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관계사

♣'관계대명사'라는 용어에 모든 개념이 들어있다.


많은 학생들이 관계대명사라는 용어를 어렵게 생각한다. 실제로 관계대명사란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문법이므로 처음에는 감을 잡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관계대명사도 결국은 대명사의 일종이라는 한 가지만 기억해도 관계대명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관계대
명사란 간단히 말해서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시켜주기 위해서 필요한 특별한 대명사라고 이해하면 된다. 관계대명사에서는 다음의 네 가지 특성이
매우 중요하다.

1. 주격/목적격 관계대명사절은 불완전한 문장구조를 가진다.


① He is the carpenter who built this temple.
② He is the one whom I can trust.
예문 ①은 주격 관계대명사 who가 who 이하 절의 주어 역할을 하므로 동사 built의 주어가 빠져 있다. ②는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이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역시 타동사 trust의 목적어가 빠져 있다.

2. 관계대명사의 선행사와 동사의 수(단수/복수)는 일치한다.


① The balloon moves with air which moves with the Earth's air currents.
② The companies which he deals with have a good reputation.
예문 ①에서 which의 선행사는 단수인 air이므로 moves가 왔고, ②에서 which의 선행사는 the companies 이므로 복수 동사인 have가 왔다.

3. 관계대명사의 격은 관계사절에 빠져 있는 문장 요소로 결정된다.


① Visitors who came all the way from Canada will gather here.(주격)
② Mark married a Japanese girl whom he has known through the Internet.(목적격)
③ I'm going to meet the author whose story moved the hearts of people.(소유격)

4.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전치사나 comma(,)가 올 수 없다. 관계대명사 that은 선행사로 사람과 사물을 모두 받으며 주격/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쓰일 수 있지만 전치사나 콤마 뒤에서는 쓰일 수 없다.
① The view below was obscured by the fog that surrounded the city.
② The lady faded into the fog that she had emerged from.

♣Check it out
다음 문장의 [ ] 안에서 어법상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 Hope, [which / that] seems like the thinnest little thread, is an incredibly powerful force leading us from the most horrible
problems into a bright new day.

2. Psychologists point to decades of research and more than a thousand studies that [demonstrating / demonstrate] a link between
media violence and real aggression.

3. Parents [who / whose] try to establish opportunities for peer contact for their young children are doing them a great service.

4. My son, [who / whose] dream is to be the best photographer, takes me to the beautiful places.

5. It is utterly useless to spend $5.3 million on a facility [which / what] only a few will have access to.

6. You are speaking to someone and your mind is elsewhere. When this happens, you not only lose much of the enjoyment of
[which / what] you are doing, but you also become far less focused and effective.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뒤에는 완전한 절이 오고 what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온다. which / what] 혹은 [that / what]을 구별해서 사용
할 수 있어야 한다.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다. 관계대명사 which나 that과의 구별은 앞에 선행사가 있느냐 없느냐로 쉽게 구별
된다.

What bothers me is that I can't get this program to start.→ what이 선행사를 포함하므로 선행사가 없다.

The shapes of Korean kites are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which enable them to make good use of the wind.→ principles가
which의 선행사 역할을 한다.

what은 명사절을 이끌기도 하므로 명사절을 유도하는 접속사 that과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뒤에 이어지는 구조가 완전한지, 불완전한지로
구별하면 된다.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 that 뒤에는 완전한 절이 오고 what 뒤에는 불완전한 절이 온다.

My confidence came from knowing what I liked and discovering that I was right most of the time.→ what 이하의 절이 불완전하다

A recent study shows that aging does not affect the amount of new information you can absorb in a given period.→ that 이하는 완
전한 절이 온다

♣'관계부사'라는 용어에 모든 개념이 들어 있다.


관계부사 역시 선행사를 수식하는 절을 이끈다는 점에서는 관계대명사와 같으나,관계대명사가 대명사 역할을 하는 반면,관계부사는 부사 역할을 한
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관계부사의 용법에 있어서 다음 사실들을 꼭 기억해 두자.

①관계부사절의 문장구조는 완전하다.


He marked the spot where the needle would be inserted.
Remember the days when we feared nothing.
I cannot even remember the reason why I lost my temper in the first place.

②관계부사(where, when, why)는 앞의 선행사를 생략할 수 있다.


She lives about five blocks away from (the place) where I live.
She didn't tell me (the time) when she was arriving.
I wonder (the reason) why I can't let go of my sorrow.

③관계부사(where, when, why)는 앞에 선행사를 두고 관계부사 자체를 생략할 수 있다.


