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0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문제집 I
(2023~2018)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23학년도 서울시립대 논술전형]
1.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서울시립대 [논술전형]

전 형 방 ◦논술70% + 교과30%
시 험 일 자 <수능전> 10/8(토)
법 ◦수리논술 4문항 (120분)

모집인원(명)
자연계 77 ◦최저 미적용
수능최저조건

2016년2월 이전 졸업자 및 과목 석차등급 산출 불가능한자, 기타 학교생활기록부 산출 불가자는 “비교내신 적용”

2. 논술고사 : 10월 8(토) / 120분 ※2023학년도 시험시간은 22년9월30일 경 발표예정

구 분 자 연 계 열

1교시(10:00~12:00)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기계정보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자연계열I 토목공학과, 컴퓨터과학부
시험시간
(22학년도)
2교시(15:00~17:00) 수학과, 물리학과, 생명과학과, 환경원예학과,
자연계열II 건축학부(건축공학전공), 교통공학과, 환경공학부, 공간정보공학과

∙ 수리논술 4문항 출제 (각 문항별 소문항 있을 수 있음)


문제 수 - 출제범위 : 수학, 수학Ⅰ, 수학Ⅱ,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및 - 출제방향 및 평가기준
유형 1)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핵심개념 및 용어에 대한 이해 수준과 그 구체적인 적용 능력을 평가
2) 문항에 대한 이해 및 논리적 풀이 과정 평가

3. 시험유의사항
가. 답안작성 시 제목은 달지 말 것.
나. 수험번호, 성명 등 자신의 신상과 관련된 사항을 답안에 드러낼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함.
다. 답안지 작성 시 필기구는 검정색 펜, 샤프 또는 연필을 사용할 것. (청색, 적색펜 등 사용 불가)
다만, 수험번호와 주민등록번호 앞자리 마킹은 컴퓨터용 싸인펜을 사용할 것.
라. 문제지와 답안지의 문제번호가 일치하는지 반드시 확인할 것. (불일치 시 0점 처리)
마. 각 문항별 답안 작성 구역안의 내용만 평가함.
바. 풀이과정을 반드시 기술할 것. 기술의 형식과 내용은 평가의 주요 요소임.
바. 답안지 수정은 지우개를 사용하거나 두 줄로 긋고 새로 작성하여야 함. (수정테이프는 사용할 수 없음)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


2023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85점/400점) (25.5분/120분)

PF 
  
쌍곡선      위의 점 P 와 이 쌍곡선의 두 초점 F  , F  에 대하여 

  일 때, 세 점 P , F  , F  를 지나는 이차
  PF  

함수의 그래프와 선분 
PF  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를 구하여라. (단, 점 P 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


[문제 2] (95점/400점) (28.5분/120분)
어떤 주머니에 흰 공, 빨간 공, 파란 공들이 들어있다. 이 주머니에서 다음의 규칙을 따르는 시행을 한다.

주머니에서 임의로 한 개의 공을 꺼내어 그 색을 확인하고 같은 색의 공을 한 개 추가하여


뽑은 공과 함께 주머니에 다시 넣는다.

처음에 흰 공 개, 빨간 공 개, 파란 공 개가 들어있는 주머니에 대해, 이 시행을 회 반복한 후, 주머니에 들어있는 공이
개가 되면 멈춘다. 주머니에 있는 개의 공 중에서 개가 흰 공, 개가 빨간 공, 개가 파란 공인 사건을  라 할 때, 다
음 물음에 답하여라.

(a) 사건  가 일어날 확률을 구하여라. (40점)

(b) 사건  가 일어났을 때, 회의 각 시행 후에 주머니에 있는 흰 공의 개수가 항상 나머지 공의 개수보다 크거나 같을 조건


부 확률을 구하여라. (55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


[문제 3] (105점/400점) (31.5분/120분)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한 두 함수 와 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때,    의 값을 구하여
라.

 
    
(1)     



 
    
(2)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


[문제 4] (115점/400점) (34.5분/120분)
그림과 같이 길이가 인 선분 AB 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이 있다. 호 AB 위에 두 점 P , Q 를 ∠PAB  , ∠QBA  가
 
되도록 잡고, 두 선분 AP , BQ 의 교점을 R 이라 하자. 삼각형 PQR 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할 때, lim  의

 → 


값을 구하여라. (단,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제 1] (85점/400점) (25분/120분)
좌표평면에서 곡선      의 네 점 O , A     , B     , C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      이다.)

(a) 점 B 가 곡선에서 두 점 O와 A 사이를 움직일 때, 삼각형 OAB 의 넓이의 최댓값을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25점)

(b) 두 점 A, B 가 곡선에서 두 점 O 와 C 사이를 움직일 때, 사각형 ABOC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6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7▹


[문제 2] (95점/400점) (30분/120분)
한 개의 주사위를 번 던질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의 배수의 눈이 연속해서 나오지 않을 확률을 기약분수로 나타내어라. (45점)

(b) 적어도 한 번은  이하의 눈이 나왔을 때, 의 배수의 눈이 연속해서 나오지 않을 확률을 기약분수로 나타내어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8▹


[문제 3] (105점/400점) (30분/120분)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
 sin   cos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9▹


[문제 4] (115점/400점) (35분/120분)
수열 의 귀납적 정의가
 
  ,             ⋯
 

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0 ▹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제 1] (85점/400점) (25분/120분)
어느 김밥집에서 파는 김밥의 종류는 가지이다. 이 김밥집에서 서울이와 시립이가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도록 김밥을 사는 경
우의 수를 구하여라. (단, 모든 종류의 김밥은 충분하다.)

(1) 서울이와 시립이는 각각 김밥 줄을 산다.


(2) 서울이가 산 김밥의 종류와 시립이가 산 김밥의 종류는 겹치지 않는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1 ▹


[문제 2] (95점/400점) (30분/120분)
함수
      ≤ 

   
   cos
  



     


의 역함수의 그래프와 직선      의 모든 교점의 좌표의 합을 라 할 때, 의 정수 부분을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2 ▹


[문제 3] (105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  의 순서쌍  의 개수를  이라 하자. 이때, 
 
 ≤ 를

만족시키는 자연수 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1)    


(2)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3 ▹


[문제 4] (115점/400점) (35분/120분)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상수 에 대하여 방정식       의 한 근이 일 때, 나머지 두 근을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25점)

(b) 좌표평면에서 직사각형 ABCD 의 두 꼭짓점 A, D 는 곡선      에 있는 제사분면의 점이고, 두 꼭짓점 B , C 는


축에 있다. 직사각형 ABCD 의 넓이가 최대일 때, 변 AB 의 길이를 구하여라. (9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4 ▹


2022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85점/400점) (25.5분/120분)

     에 대하여 곡선     과 직선   tan 및 축의 양의 부분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라 하고,

곡선     과 직선   tan 및 축의 양의 부분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
라.

(a) 곡선     과 직선   tan 의 교점 중 제사분면에 있는 점의 좌표를 라 할 때, 극한값 lim 를


 → 

구하여라. (35점)

 
(b) 극한값 lim  를 구하여라. (50점)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5 ▹


[문제 2] (95점/400점) (28.5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  logcos  log   ,  sin     ≤ 


      

라 하자. 두 함수   와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 이라 할 때,   의 값을 구하여라.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6 ▹


[문제 3] (105점/400점) (31.5분/120분)
아래와 같이 화살표 개가 처음 개는 위(↑)로 향하고, 나머지 개는 아래(↓)로 향하도록 놓여있다.

↑↑↑↑↓↓↓↓

위와 같이 놓여있는 개의 화살표 중 개를 임의로 선택하여 화살표의 방향을 반대로 바꾼 후, 이 개의 화살표 중 다시 개
를 임의로 선택하여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시행을 하였다. 이 시행을 마쳤을 때, 위로 향하는 화살표가 개인 사건을  , 마지
막 개의 화살표가 위로 향하는 사건을  라고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확률 P  를 구하여라. (50점)

(b) 조건부 확률 P     를 구하여라. (55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7 ▹


[문제 4] (115점/400점) (34.5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8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제 1] (85점/400점) (25분/120분)
동전 5개가 앞면이 2개, 뒷면이 3개가 보이도록 놓여있다. 이 동전 5개 중에서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뒤집는 시행을 한다.
이 시행을 반복하여 보이는 동전이 모두 같은 면이 되면 멈춘다. 멈출 때까지의 총 시행 횟수를 확률변수  라 하고,  가 
이하인 사건을  라 하자. 첫 시행에서 앞면이 보이는 동전을 선택하는 사건을  라 할 때, P   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9 ▹


[문제 2] (95점/400점) (30분/120분)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다항식  를 구하여라.

(1)   
  cos   cos  cos 
(2) 상수      에 대하여, 


sin 
   sin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0 ▹


[문제 3] (105점/400점) (30분/120분)
한 변의 길이가     인 정사각형 ABCD 와 그 내부에 원   , 원   , 직사각형 EBFG가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도록 놓여
있다.

(1)  은 두 변 AB , AD 와 각각 한 점에서만 만난다.


(2)  는 중심이  밖에 있고   , 변 BC, 변 CD 와 각각 한 점에서만 만난다.
(3) 점 E는 변 AB 에 있고, 점 F 는 변 BC 에 있다.
(4) 직사각형 EBFG 는  ,  와 각각 한 점에서만 만난다.
(5) 
BF 
EB

변 BF 의 길이를 라 하고 직사각형 EBFG 의 넓이를  라 하자.

(a) 함수 를 구하여라. [65점]

(b) 함수 는 미분가능함을 보여라. [4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1 ▹


[문제 4] (115점/400점) (35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세 자연수 , , 의 순서쌍    의 개수를 구하여라.

(1)  ≤      ≤ 
(2)     

 

  



(3) sin   sin   sin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2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제 1] (85점/400점) (25분/120분)
                이다. 곡선   가 점  을 지나는 직선과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접
할 때, 이 직선과 곡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3 ▹


[문제 2] (95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  ≥ 에 대하여  이하의 자연수 전체의 집합을  이라 하자.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   →   
의 개수를 구하여라.

(1) 집합      ∈의 원소의 개수는 이다.


(2) 집합      ∈의 원소의 개수는 이다.

(3)  이하의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이다.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4 ▹


[문제 3] (105점/400점) (30분/120분)

(a) 미분가능한 함수 에 대하여, 곡선   의 점 P 와 이 곡선에 있지 않은 점 Q가 다음을 만족시킬 때, 곡선


  의 점 P 에서의 접선과 직선 PQ 가 수직임을 보여라. [55점]

곡선   의 모든 점 X 에 대하여 
PQ≤ 
XQ 이다.

(b) 곡선    에서 움직이는 점 P 와 곡선      에서 움직이는 점 Q 에 대하여 


PQ 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5 ▹


[문제 4] (115점/400점) (35분/120분)
함수     ≥ 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면    이다.



자연수 에 대하여 함수     의 그래프와 함수 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 라 하자.    일 때,




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6 ▹


2021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85점/400점) (26분/120분)

포물선    의 서로 다른 두 점 A와 B 에 대하여 점 A에서의 접선과 점 B 에서의 접선의 교점을 점 C 라 하자.


포물선    과 선분 AB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가 일 때, 삼각형 ABC 의 넓이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7 ▹


[문제 2]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95점/400점) (29분/120분)

다음 정적분의 값을 구하여라.


  ln    ln     ln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8 ▹


[문제 3]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5점/400점) (32분/120분)
아래의 그림과 같은 도로망에서 A 또는 B 에서 출발하여 출발점을 포함한 각 교차로에서 다음 규칙을 따라 이동한다.

(1)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면 위로(↑), 뒷면이 나오면 오른쪽(→)으로 각각 한 칸 이동한다.


(2) 위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는 위로 이동한다.
(3) C 또는 D 에 도착하면 이동을 멈춘다.

(a) B 에서 출발하였을 때, D에 도착할 확률을 구하여라. (45점)

(b) 시립이는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오면 A에서 출발하고, 뒷면이 나오면 B 에서 출발한다. 시립이가 C 에 도착했을 때, 시립이
가 A에서 출발하였을 확률을 구하여라. (6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9 ▹


[문제 4]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15점/400점) (35분/120분)
좌표평면에서 좌표와 좌표가 모두 정수인 점을 격자점이라 하자. 자연수 에 대하여, 아래 함수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영역의

둘레와 내부에 있는 격자점의 개수를  라 할 때,   을 구하여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0 ▹


2020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방정식         를 만족시키는 세 자연수   의 순서쌍     전체의 집합을



        ⋯    이라 하자.  

  
      을 에 대하여 인수분해된 식으로 나타내어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1 ▹


[문제 2]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좌표평면에서 초점이 F 인 포물선     의 제1사분면에 있는 임의의 점을 P 라 하고,   ∠OFP 라 하자.

 

두 선분 FO FP 와 포물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 라 할 때,  ′  의 값을 구하여라. (단, O 는 원점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2 ▹


[문제 3]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닫힌 구간  에서 곡선      sin 와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  이라 할 때,
lim 의 값을 구하여라.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3 ▹


[문제 4]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a)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오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를 구하여라. [30점]

(b) 정오각형 ABCDE에서 두 대각선 AC 와 AD 를 따라 두 삼각형 ABC 와 ADE를 두 선분 AB 와 AE가 일치하도록 접고


두 점 B 와 E가 만나는 점을 P 라고 하자. 두 면 PAC 와 PAD 가 이루는 이면각의 크기를 라고 하면 cos     
 이다.
  의 값을 구하여라. (단, 와 는 유리수이다.) [7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4 ▹


202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  
 ≤  ≤ 인 두 자연수 , 과 양수 에 대하여      ,     라 할 때,




 lim 
→∞


의 값을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5 ▹


[문제 2]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좌표평면에서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이 원점  인 원에서 두 점  ,  가 움직인다. 시각  일 때  ,  가  축의 양의 방


향과 이루는 각은 각각 cos, cos이다. 삼각형  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 의 개수를 구하여라. (단,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6 ▹


[문제 3]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함수      의 그래프의 점   에 대하여,  에서  축까지의 거리와  에서  축까지의 거리 중 크지 않은


값을 함숫값으로 하는 함수를  라고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 ≥ 이다.)

(a)  의 범위에 따라 함수 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 를 모두 구하여라. (60점)

(b) 두 함수    와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하여라. (4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7 ▹


[문제 4]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  의 세 변 및 내부에 포함되는 직사각형 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8 ▹


2019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는 상수이다.)

(a)                를 만족시키는  ,  를 를 사용하여 나타내어라. [20점]

(b) 함수 의 최솟값을   라 할 때, 집합      ≥ 을 구하여라. [8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9 ▹


[문제 2]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3개의 당첨 제비를 포함하여 개의 제비가 들어있는 상자가 있다. 이 상자에서 A, B 두 사람이 A 부터 시작하여 A와 B
가 교대로 제비를 한 개씩 임의로 뽑는다. 당첨 제비가 처음 나오면 이 시행을 멈추기로 할 때, A가 당첨 제비를 뽑을 확률을
구하여라. (단, 은 1보다 큰 자연수이고, 꺼낸 제비는 상자 안에 다시 넣지 않는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0 ▹


[문제 3] 다음 제시문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사면체 ABCD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1) ∠ACB  

(2) AD BD , 
  CD 

평면 ABC 의 법선벡터와 벡터 
CD 가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 하자. 
BC  , 
AC   라 할 때, cos 를 , 를 사용하여 나
타내어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1 ▹


[문제 4]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그림과 같이 곡선     과 축 및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에 한 변이 축에 있고 내부가 서로 겹치지 않는 두


직사각형이 있다. 두 직사각형의 넓이는 각각  ,  라 할 때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2 ▹


2019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100점/400점) (30분/120분)
모든 자연수  에 대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3 ▹


[문제 2] (100점/400점) (30분/120분)

  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 ≤  ≤ 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40점)


   

   


≤  ≤ 
 
  

(b) lim 의 값을 구하여라. (60점)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4 ▹


[문제 3] (100점/400점) (30분/120분)
주사위를  번 던져서 나온 눈의 최솟값을  , 최댓값을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 ≥ 이다.)

(a)     인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50점)

(b) 처음 던진 주사위의 눈이 5가 나왔을 때,     일 확률을 구하여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5 ▹


[문제 4] (100점/400점) (30분/120분)
중심이 점 O , 반지름의 길이가 2인 원을 밑면으로 하고, 모선의 길이가 8인 직원뿔이 있

다. 이 원뿔의 꼭짓점을 A, 밑면의 경계인 원에 있는 임의의 점을 B , 
AC   을 만

족하는 선분 AB 의 점을 C 라 하자. 점 P 는 점 B 에서 점 C 까지 원뿔을 한 바퀴 감는 최
단거리 곡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직선 AP 가 밑면과 만나는 점을 D 라 하고, ∠ BOD 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곡선 BP 의 길이를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60점)


(b) 곡선 BP 의 길이를   라 할 때, 도함수  가 최소가 되는 의 값을 구하여라. (40점)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6 ▹


2018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100점/400점) (30분/120분)


(a) 
 


의 값을 구하여라. (30점)

    ≤ 

(b) 함수      에 대하여 직선    (는  ≤  ≤ 인 상수)와 함수  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   
   

좌표 중 최댓값을  , 최솟값을   라 하자. 구간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  에 대하여  의 값을 구

하여라. (7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7 ▹


[문제 2] (100점/400점) (30분/120분)
그림과 같은 한 모서리의 길이가 인 정팔면체  에서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두 삼각형  와  의 무게중심을 각각  과  라 할 때, 내적 
∙ 
의 값을 구하여라. (30점)

(b) 벡터 
와 수직이고 정팔면체와 만나지 않는 한 평면을 라 하자. 태양광선이 평면 에 수직으로 비추어 정팔면체의
그림자가 평면 에 생길 때, 이 그림자의 넓이를 구하여라. (7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8 ▹


[문제 3] (100점/400점) (30분/120분)
주사위 개를 동시에 던질 때,  또는 의 눈이 나오는 주사위의 개수가 홀수이면 점, 홀수가 아니면 점을 받는다고 하
자. 받는 점수를 확률변수  라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여라. (10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9 ▹


[문제 4] (100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와 의 순서쌍  의 개수를  이라 하자.

    일 때,   의 값을 구하여라.



(1)    (2)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0 ▹


2018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100점/400점) (30분/120분)
좌표평면에서 점 A  을 지나는 직선이 원        과 제1사분면의 서로 다른 두 점에서 만날 때, 두 점 중에서
 
AP
점 A에 가까운 점을 P 라 하자. ∠PAO  라 할 때, lim  의 값을 구하여라. (단, O는 원점이다.)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1 ▹


[문제 2] (100점/400점) (30분/120분)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ABCD 를 밑면으로 하고 높이가 인 사각뿔 V  ABCD 에서 밑면의 중심을 O 라 하고, 삼각형
VAB , VBC 의 무게중심을 각각 P , Q 라 하자. 꼭짓점 V 의 밑면 위로의 정사영이 선분 AC 에 있다고 할 때, cos∠POQ  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2 ▹


[문제 3] (100점/400점) (30분/120분)
흰 공과 빨간 공이 각각 개씩 들어 있는 주머니가 있다. 세 명의 학생 A, B, C가 A, B, C 순서로 주머니에서 개의 공을 임
의로 꺼내고, 공을 꺼낼 때마다 바로 공 개를 다시 채워 넣는다. 이때 A, B, C가 채워 넣는 공이 빨간색일 확률은 이고, 흰
색일 확률은   이다.

(a) B가 공을 채워 넣은 후 주머니에 흰 공과 빨간 공이 각각 1개일 확률을 구하여라. (50점)

(b) C가 꺼낸 공이 빨간 공일 확률을 구하여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3 ▹


[문제 4] (100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과 세 함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합성함수    ∘ 의 그래프와 함수   의 그래프와의 교점의 개수를  이라 하자. (단,  는 를 넘
지 않는 최대 정수이다.)

(a) 필요하면 lim    을 이용해서,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라. (40점)


→  ∞

  
(b) 


을 구하여라. (60점)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4 ▹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문제집 II
(2017~2010)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17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100점/400점) (30분/120분)
 
타원     에 내접하는 삼각형  가 있다.
 
(a) 직선  의 방정식이   일 때, 삼각형 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40점)

(b) 직선  의 기울기가 일 때, 삼각형  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6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


[문제 2] (100점/400점) (30분/120분)
확률변수  가 이항분포   를 따를 때, 다음이 성립함을 보여라.

(a)      (50점)

(b)        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


[문제 3] (100점/400점) (30분/120분)
예각삼각형  의 두 꼭짓점  ,  에서 각각의 대변에 내린 두 수선의 교점을  라 하고,

 ∙ 
, 
∙ 
, ∙ 

라 하자. 이때 
  
  
를 만족시키는 두 실수 , 의 값을 , , 를 사용하여 나타내어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


[문제 4] (100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집합  을
     ≤  ≤  는 정수
라 하자. 다음 조건 (1), (2)를 모두 만족시키는 집합  의 개수를  이라 하고, 조건 (1), (2), (3)을 모두 만족시키는 집합 
의 개수를  이라 하자.

(1)  는 원소의 개수가 인  의 부분집합이다.


(2)  의 모든 원소를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등차수열이 된다.
(3)  ∉ 

(a)  을 구하여라. (50점)

(b)  을 구하여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


2017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100점/30분)
자연수 에 대하여 연립부등식
     


      


 
sin   cos   
 

을 만족하는 의 집합을   이라 하고,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  의 개수를  이라 하자.


, ,  는 모두 집합   에 속하는 서로 다른 자연수이다.

(a) 일반항  을 구하여라. (70점)


  
(b) 


   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3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


[문제 2] (100점/30분)
 
좌표평면 위에 타원          이 주어져 있다. 원점 O 와 타원 위의 점 A에 대하여 벡터  OA와 수직이고
 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주어진 타원과 만나는 점을 B C 라 하자.    AB ∙ 
AC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  이 되는 점 A를 구하여라. (60점)

(b) 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여라. (4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7▹


[문제 3] (총 100점/30분)

함수        와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곡선    와 직선    가      에서 접할 때, 


 

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40점)


(b) 곡선    와 직선    으로 둘러싸인 두 영역의 넓이가 같고 교점의 좌표가 , ,       일 때 

의 값을 구하여라. (6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8▹


[문제 4] (100점/30분)

     에서 부등식   sin  cos     cos   sin  을 만족하는 의 범위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9▹


2016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총 100점/30분)
양의 실수 에 대하여 확률변수  의 확률밀도함수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a) 를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30점)

(b) E   과 극한값 limE  을 구하여라. (70점)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0 ▹


[문제 2] (총 100점/30분)
자연수에 에 대하여      일 때, 연립부등식

 ≤≤  ≤≤ log

를 만족시키는 두 정수 와 의 순서쌍  의 개수를  이라 하자. (단, log는 의 상용로그이다.)

(a)   을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60점)

 
(b) 극한값 lim  을 구하여라. (40점)
→∞  log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1 ▹


[문제 3] (총 100점/30분)

행렬 sin
sin




sin
로 나타내어지는 일차변환에 의하여 점  이 영역            ≤ 의 점으로 옮겨질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sin  임을 보여라. (50점)

(b)   cos sin  sin  cos의 최댓값을 구하여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2 ▹


[문제 4] (총 100점/30분)
삼각형 ABC 에서   BC ,   
AC ,   
AB 이고  ≤  ≤ 이다. 삼각형 ABC 의 내부 또는 경계에 있는 점 P 에 대하여,

  
PA⋅ PB 
PB⋅
PC 
PC⋅
PA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 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3 ▹


2016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100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a)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 각형의 넓이  을 구하고 lim  의 값을 구하여라. (50점)
→∞ 

(b) 반지름의 길이가 1인 구에 외접하는 원뿔의 부피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4 ▹


[문제 2] (100점)
   ln   
함수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a)   일 때,      임을 보여라. (60점)

(b)   이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라고 할 때, 극한 lim 의 값을 구하여라. (40점)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5 ▹


[문제 3] (100점)
곡선    sin  sin 를 구간    에서 축의 둘레로 회전하여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  을 구하여라.
(단, 은 자연수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6 ▹


[문제 4] (100점)
  
어느 집단에서 ABO식 혈액형 분포가 A형일 확률이  , B형일 확률이  이고 O형일 확률이  라고 하자. 어떤 시약을 사
  
용하여 혈액형을 판정한다고 할 때 확률은 다음과 같다.

