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호서 대 학교 기 초과학연 구논문집 The J.

of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제 10집 2002 Hoseo Univ., Vol. 10,2002

연속함수에 의하여 보존되는 성질

이경복* • 정경진**

----------------------- 〈목 차〉------------------------------

I. 도입

n. 연속함수의 정의와 기본적인 성질

in. 위상공간에서 연속함수

IV. 연속함수에 의한 불변적 성질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I . 도입

고 등학 교 교육과정에서 연속함수는 실함수에서 직관적인 방법에 의한 극 한 을 이용하여 정의한

다 . 미적분 학 교과 서 에 서 는 이 정의를 입실론-델타를 이용하여 엄밀하게 다시 표 현 한 다 . 실함수에

서 정의된 연속함수는 거리공간으로 일반화시킬 수 있다 . 나아가 연속함수의 개념을 임의의 위상


공 간으 로 더욱 더 확장할 수 있다 . 그 러 나 임의의 위 상 공 간 에 서 는 점들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정의

가 불가 능 하 므 로 임의의 위상공간에서 연속함수의 정의를 약간 다르게 하여야 한 다 .

위 상 수 학 은 위 상 f 형사상에 의하여 보 존 되 는 위상적 성 질 들 을 다 루 는 수학의 한 분야로써

* 호서대학교 수학전공 교수
** 교육대학원생(온양고등학교 수학교사)
위상수학의 중요한 정리는 특성화정리(Charac-terization theorem )와 분류정^ 1 (Classification
theorem) 이다.

특성화정리는 다양한 위상적 성질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고 위상적 성질들의 결합들이 서로 동


치적인 것을 보이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가 공간이 가분거리공간과 위상동형이 되기 위한 필요충
분조건을 주는 우리존 특성화정리이다.
분류정리는 주어진 두 위상공간이 위상적 동형일 때 두 공간을 같은 류(Class)로 분류하는 것으
로 두 공간이 어떤 성질들을 동시에 만족하면 위상적 동형으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성질을 위상적
성질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성질이 많지 않고 위상 공간을 완벽하게 분류하는 위상적 성질들
의 목록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주어진 위상공간이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성질이
부분공간에서도 만족되면 이 성질들을 유전적(Hereditary) 성질이라 하며 위상수학에서는 이러한
것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

이 논문에서는 연속함수에 의하여 보존되는 성질들을 조사한다. 위상적 동형사상에 의하여 보존


되는 성질이 많지 않으므로 연속함수에 의하여 보존되는 성질도 많지는 않다. 이 논문의 결과들은
독창적인 결과가 아니고 이미 잘 알려진 결과들을 정리하고 자세하게 증명한 것이다([C], [D], [H],
[L], [M]). 그리고 역사적 배경을 간헐적으로 서술하였다 (□ , [P]).

이 논문은 5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1장은 도입부분이고 2장에서는 실수와 거리 공간상예서


연속함수를 정의하고 기본적인 성질을 조사하며 3장에서는 위상공간에서 연속함수를 정의하고 이
와 동치적인 조건들을 조사하며 4 장에서는 연속함수에 의한 불변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5
장에서는 결론 및 제언과 참고문헌을 나열하였다.

n. 연속함수의 정의와 기본적인 성질

정의 2.1. 와 y를 집 합 이 라 하 자 . ^ 의 각 원소 文에 대하여 F 에 유일한 원소 y = /Oc)

가 각 대응하는 규 칙 (rule)을 ^ 에서 F 로 가는 함수(function) / 라 하고 표시는 f ■


.X — Y

로 한다. 그리고 :
V=y( ᄌ) 일 때 夕를 文의 상(image), 文 를 :
y 의 원상(preimage)이 라 부르고 집
합 ^ 를 /의 정의 역(domain), 집합 F 를 / 의 공변역(codmain) 그리고 {/U ) U 도샀 } 를 /
에 의한 치역(range)이라 부 른 다 .

주 2.1. 함수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관계(relation)에 의하여 정의하여도 된다. 두 집합 ^ , V


에 대하여 X 에서 r 로의 함수 (function} 란 하나의 세 쌍 (X ,F , /) 를 말한다. 여기서, /

는 다음을 만족시키는 ^에서 F 로의 관계(relation)이다.


(1) Dom(f) = X
(2) (x , y) e / 이고 U , z) e / 이면
여기서, Z)om (力 U , y ) e / , 어떤 y e y }를 말한다. ( ;
*!:, 7 ,/ ) 는 F 로

나타내고 ( x , y ) e / 는 y = / U ) 와 같이 기호로 쓰면 정의 2.1 와 동치이다.

정의 2오 / : X — F 룰 함수라 하자. 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집합 _ /G 4 )= { y e F |y

= Ax), 어 떤 ; 를 /에 의한 ^ 의 상(im a g e H 라 부르고 특히 /U 0 를 함수 ■/에 의한


상<lmage> 또는 그대로 상이라고 부른다. 또한 F 의 부분집합 C 에 대하여 집합
厂 1( C ) = { ; c e X |Xx) eC} 를 /에 의한 C 의 역상(inverse im age)^ 5 } 부르고 집합
{(x , y) x Y I y = y (x )} 를 /의 그래프(graph )라 부른다-

정의 2 .3 . 함수 / : X — r 가 단사 < o n e - tc M m e 또는 in je c tiv e ) 라 함은 시 = ^ % 2 인 X 의 두

원소 지 , 시 에 대하여 / ( 文1 ) + •/( 欠2) 임을 말한다. 그리고 / : X — F 가 전사 { o n t o 또

는 s u r je c tiv e )라 함은 A X ) = F 임을 말한다. 가 전사이고 단사일 때 전단사


(o n e - t o - o n e c o r r e s p o n d e n c e 또는 b ije c tio n ) 라 한다.

특히 / : F 가 전단사이면 F 의 각 원소 y 에 대하여 ^ 에 유일한 원상

가 대웅하는데 이 규칙을 f . X ᅳ y ■의 역함 수 ( i n v e r s e f u n c tio n )라 부르고 广 :F ᅳ X 로

표시한다.

정의 2 .4 . I x (x) = x , 로 정의된 함수를 항 등 함 수 ( i d e n t i t y f u n c tio n ) 라 부르고

시: : ^ — ^로 표시한다.

정의 2.5. / : F 와 요 : F — 2 를 함수라 하자• 이때 {g 니){x、= g(f[xT), x

로 정의되는 함수를 합성함 수(composite func- tion)라 부르고 g ° f . X — 2 로 표시한다.

정의 2.6. / : ^ᅳ 7 가 함수이고 고가 ^의 부분집합이라 하자. 이때 / I A(a) =

A d ) , a 티 4 로 정의된 함수를 ^4 로의 /의 축소(restriction) 라 하고 /| ^ y 로 표시

한다. 동치적으로 / 는 /1 A 의 ^로 의 확대 (extension)라고 부른다.

