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결합의 극성

CHAPTER.1 전기 음성도

화학에서 원자들은 서로 안정해지기 위해서 결합을 형성합니다 . 이온끼리 하


는 이온 결합과 두 비금속 (두 비금속 원자는 다른 원자이다) 원자끼리는 서로
전자쌍을 공유하는 공유결합을 형성합니다. 일반적으로 보았을 때 두 비금속
원자끼리는 공평하게 전자쌍을 가운데 놓고 결합을 형성한다고 생각하기 쉽습
니다. 하지만 두 비금속 원자가 공유결합을 형성할 때, 힘이 더 센 원자가 전
자쌍을 잡아당겨서 전자쌍이 치우치는 불공평한 공유결합을 형성합니다 . 이때
결합을 형성한 원자가 전자쌍을 잡아당기는 힘의 크기가 가장 센 플루오린을
4.0으로 정하고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값을 전기 음성도라고 합니다 . 그
리고 18족 비활성 기체는 결합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음성도 값을 측
정할 수 없어 고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기 음성도는 정의한 과학자에 따라
서 나타내는 값이 달라서 화학 1 과정에서는 폴링 이라는 과학자가 정의한 전
기 음성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기 음성도는 원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원자
핵의 전하량이 클수록 전기 음성도가 커집니다 . 따라서 , 같은 주기에서 원자번
호가 커질수록 전기 음성도가 커지고 같은 족에서는 원자번호가 작을수록 전
기 음성도가 커지는 주기적 성질을 볼 수 있습니다 . 이처럼 원자들에게는 전기
음성도라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전기 음성도의 차이에 의해서 결합의 종류
가 생깁니다.
CHAPTER.2 전기 음성도에 따른 결합의 종류

전기 음성도의 차이에 따른 결합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두 원자 사이의 전기 음성도 차이가 없는 경우, 두 번째로 두 원자
사이의 전기 음성도의 차이가 작은 경우, 마지막 세 번째로 두 원자 사이의 전
기 음성도 차이가 매우 큰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첫 번째 경우의 결합을
무극성 공유결합이라고 하고 , 두 번째 경우를 극성 공유결합이라고 하고, 세
번째 경우를 이온 결합이라고 합니다 . 무극성 공유결합 같은 경우는 전기 음성
도가 같은 원자 즉 같은 원자가 결합했기 때문에 전기 음성도의 차이가 생기
지 않아 전자쌍을 동등하게 가운데 위치시켜 공유합니다 . 극성 공유결합의 경
우는 전기 음성도의 차이가 생겨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가 전자쌍을 당겨서
치우칩니다. 이온 결합의 경우는 두 원자의 전기 음성도의 차이가 커서 양이온
이 음이온에 의해서 전자를 뺏겨 버립니다 . 이때 전기 음성도의 차이가 생기면
전하가 생기는데, 결합한 원자와 비교했을 때, 전기 음성도가 크면 전자를 얻
은 것과 비슷해서 부분적인 음전하를 , 반대로 전기 음성도가 작으면 전자를 잃
는 것과 비슷해서 부분적인 양전하를 띠게 됩니다.
분자의 구조와 성질
CHAPTER.1 전자쌍 반발 원리(이론).VSEPR

원자가 결합을 형성할 때, 원자가 소유하는 전자의 개수가 달라 같은 수의 전


자쌍을 공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 즉 옥텟 규칙을 만족하기 위해서 모자란 전자
수 만큼을 공유하여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유하는 전자쌍과 공유
하지 않은 전자쌍이 생깁니다 (Be, B, H는 옥텟을 만족하지 않는다 ). 이때 공유
하는 전자쌍을 공유 전자쌍 , 공유하지 않는 전자쌍을 비공유 전자쌍이라고 합
니다. 따라서 결합을 형성할 때 , 전자쌍들이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으려 한
다는 것( 즉, 결합각이 가능한 한 커야 한다)이 바로 전자쌍 반발 원리(이론) 이
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원리가 분자의 구조를 결정합니다 .

