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5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115회
문제풀이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1-
0
기본이론, 원리 기본이론, 원리

1
2 2
3 3
기본이론, 원리 조명설비 조명설비

0
조명설비 동력설비 동력설비

2 2
동력설비 수변전 시스템 수변전 시스템

1 1
수변전 시스템 고장전류 고장전류

3
고장전류 변압기 변압기

2 2 2 2 2
변압기 피뢰기(절연협조) 피뢰기(절연협조)
1 1 1 1

피뢰기(절연협조) 고압 차단기, 개폐기 고압 차단기, 개폐기

0 0 0
고압 차단기, 개폐기 파워퓨즈 파워퓨즈

1
파워퓨즈 계기용변성기 계기용변성기

2
계기용변성기
콘덴서, 역률개선 콘덴서, 역률개선

0 0 0 0 0
콘덴서, 역률개선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기술사 스터디)


발전기 발전기

1
발전기

0
축전지 축전지
축전지
0 0 0 0 0 0

UPS UPS

0 0
UPS

1 1
2

배전설비 배전설비

2
배전설비

0
1

고조파 및 전기품질 고조파 및 전기품질

2
고조파 및 전기품질

1
0

1 1
케이블, 열화진단 케이블, 열화진단
케이블, 열화진단

2
3

보호계전, 감시제어 보호계전, 감시제어


보호계전, 감시제어

113회 출제 분석
114회 출제 분석
115회 출제 분석

1
1

2 2
접지설비 접지설비 접지설비
6
2

5
IEC 60364, 법규, 기준 IEC 60364, 법규, 기준 IEC 60364, 법규, 기준

1
0

피뢰설비(IEC 62305) 피뢰설비(IEC 62305) 피뢰설비(IEC 62305)

0
1

0 0
방재시설(내진,방폭… 방재시설(내진,방폭… 방재시설(내진,방폭…

1
4

3
에너지 절약, 신기술 에너지 절약, 신기술 에너지 절약, 신기술
2
1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신재생에너지


반송설비 반송설비 1 반송설비
0
0 0

0 0 0
통신설비 통신설비 통신설비
1
2

3
설계,감리 및 기타 설계,감리 및 기타 설계,감리 및 기타
건축전기설비 기술사 과년도 문제분석!

김신일 기술사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1교시

-3-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기술사 제 115 회 제 1 교시 (시험시간: 100분)
분 전기·전자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수험 성
야 종목 번호 명
함께해요~ 청렴실천!! 같이해요~ 청정한국!!

※ 다음 문제 중 10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10점)

1. 수변전설비의 옥외형과 옥내형을 선정하는 데 필요한 설계조건을 설명하시오.


2. 전기사업법에 의한 자가용 전기설비에서 일반용 전기 설비 범위에는 해당하나 안전
등을 위하여 일반용 전기설비로 보지 않고 자가용전기설비로 보는 대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ESCO(Energy Service Company)의 주요 역할과 계약제도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4. 피뢰기(Lightning Arrester)가 가져야 할 특성을 설명하시오.
5. 한국전력의 전력품질 3대 지표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전압 2) 주파수 3) 정전시간
6.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설명하고 전력설비에서의 적용 현황을 설명하시오.
7. 승강기의 효율 향상에 사용되는 회생제동장치의 원리와 설치 제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초전도케이블에 사용되는 제1종 초전도체와 제2종 초전도체의 특성을 비교 설명하시오.
9. 최근 제정 공고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주요 사항을 설명하시오.
10. 루미네슨스(Luminescence) 개념과 종류를 설명하시오.
2-1

-5-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기술사 제 115 회 제 1 교시 (시험시간: 100분)
분 전기·전자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수험 성
야 종목 번호 명

11. 변압기용 보호계전기 정정시 사용하는 통과고장 보호 곡선(Through Fault Protection


Curve)을 설명하시오.
12. 분산형 전원을 한국전력공사 계통에 연계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13. 다음 회로에서 단자(a, b) 왼쪽의 테브난(Thevenin) 등가회로를 그리고, 부하전류를
구하시오.
(단, 부하저항 RL=8 Ω)

2-2

-6-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수변전설비의 옥외형과 옥내형을 선정하는 데 필요한 설계조건을 설명하시오.
1-1

1. 수변전설비 개요
1) 수·변전실은 전력회사로부터 수전한 전력을 부하설비에 적합한 전력으로 변성, 분배, 중계역할
을 하는 장소이며,
2) 수변전설비의 위치에 따라 옥외형과 옥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옥외형과 옥내형 선정 조건 및 특징
1) 옥외형 수변전설비 설계조건 및 특징
(1) 적용 장소 : 부지에 제한이 적은 공장 등에 옥외형 적용
(2) 옥외 설치시 건축물 비용이 적어진다
(3)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 유지보수 공간 확보 용이, 장비 반출입 용이
(4) 기기를 옥외형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 옥외형 유입변압기, 옥외형 MOF(유입형) 등
(5) 외함 내부에 설치하는 기기는 방우형 외함으로 선정한다.
(6) 염해가 우려되는 해안지대 및 부식성 가스가 발생하는 곳에는 부적합 하다.
(7) 옥외 휀스 설치가 필요함

2) 옥내형 수변전설비 설계조건 및 특징


(1) 적용 장소 : 부지에 제한이 있는 빌딩 등의 건축물에 옥내형 적용
(2) 건축물 내부에 전기실 필요, 또는 별도의 전기실용 건축물 설치.
(3) 건축물 지하층에 수변전설비 설치시 장비 반출입 불편함.

-7-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4) 난연성의 전력기기 선정이 용이하다. ⇒ 물드변압기, VCB, MOLD형 MOF 선정

3. 맺음말(설계 적용)
1) 최근에는 재해방지, 시설면적의 최소화 관점에서 수변전설비를 큐비클에 내장하는 방식을 많
이 채용하고 있다.
2) 염해, 부식성 가스, 수분의 침투방지, 화재 및 유지관리성을 고려한 OIL LESS화 등을 고려하여
옥내형 수변전설비를 주로 채용하고 있다.
3) 터널 등에는 전기실의 건설에 따른 경제성을 고려하여 옥외형 수변전설비를 채용하고 있다.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8-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전기사업법에 의한 자가용 전기설비에서 일반용 전기 설비 범위에는 해당하나


건115
안전 등을 위하여 일반용 전기설비로 보지 않고 자가용전기설비로 보는 대상에
1-2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전기설비의 종류
1)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전기설비중 전기사업자가 전기사업에 사용하는 전기설비
2) 일반용 전기설비
소규모의 전기설비로서 한정된 구역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전기설비
(1) 전압 600V 이하로서 용량 75kW 미만의 전력을 타인으로부터 수전하여 그 수전장소에서 그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 (제조업 또는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전기설비는 용량 100킬
로와트)
(2)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10kW 이하인 발전기
3) 자가용 전기설비
전기사업용 전기설비 및 일반용 전기설비 외의 전기설비로서 사용자가 전기안전관리담당자를 선임하여
유지․관리하는 전기설비

2. 일반용 전기설비로 보지 않고 자가용 전기설비로 보는 대상

제3조(일반용전기설비의 범위) ① 「전기사업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8호에 따른 일반용전기


설비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기설비로 한다.
1.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75킬로와트(제조업 또는 심야전력을 이용하는 전기설비는 용량 100킬
로와트) 미만의 전력을 타인으로부터 수전하여 그 수전장소(담·울타리 또는 그 밖의 시설물로 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구역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에서 그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
2. 전압 600볼트 이하로서 용량 10킬로와트 이하인 발전설비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기설비는 일반용전기설비로 보지 아니한
다.
1. 자가용전기설비를 설치하는 자가 그 자가용전기설비의 설치장소와 동일한 수전장소에 설치하는 전기
설비
2. 다음 각 목의 위험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킬로와트 이상의 전기설비
가.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제2조제3항에 따른 화약류(장난감용 꽃불은 제외한다)를 제조
하는 사업장
나. 「광산안전법 시행령」 제3조제1항제2호가목에 따른 갑종탄광

-9-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다.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른 도시가스사업장,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따른 액화


석유가스의 저장·충전 및 판매사업장 또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 따른 고압가스의 제조소 및
저장소
라. 「위험물 안전관리법」 제2조제1항제3호 및 제5호에 따른 위험물의 제조소 또는 취급소
3. 다음 각 목의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시설에 설치하는 용량 20킬로와트 이상의 전기설비
가. 「공연법」 제2조제4호에 따른 공연장
나.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조제10호에 따른 영화상영관
다. 「식품위생법 시행령」에 따른 유흥주점·단란주점
라.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체력단련장
마. 「유통산업발전법」 제2조제3호 및 제6호에 따른 대규모점포 및 상점가
바. 「의료법」 제3조에 따른 의료기관
사. 「관광진흥법」에 따른 호텔
아.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른 집회장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전기사업법

- 1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ESCO(Energy Service Company)의 주요 역할과 계약제도의 종류를 설명하시오.
1-3

1. ESCO의 역할 및 주요사업 분야
1) 역할

기존 에너지사용 시설의 고효율 에너지사용 시설로의 개체 또는 보완을 위한 현장조사, 사업


제안, 기본·상세설계, 설치·시공, 시운전, 유지관리 및 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 대한 설치·시공·용
역 제공
2) 주요사업 분야

- 에너지절약형 시설 개체 사업
- 전기 대체 냉방시설 등 수요관리 투자사업
- 산업체 공정개선 사업 및 폐열에너지회수설비 설치사업 등

2. 계약제도의 종류
1) 성과확정방식
- 시설설치에 투자되는 자금은 ESCO기업이 조달(자체자금, 정책자금 등)하고,
- 시설투자에 의한 절감액은 약정에 의하여 배분하고, ESCO기업의 투자비 회수가 종료되면 에
너지절감 비용은 에너지사용자의 이익으로 돌아감.
- 에너지절약효과가 충분히 검증된 시설에 대해 예상 에너지절감량(액)을 바탕으로 투자비상
환계획을 미리 확정하는 방식으로 설치 후 에너지절감량(액)을 ESCO가 보증하지 않음.

2) 사용자 파이낸싱 성과보증방식


- 시설투자의 소요자금은 에너지사용자(고객)가 조달(자체자금, 정책자금 등)하고,
- 시설투자에 의한 절감액을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이 에너지사용자에게 보증하고 투자시설에
대하여 사후관리를 실시(2001년 부터 시행)
- 사업계획 수립 시 에너지절약전문기업과 에너지사용자가 상호 함의하여 목표절감량 및 보증
절감량(목표절감량의 80%를 초과해야 함)을 설정하고, 사업완료 후 측정결과에 따라 차액
보전 또는 초과절감분에 대한 성과배분 등 계약 이행.

- 1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사업자 파이낸싱 성과보증방식


- 시설설치에 투자되는 자금은 ESCO기업이 조달(자체자금, 정책자금 등)하고,
- 시설투자에 의한 절감액은 약정에 의하여 배분하고, ESCO기업의 투자비 회수가 종료되면 에
너지절감 비용은 에너지사용자의 이익으로 돌아감.
- 시설투자에 의한 절감액을 ESCO기업이 에너지사용자에게 보증하고 투자시설에 대하여 사후
관리 실시. (2011년부터 시행)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전기사업법

- 1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피뢰기(Lightning Arrester)가 가져야 할 특성을 설명하시오.
1-4

1. 피뢰기가 가져야 할 특성
1) 충격방전개시 전압이 낮을 것.
(1) 이상전압 침입시 신속하게 방전하여야 한다.
(2) 충격파 방전개시 전압이 낮을수록 신속히 방전하여 서지 전압을 낮출 수 있다.

