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실험 관찰』 6 쪽

전구에 불이 켜지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전지, 전선, 전구를 연결하면 전구에 불을 켤 수 있습니다. 전구에 불이 켜질


때와 켜지지 않을 때 전지, 전선, 전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알아봅시다.

탐구 활동 전지, 전선, 전구를 연결해 전구에 불 켜기


예상 분류

무엇이 필요할까요?
전지(1.5 V), 전지 끼우개, 집게 달린 전선 두 개, 전구(1.5 V 또는 3 V), 전구 끼우개

어떻게 할까요?
1 전지, 전선, 전구를 1 ∼ 4 와 같이 연결했을 때 어느 전구에 불이 켜질지 예상해
봅시다.

2 전지, 전선, 전구를 1 ∼ 4 와 같이 연결했을 때 어느 전구에 불이 켜지는지 확인


하고, 전구에 불이 켜지는 것과 켜지지 않는 것으로 분류해 봅시다.

3 전구에 불이 켜지는 것은 전지, 전선, 전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이야기해


봅시다.

1 2

3 4

12
전류의 흐름
탐구

전지, 전선, 전구 등 전기 부품을 서로 연결해 전기가 흐르도록 한


것을 전기 회로라고 하며, 전기 회로에 흐르는 전기를 전류라고 합니다.
전류는 전지의 (+)극에서 (-)극으로 흐릅니다.
전류가 잘 흐르는 물질을 도체라고 합니다. 도체에는 철, 구리, 알루
미늄, 흑연 등이 있습니다. 전류가 잘 흐르지 않는 물질을 부도체라고
합니다. 부도체에는 종이, 유리, 비닐, 나무 등이 있습니다.
여러 가지 전기 부품

필라멘트

꼭지쇠

스위치를 누르면 꼭지
어떻게 될지 뜯어서
전구
열어 보세요.

전구 끼우개

여러 가지 전기 부품은 도체 부분과 부도체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기 회로에 연결된 전기 부품의 도체
부분에 전류가 흐르면 전구에 불이 켜집니다.

전지

전지 끼우개

스위치 집게 달린
전선

생각해 볼까요?
● 여러 가지 전기 부품에서 도체 부분과 부도체 부분을 찾아볼까요?

13
『실험 관찰』 7 쪽

전지의 연결 방법에 따라 전구의 밝기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손전등이나 리모컨 안쪽을 살펴보면 전지가 여러 개 들어 있습니다. 전지는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나요? 전지 두 개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결해 보고
전구의 밝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봅시다.

탐구 활동 전지의 연결 방법에 따른 전구의 밝기 비교하기


관찰 분류

무엇이 필요할까요?
전지(1.5 V) 두 개, 전지 끼우개 두 개, 집게 달린 전선 여러 개, 전구(3 V), 전구 끼우개, 스위치

어떻게 할까요?

1 2

3 4

14
탐구

1 전지 두 개를 1 ∼ 4 와 같이 연결해 전기 회로를 만들고, 스위치를 닫았을 때


전구의 밝기를 관찰해 봅시다.

2 전구의 밝기가 비슷한 전기 회로끼리 분류해 봅시다.

3 전구의 밝기가 비슷한 전기 회로에서 전지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관찰하고


공통점을 찾아봅시다.

전기 회로에서 전지 두 개 이상을 서로 다른 극끼리 연결하는 방법을 전지의


직렬연결이라고 합니다. 또 전지 두 개 이상을 서로 같은 극끼리 연결하는
방법을 전지의 병렬연결이라고 합니다. 전지의 연결 방법에 따라 전구의 밝기는
달라집니다.

▲ 전지의 직렬연결 ▲ 전지의 병렬연결

생각해 볼까요?
● 우리가 사용하는 리모컨은 전지가 어떠한 방법으로 연결되었을
까요?

1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