A형을 A형으로 판정할 확률 = B형을 B형으로 판정할 확률 = O형을 O형으로 판정할 확률 = 


A형을 B형으로 판정할 확률 = B형을 O형으로 판정할 확률 = O형을 A형으로 판정할 확률 =   
A형을 O형으로 판정할 확률 = B형을 A형으로 판정할 확률 = O형을 B형으로 판정할 확률 =   

이 집단에서 임의의 한 사람을 뽑아 혈액형을 판정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A형으로 판정할 확률과 B형으로 판정할 확률을 각각 구하여라. (40점)

(b) O형으로 판정이 나왔을 경우, 실제로 O형일 확률을 구하여라. (6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7 ▹


2015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100점)
좌표공간에서 점      와 평점          사이의 거리는

      



    

임을 보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8 ▹


[문제 2] (100점)
포물선       와 직선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을 축 둘레로 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9 ▹


[문제 3] (100점)
실수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 는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1)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이다.

 

 
(2)   ≤  ≤ 일 때,            이다.


 
자연수 에 대하여 직선       과 함수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 이라 할 때,
    의 값을 구하여


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0 ▹


[문제 4] (100점)
다음의 물음에 답하여라.
(a)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와 배각의 공식을 이용하여 다음을 증명하여라. (20점)

cos    cos   cos


(b) 중간값의 정리를 활용하여  cos  의 정수 부분을 구하여라. (80점)

필요하면 다음 표를 이용하여라.

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331 1728 2197 2744 3375 4096 4913 5832 6859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1 ▹


2015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ln 
(a) 함수    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40점]


ln  


  

(b) 이  이상의 자연수일 때,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보여라. [60점]

 
   
ln      
  ln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2 ▹


[문제 2]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좌표평면에 세 점 P   , P   , P   이 주어져 있다. 자연수 에 대하여 점 P n  을 점 P n  에서 선분 P P   에
내린 수선의 발이라 하고,  을 선분 P P   의 길이라고 하자.

(a)  의 값을 구하여라. [10점]


(b) 벡터  
P P 을 이라 할 때, 
을 구하여라. [20점]
   

(c) 점 P  의  좌표를 구하여라. [7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3 ▹


[문제 3]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한 변의 길이가   인 정사각형을 밑면으로 하고 높이가    
 인 정사각뿔 P 가 있다. 반지름의 길이가 1이고, 중심이 P
의 밑면의 무게중심인 구를 S라고 하자. 구 S와 정사각뿔 P 의 네 옆면과의 공통부분에서 P 의 밑면의 네 꼭짓점을 제외하면
곡선이 된다. 이 곡선의 길이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4 ▹


[문제 4]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30분/120분)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라 하고, 점 P  의 좌표를     라 하자. 다음을 모두 만족시키는 점 Q  , R 


    ⋯   에 대하여 아래 물음에 답하여라.


P  Q     
(1) 


(2) 사각형 P  Q  R  P   이 직사각형이다.


(3) 점 Q  는 함수     의 그래프 아래에 있다.

 
 
(a) 
P  P     인  가  와   사이에 존재함을 보여라. [20점]


(b) 직사각형 P    Q    R    P  의 넓이를  라 할 때, lim   의 값을 구하여라. [80점]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5 ▹


2014학년도 수시2 기출
[문제 1]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45분/180분)

매개변수 로 나타내어진 두 함수  가 다음 관계식을 만족시킬 때 아래 물음에 답하여라.


 cos   
       cos  sin (단,          )
    

ln
(a)  를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20점)


(b)   일 때   이다. 를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8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6 ▹


[문제 2]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45분/180분)

좌표평면에서 축 위의 점   과 축 위의 점   에 대하여, 두 점    가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다.

(1) 
 ⋅
 
(2) 점  와 축 사이의 거리가 벡터 
 의 크기보다 만큼 작다.

(a) 두 벡터의 내적 
⋅
의 값을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30점)

(b) 두 점   중 좌표의 값이 작은 점을  이라 하고,  을 축에 대하여 대칭이동시킨 점을  라고 하자. 세 점


    를 지나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낸 식을 라 하자. 를 구하고 극한값 lim를
→∞

구하여라. (7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7 ▹


[문제 3]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45분/180분)

각 자리의 숫자로 만이 사용된 자리 자연수 전체집합을  라고 하자.

(a) 집합  에 속하는 자연수 중에서 자리의 숫자에 쓰인 의 개수가 홀수인 것의 개수를 이라 할 때, 의 일의 자리의 숫
자를 구하여라. (50점)

(b) 집합  에 속하는 자연수 중에서 자리의 숫자에 쓰인 과 의 개수가 각각 홀수인 것의 개수를 이라 할 때, 의 일의
자리의 숫자를 구하여라. (5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8 ▹


[문제 4]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45분/180분)
(a) 원         과 직선        로 둘러싸인 도형 중 아랫부분 도형을 축의 둘레로 회전시켜 생기는 회
전체의 부피를 구하여라. (30점)

 반지름의 길이가  인 반구 모양의 용기에 반지름의 길이가  인 쇠공 개가 접하면서 놓여있다.  을 용기 반
구의 중심,  와  를 두 쇠공의 중심이라 하자. 세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생기는 용기 단면의 모양은 다
음과 같다.



 

 

이 용기에 초당   의 일정한 비율로 물을 넣기 시작하여 채워진 물이   가 되는 순간의 수면 높이와 그 때 수면


높이의 속력을 구하여라. (70점)
(단, 용기의 윗면과 
 는 바닥면과 평행하며, 물을 채울 때 쇠공은 움직이지 않는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9 ▹


2014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45분/180분)
원점을 출발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  의 시각     ≤ 에서의 속도 가

  
      
 

이다.   일 때,  의 위치를 구하여라. (단, 와 는 상수이고     이다.) [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0 ▹


[문제 2] 다음을 읽고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00점/400점), (45분/180분)
닮음의 중심이 원점  이고 닮음비가    인 닮음변환을 라 하고, 원점  를 중심으로 각 만큼 회전시키는 회전변환을 라
할 때, 와 의 합성변환 를 나타내는 행렬은 다음과 같다.

   sin
  
cos
sin   cos 
자연수 에 대해 점 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        ⋯

() 선분    의 길이를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어라. [점]

() limcos∠   의 값을 구하여라. [점]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1 ▹


[문제 3] (100점/400점), (45분/180분)


그림과 같이 축 위를 움직이는 점  에 대해 곡선      

위의 점 중에서 점  에 가장 가까운 점을  라고 하고, 점  에
서의 접선이 축과 만나는 점을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
여라.

() 선분  를   로 내분하는 점  이 그리는 곡선의 방정식을


구하여라. [점]
() 선분  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점]

() 점  의 시각 에서의 좌표가 다음과 같다.


       
점  가 축 위에 있을 때의 시각  를 구하고, 시각  에서 점  의 속도를 구하여라. [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2 ▹


[문제 4] (100점/400점), (45분/180분)

좌표평면에 원점  와 점  이 있다. 점  는 원점  를 중심으로


하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  에 있고, 점  는 점  를 중심으로 하
고 반지름의 길이가 인 원  에 있다고 하자. 선분  가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  이라 하고, 선분  가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을   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    (     )일 때, 두 점  와  를 지나는 직선을 이라고


하자.  의 기울기가 최대일 때의 직선  은 두 원  ,  의 공통접선임을
보여라. [점]


() sin   , cos    ,      일 때, 사각형  가 볼록사각형임을 보여라. [점]


() sin   , cos    ,      일 때, 사각형  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  에 대하여 cos  의 값을 구하여라. [

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3 ▹


2013학년도 수시기출A
[문제 1](100점/300점), (40분/120분)

 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 움직이는 점  가 있다. 시각       에서 점
 
 의 좌표는 sin 이다. 제 사분면 위의 점  는 직선   위에 있
고, 
  
 이다. 선분  를     로 내분하는 점을  라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시각 에서 점  의 좌표를 구하여라.

() 시각 에서 점  의 속력을 구하여라.

() 시각 에서 점  의 속력이 최소가 되는 를 구하여라.

() 삼각형  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시각 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4 ▹


[문제 2] (100점/300점), (40분/120분)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 위에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육각형이 놓여 있다. 점  는 정


육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이다. 이 정육각형을 점   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
전시킬 때, 변  와 축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라고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가 에서  까지 변할 때, 점  가 이루는 곡선   을 매개변수 를 이용하여

나타내어라.


() 가 에서  까지 변할 때, 점  의 좌표를  이라고 하고, 정육각형과 직선

  가 만나게 되는 값 중에서 최댓값을  이라 할 때, 점  이 이루는 곡선   를 매개변수 를 이용하여 나타내어라.

() 위에서 구한 두 곡선  ,   와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5 ▹


[문제 3] (100점/300점), (40분/120분)

어떤 농구 선수가 자유투를 성공할 확률은  이라고 한다. 이 농구 선수가 번의 자유투를 던질 때, 사건  ,  , 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번 중 한번도 연달아 성공하지 않는 사건
 : 번 중 한번도 연달아 실패하지 않는 사건
 : 번 중 번 성공한 사건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단, 자유투는 독립시행이다.)

() 사건  가 일어날 확률을  이라 하자. 이 때,  에 관한 점화식을 구하고, 다음 식이 그 점화식을 만족시킴을 보여라.


   

  
   


 
    ⋯

() 조건부 확률   를 구하여라.

()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를 구하여라.

() 확률  ∩  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6 ▹


2013학년도 수시기출B
[문제 1] (100점/300점), (40분/120분)
자연수 을 자연수 으로 나누었을 때 몫이 이고 나머지가 인 경우       ≤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  이  의 배수임을 보여라.

()   이  의 배수임을 보여라.

()  을  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여라.

()  을  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7 ▹


[문제 2] (100점/300점) (40분/120분)
두 무한수열 과 에 대하여 새로운 수열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이라고 하자.


수열 을   ⋯ 로 나타낼 때, 다음은 연산 ⋄을 적용한 예제이다.
⋯⋄ ⋯ ⋯
 ⋯⋄ ⋯ ⋯
모든 무한수열들의 집합을  라고 하면, 연산 ⋄는  에서 정의된 연산이다. 임의의 세 수열 , , 에 대하여
⋄ ⋄  ⋄ ⋄ 이 성립한다.

다음을 만족하는 수열을  이라고 하자.

임의의 수열 에 대하여 ⋄   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수열  을 구하여라.

() 임의의 자연수  에 대하여 수열  ⋯을 번 반복 연산하여 얻은 수열 ⋄⋯⋄  (  인 경우,

 

⋄ 을 의미함) 의 일반항을 구하여라. (단, 증명할 필요 없음)

() 수열    ⋯ 에 대하여   ⋄  을 만족하는 수열 을 구하여라. 또한 수열
․    ⋯ 에 대하여 ․   ⋄  을 만족하는 을, 을 이용하여 나타내어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8 ▹


[문제 3] (100점/300점), (40분/120분)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 장축의 길이가 
 이고 단축의 길이가 인 타원이 있
다. 타원 위의 점  가 점   에서 출발하여 시계 방향으로 돌고 있다. 이
때, ∠  라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 선분  의 길이를 를 이용하여 나타내어라.


() 시각  ≤  ≤ 에서    이다.    인 순간에 점  의 속력을 구하

여라.

() 두 선분  ,  와 타원으로 둘러싸인 빗금 친 영역을 축 둘레로 회전시켜서 생긴 회전체의 부피  를 구하고, 

 
의 에 대한 변화율이 최대가 되는 를 구하여라. 단     이다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9 ▹


2013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100점/300점), (40분/120분)
이차곡선    의 1사분면 위의 점     에서의 접선을  이라고 하자. 점  를 지나고 과 수직으로 만나는 법선  이
   과 만나는 또 다른 점을  라고 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두 직선   의 방정식과 점  의 좌표를 구하여라.

(b) 선분  의 길이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c) 직선 과 축이 만나는 각을 라고 하자. 선분  의 길이가 최소가 될 때, sin  의 값을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0 ▹


[문제 2] (100점/300점), (40분/120분)
세 변의 길이가    , 
   , 
     
 이고, 외접원의 중심이  인 삼각형
 가 있다.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구하여라.

(b) 세 삼각형  ,  ,  의 넓이의 비를 구하여라.

(c) 점  가 그림과 같이 부채꼴  의 호  에서 움직일 때 (단, 호의 양 끝점 제외) 삼각형  의 무게중심의 자취의
길이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1 ▹


[문제 3] (100점/300점), (40분/120분)
한 변의 길이가 3인 정사각형 18개가 아래 그림과 같이 겹쳐 놓여 있다. 같은 행과 열에서 이웃한 두 정사각형 사이의 간격은
1이다. 또한 두 정사각형이 겹쳐서 생기는 작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1이다.

그림과 같이 점  에서 사각형들의 변을 따라 점  나  로 이동하는 경로들을 생각하자.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점  에 도달하는 최단 경로의 수를 구하여라.

(b) 점  에 도달하는 최단 경로의 수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2 ▹


2012학년도 수시2기출 자연A
[문제 1] (30점/100점), (36분 /120분)
 는 실수 전체의 집합  의 부분 집합이다. 임의의 구간  가  의 원소를 적어도 한 개 포함하면, “  는 조밀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유리수 전체의 집합은 조밀하다. 왜냐하면, 임의의 구간  에 대하여     를 만족하는 충분히 큰 자연수 


을 생각하면, 구간  는 적당한 유리수  을 반드시 포함하기 때문이다(아래 그림 참조). 그러나 정수 전체의 집합은 조밀

하지 않다.

( )
     
  ⋯ 
  

또한  가 조밀하면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로 수렴하는  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수열을 만들 수가 있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덧셈과 곱셈 연산에 닫혀 있는 집합  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 물
음에 답하여라.
(a) 
 은  에 포함되지 않음을 보여라.

(b)  는 절댓값이 1보다 작은 원소를 무수히 많이 가지고 있음을 보여라.

(c)  는 조밀하다는 것을 보여라.

(d)  에서 정의된 연속 함수 가

  
        

를 만족할 때(  은 임의의 정수), 
 의 값을 추정하고 그 근거를 제시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3 ▹


[문제 2] (30점/100점), (36분/120분)

1사분면 위에 타원     이 주어져 있다. 그리고 원점을 지나고 축과 이루는 각이  라디안인 직선    
  
가 있다(단,  은 자연수). 주어진 타원과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면적을  이라고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두 직선  와  를 구하여라.

(b)   의 값을 구하여라.


(c) 두 직선  와    사이의 각을  라디안이라고 할 때   의 값을 구하여라.



(d)   의 값을 구하여라.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4 ▹


2012학년도 수시2기출 자연B
[문제 1] (30점/100점), (36분/120분)
점    에서 출발하여 중심이 원점인 단위 원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점  ,  ,  , ⋯을 아래 그림과 같이 반시계 방
향으로 표시해 나간다. 이때,     이라고 하자(단,  은 자연수).

  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a)  을 사용해  ,  을 표현하여라.

(b) 임의의 에 대하여     을 만족하는 차 다항식  가 존재함을 보여라.

(c)  를 일차식의 곱으로 인수분해하여라(등식  cos    cos  를 참고).

(d) 서로 다른  에 대하여, 다음 극한값을 구하여라.


   
lim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5 ▹


[문제 2] (30점/100점), (36분/120분)
모든 실수에서 미분 가능한 함수 가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        ,    .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a) 의 값을 구하여라.

(b) 함수 를 구하여라.

(c)    와    로 둘러싸인 영역을 축의 둘레로 회전시켜서 생긴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여라.

(d)    와    로 둘러싸인 영역을 축의 둘레로 회전시켜서 생긴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6 ▹


2012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30점/100점), (36분/120분)
중심  가   이고 반지름 인 원과      인 곡선이 아래의 그림과 같이 두 점  와  에서 접하고 있다. 이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a) 반지름 과 두 점  와  를 구하시오. (10점)

(b) 두 점  와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각각 구하시오. (4점)

(c) 각 ∠ 의 값을  라디안이라 할 때, tan  의 값을 구하시오. (6점)

(d) 각 ∠ 의 값을  라디안이라 할 때, 빗금친 면적을 구하시오. (1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7 ▹


[문제 2] (30점/100점), (36분/120분)
윷놀이에서 사용하는 막대기의 단면은 반원과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다. 평면 위에서 막대기의 평평한 면이 위로 향하면 ‘배’라
하고, 둥근 면이 위로 향하면 ‘등’이라 한다. 네 개의 막대기를 던져서 배가 한 개만 나오면 ‘도’, 배가 두 개만 나오면 ‘개’, 배가
정확히 세 개 나오면 ‘걸’, 네 개 모두 배가 나오면 ‘윷’, 네 개 모두 등이 나오면 ‘모’라 한다. 각각의 막대기에서 배가 나올 확률
은 로 일정하다. 이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a) 확률 가  일 때, 도, 개, 걸, 윷, 모가 나올 확률을 각각 구하시오. (10점)

(b) 확률 를 사용하여 도, 개, 걸, 윷, 모가 나올 확률을 각각 구하시오. 확률 의 값을 잘 선택하면, 도, 개, 걸, 윷, 모 차례


로 나올 확률이 점차 작아지거나 같게 만들 수 있는 지 판단해 보시오. (10점)

(c) 걸이 나올 확률이 가장 높고, 개, 도, 윷, 모 순서로 나올 확률이 점차 작아지거나 같게 나오도록 하기 위한 확률 의 값의


 
 
범위를 구하시오. (단,   
 로 계산한다) (10점)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8 ▹


2011학년도 수시1기출 자연
[문제 1] (150점/600점), (45분/180분)
수열 이              을 만족할 때, 이 수열을 피보나치 수열이라 하고, 수열 이
                  을 만족할 때, 이 수열을 루카스 수열이라고 한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
(a)   
 
   

    인 수열  이 피보나치 수열임을 보이고, 자연수 에 대하여  이 자연수임을 보
   
 

이시오. (40점)

(b) 피보나치 수열 이 다음 식을 만족함을 보이시오. (40점)


         ⋯       

(c) 문항 (a)를 참조하여 루카스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시오. (40점)

  
(d) 루카스 수열  에 대하여 극한값 lim  을 구하시오. (30점)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9 ▹


[문제 2] (150점/600점), (45분/180분)
한 변의 길이가 2인 정사각형 ABCD의 내부 또는 경계에 있는 점 P에서 정사각형의 네 꼭짓점에 이르는 거리를 각각 , , ,
라 할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a)        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시오. (30점)

(b)         를 만족하는 점 P로 이루어진 도형을 정사각형 ABCD 안에 그리


시오. (30점)

(c) 선분 
AD 의 중점을 M이라 할 때, 세 점 M, B, C를 지나는 포물선의 아래 영역과 문항 (b)에서 구한 도형의 내부와의 공
통부분의 넓이를 구하시오. (50점)

(d) 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시오. (4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0 ▹


2011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25점/100점), (45분/180분)
(1) 포물선        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이 다음과 같음을 미분을 이용하여 보이시오.
     
       
 

(2) 포물선         와 직선      으로 둘러싸인 도형을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때 생기는 회전체
의 부피를 구하시오.

(3) 포물선      을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킬 때 생기는 곡면을 포물면이라고 부른다. 이 때 포물면이 반사유리
로 되어 있어서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도록 빛이 꺽인다고 하자. 포물면 내부로 들어오는 축과 평행한 모든 빛이 포물면 내부
의 특정한 한 점을 통과함을 보이시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1 ▹


2010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16.7점/100점), (30분/180분)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에 내접하는 정각형이 있다. 이 정각형을 둘레의 길이와 같은 길이의 실로 한 바퀴 감았다. 이 때,
실의 한 쪽 끝은 한 꼭짓점에 고정이 되어 있다. 정각형과 같은 평면 위에서 실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실 전체가 최초
로 직선이 되는 순간까지 풀었을 때, 실의 다른 끝점이 움직인 거리를   이라고 하자.
(a) 아래 그림은 정사각형의 경우를 보여준다.   를 구하여라.

(b)   을 구하여라.

(c) 정각형을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으로 바꾸었을 때, 실의 끝점이 만드는 곡선의 길이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2 ▹


[문제 2] (16.7점/100점), (30분/180분)

개구간 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sin 의 역함수를   라고 하고, 개구간     에서 정의된 함수

   sin    의 역함수를 라고 하자.




(a) 과   
 
 
 의 값을 구하여라. 여기서 는 개구간     에서 정의된 tan 의 역함수이다.
 

(b) 함수 를 이용하여 를 나타내어라. 그리고 두 함수 와 의 그래프 개형을 그려라.

(c) 두 함수 와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를 구하여라.

(d) 함수 의 도함수를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3 ▹


[문제 3] (16.7점/100점), (30분/180분)
      인 두 수열    은 다음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       ⋯  .

(a)  
 
   

   을 만족시키는 2차 정사각행렬  를 구하여라.


(b)         을 만족시키는  의 순서쌍  를 모두 구하여라.

(c)          이면         이 성립함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여라.


 

(d)   과  ,  을 구하여라.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4 ▹


201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25점/100점), (45분/180분)
모든 모서리의 길이가 1인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가 있다. 한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각각의 정 다면체를 회전시킬
때, 정다면체의 어떤 면 또는 단면을 회전시킨 것으로 보면 되는가? 자신의 주장에 대한 이유를 밝히고, 세 개의 회전체의 부피
도 각각 구하시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5 ▹


[문제 2] (25점/100점), (45분/180분)
좌표평면에서 세 점 A  B  C  가 원     위에 있을 때,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a) 삼각형ABC 의 무게중심이  이면 삼각형ABC 가 직각삼각형임을 보이시오.

(b) 삼각형ABC 의 무게중심이  일 때,           의 값의 범위에 대하여 논하시오.

(c) 삼각형ABC 의 무게중심이 원     위에 있으면 삼각형ABC 가 어떤 꼴의 삼각형인지 논하시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6 ▹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해설집 I
(2022~2017)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23학년도 모의논술
▷예시 답안
[문제 1] (85점/400점) (25.5분/120분)

PF  
    로부터 
PF   
PF  이므로 F   , F    이다. 쌍곡선의 정의에 의하여 
PF   
PF   ⋅  이므로

PF  

PF   
   과 연립하여 풀면 
PF    이다.

PF   

    
PF   
           에서        이고, 점 P 는 쌍곡선 위의 점이므로     로부터
   
            이다.

점 P 는 제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  이고,    


 이다. 따라서 점 P 와 좌표는   

 이다.  

세 점 P , F  , F  를 지나는 이차함수는    
  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부분의 영역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문제 2] (95점/400점) (28.5분/120분)


(a)
사건  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흰 공을 회, 빨간 공을 회, 파란 공을 회 뽑아야 한다.

이와 같이 공을 뽑는 순열의 수는   이다. 각 순열이 발생할 확률은 뽑힌 공의 색의 순서와 상관없이 서로 같으며, 그

⋅⋅⋅⋅⋅⋅   
확률은    이다. 따라서 P       이다.
⋅⋅⋅⋅⋅⋅   

(b)
회의 각 시행 후에 적어도 한 번은 주머니 속의 흰 공의 개수가 나머지 공의 개수보다 작은 사건을  라 하자. 첫 시행에서
뽑힌 공의 색에 따라 경우를 나누어,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를 구해보자.

(ⅰ) 첫 시행에서 빨간 공을 뽑았을 때 : 이후의 시행에서 파란 공을 번, 흰 공을 번 뽑으면 사건 ∩ 가 일어난다.


(ⅱ) 첫 시행에서 파란 공을 뽑았을 때 : 이후의 시행에서 빨간 공을 번, 흰 공을 번 뽑으면 사건 ∩ 가 일어난다.
(ⅲ) 첫 시행에서 흰 공을 뽑았을 때 : 두 번째와 세 번째의 시행 모두에서 흰 공이 아닌 공을 뽑고, 이후의 시행에서는 모두
흰 공을 뽑으면 사건 ∩ 가 일어난다.

위의 (ⅰ)의 경우의 수는 이고, (ⅱ)의 경우의 수도 이다. 또한 (ⅲ)의 경우의 수는 이다. 따라서, 사건 ∩ 가 일어나도록
  
공을 뽑는 순열의 수는 이다. 이때 각 경우가 일어날 확률은  이므로, P∩      이다.
  
또한,
  
P∩    P   P ∩       
  
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P ∩   
P        
P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


[문제 3] (105점/400점) (31.5분/120분)
조건 (1)과 (2)에   을 대입하여 정리하면   이고   이다.
 
부분적분법에 의해          ′ 이므로 조건 (1)과 (2)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이다. 모든 실수 에 대해   ′     이므로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에 의해  ′    이다.

 

따라서 모든 실수 에 대해 ′   이다.


 
마찬가지로            ′  이므로 모든 실수 에 대해 ′   이다.