정의 2.7. { A i \i e / } 롤 첨자집합 /에 대하여 첨자화된 집합족이라고 하자. 이때 이 집합


족의 합집합( u n i o n ) 과 교집합( i n t e r s e c t i o n ) 을 각각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합집합 ^ 产ᄂ니 文G ^ 어떤 / 드/ } ,

교집합 2Q ^ 4 ;.= {;
Cu e 모든 * e / } ,

^ i (ᄀ-A j — </> , 2 =쓴) 일 때 { >1 | z e / } 를 서로 소( p a i r w i s e d i s j o i n t } 라한다.

정리 2요 / : j r — F 를 함수라 하자. { ,• U e j } 와 { 히 |;. e / } 를 각각 ^와 F


의 부분집합들의 집합족(fam ily)이라고 하면

(!) / ( ^ j A , ) = ^ / ( A , ) ,

(2) / ( £ V 시 ) c ( 시 )'

(3) } i j B ,)= B ,),

(4)

정리 2.9. / : F 를 함수라 하자. 는 ^ 의 부분집합이고 표는 y 의 부분집합이라 하



(1) A c f ~ l U U ) ) ,
(2) / ( f ~ \ B ) ) C二 B ,

(3) /가 전사이면 f(A )) = A ,

(4) / 가 단사이면 / ( f ~ l (B)) = B .

정의 2.10. a 와 6 를 인 실수라 하면 다음의 기호들을 각각 약속한다.


( a , b)={ x ^ 요 : a < x < b } ,[ a , b]= {x :a ^ x ^ b ),
( a , b]={ x :a < x ^ b } , [ a , b )= { x x < b ),
(a ’ o o ) = { ^ :a < x}, ( - 0 0 , a)= { x :x ᄂ a },

[a , oo) = { x x}, ( - o o ,fl] = { x e i? : x ^ a ) ,

(- o o , oo) = R .

이제 실수집 합 i? 에서 연속함수(continuous function)를 정의하자.

정 의 2 .1 1 . i? 의 부분집합 ^ 4 에 대하여 / :^ ᅳ /? 를 함수라 하고 a 는 ^ 의 원소라 하 자 .


/가 점 G 에서 연속(continuous at a)이라 함은 임의의 양수 e 에 대하여 |x— 시〈크인 모든
x 에 대하여 |f{x)~ f(a) |〈s 인 양수 <5가 존재함을 말한다. /가 모든 a e ^4 에 대하
여 연속일 때 /가 ^4 위에서 연속함수 또는 연속(continuous on A )이라고 한다.

정의 2.11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 것은 극한에 의하여 표현한 것이다. 즉, /가 a e ^4 에서 연


속이라 함은
(1) 함수값 f{ a ) 가 정의되고,
(2) 극한값 lim /U ) 가 존재하고,
x-*a

(3) f ( a ) = \imf(x)
x—*a

이 성립하는 것이다. 이 때 집합^ 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 위의 조건(1), (2), (3)을 만족하면 /는


에서 연속(contim iity on a set A) 이라 말하고 실수 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 성립하면 / 는 /?
^4

에서 연속(contim ious on R)이라 한다. 이 정의는 정의 2.11와 동치이다.


정의 2.11 를 임의의 거리공간으로 확장하기 위하여 우선 거리공간에 대하여 정의하자.

정의 2.12. ^를 집합, i? + 를 음이 아닌 실수집합이라 하자. 임의의 A:


,y , 2 에 대하여
함수 섰: ^ x 꼬+ 가 다음 조건 (1), (2), (3)을 만족할 때 d 를 거리함수(metric 또는
distance function), d {x 9 y ) 를 X 에서 夕까지의 거리(distance)라 부른다.
(1) d ( x 9y ) = 0 x= y f
(2) d ( x ,y)^= d ( y 9 x) f
(3) d{ x ,z) ^ d ( x f y) + d{ y y z) .
이 때 거리 d 를 가진 집합 X 를 거리공간(metric space}이라 부르고 ( X , 또는 X 로
표시한다.

정의 2.13. ( X 9 d ) 가 거리공간 a 드 X , £:> 0 이라 하자. 이 때 중심(centerH a 이고


반지름(radius)이 e 으로 주어진 개구(open ball) B d( a,e ) 를 집합

B a9 e) = {x ^ X \d{ a y x) < e)

그리고 패구(closed b all) B d[ a 9 드] 는 집합


B d[ a te] = { x ^ X \ d{ a, x) ^ e } 로 정의한다.
정의 2그4, (x , d x ), ( r , r f 2) 는 거리공간, / : ^ — r 는 함수라 하자. /가 한 점
<2 e X 에서 연속(continuous at a p o in t 以e X }이라 함은 임의의 e > 0 이 주어질 때
d x{ x, a ) 〈<5 인모든 ;tr e JSf 에 대하여 rf2 ( / U ) , f(a ) ) 〈e 인 d = d(a , £>>0 이
존재함을 말한다. /가 정의역의 각 원소에 대하여 연속일 때 /는 연 속 함 수 (c o n t in u o u s

라고 말한다.
f u n c t io n )

다르게 표현하면 가 점 a e 에서 연속이라 함은 임의의 개구 B d2{ / ( a) , e ) 에대


하여 / ( B di{ a , 5 ) ) c B d2{ f{ a ) , 시을 만족하는 개구 B di( a , 5) 이 존재함을 말
한다.

예 제 2 .1 4 . 실수 서에 거리함수 fl, « = U - 6 | 롤 주면 ( R , rf)는 거리공간이 된다. 이


제 d )- * { R , d) 를 f h d = 2x 로 정의하자. 그러면 a e i? 에서 연속이다. 왜냐하면

S= 이라 할 때 rf(A :
, a ) = | ; c — aK (5 이면

d(J[x ),A a) ) = d (2 x , 2a) =| 2x—^a I = 21 x— al< 2 • ^ = £

이다. 물론 = 가 정의되고 lim /(;c ) = 2a 가 존재하여 f{ d )= lim / ( x ) 이 성립하므


x—*a x-* a

로/ ( 文
) = 2文는 한 점 에서 연속이다.

m. 위상공간에서 연속함수

위상공간에서는 점들 사이의 거리를 정의할 수 없으므로 개집합에 의하여 정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먼저 위상과 위상공간, 개집합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속성을 정의하고 연속성과 동
치인 조건들을 찾기 위하여 임의의 위상공간에서 근방, 폐포, 기저, 준기저 그리고 내부 둥을 정의
한다. 이 용어들의 정의는 거리공간에서도 정의할 수 있다.

정 의 3 .1 . 요 는 집합, :r 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X 의 부분집합들의 집합족이라 하자 :


집합 ^ 와 공집합 <Z>는 :
(1) r 에 항상 속한다.

(2) 그의 임의의 원소들의 합집합도 그에 속한다.

(3) 7 의 유한개의 원소들의 교집합도 그에 속한다.

