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Engineering Math G On-Class Worksheet(2wk, 1st) 2023-Spring

[1] On “Integer Powers of a Complex Number”


(a) 복소수 𝑧𝑧 = 1 + 𝑗𝑗√3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세요.
(i) 𝑧𝑧 2 (ii) 𝑧𝑧 3 (iii) 𝑧𝑧 4 (iv) 𝑧𝑧 5 (v) 𝑧𝑧 −1 (vi) 𝑧𝑧 −2

𝜋𝜋
(b) 복소수 𝑧𝑧 = 2𝑒𝑒 𝑗𝑗 4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세요.
(i) 𝑧𝑧 2 (ii) 𝑧𝑧 3 (iii) 𝑧𝑧 4 (iv) 𝑧𝑧 5 (v) 𝑧𝑧 −1 (vi) 𝑧𝑧 −2

[2] On “𝑛𝑛-th Root of a Complex Number”


𝑛𝑛
(a) 복소수 𝑧𝑧가 주어질 때, 복소수 𝑧𝑧의 𝑛𝑛차 제곱근, √𝑧𝑧은 몇 개나 존재하는가? 이유는?

(b) 복소수 𝑧𝑧가 주어질 때, 일반각(general angle)은 무엇인가? 일반각을 정의할 수 있는 이유는?

(c) 복소수 𝑧𝑧 = 1 + 𝑗𝑗√3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세요.


(i) 𝑧𝑧1/3 (ii) 𝑧𝑧1/6 (iii) 𝑧𝑧 −1/3 (iv) 𝑧𝑧 −1/6

𝜋𝜋
(d) 복소수 𝑧𝑧 = 8𝑒𝑒 𝑗𝑗 4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세요.
(i) 𝑧𝑧1/2 (ii) 𝑧𝑧1/4 (iii) 𝑧𝑧 −1/2 (iv) 𝑧𝑧 −1/4 (v) 𝑧𝑧 3/4

(e) 𝑥𝑥 8 + 64 = 0의 모든 복소근을 구하세요.

(f) (−𝑗𝑗𝑗𝑗)8 − 1 = 0의 모든 복소근을 구하세요.

[3] On “Poles and Zeros of a System Function”


𝑠𝑠 2 −1
(a) 시스템 함수 𝑆𝑆(𝑠𝑠) = (𝑗𝑗𝑗𝑗)4 에 대하여, 분자 다항식(numerator polynomial) 𝑁𝑁(𝑠𝑠) 와 분모 다항식
+1
(denominator polynomial) 𝐷𝐷(𝑠𝑠)를 구하세요.

𝑠𝑠 2 −1
(b) 시스템 함수 𝑆𝑆(𝑠𝑠) = (𝑗𝑗𝑗𝑗)4 에 대하여, 시스템 함수의 극(pole)과 제로(zero)를 구하세요.
+1
(c) (b)에서 구한 pole과 zero 각각을 s-평면(s-plane) 상에 나타내세요. 또한, s-평면의 왼쪽반(left-half s-
plane)과 오른쪽반(right-half s-plane)에 위치한 pole과 zero들을 구분하여 나타내세요.

(d) s-평면의 왼쪽반(left-half s-plane)에 위치한 pole과 zero들만으로 구성되는 전달함수(transfer function)
𝐻𝐻(𝑠𝑠)를 구하세요.

[4] On “Frequency Response from a Transfer Function (1)”


𝑠𝑠+4
(a) 전달함수 𝐻𝐻1 (𝑠𝑠) = 로 정의되는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𝐻𝐻1 (𝑗𝑗𝑗𝑗)을 구하세요.
(𝑠𝑠+1)(𝑠𝑠+2)

(b) (a)에서 구한 주파수 응답, 𝐻𝐻1 (𝑗𝑗𝑗𝑗) 의 크기 응답(magnitude response), |𝐻𝐻1 (𝑗𝑗𝑗𝑗)| 과 위상 응답(phase
response), ∠𝐻𝐻1 (𝑗𝑗𝑗𝑗)을 구하세요.

𝑠𝑠−4
(c) 전달함수 𝐻𝐻2 (𝑠𝑠) = 로 정의되는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𝐻𝐻2 (𝑗𝑗𝑗𝑗)을 구하세요.
𝑠𝑠 2 +4𝑠𝑠+5

(d) (c)에서 구한 주파수 응답, 𝐻𝐻2 (𝑗𝑗𝑗𝑗) 의 크기 응답(magnitude response), |𝐻𝐻2 (𝑗𝑗𝑗𝑗)| 과 위상 응답(phase
response), ∠𝐻𝐻2 (𝑗𝑗𝑗𝑗)을 구하세요.

𝑠𝑠+4
(e) 전달함수 𝐻𝐻3 (𝑠𝑠) = 로 정의되는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 𝐻𝐻3 (𝑗𝑗𝑗𝑗)을 구하세요.
𝑠𝑠 2 −4𝑠𝑠+5

[5] On “Frequency Response from a Transfer Function (2)”


𝑠𝑠 𝑁𝑁(𝑠𝑠)
(a) 전달함수 𝐻𝐻(𝑠𝑠) = 𝜋𝜋
𝑗𝑗 3
𝜋𝜋
−𝑗𝑗 3
를 유리함수(rational function), 𝐻𝐻(𝑠𝑠) =
𝐷𝐷(𝑠𝑠)
로 변환하세요. 여기서, 𝑁𝑁(𝑠𝑠)와 𝐷𝐷(𝑠𝑠)
�𝑠𝑠+𝑒𝑒 ��𝑠𝑠+𝑒𝑒 �
각각 𝑠𝑠 의 거듭제곱 분자 다항식(enumerated numerator polynomial) 및 𝑠𝑠 의 거듭제곱 분모 다항식(enumerated
denominator polynomial)이다.

(b) (a)에서 구한 유리함수 형태의 전달함수로부터 주파수 응답 𝐻𝐻(𝑗𝑗𝑗𝑗)을 직교형으로 나타내세요.

(c) (a)에서 구한 유리함수 형태의 전달함수로부터 주파수 응답 𝐻𝐻(𝑗𝑗𝑗𝑗)을 오일러형으로 나타내세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