 

함수      라 하면, 는 모든 실수 에 대하여 미분가능하고


′   ′   ′       
이므로 는 상수함수이다.   이고   이므로
      
이다. 따라서 모든 실수 에 대해
        
이고
    
이다.

[문제 4] (115점/400점) (34.5분/120분)


원주각의 성질로부터 ∠PAB  ∠PQB , ∠QBA  ∠QPA이므로 ∆BAR 과 ∆PQR 은 서로 닮았고, 이때 닮음비는 
BR  
RP

이다. ∆BAR 의 내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고 하면, ∆BAR 의 넓이는   AB  
BR  
RA이고 ∆PQR 의 넓이는

    
  QR  RP PQ이므로,

            
  AB  BR  RA    QR  RP PQ  
BR  
RP
 

RP
이다. 즉       이다.

BR
 
RA 
BR sin sin
∆BAR 에서 사인법칙에 의해      이므로  RA  ,  BR   이다.
sin    sin sin sin sin
    sinsin
∆BAR 의 넓이는    AB  
BR  
RA   
AB 
RAsin이고 
AB  이므로    이다.
  sin  sin  sin
sin
그리고 ∆ABP 는 ∠APB 가 직각인 직각삼각형이므로  AP cos이고, RP 
AP RA cos   이다. 따라서
sin

RP
     

BR
sinsin
  ⋅ cos   ⋅ 
sin  sin  sin
sin
sin
sin
sin  
이므로

lim 

 →
 sin  sin
 lim ⋅  ⋅  ⋅ cos   ⋅   
→  sin sin sin
sin
sin 
 
   

 
sin sin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제 1] (85점/400점) (25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꼭짓점이 곡선에 있는 다각형의 넓이를 구하고, 다항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능력을 평가
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I : 함수의 최댓값

▷문항 해설
좌표평면에서 다각형의 넓이를 다항함수로 표현하고 미분을 이용하여 그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이다.

▷채점 기준 ※ 선다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a) 주어진 삼각형의 조건을 이해하고 삼각형의 넓이를 이차함수로 나타내어 최댓값을 구한다. 25
(b) 주어진 사각형의 조건을 이해하고 사각형의 넓이를 삼차함수로 나타내어 최댓값을 구한다. 60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다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삼각형 OAB , 삼각형 AOC , 사각형 ABOC 의 넓이를 차례로   ,  ,  이라 하자.
     
이때     ,    ,       이다.
 
(a)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의 최댓값은  이다.

(b)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열린구간  에서 의 최댓값은  이다.   ≤  이고,    ,    일 때     이므로,  의 최댓값
    

은  이다.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


[문제 2] (95점/400점) (30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독립시행의 확률과 조건부확률을 이해하고, 구체적인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확률과 통계 : 조건부확률

▷문항 해설
독립시행의 확률을 적용하여 주어진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구하고, 서로 종속인 두 사건 중에서 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나머지
한 사건이 발생할 조건부확률을 계산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이다.

▷채점 기준 ※ 선다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a) 주어진 사건이 독립시행임을 이해하고, 확률의 곱셈정리를 이용하여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45
(b) 조건부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50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다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a)

주사위를 한 번 던졌을 때, 의 배수의 눈이 나올 확률은  이며, 주사위를 여러 번 던졌을 때, 매번 의 배수의 눈이 나오는

사건은 서로 독립이다. 의 배수가 연속해서 나오지 않는 확률은 다음과 같다.

(ⅰ) 의 배수가 한 번도 나오지 않을 확률은     


이다.

C ×  ×      이다.
  
(ⅱ) 의 배수가 한 번 나올 확률은  
  
 

(ⅲ) 의 배수가 두 번 나오고, 의 배수가 연속해서 나오지 않을 확률은 C  × 
   ×     


이다.
 
C ×    ×      이다.
  
(ⅳ) 의 배수가 세 번 나오고, 의 배수가 연속해서 나오지 않을 확률은  
  
       
(ⅰ)∼(ⅳ)에 의해서 구하는 확률은    이다.
 

(b)
주사위를 번 던졌을 때, 의 배수의 눈이 연속해서 나오지 않는 사건을  , 적어도 한 번은  이하의 눈이 나오는 사건을 
라고 하자. P    P∩   P∩   이므로,
P ∩  P    P∩   P   P   P     
P         
P  P  P  
이다. 또한,
 

P     
  


,

P      
   


이다. P      는 나온 눈의 개수가 모두  이상일 때, 의 배수의 눈이 연속해서 나오지 않을 확률과 같다. 나온 눈의 개수

가 모두  이상일 때, 의 배수의 눈이 나올 확률은  이므로, (a)와 같은 방법으로

   

   C ×     C ×     C ×     



P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


  
  ×
      
P        
  


이다.

[문제 3] (105점/400점) (30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적분 구간을 적절하게 나누어 삼각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 : 정적분

▷문항 해설
삼각함수의 정적분에 대해 적분 구간을 적절하게 나누고, 삼각함수의 공식을 이용하여 적분값을 계산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
이다.

▷채점 기준 ※ 선다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적분구간을 적절하게 나눌 수 있다. 35
문제 3
정적분 값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70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다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  
 sin   cos라 하자.   ≤  ≤ 일 때, sin ≤ , cos ≥ 이므로  ≤ 이다.

 
닫힌구간    에서 함수   
 sin 는 증가함수이고, 함수   cos는 감소함수이다.
 

    는 연속인 증가함수이고,     ,    
  
  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해 방정식   은

   
구간    에서 유일한 해를 갖는다. 이 해를 라 하자.   ≤  ≤ 이면  ≤ 이고  ≤  ≤  이면  ≥ 이다.
   
또한

 sin   cos,
sin   cos    sin ,
sin   sin     sin   sin   sin     
  
이므로 sin   , sin   이고 cos    sin    이다.
  
sin   sin  sin    cossin  sin  cos sin
이므로

  sin   cos    sin    cos  sin   cos


 

 
 cos  
 cos  sin  

이다.    
 cos  
 
 
 cos  sin라 하자. 이때  ′   이고     ,    이며,
   

   
     cos  sin 
 cos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


 

  

 



 sin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문제 4] (115점/400점) (35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고, 수열과 관계된 성질을 파악하는 능력과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간단한 명제를 증
명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 수학적 귀납법

▷문항 해설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유추하는 능력과 이 수열에 대한 간단한 부등식을 수학적 귀납법으로 증명하는 능력을 확인
하는 문제이다.

▷채점 기준 ※ 선다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성질을 이해하여 증명에 필요한 부등식을 유도한다. 70
문제 4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부등식을 증명할 수 있다. 45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다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 
            이다. 양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일 때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①
  
이다.
 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이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이를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해서 보이자.

   이므로 성립한다.

  일 때,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7▹


  일 때,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②

이므로   이다.
①, ②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일 때도 성립하므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이 성립한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8▹


2022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제 1] (85점/400점) (25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실생활 문제를 중복조합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확률과 통계 : 중복순열

▷문항 해설
실생활 문제에 중복조합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로 나누는 능력과 이를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이다.

▷채점 기준 ※ 선다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문제를 중복조합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들로 나눈다. 25
문제 1
중복조합을 적용하여 경우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60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다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서울이가 산 김밥의 종류의 가짓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경우를 나누자.

(ⅰ) 서울이가 종류의 김밥을 샀을 때, 김밥의 종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  이고, 선택한 종류의 김밥에서 줄을 사는
경우의 수는 이다. 시립이가 나머지 종류의 김밥에서 줄을 사는 경우의 수는 H 이다.
이러한 경우의 수는 C  ×  × H  C  ×  × C   이다.

(ⅱ) 서울이가 종류의 김밥을 샀을 때, 김밥의 종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  이고, 선택한 종류의 김밥에서 줄을 사는
경우의 수는 H 이다. 시립이가 나머지 종류의 김밥에서 줄을 사는 경우의 수는 H 이다.
이러한 경우의 수는 C  × H × H  C  × C  × C   이다.

(ⅲ) 서울이가 종류의 김밥을 샀을 때, 김밥의 종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C  이고, 선택한 종류의 김밥에서 줄을 사는
경우의 수는 H 이다. 시립이가 나머지 종류의 김밥에서 줄을 사는 경우의 수는 이다.
이러한 경우의 수는 C  × H ×   C  × C  ×   이다.

(ⅰ), (ⅱ), (ⅲ)에서 모든 경우의 수는       이다.

[문제 2] (95점/400점) (30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두 함수의 교점을 구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와 사잇값 정리를 이용하여 방정식의 근의 범위를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I : 사잇값 정리

▷문항 해설
역함수의 기하학적인 성질을 이해하는 능력과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방정식의 근의 범위를 구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이
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9▹


▷채점 기준 ※ 선다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는 두 함수의 역함수 그래프의 교점의 좌표와 같다는 것을 파악
30
문제 2 하여 필요한 방정식을 찾는다.

사잇값의 정리를 이용하여 근의 범위를 구한다. 60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다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함수      의 역함수는     이다. 그러므로 구하는 교점의 좌표는 곡선   와 직선     의 교점의 

좌표와 같다.

(ⅰ)  ≤ 일 때
        를 정리하면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일 때의 근은  뿐이다.

(ⅱ)   일 때


  
 
 

  cos        를 정리하면    cos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이라 하자. ′      sin   ≥       이므로 는 증가함수이다.
  
따라서 방정식   의 근의 개수는  또는 이다.

는 연속함수이고,     이고     이므로, 사잇값 정리에 의해 주어진 방정식은 열린구간  에서 오

직 개의 근을 갖는다.

(ⅰ), (ⅱ)에 의해 의 정수 부분은 이다.

[문제 3] (105점/400점) (30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의 개수를 구하고, 수열의 합의 성질을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 수열

▷문항 해설
문제의 조건을 이해하고 자연수 에 따라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의 개수와 그것의 합을 구하는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이다.

▷채점 기준 ※ 선다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의 개수를 구한다. 70
문제 3
수열의 합의 성질을 이용하여 의 최댓값을 구한다. 35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0 ▹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다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조건 (1)에 의해서 자연수 ,  은 적당한 음이 아닌 두 정수 , 에 대하여    ,    이다. 조건 (1)로부터     

이므로,  ≤  ≤  이고


 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①


조건 (2)에서   ≤  ≤   이고, 이 부등식에     와   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②

  
이다. ①과 ②로부터  은 닫힌구간    에 속하는 정수의 개수이다. 자연수 에 대해서
  
(ⅰ)     일 때,     ,
(ⅱ)     일 때,     ,
(ⅲ)     일 때,   ,
(ⅳ)   일 때,     
이다. 따라서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일 때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문제 4] (115점/400점) (35분/120분)


▷출제 의도
본 문항은 여러 가지 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최댓값을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 :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

▷문항 해설
한 근이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나머지 두 근을 구하고, 미분을 이용하여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 능력을 확인하는 문제이다.

▷채점 기준 ※ 선단형의 경우 생략 가능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a) 한 근이 주어진 삼차방정식의 나머지 두 근을 구한다. 25
(b) 구하고자 하는 넓이를 한 변수에 대한 식으로 정리하고, 미분을 이용하여 값을 구한다. 90
※ 하위 문항이 있는 경우 칸을 나누어 채점 기준을 작성함.
※ 채점 기준은 문항의 출제의도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이어야 함.

▷예시 답안 혹은 정답 ※ 선단형의 경우 정답만 기입


(a)
가 방정식       의 근이므로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나머지 두 근은    이다.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1 ▹


(b)
B   , C    , 
AB  라 하자.  ,  는 방정식      의 해이다. 방정식      의  ,  가 아닌 다
른 해를 라 하자.      이고 (a)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직사각형 ABCD 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ln   ln   ln       ln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방정식       의 근 중에서      인 것은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극대 ↘

 에서 직사각형 ABCD 는 최대 넓이를 갖고, 이때 변 AB 의 길이는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2 ▹


2022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제 1]
 tan   tan   
(a)   이고        tan 이므로    이다. 따라서

 tan   
lim   lim 
→  →  
tan   

tan
 lim    
 →   
tan 
 
     

이다.





(b)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고,


   
 


   tan       tan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일 때,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tan
       

tan
이고 lim   
  , lim   이므로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문제 2]
자연수 에 대하여 log  ≥ 이므로
 ≥ log    log      log       
이다. 따라서    에서 두 함수   와   의 그래프는 만나지 않고,   ≤ 에서 방정식   를 정
리하면

 log 
 
log 
cos     cos      
 

이다. 자연수 에 대하여     log  ≤ 이고   ≤ cos ≤ 이므로,


cos     log 

이다. 위 방정식은  ≤  ≤ 일 때에만 해를 가지므로,  ≤  ≤  또는  ≥ 이면   이고  ≤  ≤ 이면  은 다음
과 같다.
(ⅰ)   일 때,   ≤ 에서 방정식 cos  의 해의 개수는 이므로,   이다.

(ⅱ)  ≤  ≤ 일 때,   ≤ 에서 방정식 cos     log 의 해의 개수는 이므로,   이다.

(ⅲ)   일 때,   ≤ 에서 방정식 cos  의 해의 개수는 이므로,   이다.
 
그러므로 

         이다.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3 ▹


[문제 3]
(a) 첫 번째로 개의 화살표를 선택하여 방향을 바꾼 후에 개의 화살표 중 위로 향하는 화살표의 개수를  이라 하고, 시행
을 마친 후에 개의 화살표 중 위로 향하는 화살표의 개수를  라 하자. 그러면  는   인 사건이다. 사건  가 일어났을
때,  이 가질 수 있는 값은 , , 이다. 따라서

P    P     P

  P       

이다. 또한
C  
P     P      
C  

C  × C  
P       
C
  
이며
C  
P         P          
C
  

C  × C  
P           
C  
이다. 따라서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이다.

(b) 사건 ∩ 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 번째 화살표가 각각 단 한 번씩 선택되어야 하며  ∼ 번째 화살표 중 두 개가 선


택되어야 한다. 첫 번째 선택에서 , 번째 화살표가 선택되어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C  이다. 마찬가지로 두
번째 선택에서 , 번째 화살표가 선택되어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C  이다. 그리고 첫 번째 선택에서 번째 화
살표가 선택되고, 두 번째 선택에서 번째 화살표가 선택되어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는 C  × C  이고 그 반대의
경우의 수도 C  × C  이다. 따라서
 × C    × C  × C  
P ∩     
C
  × C
  
 P ∩  
이고 (a)에서 P    이므로 P        이다.
 P  

[문제 4]

로그함수가 구간  ∞에서 증가함수이므로 자연수 에 대하여  ≤   ln    가 성립함을 보이면 충분하다. 구간
  
 ∞에서 함수

 
    ln   
 
라 하자. 그러면


lim   lim   ln   
 →∞  →∞   

 

 lim ln     lim ln     
 →∞   →∞   
이다. 구간  ∞에서 함수 는 미분가능하고

    

′   ln     
   
이므로 lim ′   이다.
 →∞


구간  ∞에서 ″     이므로 ′  는 증가함수이다. 따라서 구간  ∞에서 ′  ≤ lim′   이므
     →∞

로 는 감소함수이다. 그러므로 자연수 에 대하여  ≥ lim    이다.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4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1
[문항1]
▷출제의도
확률의 덧셈정리와 조건부확률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어진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확률과 통계 : 조건부확률

▷문항해설
확률의 덧셈정리를 적용하여 주어진 사건이 발생할 확률과 주어진 두 사건이 종속관계에 있을 때, 한 사건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나머지 한 사건이 발생할 조건부확률을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덧셈정리를 이용해 사건의 확률을 계산한다. 55
문제 1
조건부 확률을 계산한다. 30

▷예시답안
5개의 동전 중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뒤집는 시행에서, 앞면이 보이는 동전을 선택하는 사건을 H, 뒷면이 보이는 동전을 선
택하는 사건을 T로 나타내자. 이 시행을 반복하여 동전이 모두 같은 면이 되면 멈추기로 할 때, 매 시행에서 어떤 동전이 선택
되었는지를 연속된 H와 T로 나타내기로 하자. 사건  는 다음과 같다.
  HH TTT HTHH THHH
사건  를 구성하는 각 사건들의 확률은 아래와 같다.
  
P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확률의 덧셈정리에 의해, P   P     P     P      이다.

사건  는 첫 시행에서 앞면이 보이는 동전을 선택하는 사건이므로,
∩  HH HTHH
이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P∩  
따라서 P         이다.
P  

보충 supplement)
순서쌍 (앞, 뒤)로 나타내면 처음에  이다.
    
   : (2,3)→(1,4)→(0,5)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2,3)→(3,2)→(4,1)→(5,0)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2,3)→(1,4)→(2,3)→(1,4)→(0,5)  × × ×  
    
    
(2,3)→(3,2)→(2,3)→(1,4)→(0,5)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5 ▹


           
P      , P ∩     
   
 
∴ P      
 

[문항2]
▷출제의도
본 문항은 정적분 계산능력과 삼각함수 덧셈정리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문제에 적용하는 적용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 : 삼각함수의 적분

▷문항해설
삼각함수로 주어지는 정적분에 대해 적절한 적분공식을 활용하여 주어진 적분 식을 표현하고,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활용하여
적분 식을 정리하고 계산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삼각함수에 대한 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40
문제 2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활용하여 주어진 적분 식을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55

▷예시답안
  cos   cos  cos       cos 
 

sin 

 cos 


sin 
 cos   

sin 


   
 cos  cot   
   cos   
 sin    

 cos cot    cot   cos    



 
sin    sin    
이다.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를 이용해 계산하면


 cos cot    cot   cos    
 
sin    sin    

cos   cos  
 cos      cos    
sin    sin   

  
sin    sin    
cos   cos cos   cos   cos cos  
  
sin    sin   
cos   cos cos  cos   sin  sin  cos   cos cos  cos   sin  sin 
  
sin    sin   
cos   cos  cos sin  sin  cos   cos  cos sin  sin 
  
sin    sin   
cos  sin   cos sin  sin  cos sin   cos sin  sin 
  
sin    sin   
sin cos  sin   cos sin  sin cos  sin   cos sin 
  
cos  sin   cos sin  sin  cos   cos  sin 
 sin 
이다. 즉
  cos   cos  cos 
 

sin 
 sin   sin 

이고, 는    인 다항식이므로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6 ▹


보충 supplement)
cos  sin   cos 
cot   에서 cot′      csc
sin sin  sin 
 cos
csc   에서 csc′   이므로
sin sin 
 
cos  cos cos   
 
 
sin 
    coscot  cos csc 
   
 coscot    cot    coscsc    csc  

cos   cos  
 cos     cos   
sin    sin     
 
sin    sin    
 cos
cos  sin     sin   cos  
sin   sin     cossin   sin    
sin     sin   

이때,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하여


cos  cos  cos    sin   sin   
cos  cos  cos    sin   sin   

이므로 sin   sin      cos  cos, cos  sin     sin   cos    sin

또, sin     sincos  cossin, sin     sincos  cossin
이므로 sin     sin     cossin
또한 sin  sincos, cos  cos  , cos  cos  
따라서
  cos  cos cos cossin cossin
 

sin 
  

 

cos  cos
 cos  cos 
 
cossin cossin sincos  cos

cos  cos cos  cos cos  cos
sincos  cos
   sin sin
cos  cos
따라서      또는        (은 정수) 인데,
는 다항식이고     ,   이므로   , 즉   이다.

[문항3]
▷출제의도
본 문항은 사각형과 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함수를 유도하고 이 함수의 미분가능성을 확인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I, 미적분 : 미분계수, 여러 가지 함수의 미분법

▷문항해설
도형들 사이의 위치관계를 주어진 조건으로부터 풀어나가는 능력을 평가한다. 상황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여 경우에 따
라서 표현이 달라짐을 평가한다. 함수의 미분가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구간별로 정의되는 함수의 미분가능성을 확인하는 계
산 능력을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a) 주어진 함수를 구한다. 65
(b) 함수의 미분가능성을 확인한다. 40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7 ▹


▷예시답안
    
 라 하자.

(a)
 과  의 반지름을 각각 , 라 하자. 
AC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BF 
FC  
BC 이므로      이고,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이다.
 

(i)    일 경우

   이므로    이다.  의 중심을 지나고  AD 와 평행한 직선과 점 G 사이의 거리를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이므로      이고,   
EB            

BF⋅ 

EB       
 
 이다.
(ii)  ≥  일 경우

   이므로  ≥  이다. 또한  EG 가  에 접하므로  EB           이다. 조건 (5)로부터        이므

로       이고   
 이다. 따라서  ≤      BF⋅ EB       이다.


(i), (ii)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보충 supplement)
원   ,   의 반지름의 길이를 각각 ,  라 하면 정사각형 ABCD 의 대각선에서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BG       , 즉    이고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8 ▹



i)    ≤ , 즉    ≤  ,    ≤ 이면


     
B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ii)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B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과       
 에서 는 미분가능한 함수의 합과 곱으로 정의되어있으므로 각 구간에서 미분가능하다.
   에서의 미분가능성을 확인하자.

lim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이다.
따라서 는    에서 미분가능하고, 는       
 에서 미분가능하다.

[문항4]
▷출제의도
본 문항은 사인함수를 해석하고 등차수열의 이해 수준과 그 구체적인 적용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 등차수열, 삼각함수

▷문항해설
사인함수를 포함한 문제의 조건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의 순서쌍
의 개수를 등차수열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사인함수로 주어진 조건을 이해하고, 주어진 조건에 따른 경우를 나누고 순서쌍의 개수를 수열의 일
90
문제 4 반항으로 구한다.
순서쌍의 개수를 나타내는 등차수열의 합을 계산할 수 있다. 25

▷예시답안

  sin 
  라 하자. 함수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9 ▹


  는 서로 다른 자연수이므로  ≤  ≤    이다.

(i)  ≤  ≤  일 경우
는 자연수이므로 조건 (2)에 의해    이다.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에 의해서     을 만족시킨다.
에 대하여 를 부터   까지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세 자연수   의 순서쌍   의 개수는    이다.

(ii)      일 경우
  는   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  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       이어야 한다. 또한 가
       인 경우 는 과  사이에 존재하고    이다. 에 대하여 는   부터      까지 선택할 수
있으므로 세 자연수   의 순서쌍   의 개수는      이다.

(iii)  ≤  ≤    일 경우
함수   의 그래프로부터   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순서쌍   가 존재하지 않는다.

(i), (ii), (iii)에 의해서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세 자연수   의 순서쌍   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충 supplement)
(나)에서 자연수 , , 는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
(다)에서 등차중항 의 값으로 가능한 범위는  ≤  ≤   
  일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순서쌍    의 개수를  라 하면 가능한 , 의 값의 범위는
 ≤    - - (  )개,    ≤      - - (    )개
(i)  ≤ 이면,    ≤      이므로     
(ii)    ≤   이면,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예를 들어,   일 때   sin   의 그래프로부터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이면     각각에     - - - -       
  이면      각각에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0 ▹


따라서 구하는 순서쌍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1 ▹


2021학년도 수시기출 자연2
[문항1]
▷출제의도
본 문항은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접점의 좌표를 구하고, 정적분을 활용하여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I : 접선, 도형의 넓이

▷문항해설
본 문항은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교점을 찾아 정적분을 활용하여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능력을 평
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곡선과 직선이 접할 때, 접점을 구할 수 있다. 45
문제 1
정적분을 활용하여 곡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40

▷예시답안
점  을 지나며 기울기가  인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곡선   와 직선         이 서로
다른 두 점에서 접할 때, 이 두 점의 좌표를 각각 ,  (단,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의 계수와 상수항을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고   ,    이다. 직선         과 곡선   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문항2]
▷출제의도
조합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여, 주어진 성질을 만족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 : 경우의 수, 조합

▷문항해설
함수의 조건을 이해하고 경우의 수와 조합을 활용하여,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세는 능력을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특정 경우에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조합을 이용해 구한다. 55
문제 2
일반적인 경우에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를 곱의 법칙을 이용해 구한다. 40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2 ▹


▷예시답안
(i)            일 경우를 생각하자. 그러면 조건 (1)과 (2)를 모두 만족시키지만 조건 (3)을 만족시키지
않는 함수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   의 경우 함수의 개수는   C  이다.


‧   ,   ,    의 경우 함수의 개수는   C  이다.
‧   ,   ,   ,   ,    의 경우 함수의 개수는  이다.
‧   ,   ,   ,   ,    의 경우 함수의 개수는  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 문제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는 조건 (1)과 (2)를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에서 위 네 가
지 경우에 해당하는 함수의 개수를 뺀 것과 같다. 즉
      
  C     C     C     
  

이다.

(ii) 일반적으로  ≤      ≤  인   에서        일 경우는   의 선택이 조건 (3)의 부등식의 성
      
립여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도  이다.