The place (where) I was standing was getting more and more crowded.
Nineteen ninety-nine was the year (when) we finally began to turn things around.
You are the reason (why) I survive.

④관계부사 how는 선행사 the way와 함께 쓰일 수 없다.


Show people by your own actions the way (how 불가) things should be done.
Observe (the way 불가) how the fish react to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Check it out
다음 문장의 [ ] 안에서 어법상 적절한 것을 고르라.
1.Is the job [that / what] you expected?

2.I've heard stories of sadness and delight [what / which] would be better than those on well-known TV programs.

3.Cellular phone manufacturers are anxious to bring out models [that / what] allow you to see the person you are talking to.

4.They talked about different problems in their countries and how to solve them. One of the things [which / what] they talked
about was how to enforce laws against dumping waste into water sources.

5. "Stop!" This is a familiar sound [what / which] we hear all our lives - at work, at school, or in our personal relations.

6. A market may be a place [where / which] buyers put their money down and carry away whatever it is they have bought -
groceries from a supermarket, for example.

7. Dr. Levy longs for the old days [when / which] children built strong immune systems by getting dirty.

8. Ever since the 1930's, archaeologists have believed that the Tigris and Euphrates valley in ancient Mesopotamia was the "cradle
of civilization" [which / where], around 8000 B.C., people first settled in villages to cultivate wild grain and domesticate animals.

♣실전문제
[1~6] 다음 문장의 [ ] 안에서 어법상 적절한 표현을 고르라.
1. Hope, [which / that] seems like the thinnest little thread, is an incredibly powerful force leading us from the most horrible
problems into a bright new day.

2. Jealousy is the feeling of fear, unhappiness, or even ill will that [arises / arise] when a person feels that his or her important
relationship with someone is threatened.

3. Imagine yourself driving down the highway while shaving, drinking coffee, or reading the newspaper. You may be inviting an
accident. When doing anything, just focus on [that / what] you are doing.

4. If possible, save [what / which] remains of the plant that was eaten and let the doctor see it for identification purposes as there
are specific treatments for different plant poisons.

5. Modern dentistry began in the 1700's in France. That was [when / why] Pierre Fauchard published his book called the Surgeon
Dentist. It was the first book about dental science.

6. Last night I was supposed to visit a friend of mine who had recently moved to a new house. When I called him before I left, he
gave me the details of [what / how] I could get there.

<정답 및 해설>
1.(정답)which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있으면 that이 올 수 없다.
(해석)희망이란 가장 가느다란 작은 실처럼 보이지만, 우리를 가장 어려운 문제로부터 밝은 새날로 이끌어 주는 믿을 수 없을 만큼 강력한 힘이다.
2.(정답)arises :that절의 선행사가 the feeling이 되므로 3인칭 단수 동사 arises가 적절하다.
(해석)질투는 두려움,불행,또는 앙심 같은 감정인데 이러한 감정은 다른 사람과의 중요한 관계가 위협받는다고 느낄 때 발생한다.
3.(정답)what :선행사가 없으므로 관계대명사 what을 쓴다.
(해석)면도를 하고,커피를 마시고,또는 신문을 읽으면서 고속도로에서 차를 운전하고 있는 자신을 상상해 보라. 당신은 사고를 부르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무언가를
하고 있을 때는 당신이 하고 있는 일에만 집중하라.
4.(정답)what :타동사 save 뒤에 목적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가 필요하다.
(해석)가능하다면,먹은 식물 중 남은 것을 챙겨서 식별 목적으로 의사에게 그것을 보여라. 각기 다른 식물의 독마다 그에 따른 특별한 치료법이 있기 때문이다.
5.(정답)when :빈 칸 뒤에 완전한 문장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관계대명사가 아니라 관계부사가 필요하다. 앞 문장의 내용과 연관지어 보면 생략된 선행사가 때를 나
타내는 명사임을 짐작할 수 있다.
(해석)현대 치의학은 1700년대에 프랑스에서 시작되었다. 그때가 Pierre Fauchard가 자신의 책 'The Surgeon Dentist'를 출간한 시기였다. 그것이 치의학에 관한
최초의 책이었다.
6.(정답)how :선행사가 생략된 관계부사절은 명사절로 쓰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방법을 나타내는 절을 이끄는 how가 적절하다. (해석)지난밤에 나는 최근에 새집으
로 이사한 내 친구를 찾아가기로 되어 있었다. 내가 떠나기 전에 그에게 전화하자, 그는 내게 그곳을 찾아가는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해 주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