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연료유 보급 계통 경유 분배 계통 경유 서비스 탱크(데일리 탱크) (Light Oil
1
(Light Oil Distribution System) Service Tank)
(Oil/Orimulsion
경유 서비스 펌프(경유 펌프) (Light Oil Service
Supply System) 1
Pump (=Light Oil Pump))
디젤 오일 분배 펌프 (Diesel Oil Distribution
1
Pump)
가압 순환 펌프 (Forwarding Pump) 1
서비스 탱크 재순환관 (Service Tank
1
Recirculation Line)

복합 보일러 및 고압 증기 계통(= 주증기 계통) 2


(High Pressure Steam System (= Main Steam System))
보조 계통
중압 증기 계통 (Intermediate Pressure Steam System) 2
저압 증기 계통 (Low Pressure Steam System) 2
터빈 바이패스 계통 바이패스 관 (By-Pass Line) 2
(Turbine By-pass System) 프래쉬 탱크 (Flash Tank) 2
증기 과열 저감기 (Attemperator) 2
저감기 분사수관 (Attemperator Spray Water 2
Line)

질의내용

내진설계 “설비 등급 분류표” 상 소분류에는 기계, 전기 Equipment 로 명확하게 서술되어 있으며 일부 계통에 한하여

배관 설비로 확인되는 사항이 있습니다. 내진설계가 적용되는 설비 등급 분류표 상 항목에 하기와 같이 표기된 사항에 한하여

배관 분야에 내진설계를 적용하면 되는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상기 등급 분류표는 일부만 발췌하였으며 문의드린 사항은 등급표에 적색으로 표기하였습니다.)

1. 소분류에는 상세 항목이 없으나 중분류에 “System”으로 통칭된 계통에 대해 해당 계통에 포함되는 배관

2. 소분류에 “Line” 또는 “관”으로 통칭된 항목에 해당되는 배관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설비등급


발전소내 전력 계통 접지 계통 2
발전소내 전력 계통 소내 접지 계통 2
발전소내 전력 계통 계기 접지 계통 2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통신 설비 계통 통신 설비 제접지 장치 안테나 설비 접지 (Antenna Apparatus Ground) 3
단자함 및 배전반 접지 (Terminal Box & Switch Board Ground)
통신 케이블 접지 (Communication Cable Ground)
통신 기기 접지 (Communication Apparatus Ground)

질의내용

1. 접지 계통은 크게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다음과 같은 질의사항 확인 요청 드립니다. (추가로 내진설계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면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주접지망 (Main Mesh) : 아래와 같이 격자로 구성된 Copper Wire 가 지중 (약 1m 인근)에 묻히는 형태입니다. 별도의 고정이 없어 정착부 내진 설계 적용 불가능합니다.
2) 기기 접지: 아래와 같이 지중 매입된 접지선에서 상부로 노출되어 기기 기초 등에 Conduit 를 이용하여 고정됩니다.

상부로 노출된 접지선부터 기기로 접속하는 구간까지의 접지선 지지를 정착부 내진설계 반영해야 하는 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당 접지선은 경량이고 기기설치 형태 위치에 따라 접지선부터 기기접속까지의 경우 지지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전력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손상시 즉각 조치가 가능한 설비이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설비등급


발전소내 전력 계통 낙뢰 보호 계통 2
질의내용

1. 낙뢰 보호 계통은 크게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다음과 같은 질의사항 확인 요청 드립니다. (추가로 내진설계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면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피뢰침 및 낙뢰 보호 도체

- 피뢰침 정착부에 내진구조 검토서가 필요한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피뢰침은 전력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며 손상시 즉각 조치 가능한 설비이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 건축물 Roof 파라펫 상부에 설치되는 낙뢰 보호 도체는 경량이고 지지애자의 설치간격이 작고, 전력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며 손상 시 즉각 조치 가능한 설비이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2) 인하도선: 아래와 같이 Roof 에서 하부로 Conduit 으로 지지하며 내려가는 인하도선은 매우 경량이고 전력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며 손상 시 즉각 조치 가능한 설비이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설비등급


발전소내 전력 계통 전선관 및 부속장치 3
접속함 (Junction Box) 3

질의내용

1. 내진설계 설비 등급 분류표에는 상기와 같이 전선관 및 부속장치, 접속함( junction Box)이 발전소내 전력 계통에만 명시되어 있고, 타 계통 (예, 용수 처리계통, 연료가스 공급계통 등)에는 언급이 없습니다.

