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2.

물질과 전자기장

물리학Ⅰ 2-1-3.에너지띠와 반도체

고체의 에너지띠
1. 고체 원자의 에너지 준위와 에너지 띠
(1) 에너지띠: 고체 내부에 많은 원자가 매우 가까이 존재하여 가지게 되는
연속적인 띠 모양의 에너지 준위
❶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의 배타 원리 에 의해 원자들이 가까우면 전자들의 에너지 준위가 한 원자에서 같은 양자 상태에
미세하게 갈라지기 때문에 띠 모양으로 나타나게 됨) 두 개 이상의 전자들이 함께 존
재할 수 없다. 따라서 각각의 전
자들은 모두 다른 양자수 조합을
가져야 한다.

(2) 에너지띠의 구조

① 허용된 띠: 전자가 존재할 수 있


0K일 때 에너지 준위와 전자
는 에너지 영역
배치
- 원자가 띠: 띠구조에서 전자로 채 절대 온도가 0K일 때 고체 원자
워진 가장 높은 에너지 영역 의 전자들은 허용된 띠에서 에너
- 전도띠: 원자가 띠로부터 전자를 지가 낮은 부분부터 채운다.
받는 에너지 영역
② 띠 간격(띠틈): 원자가 띠와 전도
띠 사이의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에
너지 영역

단계별 핵심 CHECK
STEP 1 핵심 단어 빈칸 채우기
1. 고체 내부에 존재하는 많은 원자의 에너지 준위가 겹쳐지지 않고 넓은 ( )를 이루게 되는 이유는 (
) 때문에 같은 양자 상태에 두 개 이상의 전자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띠구조에서 전자로 채워진 가장 높은 에너지 영역을 ( )라고 한다.
3. ( )와 전도띠 사이의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영역을 ( )이라고 한다.

STEP 2 ○Ⅹ 개념 확인하기
1. 고체의 에너지띠에서 전자는 허용된 띠에서 에너지가 가장 낮은 부분부터 채워진다. ( )
2. 전도띠와 원자가 띠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허용된 띠에 해당한다. ( )
3. 원자가 띠에는 전자가 채워져 있지 않으며 전자가 채워져 있는 곳은 전도띠에 해당한다. ( )

STEP 3 STEP 1
1. 그림에서 전자들의 에너지 간격이 미세하게 1. 띠, 파울리의 배타 원리
2. 원자가 띠
갈라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3. 원자가 띠, 띠 간격
STEP 2
1.O 2.O 3.X
STEP 3
1. 파울리 배타 원리 때문
에 하나의 양자 상태에
동일한 전자 2개가 있을
수 없어서 갈라진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1 -
2-1-3.에너지띠와 반도체

고체의 전기전도성
1. 에너지띠와 전기전도성

❶ 자유 전자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원자가 띠
에서 전도띠로 전이된 전자로 작
은 에너지에 의해 자유롭게 움직
일 수 있다.

❷ 양공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전도띠로
비어있는 전도띠로 전자가 전이되면 이동하고 나면 원자가 띠에 생기
전자가 모두 채워져 있는 원자가 띠에 ❶
전도띠의 자유 전자 와 원자가 띠의 는 빈자리로 이웃한 전자가 채워
있는 전자는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함
양공❷이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지며 움직일 수 있다.
2.고체의 종류

도체 절연체(부도체) 반도체
전기전도성이 높아 전류 전기전도성이 낮아 전류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
가 잘 흐르는 물질 가 잘 흐르지 않는 물질
❸ 전기전도성
고체에서 외부 전압에 의해 전자
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정
도로 전류가 얼마나 잘 흐르는지
를 나타내는 성질

띠 간격이 없거나 원자 띠 간격이 좁아 전자가 절연 파괴


띠 간격이 커서 전자가
가 띠가 일부만 채워져 일정 이상의 에너지 흡 절연체에 띠 간격 이상의 큰 에
전도띠로 올라갈 수 없
있어 원자가 띠의 전자 수 시 전도띠로 올라갈 너지를 주면 원자가 띠의 전자가
다.
가 전도띠로 쉽게 이동 수 있다. 전도띠로 이동하여 절연체에도
⇨ 전기전도성 매우 작
할 수 있다. ⇨ 전기전도성 도체와 전류가 흐를 수 있다.

