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EPRI Power System Dynamics

6 장 요약

2022. 08. 22

주관기관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스마트그리드 연구실

발표자 : 지찬호 1
1
01 Angle stability

 Angle stability
• Sustained generator torque angles of less than 90 degrees(Typically less than 20)
• Sustained power angles of less than 90 degrees. Typically the power angles between con-
nected buses are less than 10 degrees

 Changing Torque& Power Angles


• Power system 에 흐르는 3 상 전류는 회전하는 자기장 형성
• 발전기가 전력시스템과 in-step 인 경우 발전기의 자기장은 시스템의 자기장과 같은 속도로

• Angular separation of the two fields is the torque angle of the generator.
• Out-of-step 일 경우 다른 속도로 돌음
• Generator running faster -> torque angle increase
• p

2
01 Voltage Stability
5.1
 Voltage collapse occurs when there is not enough Mvar available to serve the reactive
power requirements of the area power system and loads.
 Excessive loading in the power system leads to deficiencies in Mvar and the system is
no longer able to support voltage. > Voltage collapse
 Angle stability : 전압 위상각 차이가 많이 나면 발전기가 자기 결합을 잃는것
 Voltage stability : 과도한 부하에 비해 Mvar 이 부족하여 전압 붕괴

3
01 Voltage Stability

 Long term voltage instability(minutes to hours)


 A transmission path separates a system’s generating sources and load areas
 Classical voltage instability( 1 to 5 minutes)
 Interconnected power system does not have enough Mvar to satisfy the needs of the
system and the customer load
 Short-term or Transient voltage instability
 많은 인덕션 모터가 멈췄다가 다시 재가동될때 발생 ( 재가동시 Mvar 큰 소비 )

4
01 Voltage Stability
Long term voltage instability
 Radial power system: parallel lines are used to connect generation
sources to the load

 P-V Curve
 MW transfer increases,voltage at the receiving bus slowly decreases
 MW transfer leads to a rapid decrease in voltage (Knee point)
 사용가능한 예비력이 다 소진된 지점 (Knee point)
 Knee point 를 넘을 경우 언제든지 voltage collapse 발생 가능
 초기에 2000MW 로 동작하는 전력시스템의 P-V 커브 (Figure 6-7)
 부 하 가 계 속 증 가 하 여 임 계 점 에 도 달 하 면 MW transferred 는
감소하기 시작
 A 지점 : MW 증가하면 Vr 조금 감소
 B 지점 : MW 증가 Vr 크게 감소 / 시스템에 부하가 많이 걸리면
전류 증가하고 Mvar 손실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 , Mvar
손실을 대체하기 위하여 전류는 또 증가하고 전압은 감소

5
01 Voltage Stability
Long term voltage instability
 Using shunt capacitors to solve system voltage problems and to increase MW transfer
capabilities
 Shunt capacitor 를 많이 달면 knee point 그래프의 우측으로 이동
 그러나 많이 사용할수록 B 지점이 사라져 전압 불안정 지점이 masked 됨
 우측 그림은 345kV 라인 탈락 개수에 따라 Knee point 가 달라지는 것 보여줌

6
01 Voltage Stability
Long term voltage instability
 Conditions for Long Term Voltage Instability
 Active and reactive power flows on the system to be heavy (B 지점 )
 Long term voltage instability Process
1. 부하증가에 따라 ULTC 가 저압측 전압 상승 (turns ratio 바꿔서 )

2. 저압측 증가시키려면 고압측에서 Mvar 을 가져와야함

3. 고전압 송전 시스템에서 가져온 Mvar 에 의해 송전 시스템의 전압 레벨 감소

4. 발전기가 Mvar 출력을 높이려고 시도 reactive capability limits 에 의해 small Mvar increase

5. 그러나 Mvar 의 극히 일부만 수신측에 제공

6. 고압측 전압 레벨 감소

7
01 Voltage Stability
Long term voltage instability
 Role of tap change equipment
 부하 오버슈트
 두 직렬 ULTC 가 응답시간이 적절하게 조정되지 않으면
MW 및 Mvar 부하가 오버슈트될 수 있다
 Voltage overshoot yields MW and Mvar load overshoot
 부하크기는 전압 레벨의 영향을 받으므로 탭 체인저는
부하크기에도 영향을 준다
 비모터 부하일 경우 전압이 떨어지면 감소하므로 탭체인저
사용하지 않는게 좋음
 모터 부하일 경우 전압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
 전압이 떨어지면 전류가 그만큼 증가하여 일정한 전력
공ㄱ브

8
01 Voltage Stability
Classical voltage instability
 Simulation of Classical voltage instability

 시스템에 부하 10MW 를 추가하면 classical voltage


instability 발생
 10MW load is added both voltage initially drop
 ULTC 저압측 전압 올리기 위해 탭 변경
 이러한 탭 변경이 저압측 전압을 개선하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지만 고압 측 전압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킴

9
01 Voltage Stability
Classical voltage instability
 발전기가 무효전력 생산 limit 에 걸릴 경우 문제 발생
 6-16 은 발전기의 MW 출력을 줄이면 Mvar 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 가능
 6-17 에서 key line loss 에 의해 전압이 갑자기 떨어질 경우 A 에서 B 지점으로
발전기 반응 능력이 초과하는 경우 발생
 몇 분 안에 회복하지 않으면 voltage collapase 발생 가능

10
01 Voltage Stability
Classical voltage instability
 V-Q curve
 원하는 전압 레벨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Mvar 확인
• A : Mvar 추가 필요없는 지점 226kV
• B : 235kV 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250Mvar 추가로 필요
• C : Point of voltage instability
• D : 100Mvar shunt capacitor 추 가 시 230KV 로 전 압
상승

 Figure 6-9 의 V-Q 커브


• No Line out – A 만큼의 전압 마진 존재
• 2 Line out – 전압 마진이 적어 위험한 운전 상태
• 3 Line out – Mvar 마진이 음수이며 instability 상태

11
01 Voltage Stability
Classical voltage instability
 P-V & V-Q Curve
 the maximum MW transfer before voltage instability is 1,500 MW.
 안전하게 동작시키기 위해 1000MW 로 동작
 500MW 의 voltage margin 이 남고 V-Q 커브에서 확인하면 Mvar 은 300 만큼
마진이 남는 것을 확인 가능

12
01 Voltage Stability
Short-term voltage instability
 Induction motor stalling
• When a large induction motor is started, it may draws 5 – 8 times its normal Mvar to build
its magnetic field

 Loss of Synchronism
• Angle < 90 degrees : stable
• Angle > 90 degrees : Mid-point voltage drops
• Angle = 180 degrees : Mid-point voltage is 0 – 전압 붕괴 발생

13
01 Voltage Stability
Preventing voltage instability
 Use dynamic reactive reserves(Carried in synchronous machine or SVC)
• automatically controlled reactive reserves that respond rapidly to voltage deviations
• Difficult to transmit reactive power so the location of the dynamic reactive reserves is important

 Load shedding
• Not enough reactive reserves > To shed load
• If the voltage instability develops slowly, manual load shedding may be an option.
• 일반적인 UVLS 세팅
• 5% of load is tripped if voltage falls below 92% of nominal for a minimum of 5 seconds.
• An additional 5% of load is tripped if voltage falls below 92% of nominal for a minimum of 8 seconds.
• An additional 5% of load is tripped if voltage falls below 90% of nominal for a minimum of 3.5 seconds.

1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