CHAPTER.2 분자의 구조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분자는 공유 전자쌍에 의해서 서로 오비탈이 겹쳐


져서 서로 이어져 있는 상태입니다. 이 공유 전자쌍의 위치에 따라 결국 결합
을 형성한 원자의 위치도 달라지고, 결국 분자의 구조도 바뀌게 됩니다 . 이렇
게 다양한 분자의 구조를 우리는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자쌍 반발 원리에 따
라 결정된 분자의 구조의 경우는 크게 3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중심원자에 공유 전자쌍만 있는 경우, 두 번째로 중심원자에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하는 경우 , 마지막으로 중심원자에 다중 결합이
있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먼저 중심원자에 공유 전자쌍만 있는 경우는
입체수에 따라서 기본 구조가 결정됩니다. 먼저 입체수가 2인 경우를 먼저 보
면 입체수가 2이기 때문에 2개의 공유 전자쌍이 가장 멀리 떨어질 수 있는 직
선형(평면)으로 기본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BeCl2가 있습니
다. BeCl2는 Be를 중심 원자로 하여 Cl이 양쪽 끝에 위치하여 공유 전자쌍은
2쌍이며 전자쌍 사이가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결합각은 180도를 이루며 직선
형의 결합구조를 가져 전자쌍 사이에 반발력을 최소화합니다. 다음으로 입체수
가 3일 때입니다. 입체수가 3일 경우에는 3개의 공유 전자쌍이 가장 멀리 떨
어진 구조 평면 삼각형 (평면)의 기본구조를 가질 것이며, 대표적으로 BCl3가
있습니다. BCl3는 B 를 중심 원자로 하여 Cl이 정삼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하여
결합각은 120도를 이루며 결합구조는 평면 삼각형이고 , 공유 전자쌍은 3쌍이
며 전자쌍 사이에 반발력을 최소화합니다. 마지막으로 입체수가 4일 때입니다 .
입체수가 4일 경우는 공유 전자쌍 4개가 가장 멀리 떨어진 정사면체( 입체) 구
조를 가질 것이며 대표적으로는 CH4가 있습니다. CH4는 중심원자 C 주위에
공유 전자쌍은 4쌍이 존재하며 정사면체에 꼭짓점에 H가 결합한 정사면체 구
조이며, 전자쌍의 반발을 최소화하는 결합각은 109.5입니다 .

다음으로 중심원자에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 비


공유 전자쌍도 분자 구조를 결정하기 때문에 비공유 전자쌍도 고려하여 분자
구조를 파악해야 합니다. 비공유 전자쌍을 고려하면 , 입체수와 전자쌍끼리의
반발력을 고려해서 기본구조를 파악해야 하는데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해서 공
유 전자쌍과 서로 반발하게 됩니다. 공유 전자쌍은 원자와 원자 사이에 묶여
있어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고, 반대로 비공유 전자쌍일 경우에는 해당 원자
에만 존재해서 비교적 움직임이 자유로워 비공유 전자쌍의 반발력의 세기가
더 셉니다. 따라서 공유 전자쌍끼리의 반발력 <공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의
반발력<비공유 전자쌍끼리의 반발력과 입체수를 고려해야 합니다. 입체수를 정
할 때 비공유 전자쌍을 공유 전자쌍이라고 가정하여 입체수를 결정합니다.
NH3는 원자가 전자가 5개인 질소를 중심 원자로 하여 H 3개와 공유결합을
한 형태로 3쌍의 공유 전자쌍과 1쌍의 비공유 전자쌍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입체수가 4이므로 H와 비공유 전자쌍은 정사면체의 꼭짓점에 존재합니다. 공
유 전자쌍과 비공유 전자쌍의 반발력은 공유 전자쌍 사이의 반발력보다 크기
때문에 결합각은 109.5도보다 작은 결합각인 107도의 결합각을 가지고 결합구
조는 삼각뿔 형입니다. H2O는 원자가 전자가 6개인 O를 중심 원자로 하여 H
2개와 공유결합을 한 형태로 2쌍의 공유 전자쌍과 2쌍의 비공유 전자쌍이 존
재합니다. 따라서 입체수가 4이므로 H와 비공유 전자쌍은 정사면체의 꼭짓점
에 존재하는데 마찬가지로 반발력의 크기 차이로 인해서 109.5도보다 107도보
다 작은 104.5도의 결합각을 가지고 결합구조는 굽은 형입니다.
다음으로 중심원자에 다중 결합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다중 결합 (2중 결합 ,
3중 결합 )을 존재하는 결합은 다중 결합을 1개의 전자쌍으로 취급하여 분자의
구조가 결정됩니다(1개의 전자쌍으로 취급하는 이유 : 전자쌍에 의해 반발을 할
때 영향을 함께 받아 움직일 때 같이 움직이기 때문이다).