타 계통에도 발전소내 전력 계통과 동일하게 3 등급 적용 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또한, 3 등급 적용시 적용해야 할 크기에 대한 규정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 전선관 내경 : 16mm, 22mm, 28mm, 36mm, 42mm, 54mm, 70mm 등

- 접속함 : 20 pole, 40 pole, 60 pole 등

2. 내진설계 설비 등급 분류표에는 상기와 같이 발전소내 전력 계통에서 전선관 및 부속장치만 언급되어 있고, 주로 많이 사용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의 설비등급도 전선관과 동일하게 3 등급으로 적용하면 되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또한, 3 등급 적용시 적용해야 할 크기에 대한 규정을 확인 부탁드립니다.

- Tray 폭 : 100mm 이하, 150mm, 300mm, 450mm, 600mm, 900mm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발전소내 전력 계통 전식 방지 계통 전극 3
질의내용

1. 전극이란 전식방식 설비 중 ANODE 를 지칭하는 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2. 당 PJT 전식방지 설비는 크게 2 가지가 있으며 전극에 ANODE 가 해당된다면 다음과 같은 질의사항 확인 요청 드립니다.

1) 지중 배관(U/G Pipe) 전식방지 설비 ANODE: 해당 ANODE 는 별도의 고정없이 지중에 묻히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반영하기 불가능합니다.

2) 복수기 전식방지 설비 ANDOE: 해당 ANODE 는 통상 NPT 나사선으로 복수기에 체결됩니다. 설비의 특성상 정착부 내진설계 반영하기 불가능하며 적용사례가 없습니다.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통신 설비 계통 동시 호출 장치 경보용 확성 장치 (Alarm Megaphone) 3
질의내용

1. 경보용 확성 장치란 구내 방송 설비용 SPEAKER가 해당하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당 대상물은 매우 경량, 소형이고 설치조건에 따라 일부는 건축물의 천장 (텍스타일)에 지지, 일부는 건축물 벽체에 매입되므로 내진 설계된 Anchor 등 자재 적용이 매우 곤란하며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
이 불가능합니다.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통신 설비 계통 배선함 옥내 단자함 (Indoor Terminal Box) 3
배선반 (Distribution Panel)

질의내용

1. 벽체에 매입되는 단자함 또는 배선반은 벽체내에 고정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반영이 불가능합니다.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발전소 공용 설비 소화설비 화재 및 가스 탐지 계통 1

질의내용

1. 화재 탐지 계통에서 감지기, 싸이렌, 시각경보기, 표시등, EXIT LIGHT 고정에 대한 정착부 내진설계 반영해야 하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해당 대상물은 매우 경량, 소형이고 설치조건에 따라 일부는 건축물의 천장 (텍스타일)에 지지, 일부는 건축물 벽체에 매입되므로 내진 설계된 Anchor 등 자재 적용이 매우 곤란하며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A. 건축물의 천장에 지지되는 경우