2)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이 높을 것.
(1) 상용주파 과전압에서 피뢰기 방전시 피뢰기가 과열 소손된다.
(2) 상용주파 과전압의 종류 : 일시적 과전압, 1선 지락시 건전상 대지전위 상승, 페란티 현상
등.
(3) 상용주파 과전압에서는 피뢰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이 높아야 한다.

3) 방전내량이 크면서 제한전압이 낮을 것.


(1) 방전 후 서지전류 통전시 단자전압을 일정전압 이하로 억제

- 1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 
(2) 제한전압 수식 :         (여기서,    )
       

4) 속류차단능력이 충분할 것.
(1) 속류란 이상전압 방전후 피뢰기를 통하여 계속 흐르는 상용주파 전류.
(2) 속류 지속 시 계통은 1선 지락상태가 되며, 피뢰기는 과열 소손된다.
(3) 피뢰기는 이상전압 처리 후 속류를 차단하여 자동회복 능력을 가질 것.

5) 구조가 견고하고 특성이 변화하지 않을 것.


⇒ 반복동작에서도 피뢰기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고, 내구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2. 맺음말(실무적용)
실무에서는 특성이 우수한 갭레스형 산화아연(ZnO) 피뢰기를 사용한다.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1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한국전력의 전력품질 3대 지표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5 1) 전압 2) 주파수 3) 정전시간

1. 한국전력 전력품질 3대 지표
1) 전압
(1) 전압의 변동이 없이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것은 전력품질 유지의 중요한 요소이다.
(2) 계통의 임피던스와 전류의 크기에 따라 전압강하 및 전압상승 등 전압변동이 발생한다.

(3) 순시전압강하 및 전압상승 지표


① 순시 전압강하(Sag)

② 순시 전압상승(Swell)
전압 상승 범위가 1.1 ~ 1.8 PU 이내.
(4) 한전의 전압유지 범위

- 1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5) 산자부 전력계통 품질 유지기준


① 765kV : 765 ± 5% (726kV ∼ 800kV)
② 345kV : 345 ± 5% (328kV ∼ 362kV)
③ 154kV : 154 ± 10%(139kV ∼ 169kV)
④ 22.9kV 계통의 전압조정 장치를 수동으로 운전하는 경우에는 아래의 부하대별 전압조정 목
표에 따른다.
가. 경부하시 : 22.0kV
나. 중부하시 : 22.9kV
다. 첨두부하시 : 23.9kV

2) 주파수
(1) 우리나라 주파수는 60 Hz를 표준으로 한다.
(2) 주파수 조정 및 유지범위
① 발전력 및 전기저장장치의 유효전력 조정 등의 방법으로 계통주파수를 평상시 60±0.2Hz의
범위 이내로 유지하여야 한다.
② 다만, 비상상황의 경우에는 62Hz∼57.5Hz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다.

3) 정전시간
(1) 정전이란 : 전압이 순간 또는 장시간 존재하지 않는 현상 → 경제적 손실 등 파급영향이 크
다.
(2) 정전구분
가) 순간정전:0.07∼2초
나) 단시간정전:2초∼1분
다) 장시간 정전:30분 이상
(3) 호당 정전시간(SAIDI)
  ×  
① 호당 정전시간(SAIDI) =  [분/초]
 

-  : 총 수용가 수, -  : 정전지속시간(분), -  : 정전 수용가 수

② 우리나라의 호당 정전 시간은 약 19분이며, 세계 최고 수준이다.

- 1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맺음말(실무적용)
송배전계통의 전기품질은 정전시간ㆍ공급전압 유지율ㆍ주파수 유지율 등을 산출해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전력은 이 같은 요소에서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한전 공급약관
- 산자부 전력계통 신뢰도 및 전기품질 유지기준

- 1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을 설명하고 전력설비에서의 적용 현황을


1-6 설명하시오.

1. 개요
1) 사물 인터넷이란 “ 네트워크에 연결된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사물들이 인간의 명시적 개입 없
이 상호 정보를 주고 받으며 인간 중심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인프라 기술 “ 을
말한다.
2) 전기분야에서는 전력설비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어 DAS(배전자동화), AMI(원격검침인프라),
SCADA, 전력 BIG DATA,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절약에 응용 가능하다.

2. 사물 인터넷 기술요소
1) 구성도
센서 - 유무선 네트워크 – 플랫폼 및 서비스 인터페이스로 구성

- 1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기능

스마트 센서 네트워크(게이트웨이) 플랫폼

센서등록
데이터 인식 , 추출 기능 센서를 인터넷으로 플랫폼 연결 원격접근 가능 표준제공
데이터 가공

장치관리
실시간 정보
근거리 : Zigbee, Bluetooth, Wifi
RFID , GPS , 자이로스코프, 다양한 센서 연결
원거리 : Ethernet
가속도계 빅데이터 관리
이동통신망 : WAN
보안성
다양한 단말기 연동

3. 전력분야 사물 인터넷
1) 응용분야
(1) 에너지 분야
➀ 스마트 그리드에 적용.
➁ 전력 BIG DATA
(2) 전력계통 운영
➀ DAS(배전자동화)
➁ AMI(원격검침인프라)
➂ SCADA(원격감시제어)
(3) 고장, 절연진단

2) 배전계통 IoT
(1) 기능
➀ 전주상부 : 코로나, 자외선, 대기온도, 기울기, 진동 검출
➁ COS : 기울기, 자기장 검출
➂ 변압기 : 표면온도, 진동
➃ 개폐기 : 기울기, 진동 검출

- 1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스마트센서 가공선로 적용 개념도 ]

(2) 배전계통 설비 관리 시스템 비교

구 분 배전지능화 시스템 진단장비 시스템 전력 IOT

주요기능 고장검출 / 복구 PD 신호 검출 센서 데이터 관리

관련기술 계통제어 기술 미세신호 계측/분석 빅데이터 기술(상황인식)

운영관점 사후보전 예방보전 고장예지

4. 결론
1) 전력분야는 오래전부터 안정적인 전력공급 및 관리를 위해 이미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스마트 그리드 도입 등으로 전려계통 IoT 기술은 더욱 발전될 것이다.
2) 전력분야 IoT 기술은 발전소, 송배전망, 변전소 및 건축물 내부의 각종 전력기기, 조명, 냉난방
등에 매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 2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승강기의 효율 향상에 사용되는 회생제동장치의 원리와 설치 제한 사항에 대하여


1-7 설명하시오.

1. 회생제동장치의 원리
1) 직류전동기의 회생제동
(1) 권상기, 크레인 등으로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경우 또는 전동차가 경사로를 내려가는 경우
등 가속을 받는 곳에 유효하게 활용되는 방식
(2) 전동기에 전원전압이상으로 역기전력이 증가하면 전동기는 발전특성으로 동작하여 제동한
다.
(3) 분권전동기는 계자전류만 증대시키면 발전기로 동작
(4) 직권전동기는 계자권선의 접속을 바꾼다.
2) 유도전동기의 회생제동
(1) 동기 속도 이상의 속도(슬립이 부의 값)로 운전하면 유도발전기의 영역이 되어 그 발생전력
을 전원에 반환하면서 제동하는 방법

(2) 기계적 제동과 같은 마찰에 의한 마모나 발열이 없이 전력 회수가 되는 양호한 방법.


(3) 전원 주파수를 낮추면 동기속도가 회전속도에 비해 낮아지므로 슬립은 마이너스가 되고, 회
생제동하게 된다. 회생제동은 제동할 때 손실이 가장 적고 효율이 높은 제동이다.

2. 승강기의 회생제동 원리
1) 엘리베이터의 탑승칸이 무게추보다 가벼운
상태로 상승 또는 무게추 보다 무거운 상태
로 하강할 때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회생제동 한다.

- 2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회생제동장치의 구성(기존 저항제동 및 최근 회생제동장치)

3. 설치 제한 사항 (설치시 주의사항)
1) 기존 승강기의 교체 가능여부 확인
기존의 제동 방식이 저항제동(발전제동) 방식인 경우에 적용 가능 → 기존 제동방식 확인 필요.

2) 기존 권상기(모터)의 용량 kW 확인
기존 권상기의 용량보다 같거나 큰 회생제동장치(인버터) 용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3) 기존 전동기가 직류전동기인지 교류전동기인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4) 계통 연계장치 고장시 저항제동 할 수 있는 보호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5) 운행율에 따라 경제성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설치비 대비 경제성을 검토하여 설치한다.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승강기 회생제동장치 제조사 자료(인터넷 검색)

- 2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초전도케이블에 사용되는 제1종 초전도체와 제2종 초전도체의 특성을 비교


1-8 설명하시오.

1. 초전도체의 종류
1) 1종 초전도체:순금속 초전도 물질로 마이스너 상태만 있는 초전도체로 완전 반자성의 성질이
다.
2) 2종 초전도체
가) 마이스너 상태와 혼합 상태가 있는 초전도체로서 자기장이 약할 때는 마이스너 상태만 가
져 완전 반자성 성질이 있다.
나) 외부 자기장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자속선이 도체로 침입하여 상전도 상태로 된다. 그러나
피닝현상을 이용하여 강한 자기장 하에서도 큰 임계전류를 가질 수 있다.

2. 1종 초전도체와 2종 초전도체의 특성 비교
1) 1종 초전도체와 2종 초전도체의 종류

- 2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자장과 온도의 관계 비교

3) 자장과 자화의 관계 비교

- 2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4) 온도에 따른 저항과의 상태변화


(1) 1종 초전도체 : 임계온도 낮음 → 저온 초전도체
(2) 2종 초전도체 : 임계온도 높음 → 고온 초전도체

- 2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참고) 1세대 고온초전도선과 2세대 고온초전도선의 비교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초전도 교육자료

- 2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최근 제정 공고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주요 사항을 설명하시오.
1-9

1.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제정이유
ㅇ 전기산업계에서 국제표준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명확·불필요한 규제사항을 해소하고, 전기설비
의 환경 변화에 대한 안전성, 신뢰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여 해외 전력시장 진출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등 전기설비기술의 선진화를 통하여 국내 전력산업 기술발전과 국제표준에 부합한
사용자 중심의 전기안전규정(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을 제정

2.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주요사항
ㅇ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로 저압전기설비 범위 규정

ㅇ 시설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선 색상 식별 규정
표 121.2-1 전선식별

상(문자) 색상
L1 갈색
L2 흑색
L3 회색
N 청색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ㅇ 기존 종별 접지시설 규정을 폐지하고 국제표준에 부합한 접지시설로 규정


ㅇ 과전류에 대한 보호 방법 및 케이블트렁킹 시스템 등 배선공사 방법을 국제기준으로 규정
ㅇ 기존 발전설비의 용접 분야를 보일러 및 부속설비 등 각 시설별로 통합하여 규정

※ 참고자료
- 한국전기설비규정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 제1조(시행일) 이 공고는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 2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루미네슨스(Luminescence) 개념과 종류를 설명하시오.
1-10

1. 루미네슨스의 개념
1) 루미네슨스는 어떠한 자극에 의하여 발광하는 현상
2) 열방사 이외의 발광을 루미네슨스라고 한며, 방전램프와 EL램프가 대표적 임.
3) 자극의 종류에 따라 루미네슨스의 종류를 분류한다.