우리는 ^ 를 X 상의 이라 부르고 의 원소(member)들을


위 상 (T o p o l o g y ) 개 집 합 (o p e n s e t ) 이
라고 한다. 이때 쌍 ( X ,^ ) 를 위 상 공간 (t o p o lo g ic a l s p a c e ) 이라 하고 간단히 X 라 표시한다.
주 3.1. Fr6chet(1878-1973)가 처음으로 유 클 리 드 공 간 을 임의의 위상공간으로 확장하 였 고 1906년

에 Fr6chet 는 거리공간 을 도 입 하 였 다 . 또한 H ausdorff(l868-l942)는 19M 년에 근방

(neighborhoods)을 이용하여 위상 공 간 을 정의하였으며 Cantor(1845-1918) 이후에 위상공간의 여

러 용어들이 정 의 되 었 다 .

정의 3 .2 . 위상공간 의 부분집합 C 가 패집합( c l o s e d set> 이라 함은 여집합 가 개집

합일 때 이 다 .

정의 3 .3 . ( 연속함수의 국소적 정 의 ) U /l), ( F , :r ) 는 위 상공간 , / : 그:


— r 는 함

수 이 라 하 자 . 함수 가 한 점 aeX 에서 연 속 이 라 함은 F 에서 /(a) 롤 품는 개 집 합 F에
대하여 yu 乃 c f 를 만족 하 는 a를 품는 개 집합 t/ 가 ^에 서 존 재 함 을 말 한 다 . 또한 / 가 연

속 이 라 함은 모든 에서 ^ 가 연속일 때 말 한 다 .

정의 3.4. (연 속 함 수 의 대 역 적 정 의 ) 함수 / : (X , 7 ) ᅳ (F, 7 ' ) 가 연속이라 함은 F의


모든 개집합 y에 대하여 / —Uv) 가 ^에 서 항상 개집합을 의 미 한 다 . 즉 , 임의의v 가 t

의 원소이면 역상 가 :r의 원소일 때 이 다 .

연속의 여러 가지 동 치 조 건 을 서술하기 위하여 다음 용 어 들 을 정 의 하 자 .

정의 3 .5 . ^ 4 를위 상공간 X 의 부분집 합이 라 하 자 . 점 x e ^ 4 가 기 의 내 점(in t e r io r p o in t}

이라 함은 인 개집 합 0가 존 재 함 을 말한 다 . 동치적 으 로 고를 의 근방

{ n e i g h b o r h o o d } 이라 부 른 다 . ^ 4 의 모든 내 점들의 집 합을 ^ 4 의 내 부 ( i n t e r i o r ) 라 부르고 i n t ^ l

또는 로 표시한다. 를 포함하는 모든 폐집합들의 교집합을 의 패 포 ( c l o s u r e ) 라 부르고

cl ( A ) 또는 A 로 표시한다.

예제 3.5. 실수의 보 통 위 상 공 간 (ie, 편 ) 에서 유 리 수 집 합 0의 내부 i n t ( Q ) = 산 이고 폐포

~Q= 이다.

정의 3 .6 . 위 상공감 츠 의 부 분 집 합 ^ 4 가 조밀(d e n s e ) 이라 함은 고 = A ■이 성립할 때를 말한

다.
정의 3.7. ( X , 7 ) 를 위상공간이라고 하자. 의 부분모임(subcollec-tion) 0가 기저(basic)라
함은 그의 각 원소가 P의 원소들의 합집합으로 표현됨을 말한다. 이때 P의 원소들을 기저개집합
(basic open set)이라 부르고 ^는 P에 의하여 생성된 위상(topology generated by P)이라고 부른

다.

예제 VI. ( X , fiO 가 거리공간이라고 하자. 그러면 = { B d(X , e) I X ^ X , £>0} 는 에


의하여 생성된 위상의 기저이다. '

정의 3.8. ( ^ ,7 를 위상공간이라고 하자.


) 7 의 부분모임(subcollec-tion) r가

(subbasis 또는 subbase}라 함은 r 의 각,원소들의모든 유한 교집합들의 족 0가" I 의기저임을 말


한다.

예제 3.8. 실수 i? 에서 ( a , oo) 와 (ᅳ oo, 6) 형의 모든 구간들의 족 r 는 보통위상공간


(R, 50 의 준기저이다.

정리 3.9. ( X , n ) , ( Y , ? ' ) 가 위상공간이고 ^ : X — F 를 함수라 하면 다음 명제들은


서로 동치이다.
(1) /는 연속이다.
(2) F 의 임의의 폐집합 C 에 대하여 厂 1 (C ) 가 에서 폐집합이다.
(3) 의 임의의부분집합 에 대하여 이다.
의 각각의기저개집합
(4) P S 에 대하여 / _ 1 (5 ) 가 에서 개집합이 되는 F 의 위상에
대한 기저 P 가 존재한다. .

의 각각의 준기저개집합
(5) c 5 에 대하여 / _ 1 (5 ) 가 ^에서 개집합이 되는 F 의 위상
에 대한 준기저 e 가 존재한다.

정리 3.10. f : X - ^ Y, g : F ᅳ ^를 연속함수라 하자. 그러면 합성함수 요-/ : ^ᅳ ^도


연속이다.

다음으로 위상동형사상과 위상적 성질을 정의한다.


정의 3.11. 두 위상공간 ^와 F 가 위상동형O w m eom orphicH 라 함은 함수 / : ^ ᅳF와
역함수 / —1 : F ᅳ ;>!:
가 동시에 전단사이고 연속임을 말한다. 이때 / 를 위상동형사상
(hom eom orphism ) 이라고 부른다.
전단사함수 f ■
. ^ ᅳ r 에 대하여 ( / _ 1) 一1= / 가 성립하므로 / 一1의 연속성을 보이기 위
하여 의 개집합 0 에 대하여 A 0) 가 r 에서 개집합을 보이면 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
는 사상 / : X — F 를 개사상( o p e n m a p p i n g 또는 o p e n f u n c t i o n ) 이라고 부른다. 또한 폐집합
이 보존되는 사상을 패사상( c l o s e d m a p p i n g 또는 c l o s e d f u n c t i o n ) 이라고 부른다. 주의할 것은
연속과 개사상(또는 폐사상)이 서로 별개라는 것이다. 즉, 연속함수라 하여도 개사상이던지 폐사
상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 : ;
(:
ᅳ F 가 위상동형사상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가 전단사, 개사상(또는 폐사상) 그리고 연속인 것이다.

정의 3 .1 2 . 위상공간의 성질 ^ 가 위상적 성질( t o p o l o g i c a l p ro p e rty 또는 to p o lo g ic a l

in v a r ia n t ) 이라 함은 공간 ^가 성질 룰 가지면 ^와 위상동형적인 공간 r 도 성질 8■를가짐


을 말한다.

주 3 .1 2 . 유클리드공간의 성질에서 중요한 면적, 거리 그리고 유계성은 위상적 성질이 아니다.


왜냐하면 반지름이 1 인 원과 반지름이 2 인 원 사이에는 위상동형사상을 정의할 수 있지만 면적은
서로가 다르다. 그리고 페구간 [-1, 1]과 [0, 1]사이에도 위상동형사상이 존재하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다르고 (一f f ) 와 요사이에도 위상동형사상이 존재하나 하나는 유계성을 만족하고


하나는 그렇지 못하다. 따라서, 위상적 성질을 만족하는 것들을 하나의 류(class)로 묶어 놓으면 연
구의 대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대수학에서 중요하게 취급하는 군동형사상
(group isom orphism )을 연구하는 것과 유사하다.