⇨ 전기전도성❸ 큼 절연체의 중간
나무, 고무, 유리, 다이 규소( Si ), 저마늄( Ge)
금, 은, 구리 등의 금속
아몬드 등의 비금속 등

3. 전기전도도(  )
물질의 전기전도성을 나타낸 숫자로 표현한 물리량으로 단위 길이, 단위 면적
에서 전류가 흐르는 정도

 물체의 저항  은 길이  에 비례하고 고체의 온도와 비저항


  
 단면적  에 반비례한다. 비례상수  를 도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비저
(  : 비저항, 단위는 ·m 을 씀) 비저항이라고 한다. 항이 증가하지만, 반도체는 온도
  비저항(  )의 역수이므로 비저항이 작을수록
     [단위:  ·m  ] 가 증가할수록 비저항이 감소하
  전기전도성이 크다.
여 전기전도도가 증가한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2 -
2-1-3.에너지띠와 반도체

단계별 핵심 CHECK
STEP 1 핵심 단어 빈칸 채우기
1. 전기 전도율이 도체와 부도체 사이의 중간 정도인 물질을 ( )라고 한다.
2. 도체에서는 ( )의 전자가 ( )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3. ( )은 반도체나 부도체의 원자가 띠에서 전자가 빠진 경우에 그 빠진 빈틈을 의미한다.
4. 단위 길이, 단위 면적에서 전류가 흐르는 정도를 ( )라고 한다.
5. 띠 간격이 매우 넓어서 전자가 전도띠로 올라갈 수 없는 구조를 가진 물질을 ( )라고 한다.

STEP 2 ○Ⅹ 개념 확인하기
1. 스마트 폰 터치 장갑은 전류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만들어져 사용자의 터치가 인식되도록 한다. ( )
2. 도체의 경우에는 원자가 띠와 전도띠에서 겹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없다. ( )
3. 부도체에서는 전자가 원자핵에 속박되어 이동할 수 없다. ( )
4. 비저항이 작을수록 전기전도도가 크다. ( )
5. 반도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전기전도도가 감소한다. ( )

STEP 3
1. 그림과 같이 장치하여 연필심 자리에 여러 가지 고체를 연결한 다음
전기전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리, 알루미늄, 저마늄, 고무의
비저항을 비교하고 도체와 반도체, 절연체로 분류하시오.

물질 전기전도도(  ·m  )
은  × 
구리  × 
알루미늄  × 
철  × 
저마늄 
규소  × 
유리   ∼  
고무 

STEP 1 핵심 단어 빈칸 채우기
1. 전기 전도율이 도체와 부도체 사이의 중간 정도인 물질을 ( 반도체 )라고 한다.
2. 도체에서는 ( 원자가 띠 )의 전자가 ( 전도띠 )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3. ( 양공 )은 반도체나 부도체의 원자가 띠에서 전자가 빠진 경우에 그 빠진 빈틈을 의미한다.
4. 단위 길이, 단위 면적에서 전류가 흐르는 정도를 ( 전기전도도 )라고 한다.
5. 띠 간격이 매우 넓어서 전자가 전도띠로 올라갈 수 없는 구조를 가진 물질을 ( 부도체 )라고 한다.

STEP 2 ○Ⅹ 개념 확인하기
1. X 2. X 3. O 4. O 5. X

STEP 3
1. 비저항의 크기는 고무>저마늄>알루미늄>구리 순서이다.
도체는 구리, 알루미늄이고 반도체는 저마늄이고 절연체는 고무이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3 -
2-1-3.에너지띠와 반도체

반도체
1. 고유 반도체와 비고유 반도체
규소(Si)의 구조
(1) 고유 반도체(순수 반도체): 불순물 없이 완벽한 결정구조를 갖는 반도체로
원자가 전자 4쌍이 공유 결합한
전기전도성이 낮다. 저온에서 양공이나 자유전자가 적어 절연체에 가깝다.
안정된 구조이다.
규소( Si ), 저마늄( Ge)

❶ 도핑
고유 반도체에 불순물을 넣는 것
으로 남는 전자나 양공이 생기도
록 하여 전기전도성을 증가시킨

(2) 비고유 반도체(불순물 반도체): 고유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도핑) 하여 다.
전기전도성을 높인 것

원자가 전자가 3개인


붕소( B ), 알루미늄( Al ),
p형 갈륨( Ga ), 인듐( In ) 등
반도체 을 도핑
⇨ 양공이 생겨서 전하
나르개 역할을 한다.
원자가 전자가 5개인
질소( N ), 인( P ), 비소 P형 반도체에서 P는 Positive
( As ), 안티모니( Sb) 등 를, N형 반도체에서 N은 Negative
n형
을 도핑 를 의미한다.
반도체
⇨ 전자 1개가 남아서
전하 나르개 역할을 한
다.

