문 접근법을 알려 주는 지문 술술 이해
6학년 ⦁문제 풀이의 지름길을 보여 주는 정답 콕콕 특강
⦁직접 따라 쓰는 낱말 공부 + 다양한 유형의 낱말 테스트

1, 2, 3학년 2021년 발간 예정

21자이 고2독서 해설(271-328)K,모의ok.indd 327 20. 11. 4. 오후 12:52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31 2020. 11. 26. 오전 10:04


1026 최종본 (2.국어영어)225_300_NEW.indd 3 2020-10-26 오후 7:10:47
memo

21자이 고2독서 해설(271-328)K,모의ok.indd 328 20. 11. 4. 오후 12:52

21자이국어문법기본문제(174~232)I~K.indd 232 2020. 11. 26. 오전 10:04


21 자이 메모장 4도(225_300).indd 1 2020-10-20 오전 10:39:5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