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그래프 완전 정복 5 – 합성함수

+ 합성함수의 개념
합성함수란    →  와    →  라는 두 함수에 대하여 한 함수의 공역이 다른 함수의 정의역과 일
치하는 경우, 두 함수를 이어 하나의 함수로 만드는 연산이다. 쉽게 생각해 일반적인 함수는  값에
따라  값, 즉 함숫값이 바로 생기는데 반해 합성함수는 이 과정을 연달아하게 되면서 새로운 함수
 ∘   →  를 만든다.

+ 자기 자신을 합성한 함수
함수   에 대하여 자기 자신을 합성한 함수는 일반적으로       ∘  라 표현한다. 합성한 함
수의 그래프를 그릴 때는 첫 번째 함수의 함숫값을 다시 정의역으로 하여 두 번째 함수의 함숫값을
찾아야하므로   를 같이 그려 합성함수의 그래프를 찾는 것이 편하다.

  와   의 교점은 합성해도  ∘   와   의 교점이 되며, 자기 자신을 합성한 함수의 모양


을 보면 원함수와   가 만나는 점을 기준으로 원함수와 비교하여 위에 있는 곳은 더 위에, 아래에
있는 곳은 더 아래에 그려지는 경향성(교점을 기준으로 증가, 감소가 바뀌지 않는다면)이 있다.

+ 합성 함수 그리기

가 변해감에 따라  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고,  가 변함에 따라  가 어떻게 변하는지 본다.


마지막으로  를 생략하고  가 변할 때, 가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준다.

정의역에 있는 함수의 증가, 감소가 바뀌는 점을 기준으로 함숫값의 변화와 방향을 기준으로 다시
바깥에 있는 함수에 대입해 그래프의 개형을 확인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