IV. 연속함수에 의한 불번적 성질

위상수학(Topology)은 위상적 성질(topological property )들을 다루는 수학의 한 분야로써 위상


수학의 .중요한 목적은 분류정리(classification theorem )와 특성화 정리(characterization theorem)
이다.
특성화정리는 다양한 위상적 성질 사이의 관계를 확립하고 위상적 성질들의 결합들이 서로 동
치적인 것을 보이는 것으로 대표적인 예가공간이 가분거리공간과 위상동형이 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을 주는 우리촌 ,특성화정리이다.
분류정리는 주어진 두 위상공간이 위상적동형일 때 두 공간을 같은 류(class)로 분류하는 것으
로 어떤 성질들을 이용하여 두 공간이 이 성질들을 동시에 만족하면 위상적동형으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성질들을 위상적 성질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성질은 많지 않고 위상공간善 완벽하게 분류
하는 위상적 성질들의 리스트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위상적 성질보다는 약한
연속성에 의하여 보존되는 성질을 찾는다.

정의 4 .1 . 위상공간 가 가산이고 조밀인 부분집합을 가질 때 X 를 가분공간( s e p a r a b l e


space) 이라고 한다.

주 4 .1 . 위상공간에서 조밀성(dense)과 개집합(open set)을 연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예로


써 집합 8 = 0 니 / :
X-^Y, 연속함수}에 어떤 위상을 주어 8가 하나의 위상공간이 된다고 하자.
임의의 한 원소 / e 0 에 대하여 / 를 포함하는 개집합 G 가 존재하며 G 의 원소도 /가 갖는
성질과 똑같은 성질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로 수렴하는 ■함수열 ( /니) 즉,

f I, f 2< -- - /», - - ' — /인 경우 / i , / 2, /3, ' - •, f '

이 어떤 성질을 가지면 / 도 거의 유사한 성질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조밀성과 개집합


을 연구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정리 4.2. (a: :
r ) 가 가분공간이고 ( f
, , ) 이 위상공간이라 하자. 함수 ^ f 가
전사이고 연속이면 ( F , ^ ' ) 도 가분공간이다.
증명. yl 가 ^의 가산이고 조밀인 부분집합이라 하자. 그러면, 당연히 A ^4) 는 가산집합이
다. 따라서, /(고
4) 가 r 에서 조밀함을 보이자. G 를 F 에서 공집합이 아닌 개집합이라 하자. 그
러면 /가 연속이므로 / _ 1 ( G) 는 ^에서 공집합이 아닌 개집합이다. A 7} 에서 조밀하므
로 / —M;
G) r u 4 후산이다. 따라서, a 7} 존재하여 /(a ) e G 이다. 그러므로 A A ) = Y
이므로 ( r , ) 도 또한 가분공간이다.
정의 4 .3 . 위상공간 X 의 부분집합을 ^4 라 하자. 의 개부분집합족 £ = { G a} 이
겨니二니 드를 만족할 때 £를 ^4의 개피복(open cover)이라 하고 개피복의 부분족 £ ' 이
^4C1J G / 를 만족하면 £ 롤 부분피복(siibcover) 이라 한다.

정의 4.4. 0 ᄂ 1 ) 가 위상공간이고 C ^ 라 하자. 이때 :TA ={ G (ᄀ ^4 : G e 기를 상

대위상(relative topology 또는 subspace to- pology)이라 부르고 G4 , *3A) 를 (JX , "J ) 의 부


분공간(subspace) 이라 부른다.

주 4 .4 . 주어진 집합이 어떠한 공간에서 개집합인지를 정확하게 표현하여야 한다. 예로써, 7? 에


서 부분집합족 = { G e/ ? | 0 e G , 또는 <3= 4>}를 택하면 (i? , 그) 는 위상공간이다.
^4 = [1 ,3] 을 생각하자. 임의의 x 에 대하여 {0, x} 는0 ? ) 에서 개집합이다.
{0, :<:} r u 4 = U } 이므로 U} 는 에서 개집합이다.

어떤 성질이 주어진 공간의 모든 부분공간에 대해서도 같은 성질을 만족할 때 이 성질을 유전


적(hereditary) 성질이라고 부른다. 이 부분공간의 개념은 하우스도르프에 의하여 소개되었다.

정의 4.5. 위상공간 ( ^ , 7 ) 가 긴밀(com pactK I라 함은 ^의 개피복이 유한부분피복을 가짐


을 말한다. 즉, 임의의 개피복 £= { G a} 에 대하여 X ᄃU 인 유한부분피복
{ G J : =1 이 존재함을 말한다. 그리고 위상공간 ^의 부분공간 가 긴밀이라 함은 ^4 가
상대위상에서 긴밀위상공간임을 말한다.

주 4.5.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긴밀이라는 용어는 Alexandroff와 Urysohn(1923년)이 쌍긴밀


(bicompactness)이라는 용어로 사용하였고 Vietoris(1921년)가 동치적인 정의를 주었다.
Fr6chet(1904년)가 긴밀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으며 이때는 점열을 사용하였다. Young(1902년)과
LebeSgue(1904년)는 i? 2의 유계인 폐집합의 모든 개피복은 유한부분피복을 가짐을 증명하였다.
이 긴밀의 개념은Borel (1894년)과 Heine (1872년)에 의하여 완성된 Heine - Borel 정리를 일반화
시킨 것이다.

정리 4.6. U 1 ) 가 긴밀공간, (F , 7 ' ) 가 위상공간, / : ^ᅳ F 가 연속이라고 하자.


그러면 상 f[X ) 도 F 의 긴밀부분공간이다.
증명. £를 K X) 의 한 개피복이라고 하자. 그러면 £ 의 각 원소 G 에 대하여 가 연속이므로
/ 一1(G) 는 ^에서 개집합이다. 따라서, £*={ 厂 1( G) |G e £ } 는 ^의 개피복이다.
표가 긴밀이므로 유한부분피복 { ^ 이 ( G,)} 그
=1 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AX) = /{ U 니 / —1 ( G , )} = U -=i /( / —U G , ) ) C U U G,
이다. 따라서, f{X ) 도 F 의 긴밀부분공간이다.

정의 4.7. 위상공간 (X / I ) 가 점열긴밀(sequentially compact}이라 함은 X 에서 모든 점열


이 수렴하는 부분점열을 가짐을 말한다.

정리 4.8. /J ) 는 점열긴밀이고 는 위상공간이라 하자. 그리고 함수


/: f 가 전사인 연속사상이라 하면 ( f , ) 도 점열긴밀이다.
증명. ( y K) 이 F 에서 점열이라고 하자. /가 전사이므로 / ᅳ^ > % )= ;
!£:„ 인 X K을 X
에서 잡으면, ( :
»:„ ) 도 그: 에서 점열이다. ( X , 1 ) 7 } 점열긴밀이므로 수렴하는 부분점열
( 义 „t ) = { f ~ l ( y nk)) 가 존재한다.
x x 라 놓자. /가 연속이므로 x — /O c )= y 이다. /( ;c „t) = y 로 놓으
면 ( y „ , ) 가 (y„) 의부분점열로써 夕에 수렴한다. 따라서, (F, ) 도 점열긴밀이다.