2. 루미네슨스의 종류
1) 전기 루미네선스
:기체 또는 금속증기 내의 방전에 따른 발광현상. → 네온관, 수은등
2) 전계 루미네선스
:전계의 작용에 의한 고체 발광현상. → EL램프, 발광다이오드(LED)
3) 방사 루미네선스
:어떤 화합물이 방사에너지(광선, 자외선, X선 등)를 받아 그 파장보다 긴 파장의 발광을 하는
현상. 방사 루미네선스는 Stoke's Law에 따른다. → 형광등, 야광 Paint
4) 열 루미네선스
:같은 온도의 흑체보다 더 강한 방사를 하는 것. 산화아연가열 → 심한 청색발산
5) 음극선 루미네선스
:음극선이 물체를 자극할 때 발생하는 발광현상. → 브라운관, 오실로그래프
6) 초(焦) 루미네선스
:알칼리 금속 등 금속증기가 발광하는 것 → 발염아크
7) 생물 루미네선스
:개똥벌레, 발광어, 야광충 등에서 일어나는 발광현상.
8) 화학 루미네선스
:황린이 산화할 때 발광하는 것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2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2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3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분산형 전원을 한국전력공사 계통에 연계 할 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1-12 설명하시오.

1. 분산형전원 계통연계 고려사항 – 한전기준 목차

제1절 기본사항 제2절 평가사항


제6조(전기방식) 제20조(한전계통 전압의 조정)
제7조(한전계통 접지와의 협조) 제21조(저압계통 상시전압변동)
제8조(동기화) 제22조(특고압계통 상시전압변동)
제9조(비의도적인 한전계통 가압) 제23조(단락용량)
제10조(감시설비)
제11조(분리장치)
제12조(연계 시스템의 건전성)
제13조(한전계통 이상시 분산형전원 분리 및 재병입)
제14조(분산형전원 이상시 보호협조)
제15조(전기품질)
제16조(순시전압변동)
제17조(단독운전)
제18조(보호장치 설치)
제19조(변압기)

제6조(전기방식)
① 분산형전원의 전기방식은 연계하고자 하는 계통의 전기방식과 동일하게 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 2.1> 연계구분에 따른 계통의 전기방식

구 분 연계계통의 전기방식

교류 단상 220V 또는 교류 삼상 380V 중 기술적으로 타당하


저압 한전계통 연계
다고 한전이 정한 한가지 전기방식

특고압 한전계통 연계 교류 삼상 22,900V

- 3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제7조(한전계통 접지와의 협조)


과전압을 유발하거나 한전계통의 지락고장 보호협조를 방해해서는 안 된다.

제8조(동기화)
<표 2.2> 계통 연계를 위한 동기화 변수 제한범위

분산형전원 정격용량 주파수 차 전압 차 위상각 차


합계(kW) △
( f, Hz) △
( V, %) △
( Φ, °)

0 ~ 500 0.3 10 20

500 초과 ~
0.2 5 15
1,500
1,500 초과 ~
0.1 3 10
20,000 미만

제9조(비의도적인 한전계통 가압)


분산형전원은 한전계통이 가압되어 있지 않을 때 한전계통을 가압해서는 안 된다.

제10조(감시설비)
분산형전원 연결점에 연계상태, 유․무효전력 출력, 운전 역률 및 전압 등의 전력품질을 감시하
기 위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제11조(분리장치)
① 접속점에는 분리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② 전압․전류 감시기능, 고장표시(FI, Fault Indication) 기능 등을 구비한 자동개폐기를 설치

제12조(연계 시스템의 건전성)


① 전자기 장해로부터의 보호
② 내서지 성능 : 연계 시스템은 서지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제13조(한전계통 이상시 분산형전원 분리 및 재병입)


① 한전계통의 고장

- 3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분산형전원은 연계된 한전계통 선로의 고장시 해당 한전계통에 대한 가압을 즉시 중지 한다.

<표 2.3> 비정상 전압에 대한 분산형전원 분리시간

전압 범위 분리시간
(기준전압에 대한 백분율[%]) [초]
V < 50 0.16
50 ≦ V < 88 2.00
110 < V < 120 1.00
V ≧ 120 0.16

<표 2.4> 비정상 주파수에 대한 분산형전원 분리시간

주파수 범위 분리시간
분산형전원 용량
[Hz] [초]
> 60.5 0.16
30kW 이하
< 59.3 0.16
> 60.5 0.16
< {57.0 ~ 59.8} {0.16 ~ 300}
30kW 초과
(조정 가능) (조정 가능)
< 57.0 0.16

⑤ 한전계통에의 재병입(再竝入, reconnection)


1. 한전계통에서 이상 발생 후 해당 한전계통의 전압 및 주파수가 정상 범위 내에 들어올 때까
지 분산형전원의 재병입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
2. 분산형전원 연계 시스템은 안정상태의 한전계통 전압 및 주파수가 정상 범위로 복원된 후 그
범위 내에서 5분간 유지되지 않는 한 분산형전원의 재병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지연기능
을 갖추어야 한다.

- 3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제14조(분산형전원 이상시 보호협조)


① 분산형전원의 이상 또는 고장시 이로 인한 영향이 연계된 한전계통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분산
형전원을 해당 계통과 신속히 분리하기 위한 보호협조를 실시하여야 한다.

제15조(전기품질)
① 직류 유입 제한
분산형전원 및 그 연계 시스템은 분산형전원 연결점에서 최대 정격 출력전류의 0.5%를 초과
하는 직류 전류를 계통으로 유입시켜서는 안 된다.
② 역률
1. 분산형전원의 역률은 90% 이상으로 유지함을 원칙으로 한다.
2. 분산형전원의 역률은 계통 측에서 볼 때 진상역률(분산형전원 측에서 볼 때 지상역률)이 되지
않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③ 플리커(flicker)
플리커나 설비의 오동작을 초래하는 전압요동을 발생시켜서는 안 된다.
④ 고조파
「배전계통 고조파 관리기준」에 준하는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고조파 전류를 발생시켜서는 안
된다.

제16조(순시전압변동)
<표 2.5> 순시전압변동률 허용기준

변동빈도 순시전압변동률

1시간에 2회 초과 10회 이하 3%

1일 4회 초과 1시간에 2회 이하 4%

1일에 4회 이하 5%

제17조(단독운전)
단독운전 발생 후 최대 0.5초 이내에 한전계통에 대한 가압을 중지해야 한다.

- 3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제18조(보호장치 설치)
1. 계통 또는 분산형전원 측의 단락․지락고장시 보호를 위한 보호장치를 설치한다.
2. 적정한 전압과 주파수를 벗어난 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과․저전압 계전기, 과․저주파수 계
전기를 설치한다.
3. 단순병렬 분산형전원의 경우에는 역전력 계전기를 설치한다.
② 역송병렬 분산형전원의 경우에는 제17조에 따른 단독운전 방지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연계
를 차단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19조 (변압기)
직류발전원을 이용한 분산형전원 설치자는 인버터로부터 직류가 계통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연계 시스템에 상용주파 변압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제20조(한전계통 전압의 조정)


④ 원칙적으로 분산형전원은 계통의 전압을 능동적으로 조정하여서는 안 된다.

제21조(저압계통 상시전압변동)
① 저압 일반선로에서 분산형전원의 상시 전압변동률은 3%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제22조(특고압계통 상시전압변동)
① 특고압 일반선로에서 분산형전원의 연계로 인한 상시전압변동률은 각 분산형전원 연계점에서
의 전압 상한여유도 및 하한 여유도를 각각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제23조(단락용량)
① 분산형전원 연계에 의해 계통의 단락용량이 다른 분산형전원 설치자 또는 전기사용자의 차단
기 차단용량 등을 상회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해당 분산형전원 설치자가 한류리액터 등 단락
전류를 제한하는 설비를 설치한다.

※ 참고자료
- 분산형전원 계통연계 기술기준(한국전력공사)

- 3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3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3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3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교시

- 39 -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기술사 제 115 회 제 2 교시 (시험시간: 100분)
분 전기·전자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수험 성
야 종목 번호 명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3상 유도전동기 공급 선로에서 CT(100/5A)의 2차측에 50/51 계전기가 연결되어 있다.
50/51 계전기의 정정치와 시간탭 설정 방법을 그림으로 설명하시오.
(단, 3상 유도전동기의 정격은 500 kW, 6.6 kV이고 역률과 효율은 각각 92 %와 93 %이다.
구속전류는 정격전류의 6배이고, 가속시간 5초, safe stall time 9초이다.)
2. 축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를 전기 계통에 도입하고자
할 때, ESS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3가지 용도를 설명하고, 각각의 경제성을
B/C(Benefit/Cost) 측면에서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3. 대단위(대지면적 : 약 100만 m2, 용도 : 종합대학, 자동차공장, 놀이시설, 공항 등) 단지의
구내에 다수의 변전실을 설계하고자 한다. 배전계통에 대하여 설명하고 적합한 계통
구성 방식을 설명하시오.
4. 표피효과는 케이블에 영향을 준다. 표피효과와 표피두께는 주파수와 재질의 특성에
의하여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시오.
5. 접지전극의 설계에서 설계 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접지를 위한 단계별 고려사항을
설명하시오.
6. 지하 2층에 1000 kW 디젤발전기를 설치하였다. 준공검사에 필요한 전기와 건축 및
기계적인 점검사항을 설명하시오.
1-1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4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5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5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5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5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5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5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전기 기술사 공부 밴드]

[전기 기술사 공부 카페]

- 5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접지전극의 설계에서 설계 목적에 맞는 효과적인 접지를 위한 단계별 고려사항을


2-5 설명하시오.

1. 개요
1) 접지목적에 적합한 접지저항 목표값이 결정되면 목표한 접지저항 값을 얻기 위하여 접지설계
의 단계별 고려할 사항을 검토하며 설계하여야 한다.
2) 접지설계는 접지설비의 신뢰성, 접지저항의 유지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설계 한다.

2. 접지전극 설계 순서 (설계 FLOW)

3. 단계별 고려사항
1) 접지 저항 결정
(1) 고장전류 유입에 의한 대지전위상승(GPR) 검토한다.
(2) 허용 접촉전압 및 보폭전압을 고려하여 접지저항을 결정한다.
(3) 지락사고시 간접접촉에 의한 인체 허용전류의 안전한계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4) 접지극은 가능한 낮은 접지저항을 유지하도록 한다. → 피뢰시스템 접지극 등.

- 5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대지 파라미터 검토
(1) 접지극 설치장소의 대지고유저항을 측정한다.
→ 4점 웨너법에의한 대지고유저항 측정
(2) 측정된 대지고유저항의 분포를 검토한다.