CHAPTER.3 분자의 극성
분자의 극성 여부는 결합의 극성과 분자의 구조에 따라 결정이 되는데, 공유결
합을 형성한 분자 안에 전하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느냐, 전하가 고르게 분포되
어 있지 않냐에 따라서 분자의 극성이 결정되게 됩니다. 전하가 고르게 분포하
는 즉 전하를 띠지 않는 분자들을 무극성 분자, 전하가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
전하가 띠는 분자들을 극성 분자라고 합니다. 또한, 중심원자를 기준으로 결합
한 원자들이 서로 대칭일 경우에는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므로
무극성 분자라고 하고, 대칭이 되지 않을 때는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보다 커지므로 극성 분자라고 합니다. 무극성 분자는 이원자 분자일 경우와
다원자 분자일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H2, Cl2, F2, Br2와 같은 이원자
분자들의 경우에는 동등한 공유결합을 형성하여 전하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전하를 띠지 않아 무극성 공유결합을 하게 됩니다. BeCl2, BCl3, BF3, CH4,
CO2와 같은 다원자 분자들은 중심원자를 기준으로 결합한 원자들이 서로 대
칭을 이루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 되므로 무극성 분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극성 분자입니다. 극성 분자도 마찬가지로 이원자 분자인 경우와 다원


자 분자인 경우로 나뉘게 됩니다. HCl, HF와 같은 서로 다른 2개의 원자가
결합한 이원자 분자는 전기 음성도의 차이로 극성 공유결합을 하기 때문에 전
하가 고르게 분포하지 않아 극성 분자가 됩니다. H2O, NH3, HCN과 같은 다
원자 분자인 경우는 중심원자를 기준으로 결합한 원자들이 서로 비대칭을 이
루어 결합의 쌍극자 모멘트의 합이 0이 되지 않아 분자가 극성을 띠게 됩니
다.

따라서 우리는 이렇게 분자의 극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하는 점은 바로 무극성 공유결합을 하는 분자만이 꼭 무극성 분자인
것은 아닙니다 . 위에 분자들로 예를 들어보면, CO2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들은
무극성 공유결합을 하는 원자가 존재하지 않고, 전부 극성 공유결합을 하는 것
을 볼 수 있습니다.
CHAPTER.4 분자의 성질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는 사실은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하지
만 이러한 성질은 앞에서 보았듯이 분자의 극성 여부를 결정하는 분자의 구조
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극성 분자 H2O는 산소의 전기 음성도가 수소의 전기 음성도 보다 크기 때문


에 산소는 부분적 음전하 , 수소는 부분적 양전하를 띠는 극성 분자가 됩니다 .
따라서 H2O(l) 와 같은 액체 상태의 극성 물질에 대전체를 가까이 대면 액체가
대전체 쪽으로 끌려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C6H14와 같은 무
극성 분자는 부분적 전하를 띠지 않으므로 액체 상태의 무극성 분자에 대전체
를 가져다 대도 액체가 끌려오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극성 분자는 전하를 띠고 무극성 분자는 전하를 띠지 않기 때문에
전기장 속에서의 분자의 배열도 서로 차이가 있습니다.

먼저, HCl과 같은 극성 분자에 전기장을 걸어 주었을 때, 부분적인 음전하를


띠는 부분이 (+) 극 쪽을 부분적 양전하를 띠는 부분은 (-)극 쪽을 향하게 됩니
다. 하지만 무극성 분자의 경우에는 전하를 띠고 있지 않아 무작위(무질서) 하
게 배열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극성 물질은 서로 반대의 전하를 띤 부분
사이에 강한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극성 용매에 잘 용해됩니다 . 마
찬가지로 무극성 물질은 무극성 용매에만 잘 용해됩니다 . 하지만 극성 물질과
무극성 물질을 서로 섞이지 않습니다 . 그 이유는 극성 물질과 무극성 물질을
함께 섞으면 극성 물질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생성되어 무극성 물질이 섞이
지 않고 층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끓는점과 녹는점입니다. 일반적으로 분자량이 비슷한 분자의 경우


분자의 극성이 클수록 전하 사이에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함으로 전하를 띠지
않는 무극성 분자보다 극성 분자의 끓는점과 녹는점이 높습니다.

You might also like