정의위상공간 OC , 7 ) 가 가산긴밀( c o u n t a b l y
4 .9 . c o m p a c t) 이라 함은 X 의 모든 가산 개피
복이 유한부분피복을 말한다.

정리 4.10. 위상공간( x , 쳣)가 가산긴밀이고 ( r , r ) 가 위상공간이라 하자. 함수


f •X — F 가 전사이고 연속이라 하면 (F, ) 도 또한 가산긴밀이다.
증명. { G„} 를 (F, ) 의 가산개피복이라 하자. / 가 연속이므로 厂 ^{ G „ ) 도 ^에서
개집합이다. 따라서 { / —' ( G „ ) } 도 ( ^ , 7 ) 의 하나의 가산개피복이다. 그런데, (JsT/I)

가 가산긴밀집합이므로 유한피복 { / ᅭ G n)} ^메 에 의하여 피복된다. 그러면, { G J k


n= l

가 (F, 7 ') 를 피복한다. 따라서, (F, ) 는 가산긴밀이다.

주 4.10. 일반 위상공간 에서 긴밀공간은 점열긴밀공간과 별개의 개념이다. 긴밀공


간이면 가산긴밀공간이고 점열긴밀공간이면 가산긴밀공간이다. 일반적으로 역은 성립하지 않
는다([P]). 그러나, 거리공간 { X , cO 에서는 이 3종류의 공간과 Bolzano - Weierstrass 성질은
서로 동치이다.

정의 위상공간 ( X ,7 ) 가 린델로프공간(LindelSf
4 .1 1 . space 또는 Lindetef property )이라 함

은 모든 개피복이 가산부분피복을 가짐을 말한다.

정리 4 .1 2 . / : X ᅳ F 가 연속사상이라고 하자. X 7} 린델로프공간이면 f{X ) 도 린델로프공


간이다.
증명. / : ᅳ r 가 연속이고 ^가 린델로프공간이라 하자. £를 f 에서 개집합인 fix )
의 피복이라 하자. { 구 1(G ) I G e £} 는 를 피복하는 집합들의 족이다. 이들 집합들은 /

가 연속이므로 ^에서 개집합이다. 가 린델로프공간이므로 가산부분피복 { / _1(


)} ^ =1 이 존재한다. 즉 U T이 / 一1( = ^ 이다. 따라서,
fO O = / ( U T=i / 1( G ^)) = U °k=i/( f 1( G *))c 니 k=l g k
이므로 f{X ) 도 린델로프공간이다.

주 4.12. 실직선 요과 평면 R 1 에서 개집합, 폐집합, 극한점에 대하여 정의하는데 임의의 위상


공간에서의 정의와는 차이가 있다. 예로써, 7?과 7?2 에서 임의의 한 점 {가 는 Oc} = { ;d 이
므로 항상 폐집합이다. 또한, 임의의 점열 ( x K) 이 I? 또는 i? 2 의 한점 로 수렴
(converge)할 때 극한 는 유일하다. 그러나, 임의의 위상공간에서는 단집합 {x } 가 항상 폐집
합이라는 보장이 없고, 수렴값이 항상 유일하다고 말할 수 없다. 예로써, 집합 ^ = { a , 6,c} 에
위상 을 다음과 같이 주자. 7 = { X , 4>,{b}, {a, b), {b, c}} 그러면 (^ ,7 )는 하나의 위
상공간이 된다. 그러나, 단집합 {6} 는 폐집합이 아니다. 왜냐하면 ( X , 7 )에 폐집합
선,X ,{a, c}, {c}, {a} 뿐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 X ,7) 의 점열 ( K) 의 극한점은 늘 유일
하지 않다. 예로써, x n = b 로 잡자. 그러면 b 를 포함하는 것은 {6}, {a, b}, {b, c) 이다.
( ;c„) = ( 6 ) 는 b,a, c 로 모두 수렴한다. 그래서 다음의 정의가필요하다.

정의 4.13. 위상공간 니 ,1 ) 가 T1-공간(Tl-space 또는Tl-axiom )이라 함은 단집합 {a:


} 가
폐집합임을 말한다.

주 4.13. 이 정의는 Fr6chet(1907년)에 의하여 소개되었고 TO, TI, T2, . • • 공간들을 체계적으
로 정리한 수학자는 Heinrich Tietze(1923년) 이다.
다음의 정의는 T1-공간보다는 강화된 정의이다.

정의 4 .1 4 . 위상공간 ( J s : , :r )가 하우스도르프공간( H a u s d o r f f space )이라 함은 ^의 서로 다


른두 점 X !, x 2 에 대하여

X ^^ U ' , X 2^ U 2, j fᄀ U 2 ~ 0

인 개집합 t/! 과 t / 2 가 존재함을 말한다.

주 4.14. 이 정의는 Hausdorff(l9l 4년)에 의해 소개되었는데 (;( / ! ) 가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면 단집합 {x} 가 항상 폐집합이고 점열 ( % „) 이 ^ 의 한 점으로만 수렴한다. 거리공간
(X , d ) 는 늘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므로 과 7?2 에서 성립하는 성질들을 포함한다.
예 4.14. T1-공간이지만 하우스도르프공간이 아닌 예로써 집합 及의 부분집합족 그f
= {C/Ci? I 7?ᅳ 7? 또는 유한집합}롤 생각하자. 그러면, 一/? 이 유한이고 R-4>7\ R
이므로 4>, 은 의 원소이다. { U J 7} :rf의 공이 아닌 첨자화된 원소이면 ■/?—U U a=

D (i? ᅳ U a) 이고 각 R - f/a 가 유한이므로 u ^ 도 마의 원소이다.


또한 Up u2, • • • , C/K이 마의 공이 아닌 원소이면

R - n % i U ^ u u c r - u .)

이고 /?- 마 가 유한이므로 (ᄀ %1 u i 도 마의 원소이다. 따라서, (7?, I f ) 는 하나의 위


상공간이다. 그러나, ( i ? ,:
T£) 는 하우스도르프 공간이 아니다. 왜냐하면 ;c2ei? 이라 하
자. 그리고 개집합'

U ^ R - i x 2, . . . , x „}, U 2 = R - { x lf x 3, • . . , x „}

를 잡자. 그러면, U 1 이고 ;c2e t / 2 이며 u U 2 수 <t>이다.

물론 ( / ? ,: r f ) 은 t i -공간이다. 왜냐하면 폐집합이 i ? 자신과 의 유한부분집합이기 때문


이다.

정의 4.15. 위상공간 (JV , : r ) 에서 한 점이 폐집합이라고 가정하자. 위상공간 x 가 정규공간

(normal space)이라 함은 X 의 서로 소인 두 폐집합 >1,_B에 대하여 와 B 를 각각 포함하


는 서로 소인 개집합이 존재함을 말한다.