3) 접지공법 및 접지재료 선정
(1) 접지 공법 종류 : 봉형, 메시형, 건축물 구조체 사용 공법 등
(2) 봉형 접지공법 특징
- 부지면적이 제한되어 좁은 경우에 적용
- 심타공법 : 깊은 장소의 대지고유저항이 낮은 경우
- 병렬접지공법 : 대지 표면부근의 대지고유저항이 낮은 경우
(3) 메시형 접지공법 특징
- 접지의 안정성 우수 → 공통접지공법 선정시 채택
- 서지임피던스 저감효과 우수
- 건축물, 공장, 변전소의 접지에 주로 사용한다.
(3) 건축물 구조체 사용 접지
- 철골, 철근에 접지전극 접속. → Cage형의 이상적인 접지극 구성이 가능함.
- 접지저항이 낮아지며, 안정된 접지극 형성.
- 접지선과 구조체(철근, 철골)의 확실한 접속이 필요하다.(용융접속 적용)

- 5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4) 접지 저항의 계산
(1) 엑셀 등의 수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
① 봉형 접지극 계산식
가) 접지봉 1개의 계산식

  


   log    [Ω]

여기서,  :접지봉의 반경[m],  :접지봉 매설길이[m]



나) 접지봉이 다수인(n개) 접지저항 계산식:     [Ω]

여기서,  :접지봉다수의 접지저항[Ω],  :집합계수,  :집합전극 매설 수
② 망상(Mesh) 접지저항의 계산식
 
가)       [Ω]
 

여기서,  :등가반경은  
×

[cm],

 :망상의 전체길이는          [cm]

나) 사용 장소:고장전류가 큰 곳, 대지가 넓은 공장, 건물 변전소


등 대규모 접지 시스템에 적용한다.
③ 건축물 구조체 접지저항의 계산식
 
접지저항      [Ω]
 


여기서,  :반구의 등가반경은   [m], 연표면적     [m²]
(2) 접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
-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위상승 및 접촉전
압, 보폭전압 검토.

5) 접지극의 보완 및 설계도서 작성
(1) 목표접지저항 및 접촉전압, 보폭전압의 안정성 검토.
(2) 접지극의 설계 검토가 만족할 때 까지 보완하여 설계를 마무리 한다.

4. 결론
(1) 접지설계는 안전성 및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 및 시공하여야 한다.
(2) 목표한 접지설계가 완성되도록 접지극을 보완한다. 접지 저항의 저감 방법은 접지극을 추가
로 설치하는 물리적 저감방법과 화학적 저감방법이 있다.

- 5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가능한 물리적 저감방법을 선택하여야 하며, 화학적 저감방법 선택시는 환경오염이 발생되
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 참고자료
- 신 건축전기설비 전원/배전 (예문사) : 기본반 교재

<< 참고 : IEEE 80.에 의한 접지설계 흐름도 >>

- 6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 지하 2층에 1000 kW 디젤발전기를 설치하였다. 준공검사에 필요한 전기와 건축


2-6 및 기계적인 점검사항을 설명하시오.

1. 개요(준공검사 절차)

2. 준공검사 일반사항 및 준비사항


(1) 완성된 시설물이 설계도서대로 시공되었는지의 여부 → 준공도서 준비
(2) 시공시 현장 상주감리원이 작성 비치한 제 기록에 대한 검토 → 시공사진, 검측대장 준비.
(3) 폐품 또는 발생물의 유무 및 처리의 적정여부
(4) 지급 기자재의 사용적부와 잉여자재의 유무 및 그 처리의 적정 여부
(5) 제반 가설시설물의 제거와 원상복구 정리 상황
(6) 감리원의 준공검사원에 대한 검토의견서
(7) 그 밖에 검사자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끝.

3. 디젤발전기 준공검사 시 점검사항


1) 발전기 설치의 적합성 점검
(1) 발전기 사양 및 정격의 적합성 점검.
(2) 설치 시 설계도와 적합하여야 한다.
(3) 설치 후 시운전을 통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 한다.

- 6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전기분야 점검사항
(1) 정전시 자동 기동 및 복전시 자동 정지 등 운전의 적합성 점검.
(2) 발전기 용량 및 실부하 운전을 통한 문제점 여부 점검.
(3) 발전기 보호계전 및 차단기 등의 정상 동작 여부 점검.
(4) 전기실과의 연계, TRENCH & TRAY 설치 및 비상전원 케이블 포설의 적정성 점검.

3) 건축 및 기계적인 점검사항
(1) 장비 반출입 공간의 확보 여부 점검.
(2) 발전기 본체, 제어반, 연료저장 위치의
적합성 및 유지관리 공간의 확보 점검.
(3) 운전시 급배기 장치의 정상 동작 및 공
기량의 적합성 점검.
(4) 운전시 진동, 소음의 문제점 여부 점검.
(5) 건축물의 방음벽, 방음도어, 급배기 덕
트의 적합성 점검.
(6) 발전기 연료공급 계통의 적합성 점검.

4. 맺음말
(1) 비상발전기는 설계, 시공 단계에서 검토할 사항
이 많은 공정이며,
(2) 특히, 건축 및 기계분야와의 협조가 필요한 부분이 많으므로 시공시 검토 및 유관부서와의
협의가 매우 중요하다.
(3) 준공검사는 시공 후 마지막으로 수행하는 검사이므로 완벽한 시공 및 시운전, 주변정리 등
을 다시 한번 점검하여 준공검사에 임하여야 한다.
(4) 시공 중 발생하는 관련 서류, 절차서 및 준공도서도 검사대상이 되므로 정리가 필요하다.

- 6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교시

- 6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기술사 제 115 회 제 3 교시 (시험시간: 100분)
분 전기·전자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수험 성
야 종목 번호 명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전력계통의 지락사고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영상전류와 영상전압을 검출하는 방법을 3선결선도를 그려 설명하시오.
2) 영상 과전류계전기의 정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3) 영상전압을 이용하여 지락사고 선로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시오.
2. 명시조명과 분위기 조명의 특징을 구분하고, 우수한 명시조명 설계를 위하여 고려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3. 수변전설비 설계에서 단락전류가 증가 할 때의 문제점과 억제대책을 설명하시오.
4. 개폐서지는 뇌 서지 보다 파고값이 높지 않으나 지속 시간이 수 ms로 비교적 길어
기기 절연에 영향을 준다. 개폐서지의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시오.
5. 프로시니엄 무대(액자무대 : Proscenium Stage)를 가진 공연장에 설치하는 무대 조명
기구를 배치구역별로 설명하시오.

3-1

- 6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기술사 제 115 회 제 3 교시 (시험시간: 100분)
분 전기·전자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수험 성
야 종목 번호 명

6. 다음의 단선도에서 6.6 kV 전동기(Mtr1, Mtr2) 공급용 CV케이블의 규격을 허용전류표를


이용하여 선정하시오. 단, 아래의 25 ℃ 기준 허용 전류표를 35 ℃ 허용전류표로 변환한
다음 케이블 굵기(mm2)를 선정하시오.
[설계조건]
ⓛ 단락 시 고장 제거시간은 0.18초
② 케이블의 포설은 3심 1조 직접 매설방식, 기저온도 35℃
③ 케이블의 도체허용온도 90℃, 단락 허용온도 250℃, 동 도체
④ 산출은 아래의 표를 기준으로 한다.

3-2

- 6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기술사 제 115 회 제 3 교시 (시험시간: 100분)
분 전기·전자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수험 성
야 종목 번호 명

[CV 케이블의 허용전류표]


※직접매설 3심1조 부설
공칭단면적 16 25 35 70 95 120 150 185 240
(mm2)
허용전류(A) 96 120 140 240 275 315 360 405 470
(25 ℃)
허용전류(A)
(35 ℃)

3-3

- 6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전력계통 지락사고와 관련 다음 사항 설명
1) 영상전류와 영상전압을 검출하는 방법을 3선 결선도를 그려 설명
건115-3-1
2) 영상 과전류계전기의 정정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
3) 영상전압을 이용하여 지락사고 선로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 설명

1. 영상전류와 영상전압을 검출하는 방법


1) 영상전류 검출방법

[ Y 잔류결선 ] [ 3권선 CT ]

(1) Y결선 CT 잔류 회로 방식

➀ 검출원리 :            지락시 발생하는 영상분 전류를 검출

➁ 구 성 : CT x 3 (잔류결선) + OCR x 3 + OCGR x 1 + 접지
➂ 적 용 : 직접접지 계통은 CT 비와 무관 적용 , 고저항접지 300/5 이하 적용
➃ 잔류회로 한곳만 접지, 3대 CT 특성 일치 , CT 오결선에 의한 계전기 오동작,부동작주의
(2) 3권선 CT 방식
➀ 검출원리 : 3차 권선을 사용해 영상전류 검출 감도를 증가시킨 방식
➁ 구 성 : 2차회로(CTx3 Y결선+OCRx3 잔류결선)+3차회로(CTx3 D결선+OCGRx1)
➂ 적 용 : 고저항 접지계통 300/5 초과시 적용

구 분 고저항 접지계통 300/5 이하 300/5 초과

    
Y 잔류   ×        ×    ×   
    

 
3 권선    
   

고저항 접지계통 300/5 초과시 3권선 CT 방식이 더 많은 영상전류 검출가능

- 6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기타 : ZCT 사용 , 접지용 콘덴서 사용 , 중성점 CT 사용

OCGR

(1) GPT 이용
3차 권선 af 단자사이에서 영상전압 검출

- 6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기타 : 중성점 NGR 을 이용하는 방식 , 결합 콘덴서 이용방식

2. 영상과전류계전기의 정정치 결정 방법
1) 지락과전류계전기(OCGR) 동작치 정정

2) 접지방식에 따라
(1) 다중접지방식 : 최대정격전류(최대부하전류)의 30% 정도로 정정 , 부하불평형 오동작방지
(2) 저항접지방식 : 최대지락전류의 30% 정도에서 동작하도록 정정

3) 예시

- 6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영상전압을 이용하여 지락사고 선로 구분방법

1) 지락선로 구분
(1) 유효전류
지락점 -> GPT -> 지락점으로 순환
(2) 충전전류
➀ C1 회로의 충전전류는
서로 상쇄되어 검출되지 않음
➁ C2 회로의 충전전류가
사고난 선로로 유입되어
ZCT 에 검출
2) 동작특성
(1) 동작치 정정
➀ 최대 감도 위상각은 진상 30~45 도 범위
➁ 정격전압 190V , 영상1차전류 150mA 이하에서 동작

➂ 190V 이하 전압 E 일 경우는    ×  이하에서 동작

- 7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명시조명과 분위기 조명의 특징을 구분하고 , 우수한 명시조명 설계를


건115-3-2
위하여 고려할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명시조명과 분위기 조명 특징

2. 우수한 명시조명 설계를 위해 고려할 사항


(1) 조도
➀ 면적당 입사광속
물체를 보거나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밝음
➂ 기준 
  

KS A 3011 기준
정밀 보통 거친 단순
구분 초정밀
aaa aa a b
조도 2,500 1,000 400 200 100

➃ 조도와 시력
조도가 1,000lx 정도까지는 조도증가시 시력도 직선적으로 증가하지만
10,000lx 정도로 되면 시력은 그 이상 증가하지 않는다.