B. 건축물 벽체에 매입되는 경우

2. 소분류에서 언급하고 있는 화재 및 가스 탐지 계통에 화재 탐지설비용 전선관 및 부속장치도 포함되는 것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왜냐하면 화재 및 가스 탐지 계통은 1등급이고, 발전소내 전력 계통에서 언급된 전선관 및 부속장치는 3등급으로 등급이 서로 다르므로 적용 필요 여부 및 적용 등급 기준을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설비분류표에서는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아래와 같은 KDS 41 17 00 건축물 내진설계기준 18.1.2 중요도계수에 언급된 비상유도등에 반드시 내진설계가 적용되어야 하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비상유도등 설비도 상기 질의사항 1번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고정될 대상물은 매우 경량, 소형이고 설치조건에 따라 일부는 건축물의 천장 (텍스타일)에 지지, 일부는 건축물 벽체에 매입되므로 내진 설계된 Anchor 등 자재 적용이
매우 곤란하며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발전소내 전력 계통 정상 조명계통 배전반 (Distribution Panel) 3
(Normal Lighting System(A.C))
발전소내 전력 계통 비상 조명 계통(직류) 배전반 (Distribution Panel) 1
(Emergency Lighting System(D.C))

질의내용

1. 조명계통의 배전반 중 일부는 설치형태에 따라 건물 벽체에 매입하는 경우가 있는데 벽체 매입될 경우 별도로 고정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2. 설비등급 분류표에는 명시되지 않은 설비이지만 아래와 같은 표에 조명기구가 언급되어 있고, 제 3 장 제 10 조(설비 등급 분류)에서 바. 조명설비(비상등)이 명시되어 있어 조명기구에 대해 정착부 내진설계를 반영해야 하는 것인지
확인을 요청 드립니다.

해당 대상물은 매우 경량, 소형이고 설치조건에 따라 일부는 건축물의 천장 (텍스타일)에 지지, 일부는 건축물 벽체에 매입되므로 내진 설계된 Anchor 등 자재 적용이 매우 곤란하며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므로 정착부 내진설계
적용이 불가능합니다.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NA NA NA NA

질의내용

1. 내진설계 “설비 등급 분류표” 상기와 같이 언급되어 있지 않으나, 압력/유량 등을 측정하기 위해 계기와 Pipe 또는 Vessel

사이에 설치되는 도압배관 (Impulse Tubing)용 지지대에 대한 내진설계 적용여부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1) 유량 및 압력 측정용 도압배관은 아래와 같이 설치됩니다.

- 길이 : 약 3m ~ 12m 적용

- 도압배관 (Tube) 외경 : 1/4”, 3/8”, 1/2”, 3/4”, 1” 적용

- 도압배관 지지대 : 아래 T03(Tube)은 현장에서 1.5m 간격으로 지지대 설치.

2) 문의 사항 : 도압배관(Tube)이 짧은 거리이고 외경이 1” 미만으로 소 구경이므로, 미적용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Pressure Transmitter (압력측정) Diff. Pressure Transmitter (유량측정)


l 설비 등급 분류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설비등급


발전소 공용 설비 제어용 압축 공기(Control Air System) 2

질의내용

1. 내진설계 “설비 등급 분류표” 상기와 같이 제어용 압축 공기가 명시되어 있으나, 아래와 같이 제어밸브에

Air 공급을 위한 Air Piping/Tubing 설치 시 이를 위한 지지대의 내진설계 적용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1) Air Manifold(J/B) 없는 경우 Air Tubing 은 아래와 같이 설치됩니다.

- Air Tubing(T03) 길이 : 약 2m ~ 3m 내 적용

- T03(Tube) 외경 : 1/4”, 3/8” 또는 1/2” 적용

- T03(Tube) 지지대 : 현장에서 1.5m 간격으로 지지대를 설치함

2) Air manifold(J/B) 있는 경우 Air Piping/Tubing 은 아래와 같이 설치됩니다

- Air Tubing(507) 길이 : 약 3m ~ 15 m 적용

- 507(Tube) 외경 : 3/8”, 1/2” 또는 3/4” 적용

- 507(Tube) 지지대 : 현장에서 1.5m 간격으로 지지대를 설치함

3) 문의 사항 : Air Tube 가 짧은 거리이고 외경이 3/4” 미만으로 소 구경이므로, 미적용 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Air Manifold(J/B) 없는 경우 Air manifold(J/B) 있는 경우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