따라서 문제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C  ×  
 
이다.

[문항3]
▷출제의도
곡선과 곡선 밖의 한 점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조건에 대한 정리를 증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이를 이용해 곡선과 곡선 사이
의 최단 거리를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I : 접선, 수직, 최솟값

▷문항해설
곡선과 곡선 밖의 한 점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조건에 대한 정리를 증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이를 이용해 곡선과 곡선 사이
의 최단 거리를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a) 미분을 활용하여 곡선과 곡선 밖의 한 점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조건에 대한 정리를 증명한다. 55
(b) 곡선과 곡선 사이의 최단 거리를 구한다. 50

▷예시답안
(a)
곡선   의 점 P 의 좌표를  라 하고, 점 Q 라 하자. 곡선   의 모든 점 X 에 대하여
  
PQ≤ 
XQ 이다. 함수   
XQ          는 미분가능한 함수이고, 최솟값은   
PQ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3 ▹


이다.
  
 ≠  이면  ⋅′    이고, 곡선   의 점 P 에서의 접선과 직선 PQ 가 수직이다.

   이면 직선 PQ는 축과 평행하고, 점 Q 가 곡선   에 있지 않으므로  ≠  이다.
따라서 ′    이므로 곡선   의 점 P 에서의 접선은 축과 평행하므로, 곡선   의 점 P 에서의 접선과 직선
PQ 가 수직이다.

(b)

PQ 가 최소일 때 곡선    의 점을 A   , 곡선      의 점을 B      이라 하자. 그러면 문제 (a)에 의
해 다음을 모두 만족시킨다.

① 곡선    의 점 A에서의 접선   과 곡선       의 점 B 에서의 접선   가 서로 평행하다.


② 두 점 A, B 를 지나는 직선은 두 접선   ,   와 동시에 수직이다.

조건 ①로부터      이다.    이면      이고 조건 ②를 만족시키지 않으므로  ≠  이다. 그러면 조건 ②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고    이다. 따라서 
AB   이므로 최솟값은   이다.

[문항4]
▷출제의도
본 문항은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교점열을 개수를 이해와 등비수열의 이해 수준과 그 구체적인 적용능력을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 등비수

▷문항해설
등비수열을 포함한 함수의 조건을 이해하고,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의 교점의 개수를 등비수열로 표현하고 그 합을 계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주어진 함수의 조건을 이해하고 이 함수의 그래프와 주어진 이차함수의 그래프와의 교점이 발생한 조건을 구한다. 70
문제 4
구한 조건을 이용하여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를 등비수열의 합으로 표현하고 그것을 계산한다. 75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4 ▹


▷예시답안

자연수  에 대하여    ≤    에서 포물선     와 직선    의 교점의 개수는  혹은  이다. 교점의 개수

    
가  일 필요충분조건은  ≤    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①


이다. 

 는 ①을 만족시키는 자연수의 순서쌍    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각  에 대하여  을 ①을 만족시키는 의

개수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5 ▹


2021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항1]
포물선    의 점 A   , B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차례로      ,      이고, 두 접선의 교점 C 는



C    이며 직선 AB 의 방정식은       이다.   라 하자. 이때 포물선    과 선분 AB 로 둘러싸인 도

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

또 직선 AB 의 방정식은         이고 점 C    와 직선          사이의 거리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며,
AB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AB ×     
∆ABC        
  
이다.

[문항2]

  ln    ln     ln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ln


 

이고,
 
      se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 

이며,
 
  ln    ln      ln  

 

이다. 따라서

  ln    ln     ln    
      
      ln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6 ▹


[문항3]
(a) B 에서 출발하였을 때, D에 도착할 확률을  라 하고, C 에 도착할 확률을  라 하자. 그러면      이다.

B 를 출발하여, C 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위 그림의 E나 F 를 지나야 한다. B → E → C 의 경우는 E에 도달한 후, 반드시 C 에



도착한다. 이러한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 이다. 또한, B → F → C 의 경우는 F 에 도달한 후, 동전의 앞면이 나와야 한다. 이

 
러한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b) A를 출발하였을 때, C 에 도착할 확률을  라 하자. A를 출발하였을 때, C 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위 그림의 E나 F 를
 
지나야 한다. A를 출발하였을 때, E에 도착할 확률은 (a)번 문제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면    이다. E에 도착한 후에는
 

반드시 C 에 도착하므로, A → E → C 의 경우가 발생할 확률은  이다. 또한, A → F → C 의 경우는 F 에 도달한 후, 동전의

  
앞면이 나와야 한다. A를 출발했을 때, F 에 도달할 확률은 C   이므로, A → F → C 의 경우가 발생할 확률은 C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이다. 또한, 문제 (a)의 풀이에서,    이다.
   

A, B 에서 출발했을 확률이 각각  이므로 C 에 도착했을 확률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C 에 도착했을 때, A에서 출발했을 확률은  ⋅  이므로, 구하는 확률은  이다.
  

[문항4]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그래프로 둘러싸인 영역은 오른쪽 그림에서 A∪B∪C∪E로 이루어진 영역과

같다. 그런데   
    는      의 역함수   
   의 축 대칭이므로, E 내부에 있는 격자

점의 개수와 D 내부에 있는 격자점의 개수는 같다.
따라서 영역 A∪B∪C∪D (단, D 의 왼쪽 경계와 아래 경계를 제외한 나머지 경계와 점    를 포함)에 있는 격자점의

개수를  라 하고, 함수     ≤    의 그래프에 있는 격자점의 개수를  라 하면

    
이다.  를 점      와 영역 A∪C∪D (D 의 왼쪽 경계와 아래 경계를 제외한 나머지 경계는 포함)와 영역 B (B 의 왼쪽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7 ▹


경계를 제외한 나머지 경계 포함)에 있는 점들로 나누어서 생각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는  ≤    인 정수 중에서  로 나누어떨어지는 정수의 개수


와 같다. 즉  는 집합  ≤    는 정수의 원소의 개수이다. 따라
서    이고
  ⋅      
이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8 ▹


2020학년도 수시기출
[문항1]
▷출제의도
자연수를 여러 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수열의 합을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해 계산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I, 확률과 통계 : 경우의 수, 수열의 합

▷문항해설
방정식이 대칭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한 변수에 대해서만 제곱의 합을 구하면 된다. 나머지 변수에 대한 순서쌍의 개수를 세는
것이 핵심이다. 본 문항에서는 수열의 합을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해 계산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대칭성을 이용해     








 임을 확인한다. 30
문제 1
가능한    의 순서쌍    의 개수를 구한다. 40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해 에 대하여 인수분해된 식으로 나타낸다. 30
* 풀이의 완성도에 따라 적절하게 차등 배점

▷예시답안
  
  가 주어진 집합의 원소이면   의 순서를 바꿔도 주어진 집합의 원소가 되므로 

  

  


 이다.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일 때 가능한    의 순서쌍    는            ⋯      로 총


    개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문항2]
▷출제의도
본 문제는 주어진 도형의 넓이를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하고,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계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
하고자 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II : 합성함수의 미분,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9 ▹


▷문항해설
포물선과 직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정적분을 이용하여 구하고 그 넓이를 주어진 조건을 이용하여 다른 변수의 함수로
표현한 후에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계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정적분을 이용하여 도형의 넓이를 구한다. 80
문제 2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미분계수를 구한다. 20
* 풀이의 완성도에 따라 적절하게 차등 배점

▷예시답안

 
포물선의 초점의 좌표는 F 이다. 점 P 를      라 하자. 점 P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Q 라 하면,

 
PQ     
PQ , 
 FP     이므로, sin        , cos    이다.

   
FP      

  cos    
이 식을 에 관하여 풀면    이고,    이다.
sin      cos 
  
합성함수의 미분법에 의해    ⋅  이다.
  


 
     
  를 에 관한 식으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이다.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일 때,    ,
         

[문항3]
▷출제의도
본 문항은 미적분I의 정적분과 미적분II의 부분적분법에 대한 이해 수준과 그 구체적인 적용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학생들이
문항을 이해하고 풀이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I, 미적분II : 정적분의 정의, 정적분의 활용, 부분적분법

▷문항해설
적분을 이용해 두 곡선으로 둘러싸인 넓이를 계산할 수 있다. 부분적분법을 이용해 함수의 정적분을 구하고, 구간을 등분 하
여 얻은 직사각형의 넓이의 극한값을 정적분의 정의를 이용해 구하는 문제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구간  에서 방정식    sin    의 근을 모두 구하거나      
  sin 를
  
20

언급한다.
   sin    cos 
문제3  
sin   
  
  를 구한다. 20

 의 값을 구한다. 30
 의 극한값을 구한다. 30
* 풀이의 완성도에 따라 적절하게 차등 배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0 ▹


▷예시답안
    
   


sin  이다. 닫힌 구간  에서 방정식    sin   의 근은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에 대해     
  sin    
   sin   라 하면       ⋯   이다.
   

   sin    cos 


부분적분법을 이용하면  
sin   
  
이다.




 

  이므로

 

 
따라서      sin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이므로 수열의 극한값의 대소 관계에 의해 lim ≤ lim 

   이다.
→∞ →∞    →∞   

  , lim 
 
 
 
따라서 lim 

   이고,
→∞    →∞   
 
      
정적분과 급수의 관계에 의해

lim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lim  lim 

⋅ lim    
 lim 
      이다.
→∞ 
→∞    →∞  →∞    

[문항4]
▷출제의도
4-(a) 문제해결에 필요한 이차방정식을 유도하고 적절한 근을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4-(b) 본 문항은 두 면 사이의 각을 나타내는 이면각에 대해 이해하고 그 이면각의 크기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기하와 벡터 : 공간좌표, 공간벡터

▷문항해설
문제 4-(a)는 제시된 그림을 이용해 이차방정식을 유도하고 적절한 근을 찾는 문제이다.
문제 4-(b)는 두 평면 사이의 관계를 이용해 이면각의 크기에 관한 식을 유도하여, cos 값을 구하는 문제이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4-(a) 이차방정식을 유도하고 적절한 근을 찾는다. 30
두 평면 사이의 관계를 이용해 에 관한 식을 유도한다. 50
4-(b)
cos  값을 찾아낸다. 20
* 풀이의 완성도에 따라 적절하게 차등 배점

▷예시답안
(a)
아래 그림에서 정오각형의 성질에 의해 ∆ACF , ∆CDF 는 각각 이등변삼각형이므로  AF 
CF 
CD  이다. 대각선 AC 의
    이고, ∆ACD 와 ∆CDF 는 닮음이므로          이다.
길이를 라 하면 FD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1 ▹


따라서        이고, 대각선의 길이는     
 이다.

(b)

AB  라 하자. 두 면 PAC 와 PAD 의 교선은 선분 AP 이다. [그림 1]과 같이 면 PAC 의 점 C 에서 직선 AP 에 내린 수선
의 발을 Q 라고 하자. 이 때 대칭성에 의하여 직선 AP 는 두 직선 QC , QD 와 수직이다. 그러므로 두 면 PAC 와 PAD 가 이
루는 이면각의 크기는   ∠CQD 이다. [그림 2]와 같이 Q  과 Q  를 직선 AB 와 AE에 내린 수선의 발이라 하면

QC  
Q C  
Q D 
QD 이다.

[그림 1] [그림 2]

[그림 2]의 이등변삼각형 ABC 에서 선분 AC 의 길이가      이므로 ∠BAC  라 하면,



   
  
cos    , sin    이고  Q C    
  sin  이다.
 
 
CM 
[그림 1]의 이등변삼각형 QCD 에서 선분 CD 의 중점을 점 M이라 하면 sin   

  이다.
 QC   
  sin 
    
따라서 cos     sin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이다.
      
 sin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2 ▹


2020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항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에 대하여       인 두 자연수의 순서쌍  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1]   인 것은  ,  , ⋯,  로 모두 개이다.
[2]  ≤  ≤   인 것은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   개이다.
[3]  ≤  ≤   인 것은    ,    , ⋯,    의    개이다.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또 정적분과 무한급수의 관계에 의해    에서 연속인 함수 에 대하여
 
lim   
 → ∞    

      

이므로 치환적분에 의해
   
lim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lim   
 → ∞      

  →∞
 lim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lim 
→∞


     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3 ▹


[문항2]

[예시답안 1]

시각 일 때 삼각형 OPQ 의 넓이는  sin cos  cos 이다.

  cos  cos라 하면 ′   sin  sin sincos  sin sincos  이므로

′   이면 sin  이거나 cos   이다.

      
sin  에서   ,  , ,  , 이고 cos   에서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다.

  
삼각형의 OPQ 의 넓이는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그래프 개형에서

교점의 개수를 세면 총 개이다.

[예시답안 2]

시각 일 때 삼각형 OPQ 의 넓이는  sin cos  cos 이다.

  cos라 하면 cos    이므로 cos  cos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에서 함수   의 그래프와    가 만나도록 하는 정수 의 값과 교점의 개수는   일 때 이고,

      일 때 각각 로, 교점은 모두 개이고 교점의 좌표의 절댓값은 보다 작다.
또  ≤  ≤ 에서   에 대해 cos  인 는 모두 개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4 ▹


보충 supplement)
  
OP 
OQ 이므로 ∠POQ     일 때 삼각형의 넓이는 최댓값  를 갖는 다.
 
  
즉   cos  cos 의 값이   (은 정수) 일 때 이다.

cos  라 하면
  cos  cos cos    cos

 
          
  
이다.   cos는  ≤  ≤ 에서   ≤  ≤ 의 구간을 4번 왕복한다.
 
따라서  ≤  ≤  인 전체구간의  에서 개수를 구하여 4배 하면 된다.
 
       (   ≤  ≤ )의 그래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    
이때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  (은 정수) 인 경우는 7개이다.

따라서 구하는 의 개수는  ×   이다.

[문항3]
점 P      에서 축까지의 거리는    이고 P 에서 축까지의 거리는   이다. 또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1]   일 때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    ≤ 일 때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5 ▹


[3]   일 때

   



  ≥ 
   
이다.

또 방정식     의 근은 , ± 이다.

a) 위에서 보인 바에 의해 의 값의 범위에 따라 가 미분가능하지 않은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위에서 그린 그래프를 보면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는 모든 경우에 대해          이다.

 

보충 supplement)
(a) P 에서  축까지의 거리와  축까지의 거리는 각각 , 이다.
    에서       이므로   와   의 교점은
(i)   이면   ,  ±     ,  ± 
  
(ii)    ≤  이면   ,  ± 
  
(iii)    이면   ,  ± 
이다. 각각의 경우   와 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6 ▹


따라서 미분가능하지 않은 점은 다음과 같다.
(i)   일 때 :   , ±     , ± , ±   
(ii)    ≤ 일 때 :   , ± , ±    
(iii)    일 때 :   , ± 
(b) 위의 그림에서 두 함수    와    의 그래프로 둘러싸인 영역은 의 값이 무관하게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문항4]
직사각형의 네 꼭짓점 중 많아야 한 개가 정삼각형의 변에 있으면 직사각형이 정삼각형 내부에 포함되도록 직가각형의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키울 수 있다. 또 직사각형의 네 꼭짓점 중 개만이 정삼각형의 변에 있으면, 직사각형의 네 꼭짓점 중 많아야
한 개가 정삼각형의 변에 있도록 평행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네 꼭짓점 중 적어도 개가 정삼각형의 변에 있을 때, 직사각형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면 된다.
두 꼭짓점이 한 변에 있는 경우 다른 두 꼭짓점은 이미 삼각형의 다른 두 변에 있거나 다른 두 변에 있도록 키울 수 있다. 따
라서 P 는 선분 AB , Q 는 선분 BC , R 은 선분 CA에 있다고 하여도 무방하다. P 에서 선분 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점 H,

BQ ,   ∠PQB 라 하자.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1] 꼭짓점 S는 삼각형 ABC 의 변 또는 내부에 있으므로
 






∠APQ  ∠PBQ  ∠PQB     ≥  , ∠ARQ  ∠RCQ  ∠RQC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 
 
[2] 
BPsin   
PH 
PQsin이므로 
BP 
PQsin ×  이다.
 

[3]   
BQ 
BH 
HQ 

BPcos   

PQcos이므로 PQ 

 
 sin  cos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7 ▹




sin      

같은 방법으로 
QR 




 
 cos     
QR 
cos
  
 sin    이다. 따라서



sin
PQ 
  
 cos × 
cos
QR 
 
 sin    이고


sin
   cos
   sincos


 cos ×   sin         이므로

sin

   
PQ× 
QR   이다.

  sin

 
또      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sin ≤  이다.
      
따라서 
PQ× 
QR ≤  ×    이고 등호는    ,    또는    ,    일 때 성립한다.
       

그러므로 구하는 최댓값은  이다.

보충 supplement)
직사각형의 변 중에 삼각형의 변과 평행인 것이 있을 때와 평행인 변이 없을 때로 구분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변 중에 삼각형의 변과 평행인 것이 없을 때는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차례로 직사각형→평
행사변형→직사각형으로 변형하면 가장 오른쪽과 같이 정삼각형과 한 변을 공유하고 정삼각형에 내접 할 때의 직사각형의 넓
이가 더 크다.
따라서 가장 오른쪽과 같은 꼴의 직사각형 중에서 넓이가 최대인 경우를 구하면 된다.

 
좌표를 설명하면 P  ,        에서 직사각형의 넓이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최댓값은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8 ▹


2019학년도 수시기출
[문항1]
▷출제의도
문제는 다항식에 대한 문제로 항등식의 개념 및 이차함수와 이차방정식의 관계를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a) 항등식에서 결정되지 않은 계수의 값을 미정계수법을 이용해 구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b) 이차함수의 부호를 이차함수에 대응되는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해 파악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자 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수학I : 항등식의 성질, 이차함수, 이차방정식

▷문항해설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한 미정계수법으로 항등식에서 결정되지 않은 계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이차함수의 그래프와 축의 위
치관계는 이차함수에 대응되는 이차방정식의 판별식  값에 따라 결정이 된다. 이차함수의 2차 항의 계수가 양수일 때  ≤ 
이면 이차함수가 항상  이상의 값을 가지고,    이면 이차함수가 양과 음의 값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본 문항에서는 미정
계수법을 정확하게 구사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이용해 이차함수의 부호를 파악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a) 항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계수를 구함. 20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인 경우  ≤  ≤ 을 구함. 40
(b)
  ,   인 실수 가 존재하는 경우   을 구함. 40
*답안의 논리전개과정의 완성도에 따라 채점자 판단으로 20점 이내에서 가점 또는 감점.

▷예시답안
(a) 항등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이차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삼차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과 ㉡에 의해                 이다. 즉,
           
이므로    또는      이다.
㉡에 의해   ,      이거나     ,    인데,     이고   인 경우에만 주어진 등식을 만족시킨
다.
그러므로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주어진  를 전개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각항의 계수를 비교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것을 풀면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9 ▹


(b) (a)에 의해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라 하자.
  ≥ 이면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이므로, 모든 실수 에 대하여 와 의 부호는 서로 같아야만 한다.
 
이제 두 이차방정식   ,   의 판별식을 각각  ,  라 하면        이다.
 
(i)    ≤  인 경우 ;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다.

(ii)      인 경우 ;
두 방정식   ,    이 각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가지므로, 두 부등식   ,    을 만족시키는 해의 범
위가 같을 때에만    ≥  이다. 그런데 와 의 이차항의 계수가 모두 이므로   ,
즉      와        이다.
따라서    이다.

보충 supplement)
이제                 이다.
 의 계수가 양수 1이므로 함수 의 최솟값을   가   ≥ 을 만족하려면
  의 그래프가 축에 접하거나 축 위에 그려져야 한다.
(i) 의 두 이차인수가 각각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지 않으면 된다.
그러므로            과     의 각각의 판별식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ii) 두 이차인수가 서로 다른 두 실근을 갖더라도 같은 식인 경우
즉     ,        --- 이것을 풀면   

따라서 구하는 집합 (i), (ii)에서       ≤  또는         ≤  ≤  또는    이다.

[문항2]
▷출제의도
본 문제는 확률의 곱셈정리, 덧셈정리와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활용함으로써 주어진 확률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확률과 통계 : 조건부확률, 확률의 곱셈정리

▷문항해설
본 문항의 핵심은 「확률과 통계」의 ‘확률’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사건의 종속의 의미를 이해하고 확률
의 곱셈정리와 덧셈정리를 활용하여 사건의 확률을 구하는 풀이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 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곱셈정리를 이용하여 확률을 계산하는 법을 이해한다. 30
조건부 확률의 곱셈정리를 이용하여 A가 번 만에 당첨 제비를 뽑을 확률을 과 에 관한 식으로
30
문제 2 표현한다.
확률의 덧셈공식과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이용하여 사건의 확률을 계산한다. 40
*답안의 논리전개과정의 완성도에 따라 채점자 판단으로 20점 이내에서 가점 또는 감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0 ▹


▷예시답안
A는 최대   회 까지 제비를 뽑을 수 있다. 당첨 제비를 ○, 비당첨 제비를 ✕로 나타내면 A가 당첨 제비를 뽑는 경우와 확
률은 다음 표와 같다.

횟수 A B A B A ⋯ A B A 확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가  ≤  ≤   번 만에 당첨 제비를 뽑을 확률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A가 당첨 제비를 뽑을 확률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A가 처음으로   번째에 당첨 제비를 뽑을 확률은
  P                
 ×   × 
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의 값은 1, 2,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확률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1 ▹


[문항3]
▷출제의도
본 문항은 공간도형을 공간좌표와 공간벡터로의 바꾸어 해석하는 이해 수준과 그 구체적인 적용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제시문을 읽고, 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기하와 벡터 : 공간좌표, 공간벡터

▷문항해설
정다면체로 주어지는 공간도형을 기본으로 해서 주어진 공간도형을 공간좌표로 다루고, 그것을 이용하여 공간좌표에서의 점,
두 점사이의 거리 등의 계산하는 능력을 확인한다. 본 문항의 핵심 내용은 「기하와 벡터」의 ‘공간도형’, ‘공간벡터’ 단원에서 다루
어진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공간좌표를 도입하여 , , , ,  또는 , , , , 에 대한 관계식을 3개 모두 옳게 구한 경우 50
, 까지 모두 옳게 구한 경우 20
문제 3
cos까지 , 를 옳게 사용하여 나타낸 경우 30
*답안의 논리전개과정의 완성도에 따라 채점자 판단으로 20점 이내에서 가점 또는 감점.

▷예시답안
그림과 같이 사면체 ABCD 를 점 C 가 원점, 반직선 CA가 축의 양의 방향, 반직선 CB 가 축의 양의 방향이 되도록 공간좌
표에 놓고, 점 D 에서 평면 ABC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  이라고 하자. 이때 A  이고 B  이다.

직각삼각형 CDH에서 ∠CDH   이므로 


CH  sin  이고, 
DH  cos  이다.

한편 
CH     이므로
     sin   - - - - - ㉠

이다. AH       , ∠DHA가 직각이므로
         cos - - - - - ㉡

이다. 
BH       이고, ∠DHB 가 직각이므로
         cos - - - - - ㉢
이다.
     
㉠과 ㉡을 연립하여 풀면    이고, ㉠과 ㉢을 연립하여 풀면    이다.
 


     
따라서 점 D 의 좌표는 D     cos  이고, 
 


CD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cos     이다.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2 ▹


보충 supplement)
오른쪽 그림과 같이 C 를 원점, A를 축 위에, B 를 축 위에 잡아
공간좌표를 설정하자.
A   , B   , C   , D    
라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것을 풀면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평면 ABC 의 법선벡터는    이고 
      이므로
CD
 ⋅
  CD

      
cos         

CD
   

[문항4]
▷출제의도
본 문제는 주어진 사각형의 넓이를 한 변수의 함수로 표현하고 지수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함수의 극댓값 및 최댓값을 구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출제범위 (핵심개념 및 용어)


미적분II : 함수의 극댓값 및 최댓값

▷문항해설
주어진 문제를 함수로 바꾼 후 이를 미분하여 극대극소 더 나아가 최대최소를 구하는 것은 수학 및 공학에서 활용되는 가장
기초적인 사항이다. 본 문항은 사각형의 면적을 지수함수가 들어가는 함수로 표현한 후 지수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극댓값을
구한 후 주어준 구간에서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
   ≤  
임을 보인 경우 (+90점) 100

문제 4 추가로     의 최댓값까지 구한 경우 (+100점)



편미분을 이용하여    의 최댓값을 구한 경우 (+50점)
*답안의 논리전개과정의 완성도에 따라 채점자 판단으로 20점 이내에서 가점 또는 감점.