주 4.15. 이 정규공간은 Vietoris(l92l 년)와 Tietze(l923년)에 소개되었다. 거리공간 ( ^ , d ) 는


항상 정규공간이고 하우스도르프 공간이다.
또한 ^ = { 1 , 2, 3,4}, 1 ={0, X , {1, 2}, {3, 4}} 로 이루어진 위상공간 U T , 1 ) 도
정규공간이다.

정 리 4.16. 함수 / : X ᅳ F 가 폐사상, 연속 그리고 전사라고 하자. { X , 1 ) 7\ 정규공간이

면 위상공간 ( r , 그' ) 도 또한 정규공간이다.

증명 . F 에서 C 와 D 를 서로 소인 폐부분집합이라 놓자. 그러면, 厂 1(C) 와 厂 10 〕


) 는

^ 에 서 서로 소인 폐부분집합이다. 왜냐하면 / 가 연속이므로 / _1( 0 와 r 나M) 가 폐부


분집합이고

/ - ' ( o n 厂 1c d ) = f ^ ( c r ) D ) = f ~ l {4>) = 4>


이다. u : ) 가 정규공간이므로 厂 1( C ) £ t / , f - l (D )^V 롤 만족하는 서로 소인 개집합

t/ 와 y 가 ^ 에 존재한다. /가 폐사상이므로 y u r — ^ 와 一!
/) 는 폐집합이다.

M= Y -A X -U ), N = Y - A x - V)

으로 놓으면 M, N 는 개집합이고 C ^ M ,D S N , AfrUV= 산이므로 ( F ,그' ) 는 정규공


간이다.
정의 4 .1 7 . 위상공간 ( X / ! ) 가 점 p O C 에서 국소긴밀( l o c a l l y com pact at a p o in t

이라 함은 개집합 t/ 와 긴밀집합 ^ 가 존재하여 p 드 U 와 가 성립함을 말한


다.

정리 4 .1 8 . 위상공간 ( ^ , ^ ) 가 국소긴밀이고 ( F , / T ) 는 위상공간이라 하자. 함수

/: f 는 전사, 개사상 그리고 연속이라 하면 ( r , ) 도 또한 국소긴밀이다.

증명. y e F 이고 x e / _1 (F) 라 하자. ,그 ) 가 국소긴밀이므로 개집합 F 와 긴밀


집합 C 가 존재하여 x e F 이고 F S C 이다. 여기서 t/=/(mt(C)), K = A O 로 놓자.

x e V S C 이고 F 는ᅵ개집합이므로 ᄌ e i n t ( C ) 이다. / 가개사상이므로 t / 는개집합이다.

文 e i n t ( Q 이므로 이다. / 가 연속이고 C 는 긴밀이므로 표 도 긴밀이다. C/c/C 이므


로 ( y, )도 :
v 에서 국소긴밀이다. y 가 y 의 임의의 원소이므로 ( r ,그' ) 가 국소긴밀.
이다.

주 4 .1 8 . 국소긴밀의 연속 상은 일반적으로 국소긴밀이 아니다.

정의 4 .1 9 . 위상공간 ( X / I ) 에서 점열 ( x K) 이 의한점 로 수렴한다는 것은( ( 시 )

converges to x in X ) x 의 각 개근방 G 에 대하여 모든 i k N , 시■e G 를 만족하는 자연

수 꼬이 존재함을■말한다. ( 이 X 로 수렴하면 — 로 표시한다.

정의 4 .2 0 . 위상공간 ( X , 7 ) 가 제 1 가산공간( f i r s t c o u n t a b l e ) 이라 함은 의 각 점에서 가


산국소기저가 존재함을 말한다. 즉 \!녜 x 를 포함하는 개집합가산족 { U „ ) keN 이 존재

하여 를 포함하는 임의의 개집합 G 에 대하여 C7„CG 인 «e_/V이 적어도 하나는 꼭 있다.

그리고 에 가산기저가 존재할 때 ( J ( ,^ ) 는 제 2 가산공간 ( s e c o n d c o u n ta b le H 라고 부른


다.
정 리 4.21. (A :, 7 ) 가 위상공간이라 하고 ^4 ^ X , ;c e X 라 놓자.

(1) 로 수렴하는 점열이 ^4 에 존재하면 x e A 이다.

(2) ,:
T ) 가 제 1 가산공간이고 a; e A 이면 X 로 수렴하는 점열이 ^4 에 반드시 존재한
다.
중명 . (1) 에 점열 ( x „ ) 이 존재하여 A:
로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수렴의 정의에

의하여 ;c 의 임의의 개근방 G 에 대하여 G n ^4 우 하이다. 따라서 x e A 이다.

(2) 文e ^4 이고 p = { S „ : w e iV } 를 X 에서의 가산국소기저라 하고 G „ = 门 1=i 5 , 이라 놓

자. 그러면 G = { G „ :n eiV } 는 X 에서 가산국소기저이고 w> w 이면 G ^ c ᄃ „을 만족한다.

각각의 자연수 M 에 대하여 ; c „ e G ” 으로 놓자. 0 가 X 의 개근방이라면 기저의 정의에 의하여

G ^ S O 롤만족하는 / > e i V 가존재한다. 에대하여 이므로 x me 0 이


다. 그러므로 ;
t „이 ;
«;로 수렴한다.

정리 4.22. ( X ) , ( Y , ᅲ ) 가 위상공간이라 하고 / : X ᅳ F 를 함수라 하자.

(1) / 가 연속이고 점열 ( ; c „ ) 이 ^에 서 文로 수렴하면 점열 / ( j c„) 도 / Oc) 로 수렴한

다.

(2) (A :, 7 ) 가 제 1 가산공간이고 점열 ( ;c „ ) 이 ;c 로 수렴할 때 점열 (/( 시 )) 도 fbd

로 수렴하면 /는 연속이다.

증명 . (1) •/가 연속이라 하자. 그리고 X 에서 점열 ( x „ ) 이 x 로 수렴한다고 하고 F 를

fix) 의 개근방이라 하자. 그러면 / —'(VO 도 % 의 개근방이다. 수렴의 정의에 의하여 i ^ N

인 모든 i 에 대하여 x 모드 f ~ l (V) 이다. 따라서 인 모든 i 에 대하여 •인

N 이 존재한다. 결과적으로 (/( x „ ) ) 이 /Ot) 로 수렴한다.

(2) 위상공간 (A :/ ! ) 가 제 1 C 로 수렴할 때 (K x„)) 이


가산공간이고 점열 ( 欠„ ) 이 ;

Ax) 로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4 이면 ) £ A A ) 임을 보임으로써 정리 3.9의 (3)에 의

하여 /가 연속임을 보인다. 드X 이고 夕 e /( A ) 라 놓자. 그러면 yU ) = ;v 인 가존

재한다. 정리 4.21 의 (2) 에 의하여 에 점열 ( 시 )이 존재하여 로 수렴한다. 그러면,

가정에 의하여 점열 (/(;c j) 이 yw 로 수렴한다.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A % „ ) E /G 4 ) 이므로 정리 4.21 에 의하여 y = / u ) 이다.