- 7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⑤ 조도와 색온도
조도가 높고 색온도가 낮으면 더운 느낌을 주고 조도가 낮고 색온도가 높으면
차가운 느낌을 주게 된다. 조도를 높게 하려면 색온도도 높은 것이 쾌적하다.
(2) 광속발산도(휘도분포)
➀ 정의 : 단위 면적에서 발산하는 광속
➁ 균제도 : 시야내 균일한 밝음의 정도를 말한다.
➂ 휘도대비

구 분 책과 책상면 책과 바닥면 천장,벽면 통로

사무실 , 학교 3:1 10:1 20:1 40:1

공 장 5:1 20:1 40:1 80:1

(3) 눈부심
➀ 정의 : 시야내 어떤 휘도로 인한 불쾌,고통,피로,시력의 일시적 감퇴 현상
➁ 원인 : 휘도가 높은 광원 , 반사된 광원의 입사 , 시야내 휘도 차이등
➂ 종류 : 직시 , 감능 , 불쾌 , 반사
➃ 눈부심 한계
항상 시야내 광원 0.2 [cd/㎡] , 때때로 시야내 광원 0.5 [cd/㎡]
⑤ 눈부심에 의한 빛손실
(4) 그늘 (그림자)
➀ 입체감, 재질감을 위해 적당한 그림자 필요
➂ 밝음과 어두움의 비는 3:1 정도가 이상적
(5) 분광분포(연색성) , 순응 , PSALI (주간인공조명) 내용 추가
➀ 광원 분광분포는 자연주광에 근접하게 한다.

- 7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➁ 자외선 , 적외선은 최대한 배제


➂ 파장에 따른 특성을 이해
장파장은 따뜻한 느낌 , 단파장은 시원한 느낌
그 광원 색느낌에 따른 용도
Ra 범위
룹 서 늘 중 간 따 뜻
1 Ra ≥ 85 공 장 상점 , 병원 주택,호텔,고급식당
2 70 ≤ Ra < 85 사무실,학교,백화점(한냉) 사무실,학교,백화점(온난) 사무실,학교,백화점(고온)
3 Ra < 70 연색성이 중요하지 않은 장소
S 특수 연색성 특별 용도

(6) 심리적 효과
① 광원색 외에 마감면의 색상, 밝기에 따라 기분이 달라짐
② 밝은 날 옥외환경과 비슷한 느낌이 이상적임
③ 실내마감면의 밝기 순서 : 천장 > 벽 > 바닥
(7) 미적효과
① 조명기구는 디자인 단순하고 배열도 단순한 것이 좋다.
② 건축구조, 외장, 실내면 배색과 조화 유지
(8) 경제성
① 단순염가가 아닌 생산능률, 사고 감소 등을 고려한 조명비를 결정
② 광원의 실용수명 및 경제 교환시간
2) 분위기 조명(장식적 조명)
(1) 조도 : 경우에 따라 저조도, 고조도가 필요
(2) 광속발산도 : 계획된 명암의 조도배분이 필요
(3) 눈부심 : 의도적인 눈부심에 시선이 집중된다.
(4) 그림자 : 입체감, 원근감 때문에 극단적인 그림자비가 요구된다.
(5) 분광분포 : 사용목적에 따라 광원색, 연색성, 색온도 등을 고려
(6) 심리적 효과 : 장소와 목적에 따라 다른 감각이 필요
(7) 미적효과 : 계획된 미의 배치, 조화 필요(가장 중요한 요소)
(8) 경제성 : 조명효과와 비용을 비교

- 7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4. 명시 조명의 설계 예시(사무실)
공조형 조명기구 BEMS 조명제어의
고효율 안정기 개루프,폐루프제어

주광 LED 조명기구 센서
고조도 반사갓
제어부

조명 조명

실내 조도

인공조명
조도

주광 조도

PSALI 조명 TAL 조명 자연채광


조명방식

1) 조도 600lx 이상
2) 광속발산도
* 물체 보이는 조건
3) 눈부심을 고려한 균제도 - 밝음
4) 그 늘 - 크기

5) 분광분포 : 연색성 , 색온도 , 순응 , PSALI , 조명제어 - 대비

6) 심리적효과 - 색
- 시간
7) 미적효과
8) 경제성 : PSALI , TAL , 자연채광 , 에너지절약

- 7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3-3 수변전설비 설계에서 단락전류가 증가시 문제점과 억제대책을 설명하시오.

1. 단락전류 계산목적
1) 차단기 용량 산정
2) 직렬기기 열적,기계적 강도 검토
3) 보호계전기 정정 , 보호협조 검토
4) 계통의 안정성 , 경제성 검토
2. 단락전류 증가 요인
1) 계통의 대형화로 용량 증가
2) 신규 부하 병렬 연결로 인한 임피던스 감소
3) 분산 전원 계통의 추가
3. 단락전류 증대에 따른 문제점(차열지아)
1) 차단기 차단용량 증대 : 공간부족 , 차단기 대수가 많다.
2) 전기 설비 열적,기계적 강도 증가 필요 : 모든 기기의 열적 강도 증가 불가능
3) 지락전류의 증가 : 단락전류 증가시 지락전류도 증가 경향 , 통신 유도 장해 증가
4) 아크 플래시 에너지 증가로 사고 위험 증가
4. 단락전류 경감대책 : 설계시 AF 고려 , 계산시 MF 고려 , IEC 60909 계산법언급
  
      ×  →  증가   전압 상승   로 조정
  


계 통 측 대 책 배 전 측 대 책

1. 차단기 차단용량 증가하여 교체 : 차단기 성능 개선 1. 변압기 %Z 컨트롤


2. 계통 분리 2. 수전 변압기 분할
3. 고임피던스 기기 채택 : 단락비가 적은 발전기 3. 한류 퓨즈에 의한 백업 차단
4. 한류 리액터 설치:초전도,한류,공심 리액터 4. 캐스 케이드 보호
5. 계통 연계 : 계통 연계기 , HVDC (BTB 방식) 5. 배전전압 격상
6. 계통 고장시 분산전원 신속 분리 -> 기여전류 저감 6. 초전도 한류 케이블,초전도 변압기의 퀜치 특성이용

- 7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1) 차단기 교체
(1) 증가된 단락용량만큼 차단기 용량을 증대하여 교체
(2)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후단 차단기 교체등 비용증가로 대용량 계통시 비현실적
2) 계통분리
(1) 원리
x 점 고장시 CB3 차단하여 계통분리되면
%Z 증가되고 단락전류 제한되면 CB4 를 차단
(2) 장점
설비비 저렴 - 모선차단기 단락용량 경감
(3) 단점
➀ 계통분리전까지 직렬기기 손상우려
➁ CB3 재투입시 동기화필요및 보호계전 복잡
3) 변압기 %Z 컨트롤
(1) 원리 : 변압기 임피던스를 증가하여 단락전류 억제
(2) 변압기 임피던스 증가시
① 전압 변동 증가
② 전력 손실 증가
③ 역률 저하
④ 비표준품으로 원가 상승
4) 한류 리액터 설치
(1) 차단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큰 단락용량에 대응 , 돌발단락전류 대응
(2) 설치면적,운전손실,전압변동 증가
(3) 저압 분기회로에 적용하며 불포화 리액터나 공심형 채택
5) 한류 퓨즈에 의한 back-up 차단
(1) 한류 퓨즈의 한류특성에 의한
1/2 사이클 고속차단
(2) 차단기에 비해 열적,기계적 강도
현저히 감소
(3) 차단시 과전압 발생 및 재투입 불가
6) 계통 연계기 설치
(1) 정상시 : LC 직렬공진으로 자유연계 , 사고시 : LC 병렬공진으로 사고전류 제한

- 7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구성과 원리

(3) 설치장소

(4) 특징
➀ 설치된 CB 용량 증가없이 계통용량 증가
➁ 속응성 우수 , 1/2 CYCLE 로 공급 신뢰도 향상
➂ 전압변동률과 전압강하가 적고 , 전력손실이 적다.
➃ 연계시 고장 파급 범위가 크다.
7) 캐스케이드 보호
(1) 분기회로 차단기 용량이 부족시 주회로 차단기에 의해 후비 보호를 행하는 방식
(2) 보호조건 : 차단시간,통과에너지,통과전류 파고값, 아크전압이 CB2 허용한도 이내

(3) 특징
➀ 기기 용량 증설시 경제적 대응 가능 , 단일 연계 공종에 적용가능
➁ 제조사가 권장하는 조합이외에는 사용 삼가
8) 초전도 한류기 사용

- 7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1) 원리 : 초전도체의 퀜치현상을 이용하여 고장 전류 제한


(2) 초전도체 임계조건 : 임계온도 , 임계 자기장 , 임계 전류밀도

(3) 종류 : 저항형 , 자기차폐형 , 포화 철심형 , 하이브리드


9) HVDC BTB 방식 적용
(1) 원리 : 직류 송전방식으로 무효전력이 없어 단락전류 공급이 불가능
(2) 종류 : 전류형 , 전압형 HVDC

5. 결론
1) 수용가의 부하 용량 증가 없이도 계통측 병렬 병입 전원 증가로 차단용량 증가
2) 수용가 : 차단기 용량 선정시 비대칭 계수및 여유를 고려하여 선정
3) 계통측 : 초전도 한류기의 개발이 필요
4) 설계시 AF 고려한 차단기 용량 산정
5) 기여전류원 고려시 MF 고려하여 차단기 용량 경감
6) 단락전류 억제형 초전도 케이블 사용
7) 기계적 대책 : 선로 절연강화
8) 신형 차단기 개발
9) 최근 DC 송배전 증가에 따른 DC 차단기 개발이 시급
10) 조상장치 이용한 신기술 : 단락전류의 주 구성분인 무효전력을 없애는 방식
11) %Z 고려시 경제성 , 전압강하 고려

- 7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단락전류 억제 대책 ]

기 본 생각해 볼 내용

1. 차단기 선정시 AF 고려
1. 차단기 교체 , 차단용량증가
2. 기여전류의 MF 고려한 차단기 선정
2. 계통 분리 / 계통 전압 상승
3. 기기측 대책 (비용문제)
3. 한류 퓨즈
1) 선로 절연강화
4. 변압기 %Z 컨트롤
2) 기기 내량증가
5. 한류 리액터
4. DC 차단기 개발
6. 계통 연계기
5. 계산법 확립 : IEC 60909
7. 캐스케이드 차단
6. 계통연계시 단락전류 대책
8. 초전도 퀜치이용 : 변압기,케이블,퓨즈
7. SLF 에 의한 차단기 용량 감소문제
9. HVDC BTB 전압형 사용
100KA -> 10KA 차단실패 문제

- 7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8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개폐서지는 뇌 서지 보다 파고값이 높지 않으나 지속 시간이 수 ms로


건115-3-4
비교적 길어 기기 절연에 영향을 준다. 개폐서지 종류와 특성을 설명하시오.