▷예시답안
그림과 같이 두 직사각형  ,  가 한 변에서 맞닿아있고, 직사각형  의 오른쪽 변이 직선   에 있으며, 각 직사각형의
한 꼭짓점이 곡선     에 있을 때 두 직사각형 넓이의 합이 최대가 될 수 있다.
    인 실수 에 대하여 두 직사각형이 직선   에서 맞닿아 있다고 가정하자.  의 왼쪽 변이 놓인 직선의 좌표를
  ≤   라 하면        이다.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를       이라 하자.
그러면  ′          이고,  ′    의 해는      이다.

 ⋯  ⋯
 ′    
 ↗ 최대 ↘

따라서 의 최댓값은        이므로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3 ▹



한편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를          라 하자.
  
 
  
그러면  ′          이고,  ′    의 해는      이다.


 ⋯   ⋯

 ′    
 ↗ 최대 ↘
 

 
   
따라서 의 최댓값은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한편  의 왼쪽 변이 직선    에 있고,  의 왼쪽 변이 직선             에 있을 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의 최댓값은  이다.

보충 supplement)
오른쪽 그림과 같이 두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를  , 라 놓자.
일단 를 고정하고  ≤   일 때  의 최댓값을 알아보자.
        , ′        
(i)    ≤ 이면  ′   이므로 는 감소함수이다.
따라서   에서 최댓값   를 갖는다.
(ii)     이면     에서 는 극댓값(즉 최댓값)
        을 갖는다.

이제       라 하면
(i)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는 증가함수이다.

(ii)     

   

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면  ′   , 즉 이 구간에서 는 증가한다.


      이면  ′   , 즉 이 구간에서 는 감소한다.






 
따라서 는     일 때 최댓값         
을 갖는데, 이 값이 구하는 값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4 ▹


2019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항1]
   ( 은 자연수)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성립함을 보이자.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즉,   , , ⋯, 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이다.
그리고   이면 위 부등식은 성립한다.      ( 은  이상의 자연수)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이다.

[문항2]
(a)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한편  ≤  ≤ 이면    ≤  ≤     이고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5 ▹


(b)  은 적분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문항 (a)의 첫 번째 부등식에 의해


 
 ≤ 

  ln 

이다.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문항 (a)의 두 번째 부등식에 의해
   
 ≥ 
 
    ln   
     
이다. 따라서

ln    ≤  ≤ ln 
  
이므로 수열의 극한값의 대소 관계에 의해 lim   ln 이다.
 →∞

[문항3]
(a)     인 순서쌍  는  ,  ,  으로 개이며, 그 사건을 각각  ,  ,  라 하자.    를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라 할 때,     인 경우의 수는        이다.     인 경우에, 모든 주사위
의 눈이 씩 더 나온다면     인 경우가 된다.       이다. 같은 방법으로       이다. 따라서
    인 경우의 수는
⋅   ⋯⋯①
이다.   를 구하기 위해 다음의 사건을 정의하자.
∙   주사위를 번 던져서 나온 모든 눈이  이상  이하인 사건
∙   주사위를 번 던져서 나온 모든 눈이  이상  이하인 사건
∙   주사위를 번 던져서 나온 모든 눈이  이상  이하인 사건
이때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또한     ,     ,      이고  ∩ 는 주사위를 번 던져서 나온 모든 눈이  또는 인 사건이므로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식 ①에 대입하면     인 경우의 수는
⋅  ⋅   
이다.

∩  
(b)     인 사건을  , 처음 던진 주사위의 눈이 가 나온 사건을  라 하자. P ∩    
이고 P     이므
 
로, 처음 던진 주사위의 눈이 가 나왔을 때,     일 확률은
P∩   ∩ 
P      
P    
이다. 처음 던진 주사위의 눈이 가 나왔을 때,     인 순서쌍  는   또는  이어야 한다. 즉, 사건 ∩
가 일어나는 경우는 첫 번째 주사위를 던진 이후에 주사위를   번 던져 나온 눈의 최솟값과 최댓값의 순서쌍이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6 ▹


 ,  ,  ,  일 때이다. 이 때, 각각의 사건을  ,  ,  ,  ,  라 하자. 그러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P  
  
이다.  은   번 던져 나온 모든 주사위의 눈이 가 나오는 사건이므로     이다.  , ⋯,   를 문항 (a)와
같은 방법으로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처음 던진 주사위의 눈이 가 나왔을 때,     일 확률은
⋅        

  
이다.

[문항4]
(a) 원뿔을 모서리 AB 를 따라서 전개하면 오른쪽 그림과 같은 부채꼴이 된다. 원뿔에서 점 P 가 점 B 에서 점 C 까지의 최단거
리 곡선에 있으므로, 점 P 는 전개도에서 선분 BC 에 있다.   ∠ABC ,   ∠BAC ,   ∠BPA라 하자. 부채꼴의 호의 길

이와 밑면인 원의 둘레의 길이가 같으므로  ×    × 이 성립한다. 그러므로    이다.


AC   
또한, tan        이므로    이다.
AB   
 
가 에서 까지 변할 때, ∠BAP 는 에서  까지 변하므로, 비례식에 의하여 ∠BAP  이다. 이때
 
  
           이다.
  
이제 선분 BP 의 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점 B 에서 직선 AP 에 수선을 내리고 그 수선의 발을 Q 라 하자. 직각삼각형 AQB 에
 
BQ 
BQ 
서 sin      이므로 
BQ sin  이다.
 
AB  

  sin 
BQ  BQ 
그리고 직각삼각형 BQP 에서 sin   sin     
 이므로 BP    이다.
BP sin   
sin   
   

sin 

(b) 문항 (a)에 의하여     이다. 이를 에 대하여 미분하면 다음을 얻는다.
 
sin   
   


 
 
 
 

   
 cos  sin     sin  cos   
     sin    
 
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이므로  ≤    ≤  이다. 이 범위에서      일 때, 즉,    일 때 sin     는 최
   

댓값 을 갖고, 이때  는 최솟값 을 갖는다.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7 ▹


2018학년도 수시기출
[문항1]
▷출제의도
본 문제는 정적분의 활용으로써 주어진 구간에서의 정적분 값이 두 곡선 사이의 넓이임을 이해하고 그 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1-1) 치환적분법을 이용하여 정적분의 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1-2) 정적분의 활용으로써 주어진 구간에서 두 곡선 사이에 있는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문항해설
평면도형의 넓이와 입체도형의 부피를 구할 때 정적분은 유용하게 활용된다. 본 문항의 핵심 내용은 「미적분Ⅱ」의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과 ‘정적분의 활용’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주어진 구간에서의 정적분과 두 곡선 사이의
넓이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정적분의 값을 치환적분법을 활용해서 정확하게 구할 수 있는지를 풀이 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치환적분법을 활용할 수 있다 20
[1-1]
- 삼각함수들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10

- 정적분이 두 곡선사이의 넓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50


[1-2]
- 그 넓이를 구할 수 있다. 20

▷예시답안
1-1)

  tan         라 놓으면 




  
 sec   tan    이고,   일 때   ,    일 때    이므로

 
  sec 
    

 

       
 
  tan     
이다.

1-2)

함수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이 그림 1과 같으므로,  의 값은 그림 2의 어두운 부분의 넓이와 같다.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한편   

    이고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8 ▹


[그림 1] [그림 2]

[문항2]
▷출제의도
본 문제는 공간도형을 공간좌표와 공간벡터로의 바꾸어 해석하는 이해 수준과 그 구체적인 적용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다.
1) 기본적인 공간좌표와 공간벡터의 도구를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이다.
2) 정사영의 개념을 구체적인 도형에 적용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문항해설
정다면체로 주어지는 공간도형을 기본으로 해서 주어진 공간도형을 공간좌표로 다루고, 그것을 이용하여 공간좌표에서의 점과
두 점사이의 거리와 선분의 내분점 및 무게중심 등을 계산하는 능력을 확인한다. 주어진 도형을 공간벡터를 활용해서 이해하고
다루는 내용이다. 공간도형과 공간좌표와 공간벡터를 다루는 총괄적으로 다루는 능력을 확인하고, 특별히 그림자와 정사영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정사영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정리를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정사영된 도형을 분석하고 다루는 내용이다. 본
문항의 핵심 내용은 「기하와 벡터」의 ‘공간도형’, ‘공간벡터’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따라서 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제시문을 읽
고, 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벡터의 기본개념과 무게중심을 활용하여 좌표를 구할 수 있다. 20


[2-1]
- 내적의 기본계산을 보일 수 있다. 10

- 평면과 벡터의 수직을 이해하고 정사영의 기본개념을 활용할 수 있다. 20


[2-2]
- 정사영 된 도형을 분석하고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50

▷예시답안
2-1)
네 점  ,  ,   가      ,     ,    ,     이 되도록 좌표축을 정하자.
이때,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이고,     
 이다.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2)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평면  와 벡터 
 
는

서로 수직이다. 마찬가지로 평면  도 벡터  에 수직이다. 따라서 평면 는 평면


 와 평면  에 각각 평행하다. 벡터 
와 평면 가 서로 수직이므로 두 점  ,
 의 평면  위로의 정사영은 일치한다. 여섯 점  ,  ,  ,  ,  ,  의 평면  위로의 정
사영을 각각  ′ ,  ′ ,  ′ ,  ′ ,  ′ ,  ′ 라 하면, 두 삼각형  ′  ′  ′ 과  ′  ′  ′ 은 한 변
의 길이가 이고 무게중심이 일치하는 정삼각형이다. 정사각형  의 정사영
 ′  ′  ′  ′ 은 마주보는 두 쌍의 변의 길이가 각각 같으므로 평행사변형이다. 따라서 다각형
 ′  ′  ′  ′  ′  ′ 은 정육각형이고 이것이 정사팔면체의 그림자이다. 삼각형  ′  ′  ′ 의 무
 
 ′  ′  이므로 
게중심을 라 하면   ′   이고, 정삼각형  ′  ′ 의 넓이는 
 
이다. 그러므로 구하는 그림자의 넓이는   이다.

[문항3]
▷출제의도
본 문제는 이항분포의 확률과 이항정리의 공식을 활용함으로써 주어진 확률변수의 기댓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다.

▷문항해설
독립시행의 확률은 통계 영역의 이항분포를 도입하여 다룰 수 있다. 본 문항의 핵심은 「확률과통계」의 ‘확률분포’와 ‘이항정리’ 단
원에서 다루어진다. 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이항분포의 확률과 이항정리 공식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이항분포의
확률 및 확률변수의 평균을 구하는 풀이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 할 수 있는지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확률변수의 평균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다. 10


[3] - 독립시행의 확률을 구할 수 있다. 40
-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이항분포 확률의 합을 구할 수 있다. 50

▷예시답안
주사위 개를 동시에 던질 때,  또는 의 눈이 나오는 주사위의 개수가 홀수일 확률 와 홀수가 아닐 확률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이항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이고,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0 ▹


[문항4]
▷출제의도
본 문제는 등비수열, 합의 기호와 지수함수의 뜻과 그래프를 이해하고 주어진 수열을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해서 해석하고
등비수열의 합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문항해설
수열을 이해하고 그 합을 계산하는 것은 수학II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며 수학 및 공학에서 활용되는 기초적인 수학적
지식이다. 본 문항은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주어진 수열을 해석하고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등
비수열의 합을 계산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본 문항의 핵심 내용은 「수학II」의‘등비수열’과 ‘수열의 합’, 「미적분II」의 ‘지수함수와
그 그래프’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고 주어진 수열을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해석한다. 50
[4] - 지수함수들과 직선의 교점을 계산한다. 20
- 등비수열의 합을 계산한다. 30

▷예시답안


그림과 같이 좌표평면에서 연립부등식  ≤  ,  ≤  ,  ≥ 의 영역을  라 하자.  ≤ 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과  ≤  을 모두 만족시키는 점  , (, 는 자연수)는 영역  에 속하고,  ≠ 이면 두 곡선    
,  
  
은 만나지 않는다.

한편 영역  에 있는 점   (, 는 자연수)에 대하여    라 두면  ≤  이고 점  는 곡선    에 있으며


 ≤  이다. 따라서   는 영역  에 포함되는 점  , (, 는 자연수)의 개수와 같으므로 그 점의 개수를 구하면 된다.


    
 ≥ 이면  ≤  
≤   이므로  ≤  을 만족시키는 두 자연수 , 의 순서쌍  가 존재하지 않는다.
  

또한    이면        이므로     이다.


따라서 두 곡선    ,    의 교점의 좌표는 보다 크고 보다 작다.

따라서 자연수 에 대하여  ≤  ≤ 이면  ≤  ≤  인 자연수 의 개수는  이고,

 ≤  ≤ 이면  ≤  ≤         인 자연수 의 개수는      이다.

 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1 ▹


2018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항1]
그림과 같이 점 P 에서 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고, ∠PO′H   라 하자. (단, O′  이다.)

이제 AP 라 하자. 그러면 두 직각삼각형 PAH와 PHO′ 으로부터 


PH   sin   sin 이고 
AO′   cos   cos 인데,

AO′  이므로
  cos   sin       cos     sin  
이다. 그리고 이차방정식   cos      을 풀면
  cos  ± 
cos   
이다. 그런데 직선은 원과 두 점에서 만나야 하므로 의 값은 직선이 원에 접할 때의 각 보다 작아야 한다. 원의 반지름이
이고 AO′  이므로
 
  cos   

이다. 따라서 cos     이고, lim   이므로   cos   
cos    이다. 그러므로

 →

 cos     cos      cos  


lim   lim   lim 

 →   cos     cos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sin   
이고, lim   lim   lim    , lim   이므로

 →  
 →     cos  

 →     cos  
   →  cos     
cos    

  
lim  

 →
 
이다.

[문항2]
A    , B    , C   , D    이고, 꼭짓점 V의  좌표가 이 되도록 좌표축을 정하자. 그러면
O   이고, 두 점 A, C 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이므로 V   (  ≤ )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P    , Q    이므로   
OP∙ OP  
OQ    이다. 그리고   OQ  
     ,      
이므로 내적의 정의에 의해
  
cos∠POQ   
     
     
이고, cos∠POQ    이다.
이제       라 하면  ≤ 이므로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의 최솟값이  이므로 cos∠POQ  의 최솟값은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2 ▹


[문항3]

(a) A가 공을 채워 넣은 후 주머니에 빨간 공이 2개일 확률은, 흰 공을 꺼내고 빨간 공을 넣어야 하므로  이고,

흰 공과 빨간 공이 각각 1개일 확률은, 빨간 공을 꺼내고 빨간 공을 넣거나 흰 공을 꺼내고 흰 공을 넣어야 하므로
   
    이며, 흰 공이 2개일 확률은 빨간 공을 꺼내고 흰 공을 넣어야 하므로  이다.
    
B가 공을 채워 넣은 후 주머니에 흰 공과 빨간 공이 각각 1개인 경우는, A가 공을 채워 넣은 후 주머니에 있는 흰 공의 개수
에 따라 다음의 3가지 경우가 있다.

(i)   인 경우: 흰 공을 넣어야 하므로 확률은  ⋅  이다.

(ii)   일 경우: 빨간 공을 꺼내고 빨간 공을 넣거나, 흰 공을 꺼내고 흰 공을 넣어야 하므로 확률은


  

⋅  ⋅   ⋅     이다.
  

(iii)   일 경우: 빨간 공을 넣어야 하므로 확률은  ⋅이다.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이다.

    
(b) 같은 방법으로 B가 공을 채워 넣은 후 주머니에 빨간 공이 2개일 확률은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값은  ⋅              이다.
 

[문항4]

(a) ′       ln 이고 ′′       ln ln이다. 따라서    일 때 ′   이고
ln

 
ln  
       ln   
ln 

log
ln

  이므로, 함수  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ln

 
 ⋯  ⋯  ⋯ 0 ⋯
ln  ln 
′  - - - 0 + 1 +

′′  - 0 + + + + +
 
    0
  ln   ln 
 
그런데     이므로   log      이고     이다. 또한 lim   이고 lim   ∞이므로, 함
ln   ln   → ∞  →∞
수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다.

(b) 고정된 정수 에 대해서 어떤 구간에 포함되는 모든 가  ≤      을 만족시키면


 ∘              
이므로, 주어진 그 구간에서    ∘ 의 그래프는   의 그래프를 축으로  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와 같다. 따
라서 함수  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아래 그림과 같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3 ▹


(i)   일 때,  ∘       이므로   에서    ∘ 의 그래프와    의 그래프와의 교점의 개수는 1이
다.

(ii)  ≥ 일 때,    ,       , ′   이므로  ≥ 에서    ∘ 의 그래프와    의 그래프와의 교점의

개수는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4 ▹


2023학년도 수리논술 대비

기출해설집 II
(2017~2010)

수학연구소
(배기은 ․ 송명관 ․ 유홍조 ․ 나동혁)
2017학년도 수시기출
[문항1]
▷출제의도
본 문제는 타원과 직선이 만나는 점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1-1) 직선과 타원이 만나는 점을 구하고 타원위의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1-2) 직선과 타원이 만나는 점을 구하고 삼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
고자 한다.

▷문항해설
직선과 타원이 만나는 점의 좌표를 구하는 것과 넓이의 최댓값을 구하는 미분법은 수학 및 공학에서 활용되는 가장 기초적인
문제이다. 본 문항의 핵심 내용은 「수학I」의 ‘방정식과 부등식’과 ‘도형의 방정식’, 「기하와 벡터」의 ‘이차곡선’, 「미적분II」의 ‘미분
법’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따라서 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제시문을 읽고 직선과 만나는 점의 좌표를 구할 수 있는지, 두 점 사
이의 거리를 구해 삼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는지, 풀이 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직선과 타원이 만나는 점을 구할 수 있다. 20


1-1)
직선과 가장 멀리 떨어진 타원 위의 점을 찾고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20

직선과 타원이 만나는 점을 구하고 함수로 표현할 수 있다. 30


1-2)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 30

▷예시답안
   
1-1) 점  와 직선   사이의 거리를 라 하면 삼각형  의 넓이  는    ∙ 
 ∙  이다.   와     를
  
    
  
 

연립하여 풀면         또는 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그리고 점  에서의 접

 
선의 기울기가 일 때 삼각형  의 넓이가 최대가 된다. 이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기 위해     를     에 대입
 
하여 정리하면         이고, 이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 라 할 때      ∙  ∙     에서


 
 ± 이고 점  의 좌표는    
   또는       이다. 따라서 의 최댓값은 

이므로 구하고자 하는  의 최댓값은


 이다.


1-2) 점  와 직선     사이의 거리를 라 하면 삼각형  의 넓이  는    ∙ 
 ∙ 이다.     를

 
 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이다. 이 이차방정식의 두 근을 , 라 놓으면 
  
   
 
이다.   를 근과 계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이다. 일반성을 잃지 않고  ≤ 라 하자. 그러면 점  의 좌표는     일 때
  

 가 최대가 되고, 이때 점  와 직선      사이의 거리는  이다. 이를 이용하여  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구간   에서 함수         의 최댓값을 구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는    에서 극대가 되고 최대가 된다. 따라서  의 최댓값은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문항2]
▷출제의도
본 문제는 확률변수 가 이항분포 를 따를 때, 평균과 분산을 과 를 이용해서 나타낼 수 있음을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는지를 평
가하고자 한다.
2-1) 이항정리를 활용해서 평균     임을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2-2) 이항정리를 활용해서 분산        임을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문제이다.
이항분포는 통계에서 다루는 이산확률분포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확률분포로 실생활에서 통계를 적용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내
용이다. 본 문항의 핵심 내용은 「확률과 통계」의 ‘확률분포-이산확률변수’, ‘순열과 조합-이항정리’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어느 시
행이 오직 두 가지 가능한 결과만을 가질 때, 한 번의 시행에서 사건 A가 일어날 확률을 라고 하면, 번의 독립시행에서 평
균과 분산을 이항정리를 활용해서 과 로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문항을 통해 학생들이 제시문을 읽
고, 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이항정리를 활용할 수 있다. 20


2-1)
평균을 구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다. 30

이항정리를 활용할 수 있다. 20


2-2)
분산을 구하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다. 30

▷예시답안
2-1) 이하의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


2-2)  ≤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문항3]
▷출제의도
본 문제는 벡터의 수직과 벡터의 내적 같은 기본적인 평면 벡터의 성질의 이해 수준과 그 구체적인 적용 능력을 평가하고자 한
다. 본 문항의 핵심 내용은 「기하와 벡터」의 ‘평면벡터’ 단원에서 다루어진다. 삼각형의 수심의 위치 벡터를 벡터의 수직과 벡터
의 내적 같은 기본적인 평면 벡터의 성질을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풀이 과정을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지
를 평가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벡터의 수직과 내적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연립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80


3)
, 의 값을 구할 수 있다. 20

▷예시 답안

⊥
이고 
⊥
이므로,  
 
∙ 
 이고,   
∙  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두 식을 연립하여 풀면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


[문항4]
▷출제의도
본 문제에서는 등차수열과 수열의 합을 이해하고 특정한 조건이 있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4-1) 등차수열의 조건을 이해하고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수열의 합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
하고자 한다.
4-2) 전체집합과 차집합 그리고 그것의 원소의 개수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해서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한다.

▷채점기준

하위문항 채점 기준 배점

조건 (1)과 (2)를 이용하여 첫째항과 공차의 관계와 조건을 표현할 수 있다. 30


4-1)
 을 구할 수 있다. 20

 ∈  인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40


4-2)
 을 구할 수 있다. 10

▷예시답안
4-1) 조건 (1), (2)를 모두 만족시키는  의 원소를 첫째항 와 공차   ≥ 로 나타내면
,   ,   ,   ,    (, 는 정수)
이므로
  ≤ ,    ≤ 
이다. 따라서 는   일 때 최댓값 을 가지므로  ≤  ≤ 이고,   일 때 는   ≤  ≤   인 정수이므
로 가능한 의 개수는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이다.

4-2) 조건 (1), (2)를 모두 만족시키는  의 원소를


  ,     ,     ,     ,      (, 는 정수,  ≥ )
라 두자. 이제 조건 (1), (2)와 ∈ 를 모두 만족시키는 집합  의 개수를  이라 하면
    
이다.
   
(i)   이면  ≤  ≤ 이므로 가능한 의 개수는 이 짝수일 때  , 이 홀수일 때 
 
(ii)   이면  ≤  ≤ 이므로 가능한 의 개수는 
(iii)   이면  ≤  ≤ 이므로 가능한 의 개수는 
(iv)   이면 대칭성에 의해   일 때와 같으므로 가능한 의 개수는 
   
(v)   이면 대칭성에 의해   일 때와 같으므로 가능한 의 개수는 이 짝수일 때  , 이 홀수일 때 
 
따라서
은 짝수
  
   은 홀수
이므로

    
    
은 짝수
은 홀수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


2017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항1]
(a)
삼각함수의 덧셈정리에 의해
 
sin   cos   
 
 
 sin     
   
이므로     의 범위에서 이를 풀면
     또는     
이다. 또한     의 범위에서             의 해는
     또는     
이다. 따라서
   ∪ ∪ 
이다.

순서쌍  가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면, 와 가 모두 홀수 혹은 모두 짝수이고, 또한 다음의 두 가지 경우 중 하나이다.

(i) 와 가 모두   또는   또는  에 포함되는 경우


(ii) ∈ 이고 ∈  또는 ∈ 이고 ∈ 인 경우

한편  ,  ,  에는 각각 개의 홀수와   개의 짝수가 있다.

따라서 (i)인 경우 순서쌍  의 개수는 각 세 집합에서 동시에 두 홀수를 선택하거나 혹은 동시에 두 짝수를 선택하는 경우
의 수인데   와    두 가지 경우가 있으므로 전체 경우의 수는
⋅⋅ C     C  
이다.

(ii)인 경우 순서쌍  의 개수는 ∈ 이고 ∈ 인 경우 동시에 홀수 혹은 짝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와
∈ 이고 ∈ 인 경우 동시에 홀수 혹은 짝수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의 합이므로 전체 경우의 수는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b)
자연수 에 대해서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문제의 식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


[문항2]


AB ∙ 
AC   
OB   ∙ 
OA OC  
OA


OA ∙   
OA  
OA∙ OB  
OC  
OB∙ 
OC

 
OA  
OB
이므로    
OA  
OB 이다.

