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소방전기(실기) 공식모음

3. 전동기 용량
소방전기(실기) 공식 모음
가. 공식 1
 
     
1. 전압강하  
가. 단상 2선식, 직류 2선식   전동기 용량  
    물의 비중량   
          
    유량 min   유량 sec
  전양정  
  전압강하     전달계수
  선로길이     효율
  전류     시간 초  sec
  전선의 굵기  
나. 공식 2
나. 3상 3선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동기 용량  
  유량 min
다. 단상 3선식, 3상 4선식   전양정  
    전달계수
             효율
 

다. 공식 3
2. 전압강하 2
 
가. 단상2선식     
 
      
  전동기 용량  
  전압강하   
  
  입력전압   
  출력전압     유량 min   유량 sec
  시간 초 sec

나. 3상3선식 라. 공식 4
      
    
      1Hp = 0.746Kw

  전압강하  
  입력전압     전동기 용량  
  출력전압     유량 min
  전양정  
  전달계수
  효율
  물의 비중량   
  시간 sec

-1-
소방전기(실기) 공식모음

3. 전동기 용량
소방전기(실기) 공식 모음
가. 공식 1
 
     
1. 전압강하  
가. 단상 2선식, 직류 2선식   전동기 용량  
    물의 비중량   
          
    유량 min   유량 sec
  전양정  
  전압강하     전달계수
  선로길이     효율
  전류     시간 초  sec
  전선의 굵기  
나. 공식 2
나. 3상 3선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동기 용량  
  유량 min
다. 단상 3선식, 3상 4선식   전양정  
    전달계수
             효율
 

다. 공식 3
2. 전압강하 2
 
가. 단상2선식     
 
      
  전동기 용량  
  전압강하   
  
  입력전압   
  출력전압     유량 min   유량 sec
  시간 초 sec

나. 3상3선식 라. 공식 4
      
    
      1Hp = 0.746Kw

  전압강하  
  입력전압     전동기 용량  
  출력전압     유량 min
  전양정  
  전달계수
  효율
  물의 비중량   
  시간 sec

-1-
소방전기(실기) 공식모음

마. 공식 5 7. 축전지
 가. 2차 충전전류
      1PS = 0.735Kw
 정격용량 상시부하
차 충전전류    
  전동기 용량   공칭용량 표준전압
  유량 min 공칭용량 : 알칼리 축전지 5[Ah] ※ 알오연십
  전양정   연 축전지 10[Ah]
  전달계수
  효율 나. 2차 출력
  물의 비중량  
  시간 초  sec 차 출력  표준전압 × 차 충전전류

4. 제연설비 전동기 용량 다. 축전지 용량

 
     
   

  보수율
  전동기 용량     용량환산시간
  풍량 min  보충량  누설량   방전전류
  전압   ※축전지의 공칭전압[V/셀] = 허용최저전압[V]/셀수
  전달계수 여유율 
  효율
  시간 초  sec 8. 전동기
※ CMH : ㎥/H = ㎥/60min 가. 회전속도
(Cubic Meter Per Hour)

       

5. 전동기 부하용량(피상전력)
  주파수  
 Pa[VA]

  극수   슬립
     Pv[var]
cos p[w] 에서 S(슬립)을 구하려면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유효전력    
      ⇒     
cos  역률  

6. 단상변압기 2대 V결선시 나. 동기속도


가. 단상변압기 1대 용량 
    
 

       ※슬립(slip) :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속도에 대한 고정자가

 cos 

만든 회전자계의 늦음의 정도를 말하며, 평상시운전에서
  변압기 대 용량   슬립은 4~8%정도 되며, 슬립이 클수록 회전속도가

   결선시 전동기 용량     cos 느려진다.


cos  역률

  부하용량 피상전력    
cos

-2-
소방전기(실기) 공식모음

마. 공식 5 7. 축전지
 가. 2차 충전전류
      1PS = 0.735Kw
 정격용량 상시부하
차 충전전류    
  전동기 용량   공칭용량 표준전압
  유량 min 공칭용량 : 알칼리 축전지 5[Ah] ※ 알오연십
  전양정   연 축전지 10[Ah]
  전달계수
  효율 나. 2차 출력
  물의 비중량  
  시간 초  sec 차 출력  표준전압 × 차 충전전류

4. 제연설비 전동기 용량 다. 축전지 용량

 
     
   