1. 개폐서지 개요
1) 차단기 개폐시 발생하는 과도적 이상전압
2) 개폐서지 특징
(1) 파형
구분 뇌서지 개폐서지

파고치 높다(급준파) 낮다

적다 크다
에너지
(시험파형)
 ×  ×

(2) 지속시간이 길고 에너지가 커서 계통에 가혹


(3) 무부하 충전선로 개방서지가 가장 크다.
2. 개폐서지 종류와 특성
구 분 계통 조작 고장 차단
무부하 선로 개폐 : 투입/개방서지 고장 전류 차단 : 한류형 PF , BTF
유도성 소전류 차단 : 재단,반복재발호,유발재단 탈조 차단 , 재폐로 차단
개폐 서지
변압기 3상 비동기 투입 : 이행전압 근거리 선로 차단 : SLF
단로기 개폐 서지 : 765 HSGS 직류 차단 : HVDC , 분산전원
1. 형태 : 지수형 , 진동형 , 삼각파형(SLF)
T R V
2. 시간 : ITRV -> TRV -> PFRV

1) 투입 서지
(1) 무부하 선로에 차단기 투입시 발생하는 서지
(2) 투입시 전압은 진행파로 진행되어 말단에서 정반사되고 크기는 2배 이하

  
    ≈ 
  

중첩되어 배

- 8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개방 서지(용량성 차단)

시 간 전원전압 Va 선로전압 Vb 차단기 극간전압(Vb-Va) 재기전압

전류 0점 + Em + Em 0

1/2 CYCLE 후 - Em + Em (C잔류) 2 Em -3 Em

1 CYCLE 후 + Em - 3 Em -4 Em +5 Em

(1) 무부하 선로 개방시 발생하는 서지로 개폐서지중 가장 크다.


(2) 발생과정
➀ 전류0점 차단하면 선로측은 대지와의 C 에 차단시의 전원파형 +Em 충전
➁ 반사이클후 전원전압은 -Em , 선로는 +Em 이므로 2Em 의 전압 형성
➂ 2Em 전압 > 차단기 극간 절연 내력 초과시 절연파괴하여 재점호 발생
(3) 크기 (154KV계통)

구 분 A x B x C x D A B C D

유효 접지계 4.5 2.8 1.05 1.1 √2

비유효 접지계 6.5 4 1.05 1.1 √2

A : 개폐서지 계수 B : 페란티 효과에 의한 전압상승 배수


C : 개폐서지 충격파 배수 D : 개폐서지 파고율
➀ 크기는 계통 상규전압 3.5배 이하로 4배 넘지 않음 -> 선로 애자 절연 설계 기준
➁ 선로 저항 , 코로나 손실 등으로 감쇠 진동
➂ 개폐서지 크기 산출
개폐서지 파고치  계통 상전압 파고치 ×  개폐서지 계수 


  →  ×  ×    →   


- 8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유도성 소전류 차단(유도성 차단)


(1) 계통이 유도성일때 성능이 좋은 차단기로 차단시 전류 재단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서지로 전류재단 서지 , 반복재발호 , 유발 절단 서지 등이 있다.
(2) 전류 재단 서지
무부하 변압기 , 리액터 등의 여자전류와 같은 소전류를 VCB 로 차단시 발생

 
    ,

  
    à     

  

  

 
 
   …… : 서지 임피던스

4) 근거리 선로차단(SLF)
(1) SLF(Short Line Fault)는 발변전소 수 km 이내 고장 차단시 고장전류가 차단기
차단용량보다 적음에도 초기전압 상승률이 높아서 차단하지 못하는 현상
(2) 발생 메카니즘

- 8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고장 발생지점 차단시 선로측 전압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고주파 진동 전압이


발생하여 전원측 전압과의 차이에 의해 크기가 적음에도 재점호 발생하여 차단 실패
(3) 발생파형

재기전압이 Va -Vb 파형으로 삼각파형으로 초기 전압 상승률이 커서 차단기의


절연내력을 초과하면 재점호(절연파괴 발생)
3. 개폐서지 대책

계 통 측 차단기 측

유효 접지
GCB 사용
잔류 전하 신속 방전
다점절 차단기
한류 리액터 , 커패시터 추가(기울기 감소)
저항 차단방식
저항추가
콘덴서리스 차단방식
LA , SA 설치
(철공진 가능)
다상 재폐로 방식,고속재폐로

- 8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프로시니엄 무대를 가진 공연장에 설치하는 무대 조명기구를


건115-3-5
배치구역별로 설명하시오.

1. 프로시니엄 무대 조명 개요
1) 프로시니엄 무대란 관객들이 개방된
한쪽면을 통해 공연을 볼 수 있는 무대 무 대
2) 무대 조명의 대상
(1) 관객 : 배우의 움직임 , 글레어 고려
(2) 배우 , 공연자 : 얼굴 , 형태 , 입체적 표현
(3) 감독 , 디렉터 : 스토리에 따른 감정 표현
관람석
3) 대형 무대에서는 배치구역별로 조명을 조절하는
“ 구역조명방식 ” 을 적용
2. 무대 조명방식의 종류 및 고려사항
1) 무대 조명방식 종류
(1) 구역 조명
➀ 무대를 여러개의 구역으로 분할하는 조명방식
➁ 측면 조명기구를 이용해 보색인 두 가지 색상으로 조명하여 입체감 향상
➂ 무용구역에 따라 대형무대는 구역이 나누어져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조명을 배치하는 것
(2) 전면 조명
측면보다 전면을 위주로 하는 조명방식
2) 무대 조명시 고려사항
(1) 광원과 조명기구 : 광량 , 색채등 고려
(2) 조명방식 : 측면 , 하향 , 상향 + 입체감 + 관객의 입장
(3) 조명기구 배치 : 상향 , 하향 , 측면 , 배향
(3) 입체감
(4) 작품의 서론 , 전개 , 절정 , 결말 표현
(5) 무대조명제어 : 조광 , 색채 제어
(6) 전력공급 : 용량 , 디머등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7) 유지보수 : CAT WALK

- 8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배치구역별 무대 조명기구
1) 무대조명기구 분류
(1) SPOT 조명 : 대상물을 강조하기 위한 조명기구
(2) 구역 조명기구
➀ 천공광 같은 조명 ➁ 칼라 필터 , 확산 필터 사용가능
(3) 자동화 조명기구
➀ 컴퓨터 제어가 가능한 특수 조명기구
➁ 조광제어 , 색채제어 , 조명 구역 변화 , 무뉘의 변화등 다양한 기능
(4) 특수효과 조명기구 : 무빙라이트등 특수한 용도로 사용되는 조명기구
2) 배치 구역별 조명방법
(1) 측면조명
➀ 피사체 측면을 밝게 하고 입체감을 살리는 조명방식
➁ 측광은 음영이 강하게 나타나고 강한 인상을 만들며 개성적 표현 가능
➂ 전면 좌우측 45도나 30도의 각도로 조명
(2) 하향조명
➀ 인물의 바로 위에서 조명하는 방식
➁ 눈주위가 분명치 않고 그림자를 만드는 단점이 있다.
➂ 인물의 전면 , 배면 , 90도 를 조명하는 방식이 있다.
(3) 상향조명
➀ 인물의 아래에서 조명하는 방식
➁ 얼굴을 단조롭고 아름답게 보이는데 사용
➂ 전면조명 , 측면조명 방식이 있다.

- 8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4. 무대조명 예시
1) 무대 조명

2) 무대 음향 시스템 계통도

- 8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다음의 단선도에서 6.6 kV 전동기(Mtr1, Mtr2) 공급용 CV케이블의 규격을


건115
허용전류표를 이용하여 선정하시오. 단, 아래의 25℃ 기준 허용 전류표를 35℃
3-6
허용전류표로 변환한 다음 케이블 굵기(mm2)를 선정하시오.

[설계조건]
ⓛ 단락 시 고장 제거시간은 0.18초
② 케이블의 포설은 3심 1조 직접 매설방식, 기저온도 35℃
③ 케이블의 도체허용온도 90℃, 단락 허용온도 250℃, 동 도체
④ 산출은 아래의 표를 기준으로 한다.

- 8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1. CABLE 허용전류표 산정
1) IEC 60364 허용전류 온도보정계수 적용
매설 케이블의 주위온도가 20℃와 다른 경우는 다음 표의 주위온도에 대한 보정계수를 적용하여야 한
다.

지중온도 절연체
(℃) PVC XLPE 또는 EPR
10 1.10 1.07
15 1.05 1.04
20 (기준) (기준)
25 0.95 0.96
30 0.89 0.93
35 0.84 0.89
40 0.77 0.85
45 0.71 0.80
50 0.63 0.76
55 0.55 0.71
60 0.45 0.65
65 - 0.60
70 - 0.53
75 - 0.46
80 - 0.38
2) 35℃ 허용전류 산정
(1) 매설 케이블의 허용전류 보정계수는 20℃를 기준으로 하여 위 표의 감소계수 적용
(2) 문제에서는 25℃를 이용하여 35℃의 허용전류 산출이 필요함
(3) 25℃ 허용전류를 20℃ 허용전류로 변경 : 25℃의 허용전류 ÷ 0.96(보정계수)
(4) 20℃ 허용전류를 35℃ 허용전류로 변경 : 20℃의 허용전류 × 0.89(보정계수)

공칭단면적
16 25 35 70 95 120 150 185 240
(㎟)
허용전류(A)
100 125 146 250 286 328 375 422 490
(20 ℃)
허용전류(A)
96 120 140 240 275 315 360 405 470
(25 ℃)
허용전류(A)
89 111 130 223 255 292 334 376 436
(35 ℃)

- 8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전동기용 케이블 굵기 선정법 검토


1) 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에 의한 케이블 굵기 선정

2) IEC 60364에 의한 케이블 굵기 선정

(1) 평상시 부하전류를 연속하여 흘릴 수 있는 단면적을 선정 한다.


① KS C IEC 60364-5-52의 공사방법에 따른 도체 연속허용전류에 해당하는 공칭단면적을 선
정한다.

- 9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② 주위온도 회선수에 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한 허용전류를 선정한다.


(2) 전동기의 기동전류에서 단시간 허용온도 이내의 단면적을 선정한다.
 × 

전동기 기동전류에 의한 단면적 계산 식 :  ≥ 

- 여기에서, A : 도체의 단면적 [㎟]
- Ims : 최대기동용량 전동기의 시동전류 [A]
- t : 전동기의 기동시간(초)
- K: 절연체에 따른 계수 (XLPE 143, PVC 115)

(3) 단락발생시 단락전류에서 단시간 허용온도 이내의 단면적을 선정한다.



단락전류에 의한 단면적 계산 식 :  ≥  × 

- 여기에서, A : 단락시 허용전류를 고려한 도체의 단면적 [㎟]
- tc : 과전류차단기의 순시트립시간(초)
- Is : 계통의 고장전류 [A]
(4) 기준 전압강하 이내의 단면적을 선정한다.
(5) 회로 차단기의 정격전류보다 큰 허용전류의 단면적을 선정한다.
▪  ≤  ≤  ........................ (nominal current rule)

▪  ≤  ×  ...................... (tripping current rule)

설계전류  도체의 허용전류  1.45× 

배선의 기준 값

보호 장치의 특성

정격전류 또는
전류 설정 값  통상적인 동작전류 

- 9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전동기 Mtr1의 케이블 굵기 선정


1) 연속허용전류에 의한 굵기 선정
   
3상 전동기 정격전류    =  = 102.2 [A]
 ×  ×  ×   ×  ×  × 
⇒ 허용전류표를 참고하여 CV 3C 25㎟ 케이블 선정 (허용전류 111 A)

공칭단면적
16 25 35 70 95 120 150 185 240
(㎟)
허용전류(A)
89 111 130 223 255 292 334 376 436
(35 ℃)

2) 기동전류에서 단시간 허용온도 이내의 단면적 선정


 × 
  ×  기동전류 배수  × 
초
계산 식 :  ≥  =  = 13.56 ㎟ ∴ 16 ㎟
 
⇒ 13.56보다 큰 CV 3C 16 ㎟ 선정 3)은 적합한 풀이가 아님!!
3) 단락전류에서 단시간 허용온도 이내의 단면적 선정 공부를 위하여 개념적으로
항목을 잡아본 것임!