(a)   에서 
OA 
OB 이므로 타원의 대칭성으로부터 점 A와 점 B 는 축 또는 축 대칭이다.
따라서 점 A와 점 B 는 축 또는 축 대칭이고, 직선 OA와 직선 OB 가 서로 수직이므로 직선 OA와 직선 OB 의 기울기 중
하나는 이고 다른 하나는  이다. 그러므로 점 A는 주어진 타원과

직선   의 교점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는

주어진 타원과 직선   의 교점인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  

(b) 가 최대가 되려면  


OA의 길이가 최대이고, 
OB의 길이가 최소가 되며 두 벡터가 수직이어야 한다.
점 A가 장축에 있고 점 B 가 단축에 있을 때, 조건을 만족하며 최댓값    을 가진다. 같은 이유로 점 A가 단축에 있고 점
B 가 장축에 있을 때, 조건을 만족하며 최솟값은    을 가진다.

[문항3]
(a) (총 40점)
함수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곡선    와 직선    가      에서 접하므로    이고     이다.

따라서 
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구하는 최솟값은   ,   ,   일 때 이다.

(b) (총 60점)

함수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이다.

삼차함수와 직선으로 둘러싸인 두 영역의 넓이가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함수 의 한 부정적분 함수를   라 하자.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7▹


그러면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   ≠  이므로   이다. 따라서     이다.
  

[문항4]

    sin ,     cos 라고 하자.      이므로        이고  의 범위도     이다.

주어진 부등식은      가 된다.
함수   ln가 증가함수이므로 이 부등식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여도 부등호의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 ln    ln 
와 동치이다.
  이고   이므로 위 부등식을  로 나누어도 부등호의 방향은 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주어진 부등식은
ln  ln 
  (1)
 
와 동치이다.
이 부등식을 풀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를 생각하자.
ln
     

이 때, 부등식 (1)은
      (2)
와 같다.
를 미분하면
  ln 
′   

이다.     에서 ′   이므로 는      에서 증가한다.

그러므로 주어진  ,  의 범위에서(     ,      ) 부등식 (2)는    와 동치이다


  
     에서 부등식     sin       cos 을 풀면 구하는 범위는      이다.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8▹


2016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총 100점/30분)
▷출제의도
확률분포에 대한 이해능력, 초월함수의 적분 및 극한 계산능력의 측정

▷문항해설
(a) 확률밀도함수의 성질을 알고 기본적인 계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       ≤  ≤ 가 확률밀도함수이므로    


  이다.


기본적인 계산을 통해   ln    을 구할 수 있다.
  
(b) E   의 뜻을 알고, 초월함수의 적분 및 극한을 구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
   
E    


를 계산하면  ln      ln     이다. 이 극한을 구하면 E    이다.
      
▷예시답안
(a) 가 확률밀도함수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ln    이다.
  

(b) E      이므로

 
ln    ⋅         
ln     
E    




ln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ln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ln      ln       
  

   


 ln      ln     
   
   
이다. 또한 limE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limE   lim  ln      ln       
 lim   ln        ln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9▹


[문제 2] (총 100점/30분)
▷출제의도
로그함수와 수열의 이해능력, 분석 및 추론능력의 측정

▷문항해설
(a) 로그함수와 수열의 이해능력을 바탕으로 문제해결을 위한 분석 및 추론능력의 측정
 
  일 때 순서쌍의 개수는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이다.
 

(b) 수열의 극한에 관한 기본성질을 알고, 이를 활용하여 수열의 극한을 구하는 능력의 측정

      


 lim   이다.

  
  



 
lim   lim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예시답안
(a)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관계로부터   은 연립부등식
 ≥ ,  ≤  ≤     
을 만족하는 모든 정수의 순서쌍  의 개수와 같다. 따라서 는  ≤  ≤ 인 정수이고,
  일 때  ≤  ≤   
이므로, 이 때 순서쌍의 개수는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b) log 의 가수를  라 하면 log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   이고
 
 
lim    lim  이므로 lim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lim     이다.

  
  



 
    
lim   lim 
      
  
 
 log 
       
 →∞    →∞ →∞
  
 


[문제 3] (총 100점/30분)
▷출제의도
일차변환과 행렬 및 삼각함수의 이해능력과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

▷문항해설
(a) 일차변환의 성질을 알고, 중간값정리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측정
일차변환에 의하여 점  은 점 sin   sin   sin으로 옮겨지고 이 점은 부등식         ≤ 을 만족하므로
sin       sin   sin     sin   sin   sin   ≤ 
이다.   sin로 놓으면   ≤  ≤ 이고, 위 부등식은      ≤ 이 된다.
      라 하면 방정식   은 양의 근을 오직 개만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양의 근을 라 하면 부등식

 ≤ 의 해는  ≤  ≤ 이다. 이때

  
     이고
 
    이므로 중간값의 정리에 의하여

    이다.

(b) 삼각함수의 공식을 알고, 식을 간결하게 변형하고 미분을 하여 최댓값을 구하는 능력을 측정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0 ▹


삼각함수 배각의 공식을 이용하면
  cos sin   sin  cos  sin   sin   sin  
이므로   sin라 하면 주어진 식은         이다.
  ≤ 에서 의 최댓값을 구하면 이다.

▷예시답안
(a)
일차변환에 의하여 점  은 점 sin   sin   sin  으로 옮겨지고 이 점은 부등식         ≤ 을 만족하므

sin       sin   sin     sin   sin   sin   ≤ 
이다.   sin로 놓으면   ≤  ≤ 이고, 위 부등식은
     ≤ 
이 된다.       라 놓으면 ′              이므로 의 극댓값은 존재하지 않고 의 극솟값
 
은    일 때   이다. 이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보면 방정식   은 양의 근을 오직 개만 갖는 것을 알 수 있
 
 
 
다. 이 양의 근을 라 하자. 그러면 부등식  ≤ 의 해는  ≤  ≤ 이다. 이때      이고     
 
이므로 중간값의 정리에 의하여    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  sin ≤   이다.

(b)
삼각함수 배각의 공식을 이용하면
  cos sin   sin  cos      sin sin  sin    sin 
 sin   sin   sin  
이 된다.   sin라놓고,         라 하자.

′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는    일 때 극솟값을 갖는다.

 ≤  ≤ 이므로 는    또는   에서 최댓값을 갖는다.   이고     에서 는 증가하며
    이므로       이다. 그러므로 는   일 때, 최댓값 을 갖는다.
따라서   cossin  sin  cos의 최댓값은 이다.

[문제 4] (총 100점/30분)
▷출제의도
벡터의 성질과 기본 계산능력을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측정

▷문항해설
벡터의 성질과 기본 계산능력을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측정
   
PA⋅ PB 
PB⋅
PC 
PC⋅
PA로 놓자. 계산을 통해  는 P 가 ∆ABC 의 무게중심일 때 최솟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    
이때 최솟값을 구하면   이다.

    
또 점 P 가 무게중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꼭짓점일 때  가 최댓값을 가지므로  의 최댓값은 P  A일 때  이다.

▷예시답안
좌표평면에서 A , B  , C ,
P 라 하자. 이 때
     ,
PA

PB     ,

PC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1 ▹


  
PA⋅ PB PB⋅ PC PC⋅ PA로 놓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점 G    는 삼각형 ABC 의 무게중심이므로 삼
 
각형 내부의 점이다.
     
따라서  의 최솟값은 P  G 일 때    이다.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과        이다.
따라서  의 최솟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   
 

 
GP     
       이므로 점 P 가 무게중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꼭짓점일 때 가 최댓값을 가진다.
    
P  A일 때    cos  

    
P  B 일 때   cos  

    
P  C 일 때    cos   이다.

    
그런데  ≤  ≤ 이므로  의 최댓값은 P  A일 때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2 ▹


2016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제 1] (100점)
(a) 정 각형의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라 하면 코사인 법칙에 의해
 
       cos  ,   
 
  cos 

sin 

 
 
  






  cos 

이므로     ∙   sin    ∙  ∙ sin     이다.


 

  cos 
(20점)
 

 cos 
       
또 sin   sin  cos  ,   cos   sin   이므로 lim   lim     이다. (30점)
     →∞  →∞   
sin 

※별해 - 중심에서 변에 수선을 내리면 개의 직각삼각형을 얻게 된다. 따라서



 
    
    cot    cot  , lim   lim  cot   
   →∞  →∞   


(b) 외접하는 원뿔의 높이를   , 밑변의 반지름의 길이를 , 빗변의 길이를   이라 하면 원뿔의 부피는  이고,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이고      이다. (30점)
         
 

  
또          ≥     ∙     이고 등호는   일 때 성립하므로 구하는 값은  이다. (20
   
점)

[문제 2] (100점)

(a)     ln   라 하면   이고,   일 때 ′        이므로    이다.
 
  ln   
따라서   일 때      이다. (20점)

  ln    
또   일 때 ln     이므로   이다.
 
 
이제    라 하면 ′        이므로 는   에서 최댓값    을 가진다.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3 ▹


따라서
 
 ≤  ≤ 
 
이므로
  ln    
 

 
임을 보였다.

그러므로   일 때    이다. (40점)

b) (a)에 의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이를 반복적으로 적용하면

 

    

이므로

 

 ≤  ≤ 

을 얻는다. (20점)
위 부등식의 양쪽 수열에 극한을 택하면

lim    lim 
→∞ →∞ 

이므로 극한의 성질에 의하여 lim 이다. (20점)
→∞

[문제 3] (100점)
   에서 sin  ≥ 인 의 범위는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는 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이다. (20점)
한편

   cos    sin cos 
  sin   


        
  
이므로, (20점)
  
  

 
 
  
 
 sin  
sin  (  로 치환)
    

  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0점)
이를 이용하면, 이 홀수일 때는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이고 이 짝수일 때는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4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은 홀수




 
 은 짝수

이다. (30점)

[문제 4] (100점)
     
(a) A형일 확률이  , B형일 확률이  이고 O형일 확률이  이고       이므로 AB형일 확률은 0이다. 또 실
     
 
제 A형이고 A형으로 판정할 확률은  ∙ , 실제 B형이고 A형으로 판정할 확률은  ∙     , 실제 O형이고 A형으로 판
 
             
정할 확률은  ∙     이므로 A형으로 판정할 확률은        이다. (20점)
    
             
같은 방법으로 B형으로 판정할 확률은        이다. (20점)
   

(b) 실제 O형일 사건을  , O형으로 판정할 사건을  ′ 라고 하면 구하는 값은      ′  이다.



주어진 조건에 의해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점)
또 A형으로 판정할 확률을 구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     
  ′   

이므로 (20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5 ▹


2015학년도 수시기출
[문제 1] (100점)
▷출제의도
전반적으로 고등학교에서 학습한 다양한 내용의 범위에서, 이공계학생에게 필요한 계산능력 및 이해정도와 이를 활용하여 결론
을 논리적 비약 없이 잘 서술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 분석 및 추론 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예시답안
점      와 평면          사이의 거리를 라고 하고, 점  에서 평면         에 내린 수선의 발
을      이라고 하면    
 이고, 
는 평면         의 법선섹터    에 평행하므로


  
인 실수 가 존재한다. 이때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이고 점  가 평면         의 점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문제 2]
▷예시답안]
포물선       와 직선     의 교점의 좌표는   와    이다.
또 구간    에서  ≤    ≤     , 구간    에서  ≤      ≤   ,
구간    에서  ≤      ≤   이다.
따라서 구하는 회전체의 부피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제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6 ▹


[문제 3] (100점)
▷예시답안
조건으로부터 함수   는 주기가 2이므로 함수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 
직선       을   이라 하자. 함수   의 치역이 구간  이므로 점  가 직선   과 함수   의 그래
 
프의 교점이면  ≤  ≤ 이다. 특히 직선   과 직선   ,   의 교점은 각각  과    이다.
이 홀수이면  과   은 홀수이므로 직선   과 함수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    ⋯ 일 때 구간            에서 직선   과 함수   의 그래프의 교점은 2개이므



  
이다.
이 짝수이면  과   은 짝수이므로 직선   과 함수   의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그림으로부터 직선   과 함수   의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1]     ⋯ 일 때 구간            에서 각각 2개
[2] 구간      에서 1개
따라서 이 짝수이면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7 ▹


[문제 4] (100점)
▷예시답안
(a) cos   cos      cos  cos   sin sin
 cos  cos    sin sincos   cos  cos  sin cos
 cos  cos    cos cos  cos  cos


(b)   cos  라 하자. (a)에 의하여

   
   cos ∙    cos   cos 
   
이므로
 
cos   cos     
 
 
이다. 이 식에 cos    을 대입하면
 
      
이다. 이제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이므로, 함수 는   일 때 극댓값 을 갖고,   일 때 극솟값  을 갖는다.
그러므로 방정식   의 근은 구간  ∞  ,   ,  ∞에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한편
  
  
   
이므로
   
  cos   cos   cos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   cos   

이다.
과  사이에 존재하는 근의 범위를 찾기 위하여 주어진 표를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따라서 중간값의 정리에 의하여 방정식   은     에서 해를 갖는다.

그러므로   cos  의 정수 부분은 17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8 ▹


2015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제 1] (100점/400점) (30분/120분)
(a) (총 40점)
ln    ln 
함수    는 구간 ∞ 에서 미분가능하고 ′    이므로, 구간  ∞에서 의 증가와 감소는 아래
 
표와 같다.

 1 ⋯  ⋯

′    

  ↗  ↘

[20점]
ln  
 ≤  ≤ ,  ≠ 이면    이므로
 
 
ln   

  
 


  

이다.
[20점]

(b) (총 60점)
ln 
함수    는 구간  에서 증가하므로

 
ln  ln  ln 


      
  

이고, 구간    에서 감소하므로


        
ln  ln  ln  ln 


 
 

 

 

  
 

이다.
[30점]

ln  
ln   ln   이고 

   이므로


ln      ln  ln    ln    ln 
 
  ln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
  
   
 ln     ⋯⋯    

이다.
[30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19 ▹


[문제 2] (100점/400점) (30분/120분)
(a) (총 10점)
점 P  을 좌표평면에 표시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 
∆ P P  P   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     이다. 따라서  은 첫째항이 
 , 공비가  인 등비수열이므로
 
 

 
  


이다.
[10점]

(b) (총 20점)
그림을 참고하여 
 (     ⋯)의 처음 8개의 항을 차례로 구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그 이후부터는 이 8개의 항이 반복된다. 따라서 


    이다.
[20점]

(c) (총 70점)
의  좌표를  이라 하면,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P  의  좌표를  이라 하면, 
O P    
O P   
P  P  이므로
 
      

  
[30점]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 이므로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0 ▹


 
   

 
  

[10점]
이다. 이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30점]

[문제 3] (100점/400점), (30분/120분)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정사각뿔 P의 5개의 꼭짓점을 A, B, C, D, E라 놓고, 다음과 같이 좌표를 도입하자.

O   , A  , B   , C    , D    , E    


  

[30점]
세 점 A, B, E를 지나는 평면의 방정식은

    

  

이다. 이때 원점 O에서 삼각형 ABE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하면

H 
   

   
 
   
이다.
[20점]
구 S와 위 평면의 공통부분은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 B를 지나고 중심이 점 H인 원
이 된다. 이 원과 삼각형 ABE의 변 AE, BE와의 교점을 각각 F, G라고 하자. (단, 두 점
F, G는 점 A와 B가 아니라고 하자.)
이제 두 점 F와 G의 좌표를 구해보자. 두 점 A와 E를 지나는 직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 

이고, 구 S의 방정식은        이므로, 연립하여 풀면

F 

    

  
 
이다. 마찬가지로 직선 BE와 구면과의 교점을 구하면

G  
   


 
  
이다.
[20점]
두 벡터 
HF와 
HG가 이루는 각을  (    )라고 하면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1 ▹


  
HF∙ HG      
cos           
 HF  HG     
       
 

이므로,   

[20점]
 
  
FG 의 길이  은   
이다. 이때, 부채꼴의 호  HF    이다. 그런데 구하는 곡선의

FG 의 길이의 4배이므로   
길이는 호    
 이다.

[문제 4] (100점/400점), (30분/120분)


(a) (총 20점)
    라 하면, 평균값의 정리에 의해
′  
       ′        

인  가  와  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 
 
P  P    
              

인  가  와   사이에 존재한다.
[20점]

(b) (총 80점)
 
    
문제 (a)에 의해 
P    P    인    이    과  사이에 존재하므로

  
    
P    P         ⋅ 

  P   Q  ⋅ 

[10점]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점]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10점]

이다. 그런데 정적분    


 의 정의로부터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리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lim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극한값의 대소 관계에 의해 lim    

이다. [30점]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2 ▹


2014학년도 수시2 기출
[문제 1] (100점/400점) (45분/180분)
▷ 내용영역 및 출제의도

교육과정 내용영역 출제의도


문항
과목 대단원 중단원 (평가영역)
여러 가지 함수의
수학Ⅱ 미분법
1 미분법(매개변수) 계산능력, 이해능력
적분과 통계 적분법 정적분
수학Ⅱ 함수의 극한과 연속 함수의 극한
이해능력, 논리적
2 이차곡선 포물선
기하와 벡터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벡터 벡터의 내적
수학 순열과 조합 조합 분석 및 추론능력,
3
적분과 통계 순열과 조합 이항정리 문제해결능력
도함수의 활용(속도와
수학Ⅱ 미분법 이해능력, 분석 및
4 가속도)
추론능력, 문제해결능력
적분과 통계 정적분의 활용 회전체의 부피

⁎ 전반적으로 고등학교에서 학습한 다양한 내용의 범위에서, 이공계학생에게 필요한 계산능력 및 이해정도와 이를 활용하여 결
론을 논리적 비약 없이 잘 서술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 분석 및 추론 능력,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a)

ln   
   cos  sin
   ⋅         tan
     cos



(b)
ln
    tan

좌변과 우변을 각각 에 대하여 적분하면
ln sin
 
       
cos
이므로 ln    ln cos   (  는 적분상수)이다.
그런데   일 때   이므로   ln 즉, ln    ln cos  ln이다.

 
따라서    이다.
cos

[문제 2] (100점/400점), (45분/180분)


▷예시답안
(a)
  과 수직인 벡터 
조건 (1)에 의하여   은  와 평행하다. 그러므로 직선     는  과  를 지난다. 조

건 (2)에 의하여, 준선   과 초점이   인 포물선     위에  과  가 존재한다. 즉,  과  는 직선


    과 포물선     의 교점이다.  과  의 좌표 는 방정식       의 근이다.

그런데 근과 계수와의 관계에서        이므로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      의 근은  ± 
   이므로 의 좌표를 라고 하면,     
   이다. 세 점

   
 
 
          를 지나는 원의 중심은 축에 있으므로 원의 방정식은        이다. 이 원이 점  을
 
지나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lim  
     lim   이므로, lim  이다.
→∞ →∞   
   →∞

[문제 3] (100점/400점), (45분/180분)


▷예시답안

이항정리에서 이 자연수일 때,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 이고 의 자리의 숫자 중 의 개수가   인 의 개수는, 먼저 자리의 숫자 의 위치를 곳 중에서    곳을
    
선택하고, 나머지     곳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 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  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이므로  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이다.

(b)
(a)와 같은 방법으로 ∈ 이고 의 자리의 숫자 중 의 개수가   , 의 개수가   인 의 개수는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이고,  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  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이므로 의 일의 자리의
숫자는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4 ▹


[문제 4] (100점/400점), (45분/180분)
▷예시답안
(a)
        에서            이므로, 회전체의 부피 공식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b)
용기의 단면을 보면 작은 원 두 개가 서로 외접하고 동시에 큰 원에 내접하므로 삼각형 ∆ 는 밑변의 길이가  , 빗
변이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따라서 용기와 쇠공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 

  

용기 안의 물의 양은 이고 (a)번의 결과에 의해서 높이 1일 때와 높이 일 때의 용기의 부피는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수면의 높이는 쇠공의 중간에 있고, 그 때의 높이를 라 하면  로부터 부피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채워진 물이 되는 순간, 수면의 높이는 방정식        의 해이므로 이것을 풀면

              
이고,   이다. 또한  의 식을 시간에 대해서 미분하면
    
      인데      이므로 수면 높이의 속력은    이다.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5 ▹


2014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제 1] (100점/400점), (45분/180분)
점  의 좌표 를 시각 의 함수 로 나타내면   일 때  의 위치는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점)
     
이다.   
       로 놓으면      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점)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문제 2] (100점/400점), (45분/180분)


() (총 점)
닮음의 중심이 원점이고 닮음비가    인 닮음변환 의 행렬 표현을  이라 하고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각 만큼 회전시키는
회전변환 의 행렬 표현을  이라 두면 두 행렬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cos
sin   sin
cos 
그런데      이므로
     cos    sin
           

  cos
sin
 sin
cos  
  
 sin   cos 
이다. 따라서      을 귀납적으로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cos
        sin 
(점)
한편    이고  은 닮음변환,  은 각 만큼 회전시키는 회전변환을 나타내므로 ∠    이다. 따라서 삼각형
   에 코사인 법칙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6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cos
(점)

() (총 점)
삼각형    에 코사인법칙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     cos
(점)
그런데
  
lim 

 ,
→

sin
lim 

 ,
→

  cos   cos  cos sin  


lim   lim   lim 
  cos
․   ․   ,
  cos
→  → → 

 
 
  cos
  cos  
lim  
 lim         ,
 
→ →

  cos sin 
lim 
 lim 

→  → 
이므로 다음을 얻는다.
   cos
limcos∠   lim 
→ → 
      cos
   cos
 lim 

→     cos      cos

   cos
 
 lim 





→   cos   cos
 
 
 
  
    
(점)

[문제 3] (100점/400점), (45분/180분)



  
  
점  의 좌표를  이라 높고 그 때의 점  의 좌표를     이라 두자. 곡선       의 점      에 대하여
  

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선분 
 는 점  가 점  일 때 최소(극소)이므로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7 ▹


이다. 즉,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점  의 좌표는          이다.
  
(점)
점  은 선분  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 의 좌표는

 
  
             



   
(점)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 하면    에서    ,       ,     ,   ln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ln       ln 
    
이다. 따라서 점  이 만족시키는 곡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ln 
    
(단,    )

(점)
() (총 점)




곡선       위의 점   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 

         

이다. 그런데 점  는 위의 접선의 절편이므로 점  의 좌표는

    
 

 

이다. 따라서 선분 
 의 길이를    라 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점)
이때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의 해는   ln  이고,   ln  근방에서 ′   의 부호는 음(  )에서 양(  )으로 바뀌므로   는   ln  에
  
 
서 극솟값을 갖고 극소가 되는 점이 개 밖에 없으므로 극솟값이 최솟값이 된다. 즉,    의 최솟값은  ln    이다.
   
(점)

() (총 점)

점  가 축 위에 있을 때 점  의 좌표는   이고 그때의 점  의 좌표는
      이다. 그러므로  는 방정식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8 ▹



  

       즉,          


의 실근이다. 그런데       이므로 위의 방정식은 하나의 실근


  

을 갖는다.
(점)
점  는 와 로 표현되므로 와 는 다음의 관계식을 만족시킨다.

 

             

따라서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해서 를 에 대해서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일 때

 
 
 
이다.
(점)

 
  
그런데 ()번에서 점  의 좌표가       이므로,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       을 로 미분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일 때 점  의 속도는    이다.
  
(점)

[문제 4] (100점/400점), (45분/180분)


() (총 점)
점  와  의 좌표를 구하면  cos sin  ,    cos sin  이므로 직선  의 기울기를  이라고 하면
sin   sin  sin 
   
  cos   cos    cos 
이다.
(점)
 을   에 대하여 미분하면
 cos   
  
     cos 
이고,
 
방정식   으로부터 cos    을 얻는다.
  
 
cos    인   (     ) 근방에서  의 부호가 양(  )에서 음(  )으로 바뀌므로 이 값에서  은 극댓값을 갖고, 주어
  
진 범위에서 극댓값은 개만 존재하므로  의 극댓값이 최댓값이 된다.
 

    
이때 sin    이므로 기울기 의 최댓값은    이다.
  
 

(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29 ▹


  
 

이제 직선  의 기울기가  이고 점      를 지나므로 직선 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점  와 직선  사이의 거리    
 는 원   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직선 은 원  과 접한다.
   
․    ․   

또한, 점  와 사이의 거리    
 는 원  의 반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직선  은 원   과 접한다.
    

이를 종합하면 은 두 원   ,  의 공통 접선이다.
(점)

() (총 점)
점  와  의 좌표는  cos sin  ,    cos sin  이다.
(점)
사각형  가 볼록사각형임을 보이기 위해서는 아래 그림과 같이 선분  의 연장선   , 선분  의 연장선   , 선분 
의 연장선   로 둘러싸인 영역에 점  가 존재함을 보이면 된다.

