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8

Chapter 5 정적분의 응용

5.1 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5.2 부 피

5.3 원주각에 의한 부피

5.4 호의 길이와 겉넓이 (생략, 읽어보기)

5.5 발사체운동 (생략, 읽어보기)

5.6 물리학과 공학에의 응용 (생략, 읽어보기)

p. 313
p. 314~315
5.1 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n
A   f (ci )x
i 1
n n
A  lim  f (ci )x   f ( x)dx A    f (ci )  g (ci )  x
b

n  a
i 1 i 1

p. 315
p. 315

Report:
예제 1.2

p. 322~323
5.2 부피
- 절단면을 이용하여 부피 구하기

n n
V   A(ci )x  V  lim  A(ci )x
n 
i 1 i 1

b
V   A( x)dx (2.1)
a
p. 325~326

Report:
예제 2.4
24

p. 326~327
p. 327~328

p. 333~334
5.3 원주각에 의한 부피
p. 334~335

p. 335
Chapter 6 적분법

6.1 적분공식과 적분법의 복습

6.2 부분적분법

6.3 삼각함수의 적분법

6.4 부분분수를 이용한 유리함수들의 적분

6.5 적분표

6.6 이상적분 (생략)

p. 366
6.1 적분공식과 적분법의 복습

암기
p. 367

Report: 예제 1.1

p. 367~368

Report:
예제 1.3
p. 369
6.2 부분적분법

p. 370

참고:
예제 2.2
( 와 dv를
(u와 d 를
잘못 선택)
p. 371

Report:
p
예제 2.3, 2.5

p. 373~374
p. 374~375
6.3 삼각함수의 적분법

p. 375
p. 375

Report:
예제 3.3

p. 376

Report:
예제 3.5
p. 377

p. 377
p. 378

Report:
예제 3.8

p. 379
p. 379~380

p. 380
p. 380

( 378,
(p. 378 예제 3.8
3 8 참고)

p. 381
p. 381

p. 382
p. 382~383
6.4 부분분수를 이용한 유리함수들의 적분

p. 383
p. 384

p. 384

Report: 예제 4.3
p. 385

p. 385
p. 388

- 적분법 요약:

p. 388~389
p. 389
삼각치환법(계속)

p. 390~460 6.5 적분표


- 적분표 사용하기
Chapter 8 무한급수
81 수열
8.1
8.2 무한급수
8.3 적분판정법과 비교판정법 (생략)
8 4 교대급수 (생략)
8.4
8.5 절대수렴과 비판정법 (생략)
8.6 제곱급수 (멱급수)
8.7 테
테일러
러 급수

8.8 테일러 급수의 응용 (생략)
8.9 푸리에 급수

p. 438
8.1 수 열
p. 439

p. 439
p. 440

p. 440
p. 441

p. 441~442

(함수의 극한과 수열의 극한의 관계)

(p. 442, 그림 8.7a, b 참고)


p. 442~443

p. 443
p. 444

p. 444~447
p. 447

p. 451
8.2 무한급수
p. 451~452

p. 453~455
- 기하급수 (geometric series)

S n  a  ar1  ar 2    ar n 1 

Report:
예제 2.5
p. 456

Report:
예제 2.7 (조화급수)

p. 482~483
8.6 제곱급수 (멱급수, power series)

위와 같은 형태의 급수를 ((x  c)의


) 제곱급수(power
(p series)라
) 한다.
그리고 k  0, 1, 2,…에 대하여 bk를 제곱급수의 계수(coefficient)라 한다.
p. 485

- 제곱급수로 주어진 함수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다시 제곱급수가 된다.

- 수렴하는 제곱급수는 다음과 같이 항 별로 적분할 수 있다.


있다

p. 486
p. 487

p. 487
p. 488~489
8.7 테일러 급수 (Taylor series)

p. 489~490
p. 490

p. 491
~ 492
p. 492
~ 493


1 k  1
ee  1 
1
 e  2.718281828
2 718281828
k 0 k ! k 0 k !

p. 493~495
p. 498

p. 510
8.9 푸리에 급수 (Fourier series)
p. 513~514

- 푸리에 급수의 부분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