  보수율
  전동기 용량     용량환산시간
  풍량 min  보충량  누설량   방전전류
  전압   ※축전지의 공칭전압[V/셀] = 허용최저전압[V]/셀수
  전달계수 여유율 
  효율
  시간 초  sec 8. 전동기
※ CMH : ㎥/H = ㎥/60min 가. 회전속도
(Cubic Meter Per Hour)

       

5. 전동기 부하용량(피상전력)
  주파수  
 Pa[VA]

  극수   슬립
     Pv[var]
cos p[w] 에서 S(슬립)을 구하려면
 
    
  cos       
  
      에서      ⇒
 
  유효전력    
      ⇒     
cos  역률  

6. 단상변압기 2대 V결선시 나. 동기속도


가. 단상변압기 1대 용량 
    
 

       ※슬립(slip) :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속도에 대한 고정자가

 cos 

만든 회전자계의 늦음의 정도를 말하며, 평상시운전에서
  변압기 대 용량   슬립은 4~8%정도 되며, 슬립이 클수록 회전속도가

   결선시 전동기 용량     cos 느려진다.


cos  역률

  부하용량 피상전력    
cos

-2-
소방전기(실기) 공식모음

9. 감지기 종단저항 관련
가. 감시전류
회로전압
   12. 설치개수
종단저항  릴레이저항  배선저항
가. 객석유도등
※종단저항 값 전체저항값을 구하고 여기에서 릴레이 객석통로의직선길이
설치개수  
저항값과 배선저항값을 뺀다. 
나. 유도표지
나. 작동전류 구부러진 곳이 없는 부분의 보행거리  
설치개수  

회로전압
   다.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릴레이저항  배선저항
※ 작동전류는 종단저항까지 가기 전 감지기를 통과하기 구부러진 곳이 없는 부분의 보행거리  
설치개수  

때문에 종단저항은 계산에서 제외

13. 3상3선식 변류기 전류값


10. 발전기 관련
가. 정격용량 산정

 ≧       

  발전기의 정격용량  


  허용전압강하 가. 정상시
  과도리액턴스
                     
  기동용량  
                   
나. 발전기용 차단기의 용량 
 ※ 순방향은 +, 역방향은 -
 ≧  ×  여유율 

나. 누전시
  발전기의 차단기의 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도리액턴스
  기동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역률개선용 콘덴서의 용량 ※누전시에만 Ig로 전류가 흘러 검출 가능
sin sin
        14. 도체의 저항
cos cos
  cos 
  cos
     
cos cos
  개선전역률   개선후역률
    
개선전역률 개선후역률

-3-
소방전기(실기) 공식모음

9. 감지기 종단저항 관련
가. 감시전류
회로전압
   12. 설치개수
종단저항  릴레이저항  배선저항
가. 객석유도등
※종단저항 값 전체저항값을 구하고 여기에서 릴레이 객석통로의직선길이
설치개수  
저항값과 배선저항값을 뺀다. 
나. 유도표지
나. 작동전류 구부러진 곳이 없는 부분의 보행거리  
설치개수  

회로전압
   다.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릴레이저항  배선저항
※ 작동전류는 종단저항까지 가기 전 감지기를 통과하기 구부러진 곳이 없는 부분의 보행거리  
설치개수  

때문에 종단저항은 계산에서 제외

13. 3상3선식 변류기 전류값


10. 발전기 관련
가. 정격용량 산정

 ≧       

  발전기의 정격용량  


  허용전압강하 가. 정상시
  과도리액턴스
                     
  기동용량  
                   
나. 발전기용 차단기의 용량 
 ※ 순방향은 +, 역방향은 -
 ≧  ×  여유율 

나. 누전시
  발전기의 차단기의 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과도리액턴스
  기동용량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역률개선용 콘덴서의 용량 ※누전시에만 Ig로 전류가 흘러 검출 가능
sin sin
        14. 도체의 저항
cos cos
  cos 
  cos
     
cos cos
  개선전역률   개선후역률
    
개선전역률 개선후역률

-3-
소방전기(실기) 공식모음

          

   ℃ 에서 도체의 저항
   ℃ 에서 도체의 저항
  상승 전의 온도 ℃ 
  상승 후의 온도 ℃ 
   ℃ 에서 저항온도 계수
15. Y-Δ 회로변환 저항값
a a

Za
Zac Zab
Zc Zb
c b c b
Zbc

가. Δ-Y 변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 Y-Δ 변환
    
 

    
 

    
 


-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