우선, 점  가 직선   의 아래쪽에 있음을 보이자. 직선   의 방정식은   tan   이고 점    cos sin  의 좌표를

직선   의 좌변에 대입하면 sin   , cos    일 때, tan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sin   tan   cos   sin cos   tan   cos   
 sin cos   tan   cos 
 sin cos   tan   sin cos 
 tan   
따라서 점  는 직선   의 아래쪽에 있다.
(점)
또한, 직선   는 축 (즉,   )이고  의 좌표 sin  은 양수이므로 점  는 직선   위쪽에 있다.
(점)
이제 점 가 직선  위쪽 부분에 있음을 보이자. 두 점 , 를 지나는 직선  의 방정식을 구하면
  cos  sin   이다.

점  를 직선   의 방정식 좌변에 대입하면 sin   , cos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cos× sin  sin  cos     cos× sincos  sincos  
 sin    cos × cos    cos   
 sin  cos    
따라서 점  가 직선   위쪽 부분에 있다.
(점)

() (총 점)
사각형  가 볼록사각형이므로 사각형  의 넓이는 삼각형  의 넓이와 삼각형  의 넓이의 합과 같다.
일반적으로 원점  과 두 점  ,  에 대하여 삼각형  의 넓이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0 ▹


보충 supplement) 증명 : 두 선분  와  의 사잇각을 (    )라 하자.

그러면,    sin 이다.


․ 
   
내적의 성질에 의하여 cos     이다.
 
   

  

이 때, sin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cos sin


그러므로 ∆     이다.
 
(점)
삼각형  의 넓이는 세 점  ,  ,  를   만큼 평행이동하여 얻어진 세 점  , cos  sin ,
cossin 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넓이와 같다. 따라서

∆   cos sin   sin cos   


   cos   sin   sin cos  cos   

 sin cos   sin 
 sin cos   
 sin cos    
∵ sin   cos   


 sin   sin 
이므로 사각형  의 넓이를    이라고 하면
sin  sin 
   sin  sin    sin
 
이다.
(점)
  
이제 ′   cos  cos   cos  cos   cos   cos  이므로 ′  으로부터
  
         
cos    (∵ cos    )을 얻는다. 또한 cos    을 만족하는   의 근방에서 ′    의 부호가 양
  

(  )에서 음(  )으로 바뀌므로 그   값에서 극댓값을 갖고, 주어진 범위 (sin   , cos    ,  ≤    )에서 극댓값이 

개 존재하므로 그 값이 최댓값이 된다.
   
그러므로 cos    일 때,    은 최댓값을 갖는다.

(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1 ▹


2013학년도 수시기출A
[문제 1](100점/300점), (40분/120분)
▷출제의도
- 좌표평면에 대한 이해도 - 함수의 성질에 대한 이해도 - 미분에 대한 이해도
[문제 1]에서는 좌표평면에서 움직이는 점의 좌표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제시하였고, 두 점 사이의 거리, 선분의 내분 등을 이
용하여 새로운 점을 도입하고 있다.
좌표평면에 대한 이해도, 함수의 성질에 대한 이해도, 미분에 대한 이해도 등을 측정하고자 하는 문제이다. 삼각함수로 좌표가
주어진 점에 대하여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내분점을 이용하여 새로운 점의 좌표를 구하고, 미분을 이용하여 속력 및 속력이
최소가 되는 경우, 삼각형의 넓이가 최대가 되는 경우 등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문제에 이용된 개념들은 모두 고등학교 교
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들이나 계산 과정이 다소 복잡한 경향이 있으므로 침착하게 식을 세우고 해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예시답안
(a) (총 점)
점 B 의 좌표를    (단,   )라 하면
 
AB     sin      
이므로 방정식
   sin     sin     

을 풀면   sin ± cos 이다. 그런데   이고      이므로

 
  sin  cos  sin  cos)

보충 supplement) 대학 측 답안 및 세부 배점
점  의 좌표를  라 하자(      ). 선분  의 길이가 
 이므로
   sin          sin  sin  이다.

(점)
이차방정식   sin  sin     으로부터   sin ± 
 
sin   sin     sin ± cos를 얻는다.
의 범위가      이므로 위의 둘 중에서   sin  cos가 실제 해이다.
따라서  의 좌표는 sin  cos sin  cos이다.
(점)

(b) (총 점)
점 C 는 선분 AB 를      로 내분하므로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sin  cos  sin  cos
점 C 의 속도벡터를   라 하면 
C      cos   sin    sin   cos  이므로 점 C 의 속력
C 
C 은

 
 의 속력    sin     cos      
또는
C 
    cos cos   sin     cos
이다.

보충 supplement) 대학 측 답안 및 세부 배점
점  의 좌표를  라 하자. 점  가 선분  의 내분점임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sin  cos   sin    sin  cos
sin  cos     ×   sin  cos
(점)
이를 시간에 대해 미분해서 점  의 속도의 , 성분을 얻는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2 ▹


 
       cos  sin

 

   cos  sin

(점)
따라서 속력의 제곱은
           cos     sincos    sin 
이다.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       cos  sin   sincos
   cossin  cos  cos
따라서   
  cossin  cos  cos 이다.
(점)

(c) (총 점)

C     cos cos   sin     cos 이므로  에 관한 이차함수로 보면 꼭짓점   cos  cos   sin  일 때, 속력이

최소가 된다.

보충 supplement) 학생 대표 감점 사례
 의 속력     sin     cos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단 등호는        일 때이다
따라서 C의 속력이 최소가 되는   이다.
이상에서 왜 감점 사례인지 각자 생각해보길 바란다.

보충 supplement) 학교 측 답안 및 세부 배점
속력 는 음이 아니므로,  이 최소일 때 역시 최소가 된다.
앞의 문항에서 구한  은 의 이차함수이다. 따라서 이차함수가 나타내는 포물선의 꼭짓점에서  은 최소가 된다.
(점)


이차함수의 꼭짓점의 위치 는     cossin  cos 을 풀어서 얻을 수 있다.

  coscos  sin
(점)

(d) (총 점)
O  A sin   Bsin   cos  cos   sin  이므로

  ∆    × 


    sin  cos   sin  

 sin   sincos
 
   
  sin  cos    sin  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  이므로 sin      일 때 곧,    일 때  는 최대이다.
 

보충 supplement) 미분을 통해서 풀어도 된다.



  sin  cos   sin  라 하면 ′    이 되는  를 구하면    일 때, 극대이며 최대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3 ▹


보충 supplement) 학교 측 답안 및 세부 배점
삼각형  의 밑변의 길이는 sin이고 높이는    cos  sin이다. 따라서 삼각형의 넓이는

   × sin× cos  sin sincos  sin이다.

(점)

넓이가 최대가 되는 시각을 구하기 위하여   을 만족하는 시각 를 구하자.


  coscos  sin sin sin  cos

 cos  sin   sincos  cos  sin
(점)
  
코사인 함수와 사인 함수의 값이 같은 각도는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이어야 하고,      구
  

간의 시각은    이다.

이 시각에서 최대인지 혹은 최소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계도함수를 계산한다.


    
 sin  cos
   
 



그러므로 삼각형의 면적은    에서 최대가 된다.

(점)

보충 supplement) 별해
삼각함수의 성질을 사용하면 넓이가

   sincos  sin    sin  cos   
 


sin     
   
 

임을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미분을 사용하지 않고 삼각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시각을 구할 수 있다.

[문제 2] (100점/300점), (40분/120분)


▷출제의도
- 도형의 이해 - 삼각함수의 응용 능력 - 적분의 응용 능력
[문제 2]에서는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육각형이 한 꼭짓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황을 제시하고 있다.
도형에 대한 이해, 삼각함수의 응용 능력, 적분의 응용 능력 등을 측정하고자 하는 문제이다. 정육각형이 한 꼭짓점을 중심으
로 회전하는 상황에서 외접원의 중심과 다른 한 꼭짓점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매개변수 함수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적분
을 통해서 넓이를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타원의 방정식을 매개변수로 나타내기, 다소 복잡한 삼각치환 등에 대한 이해가 필
요하다.

▷예시답안
(a) (총 점)

∠ABC   이므로 직선 BC 가  축의 양의 방향과 이루는 각은
      이고, BC   이므로 곡선  의 

     cos           sin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1

벡터의 합 
  
  



 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    cos     sin   
      이고 구하는 값은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4 ▹




∴        cos   
    sin     ≤  ≤  

보충 supplement) 별해2
점  는 중심이 점  이고 반지름이 인 원주 위를 움직이므로 곡선  는        의 일부이다.   일때 점  의



 
  
좌표를   라 하면    이다. ∠    이므로      cos    ,   sin  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학교 측 답안 및 세부 배점

삼각형  는 한 변의 길이가 인 정삼각형이 되므로 
  이고 ∠   이다. 이때, 선분  와 축의 음의 방향이


이루는 각은    이다.

(점)
정육각형의 중심  의 좌표를  라 하면, 사인, 코사인의 정의에 의해

  
    cos    ,   sin   
   
그러므로  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cos    ,   sin   
     ≤  ≤  
(점)

(b) (총 점)
다음 그림과 같이 점 C 를 중심으로 꼭짓점 B 와 반대방향에 놓인 정육각형의 꼭짓점을 D

라 하자.      일 때, 점 D 의  좌표가 정육각형에서 가장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정육각

형과 직선    가 만나게 되는  의 값 중에서 최댓값  이 곧 점 D 의  좌표가 된다.

오른쪽 그림에서 점 D 의  좌표는 점 C 의  좌표의  배이므로 곡선  의



 

     cos         sin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정육각형이 굴러갈 때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점은 중심  에 대하여 점  와 맞은편에 있는 점  이다. 이때 점  의
좌표는    이므로 구하는 값은



∴       cos   
    sin     ≤  ≤  

즉 타원임을 알 수 있다.

보충 supplement) 학교 측 답안 및 세부 배점

 

위 ()에서     cos    이다. 선분  의 연장선과 정육각형이 만나는 점을  라 하면, 

  이다. 그러므로 축과

나란한 직선   가 정육각형과 만나는 경우의 의 최댓값은 점  의 좌표와 같다.


(점)

 
사인의 정의에 의해   sin    . 그러므로 곡선 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5 ▹



 
    cos    ,   sin   
      ≤  ≤  
(점)

(c) (총 점)
곡선   의 자취는 중심이   이고 반지름이  인 원의 일부이고, 곡선   는 중심이   이고 장축의 길이가  , 단축의
길이가  인 타원의 일부이다. 즉, 구하는 영역의 넓이  는
 
       

 

 


   sin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sin      sin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학교 측 답안 및 세부 배점

 
  


  
()에서 cos      , sin      이다. 한편
 
 

   
  cos     sin      
          

이때,  ≤  ≤  이므로  ≤  ≤ ,   ≤  ≤ 을 만족한다. 그러므로 곡선   은 영역  ≤  ≤ , 
 ≤  ≤ 안에 있는

원       의 부분이다. 즉,         ( ≤  ≤ )이다.
(점)
 

       을 만족한다. 또한,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에서 점  은   cos     sin      
    

 
 ≤  ≤ 를 만족한다. 그러므로 곡선  는 타원         중 영역  ≤  ≤ , 
 
    ≤  ≤ 에 속하는 부분
 
이다. 즉,   
     ( ≤  ≤ ) 이다.
(점)
그러므로 주어진 영역의 넓이  는 영역  ≤  ≤  중에서 타원의 일부인   와 원의 일부인  사이의 넓이가 된다.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 
여기서     sin (   ≤  ≤  )로 치환하면,
 
  

 





  sin  cos   cos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cos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구하는 영역의 넓이는   
 이다.

(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6 ▹


보충 supplement) 다른 풀이
곡선  은 영역  ≤  ≤ , 
 ≤  ≤ 안에 있는 원       이다. 즉,
 
  
     ( ≤  ≤ )이고 곡선   는 타원   




 중 영역

 ≤  ≤ 에 속하는 부분이다. 즉,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옆의 그림의 빗금친 영역의 넓이가 구하고자 하는 넓이이다. 한편, 타원
 

 
     은 원       를 축 방향으로 배 늘인 것이다. 따라

 

 

빗금친 영역의 넓이  곡선  축과 두 직선      로 둘러싸인 영역의 넓이


 

  ×     ×  × 
 

     



[문제 3] (100점/300점), (40분/120분)


▷출제의도
- 주어진 사건들의 곱사건 및 조건부 확률에 대한 이해도 - 점화식의 응용능력
- 조합에 대한 이해도 및 응용능력

[문제 3]에서는 자유투를 성공할 확률이  인 농구선수가 번의 자유투를 던질 때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건을 제시하고

있다. 주어진 사건들의 곱사건 및 조건부 확률에 대한 이해도, 점화식의 응용능력, 조합에 대한 이해도 및 응용능력 등을 측정
하고자 하는 문제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사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점화식으로 표현하고, 점화식에서 얻어지는 수열의 일반
항을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조건부 확률 및 곱사건의 확률을 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수학적
귀납법, 조건부 확률, 곱사건의 확률 모두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 있는 개념이긴 하나 난이도가 매우 높고 계산과정이 복잡한
어려운 문제이다.

▷예시답안
(a) (총 점)
   번의 자유투를 던질 때,
ⅰ) 첫 번째 자유투를 성공했다면 두 번째 자유투를 실패해야하고
ⅱ) 첫 번째 자유투를 실패했다면 두 번째 자유투는 어떻게 되는 상관없다.
  
즉,     ×  ×    ×   이므로 이를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 ①

이다. 이 때, 문제에 주어진 일반항  을 점화식 ①에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성립한다.

보충 supplement) 별해
-문제 푸는 요령 중의 하나가 "된다치고 해보기"입니다.
점화식이  을 만족하면  도 점화식을 만족하겠죠. 그럼  ,    ,    ,    등을 써 놓고 이들 사이에 성립하는 관계
식을 살펴보면 되지요.
- n번을 던졌을 때, 처음 던질 때는 성공 아니면 실패이고 이 두 사건은 배반이다. 처음에 실패하고 나머지 n-1 번을 연달아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7 ▹


성공하지 못하면 된다.
 
처음에 실패할 확률이  이고 나머지 n-1 번을 연달아 성공하지 못할 확률은    이다. 따라서 이 확률은     이다.
 
 
처음에 성공하면 두 번째 실패하고 나머지 n-2번을 연달아 성공하지 못하면 된다. 성공  , 실패  , 나머지   
 
 
따라서 구하는 점화식은            이고, 해보면 만족한다.
 

보충 supplement) 대학 측 예시답안 및 세부 배점
자유투를 한번 던진다면, 연달아 성공할 수 없으므로,
  
  
자유투를 두 번 던질 때, 연달아 성공할 확률은  ×    이므로, 연달아 성공하지 못할 확률은
  
 
      
 
자유투를 세 번 이상 던지는 경우, 즉  ≥ 인 경우에,  에 관한 점화식을 구해보자.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하는 경우와 성공
하는 경우로 나누어 생각해 보자.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한다면, 나머지,   번의 시도에서 연달아 성공하지 않는 경우에 전
체의 번ㅁ의 시도에서 연달아 성공하지 않게 된다. 만약, 첫 번째 시도에서 성공한다면, 두 번째 시도에서 실패하고, 나머지,
  번의 시도에서 연달아 성공하지 않는 경우에 전체 번의 시도에서 연달아 성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 에
관한 점화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점)

문제에 주어진  이 초기조전   ,    를 만족하고, 위 점화식을 만족함을 보이자.

문제에 주어진  에   를 대입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문제에 주어진  이 초기 조건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문제에 주어진  (  ⋯)이 위의 점화식을 만족하는지
확인해 보자. 위의 점화식의 우변에 문제에 주어진    과    를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문제에 주어진  은 위의 점화식을 만족한다.
(점)

(b) (총 점)
  ∩  에서  는 구했고 , ∩  는 성공과 실패가 번갈아 일어나므로 구할 수 있다.
P∩ 
P       이므로 P∩  를 구해보자. 사건 ∩ 는 성공과 실패가 번갈아 일어나는 사건이므로
P  
성 실 성 실 성 실 … 또는 실 성 실 성 실 성 …
의 두 가지 경우가 나타난다.

 
     
ⅰ)    일 때 : P∩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8 ▹




        
ⅱ)      일 때 : P ∩    
 
   

   
즉, 확률 P     는

 
⋅ 
ⅰ)    일 때 : P     
   
 

⋅ 
ⅱ)      일 때 : P      
   
이다.

보충 supplement) 대학 측 해설 및 세부 배점
조건부 확률   는 다음의 식을 만족한다.
P∩ 
P      
P 
 는 ()에 주어져 있으므로,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  를 구하면 된다. 사건 ∩ 는 번의 시도에서 연달아 성
공하지도 연달아 실패하지도 않아야 하므로, 성공과 실패가 번갈아 가며 일어나야 한다. 이러한 경우는 첫 번째 시도에서 성공
 

  
 

 

한 경우와 실패한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 짝수라면, 전자와 후자의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  로 서로 같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 이 홀수라면, 전자와 후자의 사건의 발생할 확률은 각각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은 짝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홀수

(점)
위 식으로부터,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 


 은 짝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은 홀수
    

       
(점)

(c)

일단, ∩ 려면  ≤    이어야 한다. 사건 ∩ 는 다음과 같이    번의 실패 사이에  번의 성공을 (√)자리에배열

하는 경우이므로
√ 실 √ 실 √ 실 √ ‥‥‥ √ 실 √
     개의 자리에서  개의 자리를 선택하는 조합의 수와 같다. 즉,    C  이다.

보충 supplement) 대학 측 해설 및 세부 배점
사건 ∩ 는 번의 시도 중 번 성공하였으나, 한 번도 연달아 성공하지 못한 사건이다. 이러한 사건이 일어나는 경우의 수
는 연속한 성공이 없도록 각각의 번의 성공 사이에 실패한 횟수를 정하는 방법의 수와 같다. 이 방법의 수를 얻기 위해, 다음
처럼,  , ,⋯,   을 정의하자. 첫 번째 성공 이전에 일어난 실패의 횟수를  이라 놓고, 첫 번째 성공 이후 두 번째 실패
이전에 발생한 실패의 횟수를  , 같은 방법으로,   ⋯에 대해,   번째 성공 이후 번째 성공 이전에 발생한 실패의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39 ▹


횟수를  라 하자. 또한, 번째 성공 이후에 발생한 실패의 횟수를   이라 하자. 총 실패한 횟수는   이므로  들은 다음
의 식을 만족한다.
   ⋯      
(점)
위 식에서,  ≥ ,   ≥ 이며,   ⋯에 대해, 연달은 성공이 없다는 조건으로부터  ≥ 이다. 위 식의 해의 개수
가 사건 ∩ 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이다. 위식의 해의 개수를 얻기 위해  들을 다음처럼 치환하자.
   , (단,     )
    , (단,   ⋯.)
위 치환을 통해 다음의 식을 얻는다.
   ⋯        ,
 ≥ ,   ⋯  .
(점)
위 식의 해의 개수는   개의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에서 중복을 허락하여     개를 뽑는 조합의 수와 같다. 따라서 위
식의 해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사건 ∩ 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는      이다.

(점)

(d) (총 점)
    
 

독립시행의 확률  는   
      이지만 ∩ 에 해당하는 확률은 (c)에 의해   이다.
  

보충 supplement) 잘못된 학생 답안 사례
   C 
 번의 자유투를 던질 때, 나타나는 모든 경우의 수는  가지 이므로  이다.


보충 supplement) 대학 측 해설 및 세부 배점
문제 ()의 풀이에서 사건 ∩ 가 발생하는 경우의 수는      임을 보였다. 각 경우에 해당하는 사건은 번의 시도 중 
 
번 성공하고   번 실패해야 하므로, 각 경우에 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  






이다. 사건 ∩ 는 이러한 사

건들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점)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0 ▹


2013학년도 수시기출B
[문제 1] (100점/300점), (40분/120분)
▷출제의도
- 약수와 배수에 대한 직관적 통찰력
- 약수와 배수에 대한 적용 및 문제해결능력
- 이항정리에 대한 적용 및 문제해결능력

▷논제분석
- 제시문 없이 약수와 배수의 관계를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밝히게 하고 있다. 이항정리를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이 필
요하고 몫과 나머지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특히, (c)에서    × 임을 생각해내지 못하면 곤란해 질 수 있다.

▷예시답안
(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에 대하여 
  이  의 배수이므로   은  의 배수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  은  의 배수이다.


(b)       

 ․ ․      이고  ≥ 에 대하여  

이  의 배수이므로  과

 을  로 나눈 나머지는 서로 같다. 따라서   이  의 배수임을 보이면 된다. 또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에 대하여   이  의 배수이므로   은  의 배수이다. 따라서   도  의 배수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   ×   이므로    ×         (단, 는 자연수)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은  의 배수이다.

(c) (a)와 (b)에 의해  ,  을 각각  로 나눈 나머지가 모두 이므로 적당한 자연수 ,  에 대하여     ,
    꼴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을  으로 나눈 나머지는 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를 통해     ,     임을 알고 있다.  을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을  으로 나눈 나머지는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1 ▹


(d) (c)에 의해 적당한 자연수 에 대하여     꼴이고
  ․   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을   ․  으로 나눈 나머지는 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를 통해     임을 알고 있으므로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이므로 나머지는 이다.

[문제 2] (100점/300점) (40분/120분)


▷출제의도
- 수열 및 연산에 대한 이해도

▷논제분석
- 수열과 수열 사이의 연산을 정의하고, 결합법칙이 성립함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교환 법칙도 성립함을 알 수 있다. 주어진 연
산에 있어서의 항등원과 역원을 찾게 하고 있는 문제로 수열 및 연산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예시답안
()

   

      ≥ 일때  ⋄ 이므로 ⋄  은

   

    

이다. 임의의  에 대해          ⋯   이 성립하려면


   ,      ⋯    
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수열  은
⋯
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임의의 수열   ⋯ 에 대하여 ⋄   을 만족하는 수열  을     ⋯ 라 하면,
      ⋯ ⋯
이 된다. 이를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모든  은 임의의 수이므로    이 된다. 또한 두 번째 식에서    을 대입하면       이고, 임의의
수  에 대해 만족하려면    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 ≥ 에 대하여   를 계산하면 모두 이 된다.
따라서   ⋯이 된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임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무한수열 ⋄⋯⋄ 의 일반항은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단, 은 자연수)

()
 ⋯이라 하자.    ⋯ ,  ⋯ 이므로
⋯ ⋄ ⋯  ⋯
을 만족하는 수열 을 구하면 된다. 주어진 연산을 실시하여  을 찾아보면,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수학적 귀납법에 따라   ,   ,  ≤  ≤ 일때   이라 가정하면,   은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인 모든 자연수 에 대해  이다. 그러므로 수열 은
  ⋯
이다.
 ⋯라 하자. ⋅   ⋯ ,  ⋯ 이므로
⋯ ⋄ ⋯  ⋯
을 만족하는 수열 을 구하자.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고,  ≤  ≤ 일때   이라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그러므로 수열 은
  ⋯
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3 ▹


보충 supplement) 별해
 ⋯이라 두고 ()에서 구한 ⋯을 이용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 ⋄ ⋯  ⋯
따라서   ,   ,   이 되고, 같은 방법으로  ≥ 에 대해  를 계산하면 모두 이 된다. 따라서
   ⋯이 된다.
한편, ⋅  ⋄    이고,   ⋄   이므로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을 만족하는 은 ⋄ 이다. 즉, 다음과 같다.
 ⋄   ⋯⋄  ⋯   ⋯

[문제 3] (100점/300점), (40분/120분)


▷출제의도
- 도형의 이해 - 삼각함수의 응용
- 적분을 이용한 회전체의 부피 - 합성함수의 미분법의 응용

▷논제분석
- 타원 위의 동점의 좌표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나타내고 특정한 순간의 속력을 구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적분을 이용하여 회
전체의 부피와 부피의 변화율이 얼마인지 묻고 있다. 이 때, 를 에 관한 함수로 표현함으로써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알아야 제
대로 답을 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시답안
()

  , 
  이라 하면,

   
cos  sin 
sin cos  
   sincos 


이다.  sincos  는 타원위의 점이므로     에 대입하면,

 sin 

    cos  

이므로 선분  의 길이 은


  
     cos 

sin   cos
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 좀 더 교과과정에 충실하게



주어진 타원의 방정식은     이고, 선분  의 길이를 이라 하면,


   


점  의 좌표는  cos     sin      sincos 이므로, 다음 식이 성립한다.

sin 

    cos  
 
  
따라서      이고,    이다.
  
sin   cos    cos    cos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4 ▹


()
 의 좌표를  라 할 때,
 sin  cos

 sin   , 
 cos 

  cos 
 
  cos
  
   이므로   이고,    일 때,    ( ≤  ≤ ) 이다. 합성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cos  

 

그러므로 위 식에    ,


   를 대입하면 점  의 속도벡터      를 얻는다.

