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Chapter 2.

도함수

Lec 7

TECH UNIVERSITY OF KOREA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1/8


Contents

1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2 복습문제 / 다음 강의 주제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2/8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Definition
x가 a에 가까이 있을 때 y = f (x) 에 대한 근사로서 점 (a, f (a)) 에서의 f 의 접선을
이용하자.

(1) f 의 a에서의 일차 근사식(또는 선형근사식) 또는 접선 근사식:

f (x) ≈ f (a) + f ′ (a)(x–a)

(2) 이 일차 함수를 f 의 a에서의 선형화(또는 일차화)라고 부른다.

L(x) = f (a) + f ′ (a)(x–a)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3/8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Example (일차근사)
√ √
a = 1 에서 f (x) = x + 3의 선형화를 구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3.98의 근삿값을
구하여라.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4/8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Example (일차근사)

선형화를 이용하여 99의 근삿값을 구하여라.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5/8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Definition
f 는 미분가능한 함수이고 y = f (x)라 하자.
dx := △x (x의 미분)
dy := f ′ (x)dx (y의 미분)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6/8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Example (근사 측정으로 인한 오차)


구의 반지름을 측정한 결과 21cm이었다. 그리고 측정할 때 최대오차가 0.05cm이다.
반지름의 값으로 이것을 사용한다면 부피를 계산할 때 최대오차는 얼마인가?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7/8


복습문제 / 다음 강의 주제

복습문제
선형화를 이용하여 (1.99)2 의 근삿값을 구하면?

다음 시간에는..
함수 f (x) = x3 − 3x2 + 1, −1/2 ≤ x ≤ 4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여라.

Lec 7 ( TECH UNIVERSITY OF KOREA ) Chapter 2. 도함수 2.9 일차 근사식과 미분 8/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