주 4.22. 연속함수를 실수 저 에서 정의하고 거리공간 [ X , rf) 으로 일반화하였다. 그리고 임의


의 위상공간으로 확장하였다. 이렇게 확장하는 과정에서 모양을 유사하게 하였는데 실제로 서 에서
의 연속성의 개념과 일반 위상공간에서의 연속성의 개념이 일치하지 않는다. 예로써/ : i? ᅳ 의

한점 a 에서의 연속의 정의는 다음과 동치이다. 즉, a 로 수렴하는 점열 (、a n) 이 에 존재하여

점열 (/( « „)) 이 y (a ) 로 수렴한다. 그러나 임의의 위상공간에서는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보

자. i ?의 한 부분집합족 ᄀ = { 산}U { G S /? :G c :가산집합}라 하면 도 i ?의 한위


상이다.

그리고 «는 요상의 보통위상이라고 놓자. 그러면, 자명하게 ( 이 , a 2, ■ • ■, a „ , • . . ) 이

에서 한 점 a 로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점열 ( a „ ) 의 형태가 ( f ll,

a 2, . • • , a „ _ 1( a, a, ■■ ■) 이다. 따라서, 항등사상 I R : ( R , 7 ) — (i? , 보) 는점열

연속이다. 그러나

I R :( R )-* ( R , 'S), x ^ x

에서 (0 ,2 ) e f 이지만 2 ))= (0, 2) 는 7 에 속하지 않으므로 연속은 아니다.

정리 4 .2 3 . 함수/ : Js:— F 가 연속인 개사상이라 하자. 가 제 1 가산공간이면 f(jQ 도 제

1 가산공간이다 . 또한 ^ 가 제2 가산공간이면 A X ) 도 제 2 가산공간이다 .

증명 . ^ 가 제 1 가산공간이고 함수;ᄃ : X ᅳ F 가 연속이고 개사상이라 하자.이때 f[X) '

가 제 1 가산공간임을 보이자. A X ) 의 임의의 점을 y ^ f { X ) 라 하자. 그러면 ;c 가 존재'

하여 y = / U ) 이다. { 取„ } „ SJV 는 y 를 포함하는 F 의 개부분집합족이라 하자. / 가연속이

므로 { / - 】( ^ K) ᄂeiV는 개집합이고 점 ;C 를 포함한다. 따라서 { / ᅭ1 ( 1 ) } # ^ 는 义의

근방들의 모임이다. ^ 가 제 1 가산공간이므로 점 xejss:


에서 가산기저 { / ᅳ^ W n)} n<EN

가 존재한다. 즉, A:
를 포함하는 개집합 G 가 존재하여 x e / ᅳ^ W „ )C G 인 이적어

도 하나 존재한다. 따라서, / U ) e / ( / - U W n))c:


f{G). _/가 개사상이므로 { 灰 도

국소기저이다.

제 2 가산공간도 동일하게 중명하면 된다.

정의 4 .2 4 . 위상공간 ( X ,7 ) 가강제 1 가산공간 ( s t r o n g l y fir s t c o u n t a b le ) 이라 함은 긴밀집

합 /C C JT 에 대하여 가산개의 근방 W2, . • . 가 존재하여 의 임의의 근방 W 에

대하여 C 灰인 자연수 M 이 존재함을 말한다.


증명 . 임의의 ^ e j f 에 대하여 {x} 가 항상 긴밀집합이므로 정리는 성립한다.

정리 4.26. 제 2 가산공간은 강 제 1 가산공간이다.

증명. 1 ) 가제 2 가산공간이고 P ={GOc) |x 를 가산기저, / f c js :를 긴밀집합

이라고 놓자. f = { t / | t / = U l i G ( 지 )} 라 놓으면 i r 의 근방 전체의 집합이고 보는 가산집

합이다. 灰가 ^ 의 근방이라고 하자. P 가 가산기저이므로 x e X 에 대하여 GOc) 가 존재


하여 x C 1!1 이다. 집합 { G ( x ) | x e / H 는 의 개피복이고 가 긴밀이므로 유한집

합 { 文卜 x 2, • • •, xJ C 표:가 존재하여 K a \J ni= l G ( x ,) 이다. 여기서, F =

U ni= i G ( a; 라 놓자. 그리고 F 대이고 V C1W 이다. 따라서, 위상공간 , 了) 는 강

제 1 가산공간이다.

정리 4.27. / : ( X , 1 ) ~ ^ { Y , T ) 7} 연속이고 전사인 개사상이라 하자. 위상공간 { X ,


t ) 가 강 제 1 가산공간이라 하면 ( r , ) 도 또한 강 제 1 가산공간이다.

증명 . fjc > = r 라 하자. / f c r 는 긴밀집합이고 가산개의 / c 의 근방 w 2, ■ ■ ■가

존재한다하고 w 가 의 임의의 근방이라 하자. 그러면, /가 개사상이므로 / _1 (/o 가 그:에

서 긴밀집합이고 /가 연속이므로 厂 u x), f —\( u 2), • • • 이 개집합이고

f ~ l {K) c / - * ( [/,), f-^{K) c /- !( U 2), •••

이 므 로 / —10 0 의근방이다 . 또한 도 / - 1 (幻 의근방이다 . O f/J) 가 강

제 1 가산공간이므로 자연수 차이 존재하여 / ᅳ1 ( t / „ ) C / —'(w o 이다.

/ ( 厂 1( U n )) c / ( 厂 1( 灰 )) 에서

/ ( / _ 1( U n)) c U „ (ZW

이므로 U n cf l F 이다. 따라서, ( F ,1 ' ) 도 강 제 1 가산공간이다.

주 4.27. 1. 거리공간 ( ^ ,</) 는 항상 제 2 가산공간이다.


2. 비가산 이산공간은 강 제 1 가산공간이지만 제 2 가산공간은 아니다.
3. 제 1 가산공간은 항상 강 제 1 가산은 아니다.

정의 4.28. ( X , 1 ) 7 } 위상공간이라 하자. X 의 부분집합 B가 어디에도 조밀하지 않는


(n o w h e re d e n s e ) 이라 함은 in t ( 5 ) = ^ 임을 말한다.
주 4.28. 이 개념은 Reymond(1831-1889)가 유클리드공간을 연구하다가 도입하였다.

정의 4.29. 위상공간 ( X ,1 ) 가 Baire 공간(Baire spaceH 라 함은 ^의 개집합이고 조밀인


부분집합열 { 에 대하여 门 이 조밀함을 말한다.

주 4.29. Baire(1874-1932)가 1889년에 실직선에서 Baire category 정리를 연구하였다.

정리 4.30. 위상공간 GY , ) 가 Baire공간이고 F 가 의 개부분집합(open subset)이라고

하자. 그러면 F 도 Baire공간이다.


