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7장 처짐

구조역학 – 정정구조역학
7.4 가상일의 원리
7-4-1 일과 에너지 원리
 일의 원리
 선형 탄성구조물에서는 탄성변형이내의 변형을 일으키는 외력
이 가해지면, 이 외력에 의한 외적 일(W)은 그대로 탄성 변형에
너지(내적일 또는 내적 포텐셜에너지) U로 저장되고(W=U) 하
중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탄성변형이 회복되는 특성을 갖는다는

 보존력계(Conservative System)
위치에너지(포텐셜에너지)상에서 두 점 사이의 어떤 힘계에 의
한 일/포텐셜에너지 변화는 경로에 무관
 탄성력계는 보존력계

W (외적일)  U (내적 일 변형에너지)


7.4 가상일의 원리
7-4-1 일과 에너지 원리
 외적일
B
W   F  ds
A

s
F
A
F B

B
W   Fds
A

탄성력계
(탄성체)
7.4 가상일의 원리
 축력에 의한 외적일
어떤 힘 F가 작용하여, 이 힘의 방향으로 du만큼의 변위가 생긴다
고 하면, 이 힘이 하는 일은 dW  Fdu 이다. 총 변위가 Δ라 하면,
이때의 일은

W   Fdu
0

그림과 같이 탄성보 봉의 끝에 축력이 작용시 F의 크기가 0에서 B


단의 작용하중 P로 서서히 증가할 때, 봉의 최종 처짐량은 Δ가 된
다. F=(p/Δ)u이므로, 0에서 Δ까지 적분하면
선형탄성체
1
W   Fds  P
2
1
W  P
2
7.4 가상일의 원리
 축력에 의한 외적일

W  P

• 봉에 P의 힘이 이미 작용하고 있을 때
또 다른 힘 F’ 작용 시 추가 미소변위에 의한 일
7.4 가상일의 원리
 모멘트에 의한 외적일
 외적 모멘트가 하는 일은 우력의 크기와 이것이 유발하는 회전
각 θ의 곱으로 정의됨.
 우력이 ‘0’에서 Mi 까지 증가할 때 총 회전각도가 θi 라디안이
될때, 이 외력일의 양은
i
W   Md
0

 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조물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0’에서


Mi 까지 서서히 증가할 때, 그림에서 모멘트가 한 일은
1
W M i i
2
7.4 가상일의 원리
 모멘트에 의한 외적 일
 모멘트가 미리 작용하고 있고, 다른하중이 구조물에 작용하거나
다른 원인에 의해 추가 미소처짐각 θi’ 가 생겨 M이 θi’만큼 더
회전시 Mi 가 하는 일의 양은

W  M ii '


 i i  i '
7.4 가상일의 원리
 일반 외적 일
 일반 구조물의 경우 겹침의 원리에 의해 표현할 수 있다.
1 1 E
W P C   q( x)dx
2 2 D

1 1 1 1 G
W P B  M C  P D   q( x)( x)dx
2 2 2 2 F

 분포하중이 하는 일은 위치 x에서
의 미소 dx구간의 분포하중 q·dx의
처짐 Δ(x)가 하는 미소일
1
dW  ( q  dx)  ( x) 를 재하구간에 걸
2
쳐 적분하여 구한 것임
7.4 가상일의 원리
 내적 일 - 변형에너지
선형 탄성구조물에 서서히 작용하는 정적인 외력에 의한 탄성변형
에 저항하기 위해 구조체 내부에 생긴 내력이 변형을 일으키며 하
는 일을 내적일이라고 하고 이것은 외력이 제거되면 변형을 회복시
키는 탄성에너지이므로 통상 변형에너지라고 일컫는다.

• 전체 구조물의 내적일
1
U   U dV 
2 V
 dV
V

• 단위 체적
내적 힘 : 응력 (σ)
내적 변형 : 변형률 (ε) 단위 체적당 내적일
7.4 가상일의 원리
 축력에 의한 내적 일
1 P

P U
2 L A AL
dAdx
A
1 P 1
  AL  P  W
 2 AL 2
L
PL
• 일의 원리 증명 U  W   
EA
• 예) 트러스 구조
1 1 P 
Fi 1
U     dAdx     dAdx
 2 2 A E
L A L A
U Fi  ui
2 1 P P/ A P2 L
1
 
