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

인공지능(AI) 창업·투자 생태계 조성 인터뷰 조사지

안녕하십니까? ICT 전문 시장 조사 및 컨설팅 기업 넥스텔리전스(주)입니다.


본 설문 결과는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SPRI)의 인공지능 창업·투자 생태계 조성 연구와, 정부의 정책
입안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바쁘시겠지만 귀하의 고견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귀하께서 제공해 주시는 의견이 국내 AI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해 주시면 자문료로 30만 원(세전)을 지급해 드리겠습니다.


※ 응답해 주신 내용에 대해 일부 간단한 추가 질문을 드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넥스텔리전스(주)
김일환 책임연구원
문의처: (ihkim@nextelli.com, 010-3179-0918)

< 응답자 정보 >

- 소속: - 직급(혹은 직책):


- 연락처: - 이메일 주소:

※ 응답자 정보는 자문료 지급을 위해 요청드리는 것이며, 최종 조사 결과는 익명 처리하므로 반영되지


않습니다.

< 설문 >

I. AI 및 생성AI 시장 전망

1. AI 및 생성AI의 도입 및 활용이 유망한 분야(유통, 헬스케어, 거버넌스 등)는 어디라고 보십


니까? 이유도 함께 설명해 주시길 바랍니다.

2. AI 제품·서비스 중 가장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는 어디라고 보십니까? 이유도 함께 설명


해 주시길 바랍니다.

3. AI 확산에 가장 큰 걸림돌(대기업간 기술 격차, 자금, 정부 정책, R&D, 산업 환경 등)은 무


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형식에 구애받지 마시고 자유롭게 말씀해 주시길 바랍니다.

- 1 -
4. 국내 AI 시장이 급성장하고 활용이 확산되는 시점(5년후, 10년 후 등)은 언제쯤으로 보고
계십니까? 이유도 함께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

II. 기술 경쟁력 모델

5. 현재 일반 기업이 추진하는 AI 모델 개발 또는 도입을 꺼리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


며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6. AI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구조를 최적화하기 위해 어떤 기술이나 방법을


도입하는게 좋을까요?
(일반 기업의 AI 기술 도입 사례, AI 자체 기술에 대한 소개 등 형식에 구애받지 마시고 다
양하게 설명해 주십시오)

III. 서비스 경쟁력 확보

7. 해외 빅테크(MS, Google, 애플 등)에 의한 AI 독과점 가능성은 어떻다고 보십니까? 이유


도 함께 말씀해 주시길 바랍니다.

8. 해외 AI 모델/플랫폼 대비 국내 AI 모델/플랫폼이 가질 수 있는 경쟁력 또는 한계 등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이유도 함께 말씀해 주시길 바랍니다.
(예시: 삼성, LG, 현대자동차 등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강력한 밸류 체인, 금융 자산 부족으
로 인한 자금 확보 문제 등)

9. 국내 AI 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애로 사항은 무엇인지


자유롭게 말씀해 주시길 바랍니다.

- 2 -
IV. 대·중소기업 AI 생태계 조성 및 정부 지원 정책

10. 글로벌 AI 선두주자인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시장, 기술(R&D), 정책 부분과 비교해 우
리나라 AI 경쟁력 수준은 어느 정도이고 이유를 말씀해 주시길 바랍니다.
※ 점수 기준 척도: 90 ~ 100점은 매우 높음 / 81 ~ 90점 미만은 대체로 높음
/ 80점은 만족도 보통 / 80점 미만은 낮음

구분 점수

시장 ( 점 / 100점 만점 )

기술(R&D) ( 점 / 100점 만점 )

금융 ( 점 / 100점 만점 )

정책 ( 점 / 100점 만점 )

11. 국내 AI 관련 대기업과 AI 스타트업 간의 전략적인 협력 방법은 무엇이 있다고 보시고


또한 협력 하는데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국내 및 해외 등 협력 사례 등 형식에 구애 받지 마시고 자유롭게 기술해 주십시오.)

12. AI 기술을 금융, 유통 등 다른 산업에 공급하는 SW 기업의 관점에서, 타 산업으로의 AI


기술 확산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주요 애로사항은 무엇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13. 우리나라는 늦은 규제 완화로 대기업 벤처캐피털(CVC)의 투자액이 낮으나, 해외의 경우


Microsoft, Google 등의 빅테크 기업이 적극적으로 AI스타트업에 투자를 많이 하는 상황입
니다. 이는 투자와 더불어 빅테크의 플랫폼 생태계를 강화하는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향후 국내 CVC 투자를 늘리기 위한 방안이나, 정책적 제안 사항이 있으신지요?

14. AI 기술 확산을 하는데 있어 다양한 애로점이 있는데 AI 활성화 및 창업 생태계를 조성


할 수 있는 정책에 대해서 자유롭게 말씀해 주시길 바랍니다.
(AI 전문인력 지원, AI 하드웨어 지원, 세제지원, R&D지원, 해외 참관(멘토링, 현지 마케팅
지원), 해외진출 기회 마련, 금융 지원 등)

- 감사합니다 -

- 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