 
초
계산 식 :  ≥  ×  =  ×  ×  = 118.67 ㎟ ∴ 120 ㎟
 
⇒ 단락전류가 주어지지 않아서 전원측 단락전류 40 kA로 계산하여 보았음.
▪ 실무에서 케이블 2차측 Bus2의 단락전류를 적용하여야 함. (문제에서 단락전류를 계산 할
수 있는 자료가 없음)
4) 선정 결과
계산 결과 중 가장 굵은 CV 3C 25㎟ 로 선정.

<기술기준에 의한 계산>
1) 전동기 정격전류 102.2 x 1.1 = 112.42 [A]
⇒ 허용전류표를 참고하여 CV 3C 35㎟ 케이블 선정 (허용전류 130 A)

- 9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4. 전동기 Mtr2의 케이블 굵기 선정


1) 연속허용전류에 의한 굵기 선정
   
3상 전동기 정격전류    =  = 306.7 [A]
 ×  ×  ×   ×  ×  × 
⇒ 허용전류표를 참고하여 CV 3C 150㎟ 케이블 선정 (허용전류 334 A)

공칭단면적
16 25 35 70 95 120 150 185 240
(㎟)
허용전류(A)
89 111 130 223 255 292 334 376 436
(35 ℃)

2) 기동전류에서 단시간 허용온도 이내의 단면적 선정


 × 
  ×  기동전류 배수  × 
초
계산 식 :  ≥  =  = 40.69 ㎟ ∴ 50 ㎟
 
⇒ 40.69보다 큰 CV 3C 50 ㎟ 선정 3)은 적합한 풀이가 아님!!
공부를 위하여 개념적으로
3) 단락전류에서 단시간 허용온도 이내의 단면적 선정.
항목을 잡아본 것임!

 
초
계산 식 :  ≥  ×  =  ×  ×  = 118.67 ㎟ ∴ 120 ㎟
 
⇒ 단락전류가 주어지지 않아서 전원측 단락전류 40 kA로 계산하여 보았음.
▪ 실무에서 케이블 2차측 Bus3의 단락전류를 적용하여야 함. (문제에서 단락전류를 계산 할
수 있는 자료가 없음)
4) 선정 결과
계산 결과 중 가장 굵은 CV 3C 150㎟ 로 선정.

<기술기준에 의한 계산>
1) 전동기 정격전류 306.7 x 1.1 = 337.37 [A]
⇒ 허용전류표를 참고하여 CV 3C 185㎟ 케이블 선정 (허용전류 376 A)

- 9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전기 기술사 공부 밴드]

[전기 기술사 공부 카페]

- 9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4교시

- 9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국가기술자격 기술사 시험문제


기술사 제 115 회 제 4 교시 (시험시간: 100분)
분 전기·전자 자격 건축전기설비기술사 수험 성
야 종목 번호 명

※ 다음 문제 중 4문제를 선택하여 설명하시오. (각25점)

1. 변압기 인증을 위한 공장시험의 종류 및 시험방법을 설명하시오.


2. 방범설비의 구성시스템 중 침입 발견설비를 설명하시오.
3. 단상 유도전동기에서 분상전동기의 기동토크를 최대로 하기 위한 보조회로의 저항을
구하시오.
(단, 주권선의 임피던스는      이다.)
  

4. 파동 방정식은 매질을 이동하며 일어나는 전자파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여 파동방정식을 설명하시오.
5. 배선용 차단기(MCCB)의 특징을 설명하고 저압계통의 배선용 차단기 단락 보호 협조
방식을 설명하시오.
6. 건설사업관리(CM : Construction Management)에 대하여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1) 필요성 2) 업무범위
3) CM과 감리비교 4) 자문형 CM과 책임형 CM의 비교

1-1

- 9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4-1 변압기 인증을 위한 공장시험의 종류 및 시험방법을 설명하시오.

1. 변압기 시험 종류 (구권변극단/개절내온단)

규정시험 , KSC 4311 현장 설치시 사용전 검사시

1. 구조,외관검사 1. 구조,외관검사 1. 공사 계획서 비교확인


2. 권선저항측정 2. 권선저항 2. 구조 외관 검사
3. 변압비시험 3. 변압비 3. 접지저항 측정
4. 극성 및 각변위시험 4. 극성및 각변위 4. 절연저항 측정
5. 단락시험 5. 단락시험,개방시험 (X) 5. 절연내력 측정
6. 개방시험 6. 절연저항 6. 방전시험(특고->고압변성)
7. 절연물 : 절연저항,유전정접,부분방전 7. 여자전류 7. 보호게전기 동작시험
8. 내전압 : 임펄스,유도,상용주파 8. 상용주파 내전압 8. 제어회로 동작시험
9. 온도상승시험 9. 소음시험 9. OLTC 시험
10. 단락강도시험 10. 온도시험 10. 온도 시험

2. 변압기 시험 방법 (기본,정격시험 : 1~4 , 특성시험: 5~6 , 절연물시험 7~10)


1) 권선저항 측정
(1) 목적 : 변압기 권선 단선 유무 , 변압기 부하손 산출시 , 변압기 특성 파악
(2) 측정방법
➀ 전압강하법 : R = V/I 전류 전압을 측정하여 저항값을 측정
➁ 브리지법 : Rx = ( P/Q ) x Rs 휘스톤 브리지를 이용하여 측정

2) 변압비 측정
(1) 목적 : 변압비의 오차를 측정
(2) 측정방법
➀ 유기기전력 비교 방법 : 한쪽 권선에 전압인가후 상대측 권선 유기전압 측정
② 비오차 시험기를 이용 : 브리지 회로 이용하여 변압비,극성,각변위,상회전 시험

- 9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판정기준 : 정격 변압기 계산치의 ± 0.5% 이내


3) 극성시험
(1) 목적 : 변압기 극성을 확인하고 내부결선, 위상각 , 상회전 방향이 옳은지 확인
(2) 측정방법
➀ 직류 유도법: KICK 현상이용 , 개폐기 ON시 전압계 순간 지시치가 정방향이면 감극성
➁ 가감법 : V = V1 – V2 이면 감극성 , V1 + V2 이면 가극성

4) 각변위 시험
① 각변위 : 고저압 벡터도에서 동일 단자 기호 사이에 발생하는 각도차
② 측정법 :U-u 단자 단락후 전압을 인가하여 v – V , v – W / w-V , w – W를 측정

- 9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5) 단락 시험

(1) % Z 의 정의 , 사용이유 , 1,2차 동일  × 


    × 
 
(2) Ps (임피던스 와트,전부하동손) :     × 

(3) 전압 변동률    cos   sin    cos   sin 

6) 개방 시험 : 여자전류, 무부하손, 철손 산출

  ′     
(1) 여자전류 :              sin        
  

(2) 무부하손 :          
(3) 효율의 산출
7) 절연물 양부 판정 시험
(1) 절연저항 측정 : R = ρ L / A , 10도 반감법칙 적용 , 절연저항계 이용
(2) 유전정접 측정 : 유전손실    cos∅    tan  tan         

(3) 부분방전시험 : 부분방전시 발생 펄스 전류 검출

- 9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➀ 유도법 : 유도된 전압으로 시험하는 방법


➁ 가압법 : 시험전압을 가압하여 시험하는 방법
8) 내전압시험
➀ 종류 : 임펄스 내전압시험(1.2x50us) , 유도내전압 , 상용주파내전압

➁ 유도내전압시험
- 권선간,턴간,코일간,탭간,단자간 절연강도 측정 목적
- 주파수 : 100~500Hz 사인파를 인가하고 철심 과여자 방지위해 저주파 인가
- 시험시간 : 120 X 정격주파수/시험주파수 [초]
9) 온도상승 시험

10) 단락강도 시험(IEC,IEEE)

- 10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115-4-2 방범설비의 구성시스템 중 침입 발견설비를 설명하시오.

1. 방범 설비 개요
1) 건축물 내 또는 안전구역내 허가 없는 침입 방지 설비
2) 침입하려는 인원에 대한 대책과 침입한 인원에 대한 격퇴에 대한 대책을
전기적 방법으로 수립
3) 방범설비 설계 3요소
(1) 출입통제설비 : 침입 방지 목적
(2) 침입발견설비 : 인력감시와 자동감시로 구분
(3) 침입통보설비 : 침입발견시 관리자 통보 , 경보설비 작동 , 경찰에 연락하여 격퇴
2. 방범 설비의 구성

구 분 구 성

1. 텐키 방식 설비
출입통제 설비 2. 카드 인식 설비 : IC 카드 , 자기카드
3. 인체 인식 설비 : 음성 , 지문 , 홍채

1. 인력감시 : CCTV , 청음설비


2. 자동감시
침입발견 설비 1) 점방어형 : 마그넷,리미트,진동,파손,매트 스위치
2) 선방어형 : 테이프식 감지기 , 빔식 감지기 , 광케이블 감지기
3) 공간방어형 : 초음파감지기 , 전파감지기 , 열선 감지기

침입통보 설비 방범 설비 제어반 + UPS

- 10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침입발견 설비
1) 개요
(1) 보안구역내 침입시 검출하여 방범설비 제어반이나 모니터(CRT,확성기)로 전달장치
(2) 검출방식에 따라 인력식(CCTV,청음)과 자동식(스위치,센서)로 구분
2) CCTV 설비
(1) CCTV 설비 구성
카메라 + 전원장치(UPS) + 모니터 + 저장장치(DVR) + 제어기(PAN/TILT)

(2) CCTV 카메라 종류


➀ 컬러/흑백 , 고정형/회전형 , 옥내형/옥외형 , 노출형/매입형/은폐형 , 돔형/하우징형
➁ 설치장소 , 용도에 따라 선정

(3) CCTV 카메라 설치


➀ 전체 경계구역을 효율적 화각이내가 되도록 이중거리 , 초점거리 선정
➁ 조도 확보 , 화각내 고휘도 광원,물체,햋빛직사 등을 피하고 파손되지 않는 위치 설치
➂ 외부 설치시 피뢰침 고려 , 내부 통신 인입선에 SPD 설치 고려