2A E A
dA dx 
L 2 EA
W
2
 Pi   i
1 1 P2L
Δi Fi W  P 
2 2 EA
7.4 가상일의 원리
 축력에 의한 내적 일
 만일 구조물이 트러스에서와 같이, 일련의 축력을 받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면 트러스에 작용하는 하중은 각 부재에 변
형을 일으키는데, 각 부재에 작용하는 힘 F가 계산되면, 총 내적
변형에너지는 모든 부재의 축력에 의한 내적 일의 합이므로

F 2L
U 
2 EA

여기서, EA는 부재 각 단면의 축강성(axial rigidity)이다


7.4 가상일의 원리
 휨모멘트에 의한 내적일
 하중 P에 의해 왼쪽 지점으로부터 x에 위치한 보의 단면에 내적
모멘트 M이 생기게 하는데, 그 결과 미소부분 dx에 생기는 회전
변형은 dθ =(M/EI)dx형태로 구할 수 있다.
 이 미소부분 dx의 변형에너지는 휨모멘트 M이 dθ만큼 상대적
으로 회전할 때 하는 내적 일로부터 du=(M/2)dθ이므로 dθ를
대입하면
M 2 dx
dU 
2 EI
7.4 가상일의 원리
 휨모멘트에 의한 내적일
보의 전체길이 L에 대해 적분하면

M 2 dx
L
U 
0 2 EI

여기서 EI는 휨부재의 휨강성(flexural rigidity)이다

• method 1 (증명) 

E
1 1 1 M 2 y2
U    dAdx   dAdx My
2 2 E I 2

I
1 M2
 
2 L EI 2
  1 M2
 y dA dx  2  EI dx
2

  F ( x) 2
2
1 F ( x ) 1
 축력부재 : U   
2 EA 2  dA dx  2   EA dx
7.4 가상일의 원리
 휨모멘트에 의한 내적일
• method 2 (증명)
1
U
2  Md

d M
여기서,  
dx EI

M
d  dx
EI

1 M2
U   dx
2 EI
7.4 가상일의 원리
 전단력에 의한 내적 일
보의 지점에서의 거리가 x인 위치의 단면전단력이 V라고 하면, 미
소부분 dx의 전단변형은 단면내의 위치에 따라 다르지만, 근사적으
로 전단응력의 합응력인 dx의 우측단면의 전단력이 전단변형으로
인하여 상대 이동하게 만드는 전단처짐의 기울기는 중립축에서의
전단변형이 지배한다고 보면, 중립축에서의 전단변형율은
V
   max / G 이며,  max   S 이므로
A
 SV  
VQ
 
V
 S
GA I t A

  SV
 
G GA
7.4 가상일의 원리
 전단력에 의한 내적 일
따라서, 미소부분 dx우측단면의 전단력이 하는 상대적인 내적일
1
dU  V  (  dx) 이므로, 보의 전길이에 대해 적분하면
2
• method 1 (증명) 1  SV 2
1
U   V    dx U  dx
2 2 GA

여기서, αs는 평균전단력에 대한 중립축에서의 전단응력의 비


 
 s   max  인 전단계수이고, GA는 전단 강성(shear rigidity)이다.
  avg 

• method 2 (증명)
1 1  SV 2
U      dA dx  
2 2 L A2
 dA dx
A

1  SV 2
  dx
2 GA
7.4 가상일의 원리
 비틀림에 의한 내적 일
임의거리 x에 위치한 단면에서의 비틀림모멘트를 T라고 하면, 미
소부분 dx의 비틀림변형은 dØ =(T/GJ)dx이므로 미소부분의 우측
단면의 비틀림모멘트가 하는 상대적 내적일 dU=(T· dØ )/2
이므로, 전체 부재의 비틀림에 의한 내적 일은 다음과 같다.
1 1 T2 1 T2
d 
Tdx U   T d   dx U  dx
GJ 2 2 GJ 2 GJ
여기서, GJ는 비틀림강성(torsion rigidity)
7.4 가상일의 원리
 일반적 구조부재의 내적 일
일반적으로 보나 라멘구조물에는 각종 하중에 의한 축력, 휨모멘트,
전단력, 비틀림모멘트 중에 몇가지 단면력이 생기고 이에 따른 변
형에 의한 변형에너지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의 내적 일-변형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모든 내력으로 인한 주요 변형을 부재별로
모두 고려하여 부재 전체에 대하여 합하여 구해야 한다.

1 M2 1  sV 2 1 F2 1 T2
U   dx    dx   dx    dx
2 EI 2 GA 2 EA 2 GJ
휨강성 전단강성 축강성 비틂강성
구조물의 각 단면력이 하는 내적일은 다음과 같은 일반형으로 표현
할 수 있음에 유의
1 (단면력) 2
U   dx
2 (단면강성)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