증명. { „} 을 F 에서 폐집합이고 int ( y l B) = 산인 가산족이라고 하자. 이때 F 에서 int
(U 산임을 보이자. ᄌ 을 교에서의 폐포라 놓으면 ᄌ 门 1"= ^ 4 „ 이다. int

(자 = 산임을 보이자. f / 가 f/C ᄌ이고 ^에서 공이 아닌 개집합이라면 U 0 A„*<P


이다. 그러면, u n r 는 71„ 에 포함되는 r 의 공이 아닌 부분집합이다. 이것은 f 에서 mt
= ^ 라는 가정에 모순이 된다. ᄂᄂ4 »이 F 의 공이 아닌 개집합 灰를 포함하면
U ᄌ도 灰를 포함하고 ^에서 개집합이다. 왜냐하면 F 도 ^에서 개집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각 집합 ᄌ 는 ^ 에서 int CArn) = <t>이다. 이것은 ^가 Baire공간이라는 사실에 모순

이다. 따라서, r 에서 Int ( U ^ J = 산이다• 즉, r 도 Baire공간이다.

정리 4.31. 위상공간 (^ , 1 ) 가 Baire공간이고 (F , r ) 가 하우스도르프공간이라 하자.


그리고 / : F 가 전사이고 연속인 개사상이라 하면 (F , ^ ' ) 도 Baire공간이다.
증명. { ^„ } 이 F 의 개집합이고 조밀인 부분집합열이라 하자. / 가 연속이므로
/ _1( 5 „ ) = > 1 „도 개집합이고 또한 ^가 개사상이므로 7 1 „이 조밀하다. 따라서,
) 가 Baire공간이므로 (ᄀ « = 나 «이 ᄌ에서 조밀하다.
/(H := i/ ( a „ ) = d

이 성립한다. /가 연속이므로 / ( 门 그니^ ) 이 ^에서 조밀하여 이 조밀하


다. 따라서, ( r , * !' ) 도 Baire공간이다.

주 4.31. Baire공간은 주어진 집합의 크기를 연구하는데 중요하다.


/„ :[ 0 , 1] — 표이 연속함수열이고 임의의 文e [ 0 , 1] 에 대하여 /„ 0 c ) ~^Ax) 로수
렴한다고 하자. 이 때 /는 반드시 연속이라는 보장이 없다.
f „ ( x ) = x n, x e [ 0 , 1] 이라 놓으면 /„(;< :) = 文"는 연속함수열이고
/„U) ᅳ 凡t) 로 수렴한다. 여기서

f( x ) = { J , 예 1}
1 , x= 1
이다. 이 A x ) 는 ^=1 에서 불연속이다. 그렇지만 /는 [ 0 ,1] 의 무한히 많은 점에서 연속이
다. 사실 /가 연속인 점들의 집합은 [ 0 ,1] 에서 조밀하다. 이러한 조밀집합은 큰 집합(big set)
이다. 따라서 주어진 정의'역 전체집합에서 연속성을 만족하지 않지만 큰 집합이 존재하여 이 집합
에서 연속성을 만족한다.

V. 결론 및 제언

1. 결론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연속함수의 정의는 실함수에서 극한을 이용하여 정의하고 미적분


학 교과서에서는 입실론-델타를 이용하여 엄밀하게 다시 표현하며 거리공간으로 일반화하여 연속
함수를 정의하였다. 또한 임의의 위상공간에서 연속함수의 정의는 입실론-델타의 방법을 발전시
킨 개집합을 이용하였고 이 정의와 동치적인 조건들을 결합하여 위상공간에서 연속함수에 의해
불변하는 몇 가지 성질을 연구하였다.

(X , 7 ) , (V, r ) 가 위상공간이고, / :( X ) — ( F ,r ) 가 연속함수일 때


1 . ( X , ry ) 7 } 가분공간이고 함수 ^ F 가전사이면 ( F , ) 도 가분공간이다.
2.(X , 7 ) 7 } 긴밀공간이면 상 도 F 의 긴밀부분공간이다.
3. ( X ,7 ) 는 점열긴밀이고 함수 / : X —F 가 전사이면 ( F , 1 ' )도 점열긴밀이다.

4. ( X , 그) 가 가산긴밀이고 함수 / :F 가전사이면 ( F , 그' ) 도 가산긴밀이다.


5. 함수 / : ^ ᅳ F 가 전사인 폐사상이라고 하자. ( J f / ! ) 가 정규공간이면 ( F , ) 도 또한

정규공간이다.
6. ( X , 1 ) 7> 국소긴밀이고 함수 / : X — F 는 전사인 개사상이면 ( Y , r ) 도 국소긴밀이

다.
7. 함수^ : ^ ᅳ F 가 개사상이라 하자. A :
가 제 1 가산공간(각각 제2 가산공간)이면 7U O 도제
1 가산공간(각각 제 2 가산공간) 이다.
8. / :( x ,i ) — (r , i') 7} 전사인 개사상이라 하고 위상공간 u :, 그) 가 강 제 1 가산공
간이라 하면 (y , 그' ) 도 또한 강 제 1 가산공간이다.
9. ( X , 7 ) 가 Baire공간, (F , ) 가 하우스도르프공간이고 함수 厂 ^ ᅳ F 가 전사인 개사
상이라 하면 (F , 1' ) 도 Baire공간이다.

2. 제언

초, 중, 고교의 과정에서 집합과 함수에 대하여 다루며 자연수, 유리수, 실수 등에 대하여 주로


취급한다. 그러나, 집합의 원소들이 수학에서 중요하게 취급하는 실수집합에서 정의된 실함수인
경우 연속함수에 관한 성질를 학습하기 위하여 다음과.같은 내용들을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의 시
야를 넓혀야 할 것이다. .

첫째, 함수로 이루어진 집합을 이용한다. 즉, 5 = { / | / : i ? — i?, 함수}, 0 = { / | / : i ?—足


연속함수}, $ = ᅳi? , 미분가능함수} 그리고 T = 적분가능함수}등을
소개한다.
둘째, 실수집합 i? 에서의 개구간과 유사하게 임의의 집합 X 의 한 부분집합족이 어떤 조건을
만족할 때 개구간과 유사한 성질을 가짐을 보여준다. 즉 위상용어는 쓰지 않지만 학생들이 수학에
서 중요한 정의의 개념에 익숙하도록 하고 실수집합의 성질들을 임의의 집합으로 확장할 수 있다
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개집합(open set)과 조밀성(dense)을 도입하여 위상 개념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즉
충분히 가까이 있는 두 원소는 같은 성질을 갖고 어떤 원소의 성질을 알기 위하여 원소에 가까이
있는 원소의 성질을 조사하여 우리가 알고자 하는 원소의 성질을 조사한다.
[C] F. H. Croom, Principles of Topology, Saunders College Publishing, 1989.

[D] J. Dugundji, Topoloy, Allyn and Bacon, Inc, 1966.

[H] T.Husain, Topology and Maps. Plenum Press. New York and London, 1977.

[J] I. M. James, History of Topology, Elsevier Science B. V. , 1999

[L] S. Lipschutz, General Topology. McGraw-Hill, Inc, 1965.

[M] J. R. Munkres, Topology, Second Edition, Prentice Hall. Inc, 2000.

[P] C. W. Patty, Foundations of Topology. Pws Publishing Company, 1993.

[Y-S] You-Feng Lin and Shwu-yeng To Lin, Set Theory ; An Intuitive Approach,
Houghton Hifflin company. Boston, 197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