- 10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점방어형 감지설비
(1) 마그넷/리미트 스위치 방식 : 문,창문 개폐상태 검출
(2) 파손 감지기 : 유리창 부분 파손시 검출
4) 선방어형 감지설비
(1) 테이프 스위치 : 테이프 접촉압력으로 동작하며 난간 , 담장등에 사용
(2) 빔식 감지기
➀ 투광기->수광기 형태로 빛의 직진성을 이용하며 적외선 감지기 사용
➁ 담장 , 창문등에 사용하며 옥외 사용시 공해,습기,나뭇가지등에 의한 오동작 주의
(3) 광케이블 감지기
➀ 케이블 진동 , 절단시 광파 변화에 따른 주파수 변화 감지
➁ 외곽 울타리 침입감시에 효과적
5) 공간 방어형 감지설비
(1) 초음파 감지기
➀ 초음파방사와 반사파의 도플러 효과로 동작하며 실내 공간 경계용으로 사용
➁ 바람의 영향이 크므로 공조설비 설치장소와 옥외는 시설불가
(2) 전파 감지기
➀ 극초단파를 방사하여 반사파를 검출
➁ 빛과 바람영향은 작지만 경략벽 통과하므로 오동작에 주의
(3) 열선감지기
➀ 사람이나 물체가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
➁ 온도 변화가 심하거나 동물의 움직임 , 태양의 직사등에 오동작 가능

4. 설치시 고려사항
1) 동선을 고려한 설계
2) 사각지대가 없도록 해야 한다.
3) 오동작 , 부동작에 대한 고려
4) UPS 전원 공급 고려
5) SI 설비와 연동
6) 관련법 숙지(주차장법 시행규칙)
7) 공동주택 HN 규정 숙지
8) 데이터 인증 , 보안

- 10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5. 실무 적용 예시
1) 주차장 시행규칙
(1) 주차대수 30대 초과시 방범설비 설치 관리
(2) 주차장 바닥면 170CM 높이 사물 식별 가능
(3) 녹화장치 기준
➀ 자료 보관 : 1개월 이상 보관 -> DVR 하드 용량 검토
➁ 모니터수 : 폐쇄회로 텔레비전과 녹화장치 모니터수는 동일
➂ 선명한 화질 유지 : FRAME 수 -> DVR 저장 용량 검토
2) HN 보안설비

- 10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단상 유도전동기에서 분상전동기의 기동토크를 최대로 하기 위한


건115-4-3
보조 회로의 저항을 구하시오. (단 주권선 임피던스는 Zm = Rm+jXm)

1. 분상전동기 개요

1) 단상 전동기는 회전자계가 아닌 교번자계이므로 기동 토크가 없어 자기동 불가


2) 분산 전동기는 주권선보다 가는 보조 권선을 사용하여 리액턴스대 저항의
비율을 높혀 각 전류의 위상차로 기동토크를 만드는 단상 유도 전동기.
2. 기동토크를 최대로 하기 위한 보조 회로 저항
1) 등가회로및 벡터도

(1) 등가회로
➀ 주권선 임피던스 :        
➁ 보조권선 임피던스 :        

- 10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전류
 
➀         
       

➁ Ra = 0 일때 Ia = I
➂ Ra = 무한대이면 Ia = 0
2) 보조권선 변화시 최대 토크

(1) 토크
    ×    ×  sin    이 일정이라면  ∝  sin 

(2) 최대토크가 되기 위한 조건
➀ 최대토크는 Ia sin α 가 최대가 되는 DK '
➁ 이 때 Ia sin α 의 크기가 최대가 되는 분기회로 각도 θa 는
θm 의 절반만큼 움직여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

    

3) 최대토크를 내기위한 보조회로 저항 산출


위의 관계식에 tan 를 적용하면

 sin   

tan    tan       tan     tan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6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파동 방정식은 매질을 이동하며 일어나는 전자파의 특성을 해석할 수 있다.


건115-4-4
맥스웰 방정식을 이용하여 파동방정식을 설명하시오.

1. 맥스웰 방정식 (HEDB)

미분형 (적분형) 의 미

 맥스웰 제1법칙
∇×      

∅ 미분형 : 회전자계는 전도전류와 변위전류에 의해 발생
(   ∙    
 
)
적분형 : 자계를 선적분하면 전류와 같다. (암페어 주회적분 법칙)

맥스웰 제2법칙

∇×    

∅ 미분형 : 회전전계는 자속의 변화를 반대하는 방향으로 발생
     

적분형 : 자속의 변화를 반대하는 방향으로 역기전력발생 (패러데이 법칙)

맥스웰 제3법칙
∇∙   

   ∙   

미분형 : 고립전하의 존재 , 전속밀도의 발산은 체적전하밀도와 같다.
적분형 : 폐곡면내의 전속의 합은 내부 전하량과 같다. (가우스 정리)

맥스웰 제4법칙
∇∙   

   ∙   

미분형 : 고립자하는 존재하지 않으며 자속밀도의 발산은 0 이다.
적분형 : 폐곡면내 자속의 합은 항상 영이다. (가우스 정리)

- 107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파동 방정식
1) 유도

∇×        ← 양변에 


좌변  ∇×∇×   ∇∇∙    ∇   ∇  ∵∇∙   

∇×    
우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  
  
∇       
  

2) 전기관련사항
(1) 전자파이론 : 속도 , 방향 (포인터 벡터 P = E x H)
(2) 진행파의 투과 반사 : 특성 임피던스 , 이상 전압 해석
(3) 장거리 송전선로 해석 : 분포 정수 회로 -> 감쇄정수 , 위상정수
(4) 표피효과 : 표피효과 두께는 파동 방정식으로부터 유도
(5) 발전기 , 변압기 , 전동기등 대부분의 전기기기에 응용
(6) 전력의 생산 -> 운송 -> 소비 하는 영역까지 거의 모든 구간에 적용되는 법칙
(7)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 108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배선용차단기(MCCB)의 특징을 설명하고 저압계통의 배선용 차단기


건115-4-5
단락 보호 협조 방식을 설명하시오.

1. MCCB 개요
트립,개폐,소호장치가 절연물 용기(MOLDED CASE)내 수납된 것으로 과부하및 단락시
자동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저압전로의 대표적 차단기

구 분 무부하 부하 과전류 단락

P F ○ ○

차단기 ○ ○ ○ ○

개폐기 ○ ○ ○

단로기 ○

2. MCCB 특징
1) 일반적 특징
(1) 재투입 가능 , 반복사용 가능
(2) 속응성 우수 (20ms 이내 차단)
(3) 3상 동시 차단으로 결상이 없다.
2) MCCB 종류
(1) 트립장치에 따라 : 열동형 , 전자형 , 열동 + 전자형
(2) 차단기용량 : 경제형(E) , 표준형(S) , 고차단형(H) , 한류형(L)
(3) 사용장소 : 산업용 , 주택용
3) MCCB 정격
(1) 정격전압 : 올바른 동작을 보증하는 선로 전압
(2) 정격전류
➀ 규정 주위온도에서 차단기가 연속책무를 통전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조자 지정전류
➁ 전류 : 6,8,10,13,16,20,25,32,40,50,63,80,100,125 [A]
➂ 정격전류의 선정 :   ≤  ≤     ≤   
(3) 정격 단락차단용량
➀ 제조자가 차단기에 지정한 극한단락차단용량의 값

- 109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➁ 정격 극한 단락 차단용량(Icu)
규정조건하 차단할 수 있는 지상 저역률 단락전류 한도
➂ 정격서비스 단락 차단용량(Ics)
ㄱ) 정격차단후 두번째 가능한 차단용량을 말하며 정격차단용량의 % 로 나타냄
ㄴ) Icu x (25,50,75,100) % 전류를 2번째도 차단 가능하다는 의미
(4) 정격 단락 투입용량
재투입시 최고의 단락전자력을 이기고 투입할 수 있는 용량
(5) 정격 단시간내전류(Icn)
➀ 예상단락전류의 교류성분 실효값
➁ 정격단시간 내전류 최소값

정격전류 In 정격단시간 내전류 최소값

In ≤ 2,500 [A] 12 In 또는 5kA 중 더 큰 값

In > 2,500 [A] 30 kA

(6) 동작책무( KSC 8321 ) : O - 2분 - CO 동작 1회 (재폐로 기능)


3. MCCB 단락보호 협조
1) 선택 차단방식

(1) 한시차 보호방식으로 고장회로만 차단하는 방식으로 MCCB1 이 후비보호


(2) 협조 조건
➀ 전차단시간 : MCCB1 > MCCB2
➁ 차단용량 : MCCB1 > MCCB2
➂ 사고점 단락용량보다 MCCB1,MCCB2 단락용량이 클것

- 110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2) 캐스케이드 차단방식

(1) 개요
➀ 단락용량이 분기차단기 차단용량보다 큰 경우 주회로 차단기로 후비보호하는 방식
➁ 10KA 이상일 때 일괄공정을 가진 곳에서 적용
➂ 변압기 용량증가시 단락전류도 동시 증가되어 차단용량이 부족한 차단기를 모두
교체한다는 것은 경제적 부담이 커지므로 이 때 적용하는 방식
(2) 협조조건
➀ MCCB1 개극시간이 MCCB2 보다 빠를 것.
➁ MCCB1 차단용량 > 사고점 단락용량
➂ MCCB1 통과전류 파고치 < MCCB2 기계적 강도
➃ MCCB1 통과에너지 < MCCB2 열적 강도
⑤ MCCB1 아크에너지 < MCCB2 허용값 이내
➅ MCCB1 순시트립치 < MCCB2 차단용량의 80% 이하
(3) 타보호기기와의 동작협조

FUSE (A) - MCCB(B) ACB(A) - MCCB(B)

- 111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3) 전용량 보호방식
(1) 모든 MCCB는 추정단락전류 이상의 차단용량을 가지는 방식
(2) 단락전류 차단 보호는 충분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이지만 경제성 저하

4) 비교표

구 분 선택차단 캐스케이드 전용량

신뢰성 우 수 나 쁨 가장 우수

경제성 우 수 가장 우수 나 쁨

속응성 빠 름 느 림 빠 름

차단용량 크 다 인위적 증대 작 다

4. 기타 고려사항
1) 기기및 케이블과의 보호협조

변 압 기 케 이 블 전 동 기

전동기 기동전류에 부동작


케이블 허용전류이내 차단
여자 돌입전류에 부동작 과부하보호는 THD
케이블 열적내력보다 좌측에 위치
단락보호는 MCCB

2) 주택용 , 산업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 파악하여 보호협조


3) 여자돌입전류 , 기동전류 , 투입전류등에 오동작 하지 않도록 정격 선정
4) 기기의 열적 / 기계적 강도가 파괴되기 이전에 차단

- 112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건설사업관리(CM)에 대하여 아래 사항 설명
건115-4-6
1) 필요성 2) 업무범위 3) CM과 감리비교 4) 자문형 CM과 책임형 CM비교

- 113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114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115 -
115회 건축전기설비기술사 문제풀이 [♣ 좋은씨앗 전기기술학원]

[ 출제 배경 ]
전력기술관리법 일부 개정법률안 (2018.2.14)

1. 제안이유 및 주요내용

ㅇ건설분야에서는 건설기술진흥법 개정을 통하여 기존 “공사감리” 업무를


“건설사업관리”로 변경하고, 전기공사법에서는 현재 전기공사관리와 시공책임형
전기공사관리 제도가 도입됨에 따라

ㅇ 전력기술관리법에서도 발주자들이 필요한 경우 설계·감리업자들에게 전기공사에 관한


기획, 타당성조사, 분석, 설계, 시공관리, 감리 등 전기공사관리업무를 위탁할 수 있도록
근거규정을 마련(안 제14조의3 신설)'

- 11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