단계별 핵심 CHECK
STEP 1 핵심 단어 빈칸 채우기
1. 반도체의 성질을 변화시키기 위해 고유 반도체에 불순물을 넣는 것을 ( )이라고 한다.
2. 규소 반도체에 인을 ( )하였을 때 이 반도체는 ( )가 된다.
3.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에서 P형 반도체는 ( )을, N형 반도체는 ( )를 전하 수송의 매개체로 한
다.

STEP 2 ○Ⅹ 개념 확인하기
1. 도핑을 하면 띠 간격 사이에 새로운 에너지 준위가 삽입되는 것과 같다. ( )
2. 고유 반도체는 낮은 온도에서 전류가 잘 흐른다. ( )
3. p형 반도체에서는 전자가 전하 나르개 역할을 한다. ( )

STEP 1
STEP 3 1. 도핑
1. 오른쪽 그림의 반도체에 도핑한 원소를 쓰고, 2. 도핑, N형 반도체
3. 양공, 전자
이 반도체가 P형과 N형 중 어떤 종류에
STEP 2
해당하는지 설명하시오. 1.O 2.X 3.X
STEP 3
1. 인(P), N형 반도체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4 -
2-1-3.에너지띠와 반도체

다이오드
1. p-n 접합 다이오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해 만든 반도체 소자로 정류작용 을 한다.
❶ 정류작용
순방향 바이어스(순방향 전압) 역방향 바이어스(역방향 전압) 전류를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p형 반도체에 (+)극을, n형 반도체에 p형 반도체에 (-)극을, n형 반도체에 하는 것
(-)극을 연결한 형태 (+)극을 연결한 형태

p-n접합 다이오드의 모양과


기호

교류와 직류
양공과 전자가 접합면을 쉽게 통과 양공과 전자가 접합면을 통과할 수 없 교류는 흐르는 방향이 계속 바뀌
⇨ 전류가 흐름 음 ⇨ 전류가 흐르지 않음 는 전류이고 직류는 한 방향으로
만 흐르는 전류이다.

2. 정류 회로의 원리
가정에는 교류 전류가 공급되는데 전기 기구는 직류를 이용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정류작용을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킨다.

3. 다이오드의 이용
(1) 광 다이오드: 충분한 빛이 다이오드를 타격하면 PN 접합부가 이를 감지
해 전류를 생성해내는 다이오드이다.
자동문, 화재경보기, 리모컨 수신 장치 등에 이용
(2) 발광 다이오드(LED): 전류가 흐를 때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로 어떤
화합물을 반도체 재료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방출하는 빛의 색깔이 달라
진다.
항공기 및 선박의 조명, LED 디스플레이 등에 이용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5 -
2-1-3.에너지띠와 반도체

단계별 핵심 CHECK
STEP 1 핵심 단어 빈칸 채우기
1. 충분한 빛이 다이오드를 타격할 때 이를 감지하여 전류를 생성해내는 다이오드를 ( )라고 한다.
2.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극이 ( P형 반도체 )에, 역방향 바이어스에서는 (-)극이 ( )에 연결되
어 있다.
3.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극에서의 전자가 (+)극에 연결된 ( )쪽으로 이동한다.

STEP 2 ○Ⅹ 개념 확인하기
1. 순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접합면이 확대되어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한다. ( )
2. 순방향 바이어스에서 양공은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
STEP 1
3. 역방향 바이어스에서는 접합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 ) 1. 광 다이오드
2. P형 반도체, N형 반도체
3. P형 반도체
STEP 3
STEP 2
1. 다음 그림에서 바이어스의 종류와 전자의 이동 1.X 2.O 3.X
에 관해 설명하시오. STEP 3
1. 이 그림은 역방향 바이어
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
자는 +극 쪽으로 이동하
고 있다.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1) 제작연월일 : 2019년 4월 23일
보호되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2) 제작자 : 교육지대㈜
무단으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외에도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제작일부터 5년간 보호됩니다.

I410-ECN-0199-2019-001-000244110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