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Chapter 4 적 분

4.1 역도함수

4.2 합과  표기법

4.3 넓 이

4.4 정적분

4.5 미분적분학의 기본정리

4.6 치환적분

4.7 정적분의 근사값

4.8 적분으로서의 자연로그

p. 241
4.1 역도함수
함수 f (x)가 주어졌을 때,
F′(x)  f (x)인 함수 F(x)를
구할 때 함수 F를 f 의 역
도함수라고 한다.
p. 242

f (x)를 피적분함수,
dx는 x가 적분변수
임을 의미

Report:
예제 1.3

p. 243
p. 243~244

p. 244
p. 244~245

Report:
예제 1.8

p. 245
p. 246

p. 246~247
p. 247

예제 1.11

p. 250
4.2 합과  표기법

Report:
예제 2.1, 2.2
p. 251

p. 251~252

Report: 예제 2.4, 2.5


p. 253

Report:
예제 2.7

p. 256
4.3 넓이
p. 256~257

- n  4인 경우의 넓이 A

A  f ( x1 )x  f ( x2 )x  f ( x3 )x  f ( x4 )x  A4

- n 개인 경우의 넓이 A
A  f ( x1 )x  f ( x2 )x    f ( xn )x
n
  f ( xi )x  An 식 (3.1)
i 1

p. 257
p. 258

n n
 i  1 
A  An   f ( xi )x   f    
i 1 i 1  n  n 

p. 258~259
p. 319

p. 259
p. 259~260

p. 260
p. 262
4.4 정적분

p. 263
p. 263

p. 267~268
p. 268

p. 268~269
p. 269

p. 269~270

- 함수의 평균값
p. 270~271

p. 273~274
4.5 미분적분학의 기본정리
p. 274~275

Report:
예제 5.3

p. 275~276

Report:  d 5
  2( x  1)   12 x 
6

예제 5.5  dx 
p. 277~343

Report: 예제 5.7

p. 278

Report: 예제 5.10, 5.12


p. 282
4.6 치환적분

 du 
 du  dx 
 dx 

p. 282~283
p. 283

p. 284

Report:
예제 6.4
p. 285

p. 285
p. 286

Report: 예제 6.7, 6.9

p. 287~288

- 정적분의 치환
새로운 변수 u가 도입될 때,
b u (b )
x  a와 x  b인 적분한계를 대응하는 u의 적분한계,
 a
f (u ( x))u( x)dx  
u (a)
f (u )du
즉 u  u(a)와 u  u(b)로 바꾸어야 한다.
p. 288

p. 288
p. 290
4.7 정적분의 근사값

p. 290~291
p. 292~293

전체 넓이는:

p. 293~294

 ba
 x  
 n 

- 사다리꼴 공식
p. 294

p. 294~295

p( x)
p. 296

p. 296~297
p. 301~302
4.8 적분으로서의 자연로그

?
 e  2.718
 n x n 1  1
  x dx    x dx  ln x  c
1
 c, n  1 x dx 
 n 1 

x 1 1
F ( x)   dt  F ( x)  f ( x)  , x  0
1 t x

p. 304

y  ln x
p. 304

p. 304~305
p. 305

p. 306~307
- 자연로그함수의 역함수로서의 지수함수

ln(e x )  x ln e  x ( ln e  1)

f ( x)  ln x  f 1 ( x)  e x 역함수:  f ( g ( x))  x & g ( f ( x))  x 


p. 308~309

p. 309~310

y  log a x  x  a y
ln x
ln x  ln a y  y ln a  y 
ln a
p. 310~3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