 


  

   
 
   
이 때 점  의 속력  는  
  
     이다.
  
보충 supplement) 가장 많았던 학생들의 오답 – 속력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



와 같은 방향의 단위벡터는 sincos  이므로 점  의 좌표   는    
   cos  sincos  이다. 에 대
해 미분하면
 
 
 ′    
   cos 
sincos   
   cos  
cos sin
이므로 속력  ′   는
 ′   sin   cos      cos  

 
   
이고,    일때 점  의 속력은  ′    이다.
 


()


점  의 좌표     
   cos  
sincos를  라 하자. 그러면, 회전체의 부피    는

         

 

이다. 계산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sin

이므로   는

 
     
   cos  
sin

이다. 에 대해 미분하면,

 
    
 cos   cos  

이고, cos  (단,     )로 치환하면




   
 

   
 

이므로 이제    라 한 후 가 최대가 될 때 와 를 조사하면 된다.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5 ▹



이고, ′  의 부호를 조사하면 는    일 때 최댓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   의 에 대한 변화율이 최대가 되는 는


 이다.

보충 supplement) 별해 - 좀 더 교과과정에 충실하게


 
 의 좌표를  라 하고, 점  를  라 하자.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구하고자 하는 회전체의
 
부피  는 영역  를 축의 둘레로 회전시켜서 얻은 회전체의 부피에서 삼각형  를 축의 둘레로 회전시켜서 얻은
회전체(밑면의 반지름이 인 원이고, 높이가 인 원뿔)의 부피를 뺀 것과 같다.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sin


이고    이므로     이다. 따라서,
  cos 

  cos
   cos
  


 
  cos  


   sin cos  

  
   

  cos  

     
     에서  
 의 해를 구하면    이고, 이때 극댓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 는    에서 최댓값  를
     
갖는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6 ▹


2013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제 1] (100점/300점), (40분/120분)
[a] 직선  의 방정식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또한
  
         ,        
  
 
점  를 구하기 위해         과    의 두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따라서 점  의 좌표는        
  
[b] 선분  의 길이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와   은 같은 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 의 최솟값을 구하면 된다.
 
여기서     이라고 놓으면         이 된다.
 
최솟값을 구하기 위해 ′  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여기서 윗 식을 인수분해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이 되고, ′′         이다.
  
  
따라서    에서 최솟값을 가진다. 이 때, 의 최솟값은  이다.
 


[c] 직선 의 기울기는 tan와 같다. 즉, tan       가 된다.

 
그러므로 삼각함수 성질에 의해 sin   이고, cos   이 된다.
 
여기서 sin  sin cos이고, sin  sin cos이고, cos    sin 이다.
   
sin   이고, cos   이므로 sin   이 된다.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7 ▹


[문제 2] (100점/300점), (40분/120분)
[a] 코사인 제 2법칙에 의해서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이다.

외접원의 반지름의 길이를  이라 할 때, 사인 법칙에 의하여
   
     
sin  
 
이므로   이다.

  
[b] 사인 법칙에 의하여 sin      이므로    이다. 이 때,
  

  
            
  

중심각은 원주각의 2배이므로 삼각형  ,  ,  의 넓이는 각각

   
  sin ,   sin ,   sin
  
이다.
그러므로 세 삼각형  ,  ,  의 넓이의 비는

      
  sin     sin     sin  sin   sin   sin       

     
이 된다.


[c] 삼각형  는 ∠   이고, 
  
  인 이등변삼각형이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좌표를 도입할 수 있다.

  ,   ,    

점  는 중심이  이고, 반지름 2인 원 위에 있으므로 점  의 좌표를  라 하면
     ⋯ 
이다.

삼각형  의 무게중심을     라고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
 

그러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이고, 이를 식 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8 ▹


 
 
또한 삼각형  의 무게중심은 변  의 중점     과  를   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 가  로 접근하면 점
 
 
 
 
 
 은    로 접근하고, 점  가  로 접근하면 점  은    로 접근한다. 그러므로 구하고자 하는 자취는 현
 
 에 의해서 잘린 원  의 호가 된다. (단, 경계 제외)

이 때, 선분  의 길이는  이다. 원  의 중심을  라 하면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이다. 그러므로 구하는 자취의 길이는    이다. (원  의 중심이 삼각형  의 내부, 즉,
  
선분  의 아랫부분에 있으므로 선분 에 의해서 잘린 두 개의 호 중 작은 쪽 호)

[문제 3] (100점/300점), (40분/120분)


[a] 점  에서 점  로 가는 최단 경로들은 아래의 그림에서 위에 줄지어 있는 8개의 점을 차례로 지나가는 경우와 아래에 줄
지어 있는 6개의 점을 차례로 지나가는 두 가지의 경우로 나뉜다.

위의 8개의 점을 차례로 지나가는 최단경로의 수는  ×  ×   개다.


아래의 6개의 점을 차례로 지나는 최단경로의 수는 32개다. 따라서 총 최단경로의 수는 160개다.

[b] 점  에서 점  로 가기 위해서는 아래의 5개점 중 하나를 지나야 한다. 이 점들을 아래로부터 차례로      라고
하자.

 에서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7, 에서 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7이므로 를 경유하는 최단 경로의 길이는 34이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49 ▹


다.
 에서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4, 에서 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4이므로 를 경유하는 최단 경로의 길이는 28이다.
 에서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4, 에서 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0이므로 를 경유하는 최단 경로의 길이는 24이다.
 에서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6, 에서 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8이므로 를 경유하는 최단 경로의 길이는 24이다.
 에서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18,  에서  까지의 최단경로의 길이는 8이므로 를 경유하는 최단 경로의 길이는 26이다.
따라서  에서  까지의 최단경로는  또는 를 경유하여야 한다.
 에서 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가 16개이며, 에서  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가 8개이므로  를 경유하는 최단경로의 수는 128
개다.
 에서 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가 32개, 에서  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가 8개이므로, 를 경유하는 최단경로의 수는 256개다.
따라서  에서  로 가는 최단경로의 수는 384개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0 ▹


2012학년도 수시2기출 자연A
▷예시답안
[문제 1] (30점/100점), (36분 /120분)
[a] 만일  이  의 원소라 가정하면       를 만족하는 정수  이 존재한다.

 
   
이 식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    이며, 무리수 상등에 의하여        ,   가 된다. 여기서

  이면   이 되는 정수는 존재하지 않으며,   이면    이 되는 정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순이다. 따라서

 는 집합  의 원소가 아니다.

[b]  ≠ 인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 식을 만족하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  
     ⇔ 
         
이 때,   라 하면
  
    
 
이므로  의 원소   
 는 절댓값이 1보다 작은 수가 되며, 은 임의의 자연수이므로 무수히 많은   
 가  에 존재
한다.

[별해]  의 원소       이며,      
 는         이라 하면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항상     
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임을 증명하면 된다.
증명은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한다.
(ⅰ)    :     
 ∈ 가 성립한다.
 ∈ 라 하면     
(ⅱ)    :        (  는 정수)라 할 수 있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는 정수이므로  ∈ 이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이다.

   에 대하여 [문제 2]의 결과에 의하여 


[c]     인 경우 구간  에 대하여            가 되는
충분히 큰 이 존재한다. 그리고 ∈ 이다. 그러면 적당한  이 존재하여     를 잡을 수 있다.
    인 경우 : 
     가 되는 충분히 큰 이 존재한다. 그리고 ∈ 이다. 그러면 적당한  이 존재하여
    를 잡을 수 있다.

    인 경우 : 
       가 되는 충분히 큰 이 존재한다. 그리고 ∈ 이다. 그러면 적당한  이 존재하여
    를 잡을 수 있다.

그러므로 집합  는 조밀하다.

[d] 제시문에 의하여 집합  가 조밀하므로 


 으로 수렴하는 수열을  의 원소로 잡을 수 있다. 그 수열을 이라 하자. 그
러면     이므로 
 lim    이 된다.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1 ▹


[문제 2] (30점/100점), (36분/120분)
 
[a] 축과 이루는 각이  이므로 기울기는 tan  가 된다.
     
   
  이면 tan   이고,   이면 tan    이다. 따라서    이고,     이다.
   


[b] 타원     과 두 직선    ,     을
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넓이   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적분계산을 위하여   sin라 하면   cos이고,


 
적분구간은      가 되므로
 
   








  
 
  








coscos 

 
 






  cos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이 되고, 따라서      
    이 된다.
   

   
[c]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
 
 
  lim     
 →∞      

[d] [c]의 결과에 의하여 구하는 값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2 ▹


2012학년도 수시2기출 자연B
▷예시답안
[문제 1] (30점/100점), (36분/120분)
[a]
문제의 조건에 의해 ∠  , ∠  , ∠  이므로   cos ,   cos  cos이다. 배각 공식
에 의해   cos  cos       이고,   cos  cos  cos     이다.
(단, 답안작성시 3배각 공식정도는 덧셈정리로 유도해주는 것이 좋겠다.)

보충 supplement)   cos,   sin이고, 회전변환을 이용하면


   cos   sin  cos  sin   cos      
   cos   sin  coscos  sinsin  cos  cos   cos    
가 된다.

[b]
수학적귀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에 대하여     을 만족하는 차 다항식  가 존재함을 보이자.
(i) 초기치 증명
   일때,     이므로    인 1차 다항식이 존재한다.
   일때,   cos  cos       이므로      인 2차 다항식이 존재한다.

(ii) 연쇄법칙 증명
        를 만족하는   차 다항식    와     를 만족하는 차 다항식 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
자.
   cos    coscos  sinsin ⋯⋯ ①
    cos    coscos  sinsin ⋯⋯ ②
①, ②식의 양변을 각각 더하면    cos    coscos  cos         이 된다. 이때,  은 1차 다
항식,  는 차 다항식,    을   차 다항식이므로   은   차 다항식이 되므로       을 만족하는   차
다항식   가 존재한다.

(i)과 (ii)에서 수학적 귀납법에 따라 임의의 에 대하여     을 만족하는 차 다항식  가 존재함을 안다.

보충 supplement) ①, ②식 둘 모두 전개하지 않고, ①식만으로 같은 결론을 이끌어내자. (결국 같은 이야기)


   coscos  sinsin  
 coscos   sinsin   coscos   coscos
 coscos   sinsin   coscos 
 coscos   cos   
이며, 최고차는 coscos  의 차수이므로   차의 다항식이 된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3 ▹


[c]
 는 의 차 다항식이므로 인수정리에 따라    이 되는 값들을 찾으면 인수분해를 할 수 있다. 즉, 방정식의 근
을 찾으면 인수를 찾는 셈이 된다. 이때,  cos  cos임을 이용하여 을 이 되게 만드는 값을 손쉽게 찾을 수 있
다.
  
  
  
cos   의 해를 구하면,     (단, 는 자연수), 즉     이다. 그러므로  의 근은 다음과 같

다.
  
    cos  cos   (단,   ⋯)

     
즉,   cos   cos   cos   ⋯  cos  의 개의 근을 찾았고, 이 개의 근은 서로 모두 다르다.
   
  
(  ⋯일 때,    이 나타내는 동경은 1사분면과 2사분면에 걸쳐서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번의 결과

와 대수학의 기본정리에 의해 그 이외의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인수정리에 따라  은   cos  ,   cos  , ⋯ ⋯,   cos  을 각각 인수로 가지므로,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cos  ⋯   cos 
   (단,  은 0 이 아닌 어떤 실수) 

      cos     cos     cos   ⋯   cos  


     
 
   
이제 최고차 계수  을 구하자. 일단 귀납적으로
   를 만족하는  
  cos  cos       , 즉    
  cos  cos  cos     , 즉    
이었으므로,      임을 추측할 수 있다. 수학적 귀납법에 따라
(i)    이므로,        을 만족한다.
(ii)      일때, 논제 (b)에서         임을 보였으므로   의 최고차 계수   은
 
 ×      가 된다. 따라서 모든 자연수 에 관하여    이다.

 
 



   
∴         cos    cos    cos  ⋯   cos 
    
보충 supplement) 참고로 실제  의 근을 차례로 구해보면
  
    의 두 근은  ±  이므로   cos이라하면,   이므로     
  
   
        의 세 근은    ±  이므로        이다.
   

[d]
  

lim
→

   
    

  cos (단,  ≤  ≤ )으로 치환하면,    cos,    cos이다. 또한 주어진 에 대하여    cos  ,
  cos인 를 설정하면, 적분구간도 치환변수에 관해서 나타내줄 수 있다.
  
 
lim
→

    →
    
 lim

  
coscos 

→   일 때, →  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다.


  
  
lim
→ 
    →
    
 lim

 
coscos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4 ▹


  
 lim
→ 
 


cos     cos   

 
  sin     sin     
 lim     
→      

보충 supplement) 답만 구하기.
사실 다음과 같이 극한에 대해 먼저 생각한 후에 계산하는 방법도 틀리지는 않다. 하지만 수렴성을 보장 받지 못한 상태에서
마음대로 극한을 분배하는 것은 엄밀성이 떨어진다.
  
  
lim
→

   
    
 coscos    cos     cos   
 

  sin     sin     
    
   

[문제 2] (30점/100점), (36분/120분)


[a]     을 대입하면   이므로   이다.

[b] 주어진 함수방정식에   를 대입하면         이며, 도함수의 정의에 의하여
          
′   lim   lim   lim 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가 된다.   ,    라 했으므로 대입하면   ,   가 된다.


그러므로     이다.

[c]     와   가 만나서 생기는 부분을 그림으로


그리면 다음과 같다. 따라서 구간을 나누어서 적분하면 원하는
부피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포물선의 식을 에 대한 식으로 정리해보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별해] : 껍데기 적분을 이용하여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5 ▹


2012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제 1] (30점/100점), (36분/120분)
[a] 원의 방정식은         이고      과 접하고 있으므로 다음의 식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접하므로 이 식은 완전제곱식이 된다. 따라서    이고,   이다.


이 값을 가지고 를 구하면  ±  가 된다.
따라서    
  ,   
  가 된다.

[b] 두 점은    
  ,   
  이고 ′  이다.
따라서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이므로 접선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또한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  이므로 접선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c] ∠ 의 값을 이라 하면, cos    이고 tan   
 를 만족한다.
  

tan 
   
따라서 tan    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6 ▹


[문제 2] (30점/100점), (36분/120분)
[a]
  

     

도가 나올 확률  도    


개가 나올 확률  개   
       
  
걸이 나올 확률  걸           윷이 나올 확률  윷      
    
 
    

모가 나올 확률  모      
 
 
각각의 점수 2점을 다섯 개 합쳐서 10점이다.

[b]
도가 나올 확률  도      개가 나올 확률  개     
걸이 나올 확률  걸       윷이 나올 확률  윷  
모가 나올 확률  모    
이 때,  도 ≥  개 ≥  걸 ≥  윷 ≥  모 를 만족하는   ≤  ≤ 의 값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면 된다.

조건  도 ≥  개 :    ≥      ≤ 


조건  윷 ≥  모 :  ≥    ≥ 

위의 두 조건으로부터 만족하는 의 값을 구할 수 없다.
결론: 문제에서 원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c]
 걸 ≥  개 ≥  도 ≥  윷 ≥  모 를 만족하는   ≤  ≤ 의 범위를 구하면 된다.
[b]에서 구한 확률의 값을 이용하여 대입하면
    ≥      ≥     ≥  ≥     이 얻어진다.

첫 번째 부등식 :  ≥    ≥ 


두 번째 부등식 :  ≥    ≥ 

 
 
세 번째 부등식 :    ≥  ≤   
 

네 번째 부등식 :  ≥    ≥ 

 
  
답:  ≤  ≤   
( ≤  ≤ 로 써도 무방하다.)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7 ▹


2011학년도 수시1기출 자연
▷예시답안
[문제 1] (150점/600점), (45분/180분)
[a] 제시문에 나온 피보나치수열의 정의를 충족시키는 지 알아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수열 이   ,   ,        을 만족하므로 피보나치수열이다.

한편, 피보나치수열은 1항과 2항이 모두 1이므로 이후의 모든 항은 자연수가 된다.


(∵ 자연수의 집합은 덧셈에 대하여 닫혀있다.)
이 피보나치수열임을 알았으므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은 자연수가 된다.

[b]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자.


(ⅰ)   일 때, (좌변)   , (우변)   . 따라서 성립한다.
(ⅱ)   일 때,       ⋯       가 성립한다고 가정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성립한다. 그러므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한다.

[c] 루카스수열은 점화식은 피보나치수열과 일치하고, 초기조건이 차이가 난다.


 
   
따라서 루카스수열의 일반항 또한    


   
  
  의 꼴이 되리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   를 대입해서  의 값을 구해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두 식을 연립해보면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그러므로 루카스수열의 일반항  은   


  
  
  이다.
 
     
[d] [c]에서 구한 일반항    


   
  을 이용해보면
  lim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8 ▹


     


lim 
 

 li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된다.
  
한편,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가 된다.


     
따라서 분자, 분모를    으로 나누면 주어진 극한값은  가 된다.
 
 

[문제 2] (150점/600점), (45분/180분)


[a]  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평면을 생각하면   ,   ,   가 된다. 내부 또는 경계에 있는 점  를   
라 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단,  ≤  ≤ ,  ≤  ≤ )
최댓값 : 16 (      또는   또는   또는  일 때)
최솟값 : 8 (     일 때)
[b] [a]의 결과를 이용해보면                   이 되고, 정리해보면
         이 된다. 즉, 중심이  이고, 반지름의 길이가 1인 원이다.

[c]
 ,  ,  를 지나는 포물선의 방정식 :       
이제 원과 포물선을 축, 축으로 각각  만큼씩 평행이동을 해보자.
이동된 포물선의 방정식 :     , 원의 방정식 :     


 

포물선과 원의 교점을 구해보면 ±     이 되고, 두 도형으로 둘러싸인 넓이
 




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채꼴과 삼각형의 넓이의 합)
   
   
따라서 구하고자 하는 넓이  는             가 된다.
      

[d] 먼저 점  가 직선  위에 있다고 가정해보자. 삼각형의 성립조건에 의해       ,     가 된다. 두 식을 더해보면


        임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사실은 점  가 직선  위에 있을 때는  가 양쪽 끝에 있을 때, 길이의 합이 최대가
된다는 것이다.
이제 점  가 정사각형의 변  위에 있다고 가정해보면 구하고자 하는 값
            가 되고, 바로 위의 증명과 오른쪽의 그림에 의하여 점  가 점
 나 점  에 있을 때, 길이의 합이 최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결국 점  가 네 꼭짓점 위에 있을 때,       의 값이
최대가 되며, 그 때의 최댓값은   
 가 됨을 알 수 있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59 ▹


2011학년도 모의논술
▷예시답안
[문제 1] (25점/100점), (45분/180분)
(1) ′    이므로 포물선위의 점   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이 식에       를 이용하여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최종적으로 양변을 2로 나누면 원하는 식을 얻게 된다.

(2)     과 직선     를 축으로  만큼 평행 이동시키면 결국 문제는    과       으로 둘러싸인 도
형을 축으로 회전시킨 입체의 부피를 구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   ≥ 일 때, 부피  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     인 경우에는 포물선과 직선이 만나지 않기 때문에 답을 0 또는 무한대로 해야 한다.

(3) (2)번처럼 평행이동을 시키고 대칭축과 빛의 경로선을 포함한 평면위에서만 생각하면 충분함으로 본질적으로 평면위의
포물선    에서만 생각하면 된다.
포물선 위의 점    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이고 따라서
그림에서 입사각을 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tan 
tan   , tan   
  
   tan     
따라서 반사경로  ′ 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  
 
따라서 직선  ′ 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이 식에   을 대입하면    이므로 축과의 교점을  라 하면 점  의  좌표가    로 의 값에 무관함으로 모든 
 
축과 평행한 빛의 경로가  를 통과하게 되고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0 ▹


2010학년도 수시기출
▷예시답안
[문제 1] (16.7점/100점), (30분/180분)

(a)     ∙ 
       


(b)

정 각형의 한 변의 길이 :  sin  sin 

  
정 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c) 정 각형을 원으로 바꾼다는 것은  → ∞임을 의미한다.

 
lim    × sin 
→∞    

  lim  sin   lim    sin
→∞  
→

sin
 lim     
→ 

[문제 2] (16.7점/100점), (30분/180분)



 



  
 
(a)   라 하면   이다. 즉, sin   , sin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n, 
   라 하면 

  tan   sin  tan
  

 

따라서 sin  tan   이다.
 
 
따라서  tan  
  ∵     tan   
 
tan  ,    ∴  
   
 

(b)

   →  

 
 
  , sin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1 ▹


(c) 와 는 역함수관계이므로   에 대한 대칭이므로 이 성질을 이용하면 쉽게 넓이를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 sin 
 
   sin      
 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d)   에서   ,  sin    양변을 에 대하여 미분하면





 

cos   
 
  
∴  ∙ 
  
cos  
  
[문제 3] (16.7점/100점), (30분/180분)

(a) 점화식을 행렬의 표현으로 바꿔보면     


 
 

  
  
이 된다. 즉,  

  

(b)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존재하면   이 되어 성립하지 않는다.

 
따라서 
   
가 존재하지 않는다.

         ∴    또는   

(ⅰ)   일 때,    에서    따라서      

(ⅱ)   일 때,       에서   
  
따라서     
  

(c)

   이므로 성립한다.


(ⅰ)   일 때,   

(ⅱ)   일 때,        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일 때도 성립한다. 그러므로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성립한다.

(d) (c)에서 증명한 식      에 (b)에서 구한 값을 대입해보자.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에   을 곱하면     
     ∙   
이 된다. (a)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2 ▹


201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 1] (25점/100점), (45분/180분)
▷예시답안
정사면체의 한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그림1) 아랫면 또는 윗면삼각형만 회전시켜주면 된다. 왜냐하면 두면 이외의

절단된 면은 이등변 삼각형으로 높이가  보다 작기 때문에 (그림4) 한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을 회전시킨 입체로 간주하

면 된다. 정육면체를 회전시킨 입체는 변의 길이가 1, 
 인 직사각형을 길이 1인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킨 입체로 간
주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절단면은 직사각형은 되지만 한 변의 길이가  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2).
길이 1인 정팔면체를 회전 시키면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을 회전시킨 입체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절단면은 등

변사다리꼴로 윗변의 길이는 1보다 작고, 사다리꼴의 높이는 정삼각형의 높이  부터 정사각형의 높이 1까지 직선을 따라

증가하므로 (그림5) 높이는 1보다 작게 된다. 정팔면체의 다른 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 정팔면체의 대칭성에 의하여
여전히 같은 입체가 나오게 된다.

결론적으로 정사면체는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을 회전시킨 것이고, 정팔면체는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을 회전시킨 것이고, 정육면
체는 길이가 1, 
 인 직사각형을 회전시킨 것이다.

  

 
 
정사면체 회전입체 부피는 원뿔 2개를 붙인 것으로 볼 수 있어서  ×     이고 정팔면체 회전입체 부피는 반지
  
 

름과 높이가 1인 원기둥으로 부피가 가 된다. 정육면체 회전입체 부피는 반지름  , 높이가 1인 원기둥으로 부피가 가
된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3 ▹


▷학생우수답안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4 ▹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5 ▹
[문제 2] (25점/100점), (45분/180분)
▷예시답안
(a) 삼각형  의 무게중심이  이므로       ,       이다.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면   이고     ,     이므로         이다. 따라서 선분  가 원     의 지


름이다. 같은 방법으로   이면 선분  가,   이면 선분  가 원     의 지름이므로 삼각형  는 직각삼
각형이다.

(b)   이면   이고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 cos,     sin  ≤  ≤ 



라 하면         cos  sin    
 sin    이므
 
로        의 값의 범위는   
  이다. 따라서                        의 값의 범위는
       이다.
   또는   인 경우도 같은 방법으로 값의 범위는        이다.

(c) 삼각형  의 무게중심을        ,   ,   라 하고 ∠  라고 하자. 또 세 점  ,  ,
 를 원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각각 만큼 회전이동 시킨 점을 ′ ,  ′ ,  ′ 이라고 하자. 이때, 삼각형 ′  ′  ′ 의 무게
중심이  이므로 (1)에서 보인 바에 의하여 삼각형 ′  ′  ′ 는 직각삼각형이다. 그런데 삼각형  와 삼각형 ′  ′  ′ 이
합동이므로 삼각형  도 직각삼각형이다.

2023 서울시립대학교 FINAL ◃ 6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